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국립공원공단에서 수행한 2019 년 지리산국립공원 공원자 원조사 에 따르면 , 지리산국립공원 내 탐방로는 총 55 개 구간으 로 총 연장 241.55 ㎞에 달한다 . 지난 5 년간 지구단위의 탐방객 추이를 보면 2015 년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 2018 3,309 천 명의 가장 많은 탐방객 수를 기록하였다 . 지리산국립공 원은 탐방객 이용밀도가 높은 공원 중 하나이며 , 탐방편의 관련 요구도 역시 높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 반면 이로 인한 자연 환경의 훼손 및 교란 위험성과 자연환경에 대한 보전 요구도 역 시 높아 질 것으로 판단된다 . 산림식생은 산림생태계의 1 차 생산자로서 그 지역 토양과 기 후특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 야생동 식물 서식지로서 핵심 생태 축을 담당하고 있다(Byeon and Yun, 2017; Jang et al. , 2008; Shin and Yun, 2014). 식생에 의한 산림분류 및 특성파악은 산 림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객관적 생태적 관리단위를 제공하기 때문에 (Bae et al. , 2003; Byeon and Yun, 2016; 2017; Kim and Yun, 2009; Lee and Yun, 2002; Yun et al. , 2007), 산악형 국 립공원의 보전 관리를 위해 식생 조사 및 특성파악은 반드시 필 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 지리산국립공원은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내륙 한가운데 위치 하고 해발고도 110 1,915 m 의 표고차를 보이는 등 환경조건 이 다양하여 식물상 및 분포에 대한 조사가 일찍부터 이루어졌 (Gwon et al. , 2013). 1900 년대 초 일본학자 (Hatusima, 1934) 에 의해 식물상에 대한 초기연구가 진행되었으며 , 이후 주요 지 역별 군락구조 및 천이과정 등 식생학적 연구 (Jung et al. , 1996; Kang, 1984; Kim, 1975; Kim, 1988; Lee and Kim, 1999; Park et al. , 1991; Park et al. , 2003; Yim and Kim, 1992) 로 발전되 지리산국립공원 제 4기 자원조사 표본지 내 식물군집구조 박홍철 1 *, 김은옥 2 , 김우찬 2 1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연구원, 2 한반도생태연구소, 연구원 A Study on Plant Community Structure Based on the Fourth National Park Resource Survey Plots in Mt. Jirisan National Park Hong Chul Park 1 *, Eun Ok Kim 2 and Woo Chan Kim 2 1 Researcher,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Wonju 26441, Korea 2 Researcher, Ecological Institute of Korean Peninsula, Jeonju 55017, Korea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hytosociological vegetation structure through a sampling survey of Mt. Jirisan National Park. And it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latest data for establishing a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for forest ecosystems. As a result of TWINSPAN classification, it was classified into 4 communities. Group is the Fraxinus mandshurica - Acer pseudosieboldianum Community, group is the Quercus serrata -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group is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is the Pinus densiflora Community. Group is dominated by Fraxinus mandshurica in the canopy layer, and Cornus controversa and Quercus mongolica compete and maintain dominance. Group II is dominated by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serrata in canopy layer, and Styrax obassia and Styrax japonicus compete in sub-tree layer. In group , Quercus mongolica has a high dominance of 67% in canopy layer and 27% in the sub-tree layer, and Acer pseudosieboldianum competes with the Quercus mongolica in the sub-tree layer. In group , Pinus densiflora showed a high dominance of 74% in canopy layer. The sub-tree layer is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and is accompanied by competition between Carpinus tschonoskii and Fraxinus sieboldiana. Key words Classification, DCA, DECORANA, Ordination, TWINSPAN *교신저자 : E-mail [email protected] Tel. +82-33-769-1624 본 학회지의 저작권은 ()한국자원식물학회지에 있으며, 이의 무단전재나 복제를 금합니다.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Korean J. Plant Res. 33(5):482-500(2020) https://doi.org/10.7732/kjpr.2020.33.5.482 Print ISSN 1226-3591 Online ISSN 2287-8203 Original Research Article
19

지리산국립공원 제4기 자원조사 표본지 내 식물군집구조 · 2020. 11. 19. · 지리산국립공원 제 4기 자원조사 표본지 내 식물군집구조 -483-었다.

Feb 08, 2021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 - 482 -

    서 언

    국립공원공단에서 수행한 「2019년 지리산국립공원 공원자

    원조사」에 따르면, 지리산국립공원 내 탐방로는 총 55개 구간으

    로 총 연장 241.55 ㎞에 달한다. 지난 5년간 지구단위의 탐방객

    추이를 보면 2015년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18년

    3,309천 명의 가장 많은 탐방객 수를 기록하였다. 지리산국립공

    원은 탐방객 이용밀도가 높은 공원 중 하나이며, 탐방편의 관련

    요구도 역시 높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반면 이로 인한 자연

    환경의 훼손 및 교란 위험성과 자연환경에 대한 보전 요구도 역

    시 높아 질 것으로 판단된다.

    산림식생은 산림생태계의 1차 생산자로서 그 지역 토양과 기

    후특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야생동・식물 서식지로서 핵심 생태

    축을 담당하고 있다(Byeon and Yun, 2017; Jang et al., 2008;

    Shin and Yun, 2014). 식생에 의한 산림분류 및 특성파악은 산

    림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객관적・생태적 관리단위를 제공하기

    때문에(Bae et al., 2003; Byeon and Yun, 2016; 2017; Kim and

    Yun, 2009; Lee and Yun, 2002; Yun et al., 2007), 산악형 국

    립공원의 보전・관리를 위해 식생 조사 및 특성파악은 반드시 필

    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지리산국립공원은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내륙 한가운데 위치

    하고 해발고도 110 ∼ 1,915 m의 표고차를 보이는 등 환경조건

    이 다양하여 식물상 및 분포에 대한 조사가 일찍부터 이루어졌

    다(Gwon et al., 2013). 1900년대 초 일본학자(Hatusima, 1934)

    에 의해 식물상에 대한 초기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이후 주요 지

    역별 군락구조 및 천이과정 등 식생학적 연구(Jung et al., 1996;

    Kang, 1984; Kim, 1975; Kim, 1988; Lee and Kim, 1999; Park

    et al., 1991; Park et al., 2003; Yim and Kim, 1992)로 발전되

    지리산국립공원 제4기 자원조사 표본지 내 식물군집구조

    박홍철1*, 김은옥2, 김우찬2

    1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연구원, 2한반도생태연구소, 연구원

    A Study on Plant Community Structure Based on the Fourth National

    Park Resource Survey Plots in Mt. Jirisan National Park

    Hong Chul Park1*, Eun Ok Kim2 and Woo Chan Kim2

    1Researcher,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Wonju 26441, Korea2Researcher, Ecological Institute of Korean Peninsula, Jeonju 55017, Korea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hytosociological vegetation structure through a sampling survey of

    Mt. Jirisan National Park. And it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latest data for establishing a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for forest ecosystems. As a result of TWINSPAN classification, it was classified into 4 communities. Group Ⅰ is the

    Fraxinus mandshurica - Acer pseudosieboldianum Community, group Ⅱ is the Quercus serrata -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group Ⅲ is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Ⅳ is the Pinus densiflora Community. Group Ⅰ is

    dominated by Fraxinus mandshurica in the canopy layer, and Cornus controversa and Quercus mongolica compete and

    maintain dominance. Group II is dominated by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serrata in canopy layer, and Styrax obassia

    and Styrax japonicus compete in sub-tree layer. In group Ⅲ, Quercus mongolica has a high dominance of 67% in canopy

    layer and 27% in the sub-tree layer, and Acer pseudosieboldianum competes with the Quercus mongolica in the sub-tree

    layer. In group Ⅳ, Pinus densiflora showed a high dominance of 74% in canopy layer. The sub-tree layer is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and is accompanied by competition between Carpinus tschonoskii and Fraxinus sieboldiana.

    Key words – Classification, DCA, DECORANA, Ordination, TWINSPAN

    *교신저자:E-mail [email protected]

    Tel. +82-33-769-1624

    ⓒ 본 학회지의 저작권은 (사)한국자원식물학회지에 있으며, 이의 무단전재나 복제를 금합니다.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Korean J. Plant Res. 33(5):482-500(2020)

    https://doi.org/10.7732/kjpr.2020.33.5.482

    Print ISSN 1226-3591

    Online ISSN 2287-8203

    Original Research Article

  • 지리산국립공원 제4기 자원조사 표본지 내 식물군집구조

    - 483 -

    었다. 이밖에 지리산국립공원 훼손지 내 식생회복 및 복원에 관

    한 연구(Jung et al., 2001; Kwon et al., 1991; Oh et al., 1997;

    Oh, 2017; Park, 2009; Shin et al., 2013)도 수행된 바 있다.

    이처럼 지리산국립공원은 수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주제로 관

    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는 대표적인 동・식물 서식지 중 하나이다.

    자연공원법 제17조의3에 따라 국립공원을 포함한 자연공원

    은 매 10년마다 보전・관리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며, 동법 시행령

    제13조의2에 따라 자연생태 등 해당 공원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

    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지리산국립공원은 지난 2012년 제1차 보

    전・관리계획(2013 ∼ 2022년)이 수립된 바 있으며, 2022년까지

    는 제2차 공원별 보전・관리계획(2023 ∼ 2032년)의 수립이 필

    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지리산국립공원 전반

    에 대한 산림식생의 최신 정보 및 자료 축적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제4기 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는 기존과 다르게 동일한

    정점(각 공원별 위치와 개수가 정해짐)에서 다양한 동‧식물 분류

    군 조사가 동시에 이뤄졌다. 즉, 모든 분류군(식생, 식물상, 포

    유류, 조류, 파충류, 곤충류)조사가 동일 한 공간범위 내에서 수

    행되며, 이를 바탕으로 각 정점별 서식지 평가가 이뤄질 수 있도

    록 하였다. 그러나 식생을 제외하면 대부분 시기별 출현 종 조사

    에 국한되어 있어 서식지 평가를 위한 입지‧환경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전체를 대상으로 표본지 매

    목조사를 통한 식물군집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제2차 지

    리산국립공원 보전・관리 계획 및 제4기 지리산국립공원 공원자

    원조사 서식지 종합평가를 위한 기초자료 수집 및 제공을 목적

    으로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조사대상지 개황

    지리산국립공원은 북위 35°12′45.23″∼ 35°26′52.31″, 동

    경 127°27′11.44″∼ 127°49′32.01″사이에 위치(WGS 84 기준)

    해 있다. 1967년 12월 29일 지정된 우리나라 최초의 국립공원으

    로, 총 면적은 483.022 ㎢이다(Fig. 1). 전국 22개 국립공원 중

    육상면적이 가장 넓은 산악형 국립공원으로서, 경상남도 산청

    군・하동군・함양군, 전라남도 구례군, 전라북도 남원시 등 3개

    의 도, 1개의 시, 4개의 군, 15개의 읍・면에 걸쳐있다. 천왕봉

    (1,915 m), 반야봉(1,732 m), 노고단(1,507 m)을 중심으로 다수

    의 봉우리가 분포하고 있다.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https://data.kma.go.kr/)에 따

    른 지리산국립공원 일원 남원과 산청의 지난 47년 간 연 평균 기

    온은 각각 12.3℃, 12.9℃로 나타났으며, 연 평균 총 강수량은

    각각 1,334.7 ㎜, 1,516.4 ㎜로 확인되었다. 두 지역의 연 평균

    기온 및 연간 총 강수량 모두 증가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산청

    지역이 남원 지역에 비해 증가폭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 2).

    Fig. 1. Map of Mt. Jirisan National Park and the survey quadrats.

  • Korean J. Plant Res. 33(5) : 482~500(2020)

    - 484 -

    조사방법

    표본지 조사

    식물군락의 구조를 조사하기 위한 표본조사법으로 방형구법

    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Brower and Zar, 1977), 방형구법에

    있어서 표본추출 방법은 최소면적의 단일 조사구를 설치하거나

    몇 개의 소조사구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Park

    and Seo, 2002). 본 조사는 국립공원공단에서 수행한 제4기 지

    리산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에서 정해진 40개의 정점(모든 동‧

    식물 분류군이 동일한 정점을 기준으로 조사 수행)을 기준으로

    수행되었으며, 당해 정점을 기준으로 주변에 임분이 균질하고

    인위적인 교란이 없는 식생을 대상으로 방형구법에 의한 표본

    조사를 수행하였다. 식물군락의 구분은 상관식생을 기준하였

    으며, 조사기간은 2019년 6월부터 11월까지이다.

    기본적인 조사방법은 국립공원공단에서 정한 제4기 공원자

    원조사 식생 분야 매뉴얼을 따랐다. 표본지 내 20 m × 20 m 크

    기의 정방형구 형태의 조사구 40개(16,000 ㎡)를 구축하였으

    며, 층위별 중첩방형구법에 따라 조사하였다. 교목층은 20 m ×

    20 m (전체 면적), 아교목층은 10m × 10 m(교목층 면적의 1/4),

    관목층은 5 m × 5 m(아교목층의 1/4) 면적범위 내에서 출현하

    는 모든 개체를 조사하였다. 단, 아교목층과 관목층은 대표성을

    나타내는 사분면을 선택하여 조사하였다. 층위구분을 위한 수

    고기준은 교목층 8 m 이상, 아교목층 2 ∼ 8 m, 관목층 2 m 이하

    로 하되, 해당 조사구의 고유한 식생구조와 종에 따라 조사자가

    판단하여 가감하여 정하였다. 초본층은 교목층과 동일한 면적

    (20 m × 20 m) 범위에서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종별 평균 초장

    과 피도를 조사하였다. 목본의 유묘 혹은 치수의 경우, 수고에

    관계없이 관목층에 기입하였으며, 초본 역시 초장에 관계없이

    초본층에 기입하였다. 조릿대 등의 대나무류는 높이에 관계없

    이 초본층에 기입하였다.

    분류군의 확인 및 동정은 Kim and Kim (2001), Lee (1996),

    Lee (2003)의 도감을 이용하였고, 양치식물은 Korean Fern

    Society (2005)의 문헌을 참고하였다. 학명과 국명은 국립수목

    원과 한국식물분류학회가 제시한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2007)에 준하였다.

    자료분석

    상대우점치 및 종다양성지수 분석

    층위별 각 수종의 상대적 우세도를 비교하기 위해 Curtis and

    McIntosh (1951)의 중요도를 백분율로 표현한 상대우점치(IP,

    Importance Percentage; Brower and Zar, 1977)를 분석하였으

    며, 층위별 가중치를 부여하고 군락 내 모든 종의 우세도를 비교

    하기 위해 평균상대우점치(MIP, Mean Importance Percentage;

    Yim and Cheon, 1980)를 분석하였다. 우점치 분석은 산림군집

    내 각 식물종의 영향력과 우세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산

    림의 종구성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기에 용이하다(Brower and

    Zar, 1977; Byeon and Yun, 2017).

    또한, 종 구성 상태의 다양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Shannon

    의 수식(Pielou, 1975; Shannon and Weaver, 1963)을 적용하

    여, 종 다양도, 최대 종 다양도, 균재도, 우점도를 분석하였다.

    종다양성지수는 종수와 개체수라는 제한된 변수만으로 산출된

    다는 한계가 있지만(Byeon and Yun, 2017; Krebs, 1985), 산림

    식생의 안전성을 유추할 수 있다(Byeon and Yun, 2017). 또한

    서로 다른 지역의 종 다양성을 비교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Byeon and Yun, 2017; Park et al., 2001). 본 조사에서는

    초본층을 제외한 목본식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Fig. 2. Climate status in the past 47 years in Mt. Jirisan National Park.

  • 지리산국립공원 제4기 자원조사 표본지 내 식물군집구조

    - 485 -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 분석

    지점별 식생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군락별 군락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TWINSPAN (Hill, 1979a)에 의한 군락분류를 실

    시하였다. TWINSPAN은 계층적 군화분석 방법으로 일차적으

    로 출현한 생물 종을 기반으로 표본단위를 먼저 분류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시 출현생물을 분류함에 따라 다른 분류방법에 비

    해 환경요인의 선호에 따른 생물 특징을 구분하기 용이한 방법

    이다(Hill, 1979a; Min et al., 2018). TWINSPAN의 통계학적 신

    뢰성은 선행연구(Cao et al., 1997; Gauch Jr and Whitaker,

    1981)를 통해 검증된 바 있으며, 생태학 분야에서 생물의 군집과

    환경요인 관계를 분석하고자 할 때 TWINSPAN이 주요 이용되

    고 있다(Brown and May, 2000; Kazanci et al., 2008; Lee, et

    al., 2000; Min et al., 2018).

    군락분류를 통해 그룹화된 군락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

    해 DCA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ordination (Hill,

    1979b) 분석을 실시하였다. Ordination 기법은 군락구조를 밝

    히고 군락 내 식생과 입지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Byeon and Yun, 2017, Byeon et al.,

    2020; Greigh-Smith, 1983; Ter Braak, 1988; Yun and Hong,

    2000). 특히 DCA 기법은 초기 ordination 기법이었던 PO (polar

    ordination)과 이를 개선한 RA (reciprocal averaging) 및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의 단점을 보완한 기법으로, 제

    2축이 종종 제1축에 종속되고(arch effect) 축 양극단 샘플들의

    변이가 중앙의 샘플들보다 훨씬 적게 나타나는 왜곡현상(edge

    effect)을 개선한 기법이다(Hill, 1979b; Ri, 1994). 또한 DCA는

    환경요인과의 관계성을 분석할 수 있어, 식생구조의 정량적 분석

    을 통한 군집생태학 연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Palmer, 2004).

    본 조사에서는 초본층을 제외한 목본식물을 대상으로 각 조

    사구별 평균상대우점치와 입지환경 자료를 바탕으로 Classification

    과 Ordination을 실시하였으며, PC-ORD 6 소프트웨어를 사용

    하였다. 또한 군락분류를 통해 그룹화된 군락 간 종 구성의 유사

    성을 비교하기 위해 유사도지수(Brower and Zar, 1977)를 추가

    분석하였다.

    결 과

    조사구별 입지환경 및 출현종

    조사구별 해발고도는 425 m부터 1,711 m까지 분포하며, 경

    사도는 10°부터 45°까지 분포하였다. 토양은 모두 갈색삼림토

    였으며, 사면과 평면 지형에 위치한 식생군락이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엽부식층은 10 ㎝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암석노출

    비율은 대부분 50% 미만으로 확인되었다. 식생보전등급 Ⅱ등

    급에 해당하는 식물군락이 주요했으며, 대부분 중용에 해당하

    는 수분조건을 나타냈다. 우점종 영급은 대부분 6영급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조사구별 자세한 입지환경 정보는

    Appendix 1, 각 조사구별 식생구조 정보는 Appendix 2와 같다.

    각 조사구와 조사구 내 목본식물의 출현종에 대한 관계성 파

    악을 위해 Two-way Cluster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로 신갈나

    무(30개소), 생강나무(22개소), 졸참나무(22개소), 비목나무

    (18개소), 굴참나무(14개소), 노각나무(14개소), 당단풍나무(14

    개소), 철쭉(13개소), 물푸레나무(12개소), 쇠물푸레(12개소),

    층층나무(12개소), 노린재나무(11개소), 때죽나무(11개소), 쪽

    동백나무(11개소)가 10개 이상의 조사구에서 다수 출현하였다.

    반면, 개회나무, 고광나무, 고추나무, 곰의말채나무, 국수나무,

    덜꿩나무, 딱총나무, 마가목, 만병초, 물박달나무, 밤나무, 병

    꽃나무, 복장나무, 사람주나무, 사스래나무, 산앵도나무, 산철

    쭉, 싸리, 아그배나무, 오미자, 일본잎갈나무, 참개암나무, 황

    벽나무, 회나무, 히어리는 단 1개의 조사구에서만 희소하게 출

    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Fig. 3).

    Classification

    전체 40개 조사구에 대한 유형별 군락분류결과 첫 번째 단계

    (level 1)에서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ume)・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Makino)・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Blume) 그리고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철쭉(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에 의해 2개의

    그룹으로 유형분류 되었으며, 두 번째 단계(level 2)에서 1그룹

    은 들메나무(Fraxinus mandshurica Rupr.)・산수국(Hydrangea

    serrata f. acuminata (Siebold & Zucc.) E.H.Wilson) 그리고

    졸참나무(Quercus serrata Thunb. ex Murray)에 의해 2개의

    군락, 2그룹은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에 의해

    2개의 군락으로 유형화 되었다. 총 4개 군락으로 Ⅰ군락은 들메-

    당단풍나무군락(Fraxinus mandshurica-Acer pseudosieboldianum

    Community), Ⅱ군락은 졸참-굴참나무군락(Quercus serrat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Ⅲ군락은 신갈나무군락(Quercus mongolica

    Community), Ⅳ군락은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

    으로 분류되었다(Fig. 4).

    Ordination 및 군락구조

    TWINSPAN 기법으로 유형화된 4개의 군락을 기준으로 그래

  • Korean J. Plant Res. 33(5) : 482~500(2020)

    - 486 -

    프를 작성하였으며(Fig. 5), 제1축(0.61955)과 제2축(0.46558)

    의 eigenvalue가 높게 나타나 x축에 제1축, y축에 제2축을 지정

    하여 모든 군락을 배치하였다. 4개의 군락 모두 제1축과 제2축

    을 기준으로 불연속적인 분포를 보이며 각기 구분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만 Ⅲ군락에 속한 G23번 조사구가 분리되어 나타

    났으며, Ⅰ군락에 가깝에 분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G23번 조사

    구는 신갈나무 우점군락으로 신갈나무군락으로 유형화된 Ⅲ군

    락에 포함되었지만, 동반종에 의해 Ⅰ군락과의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Ⅰ군락은 들메나무군락, Ⅱ군락은 졸참-굴참나무군락, Ⅲ

    Fig. 3. Diagram of two-way cluster analysis.

    Fig. 4. Dendrogram of TWINSPAN classification.

  • 지리산국립공원 제4기 자원조사 표본지 내 식물군집구조

    - 487 -

    군락은 신갈나무군락, Ⅳ군락은 소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각 군락별 주요 목본 수종의 층위별 상대우점치와 평균상대우

    점치는 Table 1과 같으며, 본 조사의 모든 목본 수종에 대한 목록

    과 이를 통합한 층위별 상대우점치, 평균상대우점치는 Appendix 3

    과 같다.

    DCA ordination에 따른 주요 수종의 우점도별 조사구 분포

    경향성은 다음과 같다(Fig. 6). Ⅰ군락 우점종인 들메나무는 제1

    축에 의해 동일 군락 내 다른 조사구와 구분(r=0.485 tau=

    0.229)되었다. Ⅱ군락 우점종인 졸참나무는 기존 Ⅱ군락의 분

    포범위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제1축에 의한 설명력(r=-0.472

    tau=-0.396)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Ⅱ군락에 인

    접하고 타 군락에 속한 일부 조사구에서도 높은 우점도를 나타

    냈다. Ⅲ군락 우점종인 신갈나무는 제1축에 의해 Ⅲ군락에 속한

    다른 조사구와 구분(r=0.443 tau=0.374)되었으며, Ⅲ군락에

    인접하고 타 군락에 속한 일부 조사구에서 높은 우점도를 나타

    냈다. Ⅳ군락 우점종인 소나무는 기존 Ⅳ군락에 속한 조사구의

    분포와 일치하였으며, 제2축에 의한 설명력(r=0.469 tau=0.305)

    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TWINSPAN 군락분류 결과에 따른 군락별 종다양성지수 분Fig. 5. DCA ordination distribution.

    Table 1. Importance Percentage of woody species by stratum in each community

    Com-

    munityKorean name Scientific name

    IPz (%) MIPy

    (%)Cx STw Sv

    들메나무 Fraxinus andshurica 29.58 8.25 - 17.54

    당단풍나무 Acer pseudosieboldianum 1.60 27.54 1.01 10.15

    생강나무 Lindera obtusiloba - 2.87 35.75 6.92

    층층나무 Cornus controversa 10.44 3.38 - 6.35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9.81 - - 4.90

    산수국 Hydrangea serrata - - 29.09 4.85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3.47 7.92 2.82 4.84

    함박꽃나무 Magnolia sieboldii - 14.01 - 4.67

    쪽동백나무 Styrax obassia 1.08 11.26 - 4.29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8.51 - - 4.25

    기타 수종 ETC. 35.51 24.77 31.33 31.24

    Total 100 100 100 100

    졸참나무 Quercus serrata 25.91 7.79 - 15.55

    굴참나무 Quercus variabilis 26.82 - - 13.41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18.89 1.19 0.70 9.96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0.41 9.32 16.79 6.11

    쪽동백나무 Styrax obassia - 16.43 3.48 6.06

    때죽나무 Styrax japonicus - 16.22 2.04 5.75

    개서어나무 Carpinus tschonoskii 4.59 7.88 2.01 5.26

    생강나무 Lindera obtusiloba - - 24.06 4.01

    노각나무 Stewartia pseudocamellia 2.19 7.51 0.74 3.72

    개비자나무 Cephalotaxus koreana - - 13.66 2.28

    기타 수종 ETC. 21.19 33.66 36.52 27.89

    Total 100 100 100 100

  • Korean J. Plant Res. 33(5) : 482~500(2020)

    - 488 -

    석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2). Ⅰ군락과 Ⅱ군락, Ⅱ군락과 Ⅳ

    군락이 50% 이상의 유사도지수 값을 나타내, 각 군락의 출현종

    수 대비 공통으로 출현한 종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 Ⅰ군락과 Ⅳ군락이 가장 낮은 유사도를 나타내, 각 군

    락의 출현종수 대비 공통으로 출현한 종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

    으로 나타났다(Table 3).

    TWINSPAN 군락분류 결과에 따른 군락별 입지환경의 산술

    적 차이는 다음과 같다(Table 4). Ⅲ군락의 해발고도 분포가 가

    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Ⅲ과 Ⅳ군락의 경사도가 Ⅰ과 Ⅱ군

    락에 비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낙엽부식층의 차이는 미미

    했으며, Ⅰ군락의 암석노출비율이 평균 51% 수준으로 다른 군

    락에 비해 높게 나타난 반면, Ⅳ군락은 평균 6% 수준으로 암석

    노출이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DCA ordination에 따른 입지환경별 조사구 분포 경향성은

    다음과 같다(Fig. 7). 해발고도의 경우 Ⅲ군락이 높은 것으로 나

    타났으며, 제1축에 의해 Ⅲ군락 내 몇몇 조사구가 상대적으로

    높은 설명력(r=0.773, tau=0.595)으로 구분되었다. 암석노출

    비율은 Ⅳ군락을 제외한 모든 군락 내 몇몇 조사구에서 높게 나

    타났으며, 제1축과 제2축 모두 경향성 없이 산재하여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엽부식층과 경사도는 두 축에서 모두 경향

    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군락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발고도에 따른 신갈나무 우점도는 500 ∼ 1,400 m 사이에

    서 상대적으로 높은 우점도를 나타냈으며, 졸참나무와 굴참나

    무는 전반적으로 모든 해발고도에서 낮은 수준의 우점도를 보

    였지만, 1,000 m 미만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우점도를 보이는

    조사구가 분포하였다(Fig. 8). 암석노출에 따른 신갈나무, 굴참

    나무, 졸참나무의 우점도는 0 ∼ 20% 구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우점도를 보이는 조사구가 다수 분포하였다(Fig. 9). 소나무는

    전반적으로 암석노출비율에 관계없이 낮은 우점도를 보였으며,

    일부 암석노출비율이 낮은 구간에서 높은 우점도를 보인 조사

    구가 확인되었다. 기타 경사도, 낙엽부식층, 보전등급에 따른

    주요종의 분포특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들 항목은 데이터 범

    Table 1. Continued

    Com-

    munityKorean name Scientific name

    IPz (%) MIPy

    (%)Cx STw Sv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67.01 27.33 - 42.62

    당단풍나무 Acer pseudosieboldianum 1.01 26.80 9.20 10.97

    구상나무 Abies koreana 9.73 4.96 5.63 7.45

    졸참나무 Quercus serrata 6.10 3.17 - 4.11

    쇠물푸레 Fraxinus sieboldiana 1.59 8.31 1.37 3.79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 - 21.87 3.65

    진달래 Rhododendron mucronulatum - - 19.41 3.23

    노린재나무 Symplocos chinensis - - 18.41 3.07

    노각나무 Stewartia pseudocamellia 2.67 4.99 - 3.00

    박달나무 Betula schmidtii 3.20 2.06 - 2.29

    기타 수종 ETC. 8.69 22.38 24.11 15.82

    Total 100 100 100 100

    소나무 Pinus densiflora 74.58 7.97 - 39.95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13.05 39.96 0.65 19.95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 - 43.32 7.22

    개서어나무 Carpinus tschonoskii 1.39 17.56 1.18 6.74

    쇠물푸레 Fraxinus sieboldiana - 14.08 8.07 6.04

    졸참나무 Quercus serrata 8.12 3.83 - 5.34

    노각나무 Stewartia pseudocamellia 0.81 5.32 - 2.18

    당단풍나무 Acer pseudosieboldianum - 2.77 7.02 2.10

    진달래 Rhododendron mucronulatum - - 9.25 1.54

    물푸레나무 Fraxinus rhynchophylla - - 8.89 1.48

    기타 수종 ETC. 2.05 8.51 21.62 7.46

    Total 100 100 100 100zImportance Percentage, yMean Importance Percentage, xCanopy Layer, wSub-tree Layer, vShrub Layer.

  • 지리산국립공원 제4기 자원조사 표본지 내 식물군집구조

    - 489 -

    < F. mandshurica > < Q. serrata >

    < Q. mongolica > < P. densiflora >

    Fig. 6. Quadrats distribution by DCA ordination as major dominant species (r: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au:

    Kendall’s τ coefficient).

    Table 2. Species diversity index by community

    Community Species Number of individuals H` H`max J` D

    Ⅰ 33 139 1.342 1.519 0.884 0.116

    Ⅱ 49 781 1.279 1.690 0.756 0.244

    Ⅲ 34 296 1.085 1.531 0.709 0.291

    Ⅳ 22 221 0.872 1.342 0.649 0.351

    Average 34.5 359.3 1.140 1.520 0.750 0.250

    Table 3. Similarity index by community

    Community Ⅰ Ⅱ Ⅲ

    Ⅱ 53.66%

    Ⅲ 41.79% 45.78%

    Ⅳ 29.09% 50.70% 32.14%

  • Korean J. Plant Res. 33(5) : 482~500(2020)

    - 490 -

    위가 상대적으로 좁고, 세분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으로 판단된

    다. 또한 Ⅰ군락에서 최우점하고 있는 들메나무의 경우 모든 입

    지환경 측정항목에서 특이성이 없었으며, 대부분 낮은 수준의

    우점도를 보이는 조사구가 다수 분포하고 있다.

    Table 4. Environmental factor by community

    Com-

    munity

    Total area of

    Quadrats (㎡)

    Mean and standard deviation. Vegetation

    conservation

    gradeAltitude (m) Gradient (°)

    Deciduous

    corrosion layer (㎝)

    Rock

    exposure rate (%)

    Ⅰ 2,000 957 ± 194 22 ± 7 10 ± 0 51 ± 31 Ⅰ∼Ⅲ

    Ⅱ 8,400 767 ± 106 22 ± 8 8 ± 4 18 ± 24 Ⅰ∼Ⅲ

    Ⅲ 4,000 1173 ± 248 28 ± 9 8 ± 2 21 ± 20 Ⅰ∼Ⅱ

    Ⅳ 1,600 759 ± 260 28 ± 4 9 ± 4 6 ± 8 Ⅱ

    < Altitude > < Rock exposure rate >

    < Deciduous corrosion layer > < Gradient >

    Fig. 7. Quadrats distribution by DCA ordination as environmental factor (r: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au:

    Kendall’s τ coefficient).

  • 지리산국립공원 제4기 자원조사 표본지 내 식물군집구조

    - 491 -

    고 찰

    40개 표본지 내 주요 우점종은 신갈나무, 졸참나무, 굴참나

    무, 박달나무, 소나무, 들메나무, 느티나무, 층층나무, 개서어

    나무, 구상나무로 파악되며, 앞서 언급한 선행연구(Gwon et

    al., 2013; Park et al., 1991; Park et al., 2003; Yim and Kim,

    1992)에서 확인된 군락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수준으로 판단

    된다. 특히, 굴참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소나무, 들메나무

    가 주요하게 출현하였으며, 타 수종들과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

    로 결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구별 목본식물의 출현

    종 수는 4종부터 15종까지 조사되었으며, 출현종 수가 낮을수록

    종다양도 역시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최대종다양도

    가 종수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으로 판단되지만, 단순히 종다양

    도의 수치적 높고 낮음을 비교하기보다 최대종다양도 대비 종

    다양도의 비율을 따져보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군락분류결과에 따른 군락별 종다양성지수 분석결과, 전반

    적으로 모든 군락(Ⅰ ∼ Ⅳ)이 최대종다양도 대비 높은 종다양도

    와 균재도 값을 나타내고 있어, 양호한 종다양성과 출현종별 고

    른 개체수 분포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Ⅲ군락

    (신갈나무군락)과 Ⅳ군락(소나무군락)의 경우, 서어나무 혹은

    졸참나무로 천이하는 과정에서 종다양성이 증가한다는 Choi

    (1983)과 Park et al. (1991)의 선행연구결과가 있다. 그러나 각

    군락별 상대우점치 분석결과에 따른 수종 간 경쟁관계를 살펴

    보면, 아직 서어나무나 졸참나무로의 천이를 판단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Ⅳ군락(소나무군락) 내 신갈나무의 상

    층과 중층의 상대우점치가 타 수종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어,

    소나무의 쇠퇴 이후 신갈나무로의 천이가 예상된다. 기타 특이

    사항으로 Ⅳ군락(소나무군락)이 22종으로 타 군락에 비해 가장

    적은 종수를 나타냈으며 균재도 역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다른 군락에 비해 특정 출현종의 개체수가 편중되어 있고, Ⅰ군

    락(들메나무군락)은 종수에 비해 개체수가 적은 편이었지만, 균

    재도가 가장 높아 상대적으로 다른 군락에 비해 출현종별 개체

    Fig. 8. Scatterplot of mean importance percentage and altitude.

    Fig. 9. Scatterplot of mean importance percentage – major environmental factor.

  • Korean J. Plant Res. 33(5) : 482~500(2020)

    - 492 -

    수 분포가 상대적으로 균등한 것으로 판단된다.

    Ⅰ군락은 들메나무군락으로 교목층에 들메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층층나무와 신갈나무가 경쟁하며 세력을 유지하고 있

    다. 지리산 내 들메나무군락의 존재는 An et al. (2010), Choo

    et al. (2009), Kim et al. (1991) 등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확인되

    고 있으며, 들메나무와 층층나무가 경쟁 관계에 있다는 정보는

    Gwon et al. (2013)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신갈나무를 극상

    수종으로 정리한 Yim and Kim (1992)의 연구결과를 비춰보면,

    지리산에서는 신갈나무의 세력권 확장이 층층나무에 비해 우세

    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향후 잠재자연식생은 신갈나무군락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Ⅱ군락은 졸참-굴참나무군락으로 교목층에 굴참나무와 졸

    참나무가 경쟁하며 우점하고 있으며, 아교목층에서 쪽동백나

    무와 때죽나무가 경쟁하며 우점하고 있다. 관목층에서는 생강

    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아교목성 수종인 비목나무와 관목성

    수종인 개비자나무가 경쟁하며 세력을 확장하고 있다. 신갈나

    무와 함께 극상수종으로 인식되고 있는 졸참나무(Song, 2008)

    의 세력확장을 확인할 수 있는 사례로 판단된다.

    Ⅲ군락은 신갈나무군락으로 신갈나무가 교목층에서 67%,

    아교목층에서 27%로 높은 우점도를 보이며, 당단풍나무가 아

    교목층에서 신갈나무와 경쟁하고 있다. 관목층에서 철쭉, 진달

    래, 노린재나무가 경쟁하며 하층을 점유하고 있다. 신갈나무군

    락의 지리산을 대표하는 군락 중 하나로 거의 모든 선행연구에

    서 다루고 있으며, 높은 우점치와 당단풍나무와 결합하여 군락

    을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Yim and Kim (1992)의 연구와 맥을

    같이 하고 있다.

    Ⅳ군락은 소나무군락으로 교목층에서 소나무가 74%의 높은

    우점도를 보였다. 아교목층은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개

    서어나무와 쇠물푸레가 경쟁하며 동반발달하고 있다. 관목층

    에서는 철쭉이 43%로 높은 우점도를 보이고 있으며, 교목성 수

    종인 물푸레나무와 쇠물푸레의 세력이 확인되었다. 철쭉, 진달

    래 등과 결합하여 군락을 이룬다는 과거 조사결과(Yim and Kim

    (1992)와는 달리 신갈나무의 세력확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소나무의 쇠퇴 이후 신갈나무로의 천이가 예상된다. 지리

    산의 신갈나무를 기후적 극상림으로 해석하고 있는 Yim and

    Kim (1992)의 연구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Ordination 기법에 의한 분석에서 구분된 각각의 조사구들

    은 점진적이고 불규칙한 배열에도 불구하고 군락분류에 따른 4

    가지 군락으로 구별되어 묶여질 수 있으며, 종 조성의 점진적인

    차이에 기초한 군락의 구배는 환경요인의 구배와 결합되어 분

    리되는 것으로 보아, 분리된 각 군락들은 서로 특징적인 환경구

    배에서 분포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지리산국립공원 자연자원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 조릿대의

    생육 및 번식 관련 모니터링 및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조사에서 총 40개 조사구 중 24개 조사구에서 조릿대가 밀생

    (식피율 50% 이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기 때문이다. 조릿

    대의 밀생은 식생의 기반이 되는 토양특성을 일률적으로 변화

    시킬 가능성이 높으며, 갱신치수를 현저하게 피압하여 고사시

    키고, 타감작용으로 다른 종자의 발아를 억제(Li et al., 1992;

    Nakashizuka, 1984; Peter et al., 1992; Park et al., 2012)하는

    등 식물의 종다양성을 저하시키는 동시에 천연갱신에 큰 부담

    을 주는 것으로(Iwamoto and Sano, 1998; Lei and Koike, 1998;

    Nakashizuka, 1984; Park et al., 2012; Yuruki et al., 1977)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조릿대가 밀생하고 있는 산림지역에 대

    한 모니터링을 통해 조릿대가 주변 식생천이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 인위적 관리를 통

    해 복합적 식생구조와 생물다양성 증진 도모를 위한 전략을 검

    토할 필요가 있다.

    연구의 한계

    본 연구의 표본지 조사는 제4기 공원자원조사 매뉴얼에서 정

    한 위치와 개수가 정해져 있는 정점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서언에서 언급했듯이 당해 정점에서 식생뿐만 아

    니라 식물상, 포유류, 조류, 파충류, 곤충류 조사가 동일한 공간

    적 범위에서 수행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각 정점별 서식지 종

    합평가가 이뤄진다. 이러한 방법은 동일 서식지 내 다양한 분류

    군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분석‧평가가 이뤄질 수 있다

    는 장점이 있지만, 식생조사 측면에서는 표본지의 입지‧환경 및

    군락 다양성을 고려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현장에서 식생

    여건을 고려하여 조사구의 위치 및 개수를 정하는 방법이 아니

    기 때문에 소규모의 특수군락, 능선군락, 임연부군락 등이 조사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다만, 제4기 공원자원

    조사의 목적을 고려해보면, 공통된 정점에서 다양한 분류군별

    조사가 이뤄졌지만, 당해 지점의 환경요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

    는 분야는 식생 분야가 유일하므로 각 정점별 서식지 종합분석

    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지리산국립공원 제3기 공원자원조사의 식생조사 결과

    와 쌍대비교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2011년 수행된 제3기

    조사는 지리산국립공원 전역에 걸쳐 식분이 균질한 130개의 방

    형구를 조사하는 등 제4기 조사와는 조사목적, 매목조사 방법,

  • 지리산국립공원 제4기 자원조사 표본지 내 식물군집구조

    - 493 -

    방형구의 선정기준, 공간적 분포밀도, 입지여건 등 조사체계에

    차이가 있다. 제3기 조사는 현존식생도의 작성과 그에 따른 대

    표군락의 발굴 및 분류가 목적이었으며, 제4기 조사는 대표 유

    역권별 다양한 분류군별 합동조사를 통해 서식지 종합평가가

    목적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3기 조사결과를 대조군으로서

    비교하는 것은 정보의 왜곡과 곡해를 야기할 수 있다. 동 국립공

    원의 식생군락의 유의미한 변화상 파악 등 장기 모니터링을 위

    해 이후 조사에서도 동일 표본지 내 조사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적 요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전체를 대상으로 표본지 매목조

    사를 통한 식생군락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지리산국립

    공원 산림생태계 보전・관리 계획 수립을 위한 최신 자료를 제공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종수-면적 곡선을 작성한 결과, 총

    40개의 조사구(총 면적 16,000 ㎡)가 지리산국립공원의 출현 종

    및 식생현황을 파악하는데 적절한 면적 및 개수였던 것으로 판

    단된다. TWINSPAN Classification 결과 4개의 군락으로 분류

    되었다. Ⅰ군락은 들메-당단풍나무군락(Fraxinus mandshurica -

    Acer pseudosieboldianum Community), Ⅱ군락은 졸참-굴참

    나무군락(Quercus serrata -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Ⅲ군락은 신갈나무군락(Quercus mongolica Community), Ⅳ

    군락은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으로 분류되

    었다. Ⅰ군락은 들메나무군락으로 교목층에 들메나무가 우점

    하고 있으며, 층층나무와 신갈나무가 경쟁하며 세력을 유지하

    고 있다. Ⅱ군락은 졸참-굴참나무군락으로 교목층에 굴참나무

    와 졸참나무가 경쟁하며 우점하고 있으며, 아교목층에서 쪽동

    백나무와 때죽나무가 경쟁하며 우점하고 있다. Ⅲ군락은 신갈

    나무군락으로 신갈나무가 교목층에서 67%, 아교목층에서 27%

    로 높은 우점도를 보이며, 당단풍나무가 아교목층에서 신갈나

    무와 경쟁하고 있다. Ⅳ군락은 소나무군락으로 교목층에서 소

    나무가 74%의 높은 우점도를 보이고 있다. 아교목층은 신갈나

    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개서어나무와 쇠물푸레가 경쟁하며 동

    반발달하고 있다.

    사 사

    본 논문은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의 「2019년 지리산

    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사업의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y have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An, H.C., G.T. Kim, G.C. Choo, T.W. Um, S.B. Park and E.H.

    Park. 2010. A study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of

    Picea jezoensis stands at Cheonwangbong area, Jirisan (Mt.).

    J. Korean Soc. For. Sci. 99(4):590-596 (in Korean).

    Bae, K.H., H.J. Cho and S.C. Hong. 2003. Vegetation compo-

    sition and structure at the forest genetic resources reserve,

    Sokwang-Ri, Uljin-Gun in Korea. Forest Sci. Technol. 96

    (6):536-544 (in Korean).

    Brower, J.E. and J.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Publishers,

    Iowa (USA). p. 596.

    Brown, L.R. and J.T. May. 2000. Benthic macroinvertebrate

    assemblages and their relations with environmental variables

    in the sacramento and San Joaquin river drainages, California,

    1993-1997.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US Geological

    Survey. pp. 1-25.

    Byeon, S.Y. and C.W. Yun. 2016. Stand structure of actual

    vegetation in the natural forests and plantation area of Mt.

    Janggunbong, Bonghwa-Gun. Korean J. Environ. Ecol. 30

    (6):1032-1046 (in Korean).

    _______________. 2017. Vegetation Type and Stand Charac-

    teristics of Natural Forest. Korean J. Environ. Ecol. 31(3):

    297-317 (in Korean).

    Byeon, J.G., B.J. Park, S.H. Joo and K.I. Cheon. 2020. Com-

    munity Structure and Species Composition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in Mt. Cheonchuk. Korean J. Plant Res.

    33(1):1-14 (in Korean).

    Cao, Y., A.W. Bark and W.P. Williams. 1997. A comparison of

    clustering methods for river benthic community analysis.

    Hydrobiologia 347:25-40.

    Choi, G.C. 1983. Fundamental Ecology. Hyangmunsa, Seoul,

    Korea. p. 251.

    Choo, G.C., H.C. An, H.S. Cho, I.K. Kim, E.H. Park and S.B.

    Park. 2009. Vegetation Structure of the Chilseon Valley in

    the Jiri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23(1):

    22-29 (in Korean).

    Curtis, J.T. and R.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J. Ecol.

    32:476-496.

  • Korean J. Plant Res. 33(5) : 482~500(2020)

    - 494 -

    Gauch Jr, H.G. and R.H. Whittaker. 1981. Hierarchical classifi-

    cation of community data. J. Ecol. 69(2):537-57.

    Greigh-Smith, P. 1983. Quantitative Plant Ecology (3rd ed.).

    Bla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UK. p. 359.

    Gwon, J.H., M.K. Sin, H.J. Kwon and H.K. Song. 2013. A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of Jirisan National Park. J.

    Korean Env. Res. Tech. 16(5):93-118 (in Korean).

    Hatusima, S. 1934. Preliminary report on the flowering plants

    and ferns collected on the Nansen experimental forest of

    Kyushu Imperial Univ. Bulletin of the Kyushu Imperial

    University Forests, Japan. pp. 1-280 (in Japanese).

    Hill, M.O. 1979a. TWINSPAN -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Cornel

    Univ., Ithaca, New York, USA. p. 50.

    _______________. 1979b. DECORANA -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 Univ., Ithaca,

    New York, USA. p. 52.

    Iwamoto, S. and J. Sano. 1998. Standing crop of Sasa and the

    growth patterns of seedlings in a deciduous broad-leaved

    secondary forest. J. Jpn For. Soc. 80:311-318 (in Japanese).

    Jang, G.S., S.W. Jeon and S.S. Kim. 2008. Analyzing char-

    acteristics of forest damage within the Geum-buk Mountain

    rang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5):55-63 (in Korean).

    Jung, J.M. S.W. Lee and K.Y. Lee. 1996. Vegetation structure,

    regeneration niche, and dynamics of the saplings in Abies

    koreana Forest of the Mt. Chiri. Jour. Korean For. Soc.

    85(1):34-43 (in Korean).

    Jung, S.J., K.K. Oh and J.G. Oh. 2001. A study on restoration

    measures of vegetation for devastated ridge line area in

    national park, Korea. Korean J. Environ. Ecol. 15(1):69-78

    (in Korean).

    Kang, S.J. 1984. Regeneration process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 in Mt. Jiri. Korean J. Ecology 7(4):185-193 (in Korean).

    Kazanci, N., M. Dügel and S. Girgin. 2008. Determination of

    indicator genera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running waters in western Turkey. Int. Rev. Hydrobiol.

    1:1-16. Regeneration Niche

    Kim, Y.D. 1975. The investigation of flowering plants and

    ferns in the northern side of the Mt. Jiri. I. woody plants

    (Trees and Shrubs). Jinju A. & F. Jr. coll. 13:79-86 (in

    Korean).

    Kim, T.W. 1988. Vegetation of Mt. Jiri. Survey of Natural

    Ecosystem of Mt. Jiri.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Korea. pp. 111-128.

    Kim, J.S., G.T. Kim and H.R. Joo. 1991. The actual vegetation

    of nature ecology conservation area in Mt. Chiri. Korean J.

    Environ. Ecol. 5(1):9-24 (in Korean).

    Kim, J.S. and T.Y. Kim. 2001. Woody Plants of Korea

    Peninsula. Dolbegae, Paju, Korea. p. 716 (in Korean).

    Kim, H.J. and C.W. Yun. 2009. A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interspecific association in Mt.

    Munsu and Mt. Okseok.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98(4):379-391 (in Korean).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2007. The list of national standard plant.

    http://www.nature.go.kr/kpni (2007. 12.).

    Korean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Korea. p. 399.

    Krebs, C.J. 1985. Ecology (3rd ed.). Haber & Row, New York,

    USA. pp. 3-14.

    Kwon, T.H., K.K. Oh and S.D. Kwon. 1991. Use impact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trail and campsite in

    chiri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5(1):91-103

    (in Korean).

    Lee, C.H., Y.C. Choi, S.H. Kim and K.W. Kwon. 2000. Site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and dynamics of

    forest communities growing Kalopanax septemlobus

    (Thunb.ex Murray) Koidz. in Gangwon-do. Korean J. Plant

    Res. 13(3):227-242 (in Korean).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 624.

    Lee, M.S. and Kim, S.D. 1999. Regeneration process of Abies

    koreana - Quercus mongolica mixed forest in Mt. Jiri,

    Korea. Jour. Korean For. Soc. A Papers of Summer Annual

    Research Conference. pp. 85-87 (in Korean).

    Lee, B.C. and C.W. Yun. 2002. A study on community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Mt. Naeyeon. Korean J.

    Ecology 25(3):153-161 (in Korean).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Hyangmunsa.

    Seoul, Korea. p. 587 (in Korean).

    Lei, T.T. and T. Koike. 1998. Functional leaf phenotypes for

    shaded and open environments of a dominant dwarf bamboo

    (Sasa senanensis) in northern Japan. Inter. J. Plant Sci.

    159:812-820.

    Li, H.H., H. Nishimura, K. Hasegawa and J. Mizutani. 1992.

    Allelopathy of Sasa cernua. J. Chem. Ecol. 18:1785-1796.

    Min, J.K., D.H. Kim, J.S. Moon, J.Y. Kim and D. Kong. 2018.

    Classification of Korean benthic macroinvertebrate types

    using the TWINSPAN clustering and discriminant analysis of

  • 지리산국립공원 제4기 자원조사 표본지 내 식물군집구조

    - 495 -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the types.

    J. Korean Soc. Water Environ. 34(6):602-620 (in Korean).

    Nakashizuka, T. 1984. Regeneration process of climax beech

    (Fagus crenata) forests Structure of a beech forest with the

    undergrowth of Sasa. Jpn. J. Ecol. 32:57-67 (in Japanese).

    Oh, K.K. 2017. Evaluation of vegetation recovery after resto-

    ration works the Nogodan area, Jiri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31(1):93-103 (in Korean).

    Oh, K.K., B.B. Wo and D.W. Kim. 1997. Rehabilitation

    measures for disturbed subalpine meadows in Chirisan

    National Park, Republic of Korea. Korean J. Environ. Ecol.

    1(1):37-45 (in Korean).

    Palmer, M.W. 2004. Ordination Methods-an overview. Botany

    Department, Oklahoma State University, Stillwater, Oklahoma.

    pp. 74-78.

    Park, I.H., Y.C. Choi and W. Cho. 1991. Forest structure of the

    Hwaomsa valley and the Piagol valley in the Chirisan

    National Park-Forest community analysis by the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techniques-. Korean J. Environ. Ecol. 5:42-53

    (in Korean).

    Park, Y.S., H.K. Song, S. Yee and M.J. Lee. 2001. An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with DCCA in the valley part of Kyeryongsan National Park.

    Forest Sci. Technol. 90(3):249-256 (in Korean).

    Park, I.H. and Y.K. Seo. 2002. Plot size for investigating forest

    community structure(5)-adequate number of plots for tree

    and shrub strata in a mixed forest community of broad-

    leaved trees at Guryongsan area-. Korean J. Environ. Ecol.

    15(4):394-400 (in Korean).

    Park, I.H., Y.K. Seo and Y.C. Choi. 2003.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slope aspect and altitude in valley forests at

    Baraebong, Jiri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6(4):

    449-456 (in Korean).

    Park, I.H.. 2009. A study on vegetation restoration changes at

    damaged area in alpine zone of five national parks in Korea.

    Department of Biology, Ph.D. Thesis, Sunchon National Univ.,

    Korea. p. 168 (in Korean).

    Park, S.G., M.H. Yi,, J.W. Yoon and H.T. Sin. 2012.

    Environmental factors and growth properties of Sasa

    borealis (Hack.) Makino community and effect its dis-

    tribution on the development of lower vegetation in Jiri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6(1):82-90 (in Korean).

    Peter, P., T. Nakashizuca and T. Ohkubo. 1992. Regeneration

    and development in beech-dwarf bamboo forest in Japan.

    For. Ecol. and Manag 55:35-50.

    Pielou, E.C. 1975.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USA. p. 385.

    Ri, C.U. 1994. DECORANA and TWINSPAN Aided Analysis

    on the Forest Vegetation of Bindaegol Area, Mt. Palgong. J.

    of Natural Sciences 14:305-315.

    Shan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USA. p. 117.

    Shin, H.T., K.K. Oh, S.G. Park, M.H. Yi, J.W. Yon, G.S. Kim

    and J.W. Sung. 2013. Change vegetation after restoration of

    campsite Nogodan in Chirisan National Park. J. of KIFR

    17(2):1-14 (in Korean).

    Shin, H.S. and C.W. Yun. 2014.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forest vegetation of Mt. Gaya

    in Chungnam. J. Agric. & Life Sc. 48(3):25-35 (in Korean).

    Song, M.S. 2008.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association

    structure on the Sawtooth Oak (Quercus acutissima) Forest

    in Korea. Department of Biology and Microbiology, Ph.D.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 Korea. pp. 105-110 (in

    Korean).

    Ter Braak, C.J.F. 1988. CANOCO - a FORTRAN Program for

    Canonical Community Ordination by (Partial)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Redundancy Analysis. Statistics Department,

    Wageningen, Netherland. p. 95.

    Yim, Y.J. and E.S. Cheon.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J. Plant Biol. 23(3-4):69-83

    (in Korean).

    Yim, Y.J. and J.U. Kim. 1992. The Vegetation of Mt. Chiri

    National Park. The Chungang Univ., Press, Seoul, Korea.

    pp. 111-225 (in Korean).

    Yun, C.W. and S.C. Hong. 2000. Quantitative analysis of

    vegetation types in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Korean J. Ecology and Environment 23(3):281-291 (in

    Korean).

    Yun, C.W., C.H. Lee and H.J. Kim. 2007. The community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in Mt. Gaya, Chungcheongnam-

    do province. Korean J. Environ. Ecol. 21(5):379-389 (in

    Korean).

    Yuruki, T., K. Aragami and S. Inoue. 1977. Ecological Studies

    of Suzutake (Sasa borealis). Kyushu University, Faculty of

    Argriculture, Fukuoka, Japan. pp. 83-122.

    (Received 21 July 2020 ; Revised 18 August 2020 ; Accepted 22 August 2020)

  • Korean J. Plant Res. 33(5) : 482~500(2020)

    - 496 -

    워터마크

    App

    endix

    1. G

    ener

    al d

    escr

    iption o

    f veg

    etat

    ion s

    truct

    ure

    eac

    h q

    uad

    rats

    Quad

    rat

    G01

    G02

    G03

    G04

    G05

    G06

    G07

    G08

    G09

    G10

    Com

    munit

    y

    졸참

    -신갈나무

    Q.

    serr

    ata

    -

    Q.

    mongoli

    ca

    졸참

    -굴참나무

    Q.

    serr

    ata

    -

    Q.

    vari

    abil

    is

    신갈나무

    Q.

    mongoli

    ca

    신갈나무

    Q.

    mongoli

    ca

    개서어

    나무

    C.

    tsch

    onosk

    ii

    졸참나무

    Q.

    serr

    ata

    졸참나무

    Q.

    serr

    ata

    신갈나무

    Q.

    mongoli

    ca

    졸참나무

    Q.

    serr

    ata

    들메나무

    P.

    pyr

    ifoli

    a

    Dom

    inan

    t

    spec

    ies

    Can

    opy

    졸참나무

    Q.

    serr

    ata

    졸참나무

    Q.

    serr

    ata

    신갈나무

    Q.

    mongoli

    ca

    신갈나무

    Q.

    mongoli

    ca

    개서어나무

    C.

    tsch

    onosk

    ii

    졸참나무

    Q.

    serr

    ata

    졸참나무

    Q.

    serr

    ata

    신갈나무

    Q.

    mongoli

    ca

    졸참나무

    Q.

    serr

    ata

    들메나무

    P.

    pyr

    ifoli

    a

    Sub-t

    ree

    신갈나무

    Q.

    mongoli

    ca

    쪽동백나무

    S.

    obass

    ia

    비목나무

    L.

    eryt

    hro

    carp

    a

    당단풍나무

    A.

    pse

    udosi

    ebold

    ianum

    개서어나무

    C.

    tsch

    onosk

    ii

    때죽나무

    S.

    japonic

    us

    쪽동백나무

    S.

    obass

    ia

    신갈나무

    Q.

    mongoli

    ca

    쇠물푸레

    F.

    sieb

    old

    iana

    함박꽃나무

    M.

    sieb

    old

    ii

    Shru

    b철쭉

    R.

    schli

    ppen

    bach

    ii

    생강나무

    L.

    obtu

    silo

    ba

    비목나무

    L.

    eryt

    hro

    carp

    a

    철쭉

    R.

    schli

    ppen

    bach

    ii

    매화말발도리

    D.

    unif

    lora

    덜꿩나무

    V.

    erosu

    m

    비목나무

    L.

    eryt

    hro

    carp

    a

    진달래

    R.

    mucr

    onula

    tum

    철쭉

    R.

    schli

    ppen

    bach

    ii

    산수국

    H.

    serr

    ata

    f. a

    cum

    inata

    Her

    b사초류

    Car

    ex sp

    .

    조릿대

    S.

    bore

    ali

    s

    조릿대

    S.

    bore

    ali

    s

    조릿대

    S.

    bore

    ali

    s

    조릿대

    S.

    bore

    ali

    s

    조릿대

    S.

    bore

    ali

    s

    조릿대

    S.

    bore

    ali

    s

    조릿대

    S.

    bore

    ali

    s

    조릿대

    S.

    bore

    ali

    s

    관중

    D.

    crass

    irhiz

    om

    a

    Hei

    ght

    (m)

    Can

    opy

    813

    13

    10

    20

    18

    12

    12

    14

    12

    Sub-t

    ree

    56

    65

    56

    76

    56

    Shru

    b2

    0.7

    11

    0.5

    10.5

    22.5

    0.8

    Her

    b0.2

    0.8

    0.2

    0.4

    10.5

    0.8

    0.4

    0.5

    1

    Cover

    age

    (%)

    Can

    opy

    80

    90

    75

    90

    80

    90

    90

    50

    90

    90

    Sub-t

    ree

    50

    70

    40

    65

    40

    40

    70

    30

    70

    40

    Shru

    b40

    30

    60

    30

    20

    20

    50

    30

    40

    80

    Her

    b30

    95

    70

    95

    70

    80

    95

    80

    95

    30

    Quad

    rat

    G11

    G12

    G13

    G14

    G15

    G16

    G17

    G18

    G19

    G20

    Com

    munit

    y신갈나무

    Q.

    mongoli

    ca

    굴참나무

    Q.

    vari

    abil

    is

    들메나무

    P.

    pyr

    ifoli

    a

    층층나무

    C.

    contr

    ove

    rsa

    구상나무

    A.

    kore

    ana

    신갈나무

    Q.

    mongoli

    ca

    신갈나무

    Q.

    mongoli

    ca

    소나무

    P.

    den

    sifl

    ora

    신갈나무

    Q.

    mongoli

    ca

    신갈

    -졸참나무

    Q.

    mongoli

    ca-

    Q.

    serr

    ata

    Dom

    inan

    t

    spec

    ies

    Can

    opy

    신갈나무

    Q.

    mongoli

    ca

    굴참나무

    Q.

    vari

    abil

    is

    들메나무

    P.

    pyr

    ifoli

    a

    층층나무

    C.

    contr

    ove

    rsa

    구상나무

    A.

    kore

    ana

    신갈나무

    Q.

    mongoli

    ca

    신갈나무

    Q.

    mongoli

    ca

    소나무

    P.

    den

    sifl

    ora

    신갈나무

    Q.

    mongoli

    ca

    신갈나무

    Q.

    mongoli

    ca

    Sub-t

    ree

    당단풍나무

    A.

    pse

    udosi

    ebold

    ianum

    졸참나무

    Q.

    serr

    ata

    함박꽃나무

    M.

    sieb

    old

    ii

    당단풍나무

    A.

    pse

    udosi

    ebold

    ianum

    사스래나무

    B.

    erm

    anii

    다릅나무

    M.

    am

    ure

    nsi

    s

    물오리나무

    A.

    sibir

    ica

    신갈나무

    Q.

    mongoli

    ca

    당단풍나무

    A.

    pse

    udosi

    ebold

    ianum

    층층나무

    C.

    contr

    ove

    rsa

    Shru

    b노린재나무

    S.

    chin

    ensi

    s

    개서어나무

    C.

    tsch

    onosk

    ii

    노린재나무

    S.

    chin

    ensi

    s

    산수국

    H.

    serr

    ata

    f. acu

    min

    ata

    진달래

    R.

    mucr

    onula

    tum

    조록싸리

    L.

    maxi

    mow

    iczi

    i

    당단풍나무

    A.

    pse

    udosi

    ebold

    ianum

    철쭉

    R.

    schli

    ppen

    bach

    ii

    구상나무

    A.

    kore

    ana

    구상나무

    A.

    kore

    ana

    Her

    b조릿대

    S.

    bore

    ali

    s

    조릿대

    S.

    bore

    ali

    s

    관중

    D.

    crass

    irhiz

    om

    a

    조릿대

    S.

    bore

    ali

    s

    사초류

    Car

    ex s

    p.

    조릿대

    S.

    bore

    ali

    s

    조릿대

    S.

    bore

    ali

    s

    조릿대

    S.

    bore

    ali

    s

    지리산숲고사리

    C.

    x ch

    rist

    ense

    nia

    na

    조릿대

    S.

    bore

    ali

    s

    Hei

    ght

    (m)

    Can

    opy

    712

    15

    15

    912

    14

    15

    11

    14

    Sub-t

    ree

    37

    68

    49

    56

    66

    Shru

    b1.5

    10.5

    0.5

    1.5

    1.5

    21.5

    0.8

    1.5

    Her

    b0.4

    1.2

    0.5

    0.5

    0.2

    0.5

    0.5

    20.3

    1.5

    Cover

    age

    (%)

    Can

    opy

    80

    90

    60

    50

    30

    80

    80

    60

    90

    50

    Sub-t

    ree

    50

    70

    20

    60

    30

    10

    60

    30

    85

    40

    Shru

    b40

    65

    30

    30

    80

    30

    75

    10

    70

    50

    Her

    b70

    80

    30

    60

    10

    80

    90

    100

    570

  • 지리산국립공원 제4기 자원조사 표본지 내 식물군집구조

    - 497 -

    워터마크

    App

    endix

    1. C

    onti

    nued

    Quad

    rat

    G21

    G22

    G23

    G24

    G25

    G26

    G27

    G28

    G29

    G10

    Com

    munit

    y신갈나무

    Q.

    mongoli

    ca

    신갈나무

    Q.

    mongoli

    ca

    신갈나무

    Q.

    mongoli

    ca

    신갈나무

    Q.

    mongoli

    ca

    굴참

    -졸참나무

    Q.

    vari

    abil

    is-

    Q.

    serr

    ata

    느티나무

    Z.

    serr

    ata

    구상나무

    A.

    kore

    ana

    굴참

    -신갈나무

    Q.

    vari

    abil

    is-

    Q.

    mongoli

    ca

    소나무

    P.

    den

    sifl

    ora

    들메나무

    P.

    pyr

    ifoli

    a

    Dom

    inan

    t

    spec

    ies

    Can

    opy

    신갈나무

    Q.

    mongoli

    ca

    신갈나무

    Q.

    mongoli

    ca

    신갈나무

    Q.

    mongoli

    ca

    신갈나무

    Q.

    mongoli

    ca

    굴참나무

    Q.

    vari

    abil

    is

    느티나무

    Z.

    serr

    ata

    구상나무

    A.

    kore

    ana

    굴참나무

    Q.

    vari

    abil

    is

    소나무

    P.

    den

    sifl

    ora

    들메나무

    P.

    pyr

    ifoli

    a

    Sub-t

    ree

    쪽동백나무

    S.

    obass

    ia

    당단풍나무

    A.

    pse

    udosi

    ebold

    ianum

    함박꽃나무

    M.

    sieb

    old

    ii

    노각나무

    S.

    pse

    udoca

    mel

    lia

    고로쇠나무

    A.

    pic

    tum

    subsp

    . m

    ono

    비목나무

    L.

    eryt

    hro

    carp

    a

    신갈나무

    Q.

    mongoli

    ca

    쪽동백나무

    S.

    obass

    ia

    소나무

    P.

    den

    sifl

    ora

    함박꽃나무

    M.

    sieb

    old

    ii

    Shru

    b생강나무

    L.

    obtu

    silo

    ba

    당단풍나무

    A.

    pse

    udosi

    ebold

    ianum

    생강나무

    L.

    obtu

    silo

    ba

    철쭉

    R.

    schli

    ppen

    bach

    ii

    당단풍나무

    A.

    pse

    udosi

    ebold

    ianum

    생강나무

    L.

    obtu

    silo

    ba

    철쭉

    R.

    schli

    ppen

    bach

    ii

    정금나무

    V.

    old

    ham

    ii

    물푸레나무

    F.

    rhyn

    chophyl

    la

    산수국

    H.

    serr

    ata

    f. a

    cum

    inata

    Her

    b조릿대

    S.

    bore

    ali

    s

    단풍취

    A.

    ace

    rifo

    lia

    조릿대

    S.

    bore

    ali

    s

    조릿대

    S.

    bore

    ali

    s

    조릿대

    S.

    bore

    ali

    s

    주름조개풀

    O.

    undula

    tifo

    lius

    고사리류

    Pte

    ridiu

    m sp

    .

    가는잎그늘사초

    C.

    hum

    ilis

    var

    . nana

    지리대사초

    C.

    oka

    moto

    i

    관중

    D.

    crass

    irhiz

    om

    a

    Hei

    ght

    (m)

    Can

    opy

    12

    10

    12

    12

    16

    13

    13

    13

    812

    Sub-t

    ree

    67

    76

    76

    77

    56

    Shru

    b0.5

    0.5

    20.5

    21

    1.5

    1.5

    1.5

    0.8

    Her

    b0.5

    0.4

    0.3

    0.3

    10.3

    0.3

    0.3

    0.2

    1

    Cover

    age

    (%)

    Can

    opy

    90

    90

    60

    90

    80

    85

    60

    80

    90

    90

    Sub-t

    ree

    70

    60

    30

    70

    60

    50

    60

    75

    20

    40

    Shru

    b40

    25

    50

    20

    10

    65

    40

    60

    30

    80

    Her

    b95

    70

    80

    80

    80

    40

    30

    20

    50

    30

    Quad

    rat

    G30

    G31

    G32

    G33

    G34

    G35

    G36

    G37

    G38

    G39

    Com

    munit

    y

    신갈

    -들메나무

    Q.

    mongoli

    ca-

    P.

    pyr

    ifoli

    a

    굴참나무

    Q.

    vari

    abil

    is

    졸참나무

    Q.

    serr

    ata

    소-신갈나무

    P.

    den

    sifl

    ora

    -

    Q.

    mongoli

    ca

    박달

    -굴참나무

    B.

    schm

    idti

    i-

    Q.

    vari

    abil

    is

    신갈나무

    Q.

    mongoli

    ca

    굴참나무

    Q.

    vari

    abil

    is

    일본잎갈나무

    L.

    kaem

    pfe

    ri

    굴참나무

    Q.

    vari

    abil

    is

    굴참나무

    Q.

    vari

    abil

    is

    Dom

    inan

    t

    spec

    ies

    Can

    opy

    신갈나무

    Q.

    mongoli

    ca

    굴참나무

    Q.

    vari

    abil

    is

    졸참나무

    Q.

    serr

    ata

    소나무

    P.

    den

    sifl

    ora

    박달나무

    B.

    schm

    idti

    i

    신갈나무

    Q.

    mongoli

    ca

    굴참나무

    Q.

    vari

    abil

    is

    일본잎갈나무

    L.

    kaem

    pfe

    ri

    굴참나무

    Q.

    vari

    abil

    is

    굴참나무

    Q.

    vari

    abil

    is

    Sub-t

    ree

    들메나무

    P.

    pyr

    ifoli

    a

    팥배나무

    S.

    aln

    ifoli

    a

    개서어나무

    C.

    tsch

    onosk

    ii

    신갈나무

    Q.

    mongoli

    ca

    졸참나무

    Q.

    serr

    ata

    쪽동백나무

    S.

    obass

    ia

    때죽나무

    S.

    japonic

    us

    때죽나무

    S.

    japonic

    us

    노각나무

    S.

    pse

    udoca

    mel

    lia

    비목나무

    L.

    eryt

    hro

    carp

    a

    Shru

    b작살나무

    C.

    japonic

    a

    생강나무

    L.

    obtu

    silo

    ba

    생강나무

    L.

    obtu

    silo

    ba

    진달래

    R.

    mucr

    onula

    tum

    생강나무

    L.

    obtu

    silo

    ba

    생강나무

    L.

    obtu

    silo

    ba

    비목나무

    L.

    eryt

    hro

    carp

    a

    비목나무

    L.

    eryt

    hro

    carp

    a-

    개비자나무

    C.

    kore

    ana

    Her

    b조릿대

    S.

    bore

    ali

    s

    조릿대

    S.

    bore

    ali

    s

    조릿대

    S.

    bore

    ali

    s

    가는잎그늘사초

    C.

    hum

    ilis

    var

    . nana

    사초류

    Car

    ex sp

    .

    주름조개풀

    O.

    undula

    tifo

    lius

    주름조개풀

    O.

    undula

    tifo

    lius

    조릿대

    S.

    bore

    ali

    s

    조릿대

    S.

    bore

    ali

    s

    그늘사초

    C.

    lance

    ola

    ta

    Hei

    ght

    (m)

    Can

    opy

    12

    20

    13

    12

    20

    13

    18

    13

    12

    19

    Sub-t

    ree

    67

    87

    85

    66

    88

    Shru

    b0.8

    0.5

    1.8

    1.3

    21.5

    10.3

    -0.5

    Her

    b1

    0.6

    10.3

    0.1

    0.1

    0.2

    0.4

    20.1

    Cover

    age

    (%)

    Can

    opy

    85

    70

    50

    80

    80

    40

    70

    70

    70

    90

    Sub-t

    ree

    40

    40

    50

    70

    60

    10

    50

    75

    10

    65

    Shru

    b35

    10

    60

    65

    40

    10

    30

    35

    -70

    Her

    b95

    20

    60

    15

    55

    590

    100

    1

  • Korean J. Plant Res. 33(5) : 482~500(2020)

    - 498 -

    Appendix 2. Location environment each quadrats

    Quadrat G01 G02 G03 G04 G05 G06 G07 G08 G09 G10 G11 G12 G13 G14 G15 G16 G17 G18 G19 G20

    Altitude (m) 941 701 824 1231 732 600 858 1010 850 1114 1288 686 1128 1012 1711 970 847 1074 1067 818

    Aspect (NE°) 230 15 270 45 290 330 45 90 60 90 105 315 70 235 60 70 260 340 180 250

    Gradient (°) 20 25 20 15 25 30 15 40 10 25 20 30 30 10 45 20 30 30 30 20

    Soil texture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Deciduous corrosion layer (㎝) 10 3 6 5 5 10 10 10 5 10 10 10 10 10 10 4 7 15 7 10

    Rock exposure rate (%) 5 5 40 20 10 10 85 10 5 95 15 5 50 40 30 5 0 0 70 5

    Vegetation conservation grade Ⅱ Ⅱ Ⅱ Ⅱ Ⅰ Ⅱ Ⅰ Ⅱ Ⅱ Ⅰ Ⅱ Ⅱ Ⅰ Ⅲ Ⅰ Ⅱ Ⅱ Ⅱ Ⅱ Ⅱ

    Age class Ⅵ Ⅳ Ⅴ Ⅷ Ⅶ Ⅵ Ⅶ Ⅵ Ⅳ Ⅴ Ⅵ Ⅵ Ⅶ Ⅴ Ⅴ Ⅵ Ⅴ Ⅵ Ⅵ Ⅶ

    Quadrat G21 G22 G23 G24 G25 G26 G27 G28 G29 G30 G31 G32 G33 G34 G35 G36 G37 G38 G39 G40

    Altitude (m) 869 1339 1144 692 589 595 1183 699 425 938 897 785 597 804 838 545 729 775 697 1064

    Aspect (NE°) 0 180 150 165 346 330 180 180 45 135 300 200 120 260 20 118 90 340 30 250

    Gradient (°) 30 20 30 30 40 20 30 25 30 25 30 25 30 10 15 10 20 30 10 20

    Soil texture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Loam 식토 Loam Loam

    Deciduous corrosion layer (㎝) 5 10 10 4 10 10 10 5 7 10 10 10 5 10 10 10 10 20 5 5

    Rock exposure rate (%) 15 0 30 0 10 1 30 5 0 70 5 5 20 5 20 60 5 0 70 0

    Vegetation conservation grade Ⅱ Ⅱ Ⅱ Ⅱ Ⅱ Ⅱ Ⅰ Ⅱ Ⅱ Ⅱ Ⅱ Ⅱ Ⅱ Ⅱ Ⅱ Ⅱ Ⅲ Ⅱ Ⅱ Ⅱ

    Age class Ⅵ Ⅴ Ⅴ Ⅴ Ⅴ Ⅵ Ⅵ Ⅵ Ⅶ Ⅵ Ⅵ Ⅵ Ⅵ Ⅴ Ⅵ Ⅵ Ⅳ Ⅵ Ⅵ Ⅲ

  • 지리산국립공원 제4기 자원조사 표본지 내 식물군집구조

    - 499 -

    Appendix 3. Importance Percentage of all woody species by stratum

    Korean name Scientific name IPz (%)

    MIPy (%)Cx STw Sv

    개옻나무 Toxicodendron trichocarpum 0.87 - 0.40 0.28

    노린재나무 Symplocos sawafutagi 6.72 - 0.63 1.33

    물박달나무 Betula dahurica - - 0.40 0.13

    물오리나무 Alnus hirsuta 0.56 1.31 1.04 1.10

    산딸기 Rubus crataegifolius 0.46 - - 0.08

    산벚나무 Prunus sargentii - 0.97 - 0.48

    산철쭉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0.79 - - 0.13

    산초나무 Zanthoxylum schinifolium 0.43 - - 0.07

    생강나무 Lindera obtusiloba 16.32 - 0.26 2.81

    소나무 Pinus densiflora - 12.87 1.05 6.79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0.43 26.27 14.77 18.13

    졸참나무 Quercus serrata - 17.54 5.01 10.44

    진달래 Rhododendron mucronulatum 7.34 - - 1.22

    쪽동백나무 Styrax obassia 1.68 0.23 8.75 3.31

    청미래덩굴 Smilax china 0.34 - - 0.06

    팥배나무 Sorbus alnifolia 0.11 - 3.34 1.13

    병꽃나무 Weigela subsessilis 0.36 - - 0.06

    개회나무 Syringa reticulata subsp. amurensis 0.22 - - 0.04

    오미자 Schisandra chinensis 0.11 - - 0.02

    조록싸리 Lespedeza maximowiczii 4.47 - - 0.74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8.39 0.52 5.74 3.57

    당단풍나무 Acer pseudosieboldianum 5.29 0.32 12.49 5.21

    물푸레나무 Fraxinus rhynchophylla 1.70 1.10 2.17 1.56

    작살나무 Callicarpa japonica 1.73 - - 0.29

    전나무 Abies holophylla 0.35 0.68 - 0.40

    참개암나무 Corylus sieboldiana 0.11 - 0.26 0.10

    고추나무 Staphylea bumalda 0.11 - - 0.02

    미역줄나무 Tripterygium regelii 0.54 - - 0.09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15.65 - - 2.61

    고광나무 Philadelphus schrenkii 0.27 - - 0.04

    정금나무 Vaccinium oldhamii 3.62 - - 0.60

    쇠물푸레 Fraxinus sieboldiana 2.28 0.29 6.61 2.73

    사람주나무 Neoshirakia japonica 0.13 - - 0.02

    박쥐나무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 0.79 - - 0.13

    노각나무 Stewartia koreana 0.32 2.02 5.31 2.83

    개비자나무 Cephalotaxus harringtonia 6.05 - - 1.01

    때죽나무 Styrax japonicus 0.89 - 7.66 2.70

    층층나무 Cornus controversa - 1.80 2.30 1.67

    다릅나무 Maackia amurensis 0.11 0.29 0.90 0.46

    굴참나무 Quercus variabilis - 16.08 - 8.04

    박달나무 Betula schmidtii - 2.56 0.69 1.51

    고로쇠나무 Acer pictum subsp. mono - 0.91 0.94 0.77

    개서어나무 Carpinus tschonoskii 1.10 2.90 5.85 3.58

    황벽나무 Phellodendron amurense - - 0.39 0.13

    굴피나무 Platycarya strobilacea - 0.93 - 0.46

    갈참나무 Quercus aliena - 0.54 - 0.27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 0.82 - 0.41

    들메나무 Fraxinus mandshurica - 2.61 1.02 1.65

    잔털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pubescens - - 0.59 0.20

    아그배나무 Malus sieboldii - - 0.21 0.07

    산뽕나무 Morus bombycis - 0.08 2.72 0.95

    벚나무 Prunus jamasakura - 0.65 0.74 0.57

    일본잎갈나무 Larix kaempferi - 1.70 - 0.85

    곰의말채나무 Cornus macrophylla - - 0.26 0.09

    산수국 Hydrangea serrata var. acuminata 3.44 - - 0.57

    매화말발도리 Deutzia uniflora 1.10 - - 0.18

    딱총나무 Sambucus williamsii 0.13 - - 0.02

    구상나무 Abies koreana 1.55 2.03 1.63 1.82

    까치박달 Carpinus cordata - 0.37 0.76 0.44

    거제수나무 Betula costata - 0.36 - 0.18

    함박꽃나무 Magnolia sieboldii - - 3.03 1.01

  • Korean J. Plant Res. 33(5) : 482~500(2020)

    - 500 -

    Appendix 3. Continued

    Korean name Scientific name IPz (%)

    MIPy (%)Cx STw Sv

    회나무 Euonymus sachalinensis 0.11 - - 0.02

    복장나무 Acer mandshuricum 0.11 0.09 - 0.06

    잣나무 Pinus koraiensis 0.11 0.76 - 0.40

    사스래나무 Betula ermanii - - 1.25 0.42

    싸리 Lespedeza bicolor 0.96 - - 0.16

    마가목 Sorbus commixta 0.11 - - 0.02

    만병초 Rhododendron brachycarpum 0.13 - - 0.02

    산앵도나무 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0.41 - - 0.07

    대팻집나무 Ilex macropoda - - 0.59 0.20

    음나무 Kalopanax septemlobus - 0.11 0.23 0.13

    국수나무 Stephanandra incisa 0.55 - - 0.09

    히어리 Corylopsis glabrescens var. gotoana 0.44 - - 0.07

    밤나무 Castanea crenata - 0.29 - 0.14

    덜꿩나무 Viburnum erosum 0.22 - - 0.04

    Total 100.00 100.00 100.00 100.00 zImportance Percentage, yMean Importance Percentage, xCanopy Layer, wSub-tree Layer, vShrub Layer.

    HistoryItem_V1 AddMaskingTape Range: current page Mask co-ordinates: Horizontal, vertical offset 64.36, 677.47 Width 71.31 Height 30.44 points Origin: bottom left

    1 0 BL 1 CurrentPage 1

    CurrentAVDoc

    64.355 677.4653 71.3123 30.4382

    QITE_QuiteImposingPlus2 Quite Imposing Plus 2 2.0 Quite Imposing Plus 2 1

    14 19 14 1

    1

    HistoryItem_V1 AddMaskingTape Range: current page Mask co-ordinates: Horizontal, vertical offset 53.05, 659.20 Width 93.92 Height 57.40 points Origin: bottom left

    1 0 BL 1 CurrentPage 1

    CurrentAVDoc

    53.0494 659.2024 93.9235 57.3977

    QITE_QuiteImposingPlus2 Quite Imposing Plus 2 2.0 Quite Imposing Plus 2 1

    15 19 15 1

    1

    HistoryList_V1 qi2b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