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97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 Spatial Gini Index와 Decomposition Techniques를 통하여* 이중화 1) *(한국정책재단) <차 례> Ⅰ. 문제제기 Ⅱ. 데이터 및 분석방법 Ⅲ.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 개관과 공간적 집중도 분석 Ⅳ. 중국 국내무역 유발구조의 요인분 해와 무역승수 분석 Ⅴ. 결론 핵심주제어: 공간지니계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권역 간 무역 Ⅰ. 문제제기 1978-2013년 기간 중국은 연평균 경제성장률 9.78%(1978년 CPI 기준)로 높은 경제성장을 이루었다. 2001년 12월 11일, 중국의 WTO가입 전후 기간별 연평균 경제성장률을 살펴보면, 1978-2001년 기간은 8.7%를, 2002-2013년 기간은 11.9%(2002년 CPI 기준)로 두 기간 연평 균 경제성장률은 차이가 큼을 알 수 있다. 2001년(기준년도)을 전후로 중국의 대외환경 변화를 고려하여 기간별 연평균 성장률을 비교하면, 1997-2001년은 8.85%(1997년 CPI 기준), 2002-2007년은 14.17%(2002년 CPI 기준)로 기간별 연평균 성장률의 차이는 더욱 분명해진다. 또한, 두 기간 중국 순수출액의 연평균 성장률 역시 1997-2001년 기간은 –13.6%, 2002-2007 년 기간은 51.8%로 차이가 매우 크다 2) . Krugman(1980) 3) 은 “한 국가의 주요 수출품은 해당 국가의 국내교역 중 비교적 풍부한 상품 이다 4) ”라고 하였으며 Poncet(2003)은 “중국경제의 개방효과는 국내시장 중 자유로운 상품교역 이 가능할 때 비로써 효율적일 수 있다”고 하였다. Ramondo외(2014)는 “국내무역규모와 상대 적인 소득수준은 국가의 규모에 따라 매우 빠르게 성장한다”는 신무역이론의 관점에 대해 “국 * 본고는 2015년 5월 22일 한국동북아경제학회 발제를 위해 작성된 글입니다. 완성된 글이 아니므 로 저자의 동의 없이 인용, 사용, 게재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 한국정책재단 연구원([email protected] ) 2) 데이터 출처: Wind 3) 신경제지리학(New Economic Geography) 중 경제규모는 지역무역과 국제무역의 동력임을 강조하 였다. 이러한 동력을 Krugman은 Home Market Effect라 불렀다. 4) Home Market Effect 라고 하며, 대규모 생산과 효율성의 제고는 해당 국가 혹은 지역의 수요부 문 외에도 수출부문 공급이 가능하다.
24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국내...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Feb 21, 2020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국내...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97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 Spatial Gini Index와 Decomposition Techniques를 통하여

이중화1)(한국정책재단)

lt차 례gt Ⅰ 문제제기Ⅱ 데이터 및 분석방법Ⅲ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 개관과 공간적 집중도 분석

Ⅳ 중국 국내무역 유발구조의 요인분해와 무역승수 분석

Ⅴ 결론

핵심주제어 공간지니계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권역 간 무역

Ⅰ 문제제기

1978-2013년 기간 중국은 연평균 경제성장률 978(1978년 CPI 기준)로 높은 경제성장을

이루었다 2001년 12월 11일 중국의 WTO가입 전후 기간별 연평균 경제성장률을 살펴보면

1978-2001년 기간은 87를 2002-2013년 기간은 119(2002년 CPI 기준)로 두 기간 연평

균 경제성장률은 차이가 큼을 알 수 있다 2001년(기준년도)을 전후로 중국의 대외환경 변화를

고려하여 기간별 연평균 성장률을 비교하면 1997-2001년은 885(1997년 CPI 기준)

2002-2007년은 1417(2002년 CPI 기준)로 기간별 연평균 성장률의 차이는 더욱 분명해진다

또한 두 기간 중국 순수출액의 연평균 성장률 역시 1997-2001년 기간은 ndash136 2002-2007

년 기간은 518로 차이가 매우 크다2)

Krugman(1980)3)은 ldquo한 국가의 주요 수출품은 해당 국가의 국내교역 중 비교적 풍부한 상품

이다4)rdquo라고 하였으며 Poncet(2003)은 ldquo중국경제의 개방효과는 국내시장 중 자유로운 상품교역

이 가능할 때 비로써 효율적일 수 있다rdquo고 하였다 Ramondo외(2014)는 ldquo국내무역규모와 상대

적인 소득수준은 국가의 규모에 따라 매우 빠르게 성장한다rdquo는 신무역이론의 관점에 대해 ldquo국

본고는 2015년 5월 22일 한국동북아경제학회 발제를 위해 작성된 글입니다 완성된 글이 아니므

로 저자의 동의 없이 인용 사용 게재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한국정책재단 연구원(hansenruceducn)

2) 데이터 출처 Wind

3) 신경제지리학(New Economic Geography) 중 경제규모는 지역무역과 국제무역의 동력임을 강조하

였다 이러한 동력을 Krugman은 Home Market Effect라 불렀다

4) Home Market Effect 라고 하며 대규모 생산과 효율성의 제고는 해당 국가 혹은 지역의 수요부

문 외에도 수출부문 공급이 가능하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98

가들이 국내적으로 완전하게 통합되었다rdquo는 반사실적 가정에서 출발한 결과라 하였다 이러한

관점들을 통해 국내분업수준의 향상은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상과 규모의 경제를 촉진하기에 국

제무역 중 경쟁력을 높이기에 중국내 지역 간 시장일체화에 대한 연구가 적지 않게 진행된 이

유를 알 수 있다5)

약 13억의 인구와 963만의 국토면적6)을 보유한 중국은 거대시장임에 틀림없다 최근 중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은 향상되고 있는 추세지만 과거 중국은 대내 지향적 발전전략

(inward-looking development strategy 건국시기-1978년)을 실시하여 국내 각 지역별 생산구

조는 자기지역 내 자급 가능한 생산요소에 의존하여 진행되었다 따라서 국내의 분업수준은 패

쇄적인 로컬시장으로 구성되어 상품과 생산요소의 이동이 저해되었으며 국제무역의 발전 역시

쉽지 않았다 비록 1978년 개혁개방 후 대외무역은 큰 발전을 이루었지만 여전히 존재하는 분

할된 국내시장구조의 영향으로 인해 높은 대외무역규모를 보이는 지역은 일부 연해지역에 국한

된 것이 중국 내 지역 간 경제구조의 실황이었다(周怀峰 2007)

하지만 실제 중국 정부는 국내시장의 일체화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통인프라를 지속적으

로 확장해 왔다7) 2012년 발표한 ldquo국내무역 발전 lsquo12middot5rsquo규획 통지8)rdquo는 중국 내 주요 상업기능

구의 지역적인 분포를 고려하여 지역특색의 발전전략 견인효과 농촌의 현대화 그리고 비즈니

스 서비스의 네트워크 일체화를 추진할 것을 담고 있다9) 또한 본문의 분석 중 1997 2002

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17개 산업의 중간재10) 총 유출11)규모는 2002년을 제외한 두 연도

모두에서 수출규모보다 컸으며 연평균 성장률은 전(全)기간에 걸쳐 수출부문 보다 더욱 높은 점

을 고려하면 중국 경제성장에 대한 국내무역의 영향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표 1 참고)

Yang(1996)은 국내 지역 간 교역효율성의 향상이 국내분업수준을 반영하는 국내무역을 촉진

하고 이러한 국내교역의 공간적 범위가 국경을 초월할 때 국가 간의 무역 즉 내생적 비교우위

로 인한 국제무역의 발생근거를 제시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론적 배경과 탐색적 분석을 바탕으로 우선 중국 내 무역류(流)의 공간적

패턴을 살펴보고 국내무역의 경제성장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각 8대 권역의 역내 무역

을 외생변수로 설정하여 권역 간 총유출에 대한 유발효과를 분석한다 게다가 국가 간 무역구조

의 변화가 세계화 무역협정 자유무역지대 등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음과 같이 국가 내 지역간

무역구조에도 영향을 미침으로 2002년을 기준한 전후기간의 요인분석을 통해 국내 권역 간 무

역구조변화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만약 WTO 가입 시기 이후 국내 지역 간 교역구조가 더욱

개선되었다면 중국은 더욱 확대된 세계시장에서 중국 경제성장의 기회를 모색하기 위하여 국내

무역 구조의 효율성이 제고된 것이고 이는 AmiddotSmith와 Yang의 ldquo내생적 비교우위rdquo 향상을 의미

한다12) 분석 중 기본 데이터는 ldquo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13)rdquo이며

5) 盛斌외(2011) 吴三忙외(2010) 등

6) 출처 百度

7) 刘生龙외(2011)은 2008년 중국 지역간 화물회전량 데이터를 통해 교통인프라의 도구변수로 지역

별 정책지수를 구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교통인프라의 향상은 지역 간 일체화를 촉진함을 제

시하였다

8) 国内贸易发展ldquo十二五rdquo规划的通知 20120910

9) 관련된 프로젝트로 상품교역시장 물류기지 수출가공기지 등을 통해 국내 지역 간 교역수준을 더

욱 확대하고자 하였다

10) 만약 교역재의 범위를 최종재 부문까지 포함시킨다면 국내 기타지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3개 연

도 모두에서 수출규모보다 더욱 크다

11) 본 연구 중 용어상의 혼선을 피하기 위해 국내 타 지역에 대한 수출은 유출로 수입을 유입으로

표기하고자 한다

12) 만약 이러한 이론적 배경 하에서 중국이 WTO가입 이후에도 과거와 같이 단절된 로컬시장들로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산업농업 기계공업광업 교통운송설비제조업

식품제조middot담배가공업 전자통신middot전기기기 설비 제조업방직middot의류업 기타 제조업

목제가공middot가구제조업 전력middot온수middot가스middot수돗물 생산middot공급업종이middot인쇄 및 교육용품 제조업 건축업

화학공업 상업middot운수업비금속광물 제품업 기타 서비스업

금속제련 가공 및 제품업

Spatial Gini Index와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이하와 같다 Ⅱ장은 분석방법을 Ⅲ장은 권역 간 유출과 유입을 개관하고

8대 권역의 특징을 다루며 Ⅳ장은 실증분석으로 진행한다 끝으로 Ⅴ장은 연구의 발견과 의의

로 결론을 맺고자 한다

Ⅱ 데이터 및 분석방법

1 8대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

본 분석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는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로 중국 31개 성middot시를 ldquo인접성 자연

조건과 요소부존도 경제발전수준 경제발전의 문제 사회구조 권역규모의 적합성 역사적 요인

행정규획 권역별 정책의 적합성rdquo 등의 성middot시별 유사성을 고려하여 8대 권역에 대한 8개 17개

산업부문의 지역 간 산업연관구조 및 상호관계를 나타낸다(참고 lt표 1gt)14)

lt표 1gt 중국 내 8대 권역분류 및 산업분류

참고 대만과 홍콩은 8대 권역에 포함되지 않음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표

구성되었다면 세계시장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높은 경제성장을 실현하기 어려웠을 것이라 사료된다

13) 1997middot2002middot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

14) 본 연구는 중국 내 권역 간 무역에 대한 분석이 주요 목적이며 전(全)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0

여기서 권역 간 산업연관표는 권역별 각 산업의 중간수요(자기권역+타지역)+최종수요(자기권

역+타지역)의 규모와 타지역에 대한 교역규모 및 구조를 나타내기에 국제무역의 수출 수입과

같은 특성으로 국내 지역 간 유출입의 특징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국의

지역경제 구조와 지역 간 산업의존 및 연관관계에 대한 정량분석이 가능하다15)

분석을 위하여 우선 권역 간 산업연관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무역 매트릭스를 구축해야 하

며 해당 데이터를 이용하여 Spatial Gini Index16)와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분석 등을 진행한

2 분석 방법

1) 무역 매트릭스 구축

이하 식(1)은 산업연관표 중 지역별 전(全)산업의 총 유출규모(우변)를 자기권역과 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로 구분하기에 무역 매트릭스는 지역 간 경제구조가 이러한 연관관계 속에 상호

작용함을 의미한다 식(1) 좌변의 매트릭스 중 대각원소는 자기권역 내 교역수준을 나머지 원

소들은 지역 간 무역규모를 의미한다17) 우변은 자기권역과 타 지역에 대한 총 유출규모를 나

타낸다18)

유입지 총유출

유출지

⋯ ⋯ ⋯⋯ ⋯ ⋯ ⋯ ⋯ ⋯

자기지역 if 타지역 if ne

유출지 의 유입지 에 대한 유출규모

(1)

식(1) 중 지역 의 총 유출규모() 중 지역별 유입()의 비중()은 해당지역이 유출을

통해 얻은 수익 중 유입을 위해 지출해야 하는 금액의 비중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교역계수

( )를 얻을 수 있다 이 교역계수를 식(1)의 좌변에 대입 후 타지역과의 교역부문(비대

각원소)을 우변으로 이항하면 식(2)를 얻을 수 있다 즉 무역 매트릭스 중 교역계수를 이용하여

지역 간 유출구조에 대한 원소를 총유출에 대한 원소로 전환한 후 레온티에프 역행렬

19)을 통해 각 지역의 역내무역을 외생변수로 설정하여 각 지역의 총 유출에 대한 역내

무역의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식 2 참고)20)

15) 중국 ldquo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의 구축방법과 세부적 구조는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

表(p20~38)rdquo 참고

16) 이하 ldquo총 공간지니계수rdquo로 통칭하며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중 화물middot서비스의 교역이 공간상에 집

중 수준을 나타낸다

17) 무역 매트릭스 중 각각의 원소들은 지역 와 지역 간의 교역수준을 나타내는 조합이다

18) lt표 6gt 참고

19) 의 원소 값들을 통하여 권역별 역내무역의 중국 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총 효과와 타 지

역에 대한 파급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20) lt표 9gt 참고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1

ne

ne

ne

ne

ne

(3)

ne

ne

(4)

ne

ne

(5)

ne

ne

(6) ∙ ∙

there4 ∙

(7)

∙ times ∙

times ∙

times

∙ ∙

(8)

Ⅲ∙

ne

ne

(9)

⋯ ⋯ ⋯

⋯ ⋯ ⋯ ⋯ ⋯ ⋯

times times

⋯ ⋯ ⋯⋯ ⋯ ⋯ ⋯ ⋯

⋯ prime

(2)

2) Spatial Gini Index

지니계수21)는 경제구조 중 소득불평등 수준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수이다 Plane외(1997)은

1980년 대 미국 국경 내 인구이동의 공간적 집중도를 분석하기 위해 기존의 지니계수의 측정법

을 응용하여 주(州)간 인구이동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LEE(2010)는 미국 내 화물교역패턴의 공

간적 구조분석을 위해 Plane의 총 공간지니계수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1993middot1997middot2002middot2007년

4개 연도 간 미국 내 주(州)간 CFS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이하 lt표 2gt는 무역류(流)의 공간상

에서 집중과 분산 수준을 측정하는 총 공간지니계수 측정법을 제시한다

lt표 2gt 총 공간지니계수 분석 방법

21) 지니계수는 소득수준이 완전하게 동등함을 의미하는 대각선 이하의 삼각형 면적에 대한 대각선과

로렌츠(Lorenz)곡선 사이 면적의 비중을 통해 소득불평등 수준을 측정한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2

ne

ne

(10) ldquo rdquo ldquo rdquo middot

ne

ne

ldquo rdquo

ne

ldquo rdquo

참고 공간지니계수의 좌측 위 첨자 는 4유형 교역조합을 모두 포함하는 전(全) 교역조합(원소)에 대

한 분석을 의미하며 는 유출지 는 유입지를 우측 위첨자 는 분석 연도로 시간상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게 한다

식(3)은 총 공간지니계수로 식(1)의 무역 매트릭스 중 자기권역 내 교역규모를 나타내는 대각

원소 를 제외한 비대각원소 를 이용하며 지역별 쌍무교역의 모든 조합( )과 경제구조

중 모든 교역조합( )간에 절댓값 차이의 산술평균값을 모든 교역조합의 교역평균에 대한

비율로 공간적 집중도를 분석한다23)

하지만 총 공간지니계수는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가 유출 or 유입 or 교환 or 기타 중 각각

의 요인에 대한 기여도를 알 수 없다 따라서 총 공간지니계수를 4가지 유형의 공간지니계수로

분해하여 특정연도의 ldquo유출형 유입형 교환형 기타형rdquo 공간지니계수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우선 유출형(유입형) 공간지니계수는 교역구조 중 각 지역의 외부 유출(유입) 중 유입지(유출

지) 선택에 대한 상대적인 범위가 공간적으로 집중되었는지를 나타내며 각 행(열)마다 개

유출조합에 대해 계산middot총합한다24) 하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각 지역의 산업구조 인구규모

등은 변화하기 때문에 만약 당기 유출형(유입형) 공간지니계수가 전기보다 크다 할지라도 해당

연도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에 대한 기여도 역시 당기가 전기보다 더욱 높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4유형 공간지니계수의 비중을 통해 해당연도 교역 중 공간적 집중도에 대한 각각의 기

여도(단위)를 분석 및 비교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으로는 여전히 각 지역의 특

징을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lt표 2gt StepⅢ의 유출부문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를 측정하여 지

역별 분석 및 비교가 가능하며 용이한 해석을 위해 유출부문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를

Z-SCORE로 전환한다25)

22) 참고로 8대 권역 간 교역조합의 절댓값 차이에 대한 계산빈도수는 3136번( )이다

23) 식(3)의 분자부분은 각각의 개 교역조합과 개의 기타 교역 간의 절댓값 차이의 총

합을 의미하며 분모부분은 분자의 상middot하 삼각행렬의 중복부분을 상쇄하기 위한 ldquordquo와 산술평균을

위한 ldquo rdquo ldquo모든 조합의 교역평균값rdquo으로 구성된다 만약 무역 매트릭스 중 모든 원소의

값이 동일한 값을 갖는다면 총 공간지니계수의 분자부분의 값은 0의 값으로 공간상에서 균형적인

교역분포를 나타낼 것이지만 실제로 각 지역별 인구규모 등 많은 요인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고려

하면 지역 간 교역규모가 동일할 수는 없다

24) 교환형 공간지니계수는 대각원소를 기준으로 한 양자 간(대각원소)의 교역규모의 절댓값 차이를

분석하며 기타형 공간지니계수는 ldquo유출middot유입middot교환rdquo형 조합들을 제외한 기타 모든 교역조합과 절댓

값 차이를 통해 분석한다

25) lt표 7gt lt그림 1gt 참고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3

분류 공식무역유발분석

중국 지역 간 유발계수

(11) 감응도계수영향력계수

(12)

분류 공식

요인분해분석

일반식

i f 기준연도 i f 비교연도 (13)

요인분해

∆∆ ∆ ∆∆∆∆ (14)

요인역내무역 변화 ∆ (15)교역계수 변화 ∆ (16)

3) 역내무역의 영향과 지역 간 무역유발계수

식(2) 중 의 각 요소를 라 하면 이 각 원소들은 지역 의 역내무역 1단위 변화가

지역 의 유출에 미치는 직middot간접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는 지역 의 역내무역으로 유발되

는 중국 국내무역의 증가를 나타낸다

lt표 3gt 무역유발분석

참고 심승진(2003)

의 행 부분은 타 지역들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야기되는 지역 의 유출에 대한 영향

들이며 열 부분은 지역 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야기되는 타 지역들의 유출에 대한 직middot간접

영향이다 따라서 이러한 영향들의 평균인

과 대비하여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를 지

역별로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만약 감응도 계수가 1보다 큰 값을 갖는다면 다른 지역의 역내무

역의 영향으로 수출증가의 효과가 더욱 높은 지역이므로 ldquo유출형 지역rdquo이라 할 수 있으며 영향

력 계수가 1보다 큰 값을 갖는다면 마찬가지로 타 지역의 수출에 대하여 자기권역 역내무역의

유발효과가 높으므로 ldquo유입형 지역rdquo이라 할 수 있다 감응도middot영향력 계수 모두가 1보다 크다면

상호교역이 활발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4) 요인분해와 무역승수 분석

이상의 무역유발분석은 특정연도의 교역구조에 대한 정태적 분석이다 이러한 정태분석은 시

간변화로 인한 요인영향의 변화를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을 고

려하여 지역 간 무역유발구조를 ldquo역내무역규모의 변화 교역구조변화 교차항rdquo의 요인으로 분해

하여 동태적인 분석을 진행한다(참고 식 14)

lt표 4gt 요인분해 분석방법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4

교차항 변화 ∆∆ (17)

무역승수 ⋯ (20)

(18) (19)

권역 역내무역규모 권역 총유출 권역 총유출의 역내무역에 대한 의존도

참고 심승진(2003) 심승진(2012)

식(14)는 기준연도와 비교연도 간 각 지역 유출증가분을 ldquo역내무역규모의 변화 지역 간 교역

구조의 변화 상호작용의 영향rdquo으로 나타내고 있다26)

지역 간 무역승수분석은 각 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직middot간접 경로를 통해 기타 권역의

유출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다27) 식(18)은 지역별 역내무역의 총산출에 대한 기여도이며 전환

후 를 식(2) 중 에 대입하면 식(19)의 총산출 증가로 인한 지역 간 무역승수를 분석할 수

있다 게다가 식(19) 중 를 통해 각 지역 총산출의 타 지역 총유출에 대한 유발효

과를 얻게 된다28)

Ⅲ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 개관과 공간적 집중도 분석

1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 개관

중국의 1997 2002 2007년 권역 간 산업연관표 중 국제부문 수출규모는 1조 6513억 위안

2조 7828억 위안 8조 1889억 위안으로 1997-2007년 기간 1737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며

1997-2002년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110 2002-2007년 기간은 247로 WTO 가입으로 인

한 세계시장의 확대효과가 명확함을 알 수 있다(표 5 참고)

실제 중국의 1997 2002 2007년 국내 8대 권역 간 전(全)산업 중간재(최종재) 총 유출규모

는 1997년 1조 9702억 위안(5399억 위안)에서 2002년 2조 3126억(9712억 위안) 2007년 9

조 9245억 위안(4조 2970억 위안)으로 증가하였으며 1997-2007년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1755(2305)를 보인다 규모적인 측면에서 중간재(A)의 권역 간 무역규모는 최종재(B)의 경

우보다 더욱 큰 규모를 갖지만 연평균 성장률로 보면 최종재 부문이 더욱 빠른 속도로 증가하

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로써 각 지역별 자체 생산능력의 향상과 산업내무역의 증가를 알 수

있다

26) lt표 8gt 참고

27) 기존 연구 문헌(Oumlzyurt외 2011)은 GDP 성장으로 인한 직middot간접 무역유발효과는 시차가 존재함을

주목하였지만 본 연구대상이 한 국가 내부의 지역 간 무역임을 고려할 때 각 지역 생산 활동증가

가 유발시키는 기타 지역 총 유출입 규모에 대한 영향은 시차성이 비교적 작을 것이라 판단한다

28) 여기서 는 지역 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유발하는 지역의 유출액에 대한 직middot간접 효과를 의

미한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5

ndash

lt표 5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국내유출29)과 국제수출의 규모와 성장률 비교

A국내 유출총액(중간재) B국내 유출총액(최종재) C국내 유출총액(중간재+최종재)

D국내 유출총액(중간재+최종재+재고액) E국제 수출총액

FA-E GB-E HC-E ID-E GR 연평균 성장률()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수출규모와 중간재 유출규모 간의 차이(F)는 2002년을 제외하고 모든 연도에서 국내부문의

중간재 유출규모가 더욱 크다30) 하지만 중간재와 최종재 부문 모두를 고려할 시 모든 기간에

서 유출이 수출보다 더욱 컸으며 2002-2007년 기간 그 격차가 더욱 확대되었다31)

또한 유출규모(C)와 수출규모(E)의 차이(H)는 2002년은 감소하여 5009억 위안에 달했으나

2007년에 들어 6조 326억 위안으로 2002-2007년 기간 국내유출(C)의 연평균 성장률은

3406로 동 기간 수출부문의 2409 보다 더욱 높다 여기서 1997-2002년 기간 국내유출

(C)의 연평균 성장률이 552로 수출의 연평균 성장률 11보다 더욱 낮았던 점 두 기간 국내

유출의 연평균 성장률의 차이가 큼을 재차 고려하면 2002-2007년 기간 중국의 순수출과 국내

지역 간 무역의 발전은 일정수준 연관되고 이는 국내 분업수준의 확대로 내생적 비교우위가 향

상함과 동시에 규모의 경제를 통한 Home Market Effect로 인해 중국의 수출경쟁력이 향상된

것으로 사료된다32) 이상의 분석을 통해 세계시장의 확대와 더불어 국내교역의 규모가 더욱 증

가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무역 매트릭스를 통해 각 권역별 국내 권역 간 유출입 규모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표 6 참고)33)

middot

ldquo rdquo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6

 

     

     

     

lt표 6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변화추세(억 위안 )

참고 A각 권역 총유출의 국내무역 중 비중 B 각 권역 내 유출이 총유출 중 비중 C 각 권역유입의

국내무역 중 비중 D 각 권역 내 유입이 현지 권역 총유입 중 비중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7

연도별 각 권역 총 유출에 대한 역내유출비중의 평균값은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로 2002년 이후 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가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역내 무역규

모가 권역 간 무역규모에 비해 매우 큰 점을 고려하면 기존의 국제무역 상에 Border Effect 혹

은 Home Bias Effect가 국가 간 뿐만 아니라 국내의 지역 시장 간의 교역 중에도 존재한다는

연구결과와 일맥을 이루며 Home Market Effect 역시 예상할 수 있다34)

국내무역 중 가장 높은 유출비중을 차지하는 권역은 연해지역으로 3개 연도 평균비중은

1715에 달하며 이 중 동부연해권역(浙江 江苏 上海)는 2232로 가장 높다35) 하지만

2002-2007년 기간 동부연해권역의 유출비중은 감소하였지만 타 권역의 경우 모두 증가하였다

이 중 타 권역 유출규모의 성장을 보면 서북권역은 523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경진권역

은 456를 나타냈다

권역 간 순유출의 측면에서 동북권역은 2002-2007년 기간 북부연해와 남부연해의 유입이

35배 증가했는데 이러한 유입증가는 동부연해에 대한 유출규모가 1145배 상승하여 일정수준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8대 권역의 타 지역에 대한 유출증가율은 1997-2002년 기간 105

2002-2007년 기간은 419로 증가하였다36)

이상의 무역 매트릭스 분석은 대략적인 권역 간 무역의 규모와 성장률 역내middot외 무역규모의

크기 등을 제시할 뿐 기타 정보에 대한 분석이 쉽지 않다 따라서 이하에서 중국 내 무역구조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분석으로 탐색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2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 집중도 분석

3개 연도별 총 공간지니계수는 1997년 054에서 2002년 048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2007년에는 046 수준으로 권역 간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는 더욱 확대되었다(참고 표 7)

lt표 7gt 1997 2002 2007년 전(全)산업 국내무역의 공간 집중도 분석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34)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1997년 2002년

2007년 (12의 유의수준)로 나타냈으며 모든 기간은 의 상관성을 보였다

35) 이는 동부연해권역이 중국 내 지역 중 산업구조가 비교적 완비된 곳으로 8대 권역 중 생산규모

가 가장 큼을 반영한다

36) 유일하게 북부연해의 타 지역 유출 규모가 ndash8 감소하였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8

1997-2002년 기간 lsquo유출형(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00426(00505)에서 00397(00446)로

모두 감소하였지만 기여도는 831(934)로 증가하였으며 2007년에 들어 유출은 더욱 집중되

고 유입은 확산되어 운송수단의 발전으로 공간적으로 더욱 넓은 범위의 지역에서 재화를 유입

하고 생산 및 가공 후 일부 특정 지역으로 유출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는 lt표 6gt 중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이 매우 큰 규모인 점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연해지역이

선(先)성장으로 중국 내 수요지37)와 대외시장의 창구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반영한다 2002년에

들어 lsquo교환형rsquo 공간지니계수의 기여도는 110로 1997년 대비 약 43 상승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089수준으로 감소한다 즉 양자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가 2002년은 1997년에 비해 더

욱 높아졌지만 2007년에 다시 개선됨을 의미하며 이는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이 2002년

증가하였다가 2007년 감소함을 의미한다 게다가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3개 연도 모두 가장

높은 지수로 총 공간지니계수에 대한 기여도 역시 가장 높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상

술한 바와 같이 이상의 분석은 각 권역별 공간상의 무역패턴을 분석할 수 없기에 Z-SCORE로

lt그림 1gt38)을 제시한다

lt그림 1gt 1997-2007년 기간 중국 권역 간 무역의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 산점도

참조 Y축 유입 X축 유출을 나타냄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lt그림 1gt을 통해 2002-2007년 기간의 산점도가 1997-2002년 기간에 비해 좀 더 45deg 직선

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고려하면 공간상의 무역류가 전(前)기간 보다 더욱 분산된 무역구조 및

양자무역의 균형을 나타낸다 게다가 산점도가 점차 1사분면으로 이동하는 추세는 유출이 더욱

집중됨을 의미한다 이는 lt표 7gt의 2002-2007년 기간 분석결과와 일맥 한다

37) 타권역 유출에 대한 전(全)기간 연해지역의 평균유입비중을 보면 ldquo북부연해middot동부연해rdquo 두 권역의

유입비중이 56를 초과한다

38) 이하 lt그림 1gt은 각 권역의 유출middot유입 부문 공간지니계수를 z-score 전환 값을 이용하여 산점도

를 제시한다 정(+)의 z-score는 지역 간 무역 중 중요한 역할을 함과 동시에 평균 수준 보다 공

간적으로 더욱 집중화되었음을 의미하며 음(-)의 z-score는 지역 간 무역의 범위가 광범위하여 집

중화 수준이 낮음을 의미한다 45deg의 직선으로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쉽게 비교할 수 있으며 유출middot유입 부문 공간지니계수의 z-score 처리과정 중 plusmn1middot표준편차의 크기

보다 크거나 작은 지역은 유입지 혹은 유출지의 선택이 공간상에 더욱 집중(분산)화되었음을 나타

낸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9

 

lt표 8gt1997middot2002middot2007년 권역별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적 집중middot분산유형 분류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lt표 8gt의 권역별 교역패턴을 보면 서북middot동북 권역은 분석기간 lsquo유출과 유입rsquo 부문의 공간적

패턴이 대체로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1gt 중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동북권

역은 기타 권역에 비해 지리적으로 외딴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북권역은 중국의 동middot서 지

역을 연계할 정도로 매우 길게 위치함을 반영하는 것이다

집중된 교역구조의 유출부문으로 1997년 서남권역은 타권역 유출 규모 중 남부연해권역은

약 583억 5천만 위안으로 약 371의 비중을 2002년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의 1355억 6천

만 위안으로 약 606 2007년 동부연해권역의 남부연해middot중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1조 3천

억 위안으로 약 703의 비중 중부권역은 동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9천 104억 위안으

로 약 4095의 비중을 보이며 유입지 선택의 공간적 집중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표 8 참

고)39)

Ⅳ 중국 국내무역 유발구조의 요인분해와 무역승수 분석

1 역내무역의 국내무역과 권역 간 무역유발계수 분석

lt표 9gt은 연도middot지역별 역내무역규모가 중국 국내무역을 어느 정도로 유발하였는지를 나타낸

다 먼저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을 보면 1997년 114 2002년 116 2007년

124로 각 권역별 국내무역의 유발효과가 점차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각 지역의 산업과 경제발

전이 타 지역과 독립된 자급자족형 구조가 점차 상호보완적 구조로 전환됨을 반영하며 2002년

이후 지역 간 상호연관수준은 더욱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97년 상위 3개 국내무역 유발지역은 lsquo남부연해 동부연해 그리고 경진권역rsquo이며 2002년

WTO 가입 후 경진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여 유발계수를 보이고 서북

권역과 북부연해 권역이 뒤를 잊는다 여기서 서북권역의 유발계수가 크게 증가한 이유로는

2001년 1월 서부대개발40) 정책의 영향이며 서남권역의 유발효과는 서북권역에 비해 상당히 낮

은 수준인 이유는 서부대개발 정책의 효과가 서남권역 보다 서북권역에 먼저 시현된 것으로 사

료된다41) 2007년은 서북 중부 경진 권역이 가장 큰 유발효과를 보이며 서남권역의 국내무역

39)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권역 간 유출과 유입의 교역집중화를 파악할 수 있다(유입부문 1997년 동

부연해 중부(35) 2002년 중부동부연해(457) 2007년 경진북부연해(452))

40) 서부대개발 정책의 지리적 범위는 12개 지역을 포함함(四川陕西甘肃青海云南贵州广

西内蒙古宁夏新疆西藏重庆)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0

middot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였다

lt표 9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기간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성장률을 보면 1997-2002년 기간은 경진권역이 207

의 성장률로 가장 높다 이는 WTO 가입과 함께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산업의 발전과 세

계의 많은 외자기업들이 북경과 천진 지역의 투자 증가를 원인으로 들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은 중부권역이 158 성장률을 보여 가장 높은 데 이는 2004년 3월 중부굴기의 정책으로

중국의 동부와 서부지역의 산업발전을 연계하는 지리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앞서 살펴본 각 권역별 역내무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를 타 권역별 무역유발효과로 분류하여

살펴볼 수 있다(표 10 참고)

lt표 10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 간 무역유발효과 변화

41) 서부대개발 정책의 서부지역의 건축업에 큰 발전적 지회를 야기하였으며(唐明龙 2006) 2002년

서북권역 건축업의 RCA지수가 459로 매우 높으나 2007년에 들어 238로 감소하였으며 2002년

서남권역 건축업의 RCA지수는 146으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나 2007년는 400으로 크게 상승함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1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모든 기간에 걸쳐 대체적으로 역내무역의 증가는 자기권역의 총유출 규모를 더욱 유발

하였으나 1997-2002년 기간 ldquo중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은 자기권역의 유출유발효과가 감

소하였다 앞서 살펴본 기간별 국내무역 유발규모의 성장률이 높은 경진권역과 중부권역을 살펴

보면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과 유입의 유발효과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으며 중부권역은 1997년 서북구역의 유출middot유발효과만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middot유입효과가 높았다

타 권역에 대한 유출입 유발효과를 살펴보면 1997년 중부권역이 028로 가장 높았으나 이후

027 수준으로 감소하는 반면 2002년은 동부연해 권역의 025 2007년은 남부연해권역의 033

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부권역은 모든 기간에 걸쳐 가장 일정하게 타 지역의 유출

을 유발시켰으며42) 남부연해권역은 1997년 015의 유출계수가 2007년에 들어 가장 높은 033

까지 상승하여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유출입 계수의 격차를 살펴보면 경진과 서북 권역은 유입주도형 지역이며 동부연해 권역은

유출주도형 지역이다 하지만 각 권역별 총 유출입에 대한 역내무역의 비중은 지역별 산업구조

의 불일치 인구규모의 상이함 등의 요인으로 각 지역의 교역유형별 특성을 살펴볼 수 없다 따

라서 이하에서는 Rasumussen(1958)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를 통해 기간별 각 권역의 교역

유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2 권역 간 유출입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권역 간 상호의존관계 중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역내무역에 의해 받는 영향을 감응도

계수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유출에 주는 영향을 영향력계수라 한다

식(12)를 통하여 각 권역의 감응도 영향력계수를 구하면 lt표 11gt과 같다 우선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가 모두 1보다 큰 교역형 권역은 1997년 동부연해 남부연해 2002년 북부연해

42) 유출유발효과 값의 표준편차가 001로 가장 낮음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2

2007년 북부연해 남부연해 중부로 나타났다 2002년 후 경진권역은 유입형 지역으로 북경과

천진 지역이 타 지역으로부터 많은 재화를 유입할 것이라는 직관과 일치하였다

lt표 11gt 각 구역의 전방관련효과와 후방관련효과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서북권역의 경우 1997년 패쇄형 지역의 특성을 보이다 2002년에 들어 유입형의 특성을 보인

다 이는 서부대개발의 정책 추진 중 부족한 원부자재 및 생산설비를 타 지역으로부터 크게 유

입함을 반영하며 서남권역은 1997 2002년 패쇄형 지역에서 2007년 유입형 지역의 특성을 나

타낸다

3 요인분해분석

우리는 이상의 분석을 통해 각 권역 역내무역의 국내 및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를 분석하

였다 이러한 유발계수에 대하여 식(13)-(16)을 거쳐 요인분해 분석을 진행하면 lt표 12gt의 결

과를 얻을 수 있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3

lt표 12gt 기간별 각 권역 유출증가의 요인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중국 내부의 전체적인 효과를 살펴보면 1997-2002년 기간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

역에 대한 영향이 평균 10374 기여하여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역내

무역의 규모효과로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기

여도 모두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기여도는 약 86로 감소한다43) 즉

세계시장의 확대와 함께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구조의 변화와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상호작용이

모두 효율적으로 개선된 것이다 이는 자기권역 내 무역의 영향 보다 타 지역과의 상호연관 속

에 유발되는 유출의 규모가 더욱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권역별 요인분해 분석결과는 모든 기간에 걸쳐 각 권역의 총 유출은 역내무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지만 2002-2007년에 들어 기여도가 점차 감소하는 데 이는 1997-2002년 기간 교역

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인 지역은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이며 동 기간 이들 지역은

역내무역규모의 변화효과가 기타 교역구조 및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시킬 정도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서북권역은 교역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이지는 않으나 양자 간의 교차효과가

음의 영향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게다가 북부연해권역의 기간별 교역구조의 변화 효과는 ndash

2650에서 5077로 국내 교역구조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lt표 13gt는 각 권역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유발된 총 유출의 변화분에 대한 각 권역의 역

내무역 규모변화를 외생변수로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우선 전체적인 측면에서 동부연해 권

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유발되는 국내무역 유출변화가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중부권역이지만

2002-2007년에 들어 167의 기여도로 전보다 감소하고 북부연해 권역의 기여도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43)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이 2007년에 들어 큰 폭으로 상승하게 한 원인으로 고려

된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4

lt표 13gt 권역 내 무역규모변화요인의 재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5

각 권역별 특징을 살펴보면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자

기권역 역내무역규모 변화로 인한 총 유출에 대한 기여도가 감소하였다 이로써 ldquo북부연해 동

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이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가 효율적이게 변화함과 동시에

역내산업구조의 향상(표 6 참고)으로 인해 역내무역의 기여도가 더욱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4 권역 간 무역승수 분석

무역은 경제성장을 야기하지만 경제성장 역시 무역의 발전을 야기한다는 것이 공론이다 이러

한 관점에서 각 권역별 총산출 1단위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역내middot외 무역의 규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중국 내 지역 간 무역을 새로운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된

lt표 14gt 권역 간 무역승수44)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44) 국내무역승수(행합) 타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특정권역에 유발하는 유출의 무역승수 총

합 국내무역승수(열합) 특정 권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로 타지역에 유발하는 유입의 무역승수

총합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6

분석기간에 걸쳐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서남권역만을 제외하고 모든 권역에서 자기권역에 대

한 무역승수는 감소하고 있으며 2002-2007년 기간 lsquo서북과 서남rsquo 권역은 각각 33와 25로

감소율이 가장 크다 실제로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총산출 수준의 평균 성장률은 58

이며 2002-2007년 기간의 성장률은 크게 확대되어 15943으로 두 기간의 격차가 매우 크다

2002-2007년 기간 자기 지역 내 무역승수의 감소는 각 권역 간 산업구조가 더욱 고도화 되어

자기권역 내 무역만을 통해서는 생산을 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즉 국내무역의 발전과 지역 간

의 관계가 더욱 확대되어 기타 지역에 대한 무역승수효과가 더욱 증가한 것이며 이처럼 높은

총산출의 증가는 더욱 긴밀한 지역 간 산업구조와 무역관계 하에서 비로써 실현가능함을 반영

한다

lt표 14gt 중 국내무역승수의 행합과 열합의 변화를 보면 대부분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총산출

로 야기된 무역승수가 점차 감소한다고 오인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 만약 국내무역승수의 값

중 자기권역 내 무역승수를 소거한 후 무역승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반드시 감소하는 것은 아님

을 알 수 있다(참고 표 15)

lt표 15gt 자기 구역무역승수를 제거한 행합과 열합의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무역승수 변화추세는 일관되지 않지만 2002-2007년 기간 행

합 부문의 수치는 동부연해권역 이외에 기타 권역의 무역승수는 모두 증가하였고 열합 부문 중

경진과 서북권역 이외에 모든 권역의 타 권역에 대한 무역승수는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

다 이로써 WTO 가입 후 국내무역의 일체화 수준이 더욱 향상되었으며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

상을 위한 시장 환경이 구축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본 논문은 중국경제의 높은 성장 중 국내무역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을 대상으로 8대 권역 간 무역구조 분석을 위해 우선 무역 매트릭스를 구축

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

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본문 중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탐색적 접근으로 공간지니계수의 공간집중

도 분석결과는 분석 기간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수준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7

lsquo유출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반면에 lsquo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2007년에 들어

크게 감소하였다 게다가 2002년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은 증가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감소하여 지역 간 무역의 격차가 다소 감소하

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가 유입지 선택의 집중 유출지 선택의

확산 그리고 국내 유출입의 불균형 감소와 모든 교역조합 간의 격차감소로 시장일체화 수준이

점차 향상하는 추세를 의미한다

또한 중국 WTO 가입연도를 기준한 1997-2002년 2002-2007년 전후기간의 분석으로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유발구조를 살펴봄과 동시에 동태적인 요인분해분석을 통하여 국내분업

수준의 효율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내생적 비교우위론에 근거하여 교역구조의 개

선과 무역승수의 분석 역시 시장일체화의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내생적 비교우위 제고가

2002-2007년 기간 518의 중국 순수출 연평균 성장률에 기여함을 예상할 수 있었으며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무역 매트릭스 중 각 권역의 역내무역 비중은 동부연해권역을

제외하고 1997-2007년 기간 감소하였으며 일부 권역은 2002-2007년 기간에 들어 비로써 감

소하였다 하지만 역내무역의 비중이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의 연도

별 평균값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는 것을 보아도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중 Border Effect가 존재

하는 점과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아 Home Market

Effect의 존재를 탐색적으로 예감할 수 있다

또한 1997-2002년 기간 교역구조변화요인이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 ls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

부rsquo 권역은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가 효율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역내무역 규모요인의 재분

해 분석 시 자기권역 내 무역규모의 변화가 총 유출에 대한 영향이 더욱 커짐을 고려하면 역내

성middot시간 경제통합이 권역 외 총유출을 크게 촉진함으로 판단되며 권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 역시 국내무역의 유발효과를 촉진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은 전(全)산업의 권역 간

무역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17개 산업 부문 중 각각의 특성과 기여를 분석할 수 없었으며

현실적인 시사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정책변화 등 정성적인 요인들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는 차후의 연구과제로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심승진 20029 ldquo지역간 무역의 유발구조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심승진 20126 ldquo국제지역간 무역승수 효과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이데 마사히로 ldquo산업연관분석입문ldquo 985172제주대학교985173 2010

이중화 ldquo중국 국내무역의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영향분석-국내무역 순유출지수의 공간계

퍙패널분석을 중심으로ldquo 985172한국동북아경제학회985173 第27卷 第1號 201503

Hewings GJD Schindler GR and PR Israilevich 1998b ldquoInterstate trade among

Midwest economiesrdquo Chicago Fed Letter The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May

1998 no 129

N Ramondo A Rodriacuteguez‐Clare M Saboriacuteo‐Rodriacuteguez 2014 ldquoTrade Domestic

Frictions and Scale Effectsrdquo NBER Working Paper No18532

Poncet S 2003 ldquoMeasuring Chine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grationrdquo China

Economic Review 14(2003)1‐21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8

S Oumlzyurt M Dauma 2011 ldquoTrade openness and regional income spillovers in BrazilA

spatial econometric approachrdquo Papers in Regional Science 2013

Weinhold D 2002 ldquoThe importance of trade and geography in the pattern of spatial

dependence of growth ratesrdquo Review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6 no 3 pp

369‐382

XiaoKai Yang(杨小凯) 1996 ldquoA New Theory of Demand and Supply and Emergence

of International Trade from Dmestic Traderdquo Pacifrc Economic Review 13

国家信息中心 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1997年 200551

国家统计局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ldquo 20118

李善同 侯永志 ldquo中国大陆 划分8大社会经济区域ldquo 985172中国脉搏985173 20035

盛斌 毛其淋 2011 ldquo贸易开放国内市场一体化与中国省际经济增长1985sim2008年ldquo 985172世

界经济985173 (11) 44-66

唐明龙ldquo西部开发战略激活建筑业ldquo985172中国工程建设周刊9851732006年7月13日

吴三忙 李善同 2010 ldquo市场一体化产业地理集聚与地区专业分工演变ldquo 985172产业经济研究985173

06期

周怀峰 ldquo大国国内贸易需求提升产品国际竞争力的机理分析ldquo985172财贸研究98517320074

[i3] httpwwwgovcnzwgk2012-0910content_2220743htm 201551

국문초록

중국 8대 권역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Spatial Gini Index와 Decomposition Techniques를 통하여-

이 중 화

중국인민대학교 경제학 박사

본 논문은 2002년 WTO 가입으로 인한 중국의 대외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중국 내 지역 간 무역구조의 공간적 패턴과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게다가 ldquo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를 이용하여 8대 권역 간 무역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는 3개 연도 기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 중 유출형 공간집중도는 지속적으로 집중되는 반면에 유입형middot교환형middot기타형은 2002-2007년 기간 모두 감소하였다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유발계수분석 시 각 권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야기되는 중국 국내무역의 연도별 평균유발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요인분해분석 경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국내 총유출에 대하여 역내무역의 변화요인에 과도하게 의존한 반면 2002-2007년 기간 국내교역구조가 크게 개선됨을 나타낸다 게다가 2002-2007년 기간 무역승수는 일부 몇몇 권역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여 WTO 가입 후 중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과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상을 위한 시장환경이 구축되어 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주제어 공간지니계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권역 간 무역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9

Abstract

Spatial concentration and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terIntra trade for the

eight zones in China

-The Analysis based Spatial Gini Index and Decomposition Techniques-

ZHONGHUA LEE

PhD Economics RU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and induced structure of intra and inter‐regional trade among the eight

zones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 of domestic trade structure change after

joing the WTO In this paper the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SensitivityImpact coefficient Trade Multiplier is applied using

the inter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 the year of 1997 2002 and 2007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in the period of 1997‐2007 is diminished to continue indicating outflow

index is more centr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flow∙exchange∙others index is declined

in 2002‐2007 period Second trade induced coefficient where intra trade is set as

exogenous variable it is imply that domestic induced trade effect has consistently

increased Third the decomposition analysis shows that total outflows of each region

depends heavily on factors of change with respect to intra‐regional trade in 1997‐2002

period and the domestic trade structure among eight zones is improved during

2002‐2007 And also Trade multiplier estimate show that except a few zones it is

increased in 2002‐2007 was more efficient with comparison to the past indicating that

domestic markets and Endogenous Comparative Advantage started to enhance

complementary effect after having integrate into World Economic by joing in WTO

Key Words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Trade Multiplier Interregional Trade

Page 2: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국내...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98

가들이 국내적으로 완전하게 통합되었다rdquo는 반사실적 가정에서 출발한 결과라 하였다 이러한

관점들을 통해 국내분업수준의 향상은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상과 규모의 경제를 촉진하기에 국

제무역 중 경쟁력을 높이기에 중국내 지역 간 시장일체화에 대한 연구가 적지 않게 진행된 이

유를 알 수 있다5)

약 13억의 인구와 963만의 국토면적6)을 보유한 중국은 거대시장임에 틀림없다 최근 중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은 향상되고 있는 추세지만 과거 중국은 대내 지향적 발전전략

(inward-looking development strategy 건국시기-1978년)을 실시하여 국내 각 지역별 생산구

조는 자기지역 내 자급 가능한 생산요소에 의존하여 진행되었다 따라서 국내의 분업수준은 패

쇄적인 로컬시장으로 구성되어 상품과 생산요소의 이동이 저해되었으며 국제무역의 발전 역시

쉽지 않았다 비록 1978년 개혁개방 후 대외무역은 큰 발전을 이루었지만 여전히 존재하는 분

할된 국내시장구조의 영향으로 인해 높은 대외무역규모를 보이는 지역은 일부 연해지역에 국한

된 것이 중국 내 지역 간 경제구조의 실황이었다(周怀峰 2007)

하지만 실제 중국 정부는 국내시장의 일체화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통인프라를 지속적으

로 확장해 왔다7) 2012년 발표한 ldquo국내무역 발전 lsquo12middot5rsquo규획 통지8)rdquo는 중국 내 주요 상업기능

구의 지역적인 분포를 고려하여 지역특색의 발전전략 견인효과 농촌의 현대화 그리고 비즈니

스 서비스의 네트워크 일체화를 추진할 것을 담고 있다9) 또한 본문의 분석 중 1997 2002

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17개 산업의 중간재10) 총 유출11)규모는 2002년을 제외한 두 연도

모두에서 수출규모보다 컸으며 연평균 성장률은 전(全)기간에 걸쳐 수출부문 보다 더욱 높은 점

을 고려하면 중국 경제성장에 대한 국내무역의 영향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표 1 참고)

Yang(1996)은 국내 지역 간 교역효율성의 향상이 국내분업수준을 반영하는 국내무역을 촉진

하고 이러한 국내교역의 공간적 범위가 국경을 초월할 때 국가 간의 무역 즉 내생적 비교우위

로 인한 국제무역의 발생근거를 제시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론적 배경과 탐색적 분석을 바탕으로 우선 중국 내 무역류(流)의 공간적

패턴을 살펴보고 국내무역의 경제성장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각 8대 권역의 역내 무역

을 외생변수로 설정하여 권역 간 총유출에 대한 유발효과를 분석한다 게다가 국가 간 무역구조

의 변화가 세계화 무역협정 자유무역지대 등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음과 같이 국가 내 지역간

무역구조에도 영향을 미침으로 2002년을 기준한 전후기간의 요인분석을 통해 국내 권역 간 무

역구조변화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만약 WTO 가입 시기 이후 국내 지역 간 교역구조가 더욱

개선되었다면 중국은 더욱 확대된 세계시장에서 중국 경제성장의 기회를 모색하기 위하여 국내

무역 구조의 효율성이 제고된 것이고 이는 AmiddotSmith와 Yang의 ldquo내생적 비교우위rdquo 향상을 의미

한다12) 분석 중 기본 데이터는 ldquo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13)rdquo이며

5) 盛斌외(2011) 吴三忙외(2010) 등

6) 출처 百度

7) 刘生龙외(2011)은 2008년 중국 지역간 화물회전량 데이터를 통해 교통인프라의 도구변수로 지역

별 정책지수를 구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교통인프라의 향상은 지역 간 일체화를 촉진함을 제

시하였다

8) 国内贸易发展ldquo十二五rdquo规划的通知 20120910

9) 관련된 프로젝트로 상품교역시장 물류기지 수출가공기지 등을 통해 국내 지역 간 교역수준을 더

욱 확대하고자 하였다

10) 만약 교역재의 범위를 최종재 부문까지 포함시킨다면 국내 기타지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3개 연

도 모두에서 수출규모보다 더욱 크다

11) 본 연구 중 용어상의 혼선을 피하기 위해 국내 타 지역에 대한 수출은 유출로 수입을 유입으로

표기하고자 한다

12) 만약 이러한 이론적 배경 하에서 중국이 WTO가입 이후에도 과거와 같이 단절된 로컬시장들로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산업농업 기계공업광업 교통운송설비제조업

식품제조middot담배가공업 전자통신middot전기기기 설비 제조업방직middot의류업 기타 제조업

목제가공middot가구제조업 전력middot온수middot가스middot수돗물 생산middot공급업종이middot인쇄 및 교육용품 제조업 건축업

화학공업 상업middot운수업비금속광물 제품업 기타 서비스업

금속제련 가공 및 제품업

Spatial Gini Index와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이하와 같다 Ⅱ장은 분석방법을 Ⅲ장은 권역 간 유출과 유입을 개관하고

8대 권역의 특징을 다루며 Ⅳ장은 실증분석으로 진행한다 끝으로 Ⅴ장은 연구의 발견과 의의

로 결론을 맺고자 한다

Ⅱ 데이터 및 분석방법

1 8대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

본 분석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는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로 중국 31개 성middot시를 ldquo인접성 자연

조건과 요소부존도 경제발전수준 경제발전의 문제 사회구조 권역규모의 적합성 역사적 요인

행정규획 권역별 정책의 적합성rdquo 등의 성middot시별 유사성을 고려하여 8대 권역에 대한 8개 17개

산업부문의 지역 간 산업연관구조 및 상호관계를 나타낸다(참고 lt표 1gt)14)

lt표 1gt 중국 내 8대 권역분류 및 산업분류

참고 대만과 홍콩은 8대 권역에 포함되지 않음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표

구성되었다면 세계시장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높은 경제성장을 실현하기 어려웠을 것이라 사료된다

13) 1997middot2002middot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

14) 본 연구는 중국 내 권역 간 무역에 대한 분석이 주요 목적이며 전(全)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0

여기서 권역 간 산업연관표는 권역별 각 산업의 중간수요(자기권역+타지역)+최종수요(자기권

역+타지역)의 규모와 타지역에 대한 교역규모 및 구조를 나타내기에 국제무역의 수출 수입과

같은 특성으로 국내 지역 간 유출입의 특징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국의

지역경제 구조와 지역 간 산업의존 및 연관관계에 대한 정량분석이 가능하다15)

분석을 위하여 우선 권역 간 산업연관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무역 매트릭스를 구축해야 하

며 해당 데이터를 이용하여 Spatial Gini Index16)와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분석 등을 진행한

2 분석 방법

1) 무역 매트릭스 구축

이하 식(1)은 산업연관표 중 지역별 전(全)산업의 총 유출규모(우변)를 자기권역과 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로 구분하기에 무역 매트릭스는 지역 간 경제구조가 이러한 연관관계 속에 상호

작용함을 의미한다 식(1) 좌변의 매트릭스 중 대각원소는 자기권역 내 교역수준을 나머지 원

소들은 지역 간 무역규모를 의미한다17) 우변은 자기권역과 타 지역에 대한 총 유출규모를 나

타낸다18)

유입지 총유출

유출지

⋯ ⋯ ⋯⋯ ⋯ ⋯ ⋯ ⋯ ⋯

자기지역 if 타지역 if ne

유출지 의 유입지 에 대한 유출규모

(1)

식(1) 중 지역 의 총 유출규모() 중 지역별 유입()의 비중()은 해당지역이 유출을

통해 얻은 수익 중 유입을 위해 지출해야 하는 금액의 비중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교역계수

( )를 얻을 수 있다 이 교역계수를 식(1)의 좌변에 대입 후 타지역과의 교역부문(비대

각원소)을 우변으로 이항하면 식(2)를 얻을 수 있다 즉 무역 매트릭스 중 교역계수를 이용하여

지역 간 유출구조에 대한 원소를 총유출에 대한 원소로 전환한 후 레온티에프 역행렬

19)을 통해 각 지역의 역내무역을 외생변수로 설정하여 각 지역의 총 유출에 대한 역내

무역의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식 2 참고)20)

15) 중국 ldquo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의 구축방법과 세부적 구조는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

表(p20~38)rdquo 참고

16) 이하 ldquo총 공간지니계수rdquo로 통칭하며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중 화물middot서비스의 교역이 공간상에 집

중 수준을 나타낸다

17) 무역 매트릭스 중 각각의 원소들은 지역 와 지역 간의 교역수준을 나타내는 조합이다

18) lt표 6gt 참고

19) 의 원소 값들을 통하여 권역별 역내무역의 중국 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총 효과와 타 지

역에 대한 파급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20) lt표 9gt 참고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1

ne

ne

ne

ne

ne

(3)

ne

ne

(4)

ne

ne

(5)

ne

ne

(6) ∙ ∙

there4 ∙

(7)

∙ times ∙

times ∙

times

∙ ∙

(8)

Ⅲ∙

ne

ne

(9)

⋯ ⋯ ⋯

⋯ ⋯ ⋯ ⋯ ⋯ ⋯

times times

⋯ ⋯ ⋯⋯ ⋯ ⋯ ⋯ ⋯

⋯ prime

(2)

2) Spatial Gini Index

지니계수21)는 경제구조 중 소득불평등 수준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수이다 Plane외(1997)은

1980년 대 미국 국경 내 인구이동의 공간적 집중도를 분석하기 위해 기존의 지니계수의 측정법

을 응용하여 주(州)간 인구이동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LEE(2010)는 미국 내 화물교역패턴의 공

간적 구조분석을 위해 Plane의 총 공간지니계수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1993middot1997middot2002middot2007년

4개 연도 간 미국 내 주(州)간 CFS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이하 lt표 2gt는 무역류(流)의 공간상

에서 집중과 분산 수준을 측정하는 총 공간지니계수 측정법을 제시한다

lt표 2gt 총 공간지니계수 분석 방법

21) 지니계수는 소득수준이 완전하게 동등함을 의미하는 대각선 이하의 삼각형 면적에 대한 대각선과

로렌츠(Lorenz)곡선 사이 면적의 비중을 통해 소득불평등 수준을 측정한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2

ne

ne

(10) ldquo rdquo ldquo rdquo middot

ne

ne

ldquo rdquo

ne

ldquo rdquo

참고 공간지니계수의 좌측 위 첨자 는 4유형 교역조합을 모두 포함하는 전(全) 교역조합(원소)에 대

한 분석을 의미하며 는 유출지 는 유입지를 우측 위첨자 는 분석 연도로 시간상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게 한다

식(3)은 총 공간지니계수로 식(1)의 무역 매트릭스 중 자기권역 내 교역규모를 나타내는 대각

원소 를 제외한 비대각원소 를 이용하며 지역별 쌍무교역의 모든 조합( )과 경제구조

중 모든 교역조합( )간에 절댓값 차이의 산술평균값을 모든 교역조합의 교역평균에 대한

비율로 공간적 집중도를 분석한다23)

하지만 총 공간지니계수는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가 유출 or 유입 or 교환 or 기타 중 각각

의 요인에 대한 기여도를 알 수 없다 따라서 총 공간지니계수를 4가지 유형의 공간지니계수로

분해하여 특정연도의 ldquo유출형 유입형 교환형 기타형rdquo 공간지니계수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우선 유출형(유입형) 공간지니계수는 교역구조 중 각 지역의 외부 유출(유입) 중 유입지(유출

지) 선택에 대한 상대적인 범위가 공간적으로 집중되었는지를 나타내며 각 행(열)마다 개

유출조합에 대해 계산middot총합한다24) 하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각 지역의 산업구조 인구규모

등은 변화하기 때문에 만약 당기 유출형(유입형) 공간지니계수가 전기보다 크다 할지라도 해당

연도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에 대한 기여도 역시 당기가 전기보다 더욱 높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4유형 공간지니계수의 비중을 통해 해당연도 교역 중 공간적 집중도에 대한 각각의 기

여도(단위)를 분석 및 비교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으로는 여전히 각 지역의 특

징을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lt표 2gt StepⅢ의 유출부문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를 측정하여 지

역별 분석 및 비교가 가능하며 용이한 해석을 위해 유출부문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를

Z-SCORE로 전환한다25)

22) 참고로 8대 권역 간 교역조합의 절댓값 차이에 대한 계산빈도수는 3136번( )이다

23) 식(3)의 분자부분은 각각의 개 교역조합과 개의 기타 교역 간의 절댓값 차이의 총

합을 의미하며 분모부분은 분자의 상middot하 삼각행렬의 중복부분을 상쇄하기 위한 ldquordquo와 산술평균을

위한 ldquo rdquo ldquo모든 조합의 교역평균값rdquo으로 구성된다 만약 무역 매트릭스 중 모든 원소의

값이 동일한 값을 갖는다면 총 공간지니계수의 분자부분의 값은 0의 값으로 공간상에서 균형적인

교역분포를 나타낼 것이지만 실제로 각 지역별 인구규모 등 많은 요인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고려

하면 지역 간 교역규모가 동일할 수는 없다

24) 교환형 공간지니계수는 대각원소를 기준으로 한 양자 간(대각원소)의 교역규모의 절댓값 차이를

분석하며 기타형 공간지니계수는 ldquo유출middot유입middot교환rdquo형 조합들을 제외한 기타 모든 교역조합과 절댓

값 차이를 통해 분석한다

25) lt표 7gt lt그림 1gt 참고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3

분류 공식무역유발분석

중국 지역 간 유발계수

(11) 감응도계수영향력계수

(12)

분류 공식

요인분해분석

일반식

i f 기준연도 i f 비교연도 (13)

요인분해

∆∆ ∆ ∆∆∆∆ (14)

요인역내무역 변화 ∆ (15)교역계수 변화 ∆ (16)

3) 역내무역의 영향과 지역 간 무역유발계수

식(2) 중 의 각 요소를 라 하면 이 각 원소들은 지역 의 역내무역 1단위 변화가

지역 의 유출에 미치는 직middot간접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는 지역 의 역내무역으로 유발되

는 중국 국내무역의 증가를 나타낸다

lt표 3gt 무역유발분석

참고 심승진(2003)

의 행 부분은 타 지역들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야기되는 지역 의 유출에 대한 영향

들이며 열 부분은 지역 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야기되는 타 지역들의 유출에 대한 직middot간접

영향이다 따라서 이러한 영향들의 평균인

과 대비하여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를 지

역별로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만약 감응도 계수가 1보다 큰 값을 갖는다면 다른 지역의 역내무

역의 영향으로 수출증가의 효과가 더욱 높은 지역이므로 ldquo유출형 지역rdquo이라 할 수 있으며 영향

력 계수가 1보다 큰 값을 갖는다면 마찬가지로 타 지역의 수출에 대하여 자기권역 역내무역의

유발효과가 높으므로 ldquo유입형 지역rdquo이라 할 수 있다 감응도middot영향력 계수 모두가 1보다 크다면

상호교역이 활발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4) 요인분해와 무역승수 분석

이상의 무역유발분석은 특정연도의 교역구조에 대한 정태적 분석이다 이러한 정태분석은 시

간변화로 인한 요인영향의 변화를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을 고

려하여 지역 간 무역유발구조를 ldquo역내무역규모의 변화 교역구조변화 교차항rdquo의 요인으로 분해

하여 동태적인 분석을 진행한다(참고 식 14)

lt표 4gt 요인분해 분석방법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4

교차항 변화 ∆∆ (17)

무역승수 ⋯ (20)

(18) (19)

권역 역내무역규모 권역 총유출 권역 총유출의 역내무역에 대한 의존도

참고 심승진(2003) 심승진(2012)

식(14)는 기준연도와 비교연도 간 각 지역 유출증가분을 ldquo역내무역규모의 변화 지역 간 교역

구조의 변화 상호작용의 영향rdquo으로 나타내고 있다26)

지역 간 무역승수분석은 각 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직middot간접 경로를 통해 기타 권역의

유출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다27) 식(18)은 지역별 역내무역의 총산출에 대한 기여도이며 전환

후 를 식(2) 중 에 대입하면 식(19)의 총산출 증가로 인한 지역 간 무역승수를 분석할 수

있다 게다가 식(19) 중 를 통해 각 지역 총산출의 타 지역 총유출에 대한 유발효

과를 얻게 된다28)

Ⅲ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 개관과 공간적 집중도 분석

1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 개관

중국의 1997 2002 2007년 권역 간 산업연관표 중 국제부문 수출규모는 1조 6513억 위안

2조 7828억 위안 8조 1889억 위안으로 1997-2007년 기간 1737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며

1997-2002년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110 2002-2007년 기간은 247로 WTO 가입으로 인

한 세계시장의 확대효과가 명확함을 알 수 있다(표 5 참고)

실제 중국의 1997 2002 2007년 국내 8대 권역 간 전(全)산업 중간재(최종재) 총 유출규모

는 1997년 1조 9702억 위안(5399억 위안)에서 2002년 2조 3126억(9712억 위안) 2007년 9

조 9245억 위안(4조 2970억 위안)으로 증가하였으며 1997-2007년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1755(2305)를 보인다 규모적인 측면에서 중간재(A)의 권역 간 무역규모는 최종재(B)의 경

우보다 더욱 큰 규모를 갖지만 연평균 성장률로 보면 최종재 부문이 더욱 빠른 속도로 증가하

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로써 각 지역별 자체 생산능력의 향상과 산업내무역의 증가를 알 수

있다

26) lt표 8gt 참고

27) 기존 연구 문헌(Oumlzyurt외 2011)은 GDP 성장으로 인한 직middot간접 무역유발효과는 시차가 존재함을

주목하였지만 본 연구대상이 한 국가 내부의 지역 간 무역임을 고려할 때 각 지역 생산 활동증가

가 유발시키는 기타 지역 총 유출입 규모에 대한 영향은 시차성이 비교적 작을 것이라 판단한다

28) 여기서 는 지역 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유발하는 지역의 유출액에 대한 직middot간접 효과를 의

미한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5

ndash

lt표 5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국내유출29)과 국제수출의 규모와 성장률 비교

A국내 유출총액(중간재) B국내 유출총액(최종재) C국내 유출총액(중간재+최종재)

D국내 유출총액(중간재+최종재+재고액) E국제 수출총액

FA-E GB-E HC-E ID-E GR 연평균 성장률()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수출규모와 중간재 유출규모 간의 차이(F)는 2002년을 제외하고 모든 연도에서 국내부문의

중간재 유출규모가 더욱 크다30) 하지만 중간재와 최종재 부문 모두를 고려할 시 모든 기간에

서 유출이 수출보다 더욱 컸으며 2002-2007년 기간 그 격차가 더욱 확대되었다31)

또한 유출규모(C)와 수출규모(E)의 차이(H)는 2002년은 감소하여 5009억 위안에 달했으나

2007년에 들어 6조 326억 위안으로 2002-2007년 기간 국내유출(C)의 연평균 성장률은

3406로 동 기간 수출부문의 2409 보다 더욱 높다 여기서 1997-2002년 기간 국내유출

(C)의 연평균 성장률이 552로 수출의 연평균 성장률 11보다 더욱 낮았던 점 두 기간 국내

유출의 연평균 성장률의 차이가 큼을 재차 고려하면 2002-2007년 기간 중국의 순수출과 국내

지역 간 무역의 발전은 일정수준 연관되고 이는 국내 분업수준의 확대로 내생적 비교우위가 향

상함과 동시에 규모의 경제를 통한 Home Market Effect로 인해 중국의 수출경쟁력이 향상된

것으로 사료된다32) 이상의 분석을 통해 세계시장의 확대와 더불어 국내교역의 규모가 더욱 증

가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무역 매트릭스를 통해 각 권역별 국내 권역 간 유출입 규모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표 6 참고)33)

middot

ldquo rdquo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6

 

     

     

     

lt표 6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변화추세(억 위안 )

참고 A각 권역 총유출의 국내무역 중 비중 B 각 권역 내 유출이 총유출 중 비중 C 각 권역유입의

국내무역 중 비중 D 각 권역 내 유입이 현지 권역 총유입 중 비중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7

연도별 각 권역 총 유출에 대한 역내유출비중의 평균값은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로 2002년 이후 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가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역내 무역규

모가 권역 간 무역규모에 비해 매우 큰 점을 고려하면 기존의 국제무역 상에 Border Effect 혹

은 Home Bias Effect가 국가 간 뿐만 아니라 국내의 지역 시장 간의 교역 중에도 존재한다는

연구결과와 일맥을 이루며 Home Market Effect 역시 예상할 수 있다34)

국내무역 중 가장 높은 유출비중을 차지하는 권역은 연해지역으로 3개 연도 평균비중은

1715에 달하며 이 중 동부연해권역(浙江 江苏 上海)는 2232로 가장 높다35) 하지만

2002-2007년 기간 동부연해권역의 유출비중은 감소하였지만 타 권역의 경우 모두 증가하였다

이 중 타 권역 유출규모의 성장을 보면 서북권역은 523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경진권역

은 456를 나타냈다

권역 간 순유출의 측면에서 동북권역은 2002-2007년 기간 북부연해와 남부연해의 유입이

35배 증가했는데 이러한 유입증가는 동부연해에 대한 유출규모가 1145배 상승하여 일정수준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8대 권역의 타 지역에 대한 유출증가율은 1997-2002년 기간 105

2002-2007년 기간은 419로 증가하였다36)

이상의 무역 매트릭스 분석은 대략적인 권역 간 무역의 규모와 성장률 역내middot외 무역규모의

크기 등을 제시할 뿐 기타 정보에 대한 분석이 쉽지 않다 따라서 이하에서 중국 내 무역구조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분석으로 탐색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2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 집중도 분석

3개 연도별 총 공간지니계수는 1997년 054에서 2002년 048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2007년에는 046 수준으로 권역 간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는 더욱 확대되었다(참고 표 7)

lt표 7gt 1997 2002 2007년 전(全)산업 국내무역의 공간 집중도 분석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34)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1997년 2002년

2007년 (12의 유의수준)로 나타냈으며 모든 기간은 의 상관성을 보였다

35) 이는 동부연해권역이 중국 내 지역 중 산업구조가 비교적 완비된 곳으로 8대 권역 중 생산규모

가 가장 큼을 반영한다

36) 유일하게 북부연해의 타 지역 유출 규모가 ndash8 감소하였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8

1997-2002년 기간 lsquo유출형(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00426(00505)에서 00397(00446)로

모두 감소하였지만 기여도는 831(934)로 증가하였으며 2007년에 들어 유출은 더욱 집중되

고 유입은 확산되어 운송수단의 발전으로 공간적으로 더욱 넓은 범위의 지역에서 재화를 유입

하고 생산 및 가공 후 일부 특정 지역으로 유출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는 lt표 6gt 중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이 매우 큰 규모인 점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연해지역이

선(先)성장으로 중국 내 수요지37)와 대외시장의 창구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반영한다 2002년에

들어 lsquo교환형rsquo 공간지니계수의 기여도는 110로 1997년 대비 약 43 상승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089수준으로 감소한다 즉 양자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가 2002년은 1997년에 비해 더

욱 높아졌지만 2007년에 다시 개선됨을 의미하며 이는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이 2002년

증가하였다가 2007년 감소함을 의미한다 게다가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3개 연도 모두 가장

높은 지수로 총 공간지니계수에 대한 기여도 역시 가장 높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상

술한 바와 같이 이상의 분석은 각 권역별 공간상의 무역패턴을 분석할 수 없기에 Z-SCORE로

lt그림 1gt38)을 제시한다

lt그림 1gt 1997-2007년 기간 중국 권역 간 무역의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 산점도

참조 Y축 유입 X축 유출을 나타냄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lt그림 1gt을 통해 2002-2007년 기간의 산점도가 1997-2002년 기간에 비해 좀 더 45deg 직선

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고려하면 공간상의 무역류가 전(前)기간 보다 더욱 분산된 무역구조 및

양자무역의 균형을 나타낸다 게다가 산점도가 점차 1사분면으로 이동하는 추세는 유출이 더욱

집중됨을 의미한다 이는 lt표 7gt의 2002-2007년 기간 분석결과와 일맥 한다

37) 타권역 유출에 대한 전(全)기간 연해지역의 평균유입비중을 보면 ldquo북부연해middot동부연해rdquo 두 권역의

유입비중이 56를 초과한다

38) 이하 lt그림 1gt은 각 권역의 유출middot유입 부문 공간지니계수를 z-score 전환 값을 이용하여 산점도

를 제시한다 정(+)의 z-score는 지역 간 무역 중 중요한 역할을 함과 동시에 평균 수준 보다 공

간적으로 더욱 집중화되었음을 의미하며 음(-)의 z-score는 지역 간 무역의 범위가 광범위하여 집

중화 수준이 낮음을 의미한다 45deg의 직선으로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쉽게 비교할 수 있으며 유출middot유입 부문 공간지니계수의 z-score 처리과정 중 plusmn1middot표준편차의 크기

보다 크거나 작은 지역은 유입지 혹은 유출지의 선택이 공간상에 더욱 집중(분산)화되었음을 나타

낸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9

 

lt표 8gt1997middot2002middot2007년 권역별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적 집중middot분산유형 분류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lt표 8gt의 권역별 교역패턴을 보면 서북middot동북 권역은 분석기간 lsquo유출과 유입rsquo 부문의 공간적

패턴이 대체로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1gt 중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동북권

역은 기타 권역에 비해 지리적으로 외딴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북권역은 중국의 동middot서 지

역을 연계할 정도로 매우 길게 위치함을 반영하는 것이다

집중된 교역구조의 유출부문으로 1997년 서남권역은 타권역 유출 규모 중 남부연해권역은

약 583억 5천만 위안으로 약 371의 비중을 2002년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의 1355억 6천

만 위안으로 약 606 2007년 동부연해권역의 남부연해middot중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1조 3천

억 위안으로 약 703의 비중 중부권역은 동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9천 104억 위안으

로 약 4095의 비중을 보이며 유입지 선택의 공간적 집중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표 8 참

고)39)

Ⅳ 중국 국내무역 유발구조의 요인분해와 무역승수 분석

1 역내무역의 국내무역과 권역 간 무역유발계수 분석

lt표 9gt은 연도middot지역별 역내무역규모가 중국 국내무역을 어느 정도로 유발하였는지를 나타낸

다 먼저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을 보면 1997년 114 2002년 116 2007년

124로 각 권역별 국내무역의 유발효과가 점차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각 지역의 산업과 경제발

전이 타 지역과 독립된 자급자족형 구조가 점차 상호보완적 구조로 전환됨을 반영하며 2002년

이후 지역 간 상호연관수준은 더욱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97년 상위 3개 국내무역 유발지역은 lsquo남부연해 동부연해 그리고 경진권역rsquo이며 2002년

WTO 가입 후 경진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여 유발계수를 보이고 서북

권역과 북부연해 권역이 뒤를 잊는다 여기서 서북권역의 유발계수가 크게 증가한 이유로는

2001년 1월 서부대개발40) 정책의 영향이며 서남권역의 유발효과는 서북권역에 비해 상당히 낮

은 수준인 이유는 서부대개발 정책의 효과가 서남권역 보다 서북권역에 먼저 시현된 것으로 사

료된다41) 2007년은 서북 중부 경진 권역이 가장 큰 유발효과를 보이며 서남권역의 국내무역

39)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권역 간 유출과 유입의 교역집중화를 파악할 수 있다(유입부문 1997년 동

부연해 중부(35) 2002년 중부동부연해(457) 2007년 경진북부연해(452))

40) 서부대개발 정책의 지리적 범위는 12개 지역을 포함함(四川陕西甘肃青海云南贵州广

西内蒙古宁夏新疆西藏重庆)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0

middot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였다

lt표 9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기간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성장률을 보면 1997-2002년 기간은 경진권역이 207

의 성장률로 가장 높다 이는 WTO 가입과 함께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산업의 발전과 세

계의 많은 외자기업들이 북경과 천진 지역의 투자 증가를 원인으로 들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은 중부권역이 158 성장률을 보여 가장 높은 데 이는 2004년 3월 중부굴기의 정책으로

중국의 동부와 서부지역의 산업발전을 연계하는 지리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앞서 살펴본 각 권역별 역내무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를 타 권역별 무역유발효과로 분류하여

살펴볼 수 있다(표 10 참고)

lt표 10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 간 무역유발효과 변화

41) 서부대개발 정책의 서부지역의 건축업에 큰 발전적 지회를 야기하였으며(唐明龙 2006) 2002년

서북권역 건축업의 RCA지수가 459로 매우 높으나 2007년에 들어 238로 감소하였으며 2002년

서남권역 건축업의 RCA지수는 146으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나 2007년는 400으로 크게 상승함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1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모든 기간에 걸쳐 대체적으로 역내무역의 증가는 자기권역의 총유출 규모를 더욱 유발

하였으나 1997-2002년 기간 ldquo중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은 자기권역의 유출유발효과가 감

소하였다 앞서 살펴본 기간별 국내무역 유발규모의 성장률이 높은 경진권역과 중부권역을 살펴

보면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과 유입의 유발효과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으며 중부권역은 1997년 서북구역의 유출middot유발효과만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middot유입효과가 높았다

타 권역에 대한 유출입 유발효과를 살펴보면 1997년 중부권역이 028로 가장 높았으나 이후

027 수준으로 감소하는 반면 2002년은 동부연해 권역의 025 2007년은 남부연해권역의 033

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부권역은 모든 기간에 걸쳐 가장 일정하게 타 지역의 유출

을 유발시켰으며42) 남부연해권역은 1997년 015의 유출계수가 2007년에 들어 가장 높은 033

까지 상승하여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유출입 계수의 격차를 살펴보면 경진과 서북 권역은 유입주도형 지역이며 동부연해 권역은

유출주도형 지역이다 하지만 각 권역별 총 유출입에 대한 역내무역의 비중은 지역별 산업구조

의 불일치 인구규모의 상이함 등의 요인으로 각 지역의 교역유형별 특성을 살펴볼 수 없다 따

라서 이하에서는 Rasumussen(1958)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를 통해 기간별 각 권역의 교역

유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2 권역 간 유출입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권역 간 상호의존관계 중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역내무역에 의해 받는 영향을 감응도

계수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유출에 주는 영향을 영향력계수라 한다

식(12)를 통하여 각 권역의 감응도 영향력계수를 구하면 lt표 11gt과 같다 우선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가 모두 1보다 큰 교역형 권역은 1997년 동부연해 남부연해 2002년 북부연해

42) 유출유발효과 값의 표준편차가 001로 가장 낮음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2

2007년 북부연해 남부연해 중부로 나타났다 2002년 후 경진권역은 유입형 지역으로 북경과

천진 지역이 타 지역으로부터 많은 재화를 유입할 것이라는 직관과 일치하였다

lt표 11gt 각 구역의 전방관련효과와 후방관련효과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서북권역의 경우 1997년 패쇄형 지역의 특성을 보이다 2002년에 들어 유입형의 특성을 보인

다 이는 서부대개발의 정책 추진 중 부족한 원부자재 및 생산설비를 타 지역으로부터 크게 유

입함을 반영하며 서남권역은 1997 2002년 패쇄형 지역에서 2007년 유입형 지역의 특성을 나

타낸다

3 요인분해분석

우리는 이상의 분석을 통해 각 권역 역내무역의 국내 및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를 분석하

였다 이러한 유발계수에 대하여 식(13)-(16)을 거쳐 요인분해 분석을 진행하면 lt표 12gt의 결

과를 얻을 수 있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3

lt표 12gt 기간별 각 권역 유출증가의 요인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중국 내부의 전체적인 효과를 살펴보면 1997-2002년 기간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

역에 대한 영향이 평균 10374 기여하여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역내

무역의 규모효과로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기

여도 모두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기여도는 약 86로 감소한다43) 즉

세계시장의 확대와 함께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구조의 변화와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상호작용이

모두 효율적으로 개선된 것이다 이는 자기권역 내 무역의 영향 보다 타 지역과의 상호연관 속

에 유발되는 유출의 규모가 더욱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권역별 요인분해 분석결과는 모든 기간에 걸쳐 각 권역의 총 유출은 역내무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지만 2002-2007년에 들어 기여도가 점차 감소하는 데 이는 1997-2002년 기간 교역

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인 지역은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이며 동 기간 이들 지역은

역내무역규모의 변화효과가 기타 교역구조 및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시킬 정도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서북권역은 교역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이지는 않으나 양자 간의 교차효과가

음의 영향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게다가 북부연해권역의 기간별 교역구조의 변화 효과는 ndash

2650에서 5077로 국내 교역구조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lt표 13gt는 각 권역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유발된 총 유출의 변화분에 대한 각 권역의 역

내무역 규모변화를 외생변수로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우선 전체적인 측면에서 동부연해 권

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유발되는 국내무역 유출변화가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중부권역이지만

2002-2007년에 들어 167의 기여도로 전보다 감소하고 북부연해 권역의 기여도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43)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이 2007년에 들어 큰 폭으로 상승하게 한 원인으로 고려

된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4

lt표 13gt 권역 내 무역규모변화요인의 재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5

각 권역별 특징을 살펴보면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자

기권역 역내무역규모 변화로 인한 총 유출에 대한 기여도가 감소하였다 이로써 ldquo북부연해 동

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이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가 효율적이게 변화함과 동시에

역내산업구조의 향상(표 6 참고)으로 인해 역내무역의 기여도가 더욱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4 권역 간 무역승수 분석

무역은 경제성장을 야기하지만 경제성장 역시 무역의 발전을 야기한다는 것이 공론이다 이러

한 관점에서 각 권역별 총산출 1단위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역내middot외 무역의 규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중국 내 지역 간 무역을 새로운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된

lt표 14gt 권역 간 무역승수44)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44) 국내무역승수(행합) 타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특정권역에 유발하는 유출의 무역승수 총

합 국내무역승수(열합) 특정 권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로 타지역에 유발하는 유입의 무역승수

총합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6

분석기간에 걸쳐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서남권역만을 제외하고 모든 권역에서 자기권역에 대

한 무역승수는 감소하고 있으며 2002-2007년 기간 lsquo서북과 서남rsquo 권역은 각각 33와 25로

감소율이 가장 크다 실제로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총산출 수준의 평균 성장률은 58

이며 2002-2007년 기간의 성장률은 크게 확대되어 15943으로 두 기간의 격차가 매우 크다

2002-2007년 기간 자기 지역 내 무역승수의 감소는 각 권역 간 산업구조가 더욱 고도화 되어

자기권역 내 무역만을 통해서는 생산을 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즉 국내무역의 발전과 지역 간

의 관계가 더욱 확대되어 기타 지역에 대한 무역승수효과가 더욱 증가한 것이며 이처럼 높은

총산출의 증가는 더욱 긴밀한 지역 간 산업구조와 무역관계 하에서 비로써 실현가능함을 반영

한다

lt표 14gt 중 국내무역승수의 행합과 열합의 변화를 보면 대부분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총산출

로 야기된 무역승수가 점차 감소한다고 오인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 만약 국내무역승수의 값

중 자기권역 내 무역승수를 소거한 후 무역승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반드시 감소하는 것은 아님

을 알 수 있다(참고 표 15)

lt표 15gt 자기 구역무역승수를 제거한 행합과 열합의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무역승수 변화추세는 일관되지 않지만 2002-2007년 기간 행

합 부문의 수치는 동부연해권역 이외에 기타 권역의 무역승수는 모두 증가하였고 열합 부문 중

경진과 서북권역 이외에 모든 권역의 타 권역에 대한 무역승수는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

다 이로써 WTO 가입 후 국내무역의 일체화 수준이 더욱 향상되었으며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

상을 위한 시장 환경이 구축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본 논문은 중국경제의 높은 성장 중 국내무역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을 대상으로 8대 권역 간 무역구조 분석을 위해 우선 무역 매트릭스를 구축

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

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본문 중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탐색적 접근으로 공간지니계수의 공간집중

도 분석결과는 분석 기간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수준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7

lsquo유출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반면에 lsquo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2007년에 들어

크게 감소하였다 게다가 2002년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은 증가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감소하여 지역 간 무역의 격차가 다소 감소하

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가 유입지 선택의 집중 유출지 선택의

확산 그리고 국내 유출입의 불균형 감소와 모든 교역조합 간의 격차감소로 시장일체화 수준이

점차 향상하는 추세를 의미한다

또한 중국 WTO 가입연도를 기준한 1997-2002년 2002-2007년 전후기간의 분석으로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유발구조를 살펴봄과 동시에 동태적인 요인분해분석을 통하여 국내분업

수준의 효율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내생적 비교우위론에 근거하여 교역구조의 개

선과 무역승수의 분석 역시 시장일체화의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내생적 비교우위 제고가

2002-2007년 기간 518의 중국 순수출 연평균 성장률에 기여함을 예상할 수 있었으며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무역 매트릭스 중 각 권역의 역내무역 비중은 동부연해권역을

제외하고 1997-2007년 기간 감소하였으며 일부 권역은 2002-2007년 기간에 들어 비로써 감

소하였다 하지만 역내무역의 비중이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의 연도

별 평균값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는 것을 보아도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중 Border Effect가 존재

하는 점과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아 Home Market

Effect의 존재를 탐색적으로 예감할 수 있다

또한 1997-2002년 기간 교역구조변화요인이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 ls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

부rsquo 권역은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가 효율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역내무역 규모요인의 재분

해 분석 시 자기권역 내 무역규모의 변화가 총 유출에 대한 영향이 더욱 커짐을 고려하면 역내

성middot시간 경제통합이 권역 외 총유출을 크게 촉진함으로 판단되며 권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 역시 국내무역의 유발효과를 촉진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은 전(全)산업의 권역 간

무역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17개 산업 부문 중 각각의 특성과 기여를 분석할 수 없었으며

현실적인 시사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정책변화 등 정성적인 요인들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는 차후의 연구과제로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심승진 20029 ldquo지역간 무역의 유발구조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심승진 20126 ldquo국제지역간 무역승수 효과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이데 마사히로 ldquo산업연관분석입문ldquo 985172제주대학교985173 2010

이중화 ldquo중국 국내무역의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영향분석-국내무역 순유출지수의 공간계

퍙패널분석을 중심으로ldquo 985172한국동북아경제학회985173 第27卷 第1號 201503

Hewings GJD Schindler GR and PR Israilevich 1998b ldquoInterstate trade among

Midwest economiesrdquo Chicago Fed Letter The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May

1998 no 129

N Ramondo A Rodriacuteguez‐Clare M Saboriacuteo‐Rodriacuteguez 2014 ldquoTrade Domestic

Frictions and Scale Effectsrdquo NBER Working Paper No18532

Poncet S 2003 ldquoMeasuring Chine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grationrdquo China

Economic Review 14(2003)1‐21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8

S Oumlzyurt M Dauma 2011 ldquoTrade openness and regional income spillovers in BrazilA

spatial econometric approachrdquo Papers in Regional Science 2013

Weinhold D 2002 ldquoThe importance of trade and geography in the pattern of spatial

dependence of growth ratesrdquo Review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6 no 3 pp

369‐382

XiaoKai Yang(杨小凯) 1996 ldquoA New Theory of Demand and Supply and Emergence

of International Trade from Dmestic Traderdquo Pacifrc Economic Review 13

国家信息中心 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1997年 200551

国家统计局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ldquo 20118

李善同 侯永志 ldquo中国大陆 划分8大社会经济区域ldquo 985172中国脉搏985173 20035

盛斌 毛其淋 2011 ldquo贸易开放国内市场一体化与中国省际经济增长1985sim2008年ldquo 985172世

界经济985173 (11) 44-66

唐明龙ldquo西部开发战略激活建筑业ldquo985172中国工程建设周刊9851732006年7月13日

吴三忙 李善同 2010 ldquo市场一体化产业地理集聚与地区专业分工演变ldquo 985172产业经济研究985173

06期

周怀峰 ldquo大国国内贸易需求提升产品国际竞争力的机理分析ldquo985172财贸研究98517320074

[i3] httpwwwgovcnzwgk2012-0910content_2220743htm 201551

국문초록

중국 8대 권역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Spatial Gini Index와 Decomposition Techniques를 통하여-

이 중 화

중국인민대학교 경제학 박사

본 논문은 2002년 WTO 가입으로 인한 중국의 대외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중국 내 지역 간 무역구조의 공간적 패턴과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게다가 ldquo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를 이용하여 8대 권역 간 무역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는 3개 연도 기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 중 유출형 공간집중도는 지속적으로 집중되는 반면에 유입형middot교환형middot기타형은 2002-2007년 기간 모두 감소하였다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유발계수분석 시 각 권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야기되는 중국 국내무역의 연도별 평균유발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요인분해분석 경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국내 총유출에 대하여 역내무역의 변화요인에 과도하게 의존한 반면 2002-2007년 기간 국내교역구조가 크게 개선됨을 나타낸다 게다가 2002-2007년 기간 무역승수는 일부 몇몇 권역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여 WTO 가입 후 중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과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상을 위한 시장환경이 구축되어 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주제어 공간지니계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권역 간 무역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9

Abstract

Spatial concentration and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terIntra trade for the

eight zones in China

-The Analysis based Spatial Gini Index and Decomposition Techniques-

ZHONGHUA LEE

PhD Economics RU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and induced structure of intra and inter‐regional trade among the eight

zones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 of domestic trade structure change after

joing the WTO In this paper the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SensitivityImpact coefficient Trade Multiplier is applied using

the inter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 the year of 1997 2002 and 2007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in the period of 1997‐2007 is diminished to continue indicating outflow

index is more centr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flow∙exchange∙others index is declined

in 2002‐2007 period Second trade induced coefficient where intra trade is set as

exogenous variable it is imply that domestic induced trade effect has consistently

increased Third the decomposition analysis shows that total outflows of each region

depends heavily on factors of change with respect to intra‐regional trade in 1997‐2002

period and the domestic trade structure among eight zones is improved during

2002‐2007 And also Trade multiplier estimate show that except a few zones it is

increased in 2002‐2007 was more efficient with comparison to the past indicating that

domestic markets and Endogenous Comparative Advantage started to enhance

complementary effect after having integrate into World Economic by joing in WTO

Key Words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Trade Multiplier Interregional Trade

Page 3: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국내...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산업농업 기계공업광업 교통운송설비제조업

식품제조middot담배가공업 전자통신middot전기기기 설비 제조업방직middot의류업 기타 제조업

목제가공middot가구제조업 전력middot온수middot가스middot수돗물 생산middot공급업종이middot인쇄 및 교육용품 제조업 건축업

화학공업 상업middot운수업비금속광물 제품업 기타 서비스업

금속제련 가공 및 제품업

Spatial Gini Index와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이하와 같다 Ⅱ장은 분석방법을 Ⅲ장은 권역 간 유출과 유입을 개관하고

8대 권역의 특징을 다루며 Ⅳ장은 실증분석으로 진행한다 끝으로 Ⅴ장은 연구의 발견과 의의

로 결론을 맺고자 한다

Ⅱ 데이터 및 분석방법

1 8대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

본 분석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는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로 중국 31개 성middot시를 ldquo인접성 자연

조건과 요소부존도 경제발전수준 경제발전의 문제 사회구조 권역규모의 적합성 역사적 요인

행정규획 권역별 정책의 적합성rdquo 등의 성middot시별 유사성을 고려하여 8대 권역에 대한 8개 17개

산업부문의 지역 간 산업연관구조 및 상호관계를 나타낸다(참고 lt표 1gt)14)

lt표 1gt 중국 내 8대 권역분류 및 산업분류

참고 대만과 홍콩은 8대 권역에 포함되지 않음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표

구성되었다면 세계시장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높은 경제성장을 실현하기 어려웠을 것이라 사료된다

13) 1997middot2002middot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

14) 본 연구는 중국 내 권역 간 무역에 대한 분석이 주요 목적이며 전(全)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0

여기서 권역 간 산업연관표는 권역별 각 산업의 중간수요(자기권역+타지역)+최종수요(자기권

역+타지역)의 규모와 타지역에 대한 교역규모 및 구조를 나타내기에 국제무역의 수출 수입과

같은 특성으로 국내 지역 간 유출입의 특징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국의

지역경제 구조와 지역 간 산업의존 및 연관관계에 대한 정량분석이 가능하다15)

분석을 위하여 우선 권역 간 산업연관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무역 매트릭스를 구축해야 하

며 해당 데이터를 이용하여 Spatial Gini Index16)와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분석 등을 진행한

2 분석 방법

1) 무역 매트릭스 구축

이하 식(1)은 산업연관표 중 지역별 전(全)산업의 총 유출규모(우변)를 자기권역과 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로 구분하기에 무역 매트릭스는 지역 간 경제구조가 이러한 연관관계 속에 상호

작용함을 의미한다 식(1) 좌변의 매트릭스 중 대각원소는 자기권역 내 교역수준을 나머지 원

소들은 지역 간 무역규모를 의미한다17) 우변은 자기권역과 타 지역에 대한 총 유출규모를 나

타낸다18)

유입지 총유출

유출지

⋯ ⋯ ⋯⋯ ⋯ ⋯ ⋯ ⋯ ⋯

자기지역 if 타지역 if ne

유출지 의 유입지 에 대한 유출규모

(1)

식(1) 중 지역 의 총 유출규모() 중 지역별 유입()의 비중()은 해당지역이 유출을

통해 얻은 수익 중 유입을 위해 지출해야 하는 금액의 비중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교역계수

( )를 얻을 수 있다 이 교역계수를 식(1)의 좌변에 대입 후 타지역과의 교역부문(비대

각원소)을 우변으로 이항하면 식(2)를 얻을 수 있다 즉 무역 매트릭스 중 교역계수를 이용하여

지역 간 유출구조에 대한 원소를 총유출에 대한 원소로 전환한 후 레온티에프 역행렬

19)을 통해 각 지역의 역내무역을 외생변수로 설정하여 각 지역의 총 유출에 대한 역내

무역의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식 2 참고)20)

15) 중국 ldquo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의 구축방법과 세부적 구조는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

表(p20~38)rdquo 참고

16) 이하 ldquo총 공간지니계수rdquo로 통칭하며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중 화물middot서비스의 교역이 공간상에 집

중 수준을 나타낸다

17) 무역 매트릭스 중 각각의 원소들은 지역 와 지역 간의 교역수준을 나타내는 조합이다

18) lt표 6gt 참고

19) 의 원소 값들을 통하여 권역별 역내무역의 중국 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총 효과와 타 지

역에 대한 파급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20) lt표 9gt 참고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1

ne

ne

ne

ne

ne

(3)

ne

ne

(4)

ne

ne

(5)

ne

ne

(6) ∙ ∙

there4 ∙

(7)

∙ times ∙

times ∙

times

∙ ∙

(8)

Ⅲ∙

ne

ne

(9)

⋯ ⋯ ⋯

⋯ ⋯ ⋯ ⋯ ⋯ ⋯

times times

⋯ ⋯ ⋯⋯ ⋯ ⋯ ⋯ ⋯

⋯ prime

(2)

2) Spatial Gini Index

지니계수21)는 경제구조 중 소득불평등 수준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수이다 Plane외(1997)은

1980년 대 미국 국경 내 인구이동의 공간적 집중도를 분석하기 위해 기존의 지니계수의 측정법

을 응용하여 주(州)간 인구이동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LEE(2010)는 미국 내 화물교역패턴의 공

간적 구조분석을 위해 Plane의 총 공간지니계수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1993middot1997middot2002middot2007년

4개 연도 간 미국 내 주(州)간 CFS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이하 lt표 2gt는 무역류(流)의 공간상

에서 집중과 분산 수준을 측정하는 총 공간지니계수 측정법을 제시한다

lt표 2gt 총 공간지니계수 분석 방법

21) 지니계수는 소득수준이 완전하게 동등함을 의미하는 대각선 이하의 삼각형 면적에 대한 대각선과

로렌츠(Lorenz)곡선 사이 면적의 비중을 통해 소득불평등 수준을 측정한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2

ne

ne

(10) ldquo rdquo ldquo rdquo middot

ne

ne

ldquo rdquo

ne

ldquo rdquo

참고 공간지니계수의 좌측 위 첨자 는 4유형 교역조합을 모두 포함하는 전(全) 교역조합(원소)에 대

한 분석을 의미하며 는 유출지 는 유입지를 우측 위첨자 는 분석 연도로 시간상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게 한다

식(3)은 총 공간지니계수로 식(1)의 무역 매트릭스 중 자기권역 내 교역규모를 나타내는 대각

원소 를 제외한 비대각원소 를 이용하며 지역별 쌍무교역의 모든 조합( )과 경제구조

중 모든 교역조합( )간에 절댓값 차이의 산술평균값을 모든 교역조합의 교역평균에 대한

비율로 공간적 집중도를 분석한다23)

하지만 총 공간지니계수는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가 유출 or 유입 or 교환 or 기타 중 각각

의 요인에 대한 기여도를 알 수 없다 따라서 총 공간지니계수를 4가지 유형의 공간지니계수로

분해하여 특정연도의 ldquo유출형 유입형 교환형 기타형rdquo 공간지니계수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우선 유출형(유입형) 공간지니계수는 교역구조 중 각 지역의 외부 유출(유입) 중 유입지(유출

지) 선택에 대한 상대적인 범위가 공간적으로 집중되었는지를 나타내며 각 행(열)마다 개

유출조합에 대해 계산middot총합한다24) 하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각 지역의 산업구조 인구규모

등은 변화하기 때문에 만약 당기 유출형(유입형) 공간지니계수가 전기보다 크다 할지라도 해당

연도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에 대한 기여도 역시 당기가 전기보다 더욱 높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4유형 공간지니계수의 비중을 통해 해당연도 교역 중 공간적 집중도에 대한 각각의 기

여도(단위)를 분석 및 비교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으로는 여전히 각 지역의 특

징을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lt표 2gt StepⅢ의 유출부문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를 측정하여 지

역별 분석 및 비교가 가능하며 용이한 해석을 위해 유출부문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를

Z-SCORE로 전환한다25)

22) 참고로 8대 권역 간 교역조합의 절댓값 차이에 대한 계산빈도수는 3136번( )이다

23) 식(3)의 분자부분은 각각의 개 교역조합과 개의 기타 교역 간의 절댓값 차이의 총

합을 의미하며 분모부분은 분자의 상middot하 삼각행렬의 중복부분을 상쇄하기 위한 ldquordquo와 산술평균을

위한 ldquo rdquo ldquo모든 조합의 교역평균값rdquo으로 구성된다 만약 무역 매트릭스 중 모든 원소의

값이 동일한 값을 갖는다면 총 공간지니계수의 분자부분의 값은 0의 값으로 공간상에서 균형적인

교역분포를 나타낼 것이지만 실제로 각 지역별 인구규모 등 많은 요인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고려

하면 지역 간 교역규모가 동일할 수는 없다

24) 교환형 공간지니계수는 대각원소를 기준으로 한 양자 간(대각원소)의 교역규모의 절댓값 차이를

분석하며 기타형 공간지니계수는 ldquo유출middot유입middot교환rdquo형 조합들을 제외한 기타 모든 교역조합과 절댓

값 차이를 통해 분석한다

25) lt표 7gt lt그림 1gt 참고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3

분류 공식무역유발분석

중국 지역 간 유발계수

(11) 감응도계수영향력계수

(12)

분류 공식

요인분해분석

일반식

i f 기준연도 i f 비교연도 (13)

요인분해

∆∆ ∆ ∆∆∆∆ (14)

요인역내무역 변화 ∆ (15)교역계수 변화 ∆ (16)

3) 역내무역의 영향과 지역 간 무역유발계수

식(2) 중 의 각 요소를 라 하면 이 각 원소들은 지역 의 역내무역 1단위 변화가

지역 의 유출에 미치는 직middot간접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는 지역 의 역내무역으로 유발되

는 중국 국내무역의 증가를 나타낸다

lt표 3gt 무역유발분석

참고 심승진(2003)

의 행 부분은 타 지역들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야기되는 지역 의 유출에 대한 영향

들이며 열 부분은 지역 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야기되는 타 지역들의 유출에 대한 직middot간접

영향이다 따라서 이러한 영향들의 평균인

과 대비하여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를 지

역별로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만약 감응도 계수가 1보다 큰 값을 갖는다면 다른 지역의 역내무

역의 영향으로 수출증가의 효과가 더욱 높은 지역이므로 ldquo유출형 지역rdquo이라 할 수 있으며 영향

력 계수가 1보다 큰 값을 갖는다면 마찬가지로 타 지역의 수출에 대하여 자기권역 역내무역의

유발효과가 높으므로 ldquo유입형 지역rdquo이라 할 수 있다 감응도middot영향력 계수 모두가 1보다 크다면

상호교역이 활발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4) 요인분해와 무역승수 분석

이상의 무역유발분석은 특정연도의 교역구조에 대한 정태적 분석이다 이러한 정태분석은 시

간변화로 인한 요인영향의 변화를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을 고

려하여 지역 간 무역유발구조를 ldquo역내무역규모의 변화 교역구조변화 교차항rdquo의 요인으로 분해

하여 동태적인 분석을 진행한다(참고 식 14)

lt표 4gt 요인분해 분석방법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4

교차항 변화 ∆∆ (17)

무역승수 ⋯ (20)

(18) (19)

권역 역내무역규모 권역 총유출 권역 총유출의 역내무역에 대한 의존도

참고 심승진(2003) 심승진(2012)

식(14)는 기준연도와 비교연도 간 각 지역 유출증가분을 ldquo역내무역규모의 변화 지역 간 교역

구조의 변화 상호작용의 영향rdquo으로 나타내고 있다26)

지역 간 무역승수분석은 각 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직middot간접 경로를 통해 기타 권역의

유출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다27) 식(18)은 지역별 역내무역의 총산출에 대한 기여도이며 전환

후 를 식(2) 중 에 대입하면 식(19)의 총산출 증가로 인한 지역 간 무역승수를 분석할 수

있다 게다가 식(19) 중 를 통해 각 지역 총산출의 타 지역 총유출에 대한 유발효

과를 얻게 된다28)

Ⅲ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 개관과 공간적 집중도 분석

1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 개관

중국의 1997 2002 2007년 권역 간 산업연관표 중 국제부문 수출규모는 1조 6513억 위안

2조 7828억 위안 8조 1889억 위안으로 1997-2007년 기간 1737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며

1997-2002년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110 2002-2007년 기간은 247로 WTO 가입으로 인

한 세계시장의 확대효과가 명확함을 알 수 있다(표 5 참고)

실제 중국의 1997 2002 2007년 국내 8대 권역 간 전(全)산업 중간재(최종재) 총 유출규모

는 1997년 1조 9702억 위안(5399억 위안)에서 2002년 2조 3126억(9712억 위안) 2007년 9

조 9245억 위안(4조 2970억 위안)으로 증가하였으며 1997-2007년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1755(2305)를 보인다 규모적인 측면에서 중간재(A)의 권역 간 무역규모는 최종재(B)의 경

우보다 더욱 큰 규모를 갖지만 연평균 성장률로 보면 최종재 부문이 더욱 빠른 속도로 증가하

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로써 각 지역별 자체 생산능력의 향상과 산업내무역의 증가를 알 수

있다

26) lt표 8gt 참고

27) 기존 연구 문헌(Oumlzyurt외 2011)은 GDP 성장으로 인한 직middot간접 무역유발효과는 시차가 존재함을

주목하였지만 본 연구대상이 한 국가 내부의 지역 간 무역임을 고려할 때 각 지역 생산 활동증가

가 유발시키는 기타 지역 총 유출입 규모에 대한 영향은 시차성이 비교적 작을 것이라 판단한다

28) 여기서 는 지역 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유발하는 지역의 유출액에 대한 직middot간접 효과를 의

미한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5

ndash

lt표 5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국내유출29)과 국제수출의 규모와 성장률 비교

A국내 유출총액(중간재) B국내 유출총액(최종재) C국내 유출총액(중간재+최종재)

D국내 유출총액(중간재+최종재+재고액) E국제 수출총액

FA-E GB-E HC-E ID-E GR 연평균 성장률()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수출규모와 중간재 유출규모 간의 차이(F)는 2002년을 제외하고 모든 연도에서 국내부문의

중간재 유출규모가 더욱 크다30) 하지만 중간재와 최종재 부문 모두를 고려할 시 모든 기간에

서 유출이 수출보다 더욱 컸으며 2002-2007년 기간 그 격차가 더욱 확대되었다31)

또한 유출규모(C)와 수출규모(E)의 차이(H)는 2002년은 감소하여 5009억 위안에 달했으나

2007년에 들어 6조 326억 위안으로 2002-2007년 기간 국내유출(C)의 연평균 성장률은

3406로 동 기간 수출부문의 2409 보다 더욱 높다 여기서 1997-2002년 기간 국내유출

(C)의 연평균 성장률이 552로 수출의 연평균 성장률 11보다 더욱 낮았던 점 두 기간 국내

유출의 연평균 성장률의 차이가 큼을 재차 고려하면 2002-2007년 기간 중국의 순수출과 국내

지역 간 무역의 발전은 일정수준 연관되고 이는 국내 분업수준의 확대로 내생적 비교우위가 향

상함과 동시에 규모의 경제를 통한 Home Market Effect로 인해 중국의 수출경쟁력이 향상된

것으로 사료된다32) 이상의 분석을 통해 세계시장의 확대와 더불어 국내교역의 규모가 더욱 증

가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무역 매트릭스를 통해 각 권역별 국내 권역 간 유출입 규모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표 6 참고)33)

middot

ldquo rdquo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6

 

     

     

     

lt표 6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변화추세(억 위안 )

참고 A각 권역 총유출의 국내무역 중 비중 B 각 권역 내 유출이 총유출 중 비중 C 각 권역유입의

국내무역 중 비중 D 각 권역 내 유입이 현지 권역 총유입 중 비중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7

연도별 각 권역 총 유출에 대한 역내유출비중의 평균값은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로 2002년 이후 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가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역내 무역규

모가 권역 간 무역규모에 비해 매우 큰 점을 고려하면 기존의 국제무역 상에 Border Effect 혹

은 Home Bias Effect가 국가 간 뿐만 아니라 국내의 지역 시장 간의 교역 중에도 존재한다는

연구결과와 일맥을 이루며 Home Market Effect 역시 예상할 수 있다34)

국내무역 중 가장 높은 유출비중을 차지하는 권역은 연해지역으로 3개 연도 평균비중은

1715에 달하며 이 중 동부연해권역(浙江 江苏 上海)는 2232로 가장 높다35) 하지만

2002-2007년 기간 동부연해권역의 유출비중은 감소하였지만 타 권역의 경우 모두 증가하였다

이 중 타 권역 유출규모의 성장을 보면 서북권역은 523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경진권역

은 456를 나타냈다

권역 간 순유출의 측면에서 동북권역은 2002-2007년 기간 북부연해와 남부연해의 유입이

35배 증가했는데 이러한 유입증가는 동부연해에 대한 유출규모가 1145배 상승하여 일정수준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8대 권역의 타 지역에 대한 유출증가율은 1997-2002년 기간 105

2002-2007년 기간은 419로 증가하였다36)

이상의 무역 매트릭스 분석은 대략적인 권역 간 무역의 규모와 성장률 역내middot외 무역규모의

크기 등을 제시할 뿐 기타 정보에 대한 분석이 쉽지 않다 따라서 이하에서 중국 내 무역구조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분석으로 탐색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2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 집중도 분석

3개 연도별 총 공간지니계수는 1997년 054에서 2002년 048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2007년에는 046 수준으로 권역 간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는 더욱 확대되었다(참고 표 7)

lt표 7gt 1997 2002 2007년 전(全)산업 국내무역의 공간 집중도 분석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34)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1997년 2002년

2007년 (12의 유의수준)로 나타냈으며 모든 기간은 의 상관성을 보였다

35) 이는 동부연해권역이 중국 내 지역 중 산업구조가 비교적 완비된 곳으로 8대 권역 중 생산규모

가 가장 큼을 반영한다

36) 유일하게 북부연해의 타 지역 유출 규모가 ndash8 감소하였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8

1997-2002년 기간 lsquo유출형(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00426(00505)에서 00397(00446)로

모두 감소하였지만 기여도는 831(934)로 증가하였으며 2007년에 들어 유출은 더욱 집중되

고 유입은 확산되어 운송수단의 발전으로 공간적으로 더욱 넓은 범위의 지역에서 재화를 유입

하고 생산 및 가공 후 일부 특정 지역으로 유출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는 lt표 6gt 중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이 매우 큰 규모인 점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연해지역이

선(先)성장으로 중국 내 수요지37)와 대외시장의 창구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반영한다 2002년에

들어 lsquo교환형rsquo 공간지니계수의 기여도는 110로 1997년 대비 약 43 상승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089수준으로 감소한다 즉 양자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가 2002년은 1997년에 비해 더

욱 높아졌지만 2007년에 다시 개선됨을 의미하며 이는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이 2002년

증가하였다가 2007년 감소함을 의미한다 게다가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3개 연도 모두 가장

높은 지수로 총 공간지니계수에 대한 기여도 역시 가장 높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상

술한 바와 같이 이상의 분석은 각 권역별 공간상의 무역패턴을 분석할 수 없기에 Z-SCORE로

lt그림 1gt38)을 제시한다

lt그림 1gt 1997-2007년 기간 중국 권역 간 무역의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 산점도

참조 Y축 유입 X축 유출을 나타냄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lt그림 1gt을 통해 2002-2007년 기간의 산점도가 1997-2002년 기간에 비해 좀 더 45deg 직선

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고려하면 공간상의 무역류가 전(前)기간 보다 더욱 분산된 무역구조 및

양자무역의 균형을 나타낸다 게다가 산점도가 점차 1사분면으로 이동하는 추세는 유출이 더욱

집중됨을 의미한다 이는 lt표 7gt의 2002-2007년 기간 분석결과와 일맥 한다

37) 타권역 유출에 대한 전(全)기간 연해지역의 평균유입비중을 보면 ldquo북부연해middot동부연해rdquo 두 권역의

유입비중이 56를 초과한다

38) 이하 lt그림 1gt은 각 권역의 유출middot유입 부문 공간지니계수를 z-score 전환 값을 이용하여 산점도

를 제시한다 정(+)의 z-score는 지역 간 무역 중 중요한 역할을 함과 동시에 평균 수준 보다 공

간적으로 더욱 집중화되었음을 의미하며 음(-)의 z-score는 지역 간 무역의 범위가 광범위하여 집

중화 수준이 낮음을 의미한다 45deg의 직선으로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쉽게 비교할 수 있으며 유출middot유입 부문 공간지니계수의 z-score 처리과정 중 plusmn1middot표준편차의 크기

보다 크거나 작은 지역은 유입지 혹은 유출지의 선택이 공간상에 더욱 집중(분산)화되었음을 나타

낸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9

 

lt표 8gt1997middot2002middot2007년 권역별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적 집중middot분산유형 분류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lt표 8gt의 권역별 교역패턴을 보면 서북middot동북 권역은 분석기간 lsquo유출과 유입rsquo 부문의 공간적

패턴이 대체로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1gt 중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동북권

역은 기타 권역에 비해 지리적으로 외딴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북권역은 중국의 동middot서 지

역을 연계할 정도로 매우 길게 위치함을 반영하는 것이다

집중된 교역구조의 유출부문으로 1997년 서남권역은 타권역 유출 규모 중 남부연해권역은

약 583억 5천만 위안으로 약 371의 비중을 2002년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의 1355억 6천

만 위안으로 약 606 2007년 동부연해권역의 남부연해middot중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1조 3천

억 위안으로 약 703의 비중 중부권역은 동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9천 104억 위안으

로 약 4095의 비중을 보이며 유입지 선택의 공간적 집중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표 8 참

고)39)

Ⅳ 중국 국내무역 유발구조의 요인분해와 무역승수 분석

1 역내무역의 국내무역과 권역 간 무역유발계수 분석

lt표 9gt은 연도middot지역별 역내무역규모가 중국 국내무역을 어느 정도로 유발하였는지를 나타낸

다 먼저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을 보면 1997년 114 2002년 116 2007년

124로 각 권역별 국내무역의 유발효과가 점차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각 지역의 산업과 경제발

전이 타 지역과 독립된 자급자족형 구조가 점차 상호보완적 구조로 전환됨을 반영하며 2002년

이후 지역 간 상호연관수준은 더욱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97년 상위 3개 국내무역 유발지역은 lsquo남부연해 동부연해 그리고 경진권역rsquo이며 2002년

WTO 가입 후 경진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여 유발계수를 보이고 서북

권역과 북부연해 권역이 뒤를 잊는다 여기서 서북권역의 유발계수가 크게 증가한 이유로는

2001년 1월 서부대개발40) 정책의 영향이며 서남권역의 유발효과는 서북권역에 비해 상당히 낮

은 수준인 이유는 서부대개발 정책의 효과가 서남권역 보다 서북권역에 먼저 시현된 것으로 사

료된다41) 2007년은 서북 중부 경진 권역이 가장 큰 유발효과를 보이며 서남권역의 국내무역

39)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권역 간 유출과 유입의 교역집중화를 파악할 수 있다(유입부문 1997년 동

부연해 중부(35) 2002년 중부동부연해(457) 2007년 경진북부연해(452))

40) 서부대개발 정책의 지리적 범위는 12개 지역을 포함함(四川陕西甘肃青海云南贵州广

西内蒙古宁夏新疆西藏重庆)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0

middot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였다

lt표 9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기간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성장률을 보면 1997-2002년 기간은 경진권역이 207

의 성장률로 가장 높다 이는 WTO 가입과 함께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산업의 발전과 세

계의 많은 외자기업들이 북경과 천진 지역의 투자 증가를 원인으로 들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은 중부권역이 158 성장률을 보여 가장 높은 데 이는 2004년 3월 중부굴기의 정책으로

중국의 동부와 서부지역의 산업발전을 연계하는 지리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앞서 살펴본 각 권역별 역내무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를 타 권역별 무역유발효과로 분류하여

살펴볼 수 있다(표 10 참고)

lt표 10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 간 무역유발효과 변화

41) 서부대개발 정책의 서부지역의 건축업에 큰 발전적 지회를 야기하였으며(唐明龙 2006) 2002년

서북권역 건축업의 RCA지수가 459로 매우 높으나 2007년에 들어 238로 감소하였으며 2002년

서남권역 건축업의 RCA지수는 146으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나 2007년는 400으로 크게 상승함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1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모든 기간에 걸쳐 대체적으로 역내무역의 증가는 자기권역의 총유출 규모를 더욱 유발

하였으나 1997-2002년 기간 ldquo중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은 자기권역의 유출유발효과가 감

소하였다 앞서 살펴본 기간별 국내무역 유발규모의 성장률이 높은 경진권역과 중부권역을 살펴

보면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과 유입의 유발효과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으며 중부권역은 1997년 서북구역의 유출middot유발효과만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middot유입효과가 높았다

타 권역에 대한 유출입 유발효과를 살펴보면 1997년 중부권역이 028로 가장 높았으나 이후

027 수준으로 감소하는 반면 2002년은 동부연해 권역의 025 2007년은 남부연해권역의 033

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부권역은 모든 기간에 걸쳐 가장 일정하게 타 지역의 유출

을 유발시켰으며42) 남부연해권역은 1997년 015의 유출계수가 2007년에 들어 가장 높은 033

까지 상승하여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유출입 계수의 격차를 살펴보면 경진과 서북 권역은 유입주도형 지역이며 동부연해 권역은

유출주도형 지역이다 하지만 각 권역별 총 유출입에 대한 역내무역의 비중은 지역별 산업구조

의 불일치 인구규모의 상이함 등의 요인으로 각 지역의 교역유형별 특성을 살펴볼 수 없다 따

라서 이하에서는 Rasumussen(1958)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를 통해 기간별 각 권역의 교역

유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2 권역 간 유출입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권역 간 상호의존관계 중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역내무역에 의해 받는 영향을 감응도

계수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유출에 주는 영향을 영향력계수라 한다

식(12)를 통하여 각 권역의 감응도 영향력계수를 구하면 lt표 11gt과 같다 우선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가 모두 1보다 큰 교역형 권역은 1997년 동부연해 남부연해 2002년 북부연해

42) 유출유발효과 값의 표준편차가 001로 가장 낮음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2

2007년 북부연해 남부연해 중부로 나타났다 2002년 후 경진권역은 유입형 지역으로 북경과

천진 지역이 타 지역으로부터 많은 재화를 유입할 것이라는 직관과 일치하였다

lt표 11gt 각 구역의 전방관련효과와 후방관련효과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서북권역의 경우 1997년 패쇄형 지역의 특성을 보이다 2002년에 들어 유입형의 특성을 보인

다 이는 서부대개발의 정책 추진 중 부족한 원부자재 및 생산설비를 타 지역으로부터 크게 유

입함을 반영하며 서남권역은 1997 2002년 패쇄형 지역에서 2007년 유입형 지역의 특성을 나

타낸다

3 요인분해분석

우리는 이상의 분석을 통해 각 권역 역내무역의 국내 및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를 분석하

였다 이러한 유발계수에 대하여 식(13)-(16)을 거쳐 요인분해 분석을 진행하면 lt표 12gt의 결

과를 얻을 수 있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3

lt표 12gt 기간별 각 권역 유출증가의 요인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중국 내부의 전체적인 효과를 살펴보면 1997-2002년 기간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

역에 대한 영향이 평균 10374 기여하여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역내

무역의 규모효과로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기

여도 모두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기여도는 약 86로 감소한다43) 즉

세계시장의 확대와 함께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구조의 변화와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상호작용이

모두 효율적으로 개선된 것이다 이는 자기권역 내 무역의 영향 보다 타 지역과의 상호연관 속

에 유발되는 유출의 규모가 더욱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권역별 요인분해 분석결과는 모든 기간에 걸쳐 각 권역의 총 유출은 역내무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지만 2002-2007년에 들어 기여도가 점차 감소하는 데 이는 1997-2002년 기간 교역

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인 지역은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이며 동 기간 이들 지역은

역내무역규모의 변화효과가 기타 교역구조 및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시킬 정도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서북권역은 교역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이지는 않으나 양자 간의 교차효과가

음의 영향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게다가 북부연해권역의 기간별 교역구조의 변화 효과는 ndash

2650에서 5077로 국내 교역구조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lt표 13gt는 각 권역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유발된 총 유출의 변화분에 대한 각 권역의 역

내무역 규모변화를 외생변수로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우선 전체적인 측면에서 동부연해 권

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유발되는 국내무역 유출변화가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중부권역이지만

2002-2007년에 들어 167의 기여도로 전보다 감소하고 북부연해 권역의 기여도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43)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이 2007년에 들어 큰 폭으로 상승하게 한 원인으로 고려

된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4

lt표 13gt 권역 내 무역규모변화요인의 재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5

각 권역별 특징을 살펴보면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자

기권역 역내무역규모 변화로 인한 총 유출에 대한 기여도가 감소하였다 이로써 ldquo북부연해 동

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이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가 효율적이게 변화함과 동시에

역내산업구조의 향상(표 6 참고)으로 인해 역내무역의 기여도가 더욱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4 권역 간 무역승수 분석

무역은 경제성장을 야기하지만 경제성장 역시 무역의 발전을 야기한다는 것이 공론이다 이러

한 관점에서 각 권역별 총산출 1단위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역내middot외 무역의 규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중국 내 지역 간 무역을 새로운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된

lt표 14gt 권역 간 무역승수44)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44) 국내무역승수(행합) 타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특정권역에 유발하는 유출의 무역승수 총

합 국내무역승수(열합) 특정 권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로 타지역에 유발하는 유입의 무역승수

총합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6

분석기간에 걸쳐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서남권역만을 제외하고 모든 권역에서 자기권역에 대

한 무역승수는 감소하고 있으며 2002-2007년 기간 lsquo서북과 서남rsquo 권역은 각각 33와 25로

감소율이 가장 크다 실제로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총산출 수준의 평균 성장률은 58

이며 2002-2007년 기간의 성장률은 크게 확대되어 15943으로 두 기간의 격차가 매우 크다

2002-2007년 기간 자기 지역 내 무역승수의 감소는 각 권역 간 산업구조가 더욱 고도화 되어

자기권역 내 무역만을 통해서는 생산을 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즉 국내무역의 발전과 지역 간

의 관계가 더욱 확대되어 기타 지역에 대한 무역승수효과가 더욱 증가한 것이며 이처럼 높은

총산출의 증가는 더욱 긴밀한 지역 간 산업구조와 무역관계 하에서 비로써 실현가능함을 반영

한다

lt표 14gt 중 국내무역승수의 행합과 열합의 변화를 보면 대부분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총산출

로 야기된 무역승수가 점차 감소한다고 오인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 만약 국내무역승수의 값

중 자기권역 내 무역승수를 소거한 후 무역승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반드시 감소하는 것은 아님

을 알 수 있다(참고 표 15)

lt표 15gt 자기 구역무역승수를 제거한 행합과 열합의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무역승수 변화추세는 일관되지 않지만 2002-2007년 기간 행

합 부문의 수치는 동부연해권역 이외에 기타 권역의 무역승수는 모두 증가하였고 열합 부문 중

경진과 서북권역 이외에 모든 권역의 타 권역에 대한 무역승수는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

다 이로써 WTO 가입 후 국내무역의 일체화 수준이 더욱 향상되었으며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

상을 위한 시장 환경이 구축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본 논문은 중국경제의 높은 성장 중 국내무역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을 대상으로 8대 권역 간 무역구조 분석을 위해 우선 무역 매트릭스를 구축

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

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본문 중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탐색적 접근으로 공간지니계수의 공간집중

도 분석결과는 분석 기간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수준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7

lsquo유출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반면에 lsquo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2007년에 들어

크게 감소하였다 게다가 2002년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은 증가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감소하여 지역 간 무역의 격차가 다소 감소하

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가 유입지 선택의 집중 유출지 선택의

확산 그리고 국내 유출입의 불균형 감소와 모든 교역조합 간의 격차감소로 시장일체화 수준이

점차 향상하는 추세를 의미한다

또한 중국 WTO 가입연도를 기준한 1997-2002년 2002-2007년 전후기간의 분석으로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유발구조를 살펴봄과 동시에 동태적인 요인분해분석을 통하여 국내분업

수준의 효율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내생적 비교우위론에 근거하여 교역구조의 개

선과 무역승수의 분석 역시 시장일체화의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내생적 비교우위 제고가

2002-2007년 기간 518의 중국 순수출 연평균 성장률에 기여함을 예상할 수 있었으며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무역 매트릭스 중 각 권역의 역내무역 비중은 동부연해권역을

제외하고 1997-2007년 기간 감소하였으며 일부 권역은 2002-2007년 기간에 들어 비로써 감

소하였다 하지만 역내무역의 비중이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의 연도

별 평균값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는 것을 보아도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중 Border Effect가 존재

하는 점과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아 Home Market

Effect의 존재를 탐색적으로 예감할 수 있다

또한 1997-2002년 기간 교역구조변화요인이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 ls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

부rsquo 권역은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가 효율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역내무역 규모요인의 재분

해 분석 시 자기권역 내 무역규모의 변화가 총 유출에 대한 영향이 더욱 커짐을 고려하면 역내

성middot시간 경제통합이 권역 외 총유출을 크게 촉진함으로 판단되며 권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 역시 국내무역의 유발효과를 촉진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은 전(全)산업의 권역 간

무역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17개 산업 부문 중 각각의 특성과 기여를 분석할 수 없었으며

현실적인 시사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정책변화 등 정성적인 요인들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는 차후의 연구과제로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심승진 20029 ldquo지역간 무역의 유발구조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심승진 20126 ldquo국제지역간 무역승수 효과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이데 마사히로 ldquo산업연관분석입문ldquo 985172제주대학교985173 2010

이중화 ldquo중국 국내무역의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영향분석-국내무역 순유출지수의 공간계

퍙패널분석을 중심으로ldquo 985172한국동북아경제학회985173 第27卷 第1號 201503

Hewings GJD Schindler GR and PR Israilevich 1998b ldquoInterstate trade among

Midwest economiesrdquo Chicago Fed Letter The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May

1998 no 129

N Ramondo A Rodriacuteguez‐Clare M Saboriacuteo‐Rodriacuteguez 2014 ldquoTrade Domestic

Frictions and Scale Effectsrdquo NBER Working Paper No18532

Poncet S 2003 ldquoMeasuring Chine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grationrdquo China

Economic Review 14(2003)1‐21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8

S Oumlzyurt M Dauma 2011 ldquoTrade openness and regional income spillovers in BrazilA

spatial econometric approachrdquo Papers in Regional Science 2013

Weinhold D 2002 ldquoThe importance of trade and geography in the pattern of spatial

dependence of growth ratesrdquo Review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6 no 3 pp

369‐382

XiaoKai Yang(杨小凯) 1996 ldquoA New Theory of Demand and Supply and Emergence

of International Trade from Dmestic Traderdquo Pacifrc Economic Review 13

国家信息中心 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1997年 200551

国家统计局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ldquo 20118

李善同 侯永志 ldquo中国大陆 划分8大社会经济区域ldquo 985172中国脉搏985173 20035

盛斌 毛其淋 2011 ldquo贸易开放国内市场一体化与中国省际经济增长1985sim2008年ldquo 985172世

界经济985173 (11) 44-66

唐明龙ldquo西部开发战略激活建筑业ldquo985172中国工程建设周刊9851732006年7月13日

吴三忙 李善同 2010 ldquo市场一体化产业地理集聚与地区专业分工演变ldquo 985172产业经济研究985173

06期

周怀峰 ldquo大国国内贸易需求提升产品国际竞争力的机理分析ldquo985172财贸研究98517320074

[i3] httpwwwgovcnzwgk2012-0910content_2220743htm 201551

국문초록

중국 8대 권역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Spatial Gini Index와 Decomposition Techniques를 통하여-

이 중 화

중국인민대학교 경제학 박사

본 논문은 2002년 WTO 가입으로 인한 중국의 대외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중국 내 지역 간 무역구조의 공간적 패턴과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게다가 ldquo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를 이용하여 8대 권역 간 무역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는 3개 연도 기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 중 유출형 공간집중도는 지속적으로 집중되는 반면에 유입형middot교환형middot기타형은 2002-2007년 기간 모두 감소하였다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유발계수분석 시 각 권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야기되는 중국 국내무역의 연도별 평균유발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요인분해분석 경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국내 총유출에 대하여 역내무역의 변화요인에 과도하게 의존한 반면 2002-2007년 기간 국내교역구조가 크게 개선됨을 나타낸다 게다가 2002-2007년 기간 무역승수는 일부 몇몇 권역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여 WTO 가입 후 중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과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상을 위한 시장환경이 구축되어 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주제어 공간지니계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권역 간 무역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9

Abstract

Spatial concentration and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terIntra trade for the

eight zones in China

-The Analysis based Spatial Gini Index and Decomposition Techniques-

ZHONGHUA LEE

PhD Economics RU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and induced structure of intra and inter‐regional trade among the eight

zones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 of domestic trade structure change after

joing the WTO In this paper the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SensitivityImpact coefficient Trade Multiplier is applied using

the inter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 the year of 1997 2002 and 2007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in the period of 1997‐2007 is diminished to continue indicating outflow

index is more centr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flow∙exchange∙others index is declined

in 2002‐2007 period Second trade induced coefficient where intra trade is set as

exogenous variable it is imply that domestic induced trade effect has consistently

increased Third the decomposition analysis shows that total outflows of each region

depends heavily on factors of change with respect to intra‐regional trade in 1997‐2002

period and the domestic trade structure among eight zones is improved during

2002‐2007 And also Trade multiplier estimate show that except a few zones it is

increased in 2002‐2007 was more efficient with comparison to the past indicating that

domestic markets and Endogenous Comparative Advantage started to enhance

complementary effect after having integrate into World Economic by joing in WTO

Key Words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Trade Multiplier Interregional Trade

Page 4: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국내...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0

여기서 권역 간 산업연관표는 권역별 각 산업의 중간수요(자기권역+타지역)+최종수요(자기권

역+타지역)의 규모와 타지역에 대한 교역규모 및 구조를 나타내기에 국제무역의 수출 수입과

같은 특성으로 국내 지역 간 유출입의 특징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국의

지역경제 구조와 지역 간 산업의존 및 연관관계에 대한 정량분석이 가능하다15)

분석을 위하여 우선 권역 간 산업연관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무역 매트릭스를 구축해야 하

며 해당 데이터를 이용하여 Spatial Gini Index16)와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분석 등을 진행한

2 분석 방법

1) 무역 매트릭스 구축

이하 식(1)은 산업연관표 중 지역별 전(全)산업의 총 유출규모(우변)를 자기권역과 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로 구분하기에 무역 매트릭스는 지역 간 경제구조가 이러한 연관관계 속에 상호

작용함을 의미한다 식(1) 좌변의 매트릭스 중 대각원소는 자기권역 내 교역수준을 나머지 원

소들은 지역 간 무역규모를 의미한다17) 우변은 자기권역과 타 지역에 대한 총 유출규모를 나

타낸다18)

유입지 총유출

유출지

⋯ ⋯ ⋯⋯ ⋯ ⋯ ⋯ ⋯ ⋯

자기지역 if 타지역 if ne

유출지 의 유입지 에 대한 유출규모

(1)

식(1) 중 지역 의 총 유출규모() 중 지역별 유입()의 비중()은 해당지역이 유출을

통해 얻은 수익 중 유입을 위해 지출해야 하는 금액의 비중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교역계수

( )를 얻을 수 있다 이 교역계수를 식(1)의 좌변에 대입 후 타지역과의 교역부문(비대

각원소)을 우변으로 이항하면 식(2)를 얻을 수 있다 즉 무역 매트릭스 중 교역계수를 이용하여

지역 간 유출구조에 대한 원소를 총유출에 대한 원소로 전환한 후 레온티에프 역행렬

19)을 통해 각 지역의 역내무역을 외생변수로 설정하여 각 지역의 총 유출에 대한 역내

무역의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식 2 참고)20)

15) 중국 ldquo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의 구축방법과 세부적 구조는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

表(p20~38)rdquo 참고

16) 이하 ldquo총 공간지니계수rdquo로 통칭하며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중 화물middot서비스의 교역이 공간상에 집

중 수준을 나타낸다

17) 무역 매트릭스 중 각각의 원소들은 지역 와 지역 간의 교역수준을 나타내는 조합이다

18) lt표 6gt 참고

19) 의 원소 값들을 통하여 권역별 역내무역의 중국 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총 효과와 타 지

역에 대한 파급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20) lt표 9gt 참고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1

ne

ne

ne

ne

ne

(3)

ne

ne

(4)

ne

ne

(5)

ne

ne

(6) ∙ ∙

there4 ∙

(7)

∙ times ∙

times ∙

times

∙ ∙

(8)

Ⅲ∙

ne

ne

(9)

⋯ ⋯ ⋯

⋯ ⋯ ⋯ ⋯ ⋯ ⋯

times times

⋯ ⋯ ⋯⋯ ⋯ ⋯ ⋯ ⋯

⋯ prime

(2)

2) Spatial Gini Index

지니계수21)는 경제구조 중 소득불평등 수준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수이다 Plane외(1997)은

1980년 대 미국 국경 내 인구이동의 공간적 집중도를 분석하기 위해 기존의 지니계수의 측정법

을 응용하여 주(州)간 인구이동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LEE(2010)는 미국 내 화물교역패턴의 공

간적 구조분석을 위해 Plane의 총 공간지니계수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1993middot1997middot2002middot2007년

4개 연도 간 미국 내 주(州)간 CFS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이하 lt표 2gt는 무역류(流)의 공간상

에서 집중과 분산 수준을 측정하는 총 공간지니계수 측정법을 제시한다

lt표 2gt 총 공간지니계수 분석 방법

21) 지니계수는 소득수준이 완전하게 동등함을 의미하는 대각선 이하의 삼각형 면적에 대한 대각선과

로렌츠(Lorenz)곡선 사이 면적의 비중을 통해 소득불평등 수준을 측정한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2

ne

ne

(10) ldquo rdquo ldquo rdquo middot

ne

ne

ldquo rdquo

ne

ldquo rdquo

참고 공간지니계수의 좌측 위 첨자 는 4유형 교역조합을 모두 포함하는 전(全) 교역조합(원소)에 대

한 분석을 의미하며 는 유출지 는 유입지를 우측 위첨자 는 분석 연도로 시간상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게 한다

식(3)은 총 공간지니계수로 식(1)의 무역 매트릭스 중 자기권역 내 교역규모를 나타내는 대각

원소 를 제외한 비대각원소 를 이용하며 지역별 쌍무교역의 모든 조합( )과 경제구조

중 모든 교역조합( )간에 절댓값 차이의 산술평균값을 모든 교역조합의 교역평균에 대한

비율로 공간적 집중도를 분석한다23)

하지만 총 공간지니계수는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가 유출 or 유입 or 교환 or 기타 중 각각

의 요인에 대한 기여도를 알 수 없다 따라서 총 공간지니계수를 4가지 유형의 공간지니계수로

분해하여 특정연도의 ldquo유출형 유입형 교환형 기타형rdquo 공간지니계수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우선 유출형(유입형) 공간지니계수는 교역구조 중 각 지역의 외부 유출(유입) 중 유입지(유출

지) 선택에 대한 상대적인 범위가 공간적으로 집중되었는지를 나타내며 각 행(열)마다 개

유출조합에 대해 계산middot총합한다24) 하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각 지역의 산업구조 인구규모

등은 변화하기 때문에 만약 당기 유출형(유입형) 공간지니계수가 전기보다 크다 할지라도 해당

연도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에 대한 기여도 역시 당기가 전기보다 더욱 높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4유형 공간지니계수의 비중을 통해 해당연도 교역 중 공간적 집중도에 대한 각각의 기

여도(단위)를 분석 및 비교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으로는 여전히 각 지역의 특

징을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lt표 2gt StepⅢ의 유출부문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를 측정하여 지

역별 분석 및 비교가 가능하며 용이한 해석을 위해 유출부문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를

Z-SCORE로 전환한다25)

22) 참고로 8대 권역 간 교역조합의 절댓값 차이에 대한 계산빈도수는 3136번( )이다

23) 식(3)의 분자부분은 각각의 개 교역조합과 개의 기타 교역 간의 절댓값 차이의 총

합을 의미하며 분모부분은 분자의 상middot하 삼각행렬의 중복부분을 상쇄하기 위한 ldquordquo와 산술평균을

위한 ldquo rdquo ldquo모든 조합의 교역평균값rdquo으로 구성된다 만약 무역 매트릭스 중 모든 원소의

값이 동일한 값을 갖는다면 총 공간지니계수의 분자부분의 값은 0의 값으로 공간상에서 균형적인

교역분포를 나타낼 것이지만 실제로 각 지역별 인구규모 등 많은 요인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고려

하면 지역 간 교역규모가 동일할 수는 없다

24) 교환형 공간지니계수는 대각원소를 기준으로 한 양자 간(대각원소)의 교역규모의 절댓값 차이를

분석하며 기타형 공간지니계수는 ldquo유출middot유입middot교환rdquo형 조합들을 제외한 기타 모든 교역조합과 절댓

값 차이를 통해 분석한다

25) lt표 7gt lt그림 1gt 참고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3

분류 공식무역유발분석

중국 지역 간 유발계수

(11) 감응도계수영향력계수

(12)

분류 공식

요인분해분석

일반식

i f 기준연도 i f 비교연도 (13)

요인분해

∆∆ ∆ ∆∆∆∆ (14)

요인역내무역 변화 ∆ (15)교역계수 변화 ∆ (16)

3) 역내무역의 영향과 지역 간 무역유발계수

식(2) 중 의 각 요소를 라 하면 이 각 원소들은 지역 의 역내무역 1단위 변화가

지역 의 유출에 미치는 직middot간접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는 지역 의 역내무역으로 유발되

는 중국 국내무역의 증가를 나타낸다

lt표 3gt 무역유발분석

참고 심승진(2003)

의 행 부분은 타 지역들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야기되는 지역 의 유출에 대한 영향

들이며 열 부분은 지역 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야기되는 타 지역들의 유출에 대한 직middot간접

영향이다 따라서 이러한 영향들의 평균인

과 대비하여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를 지

역별로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만약 감응도 계수가 1보다 큰 값을 갖는다면 다른 지역의 역내무

역의 영향으로 수출증가의 효과가 더욱 높은 지역이므로 ldquo유출형 지역rdquo이라 할 수 있으며 영향

력 계수가 1보다 큰 값을 갖는다면 마찬가지로 타 지역의 수출에 대하여 자기권역 역내무역의

유발효과가 높으므로 ldquo유입형 지역rdquo이라 할 수 있다 감응도middot영향력 계수 모두가 1보다 크다면

상호교역이 활발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4) 요인분해와 무역승수 분석

이상의 무역유발분석은 특정연도의 교역구조에 대한 정태적 분석이다 이러한 정태분석은 시

간변화로 인한 요인영향의 변화를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을 고

려하여 지역 간 무역유발구조를 ldquo역내무역규모의 변화 교역구조변화 교차항rdquo의 요인으로 분해

하여 동태적인 분석을 진행한다(참고 식 14)

lt표 4gt 요인분해 분석방법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4

교차항 변화 ∆∆ (17)

무역승수 ⋯ (20)

(18) (19)

권역 역내무역규모 권역 총유출 권역 총유출의 역내무역에 대한 의존도

참고 심승진(2003) 심승진(2012)

식(14)는 기준연도와 비교연도 간 각 지역 유출증가분을 ldquo역내무역규모의 변화 지역 간 교역

구조의 변화 상호작용의 영향rdquo으로 나타내고 있다26)

지역 간 무역승수분석은 각 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직middot간접 경로를 통해 기타 권역의

유출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다27) 식(18)은 지역별 역내무역의 총산출에 대한 기여도이며 전환

후 를 식(2) 중 에 대입하면 식(19)의 총산출 증가로 인한 지역 간 무역승수를 분석할 수

있다 게다가 식(19) 중 를 통해 각 지역 총산출의 타 지역 총유출에 대한 유발효

과를 얻게 된다28)

Ⅲ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 개관과 공간적 집중도 분석

1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 개관

중국의 1997 2002 2007년 권역 간 산업연관표 중 국제부문 수출규모는 1조 6513억 위안

2조 7828억 위안 8조 1889억 위안으로 1997-2007년 기간 1737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며

1997-2002년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110 2002-2007년 기간은 247로 WTO 가입으로 인

한 세계시장의 확대효과가 명확함을 알 수 있다(표 5 참고)

실제 중국의 1997 2002 2007년 국내 8대 권역 간 전(全)산업 중간재(최종재) 총 유출규모

는 1997년 1조 9702억 위안(5399억 위안)에서 2002년 2조 3126억(9712억 위안) 2007년 9

조 9245억 위안(4조 2970억 위안)으로 증가하였으며 1997-2007년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1755(2305)를 보인다 규모적인 측면에서 중간재(A)의 권역 간 무역규모는 최종재(B)의 경

우보다 더욱 큰 규모를 갖지만 연평균 성장률로 보면 최종재 부문이 더욱 빠른 속도로 증가하

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로써 각 지역별 자체 생산능력의 향상과 산업내무역의 증가를 알 수

있다

26) lt표 8gt 참고

27) 기존 연구 문헌(Oumlzyurt외 2011)은 GDP 성장으로 인한 직middot간접 무역유발효과는 시차가 존재함을

주목하였지만 본 연구대상이 한 국가 내부의 지역 간 무역임을 고려할 때 각 지역 생산 활동증가

가 유발시키는 기타 지역 총 유출입 규모에 대한 영향은 시차성이 비교적 작을 것이라 판단한다

28) 여기서 는 지역 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유발하는 지역의 유출액에 대한 직middot간접 효과를 의

미한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5

ndash

lt표 5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국내유출29)과 국제수출의 규모와 성장률 비교

A국내 유출총액(중간재) B국내 유출총액(최종재) C국내 유출총액(중간재+최종재)

D국내 유출총액(중간재+최종재+재고액) E국제 수출총액

FA-E GB-E HC-E ID-E GR 연평균 성장률()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수출규모와 중간재 유출규모 간의 차이(F)는 2002년을 제외하고 모든 연도에서 국내부문의

중간재 유출규모가 더욱 크다30) 하지만 중간재와 최종재 부문 모두를 고려할 시 모든 기간에

서 유출이 수출보다 더욱 컸으며 2002-2007년 기간 그 격차가 더욱 확대되었다31)

또한 유출규모(C)와 수출규모(E)의 차이(H)는 2002년은 감소하여 5009억 위안에 달했으나

2007년에 들어 6조 326억 위안으로 2002-2007년 기간 국내유출(C)의 연평균 성장률은

3406로 동 기간 수출부문의 2409 보다 더욱 높다 여기서 1997-2002년 기간 국내유출

(C)의 연평균 성장률이 552로 수출의 연평균 성장률 11보다 더욱 낮았던 점 두 기간 국내

유출의 연평균 성장률의 차이가 큼을 재차 고려하면 2002-2007년 기간 중국의 순수출과 국내

지역 간 무역의 발전은 일정수준 연관되고 이는 국내 분업수준의 확대로 내생적 비교우위가 향

상함과 동시에 규모의 경제를 통한 Home Market Effect로 인해 중국의 수출경쟁력이 향상된

것으로 사료된다32) 이상의 분석을 통해 세계시장의 확대와 더불어 국내교역의 규모가 더욱 증

가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무역 매트릭스를 통해 각 권역별 국내 권역 간 유출입 규모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표 6 참고)33)

middot

ldquo rdquo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6

 

     

     

     

lt표 6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변화추세(억 위안 )

참고 A각 권역 총유출의 국내무역 중 비중 B 각 권역 내 유출이 총유출 중 비중 C 각 권역유입의

국내무역 중 비중 D 각 권역 내 유입이 현지 권역 총유입 중 비중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7

연도별 각 권역 총 유출에 대한 역내유출비중의 평균값은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로 2002년 이후 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가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역내 무역규

모가 권역 간 무역규모에 비해 매우 큰 점을 고려하면 기존의 국제무역 상에 Border Effect 혹

은 Home Bias Effect가 국가 간 뿐만 아니라 국내의 지역 시장 간의 교역 중에도 존재한다는

연구결과와 일맥을 이루며 Home Market Effect 역시 예상할 수 있다34)

국내무역 중 가장 높은 유출비중을 차지하는 권역은 연해지역으로 3개 연도 평균비중은

1715에 달하며 이 중 동부연해권역(浙江 江苏 上海)는 2232로 가장 높다35) 하지만

2002-2007년 기간 동부연해권역의 유출비중은 감소하였지만 타 권역의 경우 모두 증가하였다

이 중 타 권역 유출규모의 성장을 보면 서북권역은 523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경진권역

은 456를 나타냈다

권역 간 순유출의 측면에서 동북권역은 2002-2007년 기간 북부연해와 남부연해의 유입이

35배 증가했는데 이러한 유입증가는 동부연해에 대한 유출규모가 1145배 상승하여 일정수준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8대 권역의 타 지역에 대한 유출증가율은 1997-2002년 기간 105

2002-2007년 기간은 419로 증가하였다36)

이상의 무역 매트릭스 분석은 대략적인 권역 간 무역의 규모와 성장률 역내middot외 무역규모의

크기 등을 제시할 뿐 기타 정보에 대한 분석이 쉽지 않다 따라서 이하에서 중국 내 무역구조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분석으로 탐색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2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 집중도 분석

3개 연도별 총 공간지니계수는 1997년 054에서 2002년 048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2007년에는 046 수준으로 권역 간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는 더욱 확대되었다(참고 표 7)

lt표 7gt 1997 2002 2007년 전(全)산업 국내무역의 공간 집중도 분석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34)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1997년 2002년

2007년 (12의 유의수준)로 나타냈으며 모든 기간은 의 상관성을 보였다

35) 이는 동부연해권역이 중국 내 지역 중 산업구조가 비교적 완비된 곳으로 8대 권역 중 생산규모

가 가장 큼을 반영한다

36) 유일하게 북부연해의 타 지역 유출 규모가 ndash8 감소하였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8

1997-2002년 기간 lsquo유출형(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00426(00505)에서 00397(00446)로

모두 감소하였지만 기여도는 831(934)로 증가하였으며 2007년에 들어 유출은 더욱 집중되

고 유입은 확산되어 운송수단의 발전으로 공간적으로 더욱 넓은 범위의 지역에서 재화를 유입

하고 생산 및 가공 후 일부 특정 지역으로 유출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는 lt표 6gt 중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이 매우 큰 규모인 점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연해지역이

선(先)성장으로 중국 내 수요지37)와 대외시장의 창구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반영한다 2002년에

들어 lsquo교환형rsquo 공간지니계수의 기여도는 110로 1997년 대비 약 43 상승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089수준으로 감소한다 즉 양자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가 2002년은 1997년에 비해 더

욱 높아졌지만 2007년에 다시 개선됨을 의미하며 이는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이 2002년

증가하였다가 2007년 감소함을 의미한다 게다가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3개 연도 모두 가장

높은 지수로 총 공간지니계수에 대한 기여도 역시 가장 높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상

술한 바와 같이 이상의 분석은 각 권역별 공간상의 무역패턴을 분석할 수 없기에 Z-SCORE로

lt그림 1gt38)을 제시한다

lt그림 1gt 1997-2007년 기간 중국 권역 간 무역의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 산점도

참조 Y축 유입 X축 유출을 나타냄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lt그림 1gt을 통해 2002-2007년 기간의 산점도가 1997-2002년 기간에 비해 좀 더 45deg 직선

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고려하면 공간상의 무역류가 전(前)기간 보다 더욱 분산된 무역구조 및

양자무역의 균형을 나타낸다 게다가 산점도가 점차 1사분면으로 이동하는 추세는 유출이 더욱

집중됨을 의미한다 이는 lt표 7gt의 2002-2007년 기간 분석결과와 일맥 한다

37) 타권역 유출에 대한 전(全)기간 연해지역의 평균유입비중을 보면 ldquo북부연해middot동부연해rdquo 두 권역의

유입비중이 56를 초과한다

38) 이하 lt그림 1gt은 각 권역의 유출middot유입 부문 공간지니계수를 z-score 전환 값을 이용하여 산점도

를 제시한다 정(+)의 z-score는 지역 간 무역 중 중요한 역할을 함과 동시에 평균 수준 보다 공

간적으로 더욱 집중화되었음을 의미하며 음(-)의 z-score는 지역 간 무역의 범위가 광범위하여 집

중화 수준이 낮음을 의미한다 45deg의 직선으로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쉽게 비교할 수 있으며 유출middot유입 부문 공간지니계수의 z-score 처리과정 중 plusmn1middot표준편차의 크기

보다 크거나 작은 지역은 유입지 혹은 유출지의 선택이 공간상에 더욱 집중(분산)화되었음을 나타

낸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9

 

lt표 8gt1997middot2002middot2007년 권역별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적 집중middot분산유형 분류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lt표 8gt의 권역별 교역패턴을 보면 서북middot동북 권역은 분석기간 lsquo유출과 유입rsquo 부문의 공간적

패턴이 대체로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1gt 중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동북권

역은 기타 권역에 비해 지리적으로 외딴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북권역은 중국의 동middot서 지

역을 연계할 정도로 매우 길게 위치함을 반영하는 것이다

집중된 교역구조의 유출부문으로 1997년 서남권역은 타권역 유출 규모 중 남부연해권역은

약 583억 5천만 위안으로 약 371의 비중을 2002년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의 1355억 6천

만 위안으로 약 606 2007년 동부연해권역의 남부연해middot중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1조 3천

억 위안으로 약 703의 비중 중부권역은 동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9천 104억 위안으

로 약 4095의 비중을 보이며 유입지 선택의 공간적 집중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표 8 참

고)39)

Ⅳ 중국 국내무역 유발구조의 요인분해와 무역승수 분석

1 역내무역의 국내무역과 권역 간 무역유발계수 분석

lt표 9gt은 연도middot지역별 역내무역규모가 중국 국내무역을 어느 정도로 유발하였는지를 나타낸

다 먼저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을 보면 1997년 114 2002년 116 2007년

124로 각 권역별 국내무역의 유발효과가 점차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각 지역의 산업과 경제발

전이 타 지역과 독립된 자급자족형 구조가 점차 상호보완적 구조로 전환됨을 반영하며 2002년

이후 지역 간 상호연관수준은 더욱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97년 상위 3개 국내무역 유발지역은 lsquo남부연해 동부연해 그리고 경진권역rsquo이며 2002년

WTO 가입 후 경진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여 유발계수를 보이고 서북

권역과 북부연해 권역이 뒤를 잊는다 여기서 서북권역의 유발계수가 크게 증가한 이유로는

2001년 1월 서부대개발40) 정책의 영향이며 서남권역의 유발효과는 서북권역에 비해 상당히 낮

은 수준인 이유는 서부대개발 정책의 효과가 서남권역 보다 서북권역에 먼저 시현된 것으로 사

료된다41) 2007년은 서북 중부 경진 권역이 가장 큰 유발효과를 보이며 서남권역의 국내무역

39)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권역 간 유출과 유입의 교역집중화를 파악할 수 있다(유입부문 1997년 동

부연해 중부(35) 2002년 중부동부연해(457) 2007년 경진북부연해(452))

40) 서부대개발 정책의 지리적 범위는 12개 지역을 포함함(四川陕西甘肃青海云南贵州广

西内蒙古宁夏新疆西藏重庆)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0

middot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였다

lt표 9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기간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성장률을 보면 1997-2002년 기간은 경진권역이 207

의 성장률로 가장 높다 이는 WTO 가입과 함께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산업의 발전과 세

계의 많은 외자기업들이 북경과 천진 지역의 투자 증가를 원인으로 들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은 중부권역이 158 성장률을 보여 가장 높은 데 이는 2004년 3월 중부굴기의 정책으로

중국의 동부와 서부지역의 산업발전을 연계하는 지리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앞서 살펴본 각 권역별 역내무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를 타 권역별 무역유발효과로 분류하여

살펴볼 수 있다(표 10 참고)

lt표 10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 간 무역유발효과 변화

41) 서부대개발 정책의 서부지역의 건축업에 큰 발전적 지회를 야기하였으며(唐明龙 2006) 2002년

서북권역 건축업의 RCA지수가 459로 매우 높으나 2007년에 들어 238로 감소하였으며 2002년

서남권역 건축업의 RCA지수는 146으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나 2007년는 400으로 크게 상승함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1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모든 기간에 걸쳐 대체적으로 역내무역의 증가는 자기권역의 총유출 규모를 더욱 유발

하였으나 1997-2002년 기간 ldquo중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은 자기권역의 유출유발효과가 감

소하였다 앞서 살펴본 기간별 국내무역 유발규모의 성장률이 높은 경진권역과 중부권역을 살펴

보면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과 유입의 유발효과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으며 중부권역은 1997년 서북구역의 유출middot유발효과만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middot유입효과가 높았다

타 권역에 대한 유출입 유발효과를 살펴보면 1997년 중부권역이 028로 가장 높았으나 이후

027 수준으로 감소하는 반면 2002년은 동부연해 권역의 025 2007년은 남부연해권역의 033

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부권역은 모든 기간에 걸쳐 가장 일정하게 타 지역의 유출

을 유발시켰으며42) 남부연해권역은 1997년 015의 유출계수가 2007년에 들어 가장 높은 033

까지 상승하여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유출입 계수의 격차를 살펴보면 경진과 서북 권역은 유입주도형 지역이며 동부연해 권역은

유출주도형 지역이다 하지만 각 권역별 총 유출입에 대한 역내무역의 비중은 지역별 산업구조

의 불일치 인구규모의 상이함 등의 요인으로 각 지역의 교역유형별 특성을 살펴볼 수 없다 따

라서 이하에서는 Rasumussen(1958)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를 통해 기간별 각 권역의 교역

유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2 권역 간 유출입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권역 간 상호의존관계 중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역내무역에 의해 받는 영향을 감응도

계수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유출에 주는 영향을 영향력계수라 한다

식(12)를 통하여 각 권역의 감응도 영향력계수를 구하면 lt표 11gt과 같다 우선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가 모두 1보다 큰 교역형 권역은 1997년 동부연해 남부연해 2002년 북부연해

42) 유출유발효과 값의 표준편차가 001로 가장 낮음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2

2007년 북부연해 남부연해 중부로 나타났다 2002년 후 경진권역은 유입형 지역으로 북경과

천진 지역이 타 지역으로부터 많은 재화를 유입할 것이라는 직관과 일치하였다

lt표 11gt 각 구역의 전방관련효과와 후방관련효과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서북권역의 경우 1997년 패쇄형 지역의 특성을 보이다 2002년에 들어 유입형의 특성을 보인

다 이는 서부대개발의 정책 추진 중 부족한 원부자재 및 생산설비를 타 지역으로부터 크게 유

입함을 반영하며 서남권역은 1997 2002년 패쇄형 지역에서 2007년 유입형 지역의 특성을 나

타낸다

3 요인분해분석

우리는 이상의 분석을 통해 각 권역 역내무역의 국내 및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를 분석하

였다 이러한 유발계수에 대하여 식(13)-(16)을 거쳐 요인분해 분석을 진행하면 lt표 12gt의 결

과를 얻을 수 있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3

lt표 12gt 기간별 각 권역 유출증가의 요인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중국 내부의 전체적인 효과를 살펴보면 1997-2002년 기간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

역에 대한 영향이 평균 10374 기여하여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역내

무역의 규모효과로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기

여도 모두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기여도는 약 86로 감소한다43) 즉

세계시장의 확대와 함께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구조의 변화와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상호작용이

모두 효율적으로 개선된 것이다 이는 자기권역 내 무역의 영향 보다 타 지역과의 상호연관 속

에 유발되는 유출의 규모가 더욱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권역별 요인분해 분석결과는 모든 기간에 걸쳐 각 권역의 총 유출은 역내무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지만 2002-2007년에 들어 기여도가 점차 감소하는 데 이는 1997-2002년 기간 교역

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인 지역은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이며 동 기간 이들 지역은

역내무역규모의 변화효과가 기타 교역구조 및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시킬 정도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서북권역은 교역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이지는 않으나 양자 간의 교차효과가

음의 영향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게다가 북부연해권역의 기간별 교역구조의 변화 효과는 ndash

2650에서 5077로 국내 교역구조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lt표 13gt는 각 권역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유발된 총 유출의 변화분에 대한 각 권역의 역

내무역 규모변화를 외생변수로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우선 전체적인 측면에서 동부연해 권

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유발되는 국내무역 유출변화가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중부권역이지만

2002-2007년에 들어 167의 기여도로 전보다 감소하고 북부연해 권역의 기여도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43)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이 2007년에 들어 큰 폭으로 상승하게 한 원인으로 고려

된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4

lt표 13gt 권역 내 무역규모변화요인의 재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5

각 권역별 특징을 살펴보면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자

기권역 역내무역규모 변화로 인한 총 유출에 대한 기여도가 감소하였다 이로써 ldquo북부연해 동

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이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가 효율적이게 변화함과 동시에

역내산업구조의 향상(표 6 참고)으로 인해 역내무역의 기여도가 더욱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4 권역 간 무역승수 분석

무역은 경제성장을 야기하지만 경제성장 역시 무역의 발전을 야기한다는 것이 공론이다 이러

한 관점에서 각 권역별 총산출 1단위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역내middot외 무역의 규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중국 내 지역 간 무역을 새로운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된

lt표 14gt 권역 간 무역승수44)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44) 국내무역승수(행합) 타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특정권역에 유발하는 유출의 무역승수 총

합 국내무역승수(열합) 특정 권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로 타지역에 유발하는 유입의 무역승수

총합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6

분석기간에 걸쳐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서남권역만을 제외하고 모든 권역에서 자기권역에 대

한 무역승수는 감소하고 있으며 2002-2007년 기간 lsquo서북과 서남rsquo 권역은 각각 33와 25로

감소율이 가장 크다 실제로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총산출 수준의 평균 성장률은 58

이며 2002-2007년 기간의 성장률은 크게 확대되어 15943으로 두 기간의 격차가 매우 크다

2002-2007년 기간 자기 지역 내 무역승수의 감소는 각 권역 간 산업구조가 더욱 고도화 되어

자기권역 내 무역만을 통해서는 생산을 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즉 국내무역의 발전과 지역 간

의 관계가 더욱 확대되어 기타 지역에 대한 무역승수효과가 더욱 증가한 것이며 이처럼 높은

총산출의 증가는 더욱 긴밀한 지역 간 산업구조와 무역관계 하에서 비로써 실현가능함을 반영

한다

lt표 14gt 중 국내무역승수의 행합과 열합의 변화를 보면 대부분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총산출

로 야기된 무역승수가 점차 감소한다고 오인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 만약 국내무역승수의 값

중 자기권역 내 무역승수를 소거한 후 무역승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반드시 감소하는 것은 아님

을 알 수 있다(참고 표 15)

lt표 15gt 자기 구역무역승수를 제거한 행합과 열합의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무역승수 변화추세는 일관되지 않지만 2002-2007년 기간 행

합 부문의 수치는 동부연해권역 이외에 기타 권역의 무역승수는 모두 증가하였고 열합 부문 중

경진과 서북권역 이외에 모든 권역의 타 권역에 대한 무역승수는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

다 이로써 WTO 가입 후 국내무역의 일체화 수준이 더욱 향상되었으며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

상을 위한 시장 환경이 구축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본 논문은 중국경제의 높은 성장 중 국내무역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을 대상으로 8대 권역 간 무역구조 분석을 위해 우선 무역 매트릭스를 구축

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

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본문 중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탐색적 접근으로 공간지니계수의 공간집중

도 분석결과는 분석 기간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수준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7

lsquo유출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반면에 lsquo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2007년에 들어

크게 감소하였다 게다가 2002년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은 증가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감소하여 지역 간 무역의 격차가 다소 감소하

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가 유입지 선택의 집중 유출지 선택의

확산 그리고 국내 유출입의 불균형 감소와 모든 교역조합 간의 격차감소로 시장일체화 수준이

점차 향상하는 추세를 의미한다

또한 중국 WTO 가입연도를 기준한 1997-2002년 2002-2007년 전후기간의 분석으로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유발구조를 살펴봄과 동시에 동태적인 요인분해분석을 통하여 국내분업

수준의 효율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내생적 비교우위론에 근거하여 교역구조의 개

선과 무역승수의 분석 역시 시장일체화의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내생적 비교우위 제고가

2002-2007년 기간 518의 중국 순수출 연평균 성장률에 기여함을 예상할 수 있었으며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무역 매트릭스 중 각 권역의 역내무역 비중은 동부연해권역을

제외하고 1997-2007년 기간 감소하였으며 일부 권역은 2002-2007년 기간에 들어 비로써 감

소하였다 하지만 역내무역의 비중이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의 연도

별 평균값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는 것을 보아도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중 Border Effect가 존재

하는 점과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아 Home Market

Effect의 존재를 탐색적으로 예감할 수 있다

또한 1997-2002년 기간 교역구조변화요인이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 ls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

부rsquo 권역은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가 효율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역내무역 규모요인의 재분

해 분석 시 자기권역 내 무역규모의 변화가 총 유출에 대한 영향이 더욱 커짐을 고려하면 역내

성middot시간 경제통합이 권역 외 총유출을 크게 촉진함으로 판단되며 권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 역시 국내무역의 유발효과를 촉진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은 전(全)산업의 권역 간

무역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17개 산업 부문 중 각각의 특성과 기여를 분석할 수 없었으며

현실적인 시사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정책변화 등 정성적인 요인들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는 차후의 연구과제로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심승진 20029 ldquo지역간 무역의 유발구조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심승진 20126 ldquo국제지역간 무역승수 효과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이데 마사히로 ldquo산업연관분석입문ldquo 985172제주대학교985173 2010

이중화 ldquo중국 국내무역의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영향분석-국내무역 순유출지수의 공간계

퍙패널분석을 중심으로ldquo 985172한국동북아경제학회985173 第27卷 第1號 201503

Hewings GJD Schindler GR and PR Israilevich 1998b ldquoInterstate trade among

Midwest economiesrdquo Chicago Fed Letter The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May

1998 no 129

N Ramondo A Rodriacuteguez‐Clare M Saboriacuteo‐Rodriacuteguez 2014 ldquoTrade Domestic

Frictions and Scale Effectsrdquo NBER Working Paper No18532

Poncet S 2003 ldquoMeasuring Chine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grationrdquo China

Economic Review 14(2003)1‐21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8

S Oumlzyurt M Dauma 2011 ldquoTrade openness and regional income spillovers in BrazilA

spatial econometric approachrdquo Papers in Regional Science 2013

Weinhold D 2002 ldquoThe importance of trade and geography in the pattern of spatial

dependence of growth ratesrdquo Review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6 no 3 pp

369‐382

XiaoKai Yang(杨小凯) 1996 ldquoA New Theory of Demand and Supply and Emergence

of International Trade from Dmestic Traderdquo Pacifrc Economic Review 13

国家信息中心 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1997年 200551

国家统计局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ldquo 20118

李善同 侯永志 ldquo中国大陆 划分8大社会经济区域ldquo 985172中国脉搏985173 20035

盛斌 毛其淋 2011 ldquo贸易开放国内市场一体化与中国省际经济增长1985sim2008年ldquo 985172世

界经济985173 (11) 44-66

唐明龙ldquo西部开发战略激活建筑业ldquo985172中国工程建设周刊9851732006年7月13日

吴三忙 李善同 2010 ldquo市场一体化产业地理集聚与地区专业分工演变ldquo 985172产业经济研究985173

06期

周怀峰 ldquo大国国内贸易需求提升产品国际竞争力的机理分析ldquo985172财贸研究98517320074

[i3] httpwwwgovcnzwgk2012-0910content_2220743htm 201551

국문초록

중국 8대 권역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Spatial Gini Index와 Decomposition Techniques를 통하여-

이 중 화

중국인민대학교 경제학 박사

본 논문은 2002년 WTO 가입으로 인한 중국의 대외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중국 내 지역 간 무역구조의 공간적 패턴과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게다가 ldquo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를 이용하여 8대 권역 간 무역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는 3개 연도 기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 중 유출형 공간집중도는 지속적으로 집중되는 반면에 유입형middot교환형middot기타형은 2002-2007년 기간 모두 감소하였다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유발계수분석 시 각 권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야기되는 중국 국내무역의 연도별 평균유발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요인분해분석 경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국내 총유출에 대하여 역내무역의 변화요인에 과도하게 의존한 반면 2002-2007년 기간 국내교역구조가 크게 개선됨을 나타낸다 게다가 2002-2007년 기간 무역승수는 일부 몇몇 권역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여 WTO 가입 후 중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과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상을 위한 시장환경이 구축되어 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주제어 공간지니계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권역 간 무역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9

Abstract

Spatial concentration and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terIntra trade for the

eight zones in China

-The Analysis based Spatial Gini Index and Decomposition Techniques-

ZHONGHUA LEE

PhD Economics RU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and induced structure of intra and inter‐regional trade among the eight

zones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 of domestic trade structure change after

joing the WTO In this paper the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SensitivityImpact coefficient Trade Multiplier is applied using

the inter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 the year of 1997 2002 and 2007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in the period of 1997‐2007 is diminished to continue indicating outflow

index is more centr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flow∙exchange∙others index is declined

in 2002‐2007 period Second trade induced coefficient where intra trade is set as

exogenous variable it is imply that domestic induced trade effect has consistently

increased Third the decomposition analysis shows that total outflows of each region

depends heavily on factors of change with respect to intra‐regional trade in 1997‐2002

period and the domestic trade structure among eight zones is improved during

2002‐2007 And also Trade multiplier estimate show that except a few zones it is

increased in 2002‐2007 was more efficient with comparison to the past indicating that

domestic markets and Endogenous Comparative Advantage started to enhance

complementary effect after having integrate into World Economic by joing in WTO

Key Words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Trade Multiplier Interregional Trade

Page 5: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국내...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1

ne

ne

ne

ne

ne

(3)

ne

ne

(4)

ne

ne

(5)

ne

ne

(6) ∙ ∙

there4 ∙

(7)

∙ times ∙

times ∙

times

∙ ∙

(8)

Ⅲ∙

ne

ne

(9)

⋯ ⋯ ⋯

⋯ ⋯ ⋯ ⋯ ⋯ ⋯

times times

⋯ ⋯ ⋯⋯ ⋯ ⋯ ⋯ ⋯

⋯ prime

(2)

2) Spatial Gini Index

지니계수21)는 경제구조 중 소득불평등 수준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수이다 Plane외(1997)은

1980년 대 미국 국경 내 인구이동의 공간적 집중도를 분석하기 위해 기존의 지니계수의 측정법

을 응용하여 주(州)간 인구이동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LEE(2010)는 미국 내 화물교역패턴의 공

간적 구조분석을 위해 Plane의 총 공간지니계수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1993middot1997middot2002middot2007년

4개 연도 간 미국 내 주(州)간 CFS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이하 lt표 2gt는 무역류(流)의 공간상

에서 집중과 분산 수준을 측정하는 총 공간지니계수 측정법을 제시한다

lt표 2gt 총 공간지니계수 분석 방법

21) 지니계수는 소득수준이 완전하게 동등함을 의미하는 대각선 이하의 삼각형 면적에 대한 대각선과

로렌츠(Lorenz)곡선 사이 면적의 비중을 통해 소득불평등 수준을 측정한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2

ne

ne

(10) ldquo rdquo ldquo rdquo middot

ne

ne

ldquo rdquo

ne

ldquo rdquo

참고 공간지니계수의 좌측 위 첨자 는 4유형 교역조합을 모두 포함하는 전(全) 교역조합(원소)에 대

한 분석을 의미하며 는 유출지 는 유입지를 우측 위첨자 는 분석 연도로 시간상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게 한다

식(3)은 총 공간지니계수로 식(1)의 무역 매트릭스 중 자기권역 내 교역규모를 나타내는 대각

원소 를 제외한 비대각원소 를 이용하며 지역별 쌍무교역의 모든 조합( )과 경제구조

중 모든 교역조합( )간에 절댓값 차이의 산술평균값을 모든 교역조합의 교역평균에 대한

비율로 공간적 집중도를 분석한다23)

하지만 총 공간지니계수는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가 유출 or 유입 or 교환 or 기타 중 각각

의 요인에 대한 기여도를 알 수 없다 따라서 총 공간지니계수를 4가지 유형의 공간지니계수로

분해하여 특정연도의 ldquo유출형 유입형 교환형 기타형rdquo 공간지니계수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우선 유출형(유입형) 공간지니계수는 교역구조 중 각 지역의 외부 유출(유입) 중 유입지(유출

지) 선택에 대한 상대적인 범위가 공간적으로 집중되었는지를 나타내며 각 행(열)마다 개

유출조합에 대해 계산middot총합한다24) 하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각 지역의 산업구조 인구규모

등은 변화하기 때문에 만약 당기 유출형(유입형) 공간지니계수가 전기보다 크다 할지라도 해당

연도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에 대한 기여도 역시 당기가 전기보다 더욱 높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4유형 공간지니계수의 비중을 통해 해당연도 교역 중 공간적 집중도에 대한 각각의 기

여도(단위)를 분석 및 비교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으로는 여전히 각 지역의 특

징을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lt표 2gt StepⅢ의 유출부문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를 측정하여 지

역별 분석 및 비교가 가능하며 용이한 해석을 위해 유출부문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를

Z-SCORE로 전환한다25)

22) 참고로 8대 권역 간 교역조합의 절댓값 차이에 대한 계산빈도수는 3136번( )이다

23) 식(3)의 분자부분은 각각의 개 교역조합과 개의 기타 교역 간의 절댓값 차이의 총

합을 의미하며 분모부분은 분자의 상middot하 삼각행렬의 중복부분을 상쇄하기 위한 ldquordquo와 산술평균을

위한 ldquo rdquo ldquo모든 조합의 교역평균값rdquo으로 구성된다 만약 무역 매트릭스 중 모든 원소의

값이 동일한 값을 갖는다면 총 공간지니계수의 분자부분의 값은 0의 값으로 공간상에서 균형적인

교역분포를 나타낼 것이지만 실제로 각 지역별 인구규모 등 많은 요인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고려

하면 지역 간 교역규모가 동일할 수는 없다

24) 교환형 공간지니계수는 대각원소를 기준으로 한 양자 간(대각원소)의 교역규모의 절댓값 차이를

분석하며 기타형 공간지니계수는 ldquo유출middot유입middot교환rdquo형 조합들을 제외한 기타 모든 교역조합과 절댓

값 차이를 통해 분석한다

25) lt표 7gt lt그림 1gt 참고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3

분류 공식무역유발분석

중국 지역 간 유발계수

(11) 감응도계수영향력계수

(12)

분류 공식

요인분해분석

일반식

i f 기준연도 i f 비교연도 (13)

요인분해

∆∆ ∆ ∆∆∆∆ (14)

요인역내무역 변화 ∆ (15)교역계수 변화 ∆ (16)

3) 역내무역의 영향과 지역 간 무역유발계수

식(2) 중 의 각 요소를 라 하면 이 각 원소들은 지역 의 역내무역 1단위 변화가

지역 의 유출에 미치는 직middot간접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는 지역 의 역내무역으로 유발되

는 중국 국내무역의 증가를 나타낸다

lt표 3gt 무역유발분석

참고 심승진(2003)

의 행 부분은 타 지역들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야기되는 지역 의 유출에 대한 영향

들이며 열 부분은 지역 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야기되는 타 지역들의 유출에 대한 직middot간접

영향이다 따라서 이러한 영향들의 평균인

과 대비하여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를 지

역별로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만약 감응도 계수가 1보다 큰 값을 갖는다면 다른 지역의 역내무

역의 영향으로 수출증가의 효과가 더욱 높은 지역이므로 ldquo유출형 지역rdquo이라 할 수 있으며 영향

력 계수가 1보다 큰 값을 갖는다면 마찬가지로 타 지역의 수출에 대하여 자기권역 역내무역의

유발효과가 높으므로 ldquo유입형 지역rdquo이라 할 수 있다 감응도middot영향력 계수 모두가 1보다 크다면

상호교역이 활발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4) 요인분해와 무역승수 분석

이상의 무역유발분석은 특정연도의 교역구조에 대한 정태적 분석이다 이러한 정태분석은 시

간변화로 인한 요인영향의 변화를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을 고

려하여 지역 간 무역유발구조를 ldquo역내무역규모의 변화 교역구조변화 교차항rdquo의 요인으로 분해

하여 동태적인 분석을 진행한다(참고 식 14)

lt표 4gt 요인분해 분석방법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4

교차항 변화 ∆∆ (17)

무역승수 ⋯ (20)

(18) (19)

권역 역내무역규모 권역 총유출 권역 총유출의 역내무역에 대한 의존도

참고 심승진(2003) 심승진(2012)

식(14)는 기준연도와 비교연도 간 각 지역 유출증가분을 ldquo역내무역규모의 변화 지역 간 교역

구조의 변화 상호작용의 영향rdquo으로 나타내고 있다26)

지역 간 무역승수분석은 각 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직middot간접 경로를 통해 기타 권역의

유출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다27) 식(18)은 지역별 역내무역의 총산출에 대한 기여도이며 전환

후 를 식(2) 중 에 대입하면 식(19)의 총산출 증가로 인한 지역 간 무역승수를 분석할 수

있다 게다가 식(19) 중 를 통해 각 지역 총산출의 타 지역 총유출에 대한 유발효

과를 얻게 된다28)

Ⅲ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 개관과 공간적 집중도 분석

1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 개관

중국의 1997 2002 2007년 권역 간 산업연관표 중 국제부문 수출규모는 1조 6513억 위안

2조 7828억 위안 8조 1889억 위안으로 1997-2007년 기간 1737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며

1997-2002년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110 2002-2007년 기간은 247로 WTO 가입으로 인

한 세계시장의 확대효과가 명확함을 알 수 있다(표 5 참고)

실제 중국의 1997 2002 2007년 국내 8대 권역 간 전(全)산업 중간재(최종재) 총 유출규모

는 1997년 1조 9702억 위안(5399억 위안)에서 2002년 2조 3126억(9712억 위안) 2007년 9

조 9245억 위안(4조 2970억 위안)으로 증가하였으며 1997-2007년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1755(2305)를 보인다 규모적인 측면에서 중간재(A)의 권역 간 무역규모는 최종재(B)의 경

우보다 더욱 큰 규모를 갖지만 연평균 성장률로 보면 최종재 부문이 더욱 빠른 속도로 증가하

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로써 각 지역별 자체 생산능력의 향상과 산업내무역의 증가를 알 수

있다

26) lt표 8gt 참고

27) 기존 연구 문헌(Oumlzyurt외 2011)은 GDP 성장으로 인한 직middot간접 무역유발효과는 시차가 존재함을

주목하였지만 본 연구대상이 한 국가 내부의 지역 간 무역임을 고려할 때 각 지역 생산 활동증가

가 유발시키는 기타 지역 총 유출입 규모에 대한 영향은 시차성이 비교적 작을 것이라 판단한다

28) 여기서 는 지역 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유발하는 지역의 유출액에 대한 직middot간접 효과를 의

미한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5

ndash

lt표 5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국내유출29)과 국제수출의 규모와 성장률 비교

A국내 유출총액(중간재) B국내 유출총액(최종재) C국내 유출총액(중간재+최종재)

D국내 유출총액(중간재+최종재+재고액) E국제 수출총액

FA-E GB-E HC-E ID-E GR 연평균 성장률()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수출규모와 중간재 유출규모 간의 차이(F)는 2002년을 제외하고 모든 연도에서 국내부문의

중간재 유출규모가 더욱 크다30) 하지만 중간재와 최종재 부문 모두를 고려할 시 모든 기간에

서 유출이 수출보다 더욱 컸으며 2002-2007년 기간 그 격차가 더욱 확대되었다31)

또한 유출규모(C)와 수출규모(E)의 차이(H)는 2002년은 감소하여 5009억 위안에 달했으나

2007년에 들어 6조 326억 위안으로 2002-2007년 기간 국내유출(C)의 연평균 성장률은

3406로 동 기간 수출부문의 2409 보다 더욱 높다 여기서 1997-2002년 기간 국내유출

(C)의 연평균 성장률이 552로 수출의 연평균 성장률 11보다 더욱 낮았던 점 두 기간 국내

유출의 연평균 성장률의 차이가 큼을 재차 고려하면 2002-2007년 기간 중국의 순수출과 국내

지역 간 무역의 발전은 일정수준 연관되고 이는 국내 분업수준의 확대로 내생적 비교우위가 향

상함과 동시에 규모의 경제를 통한 Home Market Effect로 인해 중국의 수출경쟁력이 향상된

것으로 사료된다32) 이상의 분석을 통해 세계시장의 확대와 더불어 국내교역의 규모가 더욱 증

가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무역 매트릭스를 통해 각 권역별 국내 권역 간 유출입 규모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표 6 참고)33)

middot

ldquo rdquo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6

 

     

     

     

lt표 6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변화추세(억 위안 )

참고 A각 권역 총유출의 국내무역 중 비중 B 각 권역 내 유출이 총유출 중 비중 C 각 권역유입의

국내무역 중 비중 D 각 권역 내 유입이 현지 권역 총유입 중 비중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7

연도별 각 권역 총 유출에 대한 역내유출비중의 평균값은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로 2002년 이후 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가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역내 무역규

모가 권역 간 무역규모에 비해 매우 큰 점을 고려하면 기존의 국제무역 상에 Border Effect 혹

은 Home Bias Effect가 국가 간 뿐만 아니라 국내의 지역 시장 간의 교역 중에도 존재한다는

연구결과와 일맥을 이루며 Home Market Effect 역시 예상할 수 있다34)

국내무역 중 가장 높은 유출비중을 차지하는 권역은 연해지역으로 3개 연도 평균비중은

1715에 달하며 이 중 동부연해권역(浙江 江苏 上海)는 2232로 가장 높다35) 하지만

2002-2007년 기간 동부연해권역의 유출비중은 감소하였지만 타 권역의 경우 모두 증가하였다

이 중 타 권역 유출규모의 성장을 보면 서북권역은 523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경진권역

은 456를 나타냈다

권역 간 순유출의 측면에서 동북권역은 2002-2007년 기간 북부연해와 남부연해의 유입이

35배 증가했는데 이러한 유입증가는 동부연해에 대한 유출규모가 1145배 상승하여 일정수준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8대 권역의 타 지역에 대한 유출증가율은 1997-2002년 기간 105

2002-2007년 기간은 419로 증가하였다36)

이상의 무역 매트릭스 분석은 대략적인 권역 간 무역의 규모와 성장률 역내middot외 무역규모의

크기 등을 제시할 뿐 기타 정보에 대한 분석이 쉽지 않다 따라서 이하에서 중국 내 무역구조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분석으로 탐색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2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 집중도 분석

3개 연도별 총 공간지니계수는 1997년 054에서 2002년 048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2007년에는 046 수준으로 권역 간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는 더욱 확대되었다(참고 표 7)

lt표 7gt 1997 2002 2007년 전(全)산업 국내무역의 공간 집중도 분석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34)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1997년 2002년

2007년 (12의 유의수준)로 나타냈으며 모든 기간은 의 상관성을 보였다

35) 이는 동부연해권역이 중국 내 지역 중 산업구조가 비교적 완비된 곳으로 8대 권역 중 생산규모

가 가장 큼을 반영한다

36) 유일하게 북부연해의 타 지역 유출 규모가 ndash8 감소하였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8

1997-2002년 기간 lsquo유출형(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00426(00505)에서 00397(00446)로

모두 감소하였지만 기여도는 831(934)로 증가하였으며 2007년에 들어 유출은 더욱 집중되

고 유입은 확산되어 운송수단의 발전으로 공간적으로 더욱 넓은 범위의 지역에서 재화를 유입

하고 생산 및 가공 후 일부 특정 지역으로 유출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는 lt표 6gt 중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이 매우 큰 규모인 점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연해지역이

선(先)성장으로 중국 내 수요지37)와 대외시장의 창구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반영한다 2002년에

들어 lsquo교환형rsquo 공간지니계수의 기여도는 110로 1997년 대비 약 43 상승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089수준으로 감소한다 즉 양자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가 2002년은 1997년에 비해 더

욱 높아졌지만 2007년에 다시 개선됨을 의미하며 이는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이 2002년

증가하였다가 2007년 감소함을 의미한다 게다가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3개 연도 모두 가장

높은 지수로 총 공간지니계수에 대한 기여도 역시 가장 높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상

술한 바와 같이 이상의 분석은 각 권역별 공간상의 무역패턴을 분석할 수 없기에 Z-SCORE로

lt그림 1gt38)을 제시한다

lt그림 1gt 1997-2007년 기간 중국 권역 간 무역의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 산점도

참조 Y축 유입 X축 유출을 나타냄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lt그림 1gt을 통해 2002-2007년 기간의 산점도가 1997-2002년 기간에 비해 좀 더 45deg 직선

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고려하면 공간상의 무역류가 전(前)기간 보다 더욱 분산된 무역구조 및

양자무역의 균형을 나타낸다 게다가 산점도가 점차 1사분면으로 이동하는 추세는 유출이 더욱

집중됨을 의미한다 이는 lt표 7gt의 2002-2007년 기간 분석결과와 일맥 한다

37) 타권역 유출에 대한 전(全)기간 연해지역의 평균유입비중을 보면 ldquo북부연해middot동부연해rdquo 두 권역의

유입비중이 56를 초과한다

38) 이하 lt그림 1gt은 각 권역의 유출middot유입 부문 공간지니계수를 z-score 전환 값을 이용하여 산점도

를 제시한다 정(+)의 z-score는 지역 간 무역 중 중요한 역할을 함과 동시에 평균 수준 보다 공

간적으로 더욱 집중화되었음을 의미하며 음(-)의 z-score는 지역 간 무역의 범위가 광범위하여 집

중화 수준이 낮음을 의미한다 45deg의 직선으로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쉽게 비교할 수 있으며 유출middot유입 부문 공간지니계수의 z-score 처리과정 중 plusmn1middot표준편차의 크기

보다 크거나 작은 지역은 유입지 혹은 유출지의 선택이 공간상에 더욱 집중(분산)화되었음을 나타

낸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9

 

lt표 8gt1997middot2002middot2007년 권역별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적 집중middot분산유형 분류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lt표 8gt의 권역별 교역패턴을 보면 서북middot동북 권역은 분석기간 lsquo유출과 유입rsquo 부문의 공간적

패턴이 대체로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1gt 중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동북권

역은 기타 권역에 비해 지리적으로 외딴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북권역은 중국의 동middot서 지

역을 연계할 정도로 매우 길게 위치함을 반영하는 것이다

집중된 교역구조의 유출부문으로 1997년 서남권역은 타권역 유출 규모 중 남부연해권역은

약 583억 5천만 위안으로 약 371의 비중을 2002년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의 1355억 6천

만 위안으로 약 606 2007년 동부연해권역의 남부연해middot중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1조 3천

억 위안으로 약 703의 비중 중부권역은 동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9천 104억 위안으

로 약 4095의 비중을 보이며 유입지 선택의 공간적 집중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표 8 참

고)39)

Ⅳ 중국 국내무역 유발구조의 요인분해와 무역승수 분석

1 역내무역의 국내무역과 권역 간 무역유발계수 분석

lt표 9gt은 연도middot지역별 역내무역규모가 중국 국내무역을 어느 정도로 유발하였는지를 나타낸

다 먼저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을 보면 1997년 114 2002년 116 2007년

124로 각 권역별 국내무역의 유발효과가 점차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각 지역의 산업과 경제발

전이 타 지역과 독립된 자급자족형 구조가 점차 상호보완적 구조로 전환됨을 반영하며 2002년

이후 지역 간 상호연관수준은 더욱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97년 상위 3개 국내무역 유발지역은 lsquo남부연해 동부연해 그리고 경진권역rsquo이며 2002년

WTO 가입 후 경진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여 유발계수를 보이고 서북

권역과 북부연해 권역이 뒤를 잊는다 여기서 서북권역의 유발계수가 크게 증가한 이유로는

2001년 1월 서부대개발40) 정책의 영향이며 서남권역의 유발효과는 서북권역에 비해 상당히 낮

은 수준인 이유는 서부대개발 정책의 효과가 서남권역 보다 서북권역에 먼저 시현된 것으로 사

료된다41) 2007년은 서북 중부 경진 권역이 가장 큰 유발효과를 보이며 서남권역의 국내무역

39)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권역 간 유출과 유입의 교역집중화를 파악할 수 있다(유입부문 1997년 동

부연해 중부(35) 2002년 중부동부연해(457) 2007년 경진북부연해(452))

40) 서부대개발 정책의 지리적 범위는 12개 지역을 포함함(四川陕西甘肃青海云南贵州广

西内蒙古宁夏新疆西藏重庆)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0

middot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였다

lt표 9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기간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성장률을 보면 1997-2002년 기간은 경진권역이 207

의 성장률로 가장 높다 이는 WTO 가입과 함께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산업의 발전과 세

계의 많은 외자기업들이 북경과 천진 지역의 투자 증가를 원인으로 들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은 중부권역이 158 성장률을 보여 가장 높은 데 이는 2004년 3월 중부굴기의 정책으로

중국의 동부와 서부지역의 산업발전을 연계하는 지리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앞서 살펴본 각 권역별 역내무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를 타 권역별 무역유발효과로 분류하여

살펴볼 수 있다(표 10 참고)

lt표 10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 간 무역유발효과 변화

41) 서부대개발 정책의 서부지역의 건축업에 큰 발전적 지회를 야기하였으며(唐明龙 2006) 2002년

서북권역 건축업의 RCA지수가 459로 매우 높으나 2007년에 들어 238로 감소하였으며 2002년

서남권역 건축업의 RCA지수는 146으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나 2007년는 400으로 크게 상승함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1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모든 기간에 걸쳐 대체적으로 역내무역의 증가는 자기권역의 총유출 규모를 더욱 유발

하였으나 1997-2002년 기간 ldquo중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은 자기권역의 유출유발효과가 감

소하였다 앞서 살펴본 기간별 국내무역 유발규모의 성장률이 높은 경진권역과 중부권역을 살펴

보면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과 유입의 유발효과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으며 중부권역은 1997년 서북구역의 유출middot유발효과만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middot유입효과가 높았다

타 권역에 대한 유출입 유발효과를 살펴보면 1997년 중부권역이 028로 가장 높았으나 이후

027 수준으로 감소하는 반면 2002년은 동부연해 권역의 025 2007년은 남부연해권역의 033

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부권역은 모든 기간에 걸쳐 가장 일정하게 타 지역의 유출

을 유발시켰으며42) 남부연해권역은 1997년 015의 유출계수가 2007년에 들어 가장 높은 033

까지 상승하여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유출입 계수의 격차를 살펴보면 경진과 서북 권역은 유입주도형 지역이며 동부연해 권역은

유출주도형 지역이다 하지만 각 권역별 총 유출입에 대한 역내무역의 비중은 지역별 산업구조

의 불일치 인구규모의 상이함 등의 요인으로 각 지역의 교역유형별 특성을 살펴볼 수 없다 따

라서 이하에서는 Rasumussen(1958)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를 통해 기간별 각 권역의 교역

유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2 권역 간 유출입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권역 간 상호의존관계 중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역내무역에 의해 받는 영향을 감응도

계수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유출에 주는 영향을 영향력계수라 한다

식(12)를 통하여 각 권역의 감응도 영향력계수를 구하면 lt표 11gt과 같다 우선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가 모두 1보다 큰 교역형 권역은 1997년 동부연해 남부연해 2002년 북부연해

42) 유출유발효과 값의 표준편차가 001로 가장 낮음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2

2007년 북부연해 남부연해 중부로 나타났다 2002년 후 경진권역은 유입형 지역으로 북경과

천진 지역이 타 지역으로부터 많은 재화를 유입할 것이라는 직관과 일치하였다

lt표 11gt 각 구역의 전방관련효과와 후방관련효과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서북권역의 경우 1997년 패쇄형 지역의 특성을 보이다 2002년에 들어 유입형의 특성을 보인

다 이는 서부대개발의 정책 추진 중 부족한 원부자재 및 생산설비를 타 지역으로부터 크게 유

입함을 반영하며 서남권역은 1997 2002년 패쇄형 지역에서 2007년 유입형 지역의 특성을 나

타낸다

3 요인분해분석

우리는 이상의 분석을 통해 각 권역 역내무역의 국내 및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를 분석하

였다 이러한 유발계수에 대하여 식(13)-(16)을 거쳐 요인분해 분석을 진행하면 lt표 12gt의 결

과를 얻을 수 있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3

lt표 12gt 기간별 각 권역 유출증가의 요인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중국 내부의 전체적인 효과를 살펴보면 1997-2002년 기간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

역에 대한 영향이 평균 10374 기여하여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역내

무역의 규모효과로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기

여도 모두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기여도는 약 86로 감소한다43) 즉

세계시장의 확대와 함께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구조의 변화와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상호작용이

모두 효율적으로 개선된 것이다 이는 자기권역 내 무역의 영향 보다 타 지역과의 상호연관 속

에 유발되는 유출의 규모가 더욱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권역별 요인분해 분석결과는 모든 기간에 걸쳐 각 권역의 총 유출은 역내무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지만 2002-2007년에 들어 기여도가 점차 감소하는 데 이는 1997-2002년 기간 교역

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인 지역은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이며 동 기간 이들 지역은

역내무역규모의 변화효과가 기타 교역구조 및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시킬 정도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서북권역은 교역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이지는 않으나 양자 간의 교차효과가

음의 영향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게다가 북부연해권역의 기간별 교역구조의 변화 효과는 ndash

2650에서 5077로 국내 교역구조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lt표 13gt는 각 권역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유발된 총 유출의 변화분에 대한 각 권역의 역

내무역 규모변화를 외생변수로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우선 전체적인 측면에서 동부연해 권

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유발되는 국내무역 유출변화가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중부권역이지만

2002-2007년에 들어 167의 기여도로 전보다 감소하고 북부연해 권역의 기여도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43)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이 2007년에 들어 큰 폭으로 상승하게 한 원인으로 고려

된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4

lt표 13gt 권역 내 무역규모변화요인의 재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5

각 권역별 특징을 살펴보면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자

기권역 역내무역규모 변화로 인한 총 유출에 대한 기여도가 감소하였다 이로써 ldquo북부연해 동

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이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가 효율적이게 변화함과 동시에

역내산업구조의 향상(표 6 참고)으로 인해 역내무역의 기여도가 더욱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4 권역 간 무역승수 분석

무역은 경제성장을 야기하지만 경제성장 역시 무역의 발전을 야기한다는 것이 공론이다 이러

한 관점에서 각 권역별 총산출 1단위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역내middot외 무역의 규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중국 내 지역 간 무역을 새로운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된

lt표 14gt 권역 간 무역승수44)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44) 국내무역승수(행합) 타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특정권역에 유발하는 유출의 무역승수 총

합 국내무역승수(열합) 특정 권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로 타지역에 유발하는 유입의 무역승수

총합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6

분석기간에 걸쳐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서남권역만을 제외하고 모든 권역에서 자기권역에 대

한 무역승수는 감소하고 있으며 2002-2007년 기간 lsquo서북과 서남rsquo 권역은 각각 33와 25로

감소율이 가장 크다 실제로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총산출 수준의 평균 성장률은 58

이며 2002-2007년 기간의 성장률은 크게 확대되어 15943으로 두 기간의 격차가 매우 크다

2002-2007년 기간 자기 지역 내 무역승수의 감소는 각 권역 간 산업구조가 더욱 고도화 되어

자기권역 내 무역만을 통해서는 생산을 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즉 국내무역의 발전과 지역 간

의 관계가 더욱 확대되어 기타 지역에 대한 무역승수효과가 더욱 증가한 것이며 이처럼 높은

총산출의 증가는 더욱 긴밀한 지역 간 산업구조와 무역관계 하에서 비로써 실현가능함을 반영

한다

lt표 14gt 중 국내무역승수의 행합과 열합의 변화를 보면 대부분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총산출

로 야기된 무역승수가 점차 감소한다고 오인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 만약 국내무역승수의 값

중 자기권역 내 무역승수를 소거한 후 무역승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반드시 감소하는 것은 아님

을 알 수 있다(참고 표 15)

lt표 15gt 자기 구역무역승수를 제거한 행합과 열합의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무역승수 변화추세는 일관되지 않지만 2002-2007년 기간 행

합 부문의 수치는 동부연해권역 이외에 기타 권역의 무역승수는 모두 증가하였고 열합 부문 중

경진과 서북권역 이외에 모든 권역의 타 권역에 대한 무역승수는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

다 이로써 WTO 가입 후 국내무역의 일체화 수준이 더욱 향상되었으며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

상을 위한 시장 환경이 구축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본 논문은 중국경제의 높은 성장 중 국내무역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을 대상으로 8대 권역 간 무역구조 분석을 위해 우선 무역 매트릭스를 구축

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

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본문 중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탐색적 접근으로 공간지니계수의 공간집중

도 분석결과는 분석 기간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수준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7

lsquo유출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반면에 lsquo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2007년에 들어

크게 감소하였다 게다가 2002년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은 증가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감소하여 지역 간 무역의 격차가 다소 감소하

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가 유입지 선택의 집중 유출지 선택의

확산 그리고 국내 유출입의 불균형 감소와 모든 교역조합 간의 격차감소로 시장일체화 수준이

점차 향상하는 추세를 의미한다

또한 중국 WTO 가입연도를 기준한 1997-2002년 2002-2007년 전후기간의 분석으로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유발구조를 살펴봄과 동시에 동태적인 요인분해분석을 통하여 국내분업

수준의 효율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내생적 비교우위론에 근거하여 교역구조의 개

선과 무역승수의 분석 역시 시장일체화의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내생적 비교우위 제고가

2002-2007년 기간 518의 중국 순수출 연평균 성장률에 기여함을 예상할 수 있었으며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무역 매트릭스 중 각 권역의 역내무역 비중은 동부연해권역을

제외하고 1997-2007년 기간 감소하였으며 일부 권역은 2002-2007년 기간에 들어 비로써 감

소하였다 하지만 역내무역의 비중이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의 연도

별 평균값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는 것을 보아도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중 Border Effect가 존재

하는 점과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아 Home Market

Effect의 존재를 탐색적으로 예감할 수 있다

또한 1997-2002년 기간 교역구조변화요인이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 ls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

부rsquo 권역은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가 효율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역내무역 규모요인의 재분

해 분석 시 자기권역 내 무역규모의 변화가 총 유출에 대한 영향이 더욱 커짐을 고려하면 역내

성middot시간 경제통합이 권역 외 총유출을 크게 촉진함으로 판단되며 권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 역시 국내무역의 유발효과를 촉진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은 전(全)산업의 권역 간

무역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17개 산업 부문 중 각각의 특성과 기여를 분석할 수 없었으며

현실적인 시사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정책변화 등 정성적인 요인들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는 차후의 연구과제로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심승진 20029 ldquo지역간 무역의 유발구조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심승진 20126 ldquo국제지역간 무역승수 효과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이데 마사히로 ldquo산업연관분석입문ldquo 985172제주대학교985173 2010

이중화 ldquo중국 국내무역의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영향분석-국내무역 순유출지수의 공간계

퍙패널분석을 중심으로ldquo 985172한국동북아경제학회985173 第27卷 第1號 201503

Hewings GJD Schindler GR and PR Israilevich 1998b ldquoInterstate trade among

Midwest economiesrdquo Chicago Fed Letter The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May

1998 no 129

N Ramondo A Rodriacuteguez‐Clare M Saboriacuteo‐Rodriacuteguez 2014 ldquoTrade Domestic

Frictions and Scale Effectsrdquo NBER Working Paper No18532

Poncet S 2003 ldquoMeasuring Chine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grationrdquo China

Economic Review 14(2003)1‐21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8

S Oumlzyurt M Dauma 2011 ldquoTrade openness and regional income spillovers in BrazilA

spatial econometric approachrdquo Papers in Regional Science 2013

Weinhold D 2002 ldquoThe importance of trade and geography in the pattern of spatial

dependence of growth ratesrdquo Review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6 no 3 pp

369‐382

XiaoKai Yang(杨小凯) 1996 ldquoA New Theory of Demand and Supply and Emergence

of International Trade from Dmestic Traderdquo Pacifrc Economic Review 13

国家信息中心 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1997年 200551

国家统计局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ldquo 20118

李善同 侯永志 ldquo中国大陆 划分8大社会经济区域ldquo 985172中国脉搏985173 20035

盛斌 毛其淋 2011 ldquo贸易开放国内市场一体化与中国省际经济增长1985sim2008年ldquo 985172世

界经济985173 (11) 44-66

唐明龙ldquo西部开发战略激活建筑业ldquo985172中国工程建设周刊9851732006年7月13日

吴三忙 李善同 2010 ldquo市场一体化产业地理集聚与地区专业分工演变ldquo 985172产业经济研究985173

06期

周怀峰 ldquo大国国内贸易需求提升产品国际竞争力的机理分析ldquo985172财贸研究98517320074

[i3] httpwwwgovcnzwgk2012-0910content_2220743htm 201551

국문초록

중국 8대 권역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Spatial Gini Index와 Decomposition Techniques를 통하여-

이 중 화

중국인민대학교 경제학 박사

본 논문은 2002년 WTO 가입으로 인한 중국의 대외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중국 내 지역 간 무역구조의 공간적 패턴과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게다가 ldquo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를 이용하여 8대 권역 간 무역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는 3개 연도 기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 중 유출형 공간집중도는 지속적으로 집중되는 반면에 유입형middot교환형middot기타형은 2002-2007년 기간 모두 감소하였다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유발계수분석 시 각 권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야기되는 중국 국내무역의 연도별 평균유발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요인분해분석 경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국내 총유출에 대하여 역내무역의 변화요인에 과도하게 의존한 반면 2002-2007년 기간 국내교역구조가 크게 개선됨을 나타낸다 게다가 2002-2007년 기간 무역승수는 일부 몇몇 권역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여 WTO 가입 후 중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과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상을 위한 시장환경이 구축되어 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주제어 공간지니계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권역 간 무역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9

Abstract

Spatial concentration and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terIntra trade for the

eight zones in China

-The Analysis based Spatial Gini Index and Decomposition Techniques-

ZHONGHUA LEE

PhD Economics RU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and induced structure of intra and inter‐regional trade among the eight

zones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 of domestic trade structure change after

joing the WTO In this paper the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SensitivityImpact coefficient Trade Multiplier is applied using

the inter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 the year of 1997 2002 and 2007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in the period of 1997‐2007 is diminished to continue indicating outflow

index is more centr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flow∙exchange∙others index is declined

in 2002‐2007 period Second trade induced coefficient where intra trade is set as

exogenous variable it is imply that domestic induced trade effect has consistently

increased Third the decomposition analysis shows that total outflows of each region

depends heavily on factors of change with respect to intra‐regional trade in 1997‐2002

period and the domestic trade structure among eight zones is improved during

2002‐2007 And also Trade multiplier estimate show that except a few zones it is

increased in 2002‐2007 was more efficient with comparison to the past indicating that

domestic markets and Endogenous Comparative Advantage started to enhance

complementary effect after having integrate into World Economic by joing in WTO

Key Words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Trade Multiplier Interregional Trade

Page 6: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국내...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2

ne

ne

(10) ldquo rdquo ldquo rdquo middot

ne

ne

ldquo rdquo

ne

ldquo rdquo

참고 공간지니계수의 좌측 위 첨자 는 4유형 교역조합을 모두 포함하는 전(全) 교역조합(원소)에 대

한 분석을 의미하며 는 유출지 는 유입지를 우측 위첨자 는 분석 연도로 시간상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게 한다

식(3)은 총 공간지니계수로 식(1)의 무역 매트릭스 중 자기권역 내 교역규모를 나타내는 대각

원소 를 제외한 비대각원소 를 이용하며 지역별 쌍무교역의 모든 조합( )과 경제구조

중 모든 교역조합( )간에 절댓값 차이의 산술평균값을 모든 교역조합의 교역평균에 대한

비율로 공간적 집중도를 분석한다23)

하지만 총 공간지니계수는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가 유출 or 유입 or 교환 or 기타 중 각각

의 요인에 대한 기여도를 알 수 없다 따라서 총 공간지니계수를 4가지 유형의 공간지니계수로

분해하여 특정연도의 ldquo유출형 유입형 교환형 기타형rdquo 공간지니계수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우선 유출형(유입형) 공간지니계수는 교역구조 중 각 지역의 외부 유출(유입) 중 유입지(유출

지) 선택에 대한 상대적인 범위가 공간적으로 집중되었는지를 나타내며 각 행(열)마다 개

유출조합에 대해 계산middot총합한다24) 하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각 지역의 산업구조 인구규모

등은 변화하기 때문에 만약 당기 유출형(유입형) 공간지니계수가 전기보다 크다 할지라도 해당

연도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에 대한 기여도 역시 당기가 전기보다 더욱 높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4유형 공간지니계수의 비중을 통해 해당연도 교역 중 공간적 집중도에 대한 각각의 기

여도(단위)를 분석 및 비교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으로는 여전히 각 지역의 특

징을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lt표 2gt StepⅢ의 유출부문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를 측정하여 지

역별 분석 및 비교가 가능하며 용이한 해석을 위해 유출부문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를

Z-SCORE로 전환한다25)

22) 참고로 8대 권역 간 교역조합의 절댓값 차이에 대한 계산빈도수는 3136번( )이다

23) 식(3)의 분자부분은 각각의 개 교역조합과 개의 기타 교역 간의 절댓값 차이의 총

합을 의미하며 분모부분은 분자의 상middot하 삼각행렬의 중복부분을 상쇄하기 위한 ldquordquo와 산술평균을

위한 ldquo rdquo ldquo모든 조합의 교역평균값rdquo으로 구성된다 만약 무역 매트릭스 중 모든 원소의

값이 동일한 값을 갖는다면 총 공간지니계수의 분자부분의 값은 0의 값으로 공간상에서 균형적인

교역분포를 나타낼 것이지만 실제로 각 지역별 인구규모 등 많은 요인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고려

하면 지역 간 교역규모가 동일할 수는 없다

24) 교환형 공간지니계수는 대각원소를 기준으로 한 양자 간(대각원소)의 교역규모의 절댓값 차이를

분석하며 기타형 공간지니계수는 ldquo유출middot유입middot교환rdquo형 조합들을 제외한 기타 모든 교역조합과 절댓

값 차이를 통해 분석한다

25) lt표 7gt lt그림 1gt 참고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3

분류 공식무역유발분석

중국 지역 간 유발계수

(11) 감응도계수영향력계수

(12)

분류 공식

요인분해분석

일반식

i f 기준연도 i f 비교연도 (13)

요인분해

∆∆ ∆ ∆∆∆∆ (14)

요인역내무역 변화 ∆ (15)교역계수 변화 ∆ (16)

3) 역내무역의 영향과 지역 간 무역유발계수

식(2) 중 의 각 요소를 라 하면 이 각 원소들은 지역 의 역내무역 1단위 변화가

지역 의 유출에 미치는 직middot간접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는 지역 의 역내무역으로 유발되

는 중국 국내무역의 증가를 나타낸다

lt표 3gt 무역유발분석

참고 심승진(2003)

의 행 부분은 타 지역들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야기되는 지역 의 유출에 대한 영향

들이며 열 부분은 지역 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야기되는 타 지역들의 유출에 대한 직middot간접

영향이다 따라서 이러한 영향들의 평균인

과 대비하여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를 지

역별로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만약 감응도 계수가 1보다 큰 값을 갖는다면 다른 지역의 역내무

역의 영향으로 수출증가의 효과가 더욱 높은 지역이므로 ldquo유출형 지역rdquo이라 할 수 있으며 영향

력 계수가 1보다 큰 값을 갖는다면 마찬가지로 타 지역의 수출에 대하여 자기권역 역내무역의

유발효과가 높으므로 ldquo유입형 지역rdquo이라 할 수 있다 감응도middot영향력 계수 모두가 1보다 크다면

상호교역이 활발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4) 요인분해와 무역승수 분석

이상의 무역유발분석은 특정연도의 교역구조에 대한 정태적 분석이다 이러한 정태분석은 시

간변화로 인한 요인영향의 변화를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을 고

려하여 지역 간 무역유발구조를 ldquo역내무역규모의 변화 교역구조변화 교차항rdquo의 요인으로 분해

하여 동태적인 분석을 진행한다(참고 식 14)

lt표 4gt 요인분해 분석방법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4

교차항 변화 ∆∆ (17)

무역승수 ⋯ (20)

(18) (19)

권역 역내무역규모 권역 총유출 권역 총유출의 역내무역에 대한 의존도

참고 심승진(2003) 심승진(2012)

식(14)는 기준연도와 비교연도 간 각 지역 유출증가분을 ldquo역내무역규모의 변화 지역 간 교역

구조의 변화 상호작용의 영향rdquo으로 나타내고 있다26)

지역 간 무역승수분석은 각 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직middot간접 경로를 통해 기타 권역의

유출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다27) 식(18)은 지역별 역내무역의 총산출에 대한 기여도이며 전환

후 를 식(2) 중 에 대입하면 식(19)의 총산출 증가로 인한 지역 간 무역승수를 분석할 수

있다 게다가 식(19) 중 를 통해 각 지역 총산출의 타 지역 총유출에 대한 유발효

과를 얻게 된다28)

Ⅲ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 개관과 공간적 집중도 분석

1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 개관

중국의 1997 2002 2007년 권역 간 산업연관표 중 국제부문 수출규모는 1조 6513억 위안

2조 7828억 위안 8조 1889억 위안으로 1997-2007년 기간 1737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며

1997-2002년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110 2002-2007년 기간은 247로 WTO 가입으로 인

한 세계시장의 확대효과가 명확함을 알 수 있다(표 5 참고)

실제 중국의 1997 2002 2007년 국내 8대 권역 간 전(全)산업 중간재(최종재) 총 유출규모

는 1997년 1조 9702억 위안(5399억 위안)에서 2002년 2조 3126억(9712억 위안) 2007년 9

조 9245억 위안(4조 2970억 위안)으로 증가하였으며 1997-2007년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1755(2305)를 보인다 규모적인 측면에서 중간재(A)의 권역 간 무역규모는 최종재(B)의 경

우보다 더욱 큰 규모를 갖지만 연평균 성장률로 보면 최종재 부문이 더욱 빠른 속도로 증가하

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로써 각 지역별 자체 생산능력의 향상과 산업내무역의 증가를 알 수

있다

26) lt표 8gt 참고

27) 기존 연구 문헌(Oumlzyurt외 2011)은 GDP 성장으로 인한 직middot간접 무역유발효과는 시차가 존재함을

주목하였지만 본 연구대상이 한 국가 내부의 지역 간 무역임을 고려할 때 각 지역 생산 활동증가

가 유발시키는 기타 지역 총 유출입 규모에 대한 영향은 시차성이 비교적 작을 것이라 판단한다

28) 여기서 는 지역 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유발하는 지역의 유출액에 대한 직middot간접 효과를 의

미한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5

ndash

lt표 5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국내유출29)과 국제수출의 규모와 성장률 비교

A국내 유출총액(중간재) B국내 유출총액(최종재) C국내 유출총액(중간재+최종재)

D국내 유출총액(중간재+최종재+재고액) E국제 수출총액

FA-E GB-E HC-E ID-E GR 연평균 성장률()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수출규모와 중간재 유출규모 간의 차이(F)는 2002년을 제외하고 모든 연도에서 국내부문의

중간재 유출규모가 더욱 크다30) 하지만 중간재와 최종재 부문 모두를 고려할 시 모든 기간에

서 유출이 수출보다 더욱 컸으며 2002-2007년 기간 그 격차가 더욱 확대되었다31)

또한 유출규모(C)와 수출규모(E)의 차이(H)는 2002년은 감소하여 5009억 위안에 달했으나

2007년에 들어 6조 326억 위안으로 2002-2007년 기간 국내유출(C)의 연평균 성장률은

3406로 동 기간 수출부문의 2409 보다 더욱 높다 여기서 1997-2002년 기간 국내유출

(C)의 연평균 성장률이 552로 수출의 연평균 성장률 11보다 더욱 낮았던 점 두 기간 국내

유출의 연평균 성장률의 차이가 큼을 재차 고려하면 2002-2007년 기간 중국의 순수출과 국내

지역 간 무역의 발전은 일정수준 연관되고 이는 국내 분업수준의 확대로 내생적 비교우위가 향

상함과 동시에 규모의 경제를 통한 Home Market Effect로 인해 중국의 수출경쟁력이 향상된

것으로 사료된다32) 이상의 분석을 통해 세계시장의 확대와 더불어 국내교역의 규모가 더욱 증

가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무역 매트릭스를 통해 각 권역별 국내 권역 간 유출입 규모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표 6 참고)33)

middot

ldquo rdquo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6

 

     

     

     

lt표 6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변화추세(억 위안 )

참고 A각 권역 총유출의 국내무역 중 비중 B 각 권역 내 유출이 총유출 중 비중 C 각 권역유입의

국내무역 중 비중 D 각 권역 내 유입이 현지 권역 총유입 중 비중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7

연도별 각 권역 총 유출에 대한 역내유출비중의 평균값은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로 2002년 이후 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가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역내 무역규

모가 권역 간 무역규모에 비해 매우 큰 점을 고려하면 기존의 국제무역 상에 Border Effect 혹

은 Home Bias Effect가 국가 간 뿐만 아니라 국내의 지역 시장 간의 교역 중에도 존재한다는

연구결과와 일맥을 이루며 Home Market Effect 역시 예상할 수 있다34)

국내무역 중 가장 높은 유출비중을 차지하는 권역은 연해지역으로 3개 연도 평균비중은

1715에 달하며 이 중 동부연해권역(浙江 江苏 上海)는 2232로 가장 높다35) 하지만

2002-2007년 기간 동부연해권역의 유출비중은 감소하였지만 타 권역의 경우 모두 증가하였다

이 중 타 권역 유출규모의 성장을 보면 서북권역은 523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경진권역

은 456를 나타냈다

권역 간 순유출의 측면에서 동북권역은 2002-2007년 기간 북부연해와 남부연해의 유입이

35배 증가했는데 이러한 유입증가는 동부연해에 대한 유출규모가 1145배 상승하여 일정수준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8대 권역의 타 지역에 대한 유출증가율은 1997-2002년 기간 105

2002-2007년 기간은 419로 증가하였다36)

이상의 무역 매트릭스 분석은 대략적인 권역 간 무역의 규모와 성장률 역내middot외 무역규모의

크기 등을 제시할 뿐 기타 정보에 대한 분석이 쉽지 않다 따라서 이하에서 중국 내 무역구조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분석으로 탐색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2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 집중도 분석

3개 연도별 총 공간지니계수는 1997년 054에서 2002년 048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2007년에는 046 수준으로 권역 간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는 더욱 확대되었다(참고 표 7)

lt표 7gt 1997 2002 2007년 전(全)산업 국내무역의 공간 집중도 분석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34)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1997년 2002년

2007년 (12의 유의수준)로 나타냈으며 모든 기간은 의 상관성을 보였다

35) 이는 동부연해권역이 중국 내 지역 중 산업구조가 비교적 완비된 곳으로 8대 권역 중 생산규모

가 가장 큼을 반영한다

36) 유일하게 북부연해의 타 지역 유출 규모가 ndash8 감소하였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8

1997-2002년 기간 lsquo유출형(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00426(00505)에서 00397(00446)로

모두 감소하였지만 기여도는 831(934)로 증가하였으며 2007년에 들어 유출은 더욱 집중되

고 유입은 확산되어 운송수단의 발전으로 공간적으로 더욱 넓은 범위의 지역에서 재화를 유입

하고 생산 및 가공 후 일부 특정 지역으로 유출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는 lt표 6gt 중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이 매우 큰 규모인 점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연해지역이

선(先)성장으로 중국 내 수요지37)와 대외시장의 창구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반영한다 2002년에

들어 lsquo교환형rsquo 공간지니계수의 기여도는 110로 1997년 대비 약 43 상승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089수준으로 감소한다 즉 양자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가 2002년은 1997년에 비해 더

욱 높아졌지만 2007년에 다시 개선됨을 의미하며 이는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이 2002년

증가하였다가 2007년 감소함을 의미한다 게다가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3개 연도 모두 가장

높은 지수로 총 공간지니계수에 대한 기여도 역시 가장 높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상

술한 바와 같이 이상의 분석은 각 권역별 공간상의 무역패턴을 분석할 수 없기에 Z-SCORE로

lt그림 1gt38)을 제시한다

lt그림 1gt 1997-2007년 기간 중국 권역 간 무역의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 산점도

참조 Y축 유입 X축 유출을 나타냄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lt그림 1gt을 통해 2002-2007년 기간의 산점도가 1997-2002년 기간에 비해 좀 더 45deg 직선

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고려하면 공간상의 무역류가 전(前)기간 보다 더욱 분산된 무역구조 및

양자무역의 균형을 나타낸다 게다가 산점도가 점차 1사분면으로 이동하는 추세는 유출이 더욱

집중됨을 의미한다 이는 lt표 7gt의 2002-2007년 기간 분석결과와 일맥 한다

37) 타권역 유출에 대한 전(全)기간 연해지역의 평균유입비중을 보면 ldquo북부연해middot동부연해rdquo 두 권역의

유입비중이 56를 초과한다

38) 이하 lt그림 1gt은 각 권역의 유출middot유입 부문 공간지니계수를 z-score 전환 값을 이용하여 산점도

를 제시한다 정(+)의 z-score는 지역 간 무역 중 중요한 역할을 함과 동시에 평균 수준 보다 공

간적으로 더욱 집중화되었음을 의미하며 음(-)의 z-score는 지역 간 무역의 범위가 광범위하여 집

중화 수준이 낮음을 의미한다 45deg의 직선으로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쉽게 비교할 수 있으며 유출middot유입 부문 공간지니계수의 z-score 처리과정 중 plusmn1middot표준편차의 크기

보다 크거나 작은 지역은 유입지 혹은 유출지의 선택이 공간상에 더욱 집중(분산)화되었음을 나타

낸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9

 

lt표 8gt1997middot2002middot2007년 권역별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적 집중middot분산유형 분류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lt표 8gt의 권역별 교역패턴을 보면 서북middot동북 권역은 분석기간 lsquo유출과 유입rsquo 부문의 공간적

패턴이 대체로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1gt 중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동북권

역은 기타 권역에 비해 지리적으로 외딴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북권역은 중국의 동middot서 지

역을 연계할 정도로 매우 길게 위치함을 반영하는 것이다

집중된 교역구조의 유출부문으로 1997년 서남권역은 타권역 유출 규모 중 남부연해권역은

약 583억 5천만 위안으로 약 371의 비중을 2002년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의 1355억 6천

만 위안으로 약 606 2007년 동부연해권역의 남부연해middot중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1조 3천

억 위안으로 약 703의 비중 중부권역은 동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9천 104억 위안으

로 약 4095의 비중을 보이며 유입지 선택의 공간적 집중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표 8 참

고)39)

Ⅳ 중국 국내무역 유발구조의 요인분해와 무역승수 분석

1 역내무역의 국내무역과 권역 간 무역유발계수 분석

lt표 9gt은 연도middot지역별 역내무역규모가 중국 국내무역을 어느 정도로 유발하였는지를 나타낸

다 먼저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을 보면 1997년 114 2002년 116 2007년

124로 각 권역별 국내무역의 유발효과가 점차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각 지역의 산업과 경제발

전이 타 지역과 독립된 자급자족형 구조가 점차 상호보완적 구조로 전환됨을 반영하며 2002년

이후 지역 간 상호연관수준은 더욱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97년 상위 3개 국내무역 유발지역은 lsquo남부연해 동부연해 그리고 경진권역rsquo이며 2002년

WTO 가입 후 경진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여 유발계수를 보이고 서북

권역과 북부연해 권역이 뒤를 잊는다 여기서 서북권역의 유발계수가 크게 증가한 이유로는

2001년 1월 서부대개발40) 정책의 영향이며 서남권역의 유발효과는 서북권역에 비해 상당히 낮

은 수준인 이유는 서부대개발 정책의 효과가 서남권역 보다 서북권역에 먼저 시현된 것으로 사

료된다41) 2007년은 서북 중부 경진 권역이 가장 큰 유발효과를 보이며 서남권역의 국내무역

39)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권역 간 유출과 유입의 교역집중화를 파악할 수 있다(유입부문 1997년 동

부연해 중부(35) 2002년 중부동부연해(457) 2007년 경진북부연해(452))

40) 서부대개발 정책의 지리적 범위는 12개 지역을 포함함(四川陕西甘肃青海云南贵州广

西内蒙古宁夏新疆西藏重庆)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0

middot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였다

lt표 9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기간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성장률을 보면 1997-2002년 기간은 경진권역이 207

의 성장률로 가장 높다 이는 WTO 가입과 함께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산업의 발전과 세

계의 많은 외자기업들이 북경과 천진 지역의 투자 증가를 원인으로 들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은 중부권역이 158 성장률을 보여 가장 높은 데 이는 2004년 3월 중부굴기의 정책으로

중국의 동부와 서부지역의 산업발전을 연계하는 지리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앞서 살펴본 각 권역별 역내무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를 타 권역별 무역유발효과로 분류하여

살펴볼 수 있다(표 10 참고)

lt표 10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 간 무역유발효과 변화

41) 서부대개발 정책의 서부지역의 건축업에 큰 발전적 지회를 야기하였으며(唐明龙 2006) 2002년

서북권역 건축업의 RCA지수가 459로 매우 높으나 2007년에 들어 238로 감소하였으며 2002년

서남권역 건축업의 RCA지수는 146으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나 2007년는 400으로 크게 상승함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1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모든 기간에 걸쳐 대체적으로 역내무역의 증가는 자기권역의 총유출 규모를 더욱 유발

하였으나 1997-2002년 기간 ldquo중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은 자기권역의 유출유발효과가 감

소하였다 앞서 살펴본 기간별 국내무역 유발규모의 성장률이 높은 경진권역과 중부권역을 살펴

보면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과 유입의 유발효과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으며 중부권역은 1997년 서북구역의 유출middot유발효과만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middot유입효과가 높았다

타 권역에 대한 유출입 유발효과를 살펴보면 1997년 중부권역이 028로 가장 높았으나 이후

027 수준으로 감소하는 반면 2002년은 동부연해 권역의 025 2007년은 남부연해권역의 033

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부권역은 모든 기간에 걸쳐 가장 일정하게 타 지역의 유출

을 유발시켰으며42) 남부연해권역은 1997년 015의 유출계수가 2007년에 들어 가장 높은 033

까지 상승하여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유출입 계수의 격차를 살펴보면 경진과 서북 권역은 유입주도형 지역이며 동부연해 권역은

유출주도형 지역이다 하지만 각 권역별 총 유출입에 대한 역내무역의 비중은 지역별 산업구조

의 불일치 인구규모의 상이함 등의 요인으로 각 지역의 교역유형별 특성을 살펴볼 수 없다 따

라서 이하에서는 Rasumussen(1958)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를 통해 기간별 각 권역의 교역

유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2 권역 간 유출입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권역 간 상호의존관계 중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역내무역에 의해 받는 영향을 감응도

계수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유출에 주는 영향을 영향력계수라 한다

식(12)를 통하여 각 권역의 감응도 영향력계수를 구하면 lt표 11gt과 같다 우선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가 모두 1보다 큰 교역형 권역은 1997년 동부연해 남부연해 2002년 북부연해

42) 유출유발효과 값의 표준편차가 001로 가장 낮음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2

2007년 북부연해 남부연해 중부로 나타났다 2002년 후 경진권역은 유입형 지역으로 북경과

천진 지역이 타 지역으로부터 많은 재화를 유입할 것이라는 직관과 일치하였다

lt표 11gt 각 구역의 전방관련효과와 후방관련효과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서북권역의 경우 1997년 패쇄형 지역의 특성을 보이다 2002년에 들어 유입형의 특성을 보인

다 이는 서부대개발의 정책 추진 중 부족한 원부자재 및 생산설비를 타 지역으로부터 크게 유

입함을 반영하며 서남권역은 1997 2002년 패쇄형 지역에서 2007년 유입형 지역의 특성을 나

타낸다

3 요인분해분석

우리는 이상의 분석을 통해 각 권역 역내무역의 국내 및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를 분석하

였다 이러한 유발계수에 대하여 식(13)-(16)을 거쳐 요인분해 분석을 진행하면 lt표 12gt의 결

과를 얻을 수 있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3

lt표 12gt 기간별 각 권역 유출증가의 요인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중국 내부의 전체적인 효과를 살펴보면 1997-2002년 기간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

역에 대한 영향이 평균 10374 기여하여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역내

무역의 규모효과로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기

여도 모두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기여도는 약 86로 감소한다43) 즉

세계시장의 확대와 함께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구조의 변화와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상호작용이

모두 효율적으로 개선된 것이다 이는 자기권역 내 무역의 영향 보다 타 지역과의 상호연관 속

에 유발되는 유출의 규모가 더욱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권역별 요인분해 분석결과는 모든 기간에 걸쳐 각 권역의 총 유출은 역내무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지만 2002-2007년에 들어 기여도가 점차 감소하는 데 이는 1997-2002년 기간 교역

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인 지역은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이며 동 기간 이들 지역은

역내무역규모의 변화효과가 기타 교역구조 및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시킬 정도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서북권역은 교역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이지는 않으나 양자 간의 교차효과가

음의 영향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게다가 북부연해권역의 기간별 교역구조의 변화 효과는 ndash

2650에서 5077로 국내 교역구조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lt표 13gt는 각 권역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유발된 총 유출의 변화분에 대한 각 권역의 역

내무역 규모변화를 외생변수로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우선 전체적인 측면에서 동부연해 권

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유발되는 국내무역 유출변화가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중부권역이지만

2002-2007년에 들어 167의 기여도로 전보다 감소하고 북부연해 권역의 기여도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43)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이 2007년에 들어 큰 폭으로 상승하게 한 원인으로 고려

된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4

lt표 13gt 권역 내 무역규모변화요인의 재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5

각 권역별 특징을 살펴보면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자

기권역 역내무역규모 변화로 인한 총 유출에 대한 기여도가 감소하였다 이로써 ldquo북부연해 동

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이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가 효율적이게 변화함과 동시에

역내산업구조의 향상(표 6 참고)으로 인해 역내무역의 기여도가 더욱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4 권역 간 무역승수 분석

무역은 경제성장을 야기하지만 경제성장 역시 무역의 발전을 야기한다는 것이 공론이다 이러

한 관점에서 각 권역별 총산출 1단위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역내middot외 무역의 규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중국 내 지역 간 무역을 새로운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된

lt표 14gt 권역 간 무역승수44)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44) 국내무역승수(행합) 타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특정권역에 유발하는 유출의 무역승수 총

합 국내무역승수(열합) 특정 권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로 타지역에 유발하는 유입의 무역승수

총합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6

분석기간에 걸쳐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서남권역만을 제외하고 모든 권역에서 자기권역에 대

한 무역승수는 감소하고 있으며 2002-2007년 기간 lsquo서북과 서남rsquo 권역은 각각 33와 25로

감소율이 가장 크다 실제로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총산출 수준의 평균 성장률은 58

이며 2002-2007년 기간의 성장률은 크게 확대되어 15943으로 두 기간의 격차가 매우 크다

2002-2007년 기간 자기 지역 내 무역승수의 감소는 각 권역 간 산업구조가 더욱 고도화 되어

자기권역 내 무역만을 통해서는 생산을 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즉 국내무역의 발전과 지역 간

의 관계가 더욱 확대되어 기타 지역에 대한 무역승수효과가 더욱 증가한 것이며 이처럼 높은

총산출의 증가는 더욱 긴밀한 지역 간 산업구조와 무역관계 하에서 비로써 실현가능함을 반영

한다

lt표 14gt 중 국내무역승수의 행합과 열합의 변화를 보면 대부분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총산출

로 야기된 무역승수가 점차 감소한다고 오인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 만약 국내무역승수의 값

중 자기권역 내 무역승수를 소거한 후 무역승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반드시 감소하는 것은 아님

을 알 수 있다(참고 표 15)

lt표 15gt 자기 구역무역승수를 제거한 행합과 열합의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무역승수 변화추세는 일관되지 않지만 2002-2007년 기간 행

합 부문의 수치는 동부연해권역 이외에 기타 권역의 무역승수는 모두 증가하였고 열합 부문 중

경진과 서북권역 이외에 모든 권역의 타 권역에 대한 무역승수는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

다 이로써 WTO 가입 후 국내무역의 일체화 수준이 더욱 향상되었으며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

상을 위한 시장 환경이 구축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본 논문은 중국경제의 높은 성장 중 국내무역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을 대상으로 8대 권역 간 무역구조 분석을 위해 우선 무역 매트릭스를 구축

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

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본문 중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탐색적 접근으로 공간지니계수의 공간집중

도 분석결과는 분석 기간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수준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7

lsquo유출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반면에 lsquo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2007년에 들어

크게 감소하였다 게다가 2002년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은 증가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감소하여 지역 간 무역의 격차가 다소 감소하

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가 유입지 선택의 집중 유출지 선택의

확산 그리고 국내 유출입의 불균형 감소와 모든 교역조합 간의 격차감소로 시장일체화 수준이

점차 향상하는 추세를 의미한다

또한 중국 WTO 가입연도를 기준한 1997-2002년 2002-2007년 전후기간의 분석으로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유발구조를 살펴봄과 동시에 동태적인 요인분해분석을 통하여 국내분업

수준의 효율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내생적 비교우위론에 근거하여 교역구조의 개

선과 무역승수의 분석 역시 시장일체화의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내생적 비교우위 제고가

2002-2007년 기간 518의 중국 순수출 연평균 성장률에 기여함을 예상할 수 있었으며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무역 매트릭스 중 각 권역의 역내무역 비중은 동부연해권역을

제외하고 1997-2007년 기간 감소하였으며 일부 권역은 2002-2007년 기간에 들어 비로써 감

소하였다 하지만 역내무역의 비중이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의 연도

별 평균값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는 것을 보아도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중 Border Effect가 존재

하는 점과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아 Home Market

Effect의 존재를 탐색적으로 예감할 수 있다

또한 1997-2002년 기간 교역구조변화요인이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 ls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

부rsquo 권역은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가 효율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역내무역 규모요인의 재분

해 분석 시 자기권역 내 무역규모의 변화가 총 유출에 대한 영향이 더욱 커짐을 고려하면 역내

성middot시간 경제통합이 권역 외 총유출을 크게 촉진함으로 판단되며 권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 역시 국내무역의 유발효과를 촉진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은 전(全)산업의 권역 간

무역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17개 산업 부문 중 각각의 특성과 기여를 분석할 수 없었으며

현실적인 시사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정책변화 등 정성적인 요인들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는 차후의 연구과제로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심승진 20029 ldquo지역간 무역의 유발구조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심승진 20126 ldquo국제지역간 무역승수 효과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이데 마사히로 ldquo산업연관분석입문ldquo 985172제주대학교985173 2010

이중화 ldquo중국 국내무역의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영향분석-국내무역 순유출지수의 공간계

퍙패널분석을 중심으로ldquo 985172한국동북아경제학회985173 第27卷 第1號 201503

Hewings GJD Schindler GR and PR Israilevich 1998b ldquoInterstate trade among

Midwest economiesrdquo Chicago Fed Letter The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May

1998 no 129

N Ramondo A Rodriacuteguez‐Clare M Saboriacuteo‐Rodriacuteguez 2014 ldquoTrade Domestic

Frictions and Scale Effectsrdquo NBER Working Paper No18532

Poncet S 2003 ldquoMeasuring Chine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grationrdquo China

Economic Review 14(2003)1‐21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8

S Oumlzyurt M Dauma 2011 ldquoTrade openness and regional income spillovers in BrazilA

spatial econometric approachrdquo Papers in Regional Science 2013

Weinhold D 2002 ldquoThe importance of trade and geography in the pattern of spatial

dependence of growth ratesrdquo Review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6 no 3 pp

369‐382

XiaoKai Yang(杨小凯) 1996 ldquoA New Theory of Demand and Supply and Emergence

of International Trade from Dmestic Traderdquo Pacifrc Economic Review 13

国家信息中心 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1997年 200551

国家统计局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ldquo 20118

李善同 侯永志 ldquo中国大陆 划分8大社会经济区域ldquo 985172中国脉搏985173 20035

盛斌 毛其淋 2011 ldquo贸易开放国内市场一体化与中国省际经济增长1985sim2008年ldquo 985172世

界经济985173 (11) 44-66

唐明龙ldquo西部开发战略激活建筑业ldquo985172中国工程建设周刊9851732006年7月13日

吴三忙 李善同 2010 ldquo市场一体化产业地理集聚与地区专业分工演变ldquo 985172产业经济研究985173

06期

周怀峰 ldquo大国国内贸易需求提升产品国际竞争力的机理分析ldquo985172财贸研究98517320074

[i3] httpwwwgovcnzwgk2012-0910content_2220743htm 201551

국문초록

중국 8대 권역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Spatial Gini Index와 Decomposition Techniques를 통하여-

이 중 화

중국인민대학교 경제학 박사

본 논문은 2002년 WTO 가입으로 인한 중국의 대외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중국 내 지역 간 무역구조의 공간적 패턴과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게다가 ldquo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를 이용하여 8대 권역 간 무역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는 3개 연도 기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 중 유출형 공간집중도는 지속적으로 집중되는 반면에 유입형middot교환형middot기타형은 2002-2007년 기간 모두 감소하였다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유발계수분석 시 각 권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야기되는 중국 국내무역의 연도별 평균유발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요인분해분석 경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국내 총유출에 대하여 역내무역의 변화요인에 과도하게 의존한 반면 2002-2007년 기간 국내교역구조가 크게 개선됨을 나타낸다 게다가 2002-2007년 기간 무역승수는 일부 몇몇 권역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여 WTO 가입 후 중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과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상을 위한 시장환경이 구축되어 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주제어 공간지니계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권역 간 무역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9

Abstract

Spatial concentration and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terIntra trade for the

eight zones in China

-The Analysis based Spatial Gini Index and Decomposition Techniques-

ZHONGHUA LEE

PhD Economics RU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and induced structure of intra and inter‐regional trade among the eight

zones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 of domestic trade structure change after

joing the WTO In this paper the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SensitivityImpact coefficient Trade Multiplier is applied using

the inter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 the year of 1997 2002 and 2007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in the period of 1997‐2007 is diminished to continue indicating outflow

index is more centr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flow∙exchange∙others index is declined

in 2002‐2007 period Second trade induced coefficient where intra trade is set as

exogenous variable it is imply that domestic induced trade effect has consistently

increased Third the decomposition analysis shows that total outflows of each region

depends heavily on factors of change with respect to intra‐regional trade in 1997‐2002

period and the domestic trade structure among eight zones is improved during

2002‐2007 And also Trade multiplier estimate show that except a few zones it is

increased in 2002‐2007 was more efficient with comparison to the past indicating that

domestic markets and Endogenous Comparative Advantage started to enhance

complementary effect after having integrate into World Economic by joing in WTO

Key Words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Trade Multiplier Interregional Trade

Page 7: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국내...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3

분류 공식무역유발분석

중국 지역 간 유발계수

(11) 감응도계수영향력계수

(12)

분류 공식

요인분해분석

일반식

i f 기준연도 i f 비교연도 (13)

요인분해

∆∆ ∆ ∆∆∆∆ (14)

요인역내무역 변화 ∆ (15)교역계수 변화 ∆ (16)

3) 역내무역의 영향과 지역 간 무역유발계수

식(2) 중 의 각 요소를 라 하면 이 각 원소들은 지역 의 역내무역 1단위 변화가

지역 의 유출에 미치는 직middot간접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는 지역 의 역내무역으로 유발되

는 중국 국내무역의 증가를 나타낸다

lt표 3gt 무역유발분석

참고 심승진(2003)

의 행 부분은 타 지역들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야기되는 지역 의 유출에 대한 영향

들이며 열 부분은 지역 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야기되는 타 지역들의 유출에 대한 직middot간접

영향이다 따라서 이러한 영향들의 평균인

과 대비하여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를 지

역별로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만약 감응도 계수가 1보다 큰 값을 갖는다면 다른 지역의 역내무

역의 영향으로 수출증가의 효과가 더욱 높은 지역이므로 ldquo유출형 지역rdquo이라 할 수 있으며 영향

력 계수가 1보다 큰 값을 갖는다면 마찬가지로 타 지역의 수출에 대하여 자기권역 역내무역의

유발효과가 높으므로 ldquo유입형 지역rdquo이라 할 수 있다 감응도middot영향력 계수 모두가 1보다 크다면

상호교역이 활발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4) 요인분해와 무역승수 분석

이상의 무역유발분석은 특정연도의 교역구조에 대한 정태적 분석이다 이러한 정태분석은 시

간변화로 인한 요인영향의 변화를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을 고

려하여 지역 간 무역유발구조를 ldquo역내무역규모의 변화 교역구조변화 교차항rdquo의 요인으로 분해

하여 동태적인 분석을 진행한다(참고 식 14)

lt표 4gt 요인분해 분석방법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4

교차항 변화 ∆∆ (17)

무역승수 ⋯ (20)

(18) (19)

권역 역내무역규모 권역 총유출 권역 총유출의 역내무역에 대한 의존도

참고 심승진(2003) 심승진(2012)

식(14)는 기준연도와 비교연도 간 각 지역 유출증가분을 ldquo역내무역규모의 변화 지역 간 교역

구조의 변화 상호작용의 영향rdquo으로 나타내고 있다26)

지역 간 무역승수분석은 각 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직middot간접 경로를 통해 기타 권역의

유출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다27) 식(18)은 지역별 역내무역의 총산출에 대한 기여도이며 전환

후 를 식(2) 중 에 대입하면 식(19)의 총산출 증가로 인한 지역 간 무역승수를 분석할 수

있다 게다가 식(19) 중 를 통해 각 지역 총산출의 타 지역 총유출에 대한 유발효

과를 얻게 된다28)

Ⅲ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 개관과 공간적 집중도 분석

1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 개관

중국의 1997 2002 2007년 권역 간 산업연관표 중 국제부문 수출규모는 1조 6513억 위안

2조 7828억 위안 8조 1889억 위안으로 1997-2007년 기간 1737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며

1997-2002년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110 2002-2007년 기간은 247로 WTO 가입으로 인

한 세계시장의 확대효과가 명확함을 알 수 있다(표 5 참고)

실제 중국의 1997 2002 2007년 국내 8대 권역 간 전(全)산업 중간재(최종재) 총 유출규모

는 1997년 1조 9702억 위안(5399억 위안)에서 2002년 2조 3126억(9712억 위안) 2007년 9

조 9245억 위안(4조 2970억 위안)으로 증가하였으며 1997-2007년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1755(2305)를 보인다 규모적인 측면에서 중간재(A)의 권역 간 무역규모는 최종재(B)의 경

우보다 더욱 큰 규모를 갖지만 연평균 성장률로 보면 최종재 부문이 더욱 빠른 속도로 증가하

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로써 각 지역별 자체 생산능력의 향상과 산업내무역의 증가를 알 수

있다

26) lt표 8gt 참고

27) 기존 연구 문헌(Oumlzyurt외 2011)은 GDP 성장으로 인한 직middot간접 무역유발효과는 시차가 존재함을

주목하였지만 본 연구대상이 한 국가 내부의 지역 간 무역임을 고려할 때 각 지역 생산 활동증가

가 유발시키는 기타 지역 총 유출입 규모에 대한 영향은 시차성이 비교적 작을 것이라 판단한다

28) 여기서 는 지역 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유발하는 지역의 유출액에 대한 직middot간접 효과를 의

미한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5

ndash

lt표 5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국내유출29)과 국제수출의 규모와 성장률 비교

A국내 유출총액(중간재) B국내 유출총액(최종재) C국내 유출총액(중간재+최종재)

D국내 유출총액(중간재+최종재+재고액) E국제 수출총액

FA-E GB-E HC-E ID-E GR 연평균 성장률()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수출규모와 중간재 유출규모 간의 차이(F)는 2002년을 제외하고 모든 연도에서 국내부문의

중간재 유출규모가 더욱 크다30) 하지만 중간재와 최종재 부문 모두를 고려할 시 모든 기간에

서 유출이 수출보다 더욱 컸으며 2002-2007년 기간 그 격차가 더욱 확대되었다31)

또한 유출규모(C)와 수출규모(E)의 차이(H)는 2002년은 감소하여 5009억 위안에 달했으나

2007년에 들어 6조 326억 위안으로 2002-2007년 기간 국내유출(C)의 연평균 성장률은

3406로 동 기간 수출부문의 2409 보다 더욱 높다 여기서 1997-2002년 기간 국내유출

(C)의 연평균 성장률이 552로 수출의 연평균 성장률 11보다 더욱 낮았던 점 두 기간 국내

유출의 연평균 성장률의 차이가 큼을 재차 고려하면 2002-2007년 기간 중국의 순수출과 국내

지역 간 무역의 발전은 일정수준 연관되고 이는 국내 분업수준의 확대로 내생적 비교우위가 향

상함과 동시에 규모의 경제를 통한 Home Market Effect로 인해 중국의 수출경쟁력이 향상된

것으로 사료된다32) 이상의 분석을 통해 세계시장의 확대와 더불어 국내교역의 규모가 더욱 증

가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무역 매트릭스를 통해 각 권역별 국내 권역 간 유출입 규모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표 6 참고)33)

middot

ldquo rdquo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6

 

     

     

     

lt표 6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변화추세(억 위안 )

참고 A각 권역 총유출의 국내무역 중 비중 B 각 권역 내 유출이 총유출 중 비중 C 각 권역유입의

국내무역 중 비중 D 각 권역 내 유입이 현지 권역 총유입 중 비중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7

연도별 각 권역 총 유출에 대한 역내유출비중의 평균값은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로 2002년 이후 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가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역내 무역규

모가 권역 간 무역규모에 비해 매우 큰 점을 고려하면 기존의 국제무역 상에 Border Effect 혹

은 Home Bias Effect가 국가 간 뿐만 아니라 국내의 지역 시장 간의 교역 중에도 존재한다는

연구결과와 일맥을 이루며 Home Market Effect 역시 예상할 수 있다34)

국내무역 중 가장 높은 유출비중을 차지하는 권역은 연해지역으로 3개 연도 평균비중은

1715에 달하며 이 중 동부연해권역(浙江 江苏 上海)는 2232로 가장 높다35) 하지만

2002-2007년 기간 동부연해권역의 유출비중은 감소하였지만 타 권역의 경우 모두 증가하였다

이 중 타 권역 유출규모의 성장을 보면 서북권역은 523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경진권역

은 456를 나타냈다

권역 간 순유출의 측면에서 동북권역은 2002-2007년 기간 북부연해와 남부연해의 유입이

35배 증가했는데 이러한 유입증가는 동부연해에 대한 유출규모가 1145배 상승하여 일정수준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8대 권역의 타 지역에 대한 유출증가율은 1997-2002년 기간 105

2002-2007년 기간은 419로 증가하였다36)

이상의 무역 매트릭스 분석은 대략적인 권역 간 무역의 규모와 성장률 역내middot외 무역규모의

크기 등을 제시할 뿐 기타 정보에 대한 분석이 쉽지 않다 따라서 이하에서 중국 내 무역구조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분석으로 탐색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2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 집중도 분석

3개 연도별 총 공간지니계수는 1997년 054에서 2002년 048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2007년에는 046 수준으로 권역 간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는 더욱 확대되었다(참고 표 7)

lt표 7gt 1997 2002 2007년 전(全)산업 국내무역의 공간 집중도 분석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34)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1997년 2002년

2007년 (12의 유의수준)로 나타냈으며 모든 기간은 의 상관성을 보였다

35) 이는 동부연해권역이 중국 내 지역 중 산업구조가 비교적 완비된 곳으로 8대 권역 중 생산규모

가 가장 큼을 반영한다

36) 유일하게 북부연해의 타 지역 유출 규모가 ndash8 감소하였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8

1997-2002년 기간 lsquo유출형(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00426(00505)에서 00397(00446)로

모두 감소하였지만 기여도는 831(934)로 증가하였으며 2007년에 들어 유출은 더욱 집중되

고 유입은 확산되어 운송수단의 발전으로 공간적으로 더욱 넓은 범위의 지역에서 재화를 유입

하고 생산 및 가공 후 일부 특정 지역으로 유출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는 lt표 6gt 중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이 매우 큰 규모인 점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연해지역이

선(先)성장으로 중국 내 수요지37)와 대외시장의 창구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반영한다 2002년에

들어 lsquo교환형rsquo 공간지니계수의 기여도는 110로 1997년 대비 약 43 상승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089수준으로 감소한다 즉 양자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가 2002년은 1997년에 비해 더

욱 높아졌지만 2007년에 다시 개선됨을 의미하며 이는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이 2002년

증가하였다가 2007년 감소함을 의미한다 게다가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3개 연도 모두 가장

높은 지수로 총 공간지니계수에 대한 기여도 역시 가장 높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상

술한 바와 같이 이상의 분석은 각 권역별 공간상의 무역패턴을 분석할 수 없기에 Z-SCORE로

lt그림 1gt38)을 제시한다

lt그림 1gt 1997-2007년 기간 중국 권역 간 무역의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 산점도

참조 Y축 유입 X축 유출을 나타냄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lt그림 1gt을 통해 2002-2007년 기간의 산점도가 1997-2002년 기간에 비해 좀 더 45deg 직선

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고려하면 공간상의 무역류가 전(前)기간 보다 더욱 분산된 무역구조 및

양자무역의 균형을 나타낸다 게다가 산점도가 점차 1사분면으로 이동하는 추세는 유출이 더욱

집중됨을 의미한다 이는 lt표 7gt의 2002-2007년 기간 분석결과와 일맥 한다

37) 타권역 유출에 대한 전(全)기간 연해지역의 평균유입비중을 보면 ldquo북부연해middot동부연해rdquo 두 권역의

유입비중이 56를 초과한다

38) 이하 lt그림 1gt은 각 권역의 유출middot유입 부문 공간지니계수를 z-score 전환 값을 이용하여 산점도

를 제시한다 정(+)의 z-score는 지역 간 무역 중 중요한 역할을 함과 동시에 평균 수준 보다 공

간적으로 더욱 집중화되었음을 의미하며 음(-)의 z-score는 지역 간 무역의 범위가 광범위하여 집

중화 수준이 낮음을 의미한다 45deg의 직선으로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쉽게 비교할 수 있으며 유출middot유입 부문 공간지니계수의 z-score 처리과정 중 plusmn1middot표준편차의 크기

보다 크거나 작은 지역은 유입지 혹은 유출지의 선택이 공간상에 더욱 집중(분산)화되었음을 나타

낸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9

 

lt표 8gt1997middot2002middot2007년 권역별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적 집중middot분산유형 분류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lt표 8gt의 권역별 교역패턴을 보면 서북middot동북 권역은 분석기간 lsquo유출과 유입rsquo 부문의 공간적

패턴이 대체로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1gt 중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동북권

역은 기타 권역에 비해 지리적으로 외딴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북권역은 중국의 동middot서 지

역을 연계할 정도로 매우 길게 위치함을 반영하는 것이다

집중된 교역구조의 유출부문으로 1997년 서남권역은 타권역 유출 규모 중 남부연해권역은

약 583억 5천만 위안으로 약 371의 비중을 2002년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의 1355억 6천

만 위안으로 약 606 2007년 동부연해권역의 남부연해middot중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1조 3천

억 위안으로 약 703의 비중 중부권역은 동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9천 104억 위안으

로 약 4095의 비중을 보이며 유입지 선택의 공간적 집중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표 8 참

고)39)

Ⅳ 중국 국내무역 유발구조의 요인분해와 무역승수 분석

1 역내무역의 국내무역과 권역 간 무역유발계수 분석

lt표 9gt은 연도middot지역별 역내무역규모가 중국 국내무역을 어느 정도로 유발하였는지를 나타낸

다 먼저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을 보면 1997년 114 2002년 116 2007년

124로 각 권역별 국내무역의 유발효과가 점차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각 지역의 산업과 경제발

전이 타 지역과 독립된 자급자족형 구조가 점차 상호보완적 구조로 전환됨을 반영하며 2002년

이후 지역 간 상호연관수준은 더욱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97년 상위 3개 국내무역 유발지역은 lsquo남부연해 동부연해 그리고 경진권역rsquo이며 2002년

WTO 가입 후 경진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여 유발계수를 보이고 서북

권역과 북부연해 권역이 뒤를 잊는다 여기서 서북권역의 유발계수가 크게 증가한 이유로는

2001년 1월 서부대개발40) 정책의 영향이며 서남권역의 유발효과는 서북권역에 비해 상당히 낮

은 수준인 이유는 서부대개발 정책의 효과가 서남권역 보다 서북권역에 먼저 시현된 것으로 사

료된다41) 2007년은 서북 중부 경진 권역이 가장 큰 유발효과를 보이며 서남권역의 국내무역

39)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권역 간 유출과 유입의 교역집중화를 파악할 수 있다(유입부문 1997년 동

부연해 중부(35) 2002년 중부동부연해(457) 2007년 경진북부연해(452))

40) 서부대개발 정책의 지리적 범위는 12개 지역을 포함함(四川陕西甘肃青海云南贵州广

西内蒙古宁夏新疆西藏重庆)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0

middot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였다

lt표 9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기간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성장률을 보면 1997-2002년 기간은 경진권역이 207

의 성장률로 가장 높다 이는 WTO 가입과 함께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산업의 발전과 세

계의 많은 외자기업들이 북경과 천진 지역의 투자 증가를 원인으로 들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은 중부권역이 158 성장률을 보여 가장 높은 데 이는 2004년 3월 중부굴기의 정책으로

중국의 동부와 서부지역의 산업발전을 연계하는 지리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앞서 살펴본 각 권역별 역내무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를 타 권역별 무역유발효과로 분류하여

살펴볼 수 있다(표 10 참고)

lt표 10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 간 무역유발효과 변화

41) 서부대개발 정책의 서부지역의 건축업에 큰 발전적 지회를 야기하였으며(唐明龙 2006) 2002년

서북권역 건축업의 RCA지수가 459로 매우 높으나 2007년에 들어 238로 감소하였으며 2002년

서남권역 건축업의 RCA지수는 146으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나 2007년는 400으로 크게 상승함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1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모든 기간에 걸쳐 대체적으로 역내무역의 증가는 자기권역의 총유출 규모를 더욱 유발

하였으나 1997-2002년 기간 ldquo중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은 자기권역의 유출유발효과가 감

소하였다 앞서 살펴본 기간별 국내무역 유발규모의 성장률이 높은 경진권역과 중부권역을 살펴

보면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과 유입의 유발효과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으며 중부권역은 1997년 서북구역의 유출middot유발효과만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middot유입효과가 높았다

타 권역에 대한 유출입 유발효과를 살펴보면 1997년 중부권역이 028로 가장 높았으나 이후

027 수준으로 감소하는 반면 2002년은 동부연해 권역의 025 2007년은 남부연해권역의 033

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부권역은 모든 기간에 걸쳐 가장 일정하게 타 지역의 유출

을 유발시켰으며42) 남부연해권역은 1997년 015의 유출계수가 2007년에 들어 가장 높은 033

까지 상승하여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유출입 계수의 격차를 살펴보면 경진과 서북 권역은 유입주도형 지역이며 동부연해 권역은

유출주도형 지역이다 하지만 각 권역별 총 유출입에 대한 역내무역의 비중은 지역별 산업구조

의 불일치 인구규모의 상이함 등의 요인으로 각 지역의 교역유형별 특성을 살펴볼 수 없다 따

라서 이하에서는 Rasumussen(1958)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를 통해 기간별 각 권역의 교역

유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2 권역 간 유출입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권역 간 상호의존관계 중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역내무역에 의해 받는 영향을 감응도

계수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유출에 주는 영향을 영향력계수라 한다

식(12)를 통하여 각 권역의 감응도 영향력계수를 구하면 lt표 11gt과 같다 우선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가 모두 1보다 큰 교역형 권역은 1997년 동부연해 남부연해 2002년 북부연해

42) 유출유발효과 값의 표준편차가 001로 가장 낮음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2

2007년 북부연해 남부연해 중부로 나타났다 2002년 후 경진권역은 유입형 지역으로 북경과

천진 지역이 타 지역으로부터 많은 재화를 유입할 것이라는 직관과 일치하였다

lt표 11gt 각 구역의 전방관련효과와 후방관련효과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서북권역의 경우 1997년 패쇄형 지역의 특성을 보이다 2002년에 들어 유입형의 특성을 보인

다 이는 서부대개발의 정책 추진 중 부족한 원부자재 및 생산설비를 타 지역으로부터 크게 유

입함을 반영하며 서남권역은 1997 2002년 패쇄형 지역에서 2007년 유입형 지역의 특성을 나

타낸다

3 요인분해분석

우리는 이상의 분석을 통해 각 권역 역내무역의 국내 및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를 분석하

였다 이러한 유발계수에 대하여 식(13)-(16)을 거쳐 요인분해 분석을 진행하면 lt표 12gt의 결

과를 얻을 수 있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3

lt표 12gt 기간별 각 권역 유출증가의 요인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중국 내부의 전체적인 효과를 살펴보면 1997-2002년 기간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

역에 대한 영향이 평균 10374 기여하여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역내

무역의 규모효과로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기

여도 모두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기여도는 약 86로 감소한다43) 즉

세계시장의 확대와 함께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구조의 변화와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상호작용이

모두 효율적으로 개선된 것이다 이는 자기권역 내 무역의 영향 보다 타 지역과의 상호연관 속

에 유발되는 유출의 규모가 더욱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권역별 요인분해 분석결과는 모든 기간에 걸쳐 각 권역의 총 유출은 역내무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지만 2002-2007년에 들어 기여도가 점차 감소하는 데 이는 1997-2002년 기간 교역

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인 지역은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이며 동 기간 이들 지역은

역내무역규모의 변화효과가 기타 교역구조 및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시킬 정도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서북권역은 교역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이지는 않으나 양자 간의 교차효과가

음의 영향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게다가 북부연해권역의 기간별 교역구조의 변화 효과는 ndash

2650에서 5077로 국내 교역구조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lt표 13gt는 각 권역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유발된 총 유출의 변화분에 대한 각 권역의 역

내무역 규모변화를 외생변수로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우선 전체적인 측면에서 동부연해 권

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유발되는 국내무역 유출변화가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중부권역이지만

2002-2007년에 들어 167의 기여도로 전보다 감소하고 북부연해 권역의 기여도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43)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이 2007년에 들어 큰 폭으로 상승하게 한 원인으로 고려

된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4

lt표 13gt 권역 내 무역규모변화요인의 재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5

각 권역별 특징을 살펴보면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자

기권역 역내무역규모 변화로 인한 총 유출에 대한 기여도가 감소하였다 이로써 ldquo북부연해 동

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이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가 효율적이게 변화함과 동시에

역내산업구조의 향상(표 6 참고)으로 인해 역내무역의 기여도가 더욱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4 권역 간 무역승수 분석

무역은 경제성장을 야기하지만 경제성장 역시 무역의 발전을 야기한다는 것이 공론이다 이러

한 관점에서 각 권역별 총산출 1단위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역내middot외 무역의 규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중국 내 지역 간 무역을 새로운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된

lt표 14gt 권역 간 무역승수44)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44) 국내무역승수(행합) 타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특정권역에 유발하는 유출의 무역승수 총

합 국내무역승수(열합) 특정 권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로 타지역에 유발하는 유입의 무역승수

총합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6

분석기간에 걸쳐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서남권역만을 제외하고 모든 권역에서 자기권역에 대

한 무역승수는 감소하고 있으며 2002-2007년 기간 lsquo서북과 서남rsquo 권역은 각각 33와 25로

감소율이 가장 크다 실제로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총산출 수준의 평균 성장률은 58

이며 2002-2007년 기간의 성장률은 크게 확대되어 15943으로 두 기간의 격차가 매우 크다

2002-2007년 기간 자기 지역 내 무역승수의 감소는 각 권역 간 산업구조가 더욱 고도화 되어

자기권역 내 무역만을 통해서는 생산을 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즉 국내무역의 발전과 지역 간

의 관계가 더욱 확대되어 기타 지역에 대한 무역승수효과가 더욱 증가한 것이며 이처럼 높은

총산출의 증가는 더욱 긴밀한 지역 간 산업구조와 무역관계 하에서 비로써 실현가능함을 반영

한다

lt표 14gt 중 국내무역승수의 행합과 열합의 변화를 보면 대부분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총산출

로 야기된 무역승수가 점차 감소한다고 오인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 만약 국내무역승수의 값

중 자기권역 내 무역승수를 소거한 후 무역승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반드시 감소하는 것은 아님

을 알 수 있다(참고 표 15)

lt표 15gt 자기 구역무역승수를 제거한 행합과 열합의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무역승수 변화추세는 일관되지 않지만 2002-2007년 기간 행

합 부문의 수치는 동부연해권역 이외에 기타 권역의 무역승수는 모두 증가하였고 열합 부문 중

경진과 서북권역 이외에 모든 권역의 타 권역에 대한 무역승수는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

다 이로써 WTO 가입 후 국내무역의 일체화 수준이 더욱 향상되었으며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

상을 위한 시장 환경이 구축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본 논문은 중국경제의 높은 성장 중 국내무역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을 대상으로 8대 권역 간 무역구조 분석을 위해 우선 무역 매트릭스를 구축

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

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본문 중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탐색적 접근으로 공간지니계수의 공간집중

도 분석결과는 분석 기간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수준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7

lsquo유출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반면에 lsquo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2007년에 들어

크게 감소하였다 게다가 2002년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은 증가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감소하여 지역 간 무역의 격차가 다소 감소하

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가 유입지 선택의 집중 유출지 선택의

확산 그리고 국내 유출입의 불균형 감소와 모든 교역조합 간의 격차감소로 시장일체화 수준이

점차 향상하는 추세를 의미한다

또한 중국 WTO 가입연도를 기준한 1997-2002년 2002-2007년 전후기간의 분석으로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유발구조를 살펴봄과 동시에 동태적인 요인분해분석을 통하여 국내분업

수준의 효율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내생적 비교우위론에 근거하여 교역구조의 개

선과 무역승수의 분석 역시 시장일체화의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내생적 비교우위 제고가

2002-2007년 기간 518의 중국 순수출 연평균 성장률에 기여함을 예상할 수 있었으며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무역 매트릭스 중 각 권역의 역내무역 비중은 동부연해권역을

제외하고 1997-2007년 기간 감소하였으며 일부 권역은 2002-2007년 기간에 들어 비로써 감

소하였다 하지만 역내무역의 비중이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의 연도

별 평균값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는 것을 보아도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중 Border Effect가 존재

하는 점과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아 Home Market

Effect의 존재를 탐색적으로 예감할 수 있다

또한 1997-2002년 기간 교역구조변화요인이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 ls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

부rsquo 권역은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가 효율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역내무역 규모요인의 재분

해 분석 시 자기권역 내 무역규모의 변화가 총 유출에 대한 영향이 더욱 커짐을 고려하면 역내

성middot시간 경제통합이 권역 외 총유출을 크게 촉진함으로 판단되며 권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 역시 국내무역의 유발효과를 촉진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은 전(全)산업의 권역 간

무역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17개 산업 부문 중 각각의 특성과 기여를 분석할 수 없었으며

현실적인 시사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정책변화 등 정성적인 요인들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는 차후의 연구과제로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심승진 20029 ldquo지역간 무역의 유발구조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심승진 20126 ldquo국제지역간 무역승수 효과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이데 마사히로 ldquo산업연관분석입문ldquo 985172제주대학교985173 2010

이중화 ldquo중국 국내무역의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영향분석-국내무역 순유출지수의 공간계

퍙패널분석을 중심으로ldquo 985172한국동북아경제학회985173 第27卷 第1號 201503

Hewings GJD Schindler GR and PR Israilevich 1998b ldquoInterstate trade among

Midwest economiesrdquo Chicago Fed Letter The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May

1998 no 129

N Ramondo A Rodriacuteguez‐Clare M Saboriacuteo‐Rodriacuteguez 2014 ldquoTrade Domestic

Frictions and Scale Effectsrdquo NBER Working Paper No18532

Poncet S 2003 ldquoMeasuring Chine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grationrdquo China

Economic Review 14(2003)1‐21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8

S Oumlzyurt M Dauma 2011 ldquoTrade openness and regional income spillovers in BrazilA

spatial econometric approachrdquo Papers in Regional Science 2013

Weinhold D 2002 ldquoThe importance of trade and geography in the pattern of spatial

dependence of growth ratesrdquo Review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6 no 3 pp

369‐382

XiaoKai Yang(杨小凯) 1996 ldquoA New Theory of Demand and Supply and Emergence

of International Trade from Dmestic Traderdquo Pacifrc Economic Review 13

国家信息中心 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1997年 200551

国家统计局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ldquo 20118

李善同 侯永志 ldquo中国大陆 划分8大社会经济区域ldquo 985172中国脉搏985173 20035

盛斌 毛其淋 2011 ldquo贸易开放国内市场一体化与中国省际经济增长1985sim2008年ldquo 985172世

界经济985173 (11) 44-66

唐明龙ldquo西部开发战略激活建筑业ldquo985172中国工程建设周刊9851732006年7月13日

吴三忙 李善同 2010 ldquo市场一体化产业地理集聚与地区专业分工演变ldquo 985172产业经济研究985173

06期

周怀峰 ldquo大国国内贸易需求提升产品国际竞争力的机理分析ldquo985172财贸研究98517320074

[i3] httpwwwgovcnzwgk2012-0910content_2220743htm 201551

국문초록

중국 8대 권역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Spatial Gini Index와 Decomposition Techniques를 통하여-

이 중 화

중국인민대학교 경제학 박사

본 논문은 2002년 WTO 가입으로 인한 중국의 대외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중국 내 지역 간 무역구조의 공간적 패턴과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게다가 ldquo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를 이용하여 8대 권역 간 무역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는 3개 연도 기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 중 유출형 공간집중도는 지속적으로 집중되는 반면에 유입형middot교환형middot기타형은 2002-2007년 기간 모두 감소하였다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유발계수분석 시 각 권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야기되는 중국 국내무역의 연도별 평균유발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요인분해분석 경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국내 총유출에 대하여 역내무역의 변화요인에 과도하게 의존한 반면 2002-2007년 기간 국내교역구조가 크게 개선됨을 나타낸다 게다가 2002-2007년 기간 무역승수는 일부 몇몇 권역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여 WTO 가입 후 중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과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상을 위한 시장환경이 구축되어 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주제어 공간지니계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권역 간 무역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9

Abstract

Spatial concentration and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terIntra trade for the

eight zones in China

-The Analysis based Spatial Gini Index and Decomposition Techniques-

ZHONGHUA LEE

PhD Economics RU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and induced structure of intra and inter‐regional trade among the eight

zones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 of domestic trade structure change after

joing the WTO In this paper the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SensitivityImpact coefficient Trade Multiplier is applied using

the inter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 the year of 1997 2002 and 2007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in the period of 1997‐2007 is diminished to continue indicating outflow

index is more centr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flow∙exchange∙others index is declined

in 2002‐2007 period Second trade induced coefficient where intra trade is set as

exogenous variable it is imply that domestic induced trade effect has consistently

increased Third the decomposition analysis shows that total outflows of each region

depends heavily on factors of change with respect to intra‐regional trade in 1997‐2002

period and the domestic trade structure among eight zones is improved during

2002‐2007 And also Trade multiplier estimate show that except a few zones it is

increased in 2002‐2007 was more efficient with comparison to the past indicating that

domestic markets and Endogenous Comparative Advantage started to enhance

complementary effect after having integrate into World Economic by joing in WTO

Key Words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Trade Multiplier Interregional Trade

Page 8: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국내...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4

교차항 변화 ∆∆ (17)

무역승수 ⋯ (20)

(18) (19)

권역 역내무역규모 권역 총유출 권역 총유출의 역내무역에 대한 의존도

참고 심승진(2003) 심승진(2012)

식(14)는 기준연도와 비교연도 간 각 지역 유출증가분을 ldquo역내무역규모의 변화 지역 간 교역

구조의 변화 상호작용의 영향rdquo으로 나타내고 있다26)

지역 간 무역승수분석은 각 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직middot간접 경로를 통해 기타 권역의

유출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다27) 식(18)은 지역별 역내무역의 총산출에 대한 기여도이며 전환

후 를 식(2) 중 에 대입하면 식(19)의 총산출 증가로 인한 지역 간 무역승수를 분석할 수

있다 게다가 식(19) 중 를 통해 각 지역 총산출의 타 지역 총유출에 대한 유발효

과를 얻게 된다28)

Ⅲ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 개관과 공간적 집중도 분석

1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 개관

중국의 1997 2002 2007년 권역 간 산업연관표 중 국제부문 수출규모는 1조 6513억 위안

2조 7828억 위안 8조 1889억 위안으로 1997-2007년 기간 1737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며

1997-2002년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110 2002-2007년 기간은 247로 WTO 가입으로 인

한 세계시장의 확대효과가 명확함을 알 수 있다(표 5 참고)

실제 중국의 1997 2002 2007년 국내 8대 권역 간 전(全)산업 중간재(최종재) 총 유출규모

는 1997년 1조 9702억 위안(5399억 위안)에서 2002년 2조 3126억(9712억 위안) 2007년 9

조 9245억 위안(4조 2970억 위안)으로 증가하였으며 1997-2007년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1755(2305)를 보인다 규모적인 측면에서 중간재(A)의 권역 간 무역규모는 최종재(B)의 경

우보다 더욱 큰 규모를 갖지만 연평균 성장률로 보면 최종재 부문이 더욱 빠른 속도로 증가하

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로써 각 지역별 자체 생산능력의 향상과 산업내무역의 증가를 알 수

있다

26) lt표 8gt 참고

27) 기존 연구 문헌(Oumlzyurt외 2011)은 GDP 성장으로 인한 직middot간접 무역유발효과는 시차가 존재함을

주목하였지만 본 연구대상이 한 국가 내부의 지역 간 무역임을 고려할 때 각 지역 생산 활동증가

가 유발시키는 기타 지역 총 유출입 규모에 대한 영향은 시차성이 비교적 작을 것이라 판단한다

28) 여기서 는 지역 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유발하는 지역의 유출액에 대한 직middot간접 효과를 의

미한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5

ndash

lt표 5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국내유출29)과 국제수출의 규모와 성장률 비교

A국내 유출총액(중간재) B국내 유출총액(최종재) C국내 유출총액(중간재+최종재)

D국내 유출총액(중간재+최종재+재고액) E국제 수출총액

FA-E GB-E HC-E ID-E GR 연평균 성장률()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수출규모와 중간재 유출규모 간의 차이(F)는 2002년을 제외하고 모든 연도에서 국내부문의

중간재 유출규모가 더욱 크다30) 하지만 중간재와 최종재 부문 모두를 고려할 시 모든 기간에

서 유출이 수출보다 더욱 컸으며 2002-2007년 기간 그 격차가 더욱 확대되었다31)

또한 유출규모(C)와 수출규모(E)의 차이(H)는 2002년은 감소하여 5009억 위안에 달했으나

2007년에 들어 6조 326억 위안으로 2002-2007년 기간 국내유출(C)의 연평균 성장률은

3406로 동 기간 수출부문의 2409 보다 더욱 높다 여기서 1997-2002년 기간 국내유출

(C)의 연평균 성장률이 552로 수출의 연평균 성장률 11보다 더욱 낮았던 점 두 기간 국내

유출의 연평균 성장률의 차이가 큼을 재차 고려하면 2002-2007년 기간 중국의 순수출과 국내

지역 간 무역의 발전은 일정수준 연관되고 이는 국내 분업수준의 확대로 내생적 비교우위가 향

상함과 동시에 규모의 경제를 통한 Home Market Effect로 인해 중국의 수출경쟁력이 향상된

것으로 사료된다32) 이상의 분석을 통해 세계시장의 확대와 더불어 국내교역의 규모가 더욱 증

가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무역 매트릭스를 통해 각 권역별 국내 권역 간 유출입 규모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표 6 참고)33)

middot

ldquo rdquo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6

 

     

     

     

lt표 6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변화추세(억 위안 )

참고 A각 권역 총유출의 국내무역 중 비중 B 각 권역 내 유출이 총유출 중 비중 C 각 권역유입의

국내무역 중 비중 D 각 권역 내 유입이 현지 권역 총유입 중 비중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7

연도별 각 권역 총 유출에 대한 역내유출비중의 평균값은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로 2002년 이후 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가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역내 무역규

모가 권역 간 무역규모에 비해 매우 큰 점을 고려하면 기존의 국제무역 상에 Border Effect 혹

은 Home Bias Effect가 국가 간 뿐만 아니라 국내의 지역 시장 간의 교역 중에도 존재한다는

연구결과와 일맥을 이루며 Home Market Effect 역시 예상할 수 있다34)

국내무역 중 가장 높은 유출비중을 차지하는 권역은 연해지역으로 3개 연도 평균비중은

1715에 달하며 이 중 동부연해권역(浙江 江苏 上海)는 2232로 가장 높다35) 하지만

2002-2007년 기간 동부연해권역의 유출비중은 감소하였지만 타 권역의 경우 모두 증가하였다

이 중 타 권역 유출규모의 성장을 보면 서북권역은 523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경진권역

은 456를 나타냈다

권역 간 순유출의 측면에서 동북권역은 2002-2007년 기간 북부연해와 남부연해의 유입이

35배 증가했는데 이러한 유입증가는 동부연해에 대한 유출규모가 1145배 상승하여 일정수준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8대 권역의 타 지역에 대한 유출증가율은 1997-2002년 기간 105

2002-2007년 기간은 419로 증가하였다36)

이상의 무역 매트릭스 분석은 대략적인 권역 간 무역의 규모와 성장률 역내middot외 무역규모의

크기 등을 제시할 뿐 기타 정보에 대한 분석이 쉽지 않다 따라서 이하에서 중국 내 무역구조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분석으로 탐색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2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 집중도 분석

3개 연도별 총 공간지니계수는 1997년 054에서 2002년 048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2007년에는 046 수준으로 권역 간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는 더욱 확대되었다(참고 표 7)

lt표 7gt 1997 2002 2007년 전(全)산업 국내무역의 공간 집중도 분석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34)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1997년 2002년

2007년 (12의 유의수준)로 나타냈으며 모든 기간은 의 상관성을 보였다

35) 이는 동부연해권역이 중국 내 지역 중 산업구조가 비교적 완비된 곳으로 8대 권역 중 생산규모

가 가장 큼을 반영한다

36) 유일하게 북부연해의 타 지역 유출 규모가 ndash8 감소하였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8

1997-2002년 기간 lsquo유출형(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00426(00505)에서 00397(00446)로

모두 감소하였지만 기여도는 831(934)로 증가하였으며 2007년에 들어 유출은 더욱 집중되

고 유입은 확산되어 운송수단의 발전으로 공간적으로 더욱 넓은 범위의 지역에서 재화를 유입

하고 생산 및 가공 후 일부 특정 지역으로 유출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는 lt표 6gt 중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이 매우 큰 규모인 점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연해지역이

선(先)성장으로 중국 내 수요지37)와 대외시장의 창구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반영한다 2002년에

들어 lsquo교환형rsquo 공간지니계수의 기여도는 110로 1997년 대비 약 43 상승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089수준으로 감소한다 즉 양자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가 2002년은 1997년에 비해 더

욱 높아졌지만 2007년에 다시 개선됨을 의미하며 이는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이 2002년

증가하였다가 2007년 감소함을 의미한다 게다가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3개 연도 모두 가장

높은 지수로 총 공간지니계수에 대한 기여도 역시 가장 높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상

술한 바와 같이 이상의 분석은 각 권역별 공간상의 무역패턴을 분석할 수 없기에 Z-SCORE로

lt그림 1gt38)을 제시한다

lt그림 1gt 1997-2007년 기간 중국 권역 간 무역의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 산점도

참조 Y축 유입 X축 유출을 나타냄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lt그림 1gt을 통해 2002-2007년 기간의 산점도가 1997-2002년 기간에 비해 좀 더 45deg 직선

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고려하면 공간상의 무역류가 전(前)기간 보다 더욱 분산된 무역구조 및

양자무역의 균형을 나타낸다 게다가 산점도가 점차 1사분면으로 이동하는 추세는 유출이 더욱

집중됨을 의미한다 이는 lt표 7gt의 2002-2007년 기간 분석결과와 일맥 한다

37) 타권역 유출에 대한 전(全)기간 연해지역의 평균유입비중을 보면 ldquo북부연해middot동부연해rdquo 두 권역의

유입비중이 56를 초과한다

38) 이하 lt그림 1gt은 각 권역의 유출middot유입 부문 공간지니계수를 z-score 전환 값을 이용하여 산점도

를 제시한다 정(+)의 z-score는 지역 간 무역 중 중요한 역할을 함과 동시에 평균 수준 보다 공

간적으로 더욱 집중화되었음을 의미하며 음(-)의 z-score는 지역 간 무역의 범위가 광범위하여 집

중화 수준이 낮음을 의미한다 45deg의 직선으로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쉽게 비교할 수 있으며 유출middot유입 부문 공간지니계수의 z-score 처리과정 중 plusmn1middot표준편차의 크기

보다 크거나 작은 지역은 유입지 혹은 유출지의 선택이 공간상에 더욱 집중(분산)화되었음을 나타

낸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9

 

lt표 8gt1997middot2002middot2007년 권역별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적 집중middot분산유형 분류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lt표 8gt의 권역별 교역패턴을 보면 서북middot동북 권역은 분석기간 lsquo유출과 유입rsquo 부문의 공간적

패턴이 대체로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1gt 중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동북권

역은 기타 권역에 비해 지리적으로 외딴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북권역은 중국의 동middot서 지

역을 연계할 정도로 매우 길게 위치함을 반영하는 것이다

집중된 교역구조의 유출부문으로 1997년 서남권역은 타권역 유출 규모 중 남부연해권역은

약 583억 5천만 위안으로 약 371의 비중을 2002년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의 1355억 6천

만 위안으로 약 606 2007년 동부연해권역의 남부연해middot중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1조 3천

억 위안으로 약 703의 비중 중부권역은 동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9천 104억 위안으

로 약 4095의 비중을 보이며 유입지 선택의 공간적 집중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표 8 참

고)39)

Ⅳ 중국 국내무역 유발구조의 요인분해와 무역승수 분석

1 역내무역의 국내무역과 권역 간 무역유발계수 분석

lt표 9gt은 연도middot지역별 역내무역규모가 중국 국내무역을 어느 정도로 유발하였는지를 나타낸

다 먼저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을 보면 1997년 114 2002년 116 2007년

124로 각 권역별 국내무역의 유발효과가 점차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각 지역의 산업과 경제발

전이 타 지역과 독립된 자급자족형 구조가 점차 상호보완적 구조로 전환됨을 반영하며 2002년

이후 지역 간 상호연관수준은 더욱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97년 상위 3개 국내무역 유발지역은 lsquo남부연해 동부연해 그리고 경진권역rsquo이며 2002년

WTO 가입 후 경진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여 유발계수를 보이고 서북

권역과 북부연해 권역이 뒤를 잊는다 여기서 서북권역의 유발계수가 크게 증가한 이유로는

2001년 1월 서부대개발40) 정책의 영향이며 서남권역의 유발효과는 서북권역에 비해 상당히 낮

은 수준인 이유는 서부대개발 정책의 효과가 서남권역 보다 서북권역에 먼저 시현된 것으로 사

료된다41) 2007년은 서북 중부 경진 권역이 가장 큰 유발효과를 보이며 서남권역의 국내무역

39)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권역 간 유출과 유입의 교역집중화를 파악할 수 있다(유입부문 1997년 동

부연해 중부(35) 2002년 중부동부연해(457) 2007년 경진북부연해(452))

40) 서부대개발 정책의 지리적 범위는 12개 지역을 포함함(四川陕西甘肃青海云南贵州广

西内蒙古宁夏新疆西藏重庆)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0

middot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였다

lt표 9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기간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성장률을 보면 1997-2002년 기간은 경진권역이 207

의 성장률로 가장 높다 이는 WTO 가입과 함께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산업의 발전과 세

계의 많은 외자기업들이 북경과 천진 지역의 투자 증가를 원인으로 들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은 중부권역이 158 성장률을 보여 가장 높은 데 이는 2004년 3월 중부굴기의 정책으로

중국의 동부와 서부지역의 산업발전을 연계하는 지리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앞서 살펴본 각 권역별 역내무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를 타 권역별 무역유발효과로 분류하여

살펴볼 수 있다(표 10 참고)

lt표 10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 간 무역유발효과 변화

41) 서부대개발 정책의 서부지역의 건축업에 큰 발전적 지회를 야기하였으며(唐明龙 2006) 2002년

서북권역 건축업의 RCA지수가 459로 매우 높으나 2007년에 들어 238로 감소하였으며 2002년

서남권역 건축업의 RCA지수는 146으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나 2007년는 400으로 크게 상승함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1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모든 기간에 걸쳐 대체적으로 역내무역의 증가는 자기권역의 총유출 규모를 더욱 유발

하였으나 1997-2002년 기간 ldquo중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은 자기권역의 유출유발효과가 감

소하였다 앞서 살펴본 기간별 국내무역 유발규모의 성장률이 높은 경진권역과 중부권역을 살펴

보면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과 유입의 유발효과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으며 중부권역은 1997년 서북구역의 유출middot유발효과만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middot유입효과가 높았다

타 권역에 대한 유출입 유발효과를 살펴보면 1997년 중부권역이 028로 가장 높았으나 이후

027 수준으로 감소하는 반면 2002년은 동부연해 권역의 025 2007년은 남부연해권역의 033

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부권역은 모든 기간에 걸쳐 가장 일정하게 타 지역의 유출

을 유발시켰으며42) 남부연해권역은 1997년 015의 유출계수가 2007년에 들어 가장 높은 033

까지 상승하여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유출입 계수의 격차를 살펴보면 경진과 서북 권역은 유입주도형 지역이며 동부연해 권역은

유출주도형 지역이다 하지만 각 권역별 총 유출입에 대한 역내무역의 비중은 지역별 산업구조

의 불일치 인구규모의 상이함 등의 요인으로 각 지역의 교역유형별 특성을 살펴볼 수 없다 따

라서 이하에서는 Rasumussen(1958)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를 통해 기간별 각 권역의 교역

유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2 권역 간 유출입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권역 간 상호의존관계 중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역내무역에 의해 받는 영향을 감응도

계수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유출에 주는 영향을 영향력계수라 한다

식(12)를 통하여 각 권역의 감응도 영향력계수를 구하면 lt표 11gt과 같다 우선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가 모두 1보다 큰 교역형 권역은 1997년 동부연해 남부연해 2002년 북부연해

42) 유출유발효과 값의 표준편차가 001로 가장 낮음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2

2007년 북부연해 남부연해 중부로 나타났다 2002년 후 경진권역은 유입형 지역으로 북경과

천진 지역이 타 지역으로부터 많은 재화를 유입할 것이라는 직관과 일치하였다

lt표 11gt 각 구역의 전방관련효과와 후방관련효과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서북권역의 경우 1997년 패쇄형 지역의 특성을 보이다 2002년에 들어 유입형의 특성을 보인

다 이는 서부대개발의 정책 추진 중 부족한 원부자재 및 생산설비를 타 지역으로부터 크게 유

입함을 반영하며 서남권역은 1997 2002년 패쇄형 지역에서 2007년 유입형 지역의 특성을 나

타낸다

3 요인분해분석

우리는 이상의 분석을 통해 각 권역 역내무역의 국내 및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를 분석하

였다 이러한 유발계수에 대하여 식(13)-(16)을 거쳐 요인분해 분석을 진행하면 lt표 12gt의 결

과를 얻을 수 있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3

lt표 12gt 기간별 각 권역 유출증가의 요인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중국 내부의 전체적인 효과를 살펴보면 1997-2002년 기간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

역에 대한 영향이 평균 10374 기여하여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역내

무역의 규모효과로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기

여도 모두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기여도는 약 86로 감소한다43) 즉

세계시장의 확대와 함께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구조의 변화와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상호작용이

모두 효율적으로 개선된 것이다 이는 자기권역 내 무역의 영향 보다 타 지역과의 상호연관 속

에 유발되는 유출의 규모가 더욱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권역별 요인분해 분석결과는 모든 기간에 걸쳐 각 권역의 총 유출은 역내무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지만 2002-2007년에 들어 기여도가 점차 감소하는 데 이는 1997-2002년 기간 교역

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인 지역은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이며 동 기간 이들 지역은

역내무역규모의 변화효과가 기타 교역구조 및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시킬 정도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서북권역은 교역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이지는 않으나 양자 간의 교차효과가

음의 영향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게다가 북부연해권역의 기간별 교역구조의 변화 효과는 ndash

2650에서 5077로 국내 교역구조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lt표 13gt는 각 권역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유발된 총 유출의 변화분에 대한 각 권역의 역

내무역 규모변화를 외생변수로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우선 전체적인 측면에서 동부연해 권

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유발되는 국내무역 유출변화가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중부권역이지만

2002-2007년에 들어 167의 기여도로 전보다 감소하고 북부연해 권역의 기여도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43)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이 2007년에 들어 큰 폭으로 상승하게 한 원인으로 고려

된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4

lt표 13gt 권역 내 무역규모변화요인의 재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5

각 권역별 특징을 살펴보면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자

기권역 역내무역규모 변화로 인한 총 유출에 대한 기여도가 감소하였다 이로써 ldquo북부연해 동

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이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가 효율적이게 변화함과 동시에

역내산업구조의 향상(표 6 참고)으로 인해 역내무역의 기여도가 더욱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4 권역 간 무역승수 분석

무역은 경제성장을 야기하지만 경제성장 역시 무역의 발전을 야기한다는 것이 공론이다 이러

한 관점에서 각 권역별 총산출 1단위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역내middot외 무역의 규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중국 내 지역 간 무역을 새로운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된

lt표 14gt 권역 간 무역승수44)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44) 국내무역승수(행합) 타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특정권역에 유발하는 유출의 무역승수 총

합 국내무역승수(열합) 특정 권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로 타지역에 유발하는 유입의 무역승수

총합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6

분석기간에 걸쳐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서남권역만을 제외하고 모든 권역에서 자기권역에 대

한 무역승수는 감소하고 있으며 2002-2007년 기간 lsquo서북과 서남rsquo 권역은 각각 33와 25로

감소율이 가장 크다 실제로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총산출 수준의 평균 성장률은 58

이며 2002-2007년 기간의 성장률은 크게 확대되어 15943으로 두 기간의 격차가 매우 크다

2002-2007년 기간 자기 지역 내 무역승수의 감소는 각 권역 간 산업구조가 더욱 고도화 되어

자기권역 내 무역만을 통해서는 생산을 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즉 국내무역의 발전과 지역 간

의 관계가 더욱 확대되어 기타 지역에 대한 무역승수효과가 더욱 증가한 것이며 이처럼 높은

총산출의 증가는 더욱 긴밀한 지역 간 산업구조와 무역관계 하에서 비로써 실현가능함을 반영

한다

lt표 14gt 중 국내무역승수의 행합과 열합의 변화를 보면 대부분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총산출

로 야기된 무역승수가 점차 감소한다고 오인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 만약 국내무역승수의 값

중 자기권역 내 무역승수를 소거한 후 무역승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반드시 감소하는 것은 아님

을 알 수 있다(참고 표 15)

lt표 15gt 자기 구역무역승수를 제거한 행합과 열합의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무역승수 변화추세는 일관되지 않지만 2002-2007년 기간 행

합 부문의 수치는 동부연해권역 이외에 기타 권역의 무역승수는 모두 증가하였고 열합 부문 중

경진과 서북권역 이외에 모든 권역의 타 권역에 대한 무역승수는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

다 이로써 WTO 가입 후 국내무역의 일체화 수준이 더욱 향상되었으며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

상을 위한 시장 환경이 구축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본 논문은 중국경제의 높은 성장 중 국내무역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을 대상으로 8대 권역 간 무역구조 분석을 위해 우선 무역 매트릭스를 구축

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

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본문 중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탐색적 접근으로 공간지니계수의 공간집중

도 분석결과는 분석 기간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수준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7

lsquo유출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반면에 lsquo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2007년에 들어

크게 감소하였다 게다가 2002년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은 증가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감소하여 지역 간 무역의 격차가 다소 감소하

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가 유입지 선택의 집중 유출지 선택의

확산 그리고 국내 유출입의 불균형 감소와 모든 교역조합 간의 격차감소로 시장일체화 수준이

점차 향상하는 추세를 의미한다

또한 중국 WTO 가입연도를 기준한 1997-2002년 2002-2007년 전후기간의 분석으로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유발구조를 살펴봄과 동시에 동태적인 요인분해분석을 통하여 국내분업

수준의 효율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내생적 비교우위론에 근거하여 교역구조의 개

선과 무역승수의 분석 역시 시장일체화의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내생적 비교우위 제고가

2002-2007년 기간 518의 중국 순수출 연평균 성장률에 기여함을 예상할 수 있었으며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무역 매트릭스 중 각 권역의 역내무역 비중은 동부연해권역을

제외하고 1997-2007년 기간 감소하였으며 일부 권역은 2002-2007년 기간에 들어 비로써 감

소하였다 하지만 역내무역의 비중이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의 연도

별 평균값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는 것을 보아도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중 Border Effect가 존재

하는 점과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아 Home Market

Effect의 존재를 탐색적으로 예감할 수 있다

또한 1997-2002년 기간 교역구조변화요인이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 ls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

부rsquo 권역은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가 효율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역내무역 규모요인의 재분

해 분석 시 자기권역 내 무역규모의 변화가 총 유출에 대한 영향이 더욱 커짐을 고려하면 역내

성middot시간 경제통합이 권역 외 총유출을 크게 촉진함으로 판단되며 권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 역시 국내무역의 유발효과를 촉진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은 전(全)산업의 권역 간

무역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17개 산업 부문 중 각각의 특성과 기여를 분석할 수 없었으며

현실적인 시사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정책변화 등 정성적인 요인들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는 차후의 연구과제로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심승진 20029 ldquo지역간 무역의 유발구조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심승진 20126 ldquo국제지역간 무역승수 효과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이데 마사히로 ldquo산업연관분석입문ldquo 985172제주대학교985173 2010

이중화 ldquo중국 국내무역의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영향분석-국내무역 순유출지수의 공간계

퍙패널분석을 중심으로ldquo 985172한국동북아경제학회985173 第27卷 第1號 201503

Hewings GJD Schindler GR and PR Israilevich 1998b ldquoInterstate trade among

Midwest economiesrdquo Chicago Fed Letter The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May

1998 no 129

N Ramondo A Rodriacuteguez‐Clare M Saboriacuteo‐Rodriacuteguez 2014 ldquoTrade Domestic

Frictions and Scale Effectsrdquo NBER Working Paper No18532

Poncet S 2003 ldquoMeasuring Chine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grationrdquo China

Economic Review 14(2003)1‐21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8

S Oumlzyurt M Dauma 2011 ldquoTrade openness and regional income spillovers in BrazilA

spatial econometric approachrdquo Papers in Regional Science 2013

Weinhold D 2002 ldquoThe importance of trade and geography in the pattern of spatial

dependence of growth ratesrdquo Review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6 no 3 pp

369‐382

XiaoKai Yang(杨小凯) 1996 ldquoA New Theory of Demand and Supply and Emergence

of International Trade from Dmestic Traderdquo Pacifrc Economic Review 13

国家信息中心 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1997年 200551

国家统计局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ldquo 20118

李善同 侯永志 ldquo中国大陆 划分8大社会经济区域ldquo 985172中国脉搏985173 20035

盛斌 毛其淋 2011 ldquo贸易开放国内市场一体化与中国省际经济增长1985sim2008年ldquo 985172世

界经济985173 (11) 44-66

唐明龙ldquo西部开发战略激活建筑业ldquo985172中国工程建设周刊9851732006年7月13日

吴三忙 李善同 2010 ldquo市场一体化产业地理集聚与地区专业分工演变ldquo 985172产业经济研究985173

06期

周怀峰 ldquo大国国内贸易需求提升产品国际竞争力的机理分析ldquo985172财贸研究98517320074

[i3] httpwwwgovcnzwgk2012-0910content_2220743htm 201551

국문초록

중국 8대 권역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Spatial Gini Index와 Decomposition Techniques를 통하여-

이 중 화

중국인민대학교 경제학 박사

본 논문은 2002년 WTO 가입으로 인한 중국의 대외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중국 내 지역 간 무역구조의 공간적 패턴과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게다가 ldquo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를 이용하여 8대 권역 간 무역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는 3개 연도 기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 중 유출형 공간집중도는 지속적으로 집중되는 반면에 유입형middot교환형middot기타형은 2002-2007년 기간 모두 감소하였다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유발계수분석 시 각 권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야기되는 중국 국내무역의 연도별 평균유발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요인분해분석 경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국내 총유출에 대하여 역내무역의 변화요인에 과도하게 의존한 반면 2002-2007년 기간 국내교역구조가 크게 개선됨을 나타낸다 게다가 2002-2007년 기간 무역승수는 일부 몇몇 권역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여 WTO 가입 후 중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과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상을 위한 시장환경이 구축되어 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주제어 공간지니계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권역 간 무역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9

Abstract

Spatial concentration and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terIntra trade for the

eight zones in China

-The Analysis based Spatial Gini Index and Decomposition Techniques-

ZHONGHUA LEE

PhD Economics RU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and induced structure of intra and inter‐regional trade among the eight

zones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 of domestic trade structure change after

joing the WTO In this paper the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SensitivityImpact coefficient Trade Multiplier is applied using

the inter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 the year of 1997 2002 and 2007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in the period of 1997‐2007 is diminished to continue indicating outflow

index is more centr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flow∙exchange∙others index is declined

in 2002‐2007 period Second trade induced coefficient where intra trade is set as

exogenous variable it is imply that domestic induced trade effect has consistently

increased Third the decomposition analysis shows that total outflows of each region

depends heavily on factors of change with respect to intra‐regional trade in 1997‐2002

period and the domestic trade structure among eight zones is improved during

2002‐2007 And also Trade multiplier estimate show that except a few zones it is

increased in 2002‐2007 was more efficient with comparison to the past indicating that

domestic markets and Endogenous Comparative Advantage started to enhance

complementary effect after having integrate into World Economic by joing in WTO

Key Words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Trade Multiplier Interregional Trade

Page 9: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국내...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5

ndash

lt표 5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국내유출29)과 국제수출의 규모와 성장률 비교

A국내 유출총액(중간재) B국내 유출총액(최종재) C국내 유출총액(중간재+최종재)

D국내 유출총액(중간재+최종재+재고액) E국제 수출총액

FA-E GB-E HC-E ID-E GR 연평균 성장률()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수출규모와 중간재 유출규모 간의 차이(F)는 2002년을 제외하고 모든 연도에서 국내부문의

중간재 유출규모가 더욱 크다30) 하지만 중간재와 최종재 부문 모두를 고려할 시 모든 기간에

서 유출이 수출보다 더욱 컸으며 2002-2007년 기간 그 격차가 더욱 확대되었다31)

또한 유출규모(C)와 수출규모(E)의 차이(H)는 2002년은 감소하여 5009억 위안에 달했으나

2007년에 들어 6조 326억 위안으로 2002-2007년 기간 국내유출(C)의 연평균 성장률은

3406로 동 기간 수출부문의 2409 보다 더욱 높다 여기서 1997-2002년 기간 국내유출

(C)의 연평균 성장률이 552로 수출의 연평균 성장률 11보다 더욱 낮았던 점 두 기간 국내

유출의 연평균 성장률의 차이가 큼을 재차 고려하면 2002-2007년 기간 중국의 순수출과 국내

지역 간 무역의 발전은 일정수준 연관되고 이는 국내 분업수준의 확대로 내생적 비교우위가 향

상함과 동시에 규모의 경제를 통한 Home Market Effect로 인해 중국의 수출경쟁력이 향상된

것으로 사료된다32) 이상의 분석을 통해 세계시장의 확대와 더불어 국내교역의 규모가 더욱 증

가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무역 매트릭스를 통해 각 권역별 국내 권역 간 유출입 규모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표 6 참고)33)

middot

ldquo rdquo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6

 

     

     

     

lt표 6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변화추세(억 위안 )

참고 A각 권역 총유출의 국내무역 중 비중 B 각 권역 내 유출이 총유출 중 비중 C 각 권역유입의

국내무역 중 비중 D 각 권역 내 유입이 현지 권역 총유입 중 비중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7

연도별 각 권역 총 유출에 대한 역내유출비중의 평균값은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로 2002년 이후 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가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역내 무역규

모가 권역 간 무역규모에 비해 매우 큰 점을 고려하면 기존의 국제무역 상에 Border Effect 혹

은 Home Bias Effect가 국가 간 뿐만 아니라 국내의 지역 시장 간의 교역 중에도 존재한다는

연구결과와 일맥을 이루며 Home Market Effect 역시 예상할 수 있다34)

국내무역 중 가장 높은 유출비중을 차지하는 권역은 연해지역으로 3개 연도 평균비중은

1715에 달하며 이 중 동부연해권역(浙江 江苏 上海)는 2232로 가장 높다35) 하지만

2002-2007년 기간 동부연해권역의 유출비중은 감소하였지만 타 권역의 경우 모두 증가하였다

이 중 타 권역 유출규모의 성장을 보면 서북권역은 523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경진권역

은 456를 나타냈다

권역 간 순유출의 측면에서 동북권역은 2002-2007년 기간 북부연해와 남부연해의 유입이

35배 증가했는데 이러한 유입증가는 동부연해에 대한 유출규모가 1145배 상승하여 일정수준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8대 권역의 타 지역에 대한 유출증가율은 1997-2002년 기간 105

2002-2007년 기간은 419로 증가하였다36)

이상의 무역 매트릭스 분석은 대략적인 권역 간 무역의 규모와 성장률 역내middot외 무역규모의

크기 등을 제시할 뿐 기타 정보에 대한 분석이 쉽지 않다 따라서 이하에서 중국 내 무역구조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분석으로 탐색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2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 집중도 분석

3개 연도별 총 공간지니계수는 1997년 054에서 2002년 048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2007년에는 046 수준으로 권역 간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는 더욱 확대되었다(참고 표 7)

lt표 7gt 1997 2002 2007년 전(全)산업 국내무역의 공간 집중도 분석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34)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1997년 2002년

2007년 (12의 유의수준)로 나타냈으며 모든 기간은 의 상관성을 보였다

35) 이는 동부연해권역이 중국 내 지역 중 산업구조가 비교적 완비된 곳으로 8대 권역 중 생산규모

가 가장 큼을 반영한다

36) 유일하게 북부연해의 타 지역 유출 규모가 ndash8 감소하였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8

1997-2002년 기간 lsquo유출형(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00426(00505)에서 00397(00446)로

모두 감소하였지만 기여도는 831(934)로 증가하였으며 2007년에 들어 유출은 더욱 집중되

고 유입은 확산되어 운송수단의 발전으로 공간적으로 더욱 넓은 범위의 지역에서 재화를 유입

하고 생산 및 가공 후 일부 특정 지역으로 유출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는 lt표 6gt 중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이 매우 큰 규모인 점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연해지역이

선(先)성장으로 중국 내 수요지37)와 대외시장의 창구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반영한다 2002년에

들어 lsquo교환형rsquo 공간지니계수의 기여도는 110로 1997년 대비 약 43 상승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089수준으로 감소한다 즉 양자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가 2002년은 1997년에 비해 더

욱 높아졌지만 2007년에 다시 개선됨을 의미하며 이는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이 2002년

증가하였다가 2007년 감소함을 의미한다 게다가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3개 연도 모두 가장

높은 지수로 총 공간지니계수에 대한 기여도 역시 가장 높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상

술한 바와 같이 이상의 분석은 각 권역별 공간상의 무역패턴을 분석할 수 없기에 Z-SCORE로

lt그림 1gt38)을 제시한다

lt그림 1gt 1997-2007년 기간 중국 권역 간 무역의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 산점도

참조 Y축 유입 X축 유출을 나타냄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lt그림 1gt을 통해 2002-2007년 기간의 산점도가 1997-2002년 기간에 비해 좀 더 45deg 직선

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고려하면 공간상의 무역류가 전(前)기간 보다 더욱 분산된 무역구조 및

양자무역의 균형을 나타낸다 게다가 산점도가 점차 1사분면으로 이동하는 추세는 유출이 더욱

집중됨을 의미한다 이는 lt표 7gt의 2002-2007년 기간 분석결과와 일맥 한다

37) 타권역 유출에 대한 전(全)기간 연해지역의 평균유입비중을 보면 ldquo북부연해middot동부연해rdquo 두 권역의

유입비중이 56를 초과한다

38) 이하 lt그림 1gt은 각 권역의 유출middot유입 부문 공간지니계수를 z-score 전환 값을 이용하여 산점도

를 제시한다 정(+)의 z-score는 지역 간 무역 중 중요한 역할을 함과 동시에 평균 수준 보다 공

간적으로 더욱 집중화되었음을 의미하며 음(-)의 z-score는 지역 간 무역의 범위가 광범위하여 집

중화 수준이 낮음을 의미한다 45deg의 직선으로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쉽게 비교할 수 있으며 유출middot유입 부문 공간지니계수의 z-score 처리과정 중 plusmn1middot표준편차의 크기

보다 크거나 작은 지역은 유입지 혹은 유출지의 선택이 공간상에 더욱 집중(분산)화되었음을 나타

낸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9

 

lt표 8gt1997middot2002middot2007년 권역별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적 집중middot분산유형 분류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lt표 8gt의 권역별 교역패턴을 보면 서북middot동북 권역은 분석기간 lsquo유출과 유입rsquo 부문의 공간적

패턴이 대체로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1gt 중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동북권

역은 기타 권역에 비해 지리적으로 외딴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북권역은 중국의 동middot서 지

역을 연계할 정도로 매우 길게 위치함을 반영하는 것이다

집중된 교역구조의 유출부문으로 1997년 서남권역은 타권역 유출 규모 중 남부연해권역은

약 583억 5천만 위안으로 약 371의 비중을 2002년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의 1355억 6천

만 위안으로 약 606 2007년 동부연해권역의 남부연해middot중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1조 3천

억 위안으로 약 703의 비중 중부권역은 동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9천 104억 위안으

로 약 4095의 비중을 보이며 유입지 선택의 공간적 집중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표 8 참

고)39)

Ⅳ 중국 국내무역 유발구조의 요인분해와 무역승수 분석

1 역내무역의 국내무역과 권역 간 무역유발계수 분석

lt표 9gt은 연도middot지역별 역내무역규모가 중국 국내무역을 어느 정도로 유발하였는지를 나타낸

다 먼저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을 보면 1997년 114 2002년 116 2007년

124로 각 권역별 국내무역의 유발효과가 점차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각 지역의 산업과 경제발

전이 타 지역과 독립된 자급자족형 구조가 점차 상호보완적 구조로 전환됨을 반영하며 2002년

이후 지역 간 상호연관수준은 더욱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97년 상위 3개 국내무역 유발지역은 lsquo남부연해 동부연해 그리고 경진권역rsquo이며 2002년

WTO 가입 후 경진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여 유발계수를 보이고 서북

권역과 북부연해 권역이 뒤를 잊는다 여기서 서북권역의 유발계수가 크게 증가한 이유로는

2001년 1월 서부대개발40) 정책의 영향이며 서남권역의 유발효과는 서북권역에 비해 상당히 낮

은 수준인 이유는 서부대개발 정책의 효과가 서남권역 보다 서북권역에 먼저 시현된 것으로 사

료된다41) 2007년은 서북 중부 경진 권역이 가장 큰 유발효과를 보이며 서남권역의 국내무역

39)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권역 간 유출과 유입의 교역집중화를 파악할 수 있다(유입부문 1997년 동

부연해 중부(35) 2002년 중부동부연해(457) 2007년 경진북부연해(452))

40) 서부대개발 정책의 지리적 범위는 12개 지역을 포함함(四川陕西甘肃青海云南贵州广

西内蒙古宁夏新疆西藏重庆)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0

middot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였다

lt표 9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기간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성장률을 보면 1997-2002년 기간은 경진권역이 207

의 성장률로 가장 높다 이는 WTO 가입과 함께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산업의 발전과 세

계의 많은 외자기업들이 북경과 천진 지역의 투자 증가를 원인으로 들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은 중부권역이 158 성장률을 보여 가장 높은 데 이는 2004년 3월 중부굴기의 정책으로

중국의 동부와 서부지역의 산업발전을 연계하는 지리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앞서 살펴본 각 권역별 역내무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를 타 권역별 무역유발효과로 분류하여

살펴볼 수 있다(표 10 참고)

lt표 10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 간 무역유발효과 변화

41) 서부대개발 정책의 서부지역의 건축업에 큰 발전적 지회를 야기하였으며(唐明龙 2006) 2002년

서북권역 건축업의 RCA지수가 459로 매우 높으나 2007년에 들어 238로 감소하였으며 2002년

서남권역 건축업의 RCA지수는 146으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나 2007년는 400으로 크게 상승함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1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모든 기간에 걸쳐 대체적으로 역내무역의 증가는 자기권역의 총유출 규모를 더욱 유발

하였으나 1997-2002년 기간 ldquo중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은 자기권역의 유출유발효과가 감

소하였다 앞서 살펴본 기간별 국내무역 유발규모의 성장률이 높은 경진권역과 중부권역을 살펴

보면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과 유입의 유발효과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으며 중부권역은 1997년 서북구역의 유출middot유발효과만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middot유입효과가 높았다

타 권역에 대한 유출입 유발효과를 살펴보면 1997년 중부권역이 028로 가장 높았으나 이후

027 수준으로 감소하는 반면 2002년은 동부연해 권역의 025 2007년은 남부연해권역의 033

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부권역은 모든 기간에 걸쳐 가장 일정하게 타 지역의 유출

을 유발시켰으며42) 남부연해권역은 1997년 015의 유출계수가 2007년에 들어 가장 높은 033

까지 상승하여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유출입 계수의 격차를 살펴보면 경진과 서북 권역은 유입주도형 지역이며 동부연해 권역은

유출주도형 지역이다 하지만 각 권역별 총 유출입에 대한 역내무역의 비중은 지역별 산업구조

의 불일치 인구규모의 상이함 등의 요인으로 각 지역의 교역유형별 특성을 살펴볼 수 없다 따

라서 이하에서는 Rasumussen(1958)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를 통해 기간별 각 권역의 교역

유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2 권역 간 유출입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권역 간 상호의존관계 중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역내무역에 의해 받는 영향을 감응도

계수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유출에 주는 영향을 영향력계수라 한다

식(12)를 통하여 각 권역의 감응도 영향력계수를 구하면 lt표 11gt과 같다 우선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가 모두 1보다 큰 교역형 권역은 1997년 동부연해 남부연해 2002년 북부연해

42) 유출유발효과 값의 표준편차가 001로 가장 낮음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2

2007년 북부연해 남부연해 중부로 나타났다 2002년 후 경진권역은 유입형 지역으로 북경과

천진 지역이 타 지역으로부터 많은 재화를 유입할 것이라는 직관과 일치하였다

lt표 11gt 각 구역의 전방관련효과와 후방관련효과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서북권역의 경우 1997년 패쇄형 지역의 특성을 보이다 2002년에 들어 유입형의 특성을 보인

다 이는 서부대개발의 정책 추진 중 부족한 원부자재 및 생산설비를 타 지역으로부터 크게 유

입함을 반영하며 서남권역은 1997 2002년 패쇄형 지역에서 2007년 유입형 지역의 특성을 나

타낸다

3 요인분해분석

우리는 이상의 분석을 통해 각 권역 역내무역의 국내 및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를 분석하

였다 이러한 유발계수에 대하여 식(13)-(16)을 거쳐 요인분해 분석을 진행하면 lt표 12gt의 결

과를 얻을 수 있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3

lt표 12gt 기간별 각 권역 유출증가의 요인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중국 내부의 전체적인 효과를 살펴보면 1997-2002년 기간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

역에 대한 영향이 평균 10374 기여하여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역내

무역의 규모효과로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기

여도 모두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기여도는 약 86로 감소한다43) 즉

세계시장의 확대와 함께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구조의 변화와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상호작용이

모두 효율적으로 개선된 것이다 이는 자기권역 내 무역의 영향 보다 타 지역과의 상호연관 속

에 유발되는 유출의 규모가 더욱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권역별 요인분해 분석결과는 모든 기간에 걸쳐 각 권역의 총 유출은 역내무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지만 2002-2007년에 들어 기여도가 점차 감소하는 데 이는 1997-2002년 기간 교역

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인 지역은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이며 동 기간 이들 지역은

역내무역규모의 변화효과가 기타 교역구조 및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시킬 정도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서북권역은 교역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이지는 않으나 양자 간의 교차효과가

음의 영향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게다가 북부연해권역의 기간별 교역구조의 변화 효과는 ndash

2650에서 5077로 국내 교역구조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lt표 13gt는 각 권역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유발된 총 유출의 변화분에 대한 각 권역의 역

내무역 규모변화를 외생변수로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우선 전체적인 측면에서 동부연해 권

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유발되는 국내무역 유출변화가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중부권역이지만

2002-2007년에 들어 167의 기여도로 전보다 감소하고 북부연해 권역의 기여도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43)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이 2007년에 들어 큰 폭으로 상승하게 한 원인으로 고려

된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4

lt표 13gt 권역 내 무역규모변화요인의 재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5

각 권역별 특징을 살펴보면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자

기권역 역내무역규모 변화로 인한 총 유출에 대한 기여도가 감소하였다 이로써 ldquo북부연해 동

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이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가 효율적이게 변화함과 동시에

역내산업구조의 향상(표 6 참고)으로 인해 역내무역의 기여도가 더욱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4 권역 간 무역승수 분석

무역은 경제성장을 야기하지만 경제성장 역시 무역의 발전을 야기한다는 것이 공론이다 이러

한 관점에서 각 권역별 총산출 1단위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역내middot외 무역의 규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중국 내 지역 간 무역을 새로운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된

lt표 14gt 권역 간 무역승수44)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44) 국내무역승수(행합) 타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특정권역에 유발하는 유출의 무역승수 총

합 국내무역승수(열합) 특정 권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로 타지역에 유발하는 유입의 무역승수

총합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6

분석기간에 걸쳐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서남권역만을 제외하고 모든 권역에서 자기권역에 대

한 무역승수는 감소하고 있으며 2002-2007년 기간 lsquo서북과 서남rsquo 권역은 각각 33와 25로

감소율이 가장 크다 실제로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총산출 수준의 평균 성장률은 58

이며 2002-2007년 기간의 성장률은 크게 확대되어 15943으로 두 기간의 격차가 매우 크다

2002-2007년 기간 자기 지역 내 무역승수의 감소는 각 권역 간 산업구조가 더욱 고도화 되어

자기권역 내 무역만을 통해서는 생산을 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즉 국내무역의 발전과 지역 간

의 관계가 더욱 확대되어 기타 지역에 대한 무역승수효과가 더욱 증가한 것이며 이처럼 높은

총산출의 증가는 더욱 긴밀한 지역 간 산업구조와 무역관계 하에서 비로써 실현가능함을 반영

한다

lt표 14gt 중 국내무역승수의 행합과 열합의 변화를 보면 대부분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총산출

로 야기된 무역승수가 점차 감소한다고 오인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 만약 국내무역승수의 값

중 자기권역 내 무역승수를 소거한 후 무역승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반드시 감소하는 것은 아님

을 알 수 있다(참고 표 15)

lt표 15gt 자기 구역무역승수를 제거한 행합과 열합의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무역승수 변화추세는 일관되지 않지만 2002-2007년 기간 행

합 부문의 수치는 동부연해권역 이외에 기타 권역의 무역승수는 모두 증가하였고 열합 부문 중

경진과 서북권역 이외에 모든 권역의 타 권역에 대한 무역승수는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

다 이로써 WTO 가입 후 국내무역의 일체화 수준이 더욱 향상되었으며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

상을 위한 시장 환경이 구축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본 논문은 중국경제의 높은 성장 중 국내무역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을 대상으로 8대 권역 간 무역구조 분석을 위해 우선 무역 매트릭스를 구축

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

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본문 중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탐색적 접근으로 공간지니계수의 공간집중

도 분석결과는 분석 기간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수준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7

lsquo유출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반면에 lsquo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2007년에 들어

크게 감소하였다 게다가 2002년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은 증가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감소하여 지역 간 무역의 격차가 다소 감소하

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가 유입지 선택의 집중 유출지 선택의

확산 그리고 국내 유출입의 불균형 감소와 모든 교역조합 간의 격차감소로 시장일체화 수준이

점차 향상하는 추세를 의미한다

또한 중국 WTO 가입연도를 기준한 1997-2002년 2002-2007년 전후기간의 분석으로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유발구조를 살펴봄과 동시에 동태적인 요인분해분석을 통하여 국내분업

수준의 효율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내생적 비교우위론에 근거하여 교역구조의 개

선과 무역승수의 분석 역시 시장일체화의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내생적 비교우위 제고가

2002-2007년 기간 518의 중국 순수출 연평균 성장률에 기여함을 예상할 수 있었으며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무역 매트릭스 중 각 권역의 역내무역 비중은 동부연해권역을

제외하고 1997-2007년 기간 감소하였으며 일부 권역은 2002-2007년 기간에 들어 비로써 감

소하였다 하지만 역내무역의 비중이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의 연도

별 평균값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는 것을 보아도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중 Border Effect가 존재

하는 점과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아 Home Market

Effect의 존재를 탐색적으로 예감할 수 있다

또한 1997-2002년 기간 교역구조변화요인이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 ls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

부rsquo 권역은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가 효율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역내무역 규모요인의 재분

해 분석 시 자기권역 내 무역규모의 변화가 총 유출에 대한 영향이 더욱 커짐을 고려하면 역내

성middot시간 경제통합이 권역 외 총유출을 크게 촉진함으로 판단되며 권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 역시 국내무역의 유발효과를 촉진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은 전(全)산업의 권역 간

무역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17개 산업 부문 중 각각의 특성과 기여를 분석할 수 없었으며

현실적인 시사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정책변화 등 정성적인 요인들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는 차후의 연구과제로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심승진 20029 ldquo지역간 무역의 유발구조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심승진 20126 ldquo국제지역간 무역승수 효과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이데 마사히로 ldquo산업연관분석입문ldquo 985172제주대학교985173 2010

이중화 ldquo중국 국내무역의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영향분석-국내무역 순유출지수의 공간계

퍙패널분석을 중심으로ldquo 985172한국동북아경제학회985173 第27卷 第1號 201503

Hewings GJD Schindler GR and PR Israilevich 1998b ldquoInterstate trade among

Midwest economiesrdquo Chicago Fed Letter The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May

1998 no 129

N Ramondo A Rodriacuteguez‐Clare M Saboriacuteo‐Rodriacuteguez 2014 ldquoTrade Domestic

Frictions and Scale Effectsrdquo NBER Working Paper No18532

Poncet S 2003 ldquoMeasuring Chine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grationrdquo China

Economic Review 14(2003)1‐21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8

S Oumlzyurt M Dauma 2011 ldquoTrade openness and regional income spillovers in BrazilA

spatial econometric approachrdquo Papers in Regional Science 2013

Weinhold D 2002 ldquoThe importance of trade and geography in the pattern of spatial

dependence of growth ratesrdquo Review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6 no 3 pp

369‐382

XiaoKai Yang(杨小凯) 1996 ldquoA New Theory of Demand and Supply and Emergence

of International Trade from Dmestic Traderdquo Pacifrc Economic Review 13

国家信息中心 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1997年 200551

国家统计局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ldquo 20118

李善同 侯永志 ldquo中国大陆 划分8大社会经济区域ldquo 985172中国脉搏985173 20035

盛斌 毛其淋 2011 ldquo贸易开放国内市场一体化与中国省际经济增长1985sim2008年ldquo 985172世

界经济985173 (11) 44-66

唐明龙ldquo西部开发战略激活建筑业ldquo985172中国工程建设周刊9851732006年7月13日

吴三忙 李善同 2010 ldquo市场一体化产业地理集聚与地区专业分工演变ldquo 985172产业经济研究985173

06期

周怀峰 ldquo大国国内贸易需求提升产品国际竞争力的机理分析ldquo985172财贸研究98517320074

[i3] httpwwwgovcnzwgk2012-0910content_2220743htm 201551

국문초록

중국 8대 권역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Spatial Gini Index와 Decomposition Techniques를 통하여-

이 중 화

중국인민대학교 경제학 박사

본 논문은 2002년 WTO 가입으로 인한 중국의 대외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중국 내 지역 간 무역구조의 공간적 패턴과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게다가 ldquo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를 이용하여 8대 권역 간 무역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는 3개 연도 기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 중 유출형 공간집중도는 지속적으로 집중되는 반면에 유입형middot교환형middot기타형은 2002-2007년 기간 모두 감소하였다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유발계수분석 시 각 권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야기되는 중국 국내무역의 연도별 평균유발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요인분해분석 경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국내 총유출에 대하여 역내무역의 변화요인에 과도하게 의존한 반면 2002-2007년 기간 국내교역구조가 크게 개선됨을 나타낸다 게다가 2002-2007년 기간 무역승수는 일부 몇몇 권역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여 WTO 가입 후 중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과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상을 위한 시장환경이 구축되어 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주제어 공간지니계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권역 간 무역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9

Abstract

Spatial concentration and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terIntra trade for the

eight zones in China

-The Analysis based Spatial Gini Index and Decomposition Techniques-

ZHONGHUA LEE

PhD Economics RU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and induced structure of intra and inter‐regional trade among the eight

zones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 of domestic trade structure change after

joing the WTO In this paper the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SensitivityImpact coefficient Trade Multiplier is applied using

the inter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 the year of 1997 2002 and 2007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in the period of 1997‐2007 is diminished to continue indicating outflow

index is more centr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flow∙exchange∙others index is declined

in 2002‐2007 period Second trade induced coefficient where intra trade is set as

exogenous variable it is imply that domestic induced trade effect has consistently

increased Third the decomposition analysis shows that total outflows of each region

depends heavily on factors of change with respect to intra‐regional trade in 1997‐2002

period and the domestic trade structure among eight zones is improved during

2002‐2007 And also Trade multiplier estimate show that except a few zones it is

increased in 2002‐2007 was more efficient with comparison to the past indicating that

domestic markets and Endogenous Comparative Advantage started to enhance

complementary effect after having integrate into World Economic by joing in WTO

Key Words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Trade Multiplier Interregional Trade

Page 10: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국내...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6

 

     

     

     

lt표 6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변화추세(억 위안 )

참고 A각 권역 총유출의 국내무역 중 비중 B 각 권역 내 유출이 총유출 중 비중 C 각 권역유입의

국내무역 중 비중 D 각 권역 내 유입이 현지 권역 총유입 중 비중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7

연도별 각 권역 총 유출에 대한 역내유출비중의 평균값은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로 2002년 이후 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가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역내 무역규

모가 권역 간 무역규모에 비해 매우 큰 점을 고려하면 기존의 국제무역 상에 Border Effect 혹

은 Home Bias Effect가 국가 간 뿐만 아니라 국내의 지역 시장 간의 교역 중에도 존재한다는

연구결과와 일맥을 이루며 Home Market Effect 역시 예상할 수 있다34)

국내무역 중 가장 높은 유출비중을 차지하는 권역은 연해지역으로 3개 연도 평균비중은

1715에 달하며 이 중 동부연해권역(浙江 江苏 上海)는 2232로 가장 높다35) 하지만

2002-2007년 기간 동부연해권역의 유출비중은 감소하였지만 타 권역의 경우 모두 증가하였다

이 중 타 권역 유출규모의 성장을 보면 서북권역은 523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경진권역

은 456를 나타냈다

권역 간 순유출의 측면에서 동북권역은 2002-2007년 기간 북부연해와 남부연해의 유입이

35배 증가했는데 이러한 유입증가는 동부연해에 대한 유출규모가 1145배 상승하여 일정수준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8대 권역의 타 지역에 대한 유출증가율은 1997-2002년 기간 105

2002-2007년 기간은 419로 증가하였다36)

이상의 무역 매트릭스 분석은 대략적인 권역 간 무역의 규모와 성장률 역내middot외 무역규모의

크기 등을 제시할 뿐 기타 정보에 대한 분석이 쉽지 않다 따라서 이하에서 중국 내 무역구조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분석으로 탐색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2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 집중도 분석

3개 연도별 총 공간지니계수는 1997년 054에서 2002년 048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2007년에는 046 수준으로 권역 간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는 더욱 확대되었다(참고 표 7)

lt표 7gt 1997 2002 2007년 전(全)산업 국내무역의 공간 집중도 분석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34)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1997년 2002년

2007년 (12의 유의수준)로 나타냈으며 모든 기간은 의 상관성을 보였다

35) 이는 동부연해권역이 중국 내 지역 중 산업구조가 비교적 완비된 곳으로 8대 권역 중 생산규모

가 가장 큼을 반영한다

36) 유일하게 북부연해의 타 지역 유출 규모가 ndash8 감소하였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8

1997-2002년 기간 lsquo유출형(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00426(00505)에서 00397(00446)로

모두 감소하였지만 기여도는 831(934)로 증가하였으며 2007년에 들어 유출은 더욱 집중되

고 유입은 확산되어 운송수단의 발전으로 공간적으로 더욱 넓은 범위의 지역에서 재화를 유입

하고 생산 및 가공 후 일부 특정 지역으로 유출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는 lt표 6gt 중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이 매우 큰 규모인 점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연해지역이

선(先)성장으로 중국 내 수요지37)와 대외시장의 창구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반영한다 2002년에

들어 lsquo교환형rsquo 공간지니계수의 기여도는 110로 1997년 대비 약 43 상승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089수준으로 감소한다 즉 양자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가 2002년은 1997년에 비해 더

욱 높아졌지만 2007년에 다시 개선됨을 의미하며 이는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이 2002년

증가하였다가 2007년 감소함을 의미한다 게다가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3개 연도 모두 가장

높은 지수로 총 공간지니계수에 대한 기여도 역시 가장 높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상

술한 바와 같이 이상의 분석은 각 권역별 공간상의 무역패턴을 분석할 수 없기에 Z-SCORE로

lt그림 1gt38)을 제시한다

lt그림 1gt 1997-2007년 기간 중국 권역 간 무역의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 산점도

참조 Y축 유입 X축 유출을 나타냄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lt그림 1gt을 통해 2002-2007년 기간의 산점도가 1997-2002년 기간에 비해 좀 더 45deg 직선

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고려하면 공간상의 무역류가 전(前)기간 보다 더욱 분산된 무역구조 및

양자무역의 균형을 나타낸다 게다가 산점도가 점차 1사분면으로 이동하는 추세는 유출이 더욱

집중됨을 의미한다 이는 lt표 7gt의 2002-2007년 기간 분석결과와 일맥 한다

37) 타권역 유출에 대한 전(全)기간 연해지역의 평균유입비중을 보면 ldquo북부연해middot동부연해rdquo 두 권역의

유입비중이 56를 초과한다

38) 이하 lt그림 1gt은 각 권역의 유출middot유입 부문 공간지니계수를 z-score 전환 값을 이용하여 산점도

를 제시한다 정(+)의 z-score는 지역 간 무역 중 중요한 역할을 함과 동시에 평균 수준 보다 공

간적으로 더욱 집중화되었음을 의미하며 음(-)의 z-score는 지역 간 무역의 범위가 광범위하여 집

중화 수준이 낮음을 의미한다 45deg의 직선으로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쉽게 비교할 수 있으며 유출middot유입 부문 공간지니계수의 z-score 처리과정 중 plusmn1middot표준편차의 크기

보다 크거나 작은 지역은 유입지 혹은 유출지의 선택이 공간상에 더욱 집중(분산)화되었음을 나타

낸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9

 

lt표 8gt1997middot2002middot2007년 권역별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적 집중middot분산유형 분류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lt표 8gt의 권역별 교역패턴을 보면 서북middot동북 권역은 분석기간 lsquo유출과 유입rsquo 부문의 공간적

패턴이 대체로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1gt 중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동북권

역은 기타 권역에 비해 지리적으로 외딴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북권역은 중국의 동middot서 지

역을 연계할 정도로 매우 길게 위치함을 반영하는 것이다

집중된 교역구조의 유출부문으로 1997년 서남권역은 타권역 유출 규모 중 남부연해권역은

약 583억 5천만 위안으로 약 371의 비중을 2002년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의 1355억 6천

만 위안으로 약 606 2007년 동부연해권역의 남부연해middot중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1조 3천

억 위안으로 약 703의 비중 중부권역은 동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9천 104억 위안으

로 약 4095의 비중을 보이며 유입지 선택의 공간적 집중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표 8 참

고)39)

Ⅳ 중국 국내무역 유발구조의 요인분해와 무역승수 분석

1 역내무역의 국내무역과 권역 간 무역유발계수 분석

lt표 9gt은 연도middot지역별 역내무역규모가 중국 국내무역을 어느 정도로 유발하였는지를 나타낸

다 먼저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을 보면 1997년 114 2002년 116 2007년

124로 각 권역별 국내무역의 유발효과가 점차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각 지역의 산업과 경제발

전이 타 지역과 독립된 자급자족형 구조가 점차 상호보완적 구조로 전환됨을 반영하며 2002년

이후 지역 간 상호연관수준은 더욱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97년 상위 3개 국내무역 유발지역은 lsquo남부연해 동부연해 그리고 경진권역rsquo이며 2002년

WTO 가입 후 경진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여 유발계수를 보이고 서북

권역과 북부연해 권역이 뒤를 잊는다 여기서 서북권역의 유발계수가 크게 증가한 이유로는

2001년 1월 서부대개발40) 정책의 영향이며 서남권역의 유발효과는 서북권역에 비해 상당히 낮

은 수준인 이유는 서부대개발 정책의 효과가 서남권역 보다 서북권역에 먼저 시현된 것으로 사

료된다41) 2007년은 서북 중부 경진 권역이 가장 큰 유발효과를 보이며 서남권역의 국내무역

39)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권역 간 유출과 유입의 교역집중화를 파악할 수 있다(유입부문 1997년 동

부연해 중부(35) 2002년 중부동부연해(457) 2007년 경진북부연해(452))

40) 서부대개발 정책의 지리적 범위는 12개 지역을 포함함(四川陕西甘肃青海云南贵州广

西内蒙古宁夏新疆西藏重庆)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0

middot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였다

lt표 9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기간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성장률을 보면 1997-2002년 기간은 경진권역이 207

의 성장률로 가장 높다 이는 WTO 가입과 함께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산업의 발전과 세

계의 많은 외자기업들이 북경과 천진 지역의 투자 증가를 원인으로 들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은 중부권역이 158 성장률을 보여 가장 높은 데 이는 2004년 3월 중부굴기의 정책으로

중국의 동부와 서부지역의 산업발전을 연계하는 지리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앞서 살펴본 각 권역별 역내무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를 타 권역별 무역유발효과로 분류하여

살펴볼 수 있다(표 10 참고)

lt표 10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 간 무역유발효과 변화

41) 서부대개발 정책의 서부지역의 건축업에 큰 발전적 지회를 야기하였으며(唐明龙 2006) 2002년

서북권역 건축업의 RCA지수가 459로 매우 높으나 2007년에 들어 238로 감소하였으며 2002년

서남권역 건축업의 RCA지수는 146으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나 2007년는 400으로 크게 상승함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1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모든 기간에 걸쳐 대체적으로 역내무역의 증가는 자기권역의 총유출 규모를 더욱 유발

하였으나 1997-2002년 기간 ldquo중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은 자기권역의 유출유발효과가 감

소하였다 앞서 살펴본 기간별 국내무역 유발규모의 성장률이 높은 경진권역과 중부권역을 살펴

보면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과 유입의 유발효과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으며 중부권역은 1997년 서북구역의 유출middot유발효과만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middot유입효과가 높았다

타 권역에 대한 유출입 유발효과를 살펴보면 1997년 중부권역이 028로 가장 높았으나 이후

027 수준으로 감소하는 반면 2002년은 동부연해 권역의 025 2007년은 남부연해권역의 033

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부권역은 모든 기간에 걸쳐 가장 일정하게 타 지역의 유출

을 유발시켰으며42) 남부연해권역은 1997년 015의 유출계수가 2007년에 들어 가장 높은 033

까지 상승하여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유출입 계수의 격차를 살펴보면 경진과 서북 권역은 유입주도형 지역이며 동부연해 권역은

유출주도형 지역이다 하지만 각 권역별 총 유출입에 대한 역내무역의 비중은 지역별 산업구조

의 불일치 인구규모의 상이함 등의 요인으로 각 지역의 교역유형별 특성을 살펴볼 수 없다 따

라서 이하에서는 Rasumussen(1958)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를 통해 기간별 각 권역의 교역

유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2 권역 간 유출입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권역 간 상호의존관계 중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역내무역에 의해 받는 영향을 감응도

계수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유출에 주는 영향을 영향력계수라 한다

식(12)를 통하여 각 권역의 감응도 영향력계수를 구하면 lt표 11gt과 같다 우선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가 모두 1보다 큰 교역형 권역은 1997년 동부연해 남부연해 2002년 북부연해

42) 유출유발효과 값의 표준편차가 001로 가장 낮음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2

2007년 북부연해 남부연해 중부로 나타났다 2002년 후 경진권역은 유입형 지역으로 북경과

천진 지역이 타 지역으로부터 많은 재화를 유입할 것이라는 직관과 일치하였다

lt표 11gt 각 구역의 전방관련효과와 후방관련효과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서북권역의 경우 1997년 패쇄형 지역의 특성을 보이다 2002년에 들어 유입형의 특성을 보인

다 이는 서부대개발의 정책 추진 중 부족한 원부자재 및 생산설비를 타 지역으로부터 크게 유

입함을 반영하며 서남권역은 1997 2002년 패쇄형 지역에서 2007년 유입형 지역의 특성을 나

타낸다

3 요인분해분석

우리는 이상의 분석을 통해 각 권역 역내무역의 국내 및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를 분석하

였다 이러한 유발계수에 대하여 식(13)-(16)을 거쳐 요인분해 분석을 진행하면 lt표 12gt의 결

과를 얻을 수 있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3

lt표 12gt 기간별 각 권역 유출증가의 요인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중국 내부의 전체적인 효과를 살펴보면 1997-2002년 기간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

역에 대한 영향이 평균 10374 기여하여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역내

무역의 규모효과로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기

여도 모두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기여도는 약 86로 감소한다43) 즉

세계시장의 확대와 함께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구조의 변화와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상호작용이

모두 효율적으로 개선된 것이다 이는 자기권역 내 무역의 영향 보다 타 지역과의 상호연관 속

에 유발되는 유출의 규모가 더욱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권역별 요인분해 분석결과는 모든 기간에 걸쳐 각 권역의 총 유출은 역내무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지만 2002-2007년에 들어 기여도가 점차 감소하는 데 이는 1997-2002년 기간 교역

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인 지역은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이며 동 기간 이들 지역은

역내무역규모의 변화효과가 기타 교역구조 및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시킬 정도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서북권역은 교역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이지는 않으나 양자 간의 교차효과가

음의 영향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게다가 북부연해권역의 기간별 교역구조의 변화 효과는 ndash

2650에서 5077로 국내 교역구조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lt표 13gt는 각 권역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유발된 총 유출의 변화분에 대한 각 권역의 역

내무역 규모변화를 외생변수로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우선 전체적인 측면에서 동부연해 권

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유발되는 국내무역 유출변화가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중부권역이지만

2002-2007년에 들어 167의 기여도로 전보다 감소하고 북부연해 권역의 기여도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43)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이 2007년에 들어 큰 폭으로 상승하게 한 원인으로 고려

된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4

lt표 13gt 권역 내 무역규모변화요인의 재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5

각 권역별 특징을 살펴보면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자

기권역 역내무역규모 변화로 인한 총 유출에 대한 기여도가 감소하였다 이로써 ldquo북부연해 동

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이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가 효율적이게 변화함과 동시에

역내산업구조의 향상(표 6 참고)으로 인해 역내무역의 기여도가 더욱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4 권역 간 무역승수 분석

무역은 경제성장을 야기하지만 경제성장 역시 무역의 발전을 야기한다는 것이 공론이다 이러

한 관점에서 각 권역별 총산출 1단위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역내middot외 무역의 규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중국 내 지역 간 무역을 새로운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된

lt표 14gt 권역 간 무역승수44)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44) 국내무역승수(행합) 타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특정권역에 유발하는 유출의 무역승수 총

합 국내무역승수(열합) 특정 권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로 타지역에 유발하는 유입의 무역승수

총합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6

분석기간에 걸쳐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서남권역만을 제외하고 모든 권역에서 자기권역에 대

한 무역승수는 감소하고 있으며 2002-2007년 기간 lsquo서북과 서남rsquo 권역은 각각 33와 25로

감소율이 가장 크다 실제로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총산출 수준의 평균 성장률은 58

이며 2002-2007년 기간의 성장률은 크게 확대되어 15943으로 두 기간의 격차가 매우 크다

2002-2007년 기간 자기 지역 내 무역승수의 감소는 각 권역 간 산업구조가 더욱 고도화 되어

자기권역 내 무역만을 통해서는 생산을 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즉 국내무역의 발전과 지역 간

의 관계가 더욱 확대되어 기타 지역에 대한 무역승수효과가 더욱 증가한 것이며 이처럼 높은

총산출의 증가는 더욱 긴밀한 지역 간 산업구조와 무역관계 하에서 비로써 실현가능함을 반영

한다

lt표 14gt 중 국내무역승수의 행합과 열합의 변화를 보면 대부분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총산출

로 야기된 무역승수가 점차 감소한다고 오인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 만약 국내무역승수의 값

중 자기권역 내 무역승수를 소거한 후 무역승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반드시 감소하는 것은 아님

을 알 수 있다(참고 표 15)

lt표 15gt 자기 구역무역승수를 제거한 행합과 열합의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무역승수 변화추세는 일관되지 않지만 2002-2007년 기간 행

합 부문의 수치는 동부연해권역 이외에 기타 권역의 무역승수는 모두 증가하였고 열합 부문 중

경진과 서북권역 이외에 모든 권역의 타 권역에 대한 무역승수는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

다 이로써 WTO 가입 후 국내무역의 일체화 수준이 더욱 향상되었으며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

상을 위한 시장 환경이 구축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본 논문은 중국경제의 높은 성장 중 국내무역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을 대상으로 8대 권역 간 무역구조 분석을 위해 우선 무역 매트릭스를 구축

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

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본문 중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탐색적 접근으로 공간지니계수의 공간집중

도 분석결과는 분석 기간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수준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7

lsquo유출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반면에 lsquo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2007년에 들어

크게 감소하였다 게다가 2002년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은 증가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감소하여 지역 간 무역의 격차가 다소 감소하

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가 유입지 선택의 집중 유출지 선택의

확산 그리고 국내 유출입의 불균형 감소와 모든 교역조합 간의 격차감소로 시장일체화 수준이

점차 향상하는 추세를 의미한다

또한 중국 WTO 가입연도를 기준한 1997-2002년 2002-2007년 전후기간의 분석으로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유발구조를 살펴봄과 동시에 동태적인 요인분해분석을 통하여 국내분업

수준의 효율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내생적 비교우위론에 근거하여 교역구조의 개

선과 무역승수의 분석 역시 시장일체화의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내생적 비교우위 제고가

2002-2007년 기간 518의 중국 순수출 연평균 성장률에 기여함을 예상할 수 있었으며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무역 매트릭스 중 각 권역의 역내무역 비중은 동부연해권역을

제외하고 1997-2007년 기간 감소하였으며 일부 권역은 2002-2007년 기간에 들어 비로써 감

소하였다 하지만 역내무역의 비중이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의 연도

별 평균값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는 것을 보아도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중 Border Effect가 존재

하는 점과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아 Home Market

Effect의 존재를 탐색적으로 예감할 수 있다

또한 1997-2002년 기간 교역구조변화요인이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 ls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

부rsquo 권역은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가 효율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역내무역 규모요인의 재분

해 분석 시 자기권역 내 무역규모의 변화가 총 유출에 대한 영향이 더욱 커짐을 고려하면 역내

성middot시간 경제통합이 권역 외 총유출을 크게 촉진함으로 판단되며 권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 역시 국내무역의 유발효과를 촉진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은 전(全)산업의 권역 간

무역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17개 산업 부문 중 각각의 특성과 기여를 분석할 수 없었으며

현실적인 시사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정책변화 등 정성적인 요인들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는 차후의 연구과제로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심승진 20029 ldquo지역간 무역의 유발구조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심승진 20126 ldquo국제지역간 무역승수 효과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이데 마사히로 ldquo산업연관분석입문ldquo 985172제주대학교985173 2010

이중화 ldquo중국 국내무역의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영향분석-국내무역 순유출지수의 공간계

퍙패널분석을 중심으로ldquo 985172한국동북아경제학회985173 第27卷 第1號 201503

Hewings GJD Schindler GR and PR Israilevich 1998b ldquoInterstate trade among

Midwest economiesrdquo Chicago Fed Letter The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May

1998 no 129

N Ramondo A Rodriacuteguez‐Clare M Saboriacuteo‐Rodriacuteguez 2014 ldquoTrade Domestic

Frictions and Scale Effectsrdquo NBER Working Paper No18532

Poncet S 2003 ldquoMeasuring Chine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grationrdquo China

Economic Review 14(2003)1‐21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8

S Oumlzyurt M Dauma 2011 ldquoTrade openness and regional income spillovers in BrazilA

spatial econometric approachrdquo Papers in Regional Science 2013

Weinhold D 2002 ldquoThe importance of trade and geography in the pattern of spatial

dependence of growth ratesrdquo Review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6 no 3 pp

369‐382

XiaoKai Yang(杨小凯) 1996 ldquoA New Theory of Demand and Supply and Emergence

of International Trade from Dmestic Traderdquo Pacifrc Economic Review 13

国家信息中心 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1997年 200551

国家统计局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ldquo 20118

李善同 侯永志 ldquo中国大陆 划分8大社会经济区域ldquo 985172中国脉搏985173 20035

盛斌 毛其淋 2011 ldquo贸易开放国内市场一体化与中国省际经济增长1985sim2008年ldquo 985172世

界经济985173 (11) 44-66

唐明龙ldquo西部开发战略激活建筑业ldquo985172中国工程建设周刊9851732006年7月13日

吴三忙 李善同 2010 ldquo市场一体化产业地理集聚与地区专业分工演变ldquo 985172产业经济研究985173

06期

周怀峰 ldquo大国国内贸易需求提升产品国际竞争力的机理分析ldquo985172财贸研究98517320074

[i3] httpwwwgovcnzwgk2012-0910content_2220743htm 201551

국문초록

중국 8대 권역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Spatial Gini Index와 Decomposition Techniques를 통하여-

이 중 화

중국인민대학교 경제학 박사

본 논문은 2002년 WTO 가입으로 인한 중국의 대외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중국 내 지역 간 무역구조의 공간적 패턴과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게다가 ldquo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를 이용하여 8대 권역 간 무역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는 3개 연도 기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 중 유출형 공간집중도는 지속적으로 집중되는 반면에 유입형middot교환형middot기타형은 2002-2007년 기간 모두 감소하였다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유발계수분석 시 각 권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야기되는 중국 국내무역의 연도별 평균유발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요인분해분석 경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국내 총유출에 대하여 역내무역의 변화요인에 과도하게 의존한 반면 2002-2007년 기간 국내교역구조가 크게 개선됨을 나타낸다 게다가 2002-2007년 기간 무역승수는 일부 몇몇 권역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여 WTO 가입 후 중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과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상을 위한 시장환경이 구축되어 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주제어 공간지니계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권역 간 무역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9

Abstract

Spatial concentration and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terIntra trade for the

eight zones in China

-The Analysis based Spatial Gini Index and Decomposition Techniques-

ZHONGHUA LEE

PhD Economics RU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and induced structure of intra and inter‐regional trade among the eight

zones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 of domestic trade structure change after

joing the WTO In this paper the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SensitivityImpact coefficient Trade Multiplier is applied using

the inter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 the year of 1997 2002 and 2007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in the period of 1997‐2007 is diminished to continue indicating outflow

index is more centr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flow∙exchange∙others index is declined

in 2002‐2007 period Second trade induced coefficient where intra trade is set as

exogenous variable it is imply that domestic induced trade effect has consistently

increased Third the decomposition analysis shows that total outflows of each region

depends heavily on factors of change with respect to intra‐regional trade in 1997‐2002

period and the domestic trade structure among eight zones is improved during

2002‐2007 And also Trade multiplier estimate show that except a few zones it is

increased in 2002‐2007 was more efficient with comparison to the past indicating that

domestic markets and Endogenous Comparative Advantage started to enhance

complementary effect after having integrate into World Economic by joing in WTO

Key Words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Trade Multiplier Interregional Trade

Page 11: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국내...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7

연도별 각 권역 총 유출에 대한 역내유출비중의 평균값은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로 2002년 이후 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가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역내 무역규

모가 권역 간 무역규모에 비해 매우 큰 점을 고려하면 기존의 국제무역 상에 Border Effect 혹

은 Home Bias Effect가 국가 간 뿐만 아니라 국내의 지역 시장 간의 교역 중에도 존재한다는

연구결과와 일맥을 이루며 Home Market Effect 역시 예상할 수 있다34)

국내무역 중 가장 높은 유출비중을 차지하는 권역은 연해지역으로 3개 연도 평균비중은

1715에 달하며 이 중 동부연해권역(浙江 江苏 上海)는 2232로 가장 높다35) 하지만

2002-2007년 기간 동부연해권역의 유출비중은 감소하였지만 타 권역의 경우 모두 증가하였다

이 중 타 권역 유출규모의 성장을 보면 서북권역은 523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경진권역

은 456를 나타냈다

권역 간 순유출의 측면에서 동북권역은 2002-2007년 기간 북부연해와 남부연해의 유입이

35배 증가했는데 이러한 유입증가는 동부연해에 대한 유출규모가 1145배 상승하여 일정수준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8대 권역의 타 지역에 대한 유출증가율은 1997-2002년 기간 105

2002-2007년 기간은 419로 증가하였다36)

이상의 무역 매트릭스 분석은 대략적인 권역 간 무역의 규모와 성장률 역내middot외 무역규모의

크기 등을 제시할 뿐 기타 정보에 대한 분석이 쉽지 않다 따라서 이하에서 중국 내 무역구조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분석으로 탐색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2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 집중도 분석

3개 연도별 총 공간지니계수는 1997년 054에서 2002년 048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2007년에는 046 수준으로 권역 간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는 더욱 확대되었다(참고 표 7)

lt표 7gt 1997 2002 2007년 전(全)산업 국내무역의 공간 집중도 분석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34)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1997년 2002년

2007년 (12의 유의수준)로 나타냈으며 모든 기간은 의 상관성을 보였다

35) 이는 동부연해권역이 중국 내 지역 중 산업구조가 비교적 완비된 곳으로 8대 권역 중 생산규모

가 가장 큼을 반영한다

36) 유일하게 북부연해의 타 지역 유출 규모가 ndash8 감소하였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8

1997-2002년 기간 lsquo유출형(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00426(00505)에서 00397(00446)로

모두 감소하였지만 기여도는 831(934)로 증가하였으며 2007년에 들어 유출은 더욱 집중되

고 유입은 확산되어 운송수단의 발전으로 공간적으로 더욱 넓은 범위의 지역에서 재화를 유입

하고 생산 및 가공 후 일부 특정 지역으로 유출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는 lt표 6gt 중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이 매우 큰 규모인 점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연해지역이

선(先)성장으로 중국 내 수요지37)와 대외시장의 창구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반영한다 2002년에

들어 lsquo교환형rsquo 공간지니계수의 기여도는 110로 1997년 대비 약 43 상승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089수준으로 감소한다 즉 양자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가 2002년은 1997년에 비해 더

욱 높아졌지만 2007년에 다시 개선됨을 의미하며 이는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이 2002년

증가하였다가 2007년 감소함을 의미한다 게다가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3개 연도 모두 가장

높은 지수로 총 공간지니계수에 대한 기여도 역시 가장 높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상

술한 바와 같이 이상의 분석은 각 권역별 공간상의 무역패턴을 분석할 수 없기에 Z-SCORE로

lt그림 1gt38)을 제시한다

lt그림 1gt 1997-2007년 기간 중국 권역 간 무역의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 산점도

참조 Y축 유입 X축 유출을 나타냄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lt그림 1gt을 통해 2002-2007년 기간의 산점도가 1997-2002년 기간에 비해 좀 더 45deg 직선

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고려하면 공간상의 무역류가 전(前)기간 보다 더욱 분산된 무역구조 및

양자무역의 균형을 나타낸다 게다가 산점도가 점차 1사분면으로 이동하는 추세는 유출이 더욱

집중됨을 의미한다 이는 lt표 7gt의 2002-2007년 기간 분석결과와 일맥 한다

37) 타권역 유출에 대한 전(全)기간 연해지역의 평균유입비중을 보면 ldquo북부연해middot동부연해rdquo 두 권역의

유입비중이 56를 초과한다

38) 이하 lt그림 1gt은 각 권역의 유출middot유입 부문 공간지니계수를 z-score 전환 값을 이용하여 산점도

를 제시한다 정(+)의 z-score는 지역 간 무역 중 중요한 역할을 함과 동시에 평균 수준 보다 공

간적으로 더욱 집중화되었음을 의미하며 음(-)의 z-score는 지역 간 무역의 범위가 광범위하여 집

중화 수준이 낮음을 의미한다 45deg의 직선으로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쉽게 비교할 수 있으며 유출middot유입 부문 공간지니계수의 z-score 처리과정 중 plusmn1middot표준편차의 크기

보다 크거나 작은 지역은 유입지 혹은 유출지의 선택이 공간상에 더욱 집중(분산)화되었음을 나타

낸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9

 

lt표 8gt1997middot2002middot2007년 권역별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적 집중middot분산유형 분류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lt표 8gt의 권역별 교역패턴을 보면 서북middot동북 권역은 분석기간 lsquo유출과 유입rsquo 부문의 공간적

패턴이 대체로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1gt 중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동북권

역은 기타 권역에 비해 지리적으로 외딴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북권역은 중국의 동middot서 지

역을 연계할 정도로 매우 길게 위치함을 반영하는 것이다

집중된 교역구조의 유출부문으로 1997년 서남권역은 타권역 유출 규모 중 남부연해권역은

약 583억 5천만 위안으로 약 371의 비중을 2002년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의 1355억 6천

만 위안으로 약 606 2007년 동부연해권역의 남부연해middot중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1조 3천

억 위안으로 약 703의 비중 중부권역은 동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9천 104억 위안으

로 약 4095의 비중을 보이며 유입지 선택의 공간적 집중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표 8 참

고)39)

Ⅳ 중국 국내무역 유발구조의 요인분해와 무역승수 분석

1 역내무역의 국내무역과 권역 간 무역유발계수 분석

lt표 9gt은 연도middot지역별 역내무역규모가 중국 국내무역을 어느 정도로 유발하였는지를 나타낸

다 먼저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을 보면 1997년 114 2002년 116 2007년

124로 각 권역별 국내무역의 유발효과가 점차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각 지역의 산업과 경제발

전이 타 지역과 독립된 자급자족형 구조가 점차 상호보완적 구조로 전환됨을 반영하며 2002년

이후 지역 간 상호연관수준은 더욱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97년 상위 3개 국내무역 유발지역은 lsquo남부연해 동부연해 그리고 경진권역rsquo이며 2002년

WTO 가입 후 경진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여 유발계수를 보이고 서북

권역과 북부연해 권역이 뒤를 잊는다 여기서 서북권역의 유발계수가 크게 증가한 이유로는

2001년 1월 서부대개발40) 정책의 영향이며 서남권역의 유발효과는 서북권역에 비해 상당히 낮

은 수준인 이유는 서부대개발 정책의 효과가 서남권역 보다 서북권역에 먼저 시현된 것으로 사

료된다41) 2007년은 서북 중부 경진 권역이 가장 큰 유발효과를 보이며 서남권역의 국내무역

39)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권역 간 유출과 유입의 교역집중화를 파악할 수 있다(유입부문 1997년 동

부연해 중부(35) 2002년 중부동부연해(457) 2007년 경진북부연해(452))

40) 서부대개발 정책의 지리적 범위는 12개 지역을 포함함(四川陕西甘肃青海云南贵州广

西内蒙古宁夏新疆西藏重庆)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0

middot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였다

lt표 9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기간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성장률을 보면 1997-2002년 기간은 경진권역이 207

의 성장률로 가장 높다 이는 WTO 가입과 함께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산업의 발전과 세

계의 많은 외자기업들이 북경과 천진 지역의 투자 증가를 원인으로 들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은 중부권역이 158 성장률을 보여 가장 높은 데 이는 2004년 3월 중부굴기의 정책으로

중국의 동부와 서부지역의 산업발전을 연계하는 지리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앞서 살펴본 각 권역별 역내무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를 타 권역별 무역유발효과로 분류하여

살펴볼 수 있다(표 10 참고)

lt표 10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 간 무역유발효과 변화

41) 서부대개발 정책의 서부지역의 건축업에 큰 발전적 지회를 야기하였으며(唐明龙 2006) 2002년

서북권역 건축업의 RCA지수가 459로 매우 높으나 2007년에 들어 238로 감소하였으며 2002년

서남권역 건축업의 RCA지수는 146으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나 2007년는 400으로 크게 상승함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1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모든 기간에 걸쳐 대체적으로 역내무역의 증가는 자기권역의 총유출 규모를 더욱 유발

하였으나 1997-2002년 기간 ldquo중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은 자기권역의 유출유발효과가 감

소하였다 앞서 살펴본 기간별 국내무역 유발규모의 성장률이 높은 경진권역과 중부권역을 살펴

보면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과 유입의 유발효과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으며 중부권역은 1997년 서북구역의 유출middot유발효과만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middot유입효과가 높았다

타 권역에 대한 유출입 유발효과를 살펴보면 1997년 중부권역이 028로 가장 높았으나 이후

027 수준으로 감소하는 반면 2002년은 동부연해 권역의 025 2007년은 남부연해권역의 033

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부권역은 모든 기간에 걸쳐 가장 일정하게 타 지역의 유출

을 유발시켰으며42) 남부연해권역은 1997년 015의 유출계수가 2007년에 들어 가장 높은 033

까지 상승하여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유출입 계수의 격차를 살펴보면 경진과 서북 권역은 유입주도형 지역이며 동부연해 권역은

유출주도형 지역이다 하지만 각 권역별 총 유출입에 대한 역내무역의 비중은 지역별 산업구조

의 불일치 인구규모의 상이함 등의 요인으로 각 지역의 교역유형별 특성을 살펴볼 수 없다 따

라서 이하에서는 Rasumussen(1958)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를 통해 기간별 각 권역의 교역

유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2 권역 간 유출입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권역 간 상호의존관계 중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역내무역에 의해 받는 영향을 감응도

계수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유출에 주는 영향을 영향력계수라 한다

식(12)를 통하여 각 권역의 감응도 영향력계수를 구하면 lt표 11gt과 같다 우선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가 모두 1보다 큰 교역형 권역은 1997년 동부연해 남부연해 2002년 북부연해

42) 유출유발효과 값의 표준편차가 001로 가장 낮음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2

2007년 북부연해 남부연해 중부로 나타났다 2002년 후 경진권역은 유입형 지역으로 북경과

천진 지역이 타 지역으로부터 많은 재화를 유입할 것이라는 직관과 일치하였다

lt표 11gt 각 구역의 전방관련효과와 후방관련효과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서북권역의 경우 1997년 패쇄형 지역의 특성을 보이다 2002년에 들어 유입형의 특성을 보인

다 이는 서부대개발의 정책 추진 중 부족한 원부자재 및 생산설비를 타 지역으로부터 크게 유

입함을 반영하며 서남권역은 1997 2002년 패쇄형 지역에서 2007년 유입형 지역의 특성을 나

타낸다

3 요인분해분석

우리는 이상의 분석을 통해 각 권역 역내무역의 국내 및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를 분석하

였다 이러한 유발계수에 대하여 식(13)-(16)을 거쳐 요인분해 분석을 진행하면 lt표 12gt의 결

과를 얻을 수 있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3

lt표 12gt 기간별 각 권역 유출증가의 요인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중국 내부의 전체적인 효과를 살펴보면 1997-2002년 기간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

역에 대한 영향이 평균 10374 기여하여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역내

무역의 규모효과로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기

여도 모두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기여도는 약 86로 감소한다43) 즉

세계시장의 확대와 함께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구조의 변화와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상호작용이

모두 효율적으로 개선된 것이다 이는 자기권역 내 무역의 영향 보다 타 지역과의 상호연관 속

에 유발되는 유출의 규모가 더욱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권역별 요인분해 분석결과는 모든 기간에 걸쳐 각 권역의 총 유출은 역내무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지만 2002-2007년에 들어 기여도가 점차 감소하는 데 이는 1997-2002년 기간 교역

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인 지역은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이며 동 기간 이들 지역은

역내무역규모의 변화효과가 기타 교역구조 및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시킬 정도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서북권역은 교역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이지는 않으나 양자 간의 교차효과가

음의 영향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게다가 북부연해권역의 기간별 교역구조의 변화 효과는 ndash

2650에서 5077로 국내 교역구조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lt표 13gt는 각 권역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유발된 총 유출의 변화분에 대한 각 권역의 역

내무역 규모변화를 외생변수로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우선 전체적인 측면에서 동부연해 권

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유발되는 국내무역 유출변화가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중부권역이지만

2002-2007년에 들어 167의 기여도로 전보다 감소하고 북부연해 권역의 기여도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43)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이 2007년에 들어 큰 폭으로 상승하게 한 원인으로 고려

된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4

lt표 13gt 권역 내 무역규모변화요인의 재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5

각 권역별 특징을 살펴보면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자

기권역 역내무역규모 변화로 인한 총 유출에 대한 기여도가 감소하였다 이로써 ldquo북부연해 동

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이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가 효율적이게 변화함과 동시에

역내산업구조의 향상(표 6 참고)으로 인해 역내무역의 기여도가 더욱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4 권역 간 무역승수 분석

무역은 경제성장을 야기하지만 경제성장 역시 무역의 발전을 야기한다는 것이 공론이다 이러

한 관점에서 각 권역별 총산출 1단위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역내middot외 무역의 규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중국 내 지역 간 무역을 새로운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된

lt표 14gt 권역 간 무역승수44)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44) 국내무역승수(행합) 타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특정권역에 유발하는 유출의 무역승수 총

합 국내무역승수(열합) 특정 권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로 타지역에 유발하는 유입의 무역승수

총합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6

분석기간에 걸쳐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서남권역만을 제외하고 모든 권역에서 자기권역에 대

한 무역승수는 감소하고 있으며 2002-2007년 기간 lsquo서북과 서남rsquo 권역은 각각 33와 25로

감소율이 가장 크다 실제로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총산출 수준의 평균 성장률은 58

이며 2002-2007년 기간의 성장률은 크게 확대되어 15943으로 두 기간의 격차가 매우 크다

2002-2007년 기간 자기 지역 내 무역승수의 감소는 각 권역 간 산업구조가 더욱 고도화 되어

자기권역 내 무역만을 통해서는 생산을 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즉 국내무역의 발전과 지역 간

의 관계가 더욱 확대되어 기타 지역에 대한 무역승수효과가 더욱 증가한 것이며 이처럼 높은

총산출의 증가는 더욱 긴밀한 지역 간 산업구조와 무역관계 하에서 비로써 실현가능함을 반영

한다

lt표 14gt 중 국내무역승수의 행합과 열합의 변화를 보면 대부분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총산출

로 야기된 무역승수가 점차 감소한다고 오인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 만약 국내무역승수의 값

중 자기권역 내 무역승수를 소거한 후 무역승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반드시 감소하는 것은 아님

을 알 수 있다(참고 표 15)

lt표 15gt 자기 구역무역승수를 제거한 행합과 열합의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무역승수 변화추세는 일관되지 않지만 2002-2007년 기간 행

합 부문의 수치는 동부연해권역 이외에 기타 권역의 무역승수는 모두 증가하였고 열합 부문 중

경진과 서북권역 이외에 모든 권역의 타 권역에 대한 무역승수는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

다 이로써 WTO 가입 후 국내무역의 일체화 수준이 더욱 향상되었으며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

상을 위한 시장 환경이 구축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본 논문은 중국경제의 높은 성장 중 국내무역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을 대상으로 8대 권역 간 무역구조 분석을 위해 우선 무역 매트릭스를 구축

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

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본문 중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탐색적 접근으로 공간지니계수의 공간집중

도 분석결과는 분석 기간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수준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7

lsquo유출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반면에 lsquo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2007년에 들어

크게 감소하였다 게다가 2002년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은 증가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감소하여 지역 간 무역의 격차가 다소 감소하

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가 유입지 선택의 집중 유출지 선택의

확산 그리고 국내 유출입의 불균형 감소와 모든 교역조합 간의 격차감소로 시장일체화 수준이

점차 향상하는 추세를 의미한다

또한 중국 WTO 가입연도를 기준한 1997-2002년 2002-2007년 전후기간의 분석으로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유발구조를 살펴봄과 동시에 동태적인 요인분해분석을 통하여 국내분업

수준의 효율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내생적 비교우위론에 근거하여 교역구조의 개

선과 무역승수의 분석 역시 시장일체화의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내생적 비교우위 제고가

2002-2007년 기간 518의 중국 순수출 연평균 성장률에 기여함을 예상할 수 있었으며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무역 매트릭스 중 각 권역의 역내무역 비중은 동부연해권역을

제외하고 1997-2007년 기간 감소하였으며 일부 권역은 2002-2007년 기간에 들어 비로써 감

소하였다 하지만 역내무역의 비중이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의 연도

별 평균값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는 것을 보아도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중 Border Effect가 존재

하는 점과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아 Home Market

Effect의 존재를 탐색적으로 예감할 수 있다

또한 1997-2002년 기간 교역구조변화요인이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 ls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

부rsquo 권역은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가 효율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역내무역 규모요인의 재분

해 분석 시 자기권역 내 무역규모의 변화가 총 유출에 대한 영향이 더욱 커짐을 고려하면 역내

성middot시간 경제통합이 권역 외 총유출을 크게 촉진함으로 판단되며 권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 역시 국내무역의 유발효과를 촉진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은 전(全)산업의 권역 간

무역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17개 산업 부문 중 각각의 특성과 기여를 분석할 수 없었으며

현실적인 시사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정책변화 등 정성적인 요인들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는 차후의 연구과제로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심승진 20029 ldquo지역간 무역의 유발구조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심승진 20126 ldquo국제지역간 무역승수 효과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이데 마사히로 ldquo산업연관분석입문ldquo 985172제주대학교985173 2010

이중화 ldquo중국 국내무역의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영향분석-국내무역 순유출지수의 공간계

퍙패널분석을 중심으로ldquo 985172한국동북아경제학회985173 第27卷 第1號 201503

Hewings GJD Schindler GR and PR Israilevich 1998b ldquoInterstate trade among

Midwest economiesrdquo Chicago Fed Letter The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May

1998 no 129

N Ramondo A Rodriacuteguez‐Clare M Saboriacuteo‐Rodriacuteguez 2014 ldquoTrade Domestic

Frictions and Scale Effectsrdquo NBER Working Paper No18532

Poncet S 2003 ldquoMeasuring Chine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grationrdquo China

Economic Review 14(2003)1‐21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8

S Oumlzyurt M Dauma 2011 ldquoTrade openness and regional income spillovers in BrazilA

spatial econometric approachrdquo Papers in Regional Science 2013

Weinhold D 2002 ldquoThe importance of trade and geography in the pattern of spatial

dependence of growth ratesrdquo Review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6 no 3 pp

369‐382

XiaoKai Yang(杨小凯) 1996 ldquoA New Theory of Demand and Supply and Emergence

of International Trade from Dmestic Traderdquo Pacifrc Economic Review 13

国家信息中心 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1997年 200551

国家统计局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ldquo 20118

李善同 侯永志 ldquo中国大陆 划分8大社会经济区域ldquo 985172中国脉搏985173 20035

盛斌 毛其淋 2011 ldquo贸易开放国内市场一体化与中国省际经济增长1985sim2008年ldquo 985172世

界经济985173 (11) 44-66

唐明龙ldquo西部开发战略激活建筑业ldquo985172中国工程建设周刊9851732006年7月13日

吴三忙 李善同 2010 ldquo市场一体化产业地理集聚与地区专业分工演变ldquo 985172产业经济研究985173

06期

周怀峰 ldquo大国国内贸易需求提升产品国际竞争力的机理分析ldquo985172财贸研究98517320074

[i3] httpwwwgovcnzwgk2012-0910content_2220743htm 201551

국문초록

중국 8대 권역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Spatial Gini Index와 Decomposition Techniques를 통하여-

이 중 화

중국인민대학교 경제학 박사

본 논문은 2002년 WTO 가입으로 인한 중국의 대외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중국 내 지역 간 무역구조의 공간적 패턴과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게다가 ldquo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를 이용하여 8대 권역 간 무역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는 3개 연도 기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 중 유출형 공간집중도는 지속적으로 집중되는 반면에 유입형middot교환형middot기타형은 2002-2007년 기간 모두 감소하였다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유발계수분석 시 각 권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야기되는 중국 국내무역의 연도별 평균유발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요인분해분석 경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국내 총유출에 대하여 역내무역의 변화요인에 과도하게 의존한 반면 2002-2007년 기간 국내교역구조가 크게 개선됨을 나타낸다 게다가 2002-2007년 기간 무역승수는 일부 몇몇 권역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여 WTO 가입 후 중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과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상을 위한 시장환경이 구축되어 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주제어 공간지니계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권역 간 무역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9

Abstract

Spatial concentration and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terIntra trade for the

eight zones in China

-The Analysis based Spatial Gini Index and Decomposition Techniques-

ZHONGHUA LEE

PhD Economics RU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and induced structure of intra and inter‐regional trade among the eight

zones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 of domestic trade structure change after

joing the WTO In this paper the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SensitivityImpact coefficient Trade Multiplier is applied using

the inter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 the year of 1997 2002 and 2007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in the period of 1997‐2007 is diminished to continue indicating outflow

index is more centr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flow∙exchange∙others index is declined

in 2002‐2007 period Second trade induced coefficient where intra trade is set as

exogenous variable it is imply that domestic induced trade effect has consistently

increased Third the decomposition analysis shows that total outflows of each region

depends heavily on factors of change with respect to intra‐regional trade in 1997‐2002

period and the domestic trade structure among eight zones is improved during

2002‐2007 And also Trade multiplier estimate show that except a few zones it is

increased in 2002‐2007 was more efficient with comparison to the past indicating that

domestic markets and Endogenous Comparative Advantage started to enhance

complementary effect after having integrate into World Economic by joing in WTO

Key Words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Trade Multiplier Interregional Trade

Page 12: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국내...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08

1997-2002년 기간 lsquo유출형(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00426(00505)에서 00397(00446)로

모두 감소하였지만 기여도는 831(934)로 증가하였으며 2007년에 들어 유출은 더욱 집중되

고 유입은 확산되어 운송수단의 발전으로 공간적으로 더욱 넓은 범위의 지역에서 재화를 유입

하고 생산 및 가공 후 일부 특정 지역으로 유출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는 lt표 6gt 중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이 매우 큰 규모인 점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연해지역이

선(先)성장으로 중국 내 수요지37)와 대외시장의 창구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반영한다 2002년에

들어 lsquo교환형rsquo 공간지니계수의 기여도는 110로 1997년 대비 약 43 상승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089수준으로 감소한다 즉 양자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가 2002년은 1997년에 비해 더

욱 높아졌지만 2007년에 다시 개선됨을 의미하며 이는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이 2002년

증가하였다가 2007년 감소함을 의미한다 게다가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3개 연도 모두 가장

높은 지수로 총 공간지니계수에 대한 기여도 역시 가장 높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상

술한 바와 같이 이상의 분석은 각 권역별 공간상의 무역패턴을 분석할 수 없기에 Z-SCORE로

lt그림 1gt38)을 제시한다

lt그림 1gt 1997-2007년 기간 중국 권역 간 무역의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 산점도

참조 Y축 유입 X축 유출을 나타냄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lt그림 1gt을 통해 2002-2007년 기간의 산점도가 1997-2002년 기간에 비해 좀 더 45deg 직선

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고려하면 공간상의 무역류가 전(前)기간 보다 더욱 분산된 무역구조 및

양자무역의 균형을 나타낸다 게다가 산점도가 점차 1사분면으로 이동하는 추세는 유출이 더욱

집중됨을 의미한다 이는 lt표 7gt의 2002-2007년 기간 분석결과와 일맥 한다

37) 타권역 유출에 대한 전(全)기간 연해지역의 평균유입비중을 보면 ldquo북부연해middot동부연해rdquo 두 권역의

유입비중이 56를 초과한다

38) 이하 lt그림 1gt은 각 권역의 유출middot유입 부문 공간지니계수를 z-score 전환 값을 이용하여 산점도

를 제시한다 정(+)의 z-score는 지역 간 무역 중 중요한 역할을 함과 동시에 평균 수준 보다 공

간적으로 더욱 집중화되었음을 의미하며 음(-)의 z-score는 지역 간 무역의 범위가 광범위하여 집

중화 수준이 낮음을 의미한다 45deg의 직선으로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지니계수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쉽게 비교할 수 있으며 유출middot유입 부문 공간지니계수의 z-score 처리과정 중 plusmn1middot표준편차의 크기

보다 크거나 작은 지역은 유입지 혹은 유출지의 선택이 공간상에 더욱 집중(분산)화되었음을 나타

낸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9

 

lt표 8gt1997middot2002middot2007년 권역별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적 집중middot분산유형 분류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lt표 8gt의 권역별 교역패턴을 보면 서북middot동북 권역은 분석기간 lsquo유출과 유입rsquo 부문의 공간적

패턴이 대체로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1gt 중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동북권

역은 기타 권역에 비해 지리적으로 외딴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북권역은 중국의 동middot서 지

역을 연계할 정도로 매우 길게 위치함을 반영하는 것이다

집중된 교역구조의 유출부문으로 1997년 서남권역은 타권역 유출 규모 중 남부연해권역은

약 583억 5천만 위안으로 약 371의 비중을 2002년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의 1355억 6천

만 위안으로 약 606 2007년 동부연해권역의 남부연해middot중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1조 3천

억 위안으로 약 703의 비중 중부권역은 동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9천 104억 위안으

로 약 4095의 비중을 보이며 유입지 선택의 공간적 집중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표 8 참

고)39)

Ⅳ 중국 국내무역 유발구조의 요인분해와 무역승수 분석

1 역내무역의 국내무역과 권역 간 무역유발계수 분석

lt표 9gt은 연도middot지역별 역내무역규모가 중국 국내무역을 어느 정도로 유발하였는지를 나타낸

다 먼저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을 보면 1997년 114 2002년 116 2007년

124로 각 권역별 국내무역의 유발효과가 점차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각 지역의 산업과 경제발

전이 타 지역과 독립된 자급자족형 구조가 점차 상호보완적 구조로 전환됨을 반영하며 2002년

이후 지역 간 상호연관수준은 더욱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97년 상위 3개 국내무역 유발지역은 lsquo남부연해 동부연해 그리고 경진권역rsquo이며 2002년

WTO 가입 후 경진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여 유발계수를 보이고 서북

권역과 북부연해 권역이 뒤를 잊는다 여기서 서북권역의 유발계수가 크게 증가한 이유로는

2001년 1월 서부대개발40) 정책의 영향이며 서남권역의 유발효과는 서북권역에 비해 상당히 낮

은 수준인 이유는 서부대개발 정책의 효과가 서남권역 보다 서북권역에 먼저 시현된 것으로 사

료된다41) 2007년은 서북 중부 경진 권역이 가장 큰 유발효과를 보이며 서남권역의 국내무역

39)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권역 간 유출과 유입의 교역집중화를 파악할 수 있다(유입부문 1997년 동

부연해 중부(35) 2002년 중부동부연해(457) 2007년 경진북부연해(452))

40) 서부대개발 정책의 지리적 범위는 12개 지역을 포함함(四川陕西甘肃青海云南贵州广

西内蒙古宁夏新疆西藏重庆)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0

middot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였다

lt표 9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기간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성장률을 보면 1997-2002년 기간은 경진권역이 207

의 성장률로 가장 높다 이는 WTO 가입과 함께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산업의 발전과 세

계의 많은 외자기업들이 북경과 천진 지역의 투자 증가를 원인으로 들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은 중부권역이 158 성장률을 보여 가장 높은 데 이는 2004년 3월 중부굴기의 정책으로

중국의 동부와 서부지역의 산업발전을 연계하는 지리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앞서 살펴본 각 권역별 역내무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를 타 권역별 무역유발효과로 분류하여

살펴볼 수 있다(표 10 참고)

lt표 10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 간 무역유발효과 변화

41) 서부대개발 정책의 서부지역의 건축업에 큰 발전적 지회를 야기하였으며(唐明龙 2006) 2002년

서북권역 건축업의 RCA지수가 459로 매우 높으나 2007년에 들어 238로 감소하였으며 2002년

서남권역 건축업의 RCA지수는 146으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나 2007년는 400으로 크게 상승함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1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모든 기간에 걸쳐 대체적으로 역내무역의 증가는 자기권역의 총유출 규모를 더욱 유발

하였으나 1997-2002년 기간 ldquo중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은 자기권역의 유출유발효과가 감

소하였다 앞서 살펴본 기간별 국내무역 유발규모의 성장률이 높은 경진권역과 중부권역을 살펴

보면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과 유입의 유발효과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으며 중부권역은 1997년 서북구역의 유출middot유발효과만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middot유입효과가 높았다

타 권역에 대한 유출입 유발효과를 살펴보면 1997년 중부권역이 028로 가장 높았으나 이후

027 수준으로 감소하는 반면 2002년은 동부연해 권역의 025 2007년은 남부연해권역의 033

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부권역은 모든 기간에 걸쳐 가장 일정하게 타 지역의 유출

을 유발시켰으며42) 남부연해권역은 1997년 015의 유출계수가 2007년에 들어 가장 높은 033

까지 상승하여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유출입 계수의 격차를 살펴보면 경진과 서북 권역은 유입주도형 지역이며 동부연해 권역은

유출주도형 지역이다 하지만 각 권역별 총 유출입에 대한 역내무역의 비중은 지역별 산업구조

의 불일치 인구규모의 상이함 등의 요인으로 각 지역의 교역유형별 특성을 살펴볼 수 없다 따

라서 이하에서는 Rasumussen(1958)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를 통해 기간별 각 권역의 교역

유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2 권역 간 유출입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권역 간 상호의존관계 중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역내무역에 의해 받는 영향을 감응도

계수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유출에 주는 영향을 영향력계수라 한다

식(12)를 통하여 각 권역의 감응도 영향력계수를 구하면 lt표 11gt과 같다 우선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가 모두 1보다 큰 교역형 권역은 1997년 동부연해 남부연해 2002년 북부연해

42) 유출유발효과 값의 표준편차가 001로 가장 낮음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2

2007년 북부연해 남부연해 중부로 나타났다 2002년 후 경진권역은 유입형 지역으로 북경과

천진 지역이 타 지역으로부터 많은 재화를 유입할 것이라는 직관과 일치하였다

lt표 11gt 각 구역의 전방관련효과와 후방관련효과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서북권역의 경우 1997년 패쇄형 지역의 특성을 보이다 2002년에 들어 유입형의 특성을 보인

다 이는 서부대개발의 정책 추진 중 부족한 원부자재 및 생산설비를 타 지역으로부터 크게 유

입함을 반영하며 서남권역은 1997 2002년 패쇄형 지역에서 2007년 유입형 지역의 특성을 나

타낸다

3 요인분해분석

우리는 이상의 분석을 통해 각 권역 역내무역의 국내 및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를 분석하

였다 이러한 유발계수에 대하여 식(13)-(16)을 거쳐 요인분해 분석을 진행하면 lt표 12gt의 결

과를 얻을 수 있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3

lt표 12gt 기간별 각 권역 유출증가의 요인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중국 내부의 전체적인 효과를 살펴보면 1997-2002년 기간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

역에 대한 영향이 평균 10374 기여하여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역내

무역의 규모효과로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기

여도 모두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기여도는 약 86로 감소한다43) 즉

세계시장의 확대와 함께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구조의 변화와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상호작용이

모두 효율적으로 개선된 것이다 이는 자기권역 내 무역의 영향 보다 타 지역과의 상호연관 속

에 유발되는 유출의 규모가 더욱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권역별 요인분해 분석결과는 모든 기간에 걸쳐 각 권역의 총 유출은 역내무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지만 2002-2007년에 들어 기여도가 점차 감소하는 데 이는 1997-2002년 기간 교역

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인 지역은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이며 동 기간 이들 지역은

역내무역규모의 변화효과가 기타 교역구조 및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시킬 정도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서북권역은 교역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이지는 않으나 양자 간의 교차효과가

음의 영향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게다가 북부연해권역의 기간별 교역구조의 변화 효과는 ndash

2650에서 5077로 국내 교역구조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lt표 13gt는 각 권역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유발된 총 유출의 변화분에 대한 각 권역의 역

내무역 규모변화를 외생변수로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우선 전체적인 측면에서 동부연해 권

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유발되는 국내무역 유출변화가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중부권역이지만

2002-2007년에 들어 167의 기여도로 전보다 감소하고 북부연해 권역의 기여도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43)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이 2007년에 들어 큰 폭으로 상승하게 한 원인으로 고려

된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4

lt표 13gt 권역 내 무역규모변화요인의 재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5

각 권역별 특징을 살펴보면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자

기권역 역내무역규모 변화로 인한 총 유출에 대한 기여도가 감소하였다 이로써 ldquo북부연해 동

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이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가 효율적이게 변화함과 동시에

역내산업구조의 향상(표 6 참고)으로 인해 역내무역의 기여도가 더욱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4 권역 간 무역승수 분석

무역은 경제성장을 야기하지만 경제성장 역시 무역의 발전을 야기한다는 것이 공론이다 이러

한 관점에서 각 권역별 총산출 1단위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역내middot외 무역의 규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중국 내 지역 간 무역을 새로운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된

lt표 14gt 권역 간 무역승수44)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44) 국내무역승수(행합) 타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특정권역에 유발하는 유출의 무역승수 총

합 국내무역승수(열합) 특정 권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로 타지역에 유발하는 유입의 무역승수

총합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6

분석기간에 걸쳐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서남권역만을 제외하고 모든 권역에서 자기권역에 대

한 무역승수는 감소하고 있으며 2002-2007년 기간 lsquo서북과 서남rsquo 권역은 각각 33와 25로

감소율이 가장 크다 실제로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총산출 수준의 평균 성장률은 58

이며 2002-2007년 기간의 성장률은 크게 확대되어 15943으로 두 기간의 격차가 매우 크다

2002-2007년 기간 자기 지역 내 무역승수의 감소는 각 권역 간 산업구조가 더욱 고도화 되어

자기권역 내 무역만을 통해서는 생산을 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즉 국내무역의 발전과 지역 간

의 관계가 더욱 확대되어 기타 지역에 대한 무역승수효과가 더욱 증가한 것이며 이처럼 높은

총산출의 증가는 더욱 긴밀한 지역 간 산업구조와 무역관계 하에서 비로써 실현가능함을 반영

한다

lt표 14gt 중 국내무역승수의 행합과 열합의 변화를 보면 대부분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총산출

로 야기된 무역승수가 점차 감소한다고 오인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 만약 국내무역승수의 값

중 자기권역 내 무역승수를 소거한 후 무역승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반드시 감소하는 것은 아님

을 알 수 있다(참고 표 15)

lt표 15gt 자기 구역무역승수를 제거한 행합과 열합의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무역승수 변화추세는 일관되지 않지만 2002-2007년 기간 행

합 부문의 수치는 동부연해권역 이외에 기타 권역의 무역승수는 모두 증가하였고 열합 부문 중

경진과 서북권역 이외에 모든 권역의 타 권역에 대한 무역승수는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

다 이로써 WTO 가입 후 국내무역의 일체화 수준이 더욱 향상되었으며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

상을 위한 시장 환경이 구축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본 논문은 중국경제의 높은 성장 중 국내무역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을 대상으로 8대 권역 간 무역구조 분석을 위해 우선 무역 매트릭스를 구축

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

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본문 중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탐색적 접근으로 공간지니계수의 공간집중

도 분석결과는 분석 기간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수준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7

lsquo유출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반면에 lsquo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2007년에 들어

크게 감소하였다 게다가 2002년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은 증가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감소하여 지역 간 무역의 격차가 다소 감소하

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가 유입지 선택의 집중 유출지 선택의

확산 그리고 국내 유출입의 불균형 감소와 모든 교역조합 간의 격차감소로 시장일체화 수준이

점차 향상하는 추세를 의미한다

또한 중국 WTO 가입연도를 기준한 1997-2002년 2002-2007년 전후기간의 분석으로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유발구조를 살펴봄과 동시에 동태적인 요인분해분석을 통하여 국내분업

수준의 효율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내생적 비교우위론에 근거하여 교역구조의 개

선과 무역승수의 분석 역시 시장일체화의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내생적 비교우위 제고가

2002-2007년 기간 518의 중국 순수출 연평균 성장률에 기여함을 예상할 수 있었으며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무역 매트릭스 중 각 권역의 역내무역 비중은 동부연해권역을

제외하고 1997-2007년 기간 감소하였으며 일부 권역은 2002-2007년 기간에 들어 비로써 감

소하였다 하지만 역내무역의 비중이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의 연도

별 평균값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는 것을 보아도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중 Border Effect가 존재

하는 점과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아 Home Market

Effect의 존재를 탐색적으로 예감할 수 있다

또한 1997-2002년 기간 교역구조변화요인이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 ls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

부rsquo 권역은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가 효율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역내무역 규모요인의 재분

해 분석 시 자기권역 내 무역규모의 변화가 총 유출에 대한 영향이 더욱 커짐을 고려하면 역내

성middot시간 경제통합이 권역 외 총유출을 크게 촉진함으로 판단되며 권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 역시 국내무역의 유발효과를 촉진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은 전(全)산업의 권역 간

무역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17개 산업 부문 중 각각의 특성과 기여를 분석할 수 없었으며

현실적인 시사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정책변화 등 정성적인 요인들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는 차후의 연구과제로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심승진 20029 ldquo지역간 무역의 유발구조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심승진 20126 ldquo국제지역간 무역승수 효과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이데 마사히로 ldquo산업연관분석입문ldquo 985172제주대학교985173 2010

이중화 ldquo중국 국내무역의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영향분석-국내무역 순유출지수의 공간계

퍙패널분석을 중심으로ldquo 985172한국동북아경제학회985173 第27卷 第1號 201503

Hewings GJD Schindler GR and PR Israilevich 1998b ldquoInterstate trade among

Midwest economiesrdquo Chicago Fed Letter The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May

1998 no 129

N Ramondo A Rodriacuteguez‐Clare M Saboriacuteo‐Rodriacuteguez 2014 ldquoTrade Domestic

Frictions and Scale Effectsrdquo NBER Working Paper No18532

Poncet S 2003 ldquoMeasuring Chine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grationrdquo China

Economic Review 14(2003)1‐21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8

S Oumlzyurt M Dauma 2011 ldquoTrade openness and regional income spillovers in BrazilA

spatial econometric approachrdquo Papers in Regional Science 2013

Weinhold D 2002 ldquoThe importance of trade and geography in the pattern of spatial

dependence of growth ratesrdquo Review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6 no 3 pp

369‐382

XiaoKai Yang(杨小凯) 1996 ldquoA New Theory of Demand and Supply and Emergence

of International Trade from Dmestic Traderdquo Pacifrc Economic Review 13

国家信息中心 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1997年 200551

国家统计局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ldquo 20118

李善同 侯永志 ldquo中国大陆 划分8大社会经济区域ldquo 985172中国脉搏985173 20035

盛斌 毛其淋 2011 ldquo贸易开放国内市场一体化与中国省际经济增长1985sim2008年ldquo 985172世

界经济985173 (11) 44-66

唐明龙ldquo西部开发战略激活建筑业ldquo985172中国工程建设周刊9851732006年7月13日

吴三忙 李善同 2010 ldquo市场一体化产业地理集聚与地区专业分工演变ldquo 985172产业经济研究985173

06期

周怀峰 ldquo大国国内贸易需求提升产品国际竞争力的机理分析ldquo985172财贸研究98517320074

[i3] httpwwwgovcnzwgk2012-0910content_2220743htm 201551

국문초록

중국 8대 권역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Spatial Gini Index와 Decomposition Techniques를 통하여-

이 중 화

중국인민대학교 경제학 박사

본 논문은 2002년 WTO 가입으로 인한 중국의 대외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중국 내 지역 간 무역구조의 공간적 패턴과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게다가 ldquo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를 이용하여 8대 권역 간 무역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는 3개 연도 기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 중 유출형 공간집중도는 지속적으로 집중되는 반면에 유입형middot교환형middot기타형은 2002-2007년 기간 모두 감소하였다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유발계수분석 시 각 권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야기되는 중국 국내무역의 연도별 평균유발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요인분해분석 경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국내 총유출에 대하여 역내무역의 변화요인에 과도하게 의존한 반면 2002-2007년 기간 국내교역구조가 크게 개선됨을 나타낸다 게다가 2002-2007년 기간 무역승수는 일부 몇몇 권역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여 WTO 가입 후 중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과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상을 위한 시장환경이 구축되어 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주제어 공간지니계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권역 간 무역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9

Abstract

Spatial concentration and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terIntra trade for the

eight zones in China

-The Analysis based Spatial Gini Index and Decomposition Techniques-

ZHONGHUA LEE

PhD Economics RU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and induced structure of intra and inter‐regional trade among the eight

zones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 of domestic trade structure change after

joing the WTO In this paper the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SensitivityImpact coefficient Trade Multiplier is applied using

the inter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 the year of 1997 2002 and 2007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in the period of 1997‐2007 is diminished to continue indicating outflow

index is more centr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flow∙exchange∙others index is declined

in 2002‐2007 period Second trade induced coefficient where intra trade is set as

exogenous variable it is imply that domestic induced trade effect has consistently

increased Third the decomposition analysis shows that total outflows of each region

depends heavily on factors of change with respect to intra‐regional trade in 1997‐2002

period and the domestic trade structure among eight zones is improved during

2002‐2007 And also Trade multiplier estimate show that except a few zones it is

increased in 2002‐2007 was more efficient with comparison to the past indicating that

domestic markets and Endogenous Comparative Advantage started to enhance

complementary effect after having integrate into World Economic by joing in WTO

Key Words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Trade Multiplier Interregional Trade

Page 13: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국내...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09

 

lt표 8gt1997middot2002middot2007년 권역별 유출middot유입부문 공간적 집중middot분산유형 분류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lt표 8gt의 권역별 교역패턴을 보면 서북middot동북 권역은 분석기간 lsquo유출과 유입rsquo 부문의 공간적

패턴이 대체로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1gt 중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동북권

역은 기타 권역에 비해 지리적으로 외딴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북권역은 중국의 동middot서 지

역을 연계할 정도로 매우 길게 위치함을 반영하는 것이다

집중된 교역구조의 유출부문으로 1997년 서남권역은 타권역 유출 규모 중 남부연해권역은

약 583억 5천만 위안으로 약 371의 비중을 2002년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의 1355억 6천

만 위안으로 약 606 2007년 동부연해권역의 남부연해middot중부 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1조 3천

억 위안으로 약 703의 비중 중부권역은 동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규모는 9천 104억 위안으

로 약 4095의 비중을 보이며 유입지 선택의 공간적 집중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표 8 참

고)39)

Ⅳ 중국 국내무역 유발구조의 요인분해와 무역승수 분석

1 역내무역의 국내무역과 권역 간 무역유발계수 분석

lt표 9gt은 연도middot지역별 역내무역규모가 중국 국내무역을 어느 정도로 유발하였는지를 나타낸

다 먼저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을 보면 1997년 114 2002년 116 2007년

124로 각 권역별 국내무역의 유발효과가 점차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각 지역의 산업과 경제발

전이 타 지역과 독립된 자급자족형 구조가 점차 상호보완적 구조로 전환됨을 반영하며 2002년

이후 지역 간 상호연관수준은 더욱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97년 상위 3개 국내무역 유발지역은 lsquo남부연해 동부연해 그리고 경진권역rsquo이며 2002년

WTO 가입 후 경진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여 유발계수를 보이고 서북

권역과 북부연해 권역이 뒤를 잊는다 여기서 서북권역의 유발계수가 크게 증가한 이유로는

2001년 1월 서부대개발40) 정책의 영향이며 서남권역의 유발효과는 서북권역에 비해 상당히 낮

은 수준인 이유는 서부대개발 정책의 효과가 서남권역 보다 서북권역에 먼저 시현된 것으로 사

료된다41) 2007년은 서북 중부 경진 권역이 가장 큰 유발효과를 보이며 서남권역의 국내무역

39)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권역 간 유출과 유입의 교역집중화를 파악할 수 있다(유입부문 1997년 동

부연해 중부(35) 2002년 중부동부연해(457) 2007년 경진북부연해(452))

40) 서부대개발 정책의 지리적 범위는 12개 지역을 포함함(四川陕西甘肃青海云南贵州广

西内蒙古宁夏新疆西藏重庆)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0

middot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였다

lt표 9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기간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성장률을 보면 1997-2002년 기간은 경진권역이 207

의 성장률로 가장 높다 이는 WTO 가입과 함께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산업의 발전과 세

계의 많은 외자기업들이 북경과 천진 지역의 투자 증가를 원인으로 들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은 중부권역이 158 성장률을 보여 가장 높은 데 이는 2004년 3월 중부굴기의 정책으로

중국의 동부와 서부지역의 산업발전을 연계하는 지리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앞서 살펴본 각 권역별 역내무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를 타 권역별 무역유발효과로 분류하여

살펴볼 수 있다(표 10 참고)

lt표 10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 간 무역유발효과 변화

41) 서부대개발 정책의 서부지역의 건축업에 큰 발전적 지회를 야기하였으며(唐明龙 2006) 2002년

서북권역 건축업의 RCA지수가 459로 매우 높으나 2007년에 들어 238로 감소하였으며 2002년

서남권역 건축업의 RCA지수는 146으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나 2007년는 400으로 크게 상승함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1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모든 기간에 걸쳐 대체적으로 역내무역의 증가는 자기권역의 총유출 규모를 더욱 유발

하였으나 1997-2002년 기간 ldquo중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은 자기권역의 유출유발효과가 감

소하였다 앞서 살펴본 기간별 국내무역 유발규모의 성장률이 높은 경진권역과 중부권역을 살펴

보면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과 유입의 유발효과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으며 중부권역은 1997년 서북구역의 유출middot유발효과만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middot유입효과가 높았다

타 권역에 대한 유출입 유발효과를 살펴보면 1997년 중부권역이 028로 가장 높았으나 이후

027 수준으로 감소하는 반면 2002년은 동부연해 권역의 025 2007년은 남부연해권역의 033

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부권역은 모든 기간에 걸쳐 가장 일정하게 타 지역의 유출

을 유발시켰으며42) 남부연해권역은 1997년 015의 유출계수가 2007년에 들어 가장 높은 033

까지 상승하여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유출입 계수의 격차를 살펴보면 경진과 서북 권역은 유입주도형 지역이며 동부연해 권역은

유출주도형 지역이다 하지만 각 권역별 총 유출입에 대한 역내무역의 비중은 지역별 산업구조

의 불일치 인구규모의 상이함 등의 요인으로 각 지역의 교역유형별 특성을 살펴볼 수 없다 따

라서 이하에서는 Rasumussen(1958)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를 통해 기간별 각 권역의 교역

유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2 권역 간 유출입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권역 간 상호의존관계 중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역내무역에 의해 받는 영향을 감응도

계수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유출에 주는 영향을 영향력계수라 한다

식(12)를 통하여 각 권역의 감응도 영향력계수를 구하면 lt표 11gt과 같다 우선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가 모두 1보다 큰 교역형 권역은 1997년 동부연해 남부연해 2002년 북부연해

42) 유출유발효과 값의 표준편차가 001로 가장 낮음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2

2007년 북부연해 남부연해 중부로 나타났다 2002년 후 경진권역은 유입형 지역으로 북경과

천진 지역이 타 지역으로부터 많은 재화를 유입할 것이라는 직관과 일치하였다

lt표 11gt 각 구역의 전방관련효과와 후방관련효과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서북권역의 경우 1997년 패쇄형 지역의 특성을 보이다 2002년에 들어 유입형의 특성을 보인

다 이는 서부대개발의 정책 추진 중 부족한 원부자재 및 생산설비를 타 지역으로부터 크게 유

입함을 반영하며 서남권역은 1997 2002년 패쇄형 지역에서 2007년 유입형 지역의 특성을 나

타낸다

3 요인분해분석

우리는 이상의 분석을 통해 각 권역 역내무역의 국내 및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를 분석하

였다 이러한 유발계수에 대하여 식(13)-(16)을 거쳐 요인분해 분석을 진행하면 lt표 12gt의 결

과를 얻을 수 있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3

lt표 12gt 기간별 각 권역 유출증가의 요인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중국 내부의 전체적인 효과를 살펴보면 1997-2002년 기간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

역에 대한 영향이 평균 10374 기여하여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역내

무역의 규모효과로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기

여도 모두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기여도는 약 86로 감소한다43) 즉

세계시장의 확대와 함께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구조의 변화와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상호작용이

모두 효율적으로 개선된 것이다 이는 자기권역 내 무역의 영향 보다 타 지역과의 상호연관 속

에 유발되는 유출의 규모가 더욱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권역별 요인분해 분석결과는 모든 기간에 걸쳐 각 권역의 총 유출은 역내무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지만 2002-2007년에 들어 기여도가 점차 감소하는 데 이는 1997-2002년 기간 교역

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인 지역은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이며 동 기간 이들 지역은

역내무역규모의 변화효과가 기타 교역구조 및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시킬 정도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서북권역은 교역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이지는 않으나 양자 간의 교차효과가

음의 영향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게다가 북부연해권역의 기간별 교역구조의 변화 효과는 ndash

2650에서 5077로 국내 교역구조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lt표 13gt는 각 권역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유발된 총 유출의 변화분에 대한 각 권역의 역

내무역 규모변화를 외생변수로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우선 전체적인 측면에서 동부연해 권

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유발되는 국내무역 유출변화가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중부권역이지만

2002-2007년에 들어 167의 기여도로 전보다 감소하고 북부연해 권역의 기여도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43)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이 2007년에 들어 큰 폭으로 상승하게 한 원인으로 고려

된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4

lt표 13gt 권역 내 무역규모변화요인의 재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5

각 권역별 특징을 살펴보면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자

기권역 역내무역규모 변화로 인한 총 유출에 대한 기여도가 감소하였다 이로써 ldquo북부연해 동

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이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가 효율적이게 변화함과 동시에

역내산업구조의 향상(표 6 참고)으로 인해 역내무역의 기여도가 더욱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4 권역 간 무역승수 분석

무역은 경제성장을 야기하지만 경제성장 역시 무역의 발전을 야기한다는 것이 공론이다 이러

한 관점에서 각 권역별 총산출 1단위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역내middot외 무역의 규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중국 내 지역 간 무역을 새로운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된

lt표 14gt 권역 간 무역승수44)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44) 국내무역승수(행합) 타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특정권역에 유발하는 유출의 무역승수 총

합 국내무역승수(열합) 특정 권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로 타지역에 유발하는 유입의 무역승수

총합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6

분석기간에 걸쳐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서남권역만을 제외하고 모든 권역에서 자기권역에 대

한 무역승수는 감소하고 있으며 2002-2007년 기간 lsquo서북과 서남rsquo 권역은 각각 33와 25로

감소율이 가장 크다 실제로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총산출 수준의 평균 성장률은 58

이며 2002-2007년 기간의 성장률은 크게 확대되어 15943으로 두 기간의 격차가 매우 크다

2002-2007년 기간 자기 지역 내 무역승수의 감소는 각 권역 간 산업구조가 더욱 고도화 되어

자기권역 내 무역만을 통해서는 생산을 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즉 국내무역의 발전과 지역 간

의 관계가 더욱 확대되어 기타 지역에 대한 무역승수효과가 더욱 증가한 것이며 이처럼 높은

총산출의 증가는 더욱 긴밀한 지역 간 산업구조와 무역관계 하에서 비로써 실현가능함을 반영

한다

lt표 14gt 중 국내무역승수의 행합과 열합의 변화를 보면 대부분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총산출

로 야기된 무역승수가 점차 감소한다고 오인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 만약 국내무역승수의 값

중 자기권역 내 무역승수를 소거한 후 무역승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반드시 감소하는 것은 아님

을 알 수 있다(참고 표 15)

lt표 15gt 자기 구역무역승수를 제거한 행합과 열합의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무역승수 변화추세는 일관되지 않지만 2002-2007년 기간 행

합 부문의 수치는 동부연해권역 이외에 기타 권역의 무역승수는 모두 증가하였고 열합 부문 중

경진과 서북권역 이외에 모든 권역의 타 권역에 대한 무역승수는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

다 이로써 WTO 가입 후 국내무역의 일체화 수준이 더욱 향상되었으며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

상을 위한 시장 환경이 구축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본 논문은 중국경제의 높은 성장 중 국내무역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을 대상으로 8대 권역 간 무역구조 분석을 위해 우선 무역 매트릭스를 구축

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

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본문 중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탐색적 접근으로 공간지니계수의 공간집중

도 분석결과는 분석 기간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수준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7

lsquo유출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반면에 lsquo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2007년에 들어

크게 감소하였다 게다가 2002년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은 증가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감소하여 지역 간 무역의 격차가 다소 감소하

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가 유입지 선택의 집중 유출지 선택의

확산 그리고 국내 유출입의 불균형 감소와 모든 교역조합 간의 격차감소로 시장일체화 수준이

점차 향상하는 추세를 의미한다

또한 중국 WTO 가입연도를 기준한 1997-2002년 2002-2007년 전후기간의 분석으로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유발구조를 살펴봄과 동시에 동태적인 요인분해분석을 통하여 국내분업

수준의 효율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내생적 비교우위론에 근거하여 교역구조의 개

선과 무역승수의 분석 역시 시장일체화의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내생적 비교우위 제고가

2002-2007년 기간 518의 중국 순수출 연평균 성장률에 기여함을 예상할 수 있었으며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무역 매트릭스 중 각 권역의 역내무역 비중은 동부연해권역을

제외하고 1997-2007년 기간 감소하였으며 일부 권역은 2002-2007년 기간에 들어 비로써 감

소하였다 하지만 역내무역의 비중이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의 연도

별 평균값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는 것을 보아도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중 Border Effect가 존재

하는 점과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아 Home Market

Effect의 존재를 탐색적으로 예감할 수 있다

또한 1997-2002년 기간 교역구조변화요인이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 ls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

부rsquo 권역은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가 효율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역내무역 규모요인의 재분

해 분석 시 자기권역 내 무역규모의 변화가 총 유출에 대한 영향이 더욱 커짐을 고려하면 역내

성middot시간 경제통합이 권역 외 총유출을 크게 촉진함으로 판단되며 권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 역시 국내무역의 유발효과를 촉진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은 전(全)산업의 권역 간

무역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17개 산업 부문 중 각각의 특성과 기여를 분석할 수 없었으며

현실적인 시사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정책변화 등 정성적인 요인들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는 차후의 연구과제로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심승진 20029 ldquo지역간 무역의 유발구조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심승진 20126 ldquo국제지역간 무역승수 효과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이데 마사히로 ldquo산업연관분석입문ldquo 985172제주대학교985173 2010

이중화 ldquo중국 국내무역의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영향분석-국내무역 순유출지수의 공간계

퍙패널분석을 중심으로ldquo 985172한국동북아경제학회985173 第27卷 第1號 201503

Hewings GJD Schindler GR and PR Israilevich 1998b ldquoInterstate trade among

Midwest economiesrdquo Chicago Fed Letter The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May

1998 no 129

N Ramondo A Rodriacuteguez‐Clare M Saboriacuteo‐Rodriacuteguez 2014 ldquoTrade Domestic

Frictions and Scale Effectsrdquo NBER Working Paper No18532

Poncet S 2003 ldquoMeasuring Chine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grationrdquo China

Economic Review 14(2003)1‐21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8

S Oumlzyurt M Dauma 2011 ldquoTrade openness and regional income spillovers in BrazilA

spatial econometric approachrdquo Papers in Regional Science 2013

Weinhold D 2002 ldquoThe importance of trade and geography in the pattern of spatial

dependence of growth ratesrdquo Review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6 no 3 pp

369‐382

XiaoKai Yang(杨小凯) 1996 ldquoA New Theory of Demand and Supply and Emergence

of International Trade from Dmestic Traderdquo Pacifrc Economic Review 13

国家信息中心 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1997年 200551

国家统计局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ldquo 20118

李善同 侯永志 ldquo中国大陆 划分8大社会经济区域ldquo 985172中国脉搏985173 20035

盛斌 毛其淋 2011 ldquo贸易开放国内市场一体化与中国省际经济增长1985sim2008年ldquo 985172世

界经济985173 (11) 44-66

唐明龙ldquo西部开发战略激活建筑业ldquo985172中国工程建设周刊9851732006年7月13日

吴三忙 李善同 2010 ldquo市场一体化产业地理集聚与地区专业分工演变ldquo 985172产业经济研究985173

06期

周怀峰 ldquo大国国内贸易需求提升产品国际竞争力的机理分析ldquo985172财贸研究98517320074

[i3] httpwwwgovcnzwgk2012-0910content_2220743htm 201551

국문초록

중국 8대 권역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Spatial Gini Index와 Decomposition Techniques를 통하여-

이 중 화

중국인민대학교 경제학 박사

본 논문은 2002년 WTO 가입으로 인한 중국의 대외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중국 내 지역 간 무역구조의 공간적 패턴과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게다가 ldquo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를 이용하여 8대 권역 간 무역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는 3개 연도 기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 중 유출형 공간집중도는 지속적으로 집중되는 반면에 유입형middot교환형middot기타형은 2002-2007년 기간 모두 감소하였다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유발계수분석 시 각 권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야기되는 중국 국내무역의 연도별 평균유발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요인분해분석 경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국내 총유출에 대하여 역내무역의 변화요인에 과도하게 의존한 반면 2002-2007년 기간 국내교역구조가 크게 개선됨을 나타낸다 게다가 2002-2007년 기간 무역승수는 일부 몇몇 권역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여 WTO 가입 후 중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과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상을 위한 시장환경이 구축되어 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주제어 공간지니계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권역 간 무역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9

Abstract

Spatial concentration and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terIntra trade for the

eight zones in China

-The Analysis based Spatial Gini Index and Decomposition Techniques-

ZHONGHUA LEE

PhD Economics RU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and induced structure of intra and inter‐regional trade among the eight

zones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 of domestic trade structure change after

joing the WTO In this paper the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SensitivityImpact coefficient Trade Multiplier is applied using

the inter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 the year of 1997 2002 and 2007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in the period of 1997‐2007 is diminished to continue indicating outflow

index is more centr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flow∙exchange∙others index is declined

in 2002‐2007 period Second trade induced coefficient where intra trade is set as

exogenous variable it is imply that domestic induced trade effect has consistently

increased Third the decomposition analysis shows that total outflows of each region

depends heavily on factors of change with respect to intra‐regional trade in 1997‐2002

period and the domestic trade structure among eight zones is improved during

2002‐2007 And also Trade multiplier estimate show that except a few zones it is

increased in 2002‐2007 was more efficient with comparison to the past indicating that

domestic markets and Endogenous Comparative Advantage started to enhance

complementary effect after having integrate into World Economic by joing in WTO

Key Words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Trade Multiplier Interregional Trade

Page 14: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국내...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0

middot

유발효과가 크게 증가하였다

lt표 9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기간별 각 권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 성장률을 보면 1997-2002년 기간은 경진권역이 207

의 성장률로 가장 높다 이는 WTO 가입과 함께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산업의 발전과 세

계의 많은 외자기업들이 북경과 천진 지역의 투자 증가를 원인으로 들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은 중부권역이 158 성장률을 보여 가장 높은 데 이는 2004년 3월 중부굴기의 정책으로

중국의 동부와 서부지역의 산업발전을 연계하는 지리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앞서 살펴본 각 권역별 역내무역의 국내무역 유발효과를 타 권역별 무역유발효과로 분류하여

살펴볼 수 있다(표 10 참고)

lt표 10gt 1997middot2002middot2007년 각 권역 간 무역유발효과 변화

41) 서부대개발 정책의 서부지역의 건축업에 큰 발전적 지회를 야기하였으며(唐明龙 2006) 2002년

서북권역 건축업의 RCA지수가 459로 매우 높으나 2007년에 들어 238로 감소하였으며 2002년

서남권역 건축업의 RCA지수는 146으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나 2007년는 400으로 크게 상승함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1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모든 기간에 걸쳐 대체적으로 역내무역의 증가는 자기권역의 총유출 규모를 더욱 유발

하였으나 1997-2002년 기간 ldquo중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은 자기권역의 유출유발효과가 감

소하였다 앞서 살펴본 기간별 국내무역 유발규모의 성장률이 높은 경진권역과 중부권역을 살펴

보면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과 유입의 유발효과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으며 중부권역은 1997년 서북구역의 유출middot유발효과만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middot유입효과가 높았다

타 권역에 대한 유출입 유발효과를 살펴보면 1997년 중부권역이 028로 가장 높았으나 이후

027 수준으로 감소하는 반면 2002년은 동부연해 권역의 025 2007년은 남부연해권역의 033

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부권역은 모든 기간에 걸쳐 가장 일정하게 타 지역의 유출

을 유발시켰으며42) 남부연해권역은 1997년 015의 유출계수가 2007년에 들어 가장 높은 033

까지 상승하여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유출입 계수의 격차를 살펴보면 경진과 서북 권역은 유입주도형 지역이며 동부연해 권역은

유출주도형 지역이다 하지만 각 권역별 총 유출입에 대한 역내무역의 비중은 지역별 산업구조

의 불일치 인구규모의 상이함 등의 요인으로 각 지역의 교역유형별 특성을 살펴볼 수 없다 따

라서 이하에서는 Rasumussen(1958)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를 통해 기간별 각 권역의 교역

유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2 권역 간 유출입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권역 간 상호의존관계 중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역내무역에 의해 받는 영향을 감응도

계수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유출에 주는 영향을 영향력계수라 한다

식(12)를 통하여 각 권역의 감응도 영향력계수를 구하면 lt표 11gt과 같다 우선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가 모두 1보다 큰 교역형 권역은 1997년 동부연해 남부연해 2002년 북부연해

42) 유출유발효과 값의 표준편차가 001로 가장 낮음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2

2007년 북부연해 남부연해 중부로 나타났다 2002년 후 경진권역은 유입형 지역으로 북경과

천진 지역이 타 지역으로부터 많은 재화를 유입할 것이라는 직관과 일치하였다

lt표 11gt 각 구역의 전방관련효과와 후방관련효과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서북권역의 경우 1997년 패쇄형 지역의 특성을 보이다 2002년에 들어 유입형의 특성을 보인

다 이는 서부대개발의 정책 추진 중 부족한 원부자재 및 생산설비를 타 지역으로부터 크게 유

입함을 반영하며 서남권역은 1997 2002년 패쇄형 지역에서 2007년 유입형 지역의 특성을 나

타낸다

3 요인분해분석

우리는 이상의 분석을 통해 각 권역 역내무역의 국내 및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를 분석하

였다 이러한 유발계수에 대하여 식(13)-(16)을 거쳐 요인분해 분석을 진행하면 lt표 12gt의 결

과를 얻을 수 있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3

lt표 12gt 기간별 각 권역 유출증가의 요인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중국 내부의 전체적인 효과를 살펴보면 1997-2002년 기간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

역에 대한 영향이 평균 10374 기여하여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역내

무역의 규모효과로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기

여도 모두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기여도는 약 86로 감소한다43) 즉

세계시장의 확대와 함께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구조의 변화와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상호작용이

모두 효율적으로 개선된 것이다 이는 자기권역 내 무역의 영향 보다 타 지역과의 상호연관 속

에 유발되는 유출의 규모가 더욱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권역별 요인분해 분석결과는 모든 기간에 걸쳐 각 권역의 총 유출은 역내무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지만 2002-2007년에 들어 기여도가 점차 감소하는 데 이는 1997-2002년 기간 교역

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인 지역은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이며 동 기간 이들 지역은

역내무역규모의 변화효과가 기타 교역구조 및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시킬 정도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서북권역은 교역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이지는 않으나 양자 간의 교차효과가

음의 영향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게다가 북부연해권역의 기간별 교역구조의 변화 효과는 ndash

2650에서 5077로 국내 교역구조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lt표 13gt는 각 권역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유발된 총 유출의 변화분에 대한 각 권역의 역

내무역 규모변화를 외생변수로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우선 전체적인 측면에서 동부연해 권

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유발되는 국내무역 유출변화가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중부권역이지만

2002-2007년에 들어 167의 기여도로 전보다 감소하고 북부연해 권역의 기여도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43)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이 2007년에 들어 큰 폭으로 상승하게 한 원인으로 고려

된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4

lt표 13gt 권역 내 무역규모변화요인의 재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5

각 권역별 특징을 살펴보면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자

기권역 역내무역규모 변화로 인한 총 유출에 대한 기여도가 감소하였다 이로써 ldquo북부연해 동

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이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가 효율적이게 변화함과 동시에

역내산업구조의 향상(표 6 참고)으로 인해 역내무역의 기여도가 더욱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4 권역 간 무역승수 분석

무역은 경제성장을 야기하지만 경제성장 역시 무역의 발전을 야기한다는 것이 공론이다 이러

한 관점에서 각 권역별 총산출 1단위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역내middot외 무역의 규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중국 내 지역 간 무역을 새로운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된

lt표 14gt 권역 간 무역승수44)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44) 국내무역승수(행합) 타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특정권역에 유발하는 유출의 무역승수 총

합 국내무역승수(열합) 특정 권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로 타지역에 유발하는 유입의 무역승수

총합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6

분석기간에 걸쳐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서남권역만을 제외하고 모든 권역에서 자기권역에 대

한 무역승수는 감소하고 있으며 2002-2007년 기간 lsquo서북과 서남rsquo 권역은 각각 33와 25로

감소율이 가장 크다 실제로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총산출 수준의 평균 성장률은 58

이며 2002-2007년 기간의 성장률은 크게 확대되어 15943으로 두 기간의 격차가 매우 크다

2002-2007년 기간 자기 지역 내 무역승수의 감소는 각 권역 간 산업구조가 더욱 고도화 되어

자기권역 내 무역만을 통해서는 생산을 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즉 국내무역의 발전과 지역 간

의 관계가 더욱 확대되어 기타 지역에 대한 무역승수효과가 더욱 증가한 것이며 이처럼 높은

총산출의 증가는 더욱 긴밀한 지역 간 산업구조와 무역관계 하에서 비로써 실현가능함을 반영

한다

lt표 14gt 중 국내무역승수의 행합과 열합의 변화를 보면 대부분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총산출

로 야기된 무역승수가 점차 감소한다고 오인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 만약 국내무역승수의 값

중 자기권역 내 무역승수를 소거한 후 무역승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반드시 감소하는 것은 아님

을 알 수 있다(참고 표 15)

lt표 15gt 자기 구역무역승수를 제거한 행합과 열합의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무역승수 변화추세는 일관되지 않지만 2002-2007년 기간 행

합 부문의 수치는 동부연해권역 이외에 기타 권역의 무역승수는 모두 증가하였고 열합 부문 중

경진과 서북권역 이외에 모든 권역의 타 권역에 대한 무역승수는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

다 이로써 WTO 가입 후 국내무역의 일체화 수준이 더욱 향상되었으며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

상을 위한 시장 환경이 구축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본 논문은 중국경제의 높은 성장 중 국내무역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을 대상으로 8대 권역 간 무역구조 분석을 위해 우선 무역 매트릭스를 구축

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

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본문 중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탐색적 접근으로 공간지니계수의 공간집중

도 분석결과는 분석 기간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수준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7

lsquo유출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반면에 lsquo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2007년에 들어

크게 감소하였다 게다가 2002년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은 증가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감소하여 지역 간 무역의 격차가 다소 감소하

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가 유입지 선택의 집중 유출지 선택의

확산 그리고 국내 유출입의 불균형 감소와 모든 교역조합 간의 격차감소로 시장일체화 수준이

점차 향상하는 추세를 의미한다

또한 중국 WTO 가입연도를 기준한 1997-2002년 2002-2007년 전후기간의 분석으로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유발구조를 살펴봄과 동시에 동태적인 요인분해분석을 통하여 국내분업

수준의 효율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내생적 비교우위론에 근거하여 교역구조의 개

선과 무역승수의 분석 역시 시장일체화의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내생적 비교우위 제고가

2002-2007년 기간 518의 중국 순수출 연평균 성장률에 기여함을 예상할 수 있었으며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무역 매트릭스 중 각 권역의 역내무역 비중은 동부연해권역을

제외하고 1997-2007년 기간 감소하였으며 일부 권역은 2002-2007년 기간에 들어 비로써 감

소하였다 하지만 역내무역의 비중이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의 연도

별 평균값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는 것을 보아도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중 Border Effect가 존재

하는 점과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아 Home Market

Effect의 존재를 탐색적으로 예감할 수 있다

또한 1997-2002년 기간 교역구조변화요인이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 ls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

부rsquo 권역은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가 효율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역내무역 규모요인의 재분

해 분석 시 자기권역 내 무역규모의 변화가 총 유출에 대한 영향이 더욱 커짐을 고려하면 역내

성middot시간 경제통합이 권역 외 총유출을 크게 촉진함으로 판단되며 권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 역시 국내무역의 유발효과를 촉진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은 전(全)산업의 권역 간

무역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17개 산업 부문 중 각각의 특성과 기여를 분석할 수 없었으며

현실적인 시사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정책변화 등 정성적인 요인들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는 차후의 연구과제로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심승진 20029 ldquo지역간 무역의 유발구조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심승진 20126 ldquo국제지역간 무역승수 효과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이데 마사히로 ldquo산업연관분석입문ldquo 985172제주대학교985173 2010

이중화 ldquo중국 국내무역의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영향분석-국내무역 순유출지수의 공간계

퍙패널분석을 중심으로ldquo 985172한국동북아경제학회985173 第27卷 第1號 201503

Hewings GJD Schindler GR and PR Israilevich 1998b ldquoInterstate trade among

Midwest economiesrdquo Chicago Fed Letter The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May

1998 no 129

N Ramondo A Rodriacuteguez‐Clare M Saboriacuteo‐Rodriacuteguez 2014 ldquoTrade Domestic

Frictions and Scale Effectsrdquo NBER Working Paper No18532

Poncet S 2003 ldquoMeasuring Chine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grationrdquo China

Economic Review 14(2003)1‐21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8

S Oumlzyurt M Dauma 2011 ldquoTrade openness and regional income spillovers in BrazilA

spatial econometric approachrdquo Papers in Regional Science 2013

Weinhold D 2002 ldquoThe importance of trade and geography in the pattern of spatial

dependence of growth ratesrdquo Review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6 no 3 pp

369‐382

XiaoKai Yang(杨小凯) 1996 ldquoA New Theory of Demand and Supply and Emergence

of International Trade from Dmestic Traderdquo Pacifrc Economic Review 13

国家信息中心 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1997年 200551

国家统计局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ldquo 20118

李善同 侯永志 ldquo中国大陆 划分8大社会经济区域ldquo 985172中国脉搏985173 20035

盛斌 毛其淋 2011 ldquo贸易开放国内市场一体化与中国省际经济增长1985sim2008年ldquo 985172世

界经济985173 (11) 44-66

唐明龙ldquo西部开发战略激活建筑业ldquo985172中国工程建设周刊9851732006年7月13日

吴三忙 李善同 2010 ldquo市场一体化产业地理集聚与地区专业分工演变ldquo 985172产业经济研究985173

06期

周怀峰 ldquo大国国内贸易需求提升产品国际竞争力的机理分析ldquo985172财贸研究98517320074

[i3] httpwwwgovcnzwgk2012-0910content_2220743htm 201551

국문초록

중국 8대 권역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Spatial Gini Index와 Decomposition Techniques를 통하여-

이 중 화

중국인민대학교 경제학 박사

본 논문은 2002년 WTO 가입으로 인한 중국의 대외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중국 내 지역 간 무역구조의 공간적 패턴과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게다가 ldquo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를 이용하여 8대 권역 간 무역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는 3개 연도 기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 중 유출형 공간집중도는 지속적으로 집중되는 반면에 유입형middot교환형middot기타형은 2002-2007년 기간 모두 감소하였다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유발계수분석 시 각 권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야기되는 중국 국내무역의 연도별 평균유발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요인분해분석 경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국내 총유출에 대하여 역내무역의 변화요인에 과도하게 의존한 반면 2002-2007년 기간 국내교역구조가 크게 개선됨을 나타낸다 게다가 2002-2007년 기간 무역승수는 일부 몇몇 권역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여 WTO 가입 후 중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과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상을 위한 시장환경이 구축되어 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주제어 공간지니계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권역 간 무역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9

Abstract

Spatial concentration and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terIntra trade for the

eight zones in China

-The Analysis based Spatial Gini Index and Decomposition Techniques-

ZHONGHUA LEE

PhD Economics RU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and induced structure of intra and inter‐regional trade among the eight

zones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 of domestic trade structure change after

joing the WTO In this paper the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SensitivityImpact coefficient Trade Multiplier is applied using

the inter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 the year of 1997 2002 and 2007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in the period of 1997‐2007 is diminished to continue indicating outflow

index is more centr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flow∙exchange∙others index is declined

in 2002‐2007 period Second trade induced coefficient where intra trade is set as

exogenous variable it is imply that domestic induced trade effect has consistently

increased Third the decomposition analysis shows that total outflows of each region

depends heavily on factors of change with respect to intra‐regional trade in 1997‐2002

period and the domestic trade structure among eight zones is improved during

2002‐2007 And also Trade multiplier estimate show that except a few zones it is

increased in 2002‐2007 was more efficient with comparison to the past indicating that

domestic markets and Endogenous Comparative Advantage started to enhance

complementary effect after having integrate into World Economic by joing in WTO

Key Words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Trade Multiplier Interregional Trade

Page 15: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국내...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1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모든 기간에 걸쳐 대체적으로 역내무역의 증가는 자기권역의 총유출 규모를 더욱 유발

하였으나 1997-2002년 기간 ldquo중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은 자기권역의 유출유발효과가 감

소하였다 앞서 살펴본 기간별 국내무역 유발규모의 성장률이 높은 경진권역과 중부권역을 살펴

보면 경진권역은 북부연해권역에 대한 유출과 유입의 유발효과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으며 중부권역은 1997년 서북구역의 유출middot유발효과만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연해지역에 대한

유출middot유입효과가 높았다

타 권역에 대한 유출입 유발효과를 살펴보면 1997년 중부권역이 028로 가장 높았으나 이후

027 수준으로 감소하는 반면 2002년은 동부연해 권역의 025 2007년은 남부연해권역의 033

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부권역은 모든 기간에 걸쳐 가장 일정하게 타 지역의 유출

을 유발시켰으며42) 남부연해권역은 1997년 015의 유출계수가 2007년에 들어 가장 높은 033

까지 상승하여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유출입 계수의 격차를 살펴보면 경진과 서북 권역은 유입주도형 지역이며 동부연해 권역은

유출주도형 지역이다 하지만 각 권역별 총 유출입에 대한 역내무역의 비중은 지역별 산업구조

의 불일치 인구규모의 상이함 등의 요인으로 각 지역의 교역유형별 특성을 살펴볼 수 없다 따

라서 이하에서는 Rasumussen(1958)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를 통해 기간별 각 권역의 교역

유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2 권역 간 유출입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권역 간 상호의존관계 중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역내무역에 의해 받는 영향을 감응도

계수 각 권역의 유출이 타 권역의 유출에 주는 영향을 영향력계수라 한다

식(12)를 통하여 각 권역의 감응도 영향력계수를 구하면 lt표 11gt과 같다 우선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가 모두 1보다 큰 교역형 권역은 1997년 동부연해 남부연해 2002년 북부연해

42) 유출유발효과 값의 표준편차가 001로 가장 낮음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2

2007년 북부연해 남부연해 중부로 나타났다 2002년 후 경진권역은 유입형 지역으로 북경과

천진 지역이 타 지역으로부터 많은 재화를 유입할 것이라는 직관과 일치하였다

lt표 11gt 각 구역의 전방관련효과와 후방관련효과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서북권역의 경우 1997년 패쇄형 지역의 특성을 보이다 2002년에 들어 유입형의 특성을 보인

다 이는 서부대개발의 정책 추진 중 부족한 원부자재 및 생산설비를 타 지역으로부터 크게 유

입함을 반영하며 서남권역은 1997 2002년 패쇄형 지역에서 2007년 유입형 지역의 특성을 나

타낸다

3 요인분해분석

우리는 이상의 분석을 통해 각 권역 역내무역의 국내 및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를 분석하

였다 이러한 유발계수에 대하여 식(13)-(16)을 거쳐 요인분해 분석을 진행하면 lt표 12gt의 결

과를 얻을 수 있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3

lt표 12gt 기간별 각 권역 유출증가의 요인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중국 내부의 전체적인 효과를 살펴보면 1997-2002년 기간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

역에 대한 영향이 평균 10374 기여하여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역내

무역의 규모효과로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기

여도 모두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기여도는 약 86로 감소한다43) 즉

세계시장의 확대와 함께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구조의 변화와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상호작용이

모두 효율적으로 개선된 것이다 이는 자기권역 내 무역의 영향 보다 타 지역과의 상호연관 속

에 유발되는 유출의 규모가 더욱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권역별 요인분해 분석결과는 모든 기간에 걸쳐 각 권역의 총 유출은 역내무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지만 2002-2007년에 들어 기여도가 점차 감소하는 데 이는 1997-2002년 기간 교역

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인 지역은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이며 동 기간 이들 지역은

역내무역규모의 변화효과가 기타 교역구조 및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시킬 정도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서북권역은 교역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이지는 않으나 양자 간의 교차효과가

음의 영향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게다가 북부연해권역의 기간별 교역구조의 변화 효과는 ndash

2650에서 5077로 국내 교역구조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lt표 13gt는 각 권역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유발된 총 유출의 변화분에 대한 각 권역의 역

내무역 규모변화를 외생변수로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우선 전체적인 측면에서 동부연해 권

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유발되는 국내무역 유출변화가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중부권역이지만

2002-2007년에 들어 167의 기여도로 전보다 감소하고 북부연해 권역의 기여도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43)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이 2007년에 들어 큰 폭으로 상승하게 한 원인으로 고려

된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4

lt표 13gt 권역 내 무역규모변화요인의 재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5

각 권역별 특징을 살펴보면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자

기권역 역내무역규모 변화로 인한 총 유출에 대한 기여도가 감소하였다 이로써 ldquo북부연해 동

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이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가 효율적이게 변화함과 동시에

역내산업구조의 향상(표 6 참고)으로 인해 역내무역의 기여도가 더욱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4 권역 간 무역승수 분석

무역은 경제성장을 야기하지만 경제성장 역시 무역의 발전을 야기한다는 것이 공론이다 이러

한 관점에서 각 권역별 총산출 1단위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역내middot외 무역의 규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중국 내 지역 간 무역을 새로운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된

lt표 14gt 권역 간 무역승수44)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44) 국내무역승수(행합) 타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특정권역에 유발하는 유출의 무역승수 총

합 국내무역승수(열합) 특정 권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로 타지역에 유발하는 유입의 무역승수

총합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6

분석기간에 걸쳐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서남권역만을 제외하고 모든 권역에서 자기권역에 대

한 무역승수는 감소하고 있으며 2002-2007년 기간 lsquo서북과 서남rsquo 권역은 각각 33와 25로

감소율이 가장 크다 실제로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총산출 수준의 평균 성장률은 58

이며 2002-2007년 기간의 성장률은 크게 확대되어 15943으로 두 기간의 격차가 매우 크다

2002-2007년 기간 자기 지역 내 무역승수의 감소는 각 권역 간 산업구조가 더욱 고도화 되어

자기권역 내 무역만을 통해서는 생산을 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즉 국내무역의 발전과 지역 간

의 관계가 더욱 확대되어 기타 지역에 대한 무역승수효과가 더욱 증가한 것이며 이처럼 높은

총산출의 증가는 더욱 긴밀한 지역 간 산업구조와 무역관계 하에서 비로써 실현가능함을 반영

한다

lt표 14gt 중 국내무역승수의 행합과 열합의 변화를 보면 대부분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총산출

로 야기된 무역승수가 점차 감소한다고 오인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 만약 국내무역승수의 값

중 자기권역 내 무역승수를 소거한 후 무역승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반드시 감소하는 것은 아님

을 알 수 있다(참고 표 15)

lt표 15gt 자기 구역무역승수를 제거한 행합과 열합의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무역승수 변화추세는 일관되지 않지만 2002-2007년 기간 행

합 부문의 수치는 동부연해권역 이외에 기타 권역의 무역승수는 모두 증가하였고 열합 부문 중

경진과 서북권역 이외에 모든 권역의 타 권역에 대한 무역승수는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

다 이로써 WTO 가입 후 국내무역의 일체화 수준이 더욱 향상되었으며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

상을 위한 시장 환경이 구축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본 논문은 중국경제의 높은 성장 중 국내무역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을 대상으로 8대 권역 간 무역구조 분석을 위해 우선 무역 매트릭스를 구축

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

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본문 중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탐색적 접근으로 공간지니계수의 공간집중

도 분석결과는 분석 기간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수준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7

lsquo유출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반면에 lsquo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2007년에 들어

크게 감소하였다 게다가 2002년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은 증가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감소하여 지역 간 무역의 격차가 다소 감소하

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가 유입지 선택의 집중 유출지 선택의

확산 그리고 국내 유출입의 불균형 감소와 모든 교역조합 간의 격차감소로 시장일체화 수준이

점차 향상하는 추세를 의미한다

또한 중국 WTO 가입연도를 기준한 1997-2002년 2002-2007년 전후기간의 분석으로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유발구조를 살펴봄과 동시에 동태적인 요인분해분석을 통하여 국내분업

수준의 효율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내생적 비교우위론에 근거하여 교역구조의 개

선과 무역승수의 분석 역시 시장일체화의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내생적 비교우위 제고가

2002-2007년 기간 518의 중국 순수출 연평균 성장률에 기여함을 예상할 수 있었으며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무역 매트릭스 중 각 권역의 역내무역 비중은 동부연해권역을

제외하고 1997-2007년 기간 감소하였으며 일부 권역은 2002-2007년 기간에 들어 비로써 감

소하였다 하지만 역내무역의 비중이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의 연도

별 평균값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는 것을 보아도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중 Border Effect가 존재

하는 점과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아 Home Market

Effect의 존재를 탐색적으로 예감할 수 있다

또한 1997-2002년 기간 교역구조변화요인이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 ls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

부rsquo 권역은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가 효율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역내무역 규모요인의 재분

해 분석 시 자기권역 내 무역규모의 변화가 총 유출에 대한 영향이 더욱 커짐을 고려하면 역내

성middot시간 경제통합이 권역 외 총유출을 크게 촉진함으로 판단되며 권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 역시 국내무역의 유발효과를 촉진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은 전(全)산업의 권역 간

무역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17개 산업 부문 중 각각의 특성과 기여를 분석할 수 없었으며

현실적인 시사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정책변화 등 정성적인 요인들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는 차후의 연구과제로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심승진 20029 ldquo지역간 무역의 유발구조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심승진 20126 ldquo국제지역간 무역승수 효과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이데 마사히로 ldquo산업연관분석입문ldquo 985172제주대학교985173 2010

이중화 ldquo중국 국내무역의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영향분석-국내무역 순유출지수의 공간계

퍙패널분석을 중심으로ldquo 985172한국동북아경제학회985173 第27卷 第1號 201503

Hewings GJD Schindler GR and PR Israilevich 1998b ldquoInterstate trade among

Midwest economiesrdquo Chicago Fed Letter The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May

1998 no 129

N Ramondo A Rodriacuteguez‐Clare M Saboriacuteo‐Rodriacuteguez 2014 ldquoTrade Domestic

Frictions and Scale Effectsrdquo NBER Working Paper No18532

Poncet S 2003 ldquoMeasuring Chine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grationrdquo China

Economic Review 14(2003)1‐21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8

S Oumlzyurt M Dauma 2011 ldquoTrade openness and regional income spillovers in BrazilA

spatial econometric approachrdquo Papers in Regional Science 2013

Weinhold D 2002 ldquoThe importance of trade and geography in the pattern of spatial

dependence of growth ratesrdquo Review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6 no 3 pp

369‐382

XiaoKai Yang(杨小凯) 1996 ldquoA New Theory of Demand and Supply and Emergence

of International Trade from Dmestic Traderdquo Pacifrc Economic Review 13

国家信息中心 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1997年 200551

国家统计局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ldquo 20118

李善同 侯永志 ldquo中国大陆 划分8大社会经济区域ldquo 985172中国脉搏985173 20035

盛斌 毛其淋 2011 ldquo贸易开放国内市场一体化与中国省际经济增长1985sim2008年ldquo 985172世

界经济985173 (11) 44-66

唐明龙ldquo西部开发战略激活建筑业ldquo985172中国工程建设周刊9851732006年7月13日

吴三忙 李善同 2010 ldquo市场一体化产业地理集聚与地区专业分工演变ldquo 985172产业经济研究985173

06期

周怀峰 ldquo大国国内贸易需求提升产品国际竞争力的机理分析ldquo985172财贸研究98517320074

[i3] httpwwwgovcnzwgk2012-0910content_2220743htm 201551

국문초록

중국 8대 권역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Spatial Gini Index와 Decomposition Techniques를 통하여-

이 중 화

중국인민대학교 경제학 박사

본 논문은 2002년 WTO 가입으로 인한 중국의 대외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중국 내 지역 간 무역구조의 공간적 패턴과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게다가 ldquo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를 이용하여 8대 권역 간 무역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는 3개 연도 기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 중 유출형 공간집중도는 지속적으로 집중되는 반면에 유입형middot교환형middot기타형은 2002-2007년 기간 모두 감소하였다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유발계수분석 시 각 권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야기되는 중국 국내무역의 연도별 평균유발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요인분해분석 경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국내 총유출에 대하여 역내무역의 변화요인에 과도하게 의존한 반면 2002-2007년 기간 국내교역구조가 크게 개선됨을 나타낸다 게다가 2002-2007년 기간 무역승수는 일부 몇몇 권역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여 WTO 가입 후 중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과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상을 위한 시장환경이 구축되어 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주제어 공간지니계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권역 간 무역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9

Abstract

Spatial concentration and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terIntra trade for the

eight zones in China

-The Analysis based Spatial Gini Index and Decomposition Techniques-

ZHONGHUA LEE

PhD Economics RU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and induced structure of intra and inter‐regional trade among the eight

zones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 of domestic trade structure change after

joing the WTO In this paper the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SensitivityImpact coefficient Trade Multiplier is applied using

the inter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 the year of 1997 2002 and 2007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in the period of 1997‐2007 is diminished to continue indicating outflow

index is more centr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flow∙exchange∙others index is declined

in 2002‐2007 period Second trade induced coefficient where intra trade is set as

exogenous variable it is imply that domestic induced trade effect has consistently

increased Third the decomposition analysis shows that total outflows of each region

depends heavily on factors of change with respect to intra‐regional trade in 1997‐2002

period and the domestic trade structure among eight zones is improved during

2002‐2007 And also Trade multiplier estimate show that except a few zones it is

increased in 2002‐2007 was more efficient with comparison to the past indicating that

domestic markets and Endogenous Comparative Advantage started to enhance

complementary effect after having integrate into World Economic by joing in WTO

Key Words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Trade Multiplier Interregional Trade

Page 16: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국내...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2

2007년 북부연해 남부연해 중부로 나타났다 2002년 후 경진권역은 유입형 지역으로 북경과

천진 지역이 타 지역으로부터 많은 재화를 유입할 것이라는 직관과 일치하였다

lt표 11gt 각 구역의 전방관련효과와 후방관련효과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서북권역의 경우 1997년 패쇄형 지역의 특성을 보이다 2002년에 들어 유입형의 특성을 보인

다 이는 서부대개발의 정책 추진 중 부족한 원부자재 및 생산설비를 타 지역으로부터 크게 유

입함을 반영하며 서남권역은 1997 2002년 패쇄형 지역에서 2007년 유입형 지역의 특성을 나

타낸다

3 요인분해분석

우리는 이상의 분석을 통해 각 권역 역내무역의 국내 및 타 지역에 대한 유발효과를 분석하

였다 이러한 유발계수에 대하여 식(13)-(16)을 거쳐 요인분해 분석을 진행하면 lt표 12gt의 결

과를 얻을 수 있다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3

lt표 12gt 기간별 각 권역 유출증가의 요인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중국 내부의 전체적인 효과를 살펴보면 1997-2002년 기간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

역에 대한 영향이 평균 10374 기여하여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역내

무역의 규모효과로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기

여도 모두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기여도는 약 86로 감소한다43) 즉

세계시장의 확대와 함께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구조의 변화와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상호작용이

모두 효율적으로 개선된 것이다 이는 자기권역 내 무역의 영향 보다 타 지역과의 상호연관 속

에 유발되는 유출의 규모가 더욱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권역별 요인분해 분석결과는 모든 기간에 걸쳐 각 권역의 총 유출은 역내무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지만 2002-2007년에 들어 기여도가 점차 감소하는 데 이는 1997-2002년 기간 교역

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인 지역은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이며 동 기간 이들 지역은

역내무역규모의 변화효과가 기타 교역구조 및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시킬 정도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서북권역은 교역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이지는 않으나 양자 간의 교차효과가

음의 영향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게다가 북부연해권역의 기간별 교역구조의 변화 효과는 ndash

2650에서 5077로 국내 교역구조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lt표 13gt는 각 권역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유발된 총 유출의 변화분에 대한 각 권역의 역

내무역 규모변화를 외생변수로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우선 전체적인 측면에서 동부연해 권

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유발되는 국내무역 유출변화가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중부권역이지만

2002-2007년에 들어 167의 기여도로 전보다 감소하고 북부연해 권역의 기여도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43)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이 2007년에 들어 큰 폭으로 상승하게 한 원인으로 고려

된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4

lt표 13gt 권역 내 무역규모변화요인의 재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5

각 권역별 특징을 살펴보면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자

기권역 역내무역규모 변화로 인한 총 유출에 대한 기여도가 감소하였다 이로써 ldquo북부연해 동

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이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가 효율적이게 변화함과 동시에

역내산업구조의 향상(표 6 참고)으로 인해 역내무역의 기여도가 더욱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4 권역 간 무역승수 분석

무역은 경제성장을 야기하지만 경제성장 역시 무역의 발전을 야기한다는 것이 공론이다 이러

한 관점에서 각 권역별 총산출 1단위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역내middot외 무역의 규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중국 내 지역 간 무역을 새로운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된

lt표 14gt 권역 간 무역승수44)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44) 국내무역승수(행합) 타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특정권역에 유발하는 유출의 무역승수 총

합 국내무역승수(열합) 특정 권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로 타지역에 유발하는 유입의 무역승수

총합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6

분석기간에 걸쳐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서남권역만을 제외하고 모든 권역에서 자기권역에 대

한 무역승수는 감소하고 있으며 2002-2007년 기간 lsquo서북과 서남rsquo 권역은 각각 33와 25로

감소율이 가장 크다 실제로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총산출 수준의 평균 성장률은 58

이며 2002-2007년 기간의 성장률은 크게 확대되어 15943으로 두 기간의 격차가 매우 크다

2002-2007년 기간 자기 지역 내 무역승수의 감소는 각 권역 간 산업구조가 더욱 고도화 되어

자기권역 내 무역만을 통해서는 생산을 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즉 국내무역의 발전과 지역 간

의 관계가 더욱 확대되어 기타 지역에 대한 무역승수효과가 더욱 증가한 것이며 이처럼 높은

총산출의 증가는 더욱 긴밀한 지역 간 산업구조와 무역관계 하에서 비로써 실현가능함을 반영

한다

lt표 14gt 중 국내무역승수의 행합과 열합의 변화를 보면 대부분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총산출

로 야기된 무역승수가 점차 감소한다고 오인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 만약 국내무역승수의 값

중 자기권역 내 무역승수를 소거한 후 무역승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반드시 감소하는 것은 아님

을 알 수 있다(참고 표 15)

lt표 15gt 자기 구역무역승수를 제거한 행합과 열합의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무역승수 변화추세는 일관되지 않지만 2002-2007년 기간 행

합 부문의 수치는 동부연해권역 이외에 기타 권역의 무역승수는 모두 증가하였고 열합 부문 중

경진과 서북권역 이외에 모든 권역의 타 권역에 대한 무역승수는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

다 이로써 WTO 가입 후 국내무역의 일체화 수준이 더욱 향상되었으며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

상을 위한 시장 환경이 구축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본 논문은 중국경제의 높은 성장 중 국내무역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을 대상으로 8대 권역 간 무역구조 분석을 위해 우선 무역 매트릭스를 구축

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

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본문 중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탐색적 접근으로 공간지니계수의 공간집중

도 분석결과는 분석 기간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수준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7

lsquo유출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반면에 lsquo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2007년에 들어

크게 감소하였다 게다가 2002년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은 증가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감소하여 지역 간 무역의 격차가 다소 감소하

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가 유입지 선택의 집중 유출지 선택의

확산 그리고 국내 유출입의 불균형 감소와 모든 교역조합 간의 격차감소로 시장일체화 수준이

점차 향상하는 추세를 의미한다

또한 중국 WTO 가입연도를 기준한 1997-2002년 2002-2007년 전후기간의 분석으로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유발구조를 살펴봄과 동시에 동태적인 요인분해분석을 통하여 국내분업

수준의 효율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내생적 비교우위론에 근거하여 교역구조의 개

선과 무역승수의 분석 역시 시장일체화의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내생적 비교우위 제고가

2002-2007년 기간 518의 중국 순수출 연평균 성장률에 기여함을 예상할 수 있었으며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무역 매트릭스 중 각 권역의 역내무역 비중은 동부연해권역을

제외하고 1997-2007년 기간 감소하였으며 일부 권역은 2002-2007년 기간에 들어 비로써 감

소하였다 하지만 역내무역의 비중이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의 연도

별 평균값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는 것을 보아도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중 Border Effect가 존재

하는 점과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아 Home Market

Effect의 존재를 탐색적으로 예감할 수 있다

또한 1997-2002년 기간 교역구조변화요인이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 ls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

부rsquo 권역은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가 효율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역내무역 규모요인의 재분

해 분석 시 자기권역 내 무역규모의 변화가 총 유출에 대한 영향이 더욱 커짐을 고려하면 역내

성middot시간 경제통합이 권역 외 총유출을 크게 촉진함으로 판단되며 권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 역시 국내무역의 유발효과를 촉진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은 전(全)산업의 권역 간

무역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17개 산업 부문 중 각각의 특성과 기여를 분석할 수 없었으며

현실적인 시사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정책변화 등 정성적인 요인들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는 차후의 연구과제로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심승진 20029 ldquo지역간 무역의 유발구조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심승진 20126 ldquo국제지역간 무역승수 효과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이데 마사히로 ldquo산업연관분석입문ldquo 985172제주대학교985173 2010

이중화 ldquo중국 국내무역의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영향분석-국내무역 순유출지수의 공간계

퍙패널분석을 중심으로ldquo 985172한국동북아경제학회985173 第27卷 第1號 201503

Hewings GJD Schindler GR and PR Israilevich 1998b ldquoInterstate trade among

Midwest economiesrdquo Chicago Fed Letter The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May

1998 no 129

N Ramondo A Rodriacuteguez‐Clare M Saboriacuteo‐Rodriacuteguez 2014 ldquoTrade Domestic

Frictions and Scale Effectsrdquo NBER Working Paper No18532

Poncet S 2003 ldquoMeasuring Chine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grationrdquo China

Economic Review 14(2003)1‐21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8

S Oumlzyurt M Dauma 2011 ldquoTrade openness and regional income spillovers in BrazilA

spatial econometric approachrdquo Papers in Regional Science 2013

Weinhold D 2002 ldquoThe importance of trade and geography in the pattern of spatial

dependence of growth ratesrdquo Review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6 no 3 pp

369‐382

XiaoKai Yang(杨小凯) 1996 ldquoA New Theory of Demand and Supply and Emergence

of International Trade from Dmestic Traderdquo Pacifrc Economic Review 13

国家信息中心 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1997年 200551

国家统计局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ldquo 20118

李善同 侯永志 ldquo中国大陆 划分8大社会经济区域ldquo 985172中国脉搏985173 20035

盛斌 毛其淋 2011 ldquo贸易开放国内市场一体化与中国省际经济增长1985sim2008年ldquo 985172世

界经济985173 (11) 44-66

唐明龙ldquo西部开发战略激活建筑业ldquo985172中国工程建设周刊9851732006年7月13日

吴三忙 李善同 2010 ldquo市场一体化产业地理集聚与地区专业分工演变ldquo 985172产业经济研究985173

06期

周怀峰 ldquo大国国内贸易需求提升产品国际竞争力的机理分析ldquo985172财贸研究98517320074

[i3] httpwwwgovcnzwgk2012-0910content_2220743htm 201551

국문초록

중국 8대 권역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Spatial Gini Index와 Decomposition Techniques를 통하여-

이 중 화

중국인민대학교 경제학 박사

본 논문은 2002년 WTO 가입으로 인한 중국의 대외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중국 내 지역 간 무역구조의 공간적 패턴과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게다가 ldquo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를 이용하여 8대 권역 간 무역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는 3개 연도 기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 중 유출형 공간집중도는 지속적으로 집중되는 반면에 유입형middot교환형middot기타형은 2002-2007년 기간 모두 감소하였다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유발계수분석 시 각 권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야기되는 중국 국내무역의 연도별 평균유발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요인분해분석 경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국내 총유출에 대하여 역내무역의 변화요인에 과도하게 의존한 반면 2002-2007년 기간 국내교역구조가 크게 개선됨을 나타낸다 게다가 2002-2007년 기간 무역승수는 일부 몇몇 권역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여 WTO 가입 후 중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과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상을 위한 시장환경이 구축되어 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주제어 공간지니계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권역 간 무역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9

Abstract

Spatial concentration and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terIntra trade for the

eight zones in China

-The Analysis based Spatial Gini Index and Decomposition Techniques-

ZHONGHUA LEE

PhD Economics RU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and induced structure of intra and inter‐regional trade among the eight

zones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 of domestic trade structure change after

joing the WTO In this paper the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SensitivityImpact coefficient Trade Multiplier is applied using

the inter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 the year of 1997 2002 and 2007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in the period of 1997‐2007 is diminished to continue indicating outflow

index is more centr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flow∙exchange∙others index is declined

in 2002‐2007 period Second trade induced coefficient where intra trade is set as

exogenous variable it is imply that domestic induced trade effect has consistently

increased Third the decomposition analysis shows that total outflows of each region

depends heavily on factors of change with respect to intra‐regional trade in 1997‐2002

period and the domestic trade structure among eight zones is improved during

2002‐2007 And also Trade multiplier estimate show that except a few zones it is

increased in 2002‐2007 was more efficient with comparison to the past indicating that

domestic markets and Endogenous Comparative Advantage started to enhance

complementary effect after having integrate into World Economic by joing in WTO

Key Words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Trade Multiplier Interregional Trade

Page 17: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국내...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3

lt표 12gt 기간별 각 권역 유출증가의 요인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우선 중국 내부의 전체적인 효과를 살펴보면 1997-2002년 기간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

역에 대한 영향이 평균 10374 기여하여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역내

무역의 규모효과로 상쇄시킴을 알 수 있다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와 교차항의 기

여도 모두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기여도는 약 86로 감소한다43) 즉

세계시장의 확대와 함께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구조의 변화와 역내무역 규모변화의 상호작용이

모두 효율적으로 개선된 것이다 이는 자기권역 내 무역의 영향 보다 타 지역과의 상호연관 속

에 유발되는 유출의 규모가 더욱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권역별 요인분해 분석결과는 모든 기간에 걸쳐 각 권역의 총 유출은 역내무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지만 2002-2007년에 들어 기여도가 점차 감소하는 데 이는 1997-2002년 기간 교역

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인 지역은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권역이며 동 기간 이들 지역은

역내무역규모의 변화효과가 기타 교역구조 및 교차항의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시킬 정도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서북권역은 교역구조의 변화가 비효율적이지는 않으나 양자 간의 교차효과가

음의 영향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게다가 북부연해권역의 기간별 교역구조의 변화 효과는 ndash

2650에서 5077로 국내 교역구조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lt표 13gt는 각 권역의 역내무역 변화로 인해 유발된 총 유출의 변화분에 대한 각 권역의 역

내무역 규모변화를 외생변수로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우선 전체적인 측면에서 동부연해 권

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유발되는 국내무역 유출변화가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중부권역이지만

2002-2007년에 들어 167의 기여도로 전보다 감소하고 북부연해 권역의 기여도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43) 각 연도별 국내무역 유발효과의 평균값이 2007년에 들어 큰 폭으로 상승하게 한 원인으로 고려

된다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4

lt표 13gt 권역 내 무역규모변화요인의 재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5

각 권역별 특징을 살펴보면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자

기권역 역내무역규모 변화로 인한 총 유출에 대한 기여도가 감소하였다 이로써 ldquo북부연해 동

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이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가 효율적이게 변화함과 동시에

역내산업구조의 향상(표 6 참고)으로 인해 역내무역의 기여도가 더욱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4 권역 간 무역승수 분석

무역은 경제성장을 야기하지만 경제성장 역시 무역의 발전을 야기한다는 것이 공론이다 이러

한 관점에서 각 권역별 총산출 1단위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역내middot외 무역의 규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중국 내 지역 간 무역을 새로운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된

lt표 14gt 권역 간 무역승수44)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44) 국내무역승수(행합) 타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특정권역에 유발하는 유출의 무역승수 총

합 국내무역승수(열합) 특정 권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로 타지역에 유발하는 유입의 무역승수

총합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6

분석기간에 걸쳐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서남권역만을 제외하고 모든 권역에서 자기권역에 대

한 무역승수는 감소하고 있으며 2002-2007년 기간 lsquo서북과 서남rsquo 권역은 각각 33와 25로

감소율이 가장 크다 실제로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총산출 수준의 평균 성장률은 58

이며 2002-2007년 기간의 성장률은 크게 확대되어 15943으로 두 기간의 격차가 매우 크다

2002-2007년 기간 자기 지역 내 무역승수의 감소는 각 권역 간 산업구조가 더욱 고도화 되어

자기권역 내 무역만을 통해서는 생산을 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즉 국내무역의 발전과 지역 간

의 관계가 더욱 확대되어 기타 지역에 대한 무역승수효과가 더욱 증가한 것이며 이처럼 높은

총산출의 증가는 더욱 긴밀한 지역 간 산업구조와 무역관계 하에서 비로써 실현가능함을 반영

한다

lt표 14gt 중 국내무역승수의 행합과 열합의 변화를 보면 대부분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총산출

로 야기된 무역승수가 점차 감소한다고 오인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 만약 국내무역승수의 값

중 자기권역 내 무역승수를 소거한 후 무역승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반드시 감소하는 것은 아님

을 알 수 있다(참고 표 15)

lt표 15gt 자기 구역무역승수를 제거한 행합과 열합의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무역승수 변화추세는 일관되지 않지만 2002-2007년 기간 행

합 부문의 수치는 동부연해권역 이외에 기타 권역의 무역승수는 모두 증가하였고 열합 부문 중

경진과 서북권역 이외에 모든 권역의 타 권역에 대한 무역승수는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

다 이로써 WTO 가입 후 국내무역의 일체화 수준이 더욱 향상되었으며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

상을 위한 시장 환경이 구축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본 논문은 중국경제의 높은 성장 중 국내무역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을 대상으로 8대 권역 간 무역구조 분석을 위해 우선 무역 매트릭스를 구축

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

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본문 중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탐색적 접근으로 공간지니계수의 공간집중

도 분석결과는 분석 기간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수준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7

lsquo유출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반면에 lsquo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2007년에 들어

크게 감소하였다 게다가 2002년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은 증가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감소하여 지역 간 무역의 격차가 다소 감소하

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가 유입지 선택의 집중 유출지 선택의

확산 그리고 국내 유출입의 불균형 감소와 모든 교역조합 간의 격차감소로 시장일체화 수준이

점차 향상하는 추세를 의미한다

또한 중국 WTO 가입연도를 기준한 1997-2002년 2002-2007년 전후기간의 분석으로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유발구조를 살펴봄과 동시에 동태적인 요인분해분석을 통하여 국내분업

수준의 효율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내생적 비교우위론에 근거하여 교역구조의 개

선과 무역승수의 분석 역시 시장일체화의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내생적 비교우위 제고가

2002-2007년 기간 518의 중국 순수출 연평균 성장률에 기여함을 예상할 수 있었으며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무역 매트릭스 중 각 권역의 역내무역 비중은 동부연해권역을

제외하고 1997-2007년 기간 감소하였으며 일부 권역은 2002-2007년 기간에 들어 비로써 감

소하였다 하지만 역내무역의 비중이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의 연도

별 평균값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는 것을 보아도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중 Border Effect가 존재

하는 점과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아 Home Market

Effect의 존재를 탐색적으로 예감할 수 있다

또한 1997-2002년 기간 교역구조변화요인이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 ls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

부rsquo 권역은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가 효율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역내무역 규모요인의 재분

해 분석 시 자기권역 내 무역규모의 변화가 총 유출에 대한 영향이 더욱 커짐을 고려하면 역내

성middot시간 경제통합이 권역 외 총유출을 크게 촉진함으로 판단되며 권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 역시 국내무역의 유발효과를 촉진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은 전(全)산업의 권역 간

무역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17개 산업 부문 중 각각의 특성과 기여를 분석할 수 없었으며

현실적인 시사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정책변화 등 정성적인 요인들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는 차후의 연구과제로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심승진 20029 ldquo지역간 무역의 유발구조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심승진 20126 ldquo국제지역간 무역승수 효과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이데 마사히로 ldquo산업연관분석입문ldquo 985172제주대학교985173 2010

이중화 ldquo중국 국내무역의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영향분석-국내무역 순유출지수의 공간계

퍙패널분석을 중심으로ldquo 985172한국동북아경제학회985173 第27卷 第1號 201503

Hewings GJD Schindler GR and PR Israilevich 1998b ldquoInterstate trade among

Midwest economiesrdquo Chicago Fed Letter The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May

1998 no 129

N Ramondo A Rodriacuteguez‐Clare M Saboriacuteo‐Rodriacuteguez 2014 ldquoTrade Domestic

Frictions and Scale Effectsrdquo NBER Working Paper No18532

Poncet S 2003 ldquoMeasuring Chine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grationrdquo China

Economic Review 14(2003)1‐21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8

S Oumlzyurt M Dauma 2011 ldquoTrade openness and regional income spillovers in BrazilA

spatial econometric approachrdquo Papers in Regional Science 2013

Weinhold D 2002 ldquoThe importance of trade and geography in the pattern of spatial

dependence of growth ratesrdquo Review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6 no 3 pp

369‐382

XiaoKai Yang(杨小凯) 1996 ldquoA New Theory of Demand and Supply and Emergence

of International Trade from Dmestic Traderdquo Pacifrc Economic Review 13

国家信息中心 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1997年 200551

国家统计局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ldquo 20118

李善同 侯永志 ldquo中国大陆 划分8大社会经济区域ldquo 985172中国脉搏985173 20035

盛斌 毛其淋 2011 ldquo贸易开放国内市场一体化与中国省际经济增长1985sim2008年ldquo 985172世

界经济985173 (11) 44-66

唐明龙ldquo西部开发战略激活建筑业ldquo985172中国工程建设周刊9851732006年7月13日

吴三忙 李善同 2010 ldquo市场一体化产业地理集聚与地区专业分工演变ldquo 985172产业经济研究985173

06期

周怀峰 ldquo大国国内贸易需求提升产品国际竞争力的机理分析ldquo985172财贸研究98517320074

[i3] httpwwwgovcnzwgk2012-0910content_2220743htm 201551

국문초록

중국 8대 권역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Spatial Gini Index와 Decomposition Techniques를 통하여-

이 중 화

중국인민대학교 경제학 박사

본 논문은 2002년 WTO 가입으로 인한 중국의 대외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중국 내 지역 간 무역구조의 공간적 패턴과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게다가 ldquo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를 이용하여 8대 권역 간 무역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는 3개 연도 기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 중 유출형 공간집중도는 지속적으로 집중되는 반면에 유입형middot교환형middot기타형은 2002-2007년 기간 모두 감소하였다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유발계수분석 시 각 권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야기되는 중국 국내무역의 연도별 평균유발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요인분해분석 경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국내 총유출에 대하여 역내무역의 변화요인에 과도하게 의존한 반면 2002-2007년 기간 국내교역구조가 크게 개선됨을 나타낸다 게다가 2002-2007년 기간 무역승수는 일부 몇몇 권역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여 WTO 가입 후 중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과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상을 위한 시장환경이 구축되어 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주제어 공간지니계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권역 간 무역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9

Abstract

Spatial concentration and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terIntra trade for the

eight zones in China

-The Analysis based Spatial Gini Index and Decomposition Techniques-

ZHONGHUA LEE

PhD Economics RU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and induced structure of intra and inter‐regional trade among the eight

zones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 of domestic trade structure change after

joing the WTO In this paper the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SensitivityImpact coefficient Trade Multiplier is applied using

the inter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 the year of 1997 2002 and 2007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in the period of 1997‐2007 is diminished to continue indicating outflow

index is more centr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flow∙exchange∙others index is declined

in 2002‐2007 period Second trade induced coefficient where intra trade is set as

exogenous variable it is imply that domestic induced trade effect has consistently

increased Third the decomposition analysis shows that total outflows of each region

depends heavily on factors of change with respect to intra‐regional trade in 1997‐2002

period and the domestic trade structure among eight zones is improved during

2002‐2007 And also Trade multiplier estimate show that except a few zones it is

increased in 2002‐2007 was more efficient with comparison to the past indicating that

domestic markets and Endogenous Comparative Advantage started to enhance

complementary effect after having integrate into World Economic by joing in WTO

Key Words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Trade Multiplier Interregional Trade

Page 18: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국내...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4

lt표 13gt 권역 내 무역규모변화요인의 재분해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5

각 권역별 특징을 살펴보면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자

기권역 역내무역규모 변화로 인한 총 유출에 대한 기여도가 감소하였다 이로써 ldquo북부연해 동

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이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가 효율적이게 변화함과 동시에

역내산업구조의 향상(표 6 참고)으로 인해 역내무역의 기여도가 더욱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4 권역 간 무역승수 분석

무역은 경제성장을 야기하지만 경제성장 역시 무역의 발전을 야기한다는 것이 공론이다 이러

한 관점에서 각 권역별 총산출 1단위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역내middot외 무역의 규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중국 내 지역 간 무역을 새로운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된

lt표 14gt 권역 간 무역승수44)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44) 국내무역승수(행합) 타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특정권역에 유발하는 유출의 무역승수 총

합 국내무역승수(열합) 특정 권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로 타지역에 유발하는 유입의 무역승수

총합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6

분석기간에 걸쳐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서남권역만을 제외하고 모든 권역에서 자기권역에 대

한 무역승수는 감소하고 있으며 2002-2007년 기간 lsquo서북과 서남rsquo 권역은 각각 33와 25로

감소율이 가장 크다 실제로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총산출 수준의 평균 성장률은 58

이며 2002-2007년 기간의 성장률은 크게 확대되어 15943으로 두 기간의 격차가 매우 크다

2002-2007년 기간 자기 지역 내 무역승수의 감소는 각 권역 간 산업구조가 더욱 고도화 되어

자기권역 내 무역만을 통해서는 생산을 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즉 국내무역의 발전과 지역 간

의 관계가 더욱 확대되어 기타 지역에 대한 무역승수효과가 더욱 증가한 것이며 이처럼 높은

총산출의 증가는 더욱 긴밀한 지역 간 산업구조와 무역관계 하에서 비로써 실현가능함을 반영

한다

lt표 14gt 중 국내무역승수의 행합과 열합의 변화를 보면 대부분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총산출

로 야기된 무역승수가 점차 감소한다고 오인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 만약 국내무역승수의 값

중 자기권역 내 무역승수를 소거한 후 무역승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반드시 감소하는 것은 아님

을 알 수 있다(참고 표 15)

lt표 15gt 자기 구역무역승수를 제거한 행합과 열합의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무역승수 변화추세는 일관되지 않지만 2002-2007년 기간 행

합 부문의 수치는 동부연해권역 이외에 기타 권역의 무역승수는 모두 증가하였고 열합 부문 중

경진과 서북권역 이외에 모든 권역의 타 권역에 대한 무역승수는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

다 이로써 WTO 가입 후 국내무역의 일체화 수준이 더욱 향상되었으며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

상을 위한 시장 환경이 구축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본 논문은 중국경제의 높은 성장 중 국내무역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을 대상으로 8대 권역 간 무역구조 분석을 위해 우선 무역 매트릭스를 구축

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

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본문 중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탐색적 접근으로 공간지니계수의 공간집중

도 분석결과는 분석 기간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수준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7

lsquo유출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반면에 lsquo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2007년에 들어

크게 감소하였다 게다가 2002년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은 증가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감소하여 지역 간 무역의 격차가 다소 감소하

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가 유입지 선택의 집중 유출지 선택의

확산 그리고 국내 유출입의 불균형 감소와 모든 교역조합 간의 격차감소로 시장일체화 수준이

점차 향상하는 추세를 의미한다

또한 중국 WTO 가입연도를 기준한 1997-2002년 2002-2007년 전후기간의 분석으로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유발구조를 살펴봄과 동시에 동태적인 요인분해분석을 통하여 국내분업

수준의 효율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내생적 비교우위론에 근거하여 교역구조의 개

선과 무역승수의 분석 역시 시장일체화의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내생적 비교우위 제고가

2002-2007년 기간 518의 중국 순수출 연평균 성장률에 기여함을 예상할 수 있었으며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무역 매트릭스 중 각 권역의 역내무역 비중은 동부연해권역을

제외하고 1997-2007년 기간 감소하였으며 일부 권역은 2002-2007년 기간에 들어 비로써 감

소하였다 하지만 역내무역의 비중이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의 연도

별 평균값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는 것을 보아도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중 Border Effect가 존재

하는 점과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아 Home Market

Effect의 존재를 탐색적으로 예감할 수 있다

또한 1997-2002년 기간 교역구조변화요인이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 ls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

부rsquo 권역은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가 효율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역내무역 규모요인의 재분

해 분석 시 자기권역 내 무역규모의 변화가 총 유출에 대한 영향이 더욱 커짐을 고려하면 역내

성middot시간 경제통합이 권역 외 총유출을 크게 촉진함으로 판단되며 권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 역시 국내무역의 유발효과를 촉진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은 전(全)산업의 권역 간

무역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17개 산업 부문 중 각각의 특성과 기여를 분석할 수 없었으며

현실적인 시사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정책변화 등 정성적인 요인들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는 차후의 연구과제로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심승진 20029 ldquo지역간 무역의 유발구조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심승진 20126 ldquo국제지역간 무역승수 효과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이데 마사히로 ldquo산업연관분석입문ldquo 985172제주대학교985173 2010

이중화 ldquo중국 국내무역의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영향분석-국내무역 순유출지수의 공간계

퍙패널분석을 중심으로ldquo 985172한국동북아경제학회985173 第27卷 第1號 201503

Hewings GJD Schindler GR and PR Israilevich 1998b ldquoInterstate trade among

Midwest economiesrdquo Chicago Fed Letter The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May

1998 no 129

N Ramondo A Rodriacuteguez‐Clare M Saboriacuteo‐Rodriacuteguez 2014 ldquoTrade Domestic

Frictions and Scale Effectsrdquo NBER Working Paper No18532

Poncet S 2003 ldquoMeasuring Chine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grationrdquo China

Economic Review 14(2003)1‐21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8

S Oumlzyurt M Dauma 2011 ldquoTrade openness and regional income spillovers in BrazilA

spatial econometric approachrdquo Papers in Regional Science 2013

Weinhold D 2002 ldquoThe importance of trade and geography in the pattern of spatial

dependence of growth ratesrdquo Review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6 no 3 pp

369‐382

XiaoKai Yang(杨小凯) 1996 ldquoA New Theory of Demand and Supply and Emergence

of International Trade from Dmestic Traderdquo Pacifrc Economic Review 13

国家信息中心 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1997年 200551

国家统计局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ldquo 20118

李善同 侯永志 ldquo中国大陆 划分8大社会经济区域ldquo 985172中国脉搏985173 20035

盛斌 毛其淋 2011 ldquo贸易开放国内市场一体化与中国省际经济增长1985sim2008年ldquo 985172世

界经济985173 (11) 44-66

唐明龙ldquo西部开发战略激活建筑业ldquo985172中国工程建设周刊9851732006年7月13日

吴三忙 李善同 2010 ldquo市场一体化产业地理集聚与地区专业分工演变ldquo 985172产业经济研究985173

06期

周怀峰 ldquo大国国内贸易需求提升产品国际竞争力的机理分析ldquo985172财贸研究98517320074

[i3] httpwwwgovcnzwgk2012-0910content_2220743htm 201551

국문초록

중국 8대 권역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Spatial Gini Index와 Decomposition Techniques를 통하여-

이 중 화

중국인민대학교 경제학 박사

본 논문은 2002년 WTO 가입으로 인한 중국의 대외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중국 내 지역 간 무역구조의 공간적 패턴과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게다가 ldquo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를 이용하여 8대 권역 간 무역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는 3개 연도 기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 중 유출형 공간집중도는 지속적으로 집중되는 반면에 유입형middot교환형middot기타형은 2002-2007년 기간 모두 감소하였다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유발계수분석 시 각 권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야기되는 중국 국내무역의 연도별 평균유발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요인분해분석 경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국내 총유출에 대하여 역내무역의 변화요인에 과도하게 의존한 반면 2002-2007년 기간 국내교역구조가 크게 개선됨을 나타낸다 게다가 2002-2007년 기간 무역승수는 일부 몇몇 권역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여 WTO 가입 후 중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과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상을 위한 시장환경이 구축되어 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주제어 공간지니계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권역 간 무역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9

Abstract

Spatial concentration and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terIntra trade for the

eight zones in China

-The Analysis based Spatial Gini Index and Decomposition Techniques-

ZHONGHUA LEE

PhD Economics RU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and induced structure of intra and inter‐regional trade among the eight

zones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 of domestic trade structure change after

joing the WTO In this paper the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SensitivityImpact coefficient Trade Multiplier is applied using

the inter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 the year of 1997 2002 and 2007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in the period of 1997‐2007 is diminished to continue indicating outflow

index is more centr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flow∙exchange∙others index is declined

in 2002‐2007 period Second trade induced coefficient where intra trade is set as

exogenous variable it is imply that domestic induced trade effect has consistently

increased Third the decomposition analysis shows that total outflows of each region

depends heavily on factors of change with respect to intra‐regional trade in 1997‐2002

period and the domestic trade structure among eight zones is improved during

2002‐2007 And also Trade multiplier estimate show that except a few zones it is

increased in 2002‐2007 was more efficient with comparison to the past indicating that

domestic markets and Endogenous Comparative Advantage started to enhance

complementary effect after having integrate into World Economic by joing in WTO

Key Words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Trade Multiplier Interregional Trade

Page 19: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국내...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5

각 권역별 특징을 살펴보면 ld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자

기권역 역내무역규모 변화로 인한 총 유출에 대한 기여도가 감소하였다 이로써 ldquo북부연해 동

부연해 중부rdquo 3개 권역이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의 변화가 효율적이게 변화함과 동시에

역내산업구조의 향상(표 6 참고)으로 인해 역내무역의 기여도가 더욱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4 권역 간 무역승수 분석

무역은 경제성장을 야기하지만 경제성장 역시 무역의 발전을 야기한다는 것이 공론이다 이러

한 관점에서 각 권역별 총산출 1단위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역내middot외 무역의 규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중국 내 지역 간 무역을 새로운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된

lt표 14gt 권역 간 무역승수44)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44) 국내무역승수(행합) 타지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가 특정권역에 유발하는 유출의 무역승수 총

합 국내무역승수(열합) 특정 권역의 총산출 1단위 증가로 타지역에 유발하는 유입의 무역승수

총합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6

분석기간에 걸쳐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서남권역만을 제외하고 모든 권역에서 자기권역에 대

한 무역승수는 감소하고 있으며 2002-2007년 기간 lsquo서북과 서남rsquo 권역은 각각 33와 25로

감소율이 가장 크다 실제로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총산출 수준의 평균 성장률은 58

이며 2002-2007년 기간의 성장률은 크게 확대되어 15943으로 두 기간의 격차가 매우 크다

2002-2007년 기간 자기 지역 내 무역승수의 감소는 각 권역 간 산업구조가 더욱 고도화 되어

자기권역 내 무역만을 통해서는 생산을 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즉 국내무역의 발전과 지역 간

의 관계가 더욱 확대되어 기타 지역에 대한 무역승수효과가 더욱 증가한 것이며 이처럼 높은

총산출의 증가는 더욱 긴밀한 지역 간 산업구조와 무역관계 하에서 비로써 실현가능함을 반영

한다

lt표 14gt 중 국내무역승수의 행합과 열합의 변화를 보면 대부분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총산출

로 야기된 무역승수가 점차 감소한다고 오인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 만약 국내무역승수의 값

중 자기권역 내 무역승수를 소거한 후 무역승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반드시 감소하는 것은 아님

을 알 수 있다(참고 표 15)

lt표 15gt 자기 구역무역승수를 제거한 행합과 열합의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무역승수 변화추세는 일관되지 않지만 2002-2007년 기간 행

합 부문의 수치는 동부연해권역 이외에 기타 권역의 무역승수는 모두 증가하였고 열합 부문 중

경진과 서북권역 이외에 모든 권역의 타 권역에 대한 무역승수는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

다 이로써 WTO 가입 후 국내무역의 일체화 수준이 더욱 향상되었으며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

상을 위한 시장 환경이 구축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본 논문은 중국경제의 높은 성장 중 국내무역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을 대상으로 8대 권역 간 무역구조 분석을 위해 우선 무역 매트릭스를 구축

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

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본문 중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탐색적 접근으로 공간지니계수의 공간집중

도 분석결과는 분석 기간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수준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7

lsquo유출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반면에 lsquo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2007년에 들어

크게 감소하였다 게다가 2002년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은 증가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감소하여 지역 간 무역의 격차가 다소 감소하

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가 유입지 선택의 집중 유출지 선택의

확산 그리고 국내 유출입의 불균형 감소와 모든 교역조합 간의 격차감소로 시장일체화 수준이

점차 향상하는 추세를 의미한다

또한 중국 WTO 가입연도를 기준한 1997-2002년 2002-2007년 전후기간의 분석으로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유발구조를 살펴봄과 동시에 동태적인 요인분해분석을 통하여 국내분업

수준의 효율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내생적 비교우위론에 근거하여 교역구조의 개

선과 무역승수의 분석 역시 시장일체화의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내생적 비교우위 제고가

2002-2007년 기간 518의 중국 순수출 연평균 성장률에 기여함을 예상할 수 있었으며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무역 매트릭스 중 각 권역의 역내무역 비중은 동부연해권역을

제외하고 1997-2007년 기간 감소하였으며 일부 권역은 2002-2007년 기간에 들어 비로써 감

소하였다 하지만 역내무역의 비중이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의 연도

별 평균값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는 것을 보아도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중 Border Effect가 존재

하는 점과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아 Home Market

Effect의 존재를 탐색적으로 예감할 수 있다

또한 1997-2002년 기간 교역구조변화요인이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 ls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

부rsquo 권역은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가 효율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역내무역 규모요인의 재분

해 분석 시 자기권역 내 무역규모의 변화가 총 유출에 대한 영향이 더욱 커짐을 고려하면 역내

성middot시간 경제통합이 권역 외 총유출을 크게 촉진함으로 판단되며 권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 역시 국내무역의 유발효과를 촉진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은 전(全)산업의 권역 간

무역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17개 산업 부문 중 각각의 특성과 기여를 분석할 수 없었으며

현실적인 시사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정책변화 등 정성적인 요인들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는 차후의 연구과제로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심승진 20029 ldquo지역간 무역의 유발구조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심승진 20126 ldquo국제지역간 무역승수 효과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이데 마사히로 ldquo산업연관분석입문ldquo 985172제주대학교985173 2010

이중화 ldquo중국 국내무역의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영향분석-국내무역 순유출지수의 공간계

퍙패널분석을 중심으로ldquo 985172한국동북아경제학회985173 第27卷 第1號 201503

Hewings GJD Schindler GR and PR Israilevich 1998b ldquoInterstate trade among

Midwest economiesrdquo Chicago Fed Letter The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May

1998 no 129

N Ramondo A Rodriacuteguez‐Clare M Saboriacuteo‐Rodriacuteguez 2014 ldquoTrade Domestic

Frictions and Scale Effectsrdquo NBER Working Paper No18532

Poncet S 2003 ldquoMeasuring Chine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grationrdquo China

Economic Review 14(2003)1‐21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8

S Oumlzyurt M Dauma 2011 ldquoTrade openness and regional income spillovers in BrazilA

spatial econometric approachrdquo Papers in Regional Science 2013

Weinhold D 2002 ldquoThe importance of trade and geography in the pattern of spatial

dependence of growth ratesrdquo Review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6 no 3 pp

369‐382

XiaoKai Yang(杨小凯) 1996 ldquoA New Theory of Demand and Supply and Emergence

of International Trade from Dmestic Traderdquo Pacifrc Economic Review 13

国家信息中心 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1997年 200551

国家统计局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ldquo 20118

李善同 侯永志 ldquo中国大陆 划分8大社会经济区域ldquo 985172中国脉搏985173 20035

盛斌 毛其淋 2011 ldquo贸易开放国内市场一体化与中国省际经济增长1985sim2008年ldquo 985172世

界经济985173 (11) 44-66

唐明龙ldquo西部开发战略激活建筑业ldquo985172中国工程建设周刊9851732006年7月13日

吴三忙 李善同 2010 ldquo市场一体化产业地理集聚与地区专业分工演变ldquo 985172产业经济研究985173

06期

周怀峰 ldquo大国国内贸易需求提升产品国际竞争力的机理分析ldquo985172财贸研究98517320074

[i3] httpwwwgovcnzwgk2012-0910content_2220743htm 201551

국문초록

중국 8대 권역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Spatial Gini Index와 Decomposition Techniques를 통하여-

이 중 화

중국인민대학교 경제학 박사

본 논문은 2002년 WTO 가입으로 인한 중국의 대외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중국 내 지역 간 무역구조의 공간적 패턴과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게다가 ldquo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를 이용하여 8대 권역 간 무역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는 3개 연도 기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 중 유출형 공간집중도는 지속적으로 집중되는 반면에 유입형middot교환형middot기타형은 2002-2007년 기간 모두 감소하였다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유발계수분석 시 각 권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야기되는 중국 국내무역의 연도별 평균유발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요인분해분석 경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국내 총유출에 대하여 역내무역의 변화요인에 과도하게 의존한 반면 2002-2007년 기간 국내교역구조가 크게 개선됨을 나타낸다 게다가 2002-2007년 기간 무역승수는 일부 몇몇 권역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여 WTO 가입 후 중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과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상을 위한 시장환경이 구축되어 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주제어 공간지니계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권역 간 무역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9

Abstract

Spatial concentration and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terIntra trade for the

eight zones in China

-The Analysis based Spatial Gini Index and Decomposition Techniques-

ZHONGHUA LEE

PhD Economics RU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and induced structure of intra and inter‐regional trade among the eight

zones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 of domestic trade structure change after

joing the WTO In this paper the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SensitivityImpact coefficient Trade Multiplier is applied using

the inter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 the year of 1997 2002 and 2007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in the period of 1997‐2007 is diminished to continue indicating outflow

index is more centr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flow∙exchange∙others index is declined

in 2002‐2007 period Second trade induced coefficient where intra trade is set as

exogenous variable it is imply that domestic induced trade effect has consistently

increased Third the decomposition analysis shows that total outflows of each region

depends heavily on factors of change with respect to intra‐regional trade in 1997‐2002

period and the domestic trade structure among eight zones is improved during

2002‐2007 And also Trade multiplier estimate show that except a few zones it is

increased in 2002‐2007 was more efficient with comparison to the past indicating that

domestic markets and Endogenous Comparative Advantage started to enhance

complementary effect after having integrate into World Economic by joing in WTO

Key Words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Trade Multiplier Interregional Trade

Page 20: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국내...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6

분석기간에 걸쳐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서남권역만을 제외하고 모든 권역에서 자기권역에 대

한 무역승수는 감소하고 있으며 2002-2007년 기간 lsquo서북과 서남rsquo 권역은 각각 33와 25로

감소율이 가장 크다 실제로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총산출 수준의 평균 성장률은 58

이며 2002-2007년 기간의 성장률은 크게 확대되어 15943으로 두 기간의 격차가 매우 크다

2002-2007년 기간 자기 지역 내 무역승수의 감소는 각 권역 간 산업구조가 더욱 고도화 되어

자기권역 내 무역만을 통해서는 생산을 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즉 국내무역의 발전과 지역 간

의 관계가 더욱 확대되어 기타 지역에 대한 무역승수효과가 더욱 증가한 것이며 이처럼 높은

총산출의 증가는 더욱 긴밀한 지역 간 산업구조와 무역관계 하에서 비로써 실현가능함을 반영

한다

lt표 14gt 중 국내무역승수의 행합과 열합의 변화를 보면 대부분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총산출

로 야기된 무역승수가 점차 감소한다고 오인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 만약 국내무역승수의 값

중 자기권역 내 무역승수를 소거한 후 무역승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반드시 감소하는 것은 아님

을 알 수 있다(참고 표 15)

lt표 15gt 자기 구역무역승수를 제거한 행합과 열합의 변화

출처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권역 간 산업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계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무역승수 변화추세는 일관되지 않지만 2002-2007년 기간 행

합 부문의 수치는 동부연해권역 이외에 기타 권역의 무역승수는 모두 증가하였고 열합 부문 중

경진과 서북권역 이외에 모든 권역의 타 권역에 대한 무역승수는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

다 이로써 WTO 가입 후 국내무역의 일체화 수준이 더욱 향상되었으며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

상을 위한 시장 환경이 구축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본 논문은 중국경제의 높은 성장 중 국내무역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을 대상으로 8대 권역 간 무역구조 분석을 위해 우선 무역 매트릭스를 구축

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

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본문 중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탐색적 접근으로 공간지니계수의 공간집중

도 분석결과는 분석 기간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수준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7

lsquo유출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반면에 lsquo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2007년에 들어

크게 감소하였다 게다가 2002년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은 증가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감소하여 지역 간 무역의 격차가 다소 감소하

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가 유입지 선택의 집중 유출지 선택의

확산 그리고 국내 유출입의 불균형 감소와 모든 교역조합 간의 격차감소로 시장일체화 수준이

점차 향상하는 추세를 의미한다

또한 중국 WTO 가입연도를 기준한 1997-2002년 2002-2007년 전후기간의 분석으로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유발구조를 살펴봄과 동시에 동태적인 요인분해분석을 통하여 국내분업

수준의 효율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내생적 비교우위론에 근거하여 교역구조의 개

선과 무역승수의 분석 역시 시장일체화의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내생적 비교우위 제고가

2002-2007년 기간 518의 중국 순수출 연평균 성장률에 기여함을 예상할 수 있었으며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무역 매트릭스 중 각 권역의 역내무역 비중은 동부연해권역을

제외하고 1997-2007년 기간 감소하였으며 일부 권역은 2002-2007년 기간에 들어 비로써 감

소하였다 하지만 역내무역의 비중이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의 연도

별 평균값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는 것을 보아도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중 Border Effect가 존재

하는 점과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아 Home Market

Effect의 존재를 탐색적으로 예감할 수 있다

또한 1997-2002년 기간 교역구조변화요인이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 ls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

부rsquo 권역은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가 효율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역내무역 규모요인의 재분

해 분석 시 자기권역 내 무역규모의 변화가 총 유출에 대한 영향이 더욱 커짐을 고려하면 역내

성middot시간 경제통합이 권역 외 총유출을 크게 촉진함으로 판단되며 권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 역시 국내무역의 유발효과를 촉진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은 전(全)산업의 권역 간

무역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17개 산업 부문 중 각각의 특성과 기여를 분석할 수 없었으며

현실적인 시사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정책변화 등 정성적인 요인들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는 차후의 연구과제로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심승진 20029 ldquo지역간 무역의 유발구조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심승진 20126 ldquo국제지역간 무역승수 효과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이데 마사히로 ldquo산업연관분석입문ldquo 985172제주대학교985173 2010

이중화 ldquo중국 국내무역의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영향분석-국내무역 순유출지수의 공간계

퍙패널분석을 중심으로ldquo 985172한국동북아경제학회985173 第27卷 第1號 201503

Hewings GJD Schindler GR and PR Israilevich 1998b ldquoInterstate trade among

Midwest economiesrdquo Chicago Fed Letter The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May

1998 no 129

N Ramondo A Rodriacuteguez‐Clare M Saboriacuteo‐Rodriacuteguez 2014 ldquoTrade Domestic

Frictions and Scale Effectsrdquo NBER Working Paper No18532

Poncet S 2003 ldquoMeasuring Chine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grationrdquo China

Economic Review 14(2003)1‐21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8

S Oumlzyurt M Dauma 2011 ldquoTrade openness and regional income spillovers in BrazilA

spatial econometric approachrdquo Papers in Regional Science 2013

Weinhold D 2002 ldquoThe importance of trade and geography in the pattern of spatial

dependence of growth ratesrdquo Review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6 no 3 pp

369‐382

XiaoKai Yang(杨小凯) 1996 ldquoA New Theory of Demand and Supply and Emergence

of International Trade from Dmestic Traderdquo Pacifrc Economic Review 13

国家信息中心 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1997年 200551

国家统计局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ldquo 20118

李善同 侯永志 ldquo中国大陆 划分8大社会经济区域ldquo 985172中国脉搏985173 20035

盛斌 毛其淋 2011 ldquo贸易开放国内市场一体化与中国省际经济增长1985sim2008年ldquo 985172世

界经济985173 (11) 44-66

唐明龙ldquo西部开发战略激活建筑业ldquo985172中国工程建设周刊9851732006年7月13日

吴三忙 李善同 2010 ldquo市场一体化产业地理集聚与地区专业分工演变ldquo 985172产业经济研究985173

06期

周怀峰 ldquo大国国内贸易需求提升产品国际竞争力的机理分析ldquo985172财贸研究98517320074

[i3] httpwwwgovcnzwgk2012-0910content_2220743htm 201551

국문초록

중국 8대 권역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Spatial Gini Index와 Decomposition Techniques를 통하여-

이 중 화

중국인민대학교 경제학 박사

본 논문은 2002년 WTO 가입으로 인한 중국의 대외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중국 내 지역 간 무역구조의 공간적 패턴과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게다가 ldquo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를 이용하여 8대 권역 간 무역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는 3개 연도 기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 중 유출형 공간집중도는 지속적으로 집중되는 반면에 유입형middot교환형middot기타형은 2002-2007년 기간 모두 감소하였다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유발계수분석 시 각 권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야기되는 중국 국내무역의 연도별 평균유발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요인분해분석 경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국내 총유출에 대하여 역내무역의 변화요인에 과도하게 의존한 반면 2002-2007년 기간 국내교역구조가 크게 개선됨을 나타낸다 게다가 2002-2007년 기간 무역승수는 일부 몇몇 권역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여 WTO 가입 후 중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과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상을 위한 시장환경이 구축되어 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주제어 공간지니계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권역 간 무역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9

Abstract

Spatial concentration and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terIntra trade for the

eight zones in China

-The Analysis based Spatial Gini Index and Decomposition Techniques-

ZHONGHUA LEE

PhD Economics RU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and induced structure of intra and inter‐regional trade among the eight

zones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 of domestic trade structure change after

joing the WTO In this paper the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SensitivityImpact coefficient Trade Multiplier is applied using

the inter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 the year of 1997 2002 and 2007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in the period of 1997‐2007 is diminished to continue indicating outflow

index is more centr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flow∙exchange∙others index is declined

in 2002‐2007 period Second trade induced coefficient where intra trade is set as

exogenous variable it is imply that domestic induced trade effect has consistently

increased Third the decomposition analysis shows that total outflows of each region

depends heavily on factors of change with respect to intra‐regional trade in 1997‐2002

period and the domestic trade structure among eight zones is improved during

2002‐2007 And also Trade multiplier estimate show that except a few zones it is

increased in 2002‐2007 was more efficient with comparison to the past indicating that

domestic markets and Endogenous Comparative Advantage started to enhance

complementary effect after having integrate into World Economic by joing in WTO

Key Words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Trade Multiplier Interregional Trade

Page 21: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국내...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7

lsquo유출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반면에 lsquo유입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2007년에 들어

크게 감소하였다 게다가 2002년 양자 간 무역의 불균형 수준은 증가하였지만 2007년에 들어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lsquo기타형rsquo 공간지니계수는 감소하여 지역 간 무역의 격차가 다소 감소하

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범위가 유입지 선택의 집중 유출지 선택의

확산 그리고 국내 유출입의 불균형 감소와 모든 교역조합 간의 격차감소로 시장일체화 수준이

점차 향상하는 추세를 의미한다

또한 중국 WTO 가입연도를 기준한 1997-2002년 2002-2007년 전후기간의 분석으로 중국

내 8대 권역 간 무역의 유발구조를 살펴봄과 동시에 동태적인 요인분해분석을 통하여 국내분업

수준의 효율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내생적 비교우위론에 근거하여 교역구조의 개

선과 무역승수의 분석 역시 시장일체화의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내생적 비교우위 제고가

2002-2007년 기간 518의 중국 순수출 연평균 성장률에 기여함을 예상할 수 있었으며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무역 매트릭스 중 각 권역의 역내무역 비중은 동부연해권역을

제외하고 1997-2007년 기간 감소하였으며 일부 권역은 2002-2007년 기간에 들어 비로써 감

소하였다 하지만 역내무역의 비중이 1997년 8785 2002년 8786 2007년 7771의 연도

별 평균값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는 것을 보아도 중국 내 지역 간 무역 중 Border Effect가 존재

하는 점과 역내 무역규모와 타 권역 유출규모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아 Home Market

Effect의 존재를 탐색적으로 예감할 수 있다

또한 1997-2002년 기간 교역구조변화요인이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 lsquo북부연해 동부연해 중

부rsquo 권역은 2002-2007년 기간 교역구조가 효율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역내무역 규모요인의 재분

해 분석 시 자기권역 내 무역규모의 변화가 총 유출에 대한 영향이 더욱 커짐을 고려하면 역내

성middot시간 경제통합이 권역 외 총유출을 크게 촉진함으로 판단되며 권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 역시 국내무역의 유발효과를 촉진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은 전(全)산업의 권역 간

무역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17개 산업 부문 중 각각의 특성과 기여를 분석할 수 없었으며

현실적인 시사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정책변화 등 정성적인 요인들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는 차후의 연구과제로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심승진 20029 ldquo지역간 무역의 유발구조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심승진 20126 ldquo국제지역간 무역승수 효과 및 요인분해 분석ldquo 985172무역학회지985173이데 마사히로 ldquo산업연관분석입문ldquo 985172제주대학교985173 2010

이중화 ldquo중국 국내무역의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영향분석-국내무역 순유출지수의 공간계

퍙패널분석을 중심으로ldquo 985172한국동북아경제학회985173 第27卷 第1號 201503

Hewings GJD Schindler GR and PR Israilevich 1998b ldquoInterstate trade among

Midwest economiesrdquo Chicago Fed Letter The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May

1998 no 129

N Ramondo A Rodriacuteguez‐Clare M Saboriacuteo‐Rodriacuteguez 2014 ldquoTrade Domestic

Frictions and Scale Effectsrdquo NBER Working Paper No18532

Poncet S 2003 ldquoMeasuring Chine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grationrdquo China

Economic Review 14(2003)1‐21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8

S Oumlzyurt M Dauma 2011 ldquoTrade openness and regional income spillovers in BrazilA

spatial econometric approachrdquo Papers in Regional Science 2013

Weinhold D 2002 ldquoThe importance of trade and geography in the pattern of spatial

dependence of growth ratesrdquo Review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6 no 3 pp

369‐382

XiaoKai Yang(杨小凯) 1996 ldquoA New Theory of Demand and Supply and Emergence

of International Trade from Dmestic Traderdquo Pacifrc Economic Review 13

国家信息中心 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1997年 200551

国家统计局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ldquo 20118

李善同 侯永志 ldquo中国大陆 划分8大社会经济区域ldquo 985172中国脉搏985173 20035

盛斌 毛其淋 2011 ldquo贸易开放国内市场一体化与中国省际经济增长1985sim2008年ldquo 985172世

界经济985173 (11) 44-66

唐明龙ldquo西部开发战略激活建筑业ldquo985172中国工程建设周刊9851732006年7月13日

吴三忙 李善同 2010 ldquo市场一体化产业地理集聚与地区专业分工演变ldquo 985172产业经济研究985173

06期

周怀峰 ldquo大国国内贸易需求提升产品国际竞争力的机理分析ldquo985172财贸研究98517320074

[i3] httpwwwgovcnzwgk2012-0910content_2220743htm 201551

국문초록

중국 8대 권역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Spatial Gini Index와 Decomposition Techniques를 통하여-

이 중 화

중국인민대학교 경제학 박사

본 논문은 2002년 WTO 가입으로 인한 중국의 대외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중국 내 지역 간 무역구조의 공간적 패턴과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게다가 ldquo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를 이용하여 8대 권역 간 무역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는 3개 연도 기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 중 유출형 공간집중도는 지속적으로 집중되는 반면에 유입형middot교환형middot기타형은 2002-2007년 기간 모두 감소하였다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유발계수분석 시 각 권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야기되는 중국 국내무역의 연도별 평균유발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요인분해분석 경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국내 총유출에 대하여 역내무역의 변화요인에 과도하게 의존한 반면 2002-2007년 기간 국내교역구조가 크게 개선됨을 나타낸다 게다가 2002-2007년 기간 무역승수는 일부 몇몇 권역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여 WTO 가입 후 중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과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상을 위한 시장환경이 구축되어 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주제어 공간지니계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권역 간 무역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9

Abstract

Spatial concentration and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terIntra trade for the

eight zones in China

-The Analysis based Spatial Gini Index and Decomposition Techniques-

ZHONGHUA LEE

PhD Economics RU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and induced structure of intra and inter‐regional trade among the eight

zones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 of domestic trade structure change after

joing the WTO In this paper the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SensitivityImpact coefficient Trade Multiplier is applied using

the inter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 the year of 1997 2002 and 2007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in the period of 1997‐2007 is diminished to continue indicating outflow

index is more centr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flow∙exchange∙others index is declined

in 2002‐2007 period Second trade induced coefficient where intra trade is set as

exogenous variable it is imply that domestic induced trade effect has consistently

increased Third the decomposition analysis shows that total outflows of each region

depends heavily on factors of change with respect to intra‐regional trade in 1997‐2002

period and the domestic trade structure among eight zones is improved during

2002‐2007 And also Trade multiplier estimate show that except a few zones it is

increased in 2002‐2007 was more efficient with comparison to the past indicating that

domestic markets and Endogenous Comparative Advantage started to enhance

complementary effect after having integrate into World Economic by joing in WTO

Key Words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Trade Multiplier Interregional Trade

Page 22: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국내...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유라시아 시대의 동북아 경제와 한반도118

S Oumlzyurt M Dauma 2011 ldquoTrade openness and regional income spillovers in BrazilA

spatial econometric approachrdquo Papers in Regional Science 2013

Weinhold D 2002 ldquoThe importance of trade and geography in the pattern of spatial

dependence of growth ratesrdquo Review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6 no 3 pp

369‐382

XiaoKai Yang(杨小凯) 1996 ldquoA New Theory of Demand and Supply and Emergence

of International Trade from Dmestic Traderdquo Pacifrc Economic Review 13

国家信息中心 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1997年 200551

国家统计局 ldquo2002 2007年中国区域间投入产出表ldquo 20118

李善同 侯永志 ldquo中国大陆 划分8大社会经济区域ldquo 985172中国脉搏985173 20035

盛斌 毛其淋 2011 ldquo贸易开放国内市场一体化与中国省际经济增长1985sim2008年ldquo 985172世

界经济985173 (11) 44-66

唐明龙ldquo西部开发战略激活建筑业ldquo985172中国工程建设周刊9851732006年7月13日

吴三忙 李善同 2010 ldquo市场一体化产业地理集聚与地区专业分工演变ldquo 985172产业经济研究985173

06期

周怀峰 ldquo大国国内贸易需求提升产品国际竞争力的机理分析ldquo985172财贸研究98517320074

[i3] httpwwwgovcnzwgk2012-0910content_2220743htm 201551

국문초록

중국 8대 권역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Spatial Gini Index와 Decomposition Techniques를 통하여-

이 중 화

중국인민대학교 경제학 박사

본 논문은 2002년 WTO 가입으로 인한 중국의 대외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중국 내 지역 간 무역구조의 공간적 패턴과 역내무역의 국내 지역 간 무역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게다가 ldquo1997middot2002middot2007년 중국 8대 권역 간 산업연관표rdquo를 이용하여 8대 권역 간 무역에 대한 공간적 집중도 변화와 무역구조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그리고 무역승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중국 내 무역류의 공간적 집중도는 3개 연도 기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 중 유출형 공간집중도는 지속적으로 집중되는 반면에 유입형middot교환형middot기타형은 2002-2007년 기간 모두 감소하였다 8대 권역 간 무역구조의 유발계수분석 시 각 권역의 역내무역으로 인해 야기되는 중국 국내무역의 연도별 평균유발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요인분해분석 경우 1997-2002년 기간 각 권역의 국내 총유출에 대하여 역내무역의 변화요인에 과도하게 의존한 반면 2002-2007년 기간 국내교역구조가 크게 개선됨을 나타낸다 게다가 2002-2007년 기간 무역승수는 일부 몇몇 권역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여 WTO 가입 후 중국 내 시장일체화 수준의 향상과 내생적 비교우위의 향상을 위한 시장환경이 구축되어 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주제어 공간지니계수 무역유발계수 요인분해분석 무역승수 권역 간 무역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9

Abstract

Spatial concentration and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terIntra trade for the

eight zones in China

-The Analysis based Spatial Gini Index and Decomposition Techniques-

ZHONGHUA LEE

PhD Economics RU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and induced structure of intra and inter‐regional trade among the eight

zones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 of domestic trade structure change after

joing the WTO In this paper the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SensitivityImpact coefficient Trade Multiplier is applied using

the inter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 the year of 1997 2002 and 2007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in the period of 1997‐2007 is diminished to continue indicating outflow

index is more centr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flow∙exchange∙others index is declined

in 2002‐2007 period Second trade induced coefficient where intra trade is set as

exogenous variable it is imply that domestic induced trade effect has consistently

increased Third the decomposition analysis shows that total outflows of each region

depends heavily on factors of change with respect to intra‐regional trade in 1997‐2002

period and the domestic trade structure among eight zones is improved during

2002‐2007 And also Trade multiplier estimate show that except a few zones it is

increased in 2002‐2007 was more efficient with comparison to the past indicating that

domestic markets and Endogenous Comparative Advantage started to enhance

complementary effect after having integrate into World Economic by joing in WTO

Key Words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Trade Multiplier Interregional Trade

Page 23: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국내...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119

Abstract

Spatial concentration and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terIntra trade for the

eight zones in China

-The Analysis based Spatial Gini Index and Decomposition Techniques-

ZHONGHUA LEE

PhD Economics RU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and induced structure of intra and inter‐regional trade among the eight

zones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 of domestic trade structure change after

joing the WTO In this paper the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SensitivityImpact coefficient Trade Multiplier is applied using

the inter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 the year of 1997 2002 and 2007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spatial centralization of interregional

trade flows in the period of 1997‐2007 is diminished to continue indicating outflow

index is more centralization On the other hand inflow∙exchange∙others index is declined

in 2002‐2007 period Second trade induced coefficient where intra trade is set as

exogenous variable it is imply that domestic induced trade effect has consistently

increased Third the decomposition analysis shows that total outflows of each region

depends heavily on factors of change with respect to intra‐regional trade in 1997‐2002

period and the domestic trade structure among eight zones is improved during

2002‐2007 And also Trade multiplier estimate show that except a few zones it is

increased in 2002‐2007 was more efficient with comparison to the past indicating that

domestic markets and Endogenous Comparative Advantage started to enhance

complementary effect after having integrate into World Economic by joing in WTO

Key Words Spatial Gini Index Trade Induced Coefficient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Trade Multiplier Interregional Trade

Page 24: 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국내...중국 8대 권역 간 무역의 공간적 집중도와 요인분해분석 99 분류 산업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