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광주전남연구원 김준( [email protected]) 바다맛 기행 수산물이 콘텐츠다
40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Apr 11, 2017

Download

Food

Yookyoung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광주전남연구원김준( [email protected])

바다맛 기행수산물이 콘텐츠다

Page 2: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Page 3: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밥상에서 바다를

어촌 , 바다(갯벌), 그리고 밥상으로

- 어촌은 ‘건강한 바다’가 지속될 때 정체성 유지

- 건강한 바다는 생물다양성과 문화다양성의 전제조건

- 마을어장의 보전과 이용 방식이 매우 중요

- 어촌의 정체성은 어민만의 문제가 아니라 도시민의 삶과 연결

- 어민은 물론 도시민도 마을어업의 가치를 재인식해야 필요

- 매개체는 밥상, 바다맛에서 출발

Page 4: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밥상에서 바다를

소비자의 미각과 어촌의 지속성

- 지역농업의 중심은 가족농, 연안어업의 중심은 마을어업

- 마을어업은 어촌문화의 뿌리이며 기반

- 바닷물고기의 70%이상 연안갯벌에 산란, 서식, 해양생물의 인큐베이터

- 마을어장의 가치는 수산물 제공과 체험공간을 넘어서는 접근 절실

- 마을어업의 가치 생태계서비스 등 새로운 접근을 통한 가치의 재인식 필요

Page 5: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Page 6: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선사시대의 바다맛

구석기식단

- 250만 년 전 구석시 시대 인류가 먹었던 식단

- 농사 이전의 곡물과 유제품, 소금, 설탕 등 배제(탄수화물, 설탕, 소금 배제)

- 구석기 시대 사람들도 구할 수 있는 고기, 채소, 달걀

- 자연재료만 이용 / 자연식

- 현대인이 웰빙식으로 만들어낸 구석기 식단?

Page 7: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선사시대의 바다맛

신석기시대 생계활동과 어로문화

- 어로, 수렵, 채취 생활 중 어로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큼

- 주거지는 하천, 호소, 내만, 천해 등 어로활동을 하기 좋은 곳

- 수변유적은 고대의 문화변동을 이해하는 열쇠

- 식량자원의 획득과 가공으로부터 문화가 시작됨

- 어로도구 : 작살, 낚시, 어망

- 주요어획물 : 굴, 홍합, 대합 등 패류 / 미역, 김, 다시마 등 해조류

감성돔, 넙치, 졸복, 숭어 등 어류 / 고래, 물개, 바다표범 등 해수류

- 동삼동패총에서 전복, 소라, 재첩 등 42종 발견 / 토기편에 찍힌 그물모양

- 패류는 인류에게 필요한 단백질 공급원

Page 8: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부산 동삼동 패총 출토

- 포유류 : 고래, 돌고래, 강치

- 기수, 내만 : 숭어

- 근해, 외양 : 방어, 참다랑어, 참대구, 참돔, 상어, 가오리, 청새치, 쥐노래미

쏨뱅어, 복어, 넙치, 혹돔, 청어, 감성돔

- 외해 : 전복, 말전복, 밤고둥, 울타리고둥, 소라, 보말고둥, 참배고둥, 대수리,

어깨뿔고둥, 총알고둥, 눈알고둥, 홍합, 타래고둥, 기생고깔고둥, 삿갓조개

오분자기, 진주배말, 큰배말, 바다방석고둥, 두드럭고둥, 굵은줄격판담치

- 연안 : 뿔조개, 긴뿔고둥, 국자가리비 / 대복, 조선백합

- 내만 : 개조개, 살조개 / 소라, 눈알고둥, 큰뱀고둥, 대수리, 복털조개, 참굴 /

백합, 새꼬막, 동죽 / 피뿔고둥, 피조개, 새조개 / 참굴, 가무락, 바지락

- 하구 : 재첩

최종혁(2009), 한국신석기연구 제18집

선사시대의 바다맛

Page 9: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조선시대의 바다맛

세종실록지리지

- 상어, 은어, 숭어, 대구, 민어, 연어, 홍어, 조기, 고등어, 황어, 송어, 준치, 넙치,

가오리, 잉어, 밴댕이, 방어, 전어, 뱅어, 갈치, 옥두어, 농어, 망둑어, 빙어, 멸치, 도

미, 웅어, 도루묵, 열목어, 중고기

신증동국여지승람, 토산품

- 은어, 숭어, 조기, 붕어, 홍어, 청어, 대구, 농어, 황어, 누치, 넙치, 상어, 송어, 방

어, 열목이, 삼치, 고등어, 준치, 쏘가리, 뱅어, 전어, 도루묵, 민어, 밴댕이, 갈치, 병

어, 황강달이, 빙어, 잉어, 전자리, 상어, 멸치, 옥두어, 백조어, 무태어, 망둑어, 까

나리, 보구치, 구굴무치, 임연수

Page 10: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어보류 집필

- 우해이어보(1803년, 김려) : 정어리, 삼치, 학꽁치, 쥐치 멸아 등장

- 자산어보(1814년, 정약전)

- 난호어목지(1820년, 서유구), 임원십육지(1820년대 후반, 서유구) 어명고

조선시대의 바다맛

Page 11: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종묘에 천신한 수산물

- 1월 - 조곽, 7월 - 연어

- 2월 - 빙송어, 생복, 생합, 낙지, 8월 - 붕어, 게,

- 3월 - 황강달이, 생조기, 누치, 웅어, 9월 - 수산물 없음

- 4월 - 준치, 오징어 10월 - 문어, 대구, 도루묵,

- 5월 - 수산물 없음 11월 - 뱅어, 빙어, 청어,

- 6월 – 은어 12월 - 생어

조선시대의 바다맛

Page 12: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일제강점기의 바다맛

한국수산지1집(1908년) 주요 어획물

- 한국인 - 명태, 조기, 새우, 멸치, 청어, 대구

- 청국인 - 갈치, 준치, 강달어, 조기, 새우

- 일본인 - 도미, 멸치, 삼치, 조기, 해삼, 전복

민족별 식성과 기호를 반영해 어획. 일본인은 초기에 조기를

잡지 않았다가 조선인에게 팔기 위해 잡음. 당시 일본인이 어

획한 주 어종은 도미.

Page 13: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펄갯벌: 가리맛조개, 낙지, 꼬막 등 / 모래갯벌: 동죽, 개량조개, 맛, 백합 등

혼합갯벌: 바지락, 가무락조개 등 / 모래해빈: 대복 / 하구: 동죽, 백합 등

연성저질 조하대: 개조개, 키조개, 새조개, 주꾸미, 피조개, 피뿔고둥, 코끼리조

개, 큰구슬우렁이 등

바위해안 조간대: 삿갓조개, 군부, 대수리, 보말, 톳, 김, 우무 등

바위해안 조하대: 홍합, 전복, 군소, 소라, 문어, 미역 등 / 수괴: 오징어류

최근 _ 연안습지의 연체류 등

Page 14: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계절 지역별 수산물

봄서산 간월도 새조개, 곰소 주꾸미,

당진의 실치회, 여수의 서대회, 섬진강 재첩

여름강화 밴댕이, 속초 오징어, 고창 풍천장어, 임자 민어,

남해 돌멍게, 고성 여수 갯장어, 제주 자리돔회

가을무안 낙지, 안면도 대하, 제주의 갈치 고등어,

망덕 서천 전어, 흑산 홍어

겨울주문진 도루묵, 거진 양미리, 포항 과메기,

변산 백합, 무안 도리포 숭어, 신안 감태

최근_제철수산물

Page 15: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Page 16: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1

6

어부가 차려낸 밥상이야기

Page 17: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1

7

어부가 차려낸 밥상이야기

Page 18: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1

8

어부가 차려낸 밥상이야기

Page 19: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1

9

어부가 차려낸 밥상이야기

Page 20: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2

0

어부가 차려낸 밥상이야기

Page 21: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2

1

밥상에서 사라진 우리바다맛

Page 22: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밥상에서 사라진 우리바다맛

남획과 식문화

밥상지키기는 바다살리기

소비자와 생산자의 연대

도시민과 어민의 연대

Page 23: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Page 24: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어업유산 – 어촌, 어업경관에 주목을

세계중요농업유산시스템(GIAHS) – FAO 2002년 도입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열망과, 환경과의 동반 적응을 통해 생

물다양성이 잘 유지되고 있는 토지이용체계와 경관

제주도 밭담, 청산도 구들장논

국가중요농업유산제도 – 농축산부 2012년 도입

농업인이 지역사회의 문화적, 농업적 또는 생물학적 환경과 깊은 관계를 맺

으면서 적응과정을 통해서 진화해온 보전 유지 및 전승할만한 가치가 있는

전통적 농업시스템과 그 결과로 나타난 농촌경관

Page 25: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어업유산

GIAHS는 농업만 아니라 어업 관련 유산들을 포함

개념 - 어업유산은 전통어업시스템과 이의 결과로 나타난 경관

핵심요소 - 어촌 어업경관, 전통어업시스템 – 어구어법, 생물다양성

기대효과 – 어촌과 바다의 다원적 가치의 재발견, 지역관광 활성화

파생콘텐츠 - 차별화된 콘텐츠, 스토리텔링, 브랜드, 캐릭터

차별성 – 전통문화, 안전한 먹거리, 휴양과 힐링

Page 26: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어업유산

국가중요어업유산

어촌의 다원자원, 생물다양성, 어촌 활성화를 목적으로 2015년 지정

해녀(1호), 뻘배(2호), 죽방렴(3호) 2015년 12월 15일 지정

그외 염전, 갯벌, (제주 : 테우, 도대불, 원담, 돌염전)

Page 27: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전통어업 1 - 독살

현장에 남아 있는 인류의 가장 오래된 어법의 흔적

문화유산의 가치, 명승의 가치, 경관의 가치 공존

독살문화축제(태안 일대)

제주에서는 생활문화 ‘원‘, 멸치 등을 많이 잡음

Page 28: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전통어업의 2 - 죽방렴

어업유산을 대표하는 전통어법

품질 으뜸(정치망, 낭장망, 권형망)

체험관광, 지역관광의 상징

경제성에 비해 높은 유지관리 어려움

Page 29: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전통어업 3 - 미역

양식미역에 밀려난 돌미역

갯닦기, 물주기 등 전통미역농사법

역사성과 지역성으로 새로운 모색

Page 30: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전통어업의 유형 4 - 마을어업

어촌의 정체성, 생활이 기반, 안전판

바지락, 모시조개, 낙지, 가시파래(감태), 톳, 미역, 매생이 등 다양한 식

재료의 공급처

고령화, 경제성 등으로 새로운 가치 모색

Page 31: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전통어업 5 - 숭어들이

숭어들이, 뜰채, 홀치기, 후리그물 등 다양한 어법

숭어회, 건정, 찜, 어란, 탕, 전 등 다양한 요리

숭어축제, 고기잡이체험이 단골 어류, 구전설화의 주인공

Page 32: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전통어업 6 - 낙지잡이

가래낙지, 손낙지, 묻음낙지, 주낙, 통발 등 다양한 어법

연포탕, 물회, 낙지호롱, 초무침, 산낙지, 탕탕이, 기절낙지 등 다양

한 음식문화

Page 33: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전통어업 7 - 해녀

우무가사리, 미역 전복 소라

본향당 등 마을굿 유지(1만여 신당)

해녀학교, 해녀박물관, 무형문화재추진, 어업유산

Page 34: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Page 35: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슬로피시는

Page 36: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사라져 가는 지역의 음식문화를 발굴하고 널리 알려 보존해가는 국제프로젝트

노아의 방주에서 가져온 이름으로 잊혀져 가는 음식의 맛을 재발견하고 멸종위기

에 놓인 종자나 음식을 찾아 기록해 널리 알리기 위해 이태리 브라에 본부를 두고

150여개국 10만여 명이 활동하는 비영리국제기구 슬로푸드 국제본부가 추진하

는 프로젝트

- 맛이 있어야 하며

- 특정한 지역과 연관이 이어야 하며

- 소규모 생산되어야 하며

-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재배된 생산물이어야 하며

- 없어질 위험(멸종)에 처한 것이어야 한다.

맛의 방주

Page 37: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우리나라 2013년 8월 울릉도 칡소, 섬말나리, 진주 앉은뱅이 밀, 연산 오계, 제주

푸른콩장이 등재, 9월 장흥 돈차 청태전, 제주 흑우, 태안 자염 등재

맛의 방주에 등재되면 맛지킴이두레를 조직해 토종을 가꾸고 지키는 프로젝트를

추진

슬로피쉬, 산업화된 폭력적인 어업방식이 아닌 전통어업방식과 소규모 어업생산

자의 중요성과 가치를 인정하고 지원하는 운동

맛의 방주

Page 38: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Page 39: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쉽지 않는 일이지만

친환경어업, 유기농어업, 지속가능한 어업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어

야 한다.

농사에서 소농의 위기대응력을 보면서 소규모 어업, 가족어업의 대응전략을 모

색 하듯이 어업은 마을어장이 그 대응의 장소이며, 새로운 가치를 접목시키는

시도가 필요하다.

시장의 가치에서 벗어나는 어업

Page 40: 160531 수산물이 콘텐츠다 어촌어항협회

4

0

바다맛을 아는 것은 수산물의 이름을 외우는 것이 아니다

바닷가 사람들의 삶과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며, 어부들의 삶을 엿보고 감사하

는 것이다. 어류를 통해 바다를 이해하고 내 삶을 돌아보는 것이다. 어부에게

자긍심을, 자신에게는 성찰을 그리고 바다의 지속가능성을 함께 고민하는 것

이다.

맛 + 어민이 삶 + 감성 = 바다맛기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