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인인인인 인인인인인 인인인인 212140024 인인인
27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Aug 08, 2015

Download

Design

ssarry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212140024오유진

Page 2: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건축 한옥의 용도 지붕 형식 평면과 형태 건축 특징 장신구 의상 조명

차례

Page 3: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건축

조선시대에는 유교적 검약주의의 표방으로 지나친 사치를 멀리하였기 때문에 큰 건축물을 짓는 것에 그다지 관심이 없었다 . 경복궁처럼 고려 왕궁인 만월대보다 면적이 컸던 경우에도 정전은 더 작게 지었으며 , 건축 영역 전반에 있어서 일반적으로는 보다 수수하고 규모가 작아졌다 .

▲[ 외부 ] 숭례문 ▲ [ 내부 ] 숭례문 청장 ( 홍예반자의 황룡 )

Page 4: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발표 설명숭례문조선시대 서울도성을 둘러싸고 있던 성곽의 정문으로 원래 이름은 숭례문이며 , 남쪽에 있다고 해서남대문이라고도 불렀다 . 현재 서울에 남아 있는 목조 건물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태조 4 년 (1395) 에짓기 시작하여 태조 7 년 (1398) 에 완성하였다 . 지금 있는 건물은 세종 29 년 (1447) 에 고쳐 지은 것인데 1961∼1963 년 해체 · 수리 때 성종 10 년 (1479) 에도 큰 공사가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문은 돌을 높이 쌓아 만든 석축 가운데에 무지개 모양의 홍예문을 두고 , 그 위에 앞면 5 칸 · 옆면 2 칸크기로 지은 누각형 2 층 건물이다 . 지붕은 앞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 형태를 하고 있는데 ,이러한 지붕을 우진각지붕이라 한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기둥 위부분에 장식하여 짠 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다포 양식으로 , 그 형태가 곡이 심하지 않고 짜임도 건실해 조선 전기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지봉유설』의 기록에는 ‘숭례문’이라고 쓴 현판을 양녕대군이 썼다고 한다 .지어진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있는 서울 성곽 중에서 제일 오래된 목조 건축물이다 .

조선시대 건축조선시대에는 유교적 검약주의의 표방으로 지나친 사치를 멀리하였기 때문에 큰 건축물을 짓는 것에 그다지 관심이 없었다 . 경복궁처럼 고려 왕궁인 만월대보다 면적이 컸던 경우에도 정전은 더 작게 지었으며 , 건축 영역 전반에 있어서 일반적으로는 보다 수수하고 규모가 작아졌다 . 특히 장식에 있어서는 상당히 절제를 많이 했는데 , 조선 건축에서 가장 높은 위상을 점하는 종묘도 장식과 단청을 극도로 단순하게 만들어 의도된 엄숙함을 보인다 . 이를 가칠단청이라고 하며 , 단청 중 가장 기초적인 것으로 단색의 특정 안료만 칠해놓은 단청이다 . 보통 가칠단청은 다른 단청을 칠하기 전 밑바탕으로 칠하는 용도로 많이 쓰는 단청이라 종묘를 비롯한 극소수 건물 외에는 찾기 힘들다 .

가칠단청 .또한 유교로 인한 강력한 신분사회는 가사제한령 등의 법을 통해 지배층인 양반의 가옥에조차 그 장식이나 재료를 엄격하게 제한했기 때문에 수수해질 수 밖에 없었다 . 건축을 포함한 문화 전반에서 금과 은 , 옻칠 등 사치스러운 물품에 대해 강력하게 금지하였고 , 이런 제약으로 인해 수백년간 장식에 대한 기술이 수요를 잃어버리고 괴멸적인 전란으로 인해 기술자가 손실이 되었기 때문에 많은 중세 건축 관련 장식 기술이 퇴보하였다 . 다만 조선시대가 매우 길었기 때문에 조선의 시기에 따라서 모습이 꽤 차이가 나는 부분이기도 하다 . 후기에 와서는 암암리에 풀어지는 모습이 나오기도 한다 . 그러나 공납의 폐단으로 인해 장인들의 수준과 의욕이 저하되는 것은 어쩔 수가 없었다 .조선 후기에 들어가면서 우리에게 익숙한 바닥 전체에 온돌을 깐 온돌방이 비로소 전국적으로 일반화되는데 , 이는 당시 소빙하기 도래로 인한 저온 현상과 관련이 있다 . 아무튼 이 온돌의 도입으로 인해 바닥의 무게가 어마어마하게 늘어나 중층 구조의 가옥이 사라지는 한 원인이 된다 . 또한 이 온돌은 , 아마도 , 땔감의 수요를 늘어나게 해서 쓸만한 재목을 사라지게 만드는 원인 중의 하나가 되었을 것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근대 이전의 거대 건축물들은 대부분 왕궁 혹은 종교적 건축물이다 . 그러나 이런 면에서도 조선은 굉장히 건축에 있어서는 좋지 못한 환경이었다 . 삼국시대를 지나 고려시대까지만해도 불교가 곧 국교였으며 , 도시 특히 수도에는 도심 한복판 이곳 저곳에 황룡사 , 흥왕사등과 같은 대형 사찰이 있었다 . 그러나 조선시대 이후로는 숭유억불 정책으로 절을 탄압하기 시작했으며 , 세조 사후로는 노골적인 절에 대한 압박과 심지어는 고의적인 테러까지 벌어졌다 . 심지어는 조선초에는 조선왕사라고까지 불렸던 회암사 역시 조선 중기 이후로는 몰락한다 . 때문에 현재는 거대한 사찰이나 왕궁 건축물 중 후대까지 전해지는 것은 극히 드물다 . 많은 전란으로 잿더미가 되어버린 것도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그러한 타버린 대규모의 사찰 , 특히 도심지 사찰들을 숭유억불정책을 시행한 조선에서 재건을 할 리가 없었기 때문이다 .

화방벽또한 목재가 부족해지다 보니 나무를 절약하면서 맞배지붕의 단점 ( 지붕이 보호하지 못하는 좌우 벽면에 비바람이 들이친다 .) 을 보완하기 위해 맞배지붕의 양 옆에 커다란 풍판을 달고 화재에 대해 저항력을 늘리기 위해 일반 벽 겉에 덧씌우는 화방벽이 출연하였고 , 기둥이나 추녀같이 긴 부재를 만들 때 길이가 다소 짧은 부재를 이어 만드는 모습이 보인다 .

Page 5: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_ 한옥의 용도

주거건축

좁은 범위의 한옥이 가지는 주거용 건축을 의미하며 , 크게 조선시대 서민들의 주택인 민가와 양반사대부들의 주택인 반가로 나눌 수 있다 . 전국토의 2/3 이 산으로 구성된 지형특성과 뚜렷한 사계절을 갖는 기후 , 풍수지리설의 영향 등으로 인해 , 한옥은 온돌과 마루시설을 기본으로 , 다양한 성격의 실들이 조합되어 있는 특색을 보여준다 . 또 , 건물과 마당으로 어우러진 배치가 다채롭다 .

유교건축

유교가 조선시대에 이르러서 정치 , 사회 , 문화 등 모든 분야에 걸쳐 중심이념이 되면서 이를 위한 유교건축이 발달하였다 . 사직단과 종묘 , 성균관 , 향교 , 서원 등이 대표적이다 . 이 중에서도 향교와 서원은 공부하는 곳과 제사를 지내는 곳이 함께 구성되어 있고 , 전국적으로 분포하기 때문에 한옥의 특징이 잘 드러난다 . 일반적으로 유교건축은 성리학의 미학 즉 절제와 명분에 따라 축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 장식을 줄여 검소하고 소박하게 지어졌다 .

불교건축

불교건축은 우리나라에 불교가 들어온 4 세기 이후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인 생명력을 가진 건축유형이다 . 따라서 시대별 , 지역별 , 사상별로 다양한 유형이 발전되었고 , 현재에도 많은 수가 남아있다 . 우리나라의 불교건축은 산악숭배 신앙 , 풍수지리 , 조선시대의 억불정책 등에 의하여 산지에 위치한 경우가 많다는 특징을 갖는다 . 불교건축은 고려시대에 융성하였고 , 조선시대 중기에는 종합적인 사찰 형식으로 변모하게 되었으며 후기에는 건물의 장식이 화려해지기 시작하였다 . 이들의 구성과 배치는 불교의 세계관이 표현되어 있어 다양하고 체계적이다 .

Page 6: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_ 지붕형식과 재료

팔작집

팔작이란 우진각집의 양쪽 측면 지붕 윗부분을 수직으로 잘라낸 모양의 지붕을 말한다 . 이 경우 , 수직처리 된 부분의 삼각형 모양을 합각이라고 한다 . 맞배지붕의 특징이 엄숙하고 경건한 느낌이라면 팔작지붕은 화려한 느낌을 준다 . 이렇듯이 가장 화려하고 장식적이기 때문에 궁궐과 불교건축의 중요한 건물에서 , 살림집에서는 안채 , 사랑채 등에서 많이 볼 수 있다 .

우진각집

마주보는 지붕 전후와 좌우 , 네 면 모두가 경사지붕으로 이루어져 있는 집이다 . 지붕 앞뒤에서 보면 사다리꼴 형태이고 , 측면에서는 삼각형 형태이다 . 우리나라에서는 격식을 크게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민가나 초가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

맞배집

지붕구조가 제일 간단한 형태로 , 마주보는 두 개의 지붕면이 있고 측면에는 지붕이 없는 대신 , 박공이라는 삼각형의 벽이 있다 . 보통 행랑 , 곳간 등의 간단한 건물 혹은 사당 건물에서 많이 보인다 .

Page 7: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_ 평면과 형태

지역마다 우리나라 한옥의 형태가 달라진다 . 추운 북부지방은 ㅁ자 모양 , 중부지방은 ㄱ자 모양 , 더운 남부지방은 一자 모양의 한옥이 지어졌다 . 기후와 우리 생활은 매우 밀접함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

홑집대들보 아래 방을 1열로 배치한 일 (一 ) 자형의 단렬형 가옥을 말한다 . 전 (田 ) 자형의 겹집에 비해 개방적인 구조로서 채광과 통풍이 유리하다 . 고온 다습한 여름에 유리한 가옥 구조로서 남서부 평야 지대에 분포한다 .

겹집곁집은 따뜻한 실내온도유지를 위해서 관북지방에서 주로 나타나는 폐쇄적인 가옥구조를 취한 형태이다 .

Page 8: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_ 건축 특징

가칠 단청

특히 장식에 있어서는 상당히 절제를 많이 했는데 , 조선 건축에서 가장 높은 위상을 점하는 종묘도 장식과 단청을 극도로 단순하게 만들어 의도된 엄숙함을 보인다 . 이를 가칠단청이라고 하며 , 단청 중 가장 기초적인 것으로 단색의 특정 안료만 칠해놓은 단청이다 . 보통 가칠 단청은 다른 단청을 칠하기 전 밑바탕으로 칠하는 용도로 많이 쓰는 단청이라 종묘를 비롯한 극소수 건물 외에는 찾기 힘들다 .

온돌

조선 후기에 들어가면서 우리에게 익숙한 바닥 전체에 온돌을 깐 온돌방이 비로소 전국적으로 일반화되는데 , 이는 당시 소빙하기 도래로 인한 저온 현상과 관련이 있다 . 아무튼 이 온돌의 도입으로 인해 바닥의 무게가 어마어마하게 늘어나 중층 구조의 가옥이 사라지는 한 원인이 된다 . 또한 이 온돌은 , 아마도 , 땔감의 수요를 늘어나게 해서 쓸만한 재목을 사라지게 만드는 원인 중의 하나가 되었을 것이다 .

풍판과 화방벽

풍판과 화방벽을 설치한 조선시대 건축물의 모습 . 사진의 건물의 화방벽은 기둥을 덮지 않고 용지판을 대 기둥과 화방벽을 구분한 것으로 , 화방벽이 기둥을 덮어 감싸는 완전밀폐형도 존재한다 . 이 경우 습기로 나무로 된 기둥이 썩는 것을 막기 위해 화방벽 아래쪽에 기둥의 목재 하단부 일부가 공기와 접촉하도록 작은 공기구멍을 뚫어 놓는다 .

Page 9: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_ 문양

▲ 내소사대웅보전 무늬 문살 ▲ 대적광전 꽃문양 무늬 문살 ▲ 기림사 낮 무늬 문살 ▲ 명정전 무늬 문살

▲ 금성관 꽃무늬 목재 문살 문양 ▲ 고건축 궁전 낮 단청 로우앵글 무늬 문양

Page 10: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_ 장신구

비녀신분에 따라 재료와 모양이 많이 달랐는데 , 금 , 은 , 진주 , 비취 , 산호 비녀는 주로 상류층에서 사용했으며 , 일반 서민은 나무 , 뿔 , 백동 , 놋쇠 비녀를 주로 사용했다 .

첩지부인이 예복을 입을 때 머리 위에 꾸며 품위를 돋보이게 하던 장식품의 하나인데 , 영조의 발제개혁 이후 얹은 머리 대신 쪽진머리를 하게 하고 여기에 족두리를 하게 한데서 시작된 것이다 .

떨잠일명 '떨철반자 ' 라고도 한다 . 의식 때 왕비를 비롯하여 상류계급에 한해서 큰머리나 어여머리에 꽂았던 장식품으로 원형 , 각형 , 나비형 등 여러 가지 모양이 있었으며 , 칧보 , 진주 , 보석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하여 만들었다 .

뒤꽂이쪽진머리 뒤에 덧꽂는 비녀 이외의 장식을 말하는데 , 끝이 뾰족한 단순한 뒤꽂이 이외에 실용적인 면을 겸한 귀이개 , 빗치개 뒤꽂이 등이 있었다 . 국화모양의 장식이 달린 것 , 연꽃 봉오리 모양을 한 것 , 매화 , 나비 , 천도 , 봉황 등의 모양을 장식한 것들이 있었으며 산호 , 비취 , 보석 , 칠보 , 진주 등을 사용하여 매우 화려하게 만들었다 .

빗치개가리마를 갈라 머리를 정제하는데 필요할 뿐만 아니라 밀기름을 바르는 도구도 되었다 . 대개 빗이나 빗접 , 면경 , 쪽집개 , 살쩍밀이 , 분통 등과 함께 경대에 간직해 두는 것이 보통이었으나 , 쪽진머리에 꽂아 머리를 장식하기에 알맞은 형태로 만들어서 사용하기도 했다 .

댕기머리를 묶는데 사용되는 헝겁으로 금박을 찍거나 수를 놓았고 , 옥이나 석옹황 등의 보석을 붙여 화려하게 만들었다 .

조선시대에는 복식에 대한 제약을 받아 장신구가 발달하지 못하였다 . 특히 유교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상고시대부터 전해져 내려오던 목걸이 , 귀걸이 , 팔지 등의 사용 습관은 거의 사라지게 되었다 . 아울러 금 , 은의 사용을 막았던 정책은 찬란하였던 우리의 금은 세공기술을 퇴보시켰다 . 그러나 머리장식이나 노리개 등은 다양하게 발달하여 조선시대 장신구의 특성을 이루었다

Page 11: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_ 장신구

귀걸이 귀고리는 귓볼을 뚫어 작은 고리를 꿰던 것으로 여자만이 아니라 남자도 조선시대 초기까지는 많이 유행하였다 . 그 후에 이 풍속이 오랑캐 풍습이라는 이유로 선조 때 고치게 하였으며 , 귀고리를 다는 풍습은 또한 ' 신체발부 수지부모 ' 라는 유교 윤리와도 어긋나는 것이었다 . 그래서 남자의 귀고리는 거의 자취를 감추게 되었으며 , 여자는 귓바퀴에 거는 것을 많이 사용했다 . 장식은 극히 단조로와 오색술을 달았고 , 의식때만 주로 착용하였다 .

지환 반지와가락지는 노리개와 더불어 조선시대때 가장 일반적인 장신구였다고 할 수 있는데 , 그 모양은 매우 단순했다 . 가락지는 2 개를 쌍으로 하여 금 , 은 , 비취 등으로 만들며 기혼부인이 사용했다 . 이 가락지는 기혼 , 미혼에 관계없이 일반 여인들간에 사용되었다 .

노리개 노리개는 저고리 고름이나 치마허리에 차는 부녀자들의 장신구로 다채로운 색상과 귀한 패물을 사용하여 단조로운 우리 나라 의상에 화려하고도 섬세한 미를 더해준다 . 노리개는 조선시대 여성의 장신구로서 전 시대에 많이 애용하던 목걸이나 귀걸이가 쇠퇴한 대신 가장 다양하게 발달한 장신구라 할 수 있다 .

Page 12: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_ 남성 의상

도포 (道袍 ) 사전엔 통상예복으로 입던 남자 겉옷으로 설명돼 있으며 , 임진왜란 후 문관의 평상시 웃옷으로 벼슬하지 않은 선비들의 예복이었다 . 실로된 띠를 띠며 집에있을 때는 관을 썼고 밖에 나들이 할 때는 갓을 썼다 .

심의 (深衣 ) 높은 선비 (학자 ) 들이 입던 웃옷을 말한다 . 흰 베로 두루마기 모양 만들며 소매를 넓게 하고 검은 비단으로 가를 둘렀음 . 큰 띠를 띠고 복건을 썼다 .

중치막 지난날 벼슬하지 않은 선비가 입던 웃옷 한 가지 . 길이가 길고 소매가 넓으며 앞은 두 자락 , 뒤는 한 자락이며 , 옆은 무가 없이 터져있음 . 큰 창옷 이라고도 하는데 선비와 상민이 입던 웃옷이었다 . 선비는 푸른 빛 , 상민은 흰색으로 신분을 구별하였다 .

두루마기 우리나라 고유의 웃옷으로 주로 외출할 때 입는다 . 옷자락이 무릎아래까지 내려온다 . 웃옷 밑에 받쳐 입는 옷이나 천민은 도포나 중치막을 법으로서 입지 못하게 하였으므로 두루마기를 웃옷으로 입었다 . 후에 도포와 중치막이 없어지면서 두루마기는 모든 사람들이 다 같이 웃옷으로 입었다 . 남자들의 대표적인 옷이다 .

창 (氅 )옷소창 (小氅 )옷의 준말로 중치막 밑에 입던 웃옷의 하나로 두루마기와 같되 소매가 좁고 무가 없음 . 그러나 중치막을 입지 못하는 상민과 천민들은 이 창옷을 웃옷으로 입었다 .

Page 13: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_ 남성 의상

도롱이 짚 , 싸리껍질 , 띠 따위를 엮어 허리나 어깨에 걸쳐 두르는 재래식 우장 (雨裝 ). 농군이나 어부가 두르는 우비일종으로서 녹사의라고도 한다 .

상복 (喪服 ) 상중 (喪中 ) 에 입는 예복으로 성긴 베로 지은 바느질을 곱게 하지 않았음 . 굵은 베로 만들었으며 치마를 두르고 제복을 입은 위에 머리엔 두건과 굴건을 쓰고 수질을 얹은 다음 상장을 짚는다 . 부상 (父喪 ) 에는 제복단을 하지 않으며 죽장을 짚는다 . 중단은 제복아래 입는 옷으로 외출할 때엔 중단만 입고 방립을 썼다 .

승려 (僧侶 ) 모 * 굴갓 - 승려 갓으로 노감투로서 받쳐 쓴다 .* 고깔 - 헝겊을 접어서 세모지게 만든 것으로 승려들이 썼다 .* 대삿갓 - 가늘게 쪼갠 대가지로 엮은 것이다 .* 송낙 - 소나무 겨우살이로 만든 것이다 .

Page 14: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_ 남성 의상

망건 , 관 , 건 등 *망건 - 상투를 틀 때 머리카락이 흘러내려오지 않도록 머리에 두르는 그물모양의 물건 . 말총으로 만들었으며 고급품은 곱고 윤이 흐르게 만들었다 .    관 (冠 ) - 관은 신분과 격식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며 문관과 선비들이 집에 있을 때 쓰는 데 정자관 (程子冠 ) 이 가장 널리 쓰였다 . 정자관이란 선비들이 평상시에 쓰던 말총으로 만든 관으로 위는 터지고 세 봉우리가 지게 두층 , 세층으로 되었다 . 상투관은 머리털이 적은 노인이 상투에 쓰는 관이다 .* 감투 - 탕건 (宕巾 ) 이라고도 하며 말총 (말갈기나 꼬리털 ) 으로 떴다 . 관인들은 망건위에 이를 쓰고 정식 관이나 갓을 썼다 . 탕건은 예전 벼슬아치가 갓 아래에 받쳐 쓰던 관으로 앞은 낮고 뒤는 높게 말총으로 만들었다 .* 건 (巾 ) - 헝겊 따위로 만든 쓰개의 총칭 . 쓰개란 머리에 쓰는 물건을 일컫는다 .

갓 , 패랭이 등 :* 갓 - 예전 어른이 된 남자가 머리에 쓰던 말총으로 만든 의관 (衣冠 ). 가는 댓개비로 만들어 검은 옷 칠을 하고 광택을 낸다 . 천민을 제외한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사용하던 쓰개였다 . * 갓모 - 갓모는 궂은 날 우비로 갓 위에 씌우는 유지로 만든 모자다 .* 패랭이 - 가는 댓개비로 만든 갓 모양의 쓰개인데 , 신분이 낮은 천민과 상제가 썼다 . 역졸은 검은색을 쓰고 보부상은 갓 끈을 꿰어 단 꼭대기에 목화송이를 얹어 썼다 .      * 초립 (草笠 )- 왕골이나 누른 풀로 엮어 만든 갓인데 관례한 ( 어른이 되는 ) 소년이나 별감 ( 관청에 딸린 하인 ) 등이 썼다 . 

먹장삼 , 가사* 먹장삼 (長衫 ) - 검은 물을 들인 장삼 . 검은 비단이나 베로 짓는다 . * 가사 (袈裟 )- 어깨에 메는 (왼쪽어깨에서 오른 쪽 겨드랑이 밑으로 걸쳐 입는 ) 법의 (法衣 ) 로 종파에 따라 그 빛깔과 형식을 엄격히 규정하고 있음 . 즉 먹장삼을 입고 가사를 메는 차림은 승려의 정장이다 .

Page 15: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_ 여성 의상

삼회장 (三回裝 ) 여자 저고리 중 깃 , 겨드랑이 , 소맷부리 (끝동 ) 에 대는 회장을 말한다 . 저고리 색깔 과 다른 빛깔을 냈으며 고름도 같은 자주 색깔을 댔다 .

배자 (褙子 ) 마고자 (저고리에 덧입는 방한복의 하나로 깃과 고름이 없고 앞을 여미지 않음 . 대개 비단으로 만들어 호박 등의 단추를 닮 .) 모양으로 되고 소매가 없는 덧저고리 . 여자들의 털옷 일종이다 . 팔 소매가 없으며 맵시가 있어 젊은 여자들이 즐겨 입는다고 소개돼 있다 .

여자 평상복 ( 한복 ) 평상시 부녀자들은 치마와 저고리를 입었다 . 저고리 깃과 끝동에만 다른 빛깔을 댄 것을 반회장이라고 했다 . 삼회장이나 반회장은 다 젊은 부녀 (婦女 ) 가 입으며 나이 많은 부녀들은 저고리 끝동과 고름만 다른 빛깔로 한다 . 치마는 폭이 넓고 긴 것을 숭상하고 , 일할 때는 휩싸 걷어서 치마끈에 꽂거나 중둥끈에 둘러매기도 하고 행주치마를 입었다 . 머리를 얹는 것은 17 세기 초엽 이전에는 보편적이었으나 그 후에는 향촌에서만 오래도록 계속했다 .

Page 16: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_ 여성 의상

장옷 ( 장의 /長衣 ) 여자가 나들이 할 때 얼굴을 가리기 위해 머리에서부터 길게 내리쓰던 옷 . 이는 15 세기 중엽부터 여자들이 밖에 나갈 때 사용했다 . 소매 끝에 한삼을 대고 자주고름을 단 두루마기다 . 서민부녀들이 썼다 . 

쓸치마 여자들이 바깥에 나갈 때 머리와 얼굴을 가리는데 가장 간편한 도구로서 치마를 썼다 . 

너울 15 세기부터 여자들이 외출할 때 머리에서부터 어깨까지 내려쓰는 폐면구이다 . 흔히 사 (紗 /얇고 가벼운 비단의 하나로 여름옷감으로 많이 쓰였다 .) 로써 만들었다 . 두꺼운 비단으로 만들 때는 눈 닿는 데만 사 (紗 ) 를 댔다 . 흑색은 높은 신분을 , 청색은 낮은 신분을 표시했다 .

Page 17: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_ 여성 의상

여자 신발 여자 가죽신은 신의 코와 모양이 남자 것과 다르고 빛깔과 무늬가 더욱 화려하다 . 당혜 (唐鞋 ) 는 화려한 신발 중의 하나로서 비단 울을 하기도 한다 . - 당혜 란 가죽신의 하나로 울이 깊고 코가 작으며 앞코와 뒤에 넝쿨풀 무늬 ( 당초문 ) 를 새겼음 . - 짚신이나 나막신은 모양이 더욱 아름다우며 모양과 조각 등에 의해 구별된다 .   

토수 (토시 /투수 )와 버선 토수와 버선은 신분에 관계없이 남녀노소가 함께 사용했다 . 팔뚝에 끼어 추위를 막는 제구로 한 끝은 좁고 다른 한 끝은 넓게 만들어졌다 . 토수는 팔목을 드러나지 않게 끼는 것으로 계절에 따라 봄 , 가을에는 겹 토수 , 누비토수를 꼈고 , 겨울에는 솜 토수 , 털 토수를 꼈다 . 버선은 속버선과 겉버선이 있다 .

머리 수건 향촌 ( 시골마을 ) 여자들은 머리 수건을 썼다 . 그림들은 평안도 , 황해도 , 함경도 지방여자들의 머리 수건이다 .  

난모 그림과 같이 여자 난모는 여러 가지가 있었다 . 남바위 (추울 때 머리에 쓰는 방한구 하나로 , 앞은 이마를 덮고 뒤는 목과 등을 내리 덮었다 .)와 조바위 ( 여자 방한모의 하나 )와 아얌 (겨울에 부녀자들이 나들이 할 때 춥지 않도록 머리에 쓰는 물건으로 머리만을 가리고 털을 넓게 붙여 뒤에 댕기를 늘이었다 .) 이 있다 .풍차 (風遮 ) 는 남자가 겨울에 추위를 막기 위해 볼을 가리고 머리에 쓰는 두건의 한가지다 .

Page 18: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_ 아동 의상

어린이 색동옷 여자애는 조바위를 쓰고 당혜를 신었다 . 남자애는 복건을 쓰고 전복을 입는다 . 신은 태사 (太史 )혜 / 신을 신었다 . 태사신이란 남자 신으로 울을 헝겊이나 가죽으로 하고 , 코와 뒤에 선문 (線紋 ) 을 새겼다 . 

아동복 머리가 땋을 만큼 길지 못했을 때는 도투락댕기를 드렸다 . 도투락댕기란 어린 계집아이가 드리는 자주 빛 댕기를 말한다 . 어린 아이들은 돌띠 저고리를 입는다 . 

색동 돌띠 두루마기 아이들이 입는 두루마기는 색동을 달고 무를 다른 빛깔을 대고 고름도 다른 빛깔로 길게 하여 돌려 맨다 . 바둑판 머리를 땋는 아이는 굴레를 쓴다 .

Page 19: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_ 가구

반닫이는 가구로 쓰는 나무 궤이다 . 대개 앞면 위쪽 반을 문짝으로 하여 아래로 잦혀 여닫기 때문에 반닫이라 부른다 . 그러나 드물게는 위판의 절반을 여닫는 문으로 만든 반닫이로 있다 . 옷이나 옷감을 넣기도 했지만 주로 여자가 지니는 귀중품이나 살림에 필요한 용구들을 넣어 두었다 . 잔치에 필요한 여분의 그릇이나 제기를 보관하기도 했다 . 또 , 반닫이는 생산 지방에 따라 모양과 특색이 다르다 .

▲ 반닫이 세부 명칭 ▲ 반닫이 종류

Page 20: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_ 가구

서안서안은 선비가 책을 읽거나 글을 쓸 때 사용하던 책상이다 . 선비는 앉은 자리 앞에 서안을 두고 그 옆에 벼룻집 , 문서를 넣어 두는 문갑 , 붓을 꽂아 두는 필통 , 두루마리 종이를 꽂는 지통 등을 갖추어 놓고 글을 읽고 썼다 . 원래는 절에서 불경을 올려놓던 것이었는데 점차 일반 가정에서도 쓰게 되었다 . 지체 있는 집에서는 안방에도 서안을 두었다 .

경상경상은 서안의 한 종류로 당나라와 송나라 양식을 받아들인 책상이다 . 그러나 우리나라 사람의 기호와 생활형편에 맞게 고쳐져 중국의 것보다 훨씬 모양이 아름답고 세련된 민속 예술품이 되었다 . 특히 경상의 다리 장식과 서랍 장식 , 가장자리 꾸밈에 나타난 세공미가 뛰어나다 .

Page 21: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_ 가구

사방탁자 , 갤러리현대 소장사방탁자의 뼈대는 가늘면서도 튼튼해야 했기 때문에 질이 강한 배나무나 참나무를 쓰고 , 판자는 가벼운 오동나무나 소나무를 썼다 . 아래층 장은 문갑을 만드는 자료인 먹감나무나 느티나무로 만들었다 .

 책가도 , 가회민화박물관 소장장이란 농장 ·옷장 ·찬장처럼 물건을 넣어두는 나무 상자를 말한다 . 장은 물건을 탁자 선반에 얹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상자에 넣어서 갈무리하기 위해 붙여 두었다 . 장은 양옆과 뒤가 막혀 있고 , 앞쪽에 여닫이문 두 쪽을 달았다 . 여기에 놋쇠장석을 박고 놋쇠 돌쩌귀를 박았다 . 놋쇠 문고리도 달려 있어서 자물쇠를 채울 수 있다 . 여닫이 위에는 예쁜 손잡이가 달린 작은 여닫이 두 개를 두었다 .  간결한 구성과 쾌적한 비례로 좁은 한옥 공간을 시원하게 보이는 효과를 주는데 , 이러한 단순함이 주는 아름다움 때문에 현대적 감각에 가장 가까운 가구로 평가받는다 .

Page 22: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_ 가구

이층장 , 신구대학교 우촌박물관 소장머릿장은 머리맡에 놓아두고 자주 쓰는 작은 물건을 넣어 두는 가구다 . 단층으로 되어 있고 부피가 작다 . 이층장 ·삼층장은 주로 옷을 넣어두는 가구다 . 삼층장은 손을 뻗힌 높이 정도다 . 아래쪽에는 공기가 드나들 수 있게 네 개의 다리를 붙여 놓았다 . 의걸이 장에는 옷을 거는 횃대가 있어서 두루마기나 도포같이 길이가 긴 옷을 걸어 두었다 .

이층장 , 신구대학교 우촌박물관 소장농은 한 층 한 층 따로 된 것을 포개어 놓을 수 있는 가구다 . 대개 삼층장보다는 작으며 몸체를 포개면 하나로 이어진다 . 위에 몸체보다 약간 넓게 지붕이 씌워져 있는 점이 장과는 다르다 . 농에도 이층농 , 삼층농이 있다 . 아래쪽에는 공기가 잘 드나들게 따로 다리가 있는 받침을 만들어 놓았는데 이것을 농다리라 한다 . 이와 같이 장과 농은 모양이 비슷하고 쓰임이 같다 .

이층지장 , 신구대학교 우촌박물관 소장장롱의 재료로는 오동나무가 많이 쓰였는데 가볍고 뒤틀리지 않기 때문이다 . 오동나무로 만든 장롱을 특히 ' 오동장롱 ' 이라 하여 귀하게 여겼다 . 이러한 고급가구에는 놋쇠나 백동으로 된 장석을 붙였다 . 광채가 나는 자개로 무늬를 농은 자개농은 비싼 값에 팔렸고 , 화초장은 화초무늬를 넣은 장롱으로 뛰어난 목공예품이었다 .

머릿장 , 부산박물관 소장이불장은 이불과 베개 등을 포개어 두는 가구다 . 이 밖에 버선을 넣어 두는 버선장 , 수를 놓는 수실과 바느질실을 넣어 두는 실장 , 의복에 놓은 솜을 넣어 두는 솜장이 있다 . 버선장과 실장 ·솜장은 대개 이층으로 구성되고 , 작고 아기자기한 가구다 .

Page 23: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_ 가구

경대는 거울이 장치된 화장대다 . 좌경이라고도 한다 .

경대 ,  신구대학교 우촌박물관 소장옛날의 경대는 오늘의 경대와는 모양이 달랐다 . 거울에 두 개의 기둥과 발을 달아 거울 면을 조종하게 만든 것도 있었지만 화장품 통에 거울을 접어 넣는 것이 많았다 . 이런 경대는 겉보기에 직사각형으로 된 상자처럼 보이고 뚜껑을 열면 거울이 있다 . 거울은 테가 있는 액자 모양이며 경대 몸체에 붙어 있어 눕혔다 일으켰다 할 수 있다 .

경대 ,  신구대학교 우촌박물관 소장 경대 뚜껑은 거울을 세울 때 뒤를 받쳐 주는 일을 했다 . 부녀자가 화장을 할 때는 경대 뚜껑을 열고 거울을 일으켜 경대 뚜껑을 받쳐 비스듬히 세운 다음 얼굴을 비추어 보았다 . 거울을 눕혀 두는 아래쪽에는 서랍이 한두 층 있었는데 그 안에 빗 ·빗치개 · 비녀 등 화장 도구와 분 · 연지 등 화장품이 들어 있다 . 경대는 여자 용품이었으므로 뚜껑과 장석 , 손잡이 고리 등에 꾸밈이 많았고 , 자개를 박은 경대도 있었다 .

Page 24: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_ 조명

등잔 ,  신구대학교 우촌박물관 소장 전기가 없던 옛날에는 등잔에다 불을 켰다 . 일반 가정에서는 작은 접시를 등잔 그릇으로 사용했다 . 불을 밝히는 연료로 쓰이는 것은 아주까리 (피마자 ) 기름 , 들깨기름 , 참기름 , 산초기름 , 목화씨기름이 등이었다 . 심지가 다 타면 불이 가물가물하며 꺼지려고 하는데 , 이때 심지를 등잔가로 끌어올린다 . 이것을 ' 심지를 돋운다 ' 고 표현한다 . 등잔불을 켤 때는 하룻밤 동안 여러 번 심지를 돋우었다 .  조도를 높이려면 심지를 두개 또는 그 이상으로 하여 불을 켜면 되는데 , 이렇게 하는 것을 쌍심지라 한다 .등잔 , 신구대학교 우촌박물관 소장재료에 따라 목제 ·토제 · 대리석 · 백자 · 사기 ·놋쇠 ·철제 따위의 등잔이 있다 . 여기에 한지 ·솜 · 마사 (麻絲 )1 등으로 심지를 만들어 기름이 배어들게 하여 불을 켠다 . 등잔의 기원은 언제부터인지 확실하게 근원을 밝히기는 어려우나 , 삼국시대의 발굴품 중에서 각종 형태의 등잔들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이미 그 이전부터 있었음을 추정 할 수 있다 .

Page 25: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_ 조명

1876 년 이후 일본에서 석유가 들어왔다 . 왜국에서 들어왔다 해서 처음에는 석유를 왜기름이라 했다 . 왜기름 석유가 등유가 되자 등잔 대신 호롱이 나왔다 . 

제등제등은 들고 다니는 등기구로 , 휴대용으로 사용되었다 .

호롱호롱은 대부분 사기로 만들었다 . 호롱은 석유를 담는 호롱 그릇과 호롱꼭지로 이루어져 있다 . 호롱그릇에는 석유를 담고 호롱꼭지에는 헝겊이나 여러 겹의 실로 심지를 만들어 꼭지 구멍에 끼웠다 . 그런 다음 심지를 석유에 담그고 호롱꼭지에 불을 켰다 .호롱불은 등잔불보다 밝지는 않았으나 성가시지 않고 편리했다 . 더러 호롱그릇이 깨지면 헌 잉크병을 대용하기도 했다 . 등잔이 호롱으로 바뀌고 나서 등잔걸이 모양도 호롱을 놓기에 알맞게 바뀌었다 . 시골에서는 30 년 전까지도 호롱불을 켰다 . 농촌 어린이는 어두운 호롱불 밑에서 숙제를 했다 . 호롱불보다 더 밝은 등불이 필요한 집에서는 남포등을 켰다 .

남포등1970 년대로 접어들면서 대부분 양초를 애용하고 있어 전통의 등잔은 거의 자취를 감추어 버렸다 . 

Page 26: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_ 조명

촛대 신구대학교 우촌 박물관 소장

Page 27: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조선시대 _ 방 구조

▲ 조선시대 안방 재현 1,  신구대학교 우촌박물관 ▲ 조선시대 안방 재현 2, 신구대학교 우촌박물관 ▲ 조선시대 사랑방 재현 , 신구대학교 우촌박물관

▲ 영화 < 황진이 > 속 자개농의 모습 ▲ 영화 < 관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