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10 4 2013 12 pp.217 239 Kaplan Norton(1996) . BSC , , , , , . Kaplan & Norton(1992, 1996) BSC BSC 5 . (BSC), , , , 2009 ( ) (KRF-2009-413-B00031). * . ([email protected]) ** . ([email protected])
24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균형성과표(BSC)를... · 2019. 1. 9. · ! "#$% &'( )* /0b, , ~~u ~)7 NO + )p= /AC PQ|LM6- .I(R '67@~,/0B D :¯- ZèB= /0’b, $=!"C.-

Oct 11, 2020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균형성과표(BSC)를... · 2019. 1. 9. · ! "#$% &'( )* /0b, , ~~u ~)7 NO + )p= /AC PQ|LM6- .I(R '67@~,/0B D :¯- ZèB= /0’b, $=!"C.-

균형성과표(BSC)를 적용한 사회적기업의 성과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217

국제경상교육연구

제10권 제4호 2013년 12월 pp.217~239한국국제경상교육학회

균형성과표(BSC)를 적용한

사회적기업의 성과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김숙연*⋅김재준**1)

<요 약>

본 연구에서는 영리조직 및 정부부처나 비영리조직에 활용되고 있는 Kaplan과 Norton(1996)의균형성과표를 토대로 사회적기업과 같은 새로운 비영리조직의 성과측정을 위한 성과모형에 관한

성과지표를 개발하여 제시해보고자 한다. 또한 사회적기업의 BSC 관점별 측정지표로 우선 사회적 목적 실현을 위한 수익 및 이윤창출 달성이라는 비전과 미션을 설정하고, 고객이해관계자관점, 재무성과관점, 업무프로세스관점, 학습 및 성장관점, 공공성 관점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Kaplan & Norton(1992, 1996)의 BSC관점의 기본 모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정부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는 사회적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공공성관점‘을추가하여 기존의 BSC 모형을 변형하여 총 5가지의 성과관점으로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제어 : 균형성과표(BSC), 사회적기업, 비영리조직, 성과모형, 공공성관점

본 논문은 2009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KRF-2009-413-B00031).* 주저자.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email protected])** 교신저자. 안산대학교 세무회계과 교수 ([email protected])최초접수일 : 2013년 11월 16일 심사수정일 : 2013년 12월 11일 게재확정일 : 2013년 12월 29일

Page 2: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균형성과표(BSC)를... · 2019. 1. 9. · ! "#$% &'( )* /0b, , ~~u ~)7 NO + )p= /AC PQ|LM6- .I(R '67@~,/0B D :¯- ZèB= /0’b, $=!"C.-

국제경상교육연구 제10권 제4호218

Ⅰ. 서 론

최근 경기침체와 고용의 악화로 청년 및 근로빈곤층, 여성, 고령자 등의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이 갈수록 어려운 실정이며, 실업극복을 위한 다양한 논의과정에서 유럽의 사회적 일자리

및 사회적기업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개념에 기초하여 공공구호적 성격의 공공

근로사업이 새로운 일자리 창출사업으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자활사업의 내용과 조직형태의 변

화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후 사회적일자리 및 사회적기업에 대한 논의는 산업구조 변화 및 고용창출과 연계되어 그

범위가 확장되었으며, 이러한 논의는 향후 증가하게 될 사회서비스 수요에 대비하기 위한 사회

적일자리 및 사회적기업의 육성정책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사회적기업은 지역사회에서 그 지역

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지역민들을 고용하여 제공하는 구조로서 지역사회의 고용창출에 기여

한다는 점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사회적일자리 및 사회적기업육성은 정부 노동정책의 주요 이

슈로 부각되어 고용노동부주관으로 2003년부터 사회적일자리 사업이 시작되었다.

우리나라는 2007년 1월 사회적기업육성법을 제정하고, 2007년 7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사회

적기업육성법은 유럽 사회적기업 연구 네트워크(European Research Network : EMES)의 사회적

기업 개념에 기초한 정의를 채택하고 있으며, 사회적기업 인증제를 도입하여 운영되고 있다. 이

에 따라 2013년 12월 현재 950개의 사회적기업이 인증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2010년 사회적기

업육성법의 개정에 따라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 설립되었고, 정부와 민간 기업이 참여하는 사

회적기업 펀드를 조성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사회적 거래소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

며, 사회적기업을 위한 입법부 차원의 담론도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등 사회적기업을 위한 노력

들이 가속화되고 있다(조영복, 2011).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은 정부 의존적이며 수익모델의 취약성과 애매모호한 사회적 목적성으

로 인해 예산의 비효율적 운용과 자발성에 근거한 공동체적 가치를 훼손할 수 있다는 비판이 높

다. 이러한 사회적기업의 불신을 해소하고 자립적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체계적이며 조직적인

성과를 평가하는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박상하, 2013). 사회적기업은 사회적 목적이 중시되

고 정부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이 불가피한 실정이므로, 정부의 재정이 투입되는 것이라면 평가

는 필수적이어야 한다. 이러한 평가를 통하여 점진적으로는 사회적기업의 개선을 위한 계기로,

또한 사회적기업의 다각화 및 다양화를 추구할 수 있는 사회적기업 성장을 계기로 삼아야 할 것

이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사회적기업의 활동 및 성과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

에 대한 학문적, 실천적 노력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의 성과를 객

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해야 할 위치에 이르렀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배경을 기초로 본 연구에서는 영리조직 및 정부부처나 비영리조직에 활용되고 있는

Page 3: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균형성과표(BSC)를... · 2019. 1. 9. · ! "#$% &'( )* /0b, , ~~u ~)7 NO + )p= /AC PQ|LM6- .I(R '67@~,/0B D :¯- ZèB= /0’b, $=!"C.-

균형성과표(BSC)를 적용한 사회적기업의 성과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219

Kaplan과 Norton(1996)의 균형성과표를 토대로 사회적기업과 같은 새로운 비영리조직의 성과측

정을 위한 성과 모형에 관한 성과지표를 개발하여 적용해보고자 한다.

Ⅱ. 사회적기업에 대한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2.1 사회적기업의 개념

사회적기업은 사회적 경제에 의한 새로운 기업 형태로써,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의 특성’과

공공성을 우선시 하는 ‘사회적 특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즉, 사회적기업은 이윤극대화를 추

구하는 전통적인 기업관과 사회서비스의 창출을 목표로 하는 사회적․공익적 목적관을 동시에

지닌 제 3의 경제주체이다.

사회적기업은 ‘공익을 위한 민간기업’, ‘영리 목적의 사회사업’, ‘사회적 목적을 가진 기업’ 등

으로 다양하여 통일된 정의는 내려지지 않았지만 사회적 목표달성을 위한 사회적, 경제적 목적

을 가지고 상업거래를 통해 안정적인 재원을 확보하는 독립된 조직을 말한다는 것에는 어느 정

도 합의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나 <표 1>을 보면 근본적인 개념에 있어서는 이미 많은 진전을

보이고 있는 미국과 유럽도 다소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 미국과 유럽의 개념적 비교

구분 미국 유럽

강조점 수익 창출 사회적 수혜

일반적 조직형태 비영리조직 협동회사/협회/회사활동의 초점 모든 비영리 활동 대인서비스

사회적기업 유형 다수 제한적

이해관계자 참여 제한적 일반적

전략적 육성 주도 민간재단 정부/EU법적 프레임 워크 부족 개발(또는 개발 중)이윤분배 원천배제 제한적 인정

자료원) 사회적기업 육성 기본계획(2008-2012). 노동부, P7 인용.

그러나 구체적으로 사회적기업을 정의하는데 있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다. 우선 국제적으로

사회적 경제를 구성하는 여러 조직(협동조합, 협회, 상호조직, 비영리조직, 사회적기업 등)의 개

념이 기업의 이익보다는 공공의 이익에 우선한다는 광범위한 합의가 존재하나, 사회적기업에 대

한 보편적인 정의는 존재하지 않는다. 사회적기업에 대한 공식적인 정의로는 영국 정부에 의한

것이 최초인 것으로 보여 지며, 영국 정부는 사회적기업을 ‘사회적 목표를 우선적으로 추구하는

Page 4: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균형성과표(BSC)를... · 2019. 1. 9. · ! "#$% &'( )* /0b, , ~~u ~)7 NO + )p= /AC PQ|LM6- .I(R '67@~,/0B D :¯- ZèB= /0’b, $=!"C.-

국제경상교육연구 제10권 제4호220

기업으로서, 주주와 소유주를 위한 이윤극대화를 추구하기 보다는 창출된 수익을 사회적 목표달

성을 위해 주로 기업 자체 또는 지역사회에 재투자하는 기업’으로 정의하고 있다.

사회적기업의 개념은 국가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공통되는 특성이 있는데, 그것은 사회적

기업은 바로 ‘경제적 가치(이윤창출)’과 사회적 가치(공공성 추구)‘를 함께 지향한다는 것이다.

즉 사회적 기업은 기업의 지속성을 위하여 이윤창출을 위해 노력하지만 무조건적인 이윤을 추

구하지는 않으며, 또한 창출된 수익은 다시 사회적 목적을 위해 환원된다. 따라서 영리창출의 극

대화가 기업의 최종 목표가 아니라 기업을 통한 사회적 가치의 실현이 사회적기업의 궁극적 목

적인 것이다(신용석, 2010).

이러한 특성을 영리기업과 사회적기업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면 <표 2>와 같다.

<표 2> 사회적기업과 영리기업의 비교

구분 목적(objective) 제약조건(constraint)

사회적기업 사회적 문제 해결 경제적 자립

영리기업 이윤 창출 사회적 책임(CSR)

자료원) 장대철(2010), 사회적기업의 개념과 전략적 의미, 임금연구, 가을호

영리조직(일반적 의미의 기업)과 비영리조직을 나누는 기준은 조직의 목적이 이익을 추구하

는가에 있다. 영리조직의 경우에는 이윤(창출)의 극대화를 목적으로 하고, 제약으로는 비경제적

(또는 사회적) 제약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비경제적 제약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등에 의해서 해

소된다. 그리고 비영리조직인 경우에는 사회적 가치의 극대화 또는 사회문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며, 경제적 측면의 제약을 해소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경제적 제약을 정부의 경우에는 세금으

로, 비정부조직(NGOs) 또는 비영리조직(NPOs)의 경우에는 기부 등 외부 보조에 의해서 해결하

게 된다. 특히 사회적 가치 추구와 현실적으로 상충관계에 있다는 점을 생각하며, 사회적기업은

<표 3>과 같이 비영리조직과 영리기업 사이에 놓여있다고 할 수 있다(장대철, 2010).

<표 3> 영리기업과 비영리조직사이에서의 사회적기업의 위치

사회적가치추구/

경제적 제약

경제적가치추구/

사회적 제약

비영리조직비영리조직

의수익사업사회적기업

영리기업의

사회적책임영리기업

- 사회적목적(사회적가치창출)

- 이익관계자에 대한 책임성

- 수익은 사회적 프로그램이나 운영비에

재투자

- 이윤추구목적(경제적가치창출)

- 주주에 대한 책임성

- 주주에게 이익 환원

자료원) Kim Alter(2004), Social Enterprise Typology, Virtue Venture, LLC; 정선희(2007), 성공하는 사회

Page 5: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균형성과표(BSC)를... · 2019. 1. 9. · ! "#$% &'( )* /0b, , ~~u ~)7 NO + )p= /AC PQ|LM6- .I(R '67@~,/0B D :¯- ZèB= /0’b, $=!"C.-

균형성과표(BSC)를 적용한 사회적기업의 성과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221

적 기업의 모든 것, 노동부, p.48.

2.2 사회적기업의 유형

사회적기업의 유형은 분류기준에 따라 다양하다. 통상적인 분류기준은 1)사회적기업의 성향

에 의한 분류, 2)사회적기업의 목표에 따른 분류, 3)사회적활동과 경제적활동 정도에 의한 분류

가 있다. 우리나라는 기존 분류와 다르게 노동부에서 사회적기업육성법을 통해 명시하고 있는

사회목적실현에 따른 분류와 사회적기업을 지원하는 자금의 성격에 따라 새롭게 분류하고 있다.

사회적기업을 성향에 따라 분류할 경우 그 성격, 형태 등을 포괄하여 대상에 따라 공공부조

형, 시장친화형, 지역사회 친화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공공부조형은 사회적기업 참여자를 위한

‘보호된 시장’을 만들어 이들에게 수혜성 복지급여를 제공하는 또 다른 공공부조형태이다. 한국

의 자활공동체가 이 유형에 해당한다. 시장친화형은 미국식 사회적기업들의 형태로 비교적 창조

적인 무엇인가를 찾아 개인의 부의 증가나 사회적 가치 실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혁신적인 형

태이다. 지역사회친화형은 유럽식 사회적기업으로 사회적 목적을 가지고 개인 및 지역사회 발전

의 역할을 담당하는 형태이다.

유럽은 사회적기업을 목표에 따라 노동시장 통합형, 사회통합형, 혼합형으로 구분한다. 과거

의 노동시장 통합형은 전통적인 보호 고용 작업장의 맥락에서 발전하였지만 새로운 노동 통합

형 사회적기업은 동일한 근로자 집단을 위한 적극적인 노동시장 정책의 도구로 볼 수 있다. 이

모형은 보호 고용과 과도 고용을 사회적 취약계층에게 우선적으로 제공하고, 공적기금에 덜 의

존하며 시장에서의 수익활동을 강조한다. 또한 사회통합형은 전부 또는 일부 정부의 재정지원을

받으며 공공서비스가 인지 못하는 사회적 욕구와 공적급여에서 배제된 집단을 위하여 설립된

모형이다. 이 두 유형을 혼합한 혼합형도 존재한다.

OECD보고서에 의하면 사회적기업은 사회적 활동과 경제적 활동의 정도에 따라 일체형, 일부

중첩형, 분리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체형은 비영리조직 자체가 기업단위로 활동하는 경우에

속하여, 이 기업의 영리적 수익활동은 다양한 사회적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한 수익원이 되고 정

상취업이 어려운 사람들을 정규직원으로 고용하여 자립을 돕기 때문에 수익의 대부분은 임금으

로 지급된다. 일부중첩형은 비영리기관의 운영비와 프로그램비 조달을 위해 설립한 사업이다.

따라서 비영리기관의 일부 자산과 비용을 공유하며 사회적 임무에 직접 영향이 없는 수익 창출

비즈니스를 하는 기업이다. 분리형은 비영리조직이 조직 외부에 사회적기업을 운영하는 경우로

사회적기업 자체는 사회적 목적을 수행하지 않으나 비영리조직과 상호 협조적이며 경제적 지원

기능도 행하는 형태이다.

Page 6: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균형성과표(BSC)를... · 2019. 1. 9. · ! "#$% &'( )* /0b, , ~~u ~)7 NO + )p= /AC PQ|LM6- .I(R '67@~,/0B D :¯- ZèB= /0’b, $=!"C.-

국제경상교육연구 제10권 제4호222

<그림 1> 사회적기업육성법상 사회적기업의 유형

자료원) 노동부(2008)에서 인용.

한편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와는 달리 정부가 ‘인증’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인

증 시스템 안에서 유형별 분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노동부는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을 크게 일

자리 제공형과 사회서비스 제공형, 혼합형, 지역사회 공헌형의 4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일자리

제공형은 조직의 주된 목적이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경우로 취약계층 고용비율이

30%를 넘어야 한다. 사회서비스 제공형은 조직의 주된 목적이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를 제공

하는 경우로 사회서비스를 제공받는 취약계층의 비율이 30%를 넘어야 한다. 혼합형은 이 두 가

지가 혼합된 경우로 취약계층 고용과 사회서비스 제공받는 취약계층의 비율이 각각 20%를 넘어

야 한다. 지역사회공헌형은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나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주된 목적은 아

니나 환경, 문화, 지역개발 등 지역사회내 일반주민을 수혜자로 하는 공익사업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을 의미한다(노동부, 2008:12). 이러한 사회적기업육성법상 사회적기업 유형

을 간략하게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2.3 사회적기업 성과평가 지표에 대한 선행연구

사회적기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사회적기업의 성과평가와 관련

된 논의는 매우 저조하다. 사회적기업의 성과는 사회적기업의 목적 자체가 복합적이고, 정량적

으로 드러나지 않은 사회적 가치를 포함하고 있어 그 측정이 모호한 측면을 가진다. 이에 다양

한 연구자들은 실질적으로 사회적기업의 성과를 측정하는 방법들에 대한 연구를 제안하고 있다.

우선 Social Firms UK(2006)는 사회적기업의 일환인 social firm의 경제적․사회적 영향을 측

정함으로써 고객과 투자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 social firm으로 하여금 목표달성도를

Page 7: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균형성과표(BSC)를... · 2019. 1. 9. · ! "#$% &'( )* /0b, , ~~u ~)7 NO + )p= /AC PQ|LM6- .I(R '67@~,/0B D :¯- ZèB= /0’b, $=!"C.-

균형성과표(BSC)를 적용한 사회적기업의 성과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223

파악할 수 있도록 Social Firm Performance Dashboard를 개발하였다. 여기서는 재정(finance), 고

용(employment), 고객(customer), 기업내부과정(internal business process)의 네 관점은 기본적으

로 평가하고, 환경(environment)과 훈련생(trainees)의 두 관점은 선택적으로 평가한다. 물론

Dashboard는 social firm을 대상으로 고안되었지만, 연구자는 사회적기업 일반에도 적용이 가능

하다고 주장한다. 김순영(2008)은 사회적기업의 성과평가 기준 및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사회

적기업의 성과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사회적

기업의 성과를 목적과 임무, 활동, 산출, 종업원, 고객 등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할 수 있는 기준

및 지표를 개발하였다.

한편 일부 연구에서는 Kaplan & Norton(1996)이 성과분석 틀로 제시한 균형성과표(BSC)를

응용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Somers(2005)는 영국의 신경제재단(New Economic Foundation)이

사회적기업 파트너십과 공동으로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BSC를 시범 적용하였으며, BSC를 사

회적기업에 맞게 재구성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목표를 포함하고 재

무적 관점을 넓혀 지속가능성에 중점을 두며 보다 광범위한 이해관계자를 고려하기 위해 고객

관점을 확대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유럽사회기금(European Social Fund)으로부터 재정지원

을 받아 이루어진 Bull(2007)의 연구에서도 사회적기업의 성과측정을 위한 균형성과표의 적용모

델을 제시하였다. Bull의 사회적기업 BSC 모형에서는 민간 기업이 일반적으로 추구하고 있는

BSC 관점별 분류를 유사하게 사용하고 있지만 사회적기업의 목적으로 토대로 고객을 나타내는

이해관계자 관점, 학습조직관점, 내부활동관점, 다중수익추구 관점으로 구분하였다. 허정수 외

(2008)는 Kaplan & Norton(1996)의 BSC 기법의 성과측정 지표를 경영자 중심으로 재구성한

Bull(2007)의 연구를 바탕으로 이러한 성과지표들이 사회적기업의 성과측정 도구로 적합한지에

대해 검증하였으며, 이용탁(2008)은 BSC를 구성하는 재무적 관점, 고객(이해관계자) 관점, 내부

프로세스 관점, 학습 및 성장관점 등을 구체적으로 나열하고 사회적기업의 BSC 모델을 개발하

고 있다.

사회적기업의 성과측정에 대한 또 다른 접근으로 라준영(2010)은 최근 사회적기업 평가에 있

어서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사회투자수익률(Social return on investment : SORI)의 관점에

서 사회 및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였으며, 이승규·라준영(2010)은 기존의 SROI 방법의 적용이 일

관성 등의 문제에서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고 사회적 편익과 비용의 개념을 ‘외부성(externality)

의 관점’에서 새롭게 정의하여 사회적 투자를 기업회계와 동일한 관점에서 분석할 필요가 있다

고 주장하였다. 또한 장정주(2010)는 자료포락분석(Data Environment Analysis : DEA) 모형을

활용하여 사회적기업 효율성 측정을 위한 투입요소로 총 근로자 수와 정부지원금, 산출요소로

서비스 제공을 변수로 선정하여 사회적기업의 경영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사회적기업 성과평가 지표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양한 연구에서 실증적 자료를 바탕으

로 사회적기업의 성과를 분석하고 있지만 그 관점이 협소하고 사회적기업의 성과를 포괄적으로

Page 8: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균형성과표(BSC)를... · 2019. 1. 9. · ! "#$% &'( )* /0b, , ~~u ~)7 NO + )p= /AC PQ|LM6- .I(R '67@~,/0B D :¯- ZèB= /0’b, $=!"C.-

국제경상교육연구 제10권 제4호224

제시하지 못하거나, 재무지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성과로 창출되고 있는 비재무적 요소까지를

고려하여 사회적기업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성과모형으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사회적

기업 영역의 성과측정에 가장 중요한 사항은 사회적기업이 경제적 목적과 함께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는 점이다. 이런 점에서 기준의 주요 지표인 재무지표를 벗어나 재무지표와 비재무지표의

네 가지 관점에서 성과를 바라보는 BSC 도구의 활용은 사회적 기업의 성과 측정에 적절한 함의

를 제공하고 있다(최준규, 2013).

Ⅲ. 성과측정도구로서의 균형성과표(BSC)

3.1 영리조직의 균형성과표(BSC)

균형성과표(BSC)에 대한 정의는 많은 연구자들로부터 정의되어 왔다. 처음 BSC의 개념을 소

개하였던 Kaplan & Norton(1992)은 과거 매출이나 순이익과 같은 재무적 성과에만 치우쳤던 기

존의 성과측정 시스템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내부 프로세스, 고객관점, 학습 및 성장관점을

추가하여 균형있는 성과측정을 통해 기업의 전략과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제안된 평가시스템으

로 정의1)하였으며, 이어 이들은 1996년 연구를 통하여 단순한 전술적 성과측정시스템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전략을 수행하기 위한 관리시스템으로 정의하였다. Niven(2002)은 조직의 전략으로

부터 선택되어 신중히 선택된 지표들의 집합으로 정의하였으며, 2005년 그의 저서를 통하여 측

정시스템부터 전략시스템까지 전략을 명료화하고 구체화할 수 있는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도구

를 BSC라고 정의하였다.

국내에서는 김희경 등(2001)에서 BSC에 대하여 단순히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가 아니라

조직의 살아있는 전략적 관리도구이며, 전략적 의사결정 기준으로 정의하였다. 서정록(2006)은

과거 성과를 나타내는 재무적인 성과측정지표에 미래성과를 창출하는 동인에 대한 비재무적 성

과측정지표인 고객과 공급자, 종업원, 내부 프로세스 및 학습과 성장 등을 추가함으로써 미래가

치를 창출하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BSC를 정의하였다.

BSC 관련 연구는 기업경영의 전략적 목표 달성을 위한 성과지표의 선정, 조직성과와의 관계,

관리방법을 찾는 과정 등에 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다(Banker 등, 2004; 이윤미 등, 2005;

서경훈, 2006; Bernard Wong-On-Wing 등, 2007). 그러나 BSC의 기본정의는 대부분 Kaplan &

Norton(1992)이 제시한 내용이 파생된 경우가 많다. 따라서 BSC는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

1) 1992년 하버드경영대학의 교수인 Kaplan과 컨설턴트인 Norton은 재무지표 뿐만 아니라 기업들이 사람, 정보, 문화와 같은 중요한 무형자산 등 비재무지표와의 균형을 고려한 BSC(Balanced Scorecard)라는성과측정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Page 9: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균형성과표(BSC)를... · 2019. 1. 9. · ! "#$% &'( )* /0b, , ~~u ~)7 NO + )p= /AC PQ|LM6- .I(R '67@~,/0B D :¯- ZèB= /0’b, $=!"C.-

균형성과표(BSC)를 적용한 사회적기업의 성과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225

해서는 단순 재무지표만이 아니라 재무, 고객, 내부 프로세스, 학습과 성장의 4가지 관점의 지표

로 기업이나 조직의 성과를 평가 및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정의할 수 있다.

BSC 모형은 전통적인 기업경영 평가제도와 비교할 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유

성재 등, 2005).

첫째, 기업의 성과를 특정한 측면에만 집중하지 않고 네 가지 관점별로 구분하여 평가하고 있

다. 둘째, 재무적 및 비재무적 성과 측정치들 간에 선행지표와 후행지표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

다. 따라서 조직 구조의 효율성, 프로세스의 품질, 고객만족 등과 같은 다양한 BSC 모형의 측정

치들은 경영자의 관리적 노력을 매개한다고 전제하고 비재무적 측정치가 재무적 성과를 유도한

다는 내용의 연구들이 다수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림 2> BSC의 구성요소와 상호관계

Kaplan & Norton(1996)의 연구에서는 기존의 개선된 성과측정시스템으로서의 BSC에서 한

차원 진화된 기업의 전략경영시스템으로서의 BSC 모형을 활용하기 위한 네 가지 관점별 평가

기준과 관점 간의 상호관계를 다음의 <그림 2>와 같이 표시하고 있다.

<그림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BSC 모형에서의 각 관점별 목표와 측정지표들은 조직의 비전

과 전략에 토대를 두고 도출되며, 네 가지 BSC 관점, 즉 학습 및 성장, 내부 프로세스, 고객, 재

무적 관점에서 각각 조직의 성과를 측정하며 전체적으로는 기업(조직)의 비전과 전략의 달성에

그 최종목표가 있다. 즉, BSC 모형은 네 가지 관점에 따라 조직 전략과 비전을 구체화하고, 목표

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해주며 또한 조직의 구성원들이 어떻게 현재와 미래 고객들을 위해 가치를

창조할 것인지, 미래의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사람과 시스템, 절차에 대한 투자와 내부역

량을 어떻게 조합해야 하는지를 측정할 수 있게 해준다.

Kaplan & Norton(1992, 1996)이 제안한 BSC 모형은 기본적인 성과 평가기준을 재무적 관점,

고객 관점, 내부 프로세스 관점, 학습 및 성장관점의 4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BSC 모형은 재무

적 성과를 측정하는데 초점을 둔 전통적인 성과평가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조직의 상태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고안된 새로운 전략적 성과측정시스템이다. 이는 조직

Page 10: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균형성과표(BSC)를... · 2019. 1. 9. · ! "#$% &'( )* /0b, , ~~u ~)7 NO + )p= /AC PQ|LM6- .I(R '67@~,/0B D :¯- ZèB= /0’b, $=!"C.-

국제경상교육연구 제10권 제4호226

의 성장과 발전가능성은 단순히 과거나 현재의 재무 상태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고객관계, 기업 내부의 업무 수행능력 및 조직의 개선과 혁신능력 등 다양한 활동 등에 의해 영

향을 받는다는데 그 필요성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조직의 전반적인 성과 평가나 중장기적인

전략의 수립에 있어 재무적 및 비재무적인 다양한 관점에 기준을 둔 측정지표들을 활용하는 것

이 바람직할 것이다.

3.2 비영리조직의 균형성과표(BSC)

BSC는 영리기업의 성과측정을 위한 기본 모델로 도입되었으나 점차적으로 비영리조직이나

정부 및 공공기관에 광범위하게 도입되어 실행되고 있다(이상훈, 2007). 비영리조직에서 BSC가

가장 효과적으로 실행되어 조직에서 설정한 비전과 미션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Kaplan & Norton

이 제시한 네 가지 관점을 기초로 하는 BSC의 기본 모델을 적용하여 적정하게 수정되어야 한

다. 영리기업의 경우에 있어서 고객은 영리기업과 직접적인 관계를 지니고 있지만, 비영리조직

의 경우에 있어서의 고객은 후원자일수도 수혜자일수도 있다.

<그림 3> 비영리조직을 위한 BSC 모형

자료원) Niven, P. R. (2003). Balanced Scorecard Step by Step for Government and Nonprofit Agencies, Wiley.

중앙 및 지방정부에 있는 조직과 다양한 비영리조직들이 BSC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성과를

거두고 있는데, 비영리조직 BSC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바로 고객을 보다 주의 깊게 배려한다

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고객에게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정부와 비영리조직 대부분

에게 존재의 이유가 되기 때문에 고객은 BSC의 전략체계도 상단에 존재한다.

비영리조직의 경우 재무적 관점이 목표라기보다는 제약조건으로 작용할 수 있는데, 비영리조

직의 경우에 있어서는 자금의 지출이나 집행이 예산에 근접하였다 하더라도 고객의 요구나 서

비스가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라고 말할 수는 없는 것이다. 오히려 예산절감이 고객이나 이해관계

Page 11: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균형성과표(BSC)를... · 2019. 1. 9. · ! "#$% &'( )* /0b, , ~~u ~)7 NO + )p= /AC PQ|LM6- .I(R '67@~,/0B D :¯- ZèB= /0’b, $=!"C.-

균형성과표(BSC)를 적용한 사회적기업의 성과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227

자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했다고 하면, 조직에서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였다고 할 수

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비영리조직의 재무적 지표들이 조직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는

있어도 영리기업에서처럼 최상위 목표가 될 수는 없는 것이다.

영리조직인 민간기업의 경우 BSC는 Kaplan과 Norton의 기본 모형을 유지할 수 있으나 비영

리조직이나 공공기관의 경우 조직의 특성의 따라 <그림 2>와 같이 수정되거나 변형될 수 있으

며, 공공 및 비영리부문에서 추구하는 전략은 BSC 체계에서는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해야만 조

직의 미션을 제대로 달성할 수 있다. 영리조직과 비영리조직의 균형성과표의 가장 큰 차이점은

관점의 차이, 조직문화의 차이, 균형성과표 활용상의 차이로 볼 수 있다. 이에 <표 4>에서 영리

기업과 비영리조직의 균형성과(BSC) 적용의 차이점에 대해 비교하여 서술하고 있다.

<표 4> 영리기업과 비영리조직의 균형성과표(BSC) 적용의 차이점

구분 영리기업 비영리조직

관점고객관점

․재원제공자, 시혜자가 소비자로서 같음․재무적 목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관점

․재원제공자와 시혜자가 서로 다를 수 있음

․인과관계의 최상위에 위치

재무관점 ․최상위의 전략적 목표 ․일반적으로 제약조건

조직

문화

평가문화․지원들이 평가에 익숙하여 BSC적용에용이

․직원들이 평가문화에 익숙하지 않아

BSC적용에 어려움

비전과전략 ․비전과 전략이 어느 정도 수립되어 있음 ․도덕적인 문구로 구체성 부족

활용 중점사항 ․성과평가에 따른 보상과 연계 ․성과평가에 따른 예산과 연계

Ⅳ. 사회적기업의 균형성과표(BSC) 성과평가 지표 설계

4.1 사회적기업에서의 균형성과표(BSC) 성과평가 지표

성과관리시스템은 일반 영리기업으로 도입된 것으로 영리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의 관점

에서 고안되고 개발된 것이며, 이러한 도구는 경영합리화, 자원의 극대화, 시장 확대 및 재무적

성과를 추구하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활용되고 있다(Speckbacher, 2003). 이에 반해 비영리조직

은 설립목적 및 비전, 전략, 재무상태, 고객특성과의 측면에서 영리조직인 민간부문과 많은 차이

를 보이고 있으므로 비영리조직의 BSC는 다르게 유연성을 가지고 적용되어야 한다.

사회적기업과 같은 비영리조직은 소유주 및 경영자의 열정과 정부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직원 수가 비교적 적고 자원 및 구조상 요건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Dandridge(1979)와 Wynarezyk.et.al.(1993)에 따르면 중소기업 소유주 및 경영자의

Page 12: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균형성과표(BSC)를... · 2019. 1. 9. · ! "#$% &'( )* /0b, , ~~u ~)7 NO + )p= /AC PQ|LM6- .I(R '67@~,/0B D :¯- ZèB= /0’b, $=!"C.-

국제경상교육연구 제10권 제4호228

경우 대기업에 비해 비효율성에 대한 관대함이 덜하며, 대기업과는 다른 기업이념 및 기업윤리,

조직구조를 도입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대부분의 사회적기업은 중소기업의 규모를 지니

고 있으므로 성과기준의 개발에 신중을 기하여야 할 것이다.

<표 5> 사회적기업의 균형성과표(BSC) 관점별 성과기준

Somers(2005)경영자 중심 성과표

Bull(2007)

종업원 중심 균형표

허정수 외(2008)라준영(2008)

BSC 성과기준

이용탁(2008)비전수립 비전수립과 실행 비전수립과 실행 비전수립 비전수립

․사회적 목표

․사업계획화

․미션선언문

․미션전략

․비전 의사소통 설명

․비전 전파균형

․비전달성노력

․체계적인 사업계획

․사명 실천전략

․조직전체 균형달성

․비전수립 ․사회적 목표

이해관계자관점 이해관계자환경 이해관계자환경 이해관계자환경 이해관계자관점

․소비자

․사용자

․종업원

․지역사회

․공급자

․이해관계자중시

․경쟁자관찰

․시각적정체성 및 이미지

․마케팅자원

․마케팅 평가 및 홍보

․내부고객 중시

․외부고객 중시

․경쟁기관 동향 분석

․외부이미지

․비영리마케팅

․이해관계자만족도

․경쟁우위성과

․고객성과

․시장성과

․정부(지자체)․사회서비스이용자

․내부종업원

․공급자(협력업체)․지역사회

․사회공헌활동기업

․외부기관과의 파트너십

재무적

지속가능성다중수익추구 다중수익 지속가능성 재무적 관점

․거래수입

․거래외수익

(보조금)․비용절감

․트랙옹호

․지속가능성추구

․예산지출관리

․사회적목표중시

․환경적목표중시

․재무적성과매트릭스

․비재무적성과매트릭스

․사회회계 및 환경회계

․재정적 지속가능성

․예산지출 관리의 명확

․사회적목표의 명시

․재무적 성과표 활용

․경제적지속가능성

․환경적지속가능성

․사회적지속가능성

․재정조달안정성

․예산지출관리의 효율성

․재정지원정도

․거래수입

내부프로세스관점 내부활동 내부활동 프로세스관점 내부프로세스관점

․내부프로세스

․정보공유

․효과측정

․내외부의사소통

․내부지원체계

․내부의사소통관리

․내부활동품질관리

․경영시스템

․유연성 및 적응성

․체계적 내부 지원활동

․비공식적 의사소통

․질적인 조직활동

․유연한 조직구조

․마케팅

․제품/서비스개발․생산및운영

․이해관계자 관리

․조직문화

․조직관리/조직구조․내외부의사소통

․제품,서비스품질관리․정보공유정도

자원관점 학습조직 학습조직 자원관점 학습과성장관점

․정보기술

․일련의기술

․네트워크

․교육훈련개발의지

․의사결정참여

․외부적학습

․창조적학습문화

․리더십

․지속적발전철학

․직무관련 교육프로그램

․조직내 의사결정 참여

․직원아이디어

․창조적 학습활동

․인적자원

․물적자원

․무형자원

․교육훈련정도

․경영참여도

․리더십

․학습문화

자료원) 허정수 외(2008), 라준영(2008) 및 이용탁(2008)의 연구를 재구성.

Page 13: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균형성과표(BSC)를... · 2019. 1. 9. · ! "#$% &'( )* /0b, , ~~u ~)7 NO + )p= /AC PQ|LM6- .I(R '67@~,/0B D :¯- ZèB= /0’b, $=!"C.-

균형성과표(BSC)를 적용한 사회적기업의 성과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229

<표 5>에서는 균형성과표(BSC)를 사회적기업의 성과측정에 도입 및 적용에 관한 연구자들의

연구를 BSC 관점별 성과기준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제시해 볼 수 있다.

Somers(2005)가 개발한 사회적기업을 위한 균형성과표 모델은 사회적기업의 바람직한 결과를

사회적 목표라는 비전으로 설정하고, 이해관계자관점(고객관점), 재무적 지속가능성 관점(재무

관점), 내부프로세스관점(내부프로세스관점), 자원관점(학습 및 성장관점)으로 구분하였다.

Somers(2005)의 균형성과표 모델은 보다 복잡한 경영구조를 필요로 하는 사회적기업의 혼합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이 이해관계자관점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종래의 모델이 고객만을 다루었다면 사회적기업의 균형성과표에서는 서비스의 구매자와

소비자를 구별하여 설명하고 있다.

Bull(2007)이 주장한 사회적기업의 성과측정을 위한 균형성과표의 적용모델은 경영자중심의

균형표라는 도구의 제안으로 사업계획화, 미션 선언문 및 미션전략, 비전의 의사소통 설명과 전

퍄 균형을 비전으로 수립하고 이해관계자관점(고객관점), 다중수익추구관점(재무관점), 내부활

동관점(내부프로세스관점), 학습조직관점(학습 및 성장관점)으로 구분하였다.

일반적으로 비영리조직이나 공공부문의 경우에 있어서 BSC의 관점별 분류를 보면 재무적 관

점이 자원관점으로 분류되어 그다지 중요하지 않게 제시되고 있으나 사회적기업의

Somers(2005)나 Bull(2007)의 BSC 분류에 있어서는 재무적 관점을 나타내고 있는 사회적기업의

재정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중요성을 BSC의 상위 관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는 영리기업과 비

영리조직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사회적기업의 특성상 수익성을 달성하기 위한 기업의 노력이

반영된 평가체계이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허정수 외(2008)의 연구에서는 국내의 사회적기업이 2007년도에 시작되어 역사가 짧고 아직

은 경영자를 중심으로 최소한 3년 이상의 객관적 측정을 위한 양적 지표가 없으므로 균형성과표

성과지표를 종업원 중심 균형표로 설정하였다. 비전달성노력과 체계적인 사업계획, 사명실천전

략 등을 비전으로 수립하고 이해관계자환경관점(고객관점), 다중수익관점(재무관점), 내부활동

관점(내부프로세스관점), 학습조직관점(학습 및 성장관점)으로 구분하였다.

라준영(2008)의 연구에서는 재무적 관점을 지속가능성으로 변형하여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요소를 모두 포괄하고 이를 최상위에 두고 있으며, 이해관계자관점(고객관점), 재무가능성(재무

관점), 프로세스관점(내부프로세스관점), 자원관점(학습 및 성장관점)으로 구분하였다. 각 차원

에 대한 주요 목적은 지속가능한 발전에서 얼마나 성공하였는가,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이해관계자를 만족시키고 있는가,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는 이해관계자 만족도를 높이

기 위해 내부프로세스와 경영활동의 성과가 얼마나 뛰어난가, 위 자원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필

요한 유, 무형 자원의 양과 질은 충분한가이다.

이용탁(2008)이 주장한 사회적기업을 위한 균형성과표 모델에서는 사회적기업에서 달성하고

자 하는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는 사회적 목표가 BSC의 세부적인 관점의 복합관계로서

Page 14: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균형성과표(BSC)를... · 2019. 1. 9. · ! "#$% &'( )* /0b, , ~~u ~)7 NO + )p= /AC PQ|LM6- .I(R '67@~,/0B D :¯- ZèB= /0’b, $=!"C.-

국제경상교육연구 제10권 제4호230

달성하고자 하는 최종적인 결과로 제시하고, 세부적인 관점별 위치로는 사회적기업의 재정적 지

속가능성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를 나타내는 재무적 관점을 최상위 관점으로 나타내었다. 그

다음으로는 사회적기업의 비전달성을 위해 기업의 이해관계자를 합리적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이해관계자들이 보는 사회적기업은 어떠한 모습인가를 나타내는 고객(이해관계자)관점을 차상

위 관점으로, 그리고 사회적기업의 비전달성을 위해 적절한 사업관행과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가

를 타나내는 내부프로세스관점과 사회적기업의 비전달성을 위해 변화․발전하는 능력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를 나타내는 학습과 성장관점을 최하위 관점으로 제시하였다.

Somers(2005)와 이용탁(2008)의 연구에서는 기존의 BSC 성과기준의 개념을 사회적기업에 원

용한 것으로 비전과 전략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다만 사회적기업이 최종

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결과를 사회적 목표로 정의하였다. 하지만 Bull(2007)과 허정

수 외(2008)의 연구에서는 경영자 중심과 종업원 중심 관점에서 체계적인 사업계획과 비전수립,

비전의 의사소통 설명과 전파 등을 비전으로 설정하여 사회적 목표를 수행하는 최종 귀착점으

로 수립하였다.

4.2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사회적기업 균형성과표(BSC) 성과평가 지표

설계

사회서비스 일자리를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인 일자리로 확충할 필요성을 인식하여 설립된 우

리나라의 사회적기업은 사회적기업육성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사회적기업을 인증하도록 하고 있

다. 이러한 인증을 받은 사회적기업에 대해서는 사회적기업육성을 위한 조례 제정을 바탕으로

한 법률지원, 신규채용 인건비 지원 및 일자리 창출사업, 경영컨설팅 지원, 시설비지원, 조세감

면 및 사회보험료 지원 등의 재정지원, 그리고 더불어 사회적기업의 설립․운영에 필요한 전문

인력 육성, 교육프로그램사업, 공공기관우선구매지원사업 등의 사업지원 등을 정부로부터 조달

받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은 정부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통해 기업적 속성을

유지하면서 사회적 성과를 창출해야 한다. 즉 ‘사회적기업’에서 ‘사회적’이라는 것은 달성해야

할 과제이지만, 이의 형태는 ‘기업’이라는 것이다. 기업의 근본은 이윤창출이라는 재무적 성과가

바탕이 되며, 사회적기업도 아무리 사회적이라고 하더라도 그 근간은 최소한의 재무적 성과를

달성하지 못하면 기업으로서의 영속성을 담보할 수가 없게 되는 것이다.

Kaplan & Norton(1992)은 기업의 고유목적에 따라 4가지 관점의 모형은 재구축되거나 변형되

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앞서 살펴본 4가지의 균형성과표(BSC) 모형은 사회적기업의 미

션인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목표 추구를 바탕으로 사회적기업이 운영되어야 할 보편적 기준으

로 4가지 관점을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기준은 본 연구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다만 고려해야

할 것은 다른 비영리조직과 달리 사회적기업은 정부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제공받고 있는

Page 15: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균형성과표(BSC)를... · 2019. 1. 9. · ! "#$% &'( )* /0b, , ~~u ~)7 NO + )p= /AC PQ|LM6- .I(R '67@~,/0B D :¯- ZèB= /0’b, $=!"C.-

균형성과표(BSC)를 적용한 사회적기업의 성과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231

측면에서 정부의 재정지원여부나 예산지출에 대한 관리, 또한 사회적기업의 고유목적인 사회적

성과 창출을 위한 공공성의 관점으로 추가하여 이전의 균형성과표의 4가지 관점에서 확장된 사

회적기업의 성과평가 지표를 설계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의

균형성과표(BSC)의 각 관점의 수립을 <그림 4>에서 같이 제시하였다.

<그림 4>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사회적기업의 균형성과표(BSC) 관점

또한 선행연구와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균형성과표(BSC) 관점별 차이를 비교해보면 <표 6>

과 같다. 이전의 Kaplan and Norton(1996)이 제안한 고객관점과 재무관점을 고객이해관계자관점

과 공공성관점, 재무성과 관점으로 세분화하여 정부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에 대한 평가의 부분

을 추가함으로 영리기업과 비영리조직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사회적기업의 특성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표 6> 선행연구와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사회적기업 균형성과표(BSC) 성과관점별 차이

Somers

(2005)

Bull

(2007)

허정수외

(2008)

라준영

(2008)

이용탁

(2008)본 연구

비전수립 비전수립과 실행 비전수립과 실행 비전수립 비전수립 비전과미션

이해관계자관점 이해관계자환경 이해관계자환경 이해관계자환경 이해관계자관점고객이해관계자

관점

공공성관점재무적

지속가능성다중수익추구 다중수익 지속가능성 재무적관점 재무성과관점

내부프로세스

관점내부활동 내부활동 프로세스관점

내부프로세스

관점

업무프로세스

관점

자원관점 학습조직 학습조직 자원관점 학습과성장관점 학습및성장관점

Page 16: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균형성과표(BSC)를... · 2019. 1. 9. · ! "#$% &'( )* /0b, , ~~u ~)7 NO + )p= /AC PQ|LM6- .I(R '67@~,/0B D :¯- ZèB= /0’b, $=!"C.-

국제경상교육연구 제10권 제4호232

본 연구에서는 제안하는 사회적기업의 균형성과표(BSC) 5가지 성과관점에 대한 각 관점별

지표에 대해서 <표 7>에서와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Kaplan & Norton(1992, 1996)의 BSC관점의 기본 모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

는 범위 내에서 고객관점은 고객이해관계자관점으로, 재무적 관점은 재무성과 관점으로, 내부프

로세스관점은 업무프로세스관점으로, 학습 및 성장관점은 학습 및 성장관점으로 구성하였으며,

정부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는 사회적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공공성관점을 추가하

여 기존의 BSC 모형을 변형하여 총 5가지의 성과관점으로 구성하였다.

<표 7>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사회적기업의 성과평가 지표

비전과 미션 : 사회적 목적 실현을 위한 수익 및 이윤창출 달성

고객이해관계자관점

․정부 및 지자체․지역사회․종업원․공급자․사회서비스 이용자

업무프로세스관점

․내․외부의사소통

․영업관리

․고객만족도

․종업원만족도

공공성관점

․재정지원여부․예산지출관리․지역사회기여도․공동체이익추구

학습및성장관점

․교육훈련정도

․경영참여도

․학습문화재무성과관점․재무건전성․매출액․순이익

4.2.1 비전(Vision)과 미션(Mission)

사회적기업과 같은 조직의 비전과 미션개발은 조직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

조직의 본질이자 문화의 핵심인 근본적인 가정을 이해하지 않는다면 조직의 변화는 저항과 어

려움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Margolis and Hanse, 2002).

비전과 미션은 사회적기업이 최종적으로 수행해야 할 목표 및 목적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회

적 목적 실현을 위한 수익 및 이윤창출 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적기업육성법 제2조에서는

사회적기업의 법적 개념을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여 취약계층에게 사

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

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 · 판매 등 영업활동을 하는 기업, 또한 주주나 소유자를 위한 이윤

극대화를 추구하기 보다는 우선적으로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이를 위해 이윤을 사업 또는

지역공동체에 다시 투자하는 기업으로 정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전과 미션을 사회적 목

적 실현을 위한 수익 및 이윤창출 달성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4.2.2 고객이해관계자관점

Page 17: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균형성과표(BSC)를... · 2019. 1. 9. · ! "#$% &'( )* /0b, , ~~u ~)7 NO + )p= /AC PQ|LM6- .I(R '67@~,/0B D :¯- ZèB= /0’b, $=!"C.-

균형성과표(BSC)를 적용한 사회적기업의 성과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233

고객이해관계자 관점은 기업의 가치창출 원천이 고객이란 전제하에 고객을 면밀히 검토하고

정보를 획득하여 기업의 핵심역량을 만들어 가는데 목적이 있다. 일반 영리기업과는 달리 사회

적기업의 경우 고객이해관계자는 사회적기업과는 직․간접적으로 긴밀한 유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회적기업의 성과평가 지표로 정부 및 지자체, 지역사회, 종업원, 공급자, 사회서비스

이용자를 포함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사회적기업은 사회적기업육성법에 의해 고용노동부 장관의 인증을 받아야

하며 사회적기업으로 인증되면 사회적기업육성법에 의해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동법 제10조는 경영지원과 관련하여 사회적기업 운영에 필요한 경영․기술․세무․

노무․회계 등의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자문 및 정보제공 등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제11조는

사회적기업의 설립 또는 운영에 필요한 부지구입비․시설비 등을 지원․융자하거나 국공유지를

임대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나 지자체, 지역사회는 사회적기업의 중요한 이해관계자가 될 수 있

다. 또한 사회적기업의 유형을 살펴보면 사회적 목적에 따라 4개의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취약

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일자리 제공형,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서비스

제공형, 일자리와 사회서비스 제공형의 혼합형, 지역사회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지역

사회 공헌형으로 구분되어지는데, 이처럼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용자도 사회적기업의 이해

관계자가 될 수 있다.

4.2.3 공공성관점

사회적기업은 사회적 목적이 중시되고 정부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으며 공공성 측

면에서의 성과지표가 필수불가결하며, 사회적기업의 성과평가 지표로 재정지원여부, 예산지출

관리, 지역사회기여도, 공동체이익추구가 포함되어질 것이다.

한국사회에서의 사회적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나 지자체 등의 재정지원여부는 사회

적기업이 창업하고 성장하는데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될 것이며(이용탁, 2008), 지원받는 재정에

따른 예산도 투명하게 관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일반 영리기업의 경우도 지역고용 활성화 및

세금납부 등을 통하여 공동체 이익에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일반 영리기업의 성격도

함께 공유하고 있는 사회적기업 역시 지역사회에 경제적 기여 못지않게 사회적 기여의 측면도

중요하고 볼 수 있다.

사회적기업은 이익의 대부분을 사회적 목적에 재투자하거나 종업원들에게 배분하거나 공동

체 이익을 위해서 사용한다(Pearce, 2003). 따라서 사회적기업의 연간 수입금액 중에서 해당사업

에 재투자하거나 종업원 등에게 제공되는 이익의 정도를 중심으로 공동체이익추구에 대한 지표

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4.2.4 재무성과관점

Page 18: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균형성과표(BSC)를... · 2019. 1. 9. · ! "#$% &'( )* /0b, , ~~u ~)7 NO + )p= /AC PQ|LM6- .I(R '67@~,/0B D :¯- ZèB= /0’b, $=!"C.-

국제경상교육연구 제10권 제4호234

사회적기업은 일반 비영리법인과는 달리 기업으로서의 속성은 물론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

서 이를 위해 이윤을 사업 또는 지역공동체에 다시 투자하는 기업이며, 이에 사회적기업의 성과

평가 지표로 영리기업의 재무성과 관점의 지표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재무건전성, 매출액, 순이

익이 포함되어질 것이다.

사회적기업의 재정적 지속성을 유지하고 장기간 존속하기 위해서는 우선은 재정의 자립성 내

지 재무의 건전성(안정성)이 필요하며, 더욱이 유급 근로자를 고용하여 영업활동을 통한 수입이

노무비(인건비)의 30% 이상으로 목표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량적으로 측정 가능한 재무 건전

성의 지표 및 매출액, 순이익의 지표 또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추후 사회적기업이 제시

하고 있는 재무성과에 대한 재무제표를 활용한 지표를 통한 분석이 가능하며, 제시되는 재무성

과에 대한 정보에 따라 재무건전성 지표, 매출액, 순이익 외에 측정 가능한 재무지표로도 충분히

활용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4.2.5 업무프로세스관점

업무프로세스관점은 기업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핵심 프로세스와 핵심역량을 규명하는

과정에 대한 관점으로, 기업의 가치사슬 가운데 기업의 가치를 훼손하는 요인을 제거하고 고객

의 기대를 충족시켜 기업가치 창출 부문을 최대한 끌어올려 시장점유율을 확대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회적기업의 업무프로세스관점은 조직 내부간 의사소통에 대한 업무적 효율성을 나타내며,

성과평가 지표로 내․외부의사소통, 영업관리, 고객만족도, 종업원만족도가 포함된다.

Bulls(2007)의 연구에서는 조직의 내부 의사소통에 대한 중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연구결과 조

사대상 응답업체 대다수가 의사소통의 효율성 측면에서 공식적인 시스템보다 비공식적인 시스

템을 통해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일반적으로 사회적기업이 규모가 작은 기업의

형태일지라도 업무 상황을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정형화된 업무프로세스상의 관리가 필요하며,

업무 프로세스의 질적인 측면에서 제품이나 서비스의 질을 높임으로 영업관리를 체계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품이나 서비스의 질에 대한 만족도를 통해 이해관계자와의 관계에서 발생

할 수 있는 고객의견, 고객 불만이나 업무처리만족 등의 고객만족도 지표를 평가할 수 있으며,

업무 만족도 등을 통해 종업원들의 소속 사회적기업에 대한 만족도 측정지표로도 활용될 수 있

을 것이다.

4.2.6 학습 및 성장관점

학습 및 성장관점은 균형성과표 이념을 가장 잘 실천해줄 수 있는 평가지표로서 기업이 장기

적인 가치 창출과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 조직의 잠재력을 위한 투자가 어느 정도 이루어

졌는지를 측정하는 도구이다. 특히 현재 강조되고 있는 인적자원과 지적자산의 가치를 측정함으

Page 19: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균형성과표(BSC)를... · 2019. 1. 9. · ! "#$% &'( )* /0b, , ~~u ~)7 NO + )p= /AC PQ|LM6- .I(R '67@~,/0B D :¯- ZèB= /0’b, $=!"C.-

균형성과표(BSC)를 적용한 사회적기업의 성과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235

로서 기업의 무형적 가치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사회적․경제적 목표달성을 위하여 지속적인 노력의 정도를 학습 및 성장관점으로 측정하고

자 하며, 성과평가 지표로 교육훈련정도, 경영참여도, 학습문화를 포함한다.

사회적기업의 유급근로자수는 인증시점을 기준으로 기업당 24.1명으로 규모가 그리 크지 않

은 기업의 형태를 보인다. 사회적기업이 인증시점보다 더 성장하기 위해서는 종업원의 능력과

전문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서비스나 제품의 품질 또한 높아질 수 없으므로 종업원에 대한 능

력개발 혹은 교육훈련지원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영국 북서부의 15개 사회적기업을 대상으

로 분석한 Bull and Crompton(2006)의 연구결과에서 보더라도 대다수의 사회적기업들은 종업원

들의 교육훈련 및 개발, 참여적 의사결정, 조직구성원간의 팀워크, 학습문화 등을 지속가능한 사

회적기업을 위하여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사회적기업들의 적극적인 교육

훈련 지원을 통해 경영 참여적 문화가 형성되어질 수 있으며, 더불어 종업원 개개인 스스로가

중요성을 가지고 업무에 참여할 수 있으며 학습문화가 형성되어진다고 볼 수 있다.

Ⅴ. 연구의 결론 및 한계점

사회적기업은 사회적 일자리 창출과 사회적 서비스의 안정적 제공을 위하여 사회적 목표와

경제적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여야 하는 과제를 지니고 있다. 이는 사회적기업이 이윤창출을 위

한 경쟁력 확보를 통하여 취약계층에 대한 일자리 창출과 적절한 사회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사회적기업은 사회적 목적이 중시되고 정부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이 불가피한 실

정이므로 평가는 필수적이어야 한다. 하지만 사회적기업의 활동 및 성과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

지에 대한 학문적, 실천적 노력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므로,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의 성과를 객

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성과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사회적기업이 공통적으로 달성해야

할 과제에 대한 성과지표가 개발된다면 우리나라 사회적기업들의 성장위치와 개별 기업들의 상

대적 위치까지도 파악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사회적기업의 정책 방향을 수립하는 객

관적인 지표가 될 수 있고, 개별 사회적기업에게는 스스로 관리해야 할 방향의 목표점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리조직 및 정부부처나 비영리조직의 성과 측정을 위해 활용되고 있는

Kaplan과 Norton(1996)의 균형성과표를 토대로 사회적기업과 같은 새로운 비영리조직의 성과측

정을 위한 성과모형의 성과지표를 개발하여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회적기업의

BSC 관점별 측정지표로 우선 사회적 목적 실현을 위한 수익 및 이윤창출 달성이라는 미션을 설

정하고, 고객이해관계자관점으로 정부 및 지자체, 지역사회, 종업원, 공급자, 사회서비스 이용자

Page 20: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균형성과표(BSC)를... · 2019. 1. 9. · ! "#$% &'( )* /0b, , ~~u ~)7 NO + )p= /AC PQ|LM6- .I(R '67@~,/0B D :¯- ZèB= /0’b, $=!"C.-

국제경상교육연구 제10권 제4호236

를, 재무성과관점으로 재무건전성, 매출액, 순이익을 측정지표로 하였다. 업무프로세스관점으로

내․외부의사소통, 영업관리, 고객만족도, 종업원만족도를, 학습 및 성장관점으로 교육훈련정도,

경영참여도, 학습문화를, 공공성 관점으로 재정지원여부, 예산지출관리, 지역사회기여도, 공동체

이익 추구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Kaplan & Norton(1992, 1996)의 균형성과표(BSC)관점의 기본 모형에서 크게 벗어

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부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는 사회적기업의 특성을 고려하

여 ’공공성관점‘을 추가하여 기존의 BSC 모형을 변형한 총 5가지의 성과관점으로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회적 기업은 재정적 수익이라는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목적이라는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기업으로, 이윤 창출과 효율성이라는 영리적 활동을 추구하지만 기업의 이윤을 극대화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 일반 영리기업과는 달리 사회적 목적을 위해 이윤을 재투자하는 기업이

라 할 수 있다. 또한 정부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 사회적기업의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성과평가 지표를 개발하는 것은 시급한 과제라고 생각한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

는 본 연구에서 제시된 성과평가 지표들을 토대로 한 더욱 발전된 이론적 연구나 현재까지 정부

로부터 인증 받은 사회적기업들을 대상으로 지표를 적용한 실증적인 연구 및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지표들을 활용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또한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은

사회적 목적에 따라 4가지의 유형으로 구분되어지므로 사회적기업에 적용되는 성과평가 지표

역시 유형에 따른 지표로 재구성해 적용해 보는 연구로 활용되어지기를 기대한다.

“본 게재논문에 대한 윤리적 문제는 전적으로 저자에게 책임이 있음을 확인함”

Page 21: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균형성과표(BSC)를... · 2019. 1. 9. · ! "#$% &'( )* /0b, , ~~u ~)7 NO + )p= /AC PQ|LM6- .I(R '67@~,/0B D :¯- ZèB= /0’b, $=!"C.-

균형성과표(BSC)를 적용한 사회적기업의 성과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237

참고문헌

김기현, “사회적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김선명, "공공기관평가에서 균형성과표(BSC) 도입에 관한 연구: 행정자치부의 통합행정혁신시스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3권 제2호, 2006, pp. 291-319.

김순양, "사회적기업에 대한 성과평가 지표의 개발 및 적용", 지방정부연구, 제12권 제1호, 2008, pp. 31-59.

김은희, "비영리 사회복지조직의 성과측정도구 개발 및 성과측정지표간 관계분석",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7권 제3호, 2010, pp. 149-178.

김희경․성은숙, “BSC 실천매뉴얼”, SIGMA INSIGHT, 2001.노동부, "사회적기업 육성 기본계획(2008-2012)", 노동부, 2007.라준영, “전략적 성과측정 및 평가체계”, 사회적기업 성과측정 워크숍 3차 자료집, 실업극복국민

재단, 2008.박상하, “사회적기업의 전략적 경영과 성과측정 방안”, 광주발전연구원, 광주연구, 2013.서경훈, “BSC 프로젝트 수행시 고려해야 할 주요 성공요인”,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06.서정록, “BSC 이행요인과 성과측정지표 특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06.이상훈, "대학의 BSC 도입을 위한 성과지표 개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이용탁, "사회적기업의 BSC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사회적기업연구원, 사회적기업연구, 제1권

제1호, 2008, pp. 65-92.이윤미․서의호․홍종의, “BSC를 이용하여 도출된 우리나라 ASP 측정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하계통합학술대회 경영정보학회논문 part. 2005.이창대․김원배, “서비스기업의 균형성과표 도입 사례연구 : A사를 중심으로”, 국제경상교육연

구, 제5권 제3호, 2008, pp,77-99.장대철, "사회적기업의 개념과 전략적 의미", 임금연구, 가을호, 2010, pp. 84-89.정선희, "성공하는 사회적기업의 모든 것", 노동부. 2007.조영복, “한국의 사회적기업 육성모델과 국제비교”, 사회적기업연구원, 사회적기업연구, 제4권

제1호, 2011, pp. 81-103.조현연․김도원․윤종덕, “중소기업에 있어서 BSC 성과지표가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국제

경상교육연구, 제6권 제3호, 2009, pp.67-98.지은구, "BSC모델의 특성과 한계: 비영리사회복지조직 성과측정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총, 제

30집 1호. 2011, pp. 285-312.

Page 22: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균형성과표(BSC)를... · 2019. 1. 9. · ! "#$% &'( )* /0b, , ~~u ~)7 NO + )p= /AC PQ|LM6- .I(R '67@~,/0B D :¯- ZèB= /0’b, $=!"C.-

국제경상교육연구 제10권 제4호238

허정수․윤영숙․박현상, "BSC를 활용한 비영리조직의 성과측정 도구 개발", 한국비즈니스리뷰, 제1권 제2호, 2008, pp. 387-403.

허종락․박무현, “BSC 성과지표간 인과관계 분석”, 경영연구, 제19권 제1호. 2004, pp. 187-213.홍미경, “지방자치단체의 BSC 도입 사례연구 : Y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경상교육연구, 제

8권 제4호, 2011, pp.119-141.Banker, R.D., H, Chang, and M.J. Pizzini., “The Balanced Scorecard : Judgmental Effects of

Performance measures Linked to Strategy”, The Accounting Review, Vol 79. No 1, 2004, pp.1-23.

Bull, M., “Balance : The Development of a Social Enterprise Business Performance Analysis Tool”, Social Enterprise Journal, Vol 3. No 1, 2007, pp.49-66.

Dandridge, T.C., “Small Business Needs its Own Organisational Theory”,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Vol. 17. No 2, 1979, pp.53-57.

Kaplan, R.S. and Norton, D.P., “The Balanced Scorecard : 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Vol 70. No 1, 1992, pp.71-79.

Kaplan, R.S. and Norton, D.P.,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as a Strategic Management System”, Harvard Business Review, Vol 74. No 1, 1996, pp.75-85.

Kim, A., “Social Enterprise Typology”, Virtue Venture, LLC. 2004.Niven, P.R., “Balanced Scorecard Step by Step for Government and Nonprofit Agencies”,

Wiley. 2003.Somers, A.B., “Shaping the Balanced Scorecard for Use in UK Social Enterprise”, Social

Enterprise Journal, Vol 1. No 1, 2005, pp.1-12.Speckbacher, G., “The Economics of Performance Management in Nonprofit Organizations”,

Nonprofit Management and Leadership, Vol. 13 No 3, 2003, pp.267-281.Wynarczyk, P., Watson. R., Storey. D., Short. H., and Keasey. K., “Managerial Labour Markets

in SME's”. London : Routledge". 1993.

Page 23: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균형성과표(BSC)를... · 2019. 1. 9. · ! "#$% &'( )* /0b, , ~~u ~)7 NO + )p= /AC PQ|LM6- .I(R '67@~,/0B D :¯- ZèB= /0’b, $=!"C.-

균형성과표(BSC)를 적용한 사회적기업의 성과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23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of Social Enterprises on

Application of BSC

Kim, Suk-Yeon*․Kim, Jae-Jun**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ing and applying a BSC model of social enterprises. BSC model of the non-profit organization performance measurement by organizations and Government agencies or not-for-profit organization are being utilized in the Kaplan and Norton(1996)

As an indicator measuring the BSC perspectives social enterprise-specific priority social purposes to achieve revenue and profitability to achieve that mission. And also the 'customer and stakeholder perspectives', 'financial performance perspective', 'the business process perspective', 'the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and 'the public perspective' are measurement indicators in BSC of social enterprises.

BSC perspectives within the scope of the Government'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re being considered by social enterprise characteristics. BSC performance model were organized into perspective in terms of existing research and differentiation in addition to the existing 'the public perspective',

Key Words : Balanced Scorecard, Social Enterprise, Non-profit organization, Performance model, Public Perspective.

* Senior Research Fellow, Soc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email protected])

** Professor, Department of Tax Accounting, Ansan University ([email protected])

Page 24: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균형성과표(BSC)를... · 2019. 1. 9. · ! "#$% &'( )* /0b, , ~~u ~)7 NO + )p= /AC PQ|LM6- .I(R '67@~,/0B D :¯- ZèB= /0’b,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