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신문읽기와 기본 경제개념 여경훈 연구원
28

1강 여경훈 경제개념

Jun 26, 2015

Download

Documents

Lee Dae W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신문읽기와 기본 경제개념 여경훈 연구원

Page 2: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2

목차

1. 국민소득(GDP)

2. 성장률

3. 경기변동

4. 물가

5. 고용

Page 3: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국민소득, 자금순환, 가계신용: 한국은행

고용, 실업, 물가, 산업동향: 통계청

금리, 환율: 한국은행, 금융시장

부동산: 국민은행, 국토해양부

3

National Income(국민계정)

거시경제에서 다루는 핵심 변수들

NIPA : National income and product accounts

미국 : 상무부 (경제분석국)

한국 :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매 분기 발표

정책당국과 경제학자들이 전반적인 경제 상황을 파악하는데 사용하는 중요한 정보 또는 데이터

1-1 국민소득과 국민의 살림살이

Page 4: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4

Gross domestic product(GDP)

일정 기간 동안에 한 나라 안에서 새로이 생산된 모든 최종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가치의 합계

- 시장가치: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재화를 시장가격을 기준으로 합하여 하나의 경제활동 지표를 도출

- 생산: 과거에 생산된 물건(중고품)의 거래는 포함되지 않음

- 모든: 시장에서 합법적으로 거래되는 모든 품목 마약, 가정에서 생산되는 것은 포함되지 않음

기존 주택에서 창출되는 주거서비스의 시장가치(임대료)도 포함

- 최종: 중간재(intermediate good)의 가격은 최종재에 포함되므로 제외 재고투자는 예외

- 통상 1년이나 분기 단위로 측정; 생산자의 국적과는 관계없이 영토 내에서 생산되는 물건으로 측정

1-2 국내총생산

Page 5: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 가처분소득 - 소비(C) = 저축(S)

• 소비지출: 재화와 서비스 구입에 사용하는 가계의 지출

• 내구재: 자동차, 가전제품 등

• 비내구재: 음식, 옷 등

• 서비스: 이발, 미용, 의료, 교육 등 지출

5

가계의 소득(Income)

가계의 소비와 저축

• 생산요소(노동, 토지, 실물자본, 금융자본)를 제공한 대가로 소득(임금, 임대료, 이윤, 이자)을 얻음

• 가처분소득(Disposable Income)=소득-조세+정부 이전지출

• 이전 지출 (government transfer) : 정부가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하지 않고, 사회보장을 위해 가계에

지급하는 금액 가계의 소득에 영향을 주지만, 한 경제의 생산과는 관련이 없음 GDP와 무관

1-3 가계의 소득과 소비

Page 6: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 미래에 더 많은 재화를 생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재화, 즉 자본재(capital goods) 구입

• 생산적인 실물자본 증가 주식투자와 구분

• 설비투자, 재고투자, 건설투자, 신규주택 구입

• 재고(inventory): 생산한 제품이 판매되지 않을 때 쌓아두는 부문 기업의 자체 구입으로 분류되고 투자로 간주

나중에 판매되면 재고투자는 마이너스로 처리

• 일정기간 한 나라 경제가 만들어낸 생산물의 가치(GDP)를 측정할 때 재고도 같은 기간 생산된 재화로 간주

6

기업의 투자(Investment)

정부구입(Government purchases)

• 정부는 조세수입과 국채발행을 통해 재화와 서비스를 구입

• 국방비, 교육비, 공무원 급여, 공공사업 지출 등

• 이전지출은 정부구입에 포함되지 않음

1-4 기업

Page 7: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7

• 최종생산물 (판매)가치의 합계=부가가치의 합계

• 요소소득의 합계=임금+이윤+이자+임대료

1-5. GDP의 계산

Page 8: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8

• 최종생산물에 대한 지출의 합계 = 최종구매자의 지출 합계

• GDP = 소비(C) + 투자(I) + 정부지출(G) + 순수출(NX(=X-M))

• 국내총생산에서 수입을 빼는 것은 재화와 서비스의 수입이 이미 GDP의 다른 항목(소비, 투자, 정부지출)에

플러스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

• 2009 GDP = 1,063조

• 2009 GDP = 소비(54.3%) + 투자(25.9) + 정부(16) + 순수출(4)

• 수출 / GDP = 49.9%, 무역의존도 = (수출+수입) / GDP = 95.9%

• 2004 미국 = 소비(70.1) + 투자(16.4) + 정부(18.6) + 순수출(-5.2)

1-5 GDP의 계산

Page 9: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 GDP = C + I + G + (X-M)

• Toyota 자동차 1000만원 짜리 수입 1200만원에 판매

• 소비지출에 이미 포함되므로 1000만원을 공제, 200만원은 수입업자의 이윤이므로 포함

• GM대우가 500만원 짜리 부품을 미국에서 구입하여 국내에서 1000만원에 판매

• 소비지출(1000) – 수입(500) = 500

• 한국은행의 GDP 통계: 전기대비 또는 전년동기대비 성장률

• 미국의 GDP 통계: 연율로 환산한 GDP

• 연환산 성장률(Annualized growth rate): 해당 분기의 성장률이 1년 동안 지속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산출

• 복리효과로 인해 (전기대비 성장률 x 4) 보다 조금 큼

9

GDP와 수출

GDP와 성장률

2-1. GDP와 성장률

Page 10: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10

• GDP 성장률(%) = (올해 GDP – 전년 GDP) / (전년 GDP) X 100

• 2008년 실질GDP 978.5조

• 2009년 실질GDP 980.4조

• 2009년 GDP 성장률 = (980.4 - 978.5) / (978.5) X 100 = 0.2%

• 명목 GDP : 최종생산물의 가치를 현재 시장가격(current price)으로 계산(생산량 x 그 해 생산물 가격)

• 명목GDP 증가 요인 : 생산량 증가 + 가격 상승

• 실질 GDP : 특정 기준년도(base year)의 시장가격으로 생산물의 가치를 계산 생산량의 증감 만을 비교

• 실질GDP: 생산량 실질적 구매력(=국민의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는 능력)을 측정 물가상승 요인 제거

2-2. 명복 GDP와 실질 GDP

Page 11: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11

• GDP 디플레이터(deflator) = (명목GDP/실질GDP) X 100

• 기준년도의 GDP 디플레이터 = 100

• 따라서 다른 년도의 GDP 디플레이터는 명목 GDP 증가분 중에서 실질GDP 증가에 의존하지 않는,

즉 물가상승 요인

• 2010년 GDP 디플레이터(108.4)

• 2009년 GDP 디플레이터(104.9)

• 2010년 물가상승률 = (108.4 – 104.9) / (104.9) X 100 = 3.3%

2-3. GDP 디플레이터

Page 12: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12

• 국내총생산(GDP) : 국내에서 벌어들인 총소득 영토

• 국민총생산(GNP) : 한 나라의 국민이 벌어들인 총소득 국적

• GNP = GDP + 자국민이 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 – 외국인이 국내에서 벌어들인 소득

• 1995년 GNP GDP : 세계화에 따른 자본과 노동의 국가간 이동 국내경기 및 고용사정을 반영하기 위해

• 국내총소득(GDI: Gross Domestic Income) : GDP +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익

• 자동차 1대(수출) 석유 10배럴(수입)

• 자동차 1대(수출) 석유 5배럴(수입)

• 수출가격이 수입가격보다 상대적으로 감소

• 수출품 1단위로 구입할 수 있는 수입품 양이 상대적으로 감소

• 같은 재화를 생산하더라도 국내 실질구매력 감소

• 국민총소득(GNI: Gross National Income) : GDI + 자국민이 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 - 외국인이 국내에서

벌어들인 소득

2-4. 국민소득에 관한 추가지표

Page 13: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13

3-1. GDP와 민간소비의 성장률 (전년동기 대비)

Page 14: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14

경기변동(Business Cycles)

• 경기침체(recession; contraction)

• 경기 고점 ~ 저점 통상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

• 경기회복(recovery; expansion)

• 경기 저점 ~ 고점

• 불황(depression)

• 심각한 경기침체(GDP가 10% 이상 감소)

• 경기침체가 3~4년 이상 지속

• 대공황 Great depression

• 대침체(Great recession)

• 미국: 2007년 12월부터 경기침체로 규정

•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 경기침체(stagnation) + 인플레이션(inflation): 경기가 침체 상태인데도 불구하고 물가가 지

속적으로 오르는 현상 7~80년대 석유파동, 2008년 경기침체

3-2. 경기변동

Page 15: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15

• 80년대 GDP(7.7%), 90년대(6.3%), 2000년대(5.1%)

• 2004.1q~2008.3q: GDP(4.7%), GNI(3.2%), 가계소득(2.2%)

3-3. 우리나라의 국민소득 지표 추이

Page 16: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16

<Stiglitz Report : www.stiglitz-sen-fitoussi.fr>

1. 시장거래의 한계

- 여성의 가사노동 / 가계 생산 / 자원봉사 등 생산적 무급노동의 가치가 반영되지 않음

- 지하경제: 사채, 탈세, 마약, 매춘 등도 반영되지 않음

2. 상품의 품질 개선 요인을 반영하지 못함

3. 분배적 변화를 반영하지 못함: 평균 개념의 한계

4. 보건, 교육, 정치 환경, 사회적 관계, 환경, 사회경제적 안정 등 다른 ‘삶의 질’의 요소를 반영하지 못함

- UNDP의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 유아사망률, 기대수명, 문맹률 등 반영

5. 지속가능성, 환경의 가치를 반영하지 못함

- 자원을 소모할수록, 환경을 파괴할수록 GDP는 증가

3-4. GDP와 삶의 질

Page 17: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17

물가와 물가상승률

• 생활비: 소비자물가지수로 측정

• 물가: 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든 상품 가격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평균한 종합적인 가격 수준

• 물가지수: 물가의 움직임을 대표하는 정규화된 수치

• CPI가 상승하면, 소비자들은 동일한 만족을 얻기 위해 더 많은 금액을 지출해야 함 구매력이 떨어짐

• 인플레이션(Inflation): 전반적인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

• 인플레이션율 물가상승률

• 전년 대비 물가수준의 % 변화률

• 물가상승률=(올해 물가지수 - 전년 물가지수)/전년 물가지수 X 100

• 통상 소비자물가지수의 전년동기대비 변화율

4-1. 물가의 측정

Page 18: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18

소비자 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 개념 : 가계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작성한 지수

• 조사 품목: 상품(329), 서비스(160) 489개 품목

• 가중치

: 2005년 도시가계 월평균 소비지출액에서 각 품목의 소비지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으로서 1,000분비로 산출

- 상품(39.58%), 서비스(60.42)

- 농축산물(8.8), 공업제품(30.7), 집세(9.75), 개인서비스(34.4), 공공서비스(16.3)

• 기준년도: 2005년=100

• 조사 및 발표 : 월1회 조사 후 익월 초 통계청에서 발표

• 변동률=(금월지수-전년동월지수)/전년동월지수 X 100

4-2. 물가

Page 19: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19

물가와 물가상승률

• 생산자물가지수(producer price index; PPI)

- 90년도 이전에는 도매물가지수(wholesale)로 부름

- 국내에서 생산, 출하되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를 대상으로 공장도 가격을 기준으로 평가

- 상품 864개, 서비스 77개 등 923개 품목

• 생활물가지수

: 체감물가를 설명하기 위해 구입 빈도, 지출 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52개 품목으로 산정

- 52개 주요 생필품 소비자물가지수(MB 물가지수)

• 수출입물가지수 : 수출입물가가 국내 물가에 미치는 영향 반영

• 근원물가지수(Core Inflation) :

- 계절적인 요인이나 예상치 못한 일시적 외부충격(석유파동, 이상기후 등)에 의한 물가변동분을 제거한 물가지수

- 가격변동성이 큰 석유류, 농산물(곡물 제외)을 제외한 463개 품목으로 작성한 지수

4-3. 다른 물가지수들

Page 20: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20

4-4. 여러 물가지수의 장기 추세

Page 21: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21

4-5. 아파트와 토지 가격 상승률

Page 22: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22

서로 다른 시점의 금액 비교

• 물가지수 서로 다른 시점의 실질 화폐가치를 비교

• T년도 화폐금액을 현재 화폐금액으로 환산하는 방법

• 현재금액 = T년도 화폐금액 X (현재 CPI / T년도 CPI)

• 1982년도 프로야구 선수의 연봉 2,000만원을 2009년도 가치로 환산하면?

• 1982년 CPI 36.649

• 2009년 CPI 112.8

• 물가수준의 변화 112.8/36.649=3.08배

• 2009년 화폐금액=2,000 X (112.8/36.649=3.08)=6,154만원

4-6. 인플레이션 효과의 조정

Page 23: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23

서로 다른 시점의 금액 비교

• A가 연리 5%를 지급하는 은행에 1,000만원을 예금하면 1년 후에 이자 50만원이 붙어 원리금으로

1,050만원을 찾게 된다. 1년 전에 비해 A의 실질구매력은 얼마나 증가했는가?

• 명목금리: 오늘 1원을 빌린 대가로 미래에 얼마나 많은 화폐가치를 상환해야 할 것인가의 개념

• We do not consume dollars; we consume goods

• 실질금리: 오늘 1개의 재화를 얻는(빌린 또는 소비하는) 대가로 미래에 얼마나 많은 재화를 포기할

것인가의 개념

• 명목금리: 올해 1달러 내년 (1+i) 달러

• 실질금리: 올해 1개의 재화 내년 (1+r)개의 재화

• 실질금리 = 명목금리 - 물가상승률

4-7. 명목금리와 실질금리

Page 24: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24

명목금리 실질금리

• 실질금리 ≈ 명목금리 – 물가상승률

• 물가상승률이 높을 수록 실질금리는 낮아짐

• 실질금리는 실질구매력(상품의 개수)의 변화만을 반영

• 명목금리 10%, 물가상승률 5%일 때 실질금리는 4.76%

• 명목금리와 물가상승률이 높지 않으면(1년에 20% 이하이면) 근사치도 유용

• 명목금리 100%, 물가상승률 80% 근사치 20%, 정확한 값 11%

• 은행에서 1,000만원을 1년 동안 빌렸고, 명목금리는 3.5% 그리고 1년간 물가는 2.5% 상승했을 때

실질금리는?

• 3.5% - 2.5% = 1% 실제 은행에 35만 원을 상환해야 하지만, 실질구매력 기준으로 10만원을

상환함을 의미

• 물가상승률이 높을수록 채무를 진 사람이 상대적으로 유리

4-8. 명목금리와 실질금리

Page 25: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25

<취업자와 실업자의 분류>

15세 이상

(4,042)

경제활동인구

(2,403.5)

취업자

(2,286.7)

실업자

(1169)

비경제활동인구

(1,638.4)

육아, 가사

(759.3)

재학, 수강

(403.4)

쉬었음

(156.3)

취업준비

(63.6)

5-1. 고용과 실업

Page 26: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26

고용관련 주요 용어

• 경제활동인구 조사대상 : 약 32,000 표본조사 가구 내에 상주하는 자로서, 매월 15일 현재 만 15세 이상인 자

(군인, 공익, 수감자, 전투경찰 제외)

• 조사대상 기간 및 시기 : 매월 15일이 포함된 1주간을 조사대상 주간으로 하며, 그 다음 주간에 조사를 실시

• 15세 이상 인구 : 15일 현재 만 15세 이상인 자

• 경제활동인구(labor force) : 조사대상기간 동안 실제로 수입이 있는 일을 한 취업자와 일을 하지는 않았으나

구직활동을 한 실업자

• 취업자(employment)

- 조사대상주간에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자

- 동일가구 내 가구원이 운영하는 사업체의 수입을 위해 주당 18시간 이상 일한 무급가족종사자

- 직업을 가지고 있으나 일시적인 병, 사고, 연가, 교육 등의 사유로 일하지 못한 일시휴직자

5-2. 고용과 실업

Page 27: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27

주요 고용지표

• 실업자(unemployment) : 조사대상주간에 수입 있는 일을 하지 않았고, 지난 4주간 일자리를 찾아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였던 사람으로서, 일자리가 주어지면 즉시 취업이 가능한 사람

• 경제활동참가율 = 경제활동인구 / 15세 이상 인구(59.5%)

• 고용률 = 취업자 / 15세 이상 인구(56.6%)

• 실업률 = 실업자 / 경제활동인구(4.9%)

• 비경제활동인구: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조사대상기간에 취업도 실업도 아닌 상태에 있는 사람(15,571)

- 육아(156.6) / 가사(602.7) / 재학,수강(403.4) /연로(176.4)

- 심신장애(44.1) / 쉬었음(156.3) / 취업준비(63.6)

- 구직단념자(25.3) : 취업의사와 능력은 있으나, 노동시장적 사유로 일자리를 구하지 않은 자 중 지난 1년 내 구직경험이

있었던 사람

5-3. 고용과 실업

Page 28: 1강 여경훈 경제개념

제1강 : 경제 기초 개념

28

5-4. 국가별 실업률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