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29 PG1 PG Course 2015 Viral Hepatitis 만성 B형 간염 치료에 있어 항바이러스 약제 이외의 치료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강릉아산병원 내과학교실, 소화기내과 천갑진, 김영돈 Management of Chronic Hepatitis B Beyond Antiviral Agents Gab Jin Cheon, Young Don Ki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ngneung Asan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Gangneung, Korea The goals of chronic hepatitis B treatment are to decrease the mortality rate and increase the survival rate by alleviating hepatic inflammation and preventing the development of fibrosis, which ultimately decrease the progression of hepatitis to liver cirrhosis or HCC. Host, vi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contribute to an HBsAg-positive patients' risk of cirrhosis and HCC. The main risk factors for HCC are not only chronic hepatitis viruses (hepatitis B and C), but also alcohol drinking, tobacco smoking, and aflatoxin exposure. Oral contraceptive usage, iron overload, overweight, and diabetes are also known or suspected as risk factors of HCC. Currently, treatment of hepatitis B concentrates on antiviral agents mainly. Although Peginterferon and nucleos(t)ide analogues are effective, both therapies have limitations such as low response rate, side effects, long term use and drug resistance. In contrast with viral factors, there are a few effort and study to improve the host and environmental factors. Considering the synergistic effects of host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HBV infection on the risk of HCC, efforts should be focused not only on abstinence but also on promoting and modifying generally healthy lifestyles. To maximize the effects of treatment for chronic hepatitis B, personalized approach should be conducted according to disease characteristics, individual preferences, medical comorbidities and social circumstances. And proper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Key words: Hepatitis B virus; Management; Host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Personalized approach 만성 B형 간염의 치료 목표는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여, 염증 반응을 완화시키고 섬유화를 방지하여, 간기 능의 상실 혹은 간경변 및 간세포암으로 진행을 예방함으로써, 간질환에 의한 사망률을 낮추고, 생존율을 향상 시키는 것이다. 1,2 B형 간염에서 질환의 진행에 관여하는 인자로는, 바이러스 관련 인자(viral factors), 인적 인자(Host factors), 환경적 인자(Environmental factors)가 있다.(Table 1) 3 간암 발생의 주 위험 요소는 B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만성 감염뿐만 아니라, 음주, 흡연 및 아플라 톡신 노출 등이 있으며, 경구 피임약의 사용, 철 과잉, 과체중 그리고 당뇨 등도 간암의 추정 위험 인자로 알려 져 있다. 4
12

만성 B형 간염 치료에 있어 항바이러스 약제 이외의 치료kasl.org/pdf/2015_PG/4_Gab_Jin_Cheon.pdf · 2015. 11. 11. · Gab Jin Cheon, Young Don Kim Department of

Jan 27, 2021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 29

    PG1 PG Course 2015Viral Hepatitis

    만성 B형 간염 치료에 있어 항바이러스 약제 이외의 치료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강릉아산병원 내과학교실, 소화기내과

    천갑진, 김영돈

    Management of Chronic Hepatitis B Beyond Antiviral Agents

    Gab Jin Cheon, Young Don Ki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ngneung Asan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Gangneung, Korea

    The goals of chronic hepatitis B treatment are to decrease the mortality rate and increase the survival rate by alleviating

    hepatic inflammation and preventing the development of fibrosis, which ultimately decrease the progression of hepatitis

    to liver cirrhosis or HCC. Host, vi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contribute to an HBsAg-positive patients' risk of

    cirrhosis and HCC. The main risk factors for HCC are not only chronic hepatitis viruses (hepatitis B and C), but also

    alcohol drinking, tobacco smoking, and aflatoxin exposure. Oral contraceptive usage, iron overload, overweight, and

    diabetes are also known or suspected as risk factors of HCC. Currently, treatment of hepatitis B concentrates on antiviral

    agents mainly. Although Peginterferon and nucleos(t)ide analogues are effective, both therapies have limitations such as

    low response rate, side effects, long term use and drug resistance. In contrast with viral factors, there are a few effort and

    study to improve the host and environmental factors. Considering the synergistic effects of host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HBV infection on the risk of HCC, efforts should be focused not only on abstinence but also on promoting

    and modifying generally healthy lifestyles. To maximize the effects of treatment for chronic hepatitis B, personalized

    approach should be conducted according to disease characteristics, individual preferences, medical comorbidities and

    social circumstances. And proper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Key words: Hepatitis B virus; Management; Host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Personalized approach

    서 론

    만성 B형 간염의 치료 목표는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여, 염증 반응을 완화시키고 섬유화를 방지하여, 간기능의 상실 혹은 간경변 및 간세포암으로 진행을 예방함으로써, 간질환에 의한 사망률을 낮추고,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1,2

    B형 간염에서 질환의 진행에 관여하는 인자로는, 바이러스 관련 인자(viral factors), 인적 인자(Host factors), 환경적 인자(Environmental factors)가 있다.(Table 1)3

    간암 발생의 주 위험 요소는 B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만성 감염뿐만 아니라, 음주, 흡연 및 아플라톡신 노출 등이 있으며, 경구 피임약의 사용, 철 과잉, 과체중 그리고 당뇨 등도 간암의 추정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4

  • 30

    Postgraduate Course 2015

    현재 만성 B형 간염에 대한 치료는 바이러스 관련 인자의 조절에 집중되고 있으며, 치료제로 페그인터페론을 포함한 주사제인 인터페론 알파와 경구용 뉴클레오시(티)드가 있다. 인터페론 제제는 바이러스 억제 효과 및 면역조절 작용이 있어 생화학 및 조직 소견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고, 엔테카비어와 테노포비어는 기존 약제에 비해 내성 변이를 현저히 감소시켰다. 그러나, 장기 투여에 따른 내성 발생 위험이 여전히 남아 있으며, 약제의 안전성도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다.5,6 따라서 바이러스 침입 억제제, cccDNA 억제제, nucleocapsid 조립 억제제, HBsAg 분비 억제제 및 면역 조절제 등이 개발되어 항바이러스 효과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에 비하여, 인적 인자(Host factors)나 환경적 인자들(Environmental factors)과 관련된 치료는 그 동안 상대적으로 많지 않았는데, 간암 발생에서 B형 간염과 이러한 인자들과의 상호 작용을 고려할 때,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바이러스 치료제와 더불어, 질환의 악화나 호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행동 양식이나 식이 습관 등 건강한 생활 습관의 증진 및 개인에 적합한 맞춤형 교육 및 진료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론

    1. 환경적 인자(Environmental factors)

    1) 알코올 섭취

    만성 B형 간염의 예후는, 다양한 형태의 바이러스 및 인적 인자들(Host factor)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7 이중 알코올 섭취는, 그 자체가 간경변이나 간암과 같은 만성 간질환의 주요 원인이자, 다른 위험 요소가 동반되었을 경우 간 손상의 악화를 초래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8

    알코올 섭취는 B형 간염 보유자 및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간경변으로의 진행을 증가시킬 뿐 만 아니라9, B형 간염에 의한 간경변 환자에서 비 바이러스성 간경변 환자에 비해 간암의 발생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데, 이는 알코올과 만성 B형 간염이, 간암으로 진행되는 기전을 상호 공유하며, 서로 상승 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이다.10-13

    간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알코올 섭취량의 관점에서, 위험 한계량에 대해서 하루 30g에서 80g 사이로 보고하고 있으나 정해진 결론은 없다. 유럽의 연구에서는 하루 30g을 위험 양으로 보고하고 있으나,14 동양의 연구에서는 하루 20g의 음주로도 위험성이 관찰되었다.15

    우리나라의 음주율 및 일인당 알코올 소비량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며 점차 증가되는 추세이다.16 우리나라 B형 간염 보유자의 53.2%가 한 달에 한 번 이상 음주를 하고 있으며, 이중 11.8%가 위험 음주군에 해당하며,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흡연자일 경우, 비만일 경우에 위험 음주군이 많았다.17

    만성 B형 간염의 치료 관점에서 보면, 백신 접종을 통한 일차적 예방뿐만 아니라, B형 간염 보유자나 환자에서 알코올 소비를 감소시켜, 질환의 진행을 줄이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따라서 이들에 대한 알코올 소비에

  • 31

    Gab Jin Cheon Management of Chronic Viral Hepatitis Beyond Antiviral Agents

    대한 적절한 교육이 필요하다.

    2) 흡연

    흡연은 B형 간염과 독립적으로 간암의 위험 요소로 알려져 있으나, B형 간염과의 상호 작용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18,19 초기 연구에서는, HBV 감염과 흡연 사이의 상호 작용에 대한 결과도 다양하여, 일부에서는 흡연과 HBV 연관성을 보고하였으나,20,21 다른 연구에서는 관련이 없었다.22,23 이는 증례의 수가 작거나, 연구 설계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24-27

    간암 발생에서의 흡연과 바이러스 감염과의 상호 작용에 대해 여러 가설들이 제안되고 있다. 담배 연기 속에는 간에서 발암물질로 대사되고 활성화되는 여러 화학 물질을 포함하며,28 이러한 물질들이 간암 발생에 유도자로 작용하는데, 이는 HBV가 주로 만성 간염과 간경화를 통해 만성 염증과 세포 증식에 촉진제로 작용하는데 반하여, 서로 다른 간암 발생 단계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30

    유럽의 연구에서는 B형 간염 보유자 중 흡연자일 경우, 음주 횟수가 증가되고, 위험 음주군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 이것이 간암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한 요인으로 보고하고 있다.31

    전체적으로, HBV 음성 비흡연자와 비교하여 간암 발생의 위험은 HBV 음성 흡연자에서 1.87 (95% CI, 1.30-2.69), HBV 양성 비 흡연자에서 15.8 (95% CI, 9.69-25.7), HBV 양성 흡연자에서 21.6 (95% CI 15.2-30.5)로 높았다.32

    2. 인적 인자(Host factors)

    1) 당뇨 및 비만

    당뇨는, 바이러스성 간염이나 알코올 섭취와는 독립적으로, 간세포암과의 odds ratio는 약 2.5로 알려져 있다.33,34

    간경변은 당불내성 및 2형 당뇨병을 유발하며 또한 간세포암을 유발할 수 있는데, 당뇨와 간세포암의 연관성 분석에 일부 제한이 있으나, 당뇨 유병 기간이 길고, 당화 혈색소의 수치가 높으면 간세포암의 발생 위험이 증가되는 반면에 메트포르민 치료는 간세포암의 위험을 감소시킨다.35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당뇨와 간세포암의 odds ratio는, 젊은 연령을 제외 후 보정한 연구에서 9.22 (95% CI 4.52-18.80)였다.36

    체질량 지수와 간세포암의 연관성은 지리적 위치, 알코올 섭취 혹은 당뇨의 병력과는 독립적이었다. 25337건의 원발성 간암의 증례를 포함한, 26개의 연구의 메타 분석에서는 체질량 지수 30kg/m2 뿐만 아니라 25kg/m2도 간세포암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5 단위의 체질량 지수 증가에 따른 상대 위험도는 1.39 (95% CI 1.25-1.55)이였고, 체질량 지수 >32 kg/m2의 환자들에서 4배 정도의 위험도 증가가 나타났다. 비만한 남성은 비만한 여성보다 간암 발생의 위험이 더 높았으며, 체질량 지수의 증가와 간세포암의 연관성은 C형 에 비해 B형 간염 환자에서는 미약하였다.37,38

    2) 커피

    커피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히 소비되는 기호 식품으로, 장기간의 커피 섭취는, 2형 당뇨병, 담석증, 파킨슨씨병, 심장 질환과 뇌졸중 등에 대한 위험을 감소시킨다. 미국 국립 보건원의 조사에 의하면, 커피 소비량과 총 사망률 사이에는 용량 의존적인 반비례 관계가 존재하며,39 매일 6잔 이상 마시는 경우 사망 위험을 남성과 여성에서 각각 10% 및 15% 를 감소시켰으며, 이는 이전에 커피 소비량이 질환에 의한 사망률을 감소시켰다는 보고들과도 일치한다.40,41

  • 32

    Postgraduate Course 2015

    커피 섭취가 간질환 및 간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다양한 연구들이 보고되었다.42-48 간에 대한 커피의 치료 기전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커피 섭취는 알라닌 아미노전달효소(alanine aminotransferase),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달효소(aspartate aminotransfer -ase) 및 감마 글루타밀 전달효소(r-glutamyl transferase)와 같은 간 효소를 감소시키고,49-51 간질환의 중증도를 낮추며, 간질환의 진행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2-54

    커피는 카페인(caffeine), 디터펜(diterpenes), 칼륨, 나이아신(niacin), 마그네슘(magnesium) 및 항산화제인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s) 및 토코페롤(tocopherols) 등을 포함하여 백 가지 이상의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55 이중 카페인과 디터펜(예, cafestol and kahweol) 및 클로로겐산 등이 주로 연구되고 있다.

    커피의 작용 기전은 여러 연구에서 알려졌으나,55,56 커피의 어떠한 성분이 간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지는 뚜렷하지 않으나, 여러 화합물에 의한 상호 보완적 상승 작용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57

    최근 미국의 대규모 전향적 연구에 의하면, 커피를 마시지 않는 사람들과 비교하여 하루에 2-3잔의 커피를 마시는 경우 간암 위험률을 38%, 4잔을 마신 경우는 41% 감소시켰고, 만성 간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은 각각 46%, 71% 감소시켰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아시아계를 포함한 소수 인구 집단이 충분히 포함되지 않아 커피가 간암과 만성 간 질환에 대한 효과를 단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58

    아시아에서 발표된 연구를 살펴보면, B형 간염에서 커피의 효과는 뚜렷하지 않았다. 홍콩의 연구에서는, 1045명의 만성 B형 간염 환자를 대상으로, 매일 1잔 이상의 커피를 마신 군과 마시지 않은 군을 비교하였을 때 진행된 섬유화의 빈도는 차이가,59 234명의 B형 간염 보유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주당 4잔 이상의 커피 섭취는 간세포암의 발생을 60%까지 감소시켰다.60

    싱가포르의 연구에서는 커피 섭취와 비 바이러스성 간염 관련 간경변 사망률의 위험 사이에는 강한 용량-의존적 반비례 관계가 있었으나, B형 간염 관련 간경변 사망률과는 관련이 없었고, 홍차, 녹차, 과일 주스, 또는 청량음료 소비 역시 관련이 없었다.61

    우리나라의 연구에서, 커피의 섭취는 간암 발생에 대한 독립적인 방어 인자는 아니었다. HBV에 감염된 519 명(175명의 간암 환자와 344 명의 만성 간질환자)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평생 커피 소비량이 많을수록 간암의 위험을 감소시켰지만, 연령, 성별, 비만, 많은 평생 음주/흡연, HBsAg 상태, 혈청 HBV DNA 수준과 항 바이러스 치료에 대하여 보정 후에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62

    그러나, 커피의 효과에 관한 연구에는 많은 제한점이 있다. 모든 연구가 환자 스스로 작성한 설문지를 통하여 이루어 졌으며, 사회 경제적 지위의 차이와 다른 식사 요인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 커피를 마시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전반적인 건강 상태 및 생존 능력 지수가 더 열등한 경향이 있었으며, 흡연 및 알코올 소비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커피 잔의 크기와 커피의 종류도 표준화 하지 않았다. 또한 간암 발생이 장기적인 과정을 거치는 것에 비해, 대부분의 연구는 일생의 총 커피 섭취량 보다 최근 1-2년 동안 만을 분석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미량 원소 및 음식(Trace element & food)

    셀레늄(Selenium)

    셀레늄은 유리기들(free radicals)에 대한 보호 역할, 간의 해독 작용, 면역에 관련된 필수적인 미량 원소이다.63 C형 간염을 포함한 만성 간염 환자들에서 비감염자들에 비해서 셀레늄의 부족이 관찰되며, 일부 연구에서는 B형 간염 환자들의 혈중 셀레늄이 50%까지 감소되었으며, 셀레늄의 부족은 B형 간염의 중증도와 관련이 있었다.64 따라서 간 손상의 예방을 위하여, B형 간염과 C형 간염 환자에서는 셀레늄의 적정 여부를 평가하고 보충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64,65 4년간 진행된 동물 연구에서, 장기간의 셀레늄 보충은 B형 간염을 77%까지, 간의 병소를 75%까지 감소시켰다. 또 8년간의 셀레늄 공급을 통한 연구에서는 B형 간염 환자에서 간암의 발생을

  • 33

    Gab Jin Cheon Management of Chronic Viral Hepatitis Beyond Antiviral Agents

    35%까지 감소시켰다고 보고하였다.66

    녹차(Green tea)

    녹차와 그 주된 항산화 물질인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는 실험실에서 isolated liver cell의 HBV DNA의 replication을 억제함으로써 HBV DNA와 B형 간염 항원의 혈중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67,68 그러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에서는 서로 상반된 결과가 관찰되었다. 중국에서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B형 간염 보유자들 중 간세포암을 진단 받은 204명의 환자에서 녹차의 섭취가 암의 진행을 절반까지 감소시킨다고 보고되었으나,69 110명의 간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일본의 연구에서는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못했다.70

    아연(Zinc)

    신체의 많은 효소에서 발견되는 아연은 면역 조절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71 감염된 바이러스의 제거에 관여하는 T-cell 활성화에 영향을 끼친다.72 간질환과 관련하여, B형 간염 환아에서 몰리브덴, 망간, 셀레늄 뿐만 아니라 아연이 정상아들 보다 감소되어 있으며,71 성인 연구에서도 낮은 아연 수치는 간 손상을 반영하는 간 효소 수치의 상승과 관련이 있었다.65 아연 수치가 높은 소아에서 Interferon (IFN) 치료에 대한 반응이 더 좋은 것으로 보고되었고,73 B형 간염 환자에서 아연과 IFN-α을 함께 투여한 군과 IFN-α를 단독 투여한 군을 비교한 다른 연구에서는 치료 효과에 차이는 없었으나, 이는 투여된 아연의 농도가 낮았기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72

    락토페린(Lactoferrin)

    락토페린은 인체 세포들과 상호 작용 혹은 감염된 바이러스와 직접 결합하여, 바이러스 억제 효과를 갖는 항 미생물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우유의 주 단백질인 락토페린의 항바이러스 작용은, 수유 시 B형 간염의 모자간의 수직 감염의 위험 감소로 설명될 수 있다.74 인간의 락토페린으로 전 처치를 한 간세포에서는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 저항성을 갖는 것을 관찰되었으며75, 인간 간세포 배양에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복제가 억제되었다.76

    비타민 B군(Vitamins B)

    만성 B형 간염 환자는 감소된 항산화 상태에서, 현저한 산화 자극의 증가와 지질의 과산화를 보인다.77 비타민 B1 (thiamine)은 B형 간염의 완화에 관련된 철분 대사 과정에서 중요한 항산화 및 조효소인 Dihydrolipoate의 합성에 필수적이다. 중국에서 시행된 소규모의 연구에서, 만성 B형 간염 소아에 대한 비타민 B1과 표준 IFN 치료의 병합 치료가 IFN 단독 치료에 비해 HBV DNA와 HBeAg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같은 환자들에게 비타민 B1을 2차로 투여한 연구에서는 효과가 확인되지 못했다.78 만성 B형 간염은 적혈구에서 비타민 B2와 B6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비록 B형 간염의 질병 경과를 호전시키는지 여부는 뚜렷하지 않으나, 비타민의 보충이 도움이 될 수 있다.79

    비타민 C와 E (Vitamins C and E)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는 비타민 C와 E 또한 감소되어 있다.80 B형 간염에 감염된 소아와 성인에 대한 소규모 연구들에서 비타민 E 치료가 HBV DNA의 감소와 바이러스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의 조절 및 간수치의 정상화에 있어 항산화 작용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78

  • 34

    Postgraduate Course 2015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오디, 땅콩, 포도, 라스베리, 크렌베리 등의 베리류 등을 포함한 많은 식물에서 발견되며, 특히 적포도주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항암 및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하며 혈청 콜레스테롤을 낮춰 주는 역할을 한다.

    B형 간염 동물 실험에서 Resveratrol은 간의 지방 축적 및 Mitochondria의 파괴와 같은 간세포의 구조적 변화를 감소시키고, 세포 내 Glutathione을 증가시키며, 활성 산소류를 감소시켰으며, 간세포암 발생을 5배까지 감소시키고, 간세포의 증식과 재생을 촉진시켰다.81

    커큐민(Curcumin)

    카레의 주성분으로, 강황 또는 울금(Curcuma longa)이라 불리는 식물의 뿌리에서 나오는 물질로서, 인체 간세포에 대한 실험에서 대사 조절 물질인 PGC-1α의 활성을 억제시켜서 B형 간염 바이러스 유전자들의 표현과 증식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82,83 PGC-1α는 공복시에 활성화 되어 당 생성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복제를 증가시킨다고 보고되었다.83 과량 섭취 할 경우는 위궤양이 유발 될 수 있다.

    N 아세틸 시스테인(N-acetyl-cysteine)

    N 아세틸시스테인은 L-cysteine (시스테인)에서 유래되는 필수 아미노산으로, 강력한 항산화물로 유리기(free radicals)를 감소시키고 글루타치온(glutathione)을 증가시킨다.84 실험 모델에서 B형 간염 바이러스 입자의 결합을 방해하여 B형 바이러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나,85 B형 간염 환자에 대한 소규모 연구들에서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 아직까지 충분히 검증되지는 못하였다. N 아세틸시스테인을 200~1,800 mg/day 투여하였을 때 글루타치온을 증가시키고 빌리루빈은 감소시키는 것이 일부 실험에서 확인되었으나 간기능의 의미 있는 호

    전은 나타내지 못했다.86,87 또한 N-아세틸시스테인의 투여 경로(경구 또는 정맥 투여)에 따른 바이러스의 감소 정도 또는 회복 소요 시간 단축에서도 뚜렷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88,89

    장내 세균 전이(Bacterial translocation)

    간질환은 오랫동안 장내 세균총의 양적, 질적인 변화(dysbiosis)와 관련 있다. 동물 실험 모델에서 장내 세균총의 이상은 장내 염증 및 장관 방어 체계의 붕괴, 미생물에 의한 생성물의 전이(translocation)로 발생된다. 그러나, 단순히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물질의 전이로만 간손상과 염증이 유발되는 것이 아니라, 미생물의 대사 산물과 인체 인자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발생되나, 아직 명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 알코올성 간질환에서의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의 효과는 입증되었으나,90 아직까지 B형 간질환에서는 연구가 미미하다.

    B형 간염 환자와 알코올성 간경변 환자의 대변 미생물 군락의 분석해 보았을 때 병원성 Enterobacteriaceae와 Streptococcaceae가 증가되어 있으며, 유익한 Bifidobacteriae와 Lachnospiraceae가 감소되어 있었다.91,92,95 또한 carbon tetrachloride을 통해 간경변을 유발한 쥐에서도 Enterobactericeae의 현저한 증가가 관찰되었다.93 간경화가 있는 동물에게 norfloxacin 같은 항생제나 Bifidobacterium 같은 프로바이오틱스는 Enterobacter를 감소시켰고 Bifidobacterium과 Lactobacillus를 증가시켰다.94 이것은 결과적으로 체내 내독소(endotoxin)를 감소시킴으로 간기능 개선을 유도한 것이다. 따라서 장내 세균총을 정상화시키는 프로바이오틱스가 B형 간질환 개선에 도움을 줄 가능성이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95

    운동

    운동은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이 있다.96 유산소 운동이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며,97,98 특히 비만 환자에서 그 효과가 뚜렷하였다.97,99

  • 35

    Gab Jin Cheon Management of Chronic Viral Hepatitis Beyond Antiviral Agents

    운동 능력과 간질환의 중증도는 반비례 관계가 있으며,100-102 운동 능력의 감소는 간경변의 중증도와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간이식후 사망률 예측과 관련이 있다.103-104

    아직까지 B 형 간염 환자에 대한 적합한 운동 처방은 밝혀진 바 없다. 그러나, 초기 대상성 간경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체중 당 약 30 kcal 이상의 칼로리 섭취와 함께 하루에 5,000 걸음 혹은 그 이상의 보행이 부작용 없이 근육 감소증을 개선하고 예방할 수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105 실제로 노인 혹은 일부 만성 질환 환자에서 운동 관리는 근육 감소증의 호전 및 예방에 효과적이었다.106,107 최대 심박수의 60-70%의 강도로 주당 3회 1시간의 유산소 운동으로, 운동 능력이 향상되고, 근육량이 증가되어 삶의 질이 개선되었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간질환 환자의 치료에 있어, 적절한 운동 관리를 통하여, 육체 활동을 증가시키고, 골격근 양 및 근력을 증가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며, 궁극적으로는 삶의 질 및 생존율을 개선시키기 위한, 효율적이고 안전하며, 체계적인 운동 처방의 확립이 필요하다.

    결론

    B형 간염과 관련된 질환의 악화를 예방하고,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바이러스 치료제와 더불어, 개인에 적합한 환경적, 인적 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

    만성 B형 간염 및 보유자에서, 음주, 흡연, 비만 등이 간암의 발생에 각각 독립적인 기여 인자임을 고려할 때, 그 치료는 단지 절제뿐 아니라 전반적으로 건강한 생활 습관을 증진시키는 교육을 포함하여야 하며, 이를 목표로 하는 건강 정책들 혹은 중재적 프로그램(intervention program)이 마련되어야 한다.

    Reference

    1.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EAS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Management of chronic hepatitis B. J Hepatol

    2012;57:167-185.

    2.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KAS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Management of chronic hepatitis B. Clin Mol Hepatol

    2012;18:109-162.

    3. Lok AS, Personalized treatment of hepatitis B. Clin Mol Hepatol 2015;21:1-6.

    4. Chuang SC, Vecchia CL, Boffetta P. Liver cancer: Descriptive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other than HBV and HCV infection. Cancer

    Lett 2008;286:9-14.

    5. Perrillo RP. Current treatment of chronic hepatitis B: benefits and limitations. Semin Liver Dis 2005;25:20-28.

    6. Locarnini S, Thompson A. Current perspectives on chronic hepatitis B. Semin Liver Dis 2013;33:95-96.

    7. Aggarwal R, Ranjan P. Preventing and treating hepatitis B infection. BMJ 2004;329:1080-1086.

    8. Stroffolini T, Cotticelli G, Medda E, Niosi M, Del Vecchio-Blanco C, Addolorato G, et al. Interaction of alcohol intake and cofactors on the

    risk of cirrhosis. Liver Int 2010;30:867-870.

    9. Fattovich G, Bortolotti F, Donato F. Natural history of chronic hepatitis B: Special emphasis on disease progression and prognostic

    factors. J Hepatol 2008;48:335-352.

    10. Donato F, Tagger A, Gelatti U, Parrinello G, Boffetta P, Albertini A, et al. Alcohol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the effect of lifetime

    intake and hepatitis virus infections in men and women. Am J Epidemiol 2002;155:323-331.

    11. Hassan MM, Hwang LY, Hatten CJ, Swaim M, Li D, James L, et al. Risk factors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synergism of alcohol with

    viral hepatitis and diabetes mellitus. Hepatology 2002;36:1206-1213.

    12. Yuan JM, Govindarajan S, Arakawa K, Yu MC. Synergism of alcohol, diabetes, and viral hepatitis on the risk of hepatocellular carcinoma

  • 36

    Postgraduate Course 2015

    in blacks and whites in the U.S. Cancer 2004;101:1009-1017.

    13. Zakhari S. Bermuda Triangle for the liver: alcohol, obesity, and viral hepatitis. J Gastroenterol Hepatol 2013;28:18-25.

    14. Bellentani S, Saccoccio G, Costa G, Tiribelli C, Manenti F, Sodde M, et al. Drinking habits as cofactors of risk for alcohol induced liver

    damage. Gut 1997;41:845-850.

    15. Lu XL, Luo JY, Tao M, Gen Y, Zhao P, Zhao HL, et al. Risk factors for alcoholic liver disease in China. World J Gastroenterol

    2004;10:2423-2426.

    16. WHO Global status report on alcohol and health.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17. Park B, Jung KW, Oh CM, Choi KS, Suh M, Jun JK. Factors associated with alcohol consumption in hepatitis B carriers: a nationwide

    study in the Republic of Korea. PLoS One. 2014;9:1-9.

    18. Lam KC, Yu MC, Leung JW, Henderson BE. Hepatitis B virus and cigarette smoking: risk factors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in Hong

    Kong. Cancer Res 1982;42:5246-5248.

    19. Tanaka K, Hirohata T, Takeshita S. Blood transfusion, alcohol consumption, and cigarette smoking in causa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 case-control study in Fukuoka, Japan. Jpn J Cancer Res 1988;79:1075-1082.

    20. Tu JT, Gao RN, Zhang DH, Gu BC. Hepatitis B virus and primary liver cancer on Chongming Island, People's Republic of China. Natl

    Cancer Inst Monogr 1985;69:213-215.

    21. Oshima A, Tsukuma H, Hiyama T, Fujimoto I, Yamano H, Tanaka M. Follow-up study of HBs Ag-positive blood donors with special

    reference to effect of drinking and smoking on development of liver cancer. Int J Cancer 1984;34:775-9.

    22. Mori M, Hara M, Wada I, Hara T, Yamamoto K, Honda M, et al. Prospective study of hepatitis B and C viral infections, cigarette smoking,

    alcohol consumption, and other factors associated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risk in Japan. Am J Epidemiol 2000;151:131-139.

    23. Jee SH, Ohrr H, Sull JW, Samet JM. Cigarette smoking, alcohol drinking, hepatitis B, risk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in Korea. J Natl

    Cancer Inst 2004;96:1851-1856.

    24. Hassan MM, Spitz MR, Thomas MB, El-Deeb AS, Glover KY, Nguyen NT, et al.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smoking and synergism with

    hepatitis C virus on risk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n American men and women: case-control study. Int J Cancer 2008;123:1883-

    1891.

    25. Yu MW, You SL, Chang AS, Lu SN, Liaw YF, Chen CJ. Association between hepatitis C virus antibodie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in

    Taiwan. Cancer Res 1991;51:5621-5625.

    26. Fujita Y, Shibata A, Ogimoto I, Kurozawa Y, Nose T, Yoshimura T, et al.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hepatitis C virus and cigarette

    smoking on the risk of hepatocellular carcinoma. Br J Cancer 2006;94:737-739.

    27. Sun CA, Wu DM, Lin CC, Lu SN, You SL, Wang LY, et al. Incidence and cofactors of hepatitis C virus-related hepatocellular carcinoma: a

    prospective study of 12,008 men in Taiwan. Am J Epidemiol 2003;157:674-82.

    28. Staretz ME, Murphy SE, Patten CJ, Nunes MG, Koehl W, Amin S, et al. Comparative metabolism of the tobacco-related carcinogens

    benzopyrene, 4-(methylnitrosamino)-1-(3-pyridyl)-1-butanone,4-(methylnitrosamino)-1-(3-pyridyl)-1-butanol, and N'-nitrosonornicotine

    in human hepatic microsomes. Drug Metab Dispos 1997;25:154-62.

    29. Yu MW, Hsu FC, Sheen IS, Chu CM, Lin DY, Chen CJ, et al. Prospective study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liver cirrhosis in

    asymptomatic chronic hepatitis B virus carriers. Am J Epidemiol 1997;145:1039-47.

    30. Chen ZM, Liu BQ, Boreham J, Wu YP, Chen JS, Peto R. Smoking and liver cancer in China: case-control comparison of 36,000 liver

    cancer deaths vs. 17,000 cirrhosis deaths. Int J Cancer 2003;107:106-12.

    31. Woitas-Slubowska D, Hurnik E, Skarpanska-Stejnborn A. Correlates of smoking with socioeconomic status,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and alcohol consumption among Polish adults from randomly selected regions. Cent Eur J Public Health. 2010;18:179-85.

    32. Chuang SC, Lee YC, Hashibe M, Dai M, Zheng T, Boffetta P. Interaction between cigarette smoking and hepatitis B and C virus infection

    on the risk of liver cancer: a meta-analysis.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2010;19:1261-8.

    33. El-Serag HB, Hampel H, Javadi F. The association between diabete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a systematic review of epidemiologic

    evidence.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06;4:369-380.

    34. Wang P, Kang D, Cao W, Wang Y, Liu Z. Diabetes mellitus and risk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iabetes Metab Res Rev 2012;28:109-122.

    35. Donadon V, Balbi M, Valent F, Avogaro A. Glycated hemoglobin and antidiabetic strategies as risk factors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 37

    Gab Jin Cheon Management of Chronic Viral Hepatitis Beyond Antiviral Agents

    World J Gastroenterol 2010;16:3025-3032.

    36. El-Serag HB, Richardson PA, Everhart JE. The role of diabetes in hepatocellular carcinoma: a case-control study among United States

    Veterans. Am J Gastroenterol 2001;96:2462-7.

    37. Hashem B, Fasiha K. Epidemiology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n the United States: Where are we? Where do we go? Hepatology

    2014:60;1767-1775.

    38. Chen CL, Yang HI, Yang WS, Liu CJ, Chen PJ, You SL, et al. Metabolic factors and risk of hepatocellular carcinoma by chronic hepatitis

    B/C infection: a follow-up study in Taiwan. Gastroenterology 2008;135:111-21.

    39. Freedman ND, Park Y, Abnet CC, Hollenbeck AR, Sinha R. Association of coffee drinking with total and cause-specific mortality. N Engl

    J Med 2012;366: 1891-904.

    40. Lopez-Garcia E, Rodriguez-Artalejo F, Rexrode KM, Logroscino G, Hu FB, van Dam RM. Coffee consumption and risk of stroke in

    women. Circulation 2009; 119:1116-23.

    41. Lopez-Garcia E, van Dam RM, Li TY, Rodriguez-Artalejo F, Hu FB. The relationship of coffee consumption with mortality. Ann Intern Med

    2008;148:904-14.

    42. Larsson SC, Wolk A. Coffee consumption and risk of liver cancer: a Meta- analysis. Gastroenterology 2007;132:1740-1745.

    43. Saab S, Mallam D, Cox GA 2nd, Tong MJ. Impact of coffee on liver diseases: a systematic review. Liver Int 2014;34:495-504.

    44. Lai GY, Weinstein SJ, Albanes D, Taylor PR, McGlynn KA, Virtamo J, et al. The association of coffee intake with liver cancer incidence and

    chronic liver disease mortality in male smokers. Br J Cancer 2013;109:1344-1351.

    45. Ruhl CE, Everhart JE. Coffee and tea consumption are associated with a lower incidence of chronic liver disease in the United States.

    Gastroenterology 2005;129:1928-1936.

    46. Bravi F, Bosetti C, Tavani A, Gallus S, La Vecchia C. Coffee reduces risk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n updated meta-analysis.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13;11:1413-1421.

    47. Goh GB, Chow WC, Wang R, Yuan JM, Koh WP. Coffee, alcohol and other beverages in relation to cirrhosis mortality: The Singapore

    Chinese Health Study. Hepatology 2014;60:661-669.

    48. Sang LX, Chang B, Li XH, Jiang M. Consumption of coffee associated with reduced risk of liver cancer: a meta analysis. BMC

    Gastroenterol 2013;13:34.

    49. Klatsky AL, Morton C, Udaltsova N, Friedman GD. Coffee, cirrhosis, and transaminase enzymes. Arch Intern Med 2006;166:1190-1195.

    50. Nakanishi N, Nakamura K, Nakajima K, Suzuki K, Tatara K. Coffee consumption and decreased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a

    study of middle-aged Japanese men. Eur J Epidemiol 2000;16:419-423.

    51. Ruhl CE, Everhart JE. Coffee and caffeine consumption reduce the risk of elevated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ctivity in the United

    States. Gastroenterology 2005;128:24-32.

    52. Molloy JW, Calcagno CJ, Williams CD, Jones FJ, Torres DM, Harrison SA. Association of coffee and caffeine consumption with fatty liver

    disease,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nd degree of hepatic fibrosis. Hepatology 2012; 55:429-436.

    53. Modi AA, Feld JJ, Park Y, Kleiner DE, Everhart JE, Liang TJ, et al. Increased caffeine consumption is associated with reduced hepatic

    fibrosis. Hepatology 2010;51:201-209.

    54. Freedman ND, Everhart JE, Lindsay KL, Ghany MG, Curto TM, Shiffman ML, et al. Coffee intake is associated with lower rates of liver

    disease progression in chronic hepatitis C. Hepatology 2009;50:1360-1369.

    55. Torres DM, Harrison SA. Is it time to write a prescription for coffee? Coffee and liver disease. Gastroenterology 2013;144:670-672.

    56. Bohn SK, Blomhoff R, Paur I. Coffee and cancer risk, epidemiological evidence, and molecular mechanisms. Mol Nutr Food Res

    2014;58:915-930.

    57. Anty R, Marjoux S, Iannelli A, Patouraux S, Schneck AS, Bonnafous S, et al. Regular coffee but not espresso drinking is protective

    against fibrosis in a cohort mainly composed of morbidly obese European women with NAFLD undergoing bariatric surgery. J Hepatol

    2012;57:1090-6.

    58. Setiawan VW, Wilkens LR, Lu SC, Hernandez BY, Le Marchand L, Henderson BE. Association of coffee intake with reduced incidence of

    liver cancer and death from chronic liver disease in the US multiethnic cohort. Gastroenterology 2015;148:118-125.

    59. Ong A, Wong VW, Wong GL, Chan HL. The effect of caffeine and alcohol consumption on liver fibrosis - a study of 1045 Asian hepatitis

    B patients using transient elastography. Liver Int 2011;31:1047-1053.

  • 38

    Postgraduate Course 2015

    60. Leung WW, Ho SC, Chan HL, Wong V, Yeo W, Mok TS. Moderate coffee consumption reduces the risk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n

    hepatitis B chronic carriers: a case-control study.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11 ;65:556-8.

    61. Goh GB, Chow WC, Wang R, Yuan JM, Koh WP. Coffee, alcohol and other beverages in relation to cirrhosis mortality: the Singapore

    Chinese Health Study. Hepatology 2014;60:661-669.

    62. Jang ES, Jeong SH, Lee SH, Hwang SH, Ahn SY, Lee J, et al. The effect of coffee consumption on the develop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n hepatitis B virus endemic area. Liver Int 2013;33:1092-1099.

    63. Rauf N, Tahir SS, Dilawar S, Ahmad I, Parvez S. Serum selenium concentration in liver cirrhotic patients suffering from hepatitis B and C

    in Pakistan. Biol Trace Elem Res 2012;145:144-150.

    64. Khan MS, Dilawar S, Ali I, Rauf N. The possible role of selenium concentration in hepatitis B and C patients. Saudi J Gastroenterol

    2012;18:106-110.

    65. Abediankenari S, Ghasemi M, Nasehi MM, Abedi S, Hosseini V. Determination of trace elements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Acta Med Iran 2011; 49:667-669.

    66. Yu SY, Zhu YJ, Li WG. Protective role of selenium against hepatitis B virus and primary liver cancer in Qidong. Biol Trace Elem Res

    1997;56:117-24.

    67. Xu J, Wang J, Deng F, Hu Z, Wang H. Green tea extract and its major component epigallocatechin gallate inhibits hepatitis B virus in

    vitro. Antiviral Res 2008;78:242-249.

    68. He W, Li LX, Liao QJ, Liu CL, Chen XL. Epigallocatechin gallate inhibits HBV DNA synthesis in a viral replication - inducible cell line.

    World J Gastroenterol 2011;17:1507-1514.

    69. Li Y, Chang, SC, Goldstein BY, Scheider WL, Cai L, You NY, et al. Green tea consumption, inflammation and the risk of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in a Chinese population. Cancer Epidemiol 2011;35:362-8.

    70. Inoue M., Kurahashi N, Iwasaki, M, Shimazu T, Tanaka Y, Mizokami M, et al. Effect of coffee and green tea consumption on the risk of

    liver cancer: cohort analysis by hepatitis virus infection status.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2009;18:1746-53.

    71. Balamtekin N, Kurekci AE, Atay A, Kalman S, Okutan V, Gokcay E, et al. Plasma levels of trace elements have an implication on

    interferon treatment of children with chronic hepatitis B infection. Biological Trace Element Research 2010;135:153-61.

    72. Kuloğlu Z, Kırbaş G, Erden E, Kansu A. Interferon-alpha-2a and zinc combination therapy in children with chronic hepatitis B infection.Biological Trace Element Research 2011;143:1302-9.

    73. Ozbal E, Helvaci M, Kasirga E, Akdenizoğlu F, Kizilgüneşler A. Serum zinc as a factor predicting response to interferon-alpha2b therapy in children with chronic hepatitis B. Biological Trace Element Research 2002;90:31-8.

    74. Petrova M, Kamburov V. Breast feeding and chronic HBV infection: clinical and social implications. World J Gastroenterol

    2010;16:5042-6.

    75. Hara K, Ikeda M, Saito S, Matsumoto S, Numata K, Kato N, et al. Lactoferrin inhibits hepatitis B virus infection in cultured human

    hepatocytes. Hepatol Res 2002;24:228.

    76. Li S, Zhou H, Huang G, Liu N. Inhibition of HBV infection by bovine lactoferrin and iron-, zinc-saturated lactoferrin. Med Microbiol

    Immunol 2009;198:19-25.

    77. Duygu F, Karsen H, Aksoy N, Taskin A. Relationship of Oxidative Stress in Hepatitis B Infection Activity with HBV DNA and Fibrosis. Ann

    Lab Med 2012;32:113.

    78. Fiorino S, Conti F, Gramenzi, A, Loggi E, Cursaro C, Donato RD, et al. Vitamins in the treatment of chronic viral hepatitis. Br J Nutr

    2011;105:982-9.

    79. Lin CC, Liu WH, Wang ZH, Yin, MC. Vitamins B status and antioxidative defense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or hepatitis C virus

    infection. Eur J Nutr 2011;50:499-506.

    80. Tasdelen FN, Aydin BK, Sarikaya H, Tanyel E, Esen S, Sunbul M, et al.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defense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Clin Lab 2012;58:273-80.

    81. Lin HC, Chen YF, Hsu WH, Yang CW, Kao CH, Tsai TF. Resveratrol Helps Recovery from Fatty Liver and Protects against Hepatocellular

    Carcinoma Induced by Hepatitis B Virus X Protein in a Mouse Model. Cancer Prevention Research 2012;5:952-62.

    82. Kim HJ, Yoo HS, Kim JC, Park CS, Choi MS, Kim M, et al. Antiviral effect of Curcuma longa Linn extract against hepatitis B virus

    replication. J Ethnopharmacol 2009;124:189-96.

  • 39

    Gab Jin Cheon Management of Chronic Viral Hepatitis Beyond Antiviral Agents

    83. Rechtman MM, Har-Noy O, Bar-Yishay I, Fishman S, Adamovich Y, Yosef S, et al. Curcumin inhibits hepatitis B virus via down-regulation

    of the metabolic coactivator PGC-1alpha. FEBS letters 2010;584:2485-90.

    84. Nguyen-Khac E, Thevenot T, Piquet MA, Benferhat S, Goria O, Chatelain D, et al. Glucocorticoids Plus N-Acetylcysteine in Severe

    Alcoholic Hepatitis. N Engl J Med 2011;359:1781-9.

    85. Weiss L, Hildt E, Hofschneider, PH. Anti-hepatitis B virus activity of N-acetyl-L-cysteine (NAC): new aspects of a well-established drug.

    Antiviral Res 1996;32:43-53.

    86. Shohrati M, Dermanaki F, Babaei F, Alavian SM.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oral N-acetylcysteine and a placebo in paraclinical and

    oxidative stress parameters of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Hepat Mon 2010;10:95-100

    87. Wang N, Shi XF, Guo SH, Zhang DZ, Ren H. A clinical study of N-acetylcysteine treatment in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Zhong hua Gan

    Zang Bing Za Zhi 2008;16:487-9.

    88. Gunduz H, Karabay O, Tamer A, Ozaras R, Mert A, Tabak OF. N-acetyl cysteine therapy in acute viral hepatitis. World J Gastroenterol

    2003;9:2698-700.

    89. Weidenbach H, Orth M, Adler G, Mertens T, Schmid RM. Treatment of chronic hepatitis B with high-dose intravenous N-acetyl-L-

    cysteine. Hepatogastroentero logy 2003;50:2105-8.

    90. Kirpich IA, Solovieva NV, Leikhter SN, Shidakova NA, Lebedeva OV, Sidorov PI, et al. Probiotics restore bowel flora and improve liver

    enzymes in human alcohol-induced liver injury: a pilot study. Alcohol 2008;42:675-682.

    91. Chen Y, Yang F, Lu H, Wang B, Chen Y, Lei D, et al. Characterization of fecal microbial communities in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Hepatology 2011;54:562-572.

    92. Lu H, Wu Z, Xu W, Yang J, Chen Y, Li L. Intestinal microbiota was assessed in cirrhotic patients with hepatitis B virus infection. Intestinal

    microbiota of HBV cirrhotic patients. Microb Ecol 2011;61:693-703.

    93. Zhang W, Gu Y, Chen Y, Deng H, Chen L, Chen S, et al. Intestinal flora imbalance results in altered bacterial translocation and liver

    function in rats with experimental cirrhosis. Eur J Gastroenterol Hepatol 2010;22:1481-1486.

    94. Gomez-Hurtado I, Santacruz A, Peiro G, Zapater P, Gutierrez A, Perez-Mateo M, et al. Gut microbiota dysbiosis is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and bacterial translocation in mice with CCl4-induced fibrosis. PLoS One 2011;6:e23037.

    95. Xu M, Wang B, Fu Y, Chen Y, Yang F, Lu H, et al. Changes of fecal Bifidobacterium species in adult patients with hepatitis B

    virus-induced chronic liver disease. Microb Ecol 2012;63:304-13.

    96. Hayashi F, Momoki C, Yuikawa M, Simotani Y, Kawamura E, Hagihara A, et al. Nutritional status in relation to lifestyle in patients with

    compensated viral cirrhosis. World J Gastroenterol 2012;18:5759-5770.

    97. Hickman IJ, Jonsson JR, Prins JB, Ash S, Purdie DM, Clouston AD, et al. Modest weight loss and physical activity in overweight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results in sustained improvements in alanine aminotransferase, fasting insulin, and quality of life. Gut

    2004;53:413-419.

    98. Konishi I, Hiasa Y, Tokumoto Y, Abe M, Furukawa S, Toshimitsu K, et al. Aerobic exercise improves insulin resistance and decreases body

    fat and serum levels of leptin in patients with hepatitis C virus. Hepatol Res 2011;41:928-935.

    99. Goodpaster BH, Katsiaras A, Kelley DE. Enhanced fat oxidation through physical activity is associated with improvements in insulin

    sensitivity in obesity. Diabetes 2003;52:2191-2197.

    100. Terziyski K, Andonov V, Marinov B, Kostianev S. Exercise performance and ventilatory efficiency in patients with mild and moderate liver

    cirrhosis. Clin Exp Pharmacol Physiol 2008;35:135-140.

    101. Campillo B, Fouet P, Bonnet JC, Atlan G. Submaximal oxygen consumption in liver cirrhosis. Evidence of severe functional aerobic

    impairment. J Hepatol 1990;10:163-167.

    102. Epstein SK, Ciubotaru RL, Zilberberg MD, Kaplan LM, Jacoby C, Freeman R, et al. Analysis of impaired exercise capacity in patients with

    cirrhosis. Dig Dis Sci 1998;43:1701-1707.

    103. Lemyze M, Dharancy S, Wallaert B. Response to exercise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implications for liver transplantation. Dig Liver

    Dis 2013;45:362-366.

    104. Bernal W, Martin-Mateos R, Lipcsey M, Tallis C, Woodsford K, McPhail MJ, et al. Aerobic capacity during cardiopulmonary exercise

    testing and survival with and without liver transplantation for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Liver Transpl 2014;20:54-62.

    105. Hayashi F, Matsumoto Y, Momoki C, Yuikawa M, Okada G, Hamakawa E, et al. Physical inactivity and insufficient dietary intake are

  • 40

    Postgraduate Course 2015

    associated with the frequency of sarcopenia in patients with compensated viral liver cirrhosis. Hepatol Res 2013;43:1264-1275.

    106. Montero-Fernández N, Serra-Rexach JA. Role of exercise on sarcopenia in the elderly. Eur J Phys Rehabil Med 2013;49:131-143.

    107. Zinna EM, Yarasheski KE. Exercise treatment to counteract protein wasting of chronic diseases. Curr Opin Clin Nutr Metab Care

    2003;6:87-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