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서서서서서서서 POST TOWER 210140010 서서서
10

210140010 강민지 12주차 수시과제

Feb 22, 2017

Download

Documents

Minji Kang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210140010 강민지 12주차 수시과제

서울중앙우체국

POST TOWER

210140010 강민지

Page 2: 210140010 강민지 12주차 수시과제

1. 건축개요- 건물명 : 서울중앙우체국 청사- 위 치 : 서울시 중구 충무로 1 가 21-1- 연면적: 72.049 ㎡ (21,800 평 )- 규 모 : 지하 7 층 , 지상 21 층- 구 조 : 철골 철근 콘크리트- 기준층 : 14 층 기준 바닥면적 - 2,000 ㎡ 층고 4,1m ( 천정고 2.7m)- 주용도 : 공공업무시설- 건축설계 : ( 주 ) 공간건축

Page 3: 210140010 강민지 12주차 수시과제

2. 작가소개 및 대표작( 주 ) 공간건축 – 김수근1931 년 서울생1950 년 경기중학교 6 년 졸업1951 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과 2 년 중퇴 - 일본으로 밀항1958 년 일본 동경 예술대학 건축학과 졸업일본인 미찌꼬 ( 김도자 ) 와 결혼1960 년 일본 동경대학 대학원 석사학위 취득국회의사당 건축현상설계 1 등 당선1961 년 김수근 건축연구소 개소홍익대학교 조교수" 워커힐 " 설계 및 설계위원1962 년 일본 동경대학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자유센타 " 설치위원회 건축분과위원장1966 년 월간 종합문예지 " 공간 " 창간1968 년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대표이사1974 년 국토건설종합계획심의회 위원대한민국 건축국전 심사위원1975 년 국민대학교 조형학부 학과장세계건축가 연맹 (U.I.A) 이사1976 년 한국건축가협회 회장1979 년 문화재 공보부 문화재 위원회 의장국민대학교 조형대학장1981 년 건설부 정책자문위원회 위원1982 년 미국건축가협회 (Honor,FAIA) 명예회원1984 년 서울특별시 시정자문위원회 위원1986 년 간암으로 사망 < 대표작 공간사옥 >

Page 4: 210140010 강민지 12주차 수시과제
Page 5: 210140010 강민지 12주차 수시과제

3. 작품개념 및 설계의도대지는 근대 이후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주변의 도시환경과 더불어 서울의 도시 질서를 변화시키는 도심 심장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 백년이 넘는 한국 체신행정의 중심이라는 역사성을 지니고 있다 . 도시맥락적인 관점에서는 서울시청 , 숭례문 등과 함께 삼각축의 한결절점을 이루고 있어 , 이에 걸맞는 상징적 게이트로써의 역할이 필요하며 , 소공동 , 명동상권을 있는 연결부로 유동인구에 대한 도시 : 건축적인 역할이 기대되는 곳 이기도하다 .

따라서 이곳의 건축물은 역사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시변화를 만들어 가면 , 시민들과 함께 호흡할 수 있는 , 공공성과 사회성이 드러나는 마당으로서의 건축물이어야 한다 .이러한 시간적 , 공간적 컨텍스트를 바탕으로 계획에 요구되는 공공성과 사회성 , 대지가 지닌 역사성의 구현은 배치계획에서부터 프로그램의 구성 , 조형계획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원칙으로 작용하고 있다 . 전체 매스는 주변의 로터리 공지 등과 연계된 광장을 구성하기 위해 대지의 뒤 켠으로 물러나 있다 . 이렇게 형성된 광장은 대지에 요구되는 도시의 결절점 , 연결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게 된다 .내부적으로는 우체국의 이용자창구 프로그램을 지하 1, 2 층에 배치하고 선 큰 가든인 우정원을 통해 전면 광장과 연결되도록 계획하여 , 로터리 중앙분수광장 등 주변부의 외부공간이 전면 광장을 통해 건물 내부와 자연스럽게 소통되는 시민마당이 되도록 구성했다 .또한 10 층에는 내부의 정원인 도시정원을 조성하고 , 리셉션 센터 등을 배치하여 건물 사용자들의 휴식 및 만남을 위한 장소를 계획하였다 . 서울중앙우체국으로서의 기능과 제반 법규를 수용하고 도시맥락에 의해 요구되는 상징성을 고려하여 좌우대칭인 두 개의 타워를 또 다른 외피가 감싸고 있는 형태를 계획하였다 .또한 , 시간의 기억을 여러 켜로 잘 담고 있는 장소성을 감안하여 주변과 조화롭게 만나도록 하기 위해 건물의 외피는 하이테크적 재료의 사용을 가능한 한 지양하고 , 자연재료인 석재와 펀치윈도우 등으로 입면을 구성함으로써 주변과의 소통과 조화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

Page 6: 210140010 강민지 12주차 수시과제

< 정면에서 찍은 모습> < 두 매스의 사이를 올려다 찍은 모습>

<1 층과 지하 1 층으로 연계되는 선큰가든의 모습> <입구 모습>

Page 7: 210140010 강민지 12주차 수시과제

< 옥외데크의 테라스 모습> < 두 매스의 사이공간 정면 모습> <6 층 전면부에서 올려다본 천창의 모습>

Page 8: 210140010 강민지 12주차 수시과제

< 10 층 홀의 모습>

Page 9: 210140010 강민지 12주차 수시과제

<10 층 휴게실 카페테리어 >

<강당 내부모습> < 로비 내부모습>

Page 10: 210140010 강민지 12주차 수시과제

에필로그 ( 다녀와서 ..)처음 중앙 우체국 청사를 보았을 때 예전 만화에서 보았던 마징가 -Z 의 머리 부분과 유사하다고 생각했다 . 최근 이렇게 건축물의 가운데 부분이 벌어져 있는 건축물 들을 많이 볼 수 있었다 . 왜 요즘 저런 건축물들이 많을까 ? 라는 의문을 가졌었는데 이번 과제로 인해 알 수 있었다 . 건축물의 가로세로의 크기가 일정 이상이 되면 사람들로 하여금 그 건축물 때문에 답답함을 느낄 수 있어 법적으로 정해져 있는 것 이었다 . 그래서 일정 높이 이상부터는 2 부분으로 건축물을 갈라서 설계 하는 것이었다 . 명동의 거리는 젊음의 거리로 언제나 사람들로 붐비는 곳이다 . 예전부터 항상 걸을 때 마다 좁은 인도로 인해 사람에게 치이며 걷는 다는 것이 상당히 불쾌 하였다 . 하지만 포스트 타워 앞의 인도는 상당히 넓어 관광자들의 쉬었다 가는공간이 되기도 하고 같이 모여 앉아서 수다떠는 수다장이 되기도 하여 좁은 명동의 거리를 걷다가 포스트 타워앞을 지나게 되면 넓은 인도와 앉을 수 있는 밴치로 인해 피곤한 다리와 답답한 가슴을 잠시나마 쉴수 있게 해준다 . 또한 일정 높이 이상부터는 2 개의 MASS 로 갈라져 더욱더 답답한 도심을 트일 수 있게 만든다 .포스트 타워 입구는 양쪽밑으로 선큰으로 되어있고 마치 다리 위를 걷는 느낌을 주었다 . 건축물 안으로 들어가게 되면 유리로 마감된 입면에 의해 채광이 좋으며 산뜻한 기분을 받을 수 있었다 . 하지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지하 1,2 층 지상 1 층 이외에는 일반인이 마음껏 다닐 수 없다는 점이 아쉬웠다 . 물론 오피스의 보안을 위해서 출입이 제한 될 수밖에 없지만 상층부에서 느낄 수 있는 VIEW 를 일반인에게도 공개된다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