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52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Mar 24, 2021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저 시-비 리- 경 지 2.0 한민

는 아래 조건 르는 경 에 한하여 게

l 저 물 복제, 포, 전송, 전시, 공연 송할 수 습니다.

다 과 같 조건 라야 합니다:

l 하는, 저 물 나 포 경 , 저 물에 적 된 허락조건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 터 허가를 면 러한 조건들 적 되지 않습니다.

저 에 른 리는 내 에 하여 향 지 않습니다.

것 허락규약(Legal Code) 해하 쉽게 약한 것 니다.

Disclaimer

저 시. 하는 원저 를 시하여야 합니다.

비 리. 하는 저 물 리 목적 할 수 없습니다.

경 지. 하는 저 물 개 , 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Page 2: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Page 3: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Page 4: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Page 5: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감사

족한 제 항상 심한 지도 뜻한 격 끌어주신 정 지도

수님과 철 수님께 진심 감사 드리 , 귀 한 시간 내주시어 많

심과 조언 아끼지 않 신 경 수님, 수님께 감사 드립니

다. 또한 연 학 치과 학 정과학 실에 움 주시고 정

첫 내 는 에 어 움 없도 도해주신 수님, 주 수

님, 수님, 차정열 수님, 정주 수님께도 감사드립니다.

생 과 정학 공 에 여전 큰 도움과 조언 주시는 ,

진 생님과, 쉽지 않 함께 하게 어 같

걷게 수 동 병탁, 제 , 문지훈, 안 림, 생과

님들, 후 님들, 특 수연, 규남 생에게 감사 마 전합니다.

지 저 게 해주시고 아낌없는 지원과 원 보내주시는 사랑하는

님과 누나에게 고마운 마 전합니다. 저 믿고 도 주신 많 들께 감사

드리 고 한 쁨 함께 나누고 합니다.

2015 6 월 저 씀

Page 6: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i

표 그림 차 ························································································ ii

문 약 ································································································ iii

I. ·····································································································1

II. 연 상 ·················································································4

1. 연 상··························································································4

2. 연 ··························································································6

2.1. MARPE 상적 적 ···································································6

2.2. 료 수집 ·················································································8

2.3. 계측····························································································9

2.4. 계측치 통계처리··························································· 16

III. 연 결과 ··························································································· 17

1. 조사 내 차 검정 ········································································· 17

2. 치료 전(T0)과 후(T1), 그리고 1 후(T2) 사 치아 골격

계측차간 거리 변 ······································································· 17

3. 치료 전(T0)과 후(T1), 그리고 1 후(T2) 사 제 1 치

울 변 ························································································ 20

4. 치료 전(T0)과 후(T1), 그리고 1 후(T2) 사 치주적 변 ·· 22

5. 제 1 치에 측 치조골 께 변 량과 측 치조골 변 량에

향 주는 ······································································ 24

IV. 고찰································································································· 26

V. 결 ·································································································· 34

참고문헌································································································· 36

문 약································································································· 42

Page 7: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ii

표 그림 차

Table 1. Demographic features of subjects ···························································· 5

Table 2. Summary of parameters used in this study·················································10

Table 3. Changes in interdental width and skeletal width before (T0), immediately after (T1),

and 1 year after (T2) MARPE ·······························································18

Table 4. Changes in tooth and alveolar axis at the 1st molar before (T0), immediately after (T1),

and 1year after (T2) MARPE ·······························································20

Table 5. Changes in periodontal variables before (T0), immediately after (T1), and 1 year after

(T2) MARPE···················································································23

Table 6. Factors affecting periodontal changes before (T), immediately after (T1), and 1 year

after (T2) MARPE ············································································25

Fig 1. Miniscrew assisted rapid palatal expander (MARPE)········································ 7

Fig 2. Measurement of appliance expansion ·························································11

Fig 3. Measurement of interdental width ·····························································11

Fig 4. Measurement of interapex width ·······························································12

Fig 5. Measurements of alveolar width, nasal floor width, nasal width···························12

Fig 6. Measurement of absolute dental tip····························································13

Fig 7. Measurement of buccal and palatal bone plate thickness ···································14

Fig 8. Measurement of the alveolar crest level ·······················································15

Fig 9. The diagram of dentoalveolar and skeletal expansion on the coronal section of the first

molar at one year after expansion······························································19

Fig 10. The diagram of the MARPE effects ··························································21

Fig 11. The diagram of buccal alveolar bone loss due to buccal tipping ·························32

Page 8: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iii

국 요 약

미니스크 보강 속 구개 장 료

안 주 향 평가

본 연구는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하여 미니스크

보강 속 구개 장 료(miniscrew 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MARPE)에 한 료 안 주 향에 해 평가해보고자 시행하 다.

횡 부조 인해 MARPE 구개 장 료를 한 18명 자(남자5명, 여

자 13명; 평균나이 21.5 ± 3.1 ; 범 17.9 ~ 26.8 )에 장 (T0), 후

(T1) 그리고 장 1 이후(T2)에 CBCT 상 이용하 다.

(I1), 견 (C), 1소구 (PM1), 2소구 (PM2), 1 구 (M1) 장과

골격 장, 1 구 울 변 , 그리고 조골 께(BBPT), 구개

조골 께(PBPT), 조골 높이(BACL), 사이 조골 높이

(IACL) 변 를 분 하 고, 이러한 변 에 향 주는 변 들에 해 회귀분

시행하여 다 과 같 결과를 얻었다.

1. 장 1 후 를 외하고 모든 아 골격 계 에 통계

있는 장이 찰 었다(P < .001). M1에 높이에 강

라갈 장량이 작아지는 삼각 모양 이개 양상 보 다.

2. M1에 장 1 후 44.4% 골격 장과 20.5% 조 장, 그리고

35.1% 아 장 경사를 보 다.

Page 9: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iv

3. M1에 진 한 아 경사( 아경사 조골 경사 차)는 T1에 평균 3.33°

경사를 보 나(P < .001), T2에는 T0보다 평균 2.31° 경사 었

다(P > .05).

4. BBPT는 T1에 T0에 해 PM1, M1에 통계 하게 감소하

며, T2에는 T0에 해 PM1과 PM2에 한 감소를 보 다.

5. PPBT는 T1에 T0에 해 모든 구 에 통계 하게 증가하 다

(P < .01). T2에는 일 부분 감소 었 나 T0에 해 모든 구 에 통계

한 증가를 보 다(P < .01).

6. BACL T1에 모든 아에 통계 하게 낮아 다. 특히 PM1는

양이 컸 며, T2에 일 부분 회복 었 나 T0에 해 하게 낮아 다.

7. IACL T0에 해 T2에 통계 한 변 가 없었다.

8. 회귀 분 결과 M1에 장 1 후 BBPT 변 는 조골이 꺼

울 었고, BACL 변 는 조골 높이가 낮 었다.

횡 부조 를 갖는 인에 MARPE 료 1 후에도 합 재

없이 공 인 료 결과를 보여주었다. MARPE 료 1 후 1소구 부 에

조골 께 높이 감소가 찰 었지만, 임상 아들일만한

이었다. 료 안 주 향 고 해 볼 횡 부조 를 갖는

인에 MARPE가 구개 장 한 안이 있 것이다.

핵심 는 말 : 미니스크 보강 속 구개 장, MARPE, 횡 부조 , 인

Page 10: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1 -

미니스크 보강 속 구개 장 료

안 주 향 평가

< 지도 : >

연 학 학원 학과

I.

악 통한 구개 장 나이가 요한 요소가 있다. 악 이

용한 구개 장 료 시 는 사춘 장 이 이며, 그보다 나이

가 많 상에 는 이 불가능하고 안 이지 못할 것이라 보고 있다

(Bishara Staley, 1987; Proffit, 2013). 근 인 구개 장 료에 한

공 인 보고가 있 나 다 몇 가지 단 들 지 하고 있다(Handelman,

2011; Handelman 등, 2000; Rungcharassaeng 등, 2007). 첫째, 골격 장보

다는 아 조 효과가 크게 나타나며, 째, 상악 구 들 이동 인한

Page 11: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2 -

조골 골상실과 퇴축, 개창(fenestration), 열개(dehiscence),

그리고 근 생 가능 이 높다. 째, 장 자에 해 통증이 크며,

장 압 인한 구개 부종 허 이 생할 있다. 째, 장

안 가 어 다.

장이 료 인에 는 횡 부조 개 에 있어 이러한 를 극복하

해 동 한 구개 장 료가 안이 었다(Bell Turvey, 1974;

Kennedy 등, 1976). 하지만 동 구개 장 료는 신 마취 하에

해야 하는 부담감과 그에 한 합병증(통증, 안면 부종, 출 , 상악동 감염, 신경

손상, 공 차단 아 생 상실 등), 용, 그리고 입원 등

단 이 있다(Suri Taneja, 2008).

근 인에 구개 합 합이 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사 학

, 조직학 연구들에 한 보고가 있었 며(Knaup 등, 2004; Wehrbein

Yildizhan, 2001), 이 불어 인에 구개 장 장 상악 장

공 달 한 보고들 통해 인에 구개 장 료 가능

인할 있었다(Capelozza Filho 등, 1996; Handelman, 1997; Handelman 등,

2000; Iseri Ozsoy, 2004; Stuart Wiltshire, 2003). 또한 인에 생

는 부작용들 여보고자 골 고 원이 구개 장 료에 도입 었다(Gerlach

Zahl, 2003; Ramieri 등, 2005). Lee 등 (2010) 인에 미니스크 보강

구개 장 장 (miniscrew 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MARPE)를 도입하

여 공 인 료를 보고한 있다. 이 MARPE는 지지 는 아에 가해지는 힘

골 고 원 통해 상악골에 분산시 tooth and bone borne 역할 함

써 골격 효과를 극 하고자 도입 었다. 하지만 인에 시도 는

Page 12: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3 -

MARPE는 증 에 른 상악과 주변 골 구조 항 증가 인해 생할 있

는 주 악 향과 안 가 생 있 나, 재 이에 한 연구는 매

우 부족한 상태이다. 라 MARPE를 통한 구개 장 료 안 주

향에 한 량 평가가 필요하다.

존 계 법들 아 모 과 2 차원 x-ray를 이용하여 계 한 것

몇 가지 한계를 갖고 있다. 모델 계 법 이를 함 써 부착

소실 평가하 는데, 이는 마모나 증식, 주낭, 그리고 bony

dehiscence 고 하지 못한다(Handelman 등, 2000). 또한 면 부 사 사

진과 모 부 사 사진에 는 상들 간 과 명 하지 못한 경계 인해

조골 께 높이 계 에 다소 한계를 갖고 있다. 이에 있어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는 multislice computed tomography

(msCT)에 해 상 사 조사량 3 차원 상 얻 있

며, 상 첩 없이 조골 변 아 이동 양상 찰할 있어,

이에 해 량 평가가 가능하다(Alves 등, 2008; Kau 등, 2005; Mah 등,

2010).

라 본 연구는 MARPE 통해 구개 장 료를 한 자 장 , 후, 그

리고 장 1 후 CBCT 상 이용하여, 아 조 골격 변 를 인

함 써 인에 MARPE에 한 구개 장 료 안 주

향에 해 평가하고자 시행하 다.

Page 13: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4 -

II. 연구 상 법

1. 연구 상

본 연구는 후향 시행 었 며, 2012 2월에 2014 12월 사이에 연

학 과 학병원 과에 상악 소 진단 어 MARPE를 이용해 상악

장 료를 자를 상 하 다. MARPE 료 31명 자

에 다 에 라 13명 자를 외하고 종 18명

자(남자 5명, 여자 13명, 평균 나이 21.5±3.1 , 범 17.9 – 26.8 )를 하

다. (1) cervical vertebrae maturity indicator (CVMI) stage 6 인 자, (2)

MARPE 장 후 구개 합이 이개 자, (3) 장 , 장 직후 그리고

장 1 이후에 CBCT를 한 자, (4) 료를 했 며, 1 구

후 이동량이 2 mm 이내인 자, (5) 악안면 동 하지 않는 자를

상 하 다(Table 1).

Page 14: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5 -

Table 1. Demographic features of subjects

Male (n=5) Female (n=13) Total (n=18)

Mean age (year) 20.95 ± 3.54 21.76 ± 3.00 21.53 ± 3.07

Range (year) 17.92 - 26.75 18.25 - 26.50 17.92 - 26.75

Appliance expansion (mm) 6.56 ± 1.75 6.97 ± 0.89 6.86 ± 1.15

Duration of expansion (week) 7.80 ± 3.84 6.52 ± 3.10 6.87 ± 3.25

Duration of retention (week) 18.91 ± 4.67 15.02 ± 1.19 16.10 ± 3.06

Period from T1 to T2 (month) 14.40 ±2.61 14.46 ± 3.20 14.44 ± 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but no crossbite

2 (Right 1, Left 1)

0

3

4 (Right 1, Left 3)

5

4

6 (Right 2, Left 4)

5

7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or mean ± standard deviation.

T1, immediately after expansion; T2, 1 year after expansion.

Page 15: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6 -

2. 연구 법

2.1 MARPE 임상 용

MARPE는 존 Hyrax type RPE에 변 태 Lee 등(2010)에 해

소개 었다. 양 상악 1소구 1 구 드 jack screw는 0.8

mm 스 인리스 스틸 납착하여 연결하 다. 또한 구개 에 식립

미니스크 연결하 해 jack screw 후 에 고리 모양(hook) 스 인리

스 납착하 다. 미니스크 는 국소마취 하에 4개를 식립하 는데,

미니스크 는 Rugae에 하도 하여, 상악 근 사이에 식립

하 며, 후 미니스크 는 구개 합 2 mm 이내에 식립하 다. 미니

스크 head hook 합 진 착하여 RPE 미니스크 사이 간

격이 없도 하 다(Fig 1).

장 하루에 1번씩 시행(0.25 mm/turn)하도 하 며, 2주 후 구

개 합이 이개 는 것 근단 사 사진 통해 인하 다. 이후 상악 구

개 가 하악 를 지 않는 에 과 시행 후 장 종

료하고, jack screw hole 복합 진 고 하 다. 3-5개월간 지를 거쳐

거 한 후, edgewise 고 식 장 부착하여 개별 료 목 에 맞게 진행하

다.

Page 16: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7 -

Fig 1. Miniscrew assisted rapid palatal expander (MARPE)

Page 17: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8 -

2.2 자료 집

CBCT는 상악 장 (T0), 장 후 1달 이내(T1), 그리고 장 1 이후

(T2)에 었다.

CBCT (Alphard VEGA, ASAHI Roentgen IND, Japan)는 노출량 17 , 5.0

mA, 80 kV 조건 하 다. Slice thickness는 300 ㎛, P mode(폭 약 154

mm x 높이 약 154 mm) 하 다. 시 한 부

(standardization of head position)를 지하여 하 다. 자는 자

하며, 면에 Frankfort Horizontal plane (FH plane)이 닥과 평행하게 하

며, 직 축에 자 심 맞췄다. 면에 는 양 orbit 연결한

(Camper’s plane)이 닥과 평행하게 하 다(Cevidanes 등, 2009; Garib 등,

2005).

CBCT 모인 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file InVivo5® software (Anatomage, San Jose, CA, USA)를 이용

하여 0.5 mm slice 께 재구 하 다.

Page 18: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9 -

2.3 계

Garib 등(2006), Rungcharassaeng 등(2007), Garrett 등(2008), Kartalian

등(2010) 그리고 Gauthier 등 (2011) 분 토 계 과 계 등

하 다.

InVivo5® software에 해 재구 이미지는 에 는 ANS PNS를 연

결하는 palatal plane 닥과 평행하게 하 며, 에 는 양 상악 1

구 근이개부를 연결하는 coronal section에 경구개가 닥과 평행하게

re-orentation하 다. MARPE에 한 안 주 향에 해 알아보고자

각각 자에 상악 철 (I1), 견 (C), 1소구 (PM1), 2소구

(PM2), 1 구 (M1) 골격 인 landmark를 하여 계 하 다(Table 2).

계 CBCT 이미지 크 도를 평가하 해 jack screw hole 크

를 이용하여 검증하 다.

Page 19: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10 -

Table 2. Summary of parameters used in this study.

Parameter Measured landmarks

AE (Appliance expansion) Total expansion of the appliance

IDW (Interdental width) Width between the right and left buccal / mesio-

buccal cusp tip of corresponding teeth

IAW (Interapex width) Width between the right and left buccal / mesio-

buccal root apices of corresponding teeth

AW (alveolar width) Width of the buccal alveolar bone at the level of the

1st molar furcation

NFW (Nasal floor width) Width at the widest portion of the nasal floor on the

coronal section cut from the 1st molar furcation

NW (Nasal width) Width at the widest portion of the nasal aperture on

the coronal section cut from the 1st molar furcation

ADT (Absolute dental tip) Difference between change in alveolar angulation

and change in dental angulation

BBPT (Buccal bone plate thickness) Distance between buccal cortical plates and buccal

root surface

PBPT (Palatal bone plate thickness) Distance between palatal cortical plates and palatal

root surface

BACL (Buccal alveolar crest level) Distance between buccal cusp tip and buccal

alveolar crest

IACL (Interproximal alveolar crest

level)

Distance between incisal cuspt tip and interproximal

alveolar crest

Page 20: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11 -

2.3.1. Appliance expansion (AE) T1에 장 jack screw hole 심

지나는 coronal section 얻어 screw가 벌어진 양 하 다(Fig 2).

Fig 2. Measurement of appliance expansion.

2.3.2 아 조 골격 장 계

다 계 에 해 T0, T1, T2 시 에 모 하 다.

2.3.2.1. Interdental width (IDW)는 3차원 재구 이미지에 I1 근심 첨

단, C , PM1과 PM2 , M1 근심 간 거리를 각각

하 다(Fig 3).

Fig 3. Measurement of interdental width.

IIW, interincisal width; ICW, intercanine width; IPMW1 and IPMW2, interpremolar width for the

first and second premolar, respectively; IMW, intermolar width.

Page 21: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12 -

2.3.2.2. Interapex width(IAW)는 양 I1, C, PM1( ), PM2( ).

M1(근심 ) 근단 지나는 coronal section 얻어 근첨단 사이 거

리를 하 다(Fig 4).

Fig 4. Measurement of interapex width. IAW, interapex width.

2.3.2.3. Alveolar width (AW), nasal floor width (NFW), nasal width (NW)는

양 M1 근 이개부를 지나는 coronal section 얻어 다 과 같이 계

하 다(Fig 5). AW는 양 M1 근 이개부 높이에 양쪽 조골 폭

계 하 다. NFW는 Nasal aperture 하 에 그어, 이

양 경구개골과 만나는 경계 지 폭 계 했 며, NW는 경구개 평면과

평행하면 nasal aperture가 가장 곳 거리를 계 하 다(Garrett 등,

2008).

Fig 5. Measurement of alveolar width (AW), nasal floor width (NFW), nasal width (NW).

Page 22: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13 -

2.3.3. Absolute dental tip (ADT) 양쪽 M1 구개 근 지나는 coronal

section에 Kartalian 등 (2010) 계 참고하여, 다 계 차

이를 계산하 다. 경구개 평면과 구개 조골과 각도(Alv) 경구개 평면

과 구개 근 장축과 각도(Dent)를 하 다(Fig 6).

Absolute change in dental angulation (Dent) - Absolute change in alveolar

angulation (Alv) = Absolute dental tip (ADT)

Fig 6. Measurement of absolute dental tip (ADT).

Alv, the angle between the palatal alveolar bone and the palatal plane; Dent, the angle between the

long axis of the palatal root and the palatal plane; ‘ADT’ equals ‘Dent’ minus ‘Alv’.

Page 23: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14 -

2.3.4 주 계

다 계 에 해 T0, T1, T2 시 에 모 하 다.

2.3.4.1. Buccal bone plate thickness (BBPT) Palatal bone plate thickness

(PBPT)는 re-orientation 상태에 , 우 M1 근 이개부를 지나는

axial section에 좌, 우 PM1, PM2, M1(근심) 과 구개 근

앙에 cortical bone경계 지 단거리를 각각 계 하 다(Garib 등,

2006)(Fig 7).

Fig 7. Measurement of buccal and palatal bone plate thickness.

BBPT, buccal bone plate thickness meaured from external border of the buccal cortical plate to

center of buccal root surface; PBPT, palatal bone plate thickness measured from external border of

the palatal cortical plate to center of palatal root surface.

Page 24: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15 -

2.3.4.2. Buccal alveolar crest level (BACL) PM1, PM2, M1 근

앙 지나는 단면에 근단 연결한 하여,

이 상에 조골 높이 지 거리를 계 하 다. M1에

는 근심 근에 했다(Garib 등, 2006). Interproximal alveolar

crest level (IACL) 재구 3차원 이미지 상에 양 I1 단면 심

연결한 I1사이 상 조골 지 거리를 하 다

(Fig 8).

Fig 8. Measurement of the alveolar crest level.

BACL, buccal alveolar crest level measured from buccal cusp tip to buccal alveolar crest; IACL,

interproximal alveolar crest level measured from the central incisal tip to interproximal alveolar

crest.

Page 25: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16 -

2.4 계 분 통계처리

연구에 사용 CBCT 이미지 계 분 동일한 조사자에 해 이루어

며 조사자내 차를 인하 해 2주뒤 작 8 sample를 뽑아 0.01 mm

단 지 2회 복하여 검 하 다. 조사자 내 차 검 후, 처 계 자료

SPSS 20.0 프 그램(IBM SPSS, Chicago, IL, USA) 이용하여 다 항목에

해 통계 처리하 다.

① 조사자 내 차 검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② T0, T1, T2에 장에 른 아 골격 계 변 , M1 울 변

, 주 변 차 검 (Paired t- test)

③ M1에 조골 께 변 량과 조골 높이 변 량에 향

주는 변 에 한 회귀분 (Regression analysis)

Page 26: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17 -

III. 연구 결과

1. 조사자 내 차 검

모든 계 에 해 2주 간격 한 값에 해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시행하 다. 그 결과 0.97 이상 높 신뢰도를 보 다.

2. T0, T1, T2 사이 아 골격 계 간 거리 변

T1에 는 T0에 해 모든 계 가 통계 하게 증가하 다(P

< .001). I1 외하고 장량이 근단 장량보다 컸다. 특히 M1에 는

NFW, NW 갈 장량이 작아 다. T2에는 T1에 해 폭경 C를

외하고 모든 아에 통계 있게 폭이 어들었 나, 근단에

는 I1, PM1에 통계 하게 폭이 감소하 고(P < .01), C에 는 통계

증가하 다(P < .05). T2에 는 T0에 해 I1 아 폭 외한 모든 계

에 통계 하게 증가하 다(P < .001). M1에 는 장량이

가장 컸 며, 근단, NFW, NW 갈 그 장량이 작아 다(Table 4, Fig 9).

Page 27: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18 -

Table 3. Changes in interdental width and skeletal width before (T0), immediately after (T1),

and 1year after (T2) MAPRE.

VariablesΔT1-T0 ΔT2-T1 ΔT2-T0

Mean ± SD Mean ± SD Mean ± SD

IIW (mm) 0.80 ± 0.63*** -1.08 ± 0.61*** -0.28 ± 0.48*

ICW (mm) 2.91 ± 1.20*** -0.20 ± 2.46 2.71 ± 2.61***

IPMW1 (mm) 6.05 ± 1.13*** -1.45 ± 2.33* 4.60 ± 2.24***

IPMW2 (mm) 5.71 ± 1.40*** -1.90 ± 2.61** 3.81 ± 2.39***

IMW (mm) 5.42 ± 1.92*** -2.20 ± 2.40** 3.22 ± 2.03***

IIAW (mm) 2.79 ± 0.85*** -2.44 ± 1.42*** 0.35 ± 1.33

ICAW (mm) 2.02 ± 1.00*** 1.07 ± 2.01* 3.09 ± 2.09***

IPMAW1 (mm) 3.54 ± 1.69*** -1.32 ± 1.39** 2.22 ± 1.77***

IPMAW2 (mm) 1.24 ± 1.15*** 0.39 ± 1.46 1.63 ± 1.10***

IMAW (mm) 2.46 ± 1.39*** 0.05 ± 1.11 2.51 ± 1.82***

AW (mm) 2.47 ± 0.67*** -0.38 ± 0.92 2.09 ± 0.91***

NFW (mm) 1.97 ± 0.77*** -0.54 ± 0.78** 1.43 ± 0.87***

NW (mm) 1.39 ± 0.74*** -0.33 ± 0.38** 1.06 ± 0.63***

Paired t-test was performed, SD: standard deviation

* P < .05, **P < .01, ***P < .001

MAPRE, miniscrew 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T0, before expansion; T1, immediately after expansion; T2, 1

year after expansion; IIW, Interincisal width; ICW, Intercanine width; IPMW1, Inter 1st premolar width; IPMW2,

inter 2nd premolar width; IMW, Intermolar width; IIAW, Interincisal apex width; IICW, Intercanine apex width;

IPMAW2, Inter 2nd premolar apex width; IPMAW1, Inter 1st premolar apex width; IMAW, Intermolar apex width;

AW, alvoelar width; NFW, nasal floor width; NW, nasal width.

Page 28: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19 -

Fig 9. The diagram of dentoalveolar and skeletal expansion on the coronal section of the first

molar at one year after expansion.N, width at widest portion of nasal aperture; NF, width at widest portion of floor of the nose.

Page 29: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20 -

3. T0, T1, T2 사이 M1 울 변

T1 T0에 해 Alv과 Dent가 통계 하게 경사 었다(P

< .05). 특히 Dent는 평균 4.86° 크게 경사 었 며, 아 울

(absolute dental tip; Kartalian 등 (2010))도 통계 하게 경사

었다(P < .001). T2에는 T1에 해 Dent는 하게 경사 었고(P < .01),

Alv는 하게 경사 어(P < .05) ADT는 통계 하게 경

사 었다(P < .001). 라 T2에는 T0에 해 Alv가 통계 하게

경사 었 며(P < .001), Dent는 통계 없었지만 평균 경

사를 보 다. ADT는 T2에 T0보다 평균 2.30° 경사 었다(P

> .05)(Table 5).

Table 4. Changes in tooth and alveolar axis at the 1st molar before (T0), immediately after

(T1), 1 year after (T2) MAPRE. (n=36)

VariablesΔT1-T0 ΔT2-T1 ΔT2-T0

Mean ± SD Mean ± SD Mean ± SD

Alv (°) 1.53 ± 3.75* 2.36 ± 5.83* 3.89 ± 6.05***

Dent (°) 4.86 ± 4.34*** -3.28 ± 6.11** 1.58 ± 5.71

ADT (°) 3.33 ± 4.88*** -5.63 ± 7.30*** -2.30 ± 7.32

Paired t test was performed, SD: standard deviation

* P < .05, **P < .01, ***P < .001

MARPE, miniscrew 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T0, before expansion; T1, immediately after expansion; T2, 1

year after expansion; Alv, angle between alveolar bone and the palatal plane; Dent, angle between long axis of the

palatal root and the palatal plane; ‘ADT’ equals ‘Dent’ minus ‘ Alv’.

Page 30: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21 -

Fig 10. The diagram of the MARPE effects.

MARPE, miniscrew 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T0, before expansion; T1, immediately after expansion; T2, 1

year after expansion; Alv, angle between alveolar bone and the palatal plane; Dent, angle between long axis of the

palatal root and the palatal plane; ‘ADT’ equals ‘Dent’ minus ‘ Alv’.

Page 31: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22 -

4. T0, T1, T2 사이 주 변

BBPT는 T1에 T0에 해 PM1과 M1에 통계 하게 감소 었

며(P < .001), PBPT는 PM1, PM2, M1에 통계 하게 증가하 다(P

< .01). 특히 지지 아인 PM1과 M1에 변 량이 컸다. BACL과 IACL도 T0에

해 T1에 통계 하게 증가하 며(P < .01), 특히 PM1에 평균

2.73 mm 증가량이 크게 나타났다.

BBPT는 T2에 T1에 해 지지 아인 PM1, M1에 증가 는 경향 보

나(P < .05), PM2에 는 통계 하게 감소하 다(P < .01). PBPT는

T2에 T1에 해 감소 는 경향 보 며, 특히 PM1과 M1에 는 하게

감소하 다(P < .01). BACL과 IACL도 T1에 해 T2에 하게 감소 어

조골 높이가 회복 는 경향 보 다(P < .05).

라 BBPT는 T2에 T0에 해 PM1과 PM2는 통계 하게 감소

하 며(P < .01), M1에 는 통계 한 차이가 없었다. PBPT는 T2에

T1에 해 PM1, PM2, M1가 하게 증가하 다(P < .01). BCAL PM1에

만 T0에 해 T2에 통계 하게 증가하 다(P < .01). IACL T0

에 해 T2에 한 변 가 없었다.

Page 32: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23 -

Table 5. Changes in periodontal variables before (T0), immediately after (T1), 1 year after

(T2) MARPE

VariablesΔT1-T0 ΔT2-T1 ΔT2-T0

Mean ± SD Mean ± SD Mean ± SD

Bone

thickness

(mm)

BBPT (n=36)

PM1 -0.54 ± 0.45*** 0.24 ± 0.67* -0.30 ± 0.49**

PM2 -0.06 ± 0.55 -0.34 ± 0.73** -0.40 ± 0.70**

M1 -0.40 ± 0.43*** 0.33 ± 0.64** -0.07 ± 0.64

PBPT (n=36)

PM1 1.16 ± 0.98*** -0.49 ± 0.88** 0.67 ± 0.78***

PM2 0.44 ± 0.71** -0.08 ± 0.74 0.37 ± 0.58**

M1 0.70 ± 0.60*** -0.33 ± 0.53** 0.37 ± 0.43***

Alveolar

crest

level

(mm)

BACL (n=36)

PM1 2.73 ± 3.44*** -1.14 ± 3.03* 1.59 ± 2.81**

PM2 0.65 ± 0.82*** -0.49 ± 1.36* 0.16 ± 1.28

M1 0.67 ± 1.11** -0.45 ± 1.09* 0.22 ± 0.81

IACL (n=18) 0.44 ± 0.41*** -0.43 ± 0.51** 0.01 ± 0.36

Paired t test was performed, SD: standard deviation

The samples of BBPT and PBPT sum of right and left teeth.

* P < .05, **P < .01, ***P < .001

MARPE, miniscrew 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T0, before expansion; T1, immediately after expansion; T2, 1

year after expansion; BBPT, buccal bone palate thickness; PBPT, palatal bone palate thickness; BACL, buccal

alveolar crest level; IACL, interproximal alveolar crest level; PM1, the maxillary 1st premolar; PM2, the maxillary 2nd

premolar; M1, the maxillary 1st molar.

Page 33: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24 -

5. M1에 조골 께 변 량과 조골 높이 변 량에

향 주는 요소 분

주 변 에 향 있는 요소(나이, 장 량, 장 간, 지 간,

조 께, 조골 높이)에 해 단 회귀분 시행한 결

과 BBPT T2-T1 변 에 는 나이가, BBPT T2-T0 변 에 는

조골 께가 있는 변 나 다. 또한 BACL T1-T0, T2-T1,

T2-T0 변 에 는 조골 높이만이 있는 변 다.

단 회귀분 결과 있는 독립변 를 이용하여 다 회귀 분 시행한

결과는 Table 7과 같았다. BBPT는 T2-T1 변 에 나이가 상 계를 보

며, T2-T0 변 에 는 조골 께 상 계를 보 다.

BACL T1-T0, T2-T1, T2-T0 변 에 조골 높이 상

계를 보 다.

Page 34: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25 -

Table 6. Factors affecting periodontal changes before (T0), immediately after (T1), 1 year after

(T2) MARPE

Dependent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B

standard

errort P

BBPT

ΔT2-T1

(Constant) 1.889 1.417 1.333 .202

(1) Age -0.093 0.042 -2.218 .044*

BBPT

ΔT2-T0

(Constant) 0.898 1.579 0.569 .580

(1) Initial BBPT -0.367 0.129 -2.839 .009**

BACL

ΔT1-T0

(Constant) 6.861 3.058 2.243 .041

(1) Initial BACL -0.407 0.192 -2.116 .044*

BACL

ΔT2-T1

(Constant) 4.860 1.761 2.759 .017

(1) Initial BACL -0.612 0.136 -1.502 .000***

BACL

ΔT2-T0

(Constant) 4.860 1.761 2.759 .017

(1) Initial BACL -0.612 0.136 -4.502 .000***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oretic model: Variables = Constant + β1(1) + β2(2)

* P < .05, **P < .01, ***P < .001

T0, before expansion; T1, immediately after expansion; T2, 1 year after expansion.

BBPT, buccal bone plate thickness; BACL, buccal alveolar crest level.

Page 35: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26 -

IV. 고찰

구개 장에 있어 심사는 횡 부조 를 개 하며, 골격 장

하여 아, 주 부작용 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에 본 연구는

MARPE 료 효과 안 그리고 주 변 에 해 분 하 다.

MARPE 장 직후(T1) 모든 아 골격 계 에 통계 하게

장이 나타났다. 부분에 PM1이 가장 큰 장량 보 며, I1이 가장

작았다. 장 1 이후에도 슷한 경향 나타났다. 폭 변 가 구 에

해 I1과 C에 장량이 작았는데, 장 장 자인 특 상 I1과 C가 장 에

해 지지 지 못해 구 에 해 장량이 작았 것이다. 특히 I1 경우에는

장 시작 후 T1 지 장 늘어난 주 들 생탄 동

(bioelastic activity) 인해 아 경부에 근심 I1 잡아 당

에 폭 증가가 작게 나타났 것이다(Storey, 1973). C 경우 T1이후

T2 지 다른 아에 해 폭 감소가 작았는데, 이는 MARPE 이후에 시행

fixed appliance를 이용한 생 해소 이라 생각 다.

일 RPE에 한 구개 합 이개 양상 axial plane에 보았

후 에 갈 그 폭이 어진다(Bell, 1982; Garrett 등, 2008).

이러한 양상 본다면 장 직후 구 에 근단 폭 장량이

커 야 한다. 하지만 본 연구에 는 T1에 I1 근단 폭 증가량이 PM1에 해

작게 나타났다. 이는 앞 말한 것과 같이 T1 시 지 주 들 동

인해 근심 이동이 생했 것이며, PM1과 M1처럼 band에 해 지지 지

못해 나타난 것 생각 다.

Page 36: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27 -

Coronal plane에 찰 시, M1 T1에 에 부 근단, 그리고

강 라갈 장 폭이 작아지는 것 인할 있었다. 이는 존 보고

마찬가지 아 부분에 강 라갈 장량이 좁아지는 삼각 모

양 장과 일 했다(Bell, 1982; Garrett 등, 2008; Haas, 1961; Wertz, 1970).

T2에는 T0에 해 M1 에 평균 3.22 mm 폭이 장 었 며, 조골

과 강 에 는 각각 평균 2.09 mm, 1.43 mm 폭 장이 지 었다.

장량 100% 약 44.4%는 골격 , 20.5%는 조 장, 그리고 35.1%

는 아에 장 경사 이동이 나타났다고 볼 있다(Fig 9). Krebs (1964)

implant를 통한 RPE 장 연구에 사춘 시 에 35% 골격 인 효과를 보

았다고 보고하 며, Kartalian 등 (2010) 장 자를 상 한 RPE 연

구에 체 장 약 38.9%가 강 에 나타났다고 보고하 다. 또한

Handelman 등 (2000) 인 상 구개 장 연구에 는 직 18%만이

구개 높이에 장이 있었 보고하 다. 이 해 본다면 본 연구에 골격

효과가 컸 알 있다. 인 자를 상 구개 장 했 에도 불

구하고 큰 골격 효과를 볼 있었 이 는, 구개부에 식립 miniscrew를

통해 악 이 직 골에 달 었 일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Lee 등 (2010)이 MARPE를 처 고안했 가 에 부합한다.

장 1 이후 높 골격 장 안 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 장 직후

(T1) jack screw 장량에 한 강 장 이 에 장 자에 보

고 1/3보다 작게 나타났다(Garib 등, 2005; Garrett 등, 2008). 장 직후

강 에 장 평균 1.97 mm 며 jack screw 평균 장량 6.87 mm에 해

약 28.7 % 도 효과 나타났다. 이는 인 상 구개 장 시행함에

Page 37: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28 -

있어 circummaxillary suture 구개 합 항 극복하 해 이개

지 많 이 어 장 변 가능 할 없다(Zimring

Isaacson, 1964). 또한 장 이후에도 circummaxillary structure 항 도

향 주었 것이다.

T1부 T2 지 아 골격 장 폭 감소는 장 인해 변한 주

구개부 조직, 그리고 근 들 동 돌아 가게 하는 힘 생시키

이다(Storey, 1973). Bell (1982) 상악 장에 한 review 보고에 도 상

악 구개 합 재조직 안 를 해 소 3~6개월 동안 지를 권하

다. 본 연구에 도 주변 조직 안 골격 회귀 가능 고 하여 소 3

개월 이상 지 간 거쳤 며, 평균 16.1주 동안 지하 다. 하지만 장

손상 조직 안 를 해 는 이보다 많 시간이 소요 다는

고 한다면(Reitan, 1959), 지 이후에도 어느 도 회귀가 생 었 것

생각 다. 벌어 구개 합 MARPE 장 후 골 재 인해

모든 자에 양 구개가 연결 것 인하 며, 구개 조직과 주조직 재

구 이 이 지 에 충분한 시간 보여, 이상 골격 회귀는 생 지 않

것이라 추 다. MARPE 골격 회귀를 이 해 는 인에 장

자에 해 골 재 시간이 필요한 고 하여 장 를 거하 에

구개 합 골 를 히 인하고, 거한 후에도 남아 있는 골 고

원 이용하면 도움이 것이라 생각 다(Kanekawa Shimizu, 1998).

장 태상 지지 아 miniscrew에 힘 가해 구개 합 힘이

달 므 구개 장과 동시에 아 경사는 피할 없다. 본 연구에 도

장 직후에 M1 구개 축이 평균 4.86° 경사가 생 었다. 장 후

Page 38: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29 -

1 동안 근단 폭 변 는 거 없이 에 폭이 감소 어 장 보다 평

균 1.58° 경사 감소 었다. Lagravere 등 (2006) meta-analysis

Garib 등 (2005) 보고에 는 속구개 장 직후 각각 3° 2.5° 경

사가 생 었다고 하 며, 이는 본 연구 장 직후 생 4.86°보다 다소

작았다. M1 구개 조골 경사는 장이 일어나면 회 1.53°

경사가 나타났다. 장 이후 1 동안 추가 2.36°도 경사가 나타났는

데, 이는 장 이후 1 동안 아 경부 조골이 아 향 재

(remodeling)이 나타났 일 것이다. 이러한 경사 변 를 탕 조골에

한 아 자체 경사(absolute dental tip; ADT, Kartalian 등 (2010))를 계산

한 결과 장 1 후에는 장 에 해 평균 2.30° 경사가 생 었다

(Fig 10). 이는 구개 합이 장 면 횡 인 부조 개 인해 상악

골에 한 아는 상 직립 었 것이다.

이러한 경사이동 결국 조골에 해한 향 있다. RPE에

해 생 는 지지 아 해한 상 이미 많 행연구에 보고 었다

(Garib 등, 2006; Garib 등, 2005; Gauthier 등, 2011; Rungcharassaeng 등,

2007; Wennstrom 등, 1987).

MARPE를 이용한 료시에도 이러한 부작용 피할 없었다. 상악 구 부

이동 조골이 얇아 다. 특히 지지 아인 PM1과 M1에 장

직후 근이 이동하여 통계 한 조골 께 감소를 보 며,

장 이후 1 동안 어느 도 조골 께 회복 보 다. Garib 등 (2006)이

지 했듯이, 이러한 상 압 얇아진 조골에 보상 인 골 침착이

충분한 시간동안 생 어 어느 도 회복 것 보인다. PM2는 장 직후 통

Page 39: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30 -

계 하지 않았지만 평균 조골이 감소 경향 보 며,

이후 1 동안 추가 조골 께가 얇아 다. 이는 장 직후

(bar)에 해 만 경사이동이 생하 다가, edgewise 료하는 동안

PM2 근이 이동하여 나타난 결과일 것이다.

짧 간에 큰 인해 생 는 골 변 는 간 골 에

해 명 다(Melsen, 1999). 속 구개 장장 인한 상당량 힘

고 아 압 주인 에 자양 (hyalinization)를 한다(Zimring

Isaacson, 1965). 이 인한 압 조직이 사 며, 아가 향 이

동, 결국 조골이 얇아지게 다. 지를 거쳐 장 장 거 후 고 식

장 이행하는 과 에 아는 조골에 생리 인 를 찾아가게 고, 1

이후 골 재 (remodeling & reshaping) 통해 상 인 골 다. 이

러한 상 상악 부 견인 시 견인 직후에는 구개 골이 찰 지 않았 나,

6개월부 는 얇게 찰 었고, 시간이 지남에 라 상 인 구개 골이 찰

었다는 Ten Hoeve Mulie (1976) 보고 사하다.

면 구개 조골 께는 장 직후 모든 구 에 계 하게 증

가하 다. 특히 지지 아인 PM1과 M1에 크게 증가했다. 이는 지지 아가

드 고 어 간 인 큰 힘 아 근이 이동 었 이다.

하지만 1 이후 구개 조골 께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 보 다. 이러한

상 에 한 아이동 시에 주변골 께를 일 하게 지하 는 경향

보인다(Wehrbein 등, 1994). Sarikaya 등 (2002) 연구에 도

이동에 른 조골 골막에 생하는 보상 를 통해 골 께

가 지 보여주었다.

Page 40: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31 -

조골 높이는 장 직후 모든 아에 낮아 다. 특히 지지 아인

PM1에 평균 2.73 mm 큰 폭 낮아 며, 장 1 이후에 어느 도 다

시 조골 높이가 증가했 나 장 에 해 평균 1.59 mm 높이 감소를 보

다. 장 직후에는 장 면 아 경사가 생 었고, 이러한 경사

이동이 가장자리 조골 압 하여 허 일 일시 많 골 손

실 보 것이다. 하지만 직 cementum 손상 지 않아 MARPE

거 후에 생리 인 를 찾아가는 과 에 일 부분 회복 능 보여 것

생각 다(Grzesik Narayanan, 2002). 장 1 이후에도 장 에 해

평균 1.59 mm 감소는 임상 열개(dehiscence) 간주 있다. 하

지만 장 후 CBCT상에 찰 는 조골 소실이 임상

퇴축 나타나지는 않는다. 특히 염증이 없다면 합상피 이동이 일어나

지 않 것이다(Wennstrom 등, 1987). 라 인에 있어 MARPE 시행한

자에 해 는 철 한 구강 생 리가 필요할 것 보인다.

장 직후 상악 구개 합이 이개 면 사이가 벌어지게 고, 통

계 한 조골 높이 감소를 보 다. 이는 구개 합이 이개 면

들이 장 아 조골 일시 인 허 이 생 어 조골 높이가 낮게

었 것이다(Kanzaki 등, 2007). 하지만 1 이후 찰 시 이개

사이 이 회복 었고, 조골 높이도 회복 어 장 과 한 차이가 없

었다. 동 속구개 장(surgical assisted RPE; SARPE)가 사이

조골 높이 감소뿐만 아니라 간돌 (interdental papilla) 소실 래할

있다는 에 MARPE가 SARPE보다 사이 주 면에 리할

있다(Cureton Cuenin, 1999; Gauthier 등, 2011).

Page 41: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32 -

MARPE 시행 1 후 주 변 에 향 주는 변 를 인하 해 1

구 에 조골 높이 께에 한 회귀분 시행한 결과,

조골 께 높이가 향 주는 것 나타났다. 조골 께가

꺼울 , 조골 께가 작게 감소하지만, 조골 높이가 높

조골 높이가 크게 변했다. 이는 동일한 양 경사가 생했다

고 가 한다면 M1 조골이 높 경우 많 상 조골 압 하

에 조골 높이 변 가 크게 나타난 것 생각 다(Fig 11). Garib 등

(2006) 연구에 도 구개 장 골이 껍고 충분하다면, 속구개 장장

에 한 해한 향 없 것이라고 하 다. 라 장 자 주에

한 평가를 시행함 써 장 후 생할 있는 해한 향 도를 할

있 것이다.

MARPE는 존 구개 장장 에 구개 에 미니스크 를 추가 식립함

써 자에게 국소 마취 불편감과 식립 후 동통, 구강 생 리 어 움

인한 태 침착 부종 래할 있는 단 이 있다(Park 등, 2003). 하지만

MARPE는 osteotomy를 동 하는 SARPE에 해 간단한 식이다. 나이

Fig 11. The diagram of buccal alveolar bone loss due to buccal tipping

Page 42: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33 -

가 많 자에 SARPE가 첫 번째 고 사항이 어야 하겠지만, SARPE에 도

장 에 해 가해지는 상당량 아 조 장이 일어나며(Chung

Goldman, 2003), 또한 조골 부착 소실 변 를 가 있다

(Gauthier 등, 2011). 본 연구 MARPE 료 1 후 몇 주 변 계 에

통계 한 변 를 보 지만 임상 아들일 만한 이었다. 라

장 도 안 그리고 주 향 고 해 볼 횡 부조 를 갖는

인에 는 MARPE가 구개 장 한 우 한 안이 있 것이다.

본 연구는 MARPE 료 후 1 이후에 평가 것 장 향 주

조직이 안 에 충분한 시간이라고 생각 다. 하지만 고 식 료가 종료

지 않 자들이 포함 어 있어, 용 에 한 향 할 는 없

것이다. 이러한 고 한다면 앞 고 식 료 후 재평가를 통한 장 간

주 변 안 에 한 평가도 필요할 것이다.

Page 43: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34 -

V. 결

본 연구는 MARPE 구개 장 료를 한 18명 자(남자 5명, 여자 13명,

평균나이 21.5 ± 3.1 )에 장 (T0), 직후(T1) 그리고 장 1 이후(T2)

에 CBCT 상 이용하여 아 조 골격 변 를 분 하 며,

또한 주 변 에 향 주는 변 들에 해 회귀분 시행하여 다 과 같

결과를 얻었다.

1. 를 외한 모든 아 골격 계 에 통계 있는

장이 찰 었다(P < .001). M1에 높이에 강 라갈

장량이 작아지는 삼각 모양 이개 양상 보 다.

2. M1에 장 1 후 44.4% 골격 장과 20.5% 조 장, 그리고

35.1% 아 장 경사를 보 다

3. 상악 1 구 진 한 아 경사( 아경사 조골 경사 차)는 T1에

T0보다 평균 3.33° 경사를 보 나(P < .001), T2에는 통계

언 없었 나 T0보다 평균 2.31° 경사 었다(P > .05).

4. 조골 께(BBPT)는 T1에 T0보다 PM1, M1에 통계

하게 감소하 며(P < .001), T2에는 T0에 해 PM1, PM2에 통계

한 감소를 보 다(P < .01).

5. 구개 조골 께(PBPT)는 T1에 T0보다 PM, PM2, M1에 통계

하게 증가하 며(P < .01), T2에는 일 부분 감소하 나 T0에

해 PM1, PM2, M1에 통계 한 증가를 보 다(P < .01).

Page 44: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35 -

6. 조골 높이(BACL)는 T1에 T0에 해 PM1, PM2, M1에 통계

하게 낮아 다(P < .01). 특히 PM1는 양이 컸 며, T2에도 일 부

분 회복 었 나 T0에 해 하게 낮아 다(P < .01).

7. 사이 조골 높이(IACL) T0에 해 T2에 통계 한 변

가 없었다.

8. 회귀 분 결과 MARPE 료 1 후 1 구 에 조골 께

변 는 조골이 꺼울 었고, 조골 높이 변 는

조골 높이가 낮 었다.

횡 부조 를 갖는 인에 MARPE 료 1 후 합 재 없이

공 인 료 결과를 보여주었다. MARPE 료 1 후 1소구 부 에

조골 께 높이 감소가 찰 었지만, 임상 아들일만한 이

었다. 료 안 주 향 고 해 볼 횡 부조 를 갖는

인에 MARPE가 구개 장 한 안이 있 것이다.

Page 45: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36 -

참고 헌

Alves PV, Zhao L, O'Gara M, Patel PK, Bolognese AM: Three-dimensional

cephalometric study of upper airway space in skeletal class II and III healthy

patients. J Craniofac Surg 19(6): 1497-1507, 2008.

Bell RA: A review of maxillary expansion in relation to rate of expansion and

patient's age. American journal of orthodontics 81(1): 32-37, 1982.

Bell WH, Turvey TA: Surgical correction of posterior crossbite. J Oral Surg

32(11): 811-822, 1974.

Bishara SE, Staley RN: Maxillary expansion: clinical implication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91(1): 3-14, 1987.

Capelozza Filho L, Cardoso Neto J, da Silva Filho OG, Ursi WJ: Non-

surgically assisted rapid maxillary expansion in adults. Int J Adult Orthodon

Orthognath Surg 11(1): 57-66; discussion 67-70, 1996.

Cevidanes L, Oliveira AEF, Motta A, Phillips C, Burke B, Tyndall D: Head

Orientation in CBCT-generated Cephalograms. The Angle orthodontist 79(5):

971-977, 2009.

Chung CH, Goldman AM: Dental tipping and rotation immediately after

surgically 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Eur J Orthod 25(4): 353-358,

2003.

Cureton SL, Cuenin M: Surgically 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orthodontic preparation for clinical succes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16(1): 46-59, 1999.

Garib DG, Henriques JF, Janson G, de Freitas MR, Fernandes AY: Periodontal

effects of rapid maxillary expansion with tooth-tissue-borne and tooth-

Page 46: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37 -

borne expanders: a computed tomography evaluation.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29(6): 749-758, 2006.

Garib DG, Henriques JF, Janson G, Freitas MR, Coelho RA: Rapid maxillary

expansion--tooth tissue-borne versus tooth-borne expanders: a computed

tomography evaluation of dentoskeletal effects. Angle Orthod 75(4): 548-

557, 2005.

Garrett BJ, Caruso JM, Rungcharassaeng K, Farrage JR, Kim JS, Taylor GD:

Skeletal effects to the maxilla after rapid maxillary expansion assessed with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34(1):

8-9, 2008.

Gauthier C, Voyer R, Paquette M, Rompre P, Papadakis A: Periodontal effects

of surgically 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evaluated clinically and with

cone-beam computerized tomography: 6-month preliminary result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39(4 Suppl): S117-128, 2011.

Gerlach KL, Zahl C: Transversal palatal expansion using a palatal distractor.

J Orofac Orthop 64(6): 443-449, 2003.

Grzesik WJ, Narayanan AS: Cementum and periodontal wound healing and

regeneration. Crit Rev Oral Biol Med 13(6): 474-484, 2002.

Haas AJ: Rapid Expansion Of The Maxillary Dental Arch And Nasal Cavity

By Opening The Midpalatal Suture. Angle Orthod 31(2): 73-90, 1961.

Handelman CS: Nonsurgical rapid maxillary alveolar expansion in adults: a

clinical evaluation. Angle Orthod 67(4): 291-305; discussion 306-298, 1997.

Handelman CS: Point/Counterpoint Palatal expansion in adults : The

nonsurgical approach.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40(4): 462-469,

2011.

Page 47: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38 -

Handelman CS, Wang L, BeGole EA, Haas AJ: Nonsurgical rapid maxillary

expansion in adults: report on 47 cases using the Haas expander. Angle

Orthod 70(2): 129-144, 2000.

Iseri H, Ozsoy S: Semirapid maxillary expansion--a study of long-term

transverse effects in older adolescents and adults. Angle Orthod 74(1): 71-

78, 2004.

Kanekawa M, Shimizu N: Age-related changes on bone regeneration in

midpalatal suture during maxillary expansion in the rat.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14(6): 646-653, 1998.

Kanzaki R, Daimaruya T, Takahashi I, Mitani H, Sugawara J: Remodeling of

alveolar bone crest after molar intrusion with skeletal anchorage system in

dog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31(3): 343-351, 2007.

Kartalian A, Gohl E, Adamian M, Enciso R: Cone-beam computerized

tomography evaluation of the maxillary dentoskeletal complex after rapid

palatal expansion.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38(4): 486-492, 2010.

Kau CH, Richmond S, Palomo JM, Hans MG: Three-dimensional cone beam

computerized tomography in orthodontics. J Orthod 32(4): 282-293, 2005.

Kennedy JW, 3rd, Bell WH, Kimbrough OL, James WB: Osteotomy as an

adjunct to rapid maxillary expansion. Am J Orthod 70(2): 123-137, 1976.

Knaup B, Yildizhan F, Wehrbein H: Age-related changes in the midpalatal

suture. A histomorphometric study. J Orofac Orthop 65(6): 467-474, 2004.

Krebs A: MIDPALATAL SUTURE EXPANSION STUDIES BY THE

IMPLANT METHOD OVER A SEVEN-YEAR PERIOD. Rep Congr Eur Orthod

Soc 40: 131-142, 1964.

Page 48: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39 -

Lagravere MO, Heo G, Major PW, Flores-Mir C: Meta-analysis of immediate

changes with rapid maxillary expansion treatment. J Am Dent Assoc 137(1):

44-53, 2006.

Lee KJ, Park YC, Park JY, Hwang WS: Miniscrew-assisted nonsurgical

palatal expansion before orthognathic surgery for a patient with severe

mandibular prognathism.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37(6): 830-839,

2010.

Mah JK, Huang JC, Choo H: Practical applications of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n orthodontics. J Am Dent Assoc 141 Suppl 3: 7s-13s, 2010.

Melsen B: Biological reaction of alveolar bone to orthodontic tooth movement.

Angle Orthod 69(2): 151-158, 1999.

Park YC, Lee SY, Kim DH, Jee SH: Intrusion of posterior teeth using mini-

screw implant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23(6): 690-694, 2003.

Proffit WR: The First Stage of Comprehensive Treatment: Alignment and

Leveling. In; Contemporary Orthodontics 5th edition: 543-547, 2013.

Ramieri GA, Spada MC, Austa M, Bianchi SD, Berrone S: Transverse

maxillary distraction with a bone-anchored appliance: dento-periodontal

effects and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Int J Oral Maxillofac Surg 34(4):

357-363, 2005.

Reitan K: Tissue Rearrangement During Retention Of Orthodontically Rotated

Teeth*. The Angle Orthodontist 29(2): 105-113, 1959.

Rungcharassaeng K, Caruso JM, Kan JY, Kim J, Taylor G: Factors affecting

buccal bone changes of maxillary posterior teeth after rapid maxillary

expansion.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32(4): 428 e421-428, 2007.

Page 49: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40 -

Sarikaya S, Haydar B, Ciger S, Ariyurek M: Changes in alveolar bone

thickness due to retraction of anterior teeth.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22(1): 15-26, 2002.

Storey E: Tissue response to the movement of bones. Am J Orthod 64(3):

229-247, 1973.

Stuart DA, Wiltshire WA: Rapid palatal expansion in the young adult: time for

a paradigm shift? J Can Dent Assoc 69(6): 374-377, 2003.

Suri L, Taneja P: Surgically 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a literature

review.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33(2): 290-302, 2008.

Ten Hoeve A, Mulie RM: The effect of antero-postero incisor repositioning

on the palatal cortex as studied with laminagraphy. J Clin Orthod 10(11):

804-822, 1976.

Wehrbein H, Fuhrmann RA, Diedrich PR: Periodontal conditions after facial

root tipping and palatal root torque of incisor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06(5): 455-462, 1994.

Wehrbein H, Yildizhan F: The mid-palatal suture in young adults. A

radiological-histological investigation. Eur J Orthod 23(2): 105-114, 2001.

Wennstrom JL, Lindhe J, Sinclair F, Thilander B: Some periodontal tissue

reactions to orthodontic tooth movement in monkeys. J Clin Periodontol

14(3): 121-129, 1987.

Wertz RA: Skeletal and dental changes accompanying rapid midpalatal suture

opening. Am J Orthod 58(1): 41-66, 1970.

Zimring JF, Isaacson RJ: Forces Produced by Rapid Maxillary Expansion. II.

Forces Present During Treatment. Angle Orthod 34: 261-270, 1964.

Page 50: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41 -

Zimring JF, Isaacson RJ: Forces Produces by Rapid Maxillary Expansion. III.

FORCES PRESENT DURING RETENTION. Angle Orthod 35: 178-186, 1965.

Page 51: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42 -

Abstract

Stabiltity and periodontal evaluation

of miniscrew 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Hyun Mook Lim

Department of Dentistr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Yoon Jeong Choi, D.D.S., Ph.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tability and periodontal effects of

miniscrew 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MARPE)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Eighteen patients (5 male and 13 females; mean age 21.5 years; range 17.9 - 26.8

years) who had been treated MARPE because of transverse discrepancy and had

taken CBCT before expansion (T0), immediately after expansion (T1) and at least

one year after expansion (T2) were included in this study. Following measurements

were performed at each time point: interdental expansions measured at the crown

and apex levels for the central incisor (I1), canine (C), first premolar (PM1), second

premolar (PM2) and first molar (M1); skeletal expansions measured at level of the

alveolar bone, nasal floor, and nasal cavity; axes of the M1 and its alveolus; buccal

and palatal bone plate thickness (BBPT and PPBT, respectively); buccal and

interproximal alveolar crest level (BACL and IACL, respectively). To determine which

variables affect to periodontal change in the M1, th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1. One year after expansion, the interdental and skeletal measurem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ansions except for the central incisor (P < .001). The

amount of expansion was the greatest at the crown level and the least at the

nasal cavity level, presenting a triangular expansion pattern.

Page 52: Disclaimer - Yonsei · 2020. 7. 3. · Period from T1to T2 (month) 14.40 ±2.61 14.46±3.20 14.44±2.97 Posterior occlusion. Unilateral crossbite Bilaterral crossbite Constriction,

- 43 -

2. Total expansion consists of 44.4% of skeletal expansion, 20.5% of alveolar

expansion, and 35.1% dental expansion.

3. The maxillary first molar tipped 3.33° buccally immediately after expansion (P

< .001). One year after expansion, however, they tipped 2.31° lingually,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axis before expansion.

4. The buccal bone palate thickness for the first premolar and first molar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expansion (P < .001). However, one year after

expansion, the buccal bone plate thickness was significantly small compared to

the initiated state only for the first and second premolars (P < .01)

5. The palatal bone plate thickness for the first, second premolars and first molar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xpansion (P < .01), and it was significantly large

even one year after expansion in spite of slight decrease during retention.

6. The buccal alveolar crest level significantly moved inferiorly after expansion (P

< .01). One year after expansion, it showed significant inferior movement only for

the first premolar (P < .01).

7. The interproximal alveolar crest level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during the

whole observation period.

8. Th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changes in the buccal bone plate

thickness of the first molar were small as the initial buccal bone plate was thick. It

also showed that changes in the buccal alveolar crest level were small as the

initial buccal alveolar crest level was low.

MARPE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to correct maxilla-mandibular transverse

discrepancy in young adults, showing stable outcomes one year after expansion. The

buccal bone plate thickness and buccal alveolar bone level for the first premolar

decreased one year after expansion, which was clinically insignificant.

Key words : miniscrew 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MARPE, transverse discrepancy,

young ad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