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
22

 · 2014-08-26 · %pq rsrt (¾ -9 fF GH0F}¬ù1 p ªp p (å ù1 p ªp p (ª ®ÁI® }¬J ®KI®}¬ù1 LM N LO å ù1 LP LQ ¦OP) }' §OÍ¢,-)/P

Jan 02, 2020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 2014-08-26 · %pq rsrt (¾ -9 fF GH0F}¬ù1 p ªp p (å ù1 p ªp p (ª ®ÁI® }¬J ®KI®}¬ù1 LM N LO å ù1 LP LQ ¦OP) }' §OÍ¢,-)/P

생태유아교육연구

2014. 제13권 제1호 , 109 - 130

숲에서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른 정서지능 차이 연구

진 경 금*

요 약

본 연구는 매일 2시간씩 숲에서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숲 그룹 어린이집과 숲에서의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어린이집 만 4, 5세 유아 각 17명, 총 34명을 대상으로 정서지능 검사를 실시

하였다. 두 집단은 동질 집단으로 숲에서의 교육 후 유아의 정서지능검사를 독립표본 t-검증

을 실시한 결과 숲에서의 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숲에서의 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

단의 정서지능 총점 및 하위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숲에

서의 교육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하위요인 모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

었다. 이러한 결과는 숲에서의 교육을 실천하는 일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유

아의 정서지능 신장을 위해 유아교육현장에서 숲에서의 교육이 활성화 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주제어 유아(young children)

정서지능 (emotional-intelligence)

숲교육 (forest education)

※ 논문 접수 : 2014. 01. 31 / 수정본 접수 : 2014. 03. 08 / 게재 승인 : 2014. 03. 13

*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email protected])

Page 2:  · 2014-08-26 · %pq rsrt (¾ -9 fF GH0F}¬ù1 p ªp p (å ù1 p ªp p (ª ®ÁI® }¬J ®KI®}¬ù1 LM N LO å ù1 LP LQ ¦OP) }' §OÍ¢,-)/P

11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I. 서 론

이 시대의 많은 유아들은 정신적․신체적으로 유아의 타고난 순수함을 유지․발달시키며

성장하기 보다는 인공의 보호된 환경 속에서 유아들에게 안락함과 편리함을 충족시켜주려

는 성인들의 과도한 보호를 받으며 살고 있고 갈수록 우리의 아이들은 자연과 친숙하지 않

은 생활에 익숙해져 가고 있다(이명환, 2010). 이런 유아들에게 자연 속에서 자유롭게 놀도

록 하는 것은 유아들이 정형화된 성인의 압력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실존을 드러내게 하는

것이며 자연과 교감을 통하여 자연의 법칙을 알아가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삶을 배워가

는 기회를 갖게 하는 것이다(이인원, 최기영, 2007).

자연의 교육적 가치를 중요하게 인식하게 되면서 세계의 많은 선진 국가에서는 ‘자연이

교육의 원천’이라는 교육원리를 깨닫고 자연의 속성이 그대로 있는 숲에서의 교육을 유아

기부터 실천하고 있다. Wilson(1995)은 숲에서의 교육은 유아들에게 가장 좋은 교육적 경

험을 제공하며 유아들이 사물을 이해하고, 자기 나름대로의 새로운 이론을 배우게 하며 숲

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유아발달의 모든 측면에서 성장을 도모해 줄 수 있다고 하였

다. 특히 유아기는 주변 환경과의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전인적인 성장과

발달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이 시기의 유아들에게 자연에서 자연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자주 경험 해보는 기회를 가지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Wilson,

1994). 요즘 우리나라도 기존의 주입식교육에 대한 바람직한 교육적 대안으로 숲 교육이 대

두되고 있으며 녹색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숲유치원이 활성화 되어 가고 있는 과정에 있다

(이명환, 2010). 따라서 숲에서의 교육을 통한 다양한 탐색과 경험 그리고 표현을 통하여

유아는 서로의 생각이나 표현방법에 관심과 흥미를 갖게 되고 차츰 생각이나 표현의 차이

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며 자기의 정서를 승화 시킬 수 있다(이광미, 2012).

한 개인이 겪는 환경적, 신체적인 어떤 것에 반응하는 총체적인 감정반응이 정서이며 일

반지능에 대비되는 말로서 정서와 지능이라는 두 가지 요소가 결합된 개념이 정서지능이라

할 수 있다. 정서지능을 자신과 다른 사람의 정서를 지각하고 표현하는 능력으로 Salovey

와 Mayer(1990)는 정의하였다. 정서지능이 높은 사람은 자신의 과제를 잘 수행하면서 행복

한 삶을 살아갈 것으로 전망되고 사회적응력이 높기 때문에 유아기부터 가정과 어린이집,

사회 전체가 정서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고 다양한 방법으로 정서지능을 발달시킬 수 있

는 방안모색이 필요하다(강명덕, 2005). Goleman(1995)은 인간의 전 생애 중 유아기와 아동

기가 정서지능이 발달하는 결정적인 시기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정서교육의 가능성이 있는

Page 3:  · 2014-08-26 · %pq rsrt (¾ -9 fF GH0F}¬ù1 p ªp p (å ù1 p ªp p (ª ®ÁI® }¬J ®KI®}¬ù1 LM N LO å ù1 LP LQ ¦OP) }' §OÍ¢,-)/P

숲에서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른 정서지능 차이 연구․111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정서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송미선, 2012).

주소영(2009)에 의하면 자연과 멀어진 유아들은 여러 가지 신체적·정신적 문제들을 만들

어내고 있고 최근 급격히 증가된 과잉행동과 주의산만, 충동성, 공격적 행동, 분노조절의

어려움과 같은 다양한 심리적·행동적 문제들이 나타났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자연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적어져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되면서 유아기 정서발달의 중요성에 대한 관

심이 높아지고 있다.

임은정, 최미숙(2013)은 산책을 통한 자연놀이를 경험함으로써 유아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흥미를 유발시켜 자연놀이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자연물을 활용한 놀이 방법에 대해 자연

스럽게 또래와 이야기 나누는 과정 등이 발생되어 정서지능에 영향을 주었다고 하였다.

김미경(2011)은 산책을 통한 자연친화 활동이 늘 변화하는 자연환경 속에서 자신의 정서를

바르게 표현하고 타인을 이해하고 협력하는 정서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하였고, 이명환

(2011)은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정서적 안정감 향상에 크게 효과가 있다고 밝혔으며, 김덕

건, 김효진(2006)은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고 하였다.

상기 결과들을 통해 유아들이 자연을 가까이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을수록 유아의 정서지

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를 위해 숲에서의 교육이 활성화 되어

야 함을 시사해준다.

현재 국내에서 실천되고 있는 숲에서의 교육의 형태를 고찰해 보면, 유아들이 매일 일정

시간 동안 숲에서 활동하는 형식과 주나 월단위로 계획하여 정기적으로 숲에서 체험하는

형식을 포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장미연, 임소영, 변지혜, 김은주, 임재택, 2011), 본 연

구에서의 숲에서의 교육은 주 5일 매일 2시간씩 숲에서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을

의미한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산책을 통한 자연놀이 활동과 유아의 정서지능에 관한 연구(김진

아, 2007; 김상란, 2008), 바깥놀이를 통한 자연친화 교육과 유아의 정서지능에 관한 연구

(김신영, 2006; 이성희, 2010), 자연체험활동과 유아정서지능에 관한 연구(임명희, 2012; 조

은제, 2011; 박일례, 2013; 유희점, 2012), 그리고 주 1회~주 2회 정도의 숲에서의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광미, 2012)가 있었으나 주 5일간 숲에서 교

육이 이루어지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유아의 정서지능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적인 물리적 공간에서의 간접 체험중심교육, 지식과 정보를 전

달하는 기능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오감으로 느끼고 체험하는 숲에서의 교육이 정서지능의

결정적인 시기인 유아들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Page 4:  · 2014-08-26 · %pq rsrt (¾ -9 fF GH0F}¬ù1 p ªp p (å ù1 p ªp p (ª ®ÁI® }¬J ®KI®}¬ù1 LM N LO å ù1 LP LQ ¦OP) }' §OÍ¢,-)/P

11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구분 대상 원아수연령

만4세 만5세 평균 월령

실험집단 17명 9명 8명 63.2

비교집단 17명 9명 8명 62.9

사전 검사 실험처치 사후 검사

실험집단 O₁ X O₂

비교집단 O₃ O₄

1. 숲에서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라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차이는 어떠한가?

2. 숲에서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라 유아의 정서지능 하위요인에 미치는 차이는 어떠한가?

1) 숲에서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라 유아의 자기인식 능력에 미치는 차이는 어떠한가?

2) 숲에서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라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차이는 어떠한가?

3) 숲에서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라 유아의 타인인식 능력에 미치는 차이는 어떠한가?

4) 숲에서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라 유아의 타인조절 능력에 미치는 차이는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이 연구의 대상은 인천시 K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4, 5세 유아 17명과 인천시 S어린이

집에 재원하고 있는 만 4, 5세 유아 17명이었다. 두 집단의 경우 만 4, 5세 혼합 연령반으

로 연령분포가 비슷하고 생활 정도가 비슷하여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으로 선정된 유아들은 매일 인근 숲에 가서 2시간씩 숲에서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집단이고 비교 집단의 경우 숲에서의 교육을 한 경험이 없는 집단으로 연령별 누리과

정을 중심으로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대상의 분포는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의 분포

2. 연구 설계

이 연구의 실험 설계는 표 2와 같다.

<표 2> 실험설계

Page 5:  · 2014-08-26 · %pq rsrt (¾ -9 fF GH0F}¬ù1 p ªp p (å ù1 p ªp p (ª ®ÁI® }¬J ®KI®}¬ù1 LM N LO å ù1 LP LQ ¦OP) }' §OÍ¢,-)/P

숲에서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른 정서지능 차이 연구․113

X(실험처치) : 숲에서의 교육

O₁, O₃: 정서지능 사전검사

O₂, O₄: 정서지능 사후검사

3. 연구 도구

이 연구에서는 유아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Salovey와 Mayer(1990)가 고안한 것

을 이병래(1997)가 수정하여 제작한 정서지능 체크리스트(만 4, 5세용)을 사용하였다. 이 검

사 도구는 교사가 유아를 관찰하여 기록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고, 정서 지능의 4가지 하

위영역인 자기인식 능력, 자기조절 능력, 타인인식 능력, 타인조절 능력의 4가지 하위영역

에서 전체 3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검사도구의 하위요인별 문항에 대하여 예비검사를 실시하고 하위요인

별 신뢰도 계수가 낮은 1문항을 삭제하여 수정 보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정서지능

하위요인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자기인식 능력은 자기를 평가하고 표현하는 능력이다. 즉 자신이 현재 느끼는 기분, 감정

등이 어떤 것인지 잘 알고 그것을 적절한 말로 표현하며 표정이나 행동을 상황에 맞게 나

타낼 수 있는 능력이다. 매순간 자신의 느낌을 알아내는 능력은 자신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기조절 능력은 인식된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처리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이다.

즉, 자신이 기분이 좋을 때는 즐거운 기분을 계속 유지할 수 있으며 기분이 좋지 않을 때

는 그 기분에서 빨리 벗어날 수 있는 능력이다. 자기조절이 높은 유아는 화가 나는 일이

있더라도 일단 참고 그 감정에서 벗어나서 좋은 방향에서 그 일을 처리하려고 한다.

타인인식 능력은 공감과 감정이입에 대한 능력이다. 즉, 타인의 정서적 반응을 능숙하게

인식하고 그 반응에 감정 이입적으로 반응하는 능력을 포함한 능력이다. 타인조절 능력은

대인관계 능력과 관련된 것으로서 인식한 타인의 감정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다. 정서지능 검사는 유아들의 성향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가능하고 유아들을 다양한 상황

에서 관찰할 수 있는 담임교사의 평정을 통해 행동을 측정한다. 문항별로는 5단계 평정척도

로 나누어지고 있고 각 문항의 내용에서 ‘아주 그렇다’일 경우 5점에 ‘전혀 아닐 경우’에는 1

점에 표시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정서지능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정서지능

검사도구의 전체 30문항에 대한 하위요인별 문항 수, 문항 번호, 신뢰도계수(Cronbach’s ɑ )는 표 3과 같으며, 유아의 정서지능 검사도구의 자기인식 능력 신뢰도는 .70, 자기조절 능력

은 .66, 타인인식 능력은 .83, 타인조절 능력은 .75, 전체문항은 .82로 나타났다.

Page 6:  · 2014-08-26 · %pq rsrt (¾ -9 fF GH0F}¬ù1 p ªp p (å ù1 p ªp p (ª ®ÁI® }¬J ®KI®}¬ù1 LM N LO å ù1 LP LQ ¦OP) }' §OÍ¢,-)/P

11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하위영역 문항번호 문항수 신뢰도 계수

자기인식 1,2,3,4,5,6,7 7 .70

자기조절8,9,10,11,12,13,

14,158 .66

타인인식16,17,18,19,20,

21,227 .83

타인조절 23,24,25,26,27,

28,30,318 .75

전 체 .82

<표 3> 정서지능 검사도구의 영역별 문항과 신뢰도 계수

4. 연구 절차

1) 교사 교육

본 연구자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한 어린이집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하기 전에 2013년 3월 25일~3월 26일 2회에 걸쳐 검사자 교육 및 협의 시간을 가졌

다. 본 연구의 검사자는 연구대상 어린이집 담임교사로 담임교사에게 검사자 훈련을 실시

하였으며, 훈련에 앞서 연구의 목적과 검사 도구를 소개하고 검사 시 유의사항을 설명하고

검사의 내용과 방법을 충분히 이해하도록 하였다. 실험집단의 교사에게는 숲에서의 교육

실행방법과 지도상의 유의점에 대해서 교육하였다. 숲에서의 교육 실행방법(김은숙, 2010)

은 체험중심 교육, 유아의 자발적 의지에 의해 이루어지는 자발적 교육 그리고 놀이를 통

한 교육이며, 지도상의 유의점은 숲에 있는 자연물에 호기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느낄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며 교사가 자연에 대해 설명하기보다는 유아들이 숲속의 모든 것들을

바라보고 느낄 수 있도록 기다려 주고 유아들의 작은 발견에도 긍정적으로 격려해 주는 것

이다(김은숙, 2012).

검사자 훈련은 실험집단, 비교집단 담임교사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자가 실시하였으며 담

임교사에게 검사도구의 목적, 내용, 검사 방법 및 유의사항에 대해 설명하였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교사와 협의를 통해 의견의 일치를 이루었다.

2) 사전 검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정서지능을 알아보기 위해 각 집단의 담임교사가 2013년 3월 27

Page 7:  · 2014-08-26 · %pq rsrt (¾ -9 fF GH0F}¬ù1 p ªp p (å ù1 p ªp p (ª ®ÁI® }¬J ®KI®}¬ù1 LM N LO å ù1 LP LQ ¦OP) }' §OÍ¢,-)/P

숲에서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른 정서지능 차이 연구․115

구분 실험집단 비교집단

장소 주5일: 숲 주5일: 어린이집

일~3월 29일까지 3일간 검사를 실시하였다. 유아의 정서지능 검사는 유아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갖고 있는 담임교사가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과 이전에 숲에서의 교육 경험

이 없었던 비교집단과의 정서지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실험집단과 비교집

단을 동질집단으로 간주하였다.

3) 실험처치

실험집단은 2013년 4월 1일부터 7월 20일까지 A산 삼림욕장에서 주 5일 2시간씩 16주간

실시하였다. 비교집단은 어린이집의 하루 일과 중 오전 10:00~12:00까지 누리과정에 준하

여 교육이 이루어졌다.

4) 사후 검사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험처치가 끝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후검사와 사전검사는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2013년 7

월 22일부터 23일까지 2일간 실시하였다.

5. 숲에서의 교육을 위한 활동 구성

1) 숲에서의 교육을 위한 장소

숲에서의 교육을 위한 장소로 선정한 A산 삼림욕장은 어린이집과 근접한 곳에 위치해

있어 접근이 용이하여 선정하였다. A산 삼림욕장은 도보로 15분 거리에 있는 장소로 교사

와 협의 하에 교사의 시야에서 벗어나지 않을 정도의 범위에서만 활동하기로 정하였다.

2) 숲에서의 교육 활동 내용

실험집단은 주5일 2시간씩 숲에서의 교육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어린이집에서 교육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 집단의 교육 장소 및 일과, 교육주제, 교육내용은 표 4, 표 5,

표 6, 표 7과 같다.

<표 4>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교육장소 및 일과

Page 8:  · 2014-08-26 · %pq rsrt (¾ -9 fF GH0F}¬ù1 p ªp p (å ù1 p ªp p (ª ®ÁI® }¬J ®KI®}¬ù1 LM N LO å ù1 LP LQ ¦OP) }' §OÍ¢,-)/P

116․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대집단활동

교육자료

숲에 있는 자연물

계획된 교육자료

(실물, 모형자료, 사진, 그림자료)

자유선택활동

놀잇감생활주제에 따른 영역별 교재교구

자유선택 활동

영역구성

건강지압로, 팥배나무림, 산사나무림,

때죽나무림, 소나무림, 물푸레나무림,

참나무림, 생태교실등

언어영역, 수 조작 영역,

미술영역, 역할영역, 쌓기영역,

과학영역 등

오전일과

9:00 등원 및 출석체크

9:20 오전 간식

9:40 숲으로 이동

10:00 – 12:00

숲에서 자연물을 이용한

자유선택활동 및 대소집단 활동

12:00 어린이집으로 이동

9:00 등원 및 자유놀이

9:30 오전 간식

10:00 오전 자유선택활동

11:20 이야기 나누기 대집단 활동

11:50 동화, 음률, 조형, 동극, 게임

- 대소집단 활동

12:00 정리 정돈

월 주간 실험집단 비교집단

4월

1주 A산에 왔어요 봄이 왔어요.

2주 A산에 놀이터를 정해요 봄에 만나는 동물과 곤충

3주 A산에 봄이 왔어요 봄에 만나는 식물

4주 A산에 돌이 많아요 자연과 더불어 사는 우리

5월

1주 함께 살아가는 숲이야기–나무 - 나의 몸과 특별한 나

2주 함께 살아가는 숲이야기–꽃 - 소중한 우리 가족

3주 함께 살아가는 숲이야기–애벌레 가족의 생활과 문화

4주 함께 살아가는 숲이야기–곤충 - 가족이 함께하는 놀이

5주 함께 살아가는 숲이야기–흙 - 다양한 가족

6월

1주 숲 속의 여러 가지 동물–개미 우리 동네 모습과 생활

2주 숲 속의 여러 가지 동물–거미 우리 동네의 전통과 문화

3주 숲 속의 여러 가지 동물–새 다양한 직업

4주 숲 속의 여러 가지 동물 - 다람쥐 함께 사는 우리 이웃

7월

1주 숲 속의 여름 – 소리 여름의 날씨와 풍경 즐기기

2주 숲 속의 여름 – 물 더운 여름나기

3주 숲 속의 여름 – 풀 즐거운 운동과 휴식

<표 5>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교육주제

Page 9:  · 2014-08-26 · %pq rsrt (¾ -9 fF GH0F}¬ù1 p ªp p (å ù1 p ªp p (ª ®ÁI® }¬J ®KI®}¬ù1 LM N LO å ù1 LP LQ ¦OP) }' §OÍ¢,-)/P

숲에서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른 정서지능 차이 연구․117

활동명 함께 살아가는 숲 이야기 – A산의 꽃 -

활동목표-봄의 식물의 변화와 특성 이름을 안다.

-환경과 동식물과 더불어 살며 보호하는 태도를 기른다.

관련요소자연탐구> 탐구하는 태도 기르기> 탐구과정 즐기기

사회관계> 다른 사람과 더불어 생활하기> 친구와 사이좋게 지내기

활동일시 5월 2주 활동장소 A산 자연생태교실 활동형태 대소그룹

활동자료 떨어진 꽃잎, 흙, 나뭇가지, 물

활동

방법도입

길가에 떨어진 꽃

줍기

떨어진꽃 모자에

담기

떨어진꽃손에다

쥐기

1. 지금 A산에 어떤 꽃들이 피었을까?

교사: - “애들아!” 봄에는 어떤 꽃을 볼 수 있니?

- 꽃의 이름을 말해보자.

- 꽃의 색깔도 말해보자.

2. 오늘은 선생님이 너희들에게 미션을 줄거야.

교사: A산에 올라가면서 너희들이 말한 꽃들을 주워서 모자에 담아가자.

전개

1. A산에 올라가면서 너희들이 주운 꽃들을 모아보자.

교사 : 너희가 주운 꽃들을 어떻게 모아볼까?

유아1: 선생님! 같은 색끼리 모아요.

유아2: 선생님!! 같은 모양끼리 모아요.

유아3: 꽃 이름이 같은 것 끼리 모아요.

유아4: 선생님!! 저는 열매를 주워 왔어요.

2. 그럼 먼저 꽃이름을 알아보자.

교사: 너희가 주워온 꽃 이름을 어떻게 알아볼까?

유아4: 집에 가서 엄마한테 여쭤봐야 되요.

유아3: 어린이집에 가서 인터넷에서 검색해요.

유아5: 지금 식물도감 찾아봐요.

3. 교사: 먼저 같은 모양과 색을 가진 친구끼리 모아보자.

4. 교사: 다음은 우리가 가져온 도감에서 꽃 이름을 찾아보자.

유아들: 저희는 철쭉꽃이에요.

유아들: 애들아! 열매 팀 모여.

유아들: 도감에서 찾았어요. 이거 냉이꽃이에요.

<표 6> 실험집단의 일일활동 제시

Page 10:  · 2014-08-26 · %pq rsrt (¾ -9 fF GH0F}¬ù1 p ªp p (å ù1 p ªp p (ª ®ÁI® }¬J ®KI®}¬ù1 LM N LO å ù1 LP LQ ¦OP) }' §OÍ¢,-)/P

11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유아들: 저희는 꽃 이름 알아요. 엄마가 알려줬어요. 서양 민들레에요.

활동

방법

마무리

네모 케익 반죽하기네모케익에꽃토핑

올리기

네모 모양 완성된 꽃

케익

1. 교사: 우리가 찾아본 꽃으로 할 수 있는 다른 놀이는 뭐가 있을까?.

유아: 꽃 케익을 만들어 봐요..

유아: 나뭇가지도 가져와.

반죽하자.

유아1: 완성한 후 나뭇가지를 촛불이라고 하며 꽂아 주었다.

유아2: 내일을 세모모양 케익도 만들어요.

유아3: 맞아! 동그란 모양 케익도 만들어요.

2. 교사: 꽃 케익을 만들어 본 느낌은 어떠니?

유아: 흙과 물을 섞는 거를 뭐라고 해요:

교사: 반죽이라고 해요.

유아: 반죽할 때 흙을 만지니깐 부드러웠어요.

유아2: 내일은 물을 더 넣어볼래요.

유아3: 철쭉꽃, 열매, 냉이꽃, 민들레가 아름다워요.

3 봄에 피는 꽃의 색, 이름 모양을 관찰하면서 활동을 마무리 하였다.

확장

활동

어린이집으로 돌아와 싹트네 음률활동으로 연계하여 확장활동을 하였다.

1. 싹트네 새노래를 배운다.

2. 싹트네 노랫말을 개사해서 부른다.

3. 싹트네에 맞추어 율동을 만들어 해본다.

활동명 봄에 피는 꽃에 대해 알아보기

목표 봄에 피는 꽃에 관심을 가지고, 꽃의 아름다움을 느낀다. 꽃이 피는 과정을 탐구한다.

누리과정

관련요소

의사소통 > 말하기 > 느낌, 생각, 경험 말하기

자연탐구 > 과학적 탐구하기 > 생명체와 자연환경 알아보기

일시 2013년 4월 3주 장소 어린이집 활동형태 대소그룹

<표 7> 비교집단의 일일활동 제시

Page 11:  · 2014-08-26 · %pq rsrt (¾ -9 fF GH0F}¬ù1 p ªp p (å ù1 p ªp p (ª ®ÁI® }¬J ®KI®}¬ù1 LM N LO å ù1 LP LQ ¦OP) }' §OÍ¢,-)/P

숲에서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른 정서지능 차이 연구․119

준비물 봄에 피는 꽃 사진자료, 융판, 벚나무 그림, 주사위 그림, 벚꽃 그림 등

활동방법

도입

1. ‘씨앗’ 노래를 불러보며 주의 집중한다.

교사: 노래 속 씨앗이 어떻게 되었니?

유아1: 싹이 됐어요.

유아2: 뾰로롱 뾰로롱 꽃도 됐어요.

전개

1. 유아들이 알고 있는 꽃에 대해 이야기 해본다.

교사 : 너희가 알고 있는 꽃은 어떤 꽃이 있을까?

유아2: 저번에 식목일에 심은 해바라기 꽃 알아요.

유아3: 난 장미꽃, 개나리꽃이요.

유아5: 가시가 많은 장미꽃도 알아요.

2. 봄에 피는 꽃에 대해 알아본다.

교사 : (사진자료를 제시하며) 이 꽃의 이름은 무엇이니?

- 무슨 색깔이니?

- 어떻게 생겼니?

- 어느 계절에 피는 꽃이니?

- 꽃잎은 몇 장이니?

3. 같은 특징을 가진 봄꽃을 분류해본다.

교사 : 같은 색깔을 가진 꽃들을 찾아보자.

유아3: 목련이랑 벚꽃이요

유아4: 개나리랑 산수유는 노란색이요.

교사 : 또 어떤 방법으로 꽃을 나누어 볼수 있을까?

유아2: 꽃잎의 개수가 같은 것끼리요.

유아5: 좋아하는 꽃이 같은 친구들끼리요.

마무리

1. 벚꽃 붙이고 돌아오기 게임을 해본다.

1) 유아를 두 팀으로 나눈다.

2) 각 팀에서 한 명씩 나와 출발선에 선다.

3) 출발 신호음이 들리면 유니바 장애물을 뛰어 넘는다.

4) 반대편에 도착하여 준비된 주사위를 굴린다.

(주사위2개- 그림주사위, 숫자주사위)

5) 주사위의 그림과 숫자에 따라 벚꽃을 떼거나 붙인다.

6) 출발점으로 돌아온다.

2. 게임이 끝나면 하고 난 느낌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확장활동1. 장다리 애벌레 동화를 듣고 동극해보기

2. 씨앗 노래를 들으며 악기로 연주하기

Page 12:  · 2014-08-26 · %pq rsrt (¾ -9 fF GH0F}¬ù1 p ªp p (å ù1 p ªp p (ª ®ÁI® }¬J ®KI®}¬ù1 LM N LO å ù1 LP LQ ¦OP) }' §OÍ¢,-)/P

12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집단 n M SD t실험집단

1793.11 11.48

.43비교집단 91.82 5.07

6. 자료처리 및 분석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Window용 SPSS 버전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집단에 따른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동질성 확보를 위해 유아를 대상으로 한 사전검사 결과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검사에서 나타난 점수를

연구문제에 따라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Ⅲ. 결과 및 해석

1. 숲에서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의 차이

1) 사전검사

숲에서의 교육을 경험하기 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정서지능이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

보기 위해 실험 전 두 집단의 정서지능 검사를 분석한 결과는 표 8과 같다.

<표 8> 실험 전 두 집단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점수

표 8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대한 사전점수의 평균은 실험집단 유아

가 93.11(SD=11.48), 비교집단 유아가 91.82(SD=5.07)이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t=.43) 정서지능에 있어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동질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사후검사

숲에서의 교육을 경험한 집단과 비교집단의 유아에 있어 정서지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

아보기 위해 실험 후 두 집단의 검사를 분석한 결과는 표 9와 같다.

Page 13:  · 2014-08-26 · %pq rsrt (¾ -9 fF GH0F}¬ù1 p ªp p (å ù1 p ªp p (ª ®ÁI® }¬J ®KI®}¬ù1 LM N LO å ù1 LP LQ ¦OP) }' §OÍ¢,-)/P

숲에서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른 정서지능 차이 연구․121

집단 n M SD t

실험집단17

119.58 7.384.38***

비교집단 109.76 5.67

***p<.001

집단 n M SD t

실험집단17

22.88 3.94.29

비교집단 22.59 1.58

<표 9> 실험 후 두 집단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점수

표 9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숲에서의 교육을 실시한 후 정서지능의 사후 검사 평균은

실험집단 유아가 119.58(SD=7.38)이며 비교집단 유아가 109.76(SD=5.67)으로 나타나 실험집

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4.38, p<.001).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숲에서의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효과적임을 나타내는 것이

라 하겠다.

2. 숲에서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하위요인의 차이

1) 숲에서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른 자기 인식 능력의 차이

(1) 사전검사

숲에서의 교육을 경험한 집단과 비교집단의 유아에 있어 자기인식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를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의 사전검사를 분석한 결과는 표 10과 같다.

<표 10> 자기인식 능력에 대한 사전검사 비교

표 10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자기인식 능력에 대한 사전점수의 평균은 실험집단 유아가

22.88(SD=3.94), 비교집단 유아가 22.59(SD=1.58)이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나(t=.29) 자기인식 능력에 있어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동질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사후검사

숲에서의 교육을 경험한 집단과 비교집단의 유아에 있어 자기인식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를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의 사후검사를 분석한 결과는 표 11과 같다.

Page 14:  · 2014-08-26 · %pq rsrt (¾ -9 fF GH0F}¬ù1 p ªp p (å ù1 p ªp p (ª ®ÁI® }¬J ®KI®}¬ù1 LM N LO å ù1 LP LQ ¦OP) }' §OÍ¢,-)/P

12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집단 n M SD t

실험집단17

29.18 3.322.80

**

비교집단 26.00 3.30

**p<.01

집단 n M SD t

실험집단17

23.65 2.78-.54

비교집단 24.18 2.94

<표 11> 자기인식 능력에 대한 사후검사 비교

표 11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숲에서의 교육을 실시한 후 자기인식 능력의 사후검사 평

균은 실험집단 유아가 29.18(SD=3.32)이며 비교집단 유아가 26.00(SD=3.30)으로 나타나 실

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80, p<.01).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숲에서의 교육이 자기인식 능력에 효과적임을 나타내는 것이라

하겠다.

2) 숲에서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른 자기조절 능력의 차이

(1) 사전검사

숲에서의 교육을 경험하기 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유아에 있어 자기조절 능력에 차이

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의 사전검사를 분석한 결과는 표 12와 같다.

<표 12> 자기조절 능력의 사전검사 비교

표 1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자기조절 능력에 대한 사전점수의 평균은 실험집단 유아가

23.65(SD=2.78), 비교집단 유아가 24.18(SD=2.94)이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나(t=-.54) 자기조절 능력에 있어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동질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사후검사

숲에서의 교육을 경험한 집단과 비교집단의 유아에 있어 자기조절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를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의 사후검사를 분석한 결과는 표 13과 같다.

Page 15:  · 2014-08-26 · %pq rsrt (¾ -9 fF GH0F}¬ù1 p ªp p (å ù1 p ªp p (ª ®ÁI® }¬J ®KI®}¬ù1 LM N LO å ù1 LP LQ ¦OP) }' §OÍ¢,-)/P

숲에서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른 정서지능 차이 연구․123

집단 n M SD t

실험집단17

30.06 2.052.25*

비교집단 27.82 3.54

*p<.05

집단 n M SD t

실험집단17

22.47 4.98.91

비교집단 21.29 1.96

<표 13> 자기조절 능력의 사후검사 비교

표 13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숲에서의 교육을 실시한 후 자기조절 능력의 사후검사 평

균은 실험집단 유아가 30.06(SD=2.05)이며 비교집단 유아가 27.82(SD=3.54)으로 나타나 실

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25, p<.05).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숲에서의 교육이 자기조절능력에 효과적임을 나타내는 것이라

하겠다.

3) 숲에서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른 타인인식 능력의 차이

(1) 사전검사

숲에서의 교육을 경험하기 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유아에 있어 타인인식 능력에 차이

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의 사전검사를 분석한 결과는 표 14와 같다.

<표 14> 타인인식 능력의 사전검사 비교

표 1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타인인식 능력에 대한 사전점수의 평균은 실험집단 유아가

22.47(SD=4.98), 비교집단 유아가 21.29(SD=1.96)이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나(t=.91) 자기인식 표현능력에 있어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동질한 것

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사후검사

숲에서의 교육을 경험한 집단과 비교집단의 유아에 있어 타인인식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를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의 사후검사를 분석한 결과는 표 15와 같다.

Page 16:  · 2014-08-26 · %pq rsrt (¾ -9 fF GH0F}¬ù1 p ªp p (å ù1 p ªp p (ª ®ÁI® }¬J ®KI®}¬ù1 LM N LO å ù1 LP LQ ¦OP) }' §OÍ¢,-)/P

12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집단 n M SD t

실험집단17

28.94 2.843.26**

비교집단 26.26 1.92

**p<.01

집단 n M SD t

실험집단17

24.12 5.04.28

비교집단 23.76 1.56

<표 15> 타인인식 능력의 사후검사 비교

표 15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숲에서의 교육을 실시한 후 타인 인식능력의 사후검사 평

균은 실험집단 유아가 28.94(SD=2.84)이며 비교집단 유아가 26.26(SD=1.92)으로 나타나 실

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3.26, p<.01).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숲에서의 교육이 타인인식능력에 효과적임을 나타내는 것이라

하겠다.

4) 숲에서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른 타인조절 능력의 차이

(1) 사전검사

숲에서의 교육을 경험하기 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유아에 있어 타인조절 능력에 차이

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의 사전검사를 분석한 결과는 표 16과 같다.

<표 16> 타인조절 능력에 대한 사전검사 비교

표 16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타인조절 능력에 대한 사전점수의 평균은 실험집단 유아가

24.12(SD=5.04), 비교집단 유아가 23.76(SD=1.56)이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나(t=.28) 타인조절 능력에 있어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동질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사후검사

숲에서의 교육을 경험한 집단과 비교집단의 유아에 있어 타인조절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를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의 사후검사를 분석한 결과는 표 17과 같다.

Page 17:  · 2014-08-26 · %pq rsrt (¾ -9 fF GH0F}¬ù1 p ªp p (å ù1 p ªp p (ª ®ÁI® }¬J ®KI®}¬ù1 LM N LO å ù1 LP LQ ¦OP) }' §OÍ¢,-)/P

숲에서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른 정서지능 차이 연구․125

집단 n M SD t

실험집단17

31.41 2.722.23*

비교집단 29.65 1.80

*p<.05

<표 17> 타인조절 능력에 대한 사후검사 비교

표 17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숲에서의 교육을 실시한 후 타인조절 능력의 사후검사 평

균은 실험집단 유아가 31.41(SD=2.72)이며 비교집단 유아가 29.65(SD=1.80)으로 나타나 실

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23, p<.05).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숲에서의 교육이 타인조절 능력에 효과적임을 나타내는 것이라

하겠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매일 숲으로 이동해 2시간씩 숲에서의 교육을 실시하는 어린이집과 숲에서의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어린이집 유아를 대상으로 숲에서의 교육 실시 후 정서지능에 차이

가 있는가를 고찰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 숲에서의 교육이 일반 어린이집에서의 교육보다 유아의 정서지능 수준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유아의 정서지능 하위요소 중 자기인식, 자기조절, 타인인식 ,타인

조절 등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 정서지능 4가지 하위요소 모두

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주 5회 매일 숲을 경험함으로써

숲에서 놀잇감을 찾고, 찾은 놀잇감을 이용해 자유롭게 놀이를 구성하고 다른 친구들과 협

력하는 과정에서 정서지능이 향상된 것으로 보여진다. 숲에서의 교육은 유아들이 또래와

지속적인 언어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게 하고, 문제 상황이 발생 했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사고를 할 수 있게 한다. 숲에 있는 많은 비구조적인 자연물들은 놀이에 활용

할 수 있어 유아들은 놀이에 필요한 재료들을 직접 구하고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들

이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느끼고 유지 할 수 있게 되어 자신과 타인의 인식조절 능력이 향

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최초 숲 유치원에 관한 연구에서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준다는 김은숙(2010)의 연구와 임은정, 최미숙(2013)의

산책을 통한 자연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결과와 일치하

Page 18:  · 2014-08-26 · %pq rsrt (¾ -9 fF GH0F}¬ù1 p ªp p (å ù1 p ªp p (ª ®ÁI® }¬J ®KI®}¬ù1 LM N LO å ù1 LP LQ ¦OP) }' §OÍ¢,-)/P

126․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고, 자연친화적인 생태교육활동과 숲 체험활동을 통해 유아의 정서지능이 증진되었다는 이

경화(2011)의 연구와 이성희(2010)의 자연친화교육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 결과와도 맥을 같이 한다.

정서지능의 하위요인별 결과를 보자면, 자기인식 능력은 숲에서의 교육을 실시한 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정된 공간의 교실이 아닌

공간의 막힘이 없는 숲에서의 교육을 통해 유아는 자신에게 일어나는 감정을 더 잘 인식하

게 되고 또한 자신의 감정을 다른 친구에게 잘 표현하는 감정인식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바깥놀이를 통한 자연친화 교육이 유아의 자기인식 능력에 영향을 미쳤다는

김신영(2006)의 연구 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자기조절 능력은 숲에서의 교육을 실시한 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유아들은 매일 숲에서의 교육을 통해 자연과 접하는

기회가 많아지고 자연을 직접 보고 느끼고 경험할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었고 개방된

공간에서 자신이 원하는 활동들을 자유롭게 실시하게 됨으로써 다른 친구들과의 관계에 문

제가 발생되었을 때에도 자신의 감정을 통제하고 처리하며 적절한 반응으로 좋지 않은 감

정을 긍정적인 감정으로 변화시키는 감정조절능력이 발달한 것으로 보인다.

타인인식 능력에서도 숲에서의 교육을 실시한 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일 숲에 가서 숲과 교감을 하고 숲이 주는 편안함으로 인해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자신과 다른 친구와의 관계를 이해하게 되며 또래 친구와 어울려 활

동을 해봄으로써 한정된 공간의 실내에서 활동을 할 때보다 더 또래를 이해하려는 자세를

보이게 되고 이를 통해 친밀감을 형성하며 공감하고 감정이입을 하는 능력이 향상된 것으

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숲 체험활동을 통해 타인의 정서와 표현의 차이를 존중하는 능

력이 향상되었다는 이광미(2012)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타인조절 능력에서도 숲에서의 교육을 실시한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활동을 할 때 또래와 협의하여 규칙을 정하고 놀이를 실행함

으로써 주위의 친구들이 기쁘거나 불쾌한 기분을 갖고 있을 때 적절히 대처할 수 있고 또

래와 잘 지내려는 과정에서 타인조절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서지능은 무엇보다도 유아들이 자연스럽게 감정을 표현하고

수용하며 또래와 어울려 자유롭게 노는 경험을 통해 신장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정서지능의 증진을 위해서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자연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오감을 통한 숲에서의 교육이 더 활성화 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위의 결론을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Page 19:  · 2014-08-26 · %pq rsrt (¾ -9 fF GH0F}¬ù1 p ªp p (å ù1 p ªp p (ª ®ÁI® }¬J ®KI®}¬ù1 LM N LO å ù1 LP LQ ¦OP) }' §OÍ¢,-)/P

숲에서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른 정서지능 차이 연구․127

첫째, 이 연구의 실험처치기간은 16주간 주5일로 약 4개월간 이루어졌는데 진행 기간을

장기화 하고, 분석대상의 연령도 다양하게 하여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

는 효과와 영향을 고찰하는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양적인 연구가 진행되었

는데,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적인 연구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나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측면을 고려해 신체발달, 언어발달, 인지발달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Page 20:  · 2014-08-26 · %pq rsrt (¾ -9 fF GH0F}¬ù1 p ªp p (å ù1 p ªp p (ª ®ÁI® }¬J ®KI®}¬ù1 LM N LO å ù1 LP LQ ¦OP) }' §OÍ¢,-)/P

12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참 고 문 헌

강명덕(2005). 자연 체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김덕건, 김효진(2006).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5(1).

57-82

김미경(2011). 산책을 통한 자연 친화교육 활동이 유아의 자연 탐구지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명화, 채영란(2012). 자연물을 이용한 실외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6(5). 339-359.

김상란(2008). 산책활동이 유아들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신영(2006). 바깥놀이를 동한 자연친화 교육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숙(2010). 한국 최초 숲유치원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은숙(2012). 숲에서의 놀이의 실제 및 교사의 역할. 숲에서의 유아교육 실천. (사)한국숲유아

교육협회 창립 학술세미나 자료집. pp.95-103. 4월 28일. 인천: 인천대학교 송도캠퍼스.

김진아(2007), 산책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일례(2013).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미선(2012). 국내 학술지에 나타난 유아 정서지능 관련 연구의 경향 분석. 어린이 문학 교육

연구, 13(3). 379-396.

이광미(2012).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이경화(2011). 숲 체험을 포함한 생태중심유아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사논문.

이명환(2010). 독일의 숲유치원. 독일의 숲과 정원 그리고 생태교육. 한독교육학회·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공동 연차 학술대회 자료집. pp.65-72. 11월 13일. 순천: 순천대학교 사범

대학.

이명환(201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숲체험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생태유아교육연구, 10(1),

175-200.

이명환, 김은숙(2011).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Page 21:  · 2014-08-26 · %pq rsrt (¾ -9 fF GH0F}¬ù1 p ªp p (å ù1 p ªp p (ª ®ÁI® }¬J ®KI®}¬ù1 LM N LO å ù1 LP LQ ¦OP) }' §OÍ¢,-)/P

숲에서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른 정서지능 차이 연구․129

10(4). 149-170.

이병래(1997). 부모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성희(2010). 바깥놀이를 통한 자연친화교육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

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인원, 최기영(2007). 자유 숲놀이에 나타난 유아의 놀이 경험. 열린유아교육연구. 12(2).

273-301.

임명희(2012).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언어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광주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은정, 최미숙(2013). 산책을 통한 자연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연구, 22(4). 229-241.

유희점(2012).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경남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미연, 임소영, 변지혜, 김은주, 임재택(2011). 국내 숲유치원 운영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27-46.

조은제(2011). 숲에서의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정서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

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주소영(2009). 아이들의 놀이터. 자연을 돌려주자-전학업적 기술 향상을 위한 자연놀이치료. 숲

과 문화, 18(5). 14-25.

Goleman, D.(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sic Books.

Salovey, P., & Mayer, J. D.(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Wilson, R. A.(1994). Day care & Early Education. At the Early Childhood level.

Environmental Education 22(2), 23-25.

Wilson, R. A.(1995). The Impo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 at the Early Childhood

level.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nformation, 12(1), 15-24.

Page 22:  · 2014-08-26 · %pq rsrt (¾ -9 fF GH0F}¬ù1 p ªp p (å ù1 p ªp p (ª ®ÁI® }¬J ®KI®}¬ù1 LM N LO å ù1 LP LQ ¦OP) }' §OÍ¢,-)/P

13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Abstract

The effects of forest education on emotional intelligence

Kyung Keum Jin

This study examined whether forest education affects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wo groups of kindergarten children were compared: one group experienced daily forest

education and the other group did not experience forest education.

After an education session in a forest, a test measuring emotional intelligence was

administered. Pre- and post-test data were analyzed with a t-test using SPS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post-test emotional intelligence scores.

Specifically,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higher on emotional intelligence than did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lanning and performing forest

education with young children will enhance their emotional intellig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