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201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 글로벌 해양강국, 수산부국 실현을 위한 기술혁신 -
18

201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 nifs.go.kr · 기후변화와 과도한 어획 등으로 어업 생산량은 정체감소하는 ... (기술혁신) ict, 빅데이터, 인공지능

May 21, 2020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201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 nifs.go.kr · 기후변화와 과도한 어획 등으로 어업 생산량은 정체감소하는 ... (기술혁신) ict, 빅데이터, 인공지능

2018년도

업무보고자료

201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글로벌 해양강국, 수산부국 실현을 위한 기술혁신 -

Page 2: 201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 nifs.go.kr · 기후변화와 과도한 어획 등으로 어업 생산량은 정체감소하는 ... (기술혁신) ict, 빅데이터, 인공지능

목 차

Ⅰ. 일반현황 ············································································· 1

Ⅱ. 주요 성과 및 보완(한계) ·················································4

Ⅲ. 주변여건 및 추진방향 ··················································· 6

Ⅳ. 비전 및 목표 ····································································· 8

Ⅴ. 201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 9

1. 수산의 미래대비 산업화 연구 ······································· 9

2. 현장 중심의 현안해결 연구 ······································ 11

3. 우리바다 되살리기 연구 ············································ 13

4. 글로벌 연구역량 및 조직관리 강화 ······················· 15

Ⅵ. 건의 사항 ········································································· 17

Page 3: 201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 nifs.go.kr · 기후변화와 과도한 어획 등으로 어업 생산량은 정체감소하는 ... (기술혁신) ict, 빅데이터, 인공지능

- 1 -

수산에 관한 조사, 시험 및 연구

◈ 수산자원 조사 및 수산공학기술에 관한 연구개발

◈ 어장환경 조사 및 보전기술에 관한 연구개발

◈ 수산양식 및 생명공학기술에 관한 연구개발

◈ 수산물 위생 조사 및 식품가공에 관한 연구개발

◈ 수산생물 방역 및 수산식물에 관한 품종심사․관리

◈ 수산기술의 현장 보급에 관한 지원

Ⅰ. 일반 현황

1 임무 및 연혁

❍ 1921. 5 수산시험장 출발

❍ 1949. 4 상공부 중앙수산시험장

1955. 3 해무청 중앙수산시험장

1961. 10 농림부 중앙수산시험장

❍ 1963. 12 농림부 국립수산진흥원

1966. 3 수산청 국립수산진흥원

1996. 8 해양수산부 국립수산진흥원

❍ 2002. 3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2008. 2 농림수산식품부 국립수산과학원

2013. 3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Page 4: 201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 nifs.go.kr · 기후변화와 과도한 어획 등으로 어업 생산량은 정체감소하는 ... (기술혁신) ict, 빅데이터, 인공지능

- 2 -

2 조직 및 예산

□ 조 직

○ 본원 : 3부 13과 5센터(22개 직위 : 고공단 4 / 4급 14 / 5급 4)

○ 소속 : 6연구소 9과 5센터(20개 직위 : 고공단 3 / 4급 11 / 5급 6)

□ 정 원 : 553명(연구직 281명, 일반직 166명, 선박운용 106명)(단위 : 명)

구 분 계 일반직 연구직 선박운용

계 (%) 553(100) 166 (30) 281 (51) 106 (19)

본 원 311 97 148 66

소속기관 242 69 133 40

* 무기계약직 592명 별도 운영

□ 2018년 세출예산

○ 전체 예산은 1,232억 원이며, 전년비 10.2%

(114억 원) 증가

* 구성비율 : 수산과학연구 34.9%, 연구지원 25.1%,

정보화 2.8%, 일반행정 37.2%

○ 순수 R&D(수산과학연구사업) 예산은 약 430억원(34.9%) 수준

< 2018년 사업별 예산 개요>(단위 : 억원)

사업명2018 2017 증 △감(A) % (B) % (A-B) %

합 계 1,232 100 1,118 100 114 10.2

◦ 수산과학연구 430 34.9 385 34.5 45 11.7

◦ 수산연구지원 309 25.1 259 23.2 50 19.2

◦ 수산과학원 정보화 34 2.8 33 3.0 1 3.3

◦ 일반행정경비 458 37.2 440 39.4 18 4.1

Page 5: 201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 nifs.go.kr · 기후변화와 과도한 어획 등으로 어업 생산량은 정체감소하는 ... (기술혁신) ict, 빅데이터, 인공지능

- 3 -

참고 국립수산과학원 조직도 및 위치도

□ 조직도

□ 기관 위치도

Page 6: 201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 nifs.go.kr · 기후변화와 과도한 어획 등으로 어업 생산량은 정체감소하는 ... (기술혁신) ict, 빅데이터, 인공지능

- 4 -

Ⅱ. 주요 성과 및 보완(한계)

1 지난해 주요 연구성과

◇ 고수온 등 자연재해 대응, 양식산업 생산성 향상, 수산자원 회복

및 미래 대비 양식기술 개발 등으로 글로벌 해양강국 기반 마련

□ (재해 대응) 고수온 등 발생에 따른 수산현장의 피해예방 연구

활동 강화로 양식생물 폐사율 감소

○ 서해안 고수온, 남해안 전복 가두리양식장* 및 제주 넙치양식장

폐사** 등 현장 연구 적극 추진 및 홍보 활동 강화

* 가두리 양식시설 재배치 폐사율 저감 : 52.4% → 6.9%

** 넙치양식장 사육수 소독처리로 폐사율 저감 : 40~60.2%

→ 17.3~15.7%

○ 동해안 냉수대 발생 예측 시스템 개발을 통해

사전 대응능력 향상

□ (생산성 향상) 친환경 및 속성장 등 생산성 향상 연구를 통해 양식

산업 생산비 절감

○ 성장이 빠른 육종전복* 개발로 생산성 향상 및 항생제 대체 천연

제제** 등 산업화를 통해 수산식품의 안전성 증대

* 일반 전복에 비해 성장(중량)이 30% 빠른 육종전복 개발

** 친환경 미생물제제(프로바이오틱스) 및 천연 생약제제(인진, 당귀) 개발

○ 노동력 절감형 멍게 자동선별 시스템* 개발 및 에너지 절감형 넙치

양식 시스템** 개발

* 크기별 선별 장치를 통해 선별 속도 및 노동력 절감(어가별 25백만원)

** 1일 양식장 사육수 환수량 80% 저감 : 30회전 → 6회전(연간 전기료 약 220

억원 절감, 제주도)

Page 7: 201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 nifs.go.kr · 기후변화와 과도한 어획 등으로 어업 생산량은 정체감소하는 ... (기술혁신) ict, 빅데이터, 인공지능

- 5 -

□ (자원 회복) 금강에서 사라진 어종을 되살리고, 자원량이 감소된

어종을 대상으로 산란․성육 생태 등 구명

○ 금강에서 사라진 종어(宗魚)* 자원 회복을 위해 인공종묘를 방류(3회)

하고, 진해만에서 청어 및 대구의 산란․회유로 구명

* 그동안 방류한 개체보다 어린 개체가 포획되어 자연에서 재생산 확인

□ (미래 대비) 미래의 새로운 소득원 발굴을 위한 고부가가치 수산

생물 양식기술 개발

○ 세계 2번째 방어 인공종자* 생산 및 관상용 바다새우인 ‘클리너슈

림프** 세계 최초로 인공번식에 성공

* 방어 인공종자 약 7천 마리 생산

** 자연채집에 의존하던 클리너슈림프를 인공번식으로 생산 가능

2 최근 대외 평가 및 우수사례

□ (행안부) ’17년 책임운영기관 평가에서 전체 1위*(2년 연속 S등급),

대통령 기관표창(’17.6), 고객만족도 연구형 1위(12개 기관, ’18.1)

* 평가 대상기관 : 44개 기관

□ (과기부) 국가연구개발(R&D) 사업 2회 연속 ’우수‘ 평가, 국가

R&D 우수성과 100선 선정(‘16년 3건, ‘17년 1건)

* (과총) ‘16년 대한민국 10대 과학기술뉴스에 명태양식 성공 선정

** (과기부) ‘15년 광복 70주년 기념 대표기술 70선에 2건 선정

3 보완사항(한계)

□ 참다랑어, 뱀장어, 명태 등 완전양식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산업화를

위해서는 인프라 기술 증진 및 민간 대학 정부(중앙 지방) 등과

연계 협조 강화

□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애로사항의 적극적인 해소를 위해

현장연구, 자연재해 피해 예방 연구 강화

Page 8: 201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 nifs.go.kr · 기후변화와 과도한 어획 등으로 어업 생산량은 정체감소하는 ... (기술혁신) ict, 빅데이터, 인공지능

- 6 -

Ⅲ. 주변 여건 및 추진방향

1 주변 여건 및 전망

◇ 수산자원의 과학적 관리기반 마련 및 첨단 양식기술 연구개발 등을

통해 수산업을 지속가능한 미래성장 산업으로 육성 필요

◇ 기후변화와 과도한 어획 등으로 어업 생산량은 정체(감소)하는

반면, 양식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증가 예상

□ (정책여건) 잡는 어업은 자원 감소 등으로 생산 감소 또는 정체 추세이나,

기르는 어업은 지속적으로 생산 증가(’17년 200만톤 돌파) 전망

○ 지속가능한 어업과 수산물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바다 되살리기 및

첨단 양식 확대 등 국정과제에 대한 연구수요는 증가 예상

□ (기후변화) 신기후체제 출범(’15.12)으로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한반도 주변 표층수온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

○ 수온 상승(최근 50년간 1.23℃, 세계 평균 대비 2.5배)에 따른 생태계와 수산

자원 종 조성 변화로 인해 어업 및 양식 대상종 변화 가속화

□ (어촌인구) 어가 인구는 급속히 감소, 노령 인구 비중 매년 증가

하고 있어 식량안보를 위한 적정 생산인구 유지가 중요 사회과제로 대두

* 어가 인구수(천명) : (‘85) 602 → (‘95) 347 → (‘05) 221 → (‘15) 128 → (‘16) 126

* 노령인구 비중(65세 이상, %) : (’03) 16 → (’09) 25 → (‘15) 30 → (’16) 33

○ 자동화, 스마트화 등을 통한 젊은 층의 유입 유도로 어촌 활력 방안 모색

□ (기술혁신) ICT,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과 연계하여

미래 산업화를 위한 수산업 전반의 변화 및 기술혁신 요구 증대

○ 수산자원 변동 예측 및 전통 수산업의 생산방식 등 패러다임 전환

Page 9: 201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 nifs.go.kr · 기후변화와 과도한 어획 등으로 어업 생산량은 정체감소하는 ... (기술혁신) ict, 빅데이터, 인공지능

- 7 -

2 추진방향

◇ 환경변화, 정책여건을 반영하여 수산과학연구의 3대 방향을 현장

중심, 미래대비, 우리바다 되살리기로 정하여 추진

□ (첨단기술 개발) 수산현장에서 생산된 빅데이터를 활용한 양식 자

동화 등 인공지능(AI) 기반의 수산업 응용기술 개발 적극 추진

○ ICT기반 스마트 기술과 융합한 스마트 양식 개발 및 친환경 첨단

양식기술 산업화

○ 미래 전략품목 대량생산 연구 및 BT를 융합한 육종 등 우량 인공

종자 생산․보급

□ (현장문제 해결) 해역별 수산현장의 현안에 대해 선택과 집중을

통해 어업인에게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용연구 추진

○ 현장에서 바라는 해역별 현안의 발굴과 해결

○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해황 등 모니

터링 및 사전 예보체계 확립으로

재해예방 및 피해 최소화

* 최근 50년간 우리나라의 주변 <최근 수온 상승 추이>

수온은 1.23℃ 상승(세계 평균의 2.5배)

□ (우리바다 되살리기) 지속가능한 어업을 위한 수산자원 회복

및 어장환경관리 연구 강화

○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수산자원 조사 및 감소된 수산자원에 대해

회복 프로젝트 추진

○ 안전한 수산물 생산 및 양식생물 질병예방 등 안전관리체계 구축

Page 10: 201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 nifs.go.kr · 기후변화와 과도한 어획 등으로 어업 생산량은 정체감소하는 ... (기술혁신) ict, 빅데이터, 인공지능

- 8 -

비전 수산부국 실현을 위한 기술혁신(R&D)

목표

(‘22)

◇ 수산과학 기술 수준 향상(83% → 90%)

◇ 안정적이고 안전한 수산물 생산기반 정책지원

Ⅳ. 비전 및 목표

전략방향 및 전략과제

수산의 미래대응산업화 연구

• 스마트․친환경 첨단기술 연구개발

• 전략품목 육성을 위한 양식기술 연구개발

• 수산식품 산업화 지원을 위한 연구개발

현장 중심의 현안해결 연구

• 수산현장의 현안 대응 연구

• 어장환경 모니터링 및 수산재해 대응 연구

• 현장 기술지원 및 안전재해 예방 추진

우리바다

되살리기 연구

• 수산자원 관리 및 변동 예측 연구

• 양식어장환경 오염조사 및 개선 연구

• 수산물 위생안전 및 수산생물 방역 연구

글로벌 조직 및 연구역량 강화

• 대외 수산연구 협력 및 교류 활성화

• 혁신과 미래를 지향하는 조직관리

• 연구성과 창출을 위한 근무환경 조성

Page 11: 201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 nifs.go.kr · 기후변화와 과도한 어획 등으로 어업 생산량은 정체감소하는 ... (기술혁신) ict, 빅데이터, 인공지능

- 9 -

Ⅴ. 201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1 수산의 미래 대비 산업화 연구 (국정과제)

• 스마트․친환경 첨단기술의 연구개발과 산업화로 수산업의 미래 대비

성장동력 제공

• 완전양식기술이 확보된 참다랑어, 뱀장어, 명태 등 미래 전략품목의

조속한 양식 산업화 실현

• 수산물 소비 및 수출 확대를 위하여 안전한 고부가가치 수산식품 및

기능성 제품 개발

가. 스마트․친환경 첨단기술 연구개발

ICT기반의 친환경 스마트 양식장 모델 개발

○ 지능형 자동먹이공급장치, 어류성장 자동 측정 등 원격 스마트

양식장 관리 시스템* 개발

* 사육환경․성장단계별먹이량결정, 해상기상예측정보, 질병진단, 출하시기 결정 등 해면 및 내수면 어류 등을 대상으로 바이오플락 양식 확대*, 순환

여과 양식** 요소기술 개발 및 내수면 친환경 생태양식기술 보급 확산

* (’17) 흰다리새우 중심 → (’18) 넙치, 미꾸라지 등 확대

** (’18) 요소기술 개발 → (’19~’20) 기술 고도화 → (’21~’22) 현장 적용

나. 전략품목 양식기술 연구개발

미래 전략품목의 종자 대량생산 및 양식기술 개발

○ 참다랑어 자연산 치어 양식기술 개발 및 인공종자 대량 생산 연구

○ 명태 양식기술 고도화 연구 및 뱀장어 인공종자 대량생산 기반 구축*

* 뱀장어 인공종자 대량생산 연구동 증축(’17~’18, 50억원)

Page 12: 201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 nifs.go.kr · 기후변화와 과도한 어획 등으로 어업 생산량은 정체감소하는 ... (기술혁신) ict, 빅데이터, 인공지능

- 10 -

선발육종, 유전자 편집 등 핵심기술 접목 양식생산성 향상

○ 선발 육종과 유전자 편집 등 BT를 응용한 품종 개발*을 추진,

넙치, 전복 등 우량 인공종자 생산 및 양식기술 보급

* 속성장․고수온 내성(넙치, 전복, 해조류, 내수면 향어 등), 질병 내성(돌돔 등)

○ 맞춤형 질병예방 백신* 및 쉬운 질병진단법 개발**, 고품질 배합

사료 개발 및 사료품질 관리 강화

* 넙치 연쇄구균 개량 백신, ** PCR·POCT 키트 및 원격영상진료 시스템 개발

다. 수산식품 산업화 지원을 위한 연구개발

김 가공제품 개발 및 중금속 저감화기술을 적용한 안전한 김생산

○ 조미김, 롤타입 김스낵 등 다양한 김 가공제품 개발 및 중금속

(카드뮴) 제거기술*의 산업적 응용

* 중금속 제거율(구연산 처리): 카드뮴 80%, 납 65%

수산물의 이용성 증대를 위한 고부가가치 기능성 소재 개발

○ 수산생물로부터 차세대 항생물질, 생리활성소재 등 기능성 바이오

천연소재 개발 및 산업화 연구

* 천연 항균소재(혈관성 염증 억제) 및 다기능 펩타이드 등 5종 확보 추진

○ 수산물 및 가공식품(300여 종) 영양성분 DB 구축, 다슬기류 3종에

대한 식품원료 등재 추진

* 주요 수산가공식품 100종에 대한 영양성분 분석 정보를 신규로 추가 등재

수산물 소비 확대를 위한 청소년 맞춤형 식품가공 기술개발

○ , 삼치, 오징어, 미역 등을 원료로 수산식품 제조기술*을 응용한

청소년 비만 예방을 위한 레시피(30 ) 개발 및 보급

* 고등어 튀각, 삼치 포 개발 및 해조취 제거 기술을 적용한 미역 스낵제품 등

Page 13: 201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 nifs.go.kr · 기후변화와 과도한 어획 등으로 어업 생산량은 정체감소하는 ... (기술혁신) ict, 빅데이터, 인공지능

- 11 -

2 현장 중심의 현안해결 연구

• 해역별 수산 현안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통한 해결로 생산성 및 어업인

소득 증대

• 첨단 관측 및 예측기법 활용, 선제적 과학적 수산재해 대응

• 현장기술지원팀 운영 활성화로 유관기관 및 어촌 현장과 소통을 강화

하고, 어업인 안전재해 예방관리 추진

가. 수산현장의 현안 대응 연구

해역별 현장애로 과제 신속한 해결을 위한 선택과 집중 연구 추진

○ (계속) 제주지역 넙치* 및 남해안 전복** 등 양식생물 폐사 저감

연구 추진

* 넙치양식장 용수소독의 폐사저감 효과 및 환수율 감소에 따른 경제성 분석

** 전복양식장 폐사 저감을 위한 시설 재배치 및 관리 매뉴얼 활용 확대

○ (신규) 동해안 오징어 자원회복* 및 서해안 갯벌어장 살리기

프로젝트** 추진

* 살오징어 인공종자 기술개발, 자원생태 특성파악

** 쏙제거장치, 쏙이용 식품 개발 및 백합 등 자원이 감소한 품종 생산기반 마련

○ (협업) 멍게 수확 자동화 시스템 개발 및 모자반 양식 확대 시험 등

주요 양식생물의 생리, 생태 및 사육관리 모니터링 추진

○ 주요 양식생물(18종)의 생리 생태, 사육관리 모니터링 및 연차적

으로 품종별 사육관리 매뉴얼 제작(‘18년 전복, 새우, 김)

○ 품종별 적정 생육 환경 구명 및 스마트 양식장 기초자료로 활용

Page 14: 201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 nifs.go.kr · 기후변화와 과도한 어획 등으로 어업 생산량은 정체감소하는 ... (기술혁신) ict, 빅데이터, 인공지능

- 12 -

나. 수산재해 대응 연구 및 어장환경 모니터링 추진

이상 수온 발생 고해상도 예측 시스템 개발 및 실시간

어장정보 관측시스템 확대(54개소→64개소) 운영

○ 수산재해가 빈번히 발생하는 남해안에 대한 고

해상도* 수온 예측 모델개발 및 실시간 수온

정보를 결합한 종합정보 제공

* 이상(異常) 수온 발생시특보발령으로어업인대처정보제공

유해생물 발생 모니터링 강화 및 피해 최소화 추진

○ 적조, 괭생이모자반 등 유해생물에 대해 조사선, 위성, 드론 등을

활용한 다중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유관기관과 실시간 정보 공유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생태계 변동 예측 연구 신규 추진

○ 한국형 연근해 생태계 변동 예측모델 기술 개발(‘18년 30%→ ’20년 100%)

○ 연구자료 및 현장관측 자료 통합 DB 구축 및 정보 표준화를 통한

맞춤형 수산정보 서비스 플랫폼 구축(‘18년 50% → ’22년 100%)

다. 현장 기술지원 및 안전재해 예방 추진

분야별 해역별 현장 기술지원을 위한 ‘수산현장 119팀’ 운영

○ 수산현장의 현안 발굴, 신속한 기술 지원(120회) 및 연구교습어장

사업 추진(신규 4, 계속 12)

어업작업 안전재해 예방을 위한 실태 조사 및 안전관리 매뉴얼 제작

○ 어업인 안전재해 예방을 위한 실태 조사 및 현장교육 강화

○ 위험요소가 높은 2개 업종 선정, 작업단계별 안전관리 매뉴얼 작성

Page 15: 201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 nifs.go.kr · 기후변화와 과도한 어획 등으로 어업 생산량은 정체감소하는 ... (기술혁신) ict, 빅데이터, 인공지능

- 13 -

3 우리바다 되살리기 연구 (국정과제)

•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수산자원 관리를 위한 자원평가 정확도 향상

• 쾌적한 어장환경 조성으로 안전한 양식생산 기반 마련

• 수산물에 대한 위생안전 관리 및 수산생물의 질병 감시를 통한 수산물의

안전성 확보로 수산물 소비 확대 및 수출 지원

가. 수산자원 관리 및 변동 예측 연구

과학적 수산자원 조사 및 관리를 위한 인프라 확충 및 조사해역 확대

○ 1400톤급 자원조사 전용선 1척 추가 배치, 조사인력 등 확충(‘15년

2척 → ’18년 3척 → ‘20년 4척)

* 조사해역 : (‘17) 200개소 → (’18) 230개소 → (‘19) 300개소 → (’20) 500개소

○ 인접국가와 공동 어업자원에 대한 자원조사 및 평가 추진(한․ 중간수역)

수산자원 평가․관리 시스템 구축, 빅데이터를 활용한 어황예측 기법

개발 등을 통한 자원평가 정확도 향상

○ 총허용어획량(TAC) 확대*를 위한 과학적인 연구 및 정책 지원

* 대상어종 : 갈치, 참조기, 멸치

친환경 생분해성 어구자재 다양화 및 자원관리형 어업 연구

○ 기존 나일론 어구와 어획 성능이 유사한 생분해 수지(PBEAS)를

기반으로 어구 개발 추진

* 생분해 어구 개발 : (‘17년) 22종(자망 12, 통발 9, 양식자재 1) → (’22) 25종

Page 16: 201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 nifs.go.kr · 기후변화와 과도한 어획 등으로 어업 생산량은 정체감소하는 ... (기술혁신) ict, 빅데이터, 인공지능

- 14 -

○ 국제적인 규제에 대비한 안강망 등 정치성 어구에서 고래류의

혼획을 줄이기 위한 어법 및 어구장치 등 연구 개발

나. 양식어장 환경 오염조사 및 개선 연구

양식어장 환경오염 모니터링 및 정보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 어류, 패류, 해조류 양식장을 대상으로 환경오염 실태 정기적 조사,

빈산소 발생 실시간 관측 시스템(10개소) 운영

○ 어장환경 조사결과의 통합관리 및 정보제공 서비스 실시

* 빈산소수괴속보(수시), 어장환경정보지6회(격월), 조사연보등제공

어장환경 개선을 위한 과학적 어장관리기준 제시

○ 어장환경 개선을 위한 어장관리기준(안) 마련

* 어장환경청소방법및기준, 합리적어장휴식주기제시를위한자연회복능력조사등

○ 완도지역 전복 양식어장 수용력 산정, 적정시설량 등 제시

다. 수산물 위생안전 및 수산생물 방역 연구

수출용 패류생산해역 등 대상으로 위생조사 강화

○ 지정해역 위생조사(지정 7개소, 예비 5개소), 패류독소조사(97개소), 노로

바이러스 오염조사 및 항생제 등 이화학적 오염물질 조사

○ 패류, 해조류, 어류 등 다소비 수산물에 대해 위해물질 저감화 기술

(제거․불활성화) 개발을 연차적으로 확대 추진

* (‘18)대장균→ (’20) 병원성미생물→ (‘22) 식중독바이러스및기타위해물질

수산생물 전염병 관리 강화를 위한 양식장 자율 방역관리 확대 및

질병관리 등급제 시범지역 확대 등 추진

○ 등급제 시범사업을 제주지역에서 전남 및 경북지역까지 확대

* 질병관리 등급제(1등급 비율) : (‘16) 22% → (’20) 30% → (‘22) 35%

Page 17: 201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 nifs.go.kr · 기후변화와 과도한 어획 등으로 어업 생산량은 정체감소하는 ... (기술혁신) ict, 빅데이터, 인공지능

- 15 -

4 글로벌 연구역량 및 조직관리 강화

• 국외 연구기관과 교류협력을 통한 연구 역량 및 대외 경쟁력 강화

• 기관의 위상과 존재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스타과제 운영 및 조직 발전

방안을 마련

• 연구성과에 근거한 공정하고 공평한 평가 및 보상 시스템을 마련하고

활기찬 조직문화 및 쾌적한 근무환경 조성

가. 대외 연구협력 및 교류 활성화

선진 연구기관 등과 기술교류 및 공동연구로 연구역량 강화

○ 공적개발원조(ODA) 사업 참여를 통한 연구성과의 국제사회 환원

및 국가 이미지 제고

*알제리 사하라사막 새우양식 기술이전, 미얀마 내수면양식 인프라 구축 등

○ 인접국 및 선진국 연구기관 등과 정례 협의체 운영 등을 통한 공동

연구 및 정보교류 등 추진

- 한·러 과학기술협력(6월), 한·일 농림수산기술협력(10월), 한·아르헨

티나 과학기술협력, 한·중·일 수산연구기관 부장급 회의(하반기)

○ 호주, 뉴질랜드 등과 연구자 교류를 통한 전문 연구역량 강화

- 고래류 비살상 방식 연구(호주), 자원평가 기법 연구(뉴질랜드) 등

수산분야 유관기관, 대학, 연구기관, 업계 등과 교류협력 및 업무

협의체 등 운영(MOU 77건)

나. 혁신과 미래를 준비하는 조직관리

국정과제 지원에 필요한 연구기능 보강, 과제중심 연구원 재배치 추진

○ 분야별 업무기능 분석 등을 토대로 소요정원 요구, 정원 재배치 등

기능 조정 추진

Page 18: 201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 nifs.go.kr · 기후변화와 과도한 어획 등으로 어업 생산량은 정체감소하는 ... (기술혁신) ict, 빅데이터, 인공지능

- 16 -

기관의 존재가치를 높이기 위한 스타과제 운영

○ 연구성과 파급력이 큰 과제 위주로 스타과제*를 발굴하여 선택과

집중 지원 및 주기적인 성과관리 추진

* 스마트 양식기술 개발, 살 오징어 인공종묘생산, 갯벌어장 살리기 프로젝트 등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미래 비전 및 발전전략 마련

○ 미래 및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을 통한 조직역량 강화

○ 과거 100년과 미래를 잇는 역사자료 발굴, 정리 및 100주년(2021년) 준비

다. 연구성과 창출을 위한 근무환경 조성

연구성과 중심의 평가 및 보상제도 확립으로 구성원의 자발적

참여 분위기 조성

○ 연구과제 평가 등에서 공정성 및 전문성이 강화되도록 평가제도를

개선하고, 외부 전문가 참여를 확대

* 성과평가에서 활용도 평가 가중치(25%→30%) 및 외부 전문가(3명→4명 이상) 확대

○ 성과 중심의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인사제도 정착 및 직무능력 향상

* 핵심 인재 및 선임 연구사 선정 및 성과 우수자 등에 보상제도 운영

전문인력 보강을 위한 퇴직자 등 시니어(senior) 적극 활용

○ 시니어의 전문성과 경험 활용으로 업무 효율을 높이고, 신입 직원에

대한 멘토 역할 부여

* 연구과제 참여, 심의위원 등 위촉, 각종 행사 및 100년 기념사업 등 자문위원

활기찬 조직문화 및 안전하고 쾌적한 근무환경 조성

○ 조직 내 3관 문화를 개선(TF운영)하고, 각종 재난에 대비한 안전한

일터에서 일과 가정이 양립하는 직장문화를 조성

* (3관 척결 TF) 과제 발굴 → TF 심의 → 과제 확정 → 주기적 점검

○ 지진 등 대응시스템 정비 및 선박직원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