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173 프랑스어문교육 29, 173-195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11. 30. 1. 서론 2. 문법성 교육의 필요성 3. 선행연구의 결과 및 논의 3.1. 문법성과 명사의 어미 3.2. 원어민의 문법성 습득 4. 문법성 식별 교육 5. 결론 프랑스어 명사의 문법성 * 1) - 식별방법 교육을 중심으로 - 강 수 영 (부산대학교) 1. 서론 Tucker, Lambert & Rigault(1977)는 프랑스어를 배우는 데 있어 가장 좌절감을 주는 부 분이 문법성genre grammatical이라 하였다. 생물명사nom animé의 경우, 자연성과 어긋 나는 것이 별로 없다. 과거 예외적인 명사로 흔히 거론되던 recrue(f), sentinelle(f)도 시대 가 바뀌어 군대가 남성들만 복무하는 영역이 아닌 이상, personne(f), victime(f)등과 함께 총칭적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할 뿐이므로 생소하기는 하여도 어려움은 없다. 그러나 한 없이 자의적으로 보이는 무생물 명사nom non-animé의 문법성은 비원어민, 특히 문법성 이 없는 모국어를 가진 학습자를 끊임없이 당혹스럽게 만든다. chemise(f), bière(f)는 여 성형인데 왜 pantalon(m)vin(m)은 남성형인지, 외견상으로 보면 뚜렷한 기준이 없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학습자가 문법성의 문제는 규칙의 지배를 받는 다른 언어학적 현상 과는 동떨어진 것이라 믿고, 명사별로 각각의 성을 암기하는 수밖에 없다는 결론에 이 른다. 그리하여 체계적 학습을 시도하려는 노력을 아예 포기한다. * 이 논문은 2007년도 부산대학교 인문사회연구기금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음.
23

프랑스어_명사의_문법성

Dec 02, 2015

Download

Documents

MinJeong Gu

프랑스 명사의 문법성 - 식별방법 교육을 중심으로-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프랑스어_명사의_문법성

173

프랑스어문교육 제29집, 173-195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11. 30.

1. 서론

2. 문법성 교육의 필요성

3. 선행연구의 결과 및 논의

3.1. 문법성과 명사의 어미

3.2. 원어민의 문법성 습득

4. 문법성 식별 교육

5. 결론

프랑스어 명사의 문법성*1)

- 식별방법 교육을 중심으로 -

강 수 영(부산대학교)

1. 서론

Tucker, Lambert & Rigault(1977)는 프랑스어를 배우는 데 있어 가장 좌절감을 주는 부

분이 문법성genre grammatical이라 하 다. 생물명사nom animé의 경우, 자연성과 어긋

나는 것이 별로 없다. 과거 예외적인 명사로 흔히 거론되던 recrue(f), sentinelle(f)도 시대

가 바뀌어 군대가 남성들만 복무하는 역이 아닌 이상, personne(f), victime(f)등과 함께

총칭적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할 뿐이므로 생소하기는 하여도 어려움은 없다. 그러나 한

없이 자의적으로 보이는 무생물 명사nom non-animé의 문법성은 비원어민, 특히 문법성

이 없는 모국어를 가진 학습자를 끊임없이 당혹스럽게 만든다. chemise(f), bière(f)는 여

성형인데 왜 pantalon(m)과 vin(m)은 남성형인지, 외견상으로 보면 뚜렷한 기준이 없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학습자가 문법성의 문제는 규칙의 지배를 받는 다른 언어학적 현상

과는 동떨어진 것이라 믿고, 명사별로 각각의 성을 암기하는 수밖에 없다는 결론에 이

른다. 그리하여 체계적 학습을 시도하려는 노력을 아예 포기한다.

* 이 논문은 2007년도 부산대학교 인문사회연구기금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음.

Page 2: 프랑스어_명사의_문법성

프랑스어문교육

174

프랑스어문교육 제29집, 173-195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11. 30.

성 식별상의 오류는 결코 사소한 것이 아니다. Surridge(1995)에 의하면, 원어민은 자

기 아이가 성을 부정확하게 사용하면 그대로 지나치지 않는다. 실제로 명사의 성 표지는

관사(le, la, un, une), 품질형용사(grand, grande), 대명사(il, elle, celui, celle), 지시형용사(ce, cette) 등 여러 곳에 나타나므로, 명사 하나의 성을 잘못 알면 몇 가지 실수를 동시에 저

질러 의사소통에 큰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만약 une petite pain(m)을 달라고 하면, 청자는 화자가 pain의 성을 잘못 알았을 것이라고 추론하든지 혹은 빵이 아닌 다른 물건

을 요구한 것으로 오해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문법성은 명사의 단순한 악세서리가 아니

며, 명사의 일부를 이루는 본질적인 요소로 평가되어야 한다. 물론 모든 프랑스어 학습서는 빠짐없이 문법성을 언급하지만, 명사와 형용사간의 일

치를 위한 형용사의 성 변화 규칙을 소개하는 것에서 그치는 경우가 흔하다. 일치를 제

대로 시키기 위해서는 명사의 성부터 제대로 가르쳐야 하는데도 학습자 스스로 식별방

법을 찾으라고 방치하는 셈이다. 그러나 이러한 관행은 더 이상 수용되기 힘들게 되었

다. 외국인은 프랑스어를 여러 해 배워도 말할 때나 글 쓸 때 오류를 범하는 일이 빈번

하다. 이에 반해 원어민 어린이들의 경우, Clark(1985)의 관찰에 따르면, 이들이 처음 단

어를 결합시켜 말하기 시작할 때는 관사를 빠뜨리지만 일단 관사를 사용하기 시작하면

실수하는 일이 드물고 3살 무렵만 되어도 거의 오류가 없었다. 이처럼 원어민이 아주

어릴 때부터 정확하게 성을 가려 쓸 줄 안다는 것은 온갖 종류의 명사와 접촉하는 과정

에서 자연스럽게 어떤 규칙을 터득하게 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Tucker et al.(1977)이 Petit Larousse 사전의 분석을 통하여 명사의 어미와 문법성 사이의 관계를

설명한 이후,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적극적 시도(Holmes & De La Bâtie 1999; Dewaele & Véronique 2001; Lyster 2006)가 계속되고 있다.

문법성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조사해 보면, 대부분 명사의 어미를 기준으로 수많은

규칙을 제시하고 있어서 학습자에게 큰 부담을 준다. 이와 같은 교육상의 문제점에 직

면하여 본고는 프랑스어 학습자와 교사에게 적절한 안내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침을 제

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문법성에 대한 별도의 교육이 필요함을 논의하고(제2장), 선행연구에 대한 비판적 분석(제3장)을 통하여, 실제 교실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

수방안을 모색할 것이다(제4장).

Page 3: 프랑스어_명사의_문법성

강 수 영

175

프랑스어문교육 제29집, 173-195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11. 30.

2. 문법성 교육의 필요성

원어민까지 때로 실수를 하는 것이 바로 문법성이다. 평소에 잘 사용하지 않는

amiante(m), caducée(m), camée(m), hémisphère(m) 같은 명사는 전문적으로 글쓰기를 하는

작가조차 여성형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있을 정도이니 비원어민 학습자에게 문법성 문

제가 얼마나 혼란을 초래할 것인지는 쉽게 짐작 할 수 있다. 문법성은 학습기간이 길어

지면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습득되리라 믿고 기다릴 수 없는 어려운 사항이다. 프랑스

어가 근본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아래와 같은 상황을 들여다보면, 왜 적극적으로 체계적

교육을 시도할 필요가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명사와 항상 함께 하는 한정사를 보면, 아래《표1》과《표2》처럼 문법성의 대

립은 오직 단수형에서만 표출된다.

《표1》

부정관사 정관사 부분관사

단수 복수 단수 복수 단수 복수

남성형 un des le les du des여성형 une des la les de la des

《표2》

단수 복수

남성형a l' /au

ce son

auxcesses

여성형à l' / a la

cette auxces

sa ses

Dewaele & Véronique(2001:276)에 따르면, 형용사의 경우 구어에서는 2/3가 성 대립을

나타내지 않으며, 글에서는 1/2로 감소된다. 따라서 이미 문법성을 알고 있는 상황이 아

닐 경우, 상대방과의 대화 중에 해당 명사의 성을 유추해 내는 순발력을 발휘하여 성공

Page 4: 프랑스어_명사의_문법성

프랑스어문교육

176

프랑스어문교육 제29집, 173-195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11. 30.

적인 의사소통을 이끌어나간다는 것은 기대하기 어렵다.동음이의어homonyme의 존재 또한 문법성 교육의 필요성을 입증한다. 프랑스어에는

문법성에 따라 의미가 바뀌는, tour, livre, manche, mode, poste 같은 종류의 동음동철이의

어homographe가 50쌍 가량 존재한다. père(m)/pair(m)/paire(f), cours(m)/court(m) /cour(f), maire(m)/mère(f)처럼 철자는 달라도 같은 발음에 다른 의미를 갖는 동음이의어homophone도 40쌍 정도 있다. 그중에는 사용빈도가 극히 낮거나, 문맥상 오해의 소지가 별로 없는

것도 있지만, gaze(f)를 사오라 했는데 gaz(m)를 갖고 오는 상황을 가정한다면 쉽게 지나

칠 수 없는 부분이다. 동음이의어에 속하는 것은 아니지만, 20여개의 남성 명사는 만일

여성으로 잘못 알고 정관사 la를 사용하면 상대방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다른 명사로 알

아들을 수도 있다. le compte/l'acompte, le fer/l'affaire, le vent/l'avant 등이 그런 예이다.비원어민 학습자를 더욱 혼란스럽게 하는 것은 화계niveau de langue와 지역에 따라

차이가 나거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 변하고 구문에 따라 명사의 문법성이 다른 경

우도 만나게 된다는 사실이다. 표준어로 엄연히 여성형인 auto, dynamo, toux를 남성형으

로, 이와는 반대로 남성형 augure, orage, ovale, ulcère, chrysanthème는 여성형으로 사용되

는 것을 속어langue populaire에서 볼 수 있다(Ball 2000:56). un bel orage /œb l a: / (une belle orage /ynb l a: / ), un mauvais augure/œm v zo yr/(une mauvaise augure /ynm v zo yr/ )의 발음을 예로 들어보면, 모음으로 시작하는 남성명사의 경우 선행하

는 형용사를 여성형으로 사용해도 발음은 마찬가지가 된다. 이런 명사의 경우, 정관사

가 와도 l'이라 성표지가 명백하게 드러나지 않으므로 속어에서 여성화하는 명사에 모

음으로 시작하는 명사가 많은 이유를 짐작할 수 있다. après-midi 역시, 형용사 bon이 앞에 올 경우 발음이 bonne로 들리다 보니 차츰 un bon

après-midi가 une bonne après-midi로 변하고 있다. 대부분의 사전이 명백한 실수임을 알

면서도 이와 같은 현상을 용인한다. 그 결과 오늘날 도처에서 Je vous souhaite une bonne après-midi! 라고 소리치는 것을 듣게 되었다(Julaud 2001:127). 이처럼 속어에서 잘못 쓰

이기 시작한 표현 중, C'est de la belle ouvrage.나 C'est une grosse légume.도 차츰 사용범

위가 넓어진 것이고, alvéole도 속어에서 여성형으로 쓰이다가, 요즘은 표준어에서 그대

로 자리를 잡았다.구어체langue familière에서 비슷한 형태의 명사들끼리 모아 문법성을 일치시켜 사용

하는 경우도 있다. interligne의 성을 ligne와 통일시켜, 그리고 hémisphère, bidonville를

sphère, atmosphère, ville에 맞춰 여성형으로 쓰는 것이다. 그 중 한때 공식적으로 남성형

이다가 cote와의 유추를 통해 여성형으로 전환한 entrecote같은 예는 결국 Bon Usage에

Page 5: 프랑스어_명사의_문법성

강 수 영

177

프랑스어문교육 제29집, 173-195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11. 30.

서 그대로 수용한 경우이다(Ball 2000:57). 프랑스 안에서 지역에 따라 명사의 성이 다를 수 있다는 사실 또한 비원어민 학습자

를 곤혹스럽게 한다. 아래 표는 Walter(1998:203)가 열거해놓은 명사 중, 우리가 일상생

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단어 몇 가지만 추려본 것이다

《표3》

Roussillon 지역 armoire (m) horloge (m) orange (m)

haricot (f) ongle (f) lait (f)

Agde 지역 cuiller (m) ongle (f)

Perpignan 지역 huile (m) haricot (f) lait (f) sel (f)

위에서 살펴본 상황으로 미루어 볼 때1), 명사의 문법성에 대한 인식과 식별 능력은, 프랑스어 학습의 초기 단계부터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길러줘야 한다.

3. 선행연구의 결과 논의

3.1. 문법성과 명사의 어미

Tucker, Lambert et Rigault(1970)가 Petit Larousse 사전의 26,725개 명사를 분석한 후

1) 이 같은 문법성의 복잡한 상황으로 인해, 일찍이 Sauvageot(1962:88)는 ‘프랑스어에서 명사

의 문법성은 큰 부담’이라 하 다. 또 교육받은 원어민조차 실수를 하고, 과거분사와 직접

목적보어간의 일치 등에서 성 구별을 잘 지키지 않는 사실에 주목하여, 성을 통한 구별은

차츰 약화될 것이라 예측한 바 있다. Dewaele & Véronique(2001:276)도 원어민이 빚는 오류

에 관해 언급하면서, 이런 현상을 현대구어프랑스어에서 성구별의 중화과정이 진행되는 증

거로 설명한다. Picardy지역에서 문법성을 구별하지 않고 정관사 le만 사용한다는 Hawkins (1993:71)의 증언 또한 이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인다. Roché(1992:114)가 신조어에서 남성

형의 비율이 훨씬 우세하며 외래어도 89%가 남성형이라는 통계 수치를 제시한 것으로 보아

도, 기존의 문법성 구별체계가 전면적으로 붕괴되어 가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Page 6: 프랑스어_명사의_문법성

프랑스어문교육

178

프랑스어문교육 제29집, 173-195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11. 30.

내린 결론에 따르면 ‘명사의 마지막 음소와 문법성은 체계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Surridge(1989)가 비원어민 학습자에게는 Petit Larousse 보다 기초 프랑스어 Français Fondamental에 속하는 명사가 보다 적합하다는 판단 하에 1,620개 명사를 추출하여 분석

한 조사 역시,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60%이상을 예측하는 음소와 해당 명사의 예를 보면《표4》, 음성정보가 프랑스어 학

습의 초보 단계에서는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게 된다.

《표4》

남성형 여성형

모음 자음 모음 자음

(90%이상) /œ/ un /ã/ plan / / pain /ø/ peu /o/ pot / / balai (80%이상) /u/ bout /a/ chocolat (70%이상) /y/ reçu

(90%이상) / / voyage(80%이상) /f/ œuf (70%이상) / / beurre

(60%이상) / / maison /i/ prairie

(90%이상) /z/ bise

(60%이상) /n/ peine /v/ rive /j/ paille / / tache /d/ bande /s/ chance / / ligne

위 표를 보면, 남성형 명사에는 모음 9개, 자음 3개가 포함되어 있는데 반해, 여성형

명사에는 반대로 자음의 수효가 8개, 모음이 2개라서, 대립적인 상황이 한 눈에 드러난

다. 그러므로 ‘대체적으로 남성형 명사는 모음, 여성형 명사는 자음으로 끝난다’는 사실

을 기본 상식으로서 갖출 수 있다. 일찍이 명사와 품질형용사간의 성수일치규칙을 배우

면서, 형용사의 여성형에 철자 -e를 첨가하는 것에 익숙해진 학습자는, 여성형 명사는

모음으로 끝날 것이라는 오해를 하기 쉽다. Sauvageot(1962:83)는 père(m), maire(m), frère(m)를 생각하면, 얼마나 그릇된 것인지 곧 알 수 있을 것 임에도 불구하고, 철자 -e

Page 7: 프랑스어_명사의_문법성

강 수 영

179

프랑스어문교육 제29집, 173-195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11. 30.

로 끝나는 명사를 여성형이라 가르치는 일이 흔하다고 통탄한다.평소 문법성에 조금이라도 관심을 가진 학습자라면, 어렴풋하게나마 음성어미의

향을 생각한다. 예를 들어 voyage의 끝자음 / /가 남성형을 가리킨다는 것을 경험상 알

게 된다. 실제로 위의 두 조사에서 / /로 끝나는 명사의 90%이상이 남성형이다. 그러나

cage, plage, rage가 여성형인 것을 기억한다면, 음성어미가 성을 식별할 때 과연 도움을

줄지 의심하게 된다.《표5》에서 보듯, 이처럼 소위 ‘음성규칙’이란 것을 따르지 않는

명사 중에, 사용빈도가 높은 것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2)

《표5》

여성형 음소로 끝나는 남성명사

bonbon, camion, champignon, dimanche, dix, douze, exercice, fauteil, fruit, jambon, jeudi, minuit, monde, parapluie, salon, soleil, travail, sommeil, lundi, mardi

남성형 음소로 끝나는 여성명사

cage, chaleur, couleur, craie, cour, dent, eau, faim, fenetre, fleur, fois, foret, gare, grammaire, histoire, langue, main, mer, mort, neige, page, radio, terre

Tucker et al.(1970)이 ‘모호한 어미terminaison ambiguë’라고 규정한 아래 4음소로 끝나

는 남성형 혹은 여성형 명사를 보면, 더욱 회의를 느낄 수도 있다.

《표6》

/p/ type (m) lampe (f) /t/ mythe (m) date (f) /l/ bal (m) balle (f) /e/ papier (m) année (f)

2장에서 언급한 동음이의어를 생각해볼 때, 동일한 음소로 구성되었어도 문법성이

다른 것을 보면, 음성정보만을 기준으로 식별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프랑스

2) 음소 /o/로 끝나는 명사는 93%가 남성형인데, photo(f), moto(f)는 여성형이다. 이처럼 일

상생활에서 흔히 접하는 예외적 명사 중에는 생략형이 많다. 여기서는 photographie(f), motocyclette(f)의 줄인 말이다.

Page 8: 프랑스어_명사의_문법성

프랑스어문교육

180

프랑스어문교육 제29집, 173-195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11. 30.

어에 유입되고 있는 차용어emprunt 또한 같은 상황이다. 스페인어, 이태리어에서 들어온

것은 원래의 성을 그대로 허용하고, 아랍어는 같은 의미를 가진 프랑스어 명사의 성을

따른다. 이에 반해 급증하는 어 차용어의 경우, Bénouis(1994:751)가 발췌한 예를 보면, 음성어미와는 아무런 연관성을 찾아볼 수 없고, 아랍어와 달리 의미의 유사성도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표7》

차 용 어같은 음성어미를

가진 프랑스어의 미

bang (m)business (m)gadget (m)gimmick (m)label (m)

mangue (f)finessse (f)gachette (f)mimique (f)la belle (f)

explosion (f)affaires (f)astuce (f)trouvaille (f)griffe (f)

한편 《표4》에서 남성형을 가리키는 음소로 지목된 / /의 경우를 보면, cœur, four, port같은 경우에는 들어맞지만, ouverture, peinture, grandeur, profondeur는 여성명사이다.《표6》에서 모호한 어미로 간주된 /e/가 접미사 -er, -ier로 끝나는 파생명사 cerisier, poirier 등에서는 항상 남성형이지만, -ée로 끝나는 matinée, année 등에서는 여성형을 유

지한다. 즉 음성규칙을 논할 때, 명사가 어떤 음소로 끝나는가에만 관심을 기울일 것이

아니라, 명사의 형태적 측면을 고려할 필요를 엿보게 하는 사실이다. 단순명사nom simple의 식별기준과 파생명사nom suffixé에 대한 접근방식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Surridge(1995: 35-37)는 접미사suffixe 뿐 아니라, 특정 접미사와 결합하는 어

간base의 종류까지 고려한 명사의 결합 형태를 39가지로 상세하게 나눈 후, 음성어미만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 다. 39가지 중, 11가지는 음성정보로 식별이 충분하지만, 28가지

는 형태정보를 필요로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부록1] 참조).3) 예를 들어 / /가 단순명

사의 성을 90%이상 식별하지만, 명사 혹은 동사와 /-a: /가 결합한 apprentissage, potage 등은 ‘언제나’ 남성형이라는 것이다.

3) [부록1]은 Surridge (1995:35-37)가 최소한 5개 이상의 예를 확인할 수 있는 18종류의 파생명

사만 기재한 것에서 다시 예를 줄인 것이다.

Page 9: 프랑스어_명사의_문법성

강 수 영

181

프랑스어문교육 제29집, 173-195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11. 30.

보다 더 신뢰할만한 수준의 문법성 식별 기준을 모색한 Lyster(2006)는, 우선 비원어

민 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한 자료를 찾고자 Le Robert Junior Illustré(RJ)(1994;1999)를 분

석대상으로 삼았다. 8살~12살 어린이를 위해 2만 단어를 수록한 이 사전에는, 지나치게

기술적 혹은 학술적인 단어, 희귀하거나 고풍스런 단어의 수가 Petit Larousse 보다 훨씬

적으므로, 외국인 학습자에게 합리적 규모라 판단한 것이다. 여기 수록된 9,961개 명사

를 분석한 후, 여성명사의 81%, 남성명사의 80%가 규칙의 지배를 받는다는 결론을 내

렸다. 그는 명사의 끝 음소만을 본 Tucker et al.(1970)이나 명사의 내부적 결합 형태를

분류한 Surridge(1989)와는 완전히 다른 분석방법을 선택했다. 명사의 마지막 음절 및 철

자를 분류하여 문법성 식별의 기준으로 삼은 것이다. Lyster(2006:87)는 발음은 같아도 철자가 다를 경우 문법성이 바뀌는 현상에 주목하

여, 전형적인 여성형과 남성형 철자어미를 구별하 다([부록2] 참조). 여기서 여성형 철

자어미를 가진 명사의 96%가 여성형, 남성형 철자어미를 가진 명사의 98%가 남성형 명

사로 나타났다. 그의 방식에 의거해, 음소 하나가 아니라 음절과 철자표현을 고려했을

경우, 식별력이 어떻게 달라지는가 보자. 우선 철자 -om, -ond, -ont, -on으로 대표되는 / /과 철자가 -ion인 /j /의 대립을 예로 들어본다. / /으로 끝나는 prénom(m), pont(m), salon(m)4)이 100% 남성형이고, station(f)처럼 /j /으로 끝나는 명사의 98%는 여성형으로

나뉜다. -ière /j : / 와 -ère / : / 도 마찬가지다. -ière는 lumière(f)에서 보듯 96%수준의 식

별력을 가진 여성형 어미인데 반해, mystère(m) fougère(f)로 인해 -ère는 불안정한 어미로

분류된다.《표4》의 음소군에 포함되지 못한 점에서 알 수 있듯, /e/는 53%가 남성형 명사에,

47%가 여성형 명사에 분포된 것으로 알려진, 가장 변별력이 낮은 음소이다. 그러나 음

절 수준으로 확장시키거나 철자 표현의 범위를 넓혀보면, -té, -ée (quantité(f), volonté(f), année(f))는 여성형을, /t/이외의 자음이 앞에 오거나(pavé(m), passé(m)) 발음 안 되는 자음

이 뒤따르는 경우(danger(m), pied(m)) 99.6%가 남성형이다. 또 음소 / , o/ , u/는 《표4》에

서 상당히 변별력이 큰 남성형 어미로 올라있다. 그러나 철자를 고려할 경우 사정이 달

라진다. 즉 -ai, -eu, -ou (délai(m), feu(m), bijou(m))로 끝나는 명사는 모두 남성형이지만, 철자가 -aie, -eue, -oue(haie(f), banlieue(f), boue(f))로 바뀌면 모두 여성형이다.

한편 Lyster(2006:87)가 분류한 철자어미 목록([부록2])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상당수

4) -on의 경우 maison(f), leçon(f), glaçon(m)처럼 철자 s와 ç가 앞서는 경우는 제외한다는 단서

가 붙는다.

Page 10: 프랑스어_명사의_문법성

프랑스어문교육

182

프랑스어문교육 제29집, 173-195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11. 30.

의 파생접미사 -esse, -eur, -ette, -isme, -elle, -age 등이 섞여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파

생접미사를 별도로 구별하지 않는 방식은 보다 일반적인 규칙을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elle, -ette를 접미사로 분류할 경우, passerelle(f), ruelle(f), devinette(f) statuette(f) 같은 파생명사의 문법성을 성공적으로 예측할 것이다. 그러나 만일 접미사로

대상을 제한하지 않으면, 훨씬 더 많은 수효의 여성명사를 포함할 수 있다. 단순명사

pelle(f), dette(f)도 한꺼번에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Surridge(1995:35)의 목록과 달리

대표적인 남성형 접미사라 할 수 있는 -ment이 포함되지 않고, -ent만 있는 부분도 눈여

겨볼 대목이다. 단순명사 talent(m)과 파생명사 déménagement(m)의 문법성을 동시에 효

과적으로 예측하는 것이다.이처럼 프랑스어 명사의 문법성 식별 문제에 있어 대표적인 Tucker et al.(1970),

Surridge(1989), Lyster(2006)의 연구를 고찰해보면, 자의적인 듯 보이는 현상을 규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사실이 비원어민 학습자에게 희망을 안길 수도 있다. 그러나 음소의

수효, 접미사의 종류 또는 방대한 양의 철자 표현으로 인한 학습 부담을 의식하게 되면, 상기 연구에서 제시된 목록을 그대로 암기하라고 요구할 수 없는 노릇이다. 그리고 규

칙을 벗어나는 예외적인 명사나, 동음이의어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 그렇다면 원어민 화자는 이러한 난관을 어떻게 헤쳐 나가는 것일까? 원어민을 대

상으로 문법성을 고찰한 선행연구에서 규칙으로 해결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한 보완책을

찾아보기로 한다.

3.2. 원어민의 문법성 습득

문법성의 식별 문제는 원어민과 비원어민간의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원어민은

외관상 별다른 노력 없이도 완벽하게 습득하는 듯한데, 비원어민은 너무 어려워서 거의

포기 할 지경에 이르며, 비원어민의 식별 능력이 원어민에 비해 뚜렷이 떨어진다는 것

은 주지의 사실이다. Holmes & De la Batie(1999)가 두 그룹을 비교한 조사에서, 비원어

민들은 프랑스어를 7년이나 배웠음에도 불구하고 그 누구도 예외적인 명사인가 아닌가

의 여부와 상관없이, 원어민 수준으로 구별하는 사람이 없었다. 이전에 Dumas, Swain, & Selinker(1973)가 프랑스어를 제2언어로 배우는 몰입교육 학급에서 시행한 조사와 마

찬가지 다. 그렇다면 원어민의 문법성 습득 혹은 식별 방법은 어떻게 비원어민과 다를

까?우선 Hardison(1992)이 비원어민 학습자가 어떤 방법으로 성을 구별하는지 살펴보기

Page 11: 프랑스어_명사의_문법성

강 수 영

183

프랑스어문교육 제29집, 173-195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11. 30.

위해 Indiana대학교의 프랑스어 초급과 중급과정 수강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결

과를 보면, 이미 알고 있는 명사 어미와의 유사성에 가장 큰 무게를 두고 문법성을 결정

한다는 것이다. 3.1.에서 언급한 규칙을 명시적으로 가르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자기 나

름의 방법을 모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원어민 역시 명사의 어미를 참조한다는 연구 결과가 여럿 나와 있다. Tucker et al.

(1977)은 ‘backward processing’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원어민이 마지막 음소에 초점을

우선 맞추고는 뒤로 -명사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돌아간다고 하 다. Karmiloff- Smith(1979)는 3~4세 원어민 어린이까지 명사 어미를 참조하여 음운규칙을 발전시킨다

는 주장을 하 다. Tucker, Lambert, Rigault & Segalowitz(1968)는 7~17세 원어민에게 고

립된 명사에 문법성을 부여하도록 했다. 프랑스어에서 허용되는 어간에 전형적인 어미

를 결합시켜 실제 존재하는 명사로 여길만큼 만든 후, 문법성을 물어본 것이다. coupaison 은 여성, florage 는 남성으로 분류했으나, 모호한 어미를 붙인 déboire 에 대

해서는 일관성 없는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겉으로 드러나지 않을 따름이지, 원어민은 문법성과 어미간의 규칙성에 대해 뚜렷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려 주는 증거

이다.그러나 원어민에게 있어 명사의 어미가 주는 정보는 부차적인 것으로 보인다.

Holmes et al.(1999)은 문법성 식별에 능숙한 원어민이 명사의 어미가 전형적이냐, 예외

적인 것이냐와 상관없이 양쪽 다 빠르고 정확하게 구별하는 것을 보고, 어미에 대한 지

식이 성 구별에 있어 1차적 기준은 아니라고 판단한다. 특히 위에서 언급한 coupaison , florage 같은 가짜 명사에 대한 대응방식을 보면, 원어민의 어미에 대한 의존도를 보다

정확하게 추리할 수 있다. 프랑스어를 배우는 어화자와 프랑스어 원어민이 문법성

식별의 정확도와 유창성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측정한 것인데, 어미가 규칙적 혹은

예외적인 진짜 명사와 가짜 명사에 대해 성을 구별해 볼 것을 온라인상으로 주문하

다. 명사의 어미에 기초한 규칙에 어느 정도 의존하는가를 비교하고자 철자를 볼 수 있

게 글을 매체로 사용한 것이다.결과를 보니, 비원어민은 어미에 기초한 규칙에 주로 의존했고, 진짜 명사보다 가짜

명사의 성에 대한 결정을 신속하게 내렸다. 이에 반해, 원어민은 비슷한 명사를 빨리 연

상해냈으며, 흥미로운 사실은, 진짜 명사에 비해 가짜 명사를 분류할 때, 시간이 더 걸

렸고, 성공률은 훨씬 낮았다는 것이다. 역시 어미 규칙에의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낮음

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에 대하여, Holmes et al.(1999)은 원어민이 명사를 동반

하는 한정사에서 먼저 정보를 얻기 때문이라고 풀이한다.

Page 12: 프랑스어_명사의_문법성

프랑스어문교육

184

프랑스어문교육 제29집, 173-195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11. 30.

프랑스어와 통사적 체계가 유사하지 않은 모국어를 가진 비원어민이라면, 명사와 한

정사를 별개의 어휘품목으로 간주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Carroll(1989)에 의하면 프랑

스어 화자는 말을 배울 때부터, 명사와 그에 수반되는 한정사를 한 덩어리로 생각하며

습득하므로 문법성을 명사에 내재한 속성으로 여긴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문법성에 관

해 별도로 교육을 받았을 비원어민과 달리, 원어민은 ‘남성’ 혹은 ‘여성’이라는 개념에

반드시 익숙해 있을 필요가 없다. 그들에게 명사만 따로 분리시켜놓고 문법성을 묻자, 알맞은 한정사를 채워 넣으라 했을 때보다 시간이 더 걸렸다(Desrochers & Paivio 1990)는 사실은 이러한 추정을 뒷받침한다.

따라서 Holmes et al.(1999)은 원어민에게 문법성을 알려주는 주요 정보원은 명사에

수반되는 한정사로서 성표지가 뚜렷한 단어들이라 하 다. 기본적으로 정관사와 부정

관사가 이러한 역할을 맡아, la maison, le jardin이 une maison, un jardin과 다름을 보여줄

것이다. 그 밖에 ma maison, mon jardin, une belle maison, un beau jardin이나, Cette maison, elle est belle. Ce jardin, il est beau. 처럼 성의 대비를 분명하게 보여주는 문맥과

끊임없이 접하는 환경 속에서 문법성을 깨우치는 것이며, 명사의 어미는 오직 부차적인

정보원 역할 밖에는 하지 못한다는 것이다.Carroll(1989)과 Holmes et al.(1999)의 주장이 맞는다면, 원어민에게 어떤 명사를 제시

하고 문법성을 물었을 경우, 그는 명사와 함께 오는 어휘를 우선 기억해내려 할 것이다. 만일 과거에 그 명사와 접했을 때, 성을 알려주는 정보가 충분하지 못한 환경이었다면, 식별작업이 다른 명사에 비해 어려울 것이다. 대부분의 명사에서 가장 접하게 연계되

는 단어가 정관사인데, 명사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경우, 정보 부족현상이 일어난다. l'escargot(m)와 l'escarole(f)의 예에서 볼 수 있듯, 정관사가 음운적으로나 철자로나 축약

이 되어, 문법성을 식별하는 표지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 실제로 Desrochers et al.(1990)의 실험에서 원어민이 자음보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명사의 성을 식별할 때, 어미가 규칙적인 것임에도 불구하고, 느리고 실수를 더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원어민이 이처럼 명사와 한정사를 한 덩어리로 습득하는 과정에서 거의 무의식적으

로 문법성을 배우는 것은, 프랑스어에 항상 노출된 환경이기에 가능하다는 점을 생각하

면, 교실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목표언어와 제한된 접촉 밖에 할 수 없는 비원어민 학습

자에게 동일한 방법을 기대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명사의 어미와 문법성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 규칙을 활용하면서 동시에 위에 언급한 원어민의 언어습관에서 보완책을

찾아보기로 한다.

Page 13: 프랑스어_명사의_문법성

강 수 영

185

프랑스어문교육 제29집, 173-195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11. 30.

4. 문법성 식별 교육 선행연구에서 드러난 현상을 토대로 교실 현장에서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식별교육

방안을 모색해보기로 한다. 모든 학습에서는 동기유발이 중요하므로, 우선 문법성 자체

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부추기고 자극해야 한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규칙이나 원어

민의 습득과정을 참조한 학습방법에 따라 충분한 훈련을 시킨 후에는,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성취도를 측정할 수 있는 확인단계를 반드시 거치도록 해야 하므로, 아래와 같

은 과정을 밟을 필요가 있다. (1) 의식단계

일상생활에서 빈번하게 접하는 명사, 20~30여개를 제시하고, 각 명사 옆 괄호 안에

남성형 (m) 혹은 여성형 (f)을 표기하도록 하는 간단한 퀴즈를 낸다. 정답을 주고 맞춰보

도록 하면, 대부분의 학습자가 명사의 문법성을 배워야 할 필요를 절감하게 될 것이다. 또 처음으로 접하게 되는 명사의 경우, 동일한 어미를 가진 명사의 성을 기억해내는 것

이 가장 빠른 길이다. 그러므로 비원어민은 명사의 어미에 상당히 의존적이라는 점이

알려져 있지만 더욱 명사의 어미에 주목하는 습관을 들이기 위해, 교재에 포함된 명사

의 어미를 짙은 색으로 강조한 인쇄물을 배부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만 하다. 그 명사들

을 문법성에 따라 나누어, 각기 남성형 명사와 여성형 명사를 기입한 목록을 별도로 작

성하게 한 후, 어미가 같은 것 끼리 그룹을 짓게 할 수도 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교재에는 없는 명사로서 같은 어미를 가진 일종의 최소대립쌍을

사전에서 찾아내어, 성이 같은지 여부를 검색하게 하는 방법도 시도할 만하다. 학습자

스스로 잡지의 기사를 발췌하여, 각각의 명사와 관련된 형용사, 관사 등의 한정사와 대

명사에 나타난 문법성 표지를 골라내도록 하는 것도 문법성을 의식하게 하는 길이다.

(2) 학습단계

3.1에서 언급한 Tucker et al.(1977), Surridge(1989), 그리고 Lyster(2006)의 분류는 지나

치게 상세하므로, 학습자는 필요할 경우 참조만 하는 것으로 충분하며, 교사가 주요한

부분을 골라 단순화시킨 규칙을 소개해야 할 것이다.명사의 어미에 관한 지식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부류 중에는 의미나 문법성 분포의

Page 14: 프랑스어_명사의_문법성

프랑스어문교육

186

프랑스어문교육 제29집, 173-195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11. 30.

경향을 고려하면 효과적으로 이해시킬 수 있는 것도 있다. 예를 들어, lundi(m)는 마지막

음소 /i/가《표4》에서 대표적 여성형 어미로 나와 있어, 음성규칙으로 보면, 예외적인

명사로 취급된다. 그러나 프랑스어에서 모든 요일, 달, 계절 명칭이 남성이라는 사실을

주지시키면, 동시에 수많은 명사의 성을 가르치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이처럼 음

성, 형태, 특히 철자, 그리고 의미규칙까지 네트워크를 이룬다는 점을 인식시켜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원어민이 명사와 한정사를 한 덩어리로 함께 습득하는 방식을 적극

적으로 모방해야 할 것이다. 정관사와 결합한 명사에 익숙해지도록 하는 것이 가장 간

단하면서도 뚜렷하게 식별력을 키우는 길일 수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드러난 바와

같이, 오직 자음으로 시작하는 명사로 그 효과가 제한되는 점을 감안하면, 정관사 이외

의 한정사와 형용사로 범위를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문어 뿐 아니라 구어에서도 성구별이 두드러지는 형용사를 골라, 다양한 한정

사와 함께 결합하여, 간략하되 의미가 있는 표현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mon petit chou, toute sa bibliothèque, un arbre vert, une école française 처럼 일상생활과 동떨어

지지 않은 표현이라, 학습자가 쉽게 쓸 수 있는 것이라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Surridge(1995:7)는 원어민 어린이들이 문법성을 배워나가는 과정을 보면, 형용사를

배우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고 한다. 일부러 가르치지 않아도 어릴 때부터

놀랄 만큼 정확하게 문법성을 식별하는 능력을 기르게 되는 것은 바로 형용사 덕분이라

는 것이다. 어린이들에게는 어떤 사물에 관해 설명을 할 때, 아주 상세한 묘사를 즐기는

언어습관이 있다고 한다. 그래서 단순하게 une voiture blanche라고 해주는 것보다 une belle grande voiture blanche 식으로 듣는 것을 좋아한다. 자연히 어린이 수준에 맞추어

일상생활에서 빈도가 지극히 높은 형용사를 사용하게 되는데, 아래 《표8》에서 보듯, 프랑스어에서 가장 빈번하게 쓰이는 형용사들의 특징 중 하나가 바로 글이나 말에서 남

녀성이 분명하게 구별된다는 점이다.

《표8》

grand/grande, petit/petite, beau/belle, bon/bonne, vieux/vieille,mauvais/mauvaise, important/importante, premier/premiere,dangereux/dangereuse, laid/laide, blanc/blanche, brun/brune,

위와 같은 사실로 미루어 볼 때, Surridge(1995:7)의 주장은 상당히 설득력이 있으며,

Page 15: 프랑스어_명사의_문법성

강 수 영

187

프랑스어문교육 제29집, 173-195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11. 30.

비원어민 학습자에게 이러한 형용사들을 명사와 함께 묶어 외우는 연습을 하라고 요구

하는 것은 음성이나 형태어미를 규칙화하여 외우라는 것보다 오히려 부담을 덜어 줄 수

있다. 역시 학습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을 제공하면 자주 쓰다가 그 안에 포함된

명사의 문법성을 자연스럽게 익힐 것이다. 모든 학습자에게 이미 익숙한 bonjour, bonne nuit, bonne année, bonne chance 등의 표현을 상기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이다.

이처럼 형용사를 배우는 과정에서 형용사와 똑같은 형태의 어미를 가진 명사의 문법

성을 식별하는 방법에도 관심을 기울이게 할 수 있다. Lyster(2006:86)에 따르면 우리는

nouveau, nouvelle 같은 형용사 남녀성의 차이에는 관심을 쏟으면서, 이와 똑같은 구조적

차이가 chateau(m), chandelle(f), 혹은 rideau(m), rondelle(f)같은 명사에는 어떻게 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비원어민 학습자 대부분이 형용사의 성

수변화에는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다. 그러므로 기존의 형용사 변화규칙을 다룬 교재를

이용하여 아래《표9》에서 보듯, 형용사의 어미와 명사의 어미간의 유사성을 설명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표9》

형용사 명사

남성 여성 남성 여성

cruelalpinsain

secret

cruellealpinesaine

secrète

seljardinpainjouet

pellecomptine

laineplanète

명사의 문법성이 반복적으로 드러나게 되는 1)지시대명사가 포함된 문장, 2)강조구

문, 그리고 3)주어 또는 목적어를 다시 받게 되는 의문문 등을 권장하는 것도 자연스럽

게 문법성에 관심을 갖도록 이끄는 길이다.

1) Moi, je préfère celle-ci à celle-là.

2) La maison, elle est belle et grande. Je la veux, la banane.

3) Est-ce qu'elle est chaude, la soupe? La pomme, est-ce qu'elle est bonne? Tu la veux, l'orange?

Page 16: 프랑스어_명사의_문법성

프랑스어문교육

188

프랑스어문교육 제29집, 173-195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11. 30.

3장에서 언급한 어떤 규칙으로도 설명할 길이 없어 비원어민 학습자를 절망에 빠뜨

리는 동음이의어도 한정사와 함께 간략한 표현을 외우는 길을 택할 수 있다. 동음이의

어 대부분이 단음절어이며 아래《표10》에서 볼 수 있는 숙어적 혹은 상투적 표현 속에

많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원어민 화자들이 동음이의어의 구별도 쉽게 하는 것은 이런

표현에 익숙하기 때문일 수 있다.

《표10》

la foi chrétiennele paté de foie gras

On est bien dans sa peau.Tu prends un pot?

Chacun à son tourOn se rencontre à la Tour Effel.

Mon(ton,son) pèreUne paire de souliers/gants

(3) 확인단계

문법성에 대한 지식이 얼마나 발전했는지 학습자 스스로 점검해 볼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처음에 사용한 것과 동일하거나 혹은 보다 더 많은 수효의 명사가 포함된 퀴즈를

풀어보게 함으로써 학습 이전과 이후를 비교해보도록 한다.명사의 문법성에 대한 단편적 지식에 머무르지 않고,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므로, 문장 단위로 확대시킨 검증도 시도해야 한다. 즉 명사에 동반

되는 다양한 한정사나 형용사에도 문법성의 표지를 정확하게 표기하는 수준에 도달했

는가를 봐야 한다. 예를 들어, 학습자에게 자신이 쓰던 물건을 파는 광고문을 작성해 보

도록 하되, 구매자가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수식어를 사용하여 세 한 묘사를

하라는 요구를 덧붙이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일년 중 가족의 생일 등 행사가 있는 날을 열거하라거나, 마당에 심고 싶은 나무

의 종류를 기록해 보라거나 하는 등의 과제를 부과함으로써, 의미에 따라 성을 식별할

수 있는 명사그룹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하는 등의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Page 17: 프랑스어_명사의_문법성

강 수 영

189

프랑스어문교육 제29집, 173-195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11. 30.

Dewaele et al.(2001)이 문법성 식별의 정확도와 프랑스어 학습기간의 상관관계를 살

펴본 통계에서는 유의미한 수치가 나오지 않았다. 그러나 프랑스어로 원어민과 의사소

통기회를 가진 빈도는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위에서 논의한 방법을

교실에서 적용하더라도 원어민과의 실질적이고 능동적인 접촉interaction authentique active 기회가 뒤따르도록 배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이다.

5. 결론

본고는 한국어 화자에게는 생소한 명사의 문법성으로 인하여 프랑스어를 배울 때 당

면하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교육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 다. 대표적인 선행연구

의 분석에 의하면 원어민은 기본적으로 명사와의 빈번한 접촉을 통해서 문법성을 바르

게 습득한다. 그러나 비원어민 학습자에게는 유사한 환경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다른 문

법사항을 습득할 때처럼 일차적으로는 규칙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프랑스어 전체 어휘

중 80%를 차지하는 단순명사의 경우, 음성규칙으로 상당수의 성을 알 수 있고, 나머지

명사와 기타 파생명사, 차용어 등의 경우에는 어간과의 결합양식, 어미의 철자를 고려

한 형태규칙에 의미규칙까지 적용한다면 문법성의 식별률을 제고할 수 있다. 이처럼

문법성 부여는 자의적인 것이 아니라 일련의 규칙을 통해 상당 부분 설명할 수 있는 것

이다. 《표5》와 같이 흔히 사용하는 명사에 예외가 많고, 규칙이 복잡하다는 점이 비판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프랑스어 문법책을 보면 대부분의 규칙에 예외 조항이 뒤

따른다. 예를 들어, -ail로 끝나는 travail, détail등을 복수형으로 만들려면 ‘-s'를 첨가하라

지만, 20개 명사 중 7개(35%)가 travaux처럼 된다. 이에 비하여 철자를 기준으로 문법성

을 설명할 경우, -ail로 끝나는 명사가 모두 남성형이라는 점은 문법성 식별규칙이 상당

히 체계적이라는 사실을 알려준다. 나아가 규칙으로 해결할 수 없는 부분은 4장에서 제

안한 원어민을 모방한 방식이 보완적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문법성 식별력을 훈련시키는 방법은 학습자가 누구인가에 따라서 그리고 어떤 목적

으로 프랑스어를 배우느냐에 따라 차이를 두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 제안한

방법이 한국인 학습자에게 얼마나 효과적일 수 있는가를 밝혀야 할 차후 연구는, 학습

자의 유형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예컨대 기능적인 용도로 특정분야에 국한된

프랑스어를 배우겠다는 성인학습자의 경우라면 필요로 하는 명사 부류에 따라서 어떤

Page 18: 프랑스어_명사의_문법성

프랑스어문교육

190

프랑스어문교육 제29집, 173-195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11. 30.

규칙부분을 강조할 것인지 차별화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학습자가 문법성에 대해 나름

대로 취해온 지금까지의 습득전략은 어떤 것이었는지를 미리 파악한다면 보다 나은 교

육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Ball, R. (2000) Colloquial French Grammar : A practical guide, Blackwell.Bénouis, M.(1994) Les épines du genre des noms : quelques cas particuliers, The French

Review 67:5, pp. 746-757. Carroll, S.(1989) Second-language acquisition and the computational paradigm, Language

Learning 39, pp. 535-594.Clark, E.V.(1985) The acquisition of Romance, with special reference to French, In Slobin,

D.(Ed.) The crosslinguistice study of language acquisition 1, pp.687-782.Desrochers, A., A. Paivio. & S.Desrochers(1989) L'effet de la fréquence d'usage des noms

inanimés et de la valeur prédictive de leur terminiaison sur l'identification de genre grammatical, Revue Canadienne de Psychologie 43, pp. 62-73.

Desrochers, A., & A. Paivio(1990) Le phonème initial des noms inanimés et son effet sur l'identification du genre grammatical, Revue Canadienne de Psychologie 44, pp.44-57.

Dewaele, J.-M. & D. Véronique(2001) Gender assignement and gender agreement in advanced French interlanguage : a cross-sectional study, Bilingualism : Language and cognition 4:3, pp. 275-297.

Dumas, G., M. Swain & L. Selinker(1973) L'apprentissage du français comme langue seconde en classe d'immersion dans un milieu torontois, Working Papers on Bilingualism 1, pp. 66-82.

Hardison, D.M.(1992) Acquisition of grammatical gender in French : L2 learner accuracy and strategies, The Canadian Modern Language Review 48, pp. 292-306.

Hawkins, R.(1993) Regional variation in France, in French Today, ed. by Sanders, C. pp.55-84, Cambridge University Press.

Holmes, V. & B. Dejean de la Batie(1999) Assignment of grammatical gender by native speakers and foreign learners of French, Applied Psycholinguistics 20, pp. 479-506.

Julaud, J.-J.(2001) Le français correct pour les nuls, First Editions.

Page 19: 프랑스어_명사의_문법성

강 수 영

191

프랑스어문교육 제29집, 173-195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11. 30.

Karmiloff-Smith, A.(1979) A Functional Approach to Child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Lyster, R.(2006) Predictability in French gender attribution: A corpus analysis, French Language Studies 16, pp. 69-92.

Roché, M.(1992) Le masculin est-il plus productif que le féminin?, Langue Française 94, pp. 113-124.

Sauvageot, A.(1962) Français écrit Français parlé, Larousse.Surridge, M.(1986) Genre grammatical et dérivation lexicale en français, Revue canadienne de

linguistique 31:3, pp. 267-284.Surridge, M.(1989) Le genre grammatical en français fondamental : données de base pour

l'enseignement et l'apprentissage, La Revue canadienne des langues vivantes 45:4, pp. 664-674.

Surridge, M.(1995) Le genre des homophones nominaux en français : Accidents de conservation et système créatif, The Canadian Modern language Review 51:2, pp. 305-322.

Surridge, M.(1995) Le ou La? The Gender of French Nouns, Clevedon.Tucker, R., A. Rigault, W.E. Lambert & N. Segalowitz (1968) A psychological investigation

of French speakers' skill with grammatical gender,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ur 7, pp.312-316.

Tucker, R., A. Rigault, & W.E. Lambert(1970) Le genre grammatical des substantifs en français : analyse statistique et étude psycholinguistique in Actes du Xe congrès des linguistes, pp.279-290.

Tucker, R., W.E. Lambert & A. Rigault(1977) The French Speaker's Skill with Grammatical Gender : An Example of Rule-governed Behaviour, Mouton.

Walter, H.(1998) Le français d'ici, de là, de là-bas, JC Lattès.강수 (1996) 불어명사의 문법적 성 식별에 관한 고찰 , 부산대학교 인문논총 49집,

pp.89-103.

Page 20: 프랑스어_명사의_문법성

프랑스어문교육

192

프랑스어문교육 제29집, 173-195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11. 30.

<Résumé>

Enseigner l’attribution du genre grammatical aux noms du français

KANG Sou-Yeung

Le genre grammatical en français pose des problèmes considérables aux locuteurs non-natifs. Le but de notre étude est de chercher à expliquer les indices de discernement du genre et de présenter les comportements des locuteurs natifs pour aider les apprenants du français langue étrangère à apprendre les genres.

Pour ce faire, d'abord, nous expliquons les difficultés suscitées par le genre afin d'évoquer la nécessité de l'enseigner explicitement. Puis nous examinons les données obtenues des études précédentes qui se concentrent sur la relation entre terminaison du nom et genre grammatical, et qui découvrent comment les natifs ma i trisent le système du genre des noms non-animés. Ensuite nous proposons quelques procédés d'enseigner le genre grammatical dans la classe.

On peut dire en guise de conclusion que l'attribution du genre n'est pas aléatoire. Elle résulte d'une série des règles gouvernant les genres. Les règles phonétiques sont d'une utilité indiscutable pour les noms simples. Pour les autres, il serait prudent de formuler les règles qui se basent sur des critères sémantiques, morphologiques ou orthographiques. Dans la majorité des cas, le choix du genre par les non-natifs se fonde sur ces règles. Mais l'acquisition du genre par les natifs semble s'appuyer essentiellement sur le méchanisme de discernement acquis par l'usage.

핵심어 MOT-CLÉ문법성 genre grammatical성식별 discernement du genre 성부여 attribution du genre명사어미 terminaison du nom(비)원어민 locuteur (non-)natif

Page 21: 프랑스어_명사의_문법성

강 수 영

193

프랑스어문교육 제29집, 173-195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11. 30.

투 고 일 2008년 9월 30일심사완료일 2008년 10월 27일게재확정일 2008년 11월 4일

Page 22: 프랑스어_명사의_문법성

프랑스어문교육

194

프랑스어문교육 제29집, 173-195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11. 30.

<부록1> Types of Nouns formed by Suffixation

(1) Verb + -ation, -ition, -ution, -tion/-ssion → feminine noun : admirer → admiration, supposer → supposition

(2) Adjective + -té, -ité → feminine noun : beau → beauté, égal → égalité(3) Adjective or participe + -ance,-ence → feminine noun : abondant → abondance, différent → différence

(4) Cardinal number + -ième → masculine noun : cinq → cinquième

(5) Verb + -ment → masculine noun : changer → changement, vêtir → vêtement

(6) Verb + -age, noun + -age → masculine noun : barrer → barrage, apprentis → apprentissage,

(7) Noun + -erie, -ie, verb + -erie → feminine noun : boulanger → boulangerie, parfumer → parfumerie

(8) Past participle + -e → feminine noun : allé → allée, pensé → pensée

(9) Verb (stem or past participle) + -ure → feminine noun : aller → allure, ouvert → ouverture

(10) Feminine form of adjective + -eur → feminine noun : blanche → blancheur, grande → grandeur

(11) Noun + -er, -ier → masculine noun : cerise → cerisier, citron → citronnier, poire → poirier

(12) Feminine form of adjective + -esse → feminine noun : délicate → délicatesse, polie → politesse, triste → tristesse

(13) Noun +-ette → feminine noun : camion → camionnette, char → charrette

(14) Verb stem +-sion → feminine noun : conclure → conclusion, décider → décision, diviser → division

(15) Noun denoting number + -aine → feminine noun : six → sixaine, douze → douzaine

(16) Verb stem + -oir → masculine noun : arroser → arrosoir, compter → comptoir

(17) Noun + -on → masculine noun : balle → ballon, carte → carton, veste → veston

(18) Noun + -ée → feminine noun : jour → journée, matin → matinée

Page 23: 프랑스어_명사의_문법성

강 수 영

195

프랑스어문교육 제29집, 173-195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11. 30.

<부록2> Typically feminine endings

Vocalic· -aie, -oue, -eue, -ion, -té, -ée, -ie, -ue

Consonantal· -asse, -ace, -esse, -èce, -aisse, -isse/-ice, -ousse, -ance, -anse, -ence, -once· -enne, -onne, -une, -ine, -aine, -eine, -erne· -ande, -ende, -onde, -ade, -ude, -arde, -orde· -euse, -ouse, -ase, -aise, -èse, -oise, -ise, -yse, -ose, -use· -ache, -iche, -èche, -oche, -uche, -ouche, -anche· -ave, -ève, -ive· -ière, -ure, -eure· -ette, -ête, -ète, -atte, -otte, -oute, -orte, -ante, -ente, -inte, -onte· -alle, -elle, -ille, -olle· -aille, -eille, -ouille· -appe, -ampe, -ombe· -igue

Typically masculine endings

Vocalic· -an, -and, -ant, -ent, -in, -int, -om, -ond, -ont, -on (but not after s/ç)· -eau, -au, -aud, -aut, -o, -os, -ot· -ai, -ais, -ait, -ès, -et· -ou, -oût, -out, -oux· -i, -il, -it, -is, -y· -at, -as, -ois, -oit· -u, -us, -ut, -eu· -er, -é after C (C≠t)

Consonantal· -age, -ège, -ème, -ome/-ôme, -aume, -isme· -as, -is, -os, -us, -ex· -it, -est· -al, -el, -il, -ol, -eul, -all·· -if, -ef· -ac, -ic, -oc, -uc· -am, -um, -en· -air, -er, -erf, -ert, -ar, -arc, -ars, -art, -our, -ours, -or, -ord, -ors, -ort, -ir, -oir, -eur (if animate)· -ail, -eil, -euil, -ueil -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