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학습 ․ 수기 목표 2016년 개정판 대한소아과학회
123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Sep 12, 2019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소아청소년과전공의 학습 ․ 수기 목표

2016년 개정판

대 한 소 아 과 학 회

Page 2: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학습 ․ 수기 목표

1989. 4 제정

1999. 3 1차 개정

2007. 3 2차 개정

2009. 3 2차 개정 부분수정

2016. 3 3차 개정

Page 3: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Page 4: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소아과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를 제정하

여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수련 교육과정의 표준화된 지표를 설정함과 동시에 전공의 평가영

역도 표준화하여 일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로서의 임상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양질의 수련

교육을 실시해 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알아야 할 의학정보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더욱이 소아청

소년과 분과전문의 제도가 도입된 시점에서 많은 양의 의학정보를 좀 더 자세히 분류하고,

일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로서 갖추어야 될 지식과 술기를 다시 정리하여야 할 필요가 있

어 1999년과 2009년에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를 개정하게 되었습니다. 이

번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를 개정하게 된 이유는 요근래 몇 년 동안 소아청

소년과 관련 교과서의 양적 팽창이 발생하였으며 이렇게 증가된 지식 중 과연 어느 정도의

지식과 술기가 소아청소년과 일반 전문의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지를 다시 한 번 점검하는

목적에서입니다.

이번 개정을 통하여 과거의 학습․수기목표가 삭제된 것들도 있고 새로 추가된 것들도

있습니다. 학습목표 A는 전번 개정판보다 총 77 문항이 추가되었습니다. 학습목표 A에 해

당되는 문항을 가능하면 줄이려고 하였으나 오히려 늘어났습니다. 그러나 증가된 교과서의

내용에 비하여 증가된 A 문항 수는 그렇게 많지는 않다고 생각됩니다. 이러한 과정은 대한

소아과학회 고시위원들이 시험문항을 개발하면서 얻은 경험과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일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되려면 어떠한 지식과 임상술기가 필요할 것인지에 대하여 진지한

토의를 거친 후 각 세부전문 분과 별로 분류한 것입니다. 그리고 여러 자문위원과 교육위원

들의 참여로 이루어졌습니다. 이번 개정판이 완전한 학습․수기 목표라고는 볼 수 없겠으나

앞으로도 계속적으로 시대에 맞게 이러한 학습․수기 목표가 개정이 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합

니다. 각 분과를 전공하시는 지도전문의 선생님들께서 보시고 좋은 의견을 주시면 다음 개

정에서는 좀 더 나은 학습목표가 나오리라 생각합니다.

소아청소년과 전공의로서 지식을 습득하고 임상경험을 쌓아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로서

훌륭하게 임상활동을 할 수 있도록 이 개정판이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2016년 5월

대한소아과학회 고시이사 구 자 욱

대한소아과학회 교육이사 김 원 섭

대한소아과학회 이 사 장 양 세 원

대한소아과학회 회 장 강 진 한

Page 5: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Page 6: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v

목 차

1. 총론 ···························································································· 11

2. 성장과 발달 ················································································ 16

3. 심리적 문제 ················································································19

4. 영양 ····························································································21

5. 예방 소아과학 ············································································ 23

6. 치료원칙 ····················································································· 24

7. 수분 및 전해질 평형 ·································································25

8. 유전 ····························································································27

9. 유전성 대사 질환 ·······································································29

10. 면역학 ·························································································32

11. 출생 전 관리 ··············································································34

12. 정상 신생아 ················································································35

13. 신생아 질환 ················································································37

14. 감염병 ·························································································42

15. 소화기 질환 ················································································60

16. 호흡기 질환 ················································································67

17. 심혈관 질환 ················································································72

18. 혈액 질환 ···················································································81

19. 종양성 질환 ················································································86

20. 신 ․ 요로 질환 ·············································································90

21. 내분비 질환 ················································································94

22. 신경계 질환 ··············································································101

23. 골격계 질환 ··············································································106

24. 알레르기 질환 ···········································································107

25. 결체조직 질환 ··········································································· 111

26. 사고와 중독 ·············································································· 114

27. 소아중환자 관리 ······································································· 115

Page 7: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Page 8: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vii

1999년 학습⋅수기목표 개정, 보완 관여 교수

1. 총론 이기영⋅홍창의

2. 성장과 발달 이 근

3. 심리적 문제 이 근⋅조수철(서울의대 소아정신과)

4. 소아의 영양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5. 예방 소아과학 강진한⋅김창휘

6. 치료원칙 최용묵⋅홍창의

7. 수분 및 전해질 평형 이종국⋅최 용

8. 유전 김기복⋅유한욱

9. 유전성 대사 질환 유한욱⋅이동환⋅이홍진

10. 면역학 김정수⋅김중곤

11. 출생 전 관리 대한신생아학회

12. 정상 신생아 대한신생아학회

13. 신생아 질환 대한신생아학회

14. 감염병 한국소아감염병학회

기생충 감염 채종일(서울의대 기생충학교실)

15. 소화기 질환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소아 외과 박귀원(서울의대 소아외과)

16. 호흡기 질환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17. 심혈관 질환 대한소아심장학회

18. 혈액 질환 대한소아혈액종양학회

19. 종양성 질환 대한신생아학회

20. 신⋅요로질환 대한소아신장학회

21. 내분비 질환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2. 신경계 질환 대한소아신경학회

23. 골격계 질환 정진엽(서울의대 소아정형외과)

24. 알레르기 질환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25. 결체조직 질환 김동수⋅김중곤

26. 사고와 중독 신상만⋅홍창의

27. 총괄 정리 김규언⋅김창휘⋅문형남⋅배종우

워크숍 참가자 안효섭⋅유기양⋅이경수⋅이동환

이종국⋅이 항⋅정사준

Page 9: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viii

2009년 학습⋅수기목표 개정, 보완 관여 교수

1. 총론 김창휘⋅양세원

2. 성장과 발달 박상희

3. 심리적 문제 박상희⋅조수철(서울의대 소아정신과)

4. 영양 문경래⋅박재홍

5. 예방 소아과학 김경효⋅김종현

6. 치료원칙 최용묵⋅홍창의

7. 수분 및 전해질 평형 박영서⋅구자욱

8. 유전 서병규⋅김호성

9. 유전성 대사 질환 서병규⋅김호성

10. 면역학 김경효

11. 출생 전 관리 신손문⋅전용훈

12. 정상 신생아 신손문⋅전용훈

13. 신생아 질환 신손문⋅전용훈

14. 감염병 김경효⋅김종현

15. 소화기 질환 문경래⋅박재홍

16. 호흡기 질환 정지태⋅나영호

17. 심혈관 질환 김남수⋅길홍량

18. 혈액 질환 최두영⋅성기웅

19. 종양성 질환 최두영⋅성기웅

20. 신⋅요로 질환 박영서⋅구자욱

21. 내분비 질환 서병규⋅김호성

22. 신경계 질환 김준식⋅권순학

23. 골격계 질환 김준식⋅권순학

24. 알레르기 질환 정지태⋅나영호

25. 결체조직 질환 정지태⋅나영호

26. 사고와 중독 김창휘⋅홍창의

27. 소아중환자 관리

Page 10: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ix

2016년 학습⋅수기목표 개정, 보완 관여 교수

1. 총론 양세원, 김원섭, 구자욱

2. 성장과발달 정소정, 김은영, 이혜경

3. 심리적문제 정소정, 김은영, 이혜경

4. 영양 김재영, 류일

5. 예방소아과학 김종현, 조대선

6. 치료원칙 강진한, 구자욱

7. 수분및전해질평형 김지홍, 이주훈

8. 유전 유한욱, 최진호

9. 유전성대사질환 유한욱, 최진호

10. 면역학 김종현, 조대선

11. 출생전관리 전용훈, 최창원

12. 정상신생아 전용훈, 최창원

13. 신생아질환 전용훈, 최창원

14. 감염병 김종현, 조대선

15. 소화기질환 김재영, 류일

16. 호흡기질환 나영호, 한만용

17. 심혈관질환 우향옥, 이영환

18. 혈액질환 박경배, 이미정

19. 종양성질환 박경배, 이미정

20. 신⋅요로질환 김지홍, 이주훈

21. 내분비질환 이기형, 황진순

22. 신경계질환 권순학, 최지은

23. 골격계질환 권순학, 최지은

24. 알레르기질환 나영호, 한만용

25. 결체조직질환 나영호, 한만용

26. 사고와중독 박준동

27. 소아중환자관리 박준동

28. 총괄 정리 강진한, 양세원, 김원섭, 구자욱, 윤신원

Page 11: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Page 12: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1

1.� 총� � � � � 론

1. 소아청소년과 의사의 역할

소아청소년과 의사는 성장기에 있는 소아와 청소년의 건강과 관련된 문제를 가족, 지역

사회의 일원으로서 파악하고 해결한다.

소아청소년과 의사는 급 ․ 만성 질환, 신생아 질환, 선천성 혹은 유전성 질환, 심인성 질

환, 행동발달 장애 등을 취급하고 소아와 청소년의 건강유지와 증진에 기여하며 질병과 장

애의 조기 발견, 예방과 치료를 담당한다.

2. 소아청소년과 의사의 자세

1) 의사 윤리

의사로서 사회적, 직업적 책임과 의사 윤리에 입각하여 그 직무를 수행한다. 소아와 청소

년의 인격과 인권을 존중하고 개인적 비밀을 지켜주며 의료법을 준수한다.

2) 환자와 가족에 대한 자세

환자와 가족에 대하여 원만한 신뢰관계를 유지하려는 기본적 자세를 갖는다. 특히 치명

적 혹은 심한 장애나 만성 질환을 가진 환자와 가족에 대하여는 의사로서의 심리적, 정신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진지한 자세가 필요하다.

3) 환자 교육

환자와 가족에게 질병이나 장애의 심한 정도, 치료 계획과 예후 등에 관한 설명과 교육을

한다.

4) 다른 의료인과의 협력

다른 의료인과 협력적 관계를 유지하고 자기의 의료지식을 적절히 발표하고 특히 후배

의사를 지도하며 의료제도에 대해 이해한다.

5) 지역 의료

소아와 청소년 보건의료에 대한 지역 계획에 참여하며 지역 내 다른 의료인의 교육을 담

당한다. 나아가 국제적 시야로 소아의 건강을 이해하고 세계보건기구(WHO)의 활동을 이해

한다.

6) 의료 또는 복지관계에 대한 태도

의료법, 모자보건법, 의료보험법, 전염병 예방법 등 의료 관계법을 이해하고 이것을 활용

하는 태도를 갖는다. 소아청소년과 의사는 지역 의료기관, 교육기관과 재활 치료기관 등과

Page 13: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2

협력하여 특히 장애나 만성 질환을 가지고 있는 소아와 청소년이 가능한 최상의 일상생활을

영위하도록 관리 지도한다.

7) 자기 연수

적극적인 노력으로 항상 여러 의학 정보를 취하여 새로운 지식을 학습하며 지역과 사회

연수에 적극 참여한다. 또 의학 진보에 공헌하도록 스스로 연구를 계속하거나 다른 연구에

협력한다.

8) 협진 참여

진료하고 있는 환자의 상태가 전문지식을 갖춘 소아청소년과 또는 타과의 전문의사의 진

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즉시 협진을 의뢰한다.

3. 일반적 진료능력

1) 병력 청취

환자 또는 보호자와의 사이에 원만한 인간관계를 조성하여 유용한 병력을 청취한다.

2) 진 찰

소아와 청소년의 각 연령적 특성을 이해하고 적당한 진찰방법을 통하여 진찰한다. 진찰

결과를 적절하게 정리 기재하고 항상 전인적으로 진찰한다.

3) 진 단

환자의 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병력, 진찰 결과로 부터 필요한 검사를 선택하여 실시

함으로써 얻어진 정보를 종합하여 정확한 진단을 내린다.

4) 치 료

정확한 진단 아래 환자의 성별, 연령, 장애, 질병의 중증도와 가족상황과 경제적 상태 등

에 맞는 적절한 치료 계획을 신속히 수립하고 이것을 시행한다. 약물요법은 발달 약리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약제의 형태, 투여 경로, 용법, 용량을 결정하고 약제 사용법에 대해서도

적절히 지도한다. 또한, 식사요법에 관해서도 지도한다.

5) 예방과 건강관리

소아청소년과 의사는 질환의 발병 후 치료에만 그치지 않고 그 예방과 건강 증진에 관심

을 갖는다. 따라서 소아와 청소년의 적극적 건강관리는 물론 사회적 주위 환경여건을 개선

하여 병인을 제거 또는 예방하거나, 교육을 통하여 질환과 사고 예방에 노력하고, 소아와

청소년의 기본적 권익을 도모하여 건강 증진에 노력한다.

6) 재활

질환의 치료 후에 따르는 부작용, 후유증의 발생을 주시하고 이에 따른 장기적 재활 대책을

세우고 선천성 혹은 유전적 질환에 기인한 장애아에 대해서는 조기 발견과 치료를 함과 동

Page 14: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3

시에 가족에게 간호에 대한 교육지도와 정신적 지원을 한다.

7) 병력 기재

병력의 기재는 문제 해결 지향적 병력 기재(Problem Oriented Medical Record System,

POMR) 형식으로 기재하는 것을 권장한다. 입원환자에 대해서는 퇴원 요약을 적절하게 작성

한다.

8) 진료 수기

(1) 아래와 같은 진료 수기를 실시한다.

1. 신체계측

2. 체온

3. 기형, 징후 발견

4. 혈압측정

5. 투광시험(음낭, 뇌실)

6. 안저검사

7. 고막검사

8. 비강검사, 비출혈의 지혈

9. 주사(정맥, 근육, 피하, 피내)

10. 채혈(모세혈관, 정맥혈, 동맥혈)

11. 도뇨

12. 요추천자

13. 골수천자

14. 흉강천자

15. 관장과 고압관장

16. 흡입요법

17. 인공 환기요법

18. 호흡 물리요법

19. 제대육아종 처치

20. 간단한 외상, 농양 등의 외과적 처치

21. 정맥 점적 주사

22. 수혈

23. 위세척

24. 경구영양법

25. 정맥압 측정

Page 15: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4

26. 광선 요법

27. 심폐 소생술

28. 소독, 멸균법

(2) 임상 검사법

A) 아래와 같은 임상검사를 자신이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

1. 소변검사

2. 대변검사

3. 말초혈액검사

4. 뇌척수액검사

5. 투베르쿨린검사

6. 세균배양과 도말염색

7. 심전도

8. 혈액 가스 분석

9. 혈당 간이검사

10. 혈청 빌리루빈 간이검사

B) 다음 검사의 적절한 적응증을 알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

1. 혈액 생화학적 검사

2. 요 생화학적 검사

3. 일반 미생물학검사

4. 일반 면역학적 검사

5. 내분비검사(각종 부하시험 등)

6. 신기능검사

7. 골수검사

8. 알레르기검사

9. 혈액응고검사

10. 종양 표지자

11. 지능검사

12. 뇌파

13. 선천성 대사이상 질환 선별검사

14. 약물 혈중 농도

15. 염색체검사

C) 다음 검사의 개념을 설명한다.

1. 폐기능검사

2. 신생검

Page 16: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5

3. 간생검

4. 심도자법에 의한 가스 검사

5. 근전도

6. 답차(Treadmill)와 홀터검사

7. 유전자검사

D) 다음 영상 진단에 사용하는 검사의 적응과 결과를 분석한다.

1. 흉부, 복부, 두부, 사지의 단순 X선 검사

2. 소화기 X선 조영 검사

3. 정맥 신우 촬영

4. 전산화 단층촬영검사

5. 초음파 검사

6. 심도자술에 의한 심조영과 관상동맥 조영

7. 역행성 신우조영과 방광요관역류검사

8. 기관지 조영 검사

9. 자기공명검사

10. 폐, 간, 골, 신장, 갑상선 스캔

4.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의 분류

이 학습-수기목표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되기 위한 전공의 과정 중 수련교육을 받아야

할 지식과 수기에 관한 항목으로 만들어졌으며, 항목의 객관적 평가를 위하여 다음의 3가지

로 분류하였다.

A : 전공의로서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지식과 수기

B : 전공의로서 되도록 알아두어야 할 지식과 수기

C : 전공의로서 개념적으로만 알고 있어도 될 지식과 수기

Page 17: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6

2.� 성장과�발달

학습 목적

소아청소년의 특징인 신체 및 장기의 성장, 생리적 및 정신운동 발달과 정서 및 사회성의

발달을 이해하여 소아의 성장과 발달을 올바르게 평가할 수 있게 한다.

학습 목표

A 1. 소아과학의 목적과 특징을 설명한다.

A 2. 소아청소년기를 구분한다.

A 3. 전체 인구 대비 소아 인구의 동태를 설명한다.

A 4. 우리나라의 영아 사망률을 인지하고, 선진 외국과 비교한다.

A 5. 연령별 사망 원인을 빈도순으로 각각 3가지 열거하고 사망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서 취해야 할 사항을 열거한다.

A 6. 우리나라 소아 질병의 시대적 변천을 설명한다.

A 7. 성장과 발달을 정의하고,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주는 유전 및 환경적 요인을 열거한

다.

A 8. 성장 평가에 있어 백분위수(percentile), 표준편차수치(일명 z score)를 정의하고, 그 임

상적 의의를 설명한다.

A 9. 각 장기별(생식기, 신경계, 림프조직) 성장 양식을 전신적 성장양식과 비교하여 도해

한다(Scammon의 발육형).

A 10. 성장 시기를 이해하고, 성장 급진(growth spurt)시기를 열거한다.

A 11. 개인 성장 곡선의 유형에 따른 원인을 열거한다.

A 12. 신체 계측방법을 설명하고 성장 측정치(체중, 신장, 두위)의 특정적 유형에 따라

의심되는 질환들을 열거한다.

A 13. 체중 증가 배수가 2배, 3배, 5배, 10배가 되는 연령을 기술한다.

A 14. 신체의 중앙점이 배꼽 및 치골 경합부에 이르는 연령을 각각 기술한다.

A 15. 성장에 따른 연령별 신체 비례의 변화를 기술하고 상절/하절의 비가 큰 경우 의

심되는 질환들을 열거한다.

A 16. 두위 측정방법을 이해하고 임상적 의의를 기술한다.

A 17. 출생 시 및 만 1세 때 평균 체중, 신장 및 두위를 기술한다.

A 18. 숫구멍 출생 시 크기와 폐쇄시기를 숙지하고 그 의의를 기술한다.

Page 18: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7

A 19. 체표면적의 연령에 따른 증가를 기술하고 임상적 의의를 설명한다.

A 20. 체질량지수를 기술하고 임상적 의의를 설명한다.

A 21. 정상 소아의 심박수와 호흡수를 기술한다.

A 22. 유치 및 영구치가 나오는 순서와 시기를 기술한다.

A 23. 생치 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을 기술한다.

A 24. 유타증(drooling)의 원인을 4가지 열거한다.

A 25. 소아 유스타키관의 특징과 임상적 의의를 설명한다.

A 26. 소아성 호흡음의 특징을 설명한다.

B 27. 흉선의 상대적과 절대적으로 가장 큰 시기를 기술한다.

B 28. 흉부 X선 사진에서 흉선의 크기를 판독 시 고려해야 할 인자를 숙지한다.

A 29. 골 연령 판정을 위한 X-선 촬영부위를 기술한다.

B 30. 골 발육을 지연 또는 촉진시키는 요인을 열거한다.

B 31. 수근골의 화골핵 출현 시기를 설명한다.

A 32. 성장도표를 이용하여 급성영양결핍과 비만의 정의를 기술한다.

B 33. 신생아의 출생 시 5가지의 감각 기능의 존재 여부를 판정한다.

A 34. 영아의 목 가누기, 엎치기, 혼자서 앉기, 혼자서 서기, 혼자서 걷기 등의 발달 시

기(월령)를 기술한다.

B 35. 언어발달 지연의 원인을 열거한다.

A 36. 연령별 수면시간을 기술한다.

A 37. 수면의 2가지 형태인 REM 및 NREM 수면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때 동반될 수 있

는 수면 장애를 기술한다(심리적 문제 참고).

A 38. 악몽(night mare), 야경증(night terror), 몽유병의 특징을 설명한다(심리적 문제 참

고).

A 39. 대변 및 소변을 가릴 수 있는 시기와 훈련 방법을 설명한다.

A 40. 성심리의 발달을 다섯 기간으로 나누고, 각각을 설명한다.

B 41. Freud의 성심리 발달과 Erikson의 사회 심리학적 발달을 비교 설명한다.

B 42. 사춘기에서 Piaget설에 의한 인식(cognition) 발달경향(developmental trend)을 열거

한다.

A 43. 생후 3년, 학령전기, 학령기와 청소년기에 따른 신경발달과 정신 사회적 발달을 설

명한다.

A 44. 지능 및 정신발달을 평가하는 방법을 열거한다.

A 45. 소아에서 흔히 보는 발달장애를 열거한다.

A 46. 청소년기와 사춘기를 정의한다.

A 47. 사춘기 남녀에서 성징(sexual characteristics)의 출현시기와 순서를 각각 기술한다.

Page 19: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8

B 48. 청소년기의 내분비학적 기전(호르몬의 변화)을 설명한다.

A 49. 성성숙도에 따른 남자와 여자의 성적 발달관계를 이해한다.

B 50. 성 정체성(sexual identity)의 발달에 대하여 설명한다.

A 51. 정신사회적 위험성에 대한 평가에 사용하는 HEADSS에 대해 설명한다.

A 52. 청소년기가 영양학적으로 중요한 이유를 열거한다.

B 53. 영양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인체 계측 방법을 열거하고 설명한다.

A 54.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성장 및 발육장애의 원인과 종류를 열거한다.

A 55. 청소년기의 여성형 유방(gynecomastia)의 원인을 열거한다.

B 56. 청소년기에 나타나기 쉬운 정서장애 및 정신적 문제를 3가지 열거한다.

C 57. 청소년기 임신의 사회, 환경, 심리적 요인을 열거한다.

A 58. 청소년과 소아의 우울증의 특징을 기술한다.

A 59. 청소년 자살의 위험요인을 기술한다.

A 60. 청소년기의 선별검사 종류와 방법을 열거한다.

A 61. 청소년기의 약물남용에 관해 설명한다.

A 62. 정상월경을 설명한다.

A 63. 청소년기에 흔한 월경 장애의 종류, 원인과 치료에 관해 설명한다.

A 64.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원인, 진단과 임상 증상을 기술하고 치료와 예후에 대하여

설명한다.

B 65. 청소년기에 흔한 피부질환 및 근골격계 질환을 열거한다.

B 66. 피임방법의 종류를 열거하고 그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B 67. 성병의 종류를 열거하고 그 치료 방법을 기술한다.

Page 20: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9

3.� 심리적�문제

학습 목적

소아청소년의 심리발달을 이해하고 소아청소년에게 발생하기 쉬운 정신 ․ 신체적 문제, 정서

및 행동장애, 발달장애 및 정신병을 진단, 치료하고 필요시에 전문의에 의뢰한다.

학습 목표

A 1. 소아청소년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정신신체장애(psychosomatic disorder) 열거하

고 설명한다.

A 2. 정신지체를 정의하고 분류를 기술한다.

A 3. 신경성 식욕부진과 폭식증의 진단기준을 열거한다.

A 4.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임상증상과 후유증을 설명한다.

A 5. 이식증(pica)의 원인 3가지를 열거한다.

A 6. 이식증 환자에게서 발생될 수 있는 위험성을 설명한다.

A 7. 유뇨증을 정의하고 원인과 치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A 8. 유분증을 정의하고 치료를 설명한다.

A 9. 수면장애의 심리적 기전을 설명한다.

A 10. 수면장애의 원인을 기술한다(성장과 발달 참고).

A 11. 악몽(night mare), 야경증(night terror), 몽유병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A 12. 습관 장애(habit disorder)의 종류를 열거하고, 기전을 설명한다.

A 13. 손가락을 빠는 소아의 치료를 설명한다.

A 14. 틱(tic) 장애의 호발연령과 발생기전을 설명한다.

A 15. 뚜렛 장애의 임상증상에 대해 기술한다.

A 16. 행동 문제를 열거하고 행동장애를 기술한다.

A 17. 영유아기 호흡정지 발작(breath-holding spell)의 원인과 임상증상의 특징을 열거한다.

A 18. 분노성 발작(temper tantrum)의 호발연령, 임상증상의 특징, 치료 원칙을 기술한다.

A 19. 훔치기(stealing) 행위의 유형을 기술한다.

A 20. 불안장애로 나타나는 행동을 열거한다.

B 21. 폐쇄성 수면 무호흡(obstructive sleep apnea)의 원인, 진단과 치료에 대하여 설명

한다.

Page 21: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20

B 22. 주요 우울증과 양극성 장애를 비교하여 설명한다.

A 23. 주의력결핍 과다활동장애의 임상적 특징, 감별진단, 치료 및 예후를 열거한다.

A 24. 학습장애 및 언어 장애의 종류와 치료를 설명한다.

C 25. 신경 발달성 기능장애의 원인과 임상증상을 열거한다.

A 26. 아동학대를 3가지로 분류한다.

A 27. 신체적학대의 임상증상을 열거한다.

A 28. 성적학대를 3가지로 설명한다.

A 29. 성적학대 피해자가 의료기관에 왔을 경우 응급조치에 대해 설명한다.

B 30. 비기질적 성장장애의 원인을 설명한다.

A 31. 자폐장애의 특징적인 증상 3가지를 열거하고 치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A 32. 학교공포증과 학교거부증을 구분 설명한다.

A 33. 입원 또는 수술을 받기 전에 정서적 안정을 위한 조치를 설명한다.

A 34. 죽음에 대한 이해를 연령이나 발달단계에 따라 설명한다.

A 35. 자위행위의 원인과 지도를 기술한다.

Page 22: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21

4.� 영� � � � � 양

학습 목적

소아청소년의 영양 소요량, 영양의 특징을 이해하고, 영양법을 지도하며, 영양장애를 진

단하고 적절히 치료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 목표

A 1. 각 연령에 따른 필요한 수분, 칼로리 및 단백질 소요량을 설명한다.

A 2. 필수 아미노산과 조건부 필수아미노산을 열거한다.

A 3. 필수 지방산의 분류하고 역할을 설명한다.

A 4. 영양 공급원으로서 MCT의 중요성과 필요한 경우를 설명한다.

A 5. 영아에게 비타민 A, D, C와 칼슘, 철의 보충 시기와 1일 필요량을 기술한다.

A 6. 철분의 생리적 기능과 보충 시기, 공급원, 철분의 흡수 정도를 설명한다.

A 7. 아연의 1일 필요량, 결핍 증상, 사용 적응증, 기능을 설명한다.

A 8. 지용성 비타민과 수용성 비타민을 분류하고, 지용성 비타민의 결핍 증상, 검사 결과

와 치료를 설명한다.

A 9. 모유영양의 장점을 설명한다.

A 10. 모유에 들어있는 감염 방어인자를 설명한다.

A 11. 모유영양의 금기 사항(산모 및 아기측)을 설명한다.

A 12. 만삭아에서 출생 초기에 모유 수유를 잘 하기 위한 권고 사항들을 설명한다.

A 13. 모유 분비량을 늘리는 방법을 설명한다.

A 14. 모유 수유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한다.

A 15. 모유 수유할 때 보충이 필요한 영양소를 설명한다.

A 16. 초유 성분의 특성과 중요성을 설명한다.

B 17. Let-down 반사를 설명한다.

A 18. 모유수유를 용이하게 해주는 신생아 반사 4가지를 설명한다.

A 19. 모유 수유량이 충분하다는 증거를 2가지 열거한다.

A 20. 모유와 분유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B 21. 기능성 분유와 여러 특수 분유의 특징과 적응증을 설명한다.

B 22. 영아(생후 2개월, 체중 5kg)가 필요로 하는 하루 총 수유량의 조유 처방을 계산한다.

C 23.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조제분유의 100 g당 평균 열량(calorie) 및 단백질량, 유당과

Page 23: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22

유단백 함유 여부 및 철분 함유량을 기술한다.

A 24. 이유(weaning)의 정의, 필요성, 시작 시기 및 이유의 단계를 설명한다.

A 25. 이유식(보충식)의 중요원칙을 설명한다.

C 26. 정상 영양아에서 질병이 있을 때 일어나는 특수한 영양문제를 설명한다.

C 27. Retinol, provitamin A, carotenoids, beta-carotene 용어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A 28. 카로틴혈증(carotenemia)과 황달과의 차이점을 기술한다.

A 29. 비타민 A 결핍증의 증상과 진단법을 열거한다.

B 30. 비타민 A 과잉증의 X선 변화에 대하여 설명한다.

A 31. Thiamine 결핍 증상을 열거한다.

B 32. Riboflavin 결핍 증상을 열거한다.

C 33. Pellagra의 3대 주요 증상을 열거한다.

A 34. Pyridoxine 결핍 증상과 과량의 투여가 필요한 pyridoxine 의존성 질환을 열거한다.

B 35. 비타민 C 결핍증의 중요 임상 양상을 열거한다.

A 36. 비타민 D 결핍성 구루병(rickets)의 임상 증상, 검사 결과와 X선 변화를 기술한다.

A 37. 구루병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비타민 제재들의 용량 및 투여 방법을 설명한다.

A 38. 비타민 E 결핍증의 이상 결과와 혈액학적 변화를 이해하고, 미숙아에게 비타민 E 투

여의 의의를 설명한다.

A 39. 비타민 K 결핍증의 임상 증상을 설명한다.

A 40. 영양 평가를 위한 신체 계측법을 설명한다.

B 41. 소모증(marasmus)과 단백질-칼로리 영양실조(kwashiorkor) 원인, 임상 증상, 검사

결과, 치료와 예후에 대해서 설명한다.

B 42. 심각한 영양장애 소아의 치료 원칙과 초기 치료 시의 주의점을 설명한다.

A 43. Refeeding syndrome의 정의, 발생 기전, 치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A 44. 비만의 정의, 병태 생리를 설명한다.

A 45. 비만의 생화학, 영상의학 검사가 필요한 경우를 설명한다.

A 46. 단순 비만과 증후성 비만의 차이를 설명한다.

A 47. 소아청소년 비만의 동반 질환을 설명한다.

A 48. 대사증후군의 정의, 의학적 중요성을 설명한다.

A 49. 비만 치료에서 음식조절교육, 운동, 생활습관개선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A 50. 총정맥 영양의 적응증, 방법, 모니터링, 합병증 (기계적, 대사적)에 대하여 설명한다.

B 51. 총정맥 영양에 사용되는 탄수화물, 지방, 단백 공급 제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A 52. 총정맥 영양과 관계된 간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B 53. 경장 영양의 정의, 적응증, 방법, 경장영양제의 종류와 성분을 설명한다.

B 54. 위루술의 적응증을 설명한다.

Page 24: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23

5.� 예방�소아과학

학습 목적

소아청소년의 건강 유지를 위하여 예방적 검진을 시행하여 질병의 발생을 예방한다.

학습 목표

A 1. 육아상담 시 포함되어야 할 네 가지 주요 관점을 기술한다.

A 2. 정기적 건강 진찰 항목 및 각각의 일정(시기, 간격 등)에 대해 설명한다.

A 3. 사고의 종류, 위험인자를 열거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를 기술한다.

B 4. 소아청소년의 치아 및 구강 위생에 대한 지도사항을 열거한다.

A 5. 예비지도(anticipatory guidance)를 설명한다.

A 6. 선천 대사이상 질환의 조기진단을 위한 선별검사 항목을 기술한다.

Page 25: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24

6.� 치료�원칙

학습 목적

소아청소년의 약물대사, 약용량 산출법, 주요 약물의 용량, 적응증과 부작용을 이해한다.

학습 목표

A 1. 소아청소년의 약용량 산출법 3가지를 열거한다.

A 2. 소아청소년의 체표면적을 구하는 방법 2가지를 열거한다.

A 3. 약물요법중 혈중농도 측정이 필요한 약들을 열거한다.

A 4. 신생아에게 약을 투여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을 설명한다.

A 5. 소아청소년에게 흔히 사용되는 해열제를 열거하고 소아청소년 용량과 나타날 수 있

는 부작용을 기술한다.

A 6. ACTH나 부신피질 호르몬을 사용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열거한다.

A 7. 부신피질 호르몬의 사용금기를 열거한다.

A 8. 응급실에서 사용되는 다음 약제의 용량을 기술한다.

1) sodium bicarbonate 2) epinephrine

3) atropine 4) isoproterenol

5) calcium gluconate 6) lidocaine

7) dopamine 8) dobutamine

B 9. 모유수유 기간 동안 사용 가능한 약물과 금기 약물을 열거한다.

C 10. 어떤 약의 분포용적(volume of distribution), 청소율(clearance)을 알고 있을 때 혈중농

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초회 주사량(loading dose), 주입속도(infusion)를 계산한다.

Page 26: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25

7.� 수분�및�전해질�평형

학습 목적

소아성소년기의 산-염기 평형, 수분 및 전해질의 생리적 변화와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전을

이해하도록 하여 산-염기 장애,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의 병태생리를 이해하고 평가하여 적절한

수액요법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데 있다.

학습 목표

A 1. 체내 HCO3/CO2 완충계를 이용해 Henderson-Hasselbalch 등식을 설명하고 이

를 통해 pH 결정인자를 이해한다.

B 2. 체내 pH를 정상으로 유지하는 3가지 완충기능 - ① 세포외액과 세포내액의 화학적 완

충계 ② Pco2 조절하는 호흡성 완충 ③ 수소이온과 HCO3 이온 조절하는 신성 완충

- 의 각 특성과 기전을 이해한다.

A 3. 동맥혈 가스분석 결과를 분석하여 산-염기 평형을 설명하고, 동맥혈과 정맥혈 가스분

석 결과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A 4. 대사성 산증에서 혈액 음이온차(anion gap)와 요 음이온차가 가지는 진단적 의미를 이

해한다.

B 5. 대사성 산증 교정을 위해 필요한 염기(HCO3)의 양과 투여 방법을 설명한다.

A 6. 대사성 알칼리증에서 생리식염수-반응성/생리식염수-저항성을 감별하기 위한 요중

염소(chloride) 농도가 가지는 의미를 이해한다.

A 7. 연령별 체내 총수분량과 구성비를 기술한다.

A 8. 혈장 몰랄삼투압농도(osmolality)의 계산법을 기술한다.

A 9. 저나트륨혈증의 감별진단을 한다.

A 10. 가성저나트륨혈증을 진성저나트륨혈증과 감별할 수 있다.

A 11. TTKG를 계산할 수 있고 해석할 수 있다.

A 12. 저칼륨혈증의 감별진단 과정을 설명한다.

A 13. 고칼륨혈증의 감별진단을 한다.

A 14. 저칼륨혈증과 고칼륨혈증의 심전도 변화를 설명한다.

A 15. 저칼륨혈증과 고칼륨혈증의 치료법을 설명한다.

B 16. 저마그네슘혈증과 고마그네슘혈증의 감별진단을 한다.

B 17. 저인혈증과 고인혈증의 감별진단을 한다.

Page 27: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26

A 18. 수액요법에 필요한 수액 요구량을 결정하는 3가지 요소를 설명한다.

A 19. 탈수의 형에 따른 세포외액의 감소 정도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A 20. 체중에 따른 1일 유지 수액량과 전해질량을 계산한다.

A 21. 불감수분손실량의 구성요소와 증가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A 22. 부족량 계산에 필요한 탈수의 정도와 탈수 형태를 설명한다.

A 23. WHO 경구용 수액의 구성내용과 사용법을 이해한다.

A 24. 초기수액 요법에 사용되는 수액의 특성, 수액의 종류 및 용량을 설명한다.

A 25. 등장성 탈수증과 저장성 탈수증 치료에 필요한 나트륨 양을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A 26. 고장성 탈수증의 특징을 설명한다.

A 27. 고장성 탈수증의 치료에 유의할 점을 설명한다.

B 28. 각종 위장액 및 배설 액의 전해질 성분의 차이를 설명한다.

Page 28: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27

8.� 유� � � 전

학습 목적

유전 및 염색체 이상 질환의 다양한 임상상을 인지하고 환자의 진단 및 관리, 치료에 응용

할 수 있어야 한다. 최신 분자 유전학적 기법들이 유전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어떻게 이용되는

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학습 목표

A 1. 특정 질환에 이환되는 유전학적 요인들에 대해 설명한다.

A 2. 단일 유전자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4가지 형태의 유전방식을 도해하고 특징들을 설명

한다.

A 3. 정상인의 염색체를 번호 순서대로 나열한다.

A 4. 흔히 임상에서 사용되는 염색체분석법의 종류를 열거한다.

A 5. 염색체의 각 군(group)을 구별하고 특징을 설명한다.

B 6. 성 염색질(sex chromatin)을 관찰하고 그 임상적 의의를 설명한다.

B 7. Lyon hypothesis를 설명한다.

A 8. 염색체 분석의 임상적 적응증을 설명한다.

B 9. 염색체의 국제표기법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B 10. 체세포 분열을 설명한다.

B 11. 성숙 분열을 설명한다.

B 12. 비분리(non disjunction)를 도시하고 임상적 의의를 설명한다.

B 13. Mosaicism의 발생기전을 설명한다.

A 14. 상염색체와 성염색체 이상에 의한 대표적 이상 증후군을 열거한다.

A 15. 다음 Down 증후군에 관한 사항을 설명한다.

1) 발생빈도 및 관련 인자

2) 특징적 임상증상

3) 흔히 동반되는 기형

4) 염색체 이상의 3가지 유형

5) 보인자(balanced translocation) 모친에게서 출생될 수 있는 자녀의 유형

6) 피문학상의 특징

7) 예후

Page 29: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28

A 16. 다음 염색체 이상 증후군들의 임상적 특징 및 동반 기형을 설명한다.

1) Edwards 증후군

2) Patau 증후군

3) 묘성(cri du chat) 증후군

A 17. 다음 Turner 증후군에 관한 사항을 설명한다.

1) 발생빈도 및 자연 유산과의 관계

2) 특징적 내분비 검사 결과와 X 염색체의 특징

3) 특징적 임상증상 및 동반 기형

4) 신생아에서의 임상적 특징

A 18. 다음 Klinefelter 증후군에 관한 사항을 설명한다.

1) 발생 빈도

2) 특징적 임상증상 및 내분비 변화

3) 내분비 치료

A 19. Fragile X 증후군의 특징적 임상증상을 설명한다.

A 20. 대립유전자 증가로 인해 초래되는 유전질환을 열거한다.

B 21. 염색체 파손증후군(chromosomal breakage syndrome)에 관련된 질환을 열거한다.

A 22. 일측 부모로부터의 이체성과 imprinting의 개념을 설명하고 임상적 의의를 연관 짓는

다.

A 23. 인간게놈과 유전자의 구조, 기능을 설명하고 도해한다.

A 24. 돌연변이(mutation)의 종류를 분자 유전학적으로 설명하고 단백의 구조와 기능에 미

치는 영향을 토론한다.

A 25. 분자유전학의 발달을 논평하고 여러 분자 유전학적 기법들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며

임상적 응용을 기술한다. 특히 유전자 검사에 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B 26. 새로운 질병 유전자를 어떻게 발견하는지 말한다.

A 27. 유전질환의 최신치료의 기본개념을 이해한다.

A 28. 4종류 멘델 유전방식의 특징적인 가계도를 도시하고 흔한 질환을 각각 열거한다.

B 29. 비전형적 멘델 유전방식의 종류를 열거하고 설명한다.

A 30. 유전상담의 중요한 목적을 열거한다.

B 31. 실체 임상에서 사용되는 산전 검사방법을 열거하고 각각의 장점 및 단점을 설명한다.

Page 30: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29

9.� 유전성�대사�질환

학습 목적

유전대사 질환이란 무엇인가 정의하고 어떤 임상증상을 보일 때 유전대사 질환을 의심해

야 하는지 설명한다. 진단적 접근법을 계획하고 치료 원칙을 마련한다.

학습 목표

A 1. 유전성 대사 질환을 정의하고 발생기전과 유전적 이질성의 임상적 의의를 설명한다.

A 2. 유전성 대사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의 병력청취에 대해 토론한다.

A 3. 신생아시기에 발현하는 유전성 대사 질환의 감별진단에 대해 설명한다.

A 4. 유전성 대사 질환의 진단과 치료 원칙을 열거한다.

A 5. 신생아 유전성 대사 질환 스크리닝의 임상적 의의, 검사방법들을 인지한다.

A 6. 페닐케톤뇨증에서 결핍효소의 명칭을 말하고 유전양식을 설명한다.

A 7. 페닐케톤뇨증의 임상증상, 진단 및 치료법, 예후를 설명한다.

A 8. 페닐케톤뇨증에서 조기진단과 조기치료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B 9. PKU 임신부에게서 출생한 신생아에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을 열거하고 예방법을 설

명한다.

B 10. Tetrahydrobiopterin 결손증과 전형적 페닐케톤뇨증을 비교한다.

C 11. 안 피부백색증(oculocutaneous albinism)의 3가지 다른 유형을 설명한다.

C 12. 부분성 백색증(partial albinism)의 유전양식을 설명한다.

C 13. Tyrosinemia의 급성형과 만성형을 임상 증상과 검사 결과로 감별한다.

B 14. Tyrosinemia의 치료 원칙을 설명한다.

C 15. Alkkapton뇨증의 소변 색깔이 변화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A 16. 단풍당뇨증 혈액 내에 증가되는 3가지 분지아미노산을 기술한다.

B 17. 단풍당뇨증에서 특이적인 소변 냄새와 임상증상, 진단과 치료법을 설명한다.

C 18. Oxalosis에서 제 1형과 2형을 소변에 과량으로 배설되는 다른 종류의 물질을 가지고

감별한다.

B 19. Oxalosis에서 신장에 나타날 수 있는 특징적인 변화를 설명한다.

A 20. Homocystine뇨증 생화학적인 결함을 설명한다.

A 21. Homocystine뇨증에서 특징적인 임상증상, 진단방법, 치료법을 설명한다.

B 22. Hemocystine뇨증에서 흔히 동반될 수 있는 후유증을 설명한다.

Page 31: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30

C 23. Hartnup병 질환에서 indicanuria가 생기는 기전을 설명한다.

B 24. Hartnup병 질환에서 주 증상 2가지를 열거한다.

C 25. Blue diaper 증후군의 특징을 설명한다.

A 26. Urea cycle 대사이상으로 인한 대표적인 질환 5가지를 열거하고 감별진단의 원칙,

치료 방법을 설명한다.

A 27. Organic aciduria의 발병기전, 임상진단, 치료 원칙을 이해한다.

A 28. Wilson병의 원인, 임상증상, 진단, 치료법을 설명한다.

B 29. Menkes병에서 임상증상 및 진단방법을 설명한다.

B 30. 탄수화물 흡수장애 시 흔히 볼 수 있는 reducing substance를 열거한다.

C 31. 이당류(disaccharide) 흡수장애의 진단방법을 설명한다.

C 32. Lactase 결손증의 분류와 증상, 진단 및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A 33. Galactose혈증의 특징적인 임상증상 및 진단, 치료 방법과 예후를 설명한다.

B 34. 간 세포내 당원 합성 및 분해과정을 도시하고 당원병의 유형에 따른 결핍효소를 지

적한다.

A 35. 당원병 1형(von Gierke)의 원인, 특징적인 임상증상 및 검사 결과와 치료 방법을 설

명한다.

A 36. 당원병 II형(Pompe disease)의 원인, 특징적인 임상증상 및 검사 결과와 치료 방법을

설명한다.

A 37. 리소솜 축적질환에서 효소대체요법이 가능한 질환들을 숙지한다.

B 38. Sphingolipid 대사과정을 도시하고 임상적으로 중요시 되는 다음 질환의 결핍된 효소

를 표시한다.

1) Gaucher disease

2) Niemann-Pick disease

3) GM1 및 GM2 gangliodosis

4) Krabbe disease

5) 파브리병

B 39. Gaucher병 및 Niemann-Pick병의 유형을 열거하고 각 유형의 특징적인 임상 증상을

설명한다.

A 40. 뮤코다당체 침착증의 분류와 임상증상을 설명한다.

B 41. Peroxisome 대사 장애로 초래되는 질환을 열거한다.

B 42. 고지질혈증을 분류한다.

A 43.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유전양식, 특징적인 임상 증상을 설명한다.

C 44. 정상 heme 합성과정을 도해한다.

B 45. Porphyria를 분류하고 특징적 임상증상을 기술한다.

Page 32: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31

B 46. Porphyria의 진단 및 치료 원칙을 설명한다.

A 47. 지방산 산화대사장애를 의심할 수 있는 임상증상을 열거한다.

A 48. 지방산 산화대사장애 질환의 종류를 열거하고 진단 및 치료 원칙을 설명한다.

Page 33: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32

10.� 면역학

학습 목적

면역계의 구성성분과 연령증가에 따른 면역계의 발달과정 및 숙주방어기전을 이해하고,

체액성 면역반응과 세포성 면역반응의 기전과 임상적 의의를 인지하도록 한다. 각종 면역결

핍증이나 면역질환의 발병 기전, 임상 증상과 검사 결과를 인지하고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한다.

학습목표

A 1. 선천 면역(innate immunity)과 후천 면역(acquired immunity)을 구별하여 설명한다.

A 2. 선천 면역에 관여하는 성분이나 기관을 열거하고 그 특성을 설명한다.

A 3. 면역세포의 발달과정을 설명한다.

A 4. 면역계의 주요 세포를 기술하고 그 기능을 설명한다.

A 5. 태아 및 영아기의 혈청 내 면역글로블린의 변화를 설명한다.

B 6. 세포성 면역반응을 인지하고 T 림프구 활성화 과정을 설명한다.

B 7. 체액성 면역반응을 인지하고 B 림프구 활성화 과정을 설명한다.

B 8. 림프구 표면의 주요 CD (cluster of distribution) 종류를 기술하고 그 기능을 설명한

다.

B 9. 각종 사이토카인(cytokine)을 열거하고 기능을 설명한다.

A 10. 면역글로블린의 종류를 열거하고 그 기능을 설명한다.

A 11. 면역글로블린의 생성과정을 인지하고 생물학적 특징을 설명한다.

B 12. IgG 아군(subclass)의 종류와 생물학적 특징을 설명한다.

A 13. 면역결핍증을 의심할만한 임상증상을 기술한다.

A 14. 특정 면역결핍에 따른 취약한 병원체 감염을 기술한다.

A 15. 발병 시기별 면역결핍증의 종류를 기술한다.

A 16. T 림프구 기능저하를 보이는 질환을 열거한다.

A 17. B 림프구 기능저하를 보이는 질환을 열거한다.

A 18. T 및 B 림프구 복합 기능저하를 보이는 질환을 열거한다.

A 19. 식세포 기능저하를 보이는 질환을 열거한다.

A 20. 보체 기능저하를 보이는 질환을 열거한다.

A 21. T 림프구 기능검사를 열거하고 검사방법의 개요 및 임상적 의의를 설명한다.

Page 34: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33

A 22. B 림프구 기능검사를 열거하고 검사방법을 설명한다.

A 23. 식세포의 기능검사를 열거하고 검사방법을 설명한다.

A 24. 보체 기능검사를 열거한다.

A 25. 면역결핍증이 있을 때 예방접종의 필요성 및 효과, 금기되는 예방접종을 설명한다.

A 26. 범저감마글로블린혈증의 유전양식, 증상, 진단 및 치료에 대해 기술한다.

B 27. 분류불능형 면역부전증과 저감마글로블린혈증과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원인이 될 수

있는 약물을 기술한다.

A 28. 일과성 저감마글로블린혈증의 발병기전 및 자연경과에 대해 설명한다.

A 29. 선택적 IgA 결핍증의 특징을 인지하고 혈액제제 수혈 시 주의사항을 설명한다.

B 30. IgG 아군 결핍증과 IgA 결핍증과의 관계를 설명하고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병원체를

열거한다.

A 31. 흉선무형성증과 동반된 기형, 내분비 장애, 염색체 이상에 대해 설명한다.

A 32. 중증 복합면역결핍증의 종류를 열거하고 특징을 기술한다.

B 33. Wiskott-Aldrich 증후군의 특징을 기술하고 면역글로블린의 변화를 설명한다.

B 34. 혈관 확장성 실조증의 유전양식, 면역글로불린의 변화, 악성종양과의 관계를 설명한

다.

A 35. 중성구증가증의 원인을 기술한다.

A 36. 일시적 중성구감소증의 원인을 기술한다.

B 37. 만성 중성구감소증의 원인을 기술한다.

A 38. 만성 육아종질환의 유전양상 및 증상을 설명한다.

B 39. Chédiak-Higashi 증후군의 중성구 기능이상을 설명하고 감염의 주 원인을 기술한다.

B 40. 유전성 혈관신경성 부종증의 원인, 임상증상을 기술한다.

A 41. 골수이식(조혈모세포이식)의 적응증을 열거한다.

B 42. 골수이식(조혈모세포이식) 후 사용되는 면역억제 방법을 열거하고 작용기전을 설명

한다.

B 43. 골수이식(조혈모세포이식) 후기에 나타나는 합병증을 열거하고 설명한다.

B 44. 이식편대숙주 질환을 급성과 만성으로 나누어 원인 및 발병 위험인자, 증상, 진단,

치료 원칙을 설명한다.

B 45. 이식편대숙주 질환의 임상적 정도를 평가한다.

Page 35: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34

11.� 출생�전� 관리

학습 목적

주산기 이환율 및 사망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인자를 숙지하고, 이에 대한 신속한

대책을 강구하여 건강한 신생아가 출생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을 성취한다.

학습 목표

A 1. 고위험 임신을 정의하고, 연관된 인자들에 대하여 열거한다.

A 2. 양수과다증을 정의하고, 동반되는 질환들을 열거한다.

A 3. 양수과소증을 정의하고, 동반되는 질환들을 열거한다.

A 4. 태아곤란증(fetal distress)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B 5. 태아곤란증의 간접적인 진단방법 중 non-stress test와 contraction stress test에 대하

여 설명한다.

A 6. 태아의 심박동수 이상의 형태를 기술하고, 그 임상적 특징, 원인 및 의의에 대하여

설명한다.

A 7. 태아나 신생아에게 영향을 주는 모체 감염과 그 결과를 기술한다.

A 8. 태아나 신생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모체의 질환을 알고 그 기전과 태아 및 신생아에

게 미치는 영향을 기술한다.

B 9. 자궁내 태아질환의 진단방법과 치료 및 예방에 대한 개요를 설명한다.

A 10. 양막 천자에서 얻은 양수의 생화학적 혹은 세포학적 검사의 종류와 그 의의를 설명

한다.

A 11. 초음파 검사의 자궁내 진단의 유효성과 진단 가능한 질환들을 열거한다.

B 12. 제대천자의 목적을 설명한다.

C 13. 모체혈 선별검사의 종류와 의의를 설명한다.

B 14. 태아수종의 원인과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Page 36: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35

12.� 정상�신생아

학습 목적

정상 신생아에게 분만 후 일어나는 급격한 생리적 변화들을 이해하며 올바른 신생아 간호에

대하여 숙지한다.

학습 목표

A 1. 신생아기를 정의하고 그 특징을 기술한다.

B 2. 태내와 출생 후 환경의 차이를 설명한다.

A 3. 정상 신생아의 체온 측정 부위에 따른 차이를 인식한다.

A 4. 신생아의 체온 조절기전을 설명하고 열손실이 쉽게 되는 이유를 설명한다.

A 5. 신생아의 피부 진찰에서 정상과 비정상을 감별할 수 있다.

A 6. 신생아의 혈액상 특징과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A 7. 신생아의 호흡기계 특징을 설명한다.

A 8. 신생아의 소화기계 특징과 변화를 설명한다.

A 9. 신생아의 비뇨기계 특징과 변화를 설명한다.

A 10. 신생아의 생식기계 특징과 변화를 설명한다.

A 11. 신생아의 신경계 특징과 변화를 설명한다.

A 12. 출생 후 내분비계의 변동에 대해 이해하고 태반 통과 호르몬 종류를 열거한다.

B 13. 초기 신생아기의 변화에 대하여 설명한다.

A 14. 신생아 진찰에 대하여 숙지한다.

A 15. 분만 직후 호흡의 개시를 도와주는 방법 및 소생술을 숙지한다.

A 16.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의 발견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A 17. Apgar 점수의 측정방법 및 그 의의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명한다.

A 18. 분만 직후의 신생아 관리를 기술한다.

A 19. 신생아의 피부와 제대 처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A 20. 신생아의 눈의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처치법을 설명한다.

A 21. 신생아의 감염방지를 위한 노력을 숙지한다.

A 22. 신생아실에서의 초기 모유 및 인공영양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A 23. 신생아에 대한 성공적인 모유수유 방법에 대해 숙지한다.

A 25. 출생 후 신생아실에서 비타민 K의 투여 목적을 기술한다.

Page 37: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36

A 26. 다생아에게서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을 이해한다.

B 27. 모자동실이 아기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설명한다.

A 28. 신생아기에 집단선별검사(mass screening)의 의의와 이 검사가 필요한 질환들을 열

거한다.

A 29. 부모 영아 결합(parent-infant bonding)이 지연, 비정상적으로 되는 원인을 열거한다.

B 30. 신생아 집중치료실의 의료수준을 3 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A 31. 신생아 이송시의 주의점들을 숙지한다.

A 32. 신생아를 신생아실에서 조기퇴원 시킬 때 주의점을 숙지한다.

Page 38: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37

13.� 신생아�질환

학습 목적

신생아기에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질환들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숙지하여 신생아의 사망률

및 이환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야 한다.

학습 목표

A 1. 저출생체중아 및 미숙아의 정의를 내리고 빈도 및 예후를 안다.

A 2. 극소저출생체중아 및 초극소저출생체중아를 분류한다.

A 3. 신생아를 재태 기간에 대한 체중의 백분위수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한다.

B 4. 재태 기간을 추정하는 방법인 Ballard 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A 5. 미숙아의 신체적 및 생리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A 6. 미숙아가 만삭아에 비하여 불리한 점들을 설명한다.

A 7. 미숙아의 뇌실내/두개내 출혈 병인 이해한다.

B 8. 미숙아의 출생체중에 따른 뇌실내/두개내 출혈의 발생 빈도를 인식한다.

A 9. 뇌실내 출혈의 임상 증상, 진단 및 예후에 대하여 이해한다.

A 10. 측뇌실 백질연화증을 정의하고, 신경학적 후유증을 설명한다.

A 11. 미숙아에게서 낮은 빌리루빈치에도 핵황달이 올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한다.

B 12. 미숙아의 위장관 기능이 만삭아에 비하여 불리한 점을 이해한다.

A 13. 미숙아망막증의 발생기전을 이해하고 이의 예방, 조기진단 및 치료 대책을 계획한다.

A 14. 미숙아에게 산소 투여의 적응증과 합병증을 인지하고 투여방법 및 모니터링 법을 이

해한다.

A 15. 미숙아가 감염에 걸리기 쉬운 이유를 설명한다.

A 16. 미숙아의 적절한 영양법에 대해 이해한다.

B 17. 미숙아에게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를 나열하고 그 이유를 기술한다.

B 18. 미숙아에게 구루병이 쉽게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대책을 계획한다.

B 19. 미숙아 및 저출생체중아의 출생의 예방과 출생 후 이환율을 줄이기 위한 조치를 설

명한다.

B 20. 미숙아의 중요한 사망 원인을 열거한다.

A 21. 저출생체중아의 간호에서 정상 신생아의 기본 간호에 추가하여 배려해야 할 사항을 설

명한다.

Page 39: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38

A 22. 저출생체중아에서 중성 온도 환경(neutral thermal environment)에 대하여 설명한다.

A 23. 미숙아의 체온보존을 위한 대책을 계획한다.

A 24. 미숙아에게 경구영양을 시작할 수 있는 조건을 설명한다.

B 25. 미숙아에게 시행할 수 있는 수유방법을 기술한다.

B 26. 총정맥영양(TPN)에 포함시키는 영양소를 열거한다.

A 27. 총정맥영양의 합병증을 기술한다.

A 28. 미숙아 감염 예방에 대한 원칙과 방법을 이해한다. .

A 29. 미숙아 퇴원 기준을 기술하고 퇴원 시와 퇴원 후 고려되어 할 사항을 이해한다.

A 30. 자궁내 발육지연의 구분과 그 원인을 이해한다.

A 31. 자궁내 발육 지연아들이 출생 후 신생아기에 보이는 문제점들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조치를 설명한다.

B 32. 미숙아 및 저출생체중아의 예후 및 사망 원인을 이해한다.

A 33. 과숙아를 정의한다.

A 34. 과숙아의 신체적 특징을 설명한다.

A 35. 과체중아를 정의하고 선행인자를 기술한다.

A 36. 과체중아의 예후를 설명한다.

A 37. 분만손상에 의한 두개외 출혈의 감별 및 처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B 38. 안면신경마비의 원인과 경과 및 처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A 39. 상지마비의 종류, 임상적 특징과 치료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A 40. 사경(torticollis)의 원인과 임상 특징 및 치료 방침에 대하여 설명한다.

A 41. 두개내 출혈의 종류와 증상 및 치료 방침에 대하여 설명한다.

A 42. 쇄골골절의 증상 및 치료 방침에 대하여 설명한다.

B 43. 선천성 기형이 신생아기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B 44. 신생아기 및 신생아기 이후에 발견되는 선천성 주 기형(major malformation)의 빈도

를 설명한다.

B 45. 선천성 기형의 원인을 분류하고, 요인별 질환을 열거한다.

B 46. 단일원발성 결함중 흔한 원인들을 열거하고 그 빈도를 기술한다.

B 47. 다발성 기형증후군의 예를 열거한다.

B 48. 소기형(minor malformation)의 의의를 설명하고 그 예를 열거한다.

A 49. 수막류와 수막 척수류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A 50. 비루관의 선천성 폐쇄의 증상과 치료 방법을 설명한다.

B 51. 갑상설낭 및 새열낭의 발생학적 과정을 설명한다.

A 52. 토순 및 구개열의 치료 시기와 동반기형을 설명한다.

A 53. 제대 육아종의 발생원인, 감별 진단 및 치료에 관하여 설명한다.

Page 40: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39

A 54. 제대 탈장의 원인 및 임상경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A 55. 단일 제대동맥의 빈도 및 흔하게 동반되는 질환을 열거한다.

A 57. 주산기 가사의 정의 및 진단에 관하여 설명한다.

A 58. 주산기 가사의 병태 생리 및 그 결과를 이해한다.

A 59. 만삭아의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을 단계별로 분류하고 예후를 기술한다.

A 60. 신생아 소생술 (neonatal resuscitation)의 각 단계에 대해 기술한다.

A 61. 신생아 가사 및 신생아 저산소성 허혈성 뇌병증의 치료에 관하여 숙지한다.

A 62. 신생아 주기성 호흡과 지연성 무호흡을 설명하고 감별한다.

A 63. 신생아 무호흡 및 서맥의 가능한 원인을 기술하고 치료를 기술한다.

A 64. 특발성 미숙아 무호흡을 분류하여 설명할 수 있다.

A 65. 신생아호흡곤란 증후군의 발생빈도, 발생기전 및 발병위험인자를 설명한다.

A 66. 신생아호흡곤란 증후군의 병태생리를 설명한다.

C 67. 정상 폐와 신생아호흡곤란 증후군 폐의 공기압력에 따른 팽창의 차이를 구별한다.

B 68. 신생아호흡곤란 증후군과 감별해야 할 질환을 열거한다.

A 69. 신생아호흡곤란 증후군의 흉부 X선 소견을 설명한다.

B 70. 신생아호흡곤란 증후군에서 수액치료의 원칙을 설명한다.

B 71. 신생아호흡곤란 증후군에서 인공 환기요법을 시행하여야 할 기준을 설명한다.

C 72. 기계적 인공환기요법에 사용되는 pressure-limited ventilator와 volume-limited ven-

tilator에 대하여 설명한다.

A 73. 인공 폐표면 활성제 보충요법을 설명한다.

A 74. 제대혈관 도관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관의 위치를 설명한다.

A 75. 제대혈관 도관법의 합병증을 설명한다.

A 76.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의 합병증을 이해한다.

A 77.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의 예방에 대해 이해한다.

A 78. 신생아의 일과성 빈호흡의 발생기전을 설명한다.

A 79.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과 일과성 빈호흡을 감별한다.

A 80.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의 흉부 X선 소견을 설명한다.

B 81. 태아가 자궁내에서 태변을 배설하는 기전을 설명한다.

A 82. 태변흡인 증후군에서 흉부 X선 소견을 설명한다.

A 83. 태변흡인 증후군의 발생기전을 설명한다.

A 84. 태변에 착색된 신생아가 출생하였을 때 분만장에서 하여야 할 처치를 설명한다.

A 85. 태변흡인 증후군에서 신생아 지속성 폐동맥 고혈압증이 발생하는 기전을 설명한다.

A 86. 신생아 지속성 폐동맥 고혈압증의 진단과 치료를 이해한다.

A 87. 미숙아 동맥관개존의 발생 기전, 증상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Page 41: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40

A 88. 폐외공기누출의 종류와 기전을 설명한다.

B 89. 인공환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미숙아에서 폐간질 기종이 발견되었을 때 처치법을

설명한다.

B 90. 기종격의 흉부 X선 소견을 기술하고 치료법을 설명한다.

A 91. 기흉을 가장 빨리 발견할 수 있는 방법과 치료법을 설명한다.

A 92. 기관지 폐이형성증의 원인을 설명한다.

B 93. 기관지 폐이형성증의 발생기전과 치료법을 설명한다.

B 94. 폐출혈의 원인 및 치료를 이해한다.

C 95. 선천성 대엽성 폐기종의 호발부위와 치료법을 설명한다.

A 96. 신생아 황달의 생후 출현 시기에 따른 원인을 기술한다.

A 97. 신생아 황달의 원인을 감별 진단한다.

A 98. 생리적 황달과 병적 황달을 감별 진단한다.

A 99. 모유황달에 대해서 이해한다.

A 100. 신생아 황달에서 광선치료와 교환수혈을 시행하여야 할 기준 및 합병증을 설명한다.

B 101. 핵황달의 발생기전을 설명하고, 예후를 설명한다.

B 102. 광선치료 시 혈청빌리루빈이 감소하는 기전을 설명한다.

A 103. 신생아 괴사성 장염의 원인과 방사선학적 소견을 설명한다.

B 104. 신생아 괴사성 장염의 치료와 합병증을 이해한다.

A 105. 신생아 감염의 특징을 설명한다.

A 106. 조기발현 신생아 패혈증과 후기 신생아 패혈증을 감별한다.

A 107. 신생아의 병원내 감염의 원인균과 치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B 108. 신생아의 병원내 감염의 위험요소를 열거한다.

A 109. 신생아 패혈증의 원인균을 기술한다.

A 110. 신생아 패혈증의 진단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A 111. 신생아 수막염의 치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A 112. B군 사슬알균 감염에서 조발형과 지발형을 감별하고 치료를 이해한다.

A 113. 신생아의 전염성 설사를 일으키는 원인균을 열거하고 치료법을 설명한다.

A 114. 만성 자궁내 감염시에 나타나는 신생아의 전신적 임상증상을 설명한다.

A 115. 선천성 거대바이러스(cytomegalovirus)의 감염경로와 임상증상 및 진단방법을 설명

한다.

A 116. 선천성 풍진증후군의 임상증상과 임신부가 풍진에 노출되었을 때의 처치법을 설

명한다.

B 117. 단순포진(herpes simplex) 바이러스 감염모체에게서 태어난 신생아 처치법을 분만

방법에 따라 각각 설명한다.

Page 42: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41

B 118. 선천성 톡소플라즈마증 (toxoplasmosis)의 임상증상과 치료법을 설명한다.

A 119. 임산부의 수두 발병과 분만과의 간격에 따른 신생아 수두의 위험성을 기술하고 예방

및 치료법을 이해한다.

A 120. 신생아 농루안(결막염)의 시기별 원인 및 치료법을 설명한다.

A 121. 신생아 저혈당증의 정의와 빈도를 이해한다.

B 122. 저혈당증의 원인에 따른 병태생리를 이해한다.

A 123. 저혈당증의 증상 및 치료 방법을 설명한다.

A 124. 저혈당증의 장기적 예후, 재발률, 지능발달 장애가 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A 125. 당뇨병 임신부에게서 출생한 신생아의 임상적 특징을 설명한다.

C 126. 부갑상선 기능이상에 의한 저칼슘혈증을 발생 시기에 따라 조기 및 후기로 나누고

각각의 원인을 설명한다.

B 127. 저칼슘혈증의 임상증상을 특이증상과 비특이증상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A 128. 저칼슘혈증의 검사 및 진단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A 129. 저칼슘혈증의 치료 방법 및 주의사항을 설명한다.

B 130. 저마그네슘혈증의 원인, 임상증상을 설명한다.

A 131. 신생아의 부종 원인을 열거한다.

B 132. 후기 대사성 산증을 설명한다.

A 133. 탈수열의 원인, 임상증상 및 치료 방법을 설명한다.

A 134. 한랭손상의 임상증상, 치료 방법 및 합병증을 설명한다.

B 135. 고마그네슘혈증의 원인, 임상증상 및 치료 방법을 설명한다.

A 136. 신생아기의 갑상선 기능 이상을 분류하고 치료법을 설명한다.

B 137. 미숙아 망막병증의 진단 및 치료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Page 43: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42

14.� 감염병

학습 목적

소아청소년에게서 발생 빈도가 많은 감염성 질환의 원인 병원체, 역학, 병리 기전, 임상

증상 및 검사 결과를 이해시키고, 이에 필요한 기본적인 검사 수기 및 판독을 숙지하여 진

단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적절한 치료와 예방접종 등 예방 관리 대책을 마련하고, 치

료 후 경과와 합병증 및 예후에 대한 지식을 갖도록 한다.

[Diagnostic microbiology]

A 1. 세균 감염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기본적인 검사방법을 열거한다.

A 2. 적절한 혈액 배양검사 시기와 방법을 설명한다.

A 3. 뇌척수액 검사방법과 정상치를 기술한다.

A 4. 소변 배양검사 시 소변 채취방법에 따른 결과 해석을 기술한다.

B 5. 소변 배양의 수집방법과 운송시간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A 6. 인두 배양검사를 이해하고 검출되면 병적인 상태로 간주되는 세균을 열거한다.

A 7. 항생제 감수성 검사의 방법 및 용어를 숙지한다.

A 8. 바이러스 분리를 위한 적절한 검체 채취법 및 운송법을 기술한다.

A 9. 감염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혈청검사의 이론 및 필요한 경우를 기술한다.

B 10. 카테터 관련 혈류감염의 진단 시 “Differential time to positivity of 2hr"의 의미를 이

해한다.

[Microbiome]

A 11. 마이크로바이옴이 인체의 건강과 병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

B 12. 마이크로바이옴이 치료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적응증을 이해한다.

[Immunization practices]

A 13. 능동면역 및 수동면역의 개념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A 14. 수동면역의 주요 적응증을 열거한다.

A 15. 백신 항원을 분류하고 특징을 설명한다.

A 16. 백신의 취급과 보관 시 주의사항을 설명한다.

A 17. 예방접종을 기본접종, 선택접종, 선별접종, 임시접종으로 분류하여 설명한다.

A 18. 소아청소년의 기본접종 및 선택접종 백신의 정기예방접종 시기를 기술한다.

A 19. 동시접종의 원칙을 설명하고 임상상황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Page 44: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43

A 20. 교차접종의 원칙을 설명하고 임상상황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A 21. 최소접종연령, 최소접종간격의 개념을 설명하고 임상상황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A 22. 지연접종, 따라잡기 접종의 원칙을 설명하고 임상상황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A 23. 예방접종의 금기사항 및 주의사항의 개념을 설명하고 예를 열거한다.

A 24. 미숙아와 저체중출생아의 예방접종에 대해 설명한다.

A 25. 임신 중 예방접종에 대해 설명한다.

B 26. 면역결핍증 또는 면역 부전 상태인 소아청소년의 예방접종에 대해 설명한다.

B 27. 경련 및 만성질환이 있는 소아청소년의 예방접종에 대해 설명한다.

B 28. 의료기관 종사자의 예방접종에 대해 설명한다.

A 29. BCG 백신의 접종방법, 접종일정, 이상반응, 금기 및 주의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A 30. 산모의 B형간염 항원 상태에 따른 B형간염 백신 접종, 면역글로불린 투여 방법을

설명한다.

A 31. B형간염 바이러스 노출 후 예방조치를 기술한다.

A 32. DTaP/Tdap/Td 백신의 각 특징, 접종방법, 접종일정, 이상반응, 금기 및 주의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A 33. Tdap 백신 접종을 권고하는 경우를 열거한다.

A 34. 폴리오 백신의 접종방법, 접종일정, 이상반응, 금기 및 주의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A 35. Hib 백신의 접종방법, 접종일정, 이상반응, 금기 및 주의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B 36. 5세 이상에서 Hib 백신 접종이 필요한 고위험군을 열거한다.

A 37. 폐구균 백신의 접종방법, 접종일정, 이상반응, 금기 및 주의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B 38. 5세 이상에서 폐구균 백신 접종이 필요한 고위험군을 열거한다.

A 39. MMR 백신의 접종방법, 접종일정, 이상반응, 금기 및 주의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A 40. 면역글로불린 또는 혈액제제 투여 후 생백신과의 접종간격에 대해 설명한다.

A 41. 수두 백신의 접종방법, 접종일정, 이상반응, 금기 및 주의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A 42. 일본뇌염 백신의 접종방법, 접종일정, 이상반응, 금기 및 주의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A 43. 인플루엔자 백신의 접종방법, 접종일정, 이상반응, 금기 및 주의사항에 대해 설명한

다.

B 44. 계란 알레르기가 의심되는 경우 인플루엔자 백신 투여 권고안을 설명한다.

A 45. A형간염 백신의 접종방법, 접종일정, 이상반응, 금기 및 주의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A 46. 로타바이러스 백신의 접종방법, 접종일정, 이상반응, 금기 및 주의사항에 대해 설명

한다.

A 47.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의 접종방법, 접종일정, 이상반응, 금기 및 주의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A 48. 수막구균 백신의 권장 접종 대상을 설명한다.

Page 45: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44

B 49. 공수병 백신의 접종 대상, 접종방법 및 접종일정을 설명한다.

B 50. 장티푸스 백신의 접종 대상, 접종방법 및 접종일정을 설명한다.

A 51. 해외여행과 관련하여 필요하거나 또는 추천되는 예방접종에 대해 설명한다.

B 52. 단백결합(protein conjugate) 백신의 면역 기전을 설명한다.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A 53. 소아의 의료기관 관련 감염증의 원인이 되는 흔한 병원체를 감염 부위 및 감염 경로

에 따라 기술한다.

A 54. 표준주의(standard precaution)는 모든 환자와의 직접 접촉 시 적용해야 하며, 체액

및 혈액에 노출 시 barrier(장갑, 가운, 마스크, 고글, 안면 보호구)가 필요함을 이해한

다.

A 55. 접촉주의, 비말주의 및 공기주의의 개념을 이해하고 각각 적용되어야 하는 상황을

설명한다.

A 56. 수술 시 감염 예방을 위한 항생제 투여 원칙에 대해 설명한다.

[Childcare and communicable diseases]

A 57. 유아원을 다니는 소아들의 감염 질환에 대한 역학 및 특징을 이해한다.

A 58. 유아원을 다니는 경우와 아닌 경우에 있어 호흡기 감염증, 급성 중이염 및 급성 감염

성 설사의 발생 빈도에 차이가 있음을 이해한다.

A 59. 단체생활을 할 때 감염 질환이 생긴 경우 타인으로의 전파 방지를 위한 출결 방침(격

리)과 이론적 근거를 숙지한다.

A 60. 단체생활 시 감염 질환에 노출된 소아청소년들에 대한 올바른 후 조치를 설명한다.

[Health Advice for Children Traveling Internationally]

A 61. 해외여행 전 일반적인 준비사항에 대해 숙지한다.

A 62. 말라리아의 지역별 예방적 화학요법에 대해 설명한다.

A 63. 여행자 설사의 원인 및 그 해결책에 대해 설명한다.

A 64. 해외여행 후 열이 발생했을 때 고려해야 할 질환을 열거한다,

[Fever]

A 65. 소아에서의 발열 양상을 설명한다.

A 66. 재발하는 경향이 있는 발열의 원인을 기술한다.

B 67. 이상성 발열(biphasic fever)을 보이는 대표적인 질환을 열거한다.

B 68. 발열을 유발하는 3가지 기전을 설명한다.

Page 46: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45

[Fever without a focus]

A 69. 국소 증상이 없는 발열(직장 체온이 38℃ 이상이면서 발열 외 동반 증상 없는 경우)의

정의를 기술한다.

A 70. 국소 증상이 없는 발열(fever without localizing signs)의 연령별(신생아, 1-3개월,

3-35개월) 원인, 진단적 접근 방법과 처치를 기술한다.

A 71. 불명열의 정의를 기술한다.

A 72. 불명열의 흔한 원인을 열거하고,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병력과 신체검사 소견을

숙지한다.

A 73. 불명열 환자에게 흔히 시행하는 기본적 검사를 설명하고, 임상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소견을 기술한다.

A 74. 불명열 환자에게 무분별한 경험적 항생제를 투여하면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을 설명

하고, 소아 불명열의 예후를 기술한다.

[Infections in immunocompromised persons]

A 75. 면역 결핍이 있는 소아청소년에서의 감염의 특징을 이해한다.

A 76. 면역 결핍 상태에 따라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는 원인 병원체를 기술한다.

C 77. 골수이식 후 흔히 일어나는 감염증을 단계별(pre-transplantation, pre-engraftment,

post-engraftment, late post-transplant)로 기술한다.

B 78. B 세포, T 세포 및 혼합면역결핍 증후군 환자의 감염병 치료 및 예방대책을 기술한다.

B 79. 종양, 면역억제 치료 및 이식 환자의 감염병 치료와 예방대책을 기술한다.

A 80. 만성 육아종 질환에서 더 문제가 될 수 있는 미생물을 열거한다.

B 81. 만성 육아종 질환을 가진 환자의 특수 장기 예방요법을 기술한다.

[Infection associated with medical devices]

A 82. 의료기구 관련 감염증이 생기는 기전에 대해 이해한다.

A 83. 의료기구 관련 감염증(요도, 혈관 내, 중추신경계, 복막, 수술기구)의 흔한 원인균과

진단 방법 및 예방법을 숙지한다.

A 84. 의료기구 관련 감염증 환자의 처치 및 합병증을 열거한다.

B 85. 도관 관련 감염을 일으키는 균에 따른 예후, 치료 가능성 및 합병증을 숙지한다.

B 86. 혈액 또는 복막 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에서의 감염 예방 및 관리, 예방화학요법을

위한 특정 조치와 각 조치의 유효성을 숙지한다.

[Principles of antibacterial therapy]

A 87. 미생물학적인 진단에 따른 경험적 항생제 선택의 기본 개념을 이해한다.

Page 47: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46

A 88. 소아의 연령에 따른 적절한 경험적 항생제의 선택을 할 수 있다.

A 89. 항생제의 군별(베타락탐, aminoglycoside, glycopeptide 등) 항균 기전 및 내성 기전

을 이해한다.

A 90. 항생제 병용요법의 이유를 이해한다.

B 91. 항생제 내성의 기전을 이해하고, 그 예를 숙지한다.

A 92. 약동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항생제에도 적용됨을 설명한다.

B 93. 혈장 vancomycin 농도 감시의 이유와 적정 감시법을 이해한다.

C 94. 과속주입에 따른 유해효과를 포함한 vancomycin의 유해효과와 독성을 열거하고, 그

치료방법을 설명한다.

C 95. 임신 중 항생제의 안전성을 설명한다.

B 96. 국내에서 분리되는 중요 세균들의 항생제 내성률을 인지한다.

A 97. 항생제 남용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A 98. 감염 부위에 따라 선택해야 하는 항생제를 나열한다.

[Staphylococcus]

A 99.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는 Staphylococcus를 분류한다.

A 100. S. aureus가 생성하는 독소 및 효소를 기술한다.

B 101. 메티실린 내성 S. aureus (MRSA)를 원내 획득 MRSA와 지역사회 획득 MRSA로 구

분하여 설명한다.

A 102. S. aureus 감염의 위험인자와 예후인자를 열거한다.

A 103. S. aureus 감염으로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을 열거하고 그 진단법 및 치료법을 기술한

다.

B 104. S. aureus 감염과 감별할 질환을 설명한다.

A 105. S. aureus 감염의 예방에 대해 설명한다.

A 106. 독성쇼크증후군의 병태 생리와 임상 양상을 설명한다.

A 107. 독성쇼크증후군의 진단기준과 감별할 질환을 열거한다.

A 108. 독성쇼크증후군의 치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B 109. Coagulase 음성 Staphylococcus (CoNS) 감염의 병태 생리를 설명한다.

A 110. CoNS 감염으로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을 열거한다.

A 111. CoNS 감염의 진단, 치료, 예후, 예방에 대해 설명한다.

A 112. 농가진, 농피증 및 단독의 원인균을 기술한다.

A 113. 봉와직염의 원인균을 연령에 따라 기술한다.

A 114. 뺨 부위, 안와 주위 봉와직염의 원인균 및 치료를 기술한다.

Page 48: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47

[Streptococcus pneumoniae (Pneumococcus)]

B 115. 폐구균 감염의 병태생리학 및 면역유도에서 다당체 피막의 역할을 설명한다(혈청형

의 다양성 등).

A 116. 폐구균 감염에 대한 고위험군을 기술하고 이들에 대한 폐구균 백신접종의 구체적

예를 기술한다.

B 117. 특발성 폐구균 혈증의 특징을 기술한다.

B 118. 폐구균이 혈액, 인두 등에서 분리되었을 때 각각의 의의를 설명한다.

A 119. 폐구균 감염의 부위에 따른 치료와 항생제 내성을 기술한다.

[Streptococcus]

B 120. 사슬알균의 Lancefield 분류와 용혈 반응에 따른 집락화 부위 및 질병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A 121. A군 사슬알균 감염의 혈청학적 검사를 이해한다.

A 122. A군 사슬알균의 역학적 특성 및 면역에 대하여 설명한다.

A 123. 성홍열의 임상증상, 치료, 예방 및 감별질환을 열거한다.

A 124. B군 사슬알균의 임신부 생식기 집락의 의미를 설명한다.

A 125. B군 사슬알균의 신생아에서 침습 감염을 일으키는 중요 혈청군을 열거한다.

A 126. B군 사슬알균에 의한 조기 또는 후기 신생아 감염의 특성을 비교하여 설명한다.

A 127. B군 사슬알균에 의한 침습 감염의 항생제 선택과 치료 기간을 기술한다.

C 128.비(非) A 또는 B군 사슬알균에 의한 주요 감염증과 치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Enterococcus]

B 129. Enterococcus 감염의 위험인자를 열거한다.

B 130. Enterococcus의 항생제 내성 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B 131. Enterococcus에 의한 균혈증, 수막염, 심내막염에 대한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할 수

있다.

C 132. 반코마이신 내성 enterococcus의 의미를 설명한다.

C 133. 반코마이신 내성 enterococcus 치료 항생제를 열거한다.

[Diphtheria (Corynebacterium diphtheriae)]

B 134. 디프테리아의 역학적 변화, 침범 부위에 따른 임상증상, 진단방법 및 중요 합병증을

설명한다.

B 135. 디프테리아의 치료를 설명한다.

B 136. 디프테리아 환자와 접촉한 경우의 예방적 조치를 기술한다.

Page 49: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48

[Listeria monocytogenes]

B 137. Listeria monocytogenes의 사람에서의 감염의 종류를 설명한다.

A 138. 신생아 L. monocytogenes 감염의 발병 시기에 따른 임상 증상의 특성을 설명하고

치료 항생제를 기술한다.

C 139. 음식물 매개 리스테리아증의 예방을 설명한다.

[Actinomyces, Nocardia]

B 140. 방선균증의 임상형과 치료약제를 기술한다.

B 141. Norcadia증 위험인자를 설명한다.

[Neisseria meningitidis (Meningococcus)]

A 142. 수막알균 질환의 위험요인 및 역학을 이해한다.

A 143. 수막알균 감염의 임상증상을 설명하고 수막알균혈증의 자반과 감별해야 할 질환을

기술한다.

A 144. 수막알균 감염의 진단과 치료를 기술한다.

A 145. 수막알균 감염 환자의 합병증과 예후에 대해 기술한다.

A 146. 수막알균 감염의 예방화학요법을 기술한다.

[Neisseria gonorrhoeae (Gonococcus)]

A 147. 임균 감염의 전파경로, 임상증상, 진단방법, 치료 및 합병증을 설명한다.

B 148. 무증상 임균 감염의 역학적 중요성을 설명한다.

A 149. 신생아 임균 안염의 예방방법을 기술한다.

[Haemophilus influenzae]

B 150. H. influenzae 감염의 빈도에 종족간 차이가 있음을 이해한다.

A 151. 도말검사 표본에서 H. influenzae를 식별하고 침습질환을 잘 일으키는 형을 기술한

다.

A 152. b형 H. influenzae 감염에 의한 질환을 설명하고 각 질환의 호발연령 및 위험인자

를 기술한다.

A 153. H. influenzae 감염의 치료약제를 기술하고, 뇌수막염이 있을 때 dexamethasone을

투여하는 목적과 방법을 기술한다.

A 154. H. influenzae 감염의 예방과 예방화학요법을 설명한다.

Page 50: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49

[Pertussis (Bordetella pertussis, B. parapertussis)]

A 155. 백일해의 역학적 변화와 전파양식을 설명한다.

A 156. 백일해의 특징적 임상경과에 따른 증상과 중요 합병증을 기술한다.

A 157. 백일해와 임상적으로 감별해야 할 질환을 열거한다.

A 158. 백일해 감염의 예방과 환자와 접촉한 경우의 예방적 조치를 기술한다.

A 159. 백일해의 치료에 대해 기술한다.

[Salmonellosis]

A 160. 살모넬라균의 분류 및 명명법을 이해한다.

A 161. 비장티푸스 살모넬라증의 역학, 임상증상, 치료를 설명한다.

A 162. 비장티푸스 살모넬라균에 의한 전신감염의 위험요인을 열거한다.

A 163. 장티푸스의 역학, 임상증상, 진단, 합병증, 치료를 설명한다.

[Shigella]

A 164. 세균성 이질을 일으키는 균에 대해 설명한다.

A 165. 세균성 이질의 병리기전 및 역학적 특성을 설명한다.

A 166. 세균성 이질의 임상증상, 특히 흔한 신경계 증상들을 이해한다.

A 167. 세균성 이질의 진단과 치료를 설명한다.

[Escherichia coli]

A 168. 6가지의 설사 유발 대장균을 분류하고 그 특징을 설명한다.

A 169. Enterotoxigenic E. coli의 병리기전에 작용하는 독성인자들을 설명한다.

A 170. Enteroinvasive E. coli 감염의 역학적 특성과 병리기전을 설명한다.

A 171. Shiga toxin-producing E. coli 감염의 임상증상 및 합병증을 기술한다.

A 172. 설사 유발 대장균 감염의 진단과 치료를 기술한다.

[Vibrio]

B 173. 전 세계적으로 콜레라가 호발하는 지역을 열거한다.

A 174. 콜레라의 특징적인 분비형 장염의 발생기전을 설명한다.

B 175. 콜레라의 전파경로, 임상증상, 진단, 치료를 설명한다.

A 176. Vibrio 패혈증의 국내 역학, 임상양상, 치료 및 예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Page 51: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50

[Campylobacter]

A 177. Campylobacter의 감염경로를 설명한다.

A 178. Campylobacter 감염의 임상증상, 진단, 치료를 기술한다.

B 179. Campylobacter jejuni 감염과 Guillain-Barré 증후군의 연관성에 대해 설명한다.

[Yersinia]

A 180. Yersinia 균 중 사람에게 질환을 일으키는 균을 열거한다.

B 181. Yersinia 감염의 임상증상, 진단, 치료를 기술한다.

C 182. 페스트가 어떤 병인지 파악한다.

[Pseudomonas, Burkholderia, Stenotrophomonas]

A 183. 녹농균 감염의 위험인자 및 임상증상을 기술한다.

A 184. 녹농균 감염의 치료법 및 예방법을 설명한다.

[Tularemia, Brucella, Legionella]

C 185. Tularemia증이 어떤 병인지 파악한다.

B 186. Brucella증이 어떤 병인지 파악한다.

B 187. Legionella증이 어떤 병인지 파악한다.

[Bartonellosis]

B 188. 묘소(cat-scratch)병의 원인과 잘 생기는 경우를 기술한다.

B 189. 묘소(cat-scratch)병의 임상증상, 진단, 치료를 기술한다.

[Clostridium]

B 190. 보툴리즘(botulism)의 3가지 형을 설명한다.

C 191. 영아 보툴리즘과 감별해야 할 질환을 기술한다.

A 192. 파상풍 발생에 관여하는 독소를 설명한다.

B 193. 파상풍의 국내 역학 상황을 파악한다.

A 194. 파상풍의 임상증상, 치료 및 예방적 처치를 설명한다.

A 195. 파상풍의 예후와 중요 합병증을 열거한다.

B 196. Clostridium difficile 감염증의 임상형태 및 진단 방법을 기술한다.

B 197. Clostridium difficile 감염증의 치료 방법을 기술한다.

Page 52: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51

[Other anaerobic Infections]

C 198. 혐기성(anaerobes) 균을 그람염색과 포자형성 여부에 따라 분류하고 임상과 관계가 많

은 균주 2가지를 열거한다.

B 199. 혐기성 균 감염증의 치료 원칙, 특히 항생제 선택에 대해 설명한다.

[Tuberculosis (Mycobacterium tuberculosis)]

A 200. 소아 결핵이 발생하는 경로 2가지를 기술하고 성인결핵에 비해 전염성이 적은 이유를

기술한다.

A 201. 결핵균에 감염된 후 병으로 발전하는 위험률을 연령별로 나누어 기술한다.

A 202. 성인 결핵과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A 203. 결핵균에 감염된 후 과민반응이 나타나는 시기 및 기전을 이해하고, 초기 폐 병변,

국소 림프절 침범, 치유 및 진행 양상 등 발병 기전에 대해 이해한다.

A 204. 결핵균에 대한 숙주 저항력을 감소시키는 인자를 열거한다.

A 205. 결핵에 대한 일반적인 진단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A 206. 투베르쿨린 검사 방법과 판독법을 기술한다.

A 207. 투베르쿨린 검사에서 위양성과 위음성 반응을 보이는 경우를 기술한다.

A 208. BCG와 nontuberculous mycobacterium이 투베르쿨린 검사에 미치는 영향(흔히 알

고 있는 것보다 영향이 적음)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한다.

A 209. 결핵을 병형별로 분류하고 각각 추천되는 항결핵제 및 치료기간을 기술한다.

A 210. 결핵의 치료 원칙에 대해 설명하고 흔히 쓰이는 각 항결핵제에 대한 용량 및 주요

부작용을 기술한다.

A 211. 폐결핵의 X선 변화를 설명한다.

A 212. 파종 결핵의 정의 및 감별 진단, 예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B 213. 결핵성 뇌수막염의 뇌 척수액 결과와 다른 병원체에 의한 뇌수막염과의 차이점을 구

분한다.

B 214. 선천 결핵의 임상증상 및 진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A 215. 결핵에 있어서 스테로이드 치료의 적응증을 기술한다.

A 216. 호흡기 결핵 환자와의 접촉 후 시행되는 접촉자 조사의 중요성, 조사 범위, 방법에

대해 숙지한다.

A 217. 객담 도말 양성과 음성 환자와의 접촉 후 잠복결핵감염의 발생 확률에 대해 이해한

다.

A 218. 잠복결핵감염의 진단과 치료의 중요성, 방법에 대해 숙지한다.

A 219. 충분한 결핵 치료가 되지 않은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의 처치에 대해 설명한다.

A 220. BCG를 접종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Page 53: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52

A 221. BCG 접종 후 림프절염이 생겼을 때의 조치에 대해 설명한다.

A 222. 다제 내성(MDR)과 광범위 내성(XDR) 결핵의 정의를 기술한다.

[Hansen Disease (Mycobacterium leprae)]

C 223. 나병(한센병)의 임상형과 흔히 보는 조기증상을 기술한다.

[Nontuberculous Mycobacteria]

B 224. 비결핵형 mycobacteria 감염의 가장 흔한 질환과 치료 약제를 설명한다.

B 225. Mycobacterium tuberculosis와 nontuberculous mycobacterium 감염을 감별할 수

있는 진단법을 기술한다.

C 226. 표재성 경부 림프절 종창이 있을 때 비결핵형 mycobacteria에 의한 감염임을 시사

하는 소견 및 확진방법을 기술한다.

[Syphilis (Treponema pallidum)]

A 227. 선천 매독의 전파 경로 및 위험 요인을 기술한다.

A 228. 선천 매독의 조기 및 후기 임상증상, 특징적인 골 X선 변화와 진단에 대하여 설명한

다.

A 229. 후천 매독의 전파 경로 및 임상증상을 설명한다.

A 230. 매독 혈청검사 중 treponemal 검사와 nontreponemal reagin 검사의 종류, 특징 및

결과의 의미를 설명한다.

A 231. 선천 매독 및 후천 매독의 치료를 설명한다.

[Leptospira, Relapsing fever (Borrelia), Lyme Disease (Borrelia burgdorferi)]

B 232. 렙토스피라증에서 잘 침범되는 장기를 열거하고, 임상증상을 설명한다.

B 233. 렙토스피라증의 진단, 치료 및 예후를 설명한다.

C 234. 재귀열(relapsing fever)이 어떤 병인지 파악한다.

B 235. Lyme 병이 어떤 병인지 파악한다.

[Mycoplasma]

A 236. 마이코플라스마의 생물학적 특징과 인체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주요 병원체를 기술

한다.

A 237. 마이코플라스마 감염의 빈도, 주요 감염부위 및 면역반응과 질병과의 관계를 설명

한다.

A 238. 마이코플라스마 호흡기 감염의 호발연령과 임상증상을 설명한다.

Page 54: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53

A 239. 마이코플라스마 감염의 특이 항체 및 비특이 항체에 대해 기술하고 진단을 설명한다.

A 240. 마이코플라스마 호흡기 감염의 치료약제와 치료기간을 기술한다.

A 241. 마이코플라스마 생식기 감염의 원인균, 감염경로 및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A 242. 마이코플라스마 주산기 감염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임상증상을 설명한다.

[Chlamydia]

A 243. 인체에 질병을 일으키는 클라미디아의 주요 원인 병원체를 기술한다.

A 244. 클라미디아 감염증의 진단방법, 치료약제와 치료기간 및 예방을 기술한다.

A 245. 클라미디아 결막염의 특징을 설명하고 다른 결막염과 구별한다.

B 246. C. pneumoniae, C. trachomatis 감염의 감염경로, 임상증상 및 검사결과를 설명한

다.

[Rickettsioses]

A 247. 리케차의 생물학적 특징을 기술하고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B 248. 리케차 질병의 종류, 병원체, 매개체, 숙주동물 및 진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A 249. 쯔쯔가무시병의 호발계절, 감염경로, 임상증상을 설명하고, 감별 질환을 열거한다.

A 250. 리케차 감염의 치료방법을 기술한다.

[Fungus]

A 251. 신생아에서의 칸디다에 의한 아구창과 기저귀 부위 피부염의 증상과 치료를 설명한

다.

B 252. 선천성 칸디다증의 발현양상을 기술한다.

A 253.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칸디다증을 설명한다.

B 254. cryptococcus의 원인과 역학을 설명한다.

A 255. cryptococcus의 감염형태를 열거하고 치료 및 진단방법을 기술한다.

B 256. aspergillus에 의한 과민반응으로 생기는 질환을 열거한다.

A 257. aspergillus에 의한 침습 질환이 발생하는 위험군과 진단방법,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B 258. mucormycosis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군과 임상형,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Pneumocystis jiroveci]

A 259. 폐포자충(P. jiroveci) 폐렴의 임상 양상을 기술한다.

B 260. 폐포자충 폐렴의 진단과 치료를 기술한다.

B 261. 고위험군 환자의 폐포자충 폐렴에 대한 예방방법을 기술한다.

Page 55: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54

[Principles of antiviral therapy]

A 262. acyclovir의 투여 방법에 따른 용법 및 부작용을 설명하고 적응증을 열거한다.

A 263.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사용되는 항바이러스제를 열거한다.

B 264. ribavirin의 적응증을 열거한다.

A 265. 예방적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항바이러스 면역글로불린 제제를 열거한다.

[Measles]

A 266. 홍역의 국내 및 해외 역학 상황에 대해 설명한다.

A 267. 전형적인 홍역의 임상 증상, 진단, 감별진단,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B 268. 경증화된 홍역 또는 불현성 홍역을 설명한다.

B 269. 홍역의 아급성 경화 전뇌염을 포함한 합병증을 설명한다.

A 270. 홍역의 격리기간 및 격리방법을 기술한다.

A 271. 홍역의 노출 후 예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Rubella]

A 272. 풍진의 국내 및 해외 역학 상황에 대해 설명한다.

A 273. 풍진의 임상 증상, 치료, 합병증 및 예후를 기술한다.

A 274. 선천 풍진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는 임신 기간과 증상 및 진단에 대해 기술한다.

A 275. 풍진과 감별해야 할 질환을 열거한다.

A 276. 풍진의 격리기간 및 격리방법을 설명한다.

A 277. 풍진의 노출 후 예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Mumps]

A 278. 볼거리의 국내 및 해외 역학 상황에 대해 설명한다.

A 279. 볼거리의 임상 증상, 진단, 치료, 합병증, 예후를 설명한다.

A 280. 볼거리와 감별해야 할 질환을 열거한다.

A 281. 볼거리 바이러스 외에 이하선염을 일으킬 수 있는 바이러스를 열거한다.

A 282. 볼거리의 격리기간 및 격리방법을 설명한다.

[Polioviruses와 enteroviruses]

A 283. enterovirus의 종류를 분류한다.

B 284. Poliovirus 감염의 임상 양상을 설명한다.

A 285. 급성 이완 마비의 원인을 열거하고 폴리오바이러스에 의한 마비를 진단하기 위한

검체의 종류와 채취 시기를 설명한다.

Page 56: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55

A 286. Nonpolio enterovirus에 의한 임상 증후군을 침범 장기에 따라 기술한다.

A 287. 수족구병을 일으키는 흔한 enterovirus 형을 기술하고 특히 심한 합병증은 무엇이며

이를 유발하는 혈청형을 열거한다.

A 288. Nonpolio Enterovirus에 의한 herpangina의 임상 증상을 기술한다.

A 289. 무균 수막염의 원인을 열거하고, 이 중 가장 흔한 원인을 기술한다.

A 290. 바이러스 뇌수막염의 흔한 원인을 열거하고 세균성 뇌수막염의 뇌 척수액 검사 결과와

비교한다.

B 291. 신생아의 enterovirus 감염의 증상을 설명하고, 중증 감염이 생길 수 있음을 이해한

다.

C 292. Enterovirus 71에 의한 중증 감염의 치료에 있어 Milrinone의 유용성을 설명한다.

C 293. Enterovirus에 의한 감염증의 치료에 시도되고 있는 항바이러스제를 열거한다.

[Parvovirus B19]

A 294. 전염 홍반의 원인 바이러스와 임상증상, 격리기간을 설명한다.

B 295. Parvovirus B19 감염과 임신과의 관계를 기술한다.

B 296. Parvovirus B19 감염에 의하여 올 수 있는 질환을 기술한다.

A 297. Parvovirus B19 감염에 의한 aplastic crisis에 대해 설명한다.

[Herpes simplex Virus]

A 298. 단순포진바이러스 1형과 2형에 의하여 발생하는 질환을 기술한다.

A 299. 단순포진바이러스의 원발성 감염과 재발성 감염의 특징을 설명한다.

A 300. 단순포진바이러스에 의한 임상 양상의 형태와 그 특징 및 치료를 설명한다.

A 301. 신생아 단순포진바이러스 감염의 감염경로, 감염형태 및 치료를 설명한다.

A 302. 단순포진바이러스성 치은구내염의 임상증상 및 치료를 설명한다.

A 303. 단순포진바이러스 감염의 진단을 설명한다.

[Varicella-zoster virus infections]

A 304. 수두와 대상포진의 국내 및 해외 역학 상황에 대해 설명한다.

A 305.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의 발생기전을 기술한다.

A 306. 수두의 전파양식, 감염성이 있는 시기 및 발진의 특징을 설명한다.

A 307. 심한 수두를 앓게 하는 위험요인을 열거한다.

A 308. 수포성 발진을 동반하는 질환 중 감별이 필요한 것을 열거하고 차이점을 기술한다.

A 309. 수두의 합병증을 기술하고 그 중 가장 흔한 합병증과 원인을 설명한다.

B 310. 수두와 Reye 증후군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Page 57: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56

A 311. 수두환자에 항바이러스제의 치료가 필요한 경우를 나열한다.

A 312. 신생아 수두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수두에 감염된 임산부로부터 출생한 신생아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설명한다.

A 313. 건강 상태와 면역저하 상태의 소아를 구분하여 수두의 노출 후 예방법에 대해 기술

한다.

[Epstein-barr Virus]

A 314. Epstein barr virus (EBV) 감염의 국내 및 해외 역학 상황에 대해 설명한다.

B 315. EBV 감염과 관련된 종양 질환을 열거한다.

A 316. EBV 감염의 역학적 특성 및 전파 경로를 이해한다.

A 317. EBV 감염의 특징적인 임상양상과 합병증을 열거한다.

A 318. EBV 감염의 진단을 위한 검사소견을 설명한다.

A 319. EBV 항체의 종류와 항체가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설명하고, 항체분포에 따른

감염상태를 평가한다.

A 320. EBV 감염의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Cytomegalovirus]

A 321. 거대세포 바이러스의 전파경로와 치료를 기술한다.

A 322. 선천 및 주산기 거대세포 바이러스 감염의 임상증상, 진단방법을 설명한다.

[Roseola (Human Herpesviruses 6 and 7)]

A 323. 돌발진의 원인 바이러스와 역학적 특성을 기술한다.

A 324. 돌발진의 임상증상 및 검사실 소견을 기술한다.

A 325. 돌발진과 홍역, 풍진 등과의 피부증상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A 326. 돌발진의 합병증 및 치료에 대하여 기술한다.

[Human Herpesvirus 8]

B 327. Human herpesvirus 8과 Kaposi sarcoma 및 림프세포증식질환과의 관계를 설명한

다.

[Influenza, parainfluenza viruses]

A 328.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혈청학적으로 분류하고 아형(subtype)을 설명한다.

A 329.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항원의 대변이(antigenic shift)와 소변이(drift)의 임상적 의

의를 설명한다.

Page 58: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57

C 330. 새로운 아형의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가 유행할 때 호발연령과 감염률을 설명한다.

A 331. 인플루엔자의 국내 역학을 설명한다.

A 332. 인플루엔자의 잠복기 및 감염경로, 연령에 따른 임상적 특징을 기술한다.

A 333. 인플루엔자의 합병증을 열거하고, 합병증의 위험인자를 기술한다.

A 334. 인플루엔자의 진단방법을 설명한다.

A 335. 인플루엔자의 치료에 사용되는 항바이러스제를 열거하고 설명한다.

B 336.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의 형(type)을 기술하고 이에 따른 역학적인 특징을 설명한다.

A 337.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의 임상증상 및 치료를 기술한다.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 338.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감염의 호발연령을 설명한다.

A 339. RSV의 초감염 시의 임상증상과 감염에 의한 흔한 질환을 기술한다.

B 340. RSV의 전파경로를 설명하고 전파차단을 위한 감염관리 원칙을 설명한다.

B 341. RSV 감염으로 인한 세기관지염의 병인과 면역학적 관계를 설명한다.

A 342. RSV 감염의 고위험군에게 수동면역을 시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A 343. RSV 감염의 진단방법을 기술한다.

A 344. 심한 RSV 감염에 대한 위험인자를 기술한다.

B 345. 영유아기 RSV 세기관지염과 반복성 천명(recurrent wheezing)과의 관계를 이해한

다.

A 346. RSV 세기관지염의 치료(산소, 수액, 기관지 확장제,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등)에 대

해 설명한다.

A 347. RSV 단클론항체(Palivizumab)의 적응증과 투여 일정에 대해 기술한다.

[Human metapneumovirus]

A 348. 메타뉴모바이러스 감염의 임상증상과 감염에 의한 흔한 질환을 기술한다.

[Adenoviruses]

B 349. 아데노바이러스의 심한 감염 및 유행성으로 발생할 수 있는 혈청형과 위장관 감염

을 흔히 일으키는 혈청형을 기술한다.

A 350.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의 전파경로, 호발계절을 설명한다.

A 351.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호흡기 외 질환을 기술한다.

B 352. 아데노바이러스 폐렴 후의 후유증에 대해서 설명한다.

Page 59: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58

[Rhinoviruses, coronaviruses]

A 353. 라이노바이러스 감염의 호발시기, 발병질환 및 감염의 확산예방을 설명한다.

A 354. 코로나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른 감염질환 및 감염의 확산예방을 설명한다.

[Rotaviruses, caliciviruses, astroviruses]

A 355. 바이러스 위장관염의 주요 원인 바이러스를 열거하고 각 원인별로 역학적, 임상적

특징을 설명한다.

A 356. 바이러스 위장관염의 발생 기전을 설명한다.

A 357.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타바이러스 백신의 주요 면역원성 단백의 종류를 설명한다.

A 358. 바이러스 위장관염의 일반적 치료방법을 설명한다.

[Human papillomaviruses]

A 359. 인유두종바이러스의 역학과 혈청형, 관련 질환에 대해 설명한다.

A 360.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에 대해 설명한다.

[Japanese encephalitis]

A 361. 일본뇌염의 전파양식, 계절별, 연령별 발생의 특징을 설명한다.

B 362. 일본뇌염의 급성기 전신 증상과 병이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신경계 증상을 기술한다.

B 363. 일본뇌염의 확진을 위한 검사법을 설명한다.

C 364. 일본뇌염의 치료를 설명한다.

[Hantavirus pulmonary syndrome]

B 365. 한타바이러스의 감염경로를 설명한다.

B 366. 한국형 출혈열의 임상경과를 병기별로 열거하고 각각의 특징을 기술한다.

B 367. Dengue fever가 어떤 병인지 파악한다.

B 368. Yellow fever가 어떤 병인지 파악한다.

C 369. Ebola viral hemorrhagic fever가 어떤 병인지 파악한다.

B 370.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이 어떤 병인지 파악한다.

[Rabies]

B 371. 공수병이 우리나라에서 지속하여 발생하는 역학적 이유를 설명한다.

A 372. 공수병의 특징적인 임상증상을 기술한다.

A 373. 광견병이 의심되는 동물에 물린 후 필요한 예방조치에 대해 설명한다.

B 374. 광견병에 노출 가능성이 있는 경우 공수병 예방지침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Page 60: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59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A 375. 인면역결핍바이러스(HIV)의 감염경로를 기술한다.

A 376. HIV에 감염된 소아가 진단되는 시기를 기술한다.

A 377. 소아 HIV 감염의 주요 위험 요소, 2가지 임상형 및 진단방법을 기술한다.

B 378. HIV 감염의 검사소견, 예후인자를 기술한다.

A 379. HIV 양성 임신부에서 태어나는 신생아의 주산기 감염에 대한 예방법 및 감염 여부

확인을 위한 검사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B 380.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AIDS)에서 가장 치명적인 기회감염의 원인 및 감염 시 사

망률을 기술한다.

[Parasites]

A 381. 아메바증의 병원체, 임상증상 및 진단을 기술한다.

B 382. 아메바증의 치료를 기술한다.

B 383. 람블 편모충증(giardiasis)의 발생 위험이 높은 환경, 임상증상, 진단 및 치료를 기술

한다.

B 384. 트리코모나스증(trichomoniasis)의 전파 경로, 임상 증상, 진단 및 치료를 기술한다.

A 385. 말라리아 병원체 종류와 전파양식을 기술한다.

A 386. 말라리아의 병리 생태, 임상증상, 진단, 치료를 설명한다.

A 387. 톡소포자충증(toxoplasmosis)의 원인 병원체 및 중간숙주를 기술하고 선천 감염과

후천 감염의 임상증상을 기술한다.

B 388. 톡소포자충증의 진단 및 치료를 기술한다.

A 389. 머릿니 감염증의 치료에 대해 기술한다.

B 390. 회충증의 원인, 임상증상 및 치료를 기술한다.

C 391. 구충증(hookworm infection)의 원인과 임상증상을 기술한다.

A 392. 요충증의 임상증상, 진단 및 치료를 기술한다.

C 393. 유충내장이행증의 원인을 기술한다.

C 394. 간흡충증 및 폐흡충증의 감염경로, 임상증상 및 치료를 기술한다.

B 395. 조충증(adult tapeworm infection, cysticercosis)의 감염경로, 임상증상을 기술한다.

[기타]

A 396. 연령에 따른 급성 중이염의 항생제 치료 지침을 기술한다.

A 397. 골수염, 화농성 관절염의 흔한 원인균을 열거하고 병리기전, 진단, 치료에 대해 설

명한다.

Page 61: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60

15.� 소화기�질환

학습 목적

소아청소년에게 흔한 소화기 질환의 임상 특성과 검사 결과를 이해하고, 감별진단을 위한

각종 검사 및 수기의 시술 방법 및 적응증에 대해 이해한다. 특히 응급질환을 신속하게 판별하

여 적절한 치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 목표

A 1. 소아청소년 위장관 질환의 진단에 이용되는 수기(간생검, 내시경, hydrogen breath

test, manometry, (Impedence) pH meter 등)의 전처치 및 검사방법을 설명한다.

A 2. 진단 검사 과정에서 필요한 진정 방법(약제 종류와 길항제의 용량)을 설명한다.

B 3. 상부 위장관과 대장 내시경 검사의 적응증을 설명한다.

B 4. 식도조영술, 상부위장관조영술, 소장조영술, 대장조영술 검사의 적응증을 설명한다.

B 5. 복부초음파, 복부 CT 스캔, 복부 MRI 검사의 적응증을 설명한다.

C 6. 식도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High-resolution) manometry 및 (Impedence) pH

meter의 적응증과 결과를 설명한다.

B 7. 직장/항문 질환 진단에 필요한 (High-resolution) manometry의 적응증과 결과를 설

명한다.

A 8. 간생검의 적응증, 금기사항, 합병증을 기술한다.

A 9. 연령에 따른 구토, 복통, 설사, 토혈/혈변 등의 소화기 증상에 대한 주요 원인 질환을

감별진단 할 수 있다.

A 10. 급성 설사를 일으키는 주요 세균과 바이러스를 열거하고 이에 따른 임상 및 대변 검

사 결과의 차이를 설명한다.

A 11. 장관 감염의 3가지 Type을 감별한다.

A 12. 급성 위장염 치료 시에 중요한 치료 원칙을 설명한다.

A 13. 탈수의 주요 진찰 소견을 기술하고 탈수의 정도를 분류한다(경증, 중등도, 중증설사).

A 14. 경구용 전해질 용액의 조성, 작용 기전과 사용에 대해 설명한다.

A 15. 스포츠 음료나 일반 음료가 경구용 전해질로 적절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

다.

B 16. 급성 위장염 치료 시에 아연 공급 및 probiotics 사용에 대해 설명한다.

A 17. 감염성 설사 시의 항생제 적응증을 설명한다.

A 18. 변비의 정의, 정상 배변기전, 변비 증상의 악순환 과정을 설명한다.

Page 62: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61

A 19. 만성 변비의 치료에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의 종류와 작용 기전에 대해 설

명한다.

A 20. 기능적 변비와 선천성 거대 결장증의 감별 진단에 있어서 아래 항목에 대해

기술한다.

1) 발병연령 2) 대변의 굵기 3) 성장부진 4) 대변실금 5) 직장검사

A 21. 담즙성 구토와 비담즙성 구토의 병변부위의 차이를 설명하고 질환의 예를 든다.

B 22. 주기성 구토의 진단 기준, 감별 질환, 치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A 23. 다음 나이에서 중요한 구토의 원인을 열거한다.

1) 신생아기 2) 영아기 3) 소아기

A 24. 구토(vomiting)와 게우기(regurgitation)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A 25. 급성과 만성 복통에서 기질적 원인을 암시하는 위험 신호를 설명한다.

A 26. 만성 복통의 정의와 통증의 특징 및 대책을 설명한다.

A 27. 토혈(hematemesis), 선홍색 혈변(hematochezia) 및 하혈(melena)의 출혈부위에 따른

임상적 의미를 설명한다.

A 28. 토혈의 주요 원인을 연령별로 열거한다.

1) 신생아기 2) 영아기 3) 학동전기 4) 학동기

A 29. 혈변의 원인을 연령별로 열거한다.

1) 신생아기 2) 영아기 3) 학동전기 4) 학동기

A 30. 하부 위장관 출혈 시 통증 유무에 따른 병인을 감별한다.

B 31. 위장관출혈의 부위 및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진단 절차에 대해서 설명

하고, 위장관 출혈 환자에 대한 대책을 설명한다.

A 32. 아구창(thrush, moniliasis)의 임상증상, 유발 요인, 치료 대책을 설명한다.

A 33. 아프타성 구내염(aphthous stomatitis)의 임상 증상과 치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B 34. 선천 식도폐쇄 또는 식도기관루의 해부학적 형태를 흔한 순서로 도해하고 흔히 동

반되는 기형을 열거한다.

A 35. 선천성 식도폐쇄 또는 식도기관루의 해부학적 특성에 따른 증상들과 진단방법, 치

료를 설명할 수 있다.

B 36. 선천성 식도폐쇄 또는 식도기관루 환자에서 폐렴이 발생하는 기전을 기술한다.

B 37. 선천성 식도폐쇄 또는 식도기관루의 수술 후 합병증을 기술한다.

C 38. 정상 식도에서 보이는 식도파(wave) 및 하부 식도괄약근 압력을 분문 무이완증

(achalasia)과 비교하여 설명한다.

C 39. 영아기 및 소아기의 연하장애(dysphagia)의 원인을 각각 열거하고 식도질환의 감

별진단에 쓰이는 진단방법을 설명한다.

B 40. 분문 무이완증의 병태기전, 임상증상, 진단, 검사결과와 치료방법을 열거한다.

Page 63: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62

B 41. 식도공 탈장의 2가지 종류를 열거하고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A 42. 위식도 역류의 연령에 따른 임상 증상을 설명한다.

A 43. 위식도 역류의 진단을 위한 검사방법을 열거하고 비교한다.

A 44. 위식도 역류 환자의 자연경과 및 연령에 따른 치료방법 (자세, 음식, 특수분유, 약제

등)을 설명하고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를 기술한다.

B 45. 캔디다 식도염의 호발요인, 증상, 확진방법 및 치료를 기술한다.

B 46. 부식성 식도염의 치료 원칙을 기술한다.

A 47. 위장관 이물질의 위치 및 종류에 따라 다른 치료 원칙을 설명한다.

A 48. 비대날문 협착증의 특징적인 임상 증상과 주요 진단 검사법의 소견을 기술한다.

B 49. 비대날문 협착증에 동반된 대사 장애, 수술 전 조치 및 치료 (수술, 약제)에 대해 설

명한다.

A 50. 선천 십이지장 폐쇄를 일으킬 수 있는 원인 질환 및 특징적인 X선 소견을 설명한다.

A 51. 중장 꼬임의 임상증상과 영상 진단소견을 설명한다.

A 52. 소장 및 대장폐쇄의 호발부위와 각 부위에 따른 증상을 이해한다.

B 53. 위장관 중복(duplication)의 증상,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A 54. 멕켈 게실의 발생학적 기전, 임상증상과 진단방법,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B 55. Hirschsprung병의 병인을 설명한다.

C 56. Hirschsprung병의 가족력과 관련된 유전인자를 이해한다.

A 57. Hirschsprung병의 연령 (신생아, 영아, 연장아)에 따른 임상증상의 차이를 설명한다.

B 58. Hirschsprung병의 직장검사소견, manometry 소견, 직장생검 및 X선 소견을 기술한

다.

C 59. Hirschsprung병의 수술시기 및 수술방식, 수술 후 생길 수 있는 문제에 대하여 설명한

다.

C 60. 장 가성폐쇄(intestinal pseudoobstruction)의 정의, 증상, 진단법 및 치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C 61. Superior mesenteric artery syndrome의 병인, 진단 및 치료방법을 설명한다.

A 62. 장중첩증의 진단에 특징적인 임상증상 및 진단방법을 열거한다.

A 63. 장중첩증의 가장 흔한 형태와 호발연령 및 기질적인 원인을 설명한다.

A 64. 장중첩증의 관장정복의 금기사항, 주의 점과 재발률을 설명한다.

A 65. 장중첩증의 치료방법을 설명하고 수술적 치료를 요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B 66. Helicobacter pylori가 유발하는 위장관 질환을 이해하고 진단방법을 설명한다.

A 67. H. pylori의 전파 양식, 관련되는 질환을 설명한다.

A 68. H. pylori 감염의 치료방법, 대상, 제균 후 확인 방법을 설명한다.

A 69. 소화성 궤양의 연령에 따른 증상의 차이와 진단 및 적절한 치료법을 설명한다.

Page 64: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63

B 70. 소화성 궤양의 병태생리에 관하여 이해한다.

A 71. 위, 십이지장 궤양 발생의 가장 중요한 요소를 설명한다.

A 72. 원발성 소화성 궤양과 속발성 궤양의 차이점을 이해한다.

B 73. 궤양치료 약제를 작용 기전에 따라 분류하고 설명한다.

A 74. 속발성 궤양의 중요한 원인, 증상, 관련된 질환을 설명한다.

C 75. 염증성 장질환의 역학, 병인 및 유전자에 대해 설명한다.

B 76.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 각각의 임상 양상, 혈청 검사, 영상의학적 소견(CT/MRI/조영

술), 내시경 소견을 이해하고 특징적인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설명한다.

B 77.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치료 약제를 열거하고 이들 약제의 작용 기전을 설

명한다.

B 78. 크론병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영양 장애를 설명하고 영양 요법에 대해 이해한다.

C 79. 염증성 장 질환의 장 외 증상과 소견, 암 발생과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A 80. 모유영양과 분유영양아에게서 대변 양상의 차이를 설명한다.

A 81. 설사변의 정의를 이해하고 삼투성 및 분비성 설사의 기전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A 82. 만성 설사를 정의하고 급성 위장관 감염 후 속발할 수 있는 설사(postenteritis

diarrhea)를 열거하고 이들의 병리기전을 설명한다.

C 83. 분비성 설사를 보이면서 만성 설사를 유발할 수 있는 질환을 열거한다.

A 84. 만성 설사 환자의 진단, 감별진단 및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A 85. 만성 설사로 이어지는 감염성 원인을 기술한다.

B 86. 장점막방어벽(gut mucosal barrier)을 설명한다.

A 87. 유당 불내성 설사의 진단방법을 설명한다.

B 88. 설사 환자에게서 hydrogen breath test 검사의 의미를 설명한다.

B 89. 지방 흡수 장애의 원인과 진단법을 설명한다.

B 90. Lactase 결핍증을 분류한다.

1) 선천성 2) 이차성 3) late-onset

A 91. 음식 알레르기의 종류를 열거하고 각각의 특징과 진단, 치료, 예방 방법을 설명 한다.

A 92. 만성 비특이성 설사(chronic nonspecific diarrhea)의 임상적 특징을 설명한다.

1) 호발 연령 2) 설사의 양상 3) 호발 요인 4) 치료

A 93. 우유의 종류(저유당, 카제인 가수분해, 유장단백 가수분해, 아미노산분유)와 적응증

을 설명한다.

C 94. 장결핵의 진단에 필요한 임상 증상과 검사 결과를 설명한다.

A 95. 급성 충수염의 임상증상의 특성과 급성 장염과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B 96. 항문직장 기형의 부위에 따른 동반 기형을 설명한다.

Page 65: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64

B 97. 항생제 사용에 의한 거짓막 결장염의 병인을 설명하고 그 원인이 되는 항생제를 열

거하고 치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C 98. 호산구 위장염(eosinophilic gastroenteritis)의 주요 임상소견을 설명한다.

C 99. 짧은창자증후군(short bowel syndrome)의 원인 질환을 기술하고 증상 및 합병증을

설명한다.

A 100. 단백소실장증(protein losing enteropathy)의 원인, 진단방법 및 치료를 기술한다.

C 101. 장림프관확장증(intestinal lymphangiectasia)의 진단에 도움이 되는 임상 증상, 검

사 결과와 유발질환을 기술한다.

B 102. 대장 용종(polyp)의 호발연령, 임상증상, 진단 및 치료에 대해 기술한다.

B 103. 소화관 용종증의 종류, 임상적 특징 및 합병증을 열거하고 감별진단 한다.

A 104. 간의 주요 기능을 열거한다.

B 105. Bilirubin 대사단계를 설명한다.

A 106. 간 기능과 관련된 생화학 검사 항목의 의미를 설명한다.

1) Aminotransferase

2) Alkaline phosphatase

3) γ-glutamyl transpeptidase

4) Albumin

5) Prothrombin time과 PTT

A 107. 간질환 감별 진단 시에 초음파 검사, 복부 CT, 동위원소담도스캔, 간생검, ERCP,

cholangioagraphy, angiography 검사들의 유용성을 설명한다.

B 108. 신생아 및 영아에서 비포합성 황달의 감별진단과 접근방법을 기술한다.

C 109. Aminotransferase가 정상인 직접빌리루빈 혈증의 원인질환을 감별한다.

A 110. 신생아 담즙정체의 원인을 감별하고 이에 대한 진단과정을 설명한다.

B 111. 담즙 정체 간질환에서 GGT가 상승하지 않는 질환을 설명한다.

B 112. 담도 폐쇄증과 신생아 간염의 감별진단에 도움이 되는 검사방법을 열거하고 그 결

과를 해석한다.

A 113. 간외 담도 폐쇄증의 수술시기, 수술방식 및 수술적 치료 후의 예후에 대하여 설명

한다.

B 114. 신생아 담즙정체증 환자에게서 담즙 정체로 인하여 초래되는 병태 생리학적 결과를

설명한다.

A 115. 신생아 담즙 정체증을 정의하고 치료법을 설명한다.

C 116. Alagille 증후군 (arteriohepatic dysplasia)의 특징적 임상 증상과 조직 소견을 기술

한다.

A 117. Wilson 병에 의한 간질환의 병인과 임상유형을 설명하고 진단에 필수적인 검사 결

Page 66: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65

과와 치료방법(음식, 약제)을 설명한다.

B 118. Wilson 병의 국내에서 빈발하는 돌연변이를 이해하고 유전자 검사 적응증을 이해한

다.

A 119. A형, B형, C형, D형, E형 간염의 차이를 다음 항목에 따라 설명한다.

1) 잠복기간 2) 전파경로 3) 만성화 여부 4) 혈청학적 진단법

5) 만성화 여부

A 120. A형 바이러스 간염의 임상증상, 진단법, 예후에 대해 설명한다.

A 121. A형 간염환자와 접촉 후 예방법을 설명한다.

A 122. A형과 B형 간염에 대한 능동예방접종의 시기와 스케줄을 설명한다.

A 123. B형 간염 바이러스의 serologic marker의 임상적 의의에 대해 설명한다.

1) HBsAg 2) Anti-HBs

3) HBcAg 4) Anti-HBc (IgM & IgG형)

5) HBeAg 6) Anti-HBe

7) DNA polymerase 8) HBV DNA

9) Pre-S1, pre-S2 Ag 10) Anti-pre-S1, anti-pre-S2

11) HBxAg 12) Anti-HBx

A 124.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주산기 감염의 전파경로, 임상경과 및 예방법을 설명한다.

A 125. B형 간염의 예방법에 대하여 다음 항목을 설명한다.

1) 일반 주의사항

2) 수동면역 a) pre-exposure b) post-exposure

3) 능동면역 a) 정상인 b) 면역 이상 질환 환자(만성신부전 등)

A 126.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노출 연령에 따른 감염의 자연경과의 차이를 설명한다.

A 127. B형 간염 보균자를 포함한 소아 만성 B형 간염 환자의 추적 관찰 원칙을 설명한다.

B 128.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증의 면역복합체에 의한 간외 합병질환을 열거한다.

B 129. B형 간염 백신 접종 후 항체가 형성되지 않았을 때 그 원인과 대책을 기술한다.

A 130. 만성 B형 간염의 치료 목표와 HBeAg 음전의 임상적 의의를 설명한다.

A 131. 만성 B형 바이러스 간염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와 그 작용기전을 설명한다.

B 132. 돌연변이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임상적 의의 및 대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B 133. 만성 B형 간염 치료 시에 발생하는 약제 내성 발생 기전을 설명한다.

B 134. C형 간염의 주 전파경로, 진단에 이용되는 Anti-HCV Ab, HCV-RNA 검사법의 적응

증과 장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

C 135. HCV 만성 간염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와 그 작용 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B 136. E형 간염의 임상적 특징을 기술한다.

B 137. 전신 감염 유발성 바이러스 간염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한다.

Page 67: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66

B 138. 비알콜성지방간질환의 특징, 임상적 중요성, 진단, 치료 방침을 설명한다.

B 139. 총정맥 영양에 의한 담즙 정체의 원인 및 임상경과를 설명한다.

C 140. 자가면역간염의 증상, 진단, 치료를 설명한다.

C 141. 전신 질환과 관련된 간질환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한다.

C 142. 간질환의 원인으로 대사성을 의심하게 하는 임상 증상들을 기술한다.

C 143. 사립체 간병증의 병인, 진단, 치료 방침에 대해 설명한다.

C 144. 약물에 의한 간염의 기전을 설명하고 간손상의 병리학적 분류와 대표적인 약물을

열거한다.

A 145. 급성전격성 간염/간부전의 정의와 연령에 따른 감별 질환을 설명할 수 있다.

B 146. 급성 전격성 간염이 단순한 급성 간염과 다른 임상 증상과 검사 결과를 제시한다.

B 147. 간성 혼수의 단계별 증상과 징후를 설명한다.

B 148. 급성전격성 간염/간부전의 치료 원칙, 간이식의 적응증을 설명한다.

C 149. 라이(Reye) 증후군의정의, 임상 증상, 검사 결과의 특징을 이해하고 치료원칙을 설

명한다.

B 150. 간경화의 원인, 진단 방법,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A 151. 문맥압 항진증의 정의, 원인, 각각의 기전, 증상, 치료를 설명한다.

B 152. 식도 정맥류의 발생기전과 치료 방법을 설명한다.

A 153. 간이식의 적응증 및 일반적 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A 154. 총담관낭(choledochal cyst)의 특징적 임상증상과 해부학적 분류 및 치료에 대해 기

술한다.

C 155. Caroli 병의 병리소견을 설명하고 잘 동반되는 질환을 기술한다.

C 156. 선천적 간섬유증과 다낭성 신질환의 임상적 및 병리학적 차이점을 설명한다.

B 157. 급성 담낭수종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질환을 열거하고 치료에 대해 기술한다.

C 158. 소아에서 담석이 생기기 쉬운 원인과 치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A 159. 혈청 amylase가 상승하는 질환을 기술한다.

A 160. 급성 췌장염의 원인을 열거하고 임상양상, 진단방법과 치료원칙을 설명한다.

B 161. 급성 췌장염에 병발하는 가성 낭종의 정의를 이해하고 치료에 대해 설명 한다.

C 162. 재발하는 급성췌장염 또는 만성 췌장염 환아에서 구조적 이상 및 돌연변이를 찾기

위한 검사를 설명한다.

A 163. 장간막 림프절염과 급성 충수염을 감별하고 충수염과 감별하여야 할 질환을 열거한다.

A 164. 원발성 복막염과 속발성 복막염을 구별하고 각각 흔한 원인 질환을 열거한다.

A 165. 원발성 복막염의 복수 천자 소견과 치료 원칙을 설명할 수 있다.

B 166. 태변 폐쇄의 병인, 임상 증상, 진단 및 처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B 167. 선천성 횡격막 탈장의 특징적인 임상 증상과 흉부 X선 소견을 기술한다.

Page 68: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67

C 168. 제대 기저부 탈장과 복벽개열증을 감별하여 설명한다.

B 169. 신생아 복부 종괴의 원인을 열거한다.

B 170. 복부 외상의 종류에 따라 손상받기 쉬운 장기를 열거한다.

B 171. 서혜부 탈장의 태생학, 병인론, 진단 및 처치에 대해 설명한다.

Page 69: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68

16.� 호흡기�질환

학습 목적

호흡기 질환은 소아청소년기에게 가장 흔한 질환이므로, 이와 관련된 질환을 가능한 많이

경험 또는 숙지하도록 하고,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실시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하여, 소

아청소년 호흡기의 해부 및 생리학적 특징에 관한 충분한 지식을 갖추도록 하여 호흡기 질

환의 증상 및 임상소견의 병태생리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급성 호흡부전에 대한 유효

적절한 호흡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며, 만성 호흡기 질환 환자의 관리도 완벽히 할 수 있도

록 한다.

학습 목표

A 1. 영유아 기도의 해부학적 특성을 호흡기질환의 이상소견과 연관지어 기술한다.

A 2. 호흡과 관련된 코의 기능을 기술한다.

B 3. 호흡기의 방어기전에 관여하는 구성 요소와 저해하는 요인을 설명한다.

A 4. 기도 폐쇄의 형태를 열거하고, 임상적 의의를 각각 설명할 수 있다.

A 5. 상부 및 하부 기도 폐쇄에 의한 임상 증상의 차이를 기술하고, 원인 질병을 열거한

다.

A 6. 기도 폐쇄를 잘 일으킬 수 있는 조건을 열거하고, 이러한 상황에서 기도 폐쇄를 예방

또는 치료 할 수 있는 방법을 기술한다.

A 7. 폐기능 검사의 문제점과 검사방법의 종류를 기술한다

A 8. 폐기능 검사(spirogram)의 정상 소견과 비정상소견을 감별한다.

B 9. 최대호기속도 측정 방법과 효용성에 대해 이해한다.

A 10. 노력성 호기 측정(Forced expiratory spirometry)의 소견을 이해한다.

A 11. 질병에 따라 흉부 X선과 상부기도 X선 촬영방법을 기술한다.

A 12. 흉부 CT 촬영의 적응증을 이해한다.

B 13. 기관지경검사의 적응증을 기술한다.

A 14. 호흡물리요법의 중요성을 기술하고, 방법을 열거한다.

A 15. 연령에 따라 호흡기감염을 잘 일으키는 원인균을 기술한다.

B 16. 객담검사의 유용성을 이해한다.

A 17. 연령에 따른 만성 기침의 원인을 설명한다.

A 18. 원인에 따른 기침 양상의 특징을 이해한다.

A 19. 재발성 및 지속성 천명(wheezing)과 천음(stridor)의 원인을 기술한다.

Page 70: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69

B 20. 만성 재발성 및 지속성 폐침윤의 원인을 이해한다.

A 21. 급성 호흡부전의 원인을 설명하고, 임상증세를 기술한다.

B 22. 호흡조절의 기전을 이해하고, 이상으로 인한 질환을 기술한다.

A 23. 급성 호흡부전 환자에게서 기도삽관(intubation)의 적응증과 방법을 이해한다.

B 24. 급성 호흡부전 환자 치료시 동맥혈내의 가스분석 결과를 해석하고 동맥혈내 산소분

압을 어느 정도로 유지해 주어야 되는지 설명한다.

A 25. 급성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와 호흡기 질환의 종류를 기술한다.

A 26. 급성 비인두염에서 병원체, 연령, 빈도, 유행시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B 27. 급성 비인두염과 알레르기성 비염, 혈관성 비염을 감별한다.

A 28. 급성 비인두염의 치료와 합병증을 설명한다.

A 29. 급성 인두염을 일으키는 원인 병원체를 바이러스와 세균으로 나누어 각각 열거한다.

A 30. 인두부의 정상 세균총을 이해한다.

A 31. A군 사슬알균 인두염의 연령별 빈도를 설명한다.

A 32. 세균성과 바이러스성 인두염의 임상증상을 비교한다.

A 33. 급성 인두염의 합병증과 치료에 관하여 설명하고 감별해야 될 질환을 기술한다.

A 34. 급성 비염의 원인과 임상증상에 관하여 기술한다.

B 35. 만성 비염의 원인과 임상증상에 관하여 기술한다.

A 36. 인두후부(retropharyngeal) 농양 및 편도선주위(peritonsillar) 농양의 원인균과 임상

증상을 기술한다.

B 37. 인두후부 농양과 임상증상으로 감별해야 될 질환을 열거한다.

B 38. 인두후부 또는 편도선주위 농양의 치료 및 합병증을 기술한다.

A 39. 편도선과 아테노이드의 기능을 인지하고, 절제술의 적응증을 열거한다.

A 40. 편도선 또는 아테노이드와 연령과의 관계를 기술한다.

A 41. 급성 중이염의 흔한 원인 병원체를 바이러스와 세균으로 구분하여 기술한다.

A 42. 이경 사용법을 숙지하고, 급성 중이염의 고막소견을 기술한다.

A 43. 유아기에 중이염이 자주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A 44. 급성 중이염의 특징적인 임상증상과 합병증을 설명하고, 치료방법을 기술한다.

B 45. 재발성 급성중이염의 임상 증상, 경과 및 치료에 관하여 기술한다.

A 46. 장액성 중이염의 증상, 고막소견 및 치료에 관하여 기술한다.

A 47. 청력검사의 종류를 숙지하고, impedence Audiometry 검사 결과를 판독한다.

A 48. 경부림프절염과 감별해야 될 질환을 열거한다.

B 49. 경부림프절의 생검(biopsy)의 적응증을 열거한다.

A 50. 급성 부비동염의 원인균, 임상증상, 합병증 및 예후를 설명한다.

A 51. 만성 부비동염의 원인, 임상증상 및 치료에 관하여 설명한다.

Page 71: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70

A 52. 부비동 X선 검사의 종류를 열거하고 결과를 설명한다.

A 53. 코막힘의 증상이 있을 경우에 감별해야 될 질환을 기술한다.

A 54. 비출혈의 원인과 진단 및 치료에 관하여 기술한다.

A 55. 크룹을 정의하고, 원인에 따라 분류한다.

A 56. 바이러스성, 세균성 및 발작성 크룹을 연령, 원인, 선행질환, 경과, 점막소견 및 치료

에 따라 감별한다.

A 57. 크룹의 임상증상을 설명하고, 진찰시 주의점을 기술한다.

B 58. 크룹의 증상을 가진 환자의 X선 검사 방법과 이의 평가를 기술한다.

A 59. 크룹환자에게 기도삽관 및 기관절개의 적응증 및 시행 방법을 이해한다.

A 60. 선천성 후두천명의 임상증상 및 경과와 치료에 관하여 기술한다.

A 61. 기관지염의 원인균을 열거한다.

A 62. 만성 기관지염의 정의를 내리고, 소아에게서의 그 의의를 기술한다.

A 63. 급성 기관지염이 반복되는 경우 감별해야 될 질환을 열거한다.

C 64. 무운동성 섬모증후군(immotile cilia syndrome)을 설명하고 진단을 위한 섬모채취 부

위를 설명한다.

B 65. Kartagener 증후군을 설명한다.

A 66. 급성 세기관지염의 흔한 원인균, 호발연령 및 유행시기를 기술한다.

A 67. 급성 세기관염의 병태생리, 임상증상 및 감별해야 될 질환을 설명한다.

A 68. 급성 세기관지염의 흉부 X선 검사 소견을 기술한다.

A 69. 세기관지염과 천식의 감별점을 설명한다.

A 70. 급성 세기관지염의 일반적인 치료원칙을 기술한다.

A 71. 폐쇄성 세기관지염(bronchiolitis obliterans)을 설명하고, 이와 관련있는 원인 병원체

를 열거 한다.

A 72. 폐렴을 해부학적 및 원인적으로 분류한다.

A 73. 폐구균(pneumococcus), H. influenzae, 포도상구균에 의한 폐렴의 흉부 X선 소견의

차이점을 기술한다.

C 74. 급성 바이러스 기관염 후에 세균성 폐렴이 2차적으로 잘 오는 이유를 설명한다.

B 75. 폐렴에 합병되어 나타날 수 있는 폐질환을 설명한다.

A 76. 재발성 폐렴 및 완치가 되지 않는 폐렴 환자에게서 생각하여야 될 질환을 열거한다.

A 77. 연령에 따른 폐렴의 원인 병원체의 차이를 기술한다.

A 78. 폐렴 환자에게서 원인 병원체의 규명을 위한 방법을 열거한다.

A 79. 바이러스 폐렴의 흔한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의 종류를 열거한다.

A 80. 바이러스 폐렴과 세균성 폐렴의 감별진단을 기술한다.

C 81. 폐구균성 폐렴의 조직병리소견을 질병의 시기에 따라 구분한다.

Page 72: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71

B 82. 폐구균성 폐렴의 consolidation 시기에서 청진과 타진소견을 설명한다.

B 83. 폐구균성 폐렴의 증상 중 meningismus가 있으면 어느 부위의 병변을 의심해야 되

는지 설명한다.

A 84. 폐구균성 폐렴 환자가 급성 충수돌기염의 증상을 호소할 경우 폐렴의 위치를 설명

한다.

A 85. 폐구균성 폐렴의 치료약제 및 약제내성에 관하여 이해한다.

A 86. 포도알균 폐렴의 호발연령을 기술한다.

B 87. 포도알균 폐렴의 흉부 X선 소견, 임상경과, 합병증 및 예후를 기술한다.

A 88. 포도알균 폐렴의 치료약제 및 약제내성에 관하여 이해한다.

B 89. 농흉(empyema)이나 기류(pneumatocele)가 동반될 수 있는 폐렴을 열거한다.

B 90. 그람 음성 균 중에서 폐렴을 잘 일으키는 균을 기술한다.

A 91.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폐렴이 호발되는 연령과 치료 항생제를 기술한다.

B 92. Klebsiella 폐렴이 잘 발생될 수 있는 경우를 기술한다.

B 93. Klebsiella 폐렴의 특징적인 X선 소견을 기술하고, 치료 약제를 열거한다.

B 94. 녹농균 폐렴이 잘 발생될 수 있는 경우를 기술한다.

B 95. 녹농균 폐렴의 치료 약제를 열거한다.

A 96. Mycoplasma 폐렴의 호발연령, 진단법을 기술한다.

A 97. Mycoplasma에 의한 호흡기 이외의 임상 증상을 기술한다.

B 98. Cold agglutinin 검사가 양성인 바이러스성 폐렴을 감별한다.

B 99. Mycoplasma 폐렴에서 cold agglutinin이 나타나는 시기와 사라지는 시기를 기술한

다.

A 100. Pneumocystis jiroveci 폐렴이 오기 쉬운 경우를 설명한다.

B 101. Pneumocystis jiroveci 폐렴의 임상 증상과 X선 소견을 기술한다.

B 102. Pneumocystis jiroveci 폐렴의 균체 규명을 위한 검사법을 기술한다.

B 103. Pneumocystis jiroveci 폐렴의 치료와 예방에 대해 기술한다.

A 104. 흡인성 폐렴의 호발부위를 연령에 따라 기술한다.

A 105. 흡인성 폐렴이 X선 검사에서 나타나는 시기와 합병증을 기술한다.

A 106. 흡인성 폐렴의 예방에 대해 기술한다.

C 107. 과민성 폐렴, hydrocarbon 폐렴, aspergillosis, pulmonary hemosiderosis에 대해 설

명한다.

C 108. Loeffler 증후군에 관하여 간단히 기술한다.

A 109. 호흡기도내의 이물이 자주 관찰되는 연령을 기술한다.

A 110. 이물흡입의 특징적인 임상 증상을 기술하고, 감별하여야 될 질환을 열거한다.

A 111. 이물흡입의 진단을 위한 검사방법을 기술하고 그 의의를 인지한다.

Page 73: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72

A 112. 이물흡입시 시간 경과에 따른 치료방법을 설명한다.

A 113. 소아기 이물흡입의 가장 흔한 원인물질을 열거하고, 이의 예방 대책에 관하여 기술

한다.

A 114. 무기폐의 원인 질환, 임상증상 및 X선 소견을 설명한다.

A 115. 무기폐에서 세균감염이 잘 오는 이유를 설명한다.

C 116. 폐기종의 원인을 기술한다.

B 117. 폐기종과 과팽창(hyperinflation)과의 차이를 설명한다.

C 118. 선천성 폐기종의 원인을 기술한다.

C 119. 우측중엽증후군에 관하여 기술한다.

C 120. 선천성 및 후천성 기관지확장증을 감별한다.

A 121. 기관지확장증의 임상 증상을 기술한다.

B 122. 후천성 기관지확장증의 선행질환을 설명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기술한다.

B 123. 기관지 확장증의 치료를 기술한다.

C 124. 폐절제술을 시행해야되는 소아기 폐질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B 125. 폐농양의 원인을 열거하고, 성인과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B 126. 폐농양의 발생기전과 X선 소견을 기술한다.

A 127. 흉막염의 흔한 원인을 열거한다.

A 128. 흉막천자로 얻은 검체의 검사 결과에 따라 감별점을 기술한다.

A 129. Chest tube drainge의 적응증과 그 방법을 기술한다.

A 130. 급성 호흡곤란증후군(ARDS)의 정의, 원인, 증상을 기술한다.

B 131. 급성 호흡곤란증후군(ARDS)의 치료, 예후 및 합병증을 기술한다.

A 132. 기흉의 원인을 신생아기, 유아기, 연장아로 구분하여 기술한다.

A 133. 기흉의 임상증상, X선 소견, 치료 및 합병증에 대해 설명한다.

B 134. 후두 기형, 선천성 후두천명, 폐형성 부전, 폐 격리, 기관지원성 낭종, 폐 림프관 확

장증, 낭성 선종양 기형. 유미흉증에 대해 설명한다.

B 135. 호흡기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혈관기형을 이해한다.

A 136. 기계적 환기법의 목적, 유형, 이탈에 대해 설명한다.

A 137. 기계적 환기법시 호흡기 모드와 조정에 대해 설명한다.

A 138. 기계적 환기요법 시행시 유의해야 될 사항과 합병증에 대하여 설명한다.

B 139. 기관지폐이형성증의 장기적인 관리대책 및 예후에 관하여 이해한다.

Page 74: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73

17.� 심혈관�질환

학습 목적

소아청소년의 선천성 심기형, 후천성 심질환 및 부정맥 등의 발생 병인, 증상, 진단 등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게 하며 기본검사 및 수기를 이용한 임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아 심혈

관 질환의 진단, 치료 및 경과에 대한 이해를 도우며 예견되는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능력

을 갖게 하는데 있다.

학습목표

B 1. 혈압 측정의 여러 방법에 대하여 이해한다.

A 2. 혈압이 실제보다 높게 또는 낮게 측정될 수 있는 경우를 이해한다.

A 3. 사지 전부에서 또는 사지의 일부에서 맥박이 약하게 촉진될 때에 감별진단해야 할

질환들을 명한다.

A 4. 소아에게 고혈압을 일으키는 심혈관 계통의 질환을 열거한다.

A 5. 맥압(pulse pressure)이 넓어지는 질병과 좁아지는 질병/상황을 열거한다.

A 6. 심잡음을 기술할 때에 반드시 포함시켜야 할 사항들을 열거한다.

A 7. 심잡음의 강도와 심질환과의 상관관계를 이해하여야 한다. 즉, 심잡음의 유무, 강

도와 심장 기형의 중증도가 반드시 비례하지는 않는 질병/상황을 열거하고 그 이

유를 설명한다.

A 8. 활로 4징에서 심잡음이 작을수록 폐동맥 협착이 심한 기전을 설명한다.

A 9. 단순 폐동맥 판막 협착에서 심잡음이 클수록 폐동맥 협착이 심한 기전을 이해한다.

A 10. 단순 심실 중격 결손에서 심잡음이 클수록 구멍이 작음을 이해한다.

B 11. 전 폐정맥 환류 이상에서는 폐정맥의 협착이 있을 경우에는 심잡음이 안 들리기도

하는 이유를 이해한다.

A 12. 심방 중격 결손에서 들리는 심잡음의 발생기전을 이해한다.

C 13. 폐동맥 판막 폐쇄가 동반된 복잡 심기형에서 심잡음의 특징을 이해한다.

A 14. 기능성 심잡음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한다.

A 15. Physiologic pulmonary artery branch stenosis에 의한 심잡음의 특징과 이 심잡음이

들리게 되는 기전과 특징적으로 잘 들리는 나이를 이해한다.

A 16. 큰 심실 중격 결손이나 동맥관 개존에서 승모판 부위에서 이완기 잡음(diastolic

rumble)이 들리게 되는 기전을 이해한다.

B 17. Systolic ejection click이 무엇인지를 이해한다.

Page 75: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74

A 18. 지속성 잡음을 들을 수 있는 심장기형을 열거한다.

B 19. 대동맥 판막 협착과 폐동맥 판막 협착을 잡음이 잘 들리는 위치에 따라 구별한다.

B 20. 신생아에게서 진단 즉시 응급 수술이나 약물 치료가 필요한 선천성 심장병 중에서 흉

부 X선 검사에서 특징적으로 심장 비대가 없는 기형을 열거한다.

A 21. 흉부 X선 검사에서 우측 심장 윤곽과 좌측 심장 윤곽을 만드는 심장 구조를 설명한다.

A 22. 소아 심전도의 정상치와 나이에 따른 변화를 이해한다.

C 23. 소아에게서 우심실의 voltage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선천성 심기형을 열거한다.

A 24. 정상 영아의 right precordial lead에서 T파가 위로 향한 모양이 아래로 향하게 바뀌

는 시기를 이해한다.

A 25. 소아 심전도에서 QRS complex의 좌측 편위(left axis deviation)가 특징인 선천성 심

장 기형을 이해한다.

A 26. 심실 기능을 측정하는 심에코 검사에서 shortening fraction, ejection fraction이 무엇

인지, 측정 방법과 정상치를 이해한다.

A 27. Doppler 심에코 검사 중에 심실 사이의 압력 차이나 심실과 판막 사이의 압력 차이,

폐동맥 압력의 간접적인 측정 방법을 이해한다.

A 28. 심실 중격 결손을 통한 혈류의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폐동맥 압력을 간접적으로 측정

할 수 있는 기전을 설명한다.

B 29. 우심실 및 폐동맥 압력을 간접적으로 추측할 수 있는 Doppler 심에코 검사방법을

이해한다.

A 30. 정상 심장에서의 압력과 산소 포화도를 이해한다.

A 31. 좌우 단락(left-to-right shunt)과 우좌 단락(right-to-left shunt)의 개념을 이해한다.

A 32. 좌우 단락이 동반된 선천성 심장병에서 Qp/Qs비, Rp/Rs비를 계산하는 방법을 이해

한다.

A 33. 비수술적 치료가 가능한 선천성 심장병의 종류를 이해한다.

A 34 응급으로 심방 중격 절개술(balloon artrial septostomy)이 필요한 선천성 심장병의

종류를 이해한다.

A 35. 태아 순환과 신생아 순환의 차이점을 이해한다.

B 36. 동맥관 벽의 조직은 산소 분압에 대해서 매우 예민하다. 산소 분압이 증가하거나 떨

어질 경우에 동맥관 조직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이해한다.

A 37. 임상증상과 흉부 X선 사진이 PPHN(persistent pulmonary hypertension of the new-

born)과 매우 흡사하므로 PPHN 진단시에 반드시 감별해야 할 질환들을 열거한다.

A 38. PPHN의 특징적인 심에코 소견과 치료원칙을 이해한다.

B 39. PPHN이 잘 발생되는 주산기 문제를 이해한다.

A 40. 선천성 심기형 원인의 일반 사항을 설명한다.

Page 76: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75

A 41. 유전자 결함에 의하여 선천성 심기형을 일으키는 대표적 질환을 열거한다.

A 42. CATCH 22 증후군 및 그에 동반되는 선천성 심기형에 대하여 설명한다.

A 43. Down 증후군의 심장병 빈도와 동반되기 쉬운 선천성 심기형을 열거한다.

A 44. Turner 증후군의 심장병 빈도와 동반되기 쉬운 선천성 심기형을 열거한다.

C 45. Holt-Oram 증후군에서 동반되는 심장병을 기술한다.

A 46. 선천성 풍진 증후군에서 흔한 선천성 심기형을 열거한다

A 47. 선천성 심기형의 발생 빈도를 이해한다.

A 48. 선천성 심장병 환자 형제에게의 선천성 심기형의 발생 빈도를 이해한다.

C 49. 선천성 심기형 발생에서의 인종차이에 관하여 설명한다.

A 50. 흔한 선천성 심기형을 발생빈도에 따라 5가지를 열거한다.

A 51. 선천성 심기형에서 폐혈관음영이 갖는 의미와 음영의 차이에 따른 선천성 심기형의

종류를 이해한다.

A 52. 단락 질환에서 폐동맥 고혈압, 폐혈관 음영 및 청색증에 관하여 설명한다.

A 53. 단락 질환에서 단락의 방향과 양을 결정하는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A 54. 심실 중격 결손의 발생빈도를 기술한다.

A 55. 심실 중격 결손의 자연경과에 관하여 기술한다.

A 56. 막성 중격과 반월판과의 관계에 따른 심실 중격 결손의 해부학적 분류를 설명한다.

C 57. 막양부 심실 중격 결손 수술시 주의하여야 할 부위를 이해한다.

B 58. 막양부 심실 중격 결손이 자연폐쇄되는 가장 흔한 기전을 설명한다.

C 59. 작은 근성부 심실 결손이 자연폐쇄되는 가장 흔한 기전을 설명한다.

A 60. 대혈관 판하 결손에서 흔한 합병증을 말하고 그 기전을 설명한다.

C 61. 대혈관 판하 결손에서 결손이 자연폐쇄되지 않는 원인을 설명한다.

A 62. 막양부 심실 중격 결손과 대혈관 판하 결손에서 심잡음 위치를 비교한다.

A 63. 심실 중격 결손에서 좌우 단락의 양과 폐동맥압 정도에 따른 심잡음 및 제 2 심음

청진 소견을 설명한다.

A 64. 심실 중격 결손에서 좌우 단락의 양과 폐동맥압 정도에 따른 심전도 소견을 설명한다.

B 65. 우리나라 심실 중격 결손 환자에게 대동맥 폐쇄 부전이 흔히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

한다.

A 66. Eisenmenger 증후군의 정의와 임상경과를 설명한다.

A 67. Eisenmenger 증후군 환자의 청진소견을 기술한다.

B 68. Eisenmenger 증후군 치료 및 주의사항을 열거한다.

A 69. 심방 중격 결손을 위치에 따라 3가지 이상 열거한다.

A 70. 심방 중격 결손이 여자에게 더 많음을 이해한다.

A 71. 심방 중격 결손에서 좌우 단락의 정도를 결정하는 주된 요소를 설명한다.

Page 77: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76

A 72. 심방 중격 결손에서 영아기를 지나면서 좌우 단락 양이 증가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A 73. 심방 중격 결손에서 청진소견을 기술하고, 그 기전을 이해한다.

B 74. 심방 중격 결손의 분류에 따른 심전도소견의 차이를 기술하고 그 이유를 이해한다.

A 75. 심방 중격 결손을 적절한 시기에 수술하지 않고 성인이 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설명한다.

B 76. 심방 중격 결손의 적절한 수술 시기를 이해한다.

A 77. 방실 중격 결손을 2가지로 분류한다.

A 78. 방실 중격 결손과 동반되는 승모판 이상을 기술한다.

B 79. 방실 중격 결손의 예후와 증상을 결정하는 요소를 열거한다.

B 80. 이차공 결손에서는 들리지 않고 부분 방실 중격 결손 환자에게는 자주 들리는 심잡

음을 말하고 그 심잡음의 발생 원인을 설명한다.

B 81. 방실 중격 결손에서 좌심실 조영 사진의 특징을 기술하고, 그 이유를 설명한다.

B 82. 완전 방실 중격 결손이 부분 방실 중격 결손과 다른 해부학적 특징을 설명한다.

A 83. 완전 방실 중격 결손의 자연경과 및 예후를 설명한다.

A 84. 완전 방실 중격 결손 때 Eisenmenger 증후군이 조기에 발생함을 이해한다.

A 85. 완전 방실 중격 결손의 특징적인 심전도소견을 설명한다.

B 86. 부분적 폐정맥 환류이상에 흔히 동반되는 심기형을 열거한다.

B 87. 부분적 폐정맥 환류이상과 유사한 임상증상 및 검사 결과를 보이는 질환을 열거한

다.

C 88. 동맥관이 발생학적으로 유래된 곳의 명칭을 설명한다.

A 89. 동맥관의 출생 후 기능적, 해부학적 폐쇄 시기를 설명한다.

A 90. 동맥관 개존에서 만삭아와 미숙아의 해부학적 구조 차이를 설명한다.

B 91. 동맥관 개존의 발생 원인 중 가장 잘 알려진 선천성 감염증 한 가지를 기술한다.

A 92. 동맥관 개존의 특징적인 심잡음과 청취 부위를 기술하고, 맥박 및 맥압에 관하여

설명한다.

A 93. 동맥관 개존의 폐쇄를 유도할 수 있는 일반 요법 및 약물을 기술한다.

A 94. 미숙아에게서 동맥관의 폐쇄가 지연되는 이유를 설명한다.

A 95. 동맥관 개존의 비개흉적 치료법을 설명한다.

C 96. 대동맥 폐동맥 중격 결손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선천성 심장병을 설명한다.

B 97. Valsalva동 파열에서의 특징적인 심잡음을 이해한다.

A 98. 단순 폐동맥 협착의 해부학적 형태를 열거하고 협착의 정도에 따른 특징적인 청진소견

을 설명한다.

A 99. 단순 폐동맥 협착의 흉부 X선, 심전도소견을 설명한다.

A 100. 단순 폐동맥 협착의 치료방침을 설명한다.

Page 78: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77

B 101. 폐동맥지 협착과 잘 합병하는 심기형의 종류를 열거한다.

B 102. 폐동맥지 협착이 선천성 풍진 증후군과 관련이 있음을 이해한다.

A 103. 대동맥 축착의 해부학적 분류와 이에 따른 임상적인 특징을 기술한다.

A 104. 대동맥 축착의 특징적인 진찰소견을 기술한다.

B 105. 대동맥 축착의 특징적인 X선 소견을 기술한다.

C 106. 대동맥 축착의 치료에 풍선 혈관 확장술의 지침을 설명한다.

B 107. 대동맥 축착에서 심실 중격 결손이 동반되어 있을 때의 치료원칙을 설명한다.

C 108. 대동맥궁 단절의 해부학적 3가지 형을 설명한다.

B 109. 대동맥궁 단절에서 동맥관 개존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C 110. 대동맥궁 단절과 DiGeorge 증후군과의 연관성을 설명한다.

A 111. 대동맥 협착의 해부학적 분류를 이해한다.

B 112. 대동맥 협착의 임상증상을 설명하고 Williams 증후군과의 관계를 이해한다.

C 113. 대동맥 협착의 수술적 치료법에 대해 설명한다.

B 114. 관상 동맥의 이상 기시 중 임상에서 주로 문제가 되는 형태를 설명한다.

B 115. 관상 동맥의 이상 기시의 혈액학적 문제점을 이해한다.

B 116. 관상 동맥의 이상 기시를 의심할 수 있는 임상증상을 설명하고 심전도소견을 이해

한다.

C 117. 관상 동맥의 이상 기시의 치료원칙을 설명한다.

B 118. 동정맥루가 발생하는 부위에 따른 분류와 특징을 이해한다.

B 119. 혈관륜의 태생학적 기원에 대하여 설명한다.

A 120. 혈관륜 및 중복 대동맥궁의 주요 임상증상에 대해 설명한다.

A 121. Fallot 4징의 해부학적 특징을 기술한다.

A 122. Fallot 4징에서 잘 동반되는 심혈관계 기형을 열거한다.

A 123. 일반적인 청색증성 심기형이 있을 때 나타나는 임상증상을 열거한다.

A 124. Fallot 4징 때 들을 수 있는 심잡음이 생기는 기전을 이해하고, 무산소발작(anoxic

spell)이 생겼을 때 심잡음의 변화를 설명한다.

A 125. Fallot 4징에서 단순 흉부 X선, 심전도 및 심에코 검사소견을 설명한다.

B 126. Fallot 4징에서 심도자의 특징을 설명한다.

A 127. Fallot 4징에서 합병증을 2가지 열거한다.

A 128. Fallot 4징에서 내과적 관리 원칙을 설명한다

A 129. Fallot 4징에서 무산소발작(anoxic spell)이 발생되는 기전을 설명하고, 치료방법을

설명한다.

B 130. Fallot 4징에서 외과적 치료의 종류와 각각의 적응증을 설명한다.

B 131. Fallot 4징에서 고식적 수술명 및 방법을 설명한다.

Page 79: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78

A 132. 삼첨판 폐쇄에게 동반되는 심기형을 설명한다.

A 133. 삼첨판 폐쇄에서 볼 수 있는 특징적인 심전도소견을 설명한다.

B 134. 삼첨판 폐쇄에서 외과적 수술(치료)명을 설명한다.

B 135. Ebstein 기형의 해부학적 특징을 이해하고 심전도의 특이 소견을 설명한다.

A 136. 대혈관 전위의 해부학적 구조를 체계적으로(심방-심실-대혈관의 순서로) 설명한다.

A 137. 대혈관 전위의 심전도 소견과 단순 흉부 X선 소견을 기술한다.

B 138. 대혈관 전위의 심실 중격 결손이 없을 때 예후에 대해 설명한다.

C 139. 대혈관 전위의 교정 수술법을 기술하고 상호 장단점을 설명한다.

A 140. 수정 대혈관 전위의 해부학적 구조를(심방-심실-대혈관의 순서로) 설명하고 이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점을 기술한다.

B 141. 수정 대혈관 전위에서 동반하는 기형을 빈도순으로 기술한다.

A 142. 양대혈관 우심 기시의 정의 및 진단기준을 설명하고 동반된 심실 중격 결손의 위치

를 열거한다.

C 143. 양대혈관 우심 기시에서 흔히 이용되는 외과적 치료방법을 기술한다.

A 144. 심장 위치 이상을 구획적 진단법을 이용하여 심방, 심실, 대혈관의 위치와 연결 관

계를 이해한다.

B 145. 심방 불명위(situs ambiguus)를 개념적으로 2가지로 나누어 설명한다.

B 146. Right atrial isomerism(흔히 asplenia와 동반함)에 자주 동반하는 심기형과 예후를

설명한다.

B 147. Left atrial isomerism(흔히 polysplenia와 동반함)에 자주 동반하는 심기형과 예후를

설명한다.

A 148. 무비증(asplenia)에서 잘 보이는 혈액 도말 소견과 예방적 항생제요법을 설명한다.

B 149. 심방 불명위(situs ambiguus)를 의심케 하는 임상소견, 흉부 X선, 심전도 소견에 대

해 설명한다.

B 150. Kartagener 증후군의 주요 증상을 열거하고 유전양상과 결함유전자를 설명한다.

A 151. 전 폐정맥 환류 이상을 환류부위에 따라 4가지로 분류 열거하고 각각의 빈도를 설

명한다.

B 152. 전 폐정맥 환류 이상의 흔한 형태(supracardiac type, no obstruction in pulmonary

venous pathway, sufficient atrial communication)에서 보이는 임상증상 및 진찰소

견, 흉부 X선, 심전도소견을 설명한다.

B 153. 폐정맥 협착(obstruction in pulmonary venous pathway)이 있는 전 폐정맥 환류

이상에서 보이는 임상증상, 진찰소견, 흉부 X선 및 심전도 소견에 대해 설명한다.

B 154. 폐정맥 협착(obstruction in pulmonary venous pathway)이 심한 전 폐정맥 환류

이상을 가진 신생아의 흉부 X선 소견을 설명하고 이와 비슷한 X선 소견을 보일 수

Page 80: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79

있는 질환을 열거한다.

C 155. 전 폐정맥 환류 이상은 아주 다양한 임상 소견과 예후를 보여, 신생아기에 사망하는

경우에서부터 청소년기까지 심한 증상 없이 생존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혈역학적 주요 인자 3가지를 열거하고 임상증상과 함께 종합적으로

이해한다.

B 156. 전 폐정맥 환류 이상의 심도자 검사에게 산소 포화도 변화 양상을 설명한다.

B 157. 전 폐정맥 환류 이상의 수술적 치료 시기를 폐정맥 협착(obstruction in pulmonary

venous pathway) 유무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한다.

B 158. 심실의 구조에 따른 단심실의 3가지 유형을 열거한다.

B 159. 단심실의 혈역학적 특징을 폐동맥 협착 유무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한다.

B 160. 단심실의 임상증상, 진찰소견과 흉부 X선 소견을 폐동맥 협착 유무에 따라 구분하

여 설명한다.

B 161. 폐동맥 협착이 있는 단심실의 내과적 및 외과적 치료를 설명한다.

B 162. 폐동맥 협착이 없는 단심실의 내과적 및 외과적 치료를 설명한다.

C 163. 우심실형 단심실에 잘 동반하는 심기형과 임상증상, 예후에 대해 설명한다.

C 164. 여러 형태의 단심실 중 ventricular septation(biventricular repair)이 가능한 형태를

말한다.

C 165. Fontan 수술 후 발생하는 hemodynamic disadvantage에 대해 설명한다.

B 166. 좌심 형성 부전 증후군의 해부학적 특징을 열거한다.

B 167. 신생아에게서 좌심 형성 부전 증후군을 시사하는 임상소견을 열거한다.

B 168. 좌심 형성 부전 증후군이 의심되는 환자의 응급처치를 설명한다.

C 169. 좌심 형성 부전 증후군의 외과적 처치 방법 2종류를 설명하고 수술받은 환자들의

예후를 설명한다.

B 170. 좌심 형성 부전 증후군에서 혈역학적 변화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열거하고 이를

조절하기 위한 내과적 처치에 대해 설명한다.

B 171. 총동맥간증에서 폐동맥이 나오는 양상에 따라 4가지로 분류하여 설명한다.

B 172. 폐동맥협착의 동반유무에 따른 총동맥간증의 임상증상과 진찰소견, 흉부 X선, 심전

도 소견을 설명한다.

C 173. 총동맥간증의 근치적 외과적 처치방법을 설명하고 수술시기를 설명한다.

B 174. 총동맥간증에 잘 동반하는 심기형을 열거한다.

A 175. 초발 예의 급성 류마티스 열의 진단 기준(Jones 기준)을 설명한다.

B 176. Jones 기준을 충족하지 않으면서 류마티스 열을 진단 내릴 수 있는 경우를 기술한

다.

B 177. 급성 류마티스 열의 주증상 중 심염이 있다는 증거를 임상적(객관적)으로 어떠한

Page 81: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80

증상이나 징후가 관계가 있는지 열거한다.

B 178. 류마티스 열과 연소형 류마티스양 관절염의 감별진단을 기술한다.

B 179. 선행된 A군 사슬알균 감염의 증거를 임상 검사로 이해한다.

C 180. 류마티스 열의 2차 예방방법을 설명한다.

B 181. 급성 류마티스 열의 전체적 치료의 개념을 이해한다.

C 182. 승모판 폐쇄 부전과 협착증의 수술 방법과 대상을 이해한다.

A 183. 감염성 심내막염을 잘 일으키는 심장병을 기술한다.

A 184. 감염성 심내막염을 일으키지 않는 선천성 심장병을 기술한다.

B 185. 감염성 심내막염에서 증식조직(vegetation)이 잘 생기는 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A 186. 감염성 심내막염의 흔한 원인균을 열거하고 원인균에 따른 치료방법을 기술한다.

A 187. 감염성 심내막염의 주요 증상(일반, 신경학적 및 피부 증상)을 기술하고 검사결과와

진단방법을 설명한다.

A 188. 감염성 심내막염 예방을 위한 항생제 요법에 대해 설명한다.

B 189. 감염성 심내막염의 합병증과 예후를 설명한다.

A 190. 가와사끼병의 진단기준에 대해 설명한다.

A 191. 가와사끼병의 합병증 및 예후에 대해 설명한다.

A 192. 가와사끼병의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C 193. 흔히 볼 수 있는 심종양(cardiac tumor)에 대해 기술한다.

C 194. 횡문근종(rhabdomyoma)이 있을 때 의심되는 전신 질환을 기술한다.

A 195. 심근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와 세균을 열거한다.

A 196. 심근염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을 설명하고 심전도소견을 설명한다.

B 197. 심근염 환자에게서 볼 수 있는 생화학적 검사소견을 설명한다.

B 198. 심근염의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A 199. 심막염의 흔한 원인 질환과 증상을 설명한다.

A 200. 심막염 진단에 도움이 되는 청진 소견과 흉부 X선, 심전도, 심에코 소견을 설명한

다.

C 201. 만성 긴축성 심막염의 일반적 증상과 pulsus paradoxicus에 대해 설명한다.

A 202. 심근증의 3가지 형을 기술하고 형태에 따른 특징적 임상 증상을 설명한다.

B 203. 비후형 심근증의 주된 부위와 수축기 때 좌심실 유출로 폐색의 기전 및 승모판 움직

임의 변화를 설명한다.

C 204. 비후형 심근증의 가족력이 있는 빈도를 인지하고 이들 가족의 처리방안을 설명한

다.

A 205. 확장형 심근증의 원인을 기술한다.

C 206. 심내막 섬유 탄성증의 원인을 설명하고 동반이 잘되는 심근증을 기술한다.

Page 82: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81

C 207. 제한형 심근증의 혈역학적 특징을 기술한다.

C 208. 심근증의 형태에 따른 약물 치료의 차이점을 기술한다.

C 209. 심근증의 3가지 형에 따른 특징적 심에코 소견을 설명한다.

A 210. 부정맥 발생시 증상 발현과 관련된 사항들을 이해한다.

B 211. 부정맥 발생기전을 이해한다.

B 212. 이탈 박동의 의미를 이해한다.

B 213. 동기능 장애의 임상 양상을 이해한다.

A 214. 방실 차단의 3형태를 이해한다.

A 215. Wenckebach 현상이 나타나는 심전도를 이해한다.

A 216. 완전 방실 차단의 심전도를 이해하고, 선천성 또는 개심술 후에 발생되는 경우 임상

적 의미를 이해한다.

A 217. 심실 조기 흥분 증후군의 임상양상과 심전도소견을 이해한다.

A 218. 심방 조기 수축의 심전도 형태를 이해한다.

A 219. 신생아에게서 심방 조기 수축의 의미를 이해한다.

A 220. 방실 접합부에서 발생하는 빈맥의 발생 기전과 심전도를 이해한다.

A 221. 상실성빈맥증의 급성 치료와 장기 치료원칙을 이해한다.

B 222. 심방에 국한된 빈맥의 심전도를 이해한다.

C 223. 심방 조동의 양상을 이해한다.

B 224. 심실 부정맥의 심전도를 이해하고 원인이 되는 심장병을 이해한다.

A 225. 심실 조기 수축의 예후를 결정하는 심전도소견을 이해한다.

C 226. 심실 부정맥에서 심장 이상 유무에 따르는 임상양상의 차이를 이해한다.

A 227. 재분극 이상과 관련된 심실 부정맥의 의미를 이해한다.

B 228. 심실 부정맥의 급성 치료와 장기 치료원칙을 이해한다.

A 229. 연령에 따른 울혈성 심부전의 원인을 열거한다.

B 230. 울혈성 심부전에 따른 대상성 기전을 기술한다.

B 231. 좌심부전과 우심부전의 임상양상을 구분하여 설명한다.

A 232. 심부전증의 치료원칙을 설명한다.

B 233. Digitalis의 적응, 용량 및 투여방법을 설명한다.

A 234. Digitalis를 사용할 때 효과와 독성을 나타내는 심전도소견의 차이를 이해하고 중독

의 증상과 치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B 235. 소아 심부전의 치료에 쓰이는 이뇨제의 종류와 용량을 이해한다.

B 236. 심부전의 치료에 사용되는 혈관 확장제의 종류와 적응이 되는 질환을 이해한다.

A 237. 소아 고혈압의 정의를 설명한다.

A 238. 소아 고혈압의 진단에 도움이 되는 진찰소견들을 이해한다.

Page 83: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82

A 239. 연령군에 따른 고혈압의 원인을 열거하고 진단을 위한 검사를 이해한다.

B 240. 응급처치에 사용할 수 있는 항고혈압제의 종류를 열거한다.

A 241. 쇼크(shock)의 정의와 원인을 설명한다.

A 242. 쇼크(shock)의 치료를 기술한다.

A 243. 실신(syncope)의 원인을 열거한다.

B 244. 실신을 일으키는 원인 감별에 필요한 tilt test를 설명한다.

Page 84: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83

18.� 혈액�질환

학습 목적

소아청소년 시기 혈액상의 특성과 빈도가 높은 소아청소년의 빈혈, 백혈구 이상, 출혈성질

환의 발생기전 및 병태생리를 이해시키고, 기본적인 임상혈액 검사수기 및 판독을 통하여 적

절한 감별진단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임상에서 흔히 보는 질환에 대한 올바른 치료법을 익히

는데 있다.

학습 목표

A 1. 소아청소년의 조혈기관이 성인과 다른 점을 설명한다.

A 2. 소아청소년의 혈액질환의 특이성을 설명한다.

A 3. 출생 전과 출생 후 조혈에 참여하는 기관을 설명한다.

A 4. 태아의 적혈구 조혈, 과립구 조혈과 혈소판 조혈의 특성을 설명한다.

B 5. 중배엽 조혈(mesoblastic hematopoiesis), 간조혈(hepatic hematopoiesis), 골수조혈

(medullary hematopoiesis)로의 이행과정의 시기별 특성을 설명한다.

A 6. 출생전 ․ 후의 혈색소(hemoglobin) 변화와 혈색소 polypeptide chain 생성의 변동을

도시하여, 배태성 혈색소(embryonic hemogolobin), 태아 혈색소(fetal hemoglobin,

Hb F), 성인 혈색소(adult hemoglobin, Hb A) 생성의 시기적 특성을 설명한다.

A 7. 소아청소년기 혈액상의 연령별 정상치를 설명한다. 특히 출생직후와 영아기의 정상

혈색소치와 총백혈구수의 차이를 설명한다.

A 8. 영아기와 그 후의 소아청소년기의 골수 흡인검사 부위를 설명한다.

B 9. 출생 직후, 영아기, 성인기의 M:E ratio의 정상치를 설명한다.

A 10. 신생아기에 생기는 빈혈의 원인을 대별한 후 각각에 대하여 설명한다.

A 11. 태아로부터 모체로의 출혈(feto-maternal hemorrhage)을 진단하는 방법의 이름과 이

의 원리를 설명한다.

B 12. 쌍생아간의 출혈(twin-to-twin transfusion)을 의심할 수 있는 검사 결과를 기술한다.

A 13. 영아의 생리적 빈혈이 생기는 기전을 열거한다.

A 14. 미숙아 빈혈의 원인 기전과 치료, 예방에 대해 설명한다.

A 15. 만삭아와 미숙아에 생기는 생리적 빈혈의 차이점을 기술한다.

A 16. 미숙아에서 vitamin E 결핍이 잘 생기는 이유를 설명하고 특히 vitamin E 결핍으로

인한 용혈성 빈혈이 잘 생기도록 유발시키는 인자를 열거한다.

Page 85: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84

B 17. 미숙아에서 vitamin E 결핍성 용혈성 빈혈이 있을 때 특징적인 말초혈액 도말소견을

기술한다.

A 18. 체내 철분대사를 설명한다.

C 19. 출생시 체내 철분량과 그것이 어느 정도의 적혈구 형성에 사용될 수 있는 양인지 설

명한다.

A 20. 철 결핍성 빈혈의 원인과 기전 및 특징적인 증상을 열거한다.

A 21. 말초혈액 도말표본을 보고 적혈구의 특징적인 소견들을 기술한다.

A 22. 진단에 도움이 되는 혈청철, 혈청철포화도, ferritin 및 protoporphyrin의 physiology

를 설명하고 검사치 변동에 따라 다른 질환과 감별한다.

A 23. 철 결핍이 진행되어 빈혈이 나타나는 단계를 구별한다.

A 24. 가장 좋은 철제(2가철 또는 3가철)의 용량 및 복용 시 주의점을 설명한다.

A 25. 철 결핍성 빈혈 시 치료에 대한 혈액학적 반응을 설명한다.

A 26. 철제요법에 실패하는 경우의 원인을 열거한다.

C 27. 철제를 비경구적으로 사용해야 할 경우를 설명하고 그 투여량을 계산한다.

A 28. 철 결핍성 빈혈 예방에 가장 좋은 방법들을 부모에게 설명한다.

B 29. 철적모구성 빈혈의 정의를 내린다.

B 30. 거적아구성 빈혈에서 적혈구 형태와 성숙이상을 설명한다.

B 31. Folic acid나 vitamin B12의 결핍시 나타나는 증상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B 32. Folic acid나 vitamin B12에 반응하지 않는 거적아구성 빈혈을 열거한다.

C 33. 영아의 거적아구성 빈혈과 철결핍성 빈혈의 발병시기를 비교한다.

C 34. 영아의 거적아구성 빈혈의 주요 발생 원인들을 열거한다.

A 35. Folic acid 결핍을 초래하는 약물들을 열거한다.

A 36. 거적아구성 빈혈에서 특징적인 임상증상들을 열거한다.

C 37. 영아의 거적아구성 빈혈의 치료원칙을 설명한다.

B 38. Vitamin B12 결핍은 식이성으로 잘 발생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한다.

A 39. 순적혈구 빈혈의 증상 발현시기와 골수 소견에서 다른 빈혈과의 감별점을 설명한다.

B 40. 순적혈구 빈혈의 원인 및 동반되는 선천성 기형을 열거한다.

B 41. 순적혈구 빈혈과 일과성 적아구성 부족증(transient erythrocytopenia of childhood)

을 감별한다.

A 42. 순적혈구 빈혈의 치료원칙과 그 예후를 설명한다.

A 43. 범혈구 감소증을 일으키는 혈액질환들을 열거한다.

C 44. 선천성(유전성) 골수부전증후군을 일으키는 질병을 분류하고, 각각의 유전적인 결함

을 설명한다.

A 45. 재생불량성 빈혈에서 골수상을 설명한다.

Page 86: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85

A 46. Fanconi 빈혈에서 선천성 기형들을 열거한다.

A 47. Fanconi 빈혈의 발병 기전과 검사 결과를 설명한다.

A 48. Fanconi 빈혈의 치료 및 예후를 설명한다.

A 49. 현재까지 알려진 후천성 재생불량성 빈혈의 원인을 열거한다.

A 50. 재생불량성 빈혈에서 범혈구 감소가 동반된 소아 백혈병과 감별한다.

A 51. 재생불량성 빈혈에서 확진하기 위한 필수적인 검사를 설명한다.

A 52. 후천성 재생불량성 빈혈의 치료원칙을 단계적으로 설명한다.

A 53. 재생불량성 빈혈에서 중증의 정의를 내린다.

B 54. 재생불량성 빈혈에서 androgen 치료의 예상효과와 부작용을 설명한다.

A 55. 재생불량성 빈혈 등 빈번한 수혈요법이 필요한 질환에서 반복되는 수혈에 의한 합병

증 및 대책을 설명한다.

A 56. 만성 감염 또는 전신적 염증성 질환에서 볼 수 있는 빈혈의 발생 기전과 특징을 설명

하고 철결핍성 빈혈과 감별한다.

A 57. 심한 신질환에서 볼 수 있는 만성 빈혈의 발생기전을 설명하고 치료원칙을 설명한다.

A 58. Erythropoietin 생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B 59. 골수노성 빈혈(myelophthisic anemia)의 중요한 원인을 열거하고 말초혈액 도말소견

을 가지고 다른 빈혈과 감별한다.

A 60. 용혈성 빈혈에서 말초혈액 소견을 가지고 다른 빈혈과 감별한다.

A 61. 용혈성 빈혈에서 혈관내와 혈관외 용혈 검사소견의 특징을 설명한다.

A 62. 용혈성 빈혈을 의심하는 특징적인 임상증상, 진찰소견 및 검사소견을 설명한다.

A 63. 용혈성 빈혈에서 발생되는 aplastic crisis의 원인, 증상, 검사소견과 치료에 대해 인지

한다.

A 64. Reticulocyte (production) index의 의미를 설명한다.

A 65. 유전성 구상적혈구증의 유전방식과 구상적혈구의 결함 및 수명단축의 기전을 설명한

다.

A 66. 구상적혈구를 관찰할 수 있는 질환들을 열거한다.

B 67. 삼투압 취약성(osmotic fragility) 검사와 자가용혈(autohemolysis) 검사의 원리를 설

명한다.

A 68. 유전성 구상 적혈구증의 비장적출 최적시기를 설명한다.

A 69. 적혈구 효소결핍성 빈혈에서 가장 흔히 보는 효소결핍증들을 열거한다.

A 70. 유전성 혈색소이상증에서 혈색소의 기본구조를 기술하고, 혈색소 A1, A2, F 및 S의

구조이상의 차이를 설명한다.

B 71. 유전성 혈색소이상증에서 출생 시 주된 혈색소를 기술하고, 혈색소 F의 정상량을 기

술한다.

Page 87: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86

B 72. Target cell을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혈액질환들을 열거한다.

B 73. Functional asplenia의 의미를 설명하고 이차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을 기술한다.

B 74. 유전성 혈색소이상증에서 X-선 사진을 보고 “hair-on-end” 현상을 인지하고 나타나

는 질환들은 2가지 열거한다.

A 75. 탈라세미아(thalassemia)를 진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C 76. 탈라세미아를 유전적인 결함에 따라 분류하고 치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A 77. 낫세포적혈구빈혈(Sickle cell anemia)을 진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C 78. 낫세포적혈구빈혈을 유전적인 결함정도에 따라 분류하고 치료원칙에 대해서 설명

한다.

A 79. 자가 면역성 용혈성 빈혈(AIHA)을 일으키는 항체를 3가지로 분류한다.

A 80. Warm 및 cold 항체에 의한 용혈성 빈혈의 원인질환들을 열거한다.

A 81. Coombs 검사의 원리를 설명한다.

A 82. 자가 면역성 용혈성 빈혈의 치료원칙에 대해 설명한다.

B 83. 약물에 의한 용혈성 빈혈의 기전을 설명하고 이에 관계되는 약물들을 기술한다.

A 84. 신생아 용혈성질환에서 Rh 및 ABO 부적합증의 발생기전을 설명한다.

C 85. Rh 부적합증을 일으키는 Rho(D) 항원 이외에 문제가 되는 인자들을 발생빈도 차례

로 기술한다.

A 86. Rh 항체의 2가지형을 구별하고 임상적 의의를 설명한다.

B 87. 출생 후 빠른 속도의 용혈현상과 bilirubin치의 상승을 가져오는 요인을 열거한다.

A 88. 태아수종(hydrops fetalis)의 원인을 열거한다.

A 89. 임상에서 쉽게 Rh 부적합증과 ABO 부적합증 등을 감별할 수 있는 소견들을 열거한

다.

C 90. Rh 부적합증의 예방법을 설명한다.

A 91. 비장의 기능을 설명한다.

A 92. 비기능 항진증의 정의를 내린다.

A 93. 원발성 비기능 항진증과 이차성 비기능 항진증을 감별한다.

A 94. 비절제의 적응증들을 열거한다.

A 95. 비절제술 후에 초래될 수 있는 합병증 및 예방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A 96. 적혈구 증다증의 정의를 내린다.

A 97. 이차성 적혈구증다증의 발생기전 및 대책을 설명한다.

A 98. 호중구, 호산구, 단구 증가증의 흔한 원인을 열거한다.

A 99. 백혈구 감소증의 흔한 원인을 열거한다.

A 100. 림프구 증가증의 흔한 원인을 열거한다.

A 101. 백혈병양 반응과 백혈병의 차이를 말초혈액 및 골수검사 소견으로 감별한다.

Page 88: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87

B 102. 무과립구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약물을 열거한다.

B 103. 무과립구증의 병태생리를 설명한다.

A 104. 혈액응고에 관여하는 세 가지 요소를 들어 정상 응고기전을 설명한다.

B 105. 12가지 혈액응고인자의 저장 안정성을 설명하고 혈청내 존재하는 인자를 열거한다.

A 106. 혈액응고인자들의 반감기와 투여간격을 설명하시오.

A 107. 혈소판 파괴의 증가 혹은 소모로 인한 혈소판 감소증들을 열거한다.

B 108. 선천성 혈소판 기능이상증을 열거한다.

A 109. 이차성으로 혈소판 기능이상을 가져올 수 있는 약물들을 열거한다.

A 110. 혈소판 혹은 혈관장애에 의한 출혈경향과 혈액응고장애에 의한 출혈경향의 임상상

의 차이를 비교한다.

A 111. 출혈성 질환의 선별적 진단적 검사와 감별점을 설명한다.

A 112. Henoch-Schönlein 자반증의 발생기전, 임상증세, 치료원칙 및 예후에 대하여 설명

한다.

A 113. Henoch-Schönlein 자반증에서 피부증상의 특징과 분포를 설명한다.

A 114. Henoch-Schönlein 자반증에서 위장관증상의 특징과 치명적일 수 있는 합병증을 설

명한다.

A 115.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의 발병기전에 대해 설명한다.

A 116.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의 임상증상과 검사 결과를 설명한다.

A 117.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에서 비장적출술의 적응증을 설명한다.

A 118.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에서 치료 및 예후를 설명한다.

A 119.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에서 정맥용 면역글로불린, Anti-D 정주치료의 적응과

기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A 120. 발생빈도가 높은 혈우병의 종류를 빈도별로 열거하고 결핍인자 및 유전양식을 설명

한다.

A 121. 혈우병에 있어서 출혈경향의 특징을 설명한다.

A 122. 혈우병에서 진단 및 감별을 위한 혈액응고 검사를 기술하고 각 검사의 임상적 의의

를 설명한다.

A 123. 혈우병에서 응급치료를 요하는 주요 출혈의 종류를 열거한다.

A 124. 혈우병 치료원칙을 설명한다.

B 125. 제 8인자 결핍증에서 인자 보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혈액제제의 종류를 열거한

다.

A 126. 혈우병에서 혈액제제 수혈로 발생될 수 있는 합병증을 열거한다.

B 127. 혈우병에서 재활치료의 필요성을 설명한다.

A 128. von Willebrand병의 특징적인 임상증상과 혈액응고 검사소견을 설명한다.

Page 89: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88

A 129. 파종혈관내응고증에 볼 수 있는 검사소견을 열거한다.

B 130. 파종혈관내응고증의 유발인자가 되는 원인을 열거한다.

C 131. 파종혈관내응고증 치료 원칙을 설명하고 치료 약제를 열거한다.

A 132.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전구세포들의 성장에 영향을 주는 조혈성장인자를 구별한

다.

A 133. 수혈의 부작용을 열거한다.

Page 90: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89

19.� 종양성�질환

학습 목적

소아청소년에서 특징적으로 볼 수 있는 악성 종양에 대하여 임상 및 검사소견을 통한 조기

진단 방법을 알게 되며 치료의 원칙을 이해시키는 동시에 다른 관련 분야와의 협조로 이루어

지는 종합적 치료의 중요성을 이해시키는데 있다. 또한 빈도가 높은 소아청소년의 양성종양

에 대한 일반적 지식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학습 목표

A 1. 소아청소년기 암과 성인에서 암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B 2. 현재까지 악성 종양의 병인 관계로 알려진 바이러스와 그에 의한 종양을 기술한다.

A 3. 악성 종양의 분자 유전학적 발생 기전을 이해한다.

A 4. 암을 일으키는 빈도가 높은 선천성 기형을 기술한다.

A 5. 종양 치료의 일반 원칙을 설명한다.

B 6. 소아청소년 암에서 흔히 사용하는 항암제를 작용기전에 따라 분류하고, 그 약제들의

부작용을 설명하며, 부작용을 예방하는 약물을 인지한다.

A 7. 치료초기에 일어날 수 있는 급성종양융해 증후군에서 대하여 설명하고, 예방 및 치료

법을 설명한다.

B 8. 소아청소년 암 치료 후에 치료 때문에 나타나는 후기 부작용(late adverse effect)에

대하여 설명한다.

B 9. 급성 백혈병의 원인 중 유전적인 인자(발생 빈도가 높은 군)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A 10. 급성 백혈병에서 흔히 나타나는 증세를 열거한다.

B 11. 급성 백혈병에서 말초혈액 도말 및 골수소견에서 급성 백혈병의 유형에 따른 백혈병

세포의 특징적인 형태학적 소견을 지적한다.

B 12. 백혈병 세포 형태 감별에 도움이 되는 세포화학적 염색의 차이를 설명한다.

A 13. 급성 백혈병을 형태학적, 면역학적, 세포유전학적으로 분류하고 임상적 특징과 예후

인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A 14.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의 치료원칙을 설명한다.

A 15. 급성 백혈병에서 완전 관해의 정의를 설명한다.

A 16. 소아청소년 백혈병 약물투여에 있어서 약물학적 성역(sanctuary area)을 설명한다.

B 17. 소아청소년 백혈병 약물투여에 있어서 약리유전학 검사를 하는 약물을 인지한다.

Page 91: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90

B 18.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의 치료 후의 미세 잔존암의 검사 방법과 의미를 이해한다.

C 19. 급성 백혈병의 뇌척수액 검사에서 Steinherz-Bleyer algorithm의 의미와 중요성을 설

명한다.

C 20.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이 필요한 경우를 설명하시오.

C 21.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 치료 후 장기합병증과 예방대책을 설명하시오.

B 22. 만성 골수성 백혈병의 성인형과 소아청소년형의 차이점을 비교 설명한다.

C 23. 연소성 골수단구 백혈병의 진단 기준과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B 24. 영아 백혈병의 특징을 설명한다.

A 25. Hodgkin 병의 병리학적 분류와 임상적 단계(stage)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치료 원칙

에 대하여 설명한다.

A 26. Hodgkin 병의 B 증상을 열거한다.

A 27. Non-Hodgkin 림프종과 Hodgkin 병의 발병기전의 차이점을 비교한다.

A 28. Non-Hodgkin 림프종의 치료 원칙을 설명한다.

A 29. 뇌종양의 원인 및 관련 질환을 기술한다.

A 30. 뇌종양의 연령, 조직학적 특징과 발생 부위에 따른 빈도와 종류를 설명한다.

A 31. 뇌종양의 연령과 발생 부위에 따른 임상 증상의 차이를 설명한다.

B 32. Parinaud 증후군의 원인과 증상을 설명한다.

A 33. Diencephalic syndrome의 원인과 특징적인 증상을 기술한다.

A 34. 뇌종양의 진단, 치료 원칙 및 예후 인자를 설명한다.

B 35. 뇌종양의 진단으로서 뇌자기공명촬영의 장점과 종양별 특징을 인지한다.

A 36. Cerebellar astrocytoma와 medulloblastoma의 임상증상의 특징을 각각 설명한다.

B 37. 원시신경외배엽종양(primitive neuroectodermal tumor)의 종류를 열거한다.

C 38. 속질모세포종(medulloblastoma)의 위험군 분류 및 예후인자와 치료를 설명한다.

C 39. 교종을 조직학적 등급별로 분류하고 각 등급에 맞는 치료 원칙을 설명한다.

A 40. Craniopharyngioma의 특징적 소견을 설명한다.

A 41. Brainstem glioma의 임상적 특징을 설명한다.

C 42. Brainstem glioma의 치료 원칙과 예후를 설명한다.

C 43. 영아기에 발생하는 뇌종양과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A 44. 뇌종양의 전이가 잘 안 되는 이유를 설명한다.

B 45. 소아청소년 뇌종양 환자의 치료 후 합병증과 장기적인 관리를 설명한다.

A 46. 신경모세포종에서 흔한 발생부위를 기술하고, 특징적인 골수 전이소견을 기술한다.

A 47. 신경모세포종의 진단 방법을 열거하고 세포 분자 유전학적 예후 인자를 이해한다.

A 48. 신경모세포종에서 임상단계 IV-S의 정의를 내리고 치료 원칙 및 예후를 설명한다.

A 49. 고위험군 신경모세포종의 치료 원칙을 설명한다.

Page 92: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91

A 50. Wilms 종양에서 잘 동반되는 선천성 기형을 열거한다.

A 51. Wilms 종양과 신경모세포종을 감별한다.

A 52. Wilms 종양을 임상단계로 분류하고 그 치료원칙을 설명한다.

A 53. Wilms 종양에서 흔한 원격 전이 장기를 열거한다.

A 54. 횡문근육종을 조직학적인 면에서 분류하고, 호발부위를 발생빈도에 따라 열거한다.

C 55. 횡문근육종의 항암화학치료에 흔히 쓰이는 약제 및 치료 원칙에 대해서 설명한다.

C 56. 비횡문근육종성 연부조직육종의 치료 원칙과 종양의 종류에 따른 항암제 감수성을

설명한다.

B 57. 소원형청색세포종양(small round blue cell tumor)의 종류를 열거한다.

A 58. 골육종의 호발부위를 열거하고 치료원칙을 설명한다.

A 59. 골육종과 Ewing 육종의 임상적 차이점과 특징적인 X선 소견을 비교 기술한다.

C 60. 진단 시 폐 전이를 동반한 골육종의 치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A 61. Ewing 육종의 치료원칙을 설명한다.

A 62. 망막모세포종에서 유전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A 63. 망막모세포종에서 치료원칙 및 예후를 설명한다.

B 64. 삼각망막세포종(trilateral retinoblastoma)의 의미를 인지한다.

A 65. 망막모세포종에서 이차성 종양과의 관련성을 설명한다.

A 66. 생식세포종양에서 종양표지자를 열거하고 임상적 증상들을 설명한다.

A 67. 기형종, 유피종 및 과오종의 정의를 각각 내린다.

B 68. 기형종이 호발하는 부위를 연령에 따라 설명한다.

A 69. 천미골기형종(sacrococcygeal teratoma)의 임상증상을 설명한다.

A 70. 난소와 고환에 흔한 악성 종양을 빈도순으로 열거한다.

A 71. 생식기종양의 조기진단에 유용한 증상들을 설명한다.

B 72. 간모세포종과 간세포암종에서 호발 연령, 조직 소견, B형 간염과의 관계, α-FP 검사,

치료 및 예후의 차이점을 비교한다.

A 73. 조직구증식증후군의 정의를 내리고 분류한다.

A 74. 랑게르한스세포 조직구증의 확진방법을 설명하고 특징적인 임상증상을 나열한다.

A 75. 랑게르한스세포 조직구증의 치료원칙을 설명한다.

B 76. 혈구탐식성 조직구증식증의 원인, 임상양상과 치료원칙을 설명한다.

C 77. 혈구탐식성 조직구증식증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의 적응증을 설명한다.

C 78. 암 소인 증후군(cancer predisposition syndrome)을 설명하고 각 증후군별 흔히 발생

하는 암의 종류에 대해서 설명한다.

C 79. 소아청소년기의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의 원리와 적용되는 질환을 설명한다.

C 80. 소아청소년기의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의 원리와 적용되는 질환을 설명한다.

Page 93: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92

C 81.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에서 시기별 합병증 및 그 예방과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C 82. 조혈모세포이식의 전처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C 83. 항암화학치료에서 thiopurine methyltransferase와 methylene tetrahydofolate reduc-

tase의 다형성의 임상적 중요성을 설명한다.

Page 94: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93

20.� 신 ․요로�질환학습 목적

소아청소년기 신기능의 변화와 특성을 인지하고 급․만성 사구체 질환, 세뇨관 질환, 신간질성

질환, 신혈관 질환 및 요로계 질환의 발생기전과 병태생리를 이해하도록 한다. 또한 신질환의

감별진단을 위한 뇨검사, 혈액검사, 진단적 가치를 이해하고, 신조직 검사 소견을 평가하며 임

상에서 흔히 보는 신질환에 대한 올바른 관리를 익힌다.

학습 목표

A 1. 연령에 따른 사구체 여과율의 차이를 설명한다.

A 2. 크레아티닌 청소율의 계산법 및 특성을 기술한다.

A 3. 일반 소변검사를 아침 첫 소변으로 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A 4. 혈청 BUN : Cr 비가 상승되는 경우를 기술한다.

A 5. 붉은 색 소변의 감별 진단을 한다.

A 6. 혈뇨의 진단기준을 설명한다.

A 7. 사구체성, 비사구체성 혈뇨의 감별점을 열거한다.

A 8. 지속적인 현미경적 혈뇨에 대한 감별진단을 위한 검사법을 설명한다.

A 9. 지속적인 현미경적 혈뇨의 예후를 설명한다.

A 10. 무증상 혈뇨에서 신생검의 적응증을 열거한다.

A 11. 반복성 육안적 혈뇨증의 원인을 열거한다.

A 12. 유전성 신질환의 종류를 열거하고 유전형태를 설명한다.

A 13. IgA 신병증의 임상, 병리학적 특징을 설명한다.

A 14. IgA 신병증의 예후가 불량한 경우를 열거한다.

A 15. Henoch-Schönlein purpura 신염의 검사 결과와 치료법을 기술한다.

A 16. Thin basement membrane disease의 특징을 설명한다.

A 17. 알포트 증후군의 임상적 특징과 조직병리학적 특징을 설명한다.

A 18. 특발성 칼슘요증의 진단기준과 처치를 기술한다.

A 19. 혈청내 제3보체(C3)가 저하되는 신질환을 열거한다.

A 20. 급성 사슬알균 감염 후 사구체신염의 특징적 임상양상을 이해한다.

B 21. ASO치가 증가하지 않는 경우와 대신 시행하는 혈청검사를 기술한다.

A 22. 급성 사슬알균 감염 후 사구체신염으로 생각되는 환자에게서 신조직검사가 필요한

경우를 기술한다.

Page 95: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94

A 23.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사구체신염의 조직병리학적 특징을 기술한다.

A 24. 용혈성 요독증후군의 흔한 원인균과 임상적 특징을 기술한다.

A 25. 용혈성 요독증후군의 치료법을 기술한다.

A 26. 상염색체 열성 및 우성 다낭신의 병리학적, 임상적 차이점을 기술한다.

A 27. 상염색체 열성 다낭신의 발병시기에 따른 임상적 특성을 기술한다.

A 28. 양측성 복부 종괴가 촉진될 수 있는 질환을 기술한다.

A 29. 일회 소변으로 단백뇨를 정량적으로 표기할 수 있는 방법을 기술한다.

A 30. 기립성 단백뇨에 대해 기술한다.

A 31. 신증후군의 임상적, 병리학적 특징을 기술한다.

A 32. 신증후군에서 볼 수 있는 합병증을 기술한다.

A 33. 구역질, 복통, 식은땀을 흘리며 응급실에 내원한 신증후군 환자에게서 감별해야 할 합병

증 3가지를 열거한다.

A 34. 신증후군의 치료법을 기술한다.

A 35. 빈번히 재발하는 신증후군의 재발 빈도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기술한다.

A 36.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경화증, 막성증식성 사구체신염의 조직병리소견을 설명하고,

스테로이드 반응성을 기술한다.

A 37. 신세뇨관성 산증 I, II형의 발병기전을 설명한다

A 38. 신세뇨관성 산증의 감별진단을 위한 검사소견을 기술한다.

A 39. 바터증후군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다.

A 40. 지텔만 증후군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다.

A 41. Urinary anion gap의 임상적 의미를 설명한다.

A 42. 신성 골이양증의 빈혈의 발생기전을 설명하고 치료원칙을 기술한다.

A 43. 급성 간질성 신염의 원인 및 임상증상을 설명한다.

A 44. 요산 신병증의 발생기전을 이해하고 예방법 및 치료방법을 기술한다.

A 45. 요검사 결과에 따라서 급성 신부전의 원인 질환의 차이를 감별할 수 있다.

A 46. 급성 신부전에서 생길 수 있는 합병증을 알고 이에 대한 치료를 할 수 있다.

A 47. 비핍뇨성 급성 신부전을 설명한다.

A 48. 무뇨나 핍뇨를 보이는 환자에게서 감별진단과 치료목적을 위하여 일차적으로 시행하여

야 할 시험적 치료법을 기술한다.

A 49. 기능적, 기질적 및 폐쇄성 신부전증을 감별하기 위한 요검사의 차이를 기술한다.

A 50. Fractional excrtetion of Na (FENa) 계산공식과 임상적 의의를 설명한다.

A 51. 절박성 급성 신부전증의 치료법을 기술한다.

A 52. 급성 신부전증의 식이요법을 설명한다.

A 53. 급성 신부전증 환자에게 수액 및 전해질 투여 방법을 설명한다.

Page 96: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95

A 54. 고칼륨혈증의 치료법을 기술한다.

A 55. 급성 신부전증에서 투석의 적응증을 기술한다.

A 56. 만성 신부전증이 갑자기 악화하는 원인을 기술한다.

A 57. 만성 신부전증의 식이요법에 대해 설명한다.

A 58. 만성 신부전증에서 빈혈의 발생기전을 설명하고 치료원칙을 기술한다.

B 59. 재조합 인간 에리스로포이에틴 치료의 부작용을 기술한다.

A 60. 지속성 복막투석(CAPD), 혈액투석, 지속적 신대체요법(CRRT)의 장단점 비교하여 설

명한다.

A 61. 신이식 후 합병증을 알고 치료할 수 있다.

B 62. 신이식시 필요한 HLA형 검사종류를 기술한다.

B 63. 이식신 거부반응의 종류와 특징을 기술한다.

A 64. 요배양을 위한 요채취 방법과 의미있는 세균뇨의 진단기준을 기술한다.

A 65. 요로감염증 치료 후 필요한 신영상 검사법을 열거하고 각 검사의 필요성을 기술한다.

B 66. 신반흔의 발생기전을 설명한다.

A 67. 요로감염 환자에게 예방적 화학요법이 필요한 경우를 기술하고 이에 필요한 약제와

용량을 설명한다.

A 68. 방광요관 역류를 분류하고 치료원칙을 설명한다.

A 69. 방광요관 역류에 수반되는 합병증을 기술한다.

B 70. Contrast VCUG(voiding cystourethrogram)와 radionuclide cystogram의 차이점을 기

술한다.

A 71. 양측성 요관 폐쇄나 요도 폐쇄가 태아기에 생길 때 올 수 있는 합병증을 기술한다.

B 72. 양측성 요관 폐쇄나 요도 폐쇄의 원인이 제거된 후에 생길 수 있는 합병증을 기술한다.

A 73. 산전에 발견된 수신증의 진단 및 치료를 기술한다.

A 74. 다낭성 이형성 신의 진단 및 치료를 기술한다.

A 75. 복부초음파 검사에게 요로팽창이 확인될 때 감별할 질환을 열거한다.

A 76. 신생아에게서 복부종괴가 한쪽에서 만져질 때 감별할 질환을 열거한다.

A 77. 일차성과 이차성 야뇨증의 차이를 기술하고 치료 원칙을 설명한다.

A 78. 불안정 방광(unstable bladder)을 정의하고 치료법을 기술한다.

B 79. 신경성 방광의 원인과 치료법을 설명한다.

A 80. 잠복고환을 진단하고 치료원칙과 합병증을 설명한다.

B 81. 외음질염이 잘 생기는 이유를 설명한다.

A 82. 음낭수종과 탈장을 감별진단하고 그 대책을 마련한다.

A 83. 신생아에 대한 포경수술 후 생길 수 있는 합병증을 기술한다.

A 84. 잠복고환을 진단하고 치료원칙과 합병증을 설명한다.

Page 97: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96

A 85. 요석이 발견되었을 때 필요한 검사들을 기술한다.

A 86. 혈압측정법을 설명한다.

A 87. 고혈압의 진단 기준치를 설명한다.

A 88. 고혈압 관리 지침을 설명한다.

A 89. 항고혈압제의 종류와 치료원칙을 설명한다.

A 90. 연령에 따른 이차성 고혈압의 원인을 기술한다.

B 91. 신혈관성 고혈압의 원인질환을 열거하고 진단방법을 기술한다.

Page 98: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97

21.� 내분비�질환

학습 목적

소아청소년에게서 높은 발생빈도를 보이는 내분비 질환에 대하여 병태생리를 이해하고, 임

상증상 및 검사결과를 숙지함으로써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게 유도하며 적절한 치료를 시행

할 수 있는 지식을 갖도록 한다.

학습 목표

B 1. 뇌하수체의 해부학적 위치를 인지한다.

C 2. 뇌하수체 전엽과 후엽의 발생학적 차이점을 인지한다.

A 3.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명칭을 열거하고, 그 작용을 설명한다.

A 4.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명칭을 열거하고, 그 작용을 설명한다.

B 5. 뇌하수체 전엽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는 시상하부호르몬을 열거하고, 그 작용을 설명

한다.

A 6. 뇌하수체저하증을 일으키는 원인을 열거한다.

A 7. 뇌하수체저하증의 특징적 임상증상을 열거한다.

A 8. 뇌하수체저하증과 감별할 질환을 열거한다.

A 9. 뇌하수체저하증의 치료원칙을 설명한다.

A 10. 복합 뇌하수체기능검사의 방법과 의의를 설명한다.

A 11. 저신장(short stature)의 정의를 내린다.

A 12. 정상아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표준 성장(신장, 체중)치와 성장속도의 특징(양상)을

설명한다.

B 13. 성장(특히 키)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열거한다.

A 14. 저신장의 원인을 열거한다.

A 15. 뇌하수체성 저신장에서 성장호르몬 결핍을 진단하는 검사방법을 열거하고, 진단기준

을 설명한다.

B 16. 성장호르몬 치료의 적응증을 열거한다.

A 17. 요붕증의 정의를 내리고 원인을 열거한다.

A 18. 요붕증의 임상증상을 열거한다.

A 19. 요붕증의 다음 검사 결과를 설명한다.

1) 요량 2) 요 비중 3) 혈액 및 요 osmolarity

Page 99: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98

A 20. 수분제한검사의 방법과 의의를 설명한다.

A 21. 중추성 요붕증과 감별해야 할 질환을 열거하고, 감별방법을 설명한다.

A 22. SIADH의 정의를 내린다.

A 23. SIADH의 원인을 열거한다.

A 24. SIADH의 임상증상을 열거한다.

A 25. SIADH의 치료법에 대해 기술한다.

C 26. 뇌하수체성 말단비대증과 거인증의 특징을 설명한다.

C 27. 과다성장의 신생아기, 소아기, 청소년기 원인을 열거한다.

C 28. Prolactinoma의 임상증상을 열거한다.

B 29. 사춘기의 내분비학적 생리를 설명한다.

A 30. 남녀에게서 각각 사춘기 단계별 신체적 변화를 설명한다.

A 31. 성조숙증의 진단 기준을 설명한다.

A 32. 성조숙증에서 진성과 가성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A 33. 진성 성조숙증의 원인을 열거한다.

A 34. 남아에게서 가성 성조숙증의 원인을 열거한다.

A 35. 여아에게서 가성 성조숙증의 원인을 열거한다.

A 36. 불완전 성조숙증(incomplete precocious puberty, 사춘기 발달의 변이형)의 3가지형

을 설명한다.

A 37. 성조숙증을 진성과 가성으로 나누어 다음 검사 결과를 설명한다.

1) 혈중 LH 농도 2) 혈중 FSH 농도 3) GnRH 자극검사

A 38. 특발성 진성 성조숙증의 치료약제를 설명한다.

B 39. McCune-Albright 증후군의 정의를 내린다.

A 40. 유방조기 발육증에서 다음을 설명한다.

1) 호발연령 2) 예후 3) 감별질환

B 41. 갑상선호르몬의 합성, 분비, 대사과정을 도해한다.

B 42. 갑상선 기능과 관련된 시상하부-뇌하수체-갑상선의 조절을 설명한다.

A 43. 갑상선호르몬이 소아 성장 및 기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한다.

B 44. 임신부가 항갑상선 제제를 복용한 경우 태아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B 45. 임신부의 TSH receptor-blocking antibody(TRBAb)가 태아의 갑상선에 미치는 영향

을 설명한다.

A 46. 갑상선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의 종류와 의의를 설명한다.

B 47. TRH 자극검사의 임상적 의의와 그 적응을 설명한다.

B 48. 갑상선 기능검사에 있어 방사선 옥소 섭취율 검사법의 의의와 영향을 주는 인자를

기술한다.

Page 100: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99

A 49. 갑상선 스캔의 임상적 적응증을 열거하고 결과의 해석을 설명한다.

B 50.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의 각종 갑상선 질환을 빈도별로 기술한다.

A 51. 선천성 갑상선 저하증의 주요 원인을 기술한다.

A 52. 후천성 갑상선 저하증의 주요 원인을 기술한다.

A 53. 선천성 갑상선 저하증의 특징적 임상증상을 열거한다.

A 54. 선천성 갑상선저하증의 진단에 필요한 검사를 열거하고 각 검사 결과를 설명한다.

B 55. 일차성과 이차성 선천성 갑상선저하증에서 T3, T4, TSH 농도변화에 대해서 설명하

고 TRH 자극시험 때 반응을 설명한다.

A 56. 선천성 갑상선저하증의 치료약제 및 용량을 설명한다.

A 57. 선천성 갑상선저하증의 치료효과를 판정하는 검사를 설명한다.

B 58. 선천성 갑상선저하증의 치료에 있어 과잉 치료시에 볼 수 있는 소견을 열거한다.

B 59. 선천성 갑상선저하증에서 치료 시작 연령에 따른 지능 및 운동 발달 지연에 관한 예

후를 설명한다.

A 60. 선천성 갑상선저하증에 대한 신생아 집단 선별검사의 필요성과 검사시기 및 검사 방

법 등을 설명한다.

B 61. 만성 림프구성 갑상선염의 자가면역성 병인론과 병리조직학적 특징을 설명한다.

A 62. 만성 림프구성 갑상선염의 진단에 필요한 임상소견 및 검사소견을 열거한다.

A 63. 만성 림프구성 갑상선염의 갑상선 기능 상태를 설명한다.

B 64. Graves 병의 자가면역성 병인론과 갑상선호르몬 과다로 인한 병태생리학적 현상을

설명한다.

A 65. Graves 병의 연령별, 성별 빈도를 설명한다.

A 66. Graves 병의 주요 임상증상을 설명한다.

A 67. Graves 병의 진단에 필요한 검사소견의 특징을 설명한다.

A 68. Graves 병의 치료방법과 원칙을 설명한다.

A 69. Graves 병의 약물치료 시 사용되는 대표적 약제와 부작용을 설명한다.

B 70. 신생아 갑상선 항진증이 발생할 수 있는 원인 기전과 임상 증세를 설명한다.

B 71. 갑상선 결절의 원인별 분류와 진단법을 설명한다.

C 72. 갑상선 암의 조직학적 및 임상적 특징을 설명하고, 치료원칙을 인지한다.

A 73. 갑상선종의 원인을 열거한다.

A 74. 단순 갑상선종의 원인을 설명한다.

A 75. 단순 갑상선종의 성별 빈도와 호발시기를 기술한다.

A 76. 단순 갑상선종의 감별해야 될 질환을 열거한다.

A 77. 단순 갑상선종의 치료를 설명한다.

C 78. Pendred 증후군의 정의를 내린다.

Page 101: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00

B 79. 선천성 갑상선 종대를 일으키는 원인을 열거한다.

A 80. 부갑상선 호르몬의 작용을 설명한다.

B 81. 부갑상선 항진증의 원인을 열거한다.

B 82. 원발성 부갑상선 항진증의 특징적 임상증상을 열거한다.

B 83. 원발성 부갑상선 항진증의 검사소견을 열거한다.

B 84. 고칼슘혈증을 초래시키는 원인들과 감별점을 기술한다.

A 85. 부갑상선 저하증의 원인을 열거한다.

B 86. 특발성 부갑상선 저하증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질환을 열거한다.

A 87. 저칼슘혈증시 나타나는 특징적 임상증상을 열거한다.

B 88. 가성 부갑상선 저하증의 정의를 내리고 I형과 II형을 설명한다.

A 89. 테타니에 대한 응급치료를 설명한다.

B 90. 만성 저칼슘혈증시 치료방법을 기술한다.

B 91. 부신 피질과 수질의 발생학적 차이점을 설명하고 각각에서 생산하는 호르몬을 기술한다.

B 92. 부신 피질에서 glucocorticoid 생산과정을 도해한다.

A 93. 부신 피질 기능부전증의 원인을 열거한다.

A 94. 부신 피질 기능부전증을 급성 및 만성으로 구분하여 각각 특징적인 임상증상 4가지

를 열거한다.

A 95. 급성 부신 피질 기능부전증에서 수액, 전해질과 호르몬 치료법을 기술한다.

A 96. 만성 부신 피질 기능부전증에서 호르몬 보충요법을 기술한다.

B 97. 부신 피질 기능항진증으로 오는 질환을 열거한다.

A 98. 선천 부신과다형성의 원인을 열거한다.

A 99. 남성화를 일으키는 선천 부신과다형성의 결핍 효소명을 열거한다.

B 100. 고혈압을 초래하는 선천 부신과다형성의 결핍 효소명을 열거한다.

A 101. 염분 소실을 초래하는 선천 부신과다형성의 결핍 효소명을 열거한다.

A 102. 21-수산화효소 결핍증의 검사 결과를 아래 사항에 따라 기술한다.

1) 단순남성화형 2) 염분소실형

A 103. 선천 부신과다형성의 약물요법과 수술요법에 대해 기술한다.

A 104. 선천 부신과다형성 환자의 치료 효과를 판정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측정해야 될 검

사를 열거한다.

B 105. Cushing 증후군의 원인 4가지를 열거한다.

B 106. Cushing 증후군의 특징적 임상 양상을 열거하고, 나이에 따른 원인의 차이점을 설

명한다.

A 107. Cushing 증후군의 원인 감별을 위한 dexamethasone suppression test의 방법을 설

명하고, 그 결과를 해석한다.

Page 102: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01

B 108. 고알도스테론증을 일차성과 이차성으로 나누어 각각 원인을 열거한다.

C 109. 일차성 고알도스테론증의 진단방법을 열거한다.

B 110. 부신 피질 기능을 평가하는 다음 검사의 시행방법과 의의를 설명한다.

1) ACTH 자극검사 2) metyrapone 검사

B 111. Pheochromocytoma의 임상증상을 열거한다.

A 112. 체질성 사춘기 지연과 성선저하증의 감별 기준을 설명한다.

B 113. 1차성과 2차성 성선 저하증의 감별을 기술한다.

B 114. Kallmann 증후군의 임상적 특징을 기술한다.

B 115. Klinefelter 증후군과 Turner 증후군의 최종신장의 특징을 기술한다.

A 116. Klinefelter 증후군의 임상증상을 열거한다.

B 117. 2차성 성선저하증의 치료방법을 설명한다.

B 118. 남아의 1차성 성선저하증의 치료를 설명한다.

A 119. 미소음경(micropenis)을 정의하고, 흔히 잘 동반하는 내분비 질환 2가지를 열거한

다.

A 120. Turner 증후군의 임상증상을 열거한다.

B 121. Turner 증후군에서 저신장에 관여하는 X염색체 부위를 말한다.

A 122. Turner 증후군의 내분비학적 치료를 설명한다.

B 123. 남아와 여아의 성분화과정을 설명한다.

C 124. Y염색체에 존재하는 SRY유전자의 기능을 기술한다.

A 125. 46,XX 성발달 장애의 원인을 열거한다.

A 126. 46,XY 성발달 장애의 원인을 열거한다.

B 127. Pure gonadal dysgenesis와 gonadal agenesis의 차이점을 감별한다.

A 128. Ambiguous genitalia 환자가 내원시 감별진단을 위한 평가방법을 도해한다.

A 129. 진성 반음양(난소고환 성발달 장애)을 정의하고 가장 흔한 염색체형을 기술한다.

C 130. 완전 안드로겐 무감응 증후군의 원인 유전자의 기능과 위치를 설명한다.

B 131. 46,XY 성발달 장애에서 발생하는 성선모세포종을 기술한다.

B 132. 5α-reductase 이상에 의한 46,XY 성발달 장애에서 내부생식기와 외부생식기의 구조

를 설명한다.

B 133. hCG 자극검사의 시행방법과 의의를 설명한다.

A 134. 성발달 장애의 성결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A 135. 비만의 진단기준을 설명한다.

A 136. 단순성 비만과 증후성 비만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B 137. 단순성 비만의 발생기전을 설명한다.

B 138. 증후성 비만의 원인이 되는 질환을 열거한다.

Page 103: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02

A 139. 비만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연령군을 열거한다.

A 140. 비만의 특징적 임상증상을 열거한다.

B 141. 비만의 정신적인 문제점을 설명한다.

A 142. 비만의 치료방법을 열거한다.

B 143. 비만에서 식이요법의 방법을 부모에게 교육한다.

A 144. 비만의 합병증을 열거한다.

B 145. 대사증후군을 설명한다.

C 146. Pickwickian 증후군에 대해 설명한다.

A 147. 당뇨병의 진단기준을 설명한다.

B 148. 당뇨병의 원인별 분류를 설명한다.

A 149. 1형과 2형 당뇨병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A 150. 1형 당뇨병의 역학적 측면을 기술한다.

1) 발생률 2) 성별발생 3) 호발연령 4) 계절별 발생

A 151. 1형 당뇨병의 원인 및 병리에 관해 설명한다.

1) HLA형 2) β세포 항체 3) 바이러스 감염

4) 다른 내분비 질환과의 관계 5) 자가면역

A 152. 1형 당뇨병의 병태생리를 설명한다.

A 153. 인슐린이 간, 근육, 지방조직에서의 당대사과정에 미치는 작용을 설명한다.

A 154. 당뇨병에서 인슐린에 대해 counter-regulatory action을 나타내는 호르몬 4가지를 열

거하고, 그 의의를 설명한다.

A 155. 당뇨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임상증상을 열거한다.

A 156. 당뇨병성 케톤산혈증이 일어나는 기전을 설명한다.

A 157. 당뇨병성 케논산혈증의 임상증상과 검사 결과를 열거한다.

A 158. 당뇨병성 케톤산혈증의 수액요법을 설명한다.

B 159. 당뇨병성 케톤산혈증의 인슐린요법을 설명한다.

B 160. 당뇨병성 케톤산혈증과 감별해야 될 질환을 열거한다.

B 161. Non-ketotic hyperosmolar coma를 정의 및 치료를 설명한다.

A 162. 임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인슐린의 작용시간과 특징을 설명한다.

A 163. 인슐린제제의 부작용을 설명한다.

A 164. 당뇨병에서 인슐린요법을 설명한다.

1) 투여용량 2) 투여방법 3) 투여 부위 4) 용량조절

A 165. 당뇨병의 식이요법을 설명한다.

A 166. 당뇨병의 치료 조절이 잘 되고 있는가를 판단할 수 있는 조건을 열거한다.

A 167. 밀월기를 설명한다.

Page 104: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03

B 168. Somogyi 및 Dawn 현상을 설명한다.

B 169. 2형 당뇨병의 경구약물요법을 설명한다.

B 170. 당뇨병 환자의 심리요법을 설명한다.

B 171. 당뇨병 환자의 외과적 수술 때 수술 전 치료 대책을 설명한다.

A 172. 당뇨병의 합병증을 열거한다.

A 173. 당뇨병의 예후를 설명한다.

A 174. 경구 및 정주 당부하 검사(glucose tolerance test)를 설명한다.

B 175. 당뇨병을 동반하는 질환을 열거한다.

C 176. 신생아의 일과성 당뇨병의 호발시기, 흔한 임상증상, 치료를 설명한다.

A 177. HbA1c의 의의를 설명하고 정상치를 말한다.

B 178. 당뇨병의 치료 조절이 어려운 이유를 설명한다.

A 179. 저혈당증으로 정의할 수 있는 혈당치를 연령별로 설명한다.

B 180. 체내 당대사를 도해한다.

B 181. 저혈당증의 원인을 6가지로 대별하여 열거한다.

A 182. 고인슐린혈증의 진단 기준을 설명한다.

B 183. 고인슐린혈증을 일으키는 원인을 열거한다.

C 184. 고인슐린혈증에 사용되는 약제 및 그 부작용을 열거한다.

B 185. 내분비 질환에 의한 저혈당증의 원인을 열거한다.

C 186. 약물 및 독소에 의한 저혈당증의 원인을 열거한다.

A 187. 저혈당증의 임상증상을 열거한다.

A 188. Ketotic hypoglycemia의 호발연령, 임상증상을 설명한다.

B 189. 저혈당증의 진단방법을 설명한다.

C 190. 당대사를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부하시험 종류를 열거하고, 유의성을 설명한다.

A 191. 저혈당증의 치료 원칙을 설명한다.

B 192. 저혈당증의 예후를 설명한다.

A 193. 청소년기 사망원인을 열거한다.

A 194. 청소년기에 흔한 정신과적 문제를 열거한다.

B 195. 약물남용의 병태생리를 설명한다.

B 196. 약물남용의 임상증상을 다음 기관별로 설명한다.

1) 중추신경계 2) 근육계 3) 맥관계 4) 호흡계 5) 피부

A 197. 약물 금단증상을 설명한다.

A 198. 청소년의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TD)를 열거한다.

A 199. 청소년 여아의 menstrual problem을 열거하고, 각각의 정의를 내린다.

B 200. 청소년에게 흔한 피부 질환을 열거한다.

Page 105: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04

A 201. 청소년에게 흔한 정형외과적 질환을 열거한다.

B 202. 청소년 환자를 진찰하는 의사의 태도에 대해 설명한다.

Page 106: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05

22.� 신경계�질환

학습 목적

신경계의 정상 발달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하여 환자의 연령수준에서 이상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신경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학습하여 환자의

신경질환을 조기 진단하고 즉각적인 치료를 가능케 하며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진행성

불구를 방지토록 한다. 신경질환의 원인 치료가 불가능하여 환자가 불구로 판명된 경우에는

소아가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적절한 대책을 수립토록 한다.

학습 목표

A 1. 신경질환 병력 청취 시 신경질환의 진단의 단서를 열거하고, 이를 설명한다.

A 2. 일반적인 신경학적 검사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진단과 연관 짓는다.

A 3. 연령에 따른 신경학적 검사방법의 차이점을 인지하고 적용한다.

A 4. Spasticity와 rigidity를 구분하고 임상적 의의를 설명한다.

A 5. 근력을 평가하여 기술한다.

A 6. 소뇌기능 검사방법을 열거한다.

A 7. 추체(pyramidal) 및 추체외(exrpyramidal)로 이상 시 나타나는 임상증상을 열거한다.

A 8. “Soft neurologic sign”을 정의한다.

A 9. 영아의 일과성 발육 반사의 진단적 가치를 이해하고, 이상으로 판정되는 사항을 설명

한다.

B 10. 두개 투광법(skull transillumination)으로 진단하는 질환을 기술한다.

B 11. Cranial bruit가 잘 들리는 곳과 들을 수 있는 경우를 나열한다.

A 12. 요추천자를 하는 부위를 지적하고 실행방법을 습득한다.

A 13. 요추천자의 금기사항을 나열한다.

A 14. 연령에 따른 뇌척수액의 세포수를 인지하고, 다핵 및 림프구의 증가의 의의를 설명한

다.

A 15. 뇌척수액의 정상 화학적 검사치(당과 단백)를 인지하고, 이상의 의의를 설명한다.

A 16. 뇌척수액 소견을 근거로 하여 세균성, 무균성, 결핵성 뇌막염을 감별한다.

B 17. 경막하 천자의 부위와 진단적 의의를 설명한다.

B 18. 뇌압의 상승시 두개골 X선 소견을 기술한다.

A 19. 뇌전산화 단층촬영과 뇌자기 공명촬영의 장점을 기술하고 차이점을 설명한다.

Page 107: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06

B 20. SPECT, PET 및 뇌 초음파의 진단적 의의를 설명한다.

C 21. 유발전위(evoked potential) 검사들을 열거하고, 각각의 진단적 의의를 설명한다.

A 22. 정상 각성 및 수면 뇌파의 특징을 설명한다.

A 23. 비정상적인 뇌파(간질파)의 종류를 기술하고 진단적 의의를 설명한다.

A 24. 뇌파 검사 시 간질파를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을 기술한다.

A 25. 의식을 정의하고, 이를 신경생리학적으로 설명한다.

A 26. 의식 수준을 분류하고, 영유아 및 소아 Glasgow coma scale의 항목을 설명한다.

A 27. 혼수 환자에게서 해부학적 부위의 장애에 따라 출현하는 호흡양상, 동공의 변화 및

안구 운동의 변화를 비교한다.

A 28. 혼수 환자의 진단적 접근법을 설명한다.

A 29. 혼수 환자에게 필요한 응급처치 내용을 기술하고 이를 실제로 환자에 적용한다.

A 30. 연령에 따른 경련의 원인을 빈도순으로 기술한다.

A 31. 신생아 경련의 원인, 증상의 특징, 치료 및 예후를 설명한다.

A 32. 신생아 경련의 발작형을 열거하고 각각을 설명한다.

A 33. 신생아 경련과 jitteriness의 임상적 차이점을 감별한다.

A 34. 신생아 경련의 치료를 설명한다.

A 35. 단순 및 복합 열성경련의 차이점을 감별한다.

A 36. 열성 경련 후 간질발생의 위험인자를 설명한다.

A 37. 영아 테타니의 원인, 증상 및 치료법을 설명한다.

A 38. 발작(seizure), 간질(epilepsy)을 정의한다.

A 39. 간질 발작형(국제 분류, 1981)의 분류기준을 설명한다.

A 40. 간질 및 간질 증후군(국제 분류, 1989)의 분류를 설명한다.

B 41. 부분 발작에서 해부학적 대뇌피질의 병소에 따른 발작증상을 설명한다.

A 42. 양성 부분(Rolandic) 간질의 특징을 이해한다.

A 43. 결신 발작의 임상적 특징을 설명한다.

A 44. 영아 연축(infantile spasm)의 원인, 발작모양, 뇌파소견 및 치료를 설명한다.

A 45. Lennox-Gastaut 증후군의 특징적인 소견을 설명한다.

A 46. 항경련 약물치료의 일반원칙을 설명한다.

A 47. 발작형에 따른 1차 선택 항경련제를 기술하고, 이들의 부작용을 설명한다.

B 48. 간질의 식이요법 및 수술요법을 설명한다.

A 49. 간질 지속상태(status epilepticus)를 정의하고, 원인을 설명한다.

A 50. 간질 지속상태의 응급처치법을 이해한다.

A 51. 간질과 감별해야 할 유사질환을 열거하고, 이들의 특징적 소견을 설명한다.

A 52. 중추 신경계의 발달과정을 설명한다.

Page 108: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07

A 53. 신경관 형성장애(neural tube defect) 질환을 열거한다.

A 54. 신경세포의 증식과 이주(migration) 장애로 인한 질환을 열거한다.

A 55. 뇌척수액의 생성과 정상 순환의 과정을 이해한다.

A 56. 수두증의 분류와 원인질환을 나열한다.

A 57. 수두증의 임상증상과 영아에서의 임상증상의 차이점을 기술한다.

B 58. 수두증과 무뇌수두증(hydranencephaly)을 감별할 수 있어야 한다.

A 59. 신경 피부 증후군의 질환(결절성 경화증, 신경섬유종증, Sturge-Weber 증후군)을 열

거하고 이들의 유전양식, 임상증상, 진단방법 및 검사결과를 인지한다.

A 60. 퇴행성 뇌질환의 특성과 뇌성마비 등의 정지성(static) 뇌증의 차이점을 이해한다.

A 61. 회질과 백질 변성 뇌질환의 임상적 차이점을 설명한다.

C 62. Neuronal ceroid lipofuscinosis의 특징을 설명한다.

A 63. 부신백질위축증(adrenoleukodystrophy)의 생화학적 이상과 임상증상을 이해한다.

A 64. 이염색백색준장애(metachromatic leukodystrophy)의 임상양상을 이해한다.

A 65. Friedreich 운동실조증의 임상증상을 설명한다.

B 66. 혈관 확장성 실조증의 이상증상과 면역기능 장애를 설명한다.

A 67. Rett 증후군의 임상적 특징을 설명한다.

A 68. 세균성 뇌막염의 원인균을 연령군에 따라 기술한다.

A 69. 신생아 뇌막염의 임상증상의 특징을 설명한다.

A 70. 신생아 뇌척수액 정상소견을 숙지한다.

A 71. 세균성 뇌막염의 조기진단 검사법을 기술한다.

A 72. 뇌막염의 합병증을 열거하고, 이들의 특징적인 임상증상과 검사 결과를 기술한다.

B 73. 재발성 세균성 뇌막염의 원인을 기술한다.

A 74.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의 진단 및 치료를 설명한다.

A 75. 뇌농양의 원인, 임상증상, 진단, 치료 및 예후를 설명한다.

A 76. 뇌종양의 원인 및 관련 질환을 기술한다.

A 77. 뇌종양의 발생 부위에 따른 빈도, 종류를 설명한다.

A 78. 뇌종양의 임상증상의 특징을 설명한다.

A 79. 뇌종양의 전이가 잘 안 되는 이유를 설명한다.

A 80. 뇌종양의 단순 두개골 X선 소견과 뇌전산화 단층촬영 및 뇌자기 공명영상소견을 기

술한다.

A 81. Brain stem glioma의 임상적 특징을 설명한다.

A 82. Craniopharyngioma의 특징적 소견을 설명한다.

B 83. Parinaud 증후군의 원인과 임상증상을 설명한다.

A 84. Diencephalic syndrome의 원인과 특징적인 임상증상을 기술한다.

Page 109: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08

A 85. Cerebellar astrocytoma와 meduloblastoma의 임상증상의 특징을 각각 설명한다.

A 86. Pseudotumor cerebri의 원인질환을 열거한다.

B 87. 뇌종양의 예후인자들을 설명한다.

A 88. 운동실조의 원인질환을 열거한다

→ 급성 소뇌성 실조의 원인 임상양상, 진단 및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B 89. 급성 영아 편마비의 원인질환을 기술하고 임상적 특징을 설명한다.

A 90. Moyamoya병의 임상증상과 뇌혈관 조영촬영 소견을 기술한다.

A 91. 뇌사를 정의한다.

A 92. 뇌기저부 두개골 골절시 임상증상과 임상적으로 중요한 이유를 설명한다.

A 93. 경막외 출혈과 경막하 출혈의 임상적 차이점을 기술한다.

A 94. 두부 외상 증후군에 대하여 기술한다.

A 95. 뇌성마비의 정의를 내린다.

A 96. 뇌성마비를 운동장애 부위에 따라 분류하고 그림으로 이해한다.

B 97. 뇌성마비의 조기진단 검사법을 기술한다.

A 98. 정신지체를 지능지수의 정도에 따라 설명한다.

A 99. 정신지체를 초래하는 원인을 기술한다.

A 100. 정신지체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비정형적인 신체적 이상과 그 적응검사를 숙지한다.

A 101. 소두증(microcephaly)의 정의와 원인들을 기술한다.

B 102. 두통을 일으키는 기전들을 설명한다.

A 103. 두통의 병력청취에서 진단에 도움이 되는 사항들을 기술한다.

A 104. 편두통, 기질성(organic) 및 긴장성 두통을 감별한다.

A 105. 전형적 편두통의 임상증상, 치료 및 예방법을 기술한다.

B 106. 신경근질환을 감별하기 위한 검사방법들을 기술한다.

A 107. 근원성 질환과 신경원성 질환의 감별진단법을 이해한다.

A 108. 진행성 근이영양증의 병형에 따른 차이를 이해한다.

A 109. 선천성 비진행성 근병증의 공통된 임상적 특징을 설명한다.

B 110. Myotonia 종류를 기술한다.

C 111. 대사성 근육질환의 병명을 기술한다.

A 112. 사립체성 뇌근병(mitochondrial encephalomyopathies) 질환을 열거하고 임상증상

의 특징을 설명한다.

C 113. 근육 생검부위의 선택방법을 설명한다.

A 114. 중증근무력증의 병태생리, 발생기전, 임상증상 및 치료법을 설명한다.

A 115. Floppy infant을 정의하고, 원인질환과 특징적인 임상증상을 기술한다.

A 116. 근긴장도를 평가방법을 기술한다.

Page 110: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09

A 117. 유전성 척수성 근위축증을 분류하고, 이들의 특징을 기술한다.

A 118. 말초신경의 해부학적 병변부위에 따른 임상증상 및 검사의 차이점을 기술한다.

A 119. Guillian-Barré 증후군의 임상증상의 특징, 검사 결과(뇌척수액, 신경 전도 속도), 치

료, 대책 및 예후를 인지한다.

C 120. 자율신경 기능이상을 검사하는 검사법을 기술한다.

B 121. 가족성 자율신경 부조증의 임상증상 및 진단법을 설명한다.

A 122. Acute Disseminated Encephalomyelitis의 원인, 임상 양상, 진단 및 치료에 대해 설

명한다.

A 123. 소아에서 parasomnia의 종류와 임상적 특성을 이해한다.

A 124. ADHD의 진단 기준 및 치료를 설명한다.

A 125. Cerebral Sinovenous Thrombosis (CSVT)의 원인, 임상 양상, 진단 및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B 126. Neuromyelitis optica의 원인, 임상 양상, 진단 및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B 127. Transeverse myelitis의 원인, 임상 양상, 진단 및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Page 111: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10

23.� 골격계�질환

학습 목적

소아청소년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골격계 질환의 임상증상, 진단방법 및 감별진단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적절한 치료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게 한다

학습 목표

B 1. 불완전골형성증(osteogenesis imperfecta)의 임상증상과 골절 및 골절 전 상태에 대

한 대책을 기술한다.

A 2. 연골무형성증(achondroplasia)의 임상증상을 기술한다.

A 3. Marfan 증후군의 임상증상을 설명한다.

B 4. 극상화 두개골(lacunar skull)의 두개골 X선 소견과 감별질환을 설명한다.

A 5. 조기봉합되는 부위에 따른 두개골조기봉합(craniosynostosis)의 종류, 개골 모양 및 X선

소견을 설명한다.

A 6. 척추 측만증의 호발연령, 임상증상 및 진단을 설명한다.

A 7. 요통을 유발하는 질환을 기술한다.

A 8.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의 호발인자를 설명하고, 진찰 및 X선 소견을 설명한다.

A 9. Legg-Calvé-Perthes 병의 특징적인 X선 소견을 설명한다.

A 10. 고관절 일과성 활액막염의 임상증상을 설명하고 감별질환을 열거한다.

B 11. Osgood-Schlatter 병의 임상증상과 X선 소견을 설명한다.

A 12. 내족지 보행(intoeing)에 대하여 설명한다.

A 13. 성장통의 임상증상과 감별해야 할 질환을 설명한다.

A 14. 연령에 따른 하지 정렬(내반슬, 외반슬)의 생리적 변화를 기술한다.

A 15. 신생아에게서 흔히 보는 만곡족(talipes equinovarus)을 설명한다.

A 16. 하지의 비틀림 및 경사 변형(torsional and angular deformity)의 진찰방법을 설명한다.

A 17. Septic arthritis의 원인균, 임상 양상, 진단 및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A 18. 소아에서 근골격계 진찰법을 설명한다.

Page 112: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11

24.� 알레르기�질환

학습 목적

알레르기 반응의 분류를 이해하며, 특히 제 I형 알레르기 질환의 발병기전과 병태생리

를 숙지하며, 아토피와의 관련성, 다양한 원인 및 증상을 이해함과 더불어 이로 인한 질환

의 진단, 검사방법 및 치료에 대한 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충분한 경험을 함

께 습득하도록 한다. 또한 II형, III형, IV형 알레르기 질환에 대해 총괄적인 지식을 가지도

록 한다.

학습 목표

A 1. 알레르기 반응을 분류하고, 대표적인 질환을 열거한다.

A 2. 아토피를 정의하고, 면역학적 의의를 이해한다.

A 3. 알레르기 염증반응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중요성을 인지한다.

A 4. I형 알레르기 반응의 조기반응(early response)과 후기반응(late response), 제 3 반응

(third reaction pattern, chronic inflammation) 의 기전을 이해하고 이의 임상적 의의

를 설명한다.

A 5. 알레르기 질환에서 비만세포(mast cell)와 호산구(eosinophil)의 역할을 기술한다.

A 6. 알레르기 질환에 관여하는 화학매체 중 이미 형성된 매체(preformed mediator)와 새

로 형성된 매체(newly formed mediator)를 열거한다.

A 7. 히스타민이 일으키는 주요 생체반응을 열거한다.

A 8. 알레르기 질환에서 T 세포와 B 세포의 상호관계를 이해한다.

C 9. 알레르기 질환에서 유착분자 역할을 이해한다.

A 10. 국내의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을 인지하고, 증가 요인을 이해한다.

A 11. 알레르기 질환의 연령별 발현양상(allergic march)을 기술한다.

A 12. 병력조사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중점적으로 알아보아야 할 항목들을 열거한다.

B 13. 호산구 검사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과 호산구 증가시 감별진단해야 되는 질환들

을 열거한다.

B 14. 비즙 또는 객담내의 호산구 검사의 의의를 기술한다.

A 15. 혈청 총 IgE의 진단적 가치를 설명한다.

A 16. 알레르기 피부시험의 종류, 방법을 이해하고 그 결과를 판독하도록 한다.

A 17. 알레르기 피부시험의 위양성 또는 위음성이 나타나는 경우를 기술한다.

Page 113: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12

A 18. 항원 특이 IgE를 검사하는 방법에 따른 장단점을 기술한다.

A 19. 알레르기 질환에서 유발검사의 종류를 이해하고 양성반응의 의의를 설명한다.

C 20. Prausnitz-Kunstner(PK) 검사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A 21.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원칙을 열거한다.

A 22. 알레르기 환자를 위한 환경 조절방법을 설명한다.

A 23. 알레르기 질환에서 집먼지 진드기의 역할에 대해서 이해한다.

A 24. 항알레르기제제의 종류를 열거하고, 작용기전을 설명한다.

A 25. 기관지확장제를 분류하고, 각각의 주요 약리작용 및 부작용을 설명한다.

B 26. 데오필린(theophylline)제를 안전하게 투여하기 위해 혈중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조

건, 혈중농도 측정시기 등을 설명한다.

A 27. 항히스타민제를 분류하고, 투여할 때 주의할 점을 설명한다.

C 28. H1 및 H2 히스타민 수용체에 대하여 설명하고, 각 수용체에 작용하는 항히스타민의

특징 및 용도를 설명한다.

B 29. Cromolyn sodium과 nedocromil sodium의 주요한 작용기전을 설명하고 적응질환을

기술한다.

A 30. 스테로이드가 알레르기 질환에 작용하는 기전을 설명한다.

A 31. 스테로이드의 부작용을 이해하고, 스테로이드 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steroid

sparing effect) 약제를 열거한다.

A 32. 흡입요법의 장점, 약제의 종류 및 부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A 33. 흡입요법에 사용하는 기구의 종류와 장단점을 열거한다.

A 34. 알레르겐 면역요법의 기전과 적응증을 설명한다.

B 35. 면역요법을 실시할 때 주의사항과 부작용을 기술한다.

A 36. 천식을 정의하여 병인론적으로 분류하고 기도폐쇄을 일으키는 병리소견을 열거한다.

A 37. 기관지 과민성(bronchial hyperreactivity)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를 유발하는 원인과

진단방법을 기술한다.

A 38. 천식에 있어서 폐기능검사의 중요성과 방법을 습득한다.

A 39.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천식의 원인 알레르겐을 열거한다.

A 40. 천식과 감별해야 할 질환을 기술한다.

A 41. 급성 천식을 심한 정도에 따라 분류하고, 이에 따른 치료약제의 선택기준을 설명한

다.

A 42. 만성 천식을 심한 정도에 따라 분류하고, 치료대책을 설명한다.

A 43. 급성 천식발작의 치료대책을 설명한다.

A 44. 천식 지속상태(status asthmaticus)를 정의하고, 치료원칙을 열거한다.

A 45. 운동유발성 천식의 발병기전과 임상적 중요성 및 예방방법을 설명한다.

Page 114: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13

A 46. 천식의 예후를 설명한다.

B 47. 계절성 비염과 통년성 비염을 구별하고, 각각의 원인을 기술한다.

A 48. 알레르기비염의 중증도를 ARIA지침에 따라 구분 설명한다.

A 49.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의 특징적 임상증상을 기술하고 그 이유를 설명한다.

A 50. 알레르기성 비염의 비경소견을 기술한다.

A 51. 알레르기성 비염에서 감별해야 할 질환을 열거한다.

A 52. 알레르기성 비염에서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의 종류, 부작용 및 사용상의 주의사항을

기술한다.

A 53. 아토피 피부염의 진단기준을 설명한다.

A 54.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소견을 연령에 따라 구분하여 기술한다.

B 55. 아토피 피부염의 면역학적 이상소견을 기술한다.

A 56.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악화시키는 요인을 설명하고 치료와 예방에 관한 대책을 설명

한다.

A 57. 아토피 피부염과 감별해야 할 질환을 기술한다.

C 58. 아토피 피부염에서 백색피부묘기증을 설명한다.

A 59. 아토피 피부염에서 흔히 합병되는 피부감염의 원인균을 기술한다.

A 60. 아토피피부염에서 사용되는 국소 치료제를 기술한다.

A 61. 병인에 따른 두드러기의 분류를 기술한다.

B 62. 물리적 두드러기에 속하는 여러 질환을 설명한다.

C 63. 혈관부종을 이해하고, 그 예후를 기술한다.

A 64. 두드러기의 진단방법을 설명하고, 유사질환과 감별한다.

A 65. 두드러기의 치료약제를 기술한다.

A 66. 두드러기의 예후를 설명한다.

A 67. 아나필락시스의 발병기전, 원인 및 임상증상에 대해 설명한다.

A 68. 아나필락시스시 응급대처 방법을 습득한다.

C 69. 아나필락시스에서 아나필락시스양(anaphylactoid) 반응과의 감별점을 기술한다.

C 70. 혈청병의 원인 및 발병기전을 이해한다.

C 71. 혈청병의 임상증상, 검사결과와 치료와 예방에 대해 설명한다.

A 72. 곤충 알레르기의 증상 및 진단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A 73. 곤충 알레르기에서 치료 및 예방에 대해 기술한다.

A 74. 식품에 대한 이상반응(adverse reaction)에 대해 기술한다.

A 75. 알레르기를 흔히 일으키는 식품의 종류를 열거한다.

A 76. 성장에 따라 위장관 흡수정도의 변화를 이해하고, 식품 처리과정에서 항원성의 변화

에 대하여 설명한다.

Page 115: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14

A 77. 식품알레르기의 위장장관이외의 임상증상을 열거한다.

A 78. 식품알레르기의 진단에서 식품일기의 작성과 식품 제거 및 첨가시험에 대해서 설명

한다.

A 79. 알레르기 원인 식품의 영유아 영양문제에 관하여 설명한다.

A 80. 우유알레르기의 임상증상과 특수 분유를 비롯한 치료 원칙을 이해한다.

A 81. 교차 항원(Cross-reacitve allergen)의 정의와 중요성을 설명한다.

A 82. 약물의 불리한 작용을 분류한다.

A 83. 약물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약제를 기술한다.

B 84. 약물알레르기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약물의 종류, 접촉방법, 환자의 상태 및 질

병)과 치료 및 예방에 관하여 기술한다.

B 85. 페니실린에 대한 감작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피부시험에 사용되고 있는 약제를 소

개하고, 이들에 의한 반응의 의의를 설명한다.

A 86. 눈의 대표적인 알레르기 질환을 기술한다.

C 87. 귀의 대표적인 알레르기 질환을 기술한다.

Page 116: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15

25.� 결체조직�질환

학습 목적

소아청소년에게 나타날 수 있는 결체조직 질환의 종류 및 발생에 관련이 있는 여러 인자

들과 현재 밝혀져 있는 병태생리를 이해시키고, 각각의 결체조직 질환들에서 나타나는 임

상 증상 및 검사 결과를 인지시키고, 이들 질환들을 감별하여 올바른 진단 및 치료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학습 목표

A 1. 자가면역 반응기전에 대해 설명한다.

A 2. 자가면역 질환에 사용되는 약제들을 열거하고 이들의 작용기전에 대해 설명한다.

A 3. 결체조직 질환에서 사용되는 검사의 의의에 대해 설명한다.

A 4.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의 진단기준을 기술한다.

A 5.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의 형을 열거하고 분류 기준에 대해 설명한다.

A 6.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의 각 형에서 흔히 침범하는 관절을 기술한다.

A 7.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의 각 형에서 홍체염의 발생에 대해 기술한다.

B 8.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의 각 형에서 항핵항체의 발생에 대해 기술한다.

A 9.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의 각 형에서 동반될 수 있는 장기 합병증에 대해 기술한다.

C 10.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의 각 형에서 관련이 있는 HLA형에 대해 기술한다.

A 11. 전신형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나타나는 열형을 설명하고 도시한다.

B 12. 전신형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나타나는 발진의 특징에 대해 기술한다.

B 13. 전신형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나타나는 임상소견을 열거한다.

B 14.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게 동반될 수 있는 홍체염의 증상 및 예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B 15.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synovial fluid 결과를 설명한다.

B 16.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의 전체적인 예후에 대해서 설명하고 예후가 나쁜 경우를 기

술한다.

A 17. 류마티스 인자와 임상경과와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A 18.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과 감별진단을 요하는 질병을 열거한다.

A 19.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목표에 대해 기술한다.

A 20.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의 약물 치료의 최근 변화에 대해 기술한다.

Page 117: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16

A 21.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을 열거하고 부작용에 대해 기술한

다.

A 22.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의 steroid 치료 적응증에 대해 기술한다.

B 23. 강직성 척추염의 임상증상을 설명한다.

B 24. 강직성 척추염의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A 25.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의 원인으로 추측되는 기전을 기술한다.

A 26.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의 진단기준에 대해 기술한다.

B 27.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의 호발인자를 기술한다.

B 28.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에서 신 침범률과 예후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B 29.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환자의 혈청에서 관찰되는 항핵항체의 종류를 열거하고 임상적

의의에 대해 기술한다.

B 30.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의 예후와 관계되는 인자들을 설명한다.

A 31.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에서 면역체계 이상을 의미할 수 있는 검사 결과를 기술한다.

B 32. 전신성 홍번성 루푸스의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B 33. Anti-phospholipid 항체가 양성인 루푸스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임상증상을 설명

하고 치료에 대해 기술한다.

B 34. 루푸스를 유발시킬 수 있는 약물들을 열거한다.

B 35.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환자의 예후 및 사망 원인에 대해 기술한다.

B 36. 혈관염의 종류를 열거하고 이들이 주로 침범하는 혈관을 기술한다.

A 37. 자반증의 임상증상을 기술한다.

A 38. 자반증의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A 39. 자반증의 예후 및 합병증에 대해 설명한다.

C 40. 결절성 다발성 동맥염에서 흔히 보이는 임상증상에 대해 기술한다.

A 41. 피부근염에서 침범되는 근육 부위와 나타나는 임상증상을 설명한다.

A 42. 피부근염에서 나타나는 특징적 피부병변을 기술한다.

A 43. 피부근염의 칼슘 침착에 대해 설명한다.

A 44. 피부근염에서 증가되는 근육효소들을 기술한다.

A 45. 피부근염에서 진단에 도움이 되는 소견들을 기술한다.

B 46. 피부근염과 감별진단을 하여야 할 질환들을 기술한다.

A 47. 피부근염의 치료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A 48. 피부근염의 예후 및 사망 원인에 대해 기술한다.

B 49. 경피증의 임상적 분류에 대해 기술한다.

B 50. 국소 경피증의 임상증상에 대해 기술한다.

B 51. 전신성 경피증에서 침범되는 장기를 열거한다.

Page 118: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17

B 52. 전신성 경피증의 예후에 대해 설명한다.

B 53. Raynaud 현상에 대해 설명한다.

B 54. Raynaud 현상이 동반될 수 있는 질환을 열거한다.

B 55. 자가 염증 질환(autoinflammatory disease)를 이해한다.

Page 119: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18

26.� 사고와�중독

학습 목적

발육 단계에 따라 흔히 올 수 있는 사고와 중독의 종류와 예방 대책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응급처치와 치료 방법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학습 목표

A 1. 소아청소년에게 흔히 보는 사고의 원인을 연령별로 기술한다.

A 2.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에게 손상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와 예방대책을 기술한다.

A 3. 추락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와 예방대책을 기술한다.

A 4. 화상의 예방대책을 기술하고 화상의 정도를 추정하며 입원기준을 설명한다.

A 5. 화상환자의 수액요법 원칙을 설명한다.

B 6. 익수사고의 병태생리와 Conn & Baker의 분류를 설명한다.

A 7. 상기도 이물 흡인 시 응급치료 방법을 습득한다.

B 8. Paraquat 및 parathione 중독 시 나타나는 임상증상과 응급처치에 대해 설명한다.

B 9. 납중독의 임상증상, 혈액소견, 영상소견을 설명한다.

B 10. 만성 수은중독의 임상증상을 기술한다.

A 11. 원인 불명중독 환자의 응급처치를 설명한다.

A 12. 중독에 의한 사망원인 4가지를 열거한다.

A 13. 손상에 의한 뇌부종의 치료를 설명한다.

A 14. 중독 시 흡수방지와 배설 촉진을 위한 치료와 그 적응 및 금기사항을 기술한다.

A 15. 심폐소생술의 적응증을 기술한다.

A 16. 기도확보와 인공호흡 방법을 습득한다.

A 17. 심폐소생술 상황에서 맥박을 평가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A 18. 심폐소생술 상황에서 관류를 평가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A 19. 심폐소생술 상황에서 인공호흡법을 기술한다.

A 20. 심폐소생술 상황에서 가슴 압박법을 기술한다.

A 21. 소아청소년에서 자동제세동기 사용법에 대해 기술한다.

A 22. 심폐소생술에 사용하는 약제를 기술한다.

A 23. 손상 환자의 심폐소생술 시의 주의점을 기술한다.

A 24. 영아 급사 증후군의 정의와 위험인자를 기술한다.

Page 120: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19

27.� 소아중환자�관리

학습 목적

중증질환을 가진 소아청소년의 임상 특성을 이해하고 집중관리에 필요한 환자 감시의 적응

증과 방법, 그 의미를 분석하고, 각 기관 기능 부전에 대한 일차적 안정화를 위한 처치법을

숙달하고 기관 기능 부전의 치료법을 익힌다.

학습 목표

A 1. 중증질환 소아청소년 평가의 관찰요소를 열거한다.

A 2. 중증질환 소아청소년의 병력 청취 시의 주의점을 열거한다.

A 3. 중증질환 소아청소년의 진찰 시에 주의해야 할 사항을 열거한다.

B 4. 중증 환자의 혈역학적 감시 방법을 기술한다.

B 5. 중증 환자의 호흡기능 감시 방법을 기술한다.

B 6. 호기말이산화탄소 분석의 기전에 대해 기술한다.

A 7. 경피적 산소포화도 측정법의 기전에 대해 기술한다.

B 8. 근적외선분광법의 기전을 기술한다.

B 9. 신경생리 감시법을 기술한다.

A 10. 소아청소년 환자의 질환 중증도를 위한 점수체계를 기술한다.

A 11. Glasgow coma scale을 기술한다.

A 12. 심폐소생술 시 백-마스크 호흡법을 기술한다.

A 13. 심폐소생술 상황에서 기관내관 삽관의 적응증을 기술한다.

A 14. 환자에 따른 기관내관의 내경을 결정한다.

A 15. 기관내관 삽관법을 기술한다.

A 16. 심폐소생술 상황에서 사용되는 약물의 적응증과 용량을 기술한다.

A 17. 제세동이 필요한 리듬을 기술한다.

A 18. 소아청소년에서 환자에 따른 제세동 용량을 기술한다.

A 19. 소아청소년에서 제세동 방법을 기술한다.

A 20. 심정지의 교정 가능한 원인을 기술한다.

A 21. 골내 혈관로를 확보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A 22. 기관내관을 통해 투여할 수 있는 약물과 용량을 기술한다.

A 23. 이물 흡인에 의한 상기도 폐색이 의심될 때 연령에 따른 처치법을 기술한다.

Page 121: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20

A 24. 심폐소생술 후 처치 시의 주의점을 기술한다.

A 25. 혼수와 혼미, 기면의 차이를 기술한다.

A 26. 두부 외상의 기전을 기술한다.

A 27. 접촉손상, 관성손상의 차이를 기술한다.

A 28. 이차적인 뇌 손상의 기전을 기술한다.

A 29. 두개 내 고혈압의 기전과 임상양상을 기술한다.

A 30. 두개 내 고혈압 치료법을 기술한다.

A 31. 뇌 관류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기술한다.

A 32. 뇌 탈장의 기전과 임상양상을 기술한다.

A 33. SIADH와 뇨붕증에서의 수액요법을 기술한다.

A 34. 경련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에 대해 기술한다.

A 35. 뇌사 진단에 대해 기술한다.

A 36. 호흡부전의 정의와 기전을 기술한다.

A 37. 환기-관류 부조화의 의미와 영향을 기술한다.

A 38. 사강환기의 의미와 영향을 기술한다.

A 39. 호흡부전의 임상양상을 기술한다.

A 40. 호흡부전 시의 검사소견을 이해한다.

A 41. 동맥로를 확보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B 42. 비침습적인 호흡보조법을 기술한다.

B 43. 호흡보조요법의 적응증을 기술한다.

A 44. 기계환기요법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를 기술한다.

A 45. 기계환기요법에서 평균기도압을 높이는 방법을 기술한다.

A 46. 압력제어형과 용적제어형 환기법의 차이를 기술한다.

A 47. 기계환기기와 환자의 부조화에 대해 기술한다.

A 48. 각 환기법의 특징과 적응증을 기술한다.

A 49. 기계환기요법 중인 환자의 감시에 대해 기술한다.

A 50. 제한성 호흡기질환의 기계환기요법에 대해 기술한다.

A 51. 폐쇄성 호흡기질환의 기계환기요법에 대해 기술한다.

A 52. 기계환기요법의 합병증에 대해 기술한다.

B 53. 허용 과이산화탄소법에 대해 기술한다.

B 54. 비침습적 기계환기요법을 기술한다.

B 55. 기계환기요법 중의 감염관리법에 대해 기술한다.

A 56. 쇼크의 정의에 대해 기술한다.

A 57. 쇼크의 분류에 대해 기술한다.

Page 122: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21

A 58. 전신성 염증 반응 증후군, 패혈증, 중증 패혈증, 패혈성 쇼크의 정의를 기술한다.

A 59. 기관 기능 장애의 기준을 기술한다.

A 60. 쇼크의 기전을 기술한다.

A 61. 쇼크 시의 보상 기전을 기술한다.

A 62. 쇼크 시 혈관 확장의 기전을 기술한다.

A 63. 관류 감소의 징후를 기술한다.

A 64. 쇼크 시의 혈역학적 특징을 기술한다.

A 65. 혈액량감소쇼크의 특징을 기술한다.

A 66. 출혈성쇼크뇌증 증후군을 기술한다.

A 67. 쇼크 치료 시의 수액요법을 기술한다.

A 68. 쇼크 치료 시 약물의 적응증, 효과와 용량을 기술한다.

B 69. 체외막산소화법의 적응증과 분류를 기술한다.

B 70. 흉곽천자와 흉관삽관법을 기술한다.

B 71. 심낭천자술 방법을 기술한다.

B 72. 손상 환자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A 73. 긴장성 기흉, 심한 혈흉, 심장눌림증의 차이를 기술한다.

A 74. 중증질환 환자의 영양요구량을 기술한다.

B 75. 중증질환 환자의 필요 영양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A 76. 기아와 과대사 상태의 영향을 기술한다.

A 77. 경장영양의 장단점을 기술한다.

B 78. 익수의 병태생리를 기술한다.

A 79. 익수 시의 저체온증의 기전을 기술한다.

A 80. 익수 환자의 치료법을 기술한다.

B 81. 화상 환자의 입원 적응증을 기술한다.

B 82. 심한 화상 환자의 치료 단계를 설명한다.

A 83. 화상의 분류와 화상 깊이의 정의를 기술한다.

A 84. 화상 환자의 수액요법에 대해 기술한다.

A 85. 연령에 따라 화상 면적을 계산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A 86. 화상환자의 감염 예방법을 기술한다.

A 87. 화상에 사용되는 국소용 약물을 비교하여 기술한다.

B 88. 화상 환자의 통증관리에 대해 기술한다.

B 89. 전기화상의 특징을 기술한다.

A 90. 한랭손상의 분류를 기술한다.

A 91. 한랭손상의 분류에 따른 임상양상과 치료법을 기술한다.

Page 123: 전공의 학습․수기 목표 - record.pediatrics.or.krrecord.pediatrics.or.kr/upload/info/info_2019.pdf · iii 머 리 말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1989년 4월 처음으로

122

A 92. 통증 종류에 대해 기술한다.

A 93. 각 통증평가법의 차이와 장단점을 기술한다.

B 94. 통증에 대한 비약물적 치료법에 대해 기술한다.

A 95. 각종 비마약성 진통제의 특징을 기술한다.

A 96. 마약성 진통제의 특징을 기술한다.

A 97. 마약성 진통제 투여 시의 주의점을 기술한다.

B 98. 통증치료에 사용되는 향정신성 약물에 대해 기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