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376 부산 체육 50년사 1963~2013 부산 체육의 오늘과 내일_제2장 가맹경기단체의 역사와 활동 377 부산 유도의 역사는 해방 이후 일본 유학생과 전·현직 경찰출신 유도인들의 활동이 주류를 이뤘다. 부산 중구 부평동에 위치해 있던 경남경찰국 상무관을 합동훈련 및 각종 유도대회 개최장소로 사용 해왔으나 이미 역사 속으로 사라졌고, 전국 경찰무도대회와 교도관 유도대회는 현재까지 연례행사 로 개최되고 있다. 1946년 초대 중부경찰서장을 역임한 이향인 초대 유도회장은 해방 이후부터 1963년 부산시가 직할시로 승격된 이후 1974년까지 어려운 환경과 여건 가운데도 부산 유도 발전의 초석과 기반을 조성했다. 1975년 보림연탄 사업주 심창우 유도회장의 취임 이후 동래 동일고무벨트 공장 및 중구 부평동 소재 영남극장을 개·보수해 임시 유도회관으로 사용했으며, 1977년 진양화학 유도부 실업팀에서 현직 회장 송준식 더샵빌딩 대표 - 1986.06 부산직할시 유도회 이사로 선임 - 1998.11.14 부산광역시 유도회장 취임 주요 연표 연도 내용 1945 8·15 해방 이후 초대 경남유도회장 이향인 회장 취임 1950 전국유도선수권대회 부산 임시국회의사당에서 개최 1959 동아대 유도부 창단(정학균 코치 외10여 명) 1963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며 부산광역시유도회 발족 1967 동아대 정삼현 유니버시아드 은메달 획득 1975 보림연탄 사업주 심창우 회장 취임 1976 동아대 조재기 몬트리올올림픽대회 무제한급 동메달 획득 1977 진양화학 실업 유도팀 창단(조재기 코치 등 10여 명) 1978 동아대 2대 총장 정수봉 대학유도연맹 회장 취임 1981 경제인 신달수 회장 취임 1983 안영환 선생 국제심판 A급 자격 취득 LA올림픽대회 하형주 금메달 획득 1985 경제인 자유건설 정주영 회장 취임 1986 동아대 옥경숙 네덜란드 여자 세계선수권대회 동메달 획득 1987 현 양정모 올림픽대회 제패기념체육관 입주 1988.03 부산시청 유도부 창단 1989.03 동아대 유도감독 역임한 정학균 회장 취임 1989 부산북구청 유도부 창단 1997 부산 동아시아유도대회 개최(동아대 체육관) 1998 동아대 유도부 경기인 출신 송준식 회장 취임 2000 제81회 전국체육대회 유도 2위 2000 홍콩 아시아청소년유도선수권 송준식 단장 종합우승 2001 동의대 유도부 창단 2001.03 제30회 전국소년체육대회 개최(동아대 체육관) 2002 부산아시아경기대회 개최(구덕체육관) 2011 영산대 유도부 창단 2012 런던올림픽대회 유도 부산체고 출신 조준호 동메달 획득 17 부산 유도회 창단 코치 겸 선수로 조재기 외 10여 명이 창단멤버로 활동했다. 1981년 경제인 신달수 회장에 이어 1985년 자유건설 정주영 회장 취임 후 레슬링의 양정모올림 픽제패기념체육관을 부산시에서 주관 건립해 4개 경기단체가 입주하면서 유도회에서도 5000만 원을 기탁, 1987년부터 부산유도회 사무실과 유도회관으로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1989년 동아 대 유도부 감독을 지냈던 정학균 회장이 연임 중 사퇴함으로써 1998년 동아대 선수출신 송준식 현 회장을 영입해 현재 연임 중이다. 송준식 회장은 제50회 전국체육대회 유도 대학부 단체전 결승에 서 쇄골 골절의 부상을 입고도 단체전 우승을 이끌었던 경기인 출신이다. 부산의 생활체육 유도는 해방 직후 1945년 10월 영도구 대교동에 박천택 선생이 설립한 국사관 유도장을 시초로 부산 초대 시의원을 지냈던 장윤범 선생이 이어받아 수많은 관원을 배출해왔다. 국사관은 약 2만여 명의 관원을 양성하는 등 현재까지도 운영되고 있다. 이후 부산 유도는 고 장지 관, 김희량, 양인호, 윤용조, 차봉열, 전창수, 임형택, 최해조 선생 등 원로 유도인들이 설립한 유도 장을 기반으로 수많은 후진을 양성해오면서 1990년대 후반까지 90여 곳의 유도장을 개관하며 중 흥기를 맞았다. 철도무덕관 최해조 선생은 1950년대 중반 서구 토성동 토성초등학교 운동장 특설 링에서 복싱 초대 반탐급 챔피언을 거머쥔 백용수 선생 등과 한국 최초의 격투기대회를 개최, 언론 의 조명을 받았다. 엘리트 체육의 학교 유도는 동아대 설립자인 정재환 총장이 일본 입명관 대학동기인 석진경 선생 을 1957년 교수로 초빙, 정학균 선생을 코치로 영입한 뒤 1959년 10여 명의 선수로 유도부를 창단 했다. 이로써 당시 부산교대와 이후 수산대 유도팀이 발족하는 계기가 됐다. 동아대 유도부는 1963년 제44회 전국체육대회에서 대학부 단체전과 정학균 코치의 종합 개인유 도선수권 우승 이후 전국체육대회 3연패 등의 성과를 달성했고, 1967년 도쿄유니버시아드 은메달 의 정삼현, 1976년 몬트리올올림픽대회 동메달의 조재기, 1984년 LA올림픽대회 금메달의 하형주 선수 등을 배출함으로써 유도 명문대학으로 자리매김했다. 이후 부산의 대학유도는 동아대 제2대 정수봉 총장이 1978년 대학유도연맹회장으로 취임하면 서 발전을 거듭했다. 2002년에는 부산 동의대 유도부가 창단돼 전국대학유도연맹전 3연패를 기록 하는 등 각종 전국대회에서 상위권의 성적을 거두며 동아대 유도부와 선의의 경쟁을 하고 있다. 남자 유도와 달리 여자 유도부는 경기실적과 역량이 괄목했음에도 15년간 존속했던 부산정보대 여자 유도부가 안타깝게 해체되는 불운을 겪어야 했다. 이후 여자 유도부는 2011년에 이르러서야 신생팀 영산대 여자 유도부의 창단으로 맥을 이어오고 있다. 부산 고등부 유도는 수많은 팀들이 창단과 해체를 반복하는 와중에서도 한때 부산체고, 해동고, 영남정보고 간 치열한 경쟁으로 부산 유도의 경기력이 한층 높아졌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 배 경에는 당시 지도자들의 뜨거운 열정과 노력이 숨어 있었다. 27년 전통의 대연정보고 여자 유도부는 다수의 국가대표 선수들을 배출함으로써 여자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은 물론 한국 여자 유도 역사에 많은 족적을 남겼다. 부산체고 유도부 출신인 조준호 선 수는 같은 학교 선배인 하형주 선수의 뒤를 이어 2012년 런던올림픽대회에 출전해 값진 동메달을 획득함으로써 부산 유도의 위상을 세계적으로 드높였다. 이는 1984년 LA올림픽대회 이후 28년 만
3

17sports.busan.kr/up_file/notice/17. 부산유도회.pdf · 2014-06-20 · 376 부산 체육 50년사 1963~2013 부산 체육의 오늘과 내일_제2장 가맹경기단체의 역사와

May 25, 2020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17sports.busan.kr/up_file/notice/17. 부산유도회.pdf · 2014-06-20 · 376 부산 체육 50년사 1963~2013 부산 체육의 오늘과 내일_제2장 가맹경기단체의 역사와

376 부산 체육 50년사 1963~2013 부산 체육의 오늘과 내일_제2장 가맹경기단체의 역사와 활동 377

부산 유도의 역사는 해방 이후 일본 유학생과 전·현직 경찰출신 유도인들의 활동이 주류를 이뤘다.

부산 중구 부평동에 위치해 있던 경남경찰국 상무관을 합동훈련 및 각종 유도대회 개최장소로 사용

해왔으나 이미 역사 속으로 사라졌고, 전국 경찰무도대회와 교도관 유도대회는 현재까지 연례행사

로 개최되고 있다.

1946년 초대 중부경찰서장을 역임한 이향인 초대 유도회장은 해방 이후부터 1963년 부산시가

직할시로 승격된 이후 1974년까지 어려운 환경과 여건 가운데도 부산 유도 발전의 초석과 기반을

조성했다.

1975년 보림연탄 사업주 심창우 유도회장의 취임 이후 동래 동일고무벨트 공장 및 중구 부평동

소재 영남극장을 개·보수해 임시 유도회관으로 사용했으며, 1977년 진양화학 유도부 실업팀에서

현직 회장

송준식

더샵빌딩 대표

- 1986.06

부산직할시 유도회

이사로 선임

- 1998.11.14

부산광역시

유도회장 취임

주요 연표

연도 내용

1945 8·15 해방 이후 초대 경남유도회장 이향인 회장 취임

1950 전국유도선수권대회 부산 임시국회의사당에서 개최

1959 동아대 유도부 창단(정학균 코치 외 10여 명)

1963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며 부산광역시유도회 발족

1967 동아대 정삼현 유니버시아드 은메달 획득

1975 보림연탄 사업주 심창우 회장 취임

1976 동아대 조재기 몬트리올올림픽대회 무제한급 동메달 획득

1977 진양화학 실업 유도팀 창단(조재기 코치 등 10여 명)

1978 동아대 2대 총장 정수봉 대학유도연맹 회장 취임

1981 경제인 신달수 회장 취임

1983안영환 선생 국제심판 A급 자격 취득

LA올림픽대회 하형주 금메달 획득

1985 경제인 자유건설 정주영 회장 취임

1986 동아대 옥경숙 네덜란드 여자 세계선수권대회 동메달 획득

1987 현 양정모 올림픽대회 제패기념체육관 입주

1988.03 부산시청 유도부 창단

1989.03 동아대 유도감독 역임한 정학균 회장 취임

1989 부산북구청 유도부 창단

1997 부산 동아시아유도대회 개최(동아대 체육관)

1998 동아대 유도부 경기인 출신 송준식 회장 취임

2000 제81회 전국체육대회 유도 2위

2000 홍콩 아시아청소년유도선수권 송준식 단장 종합우승

2001 동의대 유도부 창단

2001.03 제30회 전국소년체육대회 개최(동아대 체육관)

2002 부산아시아경기대회 개최(구덕체육관)

2011 영산대 유도부 창단

2012 런던올림픽대회 유도 부산체고 출신 조준호 동메달 획득

17

부산유도회

창단 코치 겸 선수로 조재기 외 10여 명이 창단멤버로 활동했다.

1981년 경제인 신달수 회장에 이어 1985년 자유건설 정주영 회장 취임 후 레슬링의 양정모올림

픽제패기념체육관을 부산시에서 주관 건립해 4개 경기단체가 입주하면서 유도회에서도 5000만

원을 기탁, 1987년부터 부산유도회 사무실과 유도회관으로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1989년 동아

대 유도부 감독을 지냈던 정학균 회장이 연임 중 사퇴함으로써 1998년 동아대 선수출신 송준식 현

회장을 영입해 현재 연임 중이다. 송준식 회장은 제50회 전국체육대회 유도 대학부 단체전 결승에

서 쇄골 골절의 부상을 입고도 단체전 우승을 이끌었던 경기인 출신이다.

부산의 생활체육 유도는 해방 직후 1945년 10월 영도구 대교동에 박천택 선생이 설립한 국사관

유도장을 시초로 부산 초대 시의원을 지냈던 장윤범 선생이 이어받아 수많은 관원을 배출해왔다.

국사관은 약 2만여 명의 관원을 양성하는 등 현재까지도 운영되고 있다. 이후 부산 유도는 고 장지

관, 김희량, 양인호, 윤용조, 차봉열, 전창수, 임형택, 최해조 선생 등 원로 유도인들이 설립한 유도

장을 기반으로 수많은 후진을 양성해오면서 1990년대 후반까지 90여 곳의 유도장을 개관하며 중

흥기를 맞았다. 철도무덕관 최해조 선생은 1950년대 중반 서구 토성동 토성초등학교 운동장 특설

링에서 복싱 초대 반탐급 챔피언을 거머쥔 백용수 선생 등과 한국 최초의 격투기대회를 개최, 언론

의 조명을 받았다.

엘리트 체육의 학교 유도는 동아대 설립자인 정재환 총장이 일본 입명관 대학동기인 석진경 선생

을 1957년 교수로 초빙, 정학균 선생을 코치로 영입한 뒤 1959년 10여 명의 선수로 유도부를 창단

했다. 이로써 당시 부산교대와 이후 수산대 유도팀이 발족하는 계기가 됐다.

동아대 유도부는 1963년 제44회 전국체육대회에서 대학부 단체전과 정학균 코치의 종합 개인유

도선수권 우승 이후 전국체육대회 3연패 등의 성과를 달성했고, 1967년 도쿄유니버시아드 은메달

의 정삼현, 1976년 몬트리올올림픽대회 동메달의 조재기, 1984년 LA올림픽대회 금메달의 하형주

선수 등을 배출함으로써 유도 명문대학으로 자리매김했다.

이후 부산의 대학유도는 동아대 제2대 정수봉 총장이 1978년 대학유도연맹회장으로 취임하면

서 발전을 거듭했다. 2002년에는 부산 동의대 유도부가 창단돼 전국대학유도연맹전 3연패를 기록

하는 등 각종 전국대회에서 상위권의 성적을 거두며 동아대 유도부와 선의의 경쟁을 하고 있다.

남자 유도와 달리 여자 유도부는 경기실적과 역량이 괄목했음에도 15년간 존속했던 부산정보대

여자 유도부가 안타깝게 해체되는 불운을 겪어야 했다. 이후 여자 유도부는 2011년에 이르러서야

신생팀 영산대 여자 유도부의 창단으로 맥을 이어오고 있다.

부산 고등부 유도는 수많은 팀들이 창단과 해체를 반복하는 와중에서도 한때 부산체고, 해동고,

영남정보고 간 치열한 경쟁으로 부산 유도의 경기력이 한층 높아졌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 배

경에는 당시 지도자들의 뜨거운 열정과 노력이 숨어 있었다.

27년 전통의 대연정보고 여자 유도부는 다수의 국가대표 선수들을 배출함으로써 여자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은 물론 한국 여자 유도 역사에 많은 족적을 남겼다. 부산체고 유도부 출신인 조준호 선

수는 같은 학교 선배인 하형주 선수의 뒤를 이어 2012년 런던올림픽대회에 출전해 값진 동메달을

획득함으로써 부산 유도의 위상을 세계적으로 드높였다. 이는 1984년 LA올림픽대회 이후 28년 만

Page 2: 17sports.busan.kr/up_file/notice/17. 부산유도회.pdf · 2014-06-20 · 376 부산 체육 50년사 1963~2013 부산 체육의 오늘과 내일_제2장 가맹경기단체의 역사와

378 부산 체육 50년사 1963~2013 부산 체육의 오늘과 내일_제2장 가맹경기단체의 역사와 활동 379

에 달성한 부산유도의 쾌거였으며, 2명의 올림픽 메달리스트를 배출한 부산체고 유도부의 영광이

었다.

1971년 창단한 부산 삼성중 유도부 또한 수차례 전국대회 우승과 함께 중등부 최강팀으로 군림

하며 조준호를 비롯한 국가대표 선수를 배출하는 등 유도 명문중학교로 명성을 떨쳤다.

한편 용호중학교장으로 퇴임한 안영환 선생은 부산 유도인으로서는 처음으로 1983년 유도 국제

심판 A급 자격을 취득해 88올림픽대회 심판 및 각종 국제대회 심판으로 활약했다. 서경애 선생은

1978년 대한유도회 공인 1급 심판 자격을 받아 국내 최초의 여성심판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현재 부산유도회에는 초·중·고등부와 대학부, 실업팀을 합쳐 총 27개 팀과 194명의 선수가 등

록해 활동하고 있다.

현직 회장 및 임원

협회 직위 성명 소속

회장 송준식 자영업

상임부회장 이태준 자영업

기획부회장 김인세 전 교사

부회장

천홍대 한국해양대학교 외래교수

문병수 전 교사

서경애 부산여자대학교 강사

김창근 전 교사

주영길 제일유도관 관장

제호송 동의대학교 유도감독

전무이사 김광수 부산북구청 유도감독

총무이사 김태윤 해동고등학교 교사

경기이사 이준희 부산시청 유도감독

심판이사 최희집 삼성중학교 지도자

지도이사 최해용 영산대학교 지도자

시설도장이사 임영한 수영유도관 관장

재무이사 성중경 부산체육고등학교 지도자

섭외이사 김기석 숭덕유도관 관장

홍보이사 김경옥 부산교도소 교위

이사

유성철 안락중학교 지도자

김경현 부산디지털고등학교 교사

김기범 부산골프고등학교 생활지도부장

역대 회장

제1대 이향인 1963.01~1975.12

제2대 심창우 1976.01~1982.12

제3대 신달수 1983.01~1985.12

제4대 정주영 1986.01~1988.12

제5대 정학균 1989.01~1998.12

제6대 송준식 1999.01~현재

선수등록 현황

연도 계(팀/인원 수)구분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대학부 일반부

2007 24 / 182 5 / 9 10 / 73 4 / 70 2 / 15 3 / 15

2008 28 / 183 7 / 19 13 / 67 3 / 46 2 / 37 3 / 14

2009 25 / 184 7 / 19 10 / 74 4 / 43 2 / 35 2 / 13

2010 31 / 190 7 / 11 13 / 73 7 / 52 2 / 40 2 / 14

2011 25 / 185 6 / 8 11 / 70 3 / 50 3 / 43 2 / 14

2012 32 / 200 8 / 15 12 / 73 7 / 57 3 / 42 2 / 13

국제대회 성적

연도 대회명세부종목(체급)

순위 수상자

1967 도쿄유니버시아드대회 93kg 이하 2 정삼현

1970 제2회 아시아유도선수권대회 73kg 이하 2 김태근

93kg 이상 2 정삼현

1974 제3회 아시아유도선수권대회 무제한 3 조재기

1976 몬트리올올림픽대회 무제한 3 조재기

1979 파리세계선수권대회 무제한 3 조재기

1981 마스트리히트세계선수권대회 95kg 이하 3 하형주

1984 LA올림픽대회 95kg 이하 1 하형주

1985 서울세계선수권대회 95kg 이하 2 하형주

1985 고베유니버시아드대회 95kg 이하 1 하형주

1986 서울아시아경기대회 95kg 이하 1 하형주

1987 에센세계선수권대회 95kg 이하 3 하형주

1989 베오그라드세계선수권대회 무제한 김건수

1990 북경아시아경기대회

60kg 이하 2 김종만

95kg 이상 3 김건수

48kg 이하 2 옥경숙

1998 방콕아시아경기대회 90kg 이하 1 유성연

1999 버밍햄세계선수권대회 90kg 이하 3 유성연

1999 팔마유니버시아드대회90kg 이하 3 유성연

100kg 이하 3 강병진

협회 직위 성명 소속

이사

강경원 풍신건재 부장

강인석 국제유도관 관장

최미애 간호사

정세영 파리바게뜨 부평점 대표

감사이규준 허득수 세무회계사 사무장

주헌중 구서유도관 관장

Page 3: 17sports.busan.kr/up_file/notice/17. 부산유도회.pdf · 2014-06-20 · 376 부산 체육 50년사 1963~2013 부산 체육의 오늘과 내일_제2장 가맹경기단체의 역사와

380 부산 체육 50년사 1963~2013 부산 체육의 오늘과 내일_제2장 가맹경기단체의 역사와 활동 381

연도 대회명세부종목(체급)

순위 수상자

2000 부산아시아경기대회 100kg 이상 3 강병진

2012 런던올림픽대회 3 조준호

1970 제2회 카오슝아시아선수권대회71kg 이하 2 김대근

93kg 이상 2 정삼현

1986 네덜란드여자세계선수권대회 66kg 이하 3 옥경숙

2001 아시아선수권대회2 이준훈

3 류정석

전국체육대회 성적(최근 6년)

연도 종합순위(득점)획득메달

(금/은/동)

구분

고등부 대학부 일반부

2007 2(2,047) 6 / 5 / 5 1(1,051) 2(569) 7(427)

2008 4(1,503) 3 / 5 / 4 6(484) 2(403) 6(616)

2009 9(1,039) 1 / 3 / 6 9(450) 8(171) 10(418)

2010 7(974) 3 / 1 / 7 10(283) 7(327) 6(363)

2011 9(857) 0 / 4 / 4 9(247) 8(296) 10(314)

2012 15(612) 0 /1 / 3 15(99) 13(213) 9(299)

2,400 0

2,100 2

1,800 4

1,500 6

1,200 8

900 10

600 12

300 14

0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16

� 득점 � 종합순위

2,04

7

2

1,50

3

4

1,03

9

9

974

7

857

961

2

15

검도는 화랑도 정신을 바탕으로 국민의 체력 증진과 민족문화 발전에 이바지하는 데 목적을 둔 스포츠

로 남녀노소 연령을 불문하고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운동이다. 동네 아이들이 모여 나무막대기로 싸움

놀이를 하던 것에서 비롯돼 차츰 놀이에서 심신수련을 위한 교육적 무예로, 다시 체육경기로 자리 잡아

오늘에 이르렀다.

우리나라에서는 1947년 서울시경찰관검도대회가 처음으로 개최됐다. 광복 후 치안의 필요성에

따라 군정하에 경찰이 탄생했으며, 서정학 선생 주도로 경찰에 상무회 조직이 활성화됐다. 이듬해인

1948년에는 강낙원, 서정학, 호익용, 김영달, 박종국, 김영배 선생을 비롯해 전국에서 약 100여 명의

사범급 검도인이 창덕궁에서 모임을 갖고 대한검도회를 결성했다. 그리고 1950년 4월 제1회 전국경찰

관검도대회가 개최됐다.

1952년에는 대한검도회를 창립하기 위해 준비위를 발족시켰으며 1953년 대한검도회를 창립, 발족

하고 대한체육회의 정식 가맹단체가 됐다. 이때부터 각 시도지회가 산하단체로 설립되기 시작했으며

제1회 전국개인검도선수권대회를 개최했다.

주요 연표

연도 내용

1961 해동고 검도부 창단

1974 배정중 검도부 창단

1978 신선중 검도부 창단

1984 배정고 검도부 창단

1991 남일고 검도부 창단

1998 수영구청 검도팀 창단

2004 동서대 검도부 창단

2006 다송중 검도팀 창단

2006 경남정보대ㆍ부산디지털대 산학협약 체결

2007 부산시체육회 검도팀 창단

2009 경성대 검도부 창단

2010 효성시티병원과의 의료협약 체결

2012 충렬중 검도부 창단

역대 회장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오문세

김억조

최현도

조용대

이재헌

황규정

한종대

김진수

허문회

1976.01~1979.12

1980.01~1980.12

1981.01~1988.12

1989.02~1996.12

1997.12~2004.12

2004.12~2010.02

2010.02~현재

18

부산검도회

현직 회장

허문회

치과의사

- 전국소년체육대회

태권도 부산대표 출전

- 진주시검도대회 개인전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