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도시기본구상 부문별 장기발전구상
47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Jun 18, 2020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도시기본구상

부문별 장기발전구상

Page 2: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Page 3: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남부 생동감 넘치는 도시 오산”으로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는

수단으로 아름다운 녹색도시, 활력 있는 경제도시, 살기 좋은 문화・복지도시로의 세부목표

설정

나. 계획의 목표

아름다운 녹색도시 조성

◦ 대중교통중심의 녹색교통도시 조성

◦ 탄소저감을 위한 친환경 도시기반 조성

◦ 시민들의 녹색생활화 실천을 통해 삶의 질 향상

Page 4: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64

활력이 넘치는 경제도시 조성

◦ 자급자족 도시구현을 위한 경쟁력 있는 산업기반 확충

◦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으로 경제 활성화 도모

◦ 다양한 일자리 창출 및 노동여건 개선으로 활기찬 지역경제 육성

◦ 지역특성에 부합하는 도시재생사업으로 지역활성화 유도

살기 좋은 교육문화․복지도시 조성

◦ 혁신교육도시 조성을 위한 교육사업 추진

◦ 문화예술 인프라를 구축하여 시민의 문화욕구 충족

◦ 건강하고 행복한 가족문화 조성으로 건강가정 구현 및 가족복지 증진

◦ 재해 및 범죄에 안전한 도시체계 구축

다. 추진전략

개발목표 추진전략 세부추진전략

아름다운�녹색도시

•대중교통중심의�녹색교통도시�조성 •녹색교통수단�적극�도입•대중교통� 연계시스템� 확충과� 환승센터�조성으로� 대중교통�이용�활성화

•자전거이용활성화�방안�도입

•탄소저감을�위한�도시기반�조성 •신․재생에너지�적극적인�활용•탄소흡수원�조성방안�모색•친환경�주거환경�조성

•녹색생활화를�통해�삶의� 질� 향상 •에너지절약,� 재활용� 등� 녹색생활화� 실천을� 위한� 교육� 시행

•보행중심의�자연� 친화적�트레킹�코스�조성

활력있는�경제도시

•자급자족�도시구현을�위한�사업기반�구축 •뷰티-코스메틱밸리�화장품산업�특구지정•한류문화�산업기반�조성

•기업하기�좋은� 환경�조성 •기업이�원하는�맞춤형�지원서비스�사업�추진•협의체�구성을�통한�노사�간�긴밀한�협력체계�구축

•다양한�일자리�창출�및�노동여건�개선 •청년층�일자리�창출�등�일자리센터�확대� 운영•근로자�종합복지관�운영� 활성화

•지역특성에� 부합하는� 도시재생사업으로�지역활성화�유도

•커뮤니티�기반의�주거환경�정비•신시가지와�기존시가지의�기능적�연계성�강화

살기좋은�교육문화·복지도시

•혁신교육도시�조성을�위한�교육사업�추진 •혁신교육�추진을�위한�인프라�구축•수요자�중심의�맞춤형�평생교육�운영

•문화예술�인프라�구축 •ART센터�건립�및�문화재단�설립•광역�문화․역사․관광벨트�인프라�구축

•건강가정�구현� 및� 가족복지�증진 •보육�서비스의�질�향상�및�지원�강화•한부모가정,� 다문화가정의� 안정적� 생활지원� 프로그램�강화

•재해�및�범죄에�안전한�도시체계�구축 •풍수해위험지구에�대한�재해저감대책�수립•환경설계를�통한�범죄예방�강화

<표3-1> 개발목표에 따른 추진전략

Page 5: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65

2. 도시지표

가. 인구지표

계획인구 설정

◦ 목표연도 2020년 계획인구 설정은 조성법에 의한 자연적 증가와 대규모 택지개발사업 및

기타 개발사업에 의한 사회적 증가 방식 등을 종합하여 계획단계별로 적정 인구지표를 설정

◦ 상기방식에 의한 2020년 계획인구는 302,000인 임

(단위� :� 인,�%)

구 분 2010년 2015년 2020년 비 고

계획인구지표 186,829 254,600 302,000

연평균증가율 - 6.4 3.5

<표3-2> 목표연도 계획인구 지표

(단위� :� 인)

구 분 2010년 2015년 2020년 비 고

계획인구지표

(당초)210,000 260,000 270,000

계획인구지표 186,829 254,600 302,000

증가분 - 67,800 115,200

자연적�증가 - 9,700 17,000

사회적�증가 - 58,100 98,200

<표3-3> 목표연도 계획인구 총괄표

가구 계획

◦ 2010년 70,714가구(세대)로 세대당 가구원수는 2.6인이며, 저출산 및 1-2인가구의 지속적

인 증가가 예상되므로 4단계(2016~2020)는 세대당 가구원수 2.5인 규모로 전망되며, 가

구수는 120.8천호로 예상됨

구 분 2010년 2015년 2020년 비 고

세대당�가구원수(인/세대) 2.6 2.6 2.5

총인구(인) 186,829 254,600 302,000

계획가구(세대)(천호) 70.7 97.9 120.8

<표3-4> 가구 계획

Page 6: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66

인구구조 전망

◦ 오산시의 2010년 인구구조는 14세 이하 인구가 20.6%, 15세~64세 인구가 73.4%, 그리고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6.0%로 나타남

◦ 목표년도 연령별 인구구조는 65세 고령화인구는 6.0%에서 8.4%로 증가하고, 14세 이하

인구는 20.6%에서 17.3%로 감소할 전망

(단위� :� 인)

구 분 2010년 2015년 2020년 비 고

총인구인구(인) 182,516 189,901 195,176

구성비(%) 100.0 100.0 100.0

14세�이하

(A)

인구(인) 37,618 36,432 33,786

구성비(%) 20.6 19.2 17.3

15~64세

(B)

인구(인) 133,869 140,446 144,949

구성비(%) 73.4 74.0 74.3

65세�이상

(C)

인구(인) 11,029 13,025 16,438

구성비(%) 6.0 6.9 8.4

부양률 % 36.3 35.2 34.6

주� :� 1)� 외국인�제외

� � � � 2)� 부양률� =� (A+C)/B

<표3-5> 인구구조 전망

1인가구 전망

◦ 혼인연령이 높아지고 미혼상태로 부모세대로부터 독립하는 청년층 증가로 1인가구가 증가

◦ 장년층 1인가구의 증가는 부담능력이 높아 주택수요 증가가 예상됨

◦ 1인가구가 선호하는 주택은 소형주택으로 아파트, 다가구용 단독주택이며, 선호하는 주택규

모는 33~98㎡(30평이하)임

◦ 1인가구는 상업시설, 공공시설, 공원 및 녹지, 주차의 주거환경 항목에서 낮은 만족도를 보

이며 주거환경 요인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도록 친환경성, 쾌적성, 생활편의성 등의 세

부 항목을 고려한 공급이 이루어져야 함

Page 7: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67

나. 도시경제지표

경제지표산정

◦ 목표연도 지역총생산 1인당총생산의 지표는「경기 2020년 비전과 전략」의 지표를 적용하

여 산정

- 2020년 지역총생산 : 558조원(1인당 지역총생산 : 38.5백만원)

◦ 2020년 오산시 지역총생산액은 약 7조 3천억원, 1인당 총생산액은 2천4백만원으로 계획

◦ 오산시의 실업률은 가장2일반산업단지 등 주요사업의 진행으로 점차 개선될 것으로 예상됨

에 따라 경제활동인구도 목표연도에 약 143천명으로 전망

◦ 취업인구는 2010년 기준 경기도 취업률 96.8%, 오산시는 98%로 다소 높고 오산시의 개

발로 인해 점차 증가하여 취업률이 다소 증가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내외 경제여건이 좋

지 않아 취업률 96.8%로 유지하여 2020년 취업인구는 138.4천명으로 전망

구 분 단위 2010 2015 2020

계획인구 인 186,829� 254,600 302,000�

지역총생산 조 2.7� 4.7 7.3�

1인당�총생산 백만원 14.6� 18.8 24.2�

경제활동가능인구 인 143,000� 199,000 240,000�

경제활동참가율 % 59.6� 59.6 59.6�

경제활동인구 인 83,440 118,604 143,040�

고용률 % 59.0% 60.3% 61.7%

취업률 % 96.8� 96.8� 96.8�

실업률 % 3.2� 3.2� 3.2�

취업인구(천인) 천인 80.7 114,8 138.4�

1차산업천인 2.9 4.1� 5.0�

% 3.6% 3.6% 3.6%

2차산업천인 31.7 41.1 44.9�

% 39.2% 35.8% 32.4%

3차산업천인 46.2� 69.5 88.7�

% 57.2% 60.6% 64.0%

주� :� 1)� 고용률은� 「경기도종합계획(2012~2020)」에�근거하여�작성

� � � � 2)� 산업별�취업자는�최근� 5년간�자료사용

<표3-6> 오산시 경제지표

Page 8: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68

다. 생활환경지표

◦ 생활환경지표는 도시민의 생활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오산시의 여건변화와 상위계획 및

도시기본계획의 수립지침상 제시된 내용을 고려하여 지표 설정

◦ 생활환경지표는 크게 1차적 기본요소인 생활환경지표와 2차적 필요요소인 복지환경지표, 3

차적 선택요소인 여가환경지표로 세분

구 분 세 분 내 용

생활환경주택,� 상하수도,� 에너지,� 교통,� 정보통신,� 대기질,� 수질,�

폐기물처리,� 환경�등에�관한�지표

복지환경 의료시설,�교육문화시설,� 사회복지시설�등에�관한�지표

여가환경 체육시설,� 공원,� 녹지,� 유원지에�관한�지표

<표3-7> 도시생활환경지표의 세분

구 분 단위 2010년 2015년 2020년 비고

인구

․가구

계획인구 인 186,829� 254,600 302,000�

가구(세대)수 세대 70,714 97,900 120,800

세대당�가구원수 인/세대 2.6 2.6 2.5

주�택주택보급률 % 95.0 110.0 115.0

주택수 천호 67 107 139

교통목적통행 통행/일 347,409 473,187 462,647

수단통행 통행/일 383,020 539,139 526,477

통�신 우체국 개소 5 7 9

․하수도

상수도�보급률 % 99.6 100.0 100.0

1인1일�급수량 485 486 483

하수도�보급률 % 96.1 97.1 100.0

하수처리장 개소 3 3 3

폐기물1인1일발생량 kg/일·인 0.87 0.86 0.84

총�발생량 통/일 139.0 218.9 253.7

주� :� 주택보급률� =� 주택수� ÷� 가구수� ×� 100

<표3-8> 생활환경지표 설정

Page 9: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69

구 분 단위 2010년 2015년 2020년 비고

의�료

종합병원 개소 2 2 3

보건소 개소 1 2 3

의사수 인 272 509 755

병상수 상/만인 89 95 100

교�육

초등학교 개소 21 24 30

중학교 개소 9 13 18

고등학교 개소 7 11 15

사회1)

복지

노인복지시설 개소 8 11 12

아동복지시설 개소 7 11 12

청소년복지시설 개소 5 10 10

장애인복지시설 개소 9 10 11

지역복지시설 개소 7 8 8

주� :� 1)� 사회복지시설은�제2기�지역사회복지계획(2011~2014년,� 오산시)� 자료� 반영

2)� 당초계획중�사회복지시설에서�청소년복지시설에�대한�지표는�없음

<표3-9> 복지환경지표

구 분 단위 2010년 2015년 2020년 비고

체육

종합운동장 개소 1 1 1

실내체육관 개소 2 2 2

문화

도서관 개소 4 5 6

박물관 개소 1 1 1

시민회관 개소 1 1 1

여성회관 개소 1 1 1

공원·녹지

1인당�공원면적 /인 21.8 15.9 13.4

유원지 개소 1 1 1

<표3-10> 여가환경지표

Page 10: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70

도시기본구상

1. 도시기본구상

가. 기본방향

기본방향

◦ 21세기 세계화 및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지식기반사회를 준비하고, 시대적・사회적 상황

변화에 대비하는 공간구조 개편

◦ 제4차 국토계획수정계획 및 제3차수도권정비계획 등 상위계획과 연계성을 강화하는 공간구

조 개편

◦ 기존도심의 활성화를 유도하면서 도시전체의 공간구조를 다핵화하는 중심지체계를 설정하여

오산시 전체의 균형적 발전 도모

◦ 보전축을 녹지축, 수변축 등으로 분류하고 적극적인 환경보전 및 네트워크체계 전략을 수립

하여 환경친화적인 공간구조를 설정

대안의 전제

◦ 도시기본구상은 계획을 구체화 하지 않고 종합적인 골격을 수립하는 것으로서 오산시의 장

래 발전방향과 부합하여야 함

◦ 오산시 내부 순환도로 체계와 주변 시와의 연결을 위한 지역간 연결교통망을 계획

◦ 각 지역별 특성에 맞는 기능을 부여하고, 이용권 구분에 의한 시설을 입지토록 계획

대안결정

◦ 공간구조 대안의 평가는 대안 자체가 지닌 장・단점에 대한 평가와 함께 오산시가 향후 갖

추어야 할 도시공간구조 형태와의 적합성 및 지속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평가

◦ 계획의 합리성, 경제적 타당성, 지속가능한 환경친화성 등에 관한 분야에 대한 평가를 통해

대안을 선정

- 도시미래상과 도시발전방향을 수용할 수 있도록 도시공간구조를 1도심 2지역중심으

로 구상하여 특성에 맞는 기능부여

Page 11: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71

나. 기본구상

1) 기정 도시기본계획 공간구조 검토

◦ 기존 도심을 중심으로 한 1도심 2지역의 집중형 중심지 체계구상으로 지속적이고 미래지향

적인 도시개발과 균형적인 발전에 미흡

◦ 오산시 북부지역에만 보전녹지축을 설정하여 향후 시가화예정용지의 개발시 주변지역과의

도시연담화 등 공간구조상의 문제점 발생하여 동서측 행정구역 경계부에 외부녹지축 설정

필요

2) 공간구조

◦ 미래지향적인 도시구조의 개편과 주변도시와의 관계를 고려한 공간구조 창출

◦ 주변지역의 여건변화를 고려하고 장래의 토지이용 방향에 부응하는 도시발전축을 형성

◦ 도시미래상과 도시발전 방향을 수용할 수 있도록 기능부여 및 공간구조 구상

◦ 지역간, 기능간 동적 네크워크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며 각 생활권별 특성을 부여하여 공간

의 활용을 다양할 수 있도록 구상

◦ 오산재정비촉진지구 지구지정해제에 따른 기존도심활성화 전략 추진

3) 토지이용

◦ 기존 구시가지는 보전·정비·관리를 병행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주거환경관리사업』 방

식으로 전환

◦ 생활권별 특성에 맞는 기능 및 도시공간구조를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합리적 토지이용계

획 수립

◦ 지역별 토지이용 특성화를 도모하여 균형발전 유도

◦ 쾌적한 생활환경조성 및 지속가능한 토지이용을 위해 세교3지구 지구지정해제지역의 지속

적인 관리 및 계획기조 유지

가) 교통물류

◦ 원활한 도시기능유지를 위한 교통체계의 구축

- 도심지역의 단절된 가로망을 연결하여 기능 활성화를 도모

Page 12: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72

- 도시내 가로망의 체계적인 기능개편을 통한 효율성 증진

- 동탄2지구 ~ 오산역의 신교통수단 적극 도입

- 도시내를 통과하는 지역간 교통의 우회처리를 위한 우회도로망을 구상

- 오산시의 내부 순환도로망을 형성하여 교통량의 우회·분산처리가 가능하도록 도로망

체계를 구상

- 교통용량분석에서 도출된 장래의 애로구간을 보완하는 가로망체계를 구상

◦ 교통운영체계의 확립

- 대중교통수단간 환승체계를 확립하여 대중교통 중심으로 이용체계를 개선

- 첨단지능형 교통운영체계의 도입으로 원활한 교통흐름과 도로효율 극대화 도모

나) 공원∙녹지

◦ 공원·녹지의 유기적 공간의 연속성이 이루어지도록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 구축

◦ 도심 내 공원의 재정비로 공원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오산시의 역사, 문화, 자연환경자원

등 도시적 특성이 잘 반영된 공간창출

◦ 지속가능한 생태환경 보전

- 도시의 생태적 건전성과 도시민의 삶을 제고시키는 아름다운 도시를 구현하기 위해

보전축을 구상

- 기존의 녹지를 보존하고 도시의 시각적 연속성을 살리기 위해 도시전체에 걸쳐 녹지

복원

◦ 도시경관 및 환경보존

- 세마대, 여계산, 마등산 등의 외곽산지 및 오산천, 황구지천, 가장천, 궐리천 등의 하

천, 농경지 등을 보전함으로서 도시의 다양한 생태기반의 연속체 구성

- 생태통로를 확보하여 도시공원에 다양한 생물의 서식처 마련

◦ 도시연담화 방지

- 동서측 행정구역 경계부의 시가화예정용지는 도시연담화 방지 및 공간구조상 보전축

에 저촉되지 않도록 도시관리계획 수립

Page 13: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73

2. 도시공간구조구상

가. 공간구조 대안의 설정

평 가 기 준 평 가 항 목 대안 1 대안 2 비 고

계획의�합리성

도시미래상�구현 ◎ ○

상위·관련계획과의�정합성 ○ ○

공간구조의�안정성 ◎ △

토지이용�및�기능배분의�적절성 ◎ △

경제적�타당성

교통체계의�효율성 ○ ○

도시개발�및�정비의�경제성 ○ ◎

환경성

(지속가능성)

환경친화성 ○ ○

녹지체계의�연계성 ○ ○

대�안�선�택 선택

주� :� ◎� :� 매우우수,� ○� :� 우수,� △� :� 보통

<표3-11> 대안의 평가 및 선정

Page 14: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74

구 분 대안 Ⅰ 대안 Ⅱ

공간

구상

기본

방향

•역세권을�중심으로�균형발전�유도

•분산형구조

•시가지�중심으로�발전�유도

•집중형구조

공간

구조

•기존도심과� 북부생활권,� 중부생활권을� 잇는�

1도심� 2지역중심의�분산형구조

•생활권별�특성을�감안한�토지용도�배분

•기개발용지와� 신규개발용지와의� 계획적인�

연계를�통한�토지이용�효율화도모

•기존� 도심과� � 신시가지(세교·궐동지구� 등)를�

중심으로�하는� 1도심� 1지역중심�집중형구조

•지역별�특성을�고려한�토지용도�배분

•도심기능의�강화로�도시의�상징성�부각

보전축

•동서측� 행정구역� 경계부에� 도시연담화� 방지를�

목적으로�외부녹지축�설정

•지형을� 최대한� 활용한� 산악� 및� 수변� 녹지축�

형성

•동서측� 행정구역� 경계부에� 도시연담화� 방지를�

목적으로�외부녹지축�설정

•지형을� 최대한� 활용한� 산악� 및� 수변� 녹지축�

형성

개발축

•국도1호선을� 중심으로� 오산시가지를� 통과

하여� 북측으로� 수원,� 남측으로� 평택방향으로�

남북축�형성

•국도1호선을� 중심으로� 오산시가지를� 통과

하여� 북측으로� 수원,� 남측으로� 평택방향으로�

남북축�형성

중심지체

•1도심� 2지역중심

� � -� 1도심� :� 기존시가지

� � -� 2지역중심� :� 세교,� 세마중심

•1도심� 1지역중심

� � -� 1도심� :� 기존시가지

� � -� 1지역중심� :� 세교중심

장점

•생활권별� 특성을� 감안한� 분산형의� 적극적인�

도시공간구조의�형성

•역세권을�중심으로�지역간�균형발전�도모

•1도심� 1지역중심의� 집중형구조로� 기존시가

지의�도심기능�강화

•지역별�특성을�고려한�토지용도�배분�용이

단점•1도심� 2지역중심으로� 기존시가지의� 기능�

쇠퇴

•생활권간의� 연계가� 미비하여� 북부생활권� 도

시발전의� 탄력적� 대응에� 불리하고� 지역간�

불균형�발생

대안의�

설정

•지속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도시개발과� 균형적인� 도시공간구조의� 효율적인� 개편이� 가능하고�

주변지역�개발에�대응할�수�있고,� 도심활성화가�극대화될�수�있는�대안Ⅰ을�설정

<표3-12> 대안별 주요 특징

Page 15: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75

나. 도시공간구조구상

◦ 기존 도심을 중심으로 한 “1도심 2지역”의 중심지 체계 구상

◦ 국도1호선을 따라 남북으로 수원방향과 평택방향을 도시발전축으로 설정

◦ 동서측 행정구역 경계부에 도시연담화 방지를 목적으로 외부녹지축 설정

<그림 3-1> 공간구조구상도

구 분 특성 주기능

1도심

•행정·상업·업무기능

•경부고속도로�동측�부산동지역의�주거기능�부여

•주거

•상업·업무

•행정

세교·궐동�

중심

•세교1,� 2택지개발사업지구�중심으로�주거·교육� 기능�부여

•가장� 1,� 2산업단지�등� 첨단지식기반산업�입지

•주거

•산업

세마�중심

•독산성�및� 세마대지와�서랑저수지를�연계한�관광휴양�기능

•중·저밀의�친환경적�주거지�조성

•한류�문화�국제아카데미�조성�

•문화

•교육

•주거

Page 16: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76

부문별 장기발전구상

1. 생활권 설정 및 인구배분계획

가. 생활권 설정

1) 대생활권

◦ 오산시 전역을 1개의 대생활권으로 설정

2) 중생활권

◦ 주요도시기능에 따라 북부, 중부, 동부 3개의 중생활권으로 구분

◦ 동부중생활권

- 도심기능으로 주거, 상업·업무, 행정중심의 역할 기능

- 경부고속도로 동측 부산동지역의 주거기능 부여

◦ 중부중생활

- 세교 1, 2 택지개발사업지구 중심으로 주거·교육기능 부여

- 가장 1, 2산업단지 등 첨단지식기반산업 입지

◦ 북부중생활권

- 독산성 및 세마대지와 서랑저수지를 연계한 관광·휴양기능 강화

- 중·저밀의 친환경적 주거단지 조성

- 한류 문화 국제아카데미 조성

3) 소생활권

◦ 오산시의 경우 타 시군에 비해 행정구역의 면적이 협소하여 소생활권 계획 기준에 미흡하

여 별도의 소생활권은 구분하지 않음

생활권 구분 면 적 목표연도 계획인구

오산�대생활권

합�계 42.757 302,000인(100.0%)

북부생활권 13.559㎢ 40,700인(13.5%)

중부생활권 18.504㎢ 144,300인(47.8%)

동부생활권 10.694㎢ 117,000인(38.7%)

<표3-13> 생활권 구분

Page 17: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77

나. 인구배분계획

1) 기본전제

◦ 생활권별 배분인구는 각 행정구역별 배분인구의 합으로 설정하고, 현재인구는 2010년 12월

말 인구를 근거로 작성

◦ 행정구역의 인구배분의 근거는 자연증가 및 사회적 증가 요인에 의하여 배분

◦ 생활권 인구배분계획은 행정구역을 기초단위로 기결정된 단위개발사업과 시가화용지, 시가

화예정용지, 미개발지로 분류하여 거주밀도를 차등적으로 적용

◦ 목표연도인 2020년에 북부생활권에 40,700인, 중부생활권에 144,300인, 동부생활권에

117,000인을 배분

◦ 단계별 인구배분계획은 대규모 택지개발사업 및 단위개발사업 등의 단계별 사업시기를 고

려하여 배분

2) 생활권별 인구배분계획

가) 북부 중생활권

◦ 북부 중생활권은 각종 단위개발사업을 통한 인구의 유입이 예상됨

- 목표연도(2020년) 인구 : 40,700인

나) 중부 중생활권

◦ 중부 중생활권은 세교택지개발지구 등 각종 대규모 사업이 예상되어 인구증가가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됨

- 목표연도(2020년) 인구 : 144,300인

다) 동부 중생활권

◦ 동부 중생활권은 기존 도심과 기능을 더불어 오산시의 주거, 상업·업무, 행정 기능이

더욱 더 강화될 것으로 인구 유입이 예상됨

- 목표연도(2020년) 인구 : 117,000인

Page 18: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78

구�분2010년(천인)

2015년(천인)

2020년(천인)

전체면적(ha)

시가화면적(ha)

주거면적1)

(ha)총밀도(인/ha)

시가화밀도(인/ha)

순밀도(인/ha)

계 187 254.6 302.0 4,275.7 2,227.0� 1,568.1 70.6 135.6 192.6

북부

생활권14 37.1 40.7 1,355.9 279.2 176.7 30.0 145.8 230.4

중부

생활권79 105.0 144.3 1,850.4 1,214.0 898.3 78.0 118.9 160.6

동부

생활권94 112.5 117.0 1,069.4 733.8 493.1 109.4 159.4 237.3

<표3-14> 생활권별 단계별 인구배분계획

� � � � � � � � � 주1)� 주거면적� =� 시가화용지(주거용지)+시가화예정용지(주거용도)

<표3-15> 생활권 구분 및 인구배분도

Page 19: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79

2. 토지이용계획

가. 현황분석

1) 토지이용현황

◦ 오산시 용도지역은 42.76㎢ 중 29.27㎢(68.5%)가 녹지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가장 큰 비

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주거지역이 10.09㎢(23.6%), 공업지역이 2.28㎢(5.3%), 상업지역이

1.12㎢(2.6%)를 차지하고 있음

◦ 경기도(시계)의 용도지역 지정현황에 비해, 녹지지역의 비율은 낮고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

업지역의 비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남

구� � 분 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경기도

(시계)

면적( ) 3,228.24 502.47 53.71 101.44 2,570.62

구성비(%) 100.0 15.6 1.7 3.1 79.6

오산시면적(㎢) 42.76 10.09 1.12 2.28 29.27

구성비(%) 100.0 23.6 2.6 5.3 68.5

자료� 1� :� 경기도� 통계연보,� 2011

자료� 2� :� 오산시� 통계연보,� 2011

<표3-16> 용도지역 현황

2) 개발가능지 분석

◦ 기개발지는 시가화지역으로 주거, 상업, 공업지역 중 개발완료지역과 기타 주요시설 입지지

역 등으로 전체면적의 45.5%인 19.46㎢로 나타나고 있음

◦ 개발불능지는 토지이용 및 지형상 개발이 불리한 지역과 임상도, 하천, 호소, 경지정리구역

등과 같은 우선분류대상지와 지형에 의해 개발이 불가능한 지역을 포함하여 8.68㎢,

20.3%를 차지하고 있음

◦ 농업진흥지역이나 생산녹지지역과 같이 해당토지의 여건상 개발은 가능하나 정책적으로 억

제하는 지역과 지형여건상 억제하는 지역은 2.31㎢, 5.4%임

◦ 상기 면적들을 제외한 지역은 12.31㎢, 28.8%를 나타내고 있어 개발가능지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음

구� �분 총�계 기개발지 개발불능지 개발억제지 개발가능지

면�적(㎢) 42.76 19.46 8.68 2.31 12.31

구성비(%) 100.0 45.5 20.3 5.4 28.8

<표3-17> 개발가능지 분석

Page 20: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80

나. 토지이용계획의 기본방향

1) 기본원칙

◦ 인근의 수원시와 화성시의 영향에서 탈피하여 수도권 남부지역의 중추도시로 부상할 수 있

도록 독립된 도시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토지이용계획 수립

◦ 장래 계획인구 30.2만인을 수용하기 위해 개발가용지 분석, 토지용도규모의 합리적 추정

및 토지이용배분을 통하여 계획인구에 대한 적정한 시가화구역을 확보하고 시가지의 단계

적 개발을 통해 탄력적이고 효율적인 도시개발을 유도

◦ 오산시의 지역경제 기반강화 및 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한 입지기반을 마련하고 부족한 도시

기반시설의 확충 공간 확보

◦ 기 수립된 2020도시기본계획(변경), 2015년 오산도시관리계획상의 내용을 반영하되 개발이

예상되는 지역에 대하여는 토지이용을 배분하고, 개발이 사실상 불가능한 지역에 대하여 보

전용도 부여

◦ 전철역 주변의 무질서한 개발을 지양하고, 기존시가지와의 상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역세

권 개발계획 수립

◦ 토지이용계획에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원칙을 반영하여 환경친화적이고, 여건변화에 탄력적

으로 대처할 수 있는 계획 수립

2) 개발방향

◦ 상위 및 관련계획상의 기본목표 및 전략에 부합하고 오산시의 토지 잠재력 분석에 따라 설

정된 지역별 기능을 특화할 수 있는 토지이용계획 수립

◦ 수도권 남부의 중심도시로 발전할 수 있도록 자족도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토지이용

계획 수립

◦ 오산천, 경부선철도, 국도1호선 등에 의해 단절된 도시공간구조 연계를 고려한 토지이용계획

◦ 장래 계획인구 30.2만인을 수용할 수 있는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개발 압력, 입지적 여건

등을 고려한 토지이용계획 수립

Page 21: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81

다. 토지이용계획

1) 용도별 소요면적 산정

◦ 목표연도에 필요한 주거용지, 상업용지, 공업용지의 총 소요면적은 26.733㎢ ~ 29.648㎢

로 산정

� (단위� :� ㎢)

구 분 용도별 소요면적( ) 시가화 면적(㎢) 추가 소요면적(㎢) 비 고

시가화용지 26.733� ~� 29.648 14.682 12.051� ~� 14.966

주거용지 20.985� ~� 23.9 11.171 9.814� ~� 12.729

상업용지 1.707 1.307 0.4

공업용지 4.041 2.204 1.837

<표3-18 용도별 소요면적 산정

◦ 목표연도에 필요한 주거, 상업용지의 수요는 시가화예정용지 등 신규 개발지에 대한 개발계

획 수립 시 계획

◦ 공업용지의 수요는 주변지역(평택, 화성)의 대규모 산업단지 개발여건을 고려하여 시가화예

정용지로 계획하도록 하겠음

2) 토지이용계획

◦ 시가화용지는 주거용지 11.171㎢, 상업용지 1.307㎢, 공업용지 2.204㎢로 총 14.682㎢이

며, 시가화예정용지는 총 7.918㎢로 계획함

합 계시가화용지 시가화

예정용지보전용지

소 계 주거용지 상업용지 공업용지

42.757 14.682 11.171 1.307 2.204 7.918 20.157

<표3-19> 토지이용계획 총괄(단위� :� ㎢)

3) 단계별 개발계획

◦ 단계별 인구배분계획과 지구별 토지이용계획을 기준으로 단계별 개발계획을 수립함으로써

효율적인 토지이용과 균형적인 도시개발이 되도록 계획

◦ 도시공간구조의 개편전략과 직결되는 사업 및 기 추진사업을 우선적으로 시행하며 개발의

효율성 측면에서 개발파급효과가 큰 사업부터 단계별로 개발

Page 22: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82

◦ 개발여건이 양호한 지역부터 우선적으로 개발

- 자연적인 조건이 양호한 지역

- 사회·경제적 제약이 비교적 적은 지역

◦ 단계별 개발계획은 5년 단위로 3단계로 구분하여 계획

- 2단계(2010년), 3단계(2011~2015년) : 관련계획과 부합하여 현실적으로 시행이 가능한 계획

 - 4단계(2016~2020년) : 자연여건이나 재정여건 등을 고려하고 도시발전을 위해 시가화가 필

요한 지역

구 분면적

( )

2단계

(2010)

3단계

(2011~2015)

4단계

(2016~2020)

합� � 계 42.757 - - -

시가화

용지

소계 14.682 13.864 0.504 0.314

주거용지 11.171 10.398 0.459 0.314

상업용지 1.307 1.307 - -

공업용지 2.204 2.159 0.045 -

시가화

예정용지

소계 7.918 - 3.501 4.417

주거용도 4.510 - 1.093 3.417

복합용도 3.408 - 2.408 1.000

보전용지 20.157 28.075 24.574 20.157

북부

생활권

소계 13.559 13.244 12.085 10.417

시가화

용지

소계 1.670 1.355 0.196 0.119

주거용지 1.338 1.023 0.196 0.119

상업용지 0.235 0.235 - -

공업용지 0.097 0.097 - -

시가화

예정용지

소계 2.037 - 1.591 0.446

주거용도 0.429 - 0.283 0.146

복합용도 1.608 - 1.308 0.300

보전용지 9.852 11.889 10.298 9.852

중부

생활권

소계 18.504 18.365 10.362 9.401

시가화

용지

소계 8.142 8.003 - 0.139

주거용지 6.252 6.113 - 0.139

상업용지 0.358 0.358 - -

공업용지 1.532 1.532 - -

시가화

예정용지

소계 3.831 - 1.100 2.731

주거용도 2.731 - - 2.731

복합용도 1.100 - 1.100 -

보전용지 6.531 10.362 9.262 6.531

동부

생활권

소계 10.694 10.330 6.132 5.070

시가화

용지

소계 4.870 4.506 0.308 0.056

주거용지 3.581 3.262 0.263 0.056

상업용지 0.714 0.714 - -

공업용지 0.575 0.530 0.045 -

시가화

예정용지

소계 2.050 - 0.810 1.240

주거용도 1.350 - 0.810 0.540

복합용도 0.700 - - 0.700

보전용지 3.774 5.824 5.014 3.774

<표3-20> 생활권별·단계별개발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위� :� ㎢)

Page 23: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83

<그림3-2> 도시기본구상도

Page 24: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84

3. 교통계획

가. 도로망계획

1) 광역도로망

가) 기본방향

◦ 상위계획을 최대한 수용하고 향후 오산시 발전 전망과 도시공간구조에 대비하여 다음

과 같이 기본방향을 설정함

- 경기남부지역의 거점도시화에 대비한 간선체계 구축

- 광역도로망간의 연계 강화

- 지역간 교통과 도시내 교통의 분리 및 시설간 연계 강화 - 수도권 전철망과 광역도로

망의 연계 도모 및 광역도로망 연계기능강화

나) 광역도로망체계 구상안

구�분 지점 도� � 로� � 명연�장(km)

차로수 시행주체시행시기

고속(화)도�로

서부우회도로

수원시경계~지방도310호선

10.7 6 LH공사 2012년

지방도310호선~오산시경계

3.0 6 별도협의 2012년

국�도및

국지도

국도43호선대체우회도로

분천~송산 7.3 4 국토해양부 2013년

송산~진안 2.7 8 국토해양부 2013년

국지도82호선확장�및�신설

갈천~화수 7.4 2→4 국토해양부 2013년

지방도

지방도310호선�확‧포장 오산~남사 5.3 4 경� 기� 도 2014년

지방도310호선� 확장 팔탄~오산시계 13.0 4 경� 기� 도 2010년

지방도315호선�확‧포장 정남~안녕 3.6 4 경� 기� 도 2013년

지방도317호선� 신설동탄2지구~국지도82호선

2.9 6동탄2

사업시행자2015년

지방도317호선�확장�및�연속화�방안

운암사거리~평택진위

3.7 4→6동탄2

사업시행자2015년

기타도로

사업지�북측~지방도318호선� 연결도로 0.3 6동탄2

사업시행자2015년

영덕~오산간�고속화도로�연속화�

방안

동탄2내부~운암사거리

6.0 -동탄2

사업시행자2015년

<표3-21> 오산시 광역도로망체계 구상안

Page 25: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85

그림3-3> 오산시 교통체계 구상(안)도

Page 26: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86

2) 간선도로망

가) 기본방향

◦ 오산시 가로망정비를 위해 설정된 계획의 기본방향은 다음과 같음

- 도심지역의 단절된 가로망을 연결하여 기능 활성화를 도모

- 도시내 가로망의 체계적인 기능개편을 통한 효율성 증진

- 교통량의 집분산을 위해 순환도로 및 격자형 체계의 가로망 구성을 유도

- 도시내를 통과하는 지역간 교통의 우회처리를 위한 우회도로망을 구상

- 오산시의 내부 순환도로망을 형성하여 교통량의 우회 ‧ 분산처리가 가능하도록 도로

망체계를 구상

- 교통용량분석에서 도출된 장래의 애로구간을 보완하는 가로망체계를 구상

- 남북3축, 동서3축의 3×3 격자형 및 순환도로망 구성

- 인접 개발지구(동탄1,2지구, 화성산단 등)의 개선대책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연계교통

체계 구축

- 세교3지구 지정해제 등 도시여건 변화 및 관련계획에 부합하는 도로망 구축

- 신교통수단 도입을 위한 노선 및 용량 확보

나) 간선가로망 체계 구상안

구분 구상(안) 세부내용

① � ∙ 남북간�보조간선축�신설 � ∙ 기존�도시계획도로의�주변여건을�반영한�선형�조정

② � ∙ 서동~남촌오거리�도로�신설 � ∙ 동서간�보조간선축�신설

③ � ∙ 오산천변�도로�확장 � ∙ 국도1호선�및�도심�우회도로�신설

④� ∙ 운암중학교~오산역간�도로확장� ∙ 오원사거리~중원사거리�도로확장

� ∙ 장래�교통량�증가�및�신교통수단�연계에�대비한�도로�확장

⑤ � ∙ 원동~동탄(2)지구간�도로�신설 � ∙ 신교통수단(동탄2~오산역)�연계를�위한�노선�신설

표3-22> 오산시 간선도로 체계 구상(안)

Page 27: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87

구분 구상(안) 연장(km) 차로수 시행시기 시행주체

① � ∙ 남북간�보조간선축�신설 4.9 6 2020년 오산시

② � ∙ 서동~남촌오거리�도로�신설 2.4 4 2015년

③ � ∙ 오산천변�도로�확장 4.0 4 2020년 〃

④� ∙ 운암중학교~오산역간�도로확장� ∙ 오원사거리~중원사거리�도로확장 1.5 6 2020년 〃

⑤ � ∙ 원동~동탄(2)지구간�도로�신설 1.3 6 2020년 〃

<표3-23> 간선도로 체계 구상(안) 설치계획

<그림3-3> 간선도로 체계 구상도

Page 28: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88

나. 기타 교통시설계획

1) 자전거도로 설치계획

가) 자전거 이용시설 개선방향

◦ 안전하고 편리한 자전거 도로망의 구축

◦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 마련

◦ 자전거 이용에 대한 시민 교육 및 홍보활동 강화

◦ 규제조치의 지속적인 집행

◦ 사업의 모니터링, 평가 및 피드백 과정 구축

◦ 기 계획 『오산시 자전거 이용시설 정비계획, 1998. 4, 오산시』의 계획적 추진

◦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에 의한 자전거 도로망계획 수용

◦ 향후 개발사업을 고려한 자전거도로망 구축

◦ 자전거이용시설 정비계획, 대규모 개발사업 등 관련계획간 연계성 확보

◦ 자전거 도로망에만 의존하는 계획보다는 레져목적의 자전거 이용인구를 위한 외곽지역

의 휴게시설과 같은 편의시설 설치

- 자전거 휴게시설 : 자전거 이용자의 휴식과 편의를 위하여 간이 화장실, 음료(식수)대,

벤치, 공중전화 및 자전거주차장 등의 편의시설 필요

◦ 최근 개설 되었거나 계획 중인 가로상에 대하여 추가적인 자전거 이용 시설을 설치함

으로써 자전거도로망 네트워크 구축 및 자전거 이용활성화 도모

◦ 오산시 자전거도로의 경우 획일화 되어 있지 않아 이용자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어 기

계획중인 자전거도로와 택지개발내의 자전거도로의 경우 획일화된 자전거도로 건설 계

획을 수립해야 함

나) 자전거도로 구축방향

◦『오산시 자전거 이용시설 정비계획』에 의거 권역별 설치

◦ 기존 자전거도로의 연속성 확보를 위한 구간에 우선적으로 설치

◦ 기존 자전거도로의 노상 장애물 제거

◦ 생활권 위주의 지역 자전거도로망을 단계적으로 확충한 후 이를 연계 하기 위한 간선

자전거도로망 설치

Page 29: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89

다) 자전거도로 구상

◦ 오산시의 자전거도로구상은 기 수립된「오산시 자전거이용시설 정비계획, 2011.2」,「국가

자전거도로 계획, 2010.6」,「경기도 자전거이용활성화 5개년 계획, 2012.4」를 검토하여

본 과업에서는 기 수립된 자전거도로계획은 수용하고, 교통정비기본계획에 의해 변경된 도

로망에 설치된 자전거도로 설치계획을 추가 및 수정하여 자전거 도로망계획을 제시

27

28

<그림3-4> 자전거 가로망 구상

Page 30: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90

2) 보행환경 개선 계획

◦ 보행우선구역(차보다 보행자의 안전하고 편리한 통행을 우선하도록 보행환경을 조성한 구

역으로 보행자의 주요 통행경로가 구역내 주요시설 및 장소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보행자

중심의 생활구역을 의미함) 지정

◦ 보행량이 밀집되는 일정 구역(1㎢이하)을 설정하여 구역내 도로 및 주변환경을 보행자의 통

행안전성과 편리성에 초점을 맞춰 개선

◦ 구역의 중심공간 및 주요시설을 연결하는 보행네트워크 구축

◦ 교통정온화 기법을 통해 차량의 진입규제, 속도감속, 보행자의 안전한 도로횡단 및 통행공

간 조성

◦ 보행편의와 쾌적성을 위한 식재 및 가로시설물 설치

◦ 교통약자(어린이, 고령자 등)의 이동편의를 위한 통행환경 조성

3) 교통약자 중심 교통여건 조성

가) 기본방향

◦ 노인, 어린이, 장애인 중심의 교통여건 조성과 보행자 중심 교통정책 추진 및 관련시

설 도입

◦ 노인 및 어린이를 위한 교통시설 확충

- 교통신호체계 개선을 통한 횡단보행시간 연장

- 어린이보호구역(스쿨죤) 등 보행환경 보호지역 지정

- 과속방지시설 및 이면도로 차량 진입제한 시설등 교통정온화기법(Traffic Calming) 도입

- 보행자 우선도로 지정, 자전거 우선도로 지정 등

◦ 장애인을 위한 교통시설 확충

- 시각장애인 : 점자블록 설치, 노상 적치물 제거

- 청각장애인 : 횡단보도 음향신호기 설치

- 기타 : 휠체어 이용시설 개선, 장애인 주차시설 확보, 육교 램프 및 엘리베이터 설치

◦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수단

- 저상버스 도입(휠체어 가능)

- 장애자 호출 택시, 장애인 이동 승합차 운영 등

Page 31: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91

나) 보행자 우선도로 교통정책

◦ 기존 도심의 일방통행 등 통행방법 제한을 통한 보행자 전용도로의 확대 시행

◦ 중심상업지역의 보행자몰 설치 등 보행동선 연계망 확충

◦ 특정시간대(오후첨두시) 차량통제 실시⟶보행자전용도로 시간대별 운영

다) 친환경 교통수단 정책 도입

◦ LNG버스 운행비율 지속적 확대

◦ 에너지 절약형 교통수단으로 전환 유도

◦ 친환경 교통수단 우선정책 도입(신호체계, 우선․전용도로, 전용주차 등)

Page 32: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92

4. 도심 및 주거환경계획

가. 도심 및 시가지 정비계획

1) 기본방향

도시공간구조에 부합

◦ 상위 및 관련계획과 연계하여 도시 전체의 구조적인 틀에 적합한 계획을 수립

친환경적 주거지 정비유도

◦ 도시관리계획상 용도지역, 입지여건, 지역특성 등을 고려하여 계획밀도의 차등 적용

◦ 구시가지내 부족한 공원 및 녹지 등의 충분한 확보를 통하여 도시민에게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

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주거환경 정비유도

◦ 구시가지에 부족한 도시기반시설의 충분한 확보를 통한 접근성 확보 및 주거환경의 편리함 도모

◦ 기존 구시가지를 중심으로 주거환경정비가 시급한 지역을 우선으로 정비하도록 함

◦ 상업지역, 주거지역 등 용도지역 혼재지역의 토지이용상 집약적이고 효율적인 정비방안 모색

주변지역과 연계한 정비 유도

◦ 주변지역과의 연계도로망 등 기반시설 확보를 통하여 신∙구시가지간의 지역커뮤니티 활성화 도모

◦ 원활한 기반시설 확보를 위해 다양한 도심재생수법의 도입을 유도하여 실질적인 사업이 실현되도록 유도

커뮤니티 기반의 주거환경 정비

◦ 공동이용시설의 확보 및 보행네트워크형성을 통하여 지역커뮤니티간을 연계시키는 주거환경 정비

저소득 주민의 주거안정성 확보

◦ 저소득 주민의 지속적인 생계유지를 위한 일자리창출, 고용기회 확대, 직업교육 등을 위한 마을만들기, 사회적기업 등 시 차원의 생활개선사업 병행검토

◦ 공공부문의 역량강화를 통해 임대아파트의 꾸준한 공급으로 저소득층을 위한 안정적인 주거환경 확보

Page 33: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93

2) 구시가지 정비방안

가) 기반시설 정비

◦ 오산역 환승센터 및 신교통수단 도입을 위한 노선 및 용량 확보

◦ 교통량의 우회․분산처리가 가능하도록 도로망 체계 구상

◦ 도시내 가로망의 체계적인 기능개편을 통한 효율성 증진

◦ 협소한 도로로 인한 상습 정체구간의 해소를 위한 도로 정비

◦ 상습침수지역 및 재해위험지역의 정비

오산역 환승센터

◦ 위치 : 오산시 역광장로 59(오산동) 일대

◦ 면적 : 28,800㎡(오산역앞 광장 및 주차장부지 일대)

◦ 환승거리 단축 및 편리한 환승체계 구축

◦ 오산역 주변 교통체계 개선

◦ 버스~지하철(철도)~환승주차장간의 편의시설 제공

◦ 시외버스터미널 기능 확보 및 오산역광장 제기능 확보

◦ 기반시설(철도)로 인한 동서간 단절 극복

<그림3-5> 오산역 환승센터 조감도

Page 34: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94

가로망정비

구�분 정비계획 세부내용

① •남북간�보조간선축�신설•기존� 도시계획도로의� 주변여건을� 반영한� 선형�

조정

② •서동~남촌오거리�도로�신설 •동서간�보조간선축�신설

③ •오산천변�도로�확장 •국도1호선�및� 도심�우회도로�신설

④•운암중학교~오산역간�도로확장

•오원사거리~중원사거리�도로확장

•장래� 교통량� 증가� 및� 신교통수단� 연계에� 대비

한�도로� 확장

⑤ •원동~동탄(2)지구간�도로� 신설•신교통수단(동탄2~오산역)� 연계를� 위한� 노선�

신설

<표3-24> 가로망별 정비계획

<그림3-6> 가로방별 정비계획

상습침수구역 관리 및 규제

◦ 상습침수구역에서의 토지이용은 피해예상 정도와 지역여건 등을 감안하고 주민여론을

수렴하여 건축행위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방재지구, 건축법에 의

한 재해위험구역으로 지정하여 제도적으로 제한

◦ 단순한 토지이용규제 보다는 사전재해영향성검토를 통한 이행여부 검토 및 현장의 관

리감독, 개발후의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실시

Page 35: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95

나) 구시가지 정비

기본방향

구�분 기존시가지�정비방안

상업지역

•오산역환승센터�개발을�통해�기존시가지�활성화

•기존시가지�기반시설�정비를�위해� 도시환경정비사업�유도

•상업지역내�영세�제조업시설�이전�유도

•상인공동체에�의한�특색있는�상권형성

주거지역

•주민� 스스로�주거환경의� 정비,� 마을경관의� 조성,� 쇠퇴지역�재개발� 등� 주민에� 의

한�마을단위�계획수립

•기존�자원을�활용한�공동체�형성� 프로그램�개발

•신시가지와의�기반시설�연계방안�모색

<표3-25> 기존시가지 정비방안

<그림3-7> 기존시가지 정비방안

Page 36: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96

구시가지 권역별 정비방안

◦ 주거지별, 생활권별 특성을 고려한 유형별 정비방향 설정

◦ 주변지역과 연계한 공공시설·기반시설 확보체계 구축

◦ 마을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주거환경 정비 유도

정비

권역권역특성 정비방향

1권역

∙제1,2종일반주거지역이�혼재된�노후�저층주거지역

∙현황도로는� (6~7m)양호하나�주변도로�연계체계�불량

∙정비사업(재건축,� 재개발),� 마을가꾸기사업� -노후도와�기반시설�정비를�감안한�구역설정�

정비사업�추진

� -기반시설정비를�위한�맞춤형�정비사업과�

마을가꾸기사업�추진

2권역

∙오산대학교와�도지정문화재인�궐리사주변�저층�주거지역�형성

∙학교(2개소)� 입지

∙마을가꾸기사업,� 맞춤형정비사업� -저층의�양호한�주거지역으로�기반시설정비�

위주의�마을가꾸기사업�추진

3권역

∙대규모�공장이전지정비�필요∙제1종일반주거지역과�준주거지역의�혼재지역이나�건축물�노후불량도는�

비교적�양호

∙역세권개발사업(공장이전지)� -오산역세권개발과�연계한�개발사업�추진

∙마을가꾸기사업(주거지역)� -기반시설정비를�위한�맞춤형정비사업과�

마을가꾸기사업�추진

4권역

∙오산역세권�주변�주거·상업·업무�기능�혼재지역

∙노후된�재래시장(중앙시장)� 상업지역내�위치

∙도시환경정비사업� -오산역세권�주변�도시환경정비사업으로�

기반시설�확충

∙맞춤형정비사업� -기반시설�정비를�위한� 맞춤형�정비사업,�

사회적기업�적극�유치

∙마을가꾸기사업� -주거지역의�노후�공동주택을�위주로�추진�

5권역

∙주거·준주거·공업지역�용도�혼재지역∙아파트단지로�인해�남북으로�권역내�단절이�발생

∙맞춤형�정비사업,� 마을가꾸기사업� -대규모�시설이�산재하여�정비사업�추진�곤란

∙체계적�기반시설�정비� -공업지역과�연계한�사회적기업�적극�유치

<표3-26> 5개 권역별 정비방향

Page 37: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97

<그림3-8> 권역별 정비구상도

 구시가지 정비구상계획 수립

◦ 구시가지의 계획적인 개발을 유도하기 위해서 오산시 기존시가지 정비구상계획 용역수행을

통해 기존시가지 정비를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

◦ 토지이용 및 밀도계획, 기반시설 설치방안 등의 마련으로 권역별 정비방향과 유기적으로 연

계되어 새로운 도시환경을 창출할 수 있도록 정비권역 및 커뮤니티 기반의 정비구상 유도

Page 38: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98

3) 도심 및 시가지 정비 추진전략

가) 기존 시가지 환경정비

◦ 쾌적한 시가지환경 조성을 위해 친환경적인 기법 및 오산천 등의 주변 자연환경을 적극

활용

◦ 오산천 및 주변녹지로 보행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테마공원 및 생활가로 조성을 통해 시

가지 활성화 유도

◦ 녹지축의 보전과 연계, 생활권의 연결을 통해 자연친화적인 시가지 조성

◦ 지역적 고유 특성 및 역사성 등을 유지하면서 주변 신시가지와 연계하여 적정한 개발

밀도 설정

◦ 원활한 도시재생사업 추진을 위한 공공의 적극적인 지원 방안 마련

◦ 주민경제, 일자리창출 등 커뮤니티를 고려한 도시재생을 구현

 기존정비사업

◦ 주거환경개선사업, 주택재개발사업, 도시환경정비사업 등을 통한 정비사업시 정비사업

간 유기적인 계획을 통해 구시가지의 균형발전 도모

◦ 커뮤니티 유도를 통한 계획적 개발로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주거환경 정비방식

및 정비유형, 기반시설 계획

 마을만들기

◦ 주민스스로 주거환경의 정비, 마을경관의 조성, 쇠퇴지역 재개발등 주민에 의한 마을단

위 계획수립

◦ 마을내 일자리 지원센터를 마련하여 주민생활공간과 밀접한 일자리마련

 사회적기업

◦ 지역사회발전 및 공익증진과 취약계층에게 일자리 등 사회서비스 제공

◦ 기업의 사회공헌과 윤리적 경영문화 확산으로 착한 소비문화 조성

 마을공동체

◦ 주민이 주체가 되어, 마을에 필요한 일을 함께하여 서로를 신뢰하고 유대를 강화

Page 39: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99

나) 신시가지 환경정비

◦ 친환경적이고 쾌적한 거주환경이 조성된 주거도시로서의 위상을 강화

◦ 도시환경 악화 방지 차원으로 당초 의도하지 않았던 숙박용도, 오피스텔 등 특정용도

도개발의 합리적 제어 노력

◦ 주거지와 주거지원기능의 지속적 보완을 통해 보다 더 쾌적한 주거공간 조성

◦ 단지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 발굴 및 사업지원과 기존자원을 활용한 공동체 형성 프로

그램개발

◦ 탄소저감을 위한 도시기반조성을 위해 신시가지의 친환경 주거환경조성

◦ 세교1, 2 등 택지개발지구의 경우 구시가지와 연계 검토를 통해 가장 합리적이고 이상

적인 개발계획 수립

Page 40: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100

나. 주거환경계획

1) 기본방향

◦ 주택공급은 생활권 계획 및 인구배분 계획에 따라 적정 밀도를 검토하여 균형적인 도

시발전을 위한 합리적인 주택개발 계획 도모

◦ 핵가족화 현상, 단독가구 증가 등 주택환경 변화와 소득증대, 고령인구 증가 등의 사회

변화에 대비하여 질적 개선 및 주택공급 확대 정책 추진

◦ 개발압력이 가중되는 지역에 대해서는 택지개발 등 계획적 개발을 통해 주택수 확보

◦ 서민계층을 위한 임대주택 확대 및 민간기업의 임대주택사업 유도

◦ 친환경적인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 신주거개발지는 중・저밀도 위주의 개발 유도

◦ 구시가지 및 노후불량주택지는 주거환경개선사업, 도시환경정비사업, 재개발사업 등을

추진하여 양호한 주거환경 개선

◦ 공원, 도로 주차공간 등 도시기반시설 및 생활편익시설의 정비를 통해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

2) 주택공급계획

가) 기본방향

◦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 제3차 수도권정비계획, 도시기본계획수립지침을 토대로

지표 검토

구�분 내�용 비�고

제4차�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주택공급

∙주택보급률�제고(106%이상)∙저층�및� 중저밀도의�주택공급확대∙신축주택의�공동/단독주택�비율을�현재의�9:1에서� 5:5로�하향조정

제3차�수도권정비계획 ∙주택보급률� :� 2020년� 115%이상

도시기본계획�

수립지침개발밀도 ∙신규�주거용지�확보시�용적률� 150%기준

표3-27> 상위계획 지표

Page 41: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101

나) 가구 및 세대당 가구원수

◦ 우리나라의 가구 및 세대당 평균가구원수의 장기전망(1995~2030)에서 1995년 대비

2020년에는 약 47%가 증가한 1,903만 9천가구가 될 것으로 전망하며 가구의 증가원

인은 세대당 평균가구원수의 감소 및 핵가족화의 영향으로 전망

◦ 통계청 추계자료에 따르면 전국 세대당 가구원수는 2001년 3.19인에서 2020년 2.59

인 수준으로 20년간 약 0.6인 정도 낮아질 것으로 전망

◦ 오산시의 2010년 세대당 가구원수는 2.6인이며, 저출산 및 1~2인 가구의 지속적인 증

가가 예상되므로 4단계(2016~2020)의 지표는 2.5인으로 전망

구�분 2010년 2015년 2020년 비고

계획인구 182,516 254,600 302,000

가구(세대)수 70,714 97,900 120,800

세대당�가구원수 2.6 2.6 2.5

<표3-28> 가구(세대)수 및 세대당 가구원수 전망

다) 주택공급계획

◦ 오산시 2020년 목표연도 인구 30.2만에 대한 주택공급계획 수립

◦ 주택의 공급은 주거지 조성을 통한 주택공급 위주로 하되 기존시가지 정비 병행 추진

◦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에서 2010년 이후 주택보급률을 112.5% 이상으로 설정

하고 있으며, 제3차 수도권정비계획에서 수도권의 2020년 주택보급률을 115%로 설정

하고 있으므로, 상위계획을 반영하여 오산시 목표연도 2020년의 주택보급률을 115%

로 설정

구�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비고

주택보급률� (%) 105.3� 112.1� 99.1 103.7� 101.4

자료� :� 오산시� 통계연보,� 2011

<표3-29> 주택보급률

Page 42: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102

◦ 2020년 목표연도 인구증가에 따른 주택수 확보를 위해 현재 계획중인 세교1, 2택지지구

이외에도 구시가지의 도심재생과 도시기본계획상 계획된 시가화예정용지를 이용한 택지조

성이 필요

◦ 저소득 시민을 위한 저렴하면서도 질적으로도 우수한 임대주택의 지속적인 확보

구�분 2010년 2015년 2020년 비고

계획인구 182,516 254,600 302,000

총가구수 70,714 97,900 120,800

주택수 67,200 107,700 139,000

보급률(%) 95.0 110.0� 115.0�

주� :� 보급률� =� 주택수/가구수×100

<표3-30> 주택수요 추정

3) 신․구시가지 균형발전을 위한 기존시가지 정비방안

◦ 신・구시가지의 연계가 가능하도록 신시가지와의 종합적 연계개발 필요

◦ 해당 거주민과 지역사회의 사회경제적 측면에 입각한 도심재생계획 수립

◦ 주택재개발, 주거환경개선사업, 도시환경정비사업 등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을 통하여

충분한 도시기반시설을 확보하여 구시가지의 주거환경개선 여건 마련

◦ 거주민의 주거환경과 주거복지를 향상하고 이를 통해 주민재정착률 확대

◦ 구시가지 주민들과의 다각적 협의를 통한 거버넌스 시스템에 의한 개방된 정비사업 구현

◦ 원활한 도시재생사업의 추진을 위한 공공의 적극적인 지원

Page 43: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103

5. 공원․녹지계획

가. 기본방향

1) 공원녹지계획 미래상

◦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생명력있는 생태환경을 조성하고 인간을 배려한 신선한 녹색의

에너지를 추구하기 위하여 “자연과 사람을 생각하는 친환경도시”를 공원녹지 미래상

으로 설정

풍요로운 녹지도시

◦ 건강하고 풍요한 녹지보전 및 네트워크 체계구축

- 경기도 광역녹지축과 연계된 도심부녹지축과 망 설정

- 점적인 공원녹지를 연결해주는 선적인 녹지망구축

- 세교신도시의 녹지축과 망 고려

자연과 더불어 사는 도시

◦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인간과 함께 더불어 사는 친환경도시 조성

- 오산천, 물향기수목원, 독산성 등 오산을 대표하는 자연자원의 보전 및 활용

- 환경수도 오산에 부합하는 수변생태, 환경교육, 자연체험의 테마부여

- 도시하천의 자연성 증진 및 자연경관 보존

품격있는 공원도시

◦ 새롭게 도약하는 오산에 걸맞는 명품 공원녹지 조성

- 오산의 자연, 역사, 문화를 기반으로 도시정체성을 반영한 품격있는 고원특화

- 유비쿼터스기반으로 조성된 지능형, 능동형 공원을 장기적으로 적용 구상함

- 시민 스스로 긍지와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녹지환경 조성

Page 44: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104

녹색성장도시

◦ 창의적인 리더쉽과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로 스스로 성장하는 녹색환경 도시조성

- 다양한 체험형 공원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이벤트 제공- 공원녹지관리 운영에 시민참여기회 제공- 저탄소녹색 생활환경 조성

2) 공원녹지계획 기본방향

오산시의 지역특성과 도시미래상을 고려한 공원계획 수립

◦ 대규모 도시개발사업으로 인해 급변하는 도시공원녹지의 체계적인 정비 확충계획 수립

◦ 시의 재정여건변화를 고려한 단계적이고 합리적인 정비∙확충계획 수립

신∙구도심간의 공원서비스 불균형 해소를 통해 조화롭고 살기좋은 오산 실현

◦ 공원 소외지역을 대상으로 신규 생활권공원 확충, 도시개발사업과 연계, 민간참여 유도

등 우선사업으로 추진

◦ 학교공원화, 공공기관 쉼터조성, 건축물 옥상녹화 등 적극적인 유사공원녹지 확충

역사∙문화, 자연자원을 활용하여 테마가 있는 공원화사업 중점 추진

◦ 수도권 남부 환경수도로서의 도시이미지에 부합하는 숲, 수변테마 공원정비 및 확충

◦ 광역권, 생활권별 공원의 특성화 주제부여 및 연계이용체계 구축

생활권별 거점공원과 소공원, 어린이공원 등 생활권 공원 우선사업

◦ 생활권별로 거점공원을 설정하고 테마를 부여하여 지역단위 대표공원으로 특성화

◦ 주변현황, 개발여건 등을 고려한 공원 유형의 특화

나. 공원녹지체계 설정

1) 기본방향

◦ 도시공간구조의 변화를 고려하여 도시의 발전축과 기존공원녹지 및 주변산림과 연계된

종합적인 녹지네트워크망 구축

◦ 도시의 발전축과 기존 공원녹지를 고려하여 오산시 내부에 남북방향 주녹지축을 설정

하고 주요지점에 외곽녹지축과 주녹지축을 연결하는 부녹지축을 설정하여 격자형 축과

망 형성

◦ 도시의 공간구조와 연계되며, 녹지가 가지는 효과를 극대화하여 쾌적하고 녹지가 풍부

한 친환경도시 오산을 실현

Page 45: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105

2) 공원녹지축 설정

주녹지축 부녹지축 수변녹지축

∙ 세교1지구� ~� 세교2지구(중앙공원)� ~� 오산천으로� 이어지는�

남부녹지축으로� 기존녹지와�

네트워크체계�구축

∙ 주녹지축과� 연결되는� 생태환경,� 역사문화,� 커뮤니티� 녹지

축�설정

∙ 오산천을� 주� 수변녹지축으로�가장천,� 궐리천� 생태하천� 및�

도심수로복원을로�네트워크화

<표3-31> 공원녹지축

Page 46: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106

다. 공원녹지계획

1) 도시개발사업 등을 통한 공원조성유도

◦ 향후 시가화용지 및 시가화예정용지의 개발사업 등으로 도시관리계획상 미집행된 공원·

녹지의 조성유도

2) 공원소외지역 공원조성

◦ 도시공원 서비스 소외지역의 지역여건을 고려하여 기결정된 공원의 조기조성으로 지역

불균형 완화

3) 주제공원의 활용

◦ 잠재력을 갖추고 있으나 무분별하게 방치되어있는 공간에 대해 적극적인 접근을 통한

환경과 경관의 개선 및 도시민들에게 휴식 및 여가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

공원계획

◦ 공원계획은 조성율과 실현가능성 및 상위계획 지표(12.5㎡/인)를 감안하여 도시관리계획

상 결정된 공원으로 계획

구�분 단위 2010년 2015년 2020년

계획인구 인 186,829� 254,600 302,000�

계 개소 110 110 110

근린공원 개소 38 38 38

소공원 개소 9 9 9

어린이공원 개소 50 50 50

주제공원 개소 13 13 13

중앙공원 개소 - 1 1

1인당�공원면적 /인 21.8 15.9 13.4

<표3-32> 공원․녹지지표

◦ 2020년 도시기본계획과 2020년 도시기본계획(변경)의 공원계획을 비교하면 1인당 도시공

원면적이 14.4㎡에서 13.4㎡로 감소하였고, 이는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및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에서 제시한 도시공원지표를 감안하여 계획하였음

Page 47: 제3장 장기발전구상 - Osan · 63 제3장 장기발전구상 도시미래상과 도시지표 1. 도시미래상 가. 도시미래상 설정 오산시의 미래상을 “수도권

107

구�분

2020년도시기본계획

2020년도시기본계획(변경)

도시공원및녹지등에관한법률

제4차국토종합계획수정계획

면적( )1인당

공원면적(㎡)면적(㎢)

1인당공원면적(㎡)

1인당공원면적(㎡)

1인당공원면적(㎡)

계 3.90

14.4

4.06

13.46 12.5

근린공원 2.26 2.16

소공원 - 0.02

어린이공원 - 0.14

주제공원 0.83 1.09

중앙공원 0.81 0.65

목표연도�인구 270,000 302,000

<표3-33> 1인당 공원면적 비교

<그림3-9> 공원녹지계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