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22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Jul 15, 2015

Download

Healthcare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Page 2: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Page 3: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 Mobile Health (mHealth)

모바일 디바이스로 지원받는 의학 및 공중 건강업무행위 (WHO, 2011)

모바일 기기(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전문 의료 모바일 기기 포함) 이용을 통해 건강관리나 건

강관련 정보들을 제공받는 것 (GSMA, PwC, 2012)

- 모바일 헬스케어는 모바일 기기(의학용 기기나 센서) 뿐만 아니라 건강관리를 비롯하여 SMS와 원격진료로 제공되는

개인 건강지침 시스템(Personal guidance system), 건강 정보 및 약 복용 알람(medication reminders) 등 기기와 연결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함 (European Commission, 2014)

□ Mobile Health 주목 받는 배경

모바일 기술의 진화와 폭발적인 가입자 증가 때문

- 세계 모바일 기기의 이용자수는 약 32억명, 2017년 까지 7억명 증가하여 2018년에는 세계 인구 40억명 돌파 예측

- 모바일 네트워크 기술의 진화와 함께 센서 기술의 발전, 센서의 가격하락으로 보급확산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자의 증가로 인한 의료비 급증 때문

- 건강보험에서 노인 의료비 비중 2007년 28.2%, 2011년 33.3% 지속적 증가

- 개인별 소득대비 의료비 비율은 40대 5.4%, 60대 21.5% 인구 고령화 가속에 따른 의료비 증가

Mobile Health 기술 개요

Page 4: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 Solution across the Patient Pathway

Wellness : Fitness Monitoring

Prevention : Information Tips

Diagnosis : Interaction Consultation

Treatment : Reminders, Compliance Trackers

Monitoring : Activity Trackers

□ Healthcare system Strengthening

Emergency Response

Healthcare Practitioner Support

- 의료관련 종사자의 Medical Information 지원

Healthcare Surveillance (평가관리∙인증)

Healthcare Administrator

mHealth Service Categorization

(자료: GSMA & PwC Analysis)

Page 5: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국외 정책 동향

□ 유럽연합 (EU)

모바일 헬스케어의 도입목표 : 의료비 절감 (선진국), 기초의료의 접근성 증진 (개발도상국)

- 사회경제의 비용절감, 라이프스타일 개선, 자원 효율성향상 (European Commission, 2014)

- 2013년까지 U-Health에 6억 유로 투입, AAL (고령자에게 IT기기 / 서비스 제공) 프로젝트 진행

덴마크 : 원격의료 주류화를 주도하는 국가, 「원격의료실천계획, Telemedicine Action Plan」 ’12.09 수립

- ICT 스마트 헬스케어 국가표준 수립, ICT기반의 「Super Hospital」 16개 신설, Connected Healthcare 표준화 추진

- 유럽연합의 Continua Health Alliance 가이드라인 및 플랫폼 기초로 진행

□ 미국

2014년까지 전국민에게 EHR 시스템 구축진행, Health IT 계획, U-Health 선진화 계획 추진 중

의료용 모바일 앱 규정마련, 「FDA 모바일 앱 의료기기 규제에 관한 가이드라인」 (’13.9)

- 의료기기 규정을 기반, 모바일 앱의 위험수준을 분류하여 적용 (Class I, II, III) 건강정보 보안문제의 공론화 유도

□ 일본

「국가 Brand Design의 Healthcare 정보화」, 모바일헬스 산업 집중 육성대상 선정

- 전국민의 PHR 시스템 운용시작 (’13) , 의료기관간 보건정보교류 EHR 구축완료 (’15), 헬스케어 벤처회사 10조엔 투자

- 일본 후생성, 「원격 방사선진단, 원격 병리진단, 협동의료, 원격 가정간호」 등의 원격사업진행 및 서비스 확대중

Page 6: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국내 정책 동향

□ 박근혜 정부, 신 의료·융합서비스 발전을 위한 제도 및 정보화 기반을 조성

140대 국정과제 중 하나, 보건·고령친화산업을 미래성장 사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유헬스 추진

□ 부처별 정책

보건복지부, 의사와 환자간 원격진료를 허용하는 의료법 개정

- 환자와 의사 간 원격진료 허용을 골자로 하는 의료법 개정안을 입법 예고 (‘13.10)

지식경제부, 「2018년 의료기기 5대 선진강국으로 도약」 위한 추진 전략 및 장단기 추진과제

- 디지털병원 수출, U-Healthcare 신사업 창출, 국제기준 적합화 지원, 임상시험지원 강화에 집중

- 스마트케어 사업, 총 300억의 예산을 투입, 만성질환자 1 만명 대상으로 u-Health 서비스를 세계최대규모 제공 (‘10)

산업통산자원부, 의료 및 엔터테인먼트용 웨어러블 컴퓨터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 산업기술혁신계획

- 「 u헬스케어 산업의 신성장 동력화를 위해 헬스케어 신시장 창출 전략 (2014~2021년) 」 발표 (‘13.11)

미래창조과학부, 「바이오헬스 신시장 발굴을 위한 미래부 연구개발(R&D) 추진방안」 (‘14.04)

- 생애단계별 8대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개발(R&D) 추진 전략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사업 등 총 3개 사업, 12개 분야의 신규과제를 선정

- 「창조 비타민 프로젝트 추진계획」 7대 분야 중 ‘보건 의료’를 선정, 생애주기별 개인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

(‘13.11)

- 사용자 중심의 공공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원격의료, 응급, 안전관리 등 U-헬스 서비스 모델을 개발적용 (’06)

Page 7: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 전세계 mHealth 시장규모 230억$, 유럽 및 아시아 큰 시장으로 성장 (GSMA, 2012)

2017년 기준, 230억$로 성장예상, 유럽과 아시아는 각 30%의 시장 차지

선진국의 경우 헬스모니터링 분야, 개발도상국의 경우 진단, 처치 분야의 시장이 유망

- 유럽 (기타 48%, 독일 15%, 프랑스 12%, 러시아 11% 이탈리아 8%, 영국 6% 순)

- 아시아 (중국 37%, 일본 21%, 인도8% 순)

□ 모바일 헬스케어 시장, 2016년 이용자가 300만명 (영국, Jeniper Research)

모바일 헬스케어 의료관련 앱 다운로드 수, 2012년 4400만 건 2016년 1억 4200만 건으로 증가 전망

2015년까지 전세계 5억명 스마트폰 이용자가 의료용 모바일 앱 이용 예상(Kotra Global Window, 2013)

피트니스,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규모 2013년 16억$ 2016년 50억$ 전망 (Gartner)

해외 시장 동향

(자료, KT 경제경영연구소)

Page 8: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 국내 U-Health 서비스 시장 전망 (KHIDI, 2010)

□ 삼성전자, LG전자, SK텔레콤등 스마트폰 제조사와 통신사들은 모바일 헬스케어 산업

을 미래의 신수종사업으로 선정하고, 대대적인 투자를 감행

삼성전자, 갤럭시 S4, S5 시리즈에 S헬스 기능탑재, 기어, 헬스체중계등 SAMI 아키텍처기반 생태계 구축중

SK텔레콤, ICT 기반의 스마트 의료구축 사업을 위한 다양한 모바일 솔루션 개발 B2C 사업

- 서울대병원과 합작사, 헬스커넥트 설립 (2011), 헬스온 서비스 구축

- 예방, 진단, 치료, 관리를 연계한 차세대 의료서비스 모델개발

KT, U-Health 센터를 중심으로 공공 보건의료 서비스 및 지자체별 서비스 모델 사업

- 독거노인, 만성질환자 관리, 헬스파크

- 연세대 의료원과 합작사, 후헬스케어 설립(2012), 스마트 의료 사업을 추진

국내 시장 동향

시장 2010 2011 2012 2013 2014 평균증가율

U-Medical 3,238 3,724 4,282 4,925 5,663 11.8%

U-Silver 3,351 3,677 4,033 4,424 4,854 7.7%

U-Wellness 10,260 12,100 14,261 16,814 19,824 14.1%

(자료: KHIDI, 2010, 단위: 억원)

Page 9: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기술 동향 1

□ 모바일 헬스케어 스마트 센서 기술

MEMS(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 SoC(System on Chip), 임베디드 SW등을 센서기술과 융합적용

□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구현 응용기술

PHR(Personal Health Record) 및 방대한 자료분석기술(빅데이터)을 통한 맞춤형 의료정보 기술분야로 연구

모바일 건강관리 앱을 위한 기술연구 (실시간 전송, 피드백 처리, 앱간 상호연계, 데이터 기술, 채널중계 등)

모바일 헬스케어 응용서비스를 위한 Wearable Device 융합 기술

- 활동측정 (Activity Tracker) 기술, 수면 추적, 스마트양말(Owlet Sock), Beddit, Fitbit Flex, Misfit Shine, Jawbone Up,

- 생체정보 기반 건강상태 측정기술, Nike Plus, Sonar Vision (시각장애인), 임산부용 건강체크 복대

- 통증 완화용 패치 (TENS Path), 건강상황 모니터링(BodyMedia), 시차조정기 (ReTimer), 스마트 언더웨어, 바이오패치

- 반사형 녹색 LED 센서(맥박측정), 차세대 의류(Fitness SHIRT), 피부 임플란트 형 혈액검사, 로봇 외골격, 전자칩 자동투약,

이미지센서 광학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경하는 반도체, CCD, CMOS 고화소 기술 의료영상처리 응용

관성센서 가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 모션센서, 항법센서, IR센서 등의 결합 기술 피트니스 모니터용

헬스케어센서 진단, 검사 중심 질병 검사용 센서, 혈당 센서, 심박 수 센서 등 사전예방 위한 측정용

바이오센서 바이오 리셉터(효소, 항체, DNA, 세포 등)의 반응, 결합을 신호변환 측정 질병진단, 감염진단용

Page 10: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기술 동향 2

□ 모바일헬스케어 플랫폼 & 데이터 허브, Apple Healthkit

Apple의 헬스데이터 통합 및 채널관리를 통한 사용자경험의 지속유지 확보 전략

mHealth 개방형 플랫폼 공유지향, 다양한 3rd 개발유도

강력한 파트너쉽 구축 : Mayo Clinic (의료기관), Epic (EHR IT회사), Nike 등 연계

헬스 데이터 수집∙확보 계획 : iWatch 액티비티 앱(Activity App), 워크아웃 앱(Workout App)

• Mayo Clinic, 15,000 Mobile Device

- Synthesis Mobile : 의료진 Full EMR Access- Mayo Clinic Quarterly : 내부연락- Patient : 환자 자신의 의료정보Access- Ask Mayo Expert : 병원 내 질병전문가 검색

Activity (움직이기, 운동하기, 일어나기)

• EPIC, 의료IT밴더 1위 (KLAS Research, 2010)

- Healthkit 통합 MyChart personal health record- 단말기 수요증대 요소인 EHR 사업에 비중

• iWatch Wearable Device

Workout (묙표설정, 미리알림, 달성)

Page 11: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표준 동향

□ ISO/TR : Technical Report

19231 「개발도상국을 위한 모바일 헬스 표준안」 출판 예정 (2015)

17522,「Provisions for Health Applications on Mobile/Smart Devices」 출판 예정 (2015)

□ ISO/NP : New Work Item Proposal

20055, 「Person-owned Document Repository for PHR Applications and Health Information Exchange」

- Survey of mHealth Projects in Low and Middle Income Countries (LMIC): 프로젝트 리더, 김일곤 교수

- 후진국가 모바일 헬스 서비스의 다양한 사례를 분석하고,

- 후진국가들이 추구해야 할 모바일 헬스 기술 표준 프레임워크를 생성할 수 있는 표준 기술들을 제시

- 모바일 환경에서 환자·의사 모두가 필요한 요구사항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헬스 표준

- 모바일 헬스 기술표준프레임워크, 환자와 의사의 쉬운 의료정보접근, 활용, 의료 전달체계의 효율성 향상

- 병원중심의 진료정보교류 교착 상황을 심층분석: 이해당사자간의 충돌, 적절한 보상체계 미비등 문제점

- 고객/환자 주도로 쉽게 해결할 수 있는 환자중심의 진료정보교류 체계에 관한 기술표준안 제안

- 현실적인 진료정보교류 뿐 아니라, 모바일·클라우드 등 최신 서비스 플랫폼 기반의 다양한 PHR 응용가능

- 프로젝트 리더, 삼성서울병원 이병기 수석연구원

Page 12: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 헬스케어 관련 국내 특허출현 순위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모바일 헬스케어 기술 분야 선점 위한 출원 경쟁 치열

헬스플랫폼, 제조사 및 통신사들의 헬스케어 분야의 핵심원천기술 확보에 투자가 지속될 전망

R&D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헬스케어 기술 776건 특허출원

- 국가별/출원인 국적별 특허동향으로 볼 때, 미국과 한국이 2/3 정도 차지, 모바일헬스케어의 연구분야 주도국

- 50% 이상, 의료 네트워크 기술 491건, 단말기를 이용한 만성생활습관 질환 센싱 하는 기술 313건 (특허청, 2012.12)

• 모바일을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29.7%), 데이터 송수신 및 저장기술(24.3%) 이 큰 비중을 차지

- 삼성전자의 경우, 특허출원 등의 독자적 기술개발 강화와 함께 의료기기 업체인 지멘스와 원천특허공유 추진 중

특허 동향

10693

81

44 43 39 35 33 30 28

0

50

100

150건…

(출처, 전자신문 14.03) (출처, R&D특허센터 12.12)

Page 13: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현장 적용 사례 1

□ 라이프로그용 Activity Tracker

몸에 착용하거나 이용하여 활동량이나 에너지 소비량을 분석해 기록하는 모바일 헬스케어 디바이스

24시간, Wearable 기반의 착용감, 편리성, 저전력, 데이터동기화 등의 핵심 기술

Swaive Thermometer HAPI fork & HAPI Track Larklife

• 스마트 체온계

• Healthkit 플랫폼 통합

• 가족관리, 응급병원연계

• 블루투스, 낮은 가격(79$)

• 식전 및 식후 운동조절용

- 식습관 속도 개선 (포크)

- 식후 운동습관 개선 (트랙)

• 입술접촉 여부 센서감지

- 포크의 진동으로 경고피드백

• 모바일 기반 자동로그

• 수면체크 및 운동측정

- 수면의 질과 습관관리

- 일반인들과 비교정보제공

• 진동 알림 피드백 인지

• 블루투스, 단점개선, $150

Page 14: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현장 적용 사례 2

□ 의료현장용 중심 mHealth 서비스

몸에 착용하거나 이용하여 활동량이나 에너지 소비량을 분석해 기록하는 모바일 헬스케어 디바이스

24시간, Wearable 기반의 착용감, 편리성, 저전력, 데이터동기화 등의 핵심 기술

Visible Body VaxNation Asthma Sense Cloud

• 3D 해부학 앱, 의학학습

- 풍부한 2,500여개의 구성체계

- 신체기관, 혈관, 장기등 묘사

• EHR 연계 사용가능

• 이용자의 백신접종 관리

- 연령별, 상황별, 이력별 관리

- 이용자 맞춤형 배신 추천

- 가족단위, 접종기록 관리

• 백신정보 추천 알림

• 천식관리 자가진단 서비스

• 환자들의 호흡체크 판단

- 미 국립보건원 기준 상태파악

- 긴급상황 발생시 응급환경연계

• AirSonea연동, 의료기록연계

Page 15: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성공 사례 1

□ HealthTap, 맞춤형 질의응답 의료서비스

2011년 오픈, 이용자가 의사에게 질문을 올리면 실시간으로 답변을 받아보는 서비스, 62,000명 의사참여

커뮤니티 기반의 플랫폼을 미리 구축, 충분한 이용확보 (1억명이상 이용) 인프라 위에 Tele-health로 진화

핵심 통합 Service

- Learn Service : 의료소식, 추천 의료 App

- Get Help Service : 의사 상담, 처방

- Take Action : 맞춤형 건강체크 제공

Service 비용

- 월 99$, 가족 1명 추가마다 10$

- 정기가입자만 이용가능

의의

- 단계적 의료서비스의 진화 (상담 진료)

- 가족단위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 Activity Tracker 차별화된 사용

http://www.fastcoexist.com/3033649/healthtap-wants-to-be-your-new-on-call-doctor#1

Page 16: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성공 사례 2

□ WellDoc의 BlueStar, 당뇨병 관리 서비스

2형 당뇨병, 미 FDA 최초승인, 민간 의료보험적용

의사처방 받은 사람만 사용

- Patient Coach : Personalized guidance

- Clinical Decision Support : Analysis, Easy tracking

- Social Engagement : Easy sharing

미국 Allscripts EHR과 결합

- 의사에게 CDSS 지원, 더 좋은 진료를 제공하도록 도움

-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Medical Center

대규모 외부투자지원 ($3,500만)

- Merck Global Health innovation Fund 등 $2,000

의의

- 서비스 개발기간은 오래 걸리지 않았으나,

- EMR/HER 연동, FDA승인, 보험회사적용 많은 소요

Page 17: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 웨어러블 기기 이용패턴 (「Inside Wearables」 Endeavour Partners, 2014.1)

미국 18세 이상의 성인의 약 10%, Jawbone, Fitbit, Nike, Misfit 등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 보유(’13.9)

연령별 이용률 25~34세는 25%, 35~44세는 19%로 해당 연령층의 사용자가 가장 많음

웨어러블 기기 사용하는 기간은 6개월 이후, 약 30%가 사용중단, 1년 이상 사용하는 경우 50% 미만

- 행동추적(Activity Tracker)의 단기적이고 한시적 이용으로는 이용자의 행동과 습관을 형성하는 것을 실패,

- 장기적인 이용 패턴을 형성하도록 유도해야 해야 함, (건강한 사람들이 굳이 살 필요가 없는 센서들의 이슈 극복)

- 순환적인 모바일 생태계를 구축의 핵심은 「데이터」, 활성화 유도전략 고민 필요

실패 사례

※ Percent of Activity Tracker Owners vs. Percent of U.S. Population By Age

※ Declining Rate of Sustained Activity Tracker Use Over Ownership

(Endeavour Partners, 2013.9)

Page 18: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 현재 성숙분야 (센싱, 송수신, 보안 등)

모바일 환경을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영역 , 데이터 송수신 및 저장기술

만성생활습관 질환을 센싱 하는 기술 (비만진단 영역, 고지혈증 및 고혈압 진단영역 등)

의료전용 정보보호 및 추적기술

□ 현재 미성숙분야 (통합, 평가, 연계 등)

단일화된 채널을 통합하거나 중계하는 기술의 등장

웨어러블 헬스케어 장비 코디네이션을 통한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합관리

모바일 헬스 평가인증 Framework 영역

□ Ecosystem 구축을 위한 과제

모바일 헬스의 기술 ∙ 서비스 특성상, PHR/EHR을 염두하여 독자적 추진보다는 전략적 통합을 고려

전자의무기록(EHR/EMR) 서비스를 연계, 모바일 헬스 단말기 및 솔루션의 부가가치 창출 확산 가능

이용자의 건강 및 의료데이터를 수집, 축적, 가공하는 만큼 데이터 보안을 담보하는 문제 가장 중요

향후 발전 방향 1

Page 19: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 모바일 헬스의 생태계 성숙을 위한 연구과제 영역 도출

안전∙효율성 : 무선네트워크 환경의 최적화된 이용성

관리 호환성 : 상호운영성과 통합이 가능한 관리환경

표현 유연성 : 데이터 변환기반의 Contents 고활용성

정보 신뢰성 : 보안성기반의 추적이 가능한 고품질성

향후 발전 방향 2

의료데이터 압축전송기술

Selective N-Screen 기술

기기 간섭∙보정기술

반응형 의료데이터 변환 기술

모바일채널중계기술

모바일의료데이터보안기술 모바일헬스인증평가기술

Enterprise Health AppStore 관리기술웨어러블헬스데이터 코디네이션기술

이기종 모바일서비스 호환플랫폼기술

표현유연성확보

관리호환성확보

안전∙효율성확보

정보신뢰성확보

Page 20: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 모바일 헬스의 서비스 측면 기능성

시중에 존재하는 모바일 헬스 어플리케이션 기능의 한계

- 대부분 행동 추적기능을 활용한 피트니스 분야에 집중

- 의학분야의 App은 병원과의 소통 정도, 진단, 치료, 경과관리 등 의학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부족

지속적 활성화 유도하는 전략의 부재, 긍정적인 변화를 얻을 수 없었던 이용자의 사용 포기

□ 환자 안전, 의료데이터 수집 및 보안의 중요성

환자 안전, 데이터보호, 보안에 대한 충분한 고려 없이 개발되는 면이 있음을 지적

이용자들이 신뢰하고 자신의 헬스데이터 수집을 동의할 수 있는 보안 역량을 갖추는 것도 중요

□ 의료데이터 통합 관리 전략 부재

mHealth 시장의 주도권, 스마트 단말기 이용자의 건강 및 의료 데이터 수집 역량 좌우

비표준 플랫폼 업체 상호 운영성, 통신 ∙ 제조사 중심의 플랫폼 개방형 표준 평가방법 필요

이용자들이 신뢰하고 자신의 헬스데이터 수집을 동의할 수 있는 보안 역량을 갖추는 것도 중요

상용화 이슈 1

Page 21: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 기존 국내 법제도 완화

「과학기술부 규제개선방안」 (’13.12 국무회의), 허가제 완화가 가능한 IT 융합의료기기 분야 개선 공감

의료기기 품목허가 및 고비용 불가피, 철처한 안전관리와 동시에 합리적 허가관리제도 개선

- FDA 미국, 「의료용 모바일 앱 최종가이드라인」 (13.9.25) 분류기준 고려 인허가 관리대상의 등급 정비 필요

- 국내는 기기에서 수집 정보를 전송 받아 사용하는 모바일 앱과 가정용 체지방계 등도 의료기기 의료기기 인허가 필요

한 관리대상으로 분류, 최소 6개월 이상 심사

복잡성, 진입장벽, 발전 저해요소의 제거

□ 가치중심의 상용화

안전성, 효과성, 적합성, 비용 대비 효과성에 대한 충분한 평가를 거쳐 의학적 의미있는 방향으로 사용

지속적 활성화를 위한 이용을 촉진 헬스+재미를 결합한 Healthtainment 서비스 요소 발굴

단말기 표준화, 초 저전력 기술개발, 낮은 단말기 가격

□ 상호보완적 서비스 육성을 위한 충분한 논의

모바일 헬스, 원격진료등 활용에 따른 책임 문제에 대한 명확한 법적 제도 마련

모바일 헬스가 대면 진료를 대체하도록 기능해서는 안됨 (2014, 세계의사회 WMA 더반 총회)

상용화 이슈 2

Page 22: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