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2020년 4월 6일 월요일 제1349호 스포츠 · 아웃도어 우먼스 집중 확대 뉴발란스, 휠라, 디스커버리, 네파 등 퍼포먼스는 물론 일상생활까지 커버 스포츠·아웃도어 업체들이 여 성 라인에 대한 상품기획과 마케 팅을 강화하고 있다. 여성들의 스포츠 활동 증가는 물론 일상에서의 활용이 늘어나 면서 소비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 이다. 특히 레깅스를 중심으로 한 애 슬레저 룩을 집중적으로 확장하 는 분위기다. 안다르, 젝시믹스, 룰루레몬 등 전문 브랜드들이 지속적인 성장 을 보임에 따라 전문적으로 라인 을 구성해 새로운 수요를 확보하 겠다는 전략이다. 뉴발란스는 우먼스 라인을 지 속 확대 중이다. 뉴발란스의 우먼 스 라인은 2016년 처음으로 선보 였으며, 요가와 필라테스 등 인도 어 스포츠를 중심으로 전개 중이 다. 뉴발란스 측에 따르면 우먼스 라인은 전체 매출의 10% 가량 차 지할 정도로 비중이 꾸준하게 늘 고 있다. 최근에는 뉴발란스의 주 종목인 러닝 등 야외 스포츠 영역 까지 확장 중이다. 유통은 우먼스 단독 매장은 물 론 기존 매장 내에 우먼스 조닝 및 상품을 강화한 복합 매장도 늘려 가고 있다. 올해 7개 매장을 추가 할 계획이다. 우먼스 단독 매장은 현재 15개로 확장보다는 활성화 에 주력한다. 휠라는 이번 시즌 여성 퍼포먼 스 라인 ‘휠라 핏’을 새롭게 리모 델링한 ‘휠라 스튜디오’를 런칭했 다. 그 동안은 일부 아이템만 선 보여 왔는데 이번 시즌부터 아이 템과 스타일, 물량을 확대해 본격 적으로 전개한다는 계획이다. 작 년에 비해 올해 물량을 35% 확대 했다. 상품은 키 아이템인 레깅스를 중심으로 재킷, 스웨트셔츠, 이너 탑, 팬츠 등이며 공식 온라인 몰 과 이태원 메가스토어를 포함, 소 비가 활발한 주요 100개 매장에 서 판매한다. 추후 적용 매장을 늘 릴 계획이다. 네파도 애슬레저 라인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이번 시즌 스타일과 물량을 대폭 늘렸다. 스 타일은 전년보다 45% 늘었고, 물 량은 20% 이상 확대했다. 이번 시즌 주력 제품으로 애슬 레저 시장을 겨냥한 핵심 카테고 리 ‘비타 프리모션 컬렉션’을 새롭 게 선보였다. 네파는 풀코디 착장할 수 있는 제품들을 강화하는 등 애슬레저 라인에 대한 스타일수와 물량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선보인다는 계 획이다.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은 올해 우먼스 라인에 대한 상품력 강화 는 물론 우먼스 홍보모델로 아이 돌그룹 에이프릴의 나은을 기용 해 대대적인 마케팅에 나서고 있 다. 대표 제품인 ‘플렉스 레깅스’ 시리즈는 온라인몰에서 일시 품 절되기도 했다. 오경천 기자 [email protected] AI 기업 오드컨셉, 누적 투자 100억 달성 아시아 시장 진출 발판 마련 패션 테크 기업 오드컨셉(대표 김정태)이 최근 AI 기반 스타일 링 서비스 ‘픽셀(PXL)’의 우수한 기술력과 사업성을 인정받아 총 60억 원 규모의 시리즈 B 투자를 유치했다. 누적 투자금만 100억 원으로, 국내 AI 스타트업 중 유 일하다. 이번에 참여한 투자사는 기존 투자사인 KB증권을 비롯해 HB 인베스트먼트, 신한캐피탈-키움 인베스트먼트, 산업은행, SBI인 베스트먼트 등 총 5개사다. KB증권의 정성훈 차장은 “고 유의 기술력은 물론 머신러닝 기 술의 경우 향후 다른 산업에서도 확장성이 높다. 또 아시아 시장에 서의 성장성이 기대된다”고 밝혔 다. 오드컨셉은 자체 개발한 머신 러닝 기반의 이미지 인식, 분석, 검색 기술을 바탕으로 패션 스타 일링 서비스 ‘픽셀(PXL)’을 상 용화해 패션 분야 온라인 커머스 사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픽셀’은 소비자들의 관심 상품을 AI로 분석해 개인 취향에 맞는 상 품을 추천하는 서비스다. 이미지 속성 분석, 유사 상품 추천, 스타 일 제안, AI 타겟팅 광고까지 패 션 마케팅의 전 과정에 원스톱으 로 적용할 수 있다. 현재 국내는 물론 싱가포르, 일 본, 인도네시아, 태국 등 APAC 시장 내 100여 개 이커머스 파트 너들이 픽셀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월간 순 이용자는 900만 명이다. 데이터 확보가 핵심인 AI 분야 에서 3년 동안 사용자와 상품 데 이터, 코디 정보 등 수십억 단위 의 트렌드 데이터를 확보, 경쟁 우위를 굳혔다. 이 회사 김정태 대표는 “최근 응 용 머신러닝 기반의 컨텍스츄얼 타겟팅 광고 스타트업인 시크럭 스(SEACRUX)를 인수했다. 시 크럭스는 주 무대가 싱가포르 등 동남아시아다. 인프라와 자금을 확보한만큼 아시아 시장 공략을 본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해영 기자 [email protected] 신세계인터내셔날, 코스메틱·라이프스타일 육성 코스메틱 전체 영업이익 80% 차지 온라인몰 ‘SI빌리지’, ‘자주’ 포커스 신세계인터내셔날(대표 장재영) 이 종합 콘텐츠 회사로의 도약에 집중한다. 이 회사는 코스메틱과 라이프스 타일 부문을 각각 매출 1조 비즈 니스로 성장시킨다는 방침이다. 또 새로운 비즈니스 시도로 성장 을 이뤄온 만큼 공격적인 신사업 발굴에도 나선다. 특히 신경 쓰는 것은 ‘SI빌리지 (S.I.VILLAGE)’와 ‘자주(JAJU)’ 다. 온라인 채널인 ‘SI빌리지’를 럭 셔리 패션 플랫폼 비즈니스로 성 장시키고, ‘자주’가 새로운 수익원 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공격 적 확대에 나선다. ‘SI빌리지’는 자체 브랜드의 약 진과 입점 브랜드 다양화(180여 브랜드 입점)에 집중한 결과 지난 2016년 9월 런칭 이후 3년만인 작년 11월 월 매출 100억 원을 돌 파했다. 올해 고가 상품을 믿고 구매하 고 다양한 브랜드를 좋은 서비스 로 구입할 수 있는 온라인 몰로 만 들어가는 것을 목표로 특히 ‘럭셔 리 플랫폼’ 성격을 분명히 한다. 차별화 경쟁력 확보가 중요하다 는 판단에서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온라인 명 품 구매 소비 트렌디가 강해져 속 도를 더욱 높인다. 올 1분기만 5개(필립플레인, 사 카이, 에르메스 뷰티, 주세페 자 노티-온라인 독점판권, 폰타나 밀라노1915)의 명품 브랜드를 추 가했고, 이달에 ‘아르마니 주니어’ 도 런칭한다. 동시에 독자적인 자체 온라인 전용 상품 전개로 차별성을 키워 나간다. 이마트 PB로 출발한 ‘자주’는 지난 2010년 신세계인터내셔날 로 사업권이 넘어온 이후 유통 다 각화 전략을 펴고 있다. 작년 하 반기부터 단독 전문점 오픈과 해 외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단독 전문점은 2030 생활 용품 숍’ 이미지 강화에 초점을 맞춰 젊 은 층 유동인구가 많은 상권을 공 략하고 있다. 작년 상반기보다 14개점이 늘 어난 총 19개 단독매장을 가동 중 이다. 해외는 동남아를 우선 공략 하고 있다. ‘자주’의 PB(자체브랜드) 영역 확장도 예고되고 있다. 지난달 24 일 주주총회를 통해 사업목적에 기타 식료품 및 화학제품 제조업 과 손세정제 등 의약외품 제조·판 매업 등을 목적 사업으로 추가했 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지난해 연 결매출 1조4250억 원, 영업이익 845억 원을 달성했다. 그 중 패션 및 라이프스타일이 1조570억 원, 코스메틱이 3680 억을 기록했는데, 영업이익은 코 스메틱이 685억 원으로 전체의 80%를 차지했다. 조은혜 기자 [email protected] ‘쇼윈도에 봄(春)은 왔지만...’ ○…코로나 팬데믹 쇼크에 빠진 패션가에도 봄은 온다. 기온이 크게 오른 3월 마지막 주를 전후해 서울 명 동의 쇼윈도들은 화사한 봄옷을 갈아입었다. 지난 2일 오후 마스크를 착용한 행인이 ‘미쏘’ 명동점 쇼윈도 앞을 지나고 있다. 박시형 기자 [email protected] ‘뉴발란스’
1

아웃도어 우먼스 집중 확대 · 2020-04-02 · 2020년 4월 6일 월요일 제1349호 스포츠·아웃도어 ‘우먼스’ 집중 확대 뉴발란스, 휠라, 디스커버리,

May 22, 2020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아웃도어 우먼스 집중 확대 · 2020-04-02 · 2020년 4월 6일 월요일 제1349호 스포츠·아웃도어 ‘우먼스’ 집중 확대 뉴발란스, 휠라, 디스커버리,

2020년 4월 6일 월요일 제1349호

스포츠·아웃도어 ‘우먼스’ 집중 확대

뉴발란스, 휠라, 디스커버리, 네파 등

퍼포먼스는 물론 일상생활까지 커버

스포츠·아웃도어 업체들이 여

성 라인에 대한 상품기획과 마케

팅을 강화하고 있다.

여성들의 스포츠 활동 증가는

물론 일상에서의 활용이 늘어나

면서 소비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

이다.

특히 레깅스를 중심으로 한 애

슬레저 룩을 집중적으로 확장하

는 분위기다.

안다르, 젝시믹스, 룰루레몬 등

전문 브랜드들이 지속적인 성장

을 보임에 따라 전문적으로 라인

을 구성해 새로운 수요를 확보하

겠다는 전략이다.

뉴발란스는 우먼스 라인을 지

속 확대 중이다. 뉴발란스의 우먼

스 라인은 2016년 처음으로 선보

였으며, 요가와 필라테스 등 인도

어 스포츠를 중심으로 전개 중이

다.

뉴발란스 측에 따르면 우먼스

라인은 전체 매출의 10% 가량 차

지할 정도로 비중이 꾸준하게 늘

고 있다. 최근에는 뉴발란스의 주

종목인 러닝 등 야외 스포츠 영역

까지 확장 중이다.

유통은 우먼스 단독 매장은 물

론 기존 매장 내에 우먼스 조닝 및

상품을 강화한 복합 매장도 늘려

가고 있다. 올해 7개 매장을 추가

할 계획이다. 우먼스 단독 매장은

현재 15개로 확장보다는 활성화

에 주력한다.

휠라는 이번 시즌 여성 퍼포먼

스 라인 ‘휠라 핏’을 새롭게 리모

델링한 ‘휠라 스튜디오’를 런칭했

다. 그 동안은 일부 아이템만 선

보여 왔는데 이번 시즌부터 아이

템과 스타일, 물량을 확대해 본격

적으로 전개한다는 계획이다. 작

년에 비해 올해 물량을 35% 확대

했다.

상품은 키 아이템인 레깅스를

중심으로 재킷, 스웨트셔츠, 이너

탑, 팬츠 등이며 공식 온라인 몰

과 이태원 메가스토어를 포함, 소

비가 활발한 주요 100개 매장에

서 판매한다. 추후 적용 매장을 늘

릴 계획이다.

네파도 애슬레저 라인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이번 시즌

스타일과 물량을 대폭 늘렸다. 스

타일은 전년보다 45% 늘었고, 물

량은 20% 이상 확대했다.

이번 시즌 주력 제품으로 애슬

레저 시장을 겨냥한 핵심 카테고

리 ‘비타 프리모션 컬렉션’을 새롭

게 선보였다.

네파는 풀코디 착장할 수 있는

제품들을 강화하는 등 애슬레저

라인에 대한 스타일수와 물량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선보인다는 계

획이다.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은 올해

우먼스 라인에 대한 상품력 강화

는 물론 우먼스 홍보모델로 아이

돌그룹 에이프릴의 나은을 기용

해 대대적인 마케팅에 나서고 있

다. 대표 제품인 ‘플렉스 레깅스’

시리즈는 온라인몰에서 일시 품

절되기도 했다.

오경천 기자 [email protected]

AI 기업 오드컨셉, 누적 투자 100억 달성

아시아 시장 진출 발판 마련

패션 테크 기업 오드컨셉(대표

김정태)이 최근 AI 기반 스타일

링 서비스 ‘픽셀(PXL)’의 우수한

기술력과 사업성을 인정받아 총

60억 원 규모의 시리즈 B 투자를

유치했다. 누적 투자금만 100억

원으로, 국내 AI 스타트업 중 유

일하다.

이번에 참여한 투자사는 기존

투자사인 KB증권을 비롯해 HB

인베스트먼트, 신한캐피탈-키움

인베스트먼트, 산업은행, SBI인

베스트먼트 등 총 5개사다.

KB증권의 정성훈 차장은 “고

유의 기술력은 물론 머신러닝 기

술의 경우 향후 다른 산업에서도

확장성이 높다. 또 아시아 시장에

서의 성장성이 기대된다”고 밝혔

다.

오드컨셉은 자체 개발한 머신

러닝 기반의 이미지 인식, 분석,

검색 기술을 바탕으로 패션 스타

일링 서비스 ‘픽셀(PXL)’을 상

용화해 패션 분야 온라인 커머스

사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픽셀’은 소비자들의 관심 상품을

AI로 분석해 개인 취향에 맞는 상

품을 추천하는 서비스다. 이미지

속성 분석, 유사 상품 추천, 스타

일 제안, AI 타겟팅 광고까지 패

션 마케팅의 전 과정에 원스톱으

로 적용할 수 있다.

현재 국내는 물론 싱가포르, 일

본, 인도네시아, 태국 등 APAC

시장 내 100여 개 이커머스 파트

너들이 픽셀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월간 순 이용자는 900만

명이다.

데이터 확보가 핵심인 AI 분야

에서 3년 동안 사용자와 상품 데

이터, 코디 정보 등 수십억 단위

의 트렌드 데이터를 확보, 경쟁

우위를 굳혔다.

이 회사 김정태 대표는 “최근 응

용 머신러닝 기반의 컨텍스츄얼

타겟팅 광고 스타트업인 시크럭

스(SEACRUX)를 인수했다. 시

크럭스는 주 무대가 싱가포르 등

동남아시아다. 인프라와 자금을

확보한만큼 아시아 시장 공략을

본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해영 기자 [email protected]

신세계인터내셔날, 코스메틱·라이프스타일 육성

코스메틱 전체 영업이익 80% 차지

온라인몰 ‘SI빌리지’, ‘자주’ 포커스

신세계인터내셔날(대표 장재영)

이 종합 콘텐츠 회사로의 도약에

집중한다.

이 회사는 코스메틱과 라이프스

타일 부문을 각각 매출 1조 비즈

니스로 성장시킨다는 방침이다.

또 새로운 비즈니스 시도로 성장

을 이뤄온 만큼 공격적인 신사업

발굴에도 나선다.

특히 신경 쓰는 것은 ‘SI빌리지

(S.I.VILLAGE)’와 ‘자주(JAJU)’

다.

온라인 채널인 ‘SI빌리지’를 럭

셔리 패션 플랫폼 비즈니스로 성

장시키고, ‘자주’가 새로운 수익원

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공격

적 확대에 나선다.

‘SI빌리지’는 자체 브랜드의 약

진과 입점 브랜드 다양화(180여

브랜드 입점)에 집중한 결과 지난

2016년 9월 런칭 이후 3년만인

작년 11월 월 매출 100억 원을 돌

파했다.

올해 고가 상품을 믿고 구매하

고 다양한 브랜드를 좋은 서비스

로 구입할 수 있는 온라인 몰로 만

들어가는 것을 목표로 특히 ‘럭셔

리 플랫폼’ 성격을 분명히 한다.

차별화 경쟁력 확보가 중요하다

는 판단에서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온라인 명

품 구매 소비 트렌디가 강해져 속

도를 더욱 높인다.

올 1분기만 5개(필립플레인, 사

카이, 에르메스 뷰티, 주세페 자

노티-온라인 독점판권, 폰타나

밀라노1915)의 명품 브랜드를 추

가했고, 이달에 ‘아르마니 주니어’

도 런칭한다.

동시에 독자적인 자체 온라인

전용 상품 전개로 차별성을 키워

나간다.

이마트 PB로 출발한 ‘자주’는

지난 2010년 신세계인터내셔날

로 사업권이 넘어온 이후 유통 다

각화 전략을 펴고 있다. 작년 하

반기부터 단독 전문점 오픈과 해

외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단독 전문점은 2030 생활 용품

숍’ 이미지 강화에 초점을 맞춰 젊

은 층 유동인구가 많은 상권을 공

략하고 있다.

작년 상반기보다 14개점이 늘

어난 총 19개 단독매장을 가동 중

이다. 해외는 동남아를 우선 공략

하고 있다.

‘자주’의 PB(자체브랜드) 영역

확장도 예고되고 있다. 지난달 24

일 주주총회를 통해 사업목적에

기타 식료품 및 화학제품 제조업

과 손세정제 등 의약외품 제조·판

매업 등을 목적 사업으로 추가했

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지난해 연

결매출 1조4250억 원, 영업이익

845억 원을 달성했다.

그 중 패션 및 라이프스타일이

1조570억 원, 코스메틱이 3680

억을 기록했는데, 영업이익은 코

스메틱이 685억 원으로 전체의

80%를 차지했다.

조은혜 기자 [email protected]

‘쇼윈도에 봄(春)은 왔지만...’

○…코로나 팬데믹 쇼크에 빠진 패션가에도 봄은 온다. 기온이 크게 오른 3월 마지막 주를 전후해 서울 명

동의 쇼윈도들은 화사한 봄옷을 갈아입었다. 지난 2일 오후 마스크를 착용한 행인이 ‘미쏘’ 명동점 쇼윈도

앞을 지나고 있다. 박시형 기자 [email protected]

‘뉴발란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