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사사사 사사사 사사 x 2016 Summer 사사사사 사사사 2016.7.21 @UX Lab 사사사 사사사 사사사 사사사
15

사용성 평가의 계보

Jan 10, 2017

Download

Technology

Slava Ha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사용성 평가의 계보

사용성 평가의 계보x 2016 Summer여름방학 랩미팅2016.7.21 @UX Lab맹욱재 나누리 한상규 김준한

Page 2: 사용성 평가의 계보

사용성 평가의 계보

여름방학 랩미팅2016.7.21 @UX Lab맹욱재 나누리 한상규 김준한

Page 3: 사용성 평가의 계보

소프트웨어 디자인과 사용성 평가사용성 평가의 효과

• 소프트웨어의 성능 향상 • 고객의 돈을 절약 – easy to use, saving learning cost, increased productivity • 엔지니어링 비용의 절약 - 누적된 사용자 needs 의 추후 엔지니어링에 활용

3

• 사용성 평가후 후속조치는 UI 변경 / 보완 정도로만 이루어짐 , 원천적인 기능을 어레인지하는 아키텍쳐 수준에서는 조정불가 - 비용도 많이 들며 , 다 만들어논 시스템을 갈아엎기 힘듬 => key view & wireframe 을 활용하는 우리 랩은 선두주자 !• 사용성 평가는 완성된 working system 과 사용자가 실제 활용하는 단에서 이루어지기에 거의 최종단계서 시행되는

것도 한계점으로 작용• 또한 , 제작간에 요구사항이 지속적으로 바뀌며 진화함으로 기존 디자인 방법론에서 제품이 나온 후 적용 / 보완이 어려움

기존 소프트웨어 디자인 방법론 (=iterative design process) 에서 사용성 평가의 한계

Folmer, E. & Bosch, J. (2004). Architecting for usability: a survey. The Journal of Systems and Software 70, 61–78.

Page 4: 사용성 평가의 계보

소프트웨어 디자인과 사용성 평가사용성 평가의 효과

• 소프트웨어의 성능 향상 • 고객의 돈을 절약 – easy to use, saving learning cost, increased productivity • 엔지니어링 비용의 절약 - 누적된 사용자 needs 의 추후 엔지니어링에 활용

4

• 사용성 평가후 후속조치는 UI 변경 / 보완 정도로만 이루어짐 , 원천적인 기능을 어레인지하는 아키텍쳐 수준에서는 조정불가 - 비용도 많이 들며 , 다 만들어논 시스템을 갈아엎기 힘듬 => key view & wireframe 을 활용하는 우리 랩은 선두주자 !• 사용성 평가는 완성된 working system 과 사용자가 실제 활용하는 단에서 이루어지기에 거의 최종단계서 시행되는

것도 한계점으로 작용• 또한 , 제작간에 요구사항이 지속적으로 바뀌며 진화함으로 기존 디자인 방법론에서 제품이 나온 후 적용 / 보완이 어려움

기존 소프트웨어 디자인 방법론 (=iterative design process) 에서 사용성 평가의 한계

Folmer, E. & Bosch, J. (2004). Architecting for usability: a survey. The Journal of Systems and Software 70, 61–78.

시스템의 기능 , 아키텍쳐 측면의 수정 보완의 어려움 —>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

Page 5: 사용성 평가의 계보

소프트웨어 디자인과 사용성 평가사용성 평가의 효과• 소프트웨어의 성능 향상 • 고객의 돈을 절약 – easy to use, saving learning cost, increased productivity • 엔지니어링 비용의 절약 - 누적된 사용자 needs 의 추후 엔지니어링에 활용

5

• 사용성 평가후 후속조치는 UI 변경 / 보완 정도로만 이루어짐 , 원천적인 기능을 어레인지하는 아키텍쳐 수준에서는 조정불가 - 비용도 많이 들며 , 다 만들어논 시스템을 갈아엎기 힘듬 => key view & wireframe 을 활용하는 우리 랩은 선두주자 !• 사용성 평가는 완성된 working system 과 사용자가 실제 활용하는 단에서 이루어지기에 거의 최종단계서 시행되는

것도 한계점으로 작용• 또한 , 제작간에 요구사항이 지속적으로 바뀌며 진화함으로 기존 디자인 방법론에서 제품이 나온 후 적용 / 보완이 어려움

기존 소프트웨어 디자인 방법론 (=iterative design process) 에서 사용성 평가의 한계

Folmer, E. & Bosch, J. (2004). Architecting for usability: a survey. The Journal of Systems and Software 70, 61–78.

Page 6: 사용성 평가의 계보

사용성 평가 계보 -Overview

6

어떤 속성을 평가할 것인가 ? – definition 의 문제• 사용자의 입장에서 ‘ usable’, ‘will use’, ‘product acceptance’ 로 목표는 동일하나 어떤 속성과 세부 항목을

볼 것인가에 따라 달라짐

• Shackel(1991) 의 사용성에 대한 정의 이후로 다양한 정의가 파생되었으며 , 사용자 수행능력의 객관적 지표와 사용자의 반응에 따른 주관적 지표로 나뉘는 속성들이 나옴

Folmer, E. & Bosch, J. (2004). Architecting for usability: a survey. The Journal of Systems and Software 70, 61–78.

Page 7: 사용성 평가의 계보

사용성 평가 정의 계보 -1

Shackel(1991)

7

• 제품의 수용 (acceptance) 을 최상위 컨셉으로 사용성 , 가격 , 호감도 , 유용성의 축을 가지고 사용자가 trade-off 한다고 정의

• 그중에서도 사용성은 사용자의 상대적이고 주관적 인식으로 4 가지 하위 카테고리 구분- effectiveness : 과업을 수행에 있어 도움이 되는 정도- learnability :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배움이 필요한 정도- flexibility : 다양한 과업에서 적용 가능 여부- attitude :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

• 그러나 Shackel 은 어떻게 각 요소들을 측정해야하는지는 제시하지 않음 , 사용성 평가의 분류 축을 제공하는 것이 의의

Folmer, E. & Bosch, J. (2004). Architecting for usability: a survey. The Journal of Systems and Software 70, 61–78.

Page 8: 사용성 평가의 계보

사용성 평가 정의 계보 -2

Nielsen(1993)

8

• Shackel 의 acceptance 를 계승하여 실용적 측면과 사회적 수용성 측면의 2 가지로 나누고 usefulness 에서 5개의 하위 카테고리를 구성

- learnability : easy to learn, 빨리 배우고 업무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efficiency : efficient to use, 배워서 활용하면 업무 생산성도 향상 - memorability : 기억하기 쉽고 , 사용을 오랫동안 하지 않다가 다시 조작해도 금방 기억 할 수 있는 / 회상이

아닌 재인- error : 오류 발현의 최소화- Satisfaction : 사용자의 만족

• ‘ 사용성 평가’에 대한 정확한 정의는 하지 않았으나 , 사용성 평가의 분야로 볼 수 있는 다양한 용어들에 대해 명확히 정의

Folmer, E. & Bosch, J. (2004). Architecting for usability: a survey. The Journal of Systems and Software 70, 61–78.

Page 9: 사용성 평가의 계보

사용성 평가 정의 계보 -3

ISO 9241-11(Macleod, 1994)

9

•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랙션 관련 Industry Standard 로 제공되어 Guideline 으로 활용도와 일관성이 높아짐

• 사용자의 특정 목표달성을 하기 위한 맥락 (context) 을 고려하여 만들었으며 , 사용성을 3 가지 카테고리 분류- effectiveness : 유저가 특정한 목적 달성간 시스템의 정확도와 완벽성- efficiency : 정확도와 완벽성을 높이기 위한 자원 및 요소들 - satisfaction : 사용간 느끼는 편안함과 만족감

• S/W, H/W, 서비스별 명확한 기준과 평가 툴을 모두 제공 , HCI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음 .

Folmer, E. & Bosch, J. (2004). Architecting for usability: a survey. The Journal of Systems and Software 70, 61–78.

Page 10: 사용성 평가의 계보

사용성 평가 정의 계보 -4

ISO 9126-1(2000)

10

• 제조단계에서부터 활용 가능한 UI 와 User interation 의 컴포넌트를 디자인하고 평가하기 위한 6 가지 속성과 제품이 사용된 이후 시점을 평가하는 ‘ Quality in use’ 라 구분

• 사용성은 제조단계의 6 가지 카테고리 중 하나로 4 가지 하위 카테고리를 가짐- Understandability : 사용자가 과업 수행을 위해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가 ?- Learnability : 사용자가 배우기에 적합한가 ?- Operability : 사용자가 조작하거나 통제하기 적합한가 ?- attractiveness : 사용자가 매력을 느낄 것인가 ?

• 제품의 세부 컴포넌트에 대한 평가는 9126 을 전체 과정에 대한 평가는 9241-11 을 계승

Folmer, E. & Bosch, J. (2004). Architecting for usability: a survey. The Journal of Systems and Software 70, 61–78.

Page 11: 사용성 평가의 계보

사용성 평가 Method

평가 대상과 방법에 따라 Test, Inspection, Inquiry 로 분류

11

구 분 내 용 종 류

Test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프로토타입 혹은 완성품을 사용하는 과정 / 결과의 평가

-Coaching Method (Nielsen, 1993)-Co-discovery Learning (Nielsen, 1993), (Dumas and Redish 1993)-Performance Measurement (Nielsen, 1993) and (Soken et al 1993)-Question-asking Protocol (Dumas and Redish 1993)-Remote Testing (Hartson et al, 1996)-Retrospective Testing (Nielsen, 1993)-Teaching Method (Vora and Helander 1995)-Thinking Aloud Protocol (Nielsen, 1993)

Inspection 평가에 대한 스페셜리스트 , 전문성이 있는 개발자 및 유저를 활용한 검수 차원 평가

-Heuristic Evaluation (Nielsen, 1994)-Cognitive Walkthrough (Wharton et al 1994) and (Rowley et al 1992)-Feature Inspection (Nielsen, 1994)-Pluralistic Walkthrough (Bias, R., 1994)-Perspective-based Inspection (Zhang et al 1998-2)-Standardsinspection/guideline checklists (Wixon et al,1994)

inquiry 사용자의 선호도 , 요구 ,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를 직 / 간접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방법

*Direct & active-Field Observation (Nielsen, 1993)-Interviews / Focus groups (Nielsen, 1993)-Surveys (Alreck and Settle, 1994)-Logging Actual Use (Nielsen, 1993)-Proactive Field Study (Nielsen, 1993)*Questionnaires-QUIS: Questionnaire for User Interface Satisfaction (Chin,1988)-PUEU: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Davis,1989)-NHE: Nielsen’s heuristic evaluation (Nielsen, 1993)-NAU: Nielsen’s attributes of usability (Nielsen, 1993)-PSSUQ: Post Study System Usability Questionnaire(Lewis, 1992)-CSUQ: Computer System Usability Questionnaire (Lewis,1995)-ASQ: After Scenario Questionnaire (Lewis, 1995)-SUMI: Software Usability Measurement Inventory(HFRG)-MUMMS: Measurement of Usability of Multi Media Software (HFRG)-WAMMI: Website Analysis and Measurement Inventory (HFRG)-EUCSI: End user satisfaction instrument (Doll et al, 1994)

Page 12: 사용성 평가의 계보

12

사용성 평가의 framework

• Problem domain – 사용성에 대한 정의와 측정을 위한 어떤 속성과 항목을 정해서 평가 • Solution domain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패턴 / UI 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통해 이미 검증된 사용성의 보장

Folmer, E. & Bosch, J. (2004). Architecting for usability: a survey. The Journal of Systems and Software 70, 61–78.

Page 13: 사용성 평가의 계보

13

사용성 평가의 framework

• Problem domain – 사용성에 대한 정의와 측정을 위한 어떤 속성과 항목을 정해서 평가 • Solution domain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패턴 / UI 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통해 이미 검증된 사용성의 보장

사용성은 무엇이며 ? 어떤 속성들을 가지고어떤 항목들을 평가할 것인가 ?How do we assess usability?

Page 14: 사용성 평가의 계보

14

사용성 평가의 framework

• Problem domain – 사용성에 대한 정의와 측정을 위한 어떤 속성과 항목을 정해서 평가 • Solution domain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패턴 / UI 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통해 이미 검증된 사용성의 보장

사용성 증진을 위한 사례 , 가이드라인 , tool 을 활용How do we design for usability?

Page 15: 사용성 평가의 계보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