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조조 : 김김김 , 조조조 , 조조조 , 조조조 , 조조조
9

해외 반출 문화재 , 파악조차 안 돼

Jan 18, 2016

Download

Documents

pilis

해외 반출 문화재 , 파악조차 안 돼. 조원 : 김보성 , 구윤모 , 최윤성 , 염승호 , 오건석. 목차. 1. 문화재 빈출 현황 2. 빼앗긴 문화재 사례 1 . 빼앗긴 문화재 사례 2 3. 문화재 환수가 쉽지 않은 이유 4. 문화재를 되찾기 위한 노력 5. 관련 사이트. 문화재 빈출 현황. 1. 빼앗긴 문화재 사례. ◈ 문화재 이름  :   직지심체요절 ( 直指心體要節 )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해외 반출 문화재 ,  파악조차 안 돼

조원 : 김보성 , 구윤모 ,최윤성 , 염승호 , 오건석

Page 2: 해외 반출 문화재 ,  파악조차 안 돼

1. 문화재 빈출 현황 2. 빼앗긴 문화재 사례 1 . 빼앗긴 문화재 사례 2 3. 문화재 환수가 쉽지 않은 이유 4. 문화재를 되찾기 위한 노력 5. 관련 사이트

Page 3: 해외 반출 문화재 ,  파악조차 안 돼
Page 4: 해외 반출 문화재 ,  파악조차 안 돼

◈ 문화재 이름 : 직지심체요절 ( 直指心體要節 ) ◈ 만들어진 시기→ 1377 년 ( 고려 우왕 3) 에 금속활자본으로 간행되었고 .

1378 년에 목판본으로 간행되었습니다 .  ◈ 빼앗긴 나라→ 1886 년 5 월에 " 한불수교통상조약 " 이 조인된 후 . 다음해

정식 국교가 맺어진 프랑스입니다 .  ◈ 빼앗긴 시기→ 프랃스 외무성관리 크고르당이 1896 년부터 1906 년까지

10 년간 총영사겸 서울주재공사로 한국에 체류했는데 ,  외교관으로서 우리나라에 두 차례씩이나 머물면서 고서적을 수집하였습니다 .     그 중에서 가장 뛰어난 수집품은 단연 1377 년에 주조활자로 인쇄된 [ 직지 하권 ] 이었습니다 .

◈ 빼앗긴 나라→ 1886 년 5 월에 " 한불수교통상조약 " 이 조인된 후 . 다음해 정식 국교가 맺어진 프랑스입니다 .

 ◈ 현재 있는 곳→ 현재 프랑스 파리 국립 도서관 동양문헌실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

 ◈ 이 문화재가 지니는 가치직지심체요절은 역대 고승들 간의 문답과 경전은 엮어 학승들이 최고 과정에서 배우던 교재로서세계 최초의 금속 활자본이라고 알려졌던 구텐베르크가 발명한 금속활자보다

73 년이나 앞선 것 이 바로 직지심체요절이 지니는 중요한 문화적인 가치이자 의의입니다 .

Page 5: 해외 반출 문화재 ,  파악조차 안 돼

1866 년에 프랑스 함대가 강화도를 점령한 병인양요가 일어났고 , 프랑스는 의궤를 비롯한 340 여 책의 국가 문서를 약탈해 갔는데 그때 약탈해 간 국가 문서는 아직도 프랑스에 남아있습니다 . 또 프랑스는 외규장각을 불태웠습니다 .

국제법적으로 약탈품을 해당국가에 반환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 자국으로 반환된 것은 미테랑 대통령이 외규장각 도서의 ‘영구 임대’에 대한 일종의 샘플로 준 단 한 권입니다 .

Page 6: 해외 반출 문화재 ,  파악조차 안 돼

정상적인 수집을 통해 문화재가 반출된 경우도 있지만 많은 부분은 약탈을 통해 이루어진 것입니다 . 실제로 우리나라에서는 임진왜란 , 구한말의 열강 침탈기 , 일제강점기 등 자국 내에서 자국의 영향력보다 타국의 영향력이 강했던 시기에 대량의 문화재가 해외로 유출이 된 것으로 조사되고 있습니다 .

그렇긴 하지만 확실하게 강제적 피탈로 확인된 경우는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문화재를 반환 받기는 쉽지 않습니다 .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소장된 외규장각도서는 대표적 약탈 문화재이지만 갖가지 이유로 반환이 안 되고 있습니다 .

Page 7: 해외 반출 문화재 ,  파악조차 안 돼

실제로 해외로 유출된 문화재가 우리나라로 되돌아 왔던 경로는 , ➀ 각 정부 간의 협정 , ➁외국 정부나 민간인들의 기증 외국 경매시장에서의 구입으로 ➂분류할 수 있습니다 .

일본과의 문화재 반환 협정 , 1993 년 한 · 불 정상회담에서의 기증 등이 그 예입니다 . 하지만 정부 간의 반환 협상 등은 정치 논리가 앞서는 경우가 많고 , 경매 시장에서의 구입은 대량의 자금이 소요되기 때문에 어느 하나도 쉽지 않습니다 .

문화재 반출 문제에 관한 국제법으로는 1970 년에 유네스코총회에서 채택된 ‘문화재의 불법 반출입 및 소유권 양도의 금지와 예방수단에 관한 협약’과 1995 년 로마에서 채택된 ‘도난 또는 불법적으로 반출된 문화재 반환에 관한 유니드로 협약’이 있지만 현재까지 이를 통해 순조롭게 반환이 이루어진 경우는 없습니다 .

Page 8: 해외 반출 문화재 ,  파악조차 안 돼

첫째 , 우리 사회에 문화재를 되찾아야 한다는 인식을 심어야 한다 .우리나라 대두분 사람들은 문화재에 대한 정보와 그 가치를 모른다 .숭례문이 불탄 사건처럼 큰 사건이 일어났을 때 제대로 관리하지 않은 문화재청을 탓할 뿐이다 . 우리 사회에 문화재의 의미가 무엇인지 알려주고 문화재를 되찾아야 한다는 인식을 심어야 한다

둘째로 , 외국도 되돌려 주는 것이 낫다는 생각을 갖게 해야 한다 .남의 나라 것을 빼앗아 갖고 있으면서 좋지 않은 소리를 듣는 것보다는 깨끗하게 돌려주는 것이 낫다고 생각하게끔 해야 한다 .

세 번째로 , 역사적 사실을 들어 가며 논리적으로 협의해야 한다 . 예를 들어 프랑스에는 병인양요 때 프랑스가 공정하지 못하게 약탈해 갔으므로돌려주어야 한다고 설득해야 한다 . 각 나라의 예를 들어 가며 따져야 한다 .

마지막으로 , 끈질기게 노력해야 한다 . 국가의 인지도도 높이고 나라의 힘도 워 우리 나라의 영향력을 크게 해야 한다 . 문화재를 소중히 여겨야 한다 . 그리고 우리는 공부를 열심히 해서 우리나라를 알리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

Page 9: 해외 반출 문화재 ,  파악조차 안 돼

http://www.restorekcp.kr/ 관련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