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백백백백 , 701km 백 백백 자자자자자 자자자
16

백두대간 대탐사(등산로훼손)

Aug 10, 2015

Download

Environment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백두대간 대탐사(등산로훼손)

백두대간 , 701km 를 가다

자연생태팀 배제선

Page 2: 백두대간 대탐사(등산로훼손)

• 2004년 12월 30일 백두대간보호에관한시행령 공포• 2005년 9월 9월 지정고시 핵심구역 : 169,950ha 완충구역 : 93,447ha• 2013년 12월 31일

백두대간보호구역 확대지정 면적 : 11,650ha (핵심 9,160/완충 2,470ha)

Page 3: 백두대간 대탐사(등산로훼손)

조 사 배 경 및 목 적 O 배경• 백두대간보호구역 지정 10 년• 보호구역 지정만 되었을 뿐 , 관리주체 부재로 백두대간 현안

과제 10 년 간 제자리• 국 내 SOC 기 반 사 업 의 포 화 상 태 로 재 벌 과 정 부 는 각 종

규제완화와 산지관광특구 등을 시작으로 백두대간 난개발을 계획

O 목적• 기존 백두대간등산로훼손조사보고서 ( 녹색연합 ) 를 기반으로

동일 구간 정밀 조사• 백두대간보호구역 안내판 조사 병행• 본 조사를 통해 백두대간보호구역 관리 실태와 현황 파악• 10 년 전과 비교 보고서 발간

Page 4: 백두대간 대탐사(등산로훼손)

조 사 배 경 및 목 적 O 조사 지역• 백두대간 총 1400km 중 남한 구간 701km • 실측거리 약 1400km

O 조사 기간• 2015 년 9 월 1 일 ~ 10 월 25 일 ( 총 55 일 )

O 조사 내용• 설악산 향로봉 ~ 지리산 천왕봉 구간의 등산로• 전구간 안내판 현황

Page 5: 백두대간 대탐사(등산로훼손)

조 사 배 경 및 목 적O 조사 방법

• 전체 구간을 총 54 일로 나누어 조사

• 200m 에 한 지점씩 등산로의 선 , 면 , 깊이 등의 훼손 상태를 파악하고 수치화 ( 녹색연합 기존 등산로 조사보고서와 동일지점 )

• 총 5 인의 대원으로 구성

• 3 인 1 조로 조사하며 2 인은 부상 및 사고 발생 시 대체 인원으로 전 구간 탐사 동행 .

Page 6: 백두대간 대탐사(등산로훼손)

GPS

스틸줄자

클리노미터 폴자

똑딱이 카메라

Page 7: 백두대간 대탐사(등산로훼손)
Page 8: 백두대간 대탐사(등산로훼손)

O 후원 : 다음 카카오 임직원 O 기관협조 사항 : 출입통제 구간 입산 허용 요청 O 기타 : 언론사 섭외 가능 시 동행 취재 및 1 주일 단위 기획 연재 등 고려O 예산 - 숙소 : 민박 , 마을 회관 등 45 일 - 40,000 원 x45 일 = 1,800,000 원 - 대피소 10 일 x8,000 원 x5 인 = 400,000 원 - 식비 : 5,000 원 x 3 끼 x 55 일 x 5 인 = 4,125,000 원 - 유류비 : 50,000 원 (4 일 )x 10 = 500,000 원 - 차량지원자 식비 : 7,000 원 ( 점심 ) x 45 일 = 315,000 원 - 차량지원자 교통비 : 예 ) 서울 <-> 지원구간 ( 조직 지원 희망 ) - 장비 대여 : ( 사 ) 백두대간숲연구소 - 야장 제작 : 인쇄 및 제본 100,000 원 - 예비비 : 760,000 원

총 8,000,000 원

Page 9: 백두대간 대탐사(등산로훼손)

조 사 배 경 및 목 적 O 세부 조사 구간

일차 구간 km 비고

1 일 향로봉 (1296) - 진부령 향로봉 (1296)- 칠절봉 (1172)- 진부령 (46 번 )* 향로봉 군부대 허가 필요 ( 을지부대 033-4606207)

2 일 진부령 - 마산봉 - 미시령 진부령 - 알프스리조트 - 마산봉 (1052)- 대간령 ( 큰새이령 )- 신선봉 (1204)-상봉 (1244)- 미시령 ( 옛길 / 터널 46+56))

3 일 미시령 - 저항령 - 마등령 미시령 - 황철봉 (1481)- 저항령 - 암봉지대 -1250-1178- 너덜 - 마등령(1327)

4 일 마등령 - 공룡능선 - 중청대피소 마등령 - 공룡능선 - 무너미고개 - 회운각대피소 - 암릉 - 대청봉 (1708)-중청대피소

5 일 중청대피소 - 한계령 중청대피소 - 끝청 (1604)- 서북릉삼거리 - 한계령 (44 번 )

6 일 한계령 - 점봉산 - 단목령 한계령 - 암릉구간 - 십이담계곡갈림길 - 망대암산 (1236)- 점봉산 (1424)-홍포수막터 - 오색삼거리 - 가는골갈림길 - 단목령

7 일 단목령 - 북암령 - 조침령 - 조침령 다음 안부

단목령 - 조침령 ( 옛길 / 터널 /418 번 )- 쇠나드리고개 - 바람불이삼거리 -헬기장 - 고갯길안부

8 일 조침령 다음 안부 - 갈전곡봉 - 구룡령

안부 - 갈전곡봉 (1204)- 구룡령 (56 번 )

9 일 구 룡 령 - 약 수 산 - 응 복 산 - 두로봉

구룡령 - 약수산 (1306)- 마늘봉 (1127)- 응복산 (1360)- 만월봉 (1281)-신배령 (1211)- 두로봉 (1422)

10 일 두로봉 - 동대산 - 진고개 두로봉 - 신선목이 - 차돌백이 - 동대산 (1434)- 진고개 (6/59 번 )

11 일 진고개 - 노인봉 - 소황병산 진고개 - 노인봉 (1338)- 안개자니갈림길 - 소황병산 (1328)

12 일 소황병산 - 대관령 소황병산 -1172- 매봉 (1173)- 동해전망대 - 곤신봉 (1127)- 선자령 (1157)-새봉 (1071)- 통신중계소 - 대관령 (456 번 )

13 일대 14 관령 - 능경봉 - 고루포기산 - 닭목재

대관령 - 능경봉 (1123)- 횡계치 ( 터널 )- 대관령전망대 - 고루포기산 (1238)-왕산제 2 쉼터 - 농장앞문 - 닭목재 (415 번 )

14 일 닭 목 재 - 화 란 봉 - 석 두 봉 - 삽당령

닭목재 - 화란봉 (1069)- 석두봉 (982)-들미재 - 삽당령 (35 번 )

15 일 삽당령 - 백봉령 삽당령 - 두리봉 (1034)- 석병산 (1055)- 고병이재 - 생계령 -45 번철탑 -백복령 (42 번 )

Page 10: 백두대간 대탐사(등산로훼손)

조 사 배 경 및 목 적16 일 백봉령 - 고적대 바로 전 임도 백복령 - 헬기장 - 노속군락 - 원방재 - 상월산 (970)- 이기령 - 갈미봉 (1260)

고적대 바로전 임도

17 일 고적대 - 청옥산 - 두타산 - 댓재 고적대바로전 임도 - 고적대 (1354)- 연칠성령 - 청옥산 (1404)- 박달령 -두타산 (1353)- 통골재 -명주목이 -댓재 ((424)

18 일 댓재 - 덕항산 - 한의령 (건의령 )댓재 - 황장산 (1059)- 큰재 - 환선봉 (1079)- 덕항산 (1071)- 구부시령(1007)- 한내령 -건의령 (412 번연결 )

19 일 한의령 - 피재 - 매봉산 정상 건의령 - 피재 ( 삼수령 )- 매봉산 (1303)

20 일 매봉산 정상 - 금대봉 - 두문동재 - 함백산

매봉산 - 비단봉 (1279)- 금대봉 (1418)- 두문동재 ( 옛길 / 터널 /38 번 )-은대봉 - 중함백 (1505)-함백산 (1573)

21 일 함백산 - 만항재 - 화방재 함백산 (414 번연결 )- 만항재 (414 번 )- 수리봉 (1214)- 화방재 (414 번 /31 번 )

22 일 화방재 - 각화산 줄기 화 방 재 - 장 군 봉 (1568)- 태백산 천제 단 - 부소봉 (1547)- 깃대기봉 -각화산줄기 (1141)

23 일 각화산 줄기 - 구룡산 - 도래기재 각화산줄기 - 신선봉 -곰넘이재 - 고직령 - 구룡산 -도래기재 (88 번 )

24 일 도래기재 - 옥돌봉 - 선달산 - 마구령

도래기재 -옥돌봉 (1242)- 박달령 - 선달산 (1236)- 갈곶산 (966)- 마구령(935 번 )

25 일 마구령 - 고치령 마구령 - 미내치 (831)- 고치령 (931 번연결도로 )

26 일 고치령 - 연화봉 고치령 - 마당치 -늦은맥이고개 - 상월봉 (1394)- 국망봉 (1421)- 비로봉(1440)- 연화봉 (1383)

27 일 연화봉 - 죽령 연화봉 - 제 2 연화봉 -죽령 (5 번 /36 번 / 중앙고속터널 )

28 일 죽령 - 도솔봉 - 저수령 죽령 - 삼형제봉 - 도솔봉 (1316)- 묘적령 - 흙목 (1034)- 시루봉 (1110)-저수령 (927)

29 일 저수령 - 벌재 저수령 - 문복대 ( 운수봉 /1077)-들복재 - 벌재 (59 번 )

30 일 벌재 - 황장산 - 하늘재 벌재 - 황장산 (1077)- 차갓재 - 대미산 (1115)- 부리기재 - 꼭두바위봉(828)- 마골치 - 포암산 (828)- 하늘재 (901 번 /597 번연결도로 )

31 일하늘재 - 주흘산 - 새재 - 조령산 - 이화령

하늘재 - 월항삼봉 (856)- 마패봉 (927)- 새재 ( 조령 /901 번 / 제 3 관문 )-조령산 (1026)- 이화령 (3 번 / 이화령터널 , 이화터널 / 중부내륙 )

32 일 이 화 령 - 백 화 산 - 희양산 - 은티재

이화령 - 조봉 - 황학산 (910)- 백화산 (1064)- 이만봉 (989)- 희양산 (998)-구왕봉 (877)- 은티재

33 일 은티재 - 장성봉 - 불란치재 은티재 - 장성봉 -버리미기재 (922 번 )- 불란치재

34 일 불란치재 - 대야산 - 조항산 - 늘티재

불란치재 -촛대봉 (668)- 대야산 (931)- 고모령 - 조항산 (951)-갓바위재 -청화산 (984)- 늘재 (49 번 /32 번 )

35 일 늘티재 - 밤티재 늘 재 - 밤티재 (997 번 )- 문 장 대 (1054)- 비 로 봉 (1032)- 천 황 봉(1058)- 피앗재 -형제봉 (828)- 갈령 3 거리

Page 11: 백두대간 대탐사(등산로훼손)

조 사 배 경 및 목 적36 일 갈령 3 거리 - 화령재 갈령 3 거리 - 비재 (49 번연결도로 )- 봉황산 (741)- 화령 (25 번 /49 번 )

37 일 화령재 - 지기재 화령 - 윤지미산 (538)- 무지개산갈림길 - 신의터재 ( 어신재 ,25 번 /49번연결도로 )- 지기재 (901 번 )

38 일 지기재 – 큰재 지기재 - 개머리재 (901 번연결도로 )- 백학산 (615)- 개터재 - 회룡재 - 큰재(68 번 )

39 일 큰재 -추풍령 큰재 - 국수봉 (795)- 용문산 (710)- 무죄골산 (474)- 작점고개 - 사기점고개 -금산 (37)-추풍령 ( 경부고속도로 /4 번 / 철도 )

40 일 추풍령 - 궤방령 추풍령 -눌의산 (743)- 장군봉 (606)- 기성산 (657)-궤방령 (906 번 )

41 일 궤방령 - 질매재 궤방령 - 운수봉 (680)- 황악산 (1111)- 바람재 - 여정봉 (1034)- 삼성산(986)-우두령 (질매재 /901 번 )

42 일 질매재 - 부항령 우두령 (질매재 )- 화주봉 (1207)- 삼도봉 (1176)- 박석산 (1175)- 백수리산(1034)- 부항령 (1089 번 / 삼도봉터널 )

43 일 부항령 - 소사재 부항령 - 성황당재 -덕산재 (30 번 )- 대덕산 (1290)-초점산삼도봉 (1250)-소사고개 (1089 번 )

44 일 소사재 - 신풍령 소사재 - 삼봉산 (1254)- 수정봉 -빼재 ( 신풍령 /37 번 )

45 일 신풍령 - 덕유산 삼거리 향적봉( 무주리조트 하산 )

신풍령 - 갈미봉 (1211)- 지봉 (1343)- 백암봉 (1490/덕유산삼거리 )- 중봉 -향적봉 (1614)- 무주리조트 하산

46 일 덕유산 향적봉 삼거리 - 삿갓재 대피소 덕유산향적봉삼거리 - 무룡산 (1492)-삿갓재대피소

47 일 삿갓재 대피소 - 육십령 삿갓재대피소 - 남덕유산 (1507)- 서봉 ( 장수덕유산 )-할미봉 (1026)-육십령(26 번 )

48 일 육십령 - 중고개재 육십령 - 깃대봉 (1015/ 육십령터널 , 중부고속 )- 영취산 (1016)- 백운산(1279)- 중고개재 (37 번연결도로 )

49 일 중고개재 - 복성이재 중고개재 - 중재 - 월경산 (980)- 봉화산 (920)- 복성이재 (751 번 )

50 일 복성이재 - 여원재 복성이재 - 새맥이재 (24 번연결도로 )- 사치재 (88올림픽고속도로 / 지하통로 )- 유치재 (743 번 )- 고남산 (846)- 여원재 (24 번 )

51 일 여원재 - 정령치 여원재 - 수정봉 (805)- 고기리 (737 번 ,60 번 )- 큰고리봉 (1305)- 정령치(737 번 )

52 일 정령치 - 노고단 정령치 - 만복대 (1433)- 작은고리봉 (1248)- 성삼재 (861 번 )- 종석대(1363)- 노고단 (1507)

53 일 노고단 - 세석산장 노고단 -돼지령 - 임걸령 - 노루목 - 삼도봉 (1499)- 화개재 -토끼봉 (1534)-삼각고지 -벽소령 ( 군용도로 )- 칠선봉 (1576)-영시봉 (1692)- 세석대피소

54 일 세석산장 - 천왕봉 세석대피소 -촛대봉 (1704)- 연하봉 (1652)- 천왕봉 (1915)/ 완료 로터리대피소 ( 법계사 )- 중산리로 하산

Page 12: 백두대간 대탐사(등산로훼손)

조 사 배 경 및 목 적 O 사전 진행 _ 참가자 모집

Page 13: 백두대간 대탐사(등산로훼손)

조 사 배 경 및 목 적 O 사전 진행 _ 선발 방식 및 사전 훈련

Page 14: 백두대간 대탐사(등산로훼손)

조 사 배 경 및 목 적 O 1 차 훈련• 도심 장거리 산행 코스 : 불암산 ~ 수락산 ~ 사패산 ~도봉산 ~

북한산 - 무박 2 일로 진행되며 약 45km

O 2 차 훈련• 태백산 화방재 ~ 청옥산 - 비박을 통한 비상 상황 훈련 약 45km

O 3 차 훈련 (3 박 4 일 )• 울진금강송 대경목 조사 - 현장 조사 후 숙소에서 자료 및 보고서 정리 - 도시락을 포함한 식사 준비 등 실제 대간 탐사와 동일하게 프로그램 진행

Page 15: 백두대간 대탐사(등산로훼손)

조 사 배 경 및 목 적

O 조직 협조 요청 내용

• 차량 지원 ( 기존 조사 시 산림청 차량 지원 받음 ) • 국립공원을 제외한 전 구간 차량 지원 필요• 1 일 2 회 차량 지원• 숙소에서 출발 지점 ( 각 국도 , 임도를 통한 연결 도로 ) 과 하산

지점에서 숙소까지 이동• 서울 <-> 차량 인계 지점 교통비 지원

Page 16: 백두대간 대탐사(등산로훼손)

조 사 배 경 및 목 적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