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63

[090723]Web2.0to Sns

Jun 27, 2015

Download

Technology

DongKyun Lee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090723]Web2.0to Sns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웹2.0에서 소셜네트워크까지 흘러오게 된 과정 웹2.0과 소셜네트워크가 어떤 것인지 알고 앞으로 어떤 것들이 가능하게 될지 생각해본다.
Page 2: [090723]Web2.0to Sns

Web2.0

Mashup

SNS

?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화살표가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Page 3: [090723]Web2.0to Sns

웹2.0이 뭡니까?

Page 4: [090723]Web2.0to Sns

Web 2.0 is the business revolutionin the computer industrycaused by the move to the

Internet as a platform,and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rules for success on that new platform

Tim oreilly, 2006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팀 오라일리는 웹2.0 컨퍼런스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Page 5: [090723]Web2.0to Sns

플랫폼으로서의 웹Internet as a platform,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즉, 한마디로 말해서 웹 2.0은 플랫폼으로서의 웹이라고 할 수 있다.
Page 6: [090723]Web2.0to Sns

플랫폼은 뭡니까?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그럼,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이런 질문이 나오게 된다.
Page 7: [090723]Web2.0to Sns

윈도우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윈도우 OS는 오피스, 한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등의 수많은 어플리케이션들의 플랫폼이다.
Page 8: [090723]Web2.0to Sns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리눅스와 맥OSX도 플랫폼으로서의 운영체제다.
Page 9: [090723]Web2.0to Sns

플랫폼은 환경이다Platform is a environment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즉, 플랫폼이란 어플리케이션을 돌릴 수 있는 기반환경을 제공해 주는 시스템을 말하는 것이고, 웹 2.0은 그것이 운영체제에서 웹으로 넘어가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실제로 그렇게 되어가고 있다. 즉, 한마디로 말해서 웹 2.0은 플랫폼으로서의 웹이라고 할 수 있다.
Page 10: [090723]Web2.0to Sns

어플리케이션을 돌릴 수 있는환경을 제공하는 웹

Page 11: [090723]Web2.0to Sns

뭔가가 빠졌다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http://www.flickr.com/photos/15271532@N00/1333491433/sizes/o/ 정답이지만 한가지 중요한 사실이 빠졌다. 웹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한다는 것은 웹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한 환경 즉, 공개 메소드라고도 불리는 API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번 생각해보자.
Page 12: [090723]Web2.0to Sns

A PIe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http://www.flickr.com/photos/psmith/2190712270/sizes/o/ stdio.h 헤더파일이 없이 C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는가? java.util 패키지 없이 Java프로그래밍을 하거나 System 모듈 없이 C#을 이용하는 것은? 이런 것들은 거의 불가능하다. 결국 웹 2.0의 핵심은 웹 어플리케이션을 돌릴 뿐만 아니라 만들기 위한 환경을 제공했다는 것에 가장 큰 의의를 가진다.
Page 13: [090723]Web2.0to Sns

개발 플랫폼으로서의 웹Internet as a development platform,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그럼 웹 2.0에서의 플랫폼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웹 서비스에 대한 접근방식이 웹 페이지에서 API로 바뀐 시스템 그리고 웹2.0의 정의는 다음과 같이 다시 쓸 수 있다. 개발 플랫폼으로서의 인터넷
Page 14: [090723]Web2.0to Sns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http://www.flickr.com/photos/takomabibelot/234378625/sizes/o/ 웹페이지와 API 왜 이것이 중요한가? 기존에 잘 써오던 온라인 영화예매나 인터넷뱅킹은 무엇이었나? 그것도 웹 어플리케이션이 아닌가? 무슨차이가 있는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맞다. 그것들도 모두 웹 어플리케이션이다. 그러나 기존의 웹 서비스들은 웹페이지로의 접근만을 허용했다.
Page 15: [090723]Web2.0to Sns

왜 중요한가?

Page 16: [090723]Web2.0to Sns

CGV

online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http://www.flickr.com/photos/wonder_pics/2339739077/sizes/o/ 내가 CGV에서 온라인 영화예매를 한다고 했을 때 내가 택할 수 있는 방법은 해당 웹페이지에 접근해서 CGV 회원가입을 하고 영화예매를 하는 수 밖에 없다. 외부에서 CGV 온라인 영화예매를 한다는 것은 꿈과 같은 이야기이며 심지어는 단지 온라인 영화 순위를 보기 위해서도 CGV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봐야만한다.
Page 17: [090723]Web2.0to Sns

선구자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http://www.awardsdaily.com/wp-content/uploads/2009/05/mlk2.jpg 지금까지 우리는 이런 것들이 당연하다고 여겨져 왔지만 선구자들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했다.
Page 18: [090723]Web2.0to Sns

작업이한방에날아갔다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http://blogs.knoxnews.com/telebuddy/archives/LOST.jpg 그들은 HTML을 파싱해서 정보를 가져오고 다양한 시도를 했으나 단 한번의 홈페이지 리뉴얼로 그들이 작업했던 모든 것이 사라졌다. 그들이 만들었던 웹어플리케이션은 HTML코드에 완전히 의존적이었다.
Page 19: [090723]Web2.0to Sns

A PIe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http://www.flickr.com/photos/psmith/2190712270/sizes/o/ 그래서 웹에도 API가 등장했고, 모든 것이 달라졌다. 웹에서 공개한 API를 OpenAPI라고 부른다
Page 20: [090723]Web2.0to Sns

Data Design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http://www.flickr.com/photos/julien-bayle/2600596314/sizes/o/ 모든 웹서비스업체들은 기존의 Web Design이라는 일 외에 Data Design이라는 새로운 주제를 고려해야할 상황이 되었다.
Page 21: [090723]Web2.0to Sns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그럼 개발 환경만이 바뀌었는가? 하면 아니다. 다음의 표를 보자 이 표는 웹1.0에서 2.0으로의 기술변화에 대한 예를 잘 정리해둔 자료이다.
Page 22: [090723]Web2.0to Sns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다른 부분은 제쳐두고 눈여겨 볼 부분은 마지막 stickiness 에서  syndication 으로의 전환이다. 컨텐츠를 웹에 배포하는 방법에 있어서 예전에는 게시판이나 유즈넷에 글을 붙이는(stickiness) 방식이었지만 웹2.0은 신문이나 잡지를 배급하듯이(syndication) 배급하는 방식으로 바뀐 것이다.
Page 23: [090723]Web2.0to Sns

RSS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이것의 기술적 구현이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또는 Rich Site Summary)이다. 이것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이라는 언어를 이용해 데이터를 구조적으로 구성해(Data design) 누구든지 접근할 수 있도록 웹에 게시한다. 여기서 게시된 XML형식의 파일을 RSS 피드(feed)라고 한다. 이 때 중요한 점은 RSS는 그 데이터를 표시하고 있는(View) HTML과 무관하며, 오직 데이터만 다룬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기술을 이용하면 커뮤니티나 블로그에 새 글이 올라왔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새로고침 버튼을 연타할 필요없이 RSS파일이 수정되었는지만 확인하여 새로 추가된 데이터가 있을 경우만 해당 페이지에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이다.
Page 24: [090723]Web2.0to Sns

과홈피게시판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나는 RSS가 편리한 기술이라는 것은 알았지만 아무것도 몰랐던 상태에서 기술에 대해 좀 더 알아보고자, 4학년 1학기에 K-mean 클러스터링 이라는 군집화 방법을 이용해 RSS피드 생성기를 만들었다. 피드 생성기의 핵심은 RSS가 지원되지 않는 기존의 학교게시판을 분석해서 RSS피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이었다. 단, Web2.0의 원칙처럼 최대한 Data에 의존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게시판 목록 HTML에서 링크를 의미하는 A 태그만을 카운팅하여 각 링크가 가리키는 곳의 URL을 Diff 알고리즘을 이용해 비교한다. 학교 게시판에 적용해봤는데 나름 잘 돼서 실제로 배치해서 써보려고 했지만 과 게시판의 헤더체크 보안문제로 배치는 포기했다.
Page 25: [090723]Web2.0to Sns

Chart forData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웹2.0에서 중심이 되는 것은 뷰
Page 26: [090723]Web2.0to Sns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웹2.0의 데이터 중심적인 개발에서 나온 것이 매쉬업이다.
Page 27: [090723]Web2.0to Sns

a web page or application that combines data or functionality from two or more external sources to create a new service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매쉬업(MashUp)이란 위키피디어에서 이렇게 정의하고 있다. 즉, 두개 이상의 외부 서비스나 데이터를 결합해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 내는 것이며, 외부 서비스나 데이터는 API라는 말로 대체할 수 있다. 그럼 매쉬업을 다시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두개 이상의 웹 API를 결합하여 새로운 서비스나 데이터를 만들어 내는 것
Page 28: [090723]Web2.0to Sns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매쉬업은 우리나라에 2006년도에 처음 소개 되었고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년 반 남짓 된다. 매쉬업에 관련된 가장 많은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곳은 programmableweb7 이다.
Page 29: [090723]Web2.0to Sns

4187

3Total Day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이곳에 등록되는 매쉬업은 총 4187개 이며 지금까지 하루평균 3개의 매쉬업이 등록되었다.
Page 30: [090723]Web2.0to Sns

20

12

Page 31: [090723]Web2.0to Sns

매쉬업 프로젝트

Page 32: [090723]Web2.0to Sns

CGVTube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나는 4학년 1학기에 담당교수님 과목에서 프로젝트로 CGVTube를 Java환경에서 처음 매쉬업을 다루었다. CGVTube란 CGV + YouTube로 CGV영화순위를 이용하여 해당 제목의 관련 YouTube영상을 찾아주는 단순한 시스템이다. 예전부터 몇번이나 말했듯이 웹을 정말 싫어했던 나로서는 처음 웹 개발을 했었던 것으로, 실력이 부족해 원래 계획보다 기능을 많이 줄였지만 코드품질과 다양한 경험으로 나름대로 만족하는 프로젝트이다.
Page 33: [090723]Web2.0to Sns

BrainHumor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또 다음에서는 1년에 두번씩 자신들의 API를 이용한 매쉬업 캠프인 devday를 여는데, 4학년 1학기에 워크플로우 연구실에 있던 오제윤 학생과 참가해 만들었던 BrainHumor 프로젝트가 있다. BrainHumor는 뇌종양인 BrainTumor에서 따온 말로 시간관계상 내 맘대로 지은 것이므로 그보다 더한 의미를 부여하고 만들지는 않았다. 이 서비스는 플리커라는 사진공유 서비스의 API를 이용해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정보를 얻어와 뇌구조를 만들어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그리고 이 서비스는 미투데이8 라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사진과 글을 포스팅 하고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다.
Page 34: [090723]Web2.0to Sns

Favinavi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또, 같은 시기에 폭소노미를 기반으로한 내비게이션 서비스인 Favinavi 도 만들었다. Favinavi는 Favorite + Navigation 으로 이것은 야후 맵을 이용해 내비게이션을 구현하고 사용자가 특정위치를 즐겨찾기 해두면 현재 사용자 주변위치에 다른 사용자가 즐겨찾기한 위치를 볼 수 있는 서비스이다. 즉, 가보지 않아서 랜드마크가 부족한 지역이나 랜드마크가 너무 많아서 필터링을 해야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즐겨찾기는 폭소노미를 이용한 것으로, 일단 폭소노미는 사용자가 임의의 단어를 이용해 만든 분류체계라고 알고 넘어간다. 상세한 내용은 뒤에 설명한다. �
Page 35: [090723]Web2.0to Sns

SmartSketches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이 프로젝트는 SmartSketches 라는 서비스이다. smart sketch는 거칠게 그린 약도를 뜻하는 rough sketch를 거칠지만 유용한 지도라는 의미로 smart와 더해 만들었다. SmartSketch는 야후 지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위치를 지정하고 위치를 이어줌으로써 약도를 만든다. 그리고 사용자의 플리커 계정에 해당 위치에서 찍은 사진이 있다면 각 약도의 포인트에 집어넣을 수 있다. 즉, 사진이 첨부된 약도를 쉽게 만들고 이를 다른사람과 쉽게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Page 36: [090723]Web2.0to Sns

Me2Guess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생략
Page 37: [090723]Web2.0to Sns

Folksonomy

Folk + taxonomy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http://www.flickr.com/photos/psd/5128681/sizes/l/ 잠깐 위에서 나온 단어들을 설명하고 넘어가자. 폭소노미는 위키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Page 38: [090723]Web2.0to Sns

a system of classification derived from the practice and method of collaborativelycreating and managingTags to annotate andcategorize content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정의에 따르면 폭소노미는 협력적으로 태그를 관리해서 어떠한 컨텐츠를 분류하는 시스템이다. 태그란 특정 사물에 대해 가지고 있던 이미지를 언어로 형상화시킨 것으로 대부분 형용사나 명사로 표현된다. 폭소노미를 다음과 같이 풀어쓸수 있다.
Page 39: [090723]Web2.0to Sns

Folksonomy

대중에 의한 분류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특정 컨텐츠를 다양한 사람들이 각자의 언어로 분류하고 그것들을 협력적으로 모을 수 있는 시스템 또, 협력적이라는 것은 여러사람이 한다는 것이고, 협력의 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웹 2.0에서 사용자 참여를 설명하는 이론인 집단지성을 알아야한다.
Page 40: [090723]Web2.0to Sns

집단지성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http://www.flickr.com/photos/32834181@N00/2614130483/sizes/l/
Page 41: [090723]Web2.0to Sns

a shared or group intelligencethat emerges from the collaboration and competition of many individuals

집단 자체가 지성을 가진다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집단지성이란 위키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a shared or group intelligence that emerges from the collaboration and competition of many individuals 쉽게말해서 집단 자체가 지성을 가진다는 말이다. 즉, 집단의 개개인이 독립적(독립성)이고 자기 나름의 합리적인 판단(다양성)을 해서 그것을 집단의 합의로 하나의 결과를 도출(분산성)해 낼때 그 집단은 지성을 가졌다고 말하고, 대부분의 경위 집단의 지성으로 내린 결과는 그 집단에서 가장 뛰어난 한 사람이 내린 결론보다 나은 결과를 도출해 낸다는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집단지성의 최고 고전으로 꼽히는 대중의 지혜(Wisdom of Crowds)와 집단지성의 창발성을 설명하는 이머전스(Emergence)라는 책을 읽어보도록 한다.
Page 42: [090723]Web2.0to Sns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http://www.flickr.com/photos/luc/1824234195/sizes/o/ 최근 이러한 매쉬업의 지원을 받고 SNS(Social Network Service)라는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가 급부상 하게 된다. SNS란 뒤에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이해를 돕기위해 간단히 사용자끼리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이 강조된 블로그라고 해두자. 블로그는 리치한 컨텐츠 생성을 통해 정보의 생산을 용이하게 해주었지만 사용자간의 교류는 여전히 불편했다. 전체 시스템이 컨텐츠의 공유와 생산에 초점을 맞추고 발전해왔기 때문이다.
Page 43: [090723]Web2.0to Sns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http://www.flickr.com/photos/foxypar4/2124673642/sizes/l/ 정보의 급속한 생산과 확산은 어느샌가 ‘인터넷에는 모든 정보가 다 있다.’ 는 생각을 사람들에게 심어주었고, 사름들은 정보를 얻기 위해 인터넷에 접근해 있는 시간이 늘었다. 그 과정에서 인터넷에서 내가 원하는 정보에 관심있는 블로그와 그 블로그를 운영하는 사람들을 발견하게 되고 블로그를 통해 서로 댓글이나 트랙백을 주고 받았다. 그러나 해당 사용자의 글에 댓글을 달거나 트랙백을 다는 것은 기존의 커뮤니티방식과 다르지 않다. 정적인 시간에 이루어진다. 글을 올리고 해당 사용자가 로그인 할 때까지 기다려야하고 로그인을 해도 오늘 내 글에 반드시 글을 남기리라는 보장이 없다.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메신저는 네트워크를 넓히기에 인맥의 확장성이 부족했고, 기존의 방식은 인맥 확장성은 높았으나 실시간적인 측면이 부족했다. 그래서 두가지를 합친 SNS가 나타났다.
Page 44: [090723]Web2.0to Sns

focuses on buildingonline communities of people who share interests and/or activities, or who are interested in exploring the interests and activities of others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먼저 SNS에 대해서 알아보자. SNS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약자로 위키피디어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즉, 개인의 취향이나 관심사를 공유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시스템이다.
Page 45: [090723]Web2.0to Sns

SNS의 성장요인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http://www.flickr.com/photos/24546069@N06/2328532320/sizes/o/ 정의에 따른 즉, SNS는 카페, 커뮤니티형태로 이전부터 존재해왔었다. 그런데 최근에 들어서 갑자기 SNS가 각광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다시 말해서 현재의 SNS라는 서비스들이 기존의 카페나 유즈넷 같은 커뮤니티와는 무엇이 다른가? 앞의 정의에 근거하면 다르지 않다. 그러나 웹 2.0의 개념에서는 판이하게 다른 한가지가 있다.
Page 46: [090723]Web2.0to Sns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바로 OpenAPI를 이용한 매쉬업 측면이다.
Page 47: [090723]Web2.0to Sns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기존의 카페나 커뮤니티는 폐쇄적인 성격으로 외부로 데이터를 노출하지 않는다. 카페나 커뮤니티 사람들 끼리만 정보를 공유하고 외부에서는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었다.
Page 48: [090723]Web2.0to Sns

NO WAY OUT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커뮤니티는 마치 트래픽의 사해와 같았다. 커뮤니티는 특성상 일단 가입하면 높은 충성도를 가지는 특성 때문에 들어온 정보는 좀처럼 나가지 않았다. 데이터와 정보는 커뮤니티에 쌓여갔고, 간혹 커뮤니티가 문을 닫으면 커뮤니티의 정보도 동시에 사라졌다.
Page 49: [090723]Web2.0to Sns

오픈의중요성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그러나 MySpace, Facebook, Twitter 등의 새로운 SNS는 자신들의 서비스와 소속되어 있는 사용자의 정보를 OpenAPI 형태로 외부에 공개하기 때문에 서비스가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었고, 매쉬업의 강점과 쉽고 빠르게 웹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됨에 따라 갑작스럽게 급성장하게 된 것이다. 급성장, 급부상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는데 대체 얼마나 빠르게 성장했길래 그러는가?
Page 50: [090723]Web2.0to Sns

26M

75M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페이스북은 190%의 성장을 했다.
Page 51: [090723]Web2.0to Sns

1.4M

19M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표로 한번 확인해보자. 표에 따르면 트위터는 전년대비 1400%의 성장을 했다.
Page 52: [090723]Web2.0to Sns

26M

75M

1.4M19M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사용자 수로 봤을때 페이스북은 2천6백만에서 7천5백만으로 늘었고 트위터는 1백4십만에서 1천9백만으로 늘었다.
Page 53: [090723]Web2.0to Sns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이러한 변화를 이끌어 낸 것은 오픈된 플랫폼이며,
Page 54: [090723]Web2.0to Sns

오픈의중요성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그것을 이끌어 내는 것은 결국 사람이다.
Page 55: [090723]Web2.0to Sns

Conclusion

Page 56: [090723]Web2.0to Sns

개발 플랫폼으로서의 웹Internet as a development platform,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이것을 이끌어가는 것은 API와 사용자
Page 57: [090723]Web2.0to Sns

A PIe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Page 58: [090723]Web2.0to Sns

오픈의중요성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그것을 이끌어 내는 것은 결국 사람이다.
Page 59: [090723]Web2.0to Sns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SNS란
Page 60: [090723]Web2.0to Sns

오픈의중요성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결국 사람과 사람을 잇는 것
Page 61: [090723]Web2.0to Sns

Web2.0

Mashup

SNS

SocialWeb

Presenter
Presentation Notes
오픈을 바탕으로한 소셜웹
Page 62: [090723]Web2.0to Sns
Page 63: [090723]Web2.0to Sns

http://www.flickr.com/photos/nazgull/488946974/sizes/o/ http://www.flickr.com/photos/vounisios/3258086892/ http://www.flickr.com/photos/mickbab/3621165663/sizes/l/ http://www.flickr.com/photos/reed9/3714813396/sizes/l/in/pool-67152494@N00/ http://www.flickr.com/photos/jeffbpictures/3143493042/sizes/l/

Photo ref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