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76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Feb 02, 2020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 gt

프로그램시간 식순

1330~1400 등록

1400~1410

gt 인사말

∙김주영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이용득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1410~1630

gt 좌장

∙김엘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

한국노총 여성정책자문위원회 위원장

gt 발제1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 실태 및 문제점

최우미 금융산업노조 부위원장

gt 발제2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gt 토론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김효순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gt 종합토론 및 질의응답

lt 3

목차

인사말

김주영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

이용득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

발제_1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 실태 및 문제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최우미 금융산업노조 부위원장

발제_2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토론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1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3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1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9

김효순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 gt

바쁜 일정에도 불구하고 한국노총과 이용득 국회의원 공동 주최로 여는 토론회에 참여해주신

여러분 고맙습니다

먼저 토론회 사회를 맡아주신 한국노총 여성정책자문위원장이신 제주 방송통신대학교 김엘림

교수님을 비롯하여 발제자 최우미 금융산업노조 부위원장님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

구위원님께 특별한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토론자로 참여해주신 이주희 교수님 조주은 입법조사관님 나지현 위원장님 고용노동

부 김효선 과장님 김순희 본부장께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오늘 토론회는 금융권의 불공정한 성차별적 채용 비리 사례를 통해 보이지 않는 고용차별의 실

체를 재확인하고 실질적인 남녀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법제도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

었습니다

현행법상 채용 차별을 금지하고 평등한 기회와 대우 보장을 천명하고 있는 남녀고용평등법이

시행된 지 올해로 30년이 되었습니다 그동안 남녀평등 실현을 위한 관련 법제도의 변화와 발전

이 있어왔지만 제도의 실효성이 담보되지 않아 노동시장 내 성별 불평등을 해소하는데 기여하지

못한 측면이 있습니다

금융권 채용 비리에서 나타났듯이 채용절차 과정에서 성별middot 연령middot 학력 등 각종 차별이 구조적이

고 교묘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차별행위는 비단 금융권만의 일은 아닐 것

입니다 첫 입직구시부터 여성을 배제하거나 여성을 낮은 직군에 배치하는 등의 차별 행위는 유리벽

과 유리천장에 가로막혀있는 여성들의 관리직 승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습니다

인사말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김 주 영

인사말

lt 5

남성 중심적이고 가부장적인 조직문화는 여성에 대한 배제와 고립을 강화시키며 더 복잡해지고

교묘해진 성별분업 이데올로기는 남녀임금격차와 여성비정규직화 저임금체계를 고착화하고 있

습니다 노동시장 내 만연한 고용차별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첫 단계인 채용부터 차별이 발생되는

원인을 차단하여 진입장벽을 제거하고 특정 성에게 취업 기회의 불리한 효과로 나타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문재인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차별 없는 성평등 사회와 공정사회 구현을 위해서는 채용과정

에서의 기회의 평등 과정의 평등 결과의 평등을 이루기 위한 관련법과 제도를 재정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고용평등한 노동환경에서 여성의 평등노동권을 확보하고 여성의 사회

적middot경제적 지위향상과 역량을 강화해 나갈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

아무쪼록 오늘 토론회를 통해 고용 상 성차별이 근본적으로 해소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데 다양

한 의견 개진과 지혜를 모아주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오늘 토론회에 함께 해주신 내외빈 여러분 그리고 공동주최로 참여해주신 이용득

의원님을 비롯하여 발제자와 토론자께 다시한번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고맙습니다

2018년 7월 17일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 gt

안녕하십니까 더불어민주당 이용득 의원입니다

lt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gt 토론회에 참석해주신 내외 귀빈

여러분에게 환영의 인사를 드립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시절 ld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 정의로운 결과rdquo를 약속했습니다 그리고 이

를 실현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아직 평등하고 공정한 기회가 보장되

는 사회를 이루기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벽이 높습니다

특히나 고용과정에서 암암리에 이뤄지고 있는 남녀차별은 여전히 견고한 상황입니다 최근 금

융감독원이 실시한 금융권채용비리 조사 과정에서 다수의 은행이 동일 직무임에도 남녀별 채용

인원을 다르게 정하는 등 남녀별 차등채용을 추진한 사례가 적발됐습니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금지하는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 30년이란 세월이 흘렀지만 과거 lsquo여

행원rsquo과 lsquo행원rsquo을 분리해서 차별하던 시절과 크게 달라진 게 없는 상황입니다 현재까지도 지속되

고 있는 남녀별 구조적 채용차별로 인해 금융 산업 내에서는 일반 정규직에 비해 임금과 승진이

열악한 2차 정규직의 상당수가 여성노동자입니다 2차 정규직 소위 중규직 노동자들의 등장으로

인해 노동 시장 내 성차별과 불평등이 제도적으로 고착화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에 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2차 정규직인 무기계약직 근로자들의 처우를 정규직 근로자

와 동일하게 보장하는 내용의 ldquo중규직 방지법(근로기준법 개정안)rdquo을 발의한 바 있습니다 그렇기

에 고용상의 성차별과 그로인한 제도적 불평등을 진단하는 오늘의 토론회가 더욱 각별합니다

인사말

국회의원 이 용 득

인사말

lt 7

고용상의 성차별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제안들이 오늘 토론회에서 논의되길 기대합니

다 열띤 논의를 이끌어갈 발표자와 토론자 여러분께도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저 역시 오늘의

논의를 바탕으로 노동시장에 존재하는 남녀 불평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법제 정비 등 최선의 노

력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8년 7월 17일

ltlt 발 제 1 gtgt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 실태 및 문제점

최우미 |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부위원장

발제1_최우미

lt 11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최 우 미 부위원장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실태 및 문제점

2018 7 17

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 실태

ldquo수면위로 드러나다rdquo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2 gt

KEB하나은행 사례bull 동일한 직무에 대해 남녀 채용 인원을 사전에 달리 정하

는 등 남녀차등채용을 서류전형(계량평가) 단계부터 추진

bull 2013년 하반기 채용과정에서 서류전형 단계부터 사전에4 1 남녀 비율을 정해 놓고 공개심사를 함당시 서류전형에 응시 한 지원자 성비는 13 1(남7535명여 5895명)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서류전형에서 4 1 (남1600명 여 399명) 로 선발함

bull 최종 임원면접에서는 합격권 내 여성2명을 탈락시키고 이 빈자리를 합격권 밖의 남성 2명의 순위를 상향 조정해채움 그 결과 선발된 남녀비율은 55 1 (남 104명 여19명)

bull 서울지역 여성 커트라인은 600점 만점에 467점으로 남성커트라인 419점 대비 48점 높았음

신한금융 사례bull 신입행원 채용 서류심사시 연령별로 배점을 차등화 하거나일정 연령 이상 지원자에 대해서 서류심사 대상에서 탈락시킴

bull 2016년 상반기의 경우 남자는 1988년 이전 출생자 여자는1990년 이전 출생자를 서류심사에서 탈락시킴

bull 서류지원자의 남녀 비율은 59대 41이었으나 서류전형 단계부터 남녀 채용비율을 7 3으로 정함

bull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시 이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해채용함

발제1_최우미

lt 13

KB국민은행 사례

bull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은행 측이 남성 지원자 100여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비정상적으로 여성보다 높게 줌

bull 2015년 하반기와 2016년 하반기까지 합치면 300명이 넘는 남성 지원자들 점수를 1차 서류전형 심사에서 무더기로 올림

bull 그 결과 여성 지원자의 점수는 상대적으로 낮아졌으며 이로인해 여성지원자 일부가 서류 전형에서 탈락함

ldquo신입 행원 가운데 여자가 너무 많으면 곤란해 남자를 배려하는 차원에서 올려준 것으로 조작이 아니라 조정이다rdquo

ldquo출산과 육아휴직 등 여성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전체 인력운용 차원에서 채용비율을 고려할 수 밖에 없다rdquo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건 성차별 아니냐rdquo

변명 혹은 반박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4 gt

남녀고용평등법과 일가정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제1항

ls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남녀를 차별해 채용해서는 아니 된다rsquo

HOWEVER

② 성차별 채용비리의 문제점

= ldquo구조적 차별rdquo

발제1_최우미

lt 15

과거 여행원제로 남녀차별

남성 일반직 행원으로 채용

여성 lsquo여행원rsquo으로 분리 채용하여 승진 임금 차별함

일명 성전환고시 여행원이 ldquo행원rdquo이 되려면 전환고

시에 합격해야함

금융권의 동일노동 동일임금 차별 철폐 운동으로

1993년 여행원제 폐지됨

현재 2차정규직으로 남녀차별

2차정규직의 특징 (일반정규직과 비교)

① 임금 일반정규직의 60~80 수준

② 승진 별도의 승진 체계 (콘크리트천장)

③ 업무범위 단순업무위주 (업무범위 제한있음)

④ 성비 여성이 절대다수 (876 ~ 993)

⑤ 무기계약직 준정규직 등 별도 직군화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6 gt

현재진행형 lsquo하위 직군의 여성화rsquo

bull 5대 은행 lsquo2차정규직rsquo 신규 채용 인원 중 여성 비율

883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5대 은행 직급별 여성 비율 현황

bull 2017년 9월기준

구분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KB국민은행 기업은행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부행장(전무) 15 00 12 00 20 00 16 63 15 67

본부장(상무) 54 74 72 56 41 49 39 51 28 107

지점장(부장) 1060 62 1396 81 - 00 1134 93 976 56

부지점장(부부장) 1886 124 2169 211 1622 115 3483 151 1487 221

책임자(차장과장) 4316 348 4062 461 4577 446 5189 423 3049 445

대리행원 3248 465 3207 536 4586 686 3779 693 2968 598

2차정규직 2398 993 2560 946 2436 984 2659 954 3706 876

기타 1335 414 905 934 - 00 1866 394 - 00

총인원 14312 436 14383 517 13282 585 18165 480 12229 553

출처 정의당심상정의원실

발제1_최우미

lt 17

2차정규직에 여성이 많은 이유

ldquo여성 지원자가 많아서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이 영업점 일선에서 대고객 업무를 하는 분들이다 보니 서비스 마인드가 뛰어난 여성 인력을 중점적으로 뽑아왔다 최근에는 남성도 많이 뽑는 추세다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에 여성이 많고 이분들이 능력을 인정받아 정규직으로 올라오기도 하기 때문에 일반 공채도 1대1로 뽑으면남녀 비율에 불균형이 생긴다 일반 공채에서 남자 쪽을 상대적으로 많이 뽑는다고 한다rdquo

2차정규직으로 차별을 제도화했다

bull 과거의 고용관행 + 현재의 채용 성비 불균형이 결합한 결과은행이 고용한 여성 10명 중 3~4명은 2차정규직

bull 여성들이 처우와 승진 가능성이 가장 낮은 직군에 집중되고 고임금 고위직을 남성이 독식하는 구조

bull 처우나 승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은행의 5대5 고용 성비는 일종의 lsquo착시rsquo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8 gt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천장

bull 기업 내 남성 선호 문화가 근본적인 문제bull 고위직으로 승진할 수 있는 일반직 여성 채용은 처음부터7 3 으로 시작

bull 여성은 출산육아를 거치면서 육아휴직 기간동안 승진에서불이익을 받음

bull 성별을 기준으로 업무를 배분하는 경향은 여전남성 가계대출 기업금융 등 여신 외환업무여성 예금 고객관리 등 수신업무본점 주요부서나 해외주재원 선발시 남성위주 선발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벽

ldquo위에서는 인력 풀이 없다고 하는데 우리를 유리벽에 가둬두고처음부터 키우지 않는다 남자 직원들은 다양한 은행 업무를 경험한 만큼 승진 폭이 넓지만 주로 창구 상담 등 수신을 담당했던 여자 직원은 책임자로 갈수록 할 수 있는 일이 적어서 승진가능한 폭 자체가 좁다rdquo

ldquo차장이 되자마자 기업 여신 업무를 하고 싶다고 지점장에게 말했다 6개월 뒤에 하라더니 결국 맡겨주지 않았다 또 다른 지점에서도 이야기했지만 거절당했다 야근도 다 감수하겠다고 했는데도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아 허탈했다rdquo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발제1_최우미

lt 19

ldquo성차별 악순환의 고리를 끊자rdquo

지원자 성비 공개

2차정규직의 완전한 정규직화

여성 임원 할당제

남성 육아휴직 의무화

강력한 처벌 가능한 법적 근거 마련

고맙습니다

ltlt 발 제 2 gtgt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발제2_박선영

lt 23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 들어가기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은 그동안 소문으로만 무성했던 어떤 lsquo실체rsquo를 확인하게 해

주었다 KB국민은행은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남성을 채용하기 위해 남성 지원자 100여

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여성보다 높게 조작했고 KEB하나은행은 최종합격자 성비를 4(남성)1(여

성)로 정해놓고 진행하였다 신한카드는 59 대 41이던 서류 지원자 남녀 비율을 서류전형 단계부

터 7대 3으로 정하고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 시까지 해당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하였다고

한다

모집middot채용에서 퇴직middot해고에 이르는 고용상의 전 과정에서의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는 「남녀고

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이하lsquo남녀고용평등법rsquo) 이 제정된 지 3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 보장rdquo이라는 남녀고용평등법의 제정 취지

가 무색한 현실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75일 일자리위원회 middot 관계부처 합동으로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을 마련하

여 발표하였다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의 주요내용은 첫째 채용 단계별 공정성 강화한다 이를 위해 공공기

관 lsquo채용 프로세스 관리 표준 매뉴얼rsquo도입 lsquo성평등 채용가이드라인rsquo제작 및 민간 확산 등을 통해

채용 절차를 선제적으로 관리한다

둘째 채용 성차별 의심기관 감독 및 제재 강화를 강화한다 lsquo익명신고 등 모집채용 성차별 신

고센터rsquo를 운영하고 신고에서 조사 피해자 구제에 이르는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고의middot반

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 강화 등 제재 및 권리구제를 강화하기 위

한 법률 제개정을 추진한다

셋째 성평등 채용 기반 강화 및 인식 개선을 위해 성평등 채용을 위한 공공기관의 노력을 경영

평가에 반영하고 여성 채용 우수기업에 대한 공공조달 인센티브를 개선하는 등 성평등 채용에 앞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4 gt

장서는 기관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용평등 상담실 상담기능 강화 명예고용평등

감독관 제도 활성화 등 기반 강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 발표에서는 이상의 대책 내용을 포함하여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고용 상의 성차별 규제와 고용 상의 성차별 구제로 나누어 각각의 입법과제 중

심으로 살펴본다

2 고용상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가 고용에서의 성차별 규제 실효성 제고 방안

1) 모집middot채용 차별 규제 강화를 위한 입법과제

모집middot채용 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 관행을 방지하기 위한 국가의 개입은 다각도로 필요하지

만 특히 성차별적 채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남녀고용평등법」은 모집middot채용(제7

조)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

에서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아울러 고용상의 성차별금지 규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

용 상 성차별을 한 사업주를 형사 처벌하는 벌칙 규정(제37조)을 두고 있고 이 법과 관련한 분쟁

해결에서의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제30조)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과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규정을 정리하면 lt표1gt

lt표 2gt과 같다

조항 내용

제7조

(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

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

(임금)① 사업주는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 가치 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lt표 1gt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

발제2_박선영

lt 25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르면 ld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rdquo 할 경우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모집middot채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은 고용의 입구에서 발생하는 차별로서 노동의 기회와 생

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노동조건에서의 차별과 비교할 때 권리의 침해 정도와 피해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임금차별금지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지 조항과 같이 징역

형을 병과하여 처벌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의 75일 정부대책에서는 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채용을 배제한 경우 5년 이하 징역 또는 3천

만 원 이하 벌금으로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고 한다 심상정의원이 대표 발의한 남녀고용평등법 개

정안에서도 노동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의 벌금으로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조항 내용

② 동일 가치 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

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

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③ 사업주가 임금차별을 목적으로 설립한 별개의 사업은 동일한 사업으로 본다

제9조

(임금 외의 금품 등)

사업주는 임금 외에 근로자의 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금품의 지급 또는 자금의 융자 등 복리후생

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사업주는 근로자의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1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

①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의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 사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서는 아니 된다

금지규정 처벌규정 형량

제7조 제1항 모집middot채용시 차별금지

제7조 제2항 직무수행과 무관한 용모를 채용조

건으로 하는 것 금지

제37조 제4항 제1호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제9조 임금 외의 금품에서 남녀차별 금지 제37조 제4항 제2호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차별금지 제37조 제4항 제3호

제8조 제1항 동일가치노동middot동일임금 지급 제37조 제2항 제1호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제11조 제1항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

제11조 제2항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사

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 체결 금지

제37조 제1항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lt표 2gt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6 gt

블라인드 채용 정착과 성인지성 제고를 위한「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전면 개정

국가인권위원회의 ldquo2017년 구직자 대상 온라인 조사 결과rdquo1)에 따르면 구직자 중 남성 594

여성 619가 면접 시 차별의 경중에 관계없이 차별을 받았다 응답했다 면접 시 차별적 질문으

로는lsquo나이rsquo관련 질문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여성 845 남성 751) 그 다음이lsquo학

력rsquo관련 질문이다(여성736 남성 732) 나이와 학력 관련 질문으로 불쾌감을 경험한 비율은

학력(416)이 나이(3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면접 시 받는 차별적인 질문 유형에는 성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의 경우 임신 등 출산 여부

(276p) 성별(199p) 혼인 여부(119p) 나이(94p)와 관련된 질문을 받은 경험이 남성

에 비해 월등히 높아 질문 자체에 이미 성차별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런 성차별적 질문과 인식은 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부는 지난 2017년 7월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ls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블라인드 채

용 추진방안rsquo을 발표하였고 현재 공공기관 중심으로 블라인드 채용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입사지원서 양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블라인드 채용은 채용 과정에서 기회의 평등과 과정의 공정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정책이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블라인드 채용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 이르는 채용 과정 전체가 직무중심으로 변화middot발전되어야 하고 직무 중심의 채용이 보

편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블라인드 채용의 실시

및 정착을 위한 방향으로 전면 개정하여 블라인드 채용의 정착을 위한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입법 취지는 ldquo사용자가 근로자를 채용하고자 할 때 요구하

는 채용서류와 채용심사 비용은 구직자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채용시장의 관

행상 사용자가 이를 적극적으로 반환하거나 구직자의 요구에 따라 돌려주는 경우는 거의 희박하

고 근로자를 채용할 의사가 없으면서 구직자의 사업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으로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내는 등 채용과정에서 부조리가 발생하고 있는 실

정인바 사용자의 거짓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금지하고 구인자가 구직자에게 채용심사 비용을 부담

시키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며 채용서류를 반환하도록 하고 전자 접수를 장려하며 채용 일

정 지원서 접수 사실 및 합격middot불합격 여부 등을 명확히 고지하도록 하는 등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1) 최근 3년간 구직 경험이 있는 자 중 면접 단계까지 경험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면접과정에서의 차별 경험에 대해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middot도에 거주하는 만 20sim34세 남녀를 연령별로 할당하여 총

500명(유효 응답자 기준)에 대해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7월 기준 만 20sim34세 남녀 인구는 전체 10171264명이며 이 중 남성은 523(5314624명) 여성은

477(4856640명)이다 박선영 외(2017) 채용과정 차별 실태 모니터링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결과는31~63쪽

참조

발제2_박선영

lt 27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서류의 재활용을 통해 사회적 자원을 절약함과 아울러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그 권익을 보호하려는 것rdquo이다2) 이런 입법 취지는 목적 조항을 통해서도 확인된

다ldquo이 법은 채용과정에서 구직자가 제출하는 채용서류의 반환 등 채용절차에서의 최소한의 공정

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dquo(제1조)

채용절차에서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불공정한 관행을 바로 잡는 것은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위

해 필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채용과정의 불공정 관행은 절차적인 문제 해결뿐 아니라 채용 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 제거를 통해서도 바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법의 목적 조항에

채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의 제거를 포함시킴으로써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를 방지하고 직무중심 채용이 정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계에

맞는 표준양식 등을 마련하여 그 사용을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lsquo블라인드 채용을 위한

면접 가이드라인rsquo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동안은 입사지원서를 통해 불필요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서류 심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토대로 면접이 이루어졌다 반면 블라인드 채용은

입사지원서를 통해서는 성별 연령 출신대학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면접이 개인의 정보를 확인

하는 과정으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

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은 첫째 직무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면

접 방법의 다양화와 그 판단 지침 등을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 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방법

중 포트폴리오 문제해결시나리오 사례연구 평가자 질문 평가자 체크리스트 구두 발표 등이 면

접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때 각각의 면접방식에서 직무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블라인드 채용의 취지에 따라 질문해서는 안 되는 사항을 새롭게 구

성할 필요가 있다 면접위원에게 응시자의 인적정보 제공 금지 및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을 금지한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금지되는 질문 유형을 적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면접위원 구성 원칙(성별 균형원칙)과 면접위원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및 그 내용을 제공

하는 것이 요구된다

2) 국가법령정보센터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정 이유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453amplsId=ampefYd=20140121ampchrClsCd=010202ampurlMode=

lsEfInfoRampviewCls=lsRvsDocInfoR000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8 gt

2)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입법과제

OECD 국가 중 10년 넘게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성별임금격차는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OECD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의 성별임금격차(Gender Wage Gap)는 367로 35개

회원국 중 격차가 압도적으로 높다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적은 국가는 코스타리카(18) 룩셈부

르크(34) 그리스(45) 벨기에(47) 슬로베니아(50) 등으로 나타나며 우리를 제외하고

OECD국가 가운데 성별임금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에스토니아(283) 일본(257)과 비교해도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매우 크다

또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월 임금총액이 여자는 229만원 남자 341만원이며 남

녀 평균 임금격차는 약 112만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졸이상 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을 따로 살

펴보면 여자 286만원 남자 412만원으로 임금격차는 약 126만원으로 더욱 차이가 벌어진다3)

나아가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남자 정규직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은 385만원 여자 정규직노동

자 253만원 남자 비정규직노동자 183만원 여자 비정규직노동자 118만원으로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가 극심하다4)

이처럼 성별임금격차가 큰 것은 여성 노동자 개개인의 생산성이 낮기 때문이 아니라 경력단절

에 따른 남녀 간 근속년수 차이와 경력단절 후 비정규직으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해서는 나이 고용형태 등에 의해 임금이 결정

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동일임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현실화

가 필요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법정화하고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

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요구된다

현행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이하lsquo기간제법rsquo) 에 따르면 사용자는 ldquo기

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

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제8조제1항)rdquo

또한ldquo단시간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의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제2항)rdquo 여기서 말하는 차별적 처우

3) 통계청 KOSIS ldquo산업 학력 연령계층 성별 임금 및 근로조건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4) 통계청 KOSIS ldquo성별 임금 및 근로시간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발제2_박선영

lt 29

란 합리적인 이유 없이「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임금 정기상여금 명절상여금 등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경영성과에 따른 성과금 그 밖에 근로조건 및 복리후생 등에 관한

사항 등에 있어서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말한다(제2조제3호)

이와 같은 「기간제법」 에 의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등의 차별적 처우 금지는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직무와 직종이

분리되어 있고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가 큰 우리의 현실에서는 동일업무와 유사업무에 대한

차별적 처우 금지만으로 고용형태에 의한 임금차별을 시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 간의 임금차별을 실효성 있게 규제하기 위해 등장한 법리인 동일가치노동 동일임

금 원칙을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행 「기간제법」 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성별임금격차 시정을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남녀고용평등법」 은 사업주에게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가

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

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

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8조)

우리나라 대다수 기업의 임금체계는 속인적인 요소에 기초를 둔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로 동일

가치노동의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방법을 설정하기 어렵다「남녀고용평등법」 상의 lsquo기술 노력 책

임 및 작업조건 등rsquo 은 직무평가기준으로 남성 집중 직무에서 기본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라는 점

에서 이미 차별의 결과로 형성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5)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의 평가기준이 갖는 남성집중 직무중심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동 원칙

의 판단기준인 lsquo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rsquo을 능력 실제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범위 기술

및 작업조건 등으로 세분화하면서 동일가치노동 판단의 기준을 수립할 때 여성노동자 대표가 포

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6)

또한 동일임금의 확보를 위해서는 법률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원칙을 명시하는 것만으로 충

분하지 않고 노동자의 임금정보에 대한 접근권 강화 사용자의 임금정보 공개의무 강화 분쟁 시

노동자의 입증책임 완화 또는 사용자의 입증책임 강화 동일가치 노동 여부를 가리기 위한 성 중

립적이고 체계적인 직무분류 및 평가기준의 마련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자체적인 노

력 및 노사 공동의 노력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7)

5) 박선영 외(2013) 「여성middot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Ⅰ) 낙태 규제와 여성의 대표성 관련 심층 분석

및 여성middot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0쪽

6)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240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0 gt

아래와 같은 벨기에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국가의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책무와 방향 등을

규정한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하여 성평등 임금공시제8)는 물론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의 기본계획 수립(목표치 설정) 과 시행 이를 위한 추진체계 성별임금격차 실태조사 및 모니

터링 등을 명문화하여 국가의 적극적 개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벨기에는「성별임금격차와 싸우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50인

이상의 기업은 2년마다 임금구조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노사협의회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에

는 근로자대표로 구성된 위원회) 에 제공해야 하고 노사협의회는 이 보고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 단 노사협의회는 이 정보에 대해 비밀을 지켜야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는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제공한 임금 사회보장 기여금 각종 혜택에 관한 정보

가 모두 포함되어야 되어야 하고 임금 등에 관한 정보는 노동자의 지위 직무등급 근속년수 교

육middot훈련middot자격 수준별로 상세히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임금구조를 분석할 때 성 중

립적(gender neutral) 직무평가middot분류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해야 하고 분석의 결과 양성 간

임금격차가 확인되면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행동계획에는

구체적 목표 목표달성 방법 달성기한 모니터링 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9)

3)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입법과제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취지는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며 직업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근로여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rdquo이었다 즉 노동시장

에서 발생하는 직middot간접 차별의 금지와 모성보호가 주요 입법목적이었다 그러나 법 제정으로부터

30년이 경과한 현재에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주로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런 구조적 차별의 모습 중의 하나가 이른바 ldquo유리천장rdquo이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 매년 발표하는 성 격차지수(Gender Gap Index)

에서 한국은 2017년 기준 건강 및 교육영역에서 각각 0973점(1에 가까울수록 평등) 0960점으

로 거의 성평등에 이르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영역과 정치영역에서는 각각 0533

점 0134점으로 하위권 수준이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유리천장이 얼마나 강고하게 존재하는지를

7)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8) 성별임금공시제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고용정

책기본법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신용현의원 대표발의 201733) 등이 발의되어 있다

9)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2: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lt 3

목차

인사말

김주영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

이용득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

발제_1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 실태 및 문제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최우미 금융산업노조 부위원장

발제_2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토론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1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3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1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9

김효순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 gt

바쁜 일정에도 불구하고 한국노총과 이용득 국회의원 공동 주최로 여는 토론회에 참여해주신

여러분 고맙습니다

먼저 토론회 사회를 맡아주신 한국노총 여성정책자문위원장이신 제주 방송통신대학교 김엘림

교수님을 비롯하여 발제자 최우미 금융산업노조 부위원장님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

구위원님께 특별한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토론자로 참여해주신 이주희 교수님 조주은 입법조사관님 나지현 위원장님 고용노동

부 김효선 과장님 김순희 본부장께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오늘 토론회는 금융권의 불공정한 성차별적 채용 비리 사례를 통해 보이지 않는 고용차별의 실

체를 재확인하고 실질적인 남녀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법제도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

었습니다

현행법상 채용 차별을 금지하고 평등한 기회와 대우 보장을 천명하고 있는 남녀고용평등법이

시행된 지 올해로 30년이 되었습니다 그동안 남녀평등 실현을 위한 관련 법제도의 변화와 발전

이 있어왔지만 제도의 실효성이 담보되지 않아 노동시장 내 성별 불평등을 해소하는데 기여하지

못한 측면이 있습니다

금융권 채용 비리에서 나타났듯이 채용절차 과정에서 성별middot 연령middot 학력 등 각종 차별이 구조적이

고 교묘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차별행위는 비단 금융권만의 일은 아닐 것

입니다 첫 입직구시부터 여성을 배제하거나 여성을 낮은 직군에 배치하는 등의 차별 행위는 유리벽

과 유리천장에 가로막혀있는 여성들의 관리직 승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습니다

인사말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김 주 영

인사말

lt 5

남성 중심적이고 가부장적인 조직문화는 여성에 대한 배제와 고립을 강화시키며 더 복잡해지고

교묘해진 성별분업 이데올로기는 남녀임금격차와 여성비정규직화 저임금체계를 고착화하고 있

습니다 노동시장 내 만연한 고용차별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첫 단계인 채용부터 차별이 발생되는

원인을 차단하여 진입장벽을 제거하고 특정 성에게 취업 기회의 불리한 효과로 나타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문재인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차별 없는 성평등 사회와 공정사회 구현을 위해서는 채용과정

에서의 기회의 평등 과정의 평등 결과의 평등을 이루기 위한 관련법과 제도를 재정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고용평등한 노동환경에서 여성의 평등노동권을 확보하고 여성의 사회

적middot경제적 지위향상과 역량을 강화해 나갈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

아무쪼록 오늘 토론회를 통해 고용 상 성차별이 근본적으로 해소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데 다양

한 의견 개진과 지혜를 모아주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오늘 토론회에 함께 해주신 내외빈 여러분 그리고 공동주최로 참여해주신 이용득

의원님을 비롯하여 발제자와 토론자께 다시한번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고맙습니다

2018년 7월 17일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 gt

안녕하십니까 더불어민주당 이용득 의원입니다

lt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gt 토론회에 참석해주신 내외 귀빈

여러분에게 환영의 인사를 드립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시절 ld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 정의로운 결과rdquo를 약속했습니다 그리고 이

를 실현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아직 평등하고 공정한 기회가 보장되

는 사회를 이루기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벽이 높습니다

특히나 고용과정에서 암암리에 이뤄지고 있는 남녀차별은 여전히 견고한 상황입니다 최근 금

융감독원이 실시한 금융권채용비리 조사 과정에서 다수의 은행이 동일 직무임에도 남녀별 채용

인원을 다르게 정하는 등 남녀별 차등채용을 추진한 사례가 적발됐습니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금지하는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 30년이란 세월이 흘렀지만 과거 lsquo여

행원rsquo과 lsquo행원rsquo을 분리해서 차별하던 시절과 크게 달라진 게 없는 상황입니다 현재까지도 지속되

고 있는 남녀별 구조적 채용차별로 인해 금융 산업 내에서는 일반 정규직에 비해 임금과 승진이

열악한 2차 정규직의 상당수가 여성노동자입니다 2차 정규직 소위 중규직 노동자들의 등장으로

인해 노동 시장 내 성차별과 불평등이 제도적으로 고착화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에 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2차 정규직인 무기계약직 근로자들의 처우를 정규직 근로자

와 동일하게 보장하는 내용의 ldquo중규직 방지법(근로기준법 개정안)rdquo을 발의한 바 있습니다 그렇기

에 고용상의 성차별과 그로인한 제도적 불평등을 진단하는 오늘의 토론회가 더욱 각별합니다

인사말

국회의원 이 용 득

인사말

lt 7

고용상의 성차별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제안들이 오늘 토론회에서 논의되길 기대합니

다 열띤 논의를 이끌어갈 발표자와 토론자 여러분께도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저 역시 오늘의

논의를 바탕으로 노동시장에 존재하는 남녀 불평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법제 정비 등 최선의 노

력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8년 7월 17일

ltlt 발 제 1 gtgt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 실태 및 문제점

최우미 |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부위원장

발제1_최우미

lt 11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최 우 미 부위원장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실태 및 문제점

2018 7 17

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 실태

ldquo수면위로 드러나다rdquo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2 gt

KEB하나은행 사례bull 동일한 직무에 대해 남녀 채용 인원을 사전에 달리 정하

는 등 남녀차등채용을 서류전형(계량평가) 단계부터 추진

bull 2013년 하반기 채용과정에서 서류전형 단계부터 사전에4 1 남녀 비율을 정해 놓고 공개심사를 함당시 서류전형에 응시 한 지원자 성비는 13 1(남7535명여 5895명)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서류전형에서 4 1 (남1600명 여 399명) 로 선발함

bull 최종 임원면접에서는 합격권 내 여성2명을 탈락시키고 이 빈자리를 합격권 밖의 남성 2명의 순위를 상향 조정해채움 그 결과 선발된 남녀비율은 55 1 (남 104명 여19명)

bull 서울지역 여성 커트라인은 600점 만점에 467점으로 남성커트라인 419점 대비 48점 높았음

신한금융 사례bull 신입행원 채용 서류심사시 연령별로 배점을 차등화 하거나일정 연령 이상 지원자에 대해서 서류심사 대상에서 탈락시킴

bull 2016년 상반기의 경우 남자는 1988년 이전 출생자 여자는1990년 이전 출생자를 서류심사에서 탈락시킴

bull 서류지원자의 남녀 비율은 59대 41이었으나 서류전형 단계부터 남녀 채용비율을 7 3으로 정함

bull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시 이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해채용함

발제1_최우미

lt 13

KB국민은행 사례

bull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은행 측이 남성 지원자 100여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비정상적으로 여성보다 높게 줌

bull 2015년 하반기와 2016년 하반기까지 합치면 300명이 넘는 남성 지원자들 점수를 1차 서류전형 심사에서 무더기로 올림

bull 그 결과 여성 지원자의 점수는 상대적으로 낮아졌으며 이로인해 여성지원자 일부가 서류 전형에서 탈락함

ldquo신입 행원 가운데 여자가 너무 많으면 곤란해 남자를 배려하는 차원에서 올려준 것으로 조작이 아니라 조정이다rdquo

ldquo출산과 육아휴직 등 여성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전체 인력운용 차원에서 채용비율을 고려할 수 밖에 없다rdquo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건 성차별 아니냐rdquo

변명 혹은 반박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4 gt

남녀고용평등법과 일가정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제1항

ls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남녀를 차별해 채용해서는 아니 된다rsquo

HOWEVER

② 성차별 채용비리의 문제점

= ldquo구조적 차별rdquo

발제1_최우미

lt 15

과거 여행원제로 남녀차별

남성 일반직 행원으로 채용

여성 lsquo여행원rsquo으로 분리 채용하여 승진 임금 차별함

일명 성전환고시 여행원이 ldquo행원rdquo이 되려면 전환고

시에 합격해야함

금융권의 동일노동 동일임금 차별 철폐 운동으로

1993년 여행원제 폐지됨

현재 2차정규직으로 남녀차별

2차정규직의 특징 (일반정규직과 비교)

① 임금 일반정규직의 60~80 수준

② 승진 별도의 승진 체계 (콘크리트천장)

③ 업무범위 단순업무위주 (업무범위 제한있음)

④ 성비 여성이 절대다수 (876 ~ 993)

⑤ 무기계약직 준정규직 등 별도 직군화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6 gt

현재진행형 lsquo하위 직군의 여성화rsquo

bull 5대 은행 lsquo2차정규직rsquo 신규 채용 인원 중 여성 비율

883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5대 은행 직급별 여성 비율 현황

bull 2017년 9월기준

구분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KB국민은행 기업은행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부행장(전무) 15 00 12 00 20 00 16 63 15 67

본부장(상무) 54 74 72 56 41 49 39 51 28 107

지점장(부장) 1060 62 1396 81 - 00 1134 93 976 56

부지점장(부부장) 1886 124 2169 211 1622 115 3483 151 1487 221

책임자(차장과장) 4316 348 4062 461 4577 446 5189 423 3049 445

대리행원 3248 465 3207 536 4586 686 3779 693 2968 598

2차정규직 2398 993 2560 946 2436 984 2659 954 3706 876

기타 1335 414 905 934 - 00 1866 394 - 00

총인원 14312 436 14383 517 13282 585 18165 480 12229 553

출처 정의당심상정의원실

발제1_최우미

lt 17

2차정규직에 여성이 많은 이유

ldquo여성 지원자가 많아서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이 영업점 일선에서 대고객 업무를 하는 분들이다 보니 서비스 마인드가 뛰어난 여성 인력을 중점적으로 뽑아왔다 최근에는 남성도 많이 뽑는 추세다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에 여성이 많고 이분들이 능력을 인정받아 정규직으로 올라오기도 하기 때문에 일반 공채도 1대1로 뽑으면남녀 비율에 불균형이 생긴다 일반 공채에서 남자 쪽을 상대적으로 많이 뽑는다고 한다rdquo

2차정규직으로 차별을 제도화했다

bull 과거의 고용관행 + 현재의 채용 성비 불균형이 결합한 결과은행이 고용한 여성 10명 중 3~4명은 2차정규직

bull 여성들이 처우와 승진 가능성이 가장 낮은 직군에 집중되고 고임금 고위직을 남성이 독식하는 구조

bull 처우나 승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은행의 5대5 고용 성비는 일종의 lsquo착시rsquo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8 gt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천장

bull 기업 내 남성 선호 문화가 근본적인 문제bull 고위직으로 승진할 수 있는 일반직 여성 채용은 처음부터7 3 으로 시작

bull 여성은 출산육아를 거치면서 육아휴직 기간동안 승진에서불이익을 받음

bull 성별을 기준으로 업무를 배분하는 경향은 여전남성 가계대출 기업금융 등 여신 외환업무여성 예금 고객관리 등 수신업무본점 주요부서나 해외주재원 선발시 남성위주 선발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벽

ldquo위에서는 인력 풀이 없다고 하는데 우리를 유리벽에 가둬두고처음부터 키우지 않는다 남자 직원들은 다양한 은행 업무를 경험한 만큼 승진 폭이 넓지만 주로 창구 상담 등 수신을 담당했던 여자 직원은 책임자로 갈수록 할 수 있는 일이 적어서 승진가능한 폭 자체가 좁다rdquo

ldquo차장이 되자마자 기업 여신 업무를 하고 싶다고 지점장에게 말했다 6개월 뒤에 하라더니 결국 맡겨주지 않았다 또 다른 지점에서도 이야기했지만 거절당했다 야근도 다 감수하겠다고 했는데도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아 허탈했다rdquo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발제1_최우미

lt 19

ldquo성차별 악순환의 고리를 끊자rdquo

지원자 성비 공개

2차정규직의 완전한 정규직화

여성 임원 할당제

남성 육아휴직 의무화

강력한 처벌 가능한 법적 근거 마련

고맙습니다

ltlt 발 제 2 gtgt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발제2_박선영

lt 23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 들어가기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은 그동안 소문으로만 무성했던 어떤 lsquo실체rsquo를 확인하게 해

주었다 KB국민은행은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남성을 채용하기 위해 남성 지원자 100여

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여성보다 높게 조작했고 KEB하나은행은 최종합격자 성비를 4(남성)1(여

성)로 정해놓고 진행하였다 신한카드는 59 대 41이던 서류 지원자 남녀 비율을 서류전형 단계부

터 7대 3으로 정하고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 시까지 해당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하였다고

한다

모집middot채용에서 퇴직middot해고에 이르는 고용상의 전 과정에서의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는 「남녀고

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이하lsquo남녀고용평등법rsquo) 이 제정된 지 3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 보장rdquo이라는 남녀고용평등법의 제정 취지

가 무색한 현실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75일 일자리위원회 middot 관계부처 합동으로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을 마련하

여 발표하였다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의 주요내용은 첫째 채용 단계별 공정성 강화한다 이를 위해 공공기

관 lsquo채용 프로세스 관리 표준 매뉴얼rsquo도입 lsquo성평등 채용가이드라인rsquo제작 및 민간 확산 등을 통해

채용 절차를 선제적으로 관리한다

둘째 채용 성차별 의심기관 감독 및 제재 강화를 강화한다 lsquo익명신고 등 모집채용 성차별 신

고센터rsquo를 운영하고 신고에서 조사 피해자 구제에 이르는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고의middot반

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 강화 등 제재 및 권리구제를 강화하기 위

한 법률 제개정을 추진한다

셋째 성평등 채용 기반 강화 및 인식 개선을 위해 성평등 채용을 위한 공공기관의 노력을 경영

평가에 반영하고 여성 채용 우수기업에 대한 공공조달 인센티브를 개선하는 등 성평등 채용에 앞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4 gt

장서는 기관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용평등 상담실 상담기능 강화 명예고용평등

감독관 제도 활성화 등 기반 강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 발표에서는 이상의 대책 내용을 포함하여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고용 상의 성차별 규제와 고용 상의 성차별 구제로 나누어 각각의 입법과제 중

심으로 살펴본다

2 고용상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가 고용에서의 성차별 규제 실효성 제고 방안

1) 모집middot채용 차별 규제 강화를 위한 입법과제

모집middot채용 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 관행을 방지하기 위한 국가의 개입은 다각도로 필요하지

만 특히 성차별적 채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남녀고용평등법」은 모집middot채용(제7

조)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

에서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아울러 고용상의 성차별금지 규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

용 상 성차별을 한 사업주를 형사 처벌하는 벌칙 규정(제37조)을 두고 있고 이 법과 관련한 분쟁

해결에서의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제30조)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과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규정을 정리하면 lt표1gt

lt표 2gt과 같다

조항 내용

제7조

(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

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

(임금)① 사업주는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 가치 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lt표 1gt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

발제2_박선영

lt 25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르면 ld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rdquo 할 경우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모집middot채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은 고용의 입구에서 발생하는 차별로서 노동의 기회와 생

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노동조건에서의 차별과 비교할 때 권리의 침해 정도와 피해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임금차별금지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지 조항과 같이 징역

형을 병과하여 처벌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의 75일 정부대책에서는 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채용을 배제한 경우 5년 이하 징역 또는 3천

만 원 이하 벌금으로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고 한다 심상정의원이 대표 발의한 남녀고용평등법 개

정안에서도 노동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의 벌금으로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조항 내용

② 동일 가치 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

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

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③ 사업주가 임금차별을 목적으로 설립한 별개의 사업은 동일한 사업으로 본다

제9조

(임금 외의 금품 등)

사업주는 임금 외에 근로자의 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금품의 지급 또는 자금의 융자 등 복리후생

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사업주는 근로자의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1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

①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의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 사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서는 아니 된다

금지규정 처벌규정 형량

제7조 제1항 모집middot채용시 차별금지

제7조 제2항 직무수행과 무관한 용모를 채용조

건으로 하는 것 금지

제37조 제4항 제1호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제9조 임금 외의 금품에서 남녀차별 금지 제37조 제4항 제2호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차별금지 제37조 제4항 제3호

제8조 제1항 동일가치노동middot동일임금 지급 제37조 제2항 제1호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제11조 제1항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

제11조 제2항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사

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 체결 금지

제37조 제1항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lt표 2gt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6 gt

블라인드 채용 정착과 성인지성 제고를 위한「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전면 개정

국가인권위원회의 ldquo2017년 구직자 대상 온라인 조사 결과rdquo1)에 따르면 구직자 중 남성 594

여성 619가 면접 시 차별의 경중에 관계없이 차별을 받았다 응답했다 면접 시 차별적 질문으

로는lsquo나이rsquo관련 질문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여성 845 남성 751) 그 다음이lsquo학

력rsquo관련 질문이다(여성736 남성 732) 나이와 학력 관련 질문으로 불쾌감을 경험한 비율은

학력(416)이 나이(3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면접 시 받는 차별적인 질문 유형에는 성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의 경우 임신 등 출산 여부

(276p) 성별(199p) 혼인 여부(119p) 나이(94p)와 관련된 질문을 받은 경험이 남성

에 비해 월등히 높아 질문 자체에 이미 성차별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런 성차별적 질문과 인식은 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부는 지난 2017년 7월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ls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블라인드 채

용 추진방안rsquo을 발표하였고 현재 공공기관 중심으로 블라인드 채용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입사지원서 양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블라인드 채용은 채용 과정에서 기회의 평등과 과정의 공정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정책이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블라인드 채용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 이르는 채용 과정 전체가 직무중심으로 변화middot발전되어야 하고 직무 중심의 채용이 보

편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블라인드 채용의 실시

및 정착을 위한 방향으로 전면 개정하여 블라인드 채용의 정착을 위한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입법 취지는 ldquo사용자가 근로자를 채용하고자 할 때 요구하

는 채용서류와 채용심사 비용은 구직자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채용시장의 관

행상 사용자가 이를 적극적으로 반환하거나 구직자의 요구에 따라 돌려주는 경우는 거의 희박하

고 근로자를 채용할 의사가 없으면서 구직자의 사업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으로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내는 등 채용과정에서 부조리가 발생하고 있는 실

정인바 사용자의 거짓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금지하고 구인자가 구직자에게 채용심사 비용을 부담

시키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며 채용서류를 반환하도록 하고 전자 접수를 장려하며 채용 일

정 지원서 접수 사실 및 합격middot불합격 여부 등을 명확히 고지하도록 하는 등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1) 최근 3년간 구직 경험이 있는 자 중 면접 단계까지 경험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면접과정에서의 차별 경험에 대해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middot도에 거주하는 만 20sim34세 남녀를 연령별로 할당하여 총

500명(유효 응답자 기준)에 대해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7월 기준 만 20sim34세 남녀 인구는 전체 10171264명이며 이 중 남성은 523(5314624명) 여성은

477(4856640명)이다 박선영 외(2017) 채용과정 차별 실태 모니터링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결과는31~63쪽

참조

발제2_박선영

lt 27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서류의 재활용을 통해 사회적 자원을 절약함과 아울러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그 권익을 보호하려는 것rdquo이다2) 이런 입법 취지는 목적 조항을 통해서도 확인된

다ldquo이 법은 채용과정에서 구직자가 제출하는 채용서류의 반환 등 채용절차에서의 최소한의 공정

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dquo(제1조)

채용절차에서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불공정한 관행을 바로 잡는 것은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위

해 필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채용과정의 불공정 관행은 절차적인 문제 해결뿐 아니라 채용 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 제거를 통해서도 바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법의 목적 조항에

채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의 제거를 포함시킴으로써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를 방지하고 직무중심 채용이 정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계에

맞는 표준양식 등을 마련하여 그 사용을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lsquo블라인드 채용을 위한

면접 가이드라인rsquo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동안은 입사지원서를 통해 불필요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서류 심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토대로 면접이 이루어졌다 반면 블라인드 채용은

입사지원서를 통해서는 성별 연령 출신대학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면접이 개인의 정보를 확인

하는 과정으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

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은 첫째 직무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면

접 방법의 다양화와 그 판단 지침 등을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 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방법

중 포트폴리오 문제해결시나리오 사례연구 평가자 질문 평가자 체크리스트 구두 발표 등이 면

접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때 각각의 면접방식에서 직무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블라인드 채용의 취지에 따라 질문해서는 안 되는 사항을 새롭게 구

성할 필요가 있다 면접위원에게 응시자의 인적정보 제공 금지 및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을 금지한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금지되는 질문 유형을 적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면접위원 구성 원칙(성별 균형원칙)과 면접위원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및 그 내용을 제공

하는 것이 요구된다

2) 국가법령정보센터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정 이유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453amplsId=ampefYd=20140121ampchrClsCd=010202ampurlMode=

lsEfInfoRampviewCls=lsRvsDocInfoR000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8 gt

2)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입법과제

OECD 국가 중 10년 넘게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성별임금격차는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OECD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의 성별임금격차(Gender Wage Gap)는 367로 35개

회원국 중 격차가 압도적으로 높다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적은 국가는 코스타리카(18) 룩셈부

르크(34) 그리스(45) 벨기에(47) 슬로베니아(50) 등으로 나타나며 우리를 제외하고

OECD국가 가운데 성별임금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에스토니아(283) 일본(257)과 비교해도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매우 크다

또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월 임금총액이 여자는 229만원 남자 341만원이며 남

녀 평균 임금격차는 약 112만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졸이상 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을 따로 살

펴보면 여자 286만원 남자 412만원으로 임금격차는 약 126만원으로 더욱 차이가 벌어진다3)

나아가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남자 정규직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은 385만원 여자 정규직노동

자 253만원 남자 비정규직노동자 183만원 여자 비정규직노동자 118만원으로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가 극심하다4)

이처럼 성별임금격차가 큰 것은 여성 노동자 개개인의 생산성이 낮기 때문이 아니라 경력단절

에 따른 남녀 간 근속년수 차이와 경력단절 후 비정규직으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해서는 나이 고용형태 등에 의해 임금이 결정

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동일임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현실화

가 필요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법정화하고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

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요구된다

현행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이하lsquo기간제법rsquo) 에 따르면 사용자는 ldquo기

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

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제8조제1항)rdquo

또한ldquo단시간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의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제2항)rdquo 여기서 말하는 차별적 처우

3) 통계청 KOSIS ldquo산업 학력 연령계층 성별 임금 및 근로조건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4) 통계청 KOSIS ldquo성별 임금 및 근로시간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발제2_박선영

lt 29

란 합리적인 이유 없이「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임금 정기상여금 명절상여금 등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경영성과에 따른 성과금 그 밖에 근로조건 및 복리후생 등에 관한

사항 등에 있어서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말한다(제2조제3호)

이와 같은 「기간제법」 에 의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등의 차별적 처우 금지는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직무와 직종이

분리되어 있고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가 큰 우리의 현실에서는 동일업무와 유사업무에 대한

차별적 처우 금지만으로 고용형태에 의한 임금차별을 시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 간의 임금차별을 실효성 있게 규제하기 위해 등장한 법리인 동일가치노동 동일임

금 원칙을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행 「기간제법」 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성별임금격차 시정을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남녀고용평등법」 은 사업주에게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가

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

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

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8조)

우리나라 대다수 기업의 임금체계는 속인적인 요소에 기초를 둔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로 동일

가치노동의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방법을 설정하기 어렵다「남녀고용평등법」 상의 lsquo기술 노력 책

임 및 작업조건 등rsquo 은 직무평가기준으로 남성 집중 직무에서 기본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라는 점

에서 이미 차별의 결과로 형성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5)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의 평가기준이 갖는 남성집중 직무중심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동 원칙

의 판단기준인 lsquo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rsquo을 능력 실제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범위 기술

및 작업조건 등으로 세분화하면서 동일가치노동 판단의 기준을 수립할 때 여성노동자 대표가 포

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6)

또한 동일임금의 확보를 위해서는 법률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원칙을 명시하는 것만으로 충

분하지 않고 노동자의 임금정보에 대한 접근권 강화 사용자의 임금정보 공개의무 강화 분쟁 시

노동자의 입증책임 완화 또는 사용자의 입증책임 강화 동일가치 노동 여부를 가리기 위한 성 중

립적이고 체계적인 직무분류 및 평가기준의 마련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자체적인 노

력 및 노사 공동의 노력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7)

5) 박선영 외(2013) 「여성middot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Ⅰ) 낙태 규제와 여성의 대표성 관련 심층 분석

및 여성middot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0쪽

6)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240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0 gt

아래와 같은 벨기에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국가의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책무와 방향 등을

규정한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하여 성평등 임금공시제8)는 물론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의 기본계획 수립(목표치 설정) 과 시행 이를 위한 추진체계 성별임금격차 실태조사 및 모니

터링 등을 명문화하여 국가의 적극적 개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벨기에는「성별임금격차와 싸우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50인

이상의 기업은 2년마다 임금구조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노사협의회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에

는 근로자대표로 구성된 위원회) 에 제공해야 하고 노사협의회는 이 보고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 단 노사협의회는 이 정보에 대해 비밀을 지켜야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는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제공한 임금 사회보장 기여금 각종 혜택에 관한 정보

가 모두 포함되어야 되어야 하고 임금 등에 관한 정보는 노동자의 지위 직무등급 근속년수 교

육middot훈련middot자격 수준별로 상세히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임금구조를 분석할 때 성 중

립적(gender neutral) 직무평가middot분류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해야 하고 분석의 결과 양성 간

임금격차가 확인되면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행동계획에는

구체적 목표 목표달성 방법 달성기한 모니터링 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9)

3)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입법과제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취지는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며 직업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근로여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rdquo이었다 즉 노동시장

에서 발생하는 직middot간접 차별의 금지와 모성보호가 주요 입법목적이었다 그러나 법 제정으로부터

30년이 경과한 현재에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주로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런 구조적 차별의 모습 중의 하나가 이른바 ldquo유리천장rdquo이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 매년 발표하는 성 격차지수(Gender Gap Index)

에서 한국은 2017년 기준 건강 및 교육영역에서 각각 0973점(1에 가까울수록 평등) 0960점으

로 거의 성평등에 이르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영역과 정치영역에서는 각각 0533

점 0134점으로 하위권 수준이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유리천장이 얼마나 강고하게 존재하는지를

7)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8) 성별임금공시제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고용정

책기본법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신용현의원 대표발의 201733) 등이 발의되어 있다

9)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 gt

바쁜 일정에도 불구하고 한국노총과 이용득 국회의원 공동 주최로 여는 토론회에 참여해주신

여러분 고맙습니다

먼저 토론회 사회를 맡아주신 한국노총 여성정책자문위원장이신 제주 방송통신대학교 김엘림

교수님을 비롯하여 발제자 최우미 금융산업노조 부위원장님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

구위원님께 특별한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토론자로 참여해주신 이주희 교수님 조주은 입법조사관님 나지현 위원장님 고용노동

부 김효선 과장님 김순희 본부장께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오늘 토론회는 금융권의 불공정한 성차별적 채용 비리 사례를 통해 보이지 않는 고용차별의 실

체를 재확인하고 실질적인 남녀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법제도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

었습니다

현행법상 채용 차별을 금지하고 평등한 기회와 대우 보장을 천명하고 있는 남녀고용평등법이

시행된 지 올해로 30년이 되었습니다 그동안 남녀평등 실현을 위한 관련 법제도의 변화와 발전

이 있어왔지만 제도의 실효성이 담보되지 않아 노동시장 내 성별 불평등을 해소하는데 기여하지

못한 측면이 있습니다

금융권 채용 비리에서 나타났듯이 채용절차 과정에서 성별middot 연령middot 학력 등 각종 차별이 구조적이

고 교묘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차별행위는 비단 금융권만의 일은 아닐 것

입니다 첫 입직구시부터 여성을 배제하거나 여성을 낮은 직군에 배치하는 등의 차별 행위는 유리벽

과 유리천장에 가로막혀있는 여성들의 관리직 승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습니다

인사말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김 주 영

인사말

lt 5

남성 중심적이고 가부장적인 조직문화는 여성에 대한 배제와 고립을 강화시키며 더 복잡해지고

교묘해진 성별분업 이데올로기는 남녀임금격차와 여성비정규직화 저임금체계를 고착화하고 있

습니다 노동시장 내 만연한 고용차별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첫 단계인 채용부터 차별이 발생되는

원인을 차단하여 진입장벽을 제거하고 특정 성에게 취업 기회의 불리한 효과로 나타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문재인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차별 없는 성평등 사회와 공정사회 구현을 위해서는 채용과정

에서의 기회의 평등 과정의 평등 결과의 평등을 이루기 위한 관련법과 제도를 재정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고용평등한 노동환경에서 여성의 평등노동권을 확보하고 여성의 사회

적middot경제적 지위향상과 역량을 강화해 나갈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

아무쪼록 오늘 토론회를 통해 고용 상 성차별이 근본적으로 해소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데 다양

한 의견 개진과 지혜를 모아주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오늘 토론회에 함께 해주신 내외빈 여러분 그리고 공동주최로 참여해주신 이용득

의원님을 비롯하여 발제자와 토론자께 다시한번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고맙습니다

2018년 7월 17일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 gt

안녕하십니까 더불어민주당 이용득 의원입니다

lt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gt 토론회에 참석해주신 내외 귀빈

여러분에게 환영의 인사를 드립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시절 ld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 정의로운 결과rdquo를 약속했습니다 그리고 이

를 실현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아직 평등하고 공정한 기회가 보장되

는 사회를 이루기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벽이 높습니다

특히나 고용과정에서 암암리에 이뤄지고 있는 남녀차별은 여전히 견고한 상황입니다 최근 금

융감독원이 실시한 금융권채용비리 조사 과정에서 다수의 은행이 동일 직무임에도 남녀별 채용

인원을 다르게 정하는 등 남녀별 차등채용을 추진한 사례가 적발됐습니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금지하는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 30년이란 세월이 흘렀지만 과거 lsquo여

행원rsquo과 lsquo행원rsquo을 분리해서 차별하던 시절과 크게 달라진 게 없는 상황입니다 현재까지도 지속되

고 있는 남녀별 구조적 채용차별로 인해 금융 산업 내에서는 일반 정규직에 비해 임금과 승진이

열악한 2차 정규직의 상당수가 여성노동자입니다 2차 정규직 소위 중규직 노동자들의 등장으로

인해 노동 시장 내 성차별과 불평등이 제도적으로 고착화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에 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2차 정규직인 무기계약직 근로자들의 처우를 정규직 근로자

와 동일하게 보장하는 내용의 ldquo중규직 방지법(근로기준법 개정안)rdquo을 발의한 바 있습니다 그렇기

에 고용상의 성차별과 그로인한 제도적 불평등을 진단하는 오늘의 토론회가 더욱 각별합니다

인사말

국회의원 이 용 득

인사말

lt 7

고용상의 성차별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제안들이 오늘 토론회에서 논의되길 기대합니

다 열띤 논의를 이끌어갈 발표자와 토론자 여러분께도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저 역시 오늘의

논의를 바탕으로 노동시장에 존재하는 남녀 불평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법제 정비 등 최선의 노

력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8년 7월 17일

ltlt 발 제 1 gtgt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 실태 및 문제점

최우미 |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부위원장

발제1_최우미

lt 11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최 우 미 부위원장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실태 및 문제점

2018 7 17

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 실태

ldquo수면위로 드러나다rdquo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2 gt

KEB하나은행 사례bull 동일한 직무에 대해 남녀 채용 인원을 사전에 달리 정하

는 등 남녀차등채용을 서류전형(계량평가) 단계부터 추진

bull 2013년 하반기 채용과정에서 서류전형 단계부터 사전에4 1 남녀 비율을 정해 놓고 공개심사를 함당시 서류전형에 응시 한 지원자 성비는 13 1(남7535명여 5895명)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서류전형에서 4 1 (남1600명 여 399명) 로 선발함

bull 최종 임원면접에서는 합격권 내 여성2명을 탈락시키고 이 빈자리를 합격권 밖의 남성 2명의 순위를 상향 조정해채움 그 결과 선발된 남녀비율은 55 1 (남 104명 여19명)

bull 서울지역 여성 커트라인은 600점 만점에 467점으로 남성커트라인 419점 대비 48점 높았음

신한금융 사례bull 신입행원 채용 서류심사시 연령별로 배점을 차등화 하거나일정 연령 이상 지원자에 대해서 서류심사 대상에서 탈락시킴

bull 2016년 상반기의 경우 남자는 1988년 이전 출생자 여자는1990년 이전 출생자를 서류심사에서 탈락시킴

bull 서류지원자의 남녀 비율은 59대 41이었으나 서류전형 단계부터 남녀 채용비율을 7 3으로 정함

bull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시 이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해채용함

발제1_최우미

lt 13

KB국민은행 사례

bull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은행 측이 남성 지원자 100여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비정상적으로 여성보다 높게 줌

bull 2015년 하반기와 2016년 하반기까지 합치면 300명이 넘는 남성 지원자들 점수를 1차 서류전형 심사에서 무더기로 올림

bull 그 결과 여성 지원자의 점수는 상대적으로 낮아졌으며 이로인해 여성지원자 일부가 서류 전형에서 탈락함

ldquo신입 행원 가운데 여자가 너무 많으면 곤란해 남자를 배려하는 차원에서 올려준 것으로 조작이 아니라 조정이다rdquo

ldquo출산과 육아휴직 등 여성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전체 인력운용 차원에서 채용비율을 고려할 수 밖에 없다rdquo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건 성차별 아니냐rdquo

변명 혹은 반박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4 gt

남녀고용평등법과 일가정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제1항

ls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남녀를 차별해 채용해서는 아니 된다rsquo

HOWEVER

② 성차별 채용비리의 문제점

= ldquo구조적 차별rdquo

발제1_최우미

lt 15

과거 여행원제로 남녀차별

남성 일반직 행원으로 채용

여성 lsquo여행원rsquo으로 분리 채용하여 승진 임금 차별함

일명 성전환고시 여행원이 ldquo행원rdquo이 되려면 전환고

시에 합격해야함

금융권의 동일노동 동일임금 차별 철폐 운동으로

1993년 여행원제 폐지됨

현재 2차정규직으로 남녀차별

2차정규직의 특징 (일반정규직과 비교)

① 임금 일반정규직의 60~80 수준

② 승진 별도의 승진 체계 (콘크리트천장)

③ 업무범위 단순업무위주 (업무범위 제한있음)

④ 성비 여성이 절대다수 (876 ~ 993)

⑤ 무기계약직 준정규직 등 별도 직군화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6 gt

현재진행형 lsquo하위 직군의 여성화rsquo

bull 5대 은행 lsquo2차정규직rsquo 신규 채용 인원 중 여성 비율

883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5대 은행 직급별 여성 비율 현황

bull 2017년 9월기준

구분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KB국민은행 기업은행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부행장(전무) 15 00 12 00 20 00 16 63 15 67

본부장(상무) 54 74 72 56 41 49 39 51 28 107

지점장(부장) 1060 62 1396 81 - 00 1134 93 976 56

부지점장(부부장) 1886 124 2169 211 1622 115 3483 151 1487 221

책임자(차장과장) 4316 348 4062 461 4577 446 5189 423 3049 445

대리행원 3248 465 3207 536 4586 686 3779 693 2968 598

2차정규직 2398 993 2560 946 2436 984 2659 954 3706 876

기타 1335 414 905 934 - 00 1866 394 - 00

총인원 14312 436 14383 517 13282 585 18165 480 12229 553

출처 정의당심상정의원실

발제1_최우미

lt 17

2차정규직에 여성이 많은 이유

ldquo여성 지원자가 많아서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이 영업점 일선에서 대고객 업무를 하는 분들이다 보니 서비스 마인드가 뛰어난 여성 인력을 중점적으로 뽑아왔다 최근에는 남성도 많이 뽑는 추세다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에 여성이 많고 이분들이 능력을 인정받아 정규직으로 올라오기도 하기 때문에 일반 공채도 1대1로 뽑으면남녀 비율에 불균형이 생긴다 일반 공채에서 남자 쪽을 상대적으로 많이 뽑는다고 한다rdquo

2차정규직으로 차별을 제도화했다

bull 과거의 고용관행 + 현재의 채용 성비 불균형이 결합한 결과은행이 고용한 여성 10명 중 3~4명은 2차정규직

bull 여성들이 처우와 승진 가능성이 가장 낮은 직군에 집중되고 고임금 고위직을 남성이 독식하는 구조

bull 처우나 승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은행의 5대5 고용 성비는 일종의 lsquo착시rsquo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8 gt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천장

bull 기업 내 남성 선호 문화가 근본적인 문제bull 고위직으로 승진할 수 있는 일반직 여성 채용은 처음부터7 3 으로 시작

bull 여성은 출산육아를 거치면서 육아휴직 기간동안 승진에서불이익을 받음

bull 성별을 기준으로 업무를 배분하는 경향은 여전남성 가계대출 기업금융 등 여신 외환업무여성 예금 고객관리 등 수신업무본점 주요부서나 해외주재원 선발시 남성위주 선발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벽

ldquo위에서는 인력 풀이 없다고 하는데 우리를 유리벽에 가둬두고처음부터 키우지 않는다 남자 직원들은 다양한 은행 업무를 경험한 만큼 승진 폭이 넓지만 주로 창구 상담 등 수신을 담당했던 여자 직원은 책임자로 갈수록 할 수 있는 일이 적어서 승진가능한 폭 자체가 좁다rdquo

ldquo차장이 되자마자 기업 여신 업무를 하고 싶다고 지점장에게 말했다 6개월 뒤에 하라더니 결국 맡겨주지 않았다 또 다른 지점에서도 이야기했지만 거절당했다 야근도 다 감수하겠다고 했는데도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아 허탈했다rdquo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발제1_최우미

lt 19

ldquo성차별 악순환의 고리를 끊자rdquo

지원자 성비 공개

2차정규직의 완전한 정규직화

여성 임원 할당제

남성 육아휴직 의무화

강력한 처벌 가능한 법적 근거 마련

고맙습니다

ltlt 발 제 2 gtgt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발제2_박선영

lt 23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 들어가기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은 그동안 소문으로만 무성했던 어떤 lsquo실체rsquo를 확인하게 해

주었다 KB국민은행은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남성을 채용하기 위해 남성 지원자 100여

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여성보다 높게 조작했고 KEB하나은행은 최종합격자 성비를 4(남성)1(여

성)로 정해놓고 진행하였다 신한카드는 59 대 41이던 서류 지원자 남녀 비율을 서류전형 단계부

터 7대 3으로 정하고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 시까지 해당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하였다고

한다

모집middot채용에서 퇴직middot해고에 이르는 고용상의 전 과정에서의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는 「남녀고

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이하lsquo남녀고용평등법rsquo) 이 제정된 지 3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 보장rdquo이라는 남녀고용평등법의 제정 취지

가 무색한 현실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75일 일자리위원회 middot 관계부처 합동으로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을 마련하

여 발표하였다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의 주요내용은 첫째 채용 단계별 공정성 강화한다 이를 위해 공공기

관 lsquo채용 프로세스 관리 표준 매뉴얼rsquo도입 lsquo성평등 채용가이드라인rsquo제작 및 민간 확산 등을 통해

채용 절차를 선제적으로 관리한다

둘째 채용 성차별 의심기관 감독 및 제재 강화를 강화한다 lsquo익명신고 등 모집채용 성차별 신

고센터rsquo를 운영하고 신고에서 조사 피해자 구제에 이르는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고의middot반

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 강화 등 제재 및 권리구제를 강화하기 위

한 법률 제개정을 추진한다

셋째 성평등 채용 기반 강화 및 인식 개선을 위해 성평등 채용을 위한 공공기관의 노력을 경영

평가에 반영하고 여성 채용 우수기업에 대한 공공조달 인센티브를 개선하는 등 성평등 채용에 앞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4 gt

장서는 기관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용평등 상담실 상담기능 강화 명예고용평등

감독관 제도 활성화 등 기반 강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 발표에서는 이상의 대책 내용을 포함하여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고용 상의 성차별 규제와 고용 상의 성차별 구제로 나누어 각각의 입법과제 중

심으로 살펴본다

2 고용상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가 고용에서의 성차별 규제 실효성 제고 방안

1) 모집middot채용 차별 규제 강화를 위한 입법과제

모집middot채용 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 관행을 방지하기 위한 국가의 개입은 다각도로 필요하지

만 특히 성차별적 채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남녀고용평등법」은 모집middot채용(제7

조)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

에서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아울러 고용상의 성차별금지 규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

용 상 성차별을 한 사업주를 형사 처벌하는 벌칙 규정(제37조)을 두고 있고 이 법과 관련한 분쟁

해결에서의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제30조)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과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규정을 정리하면 lt표1gt

lt표 2gt과 같다

조항 내용

제7조

(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

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

(임금)① 사업주는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 가치 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lt표 1gt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

발제2_박선영

lt 25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르면 ld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rdquo 할 경우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모집middot채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은 고용의 입구에서 발생하는 차별로서 노동의 기회와 생

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노동조건에서의 차별과 비교할 때 권리의 침해 정도와 피해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임금차별금지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지 조항과 같이 징역

형을 병과하여 처벌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의 75일 정부대책에서는 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채용을 배제한 경우 5년 이하 징역 또는 3천

만 원 이하 벌금으로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고 한다 심상정의원이 대표 발의한 남녀고용평등법 개

정안에서도 노동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의 벌금으로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조항 내용

② 동일 가치 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

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

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③ 사업주가 임금차별을 목적으로 설립한 별개의 사업은 동일한 사업으로 본다

제9조

(임금 외의 금품 등)

사업주는 임금 외에 근로자의 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금품의 지급 또는 자금의 융자 등 복리후생

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사업주는 근로자의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1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

①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의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 사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서는 아니 된다

금지규정 처벌규정 형량

제7조 제1항 모집middot채용시 차별금지

제7조 제2항 직무수행과 무관한 용모를 채용조

건으로 하는 것 금지

제37조 제4항 제1호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제9조 임금 외의 금품에서 남녀차별 금지 제37조 제4항 제2호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차별금지 제37조 제4항 제3호

제8조 제1항 동일가치노동middot동일임금 지급 제37조 제2항 제1호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제11조 제1항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

제11조 제2항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사

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 체결 금지

제37조 제1항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lt표 2gt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6 gt

블라인드 채용 정착과 성인지성 제고를 위한「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전면 개정

국가인권위원회의 ldquo2017년 구직자 대상 온라인 조사 결과rdquo1)에 따르면 구직자 중 남성 594

여성 619가 면접 시 차별의 경중에 관계없이 차별을 받았다 응답했다 면접 시 차별적 질문으

로는lsquo나이rsquo관련 질문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여성 845 남성 751) 그 다음이lsquo학

력rsquo관련 질문이다(여성736 남성 732) 나이와 학력 관련 질문으로 불쾌감을 경험한 비율은

학력(416)이 나이(3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면접 시 받는 차별적인 질문 유형에는 성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의 경우 임신 등 출산 여부

(276p) 성별(199p) 혼인 여부(119p) 나이(94p)와 관련된 질문을 받은 경험이 남성

에 비해 월등히 높아 질문 자체에 이미 성차별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런 성차별적 질문과 인식은 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부는 지난 2017년 7월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ls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블라인드 채

용 추진방안rsquo을 발표하였고 현재 공공기관 중심으로 블라인드 채용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입사지원서 양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블라인드 채용은 채용 과정에서 기회의 평등과 과정의 공정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정책이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블라인드 채용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 이르는 채용 과정 전체가 직무중심으로 변화middot발전되어야 하고 직무 중심의 채용이 보

편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블라인드 채용의 실시

및 정착을 위한 방향으로 전면 개정하여 블라인드 채용의 정착을 위한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입법 취지는 ldquo사용자가 근로자를 채용하고자 할 때 요구하

는 채용서류와 채용심사 비용은 구직자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채용시장의 관

행상 사용자가 이를 적극적으로 반환하거나 구직자의 요구에 따라 돌려주는 경우는 거의 희박하

고 근로자를 채용할 의사가 없으면서 구직자의 사업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으로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내는 등 채용과정에서 부조리가 발생하고 있는 실

정인바 사용자의 거짓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금지하고 구인자가 구직자에게 채용심사 비용을 부담

시키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며 채용서류를 반환하도록 하고 전자 접수를 장려하며 채용 일

정 지원서 접수 사실 및 합격middot불합격 여부 등을 명확히 고지하도록 하는 등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1) 최근 3년간 구직 경험이 있는 자 중 면접 단계까지 경험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면접과정에서의 차별 경험에 대해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middot도에 거주하는 만 20sim34세 남녀를 연령별로 할당하여 총

500명(유효 응답자 기준)에 대해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7월 기준 만 20sim34세 남녀 인구는 전체 10171264명이며 이 중 남성은 523(5314624명) 여성은

477(4856640명)이다 박선영 외(2017) 채용과정 차별 실태 모니터링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결과는31~63쪽

참조

발제2_박선영

lt 27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서류의 재활용을 통해 사회적 자원을 절약함과 아울러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그 권익을 보호하려는 것rdquo이다2) 이런 입법 취지는 목적 조항을 통해서도 확인된

다ldquo이 법은 채용과정에서 구직자가 제출하는 채용서류의 반환 등 채용절차에서의 최소한의 공정

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dquo(제1조)

채용절차에서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불공정한 관행을 바로 잡는 것은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위

해 필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채용과정의 불공정 관행은 절차적인 문제 해결뿐 아니라 채용 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 제거를 통해서도 바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법의 목적 조항에

채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의 제거를 포함시킴으로써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를 방지하고 직무중심 채용이 정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계에

맞는 표준양식 등을 마련하여 그 사용을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lsquo블라인드 채용을 위한

면접 가이드라인rsquo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동안은 입사지원서를 통해 불필요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서류 심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토대로 면접이 이루어졌다 반면 블라인드 채용은

입사지원서를 통해서는 성별 연령 출신대학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면접이 개인의 정보를 확인

하는 과정으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

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은 첫째 직무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면

접 방법의 다양화와 그 판단 지침 등을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 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방법

중 포트폴리오 문제해결시나리오 사례연구 평가자 질문 평가자 체크리스트 구두 발표 등이 면

접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때 각각의 면접방식에서 직무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블라인드 채용의 취지에 따라 질문해서는 안 되는 사항을 새롭게 구

성할 필요가 있다 면접위원에게 응시자의 인적정보 제공 금지 및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을 금지한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금지되는 질문 유형을 적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면접위원 구성 원칙(성별 균형원칙)과 면접위원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및 그 내용을 제공

하는 것이 요구된다

2) 국가법령정보센터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정 이유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453amplsId=ampefYd=20140121ampchrClsCd=010202ampurlMode=

lsEfInfoRampviewCls=lsRvsDocInfoR000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8 gt

2)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입법과제

OECD 국가 중 10년 넘게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성별임금격차는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OECD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의 성별임금격차(Gender Wage Gap)는 367로 35개

회원국 중 격차가 압도적으로 높다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적은 국가는 코스타리카(18) 룩셈부

르크(34) 그리스(45) 벨기에(47) 슬로베니아(50) 등으로 나타나며 우리를 제외하고

OECD국가 가운데 성별임금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에스토니아(283) 일본(257)과 비교해도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매우 크다

또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월 임금총액이 여자는 229만원 남자 341만원이며 남

녀 평균 임금격차는 약 112만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졸이상 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을 따로 살

펴보면 여자 286만원 남자 412만원으로 임금격차는 약 126만원으로 더욱 차이가 벌어진다3)

나아가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남자 정규직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은 385만원 여자 정규직노동

자 253만원 남자 비정규직노동자 183만원 여자 비정규직노동자 118만원으로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가 극심하다4)

이처럼 성별임금격차가 큰 것은 여성 노동자 개개인의 생산성이 낮기 때문이 아니라 경력단절

에 따른 남녀 간 근속년수 차이와 경력단절 후 비정규직으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해서는 나이 고용형태 등에 의해 임금이 결정

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동일임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현실화

가 필요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법정화하고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

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요구된다

현행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이하lsquo기간제법rsquo) 에 따르면 사용자는 ldquo기

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

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제8조제1항)rdquo

또한ldquo단시간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의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제2항)rdquo 여기서 말하는 차별적 처우

3) 통계청 KOSIS ldquo산업 학력 연령계층 성별 임금 및 근로조건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4) 통계청 KOSIS ldquo성별 임금 및 근로시간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발제2_박선영

lt 29

란 합리적인 이유 없이「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임금 정기상여금 명절상여금 등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경영성과에 따른 성과금 그 밖에 근로조건 및 복리후생 등에 관한

사항 등에 있어서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말한다(제2조제3호)

이와 같은 「기간제법」 에 의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등의 차별적 처우 금지는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직무와 직종이

분리되어 있고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가 큰 우리의 현실에서는 동일업무와 유사업무에 대한

차별적 처우 금지만으로 고용형태에 의한 임금차별을 시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 간의 임금차별을 실효성 있게 규제하기 위해 등장한 법리인 동일가치노동 동일임

금 원칙을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행 「기간제법」 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성별임금격차 시정을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남녀고용평등법」 은 사업주에게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가

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

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

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8조)

우리나라 대다수 기업의 임금체계는 속인적인 요소에 기초를 둔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로 동일

가치노동의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방법을 설정하기 어렵다「남녀고용평등법」 상의 lsquo기술 노력 책

임 및 작업조건 등rsquo 은 직무평가기준으로 남성 집중 직무에서 기본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라는 점

에서 이미 차별의 결과로 형성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5)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의 평가기준이 갖는 남성집중 직무중심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동 원칙

의 판단기준인 lsquo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rsquo을 능력 실제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범위 기술

및 작업조건 등으로 세분화하면서 동일가치노동 판단의 기준을 수립할 때 여성노동자 대표가 포

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6)

또한 동일임금의 확보를 위해서는 법률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원칙을 명시하는 것만으로 충

분하지 않고 노동자의 임금정보에 대한 접근권 강화 사용자의 임금정보 공개의무 강화 분쟁 시

노동자의 입증책임 완화 또는 사용자의 입증책임 강화 동일가치 노동 여부를 가리기 위한 성 중

립적이고 체계적인 직무분류 및 평가기준의 마련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자체적인 노

력 및 노사 공동의 노력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7)

5) 박선영 외(2013) 「여성middot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Ⅰ) 낙태 규제와 여성의 대표성 관련 심층 분석

및 여성middot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0쪽

6)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240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0 gt

아래와 같은 벨기에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국가의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책무와 방향 등을

규정한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하여 성평등 임금공시제8)는 물론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의 기본계획 수립(목표치 설정) 과 시행 이를 위한 추진체계 성별임금격차 실태조사 및 모니

터링 등을 명문화하여 국가의 적극적 개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벨기에는「성별임금격차와 싸우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50인

이상의 기업은 2년마다 임금구조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노사협의회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에

는 근로자대표로 구성된 위원회) 에 제공해야 하고 노사협의회는 이 보고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 단 노사협의회는 이 정보에 대해 비밀을 지켜야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는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제공한 임금 사회보장 기여금 각종 혜택에 관한 정보

가 모두 포함되어야 되어야 하고 임금 등에 관한 정보는 노동자의 지위 직무등급 근속년수 교

육middot훈련middot자격 수준별로 상세히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임금구조를 분석할 때 성 중

립적(gender neutral) 직무평가middot분류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해야 하고 분석의 결과 양성 간

임금격차가 확인되면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행동계획에는

구체적 목표 목표달성 방법 달성기한 모니터링 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9)

3)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입법과제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취지는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며 직업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근로여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rdquo이었다 즉 노동시장

에서 발생하는 직middot간접 차별의 금지와 모성보호가 주요 입법목적이었다 그러나 법 제정으로부터

30년이 경과한 현재에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주로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런 구조적 차별의 모습 중의 하나가 이른바 ldquo유리천장rdquo이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 매년 발표하는 성 격차지수(Gender Gap Index)

에서 한국은 2017년 기준 건강 및 교육영역에서 각각 0973점(1에 가까울수록 평등) 0960점으

로 거의 성평등에 이르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영역과 정치영역에서는 각각 0533

점 0134점으로 하위권 수준이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유리천장이 얼마나 강고하게 존재하는지를

7)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8) 성별임금공시제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고용정

책기본법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신용현의원 대표발의 201733) 등이 발의되어 있다

9)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4: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인사말

lt 5

남성 중심적이고 가부장적인 조직문화는 여성에 대한 배제와 고립을 강화시키며 더 복잡해지고

교묘해진 성별분업 이데올로기는 남녀임금격차와 여성비정규직화 저임금체계를 고착화하고 있

습니다 노동시장 내 만연한 고용차별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첫 단계인 채용부터 차별이 발생되는

원인을 차단하여 진입장벽을 제거하고 특정 성에게 취업 기회의 불리한 효과로 나타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문재인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차별 없는 성평등 사회와 공정사회 구현을 위해서는 채용과정

에서의 기회의 평등 과정의 평등 결과의 평등을 이루기 위한 관련법과 제도를 재정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고용평등한 노동환경에서 여성의 평등노동권을 확보하고 여성의 사회

적middot경제적 지위향상과 역량을 강화해 나갈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

아무쪼록 오늘 토론회를 통해 고용 상 성차별이 근본적으로 해소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데 다양

한 의견 개진과 지혜를 모아주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오늘 토론회에 함께 해주신 내외빈 여러분 그리고 공동주최로 참여해주신 이용득

의원님을 비롯하여 발제자와 토론자께 다시한번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고맙습니다

2018년 7월 17일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 gt

안녕하십니까 더불어민주당 이용득 의원입니다

lt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gt 토론회에 참석해주신 내외 귀빈

여러분에게 환영의 인사를 드립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시절 ld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 정의로운 결과rdquo를 약속했습니다 그리고 이

를 실현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아직 평등하고 공정한 기회가 보장되

는 사회를 이루기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벽이 높습니다

특히나 고용과정에서 암암리에 이뤄지고 있는 남녀차별은 여전히 견고한 상황입니다 최근 금

융감독원이 실시한 금융권채용비리 조사 과정에서 다수의 은행이 동일 직무임에도 남녀별 채용

인원을 다르게 정하는 등 남녀별 차등채용을 추진한 사례가 적발됐습니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금지하는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 30년이란 세월이 흘렀지만 과거 lsquo여

행원rsquo과 lsquo행원rsquo을 분리해서 차별하던 시절과 크게 달라진 게 없는 상황입니다 현재까지도 지속되

고 있는 남녀별 구조적 채용차별로 인해 금융 산업 내에서는 일반 정규직에 비해 임금과 승진이

열악한 2차 정규직의 상당수가 여성노동자입니다 2차 정규직 소위 중규직 노동자들의 등장으로

인해 노동 시장 내 성차별과 불평등이 제도적으로 고착화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에 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2차 정규직인 무기계약직 근로자들의 처우를 정규직 근로자

와 동일하게 보장하는 내용의 ldquo중규직 방지법(근로기준법 개정안)rdquo을 발의한 바 있습니다 그렇기

에 고용상의 성차별과 그로인한 제도적 불평등을 진단하는 오늘의 토론회가 더욱 각별합니다

인사말

국회의원 이 용 득

인사말

lt 7

고용상의 성차별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제안들이 오늘 토론회에서 논의되길 기대합니

다 열띤 논의를 이끌어갈 발표자와 토론자 여러분께도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저 역시 오늘의

논의를 바탕으로 노동시장에 존재하는 남녀 불평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법제 정비 등 최선의 노

력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8년 7월 17일

ltlt 발 제 1 gtgt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 실태 및 문제점

최우미 |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부위원장

발제1_최우미

lt 11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최 우 미 부위원장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실태 및 문제점

2018 7 17

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 실태

ldquo수면위로 드러나다rdquo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2 gt

KEB하나은행 사례bull 동일한 직무에 대해 남녀 채용 인원을 사전에 달리 정하

는 등 남녀차등채용을 서류전형(계량평가) 단계부터 추진

bull 2013년 하반기 채용과정에서 서류전형 단계부터 사전에4 1 남녀 비율을 정해 놓고 공개심사를 함당시 서류전형에 응시 한 지원자 성비는 13 1(남7535명여 5895명)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서류전형에서 4 1 (남1600명 여 399명) 로 선발함

bull 최종 임원면접에서는 합격권 내 여성2명을 탈락시키고 이 빈자리를 합격권 밖의 남성 2명의 순위를 상향 조정해채움 그 결과 선발된 남녀비율은 55 1 (남 104명 여19명)

bull 서울지역 여성 커트라인은 600점 만점에 467점으로 남성커트라인 419점 대비 48점 높았음

신한금융 사례bull 신입행원 채용 서류심사시 연령별로 배점을 차등화 하거나일정 연령 이상 지원자에 대해서 서류심사 대상에서 탈락시킴

bull 2016년 상반기의 경우 남자는 1988년 이전 출생자 여자는1990년 이전 출생자를 서류심사에서 탈락시킴

bull 서류지원자의 남녀 비율은 59대 41이었으나 서류전형 단계부터 남녀 채용비율을 7 3으로 정함

bull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시 이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해채용함

발제1_최우미

lt 13

KB국민은행 사례

bull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은행 측이 남성 지원자 100여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비정상적으로 여성보다 높게 줌

bull 2015년 하반기와 2016년 하반기까지 합치면 300명이 넘는 남성 지원자들 점수를 1차 서류전형 심사에서 무더기로 올림

bull 그 결과 여성 지원자의 점수는 상대적으로 낮아졌으며 이로인해 여성지원자 일부가 서류 전형에서 탈락함

ldquo신입 행원 가운데 여자가 너무 많으면 곤란해 남자를 배려하는 차원에서 올려준 것으로 조작이 아니라 조정이다rdquo

ldquo출산과 육아휴직 등 여성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전체 인력운용 차원에서 채용비율을 고려할 수 밖에 없다rdquo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건 성차별 아니냐rdquo

변명 혹은 반박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4 gt

남녀고용평등법과 일가정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제1항

ls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남녀를 차별해 채용해서는 아니 된다rsquo

HOWEVER

② 성차별 채용비리의 문제점

= ldquo구조적 차별rdquo

발제1_최우미

lt 15

과거 여행원제로 남녀차별

남성 일반직 행원으로 채용

여성 lsquo여행원rsquo으로 분리 채용하여 승진 임금 차별함

일명 성전환고시 여행원이 ldquo행원rdquo이 되려면 전환고

시에 합격해야함

금융권의 동일노동 동일임금 차별 철폐 운동으로

1993년 여행원제 폐지됨

현재 2차정규직으로 남녀차별

2차정규직의 특징 (일반정규직과 비교)

① 임금 일반정규직의 60~80 수준

② 승진 별도의 승진 체계 (콘크리트천장)

③ 업무범위 단순업무위주 (업무범위 제한있음)

④ 성비 여성이 절대다수 (876 ~ 993)

⑤ 무기계약직 준정규직 등 별도 직군화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6 gt

현재진행형 lsquo하위 직군의 여성화rsquo

bull 5대 은행 lsquo2차정규직rsquo 신규 채용 인원 중 여성 비율

883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5대 은행 직급별 여성 비율 현황

bull 2017년 9월기준

구분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KB국민은행 기업은행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부행장(전무) 15 00 12 00 20 00 16 63 15 67

본부장(상무) 54 74 72 56 41 49 39 51 28 107

지점장(부장) 1060 62 1396 81 - 00 1134 93 976 56

부지점장(부부장) 1886 124 2169 211 1622 115 3483 151 1487 221

책임자(차장과장) 4316 348 4062 461 4577 446 5189 423 3049 445

대리행원 3248 465 3207 536 4586 686 3779 693 2968 598

2차정규직 2398 993 2560 946 2436 984 2659 954 3706 876

기타 1335 414 905 934 - 00 1866 394 - 00

총인원 14312 436 14383 517 13282 585 18165 480 12229 553

출처 정의당심상정의원실

발제1_최우미

lt 17

2차정규직에 여성이 많은 이유

ldquo여성 지원자가 많아서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이 영업점 일선에서 대고객 업무를 하는 분들이다 보니 서비스 마인드가 뛰어난 여성 인력을 중점적으로 뽑아왔다 최근에는 남성도 많이 뽑는 추세다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에 여성이 많고 이분들이 능력을 인정받아 정규직으로 올라오기도 하기 때문에 일반 공채도 1대1로 뽑으면남녀 비율에 불균형이 생긴다 일반 공채에서 남자 쪽을 상대적으로 많이 뽑는다고 한다rdquo

2차정규직으로 차별을 제도화했다

bull 과거의 고용관행 + 현재의 채용 성비 불균형이 결합한 결과은행이 고용한 여성 10명 중 3~4명은 2차정규직

bull 여성들이 처우와 승진 가능성이 가장 낮은 직군에 집중되고 고임금 고위직을 남성이 독식하는 구조

bull 처우나 승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은행의 5대5 고용 성비는 일종의 lsquo착시rsquo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8 gt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천장

bull 기업 내 남성 선호 문화가 근본적인 문제bull 고위직으로 승진할 수 있는 일반직 여성 채용은 처음부터7 3 으로 시작

bull 여성은 출산육아를 거치면서 육아휴직 기간동안 승진에서불이익을 받음

bull 성별을 기준으로 업무를 배분하는 경향은 여전남성 가계대출 기업금융 등 여신 외환업무여성 예금 고객관리 등 수신업무본점 주요부서나 해외주재원 선발시 남성위주 선발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벽

ldquo위에서는 인력 풀이 없다고 하는데 우리를 유리벽에 가둬두고처음부터 키우지 않는다 남자 직원들은 다양한 은행 업무를 경험한 만큼 승진 폭이 넓지만 주로 창구 상담 등 수신을 담당했던 여자 직원은 책임자로 갈수록 할 수 있는 일이 적어서 승진가능한 폭 자체가 좁다rdquo

ldquo차장이 되자마자 기업 여신 업무를 하고 싶다고 지점장에게 말했다 6개월 뒤에 하라더니 결국 맡겨주지 않았다 또 다른 지점에서도 이야기했지만 거절당했다 야근도 다 감수하겠다고 했는데도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아 허탈했다rdquo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발제1_최우미

lt 19

ldquo성차별 악순환의 고리를 끊자rdquo

지원자 성비 공개

2차정규직의 완전한 정규직화

여성 임원 할당제

남성 육아휴직 의무화

강력한 처벌 가능한 법적 근거 마련

고맙습니다

ltlt 발 제 2 gtgt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발제2_박선영

lt 23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 들어가기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은 그동안 소문으로만 무성했던 어떤 lsquo실체rsquo를 확인하게 해

주었다 KB국민은행은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남성을 채용하기 위해 남성 지원자 100여

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여성보다 높게 조작했고 KEB하나은행은 최종합격자 성비를 4(남성)1(여

성)로 정해놓고 진행하였다 신한카드는 59 대 41이던 서류 지원자 남녀 비율을 서류전형 단계부

터 7대 3으로 정하고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 시까지 해당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하였다고

한다

모집middot채용에서 퇴직middot해고에 이르는 고용상의 전 과정에서의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는 「남녀고

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이하lsquo남녀고용평등법rsquo) 이 제정된 지 3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 보장rdquo이라는 남녀고용평등법의 제정 취지

가 무색한 현실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75일 일자리위원회 middot 관계부처 합동으로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을 마련하

여 발표하였다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의 주요내용은 첫째 채용 단계별 공정성 강화한다 이를 위해 공공기

관 lsquo채용 프로세스 관리 표준 매뉴얼rsquo도입 lsquo성평등 채용가이드라인rsquo제작 및 민간 확산 등을 통해

채용 절차를 선제적으로 관리한다

둘째 채용 성차별 의심기관 감독 및 제재 강화를 강화한다 lsquo익명신고 등 모집채용 성차별 신

고센터rsquo를 운영하고 신고에서 조사 피해자 구제에 이르는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고의middot반

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 강화 등 제재 및 권리구제를 강화하기 위

한 법률 제개정을 추진한다

셋째 성평등 채용 기반 강화 및 인식 개선을 위해 성평등 채용을 위한 공공기관의 노력을 경영

평가에 반영하고 여성 채용 우수기업에 대한 공공조달 인센티브를 개선하는 등 성평등 채용에 앞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4 gt

장서는 기관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용평등 상담실 상담기능 강화 명예고용평등

감독관 제도 활성화 등 기반 강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 발표에서는 이상의 대책 내용을 포함하여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고용 상의 성차별 규제와 고용 상의 성차별 구제로 나누어 각각의 입법과제 중

심으로 살펴본다

2 고용상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가 고용에서의 성차별 규제 실효성 제고 방안

1) 모집middot채용 차별 규제 강화를 위한 입법과제

모집middot채용 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 관행을 방지하기 위한 국가의 개입은 다각도로 필요하지

만 특히 성차별적 채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남녀고용평등법」은 모집middot채용(제7

조)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

에서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아울러 고용상의 성차별금지 규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

용 상 성차별을 한 사업주를 형사 처벌하는 벌칙 규정(제37조)을 두고 있고 이 법과 관련한 분쟁

해결에서의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제30조)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과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규정을 정리하면 lt표1gt

lt표 2gt과 같다

조항 내용

제7조

(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

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

(임금)① 사업주는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 가치 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lt표 1gt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

발제2_박선영

lt 25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르면 ld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rdquo 할 경우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모집middot채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은 고용의 입구에서 발생하는 차별로서 노동의 기회와 생

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노동조건에서의 차별과 비교할 때 권리의 침해 정도와 피해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임금차별금지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지 조항과 같이 징역

형을 병과하여 처벌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의 75일 정부대책에서는 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채용을 배제한 경우 5년 이하 징역 또는 3천

만 원 이하 벌금으로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고 한다 심상정의원이 대표 발의한 남녀고용평등법 개

정안에서도 노동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의 벌금으로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조항 내용

② 동일 가치 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

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

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③ 사업주가 임금차별을 목적으로 설립한 별개의 사업은 동일한 사업으로 본다

제9조

(임금 외의 금품 등)

사업주는 임금 외에 근로자의 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금품의 지급 또는 자금의 융자 등 복리후생

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사업주는 근로자의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1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

①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의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 사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서는 아니 된다

금지규정 처벌규정 형량

제7조 제1항 모집middot채용시 차별금지

제7조 제2항 직무수행과 무관한 용모를 채용조

건으로 하는 것 금지

제37조 제4항 제1호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제9조 임금 외의 금품에서 남녀차별 금지 제37조 제4항 제2호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차별금지 제37조 제4항 제3호

제8조 제1항 동일가치노동middot동일임금 지급 제37조 제2항 제1호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제11조 제1항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

제11조 제2항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사

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 체결 금지

제37조 제1항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lt표 2gt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6 gt

블라인드 채용 정착과 성인지성 제고를 위한「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전면 개정

국가인권위원회의 ldquo2017년 구직자 대상 온라인 조사 결과rdquo1)에 따르면 구직자 중 남성 594

여성 619가 면접 시 차별의 경중에 관계없이 차별을 받았다 응답했다 면접 시 차별적 질문으

로는lsquo나이rsquo관련 질문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여성 845 남성 751) 그 다음이lsquo학

력rsquo관련 질문이다(여성736 남성 732) 나이와 학력 관련 질문으로 불쾌감을 경험한 비율은

학력(416)이 나이(3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면접 시 받는 차별적인 질문 유형에는 성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의 경우 임신 등 출산 여부

(276p) 성별(199p) 혼인 여부(119p) 나이(94p)와 관련된 질문을 받은 경험이 남성

에 비해 월등히 높아 질문 자체에 이미 성차별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런 성차별적 질문과 인식은 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부는 지난 2017년 7월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ls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블라인드 채

용 추진방안rsquo을 발표하였고 현재 공공기관 중심으로 블라인드 채용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입사지원서 양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블라인드 채용은 채용 과정에서 기회의 평등과 과정의 공정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정책이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블라인드 채용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 이르는 채용 과정 전체가 직무중심으로 변화middot발전되어야 하고 직무 중심의 채용이 보

편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블라인드 채용의 실시

및 정착을 위한 방향으로 전면 개정하여 블라인드 채용의 정착을 위한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입법 취지는 ldquo사용자가 근로자를 채용하고자 할 때 요구하

는 채용서류와 채용심사 비용은 구직자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채용시장의 관

행상 사용자가 이를 적극적으로 반환하거나 구직자의 요구에 따라 돌려주는 경우는 거의 희박하

고 근로자를 채용할 의사가 없으면서 구직자의 사업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으로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내는 등 채용과정에서 부조리가 발생하고 있는 실

정인바 사용자의 거짓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금지하고 구인자가 구직자에게 채용심사 비용을 부담

시키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며 채용서류를 반환하도록 하고 전자 접수를 장려하며 채용 일

정 지원서 접수 사실 및 합격middot불합격 여부 등을 명확히 고지하도록 하는 등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1) 최근 3년간 구직 경험이 있는 자 중 면접 단계까지 경험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면접과정에서의 차별 경험에 대해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middot도에 거주하는 만 20sim34세 남녀를 연령별로 할당하여 총

500명(유효 응답자 기준)에 대해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7월 기준 만 20sim34세 남녀 인구는 전체 10171264명이며 이 중 남성은 523(5314624명) 여성은

477(4856640명)이다 박선영 외(2017) 채용과정 차별 실태 모니터링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결과는31~63쪽

참조

발제2_박선영

lt 27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서류의 재활용을 통해 사회적 자원을 절약함과 아울러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그 권익을 보호하려는 것rdquo이다2) 이런 입법 취지는 목적 조항을 통해서도 확인된

다ldquo이 법은 채용과정에서 구직자가 제출하는 채용서류의 반환 등 채용절차에서의 최소한의 공정

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dquo(제1조)

채용절차에서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불공정한 관행을 바로 잡는 것은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위

해 필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채용과정의 불공정 관행은 절차적인 문제 해결뿐 아니라 채용 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 제거를 통해서도 바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법의 목적 조항에

채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의 제거를 포함시킴으로써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를 방지하고 직무중심 채용이 정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계에

맞는 표준양식 등을 마련하여 그 사용을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lsquo블라인드 채용을 위한

면접 가이드라인rsquo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동안은 입사지원서를 통해 불필요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서류 심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토대로 면접이 이루어졌다 반면 블라인드 채용은

입사지원서를 통해서는 성별 연령 출신대학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면접이 개인의 정보를 확인

하는 과정으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

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은 첫째 직무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면

접 방법의 다양화와 그 판단 지침 등을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 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방법

중 포트폴리오 문제해결시나리오 사례연구 평가자 질문 평가자 체크리스트 구두 발표 등이 면

접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때 각각의 면접방식에서 직무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블라인드 채용의 취지에 따라 질문해서는 안 되는 사항을 새롭게 구

성할 필요가 있다 면접위원에게 응시자의 인적정보 제공 금지 및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을 금지한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금지되는 질문 유형을 적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면접위원 구성 원칙(성별 균형원칙)과 면접위원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및 그 내용을 제공

하는 것이 요구된다

2) 국가법령정보센터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정 이유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453amplsId=ampefYd=20140121ampchrClsCd=010202ampurlMode=

lsEfInfoRampviewCls=lsRvsDocInfoR000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8 gt

2)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입법과제

OECD 국가 중 10년 넘게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성별임금격차는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OECD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의 성별임금격차(Gender Wage Gap)는 367로 35개

회원국 중 격차가 압도적으로 높다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적은 국가는 코스타리카(18) 룩셈부

르크(34) 그리스(45) 벨기에(47) 슬로베니아(50) 등으로 나타나며 우리를 제외하고

OECD국가 가운데 성별임금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에스토니아(283) 일본(257)과 비교해도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매우 크다

또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월 임금총액이 여자는 229만원 남자 341만원이며 남

녀 평균 임금격차는 약 112만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졸이상 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을 따로 살

펴보면 여자 286만원 남자 412만원으로 임금격차는 약 126만원으로 더욱 차이가 벌어진다3)

나아가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남자 정규직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은 385만원 여자 정규직노동

자 253만원 남자 비정규직노동자 183만원 여자 비정규직노동자 118만원으로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가 극심하다4)

이처럼 성별임금격차가 큰 것은 여성 노동자 개개인의 생산성이 낮기 때문이 아니라 경력단절

에 따른 남녀 간 근속년수 차이와 경력단절 후 비정규직으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해서는 나이 고용형태 등에 의해 임금이 결정

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동일임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현실화

가 필요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법정화하고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

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요구된다

현행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이하lsquo기간제법rsquo) 에 따르면 사용자는 ldquo기

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

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제8조제1항)rdquo

또한ldquo단시간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의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제2항)rdquo 여기서 말하는 차별적 처우

3) 통계청 KOSIS ldquo산업 학력 연령계층 성별 임금 및 근로조건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4) 통계청 KOSIS ldquo성별 임금 및 근로시간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발제2_박선영

lt 29

란 합리적인 이유 없이「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임금 정기상여금 명절상여금 등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경영성과에 따른 성과금 그 밖에 근로조건 및 복리후생 등에 관한

사항 등에 있어서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말한다(제2조제3호)

이와 같은 「기간제법」 에 의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등의 차별적 처우 금지는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직무와 직종이

분리되어 있고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가 큰 우리의 현실에서는 동일업무와 유사업무에 대한

차별적 처우 금지만으로 고용형태에 의한 임금차별을 시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 간의 임금차별을 실효성 있게 규제하기 위해 등장한 법리인 동일가치노동 동일임

금 원칙을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행 「기간제법」 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성별임금격차 시정을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남녀고용평등법」 은 사업주에게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가

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

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

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8조)

우리나라 대다수 기업의 임금체계는 속인적인 요소에 기초를 둔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로 동일

가치노동의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방법을 설정하기 어렵다「남녀고용평등법」 상의 lsquo기술 노력 책

임 및 작업조건 등rsquo 은 직무평가기준으로 남성 집중 직무에서 기본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라는 점

에서 이미 차별의 결과로 형성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5)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의 평가기준이 갖는 남성집중 직무중심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동 원칙

의 판단기준인 lsquo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rsquo을 능력 실제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범위 기술

및 작업조건 등으로 세분화하면서 동일가치노동 판단의 기준을 수립할 때 여성노동자 대표가 포

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6)

또한 동일임금의 확보를 위해서는 법률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원칙을 명시하는 것만으로 충

분하지 않고 노동자의 임금정보에 대한 접근권 강화 사용자의 임금정보 공개의무 강화 분쟁 시

노동자의 입증책임 완화 또는 사용자의 입증책임 강화 동일가치 노동 여부를 가리기 위한 성 중

립적이고 체계적인 직무분류 및 평가기준의 마련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자체적인 노

력 및 노사 공동의 노력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7)

5) 박선영 외(2013) 「여성middot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Ⅰ) 낙태 규제와 여성의 대표성 관련 심층 분석

및 여성middot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0쪽

6)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240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0 gt

아래와 같은 벨기에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국가의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책무와 방향 등을

규정한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하여 성평등 임금공시제8)는 물론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의 기본계획 수립(목표치 설정) 과 시행 이를 위한 추진체계 성별임금격차 실태조사 및 모니

터링 등을 명문화하여 국가의 적극적 개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벨기에는「성별임금격차와 싸우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50인

이상의 기업은 2년마다 임금구조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노사협의회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에

는 근로자대표로 구성된 위원회) 에 제공해야 하고 노사협의회는 이 보고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 단 노사협의회는 이 정보에 대해 비밀을 지켜야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는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제공한 임금 사회보장 기여금 각종 혜택에 관한 정보

가 모두 포함되어야 되어야 하고 임금 등에 관한 정보는 노동자의 지위 직무등급 근속년수 교

육middot훈련middot자격 수준별로 상세히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임금구조를 분석할 때 성 중

립적(gender neutral) 직무평가middot분류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해야 하고 분석의 결과 양성 간

임금격차가 확인되면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행동계획에는

구체적 목표 목표달성 방법 달성기한 모니터링 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9)

3)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입법과제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취지는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며 직업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근로여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rdquo이었다 즉 노동시장

에서 발생하는 직middot간접 차별의 금지와 모성보호가 주요 입법목적이었다 그러나 법 제정으로부터

30년이 경과한 현재에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주로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런 구조적 차별의 모습 중의 하나가 이른바 ldquo유리천장rdquo이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 매년 발표하는 성 격차지수(Gender Gap Index)

에서 한국은 2017년 기준 건강 및 교육영역에서 각각 0973점(1에 가까울수록 평등) 0960점으

로 거의 성평등에 이르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영역과 정치영역에서는 각각 0533

점 0134점으로 하위권 수준이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유리천장이 얼마나 강고하게 존재하는지를

7)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8) 성별임금공시제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고용정

책기본법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신용현의원 대표발의 201733) 등이 발의되어 있다

9)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 gt

안녕하십니까 더불어민주당 이용득 의원입니다

lt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gt 토론회에 참석해주신 내외 귀빈

여러분에게 환영의 인사를 드립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시절 ld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 정의로운 결과rdquo를 약속했습니다 그리고 이

를 실현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아직 평등하고 공정한 기회가 보장되

는 사회를 이루기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벽이 높습니다

특히나 고용과정에서 암암리에 이뤄지고 있는 남녀차별은 여전히 견고한 상황입니다 최근 금

융감독원이 실시한 금융권채용비리 조사 과정에서 다수의 은행이 동일 직무임에도 남녀별 채용

인원을 다르게 정하는 등 남녀별 차등채용을 추진한 사례가 적발됐습니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금지하는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 30년이란 세월이 흘렀지만 과거 lsquo여

행원rsquo과 lsquo행원rsquo을 분리해서 차별하던 시절과 크게 달라진 게 없는 상황입니다 현재까지도 지속되

고 있는 남녀별 구조적 채용차별로 인해 금융 산업 내에서는 일반 정규직에 비해 임금과 승진이

열악한 2차 정규직의 상당수가 여성노동자입니다 2차 정규직 소위 중규직 노동자들의 등장으로

인해 노동 시장 내 성차별과 불평등이 제도적으로 고착화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에 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2차 정규직인 무기계약직 근로자들의 처우를 정규직 근로자

와 동일하게 보장하는 내용의 ldquo중규직 방지법(근로기준법 개정안)rdquo을 발의한 바 있습니다 그렇기

에 고용상의 성차별과 그로인한 제도적 불평등을 진단하는 오늘의 토론회가 더욱 각별합니다

인사말

국회의원 이 용 득

인사말

lt 7

고용상의 성차별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제안들이 오늘 토론회에서 논의되길 기대합니

다 열띤 논의를 이끌어갈 발표자와 토론자 여러분께도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저 역시 오늘의

논의를 바탕으로 노동시장에 존재하는 남녀 불평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법제 정비 등 최선의 노

력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8년 7월 17일

ltlt 발 제 1 gtgt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 실태 및 문제점

최우미 |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부위원장

발제1_최우미

lt 11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최 우 미 부위원장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실태 및 문제점

2018 7 17

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 실태

ldquo수면위로 드러나다rdquo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2 gt

KEB하나은행 사례bull 동일한 직무에 대해 남녀 채용 인원을 사전에 달리 정하

는 등 남녀차등채용을 서류전형(계량평가) 단계부터 추진

bull 2013년 하반기 채용과정에서 서류전형 단계부터 사전에4 1 남녀 비율을 정해 놓고 공개심사를 함당시 서류전형에 응시 한 지원자 성비는 13 1(남7535명여 5895명)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서류전형에서 4 1 (남1600명 여 399명) 로 선발함

bull 최종 임원면접에서는 합격권 내 여성2명을 탈락시키고 이 빈자리를 합격권 밖의 남성 2명의 순위를 상향 조정해채움 그 결과 선발된 남녀비율은 55 1 (남 104명 여19명)

bull 서울지역 여성 커트라인은 600점 만점에 467점으로 남성커트라인 419점 대비 48점 높았음

신한금융 사례bull 신입행원 채용 서류심사시 연령별로 배점을 차등화 하거나일정 연령 이상 지원자에 대해서 서류심사 대상에서 탈락시킴

bull 2016년 상반기의 경우 남자는 1988년 이전 출생자 여자는1990년 이전 출생자를 서류심사에서 탈락시킴

bull 서류지원자의 남녀 비율은 59대 41이었으나 서류전형 단계부터 남녀 채용비율을 7 3으로 정함

bull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시 이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해채용함

발제1_최우미

lt 13

KB국민은행 사례

bull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은행 측이 남성 지원자 100여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비정상적으로 여성보다 높게 줌

bull 2015년 하반기와 2016년 하반기까지 합치면 300명이 넘는 남성 지원자들 점수를 1차 서류전형 심사에서 무더기로 올림

bull 그 결과 여성 지원자의 점수는 상대적으로 낮아졌으며 이로인해 여성지원자 일부가 서류 전형에서 탈락함

ldquo신입 행원 가운데 여자가 너무 많으면 곤란해 남자를 배려하는 차원에서 올려준 것으로 조작이 아니라 조정이다rdquo

ldquo출산과 육아휴직 등 여성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전체 인력운용 차원에서 채용비율을 고려할 수 밖에 없다rdquo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건 성차별 아니냐rdquo

변명 혹은 반박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4 gt

남녀고용평등법과 일가정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제1항

ls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남녀를 차별해 채용해서는 아니 된다rsquo

HOWEVER

② 성차별 채용비리의 문제점

= ldquo구조적 차별rdquo

발제1_최우미

lt 15

과거 여행원제로 남녀차별

남성 일반직 행원으로 채용

여성 lsquo여행원rsquo으로 분리 채용하여 승진 임금 차별함

일명 성전환고시 여행원이 ldquo행원rdquo이 되려면 전환고

시에 합격해야함

금융권의 동일노동 동일임금 차별 철폐 운동으로

1993년 여행원제 폐지됨

현재 2차정규직으로 남녀차별

2차정규직의 특징 (일반정규직과 비교)

① 임금 일반정규직의 60~80 수준

② 승진 별도의 승진 체계 (콘크리트천장)

③ 업무범위 단순업무위주 (업무범위 제한있음)

④ 성비 여성이 절대다수 (876 ~ 993)

⑤ 무기계약직 준정규직 등 별도 직군화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6 gt

현재진행형 lsquo하위 직군의 여성화rsquo

bull 5대 은행 lsquo2차정규직rsquo 신규 채용 인원 중 여성 비율

883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5대 은행 직급별 여성 비율 현황

bull 2017년 9월기준

구분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KB국민은행 기업은행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부행장(전무) 15 00 12 00 20 00 16 63 15 67

본부장(상무) 54 74 72 56 41 49 39 51 28 107

지점장(부장) 1060 62 1396 81 - 00 1134 93 976 56

부지점장(부부장) 1886 124 2169 211 1622 115 3483 151 1487 221

책임자(차장과장) 4316 348 4062 461 4577 446 5189 423 3049 445

대리행원 3248 465 3207 536 4586 686 3779 693 2968 598

2차정규직 2398 993 2560 946 2436 984 2659 954 3706 876

기타 1335 414 905 934 - 00 1866 394 - 00

총인원 14312 436 14383 517 13282 585 18165 480 12229 553

출처 정의당심상정의원실

발제1_최우미

lt 17

2차정규직에 여성이 많은 이유

ldquo여성 지원자가 많아서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이 영업점 일선에서 대고객 업무를 하는 분들이다 보니 서비스 마인드가 뛰어난 여성 인력을 중점적으로 뽑아왔다 최근에는 남성도 많이 뽑는 추세다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에 여성이 많고 이분들이 능력을 인정받아 정규직으로 올라오기도 하기 때문에 일반 공채도 1대1로 뽑으면남녀 비율에 불균형이 생긴다 일반 공채에서 남자 쪽을 상대적으로 많이 뽑는다고 한다rdquo

2차정규직으로 차별을 제도화했다

bull 과거의 고용관행 + 현재의 채용 성비 불균형이 결합한 결과은행이 고용한 여성 10명 중 3~4명은 2차정규직

bull 여성들이 처우와 승진 가능성이 가장 낮은 직군에 집중되고 고임금 고위직을 남성이 독식하는 구조

bull 처우나 승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은행의 5대5 고용 성비는 일종의 lsquo착시rsquo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8 gt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천장

bull 기업 내 남성 선호 문화가 근본적인 문제bull 고위직으로 승진할 수 있는 일반직 여성 채용은 처음부터7 3 으로 시작

bull 여성은 출산육아를 거치면서 육아휴직 기간동안 승진에서불이익을 받음

bull 성별을 기준으로 업무를 배분하는 경향은 여전남성 가계대출 기업금융 등 여신 외환업무여성 예금 고객관리 등 수신업무본점 주요부서나 해외주재원 선발시 남성위주 선발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벽

ldquo위에서는 인력 풀이 없다고 하는데 우리를 유리벽에 가둬두고처음부터 키우지 않는다 남자 직원들은 다양한 은행 업무를 경험한 만큼 승진 폭이 넓지만 주로 창구 상담 등 수신을 담당했던 여자 직원은 책임자로 갈수록 할 수 있는 일이 적어서 승진가능한 폭 자체가 좁다rdquo

ldquo차장이 되자마자 기업 여신 업무를 하고 싶다고 지점장에게 말했다 6개월 뒤에 하라더니 결국 맡겨주지 않았다 또 다른 지점에서도 이야기했지만 거절당했다 야근도 다 감수하겠다고 했는데도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아 허탈했다rdquo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발제1_최우미

lt 19

ldquo성차별 악순환의 고리를 끊자rdquo

지원자 성비 공개

2차정규직의 완전한 정규직화

여성 임원 할당제

남성 육아휴직 의무화

강력한 처벌 가능한 법적 근거 마련

고맙습니다

ltlt 발 제 2 gtgt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발제2_박선영

lt 23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 들어가기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은 그동안 소문으로만 무성했던 어떤 lsquo실체rsquo를 확인하게 해

주었다 KB국민은행은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남성을 채용하기 위해 남성 지원자 100여

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여성보다 높게 조작했고 KEB하나은행은 최종합격자 성비를 4(남성)1(여

성)로 정해놓고 진행하였다 신한카드는 59 대 41이던 서류 지원자 남녀 비율을 서류전형 단계부

터 7대 3으로 정하고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 시까지 해당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하였다고

한다

모집middot채용에서 퇴직middot해고에 이르는 고용상의 전 과정에서의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는 「남녀고

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이하lsquo남녀고용평등법rsquo) 이 제정된 지 3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 보장rdquo이라는 남녀고용평등법의 제정 취지

가 무색한 현실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75일 일자리위원회 middot 관계부처 합동으로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을 마련하

여 발표하였다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의 주요내용은 첫째 채용 단계별 공정성 강화한다 이를 위해 공공기

관 lsquo채용 프로세스 관리 표준 매뉴얼rsquo도입 lsquo성평등 채용가이드라인rsquo제작 및 민간 확산 등을 통해

채용 절차를 선제적으로 관리한다

둘째 채용 성차별 의심기관 감독 및 제재 강화를 강화한다 lsquo익명신고 등 모집채용 성차별 신

고센터rsquo를 운영하고 신고에서 조사 피해자 구제에 이르는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고의middot반

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 강화 등 제재 및 권리구제를 강화하기 위

한 법률 제개정을 추진한다

셋째 성평등 채용 기반 강화 및 인식 개선을 위해 성평등 채용을 위한 공공기관의 노력을 경영

평가에 반영하고 여성 채용 우수기업에 대한 공공조달 인센티브를 개선하는 등 성평등 채용에 앞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4 gt

장서는 기관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용평등 상담실 상담기능 강화 명예고용평등

감독관 제도 활성화 등 기반 강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 발표에서는 이상의 대책 내용을 포함하여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고용 상의 성차별 규제와 고용 상의 성차별 구제로 나누어 각각의 입법과제 중

심으로 살펴본다

2 고용상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가 고용에서의 성차별 규제 실효성 제고 방안

1) 모집middot채용 차별 규제 강화를 위한 입법과제

모집middot채용 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 관행을 방지하기 위한 국가의 개입은 다각도로 필요하지

만 특히 성차별적 채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남녀고용평등법」은 모집middot채용(제7

조)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

에서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아울러 고용상의 성차별금지 규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

용 상 성차별을 한 사업주를 형사 처벌하는 벌칙 규정(제37조)을 두고 있고 이 법과 관련한 분쟁

해결에서의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제30조)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과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규정을 정리하면 lt표1gt

lt표 2gt과 같다

조항 내용

제7조

(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

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

(임금)① 사업주는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 가치 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lt표 1gt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

발제2_박선영

lt 25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르면 ld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rdquo 할 경우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모집middot채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은 고용의 입구에서 발생하는 차별로서 노동의 기회와 생

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노동조건에서의 차별과 비교할 때 권리의 침해 정도와 피해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임금차별금지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지 조항과 같이 징역

형을 병과하여 처벌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의 75일 정부대책에서는 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채용을 배제한 경우 5년 이하 징역 또는 3천

만 원 이하 벌금으로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고 한다 심상정의원이 대표 발의한 남녀고용평등법 개

정안에서도 노동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의 벌금으로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조항 내용

② 동일 가치 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

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

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③ 사업주가 임금차별을 목적으로 설립한 별개의 사업은 동일한 사업으로 본다

제9조

(임금 외의 금품 등)

사업주는 임금 외에 근로자의 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금품의 지급 또는 자금의 융자 등 복리후생

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사업주는 근로자의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1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

①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의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 사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서는 아니 된다

금지규정 처벌규정 형량

제7조 제1항 모집middot채용시 차별금지

제7조 제2항 직무수행과 무관한 용모를 채용조

건으로 하는 것 금지

제37조 제4항 제1호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제9조 임금 외의 금품에서 남녀차별 금지 제37조 제4항 제2호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차별금지 제37조 제4항 제3호

제8조 제1항 동일가치노동middot동일임금 지급 제37조 제2항 제1호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제11조 제1항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

제11조 제2항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사

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 체결 금지

제37조 제1항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lt표 2gt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6 gt

블라인드 채용 정착과 성인지성 제고를 위한「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전면 개정

국가인권위원회의 ldquo2017년 구직자 대상 온라인 조사 결과rdquo1)에 따르면 구직자 중 남성 594

여성 619가 면접 시 차별의 경중에 관계없이 차별을 받았다 응답했다 면접 시 차별적 질문으

로는lsquo나이rsquo관련 질문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여성 845 남성 751) 그 다음이lsquo학

력rsquo관련 질문이다(여성736 남성 732) 나이와 학력 관련 질문으로 불쾌감을 경험한 비율은

학력(416)이 나이(3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면접 시 받는 차별적인 질문 유형에는 성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의 경우 임신 등 출산 여부

(276p) 성별(199p) 혼인 여부(119p) 나이(94p)와 관련된 질문을 받은 경험이 남성

에 비해 월등히 높아 질문 자체에 이미 성차별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런 성차별적 질문과 인식은 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부는 지난 2017년 7월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ls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블라인드 채

용 추진방안rsquo을 발표하였고 현재 공공기관 중심으로 블라인드 채용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입사지원서 양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블라인드 채용은 채용 과정에서 기회의 평등과 과정의 공정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정책이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블라인드 채용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 이르는 채용 과정 전체가 직무중심으로 변화middot발전되어야 하고 직무 중심의 채용이 보

편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블라인드 채용의 실시

및 정착을 위한 방향으로 전면 개정하여 블라인드 채용의 정착을 위한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입법 취지는 ldquo사용자가 근로자를 채용하고자 할 때 요구하

는 채용서류와 채용심사 비용은 구직자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채용시장의 관

행상 사용자가 이를 적극적으로 반환하거나 구직자의 요구에 따라 돌려주는 경우는 거의 희박하

고 근로자를 채용할 의사가 없으면서 구직자의 사업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으로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내는 등 채용과정에서 부조리가 발생하고 있는 실

정인바 사용자의 거짓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금지하고 구인자가 구직자에게 채용심사 비용을 부담

시키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며 채용서류를 반환하도록 하고 전자 접수를 장려하며 채용 일

정 지원서 접수 사실 및 합격middot불합격 여부 등을 명확히 고지하도록 하는 등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1) 최근 3년간 구직 경험이 있는 자 중 면접 단계까지 경험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면접과정에서의 차별 경험에 대해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middot도에 거주하는 만 20sim34세 남녀를 연령별로 할당하여 총

500명(유효 응답자 기준)에 대해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7월 기준 만 20sim34세 남녀 인구는 전체 10171264명이며 이 중 남성은 523(5314624명) 여성은

477(4856640명)이다 박선영 외(2017) 채용과정 차별 실태 모니터링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결과는31~63쪽

참조

발제2_박선영

lt 27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서류의 재활용을 통해 사회적 자원을 절약함과 아울러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그 권익을 보호하려는 것rdquo이다2) 이런 입법 취지는 목적 조항을 통해서도 확인된

다ldquo이 법은 채용과정에서 구직자가 제출하는 채용서류의 반환 등 채용절차에서의 최소한의 공정

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dquo(제1조)

채용절차에서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불공정한 관행을 바로 잡는 것은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위

해 필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채용과정의 불공정 관행은 절차적인 문제 해결뿐 아니라 채용 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 제거를 통해서도 바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법의 목적 조항에

채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의 제거를 포함시킴으로써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를 방지하고 직무중심 채용이 정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계에

맞는 표준양식 등을 마련하여 그 사용을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lsquo블라인드 채용을 위한

면접 가이드라인rsquo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동안은 입사지원서를 통해 불필요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서류 심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토대로 면접이 이루어졌다 반면 블라인드 채용은

입사지원서를 통해서는 성별 연령 출신대학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면접이 개인의 정보를 확인

하는 과정으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

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은 첫째 직무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면

접 방법의 다양화와 그 판단 지침 등을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 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방법

중 포트폴리오 문제해결시나리오 사례연구 평가자 질문 평가자 체크리스트 구두 발표 등이 면

접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때 각각의 면접방식에서 직무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블라인드 채용의 취지에 따라 질문해서는 안 되는 사항을 새롭게 구

성할 필요가 있다 면접위원에게 응시자의 인적정보 제공 금지 및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을 금지한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금지되는 질문 유형을 적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면접위원 구성 원칙(성별 균형원칙)과 면접위원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및 그 내용을 제공

하는 것이 요구된다

2) 국가법령정보센터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정 이유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453amplsId=ampefYd=20140121ampchrClsCd=010202ampurlMode=

lsEfInfoRampviewCls=lsRvsDocInfoR000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8 gt

2)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입법과제

OECD 국가 중 10년 넘게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성별임금격차는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OECD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의 성별임금격차(Gender Wage Gap)는 367로 35개

회원국 중 격차가 압도적으로 높다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적은 국가는 코스타리카(18) 룩셈부

르크(34) 그리스(45) 벨기에(47) 슬로베니아(50) 등으로 나타나며 우리를 제외하고

OECD국가 가운데 성별임금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에스토니아(283) 일본(257)과 비교해도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매우 크다

또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월 임금총액이 여자는 229만원 남자 341만원이며 남

녀 평균 임금격차는 약 112만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졸이상 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을 따로 살

펴보면 여자 286만원 남자 412만원으로 임금격차는 약 126만원으로 더욱 차이가 벌어진다3)

나아가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남자 정규직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은 385만원 여자 정규직노동

자 253만원 남자 비정규직노동자 183만원 여자 비정규직노동자 118만원으로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가 극심하다4)

이처럼 성별임금격차가 큰 것은 여성 노동자 개개인의 생산성이 낮기 때문이 아니라 경력단절

에 따른 남녀 간 근속년수 차이와 경력단절 후 비정규직으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해서는 나이 고용형태 등에 의해 임금이 결정

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동일임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현실화

가 필요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법정화하고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

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요구된다

현행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이하lsquo기간제법rsquo) 에 따르면 사용자는 ldquo기

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

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제8조제1항)rdquo

또한ldquo단시간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의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제2항)rdquo 여기서 말하는 차별적 처우

3) 통계청 KOSIS ldquo산업 학력 연령계층 성별 임금 및 근로조건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4) 통계청 KOSIS ldquo성별 임금 및 근로시간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발제2_박선영

lt 29

란 합리적인 이유 없이「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임금 정기상여금 명절상여금 등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경영성과에 따른 성과금 그 밖에 근로조건 및 복리후생 등에 관한

사항 등에 있어서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말한다(제2조제3호)

이와 같은 「기간제법」 에 의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등의 차별적 처우 금지는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직무와 직종이

분리되어 있고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가 큰 우리의 현실에서는 동일업무와 유사업무에 대한

차별적 처우 금지만으로 고용형태에 의한 임금차별을 시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 간의 임금차별을 실효성 있게 규제하기 위해 등장한 법리인 동일가치노동 동일임

금 원칙을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행 「기간제법」 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성별임금격차 시정을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남녀고용평등법」 은 사업주에게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가

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

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

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8조)

우리나라 대다수 기업의 임금체계는 속인적인 요소에 기초를 둔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로 동일

가치노동의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방법을 설정하기 어렵다「남녀고용평등법」 상의 lsquo기술 노력 책

임 및 작업조건 등rsquo 은 직무평가기준으로 남성 집중 직무에서 기본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라는 점

에서 이미 차별의 결과로 형성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5)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의 평가기준이 갖는 남성집중 직무중심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동 원칙

의 판단기준인 lsquo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rsquo을 능력 실제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범위 기술

및 작업조건 등으로 세분화하면서 동일가치노동 판단의 기준을 수립할 때 여성노동자 대표가 포

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6)

또한 동일임금의 확보를 위해서는 법률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원칙을 명시하는 것만으로 충

분하지 않고 노동자의 임금정보에 대한 접근권 강화 사용자의 임금정보 공개의무 강화 분쟁 시

노동자의 입증책임 완화 또는 사용자의 입증책임 강화 동일가치 노동 여부를 가리기 위한 성 중

립적이고 체계적인 직무분류 및 평가기준의 마련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자체적인 노

력 및 노사 공동의 노력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7)

5) 박선영 외(2013) 「여성middot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Ⅰ) 낙태 규제와 여성의 대표성 관련 심층 분석

및 여성middot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0쪽

6)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240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0 gt

아래와 같은 벨기에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국가의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책무와 방향 등을

규정한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하여 성평등 임금공시제8)는 물론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의 기본계획 수립(목표치 설정) 과 시행 이를 위한 추진체계 성별임금격차 실태조사 및 모니

터링 등을 명문화하여 국가의 적극적 개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벨기에는「성별임금격차와 싸우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50인

이상의 기업은 2년마다 임금구조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노사협의회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에

는 근로자대표로 구성된 위원회) 에 제공해야 하고 노사협의회는 이 보고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 단 노사협의회는 이 정보에 대해 비밀을 지켜야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는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제공한 임금 사회보장 기여금 각종 혜택에 관한 정보

가 모두 포함되어야 되어야 하고 임금 등에 관한 정보는 노동자의 지위 직무등급 근속년수 교

육middot훈련middot자격 수준별로 상세히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임금구조를 분석할 때 성 중

립적(gender neutral) 직무평가middot분류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해야 하고 분석의 결과 양성 간

임금격차가 확인되면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행동계획에는

구체적 목표 목표달성 방법 달성기한 모니터링 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9)

3)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입법과제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취지는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며 직업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근로여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rdquo이었다 즉 노동시장

에서 발생하는 직middot간접 차별의 금지와 모성보호가 주요 입법목적이었다 그러나 법 제정으로부터

30년이 경과한 현재에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주로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런 구조적 차별의 모습 중의 하나가 이른바 ldquo유리천장rdquo이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 매년 발표하는 성 격차지수(Gender Gap Index)

에서 한국은 2017년 기준 건강 및 교육영역에서 각각 0973점(1에 가까울수록 평등) 0960점으

로 거의 성평등에 이르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영역과 정치영역에서는 각각 0533

점 0134점으로 하위권 수준이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유리천장이 얼마나 강고하게 존재하는지를

7)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8) 성별임금공시제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고용정

책기본법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신용현의원 대표발의 201733) 등이 발의되어 있다

9)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6: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인사말

lt 7

고용상의 성차별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제안들이 오늘 토론회에서 논의되길 기대합니

다 열띤 논의를 이끌어갈 발표자와 토론자 여러분께도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저 역시 오늘의

논의를 바탕으로 노동시장에 존재하는 남녀 불평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법제 정비 등 최선의 노

력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8년 7월 17일

ltlt 발 제 1 gtgt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 실태 및 문제점

최우미 |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부위원장

발제1_최우미

lt 11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최 우 미 부위원장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실태 및 문제점

2018 7 17

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 실태

ldquo수면위로 드러나다rdquo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2 gt

KEB하나은행 사례bull 동일한 직무에 대해 남녀 채용 인원을 사전에 달리 정하

는 등 남녀차등채용을 서류전형(계량평가) 단계부터 추진

bull 2013년 하반기 채용과정에서 서류전형 단계부터 사전에4 1 남녀 비율을 정해 놓고 공개심사를 함당시 서류전형에 응시 한 지원자 성비는 13 1(남7535명여 5895명)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서류전형에서 4 1 (남1600명 여 399명) 로 선발함

bull 최종 임원면접에서는 합격권 내 여성2명을 탈락시키고 이 빈자리를 합격권 밖의 남성 2명의 순위를 상향 조정해채움 그 결과 선발된 남녀비율은 55 1 (남 104명 여19명)

bull 서울지역 여성 커트라인은 600점 만점에 467점으로 남성커트라인 419점 대비 48점 높았음

신한금융 사례bull 신입행원 채용 서류심사시 연령별로 배점을 차등화 하거나일정 연령 이상 지원자에 대해서 서류심사 대상에서 탈락시킴

bull 2016년 상반기의 경우 남자는 1988년 이전 출생자 여자는1990년 이전 출생자를 서류심사에서 탈락시킴

bull 서류지원자의 남녀 비율은 59대 41이었으나 서류전형 단계부터 남녀 채용비율을 7 3으로 정함

bull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시 이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해채용함

발제1_최우미

lt 13

KB국민은행 사례

bull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은행 측이 남성 지원자 100여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비정상적으로 여성보다 높게 줌

bull 2015년 하반기와 2016년 하반기까지 합치면 300명이 넘는 남성 지원자들 점수를 1차 서류전형 심사에서 무더기로 올림

bull 그 결과 여성 지원자의 점수는 상대적으로 낮아졌으며 이로인해 여성지원자 일부가 서류 전형에서 탈락함

ldquo신입 행원 가운데 여자가 너무 많으면 곤란해 남자를 배려하는 차원에서 올려준 것으로 조작이 아니라 조정이다rdquo

ldquo출산과 육아휴직 등 여성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전체 인력운용 차원에서 채용비율을 고려할 수 밖에 없다rdquo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건 성차별 아니냐rdquo

변명 혹은 반박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4 gt

남녀고용평등법과 일가정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제1항

ls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남녀를 차별해 채용해서는 아니 된다rsquo

HOWEVER

② 성차별 채용비리의 문제점

= ldquo구조적 차별rdquo

발제1_최우미

lt 15

과거 여행원제로 남녀차별

남성 일반직 행원으로 채용

여성 lsquo여행원rsquo으로 분리 채용하여 승진 임금 차별함

일명 성전환고시 여행원이 ldquo행원rdquo이 되려면 전환고

시에 합격해야함

금융권의 동일노동 동일임금 차별 철폐 운동으로

1993년 여행원제 폐지됨

현재 2차정규직으로 남녀차별

2차정규직의 특징 (일반정규직과 비교)

① 임금 일반정규직의 60~80 수준

② 승진 별도의 승진 체계 (콘크리트천장)

③ 업무범위 단순업무위주 (업무범위 제한있음)

④ 성비 여성이 절대다수 (876 ~ 993)

⑤ 무기계약직 준정규직 등 별도 직군화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6 gt

현재진행형 lsquo하위 직군의 여성화rsquo

bull 5대 은행 lsquo2차정규직rsquo 신규 채용 인원 중 여성 비율

883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5대 은행 직급별 여성 비율 현황

bull 2017년 9월기준

구분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KB국민은행 기업은행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부행장(전무) 15 00 12 00 20 00 16 63 15 67

본부장(상무) 54 74 72 56 41 49 39 51 28 107

지점장(부장) 1060 62 1396 81 - 00 1134 93 976 56

부지점장(부부장) 1886 124 2169 211 1622 115 3483 151 1487 221

책임자(차장과장) 4316 348 4062 461 4577 446 5189 423 3049 445

대리행원 3248 465 3207 536 4586 686 3779 693 2968 598

2차정규직 2398 993 2560 946 2436 984 2659 954 3706 876

기타 1335 414 905 934 - 00 1866 394 - 00

총인원 14312 436 14383 517 13282 585 18165 480 12229 553

출처 정의당심상정의원실

발제1_최우미

lt 17

2차정규직에 여성이 많은 이유

ldquo여성 지원자가 많아서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이 영업점 일선에서 대고객 업무를 하는 분들이다 보니 서비스 마인드가 뛰어난 여성 인력을 중점적으로 뽑아왔다 최근에는 남성도 많이 뽑는 추세다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에 여성이 많고 이분들이 능력을 인정받아 정규직으로 올라오기도 하기 때문에 일반 공채도 1대1로 뽑으면남녀 비율에 불균형이 생긴다 일반 공채에서 남자 쪽을 상대적으로 많이 뽑는다고 한다rdquo

2차정규직으로 차별을 제도화했다

bull 과거의 고용관행 + 현재의 채용 성비 불균형이 결합한 결과은행이 고용한 여성 10명 중 3~4명은 2차정규직

bull 여성들이 처우와 승진 가능성이 가장 낮은 직군에 집중되고 고임금 고위직을 남성이 독식하는 구조

bull 처우나 승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은행의 5대5 고용 성비는 일종의 lsquo착시rsquo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8 gt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천장

bull 기업 내 남성 선호 문화가 근본적인 문제bull 고위직으로 승진할 수 있는 일반직 여성 채용은 처음부터7 3 으로 시작

bull 여성은 출산육아를 거치면서 육아휴직 기간동안 승진에서불이익을 받음

bull 성별을 기준으로 업무를 배분하는 경향은 여전남성 가계대출 기업금융 등 여신 외환업무여성 예금 고객관리 등 수신업무본점 주요부서나 해외주재원 선발시 남성위주 선발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벽

ldquo위에서는 인력 풀이 없다고 하는데 우리를 유리벽에 가둬두고처음부터 키우지 않는다 남자 직원들은 다양한 은행 업무를 경험한 만큼 승진 폭이 넓지만 주로 창구 상담 등 수신을 담당했던 여자 직원은 책임자로 갈수록 할 수 있는 일이 적어서 승진가능한 폭 자체가 좁다rdquo

ldquo차장이 되자마자 기업 여신 업무를 하고 싶다고 지점장에게 말했다 6개월 뒤에 하라더니 결국 맡겨주지 않았다 또 다른 지점에서도 이야기했지만 거절당했다 야근도 다 감수하겠다고 했는데도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아 허탈했다rdquo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발제1_최우미

lt 19

ldquo성차별 악순환의 고리를 끊자rdquo

지원자 성비 공개

2차정규직의 완전한 정규직화

여성 임원 할당제

남성 육아휴직 의무화

강력한 처벌 가능한 법적 근거 마련

고맙습니다

ltlt 발 제 2 gtgt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발제2_박선영

lt 23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 들어가기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은 그동안 소문으로만 무성했던 어떤 lsquo실체rsquo를 확인하게 해

주었다 KB국민은행은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남성을 채용하기 위해 남성 지원자 100여

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여성보다 높게 조작했고 KEB하나은행은 최종합격자 성비를 4(남성)1(여

성)로 정해놓고 진행하였다 신한카드는 59 대 41이던 서류 지원자 남녀 비율을 서류전형 단계부

터 7대 3으로 정하고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 시까지 해당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하였다고

한다

모집middot채용에서 퇴직middot해고에 이르는 고용상의 전 과정에서의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는 「남녀고

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이하lsquo남녀고용평등법rsquo) 이 제정된 지 3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 보장rdquo이라는 남녀고용평등법의 제정 취지

가 무색한 현실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75일 일자리위원회 middot 관계부처 합동으로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을 마련하

여 발표하였다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의 주요내용은 첫째 채용 단계별 공정성 강화한다 이를 위해 공공기

관 lsquo채용 프로세스 관리 표준 매뉴얼rsquo도입 lsquo성평등 채용가이드라인rsquo제작 및 민간 확산 등을 통해

채용 절차를 선제적으로 관리한다

둘째 채용 성차별 의심기관 감독 및 제재 강화를 강화한다 lsquo익명신고 등 모집채용 성차별 신

고센터rsquo를 운영하고 신고에서 조사 피해자 구제에 이르는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고의middot반

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 강화 등 제재 및 권리구제를 강화하기 위

한 법률 제개정을 추진한다

셋째 성평등 채용 기반 강화 및 인식 개선을 위해 성평등 채용을 위한 공공기관의 노력을 경영

평가에 반영하고 여성 채용 우수기업에 대한 공공조달 인센티브를 개선하는 등 성평등 채용에 앞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4 gt

장서는 기관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용평등 상담실 상담기능 강화 명예고용평등

감독관 제도 활성화 등 기반 강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 발표에서는 이상의 대책 내용을 포함하여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고용 상의 성차별 규제와 고용 상의 성차별 구제로 나누어 각각의 입법과제 중

심으로 살펴본다

2 고용상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가 고용에서의 성차별 규제 실효성 제고 방안

1) 모집middot채용 차별 규제 강화를 위한 입법과제

모집middot채용 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 관행을 방지하기 위한 국가의 개입은 다각도로 필요하지

만 특히 성차별적 채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남녀고용평등법」은 모집middot채용(제7

조)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

에서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아울러 고용상의 성차별금지 규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

용 상 성차별을 한 사업주를 형사 처벌하는 벌칙 규정(제37조)을 두고 있고 이 법과 관련한 분쟁

해결에서의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제30조)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과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규정을 정리하면 lt표1gt

lt표 2gt과 같다

조항 내용

제7조

(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

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

(임금)① 사업주는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 가치 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lt표 1gt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

발제2_박선영

lt 25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르면 ld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rdquo 할 경우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모집middot채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은 고용의 입구에서 발생하는 차별로서 노동의 기회와 생

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노동조건에서의 차별과 비교할 때 권리의 침해 정도와 피해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임금차별금지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지 조항과 같이 징역

형을 병과하여 처벌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의 75일 정부대책에서는 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채용을 배제한 경우 5년 이하 징역 또는 3천

만 원 이하 벌금으로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고 한다 심상정의원이 대표 발의한 남녀고용평등법 개

정안에서도 노동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의 벌금으로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조항 내용

② 동일 가치 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

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

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③ 사업주가 임금차별을 목적으로 설립한 별개의 사업은 동일한 사업으로 본다

제9조

(임금 외의 금품 등)

사업주는 임금 외에 근로자의 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금품의 지급 또는 자금의 융자 등 복리후생

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사업주는 근로자의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1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

①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의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 사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서는 아니 된다

금지규정 처벌규정 형량

제7조 제1항 모집middot채용시 차별금지

제7조 제2항 직무수행과 무관한 용모를 채용조

건으로 하는 것 금지

제37조 제4항 제1호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제9조 임금 외의 금품에서 남녀차별 금지 제37조 제4항 제2호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차별금지 제37조 제4항 제3호

제8조 제1항 동일가치노동middot동일임금 지급 제37조 제2항 제1호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제11조 제1항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

제11조 제2항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사

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 체결 금지

제37조 제1항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lt표 2gt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6 gt

블라인드 채용 정착과 성인지성 제고를 위한「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전면 개정

국가인권위원회의 ldquo2017년 구직자 대상 온라인 조사 결과rdquo1)에 따르면 구직자 중 남성 594

여성 619가 면접 시 차별의 경중에 관계없이 차별을 받았다 응답했다 면접 시 차별적 질문으

로는lsquo나이rsquo관련 질문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여성 845 남성 751) 그 다음이lsquo학

력rsquo관련 질문이다(여성736 남성 732) 나이와 학력 관련 질문으로 불쾌감을 경험한 비율은

학력(416)이 나이(3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면접 시 받는 차별적인 질문 유형에는 성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의 경우 임신 등 출산 여부

(276p) 성별(199p) 혼인 여부(119p) 나이(94p)와 관련된 질문을 받은 경험이 남성

에 비해 월등히 높아 질문 자체에 이미 성차별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런 성차별적 질문과 인식은 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부는 지난 2017년 7월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ls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블라인드 채

용 추진방안rsquo을 발표하였고 현재 공공기관 중심으로 블라인드 채용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입사지원서 양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블라인드 채용은 채용 과정에서 기회의 평등과 과정의 공정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정책이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블라인드 채용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 이르는 채용 과정 전체가 직무중심으로 변화middot발전되어야 하고 직무 중심의 채용이 보

편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블라인드 채용의 실시

및 정착을 위한 방향으로 전면 개정하여 블라인드 채용의 정착을 위한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입법 취지는 ldquo사용자가 근로자를 채용하고자 할 때 요구하

는 채용서류와 채용심사 비용은 구직자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채용시장의 관

행상 사용자가 이를 적극적으로 반환하거나 구직자의 요구에 따라 돌려주는 경우는 거의 희박하

고 근로자를 채용할 의사가 없으면서 구직자의 사업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으로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내는 등 채용과정에서 부조리가 발생하고 있는 실

정인바 사용자의 거짓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금지하고 구인자가 구직자에게 채용심사 비용을 부담

시키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며 채용서류를 반환하도록 하고 전자 접수를 장려하며 채용 일

정 지원서 접수 사실 및 합격middot불합격 여부 등을 명확히 고지하도록 하는 등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1) 최근 3년간 구직 경험이 있는 자 중 면접 단계까지 경험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면접과정에서의 차별 경험에 대해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middot도에 거주하는 만 20sim34세 남녀를 연령별로 할당하여 총

500명(유효 응답자 기준)에 대해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7월 기준 만 20sim34세 남녀 인구는 전체 10171264명이며 이 중 남성은 523(5314624명) 여성은

477(4856640명)이다 박선영 외(2017) 채용과정 차별 실태 모니터링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결과는31~63쪽

참조

발제2_박선영

lt 27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서류의 재활용을 통해 사회적 자원을 절약함과 아울러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그 권익을 보호하려는 것rdquo이다2) 이런 입법 취지는 목적 조항을 통해서도 확인된

다ldquo이 법은 채용과정에서 구직자가 제출하는 채용서류의 반환 등 채용절차에서의 최소한의 공정

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dquo(제1조)

채용절차에서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불공정한 관행을 바로 잡는 것은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위

해 필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채용과정의 불공정 관행은 절차적인 문제 해결뿐 아니라 채용 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 제거를 통해서도 바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법의 목적 조항에

채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의 제거를 포함시킴으로써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를 방지하고 직무중심 채용이 정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계에

맞는 표준양식 등을 마련하여 그 사용을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lsquo블라인드 채용을 위한

면접 가이드라인rsquo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동안은 입사지원서를 통해 불필요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서류 심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토대로 면접이 이루어졌다 반면 블라인드 채용은

입사지원서를 통해서는 성별 연령 출신대학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면접이 개인의 정보를 확인

하는 과정으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

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은 첫째 직무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면

접 방법의 다양화와 그 판단 지침 등을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 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방법

중 포트폴리오 문제해결시나리오 사례연구 평가자 질문 평가자 체크리스트 구두 발표 등이 면

접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때 각각의 면접방식에서 직무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블라인드 채용의 취지에 따라 질문해서는 안 되는 사항을 새롭게 구

성할 필요가 있다 면접위원에게 응시자의 인적정보 제공 금지 및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을 금지한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금지되는 질문 유형을 적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면접위원 구성 원칙(성별 균형원칙)과 면접위원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및 그 내용을 제공

하는 것이 요구된다

2) 국가법령정보센터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정 이유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453amplsId=ampefYd=20140121ampchrClsCd=010202ampurlMode=

lsEfInfoRampviewCls=lsRvsDocInfoR000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8 gt

2)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입법과제

OECD 국가 중 10년 넘게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성별임금격차는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OECD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의 성별임금격차(Gender Wage Gap)는 367로 35개

회원국 중 격차가 압도적으로 높다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적은 국가는 코스타리카(18) 룩셈부

르크(34) 그리스(45) 벨기에(47) 슬로베니아(50) 등으로 나타나며 우리를 제외하고

OECD국가 가운데 성별임금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에스토니아(283) 일본(257)과 비교해도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매우 크다

또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월 임금총액이 여자는 229만원 남자 341만원이며 남

녀 평균 임금격차는 약 112만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졸이상 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을 따로 살

펴보면 여자 286만원 남자 412만원으로 임금격차는 약 126만원으로 더욱 차이가 벌어진다3)

나아가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남자 정규직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은 385만원 여자 정규직노동

자 253만원 남자 비정규직노동자 183만원 여자 비정규직노동자 118만원으로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가 극심하다4)

이처럼 성별임금격차가 큰 것은 여성 노동자 개개인의 생산성이 낮기 때문이 아니라 경력단절

에 따른 남녀 간 근속년수 차이와 경력단절 후 비정규직으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해서는 나이 고용형태 등에 의해 임금이 결정

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동일임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현실화

가 필요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법정화하고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

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요구된다

현행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이하lsquo기간제법rsquo) 에 따르면 사용자는 ldquo기

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

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제8조제1항)rdquo

또한ldquo단시간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의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제2항)rdquo 여기서 말하는 차별적 처우

3) 통계청 KOSIS ldquo산업 학력 연령계층 성별 임금 및 근로조건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4) 통계청 KOSIS ldquo성별 임금 및 근로시간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발제2_박선영

lt 29

란 합리적인 이유 없이「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임금 정기상여금 명절상여금 등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경영성과에 따른 성과금 그 밖에 근로조건 및 복리후생 등에 관한

사항 등에 있어서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말한다(제2조제3호)

이와 같은 「기간제법」 에 의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등의 차별적 처우 금지는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직무와 직종이

분리되어 있고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가 큰 우리의 현실에서는 동일업무와 유사업무에 대한

차별적 처우 금지만으로 고용형태에 의한 임금차별을 시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 간의 임금차별을 실효성 있게 규제하기 위해 등장한 법리인 동일가치노동 동일임

금 원칙을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행 「기간제법」 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성별임금격차 시정을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남녀고용평등법」 은 사업주에게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가

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

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

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8조)

우리나라 대다수 기업의 임금체계는 속인적인 요소에 기초를 둔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로 동일

가치노동의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방법을 설정하기 어렵다「남녀고용평등법」 상의 lsquo기술 노력 책

임 및 작업조건 등rsquo 은 직무평가기준으로 남성 집중 직무에서 기본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라는 점

에서 이미 차별의 결과로 형성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5)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의 평가기준이 갖는 남성집중 직무중심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동 원칙

의 판단기준인 lsquo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rsquo을 능력 실제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범위 기술

및 작업조건 등으로 세분화하면서 동일가치노동 판단의 기준을 수립할 때 여성노동자 대표가 포

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6)

또한 동일임금의 확보를 위해서는 법률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원칙을 명시하는 것만으로 충

분하지 않고 노동자의 임금정보에 대한 접근권 강화 사용자의 임금정보 공개의무 강화 분쟁 시

노동자의 입증책임 완화 또는 사용자의 입증책임 강화 동일가치 노동 여부를 가리기 위한 성 중

립적이고 체계적인 직무분류 및 평가기준의 마련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자체적인 노

력 및 노사 공동의 노력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7)

5) 박선영 외(2013) 「여성middot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Ⅰ) 낙태 규제와 여성의 대표성 관련 심층 분석

및 여성middot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0쪽

6)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240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0 gt

아래와 같은 벨기에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국가의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책무와 방향 등을

규정한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하여 성평등 임금공시제8)는 물론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의 기본계획 수립(목표치 설정) 과 시행 이를 위한 추진체계 성별임금격차 실태조사 및 모니

터링 등을 명문화하여 국가의 적극적 개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벨기에는「성별임금격차와 싸우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50인

이상의 기업은 2년마다 임금구조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노사협의회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에

는 근로자대표로 구성된 위원회) 에 제공해야 하고 노사협의회는 이 보고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 단 노사협의회는 이 정보에 대해 비밀을 지켜야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는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제공한 임금 사회보장 기여금 각종 혜택에 관한 정보

가 모두 포함되어야 되어야 하고 임금 등에 관한 정보는 노동자의 지위 직무등급 근속년수 교

육middot훈련middot자격 수준별로 상세히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임금구조를 분석할 때 성 중

립적(gender neutral) 직무평가middot분류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해야 하고 분석의 결과 양성 간

임금격차가 확인되면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행동계획에는

구체적 목표 목표달성 방법 달성기한 모니터링 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9)

3)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입법과제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취지는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며 직업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근로여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rdquo이었다 즉 노동시장

에서 발생하는 직middot간접 차별의 금지와 모성보호가 주요 입법목적이었다 그러나 법 제정으로부터

30년이 경과한 현재에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주로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런 구조적 차별의 모습 중의 하나가 이른바 ldquo유리천장rdquo이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 매년 발표하는 성 격차지수(Gender Gap Index)

에서 한국은 2017년 기준 건강 및 교육영역에서 각각 0973점(1에 가까울수록 평등) 0960점으

로 거의 성평등에 이르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영역과 정치영역에서는 각각 0533

점 0134점으로 하위권 수준이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유리천장이 얼마나 강고하게 존재하는지를

7)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8) 성별임금공시제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고용정

책기본법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신용현의원 대표발의 201733) 등이 발의되어 있다

9)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ltlt 발 제 1 gtgt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 실태 및 문제점

최우미 |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부위원장

발제1_최우미

lt 11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최 우 미 부위원장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실태 및 문제점

2018 7 17

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 실태

ldquo수면위로 드러나다rdquo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2 gt

KEB하나은행 사례bull 동일한 직무에 대해 남녀 채용 인원을 사전에 달리 정하

는 등 남녀차등채용을 서류전형(계량평가) 단계부터 추진

bull 2013년 하반기 채용과정에서 서류전형 단계부터 사전에4 1 남녀 비율을 정해 놓고 공개심사를 함당시 서류전형에 응시 한 지원자 성비는 13 1(남7535명여 5895명)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서류전형에서 4 1 (남1600명 여 399명) 로 선발함

bull 최종 임원면접에서는 합격권 내 여성2명을 탈락시키고 이 빈자리를 합격권 밖의 남성 2명의 순위를 상향 조정해채움 그 결과 선발된 남녀비율은 55 1 (남 104명 여19명)

bull 서울지역 여성 커트라인은 600점 만점에 467점으로 남성커트라인 419점 대비 48점 높았음

신한금융 사례bull 신입행원 채용 서류심사시 연령별로 배점을 차등화 하거나일정 연령 이상 지원자에 대해서 서류심사 대상에서 탈락시킴

bull 2016년 상반기의 경우 남자는 1988년 이전 출생자 여자는1990년 이전 출생자를 서류심사에서 탈락시킴

bull 서류지원자의 남녀 비율은 59대 41이었으나 서류전형 단계부터 남녀 채용비율을 7 3으로 정함

bull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시 이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해채용함

발제1_최우미

lt 13

KB국민은행 사례

bull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은행 측이 남성 지원자 100여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비정상적으로 여성보다 높게 줌

bull 2015년 하반기와 2016년 하반기까지 합치면 300명이 넘는 남성 지원자들 점수를 1차 서류전형 심사에서 무더기로 올림

bull 그 결과 여성 지원자의 점수는 상대적으로 낮아졌으며 이로인해 여성지원자 일부가 서류 전형에서 탈락함

ldquo신입 행원 가운데 여자가 너무 많으면 곤란해 남자를 배려하는 차원에서 올려준 것으로 조작이 아니라 조정이다rdquo

ldquo출산과 육아휴직 등 여성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전체 인력운용 차원에서 채용비율을 고려할 수 밖에 없다rdquo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건 성차별 아니냐rdquo

변명 혹은 반박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4 gt

남녀고용평등법과 일가정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제1항

ls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남녀를 차별해 채용해서는 아니 된다rsquo

HOWEVER

② 성차별 채용비리의 문제점

= ldquo구조적 차별rdquo

발제1_최우미

lt 15

과거 여행원제로 남녀차별

남성 일반직 행원으로 채용

여성 lsquo여행원rsquo으로 분리 채용하여 승진 임금 차별함

일명 성전환고시 여행원이 ldquo행원rdquo이 되려면 전환고

시에 합격해야함

금융권의 동일노동 동일임금 차별 철폐 운동으로

1993년 여행원제 폐지됨

현재 2차정규직으로 남녀차별

2차정규직의 특징 (일반정규직과 비교)

① 임금 일반정규직의 60~80 수준

② 승진 별도의 승진 체계 (콘크리트천장)

③ 업무범위 단순업무위주 (업무범위 제한있음)

④ 성비 여성이 절대다수 (876 ~ 993)

⑤ 무기계약직 준정규직 등 별도 직군화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6 gt

현재진행형 lsquo하위 직군의 여성화rsquo

bull 5대 은행 lsquo2차정규직rsquo 신규 채용 인원 중 여성 비율

883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5대 은행 직급별 여성 비율 현황

bull 2017년 9월기준

구분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KB국민은행 기업은행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부행장(전무) 15 00 12 00 20 00 16 63 15 67

본부장(상무) 54 74 72 56 41 49 39 51 28 107

지점장(부장) 1060 62 1396 81 - 00 1134 93 976 56

부지점장(부부장) 1886 124 2169 211 1622 115 3483 151 1487 221

책임자(차장과장) 4316 348 4062 461 4577 446 5189 423 3049 445

대리행원 3248 465 3207 536 4586 686 3779 693 2968 598

2차정규직 2398 993 2560 946 2436 984 2659 954 3706 876

기타 1335 414 905 934 - 00 1866 394 - 00

총인원 14312 436 14383 517 13282 585 18165 480 12229 553

출처 정의당심상정의원실

발제1_최우미

lt 17

2차정규직에 여성이 많은 이유

ldquo여성 지원자가 많아서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이 영업점 일선에서 대고객 업무를 하는 분들이다 보니 서비스 마인드가 뛰어난 여성 인력을 중점적으로 뽑아왔다 최근에는 남성도 많이 뽑는 추세다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에 여성이 많고 이분들이 능력을 인정받아 정규직으로 올라오기도 하기 때문에 일반 공채도 1대1로 뽑으면남녀 비율에 불균형이 생긴다 일반 공채에서 남자 쪽을 상대적으로 많이 뽑는다고 한다rdquo

2차정규직으로 차별을 제도화했다

bull 과거의 고용관행 + 현재의 채용 성비 불균형이 결합한 결과은행이 고용한 여성 10명 중 3~4명은 2차정규직

bull 여성들이 처우와 승진 가능성이 가장 낮은 직군에 집중되고 고임금 고위직을 남성이 독식하는 구조

bull 처우나 승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은행의 5대5 고용 성비는 일종의 lsquo착시rsquo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8 gt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천장

bull 기업 내 남성 선호 문화가 근본적인 문제bull 고위직으로 승진할 수 있는 일반직 여성 채용은 처음부터7 3 으로 시작

bull 여성은 출산육아를 거치면서 육아휴직 기간동안 승진에서불이익을 받음

bull 성별을 기준으로 업무를 배분하는 경향은 여전남성 가계대출 기업금융 등 여신 외환업무여성 예금 고객관리 등 수신업무본점 주요부서나 해외주재원 선발시 남성위주 선발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벽

ldquo위에서는 인력 풀이 없다고 하는데 우리를 유리벽에 가둬두고처음부터 키우지 않는다 남자 직원들은 다양한 은행 업무를 경험한 만큼 승진 폭이 넓지만 주로 창구 상담 등 수신을 담당했던 여자 직원은 책임자로 갈수록 할 수 있는 일이 적어서 승진가능한 폭 자체가 좁다rdquo

ldquo차장이 되자마자 기업 여신 업무를 하고 싶다고 지점장에게 말했다 6개월 뒤에 하라더니 결국 맡겨주지 않았다 또 다른 지점에서도 이야기했지만 거절당했다 야근도 다 감수하겠다고 했는데도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아 허탈했다rdquo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발제1_최우미

lt 19

ldquo성차별 악순환의 고리를 끊자rdquo

지원자 성비 공개

2차정규직의 완전한 정규직화

여성 임원 할당제

남성 육아휴직 의무화

강력한 처벌 가능한 법적 근거 마련

고맙습니다

ltlt 발 제 2 gtgt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발제2_박선영

lt 23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 들어가기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은 그동안 소문으로만 무성했던 어떤 lsquo실체rsquo를 확인하게 해

주었다 KB국민은행은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남성을 채용하기 위해 남성 지원자 100여

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여성보다 높게 조작했고 KEB하나은행은 최종합격자 성비를 4(남성)1(여

성)로 정해놓고 진행하였다 신한카드는 59 대 41이던 서류 지원자 남녀 비율을 서류전형 단계부

터 7대 3으로 정하고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 시까지 해당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하였다고

한다

모집middot채용에서 퇴직middot해고에 이르는 고용상의 전 과정에서의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는 「남녀고

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이하lsquo남녀고용평등법rsquo) 이 제정된 지 3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 보장rdquo이라는 남녀고용평등법의 제정 취지

가 무색한 현실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75일 일자리위원회 middot 관계부처 합동으로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을 마련하

여 발표하였다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의 주요내용은 첫째 채용 단계별 공정성 강화한다 이를 위해 공공기

관 lsquo채용 프로세스 관리 표준 매뉴얼rsquo도입 lsquo성평등 채용가이드라인rsquo제작 및 민간 확산 등을 통해

채용 절차를 선제적으로 관리한다

둘째 채용 성차별 의심기관 감독 및 제재 강화를 강화한다 lsquo익명신고 등 모집채용 성차별 신

고센터rsquo를 운영하고 신고에서 조사 피해자 구제에 이르는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고의middot반

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 강화 등 제재 및 권리구제를 강화하기 위

한 법률 제개정을 추진한다

셋째 성평등 채용 기반 강화 및 인식 개선을 위해 성평등 채용을 위한 공공기관의 노력을 경영

평가에 반영하고 여성 채용 우수기업에 대한 공공조달 인센티브를 개선하는 등 성평등 채용에 앞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4 gt

장서는 기관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용평등 상담실 상담기능 강화 명예고용평등

감독관 제도 활성화 등 기반 강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 발표에서는 이상의 대책 내용을 포함하여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고용 상의 성차별 규제와 고용 상의 성차별 구제로 나누어 각각의 입법과제 중

심으로 살펴본다

2 고용상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가 고용에서의 성차별 규제 실효성 제고 방안

1) 모집middot채용 차별 규제 강화를 위한 입법과제

모집middot채용 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 관행을 방지하기 위한 국가의 개입은 다각도로 필요하지

만 특히 성차별적 채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남녀고용평등법」은 모집middot채용(제7

조)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

에서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아울러 고용상의 성차별금지 규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

용 상 성차별을 한 사업주를 형사 처벌하는 벌칙 규정(제37조)을 두고 있고 이 법과 관련한 분쟁

해결에서의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제30조)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과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규정을 정리하면 lt표1gt

lt표 2gt과 같다

조항 내용

제7조

(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

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

(임금)① 사업주는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 가치 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lt표 1gt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

발제2_박선영

lt 25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르면 ld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rdquo 할 경우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모집middot채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은 고용의 입구에서 발생하는 차별로서 노동의 기회와 생

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노동조건에서의 차별과 비교할 때 권리의 침해 정도와 피해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임금차별금지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지 조항과 같이 징역

형을 병과하여 처벌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의 75일 정부대책에서는 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채용을 배제한 경우 5년 이하 징역 또는 3천

만 원 이하 벌금으로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고 한다 심상정의원이 대표 발의한 남녀고용평등법 개

정안에서도 노동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의 벌금으로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조항 내용

② 동일 가치 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

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

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③ 사업주가 임금차별을 목적으로 설립한 별개의 사업은 동일한 사업으로 본다

제9조

(임금 외의 금품 등)

사업주는 임금 외에 근로자의 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금품의 지급 또는 자금의 융자 등 복리후생

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사업주는 근로자의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1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

①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의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 사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서는 아니 된다

금지규정 처벌규정 형량

제7조 제1항 모집middot채용시 차별금지

제7조 제2항 직무수행과 무관한 용모를 채용조

건으로 하는 것 금지

제37조 제4항 제1호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제9조 임금 외의 금품에서 남녀차별 금지 제37조 제4항 제2호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차별금지 제37조 제4항 제3호

제8조 제1항 동일가치노동middot동일임금 지급 제37조 제2항 제1호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제11조 제1항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

제11조 제2항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사

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 체결 금지

제37조 제1항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lt표 2gt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6 gt

블라인드 채용 정착과 성인지성 제고를 위한「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전면 개정

국가인권위원회의 ldquo2017년 구직자 대상 온라인 조사 결과rdquo1)에 따르면 구직자 중 남성 594

여성 619가 면접 시 차별의 경중에 관계없이 차별을 받았다 응답했다 면접 시 차별적 질문으

로는lsquo나이rsquo관련 질문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여성 845 남성 751) 그 다음이lsquo학

력rsquo관련 질문이다(여성736 남성 732) 나이와 학력 관련 질문으로 불쾌감을 경험한 비율은

학력(416)이 나이(3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면접 시 받는 차별적인 질문 유형에는 성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의 경우 임신 등 출산 여부

(276p) 성별(199p) 혼인 여부(119p) 나이(94p)와 관련된 질문을 받은 경험이 남성

에 비해 월등히 높아 질문 자체에 이미 성차별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런 성차별적 질문과 인식은 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부는 지난 2017년 7월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ls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블라인드 채

용 추진방안rsquo을 발표하였고 현재 공공기관 중심으로 블라인드 채용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입사지원서 양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블라인드 채용은 채용 과정에서 기회의 평등과 과정의 공정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정책이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블라인드 채용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 이르는 채용 과정 전체가 직무중심으로 변화middot발전되어야 하고 직무 중심의 채용이 보

편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블라인드 채용의 실시

및 정착을 위한 방향으로 전면 개정하여 블라인드 채용의 정착을 위한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입법 취지는 ldquo사용자가 근로자를 채용하고자 할 때 요구하

는 채용서류와 채용심사 비용은 구직자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채용시장의 관

행상 사용자가 이를 적극적으로 반환하거나 구직자의 요구에 따라 돌려주는 경우는 거의 희박하

고 근로자를 채용할 의사가 없으면서 구직자의 사업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으로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내는 등 채용과정에서 부조리가 발생하고 있는 실

정인바 사용자의 거짓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금지하고 구인자가 구직자에게 채용심사 비용을 부담

시키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며 채용서류를 반환하도록 하고 전자 접수를 장려하며 채용 일

정 지원서 접수 사실 및 합격middot불합격 여부 등을 명확히 고지하도록 하는 등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1) 최근 3년간 구직 경험이 있는 자 중 면접 단계까지 경험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면접과정에서의 차별 경험에 대해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middot도에 거주하는 만 20sim34세 남녀를 연령별로 할당하여 총

500명(유효 응답자 기준)에 대해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7월 기준 만 20sim34세 남녀 인구는 전체 10171264명이며 이 중 남성은 523(5314624명) 여성은

477(4856640명)이다 박선영 외(2017) 채용과정 차별 실태 모니터링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결과는31~63쪽

참조

발제2_박선영

lt 27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서류의 재활용을 통해 사회적 자원을 절약함과 아울러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그 권익을 보호하려는 것rdquo이다2) 이런 입법 취지는 목적 조항을 통해서도 확인된

다ldquo이 법은 채용과정에서 구직자가 제출하는 채용서류의 반환 등 채용절차에서의 최소한의 공정

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dquo(제1조)

채용절차에서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불공정한 관행을 바로 잡는 것은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위

해 필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채용과정의 불공정 관행은 절차적인 문제 해결뿐 아니라 채용 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 제거를 통해서도 바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법의 목적 조항에

채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의 제거를 포함시킴으로써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를 방지하고 직무중심 채용이 정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계에

맞는 표준양식 등을 마련하여 그 사용을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lsquo블라인드 채용을 위한

면접 가이드라인rsquo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동안은 입사지원서를 통해 불필요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서류 심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토대로 면접이 이루어졌다 반면 블라인드 채용은

입사지원서를 통해서는 성별 연령 출신대학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면접이 개인의 정보를 확인

하는 과정으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

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은 첫째 직무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면

접 방법의 다양화와 그 판단 지침 등을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 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방법

중 포트폴리오 문제해결시나리오 사례연구 평가자 질문 평가자 체크리스트 구두 발표 등이 면

접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때 각각의 면접방식에서 직무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블라인드 채용의 취지에 따라 질문해서는 안 되는 사항을 새롭게 구

성할 필요가 있다 면접위원에게 응시자의 인적정보 제공 금지 및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을 금지한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금지되는 질문 유형을 적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면접위원 구성 원칙(성별 균형원칙)과 면접위원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및 그 내용을 제공

하는 것이 요구된다

2) 국가법령정보센터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정 이유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453amplsId=ampefYd=20140121ampchrClsCd=010202ampurlMode=

lsEfInfoRampviewCls=lsRvsDocInfoR000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8 gt

2)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입법과제

OECD 국가 중 10년 넘게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성별임금격차는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OECD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의 성별임금격차(Gender Wage Gap)는 367로 35개

회원국 중 격차가 압도적으로 높다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적은 국가는 코스타리카(18) 룩셈부

르크(34) 그리스(45) 벨기에(47) 슬로베니아(50) 등으로 나타나며 우리를 제외하고

OECD국가 가운데 성별임금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에스토니아(283) 일본(257)과 비교해도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매우 크다

또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월 임금총액이 여자는 229만원 남자 341만원이며 남

녀 평균 임금격차는 약 112만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졸이상 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을 따로 살

펴보면 여자 286만원 남자 412만원으로 임금격차는 약 126만원으로 더욱 차이가 벌어진다3)

나아가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남자 정규직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은 385만원 여자 정규직노동

자 253만원 남자 비정규직노동자 183만원 여자 비정규직노동자 118만원으로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가 극심하다4)

이처럼 성별임금격차가 큰 것은 여성 노동자 개개인의 생산성이 낮기 때문이 아니라 경력단절

에 따른 남녀 간 근속년수 차이와 경력단절 후 비정규직으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해서는 나이 고용형태 등에 의해 임금이 결정

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동일임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현실화

가 필요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법정화하고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

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요구된다

현행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이하lsquo기간제법rsquo) 에 따르면 사용자는 ldquo기

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

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제8조제1항)rdquo

또한ldquo단시간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의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제2항)rdquo 여기서 말하는 차별적 처우

3) 통계청 KOSIS ldquo산업 학력 연령계층 성별 임금 및 근로조건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4) 통계청 KOSIS ldquo성별 임금 및 근로시간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발제2_박선영

lt 29

란 합리적인 이유 없이「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임금 정기상여금 명절상여금 등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경영성과에 따른 성과금 그 밖에 근로조건 및 복리후생 등에 관한

사항 등에 있어서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말한다(제2조제3호)

이와 같은 「기간제법」 에 의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등의 차별적 처우 금지는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직무와 직종이

분리되어 있고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가 큰 우리의 현실에서는 동일업무와 유사업무에 대한

차별적 처우 금지만으로 고용형태에 의한 임금차별을 시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 간의 임금차별을 실효성 있게 규제하기 위해 등장한 법리인 동일가치노동 동일임

금 원칙을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행 「기간제법」 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성별임금격차 시정을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남녀고용평등법」 은 사업주에게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가

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

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

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8조)

우리나라 대다수 기업의 임금체계는 속인적인 요소에 기초를 둔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로 동일

가치노동의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방법을 설정하기 어렵다「남녀고용평등법」 상의 lsquo기술 노력 책

임 및 작업조건 등rsquo 은 직무평가기준으로 남성 집중 직무에서 기본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라는 점

에서 이미 차별의 결과로 형성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5)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의 평가기준이 갖는 남성집중 직무중심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동 원칙

의 판단기준인 lsquo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rsquo을 능력 실제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범위 기술

및 작업조건 등으로 세분화하면서 동일가치노동 판단의 기준을 수립할 때 여성노동자 대표가 포

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6)

또한 동일임금의 확보를 위해서는 법률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원칙을 명시하는 것만으로 충

분하지 않고 노동자의 임금정보에 대한 접근권 강화 사용자의 임금정보 공개의무 강화 분쟁 시

노동자의 입증책임 완화 또는 사용자의 입증책임 강화 동일가치 노동 여부를 가리기 위한 성 중

립적이고 체계적인 직무분류 및 평가기준의 마련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자체적인 노

력 및 노사 공동의 노력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7)

5) 박선영 외(2013) 「여성middot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Ⅰ) 낙태 규제와 여성의 대표성 관련 심층 분석

및 여성middot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0쪽

6)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240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0 gt

아래와 같은 벨기에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국가의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책무와 방향 등을

규정한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하여 성평등 임금공시제8)는 물론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의 기본계획 수립(목표치 설정) 과 시행 이를 위한 추진체계 성별임금격차 실태조사 및 모니

터링 등을 명문화하여 국가의 적극적 개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벨기에는「성별임금격차와 싸우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50인

이상의 기업은 2년마다 임금구조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노사협의회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에

는 근로자대표로 구성된 위원회) 에 제공해야 하고 노사협의회는 이 보고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 단 노사협의회는 이 정보에 대해 비밀을 지켜야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는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제공한 임금 사회보장 기여금 각종 혜택에 관한 정보

가 모두 포함되어야 되어야 하고 임금 등에 관한 정보는 노동자의 지위 직무등급 근속년수 교

육middot훈련middot자격 수준별로 상세히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임금구조를 분석할 때 성 중

립적(gender neutral) 직무평가middot분류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해야 하고 분석의 결과 양성 간

임금격차가 확인되면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행동계획에는

구체적 목표 목표달성 방법 달성기한 모니터링 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9)

3)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입법과제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취지는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며 직업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근로여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rdquo이었다 즉 노동시장

에서 발생하는 직middot간접 차별의 금지와 모성보호가 주요 입법목적이었다 그러나 법 제정으로부터

30년이 경과한 현재에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주로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런 구조적 차별의 모습 중의 하나가 이른바 ldquo유리천장rdquo이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 매년 발표하는 성 격차지수(Gender Gap Index)

에서 한국은 2017년 기준 건강 및 교육영역에서 각각 0973점(1에 가까울수록 평등) 0960점으

로 거의 성평등에 이르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영역과 정치영역에서는 각각 0533

점 0134점으로 하위권 수준이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유리천장이 얼마나 강고하게 존재하는지를

7)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8) 성별임금공시제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고용정

책기본법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신용현의원 대표발의 201733) 등이 발의되어 있다

9)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발제1_최우미

lt 11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최 우 미 부위원장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실태 및 문제점

2018 7 17

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 실태

ldquo수면위로 드러나다rdquo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2 gt

KEB하나은행 사례bull 동일한 직무에 대해 남녀 채용 인원을 사전에 달리 정하

는 등 남녀차등채용을 서류전형(계량평가) 단계부터 추진

bull 2013년 하반기 채용과정에서 서류전형 단계부터 사전에4 1 남녀 비율을 정해 놓고 공개심사를 함당시 서류전형에 응시 한 지원자 성비는 13 1(남7535명여 5895명)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서류전형에서 4 1 (남1600명 여 399명) 로 선발함

bull 최종 임원면접에서는 합격권 내 여성2명을 탈락시키고 이 빈자리를 합격권 밖의 남성 2명의 순위를 상향 조정해채움 그 결과 선발된 남녀비율은 55 1 (남 104명 여19명)

bull 서울지역 여성 커트라인은 600점 만점에 467점으로 남성커트라인 419점 대비 48점 높았음

신한금융 사례bull 신입행원 채용 서류심사시 연령별로 배점을 차등화 하거나일정 연령 이상 지원자에 대해서 서류심사 대상에서 탈락시킴

bull 2016년 상반기의 경우 남자는 1988년 이전 출생자 여자는1990년 이전 출생자를 서류심사에서 탈락시킴

bull 서류지원자의 남녀 비율은 59대 41이었으나 서류전형 단계부터 남녀 채용비율을 7 3으로 정함

bull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시 이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해채용함

발제1_최우미

lt 13

KB국민은행 사례

bull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은행 측이 남성 지원자 100여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비정상적으로 여성보다 높게 줌

bull 2015년 하반기와 2016년 하반기까지 합치면 300명이 넘는 남성 지원자들 점수를 1차 서류전형 심사에서 무더기로 올림

bull 그 결과 여성 지원자의 점수는 상대적으로 낮아졌으며 이로인해 여성지원자 일부가 서류 전형에서 탈락함

ldquo신입 행원 가운데 여자가 너무 많으면 곤란해 남자를 배려하는 차원에서 올려준 것으로 조작이 아니라 조정이다rdquo

ldquo출산과 육아휴직 등 여성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전체 인력운용 차원에서 채용비율을 고려할 수 밖에 없다rdquo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건 성차별 아니냐rdquo

변명 혹은 반박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4 gt

남녀고용평등법과 일가정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제1항

ls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남녀를 차별해 채용해서는 아니 된다rsquo

HOWEVER

② 성차별 채용비리의 문제점

= ldquo구조적 차별rdquo

발제1_최우미

lt 15

과거 여행원제로 남녀차별

남성 일반직 행원으로 채용

여성 lsquo여행원rsquo으로 분리 채용하여 승진 임금 차별함

일명 성전환고시 여행원이 ldquo행원rdquo이 되려면 전환고

시에 합격해야함

금융권의 동일노동 동일임금 차별 철폐 운동으로

1993년 여행원제 폐지됨

현재 2차정규직으로 남녀차별

2차정규직의 특징 (일반정규직과 비교)

① 임금 일반정규직의 60~80 수준

② 승진 별도의 승진 체계 (콘크리트천장)

③ 업무범위 단순업무위주 (업무범위 제한있음)

④ 성비 여성이 절대다수 (876 ~ 993)

⑤ 무기계약직 준정규직 등 별도 직군화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6 gt

현재진행형 lsquo하위 직군의 여성화rsquo

bull 5대 은행 lsquo2차정규직rsquo 신규 채용 인원 중 여성 비율

883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5대 은행 직급별 여성 비율 현황

bull 2017년 9월기준

구분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KB국민은행 기업은행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부행장(전무) 15 00 12 00 20 00 16 63 15 67

본부장(상무) 54 74 72 56 41 49 39 51 28 107

지점장(부장) 1060 62 1396 81 - 00 1134 93 976 56

부지점장(부부장) 1886 124 2169 211 1622 115 3483 151 1487 221

책임자(차장과장) 4316 348 4062 461 4577 446 5189 423 3049 445

대리행원 3248 465 3207 536 4586 686 3779 693 2968 598

2차정규직 2398 993 2560 946 2436 984 2659 954 3706 876

기타 1335 414 905 934 - 00 1866 394 - 00

총인원 14312 436 14383 517 13282 585 18165 480 12229 553

출처 정의당심상정의원실

발제1_최우미

lt 17

2차정규직에 여성이 많은 이유

ldquo여성 지원자가 많아서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이 영업점 일선에서 대고객 업무를 하는 분들이다 보니 서비스 마인드가 뛰어난 여성 인력을 중점적으로 뽑아왔다 최근에는 남성도 많이 뽑는 추세다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에 여성이 많고 이분들이 능력을 인정받아 정규직으로 올라오기도 하기 때문에 일반 공채도 1대1로 뽑으면남녀 비율에 불균형이 생긴다 일반 공채에서 남자 쪽을 상대적으로 많이 뽑는다고 한다rdquo

2차정규직으로 차별을 제도화했다

bull 과거의 고용관행 + 현재의 채용 성비 불균형이 결합한 결과은행이 고용한 여성 10명 중 3~4명은 2차정규직

bull 여성들이 처우와 승진 가능성이 가장 낮은 직군에 집중되고 고임금 고위직을 남성이 독식하는 구조

bull 처우나 승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은행의 5대5 고용 성비는 일종의 lsquo착시rsquo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8 gt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천장

bull 기업 내 남성 선호 문화가 근본적인 문제bull 고위직으로 승진할 수 있는 일반직 여성 채용은 처음부터7 3 으로 시작

bull 여성은 출산육아를 거치면서 육아휴직 기간동안 승진에서불이익을 받음

bull 성별을 기준으로 업무를 배분하는 경향은 여전남성 가계대출 기업금융 등 여신 외환업무여성 예금 고객관리 등 수신업무본점 주요부서나 해외주재원 선발시 남성위주 선발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벽

ldquo위에서는 인력 풀이 없다고 하는데 우리를 유리벽에 가둬두고처음부터 키우지 않는다 남자 직원들은 다양한 은행 업무를 경험한 만큼 승진 폭이 넓지만 주로 창구 상담 등 수신을 담당했던 여자 직원은 책임자로 갈수록 할 수 있는 일이 적어서 승진가능한 폭 자체가 좁다rdquo

ldquo차장이 되자마자 기업 여신 업무를 하고 싶다고 지점장에게 말했다 6개월 뒤에 하라더니 결국 맡겨주지 않았다 또 다른 지점에서도 이야기했지만 거절당했다 야근도 다 감수하겠다고 했는데도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아 허탈했다rdquo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발제1_최우미

lt 19

ldquo성차별 악순환의 고리를 끊자rdquo

지원자 성비 공개

2차정규직의 완전한 정규직화

여성 임원 할당제

남성 육아휴직 의무화

강력한 처벌 가능한 법적 근거 마련

고맙습니다

ltlt 발 제 2 gtgt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발제2_박선영

lt 23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 들어가기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은 그동안 소문으로만 무성했던 어떤 lsquo실체rsquo를 확인하게 해

주었다 KB국민은행은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남성을 채용하기 위해 남성 지원자 100여

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여성보다 높게 조작했고 KEB하나은행은 최종합격자 성비를 4(남성)1(여

성)로 정해놓고 진행하였다 신한카드는 59 대 41이던 서류 지원자 남녀 비율을 서류전형 단계부

터 7대 3으로 정하고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 시까지 해당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하였다고

한다

모집middot채용에서 퇴직middot해고에 이르는 고용상의 전 과정에서의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는 「남녀고

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이하lsquo남녀고용평등법rsquo) 이 제정된 지 3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 보장rdquo이라는 남녀고용평등법의 제정 취지

가 무색한 현실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75일 일자리위원회 middot 관계부처 합동으로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을 마련하

여 발표하였다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의 주요내용은 첫째 채용 단계별 공정성 강화한다 이를 위해 공공기

관 lsquo채용 프로세스 관리 표준 매뉴얼rsquo도입 lsquo성평등 채용가이드라인rsquo제작 및 민간 확산 등을 통해

채용 절차를 선제적으로 관리한다

둘째 채용 성차별 의심기관 감독 및 제재 강화를 강화한다 lsquo익명신고 등 모집채용 성차별 신

고센터rsquo를 운영하고 신고에서 조사 피해자 구제에 이르는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고의middot반

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 강화 등 제재 및 권리구제를 강화하기 위

한 법률 제개정을 추진한다

셋째 성평등 채용 기반 강화 및 인식 개선을 위해 성평등 채용을 위한 공공기관의 노력을 경영

평가에 반영하고 여성 채용 우수기업에 대한 공공조달 인센티브를 개선하는 등 성평등 채용에 앞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4 gt

장서는 기관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용평등 상담실 상담기능 강화 명예고용평등

감독관 제도 활성화 등 기반 강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 발표에서는 이상의 대책 내용을 포함하여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고용 상의 성차별 규제와 고용 상의 성차별 구제로 나누어 각각의 입법과제 중

심으로 살펴본다

2 고용상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가 고용에서의 성차별 규제 실효성 제고 방안

1) 모집middot채용 차별 규제 강화를 위한 입법과제

모집middot채용 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 관행을 방지하기 위한 국가의 개입은 다각도로 필요하지

만 특히 성차별적 채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남녀고용평등법」은 모집middot채용(제7

조)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

에서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아울러 고용상의 성차별금지 규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

용 상 성차별을 한 사업주를 형사 처벌하는 벌칙 규정(제37조)을 두고 있고 이 법과 관련한 분쟁

해결에서의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제30조)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과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규정을 정리하면 lt표1gt

lt표 2gt과 같다

조항 내용

제7조

(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

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

(임금)① 사업주는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 가치 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lt표 1gt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

발제2_박선영

lt 25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르면 ld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rdquo 할 경우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모집middot채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은 고용의 입구에서 발생하는 차별로서 노동의 기회와 생

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노동조건에서의 차별과 비교할 때 권리의 침해 정도와 피해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임금차별금지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지 조항과 같이 징역

형을 병과하여 처벌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의 75일 정부대책에서는 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채용을 배제한 경우 5년 이하 징역 또는 3천

만 원 이하 벌금으로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고 한다 심상정의원이 대표 발의한 남녀고용평등법 개

정안에서도 노동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의 벌금으로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조항 내용

② 동일 가치 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

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

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③ 사업주가 임금차별을 목적으로 설립한 별개의 사업은 동일한 사업으로 본다

제9조

(임금 외의 금품 등)

사업주는 임금 외에 근로자의 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금품의 지급 또는 자금의 융자 등 복리후생

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사업주는 근로자의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1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

①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의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 사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서는 아니 된다

금지규정 처벌규정 형량

제7조 제1항 모집middot채용시 차별금지

제7조 제2항 직무수행과 무관한 용모를 채용조

건으로 하는 것 금지

제37조 제4항 제1호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제9조 임금 외의 금품에서 남녀차별 금지 제37조 제4항 제2호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차별금지 제37조 제4항 제3호

제8조 제1항 동일가치노동middot동일임금 지급 제37조 제2항 제1호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제11조 제1항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

제11조 제2항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사

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 체결 금지

제37조 제1항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lt표 2gt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6 gt

블라인드 채용 정착과 성인지성 제고를 위한「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전면 개정

국가인권위원회의 ldquo2017년 구직자 대상 온라인 조사 결과rdquo1)에 따르면 구직자 중 남성 594

여성 619가 면접 시 차별의 경중에 관계없이 차별을 받았다 응답했다 면접 시 차별적 질문으

로는lsquo나이rsquo관련 질문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여성 845 남성 751) 그 다음이lsquo학

력rsquo관련 질문이다(여성736 남성 732) 나이와 학력 관련 질문으로 불쾌감을 경험한 비율은

학력(416)이 나이(3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면접 시 받는 차별적인 질문 유형에는 성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의 경우 임신 등 출산 여부

(276p) 성별(199p) 혼인 여부(119p) 나이(94p)와 관련된 질문을 받은 경험이 남성

에 비해 월등히 높아 질문 자체에 이미 성차별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런 성차별적 질문과 인식은 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부는 지난 2017년 7월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ls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블라인드 채

용 추진방안rsquo을 발표하였고 현재 공공기관 중심으로 블라인드 채용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입사지원서 양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블라인드 채용은 채용 과정에서 기회의 평등과 과정의 공정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정책이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블라인드 채용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 이르는 채용 과정 전체가 직무중심으로 변화middot발전되어야 하고 직무 중심의 채용이 보

편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블라인드 채용의 실시

및 정착을 위한 방향으로 전면 개정하여 블라인드 채용의 정착을 위한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입법 취지는 ldquo사용자가 근로자를 채용하고자 할 때 요구하

는 채용서류와 채용심사 비용은 구직자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채용시장의 관

행상 사용자가 이를 적극적으로 반환하거나 구직자의 요구에 따라 돌려주는 경우는 거의 희박하

고 근로자를 채용할 의사가 없으면서 구직자의 사업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으로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내는 등 채용과정에서 부조리가 발생하고 있는 실

정인바 사용자의 거짓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금지하고 구인자가 구직자에게 채용심사 비용을 부담

시키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며 채용서류를 반환하도록 하고 전자 접수를 장려하며 채용 일

정 지원서 접수 사실 및 합격middot불합격 여부 등을 명확히 고지하도록 하는 등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1) 최근 3년간 구직 경험이 있는 자 중 면접 단계까지 경험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면접과정에서의 차별 경험에 대해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middot도에 거주하는 만 20sim34세 남녀를 연령별로 할당하여 총

500명(유효 응답자 기준)에 대해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7월 기준 만 20sim34세 남녀 인구는 전체 10171264명이며 이 중 남성은 523(5314624명) 여성은

477(4856640명)이다 박선영 외(2017) 채용과정 차별 실태 모니터링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결과는31~63쪽

참조

발제2_박선영

lt 27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서류의 재활용을 통해 사회적 자원을 절약함과 아울러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그 권익을 보호하려는 것rdquo이다2) 이런 입법 취지는 목적 조항을 통해서도 확인된

다ldquo이 법은 채용과정에서 구직자가 제출하는 채용서류의 반환 등 채용절차에서의 최소한의 공정

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dquo(제1조)

채용절차에서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불공정한 관행을 바로 잡는 것은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위

해 필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채용과정의 불공정 관행은 절차적인 문제 해결뿐 아니라 채용 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 제거를 통해서도 바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법의 목적 조항에

채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의 제거를 포함시킴으로써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를 방지하고 직무중심 채용이 정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계에

맞는 표준양식 등을 마련하여 그 사용을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lsquo블라인드 채용을 위한

면접 가이드라인rsquo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동안은 입사지원서를 통해 불필요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서류 심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토대로 면접이 이루어졌다 반면 블라인드 채용은

입사지원서를 통해서는 성별 연령 출신대학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면접이 개인의 정보를 확인

하는 과정으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

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은 첫째 직무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면

접 방법의 다양화와 그 판단 지침 등을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 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방법

중 포트폴리오 문제해결시나리오 사례연구 평가자 질문 평가자 체크리스트 구두 발표 등이 면

접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때 각각의 면접방식에서 직무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블라인드 채용의 취지에 따라 질문해서는 안 되는 사항을 새롭게 구

성할 필요가 있다 면접위원에게 응시자의 인적정보 제공 금지 및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을 금지한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금지되는 질문 유형을 적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면접위원 구성 원칙(성별 균형원칙)과 면접위원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및 그 내용을 제공

하는 것이 요구된다

2) 국가법령정보센터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정 이유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453amplsId=ampefYd=20140121ampchrClsCd=010202ampurlMode=

lsEfInfoRampviewCls=lsRvsDocInfoR000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8 gt

2)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입법과제

OECD 국가 중 10년 넘게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성별임금격차는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OECD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의 성별임금격차(Gender Wage Gap)는 367로 35개

회원국 중 격차가 압도적으로 높다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적은 국가는 코스타리카(18) 룩셈부

르크(34) 그리스(45) 벨기에(47) 슬로베니아(50) 등으로 나타나며 우리를 제외하고

OECD국가 가운데 성별임금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에스토니아(283) 일본(257)과 비교해도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매우 크다

또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월 임금총액이 여자는 229만원 남자 341만원이며 남

녀 평균 임금격차는 약 112만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졸이상 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을 따로 살

펴보면 여자 286만원 남자 412만원으로 임금격차는 약 126만원으로 더욱 차이가 벌어진다3)

나아가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남자 정규직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은 385만원 여자 정규직노동

자 253만원 남자 비정규직노동자 183만원 여자 비정규직노동자 118만원으로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가 극심하다4)

이처럼 성별임금격차가 큰 것은 여성 노동자 개개인의 생산성이 낮기 때문이 아니라 경력단절

에 따른 남녀 간 근속년수 차이와 경력단절 후 비정규직으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해서는 나이 고용형태 등에 의해 임금이 결정

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동일임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현실화

가 필요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법정화하고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

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요구된다

현행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이하lsquo기간제법rsquo) 에 따르면 사용자는 ldquo기

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

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제8조제1항)rdquo

또한ldquo단시간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의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제2항)rdquo 여기서 말하는 차별적 처우

3) 통계청 KOSIS ldquo산업 학력 연령계층 성별 임금 및 근로조건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4) 통계청 KOSIS ldquo성별 임금 및 근로시간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발제2_박선영

lt 29

란 합리적인 이유 없이「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임금 정기상여금 명절상여금 등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경영성과에 따른 성과금 그 밖에 근로조건 및 복리후생 등에 관한

사항 등에 있어서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말한다(제2조제3호)

이와 같은 「기간제법」 에 의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등의 차별적 처우 금지는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직무와 직종이

분리되어 있고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가 큰 우리의 현실에서는 동일업무와 유사업무에 대한

차별적 처우 금지만으로 고용형태에 의한 임금차별을 시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 간의 임금차별을 실효성 있게 규제하기 위해 등장한 법리인 동일가치노동 동일임

금 원칙을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행 「기간제법」 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성별임금격차 시정을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남녀고용평등법」 은 사업주에게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가

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

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

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8조)

우리나라 대다수 기업의 임금체계는 속인적인 요소에 기초를 둔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로 동일

가치노동의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방법을 설정하기 어렵다「남녀고용평등법」 상의 lsquo기술 노력 책

임 및 작업조건 등rsquo 은 직무평가기준으로 남성 집중 직무에서 기본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라는 점

에서 이미 차별의 결과로 형성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5)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의 평가기준이 갖는 남성집중 직무중심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동 원칙

의 판단기준인 lsquo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rsquo을 능력 실제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범위 기술

및 작업조건 등으로 세분화하면서 동일가치노동 판단의 기준을 수립할 때 여성노동자 대표가 포

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6)

또한 동일임금의 확보를 위해서는 법률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원칙을 명시하는 것만으로 충

분하지 않고 노동자의 임금정보에 대한 접근권 강화 사용자의 임금정보 공개의무 강화 분쟁 시

노동자의 입증책임 완화 또는 사용자의 입증책임 강화 동일가치 노동 여부를 가리기 위한 성 중

립적이고 체계적인 직무분류 및 평가기준의 마련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자체적인 노

력 및 노사 공동의 노력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7)

5) 박선영 외(2013) 「여성middot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Ⅰ) 낙태 규제와 여성의 대표성 관련 심층 분석

및 여성middot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0쪽

6)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240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0 gt

아래와 같은 벨기에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국가의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책무와 방향 등을

규정한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하여 성평등 임금공시제8)는 물론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의 기본계획 수립(목표치 설정) 과 시행 이를 위한 추진체계 성별임금격차 실태조사 및 모니

터링 등을 명문화하여 국가의 적극적 개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벨기에는「성별임금격차와 싸우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50인

이상의 기업은 2년마다 임금구조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노사협의회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에

는 근로자대표로 구성된 위원회) 에 제공해야 하고 노사협의회는 이 보고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 단 노사협의회는 이 정보에 대해 비밀을 지켜야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는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제공한 임금 사회보장 기여금 각종 혜택에 관한 정보

가 모두 포함되어야 되어야 하고 임금 등에 관한 정보는 노동자의 지위 직무등급 근속년수 교

육middot훈련middot자격 수준별로 상세히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임금구조를 분석할 때 성 중

립적(gender neutral) 직무평가middot분류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해야 하고 분석의 결과 양성 간

임금격차가 확인되면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행동계획에는

구체적 목표 목표달성 방법 달성기한 모니터링 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9)

3)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입법과제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취지는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며 직업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근로여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rdquo이었다 즉 노동시장

에서 발생하는 직middot간접 차별의 금지와 모성보호가 주요 입법목적이었다 그러나 법 제정으로부터

30년이 경과한 현재에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주로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런 구조적 차별의 모습 중의 하나가 이른바 ldquo유리천장rdquo이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 매년 발표하는 성 격차지수(Gender Gap Index)

에서 한국은 2017년 기준 건강 및 교육영역에서 각각 0973점(1에 가까울수록 평등) 0960점으

로 거의 성평등에 이르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영역과 정치영역에서는 각각 0533

점 0134점으로 하위권 수준이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유리천장이 얼마나 강고하게 존재하는지를

7)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8) 성별임금공시제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고용정

책기본법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신용현의원 대표발의 201733) 등이 발의되어 있다

9)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9: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2 gt

KEB하나은행 사례bull 동일한 직무에 대해 남녀 채용 인원을 사전에 달리 정하

는 등 남녀차등채용을 서류전형(계량평가) 단계부터 추진

bull 2013년 하반기 채용과정에서 서류전형 단계부터 사전에4 1 남녀 비율을 정해 놓고 공개심사를 함당시 서류전형에 응시 한 지원자 성비는 13 1(남7535명여 5895명)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서류전형에서 4 1 (남1600명 여 399명) 로 선발함

bull 최종 임원면접에서는 합격권 내 여성2명을 탈락시키고 이 빈자리를 합격권 밖의 남성 2명의 순위를 상향 조정해채움 그 결과 선발된 남녀비율은 55 1 (남 104명 여19명)

bull 서울지역 여성 커트라인은 600점 만점에 467점으로 남성커트라인 419점 대비 48점 높았음

신한금융 사례bull 신입행원 채용 서류심사시 연령별로 배점을 차등화 하거나일정 연령 이상 지원자에 대해서 서류심사 대상에서 탈락시킴

bull 2016년 상반기의 경우 남자는 1988년 이전 출생자 여자는1990년 이전 출생자를 서류심사에서 탈락시킴

bull 서류지원자의 남녀 비율은 59대 41이었으나 서류전형 단계부터 남녀 채용비율을 7 3으로 정함

bull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시 이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해채용함

발제1_최우미

lt 13

KB국민은행 사례

bull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은행 측이 남성 지원자 100여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비정상적으로 여성보다 높게 줌

bull 2015년 하반기와 2016년 하반기까지 합치면 300명이 넘는 남성 지원자들 점수를 1차 서류전형 심사에서 무더기로 올림

bull 그 결과 여성 지원자의 점수는 상대적으로 낮아졌으며 이로인해 여성지원자 일부가 서류 전형에서 탈락함

ldquo신입 행원 가운데 여자가 너무 많으면 곤란해 남자를 배려하는 차원에서 올려준 것으로 조작이 아니라 조정이다rdquo

ldquo출산과 육아휴직 등 여성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전체 인력운용 차원에서 채용비율을 고려할 수 밖에 없다rdquo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건 성차별 아니냐rdquo

변명 혹은 반박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4 gt

남녀고용평등법과 일가정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제1항

ls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남녀를 차별해 채용해서는 아니 된다rsquo

HOWEVER

② 성차별 채용비리의 문제점

= ldquo구조적 차별rdquo

발제1_최우미

lt 15

과거 여행원제로 남녀차별

남성 일반직 행원으로 채용

여성 lsquo여행원rsquo으로 분리 채용하여 승진 임금 차별함

일명 성전환고시 여행원이 ldquo행원rdquo이 되려면 전환고

시에 합격해야함

금융권의 동일노동 동일임금 차별 철폐 운동으로

1993년 여행원제 폐지됨

현재 2차정규직으로 남녀차별

2차정규직의 특징 (일반정규직과 비교)

① 임금 일반정규직의 60~80 수준

② 승진 별도의 승진 체계 (콘크리트천장)

③ 업무범위 단순업무위주 (업무범위 제한있음)

④ 성비 여성이 절대다수 (876 ~ 993)

⑤ 무기계약직 준정규직 등 별도 직군화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6 gt

현재진행형 lsquo하위 직군의 여성화rsquo

bull 5대 은행 lsquo2차정규직rsquo 신규 채용 인원 중 여성 비율

883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5대 은행 직급별 여성 비율 현황

bull 2017년 9월기준

구분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KB국민은행 기업은행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부행장(전무) 15 00 12 00 20 00 16 63 15 67

본부장(상무) 54 74 72 56 41 49 39 51 28 107

지점장(부장) 1060 62 1396 81 - 00 1134 93 976 56

부지점장(부부장) 1886 124 2169 211 1622 115 3483 151 1487 221

책임자(차장과장) 4316 348 4062 461 4577 446 5189 423 3049 445

대리행원 3248 465 3207 536 4586 686 3779 693 2968 598

2차정규직 2398 993 2560 946 2436 984 2659 954 3706 876

기타 1335 414 905 934 - 00 1866 394 - 00

총인원 14312 436 14383 517 13282 585 18165 480 12229 553

출처 정의당심상정의원실

발제1_최우미

lt 17

2차정규직에 여성이 많은 이유

ldquo여성 지원자가 많아서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이 영업점 일선에서 대고객 업무를 하는 분들이다 보니 서비스 마인드가 뛰어난 여성 인력을 중점적으로 뽑아왔다 최근에는 남성도 많이 뽑는 추세다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에 여성이 많고 이분들이 능력을 인정받아 정규직으로 올라오기도 하기 때문에 일반 공채도 1대1로 뽑으면남녀 비율에 불균형이 생긴다 일반 공채에서 남자 쪽을 상대적으로 많이 뽑는다고 한다rdquo

2차정규직으로 차별을 제도화했다

bull 과거의 고용관행 + 현재의 채용 성비 불균형이 결합한 결과은행이 고용한 여성 10명 중 3~4명은 2차정규직

bull 여성들이 처우와 승진 가능성이 가장 낮은 직군에 집중되고 고임금 고위직을 남성이 독식하는 구조

bull 처우나 승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은행의 5대5 고용 성비는 일종의 lsquo착시rsquo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8 gt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천장

bull 기업 내 남성 선호 문화가 근본적인 문제bull 고위직으로 승진할 수 있는 일반직 여성 채용은 처음부터7 3 으로 시작

bull 여성은 출산육아를 거치면서 육아휴직 기간동안 승진에서불이익을 받음

bull 성별을 기준으로 업무를 배분하는 경향은 여전남성 가계대출 기업금융 등 여신 외환업무여성 예금 고객관리 등 수신업무본점 주요부서나 해외주재원 선발시 남성위주 선발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벽

ldquo위에서는 인력 풀이 없다고 하는데 우리를 유리벽에 가둬두고처음부터 키우지 않는다 남자 직원들은 다양한 은행 업무를 경험한 만큼 승진 폭이 넓지만 주로 창구 상담 등 수신을 담당했던 여자 직원은 책임자로 갈수록 할 수 있는 일이 적어서 승진가능한 폭 자체가 좁다rdquo

ldquo차장이 되자마자 기업 여신 업무를 하고 싶다고 지점장에게 말했다 6개월 뒤에 하라더니 결국 맡겨주지 않았다 또 다른 지점에서도 이야기했지만 거절당했다 야근도 다 감수하겠다고 했는데도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아 허탈했다rdquo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발제1_최우미

lt 19

ldquo성차별 악순환의 고리를 끊자rdquo

지원자 성비 공개

2차정규직의 완전한 정규직화

여성 임원 할당제

남성 육아휴직 의무화

강력한 처벌 가능한 법적 근거 마련

고맙습니다

ltlt 발 제 2 gtgt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발제2_박선영

lt 23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 들어가기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은 그동안 소문으로만 무성했던 어떤 lsquo실체rsquo를 확인하게 해

주었다 KB국민은행은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남성을 채용하기 위해 남성 지원자 100여

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여성보다 높게 조작했고 KEB하나은행은 최종합격자 성비를 4(남성)1(여

성)로 정해놓고 진행하였다 신한카드는 59 대 41이던 서류 지원자 남녀 비율을 서류전형 단계부

터 7대 3으로 정하고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 시까지 해당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하였다고

한다

모집middot채용에서 퇴직middot해고에 이르는 고용상의 전 과정에서의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는 「남녀고

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이하lsquo남녀고용평등법rsquo) 이 제정된 지 3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 보장rdquo이라는 남녀고용평등법의 제정 취지

가 무색한 현실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75일 일자리위원회 middot 관계부처 합동으로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을 마련하

여 발표하였다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의 주요내용은 첫째 채용 단계별 공정성 강화한다 이를 위해 공공기

관 lsquo채용 프로세스 관리 표준 매뉴얼rsquo도입 lsquo성평등 채용가이드라인rsquo제작 및 민간 확산 등을 통해

채용 절차를 선제적으로 관리한다

둘째 채용 성차별 의심기관 감독 및 제재 강화를 강화한다 lsquo익명신고 등 모집채용 성차별 신

고센터rsquo를 운영하고 신고에서 조사 피해자 구제에 이르는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고의middot반

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 강화 등 제재 및 권리구제를 강화하기 위

한 법률 제개정을 추진한다

셋째 성평등 채용 기반 강화 및 인식 개선을 위해 성평등 채용을 위한 공공기관의 노력을 경영

평가에 반영하고 여성 채용 우수기업에 대한 공공조달 인센티브를 개선하는 등 성평등 채용에 앞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4 gt

장서는 기관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용평등 상담실 상담기능 강화 명예고용평등

감독관 제도 활성화 등 기반 강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 발표에서는 이상의 대책 내용을 포함하여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고용 상의 성차별 규제와 고용 상의 성차별 구제로 나누어 각각의 입법과제 중

심으로 살펴본다

2 고용상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가 고용에서의 성차별 규제 실효성 제고 방안

1) 모집middot채용 차별 규제 강화를 위한 입법과제

모집middot채용 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 관행을 방지하기 위한 국가의 개입은 다각도로 필요하지

만 특히 성차별적 채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남녀고용평등법」은 모집middot채용(제7

조)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

에서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아울러 고용상의 성차별금지 규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

용 상 성차별을 한 사업주를 형사 처벌하는 벌칙 규정(제37조)을 두고 있고 이 법과 관련한 분쟁

해결에서의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제30조)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과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규정을 정리하면 lt표1gt

lt표 2gt과 같다

조항 내용

제7조

(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

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

(임금)① 사업주는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 가치 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lt표 1gt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

발제2_박선영

lt 25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르면 ld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rdquo 할 경우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모집middot채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은 고용의 입구에서 발생하는 차별로서 노동의 기회와 생

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노동조건에서의 차별과 비교할 때 권리의 침해 정도와 피해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임금차별금지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지 조항과 같이 징역

형을 병과하여 처벌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의 75일 정부대책에서는 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채용을 배제한 경우 5년 이하 징역 또는 3천

만 원 이하 벌금으로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고 한다 심상정의원이 대표 발의한 남녀고용평등법 개

정안에서도 노동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의 벌금으로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조항 내용

② 동일 가치 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

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

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③ 사업주가 임금차별을 목적으로 설립한 별개의 사업은 동일한 사업으로 본다

제9조

(임금 외의 금품 등)

사업주는 임금 외에 근로자의 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금품의 지급 또는 자금의 융자 등 복리후생

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사업주는 근로자의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1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

①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의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 사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서는 아니 된다

금지규정 처벌규정 형량

제7조 제1항 모집middot채용시 차별금지

제7조 제2항 직무수행과 무관한 용모를 채용조

건으로 하는 것 금지

제37조 제4항 제1호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제9조 임금 외의 금품에서 남녀차별 금지 제37조 제4항 제2호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차별금지 제37조 제4항 제3호

제8조 제1항 동일가치노동middot동일임금 지급 제37조 제2항 제1호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제11조 제1항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

제11조 제2항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사

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 체결 금지

제37조 제1항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lt표 2gt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6 gt

블라인드 채용 정착과 성인지성 제고를 위한「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전면 개정

국가인권위원회의 ldquo2017년 구직자 대상 온라인 조사 결과rdquo1)에 따르면 구직자 중 남성 594

여성 619가 면접 시 차별의 경중에 관계없이 차별을 받았다 응답했다 면접 시 차별적 질문으

로는lsquo나이rsquo관련 질문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여성 845 남성 751) 그 다음이lsquo학

력rsquo관련 질문이다(여성736 남성 732) 나이와 학력 관련 질문으로 불쾌감을 경험한 비율은

학력(416)이 나이(3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면접 시 받는 차별적인 질문 유형에는 성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의 경우 임신 등 출산 여부

(276p) 성별(199p) 혼인 여부(119p) 나이(94p)와 관련된 질문을 받은 경험이 남성

에 비해 월등히 높아 질문 자체에 이미 성차별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런 성차별적 질문과 인식은 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부는 지난 2017년 7월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ls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블라인드 채

용 추진방안rsquo을 발표하였고 현재 공공기관 중심으로 블라인드 채용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입사지원서 양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블라인드 채용은 채용 과정에서 기회의 평등과 과정의 공정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정책이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블라인드 채용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 이르는 채용 과정 전체가 직무중심으로 변화middot발전되어야 하고 직무 중심의 채용이 보

편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블라인드 채용의 실시

및 정착을 위한 방향으로 전면 개정하여 블라인드 채용의 정착을 위한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입법 취지는 ldquo사용자가 근로자를 채용하고자 할 때 요구하

는 채용서류와 채용심사 비용은 구직자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채용시장의 관

행상 사용자가 이를 적극적으로 반환하거나 구직자의 요구에 따라 돌려주는 경우는 거의 희박하

고 근로자를 채용할 의사가 없으면서 구직자의 사업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으로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내는 등 채용과정에서 부조리가 발생하고 있는 실

정인바 사용자의 거짓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금지하고 구인자가 구직자에게 채용심사 비용을 부담

시키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며 채용서류를 반환하도록 하고 전자 접수를 장려하며 채용 일

정 지원서 접수 사실 및 합격middot불합격 여부 등을 명확히 고지하도록 하는 등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1) 최근 3년간 구직 경험이 있는 자 중 면접 단계까지 경험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면접과정에서의 차별 경험에 대해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middot도에 거주하는 만 20sim34세 남녀를 연령별로 할당하여 총

500명(유효 응답자 기준)에 대해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7월 기준 만 20sim34세 남녀 인구는 전체 10171264명이며 이 중 남성은 523(5314624명) 여성은

477(4856640명)이다 박선영 외(2017) 채용과정 차별 실태 모니터링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결과는31~63쪽

참조

발제2_박선영

lt 27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서류의 재활용을 통해 사회적 자원을 절약함과 아울러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그 권익을 보호하려는 것rdquo이다2) 이런 입법 취지는 목적 조항을 통해서도 확인된

다ldquo이 법은 채용과정에서 구직자가 제출하는 채용서류의 반환 등 채용절차에서의 최소한의 공정

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dquo(제1조)

채용절차에서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불공정한 관행을 바로 잡는 것은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위

해 필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채용과정의 불공정 관행은 절차적인 문제 해결뿐 아니라 채용 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 제거를 통해서도 바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법의 목적 조항에

채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의 제거를 포함시킴으로써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를 방지하고 직무중심 채용이 정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계에

맞는 표준양식 등을 마련하여 그 사용을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lsquo블라인드 채용을 위한

면접 가이드라인rsquo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동안은 입사지원서를 통해 불필요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서류 심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토대로 면접이 이루어졌다 반면 블라인드 채용은

입사지원서를 통해서는 성별 연령 출신대학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면접이 개인의 정보를 확인

하는 과정으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

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은 첫째 직무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면

접 방법의 다양화와 그 판단 지침 등을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 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방법

중 포트폴리오 문제해결시나리오 사례연구 평가자 질문 평가자 체크리스트 구두 발표 등이 면

접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때 각각의 면접방식에서 직무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블라인드 채용의 취지에 따라 질문해서는 안 되는 사항을 새롭게 구

성할 필요가 있다 면접위원에게 응시자의 인적정보 제공 금지 및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을 금지한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금지되는 질문 유형을 적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면접위원 구성 원칙(성별 균형원칙)과 면접위원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및 그 내용을 제공

하는 것이 요구된다

2) 국가법령정보센터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정 이유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453amplsId=ampefYd=20140121ampchrClsCd=010202ampurlMode=

lsEfInfoRampviewCls=lsRvsDocInfoR000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8 gt

2)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입법과제

OECD 국가 중 10년 넘게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성별임금격차는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OECD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의 성별임금격차(Gender Wage Gap)는 367로 35개

회원국 중 격차가 압도적으로 높다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적은 국가는 코스타리카(18) 룩셈부

르크(34) 그리스(45) 벨기에(47) 슬로베니아(50) 등으로 나타나며 우리를 제외하고

OECD국가 가운데 성별임금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에스토니아(283) 일본(257)과 비교해도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매우 크다

또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월 임금총액이 여자는 229만원 남자 341만원이며 남

녀 평균 임금격차는 약 112만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졸이상 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을 따로 살

펴보면 여자 286만원 남자 412만원으로 임금격차는 약 126만원으로 더욱 차이가 벌어진다3)

나아가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남자 정규직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은 385만원 여자 정규직노동

자 253만원 남자 비정규직노동자 183만원 여자 비정규직노동자 118만원으로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가 극심하다4)

이처럼 성별임금격차가 큰 것은 여성 노동자 개개인의 생산성이 낮기 때문이 아니라 경력단절

에 따른 남녀 간 근속년수 차이와 경력단절 후 비정규직으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해서는 나이 고용형태 등에 의해 임금이 결정

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동일임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현실화

가 필요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법정화하고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

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요구된다

현행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이하lsquo기간제법rsquo) 에 따르면 사용자는 ldquo기

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

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제8조제1항)rdquo

또한ldquo단시간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의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제2항)rdquo 여기서 말하는 차별적 처우

3) 통계청 KOSIS ldquo산업 학력 연령계층 성별 임금 및 근로조건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4) 통계청 KOSIS ldquo성별 임금 및 근로시간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발제2_박선영

lt 29

란 합리적인 이유 없이「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임금 정기상여금 명절상여금 등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경영성과에 따른 성과금 그 밖에 근로조건 및 복리후생 등에 관한

사항 등에 있어서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말한다(제2조제3호)

이와 같은 「기간제법」 에 의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등의 차별적 처우 금지는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직무와 직종이

분리되어 있고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가 큰 우리의 현실에서는 동일업무와 유사업무에 대한

차별적 처우 금지만으로 고용형태에 의한 임금차별을 시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 간의 임금차별을 실효성 있게 규제하기 위해 등장한 법리인 동일가치노동 동일임

금 원칙을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행 「기간제법」 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성별임금격차 시정을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남녀고용평등법」 은 사업주에게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가

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

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

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8조)

우리나라 대다수 기업의 임금체계는 속인적인 요소에 기초를 둔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로 동일

가치노동의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방법을 설정하기 어렵다「남녀고용평등법」 상의 lsquo기술 노력 책

임 및 작업조건 등rsquo 은 직무평가기준으로 남성 집중 직무에서 기본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라는 점

에서 이미 차별의 결과로 형성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5)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의 평가기준이 갖는 남성집중 직무중심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동 원칙

의 판단기준인 lsquo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rsquo을 능력 실제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범위 기술

및 작업조건 등으로 세분화하면서 동일가치노동 판단의 기준을 수립할 때 여성노동자 대표가 포

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6)

또한 동일임금의 확보를 위해서는 법률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원칙을 명시하는 것만으로 충

분하지 않고 노동자의 임금정보에 대한 접근권 강화 사용자의 임금정보 공개의무 강화 분쟁 시

노동자의 입증책임 완화 또는 사용자의 입증책임 강화 동일가치 노동 여부를 가리기 위한 성 중

립적이고 체계적인 직무분류 및 평가기준의 마련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자체적인 노

력 및 노사 공동의 노력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7)

5) 박선영 외(2013) 「여성middot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Ⅰ) 낙태 규제와 여성의 대표성 관련 심층 분석

및 여성middot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0쪽

6)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240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0 gt

아래와 같은 벨기에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국가의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책무와 방향 등을

규정한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하여 성평등 임금공시제8)는 물론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의 기본계획 수립(목표치 설정) 과 시행 이를 위한 추진체계 성별임금격차 실태조사 및 모니

터링 등을 명문화하여 국가의 적극적 개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벨기에는「성별임금격차와 싸우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50인

이상의 기업은 2년마다 임금구조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노사협의회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에

는 근로자대표로 구성된 위원회) 에 제공해야 하고 노사협의회는 이 보고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 단 노사협의회는 이 정보에 대해 비밀을 지켜야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는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제공한 임금 사회보장 기여금 각종 혜택에 관한 정보

가 모두 포함되어야 되어야 하고 임금 등에 관한 정보는 노동자의 지위 직무등급 근속년수 교

육middot훈련middot자격 수준별로 상세히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임금구조를 분석할 때 성 중

립적(gender neutral) 직무평가middot분류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해야 하고 분석의 결과 양성 간

임금격차가 확인되면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행동계획에는

구체적 목표 목표달성 방법 달성기한 모니터링 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9)

3)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입법과제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취지는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며 직업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근로여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rdquo이었다 즉 노동시장

에서 발생하는 직middot간접 차별의 금지와 모성보호가 주요 입법목적이었다 그러나 법 제정으로부터

30년이 경과한 현재에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주로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런 구조적 차별의 모습 중의 하나가 이른바 ldquo유리천장rdquo이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 매년 발표하는 성 격차지수(Gender Gap Index)

에서 한국은 2017년 기준 건강 및 교육영역에서 각각 0973점(1에 가까울수록 평등) 0960점으

로 거의 성평등에 이르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영역과 정치영역에서는 각각 0533

점 0134점으로 하위권 수준이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유리천장이 얼마나 강고하게 존재하는지를

7)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8) 성별임금공시제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고용정

책기본법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신용현의원 대표발의 201733) 등이 발의되어 있다

9)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1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발제1_최우미

lt 13

KB국민은행 사례

bull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은행 측이 남성 지원자 100여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비정상적으로 여성보다 높게 줌

bull 2015년 하반기와 2016년 하반기까지 합치면 300명이 넘는 남성 지원자들 점수를 1차 서류전형 심사에서 무더기로 올림

bull 그 결과 여성 지원자의 점수는 상대적으로 낮아졌으며 이로인해 여성지원자 일부가 서류 전형에서 탈락함

ldquo신입 행원 가운데 여자가 너무 많으면 곤란해 남자를 배려하는 차원에서 올려준 것으로 조작이 아니라 조정이다rdquo

ldquo출산과 육아휴직 등 여성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전체 인력운용 차원에서 채용비율을 고려할 수 밖에 없다rdquo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건 성차별 아니냐rdquo

변명 혹은 반박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4 gt

남녀고용평등법과 일가정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제1항

ls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남녀를 차별해 채용해서는 아니 된다rsquo

HOWEVER

② 성차별 채용비리의 문제점

= ldquo구조적 차별rdquo

발제1_최우미

lt 15

과거 여행원제로 남녀차별

남성 일반직 행원으로 채용

여성 lsquo여행원rsquo으로 분리 채용하여 승진 임금 차별함

일명 성전환고시 여행원이 ldquo행원rdquo이 되려면 전환고

시에 합격해야함

금융권의 동일노동 동일임금 차별 철폐 운동으로

1993년 여행원제 폐지됨

현재 2차정규직으로 남녀차별

2차정규직의 특징 (일반정규직과 비교)

① 임금 일반정규직의 60~80 수준

② 승진 별도의 승진 체계 (콘크리트천장)

③ 업무범위 단순업무위주 (업무범위 제한있음)

④ 성비 여성이 절대다수 (876 ~ 993)

⑤ 무기계약직 준정규직 등 별도 직군화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6 gt

현재진행형 lsquo하위 직군의 여성화rsquo

bull 5대 은행 lsquo2차정규직rsquo 신규 채용 인원 중 여성 비율

883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5대 은행 직급별 여성 비율 현황

bull 2017년 9월기준

구분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KB국민은행 기업은행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부행장(전무) 15 00 12 00 20 00 16 63 15 67

본부장(상무) 54 74 72 56 41 49 39 51 28 107

지점장(부장) 1060 62 1396 81 - 00 1134 93 976 56

부지점장(부부장) 1886 124 2169 211 1622 115 3483 151 1487 221

책임자(차장과장) 4316 348 4062 461 4577 446 5189 423 3049 445

대리행원 3248 465 3207 536 4586 686 3779 693 2968 598

2차정규직 2398 993 2560 946 2436 984 2659 954 3706 876

기타 1335 414 905 934 - 00 1866 394 - 00

총인원 14312 436 14383 517 13282 585 18165 480 12229 553

출처 정의당심상정의원실

발제1_최우미

lt 17

2차정규직에 여성이 많은 이유

ldquo여성 지원자가 많아서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이 영업점 일선에서 대고객 업무를 하는 분들이다 보니 서비스 마인드가 뛰어난 여성 인력을 중점적으로 뽑아왔다 최근에는 남성도 많이 뽑는 추세다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에 여성이 많고 이분들이 능력을 인정받아 정규직으로 올라오기도 하기 때문에 일반 공채도 1대1로 뽑으면남녀 비율에 불균형이 생긴다 일반 공채에서 남자 쪽을 상대적으로 많이 뽑는다고 한다rdquo

2차정규직으로 차별을 제도화했다

bull 과거의 고용관행 + 현재의 채용 성비 불균형이 결합한 결과은행이 고용한 여성 10명 중 3~4명은 2차정규직

bull 여성들이 처우와 승진 가능성이 가장 낮은 직군에 집중되고 고임금 고위직을 남성이 독식하는 구조

bull 처우나 승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은행의 5대5 고용 성비는 일종의 lsquo착시rsquo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8 gt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천장

bull 기업 내 남성 선호 문화가 근본적인 문제bull 고위직으로 승진할 수 있는 일반직 여성 채용은 처음부터7 3 으로 시작

bull 여성은 출산육아를 거치면서 육아휴직 기간동안 승진에서불이익을 받음

bull 성별을 기준으로 업무를 배분하는 경향은 여전남성 가계대출 기업금융 등 여신 외환업무여성 예금 고객관리 등 수신업무본점 주요부서나 해외주재원 선발시 남성위주 선발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벽

ldquo위에서는 인력 풀이 없다고 하는데 우리를 유리벽에 가둬두고처음부터 키우지 않는다 남자 직원들은 다양한 은행 업무를 경험한 만큼 승진 폭이 넓지만 주로 창구 상담 등 수신을 담당했던 여자 직원은 책임자로 갈수록 할 수 있는 일이 적어서 승진가능한 폭 자체가 좁다rdquo

ldquo차장이 되자마자 기업 여신 업무를 하고 싶다고 지점장에게 말했다 6개월 뒤에 하라더니 결국 맡겨주지 않았다 또 다른 지점에서도 이야기했지만 거절당했다 야근도 다 감수하겠다고 했는데도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아 허탈했다rdquo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발제1_최우미

lt 19

ldquo성차별 악순환의 고리를 끊자rdquo

지원자 성비 공개

2차정규직의 완전한 정규직화

여성 임원 할당제

남성 육아휴직 의무화

강력한 처벌 가능한 법적 근거 마련

고맙습니다

ltlt 발 제 2 gtgt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발제2_박선영

lt 23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 들어가기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은 그동안 소문으로만 무성했던 어떤 lsquo실체rsquo를 확인하게 해

주었다 KB국민은행은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남성을 채용하기 위해 남성 지원자 100여

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여성보다 높게 조작했고 KEB하나은행은 최종합격자 성비를 4(남성)1(여

성)로 정해놓고 진행하였다 신한카드는 59 대 41이던 서류 지원자 남녀 비율을 서류전형 단계부

터 7대 3으로 정하고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 시까지 해당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하였다고

한다

모집middot채용에서 퇴직middot해고에 이르는 고용상의 전 과정에서의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는 「남녀고

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이하lsquo남녀고용평등법rsquo) 이 제정된 지 3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 보장rdquo이라는 남녀고용평등법의 제정 취지

가 무색한 현실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75일 일자리위원회 middot 관계부처 합동으로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을 마련하

여 발표하였다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의 주요내용은 첫째 채용 단계별 공정성 강화한다 이를 위해 공공기

관 lsquo채용 프로세스 관리 표준 매뉴얼rsquo도입 lsquo성평등 채용가이드라인rsquo제작 및 민간 확산 등을 통해

채용 절차를 선제적으로 관리한다

둘째 채용 성차별 의심기관 감독 및 제재 강화를 강화한다 lsquo익명신고 등 모집채용 성차별 신

고센터rsquo를 운영하고 신고에서 조사 피해자 구제에 이르는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고의middot반

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 강화 등 제재 및 권리구제를 강화하기 위

한 법률 제개정을 추진한다

셋째 성평등 채용 기반 강화 및 인식 개선을 위해 성평등 채용을 위한 공공기관의 노력을 경영

평가에 반영하고 여성 채용 우수기업에 대한 공공조달 인센티브를 개선하는 등 성평등 채용에 앞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4 gt

장서는 기관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용평등 상담실 상담기능 강화 명예고용평등

감독관 제도 활성화 등 기반 강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 발표에서는 이상의 대책 내용을 포함하여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고용 상의 성차별 규제와 고용 상의 성차별 구제로 나누어 각각의 입법과제 중

심으로 살펴본다

2 고용상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가 고용에서의 성차별 규제 실효성 제고 방안

1) 모집middot채용 차별 규제 강화를 위한 입법과제

모집middot채용 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 관행을 방지하기 위한 국가의 개입은 다각도로 필요하지

만 특히 성차별적 채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남녀고용평등법」은 모집middot채용(제7

조)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

에서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아울러 고용상의 성차별금지 규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

용 상 성차별을 한 사업주를 형사 처벌하는 벌칙 규정(제37조)을 두고 있고 이 법과 관련한 분쟁

해결에서의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제30조)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과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규정을 정리하면 lt표1gt

lt표 2gt과 같다

조항 내용

제7조

(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

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

(임금)① 사업주는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 가치 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lt표 1gt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

발제2_박선영

lt 25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르면 ld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rdquo 할 경우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모집middot채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은 고용의 입구에서 발생하는 차별로서 노동의 기회와 생

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노동조건에서의 차별과 비교할 때 권리의 침해 정도와 피해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임금차별금지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지 조항과 같이 징역

형을 병과하여 처벌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의 75일 정부대책에서는 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채용을 배제한 경우 5년 이하 징역 또는 3천

만 원 이하 벌금으로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고 한다 심상정의원이 대표 발의한 남녀고용평등법 개

정안에서도 노동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의 벌금으로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조항 내용

② 동일 가치 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

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

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③ 사업주가 임금차별을 목적으로 설립한 별개의 사업은 동일한 사업으로 본다

제9조

(임금 외의 금품 등)

사업주는 임금 외에 근로자의 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금품의 지급 또는 자금의 융자 등 복리후생

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사업주는 근로자의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1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

①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의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 사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서는 아니 된다

금지규정 처벌규정 형량

제7조 제1항 모집middot채용시 차별금지

제7조 제2항 직무수행과 무관한 용모를 채용조

건으로 하는 것 금지

제37조 제4항 제1호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제9조 임금 외의 금품에서 남녀차별 금지 제37조 제4항 제2호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차별금지 제37조 제4항 제3호

제8조 제1항 동일가치노동middot동일임금 지급 제37조 제2항 제1호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제11조 제1항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

제11조 제2항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사

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 체결 금지

제37조 제1항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lt표 2gt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6 gt

블라인드 채용 정착과 성인지성 제고를 위한「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전면 개정

국가인권위원회의 ldquo2017년 구직자 대상 온라인 조사 결과rdquo1)에 따르면 구직자 중 남성 594

여성 619가 면접 시 차별의 경중에 관계없이 차별을 받았다 응답했다 면접 시 차별적 질문으

로는lsquo나이rsquo관련 질문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여성 845 남성 751) 그 다음이lsquo학

력rsquo관련 질문이다(여성736 남성 732) 나이와 학력 관련 질문으로 불쾌감을 경험한 비율은

학력(416)이 나이(3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면접 시 받는 차별적인 질문 유형에는 성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의 경우 임신 등 출산 여부

(276p) 성별(199p) 혼인 여부(119p) 나이(94p)와 관련된 질문을 받은 경험이 남성

에 비해 월등히 높아 질문 자체에 이미 성차별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런 성차별적 질문과 인식은 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부는 지난 2017년 7월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ls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블라인드 채

용 추진방안rsquo을 발표하였고 현재 공공기관 중심으로 블라인드 채용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입사지원서 양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블라인드 채용은 채용 과정에서 기회의 평등과 과정의 공정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정책이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블라인드 채용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 이르는 채용 과정 전체가 직무중심으로 변화middot발전되어야 하고 직무 중심의 채용이 보

편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블라인드 채용의 실시

및 정착을 위한 방향으로 전면 개정하여 블라인드 채용의 정착을 위한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입법 취지는 ldquo사용자가 근로자를 채용하고자 할 때 요구하

는 채용서류와 채용심사 비용은 구직자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채용시장의 관

행상 사용자가 이를 적극적으로 반환하거나 구직자의 요구에 따라 돌려주는 경우는 거의 희박하

고 근로자를 채용할 의사가 없으면서 구직자의 사업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으로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내는 등 채용과정에서 부조리가 발생하고 있는 실

정인바 사용자의 거짓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금지하고 구인자가 구직자에게 채용심사 비용을 부담

시키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며 채용서류를 반환하도록 하고 전자 접수를 장려하며 채용 일

정 지원서 접수 사실 및 합격middot불합격 여부 등을 명확히 고지하도록 하는 등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1) 최근 3년간 구직 경험이 있는 자 중 면접 단계까지 경험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면접과정에서의 차별 경험에 대해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middot도에 거주하는 만 20sim34세 남녀를 연령별로 할당하여 총

500명(유효 응답자 기준)에 대해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7월 기준 만 20sim34세 남녀 인구는 전체 10171264명이며 이 중 남성은 523(5314624명) 여성은

477(4856640명)이다 박선영 외(2017) 채용과정 차별 실태 모니터링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결과는31~63쪽

참조

발제2_박선영

lt 27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서류의 재활용을 통해 사회적 자원을 절약함과 아울러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그 권익을 보호하려는 것rdquo이다2) 이런 입법 취지는 목적 조항을 통해서도 확인된

다ldquo이 법은 채용과정에서 구직자가 제출하는 채용서류의 반환 등 채용절차에서의 최소한의 공정

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dquo(제1조)

채용절차에서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불공정한 관행을 바로 잡는 것은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위

해 필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채용과정의 불공정 관행은 절차적인 문제 해결뿐 아니라 채용 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 제거를 통해서도 바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법의 목적 조항에

채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의 제거를 포함시킴으로써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를 방지하고 직무중심 채용이 정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계에

맞는 표준양식 등을 마련하여 그 사용을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lsquo블라인드 채용을 위한

면접 가이드라인rsquo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동안은 입사지원서를 통해 불필요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서류 심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토대로 면접이 이루어졌다 반면 블라인드 채용은

입사지원서를 통해서는 성별 연령 출신대학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면접이 개인의 정보를 확인

하는 과정으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

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은 첫째 직무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면

접 방법의 다양화와 그 판단 지침 등을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 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방법

중 포트폴리오 문제해결시나리오 사례연구 평가자 질문 평가자 체크리스트 구두 발표 등이 면

접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때 각각의 면접방식에서 직무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블라인드 채용의 취지에 따라 질문해서는 안 되는 사항을 새롭게 구

성할 필요가 있다 면접위원에게 응시자의 인적정보 제공 금지 및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을 금지한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금지되는 질문 유형을 적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면접위원 구성 원칙(성별 균형원칙)과 면접위원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및 그 내용을 제공

하는 것이 요구된다

2) 국가법령정보센터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정 이유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453amplsId=ampefYd=20140121ampchrClsCd=010202ampurlMode=

lsEfInfoRampviewCls=lsRvsDocInfoR000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8 gt

2)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입법과제

OECD 국가 중 10년 넘게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성별임금격차는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OECD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의 성별임금격차(Gender Wage Gap)는 367로 35개

회원국 중 격차가 압도적으로 높다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적은 국가는 코스타리카(18) 룩셈부

르크(34) 그리스(45) 벨기에(47) 슬로베니아(50) 등으로 나타나며 우리를 제외하고

OECD국가 가운데 성별임금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에스토니아(283) 일본(257)과 비교해도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매우 크다

또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월 임금총액이 여자는 229만원 남자 341만원이며 남

녀 평균 임금격차는 약 112만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졸이상 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을 따로 살

펴보면 여자 286만원 남자 412만원으로 임금격차는 약 126만원으로 더욱 차이가 벌어진다3)

나아가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남자 정규직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은 385만원 여자 정규직노동

자 253만원 남자 비정규직노동자 183만원 여자 비정규직노동자 118만원으로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가 극심하다4)

이처럼 성별임금격차가 큰 것은 여성 노동자 개개인의 생산성이 낮기 때문이 아니라 경력단절

에 따른 남녀 간 근속년수 차이와 경력단절 후 비정규직으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해서는 나이 고용형태 등에 의해 임금이 결정

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동일임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현실화

가 필요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법정화하고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

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요구된다

현행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이하lsquo기간제법rsquo) 에 따르면 사용자는 ldquo기

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

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제8조제1항)rdquo

또한ldquo단시간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의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제2항)rdquo 여기서 말하는 차별적 처우

3) 통계청 KOSIS ldquo산업 학력 연령계층 성별 임금 및 근로조건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4) 통계청 KOSIS ldquo성별 임금 및 근로시간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발제2_박선영

lt 29

란 합리적인 이유 없이「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임금 정기상여금 명절상여금 등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경영성과에 따른 성과금 그 밖에 근로조건 및 복리후생 등에 관한

사항 등에 있어서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말한다(제2조제3호)

이와 같은 「기간제법」 에 의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등의 차별적 처우 금지는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직무와 직종이

분리되어 있고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가 큰 우리의 현실에서는 동일업무와 유사업무에 대한

차별적 처우 금지만으로 고용형태에 의한 임금차별을 시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 간의 임금차별을 실효성 있게 규제하기 위해 등장한 법리인 동일가치노동 동일임

금 원칙을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행 「기간제법」 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성별임금격차 시정을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남녀고용평등법」 은 사업주에게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가

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

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

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8조)

우리나라 대다수 기업의 임금체계는 속인적인 요소에 기초를 둔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로 동일

가치노동의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방법을 설정하기 어렵다「남녀고용평등법」 상의 lsquo기술 노력 책

임 및 작업조건 등rsquo 은 직무평가기준으로 남성 집중 직무에서 기본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라는 점

에서 이미 차별의 결과로 형성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5)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의 평가기준이 갖는 남성집중 직무중심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동 원칙

의 판단기준인 lsquo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rsquo을 능력 실제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범위 기술

및 작업조건 등으로 세분화하면서 동일가치노동 판단의 기준을 수립할 때 여성노동자 대표가 포

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6)

또한 동일임금의 확보를 위해서는 법률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원칙을 명시하는 것만으로 충

분하지 않고 노동자의 임금정보에 대한 접근권 강화 사용자의 임금정보 공개의무 강화 분쟁 시

노동자의 입증책임 완화 또는 사용자의 입증책임 강화 동일가치 노동 여부를 가리기 위한 성 중

립적이고 체계적인 직무분류 및 평가기준의 마련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자체적인 노

력 및 노사 공동의 노력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7)

5) 박선영 외(2013) 「여성middot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Ⅰ) 낙태 규제와 여성의 대표성 관련 심층 분석

및 여성middot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0쪽

6)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240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0 gt

아래와 같은 벨기에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국가의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책무와 방향 등을

규정한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하여 성평등 임금공시제8)는 물론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의 기본계획 수립(목표치 설정) 과 시행 이를 위한 추진체계 성별임금격차 실태조사 및 모니

터링 등을 명문화하여 국가의 적극적 개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벨기에는「성별임금격차와 싸우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50인

이상의 기업은 2년마다 임금구조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노사협의회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에

는 근로자대표로 구성된 위원회) 에 제공해야 하고 노사협의회는 이 보고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 단 노사협의회는 이 정보에 대해 비밀을 지켜야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는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제공한 임금 사회보장 기여금 각종 혜택에 관한 정보

가 모두 포함되어야 되어야 하고 임금 등에 관한 정보는 노동자의 지위 직무등급 근속년수 교

육middot훈련middot자격 수준별로 상세히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임금구조를 분석할 때 성 중

립적(gender neutral) 직무평가middot분류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해야 하고 분석의 결과 양성 간

임금격차가 확인되면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행동계획에는

구체적 목표 목표달성 방법 달성기한 모니터링 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9)

3)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입법과제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취지는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며 직업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근로여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rdquo이었다 즉 노동시장

에서 발생하는 직middot간접 차별의 금지와 모성보호가 주요 입법목적이었다 그러나 법 제정으로부터

30년이 경과한 현재에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주로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런 구조적 차별의 모습 중의 하나가 이른바 ldquo유리천장rdquo이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 매년 발표하는 성 격차지수(Gender Gap Index)

에서 한국은 2017년 기준 건강 및 교육영역에서 각각 0973점(1에 가까울수록 평등) 0960점으

로 거의 성평등에 이르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영역과 정치영역에서는 각각 0533

점 0134점으로 하위권 수준이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유리천장이 얼마나 강고하게 존재하는지를

7)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8) 성별임금공시제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고용정

책기본법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신용현의원 대표발의 201733) 등이 발의되어 있다

9)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11: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4 gt

남녀고용평등법과 일가정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제1항

ls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남녀를 차별해 채용해서는 아니 된다rsquo

HOWEVER

② 성차별 채용비리의 문제점

= ldquo구조적 차별rdquo

발제1_최우미

lt 15

과거 여행원제로 남녀차별

남성 일반직 행원으로 채용

여성 lsquo여행원rsquo으로 분리 채용하여 승진 임금 차별함

일명 성전환고시 여행원이 ldquo행원rdquo이 되려면 전환고

시에 합격해야함

금융권의 동일노동 동일임금 차별 철폐 운동으로

1993년 여행원제 폐지됨

현재 2차정규직으로 남녀차별

2차정규직의 특징 (일반정규직과 비교)

① 임금 일반정규직의 60~80 수준

② 승진 별도의 승진 체계 (콘크리트천장)

③ 업무범위 단순업무위주 (업무범위 제한있음)

④ 성비 여성이 절대다수 (876 ~ 993)

⑤ 무기계약직 준정규직 등 별도 직군화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6 gt

현재진행형 lsquo하위 직군의 여성화rsquo

bull 5대 은행 lsquo2차정규직rsquo 신규 채용 인원 중 여성 비율

883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5대 은행 직급별 여성 비율 현황

bull 2017년 9월기준

구분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KB국민은행 기업은행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부행장(전무) 15 00 12 00 20 00 16 63 15 67

본부장(상무) 54 74 72 56 41 49 39 51 28 107

지점장(부장) 1060 62 1396 81 - 00 1134 93 976 56

부지점장(부부장) 1886 124 2169 211 1622 115 3483 151 1487 221

책임자(차장과장) 4316 348 4062 461 4577 446 5189 423 3049 445

대리행원 3248 465 3207 536 4586 686 3779 693 2968 598

2차정규직 2398 993 2560 946 2436 984 2659 954 3706 876

기타 1335 414 905 934 - 00 1866 394 - 00

총인원 14312 436 14383 517 13282 585 18165 480 12229 553

출처 정의당심상정의원실

발제1_최우미

lt 17

2차정규직에 여성이 많은 이유

ldquo여성 지원자가 많아서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이 영업점 일선에서 대고객 업무를 하는 분들이다 보니 서비스 마인드가 뛰어난 여성 인력을 중점적으로 뽑아왔다 최근에는 남성도 많이 뽑는 추세다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에 여성이 많고 이분들이 능력을 인정받아 정규직으로 올라오기도 하기 때문에 일반 공채도 1대1로 뽑으면남녀 비율에 불균형이 생긴다 일반 공채에서 남자 쪽을 상대적으로 많이 뽑는다고 한다rdquo

2차정규직으로 차별을 제도화했다

bull 과거의 고용관행 + 현재의 채용 성비 불균형이 결합한 결과은행이 고용한 여성 10명 중 3~4명은 2차정규직

bull 여성들이 처우와 승진 가능성이 가장 낮은 직군에 집중되고 고임금 고위직을 남성이 독식하는 구조

bull 처우나 승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은행의 5대5 고용 성비는 일종의 lsquo착시rsquo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8 gt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천장

bull 기업 내 남성 선호 문화가 근본적인 문제bull 고위직으로 승진할 수 있는 일반직 여성 채용은 처음부터7 3 으로 시작

bull 여성은 출산육아를 거치면서 육아휴직 기간동안 승진에서불이익을 받음

bull 성별을 기준으로 업무를 배분하는 경향은 여전남성 가계대출 기업금융 등 여신 외환업무여성 예금 고객관리 등 수신업무본점 주요부서나 해외주재원 선발시 남성위주 선발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벽

ldquo위에서는 인력 풀이 없다고 하는데 우리를 유리벽에 가둬두고처음부터 키우지 않는다 남자 직원들은 다양한 은행 업무를 경험한 만큼 승진 폭이 넓지만 주로 창구 상담 등 수신을 담당했던 여자 직원은 책임자로 갈수록 할 수 있는 일이 적어서 승진가능한 폭 자체가 좁다rdquo

ldquo차장이 되자마자 기업 여신 업무를 하고 싶다고 지점장에게 말했다 6개월 뒤에 하라더니 결국 맡겨주지 않았다 또 다른 지점에서도 이야기했지만 거절당했다 야근도 다 감수하겠다고 했는데도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아 허탈했다rdquo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발제1_최우미

lt 19

ldquo성차별 악순환의 고리를 끊자rdquo

지원자 성비 공개

2차정규직의 완전한 정규직화

여성 임원 할당제

남성 육아휴직 의무화

강력한 처벌 가능한 법적 근거 마련

고맙습니다

ltlt 발 제 2 gtgt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발제2_박선영

lt 23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 들어가기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은 그동안 소문으로만 무성했던 어떤 lsquo실체rsquo를 확인하게 해

주었다 KB국민은행은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남성을 채용하기 위해 남성 지원자 100여

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여성보다 높게 조작했고 KEB하나은행은 최종합격자 성비를 4(남성)1(여

성)로 정해놓고 진행하였다 신한카드는 59 대 41이던 서류 지원자 남녀 비율을 서류전형 단계부

터 7대 3으로 정하고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 시까지 해당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하였다고

한다

모집middot채용에서 퇴직middot해고에 이르는 고용상의 전 과정에서의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는 「남녀고

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이하lsquo남녀고용평등법rsquo) 이 제정된 지 3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 보장rdquo이라는 남녀고용평등법의 제정 취지

가 무색한 현실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75일 일자리위원회 middot 관계부처 합동으로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을 마련하

여 발표하였다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의 주요내용은 첫째 채용 단계별 공정성 강화한다 이를 위해 공공기

관 lsquo채용 프로세스 관리 표준 매뉴얼rsquo도입 lsquo성평등 채용가이드라인rsquo제작 및 민간 확산 등을 통해

채용 절차를 선제적으로 관리한다

둘째 채용 성차별 의심기관 감독 및 제재 강화를 강화한다 lsquo익명신고 등 모집채용 성차별 신

고센터rsquo를 운영하고 신고에서 조사 피해자 구제에 이르는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고의middot반

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 강화 등 제재 및 권리구제를 강화하기 위

한 법률 제개정을 추진한다

셋째 성평등 채용 기반 강화 및 인식 개선을 위해 성평등 채용을 위한 공공기관의 노력을 경영

평가에 반영하고 여성 채용 우수기업에 대한 공공조달 인센티브를 개선하는 등 성평등 채용에 앞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4 gt

장서는 기관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용평등 상담실 상담기능 강화 명예고용평등

감독관 제도 활성화 등 기반 강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 발표에서는 이상의 대책 내용을 포함하여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고용 상의 성차별 규제와 고용 상의 성차별 구제로 나누어 각각의 입법과제 중

심으로 살펴본다

2 고용상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가 고용에서의 성차별 규제 실효성 제고 방안

1) 모집middot채용 차별 규제 강화를 위한 입법과제

모집middot채용 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 관행을 방지하기 위한 국가의 개입은 다각도로 필요하지

만 특히 성차별적 채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남녀고용평등법」은 모집middot채용(제7

조)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

에서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아울러 고용상의 성차별금지 규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

용 상 성차별을 한 사업주를 형사 처벌하는 벌칙 규정(제37조)을 두고 있고 이 법과 관련한 분쟁

해결에서의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제30조)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과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규정을 정리하면 lt표1gt

lt표 2gt과 같다

조항 내용

제7조

(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

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

(임금)① 사업주는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 가치 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lt표 1gt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

발제2_박선영

lt 25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르면 ld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rdquo 할 경우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모집middot채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은 고용의 입구에서 발생하는 차별로서 노동의 기회와 생

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노동조건에서의 차별과 비교할 때 권리의 침해 정도와 피해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임금차별금지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지 조항과 같이 징역

형을 병과하여 처벌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의 75일 정부대책에서는 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채용을 배제한 경우 5년 이하 징역 또는 3천

만 원 이하 벌금으로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고 한다 심상정의원이 대표 발의한 남녀고용평등법 개

정안에서도 노동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의 벌금으로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조항 내용

② 동일 가치 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

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

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③ 사업주가 임금차별을 목적으로 설립한 별개의 사업은 동일한 사업으로 본다

제9조

(임금 외의 금품 등)

사업주는 임금 외에 근로자의 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금품의 지급 또는 자금의 융자 등 복리후생

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사업주는 근로자의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1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

①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의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 사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서는 아니 된다

금지규정 처벌규정 형량

제7조 제1항 모집middot채용시 차별금지

제7조 제2항 직무수행과 무관한 용모를 채용조

건으로 하는 것 금지

제37조 제4항 제1호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제9조 임금 외의 금품에서 남녀차별 금지 제37조 제4항 제2호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차별금지 제37조 제4항 제3호

제8조 제1항 동일가치노동middot동일임금 지급 제37조 제2항 제1호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제11조 제1항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

제11조 제2항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사

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 체결 금지

제37조 제1항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lt표 2gt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6 gt

블라인드 채용 정착과 성인지성 제고를 위한「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전면 개정

국가인권위원회의 ldquo2017년 구직자 대상 온라인 조사 결과rdquo1)에 따르면 구직자 중 남성 594

여성 619가 면접 시 차별의 경중에 관계없이 차별을 받았다 응답했다 면접 시 차별적 질문으

로는lsquo나이rsquo관련 질문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여성 845 남성 751) 그 다음이lsquo학

력rsquo관련 질문이다(여성736 남성 732) 나이와 학력 관련 질문으로 불쾌감을 경험한 비율은

학력(416)이 나이(3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면접 시 받는 차별적인 질문 유형에는 성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의 경우 임신 등 출산 여부

(276p) 성별(199p) 혼인 여부(119p) 나이(94p)와 관련된 질문을 받은 경험이 남성

에 비해 월등히 높아 질문 자체에 이미 성차별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런 성차별적 질문과 인식은 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부는 지난 2017년 7월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ls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블라인드 채

용 추진방안rsquo을 발표하였고 현재 공공기관 중심으로 블라인드 채용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입사지원서 양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블라인드 채용은 채용 과정에서 기회의 평등과 과정의 공정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정책이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블라인드 채용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 이르는 채용 과정 전체가 직무중심으로 변화middot발전되어야 하고 직무 중심의 채용이 보

편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블라인드 채용의 실시

및 정착을 위한 방향으로 전면 개정하여 블라인드 채용의 정착을 위한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입법 취지는 ldquo사용자가 근로자를 채용하고자 할 때 요구하

는 채용서류와 채용심사 비용은 구직자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채용시장의 관

행상 사용자가 이를 적극적으로 반환하거나 구직자의 요구에 따라 돌려주는 경우는 거의 희박하

고 근로자를 채용할 의사가 없으면서 구직자의 사업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으로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내는 등 채용과정에서 부조리가 발생하고 있는 실

정인바 사용자의 거짓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금지하고 구인자가 구직자에게 채용심사 비용을 부담

시키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며 채용서류를 반환하도록 하고 전자 접수를 장려하며 채용 일

정 지원서 접수 사실 및 합격middot불합격 여부 등을 명확히 고지하도록 하는 등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1) 최근 3년간 구직 경험이 있는 자 중 면접 단계까지 경험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면접과정에서의 차별 경험에 대해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middot도에 거주하는 만 20sim34세 남녀를 연령별로 할당하여 총

500명(유효 응답자 기준)에 대해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7월 기준 만 20sim34세 남녀 인구는 전체 10171264명이며 이 중 남성은 523(5314624명) 여성은

477(4856640명)이다 박선영 외(2017) 채용과정 차별 실태 모니터링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결과는31~63쪽

참조

발제2_박선영

lt 27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서류의 재활용을 통해 사회적 자원을 절약함과 아울러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그 권익을 보호하려는 것rdquo이다2) 이런 입법 취지는 목적 조항을 통해서도 확인된

다ldquo이 법은 채용과정에서 구직자가 제출하는 채용서류의 반환 등 채용절차에서의 최소한의 공정

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dquo(제1조)

채용절차에서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불공정한 관행을 바로 잡는 것은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위

해 필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채용과정의 불공정 관행은 절차적인 문제 해결뿐 아니라 채용 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 제거를 통해서도 바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법의 목적 조항에

채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의 제거를 포함시킴으로써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를 방지하고 직무중심 채용이 정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계에

맞는 표준양식 등을 마련하여 그 사용을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lsquo블라인드 채용을 위한

면접 가이드라인rsquo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동안은 입사지원서를 통해 불필요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서류 심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토대로 면접이 이루어졌다 반면 블라인드 채용은

입사지원서를 통해서는 성별 연령 출신대학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면접이 개인의 정보를 확인

하는 과정으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

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은 첫째 직무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면

접 방법의 다양화와 그 판단 지침 등을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 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방법

중 포트폴리오 문제해결시나리오 사례연구 평가자 질문 평가자 체크리스트 구두 발표 등이 면

접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때 각각의 면접방식에서 직무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블라인드 채용의 취지에 따라 질문해서는 안 되는 사항을 새롭게 구

성할 필요가 있다 면접위원에게 응시자의 인적정보 제공 금지 및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을 금지한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금지되는 질문 유형을 적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면접위원 구성 원칙(성별 균형원칙)과 면접위원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및 그 내용을 제공

하는 것이 요구된다

2) 국가법령정보센터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정 이유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453amplsId=ampefYd=20140121ampchrClsCd=010202ampurlMode=

lsEfInfoRampviewCls=lsRvsDocInfoR000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8 gt

2)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입법과제

OECD 국가 중 10년 넘게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성별임금격차는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OECD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의 성별임금격차(Gender Wage Gap)는 367로 35개

회원국 중 격차가 압도적으로 높다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적은 국가는 코스타리카(18) 룩셈부

르크(34) 그리스(45) 벨기에(47) 슬로베니아(50) 등으로 나타나며 우리를 제외하고

OECD국가 가운데 성별임금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에스토니아(283) 일본(257)과 비교해도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매우 크다

또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월 임금총액이 여자는 229만원 남자 341만원이며 남

녀 평균 임금격차는 약 112만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졸이상 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을 따로 살

펴보면 여자 286만원 남자 412만원으로 임금격차는 약 126만원으로 더욱 차이가 벌어진다3)

나아가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남자 정규직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은 385만원 여자 정규직노동

자 253만원 남자 비정규직노동자 183만원 여자 비정규직노동자 118만원으로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가 극심하다4)

이처럼 성별임금격차가 큰 것은 여성 노동자 개개인의 생산성이 낮기 때문이 아니라 경력단절

에 따른 남녀 간 근속년수 차이와 경력단절 후 비정규직으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해서는 나이 고용형태 등에 의해 임금이 결정

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동일임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현실화

가 필요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법정화하고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

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요구된다

현행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이하lsquo기간제법rsquo) 에 따르면 사용자는 ldquo기

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

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제8조제1항)rdquo

또한ldquo단시간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의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제2항)rdquo 여기서 말하는 차별적 처우

3) 통계청 KOSIS ldquo산업 학력 연령계층 성별 임금 및 근로조건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4) 통계청 KOSIS ldquo성별 임금 및 근로시간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발제2_박선영

lt 29

란 합리적인 이유 없이「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임금 정기상여금 명절상여금 등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경영성과에 따른 성과금 그 밖에 근로조건 및 복리후생 등에 관한

사항 등에 있어서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말한다(제2조제3호)

이와 같은 「기간제법」 에 의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등의 차별적 처우 금지는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직무와 직종이

분리되어 있고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가 큰 우리의 현실에서는 동일업무와 유사업무에 대한

차별적 처우 금지만으로 고용형태에 의한 임금차별을 시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 간의 임금차별을 실효성 있게 규제하기 위해 등장한 법리인 동일가치노동 동일임

금 원칙을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행 「기간제법」 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성별임금격차 시정을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남녀고용평등법」 은 사업주에게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가

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

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

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8조)

우리나라 대다수 기업의 임금체계는 속인적인 요소에 기초를 둔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로 동일

가치노동의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방법을 설정하기 어렵다「남녀고용평등법」 상의 lsquo기술 노력 책

임 및 작업조건 등rsquo 은 직무평가기준으로 남성 집중 직무에서 기본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라는 점

에서 이미 차별의 결과로 형성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5)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의 평가기준이 갖는 남성집중 직무중심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동 원칙

의 판단기준인 lsquo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rsquo을 능력 실제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범위 기술

및 작업조건 등으로 세분화하면서 동일가치노동 판단의 기준을 수립할 때 여성노동자 대표가 포

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6)

또한 동일임금의 확보를 위해서는 법률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원칙을 명시하는 것만으로 충

분하지 않고 노동자의 임금정보에 대한 접근권 강화 사용자의 임금정보 공개의무 강화 분쟁 시

노동자의 입증책임 완화 또는 사용자의 입증책임 강화 동일가치 노동 여부를 가리기 위한 성 중

립적이고 체계적인 직무분류 및 평가기준의 마련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자체적인 노

력 및 노사 공동의 노력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7)

5) 박선영 외(2013) 「여성middot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Ⅰ) 낙태 규제와 여성의 대표성 관련 심층 분석

및 여성middot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0쪽

6)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240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0 gt

아래와 같은 벨기에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국가의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책무와 방향 등을

규정한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하여 성평등 임금공시제8)는 물론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의 기본계획 수립(목표치 설정) 과 시행 이를 위한 추진체계 성별임금격차 실태조사 및 모니

터링 등을 명문화하여 국가의 적극적 개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벨기에는「성별임금격차와 싸우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50인

이상의 기업은 2년마다 임금구조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노사협의회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에

는 근로자대표로 구성된 위원회) 에 제공해야 하고 노사협의회는 이 보고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 단 노사협의회는 이 정보에 대해 비밀을 지켜야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는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제공한 임금 사회보장 기여금 각종 혜택에 관한 정보

가 모두 포함되어야 되어야 하고 임금 등에 관한 정보는 노동자의 지위 직무등급 근속년수 교

육middot훈련middot자격 수준별로 상세히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임금구조를 분석할 때 성 중

립적(gender neutral) 직무평가middot분류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해야 하고 분석의 결과 양성 간

임금격차가 확인되면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행동계획에는

구체적 목표 목표달성 방법 달성기한 모니터링 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9)

3)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입법과제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취지는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며 직업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근로여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rdquo이었다 즉 노동시장

에서 발생하는 직middot간접 차별의 금지와 모성보호가 주요 입법목적이었다 그러나 법 제정으로부터

30년이 경과한 현재에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주로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런 구조적 차별의 모습 중의 하나가 이른바 ldquo유리천장rdquo이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 매년 발표하는 성 격차지수(Gender Gap Index)

에서 한국은 2017년 기준 건강 및 교육영역에서 각각 0973점(1에 가까울수록 평등) 0960점으

로 거의 성평등에 이르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영역과 정치영역에서는 각각 0533

점 0134점으로 하위권 수준이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유리천장이 얼마나 강고하게 존재하는지를

7)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8) 성별임금공시제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고용정

책기본법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신용현의원 대표발의 201733) 등이 발의되어 있다

9)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12: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발제1_최우미

lt 15

과거 여행원제로 남녀차별

남성 일반직 행원으로 채용

여성 lsquo여행원rsquo으로 분리 채용하여 승진 임금 차별함

일명 성전환고시 여행원이 ldquo행원rdquo이 되려면 전환고

시에 합격해야함

금융권의 동일노동 동일임금 차별 철폐 운동으로

1993년 여행원제 폐지됨

현재 2차정규직으로 남녀차별

2차정규직의 특징 (일반정규직과 비교)

① 임금 일반정규직의 60~80 수준

② 승진 별도의 승진 체계 (콘크리트천장)

③ 업무범위 단순업무위주 (업무범위 제한있음)

④ 성비 여성이 절대다수 (876 ~ 993)

⑤ 무기계약직 준정규직 등 별도 직군화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6 gt

현재진행형 lsquo하위 직군의 여성화rsquo

bull 5대 은행 lsquo2차정규직rsquo 신규 채용 인원 중 여성 비율

883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5대 은행 직급별 여성 비율 현황

bull 2017년 9월기준

구분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KB국민은행 기업은행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부행장(전무) 15 00 12 00 20 00 16 63 15 67

본부장(상무) 54 74 72 56 41 49 39 51 28 107

지점장(부장) 1060 62 1396 81 - 00 1134 93 976 56

부지점장(부부장) 1886 124 2169 211 1622 115 3483 151 1487 221

책임자(차장과장) 4316 348 4062 461 4577 446 5189 423 3049 445

대리행원 3248 465 3207 536 4586 686 3779 693 2968 598

2차정규직 2398 993 2560 946 2436 984 2659 954 3706 876

기타 1335 414 905 934 - 00 1866 394 - 00

총인원 14312 436 14383 517 13282 585 18165 480 12229 553

출처 정의당심상정의원실

발제1_최우미

lt 17

2차정규직에 여성이 많은 이유

ldquo여성 지원자가 많아서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이 영업점 일선에서 대고객 업무를 하는 분들이다 보니 서비스 마인드가 뛰어난 여성 인력을 중점적으로 뽑아왔다 최근에는 남성도 많이 뽑는 추세다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에 여성이 많고 이분들이 능력을 인정받아 정규직으로 올라오기도 하기 때문에 일반 공채도 1대1로 뽑으면남녀 비율에 불균형이 생긴다 일반 공채에서 남자 쪽을 상대적으로 많이 뽑는다고 한다rdquo

2차정규직으로 차별을 제도화했다

bull 과거의 고용관행 + 현재의 채용 성비 불균형이 결합한 결과은행이 고용한 여성 10명 중 3~4명은 2차정규직

bull 여성들이 처우와 승진 가능성이 가장 낮은 직군에 집중되고 고임금 고위직을 남성이 독식하는 구조

bull 처우나 승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은행의 5대5 고용 성비는 일종의 lsquo착시rsquo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8 gt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천장

bull 기업 내 남성 선호 문화가 근본적인 문제bull 고위직으로 승진할 수 있는 일반직 여성 채용은 처음부터7 3 으로 시작

bull 여성은 출산육아를 거치면서 육아휴직 기간동안 승진에서불이익을 받음

bull 성별을 기준으로 업무를 배분하는 경향은 여전남성 가계대출 기업금융 등 여신 외환업무여성 예금 고객관리 등 수신업무본점 주요부서나 해외주재원 선발시 남성위주 선발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벽

ldquo위에서는 인력 풀이 없다고 하는데 우리를 유리벽에 가둬두고처음부터 키우지 않는다 남자 직원들은 다양한 은행 업무를 경험한 만큼 승진 폭이 넓지만 주로 창구 상담 등 수신을 담당했던 여자 직원은 책임자로 갈수록 할 수 있는 일이 적어서 승진가능한 폭 자체가 좁다rdquo

ldquo차장이 되자마자 기업 여신 업무를 하고 싶다고 지점장에게 말했다 6개월 뒤에 하라더니 결국 맡겨주지 않았다 또 다른 지점에서도 이야기했지만 거절당했다 야근도 다 감수하겠다고 했는데도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아 허탈했다rdquo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발제1_최우미

lt 19

ldquo성차별 악순환의 고리를 끊자rdquo

지원자 성비 공개

2차정규직의 완전한 정규직화

여성 임원 할당제

남성 육아휴직 의무화

강력한 처벌 가능한 법적 근거 마련

고맙습니다

ltlt 발 제 2 gtgt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발제2_박선영

lt 23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 들어가기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은 그동안 소문으로만 무성했던 어떤 lsquo실체rsquo를 확인하게 해

주었다 KB국민은행은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남성을 채용하기 위해 남성 지원자 100여

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여성보다 높게 조작했고 KEB하나은행은 최종합격자 성비를 4(남성)1(여

성)로 정해놓고 진행하였다 신한카드는 59 대 41이던 서류 지원자 남녀 비율을 서류전형 단계부

터 7대 3으로 정하고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 시까지 해당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하였다고

한다

모집middot채용에서 퇴직middot해고에 이르는 고용상의 전 과정에서의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는 「남녀고

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이하lsquo남녀고용평등법rsquo) 이 제정된 지 3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 보장rdquo이라는 남녀고용평등법의 제정 취지

가 무색한 현실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75일 일자리위원회 middot 관계부처 합동으로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을 마련하

여 발표하였다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의 주요내용은 첫째 채용 단계별 공정성 강화한다 이를 위해 공공기

관 lsquo채용 프로세스 관리 표준 매뉴얼rsquo도입 lsquo성평등 채용가이드라인rsquo제작 및 민간 확산 등을 통해

채용 절차를 선제적으로 관리한다

둘째 채용 성차별 의심기관 감독 및 제재 강화를 강화한다 lsquo익명신고 등 모집채용 성차별 신

고센터rsquo를 운영하고 신고에서 조사 피해자 구제에 이르는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고의middot반

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 강화 등 제재 및 권리구제를 강화하기 위

한 법률 제개정을 추진한다

셋째 성평등 채용 기반 강화 및 인식 개선을 위해 성평등 채용을 위한 공공기관의 노력을 경영

평가에 반영하고 여성 채용 우수기업에 대한 공공조달 인센티브를 개선하는 등 성평등 채용에 앞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4 gt

장서는 기관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용평등 상담실 상담기능 강화 명예고용평등

감독관 제도 활성화 등 기반 강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 발표에서는 이상의 대책 내용을 포함하여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고용 상의 성차별 규제와 고용 상의 성차별 구제로 나누어 각각의 입법과제 중

심으로 살펴본다

2 고용상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가 고용에서의 성차별 규제 실효성 제고 방안

1) 모집middot채용 차별 규제 강화를 위한 입법과제

모집middot채용 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 관행을 방지하기 위한 국가의 개입은 다각도로 필요하지

만 특히 성차별적 채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남녀고용평등법」은 모집middot채용(제7

조)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

에서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아울러 고용상의 성차별금지 규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

용 상 성차별을 한 사업주를 형사 처벌하는 벌칙 규정(제37조)을 두고 있고 이 법과 관련한 분쟁

해결에서의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제30조)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과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규정을 정리하면 lt표1gt

lt표 2gt과 같다

조항 내용

제7조

(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

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

(임금)① 사업주는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 가치 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lt표 1gt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

발제2_박선영

lt 25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르면 ld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rdquo 할 경우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모집middot채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은 고용의 입구에서 발생하는 차별로서 노동의 기회와 생

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노동조건에서의 차별과 비교할 때 권리의 침해 정도와 피해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임금차별금지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지 조항과 같이 징역

형을 병과하여 처벌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의 75일 정부대책에서는 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채용을 배제한 경우 5년 이하 징역 또는 3천

만 원 이하 벌금으로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고 한다 심상정의원이 대표 발의한 남녀고용평등법 개

정안에서도 노동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의 벌금으로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조항 내용

② 동일 가치 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

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

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③ 사업주가 임금차별을 목적으로 설립한 별개의 사업은 동일한 사업으로 본다

제9조

(임금 외의 금품 등)

사업주는 임금 외에 근로자의 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금품의 지급 또는 자금의 융자 등 복리후생

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사업주는 근로자의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1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

①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의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 사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서는 아니 된다

금지규정 처벌규정 형량

제7조 제1항 모집middot채용시 차별금지

제7조 제2항 직무수행과 무관한 용모를 채용조

건으로 하는 것 금지

제37조 제4항 제1호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제9조 임금 외의 금품에서 남녀차별 금지 제37조 제4항 제2호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차별금지 제37조 제4항 제3호

제8조 제1항 동일가치노동middot동일임금 지급 제37조 제2항 제1호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제11조 제1항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

제11조 제2항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사

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 체결 금지

제37조 제1항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lt표 2gt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6 gt

블라인드 채용 정착과 성인지성 제고를 위한「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전면 개정

국가인권위원회의 ldquo2017년 구직자 대상 온라인 조사 결과rdquo1)에 따르면 구직자 중 남성 594

여성 619가 면접 시 차별의 경중에 관계없이 차별을 받았다 응답했다 면접 시 차별적 질문으

로는lsquo나이rsquo관련 질문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여성 845 남성 751) 그 다음이lsquo학

력rsquo관련 질문이다(여성736 남성 732) 나이와 학력 관련 질문으로 불쾌감을 경험한 비율은

학력(416)이 나이(3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면접 시 받는 차별적인 질문 유형에는 성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의 경우 임신 등 출산 여부

(276p) 성별(199p) 혼인 여부(119p) 나이(94p)와 관련된 질문을 받은 경험이 남성

에 비해 월등히 높아 질문 자체에 이미 성차별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런 성차별적 질문과 인식은 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부는 지난 2017년 7월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ls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블라인드 채

용 추진방안rsquo을 발표하였고 현재 공공기관 중심으로 블라인드 채용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입사지원서 양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블라인드 채용은 채용 과정에서 기회의 평등과 과정의 공정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정책이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블라인드 채용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 이르는 채용 과정 전체가 직무중심으로 변화middot발전되어야 하고 직무 중심의 채용이 보

편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블라인드 채용의 실시

및 정착을 위한 방향으로 전면 개정하여 블라인드 채용의 정착을 위한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입법 취지는 ldquo사용자가 근로자를 채용하고자 할 때 요구하

는 채용서류와 채용심사 비용은 구직자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채용시장의 관

행상 사용자가 이를 적극적으로 반환하거나 구직자의 요구에 따라 돌려주는 경우는 거의 희박하

고 근로자를 채용할 의사가 없으면서 구직자의 사업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으로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내는 등 채용과정에서 부조리가 발생하고 있는 실

정인바 사용자의 거짓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금지하고 구인자가 구직자에게 채용심사 비용을 부담

시키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며 채용서류를 반환하도록 하고 전자 접수를 장려하며 채용 일

정 지원서 접수 사실 및 합격middot불합격 여부 등을 명확히 고지하도록 하는 등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1) 최근 3년간 구직 경험이 있는 자 중 면접 단계까지 경험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면접과정에서의 차별 경험에 대해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middot도에 거주하는 만 20sim34세 남녀를 연령별로 할당하여 총

500명(유효 응답자 기준)에 대해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7월 기준 만 20sim34세 남녀 인구는 전체 10171264명이며 이 중 남성은 523(5314624명) 여성은

477(4856640명)이다 박선영 외(2017) 채용과정 차별 실태 모니터링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결과는31~63쪽

참조

발제2_박선영

lt 27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서류의 재활용을 통해 사회적 자원을 절약함과 아울러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그 권익을 보호하려는 것rdquo이다2) 이런 입법 취지는 목적 조항을 통해서도 확인된

다ldquo이 법은 채용과정에서 구직자가 제출하는 채용서류의 반환 등 채용절차에서의 최소한의 공정

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dquo(제1조)

채용절차에서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불공정한 관행을 바로 잡는 것은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위

해 필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채용과정의 불공정 관행은 절차적인 문제 해결뿐 아니라 채용 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 제거를 통해서도 바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법의 목적 조항에

채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의 제거를 포함시킴으로써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를 방지하고 직무중심 채용이 정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계에

맞는 표준양식 등을 마련하여 그 사용을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lsquo블라인드 채용을 위한

면접 가이드라인rsquo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동안은 입사지원서를 통해 불필요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서류 심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토대로 면접이 이루어졌다 반면 블라인드 채용은

입사지원서를 통해서는 성별 연령 출신대학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면접이 개인의 정보를 확인

하는 과정으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

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은 첫째 직무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면

접 방법의 다양화와 그 판단 지침 등을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 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방법

중 포트폴리오 문제해결시나리오 사례연구 평가자 질문 평가자 체크리스트 구두 발표 등이 면

접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때 각각의 면접방식에서 직무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블라인드 채용의 취지에 따라 질문해서는 안 되는 사항을 새롭게 구

성할 필요가 있다 면접위원에게 응시자의 인적정보 제공 금지 및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을 금지한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금지되는 질문 유형을 적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면접위원 구성 원칙(성별 균형원칙)과 면접위원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및 그 내용을 제공

하는 것이 요구된다

2) 국가법령정보센터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정 이유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453amplsId=ampefYd=20140121ampchrClsCd=010202ampurlMode=

lsEfInfoRampviewCls=lsRvsDocInfoR000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8 gt

2)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입법과제

OECD 국가 중 10년 넘게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성별임금격차는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OECD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의 성별임금격차(Gender Wage Gap)는 367로 35개

회원국 중 격차가 압도적으로 높다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적은 국가는 코스타리카(18) 룩셈부

르크(34) 그리스(45) 벨기에(47) 슬로베니아(50) 등으로 나타나며 우리를 제외하고

OECD국가 가운데 성별임금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에스토니아(283) 일본(257)과 비교해도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매우 크다

또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월 임금총액이 여자는 229만원 남자 341만원이며 남

녀 평균 임금격차는 약 112만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졸이상 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을 따로 살

펴보면 여자 286만원 남자 412만원으로 임금격차는 약 126만원으로 더욱 차이가 벌어진다3)

나아가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남자 정규직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은 385만원 여자 정규직노동

자 253만원 남자 비정규직노동자 183만원 여자 비정규직노동자 118만원으로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가 극심하다4)

이처럼 성별임금격차가 큰 것은 여성 노동자 개개인의 생산성이 낮기 때문이 아니라 경력단절

에 따른 남녀 간 근속년수 차이와 경력단절 후 비정규직으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해서는 나이 고용형태 등에 의해 임금이 결정

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동일임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현실화

가 필요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법정화하고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

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요구된다

현행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이하lsquo기간제법rsquo) 에 따르면 사용자는 ldquo기

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

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제8조제1항)rdquo

또한ldquo단시간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의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제2항)rdquo 여기서 말하는 차별적 처우

3) 통계청 KOSIS ldquo산업 학력 연령계층 성별 임금 및 근로조건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4) 통계청 KOSIS ldquo성별 임금 및 근로시간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발제2_박선영

lt 29

란 합리적인 이유 없이「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임금 정기상여금 명절상여금 등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경영성과에 따른 성과금 그 밖에 근로조건 및 복리후생 등에 관한

사항 등에 있어서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말한다(제2조제3호)

이와 같은 「기간제법」 에 의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등의 차별적 처우 금지는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직무와 직종이

분리되어 있고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가 큰 우리의 현실에서는 동일업무와 유사업무에 대한

차별적 처우 금지만으로 고용형태에 의한 임금차별을 시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 간의 임금차별을 실효성 있게 규제하기 위해 등장한 법리인 동일가치노동 동일임

금 원칙을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행 「기간제법」 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성별임금격차 시정을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남녀고용평등법」 은 사업주에게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가

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

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

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8조)

우리나라 대다수 기업의 임금체계는 속인적인 요소에 기초를 둔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로 동일

가치노동의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방법을 설정하기 어렵다「남녀고용평등법」 상의 lsquo기술 노력 책

임 및 작업조건 등rsquo 은 직무평가기준으로 남성 집중 직무에서 기본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라는 점

에서 이미 차별의 결과로 형성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5)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의 평가기준이 갖는 남성집중 직무중심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동 원칙

의 판단기준인 lsquo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rsquo을 능력 실제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범위 기술

및 작업조건 등으로 세분화하면서 동일가치노동 판단의 기준을 수립할 때 여성노동자 대표가 포

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6)

또한 동일임금의 확보를 위해서는 법률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원칙을 명시하는 것만으로 충

분하지 않고 노동자의 임금정보에 대한 접근권 강화 사용자의 임금정보 공개의무 강화 분쟁 시

노동자의 입증책임 완화 또는 사용자의 입증책임 강화 동일가치 노동 여부를 가리기 위한 성 중

립적이고 체계적인 직무분류 및 평가기준의 마련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자체적인 노

력 및 노사 공동의 노력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7)

5) 박선영 외(2013) 「여성middot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Ⅰ) 낙태 규제와 여성의 대표성 관련 심층 분석

및 여성middot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0쪽

6)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240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0 gt

아래와 같은 벨기에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국가의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책무와 방향 등을

규정한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하여 성평등 임금공시제8)는 물론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의 기본계획 수립(목표치 설정) 과 시행 이를 위한 추진체계 성별임금격차 실태조사 및 모니

터링 등을 명문화하여 국가의 적극적 개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벨기에는「성별임금격차와 싸우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50인

이상의 기업은 2년마다 임금구조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노사협의회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에

는 근로자대표로 구성된 위원회) 에 제공해야 하고 노사협의회는 이 보고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 단 노사협의회는 이 정보에 대해 비밀을 지켜야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는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제공한 임금 사회보장 기여금 각종 혜택에 관한 정보

가 모두 포함되어야 되어야 하고 임금 등에 관한 정보는 노동자의 지위 직무등급 근속년수 교

육middot훈련middot자격 수준별로 상세히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임금구조를 분석할 때 성 중

립적(gender neutral) 직무평가middot분류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해야 하고 분석의 결과 양성 간

임금격차가 확인되면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행동계획에는

구체적 목표 목표달성 방법 달성기한 모니터링 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9)

3)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입법과제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취지는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며 직업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근로여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rdquo이었다 즉 노동시장

에서 발생하는 직middot간접 차별의 금지와 모성보호가 주요 입법목적이었다 그러나 법 제정으로부터

30년이 경과한 현재에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주로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런 구조적 차별의 모습 중의 하나가 이른바 ldquo유리천장rdquo이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 매년 발표하는 성 격차지수(Gender Gap Index)

에서 한국은 2017년 기준 건강 및 교육영역에서 각각 0973점(1에 가까울수록 평등) 0960점으

로 거의 성평등에 이르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영역과 정치영역에서는 각각 0533

점 0134점으로 하위권 수준이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유리천장이 얼마나 강고하게 존재하는지를

7)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8) 성별임금공시제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고용정

책기본법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신용현의원 대표발의 201733) 등이 발의되어 있다

9)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1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6 gt

현재진행형 lsquo하위 직군의 여성화rsquo

bull 5대 은행 lsquo2차정규직rsquo 신규 채용 인원 중 여성 비율

883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5대 은행 직급별 여성 비율 현황

bull 2017년 9월기준

구분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KB국민은행 기업은행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총인원 여성비율

부행장(전무) 15 00 12 00 20 00 16 63 15 67

본부장(상무) 54 74 72 56 41 49 39 51 28 107

지점장(부장) 1060 62 1396 81 - 00 1134 93 976 56

부지점장(부부장) 1886 124 2169 211 1622 115 3483 151 1487 221

책임자(차장과장) 4316 348 4062 461 4577 446 5189 423 3049 445

대리행원 3248 465 3207 536 4586 686 3779 693 2968 598

2차정규직 2398 993 2560 946 2436 984 2659 954 3706 876

기타 1335 414 905 934 - 00 1866 394 - 00

총인원 14312 436 14383 517 13282 585 18165 480 12229 553

출처 정의당심상정의원실

발제1_최우미

lt 17

2차정규직에 여성이 많은 이유

ldquo여성 지원자가 많아서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이 영업점 일선에서 대고객 업무를 하는 분들이다 보니 서비스 마인드가 뛰어난 여성 인력을 중점적으로 뽑아왔다 최근에는 남성도 많이 뽑는 추세다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에 여성이 많고 이분들이 능력을 인정받아 정규직으로 올라오기도 하기 때문에 일반 공채도 1대1로 뽑으면남녀 비율에 불균형이 생긴다 일반 공채에서 남자 쪽을 상대적으로 많이 뽑는다고 한다rdquo

2차정규직으로 차별을 제도화했다

bull 과거의 고용관행 + 현재의 채용 성비 불균형이 결합한 결과은행이 고용한 여성 10명 중 3~4명은 2차정규직

bull 여성들이 처우와 승진 가능성이 가장 낮은 직군에 집중되고 고임금 고위직을 남성이 독식하는 구조

bull 처우나 승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은행의 5대5 고용 성비는 일종의 lsquo착시rsquo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8 gt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천장

bull 기업 내 남성 선호 문화가 근본적인 문제bull 고위직으로 승진할 수 있는 일반직 여성 채용은 처음부터7 3 으로 시작

bull 여성은 출산육아를 거치면서 육아휴직 기간동안 승진에서불이익을 받음

bull 성별을 기준으로 업무를 배분하는 경향은 여전남성 가계대출 기업금융 등 여신 외환업무여성 예금 고객관리 등 수신업무본점 주요부서나 해외주재원 선발시 남성위주 선발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벽

ldquo위에서는 인력 풀이 없다고 하는데 우리를 유리벽에 가둬두고처음부터 키우지 않는다 남자 직원들은 다양한 은행 업무를 경험한 만큼 승진 폭이 넓지만 주로 창구 상담 등 수신을 담당했던 여자 직원은 책임자로 갈수록 할 수 있는 일이 적어서 승진가능한 폭 자체가 좁다rdquo

ldquo차장이 되자마자 기업 여신 업무를 하고 싶다고 지점장에게 말했다 6개월 뒤에 하라더니 결국 맡겨주지 않았다 또 다른 지점에서도 이야기했지만 거절당했다 야근도 다 감수하겠다고 했는데도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아 허탈했다rdquo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발제1_최우미

lt 19

ldquo성차별 악순환의 고리를 끊자rdquo

지원자 성비 공개

2차정규직의 완전한 정규직화

여성 임원 할당제

남성 육아휴직 의무화

강력한 처벌 가능한 법적 근거 마련

고맙습니다

ltlt 발 제 2 gtgt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발제2_박선영

lt 23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 들어가기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은 그동안 소문으로만 무성했던 어떤 lsquo실체rsquo를 확인하게 해

주었다 KB국민은행은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남성을 채용하기 위해 남성 지원자 100여

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여성보다 높게 조작했고 KEB하나은행은 최종합격자 성비를 4(남성)1(여

성)로 정해놓고 진행하였다 신한카드는 59 대 41이던 서류 지원자 남녀 비율을 서류전형 단계부

터 7대 3으로 정하고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 시까지 해당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하였다고

한다

모집middot채용에서 퇴직middot해고에 이르는 고용상의 전 과정에서의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는 「남녀고

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이하lsquo남녀고용평등법rsquo) 이 제정된 지 3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 보장rdquo이라는 남녀고용평등법의 제정 취지

가 무색한 현실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75일 일자리위원회 middot 관계부처 합동으로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을 마련하

여 발표하였다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의 주요내용은 첫째 채용 단계별 공정성 강화한다 이를 위해 공공기

관 lsquo채용 프로세스 관리 표준 매뉴얼rsquo도입 lsquo성평등 채용가이드라인rsquo제작 및 민간 확산 등을 통해

채용 절차를 선제적으로 관리한다

둘째 채용 성차별 의심기관 감독 및 제재 강화를 강화한다 lsquo익명신고 등 모집채용 성차별 신

고센터rsquo를 운영하고 신고에서 조사 피해자 구제에 이르는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고의middot반

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 강화 등 제재 및 권리구제를 강화하기 위

한 법률 제개정을 추진한다

셋째 성평등 채용 기반 강화 및 인식 개선을 위해 성평등 채용을 위한 공공기관의 노력을 경영

평가에 반영하고 여성 채용 우수기업에 대한 공공조달 인센티브를 개선하는 등 성평등 채용에 앞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4 gt

장서는 기관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용평등 상담실 상담기능 강화 명예고용평등

감독관 제도 활성화 등 기반 강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 발표에서는 이상의 대책 내용을 포함하여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고용 상의 성차별 규제와 고용 상의 성차별 구제로 나누어 각각의 입법과제 중

심으로 살펴본다

2 고용상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가 고용에서의 성차별 규제 실효성 제고 방안

1) 모집middot채용 차별 규제 강화를 위한 입법과제

모집middot채용 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 관행을 방지하기 위한 국가의 개입은 다각도로 필요하지

만 특히 성차별적 채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남녀고용평등법」은 모집middot채용(제7

조)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

에서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아울러 고용상의 성차별금지 규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

용 상 성차별을 한 사업주를 형사 처벌하는 벌칙 규정(제37조)을 두고 있고 이 법과 관련한 분쟁

해결에서의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제30조)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과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규정을 정리하면 lt표1gt

lt표 2gt과 같다

조항 내용

제7조

(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

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

(임금)① 사업주는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 가치 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lt표 1gt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

발제2_박선영

lt 25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르면 ld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rdquo 할 경우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모집middot채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은 고용의 입구에서 발생하는 차별로서 노동의 기회와 생

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노동조건에서의 차별과 비교할 때 권리의 침해 정도와 피해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임금차별금지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지 조항과 같이 징역

형을 병과하여 처벌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의 75일 정부대책에서는 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채용을 배제한 경우 5년 이하 징역 또는 3천

만 원 이하 벌금으로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고 한다 심상정의원이 대표 발의한 남녀고용평등법 개

정안에서도 노동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의 벌금으로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조항 내용

② 동일 가치 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

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

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③ 사업주가 임금차별을 목적으로 설립한 별개의 사업은 동일한 사업으로 본다

제9조

(임금 외의 금품 등)

사업주는 임금 외에 근로자의 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금품의 지급 또는 자금의 융자 등 복리후생

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사업주는 근로자의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1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

①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의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 사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서는 아니 된다

금지규정 처벌규정 형량

제7조 제1항 모집middot채용시 차별금지

제7조 제2항 직무수행과 무관한 용모를 채용조

건으로 하는 것 금지

제37조 제4항 제1호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제9조 임금 외의 금품에서 남녀차별 금지 제37조 제4항 제2호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차별금지 제37조 제4항 제3호

제8조 제1항 동일가치노동middot동일임금 지급 제37조 제2항 제1호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제11조 제1항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

제11조 제2항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사

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 체결 금지

제37조 제1항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lt표 2gt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6 gt

블라인드 채용 정착과 성인지성 제고를 위한「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전면 개정

국가인권위원회의 ldquo2017년 구직자 대상 온라인 조사 결과rdquo1)에 따르면 구직자 중 남성 594

여성 619가 면접 시 차별의 경중에 관계없이 차별을 받았다 응답했다 면접 시 차별적 질문으

로는lsquo나이rsquo관련 질문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여성 845 남성 751) 그 다음이lsquo학

력rsquo관련 질문이다(여성736 남성 732) 나이와 학력 관련 질문으로 불쾌감을 경험한 비율은

학력(416)이 나이(3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면접 시 받는 차별적인 질문 유형에는 성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의 경우 임신 등 출산 여부

(276p) 성별(199p) 혼인 여부(119p) 나이(94p)와 관련된 질문을 받은 경험이 남성

에 비해 월등히 높아 질문 자체에 이미 성차별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런 성차별적 질문과 인식은 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부는 지난 2017년 7월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ls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블라인드 채

용 추진방안rsquo을 발표하였고 현재 공공기관 중심으로 블라인드 채용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입사지원서 양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블라인드 채용은 채용 과정에서 기회의 평등과 과정의 공정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정책이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블라인드 채용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 이르는 채용 과정 전체가 직무중심으로 변화middot발전되어야 하고 직무 중심의 채용이 보

편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블라인드 채용의 실시

및 정착을 위한 방향으로 전면 개정하여 블라인드 채용의 정착을 위한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입법 취지는 ldquo사용자가 근로자를 채용하고자 할 때 요구하

는 채용서류와 채용심사 비용은 구직자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채용시장의 관

행상 사용자가 이를 적극적으로 반환하거나 구직자의 요구에 따라 돌려주는 경우는 거의 희박하

고 근로자를 채용할 의사가 없으면서 구직자의 사업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으로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내는 등 채용과정에서 부조리가 발생하고 있는 실

정인바 사용자의 거짓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금지하고 구인자가 구직자에게 채용심사 비용을 부담

시키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며 채용서류를 반환하도록 하고 전자 접수를 장려하며 채용 일

정 지원서 접수 사실 및 합격middot불합격 여부 등을 명확히 고지하도록 하는 등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1) 최근 3년간 구직 경험이 있는 자 중 면접 단계까지 경험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면접과정에서의 차별 경험에 대해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middot도에 거주하는 만 20sim34세 남녀를 연령별로 할당하여 총

500명(유효 응답자 기준)에 대해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7월 기준 만 20sim34세 남녀 인구는 전체 10171264명이며 이 중 남성은 523(5314624명) 여성은

477(4856640명)이다 박선영 외(2017) 채용과정 차별 실태 모니터링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결과는31~63쪽

참조

발제2_박선영

lt 27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서류의 재활용을 통해 사회적 자원을 절약함과 아울러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그 권익을 보호하려는 것rdquo이다2) 이런 입법 취지는 목적 조항을 통해서도 확인된

다ldquo이 법은 채용과정에서 구직자가 제출하는 채용서류의 반환 등 채용절차에서의 최소한의 공정

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dquo(제1조)

채용절차에서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불공정한 관행을 바로 잡는 것은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위

해 필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채용과정의 불공정 관행은 절차적인 문제 해결뿐 아니라 채용 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 제거를 통해서도 바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법의 목적 조항에

채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의 제거를 포함시킴으로써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를 방지하고 직무중심 채용이 정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계에

맞는 표준양식 등을 마련하여 그 사용을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lsquo블라인드 채용을 위한

면접 가이드라인rsquo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동안은 입사지원서를 통해 불필요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서류 심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토대로 면접이 이루어졌다 반면 블라인드 채용은

입사지원서를 통해서는 성별 연령 출신대학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면접이 개인의 정보를 확인

하는 과정으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

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은 첫째 직무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면

접 방법의 다양화와 그 판단 지침 등을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 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방법

중 포트폴리오 문제해결시나리오 사례연구 평가자 질문 평가자 체크리스트 구두 발표 등이 면

접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때 각각의 면접방식에서 직무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블라인드 채용의 취지에 따라 질문해서는 안 되는 사항을 새롭게 구

성할 필요가 있다 면접위원에게 응시자의 인적정보 제공 금지 및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을 금지한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금지되는 질문 유형을 적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면접위원 구성 원칙(성별 균형원칙)과 면접위원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및 그 내용을 제공

하는 것이 요구된다

2) 국가법령정보센터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정 이유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453amplsId=ampefYd=20140121ampchrClsCd=010202ampurlMode=

lsEfInfoRampviewCls=lsRvsDocInfoR000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8 gt

2)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입법과제

OECD 국가 중 10년 넘게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성별임금격차는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OECD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의 성별임금격차(Gender Wage Gap)는 367로 35개

회원국 중 격차가 압도적으로 높다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적은 국가는 코스타리카(18) 룩셈부

르크(34) 그리스(45) 벨기에(47) 슬로베니아(50) 등으로 나타나며 우리를 제외하고

OECD국가 가운데 성별임금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에스토니아(283) 일본(257)과 비교해도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매우 크다

또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월 임금총액이 여자는 229만원 남자 341만원이며 남

녀 평균 임금격차는 약 112만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졸이상 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을 따로 살

펴보면 여자 286만원 남자 412만원으로 임금격차는 약 126만원으로 더욱 차이가 벌어진다3)

나아가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남자 정규직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은 385만원 여자 정규직노동

자 253만원 남자 비정규직노동자 183만원 여자 비정규직노동자 118만원으로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가 극심하다4)

이처럼 성별임금격차가 큰 것은 여성 노동자 개개인의 생산성이 낮기 때문이 아니라 경력단절

에 따른 남녀 간 근속년수 차이와 경력단절 후 비정규직으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해서는 나이 고용형태 등에 의해 임금이 결정

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동일임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현실화

가 필요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법정화하고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

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요구된다

현행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이하lsquo기간제법rsquo) 에 따르면 사용자는 ldquo기

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

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제8조제1항)rdquo

또한ldquo단시간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의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제2항)rdquo 여기서 말하는 차별적 처우

3) 통계청 KOSIS ldquo산업 학력 연령계층 성별 임금 및 근로조건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4) 통계청 KOSIS ldquo성별 임금 및 근로시간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발제2_박선영

lt 29

란 합리적인 이유 없이「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임금 정기상여금 명절상여금 등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경영성과에 따른 성과금 그 밖에 근로조건 및 복리후생 등에 관한

사항 등에 있어서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말한다(제2조제3호)

이와 같은 「기간제법」 에 의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등의 차별적 처우 금지는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직무와 직종이

분리되어 있고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가 큰 우리의 현실에서는 동일업무와 유사업무에 대한

차별적 처우 금지만으로 고용형태에 의한 임금차별을 시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 간의 임금차별을 실효성 있게 규제하기 위해 등장한 법리인 동일가치노동 동일임

금 원칙을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행 「기간제법」 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성별임금격차 시정을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남녀고용평등법」 은 사업주에게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가

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

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

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8조)

우리나라 대다수 기업의 임금체계는 속인적인 요소에 기초를 둔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로 동일

가치노동의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방법을 설정하기 어렵다「남녀고용평등법」 상의 lsquo기술 노력 책

임 및 작업조건 등rsquo 은 직무평가기준으로 남성 집중 직무에서 기본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라는 점

에서 이미 차별의 결과로 형성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5)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의 평가기준이 갖는 남성집중 직무중심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동 원칙

의 판단기준인 lsquo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rsquo을 능력 실제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범위 기술

및 작업조건 등으로 세분화하면서 동일가치노동 판단의 기준을 수립할 때 여성노동자 대표가 포

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6)

또한 동일임금의 확보를 위해서는 법률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원칙을 명시하는 것만으로 충

분하지 않고 노동자의 임금정보에 대한 접근권 강화 사용자의 임금정보 공개의무 강화 분쟁 시

노동자의 입증책임 완화 또는 사용자의 입증책임 강화 동일가치 노동 여부를 가리기 위한 성 중

립적이고 체계적인 직무분류 및 평가기준의 마련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자체적인 노

력 및 노사 공동의 노력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7)

5) 박선영 외(2013) 「여성middot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Ⅰ) 낙태 규제와 여성의 대표성 관련 심층 분석

및 여성middot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0쪽

6)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240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0 gt

아래와 같은 벨기에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국가의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책무와 방향 등을

규정한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하여 성평등 임금공시제8)는 물론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의 기본계획 수립(목표치 설정) 과 시행 이를 위한 추진체계 성별임금격차 실태조사 및 모니

터링 등을 명문화하여 국가의 적극적 개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벨기에는「성별임금격차와 싸우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50인

이상의 기업은 2년마다 임금구조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노사협의회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에

는 근로자대표로 구성된 위원회) 에 제공해야 하고 노사협의회는 이 보고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 단 노사협의회는 이 정보에 대해 비밀을 지켜야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는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제공한 임금 사회보장 기여금 각종 혜택에 관한 정보

가 모두 포함되어야 되어야 하고 임금 등에 관한 정보는 노동자의 지위 직무등급 근속년수 교

육middot훈련middot자격 수준별로 상세히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임금구조를 분석할 때 성 중

립적(gender neutral) 직무평가middot분류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해야 하고 분석의 결과 양성 간

임금격차가 확인되면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행동계획에는

구체적 목표 목표달성 방법 달성기한 모니터링 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9)

3)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입법과제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취지는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며 직업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근로여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rdquo이었다 즉 노동시장

에서 발생하는 직middot간접 차별의 금지와 모성보호가 주요 입법목적이었다 그러나 법 제정으로부터

30년이 경과한 현재에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주로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런 구조적 차별의 모습 중의 하나가 이른바 ldquo유리천장rdquo이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 매년 발표하는 성 격차지수(Gender Gap Index)

에서 한국은 2017년 기준 건강 및 교육영역에서 각각 0973점(1에 가까울수록 평등) 0960점으

로 거의 성평등에 이르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영역과 정치영역에서는 각각 0533

점 0134점으로 하위권 수준이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유리천장이 얼마나 강고하게 존재하는지를

7)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8) 성별임금공시제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고용정

책기본법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신용현의원 대표발의 201733) 등이 발의되어 있다

9)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14: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발제1_최우미

lt 17

2차정규직에 여성이 많은 이유

ldquo여성 지원자가 많아서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이 영업점 일선에서 대고객 업무를 하는 분들이다 보니 서비스 마인드가 뛰어난 여성 인력을 중점적으로 뽑아왔다 최근에는 남성도 많이 뽑는 추세다rdquo

ldquo창구 텔러 직군에 여성이 많고 이분들이 능력을 인정받아 정규직으로 올라오기도 하기 때문에 일반 공채도 1대1로 뽑으면남녀 비율에 불균형이 생긴다 일반 공채에서 남자 쪽을 상대적으로 많이 뽑는다고 한다rdquo

2차정규직으로 차별을 제도화했다

bull 과거의 고용관행 + 현재의 채용 성비 불균형이 결합한 결과은행이 고용한 여성 10명 중 3~4명은 2차정규직

bull 여성들이 처우와 승진 가능성이 가장 낮은 직군에 집중되고 고임금 고위직을 남성이 독식하는 구조

bull 처우나 승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은행의 5대5 고용 성비는 일종의 lsquo착시rsquo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8 gt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천장

bull 기업 내 남성 선호 문화가 근본적인 문제bull 고위직으로 승진할 수 있는 일반직 여성 채용은 처음부터7 3 으로 시작

bull 여성은 출산육아를 거치면서 육아휴직 기간동안 승진에서불이익을 받음

bull 성별을 기준으로 업무를 배분하는 경향은 여전남성 가계대출 기업금융 등 여신 외환업무여성 예금 고객관리 등 수신업무본점 주요부서나 해외주재원 선발시 남성위주 선발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벽

ldquo위에서는 인력 풀이 없다고 하는데 우리를 유리벽에 가둬두고처음부터 키우지 않는다 남자 직원들은 다양한 은행 업무를 경험한 만큼 승진 폭이 넓지만 주로 창구 상담 등 수신을 담당했던 여자 직원은 책임자로 갈수록 할 수 있는 일이 적어서 승진가능한 폭 자체가 좁다rdquo

ldquo차장이 되자마자 기업 여신 업무를 하고 싶다고 지점장에게 말했다 6개월 뒤에 하라더니 결국 맡겨주지 않았다 또 다른 지점에서도 이야기했지만 거절당했다 야근도 다 감수하겠다고 했는데도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아 허탈했다rdquo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발제1_최우미

lt 19

ldquo성차별 악순환의 고리를 끊자rdquo

지원자 성비 공개

2차정규직의 완전한 정규직화

여성 임원 할당제

남성 육아휴직 의무화

강력한 처벌 가능한 법적 근거 마련

고맙습니다

ltlt 발 제 2 gtgt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발제2_박선영

lt 23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 들어가기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은 그동안 소문으로만 무성했던 어떤 lsquo실체rsquo를 확인하게 해

주었다 KB국민은행은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남성을 채용하기 위해 남성 지원자 100여

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여성보다 높게 조작했고 KEB하나은행은 최종합격자 성비를 4(남성)1(여

성)로 정해놓고 진행하였다 신한카드는 59 대 41이던 서류 지원자 남녀 비율을 서류전형 단계부

터 7대 3으로 정하고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 시까지 해당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하였다고

한다

모집middot채용에서 퇴직middot해고에 이르는 고용상의 전 과정에서의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는 「남녀고

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이하lsquo남녀고용평등법rsquo) 이 제정된 지 3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 보장rdquo이라는 남녀고용평등법의 제정 취지

가 무색한 현실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75일 일자리위원회 middot 관계부처 합동으로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을 마련하

여 발표하였다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의 주요내용은 첫째 채용 단계별 공정성 강화한다 이를 위해 공공기

관 lsquo채용 프로세스 관리 표준 매뉴얼rsquo도입 lsquo성평등 채용가이드라인rsquo제작 및 민간 확산 등을 통해

채용 절차를 선제적으로 관리한다

둘째 채용 성차별 의심기관 감독 및 제재 강화를 강화한다 lsquo익명신고 등 모집채용 성차별 신

고센터rsquo를 운영하고 신고에서 조사 피해자 구제에 이르는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고의middot반

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 강화 등 제재 및 권리구제를 강화하기 위

한 법률 제개정을 추진한다

셋째 성평등 채용 기반 강화 및 인식 개선을 위해 성평등 채용을 위한 공공기관의 노력을 경영

평가에 반영하고 여성 채용 우수기업에 대한 공공조달 인센티브를 개선하는 등 성평등 채용에 앞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4 gt

장서는 기관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용평등 상담실 상담기능 강화 명예고용평등

감독관 제도 활성화 등 기반 강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 발표에서는 이상의 대책 내용을 포함하여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고용 상의 성차별 규제와 고용 상의 성차별 구제로 나누어 각각의 입법과제 중

심으로 살펴본다

2 고용상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가 고용에서의 성차별 규제 실효성 제고 방안

1) 모집middot채용 차별 규제 강화를 위한 입법과제

모집middot채용 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 관행을 방지하기 위한 국가의 개입은 다각도로 필요하지

만 특히 성차별적 채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남녀고용평등법」은 모집middot채용(제7

조)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

에서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아울러 고용상의 성차별금지 규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

용 상 성차별을 한 사업주를 형사 처벌하는 벌칙 규정(제37조)을 두고 있고 이 법과 관련한 분쟁

해결에서의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제30조)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과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규정을 정리하면 lt표1gt

lt표 2gt과 같다

조항 내용

제7조

(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

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

(임금)① 사업주는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 가치 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lt표 1gt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

발제2_박선영

lt 25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르면 ld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rdquo 할 경우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모집middot채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은 고용의 입구에서 발생하는 차별로서 노동의 기회와 생

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노동조건에서의 차별과 비교할 때 권리의 침해 정도와 피해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임금차별금지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지 조항과 같이 징역

형을 병과하여 처벌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의 75일 정부대책에서는 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채용을 배제한 경우 5년 이하 징역 또는 3천

만 원 이하 벌금으로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고 한다 심상정의원이 대표 발의한 남녀고용평등법 개

정안에서도 노동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의 벌금으로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조항 내용

② 동일 가치 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

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

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③ 사업주가 임금차별을 목적으로 설립한 별개의 사업은 동일한 사업으로 본다

제9조

(임금 외의 금품 등)

사업주는 임금 외에 근로자의 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금품의 지급 또는 자금의 융자 등 복리후생

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사업주는 근로자의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1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

①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의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 사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서는 아니 된다

금지규정 처벌규정 형량

제7조 제1항 모집middot채용시 차별금지

제7조 제2항 직무수행과 무관한 용모를 채용조

건으로 하는 것 금지

제37조 제4항 제1호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제9조 임금 외의 금품에서 남녀차별 금지 제37조 제4항 제2호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차별금지 제37조 제4항 제3호

제8조 제1항 동일가치노동middot동일임금 지급 제37조 제2항 제1호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제11조 제1항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

제11조 제2항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사

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 체결 금지

제37조 제1항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lt표 2gt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6 gt

블라인드 채용 정착과 성인지성 제고를 위한「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전면 개정

국가인권위원회의 ldquo2017년 구직자 대상 온라인 조사 결과rdquo1)에 따르면 구직자 중 남성 594

여성 619가 면접 시 차별의 경중에 관계없이 차별을 받았다 응답했다 면접 시 차별적 질문으

로는lsquo나이rsquo관련 질문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여성 845 남성 751) 그 다음이lsquo학

력rsquo관련 질문이다(여성736 남성 732) 나이와 학력 관련 질문으로 불쾌감을 경험한 비율은

학력(416)이 나이(3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면접 시 받는 차별적인 질문 유형에는 성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의 경우 임신 등 출산 여부

(276p) 성별(199p) 혼인 여부(119p) 나이(94p)와 관련된 질문을 받은 경험이 남성

에 비해 월등히 높아 질문 자체에 이미 성차별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런 성차별적 질문과 인식은 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부는 지난 2017년 7월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ls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블라인드 채

용 추진방안rsquo을 발표하였고 현재 공공기관 중심으로 블라인드 채용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입사지원서 양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블라인드 채용은 채용 과정에서 기회의 평등과 과정의 공정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정책이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블라인드 채용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 이르는 채용 과정 전체가 직무중심으로 변화middot발전되어야 하고 직무 중심의 채용이 보

편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블라인드 채용의 실시

및 정착을 위한 방향으로 전면 개정하여 블라인드 채용의 정착을 위한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입법 취지는 ldquo사용자가 근로자를 채용하고자 할 때 요구하

는 채용서류와 채용심사 비용은 구직자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채용시장의 관

행상 사용자가 이를 적극적으로 반환하거나 구직자의 요구에 따라 돌려주는 경우는 거의 희박하

고 근로자를 채용할 의사가 없으면서 구직자의 사업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으로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내는 등 채용과정에서 부조리가 발생하고 있는 실

정인바 사용자의 거짓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금지하고 구인자가 구직자에게 채용심사 비용을 부담

시키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며 채용서류를 반환하도록 하고 전자 접수를 장려하며 채용 일

정 지원서 접수 사실 및 합격middot불합격 여부 등을 명확히 고지하도록 하는 등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1) 최근 3년간 구직 경험이 있는 자 중 면접 단계까지 경험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면접과정에서의 차별 경험에 대해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middot도에 거주하는 만 20sim34세 남녀를 연령별로 할당하여 총

500명(유효 응답자 기준)에 대해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7월 기준 만 20sim34세 남녀 인구는 전체 10171264명이며 이 중 남성은 523(5314624명) 여성은

477(4856640명)이다 박선영 외(2017) 채용과정 차별 실태 모니터링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결과는31~63쪽

참조

발제2_박선영

lt 27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서류의 재활용을 통해 사회적 자원을 절약함과 아울러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그 권익을 보호하려는 것rdquo이다2) 이런 입법 취지는 목적 조항을 통해서도 확인된

다ldquo이 법은 채용과정에서 구직자가 제출하는 채용서류의 반환 등 채용절차에서의 최소한의 공정

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dquo(제1조)

채용절차에서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불공정한 관행을 바로 잡는 것은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위

해 필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채용과정의 불공정 관행은 절차적인 문제 해결뿐 아니라 채용 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 제거를 통해서도 바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법의 목적 조항에

채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의 제거를 포함시킴으로써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를 방지하고 직무중심 채용이 정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계에

맞는 표준양식 등을 마련하여 그 사용을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lsquo블라인드 채용을 위한

면접 가이드라인rsquo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동안은 입사지원서를 통해 불필요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서류 심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토대로 면접이 이루어졌다 반면 블라인드 채용은

입사지원서를 통해서는 성별 연령 출신대학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면접이 개인의 정보를 확인

하는 과정으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

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은 첫째 직무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면

접 방법의 다양화와 그 판단 지침 등을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 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방법

중 포트폴리오 문제해결시나리오 사례연구 평가자 질문 평가자 체크리스트 구두 발표 등이 면

접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때 각각의 면접방식에서 직무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블라인드 채용의 취지에 따라 질문해서는 안 되는 사항을 새롭게 구

성할 필요가 있다 면접위원에게 응시자의 인적정보 제공 금지 및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을 금지한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금지되는 질문 유형을 적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면접위원 구성 원칙(성별 균형원칙)과 면접위원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및 그 내용을 제공

하는 것이 요구된다

2) 국가법령정보센터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정 이유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453amplsId=ampefYd=20140121ampchrClsCd=010202ampurlMode=

lsEfInfoRampviewCls=lsRvsDocInfoR000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8 gt

2)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입법과제

OECD 국가 중 10년 넘게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성별임금격차는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OECD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의 성별임금격차(Gender Wage Gap)는 367로 35개

회원국 중 격차가 압도적으로 높다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적은 국가는 코스타리카(18) 룩셈부

르크(34) 그리스(45) 벨기에(47) 슬로베니아(50) 등으로 나타나며 우리를 제외하고

OECD국가 가운데 성별임금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에스토니아(283) 일본(257)과 비교해도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매우 크다

또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월 임금총액이 여자는 229만원 남자 341만원이며 남

녀 평균 임금격차는 약 112만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졸이상 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을 따로 살

펴보면 여자 286만원 남자 412만원으로 임금격차는 약 126만원으로 더욱 차이가 벌어진다3)

나아가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남자 정규직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은 385만원 여자 정규직노동

자 253만원 남자 비정규직노동자 183만원 여자 비정규직노동자 118만원으로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가 극심하다4)

이처럼 성별임금격차가 큰 것은 여성 노동자 개개인의 생산성이 낮기 때문이 아니라 경력단절

에 따른 남녀 간 근속년수 차이와 경력단절 후 비정규직으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해서는 나이 고용형태 등에 의해 임금이 결정

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동일임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현실화

가 필요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법정화하고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

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요구된다

현행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이하lsquo기간제법rsquo) 에 따르면 사용자는 ldquo기

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

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제8조제1항)rdquo

또한ldquo단시간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의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제2항)rdquo 여기서 말하는 차별적 처우

3) 통계청 KOSIS ldquo산업 학력 연령계층 성별 임금 및 근로조건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4) 통계청 KOSIS ldquo성별 임금 및 근로시간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발제2_박선영

lt 29

란 합리적인 이유 없이「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임금 정기상여금 명절상여금 등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경영성과에 따른 성과금 그 밖에 근로조건 및 복리후생 등에 관한

사항 등에 있어서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말한다(제2조제3호)

이와 같은 「기간제법」 에 의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등의 차별적 처우 금지는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직무와 직종이

분리되어 있고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가 큰 우리의 현실에서는 동일업무와 유사업무에 대한

차별적 처우 금지만으로 고용형태에 의한 임금차별을 시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 간의 임금차별을 실효성 있게 규제하기 위해 등장한 법리인 동일가치노동 동일임

금 원칙을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행 「기간제법」 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성별임금격차 시정을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남녀고용평등법」 은 사업주에게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가

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

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

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8조)

우리나라 대다수 기업의 임금체계는 속인적인 요소에 기초를 둔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로 동일

가치노동의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방법을 설정하기 어렵다「남녀고용평등법」 상의 lsquo기술 노력 책

임 및 작업조건 등rsquo 은 직무평가기준으로 남성 집중 직무에서 기본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라는 점

에서 이미 차별의 결과로 형성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5)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의 평가기준이 갖는 남성집중 직무중심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동 원칙

의 판단기준인 lsquo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rsquo을 능력 실제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범위 기술

및 작업조건 등으로 세분화하면서 동일가치노동 판단의 기준을 수립할 때 여성노동자 대표가 포

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6)

또한 동일임금의 확보를 위해서는 법률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원칙을 명시하는 것만으로 충

분하지 않고 노동자의 임금정보에 대한 접근권 강화 사용자의 임금정보 공개의무 강화 분쟁 시

노동자의 입증책임 완화 또는 사용자의 입증책임 강화 동일가치 노동 여부를 가리기 위한 성 중

립적이고 체계적인 직무분류 및 평가기준의 마련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자체적인 노

력 및 노사 공동의 노력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7)

5) 박선영 외(2013) 「여성middot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Ⅰ) 낙태 규제와 여성의 대표성 관련 심층 분석

및 여성middot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0쪽

6)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240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0 gt

아래와 같은 벨기에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국가의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책무와 방향 등을

규정한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하여 성평등 임금공시제8)는 물론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의 기본계획 수립(목표치 설정) 과 시행 이를 위한 추진체계 성별임금격차 실태조사 및 모니

터링 등을 명문화하여 국가의 적극적 개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벨기에는「성별임금격차와 싸우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50인

이상의 기업은 2년마다 임금구조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노사협의회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에

는 근로자대표로 구성된 위원회) 에 제공해야 하고 노사협의회는 이 보고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 단 노사협의회는 이 정보에 대해 비밀을 지켜야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는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제공한 임금 사회보장 기여금 각종 혜택에 관한 정보

가 모두 포함되어야 되어야 하고 임금 등에 관한 정보는 노동자의 지위 직무등급 근속년수 교

육middot훈련middot자격 수준별로 상세히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임금구조를 분석할 때 성 중

립적(gender neutral) 직무평가middot분류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해야 하고 분석의 결과 양성 간

임금격차가 확인되면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행동계획에는

구체적 목표 목표달성 방법 달성기한 모니터링 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9)

3)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입법과제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취지는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며 직업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근로여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rdquo이었다 즉 노동시장

에서 발생하는 직middot간접 차별의 금지와 모성보호가 주요 입법목적이었다 그러나 법 제정으로부터

30년이 경과한 현재에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주로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런 구조적 차별의 모습 중의 하나가 이른바 ldquo유리천장rdquo이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 매년 발표하는 성 격차지수(Gender Gap Index)

에서 한국은 2017년 기준 건강 및 교육영역에서 각각 0973점(1에 가까울수록 평등) 0960점으

로 거의 성평등에 이르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영역과 정치영역에서는 각각 0533

점 0134점으로 하위권 수준이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유리천장이 얼마나 강고하게 존재하는지를

7)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8) 성별임금공시제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고용정

책기본법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신용현의원 대표발의 201733) 등이 발의되어 있다

9)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1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18 gt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천장

bull 기업 내 남성 선호 문화가 근본적인 문제bull 고위직으로 승진할 수 있는 일반직 여성 채용은 처음부터7 3 으로 시작

bull 여성은 출산육아를 거치면서 육아휴직 기간동안 승진에서불이익을 받음

bull 성별을 기준으로 업무를 배분하는 경향은 여전남성 가계대출 기업금융 등 여신 외환업무여성 예금 고객관리 등 수신업무본점 주요부서나 해외주재원 선발시 남성위주 선발

조직문화가 만드는 유리벽

ldquo위에서는 인력 풀이 없다고 하는데 우리를 유리벽에 가둬두고처음부터 키우지 않는다 남자 직원들은 다양한 은행 업무를 경험한 만큼 승진 폭이 넓지만 주로 창구 상담 등 수신을 담당했던 여자 직원은 책임자로 갈수록 할 수 있는 일이 적어서 승진가능한 폭 자체가 좁다rdquo

ldquo차장이 되자마자 기업 여신 업무를 하고 싶다고 지점장에게 말했다 6개월 뒤에 하라더니 결국 맡겨주지 않았다 또 다른 지점에서도 이야기했지만 거절당했다 야근도 다 감수하겠다고 했는데도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아 허탈했다rdquo

출처 시사IN Vol 533 (20171127)

발제1_최우미

lt 19

ldquo성차별 악순환의 고리를 끊자rdquo

지원자 성비 공개

2차정규직의 완전한 정규직화

여성 임원 할당제

남성 육아휴직 의무화

강력한 처벌 가능한 법적 근거 마련

고맙습니다

ltlt 발 제 2 gtgt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발제2_박선영

lt 23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 들어가기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은 그동안 소문으로만 무성했던 어떤 lsquo실체rsquo를 확인하게 해

주었다 KB국민은행은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남성을 채용하기 위해 남성 지원자 100여

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여성보다 높게 조작했고 KEB하나은행은 최종합격자 성비를 4(남성)1(여

성)로 정해놓고 진행하였다 신한카드는 59 대 41이던 서류 지원자 남녀 비율을 서류전형 단계부

터 7대 3으로 정하고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 시까지 해당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하였다고

한다

모집middot채용에서 퇴직middot해고에 이르는 고용상의 전 과정에서의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는 「남녀고

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이하lsquo남녀고용평등법rsquo) 이 제정된 지 3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 보장rdquo이라는 남녀고용평등법의 제정 취지

가 무색한 현실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75일 일자리위원회 middot 관계부처 합동으로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을 마련하

여 발표하였다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의 주요내용은 첫째 채용 단계별 공정성 강화한다 이를 위해 공공기

관 lsquo채용 프로세스 관리 표준 매뉴얼rsquo도입 lsquo성평등 채용가이드라인rsquo제작 및 민간 확산 등을 통해

채용 절차를 선제적으로 관리한다

둘째 채용 성차별 의심기관 감독 및 제재 강화를 강화한다 lsquo익명신고 등 모집채용 성차별 신

고센터rsquo를 운영하고 신고에서 조사 피해자 구제에 이르는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고의middot반

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 강화 등 제재 및 권리구제를 강화하기 위

한 법률 제개정을 추진한다

셋째 성평등 채용 기반 강화 및 인식 개선을 위해 성평등 채용을 위한 공공기관의 노력을 경영

평가에 반영하고 여성 채용 우수기업에 대한 공공조달 인센티브를 개선하는 등 성평등 채용에 앞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4 gt

장서는 기관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용평등 상담실 상담기능 강화 명예고용평등

감독관 제도 활성화 등 기반 강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 발표에서는 이상의 대책 내용을 포함하여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고용 상의 성차별 규제와 고용 상의 성차별 구제로 나누어 각각의 입법과제 중

심으로 살펴본다

2 고용상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가 고용에서의 성차별 규제 실효성 제고 방안

1) 모집middot채용 차별 규제 강화를 위한 입법과제

모집middot채용 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 관행을 방지하기 위한 국가의 개입은 다각도로 필요하지

만 특히 성차별적 채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남녀고용평등법」은 모집middot채용(제7

조)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

에서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아울러 고용상의 성차별금지 규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

용 상 성차별을 한 사업주를 형사 처벌하는 벌칙 규정(제37조)을 두고 있고 이 법과 관련한 분쟁

해결에서의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제30조)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과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규정을 정리하면 lt표1gt

lt표 2gt과 같다

조항 내용

제7조

(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

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

(임금)① 사업주는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 가치 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lt표 1gt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

발제2_박선영

lt 25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르면 ld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rdquo 할 경우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모집middot채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은 고용의 입구에서 발생하는 차별로서 노동의 기회와 생

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노동조건에서의 차별과 비교할 때 권리의 침해 정도와 피해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임금차별금지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지 조항과 같이 징역

형을 병과하여 처벌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의 75일 정부대책에서는 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채용을 배제한 경우 5년 이하 징역 또는 3천

만 원 이하 벌금으로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고 한다 심상정의원이 대표 발의한 남녀고용평등법 개

정안에서도 노동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의 벌금으로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조항 내용

② 동일 가치 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

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

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③ 사업주가 임금차별을 목적으로 설립한 별개의 사업은 동일한 사업으로 본다

제9조

(임금 외의 금품 등)

사업주는 임금 외에 근로자의 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금품의 지급 또는 자금의 융자 등 복리후생

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사업주는 근로자의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1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

①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의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 사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서는 아니 된다

금지규정 처벌규정 형량

제7조 제1항 모집middot채용시 차별금지

제7조 제2항 직무수행과 무관한 용모를 채용조

건으로 하는 것 금지

제37조 제4항 제1호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제9조 임금 외의 금품에서 남녀차별 금지 제37조 제4항 제2호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차별금지 제37조 제4항 제3호

제8조 제1항 동일가치노동middot동일임금 지급 제37조 제2항 제1호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제11조 제1항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

제11조 제2항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사

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 체결 금지

제37조 제1항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lt표 2gt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6 gt

블라인드 채용 정착과 성인지성 제고를 위한「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전면 개정

국가인권위원회의 ldquo2017년 구직자 대상 온라인 조사 결과rdquo1)에 따르면 구직자 중 남성 594

여성 619가 면접 시 차별의 경중에 관계없이 차별을 받았다 응답했다 면접 시 차별적 질문으

로는lsquo나이rsquo관련 질문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여성 845 남성 751) 그 다음이lsquo학

력rsquo관련 질문이다(여성736 남성 732) 나이와 학력 관련 질문으로 불쾌감을 경험한 비율은

학력(416)이 나이(3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면접 시 받는 차별적인 질문 유형에는 성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의 경우 임신 등 출산 여부

(276p) 성별(199p) 혼인 여부(119p) 나이(94p)와 관련된 질문을 받은 경험이 남성

에 비해 월등히 높아 질문 자체에 이미 성차별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런 성차별적 질문과 인식은 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부는 지난 2017년 7월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ls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블라인드 채

용 추진방안rsquo을 발표하였고 현재 공공기관 중심으로 블라인드 채용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입사지원서 양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블라인드 채용은 채용 과정에서 기회의 평등과 과정의 공정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정책이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블라인드 채용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 이르는 채용 과정 전체가 직무중심으로 변화middot발전되어야 하고 직무 중심의 채용이 보

편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블라인드 채용의 실시

및 정착을 위한 방향으로 전면 개정하여 블라인드 채용의 정착을 위한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입법 취지는 ldquo사용자가 근로자를 채용하고자 할 때 요구하

는 채용서류와 채용심사 비용은 구직자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채용시장의 관

행상 사용자가 이를 적극적으로 반환하거나 구직자의 요구에 따라 돌려주는 경우는 거의 희박하

고 근로자를 채용할 의사가 없으면서 구직자의 사업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으로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내는 등 채용과정에서 부조리가 발생하고 있는 실

정인바 사용자의 거짓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금지하고 구인자가 구직자에게 채용심사 비용을 부담

시키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며 채용서류를 반환하도록 하고 전자 접수를 장려하며 채용 일

정 지원서 접수 사실 및 합격middot불합격 여부 등을 명확히 고지하도록 하는 등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1) 최근 3년간 구직 경험이 있는 자 중 면접 단계까지 경험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면접과정에서의 차별 경험에 대해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middot도에 거주하는 만 20sim34세 남녀를 연령별로 할당하여 총

500명(유효 응답자 기준)에 대해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7월 기준 만 20sim34세 남녀 인구는 전체 10171264명이며 이 중 남성은 523(5314624명) 여성은

477(4856640명)이다 박선영 외(2017) 채용과정 차별 실태 모니터링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결과는31~63쪽

참조

발제2_박선영

lt 27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서류의 재활용을 통해 사회적 자원을 절약함과 아울러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그 권익을 보호하려는 것rdquo이다2) 이런 입법 취지는 목적 조항을 통해서도 확인된

다ldquo이 법은 채용과정에서 구직자가 제출하는 채용서류의 반환 등 채용절차에서의 최소한의 공정

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dquo(제1조)

채용절차에서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불공정한 관행을 바로 잡는 것은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위

해 필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채용과정의 불공정 관행은 절차적인 문제 해결뿐 아니라 채용 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 제거를 통해서도 바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법의 목적 조항에

채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의 제거를 포함시킴으로써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를 방지하고 직무중심 채용이 정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계에

맞는 표준양식 등을 마련하여 그 사용을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lsquo블라인드 채용을 위한

면접 가이드라인rsquo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동안은 입사지원서를 통해 불필요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서류 심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토대로 면접이 이루어졌다 반면 블라인드 채용은

입사지원서를 통해서는 성별 연령 출신대학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면접이 개인의 정보를 확인

하는 과정으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

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은 첫째 직무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면

접 방법의 다양화와 그 판단 지침 등을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 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방법

중 포트폴리오 문제해결시나리오 사례연구 평가자 질문 평가자 체크리스트 구두 발표 등이 면

접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때 각각의 면접방식에서 직무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블라인드 채용의 취지에 따라 질문해서는 안 되는 사항을 새롭게 구

성할 필요가 있다 면접위원에게 응시자의 인적정보 제공 금지 및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을 금지한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금지되는 질문 유형을 적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면접위원 구성 원칙(성별 균형원칙)과 면접위원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및 그 내용을 제공

하는 것이 요구된다

2) 국가법령정보센터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정 이유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453amplsId=ampefYd=20140121ampchrClsCd=010202ampurlMode=

lsEfInfoRampviewCls=lsRvsDocInfoR000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8 gt

2)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입법과제

OECD 국가 중 10년 넘게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성별임금격차는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OECD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의 성별임금격차(Gender Wage Gap)는 367로 35개

회원국 중 격차가 압도적으로 높다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적은 국가는 코스타리카(18) 룩셈부

르크(34) 그리스(45) 벨기에(47) 슬로베니아(50) 등으로 나타나며 우리를 제외하고

OECD국가 가운데 성별임금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에스토니아(283) 일본(257)과 비교해도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매우 크다

또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월 임금총액이 여자는 229만원 남자 341만원이며 남

녀 평균 임금격차는 약 112만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졸이상 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을 따로 살

펴보면 여자 286만원 남자 412만원으로 임금격차는 약 126만원으로 더욱 차이가 벌어진다3)

나아가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남자 정규직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은 385만원 여자 정규직노동

자 253만원 남자 비정규직노동자 183만원 여자 비정규직노동자 118만원으로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가 극심하다4)

이처럼 성별임금격차가 큰 것은 여성 노동자 개개인의 생산성이 낮기 때문이 아니라 경력단절

에 따른 남녀 간 근속년수 차이와 경력단절 후 비정규직으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해서는 나이 고용형태 등에 의해 임금이 결정

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동일임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현실화

가 필요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법정화하고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

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요구된다

현행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이하lsquo기간제법rsquo) 에 따르면 사용자는 ldquo기

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

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제8조제1항)rdquo

또한ldquo단시간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의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제2항)rdquo 여기서 말하는 차별적 처우

3) 통계청 KOSIS ldquo산업 학력 연령계층 성별 임금 및 근로조건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4) 통계청 KOSIS ldquo성별 임금 및 근로시간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발제2_박선영

lt 29

란 합리적인 이유 없이「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임금 정기상여금 명절상여금 등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경영성과에 따른 성과금 그 밖에 근로조건 및 복리후생 등에 관한

사항 등에 있어서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말한다(제2조제3호)

이와 같은 「기간제법」 에 의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등의 차별적 처우 금지는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직무와 직종이

분리되어 있고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가 큰 우리의 현실에서는 동일업무와 유사업무에 대한

차별적 처우 금지만으로 고용형태에 의한 임금차별을 시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 간의 임금차별을 실효성 있게 규제하기 위해 등장한 법리인 동일가치노동 동일임

금 원칙을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행 「기간제법」 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성별임금격차 시정을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남녀고용평등법」 은 사업주에게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가

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

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

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8조)

우리나라 대다수 기업의 임금체계는 속인적인 요소에 기초를 둔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로 동일

가치노동의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방법을 설정하기 어렵다「남녀고용평등법」 상의 lsquo기술 노력 책

임 및 작업조건 등rsquo 은 직무평가기준으로 남성 집중 직무에서 기본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라는 점

에서 이미 차별의 결과로 형성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5)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의 평가기준이 갖는 남성집중 직무중심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동 원칙

의 판단기준인 lsquo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rsquo을 능력 실제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범위 기술

및 작업조건 등으로 세분화하면서 동일가치노동 판단의 기준을 수립할 때 여성노동자 대표가 포

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6)

또한 동일임금의 확보를 위해서는 법률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원칙을 명시하는 것만으로 충

분하지 않고 노동자의 임금정보에 대한 접근권 강화 사용자의 임금정보 공개의무 강화 분쟁 시

노동자의 입증책임 완화 또는 사용자의 입증책임 강화 동일가치 노동 여부를 가리기 위한 성 중

립적이고 체계적인 직무분류 및 평가기준의 마련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자체적인 노

력 및 노사 공동의 노력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7)

5) 박선영 외(2013) 「여성middot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Ⅰ) 낙태 규제와 여성의 대표성 관련 심층 분석

및 여성middot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0쪽

6)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240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0 gt

아래와 같은 벨기에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국가의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책무와 방향 등을

규정한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하여 성평등 임금공시제8)는 물론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의 기본계획 수립(목표치 설정) 과 시행 이를 위한 추진체계 성별임금격차 실태조사 및 모니

터링 등을 명문화하여 국가의 적극적 개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벨기에는「성별임금격차와 싸우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50인

이상의 기업은 2년마다 임금구조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노사협의회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에

는 근로자대표로 구성된 위원회) 에 제공해야 하고 노사협의회는 이 보고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 단 노사협의회는 이 정보에 대해 비밀을 지켜야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는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제공한 임금 사회보장 기여금 각종 혜택에 관한 정보

가 모두 포함되어야 되어야 하고 임금 등에 관한 정보는 노동자의 지위 직무등급 근속년수 교

육middot훈련middot자격 수준별로 상세히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임금구조를 분석할 때 성 중

립적(gender neutral) 직무평가middot분류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해야 하고 분석의 결과 양성 간

임금격차가 확인되면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행동계획에는

구체적 목표 목표달성 방법 달성기한 모니터링 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9)

3)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입법과제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취지는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며 직업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근로여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rdquo이었다 즉 노동시장

에서 발생하는 직middot간접 차별의 금지와 모성보호가 주요 입법목적이었다 그러나 법 제정으로부터

30년이 경과한 현재에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주로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런 구조적 차별의 모습 중의 하나가 이른바 ldquo유리천장rdquo이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 매년 발표하는 성 격차지수(Gender Gap Index)

에서 한국은 2017년 기준 건강 및 교육영역에서 각각 0973점(1에 가까울수록 평등) 0960점으

로 거의 성평등에 이르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영역과 정치영역에서는 각각 0533

점 0134점으로 하위권 수준이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유리천장이 얼마나 강고하게 존재하는지를

7)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8) 성별임금공시제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고용정

책기본법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신용현의원 대표발의 201733) 등이 발의되어 있다

9)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16: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발제1_최우미

lt 19

ldquo성차별 악순환의 고리를 끊자rdquo

지원자 성비 공개

2차정규직의 완전한 정규직화

여성 임원 할당제

남성 육아휴직 의무화

강력한 처벌 가능한 법적 근거 마련

고맙습니다

ltlt 발 제 2 gtgt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발제2_박선영

lt 23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 들어가기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은 그동안 소문으로만 무성했던 어떤 lsquo실체rsquo를 확인하게 해

주었다 KB국민은행은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남성을 채용하기 위해 남성 지원자 100여

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여성보다 높게 조작했고 KEB하나은행은 최종합격자 성비를 4(남성)1(여

성)로 정해놓고 진행하였다 신한카드는 59 대 41이던 서류 지원자 남녀 비율을 서류전형 단계부

터 7대 3으로 정하고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 시까지 해당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하였다고

한다

모집middot채용에서 퇴직middot해고에 이르는 고용상의 전 과정에서의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는 「남녀고

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이하lsquo남녀고용평등법rsquo) 이 제정된 지 3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 보장rdquo이라는 남녀고용평등법의 제정 취지

가 무색한 현실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75일 일자리위원회 middot 관계부처 합동으로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을 마련하

여 발표하였다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의 주요내용은 첫째 채용 단계별 공정성 강화한다 이를 위해 공공기

관 lsquo채용 프로세스 관리 표준 매뉴얼rsquo도입 lsquo성평등 채용가이드라인rsquo제작 및 민간 확산 등을 통해

채용 절차를 선제적으로 관리한다

둘째 채용 성차별 의심기관 감독 및 제재 강화를 강화한다 lsquo익명신고 등 모집채용 성차별 신

고센터rsquo를 운영하고 신고에서 조사 피해자 구제에 이르는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고의middot반

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 강화 등 제재 및 권리구제를 강화하기 위

한 법률 제개정을 추진한다

셋째 성평등 채용 기반 강화 및 인식 개선을 위해 성평등 채용을 위한 공공기관의 노력을 경영

평가에 반영하고 여성 채용 우수기업에 대한 공공조달 인센티브를 개선하는 등 성평등 채용에 앞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4 gt

장서는 기관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용평등 상담실 상담기능 강화 명예고용평등

감독관 제도 활성화 등 기반 강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 발표에서는 이상의 대책 내용을 포함하여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고용 상의 성차별 규제와 고용 상의 성차별 구제로 나누어 각각의 입법과제 중

심으로 살펴본다

2 고용상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가 고용에서의 성차별 규제 실효성 제고 방안

1) 모집middot채용 차별 규제 강화를 위한 입법과제

모집middot채용 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 관행을 방지하기 위한 국가의 개입은 다각도로 필요하지

만 특히 성차별적 채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남녀고용평등법」은 모집middot채용(제7

조)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

에서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아울러 고용상의 성차별금지 규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

용 상 성차별을 한 사업주를 형사 처벌하는 벌칙 규정(제37조)을 두고 있고 이 법과 관련한 분쟁

해결에서의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제30조)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과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규정을 정리하면 lt표1gt

lt표 2gt과 같다

조항 내용

제7조

(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

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

(임금)① 사업주는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 가치 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lt표 1gt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

발제2_박선영

lt 25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르면 ld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rdquo 할 경우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모집middot채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은 고용의 입구에서 발생하는 차별로서 노동의 기회와 생

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노동조건에서의 차별과 비교할 때 권리의 침해 정도와 피해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임금차별금지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지 조항과 같이 징역

형을 병과하여 처벌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의 75일 정부대책에서는 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채용을 배제한 경우 5년 이하 징역 또는 3천

만 원 이하 벌금으로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고 한다 심상정의원이 대표 발의한 남녀고용평등법 개

정안에서도 노동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의 벌금으로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조항 내용

② 동일 가치 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

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

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③ 사업주가 임금차별을 목적으로 설립한 별개의 사업은 동일한 사업으로 본다

제9조

(임금 외의 금품 등)

사업주는 임금 외에 근로자의 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금품의 지급 또는 자금의 융자 등 복리후생

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사업주는 근로자의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1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

①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의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 사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서는 아니 된다

금지규정 처벌규정 형량

제7조 제1항 모집middot채용시 차별금지

제7조 제2항 직무수행과 무관한 용모를 채용조

건으로 하는 것 금지

제37조 제4항 제1호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제9조 임금 외의 금품에서 남녀차별 금지 제37조 제4항 제2호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차별금지 제37조 제4항 제3호

제8조 제1항 동일가치노동middot동일임금 지급 제37조 제2항 제1호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제11조 제1항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

제11조 제2항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사

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 체결 금지

제37조 제1항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lt표 2gt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6 gt

블라인드 채용 정착과 성인지성 제고를 위한「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전면 개정

국가인권위원회의 ldquo2017년 구직자 대상 온라인 조사 결과rdquo1)에 따르면 구직자 중 남성 594

여성 619가 면접 시 차별의 경중에 관계없이 차별을 받았다 응답했다 면접 시 차별적 질문으

로는lsquo나이rsquo관련 질문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여성 845 남성 751) 그 다음이lsquo학

력rsquo관련 질문이다(여성736 남성 732) 나이와 학력 관련 질문으로 불쾌감을 경험한 비율은

학력(416)이 나이(3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면접 시 받는 차별적인 질문 유형에는 성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의 경우 임신 등 출산 여부

(276p) 성별(199p) 혼인 여부(119p) 나이(94p)와 관련된 질문을 받은 경험이 남성

에 비해 월등히 높아 질문 자체에 이미 성차별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런 성차별적 질문과 인식은 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부는 지난 2017년 7월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ls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블라인드 채

용 추진방안rsquo을 발표하였고 현재 공공기관 중심으로 블라인드 채용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입사지원서 양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블라인드 채용은 채용 과정에서 기회의 평등과 과정의 공정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정책이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블라인드 채용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 이르는 채용 과정 전체가 직무중심으로 변화middot발전되어야 하고 직무 중심의 채용이 보

편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블라인드 채용의 실시

및 정착을 위한 방향으로 전면 개정하여 블라인드 채용의 정착을 위한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입법 취지는 ldquo사용자가 근로자를 채용하고자 할 때 요구하

는 채용서류와 채용심사 비용은 구직자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채용시장의 관

행상 사용자가 이를 적극적으로 반환하거나 구직자의 요구에 따라 돌려주는 경우는 거의 희박하

고 근로자를 채용할 의사가 없으면서 구직자의 사업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으로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내는 등 채용과정에서 부조리가 발생하고 있는 실

정인바 사용자의 거짓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금지하고 구인자가 구직자에게 채용심사 비용을 부담

시키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며 채용서류를 반환하도록 하고 전자 접수를 장려하며 채용 일

정 지원서 접수 사실 및 합격middot불합격 여부 등을 명확히 고지하도록 하는 등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1) 최근 3년간 구직 경험이 있는 자 중 면접 단계까지 경험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면접과정에서의 차별 경험에 대해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middot도에 거주하는 만 20sim34세 남녀를 연령별로 할당하여 총

500명(유효 응답자 기준)에 대해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7월 기준 만 20sim34세 남녀 인구는 전체 10171264명이며 이 중 남성은 523(5314624명) 여성은

477(4856640명)이다 박선영 외(2017) 채용과정 차별 실태 모니터링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결과는31~63쪽

참조

발제2_박선영

lt 27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서류의 재활용을 통해 사회적 자원을 절약함과 아울러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그 권익을 보호하려는 것rdquo이다2) 이런 입법 취지는 목적 조항을 통해서도 확인된

다ldquo이 법은 채용과정에서 구직자가 제출하는 채용서류의 반환 등 채용절차에서의 최소한의 공정

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dquo(제1조)

채용절차에서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불공정한 관행을 바로 잡는 것은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위

해 필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채용과정의 불공정 관행은 절차적인 문제 해결뿐 아니라 채용 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 제거를 통해서도 바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법의 목적 조항에

채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의 제거를 포함시킴으로써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를 방지하고 직무중심 채용이 정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계에

맞는 표준양식 등을 마련하여 그 사용을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lsquo블라인드 채용을 위한

면접 가이드라인rsquo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동안은 입사지원서를 통해 불필요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서류 심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토대로 면접이 이루어졌다 반면 블라인드 채용은

입사지원서를 통해서는 성별 연령 출신대학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면접이 개인의 정보를 확인

하는 과정으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

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은 첫째 직무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면

접 방법의 다양화와 그 판단 지침 등을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 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방법

중 포트폴리오 문제해결시나리오 사례연구 평가자 질문 평가자 체크리스트 구두 발표 등이 면

접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때 각각의 면접방식에서 직무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블라인드 채용의 취지에 따라 질문해서는 안 되는 사항을 새롭게 구

성할 필요가 있다 면접위원에게 응시자의 인적정보 제공 금지 및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을 금지한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금지되는 질문 유형을 적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면접위원 구성 원칙(성별 균형원칙)과 면접위원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및 그 내용을 제공

하는 것이 요구된다

2) 국가법령정보센터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정 이유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453amplsId=ampefYd=20140121ampchrClsCd=010202ampurlMode=

lsEfInfoRampviewCls=lsRvsDocInfoR000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8 gt

2)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입법과제

OECD 국가 중 10년 넘게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성별임금격차는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OECD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의 성별임금격차(Gender Wage Gap)는 367로 35개

회원국 중 격차가 압도적으로 높다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적은 국가는 코스타리카(18) 룩셈부

르크(34) 그리스(45) 벨기에(47) 슬로베니아(50) 등으로 나타나며 우리를 제외하고

OECD국가 가운데 성별임금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에스토니아(283) 일본(257)과 비교해도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매우 크다

또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월 임금총액이 여자는 229만원 남자 341만원이며 남

녀 평균 임금격차는 약 112만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졸이상 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을 따로 살

펴보면 여자 286만원 남자 412만원으로 임금격차는 약 126만원으로 더욱 차이가 벌어진다3)

나아가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남자 정규직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은 385만원 여자 정규직노동

자 253만원 남자 비정규직노동자 183만원 여자 비정규직노동자 118만원으로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가 극심하다4)

이처럼 성별임금격차가 큰 것은 여성 노동자 개개인의 생산성이 낮기 때문이 아니라 경력단절

에 따른 남녀 간 근속년수 차이와 경력단절 후 비정규직으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해서는 나이 고용형태 등에 의해 임금이 결정

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동일임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현실화

가 필요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법정화하고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

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요구된다

현행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이하lsquo기간제법rsquo) 에 따르면 사용자는 ldquo기

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

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제8조제1항)rdquo

또한ldquo단시간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의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제2항)rdquo 여기서 말하는 차별적 처우

3) 통계청 KOSIS ldquo산업 학력 연령계층 성별 임금 및 근로조건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4) 통계청 KOSIS ldquo성별 임금 및 근로시간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발제2_박선영

lt 29

란 합리적인 이유 없이「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임금 정기상여금 명절상여금 등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경영성과에 따른 성과금 그 밖에 근로조건 및 복리후생 등에 관한

사항 등에 있어서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말한다(제2조제3호)

이와 같은 「기간제법」 에 의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등의 차별적 처우 금지는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직무와 직종이

분리되어 있고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가 큰 우리의 현실에서는 동일업무와 유사업무에 대한

차별적 처우 금지만으로 고용형태에 의한 임금차별을 시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 간의 임금차별을 실효성 있게 규제하기 위해 등장한 법리인 동일가치노동 동일임

금 원칙을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행 「기간제법」 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성별임금격차 시정을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남녀고용평등법」 은 사업주에게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가

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

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

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8조)

우리나라 대다수 기업의 임금체계는 속인적인 요소에 기초를 둔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로 동일

가치노동의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방법을 설정하기 어렵다「남녀고용평등법」 상의 lsquo기술 노력 책

임 및 작업조건 등rsquo 은 직무평가기준으로 남성 집중 직무에서 기본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라는 점

에서 이미 차별의 결과로 형성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5)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의 평가기준이 갖는 남성집중 직무중심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동 원칙

의 판단기준인 lsquo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rsquo을 능력 실제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범위 기술

및 작업조건 등으로 세분화하면서 동일가치노동 판단의 기준을 수립할 때 여성노동자 대표가 포

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6)

또한 동일임금의 확보를 위해서는 법률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원칙을 명시하는 것만으로 충

분하지 않고 노동자의 임금정보에 대한 접근권 강화 사용자의 임금정보 공개의무 강화 분쟁 시

노동자의 입증책임 완화 또는 사용자의 입증책임 강화 동일가치 노동 여부를 가리기 위한 성 중

립적이고 체계적인 직무분류 및 평가기준의 마련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자체적인 노

력 및 노사 공동의 노력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7)

5) 박선영 외(2013) 「여성middot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Ⅰ) 낙태 규제와 여성의 대표성 관련 심층 분석

및 여성middot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0쪽

6)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240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0 gt

아래와 같은 벨기에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국가의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책무와 방향 등을

규정한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하여 성평등 임금공시제8)는 물론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의 기본계획 수립(목표치 설정) 과 시행 이를 위한 추진체계 성별임금격차 실태조사 및 모니

터링 등을 명문화하여 국가의 적극적 개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벨기에는「성별임금격차와 싸우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50인

이상의 기업은 2년마다 임금구조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노사협의회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에

는 근로자대표로 구성된 위원회) 에 제공해야 하고 노사협의회는 이 보고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 단 노사협의회는 이 정보에 대해 비밀을 지켜야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는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제공한 임금 사회보장 기여금 각종 혜택에 관한 정보

가 모두 포함되어야 되어야 하고 임금 등에 관한 정보는 노동자의 지위 직무등급 근속년수 교

육middot훈련middot자격 수준별로 상세히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임금구조를 분석할 때 성 중

립적(gender neutral) 직무평가middot분류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해야 하고 분석의 결과 양성 간

임금격차가 확인되면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행동계획에는

구체적 목표 목표달성 방법 달성기한 모니터링 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9)

3)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입법과제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취지는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며 직업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근로여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rdquo이었다 즉 노동시장

에서 발생하는 직middot간접 차별의 금지와 모성보호가 주요 입법목적이었다 그러나 법 제정으로부터

30년이 경과한 현재에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주로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런 구조적 차별의 모습 중의 하나가 이른바 ldquo유리천장rdquo이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 매년 발표하는 성 격차지수(Gender Gap Index)

에서 한국은 2017년 기준 건강 및 교육영역에서 각각 0973점(1에 가까울수록 평등) 0960점으

로 거의 성평등에 이르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영역과 정치영역에서는 각각 0533

점 0134점으로 하위권 수준이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유리천장이 얼마나 강고하게 존재하는지를

7)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8) 성별임금공시제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고용정

책기본법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신용현의원 대표발의 201733) 등이 발의되어 있다

9)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1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ltlt 발 제 2 gtgt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발제2_박선영

lt 23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 들어가기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은 그동안 소문으로만 무성했던 어떤 lsquo실체rsquo를 확인하게 해

주었다 KB국민은행은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남성을 채용하기 위해 남성 지원자 100여

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여성보다 높게 조작했고 KEB하나은행은 최종합격자 성비를 4(남성)1(여

성)로 정해놓고 진행하였다 신한카드는 59 대 41이던 서류 지원자 남녀 비율을 서류전형 단계부

터 7대 3으로 정하고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 시까지 해당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하였다고

한다

모집middot채용에서 퇴직middot해고에 이르는 고용상의 전 과정에서의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는 「남녀고

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이하lsquo남녀고용평등법rsquo) 이 제정된 지 3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 보장rdquo이라는 남녀고용평등법의 제정 취지

가 무색한 현실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75일 일자리위원회 middot 관계부처 합동으로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을 마련하

여 발표하였다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의 주요내용은 첫째 채용 단계별 공정성 강화한다 이를 위해 공공기

관 lsquo채용 프로세스 관리 표준 매뉴얼rsquo도입 lsquo성평등 채용가이드라인rsquo제작 및 민간 확산 등을 통해

채용 절차를 선제적으로 관리한다

둘째 채용 성차별 의심기관 감독 및 제재 강화를 강화한다 lsquo익명신고 등 모집채용 성차별 신

고센터rsquo를 운영하고 신고에서 조사 피해자 구제에 이르는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고의middot반

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 강화 등 제재 및 권리구제를 강화하기 위

한 법률 제개정을 추진한다

셋째 성평등 채용 기반 강화 및 인식 개선을 위해 성평등 채용을 위한 공공기관의 노력을 경영

평가에 반영하고 여성 채용 우수기업에 대한 공공조달 인센티브를 개선하는 등 성평등 채용에 앞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4 gt

장서는 기관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용평등 상담실 상담기능 강화 명예고용평등

감독관 제도 활성화 등 기반 강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 발표에서는 이상의 대책 내용을 포함하여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고용 상의 성차별 규제와 고용 상의 성차별 구제로 나누어 각각의 입법과제 중

심으로 살펴본다

2 고용상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가 고용에서의 성차별 규제 실효성 제고 방안

1) 모집middot채용 차별 규제 강화를 위한 입법과제

모집middot채용 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 관행을 방지하기 위한 국가의 개입은 다각도로 필요하지

만 특히 성차별적 채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남녀고용평등법」은 모집middot채용(제7

조)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

에서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아울러 고용상의 성차별금지 규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

용 상 성차별을 한 사업주를 형사 처벌하는 벌칙 규정(제37조)을 두고 있고 이 법과 관련한 분쟁

해결에서의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제30조)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과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규정을 정리하면 lt표1gt

lt표 2gt과 같다

조항 내용

제7조

(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

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

(임금)① 사업주는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 가치 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lt표 1gt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

발제2_박선영

lt 25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르면 ld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rdquo 할 경우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모집middot채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은 고용의 입구에서 발생하는 차별로서 노동의 기회와 생

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노동조건에서의 차별과 비교할 때 권리의 침해 정도와 피해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임금차별금지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지 조항과 같이 징역

형을 병과하여 처벌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의 75일 정부대책에서는 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채용을 배제한 경우 5년 이하 징역 또는 3천

만 원 이하 벌금으로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고 한다 심상정의원이 대표 발의한 남녀고용평등법 개

정안에서도 노동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의 벌금으로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조항 내용

② 동일 가치 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

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

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③ 사업주가 임금차별을 목적으로 설립한 별개의 사업은 동일한 사업으로 본다

제9조

(임금 외의 금품 등)

사업주는 임금 외에 근로자의 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금품의 지급 또는 자금의 융자 등 복리후생

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사업주는 근로자의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1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

①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의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 사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서는 아니 된다

금지규정 처벌규정 형량

제7조 제1항 모집middot채용시 차별금지

제7조 제2항 직무수행과 무관한 용모를 채용조

건으로 하는 것 금지

제37조 제4항 제1호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제9조 임금 외의 금품에서 남녀차별 금지 제37조 제4항 제2호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차별금지 제37조 제4항 제3호

제8조 제1항 동일가치노동middot동일임금 지급 제37조 제2항 제1호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제11조 제1항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

제11조 제2항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사

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 체결 금지

제37조 제1항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lt표 2gt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6 gt

블라인드 채용 정착과 성인지성 제고를 위한「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전면 개정

국가인권위원회의 ldquo2017년 구직자 대상 온라인 조사 결과rdquo1)에 따르면 구직자 중 남성 594

여성 619가 면접 시 차별의 경중에 관계없이 차별을 받았다 응답했다 면접 시 차별적 질문으

로는lsquo나이rsquo관련 질문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여성 845 남성 751) 그 다음이lsquo학

력rsquo관련 질문이다(여성736 남성 732) 나이와 학력 관련 질문으로 불쾌감을 경험한 비율은

학력(416)이 나이(3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면접 시 받는 차별적인 질문 유형에는 성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의 경우 임신 등 출산 여부

(276p) 성별(199p) 혼인 여부(119p) 나이(94p)와 관련된 질문을 받은 경험이 남성

에 비해 월등히 높아 질문 자체에 이미 성차별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런 성차별적 질문과 인식은 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부는 지난 2017년 7월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ls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블라인드 채

용 추진방안rsquo을 발표하였고 현재 공공기관 중심으로 블라인드 채용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입사지원서 양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블라인드 채용은 채용 과정에서 기회의 평등과 과정의 공정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정책이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블라인드 채용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 이르는 채용 과정 전체가 직무중심으로 변화middot발전되어야 하고 직무 중심의 채용이 보

편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블라인드 채용의 실시

및 정착을 위한 방향으로 전면 개정하여 블라인드 채용의 정착을 위한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입법 취지는 ldquo사용자가 근로자를 채용하고자 할 때 요구하

는 채용서류와 채용심사 비용은 구직자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채용시장의 관

행상 사용자가 이를 적극적으로 반환하거나 구직자의 요구에 따라 돌려주는 경우는 거의 희박하

고 근로자를 채용할 의사가 없으면서 구직자의 사업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으로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내는 등 채용과정에서 부조리가 발생하고 있는 실

정인바 사용자의 거짓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금지하고 구인자가 구직자에게 채용심사 비용을 부담

시키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며 채용서류를 반환하도록 하고 전자 접수를 장려하며 채용 일

정 지원서 접수 사실 및 합격middot불합격 여부 등을 명확히 고지하도록 하는 등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1) 최근 3년간 구직 경험이 있는 자 중 면접 단계까지 경험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면접과정에서의 차별 경험에 대해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middot도에 거주하는 만 20sim34세 남녀를 연령별로 할당하여 총

500명(유효 응답자 기준)에 대해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7월 기준 만 20sim34세 남녀 인구는 전체 10171264명이며 이 중 남성은 523(5314624명) 여성은

477(4856640명)이다 박선영 외(2017) 채용과정 차별 실태 모니터링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결과는31~63쪽

참조

발제2_박선영

lt 27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서류의 재활용을 통해 사회적 자원을 절약함과 아울러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그 권익을 보호하려는 것rdquo이다2) 이런 입법 취지는 목적 조항을 통해서도 확인된

다ldquo이 법은 채용과정에서 구직자가 제출하는 채용서류의 반환 등 채용절차에서의 최소한의 공정

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dquo(제1조)

채용절차에서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불공정한 관행을 바로 잡는 것은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위

해 필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채용과정의 불공정 관행은 절차적인 문제 해결뿐 아니라 채용 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 제거를 통해서도 바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법의 목적 조항에

채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의 제거를 포함시킴으로써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를 방지하고 직무중심 채용이 정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계에

맞는 표준양식 등을 마련하여 그 사용을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lsquo블라인드 채용을 위한

면접 가이드라인rsquo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동안은 입사지원서를 통해 불필요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서류 심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토대로 면접이 이루어졌다 반면 블라인드 채용은

입사지원서를 통해서는 성별 연령 출신대학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면접이 개인의 정보를 확인

하는 과정으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

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은 첫째 직무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면

접 방법의 다양화와 그 판단 지침 등을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 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방법

중 포트폴리오 문제해결시나리오 사례연구 평가자 질문 평가자 체크리스트 구두 발표 등이 면

접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때 각각의 면접방식에서 직무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블라인드 채용의 취지에 따라 질문해서는 안 되는 사항을 새롭게 구

성할 필요가 있다 면접위원에게 응시자의 인적정보 제공 금지 및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을 금지한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금지되는 질문 유형을 적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면접위원 구성 원칙(성별 균형원칙)과 면접위원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및 그 내용을 제공

하는 것이 요구된다

2) 국가법령정보센터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정 이유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453amplsId=ampefYd=20140121ampchrClsCd=010202ampurlMode=

lsEfInfoRampviewCls=lsRvsDocInfoR000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8 gt

2)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입법과제

OECD 국가 중 10년 넘게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성별임금격차는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OECD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의 성별임금격차(Gender Wage Gap)는 367로 35개

회원국 중 격차가 압도적으로 높다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적은 국가는 코스타리카(18) 룩셈부

르크(34) 그리스(45) 벨기에(47) 슬로베니아(50) 등으로 나타나며 우리를 제외하고

OECD국가 가운데 성별임금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에스토니아(283) 일본(257)과 비교해도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매우 크다

또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월 임금총액이 여자는 229만원 남자 341만원이며 남

녀 평균 임금격차는 약 112만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졸이상 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을 따로 살

펴보면 여자 286만원 남자 412만원으로 임금격차는 약 126만원으로 더욱 차이가 벌어진다3)

나아가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남자 정규직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은 385만원 여자 정규직노동

자 253만원 남자 비정규직노동자 183만원 여자 비정규직노동자 118만원으로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가 극심하다4)

이처럼 성별임금격차가 큰 것은 여성 노동자 개개인의 생산성이 낮기 때문이 아니라 경력단절

에 따른 남녀 간 근속년수 차이와 경력단절 후 비정규직으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해서는 나이 고용형태 등에 의해 임금이 결정

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동일임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현실화

가 필요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법정화하고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

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요구된다

현행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이하lsquo기간제법rsquo) 에 따르면 사용자는 ldquo기

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

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제8조제1항)rdquo

또한ldquo단시간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의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제2항)rdquo 여기서 말하는 차별적 처우

3) 통계청 KOSIS ldquo산업 학력 연령계층 성별 임금 및 근로조건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4) 통계청 KOSIS ldquo성별 임금 및 근로시간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발제2_박선영

lt 29

란 합리적인 이유 없이「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임금 정기상여금 명절상여금 등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경영성과에 따른 성과금 그 밖에 근로조건 및 복리후생 등에 관한

사항 등에 있어서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말한다(제2조제3호)

이와 같은 「기간제법」 에 의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등의 차별적 처우 금지는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직무와 직종이

분리되어 있고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가 큰 우리의 현실에서는 동일업무와 유사업무에 대한

차별적 처우 금지만으로 고용형태에 의한 임금차별을 시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 간의 임금차별을 실효성 있게 규제하기 위해 등장한 법리인 동일가치노동 동일임

금 원칙을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행 「기간제법」 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성별임금격차 시정을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남녀고용평등법」 은 사업주에게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가

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

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

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8조)

우리나라 대다수 기업의 임금체계는 속인적인 요소에 기초를 둔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로 동일

가치노동의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방법을 설정하기 어렵다「남녀고용평등법」 상의 lsquo기술 노력 책

임 및 작업조건 등rsquo 은 직무평가기준으로 남성 집중 직무에서 기본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라는 점

에서 이미 차별의 결과로 형성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5)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의 평가기준이 갖는 남성집중 직무중심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동 원칙

의 판단기준인 lsquo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rsquo을 능력 실제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범위 기술

및 작업조건 등으로 세분화하면서 동일가치노동 판단의 기준을 수립할 때 여성노동자 대표가 포

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6)

또한 동일임금의 확보를 위해서는 법률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원칙을 명시하는 것만으로 충

분하지 않고 노동자의 임금정보에 대한 접근권 강화 사용자의 임금정보 공개의무 강화 분쟁 시

노동자의 입증책임 완화 또는 사용자의 입증책임 강화 동일가치 노동 여부를 가리기 위한 성 중

립적이고 체계적인 직무분류 및 평가기준의 마련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자체적인 노

력 및 노사 공동의 노력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7)

5) 박선영 외(2013) 「여성middot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Ⅰ) 낙태 규제와 여성의 대표성 관련 심층 분석

및 여성middot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0쪽

6)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240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0 gt

아래와 같은 벨기에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국가의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책무와 방향 등을

규정한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하여 성평등 임금공시제8)는 물론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의 기본계획 수립(목표치 설정) 과 시행 이를 위한 추진체계 성별임금격차 실태조사 및 모니

터링 등을 명문화하여 국가의 적극적 개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벨기에는「성별임금격차와 싸우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50인

이상의 기업은 2년마다 임금구조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노사협의회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에

는 근로자대표로 구성된 위원회) 에 제공해야 하고 노사협의회는 이 보고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 단 노사협의회는 이 정보에 대해 비밀을 지켜야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는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제공한 임금 사회보장 기여금 각종 혜택에 관한 정보

가 모두 포함되어야 되어야 하고 임금 등에 관한 정보는 노동자의 지위 직무등급 근속년수 교

육middot훈련middot자격 수준별로 상세히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임금구조를 분석할 때 성 중

립적(gender neutral) 직무평가middot분류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해야 하고 분석의 결과 양성 간

임금격차가 확인되면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행동계획에는

구체적 목표 목표달성 방법 달성기한 모니터링 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9)

3)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입법과제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취지는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며 직업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근로여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rdquo이었다 즉 노동시장

에서 발생하는 직middot간접 차별의 금지와 모성보호가 주요 입법목적이었다 그러나 법 제정으로부터

30년이 경과한 현재에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주로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런 구조적 차별의 모습 중의 하나가 이른바 ldquo유리천장rdquo이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 매년 발표하는 성 격차지수(Gender Gap Index)

에서 한국은 2017년 기준 건강 및 교육영역에서 각각 0973점(1에 가까울수록 평등) 0960점으

로 거의 성평등에 이르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영역과 정치영역에서는 각각 0533

점 0134점으로 하위권 수준이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유리천장이 얼마나 강고하게 존재하는지를

7)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8) 성별임금공시제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고용정

책기본법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신용현의원 대표발의 201733) 등이 발의되어 있다

9)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발제2_박선영

lt 23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 들어가기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은 그동안 소문으로만 무성했던 어떤 lsquo실체rsquo를 확인하게 해

주었다 KB국민은행은 2015년 상반기 채용과정에서 남성을 채용하기 위해 남성 지원자 100여

명의 서류 전형 점수를 여성보다 높게 조작했고 KEB하나은행은 최종합격자 성비를 4(남성)1(여

성)로 정해놓고 진행하였다 신한카드는 59 대 41이던 서류 지원자 남녀 비율을 서류전형 단계부

터 7대 3으로 정하고 이후 면접전형 및 최종 선발 시까지 해당 비율이 유지되도록 관리하였다고

한다

모집middot채용에서 퇴직middot해고에 이르는 고용상의 전 과정에서의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는 「남녀고

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이하lsquo남녀고용평등법rsquo) 이 제정된 지 3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 보장rdquo이라는 남녀고용평등법의 제정 취지

가 무색한 현실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75일 일자리위원회 middot 관계부처 합동으로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을 마련하

여 발표하였다

lt채용 성차별 해소방안gt 의 주요내용은 첫째 채용 단계별 공정성 강화한다 이를 위해 공공기

관 lsquo채용 프로세스 관리 표준 매뉴얼rsquo도입 lsquo성평등 채용가이드라인rsquo제작 및 민간 확산 등을 통해

채용 절차를 선제적으로 관리한다

둘째 채용 성차별 의심기관 감독 및 제재 강화를 강화한다 lsquo익명신고 등 모집채용 성차별 신

고센터rsquo를 운영하고 신고에서 조사 피해자 구제에 이르는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고의middot반

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 강화 등 제재 및 권리구제를 강화하기 위

한 법률 제개정을 추진한다

셋째 성평등 채용 기반 강화 및 인식 개선을 위해 성평등 채용을 위한 공공기관의 노력을 경영

평가에 반영하고 여성 채용 우수기업에 대한 공공조달 인센티브를 개선하는 등 성평등 채용에 앞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4 gt

장서는 기관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용평등 상담실 상담기능 강화 명예고용평등

감독관 제도 활성화 등 기반 강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 발표에서는 이상의 대책 내용을 포함하여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고용 상의 성차별 규제와 고용 상의 성차별 구제로 나누어 각각의 입법과제 중

심으로 살펴본다

2 고용상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가 고용에서의 성차별 규제 실효성 제고 방안

1) 모집middot채용 차별 규제 강화를 위한 입법과제

모집middot채용 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 관행을 방지하기 위한 국가의 개입은 다각도로 필요하지

만 특히 성차별적 채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남녀고용평등법」은 모집middot채용(제7

조)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

에서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아울러 고용상의 성차별금지 규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

용 상 성차별을 한 사업주를 형사 처벌하는 벌칙 규정(제37조)을 두고 있고 이 법과 관련한 분쟁

해결에서의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제30조)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과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규정을 정리하면 lt표1gt

lt표 2gt과 같다

조항 내용

제7조

(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

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

(임금)① 사업주는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 가치 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lt표 1gt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

발제2_박선영

lt 25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르면 ld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rdquo 할 경우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모집middot채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은 고용의 입구에서 발생하는 차별로서 노동의 기회와 생

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노동조건에서의 차별과 비교할 때 권리의 침해 정도와 피해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임금차별금지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지 조항과 같이 징역

형을 병과하여 처벌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의 75일 정부대책에서는 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채용을 배제한 경우 5년 이하 징역 또는 3천

만 원 이하 벌금으로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고 한다 심상정의원이 대표 발의한 남녀고용평등법 개

정안에서도 노동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의 벌금으로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조항 내용

② 동일 가치 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

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

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③ 사업주가 임금차별을 목적으로 설립한 별개의 사업은 동일한 사업으로 본다

제9조

(임금 외의 금품 등)

사업주는 임금 외에 근로자의 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금품의 지급 또는 자금의 융자 등 복리후생

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사업주는 근로자의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1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

①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의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 사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서는 아니 된다

금지규정 처벌규정 형량

제7조 제1항 모집middot채용시 차별금지

제7조 제2항 직무수행과 무관한 용모를 채용조

건으로 하는 것 금지

제37조 제4항 제1호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제9조 임금 외의 금품에서 남녀차별 금지 제37조 제4항 제2호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차별금지 제37조 제4항 제3호

제8조 제1항 동일가치노동middot동일임금 지급 제37조 제2항 제1호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제11조 제1항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

제11조 제2항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사

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 체결 금지

제37조 제1항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lt표 2gt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6 gt

블라인드 채용 정착과 성인지성 제고를 위한「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전면 개정

국가인권위원회의 ldquo2017년 구직자 대상 온라인 조사 결과rdquo1)에 따르면 구직자 중 남성 594

여성 619가 면접 시 차별의 경중에 관계없이 차별을 받았다 응답했다 면접 시 차별적 질문으

로는lsquo나이rsquo관련 질문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여성 845 남성 751) 그 다음이lsquo학

력rsquo관련 질문이다(여성736 남성 732) 나이와 학력 관련 질문으로 불쾌감을 경험한 비율은

학력(416)이 나이(3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면접 시 받는 차별적인 질문 유형에는 성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의 경우 임신 등 출산 여부

(276p) 성별(199p) 혼인 여부(119p) 나이(94p)와 관련된 질문을 받은 경험이 남성

에 비해 월등히 높아 질문 자체에 이미 성차별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런 성차별적 질문과 인식은 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부는 지난 2017년 7월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ls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블라인드 채

용 추진방안rsquo을 발표하였고 현재 공공기관 중심으로 블라인드 채용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입사지원서 양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블라인드 채용은 채용 과정에서 기회의 평등과 과정의 공정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정책이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블라인드 채용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 이르는 채용 과정 전체가 직무중심으로 변화middot발전되어야 하고 직무 중심의 채용이 보

편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블라인드 채용의 실시

및 정착을 위한 방향으로 전면 개정하여 블라인드 채용의 정착을 위한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입법 취지는 ldquo사용자가 근로자를 채용하고자 할 때 요구하

는 채용서류와 채용심사 비용은 구직자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채용시장의 관

행상 사용자가 이를 적극적으로 반환하거나 구직자의 요구에 따라 돌려주는 경우는 거의 희박하

고 근로자를 채용할 의사가 없으면서 구직자의 사업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으로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내는 등 채용과정에서 부조리가 발생하고 있는 실

정인바 사용자의 거짓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금지하고 구인자가 구직자에게 채용심사 비용을 부담

시키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며 채용서류를 반환하도록 하고 전자 접수를 장려하며 채용 일

정 지원서 접수 사실 및 합격middot불합격 여부 등을 명확히 고지하도록 하는 등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1) 최근 3년간 구직 경험이 있는 자 중 면접 단계까지 경험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면접과정에서의 차별 경험에 대해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middot도에 거주하는 만 20sim34세 남녀를 연령별로 할당하여 총

500명(유효 응답자 기준)에 대해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7월 기준 만 20sim34세 남녀 인구는 전체 10171264명이며 이 중 남성은 523(5314624명) 여성은

477(4856640명)이다 박선영 외(2017) 채용과정 차별 실태 모니터링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결과는31~63쪽

참조

발제2_박선영

lt 27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서류의 재활용을 통해 사회적 자원을 절약함과 아울러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그 권익을 보호하려는 것rdquo이다2) 이런 입법 취지는 목적 조항을 통해서도 확인된

다ldquo이 법은 채용과정에서 구직자가 제출하는 채용서류의 반환 등 채용절차에서의 최소한의 공정

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dquo(제1조)

채용절차에서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불공정한 관행을 바로 잡는 것은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위

해 필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채용과정의 불공정 관행은 절차적인 문제 해결뿐 아니라 채용 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 제거를 통해서도 바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법의 목적 조항에

채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의 제거를 포함시킴으로써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를 방지하고 직무중심 채용이 정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계에

맞는 표준양식 등을 마련하여 그 사용을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lsquo블라인드 채용을 위한

면접 가이드라인rsquo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동안은 입사지원서를 통해 불필요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서류 심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토대로 면접이 이루어졌다 반면 블라인드 채용은

입사지원서를 통해서는 성별 연령 출신대학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면접이 개인의 정보를 확인

하는 과정으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

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은 첫째 직무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면

접 방법의 다양화와 그 판단 지침 등을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 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방법

중 포트폴리오 문제해결시나리오 사례연구 평가자 질문 평가자 체크리스트 구두 발표 등이 면

접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때 각각의 면접방식에서 직무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블라인드 채용의 취지에 따라 질문해서는 안 되는 사항을 새롭게 구

성할 필요가 있다 면접위원에게 응시자의 인적정보 제공 금지 및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을 금지한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금지되는 질문 유형을 적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면접위원 구성 원칙(성별 균형원칙)과 면접위원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및 그 내용을 제공

하는 것이 요구된다

2) 국가법령정보센터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정 이유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453amplsId=ampefYd=20140121ampchrClsCd=010202ampurlMode=

lsEfInfoRampviewCls=lsRvsDocInfoR000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8 gt

2)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입법과제

OECD 국가 중 10년 넘게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성별임금격차는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OECD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의 성별임금격차(Gender Wage Gap)는 367로 35개

회원국 중 격차가 압도적으로 높다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적은 국가는 코스타리카(18) 룩셈부

르크(34) 그리스(45) 벨기에(47) 슬로베니아(50) 등으로 나타나며 우리를 제외하고

OECD국가 가운데 성별임금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에스토니아(283) 일본(257)과 비교해도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매우 크다

또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월 임금총액이 여자는 229만원 남자 341만원이며 남

녀 평균 임금격차는 약 112만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졸이상 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을 따로 살

펴보면 여자 286만원 남자 412만원으로 임금격차는 약 126만원으로 더욱 차이가 벌어진다3)

나아가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남자 정규직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은 385만원 여자 정규직노동

자 253만원 남자 비정규직노동자 183만원 여자 비정규직노동자 118만원으로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가 극심하다4)

이처럼 성별임금격차가 큰 것은 여성 노동자 개개인의 생산성이 낮기 때문이 아니라 경력단절

에 따른 남녀 간 근속년수 차이와 경력단절 후 비정규직으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해서는 나이 고용형태 등에 의해 임금이 결정

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동일임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현실화

가 필요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법정화하고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

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요구된다

현행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이하lsquo기간제법rsquo) 에 따르면 사용자는 ldquo기

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

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제8조제1항)rdquo

또한ldquo단시간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의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제2항)rdquo 여기서 말하는 차별적 처우

3) 통계청 KOSIS ldquo산업 학력 연령계층 성별 임금 및 근로조건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4) 통계청 KOSIS ldquo성별 임금 및 근로시간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발제2_박선영

lt 29

란 합리적인 이유 없이「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임금 정기상여금 명절상여금 등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경영성과에 따른 성과금 그 밖에 근로조건 및 복리후생 등에 관한

사항 등에 있어서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말한다(제2조제3호)

이와 같은 「기간제법」 에 의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등의 차별적 처우 금지는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직무와 직종이

분리되어 있고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가 큰 우리의 현실에서는 동일업무와 유사업무에 대한

차별적 처우 금지만으로 고용형태에 의한 임금차별을 시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 간의 임금차별을 실효성 있게 규제하기 위해 등장한 법리인 동일가치노동 동일임

금 원칙을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행 「기간제법」 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성별임금격차 시정을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남녀고용평등법」 은 사업주에게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가

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

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

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8조)

우리나라 대다수 기업의 임금체계는 속인적인 요소에 기초를 둔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로 동일

가치노동의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방법을 설정하기 어렵다「남녀고용평등법」 상의 lsquo기술 노력 책

임 및 작업조건 등rsquo 은 직무평가기준으로 남성 집중 직무에서 기본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라는 점

에서 이미 차별의 결과로 형성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5)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의 평가기준이 갖는 남성집중 직무중심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동 원칙

의 판단기준인 lsquo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rsquo을 능력 실제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범위 기술

및 작업조건 등으로 세분화하면서 동일가치노동 판단의 기준을 수립할 때 여성노동자 대표가 포

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6)

또한 동일임금의 확보를 위해서는 법률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원칙을 명시하는 것만으로 충

분하지 않고 노동자의 임금정보에 대한 접근권 강화 사용자의 임금정보 공개의무 강화 분쟁 시

노동자의 입증책임 완화 또는 사용자의 입증책임 강화 동일가치 노동 여부를 가리기 위한 성 중

립적이고 체계적인 직무분류 및 평가기준의 마련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자체적인 노

력 및 노사 공동의 노력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7)

5) 박선영 외(2013) 「여성middot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Ⅰ) 낙태 규제와 여성의 대표성 관련 심층 분석

및 여성middot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0쪽

6)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240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0 gt

아래와 같은 벨기에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국가의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책무와 방향 등을

규정한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하여 성평등 임금공시제8)는 물론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의 기본계획 수립(목표치 설정) 과 시행 이를 위한 추진체계 성별임금격차 실태조사 및 모니

터링 등을 명문화하여 국가의 적극적 개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벨기에는「성별임금격차와 싸우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50인

이상의 기업은 2년마다 임금구조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노사협의회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에

는 근로자대표로 구성된 위원회) 에 제공해야 하고 노사협의회는 이 보고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 단 노사협의회는 이 정보에 대해 비밀을 지켜야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는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제공한 임금 사회보장 기여금 각종 혜택에 관한 정보

가 모두 포함되어야 되어야 하고 임금 등에 관한 정보는 노동자의 지위 직무등급 근속년수 교

육middot훈련middot자격 수준별로 상세히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임금구조를 분석할 때 성 중

립적(gender neutral) 직무평가middot분류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해야 하고 분석의 결과 양성 간

임금격차가 확인되면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행동계획에는

구체적 목표 목표달성 방법 달성기한 모니터링 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9)

3)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입법과제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취지는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며 직업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근로여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rdquo이었다 즉 노동시장

에서 발생하는 직middot간접 차별의 금지와 모성보호가 주요 입법목적이었다 그러나 법 제정으로부터

30년이 경과한 현재에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주로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런 구조적 차별의 모습 중의 하나가 이른바 ldquo유리천장rdquo이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 매년 발표하는 성 격차지수(Gender Gap Index)

에서 한국은 2017년 기준 건강 및 교육영역에서 각각 0973점(1에 가까울수록 평등) 0960점으

로 거의 성평등에 이르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영역과 정치영역에서는 각각 0533

점 0134점으로 하위권 수준이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유리천장이 얼마나 강고하게 존재하는지를

7)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8) 성별임금공시제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고용정

책기본법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신용현의원 대표발의 201733) 등이 발의되어 있다

9)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19: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4 gt

장서는 기관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용평등 상담실 상담기능 강화 명예고용평등

감독관 제도 활성화 등 기반 강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 발표에서는 이상의 대책 내용을 포함하여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고용 상의 성차별 규제와 고용 상의 성차별 구제로 나누어 각각의 입법과제 중

심으로 살펴본다

2 고용상 성차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가 고용에서의 성차별 규제 실효성 제고 방안

1) 모집middot채용 차별 규제 강화를 위한 입법과제

모집middot채용 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최근 드러난 금융권의 성차별적 채용 관행을 방지하기 위한 국가의 개입은 다각도로 필요하지

만 특히 성차별적 채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남녀고용평등법」은 모집middot채용(제7

조)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

에서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아울러 고용상의 성차별금지 규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

용 상 성차별을 한 사업주를 형사 처벌하는 벌칙 규정(제37조)을 두고 있고 이 법과 관련한 분쟁

해결에서의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제30조)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과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규정을 정리하면 lt표1gt

lt표 2gt과 같다

조항 내용

제7조

(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

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

(임금)① 사업주는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 가치 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lt표 1gt 「남녀고용평등법」의 차별금지 규정

발제2_박선영

lt 25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르면 ld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rdquo 할 경우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모집middot채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은 고용의 입구에서 발생하는 차별로서 노동의 기회와 생

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노동조건에서의 차별과 비교할 때 권리의 침해 정도와 피해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임금차별금지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지 조항과 같이 징역

형을 병과하여 처벌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의 75일 정부대책에서는 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채용을 배제한 경우 5년 이하 징역 또는 3천

만 원 이하 벌금으로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고 한다 심상정의원이 대표 발의한 남녀고용평등법 개

정안에서도 노동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의 벌금으로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조항 내용

② 동일 가치 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

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

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③ 사업주가 임금차별을 목적으로 설립한 별개의 사업은 동일한 사업으로 본다

제9조

(임금 외의 금품 등)

사업주는 임금 외에 근로자의 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금품의 지급 또는 자금의 융자 등 복리후생

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사업주는 근로자의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1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

①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의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 사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서는 아니 된다

금지규정 처벌규정 형량

제7조 제1항 모집middot채용시 차별금지

제7조 제2항 직무수행과 무관한 용모를 채용조

건으로 하는 것 금지

제37조 제4항 제1호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제9조 임금 외의 금품에서 남녀차별 금지 제37조 제4항 제2호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차별금지 제37조 제4항 제3호

제8조 제1항 동일가치노동middot동일임금 지급 제37조 제2항 제1호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제11조 제1항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

제11조 제2항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사

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 체결 금지

제37조 제1항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lt표 2gt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6 gt

블라인드 채용 정착과 성인지성 제고를 위한「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전면 개정

국가인권위원회의 ldquo2017년 구직자 대상 온라인 조사 결과rdquo1)에 따르면 구직자 중 남성 594

여성 619가 면접 시 차별의 경중에 관계없이 차별을 받았다 응답했다 면접 시 차별적 질문으

로는lsquo나이rsquo관련 질문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여성 845 남성 751) 그 다음이lsquo학

력rsquo관련 질문이다(여성736 남성 732) 나이와 학력 관련 질문으로 불쾌감을 경험한 비율은

학력(416)이 나이(3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면접 시 받는 차별적인 질문 유형에는 성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의 경우 임신 등 출산 여부

(276p) 성별(199p) 혼인 여부(119p) 나이(94p)와 관련된 질문을 받은 경험이 남성

에 비해 월등히 높아 질문 자체에 이미 성차별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런 성차별적 질문과 인식은 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부는 지난 2017년 7월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ls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블라인드 채

용 추진방안rsquo을 발표하였고 현재 공공기관 중심으로 블라인드 채용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입사지원서 양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블라인드 채용은 채용 과정에서 기회의 평등과 과정의 공정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정책이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블라인드 채용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 이르는 채용 과정 전체가 직무중심으로 변화middot발전되어야 하고 직무 중심의 채용이 보

편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블라인드 채용의 실시

및 정착을 위한 방향으로 전면 개정하여 블라인드 채용의 정착을 위한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입법 취지는 ldquo사용자가 근로자를 채용하고자 할 때 요구하

는 채용서류와 채용심사 비용은 구직자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채용시장의 관

행상 사용자가 이를 적극적으로 반환하거나 구직자의 요구에 따라 돌려주는 경우는 거의 희박하

고 근로자를 채용할 의사가 없으면서 구직자의 사업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으로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내는 등 채용과정에서 부조리가 발생하고 있는 실

정인바 사용자의 거짓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금지하고 구인자가 구직자에게 채용심사 비용을 부담

시키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며 채용서류를 반환하도록 하고 전자 접수를 장려하며 채용 일

정 지원서 접수 사실 및 합격middot불합격 여부 등을 명확히 고지하도록 하는 등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1) 최근 3년간 구직 경험이 있는 자 중 면접 단계까지 경험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면접과정에서의 차별 경험에 대해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middot도에 거주하는 만 20sim34세 남녀를 연령별로 할당하여 총

500명(유효 응답자 기준)에 대해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7월 기준 만 20sim34세 남녀 인구는 전체 10171264명이며 이 중 남성은 523(5314624명) 여성은

477(4856640명)이다 박선영 외(2017) 채용과정 차별 실태 모니터링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결과는31~63쪽

참조

발제2_박선영

lt 27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서류의 재활용을 통해 사회적 자원을 절약함과 아울러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그 권익을 보호하려는 것rdquo이다2) 이런 입법 취지는 목적 조항을 통해서도 확인된

다ldquo이 법은 채용과정에서 구직자가 제출하는 채용서류의 반환 등 채용절차에서의 최소한의 공정

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dquo(제1조)

채용절차에서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불공정한 관행을 바로 잡는 것은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위

해 필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채용과정의 불공정 관행은 절차적인 문제 해결뿐 아니라 채용 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 제거를 통해서도 바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법의 목적 조항에

채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의 제거를 포함시킴으로써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를 방지하고 직무중심 채용이 정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계에

맞는 표준양식 등을 마련하여 그 사용을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lsquo블라인드 채용을 위한

면접 가이드라인rsquo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동안은 입사지원서를 통해 불필요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서류 심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토대로 면접이 이루어졌다 반면 블라인드 채용은

입사지원서를 통해서는 성별 연령 출신대학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면접이 개인의 정보를 확인

하는 과정으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

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은 첫째 직무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면

접 방법의 다양화와 그 판단 지침 등을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 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방법

중 포트폴리오 문제해결시나리오 사례연구 평가자 질문 평가자 체크리스트 구두 발표 등이 면

접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때 각각의 면접방식에서 직무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블라인드 채용의 취지에 따라 질문해서는 안 되는 사항을 새롭게 구

성할 필요가 있다 면접위원에게 응시자의 인적정보 제공 금지 및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을 금지한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금지되는 질문 유형을 적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면접위원 구성 원칙(성별 균형원칙)과 면접위원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및 그 내용을 제공

하는 것이 요구된다

2) 국가법령정보센터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정 이유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453amplsId=ampefYd=20140121ampchrClsCd=010202ampurlMode=

lsEfInfoRampviewCls=lsRvsDocInfoR000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8 gt

2)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입법과제

OECD 국가 중 10년 넘게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성별임금격차는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OECD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의 성별임금격차(Gender Wage Gap)는 367로 35개

회원국 중 격차가 압도적으로 높다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적은 국가는 코스타리카(18) 룩셈부

르크(34) 그리스(45) 벨기에(47) 슬로베니아(50) 등으로 나타나며 우리를 제외하고

OECD국가 가운데 성별임금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에스토니아(283) 일본(257)과 비교해도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매우 크다

또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월 임금총액이 여자는 229만원 남자 341만원이며 남

녀 평균 임금격차는 약 112만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졸이상 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을 따로 살

펴보면 여자 286만원 남자 412만원으로 임금격차는 약 126만원으로 더욱 차이가 벌어진다3)

나아가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남자 정규직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은 385만원 여자 정규직노동

자 253만원 남자 비정규직노동자 183만원 여자 비정규직노동자 118만원으로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가 극심하다4)

이처럼 성별임금격차가 큰 것은 여성 노동자 개개인의 생산성이 낮기 때문이 아니라 경력단절

에 따른 남녀 간 근속년수 차이와 경력단절 후 비정규직으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해서는 나이 고용형태 등에 의해 임금이 결정

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동일임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현실화

가 필요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법정화하고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

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요구된다

현행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이하lsquo기간제법rsquo) 에 따르면 사용자는 ldquo기

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

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제8조제1항)rdquo

또한ldquo단시간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의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제2항)rdquo 여기서 말하는 차별적 처우

3) 통계청 KOSIS ldquo산업 학력 연령계층 성별 임금 및 근로조건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4) 통계청 KOSIS ldquo성별 임금 및 근로시간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발제2_박선영

lt 29

란 합리적인 이유 없이「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임금 정기상여금 명절상여금 등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경영성과에 따른 성과금 그 밖에 근로조건 및 복리후생 등에 관한

사항 등에 있어서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말한다(제2조제3호)

이와 같은 「기간제법」 에 의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등의 차별적 처우 금지는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직무와 직종이

분리되어 있고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가 큰 우리의 현실에서는 동일업무와 유사업무에 대한

차별적 처우 금지만으로 고용형태에 의한 임금차별을 시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 간의 임금차별을 실효성 있게 규제하기 위해 등장한 법리인 동일가치노동 동일임

금 원칙을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행 「기간제법」 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성별임금격차 시정을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남녀고용평등법」 은 사업주에게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가

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

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

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8조)

우리나라 대다수 기업의 임금체계는 속인적인 요소에 기초를 둔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로 동일

가치노동의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방법을 설정하기 어렵다「남녀고용평등법」 상의 lsquo기술 노력 책

임 및 작업조건 등rsquo 은 직무평가기준으로 남성 집중 직무에서 기본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라는 점

에서 이미 차별의 결과로 형성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5)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의 평가기준이 갖는 남성집중 직무중심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동 원칙

의 판단기준인 lsquo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rsquo을 능력 실제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범위 기술

및 작업조건 등으로 세분화하면서 동일가치노동 판단의 기준을 수립할 때 여성노동자 대표가 포

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6)

또한 동일임금의 확보를 위해서는 법률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원칙을 명시하는 것만으로 충

분하지 않고 노동자의 임금정보에 대한 접근권 강화 사용자의 임금정보 공개의무 강화 분쟁 시

노동자의 입증책임 완화 또는 사용자의 입증책임 강화 동일가치 노동 여부를 가리기 위한 성 중

립적이고 체계적인 직무분류 및 평가기준의 마련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자체적인 노

력 및 노사 공동의 노력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7)

5) 박선영 외(2013) 「여성middot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Ⅰ) 낙태 규제와 여성의 대표성 관련 심층 분석

및 여성middot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0쪽

6)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240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0 gt

아래와 같은 벨기에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국가의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책무와 방향 등을

규정한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하여 성평등 임금공시제8)는 물론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의 기본계획 수립(목표치 설정) 과 시행 이를 위한 추진체계 성별임금격차 실태조사 및 모니

터링 등을 명문화하여 국가의 적극적 개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벨기에는「성별임금격차와 싸우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50인

이상의 기업은 2년마다 임금구조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노사협의회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에

는 근로자대표로 구성된 위원회) 에 제공해야 하고 노사협의회는 이 보고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 단 노사협의회는 이 정보에 대해 비밀을 지켜야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는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제공한 임금 사회보장 기여금 각종 혜택에 관한 정보

가 모두 포함되어야 되어야 하고 임금 등에 관한 정보는 노동자의 지위 직무등급 근속년수 교

육middot훈련middot자격 수준별로 상세히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임금구조를 분석할 때 성 중

립적(gender neutral) 직무평가middot분류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해야 하고 분석의 결과 양성 간

임금격차가 확인되면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행동계획에는

구체적 목표 목표달성 방법 달성기한 모니터링 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9)

3)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입법과제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취지는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며 직업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근로여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rdquo이었다 즉 노동시장

에서 발생하는 직middot간접 차별의 금지와 모성보호가 주요 입법목적이었다 그러나 법 제정으로부터

30년이 경과한 현재에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주로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런 구조적 차별의 모습 중의 하나가 이른바 ldquo유리천장rdquo이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 매년 발표하는 성 격차지수(Gender Gap Index)

에서 한국은 2017년 기준 건강 및 교육영역에서 각각 0973점(1에 가까울수록 평등) 0960점으

로 거의 성평등에 이르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영역과 정치영역에서는 각각 0533

점 0134점으로 하위권 수준이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유리천장이 얼마나 강고하게 존재하는지를

7)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8) 성별임금공시제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고용정

책기본법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신용현의원 대표발의 201733) 등이 발의되어 있다

9)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2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발제2_박선영

lt 25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르면 ldquo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rdquo 할 경우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모집middot채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은 고용의 입구에서 발생하는 차별로서 노동의 기회와 생

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노동조건에서의 차별과 비교할 때 권리의 침해 정도와 피해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임금차별금지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지 조항과 같이 징역

형을 병과하여 처벌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의 75일 정부대책에서는 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채용을 배제한 경우 5년 이하 징역 또는 3천

만 원 이하 벌금으로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고 한다 심상정의원이 대표 발의한 남녀고용평등법 개

정안에서도 노동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의 벌금으로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조항 내용

② 동일 가치 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

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

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③ 사업주가 임금차별을 목적으로 설립한 별개의 사업은 동일한 사업으로 본다

제9조

(임금 외의 금품 등)

사업주는 임금 외에 근로자의 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금품의 지급 또는 자금의 융자 등 복리후생

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사업주는 근로자의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1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

①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의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 사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서는 아니 된다

금지규정 처벌규정 형량

제7조 제1항 모집middot채용시 차별금지

제7조 제2항 직무수행과 무관한 용모를 채용조

건으로 하는 것 금지

제37조 제4항 제1호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제9조 임금 외의 금품에서 남녀차별 금지 제37조 제4항 제2호

제10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에서 차별금지 제37조 제4항 제3호

제8조 제1항 동일가치노동middot동일임금 지급 제37조 제2항 제1호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제11조 제1항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에서의 차별금

제11조 제2항 혼인 임신 또는 출산을 퇴직사

유로 예정하는 근로계약 체결 금지

제37조 제1항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lt표 2gt 고용상 성차별행위에 대한 벌칙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6 gt

블라인드 채용 정착과 성인지성 제고를 위한「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전면 개정

국가인권위원회의 ldquo2017년 구직자 대상 온라인 조사 결과rdquo1)에 따르면 구직자 중 남성 594

여성 619가 면접 시 차별의 경중에 관계없이 차별을 받았다 응답했다 면접 시 차별적 질문으

로는lsquo나이rsquo관련 질문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여성 845 남성 751) 그 다음이lsquo학

력rsquo관련 질문이다(여성736 남성 732) 나이와 학력 관련 질문으로 불쾌감을 경험한 비율은

학력(416)이 나이(3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면접 시 받는 차별적인 질문 유형에는 성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의 경우 임신 등 출산 여부

(276p) 성별(199p) 혼인 여부(119p) 나이(94p)와 관련된 질문을 받은 경험이 남성

에 비해 월등히 높아 질문 자체에 이미 성차별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런 성차별적 질문과 인식은 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부는 지난 2017년 7월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ls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블라인드 채

용 추진방안rsquo을 발표하였고 현재 공공기관 중심으로 블라인드 채용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입사지원서 양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블라인드 채용은 채용 과정에서 기회의 평등과 과정의 공정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정책이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블라인드 채용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 이르는 채용 과정 전체가 직무중심으로 변화middot발전되어야 하고 직무 중심의 채용이 보

편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블라인드 채용의 실시

및 정착을 위한 방향으로 전면 개정하여 블라인드 채용의 정착을 위한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입법 취지는 ldquo사용자가 근로자를 채용하고자 할 때 요구하

는 채용서류와 채용심사 비용은 구직자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채용시장의 관

행상 사용자가 이를 적극적으로 반환하거나 구직자의 요구에 따라 돌려주는 경우는 거의 희박하

고 근로자를 채용할 의사가 없으면서 구직자의 사업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으로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내는 등 채용과정에서 부조리가 발생하고 있는 실

정인바 사용자의 거짓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금지하고 구인자가 구직자에게 채용심사 비용을 부담

시키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며 채용서류를 반환하도록 하고 전자 접수를 장려하며 채용 일

정 지원서 접수 사실 및 합격middot불합격 여부 등을 명확히 고지하도록 하는 등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1) 최근 3년간 구직 경험이 있는 자 중 면접 단계까지 경험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면접과정에서의 차별 경험에 대해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middot도에 거주하는 만 20sim34세 남녀를 연령별로 할당하여 총

500명(유효 응답자 기준)에 대해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7월 기준 만 20sim34세 남녀 인구는 전체 10171264명이며 이 중 남성은 523(5314624명) 여성은

477(4856640명)이다 박선영 외(2017) 채용과정 차별 실태 모니터링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결과는31~63쪽

참조

발제2_박선영

lt 27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서류의 재활용을 통해 사회적 자원을 절약함과 아울러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그 권익을 보호하려는 것rdquo이다2) 이런 입법 취지는 목적 조항을 통해서도 확인된

다ldquo이 법은 채용과정에서 구직자가 제출하는 채용서류의 반환 등 채용절차에서의 최소한의 공정

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dquo(제1조)

채용절차에서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불공정한 관행을 바로 잡는 것은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위

해 필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채용과정의 불공정 관행은 절차적인 문제 해결뿐 아니라 채용 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 제거를 통해서도 바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법의 목적 조항에

채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의 제거를 포함시킴으로써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를 방지하고 직무중심 채용이 정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계에

맞는 표준양식 등을 마련하여 그 사용을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lsquo블라인드 채용을 위한

면접 가이드라인rsquo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동안은 입사지원서를 통해 불필요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서류 심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토대로 면접이 이루어졌다 반면 블라인드 채용은

입사지원서를 통해서는 성별 연령 출신대학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면접이 개인의 정보를 확인

하는 과정으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

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은 첫째 직무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면

접 방법의 다양화와 그 판단 지침 등을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 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방법

중 포트폴리오 문제해결시나리오 사례연구 평가자 질문 평가자 체크리스트 구두 발표 등이 면

접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때 각각의 면접방식에서 직무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블라인드 채용의 취지에 따라 질문해서는 안 되는 사항을 새롭게 구

성할 필요가 있다 면접위원에게 응시자의 인적정보 제공 금지 및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을 금지한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금지되는 질문 유형을 적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면접위원 구성 원칙(성별 균형원칙)과 면접위원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및 그 내용을 제공

하는 것이 요구된다

2) 국가법령정보센터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정 이유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453amplsId=ampefYd=20140121ampchrClsCd=010202ampurlMode=

lsEfInfoRampviewCls=lsRvsDocInfoR000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8 gt

2)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입법과제

OECD 국가 중 10년 넘게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성별임금격차는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OECD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의 성별임금격차(Gender Wage Gap)는 367로 35개

회원국 중 격차가 압도적으로 높다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적은 국가는 코스타리카(18) 룩셈부

르크(34) 그리스(45) 벨기에(47) 슬로베니아(50) 등으로 나타나며 우리를 제외하고

OECD국가 가운데 성별임금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에스토니아(283) 일본(257)과 비교해도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매우 크다

또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월 임금총액이 여자는 229만원 남자 341만원이며 남

녀 평균 임금격차는 약 112만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졸이상 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을 따로 살

펴보면 여자 286만원 남자 412만원으로 임금격차는 약 126만원으로 더욱 차이가 벌어진다3)

나아가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남자 정규직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은 385만원 여자 정규직노동

자 253만원 남자 비정규직노동자 183만원 여자 비정규직노동자 118만원으로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가 극심하다4)

이처럼 성별임금격차가 큰 것은 여성 노동자 개개인의 생산성이 낮기 때문이 아니라 경력단절

에 따른 남녀 간 근속년수 차이와 경력단절 후 비정규직으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해서는 나이 고용형태 등에 의해 임금이 결정

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동일임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현실화

가 필요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법정화하고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

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요구된다

현행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이하lsquo기간제법rsquo) 에 따르면 사용자는 ldquo기

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

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제8조제1항)rdquo

또한ldquo단시간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의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제2항)rdquo 여기서 말하는 차별적 처우

3) 통계청 KOSIS ldquo산업 학력 연령계층 성별 임금 및 근로조건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4) 통계청 KOSIS ldquo성별 임금 및 근로시간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발제2_박선영

lt 29

란 합리적인 이유 없이「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임금 정기상여금 명절상여금 등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경영성과에 따른 성과금 그 밖에 근로조건 및 복리후생 등에 관한

사항 등에 있어서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말한다(제2조제3호)

이와 같은 「기간제법」 에 의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등의 차별적 처우 금지는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직무와 직종이

분리되어 있고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가 큰 우리의 현실에서는 동일업무와 유사업무에 대한

차별적 처우 금지만으로 고용형태에 의한 임금차별을 시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 간의 임금차별을 실효성 있게 규제하기 위해 등장한 법리인 동일가치노동 동일임

금 원칙을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행 「기간제법」 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성별임금격차 시정을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남녀고용평등법」 은 사업주에게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가

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

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

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8조)

우리나라 대다수 기업의 임금체계는 속인적인 요소에 기초를 둔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로 동일

가치노동의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방법을 설정하기 어렵다「남녀고용평등법」 상의 lsquo기술 노력 책

임 및 작업조건 등rsquo 은 직무평가기준으로 남성 집중 직무에서 기본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라는 점

에서 이미 차별의 결과로 형성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5)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의 평가기준이 갖는 남성집중 직무중심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동 원칙

의 판단기준인 lsquo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rsquo을 능력 실제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범위 기술

및 작업조건 등으로 세분화하면서 동일가치노동 판단의 기준을 수립할 때 여성노동자 대표가 포

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6)

또한 동일임금의 확보를 위해서는 법률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원칙을 명시하는 것만으로 충

분하지 않고 노동자의 임금정보에 대한 접근권 강화 사용자의 임금정보 공개의무 강화 분쟁 시

노동자의 입증책임 완화 또는 사용자의 입증책임 강화 동일가치 노동 여부를 가리기 위한 성 중

립적이고 체계적인 직무분류 및 평가기준의 마련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자체적인 노

력 및 노사 공동의 노력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7)

5) 박선영 외(2013) 「여성middot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Ⅰ) 낙태 규제와 여성의 대표성 관련 심층 분석

및 여성middot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0쪽

6)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240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0 gt

아래와 같은 벨기에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국가의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책무와 방향 등을

규정한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하여 성평등 임금공시제8)는 물론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의 기본계획 수립(목표치 설정) 과 시행 이를 위한 추진체계 성별임금격차 실태조사 및 모니

터링 등을 명문화하여 국가의 적극적 개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벨기에는「성별임금격차와 싸우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50인

이상의 기업은 2년마다 임금구조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노사협의회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에

는 근로자대표로 구성된 위원회) 에 제공해야 하고 노사협의회는 이 보고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 단 노사협의회는 이 정보에 대해 비밀을 지켜야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는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제공한 임금 사회보장 기여금 각종 혜택에 관한 정보

가 모두 포함되어야 되어야 하고 임금 등에 관한 정보는 노동자의 지위 직무등급 근속년수 교

육middot훈련middot자격 수준별로 상세히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임금구조를 분석할 때 성 중

립적(gender neutral) 직무평가middot분류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해야 하고 분석의 결과 양성 간

임금격차가 확인되면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행동계획에는

구체적 목표 목표달성 방법 달성기한 모니터링 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9)

3)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입법과제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취지는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며 직업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근로여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rdquo이었다 즉 노동시장

에서 발생하는 직middot간접 차별의 금지와 모성보호가 주요 입법목적이었다 그러나 법 제정으로부터

30년이 경과한 현재에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주로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런 구조적 차별의 모습 중의 하나가 이른바 ldquo유리천장rdquo이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 매년 발표하는 성 격차지수(Gender Gap Index)

에서 한국은 2017년 기준 건강 및 교육영역에서 각각 0973점(1에 가까울수록 평등) 0960점으

로 거의 성평등에 이르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영역과 정치영역에서는 각각 0533

점 0134점으로 하위권 수준이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유리천장이 얼마나 강고하게 존재하는지를

7)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8) 성별임금공시제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고용정

책기본법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신용현의원 대표발의 201733) 등이 발의되어 있다

9)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21: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6 gt

블라인드 채용 정착과 성인지성 제고를 위한「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전면 개정

국가인권위원회의 ldquo2017년 구직자 대상 온라인 조사 결과rdquo1)에 따르면 구직자 중 남성 594

여성 619가 면접 시 차별의 경중에 관계없이 차별을 받았다 응답했다 면접 시 차별적 질문으

로는lsquo나이rsquo관련 질문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여성 845 남성 751) 그 다음이lsquo학

력rsquo관련 질문이다(여성736 남성 732) 나이와 학력 관련 질문으로 불쾌감을 경험한 비율은

학력(416)이 나이(3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면접 시 받는 차별적인 질문 유형에는 성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의 경우 임신 등 출산 여부

(276p) 성별(199p) 혼인 여부(119p) 나이(94p)와 관련된 질문을 받은 경험이 남성

에 비해 월등히 높아 질문 자체에 이미 성차별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런 성차별적 질문과 인식은 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부는 지난 2017년 7월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lsquo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블라인드 채

용 추진방안rsquo을 발표하였고 현재 공공기관 중심으로 블라인드 채용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입사지원서 양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블라인드 채용은 채용 과정에서 기회의 평등과 과정의 공정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정책이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블라인드 채용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 이르는 채용 과정 전체가 직무중심으로 변화middot발전되어야 하고 직무 중심의 채용이 보

편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블라인드 채용의 실시

및 정착을 위한 방향으로 전면 개정하여 블라인드 채용의 정착을 위한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입법 취지는 ldquo사용자가 근로자를 채용하고자 할 때 요구하

는 채용서류와 채용심사 비용은 구직자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채용시장의 관

행상 사용자가 이를 적극적으로 반환하거나 구직자의 요구에 따라 돌려주는 경우는 거의 희박하

고 근로자를 채용할 의사가 없으면서 구직자의 사업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으로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내는 등 채용과정에서 부조리가 발생하고 있는 실

정인바 사용자의 거짓 채용middot구인 공고를 금지하고 구인자가 구직자에게 채용심사 비용을 부담

시키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며 채용서류를 반환하도록 하고 전자 접수를 장려하며 채용 일

정 지원서 접수 사실 및 합격middot불합격 여부 등을 명확히 고지하도록 하는 등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1) 최근 3년간 구직 경험이 있는 자 중 면접 단계까지 경험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면접과정에서의 차별 경험에 대해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middot도에 거주하는 만 20sim34세 남녀를 연령별로 할당하여 총

500명(유효 응답자 기준)에 대해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7월 기준 만 20sim34세 남녀 인구는 전체 10171264명이며 이 중 남성은 523(5314624명) 여성은

477(4856640명)이다 박선영 외(2017) 채용과정 차별 실태 모니터링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결과는31~63쪽

참조

발제2_박선영

lt 27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서류의 재활용을 통해 사회적 자원을 절약함과 아울러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그 권익을 보호하려는 것rdquo이다2) 이런 입법 취지는 목적 조항을 통해서도 확인된

다ldquo이 법은 채용과정에서 구직자가 제출하는 채용서류의 반환 등 채용절차에서의 최소한의 공정

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dquo(제1조)

채용절차에서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불공정한 관행을 바로 잡는 것은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위

해 필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채용과정의 불공정 관행은 절차적인 문제 해결뿐 아니라 채용 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 제거를 통해서도 바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법의 목적 조항에

채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의 제거를 포함시킴으로써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를 방지하고 직무중심 채용이 정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계에

맞는 표준양식 등을 마련하여 그 사용을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lsquo블라인드 채용을 위한

면접 가이드라인rsquo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동안은 입사지원서를 통해 불필요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서류 심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토대로 면접이 이루어졌다 반면 블라인드 채용은

입사지원서를 통해서는 성별 연령 출신대학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면접이 개인의 정보를 확인

하는 과정으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

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은 첫째 직무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면

접 방법의 다양화와 그 판단 지침 등을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 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방법

중 포트폴리오 문제해결시나리오 사례연구 평가자 질문 평가자 체크리스트 구두 발표 등이 면

접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때 각각의 면접방식에서 직무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블라인드 채용의 취지에 따라 질문해서는 안 되는 사항을 새롭게 구

성할 필요가 있다 면접위원에게 응시자의 인적정보 제공 금지 및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을 금지한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금지되는 질문 유형을 적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면접위원 구성 원칙(성별 균형원칙)과 면접위원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및 그 내용을 제공

하는 것이 요구된다

2) 국가법령정보센터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정 이유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453amplsId=ampefYd=20140121ampchrClsCd=010202ampurlMode=

lsEfInfoRampviewCls=lsRvsDocInfoR000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8 gt

2)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입법과제

OECD 국가 중 10년 넘게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성별임금격차는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OECD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의 성별임금격차(Gender Wage Gap)는 367로 35개

회원국 중 격차가 압도적으로 높다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적은 국가는 코스타리카(18) 룩셈부

르크(34) 그리스(45) 벨기에(47) 슬로베니아(50) 등으로 나타나며 우리를 제외하고

OECD국가 가운데 성별임금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에스토니아(283) 일본(257)과 비교해도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매우 크다

또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월 임금총액이 여자는 229만원 남자 341만원이며 남

녀 평균 임금격차는 약 112만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졸이상 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을 따로 살

펴보면 여자 286만원 남자 412만원으로 임금격차는 약 126만원으로 더욱 차이가 벌어진다3)

나아가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남자 정규직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은 385만원 여자 정규직노동

자 253만원 남자 비정규직노동자 183만원 여자 비정규직노동자 118만원으로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가 극심하다4)

이처럼 성별임금격차가 큰 것은 여성 노동자 개개인의 생산성이 낮기 때문이 아니라 경력단절

에 따른 남녀 간 근속년수 차이와 경력단절 후 비정규직으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해서는 나이 고용형태 등에 의해 임금이 결정

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동일임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현실화

가 필요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법정화하고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

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요구된다

현행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이하lsquo기간제법rsquo) 에 따르면 사용자는 ldquo기

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

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제8조제1항)rdquo

또한ldquo단시간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의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제2항)rdquo 여기서 말하는 차별적 처우

3) 통계청 KOSIS ldquo산업 학력 연령계층 성별 임금 및 근로조건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4) 통계청 KOSIS ldquo성별 임금 및 근로시간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발제2_박선영

lt 29

란 합리적인 이유 없이「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임금 정기상여금 명절상여금 등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경영성과에 따른 성과금 그 밖에 근로조건 및 복리후생 등에 관한

사항 등에 있어서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말한다(제2조제3호)

이와 같은 「기간제법」 에 의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등의 차별적 처우 금지는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직무와 직종이

분리되어 있고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가 큰 우리의 현실에서는 동일업무와 유사업무에 대한

차별적 처우 금지만으로 고용형태에 의한 임금차별을 시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 간의 임금차별을 실효성 있게 규제하기 위해 등장한 법리인 동일가치노동 동일임

금 원칙을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행 「기간제법」 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성별임금격차 시정을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남녀고용평등법」 은 사업주에게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가

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

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

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8조)

우리나라 대다수 기업의 임금체계는 속인적인 요소에 기초를 둔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로 동일

가치노동의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방법을 설정하기 어렵다「남녀고용평등법」 상의 lsquo기술 노력 책

임 및 작업조건 등rsquo 은 직무평가기준으로 남성 집중 직무에서 기본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라는 점

에서 이미 차별의 결과로 형성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5)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의 평가기준이 갖는 남성집중 직무중심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동 원칙

의 판단기준인 lsquo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rsquo을 능력 실제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범위 기술

및 작업조건 등으로 세분화하면서 동일가치노동 판단의 기준을 수립할 때 여성노동자 대표가 포

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6)

또한 동일임금의 확보를 위해서는 법률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원칙을 명시하는 것만으로 충

분하지 않고 노동자의 임금정보에 대한 접근권 강화 사용자의 임금정보 공개의무 강화 분쟁 시

노동자의 입증책임 완화 또는 사용자의 입증책임 강화 동일가치 노동 여부를 가리기 위한 성 중

립적이고 체계적인 직무분류 및 평가기준의 마련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자체적인 노

력 및 노사 공동의 노력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7)

5) 박선영 외(2013) 「여성middot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Ⅰ) 낙태 규제와 여성의 대표성 관련 심층 분석

및 여성middot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0쪽

6)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240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0 gt

아래와 같은 벨기에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국가의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책무와 방향 등을

규정한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하여 성평등 임금공시제8)는 물론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의 기본계획 수립(목표치 설정) 과 시행 이를 위한 추진체계 성별임금격차 실태조사 및 모니

터링 등을 명문화하여 국가의 적극적 개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벨기에는「성별임금격차와 싸우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50인

이상의 기업은 2년마다 임금구조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노사협의회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에

는 근로자대표로 구성된 위원회) 에 제공해야 하고 노사협의회는 이 보고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 단 노사협의회는 이 정보에 대해 비밀을 지켜야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는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제공한 임금 사회보장 기여금 각종 혜택에 관한 정보

가 모두 포함되어야 되어야 하고 임금 등에 관한 정보는 노동자의 지위 직무등급 근속년수 교

육middot훈련middot자격 수준별로 상세히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임금구조를 분석할 때 성 중

립적(gender neutral) 직무평가middot분류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해야 하고 분석의 결과 양성 간

임금격차가 확인되면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행동계획에는

구체적 목표 목표달성 방법 달성기한 모니터링 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9)

3)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입법과제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취지는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며 직업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근로여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rdquo이었다 즉 노동시장

에서 발생하는 직middot간접 차별의 금지와 모성보호가 주요 입법목적이었다 그러나 법 제정으로부터

30년이 경과한 현재에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주로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런 구조적 차별의 모습 중의 하나가 이른바 ldquo유리천장rdquo이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 매년 발표하는 성 격차지수(Gender Gap Index)

에서 한국은 2017년 기준 건강 및 교육영역에서 각각 0973점(1에 가까울수록 평등) 0960점으

로 거의 성평등에 이르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영역과 정치영역에서는 각각 0533

점 0134점으로 하위권 수준이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유리천장이 얼마나 강고하게 존재하는지를

7)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8) 성별임금공시제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고용정

책기본법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신용현의원 대표발의 201733) 등이 발의되어 있다

9)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22: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발제2_박선영

lt 27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서류의 재활용을 통해 사회적 자원을 절약함과 아울러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그 권익을 보호하려는 것rdquo이다2) 이런 입법 취지는 목적 조항을 통해서도 확인된

다ldquo이 법은 채용과정에서 구직자가 제출하는 채용서류의 반환 등 채용절차에서의 최소한의 공정

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구직자의 부담을 줄이고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dquo(제1조)

채용절차에서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불공정한 관행을 바로 잡는 것은 채용절차의 공정성을 위

해 필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채용과정의 불공정 관행은 절차적인 문제 해결뿐 아니라 채용 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 제거를 통해서도 바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법의 목적 조항에

채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의 제거를 포함시킴으로써 채용공고 입사지원서 면접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를 방지하고 직무중심 채용이 정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계에

맞는 표준양식 등을 마련하여 그 사용을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lsquo블라인드 채용을 위한

면접 가이드라인rsquo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동안은 입사지원서를 통해 불필요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서류 심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토대로 면접이 이루어졌다 반면 블라인드 채용은

입사지원서를 통해서는 성별 연령 출신대학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면접이 개인의 정보를 확인

하는 과정으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

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은 첫째 직무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면

접 방법의 다양화와 그 판단 지침 등을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 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방법

중 포트폴리오 문제해결시나리오 사례연구 평가자 질문 평가자 체크리스트 구두 발표 등이 면

접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때 각각의 면접방식에서 직무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블라인드 채용의 취지에 따라 질문해서는 안 되는 사항을 새롭게 구

성할 필요가 있다 면접위원에게 응시자의 인적정보 제공 금지 및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을 금지한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금지되는 질문 유형을 적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면접위원 구성 원칙(성별 균형원칙)과 면접위원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및 그 내용을 제공

하는 것이 요구된다

2) 국가법령정보센터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정 이유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453amplsId=ampefYd=20140121ampchrClsCd=010202ampurlMode=

lsEfInfoRampviewCls=lsRvsDocInfoR000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8 gt

2)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입법과제

OECD 국가 중 10년 넘게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성별임금격차는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OECD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의 성별임금격차(Gender Wage Gap)는 367로 35개

회원국 중 격차가 압도적으로 높다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적은 국가는 코스타리카(18) 룩셈부

르크(34) 그리스(45) 벨기에(47) 슬로베니아(50) 등으로 나타나며 우리를 제외하고

OECD국가 가운데 성별임금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에스토니아(283) 일본(257)과 비교해도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매우 크다

또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월 임금총액이 여자는 229만원 남자 341만원이며 남

녀 평균 임금격차는 약 112만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졸이상 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을 따로 살

펴보면 여자 286만원 남자 412만원으로 임금격차는 약 126만원으로 더욱 차이가 벌어진다3)

나아가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남자 정규직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은 385만원 여자 정규직노동

자 253만원 남자 비정규직노동자 183만원 여자 비정규직노동자 118만원으로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가 극심하다4)

이처럼 성별임금격차가 큰 것은 여성 노동자 개개인의 생산성이 낮기 때문이 아니라 경력단절

에 따른 남녀 간 근속년수 차이와 경력단절 후 비정규직으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해서는 나이 고용형태 등에 의해 임금이 결정

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동일임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현실화

가 필요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법정화하고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

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요구된다

현행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이하lsquo기간제법rsquo) 에 따르면 사용자는 ldquo기

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

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제8조제1항)rdquo

또한ldquo단시간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의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제2항)rdquo 여기서 말하는 차별적 처우

3) 통계청 KOSIS ldquo산업 학력 연령계층 성별 임금 및 근로조건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4) 통계청 KOSIS ldquo성별 임금 및 근로시간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발제2_박선영

lt 29

란 합리적인 이유 없이「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임금 정기상여금 명절상여금 등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경영성과에 따른 성과금 그 밖에 근로조건 및 복리후생 등에 관한

사항 등에 있어서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말한다(제2조제3호)

이와 같은 「기간제법」 에 의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등의 차별적 처우 금지는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직무와 직종이

분리되어 있고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가 큰 우리의 현실에서는 동일업무와 유사업무에 대한

차별적 처우 금지만으로 고용형태에 의한 임금차별을 시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 간의 임금차별을 실효성 있게 규제하기 위해 등장한 법리인 동일가치노동 동일임

금 원칙을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행 「기간제법」 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성별임금격차 시정을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남녀고용평등법」 은 사업주에게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가

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

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

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8조)

우리나라 대다수 기업의 임금체계는 속인적인 요소에 기초를 둔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로 동일

가치노동의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방법을 설정하기 어렵다「남녀고용평등법」 상의 lsquo기술 노력 책

임 및 작업조건 등rsquo 은 직무평가기준으로 남성 집중 직무에서 기본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라는 점

에서 이미 차별의 결과로 형성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5)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의 평가기준이 갖는 남성집중 직무중심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동 원칙

의 판단기준인 lsquo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rsquo을 능력 실제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범위 기술

및 작업조건 등으로 세분화하면서 동일가치노동 판단의 기준을 수립할 때 여성노동자 대표가 포

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6)

또한 동일임금의 확보를 위해서는 법률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원칙을 명시하는 것만으로 충

분하지 않고 노동자의 임금정보에 대한 접근권 강화 사용자의 임금정보 공개의무 강화 분쟁 시

노동자의 입증책임 완화 또는 사용자의 입증책임 강화 동일가치 노동 여부를 가리기 위한 성 중

립적이고 체계적인 직무분류 및 평가기준의 마련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자체적인 노

력 및 노사 공동의 노력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7)

5) 박선영 외(2013) 「여성middot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Ⅰ) 낙태 규제와 여성의 대표성 관련 심층 분석

및 여성middot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0쪽

6)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240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0 gt

아래와 같은 벨기에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국가의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책무와 방향 등을

규정한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하여 성평등 임금공시제8)는 물론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의 기본계획 수립(목표치 설정) 과 시행 이를 위한 추진체계 성별임금격차 실태조사 및 모니

터링 등을 명문화하여 국가의 적극적 개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벨기에는「성별임금격차와 싸우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50인

이상의 기업은 2년마다 임금구조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노사협의회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에

는 근로자대표로 구성된 위원회) 에 제공해야 하고 노사협의회는 이 보고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 단 노사협의회는 이 정보에 대해 비밀을 지켜야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는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제공한 임금 사회보장 기여금 각종 혜택에 관한 정보

가 모두 포함되어야 되어야 하고 임금 등에 관한 정보는 노동자의 지위 직무등급 근속년수 교

육middot훈련middot자격 수준별로 상세히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임금구조를 분석할 때 성 중

립적(gender neutral) 직무평가middot분류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해야 하고 분석의 결과 양성 간

임금격차가 확인되면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행동계획에는

구체적 목표 목표달성 방법 달성기한 모니터링 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9)

3)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입법과제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취지는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며 직업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근로여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rdquo이었다 즉 노동시장

에서 발생하는 직middot간접 차별의 금지와 모성보호가 주요 입법목적이었다 그러나 법 제정으로부터

30년이 경과한 현재에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주로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런 구조적 차별의 모습 중의 하나가 이른바 ldquo유리천장rdquo이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 매년 발표하는 성 격차지수(Gender Gap Index)

에서 한국은 2017년 기준 건강 및 교육영역에서 각각 0973점(1에 가까울수록 평등) 0960점으

로 거의 성평등에 이르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영역과 정치영역에서는 각각 0533

점 0134점으로 하위권 수준이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유리천장이 얼마나 강고하게 존재하는지를

7)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8) 성별임금공시제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고용정

책기본법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신용현의원 대표발의 201733) 등이 발의되어 있다

9)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2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28 gt

2)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입법과제

OECD 국가 중 10년 넘게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성별임금격차는 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OECD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의 성별임금격차(Gender Wage Gap)는 367로 35개

회원국 중 격차가 압도적으로 높다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적은 국가는 코스타리카(18) 룩셈부

르크(34) 그리스(45) 벨기에(47) 슬로베니아(50) 등으로 나타나며 우리를 제외하고

OECD국가 가운데 성별임금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에스토니아(283) 일본(257)과 비교해도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매우 크다

또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월 임금총액이 여자는 229만원 남자 341만원이며 남

녀 평균 임금격차는 약 112만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졸이상 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을 따로 살

펴보면 여자 286만원 남자 412만원으로 임금격차는 약 126만원으로 더욱 차이가 벌어진다3)

나아가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남자 정규직노동자의 월 임금총액은 385만원 여자 정규직노동

자 253만원 남자 비정규직노동자 183만원 여자 비정규직노동자 118만원으로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가 극심하다4)

이처럼 성별임금격차가 큰 것은 여성 노동자 개개인의 생산성이 낮기 때문이 아니라 경력단절

에 따른 남녀 간 근속년수 차이와 경력단절 후 비정규직으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성별임금격차 축소를 위해서는 나이 고용형태 등에 의해 임금이 결정

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동일임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middot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현실화

가 필요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법정화하고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

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요구된다

현행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이하lsquo기간제법rsquo) 에 따르면 사용자는 ldquo기

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

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제8조제1항)rdquo

또한ldquo단시간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의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제2항)rdquo 여기서 말하는 차별적 처우

3) 통계청 KOSIS ldquo산업 학력 연령계층 성별 임금 및 근로조건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4) 통계청 KOSIS ldquo성별 임금 및 근로시간rdquo 조회(자료갱신일 2018427)

발제2_박선영

lt 29

란 합리적인 이유 없이「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임금 정기상여금 명절상여금 등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경영성과에 따른 성과금 그 밖에 근로조건 및 복리후생 등에 관한

사항 등에 있어서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말한다(제2조제3호)

이와 같은 「기간제법」 에 의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등의 차별적 처우 금지는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직무와 직종이

분리되어 있고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가 큰 우리의 현실에서는 동일업무와 유사업무에 대한

차별적 처우 금지만으로 고용형태에 의한 임금차별을 시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 간의 임금차별을 실효성 있게 규제하기 위해 등장한 법리인 동일가치노동 동일임

금 원칙을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행 「기간제법」 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성별임금격차 시정을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남녀고용평등법」 은 사업주에게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가

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

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

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8조)

우리나라 대다수 기업의 임금체계는 속인적인 요소에 기초를 둔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로 동일

가치노동의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방법을 설정하기 어렵다「남녀고용평등법」 상의 lsquo기술 노력 책

임 및 작업조건 등rsquo 은 직무평가기준으로 남성 집중 직무에서 기본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라는 점

에서 이미 차별의 결과로 형성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5)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의 평가기준이 갖는 남성집중 직무중심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동 원칙

의 판단기준인 lsquo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rsquo을 능력 실제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범위 기술

및 작업조건 등으로 세분화하면서 동일가치노동 판단의 기준을 수립할 때 여성노동자 대표가 포

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6)

또한 동일임금의 확보를 위해서는 법률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원칙을 명시하는 것만으로 충

분하지 않고 노동자의 임금정보에 대한 접근권 강화 사용자의 임금정보 공개의무 강화 분쟁 시

노동자의 입증책임 완화 또는 사용자의 입증책임 강화 동일가치 노동 여부를 가리기 위한 성 중

립적이고 체계적인 직무분류 및 평가기준의 마련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자체적인 노

력 및 노사 공동의 노력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7)

5) 박선영 외(2013) 「여성middot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Ⅰ) 낙태 규제와 여성의 대표성 관련 심층 분석

및 여성middot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0쪽

6)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240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0 gt

아래와 같은 벨기에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국가의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책무와 방향 등을

규정한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하여 성평등 임금공시제8)는 물론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의 기본계획 수립(목표치 설정) 과 시행 이를 위한 추진체계 성별임금격차 실태조사 및 모니

터링 등을 명문화하여 국가의 적극적 개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벨기에는「성별임금격차와 싸우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50인

이상의 기업은 2년마다 임금구조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노사협의회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에

는 근로자대표로 구성된 위원회) 에 제공해야 하고 노사협의회는 이 보고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 단 노사협의회는 이 정보에 대해 비밀을 지켜야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는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제공한 임금 사회보장 기여금 각종 혜택에 관한 정보

가 모두 포함되어야 되어야 하고 임금 등에 관한 정보는 노동자의 지위 직무등급 근속년수 교

육middot훈련middot자격 수준별로 상세히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임금구조를 분석할 때 성 중

립적(gender neutral) 직무평가middot분류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해야 하고 분석의 결과 양성 간

임금격차가 확인되면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행동계획에는

구체적 목표 목표달성 방법 달성기한 모니터링 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9)

3)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입법과제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취지는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며 직업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근로여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rdquo이었다 즉 노동시장

에서 발생하는 직middot간접 차별의 금지와 모성보호가 주요 입법목적이었다 그러나 법 제정으로부터

30년이 경과한 현재에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주로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런 구조적 차별의 모습 중의 하나가 이른바 ldquo유리천장rdquo이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 매년 발표하는 성 격차지수(Gender Gap Index)

에서 한국은 2017년 기준 건강 및 교육영역에서 각각 0973점(1에 가까울수록 평등) 0960점으

로 거의 성평등에 이르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영역과 정치영역에서는 각각 0533

점 0134점으로 하위권 수준이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유리천장이 얼마나 강고하게 존재하는지를

7)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8) 성별임금공시제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고용정

책기본법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신용현의원 대표발의 201733) 등이 발의되어 있다

9)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24: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발제2_박선영

lt 29

란 합리적인 이유 없이「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임금 정기상여금 명절상여금 등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경영성과에 따른 성과금 그 밖에 근로조건 및 복리후생 등에 관한

사항 등에 있어서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말한다(제2조제3호)

이와 같은 「기간제법」 에 의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등의 차별적 처우 금지는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직무와 직종이

분리되어 있고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가 큰 우리의 현실에서는 동일업무와 유사업무에 대한

차별적 처우 금지만으로 고용형태에 의한 임금차별을 시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 간의 임금차별을 실효성 있게 규제하기 위해 등장한 법리인 동일가치노동 동일임

금 원칙을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행 「기간제법」 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성별임금격차 시정을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남녀고용평등법」 은 사업주에게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가

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임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의 기준은 직무 수행에서 요

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 조건 등으로 하고 사업주가 그 기준을 정할 때에는 제25조에 따

른 노사협의회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8조)

우리나라 대다수 기업의 임금체계는 속인적인 요소에 기초를 둔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로 동일

가치노동의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방법을 설정하기 어렵다「남녀고용평등법」 상의 lsquo기술 노력 책

임 및 작업조건 등rsquo 은 직무평가기준으로 남성 집중 직무에서 기본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라는 점

에서 이미 차별의 결과로 형성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5)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의 평가기준이 갖는 남성집중 직무중심성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동 원칙

의 판단기준인 lsquo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rsquo을 능력 실제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범위 기술

및 작업조건 등으로 세분화하면서 동일가치노동 판단의 기준을 수립할 때 여성노동자 대표가 포

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6)

또한 동일임금의 확보를 위해서는 법률에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원칙을 명시하는 것만으로 충

분하지 않고 노동자의 임금정보에 대한 접근권 강화 사용자의 임금정보 공개의무 강화 분쟁 시

노동자의 입증책임 완화 또는 사용자의 입증책임 강화 동일가치 노동 여부를 가리기 위한 성 중

립적이고 체계적인 직무분류 및 평가기준의 마련 동일임금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자체적인 노

력 및 노사 공동의 노력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7)

5) 박선영 외(2013) 「여성middot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Ⅰ) 낙태 규제와 여성의 대표성 관련 심층 분석

및 여성middot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0쪽

6)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240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0 gt

아래와 같은 벨기에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국가의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책무와 방향 등을

규정한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하여 성평등 임금공시제8)는 물론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의 기본계획 수립(목표치 설정) 과 시행 이를 위한 추진체계 성별임금격차 실태조사 및 모니

터링 등을 명문화하여 국가의 적극적 개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벨기에는「성별임금격차와 싸우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50인

이상의 기업은 2년마다 임금구조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노사협의회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에

는 근로자대표로 구성된 위원회) 에 제공해야 하고 노사협의회는 이 보고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 단 노사협의회는 이 정보에 대해 비밀을 지켜야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는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제공한 임금 사회보장 기여금 각종 혜택에 관한 정보

가 모두 포함되어야 되어야 하고 임금 등에 관한 정보는 노동자의 지위 직무등급 근속년수 교

육middot훈련middot자격 수준별로 상세히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임금구조를 분석할 때 성 중

립적(gender neutral) 직무평가middot분류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해야 하고 분석의 결과 양성 간

임금격차가 확인되면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행동계획에는

구체적 목표 목표달성 방법 달성기한 모니터링 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9)

3)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입법과제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취지는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며 직업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근로여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rdquo이었다 즉 노동시장

에서 발생하는 직middot간접 차별의 금지와 모성보호가 주요 입법목적이었다 그러나 법 제정으로부터

30년이 경과한 현재에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주로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런 구조적 차별의 모습 중의 하나가 이른바 ldquo유리천장rdquo이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 매년 발표하는 성 격차지수(Gender Gap Index)

에서 한국은 2017년 기준 건강 및 교육영역에서 각각 0973점(1에 가까울수록 평등) 0960점으

로 거의 성평등에 이르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영역과 정치영역에서는 각각 0533

점 0134점으로 하위권 수준이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유리천장이 얼마나 강고하게 존재하는지를

7)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8) 성별임금공시제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고용정

책기본법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신용현의원 대표발의 201733) 등이 발의되어 있다

9)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2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0 gt

아래와 같은 벨기에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국가의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책무와 방향 등을

규정한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하여 성평등 임금공시제8)는 물론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의 기본계획 수립(목표치 설정) 과 시행 이를 위한 추진체계 성별임금격차 실태조사 및 모니

터링 등을 명문화하여 국가의 적극적 개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벨기에는「성별임금격차와 싸우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50인

이상의 기업은 2년마다 임금구조 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노사협의회 (노사협의회가 없는 경우에

는 근로자대표로 구성된 위원회) 에 제공해야 하고 노사협의회는 이 보고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논의해야 한다 단 노사협의회는 이 정보에 대해 비밀을 지켜야 한다

또한 이 보고서에는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제공한 임금 사회보장 기여금 각종 혜택에 관한 정보

가 모두 포함되어야 되어야 하고 임금 등에 관한 정보는 노동자의 지위 직무등급 근속년수 교

육middot훈련middot자격 수준별로 상세히 구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임금구조를 분석할 때 성 중

립적(gender neutral) 직무평가middot분류 점검표(checklist)를 사용해야 하고 분석의 결과 양성 간

임금격차가 확인되면 이를 시정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행동계획에는

구체적 목표 목표달성 방법 달성기한 모니터링 방법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9)

3)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입법과제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취지는 ldquo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 및 대우를 보장하고 모성을

보호하며 직업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근로여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rdquo이었다 즉 노동시장

에서 발생하는 직middot간접 차별의 금지와 모성보호가 주요 입법목적이었다 그러나 법 제정으로부터

30년이 경과한 현재에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은 직접적인 형태가 아닌 주로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런 구조적 차별의 모습 중의 하나가 이른바 ldquo유리천장rdquo이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 매년 발표하는 성 격차지수(Gender Gap Index)

에서 한국은 2017년 기준 건강 및 교육영역에서 각각 0973점(1에 가까울수록 평등) 0960점으

로 거의 성평등에 이르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영역과 정치영역에서는 각각 0533

점 0134점으로 하위권 수준이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유리천장이 얼마나 강고하게 존재하는지를

7)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8) 성별임금공시제 관련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고용정

책기본법 일부개정안(김삼화의원 대표발의 2016819)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

(신용현의원 대표발의 201733) 등이 발의되어 있다

9) 김준(2017) 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3) 노르웨이middot독일middot벨기에의 사례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1310 2017518

국회입법조사서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26: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발제2_박선영

lt 31

보여준다 2017년 한국의 전체적인 성 격차지수는 0650으로 144개국 중 118위에 머물렀다10)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조사한 국내 KOSPI 200사 상장기업의 여성임원(이사회 구성원인 여성

등기임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234(2015년 6월 30일 기준)이다 이는 평균 이사회 규모 725명

중 평균 여성임원의 수가 017명에 불과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여성 등기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무려 173개사(865)에 달하고 있다11)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을 다른 국가와 비교하

면 유럽연합 28개 회원국의 경우 공개된 주요 상장기업 이사회의 여성임원 비율(2015년 4월 기

준) 평균은 212로 국가별로는 프랑스(328) 라트비아(323) 핀란드(295) 스웨덴

(294) 영국(259) 덴마크(258) 이탈리아(258) 독일(254) 등이다12)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국가들의 공통점은 여성임원 할당제 또는 여성임원 목표제를 법제화했다

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기업이 자발적으로 여성임원 확대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렇지 못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임원 할당제 등을 입법화 하여 여성임원의 확대를 견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하는 경우 공공부문에서 시작되어 민간부문으로 확대되었고 민간부

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법 수용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유리천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관리직 여성 비율 목표제와 여성임원할당제 또는 목

표제 도입을 법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11조(경영

공시) 제1항 제3호에서는 임원 및 운영인력을 공시함에 있어서 성별 현황을 공시하도록 하고 있으

므로 이에 추가하여 제25조(공기업 임원의 임면) 제26조 (준정부기관 임원의 임면) 규정에 상임

이사 비상임 이사의 임명에 있어서는 성별을 고려한다는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한

쪽 성이 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할당제 또는 목표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제 규

정의 경우 연도별 목표치를 명문화하고 이를 경영실적 평가와 연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13)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우에는「남녀고용평등법」상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연동하여 고용노동

부장관으로 하여금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여성임원의 비율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침을 제정하도

록 하고 해당 기업은 해당 지침에 따라 임원의 양성평등 비율에 대한 목표 수립middot이행 여부에 관

한 연차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Gender Gap 2017」 11쪽

11) 김선민(2015) ldquo유럽과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현황rdquo 『CGS Report』 제5권 13호 18쪽

12) European Commission(201510) ldquo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s Europe is cracking the

glass ceilingrdquo 6-7쪽

(httpeceuropaeujusticegender-equalityfileswomenonboardsfactsheet_women_on_boards_

web_2015-10_enpdf)

13) 박선영 외(2013) 위 보고서 187-191쪽 및 203-204쪽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2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2 gt

4)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과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강화를 위한「남녀고용평등법」의

분리 입법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은 2007년 개정에 의해 법명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남녀고용평등

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었다 이후 일middot가정양립지원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

도의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도 도입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고용상의 성평등과 일middot가정양립은 추구하는 법익이 다르고 특히 일middot가정양립은 여성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것이기 때문에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이 여

성 근로자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근로자의 문제임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더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이 문제

를 차별과 평등의 문제로 여성근로자의 일middot가정의 양립문제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런 이유로 인

해 현행 남녀고용평등법상의 일middot가족 양립 지원은 근로자의 가족생활과 시민으로서 생활을 위한

시간 확보와 노인 등 가족구성원을 돌보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하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따라서 고용상 성차별 금지 성희롱 금지 여성 고용 촉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등을 중심으로

한 고용평등 촉진 법제와 일middot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법제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분리입법의 방안이다 현행법에서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만을 별도의 법률로 독립시키는 방

안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근로기준법」에 통합하는 방안 「남녀고용평등법」과 「근로기준법」의

일middot가정 양립 영역을 모아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방안 등으로 다양하다

일middot가정양립 정책을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 정책으로 확대middot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남녀고용평

등법」 을 분리하여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법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이 법 분리 취지와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리 입법으로 일middot가족middot돌봄법이 제정될 경우 이 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남녀고용평등법」 중

모성보호 및 일middot가정의 양립 지원에 관한 내용에 더해 근로자가 그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남성의 돌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통해 가족 내 성별분업을 완화하고 나아가 젠더관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육아휴직의 보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반 제도 가족돌봄지원

정책을 개선middot강화하고 국가의 일middot가족middot돌봄 지원을 위한 책무와 이를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

행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상의 성차별 금지 규제와 고용촉진 유리천장 해소 등을 위한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2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발제2_박선영

lt 33

입법적 보완과 함께 이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 강화 그리고 고용상 성차별 구제절차에 대한 명문

화 등으로 고용평등법제로의 그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 고용 상 성차별 구제의 실효성 제고 방안

1) 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남녀고용평등법」은 사업주에게 근로자를 성별 혼인 임신 또는 출산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

유 없이 차별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는 벌칙(제37조)을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 법 위반의 차별(모집과 채용 임금 등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피해자가

차별에 대해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고용노동부가 당사자의 신고가

있는 경우 근로감독관이 조사한 후 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절차가 있을 뿐이다

다른 한편 차별피해자는 고용평등상담실이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노사

협의회를 통하여 고충을 신고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신청할 수 있으나 차별이

라고 결정된다 하더라도 권고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에 대한 구제가 되지 못하고

사업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고용 상 성차별 피해자의 실효적인 있는 구제를 위한 차별시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실효성 있는 기관에서 이를 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합한 기관

은 노동위원회라 판단된다

노동위원회는 ldquo노동관계에 관한 판정 및 조정업무를 신속middot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노동위원

회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노동관계의 안정과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으로 한다rdquo14)

14) 노동위원회는 「노동위원회법」 제1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

로 구분된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위원회 및 특별노동위원회의 처분에 대한 재심사건 둘 이상의 지방노동

위원회의 관할구역에 걸친 노동쟁의의 조정사건 다른 법률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된 사건 등을 관장

하고 있다 지방노동위원회는 해당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관장하되 둘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사건은

주된 사업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노동위원회에서 관장한다 (「노동위원회법」 제3조) 이러한 지방노동위원회

는 서울 부산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인천 강원 충북 전북 제주 울산 등 13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특

별노동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선원노동위원회를 두고 있으며(「선원법」 제4조) 12개 지방해양항만청

을 관할로 하여 12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나 비상설기구이다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 및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 구성하되 근로

자위원 및 사용자위원은 각 10명 이상 50명 이하(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같은 수로 한다) 공익위원의 수는

10명 이상 70명 이하로 한다 이때 근로자위원은 노동조합이 추천한 사람 중에서 사용자위원은 사용자단체가 추

천한 사람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는 지방노동

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익위원은 해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노동조합 및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29: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4 gt

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라 노동쟁의의 조정과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

청사건을 심판하고 「근로기준법」이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부당해고 구제 차별 시정 신청사건을 심판한다15)

여성 노동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등 불이익 취급을

받은 경우 노동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제신청은 부당해고 등이

있었던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28조) 노동위

원회는 구제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필요한 조사를 하여야 하며 관계 당사자를 심문하여야 한

다 이때 관계 당사자의 신청이나 직권으로 증인을 출석하게 하여 필요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고

관계 당사자에게 증거 제출과 증인에 대한 반대심문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근

로기준법」 제29조) 이러한 절차를 거쳐 노동위원회는 심문을 끝내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사용자에게 구제명령을 하여야 하고 부당해고 등이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하면 구

제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다만 노동위원회는 구제명

령(해고에 대한 구제명령만을 말한다)을 할 때에 근로자가 원직복직을 원하지 아니하면 원직복직

을 명하는 대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 이상

의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 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2천

만 원 이하의 이행 강제금을 부과한다(「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한편 남녀고용평등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처리하고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산전후휴가 중인 여성을 그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 이내에 해고한 경우 ②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24조 제2항을 위반하여 남녀의 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하는 경우 ③ 사업주가 「남

녀고용평등법」 제11조를 위반하여 정년middot퇴직middot해고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혼인middot임신middot출산을 퇴

직사유로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해고한 경우 ④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와 노사

자치규범에 따라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를 부당징계하거나 피해자에게 해고 또는 인사상의 불이

익을 준 경우 ⑤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의2를 위반하여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를 주장하거나 고객 등의 성적 요구 등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이

익한 조치를 한 경우 등이다

사용자단체가 각각 추천한 사람 중에서 노동조합과 사용자단체가 순차적으로 배제하고 남은 사람을 위촉대상 공

익위원으로 하고 그 위촉대상 공익위원 중에서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위촉하고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은 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위촉한다 공

익위원은 심판사건을 담당하는 심판담당 공익위원 차별적 처우 시정사건을 담당하는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조

정사건을 담당하는 조정담당 공익위원으로 구분하여 위촉한다(「노동위원회법」 제6조)

15) 임종률(2015) 「노동법」(제13판) 박영사 627쪽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3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발제2_박선영

lt 35

기간제middot단시간middot파견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등과 임금 등 근로조건에 대한 차별이 있을 경우에

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에 대한 시정요구를 신청하여 구제받는 절차가 마련16)되어 있다 여기에 고

용상 성차별 부분까지 포괄하여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판

단된다

노동위원회에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을 신청할 수 있는 영역과 관련해서는 모집middot채용 차별을 포

함시킬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임금(제8조) 임금외의 금품 등(제9조) 교육middot배치

및 승진(제10조) 정년middot퇴직 및 해고(제11조)에서의 성차별은 대상이 될 것이다 이 법 위반의 차

별에 대한 입증책임은 기간제노동자와 파견노동자의 차별시정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주가 부담

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법 위반의 차별에 대해 신청당사자인 근로자가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사업장과 관련된 자료의 대부분은 사업주의 관리 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사업

주에게 입증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동위원회의 고용상의 성차별 시정절차에 대해서는「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준용하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근로자로부터 고용상의 성차

별시정 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하여야 하며 심문과정에서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관계당사자 합의 시는 중재를 할 수 있고 조정과 중재는 민사

상 화해와 동일효력을 갖는다 또한 노동위원회는 조사middot심문을 종료한 후에는 사업주에게 시정명

령 또는 기각 결정을 한다 조정middot중재 또는 시정명령의 내용으로는 근로조건의 개선 또는 적절한

배상(손해액의 3배 이내)이 포함되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또는 기각결정에 대해서 중앙

노동위원회에 재심 및 행정소송 제기 등 시정명령 등의 확정 절차를 마련한다 시정명령을 이행하

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부여할 것인지 과태료를 부과할 것인지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법제도적 개선뿐 아니라 근로감독행정의 실질화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근로감독행정은 크게 예방적 근로감독과 사후적 신고사건의 처리로 나누어진다 전자

는 근로기준 및 관련 법령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사업장을 감독하는 것이고

후자는 위반사건 및 신고사건에 대한 수사와 처리이다

현행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은 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한

사용자(또는 사업주)에게 형사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는 「근로기준법」과

16) 「기간제 및 단시간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9조~제15조의2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1조의

3 「노동위원회법」 제2조의2 등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31: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36 gt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대하여 지방노동청에 진정 고소middot고발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담

당하는 기관의 성인지적 감수성과 전문성 부재 등으로 인해 형사 처벌 방식의 이 법률은 거의 작

동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최근 5년간 성차별 연평균 14건 처리 권리구제 101 기소

150 위반없음 493 기타 260(20171227일 여성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현재 우리나라 근로감독행정은 신고사건 중 임금체불 신고사건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모집middot채용에서 승진 임금 퇴직에 이르는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예방적 근로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지난 2017년 12월27일 lsquo여성일자리 대책rsquo을 발표하였다 이 대책

도대상사업장수

위 반 내 용 (건수)

임금

차별

임금 외

금품

차별

모집

채용

차별

배치승진차별정년

(퇴직)차별

rsquo98 206 10 1 2 - -

rsquo99 534 12 8 6 5 3

rsquo00 801 17 4 13 - 2

rsquo01 672 15 3 15 2 2

rsquo02 1066 7 5 12 1 4

rsquo03 1026 4 3 2 - 6

rsquo04 1192 11 - 20 4 3

rsquo05 717 8 13 24 4 1

rsquo06 1714 13 25 117 20 9

lsquo07 1359 9 15 114 11 4

lsquo08 1628 3 4 65 - 1

lsquo09 1272 1 - 27 - 3

lsquo10 1095 1 3 16 - 4

lsquo11 985 - 1 2 - 1

lsquo12 1132 1 1 3

lsquo13 920 10

lsquo14 843 1 6 1

lsquo15 506

lsquo16 535 1

근로시간제한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제54조 제56조

모성보호 규정 미비 등 「근로기준법」 제93조 제94조 제95조 제96조

고충처리기관 미설치 등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모든 조항

자료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고용노동부(2012) 「여성과 취업」 59쪽 고용노동부(2016)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533쪽

lt표 3gt 고용평등 및 모성보호 지도middot점검 현황

(단위 개소 건)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32: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발제2_박선영

lt 37

에는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여성보호조항 전 사업장 적용확대 2018년부터 47개 지

방관서별로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1~2명 단계적 배치 성차별 근로감독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대책은 지난 정부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지만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을 위한 근로감

독행정 전반에 대한 성인지적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남녀고용평등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 확

대된(201911 시행) 현실을 감안할 때 고용평등 전담 근로감독관 배치는 1-2명을 단계적으로

배치한다는 소극성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된 고용

평등과를 부활하고 근로감독관 직무규정 제2조(근로감독관의 직무)를 개정하여「남녀고용평등

법」상 성차별 시정 피해자 보호 사업장 성평등 조직문화 지도 업무를 명시하여 사업장 성차별에

대한 실질적인 감독과 법률 집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17)

17) 이영희(2018) ldquo고용상 성차별 시정 구제제도 강화방안rdquo 2018년 여성노동대토론회 문재인정부 여성노동정책에

없는 것 2018227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3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ltlt 토 론 1 gtgt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34: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토론1_이주희

lt 41

금융권 성차별채용 및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문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Ⅰ 금융권 성차별 실태

여행원제가 남긴 유산 비정규보호법(기간제법)을 계기로 여성을 분리직군화

경총의 HR포럼 ldquo비교대상 업무가 없는 경우에는 차별금지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비

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함에 있어 유사업무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rdquo가 있음

금융권 채용차별 간접차별에 해당함

2차 정규직화된 특수직군이 대부분 여성노동자로 구성되어있다면 ldquo외관상 중립적 기준이

특정 소수자집단에 불이익한 경우를 야기하는rdquo 간접차별에 해당함

따라서 ldquo은행에서 여직원 텔러 뽑을 때 남자 안 뽑는 건 성차별 아니냐rdquo는 말은 매우 적절

한 표현임(물론 해당 진술의 의도와는 달리 남성이 아닌 ldquo여성rdquo에 대한 성차별)

이전 H은행 사례 lsquo어느 한 성이 현저히 충족하기 어려운 인사에 관한 기준이나 조건을 적용rsquo 전문대졸

이상 24세 미만 ndash 4년제 남성 군필지원 불가능하게

직군별 직무의 차이가 차별적 처우를 정당화 할 수 있는가

국제비교 은행사업 고용관계연구의 결과 홍콩의 경우 운영직과 판매직 모두 지점장까지

승진 가능

미국 National Bank Financial Bank의 사례 텔러와 콜센터 업무에 대한 다른 접근

호주 SouthCo PB고객과 일반고객의 구분 없음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3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2 gt

Ⅱ 고용상의 성차별 개선과제

모집 채용차별에 대한 벌칙 강화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제도의 한계

현재 500만 2000만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실효성 전무함 간접차별은 차별 피해자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이 협소

간첩차별 사례에 대한 영향력 있는 판견 및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간접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준법의식이 미약하여 구체적인 고용관행의 수정 혹은 변경노력이 부

족한 만큼 명백한 간접차별 사례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이들 기업이 혁신적

인 채용방식 개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인구집단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내부적인 승진과

배치를 위한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강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구조적 차별의 대안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필요성

사용자는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듯이 합리적인 사람들이 아님 전적으로 경제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기 보다는 이들은 개별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규범적 요인에 근거

하여 인사결정을 내림 이런 준거틀 안에서 어떤 일자리들은 여성의 일로 낙인 지워지며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을 당연시하는 인사담당자들 때문에 이런 결정이 기

업의 인사유형으로 정착되어감 이러한 구조적 차별은 한 번 조직에 내재화되면 관습화된

관행을 바꿀 때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기피하는 조직의 관료적 제도적 관성에 의해 수정

이 매우 어렵게 됨

고용차별은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행에 너무나 완벽히 내재화되어 있어 어떤 단순한 한

정책으로는 시정이 불가능함 만일 고용평등법이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의도적인 차별

만을 행하는 개인의 규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외견상 중립적이나 차별적 효과를

가져오는 제도 자체에 각인되어 있는 차별적 관행과 이러한 조직의 타성을 규제하는 데에

는 결코 유용하지 않게 될 것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간접차별의 개념과 이를 시정하

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가 미

국 차별규제의 역사에 깊이 각인될 수 있었던 것 적극적 조치는 작업장에서의 고용차별

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절차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직무격리현상이나 승진 차별

과 같이 분명한 차별적 의도 없이도 영속되는 차별시정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정책도구임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36: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토론1_이주희

lt 43

채용차별 근절을 위한 정책대안 ndash 현행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AA) 개선

현재 시행 중인 AA제도에서는 남녀 근로자 현황 표에서 비정규직이 분리 보고되고 있지

못하여 여성 고용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임금 수준에 대한 남녀 비교 표도

없음

시행계획서의 경우 제출대상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로 분리하여 각각 동종업종 유사

규모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 한정하고 있음 이로 인해 기업들이 평균의 70를 양호한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기업 간 표준편차가 작은 업종의 경우 여성고용비율이 매우 낮다

하더라도 시행계획서 제출 해당 기업이 전혀 없을 수 있음 이러한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이미 과거 차별의 결과를 담고 있을 수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정 가능성이 또다시 제한됨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고용형태 공시제(300인 이상 기업 현재 500인 이상

에 적용되는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효과)와 연동하여 성별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및 임금수준도 함께 보고하게 한 후 이 내용을 현 AA제도에서 요

구하고 있는 남녀근로자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통합한 『남녀고용현황보고서』(현재는 남녀

근로자현황에서 평균의 70 미달 기업에게만 시행계획서를 요구하고 있음)에서 다양한

성과 지표를 포함한 추가 정보와 함께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음(여성 정규직근로자 활용

지표 및 여성 관리자 활용지표(성과지표) 일 생활 균형지표 및 적극적 고용관행개선 지표

(과정지표))

블라인드 채용방식 개선

성별의 경우 서류에 적힌 이름에서 일부 유추 가능하나 성별을 적시하지 않으므로 여성

중 몇 명이 서류전형에 지원하고 합격 혹은 불합격했는가를 파악하기 어려움

면접에서는 성별이 다 드러나므로 서류전형에 합격한다 해도 이 단계에서 여성을 기피하

는 채용이 이루어진다면 블라인드 채용방식의 의의가 크게 감소함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성별의 경우 블라인드 처리하지 말고 오히려 정확한 통계수치를 파악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공공부문 조직이나 공기업의 경우 여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 그리고 남성 지원자

대비 합격자 수를 서류 및 필기시험 면접 등으로 모두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음 한 집단의 선정율이 다른 집단의 선정율의 80에 못 미칠 경우 간접차

별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음

면접 시 부적절한 질문의 예시를 기업 등에 충분히 홍보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발제문 중 ldquo면접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3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4 gt

마련할 필요가 있다rdquo rarr 직무능력을 성인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노동위원회의 성차별 시정업무 성인지적 근로감독 행정 관련

노동위원회 성차별 담당 위원의 전문성 확보

근로감독 결과 위반 사항에 대한 고액의 (징벌적) 과태료 부가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3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ltlt 토 론 2 gtgt

토론문

조주은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39: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토론2_조주은

lt 47

토론문

조주은|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박선영 선임연구위원 최우미 부위원장 두 분의 발표문에 관하여 공감1)하면서 발표문에서 제

안하신 내용들을 어떻게 제도화할 수 있을지 입법지원기관에서 근무하는 입법조사관의 입장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만연한 성차별 중 대표적인 것이 lsquo성별임금격차rsquo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민간직종에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차별로 인하여 여

성들의 진입이 적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middot채용단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근절할 수

있다면 성별임금격차도 완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금융권 성차별 채용비리와 관련하여 채용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과 직

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2)이고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37조제4항제1호3)는

모집middot채용 단계에서의 성차별에 대하여 사업주를 대상으로 벌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있다 물론

이 벌금 500만원 이하라는 벌금액수는 매우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 위반으로 고용노동부가 검찰청에 기소를 한 건수는 종결일

자 기준 2015년도 1건 2016년도 1건 2017년 2건 2018년도 5월까지 1건이고 이 중에서 실

제로 사업주의 벌금집행으로 이어진 건은 2016년도 딱 1건에 불과하며 벌금액수는 30만원에 불

과하였다4) 이러한 현실에서 관련 법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 현

실적으로 사업주에 대한 처벌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까

제20대 국회에 총 38건의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

1) 다만 박선영 선임연구위원의 제안 중 하나인 lsquo노동위원회에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rsquo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

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2) 제7조(모집과 채용) ① 사업주는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남녀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

혼 조건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을 제시하거나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3) ④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하거나 여성 근로자를 모집middot채용할 때 그 직무의 수행

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 미혼 조건 등을 제시하거나 요구한 경우

4) 고용노동부 내부자료(201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4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48 gt

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7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1gt과 같다 더불어 제20대 국회에 총 91건의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2018 7 11 기준)되었고 그 중에서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 개정안은 총 3건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lt표 2gt와 같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13278(2018 4 26)

채용여부 통보를 받은 구직자가 그 사유를 요청할 때 구인자는 이를 알

려줄 수 있도록 하고 고지의무를 위반하는 구인자에 대한 제재처분을

마련함으로써 구직자의 알권리를 증진하려는 것임(안 제10조 제17조

제2항제1호 신설)

계류 중

13093(2018 4 17)

채용절차의 각 단계별로 합격한 구직자의 성별 비율을 공개하도록 함으

로써 구인자가 특정 단계에서 성별 비율을 부당하게 조정하는 사례를

방지하려는 것임(안 제13조의2 신설)

계류 중

12876(2018 4 4)

구인자가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사유로 채용절차에서 남녀를 차

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울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도는 사업장은

채용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려는 것

계류 중

12854(2018 4 3)

채용과정의 투명성 확보 국민 알권리 보장 및 구직자 권익 향상을 위해

채용여부 확정 후 구직자의 요청 시 구직자 본인의 평가항목별 점수middot평

가과정별 순위 등 채용심사 결과를 공개하도록 함(안 제10조의2 신설)

계류 중

11885(2018 2 9)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 채용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중 3분의 1 이상을 외부 전문가로 포함시키고 심사위원이 구직자의 친

족이거나 구직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지체없이

채용심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함과 동시에 채용단계별로 채용심사 결

과를 구직자에게 알려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안

제8조의 2 신설 제10조)

계류 중

7540(2017 6 23)

채용절차에서의 구인자의 구직자에 대한 불합리한 처우의 금지와 금지

의무 위반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명령을 규정하고 채용광고에 채용

대상 업무 임금 등을 명시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필기middot면접시험 등에

불합격한 구직자에게 불합격한 사유를 알리게 하는 등 채용절차에 있어

서 구직자를 불합리한 처우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임

346(2016 6 20)

구인자로 하여금 구직자에게 기초심사자료에 사진 부착을 포함하여 용

모middot키middot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과 출신지역 부모의 직업과 재산상황 등

을 기재하도록 요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무 중심의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임(안 제4조의2 및 제16조제2항 신설)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1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41: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토론2_조주은

lt 49

국회에 모집middot채용상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의 법안들이 다수 발의되어있는 현황을 참

고하여 관련 법안들이 제20대 국회에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모집middot채용단계에서의 성차별을 방지하기 위하여 lsquo블라인드 채용을 통한 직무능력 중심

주의rsquo가 여성들에게 또 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

다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lsquo능력rsquo이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squo능력주의rsquo가 성차별

적이 될 수 있음은 어느 정도 인식이 공유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직

무능력이라는 것도 여성들의 특성을 배제하면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능력중심주의로의 요

구에도 주도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여성채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주의적 논리로 보자면 기업은

자신의 회사에서 일할 노동자 자신이 선호하는 노동자를 채용할 권한이 있다 금융권이 성차별적

채용을 하였다면 금융권이 입사전형과정에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

나는 여성들을 배제하고 여성보다 점수가 낮은 남성들을 더 선호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여

성들의 임신과 출산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모성보호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강제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성차별적인 모집middot채용을 하지 말라고만 할 것

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그러한 모성보호가 부담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성차별적 모집middot채용이 기업의 생산성middot효율성과 모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물과 함께 대체인력

지원 등의 현실적 지원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안번호(발의연월일)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처리상태

2004384(201612 14)

채용middot고용과 관련하여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차별 금지를 명시하고 이

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신고middot상담을 할 수 있는 신고middot상담 전화를

설치middot운영하며 임신middot출산 진료비용의 청구 및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 신청 등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주의 모성보호 조치가 원활히 이루

어지는지를 적극적으로 감독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불이익을 최소화 하고 근로권을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7조 및

제37조 제22조의4 및 제31조의3 신설)

계류 중

2007762(2017 7 4)

차별을 받은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시정을 신청하고 차별에 해당된

다고 판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가 사업주에게 시정명령 및 배상명령

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의 고용평등을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

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25조의2 신설 등)

계류 중

2013716(2018 5 24)

근로자의 모집 및 채용에서 남녀를 차별한 경우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에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로 상

향 규정하여 근로자를 모집하거나 채용할 때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남

녀 차별을 하지 않도록 차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것임(안 제37

조제1항)

계류 중

자료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을 정리하여 구성

lt표 2gt 제20대 국회에 제안된 lsquo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rsquo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42: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ltlt 토 론 3 gtgt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나지현 |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4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토론3_나지현

lt 53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 성차별

나지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1 성별임금격차의 시작 채용성 차별

2017년 3월8일부터 3시STOP을 외치며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성별임금격차해소는 여성에 대

한 차별해소의 주된 과제이다 한국의 성별임금격차는 높다 고용노동부가 최근에 발표한 통계

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남성 중위임금이 100일 때 여

성 중위임금은 633로 격차는 367이었다 OECD 평균 격차(141)의 25배를 웃돈다 여성

의 비정규직화 여성 집중 직종에 대한 저평가 경력단절 유리천장 등 많은 원인이 있지만 여성청

년에 대한 채용성 차별은 아예 일자리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므로 우선 해결과제이다

2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금융권의 채용사기 채용성 차별

은행은 돈을 다루며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6개 은행에 대한 채용비리 조사에서 기소대

상건수중 성차별사례가 225건으로 나타났다 73이나 41 등 인위적으로 조직하여 적게 뽑은 데

다가 임직원자녀와 외부인 청탁까지 더하면 여성이 정규직에 취업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

이다

그동안 사회초년생인 여성들이 취업이 안 되는 이유로 면접에서 결남출을 질문받으며 채용되

지 않았던 사례를 공유했는데 이번 은행의 채용비리는 서류전형 단계에서부터 계획적이고 조직적

으로 여성을 배제하는 채용비리가 저질러 진 것으로 더욱 악질적이다 거듭된 채용비리의 결과로

남성은 일반직 여성은 2차 정규직으로 2중 차별이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권의 심각한 성별임금격

차로 나타난다 (9개은행 남녀 연봉격차 3000만원 산업은행 임금격차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44: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54 gt

3 채용성 차별 해결을 위하여

(1) 지원단계별 성비 공개가 필요하다

예) 공공기관 실태조사

(대 상) rsquo17년 기준 신규채용 10인 이상 최종합격자 중 여성비율이 30 미만 91개소

(조사기간) 2018 4 20 sim 54

(조사항목) 채용형태 채용시기 채용공고 및 입사지원시 성별표기 여부 단계별(지원 rarr

서류 rarr 필기 rarr 면접 rarr 최종) 합격자 및 비율 특이사항 등

(분석결과)

지원자 대비 서류전형 합격자 비율의 여성이 다소 높음 (여성비율 1009)

서류합격자 대비 면접 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686)

지원자 대비 최종합격 비율의 여성이 큰폭으로 낮음 (여성비율 707)

⟹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임 금융권 AA대상 사업장 등에도 적용되어야

⟹ 단계별 성비 공개 등이 되지 않는다면 밑의 처벌 조항인 lsquo고의반복적으로 여성을 채

용에서 배제하는지rsquo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근거가 없음

(2) 블라인드 채용과 주기적 전수조사에 대하여

서류단계에서의 차별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나 면접단계에서의 차별에 대한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 면접위원의 성비 조정 차별적 질문에 대한 규제도 도움이 되지만 채용성 차별해소는 지원

자 대비 합격자의 성비와 종합적으로 정리되어야 실효성이 있다

그동안 적폐가 누적되어 왔으므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고용노동부의 제2금융권 조사

에 대해 지켜보겠다

(3) 법적 제도적 방안과 처벌의 실효성

①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ld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 여성을 채용에서 배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은 현행 500만원 이하의 벌

금에서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 제middot개정을 추진한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4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토론3_나지현

lt 55

다rdquo(75 채용성 차별 해소방안 중)

rarr lsquo고의middot반복적으로rsquo 라는 전제를 입증할 수 있을까 원래대로의 7조 1항의 문구의 처벌을 강

화하는 것이 맞다

② 채용절차법 등의 개정 또는 채용비리근절법의 제정

채용단계에서 규제할 수 있는 내용의 법이 필요하다

③ 독일의 공정임금법 발제의 벨기에 사례 등에 대한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

(4) 2차 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 폐지

공공기관 은행 등의 무기계약직은 고용 또는 복리후생 일부가 보장되지만 임금차별과 승

진차별 등 정규직과의 차별이 전제로 된 직군이다 90가 여성으로 분리직군 자체가 성

차별을 전제로 하므로 벽을 허물어야 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46: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ltlt 토 론 4 gtgt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4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토론4_김순희

lt 59

채용차별 임금차별 고용상 차별 등 남녀 차별의 방조

김순희| 한국노총 여성본부 본부장

1 들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지난 30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

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가 심화되었고 여성들

이 임신 및 출산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 시 저임금 여성 직종으로 취업

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평등 관련 법middot제도가 엄연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여성비정규직 차별 간접차별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법률이 보장하고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 우

리 사회의 현실적인 역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제력이 없다면 법적 규제는 선언적인 의미 사문

화된 규정에 불과하다면 현재 여성노동시장의 여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여성노동 고용관련법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현 고용시스템은 고용의 측면에서 여성이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요소들을 안고

있는데 전일제 중심의 노동시간 상시화된 장시간 노동은 전형적으로 남성 외벌이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낮은 여성 고용률 때문에 남성 가장 혼자서 벌어

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크며 이것은 남성 가장들의 높은 임금 요구 및 남성 가장

에게 의존하는 가구 경제에 위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1)

1) 배규식 lsquo여성고용의 증대rsquo lt노사관계 현안의 해법과 노사정 관계의 복원gt 「하반기 국회 노사관계노동현안 입법과

제의 해법과 방향 토론회」 2014 7 국회환노위 한국노총 공동 주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4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0 gt

여성노동시장의 변화를 보면 여성이 정규직 핵심인력과 비정규직 주변 인력이 동시적으로 증

가함으로써 여성노동시장의 계층화 심화되었고 여성들이 임신 및 출산 육아등으로 노동시장 이

탈을 경험한 이후 재취업시 저임금 여성직종으로 취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비경제활동인구를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못지않게 이미 노동시장에 진

입한 여성노동자의 노동시장 정착율을 높이는 법제도 개선 및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대적인 고임금 직종인 전문가와 사무직에서는 상용고 중심으로 여성 취업자 증가하는

한편 상대적 저임금 직종인 서비스직과 단순 노무직에서는 임시일용고가 여성 고용이 많아졌고

여성에게서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비정규직 문제 경력단절 현상과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이 중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노동 관련 법middot제도는 신인사제도와 직군분리제도 비정규직 채용과 외주화 등

현안 문제에서 실효성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성 비정규직은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조항은 물론 「남녀고용평등법」에 보장된 해고로부터 보호 정년 승진 직업훈련 육아

휴직 등에서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남녀고용평등법이 현재 안고 있는 여성고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성

을 갖고 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대의 화두인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

에 주목하여야 하고 특히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 및 정책을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

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법

제도를 정비한다면 일middot가정 양립 제도의 보편화가 아니라 보육과 돌봄의 여성화로 고착화되고

노동시장내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일middot삶의 균형조성을 위한 최우선 고려 사항 중 하나가 일중심적 정체성에서 탈피하는

것으로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

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일중

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가부장적

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시민-노동자-돌봄인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

고 법 제도의 개정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윤정향 ldquo일middot가족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제언rdquo 한국노총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2012628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49: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토론4_김순희

lt 61

2 고용상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과 성별격차 해소 필요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최대 요인은 여성노동자 2명 중 1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으로 따라서 지속적이고 강력한 비정규직 개선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

면 이처럼 높은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 이에 따른 여성의 고용불안정 성별 임금격차 여성의 저

임금근로자화 등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므로 여성노동자의 고용상의 불안정과 경제적 불평등을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상시적인 업무에 있어서는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법middot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여성 일자리 창

출을 통해 고용 보장 및 근로조건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고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금지의

실효성 제고와 여성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 확대를 위한 저소득층 사회보험 국가지원을 확대

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이 여전히 여성 친화적이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용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을 효과적으로 금지하고 피해자 구제의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

되어야 한다3) 또한 변하지 않는 M곡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성인지적으로 재설계하여 추진해야 하

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공보육시설 확충 등 제반 인프라가 보다 강화되도록 관련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의 고학력화에 상응하지 못하는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의 낮은 대표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은 할당제나 채용 및 승진 목표제 등의 입법화를 통해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

되도록 하여야 한다4)

3) 송강직 ldquo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과 한국적 과제 - 미국과 일본의 법제와의비교를 중심으로 rdquo 「노동조합 내 차별실

태와 노동조합의 정책과제」 한국노총 정책토론회 2009 5

4) 박선영 ldquo 제19대 국회 여성middot 가족 입법방향rdquo 「제 19대 국회 여성 가족 입법방향과 과제」 제2차 젠더와 입법 포

럼 2012 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5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2 gt

3 남녀고용평등법 핵심적 개정 과제

1) 남녀고용평등법 적용 사업주 범위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문제로 여성 비정규직의 확대 성별 직업분리 현

상의 지속 등을 지적할 수 있음 문제는 성별 직군분리 비정규직 간접고용의 방식으로 성차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녀고용평등법」이 이것에 무력하다는 것으로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성전용직군의 외주용역화를 이용한 성차별은 법적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고용상의 성차별을 규제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서 lsquo사업주rsquo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지만 lsquo근로자rsquo를 ldquo사업주에게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rdquo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직접고용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따라서 외주용역으로 간접고용 된 여성근로자의 차별 문제는 법적으로 등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남녀고용평등법」 상의 의무이행주체인 사업

주를 사용자로 하고 그 범위를 ①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와 함께 ldquo②근로계약의 체결여부와 상관없이 당해 근로자의 근로조

건 등의 결정에 대하여 사실상 지휘middot감독권이 있는 자rdquo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노동시장의

현실을 볼 때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사업주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용형태를 이용한 성차별을 규제하는데 의미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5)

2) 적극적 고용 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제도의 실효성 제고

우리사회는 오랫동안 누적되어온 성차별적 고용관행으로 노동시장내의 불평등이 존재해왔으

며 가시적인 결혼퇴직 등 직접차별은 줄어든 반면 채용middot승진 등에서의 교묘한 간접차별이 계속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직종에 여성의 진출 확대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하

여 정부기관 기업 등을 대상으로 채용middot승진 등에서 고용 상 평등과 기회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대상은 2005개소 이중 공공기관은 329개

소이고 3년 연속 여성고용기준 미달 사업장이 734개소에 달하며 공공기관 중 여성 관리자가 한

5) 박선영 ldquo새 정부 여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rdquo 「새정부 여성middot가족정책의 방향과 입법과제」 젠더와 입법포럼

20133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51: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토론4_김순희

lt 63

명도 없는 기업이 60여개소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고용비율 및 관리자 비율이 낮은데 공공부문의 경우 민간기업을 이끌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이 요구

됨에도 오히려 정부의 공공기관들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를 잘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A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극적조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헌법 및 법률에 확

보할 필요가 있으며 제도 적용 심사과정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모

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적극적조치 시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구체

적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고용관행을 개선하고 여성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비율 제고하는 등 정부의 강력한

정책실행의지와 함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 적극적조치 의무 적용 대상 기업의 범위가 협소한 만큼 500인 이상 기업 종사 여성근로자는

극소수인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 적용 대상기업을 300인에서 100인 이상으로 단계

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남녀근로자 현황 및 시행계획서를 lsquo남녀고용현황보고서rsquo로 통

합하고 제출기업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이 되는 모든 기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남녀근로자 현황 보고 시 직급 직종별 기준으로만 자료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어 여성고용

의 증가가 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비정규직의 증가에 따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 만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도 적용 의무기업은 고용형태별 남녀근로자 현황 및

전년도에 채용한 남녀 노동자 성비 및 고용형태를 보고하도록 하고 시행계획서 제출기업은

산업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 미만기업에 적용토록 AA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3) 규모별 동종 산업 평균 여성고용율 혹은 관리직 비율 기준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

효성 제고가 어려운 만큼 여성고용율 및 여성관리자 비율을 동종업종 평균 수준으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평균의 70 수준을 적용)

(4) 여성관리자 개념이 너무 넓게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 개념을 명

확히 규정하여 과장급 혹은 그에 준하는 직급 이상자 중 감독 지휘권을 갖고 인사고과 결

재권을 가진 경우에만 관리자로 인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성별 임원 현황 보고하고 임원

비율 목표 설정하여 이행하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5) 다음년도 이행목표 수립대상기업은 산업 분류 없이 여성정규직 비율 30미만기업과 여성

관리자 비율이 15에 미달하는 기업 및 앞의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52: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4 gt

성정규직 비율의 50에 미달하는 기업은 이행목표수립계획서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6) 적극적조치 제도와 관련하여 기업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든

AA제도 적용사업장의 여성고용 및 관리자 비율을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여성고용 개선 효

과가 큰 친여성적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사회구성원과 공유함으로써 이

행 준수율이 낮은 기업에게는 경각심 부여 이행실적 우수 기업에게는 정부조달 계약준수

제도 적용 및 우선순위 등 인센티브 세율 차등 등 적극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

구하여야 한다

(7) 특히 현재 공공기관의 경우 오히려 민간기업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율이 낮은 만큼 적

극적 고용개선조치 실적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6)

(8) 최고경영자(CEO) 등 기업의 핵심부에 AA관련 정보가 전달되도록 최종 결재를 CEO가 하

도록 한 후 사내 게시판 혹은 유사 매체를 통해 매년 AA현황 및 실태를 공지하도록 강제하

여야 한다

구분

합 계 공공기관 민간기업

계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계

1000인

이상

500 ~

999인 이하

lsquo17 2005 848 1157 329 77 252 1676 771 905

lsquo16 2040 825 1215 322 74 248 1718 751 967

2016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수 749700개 100인 이상 사업체수 16503개 500인 이상 사업체수 1718개

lt 적용대상 기업 현황 gt

(단위 개사)

3) 모성보호강화 및 육아휴직제도 개선 방향

가 출산전후휴가기간 확대

모성보호는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여성의 고유한 모성기능에 대한 보호인 동시에 태아와 신생

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며 다음 세대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

회적 보호조치임 그러므로 여성들이 모성기능으로 인해 일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어떠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아서도 안 된다

6) 한국노총 ldquo2013년 여성 고용정책 요구rdquo 고용노동부 및 여성가족부 제출 2013 7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5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토론4_김순희

lt 65

lsquo출산전후휴가rsquo는 여성노동자가 임신middot출산이라는 큰 생리적 변화를 겪은 후 원래상태로 돌아가

기 위해서 꼭 필요한 휴가제도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전후휴가기간이 90일로 ILO 제183호 「모

성보호에 관한 협약」 권고기준인 98일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선진국가의 경우 ILO「모성보

호협약」의 권고에 따라 모성보호규정을 확대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외국의 추세를 감안

하여 우리나라도 여성노동자의 모성보호는 사회구성원의 재생산을 위한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

에서 산전후휴가를 ILO 국제기준에 맞게 98일 이상으로 확대(산후 50일 이상의 휴가)할 필요가

있음 또한 출산전후휴가기간 중에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은 제외하여 휴가기간을 확보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성노동자가 회사에 눈치 보지 않고 맘 편히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이 마련되도록 사업주에게 모성보호 조치를 적극 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임신middot출산으로 인한

여성노동자의 경력단절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에 따른 업무공백 및 비용부담 등으로 사업

주가 재계약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임 또 대다수가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고 이들의 10만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① 휴가인력으로 인한 업무middot인력 공백 지원시스템 구축

대체인력뱅크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운영하며 공공기관의 경우 대체인력 채용으

로 인한 인원은 평균인원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대체인력 뱅크 제도를 국가적 시스템으로 확대 운영하여 일반 기업체에서도 참여하여 사

전 모집 및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성인력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대체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한국노총의 실태조사 결과

983803 대부분의 회사들이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이용에 따른 업무공백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인력채용으

로 발생되는 추가비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사내 인력 전환배치방식이나 동료 간의 업무분담 방식을 주로 활용

휴가 사용자의 심리적 부담 정도를 보면 출산전후휴가의 경우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60 수준 육아휴직은 50 수준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를 이용하면서 이용자의 약 40-50 가량이 심리적 부담을 느낀다는 것은 제

도의 실효성이 높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54: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6 gt

② 원직복귀 보장

산전산후 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동일(등) 일자리 복귀보장의 현실적 효력 제고 위한 적극적

실행프로그램 가동 필요하다

4 임금 차별 해소방안

1) 동일임금 관련 현행법의 한계

「고평법」제8조 제1항은 ldquo사업주는 동일한 사업내의 동일가치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rdquo라고 규정하고 있고 이규정 자체는 동일임금 원칙의 적용대상 금지

되는 차별사유을 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녀근로자 사이의 동일임금원칙을 규정한 것으

로 해석된다

동일가치노동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동법 제8조 제2항에서 ldquo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 등rdquo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위규정을 통해 이를 더 구체화하고 있는

데 즉 고용노동부 예규인 「남녀고용평등업무처리규정」에서는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 대해 더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할 때 위의 기준이외에도

ldquo근로자의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rdquo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되는 남녀근로자가 기술 노력 책임 작업조건 등에서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하더라도

학력middot경력middot근속년수middot직급 등이 다르고 이에 따른 객관적middot합리적기준이 있어 임금이 차등

지급되거나 직무급middot성과급middot능력급제도에서 구체적middot객관적인 직무middot성과middot능력 등의 격차에

따라 임금이 차등지급 되는 경우에는 임금차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고평법」에 대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모범사례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주요선진국의 입법

동향과 비교해볼 때 한계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동일한 사업장 또는사업내에 비교대

상이 될 수 있는 유사middot동종의 근로자가 없을 경우에는 차별을인 정받을 수 없다 는 점이고

둘째 동일가치노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하며 「고평법」은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기술 노력 책임 및 작업조건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직무평

가분석에 따른 처우를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직무분리 등에 의한 차별대우에 대응

하기 어렵고 셋째 근로자의 정보청구권 또는 사용자의 정보제공 의무등을 두고 있지 않아

서 근로자가 자신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넷째 동일임금과 관련하여 문

제를 제기하는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처분 금지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한계이다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5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토론4_김순희

lt 67

2) 고착화된 여성 저임금체계의 문제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으로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의 저임금일자리와 비정규직

비율 성별 직종분리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과 비정규직 재취업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명시적middot묵시적 성차별도 임금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다(여

성가족부(2017 12) 성평등 임금실천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참고)

개별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인사제도 및 관행(채용 배치전환 성과평가 등)도 승진이나 경

력 등에서 성별격차의 원인이 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도 성별임금격차를 유발시

키고 있다

최근 비정규직과 시간제 증가를 보면 lsquo비정규직 여성화rsquo와 lsquo시간제노동의 여성화rsquo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음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수준 및 사회보험 가입률과 노동조건 적용률

이 10~30 미만으로 여성의 고용의 질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간제노동자 파견노동자 단시간 노동자 무기계약직 등 노동의 유연화를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고용형태에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다양한

고용형태는 여성노동자의 임금저하를 초래하고 있음 따라서 고용형태에 근거한 차별이

여성노동자의 처우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금격차의 해소방안의 하나로 성별을 이유로 한 직무 구분이나 직군 분리의 문제를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동일 사업장 내 동일 직종에서 명시적인 성별 임금격차

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직종을 별도로 분리 관리하면서 그 직종

전체 임금을 낮게 책정하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되고 있다

3) 성평등 관점에서 임금격차 해소 필요

남녀임금격차의 심각성을 공론화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등 남녀임금격차 요인을 제거하여

남녀임금 불평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

노동시장 내 여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최저임금을 대폭 향상시키는 전략과 함께 직middot간접적 성차별을 금지하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훨씬 강력

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56: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68 gt

성별임금격차 관련 근거법률인 헌법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middot가정 양립지원에 관

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 등에서의 규정내용을 바탕으로 법middot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 고용상 성차별 구제 제도 실효성 제고

1)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

사업장 내 자율적 분쟁해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 하

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고용상의 성차별 성희롱 등에 대한 감시middot감독 기능이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행정력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제도 도입 이후에는 해당 감독관들을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하며 지방노동청 단위

에서 간담회나 워크샾 등을 간헐적으로 개최한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제도의 운영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데 명예고용평등감독관은 운영 규정상으로는 교육 협의회 구

성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에 비해 강제력이 없고 구체성이 떨어진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도입이후 지난 15년간 예산이 전혀 잡히지도 않은 상태인 만큼

명예고용평등감독관에 대해서도 연 1회 이상의 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middot실시하여 사업장 내 분쟁해결과 관련한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필

요가 있다 또한 지역별 산업별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장 수준을 넘어 정보교환과 상

호 간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역고용지청별로 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여 예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제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성차별 사건의 시정제도의 정비의 필요성

2005년에 차별분쟁처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하는 입법들이 전격 이루어짐에 따라

성차별사건과 성희롱사건의 시정과 권리구제를 전담하던 행정기관(고용평등위원회 남녀

차별개선위원회)들과 근거법(「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추진 행정부서(여성부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57: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토론4_김순희

lt 69

의 차별개선국 남녀차별신고센터)가 모두 없어지게 되고 성차별middot성희롱에 관한 분쟁은 국

가인권위원회가 다양한 차별행위의 한 유형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후 비정규직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을 금지하는 법들이 마련되고 차별분쟁처리제도

는 더욱 다양화 되는 변화가 있었음 따라서 성차별에 관한 분쟁처리의 방법과 실효성을

확보하는 장치가 비정규직의 차별 장애인차별 연령차별의 경우보다 취약하게 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고용평등위원회 재 설치 필요

「남녀고용평등법」은 제정 당시부터 고용문제조정위원회라는 조정에 의한 특별한 행정적

분쟁처리 제도를 마련하였고 고용문제조정위원회는 법원 등에 의한 사법적 분쟁해결방법

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가의 조력 없이는 활용할 수 없다는 어

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995년의 제2차 개정에서 고용평등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고 협의기능이 추가되어 운영

되었으나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었고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차별시정기구를 국가인권위원회로 일원화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

라 2006년 3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여성부의 남녀차별개선위원회 기능은 그대로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반면 고용

평등위원회는 기능의 이관 없이 그대로 폐지되어 고용평등위원회의 기능 중 사후적 차별

에 대한 조정적 처리기능 외에 부가적인 지방노동행정기관에 대한 자문기능 취업촉진 및

고용평등에 관한 협의기능도 동시에 폐지되었다 따라서 채용 시 차별 및 임금차별 전반

의 고용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고용평등위원회의 재설치가 필요하다

4) 노사자치규범의 남녀고용평등 실현

ldquo산전후휴가middot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middot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rdquo은 「사용

자가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할 사항(「근로기준법」제94조)과 노사협의회의 협의

사항(「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제20조)에 현재 포함되어 있는데 ldquo성차별middot성

희롱의 예방과 금지 등 남녀고용평등의 실현과 근로자의 인권보호rdquo에 관한 사항도 반드시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58: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0 gt

6 마무리하면서

1) 문재인 정부의 화두인 성평등 및 여성의 공정한 사회 참여 확대에 주목하여야 하여 특히 여

성의 경제적 지위 및 경제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여성 고용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2) 현재 노동시장의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남성보다 20

정도 적은 고용율 및 저임금 비정규직 여성노동 부문에 있는 만큼 노동시장내에서 여성의

공정한 참여를 제고할 수 있도록 헌법을 포함한 모든 법middot제도의 개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현재의 일middot가정 양립제도를 지지하는 배경적 가치의 상당부분에는 효율 노동시장 불평등

유지 여성의 양육책임이 자리하고 있음으로 경쟁 효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둔 채

급여수준 개선에 만 중점을 두면 일middot가정 양립의 보편화가 아니라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심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하여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의식과 남성주의적 직장 문화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 고용관련 법 제

도를 성인지적 관점과 남녀 모두 성인노동자 모델의 젠더레짐 치원에서 분석해보고 제도

개혁의 방향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한국의 일중심적 정체성은 남성노동자 중심의 작업조직

정체성이면서 사회적 정체성이며 이는 국가와 기업의 전략에 의해 구조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중심적 정체성의 탈피는 성평등적 작업장 문화 조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라

고 할 수 있다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59: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ltlt 토 론 5 gtgt

토 론 문

김효순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장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60: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토론5_김효순

lt 7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61: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4 gt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62: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토론5_김효순

lt 75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
Page 63: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ww2.mynewsletter.co.kr/kcplaa/201807-4/4.pdf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금융권 성차별 채용 비리를 통해 본 남녀고용차별 개선과제 토론회

76 gt

  • 속표지
    • 쪽 1
    • 쪽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