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위위위 위위 위위위위 World Heritage in Danger 위위위위 2008100576 위위위
27

World Heritage in Danger

Jul 17, 2015

Download

Documents

flyhigh3698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World Heritage in Danger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World Heritage in Danger

국제학과2008100576

정지윤

Page 2: World Heritage in Danger

목차1.세계위험유산이란 ?2.아프리카의 위험유산3.아시아의 위험유산4.아메리카의 위험유산5.유네스코의 노력

Page 3: World Heritage in Danger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이란 ?

세계유산협약에 따라 유네스코가 1972 년부터 선정한 세계유산 중에서 특별히 파괴 위험에 처한 유산을 별도로 선정한 것으로 , 유네스코의 특별한 관리를 받는다 .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은 현재 35점 (2011 년 8 월 ) 이 있다 .

Page 4: World Heritage in Danger

산세계위험유산의 지역적 분포

Page 5: World Heritage in Danger

아프리카의 위험유산현재 위험유산 35 곳 중 16 곳이 아프리카에 존재

대부분이 국립공원이나 자연보호구와 같은 자연유산 지역

내전 , 사회적 불안 , 열악한 재정 등이 원인

Page 6: World Heritage in Danger

카후지 - 비에가 국립공원( 1980 년 등재 /1997 위험유산등록 )

살롱가 국립공원(1984 년 등재 / 1999 년 위험유산등록 )

가람바 국립공원(1980 년 등재 / 1992 년 위험유산등록 )

비룽가 국립공원(1979 년 등재 / 1994년 위험유산등록 )

오카피 야생생물보호구(1996 년 등재 / 1997 년 위험유산등록 )

콩고

Page 7: World Heritage in Danger

콩고민주공화국이 보유하고 있는 유네스코세계자연유산 5 곳은 모두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목록에 올라있다이 자연 유산 5 곳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나라로 꼽히고 있다

Page 8: World Heritage in Danger

1994 년 부족간 다툼으로 시작한 전쟁 이후 난민 수 백 만 명이 콩고민주공화국 동부 지방으로 옮겨가면서 사회적 , 생태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일어났다

Page 9: World Heritage in Danger

탄자니아킬와 키시와니 , 송고 음나라 유적(1981 년 등재 / 2004 년 위험유산등록 )

Page 10: World Heritage in Danger

탄자니아의 동쪽 해안가에 위치한 두 개의 작은 섬에 남아있는 도시의 흔적 . 이곳에 있는 건축물들과 발굴된 유물들은 13 세기부터 16 세기까지 이곳에서 번성했던 아프리카 , 아랍 , 아시아 사이에 이루어진 무역 활동 모습을 잘 보여준다 .

Page 11: World Heritage in Danger

이집트아부 메나 그리스도교 유적(1979 년 등재 / 2001 년 위험유산등록 )

Page 12: World Heritage in Danger

알렉산드리아 출신인 메나 (A.D. 296 년 사망 ) 의 무덤 위에 세워진 초기그리스도교 신성 도시

지역 농업 개발을 위한 토지 개간 사업으로 토지에 수분 함유량이 높아져 건물 기초가 허약해지면서 건물 붕괴로 이어졌다

Page 13: World Heritage in Danger

아시아의 위험유산현재 11 곳 존재

급속한 도시화로 인한 유적지 해체 혹은 유물 훼손 빈번

Page 14: World Heritage in Danger

예멘 자비드 역사도시(1993 년 등재 / 2000 년 위험유산등록 )

Page 15: World Heritage in Danger

13 15∼ 세기 예멘의 수도 .수세기 동안 이슬람 세계와 아랍 지역에서 문화와 정치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40% 가 넘는 도시 가옥이 콘크리트 건물로 대치됐고 , 나머지 건물들도 붕괴될 위기에 처했다 .

Page 16: World Heritage in Danger

파키스탄라호르 성과 샬라마르 정원(1981 년 등재 / 2000 년 위험유산등록 )

Page 17: World Heritage in Danger

정원 분수에 물을 대기 위해 만들어진 물탱크가

파괴되면서 정원을 둘러싼 벽들이 허물어져갔고

이에 파키스탄 정부가 국제 사회에 지원을

요청하였다

Page 18: World Heritage in Danger

아프가니스탄얌의 첨탑과 고고학적 유적

(2002 년 등재 / 2002 년 위험유산등록 )

Page 19: World Heritage in Danger

높이 65m 인 얌의 뾰족탑은 정교한 벽돌문양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꼭대기 부분의 파란 타일 장식이 인상적이다 .

Page 20: World Heritage in Danger

아메리카의 위험유산 남아메리카에 주로 분포

무분별한 열대 우림의 개발이생물의 다양성을 해침

불안한 지질 구조로 인한 지진피해가 잦음

Page 21: World Heritage in Danger

콜롬비아로스 카티오스 국립공원

(1994 년 등재 / 2009 년 위험유산등록 )

Page 22: World Heritage in Danger

페루찬찬 고고 유적지대

(1986 년 등재 / 1986 년 위험유산등록 )

Page 23: World Heritage in Danger

어도비 ( 햇볕에 말린벽돌 ) 와 흙으로 지어진 건조물들은 공기 , 비 등 자연적 요인으로 급속히 침식되었다 .

Page 24: World Heritage in Danger

칠레움베르스똔과 산따 라우라의 초석 작업장(2005 년 등재 / 2005 년 위험유산등록 )

Page 25: World Heritage in Danger

광산업의 발달로 크게 번성하였으나 산업의 쇠퇴 후 유령도시로 변모 하였다빈번한 지진으로 인해 건물 붕괴위험이 크다

Page 26: World Heritage in Danger

유네스코의 노력

정기 보고는 당사국들이 직접 제출하며 , 6년을 주기로 대륙 별로 나누어 준비

대응 모니터링은 정기보고와 별개로 위급한 상황이나 특별히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 실시

재정지원은 당사국들의 의무 분담금과 자발적인 기부금 및 신탁기금으로 구성

세계유산협약 당사국들은 자국 내 세계유산 보존 상태와 보호 활동에 관하여 정기적으로 세계유산위원회에 보고할 의무를 지닌다

Page 27: World Heritage in Danger

참고http://www.unesco.or.kr/heritage/wh/list_danger.asphttp://www.google.comhttp://www.unesco.or.kr/heritage/down/200310_569_No3.pdfhttp://www.unesco.or.kr/heritage/down/200312_571_No5.pdfhttp://www.unesco.or.kr/heritage/down/200311_570_No4.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