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기술특집 14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 서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microcrystalline silicon, mc-Si 또는 μc-Si) 박막은 1980Vepřek 등이 글로우 방전을 이용하여 증착에 성공한 이후, 많은 관심 속에 연구가 되 어 왔다 [1] . 특히 비정질 실리콘 (amorphous silicon, a-Si) 박막의 낮은 이동도 및 외부 광원에 의한 열화 현상 (Staebler-Wronski effect)에 대한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 어 오는 가운데 , 이를 대체할 소재에 대한 요구가 점증하 고 있다.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은 원자들이 규칙적으 로 배열된 결정상의 입자가 포함된 박막을 비정질 박막과 유사한 공정조건에서 얻을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연구자 들 사이에서는 높은 전하이동도를 기대할 수 있는 저온증 착 박막 소자용 소재로서 공정 , 물성 , 미세구조 등 다방면 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오고 있다 . 그러나 유리 기판 등을 대상으로 하는 저온공정에서는 결정상을 형성하기 위해 다 량의 수소를 원료기체에 첨가해 주어야 하는데 , 이로 인해 박막 증착 속도가 현저하게 감소하고 , 박막 내 잔류 응력이 급격히 증가하며 , 표면거칠기가 더 악화되는 등의 여러 가 지 부작용이 보고됨으로써 박막태양전지 이외의 상용 소자 에 널리 적용되기에는 많은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2~4] . 이 글에서는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박막의 특성과 문제점 , 그리고 최근의 연구동향에 대하여 간략하게 소개 하고자 한다 . 일단 본론에 앞서 마이크로크리스탈과 나노 크리스탈 등의 용어에 관해 잠시 언급할 필요가 있다. 기에는 마이크로크리스탈과 다결정 (polycrystalline, poly-Si) 이란 용어가 구분 없이 쓰였다 . Veprek 등이 처음 시도하 였던 것은 수소 플라즈마를 사용하여 다결정 실리콘 박막 을 증착하고자 하였던 것인데, 수십 나노미터 크기의 결 정입자를 관찰함으로써 이를 마이크로크리스탈이라 칭하 였다 [5~7] . 이후, 점차 graingrain boundary로 구성된 다 결정 실리콘과 구분하기 위해서 비정질 matrix 안에 결정 입자들이 분산되어 있는 형태의 박막을 따로 마이크로크 리스탈 실리콘이라 부르기 시작하였다 [8,9] . 한편 , 나노크리스탈 실리콘 (nc-Si)은 원래 전기장을 사 용하여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에 수 나노미터 직경의 기공 을 형성한 다공성 실리콘 (porous silicon)을 지칭하였으 , 일부 연구자들은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중 그 내 부의 결정입자 크기가 수 ~수십 나노미터 정도에 해당하 는 것들을 구분해서 나노크리스탈이라 부르기 시작하였 [10,11] . 90년대 후반 들어 양자점 (quantum dot)을 이용 한 전자소자의 개발 등 나노기술 분야가 대두되면서 , 정질 또는 비정질 매트릭스 (matrix) 내에 2차상 (second phase)로 존재하는 수 나노미터 크기의 실리콘 결정입자 들을 통칭하여 나노크리스탈이라 부르게 되었다 [12,13] . 글에서는 편의상, 부피분율 (volume fraction), 결정 크기 또는 입자 간 상호 접촉 여부에 상관없이, 용융-재결정화 를 거치지 않고 바로 증착된 (as-deposited) 박막 중 결정 상의 실리콘 입자를 포함하는 것들을 통칭해서 마이크로 크리스탈 실리콘 (μc-Si)이라 부르도록 하겠다. 홍 완 식 (서울시립대학교 나노과학기술학과)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
10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ˆ이크로크리스탈... · 2012-06-14 ·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 2010년 제11권 제2호 17 (a) (b)

May 03, 2020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ˆ이크로크리스탈... · 2012-06-14 ·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 2010년 제11권 제2호 17 (a) (b)

기술특집

14❙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Ⅰ. 서 론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microcrystalline silicon, mc-Si

는 μc-Si) 박막은 1980년 Vepřek 등이 로우 방 을

이용하여 증착에 성공한 이후, 많은 심 속에 연구가 되

어 왔다 [1]. 특히 비정질 실리콘 (amorphous silicon, a-Si)

박막의 낮은 이동도 외부 원에 의한 열화 상

(Staebler-Wronski effect)에 한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

어 오는 가운데, 이를 체할 소재에 한 요구가 증하

고 있다.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은 원자들이 규칙 으

로 배열된 결정상의 입자가 포함된 박막을 비정질 박막과

유사한 공정조건에서 얻을 수 있다는 장 때문에 연구자

들 사이에서는 높은 하이동도를 기 할 수 있는 온증

착 박막 소자용 소재로서 공정, 물성, 미세구조 등 다방면

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오고 있다. 그러나 유리 기 등을

상으로 하는 온공정에서는 결정상을 형성하기 해 다

량의 수소를 원료기체에 첨가해 주어야 하는데, 이로 인해

박막 증착 속도가 하게 감소하고, 박막 내 잔류 응력이

격히 증가하며, 표면거칠기가 더 악화되는 등의 여러 가

지 부작용이 보고됨으로써 박막태양 지 이외의 상용 소자

에 리 용되기에는 많은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2~4].

이 에서는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박막의 특성과

문제 , 그리고 최근의 연구동향에 하여 간략하게 소개

하고자 한다. 일단 본론에 앞서 마이크로크리스탈과 나노

크리스탈 등의 용어에 해 잠시 언 할 필요가 있다.

기에는 마이크로크리스탈과 다결정 (polycrystalline, poly-Si)

이란 용어가 구분 없이 쓰 다. Veprek 등이 처음 시도하

던 것은 수소 라즈마를 사용하여 다결정 실리콘 박막

을 증착하고자 하 던 것인데, 수십 나노미터 크기의 결

정입자를 찰함으로써 이를 마이크로크리스탈이라 칭하

다 [5~7]. 이후, 차 grain과 grain boundary로 구성된 다

결정 실리콘과 구분하기 해서 비정질 matrix 안에 결정

입자들이 분산되어 있는 형태의 박막을 따로 마이크로크

리스탈 실리콘이라 부르기 시작하 다 [8,9].

한편, 나노크리스탈 실리콘 (nc-Si)은 원래 기장을 사

용하여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에 수 나노미터 직경의 기공

을 형성한 다공성 실리콘 (porous silicon)을 지칭하 으

나, 일부 연구자들은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그 내

부의 결정입자 크기가 수~수십 나노미터 정도에 해당하

는 것들을 구분해서 나노크리스탈이라 부르기 시작하

다 [10,11]. 90년 후반 들어 양자 (quantum dot)을 이용

한 자소자의 개발 등 나노기술 분야가 두되면서, 결

정질 는 비정질 매트릭스 (matrix) 내에 2차상 (second

phase)로 존재하는 수 나노미터 크기의 실리콘 결정입자

들을 통칭하여 나노크리스탈이라 부르게 되었다 [12,13]. 이

에서는 편의상, 부피분율 (volume fraction), 결정 크기

는 입자 간 상호 여부에 상 없이, 용융-재결정화

를 거치지 않고 바로 증착된 (as-deposited) 박막 결정

상의 실리콘 입자를 포함하는 것들을 통칭해서 마이크로

크리스탈 실리콘 (μc-Si)이라 부르도록 하겠다.

홍 완 식 (서울시립대학교 나노과학기술학과)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

Page 2: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ˆ이크로크리스탈... · 2012-06-14 ·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 2010년 제11권 제2호 17 (a) (b)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

2010년 제11권 제2호❙ 15

[그림 2] μc-Si 형성 mechanism 중 수소 식각

모델 [14]

Ⅱ. Growth Mechanism

라즈마를 이용하여 증착된 μc-Si의 growth mechanism

에 해서는 1991년 Matsuda에 의해 세 가지 모델로 정

리되었다 [14].

1. 표면 확산 모델 (Surface Diffusion Model)

표면 확산 모델은 결정상의 생성이 박막이 성장하는

표면에서의 구체 (precursor)들의 평균 확산 거리 (mean

diffusion length)에 의해 좌우된다는 것이다. [그림 1]에

표면 확산 모델의 개념도를 나타내었다.

라즈마 내에 수소 원자의 농도가 충분히 높으면, 성

장하는 박막 표면은 부 실리콘 원자들과 결합된 수소로

덮이게 될 것이다 (hydrogen termination). 이러한 수소

원자들 일부는 자기들끼리 재결합하여 수소 기체로

되어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는 발열 반응이므로 박막 표

면을 국부 으로 가열하게 된다 (local heating). Hydrogen

termination과 local heating의 두 가지 상은 성장 표면에

흡착된 SiH3 precursor들의 확산 거리를 증가시켜, strain

energy를 최소화할 수 있는 최 의 치(energetically

favorable site), 즉, 규칙 인 배열을 찾아갈 수 있도록 도

와 다.

[그림 1] μc-Si 형성 mechanism 중 표면 확산 모델 [14]

2. 수소 식각 모델 (Etchign Model)

수소 식각 모델은 μc-Si 박막의 성장 속도가 라즈마

내 수소 함량 증가에 따라 격히 감소하는 상을 설명

하기 해 제안되었다. [그림 2]에 식각 모델의 개념도를

나타내었다.

실리콘-수소 결합은 실리콘-실리콘 결합보다 더 낮은

에 지 상태에 있으므로, 성장하는 박막 표면에 공 된

수소원자는 이미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network에 침투하

여, 우선 으로 느슨한 실리콘-실리콘 결합을 끊고 실리

콘 원자와 신 결합한다. 이 과정에서 SiH4 등의 기체상

(gas phase)이 생성되어 식각 작용이 일어난다. 이 게 해

체된 결합의 자리에는 다시 새로운 precursor가 도달하여

안정 인 결합을 시도한다. 즉, 확률 으로 볼 때 약하고

불안정한 실리콘-실리콘 결합은 규칙 으로 배열된 안정

한 결합에 비해 수소원자에 의해 식각이 일어날 확률이

더 높으므로, 느슨하고 불규칙한 결합이 선택 식각에

의해 차 단단하고 규칙 인 결합으로 체되어 나간다

는 이론이다.

3. 화학적 어닐링 모델 (Chemical Annealing Model)

Chemical annealing은 기본 으로 수소 식각 모델과 유

사하나, 수소 라즈마 내에서의 실리콘 박막의 식각률이

식각 모델에서 측한 것보다는 낮게 나오는 상을 설명

하기 해 제안되었다. [그림 3]에 화학 어닐링 모델의

개념도를 나타내었다.

불규칙한 네트워크 (random network)를 형성한 실리콘

원자들이 규칙 으로 재배열하기 해서는 일부 결합들

의 길이 (bond length)가 조 씩 늘어나거나 어드는 형

태로 재배치가 일어나야 한다. 이 때, 국부 으로 결합 길

이 결합 각도의 변형이 일어남에 따라 응력이 될

수 있다. 박막 표면 아래로 침투한 수소원자는 이러한 실

리콘 결합들의 일부를 실리콘-수소 결합으로 치환하거나

는 실리콘-수소 결합에서 수소를 빼앗아 수소 기체 분

Page 3: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ˆ이크로크리스탈... · 2012-06-14 ·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 2010년 제11권 제2호 17 (a) (b)

❙기술특집❙

16❙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그림 3] μc-Si 형성 mechanism 중 화학적 어닐링 모델 [14]

[그림 4] ELA 에너지 밀도에 따른 mc-Si 박막의 AFM 분석

결과; (a) 증착 직후, (b) 350 mJ/cm2, (c) 450 mJ/cm2,

(d) 500 mJ/cm2 [17]

자가 되어 빠져나감으로써 보다 유연한 (flexible) 구조를

만들게 된다 (structural relaxation). 이러한 작용들은 결과

으로 local strain energy를 낮추어 결정상 형성을 돕게

된다.

Matsuda는 실험을 통하여, 이상에서 언 한 세 가지 모

델 에서 표면 확산 모델이 μc-Si 박막의 성장을 가장

잘 설명해 다는 것을 입증하 다. 그러나 다른 두 모델

에서 제시한 상들도 동시에 부분 으로 같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Ⅲ. 실리콘 박막의 Crystallinity

1. 결정화도 개선을 위한 연구 동향

박막 트랜지스터 (thin film transistor, TFT)의 활성층

(active layer) 는 태양 지의 흡수층 (absorber layer) 등

에 응용하기 한 μc-Si 박막 연구에 있어서 일차 인

심사항은 얼마나 크게 그리고 얼마나 많이 결정상을 형

성시킬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결정화도를 높이기 한

시도로는 thermal annealing, laser annealing, layer-by-

layer growth, seed layer 등이 있다 [15~24].

(1) Thermal Annealing

유리기 는 μc-Si 박막에 손상을 주지 않을 정도의

낮은 온도 범 ( <400°C)에서의 annealing은 박막 내

micro-void를 제거하여 박막의 도(specific gravity)를 높

여 주지만, 새로운 결정의 nucleation 는 grain growth를

일으키기에는 공 되는 열에 지가 무 으므로, 속

이온 등의 매작용을 (metal-induced crystallization) 활용

하지 않는 한 grain size나 결정화도에 향을 미치지 못

한다 [16]. 분 기 기체 (ambient gas) 등의 공정 조건에 따

라 grain size와 결정화도 사이에 서로 trade-off 작용이 있

을 수 있다는 결과도 발표되고 있다 [15].

(2) Laser Annealing

증착 직후의 mc-Si 박막은 일반 으로 최 25 nm 정

도의 grain size와 약 70% 정도의 결정 부피 분율

(crystalline volume fraction)을 갖는다. 이러한 박막에

Excimer laser annealing (ELA)을 실시하여 약 500 nm 정

도의 grain size와 90% 정도의 결정화도를 얻었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17,20,21]. [그림 1]은 조사된 이

에 지에 따른 μc-Si 박막 표면의 변화를 atomic

force microscopy (AFM)으로 찰한 결과를 보여 다.

증착 직후의 μc-Si 박막을 활성층으로 사용하여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기 에 제작한 TFT의

계효과이동도 (field effect mobility)는 약 1 cm2/Vsec를

나타내었으나, ELA 처리를 한 mc-Si 박막의 이동도는 50

cm2/Vsec 수 으로 증가하 다 [21].

그러나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기 해 필요한 이

의 에 지 도 (energy density)는 [그림 4]에서 보듯이

Page 4: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ˆ이크로크리스탈... · 2012-06-14 ·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 2010년 제11권 제2호 17 (a) (b)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

2010년 제11권 제2호❙ 17

(a)

(b)

[그림 5] 서로 다른 수소분압 하에서의 공정 시간 (tA, tB)

변화에 따른 layer-by-layer μc-Si 박막의 특성. 원기호는 LBL-1

샘플, 사각형 기호는 LBL-2 샘플을 각각 나타낸다. (a) 평균

결정 크기, (b) 결정상의 부피 분율(결정화도) [19]

500 mJ/cm2에 달하는데, 이는 일반 으로 a-Si 박막을 용

융-재결정화 하여 온다결정 실리콘 박막 (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LTPS)을 만들 때 쓰이는 것과 동

등 는 그 이상의 수 이다. 즉, 이 방법은 재 쓰이고

있는 ELA-LTPS 공정에 비해 특별히 부각되는 장 이라

고 할 수 있는 것이 없다.

한 laser energy density가 증가할수록 grain size는 커

지지만 표면조도 (surface roughness) 역시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PEN 기 에 제작된 TFT의

on/off ratio는 략 103에 불과하 다.

(3) Layer-by-Layer Growth

Layer-by-Layer (LBL) 방법은 앞서 II-(3) 에서 언

하 던 chemical annealing(CA) mechanism을 이용하는

것이다. 수 나노미터의 박막을 증착한 후, 해리된 원자 상태

의 수소를 흘려 으로써 이 수소원자들이 박막 내부로 침

투하여 Si-H 결합을 형성, 결정핵이 생성될 때 (nucleation)

수반되는 strain energy를 감소시켜 μc-Si 박막을 성장시

키는 방법이다 [22~24]. 수소 뿐 아니라 헬륨에 의한

chemical annealing 효과도 보고되고 있다 [25].

LBL 성장법은 주로 화학기상증착법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에 의한 박막공정에서 주로 시도되었으

나, 물리 기상증착법 (physical vapor deposition, PVD)에

도 많이 응용되고 있다 [18]. [그림 5]에 magnetron

sputtering 장비를 사용하여 layer-by-layer 법으로 증착한

μc-Si 박막의 평균 grain size와 결정화도의 변화를 나타

내었다. 이 그림에서 tA는 공정 가스 내 수소 분압을 93%

로 하여 증착한 시간, tB는 수소 분압을 10%로 하여 증착

한 시간, LBL-1은 tA를 50 로 고정하고 tB를 6~50 로

변화시켜 가며 증착한 박막, LBL-2는 tB는 13 로 고정시

키고 tA를 20~100 로 변화시켜 가며 증착한 박막을 각각

나타낸다. 최 grain size 12 nm 80%의 결정화도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CVD 법으로 증착한 박막과 유사한

수 이다.

일반 으로 CVD에 의한 μc-Si 박막 증착에서는 공정

가스 에 수소를 충분히 넣어 주기만 한다면 생성되는

결정의 크기나 결정상의 부피분율이 LBL 방법에 의한 결

과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LBL 방법은 CVD법보다는 PVD 법으로 박막을 증착할

때 더 유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4) Seed Layer

Seed layer를 사용하는 방법은 실리콘 결정입자를 사용

하는 homogeneous seeding과 속이온 등의 매를 사용

하는 heterogeneous seeding 방법이 있다 [19,26~28].

같은 실리콘 조성의 seed를 만들기 해서는 기 온도

가 400°C 이상으로 충분히 높거나 공정 가스 내 수소의

첨가량 ( 는 수소희석비, hydrogen dilution ratio)도 100

이상으로 충분히 커야 한다. 한 앞서 언 한 layer-

by-layer growth와 유사한 mechanism에 의해 결정상의

nucleation이 이루어지므로, seed의 존재 여부와 증착된

박막의 결정화도 사이의 상 계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그림 6]에는 실리콘 seed layer의 유무에 따른

Hot-Wire CVD (HWCVD) μc-Si 박막 표면의 AFM 사

진을 비교하 다.

[그림 6]에서 보이듯이 silicon seed layer는 grain size에

는 향을 주지 못하고 신 결정상의 부피분율을 증가시

킨다. 그러나 Raman spectrum 등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seed layer의 효과는 수소희석비를 증가시키는 것에 비해

미미한 수 에 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얇은 속층 에 증착된 실리콘 박막은 500°C 부근의

온도에서 annealing을 통해 결정화할 수 있다는 사실은

오래 부터 알려져 있다 [29~32]. Nickel, cobalt, aluminum,

gold, silver 등의 원소가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Page 5: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ˆ이크로크리스탈... · 2012-06-14 ·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 2010년 제11권 제2호 17 (a) (b)

❙기술특집❙

18❙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a) (b)

[그림 6] Hot-Wire CVD 방법으로 증착한 μc-Si 박막의 AFM

사진. (a) 유리기판 위에 바로 증착, (b) 12 nm 두께의 실리콘

seed layer 형성 후 증착 [19][그림 7] Protocrystalline silicon에서의 medium range order [35]

보고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nickel이나 cobalt의 silicide

박막도 seed layer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27].

그런데 이상의 연구 결과들은 부분 높은 온도에서 공정

에서 진행된 결과이므로 기존의 PECVD μc-Si 공정온도

이하에서 용하기는 어려움이 있다.

2. Protocrystalline Silicon

서론에서 언 한 바와 같이 μc-Si의 단 하나는

증착 속도가 무 느리다는 이다. 한 수소를 많이 첨

가하여 증착한 μc-Si 박막은 높은 내부 응력을 갖게 되

어 기 이 휘어지거나 (substrate bending), 박막이 벗겨지

는 (delamination) 등의 상이 일어난다. 이러한 문제

들을 해결하기 해 라즈마 공정을 연구하다 심을 갖

게 된 것이 비정질에서 결정질로의 phase transition이 일

어나는 경계에서의 물질로서, 이를 paracrystalline 는

protocrystalline silicon (pc-Si)이라 한다 [33,34].

A-Si 박막에서의 short-range order(SRO), c-Si에서의

long-range order(LRO)와 비하여 pc-Si는 medium-range

order(MRO)를 갖고 있다는 것이 여러 가지 분석 기법

simulation에 의해 밝 졌다 [35]. [그림 7]에서 보듯이

MRO란 원자 배열이 1-6 nm 정도의 범 에서 규칙성을

갖는 것으로서, 비정질 실리콘이 갖는 continuous random

network(CRN)에서는 결합 길이나 결합 각도가 평균값

( 는 다이아몬드 결정구조에서의 값)에서 조 씩 벗어

나 있는데 반해 이러한 산포가 최소화되어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TEM을 통해서는 규칙 으로 배열된 결정격자를 확인

할 수 있지만, [그림 8-a]에 보이는 것처럼 Raman

spectroscopy나 X-ray diffraction을 통해서는 (부피 분율

이 어느 정도 이상 되더라도) 결정상의 특성 peak이 찰

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원자들의 배열은 topology 상으

로는 규칙 인 격자 배열을 하고 있지만 주변 비정질

matrix와의 boundary로부터의 응력이 작용하므로 elastic

strain에 의해 실제로는 원자들이 자기 치로부터 조 씩

벗어나 있게 되기 때문이라고 설명될 수 있다 [38]. 이러한

샘 에 annealing을 실시하면 strain이 완화되어 [그림

8-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뚜렷한 결정질의 특성 peak이

나타난다 [39].

[그림 7]의 TEM 사진에서 보이는 입자의 크기가 수 나

노미터 수 이기 때문에, 최근 들어서는 pc-Si 이라는 용

어를 따로 쓰기보다는 개 나노크리스탈 실리콘이라 부

른다.

pc-Si와 유사한 물질로서 polymorphous silicon (pm-Si)

이 있다 [36,37,40]. 비정질 matrix 내에 작은 결정 입자들이

분산되어 있는 형태는 pc-Si와 같지만, pm-Si를 증착할

때는 공정가스를 다량의 수소에 희석하는 신, 라즈마

공정 조건을 조 하여 기 표면이 아닌 극 사이 gas

volume에서 기상반응이 일어나 powder 형태의 작은 입자

들을 형성하게끔 하는 것이다. pc-Si는 다량의 수소가 들

어가므로 내부 응력이 높아져 두꺼운 박막을 증착하기가

어려운 반면, pm-Si는 기상반응을 통해 형성된 입자를 기

에 떨어뜨리는 방식이므로 박막 두께의 제한을 훨씬

Page 6: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ˆ이크로크리스탈... · 2012-06-14 ·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 2010년 제11권 제2호 17 (a) (b)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

2010년 제11권 제2호❙ 19

[그림 9] 수소희석비 R = [H2]/[SiH4] = 14에서 증착된 박막의

단면 TEM 사진 [19]

[그림 8] pc-Si 박막의 Raman spectra, (a) 증착 직후, (b) 진공상태에서 600°C, 1시간 annealing 후.

(1),(2),(3)은 각각 130W, 80W, 40W의 RF power에서 증착된 박막을 나타낸다 [39].

덜 받게 되어 박막 태양 지 등의 소재로서 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공정 도우가 매우 좁으며, 다른 박막과

층하여 소자를 제작할 때 cross contamination adhesion

하 등의 문제 이 생길 수 있다.

3. Amorphous/Crystalline Anomalous Nucleation

(Cone Kinetics Model)

μc-Si 박막의 nucleation mechanism에 해서는 앞의

II장에서 제시한 모델 이외에도 다양한 인자들이 작용하

여 여러 가지 특이한 박막 성장 거동이 나타난다. 이러한

특이 상들은 기 과의 계면 부근에 incubation layer 존

재, 이차상 (second phase) 핵생성에 뒤이은 원추형의 성

장, 박막 표면에 나타나는 dome 형태의 surface morphology

등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 이를 설명하기 해서 cone

kinetics model이 제안되었다 [41~44].

Cone kinetics model에 따르면 기 의 종류와 증착 공

정 조건에 따라서, 비정질 박막이 증착되는 도 원추형

의 결정상이 형성되거나, 반 로 결정질 박막 증착 원

추형의 비정질상이 나타나는 상이 찰된다. 이러한 원

추형의 2차상 inclusion은 일정한 심각을 가지고 성장

하는데, 비정질 matrix에 nc-Si inclusion이 성장하는 경우

는 약 40°, 결정질 matrix에 a-Si inclusion이 성장하는 경

우는 약 27°로 보고되었다 [42,43]. 한 기 표면에서 바

로 성장이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비정질 박막

이 성장한 이후에 핵 생성이 시작되므로 증착 기에는

수-수십 나노미터 정도의 비정질 incubation layer가 형성

되는데, 이의 정확한 두께는 공정 가스 내의 수소희석비

에 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정질 박막 내에서

원추형으로 성장하는 μc-Si 박막의 단면 TEM 사진을

[그림 9]에 나타내었다 [19].

이러한 원추형의 inclusion은 구형 입자 (spherical

particle)의 일부분으로서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구의 형

태를 유지하고자 하므로 박막 표면에서는 dome의 형태

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그림 10]은 dome 형태의

surface morphology를 갖는 박막의 AFM 사진을 보여

다 [42,45].

Page 7: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ˆ이크로크리스탈... · 2012-06-14 ·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 2010년 제11권 제2호 17 (a) (b)

❙기술특집❙

20❙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a)

(b) (c)

[그림 10] 비정질 matrix에서 성장하는 원추형 nc-Si

이차상 입자; (a) 박막 표면의 AFM 사진, 스캔영역 5µm x

5µm, (b) Dome 형태의 surface morphology를 나타내는

nc-Si 입자의 단면 개념도, (c) 3가지 다른 방향으로의

AFM 표면 profile 및 Z0와 R 값을 구하기 위한 fitting data [42,45]

[그림 11] Schematic diagram of two-phase growth of silicon films on an amorphous substrate [41]

[그림 11]에는 유리기 과 같은 비정질 기 에서

a-Si와 nc-Si의 두 가지 phase가 혼합된 박막이 성장하는

경우에 공정 조건에 따른 phase diagram을 나타내었다 [41]. 박막의 구체 인 morphology는 수평축에 나타낸 이

차상의 nucleation rate 수직축에 나타낸 matrix와

inclusion의 상 인 growth rate에 따라 좌우된다. 수소

희석비가 높은 경우는 diagram의 쪽에 치하게 되어

aspect ratio가 매우 큰 column 형태의 morphology를 나타

내게 되고, 수소 희석비가 감소함에 따라 diagram에서 시

계방향으로 morphology가 변화하여 결정상의 크기

가 작아지면서 등방성으로 바 게 된다.

Ⅳ. 박막 증착 공정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μc-Si 박막을 증착하기 해

서는 silane (SiH4) 등의 원료 기체를 다량의 수소에 희석

해 주어야 하므로 증착 속도가 매우 낮아져서, 실제 TFT

의 active layer나 태양 지의 absorption layer로써 상용화

하는 데는 생산성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다. 일반 으로

13.56 MHz를 사용하는 PECVD 방법으로 우수한 특성의

박막을 증착하기 해서는 증착 속도를 0.2 Å/sec 수 까

지 낮추어야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3]. 따라서 증착

속도를 높이기 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1. 플라즈마 여기 주파수

PECVD 증착법에서 라즈마 여기 주 수를 95 MHz

수 까지 증가시킴으로써 증착 속도가 약 4배가량 개선

Page 8: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ˆ이크로크리스탈... · 2012-06-14 ·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 2010년 제11권 제2호 17 (a) (b)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

2010년 제11권 제2호❙ 21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6]. 그러나 주 수가 증가하면

reactor의 크기에 따라 resonance가 일어나, 공 된 RF

power가 내부에서 정상 (standing wave)를 형성하므로

면 uniformity는 떨어지게 된다 [47].

2. High-density Plasma Source

Inductively-coupled plasma (ICP) CVD나 electron

cyclotron resonance (ECR) CVD 등 high density plasma

를 발생시킬 수 있는 plasma source를 이용하면 증착 속

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High density plasma를 발생시키

는 기본 인 개념은 이온화 작용에 의해 기체 분자에서

해리된 자들이 가속될 때, 이들의 경로를 조 하여 가

능한 한 많은 성 기체 분자들과 충돌하게끔 함으로써

이온화율을 높이는 것이다. 일반 인 평 극형 라즈

마 (capacitively-coupled plasma, CCP)에서의 plasma

density가 1010 cm-3 정도인 데 비해 high density plasma에

서는 략 두 자릿수 정도 높아진다.

증착 속도는 략 0.8 nm/sec 안 의 값이 보고되고 있

으나 정도의 증착 속도가 보고되고 있으나, 역시 재 디

스 이 산업에서 요구하고 있는 형기 에는 응하

기 힘들다 [48,49].

3. 촉매화학기상증착법

매화학기상증착법 (catalytic chemical vapor deposition,

Cat-CVD)는 hot-wire chemical vapor deposition(HWCVD)

라고도 불리며, reactor 내부의 고온으로 가열된 filament

에서 원료기체를 분해시켜 반응성이 높은 radical을 생성

하고 이들이 기 표면에서 반응하도록 하여 박막을 증착

하는 방법이다.

Cat-CVD에서는 라즈마를 사용하지 않고 filament에

서 직 열분해가 일어나기 때문에, 라즈마를 사용하는

방법에서는 공정가스의 이온화율이 1% 미만에 불과한

데 비해 cat-CVD 법에서는 주입된 기체의 약 60-70%가

분해되므로 원료기체의 이용효율이 월등히 높고 따라서

증착 속도를 매우 빠르게 할 수 있다. 한 reactor 체가

가열되는 low-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LPCVD)

와는 달리 filament만 가열되기 때문에 기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

Cat-CVD 법으로는 약 2 nm/sec 정도의 증착 속도가

보고되고 있으며, 상용화된 장비로는 재 730 mm x 920

mm 기 에 응할 수 있는 크기까지 개발되어 있다.

4. 중성입자빔 증착법

성입자빔이란 자를 공 할 수 있는 성입자변환

기에 라즈마에서 발생된 이온을 충돌시켜 Auger

neutralization에 의해 하를 띄지 않은 입자로 만든 것이

다 [50,51]. [그림 12]에 성입자빔 발생 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내었다 [52]. 이러한 성입자빔은 기장에 의해 가

속이 되지 않으므로 박막 성장 표면의 damage를 최소화

할 수 있어 결정상을 포함하는 박막을 빠른 속도로 증착

하는 데 유리하다. 재 국가핵융합 연구소 등을 심으로

장비 개발 공정 개발을 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림 12] 중성입자빔 발생장치의 개념도 [52]

Ⅳ. 결 론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박막은 매우 다양한 공정 방

법에 의해 매우 다양한 형태 (configuration)으로 만들어

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매우 다양한 물성을 나타낼 수 있

다. 높은 하이동도 light soaking에 한 안정성 등의

장 에도 불구하고 낮은 증착 속도, 높은 잔류 응력과 표

면거칠기, 그리고 공정조건 변화에 따라 물성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등의 단 이 산업 으로 리 사용되는 데 있어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이 소재에 한 물리

, 구조 특성의 심도있는 이해와 더불어, 재 사용되

는 비정질 실리콘과 같은 process archtecture를 공유하면

서 생산성이나 안정성 측면에서 충분히 경쟁력 있는 박막

Page 9: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ˆ이크로크리스탈... · 2012-06-14 ·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 2010년 제11권 제2호 17 (a) (b)

❙기술특집❙

22❙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을 연구 개발하는 것이 시 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참 고 문 헌

[ 1 ] Z.Iqbal, A.P.Webb, S.Veprek, Appl. Phys. Lett. 35,

163 (1980)

[ 2 ] M.Kondo, M.Fukawa, L.Guo, A.Matsuda, J. Non-

Cryst. Solids 266-269, 84 (2000)

[ 3 ] P.Hapke, F.Finger, J. Non-Cryst. Solids 227-230, 861

(1998)

[ 4 ] J.P.Conde, P.Alpuim, J.Gaspar, V.Chu, Thin Solid

Films 395, 105 (2001)

[ 5 ] Z.Iqbal, S.Veprek, A.P.Webb, Solid State Comm. 37,

993 (1981)

[ 6 ] S.Veprek, Z.Iqbal, H.R.Oswald, J. Phys. C 14, 295

(1981)

[ 7 ] S.Veprek, Z.Iqbal, H.R.Oswald, Solid State Comm. 39,

509 (1981)

[ 8 ] H.Richter, L.Ley, J. Appl. Phys. 52, 7281 (1981)

[ 9 ] H.Richter, Z.P.Wang, L.Ley, Solid State Comm. 39,

625 (1981)

[10] H.Curtins, Solid State Comm. 57, 215 (1986)

[11] J.K.Gimzewski, A.Humbert, D.W.Pohl, Surf. Sci. 168,

795 (1986)

[12] L.Brus, J.Phys.Chem. 98, 3575 (1994)

[13] S.Oda, Adv. Colloid Interface Sci. 71/72, 31 (1997)

[14] A.Matsuda, Thin Solid Films 337, 1 (1999)

[15] M.Yoon, K.Im, J.Yang, S.Lim, Physica B. 405, 1526

(2010)

[16] P.C.P.Bronsveld, H.J.van der Wagt, J.K.Rath,

R.E.I.Schropp, W.Beyer, Thin Solid Films 515, 7495

(2007)

[17] T.Pier, K.Kandoussi, C.Simon, N.Coulon, T.Mohammed-

Brahim, H.Lhermite, Phys. Stat. Sol. 5, 3234 (2008)

[18] A.Tabata, K.Okada, Y.Suzuoki, T.Mizutani, Thin Solid

Films, 491, 148 (2005)

[19] H.R.Moutinho, C.S.Jian, J.Perkins, Thin Solid Films,

430, 135 (2003)

[20] I.C.Hsieh, S.Y.Lien, D.S.Wuu, Thin Solid Films, 473,

169 (2005)

[21] T.Pier, K.Kandoussi, C.Simon, N.Coulon, T.Mohammed-

Brahim, H.Lhermite, J. Non-Cryst. Solids, 354, 2300

(2008)

[22] K.Saitoh, M.Kondo, M.Fukawa, Appl. Phys. Lett. 71

3403 (1997)

[23] H.Shirai, J.Hanna, I.Shimizu, Jap. J. Appl. Phys. 30,

L679 (1991)

[24] A.Matsuda, T.Goto, Mat. Res. Soc. Symp. Proc. 164,

3 (1990)

[25] N.Wang, V.Dalal, Mat. Res. Soc. Symp. Proc. 862,

A20.6.1 (2005)

[26] I.Gordon, S.Vallon, A.Mayolet, G.Beaucarne, J.Poortmans,

Sol. Energy Mater. Sol. Cells 94, 381 (2010)

[27] J.Kim, W.A.Anderson, Sol. Energy Mater. Sol. Cells

91, 534 (2007)

[28] O.Vetterl, M.Huelsbeck, J.Wolff, R.Carius, F.Finger,

Thin Solid Films 427, 46 (2003)

[29] Y.Minagawa, Y.Yazawa, S.I.Maramatsu, Sol. Energy

Mater. Sol. Cells 74, 283 (2002)

[30] Z.Liu, S.Wang, N.Otogawa, Y.Suzuki, M.Osamura,

Y.Fukuzawa, T.Ootsuka, Y.Nakayama, H.Tanoue,

Y.Makita, Sol. Energy Mater. Sol. Cells 90, 176 (2006)

[31] Y.Z.Wang, O.O.Awadelkarim, J. Vac. Sci. Technol. A

16, 3352 (1998)

[32] T.Kamiya, K.Ro, C.M.Fortmann, I.Shimizu, Jap. J.

Appl. Phys. 38, 5762 (1999)

[33] J.Koh, A.S.Ferlauto, P.I.Rovira, C.R.Wronski, R.W.Collins,

Appl. Phys. Lett. 75, 2286 (1999)

[34] S.Guha, J.Yang, D.L.Williamson, Y.Lubianiker, J.D.Cohen,

A.H.Mahan, Appl.Phys.Lett. 74, 1860 (1999)

[35] R.Goswami, S.Ray, Jap. J. Appl. Phys. 46, 7188

(2007)

[36] P.Roca i Cabarrocas, A.Fontcuberta i Morral, Y.Poissant,

Thin Solid Films 403-404, 39 (2002)

[37] A.fontcuberta i Morral, P.Roca i Cabarrocas, Thin Solid

Films 383, 161 (2001)

[38] P.M.Voyles, N.Zotov, S.M.Nakhmanson, D.A.Drabold,

J.M.Gibson, M.M.J.Treacy, P.Keblinski, J. Appl. Phys.

90, 4437 (2001)

[39] R.Goswami, B.Chowdhury, S.Ray, Thin Solid Films

516, (2008)

[40] P.Roca i Cabarrocas, Mat. Res. Soc. Symp. Proc.

507, 855 (1998)

[41] H.M.Branz, P.Stradins, C.W.Teplin, Mat. Res. Soc.

Symp. Proc. 1066, 1066-A01-03 (2008)

[42] C.W.Teplin, C.Jiang, P.Stradins, H.M.Branz, Appl.

Phys.Lett. 92, 093114 (2008)

Page 10: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ˆ이크로크리스탈... · 2012-06-14 ·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 2010년 제11권 제2호 17 (a) (b)

마이크로크리스탈 실리콘 기술 동향❙

2010년 제11권 제2호❙ 23

[43] C.W.Teplin, E.Iwaniczko, B.To, H.Moutinho, P.Stradins,

H.M.Branz, Phys. Rev. B 74, 235428 (2006)

[44] E.Vallat-Sauvain, U.Kroll, J.Meier, A.Shah, J.Pohl, J.

Appl. Phys. 87, 3137 (2000)

[45] P.C.P.Bronsveld, A.Verkerk, T.Mates, A.Fejfar, J.K.Rath,

R.E.I.Schropp, Mat. Res. Soc. Symp. Proc. 989,

0989-A07-01 (2007)

[46] M.Heinze, R.Zedlitz, G.H.Bauer, Mat. Res. Soc. Symp.

Proc. 297, 49 (1993)

[47] U.Kroll, Y.Ziegler, J.Meier, H.Keppner, A.Shah, Mat.

Res. Soc. Symp. Proc. 336, 115 (1994)

[48] M.Scheib, B.Schroeder, H.Oechsner, Mat. Res. Soc.

Symp. Proc. 420, 437 (1996)

[49] N.Kosku, H.Murakami, S.Higashi, S.Miyazaki, Appl.

Surf. Sci. 244, 39 (2004)

[50] M.Ehbrecht, H.Ferkel, F.Huisken, Zeitschrift fur Physik.

D, 40,88 (1997)

[51] 오경숙, 최성웅, 김대철,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8년

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08.05.22. 394 (2008)

[52] 국가핵융합연구소 홈페이지 http://www.nfri.re.kr/research/

plasma_2_2.php?tab=2

저 자 약 력

홍 완 식

∙U.C.Berkeley 공학석사

∙U.C.Berkeley 공학박사

∙ 1995년 6월~1999년 11월 : Lawrence Ber-

keley National Laboratory Staff Scientist

∙ 1999년 12월~2002년 2월: 삼성전자 AMLCD

사업부 책임연구원

∙ 2002년 3월~2006년 2월 : 세종대학교 전

자공학과 부교수

∙ 2006년 3월~현재 : 서울시립대학교 나노과학기술학과 교수

∙관심분야 : 박막공정, TFT, 나노결정LED, Radiation det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