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http://onland.kbstar.com 2020. 2. 10 기준 [월간] KB주택가격동향
30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단위: 전월 대비, %)

Jul 15, 2020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http://onland.kbstar.com

2020. 2. 10 기준

[월간] KB주택가격동향

Page 2: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인터넷에 제공되는 KB국민은행 KB부동산 Liiv ON 홈페이지의 「뉴스/자료실」코너를 통하여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월간] KB주택가격동향』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http://onland.kbstar.com

자료 관련 문의 KB국민은행 부동산플랫폼부 부동산정보팀

- 통계자료 관련 02) 2073-3954, 2379

- KB Houstar 관련 02) 2073-4823

Page 3: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목차

Ⅰ. 주택가격동향

1. 매매가격동향 2 2. 전세가격동향 7 3. 주택시장동향 12 4. 평균주택가격 18 5. ㎡당 평균주택가격 19 6. 중위주택가격 20 7. 5분위 평균매매/전세가격 21 8.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 22 9. KB아파트월세지수 & 전월세전환율 23 10~12. 주택가격 및 소득분위별 PIR / J-PIR / KB아파트 PIR 24 13~14. 주택구매력지수(HAI) / KB 주택구입 잠재력지수(KB-HOI) 27

Ⅱ. 통계표 (Tables)

※ 조사개요 30 1.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매매가격지수 32 2. 주요지역별 유형별 주택전세가격지수 34 3.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36 4. 주택전세가격 종합지수 43 5.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50 6.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57 7~8. 규모별 아파트 매매/전세 가격지수 64 9~10. 규모별 단독주택 매매/전세 가격지수 68 11~12. 규모별 연립주택 매매/전세 가격지수 70 13~14. 청약규모별 아파트 매매/전세 가격지수 72 15. 주요지역별 유형별 월별 주택가격지수 76 16. 주요지역별 유형별 연도별 주택가격지수 78 17. 주택규모별 월별 주택가격지수 80 18. 평균 주택 매매/전세 가격 82 19. 아파트 ㎡당 평균가격 84 20. KB아파트월세지수 & 전월세전환율 89 21. 중위주택 매매/전세가격 90 22. 규모별 아파트 매매/전세가격 92 23. 5분위 주택 매매/전세가격과 5분위 배율 96

24. ㎡당 5분위 아파트 매매/전세가격과 5분위 배율 100

25. KB 선도아파트 50지수 102

26~31.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 103

32. 매매/전세 시장동향 118

33. KB오피스텔 통계 119 34~36. 주택가격 및 소득분위별 PIR / J-PIR / KB아파트 PIR 120 37~38. 주택구매력지수(HAI) / KB주택구입 잠재력 지수(KB-HOI) 122

39~50. 상대표준오차 124

February 2020 1

Page 4: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17.2월 18.2월 19.2월 '19.11월 12월 '20.1월 2월

0.01 0.22 -0.07 0.14 0.35 0.35 0.37

0.02 0.39 -0.04 0.25 0.48 0.46 0.55

0.05 0.05 0.03 0.16 0.41 0.42 0.27

-0.05 -0.03 -0.25 -0.15 -0.05 0.01 0.03

* 수도권은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이며, 5개광역시는 인천을 제외한 광역시(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임

2 February 2020

기타지방

전 국

수도권

5개광역시

연도별 동향 최근 월별 동향

-2%

0%

2%

4%

-0.3%

0%

0.3%

0.6%

0.9%

1.2%

'18.2 '18.8 '19.2 '19.8 '20.2

전국매매가격 증감률

전월비 (좌)

전년동월비 (우)

0

20

40

60

80

100

120

'86년 '90년 '95년 '00년 '05년 '10년 '15년 '20년

매매가격지수 장기 추이

(2019.01 = 100.0)

■ 전국 주택매매가격 전월과 유사한 상승 유지

Ⅰ. 주택가격동향

1. 매매가격동향

1) 개황

20.1

20.2

62.1%

61.4%

29.0%

27.6%

9.0%

11.0%

상승지역 보합 하락지역

전국(0.37%)의 주택매매가격은 수도권과 광역시가 모두 상승하여 전월대비 상승을 기록함. 기타지방

은 상승으로 반등하며 보합권에 머물고 있음. 수도권(0.55%)은 전월에 이어 계속 상승을 기록했으며 5

개 광역시(0.27%)는 전월 대비 상승하였고, 기타지방(0.03%)은 미미한 상승을 보이며 보합을 보였음.

전국 152개 시/군/구 가운데 가격이 상승지역이 많으며 전월과 구성이 유사하다.

Page 5: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수도권 매매가격 주요 상승 및 하락지역> (단위 : %)

February 2020 February 2020 3

강남(11개구)

0.31

0.39

0.35 연수구(0.52%), 남동구(0.49%)

구로구(0.68%), 양천구(0.63%)

주요 상승지역

서울

경 기 0.78 수원 영통구(3.53%), 수원 권선구(2.72%) 이천(-0.07%)

인 천

전월비 주요 하락지역

강북(14개구) 노원구(0.68%), 중랑구(0.55%)

■ 서울은 강남과 강북 모두 전 지역이 전월대비 상승임. 구로구, 노원구가 높게 상승

0%

2%

4%

6%

8%

10%

12%

-0.5%

0%

0.5%

1%

1.5%

2%

2.5%

3%

'18.2 '18.8 '19.2 '19.8 '20.2

서울시매매가격증감률

전월비(좌)

전년동월비(우)

2) 지역별 매매가격동향

(1) 수도권

3.53

2.72 2.61

1.72 1.67 1.64

0%

0.5%

1%

1.5%

2%

2.5%

3%

3.5%

4%

수원

영통구

수원

권선구

용인

수지구

고양

덕양구

수원

장안구

수원

팔달구

수도권상승률상위지역

서울(0.35%)은 아파트를 비롯한 전 주택유형에서 지난달 대비 상승을 기록함. 강남지역에서는 구로구

(0.68%)와 양천구(0.63%)가 상승하였고, 강북지역에서는 노원구(0.68%)와 중랑구(0.55%)가 상대적

으로 높게 상승하였고 하락지역은 없음.

인천(0.35%)은 연수구(0.52%)와 남동구(0.49%)가 상승했고 하락지역이 없음.

경기(0.78%)는 수원 영통구(3.53%)와 수원 권선구(2.72%)은 지난달 보다 상승하였고 이천(-0.07%)

은 하락하였음.

Page 6: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월간] KB주택가격동향

<5개광역시 매매가격 주요 상승 및 하락지역> (단위 : %)

*5개 광역시는 인천을 제외한 광역시

4 February 2020

서구(1.31%), 유성구(0.92%)

0.11

0.84대 전

남구(0.52%), 북구(0.38%) 동구(-0.01%)울 산

주요 상승지역

광산구(0.32%), 북구(0.13%)광 주 서구(-0.05%), 남구(-0.01%)

0.27

대 구

전월비 주요 하락지역

0.27 달서구(0.63%), 수성구(0.3%)

0.09 해운대구(0.37%), 수영구(0.25%) 사상구(-0.07%), 북구(-0.07%)부 산

0%

0.6%

1.2%

-0.2%

-0.1%

0%

0.1%

0.2%

0.3%

0.4%

0.5%

'18.2 '18.8 '19.2 '19.8 '20.2

5개광역시매매가격 증감률

전월비 (좌)

전년동월비 (우)

1.31

0.92

0.72 0.63

0.52 0.40

0%

0.2%

0.4%

0.6%

0.8%

1%

1.2%

1.4%

대전

서구

대전

유성구

대전

중구

대구

달서구

울산

남구

대전

동구

5개광역시상승률상위지역

■ 대전이 큰폭으로 상승, 울산과 대구도 상승 높음

(2) 5개광역시

부산(0.09%)은 사상구(-0.07%), 북구(-0.07%)가 하락했지만 해운대구(0.37%)와 수영구(0.25%)의

상승에 전체적으로 상승을 보임.

대구(0.40%)는 서구(1.35%), 남구(0.89%) 중심으로 상승을, 광주(0.21%)는 남구(0.52%)와 광산구

(0.33%)는 상승하였고, 대전(1.39%)은 서구(2.90%), 중구(1.22%)가 큰폭으로 상승을 주도하였음.

울산(0.25%)은 남구(0.45%), 북구(0.38%)가 상승했으며 하락지역이 없음.

Page 7: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기타지방 매매가격 주요 상승 및 하락지역> (단위 : %)

* 기타지방은 수도권과 광역시를 제외한 지역, 제주는 제주시와 서귀포시 통합임

February 2020 February 2020 5

-0.07 전주 완산구(-0.16%), 익산(-0.06%)

-0.03

0.17 논산(-0.04%), 공주(-0.03%)

-0.08

경 남

-

충 남

청주 청원구(-0.07%), 청주 서원구(-0.04%)

제 주

-0.01

-0.11

진주(-0.14%), 창원 의창구(-0.02%)

경 북 경산(-0.24%), 구미(-0.18%)포항 남구(0.01%)

-0.13

김해(0.07%), 창원 성산구(0.01%)

1.44

전 남

충 북

강 원

세 종

주요 상승지역 주요 하락지역

-

원주(-0.2%), 춘천(-0.04%)

전월비

-0.01 여수(0.28%), 순천(0.01%) 목포(-0.4%)

아산(0.51%), 천안 서북구(0.14%)

전 북

-0.40

-0.24 -0.20 -0.18 -0.16 -0.14

-1.5%

-1.2%

-0.9%

-0.6%

-0.3%

0%

목포 경산 원주 구미 전주

완산구

진주

기타지방하락률상위지역

-0.13

-0.03

0.17

-0.07

-0.01

-0.11

-0.01

-0.2%

0%

0.2%

0.4%

0.6%

세종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기타지방매매가격변동률

■ 기타지방은 세종, 충남은 상승, 강원, 충북, 전북, 전남, 경상, 제주는 전월 대비 하락

(3) 기타지방

강원(-0.19%)은 춘천(-0.2%), 춘천(-0.04%)의 영향으로 하락.

충북(-0.03%)은 청주 청원구(-0.07%)와 청주 서원구(-0.04%)를 중심으로 하락, 충남(0.17%)은 아산

(0.51%), 천안 서북구(0.14%)이 상승했음.

전북(-0.07%)은 전주 완산구(-0.16%), 익산(-0.06%)이 하락했으며, 전남(-0.01%)은 여수(0.28%),

순천(0.01%)가 상승했으나 목포(-0.4%)가 하락했음.

경북(-0.11%)은 경산(-0.24%), 구미(-0.18%)의 영향으로 하락했고 경남(-0.01%)은 김해(0.07%), 창

원 성산구(0.01%)가 상승했으나 진주(-0.14%), 창원 의창구(-0.02%)는 하락.

제주시와 서귀포시가 있는 제주(-0.08%) 역시 전월 대비 하락함.

Page 8: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월간] KB주택가격동향

(단위 : %)

전년말비 전년동월비

19.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월 2월 ('20.01대비) ('19.2대비)

아파트 -0.09 -0.02 0.03 0.11 0.15 0.43 0.38 0.46 0.84 0.67

단독 0.15 0.14 0.01 0.01 0.10 0.13 0.24 0.12 0.36 1.29

연립 0.07 0.18 0.12 0.05 0.09 0.15 0.27 0.20 0.48 1.23

아파트 0.37 0.40 0.45 0.58 0.56 1.07 0.67 0.51 1.18 4.23

` 단독 0.34 0.47 0.14 0.17 0.33 0.28 0.37 0.26 0.64 4.07

연립 0.07 0.30 0.35 0.10 0.19 0.24 0.22 0.10 0.32 1.98

아파트 -0.07 -0.09 0.04 0.17 0.18 0.52 0.43 0.32 0.75 1.01

단독 0.21 0.01 -0.04 0.00 0.18 0.18 0.60 0.19 0.79 1.80

연립 0.13 0.02 0.06 -0.01 0.00 0.12 0.06 0.08 0.14 0.16

* 단독주택에는 다가구주택이, 연립주택에는 다세대주택이 포함되어 있음

* 5개광역시는 인천을 제외한 광역시(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6 February 2020

최근의 월별 동향 (전월비)

5개

광역시

서울

전국

-0.4%

-0.2%

0%

0.2%

0.4%

0.6%

0.8%

1%

1.2%

'18.2 '18.8 '19.2 '19.8 '20.2

주택유형별 증감률 추이(전국기준)

아파트 단독 연립

■ 아파트와 단독주택, 연립 모두 전월 대비 상승, 서울 아파트 8개월째 상승 이어져

(전년동월비:%)

0.67

2.23

1.01

-2.95

1.29

2.36 1.80

-0.04

1.23

1.97

0.16

-2.84

-4%

-2%

0%

2%

4%

전국 수도권 5개광역시 기타지방

전년동월대비 주택유형별증감률

아파트 단독 연립

3) 주택유형별 매매가격동향

전국의 주택유형별 매매가격은 아파트와 단독주택, 연립주택이 각각 0.46%, 0.12%, 0.20% 변동하며 전월 대

비 증감을 기록함. 서울은 아파트와 단독주택, 연립주택이 각각 0.51%, 0.26%, 0.10% 변동하며 아파트 가격

은 8개월 연속 상승함.

지역별 전년동월 대비로는 수도권에서 아파트, 단독주택, 연립주택이 각각 2.23%, 2.36%, 1.97% 증감을 보

였음. 기타지방은 아파트, 단독주택, 연립주택은 각각 -2.95%, -0.04%, -2.84% 증감한 것으로 조사됨.

Page 9: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2. 전세가격동향

1) 개황

<최근 전세가격 증감률>(단위: 전월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17.2월 18.2월 19.2월 '19.11월 12월 '20.1월 2월

0.02 0.01 -0.16 0.08 0.16 0.16 0.18

0.03 0.04 -0.21 0.13 0.26 0.21 0.24

0.05 0.02 -0.04 0.09 0.13 0.19 0.20

-0.02 -0.07 -0.17 -0.08 -0.06 0.02 0.00

* 수도권은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이며, 5개광역시는 인천을 제외한 광역시(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임

February 2020 7

연도별 동향 최근 월별 동향

수도권

전 국

5개광역시

기타지방

0

20

40

60

80

100

120

'86년 '90년 '95년 '00년 '05년 '10년 '15년 '20년

전세가격지수 장기 추이

-0.8%

-0.6%

-0.4%

-0.2%

0%

0.2%

0.4%

0.6%

0.8%

1%

1.2%

-0.2%

-0.1%

0%

0.1%

0.2%

0.3%

0.4%

'18.2 '18.8 '19.2 '19.8 '20.2

전국전세가격 증감률

전월비 (좌)

전년동월비 (우)

■ 전국 주택전세가격은 기타 일부지방만 제외한 모든 지역이 상승하며 전월 대비■

전국(0.18%)의 전월 대비 상승. 수도권(0.24%)은 전월 대비 상승을 유지함, 5개광역시(0.20%)는 전

월 대비 상승. 기타지방(0.00%)은 지역별 편차를 보이며 상승 전환.

전국 152개 시/군/구 가운데 가격이 상승인 지역이 전월대비 소폭 증가하였음.

(2019.01 = 100.0)

19.1

2월

20.1

51.0%

51.7%

43.4%

41.4%

5.5%

6.9%

상승지역 보합 하락지역

Page 10: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2) 지역별 전세가격동향

(1) 수도권

<수도권 전세가격 주요 상승 및 하락지역>(단위 : %)

8 February 2020

주요 상승지역

중랑구(0.19%), 중구(0.18%)서울

강남(11개구) 0.24

강북(14개구) 0.08

주요 하락지역전월비

영등포구(0.49%), 강남구(0.42%)

경 기 안산 상록구(-0.08%)

인 천

0.33 용인 수지구(1.36%), 수원 영통구(0.94%)

0.16 미추홀구(0.28%), 중구(0.24%)

■ 서울은 전월대비 상승, 인천과 경기 모두 상승 지속

0%

3%

6%

-0.5%

0%

0.5%

1%

'18.2 '18.8 '19.2 '19.8 '20. 2

서울시전세가격추이

전월비(좌)

전년동월비(우)

1.36

0.94 0.85

0.73

0.58 0.54

0%

0.3%

0.6%

0.9%

1.2%

1.5%

용인

수지구

수원

영통구

고양

덕양구

용인

기흥구

과천 수원

장안구

수도권상승률상위지역

서울(0.16%)은 전월(0.29%)보다 상승폭 축소. 강북지역에서는 중랑구(0.19%), 중구(0.18%)가 상

승했고 강남지역에서는 영등포구(0.49%)와 강남구(0.42%)가 상승하였음.

인천(0.16%)에서는 미추홀구(0.28%), 중구(0.24%)는 상승하여 전월대비 상승을 보임.

경기(0.33%)는 용인 수지구(1.36%)와 수원 영통구(0.94%)은 상승했지만, 안산 상록구(-0.08%)는

하락하였음.

Page 11: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5개광역시 전세가격 주요 상승 및 하락지역>(단위 : %)

*5개 광역시는 인천을 제외한 광역시

February 2020 February 2020 9

동구(-0.34%)

대 전

사하구(0.49%), 해운대구(0.08%)

남구(0.39%), 북구(0.33%)

북구(-0.03%)

주요 상승지역 주요 하락지역

0.16

부 산

대 구

0.07

전월비

대덕구(-0.01%)

수성구(0.3%), 달성군(0.26%)0.18

광 주 광산구(0.45%), 서구(0.13%)

유성구(0.97%), 서구(0.86%)

0.20울 산

0.59

-0.4%

-0.2%

0%

0.2%

0.4%

0.6%

0.8%

1%

1.2%

-0.15%

-0.1%

-0.05%

0%

0.05%

0.1%

0.15%

0.2%

0.25%

0.3%

'18.2 '18.8 '19.2 '19.8 '20. 2

5개광역시전세가격 증감률

전월비 (좌)

전년동월비 (우)0.97

0.86

0.49 0.47 0.45 0.39

0%

0.2%

0.4%

0.6%

0.8%

1%

1.2%

대전

유성구

대전

서구

부산

사하구

대전

동구

광주

광산구

울산

남구

5개광역시상승률상위지역

■ 대전, 울산, 대구, 광주 및 부산까지 모두 전월 대비 상승

(2) 5개광역시

부산(0.07%)은 사하구(0.49%), 해운대구(0.08%)가 상승했고 북구(-0.03%)가 하락해서 전체적으로 소

폭 상승.

대구(0.18)는 수성구(0.30%), 달성군(0.26%)가 상승했고 광주(0.16%)는 광산구(0.45%), 서구

(0.13%)가 상승하였음.

대전(0.59%)은 유성구(0.97%), 서구(0.86%)가 상승함.

울산(0.20%)은 동구(-0.34%)가 하락했지만 남구(0.39%), 북구(0.33%)가 상승하였음.

Page 12: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월간] KB주택가격동향

<기타지방 전세가격 주요 상승 및 하락지역> (단위 : %)

전월비

0.87

-0.07

0.01

0.03

-0.06

-0.02

-0.03

-0.05

-0.03

* 기타지방은 수도권과 광역시를 제외한 지역

10 February 2020

청주 청원구(0.05%)

아산(0.09%), 천안 서북구(0.03%)

순천(0.05%)

경산(0.04%)

충 남

제 주

주요 상승지역 주요 하락지역

-

충 북

전 북

전 남

경 북

-

진주(-0.14%), 창원 의창구(-0.12%)

구미(-0.13%)

목포(-0.15%)

군산(-0.11%), 전주 덕진구(-0.1%)

춘천(-0.16%)

경 남

청주 흥덕구(-0.01%), 충주(-0.01%)

세 종

강 원

-0.16 -0.15 -0.14 -0.13 -0.12 -0.11

-2%

-1.6%

-1.2%

-0.8%

-0.4%

0%

춘천 목포 진주 구미 창원

의창구

군산

기타지방하락률상위지역

■ 세종, 충남, 충북이 상승하였고, 제주를 비롯해 나머지 지역 모두 하락

0.87

-0.07

0.01 0.03

-0.06 -0.02 -0.03 -0.05

-0.2%

0%

0.2%

0.4%

0.6%

0.8%

1%

세종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기타지방전세가격상승률

(3) 기타지방

강원(-0.07%)은 춘천(-0.16)의 영향으로 하락함.

충북(0.01%)은 청주 흥덕구(-0.01%), 충주(-0.01%)에서 하락했지만 청주 청원구(0.05%)는 상승함.

충남(0.03%)은 아산(0.09%)과 천안 서북구(0.03%)가 상승했음.

전북(-0.06%)은 군산(-0.11%), 전주 덕진구(-0.10%)에서 하락했으며, 전남(-0.02%)은 목포(-

0.15%)이 하락했음.

경북(-0.03%)은 구미(-0.13%)의 영향으로 하락을 보이고, 경남(-0.05%)는 진주(-0.14%), 창원 의창

구(-0.12%)의 영향으로 하락.

제주시와 서귀포시가 있는 제주(-0.03%) 는 전월 대비 하락임.

Page 13: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단위 : %)

전년말비 전년동월비

19.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월 2월 ('20.01대비) ('19.2대비)

아파트 -0.12 -0.02 0.00 0.06 0.09 0.17 0.20 0.46 0.84 0.67

단독 0.06 0.00 -0.05 0.01 0.03 0.07 0.12 0.12 0.36 1.29

연립 -0.01 0.04 -0.02 0.06 0.04 0.17 0.03 0.20 0.48 1.23

아파트 0.03 0.12 0.13 0.24 0.21 0.38 0.35 0.51 1.18 4.23

단독 0.03 0.12 0.06 0.19 0.18 0.15 0.30 0.26 0.64 4.07

연립 0.00 0.27 0.27 0.17 0.15 0.38 0.17 0.10 0.32 1.98

아파트 -0.06 -0.01 0.04 0.10 0.10 0.14 0.20 0.32 0.75 1.01

단독 0.01 -0.01 -0.10 0.00 0.08 0.12 0.24 0.19 0.79 1.80

연립 0.16 -0.14 -0.08 -0.03 0.05 0.12 0.02 0.08 0.14 0.16

* 단독주택에는 다가구주택이, 연립주택에는 다세대주택이 포함되어 있음

* 5개광역시는 인천을 제외한 광역시(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February 2020 February 2020 11

서울

5개

광역시

최근의 월별 동향 (전월비)

전국

-0.4%

-0.2%

0%

0.2%

0.4%

'18.2 '18.8 '19.2 '19.8 '20.2

주택유형별 증감률 추이(전국기준)

아파트 단독 연립

■ 아파트, 단독주택과 연립 모두 상승, 서울의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세

0.67 0.43

1.01

-1.95

1.29

0.49

1.80

(0.22)

1.23

0.75

0.16

-2.85

-4%

-2%

0%

2%

4%

전국 수도권 5개광역시 기타지방

전년동월대비 주택유형별증감률

아파트 단독 연립

3) 주택유형별 전세가격동향

전국의 주택유형별 전세가격 동향은 아파트, 단독주택, 연립주택이 각각 0.46%, 0.12%, 0.20% 로 증감

하였고, 서울은 아파트, 단독주택, 연립주택이 각각 0.51%, 0.26%, 0.10% 변동하였음.

지역별 전년동월 대비로는 수도권에서 아파트, 단독주택, 연립주택이 각각 0.43%, 0.49%, 0.75% 증감하

며 올해의 아파트 시장이 전년대비해서 하락 추세가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반면, 단독과 연립주택은 상대적

인 강세를 보임. 한편, 기타지방은 아파트, 단독주택, 연립주택은 각각 -1.95%, -0.22%, -2.85% 증감한

것으로 조사됨.

Page 14: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3. 주택시장동향

1) 매매시장동향

<매매시장 동향>(비중단위 : %)

17.2월 18.2월 19.2월 '19.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월 2월

57.4 55.8 74.7 65.5 61.7 60.5 54.0 46.2 45.3 43.7

4.1 10.3 2.0 5.4 4.8 8.5 12.5 16.2 13.4 15.5

38.5 33.9 23.2 29.1 33.6 31.1 33.4 37.5 41.4 40.8

46.6 54.6 27.3 40.0 43.1 48.0 58.5 70.0 68.1 71.8

주) 매수우위지수는 매도자많음/매수자많음/비슷함 3가지 중 하나를 부동산중개업소에서 선택하도록 하여 작성된

지표로 『매수우위지수』가 100을 초과할수록 '매수자가 많다' 를, 100 미만일 경우 '매도자가 많다'를 의미

주) 매수우위지수 = 100 + "매수자많음" 비중 - "매도자많음" 비중

12 February 2020

매수우위지수

비슷함 비중

연도별 동향 최근 월별 동향

매수자많음 비중

매도자많음 비중

0

25

50

75

100

125

150

175

200

기타

지방

지역별매수우위지수

(100이상=매수자많음)

2월지수 전국평균

0

25

50

75

100

125

150

175

200

'17.2 '17.8 '18.2 '18.8 '19.2 '19.8 '20.2

매수우위지수 추이

(100이상=매수자많음)

전국 서울

■ 전국의 매수우위지수는 '매도자 많음' 유지, 서울의 '매수문의 ' 감소

일선 중개업소에서 체감하는 매도자와 매수자 비중을 조사하여 작성되는 매수우위지수주)는 전월대비 하락하며

매도자가 많은 많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매수자많음 비중'은 줄어들고 '매도자많음 비중'은 전월대비 소폭 상

승.

세부 지역별로는 서울 강남지역이 91.7로 조사되며 지난달(97.4)보다 하락하며 서울지역에 대한 매수기대가 축

소되고 있음. 서울과 대전을 제외한 전 지역이 "매도자가 많은"(100이하)것 으로 나타남.

Page 15: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oooo

2) 매매거래동향

<매매거래 동향>(비중단위 : %)

17.2월 18.2월 19.2월 '19.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월 2월

0.4 1.5 0.1 0.4 0.5 1.6 2.6 3.2 2.6 3.6

9.5 13.2 3.4 11.0 12.2 18.6 20.4 23.2 21.4 24.8

90.1 85.2 96.5 88.6 87.3 79.8 76.9 73.6 76.0 71.6

10.3 16.3 3.7 11.7 13.2 21.9 25.7 29.6 26.7 31.9

주) 매매거래지수는 활발함, 보통, 한산함의 3가지 중 하나를 부동산중개업소에서 선택하도록 하여 작성된 지표로

지수가 100 이면 '활발함'과 '한산함'이 같은 수준이고 100을 초과할수록 '활발함' 비중이 높음

주) 매매거래지수 = 100 + "활발함" 비중- "한산함" 비중

February 2020 February 2020 13

매매거래지수

한산함 비중

보통 비중

최근 월별 동향연도별 동향

활발함 비중

0

20

40

60

80

'17.2 '17.8 '18.2 '18.8 '19.2 '19.8 '20.2

매매거래지수 추이

전국

서울

0

20

40

60

80

기타

지방

지역별매매거래지수

2월지수 전국평균

■ 전국의 매매거래지수는 매매거래 '매우 한산함'이 지속, 서울은 다시 하락

일선 중개업소에서 체감하는 매매거래 활발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인 전국의 매매거래지수주)는 31.9로 조사되어

전월(26.7)대비 상승했으나 기준치인 100을 여전히 크게 하회한 것으로 나타남.

지역별로는 인친(49.8)이 전월(37.7)대비 상승하는데 그치며 거래 빈도 여전히 낮은 모습을 보였으며, 부산은

11.2로 가장 낮은 거래지수를 보여 거래시장이 매우 위축된 것으로 조사됨.

Page 16: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월간] KB주택가격동향

3) 전세시장동향

<전세수급 동향>(비중단위 : %)

17.2월 18.2월 19.2월 '19.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월 2월

62.4 39.0 27.8 44.0 49.1 57.4 57.4 58.4 60.7 64.8

8.0 19.3 28.9 14.8 10.6 8.7 6.9 9.0 8.3 7.1

29.6 41.7 43.3 41.2 40.3 34.0 35.7 32.6 31.0 28.1

154.4 119.7 99.0 129.2 138.5 148.7 150.5 149.3 152.4 157.7

주) 전세수급지수는 전세수요에 비해 전세공급물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부동산중개업소를 통해 조사한 지표로

지수가 100 이면 모두 '공급이 부족함'과 '공급이 충분함'이 같고 100을 초과할수록 '공급이 부족함' 비중이 높음

주) 전세수급지수 = 100 + "공급부족" 비중 - "공급충분" 비중

14 February 2020

공급충분 비중

전세수급지수

공급적절 비중

연도별 동향 최근 월별 동향

공급부족 비중

80

100

120

140

160

180

200

'17.2 '17.8 '18.2 '18.8 '19.2 '19.8 '20.2

전세수급지수 추이

전국 서울60

80

100

120

140

160

180

200

기타

지방

지역별전세수급지수

2월지수

전국평균

■ 전국의 전세수급지수는 전월대비 상승을 계속하며 전세물량 '공급부족' 상태

일선 중개업소에서 체감하는 전세공급 물량 부족 정도를 나타내는 전국의 전세수급지수주)는 157.7 기록, 전달

(152.4)대비 소폭 상승. 기존 전세 물량은 소진되고 더이상의 전세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서 전세수요에 미치

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줌.

지역별로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아직은 전세수급 불균형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광역시는 부산, 대구, 인

천, 광주, 대전 모두 전세수급지수가 140이상 높아 보여서 전세공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Page 17: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4) 전세거래동향

<전세거래 동향>(비중단위 : %)

17.2월 18.2월 19.2월 '19.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월 2월

1.6 1.2 0.8 0.8 1.2 2.1 2.2 3.1 2.8 3.8

16.6 17.8 13.8 17.4 18.8 23.2 23.0 24.6 25.9 29.7

81.8 80.9 85.5 81.8 80.0 74.6 74.8 72.4 71.3 66.5

19.9 20.3 15.3 19.0 21.2 27.5 27.4 30.7 31.5 37.3

주) 전세거래지수는 활발함, 보통, 한산함의 3가지 중 하나를 부동산중개업소에서 선택하도록 하여 작성된 지표로

지수가 100 이면 모두 '활발함'과 '한산함'비중이 같고 100을 초과할수록 '활발함' 비중이 높음

주) 전세거래지수 = 100 + "활발함" 비중 - "한산함" 비중

February 2020 February 2020 15

한산함 비중

전세거래지수

활발함 비중

보통 비중

최근 월별 동향연도별 동향

10

20

30

40

50

60

'17.2 '17.8 '18.2 '18.8 '19.2 '19.8 '20.2

전세거래지수 추이

전국 서울

0

20

40

60

기타

지방

2월지수 전국평균

지역별 전세거래지수

■ 전국의 전세거래지수는 여전히 거래활동이 '매우 한산함'을 보임'

일선 중개업소에서 체감하는 전세거래 활발정도를 나타내는 전세거래지수주)는 전월 대비 하락하며 여전히 '한산

함'을 보여줌.

지역별로는 수도권과 광역시에서 인천, 대전, 경기 지방은 전국평균을 상회하였으며, 그 외 지역은 전국평균을 하

회한 것으로 나타남.

Page 18: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월간] KB주택가격동향

5) KB부동산 매매가격 전망지수

<KB부동산 매매가격 전망지수>(비중단위 : %)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기타지방

0.8 0.7 0.0 0.0 2.5 0.8 1.5 0.0 1.5 0.3

27.2 28.4 8.8 19.8 36.0 8.7 42.1 25.4 39.3 19.9

63.9 61.1 84.6 72.1 57.7 74.5 53.0 73.5 54.9 67.5

8.0 9.6 6.3 8.0 3.8 16.0 3.5 1.1 4.2 12.1

0.1 0.2 0.3 0.0 0.0 0.0 0.0 0.0 0.1 0.1

110.4 109.9 101.0 105.9 118.5 97.2 120.8 112.2 119.0 104.1

주) KB부동산 매매가격 전망지수 : 향후 3개월 후 아파트 매매가격에 대해 '크게상승', '약간상승', '보합', '약간하락', '크게하락'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여 작성된 지표로 지수가 100이면 '보합'을 나타내며 100을 초과할 수록 '상승' 비중이 높음

주) KB부동산 매매가격 전망지수 = 100+{("크게상승"비중x1.0+"약간상승"비중x0.5)-("약간하락"비중x0.5+"크게하락"비중x1.0)}

※ 중개업소가 영업기간 중 상황변화만을 기준으로 주관적으로 응답한 것이므로 실제가격 및 거래량 변화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16 February 2020

크게하락

약간하락

보합

크게상승

약간상승

KB부동산 매매가격 전망지수주)

■ KB부동산 매매가격 전망지수는 전달 대비 하락한 102.2, 기준점인 100에 근접

일선 중개업소에서 체감하는 부동산 경기 흐름을 토대로 3개월 후 아파트 매매가격동향을 조사하는 KB부동산 매

매가격 전망지수주)는 전월(111.0)대비 하락한 102.2기록, 부동산 매매가격의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축소되면

서 긍정적인 기대감이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지역별로는 대전(120.8), 경기(119.0) 만이 115를 넘기며 기대감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상대적으로 광주지역

은 기준치인 100을 하회 하면서 3개월 후 아파트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측하였음.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7.2 '17.8 '18.2 '18.8 '19.2 '19.8 '20.2

KB부동산 매매가격 전망지수 추이

전국 서울 50

70

90

110

130

150

기타

지방

2월지수 전국평균

지역별 KB부동산 매매가격 전망지수지역별 KB부동산 매매가격 전망지수

Page 19: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6) KB부동산 전세가격 전망지수

<KB부동산 전세가격 전망지수>(비중단위 : %)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기타지방

0.5 0.6 0.0 0.0 0.8 0.8 2.1 0.0 0.5 0.5

29.3 35.9 15.3 29.8 31.7 19.0 28.9 31.8 35.9 22.2

66.1 59.6 81.3 67.8 65.3 74.3 67.7 67.2 60.5 70.8

4.0 3.7 3.3 2.4 2.3 5.9 1.3 1.1 3.1 6.3

0.1 0.2 0.0 0.0 0.0 0.0 0.0 0.0 0.0 0.1

113.1 116.5 106.0 113.7 115.4 107.4 115.9 115.4 116.9 108.4

주) KB부동산 전세가격 전망지수 : 향후 3개월 후 아파트 전세가격에 대해 '크게상승', '약간상승', '보합', '약간하락', '크게하락'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여 작성된 지표로 지수가 100이면 '보합'을 나타내며 100을 초과할 수록 '상승' 비중이 높음

주) KB부동산 전세가격 전망지수 = 100+{("크게상승"비중x1.0+"약간상승"비중x0.5)-("약간하락"비중x0.5+"크게하락"비중x1.0)}

※ 중개업소가 영업기간 중 상황변화만을 기준으로 주관적으로 응답한 것이므로 실제가격 및 거래량 변화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February 2020 February 2020 17

크게상승

약간상승

보합

약간하락

크게하락

KB부동산 전세가격 전망지수주)

■ KB부동산 전세가격 전망지수는 전월대비 상승하며 전세가에 대한 상승 기대가 여전히 높음

일선 중개업소에서 체감하는 부동산 경기 흐름을 토대로 3개월 후 아파트 전세가격동향을 조사하는 KB부동산 전

세가격 전망지수주)는 지난 달(113.1)보다 상승한 110.8 기록, 기준치인 100을 상회.

지역별로는 가장 높은 지역인 경기 116.9를 비롯해 서울(116.5), 대전(115.9), 울산(115.4), 인천(115.4) 지역

의 전망지수가 115을 넘어서며 3개월 후 전세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 비중이 높아졌음.

0.5

29.3

66.1

4.0 0.1

0

20

40

60

80

크게상승 약간상승 보합 약간하락 크게하락

항목별 KB부동산 전세가격 전망지수

50

70

90

110

130

150

기타

지방

2월지수

전국평균

지역별 KB부동산 전세가격 전망지수

Page 20: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월간] KB주택가격동향

4. 평균 주택가격

<평균매매가격>(단위 : 만원)

<평균전세가격>(단위 : 만원)

종합 아파트 단독 연립 종합 아파트 단독주)

연립

전국 36,002 38,778 38,746 19,458 21,799 24,741 17,265 13,097

5개광역시 26,601 28,699 28,248 12,858 17,099 19,888 12,457 8,536

수도권 47,263 53,542 64,751 22,109 27,766 32,458 27,938 14,868

기타지방 18,773 17,644 22,704 9,317 12,363 13,281 11,036 6,567

주) 단독주택의 평균 전세가격은 1주택에 거주하는 모든 세대의 전세금을 합한 금액

<주요지역 평균매매 및 평균전세가격>(단위 : 만원)

전국 서울 인천 5개광역시 수도권 경기 기타지방

종합 36,002 69,145 23,089 26,601 47,263 35,568 18,773

아파트 38,778 89,864 27,700 28,699 53,542 37,695 17,644

종합 21,799 37,099 16,283 17,099 27,766 23,118 12,363

아파트 24,741 48,077 20,584 19,888 32,458 25,822 13,281

18 February 2020

매매가격

전세가격

360

691

231

356

473

266 188

218

371

163

231 278

171 124

전국 서울 인천 경기 수도권 5개

광역시

기타

지방

지역별매매/전세평균가격(종합기준)

매매

전세

(단위:백만원)

360 388 387

195 218

247

173 131

종합 아파트 단독 연립

유형별 매매/전세 평균가격(전국기준)

매매

전세

(단위:백만원)

전국의 종합기준 평균 매매가격은 36,002만원으로 전월(35,028만원)대비 상승함. 주택 유형별 평균 매매가격은

아파트가 38,778만원(전월 대비 상승), 단독주택 38,746만원(전월 대비 소폭 상승), 연립주택이 19,458만원(전

월 대비 상승)으로 조사됨.

한편, 전국의 종합기준 평균 전세가격은 21,799만원으로 전월(21,600만원)대비 상승함. 주택 유형별 평균 전세가

격은 아파트가 24,741만원(전월 대비 상승), 단독주택이 17,265만원(전월 대비 보합), 연립주택이 13,097만원

(전월 대비 소폭 상승)으로 조사됨.

Page 21: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5. ㎡당 평균 주택가격

<㎡당 평균매매가격>(단위 : 만원)

<㎡당 평균전세가격>(단위 : 만원)

종합 아파트 단독 연립 종합 아파트 단독주)

연립

전국 396.2 453.3 214.0 302.8 247.8 289.6 97.0 205.5

5개광역시 277.8 329.0 155.5 173.7 187.3 230.6 71.6 116.5

수도권 538.6 627.0 381.6 351.3 324.8 379.2 167.7 238.1

기타지방 177.6 210.2 104.1 131.7 125.8 159.0 51.2 92.9

주) 단독주택의 평균 전세가격은 1주택에 거주하는 모든 세대의 전세금을 합한 금액

<주요지역 ㎡당 평균매매 및 평균전세가격>(단위 : 만원)

전국 서울 인천 5개광역시 수도권 경기 기타지방

종합 396.2 790.6 284.0 277.8 538.6 397.1 177.6

아파트 453.3 1,043.2 335.7 329.0 627.0 444.3 210.2

종합 247.8 435.6 205.3 187.3 324.8 264.8 125.8

아파트 289.6 553.4 251.9 230.6 379.2 304.0 159.0

* 면적은 전용면적 기준임

February 2020 February 2020 19

매매가격

전세가격

396

791

284

397

539

278

178 248

436

205 265

325

187 126

전국 서울 인천 경기 수도권 5개

광역시

기타

지방

지역별㎡당매매/전세평균가격(종합)

매매

전세

(단위:만원)

396

453

214

303

248

290

97

205

종합 아파트 단독 연립

유형별 ㎡당 매매/전세 평균가격(전국)

매매

전세

(단위:만원)

전국의 ㎡당 평균 매매가격은 396.2만원으로 전월(389.0만원) 대비 상승함.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453.3

만원으로 전월대비 상승, 단독주택이 214.0만원으로 유사, 연립주택이 302.8만원으로 전월과 유사한 것으로

조사됨.

한편, 전국의 ㎡당 평균 전세가격은 247.8만원으로 전월(245.5만원) 대비 소폭 상승함.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

트가 289.6만원으로 전월대비 상승, 단독주택이 97.0만원으로 유사, 연립주택이 205.5만원으로 전월 대비 소

폭 상승함.

Page 22: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월간] KB주택가격동향

6. 중위 주택가격 주1)

<중위 주택매매가격>(단위 : 만원)

<중위 주택전세가격>(단위 : 만원)

종합 아파트 단독 연립 종합 아파트 단독주)연립

전국 33,610 37,370 32,080 17,202 19,953 23,129 13,717 12,040

5개광역시 22,549 24,762 22,284 10,914 14,919 17,737 9,408 7,520

수도권 46,100 53,908 56,754 19,598 26,136 31,038 23,857 13,744

기타지방 15,195 15,007 16,741 8,568 10,356 11,801 7,613 5,977

주) 단독주택의 평균 전세가격은 1주택에 거주하는 모든 세대의 전세금을 합한 금액

<주요지역 중위 주택매매 및 전세가격>(단위 : 만원)

전국 서울 인천 5개광역시 수도권 경기 기타지방

종합 33,610 69,610 20,781 22,549 46,100 33,347 15,195

아파트 37,370 94,798 25,019 24,762 53,908 36,022 15,007

종합 19,953 34,505 15,701 14,919 26,136 22,009 10,356

아파트 23,129 44,778 20,537 17,737 31,038 25,212 11,801

주1) 중위가격은 중앙가격이라고도 하며 주택가격을 순서대로 나열했을때 중앙에 위치하는 가격을 의미

중위가격이 전반적으로 평균가격에 비해 낮은 것은 중위가격이 평균가격에 비해 고가주택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

(반대의 경우 가능함; 세대수가 많은 저가주택의 영향으로 평균가격이 낮은 경우)

20 February 2020

매매가격

전세가격

전국의 중위 매매가격은 33,610만원으로 전월(32,567만원) 대비 상승함.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37,370만원으로 전월대비 상승했고, 단독주택 32,080만원으로 전월대비 상승, 연립주택 17,202만원으로

소폭 상승함.

한편, 전국의 중위 전세가격은 19,953만원으로 전월(19,828만원) 대비 소폭 상승함. 주택유형 별로는 아파

트가 23,129원으로 상승하였고, 단독주택이 13,717만원으로 유사하였고, 연립주택이 12,040만원으로 전

월 대비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남.

336

696

208

333

461

225

152 200

345

157

220 261

149 104

전국 서울 인천 경기 수도권 5개

광역시

기타

지방

지역별매매/전세중위가격(종합기준)

매매

전세

(단위:백만원)

336 374

321

172 200

231

137 120

종합 아파트 단독 연립

유형별 매매/전세 중위가격(전국기준)

매매

전세

(단위:백만원)

Page 23: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7. 5분위 평균 매매/전세가격 주1)

<주요지역별 5분위 평균주택가격> (단위 : 만원, 배, 종합기준)

1분위 2분위 3분위 4분위 5분위

매매 11,231 19,473 28,551 43,340 81,205

전세 8,038 14,613 20,610 28,887 47,418

매매 33,839 59,888 78,358 108,218 184,135

전세 20,146 32,974 41,619 53,245 84,081

매매 10,796 17,578 23,568 31,555 53,262

전세 7,655 12,949 17,328 22,379 35,791

매매 17,871 29,879 43,529 65,163 114,632

전세 12,851 21,408 28,528 38,424 61,537

매매 6,578 10,778 14,974 20,194 38,010

전세 4,911 8,676 12,009 15,902 27,502

주1) 5분위 평균주택가격은 주택가격을 가격순으로 5등분한 5개 분위별 평균주택가격

February 2020 February 2020 21

주2) 5분위 배율은 주택가격 상위 20% 평균(5분위 가격)을 주택가격 하위 20% 평균(1분위 가격)으로 나눈 값이며,

고가주택과 저가주택간의 가격격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배율이 높을수록 가격 격차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

4.8

6.4수도권

5.8

5.6기타지방

5분위배율주2)

7.2

5.9전국

5.4

4.2서울

4.9

4.75개광역시

주택가격을 가격순으로 5등분한 전국의 분위별 평균매매가격은 1분위 ~ 5분위 가격이 각각 11,231만원(상승),

19,473만원(상승), 28,551만원(상승), 43,340만원(상승), 81,205만원(상승)으로 나타남. (※ 괄호안은 전월 대

비)

한편, 고가주택과 저가주택간의 가격격차를 나타내는 5분위 배율은 전국기준으로 매매는 7.2배(상승), 전세는

5.9배(상승) 수준으로 조사됨. (※ 괄호안은 전월 대비)

5.4

6.4

4.9

5.8 5.9

4.2

4.8 4.7

5.6

3.00

4.00

5.00

6.00

7.00

전국 서울 수도권 5개

광역시

기타지방

주요지역별 5분위배율

매매 전세

112

195

286

433

80 146

206

289

474

0

200

400

600

800

1분위 2분위 3분위 4분위 5분위

전국기준분위별평균주택가격

매매 전세

(단위:백만원)(단위:배)

Page 24: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월간] KB주택가격동향

8.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

<지역별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 (단위 : %)

전국 서울 강북 강남 5개광역시 수도권 경기 기타지방

65.5 58.5 59.9 57.1 65.3 64.4 67.5 68.2

70.0 56.0 58.8 53.6 70.2 66.9 71.6 76.4

46.1 42.9 43.4 42.1 45.0 44.1 45.4 48.5

68.7 68.9 70.0 67.8 67.9 68.6 67.2 71.1

< 최근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 추이(전국기준)> (단위 : %)

'19.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월 2월

66.2 66.2 66.2 66.1 66.0 65.8 65.7 65.5

70.7 70.6 70.6 70.5 70.5 70.2 70.0 70.0

46.2 46.2 46.2 46.2 46.2 46.2 46.1 46.1

68.9 68.9 68.9 68.9 68.9 68.9 68.8 68.7

* 2019.1월부터 개편된 표본으로 조사되었으므로 자료활용 시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 단독주택의 평균 전세가격은 1주택에 거주하는 모든 세대의 전세금을 합한 금액

22 February 2020

연 립

연 립

종 합

아 파 트

단 독

종 합

아 파 트

단 독

65.5%58.5%

65.3% 64.4%68.2%

20%

40%

60%

80%

100%

전국 서울 5개

광역시

수도권 기타

지방

지역별 주택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

■ 전국 주택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는 전월대비 하락

전국의 주택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는 65.5%로 전월(65.8%) 대비 하락임.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70.0%(하

락), 단독주택 46.1%(하락), 연립주택이 68.7%(하락)로 조사되었음. (※ 괄호안은 전월 대비)

지역별로는 서울이 58.5%로 조사되며 전월대비 하락이며, 경기도는 67.5%로 전월 대비 하락.

65.5%70.0%

46.1%

68.7%

20%

40%

60%

80%

100%

종합 아파트 단독 연립

유형별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

Page 25: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9. KB아파트 월세지수 & 전월세전환율

(단위 : %)

전년말대비

'19.10월 '19.11월 '19.12월 '20.1월 '20.2월 ('19.12대비)

월세지수 변동률 0.01 -0.07 0.12 0.06 -0.01 -0.01

전월세전환율 4.14 4.11 4.09 4.07 4.04

월세지수 변동률 0.00 -0.07 0.04 0.02 0.07 0.01

전월세전환율 4.24 4.22 4.21 4.19 4.17

월세지수 변동률 0.02 -0.07 0.19 0.10 -0.09 -0.02

전월세전환율 4.04 4.01 3.98 3.95 3.91

월세지수 변동률 -0.01 -0.03 -0.01 0.00 -0.02 -0.28

전월세전환율 5.41 5.40 5.38 5.37 5.34

` 월세지수 변동률 0.00 -0.05 -0.03 0.05 -0.09 -0.92

전월세전환율 5.35 5.34 5.31 5.30 5.27

월세지수 변동률 0.00 -0.05 0.02 0.04 -0.06 -0.55

전월세전환율 4.98 4.96 4.94 4.92 4.90

* KB아파트 월세지수는 중형(95.86m²)이하 아파트를 대상으로 조사함

* 조사지역은 수도권(서울 강남, 강북, 인천, 경기), 5개 광역시 및 기타지방은 추후 확대 예정

February 2020

최근 월별 동향

서울

강북

강남

인천

경기

수도권

23

■ 서울의 월세지수는 전월대비 상승

(전년동월비)%:

4.04 4.17 3.91

5.34 5.27 4.90

0%

3%

6%

9%

서울 서울

강북

서울

강남

인천 경기 수도권

지역별전월세전환율

2016년 1월부터 조사를 시작한 KB아파트 월세지수는 서울은 0.12%로 전월대비 상승으로 조사됨. 경기(-

0.03%), 수도권(0.02%), 인천 (-0.01%) 등락을 보임.(※ 괄호안은 전월 대비)

한편, 임대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되는 이율을 조사하는 KB전월세전환율은 서울, 인천, 경기가 각각

4.09%(감소), 5.38%(감소), 5.31%(감소)로 전월대비 등락을 보임. 수도권은 4.94%를 기록하며 전월대비

하락.

-0.4%

-0.2%

0%

0.2%

0.4%

'19.2 '19.4 '19.6 '19.8 '19.10 '19.12 '20.2

지역별 KB아파트 월세지수 변동률

서울 인천 경기

Page 26: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주택매매가격 및 소득분위별 PIR(2019.12월기준) (단위: 만원, 배)

1분위 2분위 3분위 4분위 5분위

11,204 19,301 28,042 42,163 78,905

1분위 1,588 7.1 12.2 17.7 26.5 49.7

2분위 3,528 3.2 5.5 7.9 11.9 22.4

3분위 5,149 2.2 3.7 5.4 8.2 15.3

4분위 7,009 1.6 2.8 4.0 6.0 11.3

5분위 11,351 1.0 1.7 2.5 3.7 7.0

1분위 2분위 3분위 4분위 5분위

33,120 58,019 76,043 104,260 180,339

1분위 1,655 20.0 35.1 46.0 63.0 109.0

2분위 3,629 9.1 16.0 21.0 28.7 49.7

3분위 5,249 6.3 11.1 14.5 19.9 34.4

4분위 7,163 4.6 8.1 10.6 14.6 25.2

5분위 11,582 2.9 5.0 6.6 9.0 15.6

주) 소득은 2019년 1분기 기준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자료이며, 전국은 전가구 기준 소득, 서울은 도시가구 기준 소득임.

주택가격은 2019년 3월 기준 KB주택가격동향 5분위 평균 주택가격 자료임

주) 본 페이지는 통계청의 '가구연소득'이 발표되는 5월(1분기), 8월(2분기), 11월(3분기), 2월(전년4분기)에 업데이트 됩니다.

24 February 2020

서울

전국

10. 주택매매가격 및 소득분위별 PIR (Price to Income Ratio) (2월,5월,8월,11월 업데이트)

2.2

3.7 5.4

8.2

15.3

1분위 2분위 3분위 4분위 5분위

중간소득의주택가격대별 PIR

(단위:배 / 기준: 전국기준)

평균매매가격

평균매매가격

5.4

4.5

5.0

5.5

6.0

'15.12 '16.12 '17.12 '18.12 '19.12

(단위:배 / 전국기준)

중간소득, 중간주택가격의 PIR 추이

연소득대비 주택가격비율인 PIR은 주택 구매능력을 나타내는 주요지표로 주택가격을 가구당

연소득으로 나눈 배수임. 2019년 12월 기준 전국의 중간정도의 평균주택가격은 28,042만원으로

중간소득가구 연소득 (5,149만원)의 5.4배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전분기인 2019년 9월(5.4배) 대비

변동이 없는 수치임.

가구연소득(전국

가구연소득(도시)

Page 27: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주택전세가격 및 소득분위별 J-PIR(2019.12월기준) (단위: 만원, 배)

1분위 2분위 3분위 4분위 5분위

8,034 14,546 20,327 28,491 46,607

1분위 1,588 5.1 9.2 12.8 17.9 29.3

2분위 3,528 2.3 4.1 5.8 8.1 13.2

3분위 5,149 1.6 2.8 3.9 5.5 9.1

4분위 7,009 1.1 2.1 2.9 4.1 6.6

5분위 11,351 0.7 1.3 1.8 2.5 4.1

1분위 2분위 3분위 4분위 5분위

20,024 32,773 41,115 52,433 83,261

1분위 1,655 12.1 19.8 24.8 31.7 50.3

2분위 3,629 5.5 9.0 11.3 14.4 22.9

3분위 5,249 3.8 6.2 7.8 10.0 15.9

4분위 7,163 2.8 4.6 5.7 7.3 11.6

5분위 11,582 1.7 2.8 3.5 4.5 7.2

주) 소득은 2019년 1분기 기준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자료이며, 전국은 전가구 기준 소득, 서울은 도시가구 기준 소득임.

주택전세가격은 2019년 3월 기준 KB주택가격동향 5분위 평균 주택전세가격 자료임

주) 본 페이지는 통계청의 '가구연소득'이 발표되는 5월(1분기), 8월(2분기), 11월(3분기), 2월(전년4분기)에 업데이트 됩니다.

February 2020 February 2020 25

11. 주택전세가격 및 소득분위별 J-PIR (Jeonse Price to Income Ratio) (2/5/8/11월 업데이트)

전국

서울

1.6

2.8

3.9 5.5

9.1

1분위 2분위 3분위 4분위 5분위

중간소득의 전세가격대별 J-PIR

(단위:배 / 기준: 전국기준)

평균전세가격

가구연소득(전국

평균전세가격

가구연소득(도시)

4.0

3.9

3.0

3.5

4.0

4.5

'15.12 '16.12 '17.12 '18.12 '19.12

(단위:배 / 전국기준)

중간소득, 중간전세가격의 J-PIR 추이

연소득대비 전세가격비율인 J-PIR은 주택 구매능력을 나타내는 주요지표로 주택전세가격을 가구당

연소득으로 나눈 배수임. 2019년 12월 기준 전국의 중간정도의 평균전세가격은 20,327만원으로

중간소득가구 연소득 (5,149만원)의 3.9배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전분기인 2019년 9월(3.9배) 대비

변동이 없는 수치임.

Page 28: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월간] KB주택가격동향

12. KB 아파트 PIR (KB Apartment Price to Income Ratio) (2월,5월,8월,11월 업데이트)

< 아파트 가격 및 가구 연소득주1) > (단위: 만원)

서울 경기 인천 서울 경기 인천

2019 51,000 31,000 27,800 4,845 4,042 3,744

2019 50,500 29,500 24,250 4,690 3,810 3,327

2019 62,250 31,500 27,400 5,726 3,999 3,608

2019 65,000 24,000 20,850 5,713 3,490 3,000

주1) 아파트가격 및 가구 연소득은 KB국민은행에서 실행된 해당 분기 아파트담보대출(구입자금대출) 자료임.

< KB아파트 PIR > (단위: 배)

2018년 2019년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서울 10.1 9.9 10.5 10.8 10.9 11.4

경기 7.9 7.9 7.7 7.7 7.9 6.9

인천 7.8 7.9 7.4 7.3 7.6 6.9

주) 본 페이지는 통계청의 '가구연소득'이 발표되는 5월(1분기), 8월(2분기), 11월(3분기), 2월(전년4분기)에 업데이트 됩니다.

26 February 2020

아파트 가격(중위값) 가구 연소득(중위값)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KB 아파트

PIR

KB 아파트 PIR은 KB국민은행에서 실행된 아파트 담보대출(구입자금대출) 중 실제 거래된 아파트 거래

가격과 해당 여신거래자의 가계소득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된 지수로 기존 당행에서 발표중인 PIR지수

의 보조지표로 활용할 수 있음.

2019년 4분기 기준 KB 담보대출 아파트 가격의 중위값은 서울 65,000만원, 경기24,000만원, 인천

20,850만원이며, 지역별 가구 연소득은 서울 5,713만원, 경기 3,490만원, 인천 3,000만원으로 KB

아파트 PIR지수는 각각 11.4, 6.9, 6.9 으로 나타남.

10.9

7.9 7.6

서울 경기 인천

수도권 KB아파트 PIR

(단위:배 )

4

5

6

7

8

9

10

11

12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수도권 KB아파트 PIR 추이

서울 경기 인천

(단위:배)

Page 29: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2019.9월 기준> <2019.12월 기준>

종합 아파트 단독 연립 종합 아파트 단독 연립

전 국 119.3 108.4 120.6 224.8 117.8 106.7 120.1 224.4

서 울 58.8 44.0 52.9 144.5 57.5 42.7 52.4 144.1

강 북 76.9 61.7 60.4 157.1 75.7 60.4 59.8 156.6

강 남 47.8 35.1 44.2 134.2 → 46.5 34.0 43.8 133.7

6개 광역시 177.7 159.2 164.9 384.1 174.9 156.1 164.4 381.4

수 도 권 87.7 75.9 68.4 197.7 84.9 73.0 67.9 197.1

경 기 119.9 111.7 87.0 271.3 117.8 109.5 87.0 272.6

기타지방 253.5 256.8 228.3 442.1 253.8 257.1 228.8 446.1

주) HAI = (중위가구소득 ÷ 대출상환가능소득) ×100

소득은 2017년 4분기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전가구 기준 자료이며, 주택가격은 2017년 12월 기준 지역별 자료임

HAI는 2015년 4분기 부터 LTV는 40%→70%, DTI는 25%→33%로 변경됨

주) 본 페이지는 통계청의 '가구연소득'이 발표되는 5월(1분기), 8월(2분기), 11월(3분기), 2월(전년4분기)에 업데이트 됩니다.

February 2020 27

117.8 106.7

120.1

224.4

종합 아파트 단독 연립

주택유형별 HAI(전국)

117.8

90

100

110

120

130

140

150

'15.12 '16.12 '17.12 '18.12 '19.12

전국 HAI 추이

주택구매력지수란 중간정도의 소득을 가진 가구가 금융기관의 대출을 받아 중간가격 정도의 주택을 구입한

다고 가정할 때, 현재의 소득으로 대출원리금상환에 필요한 금액을 부담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함. HAI가

100보다 클수록 중간정도의 소득을 가진 가구가 중간가격 정도의 주택을 큰 무리없이 구입할 수 있다는 것

을 나타내며, HAI가 상승하면 주택구매력이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냄.

2019년 12월 기준 HAI는 117.8로 전분기인 2019년 9월 기준(119.3) 대비 감소한 것으로 조사됨. 서울

의 HAI도 전분기(58.8)대비 하락한 57.5로 조사되며 주택구매력이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13. 주택구매력지수 (HAI : Housing Affordability Index) (2월,5월,8월,11월 업데이트)

Page 30: 월간] KB주택가격동향 - Joins · 2020-03-19 ·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최근 매매가격 증감률> (단위: 전월 대비, %) <가격변동지역 분포>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수도권 지역별 월소득 및 주택자료> (단위: 만원, 만호)

구입가능 주택가격 구입가능 주택 재고량 주택총재고량

서울 경기 인천 서울 경기 인천 서울 경기 인천 서울 경기 인천

19.1Q 463 421 392 38,723 35,162 32,738 19 139 38 138 246 55

19.2Q 459 416 388 39,029 35,441 32,998 19 140 38 139 249 56

19.3Q 470 429 396 41,273 37,712 34,785 21 150 40 139 250 56

19.4Q 467 426 393 41,276 37,715 34,787 20 150 40 138 252 56

<수도권 내 지역별 KB-HOI>

2017년 2018년 2019년

2Q 3Q 4Q 1Q 2Q 3Q 4Q 1Q 2Q 3Q 4Q

22.8 21.8 19.8 18.6 16.7 15.2 12.9 13.6 13.7 15.2 14.7

56.0 58.6 55.5 55.7 53.5 56.7 53.7 56.6 56.3 60.1 59.4

68.8 69.5 65.9 66.7 64.3 68.6 67.3 68.1 67.8 72.0 71.6

주) 본 페이지는 통계청의 '가구연소득'이 발표되는 5월(1분기), 8월(2분기), 11월(3분기), 2월(전년4분기)에 업데이트 됩니다.

28 February 2020

월소득

구 분

서울

경기

주) 월소득: 통계청 도시근로자가구 소득(3분위) 및 고용노동부 상용근로자 5인이상사업체 지역별 월급여 환산소득

대출금리: 한국은행 예금은행 가중평균 주택담보대출금리(신규취급액 기준)

총재고량: 기준일 현재 지역별 KB부동산(아파트)시세 조사 대상 전체 재고량

주택가격: 기준일 현재 KB부동산시세 일반거래가

주택구입자금 밑천(Down Payment)=30%, HTI(Housing Cost To Income Ratio: 소득대비주거비용비율)=33%

20년 만기 원리금상환 기준

인천

0%

20%

40%

60%

80%

100%

120%

'14/4Q '15/4Q '16/4Q '17/4Q '18/4Q '19/4Q

수도권 지역별 KB-HOI 추이

서울 경기 인천

138.3

252.0

56.2

20.3

149.6

40.2

0

100

200

300

서울 경기 인천

총재고대비구입가능재고

총 재고

구입가능재고

(단위: 만호)

14. KB 주택구입 잠재력지수 (KB-HOI : KB Housing Opportunity Index) (2/5/8/11월 업데이트)

주택구입잠재력지수란 중위 소득의 가구가 금융기관의 대출을 받아 주택을 구입한다고 가정할 경우,

지역 내 주택 중 경제능력(소득, 자산 등)의 제약 속에서 구입 가능한 주택 재고량을 알 수 있는 지표임.

즉, KB-HOI 지수가 50이면 해당지역 내 주택 재고수의 가격별 하위 50%범위 내 주택을 구입할 수 있음

을 나타내며, KB-HOI지수가 상승하면 주택구입능력(잠재력)이 증가한다는 것을 뜻함.

2019년 4분기 KB-HOI는 서울 14.7로 전분기 대비 잠재력 하락, 경기 59.4(하락), 인천 71.6(하락) 조

사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