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특별기획 깨끗한 수돗물을 즐기기 위해 새롭게 치수( )한다 서울시 수돗물관리시스템 재정비 동아에스앤씨 이충환 편집위원 수돗물 사고, 전국 곳곳에서 발생 지난 5월 30일 인천시 서구의 곳곳에서 ‘붉은 수돗물’이 나오는 일이 발생했다. 이 때문에 구내 초중고는 물론이고 일대의 아 파트에 물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인천시의 집계에 따르면 이 사건으로 26만이 넘는 가구가 피해를 본 것으로 추 정된다. 수돗물 오염 사고는 인천에서 끝나지 않았다.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경기 안산시, 강원 춘천시, 충북 청주시, 경북 포항시 등 전국에서 오염된 수돗물 피해 사례가 접수됐다. 붉은 수돗물 문제는 깨끗한 물을 공급받지 못해 생활에 불편을 겪는데 그치지 않는다.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국가에 대한 국 민의 신뢰에 금이 가는 것이 더 큰 문제다. 일반 시민이 지자체에서 공급하는 수돗물을 믿지 못하는 불신이 쌓여 가는 것이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은 시민의 편안한 삶의 질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shutterstock
5

서울시 수돗물관리시스템 재정비 깨끗한 ... · 수 맵’을 통해 수질 정보를 시민에게 공유한다. 아울러 아리수 품질확인제를 통해 ... 이래,

Jan 12, 2020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 특별기획

    깨끗한�수돗물을�즐기기�위해�새롭게�치수(治水)한다

    서울시�수돗물관리시스템�재정비

    동아에스앤씨�이충환�편집위원

    수돗물�사고,�전국�곳곳에서�발생

    지난�5월�30일�인천시�서구의�곳곳에서�‘붉은�수돗물’이�나오는�일이�발생했다.�이�때문에�구내�초중고는�물론이고�일대의�아

    파트에�물�공급이�제대로�이루어지지�못했다.�인천시의�집계에�따르면�이�사건으로�26만이�넘는�가구가�피해를�본�것으로�추

    정된다.�수돗물�오염�사고는�인천에서�끝나지�않았다.�서울�영등포구�문래동,�경기�안산시,�강원�춘천시,�충북�청주시,�경북

    포항시�등�전국에서�오염된�수돗물�피해�사례가�접수됐다.

    붉은�수돗물�문제는�깨끗한�물을�공급받지�못해�생활에�불편을�겪는데�그치지�않는다.�해당�지방자치단체와�국가에�대한�국

    민의�신뢰에�금이�가는�것이�더�큰�문제다.�일반�시민이�지자체에서�공급하는�수돗물을�믿지�못하는�불신이�쌓여�가는�것이

    깨끗하고�안전한�수돗물은�시민의�편안한�삶의�질을�위한�필수�요소이다.�ⓒshutterstock

    http://arisu.seoul.go.kr/arisu_center/center16/seoulWater/201912/html/index.htmlhttp://arisu.seoul.go.kr/arisu_center/center16/seoulWater/201912/html/index.htmlhttp://arisu.seoul.go.kr/arisu_center/center16/seoulWater/201912/html/sub1.htmlhttp://arisu.seoul.go.kr/arisu_center/center16/seoulWater/201912/html/sub2.htmlhttp://arisu.seoul.go.kr/arisu_center/center16/seoulWater/201912/html/sub3.htmlhttp://arisu.seoul.go.kr/arisu_center/center16/seoulWater/201912/html/sub4.htmlhttp://arisu.seoul.go.kr/arisu_center/center16/seoulWater/201912/html/sub5.htmlhttp://arisu.seoul.go.kr/arisu_center/center16/seoulWater/201912/html/sub6.html

  • 더�큰�일이다.�인천시�서구에서�수돗물이�정상화됐다고�발표했을�때도�적지�않은�시민들이�수돗물의�수질을�의심하는�눈초

    리를�거두지�않는�걸�보면�사태의�심각성을�인지할�수�있다.

    서울시�문래동에서�오염된�수돗물�문제가�발생한�원인은�인천시�서구의�사례와�조금�다르다.�지난�6월�19일과�20일�문래동

    의�한�초등학교와�일대�아파트에서�붉은�수돗물에�대한�민원이�들어왔는데,�이는�노후�배관과�관말�지역(배수관�끝부분)의

    퇴적물이�수질�변동을�유발한�것으로�추정됐다.�반면�인천시�서구에서는�무리한�수계�전환(정수장에서�가정까지�물을�공급

    하는�관로를�변경하는�작업)이�붉은�수돗물의�직접적�원인으로�지적됐다.

    오염된�수돗물�사태에는�일부�상수관의�노후,�상수관의�관리�등의�문제가�깔려�있다.�노후�상수관은�수질�저하�가능성뿐만�아

    니라�파열�사고�가능성도�안고�있다.�실제로�최근�노후�상수관의�파열�사고가�잇따르고�있다.�지난�5월�24일�대구와�서울에

    서,�지난�6월�17일�대전에서,�지난�9월�13일�경기�안양시에서�노후�상수관이�파열됐다.

    대책1�-�노후수도관�정비부터�수질�민원�빅데이터�분석까지

    이제�깨끗하고�안전한�수돗물을�위해�무엇을�해야�할지�고민할�때다.�먼저�관리�기관들이�지역별로�수도관망을�조사해�수도

    관�현황을�제대로�파악해야�한다.�그래야�교체�시기에�제대로�조치를�취할�수�있기�때문이다.�전문가들은�수도관을�국가의

    ‘자산’으로�보고�관리할�필요가�있다고�지적한다.�물론�지난해�정부는�역대�최초로�‘물관리기본법’을�제정한�뒤�환경부를�중심

    으로�통합�물관리에�나섰지만,�사실상�통합�물관리는�올해부터�시작됐다.�지난�3월�22일�‘물의�날’을�맞아�정부는�올해�노후

    상수도�정비에�2,252억�원을�지원하고�20년�이상�노후된�중대형�수도관을�조기에�정비하는�사업도�추진하겠다고�밝혔다.

    상수도�기반�시설의�노후화�현황을�파악해�나가면서�관련�전문인력도�양성해야�한다.�상수도�관리�인력을�보강하고�전문성

    을�확보할�필요가�있다는�뜻이다.�사실�그동안�상수도�관리�인력은�예산�등의�이유로�계속�감소해�왔으며,�인력의�전문성을

    서울물연구원은�수돗물�사태의�원인을�파악하고�신속히�대응하기�위해�현장에서�수질검사를�진

    행했다.�ⓒshutterstock

  • 강화하기�위한�노력도�다소�부족했다.

    물론�서울시를�비롯한�지자체는�수돗물의�품질을�높이기�위해�노력해�왔다.�특히�서울의�수돗물�‘아리수’는�2016년�생산·공

    급�과정�전체�및�병물�생산�시설에�대해�국제표준기구(ISO)의�식품안전경영시스템인�ISO22000�인증을�획득했다.�아리수가

    안전한�‘식품’으로�국제적인�인정을�받았다는�뜻이다.�다만�일부�노후�수도관의�유지·관리에서�문제점이�드러났다.

    이번에�문제가�된�영등포구�문래동의�경우�1.75�km�길이의�노후관을�올해�말까지�교체하기로�했다.�그런데�사실�서울시에

    서는�그동안�노후�수도관�교체를�진행해�왔다.�정수장에서�깨끗하고�안전한�수돗물을�생산해�공급하는�과정에서�노후된�상

    수도관에�의해�수질이�떨어지고�누수로�인해�유수율이�낮아지는�것을�막기�위한�조치다.�서울시는�1만�3,571�km�길이의�배

    관을�정비�대상으로�선정해�그중�1만�3,396�km�길이의�수도관을�교체했고(2018년�말�기준.�재개발,�재건축�및�소화전,�퇴

    수변�연결관로�37�km�제외),�나머지�138�km도�연차적으로�정비를�완료할�예정이다.

    서울시�상수도사업본부는�소블록�단위의�배수관�물세척도�2012년부터�진행해�왔다.�8년간�2,037개의�소블록에�설치된�배

    수관(직경�80~350�mm)�7,766�km에�대해�물세척을�하는�사업인데,�올해는�469개소의�배수관에�대해�물세척을�실시해왔

    다.�수도관�내부에�낀�물때를�제거하는�물세척은�곳에�따라�일반�물세척과�공기주입�물세척을�한다.�현재�일률적으로�5년에

    한�번씩�소블록�물세척을�하고�있으나,�앞으로는�취약�정도에�따라�세척주기를�단축해서�진행할�계획이다.

    또한�수질관리시스템을�재구축하고,�빅데이터를�활용해�수질�취약지점을�집중적으로�관리하려는�것도�서울시�수질관리�개

    선대책�중�하나다.�취약관로,�배수지�유입부�등에�측정기를�추가로�설치해�수질�자동측정�지점을�확대하고,�서울�전역의�208

    개소에서�실시간으로�자동�측정된�수질�정보를�바탕으로�수질을�감시하고�관리하는�수질관리시스템을�운영하는�한편,�‘아리

    수�맵’을�통해�수질�정보를�시민에게�공유한다.�아울러�아리수�품질확인제를�통해�나온�수질검사�결과,�각종�수질�민원�등을

    분석해�노후배관�교체,�관로�세척�등에�활용하고,�포털,�카페,�SNS�등의�수질�민원�관련�빅데이터를�분석해�선제적�대응�방안

    을�강구하고�있다.

    서울시는�물세척,�수질관리시스템�운영,�우리집�수돗물�검사,�노후�공용급수관�교체�지원�등�깨끗

    한�상수도를�위한�다양한�정책을�펼치고�있다.�ⓒ�서울시

  • 대책2��상수도�전문인력�양성�방안�마련

    상수도�관리에서�전문인력�양성�방안도�중요하다.�국외의�다양한�상수도�인력�양성�사례를�벤치마킹하는�것도�필요하다.�네

    덜란드와�미국은�산학연이�함께하는�거대�산업연구단지(클러스터)를�조성하고�수돗물�전문인력�양성�프로그램을�운영하고

    있다.�네덜란드는�유럽�전역의�대학,�연구소�기업과�교류하는�물산업�클러스터�‘워터캠퍼스�레이우아르던’을�2003년�조성한

    이래,�기술개발�연구와�전문인력�양성을�하고�있다.�미국의�경우�2013년�민간�주도로�밀워키에�설립된�‘글로벌�워터센터’가

    대표적인�물산업�클러스터다.�물산업을�중심으로�각종�공학,�IT,�환경·보건�등�다학제간�산학협력을�주도한다는�것이�이곳의

    특징이다.

    싱가포르와�일본은�실무�기반의�전문역량�연수를�강화하는�흐름이다.�싱가포르는�2016년�자국�수자원공사�산하에�‘싱가포

    르�워터�아카데미’를�개설했는데,�이곳은�수돗물�각�영역별로�세분화된�커리큘럼을�갖추고�있어�국내외�실무자들을�위한�전

    문�연수기관으로�자리�잡았다.�우리나라�지자체�상수도�인력이�해외연수로�자주�가는�곳이다.�일본은�상수도�공무원을�대상

    으로�직급과�연차에�맞게�체계적이고�전문적인�연수�프로그램을�운영한다.�직급별�맞춤형�연수체계는�일본수도협회에서�마

    련했다.

    물론�서울시에서도�상수도�현장�전문인력에�대한�지속적인�양성�강화�방안을�추진하고�있다.�상수도�직무교육을�통해�전문

    성을�높이고,�체계적�직무교육(S-OJT)을�진행해�왔다.�올해부터�직무교육�필수과목(상수도�일반,�수도요금�부과징수�실무,

    상수도�공사설계�및�관리�실무,�상수도�기전설비�현장�실무)도�지정해�시범�운영하고�있다.

    신규로�추진되는�교육방안도�있다.�올해�탐지,�순찰�및�기전�분야에서�현장업무�기술의�전수를�새롭게�추진한다.�즉�퇴직(예

    정)�직원의�노하우를�전수하기�위한�‘업무�노트’�작성을�지원하고,�사업소별,�분야별�우수사례를�공유하는�워크숍을�개최하

    며,�교대직원(예를�들어�제어실�근무직원)을�대상으로�찾아가는�교육(중점업무�전문화�교육)을�실시한다.�2020년에는�수계

    관리�전문성�교육을�신설한다.�현장,�퇴직,�전문업체�직원으로�강사를�구성하고�동영상�및�현장�강의�준비를�지원한다.�또한

    상수도�전문직류�운영,�안정적인�현장근무인력�확보,�수당�현실화,�전문직위제(전문관)�운영�강화�등�인력운영�효율화�방안

    도�추진할�계획이다.

    상수도�전문인력을�양성하기�위한�다각도의�정책이�추진된다.�ⓒ�shutterstock

  • 옛말처럼�요산요수(樂山樂水)를�하려면�치산치수(治山治水)가�필수라고�할�수�있다.�우리�모두가�물을�즐기려면�또�다른�의

    미의�치수(治水)가�필요한�시기다.�치수를�위한�서울시의�노력이�결실로�이어지길�기대한다.

    참고문헌

    목�록 PDF�다운

    메인화면

    서울특별시�상수도사업본부(2019),�“문래동�수질사고�백서”,�https://arisu.seoul.go.kr�1.

    워터저널(2019),�“[전문가토론]�붉은�수돗물�사태�해결�방안”,http://www.waterjournal.co.kr/news/articleView.html?

    idxno=46224�(2019-10-20�방문)

    2.

    한국일보(2019),�“[기획특집]�인천�‘붉은�수돗물�사태’”,�https://www.hankookilbo.com/Special/Issue/List/1234�(2019-10-

    20�방문)

    3.

    http://arisu.seoul.go.kr/arisu_center/center16/seoulWater/201912/html/sub2.htmlhttp://arisu.seoul.go.kr/arisu_center/center16/seoulWater/201912/html/pdf/sub1-1.pdffile://192.168.0.20/eniasoft/[06]%20%EB%94%94%EC%9E%90%EC%9D%B8%ED%8C%80/%EB%94%94%EC%9E%90%EC%9D%B8%EA%B4%80%EB%A0%A8%ED%8C%8C%EC%9D%BC/%EC%84%9C%EC%9A%B8%EC%83%81%EC%88%98%EB%8F%84%EC%82%AC%EC%97%85%EB%B3%B8%EB%B6%80%20-%202019%EB%85%84%20%EC%83%81%EC%88%98%EB%8F%84%20%ED%99%88%ED%8E%98%EC%9D%B4%EC%A7%80%20%EA%B8%B0%EB%8A%A5%EA%B0%95%ED%99%94%20%EB%B0%8F%20%EC%9C%A0%EC%A7%80%EA%B4%80%EB%A6%AC%EC%9A%A9%EC%97%AD/%EC%84%9C%EC%9A%B8%EC%9B%8C%ED%84%B0/%EC%84%9C%EC%9A%B8%EC%9B%8C%ED%84%B0%2012%ED%98%B8/html%20-%20pdf/index.htmlhttps://arisu.seoul.go.kr/http://www.waterjournal.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224.https://www.hankookilbo.com/Special/Issue/List/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