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해부학 및 생역학 대퇴골 전자하부는 소전자의 끝단으로부터 대략 5 cm 하방까지 를 지칭한다. 해부학적 특성으로 인해 외측 피질골에는 장력, 내 측 피질골에는 압박력이 가해지며 골격계에서 가장 큰 부하가 가 해지기 때문에 골절 시 내고정 후 부전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 다(Fig. 1). 1-4) 골절 분류 1. 환자의 연령에 따른 골절 양상 전자하부는 연령에 따라 골절의 양상이 크게 둘로 나누어지는데 하나는 젊은 연령에서 발생하는 고 에너지 손상에 의한 전위가 심한 분쇄 골절이며, 다른 하나는 골감소증을 가진 고령의 환자 군에서 적은 외상에 의한 단순한 형태의 골절로 이 중 대부분은 나선형(spiral fracture) 골절 양상을 보인다. 최근 고령 환자들 중 골다공증 치료를 위해 장기간 bisphos- phonate 복용을 하는 이유로 stress fracture로 인한 단순 골절의 빈 도가 늘고 있어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4-6) 이런 insufficiency fracture는 횡 혹은 약간의 사선형 골절 형태를 띠며, 작은 분쇄 골 절을 동반하고, 외측 피질골이 두꺼워지는 특징적인 방사선 특징 을 보인다. 또한 bisphosphonate와 연관된 경우 양측성으로 발생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방사선 사진에서 반대측 소전자의 아래 외측 피질골에 ellipsoid thickening으로 나타나므로 주의 깊게 살 피는 것이 중요하다(Fig. 2). 2. 골절 분류 전자하부 골절에 대한 분류법은 지금까지 16개 정도가 제시되어 있었으나 Russel-Taylor 분류법(1984) (Fig. 3)과 Seinsheimer 분류 법(1978) (Fig. 4)이 가장 많이 이용되어 왔으며 근래에는 타 분류 법보다 서브그룹으로 세분화되어 분류가 쉬워진 AO-OTA분류 법(Fig. 5)이 점점 더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5-11) 하지만 최근에 기존 분류법에 대하여 관찰자마다 오차가 생기는 경우가 많아 이 에 대한 새로운 분류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전자하부 골절의 특징적인 골절 전위 양 상과 기전을 이해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절의 전위를 기술할 pISSN : 1226-2102, eISSN : 2005-8918 202 Copyright © 2015 by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ume 50 Number 3 2015 Received June 16, 2015 Accepted June 16, 2015 Correspondence to: Jong Keon Oh, M.D., Ph.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148 Gurodong- ro, Guro-gu, Seoul 152-703, Korea TEL: +82-2-2626-3088 FAX: +82-2-2626-1164 E-mail: [email protected] Proximal Femur Fractures Symposium J Korean Orthop Assoc 2015; 50: 202-214 http://dx.doi.org/10.4055/jkoa.2015.50.3.202 www.jkoa.org 대퇴 전자하부 골절: 골수내 정 고정술의 술기를 중심으로 김형진 이태진 오종건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고려대학교구로병원 정형외과학교실 Subtrochanteric Fracture: Emphasis on Surgical Techniques in Nailing Hyung Jin Kim, M.D., Tae Jin Lee, M.D., and Jong Keon Oh, M.D., Ph.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Intramedullary nailing is considered the most biomechanically advantageous therapeutic modality in the treatment of subtrochanteric femoral fractures. Many technical pitfalls and difficulties in nailing are well known. Reduction of the proximal fragment in a flexed, abducted, and externally rotated position should be performed before nailing of subtrochanteric fractures in order to avoid malalignment and nonunion. In this review, various reduction techniques to control the proximal fragment which are useful in nailing will be discussed. Key words: subtrochanteric fracture, intramedullary nailing, cerclage wiring, percutaneous reduction, entry point
13

대퇴 전자하부 골절: 골수내 정 고정술의 술기를 …...207 Subtrochanteric Fracture 떠한 방법을 사용하든지 지켜야 할 두 가지 원칙은 1) 근위 골편

Mar 06, 2020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대퇴 전자하부 골절: 골수내 정 고정술의 술기를 …...207 Subtrochanteric Fracture 떠한 방법을 사용하든지 지켜야 할 두 가지 원칙은 1) 근위 골편

해부학 및 생역학

대퇴골 전자하부는 소전자의 끝단으로부터 대략 5 cm 하방까지

를 지칭한다. 해부학적 특성으로 인해 외측 피질골에는 장력, 내

측 피질골에는 압박력이 가해지며 골격계에서 가장 큰 부하가 가

해지기 때문에 골절 시 내고정 후 부전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

다(Fig. 1).1-4)

 

골절 분류

1. 환자의 연령에 따른 골절 양상

전자하부는 연령에 따라 골절의 양상이 크게 둘로 나누어지는데

하나는 젊은 연령에서 발생하는 고 에너지 손상에 의한 전위가

심한 분쇄 골절이며, 다른 하나는 골감소증을 가진 고령의 환자

군에서 적은 외상에 의한 단순한 형태의 골절로 이 중 대부분은

나선형(spiral fracture) 골절 양상을 보인다.

 최근 고령 환자들 중 골다공증 치료를 위해 장기간 bisphos-

phonate 복용을 하는 이유로 stress fracture로 인한 단순 골절의 빈

도가 늘고 있어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4-6) 이런 insufficiency

fracture는 횡 혹은 약간의 사선형 골절 형태를 띠며, 작은 분쇄 골

절을 동반하고, 외측 피질골이 두꺼워지는 특징적인 방사선 특징

을 보인다. 또한 bisphosphonate와 연관된 경우 양측성으로 발생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방사선 사진에서 반대측 소전자의 아래

외측 피질골에 ellipsoid thickening으로 나타나므로 주의 깊게 살

피는 것이 중요하다(Fig. 2).

2. 골절 분류

전자하부 골절에 대한 분류법은 지금까지 16개 정도가 제시되어

있었으나 Russel-Taylor 분류법(1984) (Fig. 3)과 Seinsheimer 분류

법(1978) (Fig. 4)이 가장 많이 이용되어 왔으며 근래에는 타 분류

법보다 서브그룹으로 세분화되어 분류가 쉬워진 AO-OTA분류

법(Fig. 5)이 점점 더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5-11) 하지만 최근에

기존 분류법에 대하여 관찰자마다 오차가 생기는 경우가 많아 이

에 대한 새로운 분류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전자하부 골절의 특징적인 골절 전위 양

상과 기전을 이해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절의 전위를 기술할

pISSN : 1226-2102, eISSN : 2005-8918202

Copyright © 2015 by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ume 50 Number 3 2015

Received June 16, 2015 Accepted June 16, 2015Correspondence to: Jong Keon Oh, M.D., Ph.D.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148 Gurodong-ro, Guro-gu, Seoul 152-703, KoreaTEL: +82-2-2626-3088 FAX: +82-2-2626-1164 E-mail: [email protected]

Proximal Femur Fractures

Symposium J Korean Orthop Assoc 2015; 50: 202-214 • http://dx.doi.org/10.4055/jkoa.2015.50.3.202 www.jkoa.org

대퇴 전자하부 골절: 골수내 정 고정술의 술기를 중심으로김형진 • 이태진 • 오종건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고려대학교구로병원 정형외과학교실

Subtrochanteric Fracture: Emphasis on Surgical Techniques in NailingHyung Jin Kim, M.D., Tae Jin Lee, M.D., and Jong Keon Oh, M.D., Ph.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Intramedullary nailing is considered the most biomechanically advantageous therapeutic modality in the treatment of subtrochanteric femoral fractures. Many technical pitfalls and difficulties in nailing are well known. Reduction of the proximal fragment in a flexed, abducted, and externally rotated position should be performed before nailing of subtrochanteric fractures in order to avoid malalignment and nonunion. In this review, various reduction techniques to control the proximal fragment which are useful in nailing will be discussed.

Key words: subtrochanteric fracture, intramedullary nailing, cerclage wiring, percutaneous reduction, entry point

Page 2: 대퇴 전자하부 골절: 골수내 정 고정술의 술기를 …...207 Subtrochanteric Fracture 떠한 방법을 사용하든지 지켜야 할 두 가지 원칙은 1) 근위 골편

203

Subtrochanteric Fracture

때는 근위골편을 기준으로 원위 골편의 전위 방향을 이용한다.

하지만 전자하부 골절에서는 근위 골편인 대퇴 골두-경부 골편

의 전위를 기술하게 되는데 이는 변형(전위)을 일으키는 주 요인

이 근위골편에 부착된 근육의 견인력이기 때문이다(Fig. 6).12) 또

한 근위 골편의 특징적 전위를 이해하고 이를 정복하는 것이 수

술적 치료를 성공적으로 하는 데 매우 중요하므로 이를 잘 숙지

해야 한다. 특징적으로 근위골편은 소전자에 부착하는 장요근건

(iliopsoas tendon)의 견인에 의해 굴곡(flexion), 고관절의 외회전근

(short external rotators)에 의해 외회전(external rotation) 그리고 중

둔근(gluteus medius)에 외전(abduction)된다(Fig. 7).

 

수술적 치료

1. 적응증

골절부의 강력한 변형력을 감안하여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가 권

장되며 골수정을 포함한 골수내 고정방법과 활강압박고나사(dy-

namic hip screw), 역동적 과상 나사(dynamic condylar screw), 대

퇴근위부 잠김 금속판(proximal femur locking plate), 이분 굴곡날

금속판(angled blade plate) 등의 골수외 고정방법으로 나눌 수 있

Figure 1. Koch’s diagram showing the magnitude of the compressive stresses medially and the tensile stresses laterally.

StressConcentration on SubTorc area

Compressiveforce

Tensileforce

I-A I-B

II-A II-B

Figure 3. Russell-Taylor classification of subtrochanteric fractures. Note the emphasis on lesser trochanteric integrity and piriformis fossa extension.

Figure 2. (A) Unique configuration of alendronate-associated sub-trochanteric fractures: transverse or slight obliquity; minimal comminution; and lateral cortical thickening with splaying of cortices suggesting a pre-existing structural abnormality. (B) Ellipsoid thickening in the lateral cortex of the subtrochanteric femur (arrow) preceded fracture in patients on long-term alendronate.

A B

Page 3: 대퇴 전자하부 골절: 골수내 정 고정술의 술기를 …...207 Subtrochanteric Fracture 떠한 방법을 사용하든지 지켜야 할 두 가지 원칙은 1) 근위 골편

204

Hyung Jin Kim, et al.

다. 골수내 정은 생역학적으로 골수외 고정 방식에 비해 bending

moment의 레버암이 짧으며 강성과 경도가 더 크고, 대퇴골 전장

에 걸쳐 있어 효과적으로 힘이 분산되며, 변형력, 특히 내전력에

대하여 강하게 저항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일차적인 치료 방법

으로 선택되어 왔다.13) 최근 발표된 meta-analysis에도 골수정이

정복 소실, 고정 실패, 재수술률이 골수외 고정보다 낮은 것으로

보고하였다(Fig 8). 가골 형성을 촉진하고 골편의 vascularity를 보

존 가능한 biological fixation으로 치료 원칙이 바뀌면서 최소 침

습 금속판 고정술의 좋은 결과가 일부 보고되었으나 아직까지 금

속정이 주된 치료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어 골수내 정 고정방법을

주로 논하고자 한다.

 

2. 골수내 정 고정술의 문제점

골수내 고정방법은 수술시간이 짧고, 출혈량이 적으며, 불유합 비

율이 골수외 고정방법보다 낮은 장점이 있다. 또한 도수정복으로

골절 주위의 골막 및 근육에 추가 손상을 최소화하여 골유합 가

능성을 높일 수 있고 생역학적으로 bending lever arm이 짧아 금

속판 고정술에 비해 금속 파손(metal failure) 가능성이 적은 것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짧은 근위 골편의 전위로 인해 도수정복을 시

행하기가 기술적으로 어려워 부정유합의 빈도가 높은 것이 문

제로 지적되어 왔다(Fig. 9).7-10) 또한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이나 지방 색전, 폐색전 등 전신적인

문제에서부터 외전근 위축을 일으키는 상둔 신경(superior gluteal

nerve) 손상, 이소성 골형성 등의 국소적 합병증도 보고되고 있

다.14)

 이로 인해 집도의들이 전자하 골절에서 골절부위를 개방하

여 관혈적 정복 후 쐐기 골편들을 Cerclage wiring으로 고정한 후

골수내 정을 고정하는 방법도 적지 않게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wiring 과정에서 쐐기골편의 골막을 손상하여(stripping) 불유합

을 초래하는 문제점들이 지적되어 왔다(Fig. 10). 또한 골막의 혈

류 공급이 대퇴골의 종방향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wiring을 하

게 되면 이를 방해하여 biologic fixation을 저해한다는 원칙이 주

를 이루고 있다. 반면 다른 장골과 달리 대퇴골은 횡 방향의 환상

형태로 여러 개의 근골막 혈관으로부터 혈류 공급이 이루어진다

Grade 1Any fracture withless than 2 mmdisplacement

Grade 2aTwo parttransverse

Grade 2bTwo partspiral withlesser trochanterin proximalfragment

Grade 2cTwo partspiral withlesser trochanterin distal fragment

Grade 3aThree part spiral.Third fragment islesser trochanter

Grade 3bThree part.Third fragment is abutterfly fragment

Grade 4Four or morefragments

Grade 5Any fracture withextension intogreater trochanter

Figure 4. Seinsheimer classification of subtrochanteric fractures. Note the emphasis on fracture obliquity, comminution, and proximal extension.

Page 4: 대퇴 전자하부 골절: 골수내 정 고정술의 술기를 …...207 Subtrochanteric Fracture 떠한 방법을 사용하든지 지켜야 할 두 가지 원칙은 1) 근위 골편

205

Subtrochanteric Fracture

는 동물 연구가 있었으며 한두 개의 wiring은 골막의 혈류 공급에

큰 지장을 초래 하지 않기 때문에 골절편의 골막을 잘 보존하여

wiring을 이용한 정복 후 골수내 정을 삽입하게 되면 오히려 안정

적인 술기가 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Fig. 11).15) 따라

서 wiring 후 발생하는 불유합의 원인은 wiring 자체의 문제라기

보다는 수술 중 쐐기 골편에 부착된 골막 및 근육을 박리하여 골

유합에 필요한 혈액 공급을 파괴하는 것이 주된 요인으로 생각한

다. 따라서 wiring을 이용한 골편 정복 후 골수내 정 고정술을 시

행할 때는 wire passer를 이용하여 쐐기 골편의 골막 박리를 강선

이 지나가는 부위로 최소화하여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3. 골수내 정 고정술의 수술 술기

1) 기본 원칙

골수내 정 고정술의 기술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경피

적 혹은 최소 침습적 정복방법(percutaneous or minimally invasive

reduction technique)들이 소개되어 있어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어

3. WedgefractureFragmentedwedge

2. WedgefractureBendingwedge

1. WedgefractureSpiralwedge

32B Wedge fracture31A3 Trochanteric fracture intertrochanteric

1. Simpleoblique

2. Simpletransverse

3. Simplefragmentary

3. Irregular2. Semental1. Spiral

32C Complex fracture

32A Simple fracture

1. Two partspiral

2. Two partoblique

3. Two parttransverse

Figure 5. Orthopedic Trauma Association classification of subtrochanteric fractures.

Figure 6. The illustration depicts the subtrochanteric region of the femur (between double arrows), most commonly demarcated by the lesser trochanter as its superior margin and 5-cm distal as its inferior margin. m., muscle.

Page 5: 대퇴 전자하부 골절: 골수내 정 고정술의 술기를 …...207 Subtrochanteric Fracture 떠한 방법을 사용하든지 지켜야 할 두 가지 원칙은 1) 근위 골편

206

Hyung Jin Kim, et al.

Figure 8. Intramedullary nail has a shorter bending lever arm than plate.

Figure 9. Malreduction after unsuccessful nailing of a subtrochanteric fracture. Flexion, abduction, and external rotation of the proximal fragment was not reduced at all.

A B C D

Figure 10. (A) Initial X-ray shows a segmental fracture (AO-OTA 32B) with subtrochanteric involvement. (B) Postoperative X-ray after open wiring and nailing. (C, D) X-ray taken 3 months after operation shows nonunion (arrow).

Figure 11. (A) Satisfactory alignment was achieved postoperatively. (B) Follow-up radiograph after 7 months showed solid union of the fracture.

A B

Figure 7. The typical deforming muscular forces cause the proximal fragment to be flexed by the iliopsoas, externally rotated by the short rotators, and abducted by the abductors. The femoral shaft is shortened and adducted by the adductors and quadriceps.

Page 6: 대퇴 전자하부 골절: 골수내 정 고정술의 술기를 …...207 Subtrochanteric Fracture 떠한 방법을 사용하든지 지켜야 할 두 가지 원칙은 1) 근위 골편

207

Subtrochanteric Fracture

떠한 방법을 사용하든지 지켜야 할 두 가지 원칙은 1) 근위 골편

의 전위 즉 굴곡, 외전, 외회전 변형을 교정하여 골절 부위를 정복

한 후 유도 핀(guide pin)을 삽입하기 시작해야 한다는 것과 2) 근

위 골편을 정복할 때 골절 부위의 골막 손상을 최소화해야 한다

는 것이다.

2) 환자의 자세

골절대(fracture table)에서 앙와위(supine position)로 시술하는 것

이 흔히 사용되는데 이때는 상체를 반대쪽으로 충분히 기울여

서 유도핀을 삽입할 때 골반이 방해하는 문제를 최소화해야 한다

(Fig. 12).

 측와위에서 골수내 정을 삽입할 수도 있는데 굴곡된 근위 골편

에 맞춰서 간부 골편을 정복한 상태로 골수내 정을 삽입하므로

근위골편의 외회전 및 외전 변형만 교정하면 비교적 용이하게 정

복을 얻을 수 있으며, 환자가 고도 비만일 때도 사용할 수 있는 장

점이 있다. 하지만 조수가 정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견인을 해

야 하는 단점이 있다. 술자의 선호도에 따라 체위를 정할 수 있다.

3) 정복 방법

근위 골편에 대해서는 매우 다양한 정복 방법이 알려져 있는데

골절 형태와 술자의 경험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한다.

(1) Joy stick technique: 근위골편에 핀을 고정하여 이를 joy stick

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Steinmann pin을 흔히 사용하는데 강

한 변형력을 이겨야 하므로 두께가 적어도 3.2 mm 이상인 것을

사용하며 골수정이 들어갈 길을 피해서 앞쪽으로 치우쳐서 삽입

한다(Fig. 13).

 Tonsil clamp를 이용하여 뼈를 뚫지 않고 쉽게 근위 골편의 변

형을 교정하는 방법도 유용하다.10)

 Intramedullary joy stick technique도 간부 골절의 골수내 정 고

정술에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나 전자하부 골절에서는 근위 골편

의 길이가 짧고 골수강의 직경이 넓어 효과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며 이때 blocking pin을 사용하여 교정하

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Fig. 14).  

 Insufficiency fracture에는 골절선이 소전자 직하방에 있어 일반

적인 방법으로는 적절한 정복을 얻을 수 없으며, 위에 기술된 외

측면에서 joy stick을 삽입하는 방법으로도 정복이 어려울 수 있

다. 이런 경우에 calcar에 anteroposterior 방향으로 joystick을 삽입

Figure 13. Intraoperative images show use of a Steinmann pin as a joystick to control the external rotation of the proximal fragment.

10 15

Figure 12. Supine position on a fracture table with the torso tilted toward the opposite side.

Page 7: 대퇴 전자하부 골절: 골수내 정 고정술의 술기를 …...207 Subtrochanteric Fracture 떠한 방법을 사용하든지 지켜야 할 두 가지 원칙은 1) 근위 골편

208

Hyung Jin Kim, et al.

Figure 14. (A, B) Intraoperative lateral images show that malalignment persists even after nail passed mainly due to the wire medullary canal at the proximal fragment. (C, D) The blocking pin (arrows) neutralizes the deforming force and in turn the deformity was corrected as the nail passed.

D

A B

C

Figure 15. (A, B) Intraoperative anteroposterior (AP) and lateral images of an insufficiency fracture. (C, D) Joystick inserted from the lateral side does not neutralize the deforming force. (E, F) The calcar joystick neutralizes the external rotation on AP view but flexion force on lateral view is not ideally controlled.

A B C

D E F

Page 8: 대퇴 전자하부 골절: 골수내 정 고정술의 술기를 …...207 Subtrochanteric Fracture 떠한 방법을 사용하든지 지켜야 할 두 가지 원칙은 1) 근위 골편

209

Subtrochanteric Fracture

A B

C D

Figure 17. (A, B) Intraoperative traction views show a simple spiral subtrochanteric fracture. (C, D) Near anatomical reduction was achieved by minimally invasive direct reduction of the fracture.

Figure 16. (A, B) Failed attempt of re-duction using the intramedullary joystick tech nique due to a wide medullary ca nal at the proximal fragment. (C, D) resto-ration of alignment with a bone hook placed percutaneously through a 2 cm incision (arrow).

A B

C D

Page 9: 대퇴 전자하부 골절: 골수내 정 고정술의 술기를 …...207 Subtrochanteric Fracture 떠한 방법을 사용하든지 지켜야 할 두 가지 원칙은 1) 근위 골편

210

Hyung Jin Kim, et al.

Figure 18. (A, B) Intraoperative traction views show a long oblique fracture in-volving the subtrochanteric area. (C, D) Near anatomical reduction was achieved by percutaneous direct reduction with re-duction forcep and compression by forcep of the fracture.

A B

C D

Figure 19. (A) Intraoperative compression view by forcep at inferior incision. (B) The picuture shows compression at mid line incision makes more rotational error than inferior incision. White and black arrow indicate greater and lesser trochanter rotation.

BA

Page 10: 대퇴 전자하부 골절: 골수내 정 고정술의 술기를 …...207 Subtrochanteric Fracture 떠한 방법을 사용하든지 지켜야 할 두 가지 원칙은 1) 근위 골편

211

Subtrochanteric Fracture

하여 시도한다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Fig. 15).

(2) 갈고리(bone hook) 등을 이용한 경피적 정복 방법(percu-

taneous reduction with bone hook, Homann retractor, Ball spike

pusher): 근위 골수강이 큰 경우에 joystick으로 적절한 정복이 이

루어지지 않으므로 갈고리 등을 근위 골편 부위에 사용해 정복을

시도해볼 수 있다(Fig. 16).

(3) 정복 겸자를 이용한 경피적 직접 정복(percutaneous direct

reduction with reduction forceps): 전자 하부의 단순 골절(simple

fracture) 중에서 사선 골절이나 나선형 골절은 비관혈적인 방법

시행 시 완전한 해부학적 정복이 되거나 아니면 골절편 사이의

공간이 벌어지는 ‘all or none phenomenon’이 나타나 수술이 힘들

뿐만 아니라 추후 지연 유합, 부정유합 등이 발생하게 된다.4) 그러

므로 3 cm 내외의 작은 절개를 통해 골절 정복용 겸자를 골절 부

위에 넣고 골편을 직접 정복한 후 골수내 정 고정을 시도하는 것

도 좋은 방법이다(Fig. 17). 이때 절개는 추후 골두에 교합나사를

삽입할 때 사용할 위치에 시행하게 되면 추가의 절개 없이 교합

나사를 삽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개 소전자(lesser trochan-

ter) 부위에 3 cm 길이의 절개를 하면 충분하다.

 대전자까지 골절선이 길게 있는 경우에도 견인 후 정복 겸자를

사용하여 경피적 직접 정복을 시행할 수 있다(Fig. 18).

 추후 골두에 교합나사를 삽입할 때는 대퇴 염전(femoral ante-

version)을 고려하여 targeting device를 바닥(floor)쪽으로 눌러야

하므로 축면의 정중앙보다는 다소 후면(floor 방향)에 절개를 하

는 것이 좋다(Fig. 19).

(4) Entry portal과 nail의 불일치(mismatch)에 의한 내반 부정선열

발생의 이해: 전자하부 골절은 근위 골편의 크기가 작으므로 근

위 교합나사(interlocking screw)를 대퇴 골두에 삽입하는 골두-골

수강 금속정(cephalomedullary nail)이 주로 사용된다.

 초기 골두-골수강 금속정들은 entry를 이상와(piriformis fossa)

로 사용하며 버팀테 응력(hoop stress)을 최소화하며 single curva-

ture의 형태를 가진 일직선인 소위 ‘straight shot’ 구조였다. 이 금

속정 사용 시 부적절한 entry point는 부정 교합 및 골절 부위의 분

쇄 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너무 앞쪽으로 치우친 entry point

는 골절 부위의 증가된 버팀테 응력 때문에 entry site로의 대퇴

골의 bursting fracture를 초래하게 된다.13) Grechenig 등16)이 시행

한 100구의 사체 연구에서 1/3의 경우 대전자의 모양이 piriformis

fossa를 덮고 있는 형태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이럴 경

우 entry point가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등 적절한 entry point를

찾기가 쉽지 않다(Fig. 20). 

 근래에 사용되는 cephalomedullary nail들은 대전자에서 시작

하는 소위 전자 골수정(trochanteric nail)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

다. 대전자 골수정의 근위부는 내반 변형을 막기 위해서 double

valgus curvature (orbending)의 형태이며, 삽입부의 중둔근을 포함

한 연부조직 손상을 줄이기 위하여 체부의 크기를 감소시켰다.

 하지만 전자 골수정의 시작점이 너무 외측으로 치우치게 되면

근위 골절편의 내반 변형이 발생하게 되므로 결국 골두-골수강

금속정과 마찬가지로 완벽한 삽입 위치를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하

다.17) 골절이 reaming하는 동안 해부학적으로 정복된 상태라도 골

수정의 모양이 대전자의 옵셋의 및 경간각 차이 등 환자의 해부

학적 구조와 일치할 수 없기 때문에 골수정을 완전히 삽입한 후

에 부정 유합이 발생할 수 있음을 기억해야만 하고 한 가지 시작

점이 모든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18)

 전자 골수정으로 전자하 골절을 고정할 때는 entry를 greater tip

B

A

C

D

Figure 20. (A, B) The entry point could be reached without problems in two-thirds of the specimens. (C, D) The entry point is often covered by parts of the greater trochanteric one-third of the specimens.

Page 11: 대퇴 전자하부 골절: 골수내 정 고정술의 술기를 …...207 Subtrochanteric Fracture 떠한 방법을 사용하든지 지켜야 할 두 가지 원칙은 1) 근위 골편

212

Hyung Jin Kim, et al.

에서 약간 내측(just medial)에서 시작하라고 권하는데 이때 전자

하 골절에서 허용되는 약간의 외반 변형도 발생할 수 있으나 이

는 entry portal과 nail bending 사이의 불일치(mismatch)로 인한 내

반 변형을 막을 수 있는 조치이다(Fig. 21A-21C). 엄밀하게 이야

기하면 Entry point 자체 보다 중요한 것은 대퇴골 간부 축과 en-

try portal이 이루는 각이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 골수정의 근위부

bending angle과 같거나 조금 적게 entry portal을 만드는 것이 중

요하다(Fig. 21D, 21E). Conventional nail 중에도 cephalomedullary

nail로 고정할 수 있는 것들이 있으므로(예: reconstruction type

nail, Russel-Talyor) 이를 사용할 때는 entry를 이상와에서 시작하

여 대퇴 축에 평행하게 entry portal을 만들어야 한다.

 

요 약

대퇴골 전자하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는 골수내 정 고정술이 주로

사용되는데 굴곡, 외전, 외회전 변형된 근위 골편을 정복하지 못

하고 골수정을 삽입하여 부정 유합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러한

기술적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관혈적 정복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불유합 및 감염의 빈도가 높아 경피적으로 근위 골편을 정복한

후 골수정으로 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REFERENCES

1. Kim JW, Oh CW, Byun YS, et al. A biomechanical analysis of locking plate fixation with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in a subtrochanteric fracture model. J Trauma. 2011;70:E19-23.

2. Tencer AF, Johnson KD, Johnston DW, Gill K. A biomechani-cal comparison of various methods of stabilization of sub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J Orthop Res. 1984;2:297-305.

3. Wiss DA, Brien WW. Sub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Results of treatment by interlocking nailing. Clin Orthop Relat Res. 1992;283:231-6.

4. Yoon YC, Jha A, Oh CW, et al. The pointed clamp reduction technique for spiral subtrochanteric fractures: a technical note. Injury. 2014;45:1000-5.

5. Abrahamsen B, Eiken P, Eastell R. Subtrochanteric and di-aphyseal femur fractures in patients treated with alendronate: a register-based national cohort study. J Bone Miner Res. 2009;24:1095-102.

6. Black DM, Kelly MP, Genant HK, et al; Fracture Interven-tion Trial Steering Committee; HORIZON Pivotal Fracture Trial Steering Committee. Bisphosphonates and fractures of the subtrochanteric or diaphyseal femur. N Engl J Med.

Proximalbending5

18

DE

C

A B

Figure 21. (A) An illustration shows 5 degrees of proximal bending in a cephalomedullary nail. (B) Intraoperative anteroposterior image shows that the angle between the entry portal and the axis of the medullary canal is much larger (18o) than proximal bending (5o) of a nail used. (C) As the proximal part of the nail passes the nail pushes the head fragment into varus, resulting in primary reduction loss. (D) Entry was corrected using a cannulated cutter. Now the angle between the entry portal and the axis of the proximal femur has decreased. (E) Compared to C, varus, tilt and the resulting gap on the lateral cortex was reduced.

Page 12: 대퇴 전자하부 골절: 골수내 정 고정술의 술기를 …...207 Subtrochanteric Fracture 떠한 방법을 사용하든지 지켜야 할 두 가지 원칙은 1) 근위 골편

213

Subtrochanteric Fracture

2010;362:1761-71.7. Ricci WM, Bellabarba C, Lewis R, et al. Angular malalign-

ment after intramedullary nailing of femoral shaft fractures. J Orthop Trauma. 2001;15:90-5.

8. Velasco RU, Comfort TH. Analysis of treatment prob-lems in subtra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J Trauma. 1978;18:513-23.

9. van Doorn R, Stapert JW. The long gamma nail in the treat-ment of 329 subtrochanteric fractures with major extension into the femoral shaft. Eur J Surg. 2000;166:240-6.

10. Russell TA, Mir HR, Stoneback J, Cohen J, Downs B. Avoid-ance of malreduction of proximal femoral shaft fractures with the use of a minimally invasive nail insertion technique (MINIT). J Orthop Trauma. 2008;22:391-8.

11. Park J, Yang KH. Correction of malalignment in proximal femoral nailing--Reduction technique of displaced proximal fragment. Injury. 2010;41:634-8.

12. Reiter MJ, Bui-Mansfield LT, O'Brien SD, Tubb CC. Subtro-chanteric femur fractures: review of the complete pathologic spectrum with emphasis on distinguishing imaging features. J Comput Assist Tomogr. 2015;39:47-56.

13. Liu X, Zhu Y, Lu Y, Li F, Wu G, Jiang C. Locked posterior

shoulder dislocation associated with isolated fractures of the lesser tuberosity: a clinical study of 22 cases with a minimum of 2-year follow-up. J Orthop Trauma. 2015;29:271-5.

14. Celebi L, Can M, Muratli HH, Yagmurlu MF, Yuksel HY, Bicimoğlu A. Indirect reduction and biological internal fixa-tion of comminuted sub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Injury. 2006;37:740-50.

15. Kennedy MT, Mitra A, Hierlihy TG, Harty JA, Reidy D, Dolan M. Subtrochanteric hip fractures treated with cerclage cables and long cephalomedullary nails: a review of 17 con-secutive cases over 2 years. Injury. 2011;42:1317-21.

16. Grechenig W, Pichler W, Clement H, Tesch NP, Grechenig S. Anatomy of the greater femoral trochanter: clinical impor-tance for intramedullary femoral nailing. Anatomic study of 100 cadaver specimens. Acta Orthop. 2006;77:899-901.

17. Ostrum RF, Marcantonio A, Marburger R. A critical analysis of the eccentric starting point for trochanteric intramedullary femoral nailing. J Orthop Trauma. 2005;19:681-6.

18. Streubel PN, Wong AH, Ricci WM, Gardner MJ. Is there a standard trochanteric entry site for nailing of subtrochanteric femur fractures? J Orthop Trauma. 2011;25:202-7.

Page 13: 대퇴 전자하부 골절: 골수내 정 고정술의 술기를 …...207 Subtrochanteric Fracture 떠한 방법을 사용하든지 지켜야 할 두 가지 원칙은 1) 근위 골편

214

Hyung Jin Kim, et al.

대퇴 전자하부 골절 : 골수내 정 고정술의 술기를 중심으로김형진 • 이태진 • 오종건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고려대학교구로병원 정형외과학교실

대퇴골 전자하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는 골수내 정 고정술이 주로 사용되는데 굴곡, 외전, 외회전 변형된 근위 골편을 정복하지 못하

고 골수정을 삽입하여 부정유합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러한 기술적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관혈적 정복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불유합

및 감염의 빈도가 높아 경피적으로 근위 골편을 정복한 후 골수정으로 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색인단어: 전자하부 골절, 골수내 정, 경피적 정복, 골수정 삽입 위치, 환상강선고정술

접수일 2015년 6월 16일 게재확정일 2015년 6월 16일책임저자 오종건서울시 구로구 구로동로 148, 고려대학교구로병원 정형외과TEL 02-2626-3088, FAX 02-2626-1164, E-mail [email protected]

pISSN : 1226-2102, eISSN : 2005-8918214

Copyright © 2015 by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대한정형외과학회지:제 50권 제 3호 2015

대퇴골 근위부 골절

Symposium J Korean Orthop Assoc 2015; 50: 202-214 • http://dx.doi.org/10.4055/jkoa.2015.50.3.202 www.jko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