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Vol. 43 (Suppl 1), 2011 (121-128) 121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Room B 생체간이식 후 담관 문합부 협착이 초래된 환자에서 자석압박문합술 장성일·이동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내과 Magnetic Compression Anastomosis Formation in patients with Biliary Anastomotic Stricture after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Sung Ill Jang, M.D. and Dong Ki Lee, M.D., Ph.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ngnam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서론 간 이식 후 담도계 합병증은 수술 기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흔 하게 발생하며 사망률과 이환율을 높인다. 이러한 합병증은 사체 간이식(cadaveric liver transplantation)보다 생체간이식(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LDLT)에서 더 많이 발생하며, 생체간 이식을 받은 환자의 약 8.3-31.7%에서 발생한다. 1-4 문합부 폐쇄의 주된 원인은 간 공여자의 오른쪽간 이식 편과 간 수여자의 담도에 서 담관 끝의 허혈성 변화 때문이다. 5 두 번째 원인은 생체간이식 을 받은 환자에서 담즙 누출 후 담관 폐쇄가 일어나는 것이며, 간 동맥 합병증이나 cytomegalovirus 감염이 원인이 될 수 있다. 3 관 문합부의 협착은 생체간이식의 외과적 합병증 중 가장 흔하며, 협착으로 인하여 담즙의 배출에 장애가 발생할 시 폐쇄성 황달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표준적인 치료법이 정립되지 않 았다. 6-10 생체간이식을 시행한 초기에는 대부분의 담관 합병증은 외과적 치료의 대상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수술적 치료는 재 개복의 이환 율이 높고, 동반된 합병증과 담관염으로 인해 수술을 시행하기 어 려운 환자가 많다. 11 최근 담관-담관 폐쇄는 통상적으로 중재적 방 사선술을 이용한 경피경간담도배액술(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PTBD), 풍선확장술, 스텐트 삽입술이나 내시경적 역행성담췌관조영술(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 raphy, ERCP)을 통한 풍선확장술이나 스텐트 삽입술로 치료하고 있다. 즉 담관-담관 문합부 폐쇄에 대한 치료는 수술적 치료보다 우선적으로 비수술적 치료로 변화하고 있다. 12 담관-담관 문합부 폐쇄의 초기 치료는 ERCP를 통한 스텐트 삽 입술이며 2,3,8,13,14 ERCP가 실패할 경우 PTBD 삽입술을 시행하였 다. 2,3 그러나 경피적으로나 내시경적으로 담관-담관 문합부 협착 부위로 guidewire가 통과하지 못할 경우 풍선확장술이나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하지 못하여 재 수술을 하거나 지속적으로 외부 배 액 관을 계속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재 수술은 의사와 환자에게 위험 부담이 크고 재 수술 후에도 협착의 재발 가능성이 있다. 또 한 평생 외부 배액 관을 몸에 지니고 산다는 것은 배액 관의 관리 도 어려울 뿐 아니라 환자에게는 너무 큰 고통이다. 이러한 환자에게 새로운 비수술적 치료법으로 1998년 Yamanouchi 에 의해 자석(magnet)을 이용한 문합부 재건술(magnetic com- pression anastomosis, MCA)이 소개되었다. 15 MCA는 최근 여러 소화기계 문합부 재건술에 혁신적이고 덜 침습적인 중재술로 여겨 지고 있다. 11,12,16-19 MCA는 일본에서 시행되어 증례보고 하였으며, 11,12,16,18-24 Michael Avaliani 등이 11 악성 종양에 의한 폐쇄성 황달 을 가진 34명을 대상으로 자석을 이용한 담관-장관 문합부 재건술 을 시행하여 수술의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국내에서는 필자가 2007년 간공장연결술(hepaticojejunostomy) 후 문합부 완전폐쇄로 반복되는 담관염 증상을 보인 환자에서 MCA를 최초로 시도하여 성공하였다. 25 이후 12명의 LDLT 환자에 서 초래된 ERCP나 PTBD로 해결되지 않았던 담관-담관 문합부 폐 쇄가 발생한 환자에서 MCA 치료 성적과 경험을 보고하였다. 26 번 강의에서는 LDLT 환자에서 최근까지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시행한 MCA의 경험을 말하려 한다. 적응증 MCA의 대상은 국내에서 주로 LDLT 후 담도-담도 문합부 협착 이 진행된 후 폐쇄가 발생하여 PTBD 통로를 통한 중재술이나 ERCP로 문합부 재건술이 불가능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LDLT 시행 후 발생하는 담도-담도 문합부 협착과 폐쇄는 이식 받은 간의 증식과 허혈성 변화 5 에 의해 유발되어 이식간의 담도와 이식 27 받은 환자의 담도 간에 급경사(acute angulation)와 비틀림 현상(torsion)이 발생한다. 28 이러한 이유로 guidewire가 협착된 문합부를 통과하지 못하거나 문합부가 완전히 폐쇄된 환자에서는
8

Magnetic Compression Anastomosis Formation in …...생체간이식 후 담관 문합부 협착이 초래된 환자에서 자석압박문합술 장성일․이동기 Vol. 43 (Suppl

Mar 10, 2020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Magnetic Compression Anastomosis Formation in …...생체간이식 후 담관 문합부 협착이 초래된 환자에서 자석압박문합술 장성일․이동기 Vol. 43 (Suppl

Vol. 43 (Suppl 1), 2011 (121-128) 121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Room B❙

생체간이식 후 담관 문합부 협착이 초래된 환자에서 자석압박문합술

장성일·이동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내과

Magnetic Compression Anastomosis Formation in patients with Biliary Anastomotic Stricture after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Sung Ill Jang, M.D. and Dong Ki Lee, M.D., Ph.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ngnam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서론

간 이식 후 담도계 합병증은 수술 기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흔

하게 발생하며 사망률과 이환율을 높인다. 이러한 합병증은 사체

간이식(cadaveric liver transplantation)보다 생체간이식(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LDLT)에서 더 많이 발생하며, 생체간

이식을 받은 환자의 약 8.3-31.7%에서 발생한다.1-4 문합부 폐쇄의

주된 원인은 간 공여자의 오른쪽간 이식 편과 간 수여자의 담도에

서 담관 끝의 허혈성 변화 때문이다.5 두 번째 원인은 생체간이식

을 받은 환자에서 담즙 누출 후 담관 폐쇄가 일어나는 것이며, 간

동맥 합병증이나 cytomegalovirus 감염이 원인이 될 수 있다.3 담

관 문합부의 협착은 생체간이식의 외과적 합병증 중 가장 흔하며,

협착으로 인하여 담즙의 배출에 장애가 발생할 시 폐쇄성 황달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표준적인 치료법이 정립되지 않

았다.6-10

생체간이식을 시행한 초기에는 부분의 담관 합병증은 외과적

치료의 상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수술적 치료는 재 개복의 이환

율이 높고, 동반된 합병증과 담관염으로 인해 수술을 시행하기 어

려운 환자가 많다.11 최근 담관-담관 폐쇄는 통상적으로 중재적 방

사선술을 이용한 경피경간담도배액술(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PTBD), 풍선확장술, 스텐트 삽입술이나 내시경적

역행성담췌관조영술(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

raphy, ERCP)을 통한 풍선확장술이나 스텐트 삽입술로 치료하고

있다. 즉 담관-담관 문합부 폐쇄에 한 치료는 수술적 치료보다

우선적으로 비수술적 치료로 변화하고 있다.12

담관-담관 문합부 폐쇄의 초기 치료는 ERCP를 통한 스텐트 삽

입술이며2,3,8,13,14

ERCP가 실패할 경우 PTBD 삽입술을 시행하였

다.2,3 그러나 경피적으로나 내시경적으로 담관-담관 문합부 협착

부위로 guidewire가 통과하지 못할 경우 풍선확장술이나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하지 못하여 재 수술을 하거나 지속적으로 외부 배

액 관을 계속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재 수술은 의사와 환자에게

위험 부담이 크고 재 수술 후에도 협착의 재발 가능성이 있다. 또

한 평생 외부 배액 관을 몸에 지니고 산다는 것은 배액 관의 관리

도 어려울 뿐 아니라 환자에게는 너무 큰 고통이다.

이러한 환자에게 새로운 비수술적 치료법으로 1998년 Yamanouchi

에 의해 자석(magnet)을 이용한 문합부 재건술(magnetic com-

pression anastomosis, MCA)이 소개되었다.15 MCA는 최근 여러

소화기계 문합부 재건술에 혁신적이고 덜 침습적인 중재술로 여겨

지고 있다.11,12,16-19

MCA는 일본에서 시행되어 증례보고 하였으며,11,12,16,18-24 Michael Avaliani 등이11 악성 종양에 의한 폐쇄성 황달

을 가진 34명을 상으로 자석을 이용한 담관-장관 문합부 재건술

을 시행하여 수술의 새로운 안으로 제시되었다.

국내에서는 필자가 2007년 간공장연결술(hepaticojejunostomy)

후 문합부 완전폐쇄로 반복되는 담관염 증상을 보인 환자에서

MCA를 최초로 시도하여 성공하였다.25

이후 12명의 LDLT 환자에

서 초래된 ERCP나 PTBD로 해결되지 않았던 담관-담관 문합부 폐

쇄가 발생한 환자에서 MCA 치료 성적과 경험을 보고하였다.26 이

번 강의에서는 LDLT 환자에서 최근까지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시행한 MCA의 경험을 말하려 한다.

적응증

MCA의 상은 국내에서 주로 LDLT 후 담도-담도 문합부 협착

이 진행된 후 폐쇄가 발생하여 PTBD 통로를 통한 중재술이나

ERCP로 문합부 재건술이 불가능한 환자를 상으로 하였다.

LDLT 시행 후 발생하는 담도-담도 문합부 협착과 폐쇄는 이식

받은 간의 증식과 허혈성 변화5에 의해 유발되어 이식간의 담도와

이식27 받은 환자의 담도 간에 급경사(acute angulation)와 비틀림

현상(torsion)이 발생한다.28 이러한 이유로 guidewire가 협착된

문합부를 통과하지 못하거나 문합부가 완전히 폐쇄된 환자에서는

Page 2: Magnetic Compression Anastomosis Formation in …...생체간이식 후 담관 문합부 협착이 초래된 환자에서 자석압박문합술 장성일․이동기 Vol. 43 (Suppl

생체간이식 후 담관 문합부 협착이 초래된 환자에서 자석압박문합술

장성일 ․ 이동기

122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Figure 1. Photograph showing the magnets that were used in this study.26 (A) The magnet used originally had a side hole. (B) In the new magnet, a hole was drilled in the side opposite the alignment side. A silk thread was passed through the hole and attached with strong adhesives. This magnet was smaller but stronger than the first. (C) The magnet was grasped with a polypectomy snare. (D) The magnet positioned at the tip of the endoscope.

고식적인 ERCP나 PTBD를 이용한 문합부 재건술이 불가능하며,

MCA는 이러한 환자에서 시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다.

방법26

1. 자석(Magnet)

MCA 초기에 사용된 자석은 직경이 5 mm이고 길이가 10 mm이

며, 3700 가우스의 자력을 지닌 실린더 모양이었다(Fig. 1A). 자석

은 옆에 구멍이 뚫려 있어 실리콘으로 실크실과 연결되어 있었다.

초기 자석은 실크실과 자석이 잘 떨어지고, 시술 시 자석을 조작하

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자석의 구

멍을 뒤쪽으로 만들고 실크 실을 구멍을 통과하여 연결한 개량된

자석을 사용하였다(Fig. 1B). 그리고 협소한 담도를 통과하기 위

해 직경이 4 mm이면서도 자력이 기존의 자석에 비해 1.5배 강해

진 자석을 개발하여, 환자의 담도 모양과 협착된 길이에 적합한 자

석이 사용되고 있다.

2. 경피경관통로(PTBD tract)

자석이 이식 받은 간의 담도를 통해 협착된 문합부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충분히 확장된 PTBD 통로가 필요하다. PTBD 통로는 기

존에 PTBD가 삽입되어 있는 환자에서는 4일 간격으로 단계적으

로 PTBD를 18Fr까지 확장한다. 그러나 초기에 PTBD 통로가 없는

환자에서는 초음파와 투시검사(fluoroscopy)를 이용하여 이식간

에 PTBD 통로를 형성하고 18Fr까지 확장한다. PTBD 통로 형성과

확장 시에는 감염에 의한 폐혈증 예방을 위해 1세 세팔로스포린

계 항생제나 씨프로플록사신을 예방적으로 사용한다.

3. MCA 시술

MCA를 위한 두 자석은 각각 PTBD 통로와 공통 담관(common

bile duct)을 통해 이동된다. 환자의 공통 담관을 통해 자석을 이동

시키기는 위해서는 자석을 ERCP 내시경 채널에 고정하여 바터 팽

부까지 내시경을 진행해야 한다. 자석에 붙은 실크실을 poly-

pectomy snare로 잡고 magnet을 고정하는데(Fig. 1C), snare를

최 한 당겨 magnet이 내시경 끝에 고정되게 하여야 구강과 식도

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십이지장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Fig.

1D). 또한 overtube를 사용하면 magnet에 의한 구강과 식도의 손

상을 줄일 수 있다. 자석이 바터 팽 부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중간

정도의 내시경적팽 부절개술이 필요하며, 팽 부를 용이하게 통

과하기 위하여 self-expandable covered metal stent를 이용한다.

Metal stent는 MCA시술 1-2일 전 삽입하여 magnet이 원활히 통과

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팽창되었는지 단순 복부 촬영으로 확인

후 MCA를 시행한다. Metal stent를 지나 snare에 고정된 magnet

을 환자의 공통 담관을 통해 snare를 어 올려 문합부로 이동시킨

다(Fig. 2).

PTBD 통로를 통해 또 다른 자석을 이동하기 전에 PTBD 통로

에 18Fr 크기의 sheath를 삽입하면 자석이 원활이 이동하고 이식

간의 담도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자석을 alligator로 잡은 뒤

sheath를 통해 문합부까지 이동하게 되면 자성으로 인하여 공통

담관의 자석과 근접한다(magnet approximation). ERCP나 PTBD

통로로 자석을 전진시키기 위해 balloon catheter가 이용될 수도

있다.

두 자석 간의 거리가 2.5-4 cm이내로 되면 자성에 의해 가까워

질 수 있다. 비록 두 자석이 근접하지 못하여 다소 분리되어 있더

라도, 두 자석 사이에 자성이 유지되고 적합한 방향을 유지하면

snare와 alligator에서 자석을 분리해도 두 자석은 떨어지지 않는

다. 두 자석이 자성에 의해 유지되면 완전하게 근접하지 않아도 시

간이 지남에 따라 자성에 의해 충분히 근접하게 된다(Fig. 3). 두

자석이 근접하여 자성에 의해 분리되지 않는 것을 영상검사로 확

인되면, 공통 담관에 삽입되어 있는 metal stent는 snare를 이용하

여 제거한다. 그리고 PTBD 통로에 있는 sheath를 제거한 후 담즙

A B

C D

Page 3: Magnetic Compression Anastomosis Formation in …...생체간이식 후 담관 문합부 협착이 초래된 환자에서 자석압박문합술 장성일․이동기 Vol. 43 (Suppl

생체간이식 후 담관 문합부 협착이 초래된 환자에서 자석압박문합술

장성일 ․ 이동기

Vol. 43 (Suppl 1), 2011 (121-128) 123

Figure 2. Cholangiogram showing the process of magnetic compression anastomosis formation.26 (A) After a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PTBD) catheter was inserted and the tract was dilated to 18Fr, a covered self-expandable metal stent (SEMS) was inserted into the common bile duct (CBD). (B) A magnet combined with a polypectomy snare was delivered via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through the CBD. (C) Another magnet was fixed to an alligator and moved towards the anastomosis site through the percutaneous tract. (D) The magnets were approximated and the PTBD catheter was inserted. (E) After the approximated magnets passed through the CBD, an internal drainage catheter was inserted for 6 months. (F) After 6 months, the catheter was removed.

배출을 위해 PTBD를 삽입하고 유지한다.

두 자석은 자성의 힘으로 지속적으로 서로 가까워지면서 섬유

화된 문합부를 압착(compression)시켜 조직을 서서히 괴사하여

새로운 문합부를 형성한다. 문합부를 형성하면 두 자석은 서로 결

합하여 중력에 의해 공통 담관을 통해 빠져 나와 하부 장관을 통해

체외로 배출된다. 이러한 자석의 이동에 따른 문합부 개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자석을 근접시킨 이후부터 2주 간격으로 6-8주 동

안 복부 단순 촬영을 시행한다. 10주 이후에도 자석에 의해 문합부

내에 존재하면 PTBD 통로를 이용하여 guidewire나 balloon cath-

eter로 자석을 어볼 수 있으며 4주 간격으로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Guidewire나 balloon catheter로 자석을 제거하지 못할 경

우 PTBD 통로로 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scopy

(PTCS)를 삽입하여 forceps으로 자석의 실크 실을 잡아 자석을 제

거하고 문합부를 개통할 수도 있다(Fig. 4). 통상적으로 3개월 이

내 접합된 자석에 의해 재 개통되나 섬유화된 조직이 단단할 경우

에는 3개월 이상 소요될 수도 있다.

자석에 의해 새로운 문합부가 형성되면 PTBD catheter의 끝이

문합부를 지나 십이지장까지 위치하도록 internal drainage cathe-

ter를 삽입하고 2개월 간격으로 catheter를 교환하면서 6개월간 유

지한다. 6개월 후 internal catheter를 제거하고 cholangiography

나 PTCS로 재건된 문합부를 확인한다. 재건된 문합부의 재 협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문합부에 covered metal stent를 삽입하고 in-

ternal drainage catheter를 삽입할 수도 있다(Fig. 5). 이에 한

장기 성적은 향후 더 많은 임상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을 것이다.

치료성적

MCA는 Yamanouchi 등에 의해 소개된 후 여러 증례를 통해 안

정성과 유용성에 해 보고되었으나,12,16,18,20-24 MCA 시행 후 추적

관찰에 한 연구는 없었다. 2009년 Michael Avaliani 등11이 34명

의 장관-담관 협착 환자들에서 MCA를 시행하여 MCA의 안정성과

유용성은 확인되었으나, 상이 된 환자들이 악성종양에 의한 협

착 환자들로 악성종양으로 인한 환자의 조기 사망으로 인해 장기

간의 추적 관찰은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A B C

D E F

Page 4: Magnetic Compression Anastomosis Formation in …...생체간이식 후 담관 문합부 협착이 초래된 환자에서 자석압박문합술 장성일․이동기 Vol. 43 (Suppl

생체간이식 후 담관 문합부 협착이 초래된 환자에서 자석압박문합술

장성일 ․ 이동기

124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Figure 3. Successful approximation of magnets that were incompletely approximated during the procedure.26 (A) Cholangiogram shows incomplete approximation of the magnets, which are 1.5 cm apart. (B) Abdominal X-ray showing the shortened distance between the magnets just 1 h after the procedure. (C) Abdominal X-ray showing complete approximation of the magnets after 1 day.

Figure 4. Cholangiogram showing the removal of approximated magnets by using 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scopy (PTCS). (A) A contrast dye was not passed through anastomosis site. (B) A silk thread of magnet was grasped by forceps via PTCS scope. (C) A magnet was pulled out through PTBD tract. (D) A guidewire was passed through anastomosis site and recanalization was succeeded. (E) An Internal drainage catheter was inserted. (F) The magnet which was pulled out.

국내에서 생체간이식을 받은 후 담도 협착이나 폐쇄가 있는 환

자 16명을 상으로 MCA를 시행하고 추적관찰 중이다. ERCP나

PTBD을 통한 문합부 재건술이 불가능하여 외부 PTBD drainage

catheter를 유지하던 16명 중 2명은 자석 접합(magnet approx-

imation)이 실패하였다. 1명은 문합부의 폐쇄 시기가 오래되고

(107개월) 폐쇄된 문합부의 길이가 길어(30 mm; Fig. 6A) 자성에

A B C

A B C

D E F

Page 5: Magnetic Compression Anastomosis Formation in …...생체간이식 후 담관 문합부 협착이 초래된 환자에서 자석압박문합술 장성일․이동기 Vol. 43 (Suppl

생체간이식 후 담관 문합부 협착이 초래된 환자에서 자석압박문합술

장성일 ․ 이동기

Vol. 43 (Suppl 1), 2011 (121-128) 125

Figure 5. Cholangiogram showing insertion of covered metal stent at anastomosis site. (A) An internal drainage catheter was inserted after recanalization. (B) A guidewire was passed through recanalized anastomosis site. (C) A covered metal stent was inserted at anastomosis site to protect re-stenosis of recanalized anastomosis site. (D) An internal drainage catheter was inserted through the covered metal stent.

Figure 6. Cholangiogram showing failure of magnet approximation.26 (A) Acrossthe length of the stricture (about 30 mm), the magnetic attraction was weak and the magnets would not come together. (B) The magnet could not be delivered to the stric-ture because the distal common bile duct was tortuous and angu-lated like the letter ‘W’ (white ar-row).

의한 자석의 근접이 어려웠고, 1명은 공통 담관이 좁고 굽어져 있

어 자석이 통과하지 못하여 자석이 문합부까지 이동하지 못하였다

(Fig. 6B). 자석 접합이 성공한 14명 중 현재까지 14명은 문합부

재건(recanalization)이 성공하였고, 이 중 9명은 internal drainage

catheter를 제거하고 새로운 문합부를 완성하여 catheter없이 생활

하고 있다(Fig. 7).

자석 접합이 성공하고 문합부가 재건되기까지 평균 기간은 81.9

일(범위; 14-182일)이었고, 문합부를 재건하고 Internal drainage

catheter를 제거하기까지 평균 기간은 183일(범위; 51-266일)이었

다. Internal drainage catheter를 제거하고 추적 관찰한 기간은

448일(범위; 265-698일)이다(Table 1).

MCA 시술과 관련된 합병증은 16명 중 경증의 담관염 1명과 경

증의 췌장염 1명이 발생하였으나, 심각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

다(Table 2). 담관염은 담관에서 balloon 확장 후 발생하였고 췌장

염은 covered metal stent 삽입 후 발생하였으나 보존적 치료 3일

후 회복되었다. 재건된 문합부가 다시 폐쇄된 환자는 9명 중 1명으

로 internal catheter drainage 제거하고 99일 후 발생하였다.

PTBD 통로를 통해 재 폐쇄된 문합부로 guidewire가 통과시키고

internal drainage catheter 삽입 후 4개월 뒤 catheter제거하고 현

재까지 재 폐쇄는 없는 상태이다. 문합부 재건이 성공한 환자 중 1

명은 이식간의 거부반응으로 사망하였다. 자석 문합이 실패한 환

자는 2명이었으며, MCA는 문합부의 사이의 거리가 멀거나(Fig.

6A), 문합부에서 담관이 좁아지거나 굽어서 자석이 통과하지 못하

여(Fig. 6B) 자력에 의해 자석이 근접하지 못하면 자석 문합이 어

려운 한계가 있다.

토의

간이식 후 발생한 문합부 폐쇄의 치료는 ERCP나 PTBD 통로를

통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고식적인 방법으로

A B C D

A B

Page 6: Magnetic Compression Anastomosis Formation in …...생체간이식 후 담관 문합부 협착이 초래된 환자에서 자석압박문합술 장성일․이동기 Vol. 43 (Suppl

생체간이식 후 담관 문합부 협착이 초래된 환자에서 자석압박문합술

장성일 ․ 이동기

126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Patient no.

Gender/ Age

Indication for LDLT

Post-op duration (months)

Magnet approx-imation

Type of magnet

Trans-papillary

route

Method for removing magnets

Days for recanali-zation

Duration of internal catheter (days)

Follow-up af-ter removing internal cath-

eter (days)

Outcome

1 F/63 LC, HCC (HBV)

71 Success

Type 1* Large balloon

Method 2b 42 193 698 No restenosis

2 M/49 LC, HCC (HBV)

6 Success

Type 1

Large balloon

Method 1a 26 199 608 No restenosis

3 M/54

LC, HCC (HBV)

55 Success

Type 2†

SEMS Method 1 18 266 460 No restenosis

4 F/64 LC, HCC (HBV)

71 Success

Type 2

SEMS Method 2 71 206 462 Restenosis after MCA

5 M/54 LC (HBV)

15 Success

Type 2

SEMS Method 2 102 187 401 No restenosis

6 M/48 LC, HCC (HBV)

13 Success

Type 2

SEMS Method 2 102 180 381 No restenosis

7 F/63 HF (drug-ind

uced)

107 Failure

Type 2

SEMS - - - - Maintaining external PTBD

8 M/33 HF (HAV) 5 Success Type 2 SEMS Method 2 33 187 429 No restenosis

9 M/61 LC, HCC (HBV)

4 Success Type 2 SEMS Method 1 14 178 325 No restenosis

10 M/54 LC, HCC (HBV)

9 Success Type 2 SEMS Method 2 181 51 265 No restenosis

11 M/52 LC (HBV)

7 Success Type 2

SEMS Method 2 153 Indwelling

- Expired due to transplant rejection

12 M/51 LC (HBV) 8 Failure Type 2, type 3‡

SEMS - - - - Recanalization by blind puncture

13 M/62 LC (HBV) 6 Success Type 3 SEMS Method 3c 159 - - Indwelling catheter

14 M/68 LC (HBV) 70 Success Type 3 SEMS Method 3 41 - - Indwelling SEMS

15 M/53 LC (HBV) 15 Success Type 3 SEMS Method 3 180 - - Indwelling SEMS

16 M/54 HCC (HBV)

10 Success Type 3 SEMS Method 3 100 - - Indwelling SEMS

LC, liver cirrhosis; HCC, hepatocellular carcinoma; HF, hepatic failure; HAV, hepatitis A; HBV, hepatitis B; LDLT,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SEMS, self-expandable metal stent; MCA, magnet compression anastomosis.*Type 1: a 5-mm-diameter magnet with a side hole.†Type 2: a 5-mm-diameter magnet with a hole drilled in the side opposite the alignment side.‡Type 3: a 4-mm-diameter magnet with a hole drilled in the side opposite the alignment side; a more powerful magnet than the others.aMethod 1: spontaneous passage of the magnets through the common bile duct.bMethod 2: pushing the approximated magnets with balloon after passing a guidewire through anastomosis site.cMethod 3: pulling out magnets by using PTCS scope.

Table 1. Patient characteristics, indications for living-donor liver transplantation (LDLT), postoperative duration, magnet approximation, type of magnet, and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method, method of magnet removal, days required for recanalization, duration of internal catheter placement, follow-up duration after removing the internal catheter, and outcome in 16 patients with anastomotic stricture after LDLT

문합부 재건술이 불가능한 환자는 지속적으로 PTBD drainage

catheter를 유지하여야 하고, 감염 등의 합병증과 경제적인 비용뿐

아니라 일상 생활의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MCA는 이러한 환자

들에 있어 새로운 치료법이 될 수 있다.

MCA는 아직까지 시행 받은 환자 수가 적고, 추적 관찰 기간이

짧은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MCA는 안전한 시술이고 문합부 재건

후 재 폐쇄율이 낮아 유용한 시술법이다. MCA는 기존의 ERCP나

PTBD 통로를 통한 문합부 재건술과 비교 시 합병증은 차이가 없

Page 7: Magnetic Compression Anastomosis Formation in …...생체간이식 후 담관 문합부 협착이 초래된 환자에서 자석압박문합술 장성일․이동기 Vol. 43 (Suppl

생체간이식 후 담관 문합부 협착이 초래된 환자에서 자석압박문합술

장성일 ․ 이동기

Vol. 43 (Suppl 1), 2011 (121-128) 127

Figure 7. Magnet compressive anastomosis (MCA) flow diagram EST, endoscopic sphincterotomy. Mean follow-up peri-od after removal of internal catheter=448 (range 265-698) days. Magnet approximation=14/16 (87.5%). Recanalization=14/14 (100%), mean duration=81.9 (range 14-182) days. Catheter removed=9/14 (64.2%), mean duration=183 (range 51-266) days.

Complication Patients (n)

Pancreatitis† 1

Cholangitis‡ 1

Recurrence of anastomosis site stricture* 1

Mortality 0

CBD, common bile duct.†resolution after removal of covered SEMS. ‡resolution after conservative management. *anastomosis site stricture was evaluated with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or computerized tomography.

Table 2. Complications after Magnet Compressive Anastomosis

다.2,3,6,29 또한 MCA에 의해 재건된 문합부는 섬유화된 조직의 괴

사를 유도하여 만들어진 새로운 통로로 재 폐쇄율이 낮을 것으로

기 된다. 기존의 balloon 장이나 stent 삽입은 섬유화된 조직을

확장시키는 것으로 문합부 재건 후 기존에 존재하는 섬유화 조직

의 탄성에 의해 재 협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MCA 시술은 초기 시술에 비해 여러 기술적인 발전이 있었다.

초기에 사용된 자석에 비해 새로운 자석은 크기가 작으면서도(5

mm→4 mm, Fig. 1B) 자성은 1.5배 강하여, 좁은 담도를 통과하기

용이하고 문합부 폐쇄 거리가 길어도 자석 문합이 가능해졌다. 공

통담관내로 자석을 이동하는데 large balloon 신 polypectomy

snare를 이용하여 담관 손상을 줄이고 10 mm 이하의 담관에서도

자석의 이동이 용이해졌다. 또한 중간 정도의 내시경적 유두 절제

술 시행 후 covered metal stent를 사용하여 바터 유두부에서 자석

의 통과가 원활해졌으며, overtube를 사용하여 자석에 의한 구강

과 식도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자석이 ERCP 내시경에서 안정적

으로 유지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 MCA 시술법이 향후 지속적으로

발전하면 MCA의 시술은 점차 용이하게 되고 효과적인 시술법으

로 정착될 것으로 기 된다.

생체간이식을 받은 후 문합부 폐쇄가 오래되어 섬유화된 조직

이 단단하거나 문합부 폐쇄 길이가 길어 자석 문합이 되지 않거나,

자석 문합이 되어도 압착에 의한 조직괴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

지 않으면 MCA는 어려워진다. 또한 담관이 비틀림이 심하거나 좁

은 경우 자석이 문합부까지 이동하지 못하여 문합부 재건술이 불

가능해 진다. MCA 시술 전 문합부 폐쇄길이, 담관의 모양을 알기

위해 영상의학적 검사들(MRCP, MRI, CT)은 시행하였으나 현재까

지 MCA 가능 여부를 평가하기는 어려운 현실이다. 그러나 MCA의

적합한 시술 조건과 시술에 적절한 자석의 크기와 세기 등을 정립

하기 위해서는 MCA 시행 전 비침습적 평가 방법에 한 연구가

필요하다.

MCA는 생체간이식 후 발생한 문합부 폐쇄 환자에서 기존의 방

법으로 치료되지 않는 경우 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시술이다. 앞으로 MCA시술법의 지속적인 발전과 연구

가 진행되면, 이 치료법으로 담도-담도, 담도-장관 및 장관-장관 협

착으로 고생하는 더 많은 환자들이 혜택을 볼 것으로 기 된다.

참고문헌

1.Yazumi S, Yoshimoto T, Hisatsune H, et al. Endoscopic treat-ment of biliary complications after right-lobe living-donor liver transplantation with duct-to-duct biliary anastomosis. J Hepatobiliary Pancreat Surg 2006;13:502-510.

2.Graziadei IW, Schwaighofer H, Koch R, et al. Long-term out-come of endoscopic treatment of biliary strictures after liver transplantation. Liver Transpl 2006;12:718-725.

3.Park JS, Kim MH, Lee SK, et al. Efficacy of endoscopic and per-cutaneous treatments for biliary complications after cadaveric and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Gastrointest Endosc 2003;57:78-85.

4.Kasahara M, Egawa H, Takada Y, et al. Biliary reconstruction in right lobe living-donor liver transplantation: Comparison of dif-ferent techniques in 321 recipients. Ann Surg 2006;243:559-566.

5.Marcos A, Fisher RA, Ham JM, et al. Liver regeneration and function in donor and recipient after right lobe adult to adult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Transplantation 2000;69:1375- 1379.

6.Kim ES, Lee BJ, Won JY, Choi JY, Lee DK.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may serve as a successful rescue proce-dure in failed cases of endoscopic therapy for a post-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biliary stricture. Gastrointest Endosc 2009;69:38-46.

7.Venu M, Brown RD, Lepe R, et al. Laboratory diagnosis and nonoperative management of biliary complications in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 patients. J Clin Gastroenterol 2007;41:501- 506.

8. Shah SA, Grant DR, McGilvray ID, et al. Biliary strictures in 130 consecutive right lobe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 recipients: results of a Western center. Am J Transplant 2007;7:161-167.

Page 8: Magnetic Compression Anastomosis Formation in …...생체간이식 후 담관 문합부 협착이 초래된 환자에서 자석압박문합술 장성일․이동기 Vol. 43 (Suppl

생체간이식 후 담관 문합부 협착이 초래된 환자에서 자석압박문합술

장성일 ․ 이동기

128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9. Pasha SF, Harrison ME, Das A, et al. Endoscopic treatment of anastomotic biliary strictures after deceased donor liver trans-plantation: outcomes after maximal stent therapy. Gastrointest Endosc 2007;66:44-51.

10. Kim HJ, Park DI, Park JH, et al.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cholangiography with multiplanar reformation for the as-sessment of patients with biliary obstruction. J Gastroenterol Hepatol 2007;22:400-405.

11. Avaliani M, Chigogidze N, Nechipai A, Dolgushin B. Magnetic compression biliary-enteric anastomosis for palliation of ob-structive jaundice: initial clinical results. J Vasc Interv Radiol 2009;20:614-623.

12. Matsuno N, Uchiyama M, Nakamura Y, et al. A nonsuture anas-tomosis using magnetic compression for biliary stricture after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Hepatogastroenterology 2009;56:47-49.

13. Kawachi S, Shimazu M, Wakabayashi G, et al. Biliary complica-tions in adult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with duct-to-duct hepaticocholedochostomy or Roux-en-Y hepaticojejunostomy biliary reconstruction. Surgery 2002;132:48-56.

14. Mahajani RV, Cotler SJ, Uzer MF. Efficacy of endoscopic man-agement of anastomotic biliary strictures after hepatic transplantation. Endoscopy 2000;32:943-949.

15. Marubashi S, Nagano H, Yamanouchi E, et al. Salvage cystic duct anastomosis using a magnetic compression technique for incomplete bile duct reconstruction in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Liver Transpl 2010;16:33-37.

16. Yukawa N, Rino Y, Yamanouchi E, et al. [A case of magnetic compression anastomosis between the common bile duct and the duodenum after distal gastrectomy with Roux-Y re-construction and cholecystectomy]. Nippon Shokakibyo Gakkai Zasshi 2008;105:1523-1528.

17. Akita H, Hikita H, Yamanouchi E, et al. Use of a metallic-wall stent in the magnet compression anastomosis technique for bile duct obstruction after liver transplantation. Liver Transpl 2008;14:118-120.

18. Okajima H, Kotera A, Takeichi T, et al. Magnet compression anastomosis for bile duct stenosis after duct-to-duct biliary re-construction in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Liver Transpl

2005;11:473-475.19. Itoi T, Yamanouchi E, Ikeuchi N, Kasuya K, Iwamoto H,

Tsuchida A. Magnetic Compression Duct-to-duct Anastomosis for Biliary Obstruction in a Patient with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Gut Liver 2010;4 Suppl 1:S96-98.

20. Takao S, Matsuo Y, Shinchi H, et al. Magnetic compression anastomosis for benign obstruction of the common bile duct. Endoscopy 2001;33:988-990.

21. Yamanouchi E, Kumano R, Kobayashi K, et al. [Treatment for bowel or biliary obstruction by magnetic compression anasto-mosis development of Yamanouchi's method and its clinical evaluation]. J Nippon Med Sch 2002;69:471-475.

22. Mimuro A, Tsuchida A, Yamanouchi E, et al. A novel technique of magnetic compression anastomosis for severe biliary stenosis. Gastrointest Endosc 2003;58:283-287.

23. Itoi T, Yamanouchi E, Ikeda T, et al. Magnetic compression anastomosis: a novel technique for canalization of severe hilar bile duct strictures. Endoscopy 2005;37:1248-1251.

24. Muraoka N, Uematsu H, Yamanouchi E, et al. Yamanouchi magnetic compression anastomosis for bilioenteric anastomotic stricture after living-donor liver transplantation. J Vasc Interv Radiol 2005;16:1263-1267.

25. HC L, DK L, HK C, et al. Magnet Compression Anastomosis for Bilioenteric Anastomotic Stricture after Removal of a Choledochal Cyst: A Case Report. Korean J Gastrintest Endosc 2010;41:180-184.

26. Jang SI, Kim JH, Won JY, et al. Magnetic compression anasto-mosis is useful in biliary anastomotic strictures after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Gastrointest Endosc 2011;in press.

27. Sanchez-Urdazpal L, Gores GJ, Ward EM, et al. Diagnostic fea-tures and clinical outcome of ischemic-type biliary complica-tions after liver transplantation. Hepatology 1993;17:605-609.

28. Yoshimoto T, Yazumi S, Hisatsune H, Egawa H, Maetani Y, Chiba T. Crane-neck deformity after right lobe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Gastrointest Endosc 2006;64:271.

29. Pfau PR, Kochman ML, Lewis JD, et al. Endoscopic manage-ment of postoperative biliary complications in orthotopic liver transplantation. Gastrointest Endosc 2000;52:5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