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2005. 11 2006 2006 주주 주주 주주주주주 주주주주 주주 주주 주주주주주 주주주주
29

2005. 11

Jan 03, 2016

Download

Documents

leilani-john

2006 주요 지역 경제동향과 수출전망. 2005. 11. 순 서. Ⅰ. 세계 무역 동향 및 전망. Ⅱ. 주요 지역별 경제 동향 및 전망. Ⅲ. 우리나라 수출 전망. Ⅰ. 세계 무역 동향 및 전망. 1. ’ 06 년 세계 교역 크게 증가. 상품 + 서비스 : 7.0%( ’ 05 추정 ) → 7.4%[ ’ 06 전망 ] 상품 : 7.0%( ’ 05 추정 ) → 7.6%( ’ 06 전망 ) 교역증가세 지속 성장 요인 - 유가 및 원자재 가격 상승분 반영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2005. 11

2005. 11

2006 2006 주요 지역 경제동향과 수출전망주요 지역 경제동향과 수출전망

Page 2: 2005. 11

순 서순 서순 서순 서

주요 지역별 경제 동향 및 전망 주요 지역별 경제 동향 및 전망Ⅱ.Ⅱ.

세계 무역 동향 및 전망 세계 무역 동향 및 전망Ⅰ.Ⅰ.

우리나라 수출 전망 우리나라 수출 전망Ⅲ.Ⅲ.

Page 3: 2005. 11

Ⅰ. 세계 무역 동향 및 전망 Ⅰ. 세계 무역 동향 및 전망

11

Page 4: 2005. 11

상품 + 서비스 : 7.0%(’05 추정 ) → 7.4%[’06 전망 ]

상품 : 7.0%(’05 추정 ) → 7.6%(’06 전망 )

교역증가세 지속 성장 요인

- 유가 및 원자재 가격 상승분 반영

- 중국 등 신흥시장의 교역 급증

- 新 EU 10 개국 가입 효과로 EU 역내 교역 증가

상품 + 서비스 : 7.0%(’05 추정 ) → 7.4%[’06 전망 ]

상품 : 7.0%(’05 추정 ) → 7.6%(’06 전망 )

교역증가세 지속 성장 요인

- 유가 및 원자재 가격 상승분 반영

- 중국 등 신흥시장의 교역 급증

- 新 EU 10 개국 가입 효과로 EU 역내 교역 증가

’’0606 년 세계 교역 크게 증가 년 세계 교역 크게 증가

22

Page 5: 2005. 11

Ⅱ. 주요 지역별 경제 동향 및 전망Ⅱ. 주요 지역별 경제 동향 및 전망

미 국미 국미 국미 국1.1.1.1.

E U E U E U E U 2.2.2.2.

일 본 일 본 일 본 일 본 3.3.3.3.

BRICs BRICs BRICs BRICs 4.4.4.4.

33

Page 6: 2005. 11

<< 주요 지역별 경제 전망주요 지역별 경제 전망 >> ( ( 단위 단위 : % ): % )

자료 자료 : IMF (2005. 9): IMF (2005. 9)

미 국미 국

유유럽럽

일 본일 본

유로 지역유로 지역

EU 25EU 25

중 국중 국

전세계전세계

4.24.2

5.15.1

2.52.5

2.72.7

9.59.5

2.02.0

’’04 04 성장률성장률

인 도인 도 7.37.3

브라질브라질 4.94.9

러시아러시아

3.33.3

1.81.8

2.12.1

2.02.0

8.28.2

4.34.3

’’06 06 전망치전망치

6.36.3

3.53.5

5.35.37.27.2

3.53.5

1.21.2

1.61.6

2.02.0

9.09.0

4.34.3

’’05 05 추정치추정치

7.17.1

3.33.3

5.55.5

44

Page 7: 2005. 11

경제 성장 둔화 예상 경제 성장 둔화 예상 : 3.5%(’05: 3.5%(’05 년 추정년 추정 ) → 3.3%(’06 ) → 3.3%(’06 전망전망 ))

경제 성장의 둔화 요인 - 유가 상승과 노동시장 회복 지연

- 카트리나 등 자연재해에 따른 소비 위축

- 부동산 가격 하락 , 쌍둥이 적자 조정을 위한 긴축정책의 효과

- 이자율 추가 인상 가능성

경제 성장의 둔화 요인 - 유가 상승과 노동시장 회복 지연

- 카트리나 등 자연재해에 따른 소비 위축

- 부동산 가격 하락 , 쌍둥이 적자 조정을 위한 긴축정책의 효과

- 이자율 추가 인상 가능성

1. 미국

수입증가율 전망 : 6.6%(’05 추정 ) → 5.9%(’06 전망 )

세계 상품수입의 세계 상품수입의 16% 16% 점유점유 , ’06, ’06 년 수입증가율 둔화 전망년 수입증가율 둔화 전망

55

Page 8: 2005. 11

2. EU

’’0606 년은 ’년은 ’ 0505 년 보다 높은 성장률 예상년 보다 높은 성장률 예상

유로존 (12 개국 ) : 1.2%(’05 추정 ) →1.8%(’06 전망 )

EU 25 개국 : 1.6%(’05 추정 ) → 2.1%(’06 전망 )

신 EU 10 개국의 역내 교역 증대가 경제성장의 활력소 - 저금리 정책 ( 기준금리 2%) 으로 기업 투자 활발 전망

높은 실업률 , 소비부진이 경제 성장의 최대 걸림돌 - 독일 등 주요국의 노동개혁 정책실패로 내년에도 9% 실업률 지속 예상

수입 증가율 확대수입 증가율 확대

EU 25 수입증가율 : 4.2%(’05 추정 ) → 5.4%(’06 전망 )

66

Page 9: 2005. 11

3. 3. 일본일본3. 3. 일본일본

경기 회복세 유지 전망 경기 회복세 유지 전망 : 2.0%(’05 : 2.0%(’05 추정추정 ) -> 2.0%(’06 ) -> 2.0%(’06 전망전망 ))

’05.1 분기 들어 소비증가로 인한 경기 회복세감지 ’06 년에는 엔화가치 약세에 따른 수출증가 전망

’05.1 분기 들어 소비증가로 인한 경기 회복세감지 ’06 년에는 엔화가치 약세에 따른 수출증가 전망

민간 설비 투자 회복 및 수출 증가 - 설비투자는 대기업 , 제조업을 중심으로 성장 - 수출은 디지털 기기를 중심으로 대아시아 지역 신장세 지속

민간소비 증가로 수출 주도형에서 내수 주도형으로 성장패턴 변모

민간 설비 투자 회복 및 수출 증가 - 설비투자는 대기업 , 제조업을 중심으로 성장 - 수출은 디지털 기기를 중심으로 대아시아 지역 신장세 지속

민간소비 증가로 수출 주도형에서 내수 주도형으로 성장패턴 변모

투자투자 , , 수출수출 , , 소비 증가로 인한 경기 회복소비 증가로 인한 경기 회복

수입 증가율 견조세 유지 수입 증가율 견조세 유지

연도별 수입증가율 : 6.7%(’05 추정 ) → 6.6%(’06 전망 )

77

Page 10: 2005. 11

BRICs BRICs BRICs BRICs 4.4.4.4.

가가 . . 브라질브라질나나 . . 러시아러시아다다 . . 인 도인 도라라 . . 중 국중 국

88

Page 11: 2005. 11

세계경제의 회복 , 개혁개방정책에 힘입어 고도성장 지속

BRICs 4 개국 모두 2050 년까지 세계 10 위권 경제대국으로 부상 - 브라질 , 러시아 , 인도 , 중국

- 성장요인 : 노동력 , 천연자원 , 내수시장 , 정부의 개혁 개방 정책

세계경제의 회복 , 개혁개방정책에 힘입어 고도성장 지속

BRICs 4 개국 모두 2050 년까지 세계 10 위권 경제대국으로 부상 - 브라질 , 러시아 , 인도 , 중국

- 성장요인 : 노동력 , 천연자원 , 내수시장 , 정부의 개혁 개방 정책

BRICs BRICs 시장의 부상시장의 부상

<BRICs 국가의 경제 비중 >

인구( 백만명 )

GDP( 억불 )

수출( 억불 )

FDI( 억불 )

BRICs 비중 42.5% 8.7% 10.7% 15.4%

99

Page 12: 2005. 11

가 . 브라질경기 상승세 지속 전망 경기 상승세 지속 전망 : 3.3%(’05 : 3.3%(’05 추정추정 ) → 3.5%(’06 ) → 3.5%(’06 전망전망 ))

실질 임금 상승 , 신용거래 증가로 민간 소비증가 예상

- 정부의 긴축재정으로 인해 공공부문 지출 감소 전망

헤알화 강세에 따른 수출 위축 가능성 - 금년 들어 대미 환율 6.6% 절상 ,

* 16 개 주요국 통화 중 가장 높은 상승폭 기록

물가 안정 목적 콜금리 인상 가능성 상존

- ’04. 9 월 이후 금리 인상으로 소비 위축 , 기업 투자 둔화

- ’05. 11 월 현재 콜금리 19.0%

실질 임금 상승 , 신용거래 증가로 민간 소비증가 예상

- 정부의 긴축재정으로 인해 공공부문 지출 감소 전망

헤알화 강세에 따른 수출 위축 가능성 - 금년 들어 대미 환율 6.6% 절상 ,

* 16 개 주요국 통화 중 가장 높은 상승폭 기록

물가 안정 목적 콜금리 인상 가능성 상존

- ’04. 9 월 이후 금리 인상으로 소비 위축 , 기업 투자 둔화

- ’05. 11 월 현재 콜금리 19.0%

’ ’0505 년 수입증가율은 ’년 수입증가율은 ’ 0404 년에 비해 하락년에 비해 하락 , , 그러나 견조세 유지 그러나 견조세 유지 수입 증가율 : 30.0%(‘04) → 19.7%(’05, 3 분기 )

1010

Page 13: 2005. 11

나 . 러시아

지난 5 년간 연평균 6.3% 성장 - 경상수지 흑자 지속 : ’04 년 601 억 달러 (’00 년 468 억 달러 )

- 외환보유고 증가 : ’05 상반기 1,516 억 달러 (’00 년 278 억 달러 )

- 외채규모감소 : ’05 상반기 1,076 억 달러 (’00 년 1,584 억 달러 )

수출입 및 외국인직접투자 증가 - ’04 년 수출 1,832 억 달러 (’03 년 1,359 억 달러 )

수입 963 억 달러 (’03 년 761 억 달러 )

- ’04 년 FDI 는 94.2 억 달러 (’03 년 67.8 억 달러 )

’06 년도 유가 추이가 경제성장의 최대 관건

지난 5 년간 연평균 6.3% 성장 - 경상수지 흑자 지속 : ’04 년 601 억 달러 (’00 년 468 억 달러 )

- 외환보유고 증가 : ’05 상반기 1,516 억 달러 (’00 년 278 억 달러 )

- 외채규모감소 : ’05 상반기 1,076 억 달러 (’00 년 1,584 억 달러 )

수출입 및 외국인직접투자 증가 - ’04 년 수출 1,832 억 달러 (’03 년 1,359 억 달러 )

수입 963 억 달러 (’03 년 761 억 달러 )

- ’04 년 FDI 는 94.2 억 달러 (’03 년 67.8 억 달러 )

’06 년도 유가 추이가 경제성장의 최대 관건

고속성장에서 안정성장으로 고속성장에서 안정성장으로 : 5.5%(’05 : 5.5%(’05 추정추정 ) → 5.3%(’06) → 5.3%(’06 전망전망 ))

수입 시장 지속 확대 수입 시장 지속 확대 연평균 30% 이상 수입시장 확대 : 34.8%(’04) → 32.5%(’05,3 분기 ) 한국 , 러시아 수입시장 점유율 최초로 4% 진입 (’05 년 ) 연평균 30% 이상 수입시장 확대 : 34.8%(’04) → 32.5%(’05,3 분기 ) 한국 , 러시아 수입시장 점유율 최초로 4% 진입 (’05 년 )

1111

Page 14: 2005. 11

다 . 인도

3 년 연속 (’03~’05] 7% 이상 성장에 이어 ’ 06 년에는 안정성장 기조유지 소비주도의 경제성장 - 민간소비는 GDP 의 64% 수준 ( 중국민간소비 42%) - 매년 10% 씩 증가하는 인도의 중산층이 소비 주도 - 소비의 원천은 IT 수출 , 증시 및 부동산 상승 , 저금리

IT 산업의 성장과 외국자본의 유입이 성장주도 - 90 년대 말 이후 IT 소프트웨어 및 관련 서비스 수출 증가 - 국제 저금리 기조로 대인도 포트폴리오 투자 급증 및 부동산 가격상승

견실한 고성장 지속 견실한 고성장 지속 : 7.1%(’05 : 7.1%(’05 추정추정 )→6.3% [’06 )→6.3% [’06 전망전망 ]]

36.7 %(’04) →38.7%(’05, 1 분기 )

수입 증가세 확대수입 증가세 확대

1212

Page 15: 2005. 11

라 . 중국

초고속 성장세 지속되나초고속 성장세 지속되나 , ’06, ’06 년에는 성장률 둔화년에는 성장률 둔화 : 9.0%(’05 : 9.0%(’05 추정추정 ) → 8.2% (’06 ) → 8.2% (’06 전망전망 )) 78 년 이래 초고속 성장을 기록 , 세계 6 대 경제 대국 부상

내수 소비지출 견실한 증가세

- 중국정부의 도농간 소득격차 해소 노력 → 내수확대 대미 수출 환경 악화 전망 - 미국의 경기 둔화에 따른 미국의 수입수요 둔화

- 대미 무역흑자확대로 인한 통상마찰 심화

국내 경기 과열 진정책

- 과잉공급업종에 대한 투자억제책

내수시장 성장 → 수입시장 확대 내수시장 성장 → 수입시장 확대 (5,614(5,614 억 달러억 달러 , ’04), ’04)

세계 3 대 수입국으로 성장 : 35.8%(’04) → 23.3%(’05,3 분기 )

1313

Page 16: 2005. 11

ⅢⅢ. . 우리나라 수출 전망우리나라 수출 전망ⅢⅢ. . 우리나라 수출 전망우리나라 수출 전망

1414

Page 17: 2005. 11

’06 년 세계 수입 증가전망 (IMF) : 7.0%(’05 추정 ) → 7.6%(’06 전망 ) - 선진국 수입증가율 : 5.6%(’05 추정 ) → 6.0%(’06 전망 )

- 신흥시장 및 개도국 수입증가율 : 14.1%(’05 추정 ) → 12.2%(’06 전망 )

’ ’0606 년 우리 수출년 우리 수출 , , 전년대비 전년대비 12% 12% 증가한 증가한 3,1803,180 억불 전망억불 전망

수출 호조요인수출 호조요인

• 세계경제 안정성장 기조 유지세계경제 안정성장 기조 유지

• BRICs, BRICs, 新新 EUEU 국가 등 신규시장국가 등 신규시장

수요 확대수요 확대

• 반도체반도체 , LCD , LCD 등 등 ITIT 시장 회복시장 회복

• FTA FTA 등 무역자유화 조치 확산등 무역자유화 조치 확산

수출 부진요인수출 부진요인

• 미국미국 , , 중국 등 주력시장의중국 등 주력시장의 경제성장률 둔화경제성장률 둔화• 유가상승유가상승 , , 원화강세 등 수출원화강세 등 수출 여건 불리여건 불리• 주요시장에서 중국 등과주요시장에서 중국 등과 경쟁 치열경쟁 치열

1515

Page 18: 2005. 11

우리나라의 주요 지역별 수출 전망우리나라의 주요 지역별 수출 전망(( 단위 단위 : : 억불억불 , %), %)

2005 2005 추정추정 2006 2006 전망전망

지 역지 역 금 액금 액 증가율증가율 금 액금 액 증가율증가율

북 미북 미 472472 4.84.8450450 -2.5-2.5

구 주구 주 499499 15.915.9 548548 9.89.8

아시아대양주아시아대양주 390390 11.511.5 419419 7.47.4

일 본일 본 237237 9.09.0 259259 9.59.5

중화권중화권 881881 13.313.3 1,0201,020 15.815.8

중남미중남미 146146 27.627.6 185185 26.226.2

CISCIS 5151 50.350.3 7272 42.042.0

중동아프리카중동아프리카 186186 9.99.9 205205 10.310.3

총 계총 계 12.012.0 3,1803,180 12.012.02,8402,840

1616

Page 19: 2005. 11

’’0606 년 대미 수출 년 대미 수출 4.8% 4.8% 증가 전망증가 전망

대미 수출 호조요인 - 무선통신기기 , 반도체 , 자동차부품 등 주력 품목의 수출호조세 전환 - 디지털가전 , 자동차 등 한국제품의 브랜드 이미지제고 - 위안화 절상에 따른 경쟁여건 개선

대미 수출 부진요인 - 원화강세에 따른 가격경쟁력 불리 - 최대 수출품목인 자동차의 현지생산 증가 - 엔화 약세에 따른 경쟁여건 악화 - 국내 업계의 중국 등 해외생산확대에 따라 대미 우회수출 경향

대미 수출 전망대미 수출 전망대미 수출 전망대미 수출 전망

1717

Page 20: 2005. 11

’’0606 년 대유럽 수출 년 대유럽 수출 9.8% 9.8% 증가 전망증가 전망

EU 신규가입 10 개국이 경제성장의 엔진 역할 - 임금상승에 따른 소득증대 → 내수 소비재 시장 팽창 - 인프라 확보 등을 위한 EU 기금 프로젝트 비즈니스 기회 확대

인터넷 , 모바일 등 첨단 디지털 문화의 팽창기 - 인터넷 초고속통신망 보급 확대에 따른 IT 제품 판매호조 - 평면 TV, DVD, 카메라폰 등 디지털 고급가전시장 팽창

한국제품 브랜드 이미지 상승 - 자동차 , 디지털 가전 , 정보통신기기 등 한국산 제품 인지도 확대

내수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회복 여부가 관건

대유럽 수출 전망대유럽 수출 전망대유럽 수출 전망대유럽 수출 전망

1818

Page 21: 2005. 11

’’0606 년 대일 수출 년 대일 수출 9.5% 9.5% 증가 전망증가 전망

일본 경제의 회복세 지속 - 민간소비 회복 , 수입수요 증가 견조세 유지 - 경기회복에 따른 설비투자 수요 증가

자동차 , 디지털가전을 중심으로 한국산 제품 이미지 상승 - 주요 기업의 틈새시장 마케팅 성공적 평가

철강 , 석유화학 등 산업재 수출의 호조 지속

엔화약세 , 중국 등과의 경쟁심화 등 악재요인도 상존 - 고급제품은 일본과 경쟁 , 중저가제품은 중국과 경쟁

대일 수출 전망대일 수출 전망대일 수출 전망대일 수출 전망

1919

Page 22: 2005. 11

(( 단위 단위 : : 억불억불 , %), %)

2005 2005 추정추정 2006 2006 전망전망

국 가국 가 금 액금 액 증가율증가율 금 액금 액 증가율증가율

브라질브라질 3232 32.032.02424 34.234.2

러시아러시아 3939 67.067.0 5959 50.050.0

인 도인 도 4646 26.726.7 5555 19.619.6

중 국중 국 622622 24.924.9 761761 22.522.5

총 계총 계 27.027.0 907907 24.124.1731731

우리나라의 대 BRICs 수출은 총수출의 29% 차지 - 총수출 증가율의 2배가 넘는 수출증가율 시현 - 수출 + 해외투자 + 자원협력을 통한 수출시너지 효과 기대

대대 BRICs BRICs 수출 전망수출 전망대대 BRICs BRICs 수출 전망수출 전망

2020

Page 23: 2005. 11

’’0606 년 대브라질 수출 년 대브라질 수출 32% 32% 증가 전망증가 전망

브라질 현지화 강세로 사상최대 수입 기록 중

- ’06 년 중반까지 헤알화 강세 지속 예상

브라질의 수출확대에 따른 부품수요 확대

- 철강 , 석유화학 등 산업재 수출 증가 전망

- 자동차 수출 증가에 따른 부품 수요 동시 확대

중국 등과의 경쟁심화 , 현지생산 증가추세에 따른 부정적

영향요인도 상존

대브라질 수출 전망대브라질 수출 전망대브라질 수출 전망대브라질 수출 전망

2121

Page 24: 2005. 11

’’0606 년 대러시아 수출 년 대러시아 수출 50% 50% 증가 전망증가 전망

’05 년 고유가에 따라 전례 없는 호황 구가 - 인프라 건설 등 대규모 프로젝트 발주로 수입수요 확대

중산층의 성장과 브랜드 시장의 확대 - 자동차 , 가전 , 휴대폰 등 내구소비재 시장 급속 팽창 - 가격위주의 소비에서 브랜드 위주 소비로의 전환기

가전 , 식료품 등에서 우리나라 제품 이미지 고양 - 일부 가전제품의 경우 , 우리나라산 제품 70% 상회 추정

정식 루트를 통한 안정적 교역패턴 정착 - 수출통계상에 반영되지 않던 교역실적의 집계

대러시아 수출 전망대러시아 수출 전망대러시아 수출 전망대러시아 수출 전망

2222

Page 25: 2005. 11

’ ’0606 년 대인도 수출 증가율은 년 대인도 수출 증가율은 19.6% 19.6% 전망 전망

인도경제의 높은 성장세 - 제조업 증가율 10% 에 육박 , 설비투자 수요증대 → 우리 부품 수출 증가세 지속 ( 자동차부품 , 가전부품 )

관세인하 등 무역 자유화 지속 - 반덤핑 중심의 대한 수입규제 감소 추세 : 20 건 (’04) → 15 건 (’05)

인도시장 내 경쟁심화 양상 - 가전 · 핸드폰 · 기계류 등 주력품목이 중국 등과 경합 치열 - 인도와 여타국간 FTA 확대에 따른 일부 부정적 영향

인도경제의 높은 성장세 - 제조업 증가율 10% 에 육박 , 설비투자 수요증대 → 우리 부품 수출 증가세 지속 ( 자동차부품 , 가전부품 )

관세인하 등 무역 자유화 지속 - 반덤핑 중심의 대한 수입규제 감소 추세 : 20 건 (’04) → 15 건 (’05)

인도시장 내 경쟁심화 양상 - 가전 · 핸드폰 · 기계류 등 주력품목이 중국 등과 경합 치열 - 인도와 여타국간 FTA 확대에 따른 일부 부정적 영향

대인도 수출 전망대인도 수출 전망대인도 수출 전망대인도 수출 전망

2323

Page 26: 2005. 11

대중 수출 전망대중 수출 전망대중 수출 전망대중 수출 전망

’ ’0606 년 대중 수출 년 대중 수출 22.5% 22.5% 증가 전망 증가 전망

연 8~9% 의 고속성장 지속 - 설비투자 , 부품소재 등 산업 수요 증가

내수시장이 경제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자리매김 - 연 10% 확대 - 소득증가에 따른 고급소비재 시장 활성화 - 중국정부의 도농간 소득격차 해소 정책

WTO가입 후 시장개방확대로 비즈니스 환경 개선

그러나 , 불안요인도 상존 - 국제유가 상승 및 부동산 버블 붕괴 가능성

2424

Page 27: 2005. 11

주요 품목별 전망주요 품목별 전망2005 2005 추정추정 2006 2006 전망전망

품 목품 목 금 액금 액 증가율증가율 금 액금 액 증가율증가율

반도체반도체 362.1362.1 16.516.5310.8310.8 17.217.2

자동차자동차 282.4282.4 6.36.3 327.0327.0 15.815.8

자동차부품자동차부품 83.483.4 40.840.8 118.4118.4 42.042.0

무선통신기기무선통신기기 276.4276.4 5.45.4 293.8293.8 6.36.3

컴퓨터컴퓨터 152.0152.0 -11.2-11.2 131.0131.0 -13.8-13.8

가 전가 전 149.9149.9 -3.3-3.3 156.0156.0 4.14.1

철 강 철 강 167.3167.3 25.025.0 212.4212.4 27.027.0

석유화학석유화학 208.8208.8 22.722.7 253.9253.9 21.621.6

선박류선박류 171.2171.2 9.39.3 181.0181.0 5.75.7

섬유류섬유류 140.5140.5 -7.5-7.5 131.2131.2 -6.6-6.6

총계총계(( 기타 품목 포함기타 품목 포함 ))

2,8402,840 12.012.0 3,1803,180 12.012.0

(( 단위 단위 : : 억불억불 , %), %)

2525

Page 28: 2005. 11

품목별 수출 전망품목별 수출 전망품목별 수출 전망품목별 수출 전망

반도체반도체 , , 자동차 및 부품 수출 호조 전망 자동차 및 부품 수출 호조 전망 ’06 년 반도체 시장 호조 예상 - 플래시메모리 등 고부가가치 제품 수요 확대

우리나라 자동차의 브랜드 인지도 확대 - 미국 , 유럽 등 선진국 시장점유율 확대 - 자동차 수출 및 현지생산 확대에 따른 부품 소요 증가

무선통신기기무선통신기기 , , 가전 등은 전년 수준 유지 전망 가전 등은 전년 수준 유지 전망 주력시장 내 재고 조정 가능성 휴대폰은 선진국 제품과 품질경쟁 , 중국제품과 가격경쟁 돌입

컴퓨터컴퓨터 , , 섬유 등은 해외생산확대로 직접수출 급감 섬유 등은 해외생산확대로 직접수출 급감

2626

Page 29: 2005. 11

감사합니다감사합니다

2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