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1- 1. 국내 만성질환 관리현황 2. 외국의 만성질환 관리현황 세계보건기구자료 2.1 . 세 만성질환 현황 (1) 만성질환 현황개요 1) 년 전 세 모든 연령대에서 사망한 천백만 명 중 심혈 질환 2005 5 (30%), (13%), 만성 호흡기질환 당뇨 기타 만성질환 사망한 사람 (7%), (2%), (9%) 61% 만성질환 사망 절반상 차지 년 한해 만성질환로 사망한 전 세 수는 총 천 백만 명로 남가 천백 2005 3 5 1 8 만명 여가 천 백만 명며 는 만 명당 총 사망수가 만 명당 남 , 1 7 10 549 , 10 사망수는 여 사망수는 명 뜻함 556 , 543 . 그림 1 년 세계 주요사망원인 비율 . 2005 (WHO, 2005) 자료원: WHO. Preventing Chronic Disease a vital investment. 2005 만성질환로 한 사망 수는 조금씩 늘 는 추세 심혈 질환 암질환 사망수 증가를 끌 며 년에는 만성질환로 한 사망수가 천만 명 2020 5 에 를 것로 보. 1) 부분 주로 내용 참하였 WHO. Preventing Chronic Disease a vital investment. 2005 .
15

1. 국내만성질환관리현황 2. 외국의만성질환관리현황snu-dhpm.ac.kr/pds/files/080327 WHO 자료.pdf그림13 보건의료정책계획및실행.-13-( )나 민간영역

Feb 04, 2020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1. 국내만성질환관리현황 2. 외국의만성질환관리현황snu-dhpm.ac.kr/pds/files/080327 WHO 자료.pdf그림13 보건의료정책계획및실행.-13-( )나 민간영역

- 1 -

1. 국내 만성질환 관리현황2. 외국의 만성질환 관리현황세계보건기구자료2.1

가. 세계 만성질환 현황

(1) 만성질환 현황개요1)

○ 년 전 세계의 모든 연령대에서 사망한 천백만 명 중 심혈관계 질환 암2005 5 (30%), (13%),

만성 호흡기질환 당뇨 기타 만성질환 으로 사망한 사람의 비율이 로(7%), (2%), (9%) 61%

만성질환이 사망 원인의 절반이상을 차지

○ 년 한해 만성질환으로 사망한 전 세계 인구수는 총 천 백만 명으로 남자가 천 백2005 3 5 1 8

만 명 여자가 천 백만 명이며 이는 만 명당 총 사망자수가 명 만 명당 남자, 1 7 10 549 , 10

사망자수는 명 여자 사망자수는 명을 뜻함556 , 543 .

그림 1 년 세계 주요사망원인 비율. 2005

(WHO, 2005)

자료원: WHO. Preventing Chronic Disease a vital investment. 2005

○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조금씩 늘고 있는 추세이고 심혈관계 질환과 암질환이

사망자수 증가를 이끌고 있으며 년경에는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자수가 천만 명2020 5

에 이를 것으로 보임.

1) 이 부분은 주로 내용을 참고하였음WHO. Preventing Chronic Disease a vital investment. 2005 .

Page 2: 1. 국내만성질환관리현황 2. 외국의만성질환관리현황snu-dhpm.ac.kr/pds/files/080327 WHO 자료.pdf그림13 보건의료정책계획및실행.-13-( )나 민간영역

- 2 -

○ 반면 손상 및 전염성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수는 년 현재 소규모 증가한 것으로 나2002

타났지만 년에는 감소될 것으로 예상되며 손상으로 인한 사망자수는 증가할 것으2020

로 보이나 전염성 질환은 감소할 것으로 추측

그림 2 만성질환 및 그 외 질환들로 인한 사망자 수 전망.

(Derek Yach, 2004)

자료원: Derek Yach,Corinna Hawkes,C. Linn Gould,Karen J. Hofman. The Global Burden of Chronic

Diseases. JAMA. 2004;291:2616-2622

○ 년 세계 질병부담 주요원인 중 심혈관계질환 암 만성 호흡기질환2005 (10%), (5%), (4%),

당뇨 기타 만성질환 이 총 질병 부담(1%), (28%) (DALYs)2) 중 를 차지48%

○ 년 한해 만성질환으로 발생한 질병부담은 총 로 남성이 여2005 725 DALYs 372 DALYs,

성이 이며 만 명당 질병부담은 총 남성이354 DALYs 10 11,263 DALYs, 11,470 DALYs,

여성은 로 나타남11,053 DALYs .

2) Disability-Adjusted Life Years(DALYs)

DALYs = YLL +YLD

YLL: the years of life lost due to premature mortality

YLD: the years lost due to disability

Page 3: 1. 국내만성질환관리현황 2. 외국의만성질환관리현황snu-dhpm.ac.kr/pds/files/080327 WHO 자료.pdf그림13 보건의료정책계획및실행.-13-( )나 민간영역

- 3 -

그림 3 질병부담율 분포. (DALYs) (WHO, 2005)

자료원: WHO. Preventing Chronic Disease a vital investment. 2005.

○ 만성질환에서 일반적으로 개선 가능한 주요 위험요인은 건강하지 않은 식이 신체 활,

동저하 흡연이 있으며 개선 불가능한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나이와 유전이 있음, .

○ 이들 위험 요소들이 혈압과 혈당 올리며 혈중 지질구성을 비정상적으로 변화시켜 과체

중 또는 비만을 유발하여 결국에는 심장질환 뇌졸중 암 만성 호흡기 질환 당뇨병 등, , , ,

을 유발

○ 세계화는 주로 서구화된 식습관의 전파로 위험요인에 영향을 미치며 도시화는 주로 신

체활동저하를 유발하며 인구집단의 고령화 또한 위험요인에 영향을 미침, .

그림 4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요인.

자료원: WHO. Preventing Chronic Disease a vital investment. 2005.

○ 년 한해 전 세계 세 이상 여성 중 과체중2005 30 3)의 유병률은 북미지역과 지중해 동부

지역 남아프리카 지역에서 가장 높으며 중국과 일본지역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

지역에서 낮음.

3) 체질량지수 가 이상(BMI) 25kg/m2

Page 4: 1. 국내만성질환관리현황 2. 외국의만성질환관리현황snu-dhpm.ac.kr/pds/files/080327 WHO 자료.pdf그림13 보건의료정책계획및실행.-13-( )나 민간영역

- 4 -

그림 5 세 이상 여성 중 과체중 여성의 대륙별 분포. 30 (BMI 25kg/m2) (WHO, 2005)≧자료원: WHO. Preventing Chronic Disease a vital investment. 2005.

(2) 빈곤과 만성질환

○ 빈곤과 만성질환은 악순환의 고리를 형성

○ 빈곤으로 인한 물질적 결핍 및 정신적 스트레스가 고위험 행동양식을 유발하며 건강하

지 않은 환경을 초래함 이는 만성질환 발병의 위험을 높이며 보건의료이용의 접근도.

를 제한시키며 합병증의 가능성을 높임.

○ 만성질환은 또다시 가계 내 의료비 비율을 높이고 생산력을 감소시키며 교육의 기회를

박탈함으로써 식품 위생 의료서비스 등을 구매할 자원을 제한하여 빈곤에 이르게 함, , .

Page 5: 1. 국내만성질환관리현황 2. 외국의만성질환관리현황snu-dhpm.ac.kr/pds/files/080327 WHO 자료.pdf그림13 보건의료정책계획및실행.-13-( )나 민간영역

- 5 -

그림 6 만성질환과 빈곤의 악순환.

자료원: WHO. Innovative Care for Chronic Condition. 2002.

○ 국민총소득4)에 따른 만성질환으로 인한 만 명당 사망자수는 국민총소득이 낮을수록10

증가

그림 7 국민총소득에 따른 질병별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분포 (WHO, 2005)

자료원: WHO. Preventing Chronic Disease a vital investment. 2005.

○ 국민총소득에 따른 만성질환으로 인한 질병부담 은 국민총소득이 낮을수록 증(DALYs)

4) 년 일인당 국민총소득 기준Worl Bank Income group: 2006 (GNI)

이하low income: $905 ; lower middle income: $906~$3,595; upper middle income: $3,596~$11,115; high

이상income: $11,116 .

Page 6: 1. 국내만성질환관리현황 2. 외국의만성질환관리현황snu-dhpm.ac.kr/pds/files/080327 WHO 자료.pdf그림13 보건의료정책계획및실행.-13-( )나 민간영역

- 6 -

그림 8 국민총소득에 따른 질병별 만성질환으로 인한 질병부담.

분포(DALYs) (WHO, 2005)

자료원: WHO. Preventing Chronic Disease a vital investment. 2005.

(3) 만성질환의 사회경제적 부담

○ 만성질환 심장질환 뇌졸중 당뇨 으로 인한 사망 관련하여 감소가 발생하며 주요( , , ) GDP

나라들은 만성질환으로 인한 감소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러시GDP

아는 그 폭이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보임.

그림 9 만성질환으로 인한 감소 현황 및 예측. GDP (WHO, 2005)

자료원: WHO. Preventing Chronic Disease a vital investment. 2005.

Page 7: 1. 국내만성질환관리현황 2. 외국의만성질환관리현황snu-dhpm.ac.kr/pds/files/080327 WHO 자료.pdf그림13 보건의료정책계획및실행.-13-( )나 민간영역

- 7 -

○ 주요국 중 만성질환5)으로 인한 복지적 손해는 중국이 가장 높으며 탄자니아가 가장

낮음.

○ 주요국 중 영국 등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는 년까지 만성질환으로 인한 복지적 손2015

해6)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

그림 10 주요국의 만성질환으로 인한 복지적 손해 현황 및 예측. (WHO, 2005)

자료원: WHO. Preventing Chronic Disease a vital investment. 2005.

○ 주요국 중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일인당 질병부담은 미국이 최소 불에서 불205.91 277

로가장 높으며 인도가 최소 불에서 최대 불로 가장 낮음4.78 6.45 .

표 1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일인당 질병부담. (World Bank, 2000)

자료원: World Bank. Public Policy and the Challenge of Chronic Noncommunicable Diseases. 2000.

나. 세계 만성질환 관리 문제점7)

○ 현대 의료체계는 감염성 질환과 같은 급성질환들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도록 발달되어

옴.

5) 심장질환 뇌졸중 당뇨, ,

6) 건강상실 또는 건강이득 을 돈의 가치로 환산한 것(Health Loss) (Health Gain)

7) WHO. Innovative Care for Chronic Condition. 2002.

Page 8: 1. 국내만성질환관리현황 2. 외국의만성질환관리현황snu-dhpm.ac.kr/pds/files/080327 WHO 자료.pdf그림13 보건의료정책계획및실행.-13-( )나 민간영역

- 8 -

○ 하지만 급성질환들이 줄어들고 만성질환들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현재 의료체계는 만성

질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함.

○ 의료체계는 크게 환자 단계 의료조직 및 지역사회 단계 그리고 정책적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들은 각기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는 순환관계에 있음.

그림 11 단계에 따른 만성질환관리 영역의 쟁점.

(1) 미시적 단계 환자 측면( )

○ 일방적 수혜자의 입장에 있는 급성기질환과 달리 질환관리에 주체적으로 참여하게 되

는 만성질환에서는 환자들의 역량이 중요.

○ 만성질환 위험요인들을 스스로 통제하거나 만성질환의 관리에서 환자스스로의 역할을

찾도록 하는 환자들의 역량강화에 실패

○ 개가 넘는 논문에서 상담 교육 정보전달 등의 도움이 질병개선에 영향을 주는 것400 , ,

으로 나타남8).

○ 환자가 하는 일상적 건강활동들이 예 금연 운동 적절한 수면과 식이 등 의학적 치료( , , , )

보다 환자들의 건강에 더 강력한 영향

○ 환자들이 쉽게 건강정보를 얻고 스스로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환자들과 보건의료인

들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중요하며 이는 치료 효과 증진에 영향끼침.

○ 환자들을 의사결정 치료 계획에 동참시키면 치료 효과와 효율이 증가, , 9)

(2) 중간적 단계 보건의료조직 및 지역사회 측면( )

○ 보건의료조직이 만성질환관리에 맞는 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에 실패

○ 보건의료인들이 급성질환 치료에 중점적으로 훈련받았으나 상대적으로 만성질환관리에

대해서는 훈련이 부족

○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만성질환관리 진단 시술 및 투약 등이 이루어져왔으며 과학적,

근거가 충분한 만성질환관리 방법은 효과적으로 전파되어 사용되지 못함.

○ 만성질환의 예방과 건강증진과 관련된 건강정보 및 생활습관을 바꿀 수 있는 지식 동,

8) 재인용Center for Advancement of Health, 1996( )

9) Holman, H & Lorig, K. Patients as partners in managing chronic disease. BMJ 2000;320:526-527

Page 9: 1. 국내만성질환관리현황 2. 외국의만성질환관리현황snu-dhpm.ac.kr/pds/files/080327 WHO 자료.pdf그림13 보건의료정책계획및실행.-13-( )나 민간영역

- 9 -

기부여 기술을 환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함, .

○ 만성질환 감시체계 및 환자등록체계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아 만성질환 및 합병증 발생

을 피할 수 있는 기회들 놓침.

○ 지역사회에서 일차의료 공백을 대채 할 수 있는 지역사회 자원을 발굴하는 데 실패

(3) 거시적 단계 정책 측면( )

○ 보건의료서비스를 정의하고 보건의료 영역 구성원들의 역할을 설정하며 환자의 안전을

설정하는 법제체계가 미비

○ 보건의료 정책 및 계획이 오래된 역학정보에 기초한다던지 극소수의 몇 가지 건강쟁점

에만 집중한다던지 비용측면이 지나치게 강조되어 보건의료체계의 비효율성 증대 및

분절화를 초래

○ 보건의료비 재원 체계가 분절화 되어 각기 해당되는 환자들에게 서로 다른 기준 및 강

조점을 둔 보건의료서비스가 제공

○ 보건의료인들이 적절한 양 질 및 가격의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유인책이,

미흡

○ 질관리 인증 감시 체계 등을 통하여 효율적이고 질 좋은 보건의료서비스를 충분히 공, ,

급하지 못함.

○ 보건의료인들의 평생 학습체계가 부족하여 새로운 의료기술 또는 의학정보를 습득하며

지역사회에 적절하고 효과적인 개입을 시행하는데 제한

○ 보건의료 외 영역과의 협력이 간과되어 만성질환에 대한 포괄적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

루어지지 못함.

다. 만성질환 관리 전략WHO

(1) 만성질환관리 체계수립의 기본 전략10)

○ 정책수립 사업기획 임상적 만성질환관리는 근거에 입각한 의사결정구조가 반영되어야, ,

함.

○ 개인단위의 접근보다 집단단위의 접근이 효과적이며 효율적 방법

○ 대부분의 만성질환은 예방 가능한 것이므로 예방에 보다 초점을 맞추어 관련 정보와

기술 동기부여가 체계적으로 환자에게 공급되어야 함, .

○ 질관리가 적절히 되어야 제한된 보건의료자원을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

○ 보건의료 서비스가 개별 단계별 미시적 중간적 거시적 로 제공 되는 것이 아니라 통( , , )

합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통합적 체계를 갖추어야 함.

○ 통합과 협력 지속성은 보건의료서비스 체계를 세울 때 반드시 고려되어야 함, .

○ 정기적 조사사업과 감시 평가 등을 통해 보건의료 환경 변화에 보건의료 체계가 유연, ,

하고 능동적으로 적응 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

○ 정책적으로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고 준비되고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동기부여

10) WHO. Innovative Care for Chronic Condition. 2002.

Page 10: 1. 국내만성질환관리현황 2. 외국의만성질환관리현황snu-dhpm.ac.kr/pds/files/080327 WHO 자료.pdf그림13 보건의료정책계획및실행.-13-( )나 민간영역

- 10 -

가 된 지역사회 동역자와 보건의료팀 그리고 환자 및 가족이 있어야 만성질환관련 건

강결과의 개선을 기대

그림 12 만성질환관리의 통합적 체계 모형. (ICCC )

자료원: WHO. Innovative Care for Chronic Condition. 2002.

(2) 규모별 전략

가( ) 미시적 단계 환자 측면( )

○ 환자와 가족 지역사회 동역자 보건의료팀 요소의 조화가 만성질환 건강결과 증진에, , 3

핵심

○ 환자와 가족은 만성질환관련 건강정보를 제공받아야하며 생활습관변화에 대해 동기부

여 받아야하며 생활터전에서 생활습관을 바꿀 수 있는 기술이 준비되어야 함.

○ 보건의료팀에서 의사를 비롯한 각 분야의 보건의료인들은 팀으로서 활동해야 만성질환

의 여러 위험요소 및 합병증 관리에 도움이 됨.

○ 지역사회 동역자들은 만성질환 관련 필수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되고 교육

받고 동기부여 받아야 함.

나( ) 중간적 단계 보건의료조직 및 지역사회 측면( )

① 보건의료조직 부문○ 보건의료조직 내 환자관리는 차 차 차 진료의 협력 속에 이루어져야 함1 , 2 , 3 .

○ 같은 환자를 여러 보건의료인들 함께 진료함에 있어 상호교류를 통하여 환자에 대한

지식 및 기술 축적을 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고 치료 코디네이터 를‘ (care coordinator)’

두어 체계적으로 환자관리가 되도록 하여야 함.

Page 11: 1. 국내만성질환관리현황 2. 외국의만성질환관리현황snu-dhpm.ac.kr/pds/files/080327 WHO 자료.pdf그림13 보건의료정책계획및실행.-13-( )나 민간영역

- 11 -

○ 환자관리는 사려 깊은 방법으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

○ 보건의료조직 구성원들은 적절한 유인책을 통해 질관리가 되도록 독려하여야 하며 지

속적 질관리 감시체계는 적용되어야 함.

○ 만성질환 관리에 필요한 충분한 장비가 제공되어야 함.

○ 환자 및 가족이 자가 건강관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함.

○ 치료와 진단 및 역학정보가 체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며 이는 만성질환관리의 계획수

립과 서비스 표준화에 도움이 됨.

② 지역사회 부문○ 지역사회 내 리더 그룹들을 통하여 만성질환 및 합병증에 대한 인식을 넓히고 낙인에

대한 인식을 개선해야 됨.

○ 지역사회 내 리더 그룹들은 건강관련 선거권 행사 등 및 지역사회 내 만성질환자 지원

등에 독려되어야 함.

○ 건강관련 활동 켐페인 조사 교육 모금 등을 위해 지역사회 자원을 동원하고 조율되, , , ,

어야 함.

○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건강정보 전파 및 대상자 발굴이 되어야 함.

다( ) 거시적 단계 정책 측면( )

○ 정책결정자 들은 만성질환 관련 현황을 파악하고 이슈화 시켜야 함.

○ 통합된 정책이 적용되어 보건의료 전달체계가 기능적으로 잘 유지되어야 하며 지역사

회 조직과 유기적으로 협조가 되어야 함.

○ 지속적으로 보건의료재원이 공급되도록 하며 체계적으로 분배되도록 해야 함.

○ 보건의료인을 역량을 증대시키는 교육체계가 있어야 하며 인센티브와 쿼타 제도를 때

로는 이용하여 지역적으로 고른 분포를 이루어야 함.

○ 법률제정으로 통하여 만성질환 예방 유해물질 생산규제 만성질환자 인권개선 등이 필, ,

○ 정부 내 타 부처 및 등과 협력관계 강화 필요NGO

(3) 주체별 전략

가( ) 정부의 역할

○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체계 구조의 단일화 필요

○ 주요 위험요인 주요 질환에 집중하여 통합된 만성질화 예방 및 관리체계가 가장 효과

적.

○ 개인과 집단에 대한 포괄적인 보건의료 개입이 필요

○ 한정된 재원으로 보건의료사업을 펼칠 경우 실현 가능성을 고려한 단계별 접근 필요

○ 만성질환의 위험요인 중 상당부분이 보건의료 외 분야에 해당되는 것으로 타 부처 및

시민사회영역과 협력이 필요

○ 매 사업 단계 마다 이정표를 만들며 특히 건강불평등에 집중할 필요

Page 12: 1. 국내만성질환관리현황 2. 외국의만성질환관리현황snu-dhpm.ac.kr/pds/files/080327 WHO 자료.pdf그림13 보건의료정책계획및실행.-13-( )나 민간영역

- 12 -

① 만성질환정책 계획 및 실행과정을 다음과 같이 단계로 시행3

○ 첫 단계 국민들의 필요 평가 정치적지지: ,

국민들의 필요 평가-

첫 째 세부단계 설문조사:⦁두 번째 세부단계 건강조사: (BP, Wt)⦁세 번째 세부단계 건강조사: (blood)⦁정책결정자에 대한 정치적지지-

○ 두 번째 단계 계획을 구체적으로 체계화 만성질환 정책 채택: ,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보건의료정책-

타부문간 협력-

생애주기별 접근-

단계별 시행-

성공요인-

높은 정치적지지⦁국제적 협동⦁관련 정치인지지⦁시행되기 전 광범위한 검토⦁개발과 실행의 모든 단계에서 소통⦁

○ 세 번째 단계 정책실행:

법제화 및 규칙화-

환경개선-

지지 설정-

지역사회 적용-

보건의료조직 및 서비스 공급-

그림 13 보건의료 정책 계획 및 실행.

Page 13: 1. 국내만성질환관리현황 2. 외국의만성질환관리현황snu-dhpm.ac.kr/pds/files/080327 WHO 자료.pdf그림13 보건의료정책계획및실행.-13-( )나 민간영역

- 13 -

나( ) 민간영역 시민사회 및 국제기구 역할,

○ 민간영역 시민사회 국제기구들과 파트너쉽이 필요, ,

각 파트너 마다 특유의 역할 부여-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목표설정-

서로 대한 유기적인 역할 및 책임에 대해 명확히 규정-

모두가 합의한 후 실행-

○ 개인과 조직을 연결하며 이익을 공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성

○ 민간영역과 협력하여 작업장 건강 프로그램 운영

○ 민간영역과 협력하여 보건의료관련 물품 기증 및 가격인하 프로그램 운영

○ 민간 협력 하 보건의료관련 물품 연구 및 개발

라. 해외사례

(1) 폴란드

○ 년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청년과 장년에서 심각히 늘어남1960~1990 .

○ 년 정치경제 변화 이후 세의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매년 씩1991 , 20~44 10%

감소하였으며 세에서도 매년 씩 감소45~64 6.7%

○ 원인은 포화지방산의 소비가 줄고 불포화지방산의 소비가 는 것으로 추정되며 과일소

비증가도 한 요인으로 추측

(2) 핀란드

○ 핀란드는 년대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세계 최고 수준이었음1970 .

○ 대규모 지역개입이 조직되고 소비자 학교 사회 서비스 보건 서비스 등에서 참여, , ,

○ 담배광고 법적규제 불포화 지방산 소개 농가에 생산된 우유 함유 지방이 아닌 단백질, ,

의 양에 따른 지불제도 개선 콜레스테롤 감소를 위한 인센티브 제도,

○ 남자의 경우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자수가 최소 감소65%

(3) 남아프리카 공화국

○ 년 담배 소매가격의 를 세금으로 징수1994 50%

○ 담배관련 개입과 담배세로 인해 담배 이용의 를 감소시킴33% .

Page 14: 1. 국내만성질환관리현황 2. 외국의만성질환관리현황snu-dhpm.ac.kr/pds/files/080327 WHO 자료.pdf그림13 보건의료정책계획및실행.-13-( )나 민간영역

- 14 -

(4) 파키스탄

○ 투명한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하는 파트너쉽을 통한 공공 민간 협력모델 개발-

○ 단체가 이끄며 파키스탄 복지부 파키스탄 지부 각종민간단체가 참여하NGO , WHO ,

여 만성질환의 국가적 계획 수립 및 시행을 위해 결성

○ 참여하는 민간단체는 인터넷언론 제조업 운송업 식량 마케팅 및 저장업 사립학교, , , , ,

도로표지판 컨설팅 제약회사 수자원공사 등, , .

(5) 멕시코

○ 보건부에서 를 창설하고 베라크루즈 주에“crusade for the quality of health services”

서 파일럿 프로젝트로 주민들의 만성질환관리사업을 시행

○ 일차진료 및 체계적 당뇨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훈련받고 주민들에게 서비스 제공

○ 일차 보건센터 중 당뇨클리닉 개설 후 지역사회 관리가 시행되는 주민과 그렇지 않은

주민 관리

○ 지역사회 관리가 되는 주민들 중 혈당조절이 잘되는 주민들의 수가 증가하였28~39%

고 반면 그렇지 않은 주민들은 증가21~28%

○ 지역사회 관리가 되는 주민들은 인슐린 사용자수가 증가한 반면 그렇지 않은3.5~7.1%

그룹에서는 증가0.9% .

참고문헌Derek Yach, Corinna Hawkes, C. Linn Gould, Karen J. Hofman, The Global Burden

of Chronic Diseases. JAMA. 2004;291:2616-2622.

Holman, H & Lorig, K. Patients as partners in managing chronic disease. BMJ

2000;320:526-527.

Page 15: 1. 국내만성질환관리현황 2. 외국의만성질환관리현황snu-dhpm.ac.kr/pds/files/080327 WHO 자료.pdf그림13 보건의료정책계획및실행.-13-( )나 민간영역

- 15 -

OECD. Health care is improving in OECD countries but better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is necessary . only half of diabetics get needed eye

screening. 2007.

World Bank. Public Policy and the Challenge of Chronic Noncommunicable Diseases.

2007.

WHO. Innovative Care for Chronic Condition. 2002.

WHO. Preventing Chronic Disease a vital investment.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