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5 제336호 기획 2013년 4월 3일 수요일 <16> 대림그룹 그린경제·국가정보전략연구소 공동기획 표1. 대림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 계열구분 주요계열사 평가대상 건설 석유화학 대림산업, 삼호, 고려개발 여천NCC, 폴리미래, KRCC 대림산업 여천NCC 제조 물류 IT 대림코퍼레이션, 대림C&S 대림자동차공업, 대림I&S 대림자동차공업 레저 교육 문화 오라관광, 대림문화재단 대림미술관, 학교법인 대림학원 - 母기업 자존심 대림산업 플랜트분야 성장가능성 높아 대림그룹(이하 대림)은 창업주 이재준 회장이 1939년 설립된 부림상회에서 출발한다. 1960년 대 베트남 특수, 1970~80년대 중동특수를 거 치면서 그룹의 기반을 다졌다. 대림은 끊임없 는 인수·합병과 사업영역을 석유화학, 제조· 물류 등으로 확장해 재계서열 20위권을 유지 하고 있다. 상장회사는 대림산업, 삼호, 고려개 발 등 3개에 불과한데 삼호와 고려개발은 현 재 워크아웃 진행 중이다. 주력인 건설사업이 위기에 봉착하기는 했지만 간판기업인 대림산 업이 2012년 매출 10조 클럽에 가입한 것을 위 안으로 삼고 있다. <편집자 주> 주요 계열사 평가기업 대림의 계열사를 표1과 같이 건설/ 석유화학, 제조/물류/IT, 레저/교육/ 문화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건설/석유화학부문 계열사는 대 림산업, 삼호, 고려개발, 여천NCC, 폴리미래, KRCC 등이 있다. 대림 산업은 건설과 석유화학을 전문으 로 하는 기업으로서 대림의 주력기 업이다. 건설사업부분은 해외건설, 플랜트 등의 영역에 장점을 갖고 있 다. 삼호와 고려개발은 둘 다 건설업 체이고, 삼호는 1986년, 고려개발 은 1987년 대림에 편입됐다. 여천 NCC는 1999년 대림산업과 한화케 미칼의 나프타분해시설(NCC)을 통 합해 만들어진 국내 최대의 NCC회 사다. 폴리미래는 2000년 대림산업 과 LyondellBasell Industries가 만 든 합작회사로 폴리프로필렌 전문 제조기업이다. 대림산업은 2000년 Philips가 합작해 KRCC를 설립했 다. 기업의 매출규모나 이익 등을 감 안해 대림산업과 여천NCC를 평가 대상기업으로 선정했다. 제조/물류/IT부문 계열사는 대림 코퍼레이션, 대림C&S, 대림자동차 공업, 대림I&S 등이 있다. 대림코 퍼레이션은 대림 계열사를 주요 고 객으로 하는 석유화학 도소매, 해운 물류 중개 등을 하는 마케팅전문회 사다. 대림산업이 실질적인 지주회 사 역할을 하지만 대림코퍼레이션 을 통해 그룹을 지배하고 있다. 대림 C&S는 건설관련 철구조물과 레미 콘 사업을 한다. 대림자동차공업은 최대의 이륜차제조업체다. 대림I&S 는 대림 계열사의 IT서비스를 담당 한다. 이 부문에서는 대림자동차공 업을 평가했다. 레저/교육/문화부문 계열사는 오 라관광, 대림문화재단, 대림미술관, 학교법인 대림학원 등이 있다. 오라 관광은 1986년에 인수한 기업으로 호텔과 골프장을 운영하고 있다. 대 림이 미래사업으로 호텔/레저 부문 을 고민하면서 주목을 받는 회사다. 이 부문 계열사 모두 매출규모나 그 룹에 대한 기여도가 낮아 평가대상 으로는 적합하지 않아 제외했다. '한숲' 정신 7대인재상 제시 대림의 인재는 한숲인상이다. 한숲 은 대림(大林)이라는 기업명의 의미 ‘한숲’이기 때문이다. 대림의 계 열사들은 한숲정신을 기반으로 해 자사의 업무에 적합한 인재상을 제 시하고 있다. 주력 기업인 대림산업 은 한숲인상으로 멀리 내다본다, 새 로운 것을 찾는다, 자기 일에 으뜸이 된다. 팀워크를 이룬다, 고객을 잘 안다, 약속을 지킨다, 금검절약한다 는 7가지 인재상을 제시하고 있다. 대림코퍼레이션의 인재상은 Smart, Execution, Transparency 이 다. Smart는 고 객 중 심 적 사 고 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고객가치를 창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Execution은 제대로 된 전략을 구축 하고 남과 다른 경쟁우위를 만들어 끊임없이 실행하며 보다 높은 성과 를 창출하게 만든다. Transparency 는 경영의 투명성과 업무 프로세스 대림산업이 국내 처음으로 냉난방 에너지 자립형 건축물로 상용화 한 ‘e편한세상 광 교’의 부속동. 여천NCC 사회봉사대는 최근 전남 여수시 선원동 반월마을에서 혼자 사는 할머니의 낡은 집을 수리해 주는 집수리 봉사활동을 펼 쳤다. M&A로 사업확장…건설·화학으로 특화 재계서열 20위권 자동차 상대적 저조 속 R&D강화로 연구직 입사 고려할만 의 투명성을 확보해 신뢰받는 기업 이 되게 한다. 여천NCC는 경쟁력의 원천은 사람, 즉 인재라는 인식을 바 탕으로 임직원이 지향해야 할 구체 적인 능력과 품성을 정의한 인재상 을 제시하고 있다. 인재상은 열린 마 음으로 팀워크를 이루어 성과를 창 출하는 사람,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 최고의 전문성을 갖춘 사람, 적극성 과 열정을 가지고 끊임없이 혁신하 는 사람이다. 대림자동차공업의 인 재상은 고객만족, 신뢰와 협력, 이륜 차 문화창조, 전문지식인, 글로벌 마 인드, 도전과 개혁이다. 상세한 내용 을 보면 항상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 하고 행동하며 고객에게 기쁨을 주 는 인재, 타인의 사고와 가치를 존중 하여 서로 신뢰하고 협력하는 인재, 새로운 이륜차 문화를 창조하고 발 전시키는 인재, 이륜자동차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고 끊임없이 연구 개선하는 인재, 국제적 마인드 를 갖추고 세계를 향해 도전하는 인 재, 현상을 넘어 항상 도전하고 새로 운 분야를 개척하는 인재다. 평가제도와 역량개발 등의 부문 은 대림산업을 기준으로 정리했다. 대림산업은 구성원 개개인의 미래 가 대림의 미래라는 생각을 갖고 평 가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평가제도 는 업적평가와 역량평가로 나눠진 다. 업적평가는 개인별 당해년도의 업무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대비 업 무실적 및 수행과정과 달성도를 평 가한다. 역량평가는 공통역량과 직 무별 전문역량의 보유수준을 평가 한다. 승진은 연공서열보다는 능력 과 성과를 우선시한다. 직원의 역량 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제도는 신원 사원, 핵심인재, Global전문가로 구 분해 특화돼 있다. 신입사원은 입문, 직무기초, OJT, Follow-up 등의 과 정을 거치면서 기업의 핵심가치와 문화를 체득하고, 직장인으로서 필 요한 자세와 스킬을 습득하도록 한 다. Follow-up은 입사 1년 후 부족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실시한다. 핵심인재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관 리자·경영자를 육성하는 부문과 전문가를 육성하는 부문이 있다. 관 리자·경영자를 육성하는 부문은 과장급에서 부장급을 대상으로 미 래의 관리자 및 재원을 양성하는 프 로그램을 적용한다. 전문가를 육성 하는 부문은 핵심직무를 선정해 국 내외 대학원 등 외부 전문교육, 과제 수행 등을 통해 업계 최고 수준의 전 문가를 양성하는 프로그램을 활용 한다. 글로벌 전문가는 자율형 학습 지원, Business English SkillUp과 정, 해외건설 영어 몰입과정을 통해 양성된다. Business English SkillUp 과정은 영어 Meeting, Presentation, Negotiation 등의 전문강사를 초빙해 소그룹 형식의 집중교육으로 글로 벌 사업역량을 배양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해외건설 영어 몰입과정은 해외 현장 부임 후 원활한 업무수행 을 할 수 있도록 연수원에서 합숙으 로 진행한다. 중견그룹 특화된 이미지 부족 대림은 많은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 지만 건설과 화학부문에 특화돼 있 다고 볼 수 있다. 대림산업이 2012 년 매출 10조 클럽에 가입하면서 주 목을 받고 있지만 영업이익률이 낮 고, 주력사업인 건설이 정체되면서 좋은 평가를 받지는 못하고 있다. 대 림산업은 크게 토목, 건축, 플랜트, 지원관리 직무로 나눠지고 각 직무 별로 세분화된다. 플랜트 부문이 매 출과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는 평 가를 받고 있어 자기계발가능성이 나 성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대림산업과 한화케미칼의 사업부 문이 통합된 여천NCC는 에틸렌, 프 로필렌, 벤젠, 톨루엔, 자일렌, 스티 렌모노머, 부타디엔 등 각종 석유화 학산업의 기초원료를 생산하는 국 내 최대기업이다. 경영/지원, 영업/ 구매, 기술/제조의 직무가 있으며 기 술/제조 직무가 자기계발 가능성, 경 쟁력 차원에서 좋다. 대림자동차공업은 모터사이클과 자동차부품을 제조하는 회사로 급 여, 자기개발, 성장성, 수익성 등 여 러 차원(dimension)에서 낮은 평가 를 받았다. 국내 모터사이클 시장이 정체되어 있고, 해외에서 선진국 기 업과 중국 등 후발국 사이에서 생존 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미래전망이 밝지는 않다.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 해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어 관련 산업의 연구개발직무에 관심이 높은 구직자라면 입사를 고 민할 여지는 충분하다. 매출규모가 작아 평가대상에는 포 함되지 않은 폴리미래, KRCC 등은 급여, 자기계발, 성장성 등이 좋아 화학분야에서 커리어를 개발하고자 하는 구직자가 관심을 가져야 하는 기업이다. 대림은 중견 대기업 중에 서 특별한 이미지를 확보하지 못했 고, 오너의 외부활동이나 인지도가 높지 않아 구직자에게 많이 알려지 지 않았지만 일부 대기업의 계열사 보다 좋은 조건을 가진 기업도 있다 는 점을 잊지 않았으면 한다. 그린경제 편집국 표2. 대림그룹 평가대상 기업의 차원별 점수비교 차원(Dimensions) 주요지표(Key Indicator) 대림산업 여천NCC 대림자동차공업 1. CEO 이미지/마인드 사회적 신뢰, 직원에 대한 배려, 리더십 5 5 5 2. 프라이드(Pride) 업무/직장에 대한 자부심, 직원의 만족도 7 6 6 3. 윤리경영 8-Flag Model로 준법정신, 경영투명성 4 4 4 4. 기업문화 SWEAT Model로 분위기, 사회적 책임 4 4 4 5. 급여/복지/승진 연봉(급여), 복지제도, 승진연한/한계 7 8 5 6. 자기계발/교육 경력관리프로그램, 성장가능성 6 7 5 7. 성장성 매출성장률, 제품/상품의 시장친화도 6 7 5 8. 수익성 이익규모, 영업이익률, 이익성장률 5 7 5 9. 경쟁력(국내/해외) 시장점유율, 시장지배력, 기술적 우위 6 6 6 10. 브랜드 이미지 대표 제품/서비스의 인지도, 대중 친화도 6 6 7 종합점수 56 60 52 후원 : 도서출판
1

母기업 자존심 대림산업 플랜트분야 성장가능성 높아pdf.egreennews.com/336/33605.pdf · 2013-04-02 · 대림산업 여천ncc 제조 물류 it 대림코퍼레이션,

Jan 17, 2020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母기업 자존심 대림산업 플랜트분야 성장가능성 높아pdf.egreennews.com/336/33605.pdf · 2013-04-02 · 대림산업 여천ncc 제조 물류 it 대림코퍼레이션,

5제336호 기획 2013년 4월 3일 수요일

<16> 대림그룹

그린경제·국가정보전략연구소 공동기획

표1. 대림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

계열구분 주요계열사 평가대상

건설석유화학

대림산업, 삼호, 고려개발여천NCC, 폴리미래, KRCC

대림산업여천NCC

제조물류IT

대림코퍼레이션, 대림C&S대림자동차공업, 대림I&S

대림자동차공업

레저교육문화

오라관광, 대림문화재단대림미술관, 학교법인 대림학원

-

‘母기업 자존심’ 대림산업 플랜트분야 성장가능성 높아대림그룹(이하 대림)은 창업주 이재준 회장이

1939년 설립된 부림상회에서 출발한다. 1960년

대 베트남 특수, 1970~80년대 중동특수를 거

치면서 그룹의 기반을 다졌다. 대림은 끊임없

는 인수·합병과 사업영역을 석유화학, 제조·

물류 등으로 확장해 재계서열 20위권을 유지

하고 있다. 상장회사는 대림산업, 삼호, 고려개

발 등 3개에 불과한데 삼호와 고려개발은 현

재 워크아웃 진행 중이다. 주력인 건설사업이

위기에 봉착하기는 했지만 간판기업인 대림산

업이 2012년 매출 10조 클럽에 가입한 것을 위

안으로 삼고 있다. <편집자 주>

주요 계열사 평가기업

대림의 계열사를 표1과 같이 건설/석유화학, 제조/물류/IT, 레저/교육/문화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건설/석유화학부문 계열사는 대

림산업, 삼호, 고려개발, 여천NCC, 폴리미래, KRCC 등이 있다. 대림산업은 건설과 석유화학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으로서 대림의 주력기업이다. 건설사업부분은 해외건설, 플랜트 등의 영역에 장점을 갖고 있다. 삼호와 고려개발은 둘 다 건설업체이고, 삼호는 1986년, 고려개발은 1987년 대림에 편입됐다. 여천NCC는 1999년 대림산업과 한화케미칼의 나프타분해시설(NCC)을 통합해 만들어진 국내 최대의 NCC회사다. 폴리미래는 2000년 대림산업과 LyondellBasell Industries가 만든 합작회사로 폴리프로필렌 전문제조기업이다. 대림산업은 2000년 Philips가 합작해 KRCC를 설립했다. 기업의 매출규모나 이익 등을 감안해 대림산업과 여천NCC를 평가대상기업으로 선정했다.제조/물류/IT부문 계열사는 대림

코퍼레이션, 대림C&S, 대림자동차공업, 대림I&S 등이 있다. 대림코퍼레이션은 대림 계열사를 주요 고객으로 하는 석유화학 도소매, 해운물류 중개 등을 하는 마케팅전문회사다. 대림산업이 실질적인 지주회사 역할을 하지만 대림코퍼레이션을 통해 그룹을 지배하고 있다. 대림C&S는 건설관련 철구조물과 레미콘 사업을 한다. 대림자동차공업은 최대의 이륜차제조업체다. 대림I&S는 대림 계열사의 IT서비스를 담당한다. 이 부문에서는 대림자동차공업을 평가했다.레저/교육/문화부문 계열사는 오

라관광, 대림문화재단, 대림미술관, 학교법인 대림학원 등이 있다. 오라관광은 1986년에 인수한 기업으로 호텔과 골프장을 운영하고 있다. 대림이 미래사업으로 호텔/레저 부문

을 고민하면서 주목을 받는 회사다. 이 부문 계열사 모두 매출규모나 그룹에 대한 기여도가 낮아 평가대상으로는 적합하지 않아 제외했다.

'한숲' 정신 7대인재상 제시

대림의 인재는 한숲인상이다. 한숲은 대림(大林)이라는 기업명의 의미가 ‘한숲’이기 때문이다. 대림의 계열사들은 한숲정신을 기반으로 해 자사의 업무에 적합한 인재상을 제시하고 있다. 주력 기업인 대림산업은 한숲인상으로 멀리 내다본다, 새로운 것을 찾는다, 자기 일에 으뜸이 된다. 팀워크를 이룬다, 고객을 잘 안다, 약속을 지킨다, 금검절약한다는 7가지 인재상을 제시하고 있다. 대림코퍼레이션의 인재상은

Smart, Execution, Transparency이다. Smart는 고객중심적 사고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고객가치를 창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Execution은 제대로 된 전략을 구축하고 남과 다른 경쟁우위를 만들어 끊임없이 실행하며 보다 높은 성과를 창출하게 만든다. Transparency는 경영의 투명성과 업무 프로세스

대림산업이 국내 처음으로 냉난방 에너지 자립형 건축물로 상용화 한 ‘e편한세상 광교’의 부속동.

여천NCC 사회봉사대는 최근 전남 여수시 선원동 반월마을에서 혼자 사는 할머니의 낡은 집을 수리해 주는 집수리 봉사활동을 펼쳤다.

M&A로 사업확장…건설·화학으로 특화 재계서열 20위권

자동차 상대적 저조 속 R&D강화로 연구직 입사 고려할만

의 투명성을 확보해 신뢰받는 기업이 되게 한다. 여천NCC는 경쟁력의 원천은 사람, 즉 인재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임직원이 지향해야 할 구체적인 능력과 품성을 정의한 인재상을 제시하고 있다. 인재상은 열린 마음으로 팀워크를 이루어 성과를 창출하는 사람,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 최고의 전문성을 갖춘 사람, 적극성과 열정을 가지고 끊임없이 혁신하는 사람이다. 대림자동차공업의 인재상은 고객만족, 신뢰와 협력, 이륜차 문화창조, 전문지식인, 글로벌 마인드, 도전과 개혁이다. 상세한 내용을 보면 항상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며 고객에게 기쁨을 주는 인재, 타인의 사고와 가치를 존중하여 서로 신뢰하고 협력하는 인재, 새로운 이륜차 문화를 창조하고 발전시키는 인재, 이륜자동차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고 끊임없이 연구 개선하는 인재, 국제적 마인드

를 갖추고 세계를 향해 도전하는 인재, 현상을 넘어 항상 도전하고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는 인재다. 평가제도와 역량개발 등의 부문

은 대림산업을 기준으로 정리했다. 대림산업은 구성원 개개인의 미래가 대림의 미래라는 생각을 갖고 평가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평가제도는 업적평가와 역량평가로 나눠진다. 업적평가는 개인별 당해년도의 업무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대비 업무실적 및 수행과정과 달성도를 평가한다. 역량평가는 공통역량과 직무별 전문역량의 보유수준을 평가한다. 승진은 연공서열보다는 능력과 성과를 우선시한다. 직원의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제도는 신원사원, 핵심인재, Global전문가로 구분해 특화돼 있다. 신입사원은 입문, 직무기초, OJT, Follow-up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기업의 핵심가치와 문화를 체득하고, 직장인으로서 필

요한 자세와 스킬을 습득하도록 한다. Follow-up은 입사 1년 후 부족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실시한다.핵심인재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관

리자·경영자를 육성하는 부문과 전문가를 육성하는 부문이 있다. 관리자·경영자를 육성하는 부문은 과장급에서 부장급을 대상으로 미래의 관리자 및 재원을 양성하는 프로그램을 적용한다. 전문가를 육성하는 부문은 핵심직무를 선정해 국내외 대학원 등 외부 전문교육, 과제수행 등을 통해 업계 최고 수준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프로그램을 활용한다. 글로벌 전문가는 자율형 학습지원, Business English SkillUp과정, 해외건설 영어 몰입과정을 통해 양성된다. Business English SkillUp과정은 영어 Meeting, Presentation, Negotiation 등의 전문강사를 초빙해 소그룹 형식의 집중교육으로 글로벌 사업역량을 배양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해외건설 영어 몰입과정은 해외 현장 부임 후 원활한 업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연수원에서 합숙으로 진행한다.

중견그룹 특화된 이미지 부족

대림은 많은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지만 건설과 화학부문에 특화돼 있다고 볼 수 있다. 대림산업이 2012년 매출 10조 클럽에 가입하면서 주목을 받고 있지만 영업이익률이 낮고, 주력사업인 건설이 정체되면서 좋은 평가를 받지는 못하고 있다. 대림산업은 크게 토목, 건축, 플랜트, 지원관리 직무로 나눠지고 각 직무별로 세분화된다. 플랜트 부문이 매출과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자기계발가능성이나 성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대림산업과 한화케미칼의 사업부

문이 통합된 여천NCC는 에틸렌, 프로필렌, 벤젠, 톨루엔, 자일렌, 스티렌모노머, 부타디엔 등 각종 석유화학산업의 기초원료를 생산하는 국내 최대기업이다. 경영/지원, 영업/구매, 기술/제조의 직무가 있으며 기술/제조 직무가 자기계발 가능성, 경

쟁력 차원에서 좋다.대림자동차공업은 모터사이클과

자동차부품을 제조하는 회사로 급여, 자기개발, 성장성, 수익성 등 여러 차원(dimension)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다. 국내 모터사이클 시장이 정체되어 있고, 해외에서 선진국 기업과 중국 등 후발국 사이에서 생존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미래전망이 밝지는 않다.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어 관련 산업의 연구개발직무에 관심이 높은 구직자라면 입사를 고민할 여지는 충분하다. 매출규모가 작아 평가대상에는 포

함되지 않은 폴리미래, KRCC 등은 급여, 자기계발, 성장성 등이 좋아 화학분야에서 커리어를 개발하고자 하는 구직자가 관심을 가져야 하는 기업이다. 대림은 중견 대기업 중에서 특별한 이미지를 확보하지 못했고, 오너의 외부활동이나 인지도가 높지 않아 구직자에게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일부 대기업의 계열사보다 좋은 조건을 가진 기업도 있다는 점을 잊지 않았으면 한다.

그린경제 편집국

표2. 대림그룹 평가대상 기업의 차원별 점수비교

차원(Dimensions) 주요지표(Key Indicator) 대림산업 여천NCC 대림자동차공업

1. CEO 이미지/마인드 사회적 신뢰, 직원에 대한 배려, 리더십 5 5 5

2. 프라이드(Pride) 업무/직장에 대한 자부심, 직원의 만족도 7 6 6

3. 윤리경영 8-Flag Model로 준법정신, 경영투명성 4 4 4

4. 기업문화 SWEAT Model로 분위기, 사회적 책임 4 4 4

5. 급여/복지/승진 연봉(급여), 복지제도, 승진연한/한계 7 8 5

6. 자기계발/교육 경력관리프로그램, 성장가능성 6 7 5

7. 성장성 매출성장률, 제품/상품의 시장친화도 6 7 5

8. 수익성 이익규모, 영업이익률, 이익성장률 5 7 5

9. 경쟁력(국내/해외) 시장점유율, 시장지배력, 기술적 우위 6 6 6

10. 브랜드 이미지 대표 제품/서비스의 인지도, 대중 친화도 6 6 7

종합점수 56 60 52

후원 : 도서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