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7예산차이분석
21

7 예산차이분석elearning.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BaekTae...계획과 실적을 비교한다. 예산차이분석 (Budget Variance Analysis) - 예상수치와 실제수치의

Jan 27, 2020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7 예산차이분석elearning.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BaekTae...계획과 실적을 비교한다. 예산차이분석 (Budget Variance Analysis) - 예상수치와 실제수치의

제7장 예산차이분석

Page 2: 7 예산차이분석elearning.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BaekTae...계획과 실적을 비교한다. 예산차이분석 (Budget Variance Analysis) - 예상수치와 실제수치의

주요 내용

• 계획과 실적을 비교한다

• 왜 실제원가가 예상과 다른가? - 원가차이분석

• 변동예산을 사용한다

• 직접재료원가차이는 왜 생기는가? - 수량차이와 가격차이

• 직접노무원가차이는 왜 생기는가? - 수량차이와 임률차이

• 변동제조간접원가 차이는 왜 생기는가?

• 고정제조간접원가 차이는 왜 생기는가?

• 표준원가를 사용하여 원가계산을 쉽게 한다 -표준원가계산

• 표준원가계산을 하면 고정제조간접원가의 조업도차이가 발생한다

• 판매부문의 차이분석을 한다 -매출조업도차이

• 어떤 차이항목을 추가로 조사할 것인가?

• 차이에 의한 성과평가는 사람의 행동에 양면적인 영향을 미친다

Page 3: 7 예산차이분석elearning.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BaekTae...계획과 실적을 비교한다. 예산차이분석 (Budget Variance Analysis) - 예상수치와 실제수치의

계획과 실적을 비교한다.

예산차이분석 (Budget Variance Analysis)

- 예상수치와 실제수치의 차이를 세부항목으로 나누어 분석하는 기법

- 차이의 이유를 분석

⇒ 필요한 조치 실행, 다음 기에 정확한 계획 수립

예외에 의한 관리 (Management By Exception)

- 예외적으로 크게 예상과 다른 결과를 초래한 항목을

중점적으로 조사하고 조치를 취하는 관리기법

Page 4: 7 예산차이분석elearning.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BaekTae...계획과 실적을 비교한다. 예산차이분석 (Budget Variance Analysis) - 예상수치와 실제수치의

왜 실제원가가 예상과 다른가? - 원가차이분석

생산부문 원가통제와 성과평가

- 생산량에 대한 제조원가예산을 기준으로 원가통제

- 제조원가예산 대비 실적결과에 따라 생산부문 관리자를 평가

Page 5: 7 예산차이분석elearning.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BaekTae...계획과 실적을 비교한다. 예산차이분석 (Budget Variance Analysis) - 예상수치와 실제수치의

변동예산을 사용한다.

▶ 제조원가 변동예산과 고정예산

제조원가 변동예산(Flexible Budget)

- 같은 생산량을 기준으로 실제금액과 비교하기 위해,

예상 생산량을 실제 생산량으로 변경하여 재편성한 예산

- 실제수치와 비교할 때, 생산량 차이에 의한 제조원가 차이를

분리할 수 있게 함

- 변동예산차이(Flexible Budget Variance) : 변동예산과 실제금액의 차이

제조원가 고정예산(Static Budget)

- 예상 생산량을 기준으로 사전에 수립된 예산

- 고정예산차이(Static Budget Variance) : 고정예산과 실제금액의 차이

Page 6: 7 예산차이분석elearning.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BaekTae...계획과 실적을 비교한다. 예산차이분석 (Budget Variance Analysis) - 예상수치와 실제수치의

직접재료원가차이는 왜 생기나? - 수량차이와 가격차이

▶ 직접재료원가차이

직접재료원가 변동예산차이 <표 7.4> 직접재료원가 변동예산차이 (단위 : 백만원)

실제 원가 변동예산

차이 변동예산

직접재료원가 308

(7원/g × 44백만g) 12(유리)

320 (8원/g × 10g/개

× 4백만개)

Page 7: 7 예산차이분석elearning.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BaekTae...계획과 실적을 비교한다. 예산차이분석 (Budget Variance Analysis) - 예상수치와 실제수치의

직접재료수량[능률]차이

- 재료 실제사용량과 표준사용량의 차이에 의한 재료원가차이

- 재료 사용의 효율성을 나타냄

직접재료수량차이

= (재료실제사용량-재료 표준사용량)×재료 표준가격

= ( AQ - SQ ) × SP

= ( 44백만g - 40백만g ) × 8원/g

= 32백만원 (불리)

- 불리한 재료수량차이 원인 :

재료의 불량, 작업미숙, 생산설비 이상 등으로 재료낭비가 생길 때

또는 표준사용량이 지나치게 이상적으로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 발생

Page 8: 7 예산차이분석elearning.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BaekTae...계획과 실적을 비교한다. 예산차이분석 (Budget Variance Analysis) - 예상수치와 실제수치의

직접재료가격차이

- 재료 실제가격과 표준가격의 차이에 의한 재료원가차이

직접재료가격차이

= (재료실제가격 - 재료 표준가격) × 재료실제사용량

= ( AP - SP ) × AQ

= ( 7원/g - 8원/g ) × 44백만g

= 44백만원 (유리)

- 유리한 재료가격차이 원인:

표준가격이 지나치게 높게 책정되어 있는 경우 또는 어떤 이유로 낮은 가격이 지급된

경우에 발생, 예상보다 대량구매를 하여 가격을 낮추거나, 품질이 낮은 재료를 싼

가격에 구입

- 유리한 차이이든 불리한 차이이든 계획의 차질을 의미

⇒ 원인을 찾아내어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

Page 9: 7 예산차이분석elearning.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BaekTae...계획과 실적을 비교한다. 예산차이분석 (Budget Variance Analysis) - 예상수치와 실제수치의

직접노무원가차이는 왜 생기나? - 수량차이와 임률차이

▶직접노무원가차이

직접노무원가 변동예산차이

직접노무원가 = 직접노무시간 X 시간당 임금(임률) 이므로

노무시간이나 임률이 증감하면 변동예산차이가 생김

<표 7.6> 직접노무원가 변동예산차이 (단위 : 백만원)

실제원가 변동예산차이 변동예산

63 (10,500원/시간

× 6천시간) 23(불리)

40 (10,000원/시간 ×0.001시간/개

× 4백만개)

Page 10: 7 예산차이분석elearning.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BaekTae...계획과 실적을 비교한다. 예산차이분석 (Budget Variance Analysis) - 예상수치와 실제수치의

직접노무수량[시간, 능률]차이

- 실제노무시간과 표준노무시간의 차이에 의한 노무원가차이

- 노무시간 사용의 효율성을 나타냄

직접노무수량차이 = ( 실제 노무시간 - 표준노무시간 ) × 표준임률

= ( AQ - SQ ) × SP

= ( 6천시간 - 4천시간 ) × 10,000원/시간

= 20백만원 (불리)

- 불리한 노무수량차이 원인:

작업미숙, 교육훈련 부족, 작업설비나 도구의 불량,

노사문제로 인한 사기저하,

불량재료 등에 의한 작업지연에 의해 발생

또는 표준노무시간이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발생

Page 11: 7 예산차이분석elearning.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BaekTae...계획과 실적을 비교한다. 예산차이분석 (Budget Variance Analysis) - 예상수치와 실제수치의

직접노무임률차이

- 실제임률과 표준임률의 차이에 의한 노무원가차이

직접노무임률차이 = ( 실제임률 - 표준임률 ) × 실제노무시간

= ( AP - SP ) × AQ

= (10,500원/시간 - 10,000원/시간) × 6천시간

= 3백만원 (불리)

- 불리한 노무임률차이 원인 :

유휴인력이 존재하여 실제작업시간에 비해 유휴시간이 많거나,

생산계획 불안정으로 잔업수당이 지급될 경우,

또는 임금인상을 예측하지 못하여 표준임률이 낮게 설정될 때 발생

Page 12: 7 예산차이분석elearning.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BaekTae...계획과 실적을 비교한다. 예산차이분석 (Budget Variance Analysis) - 예상수치와 실제수치의

변동제조간접원가 차이는 왜 생기나?

변동제조간접원가 변동예산차이

실제원가 변동예산

차이 변동예산

240 (60원/개×4백만개)

40 (불리) 200

(50원/개×4백만개)

변동제조간접원가 소비차이

- 실제배부율과 표준배부율의 차이에 의한 원가차이

- 제조간접비배부율(배부기준 단위당 제조간접원가) 차이인 소비차이는

가격차이와 다름

- 간접재료의 가격변화, 간접노무임률변화, 수도전기료의 요금변화

등의 가격변화뿐만 아니라, 배부기준량(이 경우 생산량) 대비로

변동제조원가 항목(간접재료나, 지원인력, 수도전기)이

물리적으로 예상보다 많이 사용되었는지 여부도 나타냄

<표 7.8> 변동제조간접원가 변동예산차이 (단위 : 백만원)

Page 13: 7 예산차이분석elearning.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BaekTae...계획과 실적을 비교한다. 예산차이분석 (Budget Variance Analysis) - 예상수치와 실제수치의

- 변동제조간접원가 소비차이

= (실제배부율 - 표준배부율) × 실제배부기준량

= ( AP - SP ) × AQ

- 생산량이 배부기준인 예 :

변동제조간접원가 소비차이

= ( 60원/개 - 50원/개 ) × 4백만개 = 40백만원 (불리)

- 배부기준이 직접노무시간인 예 :

실제노무시간 6천시간을 배부기준으로 사용하면

실제 배부율이 직접노무시간당 40,000원

변동제조간접원가 소비차이

= (40,000원/시간-50,000원/시간) × 6,000시간 = 60백만원 (유리)

Page 14: 7 예산차이분석elearning.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BaekTae...계획과 실적을 비교한다. 예산차이분석 (Budget Variance Analysis) - 예상수치와 실제수치의

변동제조간접원가 능률차이

- 실제 배부기준량과 표준배부기준량의 차이에 의한 원가차이

- 간접재료, 간접노무 투입량, 수도전기 사용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배부기준량이 예상보다 달리 발생하여

제조간접원가가 변하는 부분을 나타냄

- 변동제조간접원가 능률차이

= (실제배부기준량 - 표준배부기준량)× 표준배부율

= ( AQ - SQ ) × SP

- 배부기준이 직접노무시간인 예 :

변동제조간접원가 능률차이

= ( 실제노무시간 - 표준노무시간 ) × 표준배부율

= ( 6천시간 - 4천시간 ) × 50,000원/시간

= 100백만원 (불리)

Page 15: 7 예산차이분석elearning.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BaekTae...계획과 실적을 비교한다. 예산차이분석 (Budget Variance Analysis) - 예상수치와 실제수치의

고정제조간접원가 차이는 왜 생기나?

고정제조간접원가 예산차이

- 실제 고정제조간접원가와 예산액의 차이

<표 7.10> 고정제조간접원가 예산차이의 예 (단위 : 백만원)

실제원가 예산차이 예산

470 20(불리) 450

고정제조간접원가 예산차이 = 소비차이

= 실제 고정제조간접원가 - 고정제조간접원가 예산

= 470백만원 - 450백만원

= 20백만원 (불리)

Page 16: 7 예산차이분석elearning.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BaekTae...계획과 실적을 비교한다. 예산차이분석 (Budget Variance Analysis) - 예상수치와 실제수치의

고정제조간접원가 능률차이와 소비차이

- 고정제조간접원가는 생산량이나 다른 원가동인에 의해 변하지 않음.

- 고정제조간접원가 고정예산액 = (실제생산량 기준)변동예산액

= 실제배부기준량 기준 변동예산액

- 고정제조간접원가 능률차이는 항상 0 임.

- 고정제조간접원가 소비차이는 예산차이와 동일함.

Page 17: 7 예산차이분석elearning.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BaekTae...계획과 실적을 비교한다. 예산차이분석 (Budget Variance Analysis) - 예상수치와 실제수치의

표준원가계산을 하면 고정제조간접원가의 조업도차이가 발생한다

표준원가계산 (Standard Costing) :

- 모든 제조원가를 표준원가로 계산하는 방법

- 제조간접원가 표준원가 = 표준배부율 x 표준배부기준량

- 제조간접원가 표준배부율 = 예산제조간접원가 / 기준조업도

기준조업도의 선택

- 기준조업도 : 고정제조간접원가 표준배부율 결정에 사용되는 조업도.

다음 4 가지 조업도 중에 선택하여 사용함.

1. 이론적 조업능력 (Theoretical capacity) : 이상적인 최대생산능력

2. 실제적 조업능력 (Practical capacity) :

점검과 휴일 등의 정상적인 작업중단시간을 고려한 현실적인 최대생산능력

3. 정상조업도 (Normal capacity utilization) :

2-3년 간의 평균수요를 만족시키는 조업도

4. 예산조업도(Master budget capacity utilization) :

고정예산 수립에 사용된 조업도

Page 18: 7 예산차이분석elearning.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BaekTae...계획과 실적을 비교한다. 예산차이분석 (Budget Variance Analysis) - 예상수치와 실제수치의

고정제조원가의 예산액과 표준원가배부액의 차이

: (생산)조업도 차이 (Production Volume Variance)

- 표준원가계산에서 변동제조원가는 표준원가총액이 변동예산액과 동일하나

고정제조간접원가는 표준원가 총배부액이 변동예산액과 다름

- 전부원가계산에서 고정제조간접원가가 변동원가처럼

제품에 배부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

고정제조원가의 기준조업도와 실제 생산량의 차이가 원인

- 실제 생산량이 표준배부율 계산에 사용되는 기준조업도와 다를 때 나타남

- 표준배부율은 기준조업도에 의해 결정되나

총배부액은 실제생산량에 따라 달라져서 나타나는 차이

Page 19: 7 예산차이분석elearning.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BaekTae...계획과 실적을 비교한다. 예산차이분석 (Budget Variance Analysis) - 예상수치와 실제수치의

판매부문의 차이분석을 한다-매출조업도차이.

판매부문의 통제 : 판매량의 실적을 예상판매량과 비교

매출조업도차이 (판매량차이, Sales-volume variance)

- 실제판매량과 예상판매량의 차이에 의한 공헌이익차이

매출조업도차이

= 단위당 표준공헌이익 × ( 실제판매량 - 예상판매량 )

- 예 : 단위당 표준공헌이익이 200원, 실제판매량이 360만개,

예상판매량이 320만개일 경우

매출조업도차이 = 200원/개 × ( 360만개 - 320만개 )

= 200원/개 × 40만개

= 8천만원(유리)

Page 20: 7 예산차이분석elearning.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BaekTae...계획과 실적을 비교한다. 예산차이분석 (Budget Variance Analysis) - 예상수치와 실제수치의

어떤 차이항목을 추가로 조사할 것인가 ?

• 원가/매출차이 계산한 후 일부 중요 항목은 추가조사하여 조치

• 유리한 차이와 불리한 차이 모두 조사

- 불리한 차이 : 원가 과대 발생, 매출 과소 발생 ⇒ 이유 조사, 대책 마련

- 유리한 차이 : 노력의 좋은 결과 ⇒ 계속 유지하거나 다른 부서로 전파

예산이 너무 여유 있게 편성 ⇒ 예산을 다음 기부터 조정

• 차이금액이 절대적으로 크거나, 상대적으로 큰 비율을 가질 때 조사

• 차이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항목을 조사 : 우연적인 차이가 아닌 구조적인 원인 존재

• 차이금액이 커지는 추세를 보이는 항목 : 문제가 점점 심해짐

• 통제가능성이 높은 항목 : 조치를 취할 수 있어 효과적

• 차이조사의 원가와 효익을 비교하여 조사범위를 결정:

- 원가 : 직원의 시간 원가, 업무 방해

- 효익 : 시정조치에 의해서 다음 기부터 절감된 원가나 증가된 매출

좀더 정확한 예산의 수립으로 줄어든 자원의 낭비

Page 21: 7 예산차이분석elearning.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BaekTae...계획과 실적을 비교한다. 예산차이분석 (Budget Variance Analysis) - 예상수치와 실제수치의

차이에 의한 성과평가는 사람의 행동에 양면적인 영향을 미친다.

유리한 차이가 클수록 좋게 평가한다면

긍정적인 동기부여 효과

- 피평가 대상은 원가를 줄이거나 매출을 높이려고 열심히 노력함

부정적인 효과

- 예산목표를 쉽게 달성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정하려고 비생산적인 영향력 행사

- 여유 있게 편성된 예산여유분(Budget Slack)은

회기 말에 비효율적으로 사용될 가능성 높음

⇒ 예산여유분을 확보하려는 피평가 단위의 동기를 억제하기 위해

어려운 예산목표에 대해 더 높은 보상을 약속하는 방법이 있음

모든 차이에 대해 불리한 평가하면

- 장점 : 정확한 예산 목표를 세우도록 동기부여 함

- 단점 : 예산 절감이나 매출 초과 달성하지 않고

예산목표에만 도달하려는 동기가 생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