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Wi-Fi Direct 기술 파급효과와 시사점 Technology Insights (2010.05) 목차 Executive Summary 1. Wi-Fi Direct 기술 개요 2. 기술 동향 전망 3. 기술 파급효과 4. 시사점 종합기술원
6

Wi-Fi Direct 기술 파급효과와 시사점

Jan 24, 2015

Download

Technology

A-type Company

Wi-Fi Direct 기술 파급효과와 시사점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Wi-Fi Direct 기술 파급효과와 시사점

www.digieco.co.kr

- 0 -

Wi-Fi Direct 기술 파급효과와 시사점

Technology Insights (2010.05)

목차 Executive Summary 1. Wi-Fi Direct 기술 개요 2. 기술 동향 및 전망 3. 기술 파급효과 4. 시사점

종합기술원

Page 2: Wi-Fi Direct 기술 파급효과와 시사점

www.digieco.co.kr

- 1 -

Executive Summary

1. Wi-Fi Direct는 무선 네트워크(Wi-Fi) 단말들이 별도 네트워크 장치 없이 기기간 무선통신만으로 단말 Peer-to-Peer 전송을 구현하는 기술입니다.

2. 친숙한 Wi-Fi 환경과 함께 전송속도 및 커버리지의 장점을

고려하면 Wi-Fi Direct 기능은 블루투스 시장 일부를 대체하면서 급속히 확산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3. 단말기기 통신방식의 변화로 인해 PC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TV로 직접 전송하는 Push2TV와 같은 새로운 단말간 서비스가 출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단말기기간 콘텐츠의 이동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스토리지에 대한

니즈 발생 및 불법 공유/복제로 인한 콘텐츠 보안 이슈 등이 부각될 수 있습니다.

Page 3: Wi-Fi Direct 기술 파급효과와 시사점

www.digieco.co.kr

- 2 -

1. Wi-Fi Direct 기술 개요

Wi-Fi Direct는 무선(Wi-Fi) 단말들이 인터넷 연결 또는 무선 AP (Access Point) 없이도 직접 기기간 통신으로 Peer-to-Peer 전송을 구현하는 기술로 최대 8대까지 동시 연결 지원

- 기존 Wi-Fi 규격의 복잡한 기기간 통신 기능을 단순화하고, 무선 구간 보안을 강화하여, 사용자 편리성을 대폭 개선

- 노트북, 스마트폰, MP3 등 음원/영상을 가진 단말과 TV, 스피커, 프린터 등 재생 단말 사이에서 우선 적용될 것으로 예측

’09.4Q 이후 출시된 Wi-Fi 단말은 최신 규격(IEEE 802.11n)을 채택 하고 있어 칩셋의 S/W 업그레이드로 Wi-Fi Direct 기능 추가 가능

(그림 1) Wi-Fi Direct로 인한 전송방식의 변화

2. 기술 동향 및 전망

인텔, Atheros, Marvell 등 주요 Wi-Fi 칩셋 제조사는 독자적으로 P2P 기능을 이미 Wi-Fi 칩셋에 적용하였고, 현재 표준화를 진행중

- ‘10년 하반기부터 표준화 완료후 호환인증 예정

Wi-Fi Direct 기능을 적용한 상용 제품으로 NetGear사의 Push2TV가 시장에 출시되었으며, 국내 상용제품은 아직까지 부재

- Push2TV는 노트북 등 Wi-Fi 단말로부터 콘텐츠를 받아 TV로 재생 하는 기기로, YouTube 등 인터넷 콘텐츠를 TV에서 직접 재생 가능

- ’10년 하반기경, Wi-Fi Direct 인증 휴대폰 출시 예상

Wi-FI Wi-FI Direct 기능 추가시

AP 경유 접속

블루투스

케이블/블루투스

케이블/ 블루투스

인터넷 인터넷

최대 1:8까지

전송가능

직접 접속 직접 접속

직접 접속

Page 4: Wi-Fi Direct 기술 파급효과와 시사점

www.digieco.co.kr

- 3 -

- 노트북, 스마트폰, 디지털카메라, 프린터, E-Book 단말, 냉장고, 블루레이 플레이어 등 많은 제품들이 이미 Wi-Fi기능을 탑재하였고, 이들은 필요시 바로 Wi-Fi Direct 기능 적용이 가능

<표 1> Wi-Fi Direct 관련 칩셋 및 단말제조사 상용화 계획

제조사 주요 동향

NetGear Wi-Fi Direct 최초 제품인 Push2TV 시연(CES2010)

Apple iPhone과 iPod Touch 등에 Wi-Fi Direct 적용 예정

Intel 독자 기술규격 My WiFi로 P2P 구현 완료(Wi-Fi Direct 호환)

Atheros 독자 기술규격 Direct Connect로 구현 완료(Wi-Fi Direct 호환)

Marvell 가전업체와 제휴, Wi-Fi Direct 로고 부착 마케팅 실시

Broadcom Wi-Fi Direct 칩셋 발표(CES2010) 및 넥서스원에 적용 합의

Ozmo Devices OZMO 1000 초저전력 Wi-Fi PAN SoC 발표

친숙한 Wi-Fi 환경과 전송속도(300Mbps), 커버리지(120m)의 장점을 고려하면 Wi-Fi Direct 기술은 급속히 확산될 것으로 예상

- 최근 스마트폰 확산과 함께 Wi-Fi 무선랜 사용이 급속히 증가

※ ‘09년 Wi-Fi 칩셋 단말 10억대 출하, ‘10년말 누적 50억대 예상 [ABI Research]

- 기기간 통신에 널리 사용되는 블루투스(24Mbps/10m)와 비교, 10배 이상 빠른 속도와 전송 거리를 제공하여 일부 시장 대체 예상

(그림 2) 근거리 무선통신별 전송거리와 속도 비교

Page 5: Wi-Fi Direct 기술 파급효과와 시사점

www.digieco.co.kr

- 4 -

3. 기술 파급효과

Push2TV와 같은 상용제품 출시 등 새로운 서비스 환경 등장 - 멀티미디어 기기를 대상으로 동영상 콘텐츠의 Multi Screen Shift

보편화 예상

- 단말 제조사가 단말 내에 다양한 솔루션을 탑재하여 타 기기와의 협업하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

예) 휴대폰/PC/TV/프린터/카메라/냉장고 등 자사 제품간 상호 인식 및

정보 공유가 가능한 솔루션을 통해 사전에 설정한 상황에 맞추어

다양한 협업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

단말 기기간 대용량 콘텐츠를 직접 전달하고 공유하는 일이 증가 - 콘텐츠 이동이 활발해져 대용량 스토리지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포터블 스토리지 사용 증가 예상

※ 포터블 스토리지 : 휴대가 간편하며 콘텐츠 보관/관리가 용이

- 콘텐츠의 불법 공유와 복제에 따른 콘텐츠 보안 이슈 발생 예상

Wi-Fi Direct 기술의 적용 범위가 확대되어, 홈 네트워크와 M2M 사물 통신으로 확산 - 가전, 조명, 냉난방 기기 등 다양한 홈 디바이스의 상호 네트워크

구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도입이 가능

- 산업용 기기로 확산되어 실시간 영상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Broadband M2M 서비스 출현 예상

(그림 3) Wi-Fi Direct 기술 파급효과

Multi Screen Shift

Smart Home Broadband M2M

Contents Hub

사진, 동영상

이미지

이미지 사진문서,사진

사진S/W

게임 사진

스토리지

Page 6: Wi-Fi Direct 기술 파급효과와 시사점

www.digieco.co.kr

- 5 -

4. 시사점

단말기기간 협업으로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 제공이 가능한 사업기회 존재

- 단말기기 제조사가 사용자 편의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이 가능하고 단말기기 제조사들간 제휴 솔루션 출현도 예상

- 통신업체와 네트워크 연계형 서비스로 확장 가능

대용량 콘텐츠의 보관을 위한 개인용 스토리지에 대한 고객 니즈 발생

- 다양한 기기간의 콘텐츠 관리에 대한 편의성(예. 단말간 Sync)과 보관에 대한 니즈 발생 가능

- 대용량 기기 중심의 스토리지 활용이나 스토리지 가상화를 통한 네트워크 스토리지 활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

다양한 기기간 자유로운 콘텐츠 이동이 가능하므로 콘텐츠 보안 이슈에 대한 대책 필요

- 특정기기(예. 휴대폰 또는 MP3 플레이어 등)에 저장한 콘텐츠를 타 기기에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콘텐츠 저작권 개념 재정립 필요

본 보고서에 대한 문의나 제안 사항이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문의 : KT 종합기술원 기술전략담당 기술분석Task([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