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Banner
1 성성성성성성 성성성 성성 2013. 04. 23 성성성성성 성성성성 성성성성
37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Jan 09, 2016

Download

Documents

etenia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2013. 04. 23 행신중학교 수석교사 황보근영. 1. 기본 방향. ◦ 「 중등학교 학사관리 선진화 방안 (2011.12.13.)」 으로 발표 학교 책무성 강화 , 창의적 교실수업 구현 등 학교교육 경쟁력 강화 도모. 2. 성취평가제란 ?. 교육과정 : 창의인성 교육 ( 창의지성교육과정 ) 교육과정 재구성. 평 가 성취평가제. 교육과정 – 수업 ( 교수학습 )- 평가의 순환 체계를 이루기 위한 평가. 학생 발달. 수 업 : 배움중심수업.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Welcome message from author
This document is posted to help you gain knowledge. Please leave a comment to let me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Share it to your friends and learn new things together.
Transcript
Page 1: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1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2013. 04. 23 행신중학교수석교사 황보근영

Page 2: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1. 기본 방향 ◦ 「중등학교 학사관리 선진화 방안 (2011.12.13.) 」으로 발표 학교 책무성 강화 , 창의적 교실수업 구현 등 학교교육 경쟁력 강화 도모

Page 3: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3

교육과정

: 창의인성 교육( 창의지성교육과정 )

교육과정 재구성

평 가

성취평가제

수 업

: 배움중심수업

학생 발달

2. 성취평가제란 ?

교육과정 – 수업 ( 교수학습 )- 평가의순환 체계를 이루기 위한 평가

Page 4: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4

2. 성취평가제란 ?

교육과정재구성을 통한 성취기준의 진술 성취기준에 의한 교수학습 활동 ( 수업 )

평가를 통한 수업의 변화도모 성취기준에 의한 성취평가

단순한 행정적 절차의 변경이나 성적 표기 방법의 변화가 아님 .

Page 5: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5

상대평가

89 7 6 5 4 3 2 1

7%4% 12% 17% 20% 17% 12% 7% 4%

비교 집단 내의 상대적인 서열 비교

성취평가

성취기준에 도달한 정도 판단

A

B

C

D

E

개인 성취율

기준 성취율

2. 성취평가제 란 ? 상대적 서열에 의해‘누가 잘 했는지’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 무엇을 어느 정도 성취했는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평가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개발된 교과별목 성취기준 , 성취수준을 토대로

학생의 학업 성취 정도를 평가하고 , ‘A-B-C(-D-E/ 또는 P)’ 로 성취도를 부여

Page 6: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6

가 . 창의 ·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편

향후 10 년 내에 고교 졸업자 수가 10 만 명 이상 감소 예상

어느 한 학생도 놓치지 않고 적성과 소질을 계발해 줄 수 있는 교육 체제 절실

학교 여건 , 학생의 적성 소질을 반영하여 학교에서‧창의적 교육과정을 운영하도록 ‘ 2009 개정 교육과정’도입

고교 교육과정을 선택 교육과정으로 편성

보통교과를 수준 ·영역에 따라 ‘기본 - 일반 - 심화’과목으로 정비

고교 다양화를 통해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 운영 권한 확대

3. 성취평가제 도입배경

Page 7: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7

나 . 교육 현장의 여건 변화 향후 10 년 내 고교 졸업자 수가 10 만명 이상 감소 예상 고교 졸업인원 = 대학 입학정원

10

30

50

70

고교 졸업인원 고교졸업인원

대학 입학정원 대학입학정원

2000 년 2020 년 2030 년2010 년 2040 년 2050 년1980 년 1990 년1970 년

20

40

60

80

대입경쟁( 학생간 점수 경쟁 )

대학경쟁 ( 인재선발 , 교육

경쟁 )

3. 성취평가제 도입배경

Page 8: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8

2020 년 교실 수업의 여건 변화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 교원 1 인당 학생수 감소 , 학급당 학생수 감소 , 수준별 이동수업을 위한 교실 자원 증가 등 창의적 수업이 가능한 공교육 여건 마련

수준별 · 맞춤형 교육을 위한 여건 조성

교과교실제 확대 (’14)‘ 진로진학상담교사’ 모든 중 ·고교에 1 명씩 배치 (’14)

’08 년 학급수 유지시 ’ 20 년까지 학급당 학생수 25 명 이하 예상현재 교원수 유지시 ’ 20 년 이내에 교원 1 인당 학생수 OECD 평균 수준 도달

’09 ’20

34.2 명25 명

’06 ’18

15.9 명12.6 명

학급당 학생수 교원 1 인당 학생수

Page 9: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9

학년 내의 상대적 서열에 따라 성적 결정석차에 대한 학생들의 과도한 스트레스 유발급우들 간 배타적 경쟁심 조장으로 인한 협동학습 저해

학생의 학업 성취수준에 대한 정확한 평가 곤란

학생의 잠재력과 소질을 최대한 발현시키기에 근본적 한계

1

가르친 내용을 출제하기 보다는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지필 평가 중심의 어려운 문제 출제

지필평가 중심의 어려운 문제 출제

평가 결과가 개별 학생의 맞춤형 교수 학습 방법에 활용 미흡∙

2

3. 성취평가제 도입배경다 . 시대의 변화에 떨어진 상대 평가의 문제점

Page 10: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10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 제약3

교과교실제와 함께 다양한 창의 인성 수업모델을 적용했으나∙ , 평가방법의 변화는 미흡평가의 객관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분위기로 인해 수업은 창의적으로 하더라도 평가는 기존의 지필 위주 평가 관행 유지

창의 · 인성 수업모델과 평가방법의 괴리4

창의 · 인성 중심의 수업과 연계한 평가방법의 현장 착근 미흡

수강자 수와 비교집단에 따라 성적이 달라지므로 학생의 적성과 소질 , 진로에 따른 다양한 교육과정 선택과 운영 제약

고교생 41.5% 가 석차등급에 유리한지 여부에 의해 과목 선택고교교사의 66.4% 는 학생들이 석차등급 문제로 소인수 교과목 수강 기피 (’10.11, 한국리서치 )

고교 석차 9 등급제에서 13 미만 소인수 선택교과는 1 등급이 나오지 않음

3. 성취평가제 도입배경 – 상대평가의 문제점

Page 11: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11

라 . 입시의 변화 : 자기주도학습 & 입학사정관제

학교 선발 체제의 선진화

( 고교입시제도개선 ) ‘ 자기주도 학습전형’도입 입학 담당관제 도입 , 중학교 내신성적 ·출결 ·면접 등으로 선발

( 대학입시 선진화 ) ‘ 입학사정관제’도입 학생의 잠재력 , 소질 , 환경 , 교육과정 이수 및 창의적 체험활동 등 학교 생활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발

중 · 고교 내신 성적

평가제도의 개선

3. 성취평가제 도입배경

Page 12: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 참고 ] 과거의 절대평가와 성취평가 비교

12

성취평가 (’12~)절대평가 (’96~’04)절대평가를 위한 기반 미약 성취평가를 위한 기반 구축

성취도 : ‘ 수 - 우 - 미 - 양 - 가’ 표기 성취도 : ‘A-B-C-D-E’ 표기

석차 ( 동석차 )/ 재적수성적 부풀리기가 사회문제가 된 후’ 03~’04 년에 방지대책 논의 시작

원점수 / 과목평균 ( 표준편차 ) 병기로 성적 부풀리기 방지 가능

학교정보공시제도 없음교과목별 성취도별 기준 성취율 ( 점수 ), 성취도별로 부여 가능한 비율 및 성취도별 성적분포 현황 ( 비율 ) 공개

교과목별 성취기준 · 성취수준 (평가기준 ) 은 도입 후 ’ 96 년부터 뒤늦게 개발 시작하여 ’ 05 년 상대평가 도입되기 전까지 개발 완료 못함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10 개 교과의성취기준∙성취수준 개발 보급 완료∙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목별 성취기준∙성취수준 개발 (’11.9~’12.6)

Page 13: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13

2. 우리나라 모든 중 , 고등학교에 성취평가제가 적용되는

해는 ?

퀴즈로 풀어보는 성취평가제 !Ⅱ

4. 성취평가제 도입 시기

1. 2013 년에 중 3 이 되는 학생에 성취평가제가 적용되는 해는 ?

3. 성취평가제로 평가 받은 고교성적이 대입에 반영되는

해는 ?

2014 년

2016 년

2017 년

Page 14: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14

4. 성취평가제 도입 시기 ( 단계적 도입 )

Page 15: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5. 성취평가제 이해 - 가 . 성취기준의 역할

15

국가 , 교육청 교육기관 평가나 교육과정 평가에서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충실하게 학교교육이 수행되고 있는가의 판단 준거

학교 , 교사교수 · 학습 및 평가의 실질적 근거

학생 , 학부모학생이 교과별 교수 · 학습 과정을 통해 반드시 성취해야 할 학습 목표 제공

자녀의 학업성취 정도를 파악하고 , 학부모가 자녀를 도와줄 방안에 대한 정보 습득

Page 16: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16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성취기준의 예

일상생활이나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줄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

의사소통 방식의 다양성을 인정하며 원활하게 의사 소통할 수 있다 ..국어

사회

과학

영어

수학 최대공약수를 활용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지구 내부의 각 층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도덕이 인간다운 삶을 위한 핵심 규범 체계라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 도덕적 삶을 영위하려는 적극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다 .도덕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지리 정보 기술이 활용되고 있는 사례를 제시할 수 있다 .

http://www.ncic.re.kr/ - 교육과정자료실에서

5. 성취평가제 이해 - 가 . 성취기준의 예시

Page 17: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가 . 성취기준 개발시 고려사항

17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근간으로 하여 무엇을 성취할 것인가를 명시하기 위해

가급적 ‘ ~ 할 수 있다’의 형식으로 진술함으로써 ‘도달점 행동’이 드러나도록

교육과정의 내용이 교수 · 학습 및 평가의 단위로 적절한지 검토하여 지나치게

포괄적이거나 상세한 경우에는 분리하거나 통합하여 재구성

내용 성취기준이 학년이 높아감에 따라 수준의 위계가 나타나도록 진술되었는지

검토하여 교과 내 성취기준 간의 위계가 드러나도록

교수 · 학습 활동의 현실적 실천가능성을 고려하여 모호하지 않고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면서도 어법에 맞고 명확하게 진술

교육과정의 내용에 비하여 학습량이 많아지거나

내용 수준이 높아지지 않도록 수준과 양의 적정화

Page 18: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성취기준 교과목에서 학생들이 성취해야 할 ( 목표 )지식 , 기능 , 태도의 능력과 특성을 진술한 것

성취수준 학생들이 교과별 성취기준에 도달한 수준을 나타내는 것

18

교수 · 학습 평가

무엇을배워야 하는지

가르쳐야 하는지

무엇을 평가해야 하는지도달해야 하는지

성취기준

5. 성취평가제 이해 –나 . 성취기준과 성취수준

Page 19: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5. 성취평가제 이해 - 나 . 성취기준단위 성취수준 ( 예 : 중 , 도덕 )

19

성취수준 성취수준 기술

상 도덕이 인간다운 삶을 위한 핵심 규범 체계라는 점을 이해하고 , 도덕적 삶을 영위하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

중 도덕이 인간다운 삶을 위한 핵심 규범 체계라는 점을 이해하고 , 부분적이기는 하지만 도덕적 삶을 영위하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

하 도덕이 인간다운 삶을 위한 핵심 규범 체계라는 점을 이해한다 .

교육과정내용

도 911. 도덕은 자율성을 전제로 인간다운 삶을 살아가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규범 체계임을 이해하고 , 바람직한 도덕적 삶을 영위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 이를 위해 인간의 삶 속에서 도덕이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이유를 제시하고 , 도덕적인 삶의 다양한 모습을 열거한다 .

성취기준

도 911. 도덕이 인간다운 삶을 위한 핵심 규범 체계라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 도덕적 삶을 영위하려는 적극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다 .

Page 20: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20

성취 수준의 역할성취수준의 유형

교수 · 학습 운영 및 평가의 참고자료

수준별수업 운영에 활용

평가문항 개발 및 제작 시 활용

서술형평가 , 수행평가 채점 기준 개발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수준

학기 단위의 성취수준 : 학기말에

각각의 성취수준에 도달한 학생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기술한 것

상 - 중 -

A - B - C - D - E

A - B - C

P

5. 성취평가제 이해 - 나 / 다 . 성취수준의 유형과 역할

Page 21: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5. 성취평가제 이해 - 다 . 학기 단위의 성취수준 [ 예 : 중 도덕 ]

21

성취수준 성취수준 기술

A바람직한 가치 규범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 다양한 생활 영역에서 발생하는 도덕적인 문제 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올바른 도덕 판단을 내리며 책임 있게 행동할 수 있다 .

B바람직한 가치 규범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 다양한 생활 영역에서 발생하는 도덕적인 문제 상황에 대해 제한적이지만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도덕적으로 적절하게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다 .

C바람직한 가치 규범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 다양한 생활 영역에서 발생하는 도덕적인 문제 상황에 대해 경우에 따라 자신의 입장에서 일면적으로 판단하지만 , 도덕적으로 적절하게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다 .

D바람직한 가치 규범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 다양한 생활 영역에서 발생하는 도덕적인 문제 상황에 대해 제한적이지만 적절하게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다 .

E바람직한 가치 규범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 다양한 생활 영역에서 발생하는 도덕적인 문제 상황에 대해 제한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다 .

Page 22: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22

5. 성취평가제 이해 - 라 . 중학교 교과목별 기준 성취율

※기준 성취율 : 학생들이 성취목표에 도달한 정도에 따라 성취도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

일반교과 + 선택교과

성취율 ( 원점수 ) 성취도

90% 이상 A

80% 이상 ~ 90% 미만 B

70% 이상 ~ 80% 미만 C

60% 이상 ~ 70% 미만 D

60% 미만 E

체육 , 예술 교과

성취율 ( 원점수 ) 성취도

80% 이상 ~ 100% A

60% 이상 ~ 80% 미만 B

60% 미만 C

원점수 지필평가 , 수행평가의 반영비율 환산점수의 합계를 소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나타낸 점수

선택교과( 환경 , 보건 , 진로와 직업 )

P

Page 23: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23

성취도별 정의 및 성취율 ( 예

시 )

교육과정에 맞춰서 개발된 교과목별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에 따라 학생의 학업 성취수준을 평가하고 , ‘A-B-C-(D-E) / 또는 P’ 로 성취도 부여

성취도 정의 성취율 ( 원점수 )

A내용영역에 대한 지식습득과 이해가 매우 우수한 수준이며 새로운 상황에 일반화할 수 있음 90% 이상

B내용영역에 대한 지식습득과 이해가 우수한 수준이며 새로운 상황에 대부분 일반화할 수 있음

90% 미만~ 80% 이상

C내용영역에 대한 지식습득과 이해가 만족할 만한 수준이며 새로운 상황에 어느 정도 일반화할 수 있음

80% 미만~ 70% 이상

D내용영역에 대한 지식습득과 이해가 다소 미흡한 수준이며 새로운 상황에 제한적으로 일반화할 수 있음

70% 미만~ 60% 이상

E내용영역에 대한 지식습득과 이해가 미흡한 수준이며 새로운 상황에 거의 일반화할 수 없음 60% 미만

5. 성취평가제 이해 –정리

Page 24: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성취수준 개발 시 고려사항

성취수준에 대한 일반적 정의를 바탕으로 교과별 특성을 반영하여 진술

각 성취수준별 전형적인 특성을 제시하며 , 지식과 기능 , 태도의 깊이와 범위 등에

따라 각 수준간 위계가 드러나도록 진술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에 비하여 수준이 높아지거나 학습량이 많아지지 않도록

성취수준에 대한 특성 제시

학기 단위의 성취수준은 한 학기 전체 성취기준을 포괄하는

수준에서 전반적인 이해와 수행 특성 진술

24

Page 25: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25

6. 성취평가제의 성취도 기록 - 중학교중학교 생기부 기재방식 변화 (2012 년 1 학년 부터 / 2013 년 1, 2 학년 적용 )교과목의 특성에 따라 평가 방식 다양화

성적 표기 방식을 ‘수 - 우 - 미 - 양 - 가’ 에서 ‘ A-B-C-D-E’ 로 변경석차표기 삭제하고 , 원점수 / 과목평균 ( 표준편차 ) 병기

현행 개선

석차 / 수강자수성취도과목

수영어 30/286

원점수 / 과목평균( 표준편차 )

성취도( 수강자

수 )

과목

A(286)영어 95/78.3(12.1)

Page 26: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26

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 개선사항

‘ 석차등급 (9 등급제 )’ 표기 삭제 , 성취도 ‘ A-B-C-D-E’ 기재성적 부풀리기 방지 , 평가의 난이도 , 점수 분포 등에 관한 정보 제공을 위해 현행대로 원점수 / 과목평균 ( 표준편차 ) 병기

현행 개선

석차등급(

수강자수 )

단위수과목

5수학 1(532)

원점수 /과목평균

(표준편차 )95/70.7

(10.5)

성취도(

수강자수 )

단위수과목

5수학 A(532)

원점수 /과목평균

(표준편차 )95/70.7

(10.5)

6. 성취평가제의 성취도 기록 - 고등학교

Page 27: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27

성취평가제에서의 원점수의 필요성2015 학년도 고등학교 신입생 내신성적 반영지침 ( 안 ) (2012.12 경기도교육청 )현재 중 2 학년 ( 성취평가제 적용 원년 세대 ), ‘ 수 - 우 - 미 - 양 - 가’ 에서 ‘ A-B-C-D-E’ 로 변경되고 .

2015 년 고입 내신성적에서는 교과별 성취도 ( 이수과목 원점수 ) 중요학년 교과별 성취도 ( 원점수 ) 에 의한 성적 반영 점수 산출법 (150 점 만점 )

일반교과

중략 : 1/2/3 학년 = 4/6/10 – 1.2/1.8/3.0 – 0.02/0.03/0.05 – 24 점 /36 점 /60 점 -16/24/40%

Page 28: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단위수단위수 과목평균과목평균

원점수원점수 석차순석차순

AABB

CC

성취평가제 성적 기재 방식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DDDD

퀴즈로 풀어보는 성취평가제 !Ⅱ

Page 29: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29

7. 기대되는 효과

종래에는 이제부터 기대효과

선택형 지필평가 ▷ 서술형 , 수행평가 ▷ 창의적 사고 , 문제해결력

상대평가 ▷ 학업 성취수준 평가 ▷ 학교교육목표 달성 중점

점수 비교 ▷ 학업수준 개선 ▷ 학교교육의 책무성 제고

가 . 성취 중심의 학사관리로 중 고교의 교육력 제고․

Page 30: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30

7. 기대되는 효과

나 . 학교교육 선진화를 위한 선순환 기반 구축

교육과정 선진화 학사관리 선진화 학생선발 선진화

수요자 중심자율성 강화핵심 역량 중심교과 간 통합

서술형 , 수행평가 확대 다양한 학습지원 성취평가제

교과와 창체의 연계입학사정관제 자기주도적 학습 전형

Page 31: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31

성취평가제 도입으로 인한 교육활동의 변화

교과별 성취기준에 근거한 수업설계 , 교육과정 재구성

성취기준에 도달시키기 위한 교수학습활동 전개

성취평가제에 적절한 평가 계획수립 및 평가도구 제작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평가유형 결정 ( 선택 서술 수행 )

성취기준을 이원목적분류표에 제시하여 출제 계획작성

평가도구 제작 및 교과협의회 활성화

문항분석 , 기준 성취율 등 분석 , 부풀리기 방지 , 전문성

교육과정 , 교수 · 학습 , 평가 간의 연계성 확보

Page 32: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32

교육과정 재구성 ( 예 : 중학교 도덕 )

1. 교과내 교육과정 재구성 : < 도덕 1>, < 도덕 2> 에 따른 1 학년 2 학년의 구분 없이 영역에 따라서 재구성 단원의 목차 순서 조절 / 학습주제에 따른 차시 또는 창의지성내용의 증감 2. 교과간 교육과정 재구성 : ‘ 중학교 철학 학생용 자료’인 [ 철학마당 ] 과 창의지성 [ 철학 ] 교과서 함께 사용 융합 : 단원의 주제 ( 사이버윤리 ) 에 따라 정보교과 ( 네티켓 ) 와 미술교과 ( 포스터 제작 )

3. 지도시기 조절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 교과 영역 내의 주제와 내용을 시의 적절하게 조절 가령 , 5 월 가정의 달 , 6 월 호국보훈의 달 및 ‘안중근의사 순국추념일’ , ‘ 장애인의 날’ , ‘ 지구의 날’ 등 국가기념일 계기 교육과 학습 주제

Page 33: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33

성취기준의 재구성 ( 예 : 중학교 도덕 1)

성취기준

도 911. 도덕이 인간다운 삶을 위한 핵심 규범 체계라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 도덕적 삶을 영위하려는 적극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다 .

성취기준 중학교 도덕 1 – 대단원 Ⅰ – 중단원 1. 도덕의 의미 ( 도 911)

2009 개정 교육과정 – 중학교 도덕

(1) 도덕적 주체로서의 나㈎ 도덕의 의미도덕은 자율성을 전제로 인간다운 삶을 살아가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규범 체계임을 이해하고 , 바람직한 도덕적 삶을 영위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 이를 위해 인간의 삶 속에서 도덕이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이유를 제시하고 , 도덕적인 삶의 다양한 모습을 열거한다 . ① 욕구와 당위② 예절과 도덕③ 양심과 부끄러움

Page 34: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34

성취기준의 재구성 ( 예 : 중학교 도덕 1)

성취기준

도 911. 도덕이 인간다운 삶을 위한 핵심 규범 체계라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 도덕적 삶을 영위하려는 적극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다 .

중학교 도덕 1 – 대단원 Ⅰ – 중단원 1. 도덕의 의미 ( 도 911)

3 개의 소단원 (1) 욕구와 당위 - (2) 예절과 도덕 – (3) 양심과 부끄러움

소단원 ( 주제 ) 성취기준 재구성(1) 욕구와 당위 도

9111욕구와 당위를 구분하고 조화를 이루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려는 적극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다 .

(2) 예절과 도덕 도9112

예절과 도덕이 인간다운 삶을 위한 핵심 규범 체계라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도덕적인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하는 태도를 가질 수 있다 .

(3) 양심과 부끄러움 도9113

부끄러움을 알고 양심에 따라 적극적으로 도덕적 삶을 영위하려는 태도를 가질 수 있다 .

Page 35: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35

성취기준과 학습목표의 관계 ( 예 : 중학교 도덕 1)

소단원 ( 주제 ) 성취기준 재구성

(1) 욕구와 당위 도9111

욕구와 당위를 구분하고 조화를 이루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려는 적극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다 .

소단원 학습목표의 진술(1)

욕구와 당위(1/1 차시 )

1. 욕구와 당위의 개념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 2. 매슬로우의 욕구 5 단계를 설명할 수 있다 .3. 욕구와 당위의 갈등 관계를 설명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

학습 목표의 의미 : 단원 목표가 세분화되어 1 ~ 2 시간의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 설정한 수업 목표 1. 명시적 동사를 사용하여 구체적이고 행동적 용어로 진술한다 . 2. 교사의 활동이 아닌 학습자의 도착점 행동으로 진술한다 . 3. 학습 과정이 아닌 학습 결과로 진술하되 관찰할 수 있는 행동으로 표현한다 . 4. 가르칠 교과내용이나 주요 제목을 세분하여 나열하지 않아야 한다 . 5. 한 목표에 두 개 이상의 학습결과를 포함시켜서는 안 된다 .

Page 36: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36

정리 - 이것 만은 꼭 !! – 선생님 가까이에…• 2007 년 개정 교육과정 / 2009 년 개정 교육과정 - 교과별 (http://www.ncic.go.kr] - 교육과정자료실 - 교육과정 원문 및 해설서 • 성취평가제 포털 사이트 (http://assess.kice.re.kr) – 교과별 매뉴얼 , 15 시간 동영상• 교과별 서술형 평가 홈페이지 (http://seosul.kice.re.kr)• 2013 중등 서술형논술형 평가 예시자료 ( 경기도교육청 - 교육과정지원과 - 자료실 )• 교과별 성취기준예시문항 -(http://www.ncic.go.kr] - 교육과정자료실 - 성취기준• 친절한 교육연구부–학교 쿨박스–교육과정 , 교과별성취기준 및 매뉴얼 , 서논술형평가

Page 37: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37

“ 선생님이 행복하셔야 교실이 행복해집니다 .”

감사합니다 .