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0 계약제도 혁신을 통한 사회변화유도 권무순 서울시 재무과 계약1팀장
17

계약제도 혁신을 통한 사회변화유도

Jul 12, 2015

Download

Business

Agorà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계약제도 혁신을 통한 사회변화유도

0

계약제도 혁신을 통한

사회변화유도

권무순

서울시 재무과 계약1팀장

Page 2: 계약제도 혁신을 통한 사회변화유도

1

1. 약자기업 제품구매

2. 진입장벽 완화

3. 고용안정 지원

Ⅰ. 계약제도 운영실태

Ⅱ. 추진 방향

Ⅲ. 추진 계획

4. 임금체불 해소

5. 입찰담합 방지

6. 민간위탁 방식 개선 등

목차

Page 3: 계약제도 혁신을 통한 사회변화유도

2

○ 계약의 안정적 이행을 위해 일정수준 이상 수행실적 요구

⇒ 기술력은 있으나 수행실적이 없는 신생기업은 입찰 참여가 제한됨

○ 신규직원 채용시 가산점 부여, 장애인 의무고용제 등 우대제도 운영

⇒ 비정규직에 대한 지원 시책 부재 및 가산점 부족으로 고용효과 미흡

○ 공사분야의 하도급 대금 직불제, 하도급 대금지급 확인시스템 운영

⇒ 원도급과 용역분야는 적용 대상에서 제외

○ 시민감사 옴부즈만 운영, 입찰 담합에 대한 과징금 부과

⇒ 입찰담합 사전 대응능력 및 사후 제재 조치 미흡

○ 중증장애인 · 여성 · 중소기업제품 우선구매 등 지원제도 운영

⇒ 약자기업 제품구매 촉진을 위한 정책적 배려 미흡

Ⅰ. 계약제도 운영실태

제품

구매

진입

장벽

고용

안정

임금

체불

입찰

담합

- 32 -

Page 4: 계약제도 혁신을 통한 사회변화유도

3

약자기업

우대방안

진입장벽

완 화

고용안전

지 원

기회 및

처벌강

Ⅱ. 추진 방향

Page 5: 계약제도 혁신을 통한 사회변화유도

4

가산점확대, 계약 특수조건 제·개정, 입찰참가자격제한 등

약자기업

제 품

구매 촉진

실적가점폐지 · 배점 축소, 실적제한 완화, 유사실적 인정 등진 입 장 벽

완 화

장애인 채용 · 비정규직의정규직화가산점 신설 등고용

안전 지원

Ⅲ. 추진 계획

- 33 -

Page 6: 계약제도 혁신을 통한 사회변화유도

5

원도급과용역분야의체불임금

해소, 하도급 직불율 상향 등

임금체불

해소

사전 대응능력보완 및 사후제재조치 강화입찰담합

방지

가산점부여로 약자기업 수탁

가능성제고, 근로조건개선 등

참여기회

확대

Ⅲ. 추진 계획

Page 7: 계약제도 혁신을 통한 사회변화유도

6

구분 중증장애인 사회적기업 장애인기업 소기업 여성기업 중기업

업체 수 51

564

-예비 404

-인증 160

1,900 651,037 237,172 34,494

<단위:개소>

서울의 중소기업체 현황

※ 중소기업 전체 숫자는 685,531개소(소기업 651,037 + 중기업 34,494)

※ 중증장애인시설 : 장애인이 근로자의 70% 이상이고, 이중 중증장애인이 60% 이상

사회적기업 : 취약계층 일자리 및 사회적 서비스 제공하는 기업

장애인기업 : 장애인이 소유하거나 경영하고, 상시근로자 중 30% 이상이 장애인

소기업 : 제조업. 건설업 등은 상시근로자 50인 미만, 나머지 업종은 10인 미만

여성기업 : 여성이 회사의 대표임원 등기 또는 사업자 등록한 기업

중기업 : 업종별 일정 근로자 및 자본금 이하 기업(제조업 300인, 자본금 80억원)

- 34 -

Page 8: 계약제도 혁신을 통한 사회변화유도

7

□ 약자기업 제품 우선구매

´11년 까지는 약자기업별 구매실적 개별관리 및 구매 우선순위 부재

⇒´12년 부터는 약자기업별 구매실적 총괄관리 및 구매우선순위 감안 목표 부여

1. 약자기업 제품 구매촉진

• 총 구매액 : 4조 6,084억원

• 중소기업 구매액 : 2조 9,727억(64.5%)

- 중증장애인 141억원

- 사회적기업 116억원

- 장애인기업 315억원

• 총 구매액 : 4조 8,900억원

• 중소기업 구매액 : 3조 3,877억원(69.3%)

- 중증장애인 224억원 (158%)

- 사회적기업 500억원 (431%)

- 장애인기업 517억원 (164%)

´11년 구매실적 ´12년 구매계획

약자기업

우선지원

약자기업

우선지원

※ 구매 우선순위

중증장애인 > 사회적 ·장애인기업 > 여성소기업 > 소기업 > 여성기업 > 중 기업 순

Page 9: 계약제도 혁신을 통한 사회변화유도

8

□ 약자기업을 위한 가산점 확대 · 차등화

수의 계약시 약자기업에 대해 우선 구매하지 않았고, 경쟁계약의 가산점은 불충분 하거나 지원 우선순

위를 감안치 않고 동일하게 부여

• 수의계약 : 법령의 범위 내에서 품질 · 가격이 유사하면 약자기업 제품 최우선 구매

• 경쟁계약(협상 · 적격심사 계약) :

약자기업 지원 우선순위 감안하여

가산점 확대 및 차등 부여

• 협상계약과 적격심사계약 중 일반용역기준 등 5종은 市 자체 개정 시행

• 적격심사계약 중 공사, 기술용역 등 5종은행안부, 환경부, 중기청 등과 협의

구분 협상계약 적격심사

중증장애인 - → 2 - → 2

사회적기업 0.6 → 1.2 0.3 → 1

장애인기업 0.6 → 1.2 0.3 → 1

여성기업 0.6 → 1 0.3 → 0.5

< 조치 사항 >

1. 약자기업 제품 구매촉진

- 35 -

Page 10: 계약제도 혁신을 통한 사회변화유도

9

□ 공사·용역 계약 특수조건 제·개정

기술력 · 수행실적 등으로 약자기업이 수행할 수 없는 대규모 공사 · 용역에서

약자기업의 인력 · 자재 등이 우선 활용될 수 있도록 계약 특수조건 제 · 개정

• 계약 특수조건에 설계변경, 자재검수 등

은 규정되어있으나, 하도급시 약자기업

제품과 우선계약 은 규정되지않았음

• 공사계약 특수조건 개정

- 자재 구매 또는 청소 · 경비 등

하도급시 약자기업에 우선 기회 부여

• 개별사업의 특성에 따라 필요시만

특수조건을 붙이고 있음

• 용역계약특수조건 제정

- 용역 에서도 약자기업제품,

인력 우선 사용 규정

1. 약자기업 제품 구매촉진

Page 11: 계약제도 혁신을 통한 사회변화유도

10

□ 약자기업 제품 입찰참가자격 제한대상 확대

약자기업 가산점 제도는 낙찰 자체를 보장하지 못함

⇒ 약자기업 생산제품의 안정적 판로 확보를 위해 입찰참가 자격 제한 필요

• 일자리창출 및 간병 등 사회적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기업과의 지방

계약법령상 수의계약포함 (지방계약법시행령 제25조 개정건의)

※ 중증장애인 생산시설은 수의계약 규정 있음

• 중증장애인시설, 사회적기업의주력제품에대해 5천만원 이하 구매시

이들 기업으로입찰참가자격제한 확대(지방계약법시행령제20조 개정건의)

□ 사회적 기업을 수의계약 대상에 포함

1. 약자기업 제품 구매촉진

- 36 -

Page 12: 계약제도 혁신을 통한 사회변화유도

11

□ 약자기업 경쟁력 강화 및 도덕적 해이 방지

약자기업 제품 구매 확대가 경쟁력 제고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고

동시에 도덕적 해이(Moral Hazard) 방지 방안을 함께 강구 시행

• 제품구매 확대로 인한매출 증가 만으로는 지속적성장, 경쟁력 제고 한계

⇒ 주관부서별 약자기업 제품의 질을 높이고 가격을 낮추는 경쟁력 제고

방안 병행 시행

• 약자기업에 대한 배려확대와 동시에 계약이행 등 검증시스템 운영

⇒ 계약 지연시 지연배상금 부과, 품질 미달시 재검사 실시, 계약 불이행시

부정당업자 제재 시행 등

• 자사 제품 직접 납부 필요시 ⇒직접생산 증명서 제출 의무화

1. 약자기업 제품 구매촉진

Page 13: 계약제도 혁신을 통한 사회변화유도

12

계약의 안정적 이행을 위해 요구한 수행 실적에 대한 기준을 완화함으로써

기술력은 있으나 수행 실적이 없는 신생기업의 입찰 참여 기회를 확대 추진

• 5억미만 일반용역에서 수행실적 가점 폐지(2→0점) 및 배점 축소(15 →5점)

⇒ 향후 성과 토대로 가점 폐지 · 배점 축소 대상과 범위를 확대를 검토하고

행안부에 기술용역 · 공사분야 수행 실적 축소 건의

• 수행실적 제한 완화 : 해당목적물의 1배 → 1/3배 이내

• 실적 인정 확대 : 동일실적 → 유사실적까지 인정

※ 예시 : 업무용빌딩 청소 → 오피스텔, 상가 청소 실적 등

폐지·

축소

실적가점

수행실적

유사실적

2. 진입장벽 완화

- 37 -

Page 14: 계약제도 혁신을 통한 사회변화유도

13

신규인력 채용, 장애인 고용 등에 부분적으로 가산점 제도 시행

⇒ 가산점 대상과 폭을 크게 확대하여 취약계층 고용안정 지원

3. 고용안전 지원

• 협상 계약시 가산점 2점 • 적격 심사 계약시 에도가산 점1점(신설)신 규

채 용

• 협상 계약시 가산점 0.2~0.3

•적격 심사계약시 가산점 0.15~0.3

• 협상 계약 시 가산점 0.6~1.2(확대)

• 적격 심사계약 시 가산점 0.5~1(확대)

장애인

고용

우수기업

-• 협상 계약시 가산점 4점(신설)

• 적격 심사계약 시에도가산점2점(신설)

장애인

채용·

정규직화

※ 고용 이행여부는 신규채용 · 정규직화 확약서, 이행계획서, 고용보험증명서로 확인

Page 15: 계약제도 혁신을 통한 사회변화유도

14

원 도급자의 임금체불과 임금체불 처리 절차 등을 규정한 “체불임금 없는 관급 공사 운영 조례”를

제정하여 임금체불 해소로 근로자 생계 보호

• 공정하도급 및 상생 조례 : 하도급 + 공사에서의 임금 체불 방지

• 체불임금 없는 관급공사운영 조례 : 원 · 하도급 + 공사 · 용역에서의

임금 체불 방지

• 임금지급 사실을 근로자에게 사전 통지 ⇒ 소정기일 지나도 임금 미지급시

„체불임금 신고센터‟에 신고 ⇒ 임금체불 확인시 市에서 계약상대방 아닌

근로자에게 임금 직접 지급 ⇒ 체불 업체에 대해 계약시 감점(5점) 부여

※ 계약체결시 원도급자의 하도급 대금 직접지급 확인서 제출비율 제고

- 하도급 직불율 확대 : ’11년 85% → ’12년 90%

적용

대 상

처 리

절 차

4. 임금체불 해소

- 38 -

Page 16: 계약제도 혁신을 통한 사회변화유도

15

입찰담합 적발 사례는 많지 않으나 입찰 담합의 폐해가 크기 때문에 사전

예방 및 사후제재를 강화하는 입찰담합 대응 대책 마련

• 시민감사관 활동 강화 : 시민감사 옴부즈만 증원(5→7명),

시민참여 옴부즈만 신설(35명)

• 발주공무원의 담합 대응능력 강화 : 설계 · 평가 시 발주공무원이 해야 할 일을

체크리스트 점검

• 담합시 제재 강화 : 손해배상 예정액제 도입(경쟁가격 – 담합가격 or 계약금10%),

담합시 입찰참가자격 제한 강화(1→2년),

시 · 구 · 투자 및 출연기관과의 수의계약 배제

5. 입찰담합 방지

Page 17: 계약제도 혁신을 통한 사회변화유도

16

민간 위탁 시설에 사회적 기업 등의 약자기업 참여기회 확대로 약자기업의 사업영역

확대 추진

기업이익의 사회환원, 동반성장 등 사회공헌 활동을 우대하면서 대기업의 중소

기업 사업영역 침해, 내부거래 등에 대해 불이익 주는 제도 필요성 대두

• 민간위탁 시설의 수탁자 선정시 약자기업 가산점 신설 추진 : 0.25~3점)

• 기업의 사회적책임(CSR) 이행여부를계약제도에반영하는 방안 검토(연구용역), 후 시행여부 확정

6. 민간 위착 방식개선 및 CSR과 계약제 연계 검토

- 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