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884 Original Articles Korean Circulation J 2001;31( 9) :884-893 좌각 차단 하향성 전기축을 보이는 특발성 심실 빈맥의 심전도 형태차이에 따른 전극도자 절제술의 성적비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이만영·노태호·진승원·유기동·장기육 오용석·채장성·김재형·홍순조·최규보 Electrocardiographic Predictors for Successful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in Patients with Idiopathic Ventricular Tachycardia Showing Left Bundle Branch Block and Inferior Axis Man Young Lee, MD, Tai Ho Rho, MD, Seung Won Jin, MD, Ki Dong You, MD, Ki Youk Chang, MD, Yong Sok Oh, MD, Jang Seong Chae, MD, Jae Hyung Kim, MD, Soon Jo Hong, MD and Kyu Bo Choi,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ABSTRACT BackgroundAlthough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 RFCA) is useful in the treatment of idiopathic ventricular tachycardia, particularly in cases of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tachycardia ( RVOTT) , some tachycardias remain resistant despite several attempts. This study was focused to elucidate the electrocardio- graphic characteristics suggestive of successful radiofrequency ablation of idiopathic ventricular tahycardia showing LBBB and inferior axis. Materials and MethodsThe study subjects comprised 19 patients ( mean age 44± 15, male 5, female 14) in we had attempted RFCA under the diagnosis of RVOTVT. The study sub- jects were grouped into a success group ( N14) and a failed group ( N5) . We analyzed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QRS complex during ventricular tachycardias or premature ventricular beats in both groups. ResultsAcute success was obtained in 14 of 19 patients. For RFCA of RVOTT, pace mapping and/or act- ivation mapping were used to select an ablation site as described previously. 1) Activation mapping was possible only for 5 patients. All patients except one of the success group showed inferior axis of QRS during VT. We did not fin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uccess and failed group in terms of the QRS axis, QRS morphologies in lead 1 and aVL, or QRS width in lead II and V 2 . However, in further analysis of the morphologic comparison of precordial leads, 12 of 14 patients in the success group showed an initial “r” wave in V 1 ( p0.017) and 11 patients had precordial transition > V 3 ( p0.038) . Whereas, in the failed group, 4 patients had precordial transition V 3 and only one patient showed precordial transition > V 3 . The initial “r” of V 1 was seen in one patient and the remaining 4 patients showed a QS pattern in V 1 . ConclusionAnalysis of QRS morphology in V 1 and precordial transition site may identify patients with high and low success rate during RFCA of idiopathic RVOTT. ( Korean Circulation J 2001 ; 31( 9) : 884-893) KEY WORDSElectrocardiographic predictor·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ventricular tachycardia·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논문접수일:2000년 7월 24일 심사완료일:2001년 7월 4일 교신저자:노태호, 130-709 서울 동대문구 전농 2동 620-56 가톨릭대학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전화:(02) 958-2114·전송:(02) 968-7250 E-mail:[email protected]
10

Fig. 1. - KoreaMed · 2014-10-11 · 머지 1예의 경우는 RFCA 시도부위에서 His파가 관찰 되어 RFCA를 시도하지 못하였다(Fig.1). 성공군의 평 균 에너지

Jun 20, 2020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Fig. 1. - KoreaMed · 2014-10-11 · 머지 1예의 경우는 RFCA 시도부위에서 His파가 관찰 되어 RFCA를 시도하지 못하였다(Fig.1). 성공군의 평 균 에너지

884

Original Articles Korean Circulation J 2001;;;;31((((9))))::::884-893

좌각 차단 및 하향성 전기축을 보이는 특발성 심실 빈맥의

심전도 형태차이에 따른 전극도자 절제술의 성적비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이만영·노태호·진승원·유기동·장기육

오용석·채장성·김재형·홍순조·최규보

Electrocardiographic Predictors for Successful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in Patients with Idiopathic Ventricular Tachycardia Showing Left Bundle Branch Block and Inferior Axis

Man Young Lee, MD, Tai Ho Rho, MD, Seung Won Jin, MD, Ki Dong You, MD, Ki Youk Chang, MD, Yong Sok Oh, MD, Jang Seong Chae, MD, Jae Hyung Kim, MD, Soon Jo Hong, MD and Kyu Bo Choi,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ABSTRACT

Background:Although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RFCA) is useful in the treatment of idiopathic ventricular tachycardia, particularly in cases of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tachycardia (RVOTT), some tachycardias remain resistant despite several attempts. This study was focused to elucidate the electrocardio-graphic characteristics suggestive of successful radiofrequency ablation of idiopathic ventricular tahycardia showing LBBB and inferior axis. Materials and Methods:The study subjects comprised 19 patients (mean age 44±15, male 5, female 14) in we had attempted RFCA under the diagnosis of RVOTVT. The study sub-jects were grouped into a success group (N=14) and a failed group (N=5). We analyzed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QRS complex during ventricular tachycardias or premature ventricular beats in both groups. Results:Acute success was obtained in 14 of 19 patients. For RFCA of RVOTT, pace mapping and/or act-ivation mapping were used to select an ablation site as described previously. 1) Activation mapping was possible only for 5 patients. All patients except one of the success group showed inferior axis of QRS during VT. We did not fin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uccess and failed group in terms of the QRS axis, QRS morphologies in lead 1 and aVL, or QRS width in lead II and V2. However, in further analysis of the morphologic comparison of precordial leads, 12 of 14 patients in the success group showed an initial “r” wave in V1 (p=0.017) and 11 patients had precordial transition >V3 (p=0.038). Whereas, in the failed group, 4 patients had precordial transition V3 and only one patient showed precordial transition >V3. The initial “r” of V1 was seen in one patient and the remaining 4 patients showed a QS pattern in V1. Conclusion:Analysis of QRS morphology in V1 and precordial transition site may identify patients with high and low success rate during RFCA of idiopathic RVOTT. ((((Korean Circulation J 2001;31((((9)))):884-893)))) KEY WORDS:Electrocardiographic predictor·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ventricular tachycardia·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논문접수일:2000년 7월 24일

심사완료일:2001년 7월 4일 교신저자:노태호, 130-709 서울 동대문구 전농 2동 620-56 가톨릭대학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전화:(02) 958-2114·전송:(02) 968-7250 E-mail:[email protected]

Page 2: Fig. 1. - KoreaMed · 2014-10-11 · 머지 1예의 경우는 RFCA 시도부위에서 His파가 관찰 되어 RFCA를 시도하지 못하였다(Fig.1). 성공군의 평 균 에너지

885

서 론

심실 빈맥의 치료에 있어서, 특히 심전도 소견상 좌

각 차단 및 하향성 전기축을 보이는 우심실 유출로 심실

빈맥(RVOTT)의 경우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RFCA)

은 근치적 치료방법으로서 그 유용성이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의 환자에서는 고식적인 RFCA로 빈맥의

제거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보고자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의 RVOTVT의 경우 심각한 형태적 심

장 이상을 동반하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이들 심실 빈

맥의 경우 심전도상의 형태적 차이가 어느 정도 빈맥 발

생부위의 차이를 반영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RFCA

의 성공여부가 이들 빈맥의 해부학적인 발생위치와 밀

접하게 연관되어진다 가정하면, 이들 빈맥의 형태학적인

분석은 RFCA의 성공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중

요한 임상적 의의를 갖는다 하겠다. 이에 본 대학에서

RVOTVT빈맥 진단 하에 RFCA을 시도하였던 19예 중

성공하였던 14명의 환자와 실패하였던 5명의 환자를 대

상으로 심실빈맥 시 심전도의 형태적 차이를 비교 조사

하였다.

대상환자 및 방법

1997년 8월부터 2000년 7월까지 본 대학 부속병원

에서 우심실 유출로 심실 빈맥(RVOTT) 진단 하에 전

극도자 절제술(RFCA)을 시도하였던 19(남자 5, 여자

14)예 중 성공하였던14명의 환자와 실패하였던 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심실빈맥시의 심전도 형태를 비교 조

사하였다.

전기 생리 검사와 RFCA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하

나의 4극도자(6Fr quadripolar elecctrode)를 우심실

첨부에 위치시켜 심실자극 및 참고도자로 이용하였고,

또 하나의 원위부 전극 크기가 4 mm인 7 Fr deflec-

table 4극도자(EP Technologies, Inc., Mountainview,

California)를 일단 폐동맥내로 전진시켰다가 우심실 국

소파의 출현을 관찰하면서 우심실 유출로로 후퇴시켜 pa-

ce mapping과 activation mapping 및 RFCA에 사용

하였다. 계획전기자극시 자극 전기는 2 msec, 자극 강도

는 이완기 역치의 2배로 하였고, filter setting은 30∼

500 Hz로 하였으며, 3F51-cardiac stimulator(San-

Ei Instrument Co. Ltd)를 이용하여 전기자극을 반복 시

행하였다. 또한, 필요에 따라 빈맥의 유발을 위하여 is-

oproterenol 정주(1∼3 μg/min)를 병용하였다.

RFCA은 고주파 에너지원으로 HAT300(Osypka,

Sulzer Medica) RF generator system을 사용하였고,

심실 자극 심전도를 심실 빈맥 시 심전도와 비교하는

pace mapping과 혹은 심실 빈맥 시 심실의 국소적 흥분

이 제일 빠른 부위를 선택하는 activation mapping을

통하여 절제 시도 부위를 결정하였다. 일단 위치가 선정

되면 조직온도 60℃를 목표온도로 설정하여 imped-

ance를 관찰하면서 30∼60초간 고주파 에너지를 전달

하였다. 에너지 전달 과정 중 심실 빈맥이 소멸되면 절제

도자가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하여 동일한 부위에 한, 두

차례의 추가 에너지를 전달하였다. 심실 빈맥이 유발되

어 지속되면서 빈맥의 형태적 변화를 보이는 경우는 최

초의 QRS파의 형태를 기준으로 pace mapping을 시행

하였고, 심실 빈맥의 유발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는 임

상적으로 규명된 심실 빈맥과 같은 형태를 보이는 심실

조기수축의 형태를 기준으로 하여 pace mapping을 시

도하였다. RFCA 시행 후 isoproterenol 정주(1∼4 μg/

min)하에서 계획전기자극을 반복 시행하여 심실 빈맥이

유발되지 않고, 또한 시술 후 운동부하검사와 24시간 생

활 심전도를 기록하여 심실 빈맥이 유발 내지 관찰되지

않은 경우를 성공적 시술로 정의하였다.

심전도 형태 비교의 표준화를 위하여 전기 생리 검사

실 일인의 기사에 의하여, 가능한 한 동일한 위치에서

기록된 전기 생리 검사실 내원 당시의 심전도 소견을 이

용하여 형태적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속적인 심실 빈맥

의 경우 QRS파가 연속되면서 QRS파의 형태적 변형응

보이는 경우에는 심실 빈맥의 맨 처음 QRS파의 형태를

기준으로 하여 그 형태를 분석하였다. 성공적인 시술 후

2∼3일 이내에 전기생리검사를 다시 시행하지는 않았

으며 항부정맥제를 중지한 후 임상적 경과를 관찰하였

다. 심전도상의 형태적 특징과 빈도의 비교 분석은 Un-

paired-T Test와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 19명중 14명의 환자에서 성공적인 도자 절

제술이 가능하였으며 5예의 환자에서는 실패하였다. 성

Page 3: Fig. 1. - KoreaMed · 2014-10-11 · 머지 1예의 경우는 RFCA 시도부위에서 His파가 관찰 되어 RFCA를 시도하지 못하였다(Fig.1). 성공군의 평 균 에너지

Korean Circulation J 2001;31(9):884-893 886

공군(N=14, 남자 4명, 여자 10명)의 평균연령은 41.

4±15.9세였으며, 실패군(N=5, 남자 1명, 여자 4명)의

평균 연령은 51.0±9.9세였다. 성공군의 경우 activa-

tion mapping이 가능하였던 경우는 5예였으며, 성공한

절제부위에서 국소전위의 평균 activation time은 25.0

±19.0 msec였다. 실패군의 경우는 1예에서만 activ-

ation time(-30 ms)의 측정이 가능하였고, 나머지 4

예의 경우 activation time을 측정하지 못하였다. 저자들

이 본 환자들을 대상으로 RFCA을 시행해온 과정에서

실패군중 최근 경험한 2예를 제외한 초기 경험 환자 3

예에서는 좌심실 유출로 부위에 대한 mapping을 시행하

지 못하였다. 좌심실 유출로에 대해서도 mapping을 시

도하였던 2예의 환자 중 1예서는 좌심실 유출로 부위

에서도 적절한 pace mapping을 얻을 수 없었으며, 나

머지 1예의 경우는 RFCA 시도부위에서 His파가 관찰

되어 RFCA를 시도하지 못하였다(Fig. 1). 성공군의 평

균 에너지 전달 횟수는 8.3±2.5회였으며, 실패군의 경

우 평균 에너지 전달 횟수는 24.0±14.1회였다(Table

1). 실패군 중1예의 환자에서 시술 중 심낭내 출혈에 의

한 심낭압전이 발생하여 시술을 중단하였다.

심실 빈맥의 심전도 형태를 보면, 성공군 중 좌측 편

위를 보인 1예의 환자를 제외한 성공군, 실패군 전예에

서 하향성 전기축을 보였다. 사지 유도의 형태 비교에 있

어서, 유도 I과 aVL은 양 군간에 특이한 형태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하부 유도의R 파의 높이도 양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1). 유도 II와 V2의 QRS

폭은 성공군의 경우 각각 161.4±19.6 msec, 162.1±

20.8 msec로서 실패 군의 158.0±4.5 msec, 150.0±

10.0 msec에 비하여 연장되어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

을 보이지는 않았다(Table 1).

반면 전흉부 유도의 경우, V1유도에서 성공군의 경우

14예 중 12예에서 rS 소견을 보였으며(Fig. 2), 단 2

예에서 QS 소견을 보였다. 실패군은 5예 중 4예의 환

자가 V1유도에서 QS형태를 보이고(Figs. 3 and 4),

단 1예의 환자만이 rS 소견을 보였다(p=0.017)(Ta-

ble 1). Precordial transition은 성공군 14예의 환자

중 11예의 환자가 V3유도 이후(>V3)에서 전흉부 양

전환(positive transition)을 보였고(Fig. 2), V3유도 이

전에서 QRS파의 양전환(R/S≥1, V1-3) 소견은 3예의

환자에서만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실패군의 경우, 5

예 중 4예에서 V3유도 이전(V3)에서 QRS파의 양전환

을 보였다(p=0.038)(Figs. 3 and 4)(Table 1). 또한

실패군중 1예의 경우 V6 유도에서 rS 소견을 보였다

(Fig. 5).

Fig. 1. One exam-ple of failed proc-edure. The V spike on Map showed activation time of -30 msec and pe-rfect pace map (Rt.). Note small His spike from Map electrogram.

Page 4: Fig. 1. - KoreaMed · 2014-10-11 · 머지 1예의 경우는 RFCA 시도부위에서 His파가 관찰 되어 RFCA를 시도하지 못하였다(Fig.1). 성공군의 평 균 에너지

887

No

of R

FA

8

12

7

6

5

9

12

6

9

6

11

17

7

6

8.3±

2.5

No

of R

FA

24

28

36

0

32

24.0±

14.1

*

Act

ivat

ion

Map

-10

ms

0 m

s

-40

ms

-43

ms

-32

ms

-25±

19 m

s

Act

ivat

ion

Map

-30

ms

Pace

M

ap

perfe

ct

perfe

ct

perfe

ct

perfe

ct

perfe

ct

perfe

ct

perfe

ct

perfe

ct

perfe

ct

perfe

ct

perfe

ct

good

good

good

Pace

M

ap

perfe

ct

perfe

ct

good

perfe

ct

Poor

QRS

wid

th

in V

2

160

ms

160

ms

160

ms

180

ms

180

ms

160

ms

200

ms

160

ms

160

ms

160

ms

140

ms

190

ms

120

ms

140

ms

162.

1±20

.8 m

s

QRS

wid

th

in V

2

140

ms

160

ms

150

ms

160

ms

140

ms

150.

0±10

.0 m

s‡

Prec

ordi

al

Tran

sitio

n

V3-

4

V4-

5

V4-

5

V2-

3

V3-

4

V3-

4

V3-

4

V3-

4

V4-

5

V3-

4

V2-

3

V4-

5

V4-

5

V2-

3

Prec

ordi

al

Tran

sitio

n

V2-

3

V2-

3

V4-

5

V2-

3

V2-

3

R/S>

1 V

1-V3

-

-

-

+( V

3)

-

-

-

-

-

-

+( V

3)

-

-

+( V

3)

3/14

R/S>

1 V

1-V

3

+( V

3)

+( V

3)

-

+( V

3)

+( V

3)

4/5*

rS in

le

ad

V1 +

+

+

+

+

+

+

+

+

+

-( Q

S)

-( Q

S)

+

+

12/1

4

rS in

le

ad

V1

-( Q

S)

-( Q

S)

-( Q

S)

-( Q

S)

+

1/5*

R w

ave

heig

ht

in V

1

0.15

mV

0.10

mV

0.30

mV

0.40

mV

0.10

mV

0.20

mV

0.10

mV

0.30

mV

0.20

mV

0.10

mV

- -

0.10

mV

0.10

mV

R w

ave

heig

ht

in V

1 -

-

-

-

0.15

mV

Peak

R

in II

, III,

aVF

II III II II II

aV

F

II II II III II II II

aV

F

Peak

R

in II

, III

, aV

F

III

III II III

III

R 파의

최고높이

in

II, I

II, a

VF

1.3

mV

2.4

mV

1.6

mV

1.5

mV

1.0

mV

1.1

mV

0.7

mV

2.8

mV

1.3

mV

1.7

mV

2.4

mV

1.15

mV

0.1

mV

3.2

mV

1.59±

0.85

mV

R 파의

최고높이

in

II, I

II, a

VF

1.7

mV

1.4

mV

1.1

mV

1.8

mV

1.7

mV

1.44±

0.26

mV‡

QRS

wid

th

n le

ad II

160

ms

160

ms

160

ms

180

ms

180

ms

170

ms

180

ms

160

ms

160

ms

160

ms

120

ms

180

ms

120

ms

170

ms

161.

4±19

.6 m

s

QRS

wid

th�

n le

ad II

150

ms

160

ms

160

ms

160

ms

160

ms

158.

0±4.

5 m

s‡

QRS

in

lead

aV

L

QS

QS

QS

QS

QS

QS rS

QS

QS

QS

QS

Qr R QS

QRS

in

lead

aV

L

QS

QS

QS

rsR

QS

QRS

in

le

ad I

rsr rS

qr

Rsr

rsR rsr

Rsr

rsr

rsr

rsr

rsr

rsr R Qr

QRS

in

le

ad I

rs

rsr

rsR R QS

Sex F M

F F F M

F F F F M

F F M

Sex F F F M

F

Age

48

46

25

67

24

19

38

30

37

41

43

72

60†

34

41.4±

15.9

Age

48

55

38

61

45

51.0±

9.9‡

Tabl

e 1.

Clin

ical

, ele

ctro

card

iogr

aphi

c da

ta a

nd R

FCA

resu

lts o

f stu

dy su

bjec

ts

A. S

ucce

ss G

roup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QRS:

QRS

mor

phol

ogy

in in

divi

dual

lead

†:

A ca

se sh

owed

left

axis

devi

atio

n

B. F

aile

d G

roup

1 2 3 4 5 Q

RS:

QRS

mor

phol

ogy

in in

divi

dual

lead

Val

ues a

re e

xpre

ssed

as m

ean±

SD

*:p<

0.05

‡:

p>0.

05

Page 5: Fig. 1. - KoreaMed · 2014-10-11 · 머지 1예의 경우는 RFCA 시도부위에서 His파가 관찰 되어 RFCA를 시도하지 못하였다(Fig.1). 성공군의 평 균 에너지

Korean Circulation J 2001;31(9):884-893 888

고 찰

특발성 심실빈맥의 대표적 경우인 우심실 유출로 심

실 빈맥(RVOTVT)은 일반적으로 우심실 유출로의 심

실 중격 부위에서 발생하며, 따라서 심전도상 좌각 차

단과 정상적인 하향성 전기축의 특징적 심전도 소견을

보인다.1) 이 질환의 경우, 최근 고주파 도자 절제술

(RFCA)을 이용하여, 비교적 좋은 치료 성적들이 보고

되면서 RFCA이 근치적인 치료방법으로 널리 시도되고

있다.2-5)

Steven 등6)과 Merino 등7)은 이들 RVOTVT 환자

들을 대상으로 자기공명영상(MRI)검사를 시행하여 일

부의 환자에서 동반된 심근 조직의 이상 소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 기질적인

허혈성 심질환이나 심근증에 동반된 심실성 빈맥의 경

우와는 달리 심한 구조적 이상을 동반하고 있지 않아, 심

전도 소견을 이용하여 빈맥의 발생부위를 비교적 정확

하게 예측할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8-10) Kumakura

등8)은 이들 환자들의 심전도 소견을 이용하여, 빈맥의

발생부위를 3차원적으로 예측할 수 있음을 보고하였

다;II, III 유도에서 QRS파의 폭이 140 msec 이상인

경우는 우심실 유출로 전방, 140 msec이하인 경우는

우심실 유출로 후방, aVR과 aVL유도에서 QS파의 크기

Fig. 2. An example of successful proc-edure. V1 lead showed rS pattern andprecordial transition of R wave notedbetween V3-4 (>V3).

Page 6: Fig. 1. - KoreaMed · 2014-10-11 · 머지 1예의 경우는 RFCA 시도부위에서 His파가 관찰 되어 RFCA를 시도하지 못하였다(Fig.1). 성공군의 평 균 에너지

889

가 aVR≥aVL인 경우 우심실 유출로 우측, aVR<aVL

인 경우는 좌측, V1과 V2 유도상 R 파의 크기가 큰 경

우는 우심실 유출로 상부, R파의 크기가 적은 경우는

우심실 유출로 하부, 이러한 형태적 분석을 이용하여 약

80%의 경우 그 발생 부위의 예측이 가능하였고, 또한,

V3유도상 R/S≥1의 소견은 특이하게 좌심실 유출로에

서의 빈맥 발생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우심실 유출로 심실 빈맥과 유사한 심전도상

의 형태적 특징을 보이면서도 해부학적인 발생부위의 차

이나 혹, 그 기전상 특성을 달리하는 증례들이 보고되

고 있다. Yeh 등11)은 RVOTVT와 유사하게 adenos-

ine에 반응을 보이는 심실성 빈맥이 좌심실 전저부(an-

terobasal portion)에서 발생한 경우를 보고하였고, 반

대로 Chiladakis 등12)은 발생 기전으로 회귀(reentry)

기전의 특징을 보이는 RVOTVT 증례와 좌심실 유출로

심실 중격에서 발생되면서도 좌각차단의 형태를 보이는

비전형적인 증례들을 보고하였다. 또한 Chinushi 등13)

의 경험에 의하면, 대상 환자 16명 중 10명의 환자에서

빈맥시 QRS파의 형태적 변동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

고, 특히 이들 중 6예의 환자들의 경우, 빈맥 발생 병소

가 상대적으로 넓어(>0.5×0.5 cm), 이 경우 넓은 빈

맥의 발생 병소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는 3회 내지

7회에 걸친 여러 번의 고주파 에너지의 전달이 필요하였

음을 보고하였다. Callans 등14)도 RVOTVT 진단하에

RFCA을 시행하였던 33명의 대상 환자 중, 좌심실 유출

로에서 완벽한 pace mapping이 가능하였던 4예의 환자

를 보고하였다. 이들 환자 중 2예에서는 승모판륜의 내

측 상방의 fibrous trigone 부위에 고주파 에너지를 가

하여 빈맥의 제거가 가능하였고, 나머지 2예에서는 좌심

실 중격 상부에서 pace mapping이 가능하였으나, 동일

부위에서 His속 파가 관찰되어 도자 절제술을 시행치

못하였다고 보고하면서, 드물게 좌심실 유출로에서도 우

Fig. 3. An example of failed proce-dure showing QS in V1 and occuren-ce of precordial tranistion of R wave before V3. Pace mapping (↑) on the right side of figure showed nearly perfect match of QRS cpmplex with spontaneous VPC on the left side.

Page 7: Fig. 1. - KoreaMed · 2014-10-11 · 머지 1예의 경우는 RFCA 시도부위에서 His파가 관찰 되어 RFCA를 시도하지 못하였다(Fig.1). 성공군의 평 균 에너지

Korean Circulation J 2001;31(9):884-893 890

심실 유출로 빈맥의 특성을 보이는 빈맥이 발생됨을 지

적하였다. 이 경우 Kumakura8)의 보고와 같이, 심전도

상 V2유도 이전에서 R파의 양전환이 이루어지는 특징을

보인다고 하였다. Hachiya 등15)도 심전도 소견상, I 유

도에서 S파를 보이고, V1유도에서 R/S≥1이면서 V1이

나 V2에서 QRS파의 전흉부 양전환을 보이는 경우, 좌

심실 유출로 빈맥을 시사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임

상 소견이나 심전도 소견상 RVOTVT로 의심되는 심실

성 빈맥의 경우, 일부의 환자에서는 그 발생부위가 의외

의 부위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환자들에서 우심실 유

출로에 국한된 도자 절제술의 시도는 실패할 수 밖에 없

을 것이다.

최근 이와 같이 RFCA이 용이하지 않은 일부의 환자

들을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들 환자들의

심전도 소견을 세밀히 분석하거나, 보다 정밀한 map-

ping 방법들을 이용하는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16)17).

Aonuma 등18)은 심외막에 근접한(subepicardial) 빈맥

병소를 갖는 일부의 환자들에서 절제 도자를 폐동맥 내

로 전진 위치시켜, 폐동맥내에서 고주파 에너지를 가하

여 9예의 환자 중 7예에서 성공적으로 빈맥제거가 가능

하였다고 보고하면서, 이들 환자들은 심전도상 I 유도에

서 rS 혹 QS, V1유도에서 R, V2-3사이에서 QRS파의

양전환을 갖는 특징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Krebs 등19)

은 RVOTVT 진단하에 RFCA을 시도하였던 29예의 환

자를 성공군과 실패군으로 구분하여 심전도 소견을 비교

하여, 실패군의 경우 성공군에 비하여 우측 전흉부 유도

에서 QRS파의 양전환이 이루어지고, 좀 더 심한 우향

성 전기축을 보이며, 하부 유도에서 보다 큰 R파를 보

Fig. 4. An example of failed proce-dure also showed QS in V1 and prec-ordial transition in V2-3 (<V3). Pace mapping (↑) on the left side of the figure showed nearly perfect match of QRS complex with spontaneous VPC on the right side.

Page 8: Fig. 1. - KoreaMed · 2014-10-11 · 머지 1예의 경우는 RFCA 시도부위에서 His파가 관찰 되어 RFCA를 시도하지 못하였다(Fig.1). 성공군의 평 균 에너지

891

이며, 실패군(N=10) 전예에서 V1유도상 r파를 관찰

할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반면 Rodriguez 등20)은

RVOTVT의 RFCA시 pace mapping이 activation time

보다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V1유도에서 심실 빈맥 시

delta파와 유사한 형태의 Q파로 QRS파가 시작되는 경

우에는 성공적인 시술이 매우 어려웠으며, 이러한 심전

도 소견은 심근 깊은 곳(intramural)이나 심외막에 가

까운(subepicardial) 위치의 병소를 의심케 한다고 지적

하였다. 또한 Oritz 등21)도 23명의 RVOTVT환자에서

RFCA를 시행하여 성공한 16예의 환자와 실패한 7명의

환자를 비교하여, V1유도의 형태적 특성의 중요성을 강

조하여, V1유도에서 r파를 보인 9예는 전예에서,“fast

q”파를 보인 경우는 9예 중 7예서 성공적인 RFCA이

가능하였으나, Rodriguez 등20)의 보고와 같이“slow-

delta”파와 유사한 Q파를 보인 5예의 경우는 전예에

서 성공적인 RFCA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고 보고하

였다. Flemming 등22)은 RFCA을 시도하여 실패하였던

10예의 RVOTVT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심전도 소

견을 분석하여, 유도 II와 V2에서의 QRS폭이 좁은 경

우, 이러한 소견은 심실 중격 깊은 곳에서 발생하는 심

실빈맥을 시사하는 소견으로서 이 경우 고식적 도자 절

제술로서는 효과적인 빈맥의 제거가 어려움을 보고하

였다.

Wilber 등23)도 고식적 RFCA로서 빈맥의 제거가

불가능한 일부의 환자들은 빈맥 발생 병소가 심근내 깊

숙이 존재하거나, 혹은 심외막에 접하여 존재할 수 있

으며 따라서 이들 환자들의 경우, high density RVOT

mapping이나 심근의 깊은 부위까지 평가가 가능한 새로

Fig. 5. An example of failed proced-ure showed QS in V1 and unusual rS pattern in V6.

Page 9: Fig. 1. - KoreaMed · 2014-10-11 · 머지 1예의 경우는 RFCA 시도부위에서 His파가 관찰 되어 RFCA를 시도하지 못하였다(Fig.1). 성공군의 평 균 에너지

Korean Circulation J 2001;31(9):884-893 892

운 mapping system 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 의료기관에서 RFCA이 시행되었던 환

자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연구라는 제한점을 갖고 있으

나, 앞서 기술한 여러 보고자들의 우심실 유출로 빈맥의

치료경험과 비교하여 볼 때, 전흉부 유도의 형태적 분석

에서 일부 보고자들의 경험과 일치하는 두 가지 소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V1유도에서 성공군의 경우 14

예 중 12예에서 rS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고, QS 소견

을 보인 경우는 단 2예에 불과하였던 반면, 실패군의 경

우는 5예 중 4예의 환자가 QS형태를 보이고, 단 1예의

환자에서만 rS 소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17).

둘째, QRS파의 전흉부 양전환의 위치 비교에 있어서도

성공군의 경우 14예의 환자 중 11예의 환자가 V3유도

이후(>V3)에서 QRS파의 양전환을 보였고, 3예의 환

자만이 V3유도 이전(≤V3)에서 QRS파의 양전환을 보

인 반면, 실패군의 경우는 5명중 4예에서 V3유도 이전

에서 QRS파의 양전환을 보였다(p=0.038). 또한 실패

군 중 1예의 환자는 V6유도에서 rS형태의 QRS파를 보

였다. 즉 V1유도에서 r파의 존재와 V3유도 이후(>V3)

에서의 QRS파의 양전환은 성공군에서 그 관찰 빈도가

의미있게 높았다.

본 연구는 특히 실패군의 경우, 시술과정에서 high de-

nsity mapping이나 epicardial mapping 등의 보다 정

밀한 검사방법들을 시행하지 못하여, 본 결과만으로는

이들 심전도의 형태적 차이 즉, V1유도상의 QS형태와

V3유도 이전(≤V3)에서의 QRS파의 양전환이 갖는 정

확한 해부학적 의미를 제시할 수는 없으나, 앞으로 보

다 많은 대상환자를 이용한 이러한 심전도 소견의 분석

이 이들 환자에서 고주파 도자 절제술의 성공 가능성 예

측과 시술방법의 개선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

다. 또한 이러한 심전도상의 형태적 차이와 해부학적인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밀한 mapping sy-

stem24)25) 및 RFCA system의 개발과 임상적 시도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 론

연구배경:

우심실 유출로 심실 빈맥(RVOTT)에 대하여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RFCA)은 근치적 치료방법으로서 그

유용성이 인정되고 있으나, 일부의 환자에서는 고식적인

RFCA로 빈맥의 제거가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일부 보고

에 의하면 이들 환자들은 심실빈맥 시 심전도상 몇몇

형태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료 및 방법:

본 대학에서 RVOTT 진단하에 RFCA을 시도하였던

19예 중 성공하였던 14명의 환자와 실패하였던 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심실 빈맥시의 QRS파의 형태를 비교

조사 하였다. 심전도 형태 비교의 표준화를 위하여 전기

생리 검사실 일인의 기사에 의하여 기록된 전기생리검

사 및 도자절제술 당시의 심전도 소견을 이용하여 형태

적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 과:

성공군 중 1예의 환자를 제외한 모든 예에서 하향성

전기축을 보였고, 사지 유도의 비교에 있어서, I과 aVL

유도는 양 군간에 특이한 형태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II와 V2유도의 QRS폭은 성공군의 경우 각각 161.

4±19.6, 162.1±20.8 msec로서 실패 군의 158.0±

4.5, 150.0±10.0 msec에 비하여 연장되어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반면 전흉부 유도의 경우는 성

공군의 경우 V1유도에서 14예 중 12예의 환자가 rS 소

견을 보였으며 단 2예만이 QS 소견을 보인 반면, 실패

군은 5예 중 4예의 환자가 QS형태를 보이고, 단 1예의

환자만이 rS 소견을 보였다(p=0.017). 또한 QRS파의

precordial transition은 성공군 14예의 환자 중 R/S≥

1, V1-3 소견은 3예의 환자에서만 확인할 수 있었고 나

머지 11예의 환자는 QRS파의 전흉부 양전환이 V3유도

이후(>V3)에서 존재하였다. 반면 실패군의 경우는 5명

중 4예에서 V3유도 이전(≤V3)에서 QRS파의 양전환

을 보였다(p=0.038). 또한 실패군 중 한 환자의 경우

V6유도에서 rS의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 론:

이러한 심전도 소견의 분석이 이들 환자에서 RFCA

의 성공 가능성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

며, 이들 일부의 환자에서는 성공적 도자 절제술 시행을

위하여 보다 정밀한 mapping system및 RFCA sys-

tem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하겠다.

중심 단어:심실 빈맥·전극도자 절제술.

REFERENCES

1) Lerman BB, Stein KM, Markowitz SM. Idiopathic right

Page 10: Fig. 1. - KoreaMed · 2014-10-11 · 머지 1예의 경우는 RFCA 시도부위에서 His파가 관찰 되어 RFCA를 시도하지 못하였다(Fig.1). 성공군의 평 균 에너지

893

ventricular outflow tract tachycardia: a clinical appro-ach. Pacing Clin Electrophysiol 1996;19:2120-37.

2) Coggins DL, Lee RJ, Sweeny J, Chein WW, Van Hare G, Epstein L, et al.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as a cure for idiopathic tachycardia of a both left and right ventricular origin. J Am Coll Cardiol 1994;23:1333-41.

3) Movsowitz C, Schwartzman D, Callans DJ, Preminger M, Zado E, Gottlieb CD, et al. Idiopathic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tachycardia: narrowing the anatomic location for successful ablation. Am Heart J 1996;131: 930-6.

4) Gumbrielle TP, Bourke JP, Doig JC, Kamel A, Loaiza A, Fang Q, et al. Electrocardiographic features of septal location of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tachycardia. Am J Cardiol 1997;79:213-6.

5) Chinushi M, Aizawa Y, Ohhira K, Fujita S, Shiba M, Niwano S, et al. Repetitive ventricular responses induced by radiofrequency ablation for idiopathic ventricular ta-chycardia originating from the outflow tract of the right ventricle. Pacing Clin Electrophysiol 1998;21:669-78.

6) Markowitz SM, Litvak BL, Ramirez de Arellano EA, Markisz JA, Stein KM, Lerman BB. Adenosine-sensitive ventricular tachycardia. Right ventricular abnormalities delineated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Circulation 1997;96:1192-200.

7) Merino JL, Jimenez-Borreguero J, Peinado R, Merino SV, Sobrino JA. Unipolar mapping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idiopathic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ectopy. J Cardiovasc Electrophysiol 1998;9:84-7.

8) Kamakura S, Shimizu W, Matsuo K, Taguchi A, Suya-ma K, Kurita T, et al. Localization of optimal ablation site of idiopathic ventricular tachycardia from right and left ventricular outflow tract by body surface ECG. Circ-ulation 1998;98:1525-33.

9) Jadonath RL, Schwartzman DS, Preminger MW, Gottlieb CD, Marchlinski FE. Utility of the 12-lead electrocardio-gram in localizing the origin of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tachycardia. Am Heart J 1995;130:1107-13.

10) Yoshida Y, Hirai M, Murakami Y, Kondo T, Inden Y, Akahoshi M, et al. Localization of precise origin of idi-opathic ventricular tachycardia form the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by a 12-lead ECG: a study of pace mapping using a multielectrode basket catheter. Pacing Clin Ele-ctrophysiol 1999;22:1760-8.

11) Yeh SJ, Wen MS, Wang CC, Lin FC, Wu D. Adenosine-sensitive ventricular tachycardia from the anterobasal left ventricle. J Am Coll Cardiol 1997;30:1339-45.

12) Chiladakis JA, Vassilikos V, Maounis T, Cokkinos DV, Manolis AS. Unusual features of right and left idiopathic ventricular tachycardia abolished by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Pacing Clin Electrophysiol 1998;21: 1831-4.

13) Chinushi M, Aizawa Y, Takahashi K, Kouji O, Kitazawa H, Washizuka T, et al. Morphological variation of non-

reentrant idiopathic ventricular tachycardia originating from the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and effect of ra-diofrequency lesion. Pacing Clin Electrophysiol 1997;20: 325-36.

14) Callans DJ, Menz V, Schwartzman D, Gottlieb CD, Ma-rchlinski FE. Repetitive monomorphic tachycardia from the left ventricular outflow tract: electrocardiographic patterns consistent with a left ventricular site of origin. J Am Coll Cardiol 1997;29:1023-7.

15) Hachiya H, Aonuma K, Yamauchi Y, Harada T, Igawa M, Nogami A, et al. The electrocardiographic character-istics of left ventricular outflow tract tachycardia. Pacing Clin Electrophysiol 2000;23:1930-4.

16) Cohen TJ, Goldner BG, Jadonath R, Horwitz L, Quan W. Development of an interactive computer-guided me-thod for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of ventricular tachycardia. Pacing Clin Electrophysiol 1996;19:472-6.

17) Nademanee K, Kosar EM. A nonfluoroscopic catheter-based mapping technique to ablate focal ventricular ta-chycardia. Pacing Clin Electrophysiol 1998;21:1442-7.

18) Aonuma K, Yamauchi Y, Hachiya H, Oh JC, Igawa M, Harada T, et al. Catheter ablation of the subepicardial origin of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tachycardia. Pa-cing Clin Electrophysiol 1999;22:734.

19) Krebs ME, Krause PC, Engelstein ED, Zipes DP, Miles WM. Ventricular tachycardias mimicking those arising from the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J Cardiovasc El-ectrophysiol 2000;11:4-51.

20) Rodriguez LM, Smeets JL, Timmermans C, Wellens HJ. Predictors for successful ablation of right-and left-sided idiopathic ventricular tachycardia. Am J Cardiol 1997; 79:309-14.

21) Ortiz M, Arenal A, Almendral J, Villacastin J, Perez-Castellano N, Gonzalez S, et al. Electrocardiographic predictors for successful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in patients with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tachyca-rdia. PACE 1999;22:734.

22) Flemming MA, Oral H, Kim M, Tse HF, Pelosi F, Mic-haud GF, et al. Electrocardiographic predictors of suc-cessful ablation of tachycardia or bigeming arising in the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Am J Cardiol 1999;84: 1266-8.

23) Wilber DJ, Lin AC, Burke MC, Kopp DE, Johnson CT, Verdino RJ, et al. High density septal mapping in pat-ients with idiopathic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ta-chycardia and prior failed ablation. PACE 1999;22:733.

24) Peeters HA, SippensGroenewegen A, Wever EF, Ram-anna H, Linnenbank AC, Potse M, et al. Clinical app-lication of an integrated 3-phase mapping technique for localization of the site of origin of idiopathic ventricular tachycardia. Circulation 1999;99:1300-11.

25) Schilling RJ, Peters NS, Davies W. Feasibility of a non-contact catheter for endocardial mapping of human ven-tricular tachycardia. Circulation 1999;99:254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