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 47 - 韓國敎員敎育硏究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010, Vol.27, No.4, pp.4770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신 재 흡(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 연구는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 향을 구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감성적 리더십, 임파워먼트, 조직효과성 이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고, 세 변인 간의 상관관계,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의 하위변인들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수행하기 위하여 경기도 지역에 근무하는 초고등학교 각각 10개 학교에 근 무하는 교사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고, 이중에서 55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 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감성적 리더십은 초 등학교, 여교사, 공립, 30학급 미만, 부장교사, 임파워먼트는 초등학교, 공립,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위 이상, 학교 조직효과성은 초등학교, 여교사, 공립, 30학급 미만, 부장교사가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그리고 세 변인 간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또한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는 학교 조직효과성에 영향력이 있으며, 특히 감성적 리더십 변 인 가운데 관계 관리와 임파워먼트 변인 중에 의미감, 역량, 영향력이 전체적으로 학교 조직 효과성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 대한 단계별 영향력에서는 교사들이 학 교장의 감성적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파워먼트까지 인식을 할 때 교사들의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결국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감성적 리더십 변인 중 관계관리와 임파워먼트 변인 중 의미감, 역량, 영향력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현장에서 행해지 는 교육활동의 성과와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주제어 : 감성적 리더십, 임파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 본 연구는 2010학년도 한성대학교 교내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된 연구임. ** [email protected] ***원고접수(10.10.30). 심사(10.12.05). 수정완료(10.12.15)
24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dcRxKCBT_003_E… · 성이다. 이에

Jul 21, 2020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dcRxKCBT_003_E… · 성이다. 이에

- 47 -

韓國敎員敎育硏究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2010 Vol27 No4 pp47~70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신 재 흡(한성 학교 교육 학원)

요 약

이 연구는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구명하는 데 목 이 있다 구체 인 연구목 은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조직효과성

이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 고 세 변인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하 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수행하기 하여 경기도 지역에 근무하는 고등학교 각각 10개 학교에 근

무하는 교사 600명을 상으로 설문조사 하 고 이 에서 556명을 상으로 자료를 분석하

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 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감성 리더십은

등학교 여교사 국공립 30학 미만 부장교사 임 워먼트는 등학교 국공립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학교 조직효과성은 등학교 여교사 국공립 30학 미만

부장교사가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그리고 세 변인 간은 유의미한 상 계를 보 고 한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는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으며 특히 감성 리더십 변

인 가운데 계 리와 임 워먼트 변인 에 의미감 역량 향력이 체 으로 학교 조직

효과성에 향을 미쳤다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에서는 교사들이 학

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을 할 때 교사들의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결국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하기 해서는 감성 리더십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인 의미감 역량 향력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 장에서 행해지

는 교육활동의 성과와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주제어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본 연구는 2010학년도 한성 학교 교내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된 연구임

sjaeheubhansungackr

원고 수(101030) 심사(101205) 수정완료(101215)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48 -

I 서 론

21세기에 들어서서 사회 환경은 기술 인 역량을 더욱 더 강조함으로써 개인과 조직 간

에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성 경쟁으로 인하여 조직 구성원들 간

의 감성이 차 으로 메말라 가고 있다 이러한 시 에 조직 목표를 달성하기 해서는

상호 이익을 추구하고 인간의 따뜻한 가슴을 자극하는 감성엔진과 감성역량을 배양할 필

요가 있다(정 2005) 그 동안 조직연구에서도 합리 이고 규범 인 역에 한 연구

가 주를 이루었기 때문에 조직에서의 감성에 한 연구는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Tran

1998) 하지만 개인이 환경에 응하듯이 조직도 환경에 응한다는 의미에서 조직을 유기

체 인 에서 바라보는 개념이 차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에 한 연구의 시작은 이석열(2006)이 교장의 감

성리더십 진단 척도를 개발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미라(2007)는 이 진단척도를

활용하여 ldquo학교장의 감성 지도성조직감성조직학습 간의 계연구rdquo를 시도하 으며

한편 강경석 외(2007)는 ldquo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rdquo를 탐

색했다 신동한(2008)은 ldquo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의 교직헌신도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인과 효과의 분석rdquo을 시도했으며 신 식 외(2009)는 ldquo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조직 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구조 인 향 계를 설

명하는 이론 모형의 합도rdquo를 검증하 다 김정서(2009)는 ldquo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학교조

직문화와 조직 역량의 모든 하 요인에 향력이 있음rdquo을 제시했고 한 이윤식 외(2009)

는 ldquo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 간의 구조 계를 악하

기 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rdquo을 실시하 다 그리고 김일형(2009)은 ldquo학교장의 감성지능

요인이 교사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정 인 향력이 있음rdquo을 제시했다 상기의 연구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조직을 이끌고 나가는 지도자들의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몰입

교사헌신 효과성 조직학습 조직문화 조직역량 직무만족 직무몰입 교사 효능감에

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감성리더십이 조직의

효과성을 결정하는 데 요한 역할을 하는 변인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임 워먼트의 효과는 교사 만족도 사기 증진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 등

역에 걸쳐 골고루 탐색되고 있다(박인심 2006) 즉 개인이 조직에서 임 워먼트를 경험

함으로써 업무 수행을 한 노력을 증 시키고 결과 으로 조직효과성을 높이게 될 것으

로 기 된다(Conger amp Kanungo 1988) 아울러 임 워먼트는 경험이 풍부한 교사일수록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49 -

교과를 가르치는데 있어서 더욱 신 이고 효과 인 교수방법을 개발하고 용하는 경향

을 보 다(Adajian 1995) 우리나라의 경우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조직효과성과의 계

를 분석한 연구들이 있으나 이제까지 교육과 교직발 을 한 략 개념으로서 임 워

먼트의 의미가 활발히 논의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지 까지 선행연구에서 밝 진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련연구(김필녀 2002 김민환 2003 최연인 2005 신재흡

2007)는 조직 구성원의 임 워먼트가 직무만족 조직 응 조직생산성 교직헌신 교직활동

성향 변인에 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러나 지 까지 선행연구에서 밝 진 조

직효과성에 한 연구는 부분 변 도덕 지도성과의 계를 보여주고 있다(최연인

2005 신재흡 2007) 이러한 맥락에서 리더의 감성을 통하여 교사의 태도를 변화시키려는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교사들의 임 워먼트를 증강시키면서 학교 조직에 한 태도를

변화시키게 되며 이는 결국 조직효과성에 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과거

앙집권 이고 통 인 리더십 유형이 아니라 최근 조직 차원에서 새롭게 논의되고 있

는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력을 구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 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은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다 둘째 설

정된 세 연구변인들 간의 상 계를 분석한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을 보다 더 확 하

기 해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교사 집단의 임 워먼트 에서 어느 요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더 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Ⅱ 이론 배경

1 감성 리더십

리더십에 한 학문 연구는 특성이론에서부터 행동이론과 상황이론을 거쳐 재의 변

리더십에 한 연구로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조직이 당면한 도 에 응하기 한

새로운 사고가 필요하고 합리 논리 이고 분석 인 측면의 리더십과는 다른 시각을 요

구하고 있다(이석열 2006 54~55) 이러한 사고는 Kouzes와 Posner(1999)의 연구에서 유형

화된 리더십이 감성에 을 두는 것이다 이러한 사고의 발 은 리더십에 한 보다

범 한 근의 필요성과 감성지능과 병행한 리더십에 한 연구의 필요성을 의미하는 것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0 -

이다(이화용 2005)

감성 리더십에 한 선행 연구자들의 개념 정의를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Neff Citrin

과 Brown(1999)은 ldquo미국에서 가장 성공 으로 기업을 이끌고 있는 최고경 자 50명을 분

석한 후 밝힌 15가지 공통 자질을 제시한 후에 이러한 자질들 가운데 세 가지 요인만이

지 기술 능력과 련되었을 뿐 나머지 요인은 감성 지능으로 되어있음을 주목할 필

요가 있다rdquo고 제시했다 Goleman과 Boyatzis McKee(2002)는 감성 리더십을 ldquo지도자

스스로 자신의 내면을 이해하고 구성원의 감성 필요를 배려함과 동시에 조직의 구성원

들과의 계를 자연스럽게 형성하여 조직의 감성역량을 높이는 능력rdquo이라고 정의하면서

한 이들은 ldquo감성지능이 리더십 유효성에 요한 요인이며 특히 을 이끄는 지도자에게

더욱 요하며 조직의 상 계층으로 가면 갈수록 감성지능이 더욱 요하다rdquo고 제시했다

한편 이미라(2007)는 감성 리더십을 ldquo지도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감성 이고 사회

능력을 개발하고 구성원들의 감성을 이해하고 배려함과 동시에 비 을 제시하고 자연스럽

게 조직 구성원들에게 향력을 행사하는 것rdquo으로 규정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진 리더십은 오늘날 다양한 조

직 안에서 지도자와 구성원 간의 조화를 이끌어 내는 강력한 조직 감성을 형성시키는 근

원이 되며 나아가 개인 차원을 넘어서 조직효과성이나 교사헌신(몰입)을 높이는 리더십

으로 볼 수 있다(Goleman 2002 Humphery 2002) 앞으로 차 네트워크화와 분권화가

되는 조직사회에서는 지도자로 하여 인 계 지향 인 행동을 요구하는데 이는 결

국 사회 감성 지능을 필요로 한다 특히 자율 성격이 강한 학교 조직에서 감성

리더십이 더욱 필요한 당 성이 있는 것이다(이석열 2006)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감성

지도자의 개념을 용하여 이미 고 교사들을 상으로 측정도구가 개발된 이석열

(2006)의 감성 리더십의 하 변인을 사용하고자 한다 감성 인식능력 변인은 자기 인식능

력 자기 평가능력 자기 확신능력이며 감정 리능력 변인은 신성 성취력 헌신성 진취

성이다 이에 반해 사회 인식능력 변인은 감정 이입 서비스 정신 다양성 활용이며 계

리능력 변인은 향력 의사소통 리더십 변화 진 갈등 리 유 형성 동 능력

역량 등이 있다

2 임 워먼트

임 워먼트(empowerment)의 연구는 20C에 시민 권리운동 흑인 투표권 항운동 노조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1 -

활동 시민권리 단체운동 등이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사회학자들은 이들 단체들이 사회

구조 차별과 소속 단체의 무력감을 극복하고 민주 권리를 얻기까지의 향력을 행사

할 수 있을 정도로 워를 갖게 되는 과정에 해 연구하면서 시작되었다(채순화 2004)

하지만 교육 분야에서는 각 지역의 실정에 맞는 자율 학교경 을 한 차원에서 최근

많은 심을 일으키고 있다(Thomas amp Tymon 1994 Khan 1997 김민환 2003 최연인

2005) 그 동안 여러 학자들이 제시한 임 워먼트의 개념을 종합해보면 임 워먼트의 개념

을 크게 두 으로 나 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직구조 차원과 개인의 심리 차원

이다 자는 지도자가 하 자에게 권력을 분배하고 통제권을 이양하며 권한을 하게

임하는 행 나 실제에 을 맞추어 설명하고자 한다 즉 임 워먼트를 권한 임행

나 과정으로 보는 것이다(Conger amp Kanungo 1988 Foy 1994) 후자는 임 워된 구성원들

이 갖게 되는 행동특성들로 자기 효능감을 비롯하여 자기결정 직 통제의식 의미감 신

뢰감 그리고 동기부여 등에 을 맞추어 설명하는 것이다(Spreitzer 1995 Whetten et

al 1996) 따라서 학교조직에서의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란985170교사에게 자율성과 창의성을

갖도록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자신의 능력을 지속 으로 계발하여 교직헌신이나 조직효과

성 증진을 해 역량을 최 한 발휘하는 과정985171으로 보고자 한다

결국 이 연구에서는 임 워먼트에 한 개념 설정을 학교 조직구조 차원보다 교사 개인

의 심리 차원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Spreitzer(1995)가 제시한 척도를

용하여 그 하 변인을 의미감 역량 자율성 향력으로 구분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의

미감은 구성원들이 조직의 의의나 목표 자신의 업무 등에 부여하는 가치나 보람 등을

말한다 즉 교사가 자신의 업무나 학교 조직에 해서 부여한 가치나 목 의식 등을 뜻한

다 역량은 자기 효능감으로 불리며 자신의 능력이나 숙련도에 한 인식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교사 자신이 스스로 유능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율성은 교사들이

자신의 업무를 주도 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의사 결정과 그 정도에 한 인식을 말하며 이

는 교사들에게 신 이며 창의 인 성향을 제고시키며 그들의 자존감 신뢰 직업 만족

감도 향상시켜 다 향력은 어떤 일의 결과에 하여 자신이 미치는 향 정도에 한

인식을 의미한다 교사들이 워를 소유하고 학생들을 하여 교육환경을 개선하는 능력을

나타낸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2 -

3 학교 조직효과성

학교 조직에서 효과성은 다양한 기 을 사용한 다차원 인 개념이기에 학업 성취와 같

은 단일변인을 사용하는 것은 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변인을 축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최

근 연구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보다 확 된 측정 지표를 사용하는 노력이 선행 연구자들

에 의해 시도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신재흡 2002)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여러 선행연구자들의 견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rederick(1989)은985170강력한 행정 지도성 학습하기에 질서 정연하고 쾌 한 환경 교수-학

습의 강조 학생에 한 교사 기 학업 성취도의 측정 사용을 효과 인 학교의 특성이다

985171라고 정의했다 Sergiovanni(1994)도985170학생의 에서 교육성과에만 을 둔 단순한

학교효과성 평가에 비하여 다른 많은 차원이 있을 수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그는 일반 행

정조직과 사기업 조직의 효과성 평가기 을 학교 조직에 맞게 재해석하여 학교효과성 측

정 거985171를 제시했다 김창걸(2003)은985170학교 조직효과성이란 교사에게 을 두어 학교

조직효과성을 교직원들이 만족스런 상태에서 노력을 하며 조직이 환경에 응해 가면서

교육 성과를 확보하는 것으로 정의985171하고 있다 신재흡(2002)은985170학교 조직효과성이란 구

성원들이 과업을 수행해 가는 과정에서 내외 욕구가 충족되어 학교 생활에 정 인 감

정 상태에 도달하여 직무에 강한 애착을 가지며 학교 조직의 내외 환경 변화에 어느

정도 신축성 있게 응하는 조직 응성 조직 구성원들의 효율성을 높이기 해 학교

조직의 기능 제반 지원에 하여 구성원들의 지각 정도로 정의하며 교사 조직에 한정

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을 악한다985171고 제시했다 최연인(2005)은985170학교 조직효과성을 학교

조직이 교육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응하고 교직원들이 소속감과 헌신감을 가지고 만

족스러운 상태에서 교육목표를 성공 으로 수행해가는 과정985171으로 보았다 강경석강경수

(2006 247)는985170학교 조직효과성을 학교 조직의 목표를 달성해 가는 과정에서 산출된 교육

성취도와 구성원들의 지각하는 만족도985171라고 정의했다 학교 조직효과성의 구성 요인으

로 김창걸(2003) 신재흡(2002) 최연인(2005) 등은 교사의 직무만족도 조직 응성 조직 생

산성(직무성과)을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은 구성원들이 과업을 수행해 가

는 과정에서 내외 욕구가 충족되어 학교 생활에 정 인 감정 상태에 도달하여 직무에

강한 애착을 가지며 학교 조직의 내외 환경 변화에 어느 정도 신축성 있게 응하는

조직 응성 조직 구성원들의 효율성을 높이기 해 학교 조직의 기능 제반 지원에

하여 구성원들의 지각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고자 한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3 -

상기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개념 정의를 살펴본 결과 학교 조직효과성의 본질을

밝히려는 노력과 상에 따라 개념의 강조 을 달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연

구에서는 이미 고 교사들을 상으로 사용해서 검증된 신재흡(2002)의 척도를 사

용하고자 한다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을 소개하면 직무만족 변인은 업무에 한 자부

심 업무에 한 책임성 학교에 한 소속감 업무 수행에 한 만족도 심리 안정감 능

력 발휘 업무에 한 보람 행정가와 인간 계 근무 조건 등이다 그리고 조직 응성 변

인은 정부 시책에 한 호응 정도 학교 교육방침에 한 응 사회 변화에 한 지각 정

도 지역 사회의 요구에 한 지각 정도 지역 사회와의 유 계 등을 의미한다 조직 생

산성 변인은 필요한 자료의 활용 원회 제도의 활용 구성원에 한 응분의 우 분 기

개선을 한 노력 목표의 인지 시간 운 의 성 업무 분장 계 학습 지도 근무

평정에 한 한 반 등을 나타낸다

4 연구변인들 간의 계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을 구명하기 하여 연구변인들 간의 계를 선행연구를 토 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에 한 연구를 살펴보면 감성 지도성과 학

교 조직효과성의 계를 다룬 직 인 연구(신동한 2008 김 진김상돈 2009 신 식

김 진김상돈 2009)가 있으며 그리고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몰입(강경석김철구

2007) 교사헌신(이윤식이상미 2009)과의 계를 다루고 있다 이들의 연구를 소개하면서

감성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미치는 계성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신동한

(2008 143)은 ldquo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연구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의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한 감성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직 인

향을 미치면서 교사의 교직헌신도를 통한 간 인 향도 미치고 있는 것rdquo으로 나타났

다 김 진김상돈(2009 272~273)은 ldquo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

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연구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해 감성 지도성(473) 변

지도성(281) 거래 지도성(195) 순으로 향을 미치는 것rdquo으로 제시했다 신 식김

진김상돈(2009 220)은 ldquo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에서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이 학교 조직개방성에 미치는 향 782 학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4 -

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322rdquo로 나타났다 강경석김철구(2007 19~20)는 ldquo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 연구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은 교사의 학

교 조직몰입 모든 하 변인과 정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밝 졌으며 한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에 향을 미치며 특히 학교장의 감성리더십 계인식 능력과 자기 인식능력

은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에 유의한 향력rdquo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윤식이상미(2009

18)는 ldquo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연구에서 학교장의 감성지도성은 교사헌신에 직 인 효과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한 간

인 효과가 부가되어 총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rdquo고 제시했다 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연구는 감성 리더십

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음이 확인되었고 강경석김철구(2007)와 이윤식이상

미(2009)의 연구에서는 감성리더십이 조직몰입이나 교사헌신 교사효능감에 향력이 있음

이 밝 졌다

둘째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에 한 연구를 살펴보면 교

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의 계를 다룬 직 인 연구(김필녀 2002 최연

인 2005)가 있으며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교직헌신(신재흡 2007)과의 계를

다루고 있다 이들의 연구를 소개하면서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는 계성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김필녀(2002 90)는 ldquo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향 연구에서 등교사의 활력화와 등

학교 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향력은 두 변인 간의 상 계수는 611로 비교 높은 상

을 나타내고 변인에 한 설명력은 373로 나타났다(F=121224 plt001)rdquo고 제시했다 최

연인(2005 89~90)은985170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연구에서 변 지도성이 임 워먼트에 미치는 인과효과는

379(직 효과)이고 변 지도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인과효과는 524(직 효과 214

간 효과 310)이며 한 임 워먼트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은 819(직 효과 819)로

나타났다(plt001) 신재흡(2007 110~111)은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

치는 향 분석에서 임 워먼트 하 요인이 교직헌신 변량의 약 42를 설명하고 있으며

교직헌신에 한 향을 하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의미감(β=27) 역량(β=24) 자율성(β

=23) 순으로 비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1)고 제시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

이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는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력이 있으며 신재흡(2007)의 연구는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향력이 있음이

밝 졌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5 -

지 까지 선행연구에서 밝 진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연구는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특성변인과 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조직효과성에 한 연구

는 계변인을 새롭게 하여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 로 그 범 를 확 시키기

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 연구는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연계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을 다루고자 한다 그리고 감성 지도성 변인과 임 워먼트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뿐만 아니라 어느 것이 더 크게 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으로

검증하 다는 에서 이 연구가 선행연구들과의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Ⅲ 연구의 방법

1 연구의 상

이 연구의 상은 경기도 지역에 근무하는 등학교 교사 200명(10개교) 학교 교사(10

개교) 고등학교 교사 200명(10개교)으로 총600명을 연구의 상으로 삼았다 질문지 배부

회수 기간은 2010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실시하 으며 600명을 단순 무선 표집

으로 선정하여 질문지를 배포하 다 배포된 질문지 가운데 회수된 질문지는 580부(97)

으며 그 가운데 무응답치나 연구의 가치가 없다고 단된 자료 24부를 제외한 556부(93)

를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하 다

2 측정도구

첫째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을 측정하기 하여 이석열(2006)이 개발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 질문지를 사용하 다 감성 리더십 변인 감성 인식능력(자기 인식능력 2문

항 자기 평가능력 2문항 자기 확신능력 3문항) 감정 리능력( 신성 3문항 성취력 3

문항 헌신성 3문항 진취성 3문항) 사회 인식능력(감정이입 3문항 서비스 정신 2문항

다양성 활용 2문항) 계 리능력( 향력 2문항 의사소통 3문항 리더십 3문항 변화

진 3문항 갈등 리 2문항 유 형성 3문항 동 능력 3문항 역량 3문항) 등 총48

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작성된 문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한 감성 리더십의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6 -

측정도구에 한 신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감성 인식능력 915 감정 리능력 948

사회 인식능력 959 계 리능력 979로 나타났고 체 으로 986이었다

둘째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측정하기 하여 Spreitzer(1995)의 분류에 따라 의미감(5

문항) 역량(5문항) 자율성(5문항) 향력(5문항)으로 총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작성된 문

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

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의 측정도구에 한 신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의미감 889 역량 891 자율성 885 향력 938로 나타났고 체

으로 945이었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 측정도구는 신재흡(2002)의 조직효과성 측정도구를 사용하 다

하 변인으로 직무만족(9문항) 조직생산성(8문항) 조직 응성(4문항)으로 총21문항으로 구

성되었다 작성된 문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조직효과성 측정도구에 한 신

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직무만족 918 조직생산성 861 조직 응성 932로 나타났고

체 으로 952 다

3 자료처리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자료의 통계처리는 SAS 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 으며 통계

처리의 유의 수 은 각각 plt05 plt01 plt001에서 분석하 다 구체 인 자료의 통계방법

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장의 감성 리더

십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정도를 분석하기 하여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 다 둘째 연구변인들 간의 계를 알아보기 하여 상 계분석을 실시하 다

셋째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감성 리더

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계를 분석하기 하여

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고 두 변인 가운데 어느 변인이 보다 더 향을 미치는지를 분석

하기 하여 단계 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 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7 -

Ⅳ 연구 결과 해석

1 교사특성에 따른 세 연구변인들 간의 차이 분석

가 감성 리더십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감성 리더십의 차이는 lt표 Ⅳ-1gt과 같다

lt표 Ⅳ-1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감성 리더십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 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400 0725535 AgtC

BgtC학교(B) 194 384 072

고등학교(C) 164 320 083

성남자 222 361 086 541

여자 334 378 079

학교 유형국공립 379 387 078 4880

사립 177 337 082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68 0761627

11년-20년 164 365 085

21년 이상 164 380 087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98 071 3516

30학 이상 356 356 084

직부장교사 108 401 072 1893

평교사 448 364 083

학력학사학 338 373 076

0496석사학 이상 218 368 091

계 556 371 080

plt05 plt001

lt표 Ⅳ-1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에 한 교사들의 인식은 학교 에서 통계 으로 유

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lt001) 평균값을 통해 살펴보면 등학교(400) 학교(384) 고등

학교(320) 순으로 나타났다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여

교사(378)가 남교사(361)보다 다소 높은 인식 보여주며(plt05) 국공립(387)이 사립(337)

보다 30학 미만(398)이 30학 이상(356)보다 부장교사(401)가 평교사(364)보다 높게

인식했다(plt001)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8 -

감성 리더십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이미라(2007) 강경석김철구(2007)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여교사가 남

교사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강경석김철구(2007) 김성규(2009) 연구와는 상반된 결과

이다 이러한 사실은 여교사가 감성 리더십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고 학교 경 에 극

으로 참여하여 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국공립이 사립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이미라(2007)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

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30학

미만이 30학 이상 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학 규모가 작을수록 교사들은 교장과의 빈

번한 면 으로 교장의 감성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

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낸 것은 강경석김철구(2007) 김성규(2009) 연구와 일치했다 이

러한 결과는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

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 임 워먼트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임 워먼트의 차이는 lt표 Ⅳ-2gt와 같다

lt표 Ⅳ-2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임 워먼트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 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3 0652865

AgtB AgtC학교(B) 194 354 066

고등학교(C) 164 347 058

성남자 222 369 060 0728여자 334 364 070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3 068 16567

사립 177 349 060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58 004562311년-20년 164 363 005

21년 이상 164 380 005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69 069 063930학 이상 356 364 065

직부장교사 108 399 068 35711

평교사 448 358 064

학력학사학 338 361 063

4776

석사학 이상 218 373 072

계 556 367 054

plt05 plt01 plt0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9 -

lt표 Ⅳ-2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교육경력 학력 따라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3) 학교(354)

고등학교(347) 순이며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 교사가 등학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

을 나타냈다 국공립(373)이 사립(349)보다 부장교사(399)가 평교사(358)보다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plt001) 한 21년 이상(380) 11~20년(363) 10년 이하(358) 순으로 나타났다

(plt01) 한편 석사학 이상(373)이 학사학 (361)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5) 상

기의 연구결과는 신재흡(2007)의 연구결과와 모두 일치했다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등

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

을 가지고 학교생활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보다 높

은 반응을 나타낸 것은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

함과 동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

에서 가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는 lt표 Ⅳ-3gt과 같다

lt표 Ⅳ-3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성 학교 규모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7) 학교(357) 고등

학교(333) 순이며(plt001)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가 고등학교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국공립(377)이 사립(338)보다 부장교사(386)가 평교사(359)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

냈다(plt001) 한편 여교사(372)가 남교사(354)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1) 그리고

30학 미만(373)이 30학 이상 보다 높은 인식을 보 다(plt0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김재덕(2005)의 연구와 일

치했다 이러한 사실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

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한 결과는 국공립교사가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가 높게 인식한 결과는 신재흡(2010) 김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0 -

재덕(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

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

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lt표 Ⅳ-3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7 0625009 AgtB

A BgtC학교(B) 194 357 064

고등학교(C) 164 333 059

성남자 222 354 070 9712

여자 334 372 064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7 066 44823

사립 177 338 061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62 0661662

11년-20년 164 360 067

21년 이상 164 372 068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73 064 550130학 이상 356 359 068

직부장교사 108 386 069 13787

평교사 448 359 066

학력학사학 338 361 064

1901석사학 이상 218 369 071

계 556 364 066

plt05 plt01 plt001

2 세 연구변인들 간의 상 계

가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분석을 한 결과는 lt표 Ⅳ

-4gt와 같다

lt표 Ⅳ-4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 분석

구 분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감성 리더십 100

임 워먼트 44 100

학교 조직효과성 49 58 100

plt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1 -

구 분 감 성인 식

감 정 리

사회인 식

계 리

의미감 역 량 자율성 향력 직무만족조 직

응성조 직생산성

감성인식 100

감정 리 70 100

사회 인식 59 71 100

계 리 67 71 79 100

의미감 40 40 44 44 100

역 량 28 30 34 33 55 100

자율성 22 29 32 32 38 58 100

향력 20 32 38 35 40 53 64 100

직무만족 42 41 46 45 64 56 40 44 100조 직

응성40 43 43 49 43 48 38 39 55 100

조 직생산성

44 55 61 63 45 46 44 44 49 65 100

lt표 Ⅳ-4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변인 간의 상 계는 r=44(plt01)이며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는 r=49(plt01)이다 그리고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 간의 상 계는 r=58(plt01)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 변인 간의 상

계는 정 상 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의 결과는 lt표

Ⅳ-5gt와 같다

lt표 Ⅳ-5gt는 감성 리더십의 네 가지 하 요인과 임 워먼트의 네 가지 하 요인 그리

고 학교 조직효과성의 세 가지 하 요인 간의 상 계를 나타내고 있다

lt표Ⅳ-5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

plt01

첫째 감성 리더십 하 변인과 임 워먼트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감

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감성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20~40) 감정 리는 임

워먼트 하 변인(r=29~40) 사회 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 계 리 변인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과는 정 상 을 나타낸다(plt01)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

데 사회 인식과 계 리 변인이 임 워먼트와의 상 계수가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하 변인 간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 가운데 감성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0~44) 감정 리는 학교 조직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2 -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 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2050 17220

52533 0276

감성인식 069 0088 1641

감정 리 080 0095 1591

사회 인식 0150 0201 3039

계 리 0152 0205 3270

성 하 변인(r=41~55) 사회 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3) 계 리와 학

교 조직효과성 변인(r=45~63)과는 정 상 을 보여 주었다(plt01) 특히 사회 인식과

조직생산성(r=61) 계 리와 조직생산성(r=63)으로 높은 정 상 을 보 다 이러한 연

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연구결과와

일치했다 이러한 상은 학교 조직에서 감성리더십 하 요인인 사회 인식과 계 리가

조직생산성과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요망된다

셋째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임 워먼트 하 변인

의미감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4) 역량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

(r=46~56) 자율성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8~44) 향력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9~44)으로 정 상 을 보 으며(plt01) 특히 의미감과 직무만족(r=64) 역량과 직

무만족(r=56)으로 높은 정 상 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특히 이러한 상은 임 워먼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변인과 직무만

족과의 련성을 활용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3 다회귀분석

가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6gt과 같다

lt표 Ⅳ-6gt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plt01 plt001

lt표 Ⅳ-6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276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밝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3 -

졌고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상 인 비 은 β계수(표 화 회귀계

수)로 보아 계 리(β=21) 사회 인식(β=20) 순으로 나타났으나 감성인식과 감정 리

는 통계 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감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계

리 사회 인식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유사한 연구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감성리더십이 교사들의 계 리와 사회 인식변인

을 통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데 특히 교육 장의 학교장은 교사들에게 감정

이입 다양성 활용 의사소통 갈등 리 유 형성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배려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단할 수 있다

나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7gt과 같다

lt표 Ⅳ-7gt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0696 5101

123583 0473

의미감 0408 0425 11339

역 량 0194 0188 4372

자율성 0079 0088 2036

향력 0118 0143 3397

plt05 plt001

lt표 Ⅳ-7gt과 같이 임 워먼트 하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약 473를 설명하고

있으며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향을 하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의미감(β=43) 역량(β

=19) 향력(β=12) 자율성(β=09) 순으로 비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즉 임 워먼트는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것으로 단할 수 있고 특히 학교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해서는 임 워먼트 변인을

극 으로 발휘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4 -

4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8gt과 같다

lt표 Ⅳ-8gt은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감성 리더십 하 변인들 에서 계 리 변인이 학교 조직효

과성 변인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고 임 워먼트 변인 에서는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해 약 513의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 향력을 비교한 결과 의미감

(β=34) 역량(β=18) 향력(β=12) 계 리(β=11) 순으로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lt표 Ⅳ-8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

변인독립변인

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감성

리더십

(상수) 0481 3460

72011 0513

감성인식 0032 0040 0897

감성 리 0044 0053 1063

사회 인식 0048 0065 1234

계 리 0079 0106 1927

임 워먼

의미감 0323 0337 8728

역 량 0189 0183 4408

자율성 0062 0069 1658

향력 0088 0116 2556

plt05 plt001

감성 지도성변인 계 리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은 학

교장은 조직 구성원 상호 간 의사소통과 유 계를 형성하도록 동 인 노력을 기울일

때 조직효과성이 있으며 한편 임 워먼트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

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는 의식을 갖고(의미감)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

달되어야 하며(역량)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5 -

행사할 때( 향력)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단계별 향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정도를 단

계별로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9gt와 같다

lt표Ⅳ- 9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구 분 R2 F R2 F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임 워먼트 변인군

0276

0513

52533

72011 0237 19478

plt001

lt표 Ⅳ-9gt에서 보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하 변인군들을 집단 으로 투입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변인군들의 향력을 분석한 결과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을

투입했을 경우는 276 고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과 임 워먼트 변인군을 함께 투

입했을 경우는 513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다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를 함께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졌다 따라서 교사

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들의 학교 조직

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제언

상기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서 개인

배경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은 등학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6 -

교사가 등학교 교사들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

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에 한 인식은 등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고 학교생활에 하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함과 동

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에서 가

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

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

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 학교 조직효과성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

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에는 유의한 상 계가 있다 학

교 조직에서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식과 계 리와 임 워먼트 임 워먼

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 변인과 직무만족 변인 감성 리더십 하 변인인 사회 인

식 계 리 변인과 조직생산성을 고려할 때 한층 학교 조직효과성이 확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고 있다 이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

는 의식을 갖고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달되어야 하며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행사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학교장은 감성 지도성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

인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염두에 두면서 학교행정을 펼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

성을 확 하는 것이다

넷째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측면에서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

다 감성 리더십과 교사들의 임 워먼트를 동시에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7 -

아졌다 따라서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론을 종합하면 이 연구는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하기 해서는

감성 리더십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인 가운데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조직의 성과와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교사 경력 교사들에게 학교 조직효과성의 실천력을 증 시

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부장교사 고 경력 교사일수록 직무만족 조직 응성 조직

생산성 변인에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 결국 학교 조직효과성을 극 화하기 해서는 향

후 경력 교사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수행하는 자신의 직무에 해서 자부심을 갖고

학교가 의도하는 경 방침을 명확히 이해함과 동시에 학습지도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물을

충분히 활용하는 데 한층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에게 임 워먼트의 발휘를 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고 경력 교사와 부장교사일수록 임 워먼트에 해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 따라

서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업무에 의미성을 부여하며 아무

리 어려운 직무일지라도 반드시 성공 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특히 임 워먼트 변인 에 자율성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다소 낮은 인식

의 반응은 향후 교사들은 학교 조직목표 달성을 하여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상당

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면서 아울러 직무 수행 방법 측면에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학교장들이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시키는 방안이 될 것으로 단

된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기 한 이론 검토를 지속 으로 하는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토 로 학교 조직효과성

확 방안에 해서 실증 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

식 계 리 임 워먼트 변인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더욱 더 확 하기 해서는 련 변인

의 탐색이 지속 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를 들면 학교 조직을 상으로 한 다양한

리더십 변인 즉 셀 문화 가부장 리더십을 주요 변인으로 하여 교사들의 응집성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교직수행과 같은 조직효과성 등과 련된 변인들 간의 상호작

용이나 각 변인들을 매개로 한 직간 인 향 등에 한 지속 인 실증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8 -

참 고 문 헌

강경석 강경수(2006) 학교장의 변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4호 239~262

강경석 김철구(2007)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4호 1~24

김민환(2003)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사 임 워먼트가 교사들의 교직 활동 성향에 미치는

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89~115

김성규(2009) 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향 단

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일형(2009) 학교장의 감성지능 직무역량이 리더-구성원 교환 계(LMX)를 매개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향 홍익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재덕(2006) 학교 상황에 따라 학교장의 도덕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고려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정서(2009)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문화가 학교 조직역량에 미치는 향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필녀(2002)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국민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창걸(2003) 교육조직행 론 서울 형설출 사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1호 253~279

박인심(2006) 교원헌신에 한 권한 강화의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1호 25~50

신동한(2008)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교육행정학

연구 제26권 3호 125~149

신재흡(2007)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2호 93~119

신재흡(2002)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학교 조직문화 학교 조직효과성간의

계 교육행정학연구 제20권 제3호 91~115

신 식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4호 199~224

이미라(2007)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 감성과 조직 학습의 계 충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이석열(2006) 교장의 감성리더십 진단척도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3호 51~78

이윤식 이상미(2009)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 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2호 1~24

이화용(2005) 감성트랜드 감성 셀 리더십과 자아실 서울 한솜미디어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9 -

정 (2005) 탁 식업체 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향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채순화(2004) 변 리더십 임 워먼트 신뢰 조직몰입과의 계 다차원 근 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최연인(2005)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과의 계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Adajian L B(1995)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and the Teaching of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Conger J A amp Kanungo R N(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3(3) 471~482

Foy N(1994) Empowering People of Work Gower Publishing Ltd 3~5

Frederick J M(1989) Measuring School Effectiveness Guideline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

Princeton N J ERIC Clearing House on Test Measurement and Evaluation

Goleman D Boyatzis R amp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han R L(1997) The Key to Being a Leader Company Empowerment Journal for Quality and

Participation JanFeb 59~78

Humphrey R H(2002) The Many Faces of Emo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3

493~504

Kouzes J amp Posner B(1999) The Leadership Challenge San Francisco John Wiley amp Sons Inc

Neff T J Citrin J M amp Brown P B(1999) Lessons from the Top The Search for Americas Best

Business Leaders New York Double day

Sergiovanni T J(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Jossey-Bass

Spreitzer G M(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 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1442~1465

Thomas K W amp Tymon W G(1994) Does Empowerment Always Work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Personal Interpretation Journal of Management Systems

6(3) 54~66

Tran Veronique(1998) The Role of the Emotional Climate Impacts Performa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2(4) 240~246

Whetten D A Cameron K amp Woods M(1996) Effective Empowerment and Delation London

Harper Ciollins Publis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70 -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in Jae-Heub (Hansung Univers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perceived by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EL)

Empowermen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the impact of subfactors such

as EL and E on SO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0 teachers working in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Kyonggi Province

Of them 55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existed on EL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chairperson on E for elementary school public

school high-career teachers chairperson holders of the masters degree on SOE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and chairpers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EL had an

impact on E which had an impact on SO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s one of EL factors and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as E factors

had an impact on SOE but E had a greater stepwise impact on SOE than teachers E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use of such EL factors as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nd such E factors as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in order to increase

SOE which could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Key words Emo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Page 2: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dcRxKCBT_003_E… · 성이다. 이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48 -

I 서 론

21세기에 들어서서 사회 환경은 기술 인 역량을 더욱 더 강조함으로써 개인과 조직 간

에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성 경쟁으로 인하여 조직 구성원들 간

의 감성이 차 으로 메말라 가고 있다 이러한 시 에 조직 목표를 달성하기 해서는

상호 이익을 추구하고 인간의 따뜻한 가슴을 자극하는 감성엔진과 감성역량을 배양할 필

요가 있다(정 2005) 그 동안 조직연구에서도 합리 이고 규범 인 역에 한 연구

가 주를 이루었기 때문에 조직에서의 감성에 한 연구는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Tran

1998) 하지만 개인이 환경에 응하듯이 조직도 환경에 응한다는 의미에서 조직을 유기

체 인 에서 바라보는 개념이 차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에 한 연구의 시작은 이석열(2006)이 교장의 감

성리더십 진단 척도를 개발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미라(2007)는 이 진단척도를

활용하여 ldquo학교장의 감성 지도성조직감성조직학습 간의 계연구rdquo를 시도하 으며

한편 강경석 외(2007)는 ldquo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rdquo를 탐

색했다 신동한(2008)은 ldquo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의 교직헌신도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인과 효과의 분석rdquo을 시도했으며 신 식 외(2009)는 ldquo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조직 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구조 인 향 계를 설

명하는 이론 모형의 합도rdquo를 검증하 다 김정서(2009)는 ldquo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학교조

직문화와 조직 역량의 모든 하 요인에 향력이 있음rdquo을 제시했고 한 이윤식 외(2009)

는 ldquo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 간의 구조 계를 악하

기 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rdquo을 실시하 다 그리고 김일형(2009)은 ldquo학교장의 감성지능

요인이 교사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정 인 향력이 있음rdquo을 제시했다 상기의 연구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조직을 이끌고 나가는 지도자들의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몰입

교사헌신 효과성 조직학습 조직문화 조직역량 직무만족 직무몰입 교사 효능감에

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감성리더십이 조직의

효과성을 결정하는 데 요한 역할을 하는 변인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임 워먼트의 효과는 교사 만족도 사기 증진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 등

역에 걸쳐 골고루 탐색되고 있다(박인심 2006) 즉 개인이 조직에서 임 워먼트를 경험

함으로써 업무 수행을 한 노력을 증 시키고 결과 으로 조직효과성을 높이게 될 것으

로 기 된다(Conger amp Kanungo 1988) 아울러 임 워먼트는 경험이 풍부한 교사일수록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49 -

교과를 가르치는데 있어서 더욱 신 이고 효과 인 교수방법을 개발하고 용하는 경향

을 보 다(Adajian 1995) 우리나라의 경우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조직효과성과의 계

를 분석한 연구들이 있으나 이제까지 교육과 교직발 을 한 략 개념으로서 임 워

먼트의 의미가 활발히 논의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지 까지 선행연구에서 밝 진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련연구(김필녀 2002 김민환 2003 최연인 2005 신재흡

2007)는 조직 구성원의 임 워먼트가 직무만족 조직 응 조직생산성 교직헌신 교직활동

성향 변인에 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러나 지 까지 선행연구에서 밝 진 조

직효과성에 한 연구는 부분 변 도덕 지도성과의 계를 보여주고 있다(최연인

2005 신재흡 2007) 이러한 맥락에서 리더의 감성을 통하여 교사의 태도를 변화시키려는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교사들의 임 워먼트를 증강시키면서 학교 조직에 한 태도를

변화시키게 되며 이는 결국 조직효과성에 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과거

앙집권 이고 통 인 리더십 유형이 아니라 최근 조직 차원에서 새롭게 논의되고 있

는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력을 구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 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은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다 둘째 설

정된 세 연구변인들 간의 상 계를 분석한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을 보다 더 확 하

기 해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교사 집단의 임 워먼트 에서 어느 요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더 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Ⅱ 이론 배경

1 감성 리더십

리더십에 한 학문 연구는 특성이론에서부터 행동이론과 상황이론을 거쳐 재의 변

리더십에 한 연구로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조직이 당면한 도 에 응하기 한

새로운 사고가 필요하고 합리 논리 이고 분석 인 측면의 리더십과는 다른 시각을 요

구하고 있다(이석열 2006 54~55) 이러한 사고는 Kouzes와 Posner(1999)의 연구에서 유형

화된 리더십이 감성에 을 두는 것이다 이러한 사고의 발 은 리더십에 한 보다

범 한 근의 필요성과 감성지능과 병행한 리더십에 한 연구의 필요성을 의미하는 것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0 -

이다(이화용 2005)

감성 리더십에 한 선행 연구자들의 개념 정의를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Neff Citrin

과 Brown(1999)은 ldquo미국에서 가장 성공 으로 기업을 이끌고 있는 최고경 자 50명을 분

석한 후 밝힌 15가지 공통 자질을 제시한 후에 이러한 자질들 가운데 세 가지 요인만이

지 기술 능력과 련되었을 뿐 나머지 요인은 감성 지능으로 되어있음을 주목할 필

요가 있다rdquo고 제시했다 Goleman과 Boyatzis McKee(2002)는 감성 리더십을 ldquo지도자

스스로 자신의 내면을 이해하고 구성원의 감성 필요를 배려함과 동시에 조직의 구성원

들과의 계를 자연스럽게 형성하여 조직의 감성역량을 높이는 능력rdquo이라고 정의하면서

한 이들은 ldquo감성지능이 리더십 유효성에 요한 요인이며 특히 을 이끄는 지도자에게

더욱 요하며 조직의 상 계층으로 가면 갈수록 감성지능이 더욱 요하다rdquo고 제시했다

한편 이미라(2007)는 감성 리더십을 ldquo지도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감성 이고 사회

능력을 개발하고 구성원들의 감성을 이해하고 배려함과 동시에 비 을 제시하고 자연스럽

게 조직 구성원들에게 향력을 행사하는 것rdquo으로 규정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진 리더십은 오늘날 다양한 조

직 안에서 지도자와 구성원 간의 조화를 이끌어 내는 강력한 조직 감성을 형성시키는 근

원이 되며 나아가 개인 차원을 넘어서 조직효과성이나 교사헌신(몰입)을 높이는 리더십

으로 볼 수 있다(Goleman 2002 Humphery 2002) 앞으로 차 네트워크화와 분권화가

되는 조직사회에서는 지도자로 하여 인 계 지향 인 행동을 요구하는데 이는 결

국 사회 감성 지능을 필요로 한다 특히 자율 성격이 강한 학교 조직에서 감성

리더십이 더욱 필요한 당 성이 있는 것이다(이석열 2006)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감성

지도자의 개념을 용하여 이미 고 교사들을 상으로 측정도구가 개발된 이석열

(2006)의 감성 리더십의 하 변인을 사용하고자 한다 감성 인식능력 변인은 자기 인식능

력 자기 평가능력 자기 확신능력이며 감정 리능력 변인은 신성 성취력 헌신성 진취

성이다 이에 반해 사회 인식능력 변인은 감정 이입 서비스 정신 다양성 활용이며 계

리능력 변인은 향력 의사소통 리더십 변화 진 갈등 리 유 형성 동 능력

역량 등이 있다

2 임 워먼트

임 워먼트(empowerment)의 연구는 20C에 시민 권리운동 흑인 투표권 항운동 노조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1 -

활동 시민권리 단체운동 등이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사회학자들은 이들 단체들이 사회

구조 차별과 소속 단체의 무력감을 극복하고 민주 권리를 얻기까지의 향력을 행사

할 수 있을 정도로 워를 갖게 되는 과정에 해 연구하면서 시작되었다(채순화 2004)

하지만 교육 분야에서는 각 지역의 실정에 맞는 자율 학교경 을 한 차원에서 최근

많은 심을 일으키고 있다(Thomas amp Tymon 1994 Khan 1997 김민환 2003 최연인

2005) 그 동안 여러 학자들이 제시한 임 워먼트의 개념을 종합해보면 임 워먼트의 개념

을 크게 두 으로 나 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직구조 차원과 개인의 심리 차원

이다 자는 지도자가 하 자에게 권력을 분배하고 통제권을 이양하며 권한을 하게

임하는 행 나 실제에 을 맞추어 설명하고자 한다 즉 임 워먼트를 권한 임행

나 과정으로 보는 것이다(Conger amp Kanungo 1988 Foy 1994) 후자는 임 워된 구성원들

이 갖게 되는 행동특성들로 자기 효능감을 비롯하여 자기결정 직 통제의식 의미감 신

뢰감 그리고 동기부여 등에 을 맞추어 설명하는 것이다(Spreitzer 1995 Whetten et

al 1996) 따라서 학교조직에서의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란985170교사에게 자율성과 창의성을

갖도록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자신의 능력을 지속 으로 계발하여 교직헌신이나 조직효과

성 증진을 해 역량을 최 한 발휘하는 과정985171으로 보고자 한다

결국 이 연구에서는 임 워먼트에 한 개념 설정을 학교 조직구조 차원보다 교사 개인

의 심리 차원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Spreitzer(1995)가 제시한 척도를

용하여 그 하 변인을 의미감 역량 자율성 향력으로 구분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의

미감은 구성원들이 조직의 의의나 목표 자신의 업무 등에 부여하는 가치나 보람 등을

말한다 즉 교사가 자신의 업무나 학교 조직에 해서 부여한 가치나 목 의식 등을 뜻한

다 역량은 자기 효능감으로 불리며 자신의 능력이나 숙련도에 한 인식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교사 자신이 스스로 유능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율성은 교사들이

자신의 업무를 주도 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의사 결정과 그 정도에 한 인식을 말하며 이

는 교사들에게 신 이며 창의 인 성향을 제고시키며 그들의 자존감 신뢰 직업 만족

감도 향상시켜 다 향력은 어떤 일의 결과에 하여 자신이 미치는 향 정도에 한

인식을 의미한다 교사들이 워를 소유하고 학생들을 하여 교육환경을 개선하는 능력을

나타낸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2 -

3 학교 조직효과성

학교 조직에서 효과성은 다양한 기 을 사용한 다차원 인 개념이기에 학업 성취와 같

은 단일변인을 사용하는 것은 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변인을 축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최

근 연구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보다 확 된 측정 지표를 사용하는 노력이 선행 연구자들

에 의해 시도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신재흡 2002)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여러 선행연구자들의 견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rederick(1989)은985170강력한 행정 지도성 학습하기에 질서 정연하고 쾌 한 환경 교수-학

습의 강조 학생에 한 교사 기 학업 성취도의 측정 사용을 효과 인 학교의 특성이다

985171라고 정의했다 Sergiovanni(1994)도985170학생의 에서 교육성과에만 을 둔 단순한

학교효과성 평가에 비하여 다른 많은 차원이 있을 수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그는 일반 행

정조직과 사기업 조직의 효과성 평가기 을 학교 조직에 맞게 재해석하여 학교효과성 측

정 거985171를 제시했다 김창걸(2003)은985170학교 조직효과성이란 교사에게 을 두어 학교

조직효과성을 교직원들이 만족스런 상태에서 노력을 하며 조직이 환경에 응해 가면서

교육 성과를 확보하는 것으로 정의985171하고 있다 신재흡(2002)은985170학교 조직효과성이란 구

성원들이 과업을 수행해 가는 과정에서 내외 욕구가 충족되어 학교 생활에 정 인 감

정 상태에 도달하여 직무에 강한 애착을 가지며 학교 조직의 내외 환경 변화에 어느

정도 신축성 있게 응하는 조직 응성 조직 구성원들의 효율성을 높이기 해 학교

조직의 기능 제반 지원에 하여 구성원들의 지각 정도로 정의하며 교사 조직에 한정

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을 악한다985171고 제시했다 최연인(2005)은985170학교 조직효과성을 학교

조직이 교육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응하고 교직원들이 소속감과 헌신감을 가지고 만

족스러운 상태에서 교육목표를 성공 으로 수행해가는 과정985171으로 보았다 강경석강경수

(2006 247)는985170학교 조직효과성을 학교 조직의 목표를 달성해 가는 과정에서 산출된 교육

성취도와 구성원들의 지각하는 만족도985171라고 정의했다 학교 조직효과성의 구성 요인으

로 김창걸(2003) 신재흡(2002) 최연인(2005) 등은 교사의 직무만족도 조직 응성 조직 생

산성(직무성과)을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은 구성원들이 과업을 수행해 가

는 과정에서 내외 욕구가 충족되어 학교 생활에 정 인 감정 상태에 도달하여 직무에

강한 애착을 가지며 학교 조직의 내외 환경 변화에 어느 정도 신축성 있게 응하는

조직 응성 조직 구성원들의 효율성을 높이기 해 학교 조직의 기능 제반 지원에

하여 구성원들의 지각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고자 한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3 -

상기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개념 정의를 살펴본 결과 학교 조직효과성의 본질을

밝히려는 노력과 상에 따라 개념의 강조 을 달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연

구에서는 이미 고 교사들을 상으로 사용해서 검증된 신재흡(2002)의 척도를 사

용하고자 한다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을 소개하면 직무만족 변인은 업무에 한 자부

심 업무에 한 책임성 학교에 한 소속감 업무 수행에 한 만족도 심리 안정감 능

력 발휘 업무에 한 보람 행정가와 인간 계 근무 조건 등이다 그리고 조직 응성 변

인은 정부 시책에 한 호응 정도 학교 교육방침에 한 응 사회 변화에 한 지각 정

도 지역 사회의 요구에 한 지각 정도 지역 사회와의 유 계 등을 의미한다 조직 생

산성 변인은 필요한 자료의 활용 원회 제도의 활용 구성원에 한 응분의 우 분 기

개선을 한 노력 목표의 인지 시간 운 의 성 업무 분장 계 학습 지도 근무

평정에 한 한 반 등을 나타낸다

4 연구변인들 간의 계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을 구명하기 하여 연구변인들 간의 계를 선행연구를 토 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에 한 연구를 살펴보면 감성 지도성과 학

교 조직효과성의 계를 다룬 직 인 연구(신동한 2008 김 진김상돈 2009 신 식

김 진김상돈 2009)가 있으며 그리고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몰입(강경석김철구

2007) 교사헌신(이윤식이상미 2009)과의 계를 다루고 있다 이들의 연구를 소개하면서

감성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미치는 계성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신동한

(2008 143)은 ldquo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연구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의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한 감성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직 인

향을 미치면서 교사의 교직헌신도를 통한 간 인 향도 미치고 있는 것rdquo으로 나타났

다 김 진김상돈(2009 272~273)은 ldquo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

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연구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해 감성 지도성(473) 변

지도성(281) 거래 지도성(195) 순으로 향을 미치는 것rdquo으로 제시했다 신 식김

진김상돈(2009 220)은 ldquo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에서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이 학교 조직개방성에 미치는 향 782 학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4 -

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322rdquo로 나타났다 강경석김철구(2007 19~20)는 ldquo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 연구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은 교사의 학

교 조직몰입 모든 하 변인과 정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밝 졌으며 한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에 향을 미치며 특히 학교장의 감성리더십 계인식 능력과 자기 인식능력

은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에 유의한 향력rdquo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윤식이상미(2009

18)는 ldquo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연구에서 학교장의 감성지도성은 교사헌신에 직 인 효과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한 간

인 효과가 부가되어 총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rdquo고 제시했다 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연구는 감성 리더십

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음이 확인되었고 강경석김철구(2007)와 이윤식이상

미(2009)의 연구에서는 감성리더십이 조직몰입이나 교사헌신 교사효능감에 향력이 있음

이 밝 졌다

둘째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에 한 연구를 살펴보면 교

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의 계를 다룬 직 인 연구(김필녀 2002 최연

인 2005)가 있으며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교직헌신(신재흡 2007)과의 계를

다루고 있다 이들의 연구를 소개하면서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는 계성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김필녀(2002 90)는 ldquo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향 연구에서 등교사의 활력화와 등

학교 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향력은 두 변인 간의 상 계수는 611로 비교 높은 상

을 나타내고 변인에 한 설명력은 373로 나타났다(F=121224 plt001)rdquo고 제시했다 최

연인(2005 89~90)은985170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연구에서 변 지도성이 임 워먼트에 미치는 인과효과는

379(직 효과)이고 변 지도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인과효과는 524(직 효과 214

간 효과 310)이며 한 임 워먼트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은 819(직 효과 819)로

나타났다(plt001) 신재흡(2007 110~111)은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

치는 향 분석에서 임 워먼트 하 요인이 교직헌신 변량의 약 42를 설명하고 있으며

교직헌신에 한 향을 하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의미감(β=27) 역량(β=24) 자율성(β

=23) 순으로 비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1)고 제시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

이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는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력이 있으며 신재흡(2007)의 연구는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향력이 있음이

밝 졌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5 -

지 까지 선행연구에서 밝 진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연구는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특성변인과 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조직효과성에 한 연구

는 계변인을 새롭게 하여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 로 그 범 를 확 시키기

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 연구는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연계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을 다루고자 한다 그리고 감성 지도성 변인과 임 워먼트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뿐만 아니라 어느 것이 더 크게 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으로

검증하 다는 에서 이 연구가 선행연구들과의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Ⅲ 연구의 방법

1 연구의 상

이 연구의 상은 경기도 지역에 근무하는 등학교 교사 200명(10개교) 학교 교사(10

개교) 고등학교 교사 200명(10개교)으로 총600명을 연구의 상으로 삼았다 질문지 배부

회수 기간은 2010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실시하 으며 600명을 단순 무선 표집

으로 선정하여 질문지를 배포하 다 배포된 질문지 가운데 회수된 질문지는 580부(97)

으며 그 가운데 무응답치나 연구의 가치가 없다고 단된 자료 24부를 제외한 556부(93)

를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하 다

2 측정도구

첫째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을 측정하기 하여 이석열(2006)이 개발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 질문지를 사용하 다 감성 리더십 변인 감성 인식능력(자기 인식능력 2문

항 자기 평가능력 2문항 자기 확신능력 3문항) 감정 리능력( 신성 3문항 성취력 3

문항 헌신성 3문항 진취성 3문항) 사회 인식능력(감정이입 3문항 서비스 정신 2문항

다양성 활용 2문항) 계 리능력( 향력 2문항 의사소통 3문항 리더십 3문항 변화

진 3문항 갈등 리 2문항 유 형성 3문항 동 능력 3문항 역량 3문항) 등 총48

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작성된 문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한 감성 리더십의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6 -

측정도구에 한 신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감성 인식능력 915 감정 리능력 948

사회 인식능력 959 계 리능력 979로 나타났고 체 으로 986이었다

둘째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측정하기 하여 Spreitzer(1995)의 분류에 따라 의미감(5

문항) 역량(5문항) 자율성(5문항) 향력(5문항)으로 총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작성된 문

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

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의 측정도구에 한 신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의미감 889 역량 891 자율성 885 향력 938로 나타났고 체

으로 945이었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 측정도구는 신재흡(2002)의 조직효과성 측정도구를 사용하 다

하 변인으로 직무만족(9문항) 조직생산성(8문항) 조직 응성(4문항)으로 총21문항으로 구

성되었다 작성된 문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조직효과성 측정도구에 한 신

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직무만족 918 조직생산성 861 조직 응성 932로 나타났고

체 으로 952 다

3 자료처리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자료의 통계처리는 SAS 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 으며 통계

처리의 유의 수 은 각각 plt05 plt01 plt001에서 분석하 다 구체 인 자료의 통계방법

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장의 감성 리더

십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정도를 분석하기 하여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 다 둘째 연구변인들 간의 계를 알아보기 하여 상 계분석을 실시하 다

셋째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감성 리더

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계를 분석하기 하여

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고 두 변인 가운데 어느 변인이 보다 더 향을 미치는지를 분석

하기 하여 단계 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 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7 -

Ⅳ 연구 결과 해석

1 교사특성에 따른 세 연구변인들 간의 차이 분석

가 감성 리더십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감성 리더십의 차이는 lt표 Ⅳ-1gt과 같다

lt표 Ⅳ-1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감성 리더십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 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400 0725535 AgtC

BgtC학교(B) 194 384 072

고등학교(C) 164 320 083

성남자 222 361 086 541

여자 334 378 079

학교 유형국공립 379 387 078 4880

사립 177 337 082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68 0761627

11년-20년 164 365 085

21년 이상 164 380 087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98 071 3516

30학 이상 356 356 084

직부장교사 108 401 072 1893

평교사 448 364 083

학력학사학 338 373 076

0496석사학 이상 218 368 091

계 556 371 080

plt05 plt001

lt표 Ⅳ-1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에 한 교사들의 인식은 학교 에서 통계 으로 유

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lt001) 평균값을 통해 살펴보면 등학교(400) 학교(384) 고등

학교(320) 순으로 나타났다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여

교사(378)가 남교사(361)보다 다소 높은 인식 보여주며(plt05) 국공립(387)이 사립(337)

보다 30학 미만(398)이 30학 이상(356)보다 부장교사(401)가 평교사(364)보다 높게

인식했다(plt001)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8 -

감성 리더십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이미라(2007) 강경석김철구(2007)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여교사가 남

교사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강경석김철구(2007) 김성규(2009) 연구와는 상반된 결과

이다 이러한 사실은 여교사가 감성 리더십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고 학교 경 에 극

으로 참여하여 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국공립이 사립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이미라(2007)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

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30학

미만이 30학 이상 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학 규모가 작을수록 교사들은 교장과의 빈

번한 면 으로 교장의 감성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

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낸 것은 강경석김철구(2007) 김성규(2009) 연구와 일치했다 이

러한 결과는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

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 임 워먼트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임 워먼트의 차이는 lt표 Ⅳ-2gt와 같다

lt표 Ⅳ-2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임 워먼트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 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3 0652865

AgtB AgtC학교(B) 194 354 066

고등학교(C) 164 347 058

성남자 222 369 060 0728여자 334 364 070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3 068 16567

사립 177 349 060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58 004562311년-20년 164 363 005

21년 이상 164 380 005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69 069 063930학 이상 356 364 065

직부장교사 108 399 068 35711

평교사 448 358 064

학력학사학 338 361 063

4776

석사학 이상 218 373 072

계 556 367 054

plt05 plt01 plt0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9 -

lt표 Ⅳ-2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교육경력 학력 따라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3) 학교(354)

고등학교(347) 순이며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 교사가 등학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

을 나타냈다 국공립(373)이 사립(349)보다 부장교사(399)가 평교사(358)보다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plt001) 한 21년 이상(380) 11~20년(363) 10년 이하(358) 순으로 나타났다

(plt01) 한편 석사학 이상(373)이 학사학 (361)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5) 상

기의 연구결과는 신재흡(2007)의 연구결과와 모두 일치했다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등

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

을 가지고 학교생활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보다 높

은 반응을 나타낸 것은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

함과 동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

에서 가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는 lt표 Ⅳ-3gt과 같다

lt표 Ⅳ-3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성 학교 규모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7) 학교(357) 고등

학교(333) 순이며(plt001)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가 고등학교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국공립(377)이 사립(338)보다 부장교사(386)가 평교사(359)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

냈다(plt001) 한편 여교사(372)가 남교사(354)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1) 그리고

30학 미만(373)이 30학 이상 보다 높은 인식을 보 다(plt0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김재덕(2005)의 연구와 일

치했다 이러한 사실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

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한 결과는 국공립교사가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가 높게 인식한 결과는 신재흡(2010) 김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0 -

재덕(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

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

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lt표 Ⅳ-3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7 0625009 AgtB

A BgtC학교(B) 194 357 064

고등학교(C) 164 333 059

성남자 222 354 070 9712

여자 334 372 064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7 066 44823

사립 177 338 061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62 0661662

11년-20년 164 360 067

21년 이상 164 372 068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73 064 550130학 이상 356 359 068

직부장교사 108 386 069 13787

평교사 448 359 066

학력학사학 338 361 064

1901석사학 이상 218 369 071

계 556 364 066

plt05 plt01 plt001

2 세 연구변인들 간의 상 계

가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분석을 한 결과는 lt표 Ⅳ

-4gt와 같다

lt표 Ⅳ-4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 분석

구 분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감성 리더십 100

임 워먼트 44 100

학교 조직효과성 49 58 100

plt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1 -

구 분 감 성인 식

감 정 리

사회인 식

계 리

의미감 역 량 자율성 향력 직무만족조 직

응성조 직생산성

감성인식 100

감정 리 70 100

사회 인식 59 71 100

계 리 67 71 79 100

의미감 40 40 44 44 100

역 량 28 30 34 33 55 100

자율성 22 29 32 32 38 58 100

향력 20 32 38 35 40 53 64 100

직무만족 42 41 46 45 64 56 40 44 100조 직

응성40 43 43 49 43 48 38 39 55 100

조 직생산성

44 55 61 63 45 46 44 44 49 65 100

lt표 Ⅳ-4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변인 간의 상 계는 r=44(plt01)이며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는 r=49(plt01)이다 그리고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 간의 상 계는 r=58(plt01)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 변인 간의 상

계는 정 상 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의 결과는 lt표

Ⅳ-5gt와 같다

lt표 Ⅳ-5gt는 감성 리더십의 네 가지 하 요인과 임 워먼트의 네 가지 하 요인 그리

고 학교 조직효과성의 세 가지 하 요인 간의 상 계를 나타내고 있다

lt표Ⅳ-5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

plt01

첫째 감성 리더십 하 변인과 임 워먼트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감

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감성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20~40) 감정 리는 임

워먼트 하 변인(r=29~40) 사회 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 계 리 변인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과는 정 상 을 나타낸다(plt01)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

데 사회 인식과 계 리 변인이 임 워먼트와의 상 계수가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하 변인 간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 가운데 감성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0~44) 감정 리는 학교 조직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2 -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 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2050 17220

52533 0276

감성인식 069 0088 1641

감정 리 080 0095 1591

사회 인식 0150 0201 3039

계 리 0152 0205 3270

성 하 변인(r=41~55) 사회 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3) 계 리와 학

교 조직효과성 변인(r=45~63)과는 정 상 을 보여 주었다(plt01) 특히 사회 인식과

조직생산성(r=61) 계 리와 조직생산성(r=63)으로 높은 정 상 을 보 다 이러한 연

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연구결과와

일치했다 이러한 상은 학교 조직에서 감성리더십 하 요인인 사회 인식과 계 리가

조직생산성과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요망된다

셋째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임 워먼트 하 변인

의미감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4) 역량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

(r=46~56) 자율성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8~44) 향력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9~44)으로 정 상 을 보 으며(plt01) 특히 의미감과 직무만족(r=64) 역량과 직

무만족(r=56)으로 높은 정 상 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특히 이러한 상은 임 워먼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변인과 직무만

족과의 련성을 활용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3 다회귀분석

가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6gt과 같다

lt표 Ⅳ-6gt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plt01 plt001

lt표 Ⅳ-6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276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밝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3 -

졌고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상 인 비 은 β계수(표 화 회귀계

수)로 보아 계 리(β=21) 사회 인식(β=20) 순으로 나타났으나 감성인식과 감정 리

는 통계 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감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계

리 사회 인식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유사한 연구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감성리더십이 교사들의 계 리와 사회 인식변인

을 통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데 특히 교육 장의 학교장은 교사들에게 감정

이입 다양성 활용 의사소통 갈등 리 유 형성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배려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단할 수 있다

나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7gt과 같다

lt표 Ⅳ-7gt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0696 5101

123583 0473

의미감 0408 0425 11339

역 량 0194 0188 4372

자율성 0079 0088 2036

향력 0118 0143 3397

plt05 plt001

lt표 Ⅳ-7gt과 같이 임 워먼트 하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약 473를 설명하고

있으며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향을 하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의미감(β=43) 역량(β

=19) 향력(β=12) 자율성(β=09) 순으로 비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즉 임 워먼트는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것으로 단할 수 있고 특히 학교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해서는 임 워먼트 변인을

극 으로 발휘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4 -

4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8gt과 같다

lt표 Ⅳ-8gt은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감성 리더십 하 변인들 에서 계 리 변인이 학교 조직효

과성 변인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고 임 워먼트 변인 에서는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해 약 513의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 향력을 비교한 결과 의미감

(β=34) 역량(β=18) 향력(β=12) 계 리(β=11) 순으로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lt표 Ⅳ-8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

변인독립변인

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감성

리더십

(상수) 0481 3460

72011 0513

감성인식 0032 0040 0897

감성 리 0044 0053 1063

사회 인식 0048 0065 1234

계 리 0079 0106 1927

임 워먼

의미감 0323 0337 8728

역 량 0189 0183 4408

자율성 0062 0069 1658

향력 0088 0116 2556

plt05 plt001

감성 지도성변인 계 리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은 학

교장은 조직 구성원 상호 간 의사소통과 유 계를 형성하도록 동 인 노력을 기울일

때 조직효과성이 있으며 한편 임 워먼트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

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는 의식을 갖고(의미감)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

달되어야 하며(역량)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5 -

행사할 때( 향력)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단계별 향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정도를 단

계별로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9gt와 같다

lt표Ⅳ- 9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구 분 R2 F R2 F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임 워먼트 변인군

0276

0513

52533

72011 0237 19478

plt001

lt표 Ⅳ-9gt에서 보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하 변인군들을 집단 으로 투입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변인군들의 향력을 분석한 결과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을

투입했을 경우는 276 고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과 임 워먼트 변인군을 함께 투

입했을 경우는 513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다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를 함께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졌다 따라서 교사

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들의 학교 조직

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제언

상기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서 개인

배경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은 등학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6 -

교사가 등학교 교사들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

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에 한 인식은 등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고 학교생활에 하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함과 동

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에서 가

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

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

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 학교 조직효과성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

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에는 유의한 상 계가 있다 학

교 조직에서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식과 계 리와 임 워먼트 임 워먼

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 변인과 직무만족 변인 감성 리더십 하 변인인 사회 인

식 계 리 변인과 조직생산성을 고려할 때 한층 학교 조직효과성이 확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고 있다 이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

는 의식을 갖고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달되어야 하며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행사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학교장은 감성 지도성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

인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염두에 두면서 학교행정을 펼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

성을 확 하는 것이다

넷째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측면에서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

다 감성 리더십과 교사들의 임 워먼트를 동시에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7 -

아졌다 따라서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론을 종합하면 이 연구는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하기 해서는

감성 리더십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인 가운데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조직의 성과와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교사 경력 교사들에게 학교 조직효과성의 실천력을 증 시

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부장교사 고 경력 교사일수록 직무만족 조직 응성 조직

생산성 변인에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 결국 학교 조직효과성을 극 화하기 해서는 향

후 경력 교사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수행하는 자신의 직무에 해서 자부심을 갖고

학교가 의도하는 경 방침을 명확히 이해함과 동시에 학습지도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물을

충분히 활용하는 데 한층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에게 임 워먼트의 발휘를 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고 경력 교사와 부장교사일수록 임 워먼트에 해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 따라

서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업무에 의미성을 부여하며 아무

리 어려운 직무일지라도 반드시 성공 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특히 임 워먼트 변인 에 자율성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다소 낮은 인식

의 반응은 향후 교사들은 학교 조직목표 달성을 하여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상당

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면서 아울러 직무 수행 방법 측면에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학교장들이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시키는 방안이 될 것으로 단

된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기 한 이론 검토를 지속 으로 하는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토 로 학교 조직효과성

확 방안에 해서 실증 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

식 계 리 임 워먼트 변인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더욱 더 확 하기 해서는 련 변인

의 탐색이 지속 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를 들면 학교 조직을 상으로 한 다양한

리더십 변인 즉 셀 문화 가부장 리더십을 주요 변인으로 하여 교사들의 응집성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교직수행과 같은 조직효과성 등과 련된 변인들 간의 상호작

용이나 각 변인들을 매개로 한 직간 인 향 등에 한 지속 인 실증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8 -

참 고 문 헌

강경석 강경수(2006) 학교장의 변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4호 239~262

강경석 김철구(2007)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4호 1~24

김민환(2003)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사 임 워먼트가 교사들의 교직 활동 성향에 미치는

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89~115

김성규(2009) 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향 단

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일형(2009) 학교장의 감성지능 직무역량이 리더-구성원 교환 계(LMX)를 매개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향 홍익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재덕(2006) 학교 상황에 따라 학교장의 도덕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고려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정서(2009)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문화가 학교 조직역량에 미치는 향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필녀(2002)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국민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창걸(2003) 교육조직행 론 서울 형설출 사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1호 253~279

박인심(2006) 교원헌신에 한 권한 강화의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1호 25~50

신동한(2008)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교육행정학

연구 제26권 3호 125~149

신재흡(2007)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2호 93~119

신재흡(2002)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학교 조직문화 학교 조직효과성간의

계 교육행정학연구 제20권 제3호 91~115

신 식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4호 199~224

이미라(2007)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 감성과 조직 학습의 계 충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이석열(2006) 교장의 감성리더십 진단척도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3호 51~78

이윤식 이상미(2009)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 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2호 1~24

이화용(2005) 감성트랜드 감성 셀 리더십과 자아실 서울 한솜미디어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9 -

정 (2005) 탁 식업체 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향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채순화(2004) 변 리더십 임 워먼트 신뢰 조직몰입과의 계 다차원 근 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최연인(2005)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과의 계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Adajian L B(1995)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and the Teaching of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Conger J A amp Kanungo R N(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3(3) 471~482

Foy N(1994) Empowering People of Work Gower Publishing Ltd 3~5

Frederick J M(1989) Measuring School Effectiveness Guideline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

Princeton N J ERIC Clearing House on Test Measurement and Evaluation

Goleman D Boyatzis R amp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han R L(1997) The Key to Being a Leader Company Empowerment Journal for Quality and

Participation JanFeb 59~78

Humphrey R H(2002) The Many Faces of Emo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3

493~504

Kouzes J amp Posner B(1999) The Leadership Challenge San Francisco John Wiley amp Sons Inc

Neff T J Citrin J M amp Brown P B(1999) Lessons from the Top The Search for Americas Best

Business Leaders New York Double day

Sergiovanni T J(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Jossey-Bass

Spreitzer G M(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 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1442~1465

Thomas K W amp Tymon W G(1994) Does Empowerment Always Work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Personal Interpretation Journal of Management Systems

6(3) 54~66

Tran Veronique(1998) The Role of the Emotional Climate Impacts Performa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2(4) 240~246

Whetten D A Cameron K amp Woods M(1996) Effective Empowerment and Delation London

Harper Ciollins Publis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70 -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in Jae-Heub (Hansung Univers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perceived by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EL)

Empowermen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the impact of subfactors such

as EL and E on SO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0 teachers working in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Kyonggi Province

Of them 55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existed on EL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chairperson on E for elementary school public

school high-career teachers chairperson holders of the masters degree on SOE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and chairpers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EL had an

impact on E which had an impact on SO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s one of EL factors and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as E factors

had an impact on SOE but E had a greater stepwise impact on SOE than teachers E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use of such EL factors as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nd such E factors as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in order to increase

SOE which could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Key words Emo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Page 3: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dcRxKCBT_003_E… · 성이다. 이에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49 -

교과를 가르치는데 있어서 더욱 신 이고 효과 인 교수방법을 개발하고 용하는 경향

을 보 다(Adajian 1995) 우리나라의 경우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조직효과성과의 계

를 분석한 연구들이 있으나 이제까지 교육과 교직발 을 한 략 개념으로서 임 워

먼트의 의미가 활발히 논의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지 까지 선행연구에서 밝 진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련연구(김필녀 2002 김민환 2003 최연인 2005 신재흡

2007)는 조직 구성원의 임 워먼트가 직무만족 조직 응 조직생산성 교직헌신 교직활동

성향 변인에 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러나 지 까지 선행연구에서 밝 진 조

직효과성에 한 연구는 부분 변 도덕 지도성과의 계를 보여주고 있다(최연인

2005 신재흡 2007) 이러한 맥락에서 리더의 감성을 통하여 교사의 태도를 변화시키려는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교사들의 임 워먼트를 증강시키면서 학교 조직에 한 태도를

변화시키게 되며 이는 결국 조직효과성에 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과거

앙집권 이고 통 인 리더십 유형이 아니라 최근 조직 차원에서 새롭게 논의되고 있

는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력을 구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 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은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다 둘째 설

정된 세 연구변인들 간의 상 계를 분석한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을 보다 더 확 하

기 해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교사 집단의 임 워먼트 에서 어느 요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더 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Ⅱ 이론 배경

1 감성 리더십

리더십에 한 학문 연구는 특성이론에서부터 행동이론과 상황이론을 거쳐 재의 변

리더십에 한 연구로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조직이 당면한 도 에 응하기 한

새로운 사고가 필요하고 합리 논리 이고 분석 인 측면의 리더십과는 다른 시각을 요

구하고 있다(이석열 2006 54~55) 이러한 사고는 Kouzes와 Posner(1999)의 연구에서 유형

화된 리더십이 감성에 을 두는 것이다 이러한 사고의 발 은 리더십에 한 보다

범 한 근의 필요성과 감성지능과 병행한 리더십에 한 연구의 필요성을 의미하는 것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0 -

이다(이화용 2005)

감성 리더십에 한 선행 연구자들의 개념 정의를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Neff Citrin

과 Brown(1999)은 ldquo미국에서 가장 성공 으로 기업을 이끌고 있는 최고경 자 50명을 분

석한 후 밝힌 15가지 공통 자질을 제시한 후에 이러한 자질들 가운데 세 가지 요인만이

지 기술 능력과 련되었을 뿐 나머지 요인은 감성 지능으로 되어있음을 주목할 필

요가 있다rdquo고 제시했다 Goleman과 Boyatzis McKee(2002)는 감성 리더십을 ldquo지도자

스스로 자신의 내면을 이해하고 구성원의 감성 필요를 배려함과 동시에 조직의 구성원

들과의 계를 자연스럽게 형성하여 조직의 감성역량을 높이는 능력rdquo이라고 정의하면서

한 이들은 ldquo감성지능이 리더십 유효성에 요한 요인이며 특히 을 이끄는 지도자에게

더욱 요하며 조직의 상 계층으로 가면 갈수록 감성지능이 더욱 요하다rdquo고 제시했다

한편 이미라(2007)는 감성 리더십을 ldquo지도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감성 이고 사회

능력을 개발하고 구성원들의 감성을 이해하고 배려함과 동시에 비 을 제시하고 자연스럽

게 조직 구성원들에게 향력을 행사하는 것rdquo으로 규정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진 리더십은 오늘날 다양한 조

직 안에서 지도자와 구성원 간의 조화를 이끌어 내는 강력한 조직 감성을 형성시키는 근

원이 되며 나아가 개인 차원을 넘어서 조직효과성이나 교사헌신(몰입)을 높이는 리더십

으로 볼 수 있다(Goleman 2002 Humphery 2002) 앞으로 차 네트워크화와 분권화가

되는 조직사회에서는 지도자로 하여 인 계 지향 인 행동을 요구하는데 이는 결

국 사회 감성 지능을 필요로 한다 특히 자율 성격이 강한 학교 조직에서 감성

리더십이 더욱 필요한 당 성이 있는 것이다(이석열 2006)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감성

지도자의 개념을 용하여 이미 고 교사들을 상으로 측정도구가 개발된 이석열

(2006)의 감성 리더십의 하 변인을 사용하고자 한다 감성 인식능력 변인은 자기 인식능

력 자기 평가능력 자기 확신능력이며 감정 리능력 변인은 신성 성취력 헌신성 진취

성이다 이에 반해 사회 인식능력 변인은 감정 이입 서비스 정신 다양성 활용이며 계

리능력 변인은 향력 의사소통 리더십 변화 진 갈등 리 유 형성 동 능력

역량 등이 있다

2 임 워먼트

임 워먼트(empowerment)의 연구는 20C에 시민 권리운동 흑인 투표권 항운동 노조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1 -

활동 시민권리 단체운동 등이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사회학자들은 이들 단체들이 사회

구조 차별과 소속 단체의 무력감을 극복하고 민주 권리를 얻기까지의 향력을 행사

할 수 있을 정도로 워를 갖게 되는 과정에 해 연구하면서 시작되었다(채순화 2004)

하지만 교육 분야에서는 각 지역의 실정에 맞는 자율 학교경 을 한 차원에서 최근

많은 심을 일으키고 있다(Thomas amp Tymon 1994 Khan 1997 김민환 2003 최연인

2005) 그 동안 여러 학자들이 제시한 임 워먼트의 개념을 종합해보면 임 워먼트의 개념

을 크게 두 으로 나 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직구조 차원과 개인의 심리 차원

이다 자는 지도자가 하 자에게 권력을 분배하고 통제권을 이양하며 권한을 하게

임하는 행 나 실제에 을 맞추어 설명하고자 한다 즉 임 워먼트를 권한 임행

나 과정으로 보는 것이다(Conger amp Kanungo 1988 Foy 1994) 후자는 임 워된 구성원들

이 갖게 되는 행동특성들로 자기 효능감을 비롯하여 자기결정 직 통제의식 의미감 신

뢰감 그리고 동기부여 등에 을 맞추어 설명하는 것이다(Spreitzer 1995 Whetten et

al 1996) 따라서 학교조직에서의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란985170교사에게 자율성과 창의성을

갖도록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자신의 능력을 지속 으로 계발하여 교직헌신이나 조직효과

성 증진을 해 역량을 최 한 발휘하는 과정985171으로 보고자 한다

결국 이 연구에서는 임 워먼트에 한 개념 설정을 학교 조직구조 차원보다 교사 개인

의 심리 차원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Spreitzer(1995)가 제시한 척도를

용하여 그 하 변인을 의미감 역량 자율성 향력으로 구분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의

미감은 구성원들이 조직의 의의나 목표 자신의 업무 등에 부여하는 가치나 보람 등을

말한다 즉 교사가 자신의 업무나 학교 조직에 해서 부여한 가치나 목 의식 등을 뜻한

다 역량은 자기 효능감으로 불리며 자신의 능력이나 숙련도에 한 인식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교사 자신이 스스로 유능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율성은 교사들이

자신의 업무를 주도 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의사 결정과 그 정도에 한 인식을 말하며 이

는 교사들에게 신 이며 창의 인 성향을 제고시키며 그들의 자존감 신뢰 직업 만족

감도 향상시켜 다 향력은 어떤 일의 결과에 하여 자신이 미치는 향 정도에 한

인식을 의미한다 교사들이 워를 소유하고 학생들을 하여 교육환경을 개선하는 능력을

나타낸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2 -

3 학교 조직효과성

학교 조직에서 효과성은 다양한 기 을 사용한 다차원 인 개념이기에 학업 성취와 같

은 단일변인을 사용하는 것은 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변인을 축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최

근 연구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보다 확 된 측정 지표를 사용하는 노력이 선행 연구자들

에 의해 시도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신재흡 2002)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여러 선행연구자들의 견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rederick(1989)은985170강력한 행정 지도성 학습하기에 질서 정연하고 쾌 한 환경 교수-학

습의 강조 학생에 한 교사 기 학업 성취도의 측정 사용을 효과 인 학교의 특성이다

985171라고 정의했다 Sergiovanni(1994)도985170학생의 에서 교육성과에만 을 둔 단순한

학교효과성 평가에 비하여 다른 많은 차원이 있을 수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그는 일반 행

정조직과 사기업 조직의 효과성 평가기 을 학교 조직에 맞게 재해석하여 학교효과성 측

정 거985171를 제시했다 김창걸(2003)은985170학교 조직효과성이란 교사에게 을 두어 학교

조직효과성을 교직원들이 만족스런 상태에서 노력을 하며 조직이 환경에 응해 가면서

교육 성과를 확보하는 것으로 정의985171하고 있다 신재흡(2002)은985170학교 조직효과성이란 구

성원들이 과업을 수행해 가는 과정에서 내외 욕구가 충족되어 학교 생활에 정 인 감

정 상태에 도달하여 직무에 강한 애착을 가지며 학교 조직의 내외 환경 변화에 어느

정도 신축성 있게 응하는 조직 응성 조직 구성원들의 효율성을 높이기 해 학교

조직의 기능 제반 지원에 하여 구성원들의 지각 정도로 정의하며 교사 조직에 한정

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을 악한다985171고 제시했다 최연인(2005)은985170학교 조직효과성을 학교

조직이 교육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응하고 교직원들이 소속감과 헌신감을 가지고 만

족스러운 상태에서 교육목표를 성공 으로 수행해가는 과정985171으로 보았다 강경석강경수

(2006 247)는985170학교 조직효과성을 학교 조직의 목표를 달성해 가는 과정에서 산출된 교육

성취도와 구성원들의 지각하는 만족도985171라고 정의했다 학교 조직효과성의 구성 요인으

로 김창걸(2003) 신재흡(2002) 최연인(2005) 등은 교사의 직무만족도 조직 응성 조직 생

산성(직무성과)을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은 구성원들이 과업을 수행해 가

는 과정에서 내외 욕구가 충족되어 학교 생활에 정 인 감정 상태에 도달하여 직무에

강한 애착을 가지며 학교 조직의 내외 환경 변화에 어느 정도 신축성 있게 응하는

조직 응성 조직 구성원들의 효율성을 높이기 해 학교 조직의 기능 제반 지원에

하여 구성원들의 지각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고자 한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3 -

상기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개념 정의를 살펴본 결과 학교 조직효과성의 본질을

밝히려는 노력과 상에 따라 개념의 강조 을 달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연

구에서는 이미 고 교사들을 상으로 사용해서 검증된 신재흡(2002)의 척도를 사

용하고자 한다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을 소개하면 직무만족 변인은 업무에 한 자부

심 업무에 한 책임성 학교에 한 소속감 업무 수행에 한 만족도 심리 안정감 능

력 발휘 업무에 한 보람 행정가와 인간 계 근무 조건 등이다 그리고 조직 응성 변

인은 정부 시책에 한 호응 정도 학교 교육방침에 한 응 사회 변화에 한 지각 정

도 지역 사회의 요구에 한 지각 정도 지역 사회와의 유 계 등을 의미한다 조직 생

산성 변인은 필요한 자료의 활용 원회 제도의 활용 구성원에 한 응분의 우 분 기

개선을 한 노력 목표의 인지 시간 운 의 성 업무 분장 계 학습 지도 근무

평정에 한 한 반 등을 나타낸다

4 연구변인들 간의 계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을 구명하기 하여 연구변인들 간의 계를 선행연구를 토 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에 한 연구를 살펴보면 감성 지도성과 학

교 조직효과성의 계를 다룬 직 인 연구(신동한 2008 김 진김상돈 2009 신 식

김 진김상돈 2009)가 있으며 그리고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몰입(강경석김철구

2007) 교사헌신(이윤식이상미 2009)과의 계를 다루고 있다 이들의 연구를 소개하면서

감성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미치는 계성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신동한

(2008 143)은 ldquo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연구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의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한 감성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직 인

향을 미치면서 교사의 교직헌신도를 통한 간 인 향도 미치고 있는 것rdquo으로 나타났

다 김 진김상돈(2009 272~273)은 ldquo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

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연구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해 감성 지도성(473) 변

지도성(281) 거래 지도성(195) 순으로 향을 미치는 것rdquo으로 제시했다 신 식김

진김상돈(2009 220)은 ldquo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에서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이 학교 조직개방성에 미치는 향 782 학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4 -

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322rdquo로 나타났다 강경석김철구(2007 19~20)는 ldquo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 연구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은 교사의 학

교 조직몰입 모든 하 변인과 정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밝 졌으며 한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에 향을 미치며 특히 학교장의 감성리더십 계인식 능력과 자기 인식능력

은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에 유의한 향력rdquo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윤식이상미(2009

18)는 ldquo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연구에서 학교장의 감성지도성은 교사헌신에 직 인 효과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한 간

인 효과가 부가되어 총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rdquo고 제시했다 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연구는 감성 리더십

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음이 확인되었고 강경석김철구(2007)와 이윤식이상

미(2009)의 연구에서는 감성리더십이 조직몰입이나 교사헌신 교사효능감에 향력이 있음

이 밝 졌다

둘째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에 한 연구를 살펴보면 교

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의 계를 다룬 직 인 연구(김필녀 2002 최연

인 2005)가 있으며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교직헌신(신재흡 2007)과의 계를

다루고 있다 이들의 연구를 소개하면서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는 계성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김필녀(2002 90)는 ldquo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향 연구에서 등교사의 활력화와 등

학교 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향력은 두 변인 간의 상 계수는 611로 비교 높은 상

을 나타내고 변인에 한 설명력은 373로 나타났다(F=121224 plt001)rdquo고 제시했다 최

연인(2005 89~90)은985170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연구에서 변 지도성이 임 워먼트에 미치는 인과효과는

379(직 효과)이고 변 지도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인과효과는 524(직 효과 214

간 효과 310)이며 한 임 워먼트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은 819(직 효과 819)로

나타났다(plt001) 신재흡(2007 110~111)은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

치는 향 분석에서 임 워먼트 하 요인이 교직헌신 변량의 약 42를 설명하고 있으며

교직헌신에 한 향을 하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의미감(β=27) 역량(β=24) 자율성(β

=23) 순으로 비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1)고 제시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

이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는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력이 있으며 신재흡(2007)의 연구는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향력이 있음이

밝 졌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5 -

지 까지 선행연구에서 밝 진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연구는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특성변인과 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조직효과성에 한 연구

는 계변인을 새롭게 하여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 로 그 범 를 확 시키기

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 연구는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연계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을 다루고자 한다 그리고 감성 지도성 변인과 임 워먼트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뿐만 아니라 어느 것이 더 크게 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으로

검증하 다는 에서 이 연구가 선행연구들과의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Ⅲ 연구의 방법

1 연구의 상

이 연구의 상은 경기도 지역에 근무하는 등학교 교사 200명(10개교) 학교 교사(10

개교) 고등학교 교사 200명(10개교)으로 총600명을 연구의 상으로 삼았다 질문지 배부

회수 기간은 2010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실시하 으며 600명을 단순 무선 표집

으로 선정하여 질문지를 배포하 다 배포된 질문지 가운데 회수된 질문지는 580부(97)

으며 그 가운데 무응답치나 연구의 가치가 없다고 단된 자료 24부를 제외한 556부(93)

를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하 다

2 측정도구

첫째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을 측정하기 하여 이석열(2006)이 개발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 질문지를 사용하 다 감성 리더십 변인 감성 인식능력(자기 인식능력 2문

항 자기 평가능력 2문항 자기 확신능력 3문항) 감정 리능력( 신성 3문항 성취력 3

문항 헌신성 3문항 진취성 3문항) 사회 인식능력(감정이입 3문항 서비스 정신 2문항

다양성 활용 2문항) 계 리능력( 향력 2문항 의사소통 3문항 리더십 3문항 변화

진 3문항 갈등 리 2문항 유 형성 3문항 동 능력 3문항 역량 3문항) 등 총48

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작성된 문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한 감성 리더십의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6 -

측정도구에 한 신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감성 인식능력 915 감정 리능력 948

사회 인식능력 959 계 리능력 979로 나타났고 체 으로 986이었다

둘째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측정하기 하여 Spreitzer(1995)의 분류에 따라 의미감(5

문항) 역량(5문항) 자율성(5문항) 향력(5문항)으로 총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작성된 문

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

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의 측정도구에 한 신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의미감 889 역량 891 자율성 885 향력 938로 나타났고 체

으로 945이었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 측정도구는 신재흡(2002)의 조직효과성 측정도구를 사용하 다

하 변인으로 직무만족(9문항) 조직생산성(8문항) 조직 응성(4문항)으로 총21문항으로 구

성되었다 작성된 문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조직효과성 측정도구에 한 신

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직무만족 918 조직생산성 861 조직 응성 932로 나타났고

체 으로 952 다

3 자료처리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자료의 통계처리는 SAS 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 으며 통계

처리의 유의 수 은 각각 plt05 plt01 plt001에서 분석하 다 구체 인 자료의 통계방법

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장의 감성 리더

십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정도를 분석하기 하여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 다 둘째 연구변인들 간의 계를 알아보기 하여 상 계분석을 실시하 다

셋째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감성 리더

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계를 분석하기 하여

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고 두 변인 가운데 어느 변인이 보다 더 향을 미치는지를 분석

하기 하여 단계 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 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7 -

Ⅳ 연구 결과 해석

1 교사특성에 따른 세 연구변인들 간의 차이 분석

가 감성 리더십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감성 리더십의 차이는 lt표 Ⅳ-1gt과 같다

lt표 Ⅳ-1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감성 리더십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 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400 0725535 AgtC

BgtC학교(B) 194 384 072

고등학교(C) 164 320 083

성남자 222 361 086 541

여자 334 378 079

학교 유형국공립 379 387 078 4880

사립 177 337 082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68 0761627

11년-20년 164 365 085

21년 이상 164 380 087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98 071 3516

30학 이상 356 356 084

직부장교사 108 401 072 1893

평교사 448 364 083

학력학사학 338 373 076

0496석사학 이상 218 368 091

계 556 371 080

plt05 plt001

lt표 Ⅳ-1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에 한 교사들의 인식은 학교 에서 통계 으로 유

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lt001) 평균값을 통해 살펴보면 등학교(400) 학교(384) 고등

학교(320) 순으로 나타났다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여

교사(378)가 남교사(361)보다 다소 높은 인식 보여주며(plt05) 국공립(387)이 사립(337)

보다 30학 미만(398)이 30학 이상(356)보다 부장교사(401)가 평교사(364)보다 높게

인식했다(plt001)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8 -

감성 리더십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이미라(2007) 강경석김철구(2007)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여교사가 남

교사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강경석김철구(2007) 김성규(2009) 연구와는 상반된 결과

이다 이러한 사실은 여교사가 감성 리더십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고 학교 경 에 극

으로 참여하여 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국공립이 사립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이미라(2007)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

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30학

미만이 30학 이상 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학 규모가 작을수록 교사들은 교장과의 빈

번한 면 으로 교장의 감성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

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낸 것은 강경석김철구(2007) 김성규(2009) 연구와 일치했다 이

러한 결과는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

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 임 워먼트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임 워먼트의 차이는 lt표 Ⅳ-2gt와 같다

lt표 Ⅳ-2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임 워먼트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 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3 0652865

AgtB AgtC학교(B) 194 354 066

고등학교(C) 164 347 058

성남자 222 369 060 0728여자 334 364 070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3 068 16567

사립 177 349 060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58 004562311년-20년 164 363 005

21년 이상 164 380 005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69 069 063930학 이상 356 364 065

직부장교사 108 399 068 35711

평교사 448 358 064

학력학사학 338 361 063

4776

석사학 이상 218 373 072

계 556 367 054

plt05 plt01 plt0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9 -

lt표 Ⅳ-2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교육경력 학력 따라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3) 학교(354)

고등학교(347) 순이며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 교사가 등학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

을 나타냈다 국공립(373)이 사립(349)보다 부장교사(399)가 평교사(358)보다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plt001) 한 21년 이상(380) 11~20년(363) 10년 이하(358) 순으로 나타났다

(plt01) 한편 석사학 이상(373)이 학사학 (361)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5) 상

기의 연구결과는 신재흡(2007)의 연구결과와 모두 일치했다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등

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

을 가지고 학교생활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보다 높

은 반응을 나타낸 것은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

함과 동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

에서 가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는 lt표 Ⅳ-3gt과 같다

lt표 Ⅳ-3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성 학교 규모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7) 학교(357) 고등

학교(333) 순이며(plt001)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가 고등학교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국공립(377)이 사립(338)보다 부장교사(386)가 평교사(359)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

냈다(plt001) 한편 여교사(372)가 남교사(354)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1) 그리고

30학 미만(373)이 30학 이상 보다 높은 인식을 보 다(plt0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김재덕(2005)의 연구와 일

치했다 이러한 사실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

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한 결과는 국공립교사가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가 높게 인식한 결과는 신재흡(2010) 김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0 -

재덕(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

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

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lt표 Ⅳ-3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7 0625009 AgtB

A BgtC학교(B) 194 357 064

고등학교(C) 164 333 059

성남자 222 354 070 9712

여자 334 372 064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7 066 44823

사립 177 338 061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62 0661662

11년-20년 164 360 067

21년 이상 164 372 068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73 064 550130학 이상 356 359 068

직부장교사 108 386 069 13787

평교사 448 359 066

학력학사학 338 361 064

1901석사학 이상 218 369 071

계 556 364 066

plt05 plt01 plt001

2 세 연구변인들 간의 상 계

가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분석을 한 결과는 lt표 Ⅳ

-4gt와 같다

lt표 Ⅳ-4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 분석

구 분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감성 리더십 100

임 워먼트 44 100

학교 조직효과성 49 58 100

plt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1 -

구 분 감 성인 식

감 정 리

사회인 식

계 리

의미감 역 량 자율성 향력 직무만족조 직

응성조 직생산성

감성인식 100

감정 리 70 100

사회 인식 59 71 100

계 리 67 71 79 100

의미감 40 40 44 44 100

역 량 28 30 34 33 55 100

자율성 22 29 32 32 38 58 100

향력 20 32 38 35 40 53 64 100

직무만족 42 41 46 45 64 56 40 44 100조 직

응성40 43 43 49 43 48 38 39 55 100

조 직생산성

44 55 61 63 45 46 44 44 49 65 100

lt표 Ⅳ-4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변인 간의 상 계는 r=44(plt01)이며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는 r=49(plt01)이다 그리고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 간의 상 계는 r=58(plt01)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 변인 간의 상

계는 정 상 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의 결과는 lt표

Ⅳ-5gt와 같다

lt표 Ⅳ-5gt는 감성 리더십의 네 가지 하 요인과 임 워먼트의 네 가지 하 요인 그리

고 학교 조직효과성의 세 가지 하 요인 간의 상 계를 나타내고 있다

lt표Ⅳ-5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

plt01

첫째 감성 리더십 하 변인과 임 워먼트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감

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감성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20~40) 감정 리는 임

워먼트 하 변인(r=29~40) 사회 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 계 리 변인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과는 정 상 을 나타낸다(plt01)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

데 사회 인식과 계 리 변인이 임 워먼트와의 상 계수가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하 변인 간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 가운데 감성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0~44) 감정 리는 학교 조직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2 -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 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2050 17220

52533 0276

감성인식 069 0088 1641

감정 리 080 0095 1591

사회 인식 0150 0201 3039

계 리 0152 0205 3270

성 하 변인(r=41~55) 사회 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3) 계 리와 학

교 조직효과성 변인(r=45~63)과는 정 상 을 보여 주었다(plt01) 특히 사회 인식과

조직생산성(r=61) 계 리와 조직생산성(r=63)으로 높은 정 상 을 보 다 이러한 연

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연구결과와

일치했다 이러한 상은 학교 조직에서 감성리더십 하 요인인 사회 인식과 계 리가

조직생산성과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요망된다

셋째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임 워먼트 하 변인

의미감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4) 역량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

(r=46~56) 자율성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8~44) 향력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9~44)으로 정 상 을 보 으며(plt01) 특히 의미감과 직무만족(r=64) 역량과 직

무만족(r=56)으로 높은 정 상 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특히 이러한 상은 임 워먼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변인과 직무만

족과의 련성을 활용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3 다회귀분석

가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6gt과 같다

lt표 Ⅳ-6gt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plt01 plt001

lt표 Ⅳ-6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276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밝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3 -

졌고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상 인 비 은 β계수(표 화 회귀계

수)로 보아 계 리(β=21) 사회 인식(β=20) 순으로 나타났으나 감성인식과 감정 리

는 통계 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감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계

리 사회 인식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유사한 연구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감성리더십이 교사들의 계 리와 사회 인식변인

을 통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데 특히 교육 장의 학교장은 교사들에게 감정

이입 다양성 활용 의사소통 갈등 리 유 형성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배려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단할 수 있다

나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7gt과 같다

lt표 Ⅳ-7gt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0696 5101

123583 0473

의미감 0408 0425 11339

역 량 0194 0188 4372

자율성 0079 0088 2036

향력 0118 0143 3397

plt05 plt001

lt표 Ⅳ-7gt과 같이 임 워먼트 하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약 473를 설명하고

있으며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향을 하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의미감(β=43) 역량(β

=19) 향력(β=12) 자율성(β=09) 순으로 비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즉 임 워먼트는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것으로 단할 수 있고 특히 학교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해서는 임 워먼트 변인을

극 으로 발휘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4 -

4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8gt과 같다

lt표 Ⅳ-8gt은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감성 리더십 하 변인들 에서 계 리 변인이 학교 조직효

과성 변인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고 임 워먼트 변인 에서는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해 약 513의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 향력을 비교한 결과 의미감

(β=34) 역량(β=18) 향력(β=12) 계 리(β=11) 순으로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lt표 Ⅳ-8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

변인독립변인

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감성

리더십

(상수) 0481 3460

72011 0513

감성인식 0032 0040 0897

감성 리 0044 0053 1063

사회 인식 0048 0065 1234

계 리 0079 0106 1927

임 워먼

의미감 0323 0337 8728

역 량 0189 0183 4408

자율성 0062 0069 1658

향력 0088 0116 2556

plt05 plt001

감성 지도성변인 계 리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은 학

교장은 조직 구성원 상호 간 의사소통과 유 계를 형성하도록 동 인 노력을 기울일

때 조직효과성이 있으며 한편 임 워먼트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

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는 의식을 갖고(의미감)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

달되어야 하며(역량)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5 -

행사할 때( 향력)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단계별 향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정도를 단

계별로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9gt와 같다

lt표Ⅳ- 9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구 분 R2 F R2 F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임 워먼트 변인군

0276

0513

52533

72011 0237 19478

plt001

lt표 Ⅳ-9gt에서 보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하 변인군들을 집단 으로 투입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변인군들의 향력을 분석한 결과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을

투입했을 경우는 276 고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과 임 워먼트 변인군을 함께 투

입했을 경우는 513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다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를 함께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졌다 따라서 교사

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들의 학교 조직

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제언

상기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서 개인

배경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은 등학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6 -

교사가 등학교 교사들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

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에 한 인식은 등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고 학교생활에 하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함과 동

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에서 가

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

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

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 학교 조직효과성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

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에는 유의한 상 계가 있다 학

교 조직에서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식과 계 리와 임 워먼트 임 워먼

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 변인과 직무만족 변인 감성 리더십 하 변인인 사회 인

식 계 리 변인과 조직생산성을 고려할 때 한층 학교 조직효과성이 확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고 있다 이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

는 의식을 갖고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달되어야 하며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행사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학교장은 감성 지도성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

인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염두에 두면서 학교행정을 펼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

성을 확 하는 것이다

넷째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측면에서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

다 감성 리더십과 교사들의 임 워먼트를 동시에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7 -

아졌다 따라서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론을 종합하면 이 연구는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하기 해서는

감성 리더십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인 가운데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조직의 성과와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교사 경력 교사들에게 학교 조직효과성의 실천력을 증 시

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부장교사 고 경력 교사일수록 직무만족 조직 응성 조직

생산성 변인에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 결국 학교 조직효과성을 극 화하기 해서는 향

후 경력 교사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수행하는 자신의 직무에 해서 자부심을 갖고

학교가 의도하는 경 방침을 명확히 이해함과 동시에 학습지도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물을

충분히 활용하는 데 한층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에게 임 워먼트의 발휘를 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고 경력 교사와 부장교사일수록 임 워먼트에 해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 따라

서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업무에 의미성을 부여하며 아무

리 어려운 직무일지라도 반드시 성공 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특히 임 워먼트 변인 에 자율성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다소 낮은 인식

의 반응은 향후 교사들은 학교 조직목표 달성을 하여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상당

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면서 아울러 직무 수행 방법 측면에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학교장들이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시키는 방안이 될 것으로 단

된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기 한 이론 검토를 지속 으로 하는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토 로 학교 조직효과성

확 방안에 해서 실증 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

식 계 리 임 워먼트 변인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더욱 더 확 하기 해서는 련 변인

의 탐색이 지속 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를 들면 학교 조직을 상으로 한 다양한

리더십 변인 즉 셀 문화 가부장 리더십을 주요 변인으로 하여 교사들의 응집성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교직수행과 같은 조직효과성 등과 련된 변인들 간의 상호작

용이나 각 변인들을 매개로 한 직간 인 향 등에 한 지속 인 실증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8 -

참 고 문 헌

강경석 강경수(2006) 학교장의 변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4호 239~262

강경석 김철구(2007)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4호 1~24

김민환(2003)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사 임 워먼트가 교사들의 교직 활동 성향에 미치는

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89~115

김성규(2009) 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향 단

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일형(2009) 학교장의 감성지능 직무역량이 리더-구성원 교환 계(LMX)를 매개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향 홍익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재덕(2006) 학교 상황에 따라 학교장의 도덕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고려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정서(2009)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문화가 학교 조직역량에 미치는 향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필녀(2002)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국민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창걸(2003) 교육조직행 론 서울 형설출 사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1호 253~279

박인심(2006) 교원헌신에 한 권한 강화의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1호 25~50

신동한(2008)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교육행정학

연구 제26권 3호 125~149

신재흡(2007)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2호 93~119

신재흡(2002)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학교 조직문화 학교 조직효과성간의

계 교육행정학연구 제20권 제3호 91~115

신 식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4호 199~224

이미라(2007)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 감성과 조직 학습의 계 충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이석열(2006) 교장의 감성리더십 진단척도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3호 51~78

이윤식 이상미(2009)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 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2호 1~24

이화용(2005) 감성트랜드 감성 셀 리더십과 자아실 서울 한솜미디어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9 -

정 (2005) 탁 식업체 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향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채순화(2004) 변 리더십 임 워먼트 신뢰 조직몰입과의 계 다차원 근 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최연인(2005)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과의 계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Adajian L B(1995)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and the Teaching of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Conger J A amp Kanungo R N(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3(3) 471~482

Foy N(1994) Empowering People of Work Gower Publishing Ltd 3~5

Frederick J M(1989) Measuring School Effectiveness Guideline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

Princeton N J ERIC Clearing House on Test Measurement and Evaluation

Goleman D Boyatzis R amp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han R L(1997) The Key to Being a Leader Company Empowerment Journal for Quality and

Participation JanFeb 59~78

Humphrey R H(2002) The Many Faces of Emo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3

493~504

Kouzes J amp Posner B(1999) The Leadership Challenge San Francisco John Wiley amp Sons Inc

Neff T J Citrin J M amp Brown P B(1999) Lessons from the Top The Search for Americas Best

Business Leaders New York Double day

Sergiovanni T J(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Jossey-Bass

Spreitzer G M(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 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1442~1465

Thomas K W amp Tymon W G(1994) Does Empowerment Always Work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Personal Interpretation Journal of Management Systems

6(3) 54~66

Tran Veronique(1998) The Role of the Emotional Climate Impacts Performa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2(4) 240~246

Whetten D A Cameron K amp Woods M(1996) Effective Empowerment and Delation London

Harper Ciollins Publis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70 -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in Jae-Heub (Hansung Univers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perceived by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EL)

Empowermen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the impact of subfactors such

as EL and E on SO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0 teachers working in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Kyonggi Province

Of them 55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existed on EL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chairperson on E for elementary school public

school high-career teachers chairperson holders of the masters degree on SOE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and chairpers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EL had an

impact on E which had an impact on SO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s one of EL factors and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as E factors

had an impact on SOE but E had a greater stepwise impact on SOE than teachers E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use of such EL factors as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nd such E factors as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in order to increase

SOE which could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Key words Emo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Page 4: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dcRxKCBT_003_E… · 성이다. 이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0 -

이다(이화용 2005)

감성 리더십에 한 선행 연구자들의 개념 정의를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Neff Citrin

과 Brown(1999)은 ldquo미국에서 가장 성공 으로 기업을 이끌고 있는 최고경 자 50명을 분

석한 후 밝힌 15가지 공통 자질을 제시한 후에 이러한 자질들 가운데 세 가지 요인만이

지 기술 능력과 련되었을 뿐 나머지 요인은 감성 지능으로 되어있음을 주목할 필

요가 있다rdquo고 제시했다 Goleman과 Boyatzis McKee(2002)는 감성 리더십을 ldquo지도자

스스로 자신의 내면을 이해하고 구성원의 감성 필요를 배려함과 동시에 조직의 구성원

들과의 계를 자연스럽게 형성하여 조직의 감성역량을 높이는 능력rdquo이라고 정의하면서

한 이들은 ldquo감성지능이 리더십 유효성에 요한 요인이며 특히 을 이끄는 지도자에게

더욱 요하며 조직의 상 계층으로 가면 갈수록 감성지능이 더욱 요하다rdquo고 제시했다

한편 이미라(2007)는 감성 리더십을 ldquo지도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감성 이고 사회

능력을 개발하고 구성원들의 감성을 이해하고 배려함과 동시에 비 을 제시하고 자연스럽

게 조직 구성원들에게 향력을 행사하는 것rdquo으로 규정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진 리더십은 오늘날 다양한 조

직 안에서 지도자와 구성원 간의 조화를 이끌어 내는 강력한 조직 감성을 형성시키는 근

원이 되며 나아가 개인 차원을 넘어서 조직효과성이나 교사헌신(몰입)을 높이는 리더십

으로 볼 수 있다(Goleman 2002 Humphery 2002) 앞으로 차 네트워크화와 분권화가

되는 조직사회에서는 지도자로 하여 인 계 지향 인 행동을 요구하는데 이는 결

국 사회 감성 지능을 필요로 한다 특히 자율 성격이 강한 학교 조직에서 감성

리더십이 더욱 필요한 당 성이 있는 것이다(이석열 2006)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감성

지도자의 개념을 용하여 이미 고 교사들을 상으로 측정도구가 개발된 이석열

(2006)의 감성 리더십의 하 변인을 사용하고자 한다 감성 인식능력 변인은 자기 인식능

력 자기 평가능력 자기 확신능력이며 감정 리능력 변인은 신성 성취력 헌신성 진취

성이다 이에 반해 사회 인식능력 변인은 감정 이입 서비스 정신 다양성 활용이며 계

리능력 변인은 향력 의사소통 리더십 변화 진 갈등 리 유 형성 동 능력

역량 등이 있다

2 임 워먼트

임 워먼트(empowerment)의 연구는 20C에 시민 권리운동 흑인 투표권 항운동 노조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1 -

활동 시민권리 단체운동 등이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사회학자들은 이들 단체들이 사회

구조 차별과 소속 단체의 무력감을 극복하고 민주 권리를 얻기까지의 향력을 행사

할 수 있을 정도로 워를 갖게 되는 과정에 해 연구하면서 시작되었다(채순화 2004)

하지만 교육 분야에서는 각 지역의 실정에 맞는 자율 학교경 을 한 차원에서 최근

많은 심을 일으키고 있다(Thomas amp Tymon 1994 Khan 1997 김민환 2003 최연인

2005) 그 동안 여러 학자들이 제시한 임 워먼트의 개념을 종합해보면 임 워먼트의 개념

을 크게 두 으로 나 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직구조 차원과 개인의 심리 차원

이다 자는 지도자가 하 자에게 권력을 분배하고 통제권을 이양하며 권한을 하게

임하는 행 나 실제에 을 맞추어 설명하고자 한다 즉 임 워먼트를 권한 임행

나 과정으로 보는 것이다(Conger amp Kanungo 1988 Foy 1994) 후자는 임 워된 구성원들

이 갖게 되는 행동특성들로 자기 효능감을 비롯하여 자기결정 직 통제의식 의미감 신

뢰감 그리고 동기부여 등에 을 맞추어 설명하는 것이다(Spreitzer 1995 Whetten et

al 1996) 따라서 학교조직에서의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란985170교사에게 자율성과 창의성을

갖도록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자신의 능력을 지속 으로 계발하여 교직헌신이나 조직효과

성 증진을 해 역량을 최 한 발휘하는 과정985171으로 보고자 한다

결국 이 연구에서는 임 워먼트에 한 개념 설정을 학교 조직구조 차원보다 교사 개인

의 심리 차원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Spreitzer(1995)가 제시한 척도를

용하여 그 하 변인을 의미감 역량 자율성 향력으로 구분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의

미감은 구성원들이 조직의 의의나 목표 자신의 업무 등에 부여하는 가치나 보람 등을

말한다 즉 교사가 자신의 업무나 학교 조직에 해서 부여한 가치나 목 의식 등을 뜻한

다 역량은 자기 효능감으로 불리며 자신의 능력이나 숙련도에 한 인식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교사 자신이 스스로 유능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율성은 교사들이

자신의 업무를 주도 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의사 결정과 그 정도에 한 인식을 말하며 이

는 교사들에게 신 이며 창의 인 성향을 제고시키며 그들의 자존감 신뢰 직업 만족

감도 향상시켜 다 향력은 어떤 일의 결과에 하여 자신이 미치는 향 정도에 한

인식을 의미한다 교사들이 워를 소유하고 학생들을 하여 교육환경을 개선하는 능력을

나타낸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2 -

3 학교 조직효과성

학교 조직에서 효과성은 다양한 기 을 사용한 다차원 인 개념이기에 학업 성취와 같

은 단일변인을 사용하는 것은 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변인을 축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최

근 연구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보다 확 된 측정 지표를 사용하는 노력이 선행 연구자들

에 의해 시도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신재흡 2002)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여러 선행연구자들의 견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rederick(1989)은985170강력한 행정 지도성 학습하기에 질서 정연하고 쾌 한 환경 교수-학

습의 강조 학생에 한 교사 기 학업 성취도의 측정 사용을 효과 인 학교의 특성이다

985171라고 정의했다 Sergiovanni(1994)도985170학생의 에서 교육성과에만 을 둔 단순한

학교효과성 평가에 비하여 다른 많은 차원이 있을 수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그는 일반 행

정조직과 사기업 조직의 효과성 평가기 을 학교 조직에 맞게 재해석하여 학교효과성 측

정 거985171를 제시했다 김창걸(2003)은985170학교 조직효과성이란 교사에게 을 두어 학교

조직효과성을 교직원들이 만족스런 상태에서 노력을 하며 조직이 환경에 응해 가면서

교육 성과를 확보하는 것으로 정의985171하고 있다 신재흡(2002)은985170학교 조직효과성이란 구

성원들이 과업을 수행해 가는 과정에서 내외 욕구가 충족되어 학교 생활에 정 인 감

정 상태에 도달하여 직무에 강한 애착을 가지며 학교 조직의 내외 환경 변화에 어느

정도 신축성 있게 응하는 조직 응성 조직 구성원들의 효율성을 높이기 해 학교

조직의 기능 제반 지원에 하여 구성원들의 지각 정도로 정의하며 교사 조직에 한정

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을 악한다985171고 제시했다 최연인(2005)은985170학교 조직효과성을 학교

조직이 교육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응하고 교직원들이 소속감과 헌신감을 가지고 만

족스러운 상태에서 교육목표를 성공 으로 수행해가는 과정985171으로 보았다 강경석강경수

(2006 247)는985170학교 조직효과성을 학교 조직의 목표를 달성해 가는 과정에서 산출된 교육

성취도와 구성원들의 지각하는 만족도985171라고 정의했다 학교 조직효과성의 구성 요인으

로 김창걸(2003) 신재흡(2002) 최연인(2005) 등은 교사의 직무만족도 조직 응성 조직 생

산성(직무성과)을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은 구성원들이 과업을 수행해 가

는 과정에서 내외 욕구가 충족되어 학교 생활에 정 인 감정 상태에 도달하여 직무에

강한 애착을 가지며 학교 조직의 내외 환경 변화에 어느 정도 신축성 있게 응하는

조직 응성 조직 구성원들의 효율성을 높이기 해 학교 조직의 기능 제반 지원에

하여 구성원들의 지각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고자 한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3 -

상기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개념 정의를 살펴본 결과 학교 조직효과성의 본질을

밝히려는 노력과 상에 따라 개념의 강조 을 달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연

구에서는 이미 고 교사들을 상으로 사용해서 검증된 신재흡(2002)의 척도를 사

용하고자 한다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을 소개하면 직무만족 변인은 업무에 한 자부

심 업무에 한 책임성 학교에 한 소속감 업무 수행에 한 만족도 심리 안정감 능

력 발휘 업무에 한 보람 행정가와 인간 계 근무 조건 등이다 그리고 조직 응성 변

인은 정부 시책에 한 호응 정도 학교 교육방침에 한 응 사회 변화에 한 지각 정

도 지역 사회의 요구에 한 지각 정도 지역 사회와의 유 계 등을 의미한다 조직 생

산성 변인은 필요한 자료의 활용 원회 제도의 활용 구성원에 한 응분의 우 분 기

개선을 한 노력 목표의 인지 시간 운 의 성 업무 분장 계 학습 지도 근무

평정에 한 한 반 등을 나타낸다

4 연구변인들 간의 계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을 구명하기 하여 연구변인들 간의 계를 선행연구를 토 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에 한 연구를 살펴보면 감성 지도성과 학

교 조직효과성의 계를 다룬 직 인 연구(신동한 2008 김 진김상돈 2009 신 식

김 진김상돈 2009)가 있으며 그리고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몰입(강경석김철구

2007) 교사헌신(이윤식이상미 2009)과의 계를 다루고 있다 이들의 연구를 소개하면서

감성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미치는 계성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신동한

(2008 143)은 ldquo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연구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의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한 감성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직 인

향을 미치면서 교사의 교직헌신도를 통한 간 인 향도 미치고 있는 것rdquo으로 나타났

다 김 진김상돈(2009 272~273)은 ldquo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

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연구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해 감성 지도성(473) 변

지도성(281) 거래 지도성(195) 순으로 향을 미치는 것rdquo으로 제시했다 신 식김

진김상돈(2009 220)은 ldquo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에서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이 학교 조직개방성에 미치는 향 782 학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4 -

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322rdquo로 나타났다 강경석김철구(2007 19~20)는 ldquo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 연구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은 교사의 학

교 조직몰입 모든 하 변인과 정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밝 졌으며 한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에 향을 미치며 특히 학교장의 감성리더십 계인식 능력과 자기 인식능력

은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에 유의한 향력rdquo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윤식이상미(2009

18)는 ldquo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연구에서 학교장의 감성지도성은 교사헌신에 직 인 효과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한 간

인 효과가 부가되어 총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rdquo고 제시했다 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연구는 감성 리더십

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음이 확인되었고 강경석김철구(2007)와 이윤식이상

미(2009)의 연구에서는 감성리더십이 조직몰입이나 교사헌신 교사효능감에 향력이 있음

이 밝 졌다

둘째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에 한 연구를 살펴보면 교

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의 계를 다룬 직 인 연구(김필녀 2002 최연

인 2005)가 있으며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교직헌신(신재흡 2007)과의 계를

다루고 있다 이들의 연구를 소개하면서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는 계성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김필녀(2002 90)는 ldquo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향 연구에서 등교사의 활력화와 등

학교 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향력은 두 변인 간의 상 계수는 611로 비교 높은 상

을 나타내고 변인에 한 설명력은 373로 나타났다(F=121224 plt001)rdquo고 제시했다 최

연인(2005 89~90)은985170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연구에서 변 지도성이 임 워먼트에 미치는 인과효과는

379(직 효과)이고 변 지도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인과효과는 524(직 효과 214

간 효과 310)이며 한 임 워먼트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은 819(직 효과 819)로

나타났다(plt001) 신재흡(2007 110~111)은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

치는 향 분석에서 임 워먼트 하 요인이 교직헌신 변량의 약 42를 설명하고 있으며

교직헌신에 한 향을 하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의미감(β=27) 역량(β=24) 자율성(β

=23) 순으로 비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1)고 제시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

이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는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력이 있으며 신재흡(2007)의 연구는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향력이 있음이

밝 졌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5 -

지 까지 선행연구에서 밝 진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연구는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특성변인과 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조직효과성에 한 연구

는 계변인을 새롭게 하여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 로 그 범 를 확 시키기

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 연구는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연계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을 다루고자 한다 그리고 감성 지도성 변인과 임 워먼트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뿐만 아니라 어느 것이 더 크게 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으로

검증하 다는 에서 이 연구가 선행연구들과의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Ⅲ 연구의 방법

1 연구의 상

이 연구의 상은 경기도 지역에 근무하는 등학교 교사 200명(10개교) 학교 교사(10

개교) 고등학교 교사 200명(10개교)으로 총600명을 연구의 상으로 삼았다 질문지 배부

회수 기간은 2010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실시하 으며 600명을 단순 무선 표집

으로 선정하여 질문지를 배포하 다 배포된 질문지 가운데 회수된 질문지는 580부(97)

으며 그 가운데 무응답치나 연구의 가치가 없다고 단된 자료 24부를 제외한 556부(93)

를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하 다

2 측정도구

첫째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을 측정하기 하여 이석열(2006)이 개발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 질문지를 사용하 다 감성 리더십 변인 감성 인식능력(자기 인식능력 2문

항 자기 평가능력 2문항 자기 확신능력 3문항) 감정 리능력( 신성 3문항 성취력 3

문항 헌신성 3문항 진취성 3문항) 사회 인식능력(감정이입 3문항 서비스 정신 2문항

다양성 활용 2문항) 계 리능력( 향력 2문항 의사소통 3문항 리더십 3문항 변화

진 3문항 갈등 리 2문항 유 형성 3문항 동 능력 3문항 역량 3문항) 등 총48

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작성된 문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한 감성 리더십의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6 -

측정도구에 한 신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감성 인식능력 915 감정 리능력 948

사회 인식능력 959 계 리능력 979로 나타났고 체 으로 986이었다

둘째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측정하기 하여 Spreitzer(1995)의 분류에 따라 의미감(5

문항) 역량(5문항) 자율성(5문항) 향력(5문항)으로 총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작성된 문

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

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의 측정도구에 한 신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의미감 889 역량 891 자율성 885 향력 938로 나타났고 체

으로 945이었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 측정도구는 신재흡(2002)의 조직효과성 측정도구를 사용하 다

하 변인으로 직무만족(9문항) 조직생산성(8문항) 조직 응성(4문항)으로 총21문항으로 구

성되었다 작성된 문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조직효과성 측정도구에 한 신

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직무만족 918 조직생산성 861 조직 응성 932로 나타났고

체 으로 952 다

3 자료처리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자료의 통계처리는 SAS 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 으며 통계

처리의 유의 수 은 각각 plt05 plt01 plt001에서 분석하 다 구체 인 자료의 통계방법

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장의 감성 리더

십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정도를 분석하기 하여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 다 둘째 연구변인들 간의 계를 알아보기 하여 상 계분석을 실시하 다

셋째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감성 리더

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계를 분석하기 하여

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고 두 변인 가운데 어느 변인이 보다 더 향을 미치는지를 분석

하기 하여 단계 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 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7 -

Ⅳ 연구 결과 해석

1 교사특성에 따른 세 연구변인들 간의 차이 분석

가 감성 리더십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감성 리더십의 차이는 lt표 Ⅳ-1gt과 같다

lt표 Ⅳ-1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감성 리더십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 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400 0725535 AgtC

BgtC학교(B) 194 384 072

고등학교(C) 164 320 083

성남자 222 361 086 541

여자 334 378 079

학교 유형국공립 379 387 078 4880

사립 177 337 082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68 0761627

11년-20년 164 365 085

21년 이상 164 380 087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98 071 3516

30학 이상 356 356 084

직부장교사 108 401 072 1893

평교사 448 364 083

학력학사학 338 373 076

0496석사학 이상 218 368 091

계 556 371 080

plt05 plt001

lt표 Ⅳ-1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에 한 교사들의 인식은 학교 에서 통계 으로 유

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lt001) 평균값을 통해 살펴보면 등학교(400) 학교(384) 고등

학교(320) 순으로 나타났다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여

교사(378)가 남교사(361)보다 다소 높은 인식 보여주며(plt05) 국공립(387)이 사립(337)

보다 30학 미만(398)이 30학 이상(356)보다 부장교사(401)가 평교사(364)보다 높게

인식했다(plt001)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8 -

감성 리더십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이미라(2007) 강경석김철구(2007)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여교사가 남

교사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강경석김철구(2007) 김성규(2009) 연구와는 상반된 결과

이다 이러한 사실은 여교사가 감성 리더십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고 학교 경 에 극

으로 참여하여 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국공립이 사립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이미라(2007)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

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30학

미만이 30학 이상 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학 규모가 작을수록 교사들은 교장과의 빈

번한 면 으로 교장의 감성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

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낸 것은 강경석김철구(2007) 김성규(2009) 연구와 일치했다 이

러한 결과는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

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 임 워먼트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임 워먼트의 차이는 lt표 Ⅳ-2gt와 같다

lt표 Ⅳ-2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임 워먼트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 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3 0652865

AgtB AgtC학교(B) 194 354 066

고등학교(C) 164 347 058

성남자 222 369 060 0728여자 334 364 070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3 068 16567

사립 177 349 060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58 004562311년-20년 164 363 005

21년 이상 164 380 005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69 069 063930학 이상 356 364 065

직부장교사 108 399 068 35711

평교사 448 358 064

학력학사학 338 361 063

4776

석사학 이상 218 373 072

계 556 367 054

plt05 plt01 plt0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9 -

lt표 Ⅳ-2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교육경력 학력 따라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3) 학교(354)

고등학교(347) 순이며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 교사가 등학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

을 나타냈다 국공립(373)이 사립(349)보다 부장교사(399)가 평교사(358)보다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plt001) 한 21년 이상(380) 11~20년(363) 10년 이하(358) 순으로 나타났다

(plt01) 한편 석사학 이상(373)이 학사학 (361)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5) 상

기의 연구결과는 신재흡(2007)의 연구결과와 모두 일치했다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등

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

을 가지고 학교생활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보다 높

은 반응을 나타낸 것은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

함과 동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

에서 가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는 lt표 Ⅳ-3gt과 같다

lt표 Ⅳ-3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성 학교 규모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7) 학교(357) 고등

학교(333) 순이며(plt001)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가 고등학교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국공립(377)이 사립(338)보다 부장교사(386)가 평교사(359)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

냈다(plt001) 한편 여교사(372)가 남교사(354)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1) 그리고

30학 미만(373)이 30학 이상 보다 높은 인식을 보 다(plt0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김재덕(2005)의 연구와 일

치했다 이러한 사실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

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한 결과는 국공립교사가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가 높게 인식한 결과는 신재흡(2010) 김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0 -

재덕(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

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

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lt표 Ⅳ-3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7 0625009 AgtB

A BgtC학교(B) 194 357 064

고등학교(C) 164 333 059

성남자 222 354 070 9712

여자 334 372 064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7 066 44823

사립 177 338 061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62 0661662

11년-20년 164 360 067

21년 이상 164 372 068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73 064 550130학 이상 356 359 068

직부장교사 108 386 069 13787

평교사 448 359 066

학력학사학 338 361 064

1901석사학 이상 218 369 071

계 556 364 066

plt05 plt01 plt001

2 세 연구변인들 간의 상 계

가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분석을 한 결과는 lt표 Ⅳ

-4gt와 같다

lt표 Ⅳ-4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 분석

구 분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감성 리더십 100

임 워먼트 44 100

학교 조직효과성 49 58 100

plt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1 -

구 분 감 성인 식

감 정 리

사회인 식

계 리

의미감 역 량 자율성 향력 직무만족조 직

응성조 직생산성

감성인식 100

감정 리 70 100

사회 인식 59 71 100

계 리 67 71 79 100

의미감 40 40 44 44 100

역 량 28 30 34 33 55 100

자율성 22 29 32 32 38 58 100

향력 20 32 38 35 40 53 64 100

직무만족 42 41 46 45 64 56 40 44 100조 직

응성40 43 43 49 43 48 38 39 55 100

조 직생산성

44 55 61 63 45 46 44 44 49 65 100

lt표 Ⅳ-4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변인 간의 상 계는 r=44(plt01)이며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는 r=49(plt01)이다 그리고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 간의 상 계는 r=58(plt01)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 변인 간의 상

계는 정 상 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의 결과는 lt표

Ⅳ-5gt와 같다

lt표 Ⅳ-5gt는 감성 리더십의 네 가지 하 요인과 임 워먼트의 네 가지 하 요인 그리

고 학교 조직효과성의 세 가지 하 요인 간의 상 계를 나타내고 있다

lt표Ⅳ-5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

plt01

첫째 감성 리더십 하 변인과 임 워먼트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감

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감성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20~40) 감정 리는 임

워먼트 하 변인(r=29~40) 사회 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 계 리 변인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과는 정 상 을 나타낸다(plt01)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

데 사회 인식과 계 리 변인이 임 워먼트와의 상 계수가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하 변인 간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 가운데 감성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0~44) 감정 리는 학교 조직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2 -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 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2050 17220

52533 0276

감성인식 069 0088 1641

감정 리 080 0095 1591

사회 인식 0150 0201 3039

계 리 0152 0205 3270

성 하 변인(r=41~55) 사회 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3) 계 리와 학

교 조직효과성 변인(r=45~63)과는 정 상 을 보여 주었다(plt01) 특히 사회 인식과

조직생산성(r=61) 계 리와 조직생산성(r=63)으로 높은 정 상 을 보 다 이러한 연

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연구결과와

일치했다 이러한 상은 학교 조직에서 감성리더십 하 요인인 사회 인식과 계 리가

조직생산성과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요망된다

셋째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임 워먼트 하 변인

의미감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4) 역량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

(r=46~56) 자율성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8~44) 향력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9~44)으로 정 상 을 보 으며(plt01) 특히 의미감과 직무만족(r=64) 역량과 직

무만족(r=56)으로 높은 정 상 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특히 이러한 상은 임 워먼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변인과 직무만

족과의 련성을 활용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3 다회귀분석

가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6gt과 같다

lt표 Ⅳ-6gt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plt01 plt001

lt표 Ⅳ-6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276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밝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3 -

졌고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상 인 비 은 β계수(표 화 회귀계

수)로 보아 계 리(β=21) 사회 인식(β=20) 순으로 나타났으나 감성인식과 감정 리

는 통계 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감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계

리 사회 인식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유사한 연구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감성리더십이 교사들의 계 리와 사회 인식변인

을 통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데 특히 교육 장의 학교장은 교사들에게 감정

이입 다양성 활용 의사소통 갈등 리 유 형성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배려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단할 수 있다

나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7gt과 같다

lt표 Ⅳ-7gt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0696 5101

123583 0473

의미감 0408 0425 11339

역 량 0194 0188 4372

자율성 0079 0088 2036

향력 0118 0143 3397

plt05 plt001

lt표 Ⅳ-7gt과 같이 임 워먼트 하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약 473를 설명하고

있으며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향을 하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의미감(β=43) 역량(β

=19) 향력(β=12) 자율성(β=09) 순으로 비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즉 임 워먼트는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것으로 단할 수 있고 특히 학교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해서는 임 워먼트 변인을

극 으로 발휘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4 -

4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8gt과 같다

lt표 Ⅳ-8gt은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감성 리더십 하 변인들 에서 계 리 변인이 학교 조직효

과성 변인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고 임 워먼트 변인 에서는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해 약 513의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 향력을 비교한 결과 의미감

(β=34) 역량(β=18) 향력(β=12) 계 리(β=11) 순으로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lt표 Ⅳ-8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

변인독립변인

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감성

리더십

(상수) 0481 3460

72011 0513

감성인식 0032 0040 0897

감성 리 0044 0053 1063

사회 인식 0048 0065 1234

계 리 0079 0106 1927

임 워먼

의미감 0323 0337 8728

역 량 0189 0183 4408

자율성 0062 0069 1658

향력 0088 0116 2556

plt05 plt001

감성 지도성변인 계 리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은 학

교장은 조직 구성원 상호 간 의사소통과 유 계를 형성하도록 동 인 노력을 기울일

때 조직효과성이 있으며 한편 임 워먼트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

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는 의식을 갖고(의미감)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

달되어야 하며(역량)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5 -

행사할 때( 향력)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단계별 향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정도를 단

계별로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9gt와 같다

lt표Ⅳ- 9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구 분 R2 F R2 F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임 워먼트 변인군

0276

0513

52533

72011 0237 19478

plt001

lt표 Ⅳ-9gt에서 보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하 변인군들을 집단 으로 투입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변인군들의 향력을 분석한 결과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을

투입했을 경우는 276 고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과 임 워먼트 변인군을 함께 투

입했을 경우는 513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다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를 함께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졌다 따라서 교사

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들의 학교 조직

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제언

상기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서 개인

배경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은 등학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6 -

교사가 등학교 교사들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

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에 한 인식은 등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고 학교생활에 하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함과 동

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에서 가

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

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

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 학교 조직효과성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

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에는 유의한 상 계가 있다 학

교 조직에서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식과 계 리와 임 워먼트 임 워먼

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 변인과 직무만족 변인 감성 리더십 하 변인인 사회 인

식 계 리 변인과 조직생산성을 고려할 때 한층 학교 조직효과성이 확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고 있다 이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

는 의식을 갖고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달되어야 하며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행사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학교장은 감성 지도성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

인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염두에 두면서 학교행정을 펼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

성을 확 하는 것이다

넷째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측면에서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

다 감성 리더십과 교사들의 임 워먼트를 동시에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7 -

아졌다 따라서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론을 종합하면 이 연구는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하기 해서는

감성 리더십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인 가운데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조직의 성과와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교사 경력 교사들에게 학교 조직효과성의 실천력을 증 시

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부장교사 고 경력 교사일수록 직무만족 조직 응성 조직

생산성 변인에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 결국 학교 조직효과성을 극 화하기 해서는 향

후 경력 교사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수행하는 자신의 직무에 해서 자부심을 갖고

학교가 의도하는 경 방침을 명확히 이해함과 동시에 학습지도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물을

충분히 활용하는 데 한층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에게 임 워먼트의 발휘를 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고 경력 교사와 부장교사일수록 임 워먼트에 해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 따라

서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업무에 의미성을 부여하며 아무

리 어려운 직무일지라도 반드시 성공 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특히 임 워먼트 변인 에 자율성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다소 낮은 인식

의 반응은 향후 교사들은 학교 조직목표 달성을 하여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상당

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면서 아울러 직무 수행 방법 측면에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학교장들이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시키는 방안이 될 것으로 단

된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기 한 이론 검토를 지속 으로 하는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토 로 학교 조직효과성

확 방안에 해서 실증 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

식 계 리 임 워먼트 변인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더욱 더 확 하기 해서는 련 변인

의 탐색이 지속 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를 들면 학교 조직을 상으로 한 다양한

리더십 변인 즉 셀 문화 가부장 리더십을 주요 변인으로 하여 교사들의 응집성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교직수행과 같은 조직효과성 등과 련된 변인들 간의 상호작

용이나 각 변인들을 매개로 한 직간 인 향 등에 한 지속 인 실증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8 -

참 고 문 헌

강경석 강경수(2006) 학교장의 변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4호 239~262

강경석 김철구(2007)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4호 1~24

김민환(2003)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사 임 워먼트가 교사들의 교직 활동 성향에 미치는

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89~115

김성규(2009) 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향 단

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일형(2009) 학교장의 감성지능 직무역량이 리더-구성원 교환 계(LMX)를 매개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향 홍익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재덕(2006) 학교 상황에 따라 학교장의 도덕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고려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정서(2009)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문화가 학교 조직역량에 미치는 향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필녀(2002)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국민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창걸(2003) 교육조직행 론 서울 형설출 사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1호 253~279

박인심(2006) 교원헌신에 한 권한 강화의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1호 25~50

신동한(2008)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교육행정학

연구 제26권 3호 125~149

신재흡(2007)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2호 93~119

신재흡(2002)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학교 조직문화 학교 조직효과성간의

계 교육행정학연구 제20권 제3호 91~115

신 식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4호 199~224

이미라(2007)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 감성과 조직 학습의 계 충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이석열(2006) 교장의 감성리더십 진단척도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3호 51~78

이윤식 이상미(2009)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 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2호 1~24

이화용(2005) 감성트랜드 감성 셀 리더십과 자아실 서울 한솜미디어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9 -

정 (2005) 탁 식업체 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향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채순화(2004) 변 리더십 임 워먼트 신뢰 조직몰입과의 계 다차원 근 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최연인(2005)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과의 계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Adajian L B(1995)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and the Teaching of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Conger J A amp Kanungo R N(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3(3) 471~482

Foy N(1994) Empowering People of Work Gower Publishing Ltd 3~5

Frederick J M(1989) Measuring School Effectiveness Guideline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

Princeton N J ERIC Clearing House on Test Measurement and Evaluation

Goleman D Boyatzis R amp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han R L(1997) The Key to Being a Leader Company Empowerment Journal for Quality and

Participation JanFeb 59~78

Humphrey R H(2002) The Many Faces of Emo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3

493~504

Kouzes J amp Posner B(1999) The Leadership Challenge San Francisco John Wiley amp Sons Inc

Neff T J Citrin J M amp Brown P B(1999) Lessons from the Top The Search for Americas Best

Business Leaders New York Double day

Sergiovanni T J(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Jossey-Bass

Spreitzer G M(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 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1442~1465

Thomas K W amp Tymon W G(1994) Does Empowerment Always Work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Personal Interpretation Journal of Management Systems

6(3) 54~66

Tran Veronique(1998) The Role of the Emotional Climate Impacts Performa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2(4) 240~246

Whetten D A Cameron K amp Woods M(1996) Effective Empowerment and Delation London

Harper Ciollins Publis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70 -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in Jae-Heub (Hansung Univers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perceived by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EL)

Empowermen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the impact of subfactors such

as EL and E on SO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0 teachers working in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Kyonggi Province

Of them 55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existed on EL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chairperson on E for elementary school public

school high-career teachers chairperson holders of the masters degree on SOE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and chairpers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EL had an

impact on E which had an impact on SO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s one of EL factors and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as E factors

had an impact on SOE but E had a greater stepwise impact on SOE than teachers E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use of such EL factors as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nd such E factors as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in order to increase

SOE which could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Key words Emo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Page 5: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dcRxKCBT_003_E… · 성이다. 이에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1 -

활동 시민권리 단체운동 등이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사회학자들은 이들 단체들이 사회

구조 차별과 소속 단체의 무력감을 극복하고 민주 권리를 얻기까지의 향력을 행사

할 수 있을 정도로 워를 갖게 되는 과정에 해 연구하면서 시작되었다(채순화 2004)

하지만 교육 분야에서는 각 지역의 실정에 맞는 자율 학교경 을 한 차원에서 최근

많은 심을 일으키고 있다(Thomas amp Tymon 1994 Khan 1997 김민환 2003 최연인

2005) 그 동안 여러 학자들이 제시한 임 워먼트의 개념을 종합해보면 임 워먼트의 개념

을 크게 두 으로 나 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직구조 차원과 개인의 심리 차원

이다 자는 지도자가 하 자에게 권력을 분배하고 통제권을 이양하며 권한을 하게

임하는 행 나 실제에 을 맞추어 설명하고자 한다 즉 임 워먼트를 권한 임행

나 과정으로 보는 것이다(Conger amp Kanungo 1988 Foy 1994) 후자는 임 워된 구성원들

이 갖게 되는 행동특성들로 자기 효능감을 비롯하여 자기결정 직 통제의식 의미감 신

뢰감 그리고 동기부여 등에 을 맞추어 설명하는 것이다(Spreitzer 1995 Whetten et

al 1996) 따라서 학교조직에서의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란985170교사에게 자율성과 창의성을

갖도록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자신의 능력을 지속 으로 계발하여 교직헌신이나 조직효과

성 증진을 해 역량을 최 한 발휘하는 과정985171으로 보고자 한다

결국 이 연구에서는 임 워먼트에 한 개념 설정을 학교 조직구조 차원보다 교사 개인

의 심리 차원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Spreitzer(1995)가 제시한 척도를

용하여 그 하 변인을 의미감 역량 자율성 향력으로 구분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의

미감은 구성원들이 조직의 의의나 목표 자신의 업무 등에 부여하는 가치나 보람 등을

말한다 즉 교사가 자신의 업무나 학교 조직에 해서 부여한 가치나 목 의식 등을 뜻한

다 역량은 자기 효능감으로 불리며 자신의 능력이나 숙련도에 한 인식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교사 자신이 스스로 유능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율성은 교사들이

자신의 업무를 주도 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의사 결정과 그 정도에 한 인식을 말하며 이

는 교사들에게 신 이며 창의 인 성향을 제고시키며 그들의 자존감 신뢰 직업 만족

감도 향상시켜 다 향력은 어떤 일의 결과에 하여 자신이 미치는 향 정도에 한

인식을 의미한다 교사들이 워를 소유하고 학생들을 하여 교육환경을 개선하는 능력을

나타낸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2 -

3 학교 조직효과성

학교 조직에서 효과성은 다양한 기 을 사용한 다차원 인 개념이기에 학업 성취와 같

은 단일변인을 사용하는 것은 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변인을 축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최

근 연구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보다 확 된 측정 지표를 사용하는 노력이 선행 연구자들

에 의해 시도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신재흡 2002)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여러 선행연구자들의 견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rederick(1989)은985170강력한 행정 지도성 학습하기에 질서 정연하고 쾌 한 환경 교수-학

습의 강조 학생에 한 교사 기 학업 성취도의 측정 사용을 효과 인 학교의 특성이다

985171라고 정의했다 Sergiovanni(1994)도985170학생의 에서 교육성과에만 을 둔 단순한

학교효과성 평가에 비하여 다른 많은 차원이 있을 수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그는 일반 행

정조직과 사기업 조직의 효과성 평가기 을 학교 조직에 맞게 재해석하여 학교효과성 측

정 거985171를 제시했다 김창걸(2003)은985170학교 조직효과성이란 교사에게 을 두어 학교

조직효과성을 교직원들이 만족스런 상태에서 노력을 하며 조직이 환경에 응해 가면서

교육 성과를 확보하는 것으로 정의985171하고 있다 신재흡(2002)은985170학교 조직효과성이란 구

성원들이 과업을 수행해 가는 과정에서 내외 욕구가 충족되어 학교 생활에 정 인 감

정 상태에 도달하여 직무에 강한 애착을 가지며 학교 조직의 내외 환경 변화에 어느

정도 신축성 있게 응하는 조직 응성 조직 구성원들의 효율성을 높이기 해 학교

조직의 기능 제반 지원에 하여 구성원들의 지각 정도로 정의하며 교사 조직에 한정

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을 악한다985171고 제시했다 최연인(2005)은985170학교 조직효과성을 학교

조직이 교육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응하고 교직원들이 소속감과 헌신감을 가지고 만

족스러운 상태에서 교육목표를 성공 으로 수행해가는 과정985171으로 보았다 강경석강경수

(2006 247)는985170학교 조직효과성을 학교 조직의 목표를 달성해 가는 과정에서 산출된 교육

성취도와 구성원들의 지각하는 만족도985171라고 정의했다 학교 조직효과성의 구성 요인으

로 김창걸(2003) 신재흡(2002) 최연인(2005) 등은 교사의 직무만족도 조직 응성 조직 생

산성(직무성과)을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은 구성원들이 과업을 수행해 가

는 과정에서 내외 욕구가 충족되어 학교 생활에 정 인 감정 상태에 도달하여 직무에

강한 애착을 가지며 학교 조직의 내외 환경 변화에 어느 정도 신축성 있게 응하는

조직 응성 조직 구성원들의 효율성을 높이기 해 학교 조직의 기능 제반 지원에

하여 구성원들의 지각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고자 한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3 -

상기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개념 정의를 살펴본 결과 학교 조직효과성의 본질을

밝히려는 노력과 상에 따라 개념의 강조 을 달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연

구에서는 이미 고 교사들을 상으로 사용해서 검증된 신재흡(2002)의 척도를 사

용하고자 한다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을 소개하면 직무만족 변인은 업무에 한 자부

심 업무에 한 책임성 학교에 한 소속감 업무 수행에 한 만족도 심리 안정감 능

력 발휘 업무에 한 보람 행정가와 인간 계 근무 조건 등이다 그리고 조직 응성 변

인은 정부 시책에 한 호응 정도 학교 교육방침에 한 응 사회 변화에 한 지각 정

도 지역 사회의 요구에 한 지각 정도 지역 사회와의 유 계 등을 의미한다 조직 생

산성 변인은 필요한 자료의 활용 원회 제도의 활용 구성원에 한 응분의 우 분 기

개선을 한 노력 목표의 인지 시간 운 의 성 업무 분장 계 학습 지도 근무

평정에 한 한 반 등을 나타낸다

4 연구변인들 간의 계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을 구명하기 하여 연구변인들 간의 계를 선행연구를 토 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에 한 연구를 살펴보면 감성 지도성과 학

교 조직효과성의 계를 다룬 직 인 연구(신동한 2008 김 진김상돈 2009 신 식

김 진김상돈 2009)가 있으며 그리고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몰입(강경석김철구

2007) 교사헌신(이윤식이상미 2009)과의 계를 다루고 있다 이들의 연구를 소개하면서

감성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미치는 계성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신동한

(2008 143)은 ldquo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연구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의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한 감성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직 인

향을 미치면서 교사의 교직헌신도를 통한 간 인 향도 미치고 있는 것rdquo으로 나타났

다 김 진김상돈(2009 272~273)은 ldquo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

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연구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해 감성 지도성(473) 변

지도성(281) 거래 지도성(195) 순으로 향을 미치는 것rdquo으로 제시했다 신 식김

진김상돈(2009 220)은 ldquo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에서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이 학교 조직개방성에 미치는 향 782 학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4 -

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322rdquo로 나타났다 강경석김철구(2007 19~20)는 ldquo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 연구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은 교사의 학

교 조직몰입 모든 하 변인과 정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밝 졌으며 한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에 향을 미치며 특히 학교장의 감성리더십 계인식 능력과 자기 인식능력

은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에 유의한 향력rdquo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윤식이상미(2009

18)는 ldquo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연구에서 학교장의 감성지도성은 교사헌신에 직 인 효과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한 간

인 효과가 부가되어 총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rdquo고 제시했다 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연구는 감성 리더십

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음이 확인되었고 강경석김철구(2007)와 이윤식이상

미(2009)의 연구에서는 감성리더십이 조직몰입이나 교사헌신 교사효능감에 향력이 있음

이 밝 졌다

둘째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에 한 연구를 살펴보면 교

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의 계를 다룬 직 인 연구(김필녀 2002 최연

인 2005)가 있으며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교직헌신(신재흡 2007)과의 계를

다루고 있다 이들의 연구를 소개하면서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는 계성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김필녀(2002 90)는 ldquo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향 연구에서 등교사의 활력화와 등

학교 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향력은 두 변인 간의 상 계수는 611로 비교 높은 상

을 나타내고 변인에 한 설명력은 373로 나타났다(F=121224 plt001)rdquo고 제시했다 최

연인(2005 89~90)은985170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연구에서 변 지도성이 임 워먼트에 미치는 인과효과는

379(직 효과)이고 변 지도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인과효과는 524(직 효과 214

간 효과 310)이며 한 임 워먼트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은 819(직 효과 819)로

나타났다(plt001) 신재흡(2007 110~111)은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

치는 향 분석에서 임 워먼트 하 요인이 교직헌신 변량의 약 42를 설명하고 있으며

교직헌신에 한 향을 하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의미감(β=27) 역량(β=24) 자율성(β

=23) 순으로 비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1)고 제시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

이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는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력이 있으며 신재흡(2007)의 연구는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향력이 있음이

밝 졌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5 -

지 까지 선행연구에서 밝 진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연구는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특성변인과 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조직효과성에 한 연구

는 계변인을 새롭게 하여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 로 그 범 를 확 시키기

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 연구는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연계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을 다루고자 한다 그리고 감성 지도성 변인과 임 워먼트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뿐만 아니라 어느 것이 더 크게 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으로

검증하 다는 에서 이 연구가 선행연구들과의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Ⅲ 연구의 방법

1 연구의 상

이 연구의 상은 경기도 지역에 근무하는 등학교 교사 200명(10개교) 학교 교사(10

개교) 고등학교 교사 200명(10개교)으로 총600명을 연구의 상으로 삼았다 질문지 배부

회수 기간은 2010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실시하 으며 600명을 단순 무선 표집

으로 선정하여 질문지를 배포하 다 배포된 질문지 가운데 회수된 질문지는 580부(97)

으며 그 가운데 무응답치나 연구의 가치가 없다고 단된 자료 24부를 제외한 556부(93)

를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하 다

2 측정도구

첫째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을 측정하기 하여 이석열(2006)이 개발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 질문지를 사용하 다 감성 리더십 변인 감성 인식능력(자기 인식능력 2문

항 자기 평가능력 2문항 자기 확신능력 3문항) 감정 리능력( 신성 3문항 성취력 3

문항 헌신성 3문항 진취성 3문항) 사회 인식능력(감정이입 3문항 서비스 정신 2문항

다양성 활용 2문항) 계 리능력( 향력 2문항 의사소통 3문항 리더십 3문항 변화

진 3문항 갈등 리 2문항 유 형성 3문항 동 능력 3문항 역량 3문항) 등 총48

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작성된 문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한 감성 리더십의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6 -

측정도구에 한 신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감성 인식능력 915 감정 리능력 948

사회 인식능력 959 계 리능력 979로 나타났고 체 으로 986이었다

둘째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측정하기 하여 Spreitzer(1995)의 분류에 따라 의미감(5

문항) 역량(5문항) 자율성(5문항) 향력(5문항)으로 총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작성된 문

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

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의 측정도구에 한 신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의미감 889 역량 891 자율성 885 향력 938로 나타났고 체

으로 945이었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 측정도구는 신재흡(2002)의 조직효과성 측정도구를 사용하 다

하 변인으로 직무만족(9문항) 조직생산성(8문항) 조직 응성(4문항)으로 총21문항으로 구

성되었다 작성된 문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조직효과성 측정도구에 한 신

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직무만족 918 조직생산성 861 조직 응성 932로 나타났고

체 으로 952 다

3 자료처리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자료의 통계처리는 SAS 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 으며 통계

처리의 유의 수 은 각각 plt05 plt01 plt001에서 분석하 다 구체 인 자료의 통계방법

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장의 감성 리더

십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정도를 분석하기 하여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 다 둘째 연구변인들 간의 계를 알아보기 하여 상 계분석을 실시하 다

셋째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감성 리더

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계를 분석하기 하여

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고 두 변인 가운데 어느 변인이 보다 더 향을 미치는지를 분석

하기 하여 단계 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 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7 -

Ⅳ 연구 결과 해석

1 교사특성에 따른 세 연구변인들 간의 차이 분석

가 감성 리더십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감성 리더십의 차이는 lt표 Ⅳ-1gt과 같다

lt표 Ⅳ-1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감성 리더십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 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400 0725535 AgtC

BgtC학교(B) 194 384 072

고등학교(C) 164 320 083

성남자 222 361 086 541

여자 334 378 079

학교 유형국공립 379 387 078 4880

사립 177 337 082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68 0761627

11년-20년 164 365 085

21년 이상 164 380 087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98 071 3516

30학 이상 356 356 084

직부장교사 108 401 072 1893

평교사 448 364 083

학력학사학 338 373 076

0496석사학 이상 218 368 091

계 556 371 080

plt05 plt001

lt표 Ⅳ-1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에 한 교사들의 인식은 학교 에서 통계 으로 유

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lt001) 평균값을 통해 살펴보면 등학교(400) 학교(384) 고등

학교(320) 순으로 나타났다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여

교사(378)가 남교사(361)보다 다소 높은 인식 보여주며(plt05) 국공립(387)이 사립(337)

보다 30학 미만(398)이 30학 이상(356)보다 부장교사(401)가 평교사(364)보다 높게

인식했다(plt001)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8 -

감성 리더십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이미라(2007) 강경석김철구(2007)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여교사가 남

교사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강경석김철구(2007) 김성규(2009) 연구와는 상반된 결과

이다 이러한 사실은 여교사가 감성 리더십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고 학교 경 에 극

으로 참여하여 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국공립이 사립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이미라(2007)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

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30학

미만이 30학 이상 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학 규모가 작을수록 교사들은 교장과의 빈

번한 면 으로 교장의 감성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

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낸 것은 강경석김철구(2007) 김성규(2009) 연구와 일치했다 이

러한 결과는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

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 임 워먼트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임 워먼트의 차이는 lt표 Ⅳ-2gt와 같다

lt표 Ⅳ-2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임 워먼트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 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3 0652865

AgtB AgtC학교(B) 194 354 066

고등학교(C) 164 347 058

성남자 222 369 060 0728여자 334 364 070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3 068 16567

사립 177 349 060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58 004562311년-20년 164 363 005

21년 이상 164 380 005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69 069 063930학 이상 356 364 065

직부장교사 108 399 068 35711

평교사 448 358 064

학력학사학 338 361 063

4776

석사학 이상 218 373 072

계 556 367 054

plt05 plt01 plt0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9 -

lt표 Ⅳ-2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교육경력 학력 따라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3) 학교(354)

고등학교(347) 순이며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 교사가 등학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

을 나타냈다 국공립(373)이 사립(349)보다 부장교사(399)가 평교사(358)보다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plt001) 한 21년 이상(380) 11~20년(363) 10년 이하(358) 순으로 나타났다

(plt01) 한편 석사학 이상(373)이 학사학 (361)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5) 상

기의 연구결과는 신재흡(2007)의 연구결과와 모두 일치했다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등

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

을 가지고 학교생활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보다 높

은 반응을 나타낸 것은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

함과 동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

에서 가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는 lt표 Ⅳ-3gt과 같다

lt표 Ⅳ-3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성 학교 규모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7) 학교(357) 고등

학교(333) 순이며(plt001)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가 고등학교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국공립(377)이 사립(338)보다 부장교사(386)가 평교사(359)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

냈다(plt001) 한편 여교사(372)가 남교사(354)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1) 그리고

30학 미만(373)이 30학 이상 보다 높은 인식을 보 다(plt0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김재덕(2005)의 연구와 일

치했다 이러한 사실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

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한 결과는 국공립교사가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가 높게 인식한 결과는 신재흡(2010) 김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0 -

재덕(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

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

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lt표 Ⅳ-3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7 0625009 AgtB

A BgtC학교(B) 194 357 064

고등학교(C) 164 333 059

성남자 222 354 070 9712

여자 334 372 064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7 066 44823

사립 177 338 061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62 0661662

11년-20년 164 360 067

21년 이상 164 372 068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73 064 550130학 이상 356 359 068

직부장교사 108 386 069 13787

평교사 448 359 066

학력학사학 338 361 064

1901석사학 이상 218 369 071

계 556 364 066

plt05 plt01 plt001

2 세 연구변인들 간의 상 계

가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분석을 한 결과는 lt표 Ⅳ

-4gt와 같다

lt표 Ⅳ-4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 분석

구 분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감성 리더십 100

임 워먼트 44 100

학교 조직효과성 49 58 100

plt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1 -

구 분 감 성인 식

감 정 리

사회인 식

계 리

의미감 역 량 자율성 향력 직무만족조 직

응성조 직생산성

감성인식 100

감정 리 70 100

사회 인식 59 71 100

계 리 67 71 79 100

의미감 40 40 44 44 100

역 량 28 30 34 33 55 100

자율성 22 29 32 32 38 58 100

향력 20 32 38 35 40 53 64 100

직무만족 42 41 46 45 64 56 40 44 100조 직

응성40 43 43 49 43 48 38 39 55 100

조 직생산성

44 55 61 63 45 46 44 44 49 65 100

lt표 Ⅳ-4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변인 간의 상 계는 r=44(plt01)이며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는 r=49(plt01)이다 그리고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 간의 상 계는 r=58(plt01)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 변인 간의 상

계는 정 상 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의 결과는 lt표

Ⅳ-5gt와 같다

lt표 Ⅳ-5gt는 감성 리더십의 네 가지 하 요인과 임 워먼트의 네 가지 하 요인 그리

고 학교 조직효과성의 세 가지 하 요인 간의 상 계를 나타내고 있다

lt표Ⅳ-5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

plt01

첫째 감성 리더십 하 변인과 임 워먼트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감

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감성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20~40) 감정 리는 임

워먼트 하 변인(r=29~40) 사회 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 계 리 변인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과는 정 상 을 나타낸다(plt01)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

데 사회 인식과 계 리 변인이 임 워먼트와의 상 계수가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하 변인 간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 가운데 감성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0~44) 감정 리는 학교 조직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2 -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 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2050 17220

52533 0276

감성인식 069 0088 1641

감정 리 080 0095 1591

사회 인식 0150 0201 3039

계 리 0152 0205 3270

성 하 변인(r=41~55) 사회 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3) 계 리와 학

교 조직효과성 변인(r=45~63)과는 정 상 을 보여 주었다(plt01) 특히 사회 인식과

조직생산성(r=61) 계 리와 조직생산성(r=63)으로 높은 정 상 을 보 다 이러한 연

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연구결과와

일치했다 이러한 상은 학교 조직에서 감성리더십 하 요인인 사회 인식과 계 리가

조직생산성과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요망된다

셋째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임 워먼트 하 변인

의미감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4) 역량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

(r=46~56) 자율성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8~44) 향력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9~44)으로 정 상 을 보 으며(plt01) 특히 의미감과 직무만족(r=64) 역량과 직

무만족(r=56)으로 높은 정 상 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특히 이러한 상은 임 워먼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변인과 직무만

족과의 련성을 활용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3 다회귀분석

가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6gt과 같다

lt표 Ⅳ-6gt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plt01 plt001

lt표 Ⅳ-6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276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밝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3 -

졌고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상 인 비 은 β계수(표 화 회귀계

수)로 보아 계 리(β=21) 사회 인식(β=20) 순으로 나타났으나 감성인식과 감정 리

는 통계 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감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계

리 사회 인식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유사한 연구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감성리더십이 교사들의 계 리와 사회 인식변인

을 통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데 특히 교육 장의 학교장은 교사들에게 감정

이입 다양성 활용 의사소통 갈등 리 유 형성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배려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단할 수 있다

나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7gt과 같다

lt표 Ⅳ-7gt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0696 5101

123583 0473

의미감 0408 0425 11339

역 량 0194 0188 4372

자율성 0079 0088 2036

향력 0118 0143 3397

plt05 plt001

lt표 Ⅳ-7gt과 같이 임 워먼트 하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약 473를 설명하고

있으며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향을 하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의미감(β=43) 역량(β

=19) 향력(β=12) 자율성(β=09) 순으로 비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즉 임 워먼트는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것으로 단할 수 있고 특히 학교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해서는 임 워먼트 변인을

극 으로 발휘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4 -

4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8gt과 같다

lt표 Ⅳ-8gt은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감성 리더십 하 변인들 에서 계 리 변인이 학교 조직효

과성 변인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고 임 워먼트 변인 에서는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해 약 513의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 향력을 비교한 결과 의미감

(β=34) 역량(β=18) 향력(β=12) 계 리(β=11) 순으로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lt표 Ⅳ-8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

변인독립변인

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감성

리더십

(상수) 0481 3460

72011 0513

감성인식 0032 0040 0897

감성 리 0044 0053 1063

사회 인식 0048 0065 1234

계 리 0079 0106 1927

임 워먼

의미감 0323 0337 8728

역 량 0189 0183 4408

자율성 0062 0069 1658

향력 0088 0116 2556

plt05 plt001

감성 지도성변인 계 리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은 학

교장은 조직 구성원 상호 간 의사소통과 유 계를 형성하도록 동 인 노력을 기울일

때 조직효과성이 있으며 한편 임 워먼트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

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는 의식을 갖고(의미감)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

달되어야 하며(역량)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5 -

행사할 때( 향력)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단계별 향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정도를 단

계별로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9gt와 같다

lt표Ⅳ- 9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구 분 R2 F R2 F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임 워먼트 변인군

0276

0513

52533

72011 0237 19478

plt001

lt표 Ⅳ-9gt에서 보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하 변인군들을 집단 으로 투입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변인군들의 향력을 분석한 결과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을

투입했을 경우는 276 고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과 임 워먼트 변인군을 함께 투

입했을 경우는 513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다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를 함께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졌다 따라서 교사

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들의 학교 조직

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제언

상기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서 개인

배경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은 등학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6 -

교사가 등학교 교사들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

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에 한 인식은 등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고 학교생활에 하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함과 동

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에서 가

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

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

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 학교 조직효과성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

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에는 유의한 상 계가 있다 학

교 조직에서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식과 계 리와 임 워먼트 임 워먼

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 변인과 직무만족 변인 감성 리더십 하 변인인 사회 인

식 계 리 변인과 조직생산성을 고려할 때 한층 학교 조직효과성이 확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고 있다 이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

는 의식을 갖고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달되어야 하며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행사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학교장은 감성 지도성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

인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염두에 두면서 학교행정을 펼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

성을 확 하는 것이다

넷째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측면에서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

다 감성 리더십과 교사들의 임 워먼트를 동시에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7 -

아졌다 따라서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론을 종합하면 이 연구는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하기 해서는

감성 리더십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인 가운데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조직의 성과와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교사 경력 교사들에게 학교 조직효과성의 실천력을 증 시

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부장교사 고 경력 교사일수록 직무만족 조직 응성 조직

생산성 변인에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 결국 학교 조직효과성을 극 화하기 해서는 향

후 경력 교사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수행하는 자신의 직무에 해서 자부심을 갖고

학교가 의도하는 경 방침을 명확히 이해함과 동시에 학습지도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물을

충분히 활용하는 데 한층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에게 임 워먼트의 발휘를 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고 경력 교사와 부장교사일수록 임 워먼트에 해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 따라

서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업무에 의미성을 부여하며 아무

리 어려운 직무일지라도 반드시 성공 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특히 임 워먼트 변인 에 자율성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다소 낮은 인식

의 반응은 향후 교사들은 학교 조직목표 달성을 하여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상당

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면서 아울러 직무 수행 방법 측면에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학교장들이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시키는 방안이 될 것으로 단

된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기 한 이론 검토를 지속 으로 하는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토 로 학교 조직효과성

확 방안에 해서 실증 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

식 계 리 임 워먼트 변인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더욱 더 확 하기 해서는 련 변인

의 탐색이 지속 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를 들면 학교 조직을 상으로 한 다양한

리더십 변인 즉 셀 문화 가부장 리더십을 주요 변인으로 하여 교사들의 응집성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교직수행과 같은 조직효과성 등과 련된 변인들 간의 상호작

용이나 각 변인들을 매개로 한 직간 인 향 등에 한 지속 인 실증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8 -

참 고 문 헌

강경석 강경수(2006) 학교장의 변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4호 239~262

강경석 김철구(2007)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4호 1~24

김민환(2003)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사 임 워먼트가 교사들의 교직 활동 성향에 미치는

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89~115

김성규(2009) 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향 단

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일형(2009) 학교장의 감성지능 직무역량이 리더-구성원 교환 계(LMX)를 매개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향 홍익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재덕(2006) 학교 상황에 따라 학교장의 도덕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고려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정서(2009)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문화가 학교 조직역량에 미치는 향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필녀(2002)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국민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창걸(2003) 교육조직행 론 서울 형설출 사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1호 253~279

박인심(2006) 교원헌신에 한 권한 강화의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1호 25~50

신동한(2008)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교육행정학

연구 제26권 3호 125~149

신재흡(2007)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2호 93~119

신재흡(2002)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학교 조직문화 학교 조직효과성간의

계 교육행정학연구 제20권 제3호 91~115

신 식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4호 199~224

이미라(2007)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 감성과 조직 학습의 계 충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이석열(2006) 교장의 감성리더십 진단척도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3호 51~78

이윤식 이상미(2009)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 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2호 1~24

이화용(2005) 감성트랜드 감성 셀 리더십과 자아실 서울 한솜미디어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9 -

정 (2005) 탁 식업체 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향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채순화(2004) 변 리더십 임 워먼트 신뢰 조직몰입과의 계 다차원 근 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최연인(2005)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과의 계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Adajian L B(1995)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and the Teaching of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Conger J A amp Kanungo R N(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3(3) 471~482

Foy N(1994) Empowering People of Work Gower Publishing Ltd 3~5

Frederick J M(1989) Measuring School Effectiveness Guideline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

Princeton N J ERIC Clearing House on Test Measurement and Evaluation

Goleman D Boyatzis R amp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han R L(1997) The Key to Being a Leader Company Empowerment Journal for Quality and

Participation JanFeb 59~78

Humphrey R H(2002) The Many Faces of Emo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3

493~504

Kouzes J amp Posner B(1999) The Leadership Challenge San Francisco John Wiley amp Sons Inc

Neff T J Citrin J M amp Brown P B(1999) Lessons from the Top The Search for Americas Best

Business Leaders New York Double day

Sergiovanni T J(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Jossey-Bass

Spreitzer G M(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 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1442~1465

Thomas K W amp Tymon W G(1994) Does Empowerment Always Work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Personal Interpretation Journal of Management Systems

6(3) 54~66

Tran Veronique(1998) The Role of the Emotional Climate Impacts Performa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2(4) 240~246

Whetten D A Cameron K amp Woods M(1996) Effective Empowerment and Delation London

Harper Ciollins Publis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70 -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in Jae-Heub (Hansung Univers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perceived by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EL)

Empowermen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the impact of subfactors such

as EL and E on SO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0 teachers working in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Kyonggi Province

Of them 55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existed on EL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chairperson on E for elementary school public

school high-career teachers chairperson holders of the masters degree on SOE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and chairpers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EL had an

impact on E which had an impact on SO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s one of EL factors and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as E factors

had an impact on SOE but E had a greater stepwise impact on SOE than teachers E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use of such EL factors as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nd such E factors as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in order to increase

SOE which could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Key words Emo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Page 6: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dcRxKCBT_003_E… · 성이다. 이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2 -

3 학교 조직효과성

학교 조직에서 효과성은 다양한 기 을 사용한 다차원 인 개념이기에 학업 성취와 같

은 단일변인을 사용하는 것은 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변인을 축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최

근 연구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보다 확 된 측정 지표를 사용하는 노력이 선행 연구자들

에 의해 시도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신재흡 2002)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여러 선행연구자들의 견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rederick(1989)은985170강력한 행정 지도성 학습하기에 질서 정연하고 쾌 한 환경 교수-학

습의 강조 학생에 한 교사 기 학업 성취도의 측정 사용을 효과 인 학교의 특성이다

985171라고 정의했다 Sergiovanni(1994)도985170학생의 에서 교육성과에만 을 둔 단순한

학교효과성 평가에 비하여 다른 많은 차원이 있을 수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그는 일반 행

정조직과 사기업 조직의 효과성 평가기 을 학교 조직에 맞게 재해석하여 학교효과성 측

정 거985171를 제시했다 김창걸(2003)은985170학교 조직효과성이란 교사에게 을 두어 학교

조직효과성을 교직원들이 만족스런 상태에서 노력을 하며 조직이 환경에 응해 가면서

교육 성과를 확보하는 것으로 정의985171하고 있다 신재흡(2002)은985170학교 조직효과성이란 구

성원들이 과업을 수행해 가는 과정에서 내외 욕구가 충족되어 학교 생활에 정 인 감

정 상태에 도달하여 직무에 강한 애착을 가지며 학교 조직의 내외 환경 변화에 어느

정도 신축성 있게 응하는 조직 응성 조직 구성원들의 효율성을 높이기 해 학교

조직의 기능 제반 지원에 하여 구성원들의 지각 정도로 정의하며 교사 조직에 한정

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을 악한다985171고 제시했다 최연인(2005)은985170학교 조직효과성을 학교

조직이 교육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응하고 교직원들이 소속감과 헌신감을 가지고 만

족스러운 상태에서 교육목표를 성공 으로 수행해가는 과정985171으로 보았다 강경석강경수

(2006 247)는985170학교 조직효과성을 학교 조직의 목표를 달성해 가는 과정에서 산출된 교육

성취도와 구성원들의 지각하는 만족도985171라고 정의했다 학교 조직효과성의 구성 요인으

로 김창걸(2003) 신재흡(2002) 최연인(2005) 등은 교사의 직무만족도 조직 응성 조직 생

산성(직무성과)을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은 구성원들이 과업을 수행해 가

는 과정에서 내외 욕구가 충족되어 학교 생활에 정 인 감정 상태에 도달하여 직무에

강한 애착을 가지며 학교 조직의 내외 환경 변화에 어느 정도 신축성 있게 응하는

조직 응성 조직 구성원들의 효율성을 높이기 해 학교 조직의 기능 제반 지원에

하여 구성원들의 지각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고자 한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3 -

상기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개념 정의를 살펴본 결과 학교 조직효과성의 본질을

밝히려는 노력과 상에 따라 개념의 강조 을 달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연

구에서는 이미 고 교사들을 상으로 사용해서 검증된 신재흡(2002)의 척도를 사

용하고자 한다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을 소개하면 직무만족 변인은 업무에 한 자부

심 업무에 한 책임성 학교에 한 소속감 업무 수행에 한 만족도 심리 안정감 능

력 발휘 업무에 한 보람 행정가와 인간 계 근무 조건 등이다 그리고 조직 응성 변

인은 정부 시책에 한 호응 정도 학교 교육방침에 한 응 사회 변화에 한 지각 정

도 지역 사회의 요구에 한 지각 정도 지역 사회와의 유 계 등을 의미한다 조직 생

산성 변인은 필요한 자료의 활용 원회 제도의 활용 구성원에 한 응분의 우 분 기

개선을 한 노력 목표의 인지 시간 운 의 성 업무 분장 계 학습 지도 근무

평정에 한 한 반 등을 나타낸다

4 연구변인들 간의 계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을 구명하기 하여 연구변인들 간의 계를 선행연구를 토 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에 한 연구를 살펴보면 감성 지도성과 학

교 조직효과성의 계를 다룬 직 인 연구(신동한 2008 김 진김상돈 2009 신 식

김 진김상돈 2009)가 있으며 그리고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몰입(강경석김철구

2007) 교사헌신(이윤식이상미 2009)과의 계를 다루고 있다 이들의 연구를 소개하면서

감성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미치는 계성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신동한

(2008 143)은 ldquo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연구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의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한 감성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직 인

향을 미치면서 교사의 교직헌신도를 통한 간 인 향도 미치고 있는 것rdquo으로 나타났

다 김 진김상돈(2009 272~273)은 ldquo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

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연구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해 감성 지도성(473) 변

지도성(281) 거래 지도성(195) 순으로 향을 미치는 것rdquo으로 제시했다 신 식김

진김상돈(2009 220)은 ldquo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에서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이 학교 조직개방성에 미치는 향 782 학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4 -

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322rdquo로 나타났다 강경석김철구(2007 19~20)는 ldquo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 연구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은 교사의 학

교 조직몰입 모든 하 변인과 정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밝 졌으며 한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에 향을 미치며 특히 학교장의 감성리더십 계인식 능력과 자기 인식능력

은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에 유의한 향력rdquo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윤식이상미(2009

18)는 ldquo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연구에서 학교장의 감성지도성은 교사헌신에 직 인 효과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한 간

인 효과가 부가되어 총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rdquo고 제시했다 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연구는 감성 리더십

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음이 확인되었고 강경석김철구(2007)와 이윤식이상

미(2009)의 연구에서는 감성리더십이 조직몰입이나 교사헌신 교사효능감에 향력이 있음

이 밝 졌다

둘째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에 한 연구를 살펴보면 교

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의 계를 다룬 직 인 연구(김필녀 2002 최연

인 2005)가 있으며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교직헌신(신재흡 2007)과의 계를

다루고 있다 이들의 연구를 소개하면서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는 계성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김필녀(2002 90)는 ldquo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향 연구에서 등교사의 활력화와 등

학교 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향력은 두 변인 간의 상 계수는 611로 비교 높은 상

을 나타내고 변인에 한 설명력은 373로 나타났다(F=121224 plt001)rdquo고 제시했다 최

연인(2005 89~90)은985170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연구에서 변 지도성이 임 워먼트에 미치는 인과효과는

379(직 효과)이고 변 지도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인과효과는 524(직 효과 214

간 효과 310)이며 한 임 워먼트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은 819(직 효과 819)로

나타났다(plt001) 신재흡(2007 110~111)은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

치는 향 분석에서 임 워먼트 하 요인이 교직헌신 변량의 약 42를 설명하고 있으며

교직헌신에 한 향을 하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의미감(β=27) 역량(β=24) 자율성(β

=23) 순으로 비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1)고 제시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

이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는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력이 있으며 신재흡(2007)의 연구는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향력이 있음이

밝 졌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5 -

지 까지 선행연구에서 밝 진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연구는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특성변인과 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조직효과성에 한 연구

는 계변인을 새롭게 하여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 로 그 범 를 확 시키기

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 연구는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연계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을 다루고자 한다 그리고 감성 지도성 변인과 임 워먼트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뿐만 아니라 어느 것이 더 크게 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으로

검증하 다는 에서 이 연구가 선행연구들과의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Ⅲ 연구의 방법

1 연구의 상

이 연구의 상은 경기도 지역에 근무하는 등학교 교사 200명(10개교) 학교 교사(10

개교) 고등학교 교사 200명(10개교)으로 총600명을 연구의 상으로 삼았다 질문지 배부

회수 기간은 2010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실시하 으며 600명을 단순 무선 표집

으로 선정하여 질문지를 배포하 다 배포된 질문지 가운데 회수된 질문지는 580부(97)

으며 그 가운데 무응답치나 연구의 가치가 없다고 단된 자료 24부를 제외한 556부(93)

를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하 다

2 측정도구

첫째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을 측정하기 하여 이석열(2006)이 개발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 질문지를 사용하 다 감성 리더십 변인 감성 인식능력(자기 인식능력 2문

항 자기 평가능력 2문항 자기 확신능력 3문항) 감정 리능력( 신성 3문항 성취력 3

문항 헌신성 3문항 진취성 3문항) 사회 인식능력(감정이입 3문항 서비스 정신 2문항

다양성 활용 2문항) 계 리능력( 향력 2문항 의사소통 3문항 리더십 3문항 변화

진 3문항 갈등 리 2문항 유 형성 3문항 동 능력 3문항 역량 3문항) 등 총48

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작성된 문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한 감성 리더십의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6 -

측정도구에 한 신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감성 인식능력 915 감정 리능력 948

사회 인식능력 959 계 리능력 979로 나타났고 체 으로 986이었다

둘째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측정하기 하여 Spreitzer(1995)의 분류에 따라 의미감(5

문항) 역량(5문항) 자율성(5문항) 향력(5문항)으로 총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작성된 문

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

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의 측정도구에 한 신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의미감 889 역량 891 자율성 885 향력 938로 나타났고 체

으로 945이었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 측정도구는 신재흡(2002)의 조직효과성 측정도구를 사용하 다

하 변인으로 직무만족(9문항) 조직생산성(8문항) 조직 응성(4문항)으로 총21문항으로 구

성되었다 작성된 문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조직효과성 측정도구에 한 신

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직무만족 918 조직생산성 861 조직 응성 932로 나타났고

체 으로 952 다

3 자료처리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자료의 통계처리는 SAS 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 으며 통계

처리의 유의 수 은 각각 plt05 plt01 plt001에서 분석하 다 구체 인 자료의 통계방법

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장의 감성 리더

십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정도를 분석하기 하여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 다 둘째 연구변인들 간의 계를 알아보기 하여 상 계분석을 실시하 다

셋째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감성 리더

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계를 분석하기 하여

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고 두 변인 가운데 어느 변인이 보다 더 향을 미치는지를 분석

하기 하여 단계 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 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7 -

Ⅳ 연구 결과 해석

1 교사특성에 따른 세 연구변인들 간의 차이 분석

가 감성 리더십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감성 리더십의 차이는 lt표 Ⅳ-1gt과 같다

lt표 Ⅳ-1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감성 리더십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 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400 0725535 AgtC

BgtC학교(B) 194 384 072

고등학교(C) 164 320 083

성남자 222 361 086 541

여자 334 378 079

학교 유형국공립 379 387 078 4880

사립 177 337 082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68 0761627

11년-20년 164 365 085

21년 이상 164 380 087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98 071 3516

30학 이상 356 356 084

직부장교사 108 401 072 1893

평교사 448 364 083

학력학사학 338 373 076

0496석사학 이상 218 368 091

계 556 371 080

plt05 plt001

lt표 Ⅳ-1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에 한 교사들의 인식은 학교 에서 통계 으로 유

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lt001) 평균값을 통해 살펴보면 등학교(400) 학교(384) 고등

학교(320) 순으로 나타났다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여

교사(378)가 남교사(361)보다 다소 높은 인식 보여주며(plt05) 국공립(387)이 사립(337)

보다 30학 미만(398)이 30학 이상(356)보다 부장교사(401)가 평교사(364)보다 높게

인식했다(plt001)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8 -

감성 리더십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이미라(2007) 강경석김철구(2007)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여교사가 남

교사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강경석김철구(2007) 김성규(2009) 연구와는 상반된 결과

이다 이러한 사실은 여교사가 감성 리더십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고 학교 경 에 극

으로 참여하여 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국공립이 사립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이미라(2007)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

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30학

미만이 30학 이상 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학 규모가 작을수록 교사들은 교장과의 빈

번한 면 으로 교장의 감성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

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낸 것은 강경석김철구(2007) 김성규(2009) 연구와 일치했다 이

러한 결과는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

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 임 워먼트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임 워먼트의 차이는 lt표 Ⅳ-2gt와 같다

lt표 Ⅳ-2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임 워먼트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 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3 0652865

AgtB AgtC학교(B) 194 354 066

고등학교(C) 164 347 058

성남자 222 369 060 0728여자 334 364 070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3 068 16567

사립 177 349 060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58 004562311년-20년 164 363 005

21년 이상 164 380 005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69 069 063930학 이상 356 364 065

직부장교사 108 399 068 35711

평교사 448 358 064

학력학사학 338 361 063

4776

석사학 이상 218 373 072

계 556 367 054

plt05 plt01 plt0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9 -

lt표 Ⅳ-2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교육경력 학력 따라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3) 학교(354)

고등학교(347) 순이며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 교사가 등학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

을 나타냈다 국공립(373)이 사립(349)보다 부장교사(399)가 평교사(358)보다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plt001) 한 21년 이상(380) 11~20년(363) 10년 이하(358) 순으로 나타났다

(plt01) 한편 석사학 이상(373)이 학사학 (361)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5) 상

기의 연구결과는 신재흡(2007)의 연구결과와 모두 일치했다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등

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

을 가지고 학교생활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보다 높

은 반응을 나타낸 것은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

함과 동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

에서 가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는 lt표 Ⅳ-3gt과 같다

lt표 Ⅳ-3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성 학교 규모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7) 학교(357) 고등

학교(333) 순이며(plt001)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가 고등학교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국공립(377)이 사립(338)보다 부장교사(386)가 평교사(359)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

냈다(plt001) 한편 여교사(372)가 남교사(354)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1) 그리고

30학 미만(373)이 30학 이상 보다 높은 인식을 보 다(plt0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김재덕(2005)의 연구와 일

치했다 이러한 사실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

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한 결과는 국공립교사가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가 높게 인식한 결과는 신재흡(2010) 김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0 -

재덕(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

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

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lt표 Ⅳ-3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7 0625009 AgtB

A BgtC학교(B) 194 357 064

고등학교(C) 164 333 059

성남자 222 354 070 9712

여자 334 372 064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7 066 44823

사립 177 338 061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62 0661662

11년-20년 164 360 067

21년 이상 164 372 068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73 064 550130학 이상 356 359 068

직부장교사 108 386 069 13787

평교사 448 359 066

학력학사학 338 361 064

1901석사학 이상 218 369 071

계 556 364 066

plt05 plt01 plt001

2 세 연구변인들 간의 상 계

가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분석을 한 결과는 lt표 Ⅳ

-4gt와 같다

lt표 Ⅳ-4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 분석

구 분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감성 리더십 100

임 워먼트 44 100

학교 조직효과성 49 58 100

plt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1 -

구 분 감 성인 식

감 정 리

사회인 식

계 리

의미감 역 량 자율성 향력 직무만족조 직

응성조 직생산성

감성인식 100

감정 리 70 100

사회 인식 59 71 100

계 리 67 71 79 100

의미감 40 40 44 44 100

역 량 28 30 34 33 55 100

자율성 22 29 32 32 38 58 100

향력 20 32 38 35 40 53 64 100

직무만족 42 41 46 45 64 56 40 44 100조 직

응성40 43 43 49 43 48 38 39 55 100

조 직생산성

44 55 61 63 45 46 44 44 49 65 100

lt표 Ⅳ-4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변인 간의 상 계는 r=44(plt01)이며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는 r=49(plt01)이다 그리고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 간의 상 계는 r=58(plt01)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 변인 간의 상

계는 정 상 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의 결과는 lt표

Ⅳ-5gt와 같다

lt표 Ⅳ-5gt는 감성 리더십의 네 가지 하 요인과 임 워먼트의 네 가지 하 요인 그리

고 학교 조직효과성의 세 가지 하 요인 간의 상 계를 나타내고 있다

lt표Ⅳ-5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

plt01

첫째 감성 리더십 하 변인과 임 워먼트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감

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감성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20~40) 감정 리는 임

워먼트 하 변인(r=29~40) 사회 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 계 리 변인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과는 정 상 을 나타낸다(plt01)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

데 사회 인식과 계 리 변인이 임 워먼트와의 상 계수가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하 변인 간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 가운데 감성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0~44) 감정 리는 학교 조직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2 -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 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2050 17220

52533 0276

감성인식 069 0088 1641

감정 리 080 0095 1591

사회 인식 0150 0201 3039

계 리 0152 0205 3270

성 하 변인(r=41~55) 사회 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3) 계 리와 학

교 조직효과성 변인(r=45~63)과는 정 상 을 보여 주었다(plt01) 특히 사회 인식과

조직생산성(r=61) 계 리와 조직생산성(r=63)으로 높은 정 상 을 보 다 이러한 연

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연구결과와

일치했다 이러한 상은 학교 조직에서 감성리더십 하 요인인 사회 인식과 계 리가

조직생산성과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요망된다

셋째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임 워먼트 하 변인

의미감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4) 역량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

(r=46~56) 자율성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8~44) 향력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9~44)으로 정 상 을 보 으며(plt01) 특히 의미감과 직무만족(r=64) 역량과 직

무만족(r=56)으로 높은 정 상 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특히 이러한 상은 임 워먼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변인과 직무만

족과의 련성을 활용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3 다회귀분석

가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6gt과 같다

lt표 Ⅳ-6gt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plt01 plt001

lt표 Ⅳ-6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276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밝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3 -

졌고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상 인 비 은 β계수(표 화 회귀계

수)로 보아 계 리(β=21) 사회 인식(β=20) 순으로 나타났으나 감성인식과 감정 리

는 통계 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감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계

리 사회 인식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유사한 연구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감성리더십이 교사들의 계 리와 사회 인식변인

을 통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데 특히 교육 장의 학교장은 교사들에게 감정

이입 다양성 활용 의사소통 갈등 리 유 형성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배려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단할 수 있다

나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7gt과 같다

lt표 Ⅳ-7gt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0696 5101

123583 0473

의미감 0408 0425 11339

역 량 0194 0188 4372

자율성 0079 0088 2036

향력 0118 0143 3397

plt05 plt001

lt표 Ⅳ-7gt과 같이 임 워먼트 하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약 473를 설명하고

있으며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향을 하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의미감(β=43) 역량(β

=19) 향력(β=12) 자율성(β=09) 순으로 비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즉 임 워먼트는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것으로 단할 수 있고 특히 학교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해서는 임 워먼트 변인을

극 으로 발휘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4 -

4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8gt과 같다

lt표 Ⅳ-8gt은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감성 리더십 하 변인들 에서 계 리 변인이 학교 조직효

과성 변인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고 임 워먼트 변인 에서는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해 약 513의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 향력을 비교한 결과 의미감

(β=34) 역량(β=18) 향력(β=12) 계 리(β=11) 순으로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lt표 Ⅳ-8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

변인독립변인

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감성

리더십

(상수) 0481 3460

72011 0513

감성인식 0032 0040 0897

감성 리 0044 0053 1063

사회 인식 0048 0065 1234

계 리 0079 0106 1927

임 워먼

의미감 0323 0337 8728

역 량 0189 0183 4408

자율성 0062 0069 1658

향력 0088 0116 2556

plt05 plt001

감성 지도성변인 계 리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은 학

교장은 조직 구성원 상호 간 의사소통과 유 계를 형성하도록 동 인 노력을 기울일

때 조직효과성이 있으며 한편 임 워먼트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

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는 의식을 갖고(의미감)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

달되어야 하며(역량)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5 -

행사할 때( 향력)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단계별 향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정도를 단

계별로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9gt와 같다

lt표Ⅳ- 9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구 분 R2 F R2 F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임 워먼트 변인군

0276

0513

52533

72011 0237 19478

plt001

lt표 Ⅳ-9gt에서 보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하 변인군들을 집단 으로 투입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변인군들의 향력을 분석한 결과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을

투입했을 경우는 276 고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과 임 워먼트 변인군을 함께 투

입했을 경우는 513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다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를 함께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졌다 따라서 교사

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들의 학교 조직

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제언

상기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서 개인

배경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은 등학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6 -

교사가 등학교 교사들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

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에 한 인식은 등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고 학교생활에 하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함과 동

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에서 가

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

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

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 학교 조직효과성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

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에는 유의한 상 계가 있다 학

교 조직에서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식과 계 리와 임 워먼트 임 워먼

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 변인과 직무만족 변인 감성 리더십 하 변인인 사회 인

식 계 리 변인과 조직생산성을 고려할 때 한층 학교 조직효과성이 확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고 있다 이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

는 의식을 갖고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달되어야 하며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행사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학교장은 감성 지도성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

인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염두에 두면서 학교행정을 펼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

성을 확 하는 것이다

넷째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측면에서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

다 감성 리더십과 교사들의 임 워먼트를 동시에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7 -

아졌다 따라서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론을 종합하면 이 연구는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하기 해서는

감성 리더십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인 가운데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조직의 성과와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교사 경력 교사들에게 학교 조직효과성의 실천력을 증 시

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부장교사 고 경력 교사일수록 직무만족 조직 응성 조직

생산성 변인에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 결국 학교 조직효과성을 극 화하기 해서는 향

후 경력 교사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수행하는 자신의 직무에 해서 자부심을 갖고

학교가 의도하는 경 방침을 명확히 이해함과 동시에 학습지도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물을

충분히 활용하는 데 한층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에게 임 워먼트의 발휘를 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고 경력 교사와 부장교사일수록 임 워먼트에 해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 따라

서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업무에 의미성을 부여하며 아무

리 어려운 직무일지라도 반드시 성공 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특히 임 워먼트 변인 에 자율성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다소 낮은 인식

의 반응은 향후 교사들은 학교 조직목표 달성을 하여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상당

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면서 아울러 직무 수행 방법 측면에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학교장들이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시키는 방안이 될 것으로 단

된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기 한 이론 검토를 지속 으로 하는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토 로 학교 조직효과성

확 방안에 해서 실증 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

식 계 리 임 워먼트 변인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더욱 더 확 하기 해서는 련 변인

의 탐색이 지속 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를 들면 학교 조직을 상으로 한 다양한

리더십 변인 즉 셀 문화 가부장 리더십을 주요 변인으로 하여 교사들의 응집성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교직수행과 같은 조직효과성 등과 련된 변인들 간의 상호작

용이나 각 변인들을 매개로 한 직간 인 향 등에 한 지속 인 실증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8 -

참 고 문 헌

강경석 강경수(2006) 학교장의 변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4호 239~262

강경석 김철구(2007)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4호 1~24

김민환(2003)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사 임 워먼트가 교사들의 교직 활동 성향에 미치는

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89~115

김성규(2009) 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향 단

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일형(2009) 학교장의 감성지능 직무역량이 리더-구성원 교환 계(LMX)를 매개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향 홍익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재덕(2006) 학교 상황에 따라 학교장의 도덕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고려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정서(2009)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문화가 학교 조직역량에 미치는 향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필녀(2002)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국민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창걸(2003) 교육조직행 론 서울 형설출 사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1호 253~279

박인심(2006) 교원헌신에 한 권한 강화의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1호 25~50

신동한(2008)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교육행정학

연구 제26권 3호 125~149

신재흡(2007)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2호 93~119

신재흡(2002)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학교 조직문화 학교 조직효과성간의

계 교육행정학연구 제20권 제3호 91~115

신 식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4호 199~224

이미라(2007)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 감성과 조직 학습의 계 충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이석열(2006) 교장의 감성리더십 진단척도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3호 51~78

이윤식 이상미(2009)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 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2호 1~24

이화용(2005) 감성트랜드 감성 셀 리더십과 자아실 서울 한솜미디어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9 -

정 (2005) 탁 식업체 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향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채순화(2004) 변 리더십 임 워먼트 신뢰 조직몰입과의 계 다차원 근 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최연인(2005)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과의 계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Adajian L B(1995)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and the Teaching of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Conger J A amp Kanungo R N(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3(3) 471~482

Foy N(1994) Empowering People of Work Gower Publishing Ltd 3~5

Frederick J M(1989) Measuring School Effectiveness Guideline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

Princeton N J ERIC Clearing House on Test Measurement and Evaluation

Goleman D Boyatzis R amp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han R L(1997) The Key to Being a Leader Company Empowerment Journal for Quality and

Participation JanFeb 59~78

Humphrey R H(2002) The Many Faces of Emo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3

493~504

Kouzes J amp Posner B(1999) The Leadership Challenge San Francisco John Wiley amp Sons Inc

Neff T J Citrin J M amp Brown P B(1999) Lessons from the Top The Search for Americas Best

Business Leaders New York Double day

Sergiovanni T J(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Jossey-Bass

Spreitzer G M(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 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1442~1465

Thomas K W amp Tymon W G(1994) Does Empowerment Always Work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Personal Interpretation Journal of Management Systems

6(3) 54~66

Tran Veronique(1998) The Role of the Emotional Climate Impacts Performa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2(4) 240~246

Whetten D A Cameron K amp Woods M(1996) Effective Empowerment and Delation London

Harper Ciollins Publis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70 -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in Jae-Heub (Hansung Univers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perceived by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EL)

Empowermen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the impact of subfactors such

as EL and E on SO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0 teachers working in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Kyonggi Province

Of them 55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existed on EL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chairperson on E for elementary school public

school high-career teachers chairperson holders of the masters degree on SOE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and chairpers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EL had an

impact on E which had an impact on SO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s one of EL factors and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as E factors

had an impact on SOE but E had a greater stepwise impact on SOE than teachers E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use of such EL factors as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nd such E factors as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in order to increase

SOE which could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Key words Emo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Page 7: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dcRxKCBT_003_E… · 성이다. 이에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3 -

상기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개념 정의를 살펴본 결과 학교 조직효과성의 본질을

밝히려는 노력과 상에 따라 개념의 강조 을 달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연

구에서는 이미 고 교사들을 상으로 사용해서 검증된 신재흡(2002)의 척도를 사

용하고자 한다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을 소개하면 직무만족 변인은 업무에 한 자부

심 업무에 한 책임성 학교에 한 소속감 업무 수행에 한 만족도 심리 안정감 능

력 발휘 업무에 한 보람 행정가와 인간 계 근무 조건 등이다 그리고 조직 응성 변

인은 정부 시책에 한 호응 정도 학교 교육방침에 한 응 사회 변화에 한 지각 정

도 지역 사회의 요구에 한 지각 정도 지역 사회와의 유 계 등을 의미한다 조직 생

산성 변인은 필요한 자료의 활용 원회 제도의 활용 구성원에 한 응분의 우 분 기

개선을 한 노력 목표의 인지 시간 운 의 성 업무 분장 계 학습 지도 근무

평정에 한 한 반 등을 나타낸다

4 연구변인들 간의 계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을 구명하기 하여 연구변인들 간의 계를 선행연구를 토 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에 한 연구를 살펴보면 감성 지도성과 학

교 조직효과성의 계를 다룬 직 인 연구(신동한 2008 김 진김상돈 2009 신 식

김 진김상돈 2009)가 있으며 그리고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몰입(강경석김철구

2007) 교사헌신(이윤식이상미 2009)과의 계를 다루고 있다 이들의 연구를 소개하면서

감성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미치는 계성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신동한

(2008 143)은 ldquo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연구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의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한 감성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직 인

향을 미치면서 교사의 교직헌신도를 통한 간 인 향도 미치고 있는 것rdquo으로 나타났

다 김 진김상돈(2009 272~273)은 ldquo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

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연구에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해 감성 지도성(473) 변

지도성(281) 거래 지도성(195) 순으로 향을 미치는 것rdquo으로 제시했다 신 식김

진김상돈(2009 220)은 ldquo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에서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이 학교 조직개방성에 미치는 향 782 학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4 -

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322rdquo로 나타났다 강경석김철구(2007 19~20)는 ldquo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 연구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은 교사의 학

교 조직몰입 모든 하 변인과 정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밝 졌으며 한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에 향을 미치며 특히 학교장의 감성리더십 계인식 능력과 자기 인식능력

은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에 유의한 향력rdquo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윤식이상미(2009

18)는 ldquo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연구에서 학교장의 감성지도성은 교사헌신에 직 인 효과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한 간

인 효과가 부가되어 총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rdquo고 제시했다 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연구는 감성 리더십

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음이 확인되었고 강경석김철구(2007)와 이윤식이상

미(2009)의 연구에서는 감성리더십이 조직몰입이나 교사헌신 교사효능감에 향력이 있음

이 밝 졌다

둘째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에 한 연구를 살펴보면 교

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의 계를 다룬 직 인 연구(김필녀 2002 최연

인 2005)가 있으며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교직헌신(신재흡 2007)과의 계를

다루고 있다 이들의 연구를 소개하면서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는 계성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김필녀(2002 90)는 ldquo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향 연구에서 등교사의 활력화와 등

학교 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향력은 두 변인 간의 상 계수는 611로 비교 높은 상

을 나타내고 변인에 한 설명력은 373로 나타났다(F=121224 plt001)rdquo고 제시했다 최

연인(2005 89~90)은985170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연구에서 변 지도성이 임 워먼트에 미치는 인과효과는

379(직 효과)이고 변 지도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인과효과는 524(직 효과 214

간 효과 310)이며 한 임 워먼트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은 819(직 효과 819)로

나타났다(plt001) 신재흡(2007 110~111)은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

치는 향 분석에서 임 워먼트 하 요인이 교직헌신 변량의 약 42를 설명하고 있으며

교직헌신에 한 향을 하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의미감(β=27) 역량(β=24) 자율성(β

=23) 순으로 비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1)고 제시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

이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는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력이 있으며 신재흡(2007)의 연구는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향력이 있음이

밝 졌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5 -

지 까지 선행연구에서 밝 진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연구는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특성변인과 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조직효과성에 한 연구

는 계변인을 새롭게 하여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 로 그 범 를 확 시키기

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 연구는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연계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을 다루고자 한다 그리고 감성 지도성 변인과 임 워먼트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뿐만 아니라 어느 것이 더 크게 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으로

검증하 다는 에서 이 연구가 선행연구들과의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Ⅲ 연구의 방법

1 연구의 상

이 연구의 상은 경기도 지역에 근무하는 등학교 교사 200명(10개교) 학교 교사(10

개교) 고등학교 교사 200명(10개교)으로 총600명을 연구의 상으로 삼았다 질문지 배부

회수 기간은 2010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실시하 으며 600명을 단순 무선 표집

으로 선정하여 질문지를 배포하 다 배포된 질문지 가운데 회수된 질문지는 580부(97)

으며 그 가운데 무응답치나 연구의 가치가 없다고 단된 자료 24부를 제외한 556부(93)

를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하 다

2 측정도구

첫째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을 측정하기 하여 이석열(2006)이 개발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 질문지를 사용하 다 감성 리더십 변인 감성 인식능력(자기 인식능력 2문

항 자기 평가능력 2문항 자기 확신능력 3문항) 감정 리능력( 신성 3문항 성취력 3

문항 헌신성 3문항 진취성 3문항) 사회 인식능력(감정이입 3문항 서비스 정신 2문항

다양성 활용 2문항) 계 리능력( 향력 2문항 의사소통 3문항 리더십 3문항 변화

진 3문항 갈등 리 2문항 유 형성 3문항 동 능력 3문항 역량 3문항) 등 총48

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작성된 문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한 감성 리더십의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6 -

측정도구에 한 신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감성 인식능력 915 감정 리능력 948

사회 인식능력 959 계 리능력 979로 나타났고 체 으로 986이었다

둘째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측정하기 하여 Spreitzer(1995)의 분류에 따라 의미감(5

문항) 역량(5문항) 자율성(5문항) 향력(5문항)으로 총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작성된 문

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

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의 측정도구에 한 신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의미감 889 역량 891 자율성 885 향력 938로 나타났고 체

으로 945이었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 측정도구는 신재흡(2002)의 조직효과성 측정도구를 사용하 다

하 변인으로 직무만족(9문항) 조직생산성(8문항) 조직 응성(4문항)으로 총21문항으로 구

성되었다 작성된 문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조직효과성 측정도구에 한 신

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직무만족 918 조직생산성 861 조직 응성 932로 나타났고

체 으로 952 다

3 자료처리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자료의 통계처리는 SAS 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 으며 통계

처리의 유의 수 은 각각 plt05 plt01 plt001에서 분석하 다 구체 인 자료의 통계방법

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장의 감성 리더

십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정도를 분석하기 하여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 다 둘째 연구변인들 간의 계를 알아보기 하여 상 계분석을 실시하 다

셋째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감성 리더

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계를 분석하기 하여

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고 두 변인 가운데 어느 변인이 보다 더 향을 미치는지를 분석

하기 하여 단계 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 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7 -

Ⅳ 연구 결과 해석

1 교사특성에 따른 세 연구변인들 간의 차이 분석

가 감성 리더십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감성 리더십의 차이는 lt표 Ⅳ-1gt과 같다

lt표 Ⅳ-1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감성 리더십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 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400 0725535 AgtC

BgtC학교(B) 194 384 072

고등학교(C) 164 320 083

성남자 222 361 086 541

여자 334 378 079

학교 유형국공립 379 387 078 4880

사립 177 337 082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68 0761627

11년-20년 164 365 085

21년 이상 164 380 087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98 071 3516

30학 이상 356 356 084

직부장교사 108 401 072 1893

평교사 448 364 083

학력학사학 338 373 076

0496석사학 이상 218 368 091

계 556 371 080

plt05 plt001

lt표 Ⅳ-1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에 한 교사들의 인식은 학교 에서 통계 으로 유

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lt001) 평균값을 통해 살펴보면 등학교(400) 학교(384) 고등

학교(320) 순으로 나타났다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여

교사(378)가 남교사(361)보다 다소 높은 인식 보여주며(plt05) 국공립(387)이 사립(337)

보다 30학 미만(398)이 30학 이상(356)보다 부장교사(401)가 평교사(364)보다 높게

인식했다(plt001)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8 -

감성 리더십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이미라(2007) 강경석김철구(2007)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여교사가 남

교사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강경석김철구(2007) 김성규(2009) 연구와는 상반된 결과

이다 이러한 사실은 여교사가 감성 리더십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고 학교 경 에 극

으로 참여하여 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국공립이 사립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이미라(2007)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

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30학

미만이 30학 이상 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학 규모가 작을수록 교사들은 교장과의 빈

번한 면 으로 교장의 감성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

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낸 것은 강경석김철구(2007) 김성규(2009) 연구와 일치했다 이

러한 결과는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

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 임 워먼트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임 워먼트의 차이는 lt표 Ⅳ-2gt와 같다

lt표 Ⅳ-2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임 워먼트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 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3 0652865

AgtB AgtC학교(B) 194 354 066

고등학교(C) 164 347 058

성남자 222 369 060 0728여자 334 364 070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3 068 16567

사립 177 349 060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58 004562311년-20년 164 363 005

21년 이상 164 380 005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69 069 063930학 이상 356 364 065

직부장교사 108 399 068 35711

평교사 448 358 064

학력학사학 338 361 063

4776

석사학 이상 218 373 072

계 556 367 054

plt05 plt01 plt0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9 -

lt표 Ⅳ-2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교육경력 학력 따라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3) 학교(354)

고등학교(347) 순이며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 교사가 등학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

을 나타냈다 국공립(373)이 사립(349)보다 부장교사(399)가 평교사(358)보다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plt001) 한 21년 이상(380) 11~20년(363) 10년 이하(358) 순으로 나타났다

(plt01) 한편 석사학 이상(373)이 학사학 (361)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5) 상

기의 연구결과는 신재흡(2007)의 연구결과와 모두 일치했다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등

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

을 가지고 학교생활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보다 높

은 반응을 나타낸 것은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

함과 동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

에서 가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는 lt표 Ⅳ-3gt과 같다

lt표 Ⅳ-3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성 학교 규모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7) 학교(357) 고등

학교(333) 순이며(plt001)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가 고등학교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국공립(377)이 사립(338)보다 부장교사(386)가 평교사(359)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

냈다(plt001) 한편 여교사(372)가 남교사(354)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1) 그리고

30학 미만(373)이 30학 이상 보다 높은 인식을 보 다(plt0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김재덕(2005)의 연구와 일

치했다 이러한 사실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

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한 결과는 국공립교사가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가 높게 인식한 결과는 신재흡(2010) 김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0 -

재덕(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

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

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lt표 Ⅳ-3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7 0625009 AgtB

A BgtC학교(B) 194 357 064

고등학교(C) 164 333 059

성남자 222 354 070 9712

여자 334 372 064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7 066 44823

사립 177 338 061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62 0661662

11년-20년 164 360 067

21년 이상 164 372 068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73 064 550130학 이상 356 359 068

직부장교사 108 386 069 13787

평교사 448 359 066

학력학사학 338 361 064

1901석사학 이상 218 369 071

계 556 364 066

plt05 plt01 plt001

2 세 연구변인들 간의 상 계

가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분석을 한 결과는 lt표 Ⅳ

-4gt와 같다

lt표 Ⅳ-4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 분석

구 분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감성 리더십 100

임 워먼트 44 100

학교 조직효과성 49 58 100

plt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1 -

구 분 감 성인 식

감 정 리

사회인 식

계 리

의미감 역 량 자율성 향력 직무만족조 직

응성조 직생산성

감성인식 100

감정 리 70 100

사회 인식 59 71 100

계 리 67 71 79 100

의미감 40 40 44 44 100

역 량 28 30 34 33 55 100

자율성 22 29 32 32 38 58 100

향력 20 32 38 35 40 53 64 100

직무만족 42 41 46 45 64 56 40 44 100조 직

응성40 43 43 49 43 48 38 39 55 100

조 직생산성

44 55 61 63 45 46 44 44 49 65 100

lt표 Ⅳ-4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변인 간의 상 계는 r=44(plt01)이며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는 r=49(plt01)이다 그리고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 간의 상 계는 r=58(plt01)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 변인 간의 상

계는 정 상 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의 결과는 lt표

Ⅳ-5gt와 같다

lt표 Ⅳ-5gt는 감성 리더십의 네 가지 하 요인과 임 워먼트의 네 가지 하 요인 그리

고 학교 조직효과성의 세 가지 하 요인 간의 상 계를 나타내고 있다

lt표Ⅳ-5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

plt01

첫째 감성 리더십 하 변인과 임 워먼트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감

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감성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20~40) 감정 리는 임

워먼트 하 변인(r=29~40) 사회 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 계 리 변인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과는 정 상 을 나타낸다(plt01)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

데 사회 인식과 계 리 변인이 임 워먼트와의 상 계수가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하 변인 간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 가운데 감성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0~44) 감정 리는 학교 조직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2 -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 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2050 17220

52533 0276

감성인식 069 0088 1641

감정 리 080 0095 1591

사회 인식 0150 0201 3039

계 리 0152 0205 3270

성 하 변인(r=41~55) 사회 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3) 계 리와 학

교 조직효과성 변인(r=45~63)과는 정 상 을 보여 주었다(plt01) 특히 사회 인식과

조직생산성(r=61) 계 리와 조직생산성(r=63)으로 높은 정 상 을 보 다 이러한 연

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연구결과와

일치했다 이러한 상은 학교 조직에서 감성리더십 하 요인인 사회 인식과 계 리가

조직생산성과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요망된다

셋째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임 워먼트 하 변인

의미감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4) 역량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

(r=46~56) 자율성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8~44) 향력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9~44)으로 정 상 을 보 으며(plt01) 특히 의미감과 직무만족(r=64) 역량과 직

무만족(r=56)으로 높은 정 상 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특히 이러한 상은 임 워먼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변인과 직무만

족과의 련성을 활용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3 다회귀분석

가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6gt과 같다

lt표 Ⅳ-6gt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plt01 plt001

lt표 Ⅳ-6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276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밝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3 -

졌고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상 인 비 은 β계수(표 화 회귀계

수)로 보아 계 리(β=21) 사회 인식(β=20) 순으로 나타났으나 감성인식과 감정 리

는 통계 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감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계

리 사회 인식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유사한 연구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감성리더십이 교사들의 계 리와 사회 인식변인

을 통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데 특히 교육 장의 학교장은 교사들에게 감정

이입 다양성 활용 의사소통 갈등 리 유 형성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배려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단할 수 있다

나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7gt과 같다

lt표 Ⅳ-7gt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0696 5101

123583 0473

의미감 0408 0425 11339

역 량 0194 0188 4372

자율성 0079 0088 2036

향력 0118 0143 3397

plt05 plt001

lt표 Ⅳ-7gt과 같이 임 워먼트 하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약 473를 설명하고

있으며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향을 하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의미감(β=43) 역량(β

=19) 향력(β=12) 자율성(β=09) 순으로 비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즉 임 워먼트는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것으로 단할 수 있고 특히 학교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해서는 임 워먼트 변인을

극 으로 발휘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4 -

4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8gt과 같다

lt표 Ⅳ-8gt은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감성 리더십 하 변인들 에서 계 리 변인이 학교 조직효

과성 변인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고 임 워먼트 변인 에서는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해 약 513의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 향력을 비교한 결과 의미감

(β=34) 역량(β=18) 향력(β=12) 계 리(β=11) 순으로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lt표 Ⅳ-8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

변인독립변인

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감성

리더십

(상수) 0481 3460

72011 0513

감성인식 0032 0040 0897

감성 리 0044 0053 1063

사회 인식 0048 0065 1234

계 리 0079 0106 1927

임 워먼

의미감 0323 0337 8728

역 량 0189 0183 4408

자율성 0062 0069 1658

향력 0088 0116 2556

plt05 plt001

감성 지도성변인 계 리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은 학

교장은 조직 구성원 상호 간 의사소통과 유 계를 형성하도록 동 인 노력을 기울일

때 조직효과성이 있으며 한편 임 워먼트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

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는 의식을 갖고(의미감)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

달되어야 하며(역량)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5 -

행사할 때( 향력)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단계별 향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정도를 단

계별로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9gt와 같다

lt표Ⅳ- 9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구 분 R2 F R2 F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임 워먼트 변인군

0276

0513

52533

72011 0237 19478

plt001

lt표 Ⅳ-9gt에서 보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하 변인군들을 집단 으로 투입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변인군들의 향력을 분석한 결과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을

투입했을 경우는 276 고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과 임 워먼트 변인군을 함께 투

입했을 경우는 513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다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를 함께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졌다 따라서 교사

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들의 학교 조직

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제언

상기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서 개인

배경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은 등학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6 -

교사가 등학교 교사들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

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에 한 인식은 등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고 학교생활에 하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함과 동

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에서 가

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

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

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 학교 조직효과성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

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에는 유의한 상 계가 있다 학

교 조직에서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식과 계 리와 임 워먼트 임 워먼

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 변인과 직무만족 변인 감성 리더십 하 변인인 사회 인

식 계 리 변인과 조직생산성을 고려할 때 한층 학교 조직효과성이 확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고 있다 이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

는 의식을 갖고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달되어야 하며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행사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학교장은 감성 지도성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

인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염두에 두면서 학교행정을 펼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

성을 확 하는 것이다

넷째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측면에서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

다 감성 리더십과 교사들의 임 워먼트를 동시에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7 -

아졌다 따라서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론을 종합하면 이 연구는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하기 해서는

감성 리더십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인 가운데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조직의 성과와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교사 경력 교사들에게 학교 조직효과성의 실천력을 증 시

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부장교사 고 경력 교사일수록 직무만족 조직 응성 조직

생산성 변인에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 결국 학교 조직효과성을 극 화하기 해서는 향

후 경력 교사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수행하는 자신의 직무에 해서 자부심을 갖고

학교가 의도하는 경 방침을 명확히 이해함과 동시에 학습지도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물을

충분히 활용하는 데 한층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에게 임 워먼트의 발휘를 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고 경력 교사와 부장교사일수록 임 워먼트에 해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 따라

서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업무에 의미성을 부여하며 아무

리 어려운 직무일지라도 반드시 성공 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특히 임 워먼트 변인 에 자율성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다소 낮은 인식

의 반응은 향후 교사들은 학교 조직목표 달성을 하여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상당

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면서 아울러 직무 수행 방법 측면에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학교장들이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시키는 방안이 될 것으로 단

된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기 한 이론 검토를 지속 으로 하는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토 로 학교 조직효과성

확 방안에 해서 실증 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

식 계 리 임 워먼트 변인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더욱 더 확 하기 해서는 련 변인

의 탐색이 지속 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를 들면 학교 조직을 상으로 한 다양한

리더십 변인 즉 셀 문화 가부장 리더십을 주요 변인으로 하여 교사들의 응집성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교직수행과 같은 조직효과성 등과 련된 변인들 간의 상호작

용이나 각 변인들을 매개로 한 직간 인 향 등에 한 지속 인 실증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8 -

참 고 문 헌

강경석 강경수(2006) 학교장의 변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4호 239~262

강경석 김철구(2007)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4호 1~24

김민환(2003)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사 임 워먼트가 교사들의 교직 활동 성향에 미치는

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89~115

김성규(2009) 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향 단

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일형(2009) 학교장의 감성지능 직무역량이 리더-구성원 교환 계(LMX)를 매개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향 홍익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재덕(2006) 학교 상황에 따라 학교장의 도덕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고려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정서(2009)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문화가 학교 조직역량에 미치는 향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필녀(2002)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국민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창걸(2003) 교육조직행 론 서울 형설출 사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1호 253~279

박인심(2006) 교원헌신에 한 권한 강화의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1호 25~50

신동한(2008)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교육행정학

연구 제26권 3호 125~149

신재흡(2007)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2호 93~119

신재흡(2002)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학교 조직문화 학교 조직효과성간의

계 교육행정학연구 제20권 제3호 91~115

신 식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4호 199~224

이미라(2007)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 감성과 조직 학습의 계 충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이석열(2006) 교장의 감성리더십 진단척도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3호 51~78

이윤식 이상미(2009)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 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2호 1~24

이화용(2005) 감성트랜드 감성 셀 리더십과 자아실 서울 한솜미디어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9 -

정 (2005) 탁 식업체 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향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채순화(2004) 변 리더십 임 워먼트 신뢰 조직몰입과의 계 다차원 근 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최연인(2005)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과의 계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Adajian L B(1995)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and the Teaching of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Conger J A amp Kanungo R N(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3(3) 471~482

Foy N(1994) Empowering People of Work Gower Publishing Ltd 3~5

Frederick J M(1989) Measuring School Effectiveness Guideline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

Princeton N J ERIC Clearing House on Test Measurement and Evaluation

Goleman D Boyatzis R amp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han R L(1997) The Key to Being a Leader Company Empowerment Journal for Quality and

Participation JanFeb 59~78

Humphrey R H(2002) The Many Faces of Emo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3

493~504

Kouzes J amp Posner B(1999) The Leadership Challenge San Francisco John Wiley amp Sons Inc

Neff T J Citrin J M amp Brown P B(1999) Lessons from the Top The Search for Americas Best

Business Leaders New York Double day

Sergiovanni T J(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Jossey-Bass

Spreitzer G M(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 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1442~1465

Thomas K W amp Tymon W G(1994) Does Empowerment Always Work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Personal Interpretation Journal of Management Systems

6(3) 54~66

Tran Veronique(1998) The Role of the Emotional Climate Impacts Performa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2(4) 240~246

Whetten D A Cameron K amp Woods M(1996) Effective Empowerment and Delation London

Harper Ciollins Publis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70 -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in Jae-Heub (Hansung Univers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perceived by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EL)

Empowermen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the impact of subfactors such

as EL and E on SO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0 teachers working in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Kyonggi Province

Of them 55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existed on EL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chairperson on E for elementary school public

school high-career teachers chairperson holders of the masters degree on SOE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and chairpers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EL had an

impact on E which had an impact on SO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s one of EL factors and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as E factors

had an impact on SOE but E had a greater stepwise impact on SOE than teachers E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use of such EL factors as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nd such E factors as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in order to increase

SOE which could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Key words Emo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Page 8: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dcRxKCBT_003_E… · 성이다. 이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4 -

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322rdquo로 나타났다 강경석김철구(2007 19~20)는 ldquo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 연구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은 교사의 학

교 조직몰입 모든 하 변인과 정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밝 졌으며 한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에 향을 미치며 특히 학교장의 감성리더십 계인식 능력과 자기 인식능력

은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에 유의한 향력rdquo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윤식이상미(2009

18)는 ldquo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연구에서 학교장의 감성지도성은 교사헌신에 직 인 효과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한 간

인 효과가 부가되어 총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rdquo고 제시했다 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연구는 감성 리더십

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음이 확인되었고 강경석김철구(2007)와 이윤식이상

미(2009)의 연구에서는 감성리더십이 조직몰입이나 교사헌신 교사효능감에 향력이 있음

이 밝 졌다

둘째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에 한 연구를 살펴보면 교

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의 계를 다룬 직 인 연구(김필녀 2002 최연

인 2005)가 있으며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교직헌신(신재흡 2007)과의 계를

다루고 있다 이들의 연구를 소개하면서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는 계성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김필녀(2002 90)는 ldquo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향 연구에서 등교사의 활력화와 등

학교 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향력은 두 변인 간의 상 계수는 611로 비교 높은 상

을 나타내고 변인에 한 설명력은 373로 나타났다(F=121224 plt001)rdquo고 제시했다 최

연인(2005 89~90)은985170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연구에서 변 지도성이 임 워먼트에 미치는 인과효과는

379(직 효과)이고 변 지도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인과효과는 524(직 효과 214

간 효과 310)이며 한 임 워먼트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은 819(직 효과 819)로

나타났다(plt001) 신재흡(2007 110~111)은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

치는 향 분석에서 임 워먼트 하 요인이 교직헌신 변량의 약 42를 설명하고 있으며

교직헌신에 한 향을 하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의미감(β=27) 역량(β=24) 자율성(β

=23) 순으로 비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1)고 제시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

이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는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력이 있으며 신재흡(2007)의 연구는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향력이 있음이

밝 졌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5 -

지 까지 선행연구에서 밝 진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연구는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특성변인과 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조직효과성에 한 연구

는 계변인을 새롭게 하여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 로 그 범 를 확 시키기

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 연구는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연계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을 다루고자 한다 그리고 감성 지도성 변인과 임 워먼트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뿐만 아니라 어느 것이 더 크게 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으로

검증하 다는 에서 이 연구가 선행연구들과의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Ⅲ 연구의 방법

1 연구의 상

이 연구의 상은 경기도 지역에 근무하는 등학교 교사 200명(10개교) 학교 교사(10

개교) 고등학교 교사 200명(10개교)으로 총600명을 연구의 상으로 삼았다 질문지 배부

회수 기간은 2010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실시하 으며 600명을 단순 무선 표집

으로 선정하여 질문지를 배포하 다 배포된 질문지 가운데 회수된 질문지는 580부(97)

으며 그 가운데 무응답치나 연구의 가치가 없다고 단된 자료 24부를 제외한 556부(93)

를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하 다

2 측정도구

첫째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을 측정하기 하여 이석열(2006)이 개발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 질문지를 사용하 다 감성 리더십 변인 감성 인식능력(자기 인식능력 2문

항 자기 평가능력 2문항 자기 확신능력 3문항) 감정 리능력( 신성 3문항 성취력 3

문항 헌신성 3문항 진취성 3문항) 사회 인식능력(감정이입 3문항 서비스 정신 2문항

다양성 활용 2문항) 계 리능력( 향력 2문항 의사소통 3문항 리더십 3문항 변화

진 3문항 갈등 리 2문항 유 형성 3문항 동 능력 3문항 역량 3문항) 등 총48

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작성된 문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한 감성 리더십의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6 -

측정도구에 한 신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감성 인식능력 915 감정 리능력 948

사회 인식능력 959 계 리능력 979로 나타났고 체 으로 986이었다

둘째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측정하기 하여 Spreitzer(1995)의 분류에 따라 의미감(5

문항) 역량(5문항) 자율성(5문항) 향력(5문항)으로 총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작성된 문

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

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의 측정도구에 한 신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의미감 889 역량 891 자율성 885 향력 938로 나타났고 체

으로 945이었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 측정도구는 신재흡(2002)의 조직효과성 측정도구를 사용하 다

하 변인으로 직무만족(9문항) 조직생산성(8문항) 조직 응성(4문항)으로 총21문항으로 구

성되었다 작성된 문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조직효과성 측정도구에 한 신

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직무만족 918 조직생산성 861 조직 응성 932로 나타났고

체 으로 952 다

3 자료처리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자료의 통계처리는 SAS 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 으며 통계

처리의 유의 수 은 각각 plt05 plt01 plt001에서 분석하 다 구체 인 자료의 통계방법

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장의 감성 리더

십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정도를 분석하기 하여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 다 둘째 연구변인들 간의 계를 알아보기 하여 상 계분석을 실시하 다

셋째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감성 리더

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계를 분석하기 하여

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고 두 변인 가운데 어느 변인이 보다 더 향을 미치는지를 분석

하기 하여 단계 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 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7 -

Ⅳ 연구 결과 해석

1 교사특성에 따른 세 연구변인들 간의 차이 분석

가 감성 리더십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감성 리더십의 차이는 lt표 Ⅳ-1gt과 같다

lt표 Ⅳ-1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감성 리더십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 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400 0725535 AgtC

BgtC학교(B) 194 384 072

고등학교(C) 164 320 083

성남자 222 361 086 541

여자 334 378 079

학교 유형국공립 379 387 078 4880

사립 177 337 082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68 0761627

11년-20년 164 365 085

21년 이상 164 380 087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98 071 3516

30학 이상 356 356 084

직부장교사 108 401 072 1893

평교사 448 364 083

학력학사학 338 373 076

0496석사학 이상 218 368 091

계 556 371 080

plt05 plt001

lt표 Ⅳ-1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에 한 교사들의 인식은 학교 에서 통계 으로 유

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lt001) 평균값을 통해 살펴보면 등학교(400) 학교(384) 고등

학교(320) 순으로 나타났다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여

교사(378)가 남교사(361)보다 다소 높은 인식 보여주며(plt05) 국공립(387)이 사립(337)

보다 30학 미만(398)이 30학 이상(356)보다 부장교사(401)가 평교사(364)보다 높게

인식했다(plt001)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8 -

감성 리더십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이미라(2007) 강경석김철구(2007)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여교사가 남

교사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강경석김철구(2007) 김성규(2009) 연구와는 상반된 결과

이다 이러한 사실은 여교사가 감성 리더십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고 학교 경 에 극

으로 참여하여 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국공립이 사립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이미라(2007)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

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30학

미만이 30학 이상 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학 규모가 작을수록 교사들은 교장과의 빈

번한 면 으로 교장의 감성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

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낸 것은 강경석김철구(2007) 김성규(2009) 연구와 일치했다 이

러한 결과는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

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 임 워먼트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임 워먼트의 차이는 lt표 Ⅳ-2gt와 같다

lt표 Ⅳ-2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임 워먼트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 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3 0652865

AgtB AgtC학교(B) 194 354 066

고등학교(C) 164 347 058

성남자 222 369 060 0728여자 334 364 070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3 068 16567

사립 177 349 060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58 004562311년-20년 164 363 005

21년 이상 164 380 005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69 069 063930학 이상 356 364 065

직부장교사 108 399 068 35711

평교사 448 358 064

학력학사학 338 361 063

4776

석사학 이상 218 373 072

계 556 367 054

plt05 plt01 plt0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9 -

lt표 Ⅳ-2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교육경력 학력 따라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3) 학교(354)

고등학교(347) 순이며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 교사가 등학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

을 나타냈다 국공립(373)이 사립(349)보다 부장교사(399)가 평교사(358)보다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plt001) 한 21년 이상(380) 11~20년(363) 10년 이하(358) 순으로 나타났다

(plt01) 한편 석사학 이상(373)이 학사학 (361)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5) 상

기의 연구결과는 신재흡(2007)의 연구결과와 모두 일치했다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등

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

을 가지고 학교생활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보다 높

은 반응을 나타낸 것은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

함과 동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

에서 가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는 lt표 Ⅳ-3gt과 같다

lt표 Ⅳ-3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성 학교 규모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7) 학교(357) 고등

학교(333) 순이며(plt001)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가 고등학교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국공립(377)이 사립(338)보다 부장교사(386)가 평교사(359)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

냈다(plt001) 한편 여교사(372)가 남교사(354)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1) 그리고

30학 미만(373)이 30학 이상 보다 높은 인식을 보 다(plt0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김재덕(2005)의 연구와 일

치했다 이러한 사실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

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한 결과는 국공립교사가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가 높게 인식한 결과는 신재흡(2010) 김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0 -

재덕(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

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

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lt표 Ⅳ-3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7 0625009 AgtB

A BgtC학교(B) 194 357 064

고등학교(C) 164 333 059

성남자 222 354 070 9712

여자 334 372 064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7 066 44823

사립 177 338 061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62 0661662

11년-20년 164 360 067

21년 이상 164 372 068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73 064 550130학 이상 356 359 068

직부장교사 108 386 069 13787

평교사 448 359 066

학력학사학 338 361 064

1901석사학 이상 218 369 071

계 556 364 066

plt05 plt01 plt001

2 세 연구변인들 간의 상 계

가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분석을 한 결과는 lt표 Ⅳ

-4gt와 같다

lt표 Ⅳ-4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 분석

구 분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감성 리더십 100

임 워먼트 44 100

학교 조직효과성 49 58 100

plt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1 -

구 분 감 성인 식

감 정 리

사회인 식

계 리

의미감 역 량 자율성 향력 직무만족조 직

응성조 직생산성

감성인식 100

감정 리 70 100

사회 인식 59 71 100

계 리 67 71 79 100

의미감 40 40 44 44 100

역 량 28 30 34 33 55 100

자율성 22 29 32 32 38 58 100

향력 20 32 38 35 40 53 64 100

직무만족 42 41 46 45 64 56 40 44 100조 직

응성40 43 43 49 43 48 38 39 55 100

조 직생산성

44 55 61 63 45 46 44 44 49 65 100

lt표 Ⅳ-4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변인 간의 상 계는 r=44(plt01)이며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는 r=49(plt01)이다 그리고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 간의 상 계는 r=58(plt01)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 변인 간의 상

계는 정 상 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의 결과는 lt표

Ⅳ-5gt와 같다

lt표 Ⅳ-5gt는 감성 리더십의 네 가지 하 요인과 임 워먼트의 네 가지 하 요인 그리

고 학교 조직효과성의 세 가지 하 요인 간의 상 계를 나타내고 있다

lt표Ⅳ-5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

plt01

첫째 감성 리더십 하 변인과 임 워먼트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감

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감성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20~40) 감정 리는 임

워먼트 하 변인(r=29~40) 사회 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 계 리 변인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과는 정 상 을 나타낸다(plt01)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

데 사회 인식과 계 리 변인이 임 워먼트와의 상 계수가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하 변인 간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 가운데 감성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0~44) 감정 리는 학교 조직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2 -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 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2050 17220

52533 0276

감성인식 069 0088 1641

감정 리 080 0095 1591

사회 인식 0150 0201 3039

계 리 0152 0205 3270

성 하 변인(r=41~55) 사회 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3) 계 리와 학

교 조직효과성 변인(r=45~63)과는 정 상 을 보여 주었다(plt01) 특히 사회 인식과

조직생산성(r=61) 계 리와 조직생산성(r=63)으로 높은 정 상 을 보 다 이러한 연

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연구결과와

일치했다 이러한 상은 학교 조직에서 감성리더십 하 요인인 사회 인식과 계 리가

조직생산성과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요망된다

셋째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임 워먼트 하 변인

의미감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4) 역량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

(r=46~56) 자율성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8~44) 향력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9~44)으로 정 상 을 보 으며(plt01) 특히 의미감과 직무만족(r=64) 역량과 직

무만족(r=56)으로 높은 정 상 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특히 이러한 상은 임 워먼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변인과 직무만

족과의 련성을 활용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3 다회귀분석

가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6gt과 같다

lt표 Ⅳ-6gt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plt01 plt001

lt표 Ⅳ-6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276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밝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3 -

졌고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상 인 비 은 β계수(표 화 회귀계

수)로 보아 계 리(β=21) 사회 인식(β=20) 순으로 나타났으나 감성인식과 감정 리

는 통계 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감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계

리 사회 인식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유사한 연구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감성리더십이 교사들의 계 리와 사회 인식변인

을 통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데 특히 교육 장의 학교장은 교사들에게 감정

이입 다양성 활용 의사소통 갈등 리 유 형성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배려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단할 수 있다

나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7gt과 같다

lt표 Ⅳ-7gt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0696 5101

123583 0473

의미감 0408 0425 11339

역 량 0194 0188 4372

자율성 0079 0088 2036

향력 0118 0143 3397

plt05 plt001

lt표 Ⅳ-7gt과 같이 임 워먼트 하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약 473를 설명하고

있으며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향을 하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의미감(β=43) 역량(β

=19) 향력(β=12) 자율성(β=09) 순으로 비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즉 임 워먼트는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것으로 단할 수 있고 특히 학교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해서는 임 워먼트 변인을

극 으로 발휘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4 -

4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8gt과 같다

lt표 Ⅳ-8gt은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감성 리더십 하 변인들 에서 계 리 변인이 학교 조직효

과성 변인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고 임 워먼트 변인 에서는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해 약 513의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 향력을 비교한 결과 의미감

(β=34) 역량(β=18) 향력(β=12) 계 리(β=11) 순으로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lt표 Ⅳ-8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

변인독립변인

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감성

리더십

(상수) 0481 3460

72011 0513

감성인식 0032 0040 0897

감성 리 0044 0053 1063

사회 인식 0048 0065 1234

계 리 0079 0106 1927

임 워먼

의미감 0323 0337 8728

역 량 0189 0183 4408

자율성 0062 0069 1658

향력 0088 0116 2556

plt05 plt001

감성 지도성변인 계 리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은 학

교장은 조직 구성원 상호 간 의사소통과 유 계를 형성하도록 동 인 노력을 기울일

때 조직효과성이 있으며 한편 임 워먼트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

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는 의식을 갖고(의미감)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

달되어야 하며(역량)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5 -

행사할 때( 향력)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단계별 향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정도를 단

계별로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9gt와 같다

lt표Ⅳ- 9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구 분 R2 F R2 F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임 워먼트 변인군

0276

0513

52533

72011 0237 19478

plt001

lt표 Ⅳ-9gt에서 보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하 변인군들을 집단 으로 투입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변인군들의 향력을 분석한 결과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을

투입했을 경우는 276 고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과 임 워먼트 변인군을 함께 투

입했을 경우는 513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다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를 함께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졌다 따라서 교사

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들의 학교 조직

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제언

상기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서 개인

배경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은 등학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6 -

교사가 등학교 교사들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

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에 한 인식은 등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고 학교생활에 하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함과 동

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에서 가

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

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

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 학교 조직효과성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

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에는 유의한 상 계가 있다 학

교 조직에서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식과 계 리와 임 워먼트 임 워먼

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 변인과 직무만족 변인 감성 리더십 하 변인인 사회 인

식 계 리 변인과 조직생산성을 고려할 때 한층 학교 조직효과성이 확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고 있다 이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

는 의식을 갖고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달되어야 하며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행사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학교장은 감성 지도성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

인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염두에 두면서 학교행정을 펼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

성을 확 하는 것이다

넷째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측면에서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

다 감성 리더십과 교사들의 임 워먼트를 동시에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7 -

아졌다 따라서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론을 종합하면 이 연구는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하기 해서는

감성 리더십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인 가운데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조직의 성과와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교사 경력 교사들에게 학교 조직효과성의 실천력을 증 시

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부장교사 고 경력 교사일수록 직무만족 조직 응성 조직

생산성 변인에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 결국 학교 조직효과성을 극 화하기 해서는 향

후 경력 교사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수행하는 자신의 직무에 해서 자부심을 갖고

학교가 의도하는 경 방침을 명확히 이해함과 동시에 학습지도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물을

충분히 활용하는 데 한층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에게 임 워먼트의 발휘를 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고 경력 교사와 부장교사일수록 임 워먼트에 해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 따라

서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업무에 의미성을 부여하며 아무

리 어려운 직무일지라도 반드시 성공 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특히 임 워먼트 변인 에 자율성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다소 낮은 인식

의 반응은 향후 교사들은 학교 조직목표 달성을 하여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상당

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면서 아울러 직무 수행 방법 측면에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학교장들이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시키는 방안이 될 것으로 단

된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기 한 이론 검토를 지속 으로 하는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토 로 학교 조직효과성

확 방안에 해서 실증 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

식 계 리 임 워먼트 변인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더욱 더 확 하기 해서는 련 변인

의 탐색이 지속 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를 들면 학교 조직을 상으로 한 다양한

리더십 변인 즉 셀 문화 가부장 리더십을 주요 변인으로 하여 교사들의 응집성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교직수행과 같은 조직효과성 등과 련된 변인들 간의 상호작

용이나 각 변인들을 매개로 한 직간 인 향 등에 한 지속 인 실증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8 -

참 고 문 헌

강경석 강경수(2006) 학교장의 변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4호 239~262

강경석 김철구(2007)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4호 1~24

김민환(2003)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사 임 워먼트가 교사들의 교직 활동 성향에 미치는

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89~115

김성규(2009) 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향 단

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일형(2009) 학교장의 감성지능 직무역량이 리더-구성원 교환 계(LMX)를 매개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향 홍익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재덕(2006) 학교 상황에 따라 학교장의 도덕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고려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정서(2009)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문화가 학교 조직역량에 미치는 향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필녀(2002)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국민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창걸(2003) 교육조직행 론 서울 형설출 사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1호 253~279

박인심(2006) 교원헌신에 한 권한 강화의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1호 25~50

신동한(2008)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교육행정학

연구 제26권 3호 125~149

신재흡(2007)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2호 93~119

신재흡(2002)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학교 조직문화 학교 조직효과성간의

계 교육행정학연구 제20권 제3호 91~115

신 식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4호 199~224

이미라(2007)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 감성과 조직 학습의 계 충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이석열(2006) 교장의 감성리더십 진단척도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3호 51~78

이윤식 이상미(2009)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 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2호 1~24

이화용(2005) 감성트랜드 감성 셀 리더십과 자아실 서울 한솜미디어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9 -

정 (2005) 탁 식업체 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향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채순화(2004) 변 리더십 임 워먼트 신뢰 조직몰입과의 계 다차원 근 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최연인(2005)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과의 계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Adajian L B(1995)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and the Teaching of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Conger J A amp Kanungo R N(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3(3) 471~482

Foy N(1994) Empowering People of Work Gower Publishing Ltd 3~5

Frederick J M(1989) Measuring School Effectiveness Guideline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

Princeton N J ERIC Clearing House on Test Measurement and Evaluation

Goleman D Boyatzis R amp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han R L(1997) The Key to Being a Leader Company Empowerment Journal for Quality and

Participation JanFeb 59~78

Humphrey R H(2002) The Many Faces of Emo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3

493~504

Kouzes J amp Posner B(1999) The Leadership Challenge San Francisco John Wiley amp Sons Inc

Neff T J Citrin J M amp Brown P B(1999) Lessons from the Top The Search for Americas Best

Business Leaders New York Double day

Sergiovanni T J(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Jossey-Bass

Spreitzer G M(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 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1442~1465

Thomas K W amp Tymon W G(1994) Does Empowerment Always Work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Personal Interpretation Journal of Management Systems

6(3) 54~66

Tran Veronique(1998) The Role of the Emotional Climate Impacts Performa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2(4) 240~246

Whetten D A Cameron K amp Woods M(1996) Effective Empowerment and Delation London

Harper Ciollins Publis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70 -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in Jae-Heub (Hansung Univers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perceived by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EL)

Empowermen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the impact of subfactors such

as EL and E on SO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0 teachers working in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Kyonggi Province

Of them 55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existed on EL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chairperson on E for elementary school public

school high-career teachers chairperson holders of the masters degree on SOE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and chairpers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EL had an

impact on E which had an impact on SO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s one of EL factors and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as E factors

had an impact on SOE but E had a greater stepwise impact on SOE than teachers E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use of such EL factors as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nd such E factors as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in order to increase

SOE which could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Key words Emo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Page 9: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dcRxKCBT_003_E… · 성이다. 이에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5 -

지 까지 선행연구에서 밝 진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연구는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특성변인과 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조직효과성에 한 연구

는 계변인을 새롭게 하여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 로 그 범 를 확 시키기

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 연구는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와 연계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을 다루고자 한다 그리고 감성 지도성 변인과 임 워먼트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뿐만 아니라 어느 것이 더 크게 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으로

검증하 다는 에서 이 연구가 선행연구들과의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Ⅲ 연구의 방법

1 연구의 상

이 연구의 상은 경기도 지역에 근무하는 등학교 교사 200명(10개교) 학교 교사(10

개교) 고등학교 교사 200명(10개교)으로 총600명을 연구의 상으로 삼았다 질문지 배부

회수 기간은 2010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실시하 으며 600명을 단순 무선 표집

으로 선정하여 질문지를 배포하 다 배포된 질문지 가운데 회수된 질문지는 580부(97)

으며 그 가운데 무응답치나 연구의 가치가 없다고 단된 자료 24부를 제외한 556부(93)

를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하 다

2 측정도구

첫째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을 측정하기 하여 이석열(2006)이 개발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 질문지를 사용하 다 감성 리더십 변인 감성 인식능력(자기 인식능력 2문

항 자기 평가능력 2문항 자기 확신능력 3문항) 감정 리능력( 신성 3문항 성취력 3

문항 헌신성 3문항 진취성 3문항) 사회 인식능력(감정이입 3문항 서비스 정신 2문항

다양성 활용 2문항) 계 리능력( 향력 2문항 의사소통 3문항 리더십 3문항 변화

진 3문항 갈등 리 2문항 유 형성 3문항 동 능력 3문항 역량 3문항) 등 총48

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작성된 문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한 감성 리더십의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6 -

측정도구에 한 신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감성 인식능력 915 감정 리능력 948

사회 인식능력 959 계 리능력 979로 나타났고 체 으로 986이었다

둘째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측정하기 하여 Spreitzer(1995)의 분류에 따라 의미감(5

문항) 역량(5문항) 자율성(5문항) 향력(5문항)으로 총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작성된 문

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

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의 측정도구에 한 신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의미감 889 역량 891 자율성 885 향력 938로 나타났고 체

으로 945이었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 측정도구는 신재흡(2002)의 조직효과성 측정도구를 사용하 다

하 변인으로 직무만족(9문항) 조직생산성(8문항) 조직 응성(4문항)으로 총21문항으로 구

성되었다 작성된 문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조직효과성 측정도구에 한 신

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직무만족 918 조직생산성 861 조직 응성 932로 나타났고

체 으로 952 다

3 자료처리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자료의 통계처리는 SAS 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 으며 통계

처리의 유의 수 은 각각 plt05 plt01 plt001에서 분석하 다 구체 인 자료의 통계방법

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장의 감성 리더

십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정도를 분석하기 하여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 다 둘째 연구변인들 간의 계를 알아보기 하여 상 계분석을 실시하 다

셋째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감성 리더

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계를 분석하기 하여

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고 두 변인 가운데 어느 변인이 보다 더 향을 미치는지를 분석

하기 하여 단계 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 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7 -

Ⅳ 연구 결과 해석

1 교사특성에 따른 세 연구변인들 간의 차이 분석

가 감성 리더십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감성 리더십의 차이는 lt표 Ⅳ-1gt과 같다

lt표 Ⅳ-1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감성 리더십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 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400 0725535 AgtC

BgtC학교(B) 194 384 072

고등학교(C) 164 320 083

성남자 222 361 086 541

여자 334 378 079

학교 유형국공립 379 387 078 4880

사립 177 337 082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68 0761627

11년-20년 164 365 085

21년 이상 164 380 087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98 071 3516

30학 이상 356 356 084

직부장교사 108 401 072 1893

평교사 448 364 083

학력학사학 338 373 076

0496석사학 이상 218 368 091

계 556 371 080

plt05 plt001

lt표 Ⅳ-1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에 한 교사들의 인식은 학교 에서 통계 으로 유

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lt001) 평균값을 통해 살펴보면 등학교(400) 학교(384) 고등

학교(320) 순으로 나타났다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여

교사(378)가 남교사(361)보다 다소 높은 인식 보여주며(plt05) 국공립(387)이 사립(337)

보다 30학 미만(398)이 30학 이상(356)보다 부장교사(401)가 평교사(364)보다 높게

인식했다(plt001)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8 -

감성 리더십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이미라(2007) 강경석김철구(2007)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여교사가 남

교사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강경석김철구(2007) 김성규(2009) 연구와는 상반된 결과

이다 이러한 사실은 여교사가 감성 리더십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고 학교 경 에 극

으로 참여하여 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국공립이 사립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이미라(2007)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

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30학

미만이 30학 이상 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학 규모가 작을수록 교사들은 교장과의 빈

번한 면 으로 교장의 감성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

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낸 것은 강경석김철구(2007) 김성규(2009) 연구와 일치했다 이

러한 결과는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

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 임 워먼트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임 워먼트의 차이는 lt표 Ⅳ-2gt와 같다

lt표 Ⅳ-2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임 워먼트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 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3 0652865

AgtB AgtC학교(B) 194 354 066

고등학교(C) 164 347 058

성남자 222 369 060 0728여자 334 364 070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3 068 16567

사립 177 349 060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58 004562311년-20년 164 363 005

21년 이상 164 380 005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69 069 063930학 이상 356 364 065

직부장교사 108 399 068 35711

평교사 448 358 064

학력학사학 338 361 063

4776

석사학 이상 218 373 072

계 556 367 054

plt05 plt01 plt0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9 -

lt표 Ⅳ-2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교육경력 학력 따라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3) 학교(354)

고등학교(347) 순이며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 교사가 등학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

을 나타냈다 국공립(373)이 사립(349)보다 부장교사(399)가 평교사(358)보다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plt001) 한 21년 이상(380) 11~20년(363) 10년 이하(358) 순으로 나타났다

(plt01) 한편 석사학 이상(373)이 학사학 (361)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5) 상

기의 연구결과는 신재흡(2007)의 연구결과와 모두 일치했다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등

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

을 가지고 학교생활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보다 높

은 반응을 나타낸 것은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

함과 동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

에서 가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는 lt표 Ⅳ-3gt과 같다

lt표 Ⅳ-3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성 학교 규모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7) 학교(357) 고등

학교(333) 순이며(plt001)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가 고등학교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국공립(377)이 사립(338)보다 부장교사(386)가 평교사(359)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

냈다(plt001) 한편 여교사(372)가 남교사(354)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1) 그리고

30학 미만(373)이 30학 이상 보다 높은 인식을 보 다(plt0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김재덕(2005)의 연구와 일

치했다 이러한 사실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

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한 결과는 국공립교사가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가 높게 인식한 결과는 신재흡(2010) 김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0 -

재덕(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

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

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lt표 Ⅳ-3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7 0625009 AgtB

A BgtC학교(B) 194 357 064

고등학교(C) 164 333 059

성남자 222 354 070 9712

여자 334 372 064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7 066 44823

사립 177 338 061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62 0661662

11년-20년 164 360 067

21년 이상 164 372 068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73 064 550130학 이상 356 359 068

직부장교사 108 386 069 13787

평교사 448 359 066

학력학사학 338 361 064

1901석사학 이상 218 369 071

계 556 364 066

plt05 plt01 plt001

2 세 연구변인들 간의 상 계

가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분석을 한 결과는 lt표 Ⅳ

-4gt와 같다

lt표 Ⅳ-4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 분석

구 분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감성 리더십 100

임 워먼트 44 100

학교 조직효과성 49 58 100

plt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1 -

구 분 감 성인 식

감 정 리

사회인 식

계 리

의미감 역 량 자율성 향력 직무만족조 직

응성조 직생산성

감성인식 100

감정 리 70 100

사회 인식 59 71 100

계 리 67 71 79 100

의미감 40 40 44 44 100

역 량 28 30 34 33 55 100

자율성 22 29 32 32 38 58 100

향력 20 32 38 35 40 53 64 100

직무만족 42 41 46 45 64 56 40 44 100조 직

응성40 43 43 49 43 48 38 39 55 100

조 직생산성

44 55 61 63 45 46 44 44 49 65 100

lt표 Ⅳ-4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변인 간의 상 계는 r=44(plt01)이며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는 r=49(plt01)이다 그리고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 간의 상 계는 r=58(plt01)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 변인 간의 상

계는 정 상 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의 결과는 lt표

Ⅳ-5gt와 같다

lt표 Ⅳ-5gt는 감성 리더십의 네 가지 하 요인과 임 워먼트의 네 가지 하 요인 그리

고 학교 조직효과성의 세 가지 하 요인 간의 상 계를 나타내고 있다

lt표Ⅳ-5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

plt01

첫째 감성 리더십 하 변인과 임 워먼트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감

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감성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20~40) 감정 리는 임

워먼트 하 변인(r=29~40) 사회 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 계 리 변인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과는 정 상 을 나타낸다(plt01)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

데 사회 인식과 계 리 변인이 임 워먼트와의 상 계수가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하 변인 간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 가운데 감성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0~44) 감정 리는 학교 조직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2 -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 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2050 17220

52533 0276

감성인식 069 0088 1641

감정 리 080 0095 1591

사회 인식 0150 0201 3039

계 리 0152 0205 3270

성 하 변인(r=41~55) 사회 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3) 계 리와 학

교 조직효과성 변인(r=45~63)과는 정 상 을 보여 주었다(plt01) 특히 사회 인식과

조직생산성(r=61) 계 리와 조직생산성(r=63)으로 높은 정 상 을 보 다 이러한 연

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연구결과와

일치했다 이러한 상은 학교 조직에서 감성리더십 하 요인인 사회 인식과 계 리가

조직생산성과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요망된다

셋째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임 워먼트 하 변인

의미감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4) 역량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

(r=46~56) 자율성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8~44) 향력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9~44)으로 정 상 을 보 으며(plt01) 특히 의미감과 직무만족(r=64) 역량과 직

무만족(r=56)으로 높은 정 상 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특히 이러한 상은 임 워먼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변인과 직무만

족과의 련성을 활용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3 다회귀분석

가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6gt과 같다

lt표 Ⅳ-6gt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plt01 plt001

lt표 Ⅳ-6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276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밝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3 -

졌고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상 인 비 은 β계수(표 화 회귀계

수)로 보아 계 리(β=21) 사회 인식(β=20) 순으로 나타났으나 감성인식과 감정 리

는 통계 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감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계

리 사회 인식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유사한 연구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감성리더십이 교사들의 계 리와 사회 인식변인

을 통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데 특히 교육 장의 학교장은 교사들에게 감정

이입 다양성 활용 의사소통 갈등 리 유 형성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배려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단할 수 있다

나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7gt과 같다

lt표 Ⅳ-7gt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0696 5101

123583 0473

의미감 0408 0425 11339

역 량 0194 0188 4372

자율성 0079 0088 2036

향력 0118 0143 3397

plt05 plt001

lt표 Ⅳ-7gt과 같이 임 워먼트 하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약 473를 설명하고

있으며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향을 하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의미감(β=43) 역량(β

=19) 향력(β=12) 자율성(β=09) 순으로 비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즉 임 워먼트는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것으로 단할 수 있고 특히 학교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해서는 임 워먼트 변인을

극 으로 발휘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4 -

4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8gt과 같다

lt표 Ⅳ-8gt은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감성 리더십 하 변인들 에서 계 리 변인이 학교 조직효

과성 변인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고 임 워먼트 변인 에서는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해 약 513의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 향력을 비교한 결과 의미감

(β=34) 역량(β=18) 향력(β=12) 계 리(β=11) 순으로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lt표 Ⅳ-8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

변인독립변인

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감성

리더십

(상수) 0481 3460

72011 0513

감성인식 0032 0040 0897

감성 리 0044 0053 1063

사회 인식 0048 0065 1234

계 리 0079 0106 1927

임 워먼

의미감 0323 0337 8728

역 량 0189 0183 4408

자율성 0062 0069 1658

향력 0088 0116 2556

plt05 plt001

감성 지도성변인 계 리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은 학

교장은 조직 구성원 상호 간 의사소통과 유 계를 형성하도록 동 인 노력을 기울일

때 조직효과성이 있으며 한편 임 워먼트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

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는 의식을 갖고(의미감)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

달되어야 하며(역량)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5 -

행사할 때( 향력)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단계별 향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정도를 단

계별로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9gt와 같다

lt표Ⅳ- 9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구 분 R2 F R2 F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임 워먼트 변인군

0276

0513

52533

72011 0237 19478

plt001

lt표 Ⅳ-9gt에서 보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하 변인군들을 집단 으로 투입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변인군들의 향력을 분석한 결과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을

투입했을 경우는 276 고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과 임 워먼트 변인군을 함께 투

입했을 경우는 513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다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를 함께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졌다 따라서 교사

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들의 학교 조직

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제언

상기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서 개인

배경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은 등학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6 -

교사가 등학교 교사들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

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에 한 인식은 등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고 학교생활에 하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함과 동

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에서 가

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

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

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 학교 조직효과성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

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에는 유의한 상 계가 있다 학

교 조직에서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식과 계 리와 임 워먼트 임 워먼

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 변인과 직무만족 변인 감성 리더십 하 변인인 사회 인

식 계 리 변인과 조직생산성을 고려할 때 한층 학교 조직효과성이 확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고 있다 이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

는 의식을 갖고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달되어야 하며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행사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학교장은 감성 지도성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

인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염두에 두면서 학교행정을 펼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

성을 확 하는 것이다

넷째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측면에서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

다 감성 리더십과 교사들의 임 워먼트를 동시에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7 -

아졌다 따라서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론을 종합하면 이 연구는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하기 해서는

감성 리더십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인 가운데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조직의 성과와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교사 경력 교사들에게 학교 조직효과성의 실천력을 증 시

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부장교사 고 경력 교사일수록 직무만족 조직 응성 조직

생산성 변인에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 결국 학교 조직효과성을 극 화하기 해서는 향

후 경력 교사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수행하는 자신의 직무에 해서 자부심을 갖고

학교가 의도하는 경 방침을 명확히 이해함과 동시에 학습지도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물을

충분히 활용하는 데 한층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에게 임 워먼트의 발휘를 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고 경력 교사와 부장교사일수록 임 워먼트에 해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 따라

서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업무에 의미성을 부여하며 아무

리 어려운 직무일지라도 반드시 성공 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특히 임 워먼트 변인 에 자율성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다소 낮은 인식

의 반응은 향후 교사들은 학교 조직목표 달성을 하여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상당

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면서 아울러 직무 수행 방법 측면에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학교장들이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시키는 방안이 될 것으로 단

된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기 한 이론 검토를 지속 으로 하는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토 로 학교 조직효과성

확 방안에 해서 실증 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

식 계 리 임 워먼트 변인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더욱 더 확 하기 해서는 련 변인

의 탐색이 지속 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를 들면 학교 조직을 상으로 한 다양한

리더십 변인 즉 셀 문화 가부장 리더십을 주요 변인으로 하여 교사들의 응집성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교직수행과 같은 조직효과성 등과 련된 변인들 간의 상호작

용이나 각 변인들을 매개로 한 직간 인 향 등에 한 지속 인 실증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8 -

참 고 문 헌

강경석 강경수(2006) 학교장의 변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4호 239~262

강경석 김철구(2007)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4호 1~24

김민환(2003)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사 임 워먼트가 교사들의 교직 활동 성향에 미치는

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89~115

김성규(2009) 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향 단

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일형(2009) 학교장의 감성지능 직무역량이 리더-구성원 교환 계(LMX)를 매개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향 홍익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재덕(2006) 학교 상황에 따라 학교장의 도덕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고려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정서(2009)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문화가 학교 조직역량에 미치는 향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필녀(2002)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국민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창걸(2003) 교육조직행 론 서울 형설출 사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1호 253~279

박인심(2006) 교원헌신에 한 권한 강화의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1호 25~50

신동한(2008)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교육행정학

연구 제26권 3호 125~149

신재흡(2007)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2호 93~119

신재흡(2002)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학교 조직문화 학교 조직효과성간의

계 교육행정학연구 제20권 제3호 91~115

신 식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4호 199~224

이미라(2007)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 감성과 조직 학습의 계 충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이석열(2006) 교장의 감성리더십 진단척도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3호 51~78

이윤식 이상미(2009)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 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2호 1~24

이화용(2005) 감성트랜드 감성 셀 리더십과 자아실 서울 한솜미디어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9 -

정 (2005) 탁 식업체 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향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채순화(2004) 변 리더십 임 워먼트 신뢰 조직몰입과의 계 다차원 근 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최연인(2005)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과의 계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Adajian L B(1995)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and the Teaching of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Conger J A amp Kanungo R N(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3(3) 471~482

Foy N(1994) Empowering People of Work Gower Publishing Ltd 3~5

Frederick J M(1989) Measuring School Effectiveness Guideline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

Princeton N J ERIC Clearing House on Test Measurement and Evaluation

Goleman D Boyatzis R amp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han R L(1997) The Key to Being a Leader Company Empowerment Journal for Quality and

Participation JanFeb 59~78

Humphrey R H(2002) The Many Faces of Emo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3

493~504

Kouzes J amp Posner B(1999) The Leadership Challenge San Francisco John Wiley amp Sons Inc

Neff T J Citrin J M amp Brown P B(1999) Lessons from the Top The Search for Americas Best

Business Leaders New York Double day

Sergiovanni T J(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Jossey-Bass

Spreitzer G M(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 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1442~1465

Thomas K W amp Tymon W G(1994) Does Empowerment Always Work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Personal Interpretation Journal of Management Systems

6(3) 54~66

Tran Veronique(1998) The Role of the Emotional Climate Impacts Performa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2(4) 240~246

Whetten D A Cameron K amp Woods M(1996) Effective Empowerment and Delation London

Harper Ciollins Publis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70 -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in Jae-Heub (Hansung Univers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perceived by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EL)

Empowermen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the impact of subfactors such

as EL and E on SO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0 teachers working in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Kyonggi Province

Of them 55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existed on EL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chairperson on E for elementary school public

school high-career teachers chairperson holders of the masters degree on SOE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and chairpers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EL had an

impact on E which had an impact on SO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s one of EL factors and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as E factors

had an impact on SOE but E had a greater stepwise impact on SOE than teachers E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use of such EL factors as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nd such E factors as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in order to increase

SOE which could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Key words Emo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Page 10: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dcRxKCBT_003_E… · 성이다. 이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6 -

측정도구에 한 신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감성 인식능력 915 감정 리능력 948

사회 인식능력 959 계 리능력 979로 나타났고 체 으로 986이었다

둘째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측정하기 하여 Spreitzer(1995)의 분류에 따라 의미감(5

문항) 역량(5문항) 자율성(5문항) 향력(5문항)으로 총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작성된 문

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

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의 측정도구에 한 신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의미감 889 역량 891 자율성 885 향력 938로 나타났고 체

으로 945이었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 측정도구는 신재흡(2002)의 조직효과성 측정도구를 사용하 다

하 변인으로 직무만족(9문항) 조직생산성(8문항) 조직 응성(4문항)으로 총21문항으로 구

성되었다 작성된 문항은 ldquo아주 불일치rdquo ldquo불일치rdquo ldquo보통rdquo ldquo일치rdquo ldquo아주 일치rdquo로 표 된

Likert의 5단계 척도를 사용하 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조직효과성 측정도구에 한 신

뢰도인 Cronbach α를 보면 직무만족 918 조직생산성 861 조직 응성 932로 나타났고

체 으로 952 다

3 자료처리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자료의 통계처리는 SAS 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 으며 통계

처리의 유의 수 은 각각 plt05 plt01 plt001에서 분석하 다 구체 인 자료의 통계방법

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장의 감성 리더

십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정도를 분석하기 하여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 다 둘째 연구변인들 간의 계를 알아보기 하여 상 계분석을 실시하 다

셋째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감성 리더

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계를 분석하기 하여

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고 두 변인 가운데 어느 변인이 보다 더 향을 미치는지를 분석

하기 하여 단계 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 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7 -

Ⅳ 연구 결과 해석

1 교사특성에 따른 세 연구변인들 간의 차이 분석

가 감성 리더십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감성 리더십의 차이는 lt표 Ⅳ-1gt과 같다

lt표 Ⅳ-1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감성 리더십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 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400 0725535 AgtC

BgtC학교(B) 194 384 072

고등학교(C) 164 320 083

성남자 222 361 086 541

여자 334 378 079

학교 유형국공립 379 387 078 4880

사립 177 337 082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68 0761627

11년-20년 164 365 085

21년 이상 164 380 087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98 071 3516

30학 이상 356 356 084

직부장교사 108 401 072 1893

평교사 448 364 083

학력학사학 338 373 076

0496석사학 이상 218 368 091

계 556 371 080

plt05 plt001

lt표 Ⅳ-1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에 한 교사들의 인식은 학교 에서 통계 으로 유

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lt001) 평균값을 통해 살펴보면 등학교(400) 학교(384) 고등

학교(320) 순으로 나타났다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여

교사(378)가 남교사(361)보다 다소 높은 인식 보여주며(plt05) 국공립(387)이 사립(337)

보다 30학 미만(398)이 30학 이상(356)보다 부장교사(401)가 평교사(364)보다 높게

인식했다(plt001)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8 -

감성 리더십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이미라(2007) 강경석김철구(2007)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여교사가 남

교사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강경석김철구(2007) 김성규(2009) 연구와는 상반된 결과

이다 이러한 사실은 여교사가 감성 리더십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고 학교 경 에 극

으로 참여하여 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국공립이 사립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이미라(2007)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

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30학

미만이 30학 이상 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학 규모가 작을수록 교사들은 교장과의 빈

번한 면 으로 교장의 감성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

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낸 것은 강경석김철구(2007) 김성규(2009) 연구와 일치했다 이

러한 결과는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

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 임 워먼트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임 워먼트의 차이는 lt표 Ⅳ-2gt와 같다

lt표 Ⅳ-2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임 워먼트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 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3 0652865

AgtB AgtC학교(B) 194 354 066

고등학교(C) 164 347 058

성남자 222 369 060 0728여자 334 364 070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3 068 16567

사립 177 349 060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58 004562311년-20년 164 363 005

21년 이상 164 380 005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69 069 063930학 이상 356 364 065

직부장교사 108 399 068 35711

평교사 448 358 064

학력학사학 338 361 063

4776

석사학 이상 218 373 072

계 556 367 054

plt05 plt01 plt0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9 -

lt표 Ⅳ-2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교육경력 학력 따라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3) 학교(354)

고등학교(347) 순이며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 교사가 등학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

을 나타냈다 국공립(373)이 사립(349)보다 부장교사(399)가 평교사(358)보다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plt001) 한 21년 이상(380) 11~20년(363) 10년 이하(358) 순으로 나타났다

(plt01) 한편 석사학 이상(373)이 학사학 (361)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5) 상

기의 연구결과는 신재흡(2007)의 연구결과와 모두 일치했다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등

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

을 가지고 학교생활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보다 높

은 반응을 나타낸 것은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

함과 동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

에서 가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는 lt표 Ⅳ-3gt과 같다

lt표 Ⅳ-3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성 학교 규모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7) 학교(357) 고등

학교(333) 순이며(plt001)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가 고등학교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국공립(377)이 사립(338)보다 부장교사(386)가 평교사(359)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

냈다(plt001) 한편 여교사(372)가 남교사(354)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1) 그리고

30학 미만(373)이 30학 이상 보다 높은 인식을 보 다(plt0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김재덕(2005)의 연구와 일

치했다 이러한 사실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

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한 결과는 국공립교사가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가 높게 인식한 결과는 신재흡(2010) 김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0 -

재덕(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

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

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lt표 Ⅳ-3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7 0625009 AgtB

A BgtC학교(B) 194 357 064

고등학교(C) 164 333 059

성남자 222 354 070 9712

여자 334 372 064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7 066 44823

사립 177 338 061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62 0661662

11년-20년 164 360 067

21년 이상 164 372 068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73 064 550130학 이상 356 359 068

직부장교사 108 386 069 13787

평교사 448 359 066

학력학사학 338 361 064

1901석사학 이상 218 369 071

계 556 364 066

plt05 plt01 plt001

2 세 연구변인들 간의 상 계

가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분석을 한 결과는 lt표 Ⅳ

-4gt와 같다

lt표 Ⅳ-4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 분석

구 분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감성 리더십 100

임 워먼트 44 100

학교 조직효과성 49 58 100

plt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1 -

구 분 감 성인 식

감 정 리

사회인 식

계 리

의미감 역 량 자율성 향력 직무만족조 직

응성조 직생산성

감성인식 100

감정 리 70 100

사회 인식 59 71 100

계 리 67 71 79 100

의미감 40 40 44 44 100

역 량 28 30 34 33 55 100

자율성 22 29 32 32 38 58 100

향력 20 32 38 35 40 53 64 100

직무만족 42 41 46 45 64 56 40 44 100조 직

응성40 43 43 49 43 48 38 39 55 100

조 직생산성

44 55 61 63 45 46 44 44 49 65 100

lt표 Ⅳ-4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변인 간의 상 계는 r=44(plt01)이며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는 r=49(plt01)이다 그리고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 간의 상 계는 r=58(plt01)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 변인 간의 상

계는 정 상 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의 결과는 lt표

Ⅳ-5gt와 같다

lt표 Ⅳ-5gt는 감성 리더십의 네 가지 하 요인과 임 워먼트의 네 가지 하 요인 그리

고 학교 조직효과성의 세 가지 하 요인 간의 상 계를 나타내고 있다

lt표Ⅳ-5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

plt01

첫째 감성 리더십 하 변인과 임 워먼트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감

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감성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20~40) 감정 리는 임

워먼트 하 변인(r=29~40) 사회 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 계 리 변인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과는 정 상 을 나타낸다(plt01)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

데 사회 인식과 계 리 변인이 임 워먼트와의 상 계수가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하 변인 간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 가운데 감성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0~44) 감정 리는 학교 조직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2 -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 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2050 17220

52533 0276

감성인식 069 0088 1641

감정 리 080 0095 1591

사회 인식 0150 0201 3039

계 리 0152 0205 3270

성 하 변인(r=41~55) 사회 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3) 계 리와 학

교 조직효과성 변인(r=45~63)과는 정 상 을 보여 주었다(plt01) 특히 사회 인식과

조직생산성(r=61) 계 리와 조직생산성(r=63)으로 높은 정 상 을 보 다 이러한 연

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연구결과와

일치했다 이러한 상은 학교 조직에서 감성리더십 하 요인인 사회 인식과 계 리가

조직생산성과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요망된다

셋째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임 워먼트 하 변인

의미감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4) 역량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

(r=46~56) 자율성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8~44) 향력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9~44)으로 정 상 을 보 으며(plt01) 특히 의미감과 직무만족(r=64) 역량과 직

무만족(r=56)으로 높은 정 상 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특히 이러한 상은 임 워먼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변인과 직무만

족과의 련성을 활용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3 다회귀분석

가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6gt과 같다

lt표 Ⅳ-6gt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plt01 plt001

lt표 Ⅳ-6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276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밝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3 -

졌고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상 인 비 은 β계수(표 화 회귀계

수)로 보아 계 리(β=21) 사회 인식(β=20) 순으로 나타났으나 감성인식과 감정 리

는 통계 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감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계

리 사회 인식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유사한 연구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감성리더십이 교사들의 계 리와 사회 인식변인

을 통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데 특히 교육 장의 학교장은 교사들에게 감정

이입 다양성 활용 의사소통 갈등 리 유 형성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배려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단할 수 있다

나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7gt과 같다

lt표 Ⅳ-7gt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0696 5101

123583 0473

의미감 0408 0425 11339

역 량 0194 0188 4372

자율성 0079 0088 2036

향력 0118 0143 3397

plt05 plt001

lt표 Ⅳ-7gt과 같이 임 워먼트 하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약 473를 설명하고

있으며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향을 하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의미감(β=43) 역량(β

=19) 향력(β=12) 자율성(β=09) 순으로 비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즉 임 워먼트는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것으로 단할 수 있고 특히 학교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해서는 임 워먼트 변인을

극 으로 발휘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4 -

4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8gt과 같다

lt표 Ⅳ-8gt은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감성 리더십 하 변인들 에서 계 리 변인이 학교 조직효

과성 변인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고 임 워먼트 변인 에서는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해 약 513의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 향력을 비교한 결과 의미감

(β=34) 역량(β=18) 향력(β=12) 계 리(β=11) 순으로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lt표 Ⅳ-8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

변인독립변인

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감성

리더십

(상수) 0481 3460

72011 0513

감성인식 0032 0040 0897

감성 리 0044 0053 1063

사회 인식 0048 0065 1234

계 리 0079 0106 1927

임 워먼

의미감 0323 0337 8728

역 량 0189 0183 4408

자율성 0062 0069 1658

향력 0088 0116 2556

plt05 plt001

감성 지도성변인 계 리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은 학

교장은 조직 구성원 상호 간 의사소통과 유 계를 형성하도록 동 인 노력을 기울일

때 조직효과성이 있으며 한편 임 워먼트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

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는 의식을 갖고(의미감)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

달되어야 하며(역량)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5 -

행사할 때( 향력)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단계별 향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정도를 단

계별로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9gt와 같다

lt표Ⅳ- 9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구 분 R2 F R2 F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임 워먼트 변인군

0276

0513

52533

72011 0237 19478

plt001

lt표 Ⅳ-9gt에서 보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하 변인군들을 집단 으로 투입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변인군들의 향력을 분석한 결과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을

투입했을 경우는 276 고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과 임 워먼트 변인군을 함께 투

입했을 경우는 513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다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를 함께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졌다 따라서 교사

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들의 학교 조직

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제언

상기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서 개인

배경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은 등학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6 -

교사가 등학교 교사들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

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에 한 인식은 등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고 학교생활에 하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함과 동

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에서 가

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

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

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 학교 조직효과성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

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에는 유의한 상 계가 있다 학

교 조직에서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식과 계 리와 임 워먼트 임 워먼

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 변인과 직무만족 변인 감성 리더십 하 변인인 사회 인

식 계 리 변인과 조직생산성을 고려할 때 한층 학교 조직효과성이 확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고 있다 이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

는 의식을 갖고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달되어야 하며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행사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학교장은 감성 지도성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

인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염두에 두면서 학교행정을 펼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

성을 확 하는 것이다

넷째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측면에서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

다 감성 리더십과 교사들의 임 워먼트를 동시에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7 -

아졌다 따라서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론을 종합하면 이 연구는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하기 해서는

감성 리더십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인 가운데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조직의 성과와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교사 경력 교사들에게 학교 조직효과성의 실천력을 증 시

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부장교사 고 경력 교사일수록 직무만족 조직 응성 조직

생산성 변인에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 결국 학교 조직효과성을 극 화하기 해서는 향

후 경력 교사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수행하는 자신의 직무에 해서 자부심을 갖고

학교가 의도하는 경 방침을 명확히 이해함과 동시에 학습지도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물을

충분히 활용하는 데 한층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에게 임 워먼트의 발휘를 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고 경력 교사와 부장교사일수록 임 워먼트에 해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 따라

서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업무에 의미성을 부여하며 아무

리 어려운 직무일지라도 반드시 성공 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특히 임 워먼트 변인 에 자율성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다소 낮은 인식

의 반응은 향후 교사들은 학교 조직목표 달성을 하여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상당

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면서 아울러 직무 수행 방법 측면에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학교장들이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시키는 방안이 될 것으로 단

된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기 한 이론 검토를 지속 으로 하는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토 로 학교 조직효과성

확 방안에 해서 실증 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

식 계 리 임 워먼트 변인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더욱 더 확 하기 해서는 련 변인

의 탐색이 지속 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를 들면 학교 조직을 상으로 한 다양한

리더십 변인 즉 셀 문화 가부장 리더십을 주요 변인으로 하여 교사들의 응집성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교직수행과 같은 조직효과성 등과 련된 변인들 간의 상호작

용이나 각 변인들을 매개로 한 직간 인 향 등에 한 지속 인 실증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8 -

참 고 문 헌

강경석 강경수(2006) 학교장의 변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4호 239~262

강경석 김철구(2007)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4호 1~24

김민환(2003)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사 임 워먼트가 교사들의 교직 활동 성향에 미치는

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89~115

김성규(2009) 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향 단

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일형(2009) 학교장의 감성지능 직무역량이 리더-구성원 교환 계(LMX)를 매개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향 홍익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재덕(2006) 학교 상황에 따라 학교장의 도덕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고려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정서(2009)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문화가 학교 조직역량에 미치는 향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필녀(2002)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국민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창걸(2003) 교육조직행 론 서울 형설출 사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1호 253~279

박인심(2006) 교원헌신에 한 권한 강화의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1호 25~50

신동한(2008)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교육행정학

연구 제26권 3호 125~149

신재흡(2007)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2호 93~119

신재흡(2002)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학교 조직문화 학교 조직효과성간의

계 교육행정학연구 제20권 제3호 91~115

신 식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4호 199~224

이미라(2007)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 감성과 조직 학습의 계 충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이석열(2006) 교장의 감성리더십 진단척도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3호 51~78

이윤식 이상미(2009)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 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2호 1~24

이화용(2005) 감성트랜드 감성 셀 리더십과 자아실 서울 한솜미디어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9 -

정 (2005) 탁 식업체 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향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채순화(2004) 변 리더십 임 워먼트 신뢰 조직몰입과의 계 다차원 근 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최연인(2005)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과의 계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Adajian L B(1995)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and the Teaching of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Conger J A amp Kanungo R N(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3(3) 471~482

Foy N(1994) Empowering People of Work Gower Publishing Ltd 3~5

Frederick J M(1989) Measuring School Effectiveness Guideline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

Princeton N J ERIC Clearing House on Test Measurement and Evaluation

Goleman D Boyatzis R amp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han R L(1997) The Key to Being a Leader Company Empowerment Journal for Quality and

Participation JanFeb 59~78

Humphrey R H(2002) The Many Faces of Emo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3

493~504

Kouzes J amp Posner B(1999) The Leadership Challenge San Francisco John Wiley amp Sons Inc

Neff T J Citrin J M amp Brown P B(1999) Lessons from the Top The Search for Americas Best

Business Leaders New York Double day

Sergiovanni T J(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Jossey-Bass

Spreitzer G M(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 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1442~1465

Thomas K W amp Tymon W G(1994) Does Empowerment Always Work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Personal Interpretation Journal of Management Systems

6(3) 54~66

Tran Veronique(1998) The Role of the Emotional Climate Impacts Performa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2(4) 240~246

Whetten D A Cameron K amp Woods M(1996) Effective Empowerment and Delation London

Harper Ciollins Publis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70 -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in Jae-Heub (Hansung Univers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perceived by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EL)

Empowermen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the impact of subfactors such

as EL and E on SO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0 teachers working in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Kyonggi Province

Of them 55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existed on EL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chairperson on E for elementary school public

school high-career teachers chairperson holders of the masters degree on SOE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and chairpers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EL had an

impact on E which had an impact on SO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s one of EL factors and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as E factors

had an impact on SOE but E had a greater stepwise impact on SOE than teachers E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use of such EL factors as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nd such E factors as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in order to increase

SOE which could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Key words Emo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Page 11: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dcRxKCBT_003_E… · 성이다. 이에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7 -

Ⅳ 연구 결과 해석

1 교사특성에 따른 세 연구변인들 간의 차이 분석

가 감성 리더십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감성 리더십의 차이는 lt표 Ⅳ-1gt과 같다

lt표 Ⅳ-1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감성 리더십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 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400 0725535 AgtC

BgtC학교(B) 194 384 072

고등학교(C) 164 320 083

성남자 222 361 086 541

여자 334 378 079

학교 유형국공립 379 387 078 4880

사립 177 337 082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68 0761627

11년-20년 164 365 085

21년 이상 164 380 087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98 071 3516

30학 이상 356 356 084

직부장교사 108 401 072 1893

평교사 448 364 083

학력학사학 338 373 076

0496석사학 이상 218 368 091

계 556 371 080

plt05 plt001

lt표 Ⅳ-1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에 한 교사들의 인식은 학교 에서 통계 으로 유

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lt001) 평균값을 통해 살펴보면 등학교(400) 학교(384) 고등

학교(320) 순으로 나타났다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여

교사(378)가 남교사(361)보다 다소 높은 인식 보여주며(plt05) 국공립(387)이 사립(337)

보다 30학 미만(398)이 30학 이상(356)보다 부장교사(401)가 평교사(364)보다 높게

인식했다(plt001)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8 -

감성 리더십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이미라(2007) 강경석김철구(2007)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여교사가 남

교사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강경석김철구(2007) 김성규(2009) 연구와는 상반된 결과

이다 이러한 사실은 여교사가 감성 리더십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고 학교 경 에 극

으로 참여하여 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국공립이 사립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이미라(2007)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

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30학

미만이 30학 이상 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학 규모가 작을수록 교사들은 교장과의 빈

번한 면 으로 교장의 감성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

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낸 것은 강경석김철구(2007) 김성규(2009) 연구와 일치했다 이

러한 결과는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

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 임 워먼트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임 워먼트의 차이는 lt표 Ⅳ-2gt와 같다

lt표 Ⅳ-2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임 워먼트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 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3 0652865

AgtB AgtC학교(B) 194 354 066

고등학교(C) 164 347 058

성남자 222 369 060 0728여자 334 364 070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3 068 16567

사립 177 349 060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58 004562311년-20년 164 363 005

21년 이상 164 380 005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69 069 063930학 이상 356 364 065

직부장교사 108 399 068 35711

평교사 448 358 064

학력학사학 338 361 063

4776

석사학 이상 218 373 072

계 556 367 054

plt05 plt01 plt0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9 -

lt표 Ⅳ-2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교육경력 학력 따라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3) 학교(354)

고등학교(347) 순이며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 교사가 등학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

을 나타냈다 국공립(373)이 사립(349)보다 부장교사(399)가 평교사(358)보다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plt001) 한 21년 이상(380) 11~20년(363) 10년 이하(358) 순으로 나타났다

(plt01) 한편 석사학 이상(373)이 학사학 (361)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5) 상

기의 연구결과는 신재흡(2007)의 연구결과와 모두 일치했다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등

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

을 가지고 학교생활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보다 높

은 반응을 나타낸 것은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

함과 동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

에서 가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는 lt표 Ⅳ-3gt과 같다

lt표 Ⅳ-3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성 학교 규모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7) 학교(357) 고등

학교(333) 순이며(plt001)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가 고등학교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국공립(377)이 사립(338)보다 부장교사(386)가 평교사(359)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

냈다(plt001) 한편 여교사(372)가 남교사(354)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1) 그리고

30학 미만(373)이 30학 이상 보다 높은 인식을 보 다(plt0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김재덕(2005)의 연구와 일

치했다 이러한 사실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

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한 결과는 국공립교사가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가 높게 인식한 결과는 신재흡(2010) 김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0 -

재덕(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

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

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lt표 Ⅳ-3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7 0625009 AgtB

A BgtC학교(B) 194 357 064

고등학교(C) 164 333 059

성남자 222 354 070 9712

여자 334 372 064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7 066 44823

사립 177 338 061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62 0661662

11년-20년 164 360 067

21년 이상 164 372 068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73 064 550130학 이상 356 359 068

직부장교사 108 386 069 13787

평교사 448 359 066

학력학사학 338 361 064

1901석사학 이상 218 369 071

계 556 364 066

plt05 plt01 plt001

2 세 연구변인들 간의 상 계

가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분석을 한 결과는 lt표 Ⅳ

-4gt와 같다

lt표 Ⅳ-4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 분석

구 분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감성 리더십 100

임 워먼트 44 100

학교 조직효과성 49 58 100

plt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1 -

구 분 감 성인 식

감 정 리

사회인 식

계 리

의미감 역 량 자율성 향력 직무만족조 직

응성조 직생산성

감성인식 100

감정 리 70 100

사회 인식 59 71 100

계 리 67 71 79 100

의미감 40 40 44 44 100

역 량 28 30 34 33 55 100

자율성 22 29 32 32 38 58 100

향력 20 32 38 35 40 53 64 100

직무만족 42 41 46 45 64 56 40 44 100조 직

응성40 43 43 49 43 48 38 39 55 100

조 직생산성

44 55 61 63 45 46 44 44 49 65 100

lt표 Ⅳ-4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변인 간의 상 계는 r=44(plt01)이며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는 r=49(plt01)이다 그리고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 간의 상 계는 r=58(plt01)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 변인 간의 상

계는 정 상 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의 결과는 lt표

Ⅳ-5gt와 같다

lt표 Ⅳ-5gt는 감성 리더십의 네 가지 하 요인과 임 워먼트의 네 가지 하 요인 그리

고 학교 조직효과성의 세 가지 하 요인 간의 상 계를 나타내고 있다

lt표Ⅳ-5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

plt01

첫째 감성 리더십 하 변인과 임 워먼트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감

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감성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20~40) 감정 리는 임

워먼트 하 변인(r=29~40) 사회 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 계 리 변인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과는 정 상 을 나타낸다(plt01)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

데 사회 인식과 계 리 변인이 임 워먼트와의 상 계수가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하 변인 간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 가운데 감성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0~44) 감정 리는 학교 조직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2 -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 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2050 17220

52533 0276

감성인식 069 0088 1641

감정 리 080 0095 1591

사회 인식 0150 0201 3039

계 리 0152 0205 3270

성 하 변인(r=41~55) 사회 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3) 계 리와 학

교 조직효과성 변인(r=45~63)과는 정 상 을 보여 주었다(plt01) 특히 사회 인식과

조직생산성(r=61) 계 리와 조직생산성(r=63)으로 높은 정 상 을 보 다 이러한 연

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연구결과와

일치했다 이러한 상은 학교 조직에서 감성리더십 하 요인인 사회 인식과 계 리가

조직생산성과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요망된다

셋째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임 워먼트 하 변인

의미감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4) 역량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

(r=46~56) 자율성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8~44) 향력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9~44)으로 정 상 을 보 으며(plt01) 특히 의미감과 직무만족(r=64) 역량과 직

무만족(r=56)으로 높은 정 상 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특히 이러한 상은 임 워먼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변인과 직무만

족과의 련성을 활용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3 다회귀분석

가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6gt과 같다

lt표 Ⅳ-6gt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plt01 plt001

lt표 Ⅳ-6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276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밝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3 -

졌고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상 인 비 은 β계수(표 화 회귀계

수)로 보아 계 리(β=21) 사회 인식(β=20) 순으로 나타났으나 감성인식과 감정 리

는 통계 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감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계

리 사회 인식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유사한 연구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감성리더십이 교사들의 계 리와 사회 인식변인

을 통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데 특히 교육 장의 학교장은 교사들에게 감정

이입 다양성 활용 의사소통 갈등 리 유 형성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배려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단할 수 있다

나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7gt과 같다

lt표 Ⅳ-7gt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0696 5101

123583 0473

의미감 0408 0425 11339

역 량 0194 0188 4372

자율성 0079 0088 2036

향력 0118 0143 3397

plt05 plt001

lt표 Ⅳ-7gt과 같이 임 워먼트 하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약 473를 설명하고

있으며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향을 하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의미감(β=43) 역량(β

=19) 향력(β=12) 자율성(β=09) 순으로 비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즉 임 워먼트는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것으로 단할 수 있고 특히 학교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해서는 임 워먼트 변인을

극 으로 발휘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4 -

4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8gt과 같다

lt표 Ⅳ-8gt은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감성 리더십 하 변인들 에서 계 리 변인이 학교 조직효

과성 변인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고 임 워먼트 변인 에서는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해 약 513의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 향력을 비교한 결과 의미감

(β=34) 역량(β=18) 향력(β=12) 계 리(β=11) 순으로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lt표 Ⅳ-8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

변인독립변인

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감성

리더십

(상수) 0481 3460

72011 0513

감성인식 0032 0040 0897

감성 리 0044 0053 1063

사회 인식 0048 0065 1234

계 리 0079 0106 1927

임 워먼

의미감 0323 0337 8728

역 량 0189 0183 4408

자율성 0062 0069 1658

향력 0088 0116 2556

plt05 plt001

감성 지도성변인 계 리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은 학

교장은 조직 구성원 상호 간 의사소통과 유 계를 형성하도록 동 인 노력을 기울일

때 조직효과성이 있으며 한편 임 워먼트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

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는 의식을 갖고(의미감)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

달되어야 하며(역량)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5 -

행사할 때( 향력)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단계별 향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정도를 단

계별로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9gt와 같다

lt표Ⅳ- 9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구 분 R2 F R2 F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임 워먼트 변인군

0276

0513

52533

72011 0237 19478

plt001

lt표 Ⅳ-9gt에서 보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하 변인군들을 집단 으로 투입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변인군들의 향력을 분석한 결과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을

투입했을 경우는 276 고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과 임 워먼트 변인군을 함께 투

입했을 경우는 513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다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를 함께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졌다 따라서 교사

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들의 학교 조직

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제언

상기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서 개인

배경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은 등학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6 -

교사가 등학교 교사들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

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에 한 인식은 등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고 학교생활에 하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함과 동

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에서 가

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

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

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 학교 조직효과성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

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에는 유의한 상 계가 있다 학

교 조직에서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식과 계 리와 임 워먼트 임 워먼

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 변인과 직무만족 변인 감성 리더십 하 변인인 사회 인

식 계 리 변인과 조직생산성을 고려할 때 한층 학교 조직효과성이 확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고 있다 이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

는 의식을 갖고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달되어야 하며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행사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학교장은 감성 지도성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

인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염두에 두면서 학교행정을 펼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

성을 확 하는 것이다

넷째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측면에서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

다 감성 리더십과 교사들의 임 워먼트를 동시에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7 -

아졌다 따라서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론을 종합하면 이 연구는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하기 해서는

감성 리더십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인 가운데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조직의 성과와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교사 경력 교사들에게 학교 조직효과성의 실천력을 증 시

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부장교사 고 경력 교사일수록 직무만족 조직 응성 조직

생산성 변인에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 결국 학교 조직효과성을 극 화하기 해서는 향

후 경력 교사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수행하는 자신의 직무에 해서 자부심을 갖고

학교가 의도하는 경 방침을 명확히 이해함과 동시에 학습지도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물을

충분히 활용하는 데 한층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에게 임 워먼트의 발휘를 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고 경력 교사와 부장교사일수록 임 워먼트에 해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 따라

서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업무에 의미성을 부여하며 아무

리 어려운 직무일지라도 반드시 성공 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특히 임 워먼트 변인 에 자율성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다소 낮은 인식

의 반응은 향후 교사들은 학교 조직목표 달성을 하여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상당

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면서 아울러 직무 수행 방법 측면에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학교장들이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시키는 방안이 될 것으로 단

된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기 한 이론 검토를 지속 으로 하는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토 로 학교 조직효과성

확 방안에 해서 실증 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

식 계 리 임 워먼트 변인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더욱 더 확 하기 해서는 련 변인

의 탐색이 지속 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를 들면 학교 조직을 상으로 한 다양한

리더십 변인 즉 셀 문화 가부장 리더십을 주요 변인으로 하여 교사들의 응집성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교직수행과 같은 조직효과성 등과 련된 변인들 간의 상호작

용이나 각 변인들을 매개로 한 직간 인 향 등에 한 지속 인 실증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8 -

참 고 문 헌

강경석 강경수(2006) 학교장의 변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4호 239~262

강경석 김철구(2007)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4호 1~24

김민환(2003)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사 임 워먼트가 교사들의 교직 활동 성향에 미치는

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89~115

김성규(2009) 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향 단

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일형(2009) 학교장의 감성지능 직무역량이 리더-구성원 교환 계(LMX)를 매개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향 홍익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재덕(2006) 학교 상황에 따라 학교장의 도덕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고려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정서(2009)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문화가 학교 조직역량에 미치는 향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필녀(2002)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국민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창걸(2003) 교육조직행 론 서울 형설출 사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1호 253~279

박인심(2006) 교원헌신에 한 권한 강화의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1호 25~50

신동한(2008)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교육행정학

연구 제26권 3호 125~149

신재흡(2007)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2호 93~119

신재흡(2002)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학교 조직문화 학교 조직효과성간의

계 교육행정학연구 제20권 제3호 91~115

신 식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4호 199~224

이미라(2007)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 감성과 조직 학습의 계 충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이석열(2006) 교장의 감성리더십 진단척도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3호 51~78

이윤식 이상미(2009)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 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2호 1~24

이화용(2005) 감성트랜드 감성 셀 리더십과 자아실 서울 한솜미디어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9 -

정 (2005) 탁 식업체 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향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채순화(2004) 변 리더십 임 워먼트 신뢰 조직몰입과의 계 다차원 근 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최연인(2005)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과의 계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Adajian L B(1995)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and the Teaching of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Conger J A amp Kanungo R N(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3(3) 471~482

Foy N(1994) Empowering People of Work Gower Publishing Ltd 3~5

Frederick J M(1989) Measuring School Effectiveness Guideline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

Princeton N J ERIC Clearing House on Test Measurement and Evaluation

Goleman D Boyatzis R amp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han R L(1997) The Key to Being a Leader Company Empowerment Journal for Quality and

Participation JanFeb 59~78

Humphrey R H(2002) The Many Faces of Emo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3

493~504

Kouzes J amp Posner B(1999) The Leadership Challenge San Francisco John Wiley amp Sons Inc

Neff T J Citrin J M amp Brown P B(1999) Lessons from the Top The Search for Americas Best

Business Leaders New York Double day

Sergiovanni T J(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Jossey-Bass

Spreitzer G M(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 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1442~1465

Thomas K W amp Tymon W G(1994) Does Empowerment Always Work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Personal Interpretation Journal of Management Systems

6(3) 54~66

Tran Veronique(1998) The Role of the Emotional Climate Impacts Performa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2(4) 240~246

Whetten D A Cameron K amp Woods M(1996) Effective Empowerment and Delation London

Harper Ciollins Publis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70 -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in Jae-Heub (Hansung Univers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perceived by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EL)

Empowermen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the impact of subfactors such

as EL and E on SO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0 teachers working in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Kyonggi Province

Of them 55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existed on EL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chairperson on E for elementary school public

school high-career teachers chairperson holders of the masters degree on SOE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and chairpers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EL had an

impact on E which had an impact on SO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s one of EL factors and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as E factors

had an impact on SOE but E had a greater stepwise impact on SOE than teachers E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use of such EL factors as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nd such E factors as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in order to increase

SOE which could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Key words Emo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Page 12: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dcRxKCBT_003_E… · 성이다. 이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58 -

감성 리더십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이미라(2007) 강경석김철구(2007)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여교사가 남

교사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강경석김철구(2007) 김성규(2009) 연구와는 상반된 결과

이다 이러한 사실은 여교사가 감성 리더십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고 학교 경 에 극

으로 참여하여 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국공립이 사립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이미라(2007)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

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30학

미만이 30학 이상 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학 규모가 작을수록 교사들은 교장과의 빈

번한 면 으로 교장의 감성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

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낸 것은 강경석김철구(2007) 김성규(2009) 연구와 일치했다 이

러한 결과는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

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 임 워먼트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임 워먼트의 차이는 lt표 Ⅳ-2gt와 같다

lt표 Ⅳ-2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임 워먼트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 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3 0652865

AgtB AgtC학교(B) 194 354 066

고등학교(C) 164 347 058

성남자 222 369 060 0728여자 334 364 070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3 068 16567

사립 177 349 060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58 004562311년-20년 164 363 005

21년 이상 164 380 005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69 069 063930학 이상 356 364 065

직부장교사 108 399 068 35711

평교사 448 358 064

학력학사학 338 361 063

4776

석사학 이상 218 373 072

계 556 367 054

plt05 plt01 plt0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9 -

lt표 Ⅳ-2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교육경력 학력 따라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3) 학교(354)

고등학교(347) 순이며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 교사가 등학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

을 나타냈다 국공립(373)이 사립(349)보다 부장교사(399)가 평교사(358)보다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plt001) 한 21년 이상(380) 11~20년(363) 10년 이하(358) 순으로 나타났다

(plt01) 한편 석사학 이상(373)이 학사학 (361)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5) 상

기의 연구결과는 신재흡(2007)의 연구결과와 모두 일치했다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등

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

을 가지고 학교생활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보다 높

은 반응을 나타낸 것은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

함과 동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

에서 가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는 lt표 Ⅳ-3gt과 같다

lt표 Ⅳ-3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성 학교 규모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7) 학교(357) 고등

학교(333) 순이며(plt001)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가 고등학교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국공립(377)이 사립(338)보다 부장교사(386)가 평교사(359)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

냈다(plt001) 한편 여교사(372)가 남교사(354)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1) 그리고

30학 미만(373)이 30학 이상 보다 높은 인식을 보 다(plt0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김재덕(2005)의 연구와 일

치했다 이러한 사실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

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한 결과는 국공립교사가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가 높게 인식한 결과는 신재흡(2010) 김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0 -

재덕(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

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

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lt표 Ⅳ-3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7 0625009 AgtB

A BgtC학교(B) 194 357 064

고등학교(C) 164 333 059

성남자 222 354 070 9712

여자 334 372 064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7 066 44823

사립 177 338 061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62 0661662

11년-20년 164 360 067

21년 이상 164 372 068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73 064 550130학 이상 356 359 068

직부장교사 108 386 069 13787

평교사 448 359 066

학력학사학 338 361 064

1901석사학 이상 218 369 071

계 556 364 066

plt05 plt01 plt001

2 세 연구변인들 간의 상 계

가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분석을 한 결과는 lt표 Ⅳ

-4gt와 같다

lt표 Ⅳ-4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 분석

구 분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감성 리더십 100

임 워먼트 44 100

학교 조직효과성 49 58 100

plt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1 -

구 분 감 성인 식

감 정 리

사회인 식

계 리

의미감 역 량 자율성 향력 직무만족조 직

응성조 직생산성

감성인식 100

감정 리 70 100

사회 인식 59 71 100

계 리 67 71 79 100

의미감 40 40 44 44 100

역 량 28 30 34 33 55 100

자율성 22 29 32 32 38 58 100

향력 20 32 38 35 40 53 64 100

직무만족 42 41 46 45 64 56 40 44 100조 직

응성40 43 43 49 43 48 38 39 55 100

조 직생산성

44 55 61 63 45 46 44 44 49 65 100

lt표 Ⅳ-4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변인 간의 상 계는 r=44(plt01)이며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는 r=49(plt01)이다 그리고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 간의 상 계는 r=58(plt01)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 변인 간의 상

계는 정 상 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의 결과는 lt표

Ⅳ-5gt와 같다

lt표 Ⅳ-5gt는 감성 리더십의 네 가지 하 요인과 임 워먼트의 네 가지 하 요인 그리

고 학교 조직효과성의 세 가지 하 요인 간의 상 계를 나타내고 있다

lt표Ⅳ-5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

plt01

첫째 감성 리더십 하 변인과 임 워먼트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감

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감성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20~40) 감정 리는 임

워먼트 하 변인(r=29~40) 사회 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 계 리 변인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과는 정 상 을 나타낸다(plt01)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

데 사회 인식과 계 리 변인이 임 워먼트와의 상 계수가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하 변인 간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 가운데 감성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0~44) 감정 리는 학교 조직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2 -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 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2050 17220

52533 0276

감성인식 069 0088 1641

감정 리 080 0095 1591

사회 인식 0150 0201 3039

계 리 0152 0205 3270

성 하 변인(r=41~55) 사회 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3) 계 리와 학

교 조직효과성 변인(r=45~63)과는 정 상 을 보여 주었다(plt01) 특히 사회 인식과

조직생산성(r=61) 계 리와 조직생산성(r=63)으로 높은 정 상 을 보 다 이러한 연

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연구결과와

일치했다 이러한 상은 학교 조직에서 감성리더십 하 요인인 사회 인식과 계 리가

조직생산성과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요망된다

셋째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임 워먼트 하 변인

의미감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4) 역량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

(r=46~56) 자율성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8~44) 향력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9~44)으로 정 상 을 보 으며(plt01) 특히 의미감과 직무만족(r=64) 역량과 직

무만족(r=56)으로 높은 정 상 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특히 이러한 상은 임 워먼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변인과 직무만

족과의 련성을 활용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3 다회귀분석

가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6gt과 같다

lt표 Ⅳ-6gt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plt01 plt001

lt표 Ⅳ-6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276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밝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3 -

졌고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상 인 비 은 β계수(표 화 회귀계

수)로 보아 계 리(β=21) 사회 인식(β=20) 순으로 나타났으나 감성인식과 감정 리

는 통계 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감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계

리 사회 인식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유사한 연구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감성리더십이 교사들의 계 리와 사회 인식변인

을 통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데 특히 교육 장의 학교장은 교사들에게 감정

이입 다양성 활용 의사소통 갈등 리 유 형성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배려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단할 수 있다

나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7gt과 같다

lt표 Ⅳ-7gt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0696 5101

123583 0473

의미감 0408 0425 11339

역 량 0194 0188 4372

자율성 0079 0088 2036

향력 0118 0143 3397

plt05 plt001

lt표 Ⅳ-7gt과 같이 임 워먼트 하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약 473를 설명하고

있으며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향을 하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의미감(β=43) 역량(β

=19) 향력(β=12) 자율성(β=09) 순으로 비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즉 임 워먼트는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것으로 단할 수 있고 특히 학교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해서는 임 워먼트 변인을

극 으로 발휘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4 -

4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8gt과 같다

lt표 Ⅳ-8gt은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감성 리더십 하 변인들 에서 계 리 변인이 학교 조직효

과성 변인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고 임 워먼트 변인 에서는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해 약 513의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 향력을 비교한 결과 의미감

(β=34) 역량(β=18) 향력(β=12) 계 리(β=11) 순으로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lt표 Ⅳ-8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

변인독립변인

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감성

리더십

(상수) 0481 3460

72011 0513

감성인식 0032 0040 0897

감성 리 0044 0053 1063

사회 인식 0048 0065 1234

계 리 0079 0106 1927

임 워먼

의미감 0323 0337 8728

역 량 0189 0183 4408

자율성 0062 0069 1658

향력 0088 0116 2556

plt05 plt001

감성 지도성변인 계 리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은 학

교장은 조직 구성원 상호 간 의사소통과 유 계를 형성하도록 동 인 노력을 기울일

때 조직효과성이 있으며 한편 임 워먼트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

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는 의식을 갖고(의미감)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

달되어야 하며(역량)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5 -

행사할 때( 향력)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단계별 향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정도를 단

계별로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9gt와 같다

lt표Ⅳ- 9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구 분 R2 F R2 F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임 워먼트 변인군

0276

0513

52533

72011 0237 19478

plt001

lt표 Ⅳ-9gt에서 보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하 변인군들을 집단 으로 투입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변인군들의 향력을 분석한 결과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을

투입했을 경우는 276 고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과 임 워먼트 변인군을 함께 투

입했을 경우는 513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다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를 함께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졌다 따라서 교사

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들의 학교 조직

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제언

상기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서 개인

배경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은 등학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6 -

교사가 등학교 교사들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

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에 한 인식은 등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고 학교생활에 하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함과 동

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에서 가

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

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

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 학교 조직효과성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

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에는 유의한 상 계가 있다 학

교 조직에서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식과 계 리와 임 워먼트 임 워먼

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 변인과 직무만족 변인 감성 리더십 하 변인인 사회 인

식 계 리 변인과 조직생산성을 고려할 때 한층 학교 조직효과성이 확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고 있다 이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

는 의식을 갖고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달되어야 하며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행사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학교장은 감성 지도성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

인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염두에 두면서 학교행정을 펼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

성을 확 하는 것이다

넷째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측면에서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

다 감성 리더십과 교사들의 임 워먼트를 동시에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7 -

아졌다 따라서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론을 종합하면 이 연구는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하기 해서는

감성 리더십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인 가운데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조직의 성과와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교사 경력 교사들에게 학교 조직효과성의 실천력을 증 시

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부장교사 고 경력 교사일수록 직무만족 조직 응성 조직

생산성 변인에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 결국 학교 조직효과성을 극 화하기 해서는 향

후 경력 교사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수행하는 자신의 직무에 해서 자부심을 갖고

학교가 의도하는 경 방침을 명확히 이해함과 동시에 학습지도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물을

충분히 활용하는 데 한층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에게 임 워먼트의 발휘를 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고 경력 교사와 부장교사일수록 임 워먼트에 해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 따라

서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업무에 의미성을 부여하며 아무

리 어려운 직무일지라도 반드시 성공 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특히 임 워먼트 변인 에 자율성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다소 낮은 인식

의 반응은 향후 교사들은 학교 조직목표 달성을 하여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상당

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면서 아울러 직무 수행 방법 측면에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학교장들이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시키는 방안이 될 것으로 단

된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기 한 이론 검토를 지속 으로 하는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토 로 학교 조직효과성

확 방안에 해서 실증 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

식 계 리 임 워먼트 변인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더욱 더 확 하기 해서는 련 변인

의 탐색이 지속 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를 들면 학교 조직을 상으로 한 다양한

리더십 변인 즉 셀 문화 가부장 리더십을 주요 변인으로 하여 교사들의 응집성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교직수행과 같은 조직효과성 등과 련된 변인들 간의 상호작

용이나 각 변인들을 매개로 한 직간 인 향 등에 한 지속 인 실증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8 -

참 고 문 헌

강경석 강경수(2006) 학교장의 변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4호 239~262

강경석 김철구(2007)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4호 1~24

김민환(2003)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사 임 워먼트가 교사들의 교직 활동 성향에 미치는

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89~115

김성규(2009) 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향 단

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일형(2009) 학교장의 감성지능 직무역량이 리더-구성원 교환 계(LMX)를 매개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향 홍익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재덕(2006) 학교 상황에 따라 학교장의 도덕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고려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정서(2009)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문화가 학교 조직역량에 미치는 향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필녀(2002)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국민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창걸(2003) 교육조직행 론 서울 형설출 사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1호 253~279

박인심(2006) 교원헌신에 한 권한 강화의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1호 25~50

신동한(2008)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교육행정학

연구 제26권 3호 125~149

신재흡(2007)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2호 93~119

신재흡(2002)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학교 조직문화 학교 조직효과성간의

계 교육행정학연구 제20권 제3호 91~115

신 식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4호 199~224

이미라(2007)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 감성과 조직 학습의 계 충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이석열(2006) 교장의 감성리더십 진단척도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3호 51~78

이윤식 이상미(2009)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 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2호 1~24

이화용(2005) 감성트랜드 감성 셀 리더십과 자아실 서울 한솜미디어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9 -

정 (2005) 탁 식업체 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향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채순화(2004) 변 리더십 임 워먼트 신뢰 조직몰입과의 계 다차원 근 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최연인(2005)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과의 계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Adajian L B(1995)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and the Teaching of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Conger J A amp Kanungo R N(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3(3) 471~482

Foy N(1994) Empowering People of Work Gower Publishing Ltd 3~5

Frederick J M(1989) Measuring School Effectiveness Guideline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

Princeton N J ERIC Clearing House on Test Measurement and Evaluation

Goleman D Boyatzis R amp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han R L(1997) The Key to Being a Leader Company Empowerment Journal for Quality and

Participation JanFeb 59~78

Humphrey R H(2002) The Many Faces of Emo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3

493~504

Kouzes J amp Posner B(1999) The Leadership Challenge San Francisco John Wiley amp Sons Inc

Neff T J Citrin J M amp Brown P B(1999) Lessons from the Top The Search for Americas Best

Business Leaders New York Double day

Sergiovanni T J(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Jossey-Bass

Spreitzer G M(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 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1442~1465

Thomas K W amp Tymon W G(1994) Does Empowerment Always Work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Personal Interpretation Journal of Management Systems

6(3) 54~66

Tran Veronique(1998) The Role of the Emotional Climate Impacts Performa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2(4) 240~246

Whetten D A Cameron K amp Woods M(1996) Effective Empowerment and Delation London

Harper Ciollins Publis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70 -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in Jae-Heub (Hansung Univers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perceived by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EL)

Empowermen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the impact of subfactors such

as EL and E on SO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0 teachers working in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Kyonggi Province

Of them 55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existed on EL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chairperson on E for elementary school public

school high-career teachers chairperson holders of the masters degree on SOE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and chairpers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EL had an

impact on E which had an impact on SO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s one of EL factors and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as E factors

had an impact on SOE but E had a greater stepwise impact on SOE than teachers E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use of such EL factors as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nd such E factors as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in order to increase

SOE which could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Key words Emo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Page 13: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dcRxKCBT_003_E… · 성이다. 이에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59 -

lt표 Ⅳ-2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교육경력 학력 따라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3) 학교(354)

고등학교(347) 순이며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 교사가 등학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

을 나타냈다 국공립(373)이 사립(349)보다 부장교사(399)가 평교사(358)보다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plt001) 한 21년 이상(380) 11~20년(363) 10년 이하(358) 순으로 나타났다

(plt01) 한편 석사학 이상(373)이 학사학 (361)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5) 상

기의 연구결과는 신재흡(2007)의 연구결과와 모두 일치했다

임 워먼트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등

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

을 가지고 학교생활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보다 높

은 반응을 나타낸 것은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

함과 동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

에서 가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는 lt표 Ⅳ-3gt과 같다

lt표 Ⅳ-3gt에 의하면 학교 학교 유형 직 성 학교 규모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인식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등학교(397) 학교(357) 고등

학교(333) 순이며(plt001) Scheffe 검증에서도 등학교가 고등학교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국공립(377)이 사립(338)보다 부장교사(386)가 평교사(359)보다 높은 반응을 나타

냈다(plt001) 한편 여교사(372)가 남교사(354)보다 높은 인식을 보여 주었다(plt01) 그리고

30학 미만(373)이 30학 이상 보다 높은 인식을 보 다(plt0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교사들의 인식이 등학교가 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는 김재덕(2005)의 연구와 일

치했다 이러한 사실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

교 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한 결과는 국공립교사가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가 높게 인식한 결과는 신재흡(2010) 김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0 -

재덕(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

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

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lt표 Ⅳ-3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7 0625009 AgtB

A BgtC학교(B) 194 357 064

고등학교(C) 164 333 059

성남자 222 354 070 9712

여자 334 372 064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7 066 44823

사립 177 338 061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62 0661662

11년-20년 164 360 067

21년 이상 164 372 068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73 064 550130학 이상 356 359 068

직부장교사 108 386 069 13787

평교사 448 359 066

학력학사학 338 361 064

1901석사학 이상 218 369 071

계 556 364 066

plt05 plt01 plt001

2 세 연구변인들 간의 상 계

가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분석을 한 결과는 lt표 Ⅳ

-4gt와 같다

lt표 Ⅳ-4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 분석

구 분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감성 리더십 100

임 워먼트 44 100

학교 조직효과성 49 58 100

plt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1 -

구 분 감 성인 식

감 정 리

사회인 식

계 리

의미감 역 량 자율성 향력 직무만족조 직

응성조 직생산성

감성인식 100

감정 리 70 100

사회 인식 59 71 100

계 리 67 71 79 100

의미감 40 40 44 44 100

역 량 28 30 34 33 55 100

자율성 22 29 32 32 38 58 100

향력 20 32 38 35 40 53 64 100

직무만족 42 41 46 45 64 56 40 44 100조 직

응성40 43 43 49 43 48 38 39 55 100

조 직생산성

44 55 61 63 45 46 44 44 49 65 100

lt표 Ⅳ-4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변인 간의 상 계는 r=44(plt01)이며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는 r=49(plt01)이다 그리고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 간의 상 계는 r=58(plt01)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 변인 간의 상

계는 정 상 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의 결과는 lt표

Ⅳ-5gt와 같다

lt표 Ⅳ-5gt는 감성 리더십의 네 가지 하 요인과 임 워먼트의 네 가지 하 요인 그리

고 학교 조직효과성의 세 가지 하 요인 간의 상 계를 나타내고 있다

lt표Ⅳ-5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

plt01

첫째 감성 리더십 하 변인과 임 워먼트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감

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감성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20~40) 감정 리는 임

워먼트 하 변인(r=29~40) 사회 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 계 리 변인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과는 정 상 을 나타낸다(plt01)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

데 사회 인식과 계 리 변인이 임 워먼트와의 상 계수가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하 변인 간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 가운데 감성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0~44) 감정 리는 학교 조직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2 -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 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2050 17220

52533 0276

감성인식 069 0088 1641

감정 리 080 0095 1591

사회 인식 0150 0201 3039

계 리 0152 0205 3270

성 하 변인(r=41~55) 사회 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3) 계 리와 학

교 조직효과성 변인(r=45~63)과는 정 상 을 보여 주었다(plt01) 특히 사회 인식과

조직생산성(r=61) 계 리와 조직생산성(r=63)으로 높은 정 상 을 보 다 이러한 연

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연구결과와

일치했다 이러한 상은 학교 조직에서 감성리더십 하 요인인 사회 인식과 계 리가

조직생산성과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요망된다

셋째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임 워먼트 하 변인

의미감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4) 역량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

(r=46~56) 자율성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8~44) 향력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9~44)으로 정 상 을 보 으며(plt01) 특히 의미감과 직무만족(r=64) 역량과 직

무만족(r=56)으로 높은 정 상 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특히 이러한 상은 임 워먼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변인과 직무만

족과의 련성을 활용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3 다회귀분석

가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6gt과 같다

lt표 Ⅳ-6gt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plt01 plt001

lt표 Ⅳ-6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276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밝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3 -

졌고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상 인 비 은 β계수(표 화 회귀계

수)로 보아 계 리(β=21) 사회 인식(β=20) 순으로 나타났으나 감성인식과 감정 리

는 통계 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감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계

리 사회 인식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유사한 연구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감성리더십이 교사들의 계 리와 사회 인식변인

을 통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데 특히 교육 장의 학교장은 교사들에게 감정

이입 다양성 활용 의사소통 갈등 리 유 형성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배려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단할 수 있다

나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7gt과 같다

lt표 Ⅳ-7gt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0696 5101

123583 0473

의미감 0408 0425 11339

역 량 0194 0188 4372

자율성 0079 0088 2036

향력 0118 0143 3397

plt05 plt001

lt표 Ⅳ-7gt과 같이 임 워먼트 하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약 473를 설명하고

있으며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향을 하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의미감(β=43) 역량(β

=19) 향력(β=12) 자율성(β=09) 순으로 비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즉 임 워먼트는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것으로 단할 수 있고 특히 학교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해서는 임 워먼트 변인을

극 으로 발휘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4 -

4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8gt과 같다

lt표 Ⅳ-8gt은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감성 리더십 하 변인들 에서 계 리 변인이 학교 조직효

과성 변인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고 임 워먼트 변인 에서는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해 약 513의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 향력을 비교한 결과 의미감

(β=34) 역량(β=18) 향력(β=12) 계 리(β=11) 순으로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lt표 Ⅳ-8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

변인독립변인

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감성

리더십

(상수) 0481 3460

72011 0513

감성인식 0032 0040 0897

감성 리 0044 0053 1063

사회 인식 0048 0065 1234

계 리 0079 0106 1927

임 워먼

의미감 0323 0337 8728

역 량 0189 0183 4408

자율성 0062 0069 1658

향력 0088 0116 2556

plt05 plt001

감성 지도성변인 계 리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은 학

교장은 조직 구성원 상호 간 의사소통과 유 계를 형성하도록 동 인 노력을 기울일

때 조직효과성이 있으며 한편 임 워먼트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

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는 의식을 갖고(의미감)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

달되어야 하며(역량)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5 -

행사할 때( 향력)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단계별 향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정도를 단

계별로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9gt와 같다

lt표Ⅳ- 9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구 분 R2 F R2 F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임 워먼트 변인군

0276

0513

52533

72011 0237 19478

plt001

lt표 Ⅳ-9gt에서 보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하 변인군들을 집단 으로 투입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변인군들의 향력을 분석한 결과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을

투입했을 경우는 276 고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과 임 워먼트 변인군을 함께 투

입했을 경우는 513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다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를 함께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졌다 따라서 교사

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들의 학교 조직

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제언

상기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서 개인

배경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은 등학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6 -

교사가 등학교 교사들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

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에 한 인식은 등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고 학교생활에 하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함과 동

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에서 가

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

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

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 학교 조직효과성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

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에는 유의한 상 계가 있다 학

교 조직에서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식과 계 리와 임 워먼트 임 워먼

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 변인과 직무만족 변인 감성 리더십 하 변인인 사회 인

식 계 리 변인과 조직생산성을 고려할 때 한층 학교 조직효과성이 확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고 있다 이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

는 의식을 갖고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달되어야 하며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행사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학교장은 감성 지도성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

인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염두에 두면서 학교행정을 펼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

성을 확 하는 것이다

넷째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측면에서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

다 감성 리더십과 교사들의 임 워먼트를 동시에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7 -

아졌다 따라서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론을 종합하면 이 연구는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하기 해서는

감성 리더십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인 가운데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조직의 성과와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교사 경력 교사들에게 학교 조직효과성의 실천력을 증 시

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부장교사 고 경력 교사일수록 직무만족 조직 응성 조직

생산성 변인에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 결국 학교 조직효과성을 극 화하기 해서는 향

후 경력 교사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수행하는 자신의 직무에 해서 자부심을 갖고

학교가 의도하는 경 방침을 명확히 이해함과 동시에 학습지도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물을

충분히 활용하는 데 한층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에게 임 워먼트의 발휘를 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고 경력 교사와 부장교사일수록 임 워먼트에 해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 따라

서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업무에 의미성을 부여하며 아무

리 어려운 직무일지라도 반드시 성공 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특히 임 워먼트 변인 에 자율성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다소 낮은 인식

의 반응은 향후 교사들은 학교 조직목표 달성을 하여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상당

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면서 아울러 직무 수행 방법 측면에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학교장들이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시키는 방안이 될 것으로 단

된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기 한 이론 검토를 지속 으로 하는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토 로 학교 조직효과성

확 방안에 해서 실증 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

식 계 리 임 워먼트 변인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더욱 더 확 하기 해서는 련 변인

의 탐색이 지속 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를 들면 학교 조직을 상으로 한 다양한

리더십 변인 즉 셀 문화 가부장 리더십을 주요 변인으로 하여 교사들의 응집성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교직수행과 같은 조직효과성 등과 련된 변인들 간의 상호작

용이나 각 변인들을 매개로 한 직간 인 향 등에 한 지속 인 실증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8 -

참 고 문 헌

강경석 강경수(2006) 학교장의 변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4호 239~262

강경석 김철구(2007)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4호 1~24

김민환(2003)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사 임 워먼트가 교사들의 교직 활동 성향에 미치는

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89~115

김성규(2009) 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향 단

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일형(2009) 학교장의 감성지능 직무역량이 리더-구성원 교환 계(LMX)를 매개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향 홍익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재덕(2006) 학교 상황에 따라 학교장의 도덕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고려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정서(2009)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문화가 학교 조직역량에 미치는 향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필녀(2002)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국민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창걸(2003) 교육조직행 론 서울 형설출 사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1호 253~279

박인심(2006) 교원헌신에 한 권한 강화의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1호 25~50

신동한(2008)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교육행정학

연구 제26권 3호 125~149

신재흡(2007)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2호 93~119

신재흡(2002)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학교 조직문화 학교 조직효과성간의

계 교육행정학연구 제20권 제3호 91~115

신 식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4호 199~224

이미라(2007)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 감성과 조직 학습의 계 충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이석열(2006) 교장의 감성리더십 진단척도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3호 51~78

이윤식 이상미(2009)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 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2호 1~24

이화용(2005) 감성트랜드 감성 셀 리더십과 자아실 서울 한솜미디어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9 -

정 (2005) 탁 식업체 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향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채순화(2004) 변 리더십 임 워먼트 신뢰 조직몰입과의 계 다차원 근 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최연인(2005)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과의 계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Adajian L B(1995)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and the Teaching of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Conger J A amp Kanungo R N(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3(3) 471~482

Foy N(1994) Empowering People of Work Gower Publishing Ltd 3~5

Frederick J M(1989) Measuring School Effectiveness Guideline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

Princeton N J ERIC Clearing House on Test Measurement and Evaluation

Goleman D Boyatzis R amp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han R L(1997) The Key to Being a Leader Company Empowerment Journal for Quality and

Participation JanFeb 59~78

Humphrey R H(2002) The Many Faces of Emo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3

493~504

Kouzes J amp Posner B(1999) The Leadership Challenge San Francisco John Wiley amp Sons Inc

Neff T J Citrin J M amp Brown P B(1999) Lessons from the Top The Search for Americas Best

Business Leaders New York Double day

Sergiovanni T J(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Jossey-Bass

Spreitzer G M(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 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1442~1465

Thomas K W amp Tymon W G(1994) Does Empowerment Always Work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Personal Interpretation Journal of Management Systems

6(3) 54~66

Tran Veronique(1998) The Role of the Emotional Climate Impacts Performa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2(4) 240~246

Whetten D A Cameron K amp Woods M(1996) Effective Empowerment and Delation London

Harper Ciollins Publis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70 -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in Jae-Heub (Hansung Univers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perceived by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EL)

Empowermen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the impact of subfactors such

as EL and E on SO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0 teachers working in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Kyonggi Province

Of them 55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existed on EL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chairperson on E for elementary school public

school high-career teachers chairperson holders of the masters degree on SOE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and chairpers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EL had an

impact on E which had an impact on SO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s one of EL factors and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as E factors

had an impact on SOE but E had a greater stepwise impact on SOE than teachers E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use of such EL factors as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nd such E factors as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in order to increase

SOE which could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Key words Emo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Page 14: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dcRxKCBT_003_E… · 성이다. 이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0 -

재덕(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는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

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

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lt표 Ⅳ-3gt 교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학교 조직효과성의 차이 검증

통계치

구분N M SD tF Scheffe

학교

등학교(A) 198 397 0625009 AgtB

A BgtC학교(B) 194 357 064

고등학교(C) 164 333 059

성남자 222 354 070 9712

여자 334 372 064

학교 유형국공립 379 377 066 44823

사립 177 338 061

교육 경력

10년 이하 228 362 0661662

11년-20년 164 360 067

21년 이상 164 372 068

학교 규모30학 미만 200 373 064 550130학 이상 356 359 068

직부장교사 108 386 069 13787

평교사 448 359 066

학력학사학 338 361 064

1901석사학 이상 218 369 071

계 556 364 066

plt05 plt01 plt001

2 세 연구변인들 간의 상 계

가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분석을 한 결과는 lt표 Ⅳ

-4gt와 같다

lt표 Ⅳ-4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 분석

구 분 감성 리더십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감성 리더십 100

임 워먼트 44 100

학교 조직효과성 49 58 100

plt01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1 -

구 분 감 성인 식

감 정 리

사회인 식

계 리

의미감 역 량 자율성 향력 직무만족조 직

응성조 직생산성

감성인식 100

감정 리 70 100

사회 인식 59 71 100

계 리 67 71 79 100

의미감 40 40 44 44 100

역 량 28 30 34 33 55 100

자율성 22 29 32 32 38 58 100

향력 20 32 38 35 40 53 64 100

직무만족 42 41 46 45 64 56 40 44 100조 직

응성40 43 43 49 43 48 38 39 55 100

조 직생산성

44 55 61 63 45 46 44 44 49 65 100

lt표 Ⅳ-4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변인 간의 상 계는 r=44(plt01)이며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는 r=49(plt01)이다 그리고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 간의 상 계는 r=58(plt01)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 변인 간의 상

계는 정 상 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의 결과는 lt표

Ⅳ-5gt와 같다

lt표 Ⅳ-5gt는 감성 리더십의 네 가지 하 요인과 임 워먼트의 네 가지 하 요인 그리

고 학교 조직효과성의 세 가지 하 요인 간의 상 계를 나타내고 있다

lt표Ⅳ-5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

plt01

첫째 감성 리더십 하 변인과 임 워먼트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감

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감성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20~40) 감정 리는 임

워먼트 하 변인(r=29~40) 사회 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 계 리 변인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과는 정 상 을 나타낸다(plt01)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

데 사회 인식과 계 리 변인이 임 워먼트와의 상 계수가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하 변인 간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 가운데 감성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0~44) 감정 리는 학교 조직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2 -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 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2050 17220

52533 0276

감성인식 069 0088 1641

감정 리 080 0095 1591

사회 인식 0150 0201 3039

계 리 0152 0205 3270

성 하 변인(r=41~55) 사회 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3) 계 리와 학

교 조직효과성 변인(r=45~63)과는 정 상 을 보여 주었다(plt01) 특히 사회 인식과

조직생산성(r=61) 계 리와 조직생산성(r=63)으로 높은 정 상 을 보 다 이러한 연

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연구결과와

일치했다 이러한 상은 학교 조직에서 감성리더십 하 요인인 사회 인식과 계 리가

조직생산성과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요망된다

셋째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임 워먼트 하 변인

의미감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4) 역량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

(r=46~56) 자율성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8~44) 향력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9~44)으로 정 상 을 보 으며(plt01) 특히 의미감과 직무만족(r=64) 역량과 직

무만족(r=56)으로 높은 정 상 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특히 이러한 상은 임 워먼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변인과 직무만

족과의 련성을 활용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3 다회귀분석

가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6gt과 같다

lt표 Ⅳ-6gt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plt01 plt001

lt표 Ⅳ-6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276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밝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3 -

졌고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상 인 비 은 β계수(표 화 회귀계

수)로 보아 계 리(β=21) 사회 인식(β=20) 순으로 나타났으나 감성인식과 감정 리

는 통계 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감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계

리 사회 인식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유사한 연구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감성리더십이 교사들의 계 리와 사회 인식변인

을 통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데 특히 교육 장의 학교장은 교사들에게 감정

이입 다양성 활용 의사소통 갈등 리 유 형성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배려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단할 수 있다

나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7gt과 같다

lt표 Ⅳ-7gt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0696 5101

123583 0473

의미감 0408 0425 11339

역 량 0194 0188 4372

자율성 0079 0088 2036

향력 0118 0143 3397

plt05 plt001

lt표 Ⅳ-7gt과 같이 임 워먼트 하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약 473를 설명하고

있으며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향을 하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의미감(β=43) 역량(β

=19) 향력(β=12) 자율성(β=09) 순으로 비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즉 임 워먼트는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것으로 단할 수 있고 특히 학교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해서는 임 워먼트 변인을

극 으로 발휘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4 -

4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8gt과 같다

lt표 Ⅳ-8gt은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감성 리더십 하 변인들 에서 계 리 변인이 학교 조직효

과성 변인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고 임 워먼트 변인 에서는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해 약 513의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 향력을 비교한 결과 의미감

(β=34) 역량(β=18) 향력(β=12) 계 리(β=11) 순으로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lt표 Ⅳ-8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

변인독립변인

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감성

리더십

(상수) 0481 3460

72011 0513

감성인식 0032 0040 0897

감성 리 0044 0053 1063

사회 인식 0048 0065 1234

계 리 0079 0106 1927

임 워먼

의미감 0323 0337 8728

역 량 0189 0183 4408

자율성 0062 0069 1658

향력 0088 0116 2556

plt05 plt001

감성 지도성변인 계 리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은 학

교장은 조직 구성원 상호 간 의사소통과 유 계를 형성하도록 동 인 노력을 기울일

때 조직효과성이 있으며 한편 임 워먼트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

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는 의식을 갖고(의미감)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

달되어야 하며(역량)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5 -

행사할 때( 향력)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단계별 향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정도를 단

계별로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9gt와 같다

lt표Ⅳ- 9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구 분 R2 F R2 F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임 워먼트 변인군

0276

0513

52533

72011 0237 19478

plt001

lt표 Ⅳ-9gt에서 보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하 변인군들을 집단 으로 투입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변인군들의 향력을 분석한 결과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을

투입했을 경우는 276 고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과 임 워먼트 변인군을 함께 투

입했을 경우는 513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다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를 함께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졌다 따라서 교사

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들의 학교 조직

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제언

상기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서 개인

배경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은 등학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6 -

교사가 등학교 교사들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

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에 한 인식은 등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고 학교생활에 하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함과 동

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에서 가

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

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

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 학교 조직효과성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

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에는 유의한 상 계가 있다 학

교 조직에서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식과 계 리와 임 워먼트 임 워먼

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 변인과 직무만족 변인 감성 리더십 하 변인인 사회 인

식 계 리 변인과 조직생산성을 고려할 때 한층 학교 조직효과성이 확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고 있다 이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

는 의식을 갖고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달되어야 하며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행사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학교장은 감성 지도성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

인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염두에 두면서 학교행정을 펼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

성을 확 하는 것이다

넷째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측면에서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

다 감성 리더십과 교사들의 임 워먼트를 동시에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7 -

아졌다 따라서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론을 종합하면 이 연구는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하기 해서는

감성 리더십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인 가운데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조직의 성과와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교사 경력 교사들에게 학교 조직효과성의 실천력을 증 시

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부장교사 고 경력 교사일수록 직무만족 조직 응성 조직

생산성 변인에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 결국 학교 조직효과성을 극 화하기 해서는 향

후 경력 교사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수행하는 자신의 직무에 해서 자부심을 갖고

학교가 의도하는 경 방침을 명확히 이해함과 동시에 학습지도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물을

충분히 활용하는 데 한층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에게 임 워먼트의 발휘를 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고 경력 교사와 부장교사일수록 임 워먼트에 해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 따라

서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업무에 의미성을 부여하며 아무

리 어려운 직무일지라도 반드시 성공 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특히 임 워먼트 변인 에 자율성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다소 낮은 인식

의 반응은 향후 교사들은 학교 조직목표 달성을 하여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상당

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면서 아울러 직무 수행 방법 측면에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학교장들이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시키는 방안이 될 것으로 단

된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기 한 이론 검토를 지속 으로 하는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토 로 학교 조직효과성

확 방안에 해서 실증 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

식 계 리 임 워먼트 변인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더욱 더 확 하기 해서는 련 변인

의 탐색이 지속 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를 들면 학교 조직을 상으로 한 다양한

리더십 변인 즉 셀 문화 가부장 리더십을 주요 변인으로 하여 교사들의 응집성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교직수행과 같은 조직효과성 등과 련된 변인들 간의 상호작

용이나 각 변인들을 매개로 한 직간 인 향 등에 한 지속 인 실증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8 -

참 고 문 헌

강경석 강경수(2006) 학교장의 변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4호 239~262

강경석 김철구(2007)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4호 1~24

김민환(2003)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사 임 워먼트가 교사들의 교직 활동 성향에 미치는

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89~115

김성규(2009) 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향 단

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일형(2009) 학교장의 감성지능 직무역량이 리더-구성원 교환 계(LMX)를 매개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향 홍익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재덕(2006) 학교 상황에 따라 학교장의 도덕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고려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정서(2009)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문화가 학교 조직역량에 미치는 향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필녀(2002)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국민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창걸(2003) 교육조직행 론 서울 형설출 사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1호 253~279

박인심(2006) 교원헌신에 한 권한 강화의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1호 25~50

신동한(2008)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교육행정학

연구 제26권 3호 125~149

신재흡(2007)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2호 93~119

신재흡(2002)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학교 조직문화 학교 조직효과성간의

계 교육행정학연구 제20권 제3호 91~115

신 식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4호 199~224

이미라(2007)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 감성과 조직 학습의 계 충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이석열(2006) 교장의 감성리더십 진단척도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3호 51~78

이윤식 이상미(2009)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 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2호 1~24

이화용(2005) 감성트랜드 감성 셀 리더십과 자아실 서울 한솜미디어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9 -

정 (2005) 탁 식업체 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향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채순화(2004) 변 리더십 임 워먼트 신뢰 조직몰입과의 계 다차원 근 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최연인(2005)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과의 계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Adajian L B(1995)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and the Teaching of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Conger J A amp Kanungo R N(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3(3) 471~482

Foy N(1994) Empowering People of Work Gower Publishing Ltd 3~5

Frederick J M(1989) Measuring School Effectiveness Guideline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

Princeton N J ERIC Clearing House on Test Measurement and Evaluation

Goleman D Boyatzis R amp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han R L(1997) The Key to Being a Leader Company Empowerment Journal for Quality and

Participation JanFeb 59~78

Humphrey R H(2002) The Many Faces of Emo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3

493~504

Kouzes J amp Posner B(1999) The Leadership Challenge San Francisco John Wiley amp Sons Inc

Neff T J Citrin J M amp Brown P B(1999) Lessons from the Top The Search for Americas Best

Business Leaders New York Double day

Sergiovanni T J(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Jossey-Bass

Spreitzer G M(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 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1442~1465

Thomas K W amp Tymon W G(1994) Does Empowerment Always Work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Personal Interpretation Journal of Management Systems

6(3) 54~66

Tran Veronique(1998) The Role of the Emotional Climate Impacts Performa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2(4) 240~246

Whetten D A Cameron K amp Woods M(1996) Effective Empowerment and Delation London

Harper Ciollins Publis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70 -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in Jae-Heub (Hansung Univers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perceived by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EL)

Empowermen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the impact of subfactors such

as EL and E on SO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0 teachers working in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Kyonggi Province

Of them 55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existed on EL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chairperson on E for elementary school public

school high-career teachers chairperson holders of the masters degree on SOE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and chairpers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EL had an

impact on E which had an impact on SO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s one of EL factors and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as E factors

had an impact on SOE but E had a greater stepwise impact on SOE than teachers E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use of such EL factors as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nd such E factors as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in order to increase

SOE which could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Key words Emo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Page 15: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dcRxKCBT_003_E… · 성이다. 이에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1 -

구 분 감 성인 식

감 정 리

사회인 식

계 리

의미감 역 량 자율성 향력 직무만족조 직

응성조 직생산성

감성인식 100

감정 리 70 100

사회 인식 59 71 100

계 리 67 71 79 100

의미감 40 40 44 44 100

역 량 28 30 34 33 55 100

자율성 22 29 32 32 38 58 100

향력 20 32 38 35 40 53 64 100

직무만족 42 41 46 45 64 56 40 44 100조 직

응성40 43 43 49 43 48 38 39 55 100

조 직생산성

44 55 61 63 45 46 44 44 49 65 100

lt표 Ⅳ-4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체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변인 간의 상 계는 r=44(plt01)이며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는 r=49(plt01)이다 그리고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 간의 상 계는 r=58(plt01)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 변인 간의 상

계는 정 상 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계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의 결과는 lt표

Ⅳ-5gt와 같다

lt표 Ⅳ-5gt는 감성 리더십의 네 가지 하 요인과 임 워먼트의 네 가지 하 요인 그리

고 학교 조직효과성의 세 가지 하 요인 간의 상 계를 나타내고 있다

lt표Ⅳ-5gt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의 하 요인 간의 상 분석

plt01

첫째 감성 리더십 하 변인과 임 워먼트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감

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감성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20~40) 감정 리는 임

워먼트 하 변인(r=29~40) 사회 인식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 계 리 변인은

임 워먼트 하 변인(r=32~44)과는 정 상 을 나타낸다(plt01)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

데 사회 인식과 계 리 변인이 임 워먼트와의 상 계수가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하 변인 간 상 계를 분석하면 감성

리더십 가운데 감성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0~44) 감정 리는 학교 조직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2 -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 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2050 17220

52533 0276

감성인식 069 0088 1641

감정 리 080 0095 1591

사회 인식 0150 0201 3039

계 리 0152 0205 3270

성 하 변인(r=41~55) 사회 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3) 계 리와 학

교 조직효과성 변인(r=45~63)과는 정 상 을 보여 주었다(plt01) 특히 사회 인식과

조직생산성(r=61) 계 리와 조직생산성(r=63)으로 높은 정 상 을 보 다 이러한 연

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연구결과와

일치했다 이러한 상은 학교 조직에서 감성리더십 하 요인인 사회 인식과 계 리가

조직생산성과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요망된다

셋째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임 워먼트 하 변인

의미감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4) 역량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

(r=46~56) 자율성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8~44) 향력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9~44)으로 정 상 을 보 으며(plt01) 특히 의미감과 직무만족(r=64) 역량과 직

무만족(r=56)으로 높은 정 상 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특히 이러한 상은 임 워먼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변인과 직무만

족과의 련성을 활용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3 다회귀분석

가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6gt과 같다

lt표 Ⅳ-6gt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plt01 plt001

lt표 Ⅳ-6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276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밝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3 -

졌고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상 인 비 은 β계수(표 화 회귀계

수)로 보아 계 리(β=21) 사회 인식(β=20) 순으로 나타났으나 감성인식과 감정 리

는 통계 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감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계

리 사회 인식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유사한 연구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감성리더십이 교사들의 계 리와 사회 인식변인

을 통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데 특히 교육 장의 학교장은 교사들에게 감정

이입 다양성 활용 의사소통 갈등 리 유 형성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배려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단할 수 있다

나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7gt과 같다

lt표 Ⅳ-7gt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0696 5101

123583 0473

의미감 0408 0425 11339

역 량 0194 0188 4372

자율성 0079 0088 2036

향력 0118 0143 3397

plt05 plt001

lt표 Ⅳ-7gt과 같이 임 워먼트 하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약 473를 설명하고

있으며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향을 하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의미감(β=43) 역량(β

=19) 향력(β=12) 자율성(β=09) 순으로 비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즉 임 워먼트는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것으로 단할 수 있고 특히 학교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해서는 임 워먼트 변인을

극 으로 발휘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4 -

4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8gt과 같다

lt표 Ⅳ-8gt은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감성 리더십 하 변인들 에서 계 리 변인이 학교 조직효

과성 변인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고 임 워먼트 변인 에서는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해 약 513의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 향력을 비교한 결과 의미감

(β=34) 역량(β=18) 향력(β=12) 계 리(β=11) 순으로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lt표 Ⅳ-8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

변인독립변인

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감성

리더십

(상수) 0481 3460

72011 0513

감성인식 0032 0040 0897

감성 리 0044 0053 1063

사회 인식 0048 0065 1234

계 리 0079 0106 1927

임 워먼

의미감 0323 0337 8728

역 량 0189 0183 4408

자율성 0062 0069 1658

향력 0088 0116 2556

plt05 plt001

감성 지도성변인 계 리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은 학

교장은 조직 구성원 상호 간 의사소통과 유 계를 형성하도록 동 인 노력을 기울일

때 조직효과성이 있으며 한편 임 워먼트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

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는 의식을 갖고(의미감)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

달되어야 하며(역량)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5 -

행사할 때( 향력)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단계별 향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정도를 단

계별로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9gt와 같다

lt표Ⅳ- 9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구 분 R2 F R2 F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임 워먼트 변인군

0276

0513

52533

72011 0237 19478

plt001

lt표 Ⅳ-9gt에서 보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하 변인군들을 집단 으로 투입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변인군들의 향력을 분석한 결과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을

투입했을 경우는 276 고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과 임 워먼트 변인군을 함께 투

입했을 경우는 513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다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를 함께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졌다 따라서 교사

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들의 학교 조직

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제언

상기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서 개인

배경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은 등학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6 -

교사가 등학교 교사들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

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에 한 인식은 등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고 학교생활에 하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함과 동

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에서 가

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

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

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 학교 조직효과성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

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에는 유의한 상 계가 있다 학

교 조직에서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식과 계 리와 임 워먼트 임 워먼

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 변인과 직무만족 변인 감성 리더십 하 변인인 사회 인

식 계 리 변인과 조직생산성을 고려할 때 한층 학교 조직효과성이 확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고 있다 이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

는 의식을 갖고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달되어야 하며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행사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학교장은 감성 지도성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

인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염두에 두면서 학교행정을 펼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

성을 확 하는 것이다

넷째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측면에서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

다 감성 리더십과 교사들의 임 워먼트를 동시에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7 -

아졌다 따라서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론을 종합하면 이 연구는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하기 해서는

감성 리더십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인 가운데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조직의 성과와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교사 경력 교사들에게 학교 조직효과성의 실천력을 증 시

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부장교사 고 경력 교사일수록 직무만족 조직 응성 조직

생산성 변인에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 결국 학교 조직효과성을 극 화하기 해서는 향

후 경력 교사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수행하는 자신의 직무에 해서 자부심을 갖고

학교가 의도하는 경 방침을 명확히 이해함과 동시에 학습지도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물을

충분히 활용하는 데 한층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에게 임 워먼트의 발휘를 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고 경력 교사와 부장교사일수록 임 워먼트에 해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 따라

서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업무에 의미성을 부여하며 아무

리 어려운 직무일지라도 반드시 성공 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특히 임 워먼트 변인 에 자율성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다소 낮은 인식

의 반응은 향후 교사들은 학교 조직목표 달성을 하여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상당

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면서 아울러 직무 수행 방법 측면에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학교장들이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시키는 방안이 될 것으로 단

된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기 한 이론 검토를 지속 으로 하는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토 로 학교 조직효과성

확 방안에 해서 실증 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

식 계 리 임 워먼트 변인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더욱 더 확 하기 해서는 련 변인

의 탐색이 지속 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를 들면 학교 조직을 상으로 한 다양한

리더십 변인 즉 셀 문화 가부장 리더십을 주요 변인으로 하여 교사들의 응집성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교직수행과 같은 조직효과성 등과 련된 변인들 간의 상호작

용이나 각 변인들을 매개로 한 직간 인 향 등에 한 지속 인 실증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8 -

참 고 문 헌

강경석 강경수(2006) 학교장의 변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4호 239~262

강경석 김철구(2007)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4호 1~24

김민환(2003)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사 임 워먼트가 교사들의 교직 활동 성향에 미치는

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89~115

김성규(2009) 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향 단

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일형(2009) 학교장의 감성지능 직무역량이 리더-구성원 교환 계(LMX)를 매개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향 홍익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재덕(2006) 학교 상황에 따라 학교장의 도덕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고려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정서(2009)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문화가 학교 조직역량에 미치는 향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필녀(2002)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국민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창걸(2003) 교육조직행 론 서울 형설출 사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1호 253~279

박인심(2006) 교원헌신에 한 권한 강화의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1호 25~50

신동한(2008)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교육행정학

연구 제26권 3호 125~149

신재흡(2007)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2호 93~119

신재흡(2002)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학교 조직문화 학교 조직효과성간의

계 교육행정학연구 제20권 제3호 91~115

신 식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4호 199~224

이미라(2007)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 감성과 조직 학습의 계 충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이석열(2006) 교장의 감성리더십 진단척도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3호 51~78

이윤식 이상미(2009)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 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2호 1~24

이화용(2005) 감성트랜드 감성 셀 리더십과 자아실 서울 한솜미디어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9 -

정 (2005) 탁 식업체 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향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채순화(2004) 변 리더십 임 워먼트 신뢰 조직몰입과의 계 다차원 근 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최연인(2005)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과의 계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Adajian L B(1995)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and the Teaching of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Conger J A amp Kanungo R N(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3(3) 471~482

Foy N(1994) Empowering People of Work Gower Publishing Ltd 3~5

Frederick J M(1989) Measuring School Effectiveness Guideline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

Princeton N J ERIC Clearing House on Test Measurement and Evaluation

Goleman D Boyatzis R amp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han R L(1997) The Key to Being a Leader Company Empowerment Journal for Quality and

Participation JanFeb 59~78

Humphrey R H(2002) The Many Faces of Emo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3

493~504

Kouzes J amp Posner B(1999) The Leadership Challenge San Francisco John Wiley amp Sons Inc

Neff T J Citrin J M amp Brown P B(1999) Lessons from the Top The Search for Americas Best

Business Leaders New York Double day

Sergiovanni T J(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Jossey-Bass

Spreitzer G M(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 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1442~1465

Thomas K W amp Tymon W G(1994) Does Empowerment Always Work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Personal Interpretation Journal of Management Systems

6(3) 54~66

Tran Veronique(1998) The Role of the Emotional Climate Impacts Performa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2(4) 240~246

Whetten D A Cameron K amp Woods M(1996) Effective Empowerment and Delation London

Harper Ciollins Publis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70 -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in Jae-Heub (Hansung Univers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perceived by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EL)

Empowermen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the impact of subfactors such

as EL and E on SO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0 teachers working in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Kyonggi Province

Of them 55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existed on EL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chairperson on E for elementary school public

school high-career teachers chairperson holders of the masters degree on SOE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and chairpers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EL had an

impact on E which had an impact on SO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s one of EL factors and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as E factors

had an impact on SOE but E had a greater stepwise impact on SOE than teachers E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use of such EL factors as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nd such E factors as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in order to increase

SOE which could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Key words Emo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Page 16: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dcRxKCBT_003_E… · 성이다. 이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2 -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 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2050 17220

52533 0276

감성인식 069 0088 1641

감정 리 080 0095 1591

사회 인식 0150 0201 3039

계 리 0152 0205 3270

성 하 변인(r=41~55) 사회 인식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3) 계 리와 학

교 조직효과성 변인(r=45~63)과는 정 상 을 보여 주었다(plt01) 특히 사회 인식과

조직생산성(r=61) 계 리와 조직생산성(r=63)으로 높은 정 상 을 보 다 이러한 연

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연구결과와

일치했다 이러한 상은 학교 조직에서 감성리더십 하 요인인 사회 인식과 계 리가

조직생산성과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요망된다

셋째 임 워먼트와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상 계를 분석하면 임 워먼트 하 변인

의미감은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43~64) 역량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

(r=46~56) 자율성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8~44) 향력과 학교 조직효과성 하

변인(r=39~44)으로 정 상 을 보 으며(plt01) 특히 의미감과 직무만족(r=64) 역량과 직

무만족(r=56)으로 높은 정 상 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특히 이러한 상은 임 워먼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변인과 직무만

족과의 련성을 활용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3 다회귀분석

가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6gt과 같다

lt표 Ⅳ-6gt 감성 리더십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plt01 plt001

lt표 Ⅳ-6gt에 의하면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276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밝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3 -

졌고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상 인 비 은 β계수(표 화 회귀계

수)로 보아 계 리(β=21) 사회 인식(β=20) 순으로 나타났으나 감성인식과 감정 리

는 통계 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감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계

리 사회 인식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유사한 연구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감성리더십이 교사들의 계 리와 사회 인식변인

을 통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데 특히 교육 장의 학교장은 교사들에게 감정

이입 다양성 활용 의사소통 갈등 리 유 형성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배려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단할 수 있다

나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7gt과 같다

lt표 Ⅳ-7gt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0696 5101

123583 0473

의미감 0408 0425 11339

역 량 0194 0188 4372

자율성 0079 0088 2036

향력 0118 0143 3397

plt05 plt001

lt표 Ⅳ-7gt과 같이 임 워먼트 하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약 473를 설명하고

있으며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향을 하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의미감(β=43) 역량(β

=19) 향력(β=12) 자율성(β=09) 순으로 비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즉 임 워먼트는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것으로 단할 수 있고 특히 학교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해서는 임 워먼트 변인을

극 으로 발휘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4 -

4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8gt과 같다

lt표 Ⅳ-8gt은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감성 리더십 하 변인들 에서 계 리 변인이 학교 조직효

과성 변인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고 임 워먼트 변인 에서는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해 약 513의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 향력을 비교한 결과 의미감

(β=34) 역량(β=18) 향력(β=12) 계 리(β=11) 순으로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lt표 Ⅳ-8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

변인독립변인

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감성

리더십

(상수) 0481 3460

72011 0513

감성인식 0032 0040 0897

감성 리 0044 0053 1063

사회 인식 0048 0065 1234

계 리 0079 0106 1927

임 워먼

의미감 0323 0337 8728

역 량 0189 0183 4408

자율성 0062 0069 1658

향력 0088 0116 2556

plt05 plt001

감성 지도성변인 계 리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은 학

교장은 조직 구성원 상호 간 의사소통과 유 계를 형성하도록 동 인 노력을 기울일

때 조직효과성이 있으며 한편 임 워먼트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

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는 의식을 갖고(의미감)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

달되어야 하며(역량)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5 -

행사할 때( 향력)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단계별 향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정도를 단

계별로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9gt와 같다

lt표Ⅳ- 9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구 분 R2 F R2 F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임 워먼트 변인군

0276

0513

52533

72011 0237 19478

plt001

lt표 Ⅳ-9gt에서 보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하 변인군들을 집단 으로 투입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변인군들의 향력을 분석한 결과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을

투입했을 경우는 276 고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과 임 워먼트 변인군을 함께 투

입했을 경우는 513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다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를 함께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졌다 따라서 교사

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들의 학교 조직

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제언

상기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서 개인

배경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은 등학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6 -

교사가 등학교 교사들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

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에 한 인식은 등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고 학교생활에 하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함과 동

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에서 가

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

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

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 학교 조직효과성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

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에는 유의한 상 계가 있다 학

교 조직에서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식과 계 리와 임 워먼트 임 워먼

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 변인과 직무만족 변인 감성 리더십 하 변인인 사회 인

식 계 리 변인과 조직생산성을 고려할 때 한층 학교 조직효과성이 확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고 있다 이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

는 의식을 갖고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달되어야 하며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행사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학교장은 감성 지도성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

인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염두에 두면서 학교행정을 펼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

성을 확 하는 것이다

넷째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측면에서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

다 감성 리더십과 교사들의 임 워먼트를 동시에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7 -

아졌다 따라서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론을 종합하면 이 연구는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하기 해서는

감성 리더십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인 가운데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조직의 성과와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교사 경력 교사들에게 학교 조직효과성의 실천력을 증 시

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부장교사 고 경력 교사일수록 직무만족 조직 응성 조직

생산성 변인에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 결국 학교 조직효과성을 극 화하기 해서는 향

후 경력 교사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수행하는 자신의 직무에 해서 자부심을 갖고

학교가 의도하는 경 방침을 명확히 이해함과 동시에 학습지도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물을

충분히 활용하는 데 한층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에게 임 워먼트의 발휘를 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고 경력 교사와 부장교사일수록 임 워먼트에 해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 따라

서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업무에 의미성을 부여하며 아무

리 어려운 직무일지라도 반드시 성공 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특히 임 워먼트 변인 에 자율성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다소 낮은 인식

의 반응은 향후 교사들은 학교 조직목표 달성을 하여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상당

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면서 아울러 직무 수행 방법 측면에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학교장들이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시키는 방안이 될 것으로 단

된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기 한 이론 검토를 지속 으로 하는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토 로 학교 조직효과성

확 방안에 해서 실증 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

식 계 리 임 워먼트 변인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더욱 더 확 하기 해서는 련 변인

의 탐색이 지속 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를 들면 학교 조직을 상으로 한 다양한

리더십 변인 즉 셀 문화 가부장 리더십을 주요 변인으로 하여 교사들의 응집성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교직수행과 같은 조직효과성 등과 련된 변인들 간의 상호작

용이나 각 변인들을 매개로 한 직간 인 향 등에 한 지속 인 실증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8 -

참 고 문 헌

강경석 강경수(2006) 학교장의 변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4호 239~262

강경석 김철구(2007)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4호 1~24

김민환(2003)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사 임 워먼트가 교사들의 교직 활동 성향에 미치는

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89~115

김성규(2009) 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향 단

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일형(2009) 학교장의 감성지능 직무역량이 리더-구성원 교환 계(LMX)를 매개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향 홍익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재덕(2006) 학교 상황에 따라 학교장의 도덕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고려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정서(2009)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문화가 학교 조직역량에 미치는 향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필녀(2002)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국민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창걸(2003) 교육조직행 론 서울 형설출 사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1호 253~279

박인심(2006) 교원헌신에 한 권한 강화의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1호 25~50

신동한(2008)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교육행정학

연구 제26권 3호 125~149

신재흡(2007)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2호 93~119

신재흡(2002)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학교 조직문화 학교 조직효과성간의

계 교육행정학연구 제20권 제3호 91~115

신 식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4호 199~224

이미라(2007)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 감성과 조직 학습의 계 충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이석열(2006) 교장의 감성리더십 진단척도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3호 51~78

이윤식 이상미(2009)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 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2호 1~24

이화용(2005) 감성트랜드 감성 셀 리더십과 자아실 서울 한솜미디어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9 -

정 (2005) 탁 식업체 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향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채순화(2004) 변 리더십 임 워먼트 신뢰 조직몰입과의 계 다차원 근 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최연인(2005)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과의 계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Adajian L B(1995)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and the Teaching of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Conger J A amp Kanungo R N(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3(3) 471~482

Foy N(1994) Empowering People of Work Gower Publishing Ltd 3~5

Frederick J M(1989) Measuring School Effectiveness Guideline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

Princeton N J ERIC Clearing House on Test Measurement and Evaluation

Goleman D Boyatzis R amp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han R L(1997) The Key to Being a Leader Company Empowerment Journal for Quality and

Participation JanFeb 59~78

Humphrey R H(2002) The Many Faces of Emo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3

493~504

Kouzes J amp Posner B(1999) The Leadership Challenge San Francisco John Wiley amp Sons Inc

Neff T J Citrin J M amp Brown P B(1999) Lessons from the Top The Search for Americas Best

Business Leaders New York Double day

Sergiovanni T J(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Jossey-Bass

Spreitzer G M(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 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1442~1465

Thomas K W amp Tymon W G(1994) Does Empowerment Always Work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Personal Interpretation Journal of Management Systems

6(3) 54~66

Tran Veronique(1998) The Role of the Emotional Climate Impacts Performa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2(4) 240~246

Whetten D A Cameron K amp Woods M(1996) Effective Empowerment and Delation London

Harper Ciollins Publis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70 -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in Jae-Heub (Hansung Univers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perceived by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EL)

Empowermen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the impact of subfactors such

as EL and E on SO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0 teachers working in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Kyonggi Province

Of them 55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existed on EL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chairperson on E for elementary school public

school high-career teachers chairperson holders of the masters degree on SOE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and chairpers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EL had an

impact on E which had an impact on SO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s one of EL factors and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as E factors

had an impact on SOE but E had a greater stepwise impact on SOE than teachers E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use of such EL factors as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nd such E factors as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in order to increase

SOE which could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Key words Emo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Page 17: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dcRxKCBT_003_E… · 성이다. 이에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3 -

졌고 감성 리더십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상 인 비 은 β계수(표 화 회귀계

수)로 보아 계 리(β=21) 사회 인식(β=20) 순으로 나타났으나 감성인식과 감정 리

는 통계 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감성 리더십 하 변인 가운데 계

리 사회 인식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동한(2008) 김 진김상돈(2009) 신 식김 진김상돈(2009)의

유사한 연구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감성리더십이 교사들의 계 리와 사회 인식변인

을 통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데 특히 교육 장의 학교장은 교사들에게 감정

이입 다양성 활용 의사소통 갈등 리 유 형성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배려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단할 수 있다

나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7gt과 같다

lt표 Ⅳ-7gt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변인 독립변인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상수) 0696 5101

123583 0473

의미감 0408 0425 11339

역 량 0194 0188 4372

자율성 0079 0088 2036

향력 0118 0143 3397

plt05 plt001

lt표 Ⅳ-7gt과 같이 임 워먼트 하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 변량의 약 473를 설명하고

있으며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향을 하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의미감(β=43) 역량(β

=19) 향력(β=12) 자율성(β=09) 순으로 비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김필녀(2002) 최연인(2005)의 연구와 일치했다 즉 임 워먼트는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을

주는 것으로 단할 수 있고 특히 학교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해서는 임 워먼트 변인을

극 으로 발휘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4 -

4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8gt과 같다

lt표 Ⅳ-8gt은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감성 리더십 하 변인들 에서 계 리 변인이 학교 조직효

과성 변인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고 임 워먼트 변인 에서는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해 약 513의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 향력을 비교한 결과 의미감

(β=34) 역량(β=18) 향력(β=12) 계 리(β=11) 순으로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lt표 Ⅳ-8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

변인독립변인

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감성

리더십

(상수) 0481 3460

72011 0513

감성인식 0032 0040 0897

감성 리 0044 0053 1063

사회 인식 0048 0065 1234

계 리 0079 0106 1927

임 워먼

의미감 0323 0337 8728

역 량 0189 0183 4408

자율성 0062 0069 1658

향력 0088 0116 2556

plt05 plt001

감성 지도성변인 계 리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은 학

교장은 조직 구성원 상호 간 의사소통과 유 계를 형성하도록 동 인 노력을 기울일

때 조직효과성이 있으며 한편 임 워먼트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

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는 의식을 갖고(의미감)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

달되어야 하며(역량)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5 -

행사할 때( 향력)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단계별 향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정도를 단

계별로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9gt와 같다

lt표Ⅳ- 9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구 분 R2 F R2 F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임 워먼트 변인군

0276

0513

52533

72011 0237 19478

plt001

lt표 Ⅳ-9gt에서 보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하 변인군들을 집단 으로 투입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변인군들의 향력을 분석한 결과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을

투입했을 경우는 276 고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과 임 워먼트 변인군을 함께 투

입했을 경우는 513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다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를 함께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졌다 따라서 교사

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들의 학교 조직

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제언

상기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서 개인

배경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은 등학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6 -

교사가 등학교 교사들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

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에 한 인식은 등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고 학교생활에 하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함과 동

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에서 가

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

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

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 학교 조직효과성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

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에는 유의한 상 계가 있다 학

교 조직에서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식과 계 리와 임 워먼트 임 워먼

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 변인과 직무만족 변인 감성 리더십 하 변인인 사회 인

식 계 리 변인과 조직생산성을 고려할 때 한층 학교 조직효과성이 확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고 있다 이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

는 의식을 갖고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달되어야 하며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행사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학교장은 감성 지도성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

인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염두에 두면서 학교행정을 펼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

성을 확 하는 것이다

넷째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측면에서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

다 감성 리더십과 교사들의 임 워먼트를 동시에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7 -

아졌다 따라서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론을 종합하면 이 연구는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하기 해서는

감성 리더십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인 가운데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조직의 성과와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교사 경력 교사들에게 학교 조직효과성의 실천력을 증 시

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부장교사 고 경력 교사일수록 직무만족 조직 응성 조직

생산성 변인에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 결국 학교 조직효과성을 극 화하기 해서는 향

후 경력 교사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수행하는 자신의 직무에 해서 자부심을 갖고

학교가 의도하는 경 방침을 명확히 이해함과 동시에 학습지도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물을

충분히 활용하는 데 한층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에게 임 워먼트의 발휘를 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고 경력 교사와 부장교사일수록 임 워먼트에 해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 따라

서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업무에 의미성을 부여하며 아무

리 어려운 직무일지라도 반드시 성공 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특히 임 워먼트 변인 에 자율성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다소 낮은 인식

의 반응은 향후 교사들은 학교 조직목표 달성을 하여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상당

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면서 아울러 직무 수행 방법 측면에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학교장들이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시키는 방안이 될 것으로 단

된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기 한 이론 검토를 지속 으로 하는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토 로 학교 조직효과성

확 방안에 해서 실증 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

식 계 리 임 워먼트 변인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더욱 더 확 하기 해서는 련 변인

의 탐색이 지속 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를 들면 학교 조직을 상으로 한 다양한

리더십 변인 즉 셀 문화 가부장 리더십을 주요 변인으로 하여 교사들의 응집성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교직수행과 같은 조직효과성 등과 련된 변인들 간의 상호작

용이나 각 변인들을 매개로 한 직간 인 향 등에 한 지속 인 실증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8 -

참 고 문 헌

강경석 강경수(2006) 학교장의 변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4호 239~262

강경석 김철구(2007)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4호 1~24

김민환(2003)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사 임 워먼트가 교사들의 교직 활동 성향에 미치는

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89~115

김성규(2009) 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향 단

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일형(2009) 학교장의 감성지능 직무역량이 리더-구성원 교환 계(LMX)를 매개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향 홍익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재덕(2006) 학교 상황에 따라 학교장의 도덕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고려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정서(2009)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문화가 학교 조직역량에 미치는 향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필녀(2002)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국민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창걸(2003) 교육조직행 론 서울 형설출 사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1호 253~279

박인심(2006) 교원헌신에 한 권한 강화의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1호 25~50

신동한(2008)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교육행정학

연구 제26권 3호 125~149

신재흡(2007)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2호 93~119

신재흡(2002)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학교 조직문화 학교 조직효과성간의

계 교육행정학연구 제20권 제3호 91~115

신 식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4호 199~224

이미라(2007)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 감성과 조직 학습의 계 충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이석열(2006) 교장의 감성리더십 진단척도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3호 51~78

이윤식 이상미(2009)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 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2호 1~24

이화용(2005) 감성트랜드 감성 셀 리더십과 자아실 서울 한솜미디어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9 -

정 (2005) 탁 식업체 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향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채순화(2004) 변 리더십 임 워먼트 신뢰 조직몰입과의 계 다차원 근 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최연인(2005)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과의 계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Adajian L B(1995)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and the Teaching of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Conger J A amp Kanungo R N(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3(3) 471~482

Foy N(1994) Empowering People of Work Gower Publishing Ltd 3~5

Frederick J M(1989) Measuring School Effectiveness Guideline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

Princeton N J ERIC Clearing House on Test Measurement and Evaluation

Goleman D Boyatzis R amp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han R L(1997) The Key to Being a Leader Company Empowerment Journal for Quality and

Participation JanFeb 59~78

Humphrey R H(2002) The Many Faces of Emo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3

493~504

Kouzes J amp Posner B(1999) The Leadership Challenge San Francisco John Wiley amp Sons Inc

Neff T J Citrin J M amp Brown P B(1999) Lessons from the Top The Search for Americas Best

Business Leaders New York Double day

Sergiovanni T J(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Jossey-Bass

Spreitzer G M(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 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1442~1465

Thomas K W amp Tymon W G(1994) Does Empowerment Always Work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Personal Interpretation Journal of Management Systems

6(3) 54~66

Tran Veronique(1998) The Role of the Emotional Climate Impacts Performa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2(4) 240~246

Whetten D A Cameron K amp Woods M(1996) Effective Empowerment and Delation London

Harper Ciollins Publis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70 -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in Jae-Heub (Hansung Univers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perceived by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EL)

Empowermen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the impact of subfactors such

as EL and E on SO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0 teachers working in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Kyonggi Province

Of them 55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existed on EL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chairperson on E for elementary school public

school high-career teachers chairperson holders of the masters degree on SOE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and chairpers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EL had an

impact on E which had an impact on SO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s one of EL factors and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as E factors

had an impact on SOE but E had a greater stepwise impact on SOE than teachers E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use of such EL factors as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nd such E factors as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in order to increase

SOE which could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Key words Emo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Page 18: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dcRxKCBT_003_E… · 성이다. 이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4 -

4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8gt과 같다

lt표 Ⅳ-8gt은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감성 리더십 하 변인들 에서 계 리 변인이 학교 조직효

과성 변인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고 임 워먼트 변인 에서는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해 약 513의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 향력을 비교한 결과 의미감

(β=34) 역량(β=18) 향력(β=12) 계 리(β=11) 순으로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lt표 Ⅳ-8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종속

변인독립변인

비표

화계수

표 화

계수(β)t F R2

학 교

조 직

효과성

감성

리더십

(상수) 0481 3460

72011 0513

감성인식 0032 0040 0897

감성 리 0044 0053 1063

사회 인식 0048 0065 1234

계 리 0079 0106 1927

임 워먼

의미감 0323 0337 8728

역 량 0189 0183 4408

자율성 0062 0069 1658

향력 0088 0116 2556

plt05 plt001

감성 지도성변인 계 리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은 학

교장은 조직 구성원 상호 간 의사소통과 유 계를 형성하도록 동 인 노력을 기울일

때 조직효과성이 있으며 한편 임 워먼트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

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는 의식을 갖고(의미감)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

달되어야 하며(역량)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5 -

행사할 때( 향력)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단계별 향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정도를 단

계별로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9gt와 같다

lt표Ⅳ- 9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구 분 R2 F R2 F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임 워먼트 변인군

0276

0513

52533

72011 0237 19478

plt001

lt표 Ⅳ-9gt에서 보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하 변인군들을 집단 으로 투입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변인군들의 향력을 분석한 결과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을

투입했을 경우는 276 고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과 임 워먼트 변인군을 함께 투

입했을 경우는 513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다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를 함께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졌다 따라서 교사

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들의 학교 조직

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제언

상기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서 개인

배경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은 등학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6 -

교사가 등학교 교사들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

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에 한 인식은 등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고 학교생활에 하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함과 동

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에서 가

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

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

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 학교 조직효과성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

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에는 유의한 상 계가 있다 학

교 조직에서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식과 계 리와 임 워먼트 임 워먼

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 변인과 직무만족 변인 감성 리더십 하 변인인 사회 인

식 계 리 변인과 조직생산성을 고려할 때 한층 학교 조직효과성이 확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고 있다 이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

는 의식을 갖고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달되어야 하며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행사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학교장은 감성 지도성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

인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염두에 두면서 학교행정을 펼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

성을 확 하는 것이다

넷째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측면에서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

다 감성 리더십과 교사들의 임 워먼트를 동시에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7 -

아졌다 따라서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론을 종합하면 이 연구는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하기 해서는

감성 리더십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인 가운데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조직의 성과와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교사 경력 교사들에게 학교 조직효과성의 실천력을 증 시

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부장교사 고 경력 교사일수록 직무만족 조직 응성 조직

생산성 변인에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 결국 학교 조직효과성을 극 화하기 해서는 향

후 경력 교사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수행하는 자신의 직무에 해서 자부심을 갖고

학교가 의도하는 경 방침을 명확히 이해함과 동시에 학습지도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물을

충분히 활용하는 데 한층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에게 임 워먼트의 발휘를 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고 경력 교사와 부장교사일수록 임 워먼트에 해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 따라

서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업무에 의미성을 부여하며 아무

리 어려운 직무일지라도 반드시 성공 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특히 임 워먼트 변인 에 자율성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다소 낮은 인식

의 반응은 향후 교사들은 학교 조직목표 달성을 하여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상당

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면서 아울러 직무 수행 방법 측면에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학교장들이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시키는 방안이 될 것으로 단

된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기 한 이론 검토를 지속 으로 하는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토 로 학교 조직효과성

확 방안에 해서 실증 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

식 계 리 임 워먼트 변인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더욱 더 확 하기 해서는 련 변인

의 탐색이 지속 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를 들면 학교 조직을 상으로 한 다양한

리더십 변인 즉 셀 문화 가부장 리더십을 주요 변인으로 하여 교사들의 응집성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교직수행과 같은 조직효과성 등과 련된 변인들 간의 상호작

용이나 각 변인들을 매개로 한 직간 인 향 등에 한 지속 인 실증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8 -

참 고 문 헌

강경석 강경수(2006) 학교장의 변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4호 239~262

강경석 김철구(2007)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4호 1~24

김민환(2003)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사 임 워먼트가 교사들의 교직 활동 성향에 미치는

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89~115

김성규(2009) 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향 단

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일형(2009) 학교장의 감성지능 직무역량이 리더-구성원 교환 계(LMX)를 매개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향 홍익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재덕(2006) 학교 상황에 따라 학교장의 도덕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고려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정서(2009)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문화가 학교 조직역량에 미치는 향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필녀(2002)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국민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창걸(2003) 교육조직행 론 서울 형설출 사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1호 253~279

박인심(2006) 교원헌신에 한 권한 강화의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1호 25~50

신동한(2008)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교육행정학

연구 제26권 3호 125~149

신재흡(2007)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2호 93~119

신재흡(2002)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학교 조직문화 학교 조직효과성간의

계 교육행정학연구 제20권 제3호 91~115

신 식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4호 199~224

이미라(2007)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 감성과 조직 학습의 계 충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이석열(2006) 교장의 감성리더십 진단척도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3호 51~78

이윤식 이상미(2009)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 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2호 1~24

이화용(2005) 감성트랜드 감성 셀 리더십과 자아실 서울 한솜미디어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9 -

정 (2005) 탁 식업체 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향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채순화(2004) 변 리더십 임 워먼트 신뢰 조직몰입과의 계 다차원 근 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최연인(2005)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과의 계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Adajian L B(1995)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and the Teaching of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Conger J A amp Kanungo R N(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3(3) 471~482

Foy N(1994) Empowering People of Work Gower Publishing Ltd 3~5

Frederick J M(1989) Measuring School Effectiveness Guideline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

Princeton N J ERIC Clearing House on Test Measurement and Evaluation

Goleman D Boyatzis R amp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han R L(1997) The Key to Being a Leader Company Empowerment Journal for Quality and

Participation JanFeb 59~78

Humphrey R H(2002) The Many Faces of Emo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3

493~504

Kouzes J amp Posner B(1999) The Leadership Challenge San Francisco John Wiley amp Sons Inc

Neff T J Citrin J M amp Brown P B(1999) Lessons from the Top The Search for Americas Best

Business Leaders New York Double day

Sergiovanni T J(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Jossey-Bass

Spreitzer G M(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 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1442~1465

Thomas K W amp Tymon W G(1994) Does Empowerment Always Work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Personal Interpretation Journal of Management Systems

6(3) 54~66

Tran Veronique(1998) The Role of the Emotional Climate Impacts Performa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2(4) 240~246

Whetten D A Cameron K amp Woods M(1996) Effective Empowerment and Delation London

Harper Ciollins Publis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70 -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in Jae-Heub (Hansung Univers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perceived by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EL)

Empowermen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the impact of subfactors such

as EL and E on SO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0 teachers working in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Kyonggi Province

Of them 55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existed on EL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chairperson on E for elementary school public

school high-career teachers chairperson holders of the masters degree on SOE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and chairpers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EL had an

impact on E which had an impact on SO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s one of EL factors and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as E factors

had an impact on SOE but E had a greater stepwise impact on SOE than teachers E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use of such EL factors as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nd such E factors as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in order to increase

SOE which could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Key words Emo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Page 19: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dcRxKCBT_003_E… · 성이다. 이에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5 -

행사할 때( 향력)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단계별 향력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정도를 단

계별로 분석한 결과는 lt표 Ⅳ-9gt와 같다

lt표Ⅳ- 9gt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구 분 R2 F R2 F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

임 워먼트 변인군

0276

0513

52533

72011 0237 19478

plt001

lt표 Ⅳ-9gt에서 보면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하 변인군들을 집단 으로 투입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변인군들의 향력을 분석한 결과 1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을

투입했을 경우는 276 고 2단계 감성 리더십 변인군과 임 워먼트 변인군을 함께 투

입했을 경우는 513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다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를 함께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졌다 따라서 교사

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들의 학교 조직

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제언

상기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 그리고 학교 조직효과성에서 개인

배경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은 등학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6 -

교사가 등학교 교사들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

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에 한 인식은 등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고 학교생활에 하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함과 동

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에서 가

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

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

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 학교 조직효과성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

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에는 유의한 상 계가 있다 학

교 조직에서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식과 계 리와 임 워먼트 임 워먼

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 변인과 직무만족 변인 감성 리더십 하 변인인 사회 인

식 계 리 변인과 조직생산성을 고려할 때 한층 학교 조직효과성이 확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고 있다 이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

는 의식을 갖고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달되어야 하며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행사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학교장은 감성 지도성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

인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염두에 두면서 학교행정을 펼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

성을 확 하는 것이다

넷째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측면에서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

다 감성 리더십과 교사들의 임 워먼트를 동시에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7 -

아졌다 따라서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론을 종합하면 이 연구는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하기 해서는

감성 리더십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인 가운데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조직의 성과와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교사 경력 교사들에게 학교 조직효과성의 실천력을 증 시

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부장교사 고 경력 교사일수록 직무만족 조직 응성 조직

생산성 변인에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 결국 학교 조직효과성을 극 화하기 해서는 향

후 경력 교사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수행하는 자신의 직무에 해서 자부심을 갖고

학교가 의도하는 경 방침을 명확히 이해함과 동시에 학습지도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물을

충분히 활용하는 데 한층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에게 임 워먼트의 발휘를 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고 경력 교사와 부장교사일수록 임 워먼트에 해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 따라

서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업무에 의미성을 부여하며 아무

리 어려운 직무일지라도 반드시 성공 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특히 임 워먼트 변인 에 자율성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다소 낮은 인식

의 반응은 향후 교사들은 학교 조직목표 달성을 하여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상당

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면서 아울러 직무 수행 방법 측면에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학교장들이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시키는 방안이 될 것으로 단

된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기 한 이론 검토를 지속 으로 하는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토 로 학교 조직효과성

확 방안에 해서 실증 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

식 계 리 임 워먼트 변인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더욱 더 확 하기 해서는 련 변인

의 탐색이 지속 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를 들면 학교 조직을 상으로 한 다양한

리더십 변인 즉 셀 문화 가부장 리더십을 주요 변인으로 하여 교사들의 응집성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교직수행과 같은 조직효과성 등과 련된 변인들 간의 상호작

용이나 각 변인들을 매개로 한 직간 인 향 등에 한 지속 인 실증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8 -

참 고 문 헌

강경석 강경수(2006) 학교장의 변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4호 239~262

강경석 김철구(2007)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4호 1~24

김민환(2003)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사 임 워먼트가 교사들의 교직 활동 성향에 미치는

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89~115

김성규(2009) 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향 단

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일형(2009) 학교장의 감성지능 직무역량이 리더-구성원 교환 계(LMX)를 매개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향 홍익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재덕(2006) 학교 상황에 따라 학교장의 도덕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고려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정서(2009)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문화가 학교 조직역량에 미치는 향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필녀(2002)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국민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창걸(2003) 교육조직행 론 서울 형설출 사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1호 253~279

박인심(2006) 교원헌신에 한 권한 강화의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1호 25~50

신동한(2008)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교육행정학

연구 제26권 3호 125~149

신재흡(2007)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2호 93~119

신재흡(2002)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학교 조직문화 학교 조직효과성간의

계 교육행정학연구 제20권 제3호 91~115

신 식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4호 199~224

이미라(2007)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 감성과 조직 학습의 계 충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이석열(2006) 교장의 감성리더십 진단척도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3호 51~78

이윤식 이상미(2009)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 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2호 1~24

이화용(2005) 감성트랜드 감성 셀 리더십과 자아실 서울 한솜미디어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9 -

정 (2005) 탁 식업체 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향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채순화(2004) 변 리더십 임 워먼트 신뢰 조직몰입과의 계 다차원 근 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최연인(2005)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과의 계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Adajian L B(1995)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and the Teaching of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Conger J A amp Kanungo R N(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3(3) 471~482

Foy N(1994) Empowering People of Work Gower Publishing Ltd 3~5

Frederick J M(1989) Measuring School Effectiveness Guideline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

Princeton N J ERIC Clearing House on Test Measurement and Evaluation

Goleman D Boyatzis R amp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han R L(1997) The Key to Being a Leader Company Empowerment Journal for Quality and

Participation JanFeb 59~78

Humphrey R H(2002) The Many Faces of Emo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3

493~504

Kouzes J amp Posner B(1999) The Leadership Challenge San Francisco John Wiley amp Sons Inc

Neff T J Citrin J M amp Brown P B(1999) Lessons from the Top The Search for Americas Best

Business Leaders New York Double day

Sergiovanni T J(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Jossey-Bass

Spreitzer G M(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 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1442~1465

Thomas K W amp Tymon W G(1994) Does Empowerment Always Work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Personal Interpretation Journal of Management Systems

6(3) 54~66

Tran Veronique(1998) The Role of the Emotional Climate Impacts Performa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2(4) 240~246

Whetten D A Cameron K amp Woods M(1996) Effective Empowerment and Delation London

Harper Ciollins Publis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70 -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in Jae-Heub (Hansung Univers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perceived by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EL)

Empowermen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the impact of subfactors such

as EL and E on SO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0 teachers working in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Kyonggi Province

Of them 55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existed on EL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chairperson on E for elementary school public

school high-career teachers chairperson holders of the masters degree on SOE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and chairpers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EL had an

impact on E which had an impact on SO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s one of EL factors and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as E factors

had an impact on SOE but E had a greater stepwise impact on SOE than teachers E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use of such EL factors as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nd such E factors as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in order to increase

SOE which could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Key words Emo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Page 20: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dcRxKCBT_003_E… · 성이다. 이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6 -

교사가 등학교 교사들보다 높게 인식한 것은 등학교 풍토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큰 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국공립 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들보다 교장과 더

가까운 인간 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학교의 주

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교장과 잦은 화로 감성 인 교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에 한 인식은 등학교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면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고 학교생활에 하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강한 의미성을 부여함과 동

시에 직무 수행 측면에 있어서 자신의 역량에 하여 확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경력 교사 부장교사 석사학 이상 소지자가 높은 인식을 나타낸 것은 학교생활에서 가

치 보람을 가지며 스스로를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함과 동시에 학교 업무에 한 의사

결정 과정에 한 참여와 향력 자기 결정력을 증 시키면서 학교 조직 개선에 극 으

로 기여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 학교 조직효과성은 등학교 교사들은 비

교 자신의 업무를 통해서 보람을 느끼며 학교가 의도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 국공립교사는 학교 업무를 통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장교사일수록 조직 구성원들 간에 좋은 인간 계를 맺으면서

생활하고 비교 직무에 만족함과 더불어 학교 교육방침을 명확히 이해하고 외부 환경에

극 으로 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감성 리더십임 워먼트학교 조직효과성 간에는 유의한 상 계가 있다 학

교 조직에서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식과 계 리와 임 워먼트 임 워먼

트 하 요인인 의미감과 역량 변인과 직무만족 변인 감성 리더십 하 변인인 사회 인

식 계 리 변인과 조직생산성을 고려할 때 한층 학교 조직효과성이 확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의 하 변인들이 체 으로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

을 미치고 있다 이는 교사 자신의 직무와 련한 활동들은 교육목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

는 의식을 갖고 교사들이 직무에 필요한 기술 지식에 숙달되어야 하며 교사 자신의

부서 업무에서 발생되는 일에 해서 상당한 향력을 행사할 때 학교 조직효과성을 고양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학교장은 감성 지도성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

인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염두에 두면서 학교행정을 펼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

성을 확 하는 것이다

넷째 학교 조직효과성에 한 단계별 향력 측면에서 감성 리더십을 투입했을 때보

다 감성 리더십과 교사들의 임 워먼트를 동시에 투입했을 때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7 -

아졌다 따라서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론을 종합하면 이 연구는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하기 해서는

감성 리더십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인 가운데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조직의 성과와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교사 경력 교사들에게 학교 조직효과성의 실천력을 증 시

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부장교사 고 경력 교사일수록 직무만족 조직 응성 조직

생산성 변인에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 결국 학교 조직효과성을 극 화하기 해서는 향

후 경력 교사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수행하는 자신의 직무에 해서 자부심을 갖고

학교가 의도하는 경 방침을 명확히 이해함과 동시에 학습지도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물을

충분히 활용하는 데 한층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에게 임 워먼트의 발휘를 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고 경력 교사와 부장교사일수록 임 워먼트에 해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 따라

서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업무에 의미성을 부여하며 아무

리 어려운 직무일지라도 반드시 성공 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특히 임 워먼트 변인 에 자율성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다소 낮은 인식

의 반응은 향후 교사들은 학교 조직목표 달성을 하여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상당

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면서 아울러 직무 수행 방법 측면에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학교장들이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시키는 방안이 될 것으로 단

된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기 한 이론 검토를 지속 으로 하는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토 로 학교 조직효과성

확 방안에 해서 실증 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

식 계 리 임 워먼트 변인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더욱 더 확 하기 해서는 련 변인

의 탐색이 지속 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를 들면 학교 조직을 상으로 한 다양한

리더십 변인 즉 셀 문화 가부장 리더십을 주요 변인으로 하여 교사들의 응집성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교직수행과 같은 조직효과성 등과 련된 변인들 간의 상호작

용이나 각 변인들을 매개로 한 직간 인 향 등에 한 지속 인 실증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8 -

참 고 문 헌

강경석 강경수(2006) 학교장의 변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4호 239~262

강경석 김철구(2007)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4호 1~24

김민환(2003)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사 임 워먼트가 교사들의 교직 활동 성향에 미치는

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89~115

김성규(2009) 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향 단

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일형(2009) 학교장의 감성지능 직무역량이 리더-구성원 교환 계(LMX)를 매개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향 홍익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재덕(2006) 학교 상황에 따라 학교장의 도덕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고려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정서(2009)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문화가 학교 조직역량에 미치는 향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필녀(2002)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국민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창걸(2003) 교육조직행 론 서울 형설출 사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1호 253~279

박인심(2006) 교원헌신에 한 권한 강화의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1호 25~50

신동한(2008)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교육행정학

연구 제26권 3호 125~149

신재흡(2007)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2호 93~119

신재흡(2002)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학교 조직문화 학교 조직효과성간의

계 교육행정학연구 제20권 제3호 91~115

신 식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4호 199~224

이미라(2007)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 감성과 조직 학습의 계 충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이석열(2006) 교장의 감성리더십 진단척도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3호 51~78

이윤식 이상미(2009)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 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2호 1~24

이화용(2005) 감성트랜드 감성 셀 리더십과 자아실 서울 한솜미디어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9 -

정 (2005) 탁 식업체 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향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채순화(2004) 변 리더십 임 워먼트 신뢰 조직몰입과의 계 다차원 근 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최연인(2005)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과의 계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Adajian L B(1995)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and the Teaching of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Conger J A amp Kanungo R N(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3(3) 471~482

Foy N(1994) Empowering People of Work Gower Publishing Ltd 3~5

Frederick J M(1989) Measuring School Effectiveness Guideline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

Princeton N J ERIC Clearing House on Test Measurement and Evaluation

Goleman D Boyatzis R amp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han R L(1997) The Key to Being a Leader Company Empowerment Journal for Quality and

Participation JanFeb 59~78

Humphrey R H(2002) The Many Faces of Emo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3

493~504

Kouzes J amp Posner B(1999) The Leadership Challenge San Francisco John Wiley amp Sons Inc

Neff T J Citrin J M amp Brown P B(1999) Lessons from the Top The Search for Americas Best

Business Leaders New York Double day

Sergiovanni T J(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Jossey-Bass

Spreitzer G M(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 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1442~1465

Thomas K W amp Tymon W G(1994) Does Empowerment Always Work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Personal Interpretation Journal of Management Systems

6(3) 54~66

Tran Veronique(1998) The Role of the Emotional Climate Impacts Performa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2(4) 240~246

Whetten D A Cameron K amp Woods M(1996) Effective Empowerment and Delation London

Harper Ciollins Publis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70 -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in Jae-Heub (Hansung Univers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perceived by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EL)

Empowermen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the impact of subfactors such

as EL and E on SO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0 teachers working in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Kyonggi Province

Of them 55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existed on EL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chairperson on E for elementary school public

school high-career teachers chairperson holders of the masters degree on SOE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and chairpers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EL had an

impact on E which had an impact on SO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s one of EL factors and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as E factors

had an impact on SOE but E had a greater stepwise impact on SOE than teachers E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use of such EL factors as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nd such E factors as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in order to increase

SOE which could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Key words Emo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Page 21: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dcRxKCBT_003_E… · 성이다. 이에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7 -

아졌다 따라서 교사들은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뿐만 아니라 임 워먼트까지 인식할 때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론을 종합하면 이 연구는 교사집단의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하기 해서는

감성 리더십 변인 계 리와 임 워먼트 변인 가운데 의미감 역량 향력 변인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조직의 성과와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서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교사 경력 교사들에게 학교 조직효과성의 실천력을 증 시

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부장교사 고 경력 교사일수록 직무만족 조직 응성 조직

생산성 변인에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 결국 학교 조직효과성을 극 화하기 해서는 향

후 경력 교사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수행하는 자신의 직무에 해서 자부심을 갖고

학교가 의도하는 경 방침을 명확히 이해함과 동시에 학습지도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물을

충분히 활용하는 데 한층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에게 임 워먼트의 발휘를 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고 경력 교사와 부장교사일수록 임 워먼트에 해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 따라

서 경력 교사와 평교사들은 학교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업무에 의미성을 부여하며 아무

리 어려운 직무일지라도 반드시 성공 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특히 임 워먼트 변인 에 자율성 변인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다소 낮은 인식

의 반응은 향후 교사들은 학교 조직목표 달성을 하여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상당

한 독립성과 재량을 가지면서 아울러 직무 수행 방법 측면에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학교장들이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증 시키는 방안이 될 것으로 단

된다

셋째 학교 조직효과성을 확 하기 한 이론 검토를 지속 으로 하는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감성 리더십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를 토 로 학교 조직효과성

확 방안에 해서 실증 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감성 리더십 변인 가운데 사회 인

식 계 리 임 워먼트 변인 의미감 역량 향력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향력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교 조직효과성을 더욱 더 확 하기 해서는 련 변인

의 탐색이 지속 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를 들면 학교 조직을 상으로 한 다양한

리더십 변인 즉 셀 문화 가부장 리더십을 주요 변인으로 하여 교사들의 응집성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교직수행과 같은 조직효과성 등과 련된 변인들 간의 상호작

용이나 각 변인들을 매개로 한 직간 인 향 등에 한 지속 인 실증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8 -

참 고 문 헌

강경석 강경수(2006) 학교장의 변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4호 239~262

강경석 김철구(2007)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4호 1~24

김민환(2003)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사 임 워먼트가 교사들의 교직 활동 성향에 미치는

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89~115

김성규(2009) 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향 단

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일형(2009) 학교장의 감성지능 직무역량이 리더-구성원 교환 계(LMX)를 매개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향 홍익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재덕(2006) 학교 상황에 따라 학교장의 도덕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고려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정서(2009)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문화가 학교 조직역량에 미치는 향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필녀(2002)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국민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창걸(2003) 교육조직행 론 서울 형설출 사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1호 253~279

박인심(2006) 교원헌신에 한 권한 강화의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1호 25~50

신동한(2008)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교육행정학

연구 제26권 3호 125~149

신재흡(2007)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2호 93~119

신재흡(2002)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학교 조직문화 학교 조직효과성간의

계 교육행정학연구 제20권 제3호 91~115

신 식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4호 199~224

이미라(2007)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 감성과 조직 학습의 계 충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이석열(2006) 교장의 감성리더십 진단척도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3호 51~78

이윤식 이상미(2009)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 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2호 1~24

이화용(2005) 감성트랜드 감성 셀 리더십과 자아실 서울 한솜미디어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9 -

정 (2005) 탁 식업체 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향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채순화(2004) 변 리더십 임 워먼트 신뢰 조직몰입과의 계 다차원 근 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최연인(2005)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과의 계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Adajian L B(1995)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and the Teaching of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Conger J A amp Kanungo R N(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3(3) 471~482

Foy N(1994) Empowering People of Work Gower Publishing Ltd 3~5

Frederick J M(1989) Measuring School Effectiveness Guideline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

Princeton N J ERIC Clearing House on Test Measurement and Evaluation

Goleman D Boyatzis R amp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han R L(1997) The Key to Being a Leader Company Empowerment Journal for Quality and

Participation JanFeb 59~78

Humphrey R H(2002) The Many Faces of Emo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3

493~504

Kouzes J amp Posner B(1999) The Leadership Challenge San Francisco John Wiley amp Sons Inc

Neff T J Citrin J M amp Brown P B(1999) Lessons from the Top The Search for Americas Best

Business Leaders New York Double day

Sergiovanni T J(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Jossey-Bass

Spreitzer G M(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 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1442~1465

Thomas K W amp Tymon W G(1994) Does Empowerment Always Work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Personal Interpretation Journal of Management Systems

6(3) 54~66

Tran Veronique(1998) The Role of the Emotional Climate Impacts Performa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2(4) 240~246

Whetten D A Cameron K amp Woods M(1996) Effective Empowerment and Delation London

Harper Ciollins Publis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70 -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in Jae-Heub (Hansung Univers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perceived by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EL)

Empowermen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the impact of subfactors such

as EL and E on SO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0 teachers working in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Kyonggi Province

Of them 55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existed on EL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chairperson on E for elementary school public

school high-career teachers chairperson holders of the masters degree on SOE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and chairpers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EL had an

impact on E which had an impact on SO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s one of EL factors and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as E factors

had an impact on SOE but E had a greater stepwise impact on SOE than teachers E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use of such EL factors as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nd such E factors as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in order to increase

SOE which could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Key words Emo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Page 22: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dcRxKCBT_003_E… · 성이다. 이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68 -

참 고 문 헌

강경석 강경수(2006) 학교장의 변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4호 239~262

강경석 김철구(2007)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 조직몰입과의 계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4호 1~24

김민환(2003)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사 임 워먼트가 교사들의 교직 활동 성향에 미치는

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89~115

김성규(2009) 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향 단

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일형(2009) 학교장의 감성지능 직무역량이 리더-구성원 교환 계(LMX)를 매개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향 홍익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재덕(2006) 학교 상황에 따라 학교장의 도덕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고려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정서(2009)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문화가 학교 조직역량에 미치는 향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필녀(2002) 등교장의 도덕 지도성과 교사의 활력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국민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창걸(2003) 교육조직행 론 서울 형설출 사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거래 변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계 구조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1호 253~279

박인심(2006) 교원헌신에 한 권한 강화의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1호 25~50

신동한(2008)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계 교육행정학

연구 제26권 3호 125~149

신재흡(2007) 도덕 지도성과 임 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2호 93~119

신재흡(2002)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학교 조직문화 학교 조직효과성간의

계 교육행정학연구 제20권 제3호 91~115

신 식 김 진 김상돈(2009) 학교장의 감성 지도성과 학교 조직개방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4호 199~224

이미라(2007)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 감성과 조직 학습의 계 충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이석열(2006) 교장의 감성리더십 진단척도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3호 51~78

이윤식 이상미(2009)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감성 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교사헌신에 미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2호 1~24

이화용(2005) 감성트랜드 감성 셀 리더십과 자아실 서울 한솜미디어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9 -

정 (2005) 탁 식업체 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향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채순화(2004) 변 리더십 임 워먼트 신뢰 조직몰입과의 계 다차원 근 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최연인(2005)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과의 계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Adajian L B(1995)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and the Teaching of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Conger J A amp Kanungo R N(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3(3) 471~482

Foy N(1994) Empowering People of Work Gower Publishing Ltd 3~5

Frederick J M(1989) Measuring School Effectiveness Guideline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

Princeton N J ERIC Clearing House on Test Measurement and Evaluation

Goleman D Boyatzis R amp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han R L(1997) The Key to Being a Leader Company Empowerment Journal for Quality and

Participation JanFeb 59~78

Humphrey R H(2002) The Many Faces of Emo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3

493~504

Kouzes J amp Posner B(1999) The Leadership Challenge San Francisco John Wiley amp Sons Inc

Neff T J Citrin J M amp Brown P B(1999) Lessons from the Top The Search for Americas Best

Business Leaders New York Double day

Sergiovanni T J(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Jossey-Bass

Spreitzer G M(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 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1442~1465

Thomas K W amp Tymon W G(1994) Does Empowerment Always Work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Personal Interpretation Journal of Management Systems

6(3) 54~66

Tran Veronique(1998) The Role of the Emotional Climate Impacts Performa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2(4) 240~246

Whetten D A Cameron K amp Woods M(1996) Effective Empowerment and Delation London

Harper Ciollins Publis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70 -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in Jae-Heub (Hansung Univers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perceived by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EL)

Empowermen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the impact of subfactors such

as EL and E on SO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0 teachers working in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Kyonggi Province

Of them 55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existed on EL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chairperson on E for elementary school public

school high-career teachers chairperson holders of the masters degree on SOE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and chairpers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EL had an

impact on E which had an impact on SO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s one of EL factors and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as E factors

had an impact on SOE but E had a greater stepwise impact on SOE than teachers E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use of such EL factors as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nd such E factors as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in order to increase

SOE which could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Key words Emo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Page 23: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dcRxKCBT_003_E… · 성이다. 이에

학교장의 감성 리더십과 임 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 분석

- 69 -

정 (2005) 탁 식업체 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향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채순화(2004) 변 리더십 임 워먼트 신뢰 조직몰입과의 계 다차원 근 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최연인(2005)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 지도성과 교사집단의 임 워먼트 학교 조직효과성

과의 계 건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Adajian L B(1995)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and the Teaching of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Conger J A amp Kanungo R N(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3(3) 471~482

Foy N(1994) Empowering People of Work Gower Publishing Ltd 3~5

Frederick J M(1989) Measuring School Effectiveness Guideline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

Princeton N J ERIC Clearing House on Test Measurement and Evaluation

Goleman D Boyatzis R amp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han R L(1997) The Key to Being a Leader Company Empowerment Journal for Quality and

Participation JanFeb 59~78

Humphrey R H(2002) The Many Faces of Emo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3

493~504

Kouzes J amp Posner B(1999) The Leadership Challenge San Francisco John Wiley amp Sons Inc

Neff T J Citrin J M amp Brown P B(1999) Lessons from the Top The Search for Americas Best

Business Leaders New York Double day

Sergiovanni T J(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Jossey-Bass

Spreitzer G M(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 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1442~1465

Thomas K W amp Tymon W G(1994) Does Empowerment Always Work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Personal Interpretation Journal of Management Systems

6(3) 54~66

Tran Veronique(1998) The Role of the Emotional Climate Impacts Performa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2(4) 240~246

Whetten D A Cameron K amp Woods M(1996) Effective Empowerment and Delation London

Harper Ciollins Publis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70 -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in Jae-Heub (Hansung Univers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perceived by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EL)

Empowermen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the impact of subfactors such

as EL and E on SO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0 teachers working in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Kyonggi Province

Of them 55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existed on EL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chairperson on E for elementary school public

school high-career teachers chairperson holders of the masters degree on SOE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and chairpers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EL had an

impact on E which had an impact on SO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s one of EL factors and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as E factors

had an impact on SOE but E had a greater stepwise impact on SOE than teachers E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use of such EL factors as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nd such E factors as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in order to increase

SOE which could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Key words Emo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Page 24: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dcRxKCBT_003_E… · 성이다. 이에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 70 -

ABSTRACT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in Jae-Heub (Hansung Univers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perceived by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EL)

Empowermen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the impact of subfactors such

as EL and E on SO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0 teachers working in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Kyonggi Province

Of them 55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existed on EL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chairperson on E for elementary school public

school high-career teachers chairperson holders of the masters degree on SOE for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public school less than 30 classes and chairpers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and EL had an

impact on E which had an impact on SO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s one of EL factors and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as E factors

had an impact on SOE but E had a greater stepwise impact on SOE than teachers E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use of such EL factors as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and such E factors as meaningfulness competence influence in order to increase

SOE which could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Key words Emo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