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 Net Term의 내용은 집필자 개인의 견해로서 한국인터넷진흥원의 공식입장과는 무관합니다. 빅데이터 시대의 큐레이터 정책연구실 정책기획팀 이응용 책임연구원([email protected])
5

빅데이터 시대의 큐레이터 · ※ 데이터 구매 기업의 직면 문제 및 니즈 분석, 적정 데이터 보유 및 판매 업체 검색, 데이터의 재편집 및

Nov 04, 2019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빅데이터 시대의 큐레이터 · ※ 데이터 구매 기업의 직면 문제 및 니즈 분석, 적정 데이터 보유 및 판매 업체 검색, 데이터의 재편집 및

※ Net Term의 내용은 집필자 개인의 견해로서 한국인터넷진흥원의 공식입장과는 무관합니다.

빅데이터 시대의 큐레이터

정책연구실 정책기획팀 이응용 책임연구원([email protected])

Page 2: 빅데이터 시대의 큐레이터 · ※ 데이터 구매 기업의 직면 문제 및 니즈 분석, 적정 데이터 보유 및 판매 업체 검색, 데이터의 재편집 및

34

빅데이터 시대의 큐레이터

빅데이터 시대의 큐레이터

■ 빅데이터의 시대의 도래

● 스마트단말의확산등에따라창출·유통되는데이터가기하급수적증가하면서인터넷을통해

빠르게유통되면서빅데이터시대의도래

※ 구글 Eric Schmidt는 “인류문명 이래 2003년까지 5엑사바이트 창출, 지금은 2일마다 같은 양의 데이터가 신규 창출”

(’10년 Technomy 컨퍼런스)

● 現상황파악,近미래예측등에빅데이터를활용하는기업및서비스신규출현

- 기업의빅데이터활용수요에비해데이터분석전문인력부족심화 ※ 미국, ’18년에 44 ~ 48만명의 분석전문가가 필요하나 실제 졸업생은 18만명(맥킨지, ’11. 5월 )

■ 큐레이션(Curation)의 필요성

● ‘정보의바다’로불리는인터넷에서검색엔진이정교화되면서정보검색·수집시간과비용이대폭

감소

- 검색엔진을통한자동화된검색은정보의정확성,출처,신뢰성등다양한측면에서한계를노출

● 빅데이터의시대에서효율적데이터검색·활용,데이터의정확성·객관성에대한판단이중요한

요소로작용

● 인간의전문성,통찰력등을활용하여데이터분석·조직화·필터링하며,고객이원하는콘텐츠를

신속히제공하는큐레이션필요성대두

- 큐레이션은건조한기계가아닌사람냄새나는검색을가능하게함으로써콘텐츠과잉의시대에

필요한직업으로인식확산

■ 큐레이터(Curator) 개념

● 큐레이터는특정주제와가장연관성이높은콘텐츠를발견,그룹화,조직화,공유하는사람을의미

- 웹상의수많은콘텐츠분류,정리,체계적인형태로표현하며, 이용자가원하는질문에대한

해답을제공하는맞춤형콘텐츠창출

- 콘텐츠의조직화등을통해문맥(context)을부여하고해당주제에대한감정(feeling)을제공

Page 3: 빅데이터 시대의 큐레이터 · ※ 데이터 구매 기업의 직면 문제 및 니즈 분석, 적정 데이터 보유 및 판매 업체 검색, 데이터의 재편집 및

35

● 기존언론매체에서정보를제공하던방식에서인터넷상의모든이용자가자기의목소리를내고

콘텐츠를창출하는시대로변화

- 정보과잉의시대에는큐레이션에능숙한콘텐츠유통자에게로권력이이동하고,이들이뉴미디어

시대의핵심을이룰것으로전망

- 정보의과잉시대에콘텐츠의신뢰성의판단주체도개인으로변화하면서“큐레이터”필요성확대

Media 1.0(Mass Media)

생산자↔수용자

수동적 수용

일방향 단일 유통

권위형 브랜드

정보 집중·배포

권위적, 범용적,

종합적, 객관적

종합 편집·편성

광고 및 행사 후원

※ 출처 : 미디어 2.0 : 미디어 플랫폼의 진화

구분

메시지 생산 주체

메시지 수용 형태

유통경로

브랜드

정보흐름

내용 성격

정보 배열

광고 및 수익원

Media 2.0(Micro Media)

생산자↔수용자

선택적 수용

다채널 복수 유통

개인형 브랜드

정보 분배·공유

말초적, 전문적,

단편적, 주관적

단품 개별 유통

시스템에 의한 롱테일 수익

Media 3.0(Curation Media)

생산자↔중개자↔수용자

적극적 수용

쌍방향 다수 유통

신뢰형 브랜드

정보 순환·누적

종합적, 해설적,

이타적, 합리적

종합 수집, 집중 배열

구독료·광고, 롱테일 수익,

수익 포기·별도 수익

■ 데이터 중개 큐레이터(Curator) 중요성 부각

● 빅데이터시장의비대칭으로데이터중개비즈니스의등장

- 데이터거래에따른보안이나프라이버시등의이슈가존재

- 적정규제나 기술요소로 보안 및 프라이버시 이슈가 해결될 수 있다면 데이터 중개 니즈는

폭발적으로증가전망

● 데이터중개니즈는큐레이터의중요성을부각시킴

- 빅데이터를 확보하려는 업체의 경우 필요한 데이터 탐색방법, 데이터 활용 가능여부 등에

불확실성이존재

- 데이터를중개하는큐레이터는데이터검색·활용성등에대한다양한불확실성문제를해소

가능

※ 데이터 구매 기업의 직면 문제 및 니즈 분석, 적정 데이터 보유 및 판매 업체 검색, 데이터의 재편집 및 재구성,

데이터 구매 업체의 빅데이터 활용 지원(분석 솔루션 및 툴 소개, 교육 등)

● ’10년이후,Pinterest등소셜웹분야의새로운트렌드로이용자들이쉽게콘텐츠를큐레이트하여

구조화할수있는소셜큐레이션의등장

- 소셜미디어가콘텐츠생산과소비모두참여가제한적인상황에서이용자가쉽게참여할수있는

상황(pushbutton&curation)으로이동

Page 4: 빅데이터 시대의 큐레이터 · ※ 데이터 구매 기업의 직면 문제 및 니즈 분석, 적정 데이터 보유 및 판매 업체 검색, 데이터의 재편집 및

36

빅데이터 시대의 큐레이터

● 소셜미디어이용자들은콘텐츠생산에노력을들이길원하지않지만,구조화된방식의콘텐츠소비를

원하며,소비역시매우빨라질것이기에소셜큐레이션이지속적으로주목받게될전망

- 소셜큐레이션은이용자의콘텐츠탐색및탐색한콘텐츠와의지속적상호작용방식을근본적으로

변화

■ 빅데이터 시대의 큐레이터 양성 방안

● 국내외교육기관과연계하여데이터산업전반,고객니즈분석,데이터분석등에대한전문지식을

갖춘빅데이터큐레이터양성추진

- 빅데이터적용가능분야에따라큐레이터를세분화하여분야별맞춤교육을통해빅데이터분석

관련다양한전문직종창출가능

● 빅데이터큐레이터포럼등을구성·운영하여큐레이터의경험등을공유하고,1인창업자들의신규

참여동기를부여

- 큐레이터간의인적네트워크형성을통해지속적인전문역량확보

[그림 1] SNS의 발달 트렌드

※ 자료 : Edgar Gil, 2012. 1. 4

Pinterest

‘re-pinning’이라는 push button 콘텐츠 생산과 ‘보드’라는 큐레이트된 콘텐츠로 구조화. pinterest의 타이용자의 콘텐츠도

수집, 큐레이트한 콜렉션으로 변화하여 공유

Page 5: 빅데이터 시대의 큐레이터 · ※ 데이터 구매 기업의 직면 문제 및 니즈 분석, 적정 데이터 보유 및 판매 업체 검색, 데이터의 재편집 및

37

참 고 문 헌

●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정부 구현(안)‘, 2011.10.

● McKinsey&Company, Big data : Then next frontier for innovation, competition, and productivity,

2011. 6.

● Edgar Gil, ‘How Pinterest Will Transform the Web in 2012: Social Content Curation As The Next Big

Thing’, 2012. 1.

● 스티븐 로젠바움, 큐레이션- 정보 과잉 시대의 돌파구, 2011. 9

● 명승은, ‘미디어 2.0 : 미디어 플랫폼의 진화’, 2008

● 큐레이터인력양성활성화를위해큐레이터의지식수준,자질,스킬등을검증하기위한체계마련

- 큐레이터의데이터가공관련분쟁발생시책임소재를명확화

- 프라이버시문제등에대한큐레이터의권한과책임을명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