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1 - 예비 공립 유치원 교사를 위한 유아교육론 1 편 실비아 킴 편저
28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Sep 09, 2019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1 -

예비 공립 유치원 교사를 위한

유아교육론 1 편

실비아 킴 편저

Page 2: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2 -

차례

1 장. 교육철학 및 유아교육사상사

I. 사상가 소개: 시대순

II. 사상가 관계도

III. 고대: 그리스(아테네)

1. 소크라테스

2. 플라톤

3. 아리스토텔리스

IV. 고대: 로마

1. 키케로

2. 퀸틸리아 / 퀸틸리아누스

V. 중세

1. 토마스 아퀴나스

VI. 근세

1. 에라스무스

2. 루터

3. 코메니우스

4. 로크

5. 루소

6. 페스탈로치

7. 오웬

8. 프뢰벨

VII. 근대

1. 듀이

2. 슈타이너

3. 몬테소리

4. 니일

5. 방정환

2 장. 교육심리 및 유아발달이론

I. 심리 및 발달이론

II. 성숙주의 이론

1. 홀

2. 게젤

III. 행동주의 이론

1. 손다이크

2. 파블로프

3. 왓슨

4. 스키너

Page 3: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3 -

5. 반두라

IV. 정신분석 이론

1. 프로이드

2. 에릭슨

V. 인지발달 이론

1. 피아제

2. 비고스키

3. 콜버그

4. 가드너

5. 정보처리이론

VI. 동물행동 이론

1. 다윈

2. 로렌츠

3. 보올비

VII. 인본주의 이론

1. 로저스

2. 매슬로우

VIII. 생태학적 이론

1. 베이트슨

2. 브론펜브레너

3 장. 놀이 이론

I. 놀이 이론

II. 놀이

1. 놀이의 영향

2. 유아의 정신 건강을 위한 놀이의 치료 효과

III. 고전적 놀이 이론

1. 잉여에너지 이론

2. 휴식 이론

3. 반복 이론

4. 연습 이론

IV. 현대적 놀이 이론

1. 정신분석 이론

2. 인지발달 이론

3. 상위의사소통 이론

4. 각성조절 이론

5. 각본 이론

V. 인지적 놀이 이론

1. 피아제

2. 스밀란스키

Page 4: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4 -

3. 프로스트 & 클라인

4. 볼프강 외

5. 브레더튼

6. 파커

7. 셔튼-스미스 & 로버트

VI. 사회적 놀이 이론

1. 파튼

2. 호위스

3. 윈터

VII. 놀이 시 교사의 역할 및 지도 방법

1. 존슨, 크리스티, & 야키

2. 우드, 맥마한, & 크랜스토운

3. 볼프강, 맥컨더, & 볼프강

VIII. 놀이 시 부모의 역할

1. 놀이 시 부모의 역할

2. 자녀와 놀이하는 법

3. 놀이를 통해 유능한 아이 만들기

4 장. 교육과정 및 유아교육과정

I. 교육과정 및 유아교육과정의 유형

1. 교육과정의 유형

2. 유아교육과정 개념의 유형(슈바르츠 & 로빈손)

3. 수업 주도성 기준(유아-교사)에 의한 분류(와이카트)

4. 유아-교사-교구 간 상호작용 기준에 의한 분류(메이어)

5. 이데올로기적 분류(콜버그 & 메이어)

6. 조직의 구조화 정도에 따른 분류(비셀)

II. 교육과정 주요 이론

1. 타일러

2. 볼룸

3. 메이거

4. 아이즈너

5. 가네

6. 브루너

7. 데일

8. 스포덱

참고문헌

Page 5: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5 -

1 장. 교육철학 및 유아교육사상사

I. 사상가 소개: 시대순

1. 고대: 그리스(아테네 )

1) 소크라테스(Socrates, 아테네, B.C. 470~399)

2) 플라톤(Plato, 아테네, B.C. 427~347)

3)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마케도니아 → 아테네, B.C. 384~322)

2. 고대: 로마

1) 키케로(Cicero, 공화정 시대, B.C. 106~43)

2) 퀸틸리아 / 퀸틸리아누스(Quintilian, 제정 시대, 35~95)

3. 중세

1)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이탈리아, 1225~1274)

4. 르네상스 시대

1) 에라스무스(Erasmus, 네델란드, 1466~1536)

2) 루터(Luther, 독일, 1483~1546)

5. 실학주의

1) 코메니우스(Comenius, 체코슬로바키아, 1592~1670)

6. 계몽주의

1) 로크(Locke, 영국, 1632~1704)

2) 루소(Rousseau, 스위스 → 프랑스, 1712~1778)

7. 신인문주의

1) 페스탈로치(Pestalozzi, 스위스, 1747~1827)

2) 오웬(Owen, 영국, 1771~1858)

8. 낭만주의

1) 프뢰벨(Frobel, 독일, 1782~1852)

9. 근대

1) 듀이(Dewey, 미국, 1859~1952)

2) 슈타이너(Steiner, 독일/오스트리아, 1861~1925)

3) 몬테소리(Montessori, 이탈리아, 1870~1952)

4) 니일(Neil, 영국, 1883~1973)

5) 방정환(한국, 1899~1931)

Page 6: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6 -

II. 사상가 관계도

고대

(그리스)

소크라테스(Socrates, 아테네, B.C. 470~399)

플라톤(Plato, 아테네, B.C. 427~347)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마케도니아 → 아테네, B.C. 384~322)

고대

(로마)

키케로(Cicero, 공화정 시대, B.C. 106~43)

퀸틸리아 / 퀸틸리아누스(Quintilian, 제정 시대, 35~95)

중세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이탈리아, 1225~1274)

근세

에라스무스(Erasmus, 네덜란드, 1466~1536)

루터(Luther, 독일, 1483~1546)

코메니우스(Comenius, 체코슬로바키아, 1592~1670)

↙ ↘

로크(Locke, 영국, 1632~1704)

오웬(Owen, 영국, 1771~1858)

루소(Rousseau, 스위스 → 프랑스, 1712~1778)

페스탈로치(Pestalozzi, 스위스, 1747~1827)

프뢰벨(Frobel, 독일, 1782~1852)

근대

듀이(Dewey, 미국, 1859~1952)

슈타이너(Steiner, 독일/오스트리아, 1861~1925)

몬테소리(Montessori, 이탈리아, 1870~1952)

니일(Neil, 영국, 1883~1973)

방정환(한국, 1899~1931)

Page 7: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7 -

III. 고대: 그리스(아테네)

1. 소크라테스(Socrates, 아테네, B.C. 469~399)

1) 보편적 진리의 존재에 대한 확립

① 자신의 무지에 대한 자각에서 시작하여 보편적 진리에 도달해야 함을 강조한다.

② “너 자신을 알라.”

2) 대화법

① 대화를 통해 누구나 자신의 무지를 깨닫고 보편적 진리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는다.

② 대화 과정에서 질문과 논박을 통해 상대방이 스스로 자신의 오류와 무지를 깨닫도록 한다.

3) 지덕합일설

① ‘덕은 곧 지’

② 올바른 행위는 올바른 지식에서 나오게 된다.

4) 산파술

① 회상: 이성적 탐구에 의해 지식을 얻는 일이다.

② 지식은 태아와 같이 우리의 내면에 들어 있으며, 지식을 얻는 일은 산모가 출산하듯이 우리

내면에 잠재해 있는 지식을 끌어내는 것이다.

③ 태아, 아기 = 지식, 산모 = 학습자, 산파 = 교사: 산모가 산파의 도움을 받듯이 지식의

획득과정에서 학습자는 교사의 조력을 받게 된다.

2. 플라톤(Plato, 아테네, B.C. 427~347)

1) 국가론

① 국가의 이상은 ‘정의’이다.

② “이상적인 사회가 실현되어야 개인이 행복할 수 있다.”

③ 이데아를 경험한 철인이 대다수의 현상계 시민을 통치하는 국가가 이상적이다.

2) 이원론

① 변화하는 현상계: 끊임없이 변화하는 현상의 사물, 현상계를 뜻한다.

② 불변의 이데아(Idea): 이성으로만 파악이 가능한 영속적이며 불변하는 것이다.

Page 8: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8 -

3) 계급론

① 인간의 영혼: 이성(Reason) - 기개(Spirit) - 욕구(Appetite)

② 이성: 지혜 - 용기 - 절제

③ 국가의 계급: 정치가(금) - 군인(은) - 평민(동)

4) 아카데메이아(아카데미), Akademeia

5) 교육 철학 및 방법

① 연령별, 재능별, 계층별 교육을 주장한다.

② 조기교육을 강조한다.

6) 교육 단계 및 내용

① 무릎학교(0~6 세)

가. 가정교육 단계

나. 다양한 유희와 신화, 동화, 서사의 역할 강조

다. 유희를 기반으로 한 음악과 체육 활동 중심의 유아교육

② 1 도야기(7~14 세)

가. 국가가 주도하는 학교교육

나. 놀이, 유희, 음악, 체육, 문예교육

③ 2 도야기(15~20 세)

가. 1 도야기에서 선택된 우수한 학습자

나. 이론 학과(문법, 문학, 음악 등) + 체육 군사훈련

④ 3 도야기(21~30 세)

가. 철인 후보자를 대상으로 한 10 년 자유교육

나. 정신 능력, 추상적 진리, 이데아: 산수, 기하, 천문교육

⑤ 4 도야기(31~35 세)

가. 3 도야기에서 선택된 우수한 학습자

나. 통치 계급이 되기 위한 준비 기간

다. 절대적 진리의 관조, 변증법

⑥ 5 도야기(36~50 세)

가. 15 년의 국가 정치 참여

나. 국가 정치, 군사적 실천에 관한 경험

⑦ 50 세 이후

가. 국가의 지도자

Page 9: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9 -

7) 저서: ⌈대화편⌋

① 전기 대화편: 덕이란 무엇인가?

: ⌈소크라테스의 변명⌋, ⌈크리톤⌋, ⌈메논⌋, ⌈프로타고라스⌋, ⌈고르기아스⌋, ⌈라케스⌋,

⌈카르미데스⌋ 등

② 중기 대화편: 이데아론

: ⌈파이돈⌋, ⌈파이드로스⌋, ⌈향연⌋, ⌈국가론⌋ 등

③ 후기 대화편: 철학의 논리적 방법

: ⌈파르메니데스⌋, ⌈테아이테토스⌋, ⌈소피스테스⌋, ⌈폴리티코스⌋, ⌈필레보스⌋, ⌈티마이오스⌋,

⌈노모이⌋ 등

3.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마케도니아 → 아테네, B.C. 384~322)

1) 소요학파, Lykeion, Peripatiker

① 소요학파: 스승과 식사, 산보 등을 같이 하며 배우는 학교이다.

② 자치규정: 자치회를 통한 정해진 자치규정이 있다.

③ 실증과학: 객관적, 과학적, 논증적인 지식을 존중한다.

2) 지식의 종류

① 순수과학(Theoria): 본질, 법칙, 이론적 지식, 지혜 등이 속한다.

② 실천(Praxis): 생활 판단, 정치, 윤리, 교육 등이 속한다.

③ 기술(Techne)

3) 교육 철학 및 방법

① 보편적인 최고선은 이성이며, 이의 실현이 인간의 최고 행복이다.

② 교육 대상: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하나, 여성을 제외한다.

③ 교육 목적

가. 이성적 능력의 개발을 통한 덕의 획득

나. 도덕적 자아의 실현

다. 행복한 생활

④ 교육 방법

가. 능력심리학에 기초를 둔 형식도야론

나. 귀납법 + 연역법

⑤ 교육 기관

Page 10: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10 -

가. “학교는 국가의 관리하에 통제되고, 배출된 학생을 국가의 산업에 배치시키는 것 또한

국가가 주도해야 한다.”

나. 가정교사, 교사: 관리(공무원)인 가정교사 및 교사에 의한 교육을 주장한다.

⑥ 유아교육론

가. 0~5 세: 신체적 단련

5 세 이후: 성장에 방해가 되는 어떠한 공부나 노동을 강요하지 말아야 한다 → 운동

나. 유희와 음악 강조

다. 가정교사의 감독 필요

4) 저서

: ⌈정치학⌋

IV. 고대: 로마

1. 키케로(Cicero, 로마-공화정 시대, B.C. 106~43)

1) 성선설, 유덕론

① 행복한 생활은 인생 최대의 목적이며, 교육을 통해 행복한 생활에 도달하는 것이 덕이다.

② 발달은 일정한 단계가 있으며 각 단계별로 덕목이 발견된다.

③ 인간의 내부에 행복, 사고, 정서 등에 관련된 본능이 있기에, 덕은 모방과 소극적인 학습을 통해

발현될 수 있다.

④ 상벌의 공평성과 일관성을 주장한다.

2) ⌈웅변론⌋

① 인문적 교양을 지닌 웅변가의 양성을 주장한다.

② 암기식 교수법으로 확장된다.

3) 유아기 발달의 특징(김희태 & 정석환, 2012)

① 신생아는 매우 약하고 이성적 정신을 가지고 있지 않다.

② 약간의 힘이 생기는 단계가 되면 손발과 감각을 훈련하기 시작한다.

③ 서는 것과 함께 손을 활용하기 시작하고 주변 사물에 호기심을 갖기 시작한다.

④ 사고와 학습을 시작하며 주변 사물과 사람의 이름에 흥미를 가진다.

⑤ 또래집단과 경쟁을 하고 승패에 따라 희비의 감정을 느끼게 된다.

Page 11: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11 -

4) 교육환경의 중요성 강조

2. 퀸틸리아 / 퀸틸라아누스(Quintilian, 로마-제정 시대, 35~95)

1) 최초의 공교사

2) ⌈웅변가 교육론⌋

① 세계 최초의 교육저서이자, 로마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한 로마 유일의 교육서이다.

② 인간은 충동적 행동, 수동적 인지, 추론의 세 가지 자연적 능력을 타고 난다.

③ 충동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수동적 인지이며, 진리와 선을 추론하는 능력은 이성이다.

④ 타고난 자연적 능력은 적절한 훈련으로 개발될 수 있다.

⑤ 세 가지 능력의 발전은 개인차가 심하다.

⑥ 인간 능력의 차이는 상대적 차이이며, 교육을 통해 적당한 수준까지 개발이 가능한다.

⑦ 교육과정의 단계

가. 가정교육 시기

나. 문법학교 시기: 초등교육과 중등교육을 말한다.

다. 전문적 수사학교 시기

라. 웅변가 시기

3) 유아교육

① 아동 존중: 유아와 어른의 질적 차이를 인정하고 유아는 그 자체의 특성이 있음을 인정한다.

② 조기교육: 가정교육을 통한 유아의 조기교육을 강조한다.

③ 유아의 개성과 흥미를 존중한 놀이 중심: 체벌을 아닌, 유아의 흥미와 놀이 중심의 조기교육을

강조한다.

④ 중용의 교사론: 교사의 중용적 태도를 중시한다.

V. 중세

1.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이탈리아, 1225~1274)

1) 교육 사상

① 신과 결합된 인간을 강조한다.

② 완전한 교육은 하나님에 의한 교육이고 진정한 교사는 하나님이다.

③ 교사는 학습자와 하나님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Page 12: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12 -

④ 이성교육은 자연을 통해 이루어진다.

⑤ 직접적이고 실제적인 감각 교육과 경험 교육을 주장한다.

⑥ 가족제도가 인간 교육의 기초이므로 가족관계의 분리는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VI. 근세

1. 에라스무스(Erasmus, 네덜란드, 1466~1536)

1) 후머니타스, Humanitas

① 기독교적 인문주의

② 정신적 도야와 종교적 경건성을 서로 합하여 진리로 나아가는 것을 강조한다.

2) 유아관

① 성인과 다른 유아의 특수성을 인정한다.

② 선한 존재이며 도덕적으로, 종교적으로 덜 타락한 존재이다.

③ 조기교육 강조: 가소성과 가능성이 있는 존재이다.

④ 모방능력과 학습능력이 뛰어난 존재이다.

3) 교육 방법

① 모방을 통한 학습

② 실제 능력과 자질을 통한 학습

③ 습관화와 연습을 통한 학습

4) 부모의 역할 강조

① 부모는 최우선적인 교사이다.

② 조부모와 친척 등도 교육에 참여해야 한다.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사랑으로 맺어진 관계이기 때문에 유아를 사랑해야 한다.

② 수업을 놀이처럼 해야 하고, 잘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6) 저서

: ⌈우신예찬⌋, ⌈자유의지론⌋ 등

Page 13: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13 -

2. 루터(Luther, 독일, 1483~1546)

1) 종교개혁

2) 교육 사상

① 소교리 문답서 + 대교리 문답서: 성서를 읽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교육의 기초이다.

② 조기교육과 부모 역할을 강조한다.

③ 초등학교-라틴어 학교-대학교: 정규교육과 의무교육을 강조한다.

④ 교육의 평등화: 대중을 위한 교육과 남자와 여자 모두를 위한 교육을 강조한다.

⑤ 아동의 능력을 고려한 교육을 강조한다.

⑥ 문답식 교육을 강조한다.

⑦ 본보기나 규범이 언어나 권고보다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

3. 코메니우스(Comenius, 체코슬로바키아, 1592~1670)

1) 감각적 실학주의, 과학적 실학주의

① 실학주의 : 자연과 과학에 관심을 두고 실제적이고 실용적인 학문을 강조한 시대적 흐름이다.

② 감각적 실학주의: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사물과 경험을 통한 직접 교육을 주장하는

실학주의이다.

③ 과학적 실학주의: 자연 탐구와 자연 과학적 지식, 자연 법칙을 통한 현실 생활의 향상을

강조하는 실학주의이다.

2) 범지학, 범교육

① “모든 사람에게 모든 것을 모든 방법으로”

② 사물의 지적 측면(형이상학) , 감각적 측면(자연학), 영적 측면(초자연학)을 하나의 전체로

파악하는 것이다.

③ 범교육: 교육의 기회 균등 주장 → 후에 보편교육, 공교육에 영향을 미쳤다.

④ 교육을 통한 사회 개혁을 강조한다.

3) 유아교육관

① “자유롭고 자발적이며 즐겁고 쉽게 배우려는 욕구를 가진 존재이다.”

② 결정적 시기: “어린 초목일 때는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지만 큰 나무는 변화가 불가능하다.”

③ 백지설: 타고난 능력은 있으나, 세상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방법을 아는 것은 아니다.

Page 14: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14 -

④ 조기교육 강조: 지식 – 도덕성 – 신앙 교육을 통한 하나님과의 합일 상태를 지향한다.

⑤ 부모의 교육 강조: 모유를 통한 어머니 교육은 유아의 덕성 및 습관 형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4) 교육 철학 및 방법

① 자연의 질서와 원리에 의한 교육

가. 내부에서 외부로의 원리

나. 일반에서 특수로의 원리

다. 쉬운 것에서 어려운 것으로의 원리

라. 단계적 학습의 원리

마. 발달의 원리

② 실물을 통한 교육

③ 감각을 통한 교육

④ 시청각을 활용한 교육

⑤ 놀이를 통한 교육

5) ⌈대교수학⌋(1632): 학교계통론

① 어머니 무릎학교(가정): 유아기(0~6 세)

: 감각훈련(사물에 대한 기초 지식), 구별학습, 일상생활, 언어, 도덕성 및 신앙에 관한 기초

지식, 자연에 대한 사실과 진리 등

② 모국어 학교(마을): 아동기(7~12 세)

: 모국어(읽기, 쓰기), 수학(셈하기, 측정), 교리 문답, 성서, 음악, 미술, 도덕, 정치, 역사, 지리

③ 라틴어 학교(도시): 소년기(13~18 세)

: 언어(모국어, 라틴어, 그리스어, 히브리어), 7 자유과(문법, 수사학, 변증법, 기하, 산수, 천문학,

음악), 자연, 과학, 지리, 역사, 윤리, 종교 등

④ 대학 및 여행(국가): 청년기(19~24 세)

: 전공(신학, 의학, 철학, 법학 등), 고전, 여행 등

6) ⌈세계도회⌋(1658)

① 세계 최초의 그림책

② 감각주의, 사물주의, 시청각 교육

4. 로크(Locke, 영국, 1632~1704)

Page 15: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15 -

1) 백지설

① 아동 존중 개념의 백지설: 당시 시대적 아동관인 성악설과 대치되는 개념이다.

② 교육과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③ 조기교육을 강조한다.

2) 신사 양성

① 연습과 교육을 통한 습관 형성을 통해, 도덕적 도야 및 자기통제가 가능하고, 신사로 성장할 수

있다.

② 가정교육과 아버지 교육을 강조한다.

3) 체 – 덕 – 지

① 체육: “건전한 정신은 건전한 신체에서 나온다.”

② 덕육

③ 지육: 감각적 경험을 통한 지식의 축적을 강조한다.

4) 교육 철학 및 방법

① 감각적 훈련 및 구체적 경험을 통한 학습을 강조한다.

② 습관 형성을 통한 학습: 아동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행동은 칭찬으로 강화하고,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은 스스로 부끄러움과 수치심을 느끼도록 교육한다.

③ 인간의 자연적 본성에 따른 학습: 유아의 학습 의욕 및 흥미를 존중한다.

5) 저서

: ⌈인간오성론⌋, ⌈교육에 관한 고찰⌋ 등

5. 루소(Rousseau, 스위스 → 프랑스, 1712~1778)

1) 자연주의

① 자유와 평등으로서의 자연

② 내부로서의 자연

③ 자연 상태로서의 자연

2) 성선설

Page 16: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16 -

3) 사회계약론

: “사회 불평등은 자연적 불평등보다는 인위적 불평등에 가깝고 잘못된 사회 계약 때문이다.”

4) 교육 철학 및 방법

① 자연주의 교육(합자연의 원리)

가. 자연에 의한 교육 + 사물에 의한 교육 + 사람에 의한 교육

나. 실제적 감각교육, 실물관찰을 통한 교육을 강조한다.

② 발달 단계에 의한 교육: 루소의 저서 ⌈에밀⌋에 설명되어 있다.

③ 아동 존중 및 아동 중심 교육(자발성의 원리): 아동의 흥미와 내적 발달을 고려한 교육을

강조한다.

④ 소극적 교육론

⑤ 가정교육 강조

가. “양육은 어머니가, 교육은 아버지가”

나. “남아는 아버지가, 여아는 어머니가”

5) ⌈에밀⌋

① 유아기(0~5 세)

가. 안전하고 자유로운 환경 속에서의 신체발달을 강조한다.

나. 감각을 통한 사물의 경험을 중시한다.

다. 어머니 역할을 중시하며, 이는 어머니 교육이 유아의 인성 및 도덕성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② 아동기(5~12 세)

가. 자기애: 자연적이고 본능적인 개인의 흥미에서 발현된다.

이타애: 타인과의 관계에 의한 타인 지향적 사회적 관계에서 발현된다.

나. 설교 혹은 독서 강요를 반대: “읽을 준비가 되고, 읽을 필요가 있으면 자연적으로 읽게

된다.”

③ 소년기(12~15 세)

가. 이성에 눈뜨는 시기이다.

나. 정신 노동과 육체 노동의 조화를 강조한다.

④ 청소년기(15~18 세)

가. 성적 호기심이 발산되는 시기: 직접적 대답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나. 사회적 관계 이해: 타인과 타인의 고통에 대한 민감성을 유지하도록 여행이 필요한

시기이다.

⑤ 청년기(18~20 세)

Page 17: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17 -

가. 인간성이 발현되고 발달하는 시기이다.

나. 가족 – 사회 – 국가에 대한 이해가 발달하는 시기이다.

6) 저서

: ⌈인간 불평등 기원론⌋, ⌈사회계약론⌋, ⌈에밀⌋, ⌈참회록⌋ 등

6. 페스탈로치(Pestalozzi, 스위스, 1747~1827)

1) 성유선악설

① 인간은 선함과 악함을 모두 가지고 태어난다.

② 인간의 본성

가. 동물적 상태: 동물적 충동과 이기적인 본능의 상태를 뜻한다.

나. 사회적 상태: 이기심을 법으로 통제하는 상태를 뜻한다.

다. 도덕적 상태: 내면적 힘에 의해 행위를 결정하는 상태를 뜻한다.

2) 덕(Heart) - 지(Head) – 체(Hand)

3) 교육

① 도덕적 존재로서의 인간성 계발이 목적이다.

② 사회개혁의 수단: 가정 생활과 학교 생활의 조화를 통한 사회개혁을 강조한다.

4) 노이호프 농장, 고아원, 빈민학교

: 농촌 및 빈민 아동, 전쟁 고아를 위한 교육을 펼쳤다.

5) 교육 철학 및 방법

① 합자연의 원리 / 방법의 원리

가. 간단한 것 → 복잡한 것

나. 생활 주변의 것 → 멀리 있는 것

다. 구체적인 사물 → 추상적인 개념

② 조화와 균형의 원리: 덕 – 지 – 체의 상호조화 혹은 삼위일체를 주장한다.

③ 직관의 원리: 실물을 통한 직접적인 교육과 직관에 의한 교육을 강조한다.

④ 자발성의 원리 / 자기 활동의 원리

⑤ 생활공동체의 원리: 가정교육과 부모교육 강조한다.

가. 양친에 의한 교육: 참교육 = 사랑 + 교육 + 훈육 + 회초리

Page 18: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18 -

나. 모성애는 교육의 제 1 조건이다.

다. 가정은 최초의 그리고 최고의 교육의 장이다.

라. 부모와 자녀 사이의 인간관계를 중시한다.

⑥ 노작교육

5) 저서

: ⌈린하르트와 게르트루트⌋, ⌈게르트루트는 어떻게 그의 자녀들을 가르치는가⌋, ⌈은자의 황혼⌋,

⌈인류발전에 있어 자연의 운행에 대한 나의 탐구⌋ 등

7. 오웬(Owen, 영국, 1771~1858)

1) 이상적인 공동체 사회 지향

가. 경쟁보다 협동에 근거하는 사회 질서가 존재하는 사회이다.

나. 사회 계층구조의 불합리성과 교육 불평등을 지적한다.

다. 성격 형성을 위한 노동자 계층 자녀를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2) 로크의 백지설에 영향을 받았다.

: 인간은 아주 우성적이거나 열성적인 존재로 태어나지만,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 가소성을 지닌

존재이다.

3) 성격형성학교: 읽고 쓸 수 있을 때까지 공장에서 일하는 것을 금한다.

① 주간학교(~10 세)

가. 유아학교, Infant School: ~5 세

나. 보다 높은 연령을 위한 학교: 5~10 세

② 야간학교(10 세~)

4) 교육 철학 및 방법

① 성격 형성을 위한 교육을 주장했고, 이를 통해 인간의 변화를, 인간의 변화는 사회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한다.

② 조기교육을 강조한다.

③ 부모의 영향을 강조한다.

④ 환경의 영향을 강조한다.

⑤ 자연으로부터의 보상과 벌을 통한 교육을 강조한다.

⑥ 실물 교육(실제 사물, 모델, 그림 등)과 대화법을 통한 교육을 강조한다.

Page 19: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19 -

⑦ 친절과 즐거움을 통한 교육을 강조한다.

8. 프뢰벨(Frobel, 독일, 1782~1852)

1) 신성

: 인간을 포함한 만물에는 신의 본성이 깃들어 있다.

2) 유치원, Kindergarten

① 자기교수와 자기교육 교육소 → 유희 및 작업교육소(1839) → 유치원, Kindergarten(1840)

② 놀이 / 유희 / 자기활동

③ 노작 / 작업활동

: 구멍 뚫기, 바느질하기, 그리기, 색칠하기, 종이끈으로 형태 만들기, 매트 짜기, 종이접기,

종이 오리기, 콩 작업, 상자 만들기, 점토 만들기

④ 그 외 활동

: 노래, 이야기, 동시, 율동, 게임, 정원 및 자연 가꾸기, 동물 돌보기, 산책 등

⑤ 부모교육 및 교사양성기관

3) 은물, Gabe, Gifts

① 1~10 은물: 형체(3 차원) → 평면(2 차원) → 직선(1 차원) → 선

② 신성, 통일성, 정체성, 통찰성, 자연의 원리 및 우주의 본질 등을 내포한다.

③ 단순 → 복잡, 기본 → 응용, 구체 → 추상, 가벼움 → 무거움, 잘 알려진 것 → 덜 알려진 것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4) 교육 철학 및 방법

① 인본주의: 신성을 강조한다.

② 가정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교육은 가정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 어머니와 자녀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③ 통일성의 원리: 신을 중심으로 신 – 자연 – 인간의 삼위일체를 주장한다.

④ 구상의 원리: 사물은 하나의 구심점을 중심으로 통일된 형태를 이룬다.

⑤ 자발성의 원리 / 자기활동의 원리

⑥ 계속성의 원리

⑦ 놀이와 유희의 원리

⑧ 노작의 원리

Page 20: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20 -

5) 저서

: ⌈어머니와 어린이의 노래⌋ 등

6) 비판

① 홀(Hall)

가. 상징주의와 신비주의는 유아의 욕구를 전혀 고려하지 못한다.

나. 은물과 작업은 어린이는 혹사시킨다.

VII. 근대

1. 듀이(Dewey, 미국, 1859~1952)

1) “Learning by Doing”, 행함으로써 배운다

① 경험주의: “교육은 경험 안에서, 경험에 의하여, 경험을 위하여 이루어지는 발전이다.”

② 계속적인 경험의 재구성: “교육은 곧 성장이며 삶 그 자체이다.”

③ 실용주의, 도구주의, 상대주의, 진보주의, 구성주의

④ 일원론: 이원론(이론과 실제의 분리)을 반대하고, 일원론(이론과 실제는 하나)을 주장한다.

2) 아동 중심, 흥미 중심, 경험 중심, 활동중심, 생활 중심

3) 실험학교

① 문제해결방법

② 프로젝트 접근법

③ 킬패트릭(Kilpatrick, 미국, 1871~1965)

4) 교육 철학 및 방법

① 교육 = 성장 = 생활 그 자체 = 삶 그 자체 = 계속적인 경험의 재구성

② 성장

가. 가소성

나. 지속성

다. 통합성

라. 가치지향

마. 후속 경험의 통제 가능성

Page 21: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21 -

③ 흥미

가. 대화와 의사소통의 흥미

나. 사물을 탐구하고 발견하는 흥미

다. 사물을 제작하고 구성하는 흥미

라. 예술적 경험의 흥미

④ 학습자가 교육의 주체이며, 학습자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참여와 활동은 교육의 기본

조건이다.

⑤ 교육 목적

가. 유아의 욕구와 흥미, 발달 수준을 각 교과영역에 반영한다.

나. 자발성을 기준으로 다양한 삶의 모습을 경험하고 생활에 조력이 되는 방향을 설정한다.

⑥ 교육 내용 및 방법

가. 유아의 생활 및 삶과 직결되는 내용

나. 개별화 교육 중심의 반성적 사고

다. 문제해결법

가. 교과 및 지식

나. 사회, 문화, 인지 등 포함

라. 교사–유아 간 능동적 상호작용

마. 사회화

⑦ 교육과정

다. 흥미를 바탕으로 한 행함, 곧 경험

라. 교육과정과 교육결과를 모두 포함하는 통합적 운영

⑧ 교육의 원리

가. 자발성의 원리 / 자기활동의 원리

나. 상호작용의 원리

다. 일원성의 원리

라. 변화의 원리

마. 통합성의 원리

바. 연속성의 원리 / 계속성의 원리

5) 교사관

① 관찰자: 관찰을 통해 현재 수준과 발달 단계를 고려한 수준별, 상황별 교육과정을 제시해야

한다.

② 매개자: 유아와 세계를 연결하는 매개체이다.

Page 22: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22 -

③ 안내자 및 조력자: 유아를 새로운 경험으로 안내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성장하도록 조력해야

한다.

6) 저서

: ⌈학교와 사회, The School and Society⌋(1899), ⌈경험과 교육, Experience and Education⌋(1938)

2. 슈타이너(Steiner, 독일/오스트리아, 1861~1925)

1) 인지학

① 인간 + 지혜 → 인간에 대한 지혜

② 인간은 우주와 현 세계의 중심이다.

③ 초감각적 세계의 탐구를 위해 학문적 방법을 중시하여 인간의 인식 능력을 최대한

발전시키는데 중점을 둔 학문이다.

2) 인간 본질의 삼원적 구조

① 육체: 감각세계

② 영혼: 영혼세계

③ 정신: 정신세계

3) 인간 본질의 네 가지 구성체

① 물질체(감각): 신체 전체가 거대한 감각기관이며, 외부 세계에 대해 예민하게 반응하고

기능한다.

② 생명체(생명): 생명 보존, 성장, 재생, 번식에 관여한다.

③ 감정체(의식): 육체–영혼–정신의 정교화, 이성, 판단력, 추상적 사고가 발달한다.

④ 자아체(기억): 자아의식을 형성하고 독립성이 발달한다.

4) 발달론(7 주기설)

① 1 단계: 0~7 세

가. 물질체의 탄생기

나. 감각을 통한 체험을 통해 외부를 이해한다.

다. 모방과 시범: 물리적, 심리적, 도덕적 환경을 제공한다.

② 2 단계: 8~14 세

가. 생명체의 탄생기

Page 23: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23 -

나. 성향, 습관, 성격, 의식 등을 형성하고 발달한다.

다. 감정, 상상력, 예술적 능력이 발달한다.

③ 3 단계: 15~21 세

가. 감정체의 탄생기

나. 이성적 판단력과 감수성이 발달한다.

다. 이성적, 추상적, 개념적 사고가 발달한다.

④ 4 단계: 22~28 세

가. 자아체의 탄생기

나. 자아의 탄생을 통한 독립적, 자율적,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책임감이 발달한다.

5) 기질론

① 우울질: 물질체, 우울, 흙

가. 걱정이나 불안감을 많이 느낀다, 사소한 일에도 신경을 쓴다, 부정적으로 사고하고

완벽주의적 성향을 보인다 등

나. 조용하고 생각이 깊다, 의지가 강하다, 진실에 충실하다 등

다. 교사는 유아가 타인의 힘든 경험을 통해 동정과 친근함을 기르고 자신의 고통을 다룰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② 점액질: 생명체, 무기력함, 물

가. 수동적이고 게으르다, 냉정하고 무관심하다 등

나. 조용하고 인내심이 강하다, 감정 기복이 적다, 화를 잘 견딘다, 침착하다 등

다. 교사는 사회적 접촉과 의사소통을 위한 환경과 분위기를 제공해야 한다.

③ 다혈질: 감정체, 쾌활함, 공기

가. 경솔하고 가벼운 형이다, 우유부단하다, 정서적으로 불안하다, 충동적이다, 인내심이

부족하다 등

나. 사회적 성공에 대한 열망과 표현력이 강하다, 자유롭다, 낙천적이다, 감동적이다 등

다. 교사는 진실된 관심거리를 발견하도록 돕고, 지속적인 사랑과 관심을 표현해야 한다.

④ 담즙질: 자아체, 분노, 불

가. 화를 잘 낸다, 성격이 급하다, 공격적이다, 행동적이다 등

나. 의지가 강하다, 사고의 개념화와 목표의식이 뚜렷하다, 모험적이다, 성공에 대한 욕구와

표현력이 강하다 등

다. 교사는 유아가 진정한 권위를 존중하도록 지도하고 자신의 힘으로 어려움을 극복하도록

도와야 한다.

6) 사회관: 사회유기체설

Page 24: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24 -

① 문화: 자유

② 정치: 평등

③ 경제: 형제애적 협력

7) 발도르프 학교

: 자유 발도르프 학교(1919) → 발도르프 교사 양성 학교 → 발도르프 유치원(1926)

: 자연물과 자연적 환경을 통한 교육을 중시한다.

8) 교육 철학 및 방법

① 기질을 고려한 교육

② 모방과 본보기의 원리

③ 감각의 통한 체험의 원리

④ 리듬을 통한 질서의 원리

9) 저서

: ⌈정신적 활동의 철학⌋ 등

3. 몬테소리(Montessori, 이탈리아, 1870~1952)

1) 아동관

① 외부 환경과의 상호작용 및 적극적인 탐색을 통해 능동적으로 끊임없이 자신을 창조해 나가는

무한한 잠재능력을 가진 존재이다.

② 개별적 존재이므로 개별교육이 필요하다.

2) 어린이집, Casa dei Bambini, Children’s House

3) 교육 철학 및 방법

① 민감기

제1기. 질서에 대한 민감기

제2기. 오관 및 감각에 대한 민감기: 손과 혀 이용

제3기. 걷기 및 운동에 대한 민감기

제4기. 세부에 대한 민감기: 작은 물건

제5기. 언어에 대한 민감기: 쓰기, 읽기

제6기. 사회생활에 대한 민감기

Page 25: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25 -

② 흡수정신

가. 무의식적 단계: 감각 발달

나. 의식적 단계: 의식적∙계획적∙직접적인 환경과의 상호작용

③ 준비된 환경

④ 자동교육

가. 자유와 자기활동의 원리

나. 몬테소리 교구: 교구와 상호작용을 통해 스스로 오류를 수정한다.

⑤ 개별교육

⑥ 3 단계 교수법

1단계. 명칭과 그 대상물을 일치시키도록 돕는다.

2단계. 1 단계에서 얻어진 사물에 대한 개념을 구체적인 인상으로 연결하여 대상물을

인지하도록 돕는다.

3단계. 대상물의 명칭을 기억하고 언어화하도록 돕는다.

⑦ 정상화: 내면적 안정을 갖춘 조화로운 상태

1단계.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는 단계이다.

2단계. 일시적으로 교구를 선택하지만, 선택한 교구에 진정한 흥미를 느끼기보다 교사가

제시한 방법대로 사용하는 단계이다.

3단계. 흥미를 가지고 교구를 스스로 선택하여 반복하고 집중하는 단계이다.

⑧ 교육 내용 / 몬테소리 접근법

가. 일상생활 훈련

나. 감각교육

다. 언어교육

라. 수학교육

마. 문화교육

4) 교사관

① 관찰자

② 환경준비자

③ 보호자

④ 촉진자 및 자극자

5) 비판

: 킬패트릭을 중심으로 한 진보주의자에게 ‘제한된 자유’라는 비판을 받았다.

Page 26: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26 -

4. 니일(Neil, 영국, 1883~1973)

1) 아동관

① 성선설: “인간의 본질은 선하고 현명하다.”

② 원시적이고 자연적인 존재이다.

③ “유아기에는 자기중심적이고 이기적이지만, 유아기를 지나면 이타적인 존재로 진화한다.”

2) 서머힐, 썸머힐, Summerhill

① 자연스런 생활을 통해 도덕적인 용기와 행복, 자비를 갖추고 제도의 틀에 예속되거나 선동되지

않는 균형 잡힌 인간 육성이 목적이다.

② 학교자치회: 자치제도를 가진 학교이다.

③ 개인 면담 및 개별 지도를 강조한다.

④ “실컷 논 아이는 후에 놀이에 미련을 갖지 않고 따분한 일에도 집중 가능하다.”

: 초창기에는 노동시간이 존재하였으나, 후에 18 세까지는 일을 시키지 말고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게 하도록 권했다.

3) 교육 철학 및 방법

① 교육 이념: 어린이의 행복, 흥미, 자유

② 교육 사상

가. 어린이의 개성과 인격을 존중해야 한다.

나. 사랑: 어린이의 편이 되어주는 것이다.

다. 욕구가 좌절되고 억압되면 정신적 발달이 저해된다.

③ 교육 방법

가. 자유

나. 정적 교육

다. 민주적 자치생활을 위한 도덕교육

라. 좋은 식사의 중요성 강조

마. 성교육 지지: 자위행위 인정

바. 기존 교육에 대한 비판: 수업출석의 강제, 종래의 도덕교육, 종교교육, 시험제도, 학과공부,

두뇌교육을 반대한다.

4) 자유: 통제 불가능한 자유보다는 자기통제가 가능한 “자율”을 말한다.

① 개인적 자유 – 사회적 자유

② 내적 자유 – 외적 자유

Page 27: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27 -

5) 도둑질

① 단순한 소유욕의 충족 혹은 모험심에 의한 행동이다.

② 애정 결핍을 보여주는 행동이다.

6) 교사관

① 가르치는 일은 사랑을 불러일으키는 일이며, 학생에게 사랑을 쏟음으로써만 가능하다.

② 가르치려 하지 않는 교사, 창의적 교사를 지향한다.

③ 피터팬: 교사를 피터팬으로 칭했으며, 교사의 성향에 따라 사랑의 피터팬과 힘의 피터팬으로

나뉜다. 니일이 주장한 교사는 사랑의 피터팬이다.

7) 저서

: ⌈교사의 수기⌋, ⌈파면당한 교사⌋, ⌈교사의 다섯가지⌋, ⌈문제아⌋, ⌈문제의 부모⌋, ⌈문제 교사⌋, ⌈그

지독한 학교⌋, ⌈학교에서는 두뇌가 아닌 감정교육을⌋ 등

5. 방정환(한국, 1899~1931)

1) 동학(인내천: “사람이 곧 한울”) → 천도교 → 소파 방정환(아동 존중, 아동 운동)

① 성선설

② 아동 존중, 아동 운동

가. 어린이날(5 월 1 일 → 5 월 5 일)

③ 아동문화운동, 출간운동

가. ⌈어린이⌋(1923): 한국 최초의 순수 아동잡지이며, 사진 등을 활용해 실물교육,

시청각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나. ⌈개벽⌋, ⌈신청년⌋, ⌈신여성⌋, ⌈별건곤⌋, ⌈사랑의 선물⌋ 등

다. 동화대회 개최, 아동예술 강습회, 소년 문제 강연회, 소년 지도자 대회 등

④ 소년단체조직, 교육운동단체

가. 색동회

나. 청년구락부, 소년운동협의회 등

2) 교육 철학 및 사상(안경식, 2000; 김희태, 정석환, 2012, 재인용)

① 어린이는 한울(하늘)이다. 착하고 순진무구한 존재이다.

② 어린이의 세계는 성인 세계와 다르다. 어린이의 세계를 인정하고 이해하여야 하며, 모든 것을

그들 입장에서 생각하라.

Page 28: 키즈쌤 ()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예비 공립 …1-28).pdf · ③ 가정교사에게 위탁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교사의 역할 ① 유아와 교사는

키즈쌤 (www.kidssam.net) 실비아의 유아교육론 1 편

- 28 -

③ 존대말을 쓰라. 어린이는 독립된 한 인격체이다.

④ 기쁨 속에서 자라게 하라. 어린이는 기뻐할 때 몸과 생각과 기운이 자라나며, 흥미도 싹튼다.

⑤ 자유롭게 활동하게 하라. 자유로운 활동은 어린이의 생명이요 생활의 전부이다.

⑥ 동화를 많이 들려주어라. 동화는 상상력을 키워주는 완전하고 훌륭한 예술이다.

⑦ 동요를 짓게 하고 부르게 하라. 동요는 어린이의 심성을 부드럽고 곱게 한다.

⑧ 그림을 마음대로 그리게 하라. 어린이가 본 대로, 느낀 대로, 솔직하게 표현하게 하라. 어린이의

기교는 몹쓸 짓이다.

⑨ 건전한 소년단체 활동을 하게 하라. 소년단체 활동은 어린이의 기상을 길러주고, 단결심을

함양한다.

⑩ 우리 민족과 문화를 생각하게 하라. 우리 민족은 우수한 문화를 가진 민족이며, 우리 문화는

우리 아동이 자라날 터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