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축산관측 돼지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www.krei.re.kr) 12월 모돈수는 93~95만 마리 추정 1∼10월후보돈판매가11만7,819마리로전년동기 보다13.8%증가하였고,1∼10월모돈도태마릿수 는전년동기대비11.3%감소한26만6천마리였 다. 12월모돈수는후보돈입식증가와모돈도태감소로 전년동기보다증가한93~95만마리내외로추정된 다. 돼지사육마릿수는전년수준인980∼1,000만마 리로추정된다. 11월 배합사료 생산량은 전년 동월보다 7.1% 감소 11월배합사료생산량은50만3,437톤으로전월보 다6.2%감소,전년동월보다7.1%감소하였다.모 돈용사료는8만1,023톤으로전월보다5.7%,전 년동월보다2.1%감소하였다. 20kg이하자돈용사료생산량은14만9,607톤으 로전월보다6.0%,전년동월보다0.8%감소하였 다.육성용사료는전월보다6.9%,전년동월보다 11.5%감소한23만3,514톤이생산되었다. 3월 사육 마릿수 980∼1,000만 마리 전망 돼지고기가격상승으로표본농가의1∼6월사육의 향이전년보다10.0∼13.8%상승한것으로조사되 었다(표본농가조사결과). 후보돈입식증가와모돈도태감소로3월사육마릿 수는980∼1,000만마리로전년동월보다1.1∼ 3.1%증가할것으로전망된다. 모돈수증가로6월사육마릿수는2014년6월보다 2.3∼4.3%증가한990∼1,010만마리로전망된 다. <그림1>모돈수및총사육마릿수동향 <그림2>양돈배합사료생산량동향 자료: 통계청,「가축동향」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주: 2014년 1월을 100으로 하여 월별 사육의향을 지수화 함. 자료: 농업관측센터 표본농가 조사치(2014년 12월 5∼12일) <표1>표본농가돼지사육의향지수 2015 01/02 36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2015년(A) 110.0 112.1 113.4 113.6 112.9 114.3 2014년(B) 100.0 100.3 99.7 102.3 101.7 102.2 (A)/(B)증감률 10.0 11.8 13.8 11.0 11.1 11.9 07)축산관측.indd 36 15. 2. 9. 오전 9:44
8

Bayer Korea - 07)축산관측 · 2016-01-12 · • 미국산 닭고기 수입금지 조치에 따라 수입 닭고기가 국내산 닭고기로 대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Dec 27, 2019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Bayer Korea - 07)축산관측 · 2016-01-12 · • 미국산 닭고기 수입금지 조치에 따라 수입 닭고기가 국내산 닭고기로 대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축산관측

돼지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www.krei.re.kr)

12월 모돈수는 93~95만 마리 추정

•��1∼10월�후보돈�판매가�11만�7,819마리로�전년�동기

보다�13.8%�증가하였고,�1∼10월�모돈�도태�마릿수

는�전년�동기�대비�11.3%�감소한�26만�6천�마리였

다.

•��12월�모돈수는�후보돈�입식�증가와�모돈�도태�감소로�

전년�동기보다�증가한�93~95만�마리�내외로�추정된

다.

•��돼지�사육�마릿수는�전년�수준인�980∼1,000만�마

리로�추정된다.

11월 배합사료 생산량은 전년 동월보다 7.1% 감소

•�11월�배합사료�생산량은�50만�3,437톤으로�전월보

다�6.2%�감소,�전년�동월보다�7.1%�감소하였다.�모

돈용�사료는�8만�1,023톤으로�전월보다�5.7%,�전

년�동월보다�2.1%�감소하였다.

•�20kg�이하�자돈용�사료�생산량은�14만�9,607톤으

로�전월보다�6.0%,�전년�동월보다�0.8%�감소하였

다.�육성용�사료는�전월보다�6.9%,�전년�동월보다�

11.5%�감소한�23만�3,514톤이�생산되었다.

3월 사육 마릿수 980∼1,000만 마리 전망

•�돼지고기�가격�상승으로�표본농가의�1∼6월�사육�의

향이�전년보다�10.0∼13.8%�상승한�것으로�조사되

었다(표본농가�조사�결과).

•�후보돈�입식�증가와�모돈�도태�감소로�3월�사육�마릿

수는�980∼1,000만�마리로�전년�동월보다�1.1∼

3.1%�증가할�것으로�전망된다.

•�모돈수�증가로�6월�사육�마릿수는�2014년�6월보다�

2.3∼4.3%�증가한�990∼1,010만�마리로�전망된

다.

<그림�1>�모돈수�및�총�사육�마릿수�동향

<그림�2>�양돈�배합사료�생산량�동향

자료: 통계청,「가축동향」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주: 2014년 1월을 100으로 하여 월별 사육의향을 지수화 함.자료: 농업관측센터 표본농가 조사치(2014년 12월 5∼12일)

<표�1>�표본농가�돼지�사육�의향지수

2015 01/0236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2015년(A) 110.0 112.1 113.4 113.6 112.9 114.3

2014년(B) 100.0 100.3 99.7 102.3 101.7 102.2

(A)/(B)증감률 10.0 11.8 13.8 11.0 11.1 11.9

07)축산관측.indd 36 15. 2. 9. 오전 9:44

Page 2: Bayer Korea - 07)축산관측 · 2016-01-12 · • 미국산 닭고기 수입금지 조치에 따라 수입 닭고기가 국내산 닭고기로 대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FMD와�PED�등�질병�발생�수준에�따라�사육�마릿

수는�감소할�수�있다.

12월 일평균 등급판정 마릿수 전년 동월보다 감소

•�11월�등급판정�마릿수는�128만�9천�마리로�전년�동

월�145만�8천�마리보다�11.5%�감소하였다.

•�12월�24일까지�일평균�등급판정�마릿수는�6만�

2,636마리로�전년�동월(6만�7,478마리)보다�7.2%�

감소하였다.�이는�평년(6만�1,608마리)보다�1.7%�

많은�수준이다.

12월 도매시장 출하비중 전년 동월보다 1.4%p 감소

•�11월�도매시장�경락�마릿수는�12만�7천�마리로�전년�

동월�16만�3천�마리보다�22.0%�감소하였다.

•�12월�24일까지�일평균�경락�마릿수는�6,703마리로�

전년�동월(8,165마리)보다�17.9%�감소,�평년�

(7,455마리)보다�10.1%�감소하였다.�도매시장�출하�

비중은�10.7%로�전년�동월보다�1.4%p�감소하였

다.�

1월 돼지 출하 마릿수 전년 동월보다 6.0% 감소 전망

•�표본농가�조사�결과�1∼2월�비육돈�출하�일령은�전

년보다�1.6∼2.8일�단축되고,�출하체중은�전년보다�

0.9∼1.8kg�증가할�것으로�전망된다.

•�2014년�상반기�모돈�마릿수�감소로�1월�출하�마릿수

는�전년�동기보다�6.0%�감소한�132만�7천�마리로�

전망된다.

•�출하�마릿수�감소로�1월�돼지고기�생산량은�전년�동

기보다�6.0%�적을�것으로�전망된다.

자료: 통계청,「가축동향」(2014년 12월 이후는 농업관측센터 전망치)

주: 2014년 12월부터는 농업관측센터 전망치자료: 축산물품질평가원

단위: 천마리, %

단위: 천마리, %

<표�2>�돼지�사육�마릿수�전망

<표�3>�돼지�출하�마릿수�전망

바이엘화학 37

자료: 축산물품질평가원

<그림�3>�돼지�등급판정�마릿수�동향

9월 12월 3월 6월

2014/15년(A) 9,966 9,800∼10,000 9,800∼10,000 9,900∼10,100

2013/14년(B) 10,188 9,912 9,698 9,680

(A)/(B) 증감률 -2.2 -1.1∼0.9 1.1∼3.1 2.3∼4.3

구분 11월 12월 1월

2014/15년(A) 1,290 1,357 1,327

2013/14년(B) 1,464 1,415 1,411

평년(C) 1,368 1,303 1,236

(A)/(B) 증감률 -11.9 -4.1 -6.0

(A)/(C) 증감률 -5.7 4.1 7.4

07)축산관측.indd 37 15. 2. 9. 오전 9:44

Page 3: Bayer Korea - 07)축산관측 · 2016-01-12 · • 미국산 닭고기 수입금지 조치에 따라 수입 닭고기가 국내산 닭고기로 대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5 01/0238

육계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www.krei.re.kr)

11월 종계 사육 마릿수 전년 대비 5.5% 증가 추정

•�11월�종계�배합사료�생산량은�전년�대비�0.9%�증가

한�23,280톤이었다.

•�11월�육용�종계�사육�마릿수는�육성계와�성계�사육

이�각각�5.7%,�5.4%�증가하여�전년�동월보다�

5.5%�증가한�851만�마리로�추정된다.

12월 육계 생산성 전년보다 향상

•�10∼11월�생산성이�떨어지는�종계가�도태됨에�따라�

육용�실용계�병아리�품질이�전보다�좋아진�것으로�

조사되었다.�12월�큰�일교차와�호흡기�질환으로�종

계�생산성은�소폭�하락할�것으로�예상된다(중앙자

문회의�결과).

•�농업관측센터�육계�표본농가�조사결과,�12월�육계

출하일령은�전년보다�앞당겨지고,�출하체중은�전년

수준으로�나타났다.�또한�폐사율이�전년보다�

0.96%p�감소하여�육계�생산성은�전년보다�향상된�

것으로�판단된다.

2015년 1월 육계 사육 전년보다 3.4% 증가 전망

•�11월�종계�성계�사육�마릿수�증가로�12월�병아리�생

산량은�전년�대비�3.1%�증가한�5,965만�마리로�추

정된다.

•�병아리�생산이�증가하여,�내년�1월�육계�사육�마릿

수는�전년�동월보다�3.4%�증가한�7,155만�마리로�

전망된다.

2015년 1월 도계 마릿수 3.7% 증가 전망

•�1월�도계�마릿수는�육계�사육�마릿수�증가로�전년�

동월보다�3.7%�증가한�6,587만�마리로�전망된다.

<그림�1>�육용�종계�배합사료�생산�동향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표�1>�종계�사육�마릿수�현황�및�전망

<표�2>�육계�출하일령�및�출하체중

주: ( )안은 성계 사육 마릿수자료: 대한양계협회(2014년 11월은 농업관측센터 추정치)

자료: 농업관측센터 표본농가 조사치

구 분육계 출하일령 육계 출하체중(kg)

11월 12월 12월/11월 11월 12월 12월/11월

2014년 31.45 31.48 0.1 1.64 1.63 -0.6

2013년 31.51 33.02 1.9 1.58 1.63 -1.1

증감률(%) -0.2 -4.6 - 3.5 0.0 -

구 분사육 마릿수(만 마리 ) 전월대비 증감율

9월 10월 11월 10월/9월 11월/10월

2014년789(399)

852(424)

851(447)

8.06.2

-0.25.4

2013년789(407)

783(403)

806(424)

-0.6-0.9

2.94.2

증감률(%)0.1

(-1.9)8.8(5.1)

5.5(5.4)

- -

07)축산관측.indd 38 15. 2. 9. 오전 9:44

Page 4: Bayer Korea - 07)축산관측 · 2016-01-12 · • 미국산 닭고기 수입금지 조치에 따라 수입 닭고기가 국내산 닭고기로 대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엘화학 39

<그림�2>�도계�마릿수�동향�및�전망

1월 닭고기 수입량 전년 대비 크게 감소 전망

•�11월�검사실적�기준�닭고기�수입량은�전년�동월보다�

1.9%�증가한�8,011톤이었다.

•�미국에서�HPAI�발생으로�닭고기�수입이�금지됨에�

따라�2015년�1월�닭고기�수입량은�전년�동월보다�

64.0%�감소한�4,136톤으로�전망된다.

냉동 비축물량 여전히 많아

•�11월�16일�기준�냉동�비축물량은�지속적인�닭고기�

생산�증가와�수요�감소로�전년보다�230%�증가한�

1,050만�마리였다.

1월 닭고기 공급량 전년수준 전망

•�도계�마릿수와�비축물량은�증가하지만,�수입량�감

소로�닭고기�공급량은�전년수준으로�예상된다.�1월�

닭고기�총�공급량은�8,175만�마리로�전망된다.

1월 국내산 닭고기 수요 전년보다 증가 전망

•�미국산�닭고기�수입금지�조치에�따라�수입�닭고기가�

국내산�닭고기로�대체될�것으로�예상된다.

•�수입�닭고기�대체효과로�1월�국내산�닭고기�수요는�

전년보다�증가할�것으로�전망된다.

<표�3>�육용�실용계�병아리�생산�현황

<표�4>�육계�사육�현황�및�전망

자료: 농업관측센터 추정치

자료: 농림축산식품부(2014년 12월∼2015년 1월은 농업관측센터 추정치)

자료: 농업관측센터 추정치

구 분병아리 생산(만 마리) 전월 대비 증감률(%)

10월 11월 12월 11월/10월 12월/11월

2014년 5,724 6,232 5,965 8.9 -4.3

2013년 5,632 5,911 5,787 5.0 -2.1

증감률(%) 1.6 5.4 3.1 - -

구 분사육 마릿수(만 마리) 전월 대비 증감률(%)

11월 12월 익년 1월 12월/11월 익년 1월/12월

2014년 7,202 8,088 7,155 12.3 -11.5

2013년 7,040 7,649 6,920 8.7 -9.5

증감률(%) 2.3 5.7 3.4 - -

07)축산관측.indd 39 15. 2. 9. 오전 9:44

Page 5: Bayer Korea - 07)축산관측 · 2016-01-12 · • 미국산 닭고기 수입금지 조치에 따라 수입 닭고기가 국내산 닭고기로 대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5 01/0240

젖소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www.krei.re.kr)

9월 젖소 사육 마릿수 42만 9천 마리

•�9월�젖소�사육�마릿수는�42만�9천�마리로�전년동기

(42만�2천�마리)보다�1.6%�증가하였다.�착유우�마

릿수는�21만�마리로�전년동기와�비슷하였다.

•�젖소�사육�가구수는�5,717가구로�전분기(5,768�가

구)보다�0.9%�감소하였다.

3분기 배합사료 생산량은 전년 대비 증가

•�3분기�젖소용�배합사료�생산량은�33만�2천�톤으로�

전년동기보다�1.0%�증가하였다.

•�송아지용�사료는�전년동기�대비�4.0%�감소하였으

나,�착유우용�및�건유기용�사료는�전년동기�대비�각

각�2.2%,�6.8%�증가하였다.�건유기용�사료�생산량

의�증가로�향후�1세�미만�사육�마릿수�증가가�예상된

다.

2015년 3월 사육 마릿수 43만~43만 2천 마리 전망

•�1~3분기�젖소�정액혈통�증명�발급실적은�58만�스트

로우로�전년동기(55만�7천�스트로우)�대비�4.2%�증

가하였다.

•�정액�혈통증명�발급�실적을�바탕으로�젖소의�생산�잠

재력�지수를�산출한�결과,�1세미만�송아지�마릿수는�

증가할�것으로�보인다.

•�저능력우�도태는�증가하였으나�1세�미만�송아지�마릿

수가�증가하였고,�농가의�사육의향이�여전히�높아�사

육�마릿수는�증가할�것으로�예상된다.

•�12월�젖소�사육�마릿수는�전년동기보다�1.0~1.4%�

증가한�42만�8천~43만�마리로�전망된다.�2015년�

3월�사육�마릿수는�43만~43만�2천�마리로�전년�대

비�0.4~0.8%�증가할�것으로�전망된다.

<그림�1>�젖소�사육�마릿수와�착유우�마릿수�추이

<그림�2>�젖소�배합사료�생산량�변동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주: ’14년 12월, ’15년 3월은 농업관측센터 전망치자료: 통계청,「가축동향」

<표�1>�2014년�3분기�젖소�배합사료�생산량

주: 기타사료는 임신우, 종모우용 사료의 합계자료: 농림축산식품부

단위: 천 톤, %

구분 총 생산량 송아지용 착유우용 건유기용 기타사료

2013년 329.2 83.0 228.7 9.3 8.2

2014년 332.4 79.7 233.8 9.9 9.1

증감률 1.0 -4.0 2.2 6.8 11.0

07)축산관측.indd 40 15. 2. 9. 오전 9:44

Page 6: Bayer Korea - 07)축산관측 · 2016-01-12 · • 미국산 닭고기 수입금지 조치에 따라 수입 닭고기가 국내산 닭고기로 대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엘화학 41

젖소 산지가격 하락세(초임만삭우 기준)

•�젖소�평균�산지가격은�초임만삭우�기준으로�’14년�3

월�이후�하락세를�보이고�있다.�9월�이후�전년동기�

대비�가격이�낮게�형성되고�있다.�초임�만삭우�11월

(20일�기준)�평균�가격은�308만�원으로�전년�동월

(333만�9천�원)�대비�7.8%�하락하였다.

•�11월�젖소�평균�가격은�초유떼기(암송아지)가�7만�7

천�원으로�전년동월(6만�2천�원)�대비�24.6%�상승

하였다.

•�저능력우(노폐우)는�89만�3천�원으로�전년동월(86

만�7천�원)�대비�3.0%�상승하였다.

3분기 원유 생산량 전년동기 대비 6.2% 증가

•�3분기�원유�생산량은�54만�7천�톤으로�전년동기보다�

6.2%�증가하였으며�전분기�대비�4.1%�감소하였다.

•�계절성으로�전분기�대비�원유생산량은�감소하였으나�

여전히�원유�공급과잉�현상은�지속되고�있다.

•�유제품�수입량(원유�환산)은�44만�7천�톤으로�전년

동기보다�6.8%�증가하였다.�유제품�소비량(원유�환

산)은�97만�2천�톤으로�전년동기보다�3.1%�증가하

였다.

•�원유�생산량�증가로�분유�재고량도�증가세를�유지하

였다.�9월�분유�재고량은�14,970톤으로�전년동월보

다�151.0%,�전월�대비�0.7%�증가하였다.

<그림�3>�젖소�산지가격�변화�추이

주: 젖소 산지가격은 중개에 의한 농가 판매가격 기준 조사 자료로서, 매월 3회 전국 16개 지역 조사 자료의 평균가격자료: 농협중앙회

<표�2>�1세미만�송아지�마릿수�잠재력�추이

<표�3>�젖소�사육�마릿수�전망

주: 2014년 3월을 기준으로 연도별 자료를 지수화한 수치

주:’14년 12월, ’15년 3월은 농업관측센터 전망치자료: 통계청,「가축동향」

단위: 천 마리, %

구분 10월 11월 12월 익년 1월 익년 2월 익년 3월

’13년/’14년(A) 96.6 100.7 103.8 101.3 103.1 100.0

’14년/’15년(B) 103.7 105.3 104.1 103.7 104.5 102.1

증감률(B/A) 7.3% 4.5% 0.3% 2.5% 1.4% 2.1%

구분사육 마릿수 전분기 대비 증감률

9월 12월 익년 3월 12월/9월 익년 3월/12월

2013년 422 424 428 0.5 0.9

2014년 429 428~430 430~432 -0.1~0.4 0.0~0.5

증감률 1.6 1.0~1.4 0.4~0.8 - -

07)축산관측.indd 41 15. 2. 9. 오전 9:44

Page 7: Bayer Korea - 07)축산관측 · 2016-01-12 · • 미국산 닭고기 수입금지 조치에 따라 수입 닭고기가 국내산 닭고기로 대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육우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www.krei.re.kr)

9월 사육 마릿수 전년 동월보다 7.3% 감소

•�1세�미만�송아지가�전년보다�감소하여�9월�한육우�사

육�마릿수는�282만�마리로�전년�동월보다�22만�3천�

마리(7.3%),�지난�6월�287만�9천�마리보다는�5만�9

천�마리(2.0%)�감소하였다.�그�중�한우�사육�마릿수

는�273만�마리(전년대비�6.8%�감소)였으며,�육우�

사육�마릿수는�8만�8천�마리(21.4%�감소)였다.

•�가임�암소�마릿수는�116만�5천�마리로�전년�동기에�

비해�6만�9천�마리(5.6%)�감소하였다.�한육우�사육�

농가수는�11만�호로�전년�동기보다�2만�2천�호

(16.6%)�감소하였으며,�호당�사육�마릿수는�25.7마

리로�전년에�비해�2.6마리(11.3%)�증가하였다.

1~10월 배합사료 생산량 전년보다 4.5% 감소

•�사육�마릿수�감소로�올해�1~10월�한육우용�배합사

료�생산량은�2013년보다�4.5%�감소한�412만�5천�

톤이었다.�번식용�사료는�70만�1천�톤(8.5%�감소),�

비육용�사료는�342만�4천�톤(3.7%�감소)으로�나타

났다.

1~10월 한우 정액판매 전년보다 5.9% 증가

•�송아지�가격�강세로�번식의향이�높아져�1~10월�한

우�정액판매량은�2013년�152만�1천�스트로우보다�

5.9%�증가한�161만�1천�스트로우였다.

•�한우�정액판매를�이용하여�1세�미만�송아지�생산�잠

재력을�분석한�결과,�내년�3월까지�송아지�생산�마릿

수는�작년보다�적을�것으로�예상된다.�이러한�감소세

는�2015년�4월�이후에는�증가세로�전환될�전망이다.

<그림�1>�한육우�사육�동향

<그림�2>�한육우�배합사료�생산�동향

자료: 통계청,「가축동향」

주: 2014년 10월 한육우 배합사료 생산량은 잠정치자료: 농림축산식품부

2015 01/0242

<표�1>�송아지�입식의향�조사�결과

자료: 농업관측센터 표본농가 조사

단위: %

’13.12월 ’14.3월 6월 9월 12월

변경 없음 94.5 95.3 92.7 92.1 92.1

증가 1.0 1.1 2.2 1.3 1.5

감소 4.5 3.6 5.1 6.6 6.4

07)축산관측.indd 42 15. 2. 9. 오전 9:44

Page 8: Bayer Korea - 07)축산관측 · 2016-01-12 · • 미국산 닭고기 수입금지 조치에 따라 수입 닭고기가 국내산 닭고기로 대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우 농가 송아지 입식의향 높아져

•�표본농가�송아지�입식의향�조사결과,�송아지�입식을�

당초�계획보다�줄이겠다는�응답비율이�전분기

(6.6%)보다�낮은�6.4%로�나타났다�(표본농가�조사

결과).�최근�송아지�가격이�일시적으로�주춤하면서�

송아지�입식의향이�높아진�것으로�보인다.

•�향후�한우�가격이�높아질�것으로�예상하여�FTA�폐

업지원을�철회하는�경우가�일부�있는�것으로�조사되

었다(중앙자문회의�결과).�암소의�평균�산차수는�

3.3산으로�2013년(3.29산)과�비슷한�것으로�조사

되었다(표본농가�조사결과).

12월과 내년 3월 사육 마릿수 감소 전망

•�송아지�생산이�전년보다�감소하여,�12월�한육우�사

육�마릿수는�전년�동월�292만�마리보다�6.2%�감소

한�274만�마리로�전망된다.

•�올해�12월~내년�2월�송아지�생산�잠재력이�전년�동

기간보다�낮아�내년�3월�한육우�사육�마릿수�또한�전

년�동월�281만�마리보다�4.6%�감소한�268만�마리

로�전망된다.

1~10월 한우 등급판정 전년보다 2.7% 감소

•�암소�출하�감소로�1~10월�한우�등급판정�마릿수는�

77만�6천�마리로�2013년�동기간보다�2.7%�감소하

였다.�등급판정�마릿수�중�암소�비중이�49.5%를�기

록한�것은�소규모�번식농가�FTA�폐업�보상에�따른�

것으로�추정된다.

•��거세우�도축이�증가하여�한우�1등급�이상�출현율은�

2013년보다�3.1%p�상승한�64.4%였다.

<그림�4>�1세�미만�송아지�생산�잠재력�추이

<그림�3>�한우�정액�판매량�현황

주: 1세 미만 잠재력은 10개월(임신기간)전 12개월 누적 정액판매를 이용하여 해당 월의 송아지 생산 잠재력을 추정함.자료: 농업관측센터 추정치

자료: 농협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

바이엘화학 43

<표�2>�한육우�사육�마릿수�전망

주: 괄호 안은 전년 동기 수치자료: 통계청(2014년 12월과 2015년 3월은 농업관측센터 전망치)

단위: 천 마리

기간 송아지 생산 도축 마릿수 한육우 사육 마릿수

2014년 3~5월 276(291) 231(224) 6월 : 2,879(3,064)

6~8월 180(174) 268(245) 9월 : 2,848(3,043)

9~11월 100(108) 218(269) 12월 : 2,738(2,917)

2014년 12월~

2015년 2월133(139) 264(279)

2015년 3월 :

2,681(2,811)

07)축산관측.indd 43 15. 2. 9. 오전 9: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