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스마트 디바이스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을 위한 모색 황 원 철 @yalkongs ...
23

스마트 디바이스와 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 for hardcopy.key

Jul 22, 2015

Download

Technology

Weoncheol Hwang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스마트 디바이스와 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   for hardcopy.key

스마트 디바이스와 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을 위한 모색

황 원 철

@yalkongs

. . .

Page 2: 스마트 디바이스와 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   for hardcopy.key

Buzzwords...

플랫폼

모바일운영체제

스마트

갈라파고스생태계

Page 3: 스마트 디바이스와 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   for hardcopy.key

원칙의 재 발견

개방의 효용성 재확인1

3

2

4

소비자 주권의 강화

정보기술의 자기결정권 인식

플랫폼의 가치 인식

Page 4: 스마트 디바이스와 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   for hardcopy.key

개방의 효용성 재확인1

✓인터넷 기반 기술의 개방성이 위력을 발휘

✓초기 인터넷의 개방과 공유 문화가 성공하는 서비스

의 근간을 이룸

✓기업 내 IT 이슈도 결국은 가려진 정보를 어떻게 노

출시킬것인가의 문제

Page 5: 스마트 디바이스와 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   for hardcopy.key

소비자 주권의 강화2

✓통신 시장에서의 소비자 주권 회복

(例) Wi-Fi, 화이트리스트 폐기

✓통신사의 ‘종합상사’ 체제 붕괴

✓서비스 시장의 구조적 장벽 제거

✓사용자 경험의 비가역성과 Attention cost의 생산비

로의 인식

Page 6: 스마트 디바이스와 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   for hardcopy.key

정보기술의 자기결정권 인식 3

✓ Business enabler로서의 IT 역할 재조명

✓ Operation 중심의 IT 조직은 Cost 이슈에 매몰

✓기술 전략 자기 결정권으로서의 IT Governance 획

득이 필요

✓정보 기술 자기 결정권 및 내재화와 IT 아웃소싱은

배타적이지 않음

Page 7: 스마트 디바이스와 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   for hardcopy.key

플랫폼 가치의 인식4

✓기술 플랫폼과 비즈니스 플랫폼의 결합

✓플랫폼의 다층화에 따라 ‘플랫폼 포지셔닝’ 개념 등장

✓플랫폼 선택과 적응 : 기업 내 IT 혹은 비즈니스의 주

요 경쟁요소

Page 8: 스마트 디바이스와 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   for hardcopy.key

플랫폼 역할의 변화

공급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1

3

2 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생산성 전략의 핵심 이슈

. . .

✓ “Web2.0” 이후 개별 기업에서 플랫폼 역할이 변화

Page 9: 스마트 디바이스와 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   for hardcopy.key

플랫폼 선택의 성공 사례 - “NETFLIX”

✓같은 비즈니스, 다른 결과

✓경영학적 진단-“변화된 환경에 대한 부적응”-의 구체

적 내용은 무엇인가??‣ 외부 플랫폼에 대한 기술적 적응력

. . .

- 2010.9 “Chapter 11”

- Paid Subscriber : 25M - Revenue 3B

Page 10: 스마트 디바이스와 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   for hardcopy.key

✓거의 모든 채널을 통해 서비스 이용이 가능

✓WebKit과 같은 공개된 웹 기술을 적극 활용

✓막대한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감당하기 위한 내부 플

랫폼을 사전에 개발

넷플릭스의 플랫폼 커버리지

. .

Page 11: 스마트 디바이스와 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   for hardcopy.key

플랫폼 대응의 문제

✓목표 : “고객이 ‘있는 곳’에서 고객이 ‘원하는 방식’으로”

✓현실 : 개발비용, 운영비용, 협력사 안정성...

Social presence

Desktop coverage

Mobile device coverage

Cloud connectivity

Page 12: 스마트 디바이스와 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   for hardcopy.key

“Write once Run everywhere?”

- 꿈은 이루어 졌나?

✓ Java, Inferno, Adobe AIR 等-

hardware, 운영체제 독립적 개발 도

구로 등장

✓각각 다른 발전 경로, Web 및 모바

일에서의 경쟁력 하락 등으로 플랫

폼 독립적 개발도구로써 한계 봉착

Page 13: 스마트 디바이스와 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   for hardcopy.key

브라우져 Plugin의 종말

✓ Flash, ActiveX - 브라우져 플러그인 쌍두마차

✓Microsoft‣ ActiveX 지원 중단

‣ Silverlight 폐기 검토

✓ Adobe‣ Flash for Mobile 지원 중단

‣ 전 플랫폼에서의 Flash 패퇴

✓ HTML5가 모두 대체

Page 14: 스마트 디바이스와 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   for hardcopy.key

웹의 성장... 여전한 비교 열위

✓웹의 전통적 5대 열위 요소

✓브라우져 기술의 비약적 성장, 사용자 경험 축적 및

HTML5의 등장으로 5대 열위 요소 해소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용 App의 출현으로 ‘상대

적’ 비교 열위

performance

offline mode

findability

device attribute

monetization

Page 15: 스마트 디바이스와 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   for hardcopy.key

Types of Application

hardware + operating system + API hardware + operating system + browser + API

performance : high moderate

computing resource : frugal prodigal

developer dependency : high low

maintenance : moderate easy

Native Application Web Application

Page 16: 스마트 디바이스와 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   for hardcopy.key

제 3의 길 : Hybrid

Hybrid Application

✓ Hybrid app = Native app + Web app✓ 2 : 8✓배포 방법, 하드웨어 접근 등은 native와 동일✓실시간 화면 및 컨텐트 변경 등은 web과 동일

✓얼마나 효과적으로 native 부문과 web 부문을 구분

짓는가가 핵심 역량

Page 17: 스마트 디바이스와 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   for hardcopy.key

증권산업의 특성 - 플랫폼 선택의 민감성

✓채널 종류의 확대와 격렬한 기능 경쟁

✓엄격한 기술 요건 ‣ low latency, high speed, complexity, 고객 의무 등

✓중간자의 부재‣ 온라인에 대한 의존성이 매우 높음

‣ 증권사간 ‘공동’은 없음 ( Ex. NFC Payment를 위한 카드 인프라 공동 이용 등)

. .

Page 18: 스마트 디바이스와 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   for hardcopy.key

Tweet from HTS

Page 19: 스마트 디바이스와 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   for hardcopy.key

The First trading app for iPhone

Page 20: 스마트 디바이스와 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   for hardcopy.key

Hybrid : KB증권의 접근

Native Services

API (Script)

Apps (HTML5)

‣ native 기능을 사용해야 하는 서비스의 집합‣ h/w 연계, QoS ‣ 범위 설정이 hybrid의 기능과 경제성을 결정

‣ native 서비스와 App의 연결‣ Well-defined, extensible set of scripts

‣ HTML5, CSS 표준

Page 21: 스마트 디바이스와 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   for hardcopy.key

Demo & Sample1. Market data sonification2. Analytic tool - Motion chart3. P & L Simulator

and iPlustar

Page 22: 스마트 디바이스와 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   for hardcopy.key

iPlustar✓ hybrid 아키텍쳐를 이용한 mobile trading app

✓ native layer를 제외한 모든 구성이 플랫폼에 독립적

Page 23: 스마트 디바이스와 N스크린 시대의 개발 생산성   for hardcopy.key

마치는 말씀

✓기업 IT 조직의 ‘기술’ 회복이 필요

✓Web은 어플리케이션 경제성의 새로운 가능성

✓ Native 계층의 치밀한 설계가 hybrid의 성패를 좌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