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 2016. 2. 25 관계부처 합동
50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Jul 23, 2020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국가정책조정회의 공 개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

2016 2 25

관계부처 합동

목 차

Ⅰ 추진배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1 종합대책 수립근거 및 추진경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 우리나라 정신건강의 현 주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

Ⅱ 방향 및 전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1 핵심 가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2 정신건강 패러다임의 전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3 정책 목표 및 전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Ⅲ 추진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1 국민 정신건강 증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2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3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4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Ⅳ 이행관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

1 관리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

2 성과지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

3 과제 별 관계부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 1 -

Ⅰ 추진배경

1 종합대책 수립근거 및 추진경과

(수립근거) 「정신보건법」상 복지부 장관은 5년마다 국가 정신보건

사업 계획을 수립하도록 규정 (제4조의 3)

ㅇ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이하 자살예방법)」에도

복지부장관이 5년마다 자살예방종합대책을 수립하도록 규정 (제7조)

(추진경과 및 평가) rsquo12년 lsquo정신건강증진 종합대책rsquo을 수립 발표

하였으며 lsquo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HP 2010 2020)rsquo에 정신건강 포함

ㅇ (의의) 국가 차원의 정신건강 관련 계획을 수립하고 국가가 관리

하는 만성질환 영역에 정신건강을 포함

- 특히 lsquo정신건강증진 종합대책rsquo은 일반 국민에 대한 정신건강 증진

내용을 포함하고 정신질환의 조기발견 개입체계 마련에 기여

ㅇ (한계) 종합대책을 위한 실행계획이 부재하여 마련된 계획실행에

대한 체계적 관리 충분한 확충 법령 개정 미흡

정신건강 종합대책 내용이 포함된 「정신보건법」전부개정안 국회 계류 중

(추진방향) WHO 권고 기준에 맞춰 범부처 차원의 5개년 종합

대책을 수립하고 구체적 이행을 위해 실행계획 수립 (2016-2020)

Mental Health Action Plan 2013-2020 (lsquo13 WHO)

ㅇ 국민 정신건강 증진 자살예방 중증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및 중독

관리 등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분야가 포함된 종합대책 수립

ㅇ 범부처 협의체를 통하여 협조체계 구축 및 계획이행 여부 점검

- 2 -

2 우리나라 정신건강의 현 주소

국민 정신건강

ㅇ 정신건강에 대한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대

- 낮은 행복지수 높은 스트레스 약한 사회적 지지망 등으로 정신

건강 문제가 발생하고 이로 인한 사회적 문제도 증가

OECD 삶의 만족도 지수는 58점(OECD 평균 66)으로 34개국 중 27위 (rsquo15년)

- 전체 국민 4명 중 1명(25)은 전 생애에 걸쳐 한 번 이상 우울

불안 등 정신건강의 문제 경험

알코올 사용장애 134 불안장애 87 기분장애 75 신체형장애 15

정신병적 장애 06 섭식장애 02 (rsquo11년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

ㅇ 일반 국민의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률은 낮음

- 정신건강문제 발생시 약 15만이 정신건강 서비스를 이용하며

최초 치료가 이루어지기까지 161년(84주) 소요

미국 392 호주 349 뉴질랜드 389 (rsquo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DUP(Duration of Untreated Psychosis) 미국 52주 영국 30주

-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인지율이 낮으며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으로 서비스 이용에 소극적

일반국민 중 68가 지역 정신건강서비스 미인지 (rsquo15년 정신건강 태도조사)

ㅇ 정신건강 문제로 인한 막대한 사회적 비용 소요

- 정신질환으로 인한 사회middot경제적 비용은 연간 83조원(rsquo12년 건강보험

정책연구원)으로 추정되며 매년 증가 추세

(rsquo08) 59조원rarr (rsquo09) 62조원rarr (rsquo10) 7조원rarr (rsquo11) 76조원rarr (rsquo12) 83조원

- 사회적 비용은 연령이 낮을수록 질환이 만성화 될수록 높아져

향후 GDP의 4 상회 예상 (rsquo14년 OECD)

- 3 -

중증 정신질환자 관리

ㅇ 초발 급성 정신질환자의 조기 집중 치료 부족

- (입원일수) 우리나라 정신의료기관의 평균 입원일수는 197일로

OECD 국가에 비하여 장기입원 경향

이탈리아 134일 스페인 18일 독일 269일 프랑스 357일 (rsquo09년 국가인권위원회)

- (수가) lsquo08년 이후 의료급여 정신수가 동결로 저가약 사용 등 의료질

저하 우려 및 현 수가체계에서는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인 부족

(1일 평균 진료수가) 건강보험 70658원 의료급여 42600원

(의료급여 수가체계) 입원기간 181sim360일의 경우 입원수가의 95 361일

이상은 90 지급으로 입원기간에 따른 수가체감률이 낮음

ㅇ 주로 정신의료기관 등에 입원하고 있으며 경제활동 수준 낮음

- 국내 중증 정신질환자는 약 50만명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 중

28만명이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반복

인구의 약 1를 중증 정신질환자로 추정 (National Foundation for Brain Research)

- 정신의료기관 병상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중증 정신

질환자 중 최대 96만명만이 지역사회에서 관리(rsquo14년)

(인구 1000명당 병상 수) 한국 091 OECD 평균 059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89천명 사회복귀시설 7천명 이용

- 정신장애인 경제활동 참가율은 14로 전체 장애인 경제활동

참가율(39)의 절반 이하이며 정신장애인 중 약 545가 기초

생활보장 수급 대상자 (rsquo14년 장애인 실태조사)

- 4 -

중독관리

ㅇ 100명 중 6명이 4대 중독자로 추정되며 막대한 비용 소요

- (중독자)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는 약 294만명으로 추정

(4대 중독자) 알코올 159만명 인터넷middot게임 68만명 도박 57만명 마약 10만명

(rsquo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등)

- (비용) 중독은 근로자의 생산성 저하 취업기회 상실 등으로 경제적

비용을 유발하고 국가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중독별 사회경제적 비용) 알코올중독 234조원 마약중독 25조원 도박중독

782조원 인터넷중독 54조원 (rsquo09년 음주의 사회경제적 비용)

ㅇ 부처별 관리로 사각지대 발생

- 부처별로 중독물질 관련 산업 양성 중독예방 관리 업무를 추진

하고 있으나 부처 간 컨트롤타워 부재로 협력구조 미흡

중독 분야별 관리체계

분야 산업 관리 예방middot교육middot홍보 치료middot재활

알코올 기재부 국세청 복지부 여가부 복지부

인터넷 문체부 미래부 미래부 문체부 등 미래부 교육부 여가부 복지부

도 박 문체부 농림부 기재부 총리실(사감위) 총리실(사감위) 복지부

마 약 식약처 대검찰청 등 교육부 복지부 식약처 복지부

ㅇ 중독에 대한 관대한 문화로 개인의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유발

- (개인) 우울 불안 자살 등 공존질환 유병률이 높고 말초신경증

뇌손상 대사질환 내분비질환 등 각종 신체적 질환을 동반

- (사회) 폭행 강도 강간 살인 등 강력범죄의 약 30 이상이 음주

상태에서 발생 도박중독과 관련된 불법행위 급증

- 5 -

자살예방

ㅇ rsquo03년 이후 12년간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

- (자살률) 우리나라 자살률은 OECD 평균의 2배 이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며 연평균 약 14만명이 자살로 사망

(성별) 10만명당 자살률은 남성 384명 여성 161명으로 남성이 24배 높음 (rsquo14년)

(연령) 65세 이상 노인자살률은 10만명당 555명으로 전체 자살률의 2배 이상 (rsquo14년)

- (자살수단) 목맴으로 인한 자살이 가장 많고 최근 농약으로 인한

자살 감소 가스중독에 의한 자살은 증가

전체 자살자 13836명 중 목맴 (517) 가스중독(154) 추락(141) 농약

(77) 순 (rsquo14년)

- (사회적 비용) 자살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약 65조원이며 이 중

20sim40대의 손실 비용이 80(52조원) 차지(rsquo14년 건강보험공단)

(사망원인별 사회경제적 비용) 암 140조원 뇌혈관질환 52조원 심장질환 40조원

lt연령별 자살률 추이 (rsquo95simrsquo14년 명10만명)gt

ㅇ 정신건강 및 음주 문제가 자살의 가장 큰 원인 (rsquo15년 심리부검 결과)

- 자살자의 884가 우울증 등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었으나 이 중

꾸준히 약물치료를 받은 비율은 15에 불과

- 자살자의 약 397가 사망 당시 음주상태였으며 256가 과다

음주로 인한 대인관계 갈등 직업적 곤란 법적 문제 등을 가짐

- 6 -

Ⅱ 방향 및 전략

1 핵심 가치

2 정신건강 패러다임의 전환

지금까지(AS-IS) 앞으로(TO-BE)

정신건강증진

bull 중증 정신질환자 관리 중심

bull 정신건강증진 사업의 구체성 부족

bull 국민 정신건강 증진 서비스 제공

bull 생애주기별 조기발견개입 지원

중증정신질환관리

bull 초발급성 환자의 만성화

bull 의료기관 입원 위주의 관리

bull 초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bull 지역사회 통합으로 삶의 질 향상

중독관리

bull 중독에 관대한 문화

bull 부처별 분절적 중독예방관리

bull 중독의 적극적 예방

bull 범부처 중독예방관리

자살예방

bull 보건의료중심 자살예방 정책

bull 위험군 대상 제한적 자살예방

bull 보건복지사회문화 등 통합적 자살예방

- 7 -

3 정책 목표 및 전략

비전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

정책

목표

Ⅰ 국민 정신건강 증진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폐해 최소화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정책목표 전 략

국민

정신건강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서비스 이용 제고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중증정신

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2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3 중독자 치료 회복 지원 강화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 8 -

정책목표 전략 (12) 정책과제 (32)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정신

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정신질환자 인권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Ⅲ 중독

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체계 강화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1-3 자살 위험환경 개선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Ⅲ 추진과제

- 9 -

Ⅰ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ㅇ 정신건강 자가관리(self care)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 (rsquo17년)

- (자가관리 지원) 인터넷 스마트폰으로 정신건강 문제 자가진단

이용자 특성에 맞는 근거기반 프로그램 및 정신건강 관련 정보 제공

인지행동치료(CBT) 수면 위생관리 명상 이완요법 등

- (고위험군 연계) 자가 스크리닝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이용자

지역의 정신건강증진센터 의료기관으로 연계 지원

전국 224개소(광역 15 기초 209) 설치 운영 중 평균 9명(광역 18 기초 8) 근무

ㅇ 찾아가는 정신건강 서비스 제공 (rsquo17년)

- (심리지원 이동버스) 5개 국립병원 등을 중심으로 lsquo심리지원 이동

버스rsquo 운영 학교 사업장 방문으로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재난 발생시 현장에 심리지원 이동버스를 파견하여 상담 등 재난심리지원

- (방문보건 복지사업 연계) 가정방문시 우울증 등 스크리닝 및

상담지원 병행 고위험군 전문기관 연계

ㅇ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확대

- (인프라) 시 도 및 시 군 구에 단계적으로 정신건강증진센터 설치

및 필요시 인구를 고려하여 추가 인프라 확충 추진 (rsquo16년)

- (전문인력) 정신건강 증진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하여 정신건강증진

센터 내 정신건강 증진 전담 인력 배치 단계적 확대 (rsquo17년)

- 10 -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ㅇ 정신건강 인식개선 캠페인 공익광고 및 정신건강의 날 지정 (rsquo16년)

- (캠페인) 정신질환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부정적 인식해소를 위한

중 장기 캠페인 계획 수립 시행 및 효과성 분석

- (공익광고) 우울 자살사고(思考) 중독 등을 주제로 한 공익광고

시리즈 제작 TV 라디오 등 매스미디어 SNS 등 홍보

- (정신건강의 날 지정) 법적으로 정신건강의 날(1010) 및 주간을

지정하여 정신건강에 대한 주의 환기 각종 교육 행사 지원

ㅇ 학교 사업장 및 지역사회 기반 정신건강 교육 강화

- (학교) 초 중 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에 lsquo정신건강rsquo 내용 반영 학생

정신건강 관련 교사 직무연수 실시 (rsquo16년)

- (사업장) 사업장 기반 정신건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고

중 장기적으로 정신건강 교육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검토 (rsquo16년)

- (지역사회) 보건소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주민을 대상

다양한 정신건강 강좌 진행 (rsquo16년)

ㅇ 정신건강 관련 민간단체 양성으로 민 관 협력체계 구축

- (단체양성) 정신질환 당사자 가족 종교계 인권단체 등 영향력 있는

민간단체를 양성하여 정신질환에 대한 우호적 환경 조성 (rsquo16년)

- (민 관 협력체계 구축) 민간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기반 정신

건강 인식개선 사업 등 추진 (rsquo17년)

(뉴질랜드 사례) 정신질환자 당사자로 구성된 lsquo소비자자문위원회rsquo가 지역 정신

보건센터에 근무하며 서비스 기획 제공 평가 단계에서 소비자 시각과 이해 반영

(A Guide to Effective Consumer Participation in Mental Health Service)

- 11 -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

ㅇ 관련 법령 제도 정비를 통해 불합리한 차별 개선

- (관계부처합동 TF 구성) 복지부 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등이 포함된 lsquo(가칭)정신질환 차별개선 TFrsquo 구성 (rsquo16년)

-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을

제공하는 법령 제도 행태 등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rsquo17년)

정신과 진료기록이 있으면 보험 가입이 불가능하다 (rsquo1591 아시아경제)

ㅇ 정신질환 차별여부 모니터링 및 처벌규정 마련 (rsquo17년)

- (모니터링) 정신질환 이력자 당사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모니터링단rsquo을 구성하여 언론 온라인 등 실시간 모니터링

- (처벌규정 마련) 관련 법령 제 개정으로 정신질환자 및 정신질환

이력자 등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시 처벌할 수 있는 규정 마련

ㅇ 바람직한 언론보도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 (가이드라인 마련) 정신질환 관련 정확한 용어 사용 바람직한 보도

방안 등의 내용이 포함된 lsquo보도 가이드라인rsquo 마련 배포 (rsquo16년)

(예) 범죄자의 범행 동기보다 정신질환 여부를 강조하여 모든 정신질환자가

위험하며 정신질환자가 lsquo묻지마 범죄rsquo를 저지른다는 식의 보도 자제

- (언론인 대상 설명회) 기자 등 언론인 대상 정신질환에 대한

이해도 제고 부정적 인식 개선 등을 위한 정기적인 설명회

포럼 등 마련 (rsquo17년)

- 12 -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ㅇ 동네 의원 역량강화를 통한 조기발견 개입 지원 (rsquo17년)

- (조기발견) 의료인 교육 및 가이드라인 마련 등으로 동네 의원

방문시 우울 불안 등 주요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자살자의 281가 자살 전 복통 등 신체적 불편감이나 수면곤란 등으로 1차

의료기관 방문 (rsquo15년 심리부검)

- (개입) 고위험군 대상 정신건강의학과(이하 ldquo정신과rdquo) 및 지역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를 강화하고 우울증 약물 처방 및 상담치료 확대

인구 천명당 항우울제 복용률(DDD 1일 사용량 단위) 한국 20 OECD 평균

58로 최하위 수준

ㅇ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dquo마음건강 주치의rdquo(정신과 전문의) 배치 (rsquo17년)

- (조기발견) 지역사회 주민의 정신건강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

센터 내 정신과 전문의 상담을 통해 1차 진단 추진

- (개입) 기본상담 후 개별 맞춤형 필요 서비스 설계 및 연계 지원

정신건강증진센터 사례관리 사회서비스 바우처 제공 약물처방 입원 등

필요시 의료기관 연계 등

ㅇ 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시 정신건강 검진 내실화 (rsquo17년)

- (조기발견) 생애전환기 우울증 검사(40 66세) 문항을 내실화 하고

단계적으로 대상자 확대 등 추진

- (개입) 검진 결과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강화

- 13 -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

ㅇ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분들을 위한 지원 강화 (rsquo16년)

- (취약계층) 복지급여 등 신청시 읍 면 동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강화로 중독관리 자살생각 등에 대한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지원

- (신용회복 지원자) 신용회복 개인회생 파산 신청 판정시 필요한 경우

본인 동의 후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심리지원 (금융위 법원 행정처)

ㅇ 이주민 북한이탈주민 대상 적응교육 및 심리지원 (rsquo16년)

- (이주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외국인력지원센터 등을 통해 이주

노동자 결혼 이민자 이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관리

강화 (여가부 고용부)

- (북한이탈주민) 국립병원-하나원-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정신건강 문제 스크리닝 상담 등 서비스 지원 (통일부)

ㅇ 위험직 공무원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치유 지원 (rsquo16년)

- (직장 내) 직장 내 정신건강 관리 매뉴얼(프로토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보급 등으로 1차적 심리지원 실시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 (직장 외) 전문적 심리지원 필요시 정신건강증진센터 트라우마

센터를 통해 심층평가 상담 프로그램 및 의료기관 연계

소방공무원 32112명 중 약 139가 PTSD 위험군 (rsquo12 소방방재청 설문조사)

ㅇ 기타 정신건강 취약계층에 대한 심리 정서 지원 (rsquo16년)

- 감정노동자 신체장애인 한부모 조손가정 등에게 스트레스 관리

분노조절 등을 위한 교육 상담 및 고위험군 발굴 연계 (고용부 여가부)

- 14 -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ㅇ 지역사회 재난 대응 정신건강관리체계 구축

- (범부처 대응체계 구축) 안전처 복지부 교육부 여가부 등 관계기관

합동 재난 심리지원 대응체계 마련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rsquo16년)

재난 심리지원 협력 네트워크 및 매뉴얼 마련 (역할분담 정보공유 체계 등)

- (응급 정신질환 대응) 응급의료기관 내 응급 정신질환을 위한 별도

공간(격리 입원실 등) 마련 및 병원 내 필요인력 배치 검토 (rsquo17년)

- (지속 대응체계 마련) 5개 국립병원 안산 트라우마센터 정신건강

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장기적 지속적 관리체계 마련 (rsquo16년)

ㅇ 재난 피해자 심리회복을 위한 RampD 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 (rsquo16년)

- (RampD) 주요 재난 유형별 공적 개입이 필요한 재난을 정의하고

재난 별 기본 정신건강관리 중재기법 개발

응급 현장개입 회복기 자살시도 심한 분노나 죄책감 등 특수상황 개입 등

- (전문인력) 국립서울병원 및 안산 트라우마센터를 중심으로 재난

심리지원 전문 인력 양성 및 정신과 의료진 등 관련 풀 관리

lt재난심리지원 인프라 해외사례gt

일본 효고현 재난트라우마 센터 (Hyogo Institute for Traumatic Stress)

- (설립) 고베지진 후 일본의 지진 등 재난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훈련 협진

등 재난 및 범죄분야 지원을 위하여 고베시 효고현에 설치

- (주요기능) PTSD 관련 연구 상담 진료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훈련 협력

관계 유지 관련인력 관리 정보제공 홍보 등

미국 국립 PTSD 센터 (National Center for PTSD)

- (설립) 국립 PTSD 센터 설립 (1989년sim)

- (주요기능) 주로 PTSD 예방과 이해 치료에 관한 교육middot연구 수행

- 15 -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ㅇ 정서발달 평가 및 평가 결과에 따른 서비스 지원 연계 (rsquo17년)

- (정밀 발달검사) 영유아 건강검진시 발달검사 실시 검사결과 발달

장애 의심시 정밀검사비 지원 (대상 및 금액 단계적 확대 검토)

현재 의료급여수급권자 건강보험료 부과금액 하위 30 이하 대상 1인당

최대 40만원 범위 내 지원

- (정서발달 자가평가) 가정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가 활용 가능한

영 유아 사회 정서발달 관련 자가검진 도구 개발 보급 (교육부)

- (서비스 지원)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영유아 발달지원 체계

구축 자가평가 결과 고위험군 대상 심층평가 상담 바우처 연계

ㅇ 아동학대 발생시 위기개입 (rsquo16년)

- (상태평가) 정신건강증진센터-육아종합지원센터-아동보호전문기관

간 연계 체계를 구축하여 학대 및 관련아동 긴급 심리평가 실시

- (위기개입) 심리평가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해당 아동 놀이치료

및 부모 등 보호자 대상 지원교육 제공

ㅇ 부모 교사 대상 심리지원 및 교육 (rsquo16년)

- (심리지원) 부모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 대상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 정신건강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대상 상담 등 심리지원 (교육부)

(부모) 영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정신건강 스크리닝 (교사) 직무 스트레스 검사

- (교육) 부모 대상 양육교육 의무화 교사 대상 문제행동 영유아

보육 교육방법 가이드라인 제공 및 심화교육 (교육부)

- 16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ㅇ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실태조사 (rsquo16년)

-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를 통해 정신질환

발병 시점 주요 질병 유병률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현황 등 조사

그간 실태조사(rsquo06 rsquo11)는 만18세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

ㅇ 학교기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교육부 미래부)

- (정서행동특성검사 내실화) 문항 점검 검사 주기 등 검토 (rsquo16년)

현재 초등학교 1 4학년 중1 고1 대상 실시

- (교내 상담강화) 학교 내 상담교사를 배치하고 시 도 교육청 단위

스쿨닥터를 지정하여 문제행동 학생 대상 학교 내 상담 강화 (rsquo17년)

- (위기개입) 학교 내 자살 사고 학교폭력 등 위기 발생시 심리

지원 교육자료 마련 및 외부기관을 통한 개입 중재 지원 (rsquo16년)

- (지역사회 연계) 전문적 지원 필요시 Wee센터 정신건강증진센터

인터넷중독대응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저소득층 치료비 지원 (rsquo16년)

ㅇ 학교 밖 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여가부) (rsquo17년)

- (스크리닝)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학교 밖 청소년

대상 lsquo정서행동특성검사rsquo 시행

- (지원)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와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로 심층평가 상담 및 치료계획 수립 등 지원

ㅇ 정신건강 관련업무 담당인력 역량 강화 (교육부 여가부)

- (보건 상담교사) 연수시 정신건강 관련 심층교육 실시 및 교사

대상 학생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 보급 (rsquo15년sim)

- (지역센터) Wee센터 및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전문 상담요원 대상

역량강화 교육 및 워크샵 실시 정신과 전문의 슈퍼비전 지원 (rsquo16년)

- 17 -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

ㅇ 대학생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인프라 구축) 대학 상담센터 또는 의무실 내 정신건강 지원 역량

강화 및 지역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체계 구축 (교육부) (rsquo18년)

- (자조모임 지원)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개선 건전음주 문화 조성

등을 위하여 대학 내 동아리 학회 등 지원 (rsquo16년)

ㅇ 산모 산전 후 우울증 관리 강화 (rsquo17년)

- (양육교육) 보건소 건강가정지원센터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부모 대상 자녀 양육교육 강화 (여가부)

- (조기발견) 산부인과 검진 또는 영 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대상

우울 불안 등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 (서비스 제공) 고위험군 선별시 정신의료기관 연계 아이돌봄서비스

일시보육 우선 제공 및 고운맘 카드 사용처 확대 검토 (여가부)

건강보험가입자 대상 임신 1회당 50만원(다태아 70만원)을 지원(rsquo15년 기준)

ㅇ 근로자 직무 스트레스 및 우울증 관리 (rsquo17년)

- 사업장 규모별 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근로자

정신건강증진활동 강화 (고용부)

(50인 미만) lsquo근로자 건강센터rsquo 내 정신건강 관련 사업을 보강하고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연계 강화

(50인 이상 300인 미만) lsquo안전보건관리공단rsquo 및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전문가가 사업장을 방문하여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300인 이상) lsquo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매뉴얼rsquo을 개발 보급하여 사업장

내 자체적인 심리지원 서비스 유도 우수 사업장 인센티브 제공 검토

(기업경영 비용 유발 순위) 우울증-비만-관절염-허리 목 통증 (rsquo10 하버드)

- 18 -

노인 정신건강 지원

ㅇ 노인 정신건강 관련 종합검사 실시 및 심리지원

- (정신건강 문제 발견 강화) 노인대상 서비스 제공자 등 대상 정신

건강 문제 발견 및 연계교육 강화로 정신건강 문제 조기 발견

생활관리사 老老케어 참가자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소진료소장 등

- (정신건강 종합검사)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하여 정신건강 및 생활습관 등 종합검사 제공 (rsquo17년)

(정신건강) 인지기능(치매) 노인성 우울 불안 수면장애 일상생활 기능장애 등

(생활습관) 음주 흡연 영양섭취 습관 신체 사회 활동량 등

- (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하여 지속적 상담 제공 (rsquo16년)

ㅇ 노인 특화 정신건강 프로그램 제공 (rsquo17년)

- (수면 화병 관리 등)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해 적정 수면 화병 관리 및 신체질환자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

- (사회 재적응 훈련) 사별 은퇴 노화 등 부정적 외부환경 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제공

- (사회참여 강화) 저소득층 노인 취업지원 노인 대상 자원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노인의 사회참여 유도

ㅇ 정신건강 관련 정보제공 및 편견해소 교육 홍보 (rsquo16년)

- (정보제공) 장기요양보험 기초노령연금 등과 연계하여 신청

지급시 본인 및 가족에게 정신건강 관련 정보 교육 제공

노인 정신건강 문제는 정상적 노화과정과의 구별 필요 정확한 정보제공이 중요

- (편견해소 교육 홍보) 정신질환 및 치료에 대한 편견이 가장 높은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대학 노인복지관 등을 통해 편견해소 교육 홍보

- 19 -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ㅇ 초발 급성 환자 조기 집중치료를 위한 건강보험수가체계 개선 (rsquo17년)

- (초기치료 강화) 초기 단계의 적극적인 정신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외래 본인부담 경감(30sim60rarr20) 상담 중심의 심층치료 활성화

- (비용부담 완화) 높은 비용부담 때문에 지속적 치료를 방해하는

비급여 정신요법 의약품에 대한 보험 적용 확대

- (위기대응) 자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등에 대한 위기중재

및 집중관리를 위하여 건강보험 보장범위를 대폭 확대

ㅇ 의료급여 체계 개선으로 양질의 치료 서비스 제공 (rsquo17)

- (조기 집중치료) 초기 입원수가(예 입원 후 1sim3개월) 인상률을

높이는 등 제도개선 추진으로 조기 집중치료를 통한 퇴원 유도

- (치료서비스 향상) 정신의료기관의 저가약 사용 유인 등이 감소

하도록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편방안 마련

ㅇ 불필요한 입원을 제한하고 지역사회 복귀 강화 (rsquo17)

- (장기입원 억제) 의료급여 입원환자의 재원 일수에 따라 일당정액

수가 체감제를 강화하여 불필요한 장기입원 억제 검토

- (지역사회 복귀 촉진) 낮병동 수가 조정 퇴원연계 활성화 유도

등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및 치료여건 강화

- 20 -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ㅇ 초발환자 발견 및 지역사회 관리 모형 개발

-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조현병 양극성장애 등 중증 정신질환

조기발견 및 개입 체계 구축

- (시범사업 실시) 청소년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초발 정신증 발견

및 조기중재 모형 개발 및 시범사업 실시

정신질환의 약 50가 10대 중후반에 시작되고 75 정도의 질환이 20세

중반까지 발병 (Kessler 등)

ㅇ 급성기 환자 응급 및 단기입원 제도 활성화

- (응급병상 운영) 국립병원 내 24시간 lsquo응급병상rsquo 운영으로 급성

정신병 증상 발작(acting-out) 등 발생시 응급입원 집중 관리

지역사회 응급개입은 연간 약 6만9천건에 달하나 응급병상 운영 병원

부족으로 응급입원은 연간 26건에 불과 (lsquo14년)

- (모델 개발) 의료기관과 사회복귀시설 중간단계 모형을 구축하여

급성기 단기입원 후 일상생활 복귀 지원

ㅇ 정신질환 치료기술 연구(RampD) 강화

- (국립서울병원 기능개편) 국립서울병원의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임상병동을 운영하여 치료기술 개발 효과성 검증 등 수행

- (RampD 효과성 제고) 진료효과 향상을 위한 조기진단 치료 고도화

표준화 기술개발 등 지원

- 21 -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ㅇ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지원강화 (rsquo16년)

- (사례관리 강화)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squo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

관리팀rsquo을 내실화하고 외래치료 투약여부 등 관리 지원

- (지역 인프라 간 기능 재정립)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 간

기능 재정립으로 서비스 중복 사각지대 발생 해소

- (복지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읍 면 동사무소 연계로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관리시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제공

ㅇ 외래치료명령제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활성화로 퇴원 유도 (rsquo17년)

- (외래치료 명령제 강화) 퇴원환자 외 지역사회 관리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도 외래치료 명령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제도 활성화

현재는 정신의료기관 퇴원시 퇴원환자에 대해서만 외래치료 명령 가능

-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통한 처방

활성화로 입원 위주의 치료에서 지역사회 관리로 전환

일정기간(2주 4주 등) 약효가 지속되어 반복적 재입원 재발율을 낮추는데 도움

ㅇ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유도 및 지원

- (비용 효과 분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관리 유인구조 마련을 위하여

의료기관 입원과 지역사회 관리시 소요되는 비용 효과 분석 (rsquo16년)

- (사회적 협동조합) 정신질환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를 위하여 회복

재활을 지원하도록 당사자의 lsquo사회적 협동조합rsquo 설립 장려 (rsquo16년)

- (취업지원 강화) 정신질환자 취업지원을 강화하고 장애인 판정 기준

재검토 등을 통해 취업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개선 (고용부) (rsquo17년)

- 22 -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ㅇ 사회복귀시설 단계적 확충

- (인센티브) 지자체 평가 국비사업 지자체 공모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여부 고려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하여 확충 유도 (rsquo17년)

현재 사회복귀시설 중 52(165개소)는 서울 경기 인천에 설치

- (직접운영) 국립병원에서 직접 사회복귀시설을 설치하여 입원치료

부터 퇴원 후 사회복귀까지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ㅇ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귀시설 설치 운영 (rsquo17년)

- (다양한 유형 설치) 단기보호 장기생활 공동생활 독립 훈련형

등 이용자 특성(질환 유형 중증도 등)에 맞는 거주시설 설치 운영

- (아동 청소년 특화시설 마련) 성인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관리 학업지원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설치 운영

현재 아동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은 전국 11개소에 불과

ㅇ 사회복귀시설의 질적 수준 제고 (rsquo16년)

- (슈퍼비전 지원) 국립병원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주간

재활시설 프로그램 인력 역량강화 교육 슈퍼비전 등 지원

- (평가 내실화) 사회복귀시설 평가지표 개선 평가주기 단축으로

평가 내실화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도 제고

ㅇ 직업 재활 활성화를 위한 근로환경 개선 및 모형 개발

- (근로환경 개선) 근로시간 임금수준 등 적정 근로여건에 대한 가이드

라인 마련 및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근로환경 개선 (rsquo16년)

- (모형 개발) 수익창출이 가능한 농촌 및 도시형 직업재활 모형을

개발하여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추진 (rsquo17년)

- 23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낮병동 확대 및 병상수 축소

- (낮병동 확대) 제도개선으로 낮병동 확충 유도 및 지역사회 정신

건강서비스 연계 강화로 입원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 (rsquo17년)

병원에서 6시간 이상 진료를 받고 당일 귀가하도록 하는 제도

타 진료과목의 낮병동과 정신의료기관 낮병동을 분리 정신의료기관의

낮병동 수가 인상 및 6시간 이용시간 제한규정 완화 등 검토

- (병상수 축소) 병상 규모를 정신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연동시켜

서비스 질이 낮은 기관을 중심으로 병상규모 단계적 축소 (rsquo18년)

ㅇ 정신요양시설 정체성 확립 및 단계적 기능전환

- (이용 대상자 명확화) lsquo의학적 치료rsquo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들로

입소대상을 한정하고 아동 청소년은 정신요양시설 이용을 제한

하여 지역사회 치료 복귀시설로 유도 (rsquo16년)

- (기능 표준화) 정신요양시설 운영 및 역할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등으로 서비스 수준 제고 (rsquo17년)

- (기능전환) 중 장기적으로 연구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신요양시설을

사회복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기능 전환 유도 (rsquo18년)

ㅇ 신체 복합 질환자 치료병원 확충

- (가이드라인 마련) 신체적 질병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등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및 교육 (rsquo17년)

- (지정병원) 정신 및 신체 복합 질환자에 대한 치료 입원 수술이

가능한 병원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홍보 지원 (rsquo18년)

의료질 평가지원금 평가지표에 정신 신체 복합 질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비율 등 포함 검토

- (정신의료기관 내 신체질환 치료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타 진료과목

전문의 배치를 확대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 연계체계 구축 (rsquo18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2: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목 차

Ⅰ 추진배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1 종합대책 수립근거 및 추진경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 우리나라 정신건강의 현 주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

Ⅱ 방향 및 전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1 핵심 가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2 정신건강 패러다임의 전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3 정책 목표 및 전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Ⅲ 추진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1 국민 정신건강 증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2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3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4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Ⅳ 이행관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

1 관리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

2 성과지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

3 과제 별 관계부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 1 -

Ⅰ 추진배경

1 종합대책 수립근거 및 추진경과

(수립근거) 「정신보건법」상 복지부 장관은 5년마다 국가 정신보건

사업 계획을 수립하도록 규정 (제4조의 3)

ㅇ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이하 자살예방법)」에도

복지부장관이 5년마다 자살예방종합대책을 수립하도록 규정 (제7조)

(추진경과 및 평가) rsquo12년 lsquo정신건강증진 종합대책rsquo을 수립 발표

하였으며 lsquo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HP 2010 2020)rsquo에 정신건강 포함

ㅇ (의의) 국가 차원의 정신건강 관련 계획을 수립하고 국가가 관리

하는 만성질환 영역에 정신건강을 포함

- 특히 lsquo정신건강증진 종합대책rsquo은 일반 국민에 대한 정신건강 증진

내용을 포함하고 정신질환의 조기발견 개입체계 마련에 기여

ㅇ (한계) 종합대책을 위한 실행계획이 부재하여 마련된 계획실행에

대한 체계적 관리 충분한 확충 법령 개정 미흡

정신건강 종합대책 내용이 포함된 「정신보건법」전부개정안 국회 계류 중

(추진방향) WHO 권고 기준에 맞춰 범부처 차원의 5개년 종합

대책을 수립하고 구체적 이행을 위해 실행계획 수립 (2016-2020)

Mental Health Action Plan 2013-2020 (lsquo13 WHO)

ㅇ 국민 정신건강 증진 자살예방 중증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및 중독

관리 등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분야가 포함된 종합대책 수립

ㅇ 범부처 협의체를 통하여 협조체계 구축 및 계획이행 여부 점검

- 2 -

2 우리나라 정신건강의 현 주소

국민 정신건강

ㅇ 정신건강에 대한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대

- 낮은 행복지수 높은 스트레스 약한 사회적 지지망 등으로 정신

건강 문제가 발생하고 이로 인한 사회적 문제도 증가

OECD 삶의 만족도 지수는 58점(OECD 평균 66)으로 34개국 중 27위 (rsquo15년)

- 전체 국민 4명 중 1명(25)은 전 생애에 걸쳐 한 번 이상 우울

불안 등 정신건강의 문제 경험

알코올 사용장애 134 불안장애 87 기분장애 75 신체형장애 15

정신병적 장애 06 섭식장애 02 (rsquo11년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

ㅇ 일반 국민의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률은 낮음

- 정신건강문제 발생시 약 15만이 정신건강 서비스를 이용하며

최초 치료가 이루어지기까지 161년(84주) 소요

미국 392 호주 349 뉴질랜드 389 (rsquo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DUP(Duration of Untreated Psychosis) 미국 52주 영국 30주

-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인지율이 낮으며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으로 서비스 이용에 소극적

일반국민 중 68가 지역 정신건강서비스 미인지 (rsquo15년 정신건강 태도조사)

ㅇ 정신건강 문제로 인한 막대한 사회적 비용 소요

- 정신질환으로 인한 사회middot경제적 비용은 연간 83조원(rsquo12년 건강보험

정책연구원)으로 추정되며 매년 증가 추세

(rsquo08) 59조원rarr (rsquo09) 62조원rarr (rsquo10) 7조원rarr (rsquo11) 76조원rarr (rsquo12) 83조원

- 사회적 비용은 연령이 낮을수록 질환이 만성화 될수록 높아져

향후 GDP의 4 상회 예상 (rsquo14년 OECD)

- 3 -

중증 정신질환자 관리

ㅇ 초발 급성 정신질환자의 조기 집중 치료 부족

- (입원일수) 우리나라 정신의료기관의 평균 입원일수는 197일로

OECD 국가에 비하여 장기입원 경향

이탈리아 134일 스페인 18일 독일 269일 프랑스 357일 (rsquo09년 국가인권위원회)

- (수가) lsquo08년 이후 의료급여 정신수가 동결로 저가약 사용 등 의료질

저하 우려 및 현 수가체계에서는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인 부족

(1일 평균 진료수가) 건강보험 70658원 의료급여 42600원

(의료급여 수가체계) 입원기간 181sim360일의 경우 입원수가의 95 361일

이상은 90 지급으로 입원기간에 따른 수가체감률이 낮음

ㅇ 주로 정신의료기관 등에 입원하고 있으며 경제활동 수준 낮음

- 국내 중증 정신질환자는 약 50만명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 중

28만명이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반복

인구의 약 1를 중증 정신질환자로 추정 (National Foundation for Brain Research)

- 정신의료기관 병상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중증 정신

질환자 중 최대 96만명만이 지역사회에서 관리(rsquo14년)

(인구 1000명당 병상 수) 한국 091 OECD 평균 059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89천명 사회복귀시설 7천명 이용

- 정신장애인 경제활동 참가율은 14로 전체 장애인 경제활동

참가율(39)의 절반 이하이며 정신장애인 중 약 545가 기초

생활보장 수급 대상자 (rsquo14년 장애인 실태조사)

- 4 -

중독관리

ㅇ 100명 중 6명이 4대 중독자로 추정되며 막대한 비용 소요

- (중독자)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는 약 294만명으로 추정

(4대 중독자) 알코올 159만명 인터넷middot게임 68만명 도박 57만명 마약 10만명

(rsquo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등)

- (비용) 중독은 근로자의 생산성 저하 취업기회 상실 등으로 경제적

비용을 유발하고 국가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중독별 사회경제적 비용) 알코올중독 234조원 마약중독 25조원 도박중독

782조원 인터넷중독 54조원 (rsquo09년 음주의 사회경제적 비용)

ㅇ 부처별 관리로 사각지대 발생

- 부처별로 중독물질 관련 산업 양성 중독예방 관리 업무를 추진

하고 있으나 부처 간 컨트롤타워 부재로 협력구조 미흡

중독 분야별 관리체계

분야 산업 관리 예방middot교육middot홍보 치료middot재활

알코올 기재부 국세청 복지부 여가부 복지부

인터넷 문체부 미래부 미래부 문체부 등 미래부 교육부 여가부 복지부

도 박 문체부 농림부 기재부 총리실(사감위) 총리실(사감위) 복지부

마 약 식약처 대검찰청 등 교육부 복지부 식약처 복지부

ㅇ 중독에 대한 관대한 문화로 개인의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유발

- (개인) 우울 불안 자살 등 공존질환 유병률이 높고 말초신경증

뇌손상 대사질환 내분비질환 등 각종 신체적 질환을 동반

- (사회) 폭행 강도 강간 살인 등 강력범죄의 약 30 이상이 음주

상태에서 발생 도박중독과 관련된 불법행위 급증

- 5 -

자살예방

ㅇ rsquo03년 이후 12년간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

- (자살률) 우리나라 자살률은 OECD 평균의 2배 이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며 연평균 약 14만명이 자살로 사망

(성별) 10만명당 자살률은 남성 384명 여성 161명으로 남성이 24배 높음 (rsquo14년)

(연령) 65세 이상 노인자살률은 10만명당 555명으로 전체 자살률의 2배 이상 (rsquo14년)

- (자살수단) 목맴으로 인한 자살이 가장 많고 최근 농약으로 인한

자살 감소 가스중독에 의한 자살은 증가

전체 자살자 13836명 중 목맴 (517) 가스중독(154) 추락(141) 농약

(77) 순 (rsquo14년)

- (사회적 비용) 자살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약 65조원이며 이 중

20sim40대의 손실 비용이 80(52조원) 차지(rsquo14년 건강보험공단)

(사망원인별 사회경제적 비용) 암 140조원 뇌혈관질환 52조원 심장질환 40조원

lt연령별 자살률 추이 (rsquo95simrsquo14년 명10만명)gt

ㅇ 정신건강 및 음주 문제가 자살의 가장 큰 원인 (rsquo15년 심리부검 결과)

- 자살자의 884가 우울증 등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었으나 이 중

꾸준히 약물치료를 받은 비율은 15에 불과

- 자살자의 약 397가 사망 당시 음주상태였으며 256가 과다

음주로 인한 대인관계 갈등 직업적 곤란 법적 문제 등을 가짐

- 6 -

Ⅱ 방향 및 전략

1 핵심 가치

2 정신건강 패러다임의 전환

지금까지(AS-IS) 앞으로(TO-BE)

정신건강증진

bull 중증 정신질환자 관리 중심

bull 정신건강증진 사업의 구체성 부족

bull 국민 정신건강 증진 서비스 제공

bull 생애주기별 조기발견개입 지원

중증정신질환관리

bull 초발급성 환자의 만성화

bull 의료기관 입원 위주의 관리

bull 초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bull 지역사회 통합으로 삶의 질 향상

중독관리

bull 중독에 관대한 문화

bull 부처별 분절적 중독예방관리

bull 중독의 적극적 예방

bull 범부처 중독예방관리

자살예방

bull 보건의료중심 자살예방 정책

bull 위험군 대상 제한적 자살예방

bull 보건복지사회문화 등 통합적 자살예방

- 7 -

3 정책 목표 및 전략

비전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

정책

목표

Ⅰ 국민 정신건강 증진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폐해 최소화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정책목표 전 략

국민

정신건강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서비스 이용 제고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중증정신

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2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3 중독자 치료 회복 지원 강화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 8 -

정책목표 전략 (12) 정책과제 (32)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정신

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정신질환자 인권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Ⅲ 중독

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체계 강화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1-3 자살 위험환경 개선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Ⅲ 추진과제

- 9 -

Ⅰ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ㅇ 정신건강 자가관리(self care)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 (rsquo17년)

- (자가관리 지원) 인터넷 스마트폰으로 정신건강 문제 자가진단

이용자 특성에 맞는 근거기반 프로그램 및 정신건강 관련 정보 제공

인지행동치료(CBT) 수면 위생관리 명상 이완요법 등

- (고위험군 연계) 자가 스크리닝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이용자

지역의 정신건강증진센터 의료기관으로 연계 지원

전국 224개소(광역 15 기초 209) 설치 운영 중 평균 9명(광역 18 기초 8) 근무

ㅇ 찾아가는 정신건강 서비스 제공 (rsquo17년)

- (심리지원 이동버스) 5개 국립병원 등을 중심으로 lsquo심리지원 이동

버스rsquo 운영 학교 사업장 방문으로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재난 발생시 현장에 심리지원 이동버스를 파견하여 상담 등 재난심리지원

- (방문보건 복지사업 연계) 가정방문시 우울증 등 스크리닝 및

상담지원 병행 고위험군 전문기관 연계

ㅇ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확대

- (인프라) 시 도 및 시 군 구에 단계적으로 정신건강증진센터 설치

및 필요시 인구를 고려하여 추가 인프라 확충 추진 (rsquo16년)

- (전문인력) 정신건강 증진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하여 정신건강증진

센터 내 정신건강 증진 전담 인력 배치 단계적 확대 (rsquo17년)

- 10 -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ㅇ 정신건강 인식개선 캠페인 공익광고 및 정신건강의 날 지정 (rsquo16년)

- (캠페인) 정신질환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부정적 인식해소를 위한

중 장기 캠페인 계획 수립 시행 및 효과성 분석

- (공익광고) 우울 자살사고(思考) 중독 등을 주제로 한 공익광고

시리즈 제작 TV 라디오 등 매스미디어 SNS 등 홍보

- (정신건강의 날 지정) 법적으로 정신건강의 날(1010) 및 주간을

지정하여 정신건강에 대한 주의 환기 각종 교육 행사 지원

ㅇ 학교 사업장 및 지역사회 기반 정신건강 교육 강화

- (학교) 초 중 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에 lsquo정신건강rsquo 내용 반영 학생

정신건강 관련 교사 직무연수 실시 (rsquo16년)

- (사업장) 사업장 기반 정신건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고

중 장기적으로 정신건강 교육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검토 (rsquo16년)

- (지역사회) 보건소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주민을 대상

다양한 정신건강 강좌 진행 (rsquo16년)

ㅇ 정신건강 관련 민간단체 양성으로 민 관 협력체계 구축

- (단체양성) 정신질환 당사자 가족 종교계 인권단체 등 영향력 있는

민간단체를 양성하여 정신질환에 대한 우호적 환경 조성 (rsquo16년)

- (민 관 협력체계 구축) 민간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기반 정신

건강 인식개선 사업 등 추진 (rsquo17년)

(뉴질랜드 사례) 정신질환자 당사자로 구성된 lsquo소비자자문위원회rsquo가 지역 정신

보건센터에 근무하며 서비스 기획 제공 평가 단계에서 소비자 시각과 이해 반영

(A Guide to Effective Consumer Participation in Mental Health Service)

- 11 -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

ㅇ 관련 법령 제도 정비를 통해 불합리한 차별 개선

- (관계부처합동 TF 구성) 복지부 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등이 포함된 lsquo(가칭)정신질환 차별개선 TFrsquo 구성 (rsquo16년)

-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을

제공하는 법령 제도 행태 등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rsquo17년)

정신과 진료기록이 있으면 보험 가입이 불가능하다 (rsquo1591 아시아경제)

ㅇ 정신질환 차별여부 모니터링 및 처벌규정 마련 (rsquo17년)

- (모니터링) 정신질환 이력자 당사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모니터링단rsquo을 구성하여 언론 온라인 등 실시간 모니터링

- (처벌규정 마련) 관련 법령 제 개정으로 정신질환자 및 정신질환

이력자 등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시 처벌할 수 있는 규정 마련

ㅇ 바람직한 언론보도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 (가이드라인 마련) 정신질환 관련 정확한 용어 사용 바람직한 보도

방안 등의 내용이 포함된 lsquo보도 가이드라인rsquo 마련 배포 (rsquo16년)

(예) 범죄자의 범행 동기보다 정신질환 여부를 강조하여 모든 정신질환자가

위험하며 정신질환자가 lsquo묻지마 범죄rsquo를 저지른다는 식의 보도 자제

- (언론인 대상 설명회) 기자 등 언론인 대상 정신질환에 대한

이해도 제고 부정적 인식 개선 등을 위한 정기적인 설명회

포럼 등 마련 (rsquo17년)

- 12 -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ㅇ 동네 의원 역량강화를 통한 조기발견 개입 지원 (rsquo17년)

- (조기발견) 의료인 교육 및 가이드라인 마련 등으로 동네 의원

방문시 우울 불안 등 주요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자살자의 281가 자살 전 복통 등 신체적 불편감이나 수면곤란 등으로 1차

의료기관 방문 (rsquo15년 심리부검)

- (개입) 고위험군 대상 정신건강의학과(이하 ldquo정신과rdquo) 및 지역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를 강화하고 우울증 약물 처방 및 상담치료 확대

인구 천명당 항우울제 복용률(DDD 1일 사용량 단위) 한국 20 OECD 평균

58로 최하위 수준

ㅇ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dquo마음건강 주치의rdquo(정신과 전문의) 배치 (rsquo17년)

- (조기발견) 지역사회 주민의 정신건강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

센터 내 정신과 전문의 상담을 통해 1차 진단 추진

- (개입) 기본상담 후 개별 맞춤형 필요 서비스 설계 및 연계 지원

정신건강증진센터 사례관리 사회서비스 바우처 제공 약물처방 입원 등

필요시 의료기관 연계 등

ㅇ 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시 정신건강 검진 내실화 (rsquo17년)

- (조기발견) 생애전환기 우울증 검사(40 66세) 문항을 내실화 하고

단계적으로 대상자 확대 등 추진

- (개입) 검진 결과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강화

- 13 -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

ㅇ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분들을 위한 지원 강화 (rsquo16년)

- (취약계층) 복지급여 등 신청시 읍 면 동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강화로 중독관리 자살생각 등에 대한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지원

- (신용회복 지원자) 신용회복 개인회생 파산 신청 판정시 필요한 경우

본인 동의 후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심리지원 (금융위 법원 행정처)

ㅇ 이주민 북한이탈주민 대상 적응교육 및 심리지원 (rsquo16년)

- (이주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외국인력지원센터 등을 통해 이주

노동자 결혼 이민자 이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관리

강화 (여가부 고용부)

- (북한이탈주민) 국립병원-하나원-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정신건강 문제 스크리닝 상담 등 서비스 지원 (통일부)

ㅇ 위험직 공무원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치유 지원 (rsquo16년)

- (직장 내) 직장 내 정신건강 관리 매뉴얼(프로토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보급 등으로 1차적 심리지원 실시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 (직장 외) 전문적 심리지원 필요시 정신건강증진센터 트라우마

센터를 통해 심층평가 상담 프로그램 및 의료기관 연계

소방공무원 32112명 중 약 139가 PTSD 위험군 (rsquo12 소방방재청 설문조사)

ㅇ 기타 정신건강 취약계층에 대한 심리 정서 지원 (rsquo16년)

- 감정노동자 신체장애인 한부모 조손가정 등에게 스트레스 관리

분노조절 등을 위한 교육 상담 및 고위험군 발굴 연계 (고용부 여가부)

- 14 -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ㅇ 지역사회 재난 대응 정신건강관리체계 구축

- (범부처 대응체계 구축) 안전처 복지부 교육부 여가부 등 관계기관

합동 재난 심리지원 대응체계 마련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rsquo16년)

재난 심리지원 협력 네트워크 및 매뉴얼 마련 (역할분담 정보공유 체계 등)

- (응급 정신질환 대응) 응급의료기관 내 응급 정신질환을 위한 별도

공간(격리 입원실 등) 마련 및 병원 내 필요인력 배치 검토 (rsquo17년)

- (지속 대응체계 마련) 5개 국립병원 안산 트라우마센터 정신건강

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장기적 지속적 관리체계 마련 (rsquo16년)

ㅇ 재난 피해자 심리회복을 위한 RampD 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 (rsquo16년)

- (RampD) 주요 재난 유형별 공적 개입이 필요한 재난을 정의하고

재난 별 기본 정신건강관리 중재기법 개발

응급 현장개입 회복기 자살시도 심한 분노나 죄책감 등 특수상황 개입 등

- (전문인력) 국립서울병원 및 안산 트라우마센터를 중심으로 재난

심리지원 전문 인력 양성 및 정신과 의료진 등 관련 풀 관리

lt재난심리지원 인프라 해외사례gt

일본 효고현 재난트라우마 센터 (Hyogo Institute for Traumatic Stress)

- (설립) 고베지진 후 일본의 지진 등 재난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훈련 협진

등 재난 및 범죄분야 지원을 위하여 고베시 효고현에 설치

- (주요기능) PTSD 관련 연구 상담 진료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훈련 협력

관계 유지 관련인력 관리 정보제공 홍보 등

미국 국립 PTSD 센터 (National Center for PTSD)

- (설립) 국립 PTSD 센터 설립 (1989년sim)

- (주요기능) 주로 PTSD 예방과 이해 치료에 관한 교육middot연구 수행

- 15 -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ㅇ 정서발달 평가 및 평가 결과에 따른 서비스 지원 연계 (rsquo17년)

- (정밀 발달검사) 영유아 건강검진시 발달검사 실시 검사결과 발달

장애 의심시 정밀검사비 지원 (대상 및 금액 단계적 확대 검토)

현재 의료급여수급권자 건강보험료 부과금액 하위 30 이하 대상 1인당

최대 40만원 범위 내 지원

- (정서발달 자가평가) 가정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가 활용 가능한

영 유아 사회 정서발달 관련 자가검진 도구 개발 보급 (교육부)

- (서비스 지원)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영유아 발달지원 체계

구축 자가평가 결과 고위험군 대상 심층평가 상담 바우처 연계

ㅇ 아동학대 발생시 위기개입 (rsquo16년)

- (상태평가) 정신건강증진센터-육아종합지원센터-아동보호전문기관

간 연계 체계를 구축하여 학대 및 관련아동 긴급 심리평가 실시

- (위기개입) 심리평가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해당 아동 놀이치료

및 부모 등 보호자 대상 지원교육 제공

ㅇ 부모 교사 대상 심리지원 및 교육 (rsquo16년)

- (심리지원) 부모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 대상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 정신건강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대상 상담 등 심리지원 (교육부)

(부모) 영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정신건강 스크리닝 (교사) 직무 스트레스 검사

- (교육) 부모 대상 양육교육 의무화 교사 대상 문제행동 영유아

보육 교육방법 가이드라인 제공 및 심화교육 (교육부)

- 16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ㅇ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실태조사 (rsquo16년)

-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를 통해 정신질환

발병 시점 주요 질병 유병률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현황 등 조사

그간 실태조사(rsquo06 rsquo11)는 만18세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

ㅇ 학교기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교육부 미래부)

- (정서행동특성검사 내실화) 문항 점검 검사 주기 등 검토 (rsquo16년)

현재 초등학교 1 4학년 중1 고1 대상 실시

- (교내 상담강화) 학교 내 상담교사를 배치하고 시 도 교육청 단위

스쿨닥터를 지정하여 문제행동 학생 대상 학교 내 상담 강화 (rsquo17년)

- (위기개입) 학교 내 자살 사고 학교폭력 등 위기 발생시 심리

지원 교육자료 마련 및 외부기관을 통한 개입 중재 지원 (rsquo16년)

- (지역사회 연계) 전문적 지원 필요시 Wee센터 정신건강증진센터

인터넷중독대응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저소득층 치료비 지원 (rsquo16년)

ㅇ 학교 밖 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여가부) (rsquo17년)

- (스크리닝)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학교 밖 청소년

대상 lsquo정서행동특성검사rsquo 시행

- (지원)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와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로 심층평가 상담 및 치료계획 수립 등 지원

ㅇ 정신건강 관련업무 담당인력 역량 강화 (교육부 여가부)

- (보건 상담교사) 연수시 정신건강 관련 심층교육 실시 및 교사

대상 학생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 보급 (rsquo15년sim)

- (지역센터) Wee센터 및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전문 상담요원 대상

역량강화 교육 및 워크샵 실시 정신과 전문의 슈퍼비전 지원 (rsquo16년)

- 17 -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

ㅇ 대학생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인프라 구축) 대학 상담센터 또는 의무실 내 정신건강 지원 역량

강화 및 지역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체계 구축 (교육부) (rsquo18년)

- (자조모임 지원)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개선 건전음주 문화 조성

등을 위하여 대학 내 동아리 학회 등 지원 (rsquo16년)

ㅇ 산모 산전 후 우울증 관리 강화 (rsquo17년)

- (양육교육) 보건소 건강가정지원센터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부모 대상 자녀 양육교육 강화 (여가부)

- (조기발견) 산부인과 검진 또는 영 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대상

우울 불안 등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 (서비스 제공) 고위험군 선별시 정신의료기관 연계 아이돌봄서비스

일시보육 우선 제공 및 고운맘 카드 사용처 확대 검토 (여가부)

건강보험가입자 대상 임신 1회당 50만원(다태아 70만원)을 지원(rsquo15년 기준)

ㅇ 근로자 직무 스트레스 및 우울증 관리 (rsquo17년)

- 사업장 규모별 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근로자

정신건강증진활동 강화 (고용부)

(50인 미만) lsquo근로자 건강센터rsquo 내 정신건강 관련 사업을 보강하고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연계 강화

(50인 이상 300인 미만) lsquo안전보건관리공단rsquo 및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전문가가 사업장을 방문하여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300인 이상) lsquo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매뉴얼rsquo을 개발 보급하여 사업장

내 자체적인 심리지원 서비스 유도 우수 사업장 인센티브 제공 검토

(기업경영 비용 유발 순위) 우울증-비만-관절염-허리 목 통증 (rsquo10 하버드)

- 18 -

노인 정신건강 지원

ㅇ 노인 정신건강 관련 종합검사 실시 및 심리지원

- (정신건강 문제 발견 강화) 노인대상 서비스 제공자 등 대상 정신

건강 문제 발견 및 연계교육 강화로 정신건강 문제 조기 발견

생활관리사 老老케어 참가자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소진료소장 등

- (정신건강 종합검사)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하여 정신건강 및 생활습관 등 종합검사 제공 (rsquo17년)

(정신건강) 인지기능(치매) 노인성 우울 불안 수면장애 일상생활 기능장애 등

(생활습관) 음주 흡연 영양섭취 습관 신체 사회 활동량 등

- (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하여 지속적 상담 제공 (rsquo16년)

ㅇ 노인 특화 정신건강 프로그램 제공 (rsquo17년)

- (수면 화병 관리 등)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해 적정 수면 화병 관리 및 신체질환자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

- (사회 재적응 훈련) 사별 은퇴 노화 등 부정적 외부환경 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제공

- (사회참여 강화) 저소득층 노인 취업지원 노인 대상 자원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노인의 사회참여 유도

ㅇ 정신건강 관련 정보제공 및 편견해소 교육 홍보 (rsquo16년)

- (정보제공) 장기요양보험 기초노령연금 등과 연계하여 신청

지급시 본인 및 가족에게 정신건강 관련 정보 교육 제공

노인 정신건강 문제는 정상적 노화과정과의 구별 필요 정확한 정보제공이 중요

- (편견해소 교육 홍보) 정신질환 및 치료에 대한 편견이 가장 높은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대학 노인복지관 등을 통해 편견해소 교육 홍보

- 19 -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ㅇ 초발 급성 환자 조기 집중치료를 위한 건강보험수가체계 개선 (rsquo17년)

- (초기치료 강화) 초기 단계의 적극적인 정신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외래 본인부담 경감(30sim60rarr20) 상담 중심의 심층치료 활성화

- (비용부담 완화) 높은 비용부담 때문에 지속적 치료를 방해하는

비급여 정신요법 의약품에 대한 보험 적용 확대

- (위기대응) 자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등에 대한 위기중재

및 집중관리를 위하여 건강보험 보장범위를 대폭 확대

ㅇ 의료급여 체계 개선으로 양질의 치료 서비스 제공 (rsquo17)

- (조기 집중치료) 초기 입원수가(예 입원 후 1sim3개월) 인상률을

높이는 등 제도개선 추진으로 조기 집중치료를 통한 퇴원 유도

- (치료서비스 향상) 정신의료기관의 저가약 사용 유인 등이 감소

하도록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편방안 마련

ㅇ 불필요한 입원을 제한하고 지역사회 복귀 강화 (rsquo17)

- (장기입원 억제) 의료급여 입원환자의 재원 일수에 따라 일당정액

수가 체감제를 강화하여 불필요한 장기입원 억제 검토

- (지역사회 복귀 촉진) 낮병동 수가 조정 퇴원연계 활성화 유도

등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및 치료여건 강화

- 20 -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ㅇ 초발환자 발견 및 지역사회 관리 모형 개발

-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조현병 양극성장애 등 중증 정신질환

조기발견 및 개입 체계 구축

- (시범사업 실시) 청소년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초발 정신증 발견

및 조기중재 모형 개발 및 시범사업 실시

정신질환의 약 50가 10대 중후반에 시작되고 75 정도의 질환이 20세

중반까지 발병 (Kessler 등)

ㅇ 급성기 환자 응급 및 단기입원 제도 활성화

- (응급병상 운영) 국립병원 내 24시간 lsquo응급병상rsquo 운영으로 급성

정신병 증상 발작(acting-out) 등 발생시 응급입원 집중 관리

지역사회 응급개입은 연간 약 6만9천건에 달하나 응급병상 운영 병원

부족으로 응급입원은 연간 26건에 불과 (lsquo14년)

- (모델 개발) 의료기관과 사회복귀시설 중간단계 모형을 구축하여

급성기 단기입원 후 일상생활 복귀 지원

ㅇ 정신질환 치료기술 연구(RampD) 강화

- (국립서울병원 기능개편) 국립서울병원의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임상병동을 운영하여 치료기술 개발 효과성 검증 등 수행

- (RampD 효과성 제고) 진료효과 향상을 위한 조기진단 치료 고도화

표준화 기술개발 등 지원

- 21 -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ㅇ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지원강화 (rsquo16년)

- (사례관리 강화)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squo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

관리팀rsquo을 내실화하고 외래치료 투약여부 등 관리 지원

- (지역 인프라 간 기능 재정립)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 간

기능 재정립으로 서비스 중복 사각지대 발생 해소

- (복지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읍 면 동사무소 연계로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관리시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제공

ㅇ 외래치료명령제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활성화로 퇴원 유도 (rsquo17년)

- (외래치료 명령제 강화) 퇴원환자 외 지역사회 관리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도 외래치료 명령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제도 활성화

현재는 정신의료기관 퇴원시 퇴원환자에 대해서만 외래치료 명령 가능

-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통한 처방

활성화로 입원 위주의 치료에서 지역사회 관리로 전환

일정기간(2주 4주 등) 약효가 지속되어 반복적 재입원 재발율을 낮추는데 도움

ㅇ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유도 및 지원

- (비용 효과 분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관리 유인구조 마련을 위하여

의료기관 입원과 지역사회 관리시 소요되는 비용 효과 분석 (rsquo16년)

- (사회적 협동조합) 정신질환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를 위하여 회복

재활을 지원하도록 당사자의 lsquo사회적 협동조합rsquo 설립 장려 (rsquo16년)

- (취업지원 강화) 정신질환자 취업지원을 강화하고 장애인 판정 기준

재검토 등을 통해 취업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개선 (고용부) (rsquo17년)

- 22 -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ㅇ 사회복귀시설 단계적 확충

- (인센티브) 지자체 평가 국비사업 지자체 공모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여부 고려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하여 확충 유도 (rsquo17년)

현재 사회복귀시설 중 52(165개소)는 서울 경기 인천에 설치

- (직접운영) 국립병원에서 직접 사회복귀시설을 설치하여 입원치료

부터 퇴원 후 사회복귀까지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ㅇ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귀시설 설치 운영 (rsquo17년)

- (다양한 유형 설치) 단기보호 장기생활 공동생활 독립 훈련형

등 이용자 특성(질환 유형 중증도 등)에 맞는 거주시설 설치 운영

- (아동 청소년 특화시설 마련) 성인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관리 학업지원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설치 운영

현재 아동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은 전국 11개소에 불과

ㅇ 사회복귀시설의 질적 수준 제고 (rsquo16년)

- (슈퍼비전 지원) 국립병원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주간

재활시설 프로그램 인력 역량강화 교육 슈퍼비전 등 지원

- (평가 내실화) 사회복귀시설 평가지표 개선 평가주기 단축으로

평가 내실화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도 제고

ㅇ 직업 재활 활성화를 위한 근로환경 개선 및 모형 개발

- (근로환경 개선) 근로시간 임금수준 등 적정 근로여건에 대한 가이드

라인 마련 및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근로환경 개선 (rsquo16년)

- (모형 개발) 수익창출이 가능한 농촌 및 도시형 직업재활 모형을

개발하여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추진 (rsquo17년)

- 23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낮병동 확대 및 병상수 축소

- (낮병동 확대) 제도개선으로 낮병동 확충 유도 및 지역사회 정신

건강서비스 연계 강화로 입원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 (rsquo17년)

병원에서 6시간 이상 진료를 받고 당일 귀가하도록 하는 제도

타 진료과목의 낮병동과 정신의료기관 낮병동을 분리 정신의료기관의

낮병동 수가 인상 및 6시간 이용시간 제한규정 완화 등 검토

- (병상수 축소) 병상 규모를 정신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연동시켜

서비스 질이 낮은 기관을 중심으로 병상규모 단계적 축소 (rsquo18년)

ㅇ 정신요양시설 정체성 확립 및 단계적 기능전환

- (이용 대상자 명확화) lsquo의학적 치료rsquo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들로

입소대상을 한정하고 아동 청소년은 정신요양시설 이용을 제한

하여 지역사회 치료 복귀시설로 유도 (rsquo16년)

- (기능 표준화) 정신요양시설 운영 및 역할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등으로 서비스 수준 제고 (rsquo17년)

- (기능전환) 중 장기적으로 연구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신요양시설을

사회복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기능 전환 유도 (rsquo18년)

ㅇ 신체 복합 질환자 치료병원 확충

- (가이드라인 마련) 신체적 질병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등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및 교육 (rsquo17년)

- (지정병원) 정신 및 신체 복합 질환자에 대한 치료 입원 수술이

가능한 병원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홍보 지원 (rsquo18년)

의료질 평가지원금 평가지표에 정신 신체 복합 질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비율 등 포함 검토

- (정신의료기관 내 신체질환 치료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타 진료과목

전문의 배치를 확대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 연계체계 구축 (rsquo18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3: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1 -

Ⅰ 추진배경

1 종합대책 수립근거 및 추진경과

(수립근거) 「정신보건법」상 복지부 장관은 5년마다 국가 정신보건

사업 계획을 수립하도록 규정 (제4조의 3)

ㅇ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이하 자살예방법)」에도

복지부장관이 5년마다 자살예방종합대책을 수립하도록 규정 (제7조)

(추진경과 및 평가) rsquo12년 lsquo정신건강증진 종합대책rsquo을 수립 발표

하였으며 lsquo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HP 2010 2020)rsquo에 정신건강 포함

ㅇ (의의) 국가 차원의 정신건강 관련 계획을 수립하고 국가가 관리

하는 만성질환 영역에 정신건강을 포함

- 특히 lsquo정신건강증진 종합대책rsquo은 일반 국민에 대한 정신건강 증진

내용을 포함하고 정신질환의 조기발견 개입체계 마련에 기여

ㅇ (한계) 종합대책을 위한 실행계획이 부재하여 마련된 계획실행에

대한 체계적 관리 충분한 확충 법령 개정 미흡

정신건강 종합대책 내용이 포함된 「정신보건법」전부개정안 국회 계류 중

(추진방향) WHO 권고 기준에 맞춰 범부처 차원의 5개년 종합

대책을 수립하고 구체적 이행을 위해 실행계획 수립 (2016-2020)

Mental Health Action Plan 2013-2020 (lsquo13 WHO)

ㅇ 국민 정신건강 증진 자살예방 중증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및 중독

관리 등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분야가 포함된 종합대책 수립

ㅇ 범부처 협의체를 통하여 협조체계 구축 및 계획이행 여부 점검

- 2 -

2 우리나라 정신건강의 현 주소

국민 정신건강

ㅇ 정신건강에 대한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대

- 낮은 행복지수 높은 스트레스 약한 사회적 지지망 등으로 정신

건강 문제가 발생하고 이로 인한 사회적 문제도 증가

OECD 삶의 만족도 지수는 58점(OECD 평균 66)으로 34개국 중 27위 (rsquo15년)

- 전체 국민 4명 중 1명(25)은 전 생애에 걸쳐 한 번 이상 우울

불안 등 정신건강의 문제 경험

알코올 사용장애 134 불안장애 87 기분장애 75 신체형장애 15

정신병적 장애 06 섭식장애 02 (rsquo11년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

ㅇ 일반 국민의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률은 낮음

- 정신건강문제 발생시 약 15만이 정신건강 서비스를 이용하며

최초 치료가 이루어지기까지 161년(84주) 소요

미국 392 호주 349 뉴질랜드 389 (rsquo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DUP(Duration of Untreated Psychosis) 미국 52주 영국 30주

-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인지율이 낮으며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으로 서비스 이용에 소극적

일반국민 중 68가 지역 정신건강서비스 미인지 (rsquo15년 정신건강 태도조사)

ㅇ 정신건강 문제로 인한 막대한 사회적 비용 소요

- 정신질환으로 인한 사회middot경제적 비용은 연간 83조원(rsquo12년 건강보험

정책연구원)으로 추정되며 매년 증가 추세

(rsquo08) 59조원rarr (rsquo09) 62조원rarr (rsquo10) 7조원rarr (rsquo11) 76조원rarr (rsquo12) 83조원

- 사회적 비용은 연령이 낮을수록 질환이 만성화 될수록 높아져

향후 GDP의 4 상회 예상 (rsquo14년 OECD)

- 3 -

중증 정신질환자 관리

ㅇ 초발 급성 정신질환자의 조기 집중 치료 부족

- (입원일수) 우리나라 정신의료기관의 평균 입원일수는 197일로

OECD 국가에 비하여 장기입원 경향

이탈리아 134일 스페인 18일 독일 269일 프랑스 357일 (rsquo09년 국가인권위원회)

- (수가) lsquo08년 이후 의료급여 정신수가 동결로 저가약 사용 등 의료질

저하 우려 및 현 수가체계에서는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인 부족

(1일 평균 진료수가) 건강보험 70658원 의료급여 42600원

(의료급여 수가체계) 입원기간 181sim360일의 경우 입원수가의 95 361일

이상은 90 지급으로 입원기간에 따른 수가체감률이 낮음

ㅇ 주로 정신의료기관 등에 입원하고 있으며 경제활동 수준 낮음

- 국내 중증 정신질환자는 약 50만명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 중

28만명이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반복

인구의 약 1를 중증 정신질환자로 추정 (National Foundation for Brain Research)

- 정신의료기관 병상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중증 정신

질환자 중 최대 96만명만이 지역사회에서 관리(rsquo14년)

(인구 1000명당 병상 수) 한국 091 OECD 평균 059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89천명 사회복귀시설 7천명 이용

- 정신장애인 경제활동 참가율은 14로 전체 장애인 경제활동

참가율(39)의 절반 이하이며 정신장애인 중 약 545가 기초

생활보장 수급 대상자 (rsquo14년 장애인 실태조사)

- 4 -

중독관리

ㅇ 100명 중 6명이 4대 중독자로 추정되며 막대한 비용 소요

- (중독자)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는 약 294만명으로 추정

(4대 중독자) 알코올 159만명 인터넷middot게임 68만명 도박 57만명 마약 10만명

(rsquo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등)

- (비용) 중독은 근로자의 생산성 저하 취업기회 상실 등으로 경제적

비용을 유발하고 국가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중독별 사회경제적 비용) 알코올중독 234조원 마약중독 25조원 도박중독

782조원 인터넷중독 54조원 (rsquo09년 음주의 사회경제적 비용)

ㅇ 부처별 관리로 사각지대 발생

- 부처별로 중독물질 관련 산업 양성 중독예방 관리 업무를 추진

하고 있으나 부처 간 컨트롤타워 부재로 협력구조 미흡

중독 분야별 관리체계

분야 산업 관리 예방middot교육middot홍보 치료middot재활

알코올 기재부 국세청 복지부 여가부 복지부

인터넷 문체부 미래부 미래부 문체부 등 미래부 교육부 여가부 복지부

도 박 문체부 농림부 기재부 총리실(사감위) 총리실(사감위) 복지부

마 약 식약처 대검찰청 등 교육부 복지부 식약처 복지부

ㅇ 중독에 대한 관대한 문화로 개인의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유발

- (개인) 우울 불안 자살 등 공존질환 유병률이 높고 말초신경증

뇌손상 대사질환 내분비질환 등 각종 신체적 질환을 동반

- (사회) 폭행 강도 강간 살인 등 강력범죄의 약 30 이상이 음주

상태에서 발생 도박중독과 관련된 불법행위 급증

- 5 -

자살예방

ㅇ rsquo03년 이후 12년간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

- (자살률) 우리나라 자살률은 OECD 평균의 2배 이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며 연평균 약 14만명이 자살로 사망

(성별) 10만명당 자살률은 남성 384명 여성 161명으로 남성이 24배 높음 (rsquo14년)

(연령) 65세 이상 노인자살률은 10만명당 555명으로 전체 자살률의 2배 이상 (rsquo14년)

- (자살수단) 목맴으로 인한 자살이 가장 많고 최근 농약으로 인한

자살 감소 가스중독에 의한 자살은 증가

전체 자살자 13836명 중 목맴 (517) 가스중독(154) 추락(141) 농약

(77) 순 (rsquo14년)

- (사회적 비용) 자살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약 65조원이며 이 중

20sim40대의 손실 비용이 80(52조원) 차지(rsquo14년 건강보험공단)

(사망원인별 사회경제적 비용) 암 140조원 뇌혈관질환 52조원 심장질환 40조원

lt연령별 자살률 추이 (rsquo95simrsquo14년 명10만명)gt

ㅇ 정신건강 및 음주 문제가 자살의 가장 큰 원인 (rsquo15년 심리부검 결과)

- 자살자의 884가 우울증 등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었으나 이 중

꾸준히 약물치료를 받은 비율은 15에 불과

- 자살자의 약 397가 사망 당시 음주상태였으며 256가 과다

음주로 인한 대인관계 갈등 직업적 곤란 법적 문제 등을 가짐

- 6 -

Ⅱ 방향 및 전략

1 핵심 가치

2 정신건강 패러다임의 전환

지금까지(AS-IS) 앞으로(TO-BE)

정신건강증진

bull 중증 정신질환자 관리 중심

bull 정신건강증진 사업의 구체성 부족

bull 국민 정신건강 증진 서비스 제공

bull 생애주기별 조기발견개입 지원

중증정신질환관리

bull 초발급성 환자의 만성화

bull 의료기관 입원 위주의 관리

bull 초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bull 지역사회 통합으로 삶의 질 향상

중독관리

bull 중독에 관대한 문화

bull 부처별 분절적 중독예방관리

bull 중독의 적극적 예방

bull 범부처 중독예방관리

자살예방

bull 보건의료중심 자살예방 정책

bull 위험군 대상 제한적 자살예방

bull 보건복지사회문화 등 통합적 자살예방

- 7 -

3 정책 목표 및 전략

비전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

정책

목표

Ⅰ 국민 정신건강 증진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폐해 최소화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정책목표 전 략

국민

정신건강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서비스 이용 제고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중증정신

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2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3 중독자 치료 회복 지원 강화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 8 -

정책목표 전략 (12) 정책과제 (32)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정신

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정신질환자 인권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Ⅲ 중독

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체계 강화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1-3 자살 위험환경 개선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Ⅲ 추진과제

- 9 -

Ⅰ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ㅇ 정신건강 자가관리(self care)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 (rsquo17년)

- (자가관리 지원) 인터넷 스마트폰으로 정신건강 문제 자가진단

이용자 특성에 맞는 근거기반 프로그램 및 정신건강 관련 정보 제공

인지행동치료(CBT) 수면 위생관리 명상 이완요법 등

- (고위험군 연계) 자가 스크리닝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이용자

지역의 정신건강증진센터 의료기관으로 연계 지원

전국 224개소(광역 15 기초 209) 설치 운영 중 평균 9명(광역 18 기초 8) 근무

ㅇ 찾아가는 정신건강 서비스 제공 (rsquo17년)

- (심리지원 이동버스) 5개 국립병원 등을 중심으로 lsquo심리지원 이동

버스rsquo 운영 학교 사업장 방문으로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재난 발생시 현장에 심리지원 이동버스를 파견하여 상담 등 재난심리지원

- (방문보건 복지사업 연계) 가정방문시 우울증 등 스크리닝 및

상담지원 병행 고위험군 전문기관 연계

ㅇ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확대

- (인프라) 시 도 및 시 군 구에 단계적으로 정신건강증진센터 설치

및 필요시 인구를 고려하여 추가 인프라 확충 추진 (rsquo16년)

- (전문인력) 정신건강 증진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하여 정신건강증진

센터 내 정신건강 증진 전담 인력 배치 단계적 확대 (rsquo17년)

- 10 -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ㅇ 정신건강 인식개선 캠페인 공익광고 및 정신건강의 날 지정 (rsquo16년)

- (캠페인) 정신질환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부정적 인식해소를 위한

중 장기 캠페인 계획 수립 시행 및 효과성 분석

- (공익광고) 우울 자살사고(思考) 중독 등을 주제로 한 공익광고

시리즈 제작 TV 라디오 등 매스미디어 SNS 등 홍보

- (정신건강의 날 지정) 법적으로 정신건강의 날(1010) 및 주간을

지정하여 정신건강에 대한 주의 환기 각종 교육 행사 지원

ㅇ 학교 사업장 및 지역사회 기반 정신건강 교육 강화

- (학교) 초 중 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에 lsquo정신건강rsquo 내용 반영 학생

정신건강 관련 교사 직무연수 실시 (rsquo16년)

- (사업장) 사업장 기반 정신건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고

중 장기적으로 정신건강 교육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검토 (rsquo16년)

- (지역사회) 보건소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주민을 대상

다양한 정신건강 강좌 진행 (rsquo16년)

ㅇ 정신건강 관련 민간단체 양성으로 민 관 협력체계 구축

- (단체양성) 정신질환 당사자 가족 종교계 인권단체 등 영향력 있는

민간단체를 양성하여 정신질환에 대한 우호적 환경 조성 (rsquo16년)

- (민 관 협력체계 구축) 민간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기반 정신

건강 인식개선 사업 등 추진 (rsquo17년)

(뉴질랜드 사례) 정신질환자 당사자로 구성된 lsquo소비자자문위원회rsquo가 지역 정신

보건센터에 근무하며 서비스 기획 제공 평가 단계에서 소비자 시각과 이해 반영

(A Guide to Effective Consumer Participation in Mental Health Service)

- 11 -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

ㅇ 관련 법령 제도 정비를 통해 불합리한 차별 개선

- (관계부처합동 TF 구성) 복지부 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등이 포함된 lsquo(가칭)정신질환 차별개선 TFrsquo 구성 (rsquo16년)

-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을

제공하는 법령 제도 행태 등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rsquo17년)

정신과 진료기록이 있으면 보험 가입이 불가능하다 (rsquo1591 아시아경제)

ㅇ 정신질환 차별여부 모니터링 및 처벌규정 마련 (rsquo17년)

- (모니터링) 정신질환 이력자 당사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모니터링단rsquo을 구성하여 언론 온라인 등 실시간 모니터링

- (처벌규정 마련) 관련 법령 제 개정으로 정신질환자 및 정신질환

이력자 등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시 처벌할 수 있는 규정 마련

ㅇ 바람직한 언론보도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 (가이드라인 마련) 정신질환 관련 정확한 용어 사용 바람직한 보도

방안 등의 내용이 포함된 lsquo보도 가이드라인rsquo 마련 배포 (rsquo16년)

(예) 범죄자의 범행 동기보다 정신질환 여부를 강조하여 모든 정신질환자가

위험하며 정신질환자가 lsquo묻지마 범죄rsquo를 저지른다는 식의 보도 자제

- (언론인 대상 설명회) 기자 등 언론인 대상 정신질환에 대한

이해도 제고 부정적 인식 개선 등을 위한 정기적인 설명회

포럼 등 마련 (rsquo17년)

- 12 -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ㅇ 동네 의원 역량강화를 통한 조기발견 개입 지원 (rsquo17년)

- (조기발견) 의료인 교육 및 가이드라인 마련 등으로 동네 의원

방문시 우울 불안 등 주요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자살자의 281가 자살 전 복통 등 신체적 불편감이나 수면곤란 등으로 1차

의료기관 방문 (rsquo15년 심리부검)

- (개입) 고위험군 대상 정신건강의학과(이하 ldquo정신과rdquo) 및 지역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를 강화하고 우울증 약물 처방 및 상담치료 확대

인구 천명당 항우울제 복용률(DDD 1일 사용량 단위) 한국 20 OECD 평균

58로 최하위 수준

ㅇ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dquo마음건강 주치의rdquo(정신과 전문의) 배치 (rsquo17년)

- (조기발견) 지역사회 주민의 정신건강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

센터 내 정신과 전문의 상담을 통해 1차 진단 추진

- (개입) 기본상담 후 개별 맞춤형 필요 서비스 설계 및 연계 지원

정신건강증진센터 사례관리 사회서비스 바우처 제공 약물처방 입원 등

필요시 의료기관 연계 등

ㅇ 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시 정신건강 검진 내실화 (rsquo17년)

- (조기발견) 생애전환기 우울증 검사(40 66세) 문항을 내실화 하고

단계적으로 대상자 확대 등 추진

- (개입) 검진 결과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강화

- 13 -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

ㅇ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분들을 위한 지원 강화 (rsquo16년)

- (취약계층) 복지급여 등 신청시 읍 면 동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강화로 중독관리 자살생각 등에 대한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지원

- (신용회복 지원자) 신용회복 개인회생 파산 신청 판정시 필요한 경우

본인 동의 후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심리지원 (금융위 법원 행정처)

ㅇ 이주민 북한이탈주민 대상 적응교육 및 심리지원 (rsquo16년)

- (이주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외국인력지원센터 등을 통해 이주

노동자 결혼 이민자 이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관리

강화 (여가부 고용부)

- (북한이탈주민) 국립병원-하나원-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정신건강 문제 스크리닝 상담 등 서비스 지원 (통일부)

ㅇ 위험직 공무원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치유 지원 (rsquo16년)

- (직장 내) 직장 내 정신건강 관리 매뉴얼(프로토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보급 등으로 1차적 심리지원 실시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 (직장 외) 전문적 심리지원 필요시 정신건강증진센터 트라우마

센터를 통해 심층평가 상담 프로그램 및 의료기관 연계

소방공무원 32112명 중 약 139가 PTSD 위험군 (rsquo12 소방방재청 설문조사)

ㅇ 기타 정신건강 취약계층에 대한 심리 정서 지원 (rsquo16년)

- 감정노동자 신체장애인 한부모 조손가정 등에게 스트레스 관리

분노조절 등을 위한 교육 상담 및 고위험군 발굴 연계 (고용부 여가부)

- 14 -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ㅇ 지역사회 재난 대응 정신건강관리체계 구축

- (범부처 대응체계 구축) 안전처 복지부 교육부 여가부 등 관계기관

합동 재난 심리지원 대응체계 마련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rsquo16년)

재난 심리지원 협력 네트워크 및 매뉴얼 마련 (역할분담 정보공유 체계 등)

- (응급 정신질환 대응) 응급의료기관 내 응급 정신질환을 위한 별도

공간(격리 입원실 등) 마련 및 병원 내 필요인력 배치 검토 (rsquo17년)

- (지속 대응체계 마련) 5개 국립병원 안산 트라우마센터 정신건강

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장기적 지속적 관리체계 마련 (rsquo16년)

ㅇ 재난 피해자 심리회복을 위한 RampD 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 (rsquo16년)

- (RampD) 주요 재난 유형별 공적 개입이 필요한 재난을 정의하고

재난 별 기본 정신건강관리 중재기법 개발

응급 현장개입 회복기 자살시도 심한 분노나 죄책감 등 특수상황 개입 등

- (전문인력) 국립서울병원 및 안산 트라우마센터를 중심으로 재난

심리지원 전문 인력 양성 및 정신과 의료진 등 관련 풀 관리

lt재난심리지원 인프라 해외사례gt

일본 효고현 재난트라우마 센터 (Hyogo Institute for Traumatic Stress)

- (설립) 고베지진 후 일본의 지진 등 재난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훈련 협진

등 재난 및 범죄분야 지원을 위하여 고베시 효고현에 설치

- (주요기능) PTSD 관련 연구 상담 진료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훈련 협력

관계 유지 관련인력 관리 정보제공 홍보 등

미국 국립 PTSD 센터 (National Center for PTSD)

- (설립) 국립 PTSD 센터 설립 (1989년sim)

- (주요기능) 주로 PTSD 예방과 이해 치료에 관한 교육middot연구 수행

- 15 -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ㅇ 정서발달 평가 및 평가 결과에 따른 서비스 지원 연계 (rsquo17년)

- (정밀 발달검사) 영유아 건강검진시 발달검사 실시 검사결과 발달

장애 의심시 정밀검사비 지원 (대상 및 금액 단계적 확대 검토)

현재 의료급여수급권자 건강보험료 부과금액 하위 30 이하 대상 1인당

최대 40만원 범위 내 지원

- (정서발달 자가평가) 가정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가 활용 가능한

영 유아 사회 정서발달 관련 자가검진 도구 개발 보급 (교육부)

- (서비스 지원)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영유아 발달지원 체계

구축 자가평가 결과 고위험군 대상 심층평가 상담 바우처 연계

ㅇ 아동학대 발생시 위기개입 (rsquo16년)

- (상태평가) 정신건강증진센터-육아종합지원센터-아동보호전문기관

간 연계 체계를 구축하여 학대 및 관련아동 긴급 심리평가 실시

- (위기개입) 심리평가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해당 아동 놀이치료

및 부모 등 보호자 대상 지원교육 제공

ㅇ 부모 교사 대상 심리지원 및 교육 (rsquo16년)

- (심리지원) 부모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 대상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 정신건강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대상 상담 등 심리지원 (교육부)

(부모) 영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정신건강 스크리닝 (교사) 직무 스트레스 검사

- (교육) 부모 대상 양육교육 의무화 교사 대상 문제행동 영유아

보육 교육방법 가이드라인 제공 및 심화교육 (교육부)

- 16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ㅇ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실태조사 (rsquo16년)

-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를 통해 정신질환

발병 시점 주요 질병 유병률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현황 등 조사

그간 실태조사(rsquo06 rsquo11)는 만18세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

ㅇ 학교기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교육부 미래부)

- (정서행동특성검사 내실화) 문항 점검 검사 주기 등 검토 (rsquo16년)

현재 초등학교 1 4학년 중1 고1 대상 실시

- (교내 상담강화) 학교 내 상담교사를 배치하고 시 도 교육청 단위

스쿨닥터를 지정하여 문제행동 학생 대상 학교 내 상담 강화 (rsquo17년)

- (위기개입) 학교 내 자살 사고 학교폭력 등 위기 발생시 심리

지원 교육자료 마련 및 외부기관을 통한 개입 중재 지원 (rsquo16년)

- (지역사회 연계) 전문적 지원 필요시 Wee센터 정신건강증진센터

인터넷중독대응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저소득층 치료비 지원 (rsquo16년)

ㅇ 학교 밖 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여가부) (rsquo17년)

- (스크리닝)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학교 밖 청소년

대상 lsquo정서행동특성검사rsquo 시행

- (지원)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와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로 심층평가 상담 및 치료계획 수립 등 지원

ㅇ 정신건강 관련업무 담당인력 역량 강화 (교육부 여가부)

- (보건 상담교사) 연수시 정신건강 관련 심층교육 실시 및 교사

대상 학생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 보급 (rsquo15년sim)

- (지역센터) Wee센터 및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전문 상담요원 대상

역량강화 교육 및 워크샵 실시 정신과 전문의 슈퍼비전 지원 (rsquo16년)

- 17 -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

ㅇ 대학생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인프라 구축) 대학 상담센터 또는 의무실 내 정신건강 지원 역량

강화 및 지역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체계 구축 (교육부) (rsquo18년)

- (자조모임 지원)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개선 건전음주 문화 조성

등을 위하여 대학 내 동아리 학회 등 지원 (rsquo16년)

ㅇ 산모 산전 후 우울증 관리 강화 (rsquo17년)

- (양육교육) 보건소 건강가정지원센터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부모 대상 자녀 양육교육 강화 (여가부)

- (조기발견) 산부인과 검진 또는 영 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대상

우울 불안 등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 (서비스 제공) 고위험군 선별시 정신의료기관 연계 아이돌봄서비스

일시보육 우선 제공 및 고운맘 카드 사용처 확대 검토 (여가부)

건강보험가입자 대상 임신 1회당 50만원(다태아 70만원)을 지원(rsquo15년 기준)

ㅇ 근로자 직무 스트레스 및 우울증 관리 (rsquo17년)

- 사업장 규모별 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근로자

정신건강증진활동 강화 (고용부)

(50인 미만) lsquo근로자 건강센터rsquo 내 정신건강 관련 사업을 보강하고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연계 강화

(50인 이상 300인 미만) lsquo안전보건관리공단rsquo 및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전문가가 사업장을 방문하여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300인 이상) lsquo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매뉴얼rsquo을 개발 보급하여 사업장

내 자체적인 심리지원 서비스 유도 우수 사업장 인센티브 제공 검토

(기업경영 비용 유발 순위) 우울증-비만-관절염-허리 목 통증 (rsquo10 하버드)

- 18 -

노인 정신건강 지원

ㅇ 노인 정신건강 관련 종합검사 실시 및 심리지원

- (정신건강 문제 발견 강화) 노인대상 서비스 제공자 등 대상 정신

건강 문제 발견 및 연계교육 강화로 정신건강 문제 조기 발견

생활관리사 老老케어 참가자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소진료소장 등

- (정신건강 종합검사)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하여 정신건강 및 생활습관 등 종합검사 제공 (rsquo17년)

(정신건강) 인지기능(치매) 노인성 우울 불안 수면장애 일상생활 기능장애 등

(생활습관) 음주 흡연 영양섭취 습관 신체 사회 활동량 등

- (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하여 지속적 상담 제공 (rsquo16년)

ㅇ 노인 특화 정신건강 프로그램 제공 (rsquo17년)

- (수면 화병 관리 등)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해 적정 수면 화병 관리 및 신체질환자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

- (사회 재적응 훈련) 사별 은퇴 노화 등 부정적 외부환경 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제공

- (사회참여 강화) 저소득층 노인 취업지원 노인 대상 자원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노인의 사회참여 유도

ㅇ 정신건강 관련 정보제공 및 편견해소 교육 홍보 (rsquo16년)

- (정보제공) 장기요양보험 기초노령연금 등과 연계하여 신청

지급시 본인 및 가족에게 정신건강 관련 정보 교육 제공

노인 정신건강 문제는 정상적 노화과정과의 구별 필요 정확한 정보제공이 중요

- (편견해소 교육 홍보) 정신질환 및 치료에 대한 편견이 가장 높은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대학 노인복지관 등을 통해 편견해소 교육 홍보

- 19 -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ㅇ 초발 급성 환자 조기 집중치료를 위한 건강보험수가체계 개선 (rsquo17년)

- (초기치료 강화) 초기 단계의 적극적인 정신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외래 본인부담 경감(30sim60rarr20) 상담 중심의 심층치료 활성화

- (비용부담 완화) 높은 비용부담 때문에 지속적 치료를 방해하는

비급여 정신요법 의약품에 대한 보험 적용 확대

- (위기대응) 자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등에 대한 위기중재

및 집중관리를 위하여 건강보험 보장범위를 대폭 확대

ㅇ 의료급여 체계 개선으로 양질의 치료 서비스 제공 (rsquo17)

- (조기 집중치료) 초기 입원수가(예 입원 후 1sim3개월) 인상률을

높이는 등 제도개선 추진으로 조기 집중치료를 통한 퇴원 유도

- (치료서비스 향상) 정신의료기관의 저가약 사용 유인 등이 감소

하도록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편방안 마련

ㅇ 불필요한 입원을 제한하고 지역사회 복귀 강화 (rsquo17)

- (장기입원 억제) 의료급여 입원환자의 재원 일수에 따라 일당정액

수가 체감제를 강화하여 불필요한 장기입원 억제 검토

- (지역사회 복귀 촉진) 낮병동 수가 조정 퇴원연계 활성화 유도

등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및 치료여건 강화

- 20 -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ㅇ 초발환자 발견 및 지역사회 관리 모형 개발

-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조현병 양극성장애 등 중증 정신질환

조기발견 및 개입 체계 구축

- (시범사업 실시) 청소년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초발 정신증 발견

및 조기중재 모형 개발 및 시범사업 실시

정신질환의 약 50가 10대 중후반에 시작되고 75 정도의 질환이 20세

중반까지 발병 (Kessler 등)

ㅇ 급성기 환자 응급 및 단기입원 제도 활성화

- (응급병상 운영) 국립병원 내 24시간 lsquo응급병상rsquo 운영으로 급성

정신병 증상 발작(acting-out) 등 발생시 응급입원 집중 관리

지역사회 응급개입은 연간 약 6만9천건에 달하나 응급병상 운영 병원

부족으로 응급입원은 연간 26건에 불과 (lsquo14년)

- (모델 개발) 의료기관과 사회복귀시설 중간단계 모형을 구축하여

급성기 단기입원 후 일상생활 복귀 지원

ㅇ 정신질환 치료기술 연구(RampD) 강화

- (국립서울병원 기능개편) 국립서울병원의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임상병동을 운영하여 치료기술 개발 효과성 검증 등 수행

- (RampD 효과성 제고) 진료효과 향상을 위한 조기진단 치료 고도화

표준화 기술개발 등 지원

- 21 -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ㅇ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지원강화 (rsquo16년)

- (사례관리 강화)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squo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

관리팀rsquo을 내실화하고 외래치료 투약여부 등 관리 지원

- (지역 인프라 간 기능 재정립)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 간

기능 재정립으로 서비스 중복 사각지대 발생 해소

- (복지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읍 면 동사무소 연계로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관리시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제공

ㅇ 외래치료명령제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활성화로 퇴원 유도 (rsquo17년)

- (외래치료 명령제 강화) 퇴원환자 외 지역사회 관리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도 외래치료 명령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제도 활성화

현재는 정신의료기관 퇴원시 퇴원환자에 대해서만 외래치료 명령 가능

-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통한 처방

활성화로 입원 위주의 치료에서 지역사회 관리로 전환

일정기간(2주 4주 등) 약효가 지속되어 반복적 재입원 재발율을 낮추는데 도움

ㅇ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유도 및 지원

- (비용 효과 분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관리 유인구조 마련을 위하여

의료기관 입원과 지역사회 관리시 소요되는 비용 효과 분석 (rsquo16년)

- (사회적 협동조합) 정신질환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를 위하여 회복

재활을 지원하도록 당사자의 lsquo사회적 협동조합rsquo 설립 장려 (rsquo16년)

- (취업지원 강화) 정신질환자 취업지원을 강화하고 장애인 판정 기준

재검토 등을 통해 취업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개선 (고용부) (rsquo17년)

- 22 -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ㅇ 사회복귀시설 단계적 확충

- (인센티브) 지자체 평가 국비사업 지자체 공모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여부 고려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하여 확충 유도 (rsquo17년)

현재 사회복귀시설 중 52(165개소)는 서울 경기 인천에 설치

- (직접운영) 국립병원에서 직접 사회복귀시설을 설치하여 입원치료

부터 퇴원 후 사회복귀까지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ㅇ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귀시설 설치 운영 (rsquo17년)

- (다양한 유형 설치) 단기보호 장기생활 공동생활 독립 훈련형

등 이용자 특성(질환 유형 중증도 등)에 맞는 거주시설 설치 운영

- (아동 청소년 특화시설 마련) 성인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관리 학업지원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설치 운영

현재 아동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은 전국 11개소에 불과

ㅇ 사회복귀시설의 질적 수준 제고 (rsquo16년)

- (슈퍼비전 지원) 국립병원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주간

재활시설 프로그램 인력 역량강화 교육 슈퍼비전 등 지원

- (평가 내실화) 사회복귀시설 평가지표 개선 평가주기 단축으로

평가 내실화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도 제고

ㅇ 직업 재활 활성화를 위한 근로환경 개선 및 모형 개발

- (근로환경 개선) 근로시간 임금수준 등 적정 근로여건에 대한 가이드

라인 마련 및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근로환경 개선 (rsquo16년)

- (모형 개발) 수익창출이 가능한 농촌 및 도시형 직업재활 모형을

개발하여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추진 (rsquo17년)

- 23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낮병동 확대 및 병상수 축소

- (낮병동 확대) 제도개선으로 낮병동 확충 유도 및 지역사회 정신

건강서비스 연계 강화로 입원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 (rsquo17년)

병원에서 6시간 이상 진료를 받고 당일 귀가하도록 하는 제도

타 진료과목의 낮병동과 정신의료기관 낮병동을 분리 정신의료기관의

낮병동 수가 인상 및 6시간 이용시간 제한규정 완화 등 검토

- (병상수 축소) 병상 규모를 정신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연동시켜

서비스 질이 낮은 기관을 중심으로 병상규모 단계적 축소 (rsquo18년)

ㅇ 정신요양시설 정체성 확립 및 단계적 기능전환

- (이용 대상자 명확화) lsquo의학적 치료rsquo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들로

입소대상을 한정하고 아동 청소년은 정신요양시설 이용을 제한

하여 지역사회 치료 복귀시설로 유도 (rsquo16년)

- (기능 표준화) 정신요양시설 운영 및 역할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등으로 서비스 수준 제고 (rsquo17년)

- (기능전환) 중 장기적으로 연구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신요양시설을

사회복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기능 전환 유도 (rsquo18년)

ㅇ 신체 복합 질환자 치료병원 확충

- (가이드라인 마련) 신체적 질병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등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및 교육 (rsquo17년)

- (지정병원) 정신 및 신체 복합 질환자에 대한 치료 입원 수술이

가능한 병원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홍보 지원 (rsquo18년)

의료질 평가지원금 평가지표에 정신 신체 복합 질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비율 등 포함 검토

- (정신의료기관 내 신체질환 치료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타 진료과목

전문의 배치를 확대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 연계체계 구축 (rsquo18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4: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2 -

2 우리나라 정신건강의 현 주소

국민 정신건강

ㅇ 정신건강에 대한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대

- 낮은 행복지수 높은 스트레스 약한 사회적 지지망 등으로 정신

건강 문제가 발생하고 이로 인한 사회적 문제도 증가

OECD 삶의 만족도 지수는 58점(OECD 평균 66)으로 34개국 중 27위 (rsquo15년)

- 전체 국민 4명 중 1명(25)은 전 생애에 걸쳐 한 번 이상 우울

불안 등 정신건강의 문제 경험

알코올 사용장애 134 불안장애 87 기분장애 75 신체형장애 15

정신병적 장애 06 섭식장애 02 (rsquo11년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

ㅇ 일반 국민의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률은 낮음

- 정신건강문제 발생시 약 15만이 정신건강 서비스를 이용하며

최초 치료가 이루어지기까지 161년(84주) 소요

미국 392 호주 349 뉴질랜드 389 (rsquo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DUP(Duration of Untreated Psychosis) 미국 52주 영국 30주

-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인지율이 낮으며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으로 서비스 이용에 소극적

일반국민 중 68가 지역 정신건강서비스 미인지 (rsquo15년 정신건강 태도조사)

ㅇ 정신건강 문제로 인한 막대한 사회적 비용 소요

- 정신질환으로 인한 사회middot경제적 비용은 연간 83조원(rsquo12년 건강보험

정책연구원)으로 추정되며 매년 증가 추세

(rsquo08) 59조원rarr (rsquo09) 62조원rarr (rsquo10) 7조원rarr (rsquo11) 76조원rarr (rsquo12) 83조원

- 사회적 비용은 연령이 낮을수록 질환이 만성화 될수록 높아져

향후 GDP의 4 상회 예상 (rsquo14년 OECD)

- 3 -

중증 정신질환자 관리

ㅇ 초발 급성 정신질환자의 조기 집중 치료 부족

- (입원일수) 우리나라 정신의료기관의 평균 입원일수는 197일로

OECD 국가에 비하여 장기입원 경향

이탈리아 134일 스페인 18일 독일 269일 프랑스 357일 (rsquo09년 국가인권위원회)

- (수가) lsquo08년 이후 의료급여 정신수가 동결로 저가약 사용 등 의료질

저하 우려 및 현 수가체계에서는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인 부족

(1일 평균 진료수가) 건강보험 70658원 의료급여 42600원

(의료급여 수가체계) 입원기간 181sim360일의 경우 입원수가의 95 361일

이상은 90 지급으로 입원기간에 따른 수가체감률이 낮음

ㅇ 주로 정신의료기관 등에 입원하고 있으며 경제활동 수준 낮음

- 국내 중증 정신질환자는 약 50만명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 중

28만명이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반복

인구의 약 1를 중증 정신질환자로 추정 (National Foundation for Brain Research)

- 정신의료기관 병상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중증 정신

질환자 중 최대 96만명만이 지역사회에서 관리(rsquo14년)

(인구 1000명당 병상 수) 한국 091 OECD 평균 059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89천명 사회복귀시설 7천명 이용

- 정신장애인 경제활동 참가율은 14로 전체 장애인 경제활동

참가율(39)의 절반 이하이며 정신장애인 중 약 545가 기초

생활보장 수급 대상자 (rsquo14년 장애인 실태조사)

- 4 -

중독관리

ㅇ 100명 중 6명이 4대 중독자로 추정되며 막대한 비용 소요

- (중독자)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는 약 294만명으로 추정

(4대 중독자) 알코올 159만명 인터넷middot게임 68만명 도박 57만명 마약 10만명

(rsquo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등)

- (비용) 중독은 근로자의 생산성 저하 취업기회 상실 등으로 경제적

비용을 유발하고 국가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중독별 사회경제적 비용) 알코올중독 234조원 마약중독 25조원 도박중독

782조원 인터넷중독 54조원 (rsquo09년 음주의 사회경제적 비용)

ㅇ 부처별 관리로 사각지대 발생

- 부처별로 중독물질 관련 산업 양성 중독예방 관리 업무를 추진

하고 있으나 부처 간 컨트롤타워 부재로 협력구조 미흡

중독 분야별 관리체계

분야 산업 관리 예방middot교육middot홍보 치료middot재활

알코올 기재부 국세청 복지부 여가부 복지부

인터넷 문체부 미래부 미래부 문체부 등 미래부 교육부 여가부 복지부

도 박 문체부 농림부 기재부 총리실(사감위) 총리실(사감위) 복지부

마 약 식약처 대검찰청 등 교육부 복지부 식약처 복지부

ㅇ 중독에 대한 관대한 문화로 개인의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유발

- (개인) 우울 불안 자살 등 공존질환 유병률이 높고 말초신경증

뇌손상 대사질환 내분비질환 등 각종 신체적 질환을 동반

- (사회) 폭행 강도 강간 살인 등 강력범죄의 약 30 이상이 음주

상태에서 발생 도박중독과 관련된 불법행위 급증

- 5 -

자살예방

ㅇ rsquo03년 이후 12년간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

- (자살률) 우리나라 자살률은 OECD 평균의 2배 이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며 연평균 약 14만명이 자살로 사망

(성별) 10만명당 자살률은 남성 384명 여성 161명으로 남성이 24배 높음 (rsquo14년)

(연령) 65세 이상 노인자살률은 10만명당 555명으로 전체 자살률의 2배 이상 (rsquo14년)

- (자살수단) 목맴으로 인한 자살이 가장 많고 최근 농약으로 인한

자살 감소 가스중독에 의한 자살은 증가

전체 자살자 13836명 중 목맴 (517) 가스중독(154) 추락(141) 농약

(77) 순 (rsquo14년)

- (사회적 비용) 자살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약 65조원이며 이 중

20sim40대의 손실 비용이 80(52조원) 차지(rsquo14년 건강보험공단)

(사망원인별 사회경제적 비용) 암 140조원 뇌혈관질환 52조원 심장질환 40조원

lt연령별 자살률 추이 (rsquo95simrsquo14년 명10만명)gt

ㅇ 정신건강 및 음주 문제가 자살의 가장 큰 원인 (rsquo15년 심리부검 결과)

- 자살자의 884가 우울증 등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었으나 이 중

꾸준히 약물치료를 받은 비율은 15에 불과

- 자살자의 약 397가 사망 당시 음주상태였으며 256가 과다

음주로 인한 대인관계 갈등 직업적 곤란 법적 문제 등을 가짐

- 6 -

Ⅱ 방향 및 전략

1 핵심 가치

2 정신건강 패러다임의 전환

지금까지(AS-IS) 앞으로(TO-BE)

정신건강증진

bull 중증 정신질환자 관리 중심

bull 정신건강증진 사업의 구체성 부족

bull 국민 정신건강 증진 서비스 제공

bull 생애주기별 조기발견개입 지원

중증정신질환관리

bull 초발급성 환자의 만성화

bull 의료기관 입원 위주의 관리

bull 초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bull 지역사회 통합으로 삶의 질 향상

중독관리

bull 중독에 관대한 문화

bull 부처별 분절적 중독예방관리

bull 중독의 적극적 예방

bull 범부처 중독예방관리

자살예방

bull 보건의료중심 자살예방 정책

bull 위험군 대상 제한적 자살예방

bull 보건복지사회문화 등 통합적 자살예방

- 7 -

3 정책 목표 및 전략

비전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

정책

목표

Ⅰ 국민 정신건강 증진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폐해 최소화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정책목표 전 략

국민

정신건강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서비스 이용 제고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중증정신

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2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3 중독자 치료 회복 지원 강화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 8 -

정책목표 전략 (12) 정책과제 (32)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정신

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정신질환자 인권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Ⅲ 중독

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체계 강화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1-3 자살 위험환경 개선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Ⅲ 추진과제

- 9 -

Ⅰ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ㅇ 정신건강 자가관리(self care)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 (rsquo17년)

- (자가관리 지원) 인터넷 스마트폰으로 정신건강 문제 자가진단

이용자 특성에 맞는 근거기반 프로그램 및 정신건강 관련 정보 제공

인지행동치료(CBT) 수면 위생관리 명상 이완요법 등

- (고위험군 연계) 자가 스크리닝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이용자

지역의 정신건강증진센터 의료기관으로 연계 지원

전국 224개소(광역 15 기초 209) 설치 운영 중 평균 9명(광역 18 기초 8) 근무

ㅇ 찾아가는 정신건강 서비스 제공 (rsquo17년)

- (심리지원 이동버스) 5개 국립병원 등을 중심으로 lsquo심리지원 이동

버스rsquo 운영 학교 사업장 방문으로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재난 발생시 현장에 심리지원 이동버스를 파견하여 상담 등 재난심리지원

- (방문보건 복지사업 연계) 가정방문시 우울증 등 스크리닝 및

상담지원 병행 고위험군 전문기관 연계

ㅇ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확대

- (인프라) 시 도 및 시 군 구에 단계적으로 정신건강증진센터 설치

및 필요시 인구를 고려하여 추가 인프라 확충 추진 (rsquo16년)

- (전문인력) 정신건강 증진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하여 정신건강증진

센터 내 정신건강 증진 전담 인력 배치 단계적 확대 (rsquo17년)

- 10 -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ㅇ 정신건강 인식개선 캠페인 공익광고 및 정신건강의 날 지정 (rsquo16년)

- (캠페인) 정신질환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부정적 인식해소를 위한

중 장기 캠페인 계획 수립 시행 및 효과성 분석

- (공익광고) 우울 자살사고(思考) 중독 등을 주제로 한 공익광고

시리즈 제작 TV 라디오 등 매스미디어 SNS 등 홍보

- (정신건강의 날 지정) 법적으로 정신건강의 날(1010) 및 주간을

지정하여 정신건강에 대한 주의 환기 각종 교육 행사 지원

ㅇ 학교 사업장 및 지역사회 기반 정신건강 교육 강화

- (학교) 초 중 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에 lsquo정신건강rsquo 내용 반영 학생

정신건강 관련 교사 직무연수 실시 (rsquo16년)

- (사업장) 사업장 기반 정신건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고

중 장기적으로 정신건강 교육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검토 (rsquo16년)

- (지역사회) 보건소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주민을 대상

다양한 정신건강 강좌 진행 (rsquo16년)

ㅇ 정신건강 관련 민간단체 양성으로 민 관 협력체계 구축

- (단체양성) 정신질환 당사자 가족 종교계 인권단체 등 영향력 있는

민간단체를 양성하여 정신질환에 대한 우호적 환경 조성 (rsquo16년)

- (민 관 협력체계 구축) 민간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기반 정신

건강 인식개선 사업 등 추진 (rsquo17년)

(뉴질랜드 사례) 정신질환자 당사자로 구성된 lsquo소비자자문위원회rsquo가 지역 정신

보건센터에 근무하며 서비스 기획 제공 평가 단계에서 소비자 시각과 이해 반영

(A Guide to Effective Consumer Participation in Mental Health Service)

- 11 -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

ㅇ 관련 법령 제도 정비를 통해 불합리한 차별 개선

- (관계부처합동 TF 구성) 복지부 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등이 포함된 lsquo(가칭)정신질환 차별개선 TFrsquo 구성 (rsquo16년)

-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을

제공하는 법령 제도 행태 등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rsquo17년)

정신과 진료기록이 있으면 보험 가입이 불가능하다 (rsquo1591 아시아경제)

ㅇ 정신질환 차별여부 모니터링 및 처벌규정 마련 (rsquo17년)

- (모니터링) 정신질환 이력자 당사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모니터링단rsquo을 구성하여 언론 온라인 등 실시간 모니터링

- (처벌규정 마련) 관련 법령 제 개정으로 정신질환자 및 정신질환

이력자 등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시 처벌할 수 있는 규정 마련

ㅇ 바람직한 언론보도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 (가이드라인 마련) 정신질환 관련 정확한 용어 사용 바람직한 보도

방안 등의 내용이 포함된 lsquo보도 가이드라인rsquo 마련 배포 (rsquo16년)

(예) 범죄자의 범행 동기보다 정신질환 여부를 강조하여 모든 정신질환자가

위험하며 정신질환자가 lsquo묻지마 범죄rsquo를 저지른다는 식의 보도 자제

- (언론인 대상 설명회) 기자 등 언론인 대상 정신질환에 대한

이해도 제고 부정적 인식 개선 등을 위한 정기적인 설명회

포럼 등 마련 (rsquo17년)

- 12 -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ㅇ 동네 의원 역량강화를 통한 조기발견 개입 지원 (rsquo17년)

- (조기발견) 의료인 교육 및 가이드라인 마련 등으로 동네 의원

방문시 우울 불안 등 주요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자살자의 281가 자살 전 복통 등 신체적 불편감이나 수면곤란 등으로 1차

의료기관 방문 (rsquo15년 심리부검)

- (개입) 고위험군 대상 정신건강의학과(이하 ldquo정신과rdquo) 및 지역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를 강화하고 우울증 약물 처방 및 상담치료 확대

인구 천명당 항우울제 복용률(DDD 1일 사용량 단위) 한국 20 OECD 평균

58로 최하위 수준

ㅇ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dquo마음건강 주치의rdquo(정신과 전문의) 배치 (rsquo17년)

- (조기발견) 지역사회 주민의 정신건강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

센터 내 정신과 전문의 상담을 통해 1차 진단 추진

- (개입) 기본상담 후 개별 맞춤형 필요 서비스 설계 및 연계 지원

정신건강증진센터 사례관리 사회서비스 바우처 제공 약물처방 입원 등

필요시 의료기관 연계 등

ㅇ 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시 정신건강 검진 내실화 (rsquo17년)

- (조기발견) 생애전환기 우울증 검사(40 66세) 문항을 내실화 하고

단계적으로 대상자 확대 등 추진

- (개입) 검진 결과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강화

- 13 -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

ㅇ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분들을 위한 지원 강화 (rsquo16년)

- (취약계층) 복지급여 등 신청시 읍 면 동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강화로 중독관리 자살생각 등에 대한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지원

- (신용회복 지원자) 신용회복 개인회생 파산 신청 판정시 필요한 경우

본인 동의 후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심리지원 (금융위 법원 행정처)

ㅇ 이주민 북한이탈주민 대상 적응교육 및 심리지원 (rsquo16년)

- (이주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외국인력지원센터 등을 통해 이주

노동자 결혼 이민자 이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관리

강화 (여가부 고용부)

- (북한이탈주민) 국립병원-하나원-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정신건강 문제 스크리닝 상담 등 서비스 지원 (통일부)

ㅇ 위험직 공무원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치유 지원 (rsquo16년)

- (직장 내) 직장 내 정신건강 관리 매뉴얼(프로토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보급 등으로 1차적 심리지원 실시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 (직장 외) 전문적 심리지원 필요시 정신건강증진센터 트라우마

센터를 통해 심층평가 상담 프로그램 및 의료기관 연계

소방공무원 32112명 중 약 139가 PTSD 위험군 (rsquo12 소방방재청 설문조사)

ㅇ 기타 정신건강 취약계층에 대한 심리 정서 지원 (rsquo16년)

- 감정노동자 신체장애인 한부모 조손가정 등에게 스트레스 관리

분노조절 등을 위한 교육 상담 및 고위험군 발굴 연계 (고용부 여가부)

- 14 -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ㅇ 지역사회 재난 대응 정신건강관리체계 구축

- (범부처 대응체계 구축) 안전처 복지부 교육부 여가부 등 관계기관

합동 재난 심리지원 대응체계 마련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rsquo16년)

재난 심리지원 협력 네트워크 및 매뉴얼 마련 (역할분담 정보공유 체계 등)

- (응급 정신질환 대응) 응급의료기관 내 응급 정신질환을 위한 별도

공간(격리 입원실 등) 마련 및 병원 내 필요인력 배치 검토 (rsquo17년)

- (지속 대응체계 마련) 5개 국립병원 안산 트라우마센터 정신건강

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장기적 지속적 관리체계 마련 (rsquo16년)

ㅇ 재난 피해자 심리회복을 위한 RampD 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 (rsquo16년)

- (RampD) 주요 재난 유형별 공적 개입이 필요한 재난을 정의하고

재난 별 기본 정신건강관리 중재기법 개발

응급 현장개입 회복기 자살시도 심한 분노나 죄책감 등 특수상황 개입 등

- (전문인력) 국립서울병원 및 안산 트라우마센터를 중심으로 재난

심리지원 전문 인력 양성 및 정신과 의료진 등 관련 풀 관리

lt재난심리지원 인프라 해외사례gt

일본 효고현 재난트라우마 센터 (Hyogo Institute for Traumatic Stress)

- (설립) 고베지진 후 일본의 지진 등 재난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훈련 협진

등 재난 및 범죄분야 지원을 위하여 고베시 효고현에 설치

- (주요기능) PTSD 관련 연구 상담 진료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훈련 협력

관계 유지 관련인력 관리 정보제공 홍보 등

미국 국립 PTSD 센터 (National Center for PTSD)

- (설립) 국립 PTSD 센터 설립 (1989년sim)

- (주요기능) 주로 PTSD 예방과 이해 치료에 관한 교육middot연구 수행

- 15 -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ㅇ 정서발달 평가 및 평가 결과에 따른 서비스 지원 연계 (rsquo17년)

- (정밀 발달검사) 영유아 건강검진시 발달검사 실시 검사결과 발달

장애 의심시 정밀검사비 지원 (대상 및 금액 단계적 확대 검토)

현재 의료급여수급권자 건강보험료 부과금액 하위 30 이하 대상 1인당

최대 40만원 범위 내 지원

- (정서발달 자가평가) 가정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가 활용 가능한

영 유아 사회 정서발달 관련 자가검진 도구 개발 보급 (교육부)

- (서비스 지원)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영유아 발달지원 체계

구축 자가평가 결과 고위험군 대상 심층평가 상담 바우처 연계

ㅇ 아동학대 발생시 위기개입 (rsquo16년)

- (상태평가) 정신건강증진센터-육아종합지원센터-아동보호전문기관

간 연계 체계를 구축하여 학대 및 관련아동 긴급 심리평가 실시

- (위기개입) 심리평가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해당 아동 놀이치료

및 부모 등 보호자 대상 지원교육 제공

ㅇ 부모 교사 대상 심리지원 및 교육 (rsquo16년)

- (심리지원) 부모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 대상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 정신건강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대상 상담 등 심리지원 (교육부)

(부모) 영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정신건강 스크리닝 (교사) 직무 스트레스 검사

- (교육) 부모 대상 양육교육 의무화 교사 대상 문제행동 영유아

보육 교육방법 가이드라인 제공 및 심화교육 (교육부)

- 16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ㅇ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실태조사 (rsquo16년)

-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를 통해 정신질환

발병 시점 주요 질병 유병률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현황 등 조사

그간 실태조사(rsquo06 rsquo11)는 만18세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

ㅇ 학교기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교육부 미래부)

- (정서행동특성검사 내실화) 문항 점검 검사 주기 등 검토 (rsquo16년)

현재 초등학교 1 4학년 중1 고1 대상 실시

- (교내 상담강화) 학교 내 상담교사를 배치하고 시 도 교육청 단위

스쿨닥터를 지정하여 문제행동 학생 대상 학교 내 상담 강화 (rsquo17년)

- (위기개입) 학교 내 자살 사고 학교폭력 등 위기 발생시 심리

지원 교육자료 마련 및 외부기관을 통한 개입 중재 지원 (rsquo16년)

- (지역사회 연계) 전문적 지원 필요시 Wee센터 정신건강증진센터

인터넷중독대응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저소득층 치료비 지원 (rsquo16년)

ㅇ 학교 밖 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여가부) (rsquo17년)

- (스크리닝)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학교 밖 청소년

대상 lsquo정서행동특성검사rsquo 시행

- (지원)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와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로 심층평가 상담 및 치료계획 수립 등 지원

ㅇ 정신건강 관련업무 담당인력 역량 강화 (교육부 여가부)

- (보건 상담교사) 연수시 정신건강 관련 심층교육 실시 및 교사

대상 학생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 보급 (rsquo15년sim)

- (지역센터) Wee센터 및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전문 상담요원 대상

역량강화 교육 및 워크샵 실시 정신과 전문의 슈퍼비전 지원 (rsquo16년)

- 17 -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

ㅇ 대학생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인프라 구축) 대학 상담센터 또는 의무실 내 정신건강 지원 역량

강화 및 지역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체계 구축 (교육부) (rsquo18년)

- (자조모임 지원)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개선 건전음주 문화 조성

등을 위하여 대학 내 동아리 학회 등 지원 (rsquo16년)

ㅇ 산모 산전 후 우울증 관리 강화 (rsquo17년)

- (양육교육) 보건소 건강가정지원센터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부모 대상 자녀 양육교육 강화 (여가부)

- (조기발견) 산부인과 검진 또는 영 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대상

우울 불안 등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 (서비스 제공) 고위험군 선별시 정신의료기관 연계 아이돌봄서비스

일시보육 우선 제공 및 고운맘 카드 사용처 확대 검토 (여가부)

건강보험가입자 대상 임신 1회당 50만원(다태아 70만원)을 지원(rsquo15년 기준)

ㅇ 근로자 직무 스트레스 및 우울증 관리 (rsquo17년)

- 사업장 규모별 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근로자

정신건강증진활동 강화 (고용부)

(50인 미만) lsquo근로자 건강센터rsquo 내 정신건강 관련 사업을 보강하고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연계 강화

(50인 이상 300인 미만) lsquo안전보건관리공단rsquo 및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전문가가 사업장을 방문하여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300인 이상) lsquo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매뉴얼rsquo을 개발 보급하여 사업장

내 자체적인 심리지원 서비스 유도 우수 사업장 인센티브 제공 검토

(기업경영 비용 유발 순위) 우울증-비만-관절염-허리 목 통증 (rsquo10 하버드)

- 18 -

노인 정신건강 지원

ㅇ 노인 정신건강 관련 종합검사 실시 및 심리지원

- (정신건강 문제 발견 강화) 노인대상 서비스 제공자 등 대상 정신

건강 문제 발견 및 연계교육 강화로 정신건강 문제 조기 발견

생활관리사 老老케어 참가자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소진료소장 등

- (정신건강 종합검사)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하여 정신건강 및 생활습관 등 종합검사 제공 (rsquo17년)

(정신건강) 인지기능(치매) 노인성 우울 불안 수면장애 일상생활 기능장애 등

(생활습관) 음주 흡연 영양섭취 습관 신체 사회 활동량 등

- (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하여 지속적 상담 제공 (rsquo16년)

ㅇ 노인 특화 정신건강 프로그램 제공 (rsquo17년)

- (수면 화병 관리 등)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해 적정 수면 화병 관리 및 신체질환자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

- (사회 재적응 훈련) 사별 은퇴 노화 등 부정적 외부환경 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제공

- (사회참여 강화) 저소득층 노인 취업지원 노인 대상 자원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노인의 사회참여 유도

ㅇ 정신건강 관련 정보제공 및 편견해소 교육 홍보 (rsquo16년)

- (정보제공) 장기요양보험 기초노령연금 등과 연계하여 신청

지급시 본인 및 가족에게 정신건강 관련 정보 교육 제공

노인 정신건강 문제는 정상적 노화과정과의 구별 필요 정확한 정보제공이 중요

- (편견해소 교육 홍보) 정신질환 및 치료에 대한 편견이 가장 높은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대학 노인복지관 등을 통해 편견해소 교육 홍보

- 19 -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ㅇ 초발 급성 환자 조기 집중치료를 위한 건강보험수가체계 개선 (rsquo17년)

- (초기치료 강화) 초기 단계의 적극적인 정신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외래 본인부담 경감(30sim60rarr20) 상담 중심의 심층치료 활성화

- (비용부담 완화) 높은 비용부담 때문에 지속적 치료를 방해하는

비급여 정신요법 의약품에 대한 보험 적용 확대

- (위기대응) 자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등에 대한 위기중재

및 집중관리를 위하여 건강보험 보장범위를 대폭 확대

ㅇ 의료급여 체계 개선으로 양질의 치료 서비스 제공 (rsquo17)

- (조기 집중치료) 초기 입원수가(예 입원 후 1sim3개월) 인상률을

높이는 등 제도개선 추진으로 조기 집중치료를 통한 퇴원 유도

- (치료서비스 향상) 정신의료기관의 저가약 사용 유인 등이 감소

하도록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편방안 마련

ㅇ 불필요한 입원을 제한하고 지역사회 복귀 강화 (rsquo17)

- (장기입원 억제) 의료급여 입원환자의 재원 일수에 따라 일당정액

수가 체감제를 강화하여 불필요한 장기입원 억제 검토

- (지역사회 복귀 촉진) 낮병동 수가 조정 퇴원연계 활성화 유도

등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및 치료여건 강화

- 20 -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ㅇ 초발환자 발견 및 지역사회 관리 모형 개발

-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조현병 양극성장애 등 중증 정신질환

조기발견 및 개입 체계 구축

- (시범사업 실시) 청소년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초발 정신증 발견

및 조기중재 모형 개발 및 시범사업 실시

정신질환의 약 50가 10대 중후반에 시작되고 75 정도의 질환이 20세

중반까지 발병 (Kessler 등)

ㅇ 급성기 환자 응급 및 단기입원 제도 활성화

- (응급병상 운영) 국립병원 내 24시간 lsquo응급병상rsquo 운영으로 급성

정신병 증상 발작(acting-out) 등 발생시 응급입원 집중 관리

지역사회 응급개입은 연간 약 6만9천건에 달하나 응급병상 운영 병원

부족으로 응급입원은 연간 26건에 불과 (lsquo14년)

- (모델 개발) 의료기관과 사회복귀시설 중간단계 모형을 구축하여

급성기 단기입원 후 일상생활 복귀 지원

ㅇ 정신질환 치료기술 연구(RampD) 강화

- (국립서울병원 기능개편) 국립서울병원의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임상병동을 운영하여 치료기술 개발 효과성 검증 등 수행

- (RampD 효과성 제고) 진료효과 향상을 위한 조기진단 치료 고도화

표준화 기술개발 등 지원

- 21 -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ㅇ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지원강화 (rsquo16년)

- (사례관리 강화)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squo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

관리팀rsquo을 내실화하고 외래치료 투약여부 등 관리 지원

- (지역 인프라 간 기능 재정립)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 간

기능 재정립으로 서비스 중복 사각지대 발생 해소

- (복지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읍 면 동사무소 연계로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관리시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제공

ㅇ 외래치료명령제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활성화로 퇴원 유도 (rsquo17년)

- (외래치료 명령제 강화) 퇴원환자 외 지역사회 관리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도 외래치료 명령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제도 활성화

현재는 정신의료기관 퇴원시 퇴원환자에 대해서만 외래치료 명령 가능

-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통한 처방

활성화로 입원 위주의 치료에서 지역사회 관리로 전환

일정기간(2주 4주 등) 약효가 지속되어 반복적 재입원 재발율을 낮추는데 도움

ㅇ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유도 및 지원

- (비용 효과 분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관리 유인구조 마련을 위하여

의료기관 입원과 지역사회 관리시 소요되는 비용 효과 분석 (rsquo16년)

- (사회적 협동조합) 정신질환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를 위하여 회복

재활을 지원하도록 당사자의 lsquo사회적 협동조합rsquo 설립 장려 (rsquo16년)

- (취업지원 강화) 정신질환자 취업지원을 강화하고 장애인 판정 기준

재검토 등을 통해 취업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개선 (고용부) (rsquo17년)

- 22 -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ㅇ 사회복귀시설 단계적 확충

- (인센티브) 지자체 평가 국비사업 지자체 공모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여부 고려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하여 확충 유도 (rsquo17년)

현재 사회복귀시설 중 52(165개소)는 서울 경기 인천에 설치

- (직접운영) 국립병원에서 직접 사회복귀시설을 설치하여 입원치료

부터 퇴원 후 사회복귀까지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ㅇ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귀시설 설치 운영 (rsquo17년)

- (다양한 유형 설치) 단기보호 장기생활 공동생활 독립 훈련형

등 이용자 특성(질환 유형 중증도 등)에 맞는 거주시설 설치 운영

- (아동 청소년 특화시설 마련) 성인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관리 학업지원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설치 운영

현재 아동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은 전국 11개소에 불과

ㅇ 사회복귀시설의 질적 수준 제고 (rsquo16년)

- (슈퍼비전 지원) 국립병원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주간

재활시설 프로그램 인력 역량강화 교육 슈퍼비전 등 지원

- (평가 내실화) 사회복귀시설 평가지표 개선 평가주기 단축으로

평가 내실화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도 제고

ㅇ 직업 재활 활성화를 위한 근로환경 개선 및 모형 개발

- (근로환경 개선) 근로시간 임금수준 등 적정 근로여건에 대한 가이드

라인 마련 및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근로환경 개선 (rsquo16년)

- (모형 개발) 수익창출이 가능한 농촌 및 도시형 직업재활 모형을

개발하여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추진 (rsquo17년)

- 23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낮병동 확대 및 병상수 축소

- (낮병동 확대) 제도개선으로 낮병동 확충 유도 및 지역사회 정신

건강서비스 연계 강화로 입원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 (rsquo17년)

병원에서 6시간 이상 진료를 받고 당일 귀가하도록 하는 제도

타 진료과목의 낮병동과 정신의료기관 낮병동을 분리 정신의료기관의

낮병동 수가 인상 및 6시간 이용시간 제한규정 완화 등 검토

- (병상수 축소) 병상 규모를 정신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연동시켜

서비스 질이 낮은 기관을 중심으로 병상규모 단계적 축소 (rsquo18년)

ㅇ 정신요양시설 정체성 확립 및 단계적 기능전환

- (이용 대상자 명확화) lsquo의학적 치료rsquo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들로

입소대상을 한정하고 아동 청소년은 정신요양시설 이용을 제한

하여 지역사회 치료 복귀시설로 유도 (rsquo16년)

- (기능 표준화) 정신요양시설 운영 및 역할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등으로 서비스 수준 제고 (rsquo17년)

- (기능전환) 중 장기적으로 연구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신요양시설을

사회복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기능 전환 유도 (rsquo18년)

ㅇ 신체 복합 질환자 치료병원 확충

- (가이드라인 마련) 신체적 질병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등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및 교육 (rsquo17년)

- (지정병원) 정신 및 신체 복합 질환자에 대한 치료 입원 수술이

가능한 병원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홍보 지원 (rsquo18년)

의료질 평가지원금 평가지표에 정신 신체 복합 질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비율 등 포함 검토

- (정신의료기관 내 신체질환 치료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타 진료과목

전문의 배치를 확대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 연계체계 구축 (rsquo18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5: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3 -

중증 정신질환자 관리

ㅇ 초발 급성 정신질환자의 조기 집중 치료 부족

- (입원일수) 우리나라 정신의료기관의 평균 입원일수는 197일로

OECD 국가에 비하여 장기입원 경향

이탈리아 134일 스페인 18일 독일 269일 프랑스 357일 (rsquo09년 국가인권위원회)

- (수가) lsquo08년 이후 의료급여 정신수가 동결로 저가약 사용 등 의료질

저하 우려 및 현 수가체계에서는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인 부족

(1일 평균 진료수가) 건강보험 70658원 의료급여 42600원

(의료급여 수가체계) 입원기간 181sim360일의 경우 입원수가의 95 361일

이상은 90 지급으로 입원기간에 따른 수가체감률이 낮음

ㅇ 주로 정신의료기관 등에 입원하고 있으며 경제활동 수준 낮음

- 국내 중증 정신질환자는 약 50만명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 중

28만명이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반복

인구의 약 1를 중증 정신질환자로 추정 (National Foundation for Brain Research)

- 정신의료기관 병상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중증 정신

질환자 중 최대 96만명만이 지역사회에서 관리(rsquo14년)

(인구 1000명당 병상 수) 한국 091 OECD 평균 059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89천명 사회복귀시설 7천명 이용

- 정신장애인 경제활동 참가율은 14로 전체 장애인 경제활동

참가율(39)의 절반 이하이며 정신장애인 중 약 545가 기초

생활보장 수급 대상자 (rsquo14년 장애인 실태조사)

- 4 -

중독관리

ㅇ 100명 중 6명이 4대 중독자로 추정되며 막대한 비용 소요

- (중독자)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는 약 294만명으로 추정

(4대 중독자) 알코올 159만명 인터넷middot게임 68만명 도박 57만명 마약 10만명

(rsquo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등)

- (비용) 중독은 근로자의 생산성 저하 취업기회 상실 등으로 경제적

비용을 유발하고 국가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중독별 사회경제적 비용) 알코올중독 234조원 마약중독 25조원 도박중독

782조원 인터넷중독 54조원 (rsquo09년 음주의 사회경제적 비용)

ㅇ 부처별 관리로 사각지대 발생

- 부처별로 중독물질 관련 산업 양성 중독예방 관리 업무를 추진

하고 있으나 부처 간 컨트롤타워 부재로 협력구조 미흡

중독 분야별 관리체계

분야 산업 관리 예방middot교육middot홍보 치료middot재활

알코올 기재부 국세청 복지부 여가부 복지부

인터넷 문체부 미래부 미래부 문체부 등 미래부 교육부 여가부 복지부

도 박 문체부 농림부 기재부 총리실(사감위) 총리실(사감위) 복지부

마 약 식약처 대검찰청 등 교육부 복지부 식약처 복지부

ㅇ 중독에 대한 관대한 문화로 개인의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유발

- (개인) 우울 불안 자살 등 공존질환 유병률이 높고 말초신경증

뇌손상 대사질환 내분비질환 등 각종 신체적 질환을 동반

- (사회) 폭행 강도 강간 살인 등 강력범죄의 약 30 이상이 음주

상태에서 발생 도박중독과 관련된 불법행위 급증

- 5 -

자살예방

ㅇ rsquo03년 이후 12년간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

- (자살률) 우리나라 자살률은 OECD 평균의 2배 이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며 연평균 약 14만명이 자살로 사망

(성별) 10만명당 자살률은 남성 384명 여성 161명으로 남성이 24배 높음 (rsquo14년)

(연령) 65세 이상 노인자살률은 10만명당 555명으로 전체 자살률의 2배 이상 (rsquo14년)

- (자살수단) 목맴으로 인한 자살이 가장 많고 최근 농약으로 인한

자살 감소 가스중독에 의한 자살은 증가

전체 자살자 13836명 중 목맴 (517) 가스중독(154) 추락(141) 농약

(77) 순 (rsquo14년)

- (사회적 비용) 자살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약 65조원이며 이 중

20sim40대의 손실 비용이 80(52조원) 차지(rsquo14년 건강보험공단)

(사망원인별 사회경제적 비용) 암 140조원 뇌혈관질환 52조원 심장질환 40조원

lt연령별 자살률 추이 (rsquo95simrsquo14년 명10만명)gt

ㅇ 정신건강 및 음주 문제가 자살의 가장 큰 원인 (rsquo15년 심리부검 결과)

- 자살자의 884가 우울증 등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었으나 이 중

꾸준히 약물치료를 받은 비율은 15에 불과

- 자살자의 약 397가 사망 당시 음주상태였으며 256가 과다

음주로 인한 대인관계 갈등 직업적 곤란 법적 문제 등을 가짐

- 6 -

Ⅱ 방향 및 전략

1 핵심 가치

2 정신건강 패러다임의 전환

지금까지(AS-IS) 앞으로(TO-BE)

정신건강증진

bull 중증 정신질환자 관리 중심

bull 정신건강증진 사업의 구체성 부족

bull 국민 정신건강 증진 서비스 제공

bull 생애주기별 조기발견개입 지원

중증정신질환관리

bull 초발급성 환자의 만성화

bull 의료기관 입원 위주의 관리

bull 초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bull 지역사회 통합으로 삶의 질 향상

중독관리

bull 중독에 관대한 문화

bull 부처별 분절적 중독예방관리

bull 중독의 적극적 예방

bull 범부처 중독예방관리

자살예방

bull 보건의료중심 자살예방 정책

bull 위험군 대상 제한적 자살예방

bull 보건복지사회문화 등 통합적 자살예방

- 7 -

3 정책 목표 및 전략

비전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

정책

목표

Ⅰ 국민 정신건강 증진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폐해 최소화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정책목표 전 략

국민

정신건강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서비스 이용 제고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중증정신

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2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3 중독자 치료 회복 지원 강화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 8 -

정책목표 전략 (12) 정책과제 (32)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정신

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정신질환자 인권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Ⅲ 중독

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체계 강화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1-3 자살 위험환경 개선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Ⅲ 추진과제

- 9 -

Ⅰ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ㅇ 정신건강 자가관리(self care)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 (rsquo17년)

- (자가관리 지원) 인터넷 스마트폰으로 정신건강 문제 자가진단

이용자 특성에 맞는 근거기반 프로그램 및 정신건강 관련 정보 제공

인지행동치료(CBT) 수면 위생관리 명상 이완요법 등

- (고위험군 연계) 자가 스크리닝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이용자

지역의 정신건강증진센터 의료기관으로 연계 지원

전국 224개소(광역 15 기초 209) 설치 운영 중 평균 9명(광역 18 기초 8) 근무

ㅇ 찾아가는 정신건강 서비스 제공 (rsquo17년)

- (심리지원 이동버스) 5개 국립병원 등을 중심으로 lsquo심리지원 이동

버스rsquo 운영 학교 사업장 방문으로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재난 발생시 현장에 심리지원 이동버스를 파견하여 상담 등 재난심리지원

- (방문보건 복지사업 연계) 가정방문시 우울증 등 스크리닝 및

상담지원 병행 고위험군 전문기관 연계

ㅇ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확대

- (인프라) 시 도 및 시 군 구에 단계적으로 정신건강증진센터 설치

및 필요시 인구를 고려하여 추가 인프라 확충 추진 (rsquo16년)

- (전문인력) 정신건강 증진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하여 정신건강증진

센터 내 정신건강 증진 전담 인력 배치 단계적 확대 (rsquo17년)

- 10 -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ㅇ 정신건강 인식개선 캠페인 공익광고 및 정신건강의 날 지정 (rsquo16년)

- (캠페인) 정신질환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부정적 인식해소를 위한

중 장기 캠페인 계획 수립 시행 및 효과성 분석

- (공익광고) 우울 자살사고(思考) 중독 등을 주제로 한 공익광고

시리즈 제작 TV 라디오 등 매스미디어 SNS 등 홍보

- (정신건강의 날 지정) 법적으로 정신건강의 날(1010) 및 주간을

지정하여 정신건강에 대한 주의 환기 각종 교육 행사 지원

ㅇ 학교 사업장 및 지역사회 기반 정신건강 교육 강화

- (학교) 초 중 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에 lsquo정신건강rsquo 내용 반영 학생

정신건강 관련 교사 직무연수 실시 (rsquo16년)

- (사업장) 사업장 기반 정신건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고

중 장기적으로 정신건강 교육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검토 (rsquo16년)

- (지역사회) 보건소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주민을 대상

다양한 정신건강 강좌 진행 (rsquo16년)

ㅇ 정신건강 관련 민간단체 양성으로 민 관 협력체계 구축

- (단체양성) 정신질환 당사자 가족 종교계 인권단체 등 영향력 있는

민간단체를 양성하여 정신질환에 대한 우호적 환경 조성 (rsquo16년)

- (민 관 협력체계 구축) 민간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기반 정신

건강 인식개선 사업 등 추진 (rsquo17년)

(뉴질랜드 사례) 정신질환자 당사자로 구성된 lsquo소비자자문위원회rsquo가 지역 정신

보건센터에 근무하며 서비스 기획 제공 평가 단계에서 소비자 시각과 이해 반영

(A Guide to Effective Consumer Participation in Mental Health Service)

- 11 -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

ㅇ 관련 법령 제도 정비를 통해 불합리한 차별 개선

- (관계부처합동 TF 구성) 복지부 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등이 포함된 lsquo(가칭)정신질환 차별개선 TFrsquo 구성 (rsquo16년)

-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을

제공하는 법령 제도 행태 등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rsquo17년)

정신과 진료기록이 있으면 보험 가입이 불가능하다 (rsquo1591 아시아경제)

ㅇ 정신질환 차별여부 모니터링 및 처벌규정 마련 (rsquo17년)

- (모니터링) 정신질환 이력자 당사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모니터링단rsquo을 구성하여 언론 온라인 등 실시간 모니터링

- (처벌규정 마련) 관련 법령 제 개정으로 정신질환자 및 정신질환

이력자 등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시 처벌할 수 있는 규정 마련

ㅇ 바람직한 언론보도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 (가이드라인 마련) 정신질환 관련 정확한 용어 사용 바람직한 보도

방안 등의 내용이 포함된 lsquo보도 가이드라인rsquo 마련 배포 (rsquo16년)

(예) 범죄자의 범행 동기보다 정신질환 여부를 강조하여 모든 정신질환자가

위험하며 정신질환자가 lsquo묻지마 범죄rsquo를 저지른다는 식의 보도 자제

- (언론인 대상 설명회) 기자 등 언론인 대상 정신질환에 대한

이해도 제고 부정적 인식 개선 등을 위한 정기적인 설명회

포럼 등 마련 (rsquo17년)

- 12 -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ㅇ 동네 의원 역량강화를 통한 조기발견 개입 지원 (rsquo17년)

- (조기발견) 의료인 교육 및 가이드라인 마련 등으로 동네 의원

방문시 우울 불안 등 주요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자살자의 281가 자살 전 복통 등 신체적 불편감이나 수면곤란 등으로 1차

의료기관 방문 (rsquo15년 심리부검)

- (개입) 고위험군 대상 정신건강의학과(이하 ldquo정신과rdquo) 및 지역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를 강화하고 우울증 약물 처방 및 상담치료 확대

인구 천명당 항우울제 복용률(DDD 1일 사용량 단위) 한국 20 OECD 평균

58로 최하위 수준

ㅇ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dquo마음건강 주치의rdquo(정신과 전문의) 배치 (rsquo17년)

- (조기발견) 지역사회 주민의 정신건강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

센터 내 정신과 전문의 상담을 통해 1차 진단 추진

- (개입) 기본상담 후 개별 맞춤형 필요 서비스 설계 및 연계 지원

정신건강증진센터 사례관리 사회서비스 바우처 제공 약물처방 입원 등

필요시 의료기관 연계 등

ㅇ 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시 정신건강 검진 내실화 (rsquo17년)

- (조기발견) 생애전환기 우울증 검사(40 66세) 문항을 내실화 하고

단계적으로 대상자 확대 등 추진

- (개입) 검진 결과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강화

- 13 -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

ㅇ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분들을 위한 지원 강화 (rsquo16년)

- (취약계층) 복지급여 등 신청시 읍 면 동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강화로 중독관리 자살생각 등에 대한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지원

- (신용회복 지원자) 신용회복 개인회생 파산 신청 판정시 필요한 경우

본인 동의 후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심리지원 (금융위 법원 행정처)

ㅇ 이주민 북한이탈주민 대상 적응교육 및 심리지원 (rsquo16년)

- (이주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외국인력지원센터 등을 통해 이주

노동자 결혼 이민자 이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관리

강화 (여가부 고용부)

- (북한이탈주민) 국립병원-하나원-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정신건강 문제 스크리닝 상담 등 서비스 지원 (통일부)

ㅇ 위험직 공무원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치유 지원 (rsquo16년)

- (직장 내) 직장 내 정신건강 관리 매뉴얼(프로토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보급 등으로 1차적 심리지원 실시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 (직장 외) 전문적 심리지원 필요시 정신건강증진센터 트라우마

센터를 통해 심층평가 상담 프로그램 및 의료기관 연계

소방공무원 32112명 중 약 139가 PTSD 위험군 (rsquo12 소방방재청 설문조사)

ㅇ 기타 정신건강 취약계층에 대한 심리 정서 지원 (rsquo16년)

- 감정노동자 신체장애인 한부모 조손가정 등에게 스트레스 관리

분노조절 등을 위한 교육 상담 및 고위험군 발굴 연계 (고용부 여가부)

- 14 -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ㅇ 지역사회 재난 대응 정신건강관리체계 구축

- (범부처 대응체계 구축) 안전처 복지부 교육부 여가부 등 관계기관

합동 재난 심리지원 대응체계 마련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rsquo16년)

재난 심리지원 협력 네트워크 및 매뉴얼 마련 (역할분담 정보공유 체계 등)

- (응급 정신질환 대응) 응급의료기관 내 응급 정신질환을 위한 별도

공간(격리 입원실 등) 마련 및 병원 내 필요인력 배치 검토 (rsquo17년)

- (지속 대응체계 마련) 5개 국립병원 안산 트라우마센터 정신건강

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장기적 지속적 관리체계 마련 (rsquo16년)

ㅇ 재난 피해자 심리회복을 위한 RampD 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 (rsquo16년)

- (RampD) 주요 재난 유형별 공적 개입이 필요한 재난을 정의하고

재난 별 기본 정신건강관리 중재기법 개발

응급 현장개입 회복기 자살시도 심한 분노나 죄책감 등 특수상황 개입 등

- (전문인력) 국립서울병원 및 안산 트라우마센터를 중심으로 재난

심리지원 전문 인력 양성 및 정신과 의료진 등 관련 풀 관리

lt재난심리지원 인프라 해외사례gt

일본 효고현 재난트라우마 센터 (Hyogo Institute for Traumatic Stress)

- (설립) 고베지진 후 일본의 지진 등 재난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훈련 협진

등 재난 및 범죄분야 지원을 위하여 고베시 효고현에 설치

- (주요기능) PTSD 관련 연구 상담 진료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훈련 협력

관계 유지 관련인력 관리 정보제공 홍보 등

미국 국립 PTSD 센터 (National Center for PTSD)

- (설립) 국립 PTSD 센터 설립 (1989년sim)

- (주요기능) 주로 PTSD 예방과 이해 치료에 관한 교육middot연구 수행

- 15 -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ㅇ 정서발달 평가 및 평가 결과에 따른 서비스 지원 연계 (rsquo17년)

- (정밀 발달검사) 영유아 건강검진시 발달검사 실시 검사결과 발달

장애 의심시 정밀검사비 지원 (대상 및 금액 단계적 확대 검토)

현재 의료급여수급권자 건강보험료 부과금액 하위 30 이하 대상 1인당

최대 40만원 범위 내 지원

- (정서발달 자가평가) 가정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가 활용 가능한

영 유아 사회 정서발달 관련 자가검진 도구 개발 보급 (교육부)

- (서비스 지원)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영유아 발달지원 체계

구축 자가평가 결과 고위험군 대상 심층평가 상담 바우처 연계

ㅇ 아동학대 발생시 위기개입 (rsquo16년)

- (상태평가) 정신건강증진센터-육아종합지원센터-아동보호전문기관

간 연계 체계를 구축하여 학대 및 관련아동 긴급 심리평가 실시

- (위기개입) 심리평가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해당 아동 놀이치료

및 부모 등 보호자 대상 지원교육 제공

ㅇ 부모 교사 대상 심리지원 및 교육 (rsquo16년)

- (심리지원) 부모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 대상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 정신건강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대상 상담 등 심리지원 (교육부)

(부모) 영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정신건강 스크리닝 (교사) 직무 스트레스 검사

- (교육) 부모 대상 양육교육 의무화 교사 대상 문제행동 영유아

보육 교육방법 가이드라인 제공 및 심화교육 (교육부)

- 16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ㅇ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실태조사 (rsquo16년)

-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를 통해 정신질환

발병 시점 주요 질병 유병률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현황 등 조사

그간 실태조사(rsquo06 rsquo11)는 만18세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

ㅇ 학교기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교육부 미래부)

- (정서행동특성검사 내실화) 문항 점검 검사 주기 등 검토 (rsquo16년)

현재 초등학교 1 4학년 중1 고1 대상 실시

- (교내 상담강화) 학교 내 상담교사를 배치하고 시 도 교육청 단위

스쿨닥터를 지정하여 문제행동 학생 대상 학교 내 상담 강화 (rsquo17년)

- (위기개입) 학교 내 자살 사고 학교폭력 등 위기 발생시 심리

지원 교육자료 마련 및 외부기관을 통한 개입 중재 지원 (rsquo16년)

- (지역사회 연계) 전문적 지원 필요시 Wee센터 정신건강증진센터

인터넷중독대응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저소득층 치료비 지원 (rsquo16년)

ㅇ 학교 밖 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여가부) (rsquo17년)

- (스크리닝)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학교 밖 청소년

대상 lsquo정서행동특성검사rsquo 시행

- (지원)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와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로 심층평가 상담 및 치료계획 수립 등 지원

ㅇ 정신건강 관련업무 담당인력 역량 강화 (교육부 여가부)

- (보건 상담교사) 연수시 정신건강 관련 심층교육 실시 및 교사

대상 학생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 보급 (rsquo15년sim)

- (지역센터) Wee센터 및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전문 상담요원 대상

역량강화 교육 및 워크샵 실시 정신과 전문의 슈퍼비전 지원 (rsquo16년)

- 17 -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

ㅇ 대학생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인프라 구축) 대학 상담센터 또는 의무실 내 정신건강 지원 역량

강화 및 지역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체계 구축 (교육부) (rsquo18년)

- (자조모임 지원)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개선 건전음주 문화 조성

등을 위하여 대학 내 동아리 학회 등 지원 (rsquo16년)

ㅇ 산모 산전 후 우울증 관리 강화 (rsquo17년)

- (양육교육) 보건소 건강가정지원센터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부모 대상 자녀 양육교육 강화 (여가부)

- (조기발견) 산부인과 검진 또는 영 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대상

우울 불안 등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 (서비스 제공) 고위험군 선별시 정신의료기관 연계 아이돌봄서비스

일시보육 우선 제공 및 고운맘 카드 사용처 확대 검토 (여가부)

건강보험가입자 대상 임신 1회당 50만원(다태아 70만원)을 지원(rsquo15년 기준)

ㅇ 근로자 직무 스트레스 및 우울증 관리 (rsquo17년)

- 사업장 규모별 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근로자

정신건강증진활동 강화 (고용부)

(50인 미만) lsquo근로자 건강센터rsquo 내 정신건강 관련 사업을 보강하고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연계 강화

(50인 이상 300인 미만) lsquo안전보건관리공단rsquo 및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전문가가 사업장을 방문하여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300인 이상) lsquo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매뉴얼rsquo을 개발 보급하여 사업장

내 자체적인 심리지원 서비스 유도 우수 사업장 인센티브 제공 검토

(기업경영 비용 유발 순위) 우울증-비만-관절염-허리 목 통증 (rsquo10 하버드)

- 18 -

노인 정신건강 지원

ㅇ 노인 정신건강 관련 종합검사 실시 및 심리지원

- (정신건강 문제 발견 강화) 노인대상 서비스 제공자 등 대상 정신

건강 문제 발견 및 연계교육 강화로 정신건강 문제 조기 발견

생활관리사 老老케어 참가자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소진료소장 등

- (정신건강 종합검사)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하여 정신건강 및 생활습관 등 종합검사 제공 (rsquo17년)

(정신건강) 인지기능(치매) 노인성 우울 불안 수면장애 일상생활 기능장애 등

(생활습관) 음주 흡연 영양섭취 습관 신체 사회 활동량 등

- (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하여 지속적 상담 제공 (rsquo16년)

ㅇ 노인 특화 정신건강 프로그램 제공 (rsquo17년)

- (수면 화병 관리 등)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해 적정 수면 화병 관리 및 신체질환자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

- (사회 재적응 훈련) 사별 은퇴 노화 등 부정적 외부환경 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제공

- (사회참여 강화) 저소득층 노인 취업지원 노인 대상 자원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노인의 사회참여 유도

ㅇ 정신건강 관련 정보제공 및 편견해소 교육 홍보 (rsquo16년)

- (정보제공) 장기요양보험 기초노령연금 등과 연계하여 신청

지급시 본인 및 가족에게 정신건강 관련 정보 교육 제공

노인 정신건강 문제는 정상적 노화과정과의 구별 필요 정확한 정보제공이 중요

- (편견해소 교육 홍보) 정신질환 및 치료에 대한 편견이 가장 높은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대학 노인복지관 등을 통해 편견해소 교육 홍보

- 19 -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ㅇ 초발 급성 환자 조기 집중치료를 위한 건강보험수가체계 개선 (rsquo17년)

- (초기치료 강화) 초기 단계의 적극적인 정신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외래 본인부담 경감(30sim60rarr20) 상담 중심의 심층치료 활성화

- (비용부담 완화) 높은 비용부담 때문에 지속적 치료를 방해하는

비급여 정신요법 의약품에 대한 보험 적용 확대

- (위기대응) 자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등에 대한 위기중재

및 집중관리를 위하여 건강보험 보장범위를 대폭 확대

ㅇ 의료급여 체계 개선으로 양질의 치료 서비스 제공 (rsquo17)

- (조기 집중치료) 초기 입원수가(예 입원 후 1sim3개월) 인상률을

높이는 등 제도개선 추진으로 조기 집중치료를 통한 퇴원 유도

- (치료서비스 향상) 정신의료기관의 저가약 사용 유인 등이 감소

하도록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편방안 마련

ㅇ 불필요한 입원을 제한하고 지역사회 복귀 강화 (rsquo17)

- (장기입원 억제) 의료급여 입원환자의 재원 일수에 따라 일당정액

수가 체감제를 강화하여 불필요한 장기입원 억제 검토

- (지역사회 복귀 촉진) 낮병동 수가 조정 퇴원연계 활성화 유도

등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및 치료여건 강화

- 20 -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ㅇ 초발환자 발견 및 지역사회 관리 모형 개발

-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조현병 양극성장애 등 중증 정신질환

조기발견 및 개입 체계 구축

- (시범사업 실시) 청소년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초발 정신증 발견

및 조기중재 모형 개발 및 시범사업 실시

정신질환의 약 50가 10대 중후반에 시작되고 75 정도의 질환이 20세

중반까지 발병 (Kessler 등)

ㅇ 급성기 환자 응급 및 단기입원 제도 활성화

- (응급병상 운영) 국립병원 내 24시간 lsquo응급병상rsquo 운영으로 급성

정신병 증상 발작(acting-out) 등 발생시 응급입원 집중 관리

지역사회 응급개입은 연간 약 6만9천건에 달하나 응급병상 운영 병원

부족으로 응급입원은 연간 26건에 불과 (lsquo14년)

- (모델 개발) 의료기관과 사회복귀시설 중간단계 모형을 구축하여

급성기 단기입원 후 일상생활 복귀 지원

ㅇ 정신질환 치료기술 연구(RampD) 강화

- (국립서울병원 기능개편) 국립서울병원의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임상병동을 운영하여 치료기술 개발 효과성 검증 등 수행

- (RampD 효과성 제고) 진료효과 향상을 위한 조기진단 치료 고도화

표준화 기술개발 등 지원

- 21 -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ㅇ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지원강화 (rsquo16년)

- (사례관리 강화)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squo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

관리팀rsquo을 내실화하고 외래치료 투약여부 등 관리 지원

- (지역 인프라 간 기능 재정립)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 간

기능 재정립으로 서비스 중복 사각지대 발생 해소

- (복지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읍 면 동사무소 연계로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관리시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제공

ㅇ 외래치료명령제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활성화로 퇴원 유도 (rsquo17년)

- (외래치료 명령제 강화) 퇴원환자 외 지역사회 관리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도 외래치료 명령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제도 활성화

현재는 정신의료기관 퇴원시 퇴원환자에 대해서만 외래치료 명령 가능

-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통한 처방

활성화로 입원 위주의 치료에서 지역사회 관리로 전환

일정기간(2주 4주 등) 약효가 지속되어 반복적 재입원 재발율을 낮추는데 도움

ㅇ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유도 및 지원

- (비용 효과 분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관리 유인구조 마련을 위하여

의료기관 입원과 지역사회 관리시 소요되는 비용 효과 분석 (rsquo16년)

- (사회적 협동조합) 정신질환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를 위하여 회복

재활을 지원하도록 당사자의 lsquo사회적 협동조합rsquo 설립 장려 (rsquo16년)

- (취업지원 강화) 정신질환자 취업지원을 강화하고 장애인 판정 기준

재검토 등을 통해 취업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개선 (고용부) (rsquo17년)

- 22 -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ㅇ 사회복귀시설 단계적 확충

- (인센티브) 지자체 평가 국비사업 지자체 공모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여부 고려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하여 확충 유도 (rsquo17년)

현재 사회복귀시설 중 52(165개소)는 서울 경기 인천에 설치

- (직접운영) 국립병원에서 직접 사회복귀시설을 설치하여 입원치료

부터 퇴원 후 사회복귀까지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ㅇ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귀시설 설치 운영 (rsquo17년)

- (다양한 유형 설치) 단기보호 장기생활 공동생활 독립 훈련형

등 이용자 특성(질환 유형 중증도 등)에 맞는 거주시설 설치 운영

- (아동 청소년 특화시설 마련) 성인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관리 학업지원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설치 운영

현재 아동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은 전국 11개소에 불과

ㅇ 사회복귀시설의 질적 수준 제고 (rsquo16년)

- (슈퍼비전 지원) 국립병원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주간

재활시설 프로그램 인력 역량강화 교육 슈퍼비전 등 지원

- (평가 내실화) 사회복귀시설 평가지표 개선 평가주기 단축으로

평가 내실화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도 제고

ㅇ 직업 재활 활성화를 위한 근로환경 개선 및 모형 개발

- (근로환경 개선) 근로시간 임금수준 등 적정 근로여건에 대한 가이드

라인 마련 및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근로환경 개선 (rsquo16년)

- (모형 개발) 수익창출이 가능한 농촌 및 도시형 직업재활 모형을

개발하여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추진 (rsquo17년)

- 23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낮병동 확대 및 병상수 축소

- (낮병동 확대) 제도개선으로 낮병동 확충 유도 및 지역사회 정신

건강서비스 연계 강화로 입원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 (rsquo17년)

병원에서 6시간 이상 진료를 받고 당일 귀가하도록 하는 제도

타 진료과목의 낮병동과 정신의료기관 낮병동을 분리 정신의료기관의

낮병동 수가 인상 및 6시간 이용시간 제한규정 완화 등 검토

- (병상수 축소) 병상 규모를 정신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연동시켜

서비스 질이 낮은 기관을 중심으로 병상규모 단계적 축소 (rsquo18년)

ㅇ 정신요양시설 정체성 확립 및 단계적 기능전환

- (이용 대상자 명확화) lsquo의학적 치료rsquo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들로

입소대상을 한정하고 아동 청소년은 정신요양시설 이용을 제한

하여 지역사회 치료 복귀시설로 유도 (rsquo16년)

- (기능 표준화) 정신요양시설 운영 및 역할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등으로 서비스 수준 제고 (rsquo17년)

- (기능전환) 중 장기적으로 연구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신요양시설을

사회복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기능 전환 유도 (rsquo18년)

ㅇ 신체 복합 질환자 치료병원 확충

- (가이드라인 마련) 신체적 질병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등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및 교육 (rsquo17년)

- (지정병원) 정신 및 신체 복합 질환자에 대한 치료 입원 수술이

가능한 병원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홍보 지원 (rsquo18년)

의료질 평가지원금 평가지표에 정신 신체 복합 질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비율 등 포함 검토

- (정신의료기관 내 신체질환 치료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타 진료과목

전문의 배치를 확대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 연계체계 구축 (rsquo18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6: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4 -

중독관리

ㅇ 100명 중 6명이 4대 중독자로 추정되며 막대한 비용 소요

- (중독자)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는 약 294만명으로 추정

(4대 중독자) 알코올 159만명 인터넷middot게임 68만명 도박 57만명 마약 10만명

(rsquo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등)

- (비용) 중독은 근로자의 생산성 저하 취업기회 상실 등으로 경제적

비용을 유발하고 국가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중독별 사회경제적 비용) 알코올중독 234조원 마약중독 25조원 도박중독

782조원 인터넷중독 54조원 (rsquo09년 음주의 사회경제적 비용)

ㅇ 부처별 관리로 사각지대 발생

- 부처별로 중독물질 관련 산업 양성 중독예방 관리 업무를 추진

하고 있으나 부처 간 컨트롤타워 부재로 협력구조 미흡

중독 분야별 관리체계

분야 산업 관리 예방middot교육middot홍보 치료middot재활

알코올 기재부 국세청 복지부 여가부 복지부

인터넷 문체부 미래부 미래부 문체부 등 미래부 교육부 여가부 복지부

도 박 문체부 농림부 기재부 총리실(사감위) 총리실(사감위) 복지부

마 약 식약처 대검찰청 등 교육부 복지부 식약처 복지부

ㅇ 중독에 대한 관대한 문화로 개인의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유발

- (개인) 우울 불안 자살 등 공존질환 유병률이 높고 말초신경증

뇌손상 대사질환 내분비질환 등 각종 신체적 질환을 동반

- (사회) 폭행 강도 강간 살인 등 강력범죄의 약 30 이상이 음주

상태에서 발생 도박중독과 관련된 불법행위 급증

- 5 -

자살예방

ㅇ rsquo03년 이후 12년간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

- (자살률) 우리나라 자살률은 OECD 평균의 2배 이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며 연평균 약 14만명이 자살로 사망

(성별) 10만명당 자살률은 남성 384명 여성 161명으로 남성이 24배 높음 (rsquo14년)

(연령) 65세 이상 노인자살률은 10만명당 555명으로 전체 자살률의 2배 이상 (rsquo14년)

- (자살수단) 목맴으로 인한 자살이 가장 많고 최근 농약으로 인한

자살 감소 가스중독에 의한 자살은 증가

전체 자살자 13836명 중 목맴 (517) 가스중독(154) 추락(141) 농약

(77) 순 (rsquo14년)

- (사회적 비용) 자살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약 65조원이며 이 중

20sim40대의 손실 비용이 80(52조원) 차지(rsquo14년 건강보험공단)

(사망원인별 사회경제적 비용) 암 140조원 뇌혈관질환 52조원 심장질환 40조원

lt연령별 자살률 추이 (rsquo95simrsquo14년 명10만명)gt

ㅇ 정신건강 및 음주 문제가 자살의 가장 큰 원인 (rsquo15년 심리부검 결과)

- 자살자의 884가 우울증 등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었으나 이 중

꾸준히 약물치료를 받은 비율은 15에 불과

- 자살자의 약 397가 사망 당시 음주상태였으며 256가 과다

음주로 인한 대인관계 갈등 직업적 곤란 법적 문제 등을 가짐

- 6 -

Ⅱ 방향 및 전략

1 핵심 가치

2 정신건강 패러다임의 전환

지금까지(AS-IS) 앞으로(TO-BE)

정신건강증진

bull 중증 정신질환자 관리 중심

bull 정신건강증진 사업의 구체성 부족

bull 국민 정신건강 증진 서비스 제공

bull 생애주기별 조기발견개입 지원

중증정신질환관리

bull 초발급성 환자의 만성화

bull 의료기관 입원 위주의 관리

bull 초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bull 지역사회 통합으로 삶의 질 향상

중독관리

bull 중독에 관대한 문화

bull 부처별 분절적 중독예방관리

bull 중독의 적극적 예방

bull 범부처 중독예방관리

자살예방

bull 보건의료중심 자살예방 정책

bull 위험군 대상 제한적 자살예방

bull 보건복지사회문화 등 통합적 자살예방

- 7 -

3 정책 목표 및 전략

비전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

정책

목표

Ⅰ 국민 정신건강 증진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폐해 최소화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정책목표 전 략

국민

정신건강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서비스 이용 제고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중증정신

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2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3 중독자 치료 회복 지원 강화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 8 -

정책목표 전략 (12) 정책과제 (32)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정신

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정신질환자 인권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Ⅲ 중독

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체계 강화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1-3 자살 위험환경 개선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Ⅲ 추진과제

- 9 -

Ⅰ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ㅇ 정신건강 자가관리(self care)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 (rsquo17년)

- (자가관리 지원) 인터넷 스마트폰으로 정신건강 문제 자가진단

이용자 특성에 맞는 근거기반 프로그램 및 정신건강 관련 정보 제공

인지행동치료(CBT) 수면 위생관리 명상 이완요법 등

- (고위험군 연계) 자가 스크리닝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이용자

지역의 정신건강증진센터 의료기관으로 연계 지원

전국 224개소(광역 15 기초 209) 설치 운영 중 평균 9명(광역 18 기초 8) 근무

ㅇ 찾아가는 정신건강 서비스 제공 (rsquo17년)

- (심리지원 이동버스) 5개 국립병원 등을 중심으로 lsquo심리지원 이동

버스rsquo 운영 학교 사업장 방문으로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재난 발생시 현장에 심리지원 이동버스를 파견하여 상담 등 재난심리지원

- (방문보건 복지사업 연계) 가정방문시 우울증 등 스크리닝 및

상담지원 병행 고위험군 전문기관 연계

ㅇ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확대

- (인프라) 시 도 및 시 군 구에 단계적으로 정신건강증진센터 설치

및 필요시 인구를 고려하여 추가 인프라 확충 추진 (rsquo16년)

- (전문인력) 정신건강 증진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하여 정신건강증진

센터 내 정신건강 증진 전담 인력 배치 단계적 확대 (rsquo17년)

- 10 -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ㅇ 정신건강 인식개선 캠페인 공익광고 및 정신건강의 날 지정 (rsquo16년)

- (캠페인) 정신질환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부정적 인식해소를 위한

중 장기 캠페인 계획 수립 시행 및 효과성 분석

- (공익광고) 우울 자살사고(思考) 중독 등을 주제로 한 공익광고

시리즈 제작 TV 라디오 등 매스미디어 SNS 등 홍보

- (정신건강의 날 지정) 법적으로 정신건강의 날(1010) 및 주간을

지정하여 정신건강에 대한 주의 환기 각종 교육 행사 지원

ㅇ 학교 사업장 및 지역사회 기반 정신건강 교육 강화

- (학교) 초 중 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에 lsquo정신건강rsquo 내용 반영 학생

정신건강 관련 교사 직무연수 실시 (rsquo16년)

- (사업장) 사업장 기반 정신건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고

중 장기적으로 정신건강 교육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검토 (rsquo16년)

- (지역사회) 보건소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주민을 대상

다양한 정신건강 강좌 진행 (rsquo16년)

ㅇ 정신건강 관련 민간단체 양성으로 민 관 협력체계 구축

- (단체양성) 정신질환 당사자 가족 종교계 인권단체 등 영향력 있는

민간단체를 양성하여 정신질환에 대한 우호적 환경 조성 (rsquo16년)

- (민 관 협력체계 구축) 민간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기반 정신

건강 인식개선 사업 등 추진 (rsquo17년)

(뉴질랜드 사례) 정신질환자 당사자로 구성된 lsquo소비자자문위원회rsquo가 지역 정신

보건센터에 근무하며 서비스 기획 제공 평가 단계에서 소비자 시각과 이해 반영

(A Guide to Effective Consumer Participation in Mental Health Service)

- 11 -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

ㅇ 관련 법령 제도 정비를 통해 불합리한 차별 개선

- (관계부처합동 TF 구성) 복지부 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등이 포함된 lsquo(가칭)정신질환 차별개선 TFrsquo 구성 (rsquo16년)

-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을

제공하는 법령 제도 행태 등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rsquo17년)

정신과 진료기록이 있으면 보험 가입이 불가능하다 (rsquo1591 아시아경제)

ㅇ 정신질환 차별여부 모니터링 및 처벌규정 마련 (rsquo17년)

- (모니터링) 정신질환 이력자 당사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모니터링단rsquo을 구성하여 언론 온라인 등 실시간 모니터링

- (처벌규정 마련) 관련 법령 제 개정으로 정신질환자 및 정신질환

이력자 등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시 처벌할 수 있는 규정 마련

ㅇ 바람직한 언론보도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 (가이드라인 마련) 정신질환 관련 정확한 용어 사용 바람직한 보도

방안 등의 내용이 포함된 lsquo보도 가이드라인rsquo 마련 배포 (rsquo16년)

(예) 범죄자의 범행 동기보다 정신질환 여부를 강조하여 모든 정신질환자가

위험하며 정신질환자가 lsquo묻지마 범죄rsquo를 저지른다는 식의 보도 자제

- (언론인 대상 설명회) 기자 등 언론인 대상 정신질환에 대한

이해도 제고 부정적 인식 개선 등을 위한 정기적인 설명회

포럼 등 마련 (rsquo17년)

- 12 -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ㅇ 동네 의원 역량강화를 통한 조기발견 개입 지원 (rsquo17년)

- (조기발견) 의료인 교육 및 가이드라인 마련 등으로 동네 의원

방문시 우울 불안 등 주요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자살자의 281가 자살 전 복통 등 신체적 불편감이나 수면곤란 등으로 1차

의료기관 방문 (rsquo15년 심리부검)

- (개입) 고위험군 대상 정신건강의학과(이하 ldquo정신과rdquo) 및 지역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를 강화하고 우울증 약물 처방 및 상담치료 확대

인구 천명당 항우울제 복용률(DDD 1일 사용량 단위) 한국 20 OECD 평균

58로 최하위 수준

ㅇ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dquo마음건강 주치의rdquo(정신과 전문의) 배치 (rsquo17년)

- (조기발견) 지역사회 주민의 정신건강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

센터 내 정신과 전문의 상담을 통해 1차 진단 추진

- (개입) 기본상담 후 개별 맞춤형 필요 서비스 설계 및 연계 지원

정신건강증진센터 사례관리 사회서비스 바우처 제공 약물처방 입원 등

필요시 의료기관 연계 등

ㅇ 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시 정신건강 검진 내실화 (rsquo17년)

- (조기발견) 생애전환기 우울증 검사(40 66세) 문항을 내실화 하고

단계적으로 대상자 확대 등 추진

- (개입) 검진 결과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강화

- 13 -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

ㅇ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분들을 위한 지원 강화 (rsquo16년)

- (취약계층) 복지급여 등 신청시 읍 면 동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강화로 중독관리 자살생각 등에 대한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지원

- (신용회복 지원자) 신용회복 개인회생 파산 신청 판정시 필요한 경우

본인 동의 후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심리지원 (금융위 법원 행정처)

ㅇ 이주민 북한이탈주민 대상 적응교육 및 심리지원 (rsquo16년)

- (이주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외국인력지원센터 등을 통해 이주

노동자 결혼 이민자 이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관리

강화 (여가부 고용부)

- (북한이탈주민) 국립병원-하나원-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정신건강 문제 스크리닝 상담 등 서비스 지원 (통일부)

ㅇ 위험직 공무원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치유 지원 (rsquo16년)

- (직장 내) 직장 내 정신건강 관리 매뉴얼(프로토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보급 등으로 1차적 심리지원 실시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 (직장 외) 전문적 심리지원 필요시 정신건강증진센터 트라우마

센터를 통해 심층평가 상담 프로그램 및 의료기관 연계

소방공무원 32112명 중 약 139가 PTSD 위험군 (rsquo12 소방방재청 설문조사)

ㅇ 기타 정신건강 취약계층에 대한 심리 정서 지원 (rsquo16년)

- 감정노동자 신체장애인 한부모 조손가정 등에게 스트레스 관리

분노조절 등을 위한 교육 상담 및 고위험군 발굴 연계 (고용부 여가부)

- 14 -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ㅇ 지역사회 재난 대응 정신건강관리체계 구축

- (범부처 대응체계 구축) 안전처 복지부 교육부 여가부 등 관계기관

합동 재난 심리지원 대응체계 마련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rsquo16년)

재난 심리지원 협력 네트워크 및 매뉴얼 마련 (역할분담 정보공유 체계 등)

- (응급 정신질환 대응) 응급의료기관 내 응급 정신질환을 위한 별도

공간(격리 입원실 등) 마련 및 병원 내 필요인력 배치 검토 (rsquo17년)

- (지속 대응체계 마련) 5개 국립병원 안산 트라우마센터 정신건강

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장기적 지속적 관리체계 마련 (rsquo16년)

ㅇ 재난 피해자 심리회복을 위한 RampD 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 (rsquo16년)

- (RampD) 주요 재난 유형별 공적 개입이 필요한 재난을 정의하고

재난 별 기본 정신건강관리 중재기법 개발

응급 현장개입 회복기 자살시도 심한 분노나 죄책감 등 특수상황 개입 등

- (전문인력) 국립서울병원 및 안산 트라우마센터를 중심으로 재난

심리지원 전문 인력 양성 및 정신과 의료진 등 관련 풀 관리

lt재난심리지원 인프라 해외사례gt

일본 효고현 재난트라우마 센터 (Hyogo Institute for Traumatic Stress)

- (설립) 고베지진 후 일본의 지진 등 재난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훈련 협진

등 재난 및 범죄분야 지원을 위하여 고베시 효고현에 설치

- (주요기능) PTSD 관련 연구 상담 진료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훈련 협력

관계 유지 관련인력 관리 정보제공 홍보 등

미국 국립 PTSD 센터 (National Center for PTSD)

- (설립) 국립 PTSD 센터 설립 (1989년sim)

- (주요기능) 주로 PTSD 예방과 이해 치료에 관한 교육middot연구 수행

- 15 -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ㅇ 정서발달 평가 및 평가 결과에 따른 서비스 지원 연계 (rsquo17년)

- (정밀 발달검사) 영유아 건강검진시 발달검사 실시 검사결과 발달

장애 의심시 정밀검사비 지원 (대상 및 금액 단계적 확대 검토)

현재 의료급여수급권자 건강보험료 부과금액 하위 30 이하 대상 1인당

최대 40만원 범위 내 지원

- (정서발달 자가평가) 가정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가 활용 가능한

영 유아 사회 정서발달 관련 자가검진 도구 개발 보급 (교육부)

- (서비스 지원)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영유아 발달지원 체계

구축 자가평가 결과 고위험군 대상 심층평가 상담 바우처 연계

ㅇ 아동학대 발생시 위기개입 (rsquo16년)

- (상태평가) 정신건강증진센터-육아종합지원센터-아동보호전문기관

간 연계 체계를 구축하여 학대 및 관련아동 긴급 심리평가 실시

- (위기개입) 심리평가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해당 아동 놀이치료

및 부모 등 보호자 대상 지원교육 제공

ㅇ 부모 교사 대상 심리지원 및 교육 (rsquo16년)

- (심리지원) 부모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 대상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 정신건강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대상 상담 등 심리지원 (교육부)

(부모) 영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정신건강 스크리닝 (교사) 직무 스트레스 검사

- (교육) 부모 대상 양육교육 의무화 교사 대상 문제행동 영유아

보육 교육방법 가이드라인 제공 및 심화교육 (교육부)

- 16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ㅇ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실태조사 (rsquo16년)

-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를 통해 정신질환

발병 시점 주요 질병 유병률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현황 등 조사

그간 실태조사(rsquo06 rsquo11)는 만18세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

ㅇ 학교기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교육부 미래부)

- (정서행동특성검사 내실화) 문항 점검 검사 주기 등 검토 (rsquo16년)

현재 초등학교 1 4학년 중1 고1 대상 실시

- (교내 상담강화) 학교 내 상담교사를 배치하고 시 도 교육청 단위

스쿨닥터를 지정하여 문제행동 학생 대상 학교 내 상담 강화 (rsquo17년)

- (위기개입) 학교 내 자살 사고 학교폭력 등 위기 발생시 심리

지원 교육자료 마련 및 외부기관을 통한 개입 중재 지원 (rsquo16년)

- (지역사회 연계) 전문적 지원 필요시 Wee센터 정신건강증진센터

인터넷중독대응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저소득층 치료비 지원 (rsquo16년)

ㅇ 학교 밖 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여가부) (rsquo17년)

- (스크리닝)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학교 밖 청소년

대상 lsquo정서행동특성검사rsquo 시행

- (지원)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와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로 심층평가 상담 및 치료계획 수립 등 지원

ㅇ 정신건강 관련업무 담당인력 역량 강화 (교육부 여가부)

- (보건 상담교사) 연수시 정신건강 관련 심층교육 실시 및 교사

대상 학생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 보급 (rsquo15년sim)

- (지역센터) Wee센터 및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전문 상담요원 대상

역량강화 교육 및 워크샵 실시 정신과 전문의 슈퍼비전 지원 (rsquo16년)

- 17 -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

ㅇ 대학생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인프라 구축) 대학 상담센터 또는 의무실 내 정신건강 지원 역량

강화 및 지역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체계 구축 (교육부) (rsquo18년)

- (자조모임 지원)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개선 건전음주 문화 조성

등을 위하여 대학 내 동아리 학회 등 지원 (rsquo16년)

ㅇ 산모 산전 후 우울증 관리 강화 (rsquo17년)

- (양육교육) 보건소 건강가정지원센터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부모 대상 자녀 양육교육 강화 (여가부)

- (조기발견) 산부인과 검진 또는 영 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대상

우울 불안 등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 (서비스 제공) 고위험군 선별시 정신의료기관 연계 아이돌봄서비스

일시보육 우선 제공 및 고운맘 카드 사용처 확대 검토 (여가부)

건강보험가입자 대상 임신 1회당 50만원(다태아 70만원)을 지원(rsquo15년 기준)

ㅇ 근로자 직무 스트레스 및 우울증 관리 (rsquo17년)

- 사업장 규모별 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근로자

정신건강증진활동 강화 (고용부)

(50인 미만) lsquo근로자 건강센터rsquo 내 정신건강 관련 사업을 보강하고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연계 강화

(50인 이상 300인 미만) lsquo안전보건관리공단rsquo 및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전문가가 사업장을 방문하여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300인 이상) lsquo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매뉴얼rsquo을 개발 보급하여 사업장

내 자체적인 심리지원 서비스 유도 우수 사업장 인센티브 제공 검토

(기업경영 비용 유발 순위) 우울증-비만-관절염-허리 목 통증 (rsquo10 하버드)

- 18 -

노인 정신건강 지원

ㅇ 노인 정신건강 관련 종합검사 실시 및 심리지원

- (정신건강 문제 발견 강화) 노인대상 서비스 제공자 등 대상 정신

건강 문제 발견 및 연계교육 강화로 정신건강 문제 조기 발견

생활관리사 老老케어 참가자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소진료소장 등

- (정신건강 종합검사)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하여 정신건강 및 생활습관 등 종합검사 제공 (rsquo17년)

(정신건강) 인지기능(치매) 노인성 우울 불안 수면장애 일상생활 기능장애 등

(생활습관) 음주 흡연 영양섭취 습관 신체 사회 활동량 등

- (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하여 지속적 상담 제공 (rsquo16년)

ㅇ 노인 특화 정신건강 프로그램 제공 (rsquo17년)

- (수면 화병 관리 등)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해 적정 수면 화병 관리 및 신체질환자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

- (사회 재적응 훈련) 사별 은퇴 노화 등 부정적 외부환경 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제공

- (사회참여 강화) 저소득층 노인 취업지원 노인 대상 자원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노인의 사회참여 유도

ㅇ 정신건강 관련 정보제공 및 편견해소 교육 홍보 (rsquo16년)

- (정보제공) 장기요양보험 기초노령연금 등과 연계하여 신청

지급시 본인 및 가족에게 정신건강 관련 정보 교육 제공

노인 정신건강 문제는 정상적 노화과정과의 구별 필요 정확한 정보제공이 중요

- (편견해소 교육 홍보) 정신질환 및 치료에 대한 편견이 가장 높은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대학 노인복지관 등을 통해 편견해소 교육 홍보

- 19 -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ㅇ 초발 급성 환자 조기 집중치료를 위한 건강보험수가체계 개선 (rsquo17년)

- (초기치료 강화) 초기 단계의 적극적인 정신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외래 본인부담 경감(30sim60rarr20) 상담 중심의 심층치료 활성화

- (비용부담 완화) 높은 비용부담 때문에 지속적 치료를 방해하는

비급여 정신요법 의약품에 대한 보험 적용 확대

- (위기대응) 자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등에 대한 위기중재

및 집중관리를 위하여 건강보험 보장범위를 대폭 확대

ㅇ 의료급여 체계 개선으로 양질의 치료 서비스 제공 (rsquo17)

- (조기 집중치료) 초기 입원수가(예 입원 후 1sim3개월) 인상률을

높이는 등 제도개선 추진으로 조기 집중치료를 통한 퇴원 유도

- (치료서비스 향상) 정신의료기관의 저가약 사용 유인 등이 감소

하도록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편방안 마련

ㅇ 불필요한 입원을 제한하고 지역사회 복귀 강화 (rsquo17)

- (장기입원 억제) 의료급여 입원환자의 재원 일수에 따라 일당정액

수가 체감제를 강화하여 불필요한 장기입원 억제 검토

- (지역사회 복귀 촉진) 낮병동 수가 조정 퇴원연계 활성화 유도

등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및 치료여건 강화

- 20 -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ㅇ 초발환자 발견 및 지역사회 관리 모형 개발

-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조현병 양극성장애 등 중증 정신질환

조기발견 및 개입 체계 구축

- (시범사업 실시) 청소년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초발 정신증 발견

및 조기중재 모형 개발 및 시범사업 실시

정신질환의 약 50가 10대 중후반에 시작되고 75 정도의 질환이 20세

중반까지 발병 (Kessler 등)

ㅇ 급성기 환자 응급 및 단기입원 제도 활성화

- (응급병상 운영) 국립병원 내 24시간 lsquo응급병상rsquo 운영으로 급성

정신병 증상 발작(acting-out) 등 발생시 응급입원 집중 관리

지역사회 응급개입은 연간 약 6만9천건에 달하나 응급병상 운영 병원

부족으로 응급입원은 연간 26건에 불과 (lsquo14년)

- (모델 개발) 의료기관과 사회복귀시설 중간단계 모형을 구축하여

급성기 단기입원 후 일상생활 복귀 지원

ㅇ 정신질환 치료기술 연구(RampD) 강화

- (국립서울병원 기능개편) 국립서울병원의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임상병동을 운영하여 치료기술 개발 효과성 검증 등 수행

- (RampD 효과성 제고) 진료효과 향상을 위한 조기진단 치료 고도화

표준화 기술개발 등 지원

- 21 -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ㅇ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지원강화 (rsquo16년)

- (사례관리 강화)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squo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

관리팀rsquo을 내실화하고 외래치료 투약여부 등 관리 지원

- (지역 인프라 간 기능 재정립)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 간

기능 재정립으로 서비스 중복 사각지대 발생 해소

- (복지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읍 면 동사무소 연계로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관리시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제공

ㅇ 외래치료명령제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활성화로 퇴원 유도 (rsquo17년)

- (외래치료 명령제 강화) 퇴원환자 외 지역사회 관리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도 외래치료 명령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제도 활성화

현재는 정신의료기관 퇴원시 퇴원환자에 대해서만 외래치료 명령 가능

-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통한 처방

활성화로 입원 위주의 치료에서 지역사회 관리로 전환

일정기간(2주 4주 등) 약효가 지속되어 반복적 재입원 재발율을 낮추는데 도움

ㅇ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유도 및 지원

- (비용 효과 분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관리 유인구조 마련을 위하여

의료기관 입원과 지역사회 관리시 소요되는 비용 효과 분석 (rsquo16년)

- (사회적 협동조합) 정신질환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를 위하여 회복

재활을 지원하도록 당사자의 lsquo사회적 협동조합rsquo 설립 장려 (rsquo16년)

- (취업지원 강화) 정신질환자 취업지원을 강화하고 장애인 판정 기준

재검토 등을 통해 취업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개선 (고용부) (rsquo17년)

- 22 -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ㅇ 사회복귀시설 단계적 확충

- (인센티브) 지자체 평가 국비사업 지자체 공모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여부 고려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하여 확충 유도 (rsquo17년)

현재 사회복귀시설 중 52(165개소)는 서울 경기 인천에 설치

- (직접운영) 국립병원에서 직접 사회복귀시설을 설치하여 입원치료

부터 퇴원 후 사회복귀까지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ㅇ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귀시설 설치 운영 (rsquo17년)

- (다양한 유형 설치) 단기보호 장기생활 공동생활 독립 훈련형

등 이용자 특성(질환 유형 중증도 등)에 맞는 거주시설 설치 운영

- (아동 청소년 특화시설 마련) 성인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관리 학업지원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설치 운영

현재 아동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은 전국 11개소에 불과

ㅇ 사회복귀시설의 질적 수준 제고 (rsquo16년)

- (슈퍼비전 지원) 국립병원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주간

재활시설 프로그램 인력 역량강화 교육 슈퍼비전 등 지원

- (평가 내실화) 사회복귀시설 평가지표 개선 평가주기 단축으로

평가 내실화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도 제고

ㅇ 직업 재활 활성화를 위한 근로환경 개선 및 모형 개발

- (근로환경 개선) 근로시간 임금수준 등 적정 근로여건에 대한 가이드

라인 마련 및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근로환경 개선 (rsquo16년)

- (모형 개발) 수익창출이 가능한 농촌 및 도시형 직업재활 모형을

개발하여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추진 (rsquo17년)

- 23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낮병동 확대 및 병상수 축소

- (낮병동 확대) 제도개선으로 낮병동 확충 유도 및 지역사회 정신

건강서비스 연계 강화로 입원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 (rsquo17년)

병원에서 6시간 이상 진료를 받고 당일 귀가하도록 하는 제도

타 진료과목의 낮병동과 정신의료기관 낮병동을 분리 정신의료기관의

낮병동 수가 인상 및 6시간 이용시간 제한규정 완화 등 검토

- (병상수 축소) 병상 규모를 정신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연동시켜

서비스 질이 낮은 기관을 중심으로 병상규모 단계적 축소 (rsquo18년)

ㅇ 정신요양시설 정체성 확립 및 단계적 기능전환

- (이용 대상자 명확화) lsquo의학적 치료rsquo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들로

입소대상을 한정하고 아동 청소년은 정신요양시설 이용을 제한

하여 지역사회 치료 복귀시설로 유도 (rsquo16년)

- (기능 표준화) 정신요양시설 운영 및 역할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등으로 서비스 수준 제고 (rsquo17년)

- (기능전환) 중 장기적으로 연구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신요양시설을

사회복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기능 전환 유도 (rsquo18년)

ㅇ 신체 복합 질환자 치료병원 확충

- (가이드라인 마련) 신체적 질병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등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및 교육 (rsquo17년)

- (지정병원) 정신 및 신체 복합 질환자에 대한 치료 입원 수술이

가능한 병원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홍보 지원 (rsquo18년)

의료질 평가지원금 평가지표에 정신 신체 복합 질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비율 등 포함 검토

- (정신의료기관 내 신체질환 치료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타 진료과목

전문의 배치를 확대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 연계체계 구축 (rsquo18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7: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5 -

자살예방

ㅇ rsquo03년 이후 12년간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

- (자살률) 우리나라 자살률은 OECD 평균의 2배 이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며 연평균 약 14만명이 자살로 사망

(성별) 10만명당 자살률은 남성 384명 여성 161명으로 남성이 24배 높음 (rsquo14년)

(연령) 65세 이상 노인자살률은 10만명당 555명으로 전체 자살률의 2배 이상 (rsquo14년)

- (자살수단) 목맴으로 인한 자살이 가장 많고 최근 농약으로 인한

자살 감소 가스중독에 의한 자살은 증가

전체 자살자 13836명 중 목맴 (517) 가스중독(154) 추락(141) 농약

(77) 순 (rsquo14년)

- (사회적 비용) 자살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약 65조원이며 이 중

20sim40대의 손실 비용이 80(52조원) 차지(rsquo14년 건강보험공단)

(사망원인별 사회경제적 비용) 암 140조원 뇌혈관질환 52조원 심장질환 40조원

lt연령별 자살률 추이 (rsquo95simrsquo14년 명10만명)gt

ㅇ 정신건강 및 음주 문제가 자살의 가장 큰 원인 (rsquo15년 심리부검 결과)

- 자살자의 884가 우울증 등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었으나 이 중

꾸준히 약물치료를 받은 비율은 15에 불과

- 자살자의 약 397가 사망 당시 음주상태였으며 256가 과다

음주로 인한 대인관계 갈등 직업적 곤란 법적 문제 등을 가짐

- 6 -

Ⅱ 방향 및 전략

1 핵심 가치

2 정신건강 패러다임의 전환

지금까지(AS-IS) 앞으로(TO-BE)

정신건강증진

bull 중증 정신질환자 관리 중심

bull 정신건강증진 사업의 구체성 부족

bull 국민 정신건강 증진 서비스 제공

bull 생애주기별 조기발견개입 지원

중증정신질환관리

bull 초발급성 환자의 만성화

bull 의료기관 입원 위주의 관리

bull 초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bull 지역사회 통합으로 삶의 질 향상

중독관리

bull 중독에 관대한 문화

bull 부처별 분절적 중독예방관리

bull 중독의 적극적 예방

bull 범부처 중독예방관리

자살예방

bull 보건의료중심 자살예방 정책

bull 위험군 대상 제한적 자살예방

bull 보건복지사회문화 등 통합적 자살예방

- 7 -

3 정책 목표 및 전략

비전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

정책

목표

Ⅰ 국민 정신건강 증진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폐해 최소화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정책목표 전 략

국민

정신건강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서비스 이용 제고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중증정신

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2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3 중독자 치료 회복 지원 강화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 8 -

정책목표 전략 (12) 정책과제 (32)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정신

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정신질환자 인권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Ⅲ 중독

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체계 강화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1-3 자살 위험환경 개선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Ⅲ 추진과제

- 9 -

Ⅰ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ㅇ 정신건강 자가관리(self care)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 (rsquo17년)

- (자가관리 지원) 인터넷 스마트폰으로 정신건강 문제 자가진단

이용자 특성에 맞는 근거기반 프로그램 및 정신건강 관련 정보 제공

인지행동치료(CBT) 수면 위생관리 명상 이완요법 등

- (고위험군 연계) 자가 스크리닝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이용자

지역의 정신건강증진센터 의료기관으로 연계 지원

전국 224개소(광역 15 기초 209) 설치 운영 중 평균 9명(광역 18 기초 8) 근무

ㅇ 찾아가는 정신건강 서비스 제공 (rsquo17년)

- (심리지원 이동버스) 5개 국립병원 등을 중심으로 lsquo심리지원 이동

버스rsquo 운영 학교 사업장 방문으로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재난 발생시 현장에 심리지원 이동버스를 파견하여 상담 등 재난심리지원

- (방문보건 복지사업 연계) 가정방문시 우울증 등 스크리닝 및

상담지원 병행 고위험군 전문기관 연계

ㅇ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확대

- (인프라) 시 도 및 시 군 구에 단계적으로 정신건강증진센터 설치

및 필요시 인구를 고려하여 추가 인프라 확충 추진 (rsquo16년)

- (전문인력) 정신건강 증진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하여 정신건강증진

센터 내 정신건강 증진 전담 인력 배치 단계적 확대 (rsquo17년)

- 10 -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ㅇ 정신건강 인식개선 캠페인 공익광고 및 정신건강의 날 지정 (rsquo16년)

- (캠페인) 정신질환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부정적 인식해소를 위한

중 장기 캠페인 계획 수립 시행 및 효과성 분석

- (공익광고) 우울 자살사고(思考) 중독 등을 주제로 한 공익광고

시리즈 제작 TV 라디오 등 매스미디어 SNS 등 홍보

- (정신건강의 날 지정) 법적으로 정신건강의 날(1010) 및 주간을

지정하여 정신건강에 대한 주의 환기 각종 교육 행사 지원

ㅇ 학교 사업장 및 지역사회 기반 정신건강 교육 강화

- (학교) 초 중 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에 lsquo정신건강rsquo 내용 반영 학생

정신건강 관련 교사 직무연수 실시 (rsquo16년)

- (사업장) 사업장 기반 정신건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고

중 장기적으로 정신건강 교육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검토 (rsquo16년)

- (지역사회) 보건소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주민을 대상

다양한 정신건강 강좌 진행 (rsquo16년)

ㅇ 정신건강 관련 민간단체 양성으로 민 관 협력체계 구축

- (단체양성) 정신질환 당사자 가족 종교계 인권단체 등 영향력 있는

민간단체를 양성하여 정신질환에 대한 우호적 환경 조성 (rsquo16년)

- (민 관 협력체계 구축) 민간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기반 정신

건강 인식개선 사업 등 추진 (rsquo17년)

(뉴질랜드 사례) 정신질환자 당사자로 구성된 lsquo소비자자문위원회rsquo가 지역 정신

보건센터에 근무하며 서비스 기획 제공 평가 단계에서 소비자 시각과 이해 반영

(A Guide to Effective Consumer Participation in Mental Health Service)

- 11 -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

ㅇ 관련 법령 제도 정비를 통해 불합리한 차별 개선

- (관계부처합동 TF 구성) 복지부 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등이 포함된 lsquo(가칭)정신질환 차별개선 TFrsquo 구성 (rsquo16년)

-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을

제공하는 법령 제도 행태 등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rsquo17년)

정신과 진료기록이 있으면 보험 가입이 불가능하다 (rsquo1591 아시아경제)

ㅇ 정신질환 차별여부 모니터링 및 처벌규정 마련 (rsquo17년)

- (모니터링) 정신질환 이력자 당사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모니터링단rsquo을 구성하여 언론 온라인 등 실시간 모니터링

- (처벌규정 마련) 관련 법령 제 개정으로 정신질환자 및 정신질환

이력자 등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시 처벌할 수 있는 규정 마련

ㅇ 바람직한 언론보도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 (가이드라인 마련) 정신질환 관련 정확한 용어 사용 바람직한 보도

방안 등의 내용이 포함된 lsquo보도 가이드라인rsquo 마련 배포 (rsquo16년)

(예) 범죄자의 범행 동기보다 정신질환 여부를 강조하여 모든 정신질환자가

위험하며 정신질환자가 lsquo묻지마 범죄rsquo를 저지른다는 식의 보도 자제

- (언론인 대상 설명회) 기자 등 언론인 대상 정신질환에 대한

이해도 제고 부정적 인식 개선 등을 위한 정기적인 설명회

포럼 등 마련 (rsquo17년)

- 12 -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ㅇ 동네 의원 역량강화를 통한 조기발견 개입 지원 (rsquo17년)

- (조기발견) 의료인 교육 및 가이드라인 마련 등으로 동네 의원

방문시 우울 불안 등 주요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자살자의 281가 자살 전 복통 등 신체적 불편감이나 수면곤란 등으로 1차

의료기관 방문 (rsquo15년 심리부검)

- (개입) 고위험군 대상 정신건강의학과(이하 ldquo정신과rdquo) 및 지역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를 강화하고 우울증 약물 처방 및 상담치료 확대

인구 천명당 항우울제 복용률(DDD 1일 사용량 단위) 한국 20 OECD 평균

58로 최하위 수준

ㅇ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dquo마음건강 주치의rdquo(정신과 전문의) 배치 (rsquo17년)

- (조기발견) 지역사회 주민의 정신건강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

센터 내 정신과 전문의 상담을 통해 1차 진단 추진

- (개입) 기본상담 후 개별 맞춤형 필요 서비스 설계 및 연계 지원

정신건강증진센터 사례관리 사회서비스 바우처 제공 약물처방 입원 등

필요시 의료기관 연계 등

ㅇ 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시 정신건강 검진 내실화 (rsquo17년)

- (조기발견) 생애전환기 우울증 검사(40 66세) 문항을 내실화 하고

단계적으로 대상자 확대 등 추진

- (개입) 검진 결과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강화

- 13 -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

ㅇ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분들을 위한 지원 강화 (rsquo16년)

- (취약계층) 복지급여 등 신청시 읍 면 동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강화로 중독관리 자살생각 등에 대한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지원

- (신용회복 지원자) 신용회복 개인회생 파산 신청 판정시 필요한 경우

본인 동의 후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심리지원 (금융위 법원 행정처)

ㅇ 이주민 북한이탈주민 대상 적응교육 및 심리지원 (rsquo16년)

- (이주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외국인력지원센터 등을 통해 이주

노동자 결혼 이민자 이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관리

강화 (여가부 고용부)

- (북한이탈주민) 국립병원-하나원-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정신건강 문제 스크리닝 상담 등 서비스 지원 (통일부)

ㅇ 위험직 공무원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치유 지원 (rsquo16년)

- (직장 내) 직장 내 정신건강 관리 매뉴얼(프로토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보급 등으로 1차적 심리지원 실시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 (직장 외) 전문적 심리지원 필요시 정신건강증진센터 트라우마

센터를 통해 심층평가 상담 프로그램 및 의료기관 연계

소방공무원 32112명 중 약 139가 PTSD 위험군 (rsquo12 소방방재청 설문조사)

ㅇ 기타 정신건강 취약계층에 대한 심리 정서 지원 (rsquo16년)

- 감정노동자 신체장애인 한부모 조손가정 등에게 스트레스 관리

분노조절 등을 위한 교육 상담 및 고위험군 발굴 연계 (고용부 여가부)

- 14 -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ㅇ 지역사회 재난 대응 정신건강관리체계 구축

- (범부처 대응체계 구축) 안전처 복지부 교육부 여가부 등 관계기관

합동 재난 심리지원 대응체계 마련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rsquo16년)

재난 심리지원 협력 네트워크 및 매뉴얼 마련 (역할분담 정보공유 체계 등)

- (응급 정신질환 대응) 응급의료기관 내 응급 정신질환을 위한 별도

공간(격리 입원실 등) 마련 및 병원 내 필요인력 배치 검토 (rsquo17년)

- (지속 대응체계 마련) 5개 국립병원 안산 트라우마센터 정신건강

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장기적 지속적 관리체계 마련 (rsquo16년)

ㅇ 재난 피해자 심리회복을 위한 RampD 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 (rsquo16년)

- (RampD) 주요 재난 유형별 공적 개입이 필요한 재난을 정의하고

재난 별 기본 정신건강관리 중재기법 개발

응급 현장개입 회복기 자살시도 심한 분노나 죄책감 등 특수상황 개입 등

- (전문인력) 국립서울병원 및 안산 트라우마센터를 중심으로 재난

심리지원 전문 인력 양성 및 정신과 의료진 등 관련 풀 관리

lt재난심리지원 인프라 해외사례gt

일본 효고현 재난트라우마 센터 (Hyogo Institute for Traumatic Stress)

- (설립) 고베지진 후 일본의 지진 등 재난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훈련 협진

등 재난 및 범죄분야 지원을 위하여 고베시 효고현에 설치

- (주요기능) PTSD 관련 연구 상담 진료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훈련 협력

관계 유지 관련인력 관리 정보제공 홍보 등

미국 국립 PTSD 센터 (National Center for PTSD)

- (설립) 국립 PTSD 센터 설립 (1989년sim)

- (주요기능) 주로 PTSD 예방과 이해 치료에 관한 교육middot연구 수행

- 15 -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ㅇ 정서발달 평가 및 평가 결과에 따른 서비스 지원 연계 (rsquo17년)

- (정밀 발달검사) 영유아 건강검진시 발달검사 실시 검사결과 발달

장애 의심시 정밀검사비 지원 (대상 및 금액 단계적 확대 검토)

현재 의료급여수급권자 건강보험료 부과금액 하위 30 이하 대상 1인당

최대 40만원 범위 내 지원

- (정서발달 자가평가) 가정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가 활용 가능한

영 유아 사회 정서발달 관련 자가검진 도구 개발 보급 (교육부)

- (서비스 지원)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영유아 발달지원 체계

구축 자가평가 결과 고위험군 대상 심층평가 상담 바우처 연계

ㅇ 아동학대 발생시 위기개입 (rsquo16년)

- (상태평가) 정신건강증진센터-육아종합지원센터-아동보호전문기관

간 연계 체계를 구축하여 학대 및 관련아동 긴급 심리평가 실시

- (위기개입) 심리평가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해당 아동 놀이치료

및 부모 등 보호자 대상 지원교육 제공

ㅇ 부모 교사 대상 심리지원 및 교육 (rsquo16년)

- (심리지원) 부모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 대상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 정신건강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대상 상담 등 심리지원 (교육부)

(부모) 영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정신건강 스크리닝 (교사) 직무 스트레스 검사

- (교육) 부모 대상 양육교육 의무화 교사 대상 문제행동 영유아

보육 교육방법 가이드라인 제공 및 심화교육 (교육부)

- 16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ㅇ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실태조사 (rsquo16년)

-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를 통해 정신질환

발병 시점 주요 질병 유병률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현황 등 조사

그간 실태조사(rsquo06 rsquo11)는 만18세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

ㅇ 학교기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교육부 미래부)

- (정서행동특성검사 내실화) 문항 점검 검사 주기 등 검토 (rsquo16년)

현재 초등학교 1 4학년 중1 고1 대상 실시

- (교내 상담강화) 학교 내 상담교사를 배치하고 시 도 교육청 단위

스쿨닥터를 지정하여 문제행동 학생 대상 학교 내 상담 강화 (rsquo17년)

- (위기개입) 학교 내 자살 사고 학교폭력 등 위기 발생시 심리

지원 교육자료 마련 및 외부기관을 통한 개입 중재 지원 (rsquo16년)

- (지역사회 연계) 전문적 지원 필요시 Wee센터 정신건강증진센터

인터넷중독대응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저소득층 치료비 지원 (rsquo16년)

ㅇ 학교 밖 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여가부) (rsquo17년)

- (스크리닝)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학교 밖 청소년

대상 lsquo정서행동특성검사rsquo 시행

- (지원)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와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로 심층평가 상담 및 치료계획 수립 등 지원

ㅇ 정신건강 관련업무 담당인력 역량 강화 (교육부 여가부)

- (보건 상담교사) 연수시 정신건강 관련 심층교육 실시 및 교사

대상 학생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 보급 (rsquo15년sim)

- (지역센터) Wee센터 및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전문 상담요원 대상

역량강화 교육 및 워크샵 실시 정신과 전문의 슈퍼비전 지원 (rsquo16년)

- 17 -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

ㅇ 대학생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인프라 구축) 대학 상담센터 또는 의무실 내 정신건강 지원 역량

강화 및 지역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체계 구축 (교육부) (rsquo18년)

- (자조모임 지원)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개선 건전음주 문화 조성

등을 위하여 대학 내 동아리 학회 등 지원 (rsquo16년)

ㅇ 산모 산전 후 우울증 관리 강화 (rsquo17년)

- (양육교육) 보건소 건강가정지원센터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부모 대상 자녀 양육교육 강화 (여가부)

- (조기발견) 산부인과 검진 또는 영 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대상

우울 불안 등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 (서비스 제공) 고위험군 선별시 정신의료기관 연계 아이돌봄서비스

일시보육 우선 제공 및 고운맘 카드 사용처 확대 검토 (여가부)

건강보험가입자 대상 임신 1회당 50만원(다태아 70만원)을 지원(rsquo15년 기준)

ㅇ 근로자 직무 스트레스 및 우울증 관리 (rsquo17년)

- 사업장 규모별 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근로자

정신건강증진활동 강화 (고용부)

(50인 미만) lsquo근로자 건강센터rsquo 내 정신건강 관련 사업을 보강하고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연계 강화

(50인 이상 300인 미만) lsquo안전보건관리공단rsquo 및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전문가가 사업장을 방문하여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300인 이상) lsquo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매뉴얼rsquo을 개발 보급하여 사업장

내 자체적인 심리지원 서비스 유도 우수 사업장 인센티브 제공 검토

(기업경영 비용 유발 순위) 우울증-비만-관절염-허리 목 통증 (rsquo10 하버드)

- 18 -

노인 정신건강 지원

ㅇ 노인 정신건강 관련 종합검사 실시 및 심리지원

- (정신건강 문제 발견 강화) 노인대상 서비스 제공자 등 대상 정신

건강 문제 발견 및 연계교육 강화로 정신건강 문제 조기 발견

생활관리사 老老케어 참가자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소진료소장 등

- (정신건강 종합검사)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하여 정신건강 및 생활습관 등 종합검사 제공 (rsquo17년)

(정신건강) 인지기능(치매) 노인성 우울 불안 수면장애 일상생활 기능장애 등

(생활습관) 음주 흡연 영양섭취 습관 신체 사회 활동량 등

- (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하여 지속적 상담 제공 (rsquo16년)

ㅇ 노인 특화 정신건강 프로그램 제공 (rsquo17년)

- (수면 화병 관리 등)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해 적정 수면 화병 관리 및 신체질환자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

- (사회 재적응 훈련) 사별 은퇴 노화 등 부정적 외부환경 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제공

- (사회참여 강화) 저소득층 노인 취업지원 노인 대상 자원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노인의 사회참여 유도

ㅇ 정신건강 관련 정보제공 및 편견해소 교육 홍보 (rsquo16년)

- (정보제공) 장기요양보험 기초노령연금 등과 연계하여 신청

지급시 본인 및 가족에게 정신건강 관련 정보 교육 제공

노인 정신건강 문제는 정상적 노화과정과의 구별 필요 정확한 정보제공이 중요

- (편견해소 교육 홍보) 정신질환 및 치료에 대한 편견이 가장 높은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대학 노인복지관 등을 통해 편견해소 교육 홍보

- 19 -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ㅇ 초발 급성 환자 조기 집중치료를 위한 건강보험수가체계 개선 (rsquo17년)

- (초기치료 강화) 초기 단계의 적극적인 정신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외래 본인부담 경감(30sim60rarr20) 상담 중심의 심층치료 활성화

- (비용부담 완화) 높은 비용부담 때문에 지속적 치료를 방해하는

비급여 정신요법 의약품에 대한 보험 적용 확대

- (위기대응) 자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등에 대한 위기중재

및 집중관리를 위하여 건강보험 보장범위를 대폭 확대

ㅇ 의료급여 체계 개선으로 양질의 치료 서비스 제공 (rsquo17)

- (조기 집중치료) 초기 입원수가(예 입원 후 1sim3개월) 인상률을

높이는 등 제도개선 추진으로 조기 집중치료를 통한 퇴원 유도

- (치료서비스 향상) 정신의료기관의 저가약 사용 유인 등이 감소

하도록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편방안 마련

ㅇ 불필요한 입원을 제한하고 지역사회 복귀 강화 (rsquo17)

- (장기입원 억제) 의료급여 입원환자의 재원 일수에 따라 일당정액

수가 체감제를 강화하여 불필요한 장기입원 억제 검토

- (지역사회 복귀 촉진) 낮병동 수가 조정 퇴원연계 활성화 유도

등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및 치료여건 강화

- 20 -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ㅇ 초발환자 발견 및 지역사회 관리 모형 개발

-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조현병 양극성장애 등 중증 정신질환

조기발견 및 개입 체계 구축

- (시범사업 실시) 청소년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초발 정신증 발견

및 조기중재 모형 개발 및 시범사업 실시

정신질환의 약 50가 10대 중후반에 시작되고 75 정도의 질환이 20세

중반까지 발병 (Kessler 등)

ㅇ 급성기 환자 응급 및 단기입원 제도 활성화

- (응급병상 운영) 국립병원 내 24시간 lsquo응급병상rsquo 운영으로 급성

정신병 증상 발작(acting-out) 등 발생시 응급입원 집중 관리

지역사회 응급개입은 연간 약 6만9천건에 달하나 응급병상 운영 병원

부족으로 응급입원은 연간 26건에 불과 (lsquo14년)

- (모델 개발) 의료기관과 사회복귀시설 중간단계 모형을 구축하여

급성기 단기입원 후 일상생활 복귀 지원

ㅇ 정신질환 치료기술 연구(RampD) 강화

- (국립서울병원 기능개편) 국립서울병원의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임상병동을 운영하여 치료기술 개발 효과성 검증 등 수행

- (RampD 효과성 제고) 진료효과 향상을 위한 조기진단 치료 고도화

표준화 기술개발 등 지원

- 21 -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ㅇ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지원강화 (rsquo16년)

- (사례관리 강화)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squo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

관리팀rsquo을 내실화하고 외래치료 투약여부 등 관리 지원

- (지역 인프라 간 기능 재정립)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 간

기능 재정립으로 서비스 중복 사각지대 발생 해소

- (복지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읍 면 동사무소 연계로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관리시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제공

ㅇ 외래치료명령제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활성화로 퇴원 유도 (rsquo17년)

- (외래치료 명령제 강화) 퇴원환자 외 지역사회 관리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도 외래치료 명령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제도 활성화

현재는 정신의료기관 퇴원시 퇴원환자에 대해서만 외래치료 명령 가능

-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통한 처방

활성화로 입원 위주의 치료에서 지역사회 관리로 전환

일정기간(2주 4주 등) 약효가 지속되어 반복적 재입원 재발율을 낮추는데 도움

ㅇ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유도 및 지원

- (비용 효과 분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관리 유인구조 마련을 위하여

의료기관 입원과 지역사회 관리시 소요되는 비용 효과 분석 (rsquo16년)

- (사회적 협동조합) 정신질환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를 위하여 회복

재활을 지원하도록 당사자의 lsquo사회적 협동조합rsquo 설립 장려 (rsquo16년)

- (취업지원 강화) 정신질환자 취업지원을 강화하고 장애인 판정 기준

재검토 등을 통해 취업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개선 (고용부) (rsquo17년)

- 22 -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ㅇ 사회복귀시설 단계적 확충

- (인센티브) 지자체 평가 국비사업 지자체 공모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여부 고려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하여 확충 유도 (rsquo17년)

현재 사회복귀시설 중 52(165개소)는 서울 경기 인천에 설치

- (직접운영) 국립병원에서 직접 사회복귀시설을 설치하여 입원치료

부터 퇴원 후 사회복귀까지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ㅇ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귀시설 설치 운영 (rsquo17년)

- (다양한 유형 설치) 단기보호 장기생활 공동생활 독립 훈련형

등 이용자 특성(질환 유형 중증도 등)에 맞는 거주시설 설치 운영

- (아동 청소년 특화시설 마련) 성인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관리 학업지원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설치 운영

현재 아동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은 전국 11개소에 불과

ㅇ 사회복귀시설의 질적 수준 제고 (rsquo16년)

- (슈퍼비전 지원) 국립병원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주간

재활시설 프로그램 인력 역량강화 교육 슈퍼비전 등 지원

- (평가 내실화) 사회복귀시설 평가지표 개선 평가주기 단축으로

평가 내실화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도 제고

ㅇ 직업 재활 활성화를 위한 근로환경 개선 및 모형 개발

- (근로환경 개선) 근로시간 임금수준 등 적정 근로여건에 대한 가이드

라인 마련 및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근로환경 개선 (rsquo16년)

- (모형 개발) 수익창출이 가능한 농촌 및 도시형 직업재활 모형을

개발하여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추진 (rsquo17년)

- 23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낮병동 확대 및 병상수 축소

- (낮병동 확대) 제도개선으로 낮병동 확충 유도 및 지역사회 정신

건강서비스 연계 강화로 입원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 (rsquo17년)

병원에서 6시간 이상 진료를 받고 당일 귀가하도록 하는 제도

타 진료과목의 낮병동과 정신의료기관 낮병동을 분리 정신의료기관의

낮병동 수가 인상 및 6시간 이용시간 제한규정 완화 등 검토

- (병상수 축소) 병상 규모를 정신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연동시켜

서비스 질이 낮은 기관을 중심으로 병상규모 단계적 축소 (rsquo18년)

ㅇ 정신요양시설 정체성 확립 및 단계적 기능전환

- (이용 대상자 명확화) lsquo의학적 치료rsquo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들로

입소대상을 한정하고 아동 청소년은 정신요양시설 이용을 제한

하여 지역사회 치료 복귀시설로 유도 (rsquo16년)

- (기능 표준화) 정신요양시설 운영 및 역할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등으로 서비스 수준 제고 (rsquo17년)

- (기능전환) 중 장기적으로 연구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신요양시설을

사회복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기능 전환 유도 (rsquo18년)

ㅇ 신체 복합 질환자 치료병원 확충

- (가이드라인 마련) 신체적 질병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등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및 교육 (rsquo17년)

- (지정병원) 정신 및 신체 복합 질환자에 대한 치료 입원 수술이

가능한 병원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홍보 지원 (rsquo18년)

의료질 평가지원금 평가지표에 정신 신체 복합 질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비율 등 포함 검토

- (정신의료기관 내 신체질환 치료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타 진료과목

전문의 배치를 확대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 연계체계 구축 (rsquo18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8: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6 -

Ⅱ 방향 및 전략

1 핵심 가치

2 정신건강 패러다임의 전환

지금까지(AS-IS) 앞으로(TO-BE)

정신건강증진

bull 중증 정신질환자 관리 중심

bull 정신건강증진 사업의 구체성 부족

bull 국민 정신건강 증진 서비스 제공

bull 생애주기별 조기발견개입 지원

중증정신질환관리

bull 초발급성 환자의 만성화

bull 의료기관 입원 위주의 관리

bull 초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bull 지역사회 통합으로 삶의 질 향상

중독관리

bull 중독에 관대한 문화

bull 부처별 분절적 중독예방관리

bull 중독의 적극적 예방

bull 범부처 중독예방관리

자살예방

bull 보건의료중심 자살예방 정책

bull 위험군 대상 제한적 자살예방

bull 보건복지사회문화 등 통합적 자살예방

- 7 -

3 정책 목표 및 전략

비전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

정책

목표

Ⅰ 국민 정신건강 증진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폐해 최소화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정책목표 전 략

국민

정신건강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서비스 이용 제고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중증정신

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2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3 중독자 치료 회복 지원 강화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 8 -

정책목표 전략 (12) 정책과제 (32)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정신

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정신질환자 인권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Ⅲ 중독

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체계 강화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1-3 자살 위험환경 개선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Ⅲ 추진과제

- 9 -

Ⅰ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ㅇ 정신건강 자가관리(self care)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 (rsquo17년)

- (자가관리 지원) 인터넷 스마트폰으로 정신건강 문제 자가진단

이용자 특성에 맞는 근거기반 프로그램 및 정신건강 관련 정보 제공

인지행동치료(CBT) 수면 위생관리 명상 이완요법 등

- (고위험군 연계) 자가 스크리닝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이용자

지역의 정신건강증진센터 의료기관으로 연계 지원

전국 224개소(광역 15 기초 209) 설치 운영 중 평균 9명(광역 18 기초 8) 근무

ㅇ 찾아가는 정신건강 서비스 제공 (rsquo17년)

- (심리지원 이동버스) 5개 국립병원 등을 중심으로 lsquo심리지원 이동

버스rsquo 운영 학교 사업장 방문으로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재난 발생시 현장에 심리지원 이동버스를 파견하여 상담 등 재난심리지원

- (방문보건 복지사업 연계) 가정방문시 우울증 등 스크리닝 및

상담지원 병행 고위험군 전문기관 연계

ㅇ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확대

- (인프라) 시 도 및 시 군 구에 단계적으로 정신건강증진센터 설치

및 필요시 인구를 고려하여 추가 인프라 확충 추진 (rsquo16년)

- (전문인력) 정신건강 증진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하여 정신건강증진

센터 내 정신건강 증진 전담 인력 배치 단계적 확대 (rsquo17년)

- 10 -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ㅇ 정신건강 인식개선 캠페인 공익광고 및 정신건강의 날 지정 (rsquo16년)

- (캠페인) 정신질환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부정적 인식해소를 위한

중 장기 캠페인 계획 수립 시행 및 효과성 분석

- (공익광고) 우울 자살사고(思考) 중독 등을 주제로 한 공익광고

시리즈 제작 TV 라디오 등 매스미디어 SNS 등 홍보

- (정신건강의 날 지정) 법적으로 정신건강의 날(1010) 및 주간을

지정하여 정신건강에 대한 주의 환기 각종 교육 행사 지원

ㅇ 학교 사업장 및 지역사회 기반 정신건강 교육 강화

- (학교) 초 중 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에 lsquo정신건강rsquo 내용 반영 학생

정신건강 관련 교사 직무연수 실시 (rsquo16년)

- (사업장) 사업장 기반 정신건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고

중 장기적으로 정신건강 교육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검토 (rsquo16년)

- (지역사회) 보건소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주민을 대상

다양한 정신건강 강좌 진행 (rsquo16년)

ㅇ 정신건강 관련 민간단체 양성으로 민 관 협력체계 구축

- (단체양성) 정신질환 당사자 가족 종교계 인권단체 등 영향력 있는

민간단체를 양성하여 정신질환에 대한 우호적 환경 조성 (rsquo16년)

- (민 관 협력체계 구축) 민간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기반 정신

건강 인식개선 사업 등 추진 (rsquo17년)

(뉴질랜드 사례) 정신질환자 당사자로 구성된 lsquo소비자자문위원회rsquo가 지역 정신

보건센터에 근무하며 서비스 기획 제공 평가 단계에서 소비자 시각과 이해 반영

(A Guide to Effective Consumer Participation in Mental Health Service)

- 11 -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

ㅇ 관련 법령 제도 정비를 통해 불합리한 차별 개선

- (관계부처합동 TF 구성) 복지부 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등이 포함된 lsquo(가칭)정신질환 차별개선 TFrsquo 구성 (rsquo16년)

-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을

제공하는 법령 제도 행태 등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rsquo17년)

정신과 진료기록이 있으면 보험 가입이 불가능하다 (rsquo1591 아시아경제)

ㅇ 정신질환 차별여부 모니터링 및 처벌규정 마련 (rsquo17년)

- (모니터링) 정신질환 이력자 당사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모니터링단rsquo을 구성하여 언론 온라인 등 실시간 모니터링

- (처벌규정 마련) 관련 법령 제 개정으로 정신질환자 및 정신질환

이력자 등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시 처벌할 수 있는 규정 마련

ㅇ 바람직한 언론보도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 (가이드라인 마련) 정신질환 관련 정확한 용어 사용 바람직한 보도

방안 등의 내용이 포함된 lsquo보도 가이드라인rsquo 마련 배포 (rsquo16년)

(예) 범죄자의 범행 동기보다 정신질환 여부를 강조하여 모든 정신질환자가

위험하며 정신질환자가 lsquo묻지마 범죄rsquo를 저지른다는 식의 보도 자제

- (언론인 대상 설명회) 기자 등 언론인 대상 정신질환에 대한

이해도 제고 부정적 인식 개선 등을 위한 정기적인 설명회

포럼 등 마련 (rsquo17년)

- 12 -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ㅇ 동네 의원 역량강화를 통한 조기발견 개입 지원 (rsquo17년)

- (조기발견) 의료인 교육 및 가이드라인 마련 등으로 동네 의원

방문시 우울 불안 등 주요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자살자의 281가 자살 전 복통 등 신체적 불편감이나 수면곤란 등으로 1차

의료기관 방문 (rsquo15년 심리부검)

- (개입) 고위험군 대상 정신건강의학과(이하 ldquo정신과rdquo) 및 지역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를 강화하고 우울증 약물 처방 및 상담치료 확대

인구 천명당 항우울제 복용률(DDD 1일 사용량 단위) 한국 20 OECD 평균

58로 최하위 수준

ㅇ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dquo마음건강 주치의rdquo(정신과 전문의) 배치 (rsquo17년)

- (조기발견) 지역사회 주민의 정신건강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

센터 내 정신과 전문의 상담을 통해 1차 진단 추진

- (개입) 기본상담 후 개별 맞춤형 필요 서비스 설계 및 연계 지원

정신건강증진센터 사례관리 사회서비스 바우처 제공 약물처방 입원 등

필요시 의료기관 연계 등

ㅇ 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시 정신건강 검진 내실화 (rsquo17년)

- (조기발견) 생애전환기 우울증 검사(40 66세) 문항을 내실화 하고

단계적으로 대상자 확대 등 추진

- (개입) 검진 결과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강화

- 13 -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

ㅇ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분들을 위한 지원 강화 (rsquo16년)

- (취약계층) 복지급여 등 신청시 읍 면 동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강화로 중독관리 자살생각 등에 대한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지원

- (신용회복 지원자) 신용회복 개인회생 파산 신청 판정시 필요한 경우

본인 동의 후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심리지원 (금융위 법원 행정처)

ㅇ 이주민 북한이탈주민 대상 적응교육 및 심리지원 (rsquo16년)

- (이주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외국인력지원센터 등을 통해 이주

노동자 결혼 이민자 이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관리

강화 (여가부 고용부)

- (북한이탈주민) 국립병원-하나원-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정신건강 문제 스크리닝 상담 등 서비스 지원 (통일부)

ㅇ 위험직 공무원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치유 지원 (rsquo16년)

- (직장 내) 직장 내 정신건강 관리 매뉴얼(프로토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보급 등으로 1차적 심리지원 실시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 (직장 외) 전문적 심리지원 필요시 정신건강증진센터 트라우마

센터를 통해 심층평가 상담 프로그램 및 의료기관 연계

소방공무원 32112명 중 약 139가 PTSD 위험군 (rsquo12 소방방재청 설문조사)

ㅇ 기타 정신건강 취약계층에 대한 심리 정서 지원 (rsquo16년)

- 감정노동자 신체장애인 한부모 조손가정 등에게 스트레스 관리

분노조절 등을 위한 교육 상담 및 고위험군 발굴 연계 (고용부 여가부)

- 14 -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ㅇ 지역사회 재난 대응 정신건강관리체계 구축

- (범부처 대응체계 구축) 안전처 복지부 교육부 여가부 등 관계기관

합동 재난 심리지원 대응체계 마련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rsquo16년)

재난 심리지원 협력 네트워크 및 매뉴얼 마련 (역할분담 정보공유 체계 등)

- (응급 정신질환 대응) 응급의료기관 내 응급 정신질환을 위한 별도

공간(격리 입원실 등) 마련 및 병원 내 필요인력 배치 검토 (rsquo17년)

- (지속 대응체계 마련) 5개 국립병원 안산 트라우마센터 정신건강

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장기적 지속적 관리체계 마련 (rsquo16년)

ㅇ 재난 피해자 심리회복을 위한 RampD 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 (rsquo16년)

- (RampD) 주요 재난 유형별 공적 개입이 필요한 재난을 정의하고

재난 별 기본 정신건강관리 중재기법 개발

응급 현장개입 회복기 자살시도 심한 분노나 죄책감 등 특수상황 개입 등

- (전문인력) 국립서울병원 및 안산 트라우마센터를 중심으로 재난

심리지원 전문 인력 양성 및 정신과 의료진 등 관련 풀 관리

lt재난심리지원 인프라 해외사례gt

일본 효고현 재난트라우마 센터 (Hyogo Institute for Traumatic Stress)

- (설립) 고베지진 후 일본의 지진 등 재난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훈련 협진

등 재난 및 범죄분야 지원을 위하여 고베시 효고현에 설치

- (주요기능) PTSD 관련 연구 상담 진료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훈련 협력

관계 유지 관련인력 관리 정보제공 홍보 등

미국 국립 PTSD 센터 (National Center for PTSD)

- (설립) 국립 PTSD 센터 설립 (1989년sim)

- (주요기능) 주로 PTSD 예방과 이해 치료에 관한 교육middot연구 수행

- 15 -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ㅇ 정서발달 평가 및 평가 결과에 따른 서비스 지원 연계 (rsquo17년)

- (정밀 발달검사) 영유아 건강검진시 발달검사 실시 검사결과 발달

장애 의심시 정밀검사비 지원 (대상 및 금액 단계적 확대 검토)

현재 의료급여수급권자 건강보험료 부과금액 하위 30 이하 대상 1인당

최대 40만원 범위 내 지원

- (정서발달 자가평가) 가정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가 활용 가능한

영 유아 사회 정서발달 관련 자가검진 도구 개발 보급 (교육부)

- (서비스 지원)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영유아 발달지원 체계

구축 자가평가 결과 고위험군 대상 심층평가 상담 바우처 연계

ㅇ 아동학대 발생시 위기개입 (rsquo16년)

- (상태평가) 정신건강증진센터-육아종합지원센터-아동보호전문기관

간 연계 체계를 구축하여 학대 및 관련아동 긴급 심리평가 실시

- (위기개입) 심리평가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해당 아동 놀이치료

및 부모 등 보호자 대상 지원교육 제공

ㅇ 부모 교사 대상 심리지원 및 교육 (rsquo16년)

- (심리지원) 부모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 대상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 정신건강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대상 상담 등 심리지원 (교육부)

(부모) 영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정신건강 스크리닝 (교사) 직무 스트레스 검사

- (교육) 부모 대상 양육교육 의무화 교사 대상 문제행동 영유아

보육 교육방법 가이드라인 제공 및 심화교육 (교육부)

- 16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ㅇ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실태조사 (rsquo16년)

-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를 통해 정신질환

발병 시점 주요 질병 유병률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현황 등 조사

그간 실태조사(rsquo06 rsquo11)는 만18세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

ㅇ 학교기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교육부 미래부)

- (정서행동특성검사 내실화) 문항 점검 검사 주기 등 검토 (rsquo16년)

현재 초등학교 1 4학년 중1 고1 대상 실시

- (교내 상담강화) 학교 내 상담교사를 배치하고 시 도 교육청 단위

스쿨닥터를 지정하여 문제행동 학생 대상 학교 내 상담 강화 (rsquo17년)

- (위기개입) 학교 내 자살 사고 학교폭력 등 위기 발생시 심리

지원 교육자료 마련 및 외부기관을 통한 개입 중재 지원 (rsquo16년)

- (지역사회 연계) 전문적 지원 필요시 Wee센터 정신건강증진센터

인터넷중독대응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저소득층 치료비 지원 (rsquo16년)

ㅇ 학교 밖 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여가부) (rsquo17년)

- (스크리닝)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학교 밖 청소년

대상 lsquo정서행동특성검사rsquo 시행

- (지원)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와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로 심층평가 상담 및 치료계획 수립 등 지원

ㅇ 정신건강 관련업무 담당인력 역량 강화 (교육부 여가부)

- (보건 상담교사) 연수시 정신건강 관련 심층교육 실시 및 교사

대상 학생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 보급 (rsquo15년sim)

- (지역센터) Wee센터 및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전문 상담요원 대상

역량강화 교육 및 워크샵 실시 정신과 전문의 슈퍼비전 지원 (rsquo16년)

- 17 -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

ㅇ 대학생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인프라 구축) 대학 상담센터 또는 의무실 내 정신건강 지원 역량

강화 및 지역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체계 구축 (교육부) (rsquo18년)

- (자조모임 지원)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개선 건전음주 문화 조성

등을 위하여 대학 내 동아리 학회 등 지원 (rsquo16년)

ㅇ 산모 산전 후 우울증 관리 강화 (rsquo17년)

- (양육교육) 보건소 건강가정지원센터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부모 대상 자녀 양육교육 강화 (여가부)

- (조기발견) 산부인과 검진 또는 영 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대상

우울 불안 등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 (서비스 제공) 고위험군 선별시 정신의료기관 연계 아이돌봄서비스

일시보육 우선 제공 및 고운맘 카드 사용처 확대 검토 (여가부)

건강보험가입자 대상 임신 1회당 50만원(다태아 70만원)을 지원(rsquo15년 기준)

ㅇ 근로자 직무 스트레스 및 우울증 관리 (rsquo17년)

- 사업장 규모별 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근로자

정신건강증진활동 강화 (고용부)

(50인 미만) lsquo근로자 건강센터rsquo 내 정신건강 관련 사업을 보강하고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연계 강화

(50인 이상 300인 미만) lsquo안전보건관리공단rsquo 및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전문가가 사업장을 방문하여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300인 이상) lsquo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매뉴얼rsquo을 개발 보급하여 사업장

내 자체적인 심리지원 서비스 유도 우수 사업장 인센티브 제공 검토

(기업경영 비용 유발 순위) 우울증-비만-관절염-허리 목 통증 (rsquo10 하버드)

- 18 -

노인 정신건강 지원

ㅇ 노인 정신건강 관련 종합검사 실시 및 심리지원

- (정신건강 문제 발견 강화) 노인대상 서비스 제공자 등 대상 정신

건강 문제 발견 및 연계교육 강화로 정신건강 문제 조기 발견

생활관리사 老老케어 참가자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소진료소장 등

- (정신건강 종합검사)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하여 정신건강 및 생활습관 등 종합검사 제공 (rsquo17년)

(정신건강) 인지기능(치매) 노인성 우울 불안 수면장애 일상생활 기능장애 등

(생활습관) 음주 흡연 영양섭취 습관 신체 사회 활동량 등

- (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하여 지속적 상담 제공 (rsquo16년)

ㅇ 노인 특화 정신건강 프로그램 제공 (rsquo17년)

- (수면 화병 관리 등)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해 적정 수면 화병 관리 및 신체질환자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

- (사회 재적응 훈련) 사별 은퇴 노화 등 부정적 외부환경 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제공

- (사회참여 강화) 저소득층 노인 취업지원 노인 대상 자원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노인의 사회참여 유도

ㅇ 정신건강 관련 정보제공 및 편견해소 교육 홍보 (rsquo16년)

- (정보제공) 장기요양보험 기초노령연금 등과 연계하여 신청

지급시 본인 및 가족에게 정신건강 관련 정보 교육 제공

노인 정신건강 문제는 정상적 노화과정과의 구별 필요 정확한 정보제공이 중요

- (편견해소 교육 홍보) 정신질환 및 치료에 대한 편견이 가장 높은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대학 노인복지관 등을 통해 편견해소 교육 홍보

- 19 -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ㅇ 초발 급성 환자 조기 집중치료를 위한 건강보험수가체계 개선 (rsquo17년)

- (초기치료 강화) 초기 단계의 적극적인 정신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외래 본인부담 경감(30sim60rarr20) 상담 중심의 심층치료 활성화

- (비용부담 완화) 높은 비용부담 때문에 지속적 치료를 방해하는

비급여 정신요법 의약품에 대한 보험 적용 확대

- (위기대응) 자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등에 대한 위기중재

및 집중관리를 위하여 건강보험 보장범위를 대폭 확대

ㅇ 의료급여 체계 개선으로 양질의 치료 서비스 제공 (rsquo17)

- (조기 집중치료) 초기 입원수가(예 입원 후 1sim3개월) 인상률을

높이는 등 제도개선 추진으로 조기 집중치료를 통한 퇴원 유도

- (치료서비스 향상) 정신의료기관의 저가약 사용 유인 등이 감소

하도록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편방안 마련

ㅇ 불필요한 입원을 제한하고 지역사회 복귀 강화 (rsquo17)

- (장기입원 억제) 의료급여 입원환자의 재원 일수에 따라 일당정액

수가 체감제를 강화하여 불필요한 장기입원 억제 검토

- (지역사회 복귀 촉진) 낮병동 수가 조정 퇴원연계 활성화 유도

등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및 치료여건 강화

- 20 -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ㅇ 초발환자 발견 및 지역사회 관리 모형 개발

-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조현병 양극성장애 등 중증 정신질환

조기발견 및 개입 체계 구축

- (시범사업 실시) 청소년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초발 정신증 발견

및 조기중재 모형 개발 및 시범사업 실시

정신질환의 약 50가 10대 중후반에 시작되고 75 정도의 질환이 20세

중반까지 발병 (Kessler 등)

ㅇ 급성기 환자 응급 및 단기입원 제도 활성화

- (응급병상 운영) 국립병원 내 24시간 lsquo응급병상rsquo 운영으로 급성

정신병 증상 발작(acting-out) 등 발생시 응급입원 집중 관리

지역사회 응급개입은 연간 약 6만9천건에 달하나 응급병상 운영 병원

부족으로 응급입원은 연간 26건에 불과 (lsquo14년)

- (모델 개발) 의료기관과 사회복귀시설 중간단계 모형을 구축하여

급성기 단기입원 후 일상생활 복귀 지원

ㅇ 정신질환 치료기술 연구(RampD) 강화

- (국립서울병원 기능개편) 국립서울병원의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임상병동을 운영하여 치료기술 개발 효과성 검증 등 수행

- (RampD 효과성 제고) 진료효과 향상을 위한 조기진단 치료 고도화

표준화 기술개발 등 지원

- 21 -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ㅇ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지원강화 (rsquo16년)

- (사례관리 강화)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squo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

관리팀rsquo을 내실화하고 외래치료 투약여부 등 관리 지원

- (지역 인프라 간 기능 재정립)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 간

기능 재정립으로 서비스 중복 사각지대 발생 해소

- (복지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읍 면 동사무소 연계로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관리시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제공

ㅇ 외래치료명령제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활성화로 퇴원 유도 (rsquo17년)

- (외래치료 명령제 강화) 퇴원환자 외 지역사회 관리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도 외래치료 명령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제도 활성화

현재는 정신의료기관 퇴원시 퇴원환자에 대해서만 외래치료 명령 가능

-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통한 처방

활성화로 입원 위주의 치료에서 지역사회 관리로 전환

일정기간(2주 4주 등) 약효가 지속되어 반복적 재입원 재발율을 낮추는데 도움

ㅇ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유도 및 지원

- (비용 효과 분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관리 유인구조 마련을 위하여

의료기관 입원과 지역사회 관리시 소요되는 비용 효과 분석 (rsquo16년)

- (사회적 협동조합) 정신질환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를 위하여 회복

재활을 지원하도록 당사자의 lsquo사회적 협동조합rsquo 설립 장려 (rsquo16년)

- (취업지원 강화) 정신질환자 취업지원을 강화하고 장애인 판정 기준

재검토 등을 통해 취업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개선 (고용부) (rsquo17년)

- 22 -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ㅇ 사회복귀시설 단계적 확충

- (인센티브) 지자체 평가 국비사업 지자체 공모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여부 고려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하여 확충 유도 (rsquo17년)

현재 사회복귀시설 중 52(165개소)는 서울 경기 인천에 설치

- (직접운영) 국립병원에서 직접 사회복귀시설을 설치하여 입원치료

부터 퇴원 후 사회복귀까지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ㅇ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귀시설 설치 운영 (rsquo17년)

- (다양한 유형 설치) 단기보호 장기생활 공동생활 독립 훈련형

등 이용자 특성(질환 유형 중증도 등)에 맞는 거주시설 설치 운영

- (아동 청소년 특화시설 마련) 성인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관리 학업지원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설치 운영

현재 아동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은 전국 11개소에 불과

ㅇ 사회복귀시설의 질적 수준 제고 (rsquo16년)

- (슈퍼비전 지원) 국립병원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주간

재활시설 프로그램 인력 역량강화 교육 슈퍼비전 등 지원

- (평가 내실화) 사회복귀시설 평가지표 개선 평가주기 단축으로

평가 내실화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도 제고

ㅇ 직업 재활 활성화를 위한 근로환경 개선 및 모형 개발

- (근로환경 개선) 근로시간 임금수준 등 적정 근로여건에 대한 가이드

라인 마련 및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근로환경 개선 (rsquo16년)

- (모형 개발) 수익창출이 가능한 농촌 및 도시형 직업재활 모형을

개발하여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추진 (rsquo17년)

- 23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낮병동 확대 및 병상수 축소

- (낮병동 확대) 제도개선으로 낮병동 확충 유도 및 지역사회 정신

건강서비스 연계 강화로 입원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 (rsquo17년)

병원에서 6시간 이상 진료를 받고 당일 귀가하도록 하는 제도

타 진료과목의 낮병동과 정신의료기관 낮병동을 분리 정신의료기관의

낮병동 수가 인상 및 6시간 이용시간 제한규정 완화 등 검토

- (병상수 축소) 병상 규모를 정신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연동시켜

서비스 질이 낮은 기관을 중심으로 병상규모 단계적 축소 (rsquo18년)

ㅇ 정신요양시설 정체성 확립 및 단계적 기능전환

- (이용 대상자 명확화) lsquo의학적 치료rsquo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들로

입소대상을 한정하고 아동 청소년은 정신요양시설 이용을 제한

하여 지역사회 치료 복귀시설로 유도 (rsquo16년)

- (기능 표준화) 정신요양시설 운영 및 역할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등으로 서비스 수준 제고 (rsquo17년)

- (기능전환) 중 장기적으로 연구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신요양시설을

사회복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기능 전환 유도 (rsquo18년)

ㅇ 신체 복합 질환자 치료병원 확충

- (가이드라인 마련) 신체적 질병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등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및 교육 (rsquo17년)

- (지정병원) 정신 및 신체 복합 질환자에 대한 치료 입원 수술이

가능한 병원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홍보 지원 (rsquo18년)

의료질 평가지원금 평가지표에 정신 신체 복합 질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비율 등 포함 검토

- (정신의료기관 내 신체질환 치료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타 진료과목

전문의 배치를 확대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 연계체계 구축 (rsquo18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9: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7 -

3 정책 목표 및 전략

비전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

정책

목표

Ⅰ 국민 정신건강 증진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폐해 최소화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정책목표 전 략

국민

정신건강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서비스 이용 제고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중증정신

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2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3 중독자 치료 회복 지원 강화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 8 -

정책목표 전략 (12) 정책과제 (32)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정신

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정신질환자 인권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Ⅲ 중독

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체계 강화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1-3 자살 위험환경 개선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Ⅲ 추진과제

- 9 -

Ⅰ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ㅇ 정신건강 자가관리(self care)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 (rsquo17년)

- (자가관리 지원) 인터넷 스마트폰으로 정신건강 문제 자가진단

이용자 특성에 맞는 근거기반 프로그램 및 정신건강 관련 정보 제공

인지행동치료(CBT) 수면 위생관리 명상 이완요법 등

- (고위험군 연계) 자가 스크리닝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이용자

지역의 정신건강증진센터 의료기관으로 연계 지원

전국 224개소(광역 15 기초 209) 설치 운영 중 평균 9명(광역 18 기초 8) 근무

ㅇ 찾아가는 정신건강 서비스 제공 (rsquo17년)

- (심리지원 이동버스) 5개 국립병원 등을 중심으로 lsquo심리지원 이동

버스rsquo 운영 학교 사업장 방문으로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재난 발생시 현장에 심리지원 이동버스를 파견하여 상담 등 재난심리지원

- (방문보건 복지사업 연계) 가정방문시 우울증 등 스크리닝 및

상담지원 병행 고위험군 전문기관 연계

ㅇ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확대

- (인프라) 시 도 및 시 군 구에 단계적으로 정신건강증진센터 설치

및 필요시 인구를 고려하여 추가 인프라 확충 추진 (rsquo16년)

- (전문인력) 정신건강 증진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하여 정신건강증진

센터 내 정신건강 증진 전담 인력 배치 단계적 확대 (rsquo17년)

- 10 -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ㅇ 정신건강 인식개선 캠페인 공익광고 및 정신건강의 날 지정 (rsquo16년)

- (캠페인) 정신질환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부정적 인식해소를 위한

중 장기 캠페인 계획 수립 시행 및 효과성 분석

- (공익광고) 우울 자살사고(思考) 중독 등을 주제로 한 공익광고

시리즈 제작 TV 라디오 등 매스미디어 SNS 등 홍보

- (정신건강의 날 지정) 법적으로 정신건강의 날(1010) 및 주간을

지정하여 정신건강에 대한 주의 환기 각종 교육 행사 지원

ㅇ 학교 사업장 및 지역사회 기반 정신건강 교육 강화

- (학교) 초 중 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에 lsquo정신건강rsquo 내용 반영 학생

정신건강 관련 교사 직무연수 실시 (rsquo16년)

- (사업장) 사업장 기반 정신건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고

중 장기적으로 정신건강 교육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검토 (rsquo16년)

- (지역사회) 보건소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주민을 대상

다양한 정신건강 강좌 진행 (rsquo16년)

ㅇ 정신건강 관련 민간단체 양성으로 민 관 협력체계 구축

- (단체양성) 정신질환 당사자 가족 종교계 인권단체 등 영향력 있는

민간단체를 양성하여 정신질환에 대한 우호적 환경 조성 (rsquo16년)

- (민 관 협력체계 구축) 민간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기반 정신

건강 인식개선 사업 등 추진 (rsquo17년)

(뉴질랜드 사례) 정신질환자 당사자로 구성된 lsquo소비자자문위원회rsquo가 지역 정신

보건센터에 근무하며 서비스 기획 제공 평가 단계에서 소비자 시각과 이해 반영

(A Guide to Effective Consumer Participation in Mental Health Service)

- 11 -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

ㅇ 관련 법령 제도 정비를 통해 불합리한 차별 개선

- (관계부처합동 TF 구성) 복지부 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등이 포함된 lsquo(가칭)정신질환 차별개선 TFrsquo 구성 (rsquo16년)

-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을

제공하는 법령 제도 행태 등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rsquo17년)

정신과 진료기록이 있으면 보험 가입이 불가능하다 (rsquo1591 아시아경제)

ㅇ 정신질환 차별여부 모니터링 및 처벌규정 마련 (rsquo17년)

- (모니터링) 정신질환 이력자 당사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모니터링단rsquo을 구성하여 언론 온라인 등 실시간 모니터링

- (처벌규정 마련) 관련 법령 제 개정으로 정신질환자 및 정신질환

이력자 등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시 처벌할 수 있는 규정 마련

ㅇ 바람직한 언론보도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 (가이드라인 마련) 정신질환 관련 정확한 용어 사용 바람직한 보도

방안 등의 내용이 포함된 lsquo보도 가이드라인rsquo 마련 배포 (rsquo16년)

(예) 범죄자의 범행 동기보다 정신질환 여부를 강조하여 모든 정신질환자가

위험하며 정신질환자가 lsquo묻지마 범죄rsquo를 저지른다는 식의 보도 자제

- (언론인 대상 설명회) 기자 등 언론인 대상 정신질환에 대한

이해도 제고 부정적 인식 개선 등을 위한 정기적인 설명회

포럼 등 마련 (rsquo17년)

- 12 -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ㅇ 동네 의원 역량강화를 통한 조기발견 개입 지원 (rsquo17년)

- (조기발견) 의료인 교육 및 가이드라인 마련 등으로 동네 의원

방문시 우울 불안 등 주요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자살자의 281가 자살 전 복통 등 신체적 불편감이나 수면곤란 등으로 1차

의료기관 방문 (rsquo15년 심리부검)

- (개입) 고위험군 대상 정신건강의학과(이하 ldquo정신과rdquo) 및 지역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를 강화하고 우울증 약물 처방 및 상담치료 확대

인구 천명당 항우울제 복용률(DDD 1일 사용량 단위) 한국 20 OECD 평균

58로 최하위 수준

ㅇ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dquo마음건강 주치의rdquo(정신과 전문의) 배치 (rsquo17년)

- (조기발견) 지역사회 주민의 정신건강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

센터 내 정신과 전문의 상담을 통해 1차 진단 추진

- (개입) 기본상담 후 개별 맞춤형 필요 서비스 설계 및 연계 지원

정신건강증진센터 사례관리 사회서비스 바우처 제공 약물처방 입원 등

필요시 의료기관 연계 등

ㅇ 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시 정신건강 검진 내실화 (rsquo17년)

- (조기발견) 생애전환기 우울증 검사(40 66세) 문항을 내실화 하고

단계적으로 대상자 확대 등 추진

- (개입) 검진 결과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강화

- 13 -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

ㅇ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분들을 위한 지원 강화 (rsquo16년)

- (취약계층) 복지급여 등 신청시 읍 면 동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강화로 중독관리 자살생각 등에 대한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지원

- (신용회복 지원자) 신용회복 개인회생 파산 신청 판정시 필요한 경우

본인 동의 후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심리지원 (금융위 법원 행정처)

ㅇ 이주민 북한이탈주민 대상 적응교육 및 심리지원 (rsquo16년)

- (이주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외국인력지원센터 등을 통해 이주

노동자 결혼 이민자 이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관리

강화 (여가부 고용부)

- (북한이탈주민) 국립병원-하나원-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정신건강 문제 스크리닝 상담 등 서비스 지원 (통일부)

ㅇ 위험직 공무원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치유 지원 (rsquo16년)

- (직장 내) 직장 내 정신건강 관리 매뉴얼(프로토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보급 등으로 1차적 심리지원 실시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 (직장 외) 전문적 심리지원 필요시 정신건강증진센터 트라우마

센터를 통해 심층평가 상담 프로그램 및 의료기관 연계

소방공무원 32112명 중 약 139가 PTSD 위험군 (rsquo12 소방방재청 설문조사)

ㅇ 기타 정신건강 취약계층에 대한 심리 정서 지원 (rsquo16년)

- 감정노동자 신체장애인 한부모 조손가정 등에게 스트레스 관리

분노조절 등을 위한 교육 상담 및 고위험군 발굴 연계 (고용부 여가부)

- 14 -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ㅇ 지역사회 재난 대응 정신건강관리체계 구축

- (범부처 대응체계 구축) 안전처 복지부 교육부 여가부 등 관계기관

합동 재난 심리지원 대응체계 마련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rsquo16년)

재난 심리지원 협력 네트워크 및 매뉴얼 마련 (역할분담 정보공유 체계 등)

- (응급 정신질환 대응) 응급의료기관 내 응급 정신질환을 위한 별도

공간(격리 입원실 등) 마련 및 병원 내 필요인력 배치 검토 (rsquo17년)

- (지속 대응체계 마련) 5개 국립병원 안산 트라우마센터 정신건강

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장기적 지속적 관리체계 마련 (rsquo16년)

ㅇ 재난 피해자 심리회복을 위한 RampD 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 (rsquo16년)

- (RampD) 주요 재난 유형별 공적 개입이 필요한 재난을 정의하고

재난 별 기본 정신건강관리 중재기법 개발

응급 현장개입 회복기 자살시도 심한 분노나 죄책감 등 특수상황 개입 등

- (전문인력) 국립서울병원 및 안산 트라우마센터를 중심으로 재난

심리지원 전문 인력 양성 및 정신과 의료진 등 관련 풀 관리

lt재난심리지원 인프라 해외사례gt

일본 효고현 재난트라우마 센터 (Hyogo Institute for Traumatic Stress)

- (설립) 고베지진 후 일본의 지진 등 재난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훈련 협진

등 재난 및 범죄분야 지원을 위하여 고베시 효고현에 설치

- (주요기능) PTSD 관련 연구 상담 진료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훈련 협력

관계 유지 관련인력 관리 정보제공 홍보 등

미국 국립 PTSD 센터 (National Center for PTSD)

- (설립) 국립 PTSD 센터 설립 (1989년sim)

- (주요기능) 주로 PTSD 예방과 이해 치료에 관한 교육middot연구 수행

- 15 -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ㅇ 정서발달 평가 및 평가 결과에 따른 서비스 지원 연계 (rsquo17년)

- (정밀 발달검사) 영유아 건강검진시 발달검사 실시 검사결과 발달

장애 의심시 정밀검사비 지원 (대상 및 금액 단계적 확대 검토)

현재 의료급여수급권자 건강보험료 부과금액 하위 30 이하 대상 1인당

최대 40만원 범위 내 지원

- (정서발달 자가평가) 가정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가 활용 가능한

영 유아 사회 정서발달 관련 자가검진 도구 개발 보급 (교육부)

- (서비스 지원)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영유아 발달지원 체계

구축 자가평가 결과 고위험군 대상 심층평가 상담 바우처 연계

ㅇ 아동학대 발생시 위기개입 (rsquo16년)

- (상태평가) 정신건강증진센터-육아종합지원센터-아동보호전문기관

간 연계 체계를 구축하여 학대 및 관련아동 긴급 심리평가 실시

- (위기개입) 심리평가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해당 아동 놀이치료

및 부모 등 보호자 대상 지원교육 제공

ㅇ 부모 교사 대상 심리지원 및 교육 (rsquo16년)

- (심리지원) 부모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 대상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 정신건강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대상 상담 등 심리지원 (교육부)

(부모) 영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정신건강 스크리닝 (교사) 직무 스트레스 검사

- (교육) 부모 대상 양육교육 의무화 교사 대상 문제행동 영유아

보육 교육방법 가이드라인 제공 및 심화교육 (교육부)

- 16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ㅇ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실태조사 (rsquo16년)

-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를 통해 정신질환

발병 시점 주요 질병 유병률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현황 등 조사

그간 실태조사(rsquo06 rsquo11)는 만18세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

ㅇ 학교기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교육부 미래부)

- (정서행동특성검사 내실화) 문항 점검 검사 주기 등 검토 (rsquo16년)

현재 초등학교 1 4학년 중1 고1 대상 실시

- (교내 상담강화) 학교 내 상담교사를 배치하고 시 도 교육청 단위

스쿨닥터를 지정하여 문제행동 학생 대상 학교 내 상담 강화 (rsquo17년)

- (위기개입) 학교 내 자살 사고 학교폭력 등 위기 발생시 심리

지원 교육자료 마련 및 외부기관을 통한 개입 중재 지원 (rsquo16년)

- (지역사회 연계) 전문적 지원 필요시 Wee센터 정신건강증진센터

인터넷중독대응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저소득층 치료비 지원 (rsquo16년)

ㅇ 학교 밖 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여가부) (rsquo17년)

- (스크리닝)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학교 밖 청소년

대상 lsquo정서행동특성검사rsquo 시행

- (지원)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와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로 심층평가 상담 및 치료계획 수립 등 지원

ㅇ 정신건강 관련업무 담당인력 역량 강화 (교육부 여가부)

- (보건 상담교사) 연수시 정신건강 관련 심층교육 실시 및 교사

대상 학생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 보급 (rsquo15년sim)

- (지역센터) Wee센터 및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전문 상담요원 대상

역량강화 교육 및 워크샵 실시 정신과 전문의 슈퍼비전 지원 (rsquo16년)

- 17 -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

ㅇ 대학생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인프라 구축) 대학 상담센터 또는 의무실 내 정신건강 지원 역량

강화 및 지역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체계 구축 (교육부) (rsquo18년)

- (자조모임 지원)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개선 건전음주 문화 조성

등을 위하여 대학 내 동아리 학회 등 지원 (rsquo16년)

ㅇ 산모 산전 후 우울증 관리 강화 (rsquo17년)

- (양육교육) 보건소 건강가정지원센터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부모 대상 자녀 양육교육 강화 (여가부)

- (조기발견) 산부인과 검진 또는 영 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대상

우울 불안 등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 (서비스 제공) 고위험군 선별시 정신의료기관 연계 아이돌봄서비스

일시보육 우선 제공 및 고운맘 카드 사용처 확대 검토 (여가부)

건강보험가입자 대상 임신 1회당 50만원(다태아 70만원)을 지원(rsquo15년 기준)

ㅇ 근로자 직무 스트레스 및 우울증 관리 (rsquo17년)

- 사업장 규모별 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근로자

정신건강증진활동 강화 (고용부)

(50인 미만) lsquo근로자 건강센터rsquo 내 정신건강 관련 사업을 보강하고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연계 강화

(50인 이상 300인 미만) lsquo안전보건관리공단rsquo 및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전문가가 사업장을 방문하여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300인 이상) lsquo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매뉴얼rsquo을 개발 보급하여 사업장

내 자체적인 심리지원 서비스 유도 우수 사업장 인센티브 제공 검토

(기업경영 비용 유발 순위) 우울증-비만-관절염-허리 목 통증 (rsquo10 하버드)

- 18 -

노인 정신건강 지원

ㅇ 노인 정신건강 관련 종합검사 실시 및 심리지원

- (정신건강 문제 발견 강화) 노인대상 서비스 제공자 등 대상 정신

건강 문제 발견 및 연계교육 강화로 정신건강 문제 조기 발견

생활관리사 老老케어 참가자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소진료소장 등

- (정신건강 종합검사)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하여 정신건강 및 생활습관 등 종합검사 제공 (rsquo17년)

(정신건강) 인지기능(치매) 노인성 우울 불안 수면장애 일상생활 기능장애 등

(생활습관) 음주 흡연 영양섭취 습관 신체 사회 활동량 등

- (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하여 지속적 상담 제공 (rsquo16년)

ㅇ 노인 특화 정신건강 프로그램 제공 (rsquo17년)

- (수면 화병 관리 등)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해 적정 수면 화병 관리 및 신체질환자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

- (사회 재적응 훈련) 사별 은퇴 노화 등 부정적 외부환경 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제공

- (사회참여 강화) 저소득층 노인 취업지원 노인 대상 자원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노인의 사회참여 유도

ㅇ 정신건강 관련 정보제공 및 편견해소 교육 홍보 (rsquo16년)

- (정보제공) 장기요양보험 기초노령연금 등과 연계하여 신청

지급시 본인 및 가족에게 정신건강 관련 정보 교육 제공

노인 정신건강 문제는 정상적 노화과정과의 구별 필요 정확한 정보제공이 중요

- (편견해소 교육 홍보) 정신질환 및 치료에 대한 편견이 가장 높은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대학 노인복지관 등을 통해 편견해소 교육 홍보

- 19 -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ㅇ 초발 급성 환자 조기 집중치료를 위한 건강보험수가체계 개선 (rsquo17년)

- (초기치료 강화) 초기 단계의 적극적인 정신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외래 본인부담 경감(30sim60rarr20) 상담 중심의 심층치료 활성화

- (비용부담 완화) 높은 비용부담 때문에 지속적 치료를 방해하는

비급여 정신요법 의약품에 대한 보험 적용 확대

- (위기대응) 자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등에 대한 위기중재

및 집중관리를 위하여 건강보험 보장범위를 대폭 확대

ㅇ 의료급여 체계 개선으로 양질의 치료 서비스 제공 (rsquo17)

- (조기 집중치료) 초기 입원수가(예 입원 후 1sim3개월) 인상률을

높이는 등 제도개선 추진으로 조기 집중치료를 통한 퇴원 유도

- (치료서비스 향상) 정신의료기관의 저가약 사용 유인 등이 감소

하도록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편방안 마련

ㅇ 불필요한 입원을 제한하고 지역사회 복귀 강화 (rsquo17)

- (장기입원 억제) 의료급여 입원환자의 재원 일수에 따라 일당정액

수가 체감제를 강화하여 불필요한 장기입원 억제 검토

- (지역사회 복귀 촉진) 낮병동 수가 조정 퇴원연계 활성화 유도

등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및 치료여건 강화

- 20 -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ㅇ 초발환자 발견 및 지역사회 관리 모형 개발

-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조현병 양극성장애 등 중증 정신질환

조기발견 및 개입 체계 구축

- (시범사업 실시) 청소년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초발 정신증 발견

및 조기중재 모형 개발 및 시범사업 실시

정신질환의 약 50가 10대 중후반에 시작되고 75 정도의 질환이 20세

중반까지 발병 (Kessler 등)

ㅇ 급성기 환자 응급 및 단기입원 제도 활성화

- (응급병상 운영) 국립병원 내 24시간 lsquo응급병상rsquo 운영으로 급성

정신병 증상 발작(acting-out) 등 발생시 응급입원 집중 관리

지역사회 응급개입은 연간 약 6만9천건에 달하나 응급병상 운영 병원

부족으로 응급입원은 연간 26건에 불과 (lsquo14년)

- (모델 개발) 의료기관과 사회복귀시설 중간단계 모형을 구축하여

급성기 단기입원 후 일상생활 복귀 지원

ㅇ 정신질환 치료기술 연구(RampD) 강화

- (국립서울병원 기능개편) 국립서울병원의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임상병동을 운영하여 치료기술 개발 효과성 검증 등 수행

- (RampD 효과성 제고) 진료효과 향상을 위한 조기진단 치료 고도화

표준화 기술개발 등 지원

- 21 -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ㅇ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지원강화 (rsquo16년)

- (사례관리 강화)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squo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

관리팀rsquo을 내실화하고 외래치료 투약여부 등 관리 지원

- (지역 인프라 간 기능 재정립)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 간

기능 재정립으로 서비스 중복 사각지대 발생 해소

- (복지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읍 면 동사무소 연계로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관리시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제공

ㅇ 외래치료명령제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활성화로 퇴원 유도 (rsquo17년)

- (외래치료 명령제 강화) 퇴원환자 외 지역사회 관리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도 외래치료 명령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제도 활성화

현재는 정신의료기관 퇴원시 퇴원환자에 대해서만 외래치료 명령 가능

-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통한 처방

활성화로 입원 위주의 치료에서 지역사회 관리로 전환

일정기간(2주 4주 등) 약효가 지속되어 반복적 재입원 재발율을 낮추는데 도움

ㅇ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유도 및 지원

- (비용 효과 분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관리 유인구조 마련을 위하여

의료기관 입원과 지역사회 관리시 소요되는 비용 효과 분석 (rsquo16년)

- (사회적 협동조합) 정신질환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를 위하여 회복

재활을 지원하도록 당사자의 lsquo사회적 협동조합rsquo 설립 장려 (rsquo16년)

- (취업지원 강화) 정신질환자 취업지원을 강화하고 장애인 판정 기준

재검토 등을 통해 취업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개선 (고용부) (rsquo17년)

- 22 -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ㅇ 사회복귀시설 단계적 확충

- (인센티브) 지자체 평가 국비사업 지자체 공모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여부 고려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하여 확충 유도 (rsquo17년)

현재 사회복귀시설 중 52(165개소)는 서울 경기 인천에 설치

- (직접운영) 국립병원에서 직접 사회복귀시설을 설치하여 입원치료

부터 퇴원 후 사회복귀까지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ㅇ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귀시설 설치 운영 (rsquo17년)

- (다양한 유형 설치) 단기보호 장기생활 공동생활 독립 훈련형

등 이용자 특성(질환 유형 중증도 등)에 맞는 거주시설 설치 운영

- (아동 청소년 특화시설 마련) 성인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관리 학업지원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설치 운영

현재 아동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은 전국 11개소에 불과

ㅇ 사회복귀시설의 질적 수준 제고 (rsquo16년)

- (슈퍼비전 지원) 국립병원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주간

재활시설 프로그램 인력 역량강화 교육 슈퍼비전 등 지원

- (평가 내실화) 사회복귀시설 평가지표 개선 평가주기 단축으로

평가 내실화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도 제고

ㅇ 직업 재활 활성화를 위한 근로환경 개선 및 모형 개발

- (근로환경 개선) 근로시간 임금수준 등 적정 근로여건에 대한 가이드

라인 마련 및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근로환경 개선 (rsquo16년)

- (모형 개발) 수익창출이 가능한 농촌 및 도시형 직업재활 모형을

개발하여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추진 (rsquo17년)

- 23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낮병동 확대 및 병상수 축소

- (낮병동 확대) 제도개선으로 낮병동 확충 유도 및 지역사회 정신

건강서비스 연계 강화로 입원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 (rsquo17년)

병원에서 6시간 이상 진료를 받고 당일 귀가하도록 하는 제도

타 진료과목의 낮병동과 정신의료기관 낮병동을 분리 정신의료기관의

낮병동 수가 인상 및 6시간 이용시간 제한규정 완화 등 검토

- (병상수 축소) 병상 규모를 정신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연동시켜

서비스 질이 낮은 기관을 중심으로 병상규모 단계적 축소 (rsquo18년)

ㅇ 정신요양시설 정체성 확립 및 단계적 기능전환

- (이용 대상자 명확화) lsquo의학적 치료rsquo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들로

입소대상을 한정하고 아동 청소년은 정신요양시설 이용을 제한

하여 지역사회 치료 복귀시설로 유도 (rsquo16년)

- (기능 표준화) 정신요양시설 운영 및 역할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등으로 서비스 수준 제고 (rsquo17년)

- (기능전환) 중 장기적으로 연구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신요양시설을

사회복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기능 전환 유도 (rsquo18년)

ㅇ 신체 복합 질환자 치료병원 확충

- (가이드라인 마련) 신체적 질병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등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및 교육 (rsquo17년)

- (지정병원) 정신 및 신체 복합 질환자에 대한 치료 입원 수술이

가능한 병원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홍보 지원 (rsquo18년)

의료질 평가지원금 평가지표에 정신 신체 복합 질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비율 등 포함 검토

- (정신의료기관 내 신체질환 치료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타 진료과목

전문의 배치를 확대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 연계체계 구축 (rsquo18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10: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8 -

정책목표 전략 (12) 정책과제 (32)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정신

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정신질환자 인권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Ⅲ 중독

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체계 강화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1-3 자살 위험환경 개선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Ⅲ 추진과제

- 9 -

Ⅰ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ㅇ 정신건강 자가관리(self care)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 (rsquo17년)

- (자가관리 지원) 인터넷 스마트폰으로 정신건강 문제 자가진단

이용자 특성에 맞는 근거기반 프로그램 및 정신건강 관련 정보 제공

인지행동치료(CBT) 수면 위생관리 명상 이완요법 등

- (고위험군 연계) 자가 스크리닝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이용자

지역의 정신건강증진센터 의료기관으로 연계 지원

전국 224개소(광역 15 기초 209) 설치 운영 중 평균 9명(광역 18 기초 8) 근무

ㅇ 찾아가는 정신건강 서비스 제공 (rsquo17년)

- (심리지원 이동버스) 5개 국립병원 등을 중심으로 lsquo심리지원 이동

버스rsquo 운영 학교 사업장 방문으로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재난 발생시 현장에 심리지원 이동버스를 파견하여 상담 등 재난심리지원

- (방문보건 복지사업 연계) 가정방문시 우울증 등 스크리닝 및

상담지원 병행 고위험군 전문기관 연계

ㅇ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확대

- (인프라) 시 도 및 시 군 구에 단계적으로 정신건강증진센터 설치

및 필요시 인구를 고려하여 추가 인프라 확충 추진 (rsquo16년)

- (전문인력) 정신건강 증진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하여 정신건강증진

센터 내 정신건강 증진 전담 인력 배치 단계적 확대 (rsquo17년)

- 10 -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ㅇ 정신건강 인식개선 캠페인 공익광고 및 정신건강의 날 지정 (rsquo16년)

- (캠페인) 정신질환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부정적 인식해소를 위한

중 장기 캠페인 계획 수립 시행 및 효과성 분석

- (공익광고) 우울 자살사고(思考) 중독 등을 주제로 한 공익광고

시리즈 제작 TV 라디오 등 매스미디어 SNS 등 홍보

- (정신건강의 날 지정) 법적으로 정신건강의 날(1010) 및 주간을

지정하여 정신건강에 대한 주의 환기 각종 교육 행사 지원

ㅇ 학교 사업장 및 지역사회 기반 정신건강 교육 강화

- (학교) 초 중 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에 lsquo정신건강rsquo 내용 반영 학생

정신건강 관련 교사 직무연수 실시 (rsquo16년)

- (사업장) 사업장 기반 정신건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고

중 장기적으로 정신건강 교육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검토 (rsquo16년)

- (지역사회) 보건소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주민을 대상

다양한 정신건강 강좌 진행 (rsquo16년)

ㅇ 정신건강 관련 민간단체 양성으로 민 관 협력체계 구축

- (단체양성) 정신질환 당사자 가족 종교계 인권단체 등 영향력 있는

민간단체를 양성하여 정신질환에 대한 우호적 환경 조성 (rsquo16년)

- (민 관 협력체계 구축) 민간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기반 정신

건강 인식개선 사업 등 추진 (rsquo17년)

(뉴질랜드 사례) 정신질환자 당사자로 구성된 lsquo소비자자문위원회rsquo가 지역 정신

보건센터에 근무하며 서비스 기획 제공 평가 단계에서 소비자 시각과 이해 반영

(A Guide to Effective Consumer Participation in Mental Health Service)

- 11 -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

ㅇ 관련 법령 제도 정비를 통해 불합리한 차별 개선

- (관계부처합동 TF 구성) 복지부 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등이 포함된 lsquo(가칭)정신질환 차별개선 TFrsquo 구성 (rsquo16년)

-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을

제공하는 법령 제도 행태 등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rsquo17년)

정신과 진료기록이 있으면 보험 가입이 불가능하다 (rsquo1591 아시아경제)

ㅇ 정신질환 차별여부 모니터링 및 처벌규정 마련 (rsquo17년)

- (모니터링) 정신질환 이력자 당사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모니터링단rsquo을 구성하여 언론 온라인 등 실시간 모니터링

- (처벌규정 마련) 관련 법령 제 개정으로 정신질환자 및 정신질환

이력자 등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시 처벌할 수 있는 규정 마련

ㅇ 바람직한 언론보도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 (가이드라인 마련) 정신질환 관련 정확한 용어 사용 바람직한 보도

방안 등의 내용이 포함된 lsquo보도 가이드라인rsquo 마련 배포 (rsquo16년)

(예) 범죄자의 범행 동기보다 정신질환 여부를 강조하여 모든 정신질환자가

위험하며 정신질환자가 lsquo묻지마 범죄rsquo를 저지른다는 식의 보도 자제

- (언론인 대상 설명회) 기자 등 언론인 대상 정신질환에 대한

이해도 제고 부정적 인식 개선 등을 위한 정기적인 설명회

포럼 등 마련 (rsquo17년)

- 12 -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ㅇ 동네 의원 역량강화를 통한 조기발견 개입 지원 (rsquo17년)

- (조기발견) 의료인 교육 및 가이드라인 마련 등으로 동네 의원

방문시 우울 불안 등 주요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자살자의 281가 자살 전 복통 등 신체적 불편감이나 수면곤란 등으로 1차

의료기관 방문 (rsquo15년 심리부검)

- (개입) 고위험군 대상 정신건강의학과(이하 ldquo정신과rdquo) 및 지역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를 강화하고 우울증 약물 처방 및 상담치료 확대

인구 천명당 항우울제 복용률(DDD 1일 사용량 단위) 한국 20 OECD 평균

58로 최하위 수준

ㅇ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dquo마음건강 주치의rdquo(정신과 전문의) 배치 (rsquo17년)

- (조기발견) 지역사회 주민의 정신건강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

센터 내 정신과 전문의 상담을 통해 1차 진단 추진

- (개입) 기본상담 후 개별 맞춤형 필요 서비스 설계 및 연계 지원

정신건강증진센터 사례관리 사회서비스 바우처 제공 약물처방 입원 등

필요시 의료기관 연계 등

ㅇ 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시 정신건강 검진 내실화 (rsquo17년)

- (조기발견) 생애전환기 우울증 검사(40 66세) 문항을 내실화 하고

단계적으로 대상자 확대 등 추진

- (개입) 검진 결과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강화

- 13 -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

ㅇ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분들을 위한 지원 강화 (rsquo16년)

- (취약계층) 복지급여 등 신청시 읍 면 동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강화로 중독관리 자살생각 등에 대한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지원

- (신용회복 지원자) 신용회복 개인회생 파산 신청 판정시 필요한 경우

본인 동의 후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심리지원 (금융위 법원 행정처)

ㅇ 이주민 북한이탈주민 대상 적응교육 및 심리지원 (rsquo16년)

- (이주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외국인력지원센터 등을 통해 이주

노동자 결혼 이민자 이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관리

강화 (여가부 고용부)

- (북한이탈주민) 국립병원-하나원-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정신건강 문제 스크리닝 상담 등 서비스 지원 (통일부)

ㅇ 위험직 공무원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치유 지원 (rsquo16년)

- (직장 내) 직장 내 정신건강 관리 매뉴얼(프로토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보급 등으로 1차적 심리지원 실시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 (직장 외) 전문적 심리지원 필요시 정신건강증진센터 트라우마

센터를 통해 심층평가 상담 프로그램 및 의료기관 연계

소방공무원 32112명 중 약 139가 PTSD 위험군 (rsquo12 소방방재청 설문조사)

ㅇ 기타 정신건강 취약계층에 대한 심리 정서 지원 (rsquo16년)

- 감정노동자 신체장애인 한부모 조손가정 등에게 스트레스 관리

분노조절 등을 위한 교육 상담 및 고위험군 발굴 연계 (고용부 여가부)

- 14 -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ㅇ 지역사회 재난 대응 정신건강관리체계 구축

- (범부처 대응체계 구축) 안전처 복지부 교육부 여가부 등 관계기관

합동 재난 심리지원 대응체계 마련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rsquo16년)

재난 심리지원 협력 네트워크 및 매뉴얼 마련 (역할분담 정보공유 체계 등)

- (응급 정신질환 대응) 응급의료기관 내 응급 정신질환을 위한 별도

공간(격리 입원실 등) 마련 및 병원 내 필요인력 배치 검토 (rsquo17년)

- (지속 대응체계 마련) 5개 국립병원 안산 트라우마센터 정신건강

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장기적 지속적 관리체계 마련 (rsquo16년)

ㅇ 재난 피해자 심리회복을 위한 RampD 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 (rsquo16년)

- (RampD) 주요 재난 유형별 공적 개입이 필요한 재난을 정의하고

재난 별 기본 정신건강관리 중재기법 개발

응급 현장개입 회복기 자살시도 심한 분노나 죄책감 등 특수상황 개입 등

- (전문인력) 국립서울병원 및 안산 트라우마센터를 중심으로 재난

심리지원 전문 인력 양성 및 정신과 의료진 등 관련 풀 관리

lt재난심리지원 인프라 해외사례gt

일본 효고현 재난트라우마 센터 (Hyogo Institute for Traumatic Stress)

- (설립) 고베지진 후 일본의 지진 등 재난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훈련 협진

등 재난 및 범죄분야 지원을 위하여 고베시 효고현에 설치

- (주요기능) PTSD 관련 연구 상담 진료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훈련 협력

관계 유지 관련인력 관리 정보제공 홍보 등

미국 국립 PTSD 센터 (National Center for PTSD)

- (설립) 국립 PTSD 센터 설립 (1989년sim)

- (주요기능) 주로 PTSD 예방과 이해 치료에 관한 교육middot연구 수행

- 15 -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ㅇ 정서발달 평가 및 평가 결과에 따른 서비스 지원 연계 (rsquo17년)

- (정밀 발달검사) 영유아 건강검진시 발달검사 실시 검사결과 발달

장애 의심시 정밀검사비 지원 (대상 및 금액 단계적 확대 검토)

현재 의료급여수급권자 건강보험료 부과금액 하위 30 이하 대상 1인당

최대 40만원 범위 내 지원

- (정서발달 자가평가) 가정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가 활용 가능한

영 유아 사회 정서발달 관련 자가검진 도구 개발 보급 (교육부)

- (서비스 지원)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영유아 발달지원 체계

구축 자가평가 결과 고위험군 대상 심층평가 상담 바우처 연계

ㅇ 아동학대 발생시 위기개입 (rsquo16년)

- (상태평가) 정신건강증진센터-육아종합지원센터-아동보호전문기관

간 연계 체계를 구축하여 학대 및 관련아동 긴급 심리평가 실시

- (위기개입) 심리평가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해당 아동 놀이치료

및 부모 등 보호자 대상 지원교육 제공

ㅇ 부모 교사 대상 심리지원 및 교육 (rsquo16년)

- (심리지원) 부모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 대상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 정신건강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대상 상담 등 심리지원 (교육부)

(부모) 영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정신건강 스크리닝 (교사) 직무 스트레스 검사

- (교육) 부모 대상 양육교육 의무화 교사 대상 문제행동 영유아

보육 교육방법 가이드라인 제공 및 심화교육 (교육부)

- 16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ㅇ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실태조사 (rsquo16년)

-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를 통해 정신질환

발병 시점 주요 질병 유병률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현황 등 조사

그간 실태조사(rsquo06 rsquo11)는 만18세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

ㅇ 학교기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교육부 미래부)

- (정서행동특성검사 내실화) 문항 점검 검사 주기 등 검토 (rsquo16년)

현재 초등학교 1 4학년 중1 고1 대상 실시

- (교내 상담강화) 학교 내 상담교사를 배치하고 시 도 교육청 단위

스쿨닥터를 지정하여 문제행동 학생 대상 학교 내 상담 강화 (rsquo17년)

- (위기개입) 학교 내 자살 사고 학교폭력 등 위기 발생시 심리

지원 교육자료 마련 및 외부기관을 통한 개입 중재 지원 (rsquo16년)

- (지역사회 연계) 전문적 지원 필요시 Wee센터 정신건강증진센터

인터넷중독대응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저소득층 치료비 지원 (rsquo16년)

ㅇ 학교 밖 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여가부) (rsquo17년)

- (스크리닝)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학교 밖 청소년

대상 lsquo정서행동특성검사rsquo 시행

- (지원)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와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로 심층평가 상담 및 치료계획 수립 등 지원

ㅇ 정신건강 관련업무 담당인력 역량 강화 (교육부 여가부)

- (보건 상담교사) 연수시 정신건강 관련 심층교육 실시 및 교사

대상 학생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 보급 (rsquo15년sim)

- (지역센터) Wee센터 및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전문 상담요원 대상

역량강화 교육 및 워크샵 실시 정신과 전문의 슈퍼비전 지원 (rsquo16년)

- 17 -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

ㅇ 대학생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인프라 구축) 대학 상담센터 또는 의무실 내 정신건강 지원 역량

강화 및 지역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체계 구축 (교육부) (rsquo18년)

- (자조모임 지원)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개선 건전음주 문화 조성

등을 위하여 대학 내 동아리 학회 등 지원 (rsquo16년)

ㅇ 산모 산전 후 우울증 관리 강화 (rsquo17년)

- (양육교육) 보건소 건강가정지원센터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부모 대상 자녀 양육교육 강화 (여가부)

- (조기발견) 산부인과 검진 또는 영 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대상

우울 불안 등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 (서비스 제공) 고위험군 선별시 정신의료기관 연계 아이돌봄서비스

일시보육 우선 제공 및 고운맘 카드 사용처 확대 검토 (여가부)

건강보험가입자 대상 임신 1회당 50만원(다태아 70만원)을 지원(rsquo15년 기준)

ㅇ 근로자 직무 스트레스 및 우울증 관리 (rsquo17년)

- 사업장 규모별 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근로자

정신건강증진활동 강화 (고용부)

(50인 미만) lsquo근로자 건강센터rsquo 내 정신건강 관련 사업을 보강하고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연계 강화

(50인 이상 300인 미만) lsquo안전보건관리공단rsquo 및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전문가가 사업장을 방문하여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300인 이상) lsquo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매뉴얼rsquo을 개발 보급하여 사업장

내 자체적인 심리지원 서비스 유도 우수 사업장 인센티브 제공 검토

(기업경영 비용 유발 순위) 우울증-비만-관절염-허리 목 통증 (rsquo10 하버드)

- 18 -

노인 정신건강 지원

ㅇ 노인 정신건강 관련 종합검사 실시 및 심리지원

- (정신건강 문제 발견 강화) 노인대상 서비스 제공자 등 대상 정신

건강 문제 발견 및 연계교육 강화로 정신건강 문제 조기 발견

생활관리사 老老케어 참가자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소진료소장 등

- (정신건강 종합검사)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하여 정신건강 및 생활습관 등 종합검사 제공 (rsquo17년)

(정신건강) 인지기능(치매) 노인성 우울 불안 수면장애 일상생활 기능장애 등

(생활습관) 음주 흡연 영양섭취 습관 신체 사회 활동량 등

- (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하여 지속적 상담 제공 (rsquo16년)

ㅇ 노인 특화 정신건강 프로그램 제공 (rsquo17년)

- (수면 화병 관리 등)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해 적정 수면 화병 관리 및 신체질환자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

- (사회 재적응 훈련) 사별 은퇴 노화 등 부정적 외부환경 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제공

- (사회참여 강화) 저소득층 노인 취업지원 노인 대상 자원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노인의 사회참여 유도

ㅇ 정신건강 관련 정보제공 및 편견해소 교육 홍보 (rsquo16년)

- (정보제공) 장기요양보험 기초노령연금 등과 연계하여 신청

지급시 본인 및 가족에게 정신건강 관련 정보 교육 제공

노인 정신건강 문제는 정상적 노화과정과의 구별 필요 정확한 정보제공이 중요

- (편견해소 교육 홍보) 정신질환 및 치료에 대한 편견이 가장 높은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대학 노인복지관 등을 통해 편견해소 교육 홍보

- 19 -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ㅇ 초발 급성 환자 조기 집중치료를 위한 건강보험수가체계 개선 (rsquo17년)

- (초기치료 강화) 초기 단계의 적극적인 정신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외래 본인부담 경감(30sim60rarr20) 상담 중심의 심층치료 활성화

- (비용부담 완화) 높은 비용부담 때문에 지속적 치료를 방해하는

비급여 정신요법 의약품에 대한 보험 적용 확대

- (위기대응) 자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등에 대한 위기중재

및 집중관리를 위하여 건강보험 보장범위를 대폭 확대

ㅇ 의료급여 체계 개선으로 양질의 치료 서비스 제공 (rsquo17)

- (조기 집중치료) 초기 입원수가(예 입원 후 1sim3개월) 인상률을

높이는 등 제도개선 추진으로 조기 집중치료를 통한 퇴원 유도

- (치료서비스 향상) 정신의료기관의 저가약 사용 유인 등이 감소

하도록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편방안 마련

ㅇ 불필요한 입원을 제한하고 지역사회 복귀 강화 (rsquo17)

- (장기입원 억제) 의료급여 입원환자의 재원 일수에 따라 일당정액

수가 체감제를 강화하여 불필요한 장기입원 억제 검토

- (지역사회 복귀 촉진) 낮병동 수가 조정 퇴원연계 활성화 유도

등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및 치료여건 강화

- 20 -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ㅇ 초발환자 발견 및 지역사회 관리 모형 개발

-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조현병 양극성장애 등 중증 정신질환

조기발견 및 개입 체계 구축

- (시범사업 실시) 청소년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초발 정신증 발견

및 조기중재 모형 개발 및 시범사업 실시

정신질환의 약 50가 10대 중후반에 시작되고 75 정도의 질환이 20세

중반까지 발병 (Kessler 등)

ㅇ 급성기 환자 응급 및 단기입원 제도 활성화

- (응급병상 운영) 국립병원 내 24시간 lsquo응급병상rsquo 운영으로 급성

정신병 증상 발작(acting-out) 등 발생시 응급입원 집중 관리

지역사회 응급개입은 연간 약 6만9천건에 달하나 응급병상 운영 병원

부족으로 응급입원은 연간 26건에 불과 (lsquo14년)

- (모델 개발) 의료기관과 사회복귀시설 중간단계 모형을 구축하여

급성기 단기입원 후 일상생활 복귀 지원

ㅇ 정신질환 치료기술 연구(RampD) 강화

- (국립서울병원 기능개편) 국립서울병원의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임상병동을 운영하여 치료기술 개발 효과성 검증 등 수행

- (RampD 효과성 제고) 진료효과 향상을 위한 조기진단 치료 고도화

표준화 기술개발 등 지원

- 21 -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ㅇ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지원강화 (rsquo16년)

- (사례관리 강화)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squo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

관리팀rsquo을 내실화하고 외래치료 투약여부 등 관리 지원

- (지역 인프라 간 기능 재정립)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 간

기능 재정립으로 서비스 중복 사각지대 발생 해소

- (복지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읍 면 동사무소 연계로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관리시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제공

ㅇ 외래치료명령제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활성화로 퇴원 유도 (rsquo17년)

- (외래치료 명령제 강화) 퇴원환자 외 지역사회 관리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도 외래치료 명령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제도 활성화

현재는 정신의료기관 퇴원시 퇴원환자에 대해서만 외래치료 명령 가능

-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통한 처방

활성화로 입원 위주의 치료에서 지역사회 관리로 전환

일정기간(2주 4주 등) 약효가 지속되어 반복적 재입원 재발율을 낮추는데 도움

ㅇ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유도 및 지원

- (비용 효과 분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관리 유인구조 마련을 위하여

의료기관 입원과 지역사회 관리시 소요되는 비용 효과 분석 (rsquo16년)

- (사회적 협동조합) 정신질환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를 위하여 회복

재활을 지원하도록 당사자의 lsquo사회적 협동조합rsquo 설립 장려 (rsquo16년)

- (취업지원 강화) 정신질환자 취업지원을 강화하고 장애인 판정 기준

재검토 등을 통해 취업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개선 (고용부) (rsquo17년)

- 22 -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ㅇ 사회복귀시설 단계적 확충

- (인센티브) 지자체 평가 국비사업 지자체 공모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여부 고려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하여 확충 유도 (rsquo17년)

현재 사회복귀시설 중 52(165개소)는 서울 경기 인천에 설치

- (직접운영) 국립병원에서 직접 사회복귀시설을 설치하여 입원치료

부터 퇴원 후 사회복귀까지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ㅇ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귀시설 설치 운영 (rsquo17년)

- (다양한 유형 설치) 단기보호 장기생활 공동생활 독립 훈련형

등 이용자 특성(질환 유형 중증도 등)에 맞는 거주시설 설치 운영

- (아동 청소년 특화시설 마련) 성인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관리 학업지원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설치 운영

현재 아동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은 전국 11개소에 불과

ㅇ 사회복귀시설의 질적 수준 제고 (rsquo16년)

- (슈퍼비전 지원) 국립병원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주간

재활시설 프로그램 인력 역량강화 교육 슈퍼비전 등 지원

- (평가 내실화) 사회복귀시설 평가지표 개선 평가주기 단축으로

평가 내실화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도 제고

ㅇ 직업 재활 활성화를 위한 근로환경 개선 및 모형 개발

- (근로환경 개선) 근로시간 임금수준 등 적정 근로여건에 대한 가이드

라인 마련 및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근로환경 개선 (rsquo16년)

- (모형 개발) 수익창출이 가능한 농촌 및 도시형 직업재활 모형을

개발하여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추진 (rsquo17년)

- 23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낮병동 확대 및 병상수 축소

- (낮병동 확대) 제도개선으로 낮병동 확충 유도 및 지역사회 정신

건강서비스 연계 강화로 입원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 (rsquo17년)

병원에서 6시간 이상 진료를 받고 당일 귀가하도록 하는 제도

타 진료과목의 낮병동과 정신의료기관 낮병동을 분리 정신의료기관의

낮병동 수가 인상 및 6시간 이용시간 제한규정 완화 등 검토

- (병상수 축소) 병상 규모를 정신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연동시켜

서비스 질이 낮은 기관을 중심으로 병상규모 단계적 축소 (rsquo18년)

ㅇ 정신요양시설 정체성 확립 및 단계적 기능전환

- (이용 대상자 명확화) lsquo의학적 치료rsquo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들로

입소대상을 한정하고 아동 청소년은 정신요양시설 이용을 제한

하여 지역사회 치료 복귀시설로 유도 (rsquo16년)

- (기능 표준화) 정신요양시설 운영 및 역할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등으로 서비스 수준 제고 (rsquo17년)

- (기능전환) 중 장기적으로 연구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신요양시설을

사회복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기능 전환 유도 (rsquo18년)

ㅇ 신체 복합 질환자 치료병원 확충

- (가이드라인 마련) 신체적 질병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등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및 교육 (rsquo17년)

- (지정병원) 정신 및 신체 복합 질환자에 대한 치료 입원 수술이

가능한 병원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홍보 지원 (rsquo18년)

의료질 평가지원금 평가지표에 정신 신체 복합 질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비율 등 포함 검토

- (정신의료기관 내 신체질환 치료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타 진료과목

전문의 배치를 확대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 연계체계 구축 (rsquo18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11: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9 -

Ⅰ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ㅇ 정신건강 자가관리(self care)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 (rsquo17년)

- (자가관리 지원) 인터넷 스마트폰으로 정신건강 문제 자가진단

이용자 특성에 맞는 근거기반 프로그램 및 정신건강 관련 정보 제공

인지행동치료(CBT) 수면 위생관리 명상 이완요법 등

- (고위험군 연계) 자가 스크리닝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이용자

지역의 정신건강증진센터 의료기관으로 연계 지원

전국 224개소(광역 15 기초 209) 설치 운영 중 평균 9명(광역 18 기초 8) 근무

ㅇ 찾아가는 정신건강 서비스 제공 (rsquo17년)

- (심리지원 이동버스) 5개 국립병원 등을 중심으로 lsquo심리지원 이동

버스rsquo 운영 학교 사업장 방문으로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재난 발생시 현장에 심리지원 이동버스를 파견하여 상담 등 재난심리지원

- (방문보건 복지사업 연계) 가정방문시 우울증 등 스크리닝 및

상담지원 병행 고위험군 전문기관 연계

ㅇ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확대

- (인프라) 시 도 및 시 군 구에 단계적으로 정신건강증진센터 설치

및 필요시 인구를 고려하여 추가 인프라 확충 추진 (rsquo16년)

- (전문인력) 정신건강 증진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하여 정신건강증진

센터 내 정신건강 증진 전담 인력 배치 단계적 확대 (rsquo17년)

- 10 -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ㅇ 정신건강 인식개선 캠페인 공익광고 및 정신건강의 날 지정 (rsquo16년)

- (캠페인) 정신질환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부정적 인식해소를 위한

중 장기 캠페인 계획 수립 시행 및 효과성 분석

- (공익광고) 우울 자살사고(思考) 중독 등을 주제로 한 공익광고

시리즈 제작 TV 라디오 등 매스미디어 SNS 등 홍보

- (정신건강의 날 지정) 법적으로 정신건강의 날(1010) 및 주간을

지정하여 정신건강에 대한 주의 환기 각종 교육 행사 지원

ㅇ 학교 사업장 및 지역사회 기반 정신건강 교육 강화

- (학교) 초 중 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에 lsquo정신건강rsquo 내용 반영 학생

정신건강 관련 교사 직무연수 실시 (rsquo16년)

- (사업장) 사업장 기반 정신건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고

중 장기적으로 정신건강 교육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검토 (rsquo16년)

- (지역사회) 보건소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주민을 대상

다양한 정신건강 강좌 진행 (rsquo16년)

ㅇ 정신건강 관련 민간단체 양성으로 민 관 협력체계 구축

- (단체양성) 정신질환 당사자 가족 종교계 인권단체 등 영향력 있는

민간단체를 양성하여 정신질환에 대한 우호적 환경 조성 (rsquo16년)

- (민 관 협력체계 구축) 민간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기반 정신

건강 인식개선 사업 등 추진 (rsquo17년)

(뉴질랜드 사례) 정신질환자 당사자로 구성된 lsquo소비자자문위원회rsquo가 지역 정신

보건센터에 근무하며 서비스 기획 제공 평가 단계에서 소비자 시각과 이해 반영

(A Guide to Effective Consumer Participation in Mental Health Service)

- 11 -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

ㅇ 관련 법령 제도 정비를 통해 불합리한 차별 개선

- (관계부처합동 TF 구성) 복지부 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등이 포함된 lsquo(가칭)정신질환 차별개선 TFrsquo 구성 (rsquo16년)

-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을

제공하는 법령 제도 행태 등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rsquo17년)

정신과 진료기록이 있으면 보험 가입이 불가능하다 (rsquo1591 아시아경제)

ㅇ 정신질환 차별여부 모니터링 및 처벌규정 마련 (rsquo17년)

- (모니터링) 정신질환 이력자 당사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모니터링단rsquo을 구성하여 언론 온라인 등 실시간 모니터링

- (처벌규정 마련) 관련 법령 제 개정으로 정신질환자 및 정신질환

이력자 등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시 처벌할 수 있는 규정 마련

ㅇ 바람직한 언론보도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 (가이드라인 마련) 정신질환 관련 정확한 용어 사용 바람직한 보도

방안 등의 내용이 포함된 lsquo보도 가이드라인rsquo 마련 배포 (rsquo16년)

(예) 범죄자의 범행 동기보다 정신질환 여부를 강조하여 모든 정신질환자가

위험하며 정신질환자가 lsquo묻지마 범죄rsquo를 저지른다는 식의 보도 자제

- (언론인 대상 설명회) 기자 등 언론인 대상 정신질환에 대한

이해도 제고 부정적 인식 개선 등을 위한 정기적인 설명회

포럼 등 마련 (rsquo17년)

- 12 -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ㅇ 동네 의원 역량강화를 통한 조기발견 개입 지원 (rsquo17년)

- (조기발견) 의료인 교육 및 가이드라인 마련 등으로 동네 의원

방문시 우울 불안 등 주요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자살자의 281가 자살 전 복통 등 신체적 불편감이나 수면곤란 등으로 1차

의료기관 방문 (rsquo15년 심리부검)

- (개입) 고위험군 대상 정신건강의학과(이하 ldquo정신과rdquo) 및 지역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를 강화하고 우울증 약물 처방 및 상담치료 확대

인구 천명당 항우울제 복용률(DDD 1일 사용량 단위) 한국 20 OECD 평균

58로 최하위 수준

ㅇ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dquo마음건강 주치의rdquo(정신과 전문의) 배치 (rsquo17년)

- (조기발견) 지역사회 주민의 정신건강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

센터 내 정신과 전문의 상담을 통해 1차 진단 추진

- (개입) 기본상담 후 개별 맞춤형 필요 서비스 설계 및 연계 지원

정신건강증진센터 사례관리 사회서비스 바우처 제공 약물처방 입원 등

필요시 의료기관 연계 등

ㅇ 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시 정신건강 검진 내실화 (rsquo17년)

- (조기발견) 생애전환기 우울증 검사(40 66세) 문항을 내실화 하고

단계적으로 대상자 확대 등 추진

- (개입) 검진 결과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강화

- 13 -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

ㅇ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분들을 위한 지원 강화 (rsquo16년)

- (취약계층) 복지급여 등 신청시 읍 면 동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강화로 중독관리 자살생각 등에 대한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지원

- (신용회복 지원자) 신용회복 개인회생 파산 신청 판정시 필요한 경우

본인 동의 후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심리지원 (금융위 법원 행정처)

ㅇ 이주민 북한이탈주민 대상 적응교육 및 심리지원 (rsquo16년)

- (이주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외국인력지원센터 등을 통해 이주

노동자 결혼 이민자 이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관리

강화 (여가부 고용부)

- (북한이탈주민) 국립병원-하나원-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정신건강 문제 스크리닝 상담 등 서비스 지원 (통일부)

ㅇ 위험직 공무원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치유 지원 (rsquo16년)

- (직장 내) 직장 내 정신건강 관리 매뉴얼(프로토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보급 등으로 1차적 심리지원 실시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 (직장 외) 전문적 심리지원 필요시 정신건강증진센터 트라우마

센터를 통해 심층평가 상담 프로그램 및 의료기관 연계

소방공무원 32112명 중 약 139가 PTSD 위험군 (rsquo12 소방방재청 설문조사)

ㅇ 기타 정신건강 취약계층에 대한 심리 정서 지원 (rsquo16년)

- 감정노동자 신체장애인 한부모 조손가정 등에게 스트레스 관리

분노조절 등을 위한 교육 상담 및 고위험군 발굴 연계 (고용부 여가부)

- 14 -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ㅇ 지역사회 재난 대응 정신건강관리체계 구축

- (범부처 대응체계 구축) 안전처 복지부 교육부 여가부 등 관계기관

합동 재난 심리지원 대응체계 마련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rsquo16년)

재난 심리지원 협력 네트워크 및 매뉴얼 마련 (역할분담 정보공유 체계 등)

- (응급 정신질환 대응) 응급의료기관 내 응급 정신질환을 위한 별도

공간(격리 입원실 등) 마련 및 병원 내 필요인력 배치 검토 (rsquo17년)

- (지속 대응체계 마련) 5개 국립병원 안산 트라우마센터 정신건강

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장기적 지속적 관리체계 마련 (rsquo16년)

ㅇ 재난 피해자 심리회복을 위한 RampD 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 (rsquo16년)

- (RampD) 주요 재난 유형별 공적 개입이 필요한 재난을 정의하고

재난 별 기본 정신건강관리 중재기법 개발

응급 현장개입 회복기 자살시도 심한 분노나 죄책감 등 특수상황 개입 등

- (전문인력) 국립서울병원 및 안산 트라우마센터를 중심으로 재난

심리지원 전문 인력 양성 및 정신과 의료진 등 관련 풀 관리

lt재난심리지원 인프라 해외사례gt

일본 효고현 재난트라우마 센터 (Hyogo Institute for Traumatic Stress)

- (설립) 고베지진 후 일본의 지진 등 재난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훈련 협진

등 재난 및 범죄분야 지원을 위하여 고베시 효고현에 설치

- (주요기능) PTSD 관련 연구 상담 진료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훈련 협력

관계 유지 관련인력 관리 정보제공 홍보 등

미국 국립 PTSD 센터 (National Center for PTSD)

- (설립) 국립 PTSD 센터 설립 (1989년sim)

- (주요기능) 주로 PTSD 예방과 이해 치료에 관한 교육middot연구 수행

- 15 -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ㅇ 정서발달 평가 및 평가 결과에 따른 서비스 지원 연계 (rsquo17년)

- (정밀 발달검사) 영유아 건강검진시 발달검사 실시 검사결과 발달

장애 의심시 정밀검사비 지원 (대상 및 금액 단계적 확대 검토)

현재 의료급여수급권자 건강보험료 부과금액 하위 30 이하 대상 1인당

최대 40만원 범위 내 지원

- (정서발달 자가평가) 가정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가 활용 가능한

영 유아 사회 정서발달 관련 자가검진 도구 개발 보급 (교육부)

- (서비스 지원)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영유아 발달지원 체계

구축 자가평가 결과 고위험군 대상 심층평가 상담 바우처 연계

ㅇ 아동학대 발생시 위기개입 (rsquo16년)

- (상태평가) 정신건강증진센터-육아종합지원센터-아동보호전문기관

간 연계 체계를 구축하여 학대 및 관련아동 긴급 심리평가 실시

- (위기개입) 심리평가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해당 아동 놀이치료

및 부모 등 보호자 대상 지원교육 제공

ㅇ 부모 교사 대상 심리지원 및 교육 (rsquo16년)

- (심리지원) 부모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 대상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 정신건강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대상 상담 등 심리지원 (교육부)

(부모) 영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정신건강 스크리닝 (교사) 직무 스트레스 검사

- (교육) 부모 대상 양육교육 의무화 교사 대상 문제행동 영유아

보육 교육방법 가이드라인 제공 및 심화교육 (교육부)

- 16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ㅇ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실태조사 (rsquo16년)

-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를 통해 정신질환

발병 시점 주요 질병 유병률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현황 등 조사

그간 실태조사(rsquo06 rsquo11)는 만18세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

ㅇ 학교기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교육부 미래부)

- (정서행동특성검사 내실화) 문항 점검 검사 주기 등 검토 (rsquo16년)

현재 초등학교 1 4학년 중1 고1 대상 실시

- (교내 상담강화) 학교 내 상담교사를 배치하고 시 도 교육청 단위

스쿨닥터를 지정하여 문제행동 학생 대상 학교 내 상담 강화 (rsquo17년)

- (위기개입) 학교 내 자살 사고 학교폭력 등 위기 발생시 심리

지원 교육자료 마련 및 외부기관을 통한 개입 중재 지원 (rsquo16년)

- (지역사회 연계) 전문적 지원 필요시 Wee센터 정신건강증진센터

인터넷중독대응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저소득층 치료비 지원 (rsquo16년)

ㅇ 학교 밖 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여가부) (rsquo17년)

- (스크리닝)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학교 밖 청소년

대상 lsquo정서행동특성검사rsquo 시행

- (지원)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와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로 심층평가 상담 및 치료계획 수립 등 지원

ㅇ 정신건강 관련업무 담당인력 역량 강화 (교육부 여가부)

- (보건 상담교사) 연수시 정신건강 관련 심층교육 실시 및 교사

대상 학생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 보급 (rsquo15년sim)

- (지역센터) Wee센터 및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전문 상담요원 대상

역량강화 교육 및 워크샵 실시 정신과 전문의 슈퍼비전 지원 (rsquo16년)

- 17 -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

ㅇ 대학생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인프라 구축) 대학 상담센터 또는 의무실 내 정신건강 지원 역량

강화 및 지역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체계 구축 (교육부) (rsquo18년)

- (자조모임 지원)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개선 건전음주 문화 조성

등을 위하여 대학 내 동아리 학회 등 지원 (rsquo16년)

ㅇ 산모 산전 후 우울증 관리 강화 (rsquo17년)

- (양육교육) 보건소 건강가정지원센터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부모 대상 자녀 양육교육 강화 (여가부)

- (조기발견) 산부인과 검진 또는 영 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대상

우울 불안 등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 (서비스 제공) 고위험군 선별시 정신의료기관 연계 아이돌봄서비스

일시보육 우선 제공 및 고운맘 카드 사용처 확대 검토 (여가부)

건강보험가입자 대상 임신 1회당 50만원(다태아 70만원)을 지원(rsquo15년 기준)

ㅇ 근로자 직무 스트레스 및 우울증 관리 (rsquo17년)

- 사업장 규모별 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근로자

정신건강증진활동 강화 (고용부)

(50인 미만) lsquo근로자 건강센터rsquo 내 정신건강 관련 사업을 보강하고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연계 강화

(50인 이상 300인 미만) lsquo안전보건관리공단rsquo 및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전문가가 사업장을 방문하여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300인 이상) lsquo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매뉴얼rsquo을 개발 보급하여 사업장

내 자체적인 심리지원 서비스 유도 우수 사업장 인센티브 제공 검토

(기업경영 비용 유발 순위) 우울증-비만-관절염-허리 목 통증 (rsquo10 하버드)

- 18 -

노인 정신건강 지원

ㅇ 노인 정신건강 관련 종합검사 실시 및 심리지원

- (정신건강 문제 발견 강화) 노인대상 서비스 제공자 등 대상 정신

건강 문제 발견 및 연계교육 강화로 정신건강 문제 조기 발견

생활관리사 老老케어 참가자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소진료소장 등

- (정신건강 종합검사)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하여 정신건강 및 생활습관 등 종합검사 제공 (rsquo17년)

(정신건강) 인지기능(치매) 노인성 우울 불안 수면장애 일상생활 기능장애 등

(생활습관) 음주 흡연 영양섭취 습관 신체 사회 활동량 등

- (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하여 지속적 상담 제공 (rsquo16년)

ㅇ 노인 특화 정신건강 프로그램 제공 (rsquo17년)

- (수면 화병 관리 등)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해 적정 수면 화병 관리 및 신체질환자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

- (사회 재적응 훈련) 사별 은퇴 노화 등 부정적 외부환경 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제공

- (사회참여 강화) 저소득층 노인 취업지원 노인 대상 자원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노인의 사회참여 유도

ㅇ 정신건강 관련 정보제공 및 편견해소 교육 홍보 (rsquo16년)

- (정보제공) 장기요양보험 기초노령연금 등과 연계하여 신청

지급시 본인 및 가족에게 정신건강 관련 정보 교육 제공

노인 정신건강 문제는 정상적 노화과정과의 구별 필요 정확한 정보제공이 중요

- (편견해소 교육 홍보) 정신질환 및 치료에 대한 편견이 가장 높은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대학 노인복지관 등을 통해 편견해소 교육 홍보

- 19 -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ㅇ 초발 급성 환자 조기 집중치료를 위한 건강보험수가체계 개선 (rsquo17년)

- (초기치료 강화) 초기 단계의 적극적인 정신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외래 본인부담 경감(30sim60rarr20) 상담 중심의 심층치료 활성화

- (비용부담 완화) 높은 비용부담 때문에 지속적 치료를 방해하는

비급여 정신요법 의약품에 대한 보험 적용 확대

- (위기대응) 자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등에 대한 위기중재

및 집중관리를 위하여 건강보험 보장범위를 대폭 확대

ㅇ 의료급여 체계 개선으로 양질의 치료 서비스 제공 (rsquo17)

- (조기 집중치료) 초기 입원수가(예 입원 후 1sim3개월) 인상률을

높이는 등 제도개선 추진으로 조기 집중치료를 통한 퇴원 유도

- (치료서비스 향상) 정신의료기관의 저가약 사용 유인 등이 감소

하도록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편방안 마련

ㅇ 불필요한 입원을 제한하고 지역사회 복귀 강화 (rsquo17)

- (장기입원 억제) 의료급여 입원환자의 재원 일수에 따라 일당정액

수가 체감제를 강화하여 불필요한 장기입원 억제 검토

- (지역사회 복귀 촉진) 낮병동 수가 조정 퇴원연계 활성화 유도

등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및 치료여건 강화

- 20 -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ㅇ 초발환자 발견 및 지역사회 관리 모형 개발

-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조현병 양극성장애 등 중증 정신질환

조기발견 및 개입 체계 구축

- (시범사업 실시) 청소년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초발 정신증 발견

및 조기중재 모형 개발 및 시범사업 실시

정신질환의 약 50가 10대 중후반에 시작되고 75 정도의 질환이 20세

중반까지 발병 (Kessler 등)

ㅇ 급성기 환자 응급 및 단기입원 제도 활성화

- (응급병상 운영) 국립병원 내 24시간 lsquo응급병상rsquo 운영으로 급성

정신병 증상 발작(acting-out) 등 발생시 응급입원 집중 관리

지역사회 응급개입은 연간 약 6만9천건에 달하나 응급병상 운영 병원

부족으로 응급입원은 연간 26건에 불과 (lsquo14년)

- (모델 개발) 의료기관과 사회복귀시설 중간단계 모형을 구축하여

급성기 단기입원 후 일상생활 복귀 지원

ㅇ 정신질환 치료기술 연구(RampD) 강화

- (국립서울병원 기능개편) 국립서울병원의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임상병동을 운영하여 치료기술 개발 효과성 검증 등 수행

- (RampD 효과성 제고) 진료효과 향상을 위한 조기진단 치료 고도화

표준화 기술개발 등 지원

- 21 -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ㅇ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지원강화 (rsquo16년)

- (사례관리 강화)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squo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

관리팀rsquo을 내실화하고 외래치료 투약여부 등 관리 지원

- (지역 인프라 간 기능 재정립)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 간

기능 재정립으로 서비스 중복 사각지대 발생 해소

- (복지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읍 면 동사무소 연계로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관리시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제공

ㅇ 외래치료명령제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활성화로 퇴원 유도 (rsquo17년)

- (외래치료 명령제 강화) 퇴원환자 외 지역사회 관리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도 외래치료 명령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제도 활성화

현재는 정신의료기관 퇴원시 퇴원환자에 대해서만 외래치료 명령 가능

-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통한 처방

활성화로 입원 위주의 치료에서 지역사회 관리로 전환

일정기간(2주 4주 등) 약효가 지속되어 반복적 재입원 재발율을 낮추는데 도움

ㅇ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유도 및 지원

- (비용 효과 분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관리 유인구조 마련을 위하여

의료기관 입원과 지역사회 관리시 소요되는 비용 효과 분석 (rsquo16년)

- (사회적 협동조합) 정신질환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를 위하여 회복

재활을 지원하도록 당사자의 lsquo사회적 협동조합rsquo 설립 장려 (rsquo16년)

- (취업지원 강화) 정신질환자 취업지원을 강화하고 장애인 판정 기준

재검토 등을 통해 취업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개선 (고용부) (rsquo17년)

- 22 -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ㅇ 사회복귀시설 단계적 확충

- (인센티브) 지자체 평가 국비사업 지자체 공모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여부 고려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하여 확충 유도 (rsquo17년)

현재 사회복귀시설 중 52(165개소)는 서울 경기 인천에 설치

- (직접운영) 국립병원에서 직접 사회복귀시설을 설치하여 입원치료

부터 퇴원 후 사회복귀까지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ㅇ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귀시설 설치 운영 (rsquo17년)

- (다양한 유형 설치) 단기보호 장기생활 공동생활 독립 훈련형

등 이용자 특성(질환 유형 중증도 등)에 맞는 거주시설 설치 운영

- (아동 청소년 특화시설 마련) 성인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관리 학업지원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설치 운영

현재 아동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은 전국 11개소에 불과

ㅇ 사회복귀시설의 질적 수준 제고 (rsquo16년)

- (슈퍼비전 지원) 국립병원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주간

재활시설 프로그램 인력 역량강화 교육 슈퍼비전 등 지원

- (평가 내실화) 사회복귀시설 평가지표 개선 평가주기 단축으로

평가 내실화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도 제고

ㅇ 직업 재활 활성화를 위한 근로환경 개선 및 모형 개발

- (근로환경 개선) 근로시간 임금수준 등 적정 근로여건에 대한 가이드

라인 마련 및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근로환경 개선 (rsquo16년)

- (모형 개발) 수익창출이 가능한 농촌 및 도시형 직업재활 모형을

개발하여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추진 (rsquo17년)

- 23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낮병동 확대 및 병상수 축소

- (낮병동 확대) 제도개선으로 낮병동 확충 유도 및 지역사회 정신

건강서비스 연계 강화로 입원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 (rsquo17년)

병원에서 6시간 이상 진료를 받고 당일 귀가하도록 하는 제도

타 진료과목의 낮병동과 정신의료기관 낮병동을 분리 정신의료기관의

낮병동 수가 인상 및 6시간 이용시간 제한규정 완화 등 검토

- (병상수 축소) 병상 규모를 정신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연동시켜

서비스 질이 낮은 기관을 중심으로 병상규모 단계적 축소 (rsquo18년)

ㅇ 정신요양시설 정체성 확립 및 단계적 기능전환

- (이용 대상자 명확화) lsquo의학적 치료rsquo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들로

입소대상을 한정하고 아동 청소년은 정신요양시설 이용을 제한

하여 지역사회 치료 복귀시설로 유도 (rsquo16년)

- (기능 표준화) 정신요양시설 운영 및 역할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등으로 서비스 수준 제고 (rsquo17년)

- (기능전환) 중 장기적으로 연구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신요양시설을

사회복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기능 전환 유도 (rsquo18년)

ㅇ 신체 복합 질환자 치료병원 확충

- (가이드라인 마련) 신체적 질병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등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및 교육 (rsquo17년)

- (지정병원) 정신 및 신체 복합 질환자에 대한 치료 입원 수술이

가능한 병원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홍보 지원 (rsquo18년)

의료질 평가지원금 평가지표에 정신 신체 복합 질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비율 등 포함 검토

- (정신의료기관 내 신체질환 치료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타 진료과목

전문의 배치를 확대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 연계체계 구축 (rsquo18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12: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10 -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ㅇ 정신건강 인식개선 캠페인 공익광고 및 정신건강의 날 지정 (rsquo16년)

- (캠페인) 정신질환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부정적 인식해소를 위한

중 장기 캠페인 계획 수립 시행 및 효과성 분석

- (공익광고) 우울 자살사고(思考) 중독 등을 주제로 한 공익광고

시리즈 제작 TV 라디오 등 매스미디어 SNS 등 홍보

- (정신건강의 날 지정) 법적으로 정신건강의 날(1010) 및 주간을

지정하여 정신건강에 대한 주의 환기 각종 교육 행사 지원

ㅇ 학교 사업장 및 지역사회 기반 정신건강 교육 강화

- (학교) 초 중 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에 lsquo정신건강rsquo 내용 반영 학생

정신건강 관련 교사 직무연수 실시 (rsquo16년)

- (사업장) 사업장 기반 정신건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고

중 장기적으로 정신건강 교육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검토 (rsquo16년)

- (지역사회) 보건소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주민을 대상

다양한 정신건강 강좌 진행 (rsquo16년)

ㅇ 정신건강 관련 민간단체 양성으로 민 관 협력체계 구축

- (단체양성) 정신질환 당사자 가족 종교계 인권단체 등 영향력 있는

민간단체를 양성하여 정신질환에 대한 우호적 환경 조성 (rsquo16년)

- (민 관 협력체계 구축) 민간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기반 정신

건강 인식개선 사업 등 추진 (rsquo17년)

(뉴질랜드 사례) 정신질환자 당사자로 구성된 lsquo소비자자문위원회rsquo가 지역 정신

보건센터에 근무하며 서비스 기획 제공 평가 단계에서 소비자 시각과 이해 반영

(A Guide to Effective Consumer Participation in Mental Health Service)

- 11 -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

ㅇ 관련 법령 제도 정비를 통해 불합리한 차별 개선

- (관계부처합동 TF 구성) 복지부 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등이 포함된 lsquo(가칭)정신질환 차별개선 TFrsquo 구성 (rsquo16년)

-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을

제공하는 법령 제도 행태 등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rsquo17년)

정신과 진료기록이 있으면 보험 가입이 불가능하다 (rsquo1591 아시아경제)

ㅇ 정신질환 차별여부 모니터링 및 처벌규정 마련 (rsquo17년)

- (모니터링) 정신질환 이력자 당사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모니터링단rsquo을 구성하여 언론 온라인 등 실시간 모니터링

- (처벌규정 마련) 관련 법령 제 개정으로 정신질환자 및 정신질환

이력자 등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시 처벌할 수 있는 규정 마련

ㅇ 바람직한 언론보도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 (가이드라인 마련) 정신질환 관련 정확한 용어 사용 바람직한 보도

방안 등의 내용이 포함된 lsquo보도 가이드라인rsquo 마련 배포 (rsquo16년)

(예) 범죄자의 범행 동기보다 정신질환 여부를 강조하여 모든 정신질환자가

위험하며 정신질환자가 lsquo묻지마 범죄rsquo를 저지른다는 식의 보도 자제

- (언론인 대상 설명회) 기자 등 언론인 대상 정신질환에 대한

이해도 제고 부정적 인식 개선 등을 위한 정기적인 설명회

포럼 등 마련 (rsquo17년)

- 12 -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ㅇ 동네 의원 역량강화를 통한 조기발견 개입 지원 (rsquo17년)

- (조기발견) 의료인 교육 및 가이드라인 마련 등으로 동네 의원

방문시 우울 불안 등 주요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자살자의 281가 자살 전 복통 등 신체적 불편감이나 수면곤란 등으로 1차

의료기관 방문 (rsquo15년 심리부검)

- (개입) 고위험군 대상 정신건강의학과(이하 ldquo정신과rdquo) 및 지역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를 강화하고 우울증 약물 처방 및 상담치료 확대

인구 천명당 항우울제 복용률(DDD 1일 사용량 단위) 한국 20 OECD 평균

58로 최하위 수준

ㅇ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dquo마음건강 주치의rdquo(정신과 전문의) 배치 (rsquo17년)

- (조기발견) 지역사회 주민의 정신건강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

센터 내 정신과 전문의 상담을 통해 1차 진단 추진

- (개입) 기본상담 후 개별 맞춤형 필요 서비스 설계 및 연계 지원

정신건강증진센터 사례관리 사회서비스 바우처 제공 약물처방 입원 등

필요시 의료기관 연계 등

ㅇ 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시 정신건강 검진 내실화 (rsquo17년)

- (조기발견) 생애전환기 우울증 검사(40 66세) 문항을 내실화 하고

단계적으로 대상자 확대 등 추진

- (개입) 검진 결과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강화

- 13 -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

ㅇ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분들을 위한 지원 강화 (rsquo16년)

- (취약계층) 복지급여 등 신청시 읍 면 동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강화로 중독관리 자살생각 등에 대한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지원

- (신용회복 지원자) 신용회복 개인회생 파산 신청 판정시 필요한 경우

본인 동의 후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심리지원 (금융위 법원 행정처)

ㅇ 이주민 북한이탈주민 대상 적응교육 및 심리지원 (rsquo16년)

- (이주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외국인력지원센터 등을 통해 이주

노동자 결혼 이민자 이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관리

강화 (여가부 고용부)

- (북한이탈주민) 국립병원-하나원-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정신건강 문제 스크리닝 상담 등 서비스 지원 (통일부)

ㅇ 위험직 공무원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치유 지원 (rsquo16년)

- (직장 내) 직장 내 정신건강 관리 매뉴얼(프로토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보급 등으로 1차적 심리지원 실시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 (직장 외) 전문적 심리지원 필요시 정신건강증진센터 트라우마

센터를 통해 심층평가 상담 프로그램 및 의료기관 연계

소방공무원 32112명 중 약 139가 PTSD 위험군 (rsquo12 소방방재청 설문조사)

ㅇ 기타 정신건강 취약계층에 대한 심리 정서 지원 (rsquo16년)

- 감정노동자 신체장애인 한부모 조손가정 등에게 스트레스 관리

분노조절 등을 위한 교육 상담 및 고위험군 발굴 연계 (고용부 여가부)

- 14 -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ㅇ 지역사회 재난 대응 정신건강관리체계 구축

- (범부처 대응체계 구축) 안전처 복지부 교육부 여가부 등 관계기관

합동 재난 심리지원 대응체계 마련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rsquo16년)

재난 심리지원 협력 네트워크 및 매뉴얼 마련 (역할분담 정보공유 체계 등)

- (응급 정신질환 대응) 응급의료기관 내 응급 정신질환을 위한 별도

공간(격리 입원실 등) 마련 및 병원 내 필요인력 배치 검토 (rsquo17년)

- (지속 대응체계 마련) 5개 국립병원 안산 트라우마센터 정신건강

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장기적 지속적 관리체계 마련 (rsquo16년)

ㅇ 재난 피해자 심리회복을 위한 RampD 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 (rsquo16년)

- (RampD) 주요 재난 유형별 공적 개입이 필요한 재난을 정의하고

재난 별 기본 정신건강관리 중재기법 개발

응급 현장개입 회복기 자살시도 심한 분노나 죄책감 등 특수상황 개입 등

- (전문인력) 국립서울병원 및 안산 트라우마센터를 중심으로 재난

심리지원 전문 인력 양성 및 정신과 의료진 등 관련 풀 관리

lt재난심리지원 인프라 해외사례gt

일본 효고현 재난트라우마 센터 (Hyogo Institute for Traumatic Stress)

- (설립) 고베지진 후 일본의 지진 등 재난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훈련 협진

등 재난 및 범죄분야 지원을 위하여 고베시 효고현에 설치

- (주요기능) PTSD 관련 연구 상담 진료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훈련 협력

관계 유지 관련인력 관리 정보제공 홍보 등

미국 국립 PTSD 센터 (National Center for PTSD)

- (설립) 국립 PTSD 센터 설립 (1989년sim)

- (주요기능) 주로 PTSD 예방과 이해 치료에 관한 교육middot연구 수행

- 15 -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ㅇ 정서발달 평가 및 평가 결과에 따른 서비스 지원 연계 (rsquo17년)

- (정밀 발달검사) 영유아 건강검진시 발달검사 실시 검사결과 발달

장애 의심시 정밀검사비 지원 (대상 및 금액 단계적 확대 검토)

현재 의료급여수급권자 건강보험료 부과금액 하위 30 이하 대상 1인당

최대 40만원 범위 내 지원

- (정서발달 자가평가) 가정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가 활용 가능한

영 유아 사회 정서발달 관련 자가검진 도구 개발 보급 (교육부)

- (서비스 지원)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영유아 발달지원 체계

구축 자가평가 결과 고위험군 대상 심층평가 상담 바우처 연계

ㅇ 아동학대 발생시 위기개입 (rsquo16년)

- (상태평가) 정신건강증진센터-육아종합지원센터-아동보호전문기관

간 연계 체계를 구축하여 학대 및 관련아동 긴급 심리평가 실시

- (위기개입) 심리평가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해당 아동 놀이치료

및 부모 등 보호자 대상 지원교육 제공

ㅇ 부모 교사 대상 심리지원 및 교육 (rsquo16년)

- (심리지원) 부모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 대상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 정신건강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대상 상담 등 심리지원 (교육부)

(부모) 영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정신건강 스크리닝 (교사) 직무 스트레스 검사

- (교육) 부모 대상 양육교육 의무화 교사 대상 문제행동 영유아

보육 교육방법 가이드라인 제공 및 심화교육 (교육부)

- 16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ㅇ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실태조사 (rsquo16년)

-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를 통해 정신질환

발병 시점 주요 질병 유병률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현황 등 조사

그간 실태조사(rsquo06 rsquo11)는 만18세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

ㅇ 학교기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교육부 미래부)

- (정서행동특성검사 내실화) 문항 점검 검사 주기 등 검토 (rsquo16년)

현재 초등학교 1 4학년 중1 고1 대상 실시

- (교내 상담강화) 학교 내 상담교사를 배치하고 시 도 교육청 단위

스쿨닥터를 지정하여 문제행동 학생 대상 학교 내 상담 강화 (rsquo17년)

- (위기개입) 학교 내 자살 사고 학교폭력 등 위기 발생시 심리

지원 교육자료 마련 및 외부기관을 통한 개입 중재 지원 (rsquo16년)

- (지역사회 연계) 전문적 지원 필요시 Wee센터 정신건강증진센터

인터넷중독대응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저소득층 치료비 지원 (rsquo16년)

ㅇ 학교 밖 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여가부) (rsquo17년)

- (스크리닝)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학교 밖 청소년

대상 lsquo정서행동특성검사rsquo 시행

- (지원)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와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로 심층평가 상담 및 치료계획 수립 등 지원

ㅇ 정신건강 관련업무 담당인력 역량 강화 (교육부 여가부)

- (보건 상담교사) 연수시 정신건강 관련 심층교육 실시 및 교사

대상 학생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 보급 (rsquo15년sim)

- (지역센터) Wee센터 및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전문 상담요원 대상

역량강화 교육 및 워크샵 실시 정신과 전문의 슈퍼비전 지원 (rsquo16년)

- 17 -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

ㅇ 대학생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인프라 구축) 대학 상담센터 또는 의무실 내 정신건강 지원 역량

강화 및 지역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체계 구축 (교육부) (rsquo18년)

- (자조모임 지원)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개선 건전음주 문화 조성

등을 위하여 대학 내 동아리 학회 등 지원 (rsquo16년)

ㅇ 산모 산전 후 우울증 관리 강화 (rsquo17년)

- (양육교육) 보건소 건강가정지원센터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부모 대상 자녀 양육교육 강화 (여가부)

- (조기발견) 산부인과 검진 또는 영 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대상

우울 불안 등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 (서비스 제공) 고위험군 선별시 정신의료기관 연계 아이돌봄서비스

일시보육 우선 제공 및 고운맘 카드 사용처 확대 검토 (여가부)

건강보험가입자 대상 임신 1회당 50만원(다태아 70만원)을 지원(rsquo15년 기준)

ㅇ 근로자 직무 스트레스 및 우울증 관리 (rsquo17년)

- 사업장 규모별 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근로자

정신건강증진활동 강화 (고용부)

(50인 미만) lsquo근로자 건강센터rsquo 내 정신건강 관련 사업을 보강하고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연계 강화

(50인 이상 300인 미만) lsquo안전보건관리공단rsquo 및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전문가가 사업장을 방문하여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300인 이상) lsquo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매뉴얼rsquo을 개발 보급하여 사업장

내 자체적인 심리지원 서비스 유도 우수 사업장 인센티브 제공 검토

(기업경영 비용 유발 순위) 우울증-비만-관절염-허리 목 통증 (rsquo10 하버드)

- 18 -

노인 정신건강 지원

ㅇ 노인 정신건강 관련 종합검사 실시 및 심리지원

- (정신건강 문제 발견 강화) 노인대상 서비스 제공자 등 대상 정신

건강 문제 발견 및 연계교육 강화로 정신건강 문제 조기 발견

생활관리사 老老케어 참가자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소진료소장 등

- (정신건강 종합검사)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하여 정신건강 및 생활습관 등 종합검사 제공 (rsquo17년)

(정신건강) 인지기능(치매) 노인성 우울 불안 수면장애 일상생활 기능장애 등

(생활습관) 음주 흡연 영양섭취 습관 신체 사회 활동량 등

- (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하여 지속적 상담 제공 (rsquo16년)

ㅇ 노인 특화 정신건강 프로그램 제공 (rsquo17년)

- (수면 화병 관리 등)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해 적정 수면 화병 관리 및 신체질환자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

- (사회 재적응 훈련) 사별 은퇴 노화 등 부정적 외부환경 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제공

- (사회참여 강화) 저소득층 노인 취업지원 노인 대상 자원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노인의 사회참여 유도

ㅇ 정신건강 관련 정보제공 및 편견해소 교육 홍보 (rsquo16년)

- (정보제공) 장기요양보험 기초노령연금 등과 연계하여 신청

지급시 본인 및 가족에게 정신건강 관련 정보 교육 제공

노인 정신건강 문제는 정상적 노화과정과의 구별 필요 정확한 정보제공이 중요

- (편견해소 교육 홍보) 정신질환 및 치료에 대한 편견이 가장 높은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대학 노인복지관 등을 통해 편견해소 교육 홍보

- 19 -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ㅇ 초발 급성 환자 조기 집중치료를 위한 건강보험수가체계 개선 (rsquo17년)

- (초기치료 강화) 초기 단계의 적극적인 정신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외래 본인부담 경감(30sim60rarr20) 상담 중심의 심층치료 활성화

- (비용부담 완화) 높은 비용부담 때문에 지속적 치료를 방해하는

비급여 정신요법 의약품에 대한 보험 적용 확대

- (위기대응) 자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등에 대한 위기중재

및 집중관리를 위하여 건강보험 보장범위를 대폭 확대

ㅇ 의료급여 체계 개선으로 양질의 치료 서비스 제공 (rsquo17)

- (조기 집중치료) 초기 입원수가(예 입원 후 1sim3개월) 인상률을

높이는 등 제도개선 추진으로 조기 집중치료를 통한 퇴원 유도

- (치료서비스 향상) 정신의료기관의 저가약 사용 유인 등이 감소

하도록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편방안 마련

ㅇ 불필요한 입원을 제한하고 지역사회 복귀 강화 (rsquo17)

- (장기입원 억제) 의료급여 입원환자의 재원 일수에 따라 일당정액

수가 체감제를 강화하여 불필요한 장기입원 억제 검토

- (지역사회 복귀 촉진) 낮병동 수가 조정 퇴원연계 활성화 유도

등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및 치료여건 강화

- 20 -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ㅇ 초발환자 발견 및 지역사회 관리 모형 개발

-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조현병 양극성장애 등 중증 정신질환

조기발견 및 개입 체계 구축

- (시범사업 실시) 청소년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초발 정신증 발견

및 조기중재 모형 개발 및 시범사업 실시

정신질환의 약 50가 10대 중후반에 시작되고 75 정도의 질환이 20세

중반까지 발병 (Kessler 등)

ㅇ 급성기 환자 응급 및 단기입원 제도 활성화

- (응급병상 운영) 국립병원 내 24시간 lsquo응급병상rsquo 운영으로 급성

정신병 증상 발작(acting-out) 등 발생시 응급입원 집중 관리

지역사회 응급개입은 연간 약 6만9천건에 달하나 응급병상 운영 병원

부족으로 응급입원은 연간 26건에 불과 (lsquo14년)

- (모델 개발) 의료기관과 사회복귀시설 중간단계 모형을 구축하여

급성기 단기입원 후 일상생활 복귀 지원

ㅇ 정신질환 치료기술 연구(RampD) 강화

- (국립서울병원 기능개편) 국립서울병원의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임상병동을 운영하여 치료기술 개발 효과성 검증 등 수행

- (RampD 효과성 제고) 진료효과 향상을 위한 조기진단 치료 고도화

표준화 기술개발 등 지원

- 21 -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ㅇ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지원강화 (rsquo16년)

- (사례관리 강화)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squo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

관리팀rsquo을 내실화하고 외래치료 투약여부 등 관리 지원

- (지역 인프라 간 기능 재정립)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 간

기능 재정립으로 서비스 중복 사각지대 발생 해소

- (복지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읍 면 동사무소 연계로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관리시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제공

ㅇ 외래치료명령제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활성화로 퇴원 유도 (rsquo17년)

- (외래치료 명령제 강화) 퇴원환자 외 지역사회 관리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도 외래치료 명령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제도 활성화

현재는 정신의료기관 퇴원시 퇴원환자에 대해서만 외래치료 명령 가능

-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통한 처방

활성화로 입원 위주의 치료에서 지역사회 관리로 전환

일정기간(2주 4주 등) 약효가 지속되어 반복적 재입원 재발율을 낮추는데 도움

ㅇ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유도 및 지원

- (비용 효과 분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관리 유인구조 마련을 위하여

의료기관 입원과 지역사회 관리시 소요되는 비용 효과 분석 (rsquo16년)

- (사회적 협동조합) 정신질환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를 위하여 회복

재활을 지원하도록 당사자의 lsquo사회적 협동조합rsquo 설립 장려 (rsquo16년)

- (취업지원 강화) 정신질환자 취업지원을 강화하고 장애인 판정 기준

재검토 등을 통해 취업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개선 (고용부) (rsquo17년)

- 22 -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ㅇ 사회복귀시설 단계적 확충

- (인센티브) 지자체 평가 국비사업 지자체 공모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여부 고려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하여 확충 유도 (rsquo17년)

현재 사회복귀시설 중 52(165개소)는 서울 경기 인천에 설치

- (직접운영) 국립병원에서 직접 사회복귀시설을 설치하여 입원치료

부터 퇴원 후 사회복귀까지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ㅇ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귀시설 설치 운영 (rsquo17년)

- (다양한 유형 설치) 단기보호 장기생활 공동생활 독립 훈련형

등 이용자 특성(질환 유형 중증도 등)에 맞는 거주시설 설치 운영

- (아동 청소년 특화시설 마련) 성인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관리 학업지원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설치 운영

현재 아동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은 전국 11개소에 불과

ㅇ 사회복귀시설의 질적 수준 제고 (rsquo16년)

- (슈퍼비전 지원) 국립병원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주간

재활시설 프로그램 인력 역량강화 교육 슈퍼비전 등 지원

- (평가 내실화) 사회복귀시설 평가지표 개선 평가주기 단축으로

평가 내실화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도 제고

ㅇ 직업 재활 활성화를 위한 근로환경 개선 및 모형 개발

- (근로환경 개선) 근로시간 임금수준 등 적정 근로여건에 대한 가이드

라인 마련 및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근로환경 개선 (rsquo16년)

- (모형 개발) 수익창출이 가능한 농촌 및 도시형 직업재활 모형을

개발하여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추진 (rsquo17년)

- 23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낮병동 확대 및 병상수 축소

- (낮병동 확대) 제도개선으로 낮병동 확충 유도 및 지역사회 정신

건강서비스 연계 강화로 입원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 (rsquo17년)

병원에서 6시간 이상 진료를 받고 당일 귀가하도록 하는 제도

타 진료과목의 낮병동과 정신의료기관 낮병동을 분리 정신의료기관의

낮병동 수가 인상 및 6시간 이용시간 제한규정 완화 등 검토

- (병상수 축소) 병상 규모를 정신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연동시켜

서비스 질이 낮은 기관을 중심으로 병상규모 단계적 축소 (rsquo18년)

ㅇ 정신요양시설 정체성 확립 및 단계적 기능전환

- (이용 대상자 명확화) lsquo의학적 치료rsquo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들로

입소대상을 한정하고 아동 청소년은 정신요양시설 이용을 제한

하여 지역사회 치료 복귀시설로 유도 (rsquo16년)

- (기능 표준화) 정신요양시설 운영 및 역할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등으로 서비스 수준 제고 (rsquo17년)

- (기능전환) 중 장기적으로 연구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신요양시설을

사회복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기능 전환 유도 (rsquo18년)

ㅇ 신체 복합 질환자 치료병원 확충

- (가이드라인 마련) 신체적 질병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등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및 교육 (rsquo17년)

- (지정병원) 정신 및 신체 복합 질환자에 대한 치료 입원 수술이

가능한 병원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홍보 지원 (rsquo18년)

의료질 평가지원금 평가지표에 정신 신체 복합 질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비율 등 포함 검토

- (정신의료기관 내 신체질환 치료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타 진료과목

전문의 배치를 확대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 연계체계 구축 (rsquo18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13: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11 -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

ㅇ 관련 법령 제도 정비를 통해 불합리한 차별 개선

- (관계부처합동 TF 구성) 복지부 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등이 포함된 lsquo(가칭)정신질환 차별개선 TFrsquo 구성 (rsquo16년)

-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을

제공하는 법령 제도 행태 등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rsquo17년)

정신과 진료기록이 있으면 보험 가입이 불가능하다 (rsquo1591 아시아경제)

ㅇ 정신질환 차별여부 모니터링 및 처벌규정 마련 (rsquo17년)

- (모니터링) 정신질환 이력자 당사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모니터링단rsquo을 구성하여 언론 온라인 등 실시간 모니터링

- (처벌규정 마련) 관련 법령 제 개정으로 정신질환자 및 정신질환

이력자 등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시 처벌할 수 있는 규정 마련

ㅇ 바람직한 언론보도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 (가이드라인 마련) 정신질환 관련 정확한 용어 사용 바람직한 보도

방안 등의 내용이 포함된 lsquo보도 가이드라인rsquo 마련 배포 (rsquo16년)

(예) 범죄자의 범행 동기보다 정신질환 여부를 강조하여 모든 정신질환자가

위험하며 정신질환자가 lsquo묻지마 범죄rsquo를 저지른다는 식의 보도 자제

- (언론인 대상 설명회) 기자 등 언론인 대상 정신질환에 대한

이해도 제고 부정적 인식 개선 등을 위한 정기적인 설명회

포럼 등 마련 (rsquo17년)

- 12 -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ㅇ 동네 의원 역량강화를 통한 조기발견 개입 지원 (rsquo17년)

- (조기발견) 의료인 교육 및 가이드라인 마련 등으로 동네 의원

방문시 우울 불안 등 주요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자살자의 281가 자살 전 복통 등 신체적 불편감이나 수면곤란 등으로 1차

의료기관 방문 (rsquo15년 심리부검)

- (개입) 고위험군 대상 정신건강의학과(이하 ldquo정신과rdquo) 및 지역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를 강화하고 우울증 약물 처방 및 상담치료 확대

인구 천명당 항우울제 복용률(DDD 1일 사용량 단위) 한국 20 OECD 평균

58로 최하위 수준

ㅇ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dquo마음건강 주치의rdquo(정신과 전문의) 배치 (rsquo17년)

- (조기발견) 지역사회 주민의 정신건강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

센터 내 정신과 전문의 상담을 통해 1차 진단 추진

- (개입) 기본상담 후 개별 맞춤형 필요 서비스 설계 및 연계 지원

정신건강증진센터 사례관리 사회서비스 바우처 제공 약물처방 입원 등

필요시 의료기관 연계 등

ㅇ 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시 정신건강 검진 내실화 (rsquo17년)

- (조기발견) 생애전환기 우울증 검사(40 66세) 문항을 내실화 하고

단계적으로 대상자 확대 등 추진

- (개입) 검진 결과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강화

- 13 -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

ㅇ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분들을 위한 지원 강화 (rsquo16년)

- (취약계층) 복지급여 등 신청시 읍 면 동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강화로 중독관리 자살생각 등에 대한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지원

- (신용회복 지원자) 신용회복 개인회생 파산 신청 판정시 필요한 경우

본인 동의 후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심리지원 (금융위 법원 행정처)

ㅇ 이주민 북한이탈주민 대상 적응교육 및 심리지원 (rsquo16년)

- (이주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외국인력지원센터 등을 통해 이주

노동자 결혼 이민자 이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관리

강화 (여가부 고용부)

- (북한이탈주민) 국립병원-하나원-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정신건강 문제 스크리닝 상담 등 서비스 지원 (통일부)

ㅇ 위험직 공무원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치유 지원 (rsquo16년)

- (직장 내) 직장 내 정신건강 관리 매뉴얼(프로토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보급 등으로 1차적 심리지원 실시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 (직장 외) 전문적 심리지원 필요시 정신건강증진센터 트라우마

센터를 통해 심층평가 상담 프로그램 및 의료기관 연계

소방공무원 32112명 중 약 139가 PTSD 위험군 (rsquo12 소방방재청 설문조사)

ㅇ 기타 정신건강 취약계층에 대한 심리 정서 지원 (rsquo16년)

- 감정노동자 신체장애인 한부모 조손가정 등에게 스트레스 관리

분노조절 등을 위한 교육 상담 및 고위험군 발굴 연계 (고용부 여가부)

- 14 -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ㅇ 지역사회 재난 대응 정신건강관리체계 구축

- (범부처 대응체계 구축) 안전처 복지부 교육부 여가부 등 관계기관

합동 재난 심리지원 대응체계 마련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rsquo16년)

재난 심리지원 협력 네트워크 및 매뉴얼 마련 (역할분담 정보공유 체계 등)

- (응급 정신질환 대응) 응급의료기관 내 응급 정신질환을 위한 별도

공간(격리 입원실 등) 마련 및 병원 내 필요인력 배치 검토 (rsquo17년)

- (지속 대응체계 마련) 5개 국립병원 안산 트라우마센터 정신건강

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장기적 지속적 관리체계 마련 (rsquo16년)

ㅇ 재난 피해자 심리회복을 위한 RampD 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 (rsquo16년)

- (RampD) 주요 재난 유형별 공적 개입이 필요한 재난을 정의하고

재난 별 기본 정신건강관리 중재기법 개발

응급 현장개입 회복기 자살시도 심한 분노나 죄책감 등 특수상황 개입 등

- (전문인력) 국립서울병원 및 안산 트라우마센터를 중심으로 재난

심리지원 전문 인력 양성 및 정신과 의료진 등 관련 풀 관리

lt재난심리지원 인프라 해외사례gt

일본 효고현 재난트라우마 센터 (Hyogo Institute for Traumatic Stress)

- (설립) 고베지진 후 일본의 지진 등 재난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훈련 협진

등 재난 및 범죄분야 지원을 위하여 고베시 효고현에 설치

- (주요기능) PTSD 관련 연구 상담 진료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훈련 협력

관계 유지 관련인력 관리 정보제공 홍보 등

미국 국립 PTSD 센터 (National Center for PTSD)

- (설립) 국립 PTSD 센터 설립 (1989년sim)

- (주요기능) 주로 PTSD 예방과 이해 치료에 관한 교육middot연구 수행

- 15 -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ㅇ 정서발달 평가 및 평가 결과에 따른 서비스 지원 연계 (rsquo17년)

- (정밀 발달검사) 영유아 건강검진시 발달검사 실시 검사결과 발달

장애 의심시 정밀검사비 지원 (대상 및 금액 단계적 확대 검토)

현재 의료급여수급권자 건강보험료 부과금액 하위 30 이하 대상 1인당

최대 40만원 범위 내 지원

- (정서발달 자가평가) 가정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가 활용 가능한

영 유아 사회 정서발달 관련 자가검진 도구 개발 보급 (교육부)

- (서비스 지원)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영유아 발달지원 체계

구축 자가평가 결과 고위험군 대상 심층평가 상담 바우처 연계

ㅇ 아동학대 발생시 위기개입 (rsquo16년)

- (상태평가) 정신건강증진센터-육아종합지원센터-아동보호전문기관

간 연계 체계를 구축하여 학대 및 관련아동 긴급 심리평가 실시

- (위기개입) 심리평가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해당 아동 놀이치료

및 부모 등 보호자 대상 지원교육 제공

ㅇ 부모 교사 대상 심리지원 및 교육 (rsquo16년)

- (심리지원) 부모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 대상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 정신건강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대상 상담 등 심리지원 (교육부)

(부모) 영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정신건강 스크리닝 (교사) 직무 스트레스 검사

- (교육) 부모 대상 양육교육 의무화 교사 대상 문제행동 영유아

보육 교육방법 가이드라인 제공 및 심화교육 (교육부)

- 16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ㅇ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실태조사 (rsquo16년)

-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를 통해 정신질환

발병 시점 주요 질병 유병률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현황 등 조사

그간 실태조사(rsquo06 rsquo11)는 만18세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

ㅇ 학교기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교육부 미래부)

- (정서행동특성검사 내실화) 문항 점검 검사 주기 등 검토 (rsquo16년)

현재 초등학교 1 4학년 중1 고1 대상 실시

- (교내 상담강화) 학교 내 상담교사를 배치하고 시 도 교육청 단위

스쿨닥터를 지정하여 문제행동 학생 대상 학교 내 상담 강화 (rsquo17년)

- (위기개입) 학교 내 자살 사고 학교폭력 등 위기 발생시 심리

지원 교육자료 마련 및 외부기관을 통한 개입 중재 지원 (rsquo16년)

- (지역사회 연계) 전문적 지원 필요시 Wee센터 정신건강증진센터

인터넷중독대응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저소득층 치료비 지원 (rsquo16년)

ㅇ 학교 밖 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여가부) (rsquo17년)

- (스크리닝)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학교 밖 청소년

대상 lsquo정서행동특성검사rsquo 시행

- (지원)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와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로 심층평가 상담 및 치료계획 수립 등 지원

ㅇ 정신건강 관련업무 담당인력 역량 강화 (교육부 여가부)

- (보건 상담교사) 연수시 정신건강 관련 심층교육 실시 및 교사

대상 학생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 보급 (rsquo15년sim)

- (지역센터) Wee센터 및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전문 상담요원 대상

역량강화 교육 및 워크샵 실시 정신과 전문의 슈퍼비전 지원 (rsquo16년)

- 17 -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

ㅇ 대학생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인프라 구축) 대학 상담센터 또는 의무실 내 정신건강 지원 역량

강화 및 지역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체계 구축 (교육부) (rsquo18년)

- (자조모임 지원)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개선 건전음주 문화 조성

등을 위하여 대학 내 동아리 학회 등 지원 (rsquo16년)

ㅇ 산모 산전 후 우울증 관리 강화 (rsquo17년)

- (양육교육) 보건소 건강가정지원센터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부모 대상 자녀 양육교육 강화 (여가부)

- (조기발견) 산부인과 검진 또는 영 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대상

우울 불안 등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 (서비스 제공) 고위험군 선별시 정신의료기관 연계 아이돌봄서비스

일시보육 우선 제공 및 고운맘 카드 사용처 확대 검토 (여가부)

건강보험가입자 대상 임신 1회당 50만원(다태아 70만원)을 지원(rsquo15년 기준)

ㅇ 근로자 직무 스트레스 및 우울증 관리 (rsquo17년)

- 사업장 규모별 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근로자

정신건강증진활동 강화 (고용부)

(50인 미만) lsquo근로자 건강센터rsquo 내 정신건강 관련 사업을 보강하고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연계 강화

(50인 이상 300인 미만) lsquo안전보건관리공단rsquo 및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전문가가 사업장을 방문하여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300인 이상) lsquo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매뉴얼rsquo을 개발 보급하여 사업장

내 자체적인 심리지원 서비스 유도 우수 사업장 인센티브 제공 검토

(기업경영 비용 유발 순위) 우울증-비만-관절염-허리 목 통증 (rsquo10 하버드)

- 18 -

노인 정신건강 지원

ㅇ 노인 정신건강 관련 종합검사 실시 및 심리지원

- (정신건강 문제 발견 강화) 노인대상 서비스 제공자 등 대상 정신

건강 문제 발견 및 연계교육 강화로 정신건강 문제 조기 발견

생활관리사 老老케어 참가자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소진료소장 등

- (정신건강 종합검사)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하여 정신건강 및 생활습관 등 종합검사 제공 (rsquo17년)

(정신건강) 인지기능(치매) 노인성 우울 불안 수면장애 일상생활 기능장애 등

(생활습관) 음주 흡연 영양섭취 습관 신체 사회 활동량 등

- (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하여 지속적 상담 제공 (rsquo16년)

ㅇ 노인 특화 정신건강 프로그램 제공 (rsquo17년)

- (수면 화병 관리 등)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해 적정 수면 화병 관리 및 신체질환자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

- (사회 재적응 훈련) 사별 은퇴 노화 등 부정적 외부환경 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제공

- (사회참여 강화) 저소득층 노인 취업지원 노인 대상 자원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노인의 사회참여 유도

ㅇ 정신건강 관련 정보제공 및 편견해소 교육 홍보 (rsquo16년)

- (정보제공) 장기요양보험 기초노령연금 등과 연계하여 신청

지급시 본인 및 가족에게 정신건강 관련 정보 교육 제공

노인 정신건강 문제는 정상적 노화과정과의 구별 필요 정확한 정보제공이 중요

- (편견해소 교육 홍보) 정신질환 및 치료에 대한 편견이 가장 높은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대학 노인복지관 등을 통해 편견해소 교육 홍보

- 19 -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ㅇ 초발 급성 환자 조기 집중치료를 위한 건강보험수가체계 개선 (rsquo17년)

- (초기치료 강화) 초기 단계의 적극적인 정신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외래 본인부담 경감(30sim60rarr20) 상담 중심의 심층치료 활성화

- (비용부담 완화) 높은 비용부담 때문에 지속적 치료를 방해하는

비급여 정신요법 의약품에 대한 보험 적용 확대

- (위기대응) 자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등에 대한 위기중재

및 집중관리를 위하여 건강보험 보장범위를 대폭 확대

ㅇ 의료급여 체계 개선으로 양질의 치료 서비스 제공 (rsquo17)

- (조기 집중치료) 초기 입원수가(예 입원 후 1sim3개월) 인상률을

높이는 등 제도개선 추진으로 조기 집중치료를 통한 퇴원 유도

- (치료서비스 향상) 정신의료기관의 저가약 사용 유인 등이 감소

하도록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편방안 마련

ㅇ 불필요한 입원을 제한하고 지역사회 복귀 강화 (rsquo17)

- (장기입원 억제) 의료급여 입원환자의 재원 일수에 따라 일당정액

수가 체감제를 강화하여 불필요한 장기입원 억제 검토

- (지역사회 복귀 촉진) 낮병동 수가 조정 퇴원연계 활성화 유도

등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및 치료여건 강화

- 20 -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ㅇ 초발환자 발견 및 지역사회 관리 모형 개발

-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조현병 양극성장애 등 중증 정신질환

조기발견 및 개입 체계 구축

- (시범사업 실시) 청소년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초발 정신증 발견

및 조기중재 모형 개발 및 시범사업 실시

정신질환의 약 50가 10대 중후반에 시작되고 75 정도의 질환이 20세

중반까지 발병 (Kessler 등)

ㅇ 급성기 환자 응급 및 단기입원 제도 활성화

- (응급병상 운영) 국립병원 내 24시간 lsquo응급병상rsquo 운영으로 급성

정신병 증상 발작(acting-out) 등 발생시 응급입원 집중 관리

지역사회 응급개입은 연간 약 6만9천건에 달하나 응급병상 운영 병원

부족으로 응급입원은 연간 26건에 불과 (lsquo14년)

- (모델 개발) 의료기관과 사회복귀시설 중간단계 모형을 구축하여

급성기 단기입원 후 일상생활 복귀 지원

ㅇ 정신질환 치료기술 연구(RampD) 강화

- (국립서울병원 기능개편) 국립서울병원의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임상병동을 운영하여 치료기술 개발 효과성 검증 등 수행

- (RampD 효과성 제고) 진료효과 향상을 위한 조기진단 치료 고도화

표준화 기술개발 등 지원

- 21 -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ㅇ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지원강화 (rsquo16년)

- (사례관리 강화)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squo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

관리팀rsquo을 내실화하고 외래치료 투약여부 등 관리 지원

- (지역 인프라 간 기능 재정립)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 간

기능 재정립으로 서비스 중복 사각지대 발생 해소

- (복지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읍 면 동사무소 연계로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관리시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제공

ㅇ 외래치료명령제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활성화로 퇴원 유도 (rsquo17년)

- (외래치료 명령제 강화) 퇴원환자 외 지역사회 관리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도 외래치료 명령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제도 활성화

현재는 정신의료기관 퇴원시 퇴원환자에 대해서만 외래치료 명령 가능

-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통한 처방

활성화로 입원 위주의 치료에서 지역사회 관리로 전환

일정기간(2주 4주 등) 약효가 지속되어 반복적 재입원 재발율을 낮추는데 도움

ㅇ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유도 및 지원

- (비용 효과 분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관리 유인구조 마련을 위하여

의료기관 입원과 지역사회 관리시 소요되는 비용 효과 분석 (rsquo16년)

- (사회적 협동조합) 정신질환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를 위하여 회복

재활을 지원하도록 당사자의 lsquo사회적 협동조합rsquo 설립 장려 (rsquo16년)

- (취업지원 강화) 정신질환자 취업지원을 강화하고 장애인 판정 기준

재검토 등을 통해 취업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개선 (고용부) (rsquo17년)

- 22 -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ㅇ 사회복귀시설 단계적 확충

- (인센티브) 지자체 평가 국비사업 지자체 공모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여부 고려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하여 확충 유도 (rsquo17년)

현재 사회복귀시설 중 52(165개소)는 서울 경기 인천에 설치

- (직접운영) 국립병원에서 직접 사회복귀시설을 설치하여 입원치료

부터 퇴원 후 사회복귀까지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ㅇ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귀시설 설치 운영 (rsquo17년)

- (다양한 유형 설치) 단기보호 장기생활 공동생활 독립 훈련형

등 이용자 특성(질환 유형 중증도 등)에 맞는 거주시설 설치 운영

- (아동 청소년 특화시설 마련) 성인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관리 학업지원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설치 운영

현재 아동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은 전국 11개소에 불과

ㅇ 사회복귀시설의 질적 수준 제고 (rsquo16년)

- (슈퍼비전 지원) 국립병원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주간

재활시설 프로그램 인력 역량강화 교육 슈퍼비전 등 지원

- (평가 내실화) 사회복귀시설 평가지표 개선 평가주기 단축으로

평가 내실화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도 제고

ㅇ 직업 재활 활성화를 위한 근로환경 개선 및 모형 개발

- (근로환경 개선) 근로시간 임금수준 등 적정 근로여건에 대한 가이드

라인 마련 및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근로환경 개선 (rsquo16년)

- (모형 개발) 수익창출이 가능한 농촌 및 도시형 직업재활 모형을

개발하여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추진 (rsquo17년)

- 23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낮병동 확대 및 병상수 축소

- (낮병동 확대) 제도개선으로 낮병동 확충 유도 및 지역사회 정신

건강서비스 연계 강화로 입원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 (rsquo17년)

병원에서 6시간 이상 진료를 받고 당일 귀가하도록 하는 제도

타 진료과목의 낮병동과 정신의료기관 낮병동을 분리 정신의료기관의

낮병동 수가 인상 및 6시간 이용시간 제한규정 완화 등 검토

- (병상수 축소) 병상 규모를 정신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연동시켜

서비스 질이 낮은 기관을 중심으로 병상규모 단계적 축소 (rsquo18년)

ㅇ 정신요양시설 정체성 확립 및 단계적 기능전환

- (이용 대상자 명확화) lsquo의학적 치료rsquo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들로

입소대상을 한정하고 아동 청소년은 정신요양시설 이용을 제한

하여 지역사회 치료 복귀시설로 유도 (rsquo16년)

- (기능 표준화) 정신요양시설 운영 및 역할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등으로 서비스 수준 제고 (rsquo17년)

- (기능전환) 중 장기적으로 연구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신요양시설을

사회복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기능 전환 유도 (rsquo18년)

ㅇ 신체 복합 질환자 치료병원 확충

- (가이드라인 마련) 신체적 질병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등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및 교육 (rsquo17년)

- (지정병원) 정신 및 신체 복합 질환자에 대한 치료 입원 수술이

가능한 병원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홍보 지원 (rsquo18년)

의료질 평가지원금 평가지표에 정신 신체 복합 질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비율 등 포함 검토

- (정신의료기관 내 신체질환 치료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타 진료과목

전문의 배치를 확대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 연계체계 구축 (rsquo18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14: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12 -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ㅇ 동네 의원 역량강화를 통한 조기발견 개입 지원 (rsquo17년)

- (조기발견) 의료인 교육 및 가이드라인 마련 등으로 동네 의원

방문시 우울 불안 등 주요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자살자의 281가 자살 전 복통 등 신체적 불편감이나 수면곤란 등으로 1차

의료기관 방문 (rsquo15년 심리부검)

- (개입) 고위험군 대상 정신건강의학과(이하 ldquo정신과rdquo) 및 지역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를 강화하고 우울증 약물 처방 및 상담치료 확대

인구 천명당 항우울제 복용률(DDD 1일 사용량 단위) 한국 20 OECD 평균

58로 최하위 수준

ㅇ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dquo마음건강 주치의rdquo(정신과 전문의) 배치 (rsquo17년)

- (조기발견) 지역사회 주민의 정신건강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

센터 내 정신과 전문의 상담을 통해 1차 진단 추진

- (개입) 기본상담 후 개별 맞춤형 필요 서비스 설계 및 연계 지원

정신건강증진센터 사례관리 사회서비스 바우처 제공 약물처방 입원 등

필요시 의료기관 연계 등

ㅇ 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시 정신건강 검진 내실화 (rsquo17년)

- (조기발견) 생애전환기 우울증 검사(40 66세) 문항을 내실화 하고

단계적으로 대상자 확대 등 추진

- (개입) 검진 결과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정신건강증진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강화

- 13 -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

ㅇ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분들을 위한 지원 강화 (rsquo16년)

- (취약계층) 복지급여 등 신청시 읍 면 동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강화로 중독관리 자살생각 등에 대한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지원

- (신용회복 지원자) 신용회복 개인회생 파산 신청 판정시 필요한 경우

본인 동의 후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심리지원 (금융위 법원 행정처)

ㅇ 이주민 북한이탈주민 대상 적응교육 및 심리지원 (rsquo16년)

- (이주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외국인력지원센터 등을 통해 이주

노동자 결혼 이민자 이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관리

강화 (여가부 고용부)

- (북한이탈주민) 국립병원-하나원-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정신건강 문제 스크리닝 상담 등 서비스 지원 (통일부)

ㅇ 위험직 공무원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치유 지원 (rsquo16년)

- (직장 내) 직장 내 정신건강 관리 매뉴얼(프로토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보급 등으로 1차적 심리지원 실시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 (직장 외) 전문적 심리지원 필요시 정신건강증진센터 트라우마

센터를 통해 심층평가 상담 프로그램 및 의료기관 연계

소방공무원 32112명 중 약 139가 PTSD 위험군 (rsquo12 소방방재청 설문조사)

ㅇ 기타 정신건강 취약계층에 대한 심리 정서 지원 (rsquo16년)

- 감정노동자 신체장애인 한부모 조손가정 등에게 스트레스 관리

분노조절 등을 위한 교육 상담 및 고위험군 발굴 연계 (고용부 여가부)

- 14 -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ㅇ 지역사회 재난 대응 정신건강관리체계 구축

- (범부처 대응체계 구축) 안전처 복지부 교육부 여가부 등 관계기관

합동 재난 심리지원 대응체계 마련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rsquo16년)

재난 심리지원 협력 네트워크 및 매뉴얼 마련 (역할분담 정보공유 체계 등)

- (응급 정신질환 대응) 응급의료기관 내 응급 정신질환을 위한 별도

공간(격리 입원실 등) 마련 및 병원 내 필요인력 배치 검토 (rsquo17년)

- (지속 대응체계 마련) 5개 국립병원 안산 트라우마센터 정신건강

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장기적 지속적 관리체계 마련 (rsquo16년)

ㅇ 재난 피해자 심리회복을 위한 RampD 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 (rsquo16년)

- (RampD) 주요 재난 유형별 공적 개입이 필요한 재난을 정의하고

재난 별 기본 정신건강관리 중재기법 개발

응급 현장개입 회복기 자살시도 심한 분노나 죄책감 등 특수상황 개입 등

- (전문인력) 국립서울병원 및 안산 트라우마센터를 중심으로 재난

심리지원 전문 인력 양성 및 정신과 의료진 등 관련 풀 관리

lt재난심리지원 인프라 해외사례gt

일본 효고현 재난트라우마 센터 (Hyogo Institute for Traumatic Stress)

- (설립) 고베지진 후 일본의 지진 등 재난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훈련 협진

등 재난 및 범죄분야 지원을 위하여 고베시 효고현에 설치

- (주요기능) PTSD 관련 연구 상담 진료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훈련 협력

관계 유지 관련인력 관리 정보제공 홍보 등

미국 국립 PTSD 센터 (National Center for PTSD)

- (설립) 국립 PTSD 센터 설립 (1989년sim)

- (주요기능) 주로 PTSD 예방과 이해 치료에 관한 교육middot연구 수행

- 15 -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ㅇ 정서발달 평가 및 평가 결과에 따른 서비스 지원 연계 (rsquo17년)

- (정밀 발달검사) 영유아 건강검진시 발달검사 실시 검사결과 발달

장애 의심시 정밀검사비 지원 (대상 및 금액 단계적 확대 검토)

현재 의료급여수급권자 건강보험료 부과금액 하위 30 이하 대상 1인당

최대 40만원 범위 내 지원

- (정서발달 자가평가) 가정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가 활용 가능한

영 유아 사회 정서발달 관련 자가검진 도구 개발 보급 (교육부)

- (서비스 지원)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영유아 발달지원 체계

구축 자가평가 결과 고위험군 대상 심층평가 상담 바우처 연계

ㅇ 아동학대 발생시 위기개입 (rsquo16년)

- (상태평가) 정신건강증진센터-육아종합지원센터-아동보호전문기관

간 연계 체계를 구축하여 학대 및 관련아동 긴급 심리평가 실시

- (위기개입) 심리평가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해당 아동 놀이치료

및 부모 등 보호자 대상 지원교육 제공

ㅇ 부모 교사 대상 심리지원 및 교육 (rsquo16년)

- (심리지원) 부모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 대상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 정신건강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대상 상담 등 심리지원 (교육부)

(부모) 영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정신건강 스크리닝 (교사) 직무 스트레스 검사

- (교육) 부모 대상 양육교육 의무화 교사 대상 문제행동 영유아

보육 교육방법 가이드라인 제공 및 심화교육 (교육부)

- 16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ㅇ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실태조사 (rsquo16년)

-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를 통해 정신질환

발병 시점 주요 질병 유병률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현황 등 조사

그간 실태조사(rsquo06 rsquo11)는 만18세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

ㅇ 학교기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교육부 미래부)

- (정서행동특성검사 내실화) 문항 점검 검사 주기 등 검토 (rsquo16년)

현재 초등학교 1 4학년 중1 고1 대상 실시

- (교내 상담강화) 학교 내 상담교사를 배치하고 시 도 교육청 단위

스쿨닥터를 지정하여 문제행동 학생 대상 학교 내 상담 강화 (rsquo17년)

- (위기개입) 학교 내 자살 사고 학교폭력 등 위기 발생시 심리

지원 교육자료 마련 및 외부기관을 통한 개입 중재 지원 (rsquo16년)

- (지역사회 연계) 전문적 지원 필요시 Wee센터 정신건강증진센터

인터넷중독대응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저소득층 치료비 지원 (rsquo16년)

ㅇ 학교 밖 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여가부) (rsquo17년)

- (스크리닝)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학교 밖 청소년

대상 lsquo정서행동특성검사rsquo 시행

- (지원)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와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로 심층평가 상담 및 치료계획 수립 등 지원

ㅇ 정신건강 관련업무 담당인력 역량 강화 (교육부 여가부)

- (보건 상담교사) 연수시 정신건강 관련 심층교육 실시 및 교사

대상 학생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 보급 (rsquo15년sim)

- (지역센터) Wee센터 및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전문 상담요원 대상

역량강화 교육 및 워크샵 실시 정신과 전문의 슈퍼비전 지원 (rsquo16년)

- 17 -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

ㅇ 대학생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인프라 구축) 대학 상담센터 또는 의무실 내 정신건강 지원 역량

강화 및 지역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체계 구축 (교육부) (rsquo18년)

- (자조모임 지원)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개선 건전음주 문화 조성

등을 위하여 대학 내 동아리 학회 등 지원 (rsquo16년)

ㅇ 산모 산전 후 우울증 관리 강화 (rsquo17년)

- (양육교육) 보건소 건강가정지원센터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부모 대상 자녀 양육교육 강화 (여가부)

- (조기발견) 산부인과 검진 또는 영 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대상

우울 불안 등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 (서비스 제공) 고위험군 선별시 정신의료기관 연계 아이돌봄서비스

일시보육 우선 제공 및 고운맘 카드 사용처 확대 검토 (여가부)

건강보험가입자 대상 임신 1회당 50만원(다태아 70만원)을 지원(rsquo15년 기준)

ㅇ 근로자 직무 스트레스 및 우울증 관리 (rsquo17년)

- 사업장 규모별 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근로자

정신건강증진활동 강화 (고용부)

(50인 미만) lsquo근로자 건강센터rsquo 내 정신건강 관련 사업을 보강하고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연계 강화

(50인 이상 300인 미만) lsquo안전보건관리공단rsquo 및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전문가가 사업장을 방문하여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300인 이상) lsquo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매뉴얼rsquo을 개발 보급하여 사업장

내 자체적인 심리지원 서비스 유도 우수 사업장 인센티브 제공 검토

(기업경영 비용 유발 순위) 우울증-비만-관절염-허리 목 통증 (rsquo10 하버드)

- 18 -

노인 정신건강 지원

ㅇ 노인 정신건강 관련 종합검사 실시 및 심리지원

- (정신건강 문제 발견 강화) 노인대상 서비스 제공자 등 대상 정신

건강 문제 발견 및 연계교육 강화로 정신건강 문제 조기 발견

생활관리사 老老케어 참가자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소진료소장 등

- (정신건강 종합검사)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하여 정신건강 및 생활습관 등 종합검사 제공 (rsquo17년)

(정신건강) 인지기능(치매) 노인성 우울 불안 수면장애 일상생활 기능장애 등

(생활습관) 음주 흡연 영양섭취 습관 신체 사회 활동량 등

- (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하여 지속적 상담 제공 (rsquo16년)

ㅇ 노인 특화 정신건강 프로그램 제공 (rsquo17년)

- (수면 화병 관리 등)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해 적정 수면 화병 관리 및 신체질환자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

- (사회 재적응 훈련) 사별 은퇴 노화 등 부정적 외부환경 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제공

- (사회참여 강화) 저소득층 노인 취업지원 노인 대상 자원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노인의 사회참여 유도

ㅇ 정신건강 관련 정보제공 및 편견해소 교육 홍보 (rsquo16년)

- (정보제공) 장기요양보험 기초노령연금 등과 연계하여 신청

지급시 본인 및 가족에게 정신건강 관련 정보 교육 제공

노인 정신건강 문제는 정상적 노화과정과의 구별 필요 정확한 정보제공이 중요

- (편견해소 교육 홍보) 정신질환 및 치료에 대한 편견이 가장 높은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대학 노인복지관 등을 통해 편견해소 교육 홍보

- 19 -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ㅇ 초발 급성 환자 조기 집중치료를 위한 건강보험수가체계 개선 (rsquo17년)

- (초기치료 강화) 초기 단계의 적극적인 정신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외래 본인부담 경감(30sim60rarr20) 상담 중심의 심층치료 활성화

- (비용부담 완화) 높은 비용부담 때문에 지속적 치료를 방해하는

비급여 정신요법 의약품에 대한 보험 적용 확대

- (위기대응) 자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등에 대한 위기중재

및 집중관리를 위하여 건강보험 보장범위를 대폭 확대

ㅇ 의료급여 체계 개선으로 양질의 치료 서비스 제공 (rsquo17)

- (조기 집중치료) 초기 입원수가(예 입원 후 1sim3개월) 인상률을

높이는 등 제도개선 추진으로 조기 집중치료를 통한 퇴원 유도

- (치료서비스 향상) 정신의료기관의 저가약 사용 유인 등이 감소

하도록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편방안 마련

ㅇ 불필요한 입원을 제한하고 지역사회 복귀 강화 (rsquo17)

- (장기입원 억제) 의료급여 입원환자의 재원 일수에 따라 일당정액

수가 체감제를 강화하여 불필요한 장기입원 억제 검토

- (지역사회 복귀 촉진) 낮병동 수가 조정 퇴원연계 활성화 유도

등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및 치료여건 강화

- 20 -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ㅇ 초발환자 발견 및 지역사회 관리 모형 개발

-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조현병 양극성장애 등 중증 정신질환

조기발견 및 개입 체계 구축

- (시범사업 실시) 청소년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초발 정신증 발견

및 조기중재 모형 개발 및 시범사업 실시

정신질환의 약 50가 10대 중후반에 시작되고 75 정도의 질환이 20세

중반까지 발병 (Kessler 등)

ㅇ 급성기 환자 응급 및 단기입원 제도 활성화

- (응급병상 운영) 국립병원 내 24시간 lsquo응급병상rsquo 운영으로 급성

정신병 증상 발작(acting-out) 등 발생시 응급입원 집중 관리

지역사회 응급개입은 연간 약 6만9천건에 달하나 응급병상 운영 병원

부족으로 응급입원은 연간 26건에 불과 (lsquo14년)

- (모델 개발) 의료기관과 사회복귀시설 중간단계 모형을 구축하여

급성기 단기입원 후 일상생활 복귀 지원

ㅇ 정신질환 치료기술 연구(RampD) 강화

- (국립서울병원 기능개편) 국립서울병원의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임상병동을 운영하여 치료기술 개발 효과성 검증 등 수행

- (RampD 효과성 제고) 진료효과 향상을 위한 조기진단 치료 고도화

표준화 기술개발 등 지원

- 21 -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ㅇ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지원강화 (rsquo16년)

- (사례관리 강화)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squo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

관리팀rsquo을 내실화하고 외래치료 투약여부 등 관리 지원

- (지역 인프라 간 기능 재정립)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 간

기능 재정립으로 서비스 중복 사각지대 발생 해소

- (복지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읍 면 동사무소 연계로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관리시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제공

ㅇ 외래치료명령제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활성화로 퇴원 유도 (rsquo17년)

- (외래치료 명령제 강화) 퇴원환자 외 지역사회 관리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도 외래치료 명령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제도 활성화

현재는 정신의료기관 퇴원시 퇴원환자에 대해서만 외래치료 명령 가능

-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통한 처방

활성화로 입원 위주의 치료에서 지역사회 관리로 전환

일정기간(2주 4주 등) 약효가 지속되어 반복적 재입원 재발율을 낮추는데 도움

ㅇ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유도 및 지원

- (비용 효과 분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관리 유인구조 마련을 위하여

의료기관 입원과 지역사회 관리시 소요되는 비용 효과 분석 (rsquo16년)

- (사회적 협동조합) 정신질환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를 위하여 회복

재활을 지원하도록 당사자의 lsquo사회적 협동조합rsquo 설립 장려 (rsquo16년)

- (취업지원 강화) 정신질환자 취업지원을 강화하고 장애인 판정 기준

재검토 등을 통해 취업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개선 (고용부) (rsquo17년)

- 22 -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ㅇ 사회복귀시설 단계적 확충

- (인센티브) 지자체 평가 국비사업 지자체 공모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여부 고려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하여 확충 유도 (rsquo17년)

현재 사회복귀시설 중 52(165개소)는 서울 경기 인천에 설치

- (직접운영) 국립병원에서 직접 사회복귀시설을 설치하여 입원치료

부터 퇴원 후 사회복귀까지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ㅇ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귀시설 설치 운영 (rsquo17년)

- (다양한 유형 설치) 단기보호 장기생활 공동생활 독립 훈련형

등 이용자 특성(질환 유형 중증도 등)에 맞는 거주시설 설치 운영

- (아동 청소년 특화시설 마련) 성인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관리 학업지원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설치 운영

현재 아동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은 전국 11개소에 불과

ㅇ 사회복귀시설의 질적 수준 제고 (rsquo16년)

- (슈퍼비전 지원) 국립병원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주간

재활시설 프로그램 인력 역량강화 교육 슈퍼비전 등 지원

- (평가 내실화) 사회복귀시설 평가지표 개선 평가주기 단축으로

평가 내실화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도 제고

ㅇ 직업 재활 활성화를 위한 근로환경 개선 및 모형 개발

- (근로환경 개선) 근로시간 임금수준 등 적정 근로여건에 대한 가이드

라인 마련 및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근로환경 개선 (rsquo16년)

- (모형 개발) 수익창출이 가능한 농촌 및 도시형 직업재활 모형을

개발하여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추진 (rsquo17년)

- 23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낮병동 확대 및 병상수 축소

- (낮병동 확대) 제도개선으로 낮병동 확충 유도 및 지역사회 정신

건강서비스 연계 강화로 입원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 (rsquo17년)

병원에서 6시간 이상 진료를 받고 당일 귀가하도록 하는 제도

타 진료과목의 낮병동과 정신의료기관 낮병동을 분리 정신의료기관의

낮병동 수가 인상 및 6시간 이용시간 제한규정 완화 등 검토

- (병상수 축소) 병상 규모를 정신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연동시켜

서비스 질이 낮은 기관을 중심으로 병상규모 단계적 축소 (rsquo18년)

ㅇ 정신요양시설 정체성 확립 및 단계적 기능전환

- (이용 대상자 명확화) lsquo의학적 치료rsquo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들로

입소대상을 한정하고 아동 청소년은 정신요양시설 이용을 제한

하여 지역사회 치료 복귀시설로 유도 (rsquo16년)

- (기능 표준화) 정신요양시설 운영 및 역할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등으로 서비스 수준 제고 (rsquo17년)

- (기능전환) 중 장기적으로 연구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신요양시설을

사회복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기능 전환 유도 (rsquo18년)

ㅇ 신체 복합 질환자 치료병원 확충

- (가이드라인 마련) 신체적 질병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등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및 교육 (rsquo17년)

- (지정병원) 정신 및 신체 복합 질환자에 대한 치료 입원 수술이

가능한 병원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홍보 지원 (rsquo18년)

의료질 평가지원금 평가지표에 정신 신체 복합 질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비율 등 포함 검토

- (정신의료기관 내 신체질환 치료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타 진료과목

전문의 배치를 확대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 연계체계 구축 (rsquo18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15: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13 -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

ㅇ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분들을 위한 지원 강화 (rsquo16년)

- (취약계층) 복지급여 등 신청시 읍 면 동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강화로 중독관리 자살생각 등에 대한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지원

- (신용회복 지원자) 신용회복 개인회생 파산 신청 판정시 필요한 경우

본인 동의 후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심리지원 (금융위 법원 행정처)

ㅇ 이주민 북한이탈주민 대상 적응교육 및 심리지원 (rsquo16년)

- (이주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외국인력지원센터 등을 통해 이주

노동자 결혼 이민자 이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관리

강화 (여가부 고용부)

- (북한이탈주민) 국립병원-하나원-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정신건강 문제 스크리닝 상담 등 서비스 지원 (통일부)

ㅇ 위험직 공무원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치유 지원 (rsquo16년)

- (직장 내) 직장 내 정신건강 관리 매뉴얼(프로토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보급 등으로 1차적 심리지원 실시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 (직장 외) 전문적 심리지원 필요시 정신건강증진센터 트라우마

센터를 통해 심층평가 상담 프로그램 및 의료기관 연계

소방공무원 32112명 중 약 139가 PTSD 위험군 (rsquo12 소방방재청 설문조사)

ㅇ 기타 정신건강 취약계층에 대한 심리 정서 지원 (rsquo16년)

- 감정노동자 신체장애인 한부모 조손가정 등에게 스트레스 관리

분노조절 등을 위한 교육 상담 및 고위험군 발굴 연계 (고용부 여가부)

- 14 -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ㅇ 지역사회 재난 대응 정신건강관리체계 구축

- (범부처 대응체계 구축) 안전처 복지부 교육부 여가부 등 관계기관

합동 재난 심리지원 대응체계 마련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rsquo16년)

재난 심리지원 협력 네트워크 및 매뉴얼 마련 (역할분담 정보공유 체계 등)

- (응급 정신질환 대응) 응급의료기관 내 응급 정신질환을 위한 별도

공간(격리 입원실 등) 마련 및 병원 내 필요인력 배치 검토 (rsquo17년)

- (지속 대응체계 마련) 5개 국립병원 안산 트라우마센터 정신건강

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장기적 지속적 관리체계 마련 (rsquo16년)

ㅇ 재난 피해자 심리회복을 위한 RampD 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 (rsquo16년)

- (RampD) 주요 재난 유형별 공적 개입이 필요한 재난을 정의하고

재난 별 기본 정신건강관리 중재기법 개발

응급 현장개입 회복기 자살시도 심한 분노나 죄책감 등 특수상황 개입 등

- (전문인력) 국립서울병원 및 안산 트라우마센터를 중심으로 재난

심리지원 전문 인력 양성 및 정신과 의료진 등 관련 풀 관리

lt재난심리지원 인프라 해외사례gt

일본 효고현 재난트라우마 센터 (Hyogo Institute for Traumatic Stress)

- (설립) 고베지진 후 일본의 지진 등 재난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훈련 협진

등 재난 및 범죄분야 지원을 위하여 고베시 효고현에 설치

- (주요기능) PTSD 관련 연구 상담 진료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훈련 협력

관계 유지 관련인력 관리 정보제공 홍보 등

미국 국립 PTSD 센터 (National Center for PTSD)

- (설립) 국립 PTSD 센터 설립 (1989년sim)

- (주요기능) 주로 PTSD 예방과 이해 치료에 관한 교육middot연구 수행

- 15 -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ㅇ 정서발달 평가 및 평가 결과에 따른 서비스 지원 연계 (rsquo17년)

- (정밀 발달검사) 영유아 건강검진시 발달검사 실시 검사결과 발달

장애 의심시 정밀검사비 지원 (대상 및 금액 단계적 확대 검토)

현재 의료급여수급권자 건강보험료 부과금액 하위 30 이하 대상 1인당

최대 40만원 범위 내 지원

- (정서발달 자가평가) 가정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가 활용 가능한

영 유아 사회 정서발달 관련 자가검진 도구 개발 보급 (교육부)

- (서비스 지원)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영유아 발달지원 체계

구축 자가평가 결과 고위험군 대상 심층평가 상담 바우처 연계

ㅇ 아동학대 발생시 위기개입 (rsquo16년)

- (상태평가) 정신건강증진센터-육아종합지원센터-아동보호전문기관

간 연계 체계를 구축하여 학대 및 관련아동 긴급 심리평가 실시

- (위기개입) 심리평가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해당 아동 놀이치료

및 부모 등 보호자 대상 지원교육 제공

ㅇ 부모 교사 대상 심리지원 및 교육 (rsquo16년)

- (심리지원) 부모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 대상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 정신건강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대상 상담 등 심리지원 (교육부)

(부모) 영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정신건강 스크리닝 (교사) 직무 스트레스 검사

- (교육) 부모 대상 양육교육 의무화 교사 대상 문제행동 영유아

보육 교육방법 가이드라인 제공 및 심화교육 (교육부)

- 16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ㅇ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실태조사 (rsquo16년)

-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를 통해 정신질환

발병 시점 주요 질병 유병률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현황 등 조사

그간 실태조사(rsquo06 rsquo11)는 만18세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

ㅇ 학교기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교육부 미래부)

- (정서행동특성검사 내실화) 문항 점검 검사 주기 등 검토 (rsquo16년)

현재 초등학교 1 4학년 중1 고1 대상 실시

- (교내 상담강화) 학교 내 상담교사를 배치하고 시 도 교육청 단위

스쿨닥터를 지정하여 문제행동 학생 대상 학교 내 상담 강화 (rsquo17년)

- (위기개입) 학교 내 자살 사고 학교폭력 등 위기 발생시 심리

지원 교육자료 마련 및 외부기관을 통한 개입 중재 지원 (rsquo16년)

- (지역사회 연계) 전문적 지원 필요시 Wee센터 정신건강증진센터

인터넷중독대응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저소득층 치료비 지원 (rsquo16년)

ㅇ 학교 밖 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여가부) (rsquo17년)

- (스크리닝)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학교 밖 청소년

대상 lsquo정서행동특성검사rsquo 시행

- (지원)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와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로 심층평가 상담 및 치료계획 수립 등 지원

ㅇ 정신건강 관련업무 담당인력 역량 강화 (교육부 여가부)

- (보건 상담교사) 연수시 정신건강 관련 심층교육 실시 및 교사

대상 학생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 보급 (rsquo15년sim)

- (지역센터) Wee센터 및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전문 상담요원 대상

역량강화 교육 및 워크샵 실시 정신과 전문의 슈퍼비전 지원 (rsquo16년)

- 17 -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

ㅇ 대학생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인프라 구축) 대학 상담센터 또는 의무실 내 정신건강 지원 역량

강화 및 지역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체계 구축 (교육부) (rsquo18년)

- (자조모임 지원)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개선 건전음주 문화 조성

등을 위하여 대학 내 동아리 학회 등 지원 (rsquo16년)

ㅇ 산모 산전 후 우울증 관리 강화 (rsquo17년)

- (양육교육) 보건소 건강가정지원센터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부모 대상 자녀 양육교육 강화 (여가부)

- (조기발견) 산부인과 검진 또는 영 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대상

우울 불안 등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 (서비스 제공) 고위험군 선별시 정신의료기관 연계 아이돌봄서비스

일시보육 우선 제공 및 고운맘 카드 사용처 확대 검토 (여가부)

건강보험가입자 대상 임신 1회당 50만원(다태아 70만원)을 지원(rsquo15년 기준)

ㅇ 근로자 직무 스트레스 및 우울증 관리 (rsquo17년)

- 사업장 규모별 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근로자

정신건강증진활동 강화 (고용부)

(50인 미만) lsquo근로자 건강센터rsquo 내 정신건강 관련 사업을 보강하고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연계 강화

(50인 이상 300인 미만) lsquo안전보건관리공단rsquo 및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전문가가 사업장을 방문하여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300인 이상) lsquo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매뉴얼rsquo을 개발 보급하여 사업장

내 자체적인 심리지원 서비스 유도 우수 사업장 인센티브 제공 검토

(기업경영 비용 유발 순위) 우울증-비만-관절염-허리 목 통증 (rsquo10 하버드)

- 18 -

노인 정신건강 지원

ㅇ 노인 정신건강 관련 종합검사 실시 및 심리지원

- (정신건강 문제 발견 강화) 노인대상 서비스 제공자 등 대상 정신

건강 문제 발견 및 연계교육 강화로 정신건강 문제 조기 발견

생활관리사 老老케어 참가자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소진료소장 등

- (정신건강 종합검사)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하여 정신건강 및 생활습관 등 종합검사 제공 (rsquo17년)

(정신건강) 인지기능(치매) 노인성 우울 불안 수면장애 일상생활 기능장애 등

(생활습관) 음주 흡연 영양섭취 습관 신체 사회 활동량 등

- (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하여 지속적 상담 제공 (rsquo16년)

ㅇ 노인 특화 정신건강 프로그램 제공 (rsquo17년)

- (수면 화병 관리 등)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해 적정 수면 화병 관리 및 신체질환자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

- (사회 재적응 훈련) 사별 은퇴 노화 등 부정적 외부환경 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제공

- (사회참여 강화) 저소득층 노인 취업지원 노인 대상 자원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노인의 사회참여 유도

ㅇ 정신건강 관련 정보제공 및 편견해소 교육 홍보 (rsquo16년)

- (정보제공) 장기요양보험 기초노령연금 등과 연계하여 신청

지급시 본인 및 가족에게 정신건강 관련 정보 교육 제공

노인 정신건강 문제는 정상적 노화과정과의 구별 필요 정확한 정보제공이 중요

- (편견해소 교육 홍보) 정신질환 및 치료에 대한 편견이 가장 높은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대학 노인복지관 등을 통해 편견해소 교육 홍보

- 19 -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ㅇ 초발 급성 환자 조기 집중치료를 위한 건강보험수가체계 개선 (rsquo17년)

- (초기치료 강화) 초기 단계의 적극적인 정신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외래 본인부담 경감(30sim60rarr20) 상담 중심의 심층치료 활성화

- (비용부담 완화) 높은 비용부담 때문에 지속적 치료를 방해하는

비급여 정신요법 의약품에 대한 보험 적용 확대

- (위기대응) 자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등에 대한 위기중재

및 집중관리를 위하여 건강보험 보장범위를 대폭 확대

ㅇ 의료급여 체계 개선으로 양질의 치료 서비스 제공 (rsquo17)

- (조기 집중치료) 초기 입원수가(예 입원 후 1sim3개월) 인상률을

높이는 등 제도개선 추진으로 조기 집중치료를 통한 퇴원 유도

- (치료서비스 향상) 정신의료기관의 저가약 사용 유인 등이 감소

하도록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편방안 마련

ㅇ 불필요한 입원을 제한하고 지역사회 복귀 강화 (rsquo17)

- (장기입원 억제) 의료급여 입원환자의 재원 일수에 따라 일당정액

수가 체감제를 강화하여 불필요한 장기입원 억제 검토

- (지역사회 복귀 촉진) 낮병동 수가 조정 퇴원연계 활성화 유도

등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및 치료여건 강화

- 20 -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ㅇ 초발환자 발견 및 지역사회 관리 모형 개발

-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조현병 양극성장애 등 중증 정신질환

조기발견 및 개입 체계 구축

- (시범사업 실시) 청소년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초발 정신증 발견

및 조기중재 모형 개발 및 시범사업 실시

정신질환의 약 50가 10대 중후반에 시작되고 75 정도의 질환이 20세

중반까지 발병 (Kessler 등)

ㅇ 급성기 환자 응급 및 단기입원 제도 활성화

- (응급병상 운영) 국립병원 내 24시간 lsquo응급병상rsquo 운영으로 급성

정신병 증상 발작(acting-out) 등 발생시 응급입원 집중 관리

지역사회 응급개입은 연간 약 6만9천건에 달하나 응급병상 운영 병원

부족으로 응급입원은 연간 26건에 불과 (lsquo14년)

- (모델 개발) 의료기관과 사회복귀시설 중간단계 모형을 구축하여

급성기 단기입원 후 일상생활 복귀 지원

ㅇ 정신질환 치료기술 연구(RampD) 강화

- (국립서울병원 기능개편) 국립서울병원의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임상병동을 운영하여 치료기술 개발 효과성 검증 등 수행

- (RampD 효과성 제고) 진료효과 향상을 위한 조기진단 치료 고도화

표준화 기술개발 등 지원

- 21 -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ㅇ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지원강화 (rsquo16년)

- (사례관리 강화)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squo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

관리팀rsquo을 내실화하고 외래치료 투약여부 등 관리 지원

- (지역 인프라 간 기능 재정립)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 간

기능 재정립으로 서비스 중복 사각지대 발생 해소

- (복지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읍 면 동사무소 연계로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관리시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제공

ㅇ 외래치료명령제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활성화로 퇴원 유도 (rsquo17년)

- (외래치료 명령제 강화) 퇴원환자 외 지역사회 관리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도 외래치료 명령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제도 활성화

현재는 정신의료기관 퇴원시 퇴원환자에 대해서만 외래치료 명령 가능

-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통한 처방

활성화로 입원 위주의 치료에서 지역사회 관리로 전환

일정기간(2주 4주 등) 약효가 지속되어 반복적 재입원 재발율을 낮추는데 도움

ㅇ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유도 및 지원

- (비용 효과 분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관리 유인구조 마련을 위하여

의료기관 입원과 지역사회 관리시 소요되는 비용 효과 분석 (rsquo16년)

- (사회적 협동조합) 정신질환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를 위하여 회복

재활을 지원하도록 당사자의 lsquo사회적 협동조합rsquo 설립 장려 (rsquo16년)

- (취업지원 강화) 정신질환자 취업지원을 강화하고 장애인 판정 기준

재검토 등을 통해 취업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개선 (고용부) (rsquo17년)

- 22 -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ㅇ 사회복귀시설 단계적 확충

- (인센티브) 지자체 평가 국비사업 지자체 공모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여부 고려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하여 확충 유도 (rsquo17년)

현재 사회복귀시설 중 52(165개소)는 서울 경기 인천에 설치

- (직접운영) 국립병원에서 직접 사회복귀시설을 설치하여 입원치료

부터 퇴원 후 사회복귀까지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ㅇ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귀시설 설치 운영 (rsquo17년)

- (다양한 유형 설치) 단기보호 장기생활 공동생활 독립 훈련형

등 이용자 특성(질환 유형 중증도 등)에 맞는 거주시설 설치 운영

- (아동 청소년 특화시설 마련) 성인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관리 학업지원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설치 운영

현재 아동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은 전국 11개소에 불과

ㅇ 사회복귀시설의 질적 수준 제고 (rsquo16년)

- (슈퍼비전 지원) 국립병원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주간

재활시설 프로그램 인력 역량강화 교육 슈퍼비전 등 지원

- (평가 내실화) 사회복귀시설 평가지표 개선 평가주기 단축으로

평가 내실화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도 제고

ㅇ 직업 재활 활성화를 위한 근로환경 개선 및 모형 개발

- (근로환경 개선) 근로시간 임금수준 등 적정 근로여건에 대한 가이드

라인 마련 및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근로환경 개선 (rsquo16년)

- (모형 개발) 수익창출이 가능한 농촌 및 도시형 직업재활 모형을

개발하여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추진 (rsquo17년)

- 23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낮병동 확대 및 병상수 축소

- (낮병동 확대) 제도개선으로 낮병동 확충 유도 및 지역사회 정신

건강서비스 연계 강화로 입원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 (rsquo17년)

병원에서 6시간 이상 진료를 받고 당일 귀가하도록 하는 제도

타 진료과목의 낮병동과 정신의료기관 낮병동을 분리 정신의료기관의

낮병동 수가 인상 및 6시간 이용시간 제한규정 완화 등 검토

- (병상수 축소) 병상 규모를 정신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연동시켜

서비스 질이 낮은 기관을 중심으로 병상규모 단계적 축소 (rsquo18년)

ㅇ 정신요양시설 정체성 확립 및 단계적 기능전환

- (이용 대상자 명확화) lsquo의학적 치료rsquo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들로

입소대상을 한정하고 아동 청소년은 정신요양시설 이용을 제한

하여 지역사회 치료 복귀시설로 유도 (rsquo16년)

- (기능 표준화) 정신요양시설 운영 및 역할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등으로 서비스 수준 제고 (rsquo17년)

- (기능전환) 중 장기적으로 연구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신요양시설을

사회복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기능 전환 유도 (rsquo18년)

ㅇ 신체 복합 질환자 치료병원 확충

- (가이드라인 마련) 신체적 질병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등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및 교육 (rsquo17년)

- (지정병원) 정신 및 신체 복합 질환자에 대한 치료 입원 수술이

가능한 병원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홍보 지원 (rsquo18년)

의료질 평가지원금 평가지표에 정신 신체 복합 질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비율 등 포함 검토

- (정신의료기관 내 신체질환 치료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타 진료과목

전문의 배치를 확대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 연계체계 구축 (rsquo18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16: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14 -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ㅇ 지역사회 재난 대응 정신건강관리체계 구축

- (범부처 대응체계 구축) 안전처 복지부 교육부 여가부 등 관계기관

합동 재난 심리지원 대응체계 마련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rsquo16년)

재난 심리지원 협력 네트워크 및 매뉴얼 마련 (역할분담 정보공유 체계 등)

- (응급 정신질환 대응) 응급의료기관 내 응급 정신질환을 위한 별도

공간(격리 입원실 등) 마련 및 병원 내 필요인력 배치 검토 (rsquo17년)

- (지속 대응체계 마련) 5개 국립병원 안산 트라우마센터 정신건강

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장기적 지속적 관리체계 마련 (rsquo16년)

ㅇ 재난 피해자 심리회복을 위한 RampD 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 (rsquo16년)

- (RampD) 주요 재난 유형별 공적 개입이 필요한 재난을 정의하고

재난 별 기본 정신건강관리 중재기법 개발

응급 현장개입 회복기 자살시도 심한 분노나 죄책감 등 특수상황 개입 등

- (전문인력) 국립서울병원 및 안산 트라우마센터를 중심으로 재난

심리지원 전문 인력 양성 및 정신과 의료진 등 관련 풀 관리

lt재난심리지원 인프라 해외사례gt

일본 효고현 재난트라우마 센터 (Hyogo Institute for Traumatic Stress)

- (설립) 고베지진 후 일본의 지진 등 재난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훈련 협진

등 재난 및 범죄분야 지원을 위하여 고베시 효고현에 설치

- (주요기능) PTSD 관련 연구 상담 진료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훈련 협력

관계 유지 관련인력 관리 정보제공 홍보 등

미국 국립 PTSD 센터 (National Center for PTSD)

- (설립) 국립 PTSD 센터 설립 (1989년sim)

- (주요기능) 주로 PTSD 예방과 이해 치료에 관한 교육middot연구 수행

- 15 -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ㅇ 정서발달 평가 및 평가 결과에 따른 서비스 지원 연계 (rsquo17년)

- (정밀 발달검사) 영유아 건강검진시 발달검사 실시 검사결과 발달

장애 의심시 정밀검사비 지원 (대상 및 금액 단계적 확대 검토)

현재 의료급여수급권자 건강보험료 부과금액 하위 30 이하 대상 1인당

최대 40만원 범위 내 지원

- (정서발달 자가평가) 가정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가 활용 가능한

영 유아 사회 정서발달 관련 자가검진 도구 개발 보급 (교육부)

- (서비스 지원)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영유아 발달지원 체계

구축 자가평가 결과 고위험군 대상 심층평가 상담 바우처 연계

ㅇ 아동학대 발생시 위기개입 (rsquo16년)

- (상태평가) 정신건강증진센터-육아종합지원센터-아동보호전문기관

간 연계 체계를 구축하여 학대 및 관련아동 긴급 심리평가 실시

- (위기개입) 심리평가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해당 아동 놀이치료

및 부모 등 보호자 대상 지원교육 제공

ㅇ 부모 교사 대상 심리지원 및 교육 (rsquo16년)

- (심리지원) 부모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 대상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 정신건강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대상 상담 등 심리지원 (교육부)

(부모) 영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정신건강 스크리닝 (교사) 직무 스트레스 검사

- (교육) 부모 대상 양육교육 의무화 교사 대상 문제행동 영유아

보육 교육방법 가이드라인 제공 및 심화교육 (교육부)

- 16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ㅇ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실태조사 (rsquo16년)

-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를 통해 정신질환

발병 시점 주요 질병 유병률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현황 등 조사

그간 실태조사(rsquo06 rsquo11)는 만18세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

ㅇ 학교기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교육부 미래부)

- (정서행동특성검사 내실화) 문항 점검 검사 주기 등 검토 (rsquo16년)

현재 초등학교 1 4학년 중1 고1 대상 실시

- (교내 상담강화) 학교 내 상담교사를 배치하고 시 도 교육청 단위

스쿨닥터를 지정하여 문제행동 학생 대상 학교 내 상담 강화 (rsquo17년)

- (위기개입) 학교 내 자살 사고 학교폭력 등 위기 발생시 심리

지원 교육자료 마련 및 외부기관을 통한 개입 중재 지원 (rsquo16년)

- (지역사회 연계) 전문적 지원 필요시 Wee센터 정신건강증진센터

인터넷중독대응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저소득층 치료비 지원 (rsquo16년)

ㅇ 학교 밖 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여가부) (rsquo17년)

- (스크리닝)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학교 밖 청소년

대상 lsquo정서행동특성검사rsquo 시행

- (지원)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와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로 심층평가 상담 및 치료계획 수립 등 지원

ㅇ 정신건강 관련업무 담당인력 역량 강화 (교육부 여가부)

- (보건 상담교사) 연수시 정신건강 관련 심층교육 실시 및 교사

대상 학생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 보급 (rsquo15년sim)

- (지역센터) Wee센터 및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전문 상담요원 대상

역량강화 교육 및 워크샵 실시 정신과 전문의 슈퍼비전 지원 (rsquo16년)

- 17 -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

ㅇ 대학생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인프라 구축) 대학 상담센터 또는 의무실 내 정신건강 지원 역량

강화 및 지역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체계 구축 (교육부) (rsquo18년)

- (자조모임 지원)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개선 건전음주 문화 조성

등을 위하여 대학 내 동아리 학회 등 지원 (rsquo16년)

ㅇ 산모 산전 후 우울증 관리 강화 (rsquo17년)

- (양육교육) 보건소 건강가정지원센터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부모 대상 자녀 양육교육 강화 (여가부)

- (조기발견) 산부인과 검진 또는 영 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대상

우울 불안 등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 (서비스 제공) 고위험군 선별시 정신의료기관 연계 아이돌봄서비스

일시보육 우선 제공 및 고운맘 카드 사용처 확대 검토 (여가부)

건강보험가입자 대상 임신 1회당 50만원(다태아 70만원)을 지원(rsquo15년 기준)

ㅇ 근로자 직무 스트레스 및 우울증 관리 (rsquo17년)

- 사업장 규모별 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근로자

정신건강증진활동 강화 (고용부)

(50인 미만) lsquo근로자 건강센터rsquo 내 정신건강 관련 사업을 보강하고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연계 강화

(50인 이상 300인 미만) lsquo안전보건관리공단rsquo 및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전문가가 사업장을 방문하여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300인 이상) lsquo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매뉴얼rsquo을 개발 보급하여 사업장

내 자체적인 심리지원 서비스 유도 우수 사업장 인센티브 제공 검토

(기업경영 비용 유발 순위) 우울증-비만-관절염-허리 목 통증 (rsquo10 하버드)

- 18 -

노인 정신건강 지원

ㅇ 노인 정신건강 관련 종합검사 실시 및 심리지원

- (정신건강 문제 발견 강화) 노인대상 서비스 제공자 등 대상 정신

건강 문제 발견 및 연계교육 강화로 정신건강 문제 조기 발견

생활관리사 老老케어 참가자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소진료소장 등

- (정신건강 종합검사)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하여 정신건강 및 생활습관 등 종합검사 제공 (rsquo17년)

(정신건강) 인지기능(치매) 노인성 우울 불안 수면장애 일상생활 기능장애 등

(생활습관) 음주 흡연 영양섭취 습관 신체 사회 활동량 등

- (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하여 지속적 상담 제공 (rsquo16년)

ㅇ 노인 특화 정신건강 프로그램 제공 (rsquo17년)

- (수면 화병 관리 등)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해 적정 수면 화병 관리 및 신체질환자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

- (사회 재적응 훈련) 사별 은퇴 노화 등 부정적 외부환경 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제공

- (사회참여 강화) 저소득층 노인 취업지원 노인 대상 자원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노인의 사회참여 유도

ㅇ 정신건강 관련 정보제공 및 편견해소 교육 홍보 (rsquo16년)

- (정보제공) 장기요양보험 기초노령연금 등과 연계하여 신청

지급시 본인 및 가족에게 정신건강 관련 정보 교육 제공

노인 정신건강 문제는 정상적 노화과정과의 구별 필요 정확한 정보제공이 중요

- (편견해소 교육 홍보) 정신질환 및 치료에 대한 편견이 가장 높은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대학 노인복지관 등을 통해 편견해소 교육 홍보

- 19 -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ㅇ 초발 급성 환자 조기 집중치료를 위한 건강보험수가체계 개선 (rsquo17년)

- (초기치료 강화) 초기 단계의 적극적인 정신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외래 본인부담 경감(30sim60rarr20) 상담 중심의 심층치료 활성화

- (비용부담 완화) 높은 비용부담 때문에 지속적 치료를 방해하는

비급여 정신요법 의약품에 대한 보험 적용 확대

- (위기대응) 자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등에 대한 위기중재

및 집중관리를 위하여 건강보험 보장범위를 대폭 확대

ㅇ 의료급여 체계 개선으로 양질의 치료 서비스 제공 (rsquo17)

- (조기 집중치료) 초기 입원수가(예 입원 후 1sim3개월) 인상률을

높이는 등 제도개선 추진으로 조기 집중치료를 통한 퇴원 유도

- (치료서비스 향상) 정신의료기관의 저가약 사용 유인 등이 감소

하도록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편방안 마련

ㅇ 불필요한 입원을 제한하고 지역사회 복귀 강화 (rsquo17)

- (장기입원 억제) 의료급여 입원환자의 재원 일수에 따라 일당정액

수가 체감제를 강화하여 불필요한 장기입원 억제 검토

- (지역사회 복귀 촉진) 낮병동 수가 조정 퇴원연계 활성화 유도

등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및 치료여건 강화

- 20 -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ㅇ 초발환자 발견 및 지역사회 관리 모형 개발

-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조현병 양극성장애 등 중증 정신질환

조기발견 및 개입 체계 구축

- (시범사업 실시) 청소년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초발 정신증 발견

및 조기중재 모형 개발 및 시범사업 실시

정신질환의 약 50가 10대 중후반에 시작되고 75 정도의 질환이 20세

중반까지 발병 (Kessler 등)

ㅇ 급성기 환자 응급 및 단기입원 제도 활성화

- (응급병상 운영) 국립병원 내 24시간 lsquo응급병상rsquo 운영으로 급성

정신병 증상 발작(acting-out) 등 발생시 응급입원 집중 관리

지역사회 응급개입은 연간 약 6만9천건에 달하나 응급병상 운영 병원

부족으로 응급입원은 연간 26건에 불과 (lsquo14년)

- (모델 개발) 의료기관과 사회복귀시설 중간단계 모형을 구축하여

급성기 단기입원 후 일상생활 복귀 지원

ㅇ 정신질환 치료기술 연구(RampD) 강화

- (국립서울병원 기능개편) 국립서울병원의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임상병동을 운영하여 치료기술 개발 효과성 검증 등 수행

- (RampD 효과성 제고) 진료효과 향상을 위한 조기진단 치료 고도화

표준화 기술개발 등 지원

- 21 -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ㅇ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지원강화 (rsquo16년)

- (사례관리 강화)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squo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

관리팀rsquo을 내실화하고 외래치료 투약여부 등 관리 지원

- (지역 인프라 간 기능 재정립)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 간

기능 재정립으로 서비스 중복 사각지대 발생 해소

- (복지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읍 면 동사무소 연계로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관리시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제공

ㅇ 외래치료명령제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활성화로 퇴원 유도 (rsquo17년)

- (외래치료 명령제 강화) 퇴원환자 외 지역사회 관리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도 외래치료 명령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제도 활성화

현재는 정신의료기관 퇴원시 퇴원환자에 대해서만 외래치료 명령 가능

-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통한 처방

활성화로 입원 위주의 치료에서 지역사회 관리로 전환

일정기간(2주 4주 등) 약효가 지속되어 반복적 재입원 재발율을 낮추는데 도움

ㅇ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유도 및 지원

- (비용 효과 분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관리 유인구조 마련을 위하여

의료기관 입원과 지역사회 관리시 소요되는 비용 효과 분석 (rsquo16년)

- (사회적 협동조합) 정신질환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를 위하여 회복

재활을 지원하도록 당사자의 lsquo사회적 협동조합rsquo 설립 장려 (rsquo16년)

- (취업지원 강화) 정신질환자 취업지원을 강화하고 장애인 판정 기준

재검토 등을 통해 취업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개선 (고용부) (rsquo17년)

- 22 -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ㅇ 사회복귀시설 단계적 확충

- (인센티브) 지자체 평가 국비사업 지자체 공모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여부 고려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하여 확충 유도 (rsquo17년)

현재 사회복귀시설 중 52(165개소)는 서울 경기 인천에 설치

- (직접운영) 국립병원에서 직접 사회복귀시설을 설치하여 입원치료

부터 퇴원 후 사회복귀까지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ㅇ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귀시설 설치 운영 (rsquo17년)

- (다양한 유형 설치) 단기보호 장기생활 공동생활 독립 훈련형

등 이용자 특성(질환 유형 중증도 등)에 맞는 거주시설 설치 운영

- (아동 청소년 특화시설 마련) 성인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관리 학업지원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설치 운영

현재 아동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은 전국 11개소에 불과

ㅇ 사회복귀시설의 질적 수준 제고 (rsquo16년)

- (슈퍼비전 지원) 국립병원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주간

재활시설 프로그램 인력 역량강화 교육 슈퍼비전 등 지원

- (평가 내실화) 사회복귀시설 평가지표 개선 평가주기 단축으로

평가 내실화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도 제고

ㅇ 직업 재활 활성화를 위한 근로환경 개선 및 모형 개발

- (근로환경 개선) 근로시간 임금수준 등 적정 근로여건에 대한 가이드

라인 마련 및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근로환경 개선 (rsquo16년)

- (모형 개발) 수익창출이 가능한 농촌 및 도시형 직업재활 모형을

개발하여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추진 (rsquo17년)

- 23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낮병동 확대 및 병상수 축소

- (낮병동 확대) 제도개선으로 낮병동 확충 유도 및 지역사회 정신

건강서비스 연계 강화로 입원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 (rsquo17년)

병원에서 6시간 이상 진료를 받고 당일 귀가하도록 하는 제도

타 진료과목의 낮병동과 정신의료기관 낮병동을 분리 정신의료기관의

낮병동 수가 인상 및 6시간 이용시간 제한규정 완화 등 검토

- (병상수 축소) 병상 규모를 정신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연동시켜

서비스 질이 낮은 기관을 중심으로 병상규모 단계적 축소 (rsquo18년)

ㅇ 정신요양시설 정체성 확립 및 단계적 기능전환

- (이용 대상자 명확화) lsquo의학적 치료rsquo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들로

입소대상을 한정하고 아동 청소년은 정신요양시설 이용을 제한

하여 지역사회 치료 복귀시설로 유도 (rsquo16년)

- (기능 표준화) 정신요양시설 운영 및 역할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등으로 서비스 수준 제고 (rsquo17년)

- (기능전환) 중 장기적으로 연구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신요양시설을

사회복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기능 전환 유도 (rsquo18년)

ㅇ 신체 복합 질환자 치료병원 확충

- (가이드라인 마련) 신체적 질병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등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및 교육 (rsquo17년)

- (지정병원) 정신 및 신체 복합 질환자에 대한 치료 입원 수술이

가능한 병원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홍보 지원 (rsquo18년)

의료질 평가지원금 평가지표에 정신 신체 복합 질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비율 등 포함 검토

- (정신의료기관 내 신체질환 치료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타 진료과목

전문의 배치를 확대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 연계체계 구축 (rsquo18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17: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15 -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ㅇ 정서발달 평가 및 평가 결과에 따른 서비스 지원 연계 (rsquo17년)

- (정밀 발달검사) 영유아 건강검진시 발달검사 실시 검사결과 발달

장애 의심시 정밀검사비 지원 (대상 및 금액 단계적 확대 검토)

현재 의료급여수급권자 건강보험료 부과금액 하위 30 이하 대상 1인당

최대 40만원 범위 내 지원

- (정서발달 자가평가) 가정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가 활용 가능한

영 유아 사회 정서발달 관련 자가검진 도구 개발 보급 (교육부)

- (서비스 지원)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영유아 발달지원 체계

구축 자가평가 결과 고위험군 대상 심층평가 상담 바우처 연계

ㅇ 아동학대 발생시 위기개입 (rsquo16년)

- (상태평가) 정신건강증진센터-육아종합지원센터-아동보호전문기관

간 연계 체계를 구축하여 학대 및 관련아동 긴급 심리평가 실시

- (위기개입) 심리평가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시 해당 아동 놀이치료

및 부모 등 보호자 대상 지원교육 제공

ㅇ 부모 교사 대상 심리지원 및 교육 (rsquo16년)

- (심리지원) 부모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 대상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 정신건강 스크리닝 및 고위험군 대상 상담 등 심리지원 (교육부)

(부모) 영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정신건강 스크리닝 (교사) 직무 스트레스 검사

- (교육) 부모 대상 양육교육 의무화 교사 대상 문제행동 영유아

보육 교육방법 가이드라인 제공 및 심화교육 (교육부)

- 16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ㅇ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실태조사 (rsquo16년)

-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를 통해 정신질환

발병 시점 주요 질병 유병률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현황 등 조사

그간 실태조사(rsquo06 rsquo11)는 만18세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

ㅇ 학교기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교육부 미래부)

- (정서행동특성검사 내실화) 문항 점검 검사 주기 등 검토 (rsquo16년)

현재 초등학교 1 4학년 중1 고1 대상 실시

- (교내 상담강화) 학교 내 상담교사를 배치하고 시 도 교육청 단위

스쿨닥터를 지정하여 문제행동 학생 대상 학교 내 상담 강화 (rsquo17년)

- (위기개입) 학교 내 자살 사고 학교폭력 등 위기 발생시 심리

지원 교육자료 마련 및 외부기관을 통한 개입 중재 지원 (rsquo16년)

- (지역사회 연계) 전문적 지원 필요시 Wee센터 정신건강증진센터

인터넷중독대응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저소득층 치료비 지원 (rsquo16년)

ㅇ 학교 밖 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여가부) (rsquo17년)

- (스크리닝)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학교 밖 청소년

대상 lsquo정서행동특성검사rsquo 시행

- (지원)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와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로 심층평가 상담 및 치료계획 수립 등 지원

ㅇ 정신건강 관련업무 담당인력 역량 강화 (교육부 여가부)

- (보건 상담교사) 연수시 정신건강 관련 심층교육 실시 및 교사

대상 학생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 보급 (rsquo15년sim)

- (지역센터) Wee센터 및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전문 상담요원 대상

역량강화 교육 및 워크샵 실시 정신과 전문의 슈퍼비전 지원 (rsquo16년)

- 17 -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

ㅇ 대학생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인프라 구축) 대학 상담센터 또는 의무실 내 정신건강 지원 역량

강화 및 지역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체계 구축 (교육부) (rsquo18년)

- (자조모임 지원)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개선 건전음주 문화 조성

등을 위하여 대학 내 동아리 학회 등 지원 (rsquo16년)

ㅇ 산모 산전 후 우울증 관리 강화 (rsquo17년)

- (양육교육) 보건소 건강가정지원센터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부모 대상 자녀 양육교육 강화 (여가부)

- (조기발견) 산부인과 검진 또는 영 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대상

우울 불안 등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 (서비스 제공) 고위험군 선별시 정신의료기관 연계 아이돌봄서비스

일시보육 우선 제공 및 고운맘 카드 사용처 확대 검토 (여가부)

건강보험가입자 대상 임신 1회당 50만원(다태아 70만원)을 지원(rsquo15년 기준)

ㅇ 근로자 직무 스트레스 및 우울증 관리 (rsquo17년)

- 사업장 규모별 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근로자

정신건강증진활동 강화 (고용부)

(50인 미만) lsquo근로자 건강센터rsquo 내 정신건강 관련 사업을 보강하고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연계 강화

(50인 이상 300인 미만) lsquo안전보건관리공단rsquo 및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전문가가 사업장을 방문하여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300인 이상) lsquo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매뉴얼rsquo을 개발 보급하여 사업장

내 자체적인 심리지원 서비스 유도 우수 사업장 인센티브 제공 검토

(기업경영 비용 유발 순위) 우울증-비만-관절염-허리 목 통증 (rsquo10 하버드)

- 18 -

노인 정신건강 지원

ㅇ 노인 정신건강 관련 종합검사 실시 및 심리지원

- (정신건강 문제 발견 강화) 노인대상 서비스 제공자 등 대상 정신

건강 문제 발견 및 연계교육 강화로 정신건강 문제 조기 발견

생활관리사 老老케어 참가자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소진료소장 등

- (정신건강 종합검사)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하여 정신건강 및 생활습관 등 종합검사 제공 (rsquo17년)

(정신건강) 인지기능(치매) 노인성 우울 불안 수면장애 일상생활 기능장애 등

(생활습관) 음주 흡연 영양섭취 습관 신체 사회 활동량 등

- (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하여 지속적 상담 제공 (rsquo16년)

ㅇ 노인 특화 정신건강 프로그램 제공 (rsquo17년)

- (수면 화병 관리 등)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해 적정 수면 화병 관리 및 신체질환자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

- (사회 재적응 훈련) 사별 은퇴 노화 등 부정적 외부환경 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제공

- (사회참여 강화) 저소득층 노인 취업지원 노인 대상 자원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노인의 사회참여 유도

ㅇ 정신건강 관련 정보제공 및 편견해소 교육 홍보 (rsquo16년)

- (정보제공) 장기요양보험 기초노령연금 등과 연계하여 신청

지급시 본인 및 가족에게 정신건강 관련 정보 교육 제공

노인 정신건강 문제는 정상적 노화과정과의 구별 필요 정확한 정보제공이 중요

- (편견해소 교육 홍보) 정신질환 및 치료에 대한 편견이 가장 높은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대학 노인복지관 등을 통해 편견해소 교육 홍보

- 19 -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ㅇ 초발 급성 환자 조기 집중치료를 위한 건강보험수가체계 개선 (rsquo17년)

- (초기치료 강화) 초기 단계의 적극적인 정신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외래 본인부담 경감(30sim60rarr20) 상담 중심의 심층치료 활성화

- (비용부담 완화) 높은 비용부담 때문에 지속적 치료를 방해하는

비급여 정신요법 의약품에 대한 보험 적용 확대

- (위기대응) 자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등에 대한 위기중재

및 집중관리를 위하여 건강보험 보장범위를 대폭 확대

ㅇ 의료급여 체계 개선으로 양질의 치료 서비스 제공 (rsquo17)

- (조기 집중치료) 초기 입원수가(예 입원 후 1sim3개월) 인상률을

높이는 등 제도개선 추진으로 조기 집중치료를 통한 퇴원 유도

- (치료서비스 향상) 정신의료기관의 저가약 사용 유인 등이 감소

하도록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편방안 마련

ㅇ 불필요한 입원을 제한하고 지역사회 복귀 강화 (rsquo17)

- (장기입원 억제) 의료급여 입원환자의 재원 일수에 따라 일당정액

수가 체감제를 강화하여 불필요한 장기입원 억제 검토

- (지역사회 복귀 촉진) 낮병동 수가 조정 퇴원연계 활성화 유도

등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및 치료여건 강화

- 20 -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ㅇ 초발환자 발견 및 지역사회 관리 모형 개발

-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조현병 양극성장애 등 중증 정신질환

조기발견 및 개입 체계 구축

- (시범사업 실시) 청소년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초발 정신증 발견

및 조기중재 모형 개발 및 시범사업 실시

정신질환의 약 50가 10대 중후반에 시작되고 75 정도의 질환이 20세

중반까지 발병 (Kessler 등)

ㅇ 급성기 환자 응급 및 단기입원 제도 활성화

- (응급병상 운영) 국립병원 내 24시간 lsquo응급병상rsquo 운영으로 급성

정신병 증상 발작(acting-out) 등 발생시 응급입원 집중 관리

지역사회 응급개입은 연간 약 6만9천건에 달하나 응급병상 운영 병원

부족으로 응급입원은 연간 26건에 불과 (lsquo14년)

- (모델 개발) 의료기관과 사회복귀시설 중간단계 모형을 구축하여

급성기 단기입원 후 일상생활 복귀 지원

ㅇ 정신질환 치료기술 연구(RampD) 강화

- (국립서울병원 기능개편) 국립서울병원의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임상병동을 운영하여 치료기술 개발 효과성 검증 등 수행

- (RampD 효과성 제고) 진료효과 향상을 위한 조기진단 치료 고도화

표준화 기술개발 등 지원

- 21 -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ㅇ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지원강화 (rsquo16년)

- (사례관리 강화)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squo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

관리팀rsquo을 내실화하고 외래치료 투약여부 등 관리 지원

- (지역 인프라 간 기능 재정립)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 간

기능 재정립으로 서비스 중복 사각지대 발생 해소

- (복지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읍 면 동사무소 연계로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관리시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제공

ㅇ 외래치료명령제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활성화로 퇴원 유도 (rsquo17년)

- (외래치료 명령제 강화) 퇴원환자 외 지역사회 관리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도 외래치료 명령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제도 활성화

현재는 정신의료기관 퇴원시 퇴원환자에 대해서만 외래치료 명령 가능

-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통한 처방

활성화로 입원 위주의 치료에서 지역사회 관리로 전환

일정기간(2주 4주 등) 약효가 지속되어 반복적 재입원 재발율을 낮추는데 도움

ㅇ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유도 및 지원

- (비용 효과 분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관리 유인구조 마련을 위하여

의료기관 입원과 지역사회 관리시 소요되는 비용 효과 분석 (rsquo16년)

- (사회적 협동조합) 정신질환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를 위하여 회복

재활을 지원하도록 당사자의 lsquo사회적 협동조합rsquo 설립 장려 (rsquo16년)

- (취업지원 강화) 정신질환자 취업지원을 강화하고 장애인 판정 기준

재검토 등을 통해 취업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개선 (고용부) (rsquo17년)

- 22 -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ㅇ 사회복귀시설 단계적 확충

- (인센티브) 지자체 평가 국비사업 지자체 공모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여부 고려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하여 확충 유도 (rsquo17년)

현재 사회복귀시설 중 52(165개소)는 서울 경기 인천에 설치

- (직접운영) 국립병원에서 직접 사회복귀시설을 설치하여 입원치료

부터 퇴원 후 사회복귀까지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ㅇ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귀시설 설치 운영 (rsquo17년)

- (다양한 유형 설치) 단기보호 장기생활 공동생활 독립 훈련형

등 이용자 특성(질환 유형 중증도 등)에 맞는 거주시설 설치 운영

- (아동 청소년 특화시설 마련) 성인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관리 학업지원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설치 운영

현재 아동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은 전국 11개소에 불과

ㅇ 사회복귀시설의 질적 수준 제고 (rsquo16년)

- (슈퍼비전 지원) 국립병원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주간

재활시설 프로그램 인력 역량강화 교육 슈퍼비전 등 지원

- (평가 내실화) 사회복귀시설 평가지표 개선 평가주기 단축으로

평가 내실화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도 제고

ㅇ 직업 재활 활성화를 위한 근로환경 개선 및 모형 개발

- (근로환경 개선) 근로시간 임금수준 등 적정 근로여건에 대한 가이드

라인 마련 및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근로환경 개선 (rsquo16년)

- (모형 개발) 수익창출이 가능한 농촌 및 도시형 직업재활 모형을

개발하여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추진 (rsquo17년)

- 23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낮병동 확대 및 병상수 축소

- (낮병동 확대) 제도개선으로 낮병동 확충 유도 및 지역사회 정신

건강서비스 연계 강화로 입원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 (rsquo17년)

병원에서 6시간 이상 진료를 받고 당일 귀가하도록 하는 제도

타 진료과목의 낮병동과 정신의료기관 낮병동을 분리 정신의료기관의

낮병동 수가 인상 및 6시간 이용시간 제한규정 완화 등 검토

- (병상수 축소) 병상 규모를 정신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연동시켜

서비스 질이 낮은 기관을 중심으로 병상규모 단계적 축소 (rsquo18년)

ㅇ 정신요양시설 정체성 확립 및 단계적 기능전환

- (이용 대상자 명확화) lsquo의학적 치료rsquo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들로

입소대상을 한정하고 아동 청소년은 정신요양시설 이용을 제한

하여 지역사회 치료 복귀시설로 유도 (rsquo16년)

- (기능 표준화) 정신요양시설 운영 및 역할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등으로 서비스 수준 제고 (rsquo17년)

- (기능전환) 중 장기적으로 연구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신요양시설을

사회복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기능 전환 유도 (rsquo18년)

ㅇ 신체 복합 질환자 치료병원 확충

- (가이드라인 마련) 신체적 질병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등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및 교육 (rsquo17년)

- (지정병원) 정신 및 신체 복합 질환자에 대한 치료 입원 수술이

가능한 병원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홍보 지원 (rsquo18년)

의료질 평가지원금 평가지표에 정신 신체 복합 질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비율 등 포함 검토

- (정신의료기관 내 신체질환 치료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타 진료과목

전문의 배치를 확대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 연계체계 구축 (rsquo18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18: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16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ㅇ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실태조사 (rsquo16년)

-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를 통해 정신질환

발병 시점 주요 질병 유병률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현황 등 조사

그간 실태조사(rsquo06 rsquo11)는 만18세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

ㅇ 학교기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교육부 미래부)

- (정서행동특성검사 내실화) 문항 점검 검사 주기 등 검토 (rsquo16년)

현재 초등학교 1 4학년 중1 고1 대상 실시

- (교내 상담강화) 학교 내 상담교사를 배치하고 시 도 교육청 단위

스쿨닥터를 지정하여 문제행동 학생 대상 학교 내 상담 강화 (rsquo17년)

- (위기개입) 학교 내 자살 사고 학교폭력 등 위기 발생시 심리

지원 교육자료 마련 및 외부기관을 통한 개입 중재 지원 (rsquo16년)

- (지역사회 연계) 전문적 지원 필요시 Wee센터 정신건강증진센터

인터넷중독대응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연계 저소득층 치료비 지원 (rsquo16년)

ㅇ 학교 밖 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여가부) (rsquo17년)

- (스크리닝)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학교 밖 청소년

대상 lsquo정서행동특성검사rsquo 시행

- (지원) 정신과적 문제 발생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와 정신건강

증진센터 연계로 심층평가 상담 및 치료계획 수립 등 지원

ㅇ 정신건강 관련업무 담당인력 역량 강화 (교육부 여가부)

- (보건 상담교사) 연수시 정신건강 관련 심층교육 실시 및 교사

대상 학생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 보급 (rsquo15년sim)

- (지역센터) Wee센터 및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전문 상담요원 대상

역량강화 교육 및 워크샵 실시 정신과 전문의 슈퍼비전 지원 (rsquo16년)

- 17 -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

ㅇ 대학생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인프라 구축) 대학 상담센터 또는 의무실 내 정신건강 지원 역량

강화 및 지역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체계 구축 (교육부) (rsquo18년)

- (자조모임 지원)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개선 건전음주 문화 조성

등을 위하여 대학 내 동아리 학회 등 지원 (rsquo16년)

ㅇ 산모 산전 후 우울증 관리 강화 (rsquo17년)

- (양육교육) 보건소 건강가정지원센터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부모 대상 자녀 양육교육 강화 (여가부)

- (조기발견) 산부인과 검진 또는 영 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대상

우울 불안 등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 (서비스 제공) 고위험군 선별시 정신의료기관 연계 아이돌봄서비스

일시보육 우선 제공 및 고운맘 카드 사용처 확대 검토 (여가부)

건강보험가입자 대상 임신 1회당 50만원(다태아 70만원)을 지원(rsquo15년 기준)

ㅇ 근로자 직무 스트레스 및 우울증 관리 (rsquo17년)

- 사업장 규모별 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근로자

정신건강증진활동 강화 (고용부)

(50인 미만) lsquo근로자 건강센터rsquo 내 정신건강 관련 사업을 보강하고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연계 강화

(50인 이상 300인 미만) lsquo안전보건관리공단rsquo 및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전문가가 사업장을 방문하여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300인 이상) lsquo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매뉴얼rsquo을 개발 보급하여 사업장

내 자체적인 심리지원 서비스 유도 우수 사업장 인센티브 제공 검토

(기업경영 비용 유발 순위) 우울증-비만-관절염-허리 목 통증 (rsquo10 하버드)

- 18 -

노인 정신건강 지원

ㅇ 노인 정신건강 관련 종합검사 실시 및 심리지원

- (정신건강 문제 발견 강화) 노인대상 서비스 제공자 등 대상 정신

건강 문제 발견 및 연계교육 강화로 정신건강 문제 조기 발견

생활관리사 老老케어 참가자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소진료소장 등

- (정신건강 종합검사)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하여 정신건강 및 생활습관 등 종합검사 제공 (rsquo17년)

(정신건강) 인지기능(치매) 노인성 우울 불안 수면장애 일상생활 기능장애 등

(생활습관) 음주 흡연 영양섭취 습관 신체 사회 활동량 등

- (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하여 지속적 상담 제공 (rsquo16년)

ㅇ 노인 특화 정신건강 프로그램 제공 (rsquo17년)

- (수면 화병 관리 등)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해 적정 수면 화병 관리 및 신체질환자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

- (사회 재적응 훈련) 사별 은퇴 노화 등 부정적 외부환경 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제공

- (사회참여 강화) 저소득층 노인 취업지원 노인 대상 자원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노인의 사회참여 유도

ㅇ 정신건강 관련 정보제공 및 편견해소 교육 홍보 (rsquo16년)

- (정보제공) 장기요양보험 기초노령연금 등과 연계하여 신청

지급시 본인 및 가족에게 정신건강 관련 정보 교육 제공

노인 정신건강 문제는 정상적 노화과정과의 구별 필요 정확한 정보제공이 중요

- (편견해소 교육 홍보) 정신질환 및 치료에 대한 편견이 가장 높은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대학 노인복지관 등을 통해 편견해소 교육 홍보

- 19 -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ㅇ 초발 급성 환자 조기 집중치료를 위한 건강보험수가체계 개선 (rsquo17년)

- (초기치료 강화) 초기 단계의 적극적인 정신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외래 본인부담 경감(30sim60rarr20) 상담 중심의 심층치료 활성화

- (비용부담 완화) 높은 비용부담 때문에 지속적 치료를 방해하는

비급여 정신요법 의약품에 대한 보험 적용 확대

- (위기대응) 자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등에 대한 위기중재

및 집중관리를 위하여 건강보험 보장범위를 대폭 확대

ㅇ 의료급여 체계 개선으로 양질의 치료 서비스 제공 (rsquo17)

- (조기 집중치료) 초기 입원수가(예 입원 후 1sim3개월) 인상률을

높이는 등 제도개선 추진으로 조기 집중치료를 통한 퇴원 유도

- (치료서비스 향상) 정신의료기관의 저가약 사용 유인 등이 감소

하도록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편방안 마련

ㅇ 불필요한 입원을 제한하고 지역사회 복귀 강화 (rsquo17)

- (장기입원 억제) 의료급여 입원환자의 재원 일수에 따라 일당정액

수가 체감제를 강화하여 불필요한 장기입원 억제 검토

- (지역사회 복귀 촉진) 낮병동 수가 조정 퇴원연계 활성화 유도

등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및 치료여건 강화

- 20 -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ㅇ 초발환자 발견 및 지역사회 관리 모형 개발

-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조현병 양극성장애 등 중증 정신질환

조기발견 및 개입 체계 구축

- (시범사업 실시) 청소년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초발 정신증 발견

및 조기중재 모형 개발 및 시범사업 실시

정신질환의 약 50가 10대 중후반에 시작되고 75 정도의 질환이 20세

중반까지 발병 (Kessler 등)

ㅇ 급성기 환자 응급 및 단기입원 제도 활성화

- (응급병상 운영) 국립병원 내 24시간 lsquo응급병상rsquo 운영으로 급성

정신병 증상 발작(acting-out) 등 발생시 응급입원 집중 관리

지역사회 응급개입은 연간 약 6만9천건에 달하나 응급병상 운영 병원

부족으로 응급입원은 연간 26건에 불과 (lsquo14년)

- (모델 개발) 의료기관과 사회복귀시설 중간단계 모형을 구축하여

급성기 단기입원 후 일상생활 복귀 지원

ㅇ 정신질환 치료기술 연구(RampD) 강화

- (국립서울병원 기능개편) 국립서울병원의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임상병동을 운영하여 치료기술 개발 효과성 검증 등 수행

- (RampD 효과성 제고) 진료효과 향상을 위한 조기진단 치료 고도화

표준화 기술개발 등 지원

- 21 -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ㅇ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지원강화 (rsquo16년)

- (사례관리 강화)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squo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

관리팀rsquo을 내실화하고 외래치료 투약여부 등 관리 지원

- (지역 인프라 간 기능 재정립)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 간

기능 재정립으로 서비스 중복 사각지대 발생 해소

- (복지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읍 면 동사무소 연계로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관리시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제공

ㅇ 외래치료명령제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활성화로 퇴원 유도 (rsquo17년)

- (외래치료 명령제 강화) 퇴원환자 외 지역사회 관리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도 외래치료 명령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제도 활성화

현재는 정신의료기관 퇴원시 퇴원환자에 대해서만 외래치료 명령 가능

-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통한 처방

활성화로 입원 위주의 치료에서 지역사회 관리로 전환

일정기간(2주 4주 등) 약효가 지속되어 반복적 재입원 재발율을 낮추는데 도움

ㅇ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유도 및 지원

- (비용 효과 분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관리 유인구조 마련을 위하여

의료기관 입원과 지역사회 관리시 소요되는 비용 효과 분석 (rsquo16년)

- (사회적 협동조합) 정신질환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를 위하여 회복

재활을 지원하도록 당사자의 lsquo사회적 협동조합rsquo 설립 장려 (rsquo16년)

- (취업지원 강화) 정신질환자 취업지원을 강화하고 장애인 판정 기준

재검토 등을 통해 취업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개선 (고용부) (rsquo17년)

- 22 -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ㅇ 사회복귀시설 단계적 확충

- (인센티브) 지자체 평가 국비사업 지자체 공모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여부 고려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하여 확충 유도 (rsquo17년)

현재 사회복귀시설 중 52(165개소)는 서울 경기 인천에 설치

- (직접운영) 국립병원에서 직접 사회복귀시설을 설치하여 입원치료

부터 퇴원 후 사회복귀까지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ㅇ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귀시설 설치 운영 (rsquo17년)

- (다양한 유형 설치) 단기보호 장기생활 공동생활 독립 훈련형

등 이용자 특성(질환 유형 중증도 등)에 맞는 거주시설 설치 운영

- (아동 청소년 특화시설 마련) 성인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관리 학업지원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설치 운영

현재 아동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은 전국 11개소에 불과

ㅇ 사회복귀시설의 질적 수준 제고 (rsquo16년)

- (슈퍼비전 지원) 국립병원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주간

재활시설 프로그램 인력 역량강화 교육 슈퍼비전 등 지원

- (평가 내실화) 사회복귀시설 평가지표 개선 평가주기 단축으로

평가 내실화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도 제고

ㅇ 직업 재활 활성화를 위한 근로환경 개선 및 모형 개발

- (근로환경 개선) 근로시간 임금수준 등 적정 근로여건에 대한 가이드

라인 마련 및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근로환경 개선 (rsquo16년)

- (모형 개발) 수익창출이 가능한 농촌 및 도시형 직업재활 모형을

개발하여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추진 (rsquo17년)

- 23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낮병동 확대 및 병상수 축소

- (낮병동 확대) 제도개선으로 낮병동 확충 유도 및 지역사회 정신

건강서비스 연계 강화로 입원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 (rsquo17년)

병원에서 6시간 이상 진료를 받고 당일 귀가하도록 하는 제도

타 진료과목의 낮병동과 정신의료기관 낮병동을 분리 정신의료기관의

낮병동 수가 인상 및 6시간 이용시간 제한규정 완화 등 검토

- (병상수 축소) 병상 규모를 정신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연동시켜

서비스 질이 낮은 기관을 중심으로 병상규모 단계적 축소 (rsquo18년)

ㅇ 정신요양시설 정체성 확립 및 단계적 기능전환

- (이용 대상자 명확화) lsquo의학적 치료rsquo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들로

입소대상을 한정하고 아동 청소년은 정신요양시설 이용을 제한

하여 지역사회 치료 복귀시설로 유도 (rsquo16년)

- (기능 표준화) 정신요양시설 운영 및 역할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등으로 서비스 수준 제고 (rsquo17년)

- (기능전환) 중 장기적으로 연구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신요양시설을

사회복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기능 전환 유도 (rsquo18년)

ㅇ 신체 복합 질환자 치료병원 확충

- (가이드라인 마련) 신체적 질병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등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및 교육 (rsquo17년)

- (지정병원) 정신 및 신체 복합 질환자에 대한 치료 입원 수술이

가능한 병원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홍보 지원 (rsquo18년)

의료질 평가지원금 평가지표에 정신 신체 복합 질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비율 등 포함 검토

- (정신의료기관 내 신체질환 치료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타 진료과목

전문의 배치를 확대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 연계체계 구축 (rsquo18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19: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17 -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

ㅇ 대학생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인프라 구축) 대학 상담센터 또는 의무실 내 정신건강 지원 역량

강화 및 지역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체계 구축 (교육부) (rsquo18년)

- (자조모임 지원)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개선 건전음주 문화 조성

등을 위하여 대학 내 동아리 학회 등 지원 (rsquo16년)

ㅇ 산모 산전 후 우울증 관리 강화 (rsquo17년)

- (양육교육) 보건소 건강가정지원센터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부모 대상 자녀 양육교육 강화 (여가부)

- (조기발견) 산부인과 검진 또는 영 유아 건강검진시 부모 대상

우울 불안 등 정신과적 문제 스크리닝

- (서비스 제공) 고위험군 선별시 정신의료기관 연계 아이돌봄서비스

일시보육 우선 제공 및 고운맘 카드 사용처 확대 검토 (여가부)

건강보험가입자 대상 임신 1회당 50만원(다태아 70만원)을 지원(rsquo15년 기준)

ㅇ 근로자 직무 스트레스 및 우울증 관리 (rsquo17년)

- 사업장 규모별 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근로자

정신건강증진활동 강화 (고용부)

(50인 미만) lsquo근로자 건강센터rsquo 내 정신건강 관련 사업을 보강하고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연계 강화

(50인 이상 300인 미만) lsquo안전보건관리공단rsquo 및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전문가가 사업장을 방문하여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300인 이상) lsquo근로자 정신건강 지원 매뉴얼rsquo을 개발 보급하여 사업장

내 자체적인 심리지원 서비스 유도 우수 사업장 인센티브 제공 검토

(기업경영 비용 유발 순위) 우울증-비만-관절염-허리 목 통증 (rsquo10 하버드)

- 18 -

노인 정신건강 지원

ㅇ 노인 정신건강 관련 종합검사 실시 및 심리지원

- (정신건강 문제 발견 강화) 노인대상 서비스 제공자 등 대상 정신

건강 문제 발견 및 연계교육 강화로 정신건강 문제 조기 발견

생활관리사 老老케어 참가자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소진료소장 등

- (정신건강 종합검사)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하여 정신건강 및 생활습관 등 종합검사 제공 (rsquo17년)

(정신건강) 인지기능(치매) 노인성 우울 불안 수면장애 일상생활 기능장애 등

(생활습관) 음주 흡연 영양섭취 습관 신체 사회 활동량 등

- (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하여 지속적 상담 제공 (rsquo16년)

ㅇ 노인 특화 정신건강 프로그램 제공 (rsquo17년)

- (수면 화병 관리 등)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해 적정 수면 화병 관리 및 신체질환자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

- (사회 재적응 훈련) 사별 은퇴 노화 등 부정적 외부환경 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제공

- (사회참여 강화) 저소득층 노인 취업지원 노인 대상 자원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노인의 사회참여 유도

ㅇ 정신건강 관련 정보제공 및 편견해소 교육 홍보 (rsquo16년)

- (정보제공) 장기요양보험 기초노령연금 등과 연계하여 신청

지급시 본인 및 가족에게 정신건강 관련 정보 교육 제공

노인 정신건강 문제는 정상적 노화과정과의 구별 필요 정확한 정보제공이 중요

- (편견해소 교육 홍보) 정신질환 및 치료에 대한 편견이 가장 높은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대학 노인복지관 등을 통해 편견해소 교육 홍보

- 19 -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ㅇ 초발 급성 환자 조기 집중치료를 위한 건강보험수가체계 개선 (rsquo17년)

- (초기치료 강화) 초기 단계의 적극적인 정신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외래 본인부담 경감(30sim60rarr20) 상담 중심의 심층치료 활성화

- (비용부담 완화) 높은 비용부담 때문에 지속적 치료를 방해하는

비급여 정신요법 의약품에 대한 보험 적용 확대

- (위기대응) 자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등에 대한 위기중재

및 집중관리를 위하여 건강보험 보장범위를 대폭 확대

ㅇ 의료급여 체계 개선으로 양질의 치료 서비스 제공 (rsquo17)

- (조기 집중치료) 초기 입원수가(예 입원 후 1sim3개월) 인상률을

높이는 등 제도개선 추진으로 조기 집중치료를 통한 퇴원 유도

- (치료서비스 향상) 정신의료기관의 저가약 사용 유인 등이 감소

하도록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편방안 마련

ㅇ 불필요한 입원을 제한하고 지역사회 복귀 강화 (rsquo17)

- (장기입원 억제) 의료급여 입원환자의 재원 일수에 따라 일당정액

수가 체감제를 강화하여 불필요한 장기입원 억제 검토

- (지역사회 복귀 촉진) 낮병동 수가 조정 퇴원연계 활성화 유도

등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및 치료여건 강화

- 20 -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ㅇ 초발환자 발견 및 지역사회 관리 모형 개발

-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조현병 양극성장애 등 중증 정신질환

조기발견 및 개입 체계 구축

- (시범사업 실시) 청소년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초발 정신증 발견

및 조기중재 모형 개발 및 시범사업 실시

정신질환의 약 50가 10대 중후반에 시작되고 75 정도의 질환이 20세

중반까지 발병 (Kessler 등)

ㅇ 급성기 환자 응급 및 단기입원 제도 활성화

- (응급병상 운영) 국립병원 내 24시간 lsquo응급병상rsquo 운영으로 급성

정신병 증상 발작(acting-out) 등 발생시 응급입원 집중 관리

지역사회 응급개입은 연간 약 6만9천건에 달하나 응급병상 운영 병원

부족으로 응급입원은 연간 26건에 불과 (lsquo14년)

- (모델 개발) 의료기관과 사회복귀시설 중간단계 모형을 구축하여

급성기 단기입원 후 일상생활 복귀 지원

ㅇ 정신질환 치료기술 연구(RampD) 강화

- (국립서울병원 기능개편) 국립서울병원의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임상병동을 운영하여 치료기술 개발 효과성 검증 등 수행

- (RampD 효과성 제고) 진료효과 향상을 위한 조기진단 치료 고도화

표준화 기술개발 등 지원

- 21 -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ㅇ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지원강화 (rsquo16년)

- (사례관리 강화)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squo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

관리팀rsquo을 내실화하고 외래치료 투약여부 등 관리 지원

- (지역 인프라 간 기능 재정립)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 간

기능 재정립으로 서비스 중복 사각지대 발생 해소

- (복지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읍 면 동사무소 연계로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관리시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제공

ㅇ 외래치료명령제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활성화로 퇴원 유도 (rsquo17년)

- (외래치료 명령제 강화) 퇴원환자 외 지역사회 관리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도 외래치료 명령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제도 활성화

현재는 정신의료기관 퇴원시 퇴원환자에 대해서만 외래치료 명령 가능

-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통한 처방

활성화로 입원 위주의 치료에서 지역사회 관리로 전환

일정기간(2주 4주 등) 약효가 지속되어 반복적 재입원 재발율을 낮추는데 도움

ㅇ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유도 및 지원

- (비용 효과 분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관리 유인구조 마련을 위하여

의료기관 입원과 지역사회 관리시 소요되는 비용 효과 분석 (rsquo16년)

- (사회적 협동조합) 정신질환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를 위하여 회복

재활을 지원하도록 당사자의 lsquo사회적 협동조합rsquo 설립 장려 (rsquo16년)

- (취업지원 강화) 정신질환자 취업지원을 강화하고 장애인 판정 기준

재검토 등을 통해 취업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개선 (고용부) (rsquo17년)

- 22 -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ㅇ 사회복귀시설 단계적 확충

- (인센티브) 지자체 평가 국비사업 지자체 공모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여부 고려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하여 확충 유도 (rsquo17년)

현재 사회복귀시설 중 52(165개소)는 서울 경기 인천에 설치

- (직접운영) 국립병원에서 직접 사회복귀시설을 설치하여 입원치료

부터 퇴원 후 사회복귀까지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ㅇ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귀시설 설치 운영 (rsquo17년)

- (다양한 유형 설치) 단기보호 장기생활 공동생활 독립 훈련형

등 이용자 특성(질환 유형 중증도 등)에 맞는 거주시설 설치 운영

- (아동 청소년 특화시설 마련) 성인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관리 학업지원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설치 운영

현재 아동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은 전국 11개소에 불과

ㅇ 사회복귀시설의 질적 수준 제고 (rsquo16년)

- (슈퍼비전 지원) 국립병원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주간

재활시설 프로그램 인력 역량강화 교육 슈퍼비전 등 지원

- (평가 내실화) 사회복귀시설 평가지표 개선 평가주기 단축으로

평가 내실화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도 제고

ㅇ 직업 재활 활성화를 위한 근로환경 개선 및 모형 개발

- (근로환경 개선) 근로시간 임금수준 등 적정 근로여건에 대한 가이드

라인 마련 및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근로환경 개선 (rsquo16년)

- (모형 개발) 수익창출이 가능한 농촌 및 도시형 직업재활 모형을

개발하여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추진 (rsquo17년)

- 23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낮병동 확대 및 병상수 축소

- (낮병동 확대) 제도개선으로 낮병동 확충 유도 및 지역사회 정신

건강서비스 연계 강화로 입원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 (rsquo17년)

병원에서 6시간 이상 진료를 받고 당일 귀가하도록 하는 제도

타 진료과목의 낮병동과 정신의료기관 낮병동을 분리 정신의료기관의

낮병동 수가 인상 및 6시간 이용시간 제한규정 완화 등 검토

- (병상수 축소) 병상 규모를 정신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연동시켜

서비스 질이 낮은 기관을 중심으로 병상규모 단계적 축소 (rsquo18년)

ㅇ 정신요양시설 정체성 확립 및 단계적 기능전환

- (이용 대상자 명확화) lsquo의학적 치료rsquo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들로

입소대상을 한정하고 아동 청소년은 정신요양시설 이용을 제한

하여 지역사회 치료 복귀시설로 유도 (rsquo16년)

- (기능 표준화) 정신요양시설 운영 및 역할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등으로 서비스 수준 제고 (rsquo17년)

- (기능전환) 중 장기적으로 연구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신요양시설을

사회복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기능 전환 유도 (rsquo18년)

ㅇ 신체 복합 질환자 치료병원 확충

- (가이드라인 마련) 신체적 질병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등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및 교육 (rsquo17년)

- (지정병원) 정신 및 신체 복합 질환자에 대한 치료 입원 수술이

가능한 병원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홍보 지원 (rsquo18년)

의료질 평가지원금 평가지표에 정신 신체 복합 질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비율 등 포함 검토

- (정신의료기관 내 신체질환 치료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타 진료과목

전문의 배치를 확대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 연계체계 구축 (rsquo18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20: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18 -

노인 정신건강 지원

ㅇ 노인 정신건강 관련 종합검사 실시 및 심리지원

- (정신건강 문제 발견 강화) 노인대상 서비스 제공자 등 대상 정신

건강 문제 발견 및 연계교육 강화로 정신건강 문제 조기 발견

생활관리사 老老케어 참가자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소진료소장 등

- (정신건강 종합검사)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하여 정신건강 및 생활습관 등 종합검사 제공 (rsquo17년)

(정신건강) 인지기능(치매) 노인성 우울 불안 수면장애 일상생활 기능장애 등

(생활습관) 음주 흡연 영양섭취 습관 신체 사회 활동량 등

- (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하여 지속적 상담 제공 (rsquo16년)

ㅇ 노인 특화 정신건강 프로그램 제공 (rsquo17년)

- (수면 화병 관리 등) 정신건강증진센터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등을

통해 적정 수면 화병 관리 및 신체질환자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

- (사회 재적응 훈련) 사별 은퇴 노화 등 부정적 외부환경 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제공

- (사회참여 강화) 저소득층 노인 취업지원 노인 대상 자원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노인의 사회참여 유도

ㅇ 정신건강 관련 정보제공 및 편견해소 교육 홍보 (rsquo16년)

- (정보제공) 장기요양보험 기초노령연금 등과 연계하여 신청

지급시 본인 및 가족에게 정신건강 관련 정보 교육 제공

노인 정신건강 문제는 정상적 노화과정과의 구별 필요 정확한 정보제공이 중요

- (편견해소 교육 홍보) 정신질환 및 치료에 대한 편견이 가장 높은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대학 노인복지관 등을 통해 편견해소 교육 홍보

- 19 -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ㅇ 초발 급성 환자 조기 집중치료를 위한 건강보험수가체계 개선 (rsquo17년)

- (초기치료 강화) 초기 단계의 적극적인 정신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외래 본인부담 경감(30sim60rarr20) 상담 중심의 심층치료 활성화

- (비용부담 완화) 높은 비용부담 때문에 지속적 치료를 방해하는

비급여 정신요법 의약품에 대한 보험 적용 확대

- (위기대응) 자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등에 대한 위기중재

및 집중관리를 위하여 건강보험 보장범위를 대폭 확대

ㅇ 의료급여 체계 개선으로 양질의 치료 서비스 제공 (rsquo17)

- (조기 집중치료) 초기 입원수가(예 입원 후 1sim3개월) 인상률을

높이는 등 제도개선 추진으로 조기 집중치료를 통한 퇴원 유도

- (치료서비스 향상) 정신의료기관의 저가약 사용 유인 등이 감소

하도록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편방안 마련

ㅇ 불필요한 입원을 제한하고 지역사회 복귀 강화 (rsquo17)

- (장기입원 억제) 의료급여 입원환자의 재원 일수에 따라 일당정액

수가 체감제를 강화하여 불필요한 장기입원 억제 검토

- (지역사회 복귀 촉진) 낮병동 수가 조정 퇴원연계 활성화 유도

등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및 치료여건 강화

- 20 -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ㅇ 초발환자 발견 및 지역사회 관리 모형 개발

-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조현병 양극성장애 등 중증 정신질환

조기발견 및 개입 체계 구축

- (시범사업 실시) 청소년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초발 정신증 발견

및 조기중재 모형 개발 및 시범사업 실시

정신질환의 약 50가 10대 중후반에 시작되고 75 정도의 질환이 20세

중반까지 발병 (Kessler 등)

ㅇ 급성기 환자 응급 및 단기입원 제도 활성화

- (응급병상 운영) 국립병원 내 24시간 lsquo응급병상rsquo 운영으로 급성

정신병 증상 발작(acting-out) 등 발생시 응급입원 집중 관리

지역사회 응급개입은 연간 약 6만9천건에 달하나 응급병상 운영 병원

부족으로 응급입원은 연간 26건에 불과 (lsquo14년)

- (모델 개발) 의료기관과 사회복귀시설 중간단계 모형을 구축하여

급성기 단기입원 후 일상생활 복귀 지원

ㅇ 정신질환 치료기술 연구(RampD) 강화

- (국립서울병원 기능개편) 국립서울병원의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임상병동을 운영하여 치료기술 개발 효과성 검증 등 수행

- (RampD 효과성 제고) 진료효과 향상을 위한 조기진단 치료 고도화

표준화 기술개발 등 지원

- 21 -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ㅇ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지원강화 (rsquo16년)

- (사례관리 강화)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squo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

관리팀rsquo을 내실화하고 외래치료 투약여부 등 관리 지원

- (지역 인프라 간 기능 재정립)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 간

기능 재정립으로 서비스 중복 사각지대 발생 해소

- (복지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읍 면 동사무소 연계로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관리시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제공

ㅇ 외래치료명령제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활성화로 퇴원 유도 (rsquo17년)

- (외래치료 명령제 강화) 퇴원환자 외 지역사회 관리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도 외래치료 명령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제도 활성화

현재는 정신의료기관 퇴원시 퇴원환자에 대해서만 외래치료 명령 가능

-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통한 처방

활성화로 입원 위주의 치료에서 지역사회 관리로 전환

일정기간(2주 4주 등) 약효가 지속되어 반복적 재입원 재발율을 낮추는데 도움

ㅇ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유도 및 지원

- (비용 효과 분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관리 유인구조 마련을 위하여

의료기관 입원과 지역사회 관리시 소요되는 비용 효과 분석 (rsquo16년)

- (사회적 협동조합) 정신질환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를 위하여 회복

재활을 지원하도록 당사자의 lsquo사회적 협동조합rsquo 설립 장려 (rsquo16년)

- (취업지원 강화) 정신질환자 취업지원을 강화하고 장애인 판정 기준

재검토 등을 통해 취업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개선 (고용부) (rsquo17년)

- 22 -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ㅇ 사회복귀시설 단계적 확충

- (인센티브) 지자체 평가 국비사업 지자체 공모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여부 고려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하여 확충 유도 (rsquo17년)

현재 사회복귀시설 중 52(165개소)는 서울 경기 인천에 설치

- (직접운영) 국립병원에서 직접 사회복귀시설을 설치하여 입원치료

부터 퇴원 후 사회복귀까지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ㅇ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귀시설 설치 운영 (rsquo17년)

- (다양한 유형 설치) 단기보호 장기생활 공동생활 독립 훈련형

등 이용자 특성(질환 유형 중증도 등)에 맞는 거주시설 설치 운영

- (아동 청소년 특화시설 마련) 성인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관리 학업지원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설치 운영

현재 아동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은 전국 11개소에 불과

ㅇ 사회복귀시설의 질적 수준 제고 (rsquo16년)

- (슈퍼비전 지원) 국립병원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주간

재활시설 프로그램 인력 역량강화 교육 슈퍼비전 등 지원

- (평가 내실화) 사회복귀시설 평가지표 개선 평가주기 단축으로

평가 내실화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도 제고

ㅇ 직업 재활 활성화를 위한 근로환경 개선 및 모형 개발

- (근로환경 개선) 근로시간 임금수준 등 적정 근로여건에 대한 가이드

라인 마련 및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근로환경 개선 (rsquo16년)

- (모형 개발) 수익창출이 가능한 농촌 및 도시형 직업재활 모형을

개발하여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추진 (rsquo17년)

- 23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낮병동 확대 및 병상수 축소

- (낮병동 확대) 제도개선으로 낮병동 확충 유도 및 지역사회 정신

건강서비스 연계 강화로 입원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 (rsquo17년)

병원에서 6시간 이상 진료를 받고 당일 귀가하도록 하는 제도

타 진료과목의 낮병동과 정신의료기관 낮병동을 분리 정신의료기관의

낮병동 수가 인상 및 6시간 이용시간 제한규정 완화 등 검토

- (병상수 축소) 병상 규모를 정신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연동시켜

서비스 질이 낮은 기관을 중심으로 병상규모 단계적 축소 (rsquo18년)

ㅇ 정신요양시설 정체성 확립 및 단계적 기능전환

- (이용 대상자 명확화) lsquo의학적 치료rsquo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들로

입소대상을 한정하고 아동 청소년은 정신요양시설 이용을 제한

하여 지역사회 치료 복귀시설로 유도 (rsquo16년)

- (기능 표준화) 정신요양시설 운영 및 역할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등으로 서비스 수준 제고 (rsquo17년)

- (기능전환) 중 장기적으로 연구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신요양시설을

사회복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기능 전환 유도 (rsquo18년)

ㅇ 신체 복합 질환자 치료병원 확충

- (가이드라인 마련) 신체적 질병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등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및 교육 (rsquo17년)

- (지정병원) 정신 및 신체 복합 질환자에 대한 치료 입원 수술이

가능한 병원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홍보 지원 (rsquo18년)

의료질 평가지원금 평가지표에 정신 신체 복합 질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비율 등 포함 검토

- (정신의료기관 내 신체질환 치료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타 진료과목

전문의 배치를 확대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 연계체계 구축 (rsquo18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21: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19 -

Ⅱ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치료로 만성화 방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ㅇ 초발 급성 환자 조기 집중치료를 위한 건강보험수가체계 개선 (rsquo17년)

- (초기치료 강화) 초기 단계의 적극적인 정신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외래 본인부담 경감(30sim60rarr20) 상담 중심의 심층치료 활성화

- (비용부담 완화) 높은 비용부담 때문에 지속적 치료를 방해하는

비급여 정신요법 의약품에 대한 보험 적용 확대

- (위기대응) 자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등에 대한 위기중재

및 집중관리를 위하여 건강보험 보장범위를 대폭 확대

ㅇ 의료급여 체계 개선으로 양질의 치료 서비스 제공 (rsquo17)

- (조기 집중치료) 초기 입원수가(예 입원 후 1sim3개월) 인상률을

높이는 등 제도개선 추진으로 조기 집중치료를 통한 퇴원 유도

- (치료서비스 향상) 정신의료기관의 저가약 사용 유인 등이 감소

하도록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편방안 마련

ㅇ 불필요한 입원을 제한하고 지역사회 복귀 강화 (rsquo17)

- (장기입원 억제) 의료급여 입원환자의 재원 일수에 따라 일당정액

수가 체감제를 강화하여 불필요한 장기입원 억제 검토

- (지역사회 복귀 촉진) 낮병동 수가 조정 퇴원연계 활성화 유도

등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및 치료여건 강화

- 20 -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ㅇ 초발환자 발견 및 지역사회 관리 모형 개발

-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조현병 양극성장애 등 중증 정신질환

조기발견 및 개입 체계 구축

- (시범사업 실시) 청소년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초발 정신증 발견

및 조기중재 모형 개발 및 시범사업 실시

정신질환의 약 50가 10대 중후반에 시작되고 75 정도의 질환이 20세

중반까지 발병 (Kessler 등)

ㅇ 급성기 환자 응급 및 단기입원 제도 활성화

- (응급병상 운영) 국립병원 내 24시간 lsquo응급병상rsquo 운영으로 급성

정신병 증상 발작(acting-out) 등 발생시 응급입원 집중 관리

지역사회 응급개입은 연간 약 6만9천건에 달하나 응급병상 운영 병원

부족으로 응급입원은 연간 26건에 불과 (lsquo14년)

- (모델 개발) 의료기관과 사회복귀시설 중간단계 모형을 구축하여

급성기 단기입원 후 일상생활 복귀 지원

ㅇ 정신질환 치료기술 연구(RampD) 강화

- (국립서울병원 기능개편) 국립서울병원의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임상병동을 운영하여 치료기술 개발 효과성 검증 등 수행

- (RampD 효과성 제고) 진료효과 향상을 위한 조기진단 치료 고도화

표준화 기술개발 등 지원

- 21 -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ㅇ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지원강화 (rsquo16년)

- (사례관리 강화)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squo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

관리팀rsquo을 내실화하고 외래치료 투약여부 등 관리 지원

- (지역 인프라 간 기능 재정립)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 간

기능 재정립으로 서비스 중복 사각지대 발생 해소

- (복지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읍 면 동사무소 연계로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관리시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제공

ㅇ 외래치료명령제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활성화로 퇴원 유도 (rsquo17년)

- (외래치료 명령제 강화) 퇴원환자 외 지역사회 관리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도 외래치료 명령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제도 활성화

현재는 정신의료기관 퇴원시 퇴원환자에 대해서만 외래치료 명령 가능

-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통한 처방

활성화로 입원 위주의 치료에서 지역사회 관리로 전환

일정기간(2주 4주 등) 약효가 지속되어 반복적 재입원 재발율을 낮추는데 도움

ㅇ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유도 및 지원

- (비용 효과 분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관리 유인구조 마련을 위하여

의료기관 입원과 지역사회 관리시 소요되는 비용 효과 분석 (rsquo16년)

- (사회적 협동조합) 정신질환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를 위하여 회복

재활을 지원하도록 당사자의 lsquo사회적 협동조합rsquo 설립 장려 (rsquo16년)

- (취업지원 강화) 정신질환자 취업지원을 강화하고 장애인 판정 기준

재검토 등을 통해 취업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개선 (고용부) (rsquo17년)

- 22 -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ㅇ 사회복귀시설 단계적 확충

- (인센티브) 지자체 평가 국비사업 지자체 공모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여부 고려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하여 확충 유도 (rsquo17년)

현재 사회복귀시설 중 52(165개소)는 서울 경기 인천에 설치

- (직접운영) 국립병원에서 직접 사회복귀시설을 설치하여 입원치료

부터 퇴원 후 사회복귀까지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ㅇ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귀시설 설치 운영 (rsquo17년)

- (다양한 유형 설치) 단기보호 장기생활 공동생활 독립 훈련형

등 이용자 특성(질환 유형 중증도 등)에 맞는 거주시설 설치 운영

- (아동 청소년 특화시설 마련) 성인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관리 학업지원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설치 운영

현재 아동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은 전국 11개소에 불과

ㅇ 사회복귀시설의 질적 수준 제고 (rsquo16년)

- (슈퍼비전 지원) 국립병원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주간

재활시설 프로그램 인력 역량강화 교육 슈퍼비전 등 지원

- (평가 내실화) 사회복귀시설 평가지표 개선 평가주기 단축으로

평가 내실화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도 제고

ㅇ 직업 재활 활성화를 위한 근로환경 개선 및 모형 개발

- (근로환경 개선) 근로시간 임금수준 등 적정 근로여건에 대한 가이드

라인 마련 및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근로환경 개선 (rsquo16년)

- (모형 개발) 수익창출이 가능한 농촌 및 도시형 직업재활 모형을

개발하여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추진 (rsquo17년)

- 23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낮병동 확대 및 병상수 축소

- (낮병동 확대) 제도개선으로 낮병동 확충 유도 및 지역사회 정신

건강서비스 연계 강화로 입원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 (rsquo17년)

병원에서 6시간 이상 진료를 받고 당일 귀가하도록 하는 제도

타 진료과목의 낮병동과 정신의료기관 낮병동을 분리 정신의료기관의

낮병동 수가 인상 및 6시간 이용시간 제한규정 완화 등 검토

- (병상수 축소) 병상 규모를 정신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연동시켜

서비스 질이 낮은 기관을 중심으로 병상규모 단계적 축소 (rsquo18년)

ㅇ 정신요양시설 정체성 확립 및 단계적 기능전환

- (이용 대상자 명확화) lsquo의학적 치료rsquo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들로

입소대상을 한정하고 아동 청소년은 정신요양시설 이용을 제한

하여 지역사회 치료 복귀시설로 유도 (rsquo16년)

- (기능 표준화) 정신요양시설 운영 및 역할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등으로 서비스 수준 제고 (rsquo17년)

- (기능전환) 중 장기적으로 연구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신요양시설을

사회복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기능 전환 유도 (rsquo18년)

ㅇ 신체 복합 질환자 치료병원 확충

- (가이드라인 마련) 신체적 질병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등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및 교육 (rsquo17년)

- (지정병원) 정신 및 신체 복합 질환자에 대한 치료 입원 수술이

가능한 병원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홍보 지원 (rsquo18년)

의료질 평가지원금 평가지표에 정신 신체 복합 질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비율 등 포함 검토

- (정신의료기관 내 신체질환 치료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타 진료과목

전문의 배치를 확대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 연계체계 구축 (rsquo18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22: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20 -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ㅇ 초발환자 발견 및 지역사회 관리 모형 개발

-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조현병 양극성장애 등 중증 정신질환

조기발견 및 개입 체계 구축

- (시범사업 실시) 청소년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초발 정신증 발견

및 조기중재 모형 개발 및 시범사업 실시

정신질환의 약 50가 10대 중후반에 시작되고 75 정도의 질환이 20세

중반까지 발병 (Kessler 등)

ㅇ 급성기 환자 응급 및 단기입원 제도 활성화

- (응급병상 운영) 국립병원 내 24시간 lsquo응급병상rsquo 운영으로 급성

정신병 증상 발작(acting-out) 등 발생시 응급입원 집중 관리

지역사회 응급개입은 연간 약 6만9천건에 달하나 응급병상 운영 병원

부족으로 응급입원은 연간 26건에 불과 (lsquo14년)

- (모델 개발) 의료기관과 사회복귀시설 중간단계 모형을 구축하여

급성기 단기입원 후 일상생활 복귀 지원

ㅇ 정신질환 치료기술 연구(RampD) 강화

- (국립서울병원 기능개편) 국립서울병원의 연구기능을 강화하고

임상병동을 운영하여 치료기술 개발 효과성 검증 등 수행

- (RampD 효과성 제고) 진료효과 향상을 위한 조기진단 치료 고도화

표준화 기술개발 등 지원

- 21 -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ㅇ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지원강화 (rsquo16년)

- (사례관리 강화)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squo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

관리팀rsquo을 내실화하고 외래치료 투약여부 등 관리 지원

- (지역 인프라 간 기능 재정립)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 간

기능 재정립으로 서비스 중복 사각지대 발생 해소

- (복지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읍 면 동사무소 연계로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관리시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제공

ㅇ 외래치료명령제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활성화로 퇴원 유도 (rsquo17년)

- (외래치료 명령제 강화) 퇴원환자 외 지역사회 관리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도 외래치료 명령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제도 활성화

현재는 정신의료기관 퇴원시 퇴원환자에 대해서만 외래치료 명령 가능

-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통한 처방

활성화로 입원 위주의 치료에서 지역사회 관리로 전환

일정기간(2주 4주 등) 약효가 지속되어 반복적 재입원 재발율을 낮추는데 도움

ㅇ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유도 및 지원

- (비용 효과 분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관리 유인구조 마련을 위하여

의료기관 입원과 지역사회 관리시 소요되는 비용 효과 분석 (rsquo16년)

- (사회적 협동조합) 정신질환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를 위하여 회복

재활을 지원하도록 당사자의 lsquo사회적 협동조합rsquo 설립 장려 (rsquo16년)

- (취업지원 강화) 정신질환자 취업지원을 강화하고 장애인 판정 기준

재검토 등을 통해 취업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개선 (고용부) (rsquo17년)

- 22 -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ㅇ 사회복귀시설 단계적 확충

- (인센티브) 지자체 평가 국비사업 지자체 공모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여부 고려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하여 확충 유도 (rsquo17년)

현재 사회복귀시설 중 52(165개소)는 서울 경기 인천에 설치

- (직접운영) 국립병원에서 직접 사회복귀시설을 설치하여 입원치료

부터 퇴원 후 사회복귀까지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ㅇ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귀시설 설치 운영 (rsquo17년)

- (다양한 유형 설치) 단기보호 장기생활 공동생활 독립 훈련형

등 이용자 특성(질환 유형 중증도 등)에 맞는 거주시설 설치 운영

- (아동 청소년 특화시설 마련) 성인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관리 학업지원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설치 운영

현재 아동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은 전국 11개소에 불과

ㅇ 사회복귀시설의 질적 수준 제고 (rsquo16년)

- (슈퍼비전 지원) 국립병원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주간

재활시설 프로그램 인력 역량강화 교육 슈퍼비전 등 지원

- (평가 내실화) 사회복귀시설 평가지표 개선 평가주기 단축으로

평가 내실화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도 제고

ㅇ 직업 재활 활성화를 위한 근로환경 개선 및 모형 개발

- (근로환경 개선) 근로시간 임금수준 등 적정 근로여건에 대한 가이드

라인 마련 및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근로환경 개선 (rsquo16년)

- (모형 개발) 수익창출이 가능한 농촌 및 도시형 직업재활 모형을

개발하여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추진 (rsquo17년)

- 23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낮병동 확대 및 병상수 축소

- (낮병동 확대) 제도개선으로 낮병동 확충 유도 및 지역사회 정신

건강서비스 연계 강화로 입원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 (rsquo17년)

병원에서 6시간 이상 진료를 받고 당일 귀가하도록 하는 제도

타 진료과목의 낮병동과 정신의료기관 낮병동을 분리 정신의료기관의

낮병동 수가 인상 및 6시간 이용시간 제한규정 완화 등 검토

- (병상수 축소) 병상 규모를 정신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연동시켜

서비스 질이 낮은 기관을 중심으로 병상규모 단계적 축소 (rsquo18년)

ㅇ 정신요양시설 정체성 확립 및 단계적 기능전환

- (이용 대상자 명확화) lsquo의학적 치료rsquo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들로

입소대상을 한정하고 아동 청소년은 정신요양시설 이용을 제한

하여 지역사회 치료 복귀시설로 유도 (rsquo16년)

- (기능 표준화) 정신요양시설 운영 및 역할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등으로 서비스 수준 제고 (rsquo17년)

- (기능전환) 중 장기적으로 연구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신요양시설을

사회복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기능 전환 유도 (rsquo18년)

ㅇ 신체 복합 질환자 치료병원 확충

- (가이드라인 마련) 신체적 질병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등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및 교육 (rsquo17년)

- (지정병원) 정신 및 신체 복합 질환자에 대한 치료 입원 수술이

가능한 병원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홍보 지원 (rsquo18년)

의료질 평가지원금 평가지표에 정신 신체 복합 질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비율 등 포함 검토

- (정신의료기관 내 신체질환 치료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타 진료과목

전문의 배치를 확대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 연계체계 구축 (rsquo18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23: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21 -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ㅇ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지원강화 (rsquo16년)

- (사례관리 강화) 정신건강증진센터 내 lsquo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

관리팀rsquo을 내실화하고 외래치료 투약여부 등 관리 지원

- (지역 인프라 간 기능 재정립)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 간

기능 재정립으로 서비스 중복 사각지대 발생 해소

- (복지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읍 면 동사무소 연계로

중증 만성 정신질환자 사례관리시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제공

ㅇ 외래치료명령제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활성화로 퇴원 유도 (rsquo17년)

- (외래치료 명령제 강화) 퇴원환자 외 지역사회 관리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도 외래치료 명령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제도 활성화

현재는 정신의료기관 퇴원시 퇴원환자에 대해서만 외래치료 명령 가능

- (장기 지속형 약물처방)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통한 처방

활성화로 입원 위주의 치료에서 지역사회 관리로 전환

일정기간(2주 4주 등) 약효가 지속되어 반복적 재입원 재발율을 낮추는데 도움

ㅇ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유도 및 지원

- (비용 효과 분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관리 유인구조 마련을 위하여

의료기관 입원과 지역사회 관리시 소요되는 비용 효과 분석 (rsquo16년)

- (사회적 협동조합) 정신질환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를 위하여 회복

재활을 지원하도록 당사자의 lsquo사회적 협동조합rsquo 설립 장려 (rsquo16년)

- (취업지원 강화) 정신질환자 취업지원을 강화하고 장애인 판정 기준

재검토 등을 통해 취업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개선 (고용부) (rsquo17년)

- 22 -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ㅇ 사회복귀시설 단계적 확충

- (인센티브) 지자체 평가 국비사업 지자체 공모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여부 고려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하여 확충 유도 (rsquo17년)

현재 사회복귀시설 중 52(165개소)는 서울 경기 인천에 설치

- (직접운영) 국립병원에서 직접 사회복귀시설을 설치하여 입원치료

부터 퇴원 후 사회복귀까지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ㅇ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귀시설 설치 운영 (rsquo17년)

- (다양한 유형 설치) 단기보호 장기생활 공동생활 독립 훈련형

등 이용자 특성(질환 유형 중증도 등)에 맞는 거주시설 설치 운영

- (아동 청소년 특화시설 마련) 성인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관리 학업지원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설치 운영

현재 아동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은 전국 11개소에 불과

ㅇ 사회복귀시설의 질적 수준 제고 (rsquo16년)

- (슈퍼비전 지원) 국립병원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주간

재활시설 프로그램 인력 역량강화 교육 슈퍼비전 등 지원

- (평가 내실화) 사회복귀시설 평가지표 개선 평가주기 단축으로

평가 내실화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도 제고

ㅇ 직업 재활 활성화를 위한 근로환경 개선 및 모형 개발

- (근로환경 개선) 근로시간 임금수준 등 적정 근로여건에 대한 가이드

라인 마련 및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근로환경 개선 (rsquo16년)

- (모형 개발) 수익창출이 가능한 농촌 및 도시형 직업재활 모형을

개발하여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추진 (rsquo17년)

- 23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낮병동 확대 및 병상수 축소

- (낮병동 확대) 제도개선으로 낮병동 확충 유도 및 지역사회 정신

건강서비스 연계 강화로 입원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 (rsquo17년)

병원에서 6시간 이상 진료를 받고 당일 귀가하도록 하는 제도

타 진료과목의 낮병동과 정신의료기관 낮병동을 분리 정신의료기관의

낮병동 수가 인상 및 6시간 이용시간 제한규정 완화 등 검토

- (병상수 축소) 병상 규모를 정신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연동시켜

서비스 질이 낮은 기관을 중심으로 병상규모 단계적 축소 (rsquo18년)

ㅇ 정신요양시설 정체성 확립 및 단계적 기능전환

- (이용 대상자 명확화) lsquo의학적 치료rsquo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들로

입소대상을 한정하고 아동 청소년은 정신요양시설 이용을 제한

하여 지역사회 치료 복귀시설로 유도 (rsquo16년)

- (기능 표준화) 정신요양시설 운영 및 역할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등으로 서비스 수준 제고 (rsquo17년)

- (기능전환) 중 장기적으로 연구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신요양시설을

사회복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기능 전환 유도 (rsquo18년)

ㅇ 신체 복합 질환자 치료병원 확충

- (가이드라인 마련) 신체적 질병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등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및 교육 (rsquo17년)

- (지정병원) 정신 및 신체 복합 질환자에 대한 치료 입원 수술이

가능한 병원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홍보 지원 (rsquo18년)

의료질 평가지원금 평가지표에 정신 신체 복합 질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비율 등 포함 검토

- (정신의료기관 내 신체질환 치료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타 진료과목

전문의 배치를 확대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 연계체계 구축 (rsquo18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24: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22 -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ㅇ 사회복귀시설 단계적 확충

- (인센티브) 지자체 평가 국비사업 지자체 공모시 사회복귀시설

운영 여부 고려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하여 확충 유도 (rsquo17년)

현재 사회복귀시설 중 52(165개소)는 서울 경기 인천에 설치

- (직접운영) 국립병원에서 직접 사회복귀시설을 설치하여 입원치료

부터 퇴원 후 사회복귀까지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ㅇ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귀시설 설치 운영 (rsquo17년)

- (다양한 유형 설치) 단기보호 장기생활 공동생활 독립 훈련형

등 이용자 특성(질환 유형 중증도 등)에 맞는 거주시설 설치 운영

- (아동 청소년 특화시설 마련) 성인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 대상

정신질환 관리 학업지원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설치 운영

현재 아동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은 전국 11개소에 불과

ㅇ 사회복귀시설의 질적 수준 제고 (rsquo16년)

- (슈퍼비전 지원) 국립병원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주간

재활시설 프로그램 인력 역량강화 교육 슈퍼비전 등 지원

- (평가 내실화) 사회복귀시설 평가지표 개선 평가주기 단축으로

평가 내실화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도 제고

ㅇ 직업 재활 활성화를 위한 근로환경 개선 및 모형 개발

- (근로환경 개선) 근로시간 임금수준 등 적정 근로여건에 대한 가이드

라인 마련 및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으로 근로환경 개선 (rsquo16년)

- (모형 개발) 수익창출이 가능한 농촌 및 도시형 직업재활 모형을

개발하여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추진 (rsquo17년)

- 23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낮병동 확대 및 병상수 축소

- (낮병동 확대) 제도개선으로 낮병동 확충 유도 및 지역사회 정신

건강서비스 연계 강화로 입원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 (rsquo17년)

병원에서 6시간 이상 진료를 받고 당일 귀가하도록 하는 제도

타 진료과목의 낮병동과 정신의료기관 낮병동을 분리 정신의료기관의

낮병동 수가 인상 및 6시간 이용시간 제한규정 완화 등 검토

- (병상수 축소) 병상 규모를 정신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연동시켜

서비스 질이 낮은 기관을 중심으로 병상규모 단계적 축소 (rsquo18년)

ㅇ 정신요양시설 정체성 확립 및 단계적 기능전환

- (이용 대상자 명확화) lsquo의학적 치료rsquo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들로

입소대상을 한정하고 아동 청소년은 정신요양시설 이용을 제한

하여 지역사회 치료 복귀시설로 유도 (rsquo16년)

- (기능 표준화) 정신요양시설 운영 및 역할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등으로 서비스 수준 제고 (rsquo17년)

- (기능전환) 중 장기적으로 연구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신요양시설을

사회복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기능 전환 유도 (rsquo18년)

ㅇ 신체 복합 질환자 치료병원 확충

- (가이드라인 마련) 신체적 질병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등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및 교육 (rsquo17년)

- (지정병원) 정신 및 신체 복합 질환자에 대한 치료 입원 수술이

가능한 병원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홍보 지원 (rsquo18년)

의료질 평가지원금 평가지표에 정신 신체 복합 질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비율 등 포함 검토

- (정신의료기관 내 신체질환 치료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타 진료과목

전문의 배치를 확대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 연계체계 구축 (rsquo18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25: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23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낮병동 확대 및 병상수 축소

- (낮병동 확대) 제도개선으로 낮병동 확충 유도 및 지역사회 정신

건강서비스 연계 강화로 입원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 (rsquo17년)

병원에서 6시간 이상 진료를 받고 당일 귀가하도록 하는 제도

타 진료과목의 낮병동과 정신의료기관 낮병동을 분리 정신의료기관의

낮병동 수가 인상 및 6시간 이용시간 제한규정 완화 등 검토

- (병상수 축소) 병상 규모를 정신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연동시켜

서비스 질이 낮은 기관을 중심으로 병상규모 단계적 축소 (rsquo18년)

ㅇ 정신요양시설 정체성 확립 및 단계적 기능전환

- (이용 대상자 명확화) lsquo의학적 치료rsquo가 어려운 정신질환자들로

입소대상을 한정하고 아동 청소년은 정신요양시설 이용을 제한

하여 지역사회 치료 복귀시설로 유도 (rsquo16년)

- (기능 표준화) 정신요양시설 운영 및 역할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등으로 서비스 수준 제고 (rsquo17년)

- (기능전환) 중 장기적으로 연구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신요양시설을

사회복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으로 기능 전환 유도 (rsquo18년)

ㅇ 신체 복합 질환자 치료병원 확충

- (가이드라인 마련) 신체적 질병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등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및 교육 (rsquo17년)

- (지정병원) 정신 및 신체 복합 질환자에 대한 치료 입원 수술이

가능한 병원 대상 인센티브 제공 및 홍보 지원 (rsquo18년)

의료질 평가지원금 평가지표에 정신 신체 복합 질환자 의료서비스 제공

비율 등 포함 검토

- (정신의료기관 내 신체질환 치료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타 진료과목

전문의 배치를 확대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 연계체계 구축 (rsquo18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26: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24 -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ㅇ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신고로 회전문식 재입원 방지 (rsquo17년)

- (입 퇴원 신고)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입원시

정신의료기관의 장이 입원신고 입원 적정입원 여부 모니터링

- (가정법원 통보) 후견인이 지정되어 있으나 후견인이 아닌 부양

의무자에 의한 강제 입원시 의료기관의 장이 관할 가정법원에

입원사실 통보 (법원 행정처)

ㅇ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 개선 (rsquo17년)

- (진단입원 신설)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시 진단입원(2주)을 신설

하여 초기 집중치료 및 조기퇴원 유도 불필요한 장기입원 제한

- (계속입원 강화) 입원 요건을 강화하고 진단입원 후 계속입원

필요시 정신과 전문의 2인(현행 1인)의 진단을 받도록 개선

(현행)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or) 자 타해 위험

(개정안) 입원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and) 자 타해 위험

ㅇ 강제 입원시 공적 영역의 입원 적정성 여부 판단

- (입원적합성 심사) 5개 국립병원에 lsquo(가칭) 입원 적합성 심사위원회rsquo를

구성하여 입원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 (rsquo17년)

- (사법기관 개입) 중 장기적으로 강제 입원시 사법기관에서 입원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 구축 (rsquo19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27: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25 -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ㅇ 강제 입원 및 치료 기준 재정비 (rsquo16년)

- (강제 입원 원칙적 금지) 강제 입원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원칙적

금지를 선언하고 예외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 (가이드라인 마련) 해당 내용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

하고 의료인 및 종사자 등 교육

ㅇ 중증 정신질환자 의사결정 지원 강화 (rsquo17년)

- (보호의무자 순위 조정) 「민법」상 성년후견인이 부양의무자에

우선하여 입원 동의를 하도록 하여 가족 간 불화 재산문제 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원 제재

- (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인 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성년후견인 양성 교육 및 지원제도 등 관련 제도 구축

- (절차 보좌인 제도 신설) 중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자와 후견인의

의견 대립시 정신질환자를 보조해주는 lsquo(가칭)절차 보좌인rsquo제도 신설

입원과정 등에서 본인이 직접 의견을 진술하게 하는 등 절차 접근성 및 자기

결정권 강화를 위하여 정신질환자를 직접 보좌하는 역할 수행

ㅇ 정신의료기관 내 행동 제한 격리 강박 등 기준 강화 (rsquo16년)

- (행동제한 기준 강화) 정신의료기관 내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는

행동제한 기준을 강화하고 요건 및 절차를 엄격화

현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 면회 종교행사 학문 예술 사생활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

- (가이드라인 마련) 격리 강박의 요건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해당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객관적 기준 마련

격리 강박 요건 명확화 제한 내용 구체화 절차 규정 등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28: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26 -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ㅇ 정신의료기관 및 요양시설 개방성 확대

- (정보공개 강화) 행정처분 이력 인권교육 현황 강제입원 비율

평균 재원기간 등을 복지부 홈페이지 등 게재 (rsquo17년)

- (인권지킴이단) 정신질환 이력자 가족 인권전문가 등이 포함된

lsquo인권지킴이단rsquo을 구성하여 시설 내 처우 인권침해 등 모니터링 (rsquo18년)

ㅇ 인권교육 내실화 및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rsquo17년)

- (인권교육 내실화)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인권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교육 결과를 기관 평가에 연계

- (정신질환자 대상 인권교육 실시) 종사자 뿐 아니라 입원한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및 권리보장 교육 의무화

ㅇ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내실화

- (수가체계 연계) 정신의료기관 평가 인증 기준 강화 및 평가 인증

결과를 lsquo의료질 평가 지원금rsquo과 연계하여 서비스 질 향상 유도 (rsquo18년)

- (수시평가 활성화) 정기평가(3년 주기) 외 평가 인증 결과가 미흡한

시설을 중심으로 수시평가 활성화 지속적인 지도 감독 수행 (rsquo17년)

- (행정처분 기준 마련) 평가 인증 기준 미달 평가 인증 거부 시설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 마련 (rsquo17년)

ㅇ 인권침해 관련 지도 감독 강화

- (인신보호관) 「인신보호법」상 인신보호관제도 도입 및 관계부처

협의를 통한 내실화 (법무부) (rsquo17년)

- (특별사법경찰권) 복지부 국립병원에 lsquo특별사법경찰권rsquo 부여를

검토하여 인권침해 불필요한 회전문식 재입원 등 조사 처분 (rsquo17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29: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27 -

Ⅲ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 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중독예방 교육 및 캠페인 실시 (rsquo16년)

- (중독에 대한 개념정립) 중독 및 중독요인에 대한 의학적 개념

정립 질병코드화 추진으로 중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 변경

중독요인에 대한 산업적(ex 사행성 산업) 측면의 정책추진에서 중독 관리를

위한 의학적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변경

- (교육) 생애주기별 맞춤형 중독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

하고 학교 사업장 기반 교육 강화

- (캠페인) 음주폐해 및 중독예방 공익 광고 제작 송출 및 관련

캠페인을 통해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및 인식전환

(ex) 음주가 시작되는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대학교 절주 서포터즈 운영 주류광고 및 음주 조장환경 모니터링 등

ㅇ 알코올에 대한 관대한 인식 개선 (rsquo16년)

- (주류광고 제한)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주류광고 금지 매체

확대 지나친 음주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추진

(현행) 도시철도역 TV 라디오rarr (확대) 대중교통 DMB IPTV 인터넷 등 추가

주류용기에만 표기되던 경고문구를 주류광고에도 표기 의무화

ㅇ 중독 관리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rsquo16년)

- 협의체 구성으로 부처별 통합적 중독관리 정책 추진 및 전달체계 간

유사 중복 및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해소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30: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28 -

중독 위험환경 개선

ㅇ 중독 요인에 대한 접근성 제한 검토 및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rsquo16년)

- (알코올) 알코올 중독 관련 WHO 등 국제기구 권고 이행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

- (기타) 중독 요인(ex 향정신성 의약품 인터넷 게임 도박 등)별 노출

정도 위험성 등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lt「해로운 음주감소를 위한 세계전략」주요내용(WHO 2010)gt

알코올 이용 가능성 제한

- 주류판매 장소middot숫자 규제 판매시간 규제 주취자 및 미성년자 주류판매 예방

- 공공장소 또는 공공기관 업무와 행사에서의 음주금지에 관한 정책

주류마케팅 제한 및 가격정책 도입

- 주류마케팅에 대한 규제 마련 주류제품 마케팅을 감시체계 개발

- 효과적 단속체계를 갖춘 주세체계 수립 필요시 종량제 기반

- 인플레이션과 소득수준에 연동한 주류가격 정기적 검토 최소 가격제 수립

ㅇ 중독 물질에 대한 관리 강화

- (알코올) 청소년 주류판매 단속 강화 청소년 신분확인 및 주취자

주류 제공 제한을 위한 판매자 교육 (여가부 경찰청) (rsquo17년)

- (기타)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DUR 정보제공 확대 및 마약류

의약품 오 남용(최대사용량middot사용 기간 등) 기준 확립 (식약처) (rsquo16년)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의약품 처방 조제시 의약품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 사전 점검

ㅇ 새로운 중독물질에 대한 대응력 제고 (rsquo17년)

- (연구 및 실태조사) 신종 오남용 우려 물질(다이어트 약물) 등 중독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및 실태조사 실시

- (가이드라인 마련) 적정 이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내용 교육 홍보 실시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31: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29 -

2 중독문제 조기선별 개입체계 구축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ㅇ 일반 국민 대상 주요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미취학 아동) 어린이집middot유치원 교사 부모 대상 인터넷middot스마트폰

적정사용 지도법 교육 및 현장 활용이 가능한 선별도구 제공

- (청소년) 초 중 고등학교 내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알코올 중독

등에 대한 조기선별 검사 고위험군 선별 후 지역센터 연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복지부) Wee 센터(교육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미래부)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여가부)

- (청middot장년) 정기 건강 검진시 알코올 사용습관조사 대상 확대(40대

이상rarr 20대 이상) 직장middot대학교에 중독 선별검사 도구 보급

ㅇ 취약 계층 대상 중독문제 선별 (rsquo17년)

- (독거노인) 노인 방문서비스(간호 요양 등) 및 경로당middot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한 알코올 도박 중독 선별 검사 실시 도구 개발middot보급

노인에 특화된 복합적(인지 신체 정서 중독)문제에 대한 1차 상담개입

제공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로 의뢰

- (노숙인)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노숙인 알코올 중독문제

관리 사업(선별검사 및 고위험군 사례관리) 확대 실시

6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서 실시 중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rsquo20년 17개)

- (사회취약계층) 주민센터 보건소 등을 통한 선별검사 실시 및

검사결과를 활용한 조건부 서비스제공 검토 (치료 조건부 수급 등)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외국인노동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 (신체질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음주로 인한 외래 환자 진료시

선별 검사 병행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을 통한 개입 연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32: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30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ㅇ 지역사회 대응 연계체계 강화 (rsquo17년)

- (인프라 내실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50개) 역량 강화 및 정신

건강증진센터와 보건소 지원 기능 강화

- (연계 강화) 알코올 등 물질middot도박 등 행위 중독이 공존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 등 통합관리 강화

ㅇ 고위험군 대상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자가 프로그램) 인터넷 포털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알코올

중독 여부 자가 선별 도구 및 개입 프로그램 보급 확산 (rsquo16년)

선별 단기개입 집중 단기개입 치료 의뢰의 4단계로 구성

- (전문가 프로그램) 기 개발된 통합 지침인 중독선별middot단기개입middot

치료의뢰 매뉴얼(SBIRT)의 고도화 및 현장 활용 지원 (rsquo16년)

- (종사자교육) 중독물질 관리자 및 관련 종사자 교육을 통하여

중독물질 관리 강화 중독자 선별 관련기관 등 연계 (rsquo17년)

(예) 마약류 취급의료업자 신규허가자 등에 대한 마약류 취급 관리 교육

ㅇ 중독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배치 (rsquo17년)

- (전문인력 양성) 국립서울병원내 교육과정 신설 및 보수교육을 통해

정신보건전문요원에 대한 중독예방관리 표준middot심화교육실시

- (지역사회 배치 확대) 보건소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 1차적

으로 중독문제를 대응하는 중독관리 전문요원 필수 배치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33: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31 -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ㅇ 근거기반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 보급 (rsquo16년)

- (진단) 증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당 수준에 적절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준(Patient placement criteria) 마련

- (치료) 정신건강증진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1차 의료기관 전문

치료기관 간 포괄적middot연속적 치료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

ㅇ 중독자 전문 치료기관 확충 및 내실화

- (치료수준 제고) 동기강화 인지행동 12단계 치료(Twelve Step Facilitation

Model) 등 특화된 치료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료수준 제고 (rsquo17년)

인정-회복확신-돌봄맡김-인격문제검토-인격문제고백-인격개선준비-인격개선부탁

-가해파악-가해보상-지속반성-사명발견-메시지전달의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국립부곡병원을 중심으로 lsquo중독치료센터rsquo 구축하여 치료 인프라 보강

- (중독 치료 전문기관 지정) 중독 외래치료 활성화를 위해 정신과

중 일부를 중독 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middot운영(rsquo18년)

중독 전반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 수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 여부 등을

지정 기준으로 하여 시범운영 후 신규수가개설 등 확대방안 검토

ㅇ 범법 중독자에 대한 치료지원 강화 (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 (치료명령제도) 치료 활성화를 위한 중독 및 문제음주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rsquo17년)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주취자를 대상으로 치료명령 부과

(rsquo1612월 「치료감호법」 개정안 시행 예정)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34: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32 -

lt주취관련 의무치료명령제 체계(안)gt

(경찰) 주취폭력 등 주취 관련 문제 발생시 주취자가 주취상태 해소될 때까지

경찰에서 일시 보호조치 시행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보호조치) 등 개정을 통해 주취자 보호조치 의무화

(복지부) 주취상태 해소 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또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방문하여 주취자의 알코올 중독 여부 평가

경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 연계체계 구축

(사법부) 주취자가 알코올 사용장애로 판정된 경우 치료명령

- (마약류중독자치료보호) 마약류 사용자 본인 요청 및 치료 조건부

기소유예 활성화를 통한 치료 재활 확대 (rsquo16년)

치료 조건으로 마약류 사범에게 검사가 불기소 처분 (「마약류중독자 치료

보호 규정」 제9조) rsquo14년 치료보호실적 중 조건부 치료보호의뢰 비율 205

- (교정시설 내 지원) 중독관련 사범의 치료middot재활을 위하여 교정

시설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한 방문 상담 제공 (rsquo18년)

- (기타) 도박 등 중독으로 개인 파산시 개인 회생제도에 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지원 (신용회복위원회) (rsquo17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35: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33 -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시설 및 재활 모델 지원

- (직업재활) 고용지원센터 자활센터 등 고용 관련 기관에서 중독

회복자 대상 고용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middot 제공 (rsquo17년)

취업준비과정 단기취업과정 직업유지과정으로 구분하여 모형 개발

- (사회적 기업) 치료와 직업 기능 개발의 유기적 결합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lsquo중독자 회복중심 사회적기업 모델rsquo 개발 일자리 제공 (rsquo17년)

민간기업의 참여유도 세제혜택 지원 등을 통하여 정부의 운영비 지원 없이

운영 가능한 자생적 수익 모델 개발

- (중독자 전용 사회복귀시설) 외래치료middot입원 등 중독 치료 이후

지역사회내 시설(장기거주치료재활시설 halfway house 등) 지정 (rsquo18년)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원으로 병원 치료와 사회복귀를 연결하는 중간단계 시설

전체 사회복귀시설 317개 중 중독자 전용시설은 4개소로 13 수준 (rsquo15년)

ㅇ 중독자 회복을 위한 지속적 사후관리 지원 (rsquo17년)

- (상담middot사례관리 가족지원) 지속적인 방문middot전화 상담 및 퇴원 후

외래치료 제공 중독자 가족 대상 지원프로그램 제공

음주문제를 가진 부모가 있는 자녀대상 예방 혹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

- (자조모임 지원) 중독별 회복자 자조 모임 조직middot운영으로 자활

의지 부여 및 치료 효과 유지

- (중독자 추적조사 관리) RampD 사업으로 종단적 추적조사(follow-up)를

확대(알코올 도박) 검토하여 중독치료 효과성 검증 및 사후관리

치료 효과성 평가를 위해 중독 치료자 대상 지속적 추가 중독여부 등 조사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36: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34 -

Ⅳ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 구현

1 全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사회적 인식 개선

ㅇ 전국민 참여형 자살예방 캠페인 (문체부) (rsquo16년)

- (캠페인 강화) 생명존중 공익광고 SNS 캠페인 (가칭)생명사랑

콘서트 등 온middot오프라인을 연계한 자살예방 캠페인

생명에 대한 인식 제고 삶에 대한 희망 제시를 주제로 사회 저명인사가 참여

하는 콘서트로 네이버 유튜브 등 포털사의 콘텐츠 공유 채널 활용 온라인 보급

- (지지집단 지원) 자살유가족middot시도자 등 정책 지지집단에 대한 지원

으로 국민의 자살에 대한 심각성 인식 및 국가 정책과제 우선순위 제고

ㅇ 자살 관련 언론 보도 개선 (문체부) (rsquo16년)

- (권고기준 마련) lsquo자살보도권고기준 20rsquo 개선 및 준수 유도를

통한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보도 최소화

언론의 자살보도 최소화 자살단어 사용 자제 자살 수단 등 상세 내용

최소화 등을 내용으로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rsquo13) 배포

- (자살예방 안내) 인터넷 포털 방송국 및 언론사와 협의하여 자살

관련 보도시 자살상담전화 등 자살예방 인프라 안내 방안 마련

(해외사례) 호주의 경우 자살 관련 보도 후단에 자살위기 상담전화 번호 명시

ㅇ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협조 강화 (문체부방통위(방심위)) (rsquo16년)

- (미디어 가이드라인) 영화middot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자살 관련 부정적

내용 전파를 지양하는 lsquo자살예방 관련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rsquo

자살이 문제해결의 수단으로 오인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물 제작 지양 등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37: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35 -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ㅇ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rsquo16년)

- (온라인 상담) 자살 관련 국민의 지식 향상 및 대응방법 교육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 앱 개발 및 보급 SNS와 연계한 상담체계 구축

미국 페이스북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이용자가 신고할 경우

자살예방 전문상담기관과 연계한 자살예방 상담서비스 제공

- (통합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중심으로 유관 상담기관 사회복지

기관 등과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사회 상담체계 마련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과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연계하여 취약계층 대상

통합적 lsquo복지-정신건강 연계 서비스rsquo 제공

- (안전지수) 지역안전지수 산출middot공개를 통한 지자체 단체장의

자살예방 관심 제고 (안전처)

자살 화재 교통사고 등 7개 분야를 계량화하여 지자체 안전수준 진단

ㅇ 사회안전망과 자살예방 연계 강화 (rsquo16년)

- (맞춤형 급여) 보장수준 현실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

급여별 특성과 상대적 빈곤 관점(중위소득)을 반영

- (긴급지원 확대)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긴급지원함으로써 자살

시도 예방 강화 및 자살 위험집단 유입 사전차단 효과 제고

ㅇ 범부처middot전사회적 자살예방 협력체계 마련 (전 부처) (rsquo16년)

- (범부처 참여) 자살예방 관련 전 부처가 참여하는 lsquo(가칭)범정부

자살예방정책협의회rsquo 구성운영

-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지역 내 자살예방 통합

사례관리기반 마련 및 시군구 단위 lsquo(가칭)자살예방실무협의회rsquo 구성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38: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36 -

자살 위험환경 개선

ㅇ 자살수단에 대한 관리 강화 (rsquo16년)

- (정보차단) 언론단체 인터넷 포털 방통위 등 관련 기관과 협력

하여 언론 및 인터넷 상에 자살수단에 관한 정보 유포 최소화

- (가스중독 차단) 착화탄 제조 및 유통시 자살용도 사용 예방

강화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착화탄 개발 (산림청)

- (추락 방지) 아파트 옥상 출입문에 자동개폐장치 의무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 주택기준 마련 (국토부)

- (신종수단 예방) 고농도 니코틴용액 취급 판매 사업장 등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살수단 감시대응 (환경부)

ㅇ 온라인 자살유해정보 차단

- (법적기준 강화) 자살유해정보의 범위 차단 처벌기준 등을 lsquo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rsquo 등 관련법에 규정 (방통위) (rsquo17년)

- (치료 연계) 동반자살 모집 및 자살유해정보 유포 관련 수사

과정에서 적극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경찰청) (rsquo16년)

- (모니터링 강화) 민middot관 자살유해정보예방협의체 운영으로 포털사의

자발적인 자살 관련 유해정보 차단 및 모니터링 유도 (rsquo16년)

lt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사례gt

홍콩 번개탄 판매방식 변경

- 슈퍼마켓 진열대에서 번개탄을 없애고 구매시 직원에게 문의하여 전화번호를 남기고 구입하도록 판매방식 변경

- rsquo04년부터 번개탄 포장지에 큰 경고라벨을 부착하도록 권고

- 번개탄으로 인한 자살 535 감소 (rsquo06simrsquo07년)

대만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 뉴타이페이市 번개탄 포장지에 상담전화번호 인쇄 별도 진열장 보관middot판매 등 번개탄 자살예방사업 실시

- 번개탄 이용 자살률 rsquo09년 62명10만명 rarr rsquo14년 39명으로 감소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39: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37 -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ㅇ 아동middot청소년

- (학생) 시middot도교육감에게 교사 대상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직무연수

과정(교과목) 개설middot운영 안내 자살예방 관련 연수 강화 (교육부) (rsquo16년)

- (학교밖)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Cys-Net(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을연계한자살예방체계구축 (여가부) (rsquo17년)

ㅇ 청년middot중장년층

- (대학)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여

대학 평가 인증시 자살예방체계 관련 내용 포함 (교육부) (rsquo16년)

- (직장)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lsquo자살예방 지도자 교육과정rsquo

운영 및 사업주용 자살예방 관리 가이드 마련 보급 (고용부) (rsquo16년)

- (군인) 일선부대 지휘관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등에

대한 자살예방 및 게이트키퍼 교육 강화 (국방부) (rsquo16년)

ㅇ 노인 (rsquo16년)

-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노인자살예방시범사업을 통해

농촌 및 도시형 노인자살예방사업 모형 개발 및 보급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노인복지기관을 연계하여 자살 위험 조기발견 및

자살예방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 (게이트키퍼)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방문보건간호사 보건진료

소장 복지기관 종사자 등을 노인 관련 종사자 게이트키퍼로 양성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40: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38 -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ㅇ 자살 유가족 지원

- (유가족 연계) 자살사건 관련 경찰 수사 종료시 유가족 주변인

대상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등 유가족 심리지원 서비스 안내 (rsquo16년)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살사망자 유가족에게도 의료기관을 통해 서비스 안내

- (자조상담 활성화) 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희망자를 자살예방

상담가로 양성하여 당사자 교육 방식을 통한 교육 효과 제고 (rsquo17년)

ㅇ 신체질환자middot장애인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신체질환) 만성 중증 질환자의 자살위험에 대한 선별 의뢰 활성화

및 중증질환자에 대한 자살예방 가이드라인 개발middot보급

암관리대책 등 중증middot희귀난치성 질환 관리 대책에 정신건강 관리 및 자살

예방대책 관련 내용 포함

- (장애인) 장애인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정신건강

관련기관 연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게이트키퍼 교육 실시

ㅇ 실직자middot빈곤층 예방체계 마련 (rsquo17년)

- (실직자)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해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개입 (고용부)

고용센터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살예방 상담 활성화 노력

- (빈곤층) 사회복지공무원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하여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욕구 및 위기도 조사시 자살시도 여부 확인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기관 및 정신건강증진센터 간 협의체계 구축으로

통합적 사례관리 네트워크 구축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41: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39 -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ㅇ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rsquo16년)

- (긴급전화 대응) 129(보건복지콜센터) 1577-0199(정신건강 위기상담

전화)를 통한 자살위기 상황에 대한 24시간 긴급대응체계 강화

- (긴급출동 연계) 112(경찰) 119(소방)에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와

연계하여 현장 출동 및 긴급구조 실시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ㅇ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rsquo16년)

- (수행기관 확대) 사업수행 의료기관을 현재 27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전체 권역middot지역 응급의료센터로 단계적 확대

사업수행 기관과 주변 의료기관 간 연계 강화 타 의료기관 내원 시도자를

사업 수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응급이송체계 개선

ㅇ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내실화 (rsquo16년)

- (사후관리 강화) 위기상담 및 출동 이후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 (복지서비스 연계) 사회복지시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발견한 자살시도자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lt자살시도자 사례관리사업 사례gt

원주시 응급실 자살시도 내원자 사례관리

- 원주 대학병원에서 rsquo09simrsquo11년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동의한

사람들에게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 사례관리 받은 사람의 자살사망위험은 사례관리 받지 않은 사람의 416 (rsquo11년)

일본(ACTION-J)

- 전국의 의료기관에 응급 이송되어 입원 된 자살시도자를 등록하고 개입군과

대조군을 비교 개입군에게 퇴원 후 사례관리 진행

- 응급 병원 퇴원 후 사례관리를 받은 자살 시도자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자살

시도 재발생률이 6개월 만에 50 감소 (rsquo14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42: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40 -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ㅇ 전국민 생명사랑 지킴이(gatekeeper) 양성 체계 마련 (rsquo16년)

- (교육)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를 거점으로 한국형

게이트키퍼 양성 프로그램 lsquo보고-듣고-말하기rsquo 교육 확대

- (콘텐츠 개발) 학생 노인 등 생애주기별 직장인 군인 등 직종별

맞춤형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 개발middot보급

rsquo14년 청소년용 보고middot듣고middot말하기 개발 rsquo15년 직장인용 프로그램 개발 중

- (민middot관 협력)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노동계 노인단체 등

다양한 민간단체와 게이트키퍼 양성 협력 강화

ㅇ 자살예방 전문가 교육 강화 (rsquo17년)

- (의료인 교육) 응급의학과 전문의 중증질환자 관리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및 단기 개입 지침 개발middot교육

- (정신보건인력 교육)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전문요원 대상

자살예방 상담 정신건강증진 및 사례관리 교육 강화

lt생명사랑지킴이(gatekeeper) 관련 해외사례gt

게이트키퍼 양성 정책

- WHO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자살예방대책에 게이트키퍼 양성 및 교육 포함

게이트키퍼 효과

-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서 게이트키퍼 양성을 가장 근거가 명확한 자살

예방대책 중 하나로 소개 (rsquo05년)

- 미 공군은 게이트키퍼 양성 포함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자살률 21 감소

(rsquo81simrsquo08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43: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41 -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ㅇ 자살 추적관찰체계 구축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 (자료 연계) 통계청 경찰청 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자살 관련

자료를 연계하여 통합관리 및 심층분석 실시 (rsquo16년)

- (사망자 모니터링) 통계청 자살사망자 사망신고 정보 및 자살

사망자에 대한 경찰청 변사사건 수사 정보를 활용한 자살사망

모니터링 체계 구축 (rsquo17년)

경찰청에서 최소 1개월 단위의 자살사망자 정보 제공하고 추후 통계청 확인

- (시도자 DB)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등을 위한 자살시도자 DB구축 추진 (rsquo17년)

ㅇ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 기반 조사middot연구 강화

- (심리부검) 자살사망의 심층 원인 분석으로 근거중심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확대 (rsquo16년)

rsquo14년부터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중으로 향후 관계기관 연계를 통해

일반인(복지부) 학생(교육부) 군인(국방부) 등 대상별 심리부검 추진

- (자살위험 추적연구) 일반인구의 자살위험요인 규명 자살원인

분석을 위한 자살예방 코호트 구축 및 장기추적 연구 실시 (rsquo16년)

- (정책 평가) 자살예방 정책 효과 및 효율성 평가로 비용 효과

적인 자살예방 대책 수립middot추진 (rsquo17년)

lt자살시도자 등록관리 해외사례gt

아일랜드 국가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 rsquo02년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살시도자 등록체계를 마련하여 rsquo06년

전체 종합병원 및 소아병원 응급실의 자살시도자 등록체계 구축

- rsquo13년 11061건의 자살시도사례 등록 및 자살시도자 현황 분석 실시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44: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42 -

Ⅳ 이행관리

1 관리방향

성과지표 중심의 이행관리

ㅇ (관리지표) 종합대책 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5년 후 달성

목표 및 각 영역별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관리

ㅇ (실행계획 수립)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매년 종합대책에 따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lsquo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rsquo를 통해 이행점검

lt실행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의 구체적 내용gt

보건복지부에서는 당해 연도 실행계획 수립지침을 시 도에 송부

- 시 도는 종합대책 및 실행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시 군 구에 시달하고 보건복지부에 제출

- 시 군 구는 시 도 실행계획에 따라 주요 실행계획의 연차별 실천계획 수립 시행

종합대책에 대한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여 다음 연도 실행

계획에 연동 반영

- 보건복지부는 매년 실행계획의 집행실적 및 사업추진성과 등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장관에게 보고

- 시 도는 매년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의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자체 계획을

보완하고 점검 결과를 보건복지부에 제출

종합대책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행

- 체계적인 평가운영체계를 개발하고 종합대책에 대한 중간평가 및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계획과 실적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

- 학계 현장전문가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하여 종합대책

시행에 필요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실시

보완계획 수립

ㅇ 3년간 종합대책 추진 현황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계획(rsquo19simrsquo20년) 수립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45: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43 -

2 성과지표

목표 지표 현재 2020년

전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전체 국민의 정신건강 캠페인 핵심 메시지 인식 - 60

우울증 이환시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확대 169 30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기간 단축 84주(rsquo11년) 50주

전체 국민 대상 조기발견 개입 서비스 제공 - 30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의료기관 평균 입원기간 30 단축 197일 138일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축소 83711병상 75340병상

사회복귀시설 정원 10 확충 6783명 7461명

정신의료기관 강제 입원율 감소 70 45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성인 고위험 음주율 감소 135 12

청소년 주류 구매 용이성 감소 452 40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록인원 확대 8838명 12000명

외래치료가 필요한 4대 중독자 비율 감소 58 4

중독 치료 경험률(알코올) 향상 86(rsquo11년) 21(rsquo21년)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언론의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율 향상 9 30

가스중독(번개탄) 자살사망자 20 감소 2125명 1700명

생애주기별 자살률 감소

전체 273명 20명

10대 45명 4명

20sim64세 298명 225명

65세 이상 555명 30명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동의율 증가 478 621

전체 국민 5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양성 15만명 250만명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46: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44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국민

정신건강

증진

1 인식개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제고

1-1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접근성 제고

1-2 정신건강에 대한 국민 관심 제고

1-3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법제처 인권위 교육부 고용부

2 정신건강 문제 조기발견 및 개입 강화

2-1 우울불안 등에 대한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2-2 스트레스 고위험군 집중관리 지원금융위 법원행정처

여가부 고용부 통일부 국방부 경찰청 안전처

2-3 재난 피해자 등 위기심리지원 강화 안전처 교육부 여가부

3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3-1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3-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교육부 미래부 여가부

3-3 청장년 정신건강 지원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3-4 노인 정신건강 지원

중증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통합

1 조기 집중 치료로 만성화 방지

1-1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가체계 개선

1-2 초발 정신질환자 관리모형 및 치료기술 개발

2 중증만성 정신질환자 삶의 질 향상

2-1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고용부

2-2 사회복귀시설 확충 및 내실화

2-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기능 재정립 및 역량 강화

3 과제 별 관계부처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47: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45 -

정책목표 정책과제 관계부처

3 정신질환자 인권 강화

3-1 정신의료기관 입퇴원 제도개선 법원행정처

3-2 정신질환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3-3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내 인권 강화 법무부

중독으로

인한 건강

저해 및

사회적 폐해

최소화

1 중독예방을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

1-1 중독 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1-2 중독 위험환경 개선 여가부 경찰청 식약처

2 중독문제 조기선별개입체계 구축

2-1 대상별 중독 선별 체계 강화 여가부 교육부 미래부 문체부

2-2 중독 고위험군 대상 중재 서비스 제공 식약처

3 중독자 치료회복 지원 강화

3-1 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경찰청 법무부 검찰청

신용회복위원회

3-2 중독자 회복 지원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위험

없는 안전한

사회구현

1 전 사회적 자살예방 환경 조성

1-1 사회적 인식 개선 문체부 방통위(방심위)

1-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전 부처

1-3 자살 위험환경 개선산림청 국토부 환경부

방통위 경찰청

2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2-1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교육부 여가부 고용부 국방부

2-2 자살 고위험군 예방체계 강화 고용부

2-3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3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3-1 자살예방 관련 교육 강화

3-2 근거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경찰청 안전처(소방본부) 통계청 교육부 국방부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48: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46 -

참고 1 정신건강 캠페인 해외사례

호주의 lsquobeyondbluersquo

- (목적) 우울증을 예방하고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증진

- (활동) ① 지역사회 인지 ② 소비자 및 보호자의

지지 ③ 예방과 조기개입 ④ 1차 의료영역의 서비스

제공 ⑤ 연구 제공

- (효과) 우울증에 대한 인식 증진 치료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으로 변화

뉴질랜드의 lsquoLike Minds like Minersquo

- (목적) 정신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감소

- (활동) ① 정신질환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

② 권리를 증진하고 조직 지역사회 개인들이 정신

질환자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정 ③ 근거

기반 교육middot훈련을 통해 차별적 태도와 행동 변화

- (효과) 캠페인에서 진행된 광고 시청조사에서 참여자

80 이상이 광고가 정신질환과 관련된 낙인을 감소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

스코틀랜드의 lsquoSee mersquo

- (목적) 정신적 문제(mental ill-health)를 겪은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을 줄이고 정신적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개선

- (활동) ① 일반대중 캠페인 ② 고용 및 작업장 캠페인

③ 청소년 캠페인 ④ 미디어 자원(volunteer) 활동

프로그램 ⑤ stigma stop watch ⑥ 대중매체 가이드

라인 제공

- (효과)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사람들이 위험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인구 비율이 rsquo02년 32에서 rsquo04년

17로 감소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49: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47 -

참고 2 국립병원 기능개편(rsquo1631) 주요내용

lt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전환)gt

신규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 대응체계 구축

- (지원기반 구축) 새로운 정신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매뉴얼 마련 전문인력

양성 지원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수행

- (재난 심리지원) 국립서울병원 내 위기심리지원을 위한 상시조직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재난 심리전문가 양성 등 지원

민간 의료기관이 기피하는 필수 공공진료 기능강화

-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진료비 감면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 (신체 복합질환자) 민간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신체와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

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우선 진료

범부처 정신건강 지원체계 구축

- (컨트롤 타워) 국립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각 부처별 전달체계 간 정보공유

연계체계 구축 업무 프로토콜 마련 및 관련인력 교육

- (중앙센터 기능)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 지원

정신건강 관련 연구 수행

-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신질환 치료법 및 지역사회 적응이

가능한 기술 연구 개발

lt그 외 4개 국립병원(춘천 공주 나주 부곡)gt

lsquo정신건강사업과rsquo를 신설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수행

- (지역정신건강증진) 지역사회 자문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 지원

- (공공정신보건사업) 정신질환 예방 조기발견 치료에 대한 사업기획 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군 종합지원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등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아동 청소년 학부모 교사 종사자 등에 대하여

아동정서 행동 관리 교육 교육청 학교 시설 등 협업을 통해 치료 등 지원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

Page 50: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gwmh.or.kr/UploadFiles/Notice/정신건강 종합대책(세부내용).pdf · 정신건강 증진 1.인식개선을

- 48 -

참고 3 정신질환자 직업재활 관련 해외사례

Clubhouse Model (미국)

- (목적) Club house 회원(정신질환자)이 Club house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회원과 직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공동체 네크워크 형성 및 사회 통합 촉진

- (주요내용) ① 낮 프로그램(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능력 회복) ② 과도기적

취업프로그램(임시적 취업으로 전일제 독립취업의 전단계) ③ 저녁주말

프로그램(회원간 소통 및 여가 지지) ④ 주거지원 프로그램 ⑤ Reach-out

프로그램(소외된 회원 등에 대한 지원) 등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CT 미국)

- (목적) 지역사회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직원이 이용자

에게 집중적인 직업 기술(정원가꾸기 청소 부엌일 등)을 제공 취업 지원

- (주요내용) ① 자원봉사 등으로 직업체험 ② 과도기적 취업 지원 ③ 보호

작업장 운영 ④ 현장 훈련 제공 ⑤ 직업 찾기 및 유지 지원

Supported Employment (배치-사후관리 모델 미국)

- (목적) 이용자에 대한 장기간 상담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연계해주고

지속적인 지지서비스 및 사례관리 지원

- (주요내용) ① 개별배치모델(이용자와 직업코치가 11로 작업지원) ② 기업내

집단 고용모델(4sim5명의 이용자를 동일 직무에 배치 그룹 사례관리지원)

③ 이동작업모델(4sim5명의 이용자와 직업코치가 한조로 업체를 방문하여 작업)

④ 고용훈련모델(집단 훈련 후 직업현장에 배치 후 사례관리 지원)

장애인 고용 유지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영국)

- (목적) 고용주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해 장애인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

- (주요내용) ① 고용주 지원프로그램(정신장애인 고용주에게 월급 및 추가 훈련

비용을 보조) ② 워크스텝(장애인 비장애인이 동일한 임금을 지원하여 장애인

에게 다양한 직장에서 일할 기회 제공) ③ 취업지원 프로그램(13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