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61

치매 환자의 낙상 방지를 위한 주거환경 만들기 치매 환자의 낙상 방지를 위한 주거환경 만들기 저자이 옥 진(중앙치매센터 선임연구원)

Nov 15, 2020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 치매 환자의 낙상 방지를 위한 주거환경 만들기

    저 자 이 옥 진 (중앙치매센터 선임연구원)

    김 유 정 (중앙치매센터 연구개발부장)

    변 선 정 (중앙치매센터 부센터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김 기 웅 (중앙치매센터 센터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자문위원 양 노 열 (충남도립대학교 작업치료과)

    오 은 진 (홍익대학교 건축학부)

    이 성 아 (순천향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정 윤 주 (충청남도 광역치매센터 교육홍보팀)

  • Ⅰ. 개요

    1. 배경 및 목적 ·····································································································3

    1.1. 배경 ·······················································································································3

    1.2. 목적 ·······················································································································4

    2. 연구 방법 ··········································································································6

    2.1. 문헌고찰 ···············································································································6

    2.2. 전문가 자문 ·········································································································6

    3. 구성 ·················································································································11

    3.1. 내용 ····················································································································11

    3.2. 형식 ····················································································································12

    Ⅱ. 실내 공간

    1. 공간 구성 ········································································································16

    2. 설비 ·················································································································19

    2.1. 조명 ····················································································································19

    2.2. 안전바 ·················································································································22

    2.3. 부속구조물 ·········································································································23

    3. 마감재 ·············································································································27

    3.1. 천장 ····················································································································27

    3.2. 벽 ························································································································28

    3.3. 문 ························································································································28

    3.4. 바닥 ····················································································································29

  • 4. 인테리어 ··········································································································31

    4.1. 실내 장식 ···········································································································31

    4.2. 표지판 ·················································································································36

    5. 관리 및 정리정돈 ····························································································39

    Ⅲ. 실외 공간

    1. 공간 구성 ········································································································46

    2. 설비 ·················································································································47

    2.1. 조명 ····················································································································47

    2.2. 안전바 ·················································································································47

    2.3. 부속구조물 ·········································································································48

    3. 마감재 ·············································································································49

    4. 인테리어 ··········································································································50

    5. 관리 및 정리정돈 ····························································································51

    참고문헌 ···················································································································52

  • Ⅰ. 개

    요1. 배

    경 및

    목적

    2. 연

    구 방

    법3. 구

    3

    1. 배경 및 목적

    1.1. 배경

    1.1.1. 치매 환자와 낙상 위험의 증가

    국내 치매 인구는 급격한 고령화의 영향으로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여 왔

    다. 2012년 치매유병률 조사에 따르면 지난 5년간 국내 치매 환자의 수는 2012년 54만 755명에서 2017년 72만 5천명으로 약 34% 증가하였고,

    2024년에는 100만 명, 2041년에는 2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13]

    치매는 노인 낙상의 주요 위험인자이다. 국외에서는 치매 환자의 낙상률

    이 비 치매 환자의 4~5배 이상이라 하고, 낙상에 의한 입원이나 요양 시설

    입소가 5배 이상 많다고 한다.[71] 우리나라의 경우, 전문요양 시설에 입소

    한 치매 환자의 11.8%,[11] 요양병원에 입원한 치매 환자의 11.7%[10]은 낙

    상을 경험한다. 아직 우리나라 치매 환자의 가정 내 낙상에 대한 정확한 통

    계는 산출된 적이 없지만, 전체 치매 환자의 약 65%가 가정에서 머물고

    있는 만큼[13] 치매 환자의 가정 내 낙상 또한 상당한 수에 이를 것으로 예측

    된다.

    낙상은 조기사망, 신체손상, 비가동성, 사회심리학적 기능장애, 요양 시

    설 입소, 요양병원 입원 등 치매 환자의 건강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이므

    로,[14] 예방을 위한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

    1.1.2. 치매 증상, 중증도

    치매의 원인 질환에 따라 낙상 위험의 차이가 있는지는 아직 논란의 여지

    가 있다.[62][71] 그러나 치매의 원인 질환에 따라 낙상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

    의 차이를 숙지할 필요는 있다.

  • 치매

    환자

    의 낙

    상 방

    지를

    위한

    주거

    환경

    만들

    4

    전체 치매 환자의 약 50%이상 차지하는 알츠하이머 치매는 불안정하고

    비정상적인 보행과 자세 불안정으로 인해 낙상과 그로 인한 골절이 나타나

    기 쉽다.[34] 뇌졸중과 동반되는 혈관성 치매도 근력 저하, 근육 마비 증상

    때문에 보행이 어려워져 낙상 위험이 크다.[66] 이외에도 루이소체 치매는

    파킨슨 증상에 의한 보행 장애나 원인을 알 수 없는 어지럼증, 공간지각력

    저하 등이 낙상을 유발하고, 전측두엽 치매는 집행기능 저하, 보행 장애,

    충동조절장애 등으로 낙상 위험이 높다.[71][76]

    치매 환자는 증상이 경한 단계에서도 느린 보행, 균형감각 저하 등으로

    낙상 위험이 높아지고,[63] 항정신병약물을 투여할 수 있는 중등도 단계에서

    는 약물 부작용이 겹쳐져 보행 장애와 낙상 위험이 훨씬 높아진다.[17][67] 그

    러나 경증이면서 초기인 치매환자의 낙상 위험요인은 오로지 공간 기억 능

    력과 충동적 반응 억제 능력이며, 다른 위험요인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연

    구도 있다.[76] 배회 행동은 치매 환자로 하여금 공간에서 길을 잃거나 다른

    부적절한 공간으로의 침범을 유도하며, 이 과정에서 골절상 등의 사고를

    초래하게 된다.[15][42] 배회 행동을 보이는 치매 환자가 가정에 머물고 있을

    경우, 가정은 물리적 환경을 조절하기 어렵기 때문에 배회로 등의 환경을 갖

    춘 시설보다 배회로 인한 낙상과 골절 위험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16][17]

    중증 이후 치매환자 또한 24시간 돌봄 대상이 되면서 주거 내 일상적인 기

    본 케어를 위해 환경 수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9][37]

    1.2. 목적

    본 보고서는 “편안하고 안전한 치매환자 진단·치료·돌봄서비스 제공”을

    추진하는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2016~2020)[4]에 기반하여 치매 환자

    가족, 건축가, 디자이너, 설계전문가, 정책 입안자 등에게 치매 환자의 낙

    상 방지 목적의 종합적인 주거환경 개선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며, 구체

    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 Ⅰ. 개

    요1. 배

    경 및

    목적

    2. 연

    구 방

    법3. 구

    5

    첫째, 치매 환자의 낙상이 다양한 주거환경요인에 의해 발생될 수 있음을

    인식시킨다.

    둘째, 치매 환자의 낙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편안하고 안전한

    주거환경을 제시하고, 이를 지향하도록 권장한다.

    셋째, 치매 환자의 낙상 방지를 위한 주거환경개선이 낙상 방지뿐만 아니

    라 치매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가족의 부양부담과 불필요한 의료

    비를 경감시킬 수 있음을 인식시킨다.

  • 치매

    환자

    의 낙

    상 방

    지를

    위한

    주거

    환경

    만들

    6

    2. 연구 방법

    본 보고서는 치매 환자의 낙상 방지와 안전 향상 관련 국내외 연구 논문

    과 지침에 대한 포괄적 고찰과 유관 전문가 자문을 통해 작성되었다.

    2.1. 문헌고찰

    2017년 7월부터 9월까지 국내외 정부기관, 연구기관 홈페이지 및 연구

    문헌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였다.

    본 보고서는 재가 치매 환자의 낙상 방지를 위한 주거환경 관리 방법을

    안내하는 것이 주목적이나, 치매 환자의 낙상 방지를 위한 방안에 대하여

    최대한 빠짐없이 수집하고자 요양시설 관련 문헌과 지침도 조사대상에 포

    함하였다.

    본 보고서 작성에 참고한 관련 문헌은 총 63편이다(표 1).

    2.2. 전문가 자문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연구진이 작성한 보고서 초안에 대해 치매, 건축,

    실내 디자인 등 유관 학계 및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자문 의견을 수렴

    하고, 자문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여 최종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 Ⅰ. 개

    요1. 배

    경 및

    목적

    2. 연

    구 방

    법3. 구

    7

    표 1. 문헌 고찰

    국가 문헌

    공간

    주거 요양시설비주거용

    일반 건축물*

    호주

    Dementia Enabling Environments(Dementia Enabling Environments Project(Alzheimer’s Australia WA, since 2012)

    ◌ ◌ ◌

    Adapting Your Home: Supporting people in their home environment(Lapping, 2012)

    ◌ ◌Environmental assessment tools for the evaluation of Australian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ementia (Fleming, 2008)

    A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on the design of physical environments for people with dementia(Fleming and Sum, 2008)

    The Dementia Friendly Communities Environmental Assessment Tool(DFC-EAT) (Fleming and Bennett, 2015)

    ◌At home with dementia: A manual for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carers(NSW Ministry of Health. 2011)

    ◌Lighting Audit Tool(In McNair et al., 2013, Light and lighting design for people with dementia)

    ◌ ◌Dementia Therapeutic Garden Audit Tool (Cochrane. T. G. 2010)

    ◌ ◌Gardens that Care: Planning Outdoor Environments for People with Dementia(Cochrane, 2010)

    ◌ ◌Dementia Care and the Built EnvironmentPosition Paper 3(Alzheimer’s Australia, 2004)

    ◌ ◌The Environmental Audit Tool–High Care(Fleming and Bennett, 2015)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Tool(EAT) (Fleming et al. NSW Ministry of Health. 2013).

    ◌Quality Dementia Care Standards A Guide to Practice for Managers in Residential Aged Care Facilities(Alzheimer’s Australia, 2007)

    Dementia Friendly Environments–Adapting Your Home (Alzheimer’s Australia, 2012)

    ◌How to design Dementia-friendly Care Environments (Alzheimer’s Australia, 2016)

    ◌Making your home dementia friendly(Alzheimer’s Society, 2014)

  • 치매

    환자

    의 낙

    상 방

    지를

    위한

    주거

    환경

    만들

    8

    국가 문헌

    공간

    주거 요양시설비주거용

    일반 건축물*

    Dementia Enabling Environments(Alzheimer’s Society, 2015)

    ◌Safety in and around the home(Dementia Australia, Last update 2017)

    ◌Environmental Design Resources. Dementia Training Australia(Fleming and Bennett, 2017)

    ◌The use of environmental assessment tools for the evaluation of Australian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ementia(Fleming, 2010)

    영국

    Dementia-friendly environments(Health Victoria, 2015) ◌The design of housing for people with dementia (Utton, Local Government Association, 2009)

    ◌Dementia-friendly health and social care environments (HBN 08-02)(Department of Health, 2015)

    ◌ ◌Dementia Enabling Environments(Alzheimer’s Society, 2015)

    ◌ ◌ ◌At home with dementia: A manual for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carers(Ageing, Disability and Home Care,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Services. 2011)

    ◌ ◌The role of flooring in dementia environments(Building Better Healthcare, Last update 20-Apr-2017)

    ◌Keeping the noise down(Building Better Healthcare, Last update 30-Apr-2015)

    Design for Dementia_Improving dining and bedroom environments in care homes(Timlin and Rysenbry, 2010)

    ◌How can I help prevent falls in someone with dementia?(Unforgettable Trading. Last update 17-Jul-2017)

    스코틀랜드

    Improving the design of housing for people with dementia (Dementia Services Development Centre. 2013)

    ◌3 Themes to Create Dementia Friendly Spaces in Care Home Settings(Alzheimer’s Scotland, 2016)

    ◌Dementia Design Checklist(Health Facilities Dementia Service Development Centre, 2007)

    ◌ ◌Design for People with Dementia Audit Tool (DPDAT) ◌Colour and Contrast(DSDC, since 2012) ◌Virtual Care Home (Dementia Services Development Centre(DSDC), University of Stirling, since 2012)

    ◌DSDC Accredited Products: Age inclusive design and Flooring.(Forbo., DSDC and University of Stirling, Last update 27-Sep-2017)

    ◌ ◌

  • Ⅰ. 개

    요1. 배

    경 및

    목적

    2. 연

    구 방

    법3. 구

    9

    국가 문헌

    공간

    주거 요양시설비주거용

    일반 건축물*

    Light and lighting design for people with dementia: Dementia Services Development Centre(McNair et al., 2013)

    ◌ ◌

    아일랜드

    Centre for Excellence in Universal Design (CEUD) as Universal Design Homes Principles

    ◌ ◌Research for Dementia and Home Design in Ireland looking at New Build and Retro-Fit Homes from a Universal Design Approach: Key Findings and Recommendation (Pierce et al., 2015)

    ◌ ◌

    캐나다

    Universal Design Guidelines Dementia Friendly Dwellings for People with Dementia, their Families and Carers Centre for Excellence in Universal Design(Grey et al., 2015)

    ◌ ◌

    Reducing Risk of Falls for People With Dementia (Alzheimer, Society, 2014)

    ◌Adapting your Home to Living with Dementia(By Canada Mortgage and Housing Co, 2009)

    ◌Housing options for people living with dementia(By Canada Mortgage and Housing Corporation, 2015)

    ◌Wayfinding in a nursing home for advanced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Passini et al., 2000)

    네덜란드Designing a “Think-Along Dwelling” for people with dementia: A co-creation project between health care and the building services sector(Van Hoof et al., 2013)

    미국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ational Institute on Aging (NIH Publication No. 02-5179)(NIH, 2010)

    ◌ ◌Home safety for people with Alzheimer’s disease(N. Publication Ed.):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Alzheimer’s Disease Education and Referral (ADEAR) Center, 2010)

    The Therapeutic Environment Screening Survey for Nursing Homes (TESS-NH)(Sloane et al., 2002).

    ◌Wandering and the physical environment(Algase et al., 2010)

    ◌ ◌Decreasing entry into a restricted area using a visual barrier(Feliciano et al., 2004)

    ◌Research Informs Design: Empirical Findings Suggest Recommendations for Carpet Pattern and Texture(Perritt et al., 2005)

    AA

    Staying Safety: Steps to take for a person with dementia (Alzheimer’s Association. 2016)

    ◌Home Safety Checklist(Alzheimer’s Association, 2017) ◌

  • 치매

    환자

    의 낙

    상 방

    지를

    위한

    주거

    환경

    만들

    10

    국가 문헌

    공간

    주거 요양시설비주거용

    일반 건축물*

    국내

    ABC모델을 기반으로 한 치매 가정환경수정 개선매뉴얼(충청남도광역치매센터, 2015)

    ◌인지건강 주거환경 가이드북(서울특별시, 2015) ◌요양원 건축의 치료적 환경특성과 치매노인 행동의 상호관련성(오은진, 2000)

    ◌요양시설 치매노인의 배회행동(송준아 외, 2008) ◌전문 요양시설 내 치매 환자의 낙상 위험요인 분석 및 향정신약물의 역할(정세훈 외, 2001)

    ◌치매노인 전문요양시설 거주공간디자인 지침에 관한 연구(정여주, 최상헌, 2005)

    ◌치매전문병원 물리적 환경요인 분석을 통한 건축계획연구(김종환, 김명근 2008).

    ◌치매 환자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주거환경 연구(이윤희, 이연숙, 2005)

    ◌치매 환자의 배회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소에 관한 연구-체계적 문헌연구: 치매 환자를 위한 노인전문병원 및 요양시설을 중심으로(최영선, 최여진, 2015)

    ◌ ◌

    치매성 노인을 위한 물리적 환경에 관한 연구(권오정, 2000) ◌* 의료시설 포함

  • Ⅰ. 개

    요1. 배

    경 및

    목적

    2. 연

    구 방

    법3. 구

    11

    3. 구성

    3.1. 내용

    2001년 세계보건기구는 국제기능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ICF)를 통해, 인간의 활동은 건강상태, 신체기능, 참여

    등 복합적 요인들의 산물이며, 이는 개인 요인뿐만 아니라 환경 요인이 중

    요한 결정인자라는 다중 관점의 접근을 제시했다.[77]

    본 보고서는 WHO의 ICF(그림 1)에 기반하여 치매 환자의 낙상 역시 외

    부환경의 조절로 예방될 수 있을 것이라는 이해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림 1. 내용: ICF 구성요소 간 상호작용

    자료: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 18

  • 치매

    환자

    의 낙

    상 방

    지를

    위한

    주거

    환경

    만들

    12

    3.2. 형식

    치매 환자의 낙상 위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거환경을 2대 공간(실내와

    실외)으로 나누고, 각 공간별로 조절 가능한 환경 요소에 따라 낙상을 예방

    하거나 낙상으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각 공간 및 요소별로 제시하는 관리 방안이 어떻게 치매 환자의 낙상 예

    방이나 이차적 손상 최소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독자가 이해할 수 있

    도록, 근거가 되는 핵심 정보를 “일러두기”에 제시하였다.

  • Ⅱ.

    실내

    공간

    1.공

    간구

    성2.설

    비3.

    마감

    재4.

    인테

    리어

    5.관

    리및

    정리

    정돈

    15

    일러두기[2][8][9][20][32][37][49][61][74][76]

    ✔ 방향감각이 저하된 치매 환자에게 수직이동은 혼란과 스트레스를 유발한다.[2]✔ 수평이동이라도 동선이 지나치게 길면 치매 환자의 배회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49]✔ 치매 환자는 공간에 대한 새로운 정보 습득이 어려워, 눈에 띄는 지형 지물에 의존하여

    방향을 찾는다.[49]

    ✔ 치매 환자는 얼굴이 익숙한 사람이 보이지 않으면, 불안해하거나 그들을 찾기 위해 밖으로 나가려 하거나[8][20] 고독감을 느껴 스스로 돌아다니다가 낙상을 입기도 한다.[61]

    ✔ 자주 이용하는 공간들 사이의 이동 거리가. 길어지면 치매 환자의 보행 중 낙상 위험이 높아진다.[37]

    ✔ 치매 환자가 갑자기 들려오는 소리에 반응하면서 방향을 바꾸면 어지러움이나 현기증 등으로 인한 낙상 위험이 높아진다.[74]

    ✔ 불필요한 청각 자극은 치매 환자의 정신행동증상(불안, 초초, 혼란 등)을 유발 또는 악화시켜 낙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32] 악화된 정신행동증상에 대한 치료 약물 또한 부작용으로 낙상

    위험을 높일 수 있다.[9]

    ✔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족이 치매 환자의 행동을 살피기 용이해야 낙상 위험에 대비할 수 있다. 치매 환자와 가족 조호자가 서로 눈에 띄도록 주거 내 주요 공간의 시각적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76]

  • 치매

    환자

    의 낙

    상 방

    지를

    위한

    주거

    환경

    만들

    16

    01 공간 구성 치매 환자가 일상생활에 자주 이용하는 공간들을 서로 가깝게 배치하여 치매 환

    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이동 거리를 줄인다.[37]

    침실

    ▪침실에서 화장실, 욕실이 잘 보이거나 침실 내에 배치하여야 한

    다.[70][76]

    ▪침실은 소음이 적은 곳에 배치하거나 계단이나 승강기 옆은 피하

    고, 침실 창문은 가능한 길가 쪽에

    배치하지 않도록 한다.[37][70]

  • Ⅱ.

    실내

    공간

    1.공

    간구

    성2.설

    비3.

    마감

    재4.

    인테

    리어

    5.관

    리및

    정리

    정돈

    17

    화장실/욕실

    ▪치매 환자가 사용하는 욕실, 화장실은 침실과 가까이 둔다.[9] ▪화장실까지 걸어가기 어려울 정도로 치매 증상이 악화될 경우를 대비하여, 침대와 화

    장실 간 거리를 최소화하고, 필요하면 침실 내에 화장실과 욕실을 두어야 한다.[37]

    ▪화장실에서 이동반경 너비가 1.5m x 1.8m, 욕실은 2.1m x 2.5m은 확보되어야 한다.[39]

    식당

    ▪외부 소음이 적은 곳에 배치한다.[72]▪휠체어를 사용하게 되어도 불편

    없이 이용할 있는 공간이 되도록

    휠체어 가동범위 등 이동 공간을

    충분히 확보한다.[52]

    ▪이동 공간 확보 위해 U자 형 부엌 싱크대로 둘러싸인 공간은 폭이

    1.8m 정도 되어야 한다.[39]

    거실

    ▪거실은 침실, 부엌, 화장실이 보여야 한다.[76]

    ▪적어도 거실에서 침실과 화장실로 들어가는 문이 보이도록 한다.[57][75]

    ▪거실에서 휠체어를 타고서도 침실, 부엌, 화장실 등으로 이동하기

    용이한 공간 배치여야 한다.[22]

  • 치매

    환자

    의 낙

    상 방

    지를

    위한

    주거

    환경

    만들

    18

    ▪내부의 문들도 공간을 넓게, 그리고 잘 보이도록 하는 개폐방식인

    지 고려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양

    개문(Cat and kitten)양식의 문은

    두 쪽의 문 중 한쪽은 넓고, 다른

    한쪽은 보조문 형태로 다른 쪽보

    다 좁아서 필요에 따라 넓게 개방

    할 수 있는 문이라, 공간이 더 넓

    게 확보될 수 있다.[58][70]

    집 안 복도

    ▪집 안 복도가 막다른 구조나 출입문으로 끝나지 않게 하여야 한다.[58]▪휠체어나 보조기구를 이용하는 치매 환자도 이동에 불편 없게[22] 집 안 복도에서 휠체

    어 등의 가동범위 너비가 약 1.2~1.5m 정도 확보되어야 한다.[39]

    집 안 계단

    ▪집 안에서 계단은 낙상 위험을 높이므로 되도록 사용하지 않게 치매 환자가 주로 생활하는 공간을 아래층으로 한다.[38]

    진출입로

    ▪현관에서 침실(문)이 눈에 잘 띄게 배치하고, 건물이 복층일 경우, 진출입구에서 다른 층으로 가는 경로가 분명해야 한다.[28][54]

    ▪휠체어나 보조기구를 이용해서 통과하기에 충분한 공간으로, 문은 약 1m 너비가 되어야 한다.[39]

  • Ⅱ.실

    내공

    간1.

    공간

    구성

    2.설

    비3.

    마감

    재4.

    인테

    리어

    5.

    관리

    및정

    리정

    19

    02 설비일러두기[38][49]

    ✔ 치매 환자는 시력 저하나 시야 축소 등으로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떨어지고 낙상 위험이 높다. 특히 루이소체 치매는 파킨슨 증상, 환각, 거리 판단능력 상실, 수면장애,

    좁아진 시야(tunnel vision) 등으로 낙상 위험이 높다.[49]

    ✔ 치매 환자는 감각과 운동 능력의 저하로 빛을 잘 인지하지 못하여, 집안에서 어둡게 지내고 실내 위험물을 잘 알아보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49]

    ✔ 적절한 조명 설비는 낙상 방지는 물론, 수면 패턴 등 치매 환자의 신체기능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38]

    ✔ 보행 보조 설비는 파킨슨 증상이나 근력 약화 등으로 인해 보행능력이 감소된 치매 환자의 낙상 위험을 낮출 수 있다.[49]

    2.1. 조명

    치매 환자가 머무는 공간의 조명은 일반 주거 공간의 조명보다 밝아야 한다. 시

    력이 나쁜 치매 환자의 경우에는, 보행 경로의 조명을 다른 공간보다 더 밝게 해

    야 한다.[49]

    ▪자연광 효과가 적절히 나타나는 최저 300럭스(Lux, 조도) 이상의 조명을 권장한다. 또는 200럭스(Lux, 조도)를 유지하면서 별도의 비상 보조 조명을 둔다.[46][65]

    ▪야간에는 침실에 불필요한 조명이 없게 하여 야간에 치매환자가 밖으로 나가는 일을 방지한다.[24]

    ▪침실 내에 화장실이나 욕실이 있다면, 침대와 화장실 또는 욕실 사이에 조명을 설치한다.[48][49]

  • 치매

    환자

    의 낙

    상 방

    지를

    위한

    주거

    환경

    만들

    20

    ▪침실 밖에 있는 욕실, 화장실로 가는 동안에 타이머 부착 센서등 이

    설치되면, 전체 조명을 켜지 않아

    도 야간 이동이 용이하고, 다른 가

    족들의 수면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8]

    화장실/욕실

    ▪화장실/욕실 내부 전체가 최저 300럭스(Lux, 조도) 이상 조명이 되어야 한다.[24][28]▪그림자가 생기는 곳이 없도록 최소 2개 이상 조명을 설치한다.[24][28]▪샤워부스 내부 조명을 바로 머리 위에 설치하면 눈부심이나 움직임에 불편을 초래하

    게 되므로 유의한다.[38]

    ▪조명이 환기팬과 전원을 함께 쓰지 않도록 한다. 조명이 환기팬과 연결되면, 조명이 켜질 때마다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하여 치매 환자를 혼란스럽거나 초조하게 만들고,

    낙상 위험도 증가 시킬 수 있다.[45]

    ▪화장실, 욕실 내에 들어설 때 자동으로 불이 켜지도록 센서등을 설치하는 경우, 타이머 부착 센서등으로 한다. 타이머가 없는 센서등을 사용할 경우, 일시적으로 움직임이

    없을 때 자동으로 조명이 꺼져 치매 환자에게 불안과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8]

    부엌

    ▪음식과 식기류, 위험한 화기 등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천장에 조명을 충분히 확보한다.[25]

    ▪천장 조명 확보 위해 최저 600럭스(Lux, 조도) 이상 띠 형태(strip type) 조명을 둬서 부엌 전체에 빛을 고르게 비춰야 한다.[38]

  • Ⅱ.실

    내공

    간1.

    공간

    구성

    2.설

    비3.

    마감

    재4.

    인테

    리어

    5.

    관리

    및정

    리정

    21

    ▪특정 영역(예: 냉장고, 냉동고, 싱크대)을 강조할 경우, 집중 조명

    (spotlight)을 설치한다. 단, 그림

    자가 생기지 않도록 유의하고, 특

    정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는 집중 조명을 사용하지 않는다.[27]

    거실

    ▪조도는 최저 300럭스(Lux, 조도) 이상을 유지한다. 모든 공간에 그

    늘이 지지 않도록 하여 치매 환자

    에게 혼란을 유발할 수 있는 그림

    자를 최소화한다.[24][28]

    ▪안정된 분위기를 주는 조명을 설치한다.[49]

    ▪천장에 두 개 이상의 조명을 둘 것을 권장한다.[5][38]

    집 안 계단

    ▪최저 150럭스(Lux, 조도) 이상을 유지하고, 계단 최상부와 최하부를 더 밝게 한다.[38]▪타이머 전등으로 쉽게 켜고 끌 수 있게 한다.[30]

    집 안 복도

    ▪복도나 통로의 조명은 야간에 최저 100럭스(Lux, 조도), 주간에는 최저 150 럭스(Lux, 조도) 이상을 유지한다.[65]

  • 치매

    환자

    의 낙

    상 방

    지를

    위한

    주거

    환경

    만들

    22

    2.2. 안전바

    침실

    ▪옷장 옆과 침대 옆에 안전바 설치를 권장한다.[8]

    화장실/욕실

    ▪변좌 옆에 안전바를 벽에 고정하여 설치한다.[5][24]

    ▪안전바 옆에 추가로 보조 안전바를 설치한다.[24]

    ▪치매 환자가 자꾸 변좌 옆 화장지 롤을 지지대로 사용한다면 제거하

    고, 보조 안전바 내에 설치한다.[5][24]

    ▪변좌와 안전바는 벽, 바닥, 세면대와 대조되는 색상을 사용한다.[5] 안전바와 벽의 색상을 대비시킴으로써 주위 구조물들과 쉽게 구별되도록 하여 치매 환자가 혼란을 겪지

    않으며 이동하게 하고 낙상 위험도 줄일 수 있다.[8][31]

    집 안 복도

    ▪복도 양 옆에 손이 쉽게 닿을 높이로 안전바를 설치한다.[31]

    ▪안전바가 단단히 벽에 고정되어 짚는 사람의 무게를 견딜 수 있어

    야 하고, 강도와 내구성을 갖춘 재

    료를 사용한다.[52]

    ▪안전바의 직경은 손으로 감쌀 수 있는 정도(1.5인치 또는 약 4cm)

    의 원형이 좋다.[25][38]

    ▪안전바 끝에 손잡이(knob)를 설치하거나 안쪽으로 굽어지는 모양으로 하여 안전바가

  • Ⅱ.실

    내공

    간1.

    공간

    구성

    2.설

    비3.

    마감

    재4.

    인테

    리어

    5.

    관리

    및정

    리정

    23

    끝나는 지점을 알 수 있게 한다.[47]

    ▪안전바의 색상은 주변의 색과 대비되어야 한다.[52]

    집 안 계단

    ▪계단 양쪽으로 최상부부터 최하부까지 이어지는 안전바를 설치한

    다.[8][38][54]

    2.3. 부속구조물

    부속구조물은 치매 환자가 스스로 자신의 위치를 인지하는 단서로 활용될 수 있

    어[75] 집 안에서 방향을 찾지 못해 낙상을 당하는 위험이 감소된다.

    치매 환자가 낙상 등으로 위험에

    처할 경우에 대비하여 낙상알림

    경보장치(Fall alert device)를

    필요한 곳마다 설치하거나,[20]

    경보 장치를 착용하게 한다.

  • 치매

    환자

    의 낙

    상 방

    지를

    위한

    주거

    환경

    만들

    24

    전등스위치

    ▪치매 환자가 쉽게 조정할 수 있는 위치에 둔다.[45] ▪켜고 끄기가 쉬운 디자인을 사용한다.[45]

    ▪벽과 스위치, 스위치 박스 색상의 대비를 명확하게 하여 눈에 잘 띄

    게 한다.[5][55][64][70]

    화장실/욕실의 변좌 등

    ▪문 여는 즉시 변좌가 시야에 보여야 한다.[45]▪욕실 샤워기의 위치가 머리 바로 위에 오지 않도록 한다.[58]▪손으로 조정이 가능한 핸드 샤워 형태를 설치한다.[5][38]▪샤워기 또는 욕조에 자동온도조절기를 설치해둔다.[23]

    ▪샤워 장소의 나머지 바닥이 물에 젖는 것을 막도록 고정된 샤워스

    크린을 두어야 한다.[25][64]샤워커

    튼은 바닥 물기에 닿지 않게 한다.[46]

    ▪샤워 도중 앉을 수 있도록 예비 의자를 두어야 한다.[44]

  • Ⅱ.실

    내공

    간1.

    공간

    구성

    2.설

    비3.

    마감

    재4.

    인테

    리어

    5.

    관리

    및정

    리정

    25

    ▪수도꼭지는 사용하기 쉽고 친숙한 모양으로 하고, 냉온수 표시가 명

    확해야 한다.[5][24] 찬물과 뜨거운

    물이 함께 조절되는 혼합 믹서 탭

    이 아니라 크로스헤드(십자모양)

    탭 방식에 빨강, 파랑 색깔이 명확

    히 보이도록 한다.[5][24][46]

    ▪개수대 물 넘침 방지 플러그도 설치되어야 한다.[25][38]

    문, 문손잡이

    ▪화장실과 욕실의 문은 바깥쪽으로 열리게 해야, 욕실 안에서 낙상이 발생할 경우 구조하기 쉽다.[38]

    ▪문 잠금장치는 조정하기 복잡하지 않아야 한다.[8]

    ▪배회 등 정신행동증상 때문에 출입문을 은폐해야 하는 상황이어도,

    조정이 복잡한 잠금장치를 사용하

    기보다 잠금장치와 주변의 색상이

    나 디자인을 이용하여 은폐한다.[50]

    ▪치매 환자의 출입을 막아야 하는 공간일 경우, 문과 복도 벽의 색상이나 패턴을 비슷하게 위험한 곳을 출입을 금지하고자 할 때에는 천 장애물(Cloth Barriers) 방식의 장

    식을 한다.[50]

    ▪문 근처에는 치매 환자의 출입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신호 장치를 사용한다.[7][25][64]

  • 치매

    환자

    의 낙

    상 방

    지를

    위한

    주거

    환경

    만들

    26

    ▪문손잡이는 잡기 쉬운 레버형이나 움푹 패인 D자형을 사용한다. 색

    상은 문 색과 잘 대비되도록 선택

    해야 하며, 바닥으로부터 1m 높

    이 이상에 설치한다.[47][51]

    ▪문 걸쇠(빗장)를 추가로 설치할 경우, 눈높이 또는 눈높이 바로 아래

    에 둔다.[22]

    ▪치매 환자가 문을 안쪽에서 잠글 경우를 대비하여 문 안쪽에 있는

    잠금장치를 모두 없애도록 한다.[22]

    ▪문 안쪽과 바깥쪽에서 모두 열리도록 양방향 경첩을 사용 하는 스

    윙 도어 방식(swing-door)[8][47]

    또는 파워 어시스트 도어(power

    assist door, 문을 여닫을 때 적은

    힘으로 여닫을 수 있는 문) 방식을

    고려한다.[8] 소음이 발생할 수 있

    는 스윙 도어 방식 문에서 소음이

    심하게 난다면 이를 사용하지 않

    는다.[36]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문은 부드럽고 조용하게 열고 닫

    히도록 해야 하며, 소음이 심한 문

    은 교체하는 것이 좋다.[47]

  • Ⅱ.실

    내공

    간1.공

    간구

    성2.

    설비

    3.

    마감

    재4.

    인테

    리어

    5.

    관리

    및정

    리정

    27

    03 마감재일러두기[12][49][51][56][75]

    ✔ 치매 환자는 시력과 인지기능 저하로 인해 바닥과 벽을 구분하여 인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51][75]

    ✔ 치매 환자는 운동기능과 균형 감각이 떨어져 잘 걸려 넘어진다.[49][75]✔ 물 닿는 공간이나 돌출부가 있는 공간에서 낙상이 많이 발생한다.[49][75] ✔ 루이소체 치매 환자는 환각, 균형상실, 거리 판단 능력 상실이 뚜렷하다는 점을 감안하여

    바닥 마감재를 선택하여야 한다.[49]

    ✔ 마감재의 색상이나 패턴 대조가 심하면 혼란과 보행 장애를 유발할 수 있지만, 적절하면 실내에서 공간을 식별하고 방향이나 위치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51][56]

    ✔ 낙상에 대비하려면 인접한 바닥 간의 마감재 색상, 패턴 등 대조가 적어야 하고,[12] 이를 위해 바닥 마감재 간 색상, 패턴 등 대조에 대한 규격을 설정, 준수하여야 한다.[51][56]

    3.1. 천장

    방/거실

    ▪천장에는 친숙하고 안정감을 주는 마감재를 씀으로써, 불안, 초조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46]

    ▪치매 환자에게 불필요한 소음을 막을 수 있도록 방음 천장, 소음 저감 효과가 높은 마감재를 쓰도록 한다.[37][49] 치매환자는 감각의 변화로 외부 자극이 더욱 치매를 악화

    시키고, 특히 소음은 치매환자에게 큰 스트레스로 작용한다.[29][49]

  • 치매

    환자

    의 낙

    상 방

    지를

    위한

    주거

    환경

    만들

    28

    3.2. 벽

    집 안 복도

    ▪방문이 닫혀 있을 때 치매환자가 문을 알아보도록 벽, 문, 문틀, 굽

    도리널(벽 아래쪽에 두르는 널빤

    지) 간의 색상 및 명암 대조가 뚜

    렷해야 한다.[5][32]

    ▪특히 벽이 끝나는 지점을 분명히 알아 벽에 부딪히는 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벽, 굽도리널, 바닥의 색이 적절히 대조를 이루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하얀색의 문, 문틀, 굽도

    리널, 벽인 경우 상당히 알아보기 어렵다.[58]

    3.3. 문

    ▪문턱을 낮추거나(최소 1.27cm 이하로 낮춤)[25][30][49] 가급적 문턱을 없애도록 한다.[5]

    화장실/욕실

    ▪방문과 동일하게 휠체어나 보조도구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경우를 고

    려하여 문턱을 낮추거나(최소 1.27

    cm 이하)[25][30][49] 문턱을 없앤다.[5]

  • Ⅱ.실

    내공

    간1.공

    간구

    성2.

    설비

    3.

    마감

    재4.

    인테

    리어

    5.

    관리

    및정

    리정

    29

    주 출입구

    ▪치매 환자가 알아보기 쉽도록 문, 문틀과 굽도리널 색상을 선명히 대조시킨다.[5][74]▪문이 잘 보이도록 문턱, 문표면, 마감처리 부분 등의 색이 벽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구

    분되도록 한다.[74]

    ▪배회 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문손잡이를 아예 제거하거나 색상을 주위 벽과 일치시켜 눈에 잘 띄지 않게 한다.[37]

    3.4. 바닥

    ▪침실의 벽, 바닥과 가구 간 광반사값(Light-reflecting values, LRV)의 차이는 30LRV 내외로 유지한다.[56][57]

    ▪바닥과 문, 문과 벽 간의 색상 대조도 30LRV 차이 정도여야 한

    다.[37][51][54]

    ▪바닥, 문, 벽 간 색상 대조가 30LRV 내외를 이루기 힘든 경우, 바닥과

    벽의 색상 대조라도 위 규격을 준

    수하도록 한다.[51]

    ▪바닥이 서로 인접한 경우에는, 바닥 간 색상 대조 차이는 8~10LRV 여야 하고, 문턱은 옆 바닥과 색상 대조 차이가 3LRV 이하이어야 한다.[51]

    ▪요철부나 모서리 면에 완충재를 두거나, 모서리 면을 둥글게 처리한다.[5]

    화장실/욕실/부엌

    ▪바닥 타일색이 일부만 검은 패턴은 피해야 한다.[51]▪바닥에는 미끄럽지 않고 광택이 없는 마감재(무광페인트, 무반사 타일 등)를 이용한

    다.[29][53]

  • 치매

    환자

    의 낙

    상 방

    지를

    위한

    주거

    환경

    만들

    30

    식당/다용도실

    ▪가구, 식기류 등과 잘 구분될 수 있는 마감재를 사용한다.[64]▪휠체어로 이동해도 쉽게 훼손되지 않는 마감재를 사용한다.[46] 예를 들어 단단한 원목

    으로 된 경재, 고강도 타일 등을 쓴다.

    거실

    ▪바닥 전체를 비슷한 색상으로 해야 치매 환자가 바닥을 계단이나 단차로 인식하지 않는다.[75]

    ▪치매 환자가 물에 젖거나 미끄러운 바닥으로 잘못 인식하게 되는 반짝이는 마감재, 바닥에 무언가 떨어져 있다고 생각하여 집는 동작을 하게 만드는 얼룩 있는 마감재, 장애

    물로 보이게 되는 마크나 로고가 그려진 마감재를 사용해서는 안 되고, 바닥재 고정대도

    인접 바닥과의 대조 차이를 줄이기 위해 알루미늄이나 황동재로 된 것은 피해야 한다.[51]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바닥 마감재의 예로 코르크 재질이 있으며, 코르크 재질은 소음을 흡수할 뿐 아니라 치매환자의 낙상 시에 층격을 흡수하기도 한다.[73]

    집 안 계단

    ▪계단은 깊이가 전체 발을 딛는데 충분해야 한다.[29][44]▪미끄럼 방지패드로 발판에 미끄럼 방지처리 해 두어야 한다.[28][30][32] ▪모든 계단에 대조되는 색의 띠를 붙이거나 페인트를 칠해야 한다.[5][59]▪최상부와 최하부 계단의 마감재는 색상을 달리하여 층수가 달라짐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8][20]

    집 안 복도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바닥재를 사용한다.[28][30][32] ▪복도와 주요 공간 간 명암차가 크지 않아야 한다.[22]▪복도와 이어지는 공간의 바닥 마감재는 복도 바닥 마감재와 밝기가 유사하여 계단이

    나 단차로 오인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37][53]

    ▪치매 환자가 보행시 안정감을 느낀다는 어두운 색 계열을 바닥의 마감재에 사용한다.[35]

  • Ⅱ.실

    내공

    간1.공

    간구

    성2.

    설비

    3.

    마감

    재4.

    인테

    리어

    5.관

    리및

    정리

    정돈

    31

    04 인테리어일러두기[3][30][49][56][75]

    ✔ 알츠하이머형 또는 루이소체형 치매 환자는 다른 유형의 치매 환자들에 비해 공간 인지능력이 낮다.[30]

    ✔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가 중고도 단계에 이르면, 거울 속 자신을 알아보지 못하거나, 다른 사람 또는 물체로 잘못 인식하여 불안과 초조를 느끼는 오인증후가 흔하다.[56]

    ✔ 전측두엽치매의 일종인 의미치매(semantic dementia)는 가구 등과 같은 사물을 인식할 때 색상 뿐 아니라 밝기나 질감의 영향을 받는다.[3]

    ✔ 치매의 유형에 관계없이 중증 단계에 이르면 늘 익숙했던 공간을 인식하지 못해 집에서조차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알지 못한다.[30]

    ✔ 치매 환자는 친숙하지 않은 가구는 사용하지 않는다. 새로운 것을 배우지 못하고, 갑자기 환경을 바꾸면 불안, 초조를 보이면서 논리적 추론이 불가능해진다.[49]

    ✔ 치매 환자가 공간을 인식하고 방향을 찾는 데에는 색상보다 물품이 더 도움이 된다는 보고가 있다.[75]

    4.1. 실내 장식

    색상 대조를 활용하여 가구와 바닥이나 주변 공간의 구분이 잘 되도록 하고, 날

    카로운 모서리 등 위험한 요소들이 쉽게 식별될 수 있도록 한다.[5][29] 그러나 색

    상 대조가 과도하면 오히려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주야간 모두 치매 환자가 잘 볼 수 있는 색상과 패턴을 사용한다. 치매 환자는

    청색계열보다 황색계열을 더 알아보기가 쉽다. 어두운 색은 공간을 좁아보이게

    하여 치매 환자의 불안과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으므로 밝은 색상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51]

  • 치매

    환자

    의 낙

    상 방

    지를

    위한

    주거

    환경

    만들

    32

    가능한 치매 환자가 자신이 있는 곳을 인식하는 단서로 가구를 활용할 수 있도

    록 한다.[18]

    침실

    ▪시트, 이불, 베개 색상이 벽의 색과 잘 대비되도록 선택하여, 침대가 주변과 잘 구별되도록 한다.[8]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머리와 발 받침대가 있는 침대를 사용한다.[8] ▪침대 한 면만 벽면에 대도록 하고, 나머지 삼면은 치매 환자가 어느 쪽 으로든 오르고

    내리기 쉽도록 개방하여 배치한다.[8]

    ▪침대 옆에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는 단단한 가구를 배치한다.[8][28] 이 가구는 치매 환자가 짚고 일어날 수 있을 정도로 튼튼 해야 하고, 다치거나 사고가 날 수 있는 유리가

    달린 가구는 사용하지 않는다.[26]

    ▪침대 옆 바닥에는 낙상 시 충격을 덜어줄 수 있는 매트, 카펫, 부드러운 매트리스 또는 쿠션, 베개 등을 둔다.[8]

    ▪가능하면 온돌식과 침대식을 겸비하는 것이 배회를 감소시키고, 배회로 인한 낙상 위험을 줄이게 한다.[6]

    ▪거울을 보고 대화하는 등의 정신행동증상을 보일 경우에는, 거울을 치워두거나 천으로 덮어둘 수 있다.[49]

    ▪바닥과 벽지, 커튼에 화려하고 복잡하거나 어른거리는 무늬는 사용하지 않는다.[5]▪커튼은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두꺼운 타입을 사용한다.[53]

    화장실/욕실

    ▪안전바, 변좌, 비상통화버튼 등 모든 설비의 색상은 벽과 바닥의 색과 잘 대조를 이루어야 한다.[5][60]

    ▪변좌 높이는 치매 환자가 앉고 일어나기 쉬운 정도로 높아야 한다. 너무 낮을 경우, 변기를 교체하거나 두꺼운 변기 시트를 활용하여 높이를 조정한다.[8]

  • Ⅱ.실

    내공

    간1.공

    간구

    성2.

    설비

    3.

    마감

    재4.

    인테

    리어

    5.관

    리및

    정리

    정돈

    33

    거실

    ▪가능하면 다양한 높이의 의자를 두루 구비하여 치매 환자의 다양한 신체 상황에 맞출 수 있도록 대비한다.[47]

    ▪가구가 바닥과 시각적으로 대조되도록 색상을 선택한다.[5][32] 가구

    색이 바닥보다 밝을수록 좋다. 쿠

    션의 색을 바꿔 의자를 잘 보이게

    할 수도 있다.[21]

    ▪카펫과 가구의 색이 구별되지 않는다면, 다른 색의 커버를 가구에

    씌울 수 있다.[6]

    ▪카펫을 의자로 잘못 알고 앉으려다 주저앉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카펫과 소파 또는 의자의 색상은 다르게 해야 한다.[30]

    ▪패턴 무늬의 색이 배경색과 대비가 적거나, 패턴 무늬의 크기가 작은 카펫을 선택한다.[30][69] 짙거나 어두 운 색 줄무니 패턴, 물결 무늬 패턴, 큰 원 모양의 패턴은 치매

    환자가 구멍이나 계산으로 착각할 수 있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68][69]

    ▪카펫은 눈부시거나 반짝임 없는 재질이어야 한다.[53] ▪바퀴달린 의자를 사용하지 않거나 바퀴를 잠그고 사용한다.[8][22]

    ▪팔걸이가 지지대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팔걸이가 의자 좌석

    의 앞 모서리까지 길게 확장된 디

    자인을 쓴다.[5][8][22]

  • 치매

    환자

    의 낙

    상 방

    지를

    위한

    주거

    환경

    만들

    34

    부엌

    ▪치매 환자는 높이 차이를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스토브와 조리대의 높이가 같아야 한다.[47]

    ▪요리 도구를 많이 쓰는 부엌에는 열 및 연기 감지기와 같은 안전 장치가 필수적이다.[75]▪조리대, 바닥 타일, 개수대 등의 색상이 잘 대비되어야 한다.[52][53] ▪부엌의 찬장 내용물이 보이도록 하

    고, 앞문에 부착되는 손잡이도 잡기

    쉬운 모양(예: D형 손잡이)과 대조

    가 잘 되는 색상을 선택 한다.[30]

    ▪전자레인지 버튼도 잘 대비되는 색상을 사용한다.[30]

    식당

    ▪식탁은 둥근 모양보다 사각형이 인지하기 쉽다.[25]▪색상 대비를 이용하여 날카로운 모서리가 있는 곳이 눈에 잘 띄도록 한다.[9] ▪의자는 가볍고 움직이기 쉽지만 치매 환자가 짚고 일어날 경우를 대비하여 견고하고

    잘 넘어지지 않는 디자인이어야 하고, 앉기에 충분한 너비여야 한다.[8]

    ▪식탁은 치매 환자가 짚고 일어날 경우에 대비하여 견고해야 하고, 높이가 의자팔걸이나 모서리보다 충분히 높아서 치매 환자가 일어나는데 방해가 되지 않아야 한다.[46]

    ▪도자기류 및 식기류 색깔이 식탁과 대조되어서 잘 보여야 한다.[46] ▪수저도 치매 환자가 사용하기 쉬운 디자인으로 바꾼다. 식당에서 사용하는 식기류, 조

    리도구가 사용하기 편리하고, 기존에 사용하던 것은 손잡이가 흔들리는 것은 없는지

    수시로 점검해야 한다.[64]

    집 안 복도

    ▪치매 환자의 출입을 제한하고 싶은 곳이 있다면 천 장식을 이용할 수 있다.[50]

  • Ⅱ.실

    내공

    간1.공

    간구

    성2.

    설비

    3.

    마감

    재4.

    인테

    리어

    5.관

    리및

    정리

    정돈

    35

    주 출입구(로비 포함)

    ▪실내외 조명 변화에 적응할 동안 쉴 수 있는 의자를 배치한다.[57]▪신발장의 모서리가 날카로운 경우 완충재를 붙여둔다.[60]▪출입구 또는 현관문으로 미닫이 문 형태가 치매노인이 문 틀, 문 모서리에 다칠 위험을

    줄여준다는 점에서 유용할 수 있다. 단, 다른 가족들이 현관문을 미닫이로 하는 것에

    혼란을 보일 수 있고, 가족의 선호도, 필요도도 문 선택시에 고려대상이 되어야 한다.[47]

  • 치매

    환자

    의 낙

    상 방

    지를

    위한

    주거

    환경

    만들

    36

    4.2. 표지판

    일러두기[24][49][64]

    ✔ 실내 장식으로 표지판을 설치하거나 장식품을 표지로 활용하는 것은 치매 환자가 실내에서 방향을 찾고 안전하게 이동하는데 도움이 된다.[49]

    ✔ 치매 환자에게 개인적으로 의미 있는 상징과 기호를 표지판에 사용하면 더 효과적이다. 치매 환자 자신의 개인소장품을 보관하는 기억상자, 평소 좋아하던 물건, 오래된 친숙한 가구들,

    그리고 가까운 사람의 사진이나 물건 등이 치매 환자의 공간 지각을 향상시키고 동기를

    부여하는데 도움이 된다.[49]

    ✔ 표지판에 과도한 패턴을 사용하면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 패턴은 지나치지 않고 공간 전체에 일관된 스타일을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반짝이지 않는 무광 소재가 좋다.[24][64]

    어떤 공간으로 들어가는 문인지 알려주는 표지는 문 근처보다 문에 직접 배치하

    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8]

    표지판의 글자, 문양, 마크, 그래픽 등은 크고, 바탕색과 대조되는 밝은 색을 사

    용한다.[47]

    표지판에 약어를 쓰지 않아야 하고, 문맹인 치매 환자도 의미를 알 수 있도록 상

    징적 그림이나 재질을 사용한 시각적 표식을 권장한다.[5][49]

  • Ⅱ.실

    내공

    간1.공

    간구

    성2.

    설비

    3.

    마감

    재4.

    인테

    리어

    5.관

    리및

    정리

    정돈

    37

    표지판은 반사되지 않는 재질로

    하고, 표식은 무광을 사용하여

    눈이 부시지 않도록 한다.[46]

    표지판을 설치하는 최적의 위치

    는 바닥 위 4인치(1.2m) 이하

    높이이며,[31] 되도록 바닥 위

    1.1m~1.4m 높이에 설치한다.[47]

    침실

    ▪치매 환자가 서 있거나 침대에 누워있거나 관계없이 항상 쉽게 볼 수 있도록, 표지판은 높은 곳과 낮은 곳에 모두 부착하는 것이 좋다.[37]

    ▪자주 사용하는 물건을 보관하는 곳에 라벨을 붙여 둔다.[64]

    화장실/욕실

    ▪씻는 순서나 방법, 수돗물을 잠그는 방법 등 화장실이나 욕실에서 치매 환자에게 필요한 정보들은 표지판으로 만들어 내부에 부착해 두는 것이 좋다.[22][56]

    거실

    ▪눈높이에 있는 창문에는 그림, 시트지 등 장식을 부착하여 창문이 있음을 알려야 한다.[8]

    부엌

    ▪부엌 찬장문에 찬장 속 내용물을 적은 라벨을 붙여 둔다.[64]▪자주 사용하는 물건들은 라벨 표시로 구분해두는 것이 필요하다.[8][25][64] ▪유통기한, 조리방법 등 치매 환자에게 필요한 정보들을 표지판으로 만들어 부착하고,

    수돗물 잠그는 것을 잊지 않도록 표시한다.[22]

  • 치매

    환자

    의 낙

    상 방

    지를

    위한

    주거

    환경

    만들

    38

    식당

    ▪식사 순서와 방법을 표지판으로 만들어 부착할 수 있다.[58]

    집 안 복도

    ▪물건을 표식으로 이용할 경우, 벽에서 돌출하여 부딪히거나 떨어쳐 다치는 등의 안전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유의한다.[2]

    ▪치매 환자의 경우, 방향은 단어보다 화살표나 손가락 그림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것이 좋다.[22]

    ▪벽과 바닥에 화장실과 부엌 방향을 화살표를 붙여 표시해 두는 것

    이 좋다.[68]

    주출입구(로비 포함)

    ▪치매 환자가 배회 증상을 보일 경우, 지정된 장소 내에서만 활동하라는 메모를 담은 표지판을 주출입구에 부착할 수 있다.[8]

  • Ⅱ.실

    내공

    간1.공

    간구

    성2.설

    비3.

    마감

    재4.

    인테

    리어

    5.

    관리

    및정

    리정

    39

    05 관리 및 정리정돈일러두기[53]

    ✔ 정돈되지 않은 환경은 치매 환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22]✔ 간소하지 않은 환경 속에서 치매 환자는 필요한 물건을 찾기 어렵다.[53]✔ 바닥이나 가구 표면의 이상 등 주위 환경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보수하지 않으면 치매

    환자의 안전사고 위험이 높아진다.[53]

    침실

    ▪발이 걸려 넘어질 위험이 없는 디자인의 가구를 사용한다.[52]▪가구나 장식품 등의 날카로운 모서리를 없애거나 완충재로 보완한다.[5][20][26]▪과도한 가구 배치는 삼간다. 보조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불필요한

    가구는 치운다.[8][32]

    ▪특히 침실에서 연결된 화장실/욕실의 문이 최대한 활짝 열릴 수 있도록 가구배치 시 고려하여야 한다.[58]

    ▪치매 환자가 기대기에 불안정한 가구는 치워둔다.[20]▪바닥 러그는 낙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치운다.[28]▪긴급 상황 시 연락할 수 있는 연락처를 항상 침대 옆에 비치한다.[22]▪전등이나 가전제품을 가능한 콘센트 가까이에 배치한다.[22]

    ▪수면 이상을 완화하려면, 낮에는 자연광을 최대한 활용하고, 밤에

    는 검은 커튼이나 블라인드로 침

    실을 어둡게 만들어야 한다.[8][38]

    커튼봉은 자연광을 최대한 받아들

    이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창문 양

    쪽 끝보다 더 길어야 한다.[49]

  • 치매

    환자

    의 낙

    상 방

    지를

    위한

    주거

    환경

    만들

    40

    ▪물건이나 불필요한 커튼으로 창문을 가려서 자연광이 들어오는 것을 방해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47]

    ▪창 주변에 나무가 드리워져 그늘을 만들지 않도록 하고, 창은 자연광을 흡수하는데 유용한 충분한 크기로 알맞은 위치에 배치한다.[64]

    ▪창문에서 눈부심이 발생하지 않고, 자연광을 충분히 비출 수 있도록 정기적으로 청소한다.[5][22]

    ▪2층 이상에 위치한 창문은 잠금장치를 설치한다. 여닫이창과 같이 치매 환자가 손쉽게 열 수 있는 창문이 설치된 경우에는, 치매 환자가 창을 열고 밖으로 나가는 일이 없

    도록 창문을 여는 손잡이를 제거해둔다.[8][21]

    화장실/욕실

    ▪불필요한 장식용품은 치운다.[8][38]▪샤워용품, 화장지 등 필수 용품을 보관하는 선반 또는 벽장을 설치하고, 자주 사용하

    는 물건들은 가깝게 배치한다.[38]

    ▪바닥에 미끄럼 방지 스티커나 매트를 사용한다.[5] 매트가 깔려있지

    않은 경우, 변좌나 욕조, 세면대

    옆에 미끄럼 방지용 띠를 부착한

    다.[25][32]

    ▪바닥에 습기가 차지 않도록 자주 환기한다.[52][64] ▪바깥으로 물이 튀지 않을 위치에 수도꼭지를 고정시킨다.[25]▪욕실의 깔개, 카펫, 매트, 발포 고무 패드(Foam pads) 등에 걸려 넘어질 위험이 있다

    면 이들을 치우고 다른 미끄럼 방지 매트 등을 둔다.[22][28][32]

  • Ⅱ.실

    내공

    간1.공

    간구

    성2.설

    비3.

    마감

    재4.

    인테

    리어

    5.

    관리

    및정

    리정

    41

    거실

    ▪작은 커피 테이블 등과 같이 치매 환자의 눈에 잘 띄지 않는 가구들은 가능하면 치운다.[8] ▪TV는 문이 달리 폐쇄형 장식장에 보관하여 급작스런 소음에 인한 안전사고를 최소화

    해야 한다.[39]

    ▪치매 환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할 수 있는 반사면은 최대한 제거하는 것이 좋다. 창문, 컴퓨터 화면, TV에서 반사되는 빛으로 인해 눈이 부시지 않도록 치워 두거나, 재배치

    하거나, 반사를 차단할 수 있는 덮개로 가려둘 수 있다.[38]

    ▪걸려 넘어질 수 있는 물품을 수시로 수납공간에 정리해 둔다.[22] ▪매트에 오래되어 느슨해진 가장자리가 없는지 확인하고, 느슨해진 경우 걸려 넘어지

    지 않도록 수선하거나 교체 한다.[21]

    ▪치매 환자는 카펫에 묻은 큰 얼룩을 물체로 착각하여 짚으려 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바로 제거하는 것이 좋다.[31]

    ▪바닥 마감재에 금이 가거나 피복재가 벗겨진 곳이 없는지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보수한다.[75]

    ▪바닥 마감재가 휠체어를 사용해도 잘 훼손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고, 청소가 용이한 벽지, 비닐장판을 사용하되, 설치 시 끝 마무리 부분이 쉽게 훼손되지 않도록 유의한다.[12]

    부엌

    ▪자주 사용하는 물건들은 개방된 선반에 수납하거나, 속이 들여다보이는 유리문이 달린 찬장에 보관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찬장 문에 찬장 속 내용물을 기록한 라벨

    을 붙인다.[28]

    식당

    ▪식탁 위에 한 번에 너무 많이 놓는 것을 피한다.[25] ▪식당에서 사용하는 식기류, 조리도구가 사용하기 편리하고, 기존에 사용하던 것은 손

    잡이가 흔들리는 것은 없는지 수시로 점검해야 한다.[64]

  • 치매

    환자

    의 낙

    상 방

    지를

    위한

    주거

    환경

    만들

    42

    다용도실

    ▪자주 사용하는 물건은 가깝게 배치하고, 색상이나 명암, 라벨 등을 이용해 물건들을 잘 구분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47]

    ▪부적절한 물건이 세탁조 속에 들어가지 않도록 잠금장치를 설치하고, 정기적으로 세탁조를 점검한다.[22]

    집 안 계단

    ▪조명이 충분히 밝은지, 난간 등이 안전한지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보수한다.[30]▪계단에 미끄럼 방지용 접착띠나 고무 스레드(rubber treads)를 부착한다.[22]▪계단의 최상단 또는 최하단의 명암이 갑자기 달라지면, 치매 환자는 이를 구멍으로 인

    지하게 되므로 주의한다.[52]

    ▪계단 윤곽이 잘 보이도록 가장자리에 밝은 색 테이프를 붙이거나 페인트를 칠한다.[5][46]

    ▪계단의 디딤면, 수직면, 그리고 계단의 모서리에는 페인트를 칠하거

    나 반사테이프를 붙인다.[5]

    집 안 복도

    ▪보행에 방해가 되는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49] ▪치매 환자의 주의를 분산시켜 낙상 위험을 높일 수 있는 물건은 두지 않는다.[45] ▪조명이 눈부심이나 그림자를 만들어 안전사고를 유발하지 않도록 하고, 치매 환자가

    안전한 보행을 하도록 정돈한 공간이 아닌 곳에 불필요한 조명을 두지 않아야 치매 환

    자의 신경을 끌지 않고 배회 증상도 보이지 않을 수 있다.[19]

    ▪복도 구석에는 치매 환자에게 방향을 지시하는 표지판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식장, 의자, 협탁, 모자 받침대 등을 둘 수 있다.[75]

  • Ⅲ.실

    외공

    간1.

    공간

    구성

    2.

    설비

    3.

    마감

    재4.

    인테

    리어

    5.

    관리

    및정

    리정

    43

  • Ⅲ.실

    외공

    간1.

    공간

    구성

    2.

    설비

    3.

    마감

    재4.

    인테

    리어

    5.

    관리

    및정

    리정

    45

    일러두기[29][30][49][64][75]

    ✔ 실외 공간은 치매 환자의 인지 기능을 최대한 유지시키고, 정신행동증상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29][30][64]

    ✔ 적절한 조경은 치매 환자의 실외 활동을 증가시키고, 증상 완화와 삶의 질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29][30]

    ✔ 치매 환자는 사물의 높낮이 판단이 어렵고, 인접공간이 서로 강하게 대비되면 계단이나 단차로 오인할 수 있기 때문에 평평한 보행로에서도 혼란스러워 하거나 안전사고를 당할 수

    있다.[75]

    ✔ 시력이나 시야 저하가 있을 수 있으며, 실내외 조명 변화에 대한 적응력과 속도도 저하되어 있다.[49]

  • 치매

    환자

    의 낙

    상 방

    지를

    위한

    주거

    환경

    만들

    46

    01 공간 구성 실외 공간으로 나가는 진출입로가 침실 또는 거실에서 눈에 잘 띄는 위치에 오

    도록 배치한다.[37][40]

    진출입로의 표지 역할을 할 수 있는 상징물을 배치한다. 상징물로 의자를 둘 경우,

    노인이 짚고 일어나기에 충분한 모양, 재질, 견고함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22][56]

    정원 등 실외 공간으로 나갈 때 진출입로와 같은 전이 공간을 둠으로써 실내외

    조명 변화에 적응할 수 있게 한다.[43]

    정원으로 나가는 문은 0.9m 정

    도, 전이공간의 폭은 1.8m 너비

    정도 확보되어야 한다.[47]

  • Ⅲ.실

    외공

    간1.

    공간

    구성

    2.

    설비

    3.

    마감

    재4.

    인테

    리어

    5.

    관리

    및정

    리정

    47

    02 설비2.1. 조명

    진출입로에 연결된 문에는 움직

    임 감지 자동 센서등을 설치한

    다.[41]

    진출입로와 보행로에는 치매 환자의 이동과 보행에 도움이 되는 가로등이나 보

    안등과 같은 조명을 설치한다.[5][45]

    2.2. 안전바

    진출입로용 경사로나 계단에 안전바를 설치한다. 보조안전바 추가 설치를 권장

    한다.[8][22]

    안전바를 설치할 때에는, 설치된 안전바로 인해 경사로나 계단 폭이 좁아져 통

    행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도록 유의한다.[8][38][64]

  • 치매

    환자

    의 낙

    상 방

    지를

    위한

    주거

    환경

    만들

    48

    2.3. 부속구조물

    표지(Signage, 간판, 표시판 등)는 치매 환자에게 허용된 경로와 범위를 명확히

    하고, 입구와 출구를 분명히 알 수 있도록 설치한다. [39][41][75]

    보행 도중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좌석이 있어야 한다. 일정 간격으로 앉아서 쉴

    곳을 마련해둔다.[40]

    의자는 치매 환자에게 친숙한 디

    자인으로,[41] 앉기 편하고, 나무

    또는 단단한 플라스틱 재질로 된

    것이 좋다.[40]

  • Ⅲ.실

    외공

    간1.

    공간

    구성

    2.

    설비

    3.

    마감

    재4.

    인테

    리어

    5.

    관리

    및정

    리정

    49

    03 마감재 진출입로나 보행로 바닥이 미끄럽지 않아야 한다.[32] 진입로를 새로 포장할 경

    우, 포장이 완전히 굳기 전에 가볍게 빗질을 해두는 것이 방법이 될 수 있

    다.[29][30]

    눈, 비, 얼음 등 기후에 관계없이 미끄럽지 않도록 해야 한다.[22]

    보행로 표면이 휠체어나 보행보조기 운행에 적절해야 하고,[53] 휠체어를 사용해

    도 쉽게 훼손되지 않는 마감재를 써야 한다.

    보행 중 갑작스런 단차, 거친 바닥표면 재질, 갈라진 틈 등이 없도록 해야 하고,

    휠체어를 사용하거나 걷을 때 위험할만한 구멍이나 홈이 없도록 관리한다.[1]

  • 치매

    환자

    의 낙

    상 방

    지를

    위한

    주거

    환경

    만들

    50

    04 인테리어 실내 공간과 실외 공간 사이의 진출입로는 계단보다 경사로를 권장한다.[22][53]

    진출입로에 경사로를 설치할 경우, 경사로를 완만하게 설치 또는 재정비한다.[8]

    계단을 설치할 경우 계단의 깊이가 전체 발을 딛는데 충분해야 한다.[75]

    실내 바닥과 진출입로 포장 색상의 톤 대비를 줄여야 한다.[45] 마감재 광반사값의

    차이가 30LRV 내외여야 진출입로 바닥을 계단이나 단차로 오인하지 않는다.[45][51]

    보행로 너비는 휠체어 두 대가 교행할 수 있도록 최소 1.8m를 확보하는 것이

    좋다. 작은 보행로라도 1.2~1.5m 정도는 되어야 한다.[41][75]

    보행로의 가장자리를 분명히 알 수 있도록 주변 바닥과 대비되는 색으로 포장한다.[64]

    보행로에는 방향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방향 표지를 두고, 표지 위에 치매 환자

    에게 허용된 경로와 범위를 명확히 표시하는 것이 좋다.[33]

    조경 식물을 표지(Sinage, 표식, 표지판 등)로 활용하면 좋다.[64] 단 보행로에

    불필요한 그늘을 드리우거나 시야를 가리는 조경 식물, 지나치게 우거져서 보행

    을 방해하지 않아야 하고, 낙엽이 많이 떨어져 관리하기 어려운 식재는 사용하

    지 않는다.[76]

  • Ⅲ.실

    외공

    간1.

    공간

    구성

    2.

    설비

    3.

    마감

    재4.

    인테

    리어

    5.

    관리

    및정

    리정

    51

    05 관리 및 정리정돈 진입로 접근 경로 상 장애물이 없는지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통행에 방해가 되

    는 호스, 어지럽게 놓인 물건, 나뭇잎 등은 바로 치운다.[29][30]

    눈이나 얼음이 쌓이지 않도록 관리한다.[64]

    보행로에 부서진 포장재가 없도록 한다. 자갈이 고르지 않아 돌출된 부분은 없

    는지 늘 보수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11]

    보행로 위로 드리워지는 나무 가지 등을 제거해야 한다.[64]

  • 치매

    환자

    의 낙

    상 방

    지를

    위한

    주거

    환경

    만들

    52

    참고문헌

    [1] 권오정. (2000). 치매성 노인을 위한 물리적 환경에 관한 연구 (II). 한국주거학회논

    문집, 11(3), 109-124.

    [2] 김종환, 김명근. (2008). 치매전문병원 물리적 환경요인 분석을 통한 건축계획연구.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8(2), 73-82.

    [3] 배지연, 이경훈. (2004). 배회로의 시지각적 특성에 따른 치매노인의 경로선정과 위

    치선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0(6), 42-49.

    [4] 보건복지부. (2015).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

    [5] 서울특별시 디자인정책과, (2016). 인지건강 주거환경 가이드북.

    [6] 송준아, 임영미, 손귀령. (2008). 요양시설 치매노인의 배회행동. 대한간호학회지,

    38(1), 29-38.

    [7] 오은진. (2000). 요양원 건축의 치료적 환경특성과 치매노인행동의 상호관련성. 연

    세대학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이석범, 정윤주, 이성아, 염희영, 양노열. (2015). ABC모델을 기반으로 한 치매 가정

    환경수정 매뉴얼. In 가온. http://www.srook.net/withcupid/636246669170

    381386. 충청남도광역치매센터.

    [9] 이윤희, 이연숙. (2005). 치매노인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주거환경 연구. 한국

    노년학, 25, 71-91.

    [10] 임정옥, 구미옥. (2016). 요양병원 치매 환자의 낙상실태와 낙상위험요인 분석. 노인

    간호학회지. 18(2), 72-83.

    [11] 정세훈, 조경형, 신영민. (2001). 전문 요양시설 내 치매 환자의 낙상 위험요인 분석

    및 향정신약물의 역할. 노인정신의학, 5, 76-85.

    [12] 정여주, 최상헌. (2005). 치매노인 전문요양시설 거주공간디자인 지침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4(4), 70-78.

    [13] 중앙치매센터. (2012). 2012년 치매유병률 조사.

    [14] 채경주. (2010). 치매노인의 낙상예방을 위한 중재방안을 위한 문헌고찰. 고령자·치

    매작업치료학회지, 4(2), 27-34.

    [15] 최영선, 최여진. (2015). 치매 환자의 배회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소에 관한 연구-체

    계적 문헌연구: 치매 환자를 위한 노인전문병원 및 요양시설을 중심으로. 의료·복지

    건축 (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21(3), 9-23.

    [16] 홍귀령. (2006). 치매 환자의 배회행동에 관한 문헌 조사. 간호학의 지평, 3(1), 35-45.

  • 53

    [17] 홍선영, 박희옥. (2017). 치매노인의 낙상위험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성인간호학회

    지, 29(1), 51-62.

    [18] Ageing, Disability and Home Care,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Services. (2011). At home with dementia: A manual for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carers.

    [19] Algase, D. L., Beattie, E. R., Antonakos, C., Beel-Bates, C. A., and Yao, L.

    (2010). Wandering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 Other Dementias, 25(4), 340-346.

    [20] Alzheimer, Society, (2014). Reducing Risk of Falls for People With

    Dementia.

    [21] Alzheimer’s and NSW, (2011). At home with dementia A manual for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carers. A manual for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carers.

    [22] Alzheimer’s Association, (2017). Home Safety Checklist. http://www.alz.org.

    [23] , (2016). Staying Safety: Steps to take for a person

    with dementia.

    [24] Alzheimer’s Australia WA, Dementia Enabling Environments (Dementia

    Enabling Environments Project. since 2012.

    [25] Alzheimer’s Australia, (2004). Dementia Care and the Built Environment.

    Position Paper3.

    [26] , (2016). Adapting Your Home. https://www.dementia.

    org.au/.

    [27] , (2016). How to design Dementia-friendly Care

    Environments. http://www.dementia.org.au/.

    [28] , (2007). Quality Dementia Care Standards A Guide

    to Practice for Managers in Residential Aged Care Facilities.

    [29] , (2012). Dementia Friendly Environments–Adapting Your Home.

    [30] Alzheimer’s Disease Education and Referral(ADEAR) Center (2010). Home

    safety for people with Alzheimer’s disease (N. Publication Ed.):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31] Alzheimer’s Scotland, (2016). 3 Themes to Create Dementia Friendly

    Spaces in Care Home Settings.

    [32] Alzheimer’s Society, (2014). Making your home dementia friendly. https://

    www.alzheimers.org.uk/

  • 치매

    환자

    의 낙

    상 방

    지를

    위한

    주거

    환경

    만들

    54

    [33] Alzheimer’s Society, (2015). Dementia Enabling Environments.

    [34] Baker, N. L., Cook, M. N., Arrighi, H. M., and Bullock, R. (2010). Hip fracture

    risk and subsequent mortality among Alzheimer’s disease patients in the

    United Kingdom, 1988–2007. Age and ageing, 40(1), 49-54. [35] Building Better Healthcare. The role of flooring in dementia environments.

    Last update 20-Apr-2017. https://www.building betterhealthcare.co.uk/

    news/article_page/The_role_of_flooring_in_dementia_environments/128

    119.

    [36] Building Better Healthcare. Keeping the noise down. Last update 30-Apr-

    2015. https://www.buildingbetterhealthcare.co.uk/news/article_page/Keeping_

    the_noise_down/107539.

    [37] Canada Mortgage and Housing Corporation(CMHC). (2015). Housing

    Options For People Living With Dementia, CA.

    [38] Canada Mortgage and Housing Corporation. (2009). Adapting your Home

    to Living with Dementia, CA.

    [39] Centre for Excellence in Universal Design(CEUD). Universal Design Homes

    Principles.

    [40] Cochrane. T. G, (2010). Dementia Therapeutic Garden Audit Tool.

    [41] , (2010). Gardens that Care: Planning Outdoor Environments

    for People with Dementia.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ealth

    and Ageing. Australia. 2

    [42] Colombo, M., Vitali, S., Cairati, M., Perelli-Cippo, R., Bessi, O., Gioia, P.,

    and Guaita, A. (2001). Wanderers: features, findings, issue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33, 99-106.

    [43] Cunningham, C. 2008. Design for People with Dementia Audit Tool (DPDAT).

    [44] Dementia Australia. Safety in and around the home. https://www.dementia.

    org.au/national/support-and-services/carers/safety-in-and-around-the-

    home

    [45] Dementia Services Development Centre(DSDC), “Colour and Contrast”

    Scotland since 2012

    [46] Dementia Services Development Centre(DSDC), University of Stirling.

    Virtual Care Home. Scotland. since 2012.

    [47] Dementia Services Development Centre. (2013). Improving the design of

    housing to assist people with dementia.

    [48] Department of Health. (2002). Home safety for people with Alzheimer’s

  • 55

    diseas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ational Institute

    on Aging Alzheimer’s Disease Educati on and Referral (ADEAR) Center.

    NIH Publication(02-5179).

    [49] Department of Health. 2015. Health Building Note 08-02 Dementia–friendly Health and Social Care Environments. UK.

    [50] Feliciano, L., Vore, J., LeBlanc, L. A., and Baker, J. C. (2004). Decreasing

    entry into a restricted area using a visual barrier.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37(1), 107-110.

    [51] Forbo., DSDC(Dementia Services Development Centre) and University of

    Stirling. DSDC Accredited Products: Age inclusive design and Flooring.

    Last update 27. Sep. 2017.

    [52] Fleming and Bennett, 2015. The Dementia Friendly Communities Environmental

    Assessment Tool(DFC-EAT).

    [53] Fleming and Bennett, 2015. The Environmental Audit Tool–High Care. [54] Fleming, 2008. Environmental assessment tools for the evaluation of

    Australian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ementia.

    [55] Fleming, R., and Bennett, K. A. (2017). Environmental Design Resources.

    Dementia Training Australia.

    [56] Fleming, R. (2010). The use of environmental assessment tools for the

    evaluation of Australian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ementia.

    [57] Fleming, R., I. Forbes and K. Bennett, NSW Ministry of Health. 2013.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Tool(EAT).

    [58] Grey., Pierce., Cahill., Dyer., TrinityHaus and DSIDC’s Living with Dementia

    Research Programme, School of Social Work and Social Policy, Trinity

    College Dublin. (2015). Universal Design Guidelines Dementia Friendly

    Dwellings for People with Dementia, their Families and Carers Centre for

    Excellence in Universal Design.

    [59] Health Facilities Dementia Service Development Centre, Scotland, 2007.

    Dementia Design Checklist.

    [60] Health Victoria, 2015. Dementia-friendly environments.

    [61] Heerema, E. 2018. Common Causes of Falls in People with Dementia:

    Understanding Why People Fall Can Help Reduce and Prevent Falls.

    Retrieved February 12, from https://www.verywell.com/causes-of-falls-in-

    people-with-dementia-98558

    [62] Kosse, N. M., de Groot, M. H., Vuillerme, N., Hortobágyi, T., and Lamoth, C. J. (2015). Factors related to the high fall rate in long-term care residents

  • 치매

    환자

    의 낙

    상 방

    지를

    위한

    주거

    환경

    만들

    56

    with dementia.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7(5), 803-814.

    [63] Lach, H. W., Harrison, B. E., and Phongphanngam, S. (2016). Falls and

    fall prevention in older adults with early-stage dementia: an integrative

    review. Research in gerontological nursing, 10(3).

    [64] Lapping, S. (2012). Adapting Your Home Supporting people in their home

    environment. https://www.enablingenvironments.com.au/.

    [65] McNair, D., Cunningham, C., Pollock, R., and McGuire, B. (2013). Light

    and lighting design for people with dementia: Dementia Services Development

    Centre, University of Stirling.

    [66] Ministry of Health. (2013).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People with

    Behaviou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BPSD): A Handbook

    for NSW Health Clinicians.

    [67] Nijk RM, Zuidema SU, Koopmans RT. (2009).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psychotropic drug use in Dutch nursing-home patients with dementia.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1(3), 485-493.

    [68] Passini, R., Pigot, H., Rainville, C., and Tétreault, M.-H. (2000). Wayfinding in a nursing home for advanced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Environment and Behavior, 32(5), 684-710.

    [69] Perritt, M. R., McCune, E. D., and McCune, S. L. (2005). Research informs

    design: Empirical findings suggest recommendations for carpet pattern

    and texture. Alzheimer’s Care Today, 6(4), 300-305.

    [70] Pierce, S. Cahill, T. Grey, and M. Dyer TrinityHaus and DSIDC’s Living

    with Dementia Research Programme, School of Social Work and Social

    Policy, Trinity College Dublin, (2015). Research for Dementia and Home

    Design in Ireland looking at New Build and Retro-Fit Homes from a

    Universal Design Approach: Key Findings and Recommendation.

    [71] Shaw, F. E. (2003). Falls in older people with dementia. Geriatrics & Aging,

    6(7), 37-40.

    [72] Sloane, P. D., Mitchell, C. M., Weisman, G., Zimmerman, S., Foley, K. M.,

    L., Lynn, M. and Lindeman, D. (2002). The Therapeutic Environment

    Screening Survey for Nursing Homes (TESS-NH).

    [73] Timlin, G., and Rysenbry, N., (2010). Design for Dementia_Improving

    dining and bedroom environments in care homes, Helen Hamlyn Centre,

    Royal College of Art.

    [74] Unforgettable Trading. how can I help prevent falls in someone with

    dementia? https://www.unforgettable.org/blog/how-can-i–help-prevent-falls-

  • 57

    in-someone -with-dementia/ 2017. 7. 17 검색.

    [75] Utton, D. (2009). The design of housing for people with dementia. Journal

    of Care Services Management, 3(4), 380-390.

    [76] Van Hoof, J., Blom, M. M., Post, H. N., and Bastein, W. L. (2013). Designing

    a “Think-Along Dwelling” for people with dementia: A co-creation project

    between health care and the building services sector. Journal of Housing

    for the Elderly, 27(3), 299-332.

    [77]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World Health Organization.

    /ColorImageDict > /JPEG2000ColorACSImageDict > /JPEG2000ColorImageDict > /AntiAliasGrayImages false /CropGrayImages true /GrayImageMinResolution 300 /Gray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GrayImages true /GrayImageDownsampleType /Bicubic /GrayImageResolution 300 /GrayImageDepth -1 /GrayImageMinDownsampleDepth 2 /Gray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GrayImages true /GrayImageFilter /DCTEncode /AutoFilterGrayImages true /GrayImageAutoFilterStrategy /JPEG /GrayACSImageDict > /GrayImageDict > /JPEG2000GrayACSImageDict > /JPEG2000GrayImageDict > /AntiAliasMonoImages false /CropMonoImages true /MonoImageMinResolution 1200 /Mono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MonoImages true /MonoImageDownsampleType /Bicubic /MonoImageResolution 1200 /MonoImageDepth -1 /Mono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MonoImages true /MonoImageFilter /CCITTFaxEncode /MonoImageDict > /AllowPSXObjects false /CheckCompliance [ /None ] /PDFX1aCheck false /PDFX3Check false /PDFXCompliantPDFOnly false /PDFXNoTrimBoxError true /PDFXTrimBoxToMedia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SetBleedBoxToMediaBox true /PDFXBleedBoxToTrim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OutputIntentProfile () /PDFXOutputConditio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