YOU ARE DOWNLOADING DOCUMENT

Please tick the box to continue:

Transcript
Page 1: 지금은100세시대 문화예술로더 강하게pdf.ihalla.com/sectionpdf/20171120-73268.pdf · 기,제주문화원실버합창단공연등이 잇따르며세대간소통을꾀했다.이천

1960~70년대 추억의 밥상을 통해 제주

음식문화 등을 들여다보는 자리가 마

련된다.

제주문화원이 주최하고 제주문화원

부설 향토문화연구회가 주관하는 제8

회 향토문화발전세미나가 이달 20일

오후 4시 제주팔레스호텔 10층 연회장

에서 열린다.

이날 세미나는 추억의 밥상 을 주

제로 실시된다. 좌문철 전 제주도교육

청 교육정책국장이 제주 전통음식문

화의 이해와 전승 을 주제로 강연하고

제주문화원 향토문화연구회 현명철 회

원과 박승석 회원이 지난 1년간 향토

문화연구회에서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

로 1960년대 추억의 밥상 과 1970년

대 추억의 밥상 에 대해 각각 발표를

벌인다. 이어 윤용택 제주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김유정 미술평론가, 박

문헌 제주문화원 제9기 문화대학 회

장, 강은실 제주대박물관 학예사 등

이 토론에 나선다.

제주문화원 향토문화연구회는 이

번 세미나를 위해 회원들의 기억을

더듬어가며 1960~70년대 학창시절 상

차림을 재현해 당시 제주사람들이 먹

었던 음식과 그에 따른 식재료 조달

방법, 만드는 방법 등을 정리했다. 음

식과 관련된 추억도 소개해 제주사람

들의 생활상의 변화를 살필 수 있도

록 했다.

향토문화연구회는 2015년 옛 제주

인의 삶 , 2016년 제주도 생활문화

등 잊혀져가는 근대 제주인들의 전통

생활문화를 주제로 조사와 발굴, 구술

정리를 이어가고 있는 단체다. 매년 세

미나를 열어 그 결과물을 공개해왔다.

문의 722-0203.

진선희기자 [email protected]

문 화2017년 11월 20일 월요일8

제주민예총 예술로

제주탐닉 결과전에

나온 김진철의 낭이와 타니의 신비한 여행 .

지난 4개월동안 예술로 제주에 빠져

들었던 여정이 전시장에 펼쳐지고

있다. 제주민예총이 마련한 예술

로 제주 탐닉 전이다. 강의와 현장

답사 등을 거치며 제주 전통, 역사,

신화, 자연을 담아낸 창작물이 나왔

다. 이번주 공연과 전시를 소개한다.

<공연>

▶안지아 피아노 독주회=11월 20

일 오후 7시30분 서귀포예술의전

당. 010-8229-3112.

▶스토리 음악여행 콘서트=11월

20일 귀덕초와 빛과소금 지역아동

센터, 21일 남원초, 22일 제주중앙

초. 010-4103-7073.

▶강슬기 김양남 2인 음악회=11

월 21일 오후 7시30분 서귀포예술

의전당. 010-4086-0863.

▶제주프라임 협주곡의 밤=11월

21일 오후 7시30분 문예회관. 710-7

632.

▶뮤지컬 왕세자 실종사건 =11

월 22일 오후 7시30분 제주아트센

터. 728-1509.

▶제주문화원 실버합창단 공연=1

1월 23일 오후 6시30분 제주아트센

터. 722-0203.

▶국악단소리개 공연=11월 23일

오후 7시30분 서귀포예술의전당. 7

60-3365.

▶안덕중 오케스트라 연주회=11

월 24일 오후 6시30분 서귀포예술

의전당. 735-7705.

▶제주시청합창단 연주회=11월 2

4일 오후 7시 문예회관. 710-7632.

▶로맨틱 뮤직 인 가을향기=11월

25일 오후 5시 설문대여성문화센

터. 710-4202.

▶소리낭색소폰동호회 연주회=1

1월 25일 오후 6시 문예회관. 710-7

632.

▶제주드림주니어오케스트라 연

주회=11월 25일 오후 6시30분 문예

회관. 710-7632.

▶어린이뮤지컬 라바 시즌3=11

월 25~26일 제주아트센터. 1688-4878.

▶꿈꾸는 섬-비비둥둥=11월 25~2

6일 서귀포 김정문화회관. 756-0105.

▶ 백년의 노래 무비콘서트=11

월 26일 오후 6시 제주돌문화공원.

070-4136-3031.

▶빛무용단 공연=11월 26일 오후

6시30분 문예회관. 710-7632.

▶봉려관 달빛음악제=관음자비

량합창단 주최 11월 26일 오후 7시

문예회관. 710-7632.

▶서귀포청소년오케스트라 송년

음악회=11월 26일 오후 7시30분 서

귀포예술의전당. 760-2486.

<전시>

▶제주정신=서귀포예술의전당

기획전. 1부 전시는 11월 20~12월 3

일. 760-3341.

▶제주기독사진가협회전=11월 2

0~25일 문예회관. 710-7633.

▶제주가톨릭미술가회전=11월 2

1~25일 문예회관. 710-7633.

▶애월국제문화복합단지 레지던

시 1기 결과보고전=박길주 임영실

참여. 11월 22~26일 켄싱턴제주호

텔. 010-5283-2666.

▶임성호 개인전=11월 24~30일

연갤러리. 010-2594-0207.

▶환경사랑서예전=북연회 주관 1

1월 25~12월 3일 조천읍도서관. 728

-8571.

▶제주도사진대전=11월 26~30일

문예회관. 710-7633.

▶예술로 제주 탐닉전=11월 27일

까지 이디아트 갤러리. 758-0331.

▶정광섭 개인전=11월 30일까지

비오토피아갤러리. 793-6000.

▶임혜랑 개인전=11월 30일까지

더갤러리현. 772-3912. 진선희기자

지금은 100세 시대… 문화예술로 더 건강하게

지난 18일 혼디 어우렁 축제장에 경기도 이천문화원 어르신들이 만든 풀짚 공예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강경민기자

어르신 문화프로그램 성과를 전시하고

과제를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지

난 18일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낙선동

에서 열린 혼디 어우렁 축제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

화원연합회와 제주도문화원연합회가

주관한 이날 행사는 포럼 전시 체험

공연 등으로 꾸며졌다. 제주 금석문 탁

본전, 한글서예사랑모임의 제주어 속

담전, 제주결혼풍속사진전, 어르신을

위한 건강팔찌 만들기, 갈천소품 만들

기, 제주문화원 실버합창단 공연 등이

잇따르며 세대간 소통을 꾀했다. 이천

문화원 구만리뜰 청춘봉사단의 풀짚

공예 전시, 부산 강서문화원 문화나눔

색소폰봉사단의 공연 등 제주만이 아

니라 다른 지역 어르신문화프로그램

결과물도 제주로 향했다.

제주문화원, 경기 이천문화원, 경북

김천문화원이 참여한 어르신 문화프로

그램 운영사례 포럼에서는 어르신들

을 복지 수혜 대상자로만 볼게 아니라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늘

려야 한다 는 주장이 나왔다. 이천문화

원 이동준 사무국장은 어르신 문화프

로그램 만족도는 높은데 정확한 수요

조사나 효과 등 질적인 평가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다 며 새로운 노년

층의 문화적 생애적 특징이 달라지는

만큼 기획의 관점도 바뀌어야 할 때

라고 제언했다. 진선희기자

제주지역 공예인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축제가 펼쳐진다. 제주명품공예인협동

조합 주관으로 제주시 원도심 향사당

과 예술공간 이아 등에서 열리는 제

주064페스티벌 이다.

이달 25~30일에는 향사당에서 제주

공예의 전통과 현대 주제 전시가 마련

된다. 갓공예 국가무형문화재 장순자

(갓일 양태장), 강순자(갓일 총모자)

강전향(망건장) 김혜정(탕건장) 보유

자의 작품과 더불어 제주 전통공예를

바탕으로 한 강승철(제주옹기) 송은실

(갈천염색) 작가의 창작품이 나온다.

실용적이면서도 단순미가 돋보이는 제

주목가구와 죽공예품(이기정 소장)도

전시될 예정이다. 향사당 앞마당에서

는 작은 공연이 펼쳐진다. 25일 오진우

의 기타, 26일 태히언의 레게 공연이

잇따른다.

25일 오후 5시에는 예술공간 이아

에서 토크세미나가 진행된다. 오창윤

제주대 교수, 강승철 공예가, 양금미

명품공예인협동조합 대표가 패널로

나선다.

공예체험도 준비됐다. 예술공간 이

아에서는 말총 액세서리 만들기, 색실

공예품 만들기, 제주공예품으로 민화

그리기 등에 참여할 수 있다. 삼도2동

문화의 거리에 있는 쿰자살롱, 그릇이

야기 최작, 요보록소로복에서는 도예

체험, 한지공예 체험, 도자기 채색하기

등이 이루어진다.

25~26일 이틀동안 예술공간 이아 3

층에 플리마켓도 차린다. 말총 공예 관

련 공모전 참가자와 지역 공예가들이

작품이 판매된다.

양금미 대표는 제주지역 공예인들

이 네트워크를 이루는 첫 축제 라며

제주 공예인들이 함께 할수 있는 기

반을 만드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고

말했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

jejucraft.com)참고. 진선희기자

제주 공예인 한자리… 전통 딛고 미래로

제주YWCA는 육아토크쇼 어쩌다 맘

에 참여할 육아 사연을 모집하고 있다.

12월 1일 오후 2시 제주한살림 5층

강당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는 육아에

대한 소소한 이야기와 고민 등 에피소

드를 접수받은 뒤 토크쇼 당일 사회자

가 채택된 사연을 읽고 그 주인공을 직

접 무대로 초대해 대화를 나누는 방식

으로 진행된다. 사연 접수기간은 이달

24일까지로 채택된 사연의 주인공에게

는 소정의 상품을 준다.

사연은 홈페이지(www.jejuywca.or.

kr)에서 서식을 내려받아 작성한 뒤 e

메일([email protected])로 보내

면 된다. 문의 711-8322. 진선희기자

육아토크쇼 참가 사연 모집1960~70년대 제주 사람들의 밥상은

Related Docu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