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한국수력원자력㈜ 안전처 안전계획팀 이상민
26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Mar 01, 2020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한국수력원자력㈜

안전처 안전계획팀 이상민

Page 2: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1

목 차

3. ’13년도 안전문화 증진 계획

4. 한수원의 다짐

2. 안전문화 증진 체계 및 이행 노력

1. 주요 안전 이슈 및 조치

Page 3: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2

Chap.

Page 4: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후쿠시마 사고 이후 주요 안전 이슈

3

고리1호기 SBO 은폐 사건(‘12.2)

영광3호기 제어봉 안내관 균열(‘12.11) 품질검증서 위조사건(‘12.11)

후쿠시마 원전 사고(‘11.3)

Page 5: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주요 사건별 조치실적

4

후쿠시마 원전사고 (’11.3.11)

국내원전 개선대책

도출(46건) (’11.5.6)

한수원 자체 개선대책

도출(10건) (’12.2.28)

고리1호기 정전사고 (’12.2.9)

고리원전 직원마약 (’12.9.27)

품질검증서 위조사건 (’12.11.5)

안전점검 (’11.3~5) 안전감독

조직신설 (’12.4.26)

안전문화 조직신설 (’12.5.10)

전 원전 안전문화 평가 (’12.5.14~7.19)

한수원 경영혁신 TF구성

(’12.9.13)

해외 전문가 1차 안전진단 (’12.12.10~14)

해외 전문가 2차 안전진단 (’13.3.28~4.23)

원전관련

주요사건

주요

조치실적

’11년 ’12년 ’13년

안전기술본부신설 (’11.5월)

안전문화 향상대책

수립 (’12.12.13)

제1차 원전 안전성증진 종합계획 (’13.2.27)

본사 위기 상황실 개소 (’11.8월)

Page 6: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5

Chap. Ⅱ

Page 7: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안전문화 증진 체계

6

안전문화 증진 체계 안전문화 구성요소 (INSAG-4)

원자력안전 비전

Page 8: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안전 전담조직 신설

7

24시간 발전소 상시 감시/감독 시행

문제발생시 본사 직보체계 구축

[본사 안전감시역 1명] [원전본부 안전담당 24명] 영광 안전담당(관)

월성 안전담당(관)

울진 안전담당(관)

고리 안전담당(관)

[부장1/차장2/직원1]

종사자 안전문화 향상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및 변화선도

본사 소속

조직 신설

조직 신설

Page 9: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안전문화 향상대책 수립[4개분야 31개 과제]

8

원자력 안전문화 구성 요소 재정립 안전문화 평가 프로세스 개선 및 발전소 평가

내부 경영평가 안전문화 관련 지표 개선

해외 안전전문가 안전자문으로 안전관리 체계 종합 진단

안전문화 상시 점검 체계 구축 종사자 안전 건의 제도(ECP) 시행

안전문화 LOVE + 365 운동

원자력 안전문화 전문가 양성

안전문화 캠페인 전개(포스터 순회 전시 등)

한수원- 협력사 안전문화 동반 증진

Page 10: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안전문화 개념 정립 - 정의

9

Page 11: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안전문화 6대 원칙 및 24개 실천지침

10

원자력 안전에 대한 책임은 모두에게 있다. K1

관리자는 원자력안전 확보에 솔선수범 한다. K2

항상 의문을 갖는 태도로 업무에 임한다. K3

원자력 안전을 중시하는 업무환경을 조성한다. K4

학습과 개선활동을 지속적으로 이행한다. K5

원자력안전을 위한 제도를 수립·이행한다. K6

Page 12: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12년 원전 안전문화 평가 시행

11

평가 개요

평가 대상 : 발전소 종사자 (상주협력사 포함)

평가단 : 산·학·연·NGO·퇴직 전문가 등 본부별 11~13명으로 구성

평가방법 : 사전평가 (설문조사), 현장평가 (종사자 면담, 현장관찰 등)

※ 2013년도 안전문화 평가 계획

☞ 대상/일정 : ’12년도 평가 미시행 8개 발전소 / ’13. 5~7월

Page 13: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12년 안전문화 평가 결과

12

평가 결과

0%

20%

40%

60%

80%

100%

K1 K2 K3 K4 K5 K6

25.1

11.5 8.8

33.0

18.5 16.5

27.2

26.9 27.6

35.5

35.4 27.4

47.7

61.6 63.6

31.5

46.1 56.1

긍정 답변

중립 답변

부정 답변

안전문화 원칙별 종합

긍정적 평가 : 종사자의 의문을 갖는 태도(K3) 부정적 평가 : 안전을 중시하는 업무환경 조성(K4)

Page 14: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원전운영 패러다임 안전중심으로 전환

13

안전중심의 평가체계

개선을 통한 안전 최우선

경영방침 구현 9점 상승

24점 상승

18점

27점

32점

56점

원전본부 발 전 소

’11년 ’12년 ’11년 ’12년

3개 지표

5개 지표

6개 지표

10개 지표

원자력안전문화 제고 노력 원전 위기대응 안전평가 지수

재난예방 안전활동 강화지수 안전문화 증진 노력도 가동원전 안전관리 지수 내진 안전성 개선 지수

신규지표

Page 15: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한수원-협력사간 안전문화 동반 증진

14

원전산업계 및 연구계

(설계, 제작, 시공, 정비, 안전, 품질,연구분야)

원자력안전협의회(KNSF) 운영

회원총회(사장단)

연1회(정기), 현안발생시(수시)

운영위원회(각 회사 전무급)

실무협의체(현안에 따라 조직)

14개사 CEO 협의회로 발족(’11.10.19)

23개사 CEO 협의회로 확대(’12.11. 6)

’13년

1. 한수원-협력사 안전문화 실무협의체 구성

2. 협력사 ‘안전지킴이’ 선정 운영

Page 16: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15

Chap. Ⅲ

Page 17: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16

해외 안전전문가 자문 시행(’12.12~’13.11)

Exelon 고위간부 등 해외 전문가를 채용하여 제3자적, 객관적 시각으로 안전진단

기간 : ‘13.3.28~4.23

대상 : 전 원전본부 및 중앙연구원 ‘13년 9월 중 시행예정

기간 :‘12.12.10~12.14

대상 : 본사 및 고리본부

결과 : 16개 개선사항 도출

(체계적 안전문화 교육수행 등)

해외 안전전문가 : Mr. Robert Hovey, Mr. Sarfraz Taj (Exelon)

안전진단 결과 도출된 주요 개선사항 추진

- 본사와 원전본부간 권한과 책임이 일치하도록 개선 - 원전본부별 소통대응 전문가를 경력직으로 채용, 활용 검토 - 근본원인분석보고서 적기 작성 및 전 사업소 전파 - 건의자 신분에 대해 비밀유지를 보장하는 종사자 안전 건의제도 운영 - 발전/정비 등 현장 인력증원 필요, 각 직급별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실시 등

Page 18: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17

안전문화 벤치마킹·자문회의 추진

벤치마킹

전문가 자문회의

타 산업체의 안전문화 우수 활동 및 개선사레 도입

인문·사회분야 외부자문을 통한 안전문화 확산 방안 도출

대상 : 대한항공 본사(‘13.2.26) 및 에스원 천안연수원(‘13.3.14)

적용 가능사례 발굴 및 추진

-‘안전의식 결여 사례집’ 발행, 전 직원 교육자료 활용 - 대한항공 인적행위 관련 교육 참여, 안전문화 개선사항 도출 - 안전문화 메시지 E-mail 수신대상 확대(발전소 3직급 전원)

- 직급별 안전문화 역량 모델 개발 추진

회의일자/장소 : ‘13. 2.18 / 한수원 본사 자문단 : 박수애 교수(연세대 심리학과), 양세진 교수(한국리더십센터)

적용 가능사례 발굴 및 추진 - 실제 사고·고장 사례 분석을 통한 토의식 교육 강화 - 자율적 안전문화 형성을 위한 분임조 활동 주기적 시행 - 다양한 방법을 통한 안전문화 캠페인 지속 전개

- 타 산업계 및 자기성찰 기회 제공을 위한 인문사회 분야 교육 개발

Page 19: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안전문화 LOVE + 365 운동 전개

18

[세부 활동계획]

Page 20: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종사자 안전 건의 제도 도입

19

적용대상 : 한수원, 협력회사 직원 등 원자력 발전소 전 종사자

건의대상 : 원자력 안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사항 - 원자력 안전, 운영, 정비, 환경, 방사선, 보안 등(개인 고충 및 타인 비방 제외)

특징 ① 업무 수행 중 발견한 안전 위해요소 및 개선 필요사항을 다양한 방법으로 건의 ② 제보자 신분 비공개 보장(불이익의 우려 없이 자유롭게 문제 제기 가능) ③ 다양한 방법으로 제보가능(공개/비공개CAP, 전화·Fax, 전자우편 등) ☞ 전용회선 : ☎ 02-3456-1588 / FAX 02-3456-1589, e-mail : [email protected]

주요절차

종사자 안전 건의 제도(ECP, Employee Concerns Program)

Page 21: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종사자 안전 건의 제도 절차

20

‘종사자 안전 건의 제도’ (ECP) 처리절차

공개 운영개선 통지(CAP) 발행

- 일반 CAP 처리 절차와 동일

비공개 운영개선 통지(CAP) 발행

ECP 담당자 검토→ECP 운영개선위원회 상정→

대책 수립→시정조치→제보자 만족시 종결

제보자 건의내용 비공개

- 통지 제목 : ‘안전문화’로 입력

- 통지 목록/내용 : 본인 및 ECP 담당자만 확인가능

- 통지 진행 과정 및 처리 결과 :

통지 작성시 입력한 전자우편으로 전송

비밀 준수 서약

- ECP담당자 및 ECP운영개선위원회 위원은 접수된

건의 내용 처리시 비밀준수 서약서를 작성

무기명 선택

안전문화분야 선택

Page 22: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기본개념 원자력 특수성 이해

안전문화 강화방안 사건,사고 사례 및 교훈

안전문화 관찰, 평가 국내외 안전문화 동향

안전문화 증진 전략 중요성 인식, 이행전략

기성직원

중간관리자

고위 간부

리더십 과정(12개)

전문가양성 단독과정

직무 과정(143개)

신입사원 과정(5개)

집합교육(단독과정, 공통과목)

이러닝 교육

원격교육

교육방법

협력업체

수탁 과정(15개)

안전문화 기본개념

Page 23: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안전문화 캠페인 지속 전개

22

안전문화 메시지 전파(주간, 월간)

안전문화 생활화 및 인적행위 개선 메시지를 발전소에 주기적 제공

사내 2, 3직급 간부에게 이메일로 제공 조직내 교육자료로 적극 활용

안전문화 포스터 개발, 순회전시

안전문화 원칙 및 실천지침에 근거한 포스터 80종 개발 중

발전소 순회 전시(‘13.5월) 후 배부, 게시 및 교육자료 활용

[주간 안전문화 메시지 전파 사례] [개발중인 안전문화 포스터]

Page 24: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23

Chap. Ⅳ

Page 25: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철저한 자기반성과 근본적 혁신 지속

24

Page 26: 한수원 안전문화 증진 이행체계와 계획 · 안전문화 교육훈련 체계 강화 21 신입직원 종사자 전 생애주기 맞춤형 안전문화 교육 시행 안전문화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