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Vo1. lX , No. 2, 1973 1 A Case of Diprosopu s 1 X jÍË : : 1-00-1 : : : : 170/ 125 mm Hg 5cm 70 %, X cloudy radi- opa ci ty 350cc : 4000 Gm , 56 cm, 48 cm , 30 2 2 cm (Fig. 2, 3) : ( Fi g. 4) : : - 127 -
4

KoreaMed Synapse - 二顧體의 重複뼈形兒 1 ↑列 · 2017-01-19 · 또한 두개의 sella turci ca의 존재를 나타내는 네개의 원형상이 보인다. 우측하악골은

Jul 01, 2020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 大輪;放射練醫學쩍誌 Vo1. lX , No. 2, 1973

    二顧體의 重複뼈形兒 1 ↑列

    A Ca s e of Diprosopus

    쟁花女大 쩔科大쩔 I.&M綠科짱敎室

    徐聖姬 · 李 T 植 · 金熙 涉

    病 理 學 敎 室

    *홈 論

    최근 신생야의 세균감염흐포 인한 사망율은 의 학의 말

    달과 예방접 종 및 국민의 보건계 몽A로 현저히 강소되

    었다. 그러나 임신초기에 산모의 Rubel! a 강엽 , 여러가

    지 의 약품, 한약복용과 인체유해가스중독 등으로 올 수

    있다는 선천성기형은 출지 않고 어선히 산모와 태아의

    정신척, 육체석 건강셰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저자는 이들 션천성 기 형 중에서도 드운 태아의 軍f양

    뻐점形, 그 중에 서 도 더욱 회 유한 二頻體의 重複略形兒 1 例를 경 험 하 였기 에 이 를 X K;iÍl젤떠 빛 쩌〕핑解헤당![I에 견

    지에시 기술하고, 0 1 에 따른 운헌석 고찰을 하고자 한닥.

    jÍË 例

    본 기형아의 출산에 따른 짧핍:歷을 보연 :

    흩ff):: 검 0여 27歲

    흩歷 : 1- 0• 0-1

    家族歷 : 父系 및 母系에 근친결혼, 기 형, 多服@王娘,

    유선관계 등에 특기사항이 없으여 , 임신초기에 연탄가스

    중독된 일이 있으나 혼수상태에 이를 정도는 아니 었다하

    며 다흔 병을 앓거나 투약한 석은 없다한다. 남편 또한

    건강하다.

    最終月 經 日 : 1972년 7월 5일

    分娘짧定 日 : 1973년 4월 12일

    入院時 및 A院後 所見 : 1973년 5웰 2일. 임 신 42주,

    양믹파수후 1일 , 과대 한 복부팽 대 둥을 主訴로 東仁醫

    ti에 입원하였으며 입원시 하퇴부종(+), 뇨단백(1+),

    혈압 170/ 125 mm Hg 로서 子潤前jfE의 중상을 보였으며

    복부팽대가 현저하고 내진결과 자궁外口는 5cm 개대되

    었 고, 자궁경관소설은 70% , 兒頭는 浮動j상태였다. 그

    리고 태아의 心퓨은 잘 청취할 수 있었다 한다.

    得 龍

    8흉혀j X 絲所見으로는 복부는 천반적으로 cloudy r adi-

    opacity 를 나타냈고 태 아는 碩位로써 두개 골은 정 상척

    으로 말육된 척추나 사지에 비 하여 E大한 양상을 보였

    A므로 양수과다중과 뇌수종 둥을 의심하였다. 따라서

    위의 X 總上所見下에 자궁경 부제왕절개수술을 시 행 히였

    다. 분만시 兒뼈가 너무 컸기 때운에 뇌척수액 350cc

    천 자후 분만이 가능하였고, 분만후 태 。}는 怪音을 장깐

    말성하었을 뿐 크게 울지 옷히 였고, 사지는 힘 차게 움

    직 였다허며 분만후 10분 만에 사망하였다.

    $훌形見의 外的所見 :

    체 중 4000 Gm , 신장 56 cm, 두위 48 cm , 흉위 30 cm의

    女%로나 兒펴는 정상아 보다 약 1 . 5애 커져 있었3며

    천반석 인 딸육상태 는 양호하였고 兒碩를 제외한 신체

    각부의 u1 율이 나 형체는 정 상이 었 다.

    兒패는 두개 의 얼 굴이 측연에 서 부착된 양상으로써 세

    개 의 눈 그 중 중간에 위치한 것은 양측면의 것 의 약 2

    배 크기 로써 그 내 에 두개 의 안구릎 가지고 있다. 두개

    의 코, 두개 의 입 , 그 중 좌측 업 에 짧層。l 있었고, 머

    리털은 약 2 cm 가량으로 잘 발육되 어 있었다. (Fig. 2, 3)

    。 1 =頻으로 이루어진 행部는 하나의 顆部와 體部로

    연결되어 있었 다.

    病理解휩l훌的所見

    頭훌骨 : 두개의 大폈門과 4、꼈門, 두개의 失狀짧合,

    두개의 찍骨이 있고. 좌측과 우측 前頭骨과 頭頂骨이

    내측에 서 융합되어 있었고 後頭骨은 하나로 이루어져있

    었 다. (Fi g. 4)

    짧面 : 좌측안연 右fftlJ 짧層, 세 개의 眼짧 중 중간에 위

    치한 것은 하나로 융합되어 있었으여 그 내부에 두개의

    服球를 가졌고 코는 각각 하나였고 귀 는 양측연에 하나

    씩 가지고 있었다.

    口降 : 두개의 업 에 두개의 혀 가 있었으며 이 두개의

    - 127 -

  • 차의 大腦짧을 카쳤고, 01 투개의 뇌흘 나누는 大腦緣과 비슷한 願이 중칸에 위 치 하고 있었다. 소뇌 또한 두

    개 로서 좌측소뇌 가 우측 보다 더 작았다.

    視神經은 네개였고, 大後頭JL과 좁柱는 하나었다.

    훌1’

    Fig. 3

    X 線學的所見

    頭훌骨 ; 두개골의 천반척인 크기 는 정상아의 약 1. 5 배이고 두개의 失狀總合, 두개의 大꼈門과 두쌍의 冠狀

    짧合이 중간지점에서 서 로 만나고 있다. ( Fi g. 1)

    두개골의 중간부위에 radiopaque line 이 나다나rJ~ 이

    를 중심으로 두개골이 두부분으로 나뉘어지 는 양상을

    보인다.

    두개의 짜形’입 이 완역한 음영을 나타내 나 각 내측의

    것은 외측것의 약 융의 크기 를 보인다 또한 두개의 sella tu rc i c a 의 존재를 나타내 는 네개 의

    원형상이 보인다.

    우측하악골은 體部와 양측下짧IJS( 까지 완벽 한 음영 을

    보이 나 좌측하악골은 體部의 중간부위 에 서 울규칙 한 양

    Fig. 1

    jι 때 호 。a‘~

    ( ExT

    )

    r-"‘

    영‘ Fíg. 4

    Fig. 2

    혀 는 기저부에 서 서로 융합되어 있었다. 口蓋짧은 없었

    다.

    P困P옳, p명頭, 氣管, 食道 : 하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

    상과 같다.

    睡部職器, n행$ 및 四股 : 특기할 만한 기형이 없었다

    腦와 神經 ; 좌측뇌가 우측뇌 보다 작았고 각 뇌는 각

    - 128 -

  • 상l>...로 우측하악곧의 좌측角部에 부착되어 있는 듯하다. 기형의 빈도는 단 1예로서 1972년 8월의 二複性頭뼈結

    우측짧面骨은 좌측보다 잘 발달되 어 있고 右얘~低部에 서 合않CCephalothoracopagus diprosopus) 였다. 그러 나

    環推骨이 시작되어 하나의 흉柱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簡形兒는 산모의 송략을 받지 못하여 휩j劍하지 못하

    떼面사진에서 三떠繼合과 錯평總合이 단일한 음영으 였다.

    로 나타나며 에頭骨의 superimposed petrous pyramid 이 중복기형 2예는 모두 여아로써 이는 Zangenmeis-

    가 복합된 음영A로 나타나 있다 ter1 ) 의 女 對 맺의 비율 3: 1의 보고와 같이 女兒에서

    ~r,\ '타·은 두개 , 됩Ijt,;}뾰, 口 1뾰, 節셈’페, 上-햇洞에 마약 중복기형의 빈도가 높음을 시사하고 있다. 重複뼈形의

    한 radiolucency 가 보인다. 발생기천과 요언을 고찰해 보면 . Potter2 ) 에 의하연 중

    홉柱 : 경추, 흉추, 요추, 천추에 二分휴推 흑은 다른 복기 형 의 발생 기 전은 -ßßi生雙뼈와 거 의 같다한다. 즉 만

    기형이 없고 흉推間도 정상이다. 약 쌍태가 服兒Jjf板(embryonic disk) 01 분리되기 천 ~部 : massive radiopacity 와 아주 마 약한 air bron- inner cell mass stage 에 결정 되 연 두개 의 완천히 분리

    chogram 이 나타나 있고 성장과의 경계는 구별할 수 된 태아가 생기지만, 태아배판이 형성된 후 까지 쌍태

    없다. 가 생기지 않고 두개의 axial growth center 가 생기고 R훌部 : massive radiopacity 를 나타내며 전혀 gas 또 그것이 충분히 분리되지 않으연 두 뾰兒가 부분적으

    shadow를 볼 수 없다. 로 부착되는 결합체기형이 형성된다 하였다. 따라서 중

    륨R업骨, 銷骨, 흉곽골, 陽骨:특기할 기형이 없다. 복기형이나 쌍태를 발생할 수 있는 내적조건은 모든 난 四股骨格 : 염 l따찢, 랩·삐/낌·갖이 없고 足根骨 에 됐狀없 자에 서 존재 하고 중복기 형 의 존재 는 수정 후 2주 말기 이

    는 것으로 보이- 태아의 매독감엽은 없었던 것으로 본다 천에 결정된다 하였다.

    考 용쫓

    i잠復R장7f~ (conjoined twin)은 고대 석 부터 보고되 고

    있으나 드물게 받생하므로 그 발생통계가 정획히 기숲

    되지 못하고 있다.

    Zangenmeister 1) 에 의히연 건 분만예의 0, 01 %. 전

    기 형의 0.4%가 중복기형이었고. Potter') 는 분만 60.0

    00예 중 1예 • Ryden 3) 은 분만 40.000예 중 2예 . Puech 'l

    는 분만 100. 000 예 종 517예 의 기형, 이 중에서 단 2

    예 의 중복기형을 보고하였고. Adair' ) 는 25.000예 중 2

    예 • MuldaIiar6 ) 는 1920'건 에 서 1928년 까지 25.000예

    중 4예 의 중복기행을 보고하였다.

    중복기 헝 중 對稱{生重짧뼈形은 더 욱 드울어 서 Chica-

    go-Lying in hospitaJ') 에 서 관찰한 바에 의 하면 1931

    년에 서 1962년 까지 100. 000예중 2예가 발견되었으며

    그 중 1예는 embryo 에서 또 1예는 유산된 fetus 에서

    발견되었다 한다.

    對隔{生重훤間形 중에 서 뼈部짧合重複騎形(Thoraco

    pagus)은 비 교석 많다하며 우리 나라에 서 도 頭뼈結合體

    (Cephalothoracopagus)가 金7) 裵 S) 동에 의 하여 보

    고된 바 있다. 그러나 두개의 願面이 측면으로 연결된

    二짧f뽑는 아주 드물어 外園의 Henry') • Gunter') •

    Cosmettatos'O ) 의 보고가 있으나 최근 10'건간 우리 나하

    에서 아직 보고된 바 없는 것으로 얀다.

    본원의 경우 1961년 5월에서 1973년 8월 까지 분만

    19.256예 중 쌍태분만이 196예 로써 천 분만의 0.01 %였

    고, 이는 마국의 1 . 61 %보다 낮은 빈도를 보였고, 중복

    또 Witschi") 에 의하연 사람의 중복기 형의 가장 흔

    한 원인은 난자의 노숙화라 하고, 난자의 과숙과 더불

    어 배란의 지연은 난자가 정상척으로 분화하는 능력을

    점 차 감퇴 시 켜 더 이 상 정 상적 인 axiate organization

    을 불가능하게 하여 냥배 형 성 (gastrulation)의 두개 흑

    은 그 이 상의 secondary points 가 생 기 는 대 신 두개 흑

    은 그 이상의 embryonic axis 가 생기게 된다 하였다.

    따라서 critical stage 에 발육의 일시 정 지 기 가 환경 적

    요인으로 연장될 때 降兒가 불완전하게 분리되어 중복

    기형이 생긴다 히 였다.

    그러므로 중복기형은 유전석인 원인으로 오는 것은 아

    니고, 청상척인 난자의 발육을 장애하는 어떤 요소에

    인한다 하였다.

    동물실험에서 Werber12 ) 는 수청난에 소량의 butyric

    acid 나 acetone 을 첨 가하므로써 . Stockhard & Lewis

    13) 는 rnagnesium chloride 로 처 리 하여 중복기 형 을 만

    틀었다. 따라서 Werber12 ) 는 어머니나 아버지가 극소량

    의 독성물질을 성취하거나, 또 어머니의 신진대사장해

    가 기형을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외 다른 원언을 보면 복부나 자궁에 직접척인 상해

    로 태아나 난자에 짧은 섣체적언 따괴를 줄때, 또 임질

    이나 매독 같은 갤병시도 기형을 발생할 수 있다 한다.

    저자가 관찰한 木例에서 임신초기에 일산화탄소중독

    。l 본 중복기형의 원인이 휠 수 있는 지는 확실치 않

    다.

    중복기 형 의 분류를 보면, 학자에 따라 분류방법 이 다

    르나. Potter') 와 森않樹14) 등에 의하면, 중복된 부분

    - 129-

  • 이 ‘동퉁한 크기 와 외 형 을 한 對稱뾰二i용R장形과 크기 가

    서 로 다르며 成熟한 쪽(autosite)에 미 숙한 부분(para

    site) 이 부착하여 기생하는 寄生性 흑은 非對稍性二重略

    形으로 대별히였다.

    또 對稱性二重騎形을 zp:行性 및 非zp:行{生으로 나누기

    도 하며 학자에 따라 조금씩 분류를 달리 하고 있다.

    이들을 종합해 본 결과 本徒例는 짧面。l 二重이고, 신

    체 다른 부분은 콩통。1 므로 不全性, 測面週結體 對稱性

    zp:行二重體에 해 당한다.

    그리고 二顧뽑도 二重體化의 정도에 따라 三限性, 四

    眼性, 三뼈1’1:=頻體 등으로 분류된다11 ) 木líE例는 外形

    으로 볼 때는 三 RR性이 나 실제상 네개 의 안구와 네개의

    視떼I經을 가진 것으로 볼 때 四眼住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겠다.

    結 論

    -ßßj生 女兒의 =짧體重짧騎形兒 1例로 보고한다. 01 略形兒의 발생기전, 요인, 빈도 빛 분류를 간단히 고찰

    하였다.

    REFERENCES

    1. Zangenmeister: Leltrbuch der Gebu1'lshilfe. 746 ,

    ]927.

    2. E. L. Potter: Pαthology 01 tlte Fetus and the

    lnlant , 223, 1962.

    3. Ryden , A.: Delivery o[ Thracop“gus, Zentralbe. [. Gyηak. 58:972- 975, Apη,1 28, ]934.

    4. Puech , cited by Scammon , R. E.: Fetal mallol'-

    mations iη Abt. 1. A. , Pediatrics, Philadelphia ,

    þregnancy , Am. ]. Obst. & Gyηec. 20: 539-S52 ,

    1930.

    6. Muldaliar, A. 1.: Double monsters: A study o[

    their circulatory system and soη1e other aηatom.ical

    abnorm.alities and the com.þlications in labor, ].

    Obst. & Gynec. Erit. Eηψ 37:753- 768 , ]930.

    7. 金善元, 趙石톰, 李元起, 金핍燮, ìU2f~根 , 李相탱:

    f.îî有한 內職脫出líE을 同 i*한 重複騎形兒 1例 , 大輪

    æ짧A科學會誌 VoL. 10, No.8. August. ]967.

    8. 裵國燦, 河玉根, 姜大붉, 金星煥, 鄭WÄ熱 : 頭뼈結

    合體의 燮Rállßj形兒의 H꺼U , 大 iliff.塵혜人科學會誌

    VoL. 16. No. 2. Feb. 1973.

    9. J. U. Gunter, Lt. Comdr. (M. C.) U. S. N. :

    CePhalothoracopagus monosymmetros. Am. J. Path. 22:855, 1946

    10. Cosmettatos , G. F.: De la cycloPie chez les mon-

    stres diþl'osopes triophtal1l1es , An’1. . d’ on시. , 158, 349- 368, 1921.

    11 . Witschi , E.: Appearaηce 01 ACcesS01'j1 “Organ-izers" in OverriPe Eggs 01 the Frog , Proc. Soc.

    Exper. Biol. & Med. , 3/:4/9, 1934.

    12. Alexander E. Dunbar , M. D.: Teγatology , Am.

    ]. Surg. '24:157 , 1934.

    13. Stockard, C. R.: Developmental Rate and Struct-ural Expression; Aη Experi1l1ental stμdy 01

    Twins , Double 1I1 0n찌e1'S and Single de[om.ities,

    and the Interaction among Embryonic Organs

    Dμring Their 0η'gin and Develop끼ent, Am.].

    W.B. Sauηders Co. , 6:164, 1925. Aηat. 28: 115, 1921.

    5. Adair, F. L.: Fetal mal[ormatioηS 쩌 mμltiple 14. 森잖樹 : 病理學總論 p. .115, 1962.

    -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