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교육과정 연계 다문화사회 세계시민교육의 실제(유중등) - 유아 놀이중심 다문화 세계시민교육 - 유아의 놀이 / 다문화 감수성 증진 / 세계 여러나라 놀이 다른나라 놀이를 통한 다문화 감수성 증진 활동
10

유아 놀이중심 다문화 세계시민교육 - KOCw

Jan 18, 2023

Download

Documents

Khang Minh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유아 놀이중심 다문화 세계시민교육 - KOCw

교육과정 연계 다문화사회

세계시민교육의 실제(유‧초‧중등)

- 유아 놀이중심 다문화 세계시민교육 -

유아의 놀이 / 다문화 감수성 증진 / 세계 여러나라 놀이

다른나라 놀이를 통한 다문화 감수성 증진 활동

Page 2: 유아 놀이중심 다문화 세계시민교육 - KOCw

- 1 -

1 유아의 놀이 / 다문화 감수성 증진 / 세계 여러나라 놀이

1. 유아 놀이의 의미

가. 유아에게 ‘놀이의 의미’

놀이와 일의 가장 큰 차이점은 내적인 동기로 유발된 것인지와 외적인 동기로 유발된 것인가에 따라

놀이와 일로 구분 지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운동에 자신이 없고 하기 싫어하는 아이가 있는데, 이

아이의 부모가 운동능력과 자신감을 기르기 위해 억지로 축구 놀이교실에 등록하고 다니도록 하였습니

다. 이 아이에게 축구는 놀이(Play)일까요? 일(Work)일까요? 또, 요리에 관심이 많은 아이가 엄마와 함

께 가족들이 먹을 간식을 만들기 위해 시장에 가서 여러 가지 간식 재료를 사고 간식을 만들었습니다.

이 아이는 그 시간이 너무 행복하고 즐거웠습니다. 이 아이에게 간식 만들기는 놀이(Play)일까요? 일

(Work)일까요?

놀이(Play)와 일(Work)의 의미를 예를 통해 알아보았습니다. 유아의 놀이(Play)와 일(Work)에 대해 정확

하게 규정짓고 경계선을 명확하게 구분 지을 수는 없지만 Frost & Klein는 유아에게 ‘놀이의 의미’를 놀

이와 일의 특성을 대비시켜 아래 표와 같이 놀이 개념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참고>놀이-일 연속체

Frost & Klein(프로스트와 클라인)는 놀이는 능동적, 자발적, 재미있고, 목표가 없으며, 스스로 시작하며,

진지함, 과정 중심적인 특성을 제시하였고, 비놀이 행동(일)은 수동적, 강요적, 단조롭고 외적 목표에 구

속되며, 타인에 의해 착수됨과 무사 안일한 특성, 목표지향적인 특성이 있다고 제시하고 있습니다.

<참고> 유아교육에서의 놀이와 일 <놀이 연속도>

유아교육에서의 놀이는 위 표와 같이 자유놀이, 안내된 놀이, 지시된 놀이, 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

다. 자유놀이(free play)는 유아 주도적인 놀이이고, 안내된 놀이(guided play)는 유아가 자유롭게 놀 수

있지만 교실 내에서 지켜야 할 규칙이 있는 놀이이며, 교사의 지도와 개입이 이루어지는 놀이(예: 자유

놀이 시간에 영역이 정해져 있어 선택하여 놀이하는 경우) 지시된 놀이(directed play)는 교사 주도적인

놀이로서 노래 배우기, 팀으로 나누어 투호하기 등이 이에 속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일(학습)은 특정 목

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활동으로 외적으로 동기화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Page 3: 유아 놀이중심 다문화 세계시민교육 - KOCw

- 2 -

미국유아교육협회(NAEYC)에서는 유아가 자신의 놀이 활동을 주도하고, 자신이 정한 과제에 참여했을

때 보다 더 성취감을 가질 수 있으며, 학습은 어른이 설정한 성공이나 실패의 개념에 바탕을 두지 말아

야 함은 놀이의 어떠한 결과보다 과정의 중요하고. 놀이과정 중 유아에게 나타나는 재미와 즐거움과 몰

입, 자발성과 능동성이 놀이를 하는 목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교사의 역할이란 보조적이어야 하며 지

나치게 지시적이지 않아야 한다고 합니다. 유아 주도적 학습이라 하더라도 교사의 지도나 지원이 없는

상황에서는 원활한 놀이의 전개나 놀이를 통한 다양한 경험과 배움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유아

교육과정은 자유놀이에서 교사 주도적 놀이, 일에 이르는 놀이 활동의 균형이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출처 : 유효순, 김희태, 2016>

◆유아의 놀이 중심교육과정의 의미◆

1. 유아의 놀이를 위해 교사는 자유롭고 다양한 놀이공간과 놀이자료, 유아와 유아의 활발한 상호작용,

관찰을 통한 교사의 적절한 개입 유아와 교사의 때론 소극적, 때론 적극적인 상호작용과 문제해결을 위

한 중재 등의 지원이 필요합니다.

2. 교사가 계획한 활동이 자연스럽게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중심으로 변화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유아의 자유롭고 자발적인 놀이의 참여가 이루어지며, 교사는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를 존중해 주어야

합니다. 유아에게 놀이는 앎을 위한 최선의 방식이며 놀이를 주도하며 스스로 배운다는 유아의 유능함

을 믿고 기다려 주는 인내가 필요합니다. 유아의 놀이경험을 통하여 5개 영역 내용과 다양한 배움을 경

험하며 스스로 자발적으로 깨닫고 내면화하며 세계시민으로의 성장을 위한 발판이 될 것입니다.

나. 놀이에 대한 권리 및 조항

<참고 1> 【UN아동권리협약 제 31조 유아 놀 권리에 대한 조항】 “아동들은 휴식과 여가를 즐기는 것은 물론 놀이와 문화예술 활동에 참가할 권리를 갖는다."고 유아들의 놀 권리를 중요하게 적시하고 있다, <참고 2> 【어린이 놀이헌장에 대한 조항】Ÿ 어린이에게는 놀 권리가 있다.Ÿ 어린이는 차별 없이 놀이 지원을 받아야 한다.Ÿ 어린이는 놀 터와 놀 시간을 누려야 한다.Ÿ 어린이는 다양한 놀이를 경험해야 한다.Ÿ 가정, 학교, 지역사회는 놀이에 대한 가치를 존중해야 한다.

→ (설명) 세상에는 많은 나라와 민족, 각기 다른 인종들이 살아가고 있지만 전 세계어린이들의 공통

적으로 갖는 놀이에 대한 조항으로 UN아동권리협약에 놀 권리를 가진다는 것과 전국 교육감이 선포한

어린이 놀이헌장에서는 다양한 놀이의 경험과 놀 터와 놀 시간을 누려야 한다는 는 조항을 담으며 아이

들의 놀이에 대한 가치와 지원을 담고 있습니다.

2. 유아 다문화 감수성 증진

가. 유아 다문화 감수성 증진을 위한 방향 및 목표

▶ 자유선택놀이 및 실외놀이 시간에 다양한 문화가 반영된 여러나라 교재 교구를 이용한 놀이와 게

임 등을 하며 다른나라와 사람과 놀이에 대해서도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친밀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 우리나라 놀이와 다른나라 놀이의 같은 점 다른 점도 생각 해 봄으로써 다름을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는 마음을 가질 수 있게 한다.

Page 4: 유아 놀이중심 다문화 세계시민교육 - KOCw

- 3 -

▶ 우리나라 문화를 자랑스러워하며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과 함께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수용성을 기른다.

나. 놀이를 통한 문화이해와 다문화 감수성 증진

게임, 컴퓨터 등 매체와 다양하고 정형화된 놀잇감 등으로 인해 우리의 전통놀이와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없어져 유아들은 전통 놀이방법에 대해서 잘 모르고 어려워하고 있습니다. 제기차기나 투

호놀이, 윷놀이처럼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통놀이로 꾸준히 전승되어 내려오는 놀이도 있지만 훌라후

프나 배드민턴처럼 우리 친구들이 즐겨하는 다른나라 놀이도 있습니다. 세계의 다양한 나라는 그 나라

의 독특한 전통놀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전통놀이와 다른나라 전통놀이를 매개체로 한 놀이

활동은 우리문화와 타문화에 대한 자연스러운 이해와 통합, 편견을 뛰어넘는 화합, 공동체 의식 함양 등 유아

다문화 감수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3. 세계여러나라 놀이

가. 놀이의 역사

놀이는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에 매우 중요하고 여러 학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놀이에 대해 정의하고

있습니다. 놀이의 중요성은 고대 희랍부터 많은 교육학자에 의해 연구되고 강조되고 있습니다. 고대 철

학자 Platon(BC427년~347년)은 놀이 본능이 잘 발휘될 수 있는 음악과 춤을 오락처럼 가르치는 것이

효과적이라 했으며 Aristoteles(BC384년~322년)는 유아들은 놀이를 통해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

였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유명한 작가들의 작품을 보며 그 시대 유행하던 놀이와 지금까지도 전해지고

있는 놀이를 살펴보도록 합시다.

Œ인형은 고대 시대에도 있었어요. 그때에도 인형은 전 세계에 널리 퍼져 있었답니다. 2세기 로마 인형인데, 몸의 여러 관절을 자세히 표현한 것이 특징이에요.

�그리스 꽃병에 그려진 그림이에요. 신화의 한 장면을 묘사한 거예요. 비너스, 주노, 미네르바 같은 신들이 공을 던지며 노는 모습이지요.

Ž화가 브뢰겔이 1560에 그린 작품이에요. 당시 사람들은 브뢰겔의 그림을 놀이 백과사전처럼 여겼지요. 벨기에의 도시 안트베르펜에서 2명의 남녀 아이들이 여러 놀이를 즐기고 있지요. 이 그림에서만 8가지가 넘는 놀이를 찾을 수 있습니다.

�말판놀이: 넓적한 판 위에서 말을 움직이며 노는 놀이지요. 말판놀이(보드게임).는 여러 나라에 비슷한 놀이가 있지요. 사진에는 두명의 아즈텍 사람이 파톨리 놀이를 즐기고 있어요. 파톨이 놀이는 1에서 90까지 나눈 판을 가지고 노는, 주사위 놀이의 한 종류입니다.

Page 5: 유아 놀이중심 다문화 세계시민교육 - KOCw

- 4 -

<출처 : 알레산드로 마싸쏘ž라우라 폴라스트리(2010)세계어린이 놀이백과 세계의 놀이, P9>

나. 세계의 놀이

세계대륙은 크게 6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대륙이 있습

니다. 아메리카 대륙은 다시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로 나누어집니다. 여러 대륙에 살고 있는 아이들은

전통놀이를 하거나, 자기들이 규칙을 세워 새로운 놀이를 만들기도 한답니다. 대륙과 대륙은 몇천 킬로

미터나 떨어져 있어요. 각각은 대륙에 있는 많은 나라들은 자기 나라만의 고유한 음식과 언어가 있지만

이런 차이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아이들을 하나로 연결시켜 주는 것은 바로 ‘놀이’입니다.

세계여러나라의 놀이를 살펴보면 각 나라의 문화와 지역, 날씨, 환경 등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습

니다.

Œ북아메리카: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는 아주 달라요. 북아메리카 아이들은 친구들과 농구를 하거나

스케이트보드를 타고 놉니다. 남아메리카의 빈민가에 사는 가난한 아이들은 보통 길에서 하는 놀이를

많이 한답니다.

�남아메리카: 아프리카와 마찬가지로 남아메리카에는 개성 있는 다양한 음악과 춤이 있어요. 여러 인종

들이 모여 사는 남아메리카에는 아이들이 웃으며 놀 수 있는 다양한 바깥 놀이들이 있어요. 남아메리카

는 알래스카처럼 춥지 않으니까요

Ž유럽: 신대륙을 발견했던 르네상스 시대에 유럽 대륙의 여러 언어가 바다 건너 다른 대륙까지 전해 졌

지요. 언어와 함께 유럽의 놀이도 다른 대륙에 전해졌답니다.

�아시아: 아시아 대륙에는 다양한 문화와 전통, 종교, 명절 그리고 종교 기념일이 있답니다. 어린이들을

위해 만든 날도 있어요. 한국은 매년 5월 5일이 어린이날이지요. 일본에서는 3월 3일이 여자아이들을 위

한 날이고, 5월5일은 남자아이들을 위한 날이랍니다.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많은 어린이들은 배고픔과 목마름과 싸우며 하루하루 살고 있습니다. 그래도 아

프리카 어린이들은 여러 가지 놀이와 음악, 춤을 즐기고 논답니다. 아프리카 아이들은 장난감이 많지 않

아 단순한 재료를 가지고 스스로 장난감을 만들어 논답니다.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 대륙은 대체로 날씨가 더워요.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는 해변에서 먹고

마시며 크리스마스를 축하하는데, 자정이 되면 해변에서 놀던 사람들이 바다로 뛰어든답니다. 아이들도

�기술이 발전하면서 놀이도구도 발전했어요. 이 19세기 판화는 팽이를 가지고 노는 모습이에요. 원판 모양의 나무팽이 몸체에 줄을 감았다가 땅 위로 던져서 팽이를 굴리는 놀이지요. 옛날부터 팽이치기는 들판에서 많이 했는데, 처음에는 나무 대신 잘 삭힌 둥근 치즈로 팽이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연날리기는 기원전 2세기 즈음 아시아에서 처음 시작 했어요. 우리나라에서도 옛날부터 연날리기를 즐겼지요. 연을 날리다 줄을 끊어 날려 보내면 나쁜 운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1900년대 초반에는 연을 이용해서 하늘을 나는 방법을 연구했어요. 행글라이더와 패러글라이더는 연이나는 원리와 구조를 응용해 만든 기구입니다.

’18세기 이탈리아 토스카나 지방에서 나온 그림에는 눈가리개를 하고 술래잡기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어요. 이탈리아어로 ‘모스카치에카’라고 하는 이 놀이는 ‘눈먼파리’라는 뜻이에요. 이 그림 다른 부분에는 우리나라 강강수월래처럼 원을 만들어 손잡고 노래 부르며 둥글게 도는 놀이, 숨바꼭질, 팽이치기, 연날리기 등도 그려져 있습니다.

Page 6: 유아 놀이중심 다문화 세계시민교육 - KOCw

- 5 -

해변에서 놀거나 물놀이를 하며 크리스마스를 보내지요.

<출처 : 알레산드로 마싸쏘ž라우라 폴라스트리(2010), 세계어린이 놀이백과 세계의 놀이, PP.10~11>

[정리하기]

1. 유아의 놀이 중심교육과정의 의미는 유아의 놀이 중심교육과정의 의미는 교사가 계획한 활동이 자연스럽게 유아

가 주도하는 놀이중심으로 변화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유아의 자유롭고 자발적인 놀이의 참여가 이루어지며,

교사는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를 존중해 주어야 합니다. 유아에게 놀이는 앎을 위한 최선의 방식이며 놀이를 주도하

며 스스로 배운다는 유아의 유능함을 믿고 기다려 주는 인내가 필요합니다. 유아의 놀이경험을 통하여 5개 영역 내

용과 다양한 배움을 경험하며 스스로 자발적으로 깨닫고 내면화하며 세계시민으로의 성장을 위한 발판이 될 것입

니다.

2. 유아의 다문화 감수성 증진은 함께 어울려 노는 놀이를 통하여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감, 반편견, 평등성,

협력, 배려 등 다문화사회에서 함께 살아가는데 필요한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되고 내면화될 수 있도록 교사는 놀이와 경

험을 지원하도록 합니다.

3. 세계여러나라 아이들은 전통놀이를 하거나, 자기들이 규칙을 세워 새로운 놀이를 만들기도 합니다.

많은 나라들은 자기 나라만의 고유한 음식과 언어가 있지만 이런 차이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아이들을

하나로 연결시켜 주는 것은 바로 ‘놀이’입니다. 세계여러나라의 놀이를 살펴보면 각 나라의 문화와 지역,

날씨, 환경 등에 영향을 받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2 세계 여러나라 놀이

◎ 학습내용

○ 실제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 -> 유치원(만4~5세)놀이중심 통합교육/신체운동ž건강 영역/사회관계 영역 활동

- 학습목표: 다른나라의 전통놀이와 문화에 관심을 가진다. 다른나라(베트남, 일본)놀이를 친구와 협동하여 해 본다. 다른나라 놀이를 한 경험을 표현해 본다.

○ 놀이의 방향 - 다른나라 전통놀이를 체험해 보며 다른나라 놀이와 다른나라 문화와 풍습을 경험해 보며, 다양한 문화에 대해 이해와 존중감, 협력 등의 다문화 감수성이 놀이와 경험, 즐거움의 놀이중심 통합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증진될 수 있도록 합니다.

1. 준비하기 가. 유치원의 일과 활동 중 베트남 전통모자(논라)를 꾸며보고, 베트남 쭈온쭈온(잠자리)도 꾸며보

고 가지고 놀며 베트남 놀이와 문화에 관심과 흥미를 가지도록 합니다.(Tip1. 유아들이 베트남 전통모자(논라)와 전통놀잇감 쭈온쭈온(잠자리)을 색칠하고 꾸민 논라를 쓰고, 쭈온쭈온을 직접 가지고 놀이하며 자연스럽게 베트남 놀이와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함) 나. 수업에 필요한 준비물 : 사전활동 동영상, 쭈온쭈온(잠자리)은 베트남 전통공예품으로 손가락

위에 잠자리의 머리 부분을 올리면 알아서 균형을 잡는 재미있는 장난감), 나무젓가락 논라 등

Page 7: 유아 놀이중심 다문화 세계시민교육 - KOCw

- 6 -

다. 유아가 하는 베트남 전통모자 꾸미기와 쭈온쭈온을 가지고 놀이하는 활동 촬영 및 동영상을 만 듭니다.

2. 활동하기 ▣ 주의집중 및 전시활동 상기, 동기유발 - 유아가 활동한 베트남 모자 만들기(논라)와 쭈온쭈온(잠자리) 만들기 한 동영상을 도입활동에 이용 하여 회상해 보며 전시활동 상기 및 동기와 흥미를 유발한다.(Tip2. 유아들이 베트남 모자와 놀잇감을 만들고, 꾸미고, 놀이하는 동영상을 도입활동에 이용하여 전시활동 상기 및 본시활동 동기유발 및 관심을 가지도록 함)▣ 활동 안내하기 【활동1】베트남 전통 놀이 쭈온쭈온(잠자리) 게임 【활동2】일본 전통놀이 세쓰분 놀이

① ▣ 【활동1】 쭈온쭈온(잠자리) 놀이 (베트남 전통 놀이)

<참고> 베트남 전통놀이 쭈온쭈온(잠자기)와, 베트남 모자 논라(아래 맨 끝 사진)입니다. 고깔모양으로 뽀족한 것은 여자용, 둥근 중절모양이 남자가 쓰는 모자입니다. 이 모자는 야자나무, 바나나, 코코넛 잎사귀를 섞어서 짜지요. 우리나라 농촌의 짚으로 만든 밀짚모자와 비슷한 역할을 한답니다. 날씨가 너무 더운 베트남에서 땡볕을 피하거나, 농사를 지을 때나 비를 피하기 위해 모자를 쓴답니다.

Page 8: 유아 놀이중심 다문화 세계시민교육 - KOCw

- 7 -

놀이 방법

■ 쭈온쭈온(잠자리)을 보면서 이야기를 나눈다.

(Tip3.논라와 쭈온쭈온을 만드는 법, 사용법을 이야기하며 그 나라의 날씨와 기후, 풍속, 놀이 등

에 대해서 자연스럽게 알게 되고, 다른나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음)

- 이것은 무엇일까? -무엇으로 만들었을까?

- 베트남에서는 이 놀이 잠자리를 뭐라고 부를까?

- 이 모자의 이름이 무엇이었지?

- 논라는 무엇을 하는데 사용하였을까?

■ 잠자리를 유아의 몸 여러부분에 올려두고 균형을 잡아본다.

- 손가락 위에 잠자리를 올려서 균형을 잡아 보아요.

- 손 등위에 올려 볼까요?

- 팔꿈치 위, 어깨 위, 머리 위에 올려 균형을 잡아보아요.

- 턱에 올려놓고 균형을 잡아보아요.

- 나무젓가락 위에 잠자리를 올려두고 균형을 잡아보아요.

(Tip4.베트남 친구들이 실제로 하고 놀던 쭈온쭈온을 신체부위나 장대 끝에 올려두고 오래 있는

친구가 이기는 놀이를 반 친구들과 함께 게임의 방식으로 진행하며, 이기고 지는 것에 중점을

두기보다 베트남 놀이를 즐기고 느껴볼 수 있는 시간이 될 수 있도록 함 )

(Tip5.베트남 게임활동을 통해 다른나라 놀이도 재미있다는 것을 알고, 다양한 놀이와 문화에 대한

이해

(Tip6. 신문지 꼬깔은 자유선택활동시간이나 미술활동시간을 통해 만들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아이들의 세쓰분 놀이에 대한 기대감을 줄 수 있고 순조로운 활동진행에 더 효과적임)

【활동2】 세쓰분 놀이 (일본 전통 놀이)

Page 9: 유아 놀이중심 다문화 세계시민교육 - KOCw

- 8 -

놀이 방법

■ 놀이 방법 알기

일본의 세쓰분놀이 동영상을 보며 일본의 전통놀이와 문화에 대해 이야기 합니다.

(Tip1. 일본의 전통놀이 세쓰분 놀이 동영상을 보며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다른나라의 놀이와 문

화에 관심과 흥미를 가지게 되며, 세쓰분 놀이에 대한 기대감을 가지게 함)

(Tip2. 동영상을 감상한 후 동영상에 나오는 놀이와 언어, 문화에 대해 알아보며, 동영상을 통해

다른나라의 전통놀이와 문화, 언어를 자연스럽게 접해보며 타문화에 대한 자연스러운 경험과 이

해를 할 수 있을 것임)

(Tip3. “복아 들어와라”, “도깨비는 물러나라”를 일본말도 함께 해보며 다른나라의 언어를 자연스

럽게 접해보며, 다른나라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이 생기지 않도록 하며, 다양한 문화에 대한 긍

정적인 태도와 다문화 감수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임)

㉠ 신문지로 주머니(꼬깔)를 만들어 머리에 쓴다.

(Tip4. 신문지 꼬깔은 자유선택활동시간이나 미술활동시간을 통해 만들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

이 아이들의 세쓰분놀이에 대한 기대감을 줄 수 있고 순조로운 활동진행에 더 효과적임)

㉡ 신문지를 찢어 마음껏 하늘도 던져 본다.

㉢ 신문지를 뭉쳐서 둥글게 눈뭉치를 만든다.

㉣ 눈뭉치를 만들어 주머니에 넣는다.

㉤ 가면을 쓴 도깨비에게 던져 도깨비를 공격한다.

(Tip5. 세쓰분 놀이 활동 시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신문지를 활용하여 하도록 하며, 동화

나 스토리가 있는 이야기 방식으로 진행하여 놀이과정을 즐길 수 있도록 하여 더욱 재미있고,

적극적이고 몰입할 수 있는 활동이 될 수 있도록 함)

- 도깨비 역할을 정한다.

- 신문지 공을 던져 도깨비를 쫒는다. (초록팀은 빨간도깨비 공격, 빨간팀은 초록도깨비 공격)

(Tip6. 한번의 게임이 끝나면 도깨비를 역할을 다른친구가 돌아가며 골고루 해 볼 수 있도록

해도 좋음)

- 징 소리로 놀이의 마침을 알린다.

- 신문지 공을 자기 팀 자루에 넣는다. (게임하며 정리하기)

(Tip7. 신나는 세쓰분 놀이 활동이 끝나면 주변정리도 게임활동으로 진행하여 정리시간도 게임의

일부분 처럼 즐겁고 재미있게 진행하면 좋음)

(Tip8. 친구와 함께 다른나라 전통풍속 놀이를 해보는 활동을 통하여 유아들이 타문화에 대한

자연스러운 이해와 화합, 긍정적인 태도 형성, 공동체 의식 함양 등 유아 다문화 감수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임)

▣ 게임활동을 하고 난 후의 느낌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표현해 보아요. ◦ 유아들이 친구와 게임 활동을 한 느낌이나 기분을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자율적인 생각과 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지금 놀이를 마친 기분을 몸, 말, 신문지 등으로 표현해 볼 수 있을까요? ▣ 다음에 할 활동에 기대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함께 정해보기 ◦다음 시간에 하고 싶은 놀이 활동 함께 이야기 해 보고 정해 봅니다. - 다음시간에 해보고 싶은 놀이가 있나요?

Page 10: 유아 놀이중심 다문화 세계시민교육 - KOCw

- 9 -

[정리하기]

1. 다른 나라의 전통놀이를 친구와 함께 놀이하고 즐기는 놀이경험을 통하여 다양한 문화와 놀이에 대

해 이해하고 존중감을 기를 수 있을 것이며, 다른 문화에 대한 편견 없는 수용성과 다문화 감수성 증진

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교사는 유아중심·놀이중심의 다문화교육이 될 수 있도록 유아가 다른

나라 놀이를 즐겨하고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환경과 시간을 제공해 주도록 하며, 교사가 계획하는 교육

활동에 다른나라 전통놀이 경험을 지원하여 다문화 감수성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합니다.

-‘사방치기’와 ‘비석치기’, ‘딱지치기’와 같은 한국은 전통놀이를 친구와 함께 해보는 것은 어떤가요? -그럼 딱지를 함께 만들어 볼까요? 무엇으로 만들면 좋을까요?▣ 활동시 유의점 ―이기고 지는 게임이 아니라 친구와 재미있게 즐기는 시간이 될 수 있도록 이야기해 줍니다. ―안전을 고려하여 충분한 놀이 공간을 확보하여 할 수 있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