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 1 - 조부모의 학령 초기 손자녀 대리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송승민, 이운경, 이윤형, 강현아, 김은혜, 강하라 주제어: 대리가정위탁, 학령 초기, 양육 경험, 대리양육, 질적 연구 1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징 ID 연령 취업상태 대리양육기간 손자녀의 연령과 성별 대리양육의 원인 첫째 손자녀 번째 손자녀 1 65 N 6 8 (남아) 어머니의 가출 2 69 Y 6 10 (남아) 8 (남아) 어머니의 사망 3 68 Y 7 10 (남아) 부모의 가출 4 65 N 2 12 (남아) 8 (남아) 부모의 이혼 5 60 N 7 10 (남아) 부모의 이혼 6 60 N 9 10 (여아) 9 (남아) 부모의 이혼 7 80 N 7 9 (여아) 7 (여아) 아버지의 수감 8 72 N 9 10 (여아) 부모의 사망 Note. N = 8. Y = 취업중.
3

, 초기, 경험, 질적연구 - childstudies.org · - 1 - - 1 - 조부모의 학령 초기 손자녀 대리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송승민, 이운경, 이윤형,

Feb 25, 2020

Download

Documents

dariahiddlest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 초기, 경험, 질적연구 - childstudies.org · - 1 - - 1 - 조부모의 학령 초기 손자녀 대리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송승민, 이운경, 이윤형,

- 1 - -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조부모의 학령 초기 손자녀 대리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송승민, 이운경, 이윤형, 강현아, 김은혜, 강하라

주제어: 대리가정위탁, 학령 초기, 양육 경험, 대리양육, 질적 연구

표 1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징

ID 연령 취업상태 대리양육기간

손자녀의 연령과 성별대리양육의 원인첫째 손자녀 두 번째 손자녀

1 65 N 6 8 (남아) 어머니의 가출2 69 Y 6 10 (남아) 8 (남아) 어머니의 사망3 68 Y 7 10 (남아) 부모의 가출4 65 N 2 12 (남아) 8 (남아) 부모의 이혼5 60 N 7 10 (남아) 부모의 이혼6 60 N 9 10 (여아) 9 (남아) 부모의 이혼7 80 N 7 9 (여아) 7 (여아) 아버지의 수감8 72 N 9 10 (여아) 부모의 사망

Note. N = 8. Y = 취업중.

Page 2: , 초기, 경험, 질적연구 - childstudies.org · - 1 - - 1 - 조부모의 학령 초기 손자녀 대리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송승민, 이운경, 이윤형,

- 2 - - 3 -

• ∼• ∼

• ∼

• ∼• ∼• ∼

• ∼• ∼

• ∼

• ∼• ∼

• ∼

• ∼

• ∼

• ∼

조부모의 학령 초기 손자녀 대리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송승민, 이운경, 이윤형, 강현아, 김은혜, 강하라

주제어: 대리가정위탁, 학령 초기, 양육 경험, 대리양육, 질적 연구

권인수 (2000).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부담감과 사회적 지

지. 아동간호학회지, 6(2), 212-223.

김미영, 윤혜미 (2015). 저소득 조손가족 조모와 가족관계경험

에 대한 질적연구: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50, 145-176.

김성경, 김혜영, 최현비 (2009). 아동복지론. 파주: 양서원.

김수지, 송승민, 도현심, 신나나, 김민정, 김은혜 (2015). 학령

기 전환 자녀의 어머니 역할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아

동학회지, 36(2), 111-130.

김오남 (2007).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의 부담과 보상감.

한국노년학연구, 16, 59-84.

김유미, 김명희, 정여주 (2008).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

육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접근. 사회복지연구, 38 ,

123-163.

김원경, 전제아 (2010). 국내 학술지에 나타난 조손 관련 연구

동향: 1991년부터 2010년까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

회지: 여성, 15(4), 653-671.

김현미, 도현심 (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

회지, 25(6), 279-298.

김혜선 (2009). 저소득 조손가족 조모의 손자녀 양육체험이 조

모의 삶에 미치는 의미. 노인복지연구, 43, 61-92.

도현심, 이희선, 김상희, 최미경, 이사라 (2011). 인간발달과 가족. 서울: 교문사.

박경애 (2007). 사회적 지지가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

보상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2(3), 25-45.

박창기 (2002). 농촌지역 조부모-손자녀 가족의 가족 기능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

T8952592에서 인출

배나래, 박충선 (2013). 대리양육가정 조부모의 위탁경험에 관

한 질적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8(3), 333-352.

배진희 (2007).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양육 형태별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

정책, 29, 67-94.

보건복지부. (2013). 아동종합실태조사 (보고서 2013-92).

https://www.kihasa.re.kr/common/filedown.do?seq=16664

에서 인출

서홍란, 김양호 (2010). 조손가족 조부모를 위한 강점기반 집

단교육 프로그램 개발및 평가. 노인복지연구, 47, 161-

186.

송정애 (2013). 아동가족복지론. 파주: 양서원.

양심영 (2009). 친족위탁가정의 심리적 양육환경이 아동의 문

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26(8), 193-

224.

여성가족부. (2007). 조손가족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보

고서 2007-54). http://www.mogef.go.kr에서 인출

오진아 (2007).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의 삶의 질 구조모형. 아

동간호학회지, 13(2), 201-211.

옥경희 (2005). 조부모 손자녀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 한

국가정관리학회지, 23(1).

이미영 (2007). 조손가정의 형성과정 및 생활실태. 복지행정논

집, 17(1), 203-230.

이미영 (2008). 조손가정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개발연구, 14(4), 327-353.

이윤화, 김동기 (2011).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손

자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조부모 양육태도의 매개효

과에 대한 연구: 발달단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청

소년복지연구, 13(2), 1-22.

이지연, 김원경, 정경미 (2009).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스트

레스, 사회적지지, 대처, 양육행동에 대한 연구: 주양

육모, 부분양육모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9(2), 441-458.

장희선, 김윤정 (2008). 농촌지역 조부모-손자녀가족 조부모

의 손자녀 양육경험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0,

7-29.

정재원, 김문정 (2010). 손자녀 양육 여부에 따른 조모의 생활

만족도 및 영향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6(3), 288-

296.

최해경 (2006). 조손가족에 대한 사회적지지 실태와 조부모의

신체적 건강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29(2), 115-142.

Page 3: , 초기, 경험, 질적연구 - childstudies.org · - 1 - - 1 - 조부모의 학령 초기 손자녀 대리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송승민, 이운경, 이윤형,

- 2 - -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최혜지 (2006). 저소득층 조손가족의 조부모-손자녀 관계 결

정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6(3), 641-655.

하미정, 장영애 (2010). 부모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가

학령기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일상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1(1), 33-51.

통계청. (2014). 장래가구추계조사. http://www.kostat.go.kr에서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