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Pedicel (화병=소): The stalk of a single flower in an inflorescence, or of a grass spikelet ※ 일반적으로 pedicel=pedicle, 목련에 있어서는 틀림. Peduncle (화경): The stalk of a solitar y flower or of an inflorescence peduncle pedicle pedicle peduncle
46

Pedicel (화병=소화경))g ,: The stalk of a single flower in an … · 2010. 4. 13. · • Pedicel (화병=소화경))g ,: The stalk of a single flower in an inflorescence, or

Jan 23, 2021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 • Pedicel (화병=소화경): The stalk of a single flower in an inflorescence, (화병 화경) g ,or of a grass spikelet

    ※ 일반적으로 pedicel=pedicle, 목련에 있어서는 틀림.• Peduncle (화경): The stalk of a solitary flower or of an inflorescencey

    peduncle

    pedicle

    pediclep

    peduncle

  • • 과실(fruit): 성숙된 암술 또는 암술들• 피자식물의 과실은 과피(pericarp) + 종자(seed)로 구성됨• 피자식물의 과실은 과피(pericarp) + 종자(seed)로 구성됨.• 과피는 외과피(epicarp), 중과피(mesocarp), 내과피(endocarp)로

    이루어짐.

    • 진과(true fruit): 암술이 발달하여 과실이 됨.가과(false fruit): 암술 주위의 것이 발달하여 과실이 됨.가과(false fruit): 암술 주위의 것이 발달하여 과실이 됨.

    • 건개과(dehiscent fruit): 과피가 성숙하면 벌어지는 것.건폐과(i d hi t f it) 과피가 성숙해도 벌어지지 않는 것건폐과(indehiscent fruit): 과피가 성숙해도 벌어지지 않는 것.

    • 단과(simple fruit): 한 개의 꽃이 성숙하여 된 열매단과( p ) 한 개의 꽃이 성숙하여 된 열매복과(compound fruit): 둘 또는 그 이상의 꽃이 성숙하여 된

    하나의 열매

  • 과실의 종류1) 진과

    과실의 종류

    A. 건폐과a. 수과(achene): 1실에 1개의 종자가 들어있는 것으로 보통 작고

    과피가 얇으며 날개가 없고 깃털 강모 등이 달림과피가 얇으며 날개가 없고 깃털, 강모 등이 달림.(민들레, 도꼬마리, 도깨비바늘, 서양등골나물)

    b. 시과(samara): 바람에 날리는 날개가 달려있음. (단풍나무, 물푸레나무)

    c. 견과(nut): 과피가 목질이며 보통 1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밤나무 상수리나무)무, 상수리나무)

    ※ 소견과(nutlet): 건폐과로 1개의 종자로 이루어진 작은과실(골무꽃, 산박하)

  • B. 건개과a. 골돌(follicle): 단일 심피(방이 하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1개의a. 골돌(follicle): 단일 심피(방이 하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1개의

    봉선에 따라 벌어지고 1개 또는 여려 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박주가리, 목련, 모란)

    b 협과(l ) 단일 심피(방이 하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2개의b. 협과(legume): 단일 심피(방이 하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2개의봉선에 따라 터진다. (완두콩, 자귀나무, 등나무)

    c. 분리과(loment): 콩꼬투리와 비슷하지만 종자가 들어있는 사이가 매우 잘록하며, 익으면 각각 떨어진다. (도둑놈의 갈고리)

    d 삭과(Capsule): 다심피(여러 개의 방)로 구성되며 2개 이상의 봉d. 삭과(Capsule): 다심피(여러 개의 방)로 구성되며 2개 이상의 봉선에 따라 터진다. (무궁화, 진달래, 회양목, 질경이)

    e. 분열과(schizocarp): 중축 좌우에 달린 열매가 2개로 갈라지는것 각 열매를 분과 라 한다 당귀 당 단풍나무것으로 각 열매를 분과 라고 한다. (당귀, 당근, 단풍나무, 파드득나물)

  • C. 육질과a. 장과(berry): 많은 종자가 육질로 되어있는 내외벽안에 들어있

    다. (포도, 작살나무, 배풍등)b 감과(hysperidium): 내과피에 의하여 과육이 여러 개의 방으b. 감과(hysperidium): 내과피에 의하여 과육이 여러 개의 방으

    로 분리되어 있다. (귤)c. 석류과(balausta): 상하로 된 여러 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으

    며 종피도 육질이다 (석류)d. 핵과(drupe): 내과피는 매우 굳은 핵으로 되어있고 중과피는

    육질이며 외과피는 얇고 보통 1실에 1개의 종자가 들육질이며 외과피는 얇고 보통 1실에 1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복숭아, 벗꽃나무, 대추나무)

  • 2) 가과A. 단화과

    a. 이과(pome): 화탁이 발달하여 육질로 되고 심피는 연골질 또는지질로 되며 다심피이고 다종자이다 (사과 배)지질로 되며 다심피이고 다종자이다. (사과, 배)

    b. 장미과(hip): 화탁이 발달하여 육질로 되고 심피는 각각 떨어져서 소견과로 된다. (덩굴장미, 마가목)

    c. 영과(caryopsis): 포영으로 싸여있고 과피는 막질이며 종피에 붙어있다. (벼과 식물; 기름새)

    d 취과(aggregate fruit): 심피 또는 화탁이 육질로 되고 많은 소견d. 취과(aggregate fruit): 심피 또는 화탁이 육질로 되고 많은 소견과로 구성되어 있다. (딸기, 목련)

    B. 다화과a. 구과(cone, strobile): 솔방울처럼 모인 포린 위에 2개 이상의 소

    견과가 달려있다. (자작나무, 오리나무)b 상과(sorosis): 화피는 육질 또는 목질로 되어 붙어있고 자방은b. 상과(sorosis): 화피는 육질 또는 목질로 되어 붙어있고 자방은

    수과 또는 핵과상으로 되어있다. (뽕나무, 버즘나무)c. 은화과(syconium): 주머니처럼 생긴 육질의 화탁안에 수많은 수

    과가 들어있다. (무화과나무)

  • 연산홍 = 홍철쭉Rhododendron japonicum (A Gray) Suringer fRhododendron japonicum (A. Gray) Suringer f.일본자생 재배종

  • 3. 진달래속 Rhododendron1. 잎은 常綠性이다.잎은 常綠性이다2. 잎과 子房에 鱗毛가 있다.3. 꽃은 1-5개가 傘形으로 달린다, 지름은 1.5이상, 자홍색.4. 꽃은 2-5개가 달리고, 지름은 1.5-2cm ---------------------------------- 1. 황산차4. 꽃은 1(-2)개가 달리고, 지름은 4-5cm -------------------------------- 2. 산진달래

    3. 꽃은 다수가 긴 總狀花序에 달린다, 지름은 1cm정도, 백색 --------------- 3. 꼬리진달래2. 잎과 자방에 인모가 없다.5. 원줄기는 직립 또는 경생. 잎은 3-20cm, 꽃은 담홍색 또는 담황색, 지름은 2.5-4cm.6. 잎 뒷면과 자방에 털이 없다. 꽃은 연황색 ---------------------------- 4. 노랑만병초6. 잎 뒷면과 자방에 털이 있고, 꽃은 담홍색 또는 담황색 --------------------- 5. 만병초

    5. 원줄기는 옆으로 눕는다. 잎은 5-8mm, 꽃은 분홍색, 지름은 1.5cm ------------ 6. 좀참꽃1. 잎은 落葉性이다.7. 어린 가지와 花梗에 粘性이 없다.8. 잎 뒷면에 鱗片이 밀생한다. 꽃은 담적자색 또는 백색 ---------------------- 7. 진달래8. 잎 뒷면에 인편이 없다. 꽃은 백색 또는 적색.9. 잎은 타원형-도란형. 소지에 강모가 있다. 꽃은 백색 ----------------------- 8. 흰참꽃

    잎은 광난형 지에 강 가 없다 꽃은 적색 참꽃나9. 잎은 광난형. 소지에 강모가 없다. 꽃은 적색 --------------------------- 9. 참꽃나무7. 어린 가지와 화경에 점성이 있다.10. 잎은 장타원형-광피침형, 有毛, 광택이 없고, 예두-둔두 -------------------- 10. 산철쭉10. 잎은 도난형, 無毛, 광택이 있고, 원두-미요두 ----------------------------- 11. 철쭉

    1 황산차 R if li Ad 북부 고산지대1. 황산차 R. parvifolium Adams 북부 고산지대2. 산진달래 R. dauricum L. 제주도, 금강산 및 북부지방의 고산지대3. 꼬리진달래 R. micranthum Turcz. 경북‧충북 및 강원도4. 노랑만병초 R. aureum Georgi 중부 이북지방5. 만병초 R. brachycarpum D. Don 지리산‧울릉도‧강원도 및 북부지방6 좀참꽃 R redowskianum Max 백두산지역6. 좀참꽃 R. redowskianum Max. 백두산지역7. 진달래 R. mucronulatum Turcz. 8. 흰참꽃 R. tschonoskii Max. 지리산 및 가야산 산정 바위틈9. 참꽃나무 R. weyrichii Max. 한라산10. 산철쭉 R. yedoense var. poukhanense (Lev.) Nakai 중부이남11 철쭉 R schlippenbachii Max 임지 또는 능선 상의 나출사지11. 철쭉 R. schlippenbachii Max. 임지 또는 능선 상의 나출사지

  • 3. 현호색속 Corydalis1. 多年草. 塊莖 有. 꽃은 자주색 또는 드물게 홍자색.2. 괴경은 1개이다. 꽃은 자주색.3. 鱗片基部에 球形의 附屬物이 있다 ------------------------------------ 1. 선현호색3. 인편기부에 구형의 부속물이 없다.

    4 잎 표면에 백색 점이 많이 있다 ------------------------------------- 2 점현호색4. 잎 표면에 백색 점이 많이 있다 2. 점현호색4. 잎 표면에 백색 점이 없다.5. 갈라진 小葉片은 (도)피침형-(도)난형이다. 6. 小葉은 1-2회 3열 또는 우상열한다. 7. 소엽 가장자리에 거치가 없다. 8. 塊莖 밑에 묵은 괴경이 없다. 소엽은 1-2회 3출복엽으로 갈라지나 마지막은

    중열-심열하고 복엽으로 되지는 않는다. 9 꽃은 백색-연한 자주색이다9. 꽃은 백색 연한 자주색이다.10. 잎은 2회3출엽, 소엽은 다시 심열. 괴경 내부는 황색. 내화판 선단은 분리

    -------------------------------------------------------- 3. 섬현호색10. 잎은 1회3출, 소엽은 전연-심열. 괴경 내부는 흰색, 내화판 선단은 융합

    -------------------------------------------------------- 4. 흰현호색9. 꽃은 청색-자주색이다.11. 첫 측소엽이 대생한다12. 포는 전연.12. 포는 전연.13. 열매는 넓은 선형(18-26mm x 2.8-4mm), 씨는 2열배열 ---------- 5. 왜현호색13. 열매는 선형(11-39mm x 2-3mm), 씨는 거의 1열배열 ----------- 1. 선현호색

    12. 포는 잘게 갈라진다.14. 꽃받침이 없다.15. 外花瓣 基部가 융기, 花瓣가장자리는 원형에 가깝다 --------- 6. 난장이현호색15. 외화판 기부가 융기하지 않고, 화판가장자리는 노루귀모양이다

    16. 열매는 선형이고 씨는 1열로 배열 ----------------------- 7. 조선현호색16. 열매는 선형이고 씨는 1열로 배열 7. 조선현호색16. 열매는 방추형이고 씨는 2열로 배열 ---------------------- 8. 탐라현호색

    14. 꽃받침(도란형, 갈퀴모양 거치)이 있다 -------------------- 9. 갈퀴현호색11. 첫 측소엽이 호생한다 ---------------------------------- 10. 큰괴불주머니

    8. 괴경 밑에 묵은 괴경이 있다. 소엽은 2-3회 3출복엽으로 갈라진다 ---- 11. 좀현호색7. 소엽 가장자리에 잔 거치가 있다 ---------------------------------- 12. 현호색

    6. 소엽은 원형-타원형이고 여러개의 장상으로 중심열한다 ------------- 13. 빗살현호색5. 갈라진 소엽편은 긴 피침형-선형이다.5. 갈라진 소엽편은 긴 피침형 선형이다.16. 小葉은 2회 우상 세열한다 ------------------------------------ 14. 애기현호색16. 소엽은 3개로 갈라진 3출복엽이다 ------------------------------ 15. 댓잎현호색

    2. 괴경은 여러개가 이어져 있다. 꽃은 홍자색 ----------------------------- 16. 들현호색1. 2年草. 괴경 無. 꽃은 황색 또는 드물게 홍자색. 17. 꽃은 홍자색이다 -------------------------------------------- 17. 자주괴불주머니17. 꽃은 황색이다. 18. 줄기에 陵角 有. 잎의 裂片은 거치 무. 距의 끝이 가늘게 좁아진다.줄기에 陵角 有 잎의 裂片은 거치 무 距의 끝이 가늘게 좁아진다

    열매는 원통형의 콩깍지모양이고, 폭발적으로 터진다.19. 아래 외화판 기부가 반구형으로 융기. 열매는 도란형 --------------- 18. 눈괴불주머니19. 아래 외화판 기부가 융기하지 않음. 열매는 선형 ---------------- 19. 가는괴불주머니

    18. 줄기에 능각 무. 잎의 열편은 거치 유. 거의 끝이 둥글게 넓어진다.열매는 염주모양이고, 비틀려 터진다.

    20. 열매는 규칙적인 염주형, 씨는 다소 광택이 있다. 柱頭는 T자형. 21. 外花瓣은 급첨두. 꽃은 흰색에 가까운 노랑색 ---------------------- 20. 괴불주머니外花瓣은 급첨두 꽃은 흰색에 가까운 랑색 괴불주머니21. 외화판은 예두. 꽃은 밝은 노랑색 ------------------------------ 21. 산괴불주머니

    20. 열매는 불규칙적인 염주형, 씨는 광택이 없다. 주두는 V자형.22. 子房은 선형. 열매는 폭이 좁고 씨는 1열 배열. 주두는 반원형 ----- 22. 염주괴불주머니22. 자방은 피침형. 열매는 폭이 넓고 씨는 2열 배열. 주두는 편평형 ----- 23. 갯괴불주머니

  • • Traditionally, four subfamilies recognized

    based on fruit type carpel number andbased on fruit type, carpel number and

    fusion, ovary position and base chromosome

    number.

    • Four Traditional Subfamilies in Rosaceae

    (with their base chromosome numbers):

    조팝나무아과

    장미아과

    Spiraeoideae (spirea subfamily), x=9

    Rosoideae (rose subfamily), x=7

    Amygdaloideae (peach subfamily) x=8앵도나무아과

    Amygdaloideae (peach subfamily), x 8

    Maloideae (apple subfamily), x=17

    B h b Th i f d

    능금아과

    Base chromosome number = The inferred

    ancestral haploid chromosome number of a

    taxon.

  • Ovary position and Insertion

    Insertion: attachment of floral parts.c.f.

    · SUPERIOR OVARY – Ovary situated ABOVE the point of attachment of the perianth and androecium and wholly free from them (stamens may be adnate to

    ll 자방상위Superior ovary

    corolla) 자방상위

    · HYPOGYNOUS FLOWER – a flower with perianth and androecium arising from below the ovary

    Superior ovaryHypogynous flower

    (gynoecium). 자방하생

    · PERIGYNOUS FLOWER (if hypanthium not adnate to ovary) – a flower with perianth and androeciumarising from a floral cup that is NOT adnate to the ovary. Remember – the ovary is still superior! 자방주생

    · INFERIOR OVARY – Ovary is BELOW the point of

    Superior ovaryPerigynous flower

    attachment of the outer flower parts (perianth and androecium). In other words, the outer floral whorls are adnate to the ovary. A hypanthium (floral cup)

    b 자방하위 f h lf fmay or may not be present. 자방하위 (c.f.: half-inferior: 자방중위)

    · EPIGYNOUS FLOWER (if hypanthium adnate to ovary) – a flower with perianth and androecium apparently arising upon the ovary (rather than the receptacle). 자방상생

    Inferior ovaryEpigynous flower

    Inferior ovaryEpigynous flower

  • 25. 벗나무속 Prunus

    1. 꽃은 총상화서에 달린다. 꽃은 백색.2. 잎 표면에 털이 산재하지 않음.3. 잎 뒷면에 선점 밀생. 화서 밑에 잎은 없다. 꽃받침은 조락 -------------- 1. 개벚지나무3. 잎 뒷면에 선점이 밀생하지 않고, 脈腋에만 유모.

    화서 밑에 잎은 있거나 없으며, 꽃받침은 숙존하거나 조락한다.4. 화서 밑에 잎은 없다. 꽃받침은 숙존 ------------------------------- 2. 섬개벚나무4. 화서 밑에 잎은 있다. 꽃받침은 조락 --------------------------------- 3. 귀룽나무

    2. 잎 표면에 털이 산재 -------------------------------------------- 4. 산개벚지나무홍1. 꽃은 엽액 또는 긴 화경에 2-4개 속생한다. 꽃은 홍색-백색.

    5. 과병은 열매에 비해 아주 작다.6. 열매의 지름은 1.5cm이하.7. 꽃은 지름이 2-2.5cm. 꽃받침과 열매는 1-1.5cm(회령, 무산) ---------------- 5. 풀또기7. 꽃은 지름이 1.5-2cm. 꽃받침과 열매는 1cm ------------------------------ 6. 앵도

    6. 열매의 지름은 2cm이상.8. 잎은 난형.

    잎 양면 뒷면 맥상에 유9. 잎 양면 또는 뒷면 맥상에 유모. 10. 잎 양면에 유모. 열매는 황색, 시다 -------------------------------- 7. 매실나무10. 잎 뒷면 맥상에 유모. 열매는 적황색, 떫다 ------------------- 8. 시베리아살구나무

    9. 잎 양면에 무모.11. 수피에 콜크가 고르게 발달. 열매는 2-2.5cm -------------------------- 9. 개살구11. 수피는 발달. 열매는 3cm ------------------------------------------ 10. 살구

    8. 잎은 피침형, 난상 피침형. 12 잎은 피침형 열매는 지름 5 11 복사나무12. 잎은 피침형, 열매는 지름 5cm ----------------------------------- 11. 복사나무12. 잎은 난상 피침형, 열매는 지름 3cm -------------------------------- 12. 산복사

    6. 과병은 열매와 비슷하거나 훨씬 길다. 13. 열매는 크다(2cm 이상) ------------------------------------------- 13. 자두나무13. 열매는 작다(1.2cm이하).14. 교목. 눈은 1개씩 달린다. 꽃잎은 요두.15. 꽃받침은 뒤로 젖혀지고, 꽃잎 끝은 안으로 반전한다 ----------------- 14. 섬벚나무15 꽃받침은 뒤로 젖혀지지 않고 꽃잎은 곧다15. 꽃받침은 뒤로 젖혀지지 않고, 꽃잎은 곧다.16. 화주에 유모 ------------------------------------------------- 15. 왕벚나무16. 화주에 무모.

    17. 화병에 유모.18. 잎 뒷면에 털이 있다가 떨어진다. 꽃잎은 장난형, 1.0-1.1cm.

    19. 화통은 난형. 화병은 8-10mm --------------------------------- 16. 올벚나무19. 화통은 원통형. 화병은 10-15cm ------------------------------ 17. 꽃벚나무

    18 잎 뒷면에 털이 없거나 거의 없다 꽃잎은 타원형 1 7 18 사옥18. 잎 뒷면에 털이 없거나 거의 없다. 꽃잎은 타원형, 1.7cm --------------- 18. 사옥17. 화병에 무모.20. 잎 뒷면은 분백색. 꽃잎은 아원형 ------------------------------ 19. 산벚나무20. 잎 뒷면은 녹색. 꽃잎은 둥글거나 타원형.21. 잎 양면에 무모. 꽃잎은 타원형 --------------------------------- 20. 벚나무21. 잎 양면 맥상에 털. 꽃잎은 아원형 ----------------------------- 21. 개벚나무

    14. 관목. 눈은 3개씩 모여 달린다. 꽃잎은 원두.22 엽병은 2 3 열매는 홍자색 22 이스라지22. 엽병은 2-3mm. 열매는 홍자색 ----------------------------------- 22. 이스라지22. 엽병은 4-6cm. 열매는 홍색 --------------------------------------- 23. 산옥매

  • 살구 Prunus armeniaca var. ansu매실나무 Prunus mume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 Additional assignmentAdditional assignment

    • 벚나무, 매화나무, 살구나무의 특징을 비교하고, 검색표 작성하 , 검색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