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Chapter 3. The Immune System
56

Chapter 3. The Immune System

Nov 24, 2021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Chapter 3. The Immune System

Chapter 3. The Immune System

Page 2: Chapter 3. The Immune System

Types of Immunity

• 면역의 유형

선천성 면역 (Innate) - 비특이적,비적응적 방어 기전

후천성 면역 (Acquired) - 특이성과 기억을 특정으로 함

Page 3: Chapter 3. The Immune System

Acquired immunity: Active or passive mmunity

• 후천성 면역반응은 능동적 또는 수동적 면역의 결과로 나타남

능동 후천면역 - 숙주에 대한 예방접종을 통해 보호능력을 획득

수동 후천면역 - 한 사람에 의해 생산된 항체나 감작된 림프구가

다른 사람에게 전달되는 것 (태반, 모유, 면역혈청 글로불린 등)

Page 4: Chapter 3. The Immune System

THE IMMUNE RESPONSE

• 항원 – Antigen

인체가 지닌 특징적인 세포 표지자가 없고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이물질을 항원이라 함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이질 조직세포)

항원이 침범하면 면역계는 그것을 자기의 일부가 아니라고 여김

이후 항원에 대해 적절한 면역반응을 준비

세균 하나에 수백 종의 항원이 있기 때문에 면역반응을 자극하

는 부위 들이 많음

Page 5: Chapter 3. The Immune System

THE IMMUNE RESPONSE

• 항원결정인자 – Epitope

항원에서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부위

항원의 표변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항체와 직접 결합

항체는 단백질 분자이며 자극을 일으킨 해당 항원과만 반응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음

Page 6: Chapter 3. The Immune System

THE IMMUNE RESPONSE

• 주 조직적합 복합체 - The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면역의 기초는 면역세포가 다른 것으로부터 자기를 분별하는 능력에 의존

인체의 모든 세포는 지문과 같이 자기를 나타내는 특이적 세포 표지자나 분

자를 지니고 있음

자기면역허용 (self tolerance) - 세포 표지자 인식

세포 표지자 ≒ 주 조직적합 복합체 단백질

면역기능에 필수임 – 항원의 반응 강도나 면역계 세포의 정보교환 기능

Page 7: Chapter 3. The Immune System

THE IMMUNE RESPONSE

• 선천성 면역 Innate Immunity

선천성 변역계는 면역학적 기억이 없는 면역방어로 구성

항원이 얼마나 자주 침범하는가와 상관없이 면역반응이 변하지 않음

• 선천성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세포

포식세포 – 호중구, 단핵구, 대식세포

염증 매개체를 분비하는 세포 – 호염구, 비만세포, 호산구

자연독성세포

Page 8: Chapter 3. The Immune System

THE IMMUNE RESPONSE

• 선천성 면역 – 외부적 방어

Page 9: Chapter 3. The Immune System

THE IMMUNE RESPONSE

• 선천성 면역 – 포식세포

포식세포는 비특이적 선천성 면역에 관여

• 호중구 - neutrophils

골수에서 기원하고 감염과 염증에 반응해 그 수가 크게 증가

침범한 미생물을 직접 죽일 수 있으나 숙주의 조직도 손상

포식과정 중에 세균과 조직파편은 섭취되고 세포 내에 있는 효

소에 의해 소화

Page 10: Chapter 3. The Immune System

THE IMMUNE RESPONSE

• 단핵구 - monocyte

혈액에서 순환하지만 조직 내로 이동하면 대식세포로 성숙

대식세포에 의한 병원체의 섭취는 특이적 면역의 중요한 첫 단계

호중구가 처리하지 못한 세균을 처리

Page 11: Chapter 3. The Immune System

THE IMMUNE RESPONSE

• 선천성 면역 – 용해성(염증성) 매개체

• 보체계 - Complements system

20개 혈청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고,

면역기능이 증진되도록 고안된 급성염증반응에서 중요한 성분

순차적인 과정을 밟아 미생물을 감쌈

이는 면역세포에 의해 포식작용이 잘 일어나도록 보조하고 세균

이 용해되는데 관여함

Page 12: Chapter 3. The Immune System

THE IMMUNE RESPONSE

• 선천성 면역 – 용해성(염증성) 매개체

• 시토카인 - Cytokine

인터페론 - Interferon

생체반응조절물질 (biologic response modifiers)

면역반응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통합적 연결 망 구성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에서 초기에 만들어지며 주변 세포를 보호

함으로써 감염 확산 방지

Page 13: Chapter 3. The Immune System

THE IMMUNE RESPONSE

• 선천성 면역 – 자연독성세포(Natural Killer Cell)

NK세포는 커다란 과립형 림프구

바이러스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 종양세포를 사멸시킴

Page 14: Chapter 3. The Immune System

THE IMMUNE RESPONSE

• 선천성 면역 – 자연독성세포(Natural Killer Cell)

Page 15: Chapter 3. The Immune System

THE IMMUNE RESPONSE

• 후천성 면역 - Acquired Immune

선천성 면역반응 이후 후천성 면역이 작동

후천성 면역에는 체액성 면역(면역글로불린 연관 면역)과

세포성면역(T- 세포 면역)이 있음

양 팔과도 같이 서로 같이 작동하며 한쪽의 기능장애는 다른 것

의 효과에 변화를 일으킴

Page 16: Chapter 3. The Immune System

THE IMMUNE RESPONSE

• 후천성 면역 - Acquired Immune

Page 17: Chapter 3. The Immune System

THE IMMUNE RESPONSE

• 체액성 면역

타액, 혈액, 질분비물 등

B림프구 (B는 bone marrow에서 기원) - 면역글로불린

이물질이나 항원을 탐지 → 단백질합성세포 (기억B세포)

Page 18: Chapter 3. The Immune System

THE IMMUNE RESPONSE

• 체액성 면역

면역글로불린 – Immunoglobulin

IgG – 항균, 항바이러스 항체

IgM – 초기면역에 작용, 가장 큰 Ig

IgA – 체외 표면 보호, 점막

IgD – 항원 수용체, 림프구 활성과 억제

IgE – 비만세포 자극, 히스타민 분비 → 알러지 반응 유도

Page 19: Chapter 3. The Immune System

THE IMMUNE RESPONSE

• 세포 매개성 면역

• 세포-세포 작용에 의한 면역

T-림프구(or T세포)

골수에서 기원, 흉선(Thymus gland)에서 성숙 (T의 유래)

혈액, 림프, 림프절을 순환

Page 20: Chapter 3. The Immune System

THE IMMUNE RESPONSE

• 세포 매개성 면역

Page 21: Chapter 3. The Immune System

THE IMMUNE RESPONSE

• 세포 매개성 면역

T-림프구

특이 항원과의 반응 후 많은 수의 추가 림프구 생산

도움 T-세포 : 림포카인 분비 → B세포 성숙, 항체 생산

대식세포 활성화, 다른 T림프구와 NK 세포 도움 (감염세포파괴)

Page 22: Chapter 3. The Immune System

THE IMMUNE RESPONSE

• 세포 매개성 면역

도움 T-세포

Page 23: Chapter 3. The Immune System

THE IMMUNE RESPONSE

• 세포 매개성 면역

도움 T-세포

T 도움 유형 1 (Th1)

• 인터페론-감마와 종양괴사 인자-베타 생산

• CD8 T세포 (kill cancer cells) 활성화

T 도움 유형 2 (Th2)

• IL-4,5,13 생산, B세포 활성화, 항체 생산

Page 24: Chapter 3. The Immune System

THE IMMUNE RESPONSE

• 세포 매개성 면역

도움 T-세포

Page 25: Chapter 3. The Immune System

THE IMMUNE RESPONSE

• 세포 매개성 면역

세포 매개성 T림프구의 기능을 떨어뜨리는 임상적 상황

HIV 감염, AIDS

스트레스, 암, 전신마취, 열손상, 당뇨, 영양 결핍 등

Page 26: Chapter 3. The Immune System

Summary of the Immune Response

Page 27: Chapter 3. The Immune System

노화와 면역계

• 선천성 면역의 변화

피부가 얇아짐에 따라 외부 방어기능이 영향을 받음 – 욕창

위장관의 산성도 감소

얕은 호흡에 따른 가스교환 감소

전체적인 선천성 면역의 효율성이 감소

Page 28: Chapter 3. The Immune System

노화와 면역계

• 후천성 면역의 변화

체액성, 세포매개성 면역에 변화

흉선과 골수에서의 퇴행성 변화 - 후천성 면역의 결함

세포내 구조물의 변화

인플루엔자 감염에 취약

Page 29: Chapter 3. The Immune System

면역에 영향을 주는 요인

Page 30: Chapter 3. The Immune System

운동 면역학

• 운동 강도에 따라 면역 증진 혹은 억제

• 호중구 증가

• NK cell 수와 기능 증가

• 백혈구 수 증가 – 심박출량 증가, 에피네프린 분비 등에 의함

• 운동과 아폽토시스(apoptosis: 세포자멸사)- 신체를 좋은 상

태로 유지

Page 31: Chapter 3. The Immune System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IDS

Page 32: Chapter 3. The Immune System

정의

• HIV 감염 (HIV infection) 이란 용어는 초기 감염상태에서

AIDS가 완전히 발현한 경우 모두를 포함

무증상의 HIV 혈청 양성

초기 증상

HIV가 진행된 질병 - AIDS

Page 33: Chapter 3. The Immune System

발생률과 유병률

Page 34: Chapter 3. The Immune System

병인

• HIV retrovirus 감염에서 시작

• Helper T cell 감염

• 대식세포와 B세포도 감염

Page 35: Chapter 3. The Immune System

병인

Page 36: Chapter 3. The Immune System

임상 양상

• 비증상적 단계(CD4 수가 500cells/mm3)

증상이 없음

간혹 급성, 자기제한성 감염성 질환이나 경미한 바이러스 증후

10년간 지속

Page 37: Chapter 3. The Immune System

임상 양상

• 초기 증상 단계 (CD4 수가 200~500cells/mm3)

감염 진행, 면역계 기능 떨어짐

전신 리프절 병증; 설사, 체중감소, 피로, 야간발한, 발열 등

기회감염 – 2차 감염

Page 38: Chapter 3. The Immune System

임상 양상

• HIV 진행질병(CD4 수가 200 cells/mm3)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 그리고 자율신경계 침범

AIDS 뇌병증 – 뇌 감염 (심한 치매, 무언증, 뇨실금, 사지마비 등이 발생)

암, 건성 피부 박리, 피부의 얇아짐, 모세혈관 확장증

연관성 영양질환 - 카포시 육종,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매독

Page 39: Chapter 3. The Immune System

임상 양상

Page 40: Chapter 3. The Immune System

임상 양상

Page 41: Chapter 3. The Immune System

과민성 질환 – Hypersensitivity Disorders

Page 42: Chapter 3. The Immune System

과민성 질환

• 1형 과민

즉시형 과민 반응

건초열 (hay fever), 알러지성 비염, 두드러기, 외인성 천식,

아나필락시스 쇼크 (anaphylactic shock)

Page 43: Chapter 3. The Immune System

과민성 질환

• 2형 과민

자가항원에 대한 세포독성 반응

정상세포에 대한 면역반응 – 세포막 분해, 파괴

용혈성 빈혈, 중증근무력증, Guillain-Barre 증후군

Page 44: Chapter 3. The Immune System

과민성 질환

• 2형 과민

Page 45: Chapter 3. The Immune System

과민성 질환

• 3형 과민

면연복합체(항원-항체 복합체) 질환

면역복합체가 혈관 주변에 침작하면서 보체를 순차적으로 활성화

이로 인한 염증 반응, 조직 손상 발생

두드러기, 활액막염, 신장염, 흉막염, 심외막염

전신 홍반루프스 – 혈관염의 전형적인 양상

Page 46: Chapter 3. The Immune System

과민성 질환

• 3형 과민

Page 47: Chapter 3. The Immune System

과민성 질환

• 4형 과민

지연 과민반응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감작 후 발생하는 접촉성 피부염

이식거부반응

이식대숙주병 - 수혈된 림프구가 면역 기능이 저하된 숙주를 공격

하여 발열, 발진 등이 발생

Page 48: Chapter 3. The Immune System

과민성 질환의 임상 양상

Page 49: Chapter 3. The Immune System

전신 홍반 루푸스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Page 50: Chapter 3. The Immune System

정의와 개요

• 만성 염증성 자가면역성 질환

원판상 홍반 루푸스 – 피부에 침범(얼굴, 목, 두부)

전신 홍반루푸스는 인체의 어떤 장기나 기관을 침범

(Antinuclear Antibodies)

Page 51: Chapter 3. The Immune System

발생률 및 원인, 위험인자

• 발생률

일차적으로 젊은 여성에서 발생하는 질병

남성이나 어린이들도 드물게 발생

• 원인 및 위험인자

• 유전적 요소가 강하나 환경인자도 질병에 관여함

• 신경내분비 변화를 일으키는 요소

•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 바이러스 감염, 염증이나 조직손상을 일으키

는 햇빛이나 자외선 노출, 면역, 임신, 그리고 비정상적 에스트로겐 대

사 등을 포함

Page 52: Chapter 3. The Immune System

병인

면역이상 - 자가항체의 생성

자신의 세포에 대하여 항체를 생산 (ANA)

다양한 조직에서 항원-항체 복합체의 침착 발생

정상적인 면역을 억제하고 조직 손상을 야기

Page 53: Chapter 3. The Immune System

임상 양상

• 근골격계

관절통, 관절염 (주로, 손, 손목, 무릎 등)

• 피부 및 점막 병소

피부발진 – 햇빛

혈관염증 – 손가락의 경색성 병소, 선상출혈, 괴사성 다리궤양

Page 54: Chapter 3. The Immune System

임상 양상

• 심폐계

흉막염,심막염,호흡곤란과 같은 심폐 이상의 징후

• 중추신경계

많은 경우에서 중추신경계 침범 발생 – 뇌염증

신경정신과적 문제 – 두통, 과민, 우울증

인지 기능장애

Page 55: Chapter 3. The Immune System

임상 양상

• 신장계

사구체 파괴

혈뇨, 단백뇨, 신부전으로 진행 가능

• 기타

감소된 적혈구에 의한 빈혈

비장과 목, 겨드랑, 서혜 리프절이 비대해짐

악화와 완화를 반복함

Page 56: Chapter 3. The Immune System

치료

• 자가면역과 염증성 과정을 역전시키고 악화와 합병증을 예방

NSAID -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근육과 관절의 통증을 줄이고 조직의 염증을 완화

부신피질호르몬 경감제 – Methotrexate

뼈를 보호하고 조기 심혈관계 질병에서 보호

항말라리아제

피부, 관절과 신장 증상들에 유용

면역 조절제

염증과 면역계를 억제 – 신장이 침범된 경우에만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